You are on page 1of 5

13.

근현대 국내 도시주거 3_설계기법 변화 및 주상복합

13.1 아파트 단지계획의 변화.

⚫ 단지 간 연계성

◼ ‘80 년대 목동, 상계

◼ ’79 과천

◼ “’83 목동, 상계 등

◼ 시공 시 단지 간 조율

◼ ‘90 년대 1 기 신도시

◼ ‘제 1 종지구단위계획’

◼ ‘제 2 종지구단위계획’

⚫ 단지 경계의 폐쇄성

⚫ 보다 다양한 매스의 배치

◼ ’77 한남외인, ’79 둔촌

◼ ’83 아시아 선수촌, ’85 올림픽 선수촌

⚫ 기존 지형의 특성을 살리려는 시도

◼ ’77 화곡, ’79 둔촌, 과천

◼ ’84 부산망미

⚫ 고층, 고밀화

◼ 정책, 주거의 질

◼ 용적률, 배치

◼ 1 기 신도시

◼ 신도시 스카이라인.

13.2 아파트 설계의 변화


⚫ 내부 마감 고급화 : ‘87 년 ‘민간합동개발방식’ 도입 이 후 민간건설업체들은 단위주거유닛의 내부설계,
마감을 고급화하며 경쟁

⚫ 공중정원

⚫ 주차장 및 인공대지 : 분당 아파트에서부터 일반화됨. 주차장 상부를 데크로 덮어 인공대지화하여


보행전용 공공공간을 확보하고 식재도 가능(나무가 크게 자라기는 힘듦)

⚫ 아트리움과 양복도 평면

⚫ 중복도

⚫ 격층편복도

⚫ LH 강남보금자리(세곡지구) 3 개 단지 – Mass 의 다변화, 외부공간의 활성화


13.3 상점주택, 상가아파트, 노선상가, 주상복합

⚫ 상점주택(‘20 년대 이 후)

⚫ 상가아파트(‘60~’70 년대)’

⚫ 노선상가(‘70 년대 아파트 단지)


⚫ 주상복합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