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구조역학1 과제

60182303 임동환

1. 구조요소의 종류와 구조 요소의 역학적 특징

● 케이블(현수교, 사장교, 철탑케이블, 지붕케이블 등): 인장력에 저항


● 아치(아치교, 고대건축구조물): 주로 압축력에 저항, 부분적 휨모멘트 저항
● 트러스(지붕트러스, 트러스교): 축력(인장력, 압축력)에 저항, 부재간 힌지(핀) 연결 절점에 하중작용,
● 보(교량거더, 가로보, 세로보, 건물 들보): 축력에 저항, 수직 전단력에 저항, 휨 모멘트에 저항
● 기둥(교량 하부구조, 건물기둥): 주로 압축력에 저항, 부분적 휨모멘트 저항
● 프레임(라멘교, 건물 뼈대 구조물): 축력, 수직전단력, 휨모멘트 저항, 절점에서 강절, 평면 및 공간프레임
● 막(경기장 지붕), 평판/쉘(강상판, 콘크리트 슬래브, 경기장 지붕)
-2~3차원 공간구조, 막: 인장력만 저항
-평판 및 쉘: 축력, 수직 전단력, 휨모멘트에 저항

2. 구조물의 지점조건 특징

● 핀(힌지): 평면상에 고정되어 있는 물체를 수평방향, 수직방향으로 힘을 가할 때 반력이 작용한다. 회전을 시킬


때는 반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 롤러: 바퀴가 존재하여 어떤 면을 기준으로 수평으로 자유롭게 움직임이 가능하여 수평방향으로는 반력이 존
재하지 않다. 반대로 수직방향으로는 반력이 작용한다. 회전에 대한 반력도 작용하지 않는다.
● 고정지점: 수평, 수직방향에 대한 반력이 존재하고 회전에 대한 반력도 존재한다. (모멘트 반력)

3.물체의 역학적 평형상태를 설명하고 평형조건식을 기술하시오.

물체의 역학적 평형상태는 물체에 작용하는 각각의 모든 힘의 합과 모멘트의 합이 0인 경우 물체의 평형상태가


유지된다.

<평형조건식>

1) 공간상의 경우(3차원)

∑ 𝐹𝑋 = 0 , ∑ 𝐹𝑌 = 0 , ∑ 𝐹𝑍 = 0, ∑ 𝑀𝑋 = 0, ∑ 𝑀𝑌 = 0, ∑ 𝑀𝑍 = 0

2) 평면상의 경우(2차원평면)

∑ 𝐹𝑋 = 0 , ∑ 𝐹𝑌 = 0 , ∑ 𝑀0 = 0

4.정정/부정정 구조물 구분 방법

미지 반력의 개수와 자유물체도의 개수를 이용하여 구분이 가능하다.

(r=미지 반력 수, n=자유물체도 수)

정정구조: 미지 반력의 개수가 평형조건식의 개수와 같은 구조(r=3n)


부정정구조: 미지 반력의 개수가 평형조건식의 개수 보다 많은 구조(r > 3n)

(1개의 자유물체도당 3개의 평형식이 존재)

5. 52P 예제 2-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