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0

기초수문학

지하수

영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최현일

서론
 지하수 (groundwater)
 지상에서 떨어진 강수가 일단 지표면을 통해 침투하여 짧은 시간내에 하천으로
방출되지 않고 지하에 머무르면서 흐르는 물
 지표하 지중에 저류되어 있는 물
⇒ 침투(infiltration)과 침루(percolation)된 물로 형성
 수자원(30% of fresh water):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건천후시 하천유량의
공급원
 지하수면을 통해 포화지역(대)(zone of saturation)과
비포화지역(vadose zone) 혹은 통기대(zone of aeration)로 구분

 지하수와 지표하수 정의
① 지표하수 (地表下水 : Subsurface Flow)
지표면 아래 존재하는 모든 물

② 지하수 (地下水 ; Groundwater)


포화대에 존재하는 물로서 지하수위 아래에 있는 물

2
지하수의 수문순환
 지하수 유동 시스템
① 광역적 유동시스템(Regional Flow System)
지형적으로 높은 지점에서 지하로 유입되고 낮은 지점에서 유출
수 km 이상 되는 광역적 지형간의 유동
물이 이동하는데 수천년 ~ 수만년 정도 소요
② 중간 유동시스템(Intermediate Flow System)
함양 및 배출 지점간에 한 개 이상의 지형물이 있는 경우
물의 이동시간 : 수십년 ~수백년
③ 국지적 유동시스템(Local Flow System)
수십 내지 수백 m 이내의 인접한 지형으로 물이 유출될 때

3
3

지하수의 연직분포
① 통기대 (通氣帶 ; Vadose Zone or Zone of Aeration)
공극이 물과 공기로 채워진 층
ⅰ) 토양수대 (土壤水帶 ; Soil Water Zone)
지표면에서 지하로 식물의 뿌리가 미치는 영역

ⅱ) 중간수대 (中間水帶 ; Intermediate Vadose Zone)


토양수대에서 모관수대에 이르는 중간영역
ⅲ) 모관수대 (毛管水帶 ; Capillary Zone or Capillary)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지하수면으로부터 흙입자 사이로
물이 흡상되는 높이까지의 토층

② 포화대 (飽和帶 ; Zone of Saturation, Phreatic Zone)


모든 공극이 물로 가득하며 포화대의 물은 정호나 샘을
통한 지하수 이용이 가능하며 진정한 의미의 지하수

③ 지하수면 (地下水面 ; Ground Water Table)


포화대내에서 대기압과 수압이 같은 지점으로 통기대와
포화대의 경계부분

4
Darcy의 법칙
 Darcy의 법칙
 다공성 물질 (porous media)내의 흐름
 Bernoulli equation

p1 V12 p V2
h   z1  2  2  z 2
 2g  2g
p V2   p V2 
h  h2  h1   2  z 2  2    1  z1  1 
  2g    2g 
p  p 
  2  z 2    1  z1  V  1
    

 동수경사(hydraulic gradient)
h dh dh h1  h2
i  V  Ki   K Q  KA  KAi  AV
s ds ds ds

 공극을 통한 실제유속
유량 Q AV V
V    
임의 단면에서 공극이 차지하는 단면 A A 

Darcy의 법칙
 Darcy의 법칙의 전제
 다공층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의 특성이 균일하고 동질이며 (isotropic and homogeneous)
 대수층내에 모관수대가 존재하지 않으며
 흐름이 정상류(steady flow)
 층류흐름에 적용
 Reynolds number
V=평균유속
Vd d=입자의 평균직경
R
 ν=유체의 동점성계수(kinematic viscosity)
 자연대수층내 지하수의 흐름: R<1

 지하수 흐름 방정식의 일반형


h
Vx   K x
x
h
Vy   K y
y
h
Vz   K z
z

6
투수능
 대수층의 투수능(permeability)이란 대수층을 통해 지하수가 유동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
으로서 대수층의 공극률, 구성입자의 크기, 분포, 배치상태, 모양 및 층내 물질의 지질학적 변천과
정에 따라 결정
 투수능을 양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은 단위수두 강하에 따라 단위단면적을 통하여 흐르는 유량인
투수계수(permeability coefficient, hydraulic conductivity) k를 사용
 투수계수를 결정하는 방법에는 실험실에서 투수계(permeameter)를 사용하는 방법, 경험공식을
이용하는 방법 및 우물을 통한 양수시험에 의한 방법 등이 있음.
- 실험실에서 투수계에 의한 방법은 대수층내의 토양을 채취하여 자연상태 그대로 투수계에 넣는
것이 쉽지 않음.
- 경험공식을 사용하여 투수계수를 결정하는 한가지 방법은 생활용수 공급을 위한 모래층 필터로
부터 얻어진 경험공식임.
k  cd102
여기서, k는 투수계수(m/day), d10은 입도분석 결과 시료의 직경이보다 더 작은 값을 가지는
체적이 전 시료의 10%가 되는 입자의 직경(mm), c는 입자의 크기 분포, 배열상태 및 공극률
에 관계되는 상수로서 400∼1,200 사이의 값을 가지며 평균값은 대략 1,000

- 현재 실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대수층 내부까지 우물을 파서 양수시험정(pumping test well)


의 수리학적 원리에 의해 해석하여 투수계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시험정으로부터 상당한 영
역에 걸친 대수층의 평균 투수계수 결정이 가능

대수층의 종류
 대수층(aquifer)
 물을 공급하기 위해 경제적으로 개발이
가능한 물을 충분히 함유하고 있는 토양
또는 암반
 지하저수지
 비피압 대수층 (unconfined aquifer)
피압 대수층 (confined aquifer)

 비피압 대수층 (unconfined aquifer)


 지하수면이 포화수대의 상한면을 형성
⇒ 자유대수층(free phreatic, non-artesian aquifer)
 피압 대수층 (confined aquifer, artesian, pressure aquifer)
 지하수가 두 암석층 사이에 끼어서 대기압보다 큰 압력을 받고 있는 대수층
⇒ 분정(flowing well), 굴착정(artesian well)
 피압대수층의 압력수면은 대수층내 물이 받는 정수압 크기에 해당
⇒ 압력수두(pressure head)

8
유선망
 유선망(Flow net)
 유선 (streamline) Ψ 및 등포텐셜선 (equipotential line) 
 등포텐셜선을 우물에서 관측된 수위를 바탕으로 작성
 유선은 등포텐셜선과 직교하도록 작성

m=4
n=8
H=8

K=대수층의 투수계수
KmH m=흐름하도의 구간
Q  mq 
n n=흐름방향으로의 사각형의 개수
H=흐름방향으로의 총 수두손실

피압대수층의 흐름방정식
 피압대수층에서의 흐름

 정상 일방향 흐름(steady unidirectional flow)이란 지하수 흐름의 특성이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공층을 통한 각 유선(steamline)의 방향이 평형한
흐름을 의미
 두께가 D로 일정한 피압 대수층내에 유속 V의 지하수가 거리 L만큼 흐른다고 가정
하고 대수층의 투수계수가 K로 일정할 때, 대수층의 유량을 산정
 Bernoulli 방정식
p1 V12 p V2
h   z1  2  2  z 2
 2g  2g
p  p 
h   1  z1    2  z 2   h1  h2
    
 대수층(두께=D, 폭=B)을 통한 유량

 dh   (h2  h1 ) h h
Q  AV  DB   K   DBK  DBK 1 2
 ds  L L

10
비피압대수층의 흐름방정식
 비피압 대수층내의 흐름 해석을 위한 Dupuit 가정
- 지하수의 유속이 동수경사선의 dh/ds 대신 dh/dx에 비례
- 흐름의 방향은 수평이며 한 연직면내의 모든 곳에서 그 크기가 동일

 비피압대수층에서의 흐름: 흐름방향으로 수위가 변하면 단면적도 변함

dh dy
Q   KA q   Ky qdL   Kydy
dL dL
L h2

 qdL   K  ydy
0 h1

h2  h2
h
1 
2

qL   K  y 2    K 2 1
 2  h1 2

h12  h22 B h 2  h22


qK 폭
  Q  KB 1
2L 2L

11

피압대수층 양수
 우물이 수평의 피압대수층으로 충분히 관입되었을 때 우물을 통한 물의 흐름은 모든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 수위가 안정될 때까지 기다리며 양수되는 우물로부터 r1과 r2 떨어진 위치에서의 수위
h1 및 h2를 관측하면 대수층의 투수계수를 산정할 수 있다.
 유량 Q는 반경 r, 높이 b인 원통둘레를 통해 흐르는 유량
 dh 
Q  AV  2rb   K
dh
  2rbK
 ds '  dr
1
Q dr  2bKdh
r
r h
2
1 2

Q  dr  2bK  dh
r1
r h1

Qln r r12  2bK h h12


r h

Qln r2  ln r1   2bK h2  h1 

h2  h1 h h
Q  2bK  2bK 2 1
ln r2  ln r1 r 
ln 2 
 r1 
12
비피압대수층 양수
 유량 Q는 반경 r, 높이 h인 원통둘레를 통해 흐르는 유량

dh
Q  AV  2rhK
dr

1
Q dr  2Khdh
r

r h
2
1 2

Q  dr  2K  hdh
r1
r h1

h2
1 
Qln r r12  2K  h 2 
r

 2  h1


Qln r2  ln r1   K h22  h12 
h22  h12 h2  h2
Q  K  K 2 1
ln r2  ln r1 r 
ln 2 
 r1 

13

지하수 함양
 지하수 저류량을 증대
 수표면 증가에 의한 지하수 함양: 침투유도
 우물을 통한 지하수 함양
 유도 지하수 함양: 하천수가 지하로 함양되도록 유도

14
강변여과수
 강변여과수란 하천 인근에 수평 집수정이나 수직정을 설치하여 지하수위를 하천수
위 이하로 낮춤으로써 하천표류수를 유도하여 취수하는 방식
 강변여과(bank filtration)는 지하수 인공함양 방식 중 유도함양(induced recharge)
또는 간접함양 방식
 강변여과수는 하천수를 강변의 퇴적층을 통과시켜 취수하는 물

창원시 낙동강 대산지구 강변여과 취수지역

15

강변여과수
 창원시에서는 북면 신촌리와 대산면 갈전리의 낙동강 본류 하안 지역에 각각 시설용
량 일일 10,000톤의 취수장을 건설하였으며, 1단계 확장공사 (2000년~2005년)를 완
공하여 수직형 취수정 36개공, 방사형 집수정 1개공을 굴착하여 대산면 지역에 일일
60,000톤의 강변여과수를 추가로 개발
 2단계 확장공사(2006년~2010년)에는 대산면에 일일 60,000톤, 북면에 일일 40,000
톤을 개발
 3단계 확장공사(2011년~2016년)에는 대산면에 일일 60,000톤을 추가로 개발할 예
정이어서 창원시의 강변여과수 총 개발량은 일일 240,000톤이 될 것으로 예상

대사정수장 조감도

대사정수장의 정수처리과정

16
지하수 이용현황

국가지하수정보센터 http://www.gims.go.kr/
17

지하수 오염 및 환경영향
 무분별한 관정 개발, 폐공 방치, 폐수 관입
 지하수 오염 및 고갈, 지반 침하
 폐공을 통해 지하수로 각종 오염물질이 직접 투입되어 식수나 생활용수, 농업용수 등이 오염
 지하수를 사용하면 흙 속의 물이 빠져나가 물이 차지하고 있던 공간을 다른 흙 입자가 채우게 되
면서 흙 입자간의 간격이 조밀해져 결과적으로 지반이 침하
 지하수와 함께 미세한 흙 입자가 물과 같이 배출되어 흙 입자 양이 줄어들어 지반이 침하
 강수나 사용한 지하수가 다시 지하로 보충되는 경우에 지반침하는 잘 일어나지 않지만, 대도시
의 경우 아스팔트 포장이나 기타 인공물로 인해 비가 지하로 잘 스며들지 못하고 사용한 지하수
가 배수로를 통해 하천으로 바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지하수가 고갈되기 쉬움.
 사회적 관심 부족
 인간에 대한 직접적인 피해가 적음
 직접 섭취되지 않음 (물, 대기 대비)
 지하수 환경 매체의 특수성
 오염원이 구체적으로 보이지 않음
 오염원과 오염 피해와의 인과관계가 불분명
 오염물질의 유동성이 적음
 장기적이고 누적적으로 작용
 인간 및 생태계의 피해

18
기초수문학

하천유량

영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최현일

서론
 하천유량 또는 간단히 유량은 단위시간 동안의 강, 하천, 계곡 및 하도의 특정 단면을
통과하는 물의 양이라 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m3/sec의 단위를 사용하고 있다.
 여러 가지 목적의 수자원 계획에서 유량관측은 필수적이며 유역에 대한 물의 순환과정
에서 강우를 입력으로 본다면 유량은 여러 가지 과정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유역 출구
지점으로 빠져 나오는 출력이라 할 수 있다.
 따라서 수문해석을 하기 위해서는 입력 자료인 강우뿐만 아니라 출력자료인 유량의
관측이 필수적이다.
 주요 내용
 수위측정
 유속측정
 유량산정
 수위-유량관계곡선
 유량자료의 해석

2
하천유량
 유량관측
 하천유량: 하천수로상의 어떤 단면을 통과하는 단위시간당의 수량(m3/sec)

 물의 순환: 강우(입력) → 유량(출력)

 수문학 ⇒ 이수(가뭄)/치수(홍수) ⇒ 목적변수는 하천유량

 하천유량자료의 정확한 획득 ⇒ 수문분석이 시발점이며 중요한 요소

 유량산정방법의 분류

방 법
구 분
수 위 유 속 유 량
보통수위계 유속계 직접측정
부표식 희석식 위어사용
측정량 압력센서식 부자식 오리피스
전자기식 초음파식 수로
전자기식

수위측정
 수위(stage): 평균해수면(mean sea level)을 기준으로 관측한 하천 수표면의 높이
 수위수문곡선(stage hydrograph): 수위를 유량단위로 환산
 수위계: 보통수위계(manual gauge) / 자기수위계(recording gauge)

 보통수위계
 청계천의 수표교
 준척수위계(staff gauge)
 추선수위계(wire weight gauge)
 부자수위계(float gauge)
 첨두수위계(crest stage gauge)

<수표교> <수표> <최고치 수위계>

4
수위측정
 자기수위계
 자동으로 수위를 기록
 부표식 수위계(float type gauge)
 압력식 수위계(pressure sensor gauge): pressure sensor를 교각에 부착
 전기저항식 수위계(electric resistance gauge)
 초음파 수위계(ultrasonic gauge)

< 부표식 자동수위계 >

< 압력식 자동수위계 > < 초음파수위계 및 레이더 수위계 >


5

수위측정
 자기수위계의 기록지
 일평균수위(daily mean stage)
 보통수위계: 08:00와 20:00 때의 수위를 평균
 자기수위계: 매 정시 수위의 평균 (24개)
 수위관측소의 위치 선정
 하천관리, 하천정비기본계획 및 수자원개발계획, 하천구조물 시공상 중요한 지점으로
영구관측이 필요한 지점
 주요 지류의 합·분류의 전후, 보·수문 등의 상·하류 지점
 협곡부, 유수지, 호소, 저수지, 내수 및 하구 등의 수리상황을 알기 위하여 필요한 지점
 목적이나 주변지형을 고려하여 대표성이 있는 지점
 조석의 영향이 없는 지점
 유량변화에 따른 수위변화가 큰 지점
 갈수시 하상이 들어나지 않는 지점
 유지관리가 쉬운 지점 (관측소 유지와 접근도로 확보가 가능한 지점)
 홍수시 관측에 지장이 없는 안전한 지점

6
수위관측소 현황
구 분 합 계 T/M 자기
합 계 546 543 3
전 체 국토부 407 404 3
수 공 139 139 0
소 계 144 144 0
한 강 국토부 115 115 0
수 공 29 29 0
소 계 177 174 3
낙동강 국토부 108 105 3
수 공 69 69 0
소 계 133 133 0
금 강 국토부 115 115 0
수 공 18 18 0
소 계 48 48 0
섬진강 국토부 28 28 0
수 공 20 20 0
소 계 44 44 0
영산강 국토부 41 41 0
수 공 3 3 0

유속측정
 기계적 방법
 회전식 유속계(rotating meter)
 동력식 유속계(dynamometer)
 부표식 유속계(float type meter)
 전자기 유속계(electromagnetic current meter)
 초음파 수위계(ultrasonic gauge)

흐름

Acoustic flow measurement

V  A  BN

<전자유속계>
8
유속측정
 유속분포

유량산정
 소단면 유량 산정
: 소단면으로 분할 후 유속 측정 → 단면측량 → 유량산정

Qi  AiVi

 평수시 및 저수시의 수심 및 유속 관측선의 간격

10
유량산정
 소단면에서의 유량을 합산하여 총 단면 유량 산정

Q   Qi   AiVi

 단면적을 결정하는 방법에 따라


 중간단면적법

B2  B3
Q3  A3V3  D3V3
2
Bi 1  Bi
Qi  AiVi  DiVi
2

 평균단면적법
D5  D6 V5  V6
Q5  A5V5  B5
2 2
Di  Di 1 Vi  Vi 1
Qi  AiVi  Bi
2 2

11

유량산정
 물에 뜨는 부자가 일정한 구간을 떠내려가는 시간을 측정하여 평균유속 및 유량을 산정

 부자에 의한 유량 측정
 하천의 단면 측량: 하천 수위와 횡단면도 획득
 부자가 이동한 시간을 측정하여 평균유속 산정
 평균유속에 보정계수를 곱하여 보정 평균유속 산정
 소단면 유량 산정 후 총 단면 유량 산정

12
유량산정
 Dilution method (희석법)
 하천의 수심이 작거나, 유속이 너무 큰 경우 등 유속계의 사용이 곤란한 경우
 상류에 추적물질(tracer)를 주입 후 하류에서 농도를 측정하여 유량 산정
 염화나트륨(NaCl), 중크롬산나트륨(sodium dichromate), 산소18(18O), 중수소(2H),
로다민 B 및 W (Rhodamine B or W) 등
 순간주입법(sudden injection method) / 일정량 주입법(constant rate injection)
 혼합거리(mixing length): 추적물질이 하천 횡단면에 거의 균일하게 분포되는 거리
에서 하류 시료수 채취

• L: 주입된 지점으로부터의 거리(m)


 0.7C z  b  b 2 
L  0.13C z    • Cz: Chezy의 조도계수
 g  d 
• b: 하천의 평균 폭(m)
• g: 중력가속도(9.81m/s2)
• d: 흐름의 평균수심(m)

13

유량산정
 순간주입법
 추적물질을 상류에 순간적으로 주입 후 하류의 시료수 농도를 측정
 질량보존법칙
유입질량 = 유출질량 • Q: 유량(L/sec)
t2 • V: 주입용액의 체적(L)
C1V  Q  C2 t
0
• C’1: 주입용액의 농도(mg/L)
C1V • C’2: 시료수의 농도(mg/L)
Q
• t: 시간(sec)
t2

 C  t
0
2

 일정량주입법
 상류에 농도가 일정하도록 추적물
질을 주입 후 하류의 시료수 체취
 질량보존법칙

14
유량산정
 수면경사-단면적법
 대규모의 홍수가 발생할 경우 점유속 측정을 통한 유
량산정은 불가능 ⇒ 간접적인 방법 이용
 Based on Bernoulli equation (energy balance)
and Manning’s equation

 Energy balance equation (Bernoulli equation)

• y=수면표고(m)
V12 V2
y1    y2   2  hL • V=단면에서의 평균유속(m/sec)
2g 2g • α=에너지 보정계수
• hL=두 단면간의 마찰손실수두(m)
 에너지 경사
hL
S
L
 Manning’s Equation
1
Q AR 2 / 3 S 1/ 2  KS 1/ 2
n
1
K  AR 2 / 3
n

15

수위-유량 관계곡선
 매번 유량을 측정할 수 없으므로 수위를 관측하여 수위-유량 관계곡선으로부터 유량 산정
 자연하천의 불규칙한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저수유량(low flow), 중간규모 유량
(intermediate flow), 및 고수유량(high flow)에 대해 rating curve를 작성

16
수위-유량 관계곡선
 수위 및 유량자료를 전대수지에 도시한 후,
 수위-유량관계: 직선 ⇒ Q=aHb
 수위-유량관계: 곡선 ⇒ Q=a(H±H0)b

 수위-유량관계곡선의 형태 및 관계식

17

수위-유량 관계곡선

18
하천유량자료의 해석
 하천유량: 하천수로상의 어떤 단면을 통과하는 단위시간당의 물의 체적(m3/sec, ft3/sec)
 비유량(specific discharge): 유량을 그 유역의 배수면적으로 나눈 값(m3/sec/km2)
⇒ 유역의 유출률을 비교
 유출심(고)(runoff depth): 비유량 → mm, cm
 수문곡선(hydrograph): 수위 혹은 유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표시하는 곡선
 수위수문곡선(stage hydrograph)
 유량수문곡선(discharge hydrograph) → 홍수수문곡선(flood hydrograph)

19

하천계측시스템

20
기초수문학

유출특성

영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최현일

서론
• 유출
 강수의 일부분으로 지표하천을 통해 흐르는 흐름
 강수로 인한 물이 증발과 증산, 침투와 침루, 지하수 등의 성분과정을 거치면서
결국 유역출구에서 하천유량의 형태로 흐르는 것
 유출해석 ⇒ 수자원의 최적이용 및 관리를 도모
이수 (가뭄예방을 위한 저류 가능한 월 및 연 유출량 분석), 치수 (홍수피해 경감),
하천 유지유량

• 강의내용
 유출의 구성성분 및 영향인자
 유출수문곡선의 분석
 NRCS의 유효우량 산정

2
유출(Runoff)의 구성성분
 유출의 구성

총강수량 초과강수량 유효우량 직접유출


(Precipitation) (Precipitation excess) (Effective rainfall) (Direct runoff)

손실량 : 차단(interception), 침투(infiltration),


(Losses, Abstraction) 지면저류(surface storage), 증발산(evapotranspiration)
3

유출(Runoff)순환과정
• 유출순환과정
1단계: 무강우단계
지하수 → 하천유량
2단계: 강우초기단계
강우의 시작. 강우량 = 손실량 → 초과강우량은 없음.
3단계: 강우지속단계
강우 계속. 강우량 > 손실량 → 초과강우량(강우량-손실량) → 지표면유출
지하수위↑, 하천수위↑
4단계: 강우충만단계
강우 계속. 저류공간 충만, 강우량 → 유출
5단계: 강우종료단계
강우 종료.
하천수위↓, 지표면 저류량↓, 지하수위↓

4
유출에 영향을 주는 인자
• 유출현상의 지배인자
 기후학적 인자(climatic factor): 강수, 차단, 증발, 증산 등
 지형학적 인자(physiographic factor)
: 유역특성(basin characteristics), 하도특성(channel characteristics)

 기후특성이 유출에 미치는 영향


• 강수(precipitation): 강수의 종류(비, 눈, 서리 등), 강우강도, 지속시간, 시간
및 공간적 분포, 이동방향 등
• 차단(interception): 지상에 떨어지는 비가 식생피복에 의해 일단 저류되는 현상
⇒ 유출 감소
• 증발산(evapotranspiration): ⇒ 유출 감소

 유역특성이 유출에 미치는 영향


• 유역(watershed or basin): 하천의 임의 단면
을 통과하는 유량에 직접적인 공헌을 하는 지역
의 한계 → 유역의 크기↑, 유출량↑
※ 도달시간(time of concentration): 유역의 최원점
으로 부터 유역출구까지의 흐르는데 소요되는 시간
5

유출에 영향을 주는 인자
 유역특성이 유출에 미치는 영향
 유역면적(drainage area): 유역의 한계선으로 둘러싸인 면적
 유역면적↑ → 첨두유출량↑, 유역면적↑ → 단위유역면적당 첨두유량↓
∵유역면적↑ → 도달시간↑, 유역의 평균강우강도↓
 유역의 방향성(orientation): 유역의 방향에 따라 강우의 이동방향의 영향
I1 I2 Q
Q1 Q2

 유역의 형상(basin shape): t

6
유출에 영향을 주는 인자
 유역특성이 유출에 미치는 영향
 유역의 형상(basin shape):

 유역경사(slope): 경사↑, 유출속도↑, 도달시간↓, 첨두유량↑.


 유역조도(roughness): 조도↑, 흐름속도↓, 첨두유출 발생시간↑ → 첨두유출량↓
 유역의 구성: 저수지, 호수, 홍수터의 유무
 토지이용상태: 도시화↑, 불투수성↑, 침투량↓ → 첨두유출량↑

적음

많음

유출수문곡선의 분석
• 유출수문곡선
 유출수문곡선(hydrograph): 하천의 출구지점에서 시간에 따른 유출량을 보여주는 그래프
 특정 배수유역에서의 강우 및 유출간의 관계를 지배하는 지형과 기후특성의 종합적인 표현
 Long-term hydrograph (monthly, annual hydrograph)
⇒ Water resources development/management
 Storm hydrograph: 단기호우와 홍수유출간의 관계를 해석 ⇒ peak flow, design storm

 연유출수문곡선 습한기후지역 불투수성 하천


 강우, 증발, 그리고 하천유출 (perenial) (ephemeral)
의 장기적 균형 ⇒ 수자원의
이용 및 개발에 대한 분석에
이용

 호우수문곡선
건조기후지역
 치수목적의 홍수유출분석
(intermittent)

Snow-fed area

8
수문곡선의 구성
• 수문곡선
 기저유출 + 직접유출

직접유출수문곡선의 구성
• 직접유출수문곡선
 기저유출을 제외한 유출부분
 초과강우 또는 유효우량의 체적
= 직접유출수문곡선의 체적
 직접유출수문곡선의 특성

1) 지체시간(lag time, L) :
유효강우의 질량중심과 이로 인한 유출수문
곡선의 첨두발생시간과의 시간차
2) 첨두발생시간(time to peak, tp) :
유효우량의 시작부터 첨두유출발생까지의 시간
3) 도달시간(time of concentration, tc) :
유효우량이 끝나는 시간부터 감수곡선상의 변곡점(기울기가 변하는 지점)까지의 시간
또는 유역 내에 가장 먼 곳에 떨어진 강우가 유역출구지점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
4) 감수시간(recession time, tr) :
첨두유출 발생시간부터 지표면 유출이 끝나는 지점까지의 시간
5) 기저시간(time base, tb) :
지표면유출의 발생부터 끝나는 지점까지의 시간
10
수문곡선의 분리
• 총 유출량 (Total runoff) = 직접유출 (direct runoff from effective rainfall) 강우
+ 기저유출 (baseflow from ground water)
• 직접유출 = 수로상 강수 (precipitation on the stream) 지표면유출

+ 중간유출 (interflow) 수로상강수 중간유출


침투
직접유출
+ 지표면 유출 (surface runoff) 지하수면
침루
기저유출
(지하수유출)

지표유출+중간유출+기저유출

• 수문곡선 해석의 첫단계는 기저유출분을 직접유출분과 분리시키는 일이다.

• 유출수문곡선의 감수부(하강부)
 지표면 유출과 지하수 유출로 구성
 유출수문곡선으로부터 지하수 유출량을 제함으로써 유효우량(직접유출) 산정

11

수문곡선의 분리
• 수문곡선의 분리
 Baseflow recession curve (주 지하수 감수곡선법)
 Straight line method (수평직선 분리법)
 Fixed base length method (고정 기저시간 분리법, 수정 N-day 법)
 Variable slope method (가변 경사법)

(d) (c)
(b)

0.2
• N = day
N  A1  0.827 A20.2
• A1 and A2 are basin area in mi2 and km2, respectively.
12
주 지하수 감수곡선법
• 과거 수문곡선을 이용하여 지하수 감수곡선 획득

① 과거 수년간의 연속적인 유량기록을 그


림 (a)와 같이 도시하고 이 중에서 감수
곡선들을 선택한다.
② 선택된 감수곡선을 반대수지(유량을
대수축에 작성)에 유량이 작은 것부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나열하면 그림 (b)
와 같다.
③ 감수곡선의 최저 값에 개략적인 접선
을 그림 (b)와 같이 그린다.

④ ③에서 구한 접선을 산술축으로 옮겨 그리면 이것이 바로 수문곡선을 대표하는 주 지하


수 감수곡선 그림 (c)가 된다.
⑤ 실제 수문곡선의 감수부분에 앞에서 구한 주 지하수 감소곡선을 중첩시켜 곡선이 분리
되는 점을 찾아 상승부 기점과 연결 하여 직접유출과 기저유출을 분리한다.

13

Excess Rainfall (유효우량)


∙ 대부분의 강우-유출관계 모형은 총강우 중의 유효우량과 이로 인한 유역출구에
서의 직접 유출량간의 관계를 계산하는 모형이며 총 유출량은 모형으로 계산된
직접 유출량에 적절히 추정된 기저유량을 합하여 산정
∙ 홍수유출계산을 위해서는 모형에 입력되는 유효우량의 시간적 분포를 표현하는
유효 우량주상도를 총우량주상도로부터 작성
 총강우량 – 손실량(losses) = 초과강우량(rainfall excess) ⇒ 직접유출(direct runoff)
 유역의 평균 강우량 – 유역 출구의 직접유출(총유출순문곡선에서 지하수 유출 분리)
= 유역의 호우기간 손실량
 각종 지표법(Index methods)
 침투량 계산(Infiltration rate)
 NRCS(SCS) method

Direct runoff

14
유효우량 산정방법
 일정비법(constant fraction method)
∙ 시간구간별 강우량의 일정비가 손실되고 나머지가 유효우량이 된다고 가정하는
것으로 유출계수(runoff coefficient)와 같은 개념
∙ 과다한 선행강우로 인해 유역의 지표면이 거의 포화되어 있을 경우에는 비교적
정확한 결과를 주는 방법이나, 실제 손실이 강우에 비례하지는 않음.

 일정손실률법(constant loss rate method)


∙ 강우기간 동안의 손실률 또는 침투능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는 방법으로 Φ-지수법
과 동일한 개념
∙ 유역의 선행 토양함수량이 많고 큰 호우를 대상으로 하는 설계에 적절한 방법

15

유효우량 산정방법
 초기손실-일정손실률법(initial loss-constant loss rate method)
∙ 유역의 토양수분 미흡량이 초기침투량으로 충족될 때까지는 유출이 발생하지 않
으며 초기손실이 발생한 이후에는 일정율로 손실된다고 가정
∙ 강우-유출 실측자료에서 초기손실과 일정손실을 산정할 수 있는 경우 가장 간편
하게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

 침투곡선법(infiltration curve method)


∙ 강우가 계속됨에 따라 토양의 침투율이 감소하는 특성을 표현하는 Horton,
Holtan, Phillips 등의 침투능 곡선으로 시간구간별 손실량을 계산
∙ 이론적으로는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나 유역의 상태에 맞는 침투능 곡선의 계산
이 어려운 방법

16
유효우량 산정방법
대표적인 침투곡선식들(Infiltration Equations)

Source: Applied Hydrology (Chow et al. p.122)

Source: Applied Hydrology


17
(Chow et al. p.146)

NRCS의 유효우량 산정
 표준형 강우-유출관계곡선법
(standard rainfall-runoff relation curve method)
∙ 미국 토양보존국(Soil Conservation Service, SCS⇒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NRCS)에서 유출량자료가 없는 경우에도 유역의 토양
특성과 식생피복상태 등에 대한 상세한 자료만으로 유효우량(강우량-손실량)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
∙ NRCS 방법은 광범위한 수문관측자료의 분석으로 유역의 유출특성 조건에 따
른 강우량과 유출량의 관계를 설정해 둠으로써, 특정 강우량이 발생했을 경우
의 유출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 미계측유역의 유효우량 산정에 널리 사용
∙ NRCS 방법은 유출곡선지수(runoff curve number, CN) 및 총우량과 유효우
량간의 관계에 이용하여 유효우량을 산정

18
NRCS의 유효우량 산정
• 총우량-유효우량 관계식
 Hypothesis
 최대잠재보유수량 (Potential maximum
retention), S
 잠재유출량 (Potential runoff), P-Ia
 The ratios of the two actual (Fa and Pe)
to the two potential quantities (S and
P-Ia) are equal.

Fa Pe ( P  I a )  Pe Pe
  
S P S P  Ia • P=총우량(mm)
• Ia=강우 초기의 손실우량(mm)
SPe  P  I a  Pe P  I a 
• S=유역의 최대잠재보유수량(mm)
 P  I a   Pe P  I a 
2
• Fa=손실량(mm)

P  I a  S Pe  P  I a 2

Pe 
P  I a 2 I a  0. 2 S
  Pe 
 P  0 .2 S 
2
P ≥ 0.2S
P  Ia  S P  0 .8 S 19

총우량-유효우량 관계도
• 유출곡선지수(runoff curve number, CN)
 총우량과 유효우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여러가지 곡선
 불투수 또는 수표면: CN=100
1000 25400
 자연적인 지표면: CN < 100 S  10 S  254
[in] CN [mm] CN

Pe 
P- 0.2S 2
P  0 .8 S

20
유출곡선지수 CN의 결정
• NRCS 수문학적 토양그룹

토양 침투율
토양의 특성
그룹 (mm/h)
유출이 가장 작음. 침투율이 가장 큼.
Type A 7.62~11.43
실트와 점토를 약간 포함한 모래층 및 자갈층으로 배수 양호
비교적 낮은 유출율, 비교적 높은 침투율
Type B 3.81~7.62
자갈이 섞인 사질토로 배수가 대체로 양호
비교적 높은 유출율, 비교적 낮은 침투율
Type C 1.27~3.81
상당수의 점토와 콜로이드질을 포함하고 있어 배수불량
유출율이 가장 큼. 침투율이 가장 낮음
Type D 0~1.27
대부분이 점토질로 이루어져 배수가 대단히 불량

 토지이용상태 및 식생피복에 따른 CN의 결정


 도시지역의 유출수문곡선지수 (AMC-II인 경우)
 농촌지역의 유출수문곡선지수 (AMC-II인 경우)

21

NRCS의 유효우량 산정
“농경지역 및 삼림지역의 유출곡선지수 토지이용상태 피복처리상태
수문학적
조건 A
토양형
B C D

(AMC-II)” 휴경지(fallow)
나지(bare soil)
작물 잔여물 존재
-
배수나쁨
77
76
86
85
91
90
94
93
(crop residue cover: CR)* 배수좋음 74 83 88 90
경사경작 배수나쁨 72 81 88 91
(straight row: SR) 배수좋음 67 78 85 89
등고선경작 배수나쁨 70 79 84 88
이랑 경작지(논) (contoured: C) 배수좋음 65 75 82 86
(row crops) 등고선, 테라스 경작 배수나쁨 66 74 80 82
(contoured & terraced: C&T) 배수좋음 62 71 78 81
배수나쁨 65 73 79 81
C&T+CR
배수좋음
농경지 및 산림지역은 토양도에서 경사경작 배수나쁨
61
65
70
76
77
84
80
88
(straight row: SR) 배수좋음 63 75 83 87
얻어진 토양형별 구분을 지형도에 SR+CR
배수나쁨
배수좋음
64
60
75
72
83
80
86
84
등고선경작 배수나쁨 63 74 82 85
서 토지이용, 식생피복 처리 상태, 조밀 경작지(밭)
(small grains)
(contoured: C) 배수좋음
배수나쁨
61
62
73
73
81
81
84
84
C+CR
배수좋음 60 72 80 83
토양의 수문학적 조건에 따라 얻어 등고선, 테라스 경작 배수나쁨 61 72 79 82
(contoured & terraced: C&T) 배수좋음 59 70 78 81
진 구분과 중첩시켜서 동일 토양- C&T+CR
배수나쁨
배수좋음
60
58
71
69
78
77
81
80
경사경작 배수나쁨 66 77 85 89
피복형별 면적으로 구분 콩과식물(close-
seededlegumes) 또
(straight row: SR)
등고선경작
배수좋음
배수나쁨
58
64
72
75
81
83
85
85
는윤번초지 (contoured: C) 배수좋음 55 69 78 83
(rotation meadow) 등고선, 테라스 경작 배수나쁨 63 73 80 83
(contoured & terraced: C&T) 배수좋음 51 67 76 80
배수나쁨 68 79 86 89
목초지(pasture)
배수보통 49 69 79 84
또는 목장(range)
배수좋음 39 61 74 80
초지(meadow) - 30 58 71 78
배수나쁨 45 66 77 83
삼림(woods) 배수보통 36 60 73 79
배수좋음 30 55 70 77
관목숲(forests) 매우 듬성듬성 - 56 75 86 91
농가(farmsteads) 건물, 골목길, 차로, 주차장 - 59 74 82 86

22
NRCS의 유효우량 산정
“도시지역의 유출곡선지수(AMC-II)” 평균불 토양형
개발상태 피복상태 투수율
(%) A B C D

∙ 개활지(잔디, 공원, 골프장, 묘지)


- 나쁜상태(초지피복률 50% 이하) 68 79 86 89
- 보통상태(초지피복률 50∼75%) 49 69 79 84
- 양호상태(초지피복률 75% 이상) 39 61 74 80

도시지역은 토양도에서 얻어진 토 ∙ 불투수지역


- 포장된 주차장, 지붕, 접근로
(도로 포함, 도로경계선 불포함) 98 98 98 98
양형별 구분을 지형도에서 피복상 -포장된 곡선길과 우수거
(도로 경계선 불포함) 98 98 98 98

태, 불투수율 조건에 따라 얻어진 - 포장길(도로 경계선 포함) 83 89 92 93


완전히 - 자갈길(도로 경계선 포함) 76 85 89 91
개발된
구분과 중첩시켜서 동일 토양-피복 도시지역 - 흙 길(도로 경계선 포함) 72 82 87 89
∙ 도시지역: 상업 및 사무실 지역 85 89 92 94 95
형별 면적으로 구분 ∙ 공업지역 72 81 88 91 93
∙ 주거지역(구획지 크기에 따라 구분)
- 150평 이하 65 77 85 90 92
- 150∼ 300평 38 61 75 83 87
- 300∼ 400평 30 57 72 81 86
- 400∼ 600평 25 54 70 80 85
- 600∼1200평 20 51 68 79 84
- 1220∼1440평 12 46 65 77 82
개발중인
77 86 91 94
도시지역

23

NRCS의 유효우량 산정
수치토지이용도 수치토지피복도 토양 군
세분류 코드번호 중분류 코드번호 A B C D
비 고 (NRCS 분류기준 등) 홍수량산정
경지정리답 1110
논 210
79 79 79 79 별도 기준(논) 표준지침
미경지정리답 1120 79 79 79 79 CN-Ⅰ, CN-Ⅲ→ 70, 89 적용
보통, 특수작물 1210 밭 220 63 74 82 85 조밀 경작지, 등고선 경작, 불량 (2019.07)
과수원기타 1220 과수원 240 70 79 84 88 이랑 경작지, 등고선 경작, 불량
자연초지 2110 자연초지 410 30 58 71 78 초지, 등고선경작, 양호
인공초지 2120 기타초지 430 49 69 79 84 자연목초지 또는 목장, 보통
침엽수림 2210 침엽수림 320 55 72 82 85
활엽수림 2220 활엽수림 310 55 72 82 85 별도 기준(산림)
혼합수림 2230 혼효림 330 55 72 82 85
골프장 2310 골프장 420 49 69 79 84
공원묘지 2320 기타초지 430 49 69 79 84 개활지, 보통
유원지 2330 위락시설지역 140 49 69 79 84
암벽및석산 2340 기타나지 620 77 86 91 94 개발중인 지역
일반주택지 3110 77 85 90 92
주거지역 110 주거지구, 소구획 500 m² 이하
고층주택지 3120 77 85 90 92
상업, 업무지 3130 상업지역 130 89 92 94 95 도시지역, 상업 및 사무실지역
나대지및인공녹지 3140 기타나지 620 77 86 91 94 개발중인 지역
도로 3210 83 89 92 93
철로및주변지역 3220 83 89 92 93
교통지역 150 도로, 포장도로(도로용지 포함)
공항 3230 83 89 92 93
항만 3240 83 89 92 93
공업시설 3310 공업지역 120 81 88 91 93 도시지구, 공업지역
공업나지, 기타 3320 기타나지 620 77 86 91 94 개발중인 지역
발전시설 3410 61 75 83 87
처리장 3420 61 75 83 87
공공시설지역 160 주거지구, 소구획 500∼1,000 m²
교육, 군사시설 3430 61 75 83 87
공공용지 3440 61 75 83 87
양어장, 양식장 3510 100 100 100 100 별도기준(수면)
채광지역 3520 채광지역 610 68 79 86 89 개활지, 불량
매립지 3530 공공시설지역 160 61 75 83 87 주거지구, 소구획 500∼1,000 m²
광천지 3540 채광지역 610 68 79 86 89 개활지, 불량
가축사육시설 3550 기타재배지 250 68 79 86 89 자연목초지 또는 목장, 불량
갯벌 4110
연안습지 520 100 100 100 100
염전 4120
별도기준(수면)
하천 4210
내륙수 710 100 100 100 100
호, 소 4310
댐 4320 공공시설지역 160 61 75 83 87 주거지구, 소구획 500∼1,000 m²
백사장 4410 기타나지 620 77 86 91 94 개발중인 지역
- - 하우스재배지 230 76 85 89 91 도로, 포장, 개거
- - 내륙습지 510 100 100 100 100
별도기준(수면) 24
- - 해양수 720 100 100 100 100
유역의 선행토양함수조건
• 선행토양함수조건
SCS에서는 선행토양함수조건(Antecedent soil Moisture Condition, AMC)을 1년을 성수기
(growing season)와 비성수기(dormant season)로 나누어 3가지 조건을 부여
5일 선행 강우량 P5(mm)
AMC 선행토양수분상태
성수기 비성수기
토양이 건조한 상태로
Ⅰ P5 < 35.56 P5 <12.70
유출률이 낮은상태
토양의 수분과 유출률이
Ⅱ 35.56 < P5 < 53.34 12.70 < P5 < 27.94
보통인 상태
선행강우로 인하여 토양이
Ⅲ P5 > 53.34 P5 < 27.94
포화상태로 유출률이 높은 상태

 유역의 선행함수조건
 선행강수↑, 토양수분↑, 침투↓ → 유출율↑
 선행강수↓, 토양수분↓, 침투↑ → 유출율 ↓
 5일 또는 30일 선행강우 이용
 NRCS는 5일 선행강우를 적용
 Antecedent moisture condition (AMC, 선행토양함수조건)
 AMC I: dry condition 4.2CN ( II )
CN ( I ) 
 AMC II: normal condition 10  0.058CN ( II )
23CN ( II )
 AMC III: wet condition CN ( III ) 
10  0.13CN ( II ) 25

NRCS Method의 적용절차


1. 대상유역의 토양도를 사용하여 지형도상에 4개의 토양군별 분포도를 작성한다.
2. 유역의 토지이용상태를 유출곡선지수(CN)의 분류에 따라 지형도상에 분류 분포시킨다.
3. 유역의 토지-피복형별 분포면적을 지형도상에서 구적기로 구하고 이를 가중인자로 하여
유역평균 유출곡선지수(AMC-II 조건하)를 결정한다.
4. 대상호우 이전의 선행 5일 강우량을 계산하여 AMC 조건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해당
AMC 조건에 해당하는 평균 유출곡선지수(CN)를 구한다.
5. 잠재보유수량(S)를 구한 후,

25400
S in mm    254
CN

이를 총우량 P와 함께

Pe 
 P  0.2 S 
2

에 대입하여
P  0.8 S
직접유출량(유효우량, Pe)을 산정

26
NRCS Method 예제

25400
S in mm    254
CN

이를 총우량 P와 함께

Pe 
P  0.2S 2
에 대입하여
P  0.8 S
직접유출량(유효우량, Pe)을 산정

27

NRCS Method 예제

23CN ( II )
CN ( III )  = 78.75
10  0.13CN ( II )

S in mm  
25400
 254 = 68.5 mm Pe 
P  0.2S 2
𝐼 0.2𝑆 13.7 𝑚𝑚
CN P  0. 8 S

시간(hr) 우량주상도(mm) 누가우량(mm) 유효누가우량(mm) 유효우량주상도(mm)


0 0 0 0.0 0.0
1 5 5 0.0 0.0
2 7 12 0.0 0.0
3 10 22 0.9 0.9
4 15 37 5.9 5.0
5 10 47 10.9 5.0
6 7 54 14.9 4.0
7 5 59 18.0 3.1
28
기초수문학

첨두홍수량

영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최현일

첨두홍수량 산정
• 강우-유출관계
 유역의 강수에 대한 반응의 결과
가 하천유출
 수리구조물의 설계, 유역의 변화
과정, 유역의 지형이나 지표면 이
용의 변화에 대한 반응 예측, 장
래의 유출량 예측(홍수예측) 등
에 필요
 첨두홍수량
 비행장의 활주로, 도시지역의 우수관거, 암거, 대규모 주차장 등의 설계시
 최대유량(첨두홍수량)을 소통시킬 수 있게 수리구조물을 설계
 합리식

 합리식
 소규모 유역의 강우 배제시설물 설계
2
합리식
• 합리식(rational formula)
 소규모 유역(5 km2)의 설계홍수량 또는 포장된 작은 도시유역
• 기본가정 및 유도
 불투수성 소유역에 일정한 강도로 비가 내릴 때의 기본 수문곡선 형태
 평형상태(C): 총유입량 = 총유출량
 강우가 끝나면(D) 지면저류량이 유출(감수곡선)
 평형상태에 도달하는 시간은 유역내 가장 먼지역에서 유역출구까지의 시간
⇒ 도달시간(time of concentration, Tc) ⇒ 강우지속시간을 결정
 If Id > Tc, Qp ∝ I×A
 유출계수 ⇒ 침투에 의한 강우량 손실 고려
 Qp = 0.2778CIA ⇒ Rational equation
Qp = 첨두홍수량(m3/sec),
C = 유출계수,
I = 지속시간 Tc의 강우강도(mm/hr)
A = 유역면적(km2)
3

합리식의 계산인자
• 합리식의 인자 산정 방법
 합리식 적용시 기본 가정
• 유역출구지점에서 산정된 첨두유출량은 도달시간 동안의 평균 강우강도
의 함수이다.
• 합리식에 사용되는 도달시간은 유역출구로부터 가장 먼 지점에 떨어진 강
우가 유역출구까지 흘러 들어오는 시간이다.
• 호우기간동안 강우강도는 일정하다.
 유역면적(A): 구적기(planimeter), 수치지도, GIS
 강우강도(I)
 유출계수(C)
• 유역의 피복상태
• 유역의 면적가중평균

4
합리식의 유출계수
• 도시 및 농경지역에서의 유출계수
토지이용 C 토지이용 C
상업 도심지역 0.70~0.95 차도 및 보도 0.75~0.80
지역 근린지역 0.50~0.70 지붕 0.75~0.95
단독주택 0.30~0.50 평탄지 0.05~0.10
독립주택단지 0.40~0.60 사질토 평균 0.10~0.15
연립주택단지 0.60~0.75 경사지 0.15~0.20
주거 잔디
교외지역 0.25~0.40 평탄지 0.13~0.17
중토 평균 0.18~0.22
아파트 0.50~0.70
경사지 0.25~0.35
산재지역 0.50~0.80 평탄한 곳 0.30~0.60
산업지역 나지
밀집지역 0.60~0.90 거친 곳 0.20~0.50
공원, 묘역 0.10~0.25 작물있음 0.30~0.60
사질토
운동장 0.20~0.35 없음 0.20~0.50
농경지 경작지
철로 0.20~0.40 작물있음 0.20~0.40
중토
미개발지역 0.10~0.30 없음 0.10~0.25
아스팔트 0.75~0.95 사질토 0.15~0.45
초지
콘크리트 0.80~0.95 중토 0.05~0.25
도로
급경사 산지 0.40~0.80
벽돌 0.70~0.85 산지
완경사 산지 0.30~0.70

하천설계기준(2009) 5

강우강도의 산정
• 강우지속시간 ⇒ 유역의 도달시간(Tc): 강우강도와 첨두홍수량 산정에 큰 영향
• 재현기간: 구조물의 목적과 중요도, 강우의 재현기간 ⇒ 홍수량의 재현기간
• 강우강도
 강우강도(Intensity)-지속시간(Duration)-재현기간(Frequency) 곡선
(IDF curve)
 강우강도식
a a a
I I I
t b t b
t b
 I = 강우강도(design rainfall
intensity, mm/hr), t = 지속시간
(duration, min), T = 재현기간
(return period, year), a, b, c, d = 상
수(constants)
 지역상수는 IDF curve을 이용하여
최소자승법으로 산정

6
우리나라 강우강도식
구분 부산 청주 춘천 통영 추풍령 대구 대전 인천 전주 강릉

a 603.75 627.32 373.37 160.08 166.59 1072.2 1386.3 227.15 1440.1 165.06

a  b  log T
I T , t  
b 624.90 311.52 136.48 288.67 569.94 182.09 140.08 1187.5 137.26 293.41

2년 0.666 0.691 0.586 0.501 0.588 0.786 0.768 0.630 0.795 0.501

tn  c 3년 0.654 0.675 0.566 0.496 0.607 0.760 0.745 0.647 0.763 0.503
5년 0.643 0.661 0.551 0.497 0.628 0.738 0.724 0.661 0.733 0.505
10년 0.635 0.651 0.537 0.502 0.651 0.716 0.700 0.673 0.704 0.506
T는 재현기간(년), 재 20년 0.627 0.644 0.527 0.506 0.670 0.699 0.680 0.679 0.680 0.505
t는 강우지속기간(min), n


30년 0.622 0.641 0.523 0.509 0.679 0.691 0.670 0.681 0.668 0.503

a, b, c, n은 지역상수 간 50년 0.617 0.638 0.518 0.512 0.689 0.682 0.658 0.682 0.654 0.501
70년 0.613 0.637 0.516 0.513 0.695 0.677 0.651 0.682 0.646 0.498
100년 0.610 0.635 0.514 0.516 0.700 0.672 0.643 0.681 0.637 0.495
200년 0.603 0.633 0.510 0.518 0.709 0.664 0.630 0.680 0.623 0.490
500년 0.595 0.630 0.507 0.522 0.718 0.654 0.615 0.676 0.604 0.483

2년 5.060 5.173 2.089 0.389 0.407 10.140 10.359 3.301 8.770 1.160

3년 4.989 4.602 1.679 0.582 0.788 8.091 8.855 4.214 7.388 1.331
5년 5.197 4.318 1.381 0.800 1.204 6.650 7.622 5.204 6.446 1.607
10년 5.542 4.151 1.145 1.019 1.671 5.546 6.568 6.243 5.637 1.997
재 20년 5.946 4.115 0.995 1.232 2.020 4.857 5.854 7.105 5.146 2.375

c 30년 6.204 4.137 0.925 1.338 2.197 4.564 5.522 7.522 4.969 2.594

간 50년 6.515 4.166 0.857 1.450 2.391 4.270 5.178 7.957 4.746 2.849
70년 6.719 4.184 0.805 1.536 2.505 4.084 4.978 8.241 4.640 3.024
100년 6.896 4.221 0.769 1.596 2.616 3.924 4.801 8.533 4.546 3.201
200년 7.248 4.286 0.692 1.731 2.801 3.643 4.483 8.952 4.356 3.498
500년 7.684 4.395 0.608 1.869 2.999 3.378 4.146 9.442 4.221 3.817

우리나라 강우강도식
• 한국 확률강우량도 작성
건설교통부(2000)

T
a  b  ln
I T , t   tn
T
c  d  ln  t
t
I = intensity (mm/hr),
t = duration (min),
a,b,c,d,e,n 은 지역상수

 소규모 수공구조물 설계시


강우의 지속시간은 도달시
간으로 가정

8
우리나라 강우강도식

• 한국 확률강우량도 작성
국토부(2011)

한국 확률강우량정보 (Korea Precipitation Frequency Data Server)


www.k-idf.re.kr
9

도달시간 산정
 도달시간(Tc): 강우가 자연하천의 하도나 우수관거까지 들어오는데 필요한
유입시간(T0)와 하도나 우수관거를 통해 흐르는 유하시간 (Tf)의 합,
Tc = T 0 + T f
 중요도(importance)↑,
민감도(sensitivity)↑,
불확실성(uncertainty)↑
 설계표준값, 경험공식

유역면적이 매우 작아서 도달시간이 매우 작게 산출되면 강우강도가 지나


치게 크게 산출되어 유역면적에 비해 설계홍수량이 지나치게 크게 산출되
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유입시간의 고려가 필수적

10
도달시간 산정
• 유입시간의 산정

 자연유역: 산지유역(30분), 급경사면 유역(20분)


「하천시설기준, 462P」

 도시유역: 우수관거 설계의 유입시간은 하수도정비


구역은 30분을 표준으로 설정
「하천시설기준, 462P」
또는, 다음의 기준을 적용
- 고도로 개발된 불투수성 도시지역: 5분
- 저밀도 도시지역: 10∼15분
- 주거지역: 20∼30분

11

도달시간 산정
• 유입시간의 산정

 Kerby 공식

T0  36.264
 Ln 
0.467

: 자연하천유역
S 0.2335

0.467
 L1.5 n 
T0  36.264 0.5  : 도시하천유역
H 

• To=유입시간(min)
• L=지표거리(km)
• S=유역평균경사
• H=표고차(m)
• n=조도계수

12
도달시간 산정
• 유하시간 산정 (자연유역)
n
Li
Tf   • Tf = 유하시간, Li = i번째 관거의 길이 Vi = i번째 관거에서의 유속
i 1 Vi

L0.77
 Kirpich 공식 T f  3.976 • Tf=유하시간(min), L=유로연장(km), S=유역평균경사
S 0.385

L
 Rziha 공식: S ≥ 1/200 T f  0.833
S 0.6

L
 Kraven(I) 공식: S ≤ 1/200 T f  0.444 0.515
S
0.467
( Ln)
 Kerby 공식 T f  36.255
S 0.2533
• n=조도계수, 포장지역(0.2), 나지(0.3), 초지(0.4), 삼림(0.8)

L0.8 (2540  22.86CN ) 0.7


 SCS 공식 Tf  • CN=유출곡선지수
0.56149CN 0.7 S 0.5

13

도달시간 산정
• 유하시간 산정 (자연유역)
 자연유역의 유하시간 산출시 Kraven 공식이 추천(「하천시설기준, 462P」)되
고 있으며, 산출된 유하시간에서 유속을 계산하여 유속이 2.0∼3.5m/sec의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검토하는 것이 필요
L
 Kraven(II) 공식: T f  16.667
V
S ≤ 1/200 : V = 2.1 m/s
1/200 < S < 1/100 : V = 3.0 m/s
S ≥ 1/100 : V = 3.5 m/s

L
 연속형 Kraven 공식: T f  16.667
V
S > 3/400 : V  4.592  0.01194 / S , Vmax  4.5m / s
S ≤ 3/400 : V  35151.515S 2  79.393939S  1.6181818, V  1.6m / s
min

.
 서경대 공식: 𝑇 0.214𝐿𝐻
(홍수량산정 표준지침) Tf=유하시간(hr), L=유로연장(km), H=고도차(m)
14
도달시간과 집중시간
∙ 도달시간은 유로길이에 대한 평균유속의 비로 산출되는 소구간별 유하시간
으로 정의
∙ 집중시간은 유역내 최원점에서 출구점까지의 도달시간으로 개개 소구간을
통과하는 도달시간의 합으로 정의
∙ 유역내의 도달시간은 고려하는 지점에 따라 여러 가지이며 집중시간은 하나
이나, 통상도달시간과 집중시간은 같은 개념으로 취급하며 주로 도달시간으
로 사용
∙ 실제로 도달시간은 하도상의 흐름을 계산할 때 사용하는 것이 올바른 표현이
며, 따라서 통상 유역의 도달시간은 주하도의 최원점에서 유역출구부까지의
유하시간을 의미하므로 유입시간은 포함되지 않는 개념
∙ 유역면적이 적어 합리식 등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유입시간을 10∼30분 등으
로 일방적으로 고려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이 큰 경우에는 별도로 유입시간
을 고려하지 않고 있는 실정으로, 필요시 유입시간을 별도로 산출하여 가산
하여 유역의 최원점에서 유역출구점까지의 도달시간(집중시간)을 결정함이
타당하나 통상 유입시간이 상대적으로 매우 짧으므로 무시하여도 무방

15

우수관거 유출량 산정 예제
• 우측그림과 같이 OO시에 위치한 주차장
으로부터의 우수를 배제하기 위해 우수
관거를 설계하고자 한다. 재현기간 10년
인 호우에 대하여 설계하기로 결정했다
면 우수관거의 설계유량은 얼마나 되겠
는가? 각 주차장의 배수면적, 유출계수
및 도달시간은 그림에 표시되어 있다.
(우수관거내의 유속은 2m/sec로 가정)

1) 강우강도의 산정: 한국 대표 강우강도식 (이원환, 1993), T=10, 관련 표로부터 OO시


의 지역상수값 a=858.39, b=300.56, n=0.639, c=2.505

2) 우수거 ab로의 설계유량, C=0.6, A=0.2km2, tc=5min


a  b log10 T 858.39  300.56 log10 10
I   218.6mm / hr
tn  c 5 0.639  2.505

Qa  0.2778CIA  0.2778  0.6  218.6  0.2  7.29m 3 / sec


15
우수관거 유출량 산정 예제
3) 우수거 bc로의 설계유량:
 b점까지의 도달시간: ①→a→b, or ②
L 120
tb  t1  a b  5   6 min
V 2  60
a  b log10 T 858.39  300.56 log10 10
I   205.2mm / hr
tn  c 6 0.639  2.505
C1 A1  C 2 A2 0.6  0.2  0.8  0.1
 b점까지의 평균유출계수 C12    0.67
A1  A2 0 .2  0 .1
Qb  0.2778CIA  0.2778  0.67  205.2  0.3  11.4m 3 / sec

4) 우수거 cd로의 설계유량:


 c점까지의 도달시간: ①→a→b→c, or ②→b→c, or ③
L 240
t c  tb  b  a  6   8 min t3  9 min
V 2  60
a  b log10 T 858.39  300.56 log10 10
I   176.2mm / hr
tn  c 9 0.639  2.505
C1 A1  C2 A2  C3 A3 0.6  0.2  0.8  0.1  0.7  0.4
 c점까지의 평균유출계수 C13    0.68
A1  A2  A3 0 .2  0 .1  0 .4
Qc  0.2778CIA  0.2778  0.68  176.2  0.7  23.3m 3 / sec 16

침수피해 사례

17
기타 첨두유출량 산정공식

• 수정 가지야마 공식
 A < 42.91㎢
 A
Q  F 310  R  4  2  A1.0160.1135 log10 A • Q = 첨두홍수량(m3/sec)
 L 
• A = 유역면적(㎢)
• L = 하천길이(km)
 A > 42.91㎢ • R = 유역 최대 일강우량(mm)
 A
Q  1.886 F 310  R  4  2  A0.67840.0101log10 A • F = 상수
 L 

 수정 가지야마 공식의 상수 F
유역의 상태 F값
임야가 적고 유출이 많은 급경사 지역 0.0104
비교적 유출이 많은 지역 0.0096
유출이 보통인 지역 0.0088
비교적 유출이 적은 지역 0.0080
유출이 대단히 적은 지역 0.0072

19

기타 첨두유출량 산정공식
 한장회 공식 • Q = 첨두홍수량(m3/sec)
 L2  • A = 유역면적(㎢)
Q  AS 0.5  0.169  0.0065  R
 A • L = 하천길이(km)
• R = 유역 최대 일강우량(mm)
• S = 하천경사
 고재웅 공식
QT  15.5T 0.22 A0.64 • QT = 재현기간 T에 해당하는 첨두홍수량(m3/sec)
• A = 유역면적(㎢)
• T = 재현기간(년)

 비유량법에 의한 산정
1 • q = 단위면적당 연평균 최대 홍수량(m3/sec)
q  11.25
A0.25 • A = 유역면적(㎢)
 위의 비홍수량 산정공식은 유역면적 하나만으로 회귀분석하여 신뢰도가 낮음

A2 R2 • Q1, A1, R1, = 계측유역의 유량, 유역면적, 강수량


Q2  Q1
A1 R1 • Q2, A2, R2, = 미계측유역의 유량, 유역면적, 강수량
20
기초수문학

단위유량도

영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최현일

단위도 (Unit Hydrograph)


 단위유량도 (Sherman, 1932)
∙ 단위유량도(unit hydrograph) 또는 단위도(unit graph)는 「특정 단위시간 동안
균일한 강도로 유역 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내리는 단위 유효우량(unit
effective rainfall)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직접유출(direct runoff)수문곡선」
으로 정의
∙ “특정 단위시간”⇒ 강우의 지속시간이 특정시간으로 표시
∙ “균일한 강도로 유역전반에 내린다”
⇒ 강우의 지속시간 동안 강우강도가 시간 및 공간적으로 변하지 않고 일정
∙ “단위 유효우량”⇒ 유효우량의 크기 : 1cm or 1inch

 강의내용
∙ 단위유량도 이론
∙ 단위도 지속시간 변경
∙ 순간단위도
∙ 단위도 적용
2
단위도 (Unit Hydrograph)
 기본가정
∙ 일정 기저시간 가정 (principle of equal base time):
강우의 지속시간이 같을 경우 직접유출의 기저시간은 강우강도에 관계없이 동일
∙ 비례가정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직접유출 수문곡선의 종거는 임의시간 에 있어서의 강우강도에 직접 비례
∙ 중첩가정 (principle of superposition):
일련의 유효강우량에 의한 총 유량은 각 기간의 유효우량에 의한 개개 유출량을
산술적으로 합한 양과 같다.

단위도 (Unit Hydrograph)


 단위도 가정의 주의점
∙ 단위도의 3대 가정 중 일정 기저시간 가정은 유역의 시간적 불변성의 의미이며
비례 및 중첩 가정은 강우와 유출이 선형으로 비례하는 선형성의 의미
→ 실제 유역에서는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속이 증가하게 되므로 강우-유출은
선형이 아닌 비선형 관계를 가지게 되는 모순이 발생

 단위도 지속기간 결정
∙ 단위도는 일정시간의 지속기간을 가지며 이러한 지속기간은 단위도를 유도한
유효우량의 지속기간으로 지속기간이 다른 단위도는 완전히 다름.
∙ 단위도의 지속기간과 강우의 단위지속기간은 반드시 일치시켜야 됨.
∙ 단위도의 지속기간은 단위도의 첨두발생시간의 1/4 이하로 채택

4
단위도의 유도
 총유출량자료로부터 단위유량도 유도과정
1) 총유출량자료(hydrograph)로부터 기저유량(base flow) 분리
⇒ 직접유출(direct runoff)수문곡선
2) 직접유출수문곡선의 아래 면적 (유출체적)을 유역면적으로 나눈다.
⇒ 유효우량(effective rainfall)
3) 우량주상도에서 손실량 분리 (Index method, Infiltration curve method, NRCS Method)
⇒ 유효우량의 지속시간이 단위도의 지속시간이 됨.
4) 직접유출수문곡선의 종거를 유효우량으로 나눈다.
⇒ 단위 유효우량(1cm or 1in)에 해당하는 직접유출수문곡선
5) 4)에서 얻은 직접유출수문곡선의 아래 면적을 유역면적으로 나눈 값이 단위 유효우량이 되도록 조정
⇒ 유효우량의 지속시간에 해당하는 단위유량도

유역의 대표단위도
 유역의 대표 단위도
 해당유역에 내림 호우와 유출기록을 가능한 최대로
수집
 단위유량도의 이론의 기본 가정에 충실한
호우사상을 선별하여 분석
 관측자료로부터 여러 개의 단위도를 획득한 후
첨두유출량과 첨두발생시간을 평균

 호우사상 선별시 고려사항


 가급적 단순 호우 (isolated rainfall) 사상을 선택하는 것이 좋고
 강우계속기간 동안 강우강도가 가급적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이 좋고
 유역전체에 걸쳐 강우의 공간적 분포가 가급적 균일한 것이 좋으며
 강우의 지속시간이 유역 지체시간의 약 10-30% 정도인 것이 좋고
 호우로 인한 직접유출량 (혹은 유효우량)이 약 13-44mm정도인 것이 좋다.
⇒ 유역면적이 4-5,000km2

6
단위도 지속시간 변경
 정수배 방법
특정 지속시간의 단위도로부터 정수배로 지속시간을 확장
지체-중첩법

1시간 단위도 1시간 지체 단위도 두 단위도의 합 2시간 단위도


시 간
(m3/sec) (m3/sec) (m3/sec) (m3/sec)
(hr)
(1) (2) (3)=(1)+(2) (3)/2
0 0 0 0
1 7.5 0 7.5 3.75
2 25.0 7.5 32.5 16.25
3 30.0 25.0 55.0 27.50
4 27.5 30.0 57.5 28.75
5 20.0 27.5 47.5 23.75
6 10.0 20.0 30.0 15.00
7 7.5 10.0 27.5 13.75
8 5.0 7.5 12.5 6.25
9 0 5.0 5.0 2.50
10 0 0 0 7

S-curve
• Uniform Rain
• Inflow = Outflow
• Equivalent to summing n hydrographs in T
• Produces S curve

Rainfall
Unit Rainfall
Uniform Rainfall

Equilibrium Hydrograph = S curve

Runoff

Unit Hydrograph Time


8
단위도 지속시간 변경
 S-curve method을 이용하여 T지속시간 단위도 작성 방법
 임의의 지속시간을 가지는 단위도 작성
1) D의 지속시간을 가지는 단위도 획득 (강우강도=1/D)
2) D만큼 연속적으로 지체시켜 수문곡선 작성 ⇒ S-curve
3) S-curve를 T시간 만큼 지체 (강우강도=1/D, 지속시간=T ⇒ 유효우량=T/D)
4) ((2)의 S-curve) – ((3)의 S-curve) ⇒ T/D의 유효우량에 해당하는 단위도
5) (4)의 단위도의 종거를 D/T로 곱한다. ⇒ T지속시간의 단위유량도

시간구간 18시간단위도 중간계산 18시간 12시간지체 (4)-(5) 12시간 단위도


∆t = 6hr 3∆t S-곡선 S-곡선 (18/12)X(6)
(1) (2) (3) (4) (5) (6) (7)

1 0 - 0 - 0 0
2 0 - 0 - 0 0
3 0.07 - 0.07 0 0.07 0.11
4 0.16 0 0.16 0 0.16 0.24
5 0.25 0 0.25 0.07 0.18 0.27
6 0.26 0.07 0.33 0.16 0.17 0.26
7 0.17 0.16 0.33 0.25 0.08 0.12
8 0.07 0.25 0.32 0.33 0.00 0.00
9 0.02 0.33 0.33* 0.33 0.00 0.00
10 0.003 0.33 0.33 0.33 - -
11 0 0.32 0.33* 0.33 - -
12 0 0.35 0.33* 0.33 - -
13 0 0.33 0.33 0.33 - -

단위도 지속시간 변경
18hr-단위도 18hr-단위도 18hr-S곡선 12hr-단위도
시간 18hr-단위도 18hr-S곡선 (5)-(6)
(18시간 지체) (36시간 지체) (12시간 지체) (7) X 18/12
3
(hr) (m /sec) (m3/sec) (m3/sec) 3
(m /sec) (m3/sec) 3
(m /sec) (m3/sec)
(1) (2) (3) (4) (5) (6) (7) (8)
0 0.00 - 0.00 - 0.00 0.00
6 0.00 - 0.00 - 0.00 0.00
12 0.07 - 0.07 0.00 0.07 0.11
18 0.16 0.00 - 0.16 0.00 0.16 0.24
24 0.25 0.00 - 0.25 0.07 0.18 0.27
30 0.26 0.07 - 0.33 0.16 0.17 0.26
36 0.17 0.16 0.00 0.33 0.25 0.08 0.12
42 0.07 0.25 0.00 0.33 0.33 0.00 0.00
48 0.02 0.26 0.07 0.33 0.33 0.00 0.00
54 0.00 0.17 0.16 0.33 0.33 0.00 0.00
60 0.00 0.07 0.25 0.33 0.33 0.00 0.00
66 0.00 0.02 0.26 0.33 0.33 0.00 0.00
72 0.00 0.00 0.17 0.33 0.33 0.00 0.00
0.4

유효우량 (cm)
(2)
0.3
(3)
(4)
(5)
유량 (6)
0.2
(m3/sec) (7)
(8)

0.1

0
0 6 12 18 24 30 36 42 48 54 60 66 72 10
시간 (hr)
순간단위도(IUH)
 순간단위도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IUH)
 D-시간 단위도: 유효우량 1cm가 D시간 동안 내렸을 때의 유출수문곡선
 순간단위도: 지속시간이 0에 가까운 순간적으로 내린 유효우량에 의한 유출수문곡선
 실제에 없는 가상의 개념 ⇒ 수문곡선의 해석 및 수문설계

 순간단위도의 유도
 S-curve를 이용한 유도

11

순간단위도로부터 단위도 유도
 순간단위도를 D시간 지체시킨 후 매 시간 두
순간단위도의 종거를 평균
 예제: 순간단위도로부터 1시간 단위도 유도
시간 IUH 1시간 지체 1시간 단위도
(hr) (m3/sec) IUH ((2)+(3))/2
(1) (2) (3) (4)
0 0 - 0.0
1 66 0 33.0
2 140 66 102.9
3 249 140 194.4
4 391 249 319.8
5 400 391 395.1
6 291 400 345.3
7 206 291 248.5
8 142 206 174.0
9 95 142 118.5
10 60 95 77.5
11 36 60 48.0
12 18 36 27.0
13 12 18 15.0
14 9 12 10.5
15 9 9 9.0
16 6 9 7.5
17 6 6 6.0
18 6 6 6.0
19 6 6 6.0
20 0 6 3.0
21 - 0 0.0
22 - - -
12
단위도 적용
 임의의 강우사상에 대한 유출수문곡선을 합성
 설계목적의 홍수량 산정
 예제: 강우량, 유출계수, 단위도가 주어졌을 경우
일 시 강우량(mm) 유출계수 유효우량(mm)
8/6 14:00 ~ 16:00 27.3 0.55 15.0 27.3ⅹ0.55
16:00 ~ 18:00 56.7 0.60 34.0
18:00 ~ 20:00 31.4 0.70 22.0

시간 2hr-단위도 (2) X 1.5 (2) X 3.4 (2) X 2.2 직접유출곡선 기저유량 유출수문곡선
(hr) (m3/sec) (m3/sec) (m3/sec) (m3/sec) (m3/sec) (m3/sec) (m3/sec)
(1) (2) (3) (4) (5) (6) (7) (8)
0 0.0 0.0 - - 0.0 10.0 10.0
1 6.8 10.2 - - 10.2 10.0 20.2
2 10.2 15.3 0.0 - 15.3 10.0 25.3
3 14.6 21.9 23.1 - 45.0 10.0 55.0
4 29.3 44.0 34.7 0.0 78.6 10.0 88.6
5 20.2 30.3 49.6 15.0 94.9 10.0 104.9
6 12.1 18.2 99.6 22.4 140.2 10.0 150.2
7 7.2 10.8 68.7 32.1 111.6 10.0 121.6
8 4.1 6.2 41.1 64.5 111.8 10.0 121.8
9 2.6 3.9 24.5 44.4 72.8 10.0 82.8
10 1.5 2.3 13.9 26.6 42.8 10.0 52.8
11 0.9 1.4 8.8 15.8 26.0 10.0 36.0
12 0.6 0.9 5.1 9.0 15.0 10.0 25.0
13 0.3 0.5 3.1 5.7 9.2 10.0 19.2
14 0.1 0.2 2.0 3.3 5.5 10.0 15.5
15 0.0 0.0 1.0 2.0 3.0 10.0 13.0
16 - - 0.3 1.3 1.7 10.0 11.7
17 - - 0.0 0.7 0.7 10.0 10.7
18 - - - 0.2 0.2 10.0 10.2
19 - - - 0.0 0.0 10.0 10.0
20 - - - - - 10.0 10.0
13

단위도 적용

200

180 1.5
2.2
160 유효우량 (cm)
3.4
140 (3)

120 (4)
유량 (5)
100
(m3/sec)
80 (6)

60 (7)

40 (8)

20

0
0 2 4 6 8 10 12 14 16 18 20
시간 (hr)

14
기초수문학

합성단위도
홍수추적

영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최현일

합성단위도
 강우-유출 자료가 있는 지역 ⇒ 유역 대표단위도 작성
 강우-유출 자료가 없는 지역 ⇒ 유역 특성인자를 고려하여 합성
 Snyder의 합성단위도법
 SCS 합성단위도법
 Nakayasu의 합성단위도법
 Clark의 합성단위도법

 합성단위도의 이해
 기본 가정: ① 각 유역은 특정 유역특성치와 관련하여 유일한 단위도를 가진다.
② 모든 단위도는 하나의 곡선군 또는 공식에 의해 표현된다.
 결정인자: 지체시간, 도달시간, 첨두발생시간, 기저시간, 첨두유량

 단위도의 변화
유역의 크기, 경사, 저류특성,
개발상태 등이 단위도에 종합
적으로 영향.

2
Snyder 방법
 Snyder는 미국 Appalachian 산맥 지역에서 유역면적이 30∼30,000km²인 유역을 대상으로
단위도를 유역특성의 항으로 정의

 지체시간: 유효강우의 중심과 첨두유량발생까지의 시간

t p  Ct LLc 
0. 3
• tp = 유역의 지체시간 (hr)
• L = 유역경계부터 출구지점까지 본류의 길이 (km, mi)
• Lc = 유역출구에서 본류를 따라 유역의 중심에 가장
가까운 본류지점까지의 거리 (km, mi)
• Ct = 계수 (km: 1.4-1.7, mi: 1.8-2.2)
 첨두유량
1.08 1.08
Q  Q 
W50  2.14 p  , W75  1.22 p 
A A : km 2 , m 3 / s

Q p  C p : km 2 , m 3 / s Q p  640C p : mi 2 , ft 3 / s
 A   A
1.08 1.08
Q   Qp 
W50  770 p  , W75  440  : mi 2 , ft 3 / s
tp tp  A   A 

• A = 유역면적 (km2, mi2)


• Cp = 저류계수 (km: 1.5-1.9, mi: 0.4-0.8)

 유효강우지속시간
tp • D = 강우지속시간 (hr)
D • tp = 지체시간 (hr)
5.5
1 tp
 임의의 지속시간을 갖는 경우: t p '  t p  D ' D 
t base  3  (day )
8
4 3

NRCS 방법
 미국 토양보존국(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NRCS)에 의해
고안된 방법으로 무차원 단위도(dimensionless unit hydrograph)의 이용
∙ 미국내 여러 지방의 대소 유역으로부터 얻은 실제 단위도를 해석하여 얻은
것이므로 유역의 특성에 별 관계없이 적용 가능
NSCS 무차원 단위도의 시간별 종거
t/tp Q/Qp t/tp Q/Qp t/tp Q/Qp

0 0 1.1 0.990 2.4 0.147

0.1 0.030 1.2 0.930 2.6 0.107

0.2 0.100 1.3 0.860 2.8 0.077

0.3 0.190 1.4 0.780 3.0 0.055

0.4 0.310 1.5 0.680 3.2 0.040

0.5 0.470 1.6 0.560 3.4 0.029

0.6 0.660 1.7 0.460 3.6 0.021

1 484 A L ( S  1)
0. 8 0. 7 0.7 0.820 1.8 0.390 3.8 0.015
tp  tr  t g Qp  tg 
2 tp 1900Y 0.5 0.8 0.930 1.9 0.330 3.0 0.011

0.9 0.990 2.0 0.280 3.5 0.005


Q p ( ft 3 / sec), A( mi 2 ), t p ( hr ), t g (hr ), t r (hr ), L( ft ), Y (%), S (in )
1.0 1.000 2.2 0.207 5.0 0
4
중안의 종합단위도
 中安(Nakayasu)은 일본내 여러 유역에서 유도된 단위도의 특성변수와 유역
의 지형학적 특성변수간의 관계를 조사하여 무차원 수문곡선인 종합단위도
를 작성

t g  0.21L0.7 L < 15km일 경우

t g  0.4  0.058 L L > 15km일 경우

t p  0.8t r  t g

t k  0.47( AL ) 0.25
0.2778 R0 A
Qp 
0.3t p  t k

2 .4
Q  t 
상승부 : 
Q p  t p 
t t p t  t p  0 .5 t k t  t p 1.5 t k
Q Q Q
하강부 :  0 .3  0 .3  0 .3
tk 1 .5 t k 2tk

Qp Qp Qp
Q Q Q
for 0.3   1 .0 for 0.32   0 .3 for 0.33   0 .3 2
Qp Qp Qp 5

Clark의 단위도
 해당유역의 출구에 1개의 저수지가 있다고 가정하고, 유역 전반에 순간적으
로 내린 단위유효우량인 순간단위유효우량(instantaneous unit effective
rainfall, 1cm)으로 인한 유수의 저수지 유입수문곡선을 시간-면적곡선을 이
용한 단순전이에 의해 계산
 선형저수지(S=KO)의 저류추적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가정하여 홍수추적을
실시함으로써 유역의 순간단위유량도(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IUH)
를 작성
 순간단위유량도를 이용하여 원하는 지속기간에 대한 단위도로의 변환은 정
수배 방법에 의하여 작성하고, 지속기간 단위도를 설계우량주상도에 적용함
으로서 설계 홍수수문곡선을 산출
 강우로 인한 유수의 전이(translation) 뿐만 아니라 유역의 저류효과도 고려
하므로 자연유역의 적용에 적합

6
Clark의 단위도 작성절차
 시간-면적주상도 작성
홍수도달시간이 동일한 점을 연결하는 등시간선(isochrone)을 그려, 몇 개의
소유역으로 분할한 뒤, 시간-면적주상도(time-area histogram, TAH)를 작성

 유역출구 선형저수지로의 매시간 구간별 유입량은 도달시간 구간별 면적상


에 내린 단위유효우량(1cm)을 유량으로 환산한 값으로, 선형저수지로 등시간
구간 Δt-hr동안의 유입수문곡선 종거 Ii(m³/sec)는 다음과 같이 계산
𝒎𝟐
𝐼 · 𝒎 2.78 𝒎𝟑 /𝒔𝒆𝒄
𝒔𝒆𝒄

여기서 Ii는 시간간격 i에 유입량(m³/sec), Ai는 i번째 시간구간에 포함되는


유역면적(km²) 7

Clark의 단위도 작성절차


 유역출구의 선형저수지의 저류량-유출량의 관계는 선형성 가정(S=KO)에 따
라 저류방정식을 변형하여 정리
0.5t
I1  I 2 O  O2 m0  m1 
t  1 t  K (O2  O1 ) K  0.5t
2 2 K  0.5t
m2 
O2  m0 I 2  m1 I1  m2O1 K  0.5t
 도달시간-누가면적곡선으로부터 작성되는 시간-면적주상도의 경우에는 추
적기간 의 시점 및 종점 유입량이 동일(I1= I2)이므로
O2  (m0  m1 ) I  m2O1
 저류상수 K와 t를 결정하면 m0, m1, m2를 계산할 수 있으며, 유입수문곡선
을 추적기간별로 축차 추적하여 유역출구의 순간단위도(IUH)의 종거를 결정
 순간단위도(IUH)를 t시간만큼 지체시켜 2개의 IUH의 t시간 간격 종거를 매
시각 평균하는 정수배방법에 의하여 지속시간 t시간 단위도를 작성

8
저류상수의 결정
 미계측 유역
CL
• Clark 공식: K
S
K는 저류상수(hr), L은 유로연장(km),
A는 유역면적(km²), S는 평균경사,
bL A
• Linsley 공식: K C는 0.5∼1.4, b는 0.01∼0.03
S
tc는 도달시간 (hr)

• Russel 공식: K    tc : 도시지역(1.1∼2.1), 자연지역(1.5∼2.8), 산림지역(8.0∼12.0)

tc A
• Sabol 공식: K SF   0.15
L2 L2
1.46  0.0867
A

.
𝐴
• 서경대 공식: 𝐾 𝛼
𝐿
·𝑡 : 일반하천(기준값, 1.45), 산지하천(1.20), 평지하천(1.70)

 홍수량산정 표준지침(2019)에서의 권장공식


 댐 설계, 도시하천, 소하천 소규모 단위유역 수문량 산정 등에서는 적용을 지양
9

도시화 영향
• 도시화 → 불투수성 지역의 확대 → 우효우량 증가 ⇒ 홍수량 증가

시간

 도시유역에서의 유출량 증가
 침투를 감소시키는 주차장, 도로, 건물지붕 등과 같은 불투수성 지역의 증가
 인위적인 하도, 암거 등과 같은 하천의 수리학적 효율 증가 및 우수배출시스템의 개선
으로 유속 및 첨두유출 증가
 도시화로 유출량이 증가하는 반면, 지하수위가 감소하여 도시하천의 건천화 문제 발생

10
Clark 단위도법 예제
도달시간별 소유역 면적 A1 = 3.6 km2, A2 = 7.2 km2, A3 = 3.6 km2, 저류상수 K = 1.5 hr,
계산시간 간격 t = 1 hr일 때, 유역추적법(Clark 단위도법)에 의한 순간단위도 및 1시간
단위도를 유도하고, 이 유역에 유효 시강우량 R1 = 30 mm, R2 = 40 mm, R3 = 20 mm이
내렸을 때 직접유출수문곡선을 산정하시오.
𝐴 0.5t K  0.5t
𝐼 2.78 m0  m1  m2  O2  (m0  m1 ) I  m2O1
𝛥𝑡 K  0.5t K  0.5t

T A I O O+t 1-hr UH R1 R2 R3 Q
(hr) (km2) (m3/s) (m3/s) (m3/s) (m3/s) 3 cm 4 cm 2 cm (m3/s)
0 0 0 0.0 0.0 0.0 0.0
1 3.6 10 5.0 0.0 2.5 7.5 0.0 7.5
2 7.2 20 12.5 5.0 8.8 26.3 10.0 0.0 36.3
3 3.6 10 11.3 12.5 11.9 35.6 35.0 5.0 75.6
4 0 0 5.6 11.3 8.4 25.3 47.5 17.5 90.3
5 0 0 2.8 5.6 4.2 12.7 33.8 23.8 70.2
6 0 0 1.4 2.8 2.1 6.3 16.9 16.9 40.1
7 0 0 0.7 1.4 1.1 3.2 8.4 8.4 20.0
8 0 0 0.4 0.7 0.5 1.6 4.2 4.2 10.0
9 0 0 0.2 0.4 0.3 0.8 2.1 2.1 5.0
10 0 0 0.1 0.2 0.1 0.4 1.1 1.1 2.5
11 0 0 0.0 0.1 0.1 0.2 0.5 0.5 1.3
12 0 0 0.0 0.0 0.0 0.0 0.3 0.3 0.5
13 0 0 0.0 0.0 0.0 0.0 0.0 0.1 0.1
14 0 0 0.0 0.0 0.0 0.0 0.0 0.0 0.0 11

Clark 단위도법 예제
도달시간별 소유역 면적 A1 = 3.6 km2, A2 = 7.2 km2, A3 = 3.6 km2, 저류상수 K = 1.5 hr,
계산시간 간격 t = 1 hr일 때, 유역추적법(Clark 단위도법)에 의한 순간단위도 및 1시간
단위도를 유도하고, 이 유역에 유효 시강우량 R1 = 30 mm, R2 = 40 mm, R3 = 20 mm이
내렸을 때 직접유출수문곡선을 산정하시오.
𝐴 0.5t K  0.5t
𝐼 2.78 m0  m1  m2  O2  (m0  m1 ) I  m2O1
𝛥𝑡 K  0.5t K  0.5t
120

100 20
30 유효우량 (mm)
40
80 R1(3cm)

유량 60 R2(4cm)
(m3/sec)
40 R3(2cm)

직접유출수문곡선
20

0
0 2 4 6 8 10 12 14
시간 (hr) 12
홍수추적 (Flood Routing)
• 홍수추적
 상류의 한 지점에 있어서의 기지(known)의 수문곡선으로부터 하류의 어떤 지점에
있어서의 수문곡선을 결정하는 절차
 홍수파가 하천의 임의구간을 통과하는 동안에 그 구간내의 하도 저류량에 의하여
그 크기가 얼마나 감소되며 지속시간이 얼마나 늘어나느냐를 밝혀내는 과정
 수문학적 홍수추적 (Hydrologic flood routing)
 수리학적 홍수추적 (Hydraulic flood routing)

I
Q

Inflow Inflow

Outflow Outflow

13

수문학적 홍수추적
• 수문학적 홍수추적 (Hydrologic flood routing) ⇒ 수문학(hydrology)
 홍수파의 연속방정식 (conservation of mass)에 기초를 둔 저류방정식
(storage equation)을 이용한 근사해법
 Lumped flow routing ⇒ Easy and less data
 저수지추적(reservoir routing), 하도추적(channel routing), 유역추적
(watershed routing)
 저수지추적: 저수지를 통과하는 홍수파에 미치는 저수지의 홍수조절효과
⇒ 저수지의 홍수조절용량 결정, 댐 높이 및 댐 부속구조물의 수리설계 위한
기준 수문량 제공
 하도추적: 자연하천의 하도가 홍수에 미치는 저류효과
⇒ 하천정비계획 수립을 위한 기준 수문량 제공
 유역추적: 자연하천 유역의 홍수 저류효과를 고려
⇒ 유역내 각종 수공구조물의 설계를 위한 기준 수문량 제공

14
저류방정식
• 저류량 추적

(a) 저수지 저류
(b) 저수지로부터의 유입 및 유출
(c) 저수지 저류량

 첨두유량 감소 (attenuation of peak)


 첨두시간 지체 (lag of time to peak)
 저류량 변화 ⇒ 저류방정식(연속방정식)
S I j  I j 1 Q j  Q j 1
I O  , S j 1  S j  t  t
t 2 2
15

저류방정식의 적용
I j  I j 1 Q j  Q j 1
S j 1  S j  t  t
2 2

• If I(t) is known, we still need to a second relationship to solve the above


equation
 dI d 2 I dQ d 2Q 
⇒ Storage function S  f  I , , 2 ,  , Q, , 2 , 
 dt dt dt dt 

 Modified Puls method (Reservoir routing) ⇒ S  f Q 


(Level-pool routing method)
f is a nonlinear function.

 Muskingum method (Channel routing) ⇒ S  f I , Q 


S is linearly related to both I & Q.

 Clark method (Watershed routing) ⇒ S  f Q 


f is a linear function.
16
유역 홍수추적 (Clark Method)
• 유역의 도달시간-누가면적 관계를 이용하여 자연하천 유역의 순간단위유량도(IUH)를 유도
하는 방법
 유수의 전이(transition)과 유역의 저류효과(storage effect, attenuation)를 고려
 유역출구에 1개의 선형저수지가 존재한다고 가정
 이 저수지로의 매시간 구간별 유입량 = 도달시간구간별 면적상에 내린 유효우량으로
환산한 값
• 선형저수지의 저류량-유출량 관계로 부터
I I O  O2 dS dO
S 2  S1  1 2 t  1 t K  S  KO
2 2 dt dt

I1  I 2 O  O2
t  1 t  K O2  O1 
2 2 시간-면적 주상도에서
추적기간동안 시점 및
종점의 유입량은 동일

O2  m0 I 2  m1 I1  m2O1 0 .5  t 0 .5 t
m0  m1 
K  0 .5 t K  0.5 t
K  0 . 5 t
O2  ( m0  m1 ) I  m2O1 m2 
K  0 .5  t 17

설계홍수량 산정절차

18
홍수해석

19

20
http://www.kwater.or.kr/swm/kor/sub01_02.do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