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8

물류거점 및 시설

1. 물류거점의 개요
2. 물류센터
3. 물류기지
4. 트럭터미널
5. 창고
6. 항만
7. 공항
물류거점의 개요
• 1. 물류거점의 개념
: 물류활동이 일어나는 장소 – 물류경로와 물류거점
: 공급자와 수요자의 중간에 위치한 유통단지 ,
복합화물터미널 , 공동집배송단지 등과 같은
제반물류시설이 집약된 지역

• 2. 물류거점의 기능
: 다품종 소량생산을 하는 공장이나 화주로부터
물품을 공급받아 분류 , 보관 , 재포장 , 하역 , 정보처리
등의 기능수행과 함께 다수의 수요지에 배송하는 역할
3. 물류거점의 유형
: 철도역 , 항만 , 터미널 등 사회간접자본으로 건설된 것
공장창고 , 물류센터 등 민간기업에 의해 운영되는 것
물류센터
• 물류센터의 개념
: 물류거점의 하나로 공급자와 수요자의 중간에
설치하는 시설로 생산과 소비를 연결하는
유통기능으로 시간과 장소의 효용을 창출
물류센터의 유형
• 배송센터 (distribution center) – 개별기업 또는
협의체에서 유통창고의 집배송기능을 강조하는 것으로
유통업체에서 매일 상품의 집화와 배송을 실시하는 장소
• 유통센터 (commercial distribution center) – 협의로는
배송센터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광의로는
복합화물터미널과 같은 대규모 유통업무단지 자체를
지칭
• Stock Point – 상품의 보관거점 혹은 배송거점으로
제조업체의 원료 , 완성품 , 폐기물 등의 보관장소 또는
유통업체의 배송 전단계로 재고품을 비축하거나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장소
• Depot – Stock Point 보다 규모가 작은 국내용 2 차 창고
배송센터
• 민간기업에 의해 설치 운영되는 물류시설
• 다품종 대량품을 공급자로부터 수탁하여 수요자의
수주에 의해 물품을 환적 ( 운송과 집배 , 검수 ),
보관 ( 보관 , 분류 , 검수 ), 유통가공 ( 가공 , 조립 ,
포장 , 검수 ), 정보처리 등을 통해 다수
수요자로부터의 주문에 의해 고객이 만족할 만한
서비스수준으로 집배송하는 기능을 가진 물류시설
• 관할 지역내의 소매점 및 소비자에 배송기능을
담당하는 물류거점으로 물류센터보다 소규모이고
기능이 단순
배송센터의 필요성
• 대량생산과 소비의 시기 조절
• 경제적 운송로트로 입출하를 위한 비축
• 분산 보관된 재고의 집약 , 보관 , 하역의 관리효율 향상
• 여러 지역으로부터 다종류 조달품의 집약과 소비자에 대한
계획운송을 위한 집약
• 생산과 소비의 균형 조정
• 소비지에의 근접보관을 통한 고객서비스 향상
• 고객서비스 유지위한 안전재고 유지
• 로트 운송 또는 말단배송의 연계점
• 상류 및 물류의 분리를 통한 효율화
• 운송효율 향상을 위해 소비지의 ( 조립 가공포장에 맞는 ) 상품종류와
유통형태에 적합한 배송센터 설치
물류센터의 기능
• 적정재고의 유지 , 판매점의 품목정리 활동을
간략화해줌으로써 판매기업이 판매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협조
• 신속하고 정확한 배송으로 고객서비스를 향상
• 재고활동을 통해 수급조정을 함으로써
수요변동에 대비
• 상품분리에 따른 물류효율화의 달성
주요흐름
물류센터의 일반적 구조
가능한 흐름

입 고
팔레트 팔레트 박스 박스

팔레트보관구역 기

팔레트
박스
박스피킹구역
박스 박스 박스
박스
트팔 낱개피킹구역

운반박스

낱개분류구역
운반박스
스운 기

박스분류구역 반

박스

재포장구역
팔레트

출 고
물류센터의 입지
• 생산 , 소비 , 교통 , 통신의 새로운 Network 에
대응하는 적정입지 조건이 중요
• 물류센터 입지결정시 고려사항
- 공장 , 물류센터 간 수송수량 , 고객으로의
배송수량 , 물류센터의 보관수량 , 배송루트별
취급수량 등 전반적인 수송량의 파악
- 공장 , 물류센터 간 배송비 , 물류센터 - 고객 간
배송비 ( 가변비용과 고정비의 구분 ), 시설 , 토지 ,
인건비 , 경비 등 제반 비용의 파악 ,
- 시설배치 , 공장의 위치 지도 , 각 후보지로부터의
배송루트 , 거리 등의 자료 확보
물류기지
• 물류기지의 개념

• 물류의 형태는 수송경로인 선 (link) 부분과


수송기관이 만나는 점 (node or arc) 으로 구분되는
데 , 수송기관이 만나는 연결부분 ( 점 ) 에 해당하는
것이 물류기지 혹은 물류거점

• 물류기지는 항만 , 공항 , 트럭터미널 등
사회간접자본 (SOC) 의 성격을 지님
물류기지 ( 유통기지 ) 의 형태
• 수송로 : 도로 , 철도 , 항공로 , 해상로 등
• 수송수단 : 자동차 , 열차 , 선박 , 항공기 등

• 트럭수송 : 트럭터미널 , 유통업무단지 , 내륙창고 ,


유통센터 , 배송센터 등
• 철도수송 : 화물역 , 역전창고 등
• 선박수송 : 항만 , 컨테이너 터미널 , 항만창고 ,
석유수입기지 등
• 항공수송 : 공항 , 에어 카고 등
• 복합수송 :
물류기지의 기능
• 물류기지의 기본기능은 하역 및 보관

• 최근에는 가격표 부착 , 라벨링 , 선물세트


포장 , 등 유통가공 기능이 활발히 전개

• 기타 각종 문의 , 공간 예약 , 운행도착정보 ,
재고관리정보 등 정보처리 기능이 부가
물류기지에 필요한 시설
• 지역간 수송을 위한 발착시설
: 터미널 , 철도화물역 등 화물을 싣고 내리기 위한
시설
• 지역간 수송과 역내수송에 필요한 옮겨 쌓기 시설
: 창고 , 매각장 등
• 일시보관 및 적정재고를 위한 보관시설
: 창고 , 야적장 , 저장소 등
• 기타
: 소량 혼재화물을 위한 시설 , 정보처리시설 ,
컨테이너 및 팔레트 유통을 위한 시설 , 일반관리
사무에 필요한 시설 등
물류시설의 기능
• 1) 환적기능
• 2) 집배송기능
• 3) 보관기능
• 4) 조립ㆍ가공기능
• 5) 컨테이너화물처리기능
• 6) 통관기능
1. 환적기능
- 불특정 화주를 대상으로 지역간 화물의 수송 및
하역의 거점기능을 수행하며 , 중소수송업체가
입주하여 영업용 화물을 수송하거나 자가물류업체가
입주하여 자체 화물의 연계운송을 담당

2. 집배송기능
-특정화주를 대상으로 일정 지역 내에서 화물을
산지로부터 집하하거나 최종 수요지까지 배송하는
기능으로 주로 완제품을 취급하며 , 한국의 경우
자가물류업체가 직접 담당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중소 수송업체에게 위탁하는 것이 선진국의 일반적인
형태
3. 보관기능
-불특정 화주를 대상으로 원재료 및 완제품의 분류 ,
보관 및 일부 가공기능을 수행하며 , 물품의 특성에
따라 보통창고 , 냉동창고 , 냉장창고 , 저장창고 , 위험물
창고 등의 보관시설과 가공공장이 결합

4. 조립ㆍ가공기능
-생산지가 일괄적으로 생산한 반제품을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조립 혹은 가공하는 제조기능의 일부를 대행하는데 ,
이는 최근 유럽의 유통단지에 도입되고 있는 부가가치
물류를 위한 주요 기능이며 , 특히 공동의 업종이 수행하는
동일한 조립ㆍ가공기능을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는다는
점에서 일반 공단의 조립ㆍ가공기능과 다름
5. 컨테이너화물처리기능
-불특정 화주를 대상으로 화물을 컨테이너에 혼재하거나
컨테이너로부터 분류하는 기능으로 주로 대형선박회사가
컨테이너 수출입화물을 취급하는 것 등이며 , 따라서
컨테이너터미널은 터미널의 최소의 자원을 이용하여
선박 및 육상운송의 특정 또는 불특정 수요를 충족시키는
기능을 담당

6. 통관기능
-수출입화물의 통관업무를 수행하는 기능으로 항만이나
공항이 아닌 물류단지에서 통관시킴으로써 통관절차를
간소화하여 불필요한 시간낭비를 단축
트럭터미널
• 트럭수송방법
- 자동차를 사용한 행상 및 도시 내 근거리 수송
- 한 장소에서 여러 장소로 화물을 배달하거나 여러 장소의
화물을 한 곳으로 집하
- 한 화주로부터 물건을 위탁받아 지역내 터미널까지
소형트럭으로 수송하고 , 그곳에서 다른 화주의 화물과 합쳐
대형트럭으로 배달지역 터미널까지 수송
• 트럭터미널의 기능
- 트럭의 쌓고 내리기 및 화물매각을 위한 공동기지로 활용
- 노선수송 합리화에 필요한 시설의 준비 ( 트럭터미널에는 집배용
소형트럭과 대형트럭노선 또는 중계트럭 사이에서 행선지별로 분류하고 옮겨
쌓는 기능을 하는 화물취급 장소 , 수송도중의 매각과 가치증진을 위해 단기간
화물을 보관하는 시설 , 주차장 , 급유스탠드 , 세차장 , 검차장 , 정비소 등의
시설이 필요
항 만
• 항만의 기능
- 터미널 기능 : 선박의 효율적인 운항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수역시설 , 외곽시설 , 항내 교통시설 , 계류시설 , 매각
보관시설 등이 필요
- 경제적 기능 :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는 공간적 , 시간적
간격을 메우기 위해 행하는 물류활동의 일부로 임해부에
입지하는 공장의 생산활동
- 사회적 기능 : 인구 , 자본 , 생산 , 교통 , 생활수단이
집적된 도시의 기능
• 항만의 유형
: 항만은 이용형태에 따라 상업항 , 공업항 , 어항 ,
피난항으로 분류
공 항
• 공항의 구성요소
- 이착륙지구 : 활주로 , 유도로
- 주기지구 : 여객의 승강과 화물의 쌓고 내리기 , 급유 ,
정비를 하는 장소
- 터미널지구 : 화물취급시설 , 지상교통기관 및 도로 ,
주차장시설 , 화물창고 , 보세창고 , 혼재창고 , 세관 등
• 대형기 활용으로 화물취급량이 증대하여 화물처리시간의
단축이 필요
- 유닛 로드 시스템 보급으로 하역시간을 단축 , 유닛화된
화물을 하역하기 위해 로더 , 트랙터 , 카터가 사용되어
항공기에 화물을 쌓거나 항공기에서 화물을 내리는 작업이
신속히 진행
창고
• 창고의 기능

: 상품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저장기능 ,


생산과 소비의 시간적 갭을 조정하는
수급조절기능 , 가격안정에 기여하는
가격조정기능 , 물자의 흐름을 연결하는
연결기능 , 판매전진기지기능 , 기타
매매기능
창고의 유형
• 이용형태에 따른 분류
- 자가창고의 장점 : 창고의 자유로운 이용 , 자사화물용
하역방식 , 적절한 위치에 입지
- 자가창고의 단점 : 시설 및 종업원 고정화 , 보관물품의 훼손
및 멸실에 대한 자기부담 , 많은 초기투자비
- 영업창고 : 자가창고의 반대개념으로 비용계산이 명확하고
고정투자비의 회피 가능
• 보관형태에 따라 야적창고 ( 시멘트 , 목재 , 건축자재 , 차량
등 ), 수중창고 ( 원목 , 수산물 등의 보관창고 ), 저장조 (
가축사일로 , 유류탱크 ), 위험물 창고 ( 고압가스 , 독극물 등 ),
냉장창고 ( 신선품 , 동결품 등 ) 으로 분류
• 입지에 따라 항만창고 , 내륙창고 ( 산지형창고 , 공장창고 등 ),
도시창고 ( 시중창고 , 소비지형 창고 ), 철도역 창고 ,
터미널창고 등으로 분류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