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q 첨단기술정보분석 1

항공기 우주 개발동향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김유상
(kiysjnsc@reseat.re.kr)

년 11월, Boeing787드림 라이너기가 취항했다. 미국과 일본을 시작으로


2011
각국과의 공동개발에 의해 탄생한 기체는 35%가 일본제품이며, 여객기 최초
로 주 날개에 복합재료를 채용하였다. 기체구조의 50%가 탄소섬유강화 플라
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을 채용함으로써 종래의 기체
에 비하여 대폭의 중량감소를 실현하고 있다.
일본의 여객기 개발에서는 Mitsubishi주식회사의 YS-11이후, MRJ개발을 진
행하고 있다. MRJ는 70~90인승의 소형제트 여객기이며, 신설엔진 채용에 의
해 대폭의 연비감소를 도모하고, 굉음과 배출가스 감소를 노리고 있다. 2011
년 4월에는 기체의 조립에 착수했다.
우주개발에서는 H-ⅡA로켓의 발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H-ⅡB로켓에
의해 우주정거장 보급기(HTV; H-II Transfer Vehicle) 2호기를 2011년 1월에
쏘아 올렸다. 발사 15분 후에는 예정궤도에 돌입하였고, 2009년 9월에 발사
기술이 실증된 로켓을 연속으로 발사하는데 성공했다. 이후, 국제정거장에
결합되었고, 분리, 대기권에 재돌입함으로써 일련의 연속임무를 무사히 완수
했다. 이후 2호기도 성공리에 발사되었다. 장래의 유인 우주활동에 불가결한
기술인 귀환· 회수기술을 확립하였다.
우주기에서도 위성의 발사능력 향상을 위하여 기체의 경량화가 요구되어
H-ⅡB로켓에서도 1단/2단 로켓의 단간부와 엔진밸브 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상온헬륨 기축기인 고압가스용기와 2단 추진 약 탱크사이의 삼각구조물에
CFRP복합재료가 많이 사용되었다. 로켓 구조용의 금속재료로서는 기체의 대
부분을 차지하는 추진 약 탱크에 2219Al합금이 적용되고 있지만, 기체구조를
한층 더 경량화 할 목표로 NASA는 MT Aerospace사와 2195Al합금제의 일
체화 천정(dome)을 개발했다. 일체화한 천정은 마찰교반접합(FSW; Friction
Stir Welding)을 사용하여 대형화한 소재를 나선형으로 형성한 것이다.

ReSEAT 프로그램(http://www.reseat.re.kr)
q 첨단기술정보분석 2

항공기의 경량화는 성능향상에 직결된다. 기체의 50%가 CFRP복합재료인


Boeing787기는 30년 전에 동일크기로 개발된 Boeing767기에 비하면 연료소
비량이 20%적어도 된다. 순항속도는 Boeing767기의 Mach0.8에 비하여
Mach0.8로서 빠르기 때문에 목적지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었고, 기체
의 운용효율 향상이 가능하였다. 최근의 여객기 개발의 핵심어는 운향경제
성의 향상이기 때문에 기체구조의 경량화, 저연비나 유지, 보수를 포함한
운용비용의 감소로 이어지는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종래, 항공기 구조조립에서의 용접기술은 리벳결합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
기성개념을 타파할 가능성이 있는 새로운 접합기술이 발표되고 있다. 나노
몰딩기술(NMT)은 나사 등의 체결요소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기 위하여
수지와 금속을 접착· 일체화하는 기술이다. 경량화와 비용감소 및 이음새의
신뢰성을 향상할 가능성이 있다. 금속접착면의 특수한 표면개질로써 종래의
접착이음새와는 비교가 안 될 수준의 이음강도를 향상할 수 있으며, 표면개
질법의 적용범위가 Al합금, 철강 재료나 티타늄합금까지 넓어지고 있기 때문
에 향후 접착기술의 적용확대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용단계의 새로운 용접기술로서 FSW와 레이저용접이 있다. FSW는 미국
의 로켓추진 약 탱크 외에도 일본에서 개발된 H-ⅡB로켓 추진 약 탱크에 적
용되었고, 종래의 직접용접 이음부위 뿐만 아닌 시공이 어려운 원주접합 이
음부에서도 Bobbin Tool방식의 FSW로써 전체이음새 조립이 가능하였다. 레
이저용접은 에어버스 A318, A380등의 하부동체 패널조립, Arine5로켓의 주
엔진인 Vulcaine2나 P&S사가 개발한 RL60엔진의 재생냉각노즐 조립에 적용
되고 있다. 운용중인 H-ⅡA 및 H-ⅡB로켓엔진 1단 LE-7A, 2단 LE-5B엔진의
주 분사기나 노즐스커트 기간부품의 조립에 Brazing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이상의 실용단계의 접합기술에 대하여 연구축면에서 티타늄합금이나 철강
재료 등의 고융점 금속재료의 FAW기구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Ni기 초
· 초합금이나 W · Carbide, Ir합금제인 FSW기구의 유효성이 보고되었다. 티
타늄합금의 FSW이음새 품질개선에 관하여 접합부에 불활성가스를 흘림에
따라서 산화나 질화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Stationary Shoulder FSW개발에
관하여 유효성이 나타났다.

ReSEAT 프로그램(http://www.reseat.re.kr)
q 첨단기술정보분석 3

합금을 대상으로 한 FSW에 관하여는 2219Al합금을 접합할 때 FSW표면


Al
에 부착한 층상의 Al Cu상이 소성유동에 따라서 기구표면에서 탈락하였고,
2

교반부에 남겨두었기 때문에 피로균열 발생의 기점이 되었다. FSW이음새에


대한 품질보증에 관해서도 2011년에 많은 발표가 있었다.
레이저용접에 관해서는 항공우주용 재료로서 많이 사용되는 Ti-6Al-4V와
Inconel718의 이종재료 이음새에 대하여 Fiber레이저로써 용접할 때의 용접
인자에 관하여 조사를 실시했다. 빔의 위치를 겨냥하여 Inconel718측에 35㎛
오프셋하고, 고출력, 고속도 조건에서 용접함으로써 균열이 없고, 딱딱한 분
포 폭이 좁은 양호한 용접부가 얻어졌다.
대기 중에서 용제(flux)를 사용하지 않는 Mg합금을 초음파 브레이징
(brazing)을 시도하여 고액공존 상태로 되는 접합온도에서 용융하지 않은 표
면산화피막이 파괴되었다. 파괴부에서 용융접합이 중첩하였고, 일부 모재가
파단 하는 고강도의 이음새를 얻었다. 접합강도, 내열성이나 내식성이 요구
되는 이음새에 많이 사용되는 Ni기 brazing재에 융점강하 원소로서 첨가되
는 B, P 및 Si가 많이 감소함에 따라 취화상의 형성이 억제되었다. 이음새
특성향상을 시도하여 소량의 Si, Mn을 함유한 새로운 Ni기 brazing재를 개
발하였다.

출처 : 都築 圭紀, “航空機· 宇宙開發”, 「溶接學會誌(日本)」, 81(5), 2012, pp.425~427

이 분석물은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진흥기금, 복권기금의 지원을 받아 작성하였습니다.

ReSEAT 프로그램(http://www.reseat.re.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