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2018년 한국기상학회 가을학술대회 초록집

Proceedings of the Autumn Meeting of KMS, 2018

환경 및 응용기상분과 [P-253]

전산유체역학 모델을 이용한 수목이 보행자 풍환경에 미치는 영향 조사

강 건, 김재진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환경대기과학전공)

본 연구는 수목 항력 효과가 포함된 전산유체역학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모델을 이용


하여 도시지역에서 수목이 보행자 풍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상 지역은 도시 내에서 식
재밀도가 비교적 높은 부경대학교로 선정하였고, 풍속에 따라 인체가 느끼는 정도를 정의하기 위하여
뷰포트 풍력 계급 (beaufort wind force scale, BWS)에 기반한 Davenport 풍환경 평가 측도를 사용하였
다. 유입류 풍향이 서남서풍인 경우에 대하여 수목 유무에 따른 상세 흐름을 분석하였고, 총 16가지
풍향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수목이 대상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조사하였다. 보행자 높이에
서 풍환경은 주로 건물 사이와 건물 모서리, 고층 건물의 풍상측 그리고 장애물이 없는 나지와 도로
등에서 나쁘게 (BWS ≥ 4) 나타났다. 이는 흐름이 건물 사이로 통과할 때 channeling 효과로 인한 풍속
증가와 건물과 부딪혀서 분리될 때 질량 보존을 만족 시키기 위한 풍속 증가, 그리고 상층의 강한 흐
름의 하강 등이 풍환경 악화의 주 원인으로 나타났다. 수목을 식재한 경우, 수목 항력 효과로 인해 풍
환경 등급이 전체적으로 1단계에서 최대 3단계까지 개선되었다. 특히, 학교 둘레를 따라 식재된 수목
이 1차적으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흐름을 크게 약화시켰고, 2차적으로 학교 내부 곳곳에 식재되어 있
는 수목이 흐름을 약화시켜, 수목이 보행자 풍환경을 크게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아파트 (고층 건물) 단지 사이는 강풍은 상층 흐름의 하강이 주 원인으로 나타났고, 건물 측면에 식재
된 수목은 아파트 단지 사이의 풍속 감소에 직접전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Key words: 전산유체역학 모델, 수목 항력 효과, 도시 지역, 보행자 풍환경, 뷰포트 풍력 계급

※ 이 연구는 기상청 기상산업지원 및 활용기술 개발사업 (KMI2018-06610)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526
www.dbpia.co.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