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대한설비공학회 2006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364-369 06-W-060

도심 형태변화에 따른 풍환경 변화
* *
오 병 철, 김 상 진
*
전주대학교 건축공학과

Change of Wind Environment with Urban Modification


Byoung-Chull Oh*, Sang-Jin Kim*
*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Jeonju University

ABSTRACT: The surface changes due to urban development and the increase of artificial
heat releases have brought significant climate changes such as heat island phenomenon in
urban area. Furthermore, these changes also have brought serious problems such as air
temperature increase, wind changes, and air pollution in urban area. Comprehensive analytical
technologies considering various effects are required to analyse complicated mechanism of
climate changes, and review the efficient measures. In this research, we have studied the
influence of climate upon the surface change by urban development in Tokyo and Bangkok
area which have heat island phenomenon. By using CFD, we have studied urban development
and the mechanism of global warming and wind change in those two cities. As a result of
numerical research, the surface changes of city could bring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urban area.

Key words: Urban climate(도시기후), Wind environment(풍환경), Computational fluid dynamics(전산유체역학)


Urbanization(도시화)

1. 서 론 기후 변화에는 다방면에 걸치는 변수가 복잡하게


관여하고 있다. 그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대책을
1.1 연구목적 검토하기 위해서는 각종 요인의 영향을 고려한
종합적인 해석 기술의 확립이 요망된다.
최근,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는 급격한 도시화 본 논문에서는 일본 동경과 최근에 열대환경기
에 따라 토지 피복의 변화(녹지면적의 감소, 조 후이며 급속한 발달을 한 방콕을 선정하여 기후
도장의 증대 등)와 인공 배열량의 증대 등으로, 변화 등의 문제를 비교하려 한다. 국내에는 아직
열섬(heat island)과 같은 도시 고유의 기후가 현 토지이용에 대한 Date base가 확보되지 않아 먼
저하게 나타나고 있다. 저 일본과 방콕의 결과로 도시화의 영향을 간접
대도시는 기온 상승에 편승하여 연쇄적으로 도 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수치기후 모
심부의 풍환경이 변하고, 대기 오염 등의 환경 델을 이용해 도시의 발달과 온난화에 동반하는
문제도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1),2)
이러한 풍환경 변화의 메커니즘과 관련지어 검토한 결과
를 소개한다.
†Corresponding author 여기서 사용하는 수치기후 모델은 그 결과를
Tel.: +82-63-220-2904; fax: +82-63-220-2904 관측 데이터와 비교하여 그 정밀도를 조사한 것
3)
E-mail address: kimsj@jj.ac.kr 을 이용하였다. 현재의 도시상태와 과거의 토지

371
- 364 -
www.dbpia.co.kr
대한설비공학회 2006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364-369

이용을 가정한 경우의 계산을 하고, 과거의 수도 Fig. 1에 과거 100년 전부터 현황에 이르기까
4)
권의 도시화의 과정이 이 지방의 유동장, 온도장 지의 일본 동경의 도시화의 변천 과, 2000년 이
에 준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전의 방콕의 도시권 확대상황을 나타낸다. Fig. 2
5)
냉기원이 되는 해풍의 도시로의 유입이, 도시의 는 최근까지의 동격의 가온 상승을 나타낸다.
기온에 줄 영향을 분석한다. 급속한 도시화의 진행은 대도시의 기온 상승을
야기했으며(Fig. 2), 이는 지구 온난화 현상을 빠
2. 도시발달과 기온변화 른 속도로 증가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
상은 개발의 일변도를 달리고 있는 아시아의 국
가들, 특히 서울, 동경, 상하이, 방콕 등에서 현저
히 나타나고 있다.

3. 해석개요

3.1 난류모델

복잡한 지형에 적용 가능한 형태로 확장시킨


8)-12)
Mellor-Yamada 모델의 level 2.5 를 이용하였
다. level 2.5 모델은 공학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
난류 모델로는 간이형 대수응력 방정식 모델
(1) Tokyo in Japan (ASM)에 대응하고 이것은 k-ε형 2방정식 모델
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것이다.
[W/m2]
이 방정식계에서는 정역학평형을 가정하고
Coriolis력에 관한 항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총
수분혼합비 Q w (수증기혼합비와 액체혼합비의 합)
의 방정식을 연성시키고 있다.
모델의 방정식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문헌
km
8)을 참조하기로 한다.
0 10 20 30 40

1980년 1990년 3.2 계산개요


(2) Bangkok in Thailnad
Fig. 3, Fig. 4와 Table 1에 해석영역 및 Mesh
Fig. 1 Urbanization. 분할을 나타낸다. 수평 방향에는 등간격(일본의
계산은 8㎞ 격자), 연직 방향에는 지표면으로부터
17 고도 5㎞까지의 대기를 20개의 무등간격 격자로,
지하는 깊이 50㎝까지를 5개의 무등간격 격자로
16
분할하였다.
15
2℃
1.7℃ 특히 방콕의 경우 복합 Grid를 사용하여 더욱
온도(℃)

14
상세한 해석을 행하였다.
수증기의 초기치는 지상 3㎞까지는 지표면의
13
수증기량을 고려하고, 이에 준하도록 McClatchey
12
1870 1880 1890 1900 1910 1920 1930 1940 1950 1960 1970 1980
의 대기모델에 따른 분포를 이용하였다. 3km이상
year 의 상공에서는 수증기는 0%로 했다. 상공의 풍속
Fig. 2 Increase of air temperature. 은 1m/s로 하였다. 또한, 고도에 따른 지표면 온
(Japan, the Tokyo, height 1.5m) 도의 초기값을 지중 온도의 초기값으로 하였다.

372
- 365 -
www.dbpia.co.kr
대한설비공학회 2006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364-369

5),6),
지표면온도는 1차원 열수지 모델로부터 산출 Table 2에 계산 종류를 나타낸다. 비교계산을
8)~10)
하였다. 이 외의 초기값도 관측값을 이용하 위하여 Case1과 Case2는 동경 현재와 과거의 토
였다. 계산 시기는 동경의 경우 가장 더운 8월 지이용현황을 이용한 계산, Case3과 Case4는 방
초, 방콕의 경우 본격적인 장마에 들어가기 전인, 콕의 현재와 과거의 토지이용현황을 이용한다.
5월을 대상으로 계산하였다. 계산은 오전 6시에
시작해서 다음날 오후 3시까지의 33시간 동안 행 Table 2 Calculation case.
하였다.
case 토지이용 상태
Case1 일본 동경의 현재의 토지이용
480 km
동해 Case2 동경 과거의 토지이용
N
Case3 방콕의 현재 토지이용
Case4 방콕의 과거 토지이용

Otemachi
400 km

Hachioji
Case2는 동경의 도시화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에도시대 (천보년간, 1830~1844)
동경만(28 ℃ ) 의 토지이용상황을 상정한 계산을 행하고 있
Y
14),15)
태평양 다.
X 방콕의 경우 타이의 토지이용데이터는 타이의
Department of land development 의 토지이용데
Fig. 3 Analysis area. (Japan)
이터를 이용한 것이다. 이 데이터는 위성데이터
280 km
의 근거해서 토지피복을 분류한 것이다. 이 토지
Grid 1 800 이용분류에 대해서 각 파라메타 이외의 조건은
200
Point B 전부 같은 조건으로 했다.
Grid 2
Bangkok
Point A 4. 계산결과
0
280 km

Grid 3
200 200 200 4.1 일본 동경의 기후 변화
200
Gulf of
200 0
Thailand

400
0
Coast
200

Fig. 4 Analysis area. (Bangkok)

Table 1 Calculation grid.

계산영역 Mesh 수평방향


(X)×(Y)×(Z) 분해 Mesh size (1) Case1 (2) Case2
Fig. 5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Grid 1 280km×280km×5km 35×35×20 8km
(Japan)
Grid 2 104km×104km×5km 26×26×20 4km
Grid 3 64km×64km×5km 32×32×20 2km
Fig. 5는 8월 상순의 오후 3시의 지표면의 온
도분포의 비교를 나타낸 것이다.
3.3 계산 case 현재의 동경을 대상으로 한 Case1에서는 현재
토지이용에 따른 토지의 피복, 인공폐열 등을 반

373
- 366 -
www.dbpia.co.kr
대한설비공학회 2006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364-369

영하여 최대값(약34℃, 8km×8km mesh의 평균 력이 되는 지표면과 해수면의 온도차가 크게 된


값)이 도심부에 나타난다. 이 예측결과는 기존의 것이 그 원인이라 생각되어 진다.
관측결과와 잘 일치하고 있다. 한편, Case2의 에 이상으로 Case1과 Case2의 결과의 사이에는
도시대의 결과에서는, 최대값이 30℃로서 에도시 현저한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현재에 대
대에 비하여 현재의 도심의 지표면의 온도가 약 하여 에도시대에서는 지표면의 수증기, 조도장,
4℃ 상승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Fig. 6에 나타 albedo, 인공폐열 등의 종합적인 영향으로 판단된
낸 것처럼 이 기간 중의 높이 10m에서의 기온의 다.
상승은 약 1℃이고, 이것의 예측결과로부터 Fig. 본 논문에서는 이들 각각의 파라메타에 관한
2에 나타난 약 100년간의 지표면 1.5m에서의 기 영향은 파악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서는 향후 그
온상승이 2℃라는 관측결과와 상대적으로 잘 대 영향을 하나씩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응하는 결과라 볼 수 있다. 이 기온의 상승은 이
기간 중에 논 면적의 감소와 더불어 수증기 발생 4.2 타이 방콕의 기후변화
량의 감소와 인공폐열의 증대에 의한 것으로 판
단된다. 다음은 방콕의 경우 이다. 방콕의 경우는 수평
방향의 풍속변화와 기온 분포, 풍속백터와 기온
연직 단면분포를 확인했다.
28℃ 27℃

64 km

28℃ 27℃ 27℃ 28

Bangkok 27 Bangkok
27℃ 27℃ 26℃
26
26℃
27℃
25

64km
26℃
26℃ 24
26℃
23

(1) Case1 (2) Case2 22

21
coast coast
Fig. 6 Air temperature distribution. 20

(hight 10m)
(1) Case4 (1980년) (2) Case3 (1990년)
Fig. 8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Bangkok, 4:00, Grid3)

1000 1000

800 800

600 600

400 400
(1) case1 (2) case2
Fig. 7 Change of wind. (Japan) 200 200
Hei ght ( m)

Hei ght(m)

0 0
다음으로 Fig. 7에 나타내는 지표면 100m 상공 15 25 Temp. (℃) 15 25 Tem
p.(℃)
의 풍속을 비교한다.
(1) Bangkok central part (2) suburb (Point B)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재 상태(Fig. 7(1))
(Point A)
가 에도시대(과거, Fig. 7(2))보다 해풍발생시의
Fig. 9 Vertical temperature distribution.
도심부의 풍속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Grid3, Case3)
에도시대에 비하여 현재 상태에서는 전반적으로
지표면 온도가 상승한 것에 의하여 해풍의 구동
Fig. 8에 2일째의 오전 4시의 Grid 3내의 지표

374
- 367 -
www.dbpia.co.kr
대한설비공학회 2006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364-369

면온도 분포의 비교를 나타낸다. 1980년(Case4) 이 되고 있어 본 계산 결과는 이것과 대체로 대


에 비해 1990년(Case3)으로는, 도시역의 확대에 응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수반해 고온 영역이 확대하고 있어 야간의 히트
아일랜드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된다. 64 km

31 ℃
Fig. 9에 Case3 (1990년)의 오전 4시에 있어서 31 ℃
Bangkok
의 연직 온도 분포를 나타낸다. 교외에서는, 야간 30.5 ℃

지표 표정근의 기온이 저하되고 있기 위해서 높

64 km
30 ℃ 30.5℃
이 0m~200m의 범위에서 강한 역전층이 생긴다.
29.5 ℃ 30 ℃

29℃
29 ℃
280km Coast
A' 28.5 ℃
Bangkok 5m/s
약 3m/s

Fig. 12 Air temperature.


(Grid3, height 10m, Case3)
280km

600
22℃
500
23℃
400
height (m)

24℃
25℃
300
26℃
200 27℃
28℃ 36℃
A 100 29℃
30℃
Fig. 10 Horizontal wind speed. 0
← →
Sea Coast Land Bangkok
(height 100m, Case3) A A'

Fig. 13 Vertical air temperature.


Fig. 10에 Case3 (1990년)에 있어서의 전영역 (A-A` section, Case3)
에서의 정오의 높이 100m의 위치의 수평 방향
여기에는 나타내 보이지 않는 해풍에 의해 발
풍속 분포를 나타낸다.
달한 바람은 야간도 포함해 종일 지속한다. Fig.
1000
12와 Fig. 13과 같이 Case3 (1990년)에 있어서의
Grid 3내의 정오의 수평 및 연직 기온 분포를 나
0. 005m/ s
800
2m/ s 타낸다. 본 계산에서는 방콕에서의 기온은 약 3
Height(m)

16)
600 1℃이며, 실측치 의 32℃로 대체로 비슷한 값이
400 측정된다. Fig. 12의 28.5℃~30℃의 등온선을 보
면, 해안선에 거의 평행하게 나열되어 있어서 내
200
륙에 가는 만큼 고온이 된다. 이것은 해풍이 내
0
← → 륙부보다 저온의 해상의 공기를 수송해, 방콕의
A Sea Coast Bangkok Land A'

도시의 열환경에 대해서 중요한 냉열원이 되고


Fig. 11 Vertical wind speed.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A-A ' section, Case3)

또, Fig. 11에, A-A'단면의 풍속 벡터 분포를 4. 결 론


나타낸다. 해풍이 잘 발생하고 있어, 방콕 상공에
서는 순환류가 형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 수치 기후 모델을 이용하여 일본과 타이의 토
다. 그 풍속은 방콕 상공 100m로 약 3m/s정도이 지 이용을 크게 현재, 과거 등으로 각각 변화시
며, 높이 10m에 대해 약 1m/s이다. 방콕의 실측 킨 예측을 하고, 결과를 비교했다. 그 결과를 다
16)
치 에서는 높이 약 70m로 약 2m/s정도의 해풍 음에 나타낸다.

375
- 368 -
www.dbpia.co.kr
대한설비공학회 2006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364-369

4.1 온열지역 참고문헌

(1) 에도 시대(천보년간)의 토지 이용을 이용한 [1] 村上周三, 持田灯, 金相璡, 大岡龍三, 吉田伸治,
Case2는 현재의 토지상황을 이용한 Case1에 비 1997, 數値モデルによる關東地方の都市氣候の硏
해 도심부의 지표면 온도가 약 4℃ 정도 저하하 究 ― 都市化 のもたらす 気 候變化 に 關 する 檢討 ― ,
日本建築學會大會學術講演梗槪集, 877-880.
고, 이것에 동반하여 해풍발생시의 풍속이 상승
[2] 吉門洋 외5인, 1993, 工業技術院資源環境技術總合
하는 결과가 되었다.
硏究所第6號, 1~136.
(2) 도시화의 영향으로서는, 녹지 면적의 감소
[3] 金相璡, 村上周三, 持田灯, 大岡龍三, 吉田伸治,
와 인공배열의 증대 등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요 1997, 數値モデルによる關東地方の夏季の都市氣
인뿐만 아니라, 조도장의 증가에 동반하는 지표 候解析(その1, 2), 空氣調和․衛生工學會學術講演
에서의 열유출의 증가 등의 효과도 종합적으로 會講演論文集, 1257-1264.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4] T. Ojima, Changing Tokyo Metropolitan Area
and its Heat Island Model, 1991, Energy and
4.2 열대지역 Buildings, 15, 191-203
[5] 環境廳企畵調整局, 首都圈․その保存と創造に向
けて, 平成2年
(1) 방콕은, 1980년과 1990년의 10년간에 급격하
[6] Mellor,G.L., and Yamada.T., 1974, J of Applied
게 도시지역이 확대하고 있어 이것에 수반 야간
Meteorology, Vol.13, No.7,1791~1806.
의 열섬현상이 발달하는 결과가 되었다. [7] Mellor,G.L., and Yamada.T., 1982, Rev.
(2) 방콕의 옥외의 무더운 온열 환경은, 종일 Geophys. Space Phys., Vol.20, No.4, 851~875.
부는 해풍에 의해 상당히 완화되고 있어 적절한 [8] Yamada.T., and S.Bunker, 1989, J of Applied
온열 환경 제어를 위해서는, 발달한 해풍을 포함 Meteorological Society of Japan, 28, 545~554.
한 바람의 적극적 이용이 중요하다. [9] 持田灯, 村上周三, 金相璡, 1996, CFDを用いた都
市氣候モデルによる關東地方の局地風解析, 日本
風工學會誌, No.67, 71-78.
본 논문에서는 이들 각각의 파라메타에 관한
[10] 村上周三, 持田灯, 金相璡, 大岡龍三, 1997年, 關
東地方 における 土地利用狀況 の 變化 と 流 れ 場 ․ 溫
영향은 파악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서는 향후 그
영향을 하나씩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度場の關係, Mellor-Yamada型の都市氣候モデル
본 논문에 사용된 Mellor-Yamada 모델은 기 による 局地氣象解析 , 日本建築學會計畵系論文集 ,
상분야의 연구기관에서 많이 이용하고 있다. 건 No.491, 31-39.
축분야에서 이 모델을 이용한 기후와 관련된 도 [11] 福岡, 張, 鳥居, 1990.11, 水田と畑における熱收支
시환경의 수치해석은 거의 없다. 본 연구에 사용 の違い,中國․四國の農業氣象, 第3號, 1~9.
한 수치해석 기법을 이용하여 향후 건축분야에서 [12] 大上 외 2인, 1993.4, 水田,畑地,裸地,アスファルト
응용할 수 있는 도시환경 및 설계분야의 기초데 舖裝面における熱收支特性と溫度環境,農業土木學
會論文集, 164號,97~104.
이터 베이스를 마련하였으면 한다. 또한 본 연구
[13] 淺枝, 柴原, 藤野, 村瀨, 和氣, 1994, 浸透性舖裝の
水分・移動特性と冷却効果, 水工學論文集, 第38卷,
를 지속시켜 한국형 도시환경 및 설비계획의 대
책에 이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싶다.
235~240.
[14] 田畑貞壽 외4인, 1984, 綠被地からみた江戶と東京
후 기 の都市構造に關する硏究, 造園雜誌47(5), 298~
303.
이 연구는 교량설계핵심기술연구단을 통하여 [15] 田畑貞壽, 都市のクリントッスA鹿島出版會.
지원된 건설교통부 건설핵심기술연구개발 사업에 [16] Center for Climate System Research, 1997,
University of Tokyo, Enhanced Rawinsonde
의하여 수행되었습니다. 연구 지원에 감사드립니
Observation In Thailand.
다.

376
- 369 -
www.dbpia.co.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