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74

제1장 서 론

제 1 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1.연구배경
가. 국방규격은 사용목적에 따라 정식규격(KDS) 과 약식규격(KDC)로 구분되며, 작성 형태
에 따라 상세형 규격과 성능형 규격으로 구분하며. 성능형 규격은 요구성능, 환경조건,
연동성, 호환성 등이 명시되고 제조방법이나 설계조건은 명시되지 않음.
나. 성능형 규격을 적용시 최신기술을 적시 반영 가능하며, 민수시장의 전문기술과 능력을
군사적으로 적용이 가능하고, 다양한 조달원 확보가 가능함.
다. 성능형 규격의 적용 활성화로 민수규격과 국방규격을 통합, 단순화하는 기준을 재설정
하며, 상용품 조달 확대로 국방예산 절감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민‧군규격 표준화사업의
실질적인 프로세스 구축 및 군요구조건 재설정을 위한 국방규격의 정비가 필요함
라. 1990년대 말부터 민 ‧ 군규격 표준화사업의 일환으로 성능형 규격작성 및 활성화를 위
한 연구를 계속 수행하였고, 적용을 위한 연구 및 노력을 계속하고 있으나 실제 활용
실적은 미흡한 실정으로 프로세스 구축과 국방표준화 업무 개선이 요구됨
마. 따라서 본 과제에서는 “민간, 국방 공통규격 적용 원칙”하에 “단계별 성능형 규격
전환 확대를 추진하는 마스터플랜을 제시”하고 방침에 따라 국방규격 정비를 추진하
고자함.
2.필요성
가. 국방환경 및 기술의 변화로 아래와 같은 사항이 발생되고 있음.
(1) 저비용/고효율의 무기체계 획득 및 운용요구 증가.
(2) IT분야(전지․통신 분야) 중심으로 Spin-On현상 가속화.
(3) 민간기업의 연구개발 증가(국방과학연구소 => 민간기업 주도)
나. 국방분야 내부적으로 지난 ‘08년부터 신개념기술시범(ACTD)사업이 착수되고, ‘11년
부터는 국방차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국방규격조정위원회가 구성되어 민간의 우수 기술
및 상용품을 국방분야에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 추진되고 있음.
다. 성능형 규격 정비 사례를 상세히 제시함으로써 기술 진부화가 발생되더라도 새로운
기술 접목을 제한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를 통해 업체의 기술혁신을 촉진하는 계기를
제공하게 됨.
라. 기술발전 추세에 효과적인 대응을 고려 시 상세형 규격은 수정(update) 소요시간 과다
소요되고 절차가 복잡하여 적기에 군수지원이 제한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음

- 1 -
마. 민수시장의 전문기술을 군용장비에 적용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군수와 민수산업 기반
통합이 가능함
바. 현재의 국방규격은 민간의 발전된 기술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첨단기술의 군 적용을 저해하고 비용과 기간을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적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이 있으며, 기존의 규격체계는 정해진 방법으로만 제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비용절감이나 성능개선을 위해서는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고 있음
사. 이와 같은 환경변화와 직접적으로 부합하여 우수한 민간의 기술이 접목된 상용품을 신
속하게 국방분야에 도입․활용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음.
아. 최근 방사청의 방산정책 핵심기조로 개방과 경쟁촉진을 통해 국내 방위산업의 경쟁력
을 향상시키고, 방산수출을 확대하고자 적극 추진하고 있음.
자. 즉, 그 동안 방산시장은 방산업체와 이들의 협력업체, 군수품 생산업체 위주로만 제한
적으로 참여하는 폐쇄적인 구조로 운영되어 왔으나, 이제는 국방관련 업체뿐만 아니라
우수한 경쟁력을 가진 민간업체도 활발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진입장벽을 적극 완화하
고 있음.
차.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성능형 규격 확대되고 상용품 활용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진다면
비교적 예산이 안정적으로 투자되는 국방시장의 참여 저변을 획기적으로 확대함으로써
특히 중소․중견기업의 육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음.

제 2 절 연구목적

1. 국방규격의 성능형 규격 전환확대가 제한되는 원인 및 대안제시


2.현 국방규격을 검토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해야 할 마스터플랜 수립
가. 비무기 체계, 상용품목 전환 검토대상, 정책적으로 우선검토가 요망되는 품목 우선검토
(외국군 실태 및 한국 무기체계 고려)
나. 검토대상 확정 규격의 성능형 규격 정비(3개 시범사업) 및 경제적 효과분석
3. 혼합형(Hybrid) 규격으로의 전환 연구

- 2 -
제 3 절 연구범위

1. 국내에서 성능형 규격 전환 확대가 제한되는 원인 및 대안제시


가. 외국의 정책, 제도, 규정 내용 및 미비점 분석, 제한사항
나. 국내의 성능형 규격 관련 실태분석 및 사례연구
다. 성능형 규격 확대 연계 방안 및 관련법령, 훈령 및 지침 개정(안)
라. 국방표준종합정보시스템과 연계 활용방안 제시
2. 실제 성능형 규격 정비를 통한 사례제시 및 경제적 효과분석

가. 3개 품목이상 시범검토 결과 국방규격 개정(안)


나. 경제적 효과분석
3. 혼합형 규격의 전환연구

가. 혼합형 규격의 개념 정립
나. 혼합형 규격으로 전환 가능한 유형 및 방안
다. 혼합형 규격 작성 가이드

제 4 절 연구수행 방법

<그림 1-1> 연구 수행방법

- 3 -
제 5 절 추진 경과

1.착수보고
가. 일시 / 장소 : 2013년 11월 5일(금) / 안보경영연구원 회의실
나. 참석 : 국방기술품질원(4명 : 사업관리 및 모니터), 방위사업청(2명 : 사업관리)
2.의견수렴
가. 기간 : 2013년 11월 ~ 2014년 2월
나. 대상 : 48개 업체(체계업체 14개, 협력업체 34개), 소요군, 방사청, 기품원, 국과연
3.중간평가
가. 일시 : 2014년 3월 6일(목)
나. 장소 : 국방기술품질원
4.모니터
가. 주기 : 월 1회
나 주차 : 매월 3째주 목요일 기준 월간보고
5.전문가 토의
가. 일시 : 2014년 7월 30일(수)
나. 장소 : 안보경영연구원
6.최종평가
가. 일시 : 2014년 8월 7일(목)
나. 장소 : 국방기술품질원

- 4 -
제 2 장 성능형 규격 전환 확대 제한원인 및 대안검토
제 1 절 성능형 규격 개요

1.1 정의

1.성능형 규격의 개요
가. 국방규격의 분류
방위사업규정(제603조)에서는 상세형 규격과 성능형 규격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표준화
업무지침(제15조)에서는 상세형과 성능형 및 혼합형으로 분류하여 언급하고 있음.
※ 규격내용의 대부분이 성능형 규격이고 일부만 상세형 내용이라도 상세형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국내․외적으로 다수의 혼합형태 규격이 존재함
나. 성능형 규격의 정의(방위사업규정, 표준화업무지침)
성능형규격(Performance Specification)이란 요구되는 결과를 얻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
을 기술하지 않고 요구성능, 환경조건, 연동성 ․ 호환성 등을 명시한 규격을 말한다.
※ 기술발전 추세가 빨라짐에 따라 민간의 앞선 기술과 민수부품을 적용하여 새로운
기술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획득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과거의 세부적인
제조방법 대신 기능, 성능, 환경, 인터페이스 및 상호호환성 등을 정의
다. 성능형 규격을 규정하는 고려요소 1)

(1) 제품에 대한 기능적 요구조건(functional requirement)

(2) 제품이 운용되어야 하는 환경(operational environment)

(3) 상호연동 요구조건(interface requirement)

(4) 상호호환성 요구조건(interchangeability)

1) 기품원, “국방규격 체계정립 및 국제규격 수준화” DTAQ-08-1739-R, 2008

- 5 -
2.성능형 규격과 상세형 규격의 비교
가. 미국과 한국의 문헌상 정의를 통한 비교
<표 2-1> 미국과 한국의 성능형 규격 비교

구 분 미국(MIL-STD-961E) 한국(방위사업규정)
• 요구되는 결과를 달성하는 방법을 규제한
것이 아니고 결과에 관한 요구조건을 규정 • 요구되는 결과를 얻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성능형 규격 한 규격 기술하지 않고 요구성능, 환경조건, 연동성 ․
• 제품에 대한 기능 요구조건, 환경, 인터페이 호환성 등을 명시한 규격
스 및 상호호환성 특성을 정의
• 요구조건이 어떠한 방법으로 달성되는가 또 • 구매에 적용될 품목과 용역에 대한 기술적인
상세형 규격 는 제품이 어떻게 제조되는가와 같은 설계 요구사항과 요구성능의 달성 방법을 구체적
요구조건을 규정한 규격 으로 기술한 규격

나. 표준화 범위를 고려한 성능형 규격과 상세형 규격의 차이


<표 2-2> 성능형 규격과 상세형 규격의 차이

구 분 성능형 규격 상세형 규격
표준화
• 최소한의 요구조건 만 표준화 • 개별부품, 절차, 방법까지 표준화
범위
• 진보된 기술을 활용하기 위하여 설계방법을 고정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경우
표준화
• 고객의 기호가 자주 바뀌어 일정 수준이상의 표준화가 바람직하지 않을 경우
지양 요소
• 설계의 유연성과 혁신을 방해할 경우

※ 필요요건은 최대한 요구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상용품목 및 공정을 선택하여 작성

다. 규격의 내용상 성능, 제조방법, 시험절차 부분을 고려한 비교 2)

<표 2-3> 규격의 내용상 성능, 제조방법, 시험절차 부분을 고려한 비교

구 분 성능형 규격 상세형 규격
• 성능/기능, 환경조건, 인터페이스 등 요구되는 성 • 해당 성능을 어떻게 달성할 것인가를 구체적
성능
능만을 기술 으로 명시
•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계약자에게 • 적용되어야할 원자재, 부품, 공정, 조립 방법
제조방법
선택권을 부여 을 세부적으로 명시
• 시험절차 및 방법은 계약자에게 선택권을 부여
• 특정 시험장비를 포함한 구체적인 시험절차
• 주로 완성품에 대한 품질확인 절차위주로 기술
명시
시험절차 ※성능/환경과 관련된 시험요소는 상세형과 동일하
• 완성품 외에 원자재, 부품, 공정에 대한 품질
나 최초 생산품검사, 확인검사 등이 강화될 경우
확인 절차가 포함
가 있음

2) 기품원, “국방규격 체계정립 및 국제규격 수준화” DTAQ-08-1739-R, 2008

- 6 -
3.성능형 규격과 상세형 규격의 사용시 장 • 단점
가. 성능형 규격은 최소한의 요구 조건만 표준화하는 것으로 미국의 경우(DoD 4120.24-M)
통상 표준화하지 말아야 할 경우는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1) 진보된 기술을 활용하기 위하여 설계방법을 고정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경우

(2) 고객 기호가 자주 바뀌어 일정 수준 이상의 표준화가 바람직하지 않을 경우

(3) 설계의 유연성과 혁신을 방해할 경우

나. 성능형 규격 사용시 이점은 다음과 같다 . 3)

(1) 혁신적이고 다른 대안적인 해결책 수립이 가능함

(2) 자원투입 및 규격서 작성 노력의 감소가 가능함

(3) 제조 특성이 아닌 성능결과에 집중 가능함

(4) 오래되거나 획득할 수 없는 부품에 대한 설계변경이 가능함

(5) 환경 친화적인 설계가 가능함

(6) 입찰업체가 세부공정도 작성 시 요구되는 노력의 최소화(중소기업에 유리)

다. 상세형 규격 사용시 이점
(1) 생산업체가 기술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제품제조를 위한 지침서가 될 수 있음

(2) 제품 결함발생시 이에 대한 원인추정이 용이함(잠재적으로 성능형 규격의 단점)

(3) 제품 제작 시작단계에서 발생한 여러 가지 오류에 대한 예측 및 예방조치 용이

(잠재적으로 성능형 규격의 단점)

(4) 필요시 정부 품질관리자는 하위 레벨의 부품 및 공정에 대해서 상세한 기술지원과


통제가 가능
라. 상세형 규격 사용시 단점
(1) 제조 및 시험방법에 지나친 규제로 원자재 제작공정을 자유롭게 한 성능형의 장점인
융통성을 저해함
(2) 빠른 기술발전추세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곤란함

(3) 품질개선 및 원가절감을 위해 새로운 부품사용 또는 공정개발이 제한됨

3) 성인철, “성능형 규격 동향조사 연구”, DTaQ-09-1919-R, 2009.5, 기술품질원

- 7 -
1.2 성능형 규격의 도입배경 및 실태

1.외국의 경우
가. 탈냉전 이후 국방예산의 제약에 따른 획득비용 절감필요
나. 민간의 앞선 기술수용 및 새로운 기술변화에 대응을 위해 군사규격 분야의 변화요구
다. 미국의 경우 군사규격 개혁을 통해 기존의 상용품기술서(CIDs : Commercial Item
Descriptions)를 이용해 상용품을 무기체계 제작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보다
발전된 성능형 규격제도를 새롭게 도입하여 상용품을 군요구도에 맞게 개조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음.
라. 미 국방부는 성능형 규격 활용을 통해 무기체계 획득기간 단축과 사업비용 절감 효과
를 얻을 수 있었음.
2.한국의 경우
가. 미국에서 추진했던 여러 개혁방안 들을 우리 실정에 맞게 접목함으로써 당면한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나. 특히 3단계에 걸친 민군규격 표준화사업(1999년 시작)을 통하여 상용전환, 국방규격
제․개정, 국방규격 폐지, KS전환/제․개정 등의 활동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고, 2001년부터
성능형 규격 활성화를 위한 연구를 3회 실시하여 2004년에는 국방규격 작성 지침에
포함하고, 2006년에는 표준화지침에 세부내용을 수록하였음
다. 이후 2009년까지 성능형 규격 전환절차 및 작성절차 정립을 위한 연구화 활성화 방안
을 4회 연구해 왔으나 활성화 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임
라. 이에 대해 상세형 규격을 성능형으로 전환이 제한되는 원인과 국방규격 작성간 성능형
규격 작성이 되지 않는 근원적인 요소를 검토하여 각종 규정의 개정을 선행하는 실질
적인 방안을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하려고 선행연구를 추진하였음.

- 8 -
제 2 절 국외의 성능형 규격 제도 도입실태 분석

2.1 미 국

1.성능형 규격의 도입 및 발전
가. 미 국방부는 걸프전을 수행하는 동안 현지에서 신속하고 원활한 군수지원을 위하여
상용품을 구매하여 조달한 결과 기존에 비해 조달기간 단축 및 예산절감 효과가 있음
을 경험하였음.
※ 이에 따라, 수년의 연구 및 준비를 거쳐 규격체제의 정비 및 성능형 규격의 확대 등
군사규격 개혁을 통한 국방비 집행의 효율성 제고에 중점을 둔 획득개혁을 추진.
나. 1994년 규격과 표준(Specification and Standards)에 관한 정책각서(memorandum)를 시작
으로 가능할 때마다 요구사항을 성능용어로 만드는 것이 공공연하게 통용되어 왔음.
다. 1952년에 DSP 의 설립 이후 가능할 때마다 요구사항을 성능형 관련 용어로 표현하는
4)

것이 강조되어 왔음.
라. 1994년 획득 개혁을 통해 변화된 사항은 다음과 같음.
(1) 상세형 국방규격 요구사항을 사용 시 DoD 훈령(Instruction) 5000.02(국방획득체계의
운영)에 정의된 모든 중요 획득 범주(category) 프로그램의 경우, 폐기서류(Waiver)가
필요하고,
(2) 국방 성능형 규격은 MIL-PRF같은 새로운 형태의 문서로 지정됨.
마. 1994년의 획득 개혁 시작 전에는, 성능형 용어로 설명된 국방규격 요구사항과 상세형
및 혼합형 용어로 설명된 국방규격 요구사항이 차이가 없었음.
바. ACAT프로그램에서 필요한 요구사항이 상세형 국방규격일 경우 양해각서(Waiver)가 필
요하도록 페리 美 前 국방장관이 요구하면서 성능형 국방규격으로 작성시 양해각서가
필요 없음에 따라, 상세형 국방규격과, 성능형 국방규격간의 명확한 구분이 더욱 중요
해 졌음.
사. 또한 성능형 규격을 구성하는 요소는 무엇이고 어떻게 성능형 요구사항을 작성하는지
가 더욱 중요해짐에 따란 1995년 6월 첫 지침서가 배포되었고 이후 지속적인 보완되어
왔음.
※ SD-15 : 성능형 규격 가이드(2009년판 부록으로 첨부)
아. 1994년부터 2000년까지 DoD는 29,000개 이상의 국방 규격과 기준을 검토하였으며,
6,100개의 문서가 대체(replacement)없이 취소되었으며, 3,500개가 비정부 기준, 상용

4) DSP : Defense Standardization Program(국방 규격 프로그램)

- 9 -
규격, 핸드북 그리고 국방 성능형 규격으로 대체되어 취소되었음. 2014년 7월 기준 DSP
아래에 약 3,111개의 국방 성능형 규격이 있음.
자. 국방표준화 프로그램 정책 및 절차를 명시한 DoD 4120.24-M에도 국방규격을 최대한
성능 용어로 작성하여야 하고, 성능형 규격이 상세형 규격보다 우선하도록 규정하였으
며, 성능형이 아닌 상세형으로 규격을 작성시 시장조사 분석결과에 상세형 규격 작성
사유서를 제출하여 승인을 얻은 후 상세형 규격으로 작성하는 절차를 의무화 하는 등
성능형 규격 제도 정착 및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였다. 이러한 승인제도는 지난 10년간
유지되었고, 성능형 규격 적용이 정착되었다는 판단에 따라 2005년 폐지되었음.
차. 폐지된 사항은 2005년 3월 29일, DSP 정책 메모 05-3(Elimination of Waiver to Cite
Military Specifications and Standards in Solicitations and Contracts)으로 발행되었음.
규격과 표준을 적정하게 적용하고 목적 및 특정 기호에 맞는 요구사항을 작성할 수
있도록 DoD는 요구사항을 성능형 용어, 비국방 규격과 상용 물품 설명을 사용하게
하면서 양해각서(waiver)작성은 취소되었음.
※ 1990년대의 국방획득 개혁 계획에서의 지속적으로 오해되어온 것은 모든 상세형 국방
규격과 기준이 모두 취소되었다는 것임. 수천 개의 문서가 취소되거나 비정부 기준,
상용품기술서 그리고 국방 성능형 규격으로 대체되었지만, DoD는 수천 개의 상세형
규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여전히 국방획득 절차에서 중요한 역할을 지속적으로 담당
하고 있음. 따라서, 성능형 규격을 DoD는 언제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정하고 이득이
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음.
2.성능형 규격 현황
가. 미국 국방부는 군사규격 개혁이 착수된 1994년에 총 45,550종의 채택 규격 중
MIL-SPEC이 28,901종으로 67%, 비정부표준(NGS)이 13%, 상용품기술서(CID)가 12%, 기타
연방표준 및 군사핸드북이 8% 등이었다. 2001년도에는 기존의 군사규격인 상세형(DTL)
규격은 28%로 줄어들었고, 새로운 규격 형태인 성능형(PRF)규격이 9%로 나타났으며,
NGS는 34%로, CID는 19%로 증가되었음 5)

나. 2005년도에는 군사규격이 상세형규격 23%, 성능형규격 9%, NGS 38%, CID 1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군사규격은 감소되고 민간 규격/표준의 채택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며, 국방부에서는 “ASSIST"라는 규격/표준관련 통합정보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군사규격 개혁(사례 9건)을 통한 비용절감과 함께 미래 군 전력
증강(JV2020 연계)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는 것도 확인하였음
다. 국방규격 개혁(Mil-Spec Reform) 시작 당시인 1994년 미국의 군사규격/표준은 45,550여종
5) 성인철, “성능형 규격 동향조사 연구”, DTaQ-09-1919-R, 2009.5, 기술품질원

- 10 -
이었으나, 개혁이 완료된 2001년에는 약 57%인 26,000여종으로 감소되었고, 이후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2007년에는 개혁 시작시의 24%인 약 11,000여종으로 대폭 감소되었다.
국방규격 개혁을 시작할 당시 많은 상세형 규격을 성능형으로 전환하였고, 이후 지속적
으로 성능형 규격을 작성하여 2001년에는 2,340종, 2007년 3월에는 2,516종, 2014년 7월
에는 3,111종으로 증가되고 있다.
라. 미국은 성능형 규격작성(전환) 절차, 성능형 규격적용에 따른 관련 분야(소요제기, 군수
지원 형상관리 등)의 해결방안, 성능형 규격 활용방안과 성공사례 제시 등을 통하여
성능형 규격의 활성화를 가능토록 하고 있음
마. 미국의 성능형 규격의 정책문서는 Federal Acquisition Regulation, DoD 4120.24-M
Defense Standardization Program Policies and Procedures, Defense Acquisition
이며, 내용과 양식에 관련한 요구사항은 MIL-STD-961에 포함되어 있음
Guidebook
바. 미국은 다수의 문서에서 성능형 중심의 문서를 선호하며 우선시 하고 있음
사. 미국의 경우 국방규격 변화내역 6)

<표 2-4> 미국의 경우 국방규격 변화내역

시 기 내 용 종 (%)

1994. 6월
국방규격 총수 28,901 (100 %)
(국방규격 개혁 전)

폐지(대체 없는 폐지 5,184종) 10,920 (37.8 %)

비활성(새로운 설계 시 적용금지) 7,697 (26.6 %)

비정부 표준으로 대체 614 (2.1 %)


1999. 9월
(국방규격 개혁 후)
상용품 명세서(CID)로 대체 573 (2.0 %)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 2,108 (7.3 %)

상세형 규격으로 계속 유지 6,989 (24.2 %)

아. 미국은 국방규격 개혁을 1994년 6월에 시작하여 2005년까지 규격개혁을 완료하였으며


5년 후인 1999년 9월 평가를 하였고, 2001년 4월 최종평가를 하였음. 그 이후 성능형
규격의 재정 및 폐지 등 관련된 현황을 확인 가능한 자료를 종합하여 통계를 작성해
보면 다음 표와 같음
6) 성인철, “성능형 규격 동향조사 연구”, DTaQ-09-1919-R, 2009.5, 기술품질원

- 11 -
(1) 총괄
<표 2-5> 미 국방규격 / 표준 변화 통계
국방/
군사 상세형 국방 DOD
기준 성능형 규격 연방표준
총계 규격서 규격 핸드북 규격
시점 (MIL-PRF) (MIL-STD/
(MIL-A~Z) (MIL-DTL) (MIL-HDBK) (DOD-)
FED-STD)
67%(28,901)
1994.4월 45,500 NGS(비정부 표준) : 13% 7% 1%
CID(상용품기술서) : 12%
NGS : 34% 2,340
2001.4 약 26,000 28% 5% 2% 3%
CID : 19% 9%
NGS : 38%
2005년 23% 9%
CID : 18%
2006.3월 11,783 4,494(활성) 3,706 2,496 679 417 91

2007.3월 11,773 4,219(활성) 3,884 2,516 682 384 88


57,710
2,423 /
2013.12월 70,446 (총괄, 5,475 3,048 610 162
1,018
폐기포함)
57,568 2,425 /
2014.7월 70,507 5,617 3,111 622 147
(총괄, 폐기포함) 1,017
※ 자료 출처 : 2014년 7월 23일 기준 미국 ASSIST 현황조사 및 기 연구 자료 종합

(2) 미국의 성능형 규격의 재 ․ 개정 및 폐지에 대한 확인된 자료를 분석하고 검토결과를


토대로 통계를 작성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으며, 지금도 미국은 성능형 규격을 지속
적으로 작성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일부는 폐지하여 상용으로 전환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 성능형 규격의 재 ․ 개정은 2001년 4월 국방규격 개혁 최종보고 이후는
약 2005년 DSP 정책메모를 통해 승인과정이 폐지된 이후 증가는 둔화되었으나 매년
약 30여건 정도 재정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국방규격 개혁이후 20여년이 됨에
따라 폐지 규격도 현재 277건이 있는데 이는 전년대비 38건이 증가된 것으로 2005년
이후부터 추정해 본다면 매년 약 30여건 씩 폐지로 전환되고 있다고 추정이 됨.
<표 2-6> 미국의 성능형 규격의 재 · 개정 및 폐지 통계 현황

구분 성능형 규격 재 · 개정 폐지 비 고
1994년 개혁이후 ~ 2001이전 2,108 - 전환단계
2001.4월 2,340 + 232 - 전환단계
2001년 5월 ~ 2006년 2월 매년 약30여건 5년 기준
2006.3월 2,496 + 156
2007.3월 2,516 + 20
매년 약 30여건
2008.7월 2,553 + 37
2008년 8월 ~ 2013년 11월 매년 약 110여건 5년 기준
2013.12월 3,048 + 532 239
2014년 7월 3,111 + 63 277(+38)

※ 자료 출처 : 2014년 7월 23일 기준 미국 ASSIST 현황조사

- 12 -
(3) 미국의 성능형 규격과 도면의 상태별 현황
<표 2-7> 미국의 성능형 규격과 도면의 상태별 현황

구분 계 활성 비 활성 폐 지
계 3,111 2,548 286 277
성능형 규격서 819 733 32 54
성능형 도면 2,292 1,815 254 223

※ 자료 출처 : 2014년 7월 23일 기준 미국 ASSIST 현황조사

(4) 2014 년 7월 23일 기준 최신화 현재 미국의 ASSIST에 등재된 규격현황


<표 2-8> 미국의 ASSIST에 등재된 규격현황

구분 수식어 (제정기관) 분류 활성 비활성 폐지 계


MIL-PRF 2,546 286 276 3,108
성능형
DoD-PRF 2 0 1 3
규격
소계 2,548 286 277 3,111
MIL-DTL 4,789 506 322 5,617
구 표기법 MIL-(A ~ Z) 등 4,008 5,968 47,608 57,568
상세형
소계 8,781 6,474 47,930 63,185
규격
규격 3,502 3,889 30,052 37,443
세부 구분
도면 5,279 2,585 17,878 25,742
MIL-STD 414 457 1,554 2,425
DoD-STD 19 2 126 147
표준
FED-STD 738 2 277 1,017
소계 1,171 461 1,957 3,589
MIL-HDBK 297 34 279 610
핸드북 DoD-HDBK 6 0 8 14
소계 303 34 285 622
총계 12,803 7,255 50,449 70,507

자. 미국의 국방표준 및 규격관련 제도적 현황


(1) 미국의 국방획득 관련 문서는 문서의 적용 범위에 따라 “표준화 문서”, “정책별
문서 ”(Program-Unique Documents), “구매 명세서” 세 가지 양식으로 구분되며,
문서의 형태에 따라 “표준서”(Standard), “규격서”(Specification), “품목명세서 등
기술자료” (Item Description)로 분류됨.

- 13 -
<표 2-9> 미국의 국방표준 및 규격 관련 분류

일반적 구체적
표준서 규격서 품목명세서 등 기술자료
Defense Specification (MIL-SPEC) 중 도면 (Sheet), 포장제원
Defense Standards (Packaging) 등의 기술자료도 포함되어 있음.
ASSIST 표준화
(MIL-STD) 및 Defense
등재 문서 성능형 MIL-PRF
Handbooks (MIL-HDBK)
상세형 MIL-DTL

정책별 Program-Unique
존재하지 않음 Program-Unique Specification
문서 Documents
ASSIST
미등재
구매
Purchase Descriptions
명세서

※ 자료 출처 : 2014년 7월 23일 미국 ASSIST 현황조사

(2) 모든 기술자료가 표준화되지는 않음. 표준화의 장점과 단점에 대한 명확한 구분이


제시된 지침 을 활용하여, 필요가 확인된 경우 표준화 기획 절차를 진행함.(예 : 표준화
7)

되지 않은 품목별 도면의 경우 기존의 표준화 도면 자료를 인용하여 기술자료 묶음


(TDP)에 포함시키며, 표준화 필요성이 있을 경우 표준도면으로 승인하여 ASSIST에 등
재함.)
(3) 표준화 문서의 경우 “MIL-”, “DoD-”, “FED-”등의 수식어가 붙어 정책별 문서
와 구분이 가능함. 정책별 문서의 자료번호에는 CAGE 코드 (업체 및 정부별 4자리
알파벳 코드 )를 수식어로 사용함.
8)

(4) 표준화 문서나 정책별 문서에서 성능형(PRF) 및 상세형(DTL)은 3자리 문자 및 5자리


고유번호를 붙여서 구분 (예) MIL-PRF-98765, ABCD-DTL-12345
(5) 미 국방부의 표준, 규격 등의 작성 기준 및 적용범위

<표 2-10> 미국 표준, 규격 등의 작성 기준 및 적용범위

구 분 작성기준 적용범위 비고
Military Standard MIL-STD-962
공용
Military Specification 국내는 구분없이
MIL-STD-961
Program Unique Specification 국방규격 적용
특정사업용
Technical Data Package MIL-STD-10000

※ 자료 출처 : 2014년 7월 23일 미국 ASSIST 현황조사

7) DoD 지침 4120.24-M의 C3.5. “WHEN NOT TO STANDARDIZE.”


8) Federal Cataloging Commercial and Government Entity (CAGE) Handbook: H4/H8 Codes

- 14 -
카. 미국의 성능형 규격의 세부 분류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성능형 규격의 약 80%이상이
기술발전 추세가 빠른 전기, 전자, 통신 등 IT 분야임
<표 2-11> 미국의 성능형 규격 유형별 현황

순위 품 명 건수 순위 품 명 건수
1 Semiconductor 385 11 Relay 125
2 Electron tube 270 12 Battery 101
3 Transistor 242 13 Filter 84
4 Switch 240 13 Fuse 84
5 Resistor 224 15 Meter 47
6 Capacitor 214 16 Hose 43
7 Cable 171 17 Valve 28
8 Transformer 145 18 Manual 27
9 Coil 131 19 기타 424
10 Crystal 126 총계 3,111

※ 자료 출처 : 2014년 7월 23일 기준 미국 ASSIST 현황조사

건의 성능형 규격중에서 체계(System) 레벨에서 작성된 성능형 규격은 미소하며,


(1) 3,111

(2) 대부분의 성능형 규격이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최하위 수준인 부품(Part)
레벨이거나 구성품(Component) 레벨이고 고장시 분해정비 보다는 교체를 위주로
하는 품목임을 확인할 수 있음
타. 성능형 규격의 적용을 통하여 개발 및 생산비용 절감과 무기체계의 성능, 신뢰성, 정비성
개선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대표적인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표 2-12> 성능형 규격의 적용을 통한 비용 절감 효과 사례

체계 또는 항목 MILSPEC 개혁 내용 효과
Navy Shipboard 선체규격 400종을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 $4.3백만 비용 절감/
Furniture 약 25%의 비용절감효과 및 생산성 향상 유도 향후 20년
성능형 규격적용으로 정비성 향상 $10백만 비용 절감/
Emergency Life Raft
새로운 정비스케쥴은 224일 대비 5년임 향후 20년
성능형 규격 기능위주의 요구조건을 사용하여
CLADS(Common Large Area $100,000백만 비용 절감/년
신규장비 개발 획득비 절감, 다수업체 참여 경쟁
Display Set) 획득비 원가절감 78%
유도
Abrams Eyesafe Laser 획득을 위해 성능형 규격 사용 기존 단일업체 $3.6백만 운영유비용 절감
Rangefinder 계약에서 경쟁계약으로 전환 30%의 회득예산 절감
군사규격/표준 45% 감소 $6.5백만 이상 프로그램
ARC-210 자료항목 64% 감소 비용 감소, 신뢰성120%
최상의 상업적 관행과 성능형 규격 사용 체계비용 19% 절감
FY95에서 $866K
Subsistence Items 군사규격을 성능형규격으로 대체
비용감소

※ 자료 출처 : 성인철, “성능형 규격 동향조사 연구”, DTaQ-09-1919-R, 2009.5, 기술품질원

- 15 -
파. 성능형 규격 분류대상을“군급”을 기준으로 분류할 경우 군(79종), 급(646종)으로 분류
되며, 국방규격/미군사규격에 대한 분류현황은 아래 표와 같다.
<표 2-13> 국방규격/미군사규격에 대한 분류현황

구분 군(Group) 수 급(Class) 수 국방규격(%) MIL규격(%) 성능형규격(%)


계 79 646 9,361(100%) 18,120(100%) 2,556(100%)
총포 1 15 746(9%) 269(1%) 3(1%)
탄약 3 46 1,091(12%) 2,232(12%) 16(1%)
기동장비 9 52 1,801(19%) 436(2%) 52(2%)
통신전자 9 122 2,078(22%) 7,550(42%) 1,982(77%)
일반장비 20 174 1,258(13%) 4,643(26%) 170(7%)
물자 30 194 1,963(21%) 341(2%) 19(1%)
항공 4 23 242(3%) 80(1%) 24(1%)
함정 2 19 55(1%) 2,236(12%) 220(9%)
공통 1 1 127(1%) 333(2%) 72(3%)

※ 자료 출처 : 성인철, “성능형 규격 동향조사 연구”, DTaQ-09-1919-R, 2009.5, 기술품질원

하. 미국의 경우는 성능형 규격이 상세형 규격보다 우선하도록 규정하였으며, 지난 10년간


다양한 활동으로 2005년경 성능형 규격 적용이 정착되었음.
거. 미 국방획득 프로세스에서는 시험을 통해 각 레벨의 규격서가 작성되며, 혼합형 규격서
의 계층구조는 사업을 진행할 때 최하위 레벨에서부터 공정규격서, 재료규격서, 상세형
규격서 등이 작성되며 점차 상위레벨의 시험을 수행하면서 규격서가 발전하고 레벨이
올라갈수록 상세형 보다는 성능형 규격으로 작성되기도 한다. 9)

체계 규격

품목 규격
(성능형)

공정 규격서 품목 규격서 재료 규격서


(상세형)

<그림 2-1> 미국의 규격서 계층구조

9) DAU, SE Fundamentals,(2001.1), P.65. 및 국방대, “국방규격 체계정립 및 국제규격 수준화 Ⅳ”, 2008

- 16 -
너. 정비계획을 고려하여 어떤 품목을 성능형 규격으로 작성할 것인가와 더불어 해당품목
의 어떤 레벨에서 규격서를 채택할 것 인지 고려함
더. 미국의 성능형 규격 대상에 대한 현황 최신화 준비 및 관련 참고 자료
(1) Law 82-436 Cataloging and Standardization Act

(2) DoD-STD-2101 국방 문서자료의 특징별 분류에 관한 지침


(3) DoD Directive 4120.24-M 국방 표준화에 관한 지침

(4) DoD Directive 5230.24 기술자료의 배포등급(공개등급)에 관한 지침

(5) DoD Directive 5230.25 기밀이 아닌 기술자료의 공개제한에 관한 지침

(6) DoD 5010.12-M 기술자료 획득에 관한 지침

(7) MIL-STD-961 규격작성 서식과 내용에 관한 지침

(8) MIL-STD-962 표준서 서식과 내용에 관한 지침

(9) MIL-STD-963 자료목록명세서 (DID) 서식과 내용에 관한 지침

(10) MIL-STD-2073-1 군사 포장제원에 관한 권장사항

(11) MIL-STD-31000A 기술자료 묶음 (TDP) 서식과 내용에 관한 지침

(12) Federal Cataloging CAGE Handbook 정부기관 및 방산업체 분류코드 핸드북

러. 미국의 성능형 규격과 성능형으로 전환 이전 상세형 규격에 대한 검토는 SD-15 성능형


규격 가이드에 사례로 제시된 규격으로 주요한 사항들을 확인 할 수 있다
<표 2-14> SD-15 성능형 규격 가이드에 사례

상세형 규격(기존 규격명) 성능형 규격(재작성후)


MIL-H-49078 <핸드셋 H-250( )/U> MIL-PRF-49078A <핸드셋 H-250( )/U>
MIL-H-370G<호스와 호스 어셈블리, 비금속 : MIL-PRF-370H <호스와 호스 어셈블리, 비금속:
탄성중합체, 액화 연료> 탄성중합체, 액화 연료>
MIL-C-11264D <컨테이너: 목재, 선박, 재활용 - 탱크 MIL-PRF-11264E <컨테이너: 목재, 선박, 재활용 -
자동 엔진, 변속기, 차동 장치, 트랜스퍼, 탱크 자동 엔진, 변속기, 차동 장치, 트랜스퍼,
최종구동장치, 구동축, 유사 어셈블리> 최종구동장치, 구동축, 유사 어셈블리>
MIL-L-25370E <밸브, 압축 공기 팽창기(구명 기구 - MIL-PRF-25370F <밸브, 압축 공기 팽창기(구명 기구 -
M1-A)> M1-A)>
MIL-F-19004A <팬, 원심, 고정 및 휴대, 환기, MIL-PRF-19004B <팬, 원심, 고정 및 휴대, 환기,
해군함상> 해군함상>
MIL-S-8805D <스위치 및 스위치 어셈블리, 민감성, MIL-PRF-8805E <스위치 및 스위치 어셈블리, 민감성,
스냅 액션(기본 제약, 푸시 버튼, 토글 스위치)> 스냅 액션(기본 제약, 푸시 버튼, 토글 스위치)>
MIL-L-81542A <구명보트, 공기주입식, 1인용, LR-1 MIL-PRF-81542B <구명보트, 공기주입식, 1인용, LR-1
유형> 유형>

- 17 -
버. 연구개발 또는 사업화 단계
(1) 미 국방부(DoD)의 군수품 획득체계 사례

(가) 미국은 별도 개발을 통한 물품획득체계에서 상용품 중심의 획득체계 전환을 위해


연방조달간소화법(FASA: Federal Acquisition Streamlining Act of 1994)을 재정하였으며
‘96년 연방조달개혁법(FARA: Federal Acquisition Reform Act)을 추가로 재정하여
민수품 구매를 장려함.
(나) ‘01년 1월 미 국방부장관명의 각서(memorandum)를 공표하여 군에서의 상용품 획득
체계로의 전환의지를 표명하였으며 그에 따라 ’01년 11월 상용품목안내서(Commercial
Item Handbook Version 1)를 작성하여 각 군 획득 및 계약 담당자들에게 배포함.

(다) 상용품 중심의 획득체계로의 전환 및 확대는 80년대 단순 비용절감, 신속한 획득, 경쟁


확대를 통한 품질 향상 등의 측면에서 추진되었으나, 90년대 들어 민간 기술력이 군의
기술력을 앞도하면서 민간의 빠른 기술혁신을 최대한으로 활용하기 위해 추진됨.
(라) FASA(연방조달간소화법)는 최대가치를 기준으로 민간의 시장경제 원리를 통한 상용품의
획득을 강조하고 있으며 가능한 최대한으로 상용품의 도입을 권장하고 있음.
(2) 상용품 획득체계

(가) 미 연방조달법 상에서 상용품의 정의는 “일반적으로 민간에서 또는 비정부 기관에서


사용되는 물품의 한 형태로 판매, 리스, 라이선스 기록이 있거나, 현재 가능한 품목”
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여기서 여기서의 상용품은 현재 구매 가능한 상용품(COTS:
Commercially Available Off-the-Shelf) 외에도 미래 정부의 구매 전까지 개발가능한
상용품을 포함함.

<그림 2-2> 미국의 상용품 획득체계

- 18 -
(3)미 국방부의 시장조사를 통한 상용품 획득 현황
(가) 시장조사는 정부의 소요를 충족시켜주는 상용품에 관한 정보의 획득 및 분석을 뜻하며
FAR 7.102에서 모든 품목의 획득 시 시장조사를 수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나) 미 국방부는 시장조사의 효과를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음.

ㅇ 수요기관과 공급자 모두에게 사업위험 감소 ㅇ 잠재적 문제점 식별


ㅇ 적합한 구매가격 산정 ㅇ 계약자 공급 관리 또는 성과관리 시 평가기준 선정
ㅇ 잠재적 대안 식별

<그림 2-3> 미 국방부의 시장조사 통한 상용품 구매 의사결정 절차

( ) 다 이 때, 시장조사자료를 기반으로 구매가격이 결정되기 때문에 미 국방부는 시장조사


보고서(Market Research Report)를 작성하도록 하며 시장조사보고서는 다음 사항들을
포함해야 함.
ㅇ 수요공급 트렌드: 기존 구매 환경정보(구매 시기, 시장현황 등)
ㅇ 수요 패턴: 기존 구매 수량, 동일 품목을 구매한 유사체계 등
ㅇ 공급업체 정보 ㅇ 물품 정보 ㅇ 성능 정보 ㅇ 획득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
ㅇ 획득 방법 및 계약 조건 ㅇ 기존 구매 성과 및 실적

라 상용품 획득을 장려하기 위해 위해서 수요기관은 구매요구사항을 산업표준기술을


( )
활용해 정의하도록 권장하고 있음.
(마) 또한 상세형 규격 대신 성과기반요구사항(performance-based requirements) 또는 성능형
규격으로 구매요구사항을 작성하여 잠재적 공급업체를 확대하고 이를 통해 알려지지
않은 민간의 우수한 상용품의 발굴 및 도입을 장려할 수 있음.
(바) 성능형 규격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수요기관의 요구성능과 필요용역(교육, 실험, 정비,
수리) 등과 같은 사용 환경을 고려해서 작성되어야 함.

- 19 -
2.2 영국 및 호주의 성능형 규격 제도 및 도입 실태

1.영국의 국방표준 및 국방규격


가. 영국의 국방표준 개념
(1) 영국의 국방획득 중추기관은 국방조달본부 (Defence Procurement Agency)로, 산하에
표준화 기관인 군수품표준화위원회 (Defence Materiel Standardization Committee)를
두고 있음.
(2) 영국은 NATO 체계의 국방 표준화과정을 거치면서 현재 국방표준서를 제외한 대부분
규격관련 문서는 폐지되거나 민간표준인 영국표준(British Standards) 이나 ISO 표준을
그대로 사용하는 상황임
(3) 1999년 이전에는 국방규격 (Defence Specifications), 항공기술규격 (Aircraft Technical
Specifications), 화학규격 (Chemical Specifications) 등 국방부 산하 약 69가지 분류 10)

의 규격 및 표준이 식별되었으나, 국방표준화 정책으로 기존의 규격에 해당하는 것을


폐지 및 노후화시켜 최소화된 표준서 목록을 국방표준화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게
되었음.
※ 현재 영국은 규격은 없고 표준만 관리하고 있음.

(4) 영국의 국방표준(Defence Standard)은 신규 군수품(장비포함)의 개발과 운용은 물론


기존 군수품에 대한 보급, 조달 및 수리문제 등을 고려하여 다음의 3가지 카테고리로
구분․관리되고 있음
(가) 현행 국방표준서(Extant defence standards) : 신규 및 기존장비의 지원에 필요한 표준

(나) 임시 국방표준서(Interim standards) : 구체적, 임시적 및 긴급한 요구사항에 대해 만들
어진 표준으로 제정으로부터 1년 뒤 현행전환 및 폐지를 검토함
(다) 노후 국방표준서(Obsolescent defence standards) : 신규 장비의 조달에는 사용되지
않지만, 기존 운행 장비의 유지관리를 위해 필요한 표준서. 업데이트 없이 기존 장비
의 유지·보수에 참조하며, 새로운 장비의 구입에 적용하지 않는 표준
(라) 폐지 국방표준서(Cancelled defence standards) : 대체되거나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표준서. 폐지 국방표준서는 향후 계약 또는 주문에 사용할 수 없으며, 품질 감사 추적
을 위해 참고적으로 사용될 수는 있음

10) Note 13, Selection of Standards for use in Defense Acquisition V6, UK MoD DE&S Safety & Engineering
(p.6)

- 20 -
나. 영국의 국방표준 관리
(1) 영국 국방표준관리 및 표준화 업무는 영국 국방부, 국방조달국 산하 영국국방표준
기구에서 맡고 있으며, 영국의 국방표준서는 표준서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을 분야별
로 구분하여 [Def Stan] [시리즈번호] - [표준서의 일련번호] 순의 문자-숫자 조합의
형태로 표시함.
(2) 한편, DStan에서는 국방표준화를 위해 표준프로그램관리(SPM; Standardization Program
Management) 기구를 별도로 두어 표준화를 통한 상호 운용성 달성을 위한 포트폴리오
를 제공하고 있음.
(3) 국방표준서의 시리즈 번호는 00(일반자료)부터 99(기타)까지 부여되며 세부내용별로
각각의 Part No.로 구분
(4) 영국 국방표준서 시리즈별 분야중 07과 08시리즈는 배포제한 (Limited Distribution)
또는 비밀 (Classified)로 지정되어 있으며 그를 제외한 분야는 모두 공개하고 있음.
(5) 시리즈 10은 무기, 13은 탄약, 15는 항공기, 19는 함정 등으로 주요 장비별, 주요
구성품별로 시리즈 번호를 부여하여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였음.
(6) 영국 국방표준서는 2013년 12월 17일 기준 4,316종의 국방표준서 보유

다. 영국의 국방표준 표준화 / 최신화 동향


(1) 영국정부의 표준정책은 기본적으로 세계시장을 지배하는 표준과 국제적으로 승인된
표준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으며, 이에 국방표준정책 역시 국제적으로 널리 승인된
민간 및 사용표준이 국제 군사동맹 표준 및 영국표준에 우선하여 사용할 것을 권장
하고 있음.
(2) 따라서 군사표준보다 유럽표준, 국제표준, 국가표준,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상용
표준, 국제 군사동맹표준, 영국국방표준, 타 국가의 군사표준, 산업 및 협회표준 순의
민간표준을 우선적으로 적용하도록 명시하고 있음.
2.호주의 국방표준 및 국방규격
가. 호주의 국방규격은 호주 국방부 자체 표준화지침서(STANMAN) “3장: 국방규격에 관한
일반 요구사항“ 및 자체 규격지침서 (Australian Army Specification Manual; SPECMAN)
에 명시된 대로 작성됨.
나. STANMAN은 호주 해군 웹사이트를 통해 접근이 가능하나, SPECMAN(Australian Army
Specification Manual)의 경우 호주 국립도서관 등에 명시되어있는 것이 보이나, 한국에
서 열람 가능한 공개 자료의 획득이 제한됨.

- 21 -
다. 이 외에도 MCE Requirements Determination - Functional and Performance Specification
Development Guidelines 라는 문서를 통해, 호주의 성능형 규격은 본 과제에서 번역하고
연구한 SD-15의 지침을 따르는 것으로 명시됨.
사. 호주의 국방규격은 성능형(performance specification), 상세형(detail specification), 정책별
문서(program peculiar specification), 상용품목명세(commercial item descriptions) 및
국방구입명세(Defence purchase descriptions) 등 5가지로 분류되며, 분류 기준 및 절차
는 미국과 흡사함.
아. STANMAN 지침에 의거한 성능형 규격은 제품 제작 시점 이전에 제품의 성능적
(functional) 요구사항 및 결과(result)에 대한 요구사항을 적어놓되 결과를 도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명시하지 않은 문서임. 이에 대한 명확한 규정을 위해 STANMAN과
SPECMAN 외에 국방부에는 성능형 기초사항 문서 (Functional Baseline; FBL)을 따로
규정하고 있으며, FBL에 명시된 부분에 대한 수정은 각 군 기술문서에 대한 수정에
의해서만 가능함.
자. STANMAN, SPECMAN 및 MCE Requirements Determination - —Functional and
Performance Specification Development Guidelines 등 호주의 성능형 국방규격에 관한
지침서 내용을 조사한 결과, 호주의 국방규격체계를 미국, 영국, 캐나다의 표준화 정책
과 “아주 유사한 구조”를 띠고 있다고 말하며, 미국의 사례를 “일반적으로 따르는”
(generally follow)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음.
참고자료: 호주 해군 표준화지침 제 3장: 국방규격에 관한 일반 요구사항
http://www.navy.gov.au/reserves/e-docs/DATA/DEFPUBS/DEPTMAN/STANMAN/STANP03/03.pdf

- 22 -
제 3 절 국내의 성능형 규격 적용 실태 분석 및 사례연구

3.1 외국 성능형 규격 적용실태를 고려한 국내의 현상분석

1.기간 중 성능형 규격 관련 연구 추진사항 분석


가. 민 ․ 군규격 표준화사업을 통하여 2001년부터 2009년까지 7회에 걸쳐 활성화 및 전환
방안에 대하여 ′09 ~′13 상용전환 중장기 추진계획으로 상용전환이 추진되었으나
개발이 완료된 무기체계의 경우 성능형 규격 변경 실적이 저조함
나. 성능형 규격 활성화 관련 연구현황 11)

<표 2-15> 성능형 규격 활성화 관련 연구현황

구분 내용 후속 조치내용 비 고
• 성능형 규격 관련 정책제도 개선 DQAA-01-645-R
2001년 - 성능형 규격 특성 소개 비무기체계 표준품목의
- 국내 환경 분석 상용전환 연구
• 성능형 규격 활성화 방안
- 미국의 성능형 규격 활성화 • 국방규격 작성 표준지침 DQAA-03-884-R
2003년 방안 연구 개정(2004년판)시 관련 비무기체계 표준품목의
- 성능형 규격 작성시 고려사항 내용 부록 수록 상용전환 연구
연구
• 성능형 규격 실태분석 및 작성
• 국방규격 작성 표준지침 DQAA-05-884-R
지침 개발
2005년 개정(2006년판)시 관련 국방규격 체계정립
- 성능형 규격 작성지침 정립
내용 부록 수록 및 국제규격 수준화
- 성능형 규격 작성대상 군급 분류
• 성능형 규격 전환방안 연구 DQAA-06-1220-R
2006년 - 상세형 규격을 성능형 규격으로 국방규격 체계정립
전환절차 정립 및 전환사례 제시 및 국제규격 수준화
• 국방규격의 성능형 규격 작성
- 성능형 규격 작성절차 정립 및 DQAA-07-1372-R
2007년 작성 국방규격 체계정립
- 성능형 규격 적용에 따른 분야별 및 국제규격 수준화
개선방안
• 성능형 규격 전환 및 활성화 방안 DQAA-08-1739-R
2008년 - 성능형 규격 작성지침(안) 및 국방규격 체계정립
활성화방안 및 국제규격 수준화
2009년 •성능형 규격 동향 조사 연구 DTaQ-09-1919-R

(1) 방사청에서 공식적으로 성능형으로 분류된 국방규격 현황 미보유하고 있으나, 기품원


의 경우 2013년 일부 제정된 현황을 제시하고 있음
(2) 기간 중 연구에서 성능형 현황으로 제시된 이후 성능형에 대한 세부현황 관리미흡

11) 성인철, “성능형 규격 동향조사 연구”, DTaQ-09-1919-R, 2009.5, 기술품질원

- 23 -
2.현 규정 및 지침에 대한 적용실태 분석
가. 성능형 규격 관련 규정
(1) 방위사업관리규정(훈령 제294호, 2014. 7.22)

(가) 제598조(국방규격의 제정원칙)

②항 2. 국방규격은 국산화 추진가능품목, 소요량 다수품목 및 고가품목 위주로 제정하며,


가능한 한 디자인 또는 외형 묘사적인 특징보다는 성능위주로 작성한다.
(나) 제603조(국방규격의 작성방법)

국방규격은 제품의 특성, 군수지원의 효율성, 경제적 조달, 국내의 기술수준 및 능력


등을 고려하여 성능형 규격과 상세형 규격 중에서 효과적인 방법을 선택하여 작성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작성방법은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에 의한다.
(2) 표준화업무지침(예규 제129호, 2013. 4.29일)

(가) 제15조(국방규격의 작성방법)

③ 국방규격은 제품의 특성, 군수지원의 효율성, 경제적 조달, 국내의 기술수준 및 능력


등을 고려하여 성능형 규격, 상세형 규격, 또는 두 가지가 혼합되어 있는 혼합형 규격
중에서 효과적인 방법을 선택하여 작성한다.
(나) 제17조(성능형 규격)

① 규격은 획득하고자 하는 품목의 기본적인 기술적 필요조건을 포함하여 제정하여야


하며 가능하다면 규격 필요조건은 최대한 요구조건을 만족할 수 있어야 한다.
② 유사 제품도 최대한 단일 규격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규격은 최대한 경쟁을
유도할 수 있도록 작성되어야 한다.
③ 성능형 규격의 작성방법은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에 따른다.

(3)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예규 제131호, 2013. 4.29일)

(가) 그림 5. 규격서 3장 작성사례(성능형 규격)

(나) 부록 D 성능형 규격 작성가이드

(4) 민군규격 통일화 업무지침(예규 제134호, 2013. 5.22일)

(가) 제5조(기본방침)

(나) 민․군 규격 표준화를 위하여 다음 각 목의 원칙을 준수한다.

(다) 규격 작성시는 가능한 성능형 규격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제작도면은 최소화


하여 상용품으로 전환을 촉진시키도록 한다.

- 24 -
나. 국방규격의 작성간 성능형 규격의 작성 실태
(1) 일반적으로 연구개발 사업의 경우 규격화의 시기는 시험평가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수행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최근 SE(System Engineering)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 설계단계부터 규격화 업무가 진행되게 하고 있음.
(2) 규격화 업무프로세스에 의하면 체계개발 초기단계에서 규격화계획을 검토해 규격화
수준 및 범위 설정을 명확히 하여 성능형 또는 상세형 규격을 선택해야함.

<그림 2-4> 연구개발 체계의 규격화 업무 프로세스


※ 자료 출처 : 방위사업청, “연구개발 사업 규격화 업무 매뉴얼”, 2013.6월

(3) 개발단계의 기술검토 단계별 활동을 고려시 기본설계(PDR) 단계에서 자체제작 및


외주구매가 결정되고, 기본설계에서 상세설계(CDR)를 진행하는 동안 군의 정비계획을
바탕으로 어떤 품목을 성능형 규격으로 작성할 것인가를 판단하여야함
(4) 연구개발 사업의 기술검토 단계별 활동 12)

<표 2-16> 연구개발 사업의 기술검토 단계별 활동

구 분 기본설계 검토(PDR) 상세설계 검토(CDR)


• 설계 분석/정의 완료 • 부품, 재료, 공정 선정
• 재료/부품 특성 분석 완료 • 검사 중점 및 기준 설정
• 설계 정비성 분석 완료 및 지원요건 정의 • 수리레벨 분석 완료
활 동 • 자체제작 및 외주 구매 결정 • 설비요건 정의
• 기초시험 검사 완료 •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위험분석 완료
• 정비임무 절충분석 완료 • 내구성 시험 완료
• 지원장비 개발규격 완료 • 정비성 및 생산성 분석 완료

※ 체계의 WBS를 분해하여 각 레벨 품목들의 설계를 진행하는 동안 연구개발할 품목과 상용품을 구매하여 적용
할 품목들을 구분함

12) 성인철, “성능형 규격 동향조사 연구”, DTaQ-09-1919-R, 2009.5, 기술품질원

- 25 -
다. 국방규격 현황
(1) 기관별 보유현황

<표 2-17> 국방규격의 기관별 보유현황


기준 : 2014년 7월 23일 기준 최신화(KDSIS 현황), 단위 : 건

구 분 계 국과연 방사청 육군 해군 공군 기품원 국방부 의무사 기타

계 21,572 2,709 3,914 8,972 3,219 2,191 425 15 107 20

KDS
16,877 2663 2834 6662 2375 1996 309 15 107 19
(국방/정식)
KDC
4,553 45 1080 2300 838 195 94 1
(국방/약식)
국방도면 8 6
14
(구) (폐지) (폐지)

국방 기타 25 1 2 22

(2) 최근 5년간 국방규격의 제정 현황


<표 2-18> 최근 5년간 국방규격의 제정 현황
기준 : 2013. 8월(방사청 통계현황), 단위 : 건

구분 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계 1,147 266 214 193 130 132
방위사업청 280 54 66 98 24 49
육군 397 94 62 72 13 12
해군 137 21 41 10 19 26
공군 70 17 2 7 7 7
국과연 200 72 22 58 58 33
기품원 63 8 21 9 9 5

라. 국방규격 보유현황 全 분야를 고려시 과다 작성된 규격의 정비가 필요함


(1) 규격작성 및 국산화 장비 개발초기 시장조사와 상용품 적용 가능성 검토가 미흡

(2) 표준화 및 호환성, 상호운용성을 고려시 국방규격의 형태별 질적인 정비가 필요

(3) 개발간 규격작성 시점의 부적절과 품목 특성 미 고려로 인한 규격결함의 정비가 필요

- 26 -
(4) 국방규격 정비현황
<표 2-19> 국방규격 정비현황
기준 : 2012. 11월(방사청 통계현황), 단위 : 건
구 분 계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소계 12,278 3,630 1,285 1,704 2,158 796 381 314 598 576 513 490
KS/상용전환 2,125 422 351 413 290 315 106 76 29 112 11 51 129
종합 규격폐지 9,331 3,208 934 1,291 1,868 481 270 745 261 213 - - -
규격제/개정 738 3 2 2 187 544 451 359
기타 84 2 13 22 26 21 11 2
소계 3,663 247 544 559 737 519 61 130 63 227 576 513 490
KS/상용전환 1,650 170 331 372 289 309 55 70 29 14 11 51 129
연구
과제 규격폐지 1,191 77 213 187 143 210 1 45 10
수행
규격제/개정 738 3 2 2 187 544 451 359
기타 84 2 13 22 26 21 11 2
소계 8,615 3,383 741 1,145 1,421 227 320 706 251 37 - - -
국방
규격 KS/상용전환 475 252 20 41 1 6 51 6 - 98 - - -
정비
규격폐지 8,140 3,131 721 1,104 1,420 271 269 700 251 273 - - -

※ 2012년 및 2013년 방사청 통계현황에 국방규격 정비현황 미유지

마. 국방규격 보유현황에서 성능형 규격은 2000년경에 처음으로 개념이 소개되고 2003년


이후부터 작성되기 시작하였으며 부진하다가 2013년부터 활성화 되고 있음
(1) 성능형 규격 작성실태는 아래에서 보는바와 같이 4년간 상세형 규격은 464건을 작성
된 것에 대비하여 성능형 규격은 16건으로 대단히 저조한 현상을 보이고 있으나
2013년 75건이 제정됨

(2) 기관별 성능형 규격 제정 현황(2003 ~ 2006년) 은 다음 표와 같음 13)

<표 2-20> 기관별 성능형 규격 제정 현황


(국방정식 규격/성능형 규격)
구분 계 국방부 국과연 기품원 방사청 육군 해군 공군
2003년도 130/6 - 36/0 27/3 30/3 4/0 7/0 26/0
2004년도 164/8 - 35/0 44/5 29/3 2/0 18/0 36/0
2005년도 89/0 - 9/0 18/0 13/0 20/0 16/0 13/0
2006년도 81/2 1/0 - 1/0 36/2 3/0 22/0 18/0
2013년도 -/75 -/3 -/72
성능형규격
91 - - 11 80 - - -
총계(건수)

13) 기품원, “국방규격 체계정립 및 국제규격 수준화” DTAQ-08-1739-R, 2008, 2013년 현황 최신화(추가)

- 27 -
(3) 연도별 성능형 규격 제정 현황
<표 2-21> 연도별 성능형 규격 제정 현황

구 분 재정기관 건 수 규격서명
방사청(조달본부) 3 개스킷용 종이, 반응기, 전력용 변압기
2003년도
기품원 3 전지(재충전불가식/BA-6821K) 2종, 전지(재충전식)
방사청(조달본부) 3 모터조립체, 비금속제 호스조립체, 변압기
2004년도 리튬 타이오닐 글로라이드 전지
기품원 5
전지(재충전불가식/BA-6853AK) 4종,
2006년도 방사청 2 T-50 전술훈련용 시뮬레이터, T-50 비행절차 훈련장비
방사청 3 상륙함용 전투쳬계, 지휘 및 무장통제체계, 전술모의훈련장비
2013년도 항공기 정비용 받침대, 항공기 엔진 정비용 고정기 세트 등
기품원 72
항공기 정비용 기구 약식 규격 72종

※ 자료 출처 : 기품원, “국방규격 체계정립 및 국제규격 수준화” DTAQ-08-1739-R, 2008

(4) 2013이전의 경우 방사청에서 8건, 기술품질원 8건으로 극히 제한된 기관에서 관심을


갖고 소요군에서는 성능형 규격작성 실적이 전무하며, 2013년에 활성화 되고 있음
(5) 민군규격 표준화 사업 연구보고서에서 2003년 이전 성능형 규격 현황 70여건을 포함
한 2006년 성능형 보유는 89건 (전체의 약 1%)으로 제시하였으나, 방위사업청에서
14)

는 공식적인 성능형 규격 현황을 유지하지 않고 있으며,


(6) 2013이전 16건에 대해서도 명확한 지침이 없는 가운데 작성되었기 때문에 상기 자료
의 규격관리 기관의 현황이 공유되지 않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바. 이렇게 성능형 규격 작성 실적이 저조한 이유는 성능형 규격 작성이 의무가 아닌 권장
사항으로 규격 작성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결정할 수가 있으며, 방위산업 전반적인
기반(소요제기, 계약, 품질보증, 군수지원, 형상관리 분야 등)이 성능형 규격을 적용할
수 있는 환경으로 변화하는 속도가 더디기 때문임
(1) 상세형 규격은 한번 제정하면 수정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기술발전
추세에 효과적인 대응이 곤란함
(2) 특히 국방규격이 수정되면 이와 관련된 교범을 수정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해
실제적으로 포기하는 사례가 빈번하고 관련 실무자들이 외면해 온 것이 사실임

14) 성인철, “성능형 규격 동향조사 연구”, DTaQ-09-1919-R, 2009.5, 기술품질원

- 28 -
사. 기 연구된 자료에서 제시된 국내 성능형 규격의 작성 실태 확인/검토
(1) 대상

(가) 발전기 5kw(KDS 6115-1040, 6115-37079-1801, M5207771)

(나) 리튬전지, 충전불가용(BA-6085K : M51160357, BA-6821K : M51171995 등 11종)

(다) 고등훈련기 전술입문과정 훈련기(TA-50) : KDS 1510-4002(구6930-4001)

(라) 훈련장비 비행절차용(OH-502K) : KDS 6930-4003-1

(마) 비호 탐색레이더 진행파관 증폭부 조립체의 하부 조립체(Q55607000)의 하부조립품인


고전압 전원공급기 조립체(Q55607020), 상태지시기 조립체(Q55607101)
(바) 발칸 성능개량 사격통제계산기 및 송수신기 전원공급기의 서보앰프

(사) 호스조립체, 비금속제(KDS 4720-4002) : M48A3/A5 전차용

(아) 변압기(KDS 5950-4003) : 레이다 RAY -1645 R/D

(자) 종이, 개스킷용 (KDS 5330-4002) : 기계장비 공통용(5950M51715485)

(차) 반응기(KDS 5950-4001) : 호크사거리 레이더(5950008395729)

(카) 변압기, 전력용(KDS 5950-4002) : 호크사거리 레이더(5950008395729)

(타) 모터 조립체(KDS 4320-4002)

(2) 실태확인 결과

(가) 발전기는 상용화로 전환되어 구매요구서로 조달

(나) 리튬전지는 일부 성능형 규격 일부는 상세형 규격을 적용하고 있으나, 유사한 품목은
그룹핑하는 규격의 정비가 필요함
(다) 고등훈련기 전술입문과정 훈련기 및 훈련장비 비행절차용은 약 90%의 상용품을 활용
하여 제작하게 되므로 개발기간과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 성능형규격을 작성하였다
고 하나 규격의 내용을 확인한 결과 성능형 규격이라기 보다는 상세형에 가까운 규격
으로 혼합형으로 판단함이 바람직함
(라) 비호 탐색레이다 구성품인 진행파관 증폭부(Q5560****) 조립체는 조립체 단위로 조달
된 것을 소요군에서 하위품목에 대하여 기술자료를 보유할 필요가 있어 세부적으로
분리된 하부 조립품 레벨에서 성능형 규격으로 제정
(마) 발칸 성능개량 사격통제계산기 및 송수신기 전원공급기는 국산화 과정에서 계약자
군수지원으로 정비계획을 수립하면서 분배함 및 배전상자의 하부품목인 서보조립체
등을 성능형 규격으로 제정
(바) 기타 2003년 및 2004년에 작성된 호스 조립체, 변압기, 스킷용 종이, 반응기, 전력용
변압기 등은 성능형 규격으로 보기에는 부족한 형태임

- 29 -
3.관련기관 및 업체 의견수렴 결과
가. 의견수렴 및 설문조사
(1) 의견수렴 기간 : 2013. 11. 25 ~ 2014.7월

(2) 의견수렴 대상 : 방진회 회원사 및 규격작성 기관

<표 2-22> 의견수렴 및 설문조사 대상기관

구 분 관련기관명 비 고

기아, 대우조선해양, 대한항공, 두산DST, 삼성탈레스, 삼성 테크윈, KAI, 한화,


주요 체계업체 14개 업체
현대로템, 현대중공업, LIG넥스원, STX조선해양, 풍산

산청, 경안전선, 극동통신, 단암시스템, 대양전기, 데크, 동성전기, 동진전기,


두산모트롤, 발레오전장, 비츠로셀, 신정개발, HKC, 연합정밀, 위다스,
협력업체 이오시스템, 이화전기, 인소팩, 크로시스, 퍼스텍, 포스코특수강, 풍산FNS, 34개 업체
한국로스트, 한국화이바, 현대다이모스, 휴니드테크놀러지, LS엠트론,
S&T모티브, S&T중공업, STX엔진, 유인텍크, 우창기계, LS, 디에스티

규격작성
육군, 해군, 공군, 방사청 장비규격/물자규격, 기술품질원, 국과연 등 6개 기관
관련기관

나. 의견수렴 및 설문조사 결과
(1) 관련기관 의견 및 실태 확인 결과

(가) 현상분석

① 현재의 규정과 방침체계로 작성되는 성능형 규격과 도면은 결함발생시 조달이 불가


할 정도이며, 납품검사에서 불합격시 제작업체에게 귀책사유를 제시하여 제제가 곤란
함(도면의 내용상 성능형 도면으로 견본 등 추가자료 제공 필요한 경우)
“예 1” 2013년 규격조달 제한품 현황

<표 2-23> 규격조달 제한품 현황

성능형 규격자료 하위도면 호칭 3차원 조립체


구분 계 기타
도면(추정) 미흡 누락 불명확 형상 특정구매품

수량 1,838 975 356 140 90 107 42 128

% 53 19 8 5 6 2 7

※ 자료 출처 : 육군 군수사 성능형 규격 작성에 관한 적용기준 표준화 연구 제안서

- 30 -
예 2” 군수사에서 성능형 도면으로 분류하고 도면내용이 부실한 사례

<표 2-24> 성능형 도면내용이 부실한 사례

구 분 조립체 단품
• Q65051273(릴리스 실린더 조립체)
대상 • 60501489(회전계 드라이브)
• 60452289(진공펌프 조립체)
품목
• 60423469(경첩 조립체)

※ 자료 출처 : 의견수렴 결과 관련 도면 내용 검토

② 제정시 담당기관의 인력과 전문성 부족으로 동시에 제시되는 수많은 규격과 도면에
대해 검사 및 조달방법 고려시 세부적인 검증이 불가한 실태이므로 성능형 규격 작성을
기피함
※ 1차 확인 기관인 IPT 형상관리 담당인원은 소수 편성 다수의 사업관리

③ 제작이 가능한 것은 상세형 도면으로 해야함

( ) 나 검토결과
① 현 지침은 개괄적인 성능형 규격 작성 규정 및 도면작성 지침으로 성능형 규격 적용
을 위한 세부적인 대상 및 분류와 검토기준 등의 보완이 필요함(간단히 검사할 수
있고, 누구나 교체를 하는 조립이 필요 없는 단품류에 한정된 목록 추가 등 )
② 조달측면에서는 성능형 규격은 규격서 형태 보다는 도면형태에서 제작 및 성능검증
에 필요한 일부 요소를 누락하거나 미흡시 제작 후 검사 및 조립과정에서 발생하는
제한 사항을 예방할 수 있는 세부적인 지침이 필요
③ 특히 공개경쟁 품목의 경우 개발업체가 아닌 일반업체는 기술력 부족으로 성능형
도면으로는 제작이 제한되므로 업체 선정시 제작능력 고려 제한기준 및 조달방법 등
세부적인 규정 보완 필요(공통적인 사항)
※ 성능형 규격으로 제작되는 품목은 조립 또는 인터페이스 관련 사항 특수조건 추가

(2)관련업체 의견
(가) 협력업체 입장에서는 성능형 규격 제정을 선호하나, 체계업체는 시제 시험 중 문제
발생시 원인분석과 해결곤란 및 업체 변경시 상세설계 중복 문제로 비선호
(나) 자료목록 범위의 최소화 필요 : 성능과 무관한 최하위 단품에 대한 기술변경시 규격
서, 도면 등의 수정이 수반됨, 특히 전자제품의 경우 단종이 잦으며, 이에 따른 기술
변경(도면, 교범) 등 관련 행정소요가 과다함 : 성능형 규격 적용 확대 요망
(다) 상세형의 경우 동일 제품을 여러 제조사에서 생산하는 경우 각 제조사별로 제품을
도면에 기재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최신소자 및 기술적용이 용이하지 못함.

- 31 -
라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전기/전자제품에 대한 정비교범의 분해정비 제품들은 상위조립체
( )
의 교환으로 변경 검토가 필요함.
(마) 성능형 규격은 관리비용이 저렴하나 정부기관에서 상세형을 맹목적으로 선호하므로
이에 호응하여 규격이나 도면을 작성하고 있는 실태임.
(바) 성능과 품질이 충족될 수 있는 양질의 성능형 규격이 작성되면 불필요한 하위 부품의
TDP 개정관리에 투입되는 낭비요소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보다 구체화된 규정이
필요함.
(사) 야전수리 교체가능 범위까지는 상세형으로 수리가 불가하여 단순 교환하는 품목은 성
능형 규격으로 작성하는 규정의 구체화가 필요함(필요시 생산자가 하위레벨 관리명시)
(아) 성능형 규격 작성이 기술자료를 작성/관리와 제조, 검사, 기술변경 등의 이점이 많아
서 업체로서는 선호함.
(자) 성능형 규격 작성시 내용 미흡으로 인한 문제발생에 대해서는 작성기관에 대한 제제
조치를 강화할 수 있는 규정의 보완이 필요.
(차) SW분야에도 쉽게 단종 될 수 있고, 기술변화가 큰 품목 및 고가 품목 순으로 적용검토.

(카) 작성지침의 예시 제시내용 대상을 다양한 형태의 규격 샘플제시 필요.

※ 현재 여러 제품을 묶어놓은 샘플, 추가로 1개 품목이 성능형 / 상세형일 경우

(타) 세부적인 제조방법 대신 기능, 성능, 환경, 인터페이스, 호환성 등을 정의해야하는


부담이 증가함.
(파) 탄약의 경우 대부분 완성탄이므로 성능형 규격서 작성이 효율적

4.성능형 규격 전환 및 작성 실태분석 결과 확대가 제한되는 원인 도출


가. 관련 규정내용 검토 결과 도출된 문제점
(1) 민군규격 통일화 업무지침에는 가능한 성능형 규격으로 작성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
나 실제 규격작성의 기준이 되는 방위사업관리규정 및 표준화업무지침에는 효과적인
방법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어 경제성, 효과성을 입증하기가 곤란하여 대부분 상세형
으로 작성
(2) 성능형 규격에 대한 세부적인 적용 대상품목 분류기준이 미제시 되어 활용성 저하

※ 제품의 특성, 군수지원의 효율성, 경제적 조달, 국내의 기술수준 및 능력

(3) 성능형 규격에 대한 관심도 저하로 성능형 규격의 제정 및 폐지 현황 미유지

(4) 성능형 규격 전환이 필요한 품목에 대한 현보유 규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도권에


서 성능형 규격에 전환에 대한 적극적인 사업 미추진(예산확보 등)에 따른 신규 작성
시 성능형 규격에 대한 규정준수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 여부 미검토
- 32 -
(5) 규격 작성기관에서 성능형 규격 작성 필요성(경제성 등)은 피부로 느끼지 못하고
검사기준 등 품질보증활동 등에 대한 우려로 기피현상 확산
(6) 2006년 이후 표준화 지침 및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부록 D 성능형
가이드가 제시되었으나 실효성이 없어 외면되어 오고 있음
(7) 상세형과 성능형 국방규격의 분류기준이 명확치 않음

(8) 국방규격의 체계에 대한 정비가 이루어지지 않은 가운데 미국의 실태만 소개되어 각 규정


이나 지침에 상이하게 표현 : 성능형을 우선 또는 성능형 및 상세형, 혼합형까지 언급
나. 기간중 제도연구 결과 후속조치 실태 확인 결과 도출된 문제점
(1) 2006년 표준화지침에 이후 성능형 규격에 대한 개략적인 지침만 존재로 사실상 작성
이 제한되고, 세부적으로 연구된 전환절차 및 규격작성 절차의 제도화가 미흡
(2) 활성화 방안 연구가 민군규격표준화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므로 무기체계 획득결과
규격화 부서간과의 직접적인 연계가 미흡하여 성능형 규격 작성 필요성 인지도 저하
다. 분야별 제도 검토 결과 도출된 문제점
(1) 성능형 규격에 대한 명확한 작성기준 부재 : 규정에 있으나 강제조항 없음

(2) “국방규격의 이해라는 교육자료”에 의하면 국방규격의 비교표에 대한 명확한 이해


미흡 및 오해의 소지가 있는 내용으로 성능형 기피 또는 관심부족(부정적 시각으로
출발)이 우려됨
<표 2-25> 성능형 규격과 상세형 규격의 특징 및 장단점

구 분 상세형 규격 성능형 규격
• 세부적인 제조방법 명시 • 결과의 요구조건 명시
특 징 • 요구성능 달성 “방법 명시 • 요구성능 명시
• 특정설계 요구 조건 규제 • 특정설계 요구조건 없음
• 재료, 공정이 정확하여 원가설정이 편리
• 최신기술 적시 반영 가능
(계약관리)
장 점 • 민수시장의 전문기술과 능력을 군사적 적용 가능
• 제조 방법이 명확하여 생산이 간편 (생산자)
• 다양한 조달원 확보 가능
• 품질검사 및 정비용이 (품질보증 / 사용자)
• 제조방법, 재료 등을 엄격하게 규정하여 원가
• 제조방법, 재료가 명시되지 않아 원가 산정 곤란
단 점 상승 유발
• 다양한 품목에 따른 군수지원 부담 가중
• 조달원 및 상용품 구매 제한

※ 상기 도표에 대한 명확한 근거 없음

(3) 성능형과 상세형을 사용해야하는 사항을 구분할 수 있는 전문가 부족 및 교육이


미흡함

- 33 -
라. 의견수렴 검토 결과 도출된 문제점
(1) 성능형 규격 적용을 위한 세부적인 대상 분류기준의 보완 및 유형 제시 필요

(가) 간단한 검사 및 누구나 교체할 수 있는 조립이 필요 없는 단품류에 한정

(나) 전자제품과 같이 단종이 작은 품목은 잦은 기술변경을 예방하기 용이함

(다) 현 규격에서 상용품 인용만으로 작성된 규격 등

(라) 전기/전자제품 중 상위 조립체 교환이 불가피한 단순 교환품목

(2) 조달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제한사항 방지를 위한 세부적인 규정 보완

(가) 성능형 규격 작성결과 문제발생시 제제조치 강화 가능한 규정 조항 필요

(3) 규격 작성 및 관리 비용이 저렴한 성능형 규격 보다는 정부기관의 맹목적인 상세형


선호
(가) 불필요한 하위 부품의 기술자료(도면 등) 작성에 투입되는 인력 및 물자 낭비

(나) 기술변경 용이로 기간 단축 및 비용 절감 등에 대한 실무자의 이해를 위한 경험


부족
5. 무엇이 문제인가 ? (시사점)
m 성능형 규격의 효과성 입증과 작성 대상에 대한 명확한 분류기준이 없고 원활한 심의를
위해 실무자의 상세형 규격 작성 선호, 품질보증 보장곤란 우려 기피현상 심화
- 성능형 규격의 작성이 효과적인지 필요성 여부 검토사항이 의무규정이 아님
- 성능형 규격의 현황마저 매년 유지하지 않고 공식적인 성능형 규격은 없음
- 개발업체 이외의 공개경쟁 업체 생산시 성능발휘와 조달불가 우려 기피
m 미국 국방개혁과 같이 정비/폐지, 정비시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 계획(예산 등) 미수립
- 상세형으로 작성된 부분품 이하 하위레벨 규격의 정비가 시급함(도면, 성능 표기)
- 규격의 불량, 상세형 규격의 제약 등 조달제한 품목에 대해 성능형 전환 검토 시급
- 실무자의 관심과 필요성 인지도 저하의 핵심 사항
m 연구개발간 초기 규격화계획 단계(설계이전) 규격화 기준설정에서 성능형 규격 대상
결정이 필요함(실행계획 작성시 상용품 적용 가능 및 시장조사 결과, 상호운용성)
- 군의 정비계획과 체계설계부터 단계별로 계획수립 단계에서 성능형 규격대상 포함
- 사업관리(IPT), 원가관리(소요기관, IPT), 품질관리 측면에서 조기 식별이 관건
m 성능형 규격과 상세형 규격의 필요성 구분을 위한 전분가 부족 및 교육 미흡
- 연구개발 및 구매 계획수립시부터 규격화에 따른 예산절감과 성능보장 식별 교육
- 상세형과 성능형 규격의 효과적인 필요성 여부 검토 능력 확보를 위한 주기적 교육

- 34 -
3.2 사례 연구

1.기 연구 자료를 통한 사례연구 대상검토


가. 기연구된 대상의 배경 분석 검토
(1) 발전기 엔진 제작사 도산으로 발전기 구매곤란

(가) 계약품목 : 발전기 5kw(적용규격 : KDS 6115-1040)

(나) 조치 : 계약특수조건 추가(동등이상 성능의 제품으로 형상변경이 가능)

(다) 대책 : 발전기 요구 성능, 치수, 중량만 규제하는 성능형 규격으로 작성

(2) 성능개선(지속시간 증대) 전지개발 시 성능형 규격으로 작성

(가) 개발품목 : 리튬전지, 충전 불가용(BA-6813AK 등)

(나) 효과 : 규격화 자료 작성 최소화로 개발비용/관리비용 절감 및 부품 공정개선 시 별도


의 행정조치 불필요로 적용용이, 시간 단축
나. 최근 성능형 규격 작성사례의 특성분류
(1) 체계레벨에서 작성된 규격

(가) 고등훈련기 전술입문과정 훈련기(TA-50) 및 훈련장비 비행절차용(OH-502K)

※ 성능형이라기보다는 상세형에 가까운 규격으로 혼합형으로 판단됨

(나) 발전기 5kw(KDS 6115-1040, 6115-37079-1801, M5207771)

(다) 리튬전지 재충전 불가식, 리튬타이오닐 클로라이드 전지, 재충전불가식

(2) 구성품 레벨에서 작성된 성능형 규격

(가) 자주대공포 비호 탐색레이더 구성품인 진행파관 증폭부(Q55607000)는 조립체 단위로


조달되었으나 소요군 요구로 하부조립품인 고전압 전원공급기 조립체(Q55607020), 상태
지시기 조립체(Q55607101)
(나) 발칸 성능개량 사업시 분배함 및 배전상자에 적용되는 서보조립체 등

(다) 호스 조립체, 비금속제(KDS 4720-4002) : M48A3/A5 전차용

(라) 변압기(KDS 5950-4003) : 레이다 RAY -1645 R/D

(마) 종이, 개스킷용 (KDS 5330-4002) : 기계장비 공통용(5950M51715485)

(바) 반응기(KDS 5950-4001) : 호크사거리 레이더(5950008395729)

(사) 변압기, 전력용(KDS 5950-4002) : 호크사거리 레이더(5950008395729)

(아) 모터 조립체(KDS 4320-****)

- 35 -
2.관련기관 의견수렴을 통한 사례연구 대상검토
가. 1차 식별된 품목(관련기관 및 기연구 결과)
(1) 리튬전지 중 성능형 규격 4종에 대한 사항(비츠로셀)

(2) 함정 유수분리기 : 해군 함정용(다수의 품목 수입 및 국산화, 상용화)

(3) 고등훈련기 전술입문과정 훈련기(TA-50) 관련(KDS 1510-4002) 하부 품목

(4) 훈련장비 비행절차용(OH-502K) 관련(KDS 6930-4003-1) 하부품목 검토 중

(5) 무전기세트 송수신기 RT314(KDS 5820-1262)의 하부품목(LIG)

(6) 단말기 위성통신용(KDS 5895-4032)의 하부품목에 대한 성능형 품목(LIG)

(7) 미국의 성능형 품목과 유사한 국방규격 검토

나. 업체 의견수렴을 식별된 품목
(1) K1A1 엔진용 엔진제어장치(EMS) : 진부화 또는 단종으로 장기조달 제한품목

(2) K9/K10 엔진용 엔진제어장치(CDS) : 진부화 또는 단종으로 장기조달 제한품목

(3) M60E용 솔레노이드(5945-37513-1917/1918/1909) : 부품국산화 과정에서 성능형 도면

(4) 장갑차 냉각수 펌프(60642611) : 상용품을 상세형 국방규격으로 제정품목

(5) 장갑차 온수히터(60642612) : 상용품을 상세형 국방규격으로 제정품목

(6) 장갑차 예열히터결합체(60642500) : 상용품을 상세형 국방규격으로 제정품목

(7) 천마 차량 충격흡수기(60802560) : 성능형으로 제정 도면 작성비용 절감가능

(가) 차량 현수장치 핵심부품으로 성능형으로 관리하더라도 품보/수급 제한없음

(나) 상세형으로 작성할 경우 44매의 도면이 필요하나, 성능형 규격은 1개 도면

(8) 열전지(A82023839 : 전지,열식), 관성측정장구(A82024030 : 관성측정장구,유도탄용) 등


수입 구매품목으로 국산화를 대비하여 성능형 규격 작성

3.사례연구 결과
가. 사례 #1 : 재충전용 전지류
(1) 개 요 및 성능형 규격화 배경

(가) 전지의 지속시간 증대를 위한 성능개선시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성능형 규격으로 작


성하여 활용 중
(나) 유사한 품목을 각각의 규격으로 제정하므로 다수의 규격을 보유함

- 36 -
(2)성능형 규격 관련된 사항
(가) 성능형 규격 적용 4개종(BA-6853AK, 6813AK, 6818AK, 6821AK)
<표 2-26> 성능형 규격 적용 4개종 전지류

구 분 BA-6853AK BA-6813AK BA-6818AK BA-6821AK

형상

ADU-95 ARF-95 무전기


적용장비 PRC-999K 무전기 PRC-950K 무전기
자동음어조해기 보안장비
공청전압(V) 14.4 10.8 10.8 32.4
공청용량(Ah) 13.0 13.0 13.0 13.0

( ) 나 상세형 규격 적용 8개종(BA-300K, 6802K, 6812K, 6863K, 6086K, 6218K, 6012K,


6085K 등)
<표 2-27> 상세형 규격 적용 8개종 전지류

구 분 BA-300K BA-6802K BA-6812K BA-6863K

형상

K-CAM 휴대용 PAS-01K VRC-680AK 터미널


적용장비 SB-30K 야전교환기
화학탐지장비 열영상 조준경 세트, 이동무선용
공청전압(V) 28.4 7.2 7.2 14.4
공청용량(Ah) 26.0 13.0 13.0 26.0

구 분 BA-6086K BA-6218K BA-6012K BA-6085K

형상

PRC-96K PRG-1831K PDR-1K


적용장비 PRC-85K 통신장비
소부대 무전기 원격폭파장치 방사능측정기
공청전압(V) 10.8 18.0 7.2 14.4
공청용량(Ah) 4.0 4.0 4.0 2.0

( ) 다 특히 성능형 규격 품목 BA-6853AK와 상세형 규격 품목 BA-6812K의 경우 군수품의


단순화를 통해 효율적인 전력운용, 군수지원요소 감소 및 경제적인 운용을 위해 신규
장비의 획득 시 우선적으로 적용해야할 품목으로 선정되어 활용되고 있는 품목임

- 37 -
군용전지의 우선적용품목 내용
1. 전지의 특성 및 유사 성능ㆍ형상을 중심으로 단순화하고 최소한의 품목으로 지정ㆍ관리한다.
2. 신기술로 개발된 신규전지 중 2개 이상의 장비 및 물자에 공통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품목이나,
기존전지 중 2개 이상의 장비 및 물자에 적용되는 품목을 지정ㆍ관리한다.
3. 우선적용품목 지정 대상은 휴대 ㆍ이동형 장비 및 기동장비 등에 사용되는 군용전지에 적용한다.
다만, 항공기, 잠수함, 유도탄, 어뢰 등 특수목적용 군용전지는 제외한다.

라 유사한 품목을 다수의 규격으로 각각 제정된 것은 비효율적임, 보올베어링의 경우


( )
다수의 베어링의 관련 사항을 묶어서 1개 규격으로 되어 있음
"예“ KDS 3110-1109-2(볼베어링, 환상형, 항공기용) : 6종 종합

KDS 3110-1098(링, 베어링) : 17종 종합

(3) 성능형 규격으로 제정 효과

(가) 군의 표준품목 이면서 민수규격을 적용할 수 있는 성능형 규격 작성의 대표적인 품목


으로 판단됨
(나) 전지류는 호환성과 경제성 측면에서 생산업체 및 사용자 모두가 만족함

(4) 분석결과(발전방향)

(가) 인터페이스 부분을 고려 상호호환성을 유지하게 하여 다수의 품목을 1개의 규격으로


통합하는 규격의 정비필요
(나) 상세형 규격으로 되어 있는 7개 품목에 대하여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 검토

(5) 시사점
m 전지류는 호환성과 군수지원성, 경제성 등에서 단순화 대상이 되므로 성능형 규격 작
성대상 제품으로 적합하며, 유사 품목에 대해서도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이 요구됨
m 특히 리튬전지류는 유사한 기술 및 공정과 검사과정 등이 보편화 되었다고 판단되므로
다수의 품목을 1개 규격서에 통합하는 표준화 사업의 규격서 정비 대상으로 검토가
필요함
m 규격화 자료 작성 최소화로 개발비용/관리비용 절감 및 부품 공정개선 시 별도의 행정
조치 불필요로 적용용이, 시간 단축

- 38 -
나. 사례 #2 : 함정 유수분리기
(1) 개요
(가) 해군 함정에는 다수의 유수분리기가 필요하며, 현재 해군은 20종의 유수분리기에
대한 목록을 관리하고 있음
(나) 해군에서 사용하는 유수분리기는 주로 4ppm, 9ppm, 15ppm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다) 유수분리기는 대부분 영세 중소기업에서 제작되거나 해외도입된 것으로 국내개발이
필요하여 90년대에 국내개발을 하였으나 규격 미작성 실태였음.
(2) 성능형 규격 관련된 사항

(가) 일본제품 수입, 1983년부터 일본의 2개 업체 기술제휴 국내 형식승인 납품

(나) 국내개발 과정에서 영세 중소기업이 상세형 규격 작성 능력이 부족하고 상용품이


보편화 된 점과 규격작성에 따른 비용(약 3천만원) 절감 등을 고려 약식 규격형태의
성능형 규격을 작성하여 활용하게 되었음
(다) 국내개발 업체는 한영기연과 그린엔지니어링이지만 최근에는 상용화 된 품목을 구매
요구서를 통해 사용하므로 다수의 업체에서 납품하고 있음
(라) ‘84년 국내개발품을 사용하였으나, 표준화가 미흡하여 2005년부터 성능형 규격을
작성하였으나 중소기업으로서 예산이 과다소요 되는 정식 규격작성에 제한이 많아
작성된 KDC 4310-1018 성능형 규격이 폐기되고 현재는 상용화 구매로 전환되었음
<표 2-28> 유수분리기 제원 및 특성

구분 제원 및 특성 15ppm 선저폐수 장치

- 유슈분리기의 운전수명을 늘리기 위해


특성 분리계통에 자동 바이패스 장착
- 오일 계측장치가 주기적 점검 경보 및 우회

HYN 00201,00301, 00501,


적용모델
1001,2001,3001,5001,10001형

용량( ㎥/h) 0.2 ~ 10.0

적용장비 해군 함정

- 39 -
마 년 이후 현대, 대우, 한진 등 함정 진수간 유수분리기 전량 탑재
( ) 1986

※ 국내 개발품을 표준화 및 해군 표준장비로 선정(부품의 재고번호 필요)

(바) 해군에서 운용되는 유수분리기 현황(4GPM, 9GPM 용이 대부분임)

<표 2-29> 해군에서 운용되는 유수분리기 현황

국내 개발(업체) 해외 도입 및 기타
4619-37A15-9925, 37A15-9926, 37Y02-2047,
37Y01-1179, 37Y02-2049, 37Y02-2050, 37Y22-9017, 4619-37Y02-1387, 37555-7003, 37555-7004, 37Y02-
37Y22-9018, 37Y24-4570, 37Y24-4571, 37Y23-8979, 4051, 37Y25-0756, 37A24-0134,
37519-2964, 37519-5860, 37Y22-0020,

※ 대부분 15ppm 빌지 경보기를 사용하며 년간 10대 미만 소요로 규격/목록화 미비

(3) 국내 관련 업체
(가) 한영기연 : 9GPM 개발 상용화

(나) 그린엔지니어링 : 4GPM 개발 상용화

※ 4320-37A15-9925, 4320-37A15-9926(2013 년 구매요구서/사양서로 구매)


(4) 성능형 규격으로 제정 효과
(가) 상용품목 활용 또는 국산화하는 과정에서 성능형 규격을 작성하고, 추후 상용화 과정
을 거쳐 구매요구서/사양서로 획득하고 있는 대표적인 성능형 규격 작성 성공사례임
(나) 규격이 없거나 미흡하여 견본 조달하는 품목에 대한 조치방안의 표본이 될 수 있는
사례임
(다) 부대조달 품목의 하위부품 및 CSP 목록관리를 위해서는 최대한 성능형 규격을 활용
하여 저비용을 투자하여 표준화 목록업무 정착에 기여함을 입증한 사례임
(5) 시사점

m 수입품 과 영세 중소기업 제작 납품으로 표준화 관련 부품 목록 등 관련자료 미작성에


따른 제한 사항 과다한 경우 최소의 비용으로 규격화 가능
- 연간 소요수량 소량으로 규격화 목록화에 대한 여건 미흡
- 관련업체가 영세하여 규격화 비용을 투자하지 못함(품목당 3천만 원 이상)
m 민수 상용품을 군 요구도에 만족하게 개조 또는 국산화 과정에 성능형으로 규격화하고,
이후 상용화하여 구매요구서/사양서로 조달하는 민군규격 표준화화 사업의 목표에 부응한
대표적인 품목임
m 규격 목록이 미흡하거나, 견본 대여품목 등에 대하여 유수분리기와 같은 형태의 성능형
규격을 작성 활용과 상용화로 전환하는 대상을 조기에 조치하여 조달업무 발전에 기여

- 40 -
다. 사례 #3 : 성능형 규격 관련 지침 제정이후 성능형 규격 제정 실패 사례
(1) 개요
(가) 2006년 성능형 규격 관련 지침이 규정 및 지침으로 제정이후 작성된 규격 중에서
성능형 규격이 적합한 품목에 대한 규격제정 실태 검토
(나) 미국의 성능형 규격 품목과 동일한 품목에 대한 국방규격을 무작위로 선별 상세형과
성능형 규격작성 지침과 모순되는 실태를 사례로 분석
(다) 검토대상 품목 : 케이블, 필터, 릴레이, 저항 등

(2) 검토 사항(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의 양식과 항목별 내용을 고려)

(가) 2. 적용자료 및 문서에서 재료, 부품, 구성품, 제조공정관련 문서 및 자료 기술실태


(상세형은 모두 기술, 성능형은 가급적 배제)와 기술자료 비교

(나) 2.2 도면에 해당되는 부분과 첨부된 도면의 세부적인 내용 비교

(다) 3. 필요조건에서 재질, 설계, 제조분야 필요조건에 대한 입증내용 구체적 기술여부와


관련된 내용의 기술실태로 상세형과 성능형 구분 비교
(라) 3. 필요조건의 재료 및 부품, 제조공정 및 조립 등 상세형에서 요구하는 사항과 성능
형에서 미명시 하는 사항을 비교
(마) 3. 필요조건에서 제시된 성능관련 사항이 첨부된 도면의 세부적인 내용과 비교하여
규격서 및 도면으로 현품 제작이 가능한지 검토
(바) 4. 검사와 시험 및 품질보증에 해당 되는 부분에 대한 차이 비교 검토

(3) 분석결과

(가) 대부분 상세형 규격기준을 적용하여 작성하였으나 규격과 도면으로는 현품제작 가능


성이 의문스러운 규격 다수 확인
<표 2-30> 규격과 도면으로는 현품제작 가능성이 의문스러운 규격

구분 규격서 내용 도면 내용 규격서(예)
- 도면번호 1개 명시 - 재료, 중량에 관한 사항 미언급 5905-4001
유형 #1 - 필요조건은 도면에 따른다. - 별도의 도면 번호 다수명시(7개 이상) 4330-4001
- 제조 및 가공 민수규격 인용 명시 - 작성자 외 규격으로는 제품 생산제한 6150-4008
- 내용으로 보면 성능형 규격 - 다수의 도면 첨부(1개의 도면번호)
5995-4009
유형 #2 - 형식은 상세형 규격 - 제조 및 가공방법 제시내용 미흡
6150-4009
- 검사 및 시험, 품질보증 상세함 - 작성자 외 규격으로는 제품 생산제한

※ 성능형으로 작성이 허락되었어야 하는 규격으로 규격정비가 필요함

- 41 -
나 동일한 품목류 검토결과 필요조건의 성능 및 특성부분이 상이하게 작성
( )

<표 2-31> 동일 품목류의 필요조건의 성능 및 특성부분이 상이

규격번호 규격서의 성능 및 특성관련 내용 비교결과 적용장비


2940-4003
(여과기, 공기 초기 압력손실 시험, 청정효율 시험, 외관 가스터어빈
정화기용) - 동일한 공기정화용 필터
이지만 성능표기 내용은
2910-T4004 통기저항, 초기청정효율, 풀라이프 청정효율, 다양함 발전기용
(필터) 누설, 복원성, 외관 - 임시규격이 정식규격
2910-T4005 기밀, 기포정, 압력손실, 내압강도, 여과입도, 보다 자세하게 수록
(필터 카트리지) 컨테미넌트 포착용량, 임펄스, 외관 - 규격작성 기관별, 장비별 공기압축기용
특성을 고려하더라도 지
2940-4003 침보완이 필요함
(여과기, 공기 초기 압력손실 시험, 청정효율 시험, 외관 가스터어빈
정화기용)
6150-40008
연속성, 절연내전압, 절연저항, 발열온도, 고온
(케이블 조립체 76미리함포용
시험, 저온시험, 호환성, 기타사항 - 동일한 기능을 하는 품목
특수목적전기용)
으로, 작성기관이 다르지
6150-4009 만 비교적 통일됨 경우임
(케이블 조립체 연속성, 절연내전압, 절연저항, 고온고습, 호환성 M48A5전차용
특수목적전기용))
6150-4010
헬기
(케이블 조립체 절연내전압, 절연저항 - 동일한 기능을 하는 품목 사통장치용
프린트식 가요성) 임에도 내용이 상이함
전기적 입/출력특성, 전기적성능, 절연저항시함, 부착 운용되는 장비의
-
5995-4009
회로도통시험, 표면층 내전압시험, 기능작동시험,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항공기
(케이블 조립체
주파수 시현점검, 오디오 출력점검, 감도 점검, RF 내용을 자세히 수록 무전기용
프린트식 가요성)
출력, TONE 변조, 환경특성
5963-3003-1 해군 함내
전기적 특성, 절연내전압, 절연저항, 환경특성 - 유사품목 대비 자세함
(릴레이 모듈) 지휘통신장비
5905-4001 호트유도탄
성능, 전기적 특성, 환경특성
(저항기 조립체) 작성부서 및 동일 장비시 발사대용
5961-4001 유사품목도 형식이 통일 호트유도탄
성능, 전기적 측성, 환경특성
(반도체 조립체) 발사대용

(4) 시사점(교훈)
m 품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성능형 규격을 작성하지 않을시 형식적인 규격으로 활용제한
- 제조 및 가공 공정이 명시된 것을 형식은 상세형 규격이나 미흡한 규격과다
- 품목의 특성을 고려시 성능형으로 작성시 적합한 내용으로 규격의 질적향상
m 품목류별 유사하거나 동일품목의 규격서 내용 구성이 적절하도록 작성지침 보완 필요
- 상세형의 경우 제조 및 공정과 첨부되는 도면의 내용에 대한 지침 보완
- 성능형의 경우 성능 및 특성에 대한 유사품목 수록항목 참조 가이드에 추가

- 42 -
4.성능형 규격 전환 실패원인(실태 분석, 의견 수렴 및 사례 연구 결과 종합)
가. 성능형 규격의 작성과 전환에 대한 규격관리기관 실무자의 공감대 형성이 미흡
m 규정과 지침에 연구기관에서 제시한 성능형 작성대상 및 체크리스트 등 미수록
- 2006년 이후 성능형 규격 전환 방안 연구결과(3회)에 대한 후속조치 미흡
- 본문 및 별지형태의 성능형 규격 작성대상 유형 및 검토기준 등을 미수록

m 규격재 ․ 개정 심의 이전에 설계단계부터 시험평가 까지 성능형 규격 작성여부 미검증


- 시스템에 의해 단계별 검증을 거치지 않고 심의승인을 위해서는 상세형 선호
- 규격관리담당 기관 실무자가 적용할 수 없는 성능형 규격 채택 근거 및 배경

나. 효과적인 방법을 고려한 성능형과 상세형 규격의 선택 방안 미제시로 성능형 규격 기피


m 규격작성 방법에서 선택하도록 된 부분에 대한 실무자가 검증이 제한되므로 기피
- 제품 특성, 군수지원의 효율성, 경제적 조달, 국내의 기술수준 및 능력 고려
- 2011년 규격화 업무 가이드에 설계단계에서 검토하도록 개략적인 내용 제시

m 미국과 같이 개혁차원에서 의무적으로 성능형 규격을 우선검토 하는 제도적 장치 미흡


- 민군 통일화 지침에는 성능형 규격을 우선검토 하도록 되어 있으나
- 방위사업관리규정, 표준화 지침,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등은
효과적인 방법을 고려하여 선택하도록 하여 실무자가 적용하기 곤란

다. 규격을 작성하는 개발기관 또는 업체에서 신뢰성 있는 규격 및 기술자료 미작성


m 경쟁계약 과정에서 규격과 도면으로 제품생산과 품질보증에 대한 신뢰성 저하로 기피
- 설계단계에서 성능형 규격으로 충분한 타당성 제시, 시험평가를 통해 검증
- 그 결과 도면 등 기술자료 및 인력 감소에 따른 개발비 절감요소 제시 미흡

m 지침에 필요한 성능형 규격 작성 방법 이외의 절차와 활동에 대한 통제능력 미확보


- 성능형 규격 선택과 관련된 사전활동 및 통제를 위한 업무가 미정착
- 규격 검토 및 검증 관련 교육체계가 없으며 경험인력 미확보, 부족

다. 규격의 정비를 위한 마스터플랜 부재로 정비와 병행한 성능형 전환은 사실상 불가한 실정
m 국방규격의 정비차원에서 체계적인 성능형 규격 전환에 대한 실무 관심도 부재

m 미국과 같이 실제 성능형 규격 先 적용으로 효과를 통해 전환 확대/활성화가 가능함


- 성능형 규격 재정 활동이 활성화되지 못한 상황에서 전환 확대는 불가능함
- 현재 긴급한 우선 정비대상 규격 과 견본 제공 규격은 상세형 정비 대상임

- 43 -
제 4 절 성능형 규격 전환 확대 개선방안

4.1 성능형 규격 전환 확대를 위한 개선방안과 관련 규정 개정(안)

1.성능형 규격 전환 확대 문제해결을 위한 제도 및 절차의 개선 방안


가. 제도적으로 성능형 규격을 작성할 수 있는 여건 개선을 위한 공감대가 형성되어야함
우선 규격관리기관의 담당 실무자가 성능형 규격에 대한 이해도가 개선될 수 있도록 규정
개정이나 가이드북 작성간에 최대한 기연구된 각종 개선방안 내용에서 성능형 규격의 작성을
검토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요소들이 부록 또는 별지 등으로 지속적으로 보완되어야한다.
규정 개정 활동시 관련기관의 충분한 동의를 구하지 못한 상태에서 간략하게 내용만 명시
하고 상세한 절차나 세부 활동기준의 제시가 미흡한 경우 최종 선택은 리스크가 적은
상세형 규격을 선택할 수밖에 없으므로 다음과 같은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로 판단된다.
(1) 성능형 규격 적용관련 제한사항 해결을 위해 규정과 지침에 명확한 성능형 규격의
분류대상 및 작성 기준을 지침의 별지로 추가하여 강제조항이 되도록 유도한다면
자연스럽게 실효성이 있는 성능형 규격의 제정 또는 전환을 기대할 수 있는 공감대
가 형성될 것으로 판단함.
(2) 단기적으로는 기 연구된 사항이 규정에 반영되지 않은 구체적인 내용을 각 종 지침
서에 예시로 수록한다면, 규격을 작성하는 개발기관이나 업체가 설계단계에서부터 어
떠한 규격을 작성할 것인가를 생각하게 되고 신뢰성 있는 규격 및 기술자료를 작성
할 수 있도록 각종 설계검토회의시 성능형 규격 적용성 판단 결과가 포함되도록
명시하여 실무자가 확인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게 될 것이며, 그 결과 체계적인
사전관리로 설계단계에서 충분한 타당성 검토 및 시험평가를 통한 검증이 이루어지
게 되므로 성능형 규격에 대한 기피현상이 사라질 것으로 판단됨.
(3) 장기적으로는 형상관리 체계의 발전으로 기술변경이 보다 용이하게 하여 규격 및
기술자료의 최신화가 자율적으로 될 수 있는 제도가 연구되어야함, 이는 개발기관
스스로 원가절감을 위하여 성능형 규격 적용의 유리함을 입증하였을 때 제도적인
인센티브가 제공되도록 하는 여건과 동기를 제공할 수 있는 다각적인 제도개선을
위한 연구가 필요함.
나. 규격작성 기관의 규격 재 ․ 개정 및 정비 업무 보완을 위한 지침과 가이드 북 보완
지침에 명시된 성능형 규격과 상세형 규격 및 혼합형 규격을 선택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판단할 수 있는 요소인 ①제품의 특성과 ②군수지원의 효율성, ③경제적 조달
여부, ④국내의 기술수준 및 능력을 검토항목으로 구성하여 단계별로 검토하게 한다면

- 44 -
타당성 검토와 시험평가를 통한 검증으로 확인이 가능한 기회와 검토여건이 보장되므로
인해 관련기관의 성능형 규격에 대한 기피사항은 감소하는 기대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1) 규격작성 기관(각 군 및 방사청, 국과연, 기품원, 방산업체) 입장에서는 설계검토 시
성능형과 상세형 규격으로 구분하는 보다 용이한 가이드 라인이 필요할 것임.
특히 규격재 ․ 개정 심의간에 원할한 심의를 위해서는 사전에 충분이 검토되고
검증된 사항이 필요함. 이는 상세형 규격 선호하고 성능형 규격을 기피하는 현상
을 감소시키는 계기가 될 것임.
(2) 신뢰성 있는 규격 및 기술자료 작성을 위해 체계개발 실행계획서에서 규격화 계획에
수행방향을 제시하고 각종 설계검토 회의시 체계 및 개발, 제품 규격서 작성간에 반
드시 성능형 규격 검토 결과가 포함되게 하고 성능형 규격 작성시 비용절감 소요를
제시하는 등 기술 및 원가 담당관 등 전문가에 의한 검토와 검증이 이루어진 결과가
규격화 될 수 있도록 해야함
(3) 연구개발의 경우 실행계획서에 포함된 규격화 계획에서는 소요군의 요구사항에 대한
개발계획을 전제한 것으로 혼합형 규격의 작성 개념을 활용하여 개략적으로 ①제품
의 특성과 ②군수지원의 효율성, ③경제적 조달 여부, ④국내의 기술수준 및 능력을
고려하여 체계 및 부체계, 주요구성품, 결합체 등에 대한 적절한 규격 유형을 선택하
여 부품 단종 검토와 더불어 규격화 계획에 포함해야함. 체계요구사항 분석을 통한
체계규격 초안 작성시 부터 상용품 식별 결과를 토대로 하부체계 및 구성품 등에
대한 규격작성 유형이 세부적으로 검토되고 설계검토 단계별로 구체화(체계 - 개발 -
제품규격) 하여 기본설계 단계간에 적절성 검토 가 되어야함.15)

다. 규격화 업무 분야의 문제 해결과 발전을 위해서는 규격 업무 조직 및 인력 양성 방안


강구
성능형 규격과 상세형 규격의 구분과 효과적인 선택은 실제로 대단히 어려운 문제이다. 그리
하여 혼합형 규격이 대두되고 금번에 개념을 검토하여 적용을 하려하고 있는데 이러한
규격은 단순히 임무를 받아서 매뉴얼 가지고 수행할 수 있는 분야가 아니고 다양한 전문
지식이 필요하다.
(1) 기술적인 면에서 공학적인 용어를 기초로 규격과 도면, QAR, 포장제원표, SW 기술자료
등을 이해하고 필요시 직접작성 또는 연구 개발기관을 감독해야하는 능력을 갖추고,
매 3년마다 수행하는 적합성 검토와 재 ․ 개정 심의, 기술변경 심의 활동에 적합한
교육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전문 양성교육은 없으나 몇 차례 방위사업청에서 특강을
15) 방사청, “ 연구개발사업 규격화 업무 매뉴얼”에서는 기본설계검토(PDR)간 기술자료별 규격 작성 수준을 확인
토록 되어 있으며, 체계장비의 수출을 고려 규격서는 성능형, 기타 기술자료는 상세형으로 예시를 제시함

- 45 -
시행하였으나 지속적이지 못한 아쉬움이 있어 이는 반드시 주기적으로 계속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2) 현재 각 군 본부 및 군수사,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방위사업청, 시험평가
단, 국방부, 전력지원체계사업단 등 다수의 분야에 다양한 장비와 물자에 대한 규격/
목록 업무는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하지만 3년 이상 경험과 보직을 받고 있는 인력
은 많지 않다. 불가피한 순환보직을 고려시 규격/목록 업무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국가적인 인력양성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또한 조직의 문제이다. 최근에 방위사업청 표준관리부가 일부는 분석시험평가국에서
업무를 담당하고, 일부는 계약관리본부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등 규격/목록 등 표준화
업무부서가 분할되었다. 지금은 표준의 역할이 대단히 중요한 시대이다, 원가와 품질
관리, 중소기업의 성장과 기술의 발달, 품질관리, 기존 기술자료 및 규격과 목록의
정비소요 등을 고려시 국방규격과 목록에 대한 마스터플랜이 시급한데 조직이 이원화
되어 있어 우려가 크다, 이에 조기에 조직과 인력 및 교육에 관한 진단과 연구를 별
도의 사업으로 수행하고 상부에 건의하여 조기정착을 시키는 것이 시급하다.
라. 기타 국내 ․ 외 현상에서 벤치마킹이 요구되고 있는 분야에 대해 벤치마킹이 필요함.
미국은 불완전한 규격을 정비하는 혁신사업의 일환으로 폐지 또는 성능형 규격 전환
했던 결과는 성공적이었기 때문에 벤치마킹 대상이며 무려 10년간 강력한 제도적
뒷받침 하에 추진하였음을 알고 있다. 우리의 현실은 훨씬 더 시급하가 때문에 예산
과 여건이 부족한 군이 주도하기보다는 민 ․ 군 규격 표준화 사업으로 예산을 확보하
여 방안검토와 시범사업을 거쳐 핵심적인 요소에 우선하여 추진하여 왔고, 군에서도
일부 예산을 확보하여 국방규격과 목록화 정비를 추진하고 있고 확대하기 위해 노력
하고 있다.
(1) 국방규격도 정비의 필요성을 느껴서 시도를 하고 있으나 예산확보의 부족으로 극히
일부분에 대해 수행을 하고 있지만 우선적으로 현 보유 규격에 예속된 도면에 대한
정비로 견본지원 없이 규격 및 기술자료로 제품이 제작이 가능 하도록 규격정비
계획이 대대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며 그 방법이 미국과 같이 상세형 규격의 정비와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 및 폐지로 동시에 병행하여 추진되어야함
※ 국방규격 정비를 위하 마스터플랜이 필요함

(2) 국방규격을 정비할 경우는 일정기간 동안 국가적인 사업으로 성능형 규격 전환


대상을 선정하여 일괄적으로 성능형 규격 전환이 필요하며 신규 규격 재정과정에
서는 성능형 여부를 우선적으로 검토하도록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자율적인 활
성화는 장기간 소요로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 46 -
(3) 국방규격으로 유지가 필요한 것은 우선적으로 상세형 규격과 성능형 규격으로 구분
을 하는 활동이 필요하고 매년 방위사업청 통계연보 발행시 반드시 성능형 규격 현
황을 포함시키고, 우선적으로 상세형과 성능형 규격이 식별 표기방법을 보완하는 규
정을 개정해야함
예) 상세형 규격 : MIL-DTL, 성능형 규격 : MIL - PRF, DOD - PRF

2.방위사업관련 규정 개정(안)
가. 규격 제정 및 개정관련
(1) 연구개발시 설계단계부터 성능형 규격과 상세형 규격 작성 대상을 구분하여 각종
설계검토 회의시로 명시하여 성능형 규격 대상은 시장조사 등 성능형 규격 작성
절차에 의거 제반여건을 검토한 후 성능형 규격 작성을 확정 또는 상세형 규격 대상
으로 조정 설계검토가 되도록 규정
(2) 규격과 도면을 구분하여 규격속에 기술자료로 도면을 작성하는 경우에 규격과 도면
어느 쪽이 성능형으로 작성하는 것이 적절한지 검토 및 결정하는 사항을 절차에
포함 명시
나. 형상관리 규정 관련
(1) 기술발전 추세와 부품의 진부화에 대한 요소를 판단하여 기술변경을 검토할 수 있는
형상관리 업무를 보완(기술 변경시 우선적으로 성능형 규격 여부 검토)
(2) 업체자체 또는 업체주관 개발 품목이나 국산화 품목의 경우 실제 품목을 개발한
기관과 규격작성기간은 상이할 경우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형상관리 기관에서 검토
사업화하는 업무를 보완
※ 협력업체 생산품목, 체계업체 조립품목 등 등

3.표준화업무지침 개정(안)
가. 규격제정 및 개정 관련
(1) 성능형 규격 작성 대상 검토기준을 구체화 하여 부표 또는 별지로 제시 후 규정
개정간 최신화
※ 미국의 성능형 규격 및 도면과 유사한 품목을 우선적으로 대상으로 분류

(2) 별지 작성시 시범품목 검토결과 및 로드맵 작성대상 검토간 확인된 체계 / 부체계 /


구성품 및 결합체와 부품의 특성을 고려한 품목류를 기계, 전자, 전기, 광학 등 유형
별로 작성 명시
(3) 규격 제정 및 개정 간에 위원회에서 성능형 규격에 대한 적용여부 검토사항 포함
여부 검토 필요시 포함

- 47 -
나. 성능형 규격 관련 내용 보완
(1) 미국의 “SD-15 성능형 규격 가이드”를 벤치마킹하여 현재 작성요령을 보완
(2)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내용의 보완이 자유롭도록 지침 제공
※ 부록 “D" 성능형 규격 작성 가이드 내용 보완과 관련된 사항을 지침에 포함
(3) 상세형 규격을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하는 절차 및 작성대상 검토기준 등에 대한
사항 추가
(4)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이 필요한 품목에 대한 규격정비 사업추진을 위한 계획수립
근거 제공 사항 포함
4.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개정(안)
가. 규격서 및 도면 작성 내용 보완
(1) 다양한 대상을 고려한 성능형 규격서 및 도면의 내용 구성을 사례로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제시
(2) 견본제공 없이 성능형 도면에 의해 조달이 가능하도록 구체적인 내용과 예문보완 필요
(3) 국방규격에 포함되는 요소에 대하여 보다 융통성 있는 사항 검토 보완
(4) 의견수렴 결과 관련기관의 애로사항 해결방안 검토 포함여부 제안(승인시 포함)
(5) 의견수렴 및 전문가 토의시 관련기관에서 제공하는 국방규격 정비 사항 식별내용을
사례로 포함여부 제안
(6) 혼합형 규격 개념 및 작성 가이드 연구결과 지침에 포함되어야할 사항 제시
(7) 시범사업으로 작성된 성능형 규격에 대한 관련기관 검증 결과 규격의 정비 또는
폐지 판정 등의 식별내용 포함 로드맵에 제기된 차기 사업추진시 활용가능토록 포함
사항 검토 제안
나. 규격서 및 도면에 포함되는 각 종 표기 방법 보완
(1) 미국의 경우 기본규격은 “MIL-x-yyyy”로 표기하나 성능형의 경우 “x" 대신에
”PRF", 상세형의 경우 “x" 대신에 ”DTL"로 표기
(2) 기간 중 검토 되었던 연구결과에 대한 종합본인 “성능형 규격 동향조사 연구”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번호체계 개선(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방안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됨
<표 2-32> 성능형 규격번호 체계 개선(안)
현행(국방정식 규격) 개선(안)
KDS 0000-0000 성능형 규격 KDS PRF 0000-0000
(군급번호-일련번호) 상세형 규격 KDS DTL 0000-0000

- 48 -
(3) 도면번호에 성능형 도면임을 표시할 수 있는 방안 제시
<표 2-33> 도면번호에 성능형 도면임을 표시 방안

현행 도면번호 부여 개선(안)

기관별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앞자리에 성능형 규격 도면번호 앞에 “P"자 추가


인식문자 부여 “예“ A(방사청), Q(기품원) 상세형 도면 현행 도면번호 부여 인식문자 적용

5.원활한 조달을 위한 개선사항


가. 견본대여 없이 제작이 불가한 국방규격 및 도면에 대한 정비 또는 성능형 전환 방안 강구
현실적으로 가장 시급한 사항은 조달에 영향을 받는 품목이다, 규정에 의하면 매3년 마다 국
방규격의 적합성 검토를 하면서 5년 동안 소요가 없는 규격은 폐지를 하고 성능형으로 전환
이 필요한 품목은 성능형으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으나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에 대한 예산이
나 체계적인 사업방안이 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제도 시급한 것은 견본대여 품목에 대하
여 견본대여 없이 규격과 도면으로 조달이 될 수 있도록 국방규격을 정비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최근에 일부 예산을 확보하여 국방규격의 정비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미미한 실태이므
로 국방규격 개혁차원의 마스터플랜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나. 조달요건(국방규격, 견본, 구매요구서 등 계약요구시 필요한 자료) 확보와 품질보증 활동을
위한 차원에서 국방규격이 없는 견본 조달품에 대한 국방규격제정시성능형 규격을 우선 적용
여기서 성능형 규격의 우선 적용은 실무에서는 도면형 규격을 의미하고 있다. 최소의 비용으
로 최대의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발전된 도면제작 기술과 요구되는 성능에 대한 이론적
작성기준을 토대로 부착되는 인터페이스 부분에 대한 내용에 대한 문제만 표현할 수 있다면
오히려 조달요건을 조기에 만족시킬 수 있고 단기간에 조달제한 품목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
은 성능형 도면으로 된 성능형 규격이며 이는 사업추진 간에 생산업체가 제공하는 기술자료
를 통해서 최소의 비용으로 가능하다는 것이 군수사의 의견이므로 국방규격 정비계획에 우선
적으로 추진해야할 사항임.
다. 경쟁계약 대상품목의 안정적인 조달원 확보와 품질보증을 위한 국방규격의 정비 활동 필요
대부분의 조달제한 품목은 경쟁계약 대상품목으로 수년간 조달원이 변동되면 기술의 축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이므로 국방규격으로 제작이 불가한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규격의 정비가 조달제한 품목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며 아울러 조달원의 원만한 확보가 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품질의 보증을 기대할 수 있다.

- 49 -
6. 정책 건의 사항
성능형 규격 전환 확대 문제해결을 위한 제도 및 절차의 개선 방안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규정 및 지침의 개정이 이루어 져야하고, 규정을 근거로 국방표준종합
정보시스템(KDSIS)에서 식별과 통계 및 행정지원이 가능하게 될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장단기적 이슈에 대한 추진내용을 간단한 로드맵으로 정책건의를 제시하고
자 합니다.
<표 2-34> 도면번호에 성능형 도면임을 표시 방안

구 분 추진 내용 소요 시기 추진 기관

방위사업청
• 제시되는 로드맵을 기준으로 전환사업 추진계획 수립 2014년 말
국방기술품질원

• 표준화 지침 및 관련규정 수정(안) 검토 관련기관 협조


2014년 말 방위사업청
개정(안) 상정

단기 • 국방규격 정비 마스터플랜 수립을 위한 협조회의 2014년 말 국방부

국방부
• 국방규격 정비 마스터플랜 수립 2015년 초
방위사업청

방위사업청
• 규격 목록 담당관 교육 프로그램 추진 2015년 ~
국방기술품질원

• 국방규격 정비 마스터플랜에 의한 정비 사업 추진 국방부


2015년 ~
- 상세형 규격 정비 방위사업청
2019년
- 성능형 규격 전환 국방기술품질원
장기
• 규격 목록화 발전을 위한 조직체계 정비추진
2015년 ~ 국방부
- 조직 정비를 위한 선행연구 실시
2016년 방위사업청
- 국방 표준화 조직 발전방향(가칭) 사업 추진

- 50 -
4.2 국방표준종합정보시스템과 연계된 성능형 규격 전환 활성화 방안

1.국방표준종합정보시스템의 규격관리와 관련된 사항


가. 2013년 4월 구축된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축배경 및 목적, 내용은 다음과 같음.
(1) 주요 구축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음

<표 2-35> 방위사업청 국방표준종합정보시스템 구축배경 및 목적

ㅇ 現 규격/목록 시스템 노후화로 인해 재개발 시급 : 2014년 고도화 사업착수


- 개발(‘99년)후 11년이 지나 제도/규정 등 업무환경 변화 대처 곤란
- 규격, 목록시스템 분리 구축으로 정보의 정합성, 활용성 미흡
ㅇ 부품단종 대응을 위한 부품단종관리 및 기술정보 공유체계 부재
- 체계장비 가동률, 신뢰도 저하 및 운영유지비 상승
ㅇ 민간 표준정보체계와의 연계 강화 필요
- 특허정보원, 표준협회, 기술표준원, 조달청 등
ㅇ 장비별 구성부품 정보의 구조적․체계적 관리 필요
- 장비를 구성하는 전 부품 정보를 상·하위 구조적으로 관리 미흡

자료 : 국무총리실 외, “제3차 국가표준기본계획 2013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 2013

(2) 국방표준종합정보시스템 개통으로 규격, 목록 및 형상관리정보체계 등 3개 정보체계


를 통합하여 분산된 데이터의 종합관리, 표준화 업무 全과정 온라인화와 BOM 기반
국방표준정보를 구조적으로 관리토록되어 있으며, Web 기반하에 타 정보체계와 협업
및 기술정보 공유기반을 구축하였음.
<표 2-36> 방위사업청 국방표준종합정보시스템 구축내용

ㅇ WEB기반 기존 규격 / 목록관리 시스템 통합구축


- 규격화(상용전환) 및 국제목록화 업무 전 과정 온라인화
ㅇ 분산된 데이터 통합 연계
- 규격, 목록, 단종, BOM 정보자료 상호 연계
ㅇ 비목록화 부품정보 관리 / BOM기반 정보관리시스템 구축
- 장비를 구성하는 전 부품 정보를 상·하위 구조적으로 관리
ㅇ 부품 단종․예측 시스템 / 정부․업체간 기술정보 공유기반 구축
- 부품단종정보 수집․확인․등록․분석 기능
- 각 군, 기품원, 국과연, 업체 간의 부품 기술정보 공유

자료 : 국무총리실 외, “제3차 국가표준기본계획 2013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 2013

- 51 -
나. 국방표준종합정보시스템의 기능 및 구성도
(1) 국방표준종합정보시스템은 Web 기반으로 규격화 및 목록화 등의 업무 전 과정을
지원하고, 분산된 데이터를 통합연계하는 것을 목표로 크게 (1)규격관리, (2)목록관리,
(3)부품정보/BOM기반 정보관리, (4)단종관리 등으로 구성됨.

(2) 국방표준종합정보시스템과 유관기관․시스템 구성도는 다음과 같음.

<그림 2-5> 국방표준종합정보시스템과 유관기관과의 연계 이미지


자료 : 국무총리실 외, “제3차 국가표준기본계획 2013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 2013

다. 규격관리는 표준관리, 형상관리, 심의관리, 규격지원, 규격검토, 현황, 검색의 기능이


있으며 대외적인 업무관련 주요내용을 다음과 같은 내용을 지원하고 있음
(1) 규격관리 업무기능 중 주요관리 업무인 표준관리 및 형상관리 관련 사항은 다음과
같음
<표 2-37> 표준관리 및 형상관리 관련 사항

표준관리
형상관리
추진계획 품목지정 도면번호 구매요구서 기타 기능

- 품목지정계획
- 우선적용 품목
검색 / 등록 - 품목지정 - 도면번호 - 구매요구서 - 형상통제
- 포장제원표 등록
- 규격추진계획 제안 검색 요청 검색 검색 제안서 검색
- 수율/단량/치수표 등록
검색 / 등록 - 품목지정 - 도면번호 - 구매요구서 - 제안서 등록
- 관심규격 등록
- 적합성검토계획 제안 등록 요청 등록 등록 - 제안서 관리
- 정부시책 등록
검색 / 등록

- 52 -
(2) 규격관리 업무의 주요 지원내용인 규격지원 및 현황과 검색 관련 사항은 다음과 같음
<표 2-38> 규격지원 및 현황과 검색 관련사항

규격지원 현황
규격자료 견본대여 국방규격 기술자료 품목지정 검색
상용전환
요청 신청 현황 현황 현황
- 연도별
- 국방규격
- 기관별 - 기술자료
- 요청서 - 신청서 - 기술자료
- 상용전환 - 규격수 6개 항목 - 기능별 표준,
검색 검색 - 인용규격
업체 공개 - 품목수 - 기타 구매 제한, 사용,
- 요청서 - 신청서 - 구매요구서
목록 - 통계기간별 요구서, 견본, 비표준, 상용
등록 등록 - 우선적용
- 공기여부 이미지 등
품목
- 상태별

2.성능형 규격관련 연계를 고려해야할 사항


가. 성능형 규격 관련 현황을 유지하기 위한 활동 관련한 조치방안 강구
(1) 국방표준 종합정보시스템 고도화 사업과 연계한 현 보유 성능형 규격 및 도면 관련
현황 관리 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활동이 필요함

<그림 2-6> 국방표준종합정보시스템 고도화 방향

- 53 -
(2) 국방규격 제정 및 전환과 관련된 추가적인 성능형 규격 관련 현황 최신화 활동과
관련된 요소를 고도화 사업 수행간 연계하여 발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함

<그림 2-7> 국방표준종합정보시스템 고도화 사업중 국방규격 관련 계획

나. 성능형 규격 관련 식별체계와 관련 된 사항 조치 방안
(1) 각 종 현황 양식에서 성능형 규격에 대한 현황식별 구현 및 위치 검토

(2) 부호체계 개선 방안 등을 고려한 도면과 규격에 부호를 추가하는 방안 적용이 필요함

<표 2-39> 부호체계 개선 방안

현행(국방정식 규격) 개선(안)

KDS 0000-0000 성능형 규격 KDS PRF 0000-0000


(군급번호-일련번호) 상세형 규격 KDS DTL 0000-0000

(3) 상세형 규격에서 도면번호에 성능형 도면임을 표시할 수 있는 방안 제시 구현


<표 2-40> 도면번호에 성능형 도면임을 표시할 수 있는 방안

현행 도면번호 부여 개선(안)

기관별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앞자리에 성능형 규격 도면번호 앞에 “P"자 추가


인식문자 부여 “예“ A(방사청), Q(기품원) 상세형 도면 현행 도면번호 부여 인식문자 적용

- 54 -
다. 국방규격 제정이나 상세형을 성능형으로 전환시 성능형은 유사품목류와 시장조사를
통한 민수규격 존재나 상용품과 연계를 고려하게 되므로 성능형 규격은 반드시 군사적인
보호를 받아야하는 품목이 아니라면 공개를 원칙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함
라. 공개 시 필요한 내용에 대해서는 캡쳐나 인쇄가 되지 않도록 보호대책 강구 기능 구현
<표 2-41> 캡쳐에 대한 보호대책 강구

적색글씨로 복사 변경불가 경고 문구 표기 캡쳐가 불가능 함을 표시

마. 6개 기술자료와 연계하여 유사한 특성이 있는 품목에 대한 검색이 가능한 분류체제


강구 방안 검토

- 55 -
제 3 장 성능형 규격 정비
제 1 절 성능형 규격 전환/작성 절차 및 시범사업 대상 검토

1.1 성능형 규격 작성 및 전환절차

1. 성능형 규격 전환 절차
가. 성능형 규격의 재 ․ 개정절차는 지침에 명확히 명시되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방
규격의 작성절차를 고려한 성능형 규격의 전환절차를 별도로 정립하여 제시하며
전환절차는 ①전환할 대상 규격의 분류, ②시장조사(필요시), ③상세형에서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 결정, ④성능형 규격 전환 작업의 순으로 진행함이 적절함. 16)

<표 3-1> 성능형 규격 전환 절차

전환대상 시장조사 규격전환 성능형 규격


단계 ⇒ ⇒ ⇒
분류 (필요시) 결정 전환

• 기능/성능 등
검 • 전환 가능한 • 민수규격존재/ • 비용 대 효과 필수요소규제
토 국방규격의 분류 수정 가능여부 /기술발전추세 • 제조형 도면
내 (작성대상/분류 • 유사 상용품 • 규격의 효과적 최소화
용 기준 등 참고) 자료/정보검토 활용가능성 • 규격작성 형식
(정부/업체) 준수

(1) 상기 전환절차는 기술변경이나 부품국산화업무 추진시 전환/작성에는 해당되지


않으며,
(2) 주로 국방규격의 정비가 필요한 상황 또는 적합성 검토결과 성능형으로 전환
필요시와 성능형 규격 전환 사업과 같은 일괄적인 사업 추진시 상기 절차 활용이
적합하다.
나. 성능형 규격 작성 대상 품목에 대한 일반적인 분류 사항을 고려하여 전환대상을 분류한다.
17)

(1) 성능형 규격 작성대상으로 적절하다고 분류되는 품목을 참조하여 전환대상을 검토한다.

(가) 여러 장비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부품류(표준품목, 모듈) 및 이를 사용하는 장비류

예) 전자장비류(전자소자 등)
16) 성인철, “성능형 규격 동향조사 연구”, DTaQ-09-1919-R, 2009.5, 기술품질원
17) 상게서

- 56 -
나 수리부속 및 불필요한 단일 품목류.
( )

(다) 다른 품목과 기술적인 인터페이스가 불필요한 품목(인터페이스는 도면 제공)

예) 식품류, 의복류 등.
(라) 기술발전추세가 빨라 업데이트(Update)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품목.

(마) 고장빈도가 적고 수리보다는 교체비용이 저렴한 품목.

(2) 성능형 규격 작성 대상으로 적절치 않은 품목 분류는

(가) 기본적인 소재 등과 같이 이미 시장에서 상업적 표준이 많이 활용되는 경우.

(나) 전략/전술 무기체계에 해당되는 시스템의 구성품으로써 정부가 모든 설계 및 제조를


통제할 필요가 있는 품목.
(다) 일회성, 저가 및 소량 수리부속품 구매의 경우.

(라) 민수시장에서 활용도가 적은 군 전용 품목류.

(마) 조립체이상의 수준으로 여러 가지 기능이 복합된 품목류.

(3) 본 연구에서는 종합적으로 검토결과 전환대상 품목 검토시 우선적인 전환대상은


①하위 레벨의 부품이나 구성품을 먼저 추진하고 ②안정화가 된 이후에 조립체,
부체계 및 체계레벨로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로 판단됨
다. 시장조사는 연구개발간에 규격화 초기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성능형 규격으로 전
환시에는 아래 사항을 고려하여 필요시 수행 한다.
(1) 성능형 규격의 활성화를 위한 전환목적을 고려하여 융통성 있는 시장조사 필요

(2) 상용품과 민수 기술의 군수분야 적용 가능성과 경제성 등 효과 유무

(3) 군수 시장의 규모에 따른 경쟁 유도 가능 여부

(4) 대상 품목의 특징에 따라 시장조사의 목적을 다양하게 검토되어야함

(5) 중요한 품목의 경우 국방과 민간의 분야별 전문가(기술, 원가, 군수 및 법/규정 등)에
의한 전문위원을 구성하여 실시함이 적절함
※ 연구개발의 경우 각종 설계검토회의에서 분야별 전문가에 의해 검토됨을 고려시

라. 성능형 규격 전환을 결정하는 것은 다음의 프로세스를 활용한다.


(1) 대상이 분류된 품목에 대한 시장조사 또는 목적에 적합한 검토가 이루어진 품목에
대해서는 설계 검토(전환)시 아래와 같은 성능형 규격 결정 프로세스를 통해 상용품
구매 및 성능형 규격 작성여부를 판단한다면 효과적임 18)

18) 성인철, “성능형 규격 동향조사 연구”, DTaQ-09-1919-R, 2009.5, 기술품질원

- 57 -
<그림 3-1> 성능형 규격 결정 프로세스

(2)군 요구도를 만족하는 상용품이 있다면 구매 후 체계개발 시 활용하고, 관련된 내용


을 구매규격서 형식으로 획득하여 정식규격 제정 없이 목록화 하거나 향후 재 조달
을 위하여 성능형 규격 개발 시 관련내용을 반영함.
(3) 군 요구도를 만족시키는 상용품은 아니지만, 일부 개조를 통하여 요구도를 만족시킬
수 있을 경우, 제작업체와 협상을 통해 개조 가능성을 확인 후, 개조된 품목을 구매
(조달)하여 체계개발 시 사용하고 해당 내용의 성능형 규격을 작성함.

(4) 군 요구도를 만족시키는 상용품이 없을 경우에는 현존하는 상용품 적용을 위하여


군 요구도 수정이 가능한지를 확인하여, 불가능할 경우 연구개발을 통해 상세형 규격
으로 개발한다.
※ 성능형 규격 작성품목 식별은 개발자, 소요군, 방위사업청, 기품원이 참여하는 형상통
제위원회 활동의 의사결정을 통해서 식별
마. 성능형 규격의 전환 결정시에는 다음의 사항을 고려사항 하여 규격작성 형식을 준수 19)

하여 작성한다.
<표 3-2> 성능형 규격 전환 결정시 고려사항

구분 내 용
• 기술적 난이도 • 유사품목 전환 확대 가능성
시장조사
• 상용품/민수 기술 적용 가능성 • 민수규격 활용 가능성
결과
• 민/군수시장규모 • 비용 대 효과

• 규격의 완전성
• 외부 인터페이스 수준
기술적 • 구성품 진부화 가능성
• 국산화 수준
적합성 • 하위부품 중 부품 국산화 품목
• 체계 내에서의 레벨
• 군수지원 필요품목

• 계약시 추가 및 고려요소: 최초생산품시험, 부착시험, 인터페이스 관련 기술자료 제공, 부품표


기타
준화(업체), 품질계획서에 성능입증 계획서 포함, 국산품 사용, 기술자료 제출, 정비성 보장 등

19) 성인철, “성능형 규격 동향조사 연구”, DTaQ-09-1919-R, 2009.5, 기술품질원

- 58 -
바. 상기사항을 고려하고 지침 개정(안)으로 제시된 성능형 규격 작성대상 분류 검토 기준
표를 활용하여 성능형 규격 전환 여부를 결정한다
(1) 현현재의 국방규격 상태로는 미국의 성능형 규격과 유사한 전기/전자 조립체 및
부품과 일부 기계류 부품이 성능형 전환대상으로 검토되고 있으나 검토 기준표는
제품의 특성과 기술수준 및 경제적 조달을 고려하여 전체적으로 작성하였음.
(2) 실제 시범적으로 전환대상을 결정하는 대상품목 검토시는 체계 및 부체계 규격은
전환대상에서 제외하고 우선적으로 가능한 품목에 집중하여 검토하였음
<표 3-3> 규격 재개정 및 전환간 성능형 규격 검토 기준

구분 기능 및 특성 고려시 성능형 규격 작성 가능 유형 검토 기준
기계류 • 완성탄약류
• 지휘통제․통신, 감시정찰 무기체계 중 기술발전추세가 빨라
무기체계 전기, 업데이트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장비체계 • 체계는 성능형 규
전자류 • 기타 무기체계의 국방M&S 및 주요시설 경계, 격으로 우선 검토
중요시설 경계 시스템, 국방정보시스템 등 • 하위 부체계, 구성
체계 • 식품류, 의복류 등 품/결합체, 부품은
유형 특성을 고려하여
기계류 • 다른 품목과 인터페이스가 불필요한 품목 상세형 또는 성능
전력지원 • 고장빈도가 적고 수리보다는 교체비용이 저렴한 품목 형으로 판단
체계 • 발전기, 충전기 등 전원동력장치, 통신전자장비, 측정장비,
전기, 의무장비, 교육훈련장비, 국방정보시스템 등
전자류
• 다른 품목과 인터페이스가 불필요한 품목
기계 • 완성탄약류의 부체계 및 지원체계 • 규격은 성능형으로
하되 도면/기술자
• 지휘통제․통신, 감시정찰 무기체계 중 기술발전추세가 빨라
부체계 무기체계 업데이트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장비의 부체계 료는 특성을 고려
유형 의 부체계 전기, 하여
전자류 • 기타 무기체계의 국방M&S 및 주요시설 경계, 중요시설 경 성능형 또는 상세
계 시스템, 국방정보시스템 등의 부체계 형으로 판단
• 호스조립체, 케이블조립체, 밸브조립체, 아답터조립체, 휴
즈 조립체 등 여러장비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품목류
기계류 • 성능형 규격 우선
• 다른 품목과 인터페이스가 불필요한 품목
검토하며,
구성품 및 • 고장빈도가 적고 수리보다는 교체비용이 저렴한 품목 • 기 작성된 규격에
결합체(조립체)
• 트랜스포머, 릴레이 조립체, 스위치조립체, 전자관 등 대하여 특성을 고
유형
려하여 일부 성능
전기, • 회로조립체 등
형 전환 가능
전자류 • 기술발전추세가 빨라 업데이트(Update)가 빈번하게 발생하
는 품목
• 호스, 필터, 밸브, 아답터, 코일 등 단일품목류
기계류 • 다른 품목과 인터페이스가 불필요한 품목 • 성능형 규격 우선
• 고장빈도가 적고 수리보다는 교체비용이 저렴한 품목 검토하며,
부품 유형 • 케이블, 배터리, 휴즈, 캐페시터, 트랜스포머, 레지스터, 릴 기 작성된 규격에

전기, 레이, 메타, 오실레이터, 스위치, 크리스탈, 반도체, 전자관 대하여 성능형 전
환 가능
전자류 등 단일품목류
• 고장빈도가 적고 수리보다는 교체비용이 저렴한 품목

- 59 -
<표 3-4> 규격과 도면 등 기술자료 작성 기술수준 및 군수지원 효율성을 고려한 검토 대상 기준

구분 성능형 규격 대상 성능형 도면 및 기술자료 대상

• 체계유형(무기체계, 전력지원체계) • 단일 부품류


성능형 규격의
• 부체계 유형 • 소자 또는 국가표준 품목 인용품
검토 대상
• 구성품 및 결합체(조립체) • 타품목과 인터페이스가 불필요한 조립체
분류 기준
• 주요부품(타품목과의 인터페이스 구성) (회로조립체 유형 등)

1.2 성능형 규격 시범사업 대상 검토

1. 성능형 규격 적용 대상검토
가. 적용 대상품목 검토방향
(1) 경제성 분석방법을 고려한 경제성과 효과분석이 가능한 대상품목 선정

(2) 시제품 제작과 시험이 필요 없이 검증이 가능한 품목 선정

(3) 기계, 전자 품목중 하위의 품목으로 미국의 성능형 규격을 벤치마킹하여 선정

(4) 국내 성능형 관련 대상품목에 대한 현황조사 결과


나. 미국의 성능형 규격과 유사한 국내 성능형 관련 대상품목에 대한 현황조사 결과
<표 3-5> 미국의 성능형 규격과 유사한 국내 성능형 관련 대상품목 현황

순위 품 명 건수 순위 품 명 건수
1 Hose 475 11 Transformer 52
2 Valve 371 12 Coil 21
3 Cable 363 13 Relay 15
4 Filter 292 14 메타 14
5 Adapter 219 15 Oscillator 14
6 Battery 179 16 Crystal unit 6
7 Fuses 170 17 반도체 5
8 Switch 117 18 Electron tube 2
9 Capacitor 57 19 트랜지스터 1
10 Resistor 57 총계 2,430

※ 자료출처 : 2014년 7월 23일 기준 , KDSIS 검색과 분석을 통해 최신화

(1) 일부품목은 기계류와 전기류 품목의 혼합이고 대부분이 전기 전자 품목임


(2) 체계장비라고 할 수 있는 품목은 없으나, 시스템에 적용되는 조립체는 일부 포함되며,
대표적으로 미국의 성능형 규격과 도면에 제시된 품목을 검색한 것임.
(3) 이를 토대로 성능형 규격에 적용할 수 있는 대상 식별과 로드맵 작성의 기초자료임

- 60 -
2.성능형 규격 시범연구 품목에 대한 적용 대상검토
가. 시범품목 대상 선정 계획
(1) 1차 3품목을 선정 타당성 검토 및 미국의 유사품목 상세형/성능형 규격 확보 번역

(2) 시제품 제작과 시험이 필요 없이 검증이 가능한 3 ~6개 품목을 식별 번역 검토

(3) 의견수렴 및 설문을 통해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이 우선 필요한 품목 식별

(4) 소요군 및 방사청에서 획득이 제한되고 있는 품목중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이 우선


필요한 품목 식별
나. 시범품목 대상 검토
(1) 미국의 성능형 규격 품목의 대표적인 품목류와 유사한 한국의 국방규격 목록 검색
결과 미국의 성능형 규격과 연계가 가능한 품목 집중 검토
(2) 한국의 국방규격에서 최근에 작성하고, 정식규격이면서 일반적으로 진부화에 영향을
받으며, 다양한 장비에 공용으로 사용하는 품목류를 우선적으로 식별 검토
※ 호스, 밸브, 스위치 등

(3) 식별된 품목류 중에서 미국의 성능형 및 상세형 규격 획득이 가능한 품목 검토

(4) 미국의 성능형 규격에 대한 비교적 상세한 설명이 주어진 자료를 우선 활용

(5) 1차 식별결과
<표 3-6> 시법사업 대상 1차 식별결과

구 분(품목류) 상세형 규격(기존 규격명) 성능형 규격(재작성후) 비고


MIL-H-370G MIL-PRF-370H
호스 결합체 <호스와 호스 어셈블리, 비금속: <호스와 호스 어셈블리, 비금속: 번역
탄성중합체, 액화 연료> 탄성중합체, 액화 연료>
MIL-L-25370E MIL-PRF-25370F
밸브 <밸브, 압축 공기 팽창기(구명 기 <밸브, 압축 공기 팽창기(구명 기 번역
구 - M1-A)> 구 - M1-A)>
MIL-S-8805D MIL-PRF-8805E
<스위치 및 스위치 어셈블리, 민 <스위치 및 스위치 어셈블리, 민감
스위치 번역
감성, 스냅 액션(기본 제약, 푸시 성, 스냅 액션(기본 제약, 푸시 버
버튼, 토글 스위치)> 튼, 토글 스위치)>

차 식별 : 의견수렴 및 유사한 품목 미국의 ASSIST 검색 검토


(6) 2

(가) K1A1 엔진용 엔진제어장치(EMS)


(나) K9/K10 엔진용 엔진제어장치(CDS)
(다) 센서, IC, 케이블 종류의 전기 전자 부품류
(라) 카메라 및 광학 조립체, 솔레노이드 등
(마) 전지류, 일반 및 기동장비 전지류 등

- 61 -
바 회로카드류, 케이블류, 전기 전자 소자류
( )
(사) SW 플로우 챠트
(아) 기계류 : 라디에타, 소화기, 완충기, 트랙조절기, 유압실린더 등 단위 기능품으로 야전
에서 1 : 1 교체가 가능한 품목(제시 품목일부는 재검토)
(자) 전기/전자부품류 : 무전기, 인터컴, 시동기, 발전기, 계기판의 계기류, 전압조정기, 전
장품, 전구 및 전등류, 축전지, 각종 센서류(수온감지기, 수위감지기 등)
(차) 조립체 또는 구성품 : 오일냉각기, 유압펌프/모타, 배수펌프, 온수/승무원 히터,
CBR탑지기/경보기/공기정화기/방독면 등(제시 품목 재검토)
(카) 상용품을 상세형 국방규격으로 전환된 품목을 성능형으로 전환 검토
※ 장갑차 냉각수 펌프(60642611), 온수히터(60642612), 예열히터결합체(60642500)
(타) 유도탄 통신 모듈조립체류 일부

다. 시범품목 대상 검토 결과(4개 품목 선정)


(1) 일반적인 성능형 규격 작성대상 : 공통적 사용 부품, 단일품목, 고장빈도 적고, 비용 저렴

(2) 미국의 성능형 규격 분석결과 대부분 기계 및 전기/전자부품의 하부품목이 대부분으


로 시범품목은 미국의 성능형 가이드에 소개된 상세형과 성능형 동시에 검토 가능한
품목을 우선 선정하여 상세형과 성능형 규격의 번역결과를 토대로 국내 국방규격의
비교 검토
(3) 국내 국방규격의 유사품목을 확보하여 집중 검토

(4) 기타 의견수렴 및 미국의 국방규격을 검토결과 아래 4가지 품목을 시범대상 품목 선정

<표 3-7> 시범품목 대상 검토 결과

품목류 작성계획 국내 유사 품목 규격서 및 도면 검토결과 비고


KDC4720-T3001,5,6,9,4001,D4004,7,11,12,14,17,19,20,26,28
호스
,30,31,32,33,37,38,39,40,41,42,43,44,48,49,50,R0001,5,4002 확보 : 26건
결합체(조립체)
KDS4720-0045,0082,0128,0138,0220,1025,1078,
, 비금속제 국내 유사품목 1173,1174,1190,1221,1281,84,85,94,98,1308,10, 대여 : 14건
상세형 규격
12,3004,3008,4001,2,6,7(총58종)
다수 선정
밸브, 1020-1035, 2640-1004, 2910-D0009, 4130-D0002,5, 확보 : 2건
공기팽창기 세부내용 검토후 4820-1066,1081(총7종) 대여 : 9건
1개의 성능형
스위치 및 KDS2920-1165,5930-1050,1079,1043,4001,4003,1355-1009,
규격으로
스위치 조립체 작성(통합 포함) 10,11(조립체) 5930-1026,76,82,84,85(버튼) 확보 : 9건
(기본, 제한, 5930-0108,1032,36,40,42,65,68,69,88,89, 91,92(토글)
푸시버튼, KDC2540-D4004(조립체),5930-P0001(압력) 대여 : 17건
토글) 5930-R4003,P0002(토글) 총 30종
엔진용 현재 상세형
엔진제어장치 규격/도면 검토 KDS2990-4001, 60772926 대여 : 2건
(CDS) 성능형으로 작성

※ 작성 간 검증 및 기타 제한사항을 고려 3개 품목으로 조정

- 62 -
제 2 절 성능형 규격 시범정비(3건) 및 경제적 효과분석

2.1 성능형 규격 시범정비

1.성능형 규격 시범정비
가. 성능형 규격 시범사업의 특징
(1) 기 연구결과를 보완하여 각종 규정 및 절차 정립의 기초를 제공하고 국방규격 정비
사업의 장기정책 수립 추진여건을 조성
(2) 시범사업을 통해 상세형 규격을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하는 절차 정립

(3) 시범 전환품목의 경제성 분석을 통한 기대효과 산출

(4) 시범 전환품목의 성능형 규격 작성을 통한 전환사업 소요제원 산출(시간, 경비 등)

(5) 시범사업을 통한 소요제원으로 명확한 로드맵 작성 향후 추진 세부계획 수립

나. 성능형 규격 시범적 작성시 고려사항


(1) 기 연구결과의 전환절차인 전환대상 분류 - 시장조사 - 규격전환 결정 – 성능형
규격 전환 형태를 참고하고 논리를 검증하는 차원에서 추진
(2) 현재 보유하고 있는 국방규격에서 성능형 규격의 전환대상을 분류하여 검토

(3) 미국의 성능형 규격 작성 가이드와 성능형 규격 및 도면자료 분석을 통하여 식별된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이 요구되는 품목 식별기준으로 활용
(4)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시 유리한 품목과 전환이 곤란한 품목을 구분 성능형 규격
전환계획에 포함할 품목 선정후 제 여건을 고려한 시범품목 확정
(5) 시범품목은 제품의 제작을 통해서 성능과 검사과정을 검증해야하는 품목은 지양

(6) 시장조사를 통해 규격전환 결정여부를 결정하는 절차는 시범대상 3개 품목 결정이전


에 現 상세형 규격 내용과 시범사업의 목적, 유사품목의 규격 및 도면내용 분석을
통하여 복합적인 사전활동에 포함되어 별도의 검증활동은 생략
※ 향후 로드맵을 통해 연간 다수의 대상을 검토시에는 필수적인 요소임

(7) 현재의 규정과 지침의 본문 작성사례와 부록D 성능형 규격 작성가이드의 내용과


미국의 SD-15 성능형 가이드를 참고하고, 관련기관의 의견을 고려하여 작성

- 63 -
2.시범정비 절차
가. 성능형 규격 시범적 검토 및 작성 절차
<표 3-8> 성능형 규격 시범적 검토 및 작성 절차

- 미국의 성능형 규격에 대한 목록 분석


- 성능형 규격 검색 및 검토결과 적절한 품목 분류
- 경제성 분석이 가능하고, 시범사업 목적에 적합한
품목류로 압축
시범 대상 품목 선정 3품목 이상
- 상세형과 성능형 규격 모두 확보가능 여부 확인
- 국내 상세형 규격 중 미국의 성능형 규격과 품명
이 유사한 품목에 대한 분석결과 전환 효과를 고
려한 품목선택


- 해외 유사품목 자료 번역
작성 방법
- 상세형 규격과 성능형 규격의 차이 검토
보완 및
- SD-15 성능형 규격작성 가이드와 - 상세형과 성능형 규격 모두 확보 가능한 품목에
시범작성
국내 국방규격 작성지침 및 부록 대한 자료 번역
세부요소
성능형 규격 작성 가이드와 비교 - 제품의 생산 및 시험이 필요 없는 품목 인지 확인
결정
작성요령 정립

품목당
- 성능형으로 전환을 위한 세부내용 분석
유사 규격
- 동일한 품명을 사용하는 상세형 규격을 식별 공개
10건 이상
및 비공개 품목 분류
국내 유사품목 상세형 규격 검토 검토
- 추정가능한 범위까지 특성을 고려하여 검토대상
(자체확보 및
규격 판단
자료지원
- 비공개 품목에 대한 자료요청/분석
요청)

- 품목의 특성을 고려한 경제성 분석 방법 선택, 소
요자료 식별
경제성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 준비
- 경제성 분석에 필요한 변수와 관련된 내용 협조
및 수집, 사전 자료 DATA화

성능형 규격
전환간
- 성능형 규격 작성
발견되는
기능이 유사한 다수의 상세형 품목을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 및 경제성 요소를 활용
성능형 1개 규격으로 전환 여부와
분석 전환절차
기대효과 극대화 가능성 병행 검토
정립
- 시범품목에 대한 경제성 분석
및 소요제원
산출

- 전문가 토의
검증 및 보완
- 관련기관 의견 수렴 및 보완

- 64 -
나. 품목의 특성을 고려한 성능형 규격 전환절차
(1) 시제제작 및 성능시험이 불필요한 품목(시범사업 형태)

<표 3-9> 성능형 규격 전환을 위한 세부 검토절차(시제제작 및 성능시험 불필요 품목)

대상품목 성능파악 규격화 관련업무 성능형 규격 개정


및 분석 분석 (안) 제안

상세형 규격 특성
기술자료 검토 및 성능 분석 심의
(시제제작여부 결정) (미국의 성능형 참조)

시장조사 성능형 규격 작성 후속조치

(2) 시제제작 및 성능시험이 필요한 품목


<표 3-10> 성능형 규격 전환을 위한 세부 검토절차(시제제작 및 성능시험이 필요한 품목)

대상품목 성능파악 상세형 규격 특성 성능형 규격 개정


및 분석 및 성능 분석 (안) 제안
(미국 규격, 유사품목 등)

기술자료 검토 역설계 및 시제품


생산용 성능형 규격 심의
(시제제작여부 결정)
작성

규격화 관련업무 시제품제작, 성능시험


후속조치
분석 규격보완

- 65 -
다.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방사청 예규 131호, ‘13.4.29) 내용 재구성 활용
<표 3-11>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내용 분석

구 분 성능형 규격 상세형 규격
•규격서 적용범위에 대한 명확하고 간
결한 표현으로 구성
1. 적용범위
•원칙적으로 규격서에서 규정하는 특정 •성능형과 대부분 동일
및 분류
품목, 공정 또는 시험방법에 관한 용도
및 일반사항들만 규정
2. 적용자료
•소수의 규격을 적용문서로 기술하고
및 문서
주로 시험방법, 연동성 관련 도면 / 규
- 일반사항 •재료, 부품, 구성품, 제조공정 문서 등 모
격 등 기술
- 정부문서 든 자료들을 기술
•재료, 부품, 구성품, 제조공정 문서 및
- 비정부문서
기타 상세형 규격은 가급적 배제
- 우선순위
3. 필요조건
- 설계 : 일부
- 재료 : 필요시
- 부품 : 미명시 •제품의 필수 요구조건을 기술하되, 제
- 공정 : 미명시 품의 형상, 기능, 상호호환성 및 연동
- 제조 및 조립 성 위주로 기술(기존 장비의 해법의 설
•재질, 설계, 제조 필요조건 또는 필요조건
: 미명시 계정보 제외)
을 입증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규제할 수 있
- 성능 특성 : 명시 •필요조건을 달성 할 수 있는 방법, 특
도록 구체적으로 기술
- 물리적 특성 정재료/ 제품의 사용, 상세설계 방법
•필요조건을 달성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
: 필요한것 명시 등은 배제, 특정부품/공정 미명시
법 (How-to) 또는 특정 설계 요구조건을
- 환경요구조건 •성능과 기능에 아주 중요한 영향을 미
명시하며, 특정부품 및 구성품 명기
- 일솜씨 : 기본만 치는 재료 정보는 포함(그 수는 최소
•일반적으로 규격 및 표준서에 일치하는
- 연동요구조건 화,통합/분리)
특정재료, 특정품목, 특정 공정을 요구
- 운용 특성 ※ 계약자가 본장의 필요조건을 만족
: 필요시 시킬 수 있도록 효율적인 재료, 부품,
- 신뢰성 : 최소치 공정의 선택이 가능해야 함
- 정비유지성
: 수치로 규정
- 호환성 : 필요조건
4. 검사와 시험 •재료, 제조방법 등이 규제되지 않기 때
및 품질보증 문에, 최초생산품 검사항목을 이용하
- 일반사항 여 보완 가능
- 검사의 분류 •품질적합성 검사의 경우 세부 검사계 •세부적인 부품검사, 조립검사 등 공정검사
: 최초생산품, 획을 계약자에게 작성토록 요구 가능 항목 규제
품질적합성, •샘플링 검사시 최소한의 샘플링 조건
확인검사 등 합격 품질 수준만을 명기, 일반 치수검
- 검사방법 및 절차 사는 배제
5. 포장
•계약서, 구매요구서상의 구매조건을
- 포장 •성능형과 대부분 동일
이용하여 적합한 포장조건 명시 가능
- 표시
•용도, 조달요구조건, 기술교범 규격정
6. 주기 보, 견본, 용어 정의, 상호 참조표, 관
•성능형과 대부분 동일
급 및 정부 대여재산, 핵심어(주제어)
색인

- 66 -
2.2 성능형 규격 시범정비 결과

1.자체적으로 추가 적용한 시범품목 작성 기준을 미국의 가이드북을 벤치마킹한 결


과 자체적인 성능형 규격작성 가이드를 완성하고 시범대상 품목 검토시 번역한 미
성능형 규격을 활용하여 시범품목에 대한 성능형 규격의 초안을 작성하였음.
가. 미국의 SD-15 성능형 규격 가이드를 자체적으로 번역하여 활용
나.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부록 D" 성능형 규격 작성 방법을 비교하여
성능형 규격 작성 가이드 작성하여 활용(부록 # 11 참조)
다. 호스 결합체 및 밸브, 스위치 관련된 미국의 성능형 규격 번역본 활용
<표 3-12> 호스 결합체 및 밸브, 스위치 관련된 규격

상세형 규격(기존 규격명) 성능형 규격(재작성후)


MIL-H-370G <호스와 호스 어셈블리, 비금속: MIL-PRF-370H <호스와 호스 어셈블리, 비금속:
탄성중합체, 액화 연료> 탄성중합체, 액화 연료>
MIL-L-25370E <밸브, 압축 공기 팽창기(구명 기구 - MIL-PRF-25370F <밸브, 압축 공기 팽창기(구명 기구 -
M1-A)> M1-A)>
MIL-S-8805D <스위치 및 스위치 어셈블리, 민감성, MIL-PRF-8805E <스위치 및 스위치 어셈블리, 민감성,
스냅 액션(기본 제약, 푸시 버튼, 토글 스위치)> 스냅 액션(기본 제약, 푸시 버튼, 토글 스위치)>

라. 자체 작성된 성능형 규격 가이드를 활용하여 시범품목으로 성능형 규격을 전환 작성


하였음
<표 3-13> 성능형 규격 작성 시범품목 현황

구분 품 목 시범품목 선정과정 및 특징적 사유


• 미국 성능형 규격 작성 가이드인 SD-15에 사례를 제공한 대표적인 품목이
며 현재 미국의 성능형 규격의 품목수가 가장 많은 품목임
• 미국의 상세형 규격과 성능형 규격 두가지를 모두 번역하여 국내 유사
상세형 규격과 호스
품목의 상세형 규격서와 비교 검토하여 가장 근접한 품목을 선정
성능형 규격의 밸브
• 시범사업이므로 제품제작과 도면작성, 부착시험 등의 절차가 필요 없는 대
1 : 1 전환 스위치
상을 선정
• 국방규격 중 내용이 비교적 부실하여 정비가 필요한 품목을 우선적으로
전환하므로서 민군 규격 표준화 사업에 기여할 수 있는 품목 선정
• 내용이 유사한 다수의 상세형 규격 또는 도면을 1개의 성능형으로 전환하
N : 1 전환 호스 결합체
므로서 비용절감 및 민군규격 표준화 사업에 기여할 수 있는 품목 선정

- 67 -
2.품목별 시범정비 성능형 규격에 대한 세부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으며
작성결과를 상호 비교하여 초안을 완성하였음(1:1 전환 3개 품목, N:1 전환 1개
품목)
가. 호스, 비금속제(HOSE,NONMETALLIC) : 4720 - 01 - 319 - 9699(부록 # 4 참조)
(1) 규격번호 및 제/개정일자
<표 3-14> 규격번호 및 제/개정일자

구분 세부 내용
기존규격 규격번호 : KDC 4720-D4025
(상세형) 제정일자 : 2006.11.29
규격번호 : KDC - PRF- 4720-D4025
성능형 규격
제정일자 : 20010. 06. 29.
(전환결과)
개정일자 : 2014. 00. 00
•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부록 C 규격서 세부 작성법 항목을 준수 수정
작성결과 • 부록 D 성능형 규격 작성 지침 개정(안) 적용 규격번호에 성능형 규격 부호 삽입 : KDC
분석 - PRF- 4720-D4025
• 개정일자 삽입 : 개정일자 : 2014. 00. 00

(2) 적용범위 및 분류
<표 3-15> 적용범위 및 분류

구분 세부 내용
1. 적용범위 및 분류
기존규격
본 규격서는 다목적전술차량 K532 앞차 히터 냉각수파이프 연결용으로 사용하는 호스,
(상세형)
비금속제(이하 “호스”라한다)에 대하여 적용한다.
1. 적용범위 및 분류
성능형 규격
본 규격서는 다목적전술차량 K532 앞차 히터 냉각수파이프 연결용으로 사용하는 호스,
(전환결과)
비금속제(이하 “호스”라한다)에 대하여 적용한다.
작성결과 •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부록 C 규격서 세부 작성법 항목을 준수 수정
분석 • 내용 동일

(3) 적용자료 및 문서
<표 3-16> 적용자료 및 문서

구분 세부 내용
2. 적용자료 및 문서
2.1 일반사항
아래문서 및 도면은 규정된 범위 내에서 본 규격서와 함께 적용되며, 별도로 명시
되지 않는 경우 유효한 최신판을 적용한다.
기존규격
(상세형) 2.2 정부문서
2.2.1 규격, 표준 및 핸드북
규 격서
국방규격서
KDC 0001-P4001 포장, 군 운용장비 유지부품

- 68 -
구분 세부 내용

표 준서
한국산업표준
KS M 6626 자동차용 고무 재료
KS M 6958 자동차용 워터 호스
KS Q ISO 2859-1 계수치 샘플링검사 절차 - 제1부 :
로트별 합격품질한계(AQL) 지표형 샘플링검사 스킴
2.2.2 기타 정부문서, 도면, 간행물
도 면
AD61000018 호스, 비금속제
기술교범
K9(3)-2350-485-23P 4.2인치 박격포 탑재용 운송차, K532
2.3 우선순위
본 규격서의 내용과 적용문서의 내용이 상이할 경우에는 본 규격서의 내용을 우
선 적용한다. 그러나, 특별한 면제가 부여되지 않는 한, 본 규격서의 어떤 항목도 관련
법률이나 규정에 우선할 수 없다.

2. 적용자료 및 문서
2.1 일반사항
아래문서 및 도면은 규정된 범위 내에서 본 규격서와 함께 적용되며, 별도로 명시되
지 않는 경우 유효한 최신판을 적용한다.
2.2 정부문서
2.2.1 규격, 표준 및 핸드북
규격 서
국방규격서
KDC 0001-P4001 포장, 군 운용장비 유지부품
표준 서
성능형 규격 한국산업표준
(전환결과) KS Q ISO 2859-1 계수치 샘플링검사 절차 – 제1부 :
로트별 합격품질한계(AQL) 지표형 샘플링검사 스킴
도 면
AD61000018 호스, 비금속제
기타 간행물
교범
K9(3)-2350-485-23P 4.2인치 박격포 탑재용 운송차, K532
2.3 우선순위
본 규격서의 내용과 이 문서에서 인용한 참고문서 사이에 일관성이 없거나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본 규격서의 내용이 우선한다. 그러나 특별한 면제가 부여되지 않는한,
본 규격서의 어떤 항목도 관련 법률이나 규정에 우선할 수 없다.

•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부록 C 규격서 세부 작성법 항목을 준수 수정


• 2. 적용자료 및 문서 내용 동일
작성결과
• 2.2.1 규격, 표준 및 핸드북 항목 삭제는 부록 D 성능형 규격 작성 지침 개정(안) 적용
분석
• 2.2.2 기타 정부문서, 도면, 간행물의 내용인 도면과 기술교범을 2.2 정부문서 하위
내용으로 반영

- 69 -
(4) 필요조건
<표 3-17> 필요조건
구 분 세부 내용
3. 필요조건
기존규격
3.1 재료 및 형태
(상세형)
호스,비금속제의 재료, 치수, 구조 및 모양은 2.2.2항 도면에 따른다.
3. 필요조건
3.1 설계(또는 구성)
호스,비금속제의 형태와 치수는 도면(AD61000018)에 일치하여야 한다.
3.2 재료
다음의 재료를 사용하거나, 동등 이상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표 생략, 부록#4 참조)
3.2.1 특수사양
자동차용 워터 호스 사양에 준하여야 한다.
(표 생략, 부록#4 참조)
성능형 규격
3.2.2 종류
(전환결과)
호스, 비금속제는 3종 중보강식(내면 고무층과 외면 고무층 사이에 보강층을 한 것)으
로 되어야 한다.
3.2.3 중량
호스,비금속제의 중량은 57g 이하여야 한다.
3.3 일솜씨
덧살이 제거되어야 한다.
3.4 연동요구조건
호스,비금속제는 다목적전술차량 K532 앞차 히터 냉각수파이프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모든 냉각수에 대하여 원활히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부록 C 규격서 세부 작성법 항목을 준수 수정
• 상세형 규격은 3.1 재료 및 형태 등에 대한 내용을 단순히 도면을 참조하도록 되어 있
작성결과
는 내용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명시함.
분석
• 부록 D 성능형 규격 작성 지침 개정(안) 기준으로 3.1 설계 사항, 3.2 재료 사항, 3.3
일솜씨 및 3.4 연동요구조건을 추가하여 작성

(5) 검사 및 시험, 품질보증


<표 3-18> 검사 및 시험, 품질보증
구 분 세부 내용

4. 검사와 시험 및 품질보증
4.1 검사방법
검사방법은 로트별 합격품질한계(AQL) 지표형 샘플링검사 스킴(KS Q ISO 2859-1)에
따른다.
4.2 검사수준
일반시험용 시료 : 통상검사수준 Ⅱ에 따른다.
4.3 일반시험검사의 결함분류와 AQL 및 검사방법은 아래 표 1에 따른다.
표1. 일반시험검사의 결함구분과 AQL 및 검사방법
기존규격
(상세형) 분류 결 함 내용 검사방법
중결점 AQL = 2.5 %
101 치수 Ø18.0 ± 0.4 표준측정기기
102 치수 Ø27.0 ± 0.4 표준측정기기
103 치수 125.0 ± 0.4 표준측정기기
경결점 AQL = 4.0 %
201 중결점 이외의 치수 표준측정기기
202 포장 및 표시가 규정과 다른것 육안검사

- 70 -
구 분 세부 내용

4. 검사와 시험 및 품질보증
4.1 일반사항
4.1.1 검사의 책임
별도로 규정하지 않으면 납품자는 이 규격서에 규정된 모든 검사를 수행할 책임이 있
으며 정부 또는 대행기관이 인정하는 자체 설비 또는 공인된 일반시험소를 이용할 수
있다. 정부 또는 대행기관은 납품물자 및 용역이 규정된 필요조건과 일치하는지 확인하
기 위하여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이 규격서에 규정된 어떠한 시험도 실시할 권리
를 갖는다. 납품자는 정부 또는 대행기관의 승인 아래 이 규격서에 규정된 검사 또는 이
와 동등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4.1.2 품질보증제도
별도로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납품자는 제품의 검사 및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는
효과적인 품질보증 제도를 갖추어야 한다.
4.1.3 정부확인
납품자가 실시하는 모든 품질보증 활동은 정부의 확인을 받아야 하며, 확인 중에 발견
된 모든 결함사항은 납품자가 즉시 수정 보완하여야 한다. 정부가 확인하는 사항은 다음
과 같고, 확인된 결함에 대해 수정 보완 조치가 완전히 끝날 때까지 장비의 수락이 지연
될 수 있다.
가. 문서화된 품질보증 계획의 실행, 방법 및 절차의 적용 여부 확인
나. 제품의 품질에 대한 납품자의 제시 자료 및 제품 확인
4.2 검사방법 및 절차
성능형 규격 4.2.1 검사방법
(전환결과) 검사방법은 로트별 합격품질한계(AQL) 지표형 샘플링검사 스킴(KS Q ISO 2859-1)에
따른다.
4.2.2 검사수준
일반시험용 시료 : 통상검사수준 Ⅱ에 따른다.
4.2.3 일반시험검사의 결함분류와 AQL 및 검사방법은 아래표에 따른다.

분류 결함내용 검사방법

중결점 AQL=2.5%

101 치수 Ø18.0±0.4 표준측정기기

102 치수 Ø27.0±0.4 표준측정기기

103 치수 Ø125.0±0.4 표준측정기기

경결점 AQL=4.0%

201 중결점 이외의 치수 표준측정기기

202 포장 및 표시가 규정과 다른것 육안검사

•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부록 C 규격서 세부 작성법 항목을 준수 수정


작성결과 • 4.1.1 검사책임에 대한 내용, 4.1.2 품질보증제도, 4.1.3 정부확인 사항 등 검사와 시험
분석 및 품질보증에 관한 일반사항에 대한 내용 추가
• 부록 D 성능형 규격 작성 지침 개정(안) 적용

- 71 -
(6) 포장 및 주기 등
<표 3-19> 포장 및 주기

구 분 세부 내용
5. 포장 및 표시
5.1 포장제원표
호스의 포장은 포장제원표(재고번호 : 4720013189699)에 따른다.

5.2 포장 일반사항
기존규격
표지 및 그 외 일반사항은 포장규격서(KDC 0001-P4001)에 따른다.
(상세형)
6. 주기
6.1 표준제품 설정
생산업체는 양산 이전에 시제품을 검사기관에 제시하여야 하며, 검사관은 적용장비
에 부착시험 또는 시제품을 검증 할 수 있는 시험장비에서 시험하여 성능, 기능상 이상
이 없으면 양산토록 한다.
5. 포장 및 표시
5.1 포 장
호스의 포장은 포장제원표(재고번호 : 4720013189699)에 따르며, 그 외 일반사항은
포장규격서(KDC 0001-P4001)를 따른다.
5.2 표 시
성능형 규격 호스 포장에 대한 표시는 포장규격서(KDC 0001-P4001)를 따른다.
(전환결과)
6. 주기
6.1 표준제품 설정
생산업체는 양산 이전에 시제품을 검사기관에 제시하여야 하며, 검사관은 적용장비
에 부착시험 또는 시제품을 검증 할 수 있는 시험장비에서 시험하여 성능, 기능상 이상
이 없으면 양산토록 한다.
•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부록 C 규격서 세부 작성법 항목을 준수 수정
• 포장의 개념에 일반사항 등은 5.1, 5.2의 제목을 부록 D 성능형 규격 작성 지침 개정(안)
작성결과
표기 방식으로 수정.
분석
• 5 포장의 표시 및 6. 주기의 내용 대부분 동일
• 포장제원표의 내용 확인 안됨

나. 밸브, 역지용(VALVE, CHECK) : 4820 - 00 - 268 - 8799 등 3(부록 # 5 참조)


(1) 규격번호 및 제/개정일자
<표 3-20> 규격번호 및 제/개정일자

구 분 세부 내용
기존규격 규격번호 : KDC 4820-R4003
(상세형) 제정일자 : 2006. 11. 29
규격번호 : KDC - PRF- 4820-R4003
성능형 규격
제정일자 : 2006. 11. 29.
(전환결과)
개정일자 : 2014. 00. 00
•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부록 C 규격서 세부 작성법 항목을 준수 수정
작성결과 • 부록 D 성능형 규격 작성 지침 개정(안) 적용 규격번호에 성능형 규격 부호 삽입 :
분석 KDC - PRF- 4820-R4003
• 개정일자 삽입 : 개정일자 : 2014. 00. 00

- 72 -
(2) 적용범위 및 분류
<표 3-21> 적용범위 및 분류

구분 세부 내용
1. 적용범위
기존규격
본 규격서는 일반 함정수리자재로 사용되는 청동 0.98Mpa(10kgf/㎠) 나사식 리프트
(상세형)
체크밸브(이하 “밸브”이라 한다)에 대하여 규정한다.
1. 적용범위 및 분류
성능형 규격
본 규격서는 일반 함정수리자재로 사용되는 청동 0.98Mpa(10kgf/㎠) 나사식 리프트
(전환결과)
체크밸브(이하 “밸브”라 한다)에 대하여 규정한다.
작성결과 •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부록 C 규격서 세부 작성법 항목을 준수 수정
분석 • 내용 동일

(3) 적용자료 및 문서
<표 3-22> 적용자료 및 문서

구 분 세부 내용

2. 적용자료 및 문서
2.1 일반사항
이장에서는 본 규격서의 3장 및 4장에서 인용된 문서들이 명시되어 있으며, 사례나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추천된 문서나 본 규격서의 다음 장에서 인용된 문서
는 명시하지 않았다. 규격의 사용자는 여기에 명시한 것과는 무관하게 본 규격서의 3방
및 4장에서 인용된 모든 규정된 모든 필요조건 문서들에 일치하여야 한다는 점에 유의
하여야 한다. 아래문서 및 도면은 규정된 범위 내에서 본 규격서와 함께 적용되며, 입찰
공고일 현재 유효한 최신판을 적용한다.
2.2 적용자료
2.2.1 규격서, 표준 및 핸드북
아래의 규격서, 표준서 및 핸드북은 본 규격의 일부로 간주한다. 달리 규정하지
않으면 이러한 문서들은 국방규격목록이나 부록, 보충자료에 수록된 것들이며, 소요 및
조달 제기시 인용된다.
한국 산업 규격
기존규격
KS B 2818 일반산업용 체크밸브(폐지)
(상세형)
KS D 6024 구리 및 구리합금 주물
기타 규격
MIL-V-18436C : VELVES, CHECK : BRONZE, CAST IRON, AND STEEL BODY NATIONAL
RUREAU OF STANDARD(NBS) HAND BOOK ; H-28 SCREW THREAD STANDARD FOR FEDERAL
SERVICES.
기타 발간물
방위사업청 훈령 제13호(2006.5.1.) 방위력개선사업관리규정
방위사업법 지침 제2006-38호 민 ․ 군규격 통일화 업무지침
방위사업법 지침 제2006-36호 국방규격작성 표준지침
NBS HAND BOOK H-28 SCREW-THREAD STANDARDS FOR FEDERAL SERVICES
2.3 우선순위
본 규격서의 내용과 이 문서에서 인용한 참고문서 사이에 일관성이 없거나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본 규격서의 내용이 우선한다. 그러나, 특별한 면제가 부여되지 않는 한,
본 규격서의 어떤 항목도 관련 법률이나 규정에 우선할 수 없다.

2. 적용자료 및 문서
성능형 규격 2.1 일반사항
(전환결과) 아래문서 및 도면은 규정된 범위 내에서 본 규격서와 함께 적용되며,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경우 유효한 최신판을 적용한다.

- 73 -
구 분 세부 내용
2.2 정부문서
2.2.1 규격, 표준 및 핸드북
규 격서
국방규격서
KDS 8455-0002 국방부 표지
KDC 0001-P4001 포장, 군 운용 장비 유지부품
미국방규격서
MIL-V-18436C VALVES, CHECK : BRONZE, CAST IRON, AND STEEL BODY
NATIONAL BUREAU OF STANDARD(NBS) HAND BOOK; H-28 SCREW THREAD STANDARD FOR
FEDERAL SERVICES
표 준서
한국산업표준
KS T 1002 수송 포장 계열 치수
KS T 1006 골판지 상자 형식
KS T 1034 외부 포장용 골판지
KS T 1093 포장용 폴리에틸렌 필름
KS B 2818 일반산업용 체크밸브(폐지)
미군사표준
MIL-STD-129 Marking for Shipment and Storage
도 면
N2688779 밸브, 역지용
기타 간행물
방위사업청 훈령 제270호(2014.2.24) 방위사업관리규정
방위사업청 예규 제134호(2013.5.22) 민군규격 통일화 업무지침
방위사업청 예규 제131호(2013.4.29)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NBS HAND BOOK H-28 SCREW-THREAD STANDARDS FOR FEDERAL SERVICES
2.3 우선순위
본 규격서의 내용과 이 문서에서 인용한 참고문서 사이에 일관성이 없거나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본 규격서의 내용이 우선한다. 그러나 특별한 면제가 부여되지 않는 한,
본 규격서의 어떤 항목도 관련 법률이나 규정에 우선할 수 없다.
•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부록 C 규격서 세부 작성법 항목을 준수 수정
• 2.1 일반사항 본문내용 일부 불필요 내용 삭제, 양식 통일 등 부록 D 성능형 규격 작성
지침 개정(안) 적용
작성결과 • 2.2 적용자료를 정부자료로 수정 및 설명내용 일부 불필요 내용 삭제, 양식 통일
분석 • 2.2.1 규격, 표준 및 핸드북에서 국방규격서, 한국산업표준, 미국군사표준, 도면 등 본
문 내용 및 도면에 명시된 규격 추가 삽입
• 기타 발간물을 기타 간행물로 수정하며 세부 명칭 및 호수와 일자 수정
• 2.3 우선순위 내용 일부 불필요 내용 삭제, 양식 통일 수정

(4) 필요조건
<표 3-23> 필요조건

구 분 세부 내용
3. 필요조건
3.1 재료
도면에 따른다.
기존규격 3.2 형태 및 치수
(상세형) 밸브의 형태 및 치수는 표.1에 따른다.
표.1 도면
도면번호 도명 발행일자
N2688779 밸브 역지용 1984.3

- 74 -
구 분 세부 내용

3.3 제조 및 가공
3.3.1 연결측 나사
밸브의 연결측 양쪽나사는 NBS HAND BOOK H-28의 NPT/F에 따라 가공한다.
3.3.2 밸브 몸통
밸브 몸통 두께는 도면의 a 이상이어야 한다.
3.3.3 나사축선
양끝 나사축선의 어긋남은 양끝면의 나사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끝면에
서 300mm 떨어진 위치에서 4mm를 초과하여서는 안 된다.
3.4 성능 및 외관
3.4.1 부착
완제품은 적용장비에 부착하였을 때 일치하여야 하고 성능발휘상 결함이 없어야
한다.
3.4.2 겉 표면
주조품은 표면이 매끈하여야 하고 블로우 홀, 갈라짐, 구명 등의 해로운 결함이 없
어야 한다.
3.4.3 기타 사항
밸브는 본 규격에 규제된 모든 필요조건에 일치하여야 한다. 규제되지 않은 일반적
사항은 KS B 2828에 따른다.

3. 필요조건
3.1 설계(또는 구성)
밸브의 형태 및 치수는 도면(N2688779)에 일치하여야 하며, 본 규격서에 규제되지 않
은 일반적인 사항은 KS B 2818에 따른다.
3.2 재료
밸브에 사용되는 재료는 다음과 같다.
(표 생략, 부록#5 참조)
3.3 성능 특성
완제품은 적용장비에 부착하였을 때 일치하여야 하고 성능발휘상 결함이 없어야 한
성능형 규격 다.
(전환결과) 3.3.1 연결측 나사
밸브의 연결측 양쪽 나사는 NBS HAND BOOK H-28의 NPT/F에 따라 가공한다.
3.3.2 밸브 몸통
밸브 몸통 두께는 도면의 a 이상이어야 한다.
3.3.3 나사축선
양끝 나사축선의 어긋남은 양끝면의 나사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끝면에서
300mm 떨어진 위치에서 4mm를 초과하여서는 안 된다.
3.4 일솜씨
주조품의 표면이 매끈하여야 하고, 블로우 홀, 갈라짐, 구멍 등의 해로운 결함이 없어
야 한다.

•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부록 C 규격서 세부 작성법 항목을 준수 수정


• 부록 D 성능형 규격 작성 지침 개정(안)에 준하여 항목내용 수정
작성결과
• 3.1 설계에서 상세형의 재료 사항과 형태 및 치수, 기타 사항 내용을 활용
분석
• 3.3 성능 특성은 상세형의 성능 및 외관 사항중 필요한 내용 활용
• 3.4 일솜씨는 상세형의 겉 표면 내용 활용

- 75 -
(5) 검사 및 시험, 품질보증
<표 3-24> 검사 및 시험, 품질보증

구 분 세부 내용

4. 품질보증 규정
4.1 검사책임
계약서에 달리 규정하지 않는한 계약자는 본 규격서에 규정된 모든 검사를 수행할
책임이 있다. 달리 규정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정부가 인정하는 계약자 자체 시험
설비나 일반시험소를 이용할 수 있다. 정부는 제품 및 용역이 본 규격서에 일치하는지
보증하기 위하여 검사가 필요하면 본 규격서의 어떠한 검사도 실시할 권리를 갖는다.
4.2 검사 및 절차
본 규격서의 검사는 제품의 일반검사(Examination : 특수한 시험장비나 절차 없이 육안
기존규격
검사나 청각조사와 같은 것)와 기술시험(Testing : 이화학 특성을 기술적 수단에 의하여
(상세형)
결정하는 것) 양쪽 모두로 규정하며 3항 필요조건에 일치하는지 결정하기 위하여 검사
및 시험을 수행하여야 한다.
4.3 기록서
본 규격서에 의한 제품의 품질보증을 위하여 수행된 검사 및 시험기록서는 정부의 요
청시 계약을 수행하는 동안 또는 납품 후 사무관리규정에 규정한 기간 동안 어느 때라도
유용하도록 계약자에 의하여 유지되어야 한다.
4.4 계약자 증명
계약자는 제품이 본 규격서의 모든 필요조건에 일치하는지 증명하여야 한다.

4. 검사와 시험 및 품질보증
4.1 일반사항
4.1.1 검사의 책임
별도로 규정하지 않으면 납품자는 이 규격서에 규정된 모든 검사를 수행할 책임이 있
으며 정부 또는 대행기관이 인정하는 자체 설비 또는 공인된 일반시험소를 이용할 수
있다. 정부 또는 대행기관은 납품물자 및 용역이 규정된 필요조건과 일치하는지 확인하
기 위하여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이 규격서에 규정된 어떠한 시험도 실시할 권리
를 갖는다. 납품자는 정부 또는 대행기관의 승인 아래 이 규격서에 규정된 검사 또는 이
와 동등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4.2 검사방법 및 절차
성능형 규격
4.2.1 검사방법
(전환결과)
본 규격서의 검사는 제품의 일반검사(Examination : 특수한 시험장비나 절차 없이 육안
검사나 청각조사와 같은 것)와 기술시험(Testing : 이화학 특성을 기술적 수단에 의하여
결정하는 것) 양쪽 모두로 규정하며 3항 필요조건에 일치하는지 결정하기 위하여 검사
및 시험을 수행하여야 한다.
4.2.2 기록서
본 규격서에 의한 제품의 품질보증을 위하여 수행된 검사 및 시험기록서는 정부의 요
청시 계약을 수행하는 동안 또는 납품 후 사무관리규정에 규정한 기간 동안 어느 때라도
유용하도록 계약자에 의하여 유지되어야 한다.
4.2.3 계약자 증명
계약자는 제품이 본 규격서의 모든 필요조건에 일치하는지 증명하여야 한다.

•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부록 C 규격서 세부 작성법 항목을 준수 수정


• 부록 D 성능형 규격 작성 지침 개정(안)에 준하여 항목내용 수정
작성결과 • 정부를 정부 및 대행기관으로 표시
분석 • 일반시험소를 공인된 일반시험소로 표시
• 정부 또는 대행기관의 승인하 규정된 검사 및 동등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표시
• 검사 방법, 기록서 및 계약자 증명 부분은 동일하게 적용

- 76 -
(6) 포장 및 주기 등
<표 3-25> 포장 및 주기

구 분 세부 내용

5. 포장 및 표시
5.1 포장등급
밸브의 포장등급은 포장규격서 KDC 0001-P4001에 따라 B급으로 한다.
5.2 포장
5.2.1 단위 포장
1) 재료 : 폴리에틸렌 필름(KS M 3509)
2) 수량 : 1개
3) 방법 : 필름 봉투에 넣고 열 봉합한다.
5.2.2 내부포장
1) 재료 : 양면 골판지 2종 이상(KS T 1502), 코드번호 0204형 상자(KS A 1003)
2) 수량 : 1개
3) 방법 : 단위포장 1개를 상자에 넣어 폭 25mm 이상의 점착테이프로 붙인다.
5.2.3 외부포장
1) 재료 : 이중 양면 골판지 2종 이상(KS T 1502), 코드번호 0204형 상자(KS A 1003)
2) 수량 : 10상자(10개)
3) 방법 : 내부포장 10상자(10개)를 상자에 넣어 폭 50mm 이상의 점착테이프로
붙인다.
5.2.4 상자 크기
상자의 크기는 수송포장 계열치수(KS A 1002)에 준하며 내용물에 따라 가감조절 할
수 있다.
5.2.5 기타
포장재료는 포장의 기능 및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환경보존상 우수한 경우에는
검사관과 협의하여 대체 사용할 수 있다.
5.3 표 시
기존규격 5.3.1 단위포장은 국방부 표지(KDS 8455-002) 재고번호, 계약번호, 품명, 적용장비, 단
(상세형) 위, 수량, 제조년월일, 제조회사명을 선명히 표시한다.
5.3.2 내부포장 상자에는 국방부 표지(KDS 8455-002) 재고번호, 계약번호, 품명, 적용장
비, 단위, 수량, 제조년월일, 제조회사명을 선명히 표시한다.
5.3.3. 외부포장
외부포장 상자에는 국방부 표지(KDS 8455-002) 재고번호, 계약번호, 품명, 적용장비,
단위, 수량, 중량, 부피, 로트번호, 제조년월일, 제조회사명을 선명히 표시한다.
5.4 기 타
포장 및 표시는 운반 및 취급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6. 주기
6.1 발주제원
조달문서 및 구매 발주서에는 본 규격서의 제목, 규격번호 및 제정 일자를 명시하여야
한다.
6.2 재고번호
재고번호는 표. 2와 같다
순 번 재고번호 호 칭
1 4820002688779 1
2 4820002688798 1½
3 4820002688799 2
6.2 아래의 국방규격은 본 규격서의 제정과 동시에 폐지된다.
규격번호 규격서명 제정일자
KDS 4820-1063 밸브, 역지용 1984.2.27

- 77 -
구 분 세부 내용

5. 포장 및 표시
5.1 포 장
밸브의 포장등급은 포장규격서 KDC 0001-P4001에 따라 B급으로 한다. 포장 재료는
포장의 기능 및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환경보존상 우수한 경우에는 검사관과
협의하여 대체 사용할 수 있다.
5.1.1 단위 포장
가. 재료 : 폴리에틸렌 필름(KS T 1093)
나. 수량 : 1개
다. 방법 : 필름 봉투에 넣고 열 봉합한다.
5.1.2 내부포장
가. 재료 : 양면 골판지 2종 이상(KS T 1034), 코드번호 0204형 상자(KS T 1006)
나. 수량 : 1개
다. 방법 : 단위포장 1개를 상자에 넣어 폭 25mm 이상의 점착테이프로 붙인다.
5.1.3 외부포장
가. 재료 : 이중 양면 골판지 2종 이상(KS T 1034), 코드번호 0204형 상자(KS T 1006)
나. 수량 : 10상자(10개)
다. 방법 : 내부포장 10상자(10개)를 상자에 넣어 폭 50mm 이상의 점착테이프로
붙인다.
5.1.4 상자 크기
상자의 크기는 수송포장 계열치수(KS A 1002)에 준하며 내용물에 따라 가감조절 할
수 있다.
5.2 표 시
5.2.1 단위포장
단위포장은 국방부 표지(KDS 8455-002) 재고번호, 계약번호, 품명, 적용장비, 단위,
성능형 규격 수량, 제조년월일, 제조회사명을 선명히 표시한다.
(전환결과) 5.2.2 내부포장
내부포장 상자에는 국방부 표지(KDS 8455-002) 재고번호, 계약번호, 품명, 적용장비,
단위, 수량, 제조년월일, 제조회사명을 선명히 표시한다.
5.2.3. 외부포장
외부포장 상자에는 국방부 표지(KDS 8455-002) 재고번호, 계약번호, 품명, 적용장비,
단위, 수량, 중량, 부피, 로트번호, 제조년월일, 제조회사명을 선명히 표시한다.
5.3 기 타
포장 및 표시는 운반 및 취급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6. 주기
6.1 용도
본 규격서는 밸브, 역지용에 대하여 적용한다.
6.2 조달 요구조건
가. 조달문서 및 구매 발주서에는 본 규격서의 제목, 규격번호 및 제정 일자를
명시하여야 한다.
나. 재고번호
순 번 재고번호 호 칭
1 4820002688779 1
2 4820002688798 1½
3 4820002688799 2
다. 아래의 국방규격은 본 규격서의 제정과 동시에 폐지된다.
규격번호 규격서명 제정일자
KDS 4820-1063 밸브, 역지용 1984.2.27

•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부록 C 규격서 세부 작성법 항목을 준수 수정


작성결과 • 부록 D 성능형 규격 작성 지침 개정(안)에 준하여 항목내용 수정
분석 • 5.1포장에서 상세형의 기타사항을 포함하여 기술
• 단위 및 내부포장과 외부포장의 KS 규격 적용 항목 수정 보완(www.standard.go.kr 확인)

- 78 -
다. 스위치 조립체, 자멸용 KMK1 MOD1 : 1355 - 00 - 433 - 2863( 부록 # 6 참조)
(1) 규격번호 및 제/개정일자
<표 3-26> 규격번호 및 제/개정일자

구 분 세부 내용
기존규격 규격번호 : KDC 1355-1010
(상세형) 제정일자 : 1989. 05. 09
규격번호 : KDC - PRF- 1355-1010
성능형 규격
제정일자 : 1989. 05. 09
(전환결과)
개정일자 : 2014. 00. 00
•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부록 C 규격서 세부 작성법 항목을 준수 수정
작성결과 • 부록 D 성능형 규격 작성 지침 개정(안) 적용 규격번호에 성능형 규격 부호 삽입 : KDC
분석 - PRF- 1355-1010
• 개정일자 삽입 : 개정일자 : 2014. 00. 00

(2) 적용범위 및 분류
<표 3-27> 적용범위 및 분류

구 분 세부 내용
1. 적용범위
기존규격 1.1 이 규격서는 수동으로 작동하는 일점 전기스위치로 평상시에는 회로가 열려져 있
(상세형) 는 스위치조립체, 자멸용 KMK1 MOD1의 조달 요구사항을 규정한다. 이 스위치는 비상시
기폭기의 발화회로를 차단하는데 사용한다.
1. 적용범위 및 분류
성능형 규격 본 규격서는 수동으로 작동하는 일점 전기스위치로 평상시에는 회로가 열려져 있는
(전환결과) 스위치조립체, 자멸용 KMK1 MOD1의 조달 요구사항을 규정한다. 이 스위치는 비상시 기
폭기의 발화회로를 차단하는데 사용한다.
작성결과 •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부록 C 규격서 세부 작성법 항목을 준수 수정
분석 • 부록 D 성능형 규격 작성 지침 개정(안) 작성 양식에 맞추어 제목 수정

적용자료 및 문서
(3)
<표 3-28> 적용자료 및 문서

구 분 세부 내용
2. 적용문서
2.1 다음의 적용문서는 입찰공고일 현재 유효한 최신판이어야 한다.
규 격서
MIL-P-116 Preservation, Method of
MIL-E-17555 Electronic and Electrical Equipment and Associated
Repair Parts : Preparation for delivery of
기존규격 MIL-T-18404 Torpedoes, Environmental Requirements, General
(상세형) Specifications for
표 준서
MIL-STD-129 Marking for Shipment and Storage
도 면
93004615 스위치조립체, 자멸용 KMK1 MOD1
자료목록
93004615 스위치조립체, 자멸용 KMK1 MOD1

- 79 -
구 분 세부 내용
2. 적용자료 및 문서
2.1 일반사항
아래문서 및 도면은 규정된 범위 내에서 본 규격서와 함께 적용되며,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경우 유효한 최신판을 적용한다.
2.2 정부문서
2.2.1 규격, 표준 및 핸드북
규 격서
미군사규격서
MIL-P-116 Preservation, Method of
MIL-E-17555 Electronic and Electrical Equipment and Associated
Repair Parts : Preparation for delivery of
MIL-T-18404 Torpedoes, Environmental Requirements, General
성능형 규격 Specifications for
(전환결과) MIL-S-19816 SWITCH, STERILIZING, MARK 1 MODS AND 1
표 준서
미군사표준서
MIL-STD-129 Marking for Shipment and Storage
도 면
93004615 스위치조립체, 자멸용 KMK1 MOD1
기타 간행물
자료목록
93004615 스위치조립체, 자멸용 KMK1 MOD1
2.3 우선순위
본 규격서의 내용과 이 문서에서 인용한 참고문서 사이에 일관성이 없거나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본 규격서의 내용이 우선한다. 그러나 특별한 면제가 부여되지 않는한,
본 규격서의 어떤 항목도 관련 법률이나 규정에 우선할 수 없다.
•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부록 C 규격서 세부 작성법 항목을 준수 수정
작성결과
• 부록 D 성능형 규격 작성 지침 개정(안) 작성 양식에 맞추어 제목 및 항목 수정
분석
• 전환규격서의 2.3은 상세형 규격서의 3.2.6의 내용임

(4) 필요조건
<표 3-29> 필요조건

구 분 세부 내용
3. 필요조건
3.1 개요
스위치조립체, 자멸용 KMK1 MOD1은 드라이버, 스프링 하중을 받고 있는 콘택트 및
고정콘택트 등의 부품이 들어가는 스테인레스강으로 된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스위치의
드라이버는 플라스틱에 의해 덮혀 있으며, 나사드라이버에 의해 쉽게 파열된다. 스위치
는 처음 열려있는 생태로 고정되어 있다가, 작동하면 닫혀지게 된다. 시험시에는 닫혀진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하기 위하여 4.4.6.2의 적당한 공구가 사용된다.
3.2 일반 요구 조건
3.2.1 최초 생산품 샘플
기존규격
계약서에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스위치의 최초 생산품 샘플은 양산품과 같은 방식과
(상세형)
순서에 따라 제작되어야 한다.
이 최초생산품 샘플은 양산에 들어가기전 납품자가 계약상의 기술적 요구조건을 만족
하는 스위치를 생산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4장에 명시한대로 시험하여야 한다.
3.2.2 재 질
계약서에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최종 결합체인 스위치에 들어가는 부품의 모든 재질
및 구매품은 적용규격서와 도면에 나타난 요구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3.2.3 끝손질, 피막, 조립 및 치수
스위치의 끝손질, 피막, 조립 및 치수는 적용도면, 규격서 및 관련책자의 요구조건과
일치하여야 한다.

- 80 -
구 분 세부 내용
3.2.4 습기, 균 및 내식
스위치는 습기, 균과 부식에 견뎌야 한다.
3.2.5 표기
부품, 부분결합체 및 결합체의 표기는 적용도면과 일치하여야 한다.
3.2.6 요구사항의 상충
본 규격서와 관련 문서간에 내용이 서로 다를 때에는 본 규격서의 내용을 우선 적용한
다.
3.3 정의
본 규격서에 관련된 환경조건은 MIL-T-18404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3.4 성능 요구조건
스위치는 다음의 요구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3.4.1 접점결합체
접점결합체는 접점핀의 축을 따라 4.5kg의 힘을 작용했을 때 푸린다거나 플라스틱에
균열이 생겨서는 안된다.
3.4.2 접점결합체 보증
접점 결합체를 정해진 위치에 스테이킹한 후 접점 결합체의 성형 플라스틱의 구멍에
5.8kg-Ccm의 토오크를 작용했을 때 잘 견뎌야 한다.
3.4.3 작동 토오크
드라이버는 토오크 360gr-cm를 작용할 때까지는 열린 위치에서 닫힌 위치로 돌아가
서는 안되며, 360gr-cm이상에서는 닫힌 위치로 돌아가야 한다. 스위치가 닫힌 위치로 돌
아가는데 필요한 토오크보다 144gr-cm이상 닫힌 위치의 드라이버에 작용했을 때 드라
이버는 스위치의 열린위치로 돌아가서는 안된다.
3.4.4 접촉저항
스위치가 닫혀진 상태에서 접점핀과 하우징 간의 저항은 0.1Ω이하이어야 한다.
3.4.5 절연저항
스위치가 열려진 상태에서 고정콘택트와 하우징간의 절연저항은 직류 500V가 걸릴 때
10MΩ이상이어야 한다.
기존규격
3.4.6 작동수명
(상세형)
스위치는 4.4.6.1에 정의한 작동수명이 100회 이상이어야 한다.
3.5 환경 요구조건
스위치를 4장의 규정대로 아래의 조건에서 시험했을 경우 본 규격서의 요구조건을 만
족하여야 한다.
3.5.1 진동
3.5.1.1 스위치는 4.4.1.1에 규정된 진동시험을 거쳐야 한다.
3.5.1.2 스위치는 4.4.1.2에 규정된 진동시험을 거쳐야 한다.
시험후 스위치는 손상이 없어야 하며, 본 규격서의 모든 성능 요구조건을 만족 하여야
한다.
3.5.2 충격
스위치는 4.4.2에 규정된 충격으로 시험한다. 시험후 스위치는 손상이 없어야 하고, 모
든 성능 요구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3.5.3 가속도
스위치는 4.4.3에 규정된 가속도 시험을 거쳐야 한다. 시험후 스위치는 손상이 없어야
하고, 본 규격서의 모든 성능 요구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3.5.4 온도
스위치는 4.4.4에 규정된 온도시험을 거쳐야 한다. 시험후 스위치는 부식 및 손상이 없
어야 하고, 본 규격서의 모든 성능 요구조건을 만족 하여야 한다.
3.5.5 압력
3.5.5.1 스위치는 4.4.5.1에 명시한 압력으로 시험한다. 시험후 스위치는 손상이 없어야 하
고, 본 규격서의 모든 성능 요구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3.5.5.2 스위치는 4.4.5.2에 규정한 압력으로 시험한다. 시험후 스위치는 손상이 없어야 하
고 본 규격서의 모든 성능 요구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3.5.5.3 스위치는 4.4.5.3에 규정된 압력으로 시험한다. 시험후 스위치는 손상이 없어야 하
고, 본 규격서의 모든 성능요구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3.6 청결
결합체 조립전후 모든 부품은 칩과 모든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다.

- 81 -
구 분 세부 내용
3.7 일솜씨
모든 부품과 부속품이 포함된 스위치는 본 규격서의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있도록 끝
기존규격 손질하고, 조립하여야 한다. 특히 납땜의 산뜻함과 완전함, 선연결, 표기, 도금 등이 결함
(상세형) 이 없어야 하고 덧살과 날카로운 모서리가 없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적용규격에 특별히
명시되어 있지 않은 일솜씨는 합격된 최초생산품 샘플에 나타난 일솜씨나 계약기관이
인정하는 일솜씨를 기준으로 한다.
3. 필요조건
3.1 설계(또는 구성)
스위치조립체, 자멸용 KMK1 MOD1의 형태와 치수는 도면(93004615)에 일치하여야 한
다.
3.2 재료
계약서에 달리 규정하지 않는한 최종 결합체인 스위치에 들어가는 부품의 모든 재질
및 구매품은 적용규격서와 도면에 나타난 요구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3.2.1 습기, 균 및 내식
스위치는 습기, 균과 부식에 견뎌야 한다.
3.3 일솜씨
스위치의 끝손질, 피막 조립 및 치수는 적용도면, 규격서 및 관련책자의 요구조건과
일치하여야 한다. 결합체 조립전․후 모든 부품은 칩과 모든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다.
또한 납땜의 산뜻함과 완전함, 선연결, 표기, 도금 등이 결함이 없어야 하고 덧살과 날카
로운 모서리가 없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적용규격에 특별히 명시되어 있지 않은 일솜씨
는 합격된 최초생산품 샘플에 나타난 일솜씨나 계약기관이 인정하는 일솜씨를 기준으로
한다.
3.4 성능 특성
3.4.1 접점결합체
접점결합체는 접점핀의 축을 따라 4.5kg의 힘을 작용했을 때 풀린다거나 플라스틱에
성능형 규격 균열이 생겨서는 안된다.
(전환결과) 3.4.2 접점결합체 보증
접점 결합체를 정해진 위치에 스테이킹한 후 접점 결합체의 성형 플라스틱의 구멍에
5.8kg-Ccm의 토오크를 작용했을 때 잘 견뎌야 한다.
3.4.3 작동 토오크
드라이버는 토오크 360gr-cm를 작용할 때까지는 열린 위치에서 닫힌 위치로 돌아가
서는 안되며, 360gr-cm 이상에서 닫힌 위치로 돌아가야 한다. 스위치가 닫힌 위치로 돌
아가는데 필요한 토오크보다 144gr-cm이상 닫힌 위치의 드라이버에 작용했을 때 드라
이버는 스위치의 열린 위치로 돌아가서는 안된다.
3.4.4 접촉저항
스위치가 닫혀진 상태에서 접점핀과 하우징 간의 저항은 0.1Ω 이하이어야 한다.
3.4.5 절연저항
스위치가 열려진 상태에서 고정콘택트와 하우징간의 절연저항은 직류 500V가 걸릴 때
10MΩ이상이어야 한다.
3.4.6 작동수명
작동수명이 100회 이상이어야 한다.
3.4.7 요소별 특성
스위치조립체, 자멸용 KMK1 MOD1은 드라이버, 스프링 하중을 받고 있는 콘택트 및
고정콘택트 등의 부품이 들어가는 스테인레스강으로 된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스위치의
드라이버는 플라스틱에 의해 덮혀 있으며, 나사드라이버에 의해 쉽게 파열된다. 스위치
는 처음 열려있는 생태로 고정되어 있다가, 작동하면 닫혀지게 된다.
•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부록 C 규격서 세부 작성법 항목을 준수 수정
• 부록 D 성능형 규격 작성 지침 개정(안) 작성 양식에 맞추어 제목, 항목, 순서 수정 및
불필요 내용 삭제
작성결과
•상세형 규격의 3.5 환경 요구조건은 4장 검사와 시험 및 품질보증에서 취급하여 일괄
분석
삭제
•상세형 규격의 3.2.3, 3.6, 3.7은 성능형 규격 3.4 일솜씨로 통합
•상세형 규격의 3.2.6은 성능형 규격 2장에 반영

- 82 -
(5) 검사 및 시험, 품질보증
<표 3-30> 검사 및 시험, 품질보증

구 분 세부 내용
4. 검사 및 시험
4.1 검사 책임
달리 규정하지 않으면 납품자는 이 규격에서 규정하는 모든 검사를 수행할 책임이 있
으며, 계약기관이 인정하는 자신의 설비 또는 일반시험소를 이용할 수 있다. 계약기관은
납품물자 및 용역이 규정된 필요조건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이 규격에 규정된 어떠한 검사도 실시할 권리를 갖는다.
4.2 검사의 분류
검사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1) 최초생산품 검사
(2) 정규생산품 검사
(a) 수락검사(그림2 참조)
(b) 환경시험(그림3 참조)
4.3 샘플링
4.3.1 최초생산품 샘플
납품자는 3.2.1에 따라 제작한 스위치의 최초생산품 샘플 3개를 계약기관에 제출하여
야 한다. 시험은 그림1과 같은 순서로 실시되며 최초생산품 샘플의 합격판정은 샘플의
무결점에 기준을 두어야 한다. 최초생산품 샘플의 판정전에 납품자가 생산한 스위치에
대한 위험부담은 납품자에게 있다.
4.3.2 환경시험용 샘플
환경시험용 샘플은 4.5에 명시된 수락검사에 합격한 단위품 중에서 매 100개의 단위품
중 3개의 환경시험용 샘플을 선택하여 그림3의 환경시험을 실시한다. 결점이 있는 샘플
이 발견되면 전수량의 수락은 보류시키고 납품자는 다음의 사항을 시행한다.
(1) 결점의 원인을 결정한다.
(2) 보유하고 있는 스위치의 결점을 없애거나 수정하고, 계약기관의 지시가 있으면 이미
납품한 스위치도 동일한 조치를 취한다.
기존규격 (3) 결점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교정방안에 대한 승인을 계약기관에서 받아야 한다.
(상세형) 4.4.1 진동시험
4.4.1.1 스위치를 가능한한 실제 조립되는 상태로 시험치구에 고정시켜 서로 수직인 셋방
향으로 시험계획 I 에 따라 진동시험 한다.
시험계획Ⅰ
최소시험시간(분)
진동수 진폭
실온
10-30 1.52±0.15mm 60
31-60 3G±0.3G 60
61-100 3G±0.3G 60
각 시험구간 사이에는 3-5분 동안 일정한 속도로 연속적으로 주파수를 변화시킨다. 대
체 방법으로 스위치는 시험 계획I의 진동수와 진폭의 범위에 걸쳐서 5Hz를 넘지 않는 진
동수 간격으로 특정한 진동수에서 각 시험축에 대하여 진동 시험한다. 총 시험시간은 시
험 계획I보다 작아서는 안되며, 특정 진동수에 대해서 시간을 균일하게 나눈다.
4.4.1.2 스위치를 가능한한 실제조립되는 상태로 시험치구에 고정시켜 서로 수직인 셋방
향으로 시험계획 II 에 따라 진동시험한다.
시험계획Ⅱ

최소시험시간(분)
진동수 진폭
실온
20-60 1G±0.1G 15
61-150 1G±0.1G 15
각 시험구간 사이에서는 3-5분 동안 일정한 속도로 연속적으로 주파수를 변화시킨다.
대체시험 방법으로 스위치는 시험계획 II 의 진동수와 진폭에 걸쳐서 5Hz를 넘지 않는
진동수 간격으로 특정한 진동수에서 각 시험축에 대하여 진동 시험한다.

- 83 -
구 분 세부 내용
총 시험시간은 시험계획 II 보다 작아서는 안되며, 특정진동수에 대해서 시간을 균일하게 나눈다.
4.4.2 충격시험
가능한한 실제 조립상태로 시험치구에 고정된 스위치는 150±15G 8ms이상인 충격파
를 받아야 한다.
충격은 서로 수직인 세축의 양방향으로 한방향당 3번씩 전부 18번의 충격을 받아야 한다.
4.4.3 가속도 시험
가능한 한 실제 조립되는 상태로 시험치구에 고정된 스위치는 15±2G의 가속도를 0.2
초 이상 견뎌야 한다. 시험은 서로 수직인 세축 방향으로 실시하며 각축에서 관성력을
양방향으로 작용시킨다.
4.4.4 온도시험
스위치를 실제 조립상태와 유사하게 O링 윗부분만 노출되도록 시험치구에 고정시켜
–40℃±3℃의 저온에서 48±5시간 55℃±3℃의 고온에서 48±5시간 각각 유지시킨다.
4.4.5 압력시험
정부 검사관의 재량에 따라 압력시험은 스위치 단독으로 실시할 수도 있고 기폭기
KMK19 MOD12에 조립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스위치 단독으로 실시할 때는 O-RING 윗부
분만 노출되도록 한다.
4.4.5.1 스위치는 절대압력 88±10mmHg(1.7±0.2psia)에서 최소 15분간 압력시험한다.
4.4.5.2 스위치는 절대압력 517±51mmHg(10±1psia)와 대기압 776±51mmHg(15± 1psia)
사이를 1분에 6회 동안 반복하여 최소 30분간 시험한다.
4.4.5.3 스위치는 41.1kg/㎠±5%(600psia±5%)의 압력을 30분 이상 받아야 한다.
4.4.6 작동수명 시험
4.4.6.1 1회의 정의
스위치의 1회 작동은 스위치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드라이버가 90°회전하여 닫혀있
는 상태로 되는 것으로 한다.
4.4.6.2 작동 수명시험
스위치를 시험치구에 고정시키고 드라이버로 플라스틱 시일을 뚫고 돌린다. 다음 작
동에 들어가기 전에 스프링 하중을 받아 눌려있는 이동 접점을 플라스틱 구멍을 통해
적합한 공구를 넣어 드라이버를 돌려 열린 위치로 함으로써 원위치 시킨다.
4.5 수락검사
스위치는 다음의 시험검사를 한다. 다음의 요구조건을 만족하지 못할 때 불합격으로
한다.
4.5.1 시험조건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스위치의 수락검사는 다음의 조건에서 실시한다.
4.5.1.1 온도
실온 18℃에서 35℃
4.5.1.2 고도
정상지면
4.5.1.3 진동
없어야 한다.
4.5.1.4 습도
실온에서 상대습도 95%이하
4.5.2 시험 및 검사기기
납품자는 시험에 필요한 모든 기기를 공급 및 유지하여 수락검사를 할 수 있도록 한
다. 시험기기는 요구 수량이 명시되지 않았을 때에는 시험수량에 적합하도록 하며, 요구
된 수락시험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정밀한 것이어야 한다.
4.5.3 시험기기
다음의 품목은 본 규격서의 수락시험에 필요한 것들이다.
4.5.3.1 4.5kg의 힘을 낼 수 있는 기기
4.5.3.2 5.8kg-cm까지 토오크를 측정할 수 있는 적합한 기기
4.5.3.3 0.1Ω단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저항 측정기
4.5.3.4 직류 500V 전원을 갖고 있으며 10MΩ단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절연저항 측정기
4.5.4 시험순서
수락시험은 다음의 순서에 따라 실시한다.
4.5.4.1 접점 결합체 시험
접점 결합체를 하우징에 조립하기 전에 4.5kg을 접점축의 양쪽으로 작용한다. 접점 결

- 84 -
구 분 세부 내용
합체는 3.4.1의 요구사항을 만족하여야 한다.
4.5.4.2 접점 결합체 보증시험
접점 결합체를 하우징에 스테이킹한 후 플라스틱 구멍을 통해 토오크 5.8kg-cm를 작
용한다. 접점 결합체는 3.4.2의 요구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4.5.4.3 작동 토오크 시험
이 시험은 플라스틱 시일을 조립하기 전의 스위치에 대해 실시한다. 스위치가 열려 있
는 상태에서 드라이버의 양쪽방향으로 360gr-cm의 토오크를 작용한다. 이때 스위치는
닫혀져서는 안되며, 토오크를 증가시켜 360gr-cm 보다 크게되면 닫혀져야 한다. 스위치
가 닫혀지는데 소요되는 것보다 144gr-cm 토오크를 더 가했을 때 스위치는 열리는 위치
로 되돌아가서는 안된다. 시험을 위해서 닫혀진 스위치를 열기 위해서 접점 결합체의 구
멍을 통해 적합한 공구를 넣어 이동 접점을 충분히 눌러 드라이버로 90°회전시킨다.
4.5.4.4 접촉 저항시험
스위치가 닫혀진 상태에서 접점핀과 하우징 간의 저항을 측정한다. 스위치는 3.4.4의
요구사항을 만족하여야 한다.
4.5.4.5 절연저항 시험
스위치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접점핀과 하우징간의 절연저항을 시험한다. 스위치는
3.4.5의 요구사항을 만족하여야 한다.

4. 검사와 시험 및 품질보증
4.1 일반사항
4.1.1 검사의 책임
별도로 규정하지 않으면 납품자는 이 규격서에서 규정하는 모든 검사를 수행할 책임
이 있으며 계약기관(정부 또는 대행기관)이 인정하는 자체 설비 또는 공인된 일반시험소
를 이용할 수 있다. 계약기관은 납품물자 및 용역이 규정된 필요조건과 일치하는지 확인
하기 위하여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이 규격서에 규정된 어떠한 시험도 실시할 권
리를 갖는다. 납품자는 계약기관의 승인 아래 이 규격서에 규정된 검사 또는 이와 동등
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4.2 검사방법 및 절차
검사는 다음과 같이 분된다.
가. 최초생산품 검사
나. 정규생산품 검사
1) 수락검사
2) 환경시험
4.2.1 최초생산품 검사
검사방법은 수락검사를 만족스럽게 통과한 최초생산품 샘플 및 환경시험 샘플은 다음
의 시험을 받아야 한다. 최초생산품 검사 및 환경시험의 결과에 관한 공인된 검사 자료
성능형 규격 들은 계약기관에 제출되어야 하며, 본 규격서의 요구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은 불합
(전환결과) 격으로 한다.
4.2.1.1 진동시험
4.2.1.1.1 스위치를 가능한한 실제 조립되는 상태로 시험치구에 고정시켜 서로 수직인
셋방향으로 시험계획Ⅰ에 따라 진동시험한다.
시험계획Ⅰ
최소시험시간(분)
진동수 진폭
실온
10-30 1.52±0.15mm 60
31-60 3G±0.3G 60
61-100 3G±0.3G 60
각 시험구간 사이에는 3-5분 동안 일정한 속도로 연속적인 주파수를 변화 시킨다. 대
체방법으로 스위치는 시험계획Ⅰ의 진동수와 진폭의 범위에 걸쳐서 5Hz를 넘지 않는 진
동수 간격으로 특정한 진동수에서 각 시험축에 대하여 진동 시험한다.
총 시험시간은 시험계획Ⅰ보다 작아서는 안되며, 특정 진동수에 대해서 시간을 균일
하게 나눈다.
4.2.1.1.2 스위치를 가능한한 실제조립되는 상태로 시험치구에 고정시켜 서로 수직인 세
방향으로 시험계획Ⅱ에 따라 진동시험 한다.

- 85 -
구 분 세부 내용
시험계획Ⅱ
최소시험시간(분)
진동수 진폭
실온
20-60 1G±0.1G 15
61-150 1G±0.1G 15
각 시험구간 사이에서는 3-5분 동안 일정한 속도로 연속적으로 주파수를 변화시킨다.
대체시험 방법으로 스위치는 시험계획Ⅱ의 진동수와 진폭에 걸쳐서 5Hz를 넘지않는 진
동수 간격으로 특정한 진동수에서 각 시험축에 대하여 진동 시험한다. 총 시험시간은 시
험계획Ⅱ보다 작아서는 안되며, 특정진동수에 대해서 시간을 균일하게 나눈다.
4.2.1.2 충격시험
가능한한 실제 조립 상태로 시험치구에 고정된 스위치는 150±15G 8ms 이상인 충격
파를 받아야 한다.
4.2.1.3 가속도 시험
가능한 한 실제 조립되는 상태로 시험치구에 고정된 스위치는 15±2G의 가속도를 0.2
초 이상 견뎌야 한다. 시험은 서로 수직인 세 축 방향으로 실시하며 각축에서 관성력을
양방향으로 작용시킨다.
4.2.1.4 온도시험
스위치를 실제 조립상태와 유사하게 O링 윗부분만 노출되도록 시험치구에 고정시켜
–40℃±3℃의 저온에서 48±5시간 55℃±3℃의 고온에서 48±5시간 각각 유지시킨다.
4.2.1.5 압력시험
정부 검사관의 재량에 따라 압력시험은 스위치 단독으로 실시할 수도 있고 기폭기
KMK19 MOD12에 조립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스위치 단독으로 실시할 때는 O-RING 윗부
분만 노출되도록 한다.
4.2.1.5.1 스위치는 절대압력 88±10mmHg(1.7±0.2pisa)에서 최소 15분간 압력시험 한다.
4.2.1.5.2 스위치는 절대압력 517±51mmHg(10±1pisa)와 대기압 776±51mmHg
(15±1pisa)사이를 1분에 6회 동안 반복하여 최소 30분간 시험한다.
4.2.1.5.3 스위치 41.1kg/㎠±5%(600pisa±5%)의 압력을 30분 이상 받아야 한다.
4.2.1.6 작동 수명시험
4.2.1.6.1 1회의 정의
스위치의 1회 작동은 스위치가 열려있는 상태에 드라이버가 90°회전하여 닫혀있는
상태로 되는 것이다.
4.2.1.6.2 작동 수명시험
스위치를 시험치구에 고정시키고 드라이버로 플라스틱 시일을 뚫고 돌린다. 다음 작
동에 들어가기 전에 스프링 하중을 받아 눌려 있는 이동접점을 플라스틱 구멍을 통해
적합한 공구를 넣어 드라이버를 돌려 열리 이치로 함으로써 원위치 시킨다.
4.2.2 수락시험
4.2.2.1 시험조건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스위치의 수락감사는 다음의 조건에서 실시한다.
4.2.2.1.1 온도
실온 18℃에서 35℃
4.2.2.1.2 고도
정상지면
4.2.2.1.3 진동
없어야 한다.
4.2.2.1.4 습도
실온에서 상대습도 95%이하
4.2.2.2 시험 및 검사기기
납품자는 시험에 필요한 모든 기기를 공급 및 유지하여 수락검사를 할 수 있도록 한
다. 시험기기는 요구 수량이 명시되지 않았을 때에는 시험수량에 적합하도록 하며, 요구
된 수락시험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정밀한 것이어야 한다.
4.2.2.3 시험기기
다음의 품목은 본 규격서의 수락시험에 필요한 것들이다.
4.2.2.3.1 4.5kg의 힘을 낼 수 있는 기기
4.2.2.3.2 5.8kg-cm까지 토오크를 측정할 수 있는 적합한 기기

- 86 -
구 분 세부 내용

4.2.2.3.3 0.1Ω 단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저항 측정기


4.2.2.3.4 직류 500V 전원을 갖고 있으며 10MΩ단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절연저항 측정기
4.2.2.4 시험순서
수락시험은 다음의 순서에 따라 실시한다.
4.2.2.4.1 접점 결합체 시험
접점 결합체를 하우징에 조립하기 전에 4.5kg을 접점축의 양쪽으로 작용한다. 접점 결
합체는 3.5.1의 요구사항을 만족하여야 한다.
4.2.2.4.2 접점 결합체 보증시험
접점 결합체를 하우징에 스테이킹한 후 플라스틱 구멍을 통해 토오크 5.8kg-cm를 작
용한다. 접점결합체는 3.5.2의 요구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4.2.2.4.3 작동 토오크 시험
이 시험은 플라스틱 시일을 조립하기 전의 스위치에 대하여 실시한다. 스위치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드라이버의 양쪽방향으로 360gr-cm의 토오크를 작용한다. 이때 스위치는
닫혀서는 않되며, 토오크를 증가시켜 360gr-cm보다 크게되면 닫혀져야 한다. 스위치가
닫혀지는데 소요되는 것보다 144gr-cm 토오크를 더 가했을 때 스위치는 열리는 위치로
되돌아가서는 안 된다. 시험을 위해서 닫혀진 스위치를 열기 위해서 접점 결합체의 구멍
을 통해 적합한 공구를 넣어 이동 접점을 충분히 눌러 드라이버로 90° 회전시킨다.
4.2.2.4.4 접촉저항 시험
스위치가 닫혀진 상태에서 접점핀과 하우징 간의 저항을 측정한다. 스위치는 3.5.4의
요구사항을 만족하여야 한다.
4.2.2.4.5 절연저항 시험
스위치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접점핀과 하우징간의 절연저항을 시험한다. 스위치는
3.5.5의 요구사항을 만족한다.

•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부록 C 규격서 세부 작성법 항목을 준수 수정


작성결과
• 부록 D 성능형 규격 작성 지침 개정(안) 작성 양식에 맞추어 제목, 항목, 순서 수정 및
분석
불필요 내용 삭제

(6) 포장 및 주기 등
<표 3-31> 포장 및 주기 등

구 분 세부 내용

5. 포장 및 표지
5.1 포장
5.1.1 달리 규정하지 않는한 스위치는 적용도면에 따라 기폭기, 어뢰용 KMK19 계열에 조
립된 상태로 납품한다. 따라서 스위치만의 속포장 및 겉포장은 필요 없다.
5.1.2 여분이나 대체품으로 납품되는 스위치는 계약기관의 지시에 따라 속포장 및 겉포
장하여야 한다. 계약기관의 지시가 없을 경우 MIL-P-116의 IC-2에 따라 속포장하고
MIL-E-17555의 국내용 용기로 겉포장한다.
5.2 표지
도면이나 계약서에 특별히 명시되지 않은 표지는 MIL-STD-129에 따른다.
기존규격 6. 주기
(상세형) 6.1 용도
스위치조립체, 자멸용 KMK1 MOD1은 기폭기, 어뢰용 KMK19 계열에 사용된다.
6.2 발주제원
조달문서에는 다음 사항을 규정하여야 한다.
(1) 본 규격서의 명칭, 번호 및 일자
(2) 본 규격서나 관련도면 및 문서의 예외규정
(3) 여분 및 대체품 스위치의 수량 및 포장기준
(4) 최초생산품 및 정규생산품 검사기관
(5) 납품장소
(6) 검사를 정부 이외의 기관에서 수행할 때 최초생산품 및 정규생산품 검사의 공인된

- 87 -
구 분 세부 내용
검사자료는 계약기관에 제출해야 한다.
이 규격은 MIL-S-19816A를 참조하여 작성한 것이다.
<이하 표 생략>
5. 포장 및 표시
5.1 포 장
5.1.1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스위치는 적용도면에 따라 기폭기, 어뢰용 KMK19 계열에
조립된 상태로 납품한다. 따라서 스위치만의 속포장 및 겉포장은 필요없다.
5.1.2 여분이나 대체품으로 납품되는 스위치는 계약기관의 지시에 따라 속포장 및 겉포
장하여야 한다. 계약기관의 지시가 없을 경우 MIL-P-116의 IC-2에 따라 속포장 하고
MIL-E-17555의 국내용 용기로 겉포장 한다.
5.2 표 시
도면이나 계약서에 특별히 명시되지 한은 표지는 MIL-STD-129에 따른다.

6. 주기
성능형 규격 6.1 용도
(전환결과) 스위치조립체, 자멸용 KMK1 MOD1은 기폭기, 어뢰용 KMK19 계열에 사용된다.
6.2 조달 요구조건
조달문서에는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
가. 본 규격서의 명칭, 번호 및 일자
나. 본 규격서나 관련도면 및 문서의 예외규정
다. 여분 및 대체품 스위치의 수량 및 포장기준
라. 최초생산품 및 정규생산품 검사기관
마. 납품장소
바. 검사를 정부 이외의 기관에서 수행할 때 최초생산품 및 정규생산품 검사의
공인된 검사자료는 계약기관에 제출해야 한다.
(표 생략, 부록#6 참조)
•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부록 C 규격서 세부 작성법 항목을 준수 수정
작성결과
• 부록 D 성능형 규격 작성 지침 개정(안) 작성 양식에 맞추어 제목, 항목, 순서 수정 및
분석
불필요 내용 삭제

라. 호스, 비금속제(HOSE,NONMETALLIC) : 4720 - 4720 - 0037(부록 # 7 참조)

(1) 규격번호 및 제/개정일자


<표 3-32> 규격번호 및 제/개정일자

구 분 세부 내용
Ⅰ 규격번호 : 4720-0037
형 제정일자 : 1975.11.04
기존규격 Ⅱ 규격번호 : 4720-0082
(상세형) 형 제정일자 : 1975.07.10
Ⅲ 규격번호 : 4720-0128
형 제정일자 : 1975.07.10
규격번호 : KDC - PRF- 4720-D0037
성능형 규격
제정일자 : 1975. 11. 04.
(전환결과)
개정일자 : 2014. 00. 00
•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부록 C 규격서 세부 작성법 항목을 준수 수정
• 부록 D 성능형 규격 작성 지침 개정(안) 적용 규격번호에 성능형 규격 부호 삽입 : KDC
작성결과 - PRF- 4720-D0037
분석 * 기존 규격서 중 가장 빠른 규격번호를 대표 번호로 선정하였으며, 가장 마지막에
제정된 일자를 기준으로 제정일자를 선정함.
• 개정일자 삽입 : 개정일자 : 2014. 00. 00

- 88 -
(2) 적용범위 및 분류
<표 3-33> 적용범위 및 분류

구 분 세부 내용
1. 적용범위
Ⅰ형 본 규격은 1/4톤(M151) 차량엔진 부품에 사용하는 호오스(HOSE)(이하 호오스라
한다)에 대하여 규정한다.
1. 적용범위
기존규격
Ⅱ형 본 규격은 2 1/2톤(M602, M49C)차량 유조탱크에 사용하는 호오스(HOSE ASSY)
(상세형)
(이하 호오스라 한다)에 대하여 규정한다.
1. 적용범위
Ⅲ형 본 규격은 5톤(M54) 차량에 사용하는 호오스조립체(HOSE ASSY)(이하 호스조립
체라 한다)에 대하여 규정한다.
1. 적용범위 및 분류
1.1 적용범위
본 규격서는 차량에 사용되는 호오스(HOSE)(이하 호오스라 한다)에 대하여 규정한다.
성능형 규격 1.2 분류
(전환결과) 차량에 사용되는 호오스는 아래와 같이 분류한다.
형 분 류 비 고
Ⅰ형 1/4톤(M151) 차량용 차량엔진 부품
Ⅱ형 2 1/2톤(M602, M49C) 차량용 차량 유조탱크 부품
Ⅲ 형 5톤(M54) 차량용 차량부품
작성결과 •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부록 C 규격서 세부 작성법 항목을 준수 수정
분석 • 내용 동일

(3) 적용자료 및 문서
<표 3-34> 적용자료 및 문서

구 분 세부 내용
2. 적용문서 및 도면
아래문서 및 도면은 규정된 범위내에서 본 규격서와 함께 적용되며 계약당시에
유효한 최신판을 적용한다.
2.1 관련 문서
KS-A-3101 : 샘플링 검사통칙
KS-A-3109 : 계수조정형 샘플링 검사
Ⅰ형 KS-A-3151 : 램덤 샘플링 방법
MIL-R-3065 : 고무제품
2.2 도면
순번 발행부처 도면번호 발행일자 비고
1 홍능기계공업회사 8754586 75.9.30 호오스
기존규격 2 〃 8754585 〃 호오스
(상세형)
2. 적용문서 및 도면
아래 문서 및 도면은 규정된 범위내에서 본 규격서와 함께 적용되며 계약 당시
에 유효한 최신판을 적용한다.
2.1 관련문서
KS-A-3101 : 샘플링 검사통칙
Ⅱ형 KS-A-3109 : 계수조정형 샘플링검사
KS-A-3151 : 랜덤 샘플링 방법
MIL-H-370 : 접지못한 액체연료용 고무호스 및 호스조립체
2.2 도면
순번 발행부처 도면번호 발행일자 비고
1 홍능기계공업회사 8327852 75.5.31 호오스조립체

- 89 -
구 분 세부 내용
2. 적용문서 및 도면
아래 문서 및 도면은 규정된 범위내에서 본 규격서와 함께 적용되며 계약당시
에 유효한 최신판을 적용한다.
2.1 관련문서
KS-A-3101 : 샘플링 검사통칙
Ⅲ형 KS-A-3109 : 계수조정형 샘플링검사
KS-A-3151 : 랜덤 샘플링 방법
MIL-H-3992 : 고무호스와 고무호스 뭉치
2.2 도면
순번 발행부처 도면번호 발행일자 비고
1 홍능기계공업회사 8327000K 75.6.2 호스조립체
2. 적용자료 및 문서
2.1 일반사항
아래문서 및 도면은 규정된 범위 내에서 본 규격서와 함께 적용되며,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경우 유효한 최신판을 적용한다.
2.2 정부문서
규 격서
미국방규격서
MIL R 3065 고무제품
MIL H 370 접지 못한 액체연료용 고무호스 및 호스조립체
MIL H 3992 고무호스와 고무호스 뭉치
표 준서
성능형 규격
한국산업표준
(전환결과)
KS A 3101 샘플링 검사통칙
KS A 3109 계수조정형 샘플링 검사
KS A 3151 랜덤 샘플링 방법
도 면
8754586 호오스
8754585 호오스
8327852 호오스조립체
8327000K 호오스조립체
2.3 우선순위
상기 문서 및 도면은 규정된 범위 내에서 본 규격서와 함께 적용되며 계약 당시에 유
효한 최신판을 적용한다.
작성결과 •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부록 C 규격서 세부 작성법 항목을 준수 수정
분석 • 2. 적용자료 및 문서 내용 동일하며, 상세형 규격서 3개 내용을 통합

(4) 필요조건
<표 3-35> 필요조건

구분 세부 내용
3. 필요조건
3.1 재료
부품명 재료명 적용규격 비고
호오스 고무제품 MIL-H-3065 SC515A1B1C1F2
기존규격
Ⅰ형
(상세형) 3.2 제조 및 가공
3.2.1 호오스의 모양 및 치수는 2.2항 도면에 따른다.
3.2.2 호오스는 도면 8754585K를 참조하여 관련부품에 적용해야 한다.
3.2.3 호오스는 제작시 사용상 지장이 없는 부분에 부품번호를 표시해야 한다.
3.2.4 호오스는 본 규격에 규제된 모든 필요조건에 일치하여야 한다.

- 90 -
구분 세부 내용
3. 필요조건
3.1 재료
부품명 재료명 적용규격 비고
호오스 B종, C형 MIL-H-370C 호스조립체
Ⅱ형 3.2 제조 및 가공
3.2.1 호오스조립체의 모양 및 치수는 2.2항 도면에 따른다.
3.2.2 도면에 지시되어 있지 않은 사항은 MIL-H-370C B종 C형에 따른다.
3.2.3 호오스조립체는 구부리거나 접어서는 안된다.
3.2.4 호오스는 본 규격에 규제된 모든 필요조건에 일치하여야 한다.
3. 필요조건
3.1 재료
부품명 재료명 적용규격
Ⅲ형 호스조립체 고무호스 및 고무호스조립체 MIL-H-3992 1형, 1종
3.2 제조 및 가공
3.2.1 호스조립체의 모양 및 치수는 2.2항 도면에 따른다.
3.2.2 호스조립체는 본 규격에 규제된 모든 필요조건에 일치하여야 한다.

3. 필요조건
3.1설계(또는 구성)
호오스의 형태와 치수는 각 도면에 일치하여야 한다.
형 적용도면 번호
Ⅰ형 8754586 , 8754585
Ⅱ형 8327852
Ⅲ형 8327000K
성능형 규격
3.2 재료
(전환결과)
호오스의 재료는 각 규격을 따른다.
형 재료명 적용 규격
Ⅰ형 고무제품 MIL R 3065
Ⅱ형 B종, C형 MIL H 370
Ⅲ형 고무호스 및 고무조립체 MIL H 3992 1형, 1종
3.3 운용 특성
Ⅱ형 호오스는 구부리거나 접어서는 안된다.
•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부록 C 규격서 세부 작성법 항목을 준수 수정
작성결과
분석
• 상세형 규격은 3.1 재료, 3.2제조 및 가공에 대한 내용을 3.1 성계, 3.2 재료, 3.3 운용
특성으로 작성하며, 상세형 규격서 3개 내용을 통합 작성

(5) 검사 및 시험, 품질보증


<표 3-36> 검사 및 시험, 품질보증

구 분 세부 내용
4. 검사 및 시험
4.1 로트 구성
로트는 KS-A-3101, 6항에 따라 구성하며 검사로트의 크기는 검사기관에
서 결정한다.
기존규격
Ⅰ형 4.2 시료의 크기 및 채취방법
(상세형)
4.2.1 관능 및 치수검사용 시료는 KS-A-3109의 일반검사수준에 의하여 정한다.
4.2.2 완제품 및 부품에 대한 이화학 및 성능시험용 시료는 KS-A-3109의 특
별검사수준에 의하여 정한다.
4.2.3 원자재의 로트별 이화학시험용 시편은 시험항목별 소요에 따라 정한다.
4.2.4 모든 시료는 KS-A-3151 랜덤 샘플링방법에 의하여 채취한다.

- 91 -
구 분 세부 내용
4.2.5 위 각항을 운영함에 있어서 샘플링 검사방식(검사수준, 롯트 및 시료의
크기, AQL)과 검사방법등은 제품의 중요성, 생산업체의 능력 및 조변량 등을 고
려하여 검사기관에서 결정한다. 단, AQL은 최초시료의 조사결과 얻어진 통제량
으로서 판정할 수 있다.

4.3 시제품검사
4.3.1 신규 생산제품 또는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품목에 대하여 생산업체는
양산이전에 시제품을 검사기관에 제시하여야 하며 검사 기관은 본 규격서에 규
제된 시험 및 검사의 실시결과에 따라 표준 제품을 설정하고 양산에 착수토록
한다.

4.4 공정 및 중간검사
4.4.1 제품의 불량품 발생방지를 위하여 생산지도기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시는 공정간 또는 중간제품에 대하여 본 규격서에 규제된 사항과 같은 검사를
실시한다.
4.4.2 공정 및 중간검사는 생산지도기관에서 실시함을 원칙으로 하며 능력부
족시는 검사기관에 의뢰할 수 있다.

4.5 관능 및 치수검사
4.5.1 관능 및 치수검사는 3.2항에 규제된 사항과 5항 포장 및 표지에 대하여
검사한다.

4.6 이화학 및 성능검사


4.6.1 재료시험
원자재시험은 3.1항 관련규격에 적용되는 시험방법에 따른다.
4.6.2 성능검사
적용장비에 부착하여 성능상 지장없이 필요조건에 일치해야 한다.
4.6.3 노화시험
MIL-R-3065의 관련규격에 적용 시험하여야하며, 필요조건에 일치해
야 한다.
4.6.4 시험은 국방부조달본부 또는 국가공인기관에서 실시함을 원칙으로 한다.

4.7 검사기관은 품질보증상 필요한 범위내에서 위 4항 검사 및 시험내용을 추


가 또는 조정할 수 있다.
4. 검사 및 시험
4.1 로트 구성
로트는 KS-A-3101, 6항에 따라 구성하며 검사로트의 크기는 검사기관에
서 결정한다.

4.2 시료의 크기 및 채취방법


4.2.1 관능 및 치수검사용 시료는 KS-A-3109의 일반검사수준에 의하여 정한다.
4.2.2 완제품 및 부품에 대한 이화학 및 성능시험용 시료는 KS-A-3109의 특
별검사수준에 의하여 정한다.
4.2.3 원자재의 로트별 이화학시험용 시편은 시험항목별 소요에 따라 정한다.
Ⅱ형 4.2.4 모든 시료는 KS-A-3151 랜덤 샘플링방법에 의하여 채취한다.
4.2.5 위 각항을 운영함에 있어서 샘플링 검사방식(검사수준, 롯트 및 시료의
크기, AQL)과 검사방법등은 제품의 중요성, 생산업체의 능력 및 조변량 등을 고
려하여 검사기관에서 결정한다. 단, AQL은 최초시료의 조사결과 얻어진 통제량
으로서 판정할 수 있다.

4.3 시제품검사
4.3.1 신규 생산제품 또는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품목에 대하여 생산업체는 양
산이전에 시제품을 검사기관에 제시하여야 하며 검사 기관은 본 규격서에 규제된
시험 및 검사의 실시결과에 따라 표준 제품을 설정하고 양산에 착수토록 한다.

- 92 -
구 분 세부 내용
4.4 공정 및 중간검사
4.4.1 제품의 불량품 발생방지를 위하여 생산지도기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시는 공정간 또는 중간제품에 대하여 본 규격서에 규제된 사항과 같은 검사를
실시한다.
4.4.2 공정 및 중간검사는 생산지도기관에서 실시함을 원칙으로 하며 능력부
족시는 검사기관에 의뢰할 수 있다.

4.5 관능 및 치수검사
4.5.1 관능 및 치수검사는 3.2항에 규제된 사항과 5항 포장 및 표지에 대하여
검사한다.

4.6 이화학 및 성능검사


4.6.1 재료시험
원자재시험은 3.1항 관련규격에 적용되는 시험방법에 따른다.
4.6.2 성능시험
MIL-H-370C, B종 C형 관련규격에 따른다.
4.6.3 시험은 국방부조달본부 또는 국가공인기관에서 실시함을 원칙으로 한다.

4.7 검사기관은 품질보증상 필요한 범위내에서 위 4항 검사 및 시험내용을 추


가 또는 조정할 수 있다.

4. 검사 및 시험
4.1 로트 구성
로트는 KS-A-3101, 6항에 따라 구성하며 검사로트의 크기는 검사기관에
서 결정한다.

4.2 시료의 크기 및 채취방법


4.2.1 관능 및 치수검사용 시료는 KS-A-3109의 일반검사수준에 의하여 정한다.
4.2.2 완제품 및 부품에 대한 이화학 및 성능시험용 시료는 KS-A-3109의 특
별검사수준에 의하여 정한다.
4.2.3 원자재의 로트별 이화학시험용 시편은 시험항목별 소요에 따라 정한다.
4.2.4 모든 시료는 KS-A-3151 랜덤 샘플링방법에 의하여 채취한다.
4.2.5 위 각항을 운영함에 있어서 샘플링 검사방식(검사수준, 롯트 및 시료의
크기, AQL)과 검사방법등은 제품의 중요성, 생산업체의 능력 및 조변량 등을 고
려하여 검사기관에서 결정한다. 단, AQL은 최초시료의 조사결과 얻어진 통제량
으로서 판정할 수 있다.

4.3 시제품검사
Ⅲ형
4.3.1 신규 생산제품 또는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품목에 대하여 생산업체는 양
산이전에 시제품을 검사기관에 제시하여야 하며 검사 기관은 본 규격서에 규제된
시험 및 검사의 실시결과에 따라 표준 제품을 설정하고 양산에 착수토록 한다.

4.4 공정 및 중간검사
4.4.1 제품의 불량품 발생방지를 위하여 생산지도기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시는 공정간 또는 중간제품에 대하여 본 규격서에 규제된 사항과 같은 검사를
실시한다.
4.4.2 공정 및 중간검사는 생산지도기관에서 실시함을 원칙으로 하며 능력부
족시는 검사기관에 의뢰할 수 있다.

4.5 관능 및 치수검사
4.5.1 관능 및 치수검사는 3.2항에 규제된 사항과 5항 포장 및 표지에 대하여
검사한다.

4.6 이화학 및 성능검사


4.6.1 재료시험

- 93 -
구 분 세부 내용
원자재시험은 3.1항 관련규격에 적용되는 시험방법에 따른다.
4.6.2 성능검사
적용장비에 부착하여 필요조건에 일치하여야 한다.
4.6.3 시험은 국방부조달본부 또는 국가공인기관에서 실시함을 원칙으로 한다.

4.7 검사기관은 품질보증상 필요한 범위내에서 위 4항 검사 및 시험내용을 추


가 또는 조정할 수 있다.
4. 검사와 시험 및 품질보증
4.1 일반사항
4.1.1 검사책임
검사기관은 방위사업청 또는 국가공인기관에서 실시함을 원칙으로 한다.

4.1.2 품질보증
검사기관은 품질보증상 필요한 범위 내에서 검사 및 시험내용을 추가 또는 조정할 수
있다.

4.2 검사방법 및 절차
4.2.1 로트의 구성
로트는 KS A 3101, 6항에 따라 구성하며 검사로트의 크기는 검사기관에서 결정한다.

4.2.2 시료의 크기 및 채취 방법
4.2.2.1 관능 및 치수검사용 시료는 KS A 3109의 일반검사수준에 의하여 정한다.
4.2.2.2 완제품 및 부품에 대한 이화학 및 성능시험용 시료는 KS A 3109의 특별검사수준
에 의하여 정한다.
4.2.2.3 원자재의 로트별 이화학시험용 시편은 시험항목별 소요에 따라 정한다.
4.2.2.4 모든 시료는 KS A 3151 랜덤 샘플링방법에 의하여 채취한다.
4.2.2.5 위 각 항을 운영함에 있어서 샘플링 검사방식(검사수준, 롯트 및 시료의 크기,
AQL)과 검사방법 등은 제품의 중요성, 생산업체의 능력 및 조변량 등을 고려하여 검사기
성능형 규격 관에서 결정한다. 단, AQL은 최초시료의 조사결과 얻어진 통계량으로서 판정할 수 있다.
(전환결과)
4.2.3 시제품 검사
신규 생산제품 또는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품목에 대하여 생산업체는 양산이전에 시제
품을 검사기관에 제시하여야 하며 검사 기관은 본 규격서에 규제된 시험 및 검사의 실시
결과에 따라 표준제품을 설정하고 양산에 착수토록 한다.

4.2.4 공정 및 중간검사
4.2.4.1 제품의 불량품 발생장비를 위하여 생산지도기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시는 공
정간 또는 중간제품에 대하여 본 규격서에 규제된 사항과 같은 검사를 실시한다.
4.2.4.2 공정 및 중간검사는 생산지도기관에서 실시함을 원칙으로 하며 능력부족시는
검사기관에 의뢰할 수 있다.

4.2.5 관능 및 치수검사
관능 및 치수검사는 3.1항에 규제된 사항과 5항 포장 및 표지에 대하여 검사한다.

4.2.6 이화학 및 성능 검사
4.2.6.1 재료시험
원자재시험은 3.2항 관련규격에 적용되는 시험방법에 따른다.
4.2.6.2 성능검사
적용장비에 부착하여 성능상 지장없이 필요조건에 일치해야 한다.
4.2.6.3 노화시험(Ⅰ형만 수행)
MIL R 3065의 관련규격에 적용 시험하여야하며, 필요조건에 일치해야 한다.
•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부록 C 규격서 세부 작성법 항목을 준수 수정
작성결과 • 4.1.1 검사책임에 대한 내용, 4.1.2 품질보증제도, 4.1.3 정부확인 사항 등 검사와 시험
분석 및 품질보증에 관한 일반사항에 대한 내용 재정리하여 작성
• 부록 D 성능형 규격 작성 지침 개정(안) 적용

- 94 -
(6) 포장 및 주기 등
<표 3-37> 포장 및 주기

구 분 세부 내용
5. 포장 및 표지
5.1 포장
5.1.1 개포장
재료 : 0.6mm 포리에치렌 필림
수량 : 1개
방법 : 비닐봉에 넣어 봉한다.
5.1.2 중간포장
재료 : 1mm단판지 B형상자(국방부규격 30-137-72)
수량 : 1상자(10개)
방법 : 상자에 넣고 밀봉한 후 점착면테이프로 붙인다.
5.1.3 외포장
재료 : 이중양면골판지 2종이상 A형 상자(국방부규격 30-137-72)
Ⅰ형
수량 : 10상자(100개)
방법 : 상자에 넣고 폭 50mm이상 점착면테이프로 붙인다.
결속 : 프라스틱 대1형으로 #형이되게 결속한다.
5.1.4 상자의 크기 및 중량은 내용물에 따라 가감조절 한다.
5.2 표지
기존규격 5.2.1 개포장에는 재고번호, 품명, 적용장비, 수량, 제조년월일을 인쇄하여 붙인다.
(상세형) 5.2.2 중간포장상자에는 국방부표지(80-102-71), 재고번호, 품명, 적용장비,
수량, 제조년월일을 선명히 표지한다.
5.2.3 외부포장상자에는 국방부표지(80-102-71), 재고번호, 품명, 적용장비,
수량, 중량, 부피, 롯트번호, 제조년월일, 제조회사명을 흑색으로 선명히 표지할
것이며 크기에 대하여 계약당사자간의 협의에 의한다.
5.3 포장 및 표지는 운반 및 취급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5. 포장 및 표지
5.1 포장
5.1.1 개포장
재료 : 프라스틱 마개 2개 및 0.06mm이상 그라프트지
수량 : 1개
방법 : 두께 0.06mm이상 그라프트 종이로 싸아 봉한다.
Ⅱ형
(양긑 부분은 마개로 막는다.)
5.1.2 중간포장
재료 : 3mm이상 마대끈, 2mm이상 B형단판지 상자
(국방부규격 30-137-72)
수량 : 10개
방법 : 3부분으로 묶어 상자에 넣는다(25mm이상 점착면 테이프 사용)
5.1.3 외포장
재료: 이중양면골판지 3종이상 A형 상자(국방부규격 30-137-72)
수량: 5상자(50개)
방법: 50mm이상 점착성 면테이프로 붙인다.
결속: 프라스틱 대1형으로 #형이되게 결속한다.
(국방부규격 30-11-69)
5.1.4 상자의 크기 및 중량은 내용물에 따라 가감조절 한다.
Ⅱ형 5.2 표지
5.2.1 개포장에는 재고번호, 품명, 적용장비, 수량, 제조년월일을 인쇄하여야 한다.
5.2.2 중간포장상자에는 국방부표지(80-102-71), 재고번호, 품명, 적용장비,
수량, 제조년월일을 선명히 표지한다.
5.2.3 외부포장상자에는 국방부표지(80-102-71), 재고번호, 품명, 적용장비,
수량, 중량, 부피, 롯트번호, 제조년월일, 제조회사명을 흑색으로 선명히 표지할
것이며 크기에 대하여 계약당사자간의 협의에 의한다.
5.3 포장 및 표지는 운반 및 취급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 95 -
구 분 세부 내용
5. 포장 및 표지
5.1 포장
5.1.1 개포장
재료 : 점착성 면테이프
수량 : 1개
방법 : 끝결합구를 완전히 싼다.
5.1.2 중간포장
재료 : 양면골판지 3종이상 B형상자(국방부규격 30-137-72)
수량 : 10개
방법 : 날개를 접어넣고 폭 50mm이상 점착성면테이프로 붙인다.
5.1.3 외포장
재료 : 이중양면골판지 3종이상 A형 상자(국방부규격 30-137-72)
Ⅲ형 수량 : 10상자(100개)
방법 : 날개를 접고 폭 50mm이상 점착성면테이프로 붙인다.
결속 : 프라스틱 대1형으로 #형이 되게 결속하여야 한다.
5.1.4 상자의 크기 및 중량은 내용물에 따라 가감조절 한다.
5.2 표지
5.2.1 개포장에는 재고번호, 품명, 적용장비, 수량, 제조년월일을 인쇄하여야
한다.
5.2.2 중간포장상자에는 국방부표지(80-102-71), 재고번호, 품명, 적용장비,
수량, 제조년월일을 선명히 표지한다.
5.2.3 외부포장상자에는 국방부표지(80-102-71), 재고번호, 품명, 적용장비,
수량, 중량, 부피, 로트번호, 제조년월일, 제조회사명을 흑색으로 선명히 표지할
것이며 크기에 대하여 계약당사자간의 협의에 의한다.
5.3 포장 및 표지는 운반 및 취급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5. 포장 및 표시
5.1 포 장
호스의 포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른다.
5.1.1 개포장
형 재료 수량 방법
Ⅰ형 0.6mm 포리에치렌 필림 1개 비닐봉에 넣어 봉한다.
두께 0.06mm이상 그라프트
프라스틱 마개 2개 및
Ⅱ형 1개 종이로 싸서 봉한다.(양끝 부분은
0.06mm이상 그라프트지
마개로 막는다.)
Ⅲ 형 접착성 면테이프 1개 끝결합구를 완전히 싼다.
5.1.2 중간포장
형 재료 수량 방법
1mm단판지 B형상자 상자에 넣고 밀봉한 후
Ⅰ형 1상자(10개)
(국방부규격 30-137-72) 접착면테이프로 붙인다.
성능형 규격 3mm이상 마대끈, 2mm이상
(전환결과) 3부분으로 묶어 상자에 넣는다
Ⅱ형 B형단판지 상자 10개
(25mm이상 접착면 테이프 사용)
(국방부규격 30-137-72)
양면골판지 3종 이상 B형 상자 날개를 접어넣고 폭 50mm이상
Ⅲ 형 10개
(국방부규격 30-137-72) 접착성면테이프로 붙인다.
5.1.3 외포장
형 재료 수량 방법
이중양면골판지 2종이상 A형상자 10상자(100 상자에 넣고 폭 50mm이상
Ⅰ형
(국방부규격 30-137-72) 개) 접착면체이프로 붙인다.
이중양면골판지 3종 이상 A형 상자 50mm이상 접착성 면테이프로
Ⅱ형 5상자(50개)
(국방부규격 30-137-72) 붙인다.
이중양면골판지 3종이상 A형 상자 10상자(100 날개를 접고 폭 50mm이상
Ⅲ 형
(국방부규격 30-137-72) 개) 접착성면테이프로 붙인다.
결속 : 프라스틱대 1형으로 # 형이 되게 결속한다.
5.1.4 상자의 크기 및 중량은 내용물에 따라 가감조절한다.

- 96 -
구 분 세부 내용
5.2 표 시
5.2.1 Ⅰ형 호오스는 제작시 사용상 지장없는 부분에 부품번호를 표시해야 한다.
5.2.2 개포장에는 재고번호, 품명, 적용장비, 수량, 제조년월일을 인쇄하여 붙인다.
5.2.3 중간포장상자에는 국방부표지(80-102-71), 재고번호, 품명, 적용장비, 수량, 제조
년월일을 선명히 표지한다.
5.2.4 외부포장상자에는 국방부표지(80-102-71), 재고번호, 품명, 적용장비, 수량, 중량,
부피, 롯트번호, 제조년월일, 제조회사명을 흑색으로 선명히 표지할 것이며 크기에 대하
여 계약당사자간의 협의에 의한다.
5.3 포장 및 표지는 운반 및 취급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부록 C 규격서 세부 작성법 항목을 준수 수정
• 포장의 개념에 일반사항 등은 5.1, 5.2의 제목을 부록 D 성능형 규격 작성 지침 개정(안)
작성결과
표기 방식으로 수정.
분석
• 5 포장 및 표시의 내용 대부분 동일
• 국방부규격 30-137-72, 국방부표지80-102-71 내용 확인 중

2.3 성능형 규격 시범정비 결과 경제적 효과분석

1.상세형 규격을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 시 경제성 분석방법 검토


가. 분석 방법 및 적용기법(모델)
 경제적 파급효과 : 산업연관 분석

 부품 단종으로 인한 사용불능 발생방지 효과 : 현재 가치 계산법

 산업의 진입장벽 축소 효과 : Melitz 모델

 일자리 창출효과 : 탐색마찰 이론


나. 분석 대상
<표 3-38> 분석 대상

품명 규격번호 재고번호 적용 장비 비 고
K532 다목적
호스 KDC 4720-D4025 4720013189699
전술차량
4820002688799
밸브 KDC 4820-R4003 4820002688798 함정 MTU엔진
4820002688779
스위치 KDS 1355-1010 1355004332863 어뢰발사관
KDS 4720-0037 4720001439368 1/4톤 차량
호스, 결합체 KDS 4720-0082 4720005282945 2 1/2톤 차량
KDS 4720-0128 4720008327000 5톤 차량

2.경제성 분석방법별 검토 및 분석 내용
가.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1)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내용

- 97 -
가 적용이론 : 산업연관분석
( )

(나) 모델이론

① 정의 : 일정기간(보통 1년) 동안 국민경제 내에서의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 및 처분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를 일정한 원칙과 형식에 따라 기록한 종합적인 통계표
② 아래 그림에서, 세로방향(열)은 각 산업부분의 비용구성, 즉 투입구조를 나타내는
데, 이는 원재료 등의 투입을 나타내는 중간투입과 노동 및 자본투입을 나타내는
부가가치의 두 부분으로 나뉘며 그 합계를 총 투입액이라고 함
③ 가로방향(행)은 각 산업부분의 생산물 판매, 즉 배분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중간
재로 판매되는 중간수요와 소비재, 자본재, 수출상품 등으로 판매되는 최종수요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 짐. 중간수요와 최종 수요를 합하여 총수요액이라고 하며, 여기서
수입을 뺀 것을 총 산출이라고 함
④ 각 산업부분의 총 산출액과 총 투입액은 항상 일치하게 됨

⑤ 산업연관표의 기본구조
<표 3-39> 산업연관표의 기본구조
중간수요
 구 분 최종수요 수입 총산출액
산업1 산업2 …  산업n
산업1
중간 산업2
내생부문 외생부문  
투입 … 
산업n
부가가치 외생부문
총투입액  

다 생산유발계수, 부가가치유발계수, 취업유발계수 산출 공식


( )

<표 3-40> 생산유발계수, 부가가치유발계수, 취업유발계수 산출 공식

①        
 
-  : 어떤 산업의 총 산출량,     : 비경쟁수입형의 생산유발계수행렬,
 : 국산품에 대한 최종수요 백터(단위: 백만원)
 
- 해석: 최종수요 한 단위 증가 시     단위 만큼의 생산이 유발됨
   
②        
  
-  : 부가가치합계의 백터(단위: 백만원),      : 부가가치유발계수 대각행렬
  
- 해석: 최종수요 한 단위 증가 시      단위 만큼의 부가가치가 유발됨
③ 
   
    
- : 노동투입량(피용자, 자영업자, 무급가족종사자), 

    : 취업유발계수행렬
- 해석: 최종수요 한 단위 증가 시       단위 만큼의 취업이 유발됨

- 98 -
(2)상세형 규격에서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 시 경제적 파급효과 계산
(가) 대상 품목 및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상 분류
<표 3-41> 대상 품목 및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상 분류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대상 품목 규격번호
기본부문 분류 중분류
호스 4720-D4025 산업용 고무제품 고무제품
밸브 4820-R4003 밸브 일반목적용 기계
스위치 조립체 1355-1010 전기회로 개폐 및 접속장치 전기장비
* 출처: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산업연관표

① 대상 품목에 대한 산업연관분석을 실시하려면, 한국은행 산업연관표상의 중분류로


해당 품목을 분류해야 됨
② 대상 품목을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상 기본부문(384개)으로 분류하면, 호스는 “산
업용 고무제품”, 밸브는 “밸브”, 스위치 조립체는 “전기회로 개폐 및 접속장치”
에 해당됨
③ 이를 다시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상 중분류(82개)로 분류하면, 산업용 고무제품은
“고무제품”, 밸브는 “일반목적용 기계”, 전기회로 개폐 및 접속장치는 “전기장
비”로 분류됨
나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상 생산 및 부가가치유발계수
( )
<표 3-42> 산업연관표 상 생산 및 부가가치유발계수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상 생산/부가가치유발계수
대상 품목 중분류
생산유발계수 부가가치유발계수
호스 고무제품 1.369 0.354
밸브 일반목적용 기계 2.391 0.601
스위치 조립체 전기장비 2.636 0.707
* 출처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산업연관표(2010년 실측표를 기준으로 한 2012년 연장표)

① 취업유발계수에 대한 2012년 연장표는 중분류가 최소 단위이므로 생산/부가가치유


발계수도 중분류를 분석의 단위로 선정하였음
② 생산/부가가치유발계수는 스위치 조립체가 가장 높고 호수가 가장 낮음

다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상 취업유발계수


( )
<표 3-43> 산업연관표 상 취업유발계수
대상 품목 중분류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상 취업유발계수(명/10억원)
호스 고무제품 7.1
밸브 일반목적용 기계 8.7
스위치 조립체 전기장비 7.2
* 출처: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산업연관표(2010년 실측표를 기준으로 한 2012년 연장표)

☞ 취업유발계수는 밸브가 가장 높고 호스가 가장 낮음

- 99 -
라 대상 품목의 매출비중을 이용한 생산/부가가치유발계수 도출
( )
<표 3-44> 대상 품목의 매출비중을 이용한 생산/부가가치유발계수 도출
대상 품목 중분류 연간 매출액(원) 매출비중 생산유발계수 부가가치유발계수
호스 고무제품 31,609,104 0.836
밸브 일반 목적용 기계 2,778,335 0.073 1.559 0.404
스위치 조립체 전기장비 3,442,997 0.091

* 출처: BAE Systems 글로벌 기업, 방위사업청(매출액)

① 앞에서 선정한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상 생산/부가가치유발계수를 대상 품목의 매출


비중을 이용하여 가중평균 함으로써 분석에 필요한 생산/부가가치유발계수를 도출
② 생산유발계수 : 3개 대상 품목의 최종수요가 1단위 증가 시 파생되는 직간접적 생
산유발효과는 1.559임
③ 부가가치유발계수 : 3개 대상 품목의 최종수요가 1단위 증가 시 파생되는 직간접적
부가가치유발효과는 0.404임
마 대상 품목의 매출비중을 이용한 취업유발계수 도출
( )
<표 3-45> 대상 품목의 매출비중을 이용한 취업유발계수 도출
매출 취업유발계수
대상 품목 중분류 연간 매출액(원)
비중 (명/10억원)
호스 고무제품 31,609,104 0.836
밸브 일반목적용 기계 2,778,335 0.073 7.191
스위치 조립체 전기장비 3,442,997 0.091

* 출처: BAE Systems 글로벌 기업, 방위사업청(매출액)

① 앞에서 선정한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상 취업유발계수를 대상 품목의 매출비중을


이용하여 가중평균 함으로써 분석에 필요한 취업유발계수를 도출
② 취업유발계수 : 3개 대상 품목의 최종수요가 1단위 증가 시 파생되는 직간접적 취
업유발효과는 10억 당 7.191명임

(3)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결과
(가) 최종수요 : 국방규격을 상세형에서 성능형으로 전환 시 기업에서  % 만큼 절약할
수 있으면 해당 산업에서 이를 활용하여 투자를 할 수 있으므로 최종수요의 증가를
의미할 수 있음
(나) 절약비율( %)에 따른 생산/부가가치유발 효과

- 100 -
<표 3-46> 생산/부가가치유발 효과
절약 금액 생산유발효과(백만원) 부가가치유발효과(백만원)
 (%) (백만원) 연간 10년간 연간 10년간
100 37.8 59.0 589.8 15.3 152.9
80 30.3 47.2 471.9 12.2 122.3
60 22.7 35.4 353.9 9.2 91.7
40 15.1 23.6 235.9 6.1 61.1
20 7.6 11.8 118.0 3.1 30.6

① 절약 금액 :  (비율로 환산한 값) × 3개 품목의 총비용


② 완전경쟁 하에서는 매출액(가격 × 수량)은 비용(한계비용 × 수량)과 같으므로,
매출액을 비용에 대한 대리변수로서 사용 가능함
③ 국방규격을 상세형에서 성능형으로 전환 시 기업에서 비용의 60%를 절약할 수
있다면, 생산유발효과는 연간 3,500만 원이고, 부가가치유발효과는 연간 900만 원임
④ 국방규격을 상세형에서 성능형으로 전환 시 기업에서 비용의 60%를 절약할 수 있다면,
생산유발효과는 10년간 약 3.5억 원이고, 부가가치유발효과는 10년간 9천 2백만 원임
※ 인터뷰를 통해 확인한 결과, 국방규격을 상세형에서 성능형으로 전환 시 기업은
비용의 약 60% 정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음
다 절약비율( %)에 따른 취업유발효과
( )
<표 3-47> 취업유발효과

절약 금액 취업유발효과(명)
 (%) (백만원) 연간 10년간
100 37.8 0.27 2.72
80 30.3 0.22 2.18
60 22.7 0.16 1.63
40 15.1 0.11 1.09
20 7.6 0.05 0.54

* 절약 금액:  (비율로 환산한 값) × 3개 품목의 총비용


① 완전경쟁 하에서는 매출액(가격 × 수량)은 비용(한계비용 × 수량)과 같으므로, 매
출액을 비용에 대한 대리변수로서 사용 가능함
② 국방규격을 상세형에서 성능형으로 전환 시 기업에서 비용의 60%를 절약할 수 있
다면, 취업유발효과는 연간 0.16명임
③ 국방규격을 상세형에서 성능형으로 전환 시 기업에서 비용의 60%를 절약할 수 있
다면, 취업유발효과는 10년간 1.63명임

- 101 -
나. 부품 단종으로 인한 사용불능 발생방지 효과 분석
(1) 부품 단종으로 인한 사용불능 발생방지 효과 분석 내용

(가) 적용이론 : 현재 가치 계산법

(나) 모델이론

① 산출공식
<표 3-48> 부품 단종 사용불능 방지 효과 산출공식

미래 가치
현재가치 =
기회 비용

② 공식에 적용되는 수식
<표 3-49> 부품 단종 사용불능 방지 효과 산출 공식에 적용되는 수식

     
•   
   
-  : K개의 수량 만큼의 품목에 대한 현재가치
-  : 품목의 감가삼각률
-  : 품목의 구매가격
-  : 품목의 수량
-  : 명목이자율
-  : 단종이 된 부품의 수명-1

다 부품별로 상세형규격을 가지고 있는 품목의 경우, 부품 중 어느 하나라도 단종이


( )
된다면 해당부품을 상세형규격 대로 다시 제작하지 않으면 사용이 불가능하게 됨
(라) 단종이 된 부품 하나를 상세형규격 대로 다시 제작하는 것은 기업으로 볼 때는 비용
이 과도하게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불가능함. 따라서 결국 해당 품목은
사용불능이 됨
(마) 만약 성능형 규격을 적용한다면, 비록 해당부품은 단종이 되었더라도 다른 기업들의
부품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음
(바) 단종이 된 부품의 수명이 다했을 시기에서의 해당 품목 가치를 기회비용을 이용하여
현재의 가치로 판단하면, 이 가치를 국방규격을 상세형에서 성능형으로 전환 시 기대
할 수 있는 사용불능 방지 효과에 대한 기대가치로 볼 수 있음(상세형 규격을 적용
시에는 사용불능이 되어 해당 품목의 현재가치 만큼 포기해야하기 때문)

- 102 -
(2) 부품단종으로 인한 사용불능 발생방지 효과 계산
(가)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
<표 3-50> 부품단종 사용불능 발생방지 효과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
대상 부품 호스 밸브 스위치
K532 다목적 전술차량, 1/4톤 차량,
적용 장비 함정 MTU 엔진 어뢰발사관
2 1/2톤 차량, 5톤 차량

감가삼각률(1년) 0.1 0.1 0.1

품목별 매출액
1,203,904 3,280 2,880
(구매가격*수량, 백만원)
명목이자율
3.7 3.7 3.7
(%, 2012년 예금금리)
* 출처: 감가삼각률(Gertler and Kiyotaki, 2011, "Financial Intermediation and Credit Policy in Business Cycle
Analysis," in Handbook of Monetary Economics 3a, ed. by B.M. Friedman, and M. Woodford. New York NY: Elsevier,
547-599), 품목별 매출액(BAE Systems 글로벌 기업, 방위사업청), 명목이자율(World Development Indicators)

( )나 단종된 부품의 수명에 따른 품목의 현재가치 산출


<표 3-51> 단종된 부품의 수명에 따른 품목의 현재가치 산출

부품 수명이 10년 시 부품 수명이 15년 시 부품 수명이 20년 시


대상 부품
(백만원) (백만원) (백만원)
호스 336,306 165,591 81,534
밸브 916 451 222
스위치 805 396 195
계 338,026 166,438 81,951

☞ 대상 부품의 수명이 10년일 경우, 국방규격을 상세형에서 성능형으로 전환 시 기대할 수 있는


완성장비 사용불능 방지효과는 호스의 경우 약 3천 3백 60억 원, 밸브의 경우 약 9억 2천 만
원, 스위치의 경우 약 8억 원이고, 3개 대상 부품의 전체효과는 약 3천 3백 80억 원임
다. 산업의 진입장벽 축소 효과 분석
(1) 산업의 진입장벽 축소효과 분석 내용

(가) 적용이론 : Melitz 모델 에 기초한 산업의 진입장벽 축소효과 설명


20)

(나) 모델이론
<표 3-52> 산업의 진입장벽 축소효과 분석 모델이론

20) Melitz(2003), “The Impact of Trade on Intra-industry Reallocations and Aggregate Industry
Productivity," Econometrica, 71(6), pp. 1695-1725.

- 103 -
  
        

①    : ( 기업의 생산성)의 함수로 기업의 이윤
②    : (기업의 생산성)의 함수로 기업의 총수입(revenue)

③  : 두 상품 간 대체탄력성으로 두 상품의 상대가격이 변하면 두 상품의 상대적


수요가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냄
④  : 방위산업과 같은 독점적 경쟁시장에서의 가격상승분을 의미함

⑤  : 기업이 해당산업에 진입하는데 소요되는 고정비용(진입장벽)


(다) Melitz 모델의 해석

① 기업이 해당산업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이윤이 양(+)이어야 함

② 기업이 이윤을 양(+)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생산성을 높이거나 진입 장벽을 낮추어


야 함(여기서 대체탄력성은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됨)
(2) Melitz 모델에 기초한 산업의 진입장벽 축소효과 분석 결과

(가) 상세형규격은 해당산업에 진입하려고 하는 기업에 장벽이 될수 있기 때문에 이를 성능


형규격으로 전환 시 해당산업에서의 진입장벽을 축소시키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음
(나) 그러나, 해당산업에 진입하려고 하는 기업의 생산성이 충분히 높다면 상세형에서 성
능형 규격으로 전환을 통한 진입장벽 축소 효과는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
으로 예상됨
① 개념도

<그림 3-2> 산업의 진입장벽 축소효과 분석 개념도

다 높은 생산성을 갖은 기업은 진입장벽에 관계없이 해당산업으로 진입 가능


( )

(라) 낮은 생산성을 갖은 기업은 해당산업으로 진입함에 있어 진입장벽 축소(상세형에서


성능형 규격으로의 전환) 효과에 의해 큰 영향을 받음
① 업종별 연평균 총요소 생산성 증가율(1971-2010년, %)

- 104 -
<그림 3-3> 업종별 연평균 총요소 생산성 증가율
* 출처: 한국생산성본부 통계 DB

(3)산업의 진입장벽 축소효과 분석결과 활용


(가) 상기와 같이 분류된 산업 중에서 방위산업에 해당되는 것을 선별하여 분석하면, 전기
기계 및 장치, 영상․음향 및 통신기기, 기타 수송장비 산업에서의 기업들은 생산성이
1971년 비해 상당히 향상되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국방규격을 상세형
에서 성능형으로 전환하여 진입장벽을 축소하여도 해당기업들의 산업 진입여부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됨
(나) 선철 및 조강, 철강 1차 제품, 비철금속 및 1차 제품, 기계 및 장비, 특수목적용 기계
및 장비, 정밀기기, 자동차, 선박, 기타 제조업 제품 산업에서의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생산성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국방규격을 상세형에서 성능형으로 전환 시 해
당기업들의 산업 진입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① 방위산업 분류(17개 산업)

<표 3-53> 방위산업 분류


의복 및 섬유제품 선철 및 조강 전기기계 및 장치 기타 수송장비
석유제품 철강 1차 제품 영상․음향 및 통신기기 기타 제조업 제품
기타 화학제품 비철금속 및 1차 제품 정밀기기
 
고무제품 기계 및 장비 자동차  -
 
유리제품 특수목적용 기계 및 장비 선박

* 출처: 김대익외 5명, “방산수출진흥 육성기금 신설 및 운영방안 연구”, 2010,

- 105 -
다 미국의 경우는 소개된 사례는 기존 상세형 규격을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시 효과
( )
보다는 주로 신규품목을 개발하거나 대체품목을 개발시 기존 품목의 경우 상세형
규격을 사용하므로 1개 업체 수의계약으로 진행되었던 사항을 성능형 규격을 적
용하니까 기존의 단일 업체와의 계약방식에서 벗어나 경쟁계약을 추진하였다는
아래의 사례는 결국 진입장벽을 축소하는 효과를 의미하고 있으나 이것을 소수의
품목으로 경제성효과를 수치로 계산하기는 힘들지만 진입장벽 축소 효과가 발생
한다는 사실만은 미국의 사례가 증명해 주고 있다.
<표 3-54> 계약방식이 바뀌어 다수기업이 참여한 사례
구분 품명 성능형 규격 적용 효과 비고
미육군 Abrams ELRF(Eyesafe Laser - 경쟁계약 추진으로 획득예산 30% 및 3.6백만불
간접효과
전차사령부 Rangefinder) 운용유지비 절감
- 국방획득에 참여하지 않았던 업체들과
E-3 조기경보기 음극선관
미공군 협력함으로써 더 많은 경쟁 유도로 18만불 간접효과
전시기 대체품 F31 개발
원가를 4만불로 하락 시키는 약 78%의 원가 절감

라. 일자리 창출효과 분석
(1) 일자리 창출효과 분석 내용

※ 산업연관분석의 취업유발효과는 공석인 일자리에 근로자를 취업시키는 효과를 말하고,


일자리 창출효과는 기업이 일자리 수 자체를 늘리는 것을 의미함
(가) 적용이론 : Mortensen and Pissarides (1994)의 탐색마찰 이론 21)

(나) 모델이론
<표 3-55> 일자리 창출효과 분석 모델이론


① Beveridge Curve(BC): 
     
-  : 실업률,  : 실직률,     : 구직률
   
② Job Creation Condition(JC):     
  
-  : 임금,  : 노동 1단위당 산출량,  : 실질이자율,  : 기업이 한 기간 동안 일자리 1개를 유지하는데
드는 비용,     : 공석인 일자리를 채울 확률
③ Wage Equation(W):            

-  : 실업 시 지급되는 편익(실업급여 등),  : 노동자의 협상력,    : 기업의 입장에서 본 노동시

장의 경색,  : 공석인 일자리 비율 (창출되는 일자리 비율)

21) Mortensen and Pissarides(1994), “Job creation and job destruction in the theory of unemployment," Review
of Economic Studies, 61(3), pp. 397-415. 상기 저자들은 본 논문으로 인해 2010년에 노벨경제학상을 받음

- 106 -

( ) Beveridge Curve


①  와  는 식①에 의해 상호 반비례하고,  는    의 관계를 갖기 때문에 y

축을  대신  로 대체할 수 있음

②    그래프는   

로부터 도출되었음

( ) Job Creation Condition

       

①           
 
②        : 공석인 일자리에 실업자를 매칭시키는 함수로 1차 동차인 함수(규
모수확 불변)
③ 따라서,     와  는 상호 반비례함

 
④  (공석인 일자리)↑ →  (평균 공석 기간)↑ →  (공석인 일자리
     
를 유지하는데 드는 기업의 비용)↑ →  (기업이 노동자에게 주는 임금)↓

( ) Wage Equation

①  와  는 식③에 의해 상호 비례함
② ↑ → 실업자에 비해 일자리가 상대적으로 늘어남 → 노동자의 협상력이 커짐
→ ↑
바 탐색이론에 의한 분석의 기본틀
( )

<그림 3-4> 탐색이론에 의한 분석의 기본틀

- 107 -
(2)상세형 규격에서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 시 일자리 창출효과 분석결과
(가) 상세형 규격에서는 노동자가 세부 부품별로 규격을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노동생산성
이 상대적으로 낮음
(나) 성능형 규격에서는 노동자가 세부 부품별로 규격을 확인해야할 필요 없이 완성체의
규격만 점검하면 되기 때문에 노동생산성이 향상됨
(다) 노동생산성이 증가되면 기업은 임금을 늘리면서 노동자수를 줄일 것으로 생각되나 노
동생산성 증가에 따른 추가 이익이 발생되어 투자를 더 많이 할 수 있기 때문에 궁극
적으로 일자리를 더 많이 창출하게 됨. 상세형 규격에서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 시 노
동생산성이 증가하여 일자리가 창출되는 효과를 탐색이론에 의한 분석의 틀을 이용하
여 제시하면 아래와 같음
① 노동생산성 증가에 따른 일자리 창출효과

<그림 3-5> 노동생산성 증가에 따른 일자리 창출효과

② 노동생산성( )이 증가하면, 식②에 의해 JC가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또한 식③에 W


가 왼쪽으로 이동함
③ 그러나, 식③에서는  =(0, 1)이기 때문에 JC의 이동 폭보다 적게 이동 하게됨

④ 따라서,  과  이 모두 증가하게 됨


⑤ 오른쪽 그래프에서,   

이 증가하면,  (일자리)는 증가하고  (실업률)은
하락하게 됨
⑥ 결론적으로, 국방규격을 상세형에서 성능형으로 전환시키면, 효율성이 증대하여 노동
생산성이 증가하고, 이를 통해 일자리가 창출됨
마. 경제적 효과분석 결과 종합
(1) 분석방법에 따른 경제적 효과분석 결과

- 108 -
<표 3-56> 3개의 대상 품목에 대한 경제적 효과분석 결과 종합

분석방법 경제적 효과 비 고
• 생산유발 10년간 약 3.5 억원
품목당
경제적 파급효과 • 부가가치 유발 10년간 약 9,200 만원
약 1.1 억원
• 취업유발 10년간 약 2명
부품 단종으로 인한 품목당
• 현재가치 산출시 약 3, 380 억원
사용불능 발생방지 효과 약 840 억원
산업의 진입장벽 축소 • 낮은 생산성에 해당되는 산업의 경우 진입장벽 축소효과에
효과 큰 영향
일자리 창출효과 • 효율성 증가에 따른 노동생산성이 향상되어 일자리가 창출됨

(2) 3개 품목에 대한 생산․부가가치․취업유발효과는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으


나, 전체 검토대상 2,500여 품목에서 전환사업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1,100여 품목이
모두 4~5년 사이에 성능형으로 전환된다면 경제적 파급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됨
(3) 부품 단종으로 인한 사용불능 발생방지 효과는 3개 대상 품목에 대해서도 상당한 효
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우리 인체의 어느 한 부분이라도 이상이 있게
되면 정상적인 활동을 못하게 되는 이치와 같은 것으로 상세형 규격에서 성능형 규
격으로 전환을 해야 되는 중요한 이유를 여기에서 찾을 수 있음
(4) 3개 대상 품목의 생산유발계수가 1.559인 것을 ‘투자대비 효과’ 관점에서 볼 때 유
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음. 즉, 상세형규격에서 성능형규격으로 전환에
따른 절감비용을 해당 산업에 재투자하여 발생되는 최종수요를 1 단위 증가 시 1.559
단위 만큼의 생산유발효과가 있음(생산유발계수가 1보다 작다면 투자대비 효과가 없
는 것으로 간주됨)
(5) 반면, 3개 대상 품목의 부가가치유발계수는 0.404이므로 부가가치유발 측면에서는 투
자대비 효과가 없음
(6) 제시된 3개 대상 품목 외에 선철 및 조강, 철강 1차 제품, 비철금속 및 1차 제품, 기
계 및 장비, 특수목적용 기계 및 장비, 정밀기기, 자동차, 선박, 기타 제조업 제품들에
대해서는 국방규격을 상세형에서 성능형으로 전환 시 산업의 진입장벽 축소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됨
(7) 국방규격을 상세형에서 성능형으로 전환 시 노동생산성 증대에 따른 일자리 축소가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기업의 투자를 촉진하여 보다 많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외국사례와 같이 성능성규격의 비중을 확대해야 함
(8) 추가하여 규격 제정시 성능형으로 제정을 한다면 보다 많은 경제적 절감효과를 기대
할 수 있음

- 109 -
<표 3-57> 상세형 대비 성능형 규격제정시 절감효과

구 분 상세형 규격 작성 성능형 규격 작성 비 고
약 3,000 만원 WBS 4레벨 또는
품목당 약 1,000 만원
비용 (업체 인터뷰) 5 레벨 품목 기준
검토 3품목
- 2,000 만원
기준 절약액

경제적 절감효과 67% 절약

(9) 미국의 경우도 대표적인 사례로 제시하고 있다


<표 3-58> 성능형 규격이 상세형 규격 대비 작업기술서가 절감되는 사례

구 분 성능형 규격 적용 효과 비고
- 작업기술서 137페이지에서 2 페이지로 감소
재래식 포탄을 스마트탄으로 교체하기
위한 JDAM(Joint Direct Attack Munition) - 요구자료를 234개에서 29개 항목으로 축소
직접효과
프로그램에서 핵심기술인 센서장치 - 1개를 제외한 군사규격 폐지
기술을 성능형 규격으로 작성22)
- 개발비 7천만불, 생산비 15억불 절감
- 대상품목의 가격 600~650 불 수준
- 국내 양산가격은 40~45% 수준인 25~35만원 수준
- 이것은 약 40 %의 가격으로 양산이 가능한
미국의 FED 가격을 분석한 결과23) 것으로 분석 간접효과
- 미국에서 수입하거나 상세형 규격으로
제작되는 다를 품목들에게도 적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비용절감 효과도 기대됨

(10) 상기의 다양한 요소를 분석한 결과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이 우선되는 품목의 경우
비교적 노후장비의 부속이거나 조달에 제한을 받고 있는 것들이 우선적으로 전환사
업의 대상이 될 것이며, 금번 시범사업의 대상품목 선별결과에서 분석 되었듯이 이러
한 품목들은 대부분 단가가 저렴하며, 연간수요는 많지 않은 것이므로 직접적인 효과
를 비교한 다면 투자되는 인력과 일부 사업예산대비 미흡한 효과라고 판단할 수 있
으나, 상세형 규격에서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이 활성화 되면 연구개발 장비의 재정과
정에서 성능형 규격의 전환이 활성화 될 것으로 판단되며 그 파급효과는 대단히 클
것으로 생각됨. 또한 상기 (8)항과 (9)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단순하게 절약할 수 있
는 인건비와 자료의 수량만 하더라도 투자되는 용역 연구비 상의 효과가 있으리라
판단된다.
22) 국방부, “국방규격 체계정립 및 국제규격 수준화(DQAA-05-1130-R)", 2005.8,
23) 국방기술품질원, “국방규격 체계정립 및 국제규격 수준화(DQAA-08-1739-R)", 2008. 8, 국방대학교

- 110 -
제 3 절 성능형 규격 전환 로드맵 검토

3.1 성능형 규격 전환 로드맵 작성 대상검토

1.성능형 규격 전환 대상
가. 국내 성능형 관련 대상품목에 대한 현황 기초 조사 결과
<표 3-59> 국내 성능형 관련 대상품목에 대한 현황
2014년 7월 24일 기준
상태 별
순위 품 명 대상
활성 비활성 폐지
1 Hose 475 69 73 333
2 Cable 363 105 85 173
3 Filter 292 74 61 157
4 Valve 371 66 70 235
5 Adapter 219 44 47 128
6 Battery 179 67 41 71
7 Fuses 170 47 101 22
8 Capacitor 57 3 9 45
9 Transformer 52 11 9 32
10 Resistor 57 11 5 41
11 Coil 21 3 6 12
12 Relay 15 0 6 9
13 메타 14 1 7 6
14 Oscillator 14 1 9 4
15 Switch 117 29 33 59
16 Crystal unit 6 0 2 4
17 반도체 5 2 1 2
18 Electron tube 2 0 2 0
19 TR 1 0 1 0
총계 2,430 533 564 1,333

(1) 상기현황을 토대로 성능형 규격 전환에 적용할 수 있는 대상을 식별하였음


2.성능형 규격 전환 및 개발품목 로드맵 작성 대상 검토 결과
가. 미국의 성능형 규격을 조사한 결과 확인된 유사한 품목의 명칭으로 국내 국방규격 보
유현황을 기준으로 성능형 규격 검토 대상을 분류하고

- 111 -
나. 유사한 성격의 규격에 대하여 상태별 현황을 조사하여 보다 세부적인 전환대상을 검토
하였음
(1) 상태별 분류를 고려시 전환대상은 2,430품목 중 활성 533품목, 비활성 564품목, 폐지
1,333 품목으로 조사되어 이를 분석하여 전환대상을 검토함

(2) 기간중 국방규격에 대한 실태를 검토하고, 성능형 규격에 대한 여건과 국내 국방규격


의 상태 등을 고려시 폐지품목을 제외한 활성 및 비활성 품목 1,097품목을 대상으로
로드맵을 수립함이 타당하다고 판단을 하였음
다. 활성 및 비활성 품목을 고려한 성능형 규격 전환대상 확인 결과
(1) 총괄
<표 3-60> 활성 및 비활성 품목을 고려한 성능형 규격 전환대상

상 태 별
구 분 계
활성 비활성 폐지
유사 품목 보유수 2,430 533 564 1,333
전환대상 1,097 533 564

(2) 품목별 현황
<표 3-61> 전환대상 품목별 현황
2014년 7월 24일 기준
순위 품 명 건수 순위 품 명 건수
1 Hose 142 11 Coil 9
2 Cable 190 12 Relay 6
3 Filter 135 13 메타 8
4 Valve 136 14 Oscillator 10
5 Adapter 91 15 Switch 62
6 Battery 108 16 Crystal unit 2
7 Fuses 148 17 반도체 3
8 Capacitor 12 18 Electron tube 2
9 Transformer 20 19 TR 1
10 Resistor 16 총계 1,097

- 112 -
3.2 성능형 규격 전환 로드맵

1. 성능형 규격 전환 로드맵 작성시 고려사항


가. 성능형 전환계획은 활성품목과 비활성 품목을 대상으로 연도별 계획을 수립
나. 활성품목을 우선 검토후 비활성 품목순으로 연도별 전환 계획을 수립
다.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에 따른 예산소요 및 확보문제는 개략적인 개념으로 접근
라. 품목수가 적은 품목을 우선적으로 반영하여 다양한 품목을 전환간에 제한사항과 소요
되는 예산을 검토후 전반적으로 세부계획 수립토록 연도별 계획 수립
마. 연도별 계획은 우선 5개년 사업으로 기본계획 수립후 사업 추진간 조정이 필요함
※ 사업추진간 품목별 특성에 따른 제품제작 및 시험 여부에 따라 연간 예산소요가 상이
하므로 세부 계획은 조정이 필요함
2. 성능형 규격 전환 로드맵 초안
가. 1단계 기본계획(안) : 검토후 성능형 전환이 유리한 품목을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해야
하며 대부분 전기/전자 부품이 주류를 이루며, 일부 기계적인 단품과 조립체가 포함됨
<표 3-62> 1단계 기본계획(안) 로드맵

연도별 전환계획
구분 계
X+1년 X+2년 X+3년 X+4년 X+5년
품목수 1,097 100 200 233 250 314
Capacitor 메타 Cable Resistor Hose
우선 Transformer Hose Adapter Crystal unit Filter
계획 Coil Filter Hose Electron tube Valve
반영 Switch Valve Filter TR Batter
품목 반도체 Battery Valve Hose Adapter
Oscillator 등 Fuses 등 Batter 등 Cable 등 Fuses 등
비고 활성(533품목) 비활성(564품목)

나. 1차년도에는 단품위주로 검토 하면서 품목의 특성과 성능형 규격의 특성을 정립하는 기회


를 갖을수 있는 품목을 사전검토 하여 전력지원체계 품목 우선 추진(필요시 품목수 조정)
다. 1차년도에는 공개규격 우선 및 다양한 품목을 전환하면서 제한요소와 예산을 검증
라. 1차년도에는 KDS를 우선하여 규격은 성능형, 하위 도면은 필요시 상세형 형태유지
마. 2차년도 이후에는 공개규격 우선 및 제품생산과 시험 등이 소요되는 품목을 검토
바. 3차년도 이후에는 품목의 조립체 등 다소 복잡한 기능을 가진 품목 위주로 검토
사. 4차년도 이후에는 규격폐지 여부를 우선 검토후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

- 113 -
제 4 장 혼합형 규격의 전환 연구
제 1 절 혼합형 규격의 개념 정립

1.1 혼합형 규격의 개념 정의

1.혼합형 규격에 대한 용어의 정의


가. 표준화업무지침 제15조 국방규격의 작성방법에서는 “국방규격은 제품의 특성, 군수지
원의 효율성, 경제적 조달, 국내의 기술수준 및 능력 등을 고려하여 성능형 규격, 상세
형 규격, 또는 두 가지가 혼합되어 있는 혼합형 규격 중에서 효과적인 방법을 선택하
여 작성한다”라고하며
나. 미국은 SD-15 성능형 가이드 용어의 정의에서 “성능형과 상세형 요구사항을 모두 포
함하는 규격은 상세형 규격으로 간주한다”라고 하고 있음. 또한 국방규격 및 프로그램
특화 규격은 모두 상세형 규격으로 지정될 수 있다고 제시됨
다. 따라서 혼합형 규격의 정의는 아래와 같이 정의함
혼합형 규격이란 체계장비 이하 규격 또는 도면이 성능형과 상세형의 두 가지로 혼합

구성된 형태를 통칭하며, 체계/부체계/구성품/결합체 및 부품 등이 특성에 맞게
상세형과 성능형 규격 및 도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2.외국의 혼합형 규격 개념 실태 조사 결과
가. 미 국방획득 프로세스에서는 시험을 통해 각 레벨의 규격서가 작성되며, 혼합형 규격서
의 계층구조는 사업을 진행할 때 최하위 레벨에서부터 공정규격서, 재료규격서, 상세형
규격서 등이 작성되며 점차 상위레벨의 시험을 수행하면서 규격서가 발전하고 레벨이
올라갈수록 상세형 보다는 성능형 규격으로 작성되기도 한다.
체계 규격

품목 규격
(성능형)

공정 규격서 품목 규격서 재료 규격서


(상세형)

<그림 4-1> 미국의 체계규격의 모델

- 114 -
또한 어떤 품목을 성능형 규격으로 작성한 것인가와 더불어 해당품목의 어떤 레벨에서
어떤 규격서를 채택할 것인지를 고려해야함
나. 미국의 경우 용도에 따라 성능형 규격의 개발과 사용을 더 우선시 하지만 혼합규격을
적용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사례는 없음
다. 우선적으로 측정법에서 미터와 인치-파운드 단위에 대하여 명확한 정의를 하였음
※ SD-10 미터법 표준의 식별 및 개발을 위한 안내에서는 “혼합규격(hybrid specification)
은 새로운 디자인에서 기존의 사용 가능한 부품이 미터법에 접속되어야만 할 때
필요하다”라고 제시되었음
3. 국방규격의 분류체계를 통한 혼합형 규격 실태 검토
가. 국방표준종합정보시스템에서는 규격화 대상 무기체계 및 전력지원체계의 분류를 전력
발전업무 규정의 무기체계 분류를 기준으로 WBS(work breakdown structure 작업 분할
구조)의 레벨을 구성하고 있음.
나. 분류체계에서 레벨 “1”, “2”, “3”은 폴더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레벨 “4”,
“5”는 체계 형태로 되어 있음.
다. 분류체계의 경로를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음
<표 4-1> 국방규격의 분류체계를 통한 혼합형 규격 대상

분류체계명 분류 경로(WBS)레벨
체계 레벨#1 레벨#2 레벨#3 레벨#4 레벨#5
기동무기체계 폴더 기동무기체계 개인전투체계
폴더 장갑차
폴더 전차 전투용
전차,전투용, 38건 규격
체계
무한궤도식(K2) (K2 전용)
전차,전투용, 252건 규격
체계
무한궤도식(K1A1) (K1A1 전용)
체계 전투지원용 구난전차(K1ARV) 38건 규격(전용)

라. 상기 분류체계를 보면 국방규격의 레벨에 따라 폴더형으로 된 경우는 복합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는 규격의 유형을 단순히 성능형 규격 또는 상세형
규격으로 한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음
※ 미국의 경우 상세형 요구사항과 성능형 요구사항이 혼합된 것은 상세형으로 분류
마. 국방규격의 작성대상 및 분류체계는 무기체계 및 전력지원체계의 장비 또는 시스템에
서 하부레벨인 체계 규격>부체계 규격>구성품 및 결합체(조립체) 규격>부분품 규격 등
으로 WBS가 레벨 “4”, “5” 수준으로 국방규격이 작성되어 있음.

- 115 -
<그림 4-2> 체계 규격의 WBS

4. 한국의 국방규격과 체계의 특성을 고려한 개념 정립 결과


가. 체계 장비의 국방규격은 특성을 고려 상세형 규격 또는 성능형 규격을 선택 할 수
있으며 현재는 형식은 상세형 규격이나 내용은 대부분 성능을 표시한 성능형 규격이
라고 해도 틀린 것이 아니라고 판단됨
나. 조립체, 결합체 등 조립과 제작에 대한 설명 등이 필요한 품목의 국방규격은 상세형
규격 또는 도면, 전자회로조립체 등은 성능형 규격 등으로 품목의 특성고려 선택
다. 성능과 인터페이스, 상호운용성, 호환성을 고려한 단품의 경우는 성능형 규격 및 도면
라. 다수의 조립체 및 결합체, 단품이 존재하는 장비류의 국방규격은 혼합형으로 제정하고,
필요에 따라 조립체 등에 대한 규격을 별도 작성시 특성과 용도를 고려하여 상세형과
성능형으로 구분하여 제정
마. 임시규격 및 약식규격(KDC)의 경우 가능하면 성능형으로 작성하여 활용함이 바람직함
바. 조립체, 결합체 등은 조립 및 제작에 대한 설명을 고려하고, 잔자회로조립체 등과 단
품의 경우는 성능형 규격을 선택할 수 있는 상세형과 성능형이 혼합된 규격으로 분류
할 수 있으며 한국의 국방규격에 대한 분류는 혼합형 규격을 포함하여 규정함이 바람
직함

- 116 -
1.2 혼합형 규격의 유형 검토 결과

1.무기체계 등 장비의 WBS를 고려한 혼합형 규격의 유형


가. 주요 무기체계 등은 혼합형규격을 원칙으로 제정하면서 하위체계 및 품목을 특성에 맞
게 상세형과 성능형 규격으로 구성하는 형태
나. 단품의 경우는 특성에 따라 ①규격은 성능형 규격으로, 관련된 도면은 상세형으로 하는
경우와, ②규격은 상세형 규격으로 하되 각종 규정에 예시된 품목의 도면은 성능형 규
격으로 제정하는 형태

<그림 4-3> WBS를 고려한 혼합형 규격 유형


※ 품목 특성에 따라 반대로 체계는 성능형 하부품목 경우 일부품목은 성능형 일부품목은 상세형이 될 수 있음

2.규격서 내용 구성 개념을 고려한 혼합형 규격의 유형


가. 주장비가 복합한 구조와 다수 품목으로 구성된 형태는 대부분 혼합형 규격 형태유지
나. 구성품 및 결합체의 특성상 별도의 규격이 필요한 경우 혼합형 규격 선택 경우
다. 기술자료의 특성에 따라 상세형과 성능형을 모두 포함한 혼합형으로 작성되어야하는 경우
3.품목의 특성을 고려한 혼합형 규격의 유형
가. 하부 품목의 과다로 인한 다양한 품목의 다양한 도면이 소요되는 혼합형 규격 선택
나. 전기, 전자, 광학 등 품목이 포함되어 혼합형 규격이 유리한 경우
다. 민수 규격 또는 상용품의 활용으로 인한 다양한 특성을 가진 품목의 경우
라. 다수의 유사한 기능을 가진 품목을 1개의 규격으로 작성한 후 하부 기술자료는 상세형
과 성능형이 모두 필요한 경우
4.국방규격의 식별체계(군급분류)를 통한 혼합형 규격 유형
가. 국방규격의 번호부여 방법은 KDS(KDC) - 군급번호-(약식규격부호) 및 일련번호 - 개정
차수 형태로 군급번호가 기본이 되고 있음( KDS - 2510 - 1004 - 1)
나. 국방규격 작성 군급번호 체계는 아래와 같이 분류되어 있음

- 117 -
<표 4-2> 국방규격 작성 군급번호 체계

군급번호 군급분류 규격수 군급번호 군급분류 규격수


0000~0999 제도, 절차 등 157 5000~5399 수공구, 공구, 철물 5,190
1000~1099 무기 *,*** 5400~5599 조립식 구조물 발판 63
1100~1199 핵병기 * 5600~5799 목재, 건설자재 22
1200~1299 사격통제장비 *** 5800~6099 통신, 전자장비 및 구성품 *,***
1300~1399 탄약 및 폭발물 *,*** 6000~6299 광섬유, 전선, 조명, 램프 917
1400~1499 유도탄 및 구성품 *** 6300~6499 경보장치, 보안장치 11
1500~1699 항공기 및 구성품 *** 6500~6599 의료장비, 치과, 내과, 수의과 209
1700~1799 항공기 발사, 착률,지상취급용 장비 ** 6600~6699 계기류, 실험실 장비 404
1800~1899 우주비행체 * 6700~6799 촬영장비 12
1900~1999 함선, 전투함, 상륙정, 특수선박 ** 6800~6899 화학제 및 화학제품 81
2000~2199 함선 및 해상장비 구성품 *** 6900~6999 훈련용 보조재, 장치 73
2200~2299 철도장비 * 7000~7099 자동 데이터 처리 53
2300~2499 바퀴식 차량, 트레일러, 트랙터 ** 7100~7299 비품 78
2500~2599 차량 장비 및 구성품 *,*** 7300~7399 음식, 조리, 서빙 장비 66
2600~2799 타이어 튜브 15 7400~7599 사무용 기기, 자료 처리 장치 26
2800~2999 엔진 및 구성품, 부품 1,777 7600~7699 서적, 지도, 팜플렛, 인쇄 1
3000~3199 기계동력전달장치, 구성품, 부품 733 7700~7899 악기, 오락 기기 10
3200~3499 목공 공작기계, 금속 공작 기계 61 7900~7999 청소용 도구/소모품 19
3500~3599 서비스 및 판매 장비 34 8000~8099 솔,붓,페인트 116
3600~3699 특수산업기계 2 8100~8299 컨테이너 포장 및 포장재료 73
3700~3799 농업용 기계, 장비 26 8300~8499 직물류, 피혁류, 개인장구 433
3800~3899 건설기계, 장비 85 8500~8899 화장품류, 농업용 공급품 10
3900~3999 물자취급장비 29 8900~9099 식료품 141
4000~4199 로프, 냉동 공기조절 174 9100~9299 연료, 윤활유 40
4200~4299 소방, 안전 164 9300~9998 비금속제품류/ 원료, 금속, 광물,보석 273
4300~4899 펌프, 배관, 난방, 연료, 정수, 파이프, 밸브 1,839 9999~9999 기타 50
4900~4999 정비 수리 공장용 장비 162

다. 상기 군급번호 분류체계에서 1,000에서 2599번 까지 5,875종은 대부분이 장비 및 구성


품이 포함된 복합적인 기능을 세분화 한 국방규격으로 구성되며, 기타는 대부분 단순한
품목을 기준으로 작성된 규격이고, 5,875종이 혼합형 규격 검토대상임.

- 118 -
1.3 혼합형 규격의 재정

1.연구개발간 국방규격의 제정형태 따른 혼합형 규격


가. 국방규격의 작성 간 성능형 규격 또는 상세형 규격의 결정 및 작성 형태 고려 시
체계개발실행계획서 작성단계에서 규격화 계획을 검토해야 하며 규격화 업무프로세스
는 다음그림과 같음

<그림 4-4> 연구개발 체계의 규격화 업무 프로세스


※ 자료 출처 : 방위사업청, “연구개발사업 규격화 업무 매뉴얼”, 2013.6월

나. 혼합형 규격은 SE(System Engineering)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 설계단계부터


WBS를 고려하여 규격화 업무가 진행되고 있다
다. 체계개발 초기단계에서 규격화계획을 검토하여 주요 구성품 및 결합체까지의 개략적인 규
격화 수준 및 범위 설정을 명확히 하여 성능형 규격이 적합한지 또는 상세형 규격이 적
합한지 을 선택하여 혼합형 규격이 필요시 체계이하 하부체계 및 구성품 등이 가장 효
과적인 규격이 작성되도록 하여야 함
라. 개발단계의 기술검토 단계별 활동을 고려시 기본설계(PDR)단계에서 자체제작 및 외주
구매 등을 고려 규격화 수준을 결정하고, 기본설계에서 상세설계(CDR)를 진행하는 동
안 군의 정비계획을 바탕으로 어떤 품목을 성능형 규격으로 작성할 것인가를 판단하여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적절한 규격의 형태를 결정해야함
마. 이때 제품의 특성, 군수지원의 효율성, 경제적 조달, 국내의 기술수준 및 능력 요소를
검토하여 설계검토간에 제시하고 관련기관에서 확인이 되도록 하여야하며, 필요시 시험
평가를 통하여 성능을 확인하고 제작가능 여부를 검토해야한다.
2. 개발 형태 및 연구개발 단계별 국방규격 재정간 혼합형 규격
가. 국방규격 제정범위에 의하면 완성장비 수리부속품은 구성품, 결합체, 부분품으로 분류하
여 확정된 보급지원요소에 대하여 규격을 제정하며, 가능한 상위레벨에서 규격을 제정하
므로 개발형태별 제정범위는 다음 표와 같음

- 119 -
<표 4-3> 개발 형태별 국방규격 제정범위

구 분 제정 범 위
• 개발완료품의 형상품목 보급품 수준에서 기술자료를 제정
연구개발 품목 ⇒ 경제성 고려 규격작성관리기관 주관으로 계약관리본부와 협조하여
규격화(또는 한국화) 범위 조정
• 시제품 및 정비단계별 수리부속 품목의 기술자료 제정
연구개발 시제품을 • SW : SW 기술문서와 소스코드
제작중인 군수품 • 규격화가 비경제적이면 규격작성관리기관은 계약관리본부와 협의하여 규격화
범위 조정 가능
• 협상단계에서부터 규격작성관리기관이 규격화 범위 결정
• 국산화 계획 품목 : 규격에 관련된 기술자료 한국화
기술협력생산
- 한국화가 비경제적이면 규격작성관리기관은 계약관리본부와 협의하여
품목
규격화 범위 조정 가능
• 국외 도입품목 : 원제조국의 기술자료 적용 가능
국외구매 품목 • 협상단계에서 규격화 범위 확정
완성장비 • 구성품 ·결합체 · 부분품으로 분류하고 확정된 보급지원 요소에 대해
수리부속품 규격제정
• 가능한 구성품 수준에서 규격 작성
완성장비의
- 가능한 상위레벨에서 규격을 작성하되 보급품 단위까지 규격 제정
하위부품
- 부분품은 조달요구조건 만족시 도면만으로 규격화

나. 연구개발 진행 단계별 혼합형 규격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업무 분류는 다음 표과 같음


<표 4-4> 연구개발 단계별 규격 형태 결정 업무 분류

구 분 개발기관/업체 규격관리기관/IPT
• 규격화 계획 완성 • 요구 성능과 계획 검토(ORD비교)
규격화 계획단계 • 시장조사 • 선행연구 내용 고려 체계요구 조건 검
• 체계개발 실행계획에 규격화 반영 토 ; TRL 및 상용품목 식별
• 군수지원성 분석, 시장조사 • 상위 규격은 성능형 규격 우선 검토
• ILS 요소 분석 • 표준부품 및 상용부품 획득/사용계획
체계설계 및 규격화
• 체계규격서 초안 : 성능형 또는 상세형 확인(SRR, SFR 간에 확인)
형태 결정 • 체계 규격에 대한 형태 결정 검토
• 기본설계 검토(PDR)시 부 체계 규격에
• 체계 규격서 완성
대한 형태 검토결과 확인
• 개발규격서 초안 작성/완성
부체계 설계 및 - 성능위주 작성 여부
• 기본설계 검토 : 구성품 수준 개략 설계
규격화 - 규격의 수준 및 범위 설정
• 상세설계 검토 : 부체계별 유용한 성능
• 상세설계 검토(CDR)시 부 체계 규격에
형 또는 상세형 규격 형태 결정
대한 형태 검토
• 상세설계 검토 : 부품 수준 개략 설계 • 규격과 하위 기술자료와의 형태 검토
제품(구성품,
• 제품규격서 초안 작성/완성 • 상세설계 검토(CDR)시 구성품, 부품 규
결합체, 부품)
• 조달단위, 보급품 단위로 규격화 격에 대한 형태 검토
설계 및 규격화
• 부품단위는 도면으로 관리 • 필요시 성능형 도면 관리 검토
규격화 완성 • 국방규격(안) 작성 심의시 혼합형 규격
• 국방규격(안) 작성 심의 제안
및 승인 의 형태 확인 적절성 검토

- 120 -
제 2 절 혼합형 규격으로 전환 가능한 유형 및 방안

2.1 혼합형 규격으로 전환 가능한 유형 검토

1.혼합형 규격으로 전환 시 고려사항


가. 국방규격의 분류체계를 고려하여 하부 체계특성 및 하부품목의 수량정도와 하부체계
규격과 도면 및 기타 기술자료 보유 여부를 고려하여 혼합형으로 대분류하고 특정규격
을 전환
(1) 어떤 규격 및 도면을 성능형과 상세형으로 분류할 것인지 세부적인 내용의 검토가
필요함(사업계획 수립 별도의 사업으로 추진)
(2) 부체계 및 구성품/결합체(조립체)가 타 체계와 연계된 여부를 검토 후 전환

(3) 군급분류 번호를 참조하여 규격대상품의 특성을 검토 후 전환여부 결정


나. 무기체계 또는 전력지원체계의 형태에 따라, 규격대상품의 특성과 규격에 포함된 기술
자료의 진부화, 상용화 등을 고려하여 성능형과 상세형 필요성 여부를 판단 분류하고
특정규격을 전환
다. 단품의 경우 혼합형으로 분류가 불필요함
2.혼합형 규격으로 전환 가능한 유형 검토기준
가. 현 국방규격의 기술자료별 유형 검토 기준을 제시함
<표 4-5> 국방규격의 기술자료별 유형 검토 기준

구 분 상부 체계가 성능형 규격의 검토 유형 상부 체계가 상세형 규격의 경우 검토 유형


• 성능 및 중요도에 따라 상세형 도면 • 군사 기술적 보호여부를 고려 성능형 도면
• 구성품 및 결합체 특성에 따라 성능형과 상 • 구성품 및 결합체 특성에 따라 성능형과 상
도면 세형을 복합적으로 선정 세형을 복합적으로 선정
• 제작 또는 구매여부에 따라 성능형과 상세 • 제작 또는 구매여부에 따라 성능형과 상세
형 구분 선정 형 구분 선정
품질보증요구서 • 도면이 성능형이면 비공개를 고려한 상세형과 유사한 형태 필요
(QAR) • 규격의 공개 여부를 고려한 검사기준의 필요성과 야전부대 운용을 고려 상세형 형태 필요
SW 기술자료 • 규격의 유형과는 무관하게 작성법에 의해 필요한 자료로 분류
포장제원표 • 규격의 유형과는 무관하게 작성법에 의해 필요한 자료로 분류
부품/BOM 목록 • 규격의 유형과는 무관하게 작성법에 의해 필요한 자료로 분류

- 121 -
나. 분류체계를 고려한 혼합형 규격의 전환 가능한 대상 검토 기준의 연구결과는 다음 표
와 같음
<표 4-6> 혼합형 규격의 전환 가능한 유형 검토 기준

구 분 기능 및 특성을 고려한 유형 혼합형 규격 전환 기준

• 복잡한 기능을 보유한 하위체계가 다수 • 혼합형 규격으로 체계는 성능형 규격 가능

쳬계 유형 • 성능 및 제원 등 방호력 관련 표기 여부 • 필요하다면 혼합형 규격으로 상세형 규격

• 국내 연구개발 및 방산지정 품목여부 • 혼합형 규격으로 체계는 성능형, 하위품목 상세형

• 구성품 및 결합체의 구성수가 다수 여부 • 혼합형 규격으로 부체계는 성능형 규격 가능

• 부체계의 기능적 특성을 고려 • 특별한 기능적 특성이며 필요시 상세형


부체계 유형 • 연구개발 및 국내구매는 혼합형 규격,
• 연구개발 및 구매(국내, 해외) 여부
해외 구매는 단종 대비 성능형 규격 가능

• 방산지정 품목 여부 • 지정품목은 체계와 동일하게 성능형 규격 가능

• 혼합형 규격으로 성능형 규격 가능, 하위 품목


• 하부 품목의 다수 여부
은 특성을 고려 성능형과 상세형 모두 활용
구성품 및
결합체(조립체) • 전기, 전자, 광학, 기계기능 등 특성고려시 다
• 혼합형으로 기능별 특성에 맞게 적용
유형 기능 혼합품목 여부

• 민수규격 및 상용품 활용 여부 • 성능형 규격으로 분류

• 특성을 고려하고 규격과 도면의 수량 등을 고


• 가공품 조립형태 기능품목 여부 등 특성을 고려
려 성능형 또는 상세형 규격으로 선택
부품의 유형
• 인터페이스 등 고려 단일 기능품목 여부 • 성능형 규격으로 분류 가능

• 특수제작을 요하는 특성이면 • 상세형 규격으로 분류

(1) 주요 무기체계는 혼합형 규격이 원칙


(2) 국방규격의 공개문제를 고려하여 규격과 하위 기술자료의 관계를 정립하여 군사기술
보호 측면에서 전환대상 검토

2.2 혼합형 규격으로 전환 가능한 방안 검토

1.전환절차를 고려한 혼합형 규격의 작성 방안


가. 연구개발간 규격화 과정을 고려한 혼합형 규격 작성 및 전환 절차
혼합형 규격은 우선적으로 ①체계에 대한 규격의 형태 분류, ② 부 체계에 대한 규격의
형태 결정, ③제품(구성품, 결합체, 부품)에 대한 규격형태 결정, ④혼합형 규격의 전환
순으로 진행함이 적절함.

- 122 -
<표 4-7> 혼합형 규격 작성 및 전환 절차



체계 규격 ⇒ 부 체계 규격 ⇒ 제품(구성품,
결합체, 부품) 규격
⇒ 혼합형 규격 작성

• 비용 대 효과 • 기능/성능 등
• 국방규격의 작성대상/ • 개발규격서 초안 /기술발전추세 필수요소규제
검 분류 기준 등 참고 작성단계 • 규격의 효과 활용가 • 제조형 도면 최소화
토 • 체계규격서 초안 완성 • 기본설계 단계 능성(정부/업체) • 규격작성형식 준수
내 • 구성품 수준 개략 자체제작 및 외주 • 제품규격서 초안작성 • 시제품 제작단계
용 설계 단계 구매 결정 단계 • 제품규격서 보완
• 상세설계 단계 • 기술자료 최신화

나. 국방규격의 유형을 고려한 혼합형 규격 전환 가능한 방안


(1) 주체계 규격의 유형에 따라 부체계 및 제품규격의 형태를 달리하는 혼합형 규격으로
의 전환 방안을 고려해 보면 다음 표와 같이 구분하며 전환방안을 결정할 수 있다
<표 4-8> 전환 가능한 방안 검토 결과

구 분 주체계가 성능형 규격의 경우 주체계가 상세형 규격의 경우


성능형 규격 상세형 규격 성능형 규격 상세형 규격
하부규격
부체계 하부규격
보유시 하부규격 하부규격 하부규격 하부규격 하부규격 하부규격
미보유시
성능형 보유 미보유 보유 미보유 보유 미보유
상세형
구분 가능

구성품 및 하부 규격 보유와 하부 규격 보유와 하부 규격 보유와


하부 규격 보유와
결합체(조립체) 특성에 따라 특성에 따라 보유 특성에 따라
특성에 따라
특성에 따라 특성에 성능형 특성에
부품
성능형 또는 상세형 따라 규격 따라

(2) 주체계가 성능형 규격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면 부체계는 하부규격의 보유여부를
고려하여 성능형 규격 또는 상세형 규격으로 판단하고, 주체계가 상세형의 경우 부체
계 및 구성품, 결합체 모두 성능형으로 전환이 가능함
(3) 부체계가 성능형 규격의 경우 구성품 및 결합체의 경우는 하부규격 보유와 특성을 모
두 고려할 수 있으며, 상세형의 경우는 특성을 우선적으로 성능형으로 전환이 가능함
(4) 구성품 및 결합체의 경우 하부품목과 특성 및 주체계와 부체계 모두를 고려하여 성
능형과 상세형으로 전환이 가능하며, 부품의 경우는 우선적으로 특성에 따라 분류가
되며 주체계, 부체계, 결합체가 모두 성능형 규격일 경우에만 상세형 규격으로 한다.

- 123 -
2.혼합형 규격의 전환 및 적용에 대한 필요성 검토
가. 혼합형 규격의 전환에 대한 검토결과
m 쳬계의 특성과 하부체계 및 구성품 등의 유무를 고려하여 혼합형 규격 대상으로 분류
- 주요무기체계와 다수의 하부계체 및 구성품이 있는 경우 혼합형으로 분류
- 하부계체 및 구성품/결합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각각의 적절한 규격 형태 분류
m 국방규격 분류체계 WBS 및 군급번호를 검토하여 혼합형 규격 전환 대상 검토 후 전환
- 국방규격 분류체계를 통해 해당 규격의 WBS상 레벨과 군급번호 확인 검토
- 제시된 “혼합형 규격의 전환가능 대상 검토 기준표” 연구결과 활용 분류

m 한국의 경우 미국의 성능형 규격을 벤치마킹하는 등 다양한 검토 결과 실제 전환 가능한 대상


품목은 전기/전자 부품의 단품과 기계 부품의 일부만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됨

나. 관련기관 의견 수렴 및 전문가 토의 결과 혼합형 규격에 관한 의견 검토


(1) 성능형 규격에 대한 재정 및 전환 등의 적용이 정립되지 않은 가운데 혼합형 규격의
개념 적용 개념이 추가 되면 업무의 혼란을 가중하는 결과 초래 우려
(2) 혼합형 규격 작성 가이드북에 대해서도 상세형, 성능형, 혼합형 작성 방법에 대한 유
사한 사항을 반복하는 경우 업무의 혼란을 가중하는 결과 초래 우려
다. 혼합형 규격에 대한 정의는 방위사업관리규정과 표준화지침에서 개략적으로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용어에 대한 혼란은 없을 것으로 판단되며, 오히려 성능형과 상세형 두가
지 규격에서 선택문제로 혼란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를 상위규격은 혼합형 규격으로
선택하고 하위 규격은 충분한 검토와 특성을 살려 선택할 수 있는 여유를 갖게 되었고,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유형을 분류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으므로 이를 규정이나
지침의 별지 또는 부록으로 명시한다면 업무의 혼란이 초래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됨
라. 오히려 혼합형 규격을 적극적으로 적용함으로서 복잡한 장비의 경우 대부분 혼합형 규
격으로 이루어지므로 초기에 규격화 계획 수립시 쳬계규격은 혼합형 규격을 선택하여
계획을 수립하고 하부체계 및 주요 구성품은 그 특성과 경제성, 기술개발 능력 등을 고
려하여 규격의 수준을 결정하여 성능형과 상세형에 적합한 설계가 진행되도록 하여 각
종 개발비용을 절감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규격의 수준 선택으로 인한 실무담당자의
특정 규격 선호성을 방지할 수 있다.
마. 이는 여러 가지 규격의 수준결정 과정에서 기인할 수 있는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되기도 하며, 가장 현실적으로 효과적인 규격을 선택할 수 있고, 설계와
설계검토 회의 및 시험평가 과정에서도 가장 합리적인 판단을 할 수 있으리라 판단한다.

- 124 -
제 3 절 혼합형 규격 작성 가이드

3.1 혼합형 규격 작성 가이드 구성 및 고려사항

1.혼합형 규격 작성 가이드 구성 및 고려사항


가. 가이드 구성 장절 편성방안
<표 4-9> 가이드 구성 장절 편성방안

구 분 구 성내 용 비고
• 혼합형 규격의 정의 및 적용범위
- 혼합형 규격으로 전환가능한 유형 검토결과
• 혼합형 규격 개념 정립과 연계
- 성능형 규격 작성 대상 검토결과
개요 • 혼합형 규격 전환가능한 유형 검토
- 국방규격의 기술자료별 혼합형 규격 검토 유형
결과와 연계
• 혼합형 규격 작성시 검토 기준
• 성능형/상세형 구분 지침
• 규격서의 제목
- 표준품명 작성 방법, 원칙, 용어 선태 기준
• 국방규격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시작부 • 규격의 식별
본문과 연계
- 규격번호, 재고번호, 일자 표기 방법
- 임시규격서를 정시규격화하는 방법
• 적용범위 및 분류
• 적용자료 및 문서 • 국방규격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 필요조건 본문과 연계
혼합형 규격
- 상세형 기반 혼합형 규격서 • 부록 C 규격서 세부 작성법과 부록
작성법
- 성능형 기반 혼합형 규격서 D 성능형 규격 작성 가이드 개정(안)
• 검사와 시험 및 품질 보증 연계
• 포장 및 표시, 주기
첨부사항 • 필요시 미국의 성능형 규격 작성 가이드 원본 및 번역본

나.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내용과 부록의 내용을 고려 첨부형태로 구성


2.혼합형 규격 작성 가이드 검토시 고려사항
가.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그림 5. 규격서 3장 작성사례(성능형 규격)와 부
록 D 성능형 규격 작성가이드 수정(안)을 토대로 작성
나. 표준화업무지침 개정(안)과 연계하여 작성
다. 시범사업 성능형 규격 작성과정을 통한 제한사항 등을 고려
라. 국방규격 제정 및 개정업무에 실무담당관이 참고가 용이하도록 작성
마.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의 일부분으로 첨부 예정이므로 부록 D 등 유사
한 요소와 중복을 고려 작성
바. 혼합형 규격의 개념정립 검토결과 규격작성 대상의 유형별 특성을 고려
사. 혼합형 규격으로 전환 가능한 유형 검토 결과를 고려 대상검토 지침을 포함

- 125 -
3.2 혼합형 규격 작성 가이드 세부내용에 대한 연구 결과

1.개요 부분
가. 혼합형 규격의 정의 및 구성하는 상세형 기반 및 성능형 기반 규격의 형태 소개
나. 분류체계를 고려한 혼합형 규격의 작성 및 전환 가능한 유형 검토기준 제시
다. 기술자료 유형을 고려한 혼합형 규격의 작성 및 전환 가능한 유형 검토기준 제시
라. 연구개발 진행 단계별 혼합형 규격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업무분류 제시
마. 연구개발간 규격화 과정에서의 혼합형 규격작성 및 전환절차 제시
2.시작부
가. 규격서 시작부
(1) 규격서의 제목, 표준품명, 용어의 선택기준 등 시작부에 해당하는 사항들에 대하 여
작성할 수 있는 지침을 제시
(2) 특히, 품명을 작성함에 있어, 표준품명 작성 원칙을 제시함으로써 무분별한 품명 작
성을 제한함
나. 규격의 식별
(1) 규격의 형식, 관련 품목의 재고번호, 제․개정 일자를 표기하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규격 관련 정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함
3.혼합형 규격 작성 내용
가. 본문 구성 및 작성법
나. 적용자료 및 문서
다. 기본지침관련 사항 과 일반사항, 우선순위 등
라. 필요조건에서 성능형과 상세형 구분 지침
(1) 상세형 기반 혼합형 규격

(2) 성능형 기반 혼합형 규격


※ 국방규격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본문과 연계하여 작성지침 제시

4.첨부사항
가. 필요시 미국의 성능형 규격 작성 가이드 원본 및 번역본

- 126 -
제 5 장 연구목표 달성도 및 대외 기여도
제 1 절 연구목표 달성도

연구목표에 대한 세부적인 항목별 연구 산물을 고려한 달성도는 다음 표와 같이


1.
검토하였음
<표 5-1> 연구목표에 대한 항목별 달성도

연구목표 연구대상 연구 내용 및 범위 달성도


① 국외의 성능형 - 성능형 규격 제도 도입 성공 사례 조사
규격 제도도입 달성
실태분석 - 사례별 관련 정책, 제도, 규정 등을 분석

② 국외와 비교하여 - 국내외 성능형 규격 관련 정책, 제도, 규정


국내의 성능형 규격 등의 동향연구를 통한 미비점을 분석
❶국방규격의 달성
관련 실태 분석 - 민군규격 표준화 연구자료 및 소요군 의견
성능형 규격 (사례 : 3건 이상) 수렴 반영(무엇이 문제인지 실태파악)
으로 전환․
확대가 제한 ③ 성능형 규격 확대 - 성능형 규격 전환확대 제한사항 검토
되는 원인 및 달성
연계방안 검토 - 성능형 규격 전환 및 연계 적용확대 방안 검토
대안 제시
④ 성능형 규격 확대 - 방위사업법 및 규정 관련내용 검토
연계방안 관련 규정 달성
개정소요 섬토 - 관련 규정 개정소요 산출 검토

⑤ 국방표준종합정보 - 국방표준종합정보시스템과 연계하여 활용


달성
시스템과 연계 할 수 있는 방안 제시
- 상용품목 전환 검토대상 품목, 기술변경 및
⑥ 3개 품목이상
국산화개발 품목 등을 우선검토 달성
시범사업 대상선정
❷실제 성능형 - 3개 품목이상 시범사업대상품목 선정
규격으로 시범
정비를 통한 ⑦ 시범사업 대상 - 성능형 규격 전환 로드맵 수립
사례제시 및 성능형 규격정비 - 실제 성능형 규격 정비결과 성능형 규격을 달성
경제적 사례제시 재작성
효과분석
- 실제 집행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검토
⑧ 경제적 효과분석 달성
- 경제적 효과분석
⑨ 혼합형 규격의 - 혼합형 규격의 개념 정립
달성
개념 정립 - 혼합형 규격의 작성내용 검토
❸ 혼합형
- 상세형 규격에서 혼합형 규격으로 전환가능한
(Hybrid) ⑩ 혼합형 규격
규격의 유형 검토 달성
규격으로의 으로 전환방안
- 혼합형 규격으로 전환 가능한 방안 제시
전환 연구
⑪ 혼합형 규격 작성 - 혼합형 규격 작성 가이드 세부 내용 검토
달성
가이드 제작 - 가이드 제작

- 127 -
2. 연구결과에 대한 종합적인 내용에 대한 전문가 토의 결과는 다음과 같음
<표 5-2> 전문가 토의 결과

구 분 주요 과제 토의 결과 비 고
- 방위사업관리 규정 관련내용 개정(안) 제시
- 표준화업무지침 관련내용 개정(안) 제시
-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관련 개정(안)
후속조치
❶국방규격의 ① 각 종 규정개정안 제시
보완
성능형 규격 - 종합적인 개선 필요사항과 개선방안 제시
으로 전환․ - 규정 개정안은 쉽게 이해가 되도록 정리 요망
확대가 제한 - 연구 목적과 산물을 고려하여 흐름에 맞게 제안요망
되는 원인 및 - 성능형 규격 작성 및 분류 검토기준표 제시
대안에 대한 - 성능형 규격 전환 절차 제시 부록으로
토의 ② 실무에 적용 가능한
- 실무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내용으로 중간보고 개정안에
성능형 규격 분류 기
결과 대비 실무적인 구분을 통해 전자 및 기계분야 포함하여
준표
등 여러 유형별 선택하여 적용이 가능토록 제시 제시
- 규정안 개정시 충분하게 설득력이 있도록 검토요망
- KS 등 각종 인용 문서에 있는 성능에 관련되는 내용
을 본문에 기록함이 성능형 규격서와 상세형 규격의
③ 성능형 규격 세부내용
차이가 분명해지나 수정소요가 지속 발생함 현재
에서 KS 등 각종 인용
- 성능형 규격 작성이 미흡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음 상태로
문서의 내용을 본문
- 작성지침에 외부인용 자료의 경우 1쪽 이상 다수의 표기
에 반영 여부
분량이 있을 때는 인용자료 번호를 대체토록 함
❷실제 성능형 - 인용문서 번호를 표기 형태가 적절함
규격으로 시범
정비된 - 성능형 규격에 도면이 명시되어 있으니 상세형과 차
성능형 규격 이점을 찾기 곤란하고 성능형 규격 작성이 미흡한
4종에 대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음
인터페이스
토의 - 인터페이스 문제 해결을 위하여 도면 첨부가 필요
④ 성능형 규격서 세부 와
- 실제 중요한 내용은 성능형 규격이 필요성임, 견본
내용에서 도면 첨부 같이 필용한
대여 없이 규격과 도면만으로 제작이 되어 조달이
에 대한 필요성 분야에는
원할해야 하므로 현재는 도면의 정비가 우선적임
도면 적용
- 구체적인 성능이 들어간 형태로 전환되어야하고, 보
다 단순화 및 다수의 규격 통합 등으로 예산절감 효
과가 있어야 함
- 혼합형 규격의 개념에 대해 보다 이해가 쉽고 명확
한 의사전달이 되도록 일반적인 내용으로 재 검토
- 상세형과 성능형 규격도 정립이 안된 상태에서 혼합
형 규격의 개념이 추가되면 업무의 혼란과중
❸ 혼합형 ⑤ 혼합형 규격의 개념 - 혼합형 규격의 개념을 적용하지 않는 방향도 검토 정의 부분
(Hybrid) 정립 - 규정에 언급된 혼합형 규격에 대한 개념정리가 필요 재 검토
규격으로의 하며 연구의 목적상 개념에서부터 실무에 적용하기
전환 연구에 위한 기준서 및 전환절차, 방안까지 제시하고
대한 토의 - 혼합형 규격 적용시를 대비하여 작성 가이드 북까지
연구안을 제시함
- 연구안 제시시 부록에 포함될 부분은 상세형과 성능
⑥ 혼합형 규격 작성 가 부록
형 작성 가이드에 중복되는 사항은 근거 표시
이드 제작 참조
- 별도로 제시되는 산물은 책자형으로 모든 내용 수록

- 128 -
제 2 절 대외 기여도

1.연구 기대성과
가. 본 연구는 향후 국방분야에 상용제품의 획득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는 결정적인 계기
가 될 것으로 기대됨.
나. 성능형 규격전환 확대는 정책적․제도적 차원에서 상용제품의 획득을 저해하는 요인을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법제화․규정화함으로써 상용품 활용
추진 활성화를 위한 강력한 기반을 확보할 수 있음.
다. 결국 제반 상용제품 획득 기반이 마련되기 위해서는 성능형 규격전환이 확대되어야하
며,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기술적/경제적/군사적으로 다음과 같은 다양한 파급효과가
전망되고 있음.
라. 연구의 결과를 통해 성능형 규격에 대한 개념이 정립되어 보다 구체화된 개념으로
성능형 규격에 대하여 이해 증진을 가져오게 될 것이다.
마. 각 종 규정 개정 절차를 통해서 국방규격의 작성이 군수조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다시 한번 중요성을 인식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바. 혼합형 규격의 개념을 정립함에 따라 보다 구체화된 규정과 지침을 갖게 될 것이며 규정
개정 절차를 거치면 성능형 규격과 혼합형 규격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정리될 것이다.
사. 제시된 절차와 전환 대상 검토기준에 의해 실무에 적용함으로서 보다 국방규격 작성
및 적합성 검토 등의 활동에 있어서 성능형 규격에 대한 이해도가 증대 될 것이다
아. 제시된 성능형 가이드북 개정(안)과 혼합형 가이드 북에 의해서 각 규격작성 기관은
보다 체계적인 국방규격을 작성하게 되겠으며,
자. 제시된 로드맵에 의하여 성능형 규격 전환사업이 지속된다면 미국의 국방개혁 보다는
짧은 시간에 한국의 국방규격은 폐지와 성능형 규격 전환, 상세형 규격의 정비 등의
다양한 효과를 가져 올 것이다.
차. 아울러 소개된 일부 야전과 규격작성기관의 의견 및 설문에서 국방규격의 질적인 정비
소요에 대하여 관계 부서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방규격의 정비계획에 추가 반영한다면
한국의 국방규격 정비기간은 단축될 것이다.
2.파급효과
가. 기술적 측면
(1) 성능형 규격 현황에 대한 DB 구축으로 제조기술 혁신 및 기술수준 발전 유도로 생산
성 향상, 품질안정, 원가절감
(2) 성능형 규격전환 활성화에 따라 상용전환 체계 기반 구축 및 상용전환 확대로 민군
겸용기술 개발 활성화

- 129 -
(3) 향후 우수한 기술력과 가격경쟁력을 가진 민간업체가 활발하게 방산시장에 신규업체
참여가 용이하고 일반 업체의 군수 시장 진입 진입할 수 있는 기회가 증대되어 방위
산업 기반이 크게 증대되고 결국 이로 인해 국내 방위산업 경쟁력이 글로벌 수준으
로 도약하는데 일조하게 됨.
(4) 또한, 국내 국방과학기술 수준이 세계 10위권 밖에 계속 머무르고 있으나,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우수한 민간의 기술과 장비를 국방분야에서 적극 활용하는 체계가 구축될
경우 단기간 내에 국방기술력 전반에 걸쳐 향상되어 10위권 이내에 계속 자리 잡는
데 크게 기여할 것임.
(5) 결국 이와 같이 국방분야와 민간분야 업체간 경쟁구도가 정착될 경우 방산업체 등
기존 국방분야에 자리 잡고 있던 업체들도 자발적으로 기술혁신 노력을 적극 추진하는
촉매제가 될 것임.
나. 군사적 측면
(1) 성능형 규격으로 상용품 활용이 확대되면 일반적으로 공급원이 제한적인 국방규격품
보다 훨씬 조달이 용이하기 때문에 획득기간의 단축과 신뢰도 향상, 장비의 가동율
증가 등이 이루어지고 결국 높은 수준의 군 전투력 증강 효과가 창출하게 됨
(조달기간 단축으로 적기 조달에 기여)
(2) 전시에도 조달원 확보가 용이하여 동원능력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기 때문에 유
사시 군 전투력을 계속 유지하거나 적 대비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함.
(3) 탐색 및 체계개발 계획서 수립 시, 상세설계 검토 간 적용해야할 기준 정립으로 연구
개발 무기체계의 규격화 목록화 추진계획 수립에 기여
(4) 국방규격의 성능형 및 상세형 규격 현황에 대한 DB 구축으로 관리체계 정비로 국방
규격 관리비용 절감
(5) 군수품 품질보증 및 신뢰도 향상

다. 경제적 측면
(1) 성능형 규격전환 확대에 따른 상용제품의 획득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면 결국 경쟁
조달이 일반화되고 다수의 공급원이 확보됨으로써 일반적으로 군수품의 획득부터 운
영유지 전반에 걸쳐 총수명주기비용의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음.
(2) 또한, 국방규격을 별도로 제정․관리하여 소요되는 인력 및 예산 등의 제반 비용이 대
폭 절감할 수 있게 되므로 무기체계 획득시 규격화 / 목록화 비용 대폭 절감됨
(3) 한편, 군에서만 사용되는 국방규격품 대신 상용품목의 활용을 확대하여 추가적인 생
산이 이루어짐으로써 규모의 경제효과를 창출할 수 있음.
(4) 결국 이와 같은 제반 효과에 의해 저비용․고효율의 국방자원운영체계를 구축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음.

- 130 -
제 6 장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제 1 절 추가연구의 필요성

1. 본 연구에서 제시된 로드맵에 의한 추가 연구가 지속되어야함


가. 본 연구에서는 우선 보유하고 있는 상세형 규격에 대하여 미국의 성능형 규격의유사한
품목을 식별한 결과 전기전자 및 일부 기계류 부품에 한정하여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
하는 로드맵을 작성하였음
나. 로드맵 구상시 사업대상 기간과 예산을 고려하지 않고 1차적으로 5개년 계획을 수립하
였으며, 식별된 국방규격 중에서 활성과 비활성 품목을 대상으로 다음표와 같이 계획을
제시하였음
<표 6-1>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 대상 검토결과

연도별 전환계획
구 분 계
X+1년 X+2년 X+3년 X+4년 X+5년

품목수 1,097 100 200 233 250 314

2. 추가 연구의 필요성 및 고려사항


가. 본 연구에서 제시된 로드맵은 예산과 품목별 특성을 고려한 시제제작과 시험 등성능형
으로 전환에 따른 소요기간 및 예산은 고려되지 않았지 때문에 차기연도에 일부 사항
을 정비하면서 대상품목에 대한 집중 분석을 통해 로드맵 구체화 필요
나. 추가 연구를 진행하면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각 종 규정과 지침에 대한 개정을 위해
수반되는 행정적인 절차와 추가 요구되는 보완사항에 대하여 지속적인 지원을 위해서
는 추가 연구가 반드시 필요함
다. 특히 현재 식별된 전환대상 품목은 구형장비의 부품으로서 단종으로 인한 야전 장비가
동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으므로 조기에 규격의 정비를 통해 상용화 촉
진과 조달여건 개선을 통해서 군사적, 경제적 기여를 할 수 있도록 해야함
라. 추가 연구에 대한 5개년 계획의 기반하에 가용한 예산을 우선하여 년도별 품목수를 결
정해야함

- 131 -
(1) 1차년도는 우선적으로 개략적인 품목수를 시행하면서 그중에 시제제작이 필요한 것
과 필요없는 것을 우선 분류하여 연구 보고 결과에 대한 관련기관의 협조가 필요함
(2) 2차년도 이후는 시제제작이 필요 없는 품목 과 시제제작이 필요한 품목을 명시하여
연구를 진행하므로 보다 효율적이고 연구의 질적 향상을 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3) 품목과 수량의 판단은 경제적 효과를 많이 기대할 수 있는 연간 소요가 많은 품목을
우선적으로 선정하거나,
(4) 현재 조달에 제한을 받고 있는 품목을 식별하여 우선적으로 선정하거나 또는 국방규
격과 도면으로 제작이 제한되어 견본을 지원하는 품목 중에서 성능형으로 전환이 필
요하다고 규격관리기관에서 제시하는 품목을 우선적으로 포함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음
(5) 현재의 국방규격을 폐지하고 도면에 대하여 성능형으로 보완이 필요한 사항도 추가
연구 대상이 될 수 있음

- 132 -
제 2 절 타 연구에의 응용

1.연구 완료 후 제시할 사항
가. 국방규격의 성능형 규격 제한사항(사례 추가)
나. 시범사업(3개이상) 국방규격 개정(안)
다. 국방 표준화 정보체계 연계 활용(안)
라. 경제적 효과분석
마. 미국의 성능형 규격 확대 관련 정책, 제도, 규정 내용
바. 국내의 성능형 규격 관련 정책, 제도, 규정 미비점
사. 성능형 규격 확대를 위한 관련 규정 개정(안)
아. 성능형 규격 작성이 효율적인 무기체계/비무기체계 품목 리스트
자. 혼합형 규격 작성 가이드
2. 예상되는 연구결과 활용부서
<표 6-2> 연구결과 활용부서

기관명
활용내용
부서 팀
방사청 - 민‧군 규격 표준화 사업 추진
표준기획팀
분석시험평가국 - 규격화 및 형상관리 업무

방사청 계약관리본부 장비 규격팀


- 규격화 및 형상관리 업무
계획지원부 물자 규격팀
방사청 사업관리본부 IPT - 규격화 및 형상관리 업무
품질경영 본부 - 민‧군 규격 표준화 사업 추진
기술품질원
각 센터 사업관련팀 - 규격화 및 형상관리 업무
국방과학연구소 체계개발팀 - 규격화 및 형상관리 업무
국방부 전력증강 사업관련과 - 규격화 및 형상관리 업무
합참 전력증강 사업관련과 - 규격화 및 형상관리 업무
전력증강 사업관련과 - 규격화 및 형상관리 업무
각 소요군 군수사 - 규격화 및 형상관리 업무
군수학교 - 규격화 및 형상관리 업무
방산 업체 연구소 및 사업팀 - 규격화 및 형상관리 업무

3. 기타 국방규격 정비 및 공개 확대에 관련된 연구

- 133 -
제7장결론
1.국방규격의 성능형 규격 전환확대가 제한되는 원인 및 대안 제시
가. 외국의 성능형 규격 확대 관련 정책, 제도, 규정 내용
(1) 1994년 규격과 표준(Specification and Standards)에 관한 정책각서(memorandum)를 시작
으로 2001년까지 집중적으로 개혁활동을 하고 2005년 정도에 성능형 규격을 정착시켰음
(2) 미국은 ASSIST"라는 규격/표준관련 통합정보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2014.7.23.일 기준 성능형 규격은 약 3,111종으로 대부분의 성능형 규격이 부품(Part)
레벨이거나 구성품(Component) 레벨임
(3) 영국은 표준을 사용하며, 호주는 미국의 SD-15 가이드북을 기준으로 미국 제도를 따르고 있음
나. 국내의 성능형 규격 관련 정책, 제도, 규정 미비점(무엇이 문제인가?)
(1) 한국은 민․군 규격 표준화 사업을 통하여 2004년과 2006년 표준화지침에 관련내용에
수록하였으나 현장에서는 적용하는 기준이 없고, 원활한 심의를 위해 실무자의 상세형
규격 선호와 품질보증 보장곤란을 우려하여 기피현상이 심화된 것으로 판단됨.
(2) 핵심적인 기피요인은 강제성이 없고 규격정비(전환) 계획 미수립과 성능형 규격 대상
결정 유형에 대한 식별기준이 부재하여 이를 규정 개정안에 포함하여 제시하였음
(3) 성능형 규격과 상세형 규격의 필요성 구분을 위한 전문가 부족 및 교육이 부족함.
다. 국방규격의 성능형 규격 제한사항(사례연구 포함된, 실패 원인) 및 개선사항
(1) 실태분석을 통해 진단된 실패원인은 성능형 규격의 작성과 전환에 대한 규격관리
기관의 공감대 형성이 미흡했고, 효과적인 방법을 고려한 선택방안 미제시로 성능형
규격을 기피하고, 성능형 규격 전환 마스터플랜의 부재로 실현이 불가한 사항이었음.
(2) 개선이 필요한 사항은  제도적으로 성능형 규격을 작성할 수 있는 여건 개선을 위한
공감대 형성과  규격작성 기관의 규격 재·개정 및 정비 업무보완을 위한 지침과
가이드북 보완  규격업무 조직 및 인력양상 방안  벤치마킹을 제한하였으며 
추가적으로 원활한 조달을 위한 개선사항과  종합하여 추진기관과 소요되는 시기
가 명시된 정책 건의사항 7개 항(장기 : 2, 단기 : 5개항)을 제시하였음(표 2-34)
라. 성능형 규격 확대를 위한 관련 규정 개정(안)
(1) 규정과 지침에 설계단계에서 규격선택을 선택하는 시기와 성능형 유형 분류를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 세부 조항은 부록에서 제시하고, 표기방법을 벤치마킹 하였음
(2) 개정(안) 작성시 미국의 SD-15 성능형 규격을 번역하여 현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
에 관한 지침 부록 “D”를 보완하는 개정안을 추가 제시하고
(3) 성능형 규격 식별 기준을 작성하여 부록(#2)으로 제시하였음

- 134 -
마. 국방 표준화 정보체계 연계 활용(안)에서 미국의 성능형 규격을 구분하여 식별하는 명
칭체계를 벤치마킹하여 적용하는 요소와 규격에 대한 기술보호를 위해 열람은 가능하
지만 복사, 인쇄, 캡쳐가 불가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시하였음
2.현 국방규격을 검토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해야 할 마스트 플랜 수립
가. 시범사업(3개 이상) 국방규격 개정(안)
(1) 시범사업 대상품목 선정 절차와 분류기준을 연구하고 미국의 성능형 규격과 유사한
한국의 국방규격 2,430종의 규격서는 대부분 전기, 전자부품이며 일부 결합체 및 조
립체가 포함되어 있으며 검토결과 호스 및 스위치, 밸브를 선정하여 검토하였음
(2) 미국의 성능형 규격 작성 가이드 번역을 통해 확인된 사항과 추가적으로 미국의 상
세형 및 성능형 규격을 번역하여 한국의 유사한 품목 상세형 규격을 비교하여 4건의
성능형 규격을 제정하였음
나. 경제적 효과분석
(1) 상기 시범품목을 토대로  경제적 파급효과(산업연관 분석),  부품 단종으로 인한
사용불능 발생방지 효과(현재 가치 계산법),  산업의 진입장벽 축소 효과,  일자
리 창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미국의 사례를 병행하여 소개하였음.
(2) 금번 시범사업 4품목은 연간 소요나 단가면에서 저가인 품목이므로 큰 비용의 절감
은 아니지만 적절한 효과는 분석하여 제시를 하였음
다. 성능형 규격 작성이 효율적인 로드맵과 무기체계/비무기체계 품목 리스트 작성
(1) 성능형 규격 전환계획은 미국의 성능형 규격과 유사한 한국의 국방규격을 확인 결과
2,430종의 규격서를 추출하여 폐지된 것은 제외하고1,097품목을 대상으로 로드맵을
작성하였음
(2) 국내외 실태분석과 사례분석, 시범품목 선정 및 성능형 규격 전환과 경제적 효과분석
등을 통하여 상세형 규격의 성능형으로 전환은 다소의 어려움이 존재 한다는 사항을
체험하였음
(3) 우선 무기체계와 전력지원체계를 분류하고, 활성과 비활성 품목에서 년차별로 전력지
원체계 이면서 활성인 것부터 계획연도를 1년차부터 3년차에 반영하였음
3.혼합형 규격으로서의 전환 연구
가. 혼합형 규격의 개념 정립
(1) 검토결과 혼합형 규격의 정의를 “혼합형 규격이란 체계장비 이하 규격 또는 도면이
성능형과 상세형의 두 가지로 혼합 구성된 형태를 통칭하며, 체계/부체계/구성품/결합

- 135 -
체 및 부품 등이 특성에 맞게 상세형과 성능형 규격 및 도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라고 우선적으로 정립하여 혼란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하였음.
(2) 미국의 경우 혼합형을 적용한다고는 하나 별도로 분류된 것은 없으며, 상세형과 성능
형 규격의 요구사항을 모두 포함하는 것은 상세형으로 보고 있다
(3) 한국은 내용을 검토해 보면 규격은 대부분 상세형 형태를 가진 성능과 특성을 기록한
성능형으로 칭해도 무방할 정도이며, 도면의 경우는 대부분 상세형이라고 할 수 있다.

나. 혼합형 규격으로 재정 및 전환 가능한 유형과 방안에 대한 기준을 제시


(1) 연구개발 진행단계별 규격형태 경정 업무를 분류하고, 혼합형 규격의 전환가능한 대
상이나 유형의 검토 기준을 제시하였음, 아울러 기술자료별 유형별 검토기준도 제시
(2) 혼합형 규격작성 및 전환절차와 국방규격의 유형을 고려한 전환가능한 방안도 제시
하였으며 혼합형 규격의 등장으로 야기될 수 있는 혼란이 없도록 유형을 검토하였음.
(3) 종합적인 검토결과 실제 전환 가능한 대상 품목은 하부품목이 성능형으로 전환이 필요
한 품목은 모두 혼합형으로 판단되며, 재정시에는 체계규격은 혼합형 규격으로 판단됨
다. 혼합형 규격 작성 가이드는 혼합형 규격 검토결과 도출된 사항과 국방규격 작성방법
및 성능형 규격 작성방법을 활용하여 작성하였음
4.연구목표 달성 및 기대되는 활용 분야와 차후연구의 필요성
가. 연구목표는 국방규격의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 확대가 제한되는 원인 및 대안 제시, 사
례를 검토후 시범정비 품목을 검토 결과 4건의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 경제적 효과분
석, 혼합형 규격의 개념을 정립, 혼합형 규격으로 전환하는 유형과 검토기준을 제시, 혼
합형 규격 작성 가이드 북, 각종 규정 개정 및 참고자료를 산물로 제시하므로 충분히
달성하였다고 판단됨
나. 기대되는 기여도 및 대외 활용분야는 성능형 규격의 전환이 활성화 된다면 군수조달
분야 제한사항 감소와 상용품 활용 활성화 및 기술적 경제적 군사적 파급효과가 클 것
으로 기대할 수 있음
다. 본 연구는 시범적인 연구로 연구간에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해야할 대상이 약 1,097종의
규격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로드맵을 제시 하였으며, 이의 실행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차후 연구가 필요함
라. 연구간에 생성된 다양한 산물은 민군 규격 표준화 사업뿐 만 아니라 국방규격의 정비
및 공개 확대 사업 등 다수의 부서에서 활용가능하리라 판단됨

- 136 -
참고문헌
1. 국방기술품질원, “국방규격 체계정립 및 국제규격 수준화” DTAQ-08-1739-R, 2008, 현황 최
신화
2. 성인철, “성능형 규격 동향조사 연구”, DTaQ-09-1919-R, 2009.5, 국방기술품질원
3. 2014년 7월 23일 기준 최신화 미국 ASSIST 현황조사 및 기연구 자료 종합
4. SD-15 : 성능형 규격 가이드(2009년판)
5. 국방기술품질원, DQAA-01-645-R 비무기체계 표준품목의 상용전환 연구, 2000
6. 국방기술품질원, DQAA-03-884-R 비무기체계 표준품목의 상용전환 연구, 2002
7. 국방기술품질원, DQAA-05-1130-R 국방규격 체계정립 및 국제규격 수준화, 2004
8. 국방기술품질원, DQAA-06-1220-R 국방규격 체계정립 및 국제규격 수준화, 2005
9. 국방기술품질원, DQAA-07-1372-R 국방규격 체계정립 및 국제규격 수준화, 2008
10. 방위사업청, 방위사업관리규정, 훈령 제294호, 2014. 7.22
11. 방위사업청, 표준화업무지침, 예규 제247호, 2014. 9.3
12. 방위사업청,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예규 제248호, 2014. 9.3
13. 방위사업청, 민군규격 통일화 업무지침, 예규 제134호, 2013. 5.22
14. 방위사업청, “연구개발사업 규격화 업무 매뉴얼”, 2013.6월
15. 방위사업청, 2014년 7월 23일 기준 국방규격 현황조사, KDSIS
16. 방위사업청, 통계연보, 통계현황, 2013. 8
17. 방위사업청, 통계연보, 통계현황, 2012. 11
18. 육군 군수사 성능형 규격 작성에 관한 적용기준 표준화 연구 제안서
19. 국무총리실 외, “제3차 국가표준기본계획 2013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 2013
20. 국방기술품질원, “ 군수품 표준화 업무 수행체계 재정립 방안 연구”, 2011
21. 유춘번, 정순목, “형상관리 제도개선 및 감액업무 처리제도 정립”2012 , 21세기 군사연구소
22. DoD Directive 4120.24-M 국방 표준화에 관한 지침
23. DoD 5010.12-M 기술자료 획득에 관한 지침
24. MIL-STD-961 규격작성 서식과 내용에 관한 지침
25. MIL-STD-962 표준서 서식과 내용에 관한 지침
26. DoD Directive 5230.24 기술자료의 배포등급(공개등급)에 관한 지침
27. Federal Cataloging CAGE Handbook 정부기관 및 방산업체 분류코드 핸드북
28. DoD-STD-2101 국방 문서자료의 특징별 분류에 관한 지침
29. 미 연방조달간소화법(FASA: Federal Acquisition Streamlining Act of 1994)
30. STANMAN, SPECMAN 및 MCE Requirements Determination - —Functional and Performance
Specification Development Guidelines
31. DoD 지침 4120.24-M의 C3.5. “WHEN NOT TO STANDARDIZE.”
32. MIL-STD-963 자료목록명세서 (DID) 서식과 내용에 관한 지침
33. Note 13, Selection of Standards for use in Defense Acquisition V6, UK MoD DE&S Safety &
Engineering (p.6)

- 137 -
34. http://www.navy.gov.au/reserves/e-docs/DATA/DEFPUBS/DEPTMAN/STANMAN/STANP03/03.pdf
35. Melitz(2003), “The Impact of Trade on Intra-industry Reallocations and Aggregate Industry
Productivity," Econometrica, 71(6), pp. 1695-1725.
36. Mortensen and Pissarides(1994), “Job creation and job destruction in the theory of
unemployment," Review of Economic Studies, 61(3), pp. 397-415. 상기 저자들은 본 논문으로
인해 2010년에 노벨경제학상을 받음
37. DoD 훈령(Instruction) 5000.02(국방획득체계의 운영)
38. Law 82-436 Cataloging and Standardization Act
39. DSP 정책 메모 05-3(Elimination of Waiver to Cite Military Specifications and Standards in
Solicitations and Contracts)
40. DAU, SE Fundamentals,(2001.1)
41. 호주국방부, FPS(Function Performance Specification) Development Guide, 2004
42. MIL-STD-2073-1 군사 포장제원에 관한 권장사항
43. MIL-STD-31000A 기술자료 묶음 (TDP) 서식과 내용에 관한 지침
44. ASSIST database의 FAQs(www.dodssp.dla.mil) 재정리
45. www.assistdocs.com 자료 정리.
46.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산업연관표(2010년 실측표를 기준으로 한 2012년 연장표)
47. BAE Systems 글로벌 기업, 방위사업청(매출액)
48. 한국생산성본부 통계 DB
49. 김대익외 5명, “방산수출진흥 육성기금 신설 및 운영방안 연구”, 2010,

- 138 -
약어정리
ACTD ACTD 신개념기술시범
AFNOR The French Standards Association 프랑스 표준협회
AIS Automated Information Systems 자동화정보체계
ANS American National Standards 미국 국가표준
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미국 국가표준협회
ASR Alternative Systems Review 대안 시스템 검토
ASSIST Acquisition Streamlining and Standardization Information System
표준화 정보체계
ASTM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International
미국 재료시험학회
BSI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영국 표준협회
CDR Critical Design Review 상세설계검토
CEN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유럽 표준화위원회
CE Certificate of Europe 유럽공동체
CI Configuration Item 형상품목
CIDs Commercial Item Descriptions 상용품 기술서
COPOLCO Committee on Consumer Policy 소비자정책위원회
CSC Computer Software Component 형상요소
CSCI Computer Software Configuration Item 형상항목
CSP Concurrent Spare Parts 동시조달 수리부속품
DAU Defense Acquisition University (미국) 국방획득대학
DCMIS Defense Configuration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국방형상관리정보체계
DepSOs Departmental Standardization Offices 각군/기관 표준화 사무국
DIDs Data Item Descriptions 데이터품목기술서
DISA Defense Information System Agency 국방정보체계국
DLA Defense Logistics Agency (미국) 국방군수국
DMSMS Diminishing Manufacturing Source and Manufacturing Shortage
부품단종
DND Department of National Defence (캐나다) 국방부
DoD Department of Defense (미국) 국방부
DoDISS Department of Defense Index of Specifications and Standards
국방규격/표준 목록부
DPA Defence Procurement Agency 국방조달국

- 139 -
DPAMIS Defense Procurement Agenc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국방조달관리정보체계
DPMS Defense Procurement Management System 국방조달관리체계
DSC Defense Standardization Council 국방 표준화 심의회
DSP Defense Standardization Program 국방표준화 프로그램
DSPO Defense Standardization Program Office 국방 표준화 프로그램 사무국
DStan The UK Defence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영국 표준화 기구
DSW Defense Software 국방소프트웨어
DTiMS Defense Technolog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국방기술정보통합관리체계
EC The European Commission 유럽위원회
EU Europe Union 유럽연합
EVMS 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 성과관리체계
FSM Firmware Support Manual 펌웨어 설치지침서
IAE International Aerospace Exhibition 국제항공우주박람회
ICS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 Standards 국제표준분류
IDD Interface Design Description 인터페이스 설계 명세서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 Electronics Engineers 전기전자공학협회
ILS-P Integrated Logistics Support Plan 종합군수지원계획서
IPT Integrated Product Team 통합사업팀
IRS Interface Requirement Specification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명세서
ISAs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greements 국제 표준화협약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표준화기구
JSA Japanese Standards Associatio 일본규격협회
KDS Korean Defense Standards 국방표준
KDS Korean Defense Specifications 국방정식규격
KHP Korean Helicopter Program 한국형헬기사업
KICS Korea Information Communication Standards 한국 정보통신표준
KS Korean Industrial Standards 한국 산업표준
KSA Korea Standards Association 한국표준협회
KSIC Korea Standard Information Center 국가표준종합정보센터
KSSN Korea Standard & Standardization Network 국가표준정보네트워크
LSA Lead Standardization Activity 표준화 선도활동
MOD Ministry of Defence (영국) 국방부
NATO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북대서양조약기구
NCS NATO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나토 표준화 위원회
NCW Network Centric Warfare 네트워크 중심 전장환경

- 140 -
NDS National Defense Standard 일본 방위성규격
NF Norme Francaise 프랑스국가규격
NIIN National Item Identification Number 국가품목식별부호
NSA NATO Standardization Agency 나토 표준화국
NSA/CSS National Security Agency/Central Security Service
국가안보국
NSN National Stock Number 국가재고번호
NSO NATO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나토 표준화 조직
NSS National Standards Strategy 국가표준화전략
NTIS National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 국가과학기술정보체계
ORD Operational Requirements Document 운용요구서
PA Participating Activity 참여활동
PAS Public Available Specification 공용규격
PASC Pacific Area Standards Congress 태평양지역 표준회의
PBA Performance Based Acquisition 성과기반획득
PBL Performance Based Logistics 성과기반군수
PCW Platform Centric Warfare 플랫폼 중심 전장환경
PDR Preliminary Design Review 예비설계 검토
QAR Quality Assurance Requirement 품질보증요구서
QDS Qualification Data Sets 인증데이터세트
QML The Qualified Manufacturers Lists 제조자인증목록
QPD Qualification Products Database 인증제품데이터베이스
QPL Qualified Products Lists 제품인증목록
ROC Required Operational Capability 작전운용성능
SBA Simulation Based Acquisition 시뮬레이션 기반 획득
SCC Standards Council of Canada 캐나다 표준위원회
SD Standardization Document 표준화 문서
SDD Software Design Description 소프트웨어 설계 명세서
SDO Standards Developing Organization 표준개발기관
SFR System Function Review 시스템 기능검토
SLP Software Lifecycle Processes 소프트웨어 수명주기 프로세스
SMAs Standardization Management Activities 표준화 관리 활동
SPS Software Version Description 소프트웨어 산출물 명세서
SRR System Requirement Review 시스템 요구사항 검토
SRS Software Requirement Specification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명세서
SSIP Standardization Strategy and Implementation Plan
표준화 전략 및 수행계획

- 141 -
STD Software Test Description 소프트웨어 시험 명세서
STR Software Test Report 소프트웨어 시험 보고서
SVD Software Version Description 소프트웨어 버전 명세서
TAG Technical Advisory Groups 기술자문그룹
TC/SC Technical Committee/Secretary Committee 기술위원회/분과위원회
TDP Technical Data Package 기술자료 묶음
TEMP Test and Evaluation Master Plan 시험평가기본계획서
TOC Total Ownership Cost 총 소유비용
TPM Total Productive Maintenance 종합생상보존
TRDI Technical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기술연구본부
TRR Test Readiness Review 시험준비 검토
UL Underwriters Laboratoris 안전규격
USD AT&L Under Secretary of Defense for Acquisition, Technoloay and Logistics
획득/기술 및 군수 차관
USSS United States Standards Strategy 미국 표준전략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업무분할구조
WSC World Standard Cooperation 국제표준협력체

- 142 -
부록 # 1 : 각 종 규정 및 지침 개정(안)
❍ 성능형 규격 관련 규정
- 방위사업관리규정(훈령 제294호, 2014. 7.22)

구분 을 으로 사유
① ~ ②(생략) ① ~ ② (좌동) 성능형 규격
③ 연구개발시 설계단계부터 성능형 작성을 위한
규격과 상세형 규격 작성 대상을 제반여건
제598조 구분하여 기본설계 검토회의시 검토 및 작성
(국방규격 결정하도록 하며, 성능형 규격 내용 추가,
의 대상은 성능형 규격 작성 방법에 규격선택
제정원칙) 의거 제반여건을 검토한후 성능형 시점
규격 작성을 확정 또는 상세형 규격 명시
대상으로 조정하여 상세설계시
검토한다.
국방규격은 제품의 특성, 군수지원의 ①국방규격은 제품의 특성, 규격유형
효율성, 경제적 조달, 국내의 군수지원의 효율성, 경제적 조달, 선택
기술수준 및 능력 등을 고려하여 국내의 기술수준 및 능력 등을 기준자료
성능형규격과 상세형 규격 중에서 고려하여 설계검토시 판단된 자료를 명시,
효과적인 방법을 선택하여 작성할 수 참고하여 성능형 규격과 상세형 규격작성방법
있으며, 이에 대한 작성방법은 규격, 또는 두 가지가 혼합되어 있는 에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혼합형 규격 중에서 효과적인 방법을 대하여“혼합
지침」에 의한다. 선택하여 작성할 수 있으며, 이에 형 규격”
제603조(국 대한 작성방법은 「국방규격의 서식 내용
방규격의 및 작성에 관한 지침」에 의한다. 수정/보완 및
작성방법) 이를 위하여
세항 작성
②혼합형 규격의 작성에 대해서는 혼합형 규격
체계장비의 특성과 하부체계 특성을 작성을 위한
고려하고 성능형 규격 작성대상 제반여건
검토기준을 참조(별지)하여 대상을 검토와 절차
분류하고, 이에 대한 작성방법은 내용 추가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에 의한다.
① ~ ⑥(생략) ① ~ ⑥(좌동) 성능형
⑦형상관리책임기관은 Ⅰ, Ⅱ급 ⑦형상관리책임기관은Ⅰ, Ⅱ급 규격을 우선
기술변경 사항에 대한 규격개정 안을 기술변경 사항에 대한 규격개정안을 검토하기
작성한 후 분석시험평가국으로 규격 작성한 후 분석시험평가국으로 위하여
제610조(형
개정심의제안서를 제출 한다. 규격개정심의 제안서를 제출한다. 단서조항
상통제)
단 양산단계 무기체계인 경우 단 규격개정안을 작성시 기술발전 내용
통합사업관리팀 및 기품원에서 승인 추세와 부품의 진부화에 대한 요소를 수정/보완
한 Ⅰ, Ⅱ급 기술변경 사항은 제외 판단하여 우선적으로 성능형규격을

- 143 -
구분 을 으로 사유
한다 검토하며, 양산단계 무기체계인 경우
통합사업관리팀 및 기품원에서
승인한 Ⅰ, Ⅱ급 기술변경 사항은
제외 한다
① ~ ⑤ (생략) ① ~ ⑤ (좌동) 규격
⑥규격관리기관은 업체자체 또는 작성기간
업체 주관 개발 품목이나 국산화 차이로 인해
제616조(형
품목의 경우 실제 품목을 개발한 발생하는
상자료
기관과 규격 작성기간은 상이할 형상자료
유지)
경우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최신화 문제
형상자료의 최신화를 위한 해결을 위한
관리대책을 강구해야한다. 조항 추가

- 표준화업무지침(예규 제247호, 2014. 9. 3일)


구분 을 으로 사유
① ~ ② (생략) ① ~ ② 좌동 규격유형
③ 국방규격은 제품의 특성, ③ 국방규격은 제품의 특성, 선택
군수지원의 효율성, 경제적 조달, 군수지원의 효율성, 경제적 조달, 판단
국내의 기술수준 및 능력 등을 국내의 기술수준 및 능력 등을
고려하여 성능형 규격, 상세형 규격, 고려하여 설계검토시 판단된 자료를 기준자료
또는 두 가지가 혼합되어 있는 참고하여 성능형 규격, 상세형 규격, 명시,
혼합형 규격 중에서 효과적인 방법을 또는 두 가지가 혼합되어 있는 혼합형 규격
선택하여 작성한다. 혼합형 규격 중에서 효과적인 방법을
④ ~ ⑧ (생략) 선택하여 작성한다. 및 성능형
제15조(국 ④ ~ ⑧ 좌동 규격 작성을
⑨ 국방규격의 작성 시점은 위한
방규격의
연구개발시 설계단계부터 혼합형 제반여건
작성방법) 규격 또는 성능형 규격과 상세형 검토 및 방법,
규격 작성 대상을 구분하여 기본설계 내용 추가
검토회의시 결정하도록 하며 성능형 . 규격선택
규격 대상은 성능형 규격 작성 시점(기본설
방법에 의거 제반여건을 검토한 후 계)명시
성능형 규격 작성을 확정 또는
상세형 규격 대상으로 조정 하여
상세설계시 검토한다.
① ~ ③ (생략) ① ~ ③ (좌동) 성능형 규격
④ 성능형 규격의 작성 방법은 ④ 성능형 규격의 제정 또는 전환시 작성을 위한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기 보유 성능형 규격과 유사한 분류대상
제17조(성 관한 지침」에 따른다. 품목의 경우 참고자료(검

능형 규격) “검토기준『별지』”를 참조하여 토기준)에


우선적으로 성능형 규격을 검토할 대한 내용
수 있도록 한다. 추가
⑤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하는 절차

- 144 -
구분 을 으로 사유
및 식별요령 등에 대한 별지의 근거
사항은『별지』를 참조하여
작성한다.
⑥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이 필요한 성능형 규격
품목에 대한 규격정비 사업추진을 전환사업
위한 계획수립 근거는 제25조 적합성 추진 근거
검토결과를 토대로 한다.
⑦ 성능형 규격의 작성 방법은 ④ ~ ⑥ 내용
「국방 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추가에 따른
관한 지침」에 따른다. 기존 ④항을
⑦항으로
변경
① (생략) ① 좌동 성능형 규격
1. 통폐합 대상 기준 1. 통폐합 대상 기준 전환시
제18조(국 가. ~ 사. (생략) 가. ~ 사. (좌동) 유사품목

방규격의 아. 성능형 규격으로 통합을 위한


전환 시 가능하면 제도적 근거
재작성)
동종, 유사품목 규격을 명시
통합

① ~ ② (생략) ① ~ ② 좌동 성능형 규격
③ 심의 의뢰부서는 다음 각 호의 ③ 좌동 작성을
사항을 포함한 국방규격 심의 1. ~ 6. 좌동 우선시하기
제22조(국 관련자료(전산화일) 1부를 7. 성능형 규격에 대한 적용 여부 위하여
방규격 작성하여 검토사항 성능형 규격
심의) 국방표준종합정보시스템을 적용성 검토
이용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사항을
1. ~ 6. (생략) 제도적으로
규정

-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예규 제248호, 2014. 9.3일)


구분 을 으로 사유
규격번호 부여체계는 다음과 같다. 규격번호 부여체계는 다음과 같다. 규격 번호
KDS(KDC) 군급번호-(약식규격 KDS(KDC) 군급번호-(약식규격 자체로
제2장 부호) 및 일련번호-개정차수 부호) 및 일련번호-개정차수 성능형
규격서 KDS는 표준 및 정식규격, KDC는 KDS는 표준 및 정식규격, KDC는 여부를
작성법 약식규격을 의미한다. 군급분류는 약식규격을 의미한다. 판단하기
2.1 규격화이전 표준 관리부에서 성능형 규격의 경우 KDS(KDC) PRF로 위하여 규격
규격번호 부여받은 분류번호를 사용하며, 표기하고, 상세형 규격은 KDS(KDC) 표기방법
부여 약식규격부호는 임시규격(T), DTL로 표시하며, 재정립
포장규격(P), 도면규격(D)로 표시하며, 혼합형 규격의 경우는 체계 또는

- 145 -
구분 을 으로 사유
정식규격의 경우는 별도로 표시하지 하부시스템의 규격이 해당되는
않는다. 형태를 성능형 또는 상세형으로
표기한다.
"KDS STD-5678-1" : 군급분류는 규격화이전 표준
표준 1차 개정 관리부에서 부여받은 분류번호를
"KDS 1234-5678" : 사용하며, 약식규격부호는
정식규격 최초 제정 임시규격(T), 포장규격(P),
"KDS 1234-5678-1" : 도면규격(D)로 표시하며, 정식규격의
정식규격 1차 개정 경우는 별도로 표시하지 않는다.
"KDC 1234-T5678-2" :
임시규격 2차 개정 “KDS PRF 0000-0000” : 성능형
규격
“KDS DTL 0000-0000” : 상세형
규격
"KDS STD-5678-1" :
표준 1차 개정
"KDS 1234-5678" :
정식규격 최초 제정
"KDS 1234-5678-1" :
정식규격 1차 개정
"KDC 1234-T5678-2" :
임시규격 2차 개정
1.9.2 인식문자 1.9.2 인식문자 도번의
도번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번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규격작성기관
규격서 작성관리기관은 인식문자를 규격서 작성관리기관은 인식문자를 인식문자
번호 앞에 붙여 도번을 부여하며, 번호 앞에 붙여 도번을 부여하며, 재정립을
규격서 작성관리기관별 인식문자는 규격서 작성관리기관별 인식문자는 위한 내용
다음과 같다 다음과 같다. 규격작성관리기관별 추가 및 보완
제3장 가. 국방과학연구소 : 없음 인식 문자뒤에 성능형 규격은
1.9 도면 나. 방위사업청 : A “P”자, 상세형 규격은 “D”자를
번호부여 다. 국방기술품질원 : Q 추가하며 다음과 같다.
라. 육군 : AD 가. 국방과학연구소 : DP 또는 DD
마. 해군 : N 나. 방위사업청 : AP 또는 AD
바. 공군 : F 다. 국방기술품질원 : QP 또는 QD
라. 육군 : ADP 또는 ADD
마. 해군 : NP 또는 ND
바. 공군 : FP 또는 FD
C.2.2.1 규격번호, 재고번호 및 C.2.2.1 규격번호, 재고번호 및 규격번호
부록“C"
일자 일자 표기 방법
규격서
보기 규격번호 : 보기 규격번호 : 수정
세부
KDS 6500-1001 KDS -PRF(DTL) 6500-1001
작성법

- 146 -
구분 을 으로 사유
C.2.2.2 임시규격서를 정식규격화 C.2.2.2 임시규격서를 정식규격화 한 규격번호
한 경우의 표기 경우의 표기 표기 방법
보기 규격번호 : 보기 규격번호 : 수정
KDC 0050-9001-2 KDC-PRF(DTL) 0050-9001-2

(추가 또는 조정) ① 혼합형 규격 작성 가이드 혼합형 규격


추가 또는 조정(C,D) 작성 가이드
부록“D"
- 추가시 부록으로 추가 내용 추가
성능형
- 조정은 부록 D에 추가 또는 조정
규격서
② 혼합형 규격의 작성 방법은
작성
「국방 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가이드
관한 지침」에 따른다.

- 147 -
부록 # 2 : 성능형 규격 작성 대상품목 유형 (규정 및 지침의 별지 또는 붙임, 부록용도)

❍ 성능형 작성 대상의 일반적인 분류


구 분 성능형 규격 작성 적절한 유형 성능형 규격으로 부적절 품목

• 여러 장비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부품류(표준품목, 모듈) • 상업 표준이 많이 활용되는 기본


및 이를 사용하는 장비류 예) 전자장비류(전자소자 등). 소재류
• 수리부속 및 불필요한 단일 품목류. • 전략/전술무기체계시스템의구성품
• 다른 품목과 기술적인 인터페이스가 불필요한품목 으로써 정부가 설계 및 제조를
(인터페이스는 도면 제공).예) 식품류, 의복류 등. 통제하는 품목.
대상
• 기술발전추세가 빨라 업데이트(Update)가 빈번하게 • 일회성, 저가 및 소량 수리부속품
분류
발생하는 품목. 구매품
• 고장빈도가 적고 수리보다는 교체비용이 저렴한 품목 • 민수시장 활용도가 적은 군 전용
• 조립/분해/시험이 용이하지 못하여 정비가 불가하여 신품 품목류.
교체를 해야 하거나, 구성부품 저입가 비호율적인 품목 • 조립체이상의 수준으로 여러 가지
기능이 복합된 품목류

❍ 규격과 도면 등 기술자료 작성 기술수준 및 군수지원 효율성을 고려한 검토 대상 기준


구 분 성능형 규격 대상 성능형 도면 및 기술자료 대상
• 체계유형(무기체계, 전력지원체계) • 단일 부품류
성능형 규격의 • 부체계 유형 • 소자 또는 국가표준 품목 인용품
검토 대상
분류 기준 • 구성품 및 결합체(조립체) • 타품목과 인터페이스가 불필요한 조립
• 주요부품(타품목과의 인터페이스 구성) 체 (회로조립체 유형 등)

❍ 미국의 성능형 규격과 유사한 국내 성능형 규격 관련 품목의 유형


순위 유 형 순위 유형

1 Hose 11 Transformer
2 Valve 12 Coil
3 Cable 13 Relay
4 Filter 14 메타
5 Adapter 15 Oscillator
6 Battery 16 Crystal unit
7 Fuses 17 반도체
8 Switch 18 Electron tube
9 Capacitor 19 트랜지스터
10 Resistor

- 148 -
❍ 제품의 특성과 기술수준 및 경제적 조달을 고려한 성능형 규격 대상품목 유형과 검토기준
구 분 기능 및 특성 고려시 성능형 규격 작성 가능 유형 검토 기준

기계류 • 완성탄약류

• 지휘통제․통신, 감시정찰 무기체계 중 기술발전추세가 빨라 업데이트


무기체계 전기, 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장비체계

전자류 • 기타 무기체계의 국방M&S 및 주요시설 경계,


• 체계는 성능형 규격
중요시설 경계 시스템, 국방정보시스템 등 으로 우선 검토
체계 • 하위 부체계, 구성
• 식품류, 의복류 등 품/ 결합체, 부품은
유형 특성을 고려하여 상
기계류 • 다른 품목과 인터페이스가 불필요한 품목
세형 또는 성능형으
전력지원 • 고장빈도가 적고 수리보다는 교체비용이 저렴한 품목 로 판단
체계
• 발전기, 충전기 등 전원동력장치, 통신전자장비, 측정장비, 의무장비,
전기, 교육훈련장비, 국방정보시스템 등
전자류
• 다른 품목과 인터페이스가 불필요한 품목

기계 • 완성탄약류의 부체계 및 지원체계


• 규격은 성능형으로
• 지휘통제․통신, 감시정찰 무기체계 중 기술발전추세가 빨라 업테이트 하되 도면/기술자료
부체계 무기체계
전기, 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장비의 부체계 는 특성을 고려하여
유형 의 부체계 성능형 또는 상세형
전자류 • 기타 무기체계의 국방M&S 및 주요시설 경계, 중요시설 경계 시스템,
으로 판단
국방정보시스템 등의 부체계

• 호스조립체, 케이블조립체, 밸브조립체, 아답터조립체, 휴즈 조립체 등


여러장비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품목류
기계류 • 성능형 규격 우선
• 다른 품목과 인터페이스가 불필요한 품목 검토하며,
구성품 및
결합체(조립체) • 고장빈도가 적고 수리보다는 교체비용이 저렴한 품목 • 기 작성된 규격에
대하여 특성을 고려
유형 • 트랜스포머, 릴레이 조립체, 스위치조립체, 전자관 등 하여 일부 성능형
전기, 전환 가능
• 회로조립체 등
전자류
• 기술발전추세가 빨라 업데이트(Update)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품목

• 호스, 필터, 밸브, 아답터, 코일 등 단일품목류

기계류 • 다른 품목과 인터페이스가 불필요한 품목 • 성능형 규격 우선


검토하며,
• 고장빈도가 적고 수리보다는 교체비용이 저렴한 품목
부품 유형 • 기 작성된 규격에
• 케이블, 배터리, 휴즈, 캐페시터, 트랜스포머, 레지스터, 릴레이, 메타, 대하여 성능형 전환
전기, 오실레이터, 스위치, 크리스탈, 반도체, 전자관 등 단일품목류 가능
전자류
• 고장빈도가 적고 수리보다는 교체비용이 저렴한 품목

- 현재의 국방규격 상태로는 미국의 성능형 규격과 유사한 전기/전자 조립체 및 부품과
일부 기계류 부품이 성능형 전환대상으로 검토되었음(로드맵 작성 대상 검토결과)
- 체계 및 부체계 규격은 전환대상에서 제외하였음.

- 149 -
부록 # 3 : 성능형 규격 작성 가이드

부록 D 성능형 규격 작성 가이드
본 지침은 성능형 규격 구성에 대한 각 장/항 별 작성요령에 대해 설명하고, 성능형 규격 작성시
참고할 수 있도록 현 국방규격/미 군사규격 중 적절한 사례를 들어 설명하였다.
D.1 적용범위 및 분류
규격서 1장은 규격서의 적용범위 및 적용품목의 분류에 대한 사항을 기재하는 항목으로 원칙적으로
규격서에서 규정하는 특정품목, 공정, 또는 시험방법에 관한 용도 및 일반사항들만 규정한다.
적용범위만 규정할 때에는 “항”제목을 부여하지 않으며, 분류를 포함할 때에만 “1.1 적용범
위”, “1.2 분류”로 “항”제목을 부여하여 구별한다.
D.1.1 적용범위
적용범위는 품명과 이를 수식하는 말과 규격서의 적용범위에 대한 명확하고 간결한 표현으로
구성되며, 필요시 특정한 세부 적용범위 보다는 품목의 용도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하다면 참고내용은 6장에 수록될 정보로 작성되도록 한다. 적용 범위에 필요조건 및 그림은
포함하지 않는다.
즉 본 항에는 그 규격이 규정하는 내용의 개요 및 그 규격이 적용할 수 있는 범위를 규정한다.
D.1.2 분류
본 항에는 규격서에 2개 이상의 형상품목을 포함할 경우에 작성하며(모든 규격서에 작성 불필요),
일반적으로 품종에 대한 형(Type), 종(Class), 등급(Grade), 조성(Composition) 등의 분류 명칭으로
작성한다.
보기 1. 헬멧, 전투차량 승무원용
1. 적용범위 및 분류
1.1 적용범위
본 규격서는 전차 및 장갑차의 무전기(VRC-946K계열) 및 상호통화기세트(VIC-7K)에 전원아답타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헬멧, 전투차량 승무원용 KHH-80A1 (이하 “기갑병헬멧” 이라 한다.)에 대해 적용한다.

1.2 분류
기갑병 헬멧은 크기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류한다.
형 분류 크기 삭 제
Ⅰ형 표준형 1.8kg 이내 삭 제
Ⅱ형 대형 2.0kg 이내 삭 제
Ⅲ 형 특대형 2.2kg 이내 삭 제

보기 2. 쓰레기봉투
1. 적용범위 및 분류
본 규격은 음식 및 오염된 플라스틱 쓰레기 처리를 위한 유연성이 있는 봉지에 대해 적용한다.

- 150 -
적용자료 및 문서
D.2
규격서 2장의 적용자료 및 문서에는 규격, 표준, 도면, 기타 간행물 등으로 구분하며 규격서
내의 3장, 4장 및 5장에 참조하고 있는 모든 자료/문서를 포함하여야 한다. 자료가 예 또는
배경정보로서만 인용될 경우에는 2장에 포함할 필요는 없다. 만일, 참조된 규격의 수가 너무
많을 때에는 규격서의 6장에 명기하고 이를 2장에서 언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수의 규격을 적용문서로 기술하며, 주로 시험방법 표준, 연동성 관련 도면/규격
등을 기술한다.
2 장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2.1 일반사항
2.2 정부문서
2.3 비정부문서 및 기타 간행물
2.4 우선순위

일반사항
D.2.1
본 항에는 적용문서의 적용원칙에 대해 기재한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기술할 수 있다.
“아래문서 및 도면은 규정된 범위 내에서 본 규격서와 함께 적용되며, 문서의 개정기호에 관한사항
이 명시되어 있지 않는 한 입찰 공고일 당시에 유효한 최신판을 적용한다.”
정부문서
D.2.2
본 항에는 적용 문서 중 국가 및 정부부처 규격, 표준, 핸드북 등에 대해 식별번호(규격번호
등) 및 문서제목을 기재하며, 가능한 개정번호, 접미어(규격 작성관리기관 기호)는 제외한다.
제목은 문서에 명시된 것을 사용해야 한다. 국가 및 부처 규격, 표준, 핸드북, 도면, 그리고
적용 가능한 간행물은 정부(국가), 국방부, 방위사업청 및 산하기관(예를 들면, 각 군, 군수사,
국과연 등)과 같은 각각의 단체 명칭에 대하여 숫자순으로 배열하여야 한다.
적용문서로 재료, 부품, 구성품, 제조공정 문서 및 기타 상세형 규격은 가급적 사용을 배제하고,
시험방법 표준, 연동성 관련 도면/규격 위주로 기재한다.
정부문서는 가능하다면 아래의 순서대로 배열한다.

- 151 -
규격서
국방규격서
미 연방규격서
미 군사규격서
기타 규격서
표준서
한국산업표준
국방표준서
미 연방표준서
미 군사표준서
기타 표준서
도면
소프트웨어 기술자료
기타 간행물
교범
핸드북
규정
편람
회보
기타
비정부문서 및 기타 간행물
D.2.3
정부에 의해 제정되지 않는 비정부문서와 기타 간행물은 각각의 민간 표준화 기관별로 적당한
순서(숫자 순, 또는 가나다 순)로 기록하여야한다. 문서는 가능하다면, 식별번호와 문서제목을
기록하여야 한다. 문서제목은 문서에 명시된 것을 사용한다.
비정부문서는 가능하다면 아래의 순서대로 배열한다.
규격서
표준서
도면
소프트웨어 기술자료
기타 간행물

- 152 -
우선순위
D.2.4
규격서 안에서 언급된 적용문서와 규격서의 요구조건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피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표현이 포함될 수 있다.
“본 규격서의 내용과 적용문서의 내용이 상이할 경우에는 본 규격서의 내용을 우선 적용한다.”

보기 1. 속도계(SPEEDOMETER)
2 적용자료 및 문서
2.1 일반사항
아래문서 및 도면은 규정된 범위 내에서 본 규격서와 함께 적용되며, 문서의 개정기호에 관한사항이
명시되어 있지 않는 한 입찰 공고일 당시에 유효한 최신판을 적용한다.

2.2 정부문서
표준서
미 군사표준
MIL-STD-202 Test Method Standard - Electronic and Electrical Component Parts
MIL-STD-461 Requirements for the Control of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Characteristics of
Subsystems and Equipment

2.3 비정부문서 및 기타 간행물


규격서
ASTM B 117 Standard Practice For Operating Salt Spray Apparatus
ASTM G 21 Standard Practice For Determining Resistance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to Fungi

2.4 우선순위
본 규격서의 내용과 적용문서의 내용이 상이할 경우에는 본 규격서의 내용을 우선 적용한다.

보기 2. 미 군사규격 사례
상세형 군사 규격 MIL-H-49078<핸드셋H-250()/U>에서 성능형 군사 규격
MIL-PRF-49078A<핸드셋H-250()/U>로 전환한 사례 자료

상세형 군 규격 MIL-H-49078 <핸드셋 H-250( 해당 규격을 성능형 규격으로 재작성한


)/U>의 참조 문서 MIL-PRF-49078A <핸드셋 H-250( )/U>의 참조
문서
규격 규격

연방정부 국방부
T-T-871 <노끈, 섬유 면직물> MIL-C-55116/1 <커넥터, 플러그, 파이브핀
NN-P-71 <화물 운반대, 자재 운반, 목재> 오디오, 크림프 슬리브 단자(Crimp Sleeve
QQ-S-781 <스트랩, 철, 플랫, 인장> Terminals), 와이어 스트레인 릴리프(Wire Strain
PPP-B-566 <상자, 폴딩, 판지> Relief, U-229>
PPP-B-585 <상자, 목재, 와이어제본>
PPP-B-601 <상자, 목재, 합판>
PPP-B-621 <상자, 목재, 못 잠금 모서리>
PPP-B-636 <상자, 섬유>
PPP-B-640 <상자, 섬유판, 골판지, 삼중양면>
PPP-B-676 <상자, 셋업>
PPP-C-795 <완충제, 플라스틱 필름>
PPP-C-843 <완충제, 셀룰로오스>
PPP-C-1797 <완충제, 폴리프로필렌 발포고무>

- 153 -
PPP-F-320 <섬유판, 골판지, 솔리드시트>
PPP-S-760 <스트랩, 비금속 (커넥터)>
PPP-T-97 <테이프, 감압접착제>


MIL-P-116 <보존-포장, 방법>
MIL-P-11268 <전자 장비에서 사용하는 부품,
자재, 프로세스>
MIL-M-13231 <전자 물품 마킹(marking)>
MIL-F-14072 <지상 전자 장비의 피니시(finishes)>

표준
MIL-STD-105 <속성별 검사를 위한 샘플링 절차
및 표>
MIL-STD-129 <선적 및 보관 마킹>
MIL-STD-147 <화물 운반대와 컨테이너 단위
하중>
MIL-STD-202 <전자 전기 부품의 시험 방법>
MIL-STD-252 <유선 장비, 외관상 및 기계적
결함의 분류>
MIL-STD-454 <전자 장비에 대한 표준 일반
요구사항>
MIL-STD-810 <환경 시험 방법>

도안

육군 전자사령부
SC-GL-58877 <커넥터 U-182의 게이지(gages)>
DL-SM-B-27649 <Handset H-250( )/U>
SC-D-621083 <마이크 및 이어폰 시험실>

해군
SK-N-864 <장비 생산 총기 발포 시뮬레이션>

비정부 출간물

미국표준협회(ANSI)
S3.7 <이어폰 커플러(coupler) 교정>
S1.10 <마이크 교정>
S1.12 <실험실 표준 마이크 규격>

전기전자기술인협회(IEEE)
258 <접화(close-talking) 마이크 시험 절차>

보기 3. 미 군사규격 사례
상세형 군사 규격 MIL-H-370G<호스와 호스 어셈블리, 비금속: 탄성중합체, 액화연료>에서 성능형
군사 규격 MIL-PRF-370H<호스와 호스 어셈블리, 비금속: 탄성중합체, 액화 연료>으로 전환한 사례 자료
상세형 군 규격 MIL-H-370G <호스와 호스 어셈블리, 해당 규격을 성능형 규격으로 재작성한
비금속: 탄성중합체, 액화 연료>의 참조 문서 MIL-PRF-370H <호스와 호스 어셈블리, 비금속:
탄성중합체, 액화 연료>의 참조 문서
규격 연방정부

연방정부 상용 물품 설명
WW-C-440 <클램프(clamps), 호스, (저압력)> A-A-59326 <커플링 반쪽(coupling halves), 빠른
분리, 캠 잠금(cam-locking)>

- 154 -
군 A-A-59377 <빠른 분리, 무성 커플링>
MIL-H-775 <호스 및 어셈블리, 고무, 플라스틱,
직물, 또는 금속(튜브 포함); 이음쇠(fittings), 노즐, 표준
스트레이너(strainer), 포장 관련> FED-STD-595 <정부 조달 사용 색상>
MIL-C-27487 <커플링 반쪽(coupling halves), 빠른
분리, 캠 잠금(cam-locking) 유형> 미국재료시험협회(ASTM)
ASTM D 380 <고무 호스 표준 시험 방법>
표준 ASTM D 381 <제트 증발 연료에 존재하는
고무질(gum) 표준 시험 방법>
연방정부 ASTM D 412 <가황 고무, 열가소성 고무, 열가소성
FED-STD-H28 <나사 날(screw-thread) 정부 서비스 탄성중합체 표준 시험 방법>
표준> ASTM D 413 <고무 속성 표준 시험 방법 –
FED-STD-H28/10 <나사 날 정부 서비스 표준 (섹션 접착성에서 신축성 기질>
10 미국 국립 호스 커플링 및 소방 호스 커플링 나사 ASTM D 471 <고무 속성 표준 시험 방법 – 액체의
날)> 효과>
FED-STD-595 <정부 조달 사용 색상> ASTM D 518 <표면 균열에 대한 고무 변질 표준 시험
방법>
군 ASTM D 746 <충격에 의한 플라스틱 및 탄성중합체
MIL-STD-105 <속성별 검사를 위한 샘플링 절차 및 취성 온도 표준 시험 방법>
표> ASTM D 790 <비강화 및 강화 플라스틱과 전기 절연
MIL-STD-129 <선적 및 보관 마킹(marking)> 재료의 굴곡성 표준 시험 방법>
ASTM D 1053 <고무 속성 표준 시험 방법 - 저온
미국재료시험협회(ASTM) 경화: 신축 중합제 및 코팅 직물>
B 26 <알루미늄 합금 모래 주조> ASTM D 1149 <고무 변질 표준 시험 방법 - 표면
D 380 <고무 호스> 오존 균열>
D 381 <제트 증발 연료에 존재하는 고무질(gum)> ASTM D 2137 <고무 속성 표준 시험 방법 - 신축
D 412 <고무 장력 속성> 중합제 및 코팅 직물의 취성점(brittleness point)>
D 413 <고무 속성 - 접착성에서 신축성 기질>
D 471 <고무 속성 – 액체의 효과> 미국기계학회(ASME)
D 518 <고무 변질> ASME B1.20.1 <관용 나사, 일반 목적(인치)>
D 1053 <고무 속성 - 저온 경화: 신축 중합제 및
코팅 직물> 미국수도협회(AWWA)
D 1149 <고무 변질 - 표면 오존 균열> (판상시편)> AWWA C606 <홈이 있는 숄더형 접합(shouldered
D 3951 <상용 포장 수행 표준> joint)>

필요조건
D.3
규격서의 3장은 일반적으로 그 규격서가 만들고자 하는 제품의 필수 요구조건을 기술하되 제품의
형상, 기능, 호환성 및 연동성 위주로 명기하여야 한다.
성능형 규격의 필요조건은 필요조건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을 기술해서는 안 되고, 특정 재료
및 제품의 사용이나, 상세 설계방법 또는 기존 제품과 상호 호환성을 보증하는데 필요한 요구조건의
범위를 넘어선 제조 요구조건을 기술해서도 안 된다. 다만, 품질이나 신뢰성, 환경, 안전 등의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특정 자재나 절차, 부품을 제한 할 수 있다.
다음은 규격서 3장을 작성할 때 고려되어야 하는 몇 가지 구성 항을 기술하였다. 규격서의 특성에
따라 아래 항 중 일부는 생략할 수 있고 필요하다면 다른 항도 적절히 추가하여 작성 할 수도
있다.

- 155 -
3.1 설계(또는 구성)
3.2 재료
3.3 부품
3.4 공정
3.5 시공, 제조 및 조립
3.6 성능 특성
3.7 물리적 특성
3.8 환경요구조건
3.9 일솜씨
3.10 연동요구조건
3.11 운용 특성
3.12 신뢰성
3.13 정비유지성
3.14 호환성

각 항목은 필요시 유사한 항목끼리 적절히 합치거나 분리하여 작성 할 수도 있고 항목명도


변경가능하다
예를 들면 “재료”, “공정”, “부품” 항은 하나의 항으로 합쳐 “재료 및 부품” 또는
“재료, 부품 및 공정” 등으로 표현할 수 있고, “연동요구조건”, “운용 특성”항도 하나의
항으로 작성할 수 있다.
또한, 필요시 항목명도 적절히 변경가능하고, 기동 장비 등의 경우에는 “내구도” 등에 관한
항목도 추가할 수도 있다.
다음은 각 항목별에 대한 세부 작성요령을 설명한다.
설계(Design)(또는 구성)
D.3.1
성능형 규격에는 일반적으로 ‘방법(how-to)’ 또는 특정 설계요구 조건을 명시하지 않으나,
설계 검증을 위한 사항은 포함할 수 있다. 설계 검증은 재료 및 부품의 모든 성능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 성능형 규격의 핵심 요소이다. 또한 아주 중요한 상호호환성이나 인터페이스에 관한
설계정보는 포함 가능하다.
특히, 기존 장비의 미리 정해진 해법(solution)의 특정 특성을 반영한 설계정보를 제외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기 1. 1 1/4톤 트럭
3.1 설계(또는 구성)
차량은 관련 도면 및 규격에 따라 제조되고 조립되어야 한다.

3.1.1 엔 진
엔진은 디젤, 터보차저인터쿨러(TCI : Turbo Charger Intercooler), 수냉식으로 130PS 이상이어야 한다.

- 156 -
3.1.1.1 배출가스
엔진조립체 상태의 배출가스는 일산화탄소 3.0g/㎾.h 이하, 질소산화물 7.0g/㎾.h 이하, 탄화수소
1.0g/㎾.h 이하, 입자상물질 0.15g/㎾.h 이하, 매연 20% 이하이어야 한다.

3.1.2 동력전달 구성품


3.1.2.1 변속기
변속기는 전진 5단, 후진 1단 변속이 가능한 수동 변속기이어야 한다.

3.1.2.2 중간변속기
중간변속기는 고, 저속 변속이 가능하여야 하며, 4륜구동(4×4)이 가능하여야 한다.

3.1.2.3 차동장치
차량 전·후방 각각의 차축에는 차동장치가 구성되어야 하며, 후방 차동장치에는 한쪽 휠이
구동력을 상실하였을 때, 다른 쪽 휠에 구동력 전달이 가능토록 하는 차동 잠금 기능이 있어야 한다.

3.1.3 현가장치
전후방 현가장치는 판스프링 및 통형 완충기로 구성되어야 한다.

3.1.4 휠 및 타이어
차량의 모든 휠은 단륜으로 구성하여야 하며, 타이어는 레이디얼 플라이 및 튜브리스이어야 한다.

3.1.5 제동장치
제동장치는 동시에 작동하는 2개의 회로로 분리된 유압식이어야 하며, 유압 작동력을 증대하는 배력
장치를 갖추어야 한다.

3.1.6 조향장치
조향장치는 동력식이며, 동력조향장치가 고장시 기계식 조향 링키지가 구성되어 수동 조작이
가능하여야 한다.
보기 2. 미 군사규격 사례
상세형 군사 규격 MIL-L-25370E<밸브, 압축 공기 팽창기(구명 기구 – M1-A)>에서 성능형 군사 규격
MIL-PRF-25370F<밸브, 압축 공기 팽창기(구명 기구 – M1-A)>로 전환한 사례 자료
MIL-L-25370E <밸브, 압축 공기 팽창기(구명 기구 MIL-PRF-25370F <밸브, 압축 공기 팽창기 (구명
- M1-A)> 기구 - M1-A)>
3.5 설계 및 시공. 팽창 어셈블리의 지름과 모양은 3.6 운영. 압축 공기 팽창기 밸브는 전 세계 환경
그림 1에 부합해야 한다. 조건에서 항공 승무원에 의해 운영될 수 있어야
3.5.1 팽창 어셈블리 하우징. 팽창 어셈블리 한다. 이는 표준 비행 장구를 장착한 사람에 의해
하우징은 고압 다이캐스트 알루미늄으로 쉽게 작동될 수 있어야 한다.
양극산화처리하고 중크롬산염으로 봉인한다. 3.6.1 팽창기 밸브 하우징. 팽창기 밸브는
방출 메커니즘은 외부 레버와 내부 피어싱 개봉되지 않은 상태의 팽창기 밸브 하우징과
핀으로 이루어지며 어느 지점에서든 레버로 함께 작동하는 구동장치로 구성된다. 구동장치는
구명구 셀 압력 누출을 방지하는 봉인 부분이 개봉되지 않은 상태로 고정되어야 한다. 팽창기
있다. 팽창 어셈블리 주입구는 MIL-C-25369에 밸브는 뚫려있는 실린더 입구에서 즉각적으로
부합하는 이산화탄소 실린더를 끼울 수 있다. 집어넣을 수 있는 피어싱 메커니즘으로 구성되며
이산화탄소 실린더를 주입구에 고정시키기 위해 어느 지점에서든 구동장치로 구명구 셀의 누출을
잠금장치가 제공되어야 한다. 배출구는 팽창 방지하는 봉인 부분이 있다. 팽창기 밸브
어셈블리를 구명구 셀에 고정하기 위해 주입구는 MILPRF-25369에 부합하는 이산화탄소
제공되어야 한다. 레버를 작동시켰을 때 뚫려 실린더를 끼울 수 있다. 이산화탄소 실린더를
있는 이산화탄소 실린더에서 배출구로 기체를 주입구에 고정시키기 위해 잠금 메커니즘이
전도하기 위한 통로가 제공되어야 한다. 제공되어야 한다. 배출구는 그림 2와 같이 팽창기
3.5.1.1 피어싱 핀. 피어싱 핀은 카드뮴 도금된 밸브를 구명구 셀 밸브대에 고정하기 위해
강철로 0.010 인치의 경화심도를 가져야 한다. 제공되어야 한다. 구동 시 뚫려 있는 이산화탄소
뚫려있는 실린더 입구에 핀을 즉각적으로 실린더에서 배출구로 기체를 전도하기 위한
집어넣기 위한 스프링을 제공해야 한다. 통로가 제공되어야 한다. 배출구는 어느 면이
3.5.1.2 레버. 라이너(liner)는 1/8 인치 두께 카디뮴 밸브대 아래를 향하고 있는지에 관계 없이

- 157 -
도금 강철로 0.010 인치의 경화심도를 가져야 밸브대 구멍과 일치해야 한다.
한다. 레버는 운영되지 않을 때 위치에서 고정된 3.6.2 밸브대 마개. 밸브대 마개(그림 2 참조)가
스테인레스 스틸 핀과 같이 위치한다. 레버는 팽창기를 밸브대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되어야
그림 1과 같이 팽창 어셈블리 면에 대하여 한다.
놓는다. 레버를 운영되지 않을 때 위치로
고정시키기 위해 유형 III, 레터 크기 E, 색상 옵션
V-T-295의 실을 사용한다. 레버의 모든 면은
명목상 반경 또는 만분지일 인치를 갖는다.
3.5.1.3 배출구. 각각의 팽창 어셈블리는 도안
52A6598에 부합하는 밸브대에 고정하기 위한
배출구가 있다. 배출구의 기체 통로는 배출구의
어느 면이 밸브대 아래를 향하고 있는지에 관계
없이 밸브대 구멍과 일치해야 한다.
3.5.1.4 잠금장치. 각각의 팽창 어셈블리에는
MIL-C-25369에 부합하여 설치된 이산화탄소
실린더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나사식
잠금장치가 있다. 나사 머리는 슬롯식이고
이산화탄소 실린더를 조이도록 조정되었을 때
팽창 어셈블리를 상회하지 않는다. 나사 머리와
슬롯은 둥글게 처리되어 거친 부분이 없어야
한다. 나사 구멍 위는 납작하고 매끈하여
날카로운 면이나 거친 부분이 없어야 한다.
3.5.2 끈. 도안 56K3881에 부합하는 끈이 레버에
부착되어야 한다.
3.5.3 개스킷. 개스킷은 팽창 어셈블리의 주입구와
배출구의 부착 지점을 봉인하기 위해 제공된다.
주입구 개스킷은 도안 58A3567에 부합해야 한다.
배출구 개스킷은 도안 58A3568 및 58A3569에
부합해야 한다.
3.5.4 밸브대 마개. 도안 52A6600에 부합하는
밸브대 마개가 팽창 어셈블리를 밸브대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되어야 한다.

재료(Material)
D.3.2
성능형 규격에는 재료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은 생산업체에 일임하지만 약간의 재료 특성(예
: 부식내성)은 필요시 명시할 수 있다.

단, 성능이나 기능에 아주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재료 정보는 포함해야 하나, 그 수는 가능한


최소화 한다.
재료, 부품, 공정 항목은 적절히 합치거나 분리할 수도 있다.
보기 1. 쌍안경

3.2 재료
계약자는 본 규격서에 규제된 모든 성능이나 환경 요구조건에 일치될 수 있는 재료를 선택하여야
한다. MIL-P-11268에 적합한 재료를 추천하나, 이것은 의무사항은 아니다. 재활용 자재는 가능하면 최대한

사용하여야 한다.

- 158 -
보기 2. 야간투시경

3.2 부품 및 재료

계약자는 본 규격서에 규정된 운용 및 환경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부품과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적용도면에 명시된 재료는 추천사항이지 의무사항은 아니다.

보기 3. 미 군사규격 사례
상세형 군사 규격 MIL-C-11264D<컨테이너: 목재, 선박, 재활용 – 탱크 자동 엔진, 변속기, 차동장치,
트랜스퍼, 최종구동장치, 구동축, 유사 어셈블리>에서 성능형 군사 규격 MIL-PRF-11264E<컨테이너: 목재,
선박, 재활용 – 탱크 자동 엔진, 변속기, 차동장치, 트랜스퍼, 최종구동장치, 구동축, 유사 어셈블리>으로
전환한 사례 자료
MIL-C-11264D <컨테이너: 목재, 선박, 재활용 - MIL-PRF-11264E <컨테이너: 목재, 선박, 재활용 -
탱크 자동 엔진, 변속기, 차동 장치, 트랜스퍼, 탱크 자동 엔진, 변속기, 차동 장치, 트랜스퍼,
최종구동장치, 구동축, 유사 어셈블리> 최종구동장치, 구동축, 유사 어셈블리>
3.2 자재. 자재는 여기서 명시되고 규격 및 자재 요구사항은 모두 삭제되었다. 다음은 성능
표준에서 언급된 바와 같아야 한다. 자재는 요구사항의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상세형 규격
성능이나 완제품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주는 MIL-C-11264D은 성능형 규격을 포함하지 않는다.
결함이 없어야 한다(4.6.1 참조)
3.2.1 목재군(wood groups)의 사용. MIL-STD-731 3.3 특성.
목록에 있는 모든 목재는 유형 I 컨테이너의 목재로 3.3.1 성능.
사용 가능하다. 목재군 II, III, IV에 해당하는 종만 3.3.1.1 적층 가능성. 컨테이너는 가득찬
유형 II에서 유형 V 컨테이너의 목재로 사용 컨테이너는 1.5의 안전 계수로 4900 mm 높이로
가능하다(4.6.1 참조) 쌓을 수 있는 방식으로 시공되어야 한다. 컨테이너
3.2.2 목재. 목재는 수분 함유량이 오븐 건조 무게의 적층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부와 하부
19 퍼센트를 초과하지 않고 12 퍼센트 접촉면을 서로 잠글 수 있는 방법이 있어야
미만이어서는 안 된다. 조각은 규정된 공정이나 한다(4.6.2.1 참조)
못질에 방해가 되는 결함이 없어야 한다. 옹이의 3.3.1.2 거친 취급. (4.6.2.2 참조)
지름이 조각 너비의 4분의 1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3.3.1.2.1 비스듬히 떨어뜨림. 컨테이너는 내용물의
외부 판자는 겉 표면을 충분히 매끄럽게 하여 판독 손상이나 이동 없이 비스듬히 떨어뜨리는 것을
가능한 스텐실 마킹이 가능해야 한다. 목재는 견딜 수 있어야 한다(4.6.2.2.1 참조)
여기서 다르게 명시되지 않는 이상 호칭 치수여야 3.3.1.2.2 진자 충격. 컨테이너는 내용물의 손상이나
한다(4.6.1 참조) 이동 없이 진자 충격을 견딜 수 있어야
3.2.3 못. FF-N-105에 부합하는 시멘트 코팅된 싱커 한다(4.6.2.2.2 참조)
못 또는 화학적으로 에칭한(etched) 싱커 못을 3.3.1.2.3 경사면 충격. 컨테이너는 내용물의
사용한다. 코팅하지 않은 못(bright nails)은 1/8 인치 손상이나 이동 없이 경사면 충격을 견딜 수 있어야
미만으로 클린치된(clinched) 경우 사용 한다(4.6.2.2.3 참조)
가능하다(4.6.1 및 4.6.2 참조) 3.3.1.2.4 모서리로 떨어뜨림. 컨테이너는 내용물의
3.2.4 볼트. FF-B-584에 부합하는 표준 손상이나 이동 없이 모서리로 떨어뜨리는 것을
캐리지(carriage) 또는 스텝 볼트를 사용한다(4.6.1 견딜 수 있어야 한다(4.6.2.2.4 참조)
및 4.6.2 참조) 3.3.1.2.5 진동. 컨테이너는 내용물의 손상이나 이동
3.2.5 래그 볼트(lag bolts) 래그 볼트는 FF-B-561에 없이 진동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4.6.2.2.5 참조)
의거한다(4.6.1 및 4.6.2 참조)
3.2.6 나사받이. FF-W-92에 부합하는 평 와셔(flat 섹션 3.3.2와 3.3.3은 예시에서 제외됨.
washers)를 보든 잠금 볼트의 너트 아래
사용한다(4.6.1 및 4.6.2 참조) 3.3.4 신뢰성. 컨테이너는 일반적으로 사용할 때
3.2.7 금속 스트래핑(metal strapping) 금속 수리가 필요한 시점 이전에 최소한 20회의 사용이

- 159 -
스트래핑은 1 인치 너비에 0,0625 인치 두께 가능하도록 시공되어야 한다.
표준의 펀치 스트래핑(punched strapping)을 3.3.5 정비성. 컨테이너는 수리가 가능하도록
사용하거나 1 1/2 인치에 0.035 인치 두께의 구조 시공되어야 한다.
스트래핑(salvaged strapping)을 사용할 수 3.3.6 환경 조건.
있다(4.6.1 및 4.6.2 참조) 3.3.6.1 기온. 컨테이너는 –55°C에서 +70°C의
3.2.8 검사 힌지(inspection hinges) 검사 힌지는 그림 기온 범위에서 균열이나 변형 또는 다른 손상의
1에 부합해야 한다(4.6.1 및 4.6.2 참조) 징후 없이 견딜 수 있어야 한다(4.6.5.1 참조)
3.2.9 합판. 합판은 AA-55057, 유형 C(ANSI/HPMA Hp 3.3.6.2 습도. 컨테이너는 5%에서 100%의 습도
1983) 또는 유형 A (외부 접착제가 있는 내부 범위에서 균열이나 팽창, 변형 또는 다른 손상의
표준)에 부합해야 한다(4.6.1 및 4.6.2 참조) 징후 없이 견딜 수 있어야 한다(4.6.5.2 참조)
3.2.10 방부제 적용. 너트, 부양 장치, 나사받이,
볼트, 누름쇠, 스트랩은 MIL-C-
16173 등급 1에 부합하는 부식 방지 화합물로
코팅해야 한다(4.6.1 및 4.6.2 참조)

부품(Parts)
D.3.3
성능형 규격에는 일반적으로 특정 부품을 명시하지 않고 3장의 필요조건(성능, 환경조건, 호환성,
연동성 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부품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기술한다.

보기 속도계(SPEEDOMETER)
3.3 부품
3.3.1 케이스 창

케이스 창은 외부 전원으로 조명되는 다이얼을 쉽게 볼 수 있는 부품이어야 한다.


3.3.2 포인터
포인터는 다이얼이나 창에 닿지 않아야 하며, 포인터의 모양은 다이얼의 수치를 읽기 쉽게 가리킬
수 있는 모양으로 되어야 한다. 또한 포인터의 상위 부분의 1/2 이상은 무광택의 흰색이어야 한다.

공정(Processes)
D.3.4
성능형 규격에는 공정에 대한 요구조건은 거의 규정하지 않는다. 필요시 계약자가 3장의 필요조건
(성능, 환경조건, 호환성, 연동성 등)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공정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기술한다.
필요시 “공정”항은 “제조 및 조립”항과 합쳐 기술 할 수도 있다.
보기 1. 모터, 유입식
3.4 공정
3.4.1 전기도금
모든 알루미늄 합금 부품들은 계약조건에 따라 전기도금을 하고 본 규격서의 성능 및 환경조건에
만족해야 한다.

- 160 -
보기 2. 미 군사규격 사례
상세형 군사 규격 MIL-F-19004A<팬, 원심, 고정 및 휴대, 환기, 해군함상>에서 성능형 군사 규격
MIL-PRF-19004B<팬, 원심, 고정 및 휴대, 환기, 해군함상>으로 전환한 사례 자료
MIL-F-19004A<팬, 원심, 고정 및 휴대, 환기, MIL-PRF-19004B<팬, 원심, 고정 및 휴대, 환기,
해군함상> 해군함상>
3.5.1.2 용접된 부품. 용접된 부품은 페인트칠 3.3 페인트칠과 용접.
이전에 플럭스(flux) 흔적이 제거되어야 한다. 이는 3.3.1 공장 코팅. 장비 및 구성 요소 물품은
용접을 끓는 물에 담그고 솔질을 하여 수행 제조자의 표준 피니시를 거쳐 제공되어야 하나
가능하다. 닿을 수 없는 용접에 대해서 그 부분은 3.2의 요구사항에 해당하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
차가운 10 퍼센트 황산 용액에 30분간 담그거나 3.3.2 용접 및 관련 절차. 용접되거나 납땜할 부품의
150°F의 5 퍼센트 황산 용액에 10분간 담금으로써 표면에는 녹, 스케일(scale), 페인트, 윤활제 및
세척 가능하다. 황산은 안쪽과 바깥쪽 표면 모두에 다른 이물질이 없어야 한다. 용접 관련 절차는
닿을 것이다. 산 처리 이후에는 깨끗하고 따뜻한 미국 용접 협회의 인증을 받은 인력에 의해
물에 산의 흔적이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씻어 내야 수행되어야 한다. NAVSEA 기술 출판물
한다. 남아 있는 플럭스는 표면에 증류수를 S9074-ARGIB-010/278을 가이드로 사용할 수 있다.
침출하고 5 퍼센트의 질산은 용액을 몇 방울
떨어뜨려 감지할 수 있다. 흰 색 침전물이 플럭스가
있음을 알려준다.

3.5.4 페인트칠. 팬 임펠러(impellers)의 노출된 표면,


팬 스크롤의 안쪽 표면, 기류의 모든 부품의
노출된 표면, 이미 칠해지지 않은 모터의 외부
표면은 TT-P-645에 의거하여 아연크롬산염
프라이머으로 코팅해야 하며, 다음에는
TT-V-119에 의거하여 페놀 니스로 코팅해야 한다.
모든 팬 스크롤(타입 0 팬은 제외)의 외부와 도관
상자는 TT-E-489에 의거하여 아연크롬산염
프라이머 한 겹과 붉은 색 페인트의 마무리 한
겹으로 처리해야 한다.

장 주기”는 반드시 작성해야 할 필요성은 없지만, 과거 해결책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6
성능 요구사항에 대하여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의도하지 않은
방향을 제시할 수 있으므로 신중히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현재 업계의 기술정도를 반영해야
한다. 다음은 미 군사규격에서 사용한 사례이다.
보기 3. 미 군사규격 사례
상세형 군사 규격 MIL-S-8805D<스위치 및 스위치 어셈블리, 민감성, 스냅 액션(기본 제약, 푸시 버튼,
토글 스위치>에서 성능형 군사 규격 MIL-PRF-8805E<스위치 및 스위치 어셈블리, 민감성, 스냅 액션(기본
제약, 푸시 버튼, 토글 스위치>으로 전환한 사례 자료
MIL-S-8805D <스위치 및 스위치 어셈블리, 민감성, MIL-PRF-8805E <스위치 및 스위치 어셈블리,
스냅 액션(기본 제약, 푸시 버튼, 토글 스위치)> 민감성, 스냅 액션(기본 제약, 푸시 버튼, 토글
스위치)>
3.5.2 단자. 단자는 명시된 것과 같다(3.1과 6.2 3.5.2 단자. 단자는 명시된 것과 같다(3.1과 6.2
참조) 참조)
3.5.2.1 납땜 단자. 남땜 단자는 납땜을 용이하게 3.5.2.1 납땜 단자. 남땜 단자는 납땜을 용이하게

- 161 -
하도록 처리되어야 한다. 고온 연납이나 고온 주석 하도록 처리되어야 한다. 고온 연납 담금과 같은
담금과 같은 코팅이 허용된다. 금 도금은 사용하지 코팅이 허용된다. 최소 0.000030 인치의 금 도금이
말아야 하나, 납땜 러그 단자가 금과 접촉하는 사용될 수 있으며 니켈이나 팔라듐과 같은 확산
것이 필수 적인 경우는 예외로 하며, 이때 금 장벽을 덮어야 한다. 은 도금은 외부 코팅으로
도금은 0.000030 인치에서 0.000100 인치까지 사용 사용하지 않는다. 도금에 대한 추가 정보 및
가능하다. 은 도금은 외부 코팅으로 사용하지 가이드는 6.14를 참조.
않는다. 3.5.2.2 인쇄된 회로 보드 단자.
3.5.2.2 인쇄된 회로 보드 단자. 인쇄된 회로 보드 인쇄된 회로 보드에 직접 납땜해야 하는 단자는
단자는 주석-납 도금하거나 연납에 담금한다. 금속 합금 도금이나 연납 담금을 한다. 주석-납
주석-납 도금은 MIL-P-81728에 의거하여 최소 100 혼합물을 사용한다. 도금은 최소 100
마이크로인치여야 한다. 연납 담금은 QQ-S-571에 마이크로인치여야 한다. 주석-납 도금과 고온
의거하여 60-40 연납으로 최소 두께는 100 연납 담금에 대한 추가 정보 및 가이드는 6.14를
마이크로인치이다. 참조.
(이 부분은 섹션 6 주석에서 발췌한 가이드이다.)
6.14 단자 피니시 및 도금.
6.14.1 금 도금. 이 규격의 금 도금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SAE-AMS-2422, 유형 II, 클래스 1을
추천한다.
6.14.2 주석-납 도금. 이 규격의 주석-납 도금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SAE-AMS-P-81728을
추천한다.
6.14.3 니켈 도금. 이 규격의 니켈 도금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SAE-AMS-QQ-N-290을 추천한다.
6.14.4 은 도금. 이 규격의 은 도금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ASTM B700을 추천한다.
6.14.5 고온 연납 담금. 이 규격의 연납 담금(60-40
주석 납)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EIA/IPC
J-STD-006을 추천한다.

성능형 규격에서는 구체적 공정을 요구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규칙이나, 다음의 경우에는


성능형 규격에서 정확한 절차를 구체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① 해당 공정이 군에 완전히 특수화된 것이고 국방부가 그 특수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절차를
개발한 경우
② 해당 공정의 적용이 물품의 운영 성능을 위하여 필수적인 경우
③ 물품의 제조자가 절차에 대해 전혀 전문성이 없고 제조자가 해당 절차의 대안을 개발하거나
제안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경우
보기 4. 미 군사규격 사례(MIL-PRF-32137 <필터, 가스 – 미립자: NBC, 100 CFM, M48A1>)
3.4.5 조항은 필터의 하우징(housing)이나 캐니스터(canister)의 외부 금속 표면 전체에 대해서 MIL-DTL
-64159 <코팅, 물 분산성 지방성 폴리우레탄, 화학작용제방호> 또는 MIL-C-53039 <코팅, 지방성 폴리우레탄,
단일 요소, 화학작용제방호>를 충족하는 CARC 탑코트(topcoats)를 적용할 것을 요구한다.
보기 5. 미 군사규격 사례(MIL-PRF-49080C <동력 공급, PP-2953D/U와 PP-6224C/U>)
3.13.1 조항은 동력 공급원의 외부 표면을 무광택 녹색 383 CARC로 칠할 것을 요구하며, 이는 MIL-DTL
-64159 <코팅, 물 분산성 지방성 폴리우레탄, 화학작용제방호> 또는 MIL-C-53039 <코팅, 지방성 폴리우레탄,
단일 요소, 화학작용제방호>에 의거한 것이다.
보기 6. 미 군사규격 사례(155MM 대포)
부록 C의 3.2.2.6.1 조항에서 MIL-C-53039 <코팅, 지방성 폴리우레탄, 단일 요소, 화학작용제방호>에
의거하여 해당 시스템을 칠할 것을 요구한다.

- 162 -
시공, 제조 및 조립(Construction, Fabrication, Assembly)
D.3.5
성능형 규격에는 거의 명시하지 않는다.
다음의 미 군사규격 사례는 이음새 성능에 관련한 MIL-PRF-81542B의 조항의 일부이다. 이 사례에
서 보듯이 이음새를 어떻게 결합할 것인지에 대하여 상세형 규격에서 명시되어 있던 구체적
지시사항을 성능형 규격에서는 제외하고 작성되었다.
보기 미 군사규격 사례
상세형 군사 규격 MIL-L-81542A<구명보트, 공기주입식, 1인용 LR-1 유형>에서 성능형 군사 규격
MIL-PRF-81542B<구명보트, 공기주입식, 1인용 LR-1 유형>으로 전환한 사례 자료
MIL-L-81542A<구명보트, 공기주입식, 1인용 MIL-PRF-81542B<구명보트, 공기주입식, 1인용
LR-1유형> LR-1유형>
3.4.3 이음새 결합, 이음새 테이프, 패치, 부착물. 3.19 기능/운영. 구명보트는 4.11에 명시한대로
이음새 공사와 이음새 테이프, 패치, 부착물 시험될 때 필요한 당기는 힘을 가하면 60초
결합은 3.4.2의 기법과 조치를 사용하여 조립된 이내에 설계 모양으로 부풀어야 한다. 구명보트가
구명보트 검사 이전에 접착제가 최적의 결합 부풀어 오르는 동안 기체 흐름의 방해나 막힘,
속성을 발휘하고 모든 이음새, 테이프, 패치, 기체가 대기로 손실, 다른 부품에 의한 제한 등이
부착물은 이 규격의 요구사항과 부합해야 한다. 발생하는지 관찰되어야 한다. 어떤 측면에서든
모든 이음새, 테이프, 패치, 부착물은 해당 도안에 구조상이나 자재의 고장 흔적이 있어서는 안 된다.
구체화된 접착제로 고정되어야 한다. 튜브 방사상 모든 봉인된 부분, 이음새, 이음새 테이프,
접합 이음새는 67A318H2에 명시된 이음새 부착물은 원래대로 유지되어야 하고 분리의
테이프로 안쪽과 바깥쪽 면이 덮여야 한다. 징후가 보여서는 안 된다. 바닥은 뒤틀리지 않아야
67A318H2에 기술된 바와 같이 튜브의 세로 하고 보트 측면 높이에 차이가 있어서는 안 된다.
이음새의 안쪽은 이음새 테이프로, 바깥쪽은 바닥 세워진 캐노피(canopy)는 해방 35노트 바람과
부착물로 덮여야 한다. 모든 이음새 테이프는 52노트 돌풍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구명보트는
팽팽하거나 주름지지 않게 이음새에 적용되어야 해방 조건(open sea condition)에서 17노트에서
하며 해당 도안 요구사항에 부합하도록 27노트의 바람 과 6에서 10피트의 파도에 대해
적용되어야 한다. 바닥, 패치, 부착물 또한 내항성과 안정성을 구현해야 한다. 보트는 비행
구명보트에 팽팽하거나 주름지지 않게 수트, 구명조끼, 부풀은 구명구, 비행 부츠 등의
접합되어야 한다. 기본 패치의 내부 직경 오프닝은 표준 항공 구명장비를 장착한 1인이 쉽게 승선
입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튜브 부착물을 단단히 가능해야 한다. 인체측정 데이터에 대해서는 표
하며 그것의 오프닝과 일치해야 한다. 접착제는 1을 참조.
이음새 테이프, 이음새, 패치, 부착물의
가장자리와 평행하는 일직선으로 적용되어야 3.20.1.1 저온. 구명보트는 4.12.1.1에서 명시한대로
하고, 이음새 테이프, 이음새, 패치, 부착물의 시험했을 때 0 °F에서 5분 내 승선 가능한 형태로
가장자리에서 최대 1인치까지 확장된다. 봉인된 부풀어 올라야 한다. 부풀어 오를 때, 기체 흐름에
주변의 이음새 테이프 또는 이음새 테이프의 한 대한 방해나 부품에 의한 제한이 없어야 한다.
쪽 끝이 다른 쪽 끝과 만나는 부위는 3/4 플러스 모든 이음새, 이음새 테이프, 봉인된 영역,
1/2 마이너스 0 인치만큼 서로 겹쳐져야 한다. 부착물은 온전하게 유지되고 분리의 흔적을
접착제는 건조 시 정돈되고 균일한 모양이어야 보여서는 안 된다. 모든 측면에서 시공 및 자재
한다. 접착제는 엉긴 채로 있으면 안 되고 건조 시 고장 흔적이 있어서는 안 된다.
직물, 이음새 테이프, 부착물이 구명보트의 어느
지점에서든 줄어들거나 주름지게 되어서는 안 3.20.1.2 고온. 구명보트는 4.12.1.2에서 명시한대로
된다. 구명보트는 접착제가 엉긴 덩어리나 과도한 시험했을 때 160 °F에서 60초 내 설계한 형태로
접착제로 인한 얼룩이 없어야 한다. 부풀어 올라야 한다. 부풀어 오를 때, 기체 흐름에
대한 방해나 부품에 의한 제한이 없어야 한다.
3.4.4 이음새와 바늘땀(stitching) 공기주입실 모든 이음새, 이음새 테이프, 봉인된 영역,
직물에나 구명보트 바닥 등 모든 구명보트 부착물은 온전하게 유지되고 분리의 흔적을
이음새에서 바늘땀은 사용하지 않는다. 바느질은 보여서는 안 된다. 모든 측면에서 시공 및 자재
부속품 시공에서만 사용되는데 구명보트에 고장 흔적이 있어서는 안 된다.
최종적으로 부착할 때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부속품의 모든 기계 바늘땀은 해당 도안에서 3.20.4 노후화/라이프 사이클 가속화. 4.12.4에
명시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보강 명시한 대로 시험했을 때 포장된 구명보트는

- 163 -
바늘땀(bartacks)을 제외한 모든 바느질은 노후화/라이프 사이클 가속화 효과를 견딜 수
FED-STD-751에 의거한 바늘땀 유형 301로 해야 있어야 한다. 구명보트는 4.12.4에 명시된 대로
하고 인치당 6개에서 10개의 바늘땀을 포함해야 실행했을 때 60초 이내에 부풀어야 한다. 부풀어
한다. 바늘땀의 각 열은 이음새 가장자리에 평행한 오를 때, 기체 흐름에 대한 방해나 부품에 의한
일직선이어야 한다. 모든 열의 바늘땀은 제한이 없어야 한다. 모든 이음새, 이음새 테이프,
일직선에서 1/32 인치 내외의 오차가 허용된다. 봉인된 영역, 부착물은 온전하게 유지되고 분리의
바늘땀의 끝은 백스티치로 박음질해야 하고 최소 흔적을 보여서는 안 된다. 모든 측면에서 시공 및
1/2 인치는 서로 겹쳐져야 한다. 실이 끊어지거나 자재 고장 흔적이 있어서는 안 된다. 이 시험
빠진 경우 적어도 1 인치는 다시 박음질해야 한다. 직후에 구명보트는 4.5에 명시한대로 외관상으로
실의 적당히 팽팽하게 유지되어 느슨하거나 꽉 점검되어야 하며 4.10에 명시한대로 압력/누출
조이면 안 되고 잠금장치는 같이 박음질된 자재에 검사를 해야 한다.
내장되어야 한다. 이음새는 비틀리거나 주름이
지면 안 되고 부품의 어떤 부분도 관련 없는 곳에
끼어 있어서는 안 된다. 모든 실 끝은 1/4에서 3/8
인치 길이로 다듬어야 한다. 이음새 가장자리는
적절히 떼어 내고 접힌 부분이 있어서는 안 된다.
얼룩을 방지하기 위해 모든 박음질에 비윤활식
실을 사용한다.

성능(Performance) 특성
D.3.6
성능 특성 항에는 적당한 제목 하에 체계, 품목, 구성품이 가져야 할 모든 성능필요조건에 대한
공통 필요조건과 세부 필요조건을 기술하여야 한다.
성능형 규격은 어떤 항목이나 시스템의 운용에 대한 능력 또는 기능 측면에서 발휘해야 할
사항을 기술하며, 목표나 최선이 아닌 성능 특성의 상한 및 하한을 요구조건으로 기술한다.
보기 1. 쌍안경
3.6 성능 특성
3.6.1 관측각
관측각은 39도 이상이어야 한다.

3.6.2 배율
배율은 4.5배 이상이어야 한다.

3.6.3 관측범위
쌍안경은 지름을 이용하여 산출시 최소한 50 %의 중첩을 제공하여야 하는데, 이 중첩은 상의 면적이
아니다. 이 조건은 고정된 디옵터의 조절 상태에서 만족하여야 한다.

3.6.4 초점
렌즈의 초점은 -2.5 ± 0.3 디옵터 이어야 한다.

3.6.5 편평도
쌍안경의 접선 방향 편평도는 40 ㎜ 형식에서는 바깥의 50 %는 ±0.50 디옵터 이내이어야 하며,
고정된 디옵터의 조절 상태에서는 중앙의 50 %는 ±0.25 디옵터 이내 이어야 한다.

3.6.6 분해능
쌍안경의 축 방향 분해능은(관측 부분의 중앙 25 %) ㎜당 35.9줄 쌍 보다 적지 않아야 한다. 나머지
관측 부분은 ㎜당 17.9줄 쌍의 분해능을 가져야 한다.

3.6.7 효과적인 초점 거리
효과적인 초점 거리는 44.0 ± 0.4 ㎜에 있어야 한다.

- 164 -
3.6.8 선형 변형
쌍안경의 선형 변형은 고정된 디옵터 조절 상태에서 측정하였을 때 40 ㎜ 형식의 가장자리에서 5.3
± 0.1 % 원통형 변형만이 허용된다.

보기 2. 레이더 세트
3.6 성능 특성
3.6.1 시스템 성능
3.6.1.1 최대탐지거리
최대탐지거리는 안테나 높이 20m, 표적크기 2㎡, 표적높이 1m인 조건에서 자유공간상 12.2NM이상
이어야 한다.

3.6.1.2 최소탐지거리
최소탐지거리는 50m이하 이어야 한다.

3.6.1.3 최대전시가능거리
레이더의 최대전시 가능거리는 108NM 이상이어야 한다.

3.6.1.4 거리정확도
탐지표적에 대한 거리 정확도는 단 펄스모드 기준시 12m이내 이어야 한다.

3.6.1.5 거리분해능력
탐지표적에 대한 거리분해 능력은 단 펄스모드 기준시 50m이내 이어야 한다.

3.6.1.6 방위 정확도
탐지표적에 대한 방위정확도는 2도이내 이어야 한다.

3.6.1.7 방위분해능력
탐지표적에 대한 방위분해능력은 2도이내 이어야 한다.

물리적 특성(Physical Characteristics)


D.3.7
성능형 규격은 크기, 무게, 의인화 데이터 등과 같은 물리적 특성을 포함함으로써 필요한 물리적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시스템이나 장비, 부품, 인간과의 상호운용성을 분명히 할 수 있다.

보기 1. 포탑, 상륙돌격장갑차(병력용)
3.7 물리적 특성
3.7.1 전체 최대치수
3.7.1.1 폭
포탑이 탑재된 상태에서(총은 전방지향) 선회베어링 중심에서 포탑의 외부 최우측 지점까지는
622.3㎜(24.5inch) 이하이어야 한다.

3.7.1.2 길이
포탑의 길이는 차량의 해치작동에 간섭되지 말아야 한다.

3.7.1.3 높이
해치 폐쇄 및 무장수평상태에서 차량지붕으로부터 포탑정점까지의 높이는
981㎜(38.625inch)이하이어야 한다.

3.7.2 중량
포탑의 중량(사수제외, 무장, 탄약 및 포탑에 장착되는 모든 부수품목 포함)은
1049~1115㎏(2314~2458lbs)이어야 한다.

- 165 -
보기 2. 공기 조절기
3.7 물리적 특성
3.7.1 중량
공기조절기의 중량은 71㎏ 이하이어야 한다.

3.7.2 크기
냉난방장치의 크기 치수 및 공차는 다음과 같다.
폭 1000(㎜) × 깊이 480(㎜) × 높이 400(㎜), 공차 ± 5(㎜) (장착부 치수)

보기 3. 미 군사규격 사례(MIL-PRF-32076 탄약 일체화)


3.4.3 화물 운반대(Pallet) 다음 요구사항은 화물 운반대와 국방부/NATO 물품 목록에 있는 기존 자재
취급 장비의 연동을 위한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ASME 부품 번호 MH1/9-11 BW 4048P에 부합하는 목재
운반대가 이 단락의 요구사항 대신에 사용 가능하다.
3.4.3.1 일반.
3.4.3.1.1 크기. 화물 운반대 크기는 길이 1016 mm에 너비 1219 mm로 플러스 마이너스 6mm까지
가능하다. 길이 1016 mm에 너비 1219 mm 이외의 운반대는 조달 활동에서 우선 승인을 받지 않으면 사용이
불가능 하다.
3.4.3.1.2 4 방향 엔트리(entry) 4 방향 엔트리 역량이 있는 화물 운반대가 제공되어야 한다.
3.4.3.1.3 아래 표면. 지면과 맞닿는 하중이 실리는 표면, 즉 화물 운반대의 풋프린트(footprint)는 상부
영역의 최소 40 퍼센트가 되어야 한다.
3.4.3.1.4 지게차 가지 오프닝(tine opening) 지게차 슬롯은 최소 89 mm 높이와 최소 254 mm 너비로
두 군데 위치하며 운반대의 모든 네 면에 닿는다.
3.4.3.1.5 높이. 화물 운반대의 최대 높이는 140 mm이다.
3.4.3.1.6 편평도(flatness) 화물 운반대 바닥이 편평한 지면에 위치했을 때 운반대 상부는 평균 운반대
높이에서 6 mm 이상 차이가 나면 안 된다.
3.4.3.1.7 정방성(squareness) 두 개의 대각선의 모서리 길이 차이가 19 mm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3.4.3.1.8 날개. 날개의 너비는 64 mm 미만이어서는 안 된다.

환경요구조건(Environmental Requirements)
D.3.8
장비나 물자가 수송, 저장, 지원 및 사용 중에 당면할 것으로 예상되는 환경조건이 규정되어야
한다. 필요에 따라 기후, 충격, 진동, 소음, 유해가스 등과 같은 환경조건에 대한 규정을 부절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보기 1. 레이더 세트
3.8 환경 조건
3.8.1 온도
3.8.1.1 고온
레이더 장비는 +50℃온도에서 성능의 저하 없이 동작할 수 있어야 하며 안테나는 +71℃(송수신기 및
원격운용기 +63℃)에 노출시에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3.8.1.2 저온
안테나는 -28℃(송수신기 및 원격운용기 0℃)에서 성능의 저하 없이 동작할 수 있어야 하며,
안테나는 -51℃(송수신기 및 원격운용기 -10℃)까지 내려가는 저온에 노출 시에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3.8.2 습도
레이더 장비는 온도 +30℃~+50℃에서 상대습도 90±5%까지 운용 가능하여야 한다.

- 166 -
3.8.3 소음
레이더 장비의 소음은 송수신기 70㏈이내, 원격운용기 63㏈이내, 안테나는 79㏈이내 이어야 한다.

3.8.4 빙부하
안테나는 4.5 lb/ft²의 부하에서 정상동작하여야 한다.

3.8.5 경사
레이더 장비는 경사도 +45도~-45도 조건하에서 정상동작하여야 한다.

3.8.6 수밀
안테나는 MIL-STD-180E TABLE Ⅱ의 수밀조건하에서 정상동작하여야 한다.

3.8.7 진동
레이더 장비는 주파수는 5~33㎐, 진폭 0.01~0.10inch, X, Y, Z 방향에 대하여 진동 시험 후
정상동작하여야 한다.

3.8.8 충격
레이더 장비는 MIL-S-901D GRADE A, TYPE A, CLAS Ⅰ(안테나), CLASSⅡ(송수신기 및 원격운용기)에
따라 충격 시험 후 정상동작하여야 한다.

3.8.9 염수분무
안테나는 MIL-STD-810E 509.3에 따라 장비 또는 시편을 제작하여 시험 실시 후 이상이 없어야 한다.

보기 2. 시험세트, 사격통제장치용
3.8 환경 조건
3.8.1 온도
3.8.1.1 운용 시험
사통 시험세트는 주위 온도 +10℃~+40℃에서 정상 동작하여야 한다.

3.8.1.2 비 운용 시험
사통 시험세트는 주위 온도 -40℃~+63℃에 노출 후 표준 대기 상태에서 정상 동작하여야 한다. 단,
전원 시험세트는 주위 온도 -20℃~+50℃에 노출 후 표준대기 상태에서 정상 동작하여야 한다.

3.8.2 진동
사통 시험세트는 주파수 범위 5~500㎐의 임의진동(Random Vibration)을 3축(X, Y, Z)에 각각 가한 후
정상 동작하여야 한다.

3.8.3 정비 충격
사통 시험세트는 정비 작업 중 또는 콘솔에 설치 및 해체 작업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정비 충격을
가한 후 정상 동작하여야 한다.

일솜씨(Workmanship)
D.3.9
성능형 규격에는 기본적인 요구조건만 명시한다. 필요시 계약자가 일솜씨 관련 요구조건 만족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기술한다.
보기 소음기관단총, 9 밀리미터
3.9 일솜씨
모든 부품 및 조립체는 완전하고 숙련된 일솜씨로 제작, 조립되어야 하며 덧살, 날카로운 모서리,
그리스, 먼지, 녹, 부식물 및 기타 이물질이 없어야 한다. 사용되는 세척방법은 어떠한 부품에도 해롭지
않아야 하며, 세척제로 인하여 부품이 오염되어서는 안 된다.

- 167 -
연동요구조건(Interface Requirements)
D.3.10
연동요구조건은 일반적으로 형태(form)나 적합성(fit) 요구조건은 상호 운용성 및 상호호환성을
보장해야 한다. 이러한 요구조건은 물리적, 전자적, 전자 연결, 상호 교환 가능한 부품, 디지털
상호운용성, 자재간 호환성 등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상세형 규격은 자재, 부품, 설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요구하기 때문에 대개 고유의 인터페이스, 상호운용성, 호환성에 대한 요구사항
을 포함하고 있다. 성능형 규격을 작성할때의 어려운 점은 자재, 부품, 설계에 대한 구체적 요구
사항은 제외하면서도 모든 필수적 인터페이스, 상호운용성, 호환성 요구사항을 표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규격을 작성시 연동요구조건은 주의 깊게 제기, 검토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적절한 수준에서
정비가 될 수 있도록 규격에 필요한 연동요구조건을 열거하여야 하지만, 더 좋은 연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과도한 설계방안을 요구하여서는 안 된다.
또한 성능형 규격에서 상세형 규격을 인용하지 않는 것이 법칙이나, 인터페이스, 상호운용성,
호환성에 대하여 분명히 해야 할 경우에는 상세형 규격 및 기타 문서를 인용할 수 있다.
보기 1. 포병전술 사격지휘장비
3.10 통신장비 연동기능
포병전술 사격지휘장비는 다음과 같은 유무선 통신장비와 연결되어 구성 장비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어야 한다.
가. PRC-999K 무전기, VRC-946K 계열 무전기
나. C-939K 원격 조정기 세트
다. TA-512K 전술용 전자식 전화기

보기 2. 포, 함정탑재용, 구경 5인치 62 구경장


3.10 외부 연동 정의
이 장은 함포의 포대, 탄 및 탄 이송에 대한 외부 연동을 정의한다.

3.10.1 포대에 대한 함포 연동

3.10.1.1 연속 정렬
함포는 양탄기가 여러 가지 구조의 탄약고 배치에 맞추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면의
규정에 따라야 한다.

3.10.1.2 구성품 연동
함포의 주요 구성품은 상호간 및 본 규격서에 규정된 요구 조건, 달리 인용된 참조 문서에 따라
함정과 기계적, 기능적 및 전기적으로 연동되어야 한다.

3.10.1.3 설치 적응성
함포는 중앙, 좌/우현 및 포좌(Sponson) 어디에도 설치될 수 있어야 한다.

- 168 -
3.10.1.4 포대 공압
함정에서 공급되는 공압은 포연 분사장치(gas ejector system)에서는 공기 유동량이
1.38㎥(48.7ft3)/min일 때 12.3kg/㎠ (175psig)이고, 선회 및 고저 비상 구동장치에서는 1.27㎥(45ft3)/min일 때
7.0kg/㎠(100psig)이어야 한다.

3.10.1.5 포대 전원
함포는 함정으로부터 주 전원을 공급받는다. 전원의 총 전력량은 평균대기 부하(Standby load)가
31.8㎾이고, 사격 부하는 평균 180.6㎾이어야 한다.

3.10.1.6 440 VAC 전원 공급


여러 가지 구동 장치를 위한 440V, 3상, 60Hz 주 전원은 함상 전원 장치로부터 공급되어야 한다.

3.10.1.7 비상 전원
함포의 440V, 3상, 60Hz 비상 전원은 함정 주 비상 전원 장치에 의해 공급되어야 한다.

보기 3. 미 군사규격 사례(MIL-PRF-370 호스와 호스 어셈블리, 비금속:탄성중합체, 액화연료)


3.4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3.4.1 기존 장비에 연결. 여기서 정의된 호스 또는 호스 어셈블리는 기존 장비 및 호스 어셈블리와


연결될 것이 요구된다. 인터페이스 지점, 엔드 피팅(end fittings)이 통제되어야 한다. 다시 부착 가능한 엔드
피팅은 여기서 명시하는 바와 같아야 한다. -A-59326은 캠 잠금 피팅을 위해 사용된다. A-A-52592는 홈이
있는 엔드 피팅(end fittings)을 위해 사용된다. A-A-59377은 무성 연결 장치의 빠른 연결 해제를 위해
사용된다.

3.4.2 연료 및 용수 호환성. 완성된 호스는 용수와 다음의 석유 연료에 의해 품질이 저하되지 않으며
이에 대한 저항성이 있고 해로운 효과를 가해서는 안 된다. 호스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 요구사항을 특정
시험 용액에 맞추는 것은 완성된 호스가 연료 호환성 요구사항에 부합한다는 출분한 증거를 제공한다.
a. MIL-DTL-83133 (JP-8) (NATO F-34)
b. MIL-DTL-5624 (JP-5) (NATO F-44)
c. A-A-52557 (디젤-군, NATO F-54 포함)
d. ASTM D975 (디젤-미 상용)
e. ASTM D1655 (Jet A-1)
f. MIL-F-46162 (유형 I과 II등급 디젤)

운용 특성(Operating Characteristics)
D.3.11

본 항은 장비의 운용에 대한 요구사항이 있을 경우에 작성한다.


보기 발전기세트, 가솔린엔진식
3.11 운용 성능
3.11.1 운용 시험
발전기 2대를 조절기에 연결하고 무선 접속부 세트 GRC-650K 및 다중 집선기 세트 GTC-620K를
연결시켜 4시간씩 교대로 운전하며 24시간 운용할 때 통신의 두절 없이 동작하여야 한다. 단, 위 시험을 대체
부하로 수행할 경우에는 실 부하 조건으로 실시한다.

3.11.2 전환 시험
발전기 2대를 작동시켜 조절기에 연결하고 선택스위치를 5회 절환시 GRC-650K 및 GTC-620K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지 않아야 한다.

- 169 -
신뢰성(Reliability)
D.3.12
신뢰성 필요조건 항에는 신뢰도를 신뢰 수준을 포함하여 수치로 규정하여야 하며, 가능하면
임무수행 조건으로 규정하되 각 요구조건(예 : 평균고장시간 MTBF, 평균교체주기 MTBR 등)에
대해 최소치를 명시한다.
보기 1. 포탑, 상륙돌격장갑차
3.12 신뢰성
포탑은 창정비 없이 600시간 또는 4827㎞(3000mile)를 운용할 확률이 90% 이상이어야 한다. 포탑의
신뢰성은 차량의 최초 600시간 또는 4827㎞(3000mile) 운용구간에 걸쳐 12.5 임무시간을 완수할 확률이 90%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결과적인 고장간 평균시간(MTBF)은 118.5시간 이상이어야 한다.

보기 2. 1 1/4톤 트럭
3.12 신뢰성
주행조건에 따라 주행하는 동안 고장간 평균 주행거리(MKBF)가 K311A1은 3360㎞이상, K312A1은
2575㎞이상이어야 한다.

정비성(Maintainability)
D.3.13
정비성은 평균수리시간(MTTR) 또는 비행/운용시간당 정비인시와 같은 항목에 대하여 수치로
규정하여야 한다. 현실적인 필요조건의 결정은 신뢰도에 대한 내용과 유사하다.
규격에는 정비성에 대한 아래의 요구조건 등을 기술한다.
가. 평균 및 최대 고장시간
나. 평균 및 최대 정비시간
다. 운용 및 정비시간 비율
라. 정비시 요구되는 인원수
보기 1. 1 1/4톤 트럭
3.13 정비성
3.1.1의 주행조건에 따라 주행하는 동안 운전자나 승무원이 실시하는 점검 및 수리시간을 제외한 총
정비율(MR)이 K311A1은 0.157이하, K312A1은 0.250이하 이어야 한다.

보기 2. 포탑, 상륙돌격장갑차
3.13 정비성
본 항의 규정은 MIL-STD-721에 따른다.

3.13.1 정비시간
포탑은 운용시간당 0.40 정비인시 이하의 정비율(MR)을 가져야 한다. 최대정비 시간은 표2와 같다.

정비범위 시간 정비계단
승무원 정비 및 점검(2명) 1.0 정비인시 1, 2 계단
계획 부대정비 4.0 정비인시 2, 3 계단
비계획 부대정비 4.0 정비인시 2, 3 계단
비계획 직접지원 12.0 정비인시 4 계단

- 170 -
3.13.2 정비율 계산
정비율(MR)은 소요된 모든 정비인시(승무원 정비 및 점검 제외)를 합하여 그것을 총운용 시간으로
나누어서 계산한다.

3.13.3 고장율 및 수리시간


평균수리시간(MTTR)은 전체시험기간 동안에 발생하는 고장률로 정의된다. 평균수리시간은 1.5시간
이하가 되어야 한다. 이것으로 고유가동성(Ai)은 98%이상이 된다. Ai=MTBF÷(MTBF+ MTTR)로 계산되며,
여기서 MTBF는 고장간 평균시간이다.

호환성(Interchangeability)
D.3.14
이 항에는 구성품 및 조립체의 호환 가능 또는 대체 가능한 수준에 대한 필요조건을 규정해야
한다.
보기 1. 모터, 유압식
3.14 호환성
모터를 구성하고 있는 동일한 제작사의 동일한 부품번호를 모든 부품들은 조립이나 성능상의 변동
없이 서로 교환이 가능해야 한다.

보기 2. 전차장 조준경
3.14 호환성
KCPS의 모든 구성품들은 같은 부품번호를 가진 구성품에 대하여 형상변경이나 성능저하 또는 ±3.5mil
이상의 포구조준감사 조정 없이 상호 교환이 가능해야 한다.

보기 3. 소음기관총, 9밀리미터
3.14 호환성
도면상에 달리 규정되지 않는 한, 동일 부품(수리부속 포함)은 상호 호환성이 있어야 하며, 10정에
대한 호환성 시험은 4.6.14항에 제시된 규정에 따라야 한다.

D.4검사와 시험 및 품질보증
4장에는 제품, 재료, 공정 또는 성능이 규격서 3장의 필요조건과 일치하는 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행해지는 모든 품질보증 및 검사활동을 기술한다.
검사와 시험에는 일반적으로 (1) 최초생산품 검사, (2) 품질적합성 검사, (3) 확인 검사로 나눌
수 있으며, 검사와 시험에 따르는 결점의 분류는 KS A ISO 2859에 따라 치명결점, 중결점, 경결점
등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결점에 대하여 합격품질수준(AQL)을 결정하여야 한다.
성능형 규격에는 재료, 제조방법 등이 일반적으로 명기되지 않으므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성능품질
의 편차의 확대성을 고려하여, 최초생산품 검사항목에 이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장에서는 어떤 검사가 그 제품, 재료 또는 공정에 대한 필요조건과 직접 관련되는 가를 명확히
나타내기 위하여 3장의 필요조건 규정 항 순서와 동일 순서로 규정하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항을 포함하되 필요시 가감 또는 변경할 수 있다.

- 171 -
4.1 일반사항
4.2 검사의 분류
4.3. 검사방법 및 절차

D.4.1 일반사항
제품의 품질보증을 위한 일반사항 즉, 검사책임, 품질보증 제도, 검사장비 등 필요한 사항들을
기술하되 필요시 항목을 가감, 변경하여 작성한다.
“검사의 책임”항은 규격서에 규정된 검사/시험 수행에 대한 책임은 계약자에 있고, 정부는
규정된 모든 검사/시험 입회 또는 별도의 검사 수행 등 모든 검사/시험을 할 권리를 보유한다는
것을 기술한다.
보기 1. 1 1/4톤 트럭
4.1. 일반 사항
4.1.1 검사의 책임
계약서에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계약자는 본 규격서에 명시된 모든 검사를 수행할 책임이 있다.
계약자는 정부가 인정하는 범위 내에서 자체 또는 다른 적절한 시설을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정부는 제품이 규정된 요구조건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검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될 때에는
규격서에 명시되어 있는 어떠한 검사라도 수행할 권리가 있다.

4.1.2 품질보증제도
계약서에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계약자는 계약에 의해 제품의 검사 및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는
효과적인 품질보증 제도를 갖추어야 한다.

4.1.3 정부확인
계약자가 실시하는 모든 품질보증 활동은 정부의 확인을 받아야 하며, 확인 중에 발견된 모든
결함사항은 계약자가 즉시 수정 보완하여야 한다. 정부가 확인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고, 확인된 결함에 대해
수정 보완 조치가 완전히 끝날 때까지 장비의 수락이 지연될 수 있다.
가. 문서화된 품질보증 계획의 실행, 방법 및 절차의 적용 여부 확인
나. 제품의 품질에 대한 계약자의 제시 자료 및 제품 확인

보기 2. 지상감시레이더
4.1. 일반 사항
4.1.1 검사책임
별도로 규정하지 않으면 납품자는 이 규격서에 규정된 모든 검사를 수행할 책임이 있으며 정부 또는
대행기관이 인정하는 자체 설비 또는 공인된 일반시험소를 이용할 수 있다. 정부 또는 대행기관은 납품물자
및 용역이 규정된 필요조건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이 규격서에 규정된
어떠한 시험도 실시할 권리를 갖는다. 납품자는 정부 또는 대행기관의 승인 아래 이 규격서에 규정된 검사
또는 이와 동등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4.1.2 검사장비

- 172 -
납품자는 검사에 필요한 장비를 준비 및 정비할 책임이 있다. 시험 및 검사장비의 보정은 KS A
10012-1 을 따라야 한다. KS A 10012-1 을 따를 수 없을 경우는 특수 보정 조건을 준비하여 정부 또는
대행기관의 승인을 얻어 사용한다.

4.1.3 검사의 조건
지상감시레이더의 검사는 별도로 규정하지 않으면 아래 조건 하에서 실시한다. 이때 검사는 무순이며
전용 검사 장비를 사용할 수 있다.
가. 주위온도 : 23 ± 10 ℃
나. 상대습도 : 50 ± 30 %

D.4.2 검사의 분류
제품의 품질확인을 위한 검사의 종류에 대해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필요시 검사의
종류를 가감 또는 변경하여 기술할 수도 있다.
가. 최초생산품 검사
나. 품질적합성 검사
다. 확인 검사
라. 기타 검사(필요시)
성능형 규격은 상세형 규격에 비해 제품의 변경(개선을 위한 재료 및 공정의 변경이 상세형
규격보다 유연함) 사항에 대한 성능 입증을 위해 최초생산품 검사에 대한 필요성이 비교적
많이 강조된다.
또한 양산품 수락을 위한 품질적합성 검사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세부 검사 수행계획(검사
를 위한 로트구성, 샘플수량, 검사방법 등)을 계약자에게 작성토록 명시할 수 있다.
D.4.2.1 최초생산품 검사
규격서의 필요조건에 일치하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양산 최초생산 물량에
대해 실시하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적용토록 하기 위해 명시된 검사이다.
가. 계약업체가 정부에 해당제품을 처음 납품하고자 할 때
나. 계약업체가 정부에 해당제품을 납품한 실적이 있으나
1) 공정이나 규격의 중요사항이 변경되었을 때
2) 장기간 생산이 중단된 경우
3) 이전 계약으로 납품한 제품이 수명 기간 중 중대한 문제가 발생 되었을 때
또한, 최초생산품 검사는 품질적합성검사와 연관되는 요구조건을 상호 참조할 수 있도록 도표화하
는 것을 추천한다(표 1~2 참조)

- 173 -
품질적합성 검사
D.4.2.2
품질적합성 검사는 생산제품이, 규격의 요구조건에 만족함을 입증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검사로
구성되어야 한다. 품질적합성 검사 항목에는 검사 절차, 검사 단위 수량, 그리고 필요조건과
일치함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 등이 서술되어야 한다.
품질적합성 검사는 최초생산품 검사에 명기된 검사항목과 동일하여도 되지만, 규격서 요구사항
입증이 장기 소요되는 항목이나 특별한 시험들은 반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품질적합
성 검사에 연관되는 필요조건을 최초생산품 검사와 상호 참조할 수 있도록 도표화하는 것을
추천한다(표 1~2 참조)
또한, 단일 계약건으로 장기간 생산 납품하는 품목에 대해서는 최초생산품 검사에서 입증된
전체적인 품질 수준이 생산기간 동안에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는 ‘확인검사’를
추가할 수 있다.
표 1. 검사의 분류
항번 항목 검사절차 최초생산품검사 품질적합성검사 확인검사 비고
3.3.1 환경조건 4.3.1 o o o
3.3.2.1 진동 4.3.2.1 o o o
3.3.2.2. 충격 4.3.2.2 o o o
3.3.2.3 고도 4.3.2.3 o o
3.3.3.1 온도 4.3.3.1 o o o
3.3.3.2 습도 4.3.3.2 o o
3.4 전기적 특성 4.4 o o o

표 2. 검사의 분류
필 요 조건 검 사절 차
비 고
항번 항목 최초생산품검사 품질적합성검사 확인검사
3.3.1 환경조건 4.3.1 4.3.1 4.3.1
3.3.2.1 진동 4.3.2.1 4.3.2.1 4.3.2.1
3.3.2.2. 충격 4.3.2.2 4.3.2.2 4.3.2.2
3.3.2.3 고도 4.3.2.3 4.3.2.3
3.3.3.1 온도 4.3.3.1 4.3.3.1 4.3.3.1
3.3.3.2 습도 4.3.3.2 4.3.3.2
3.4 전기적 특성 4.4 4.4 4.4

검사시료 샘플링
D.4.2.3
샘플링은 규격 요구조건 일치 여부를 입증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다. 규격서에는 성능의 입증

- 174 -
및 호환성 확보를 위한 최소한의 샘플링 조건, 합격품질수준 만을 명시하고 일반적인 치수검사
조건은 가능하면 포함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한 조항은 가능하다면 해당 제품도면에 대한 품질보증
요구서(QAR)상에 기술하도록 하고 규격서에는 명기하지 않을 것을 권장한다.
결함 분류
D.4.2.4
가능하다면, 결함의 분류는 4장에 명시되어야 한다. 결함의 분류는 다음과 같이 숫자로 기록하여야
한다.
1 ∼ 99 : 치명결점
101 ∼ 199 : 중결점
201 ∼ 299 : 경결점

만약 추가적인 그룹이 필요하다면 301, 401, 501 등과 같은 순으로 선택한다. 만약 어떤 그룹의


결점수가 100을 초과할 경우 계속되는 순서는 101a, 102a, 103a와 같이 첨자를 붙여 사용한다.
보기 지상감시레이더
4.2 검사의 분류
검사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가. 최초 생산품 검사
나. 품질 적합성 검사
다. 확인 검사
4.2.1 최초생산품 검사
계약서에 별도로 규정하지 않으면 정부품질보증기관은 개발완료 후 최초 생산되는 생산품에 대하여
본 규격서에 따라 최초생산품 검사를 실시한다. 규격서의 필요조건에 대한 입증이 한번 완료되면 잔여
생산품에 대해서는 4.2.2항에 규정된 품질적합성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최초생산품의 수량은 계약서에
별도로 규정하지 않으면 2대로 표 5에 규정된 최초생산품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4.2.1.1 최초생산품 검사 불량
최초생산품 검사시 이 규격서의 필요조건에 일치하지 않는 품목에 대해서는 생산자는 결함의 원인을
규명하고, 수정 및 정비 후 재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4.2.1.2 최초생산품 납품
계약서에 별도로 규정하지 않으면 최초생산품 검사에 합격한 장비는 납품될 수 있다. 단, 신뢰도
시험을 한 장비는 납품에서 제외 한다.

4.2.2 품질적합성 검사
품질적합성 검사는 표 5에 규정된 바와 같이 전수검사와 확인검사로 구분되며 4.3에 규정된
검사방법에 따라 실시되어야 한다.

- 175 -
4.2.2.1 전수 검사 (100 % 검사)
표 5의 전수검사로 규정된 필요항목에 대하여 이 규격서에서 규정한 시험 및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4.2.2.2 전수검사 불량
전수검사에서 불량으로 판정된 모든 생산품은 불합격처리 할 수 있다. 불합격된 생산품은 수정 및
정비 후 재검사를 받을 수 있다.
표 5. 검사의 분류
최초생산품 검사 품질적합성검사
검사항목 필요조건 시험방법 확인검사
시료 1 시료 2 전수검사
시료 1 시료 2

성능 3.4. 4.4
직류전원 3.4.1.1.1 4.4.1.1.1 O O O O O
교류전원 3.4.1.1.2 4.4.1.1.2 O O O O O
최대탐지거리 3.4.1.2 4.4.1.2 O O O
탐지정확도 3.4.1.3 4.4.1.3 O O O O O
거리 분해능 3.4.1.4.1 4.4.1.4.1 O O
방위각 분해능 3.4.1.4.2 4.4.1.4.2 O O
탐지 방식 3.4.1.5 4.4.1.5 O O O O O
방위각 작동 범위 3.4.1.6 4.4.1.6 O O O O O
고각 조절 범위 3.4.1.7 4.4.1.7 O O O O O
원격 운용 거리 3.4.1.8 4.4.1.8 O O O O O
지역 탐색 3.4.1.9 4.4.1.9 O O O O
표적 획득 및 추적 3.4.1.10 4.4.1.10 O O O O O
데이터 전송 3.4.1.11 4.4.1.11 O O
표적 위치 식별 3.4.1.12 4.4.1.12 O O
표적 구분 전시 3.4.1.13 4.4.1.13 O O

신뢰도 3.5 4.5 O

4.2.3 확인검사
별도로 규정하지 않으면 공급자는 검사기간, 경비, 재사용 불능 등의 이유로 전수검사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필요조건의 품질을 유지 조정하기 위하여 확인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확인검사 주기는
최초생산품 검사 실시 이후 생산 누적 대수 50 대 마다 실시한다. 확인검사 시료는 2 대로 한다.

4.2.3.1 확인 검사 불량
확인 검사 중에서 어느 항목이라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에 불합격으로 판정한다. 공급자는 불합격
원인을 규명하고 그 결과와 수정방안을 정부 검사관에게 통보하여 정부 검사관의 승인을 얻은 후 시정
조치를 하며 불합격된 검사 항목부터 검사를 다시 실시한다. 시정 조치를 한 후 정부 검사관은 장비의
성능이 규정된 필요조건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이 규격서에 규정된 어떠한 검사도
재실시할 권리를 가진다.

검사방법 및 절차
D.4.3
3장(필요조건)에 명시된 요구항목(성능, 호환성, 연동성, 환경조건 등)에 대한 요구조건을 입증 또는
확인하는데 필요한 세부 검사방법 및 절차를 기술한다.
성능형 규격에서는 양산품 수락을 위한 품질적합성 검사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세부 검사
수행계획(검사를 위한 로트구성, 샘플수량, 검사방법 등)을 계약자에게 작성토록 명시할 수 있다.

- 176 -
보기 A, B-스풀조립체
4.3 검사방법 및 절차
4.3.1 전기적 특성시험
스풀은 다음의 시험절차에 따라 시험 하였을 때 3.3.1항의 모든 전기적 특성을 만족시켜야 한다.

4.3.1.1 부피저항율
스풀의 부피저항율은 KS C 3102, 3002의 시험방법 및 절차에 따라 측정하여야 하며, 3.3.1항의
필요조건에 일치하여야 한다.

4.3.1.2 내전압
스풀은 KDS 0710-0015(전기전자부품의 시험방법)의 시험방법 301에 따라 시험하며 3.3.1항의
필요조건에 일치하여야 하고, 다음 세부사항을 적용한다.
가. 시험전압 : 350VAC, 또는 500VDC
나. 시험전압 인가점 : 스풀의 도체와 도체간

4.3.1.3 절연저항
스풀은 KDS 0710-0015의 시험방법 302에 따라 시험하여야 하며 3.3.1항의 필요조건에 일치하여야
한다.

4.3.2 인장력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피복된 상태의 스풀 와이어를 시험 시 3.3.2항의 필요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4.3.3 정전용량
스풀의 도체와 도체 각각의 양단에 정전용량 측정기(LCR METER)를 연결하여 정전 용량을 측정 시
3.3.3항의 필요조건에 일치하여야 한다.

4.3.4 감쇠율
A, B-스풀을 연결하고 신호 주파수는 1㎑로 하여 시단부와 종단부 사이의 감쇠율을 측정 시 3.3.4항의
필요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4.3.5 풀림시험
품질보증요구서(QAR Q55407900) 4.1항에 따라 시험 시 3.3.5항의 필요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4.3.6 환경시험
환경시험은 아래 표6에 따른다.
<표6> 환경시험 항목
항목 필요조건 검사방법
고 온 3.3.6.1항 4.3.6.1항
저 온 3.3.6.2항 4.3.6.2항
진 동 3.3.6.3항 4.3.6.3항
수 압 3.3.6.4항 4.3.6.4항
충 격 3.3.6.5항 4.3.6.5항

4.3.6.1 고온시험
스풀의 고온시험은 KDS 0010-0003의 시험방법 501에 따르며 다음의 조건으로 시험한다.
단계 1 : 고온조에 스풀을 투입한다.
단계 2 : 내부온도를 +55℃±2℃로 24시간 유지시킨다.
단계 3 : 상온에서 2시간 저장 후 3.3.6.1항의 필요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4.3.6.2 저온시험
스풀의 저온시험은 KDS 0010-0003의 시험방법 502에 따르며 다음의 조건으로 시험한다.
단계 1 : 저온조에 스풀을 투입한다.
단계 2 : 내부온도를 -10℃±1℃로 24시간 유지시킨다.
단계 3 : 상온에서 2시간 저장 후 3.3.6.2항의 필요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 177 -
4.3.6.3 진동시험
스풀의 진동 시험은 KDS 0010-0003의 시험방법514-1에 따르며 아래 표7의 조건으로 시험한 후
3.3.6.3항의 필요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표7> 진동시험 조건
SWEEP
주파수(㎐) 진폭/가속도 시험시간 시험축
TIME
10 ~ 30 ±0.45㎜±10% 180분
x,y,z 7분
31 ~ 100 1.7g±10% (각축60분)
30분
101 ~ 150 1.0g±10% x,y,z 7분
(각축10분)

4.3.6.4 수압시험
품질보증요구서(QAR Q55407900) 4.2항에 따라 시험 시 3.3.6.4항의 필요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4.3.6.5 충격시험
스풀의 충격시험은 KDS 0010-0003의 시험방법 516-1에 따르며 아래 표8의 조건으로 시험한 후
3.3.6.5항의 필요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표8> 충격시험 조건
방향 횟수 충격값 지속시간
14g± 15% 8㎳
X(+) 각1회
11.5g± 15% 11㎳
28g± 15% 8㎳
Y(+) 각1회
23g± 15% 11㎳
28g± 15% 8㎳
Z(+) 각1회
23g± 15% 11㎳

D.5포장 및 표시
이 장에는 품목의 특성에 따라 저장 및 수송하는 동안 품질이나 외형의 손상이 없도록 적절한
포장 및 포장물의 내용을 알 수 있는 표시 방법이 기술되어야 한다.
포장 요구조건은 군수의 물류체계를 고려하여 개발기관에서 설정하며, 가능하면 품목별로 작성하
는 것은 지양하고 유사 품목별로 포장 표준화를 이루도록 한다. 제품의 특성상 특별한 조건이
요구될 경우 적절히 기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항을 포함하되 필요시 가감 또는 변경할 수 있다.
5.1 포장
5.2 표시
성능형 규격의 경우 계약서/구매요구서에 구매조건에 적합한 포장조건을 명시하도록 할 수 있다.
포장
D.5.1
포장은 제품의 특성, 용도, 유통 경로, 저장기간, 취급 횟수 등을 고려하여 경제적인 포장이
되도록 하며, 동일 품목이라도 일반 운영물자와 비축물자, 장기 저장물자, 특수지역 보급 물자
등으로 구분하여 적정한 포장방법으로 규제할 필요가 있다.

- 178 -
포장은 필요에 따라 단위포장, 내부포장, 외부포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각의 포장에 대하여
재료, 수량, 방법을 규정하고 결속은 외부포장에 명시한다.
포장재료 및 방법은 KDC 0001-P4001을 참조하여 작성한다.

표시
D.5.2
제품의 식별, 보호, 안전 운반 및 저장에 필요한 표지에 대해 기술한다. 필요하다면, 표지에
관한 필요조건은 「유해화학물질관리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소방법」, 「총포․도검․화
약류 등 단속법」 등 관련법규를 참조하여 설정한다. 5장의 “표시”항은 “3장 필요조건”에서
규정하는 제품 표지(명판 등)와는 구별되어야 한다.

보기 작업등 세트
5. 포장 및 표시
5.1 포장
5.1.1 단위포장
작업등 세트의 구성품은 청결하게 한 후 관련도면(또는 계약요구조건)에 따라 포장되어야 한다.

5.1.2 외부포장
단위포장 및 부수장비 포장상자를 외포장상자에 넣고 관련도면(또는 계약요구조건)에 따라 포장한다.

5.2 표시
5.2.1 단위포장
단위 포장에서는 국방부 표지(KDS 8455-0002), 재고번호, 품명, 적용 장비, 단위, 수량, 제조년월일,
제조회사명을 선명하게 표시하여야 하며, 세부내용은 관련도면(또는 계약요구조건)에 따른다.

5.2.2 외부포장
외부 포장에서는 국방부표지(KDS 8455-0002), 재고번호, 품명, 적용 장비, 단위, 수량, 중량, 부피,
로트번호, 제조년월일, 제조회사명을 선명하게 표시하여야 하며 세부내용은 관련도면(또는 계약요구조건)에
따른다.

D.6주기
6장에는 요구조건은 필요하지 않으며 일반적이고 보충적인 성격의 정보를 기술한다. 이는 규격의
용도, 제품의 적당한 형태나 등급의 선택, 추가적인 대체 자료 등과 같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작성된다. 6장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절히 가감 변경할 수 있다.
6.1 용도
6.2 조달 요구조건
6.3 기술교범 규격 정보
6.4 견본

- 179 -
6.5용어 정의
6.6 상호 참조표
6.7 관급 및 정부 대여재산
6.8 핵심어(주제어) 색인
상기 사항 중 자주 명기되는 6.1, 6.2 항에 대해 설명하겠다.
용도
D.6.1
본 규격에 준한 제품의 사용과 관련된 정보는 6.1의 서두에 명기한다. 규격서 안에 등급과 형별
차이점은 규격서 안에서 설명되어야 하며 어떤 제품이나 재료가 잘 적용되지 않는 특별한 경우가
있을 경우, 이러한 정보는 명기하도록 한다.
조달 요구조건
D.6.2
이 항목에는 입찰공고, 계약서 또는 기타 구매문서로 조달기관에 의해 행하여지는 모든 선택사항이
수록되도록 한다.
보기 1. 압축기 세트
6. 주기
6.1 용도
본 규격서에 의해 규정된 압축기는 선상에서의 화재 진화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물을
준비할 필요가 없다.

6.2 조달 요구조건
조달문서는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
가. 규격서 제목, 번호 및 일자
나. 형 및 등급(1.2 참조)
다. 조달 및 소요 제기시 인용된 국방규격목록의 간행물. 필요시, 민간의 참조문서의 특정 간행물(2.2.1
및 2.2.2 참조)
라. 최초 생산품이 요구되는 경우(3.1 참조)
마. 아연 도금, 필요시(3.2 참조)
바. A로트 혹은 B로트 시험이 요구되는 경우(4.2.1 참조)

보기 2. 조준등, 적외선 광학용


6. 주 기
6.1 용 도
본 규격서는 조준등, 적외선-광학용에 대하여 적용한다.

6.2 조달요구조건
조달문서에는 다음 사항을 규정한다.
가. 본 규격의 제목, 규격번호 및 규격 제정일
나. 최초생산품 시험 실시 여부

6.3 관급 자재
계약서 또는 구매요구서 상에 별도의 규정이 없는 한, 정부는 4절의 “검사 및 시험”에 사용할 아래
표6의 관급자재를 공급하여야 한다.

표6.관급자재

- 180 -
품 명 수 량
구경 5.56㎜ 탄환 및 탄창 필요량
M16A1 소총 필요량
K-1A 소총 필요량
K-2 소총 필요량
야간투시경,KAN/PVS-7 필요량

6.4 신뢰도시험 시제에 대한 조치


최초생산품 시료중 신뢰도 시험에 사용된 조준등은 납품 할 수 없다.

- 181 -
부록 # 4 : 호스, 비금속제 품목 성능형 규격 전환(초안)

국 방 규 격
(초안)
규격번호 : KDC-PRF–4720-D4025
재고번호 : 4720013189699
제정일자 : 2010. 06. 29
개정일자 : 2014. 00. 00

호스, 비금속제
(HOSE,NONMETALLIC)

1. 적용범위 및 분류
본 규격서는 다목적전술차량 K532 앞차 히터 냉각수파이프 연결용으로 사용하
는 호스, 비금속제(이하 “호스”라한다)에 대하여 적용한다.

2. 적용자료 및 문서
2.1 일반사항
아래문서 및 도면은 규정된 범위 내에서 본 규격서와 함께 적용되며,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경우 유효한 최신판을 적용한다.

2.2 정부문서
규 격 서
국방규격서
KDC 0001-P4001 포장, 군 운용 장비유지부품

표 준 서
한국산업표준(KS)
KS Q ISO 2859-1 계수치 샘플링검사 절차 – 제1부 :
로트별 합격품질한계(AQL) 지표형 샘플링검사 방안

도 면
AD61000018 호스, 비금속제

- 182 -
KDC - PRF – 4720-D4025

기타 간행물
교범
K9(3)-2350-485-23P 4.2인치 박격포 탑재용 운송차, K532

2.3 우선순위
본 규격서의 내용과 이 문서에서 인용한 참고문서 사이에 일관성이 없거나 차이
가 있는 경우에는 본 규격서의 내용이 우선한다. 그러나 특별한 면제가 부여되
지 않는한, 본 규격서의 어떤 항목도 관련 법률이나 규정에 우선할 수 없다.

3. 필요조건
3.1 설계(또는 구성)
호스,비금속제의 형태와 치수는 도면(AD61000018)에 일치하여야 한다.

3.2 재료
다음의 재료를 사용하거나, 동등 이상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기본 성능
듀로미터 영구 압축
인장강도 신장률 내열성 내유성(윤
경도 줄음률
KS M KS M KS M 활유) KS M ISO 사용할 수
KS M
ISO 37 ISO 37 ISO 188 KS M 815-1 있는 종별
ISO
1A형 1A형 100℃ ISO 70℃ 번호
7619-1 22시간
최소 MPa 최소(%) 70시간 1817
(A형) ±5 최대(%)
30 6.86 400 2
30 10.30 400 2,3,4및5
30 13.73 400 인장강도 2,3,4및5
40 3.43 300 변화율(% 2및8
40 6.86 300 ) ±30 2및8
40 10.30 400 신장률 2,3,4,5및6
40 13.73 400 변화율(% 요구 영구 압축 2,3,4및5
50 6.86 300 ) 없음. 줄음률 50 2및8
50 10.30 400 -50이내 2,3,4,5및6
50 13.73 400 경도변화 2,3,4및5
50 17.16 400 (쇼어 A) 2,3,4및5
60 3.43 250 ±15 2,3,4,5및6
60 5.39 250 2,3,4,5및6
60 6.86 300 2,3,4,5및6

- 183 -
KDC - PRF – 4720-D4025

기본 성능
듀로미터 영구 압축
인장강도 신장률 내열성 내유성(윤
경도 줄음률
KS M KS M KS M 활유) KS M ISO 사용할 수
KS M
ISO 37 ISO 37 ISO 188 KS M 815-1 있는 종별
ISO 70℃
1A형 1A형 100℃ ISO 번호
7619-1 22시간
최소 MPa 최소(%) 70시간 1817
(A형) ±5 최대(%)
60 10.30 350 2,3,4,5및6
60 13.73 400 2,3,4,5및6
60 17.16 400 2,3,4,5및6
70 3.43 150 8
70 5.39 150 8
70 6.86 200 2및8
70 8.34 200 8
70 10.30 250 2,3,4,5및6
70 13.73 300 2,3,4및5
70 17.16 300 2,3,4및5
80 6.86 100 2및7
80 10.30 150 2및4
80 13.73 200 2및4
90 3.43 75 7
90 6.86 100 2및7
90 10.30 125 2및4

3.2.1 특수사양
자동차용 워터 호스 사양에 준하여야 한다.
<자동차용 워터 호스의 성능 시험>

안지름 시험
시험항목 종류 성능
mm 조건
44미만 15 이하 0.10MPa
1종
바깥지름 44이상 - -
내압 시험
변화율(%) 2종 및 44미만 0.49MPa
15 이하
호 3종 44이상 0.29MPa
스 파열 강도
내압성 파열 시험 별표 1에 따른다.a -
의 MPa
시험
성 이상한
능 찌그러짐, 별표 1의
시 감압(부압) 시험 별표 1에 따른다.b 변형 등 감압으로
험 결점이 5분
없을 것.
내피로성 반복 진동 2종 및 각 파열, 반복
겉모양
시험 시험 3종 안지름 부분적 진동

- 184 -
KDC - PRF – 4720-D4025

안지름 시험
시험항목 종류 성능
mm 조건

팽창 등
결점이
없을 것 시험
바깥지름
10 이하
변화율%
균열,
(120±1)
박리 밀착 강도 각 파손 등
3종 ℃,
시험 N/m 안지름 결점이
168시간
없을 것
굽힘
시험(180°
균열,
) 또는 (120±1)
1종, 2종 각 파손 등
호스 겉모양 ℃,
및 3종 안지름 결점이
안지름의 168시간
없을 것.
50% 압축
열 노화 시험
시험 원통 굽힘
시험 후의
과열 시험c
과열 강도
또는 호스 별표2에 따른다. -
MPa
안지름의
50% 압축
시험
균열,
압축 또는 (-40±2)
저온 1종, 2종 각 파손 등
접어 굽힘 겉모양 ℃,
시험 및 3종 안지름 결점이
시험 5시간
없을 것.
A법 원통
균열,
감기 시험 둥근막대
오존열화 1종, 2종 각 파손 등
C법 둥근 겉모양 합입
시험 및 3종 안지름 결점이
막대 삽입 시험
없을 것
시험

a. 내압성 시험의 내압, 파열 시험에서 1종의 안지름 44mm 이상에 대하여는 당사자
사이의 협정에 따른다.
b. 1종의 감압성 및 2종의 안지름 44mm 이상의 감압성에 대하여는 당사자 사이의
협정에 따른다.
c. 열 노화 시험의 원통굽힘(180°) 후, 파열 시험은 2종 및 3종에 대해서만 실시한다.

<고무층의 물리 시험>

시험항목 성능 시험 조건
인장 강도 MPa 7.85 이상
고무층의 인장 시험 (500±25)mm/분
신장률 % 250 이상
물리 시험
경도 시험 경도 Hs 60±5 또는 70±5 스프링 경도 A형

- 185 -
KDC - PRF – 4720-D4025

인장 강도 변화율 % -30 이내
(120±1)℃,
노화 시험 신장률 변화율 % -50 이내
70시간
경도변화 Hs +20 이하
인장 강도 변화율 % -25 이내
침지 시험 끓는점, 70시간
부피 변화율 % -5 ~ +10
(100±1)℃,
내유 시험 부피 변화율 % 0~+100
70시간

<별표1 파열 성능 및 감압 성능>
안지름 파열 압력MPa 감압력 KPa
㎟ 1종 2종 3종 1종 2종 3종
5.5
(7)
1.18 이상
7.5
-33.3
9
12
13
1.08 이상
(15)
-26.7
16
(19)
1.37 이상 -24.0
20
21
0.98 이상
22 0.2 이상 13.3
1.18 이상 -20.0
24
25 당사자
27 사이의
28 협정에
(29) 0.88 이상 따른다
30
(31)
33
34
0.78 이상
37
- -
39
44
0.69 이상
49
당사자 당사자
54
사이의 사이의
59 0.59 이상
협정에 협정에
64
따른다. 따른다.
69
0.49 이상
74
비고 별표 1의 안지름 이외의 치수에 대한 성능은 안지름 치수가 큰 쪽의성능을 따르
며, 안지름이 74mm 이상일 경우는 안지름 74mm의 성능에 따른다.
a. ( ) 안의 수치는 될 수 있는 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별표2 열 노화 시험의 원통 굽힘 시험 및 호스 안지름의 50% 압축 시험 후의 파열 강도>

- 186 -
KDC - PRF – 4720-D4025

안지름 파열 압력 MPa
mma 2종 3종
5.5
(7)
7.5
9
0.88 이상 1.18 이상
12
13
(15)
16
(19)
0.98 이상
20
21
0.69 이상
22
0.78 이상
24
25
27
28
(29)
30
(31) 0.59 이상
33
34
37
-
39
44
0.49 이상
49
54
59
64 0.39 이상
69
74
비고 위 표의 안지름 이외의 치수에 대한 성능은 안지름 치수가 큰 쪽의 성능을 따르
며, 안지름 74mm 이상일 경우는 안지름 74mm의 성능에 따른다.

a. ( ) 안의 수치는 될 수 있는 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반복 진동 시험>
시험 항목 시험 조건
진폭 8mm
진동수 16.67Hz(1000cpm)
횟수 2회/분
반복기압 0과(0.15±0.02) MPa{(1.5±0.2)kgf/㎠}의
액압
반복
순환액 물(수돗물) : 에틸렌글리콜=50:50(부피)
순환액의 온도 (95±5)℃
시험 시간 250시간

- 187 -
KDC - PRF – 4720-D4025

<둥근 막대 삽입 시험>
오존 농도 시험 온도 시험 시간
(50±5)pphm (40±2)℃  시간
 

3.2.2 종류
호스, 비금속제는 3종 중보강식(내면 고무층과 외면 고무층 사이에 보강층을
한 것)으로 되어야 한다.

3.2.3 중량
호스,비금속제의 중량은 57g 이하여야 한다.

3.3 일솜씨
덧살이 제거되어야 한다.

3.4 연동요구조건
호스,비금속제는 다목적전술차량 K532 앞차 히터 냉각수파이프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모든 냉각수에 대하여 원활히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4. 검사와 시험 및 품질보증
4.1 일반사항
4.1.1 검사의 책임
별도로 규정하지 않으면 납품자는 이 규격서에 규정된 모든 검사를 수행할 책
임이 있으며 정부 또는 대행기관이 인정하는 자체 설비 또는 공인된 일반시험
소를 이용할 수 있다. 정부 도는 대행기관은 납품물자 및 용역이 규정된 필요
조건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이 규격서에
규정된 어떠한 시험도 실시할 권리를 갖는다. 납품자는 정부 또는 대행기관의
승인 아래 이 규격서에 규정된 검사 또는 이와 동등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4.1.2 품질보증제도
별도로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납품자는 제품의 검사 및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는 효과적인 품질보증 제도를 갖추어야 한다.

4.1.3 정부확인
납품자가 실시하는 모든 품질보증 활동은 정부의 확인을 받아야 하며, 확인 중
에 발견된 모든 결함사항은 납품자가 즉시 수정 보완하여야 한다. 정부가 확인
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고, 확인된 결함에 대해 수정 보완 조치가 완전히 끝날

- 188 -
KDC - PRF – 4720-D4025

때까지 장비의 수락이 지연될 수 있다.


가. 문서화된 품질보증 계획의 실행, 방법 및 절차의 적용 여부 확인
나. 제품의 품질에 대한 납품자의 제시 자료 및 제품 확인

4.2 검사방법 및 절차
4.2.1 검사방법
검사방법은 로트별 합격품질한계(AQL) 지표형 샘플링검사 방안(KS Q ISO
2859-1)에 따른다.

4.2.2 검사수준
일반시험용 시료 : 통상검사수준 Ⅱ에 따른다.

4.2.3 일반시험검사의 결함분류와 AQL 및 검사방법은 아래표에 따른다.

분류 결함내용 검사방법
중결점 AQL=2.5%
101 치수 Ø18.0±0.4 표준측정기기
102 치수 Ø27.0±0.4 표준측정기기
103 치수 Ø125.0±0.4 표준측정기기
경결점 AQL=4.0%
201 중결점 이외의 치수 표준측정기기
202 포장 및 표시가 규정과 다른것 육안검사

5. 포장 및 표시
5.1 포 장
호스의 포장은 포장제원표(재고번호 : 4720013189699)에 따르며, 그 외 일반
사항은 포장규격서(KDC 0001-P4001)를 따른다.

5.2 표 시
호스 포장에 대한 표시는 포장규격서(KDC 0001-P4001)를 따른다.

6. 주기
6.1 표준제품 설정
생산업체는 양산 이전에 시제품을 검사기관에 제시하여야 하며, 검사관은 적용
장비에 부착시험 또는 시제품을 검증 할 수 있는 시험장비에서 시험하여 성능,
기능상 이상이 없으면 양산토록 한다.

- 189 -
부록 # 5 : 밸브, 역지용 품목 성능형 규격 전환(초안)

국 방 규 격
(초안)
규격번호 : KDC-PRF-4820-R4003
재고번호 : 4820002688799 등 3
제정일자 : 2006. 11. 29
개정일자 : 2014. 00. 00

밸브, 역지용
(VALVE, CHECK)

1. 적용범위 및 분류
본 규격서는 일반 함정수리자재로 사용되는 청동 0.98Mpa(10kgf/㎠) 나사식
리프트 체크밸브(이하 “밸브”라 한다)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적용자료 및 문서
2.1 일반사항
아래문서 및 도면은 규정된 범위 내에서 본 규격서와 함께 적용되며,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경우 유효한 최신판을 적용한다.

2.2 정부문서
규 격 서
국방규격서
KDS 8455-0002 국방부 표지
KDC 0001-P4001 포장, 군 운용 장비유지부품

미 군사규격서
MIL-V-18436C VALVES, CHECK : BRONZE, CAST IRON, AND
STEEL BODY NATIONAL BUREAU OF
STANDARD(NBS) HAND BOOK; H-28 SCREW
THREAD STANDARD FOR FEDERAL SERVICES

- 190 -
KDC - PRF - 4820-R4003

표 준 서
한국산업표준
KS T 1002 수송 포장 계열 치수
KS T 1006 골판지 상자 형식
KS T 1034 외부 포장용 골판지
KS T 1093 포장용 폴리에틸렌 필름
KS B 2818 일반산업용 체크밸브(폐지)

미 군사표준
MIL-STD-129 Marking for Shipment and Storage

도 면
N2688779 밸브, 역지용

기타 간행물
방위사업청 훈령 제270호(2014.2.24) 방위사업관리규정
방위사업청 예규 제134호(2013.5.22) 민군규격 통일화 업무지침
방위사업청 예규 제131호(2013.4.29)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NBS HAND BOOK H-28 SCREW-THREAD STANDARDS FOR
FEDERAL SERVICES

2.3 우선순위
본 규격서의 내용과 이 문서에서 인용한 참고문서 사이에 일관성이 없거나 차이
가 있는 경우에는 본 규격서의 내용이 우선한다. 그러나 특별한 면제가 부여되
지 않는한, 본 규격서의 어떤 항목도 관련 법률이나 규정에 우선할 수 없다.

3. 필요조건
3.1 설계(또는 구성)
밸브의 형태 및 치수는 도면(N2688779)에 일치하여야 하며, 본 규격서에 규제되
지 않은 일반적인 사항은 KS B 2818에 따른다.

3.2 재료
밸브에 사용되는 재료는 다음과 같다.

<종류 및 기호>

- 191 -
KDC - PRF - 4820-R4003

주조법의 참고
종류 기호 합금계
구분 합금의 특징 용도 보기

베어링, 슬리브,
내압성, 부싱, 펌프, 몸체
사형 주조
내마모성, 임펠러, 밸브,
청동 CAC40 Cu-Zn-Sn 금형주조
기계적 성질이 기어, 선바용 둥근
주물 3종 3(BC3) 계 원심주조
좋고 내식성이 창, 전동 기기
정밀 주조
좋다. 부품, 일반 기계
부품 등

<화학성분>

구분 주요 성분(%) 잔여 성분(%)
기호 Cu Sn Zn Pb Fe Sb Ni P Al Si
CAC4 86.5~ 9.0~ 1.0~
1.0 0.2 0.2 1.0 0.05 0.01 0.01
03 89.5 11.0 3.0

<기계적 성질>

기호 인장강도(N/㎟) 연신율(%)

CAC403 245 이상 15 이상

3.3 성능 특성
완제품은 적용장비에 부착하였을 때 일치하여야 하고 성능발휘상 결함이 없어
야 한다.

3.3.1 연결측 나사
밸브의 연결측 양쪽 나사는 NBS HAND BOOK H-28의 NPT/F에 따라 가공한다.

3.3.2 밸브 몸통
밸브 몸통 두께는 도면의 a 이상이어야 한다.

3.3.3 나사축선
양끝 나사축선의 어긋남은 양끝면의 나사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끝면
에서 300mm 떨어진 위치에서 4mm를 초과하여서는 안 된다.
3.4 일솜씨
주조품의 표면이 매끈하여야 하고, 블로우 홀, 갈라짐, 구멍 등의 해로운 결함

- 192 -
KDC - PRF - 4820-R4003

이 없어야 한다.

4. 검사와 시험 및 품질보증
4.1 일반사항
4.1.1 검사의 책임
별도로 규정하지 않으면 납품자는 이 규격서에 규정된 모든 검사를 수행할 책
임이 있으며 정부 또는 대행기관이 인정하는 자체 설비 또는 공인된 일반시험
소를 이용할 수 있다. 정부 도는 대행기관은 납품물자 및 용역이 규정된 필요
조건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이 규격서에
규정된 어떠한 시험도 실시할 권리를 갖는다. 납품자는 정부 또는 대행기관의
승인 아래 이 규격서에 규정된 검사 또는 이와 동등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4.2 검사방법 및 절차
4.2.1 검사방법
본 규격서의 검사는 제품의 일반검사(Examination : 특수한 시험장비나 절차
없이 육안검사나 청각조사와 같은 것)와 기술시험(Testing : 이화학 특성을 기
술적 수단에 의하여 결정하는 것) 양쪽 모두로 규정하며 3항 필요조건에 일치
하는지 결정하기 위하여 검사 및 시험을 수행하여야 한다.

4.2.2 기록서
본 규격서에 의한 제품의 품질보증을 위하여 수행된 검사 및 시험기록서는 정
부의 요청시 계약을 수행하는 동안 또는 납품 후 사무관리규정에 규정한 기간
동안 어느 때라도 유용하도록 계약자에 의하여 유지되어야 한다.

4.2.3 계약자 증명
계약자는 제품이 본 규격서의 모든 필요조건에 일치하는지 증명하여야 한다.

5. 포장 및 표시
5.1 포 장
밸브의 포장등급은 포장규격서 KDC 0001-P4001에 따라 B급으로 한다. 포장
재료는 포장의 기능 및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환경보존상 우수한 경우에
는 검사관과 협의하여 대체 사용할 수 있다.

5.1.1 단위 포장
가. 재료 : 폴리에틸렌 필름(KS T 1093)

- 193 -
KDC - PRF - 4820-R4003

나. 수량 : 1개
다. 방법 : 필름 봉투에 넣고 열 봉합한다.

5.1.2 내부포장
가. 재료 : 양면 골판지 2종 이상(KS T 1034), 코드번호 0204형 상자(KS T
1006)
나. 수량 : 1개
다. 방법 : 단위포장 1개를 상자에 넣어 폭 25mm 이상의 점착테이프로 붙인
다.

5.1.3 외부포장
가. 재료 : 이중 양면 골판지 2종 이상(KS T 1034), 코드번호 0204형 상자(KS T
1006)
나. 수량 : 10상자(10개)
다. 방법 : 내부포장 10상자(10개)를 상자에 넣어 폭 50mm 이상의 점착테이
프로
붙인다.

5.1.4 상자 크기
상자의 크기는 수송포장 계열치수(KS A 1002)에 준하며 내용물에 따라 가감
조절 할 수 있다.

5.2 표 시
5.2.1 단위포장
단위포장은 국방부 표지(KDS 8455-002) 재고번호, 계약번호, 품명, 적용장비,
단위, 수량, 제조년월일, 제조회사명을 선명히 표시한다.

5.2.2 내부포장
내부포장 상자에는 국방부 표지(KDS 8455-002) 재고번호, 계약번호, 품명,
적용장비, 단위, 수량, 제조년월일, 제조회사명을 선명히 표시한다.

5.2.3. 외부포장
외부포장 상자에는 국바웁 표지(KDS 8455-002) 재고번호, 계약번호, 품명,
적용장비, 단위, 수량, 중량, 부피, 로트번호, 제조년월일, 제조회사명을 선명히 표
시한다.

5.3 기 타
포장 및 표시는 운반 및 취급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 194 -
6. 주기
6.1 용도
본 규격서는 밸브, 역지용에 대하여 적용한다.

6.2 조달 요구조건
가. 조달문서 및 구매 발주서에는 본 규격서의 제목, 규격번호 및 제정 일자
를 명시하여야 한다.
나. 재고번호
순 번 재고번호 호 칭
1 4820002688779 1
2 4820002688798 1½
3 4820002688799 2

다. 아래의 국방규격은 본 규격서의 제정과 동시에 폐지된다.


규격번호 규격서명 제정일자
KDS 4820-1063 밸브, 역지용 1984.2.27

- 195 -
부록 # 6 : 스위치조립체, 자멸용 품목 성능형 규격 전환(초안)

국 방 규 격
(초안)
규격번호 : KDS-PRF–1355-1010
재고번호 : 1355004332863
제정일자 : 1989. 05. 09
개정일자 : 2014. 00. 00

스위치조립체, 자멸용 KMK1 MOD1


(Switch Ass’y, Sterilizing KMK1 MOD1)
(기폭기 KMK 19 계열에 사용)

1. 적용범위 및 분류
본 규격서는 수동으로 작동하는 일점 전기스위치로 평상시에는 회로가 열려져
있는 스위치조립체, 자멸용 KMK1 MOD1의 조달 요구사항을 규정한다. 이 스
위치는 비상시 기폭기의 발화회로를 차단하는데 사용한다.

2. 적용자료 및 문서
2.1 일반사항
아래문서 및 도면은 규정된 범위 내에서 본 규격서와 함께 적용되며,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경우 유효한 최신판을 적용한다.

2.2 정부문서
규 격 서
미 군사규격서
MIL-P-116 Preservation, Method of
MIL-E-17555 Electronic and Electrical Equipment and
Associated
Repair Parts : Preparation for delivery of
MIL-T-18404 Torpedoes, Environmental Requirements, General
Specifications for
MIL-S-19816 SWITCH, STERILIZING, MARK 1 MODS AND 1

- 196 -
KDS - PRF – 1355-1010

표 준 서
미 군사표준
MIL-STD-129 Marking for Shipment and Storage

도 면
93004615 스위치조립체, 자멸용 KMK1 MOD1

기타 간행물
자료목록
93004615 스위치조립체, 자멸용 KMK1 MOD1

2.3 우선순위
본 규격서의 내용과 이 문서에서 인용한 참고문서 사이에 일관성이 없거나 차이
가 있는 경우에는 본 규격서의 내용이 우선한다. 그러나 특별한 면제가 부여되
지 않는한, 본 규격서의 어떤 항목도 관련 법률이나 규정에 우선할 수 없다.

3. 필요조건
3.1 설계(또는 구성)
스위치조립체, 자멸용 KMK1 MOD1의 형태와 치수는 도면(93004615)에 일치하
여야 한다.

3.2 재료
계약서에 달리 규정하지 않는한 최종 결합체인 스위치에 들어가는 부품의 모
든 재질 및 구매품은 적용규격서와 도면에 나타난 요구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3.2.1 습기, 균 및 내식
스위치는 습기, 균과 부식에 견뎌야 한다.

3.3 일솜씨
스위치의 끝손질, 피막 조립 및 치수는 적용도면, 규격서 및 관련책자의 요구
조건과 일치하여야 한다. 결합체 조립전․후 모든 부품은 칩과 모든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다. 또한 납땜의 산뜻함과 완전함, 선연결, 표기, 도금 등이 결함
이 없어야 하고 덧살과 날카로운 모서리가 없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적용규격
에 특별히 명시되어 있지 않은 일솜씨는 합격된 최초생산품 샘플에 나타난 일
솜씨나 계약기관이 인정하는 일솜씨를 기준으로 한다.

- 197 -
KDS - PRF – 1355-1010

3.4 성능 특성
3.4.1 접점결합체
접점결합체는 접점핀의 축을 따라 4.5kg의 힘을 작용했을 때 풀린다거나 플라
스틱에 균열이 생겨서는 안된다.

3.4.2 접점결합체 보증
접점 결합체를 정해진 위치에 스테이킹한 후 접점 결합체의 성형 플라스틱의
구멍에 5.8kg-Ccm의 토오크를 작용했을 때 잘 견뎌야 한다.

3.4.3 작동 토오크
드라이버는 토오크 360gr-cm를 작용할 때까지는 열린 위치에서 닫힌 위치로
돌아가서는 안되며, 360gr-cm 이상에서 닫힌 위치로 돌아가야 한다. 스위치가
닫힌 위치로 돌아가는데 필요한 토오크보다 144gr-cm이상 닫힌 위치의 드라
이버에 작용했을 때 드라이버는 스위치의 열린 위치로 돌아가서는 안된다.

3.4.4 접촉저항
스위치가 닫혀진 상태에서 접점핀과 하우징 간의 저항은 0.1Ω 이하이어야 한다.

3.4.5 절연저항
스위치가 열려진 상태에서 고정콘택트와 하우징간의 절연저항은 직류 500V가
걸릴 때 10MΩ이상이어야 한다.

3.4.6 작동수명
작동수명이 100회 이상어야 한다.

3.4.7 요소별 특성
스위치조립체, 자멸용 KMK1 MOD1은 드라이버, 스프링 하중을 받고 있는 콘
택트 및 고정콘택트 등의 부품이 들어가는 스테인레스강으로 된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스위치의 드라이버는 플라스틱에 의해 덮혀 있으며, 나사드라이버에
의해 쉽게 파열된다. 스위치는 처음 열려있는 생태로 고정되어 있다가, 작동하
면 닫혀지게 된다.

4. 검사와 시험 및 품질보증
4.1 일반사항
4.1.1 검사의 책임
별도로 규정하지 않으면 납품자는 이 규격서에서 규정하는 모든 검사를 수행

- 198 -
KDS - PRF – 1355-1010

할 책임이 있으며 계약기관(정부 또는 대행기관)이 인정하는 자체 설비 또는


공인된 일반시험소를 이용할 수 있다. 계약기관은 납품물자 및 용역이 규정된
필요조건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이 규격
서에 규정된 어떠한 시험도 실시할 권리를 갖는다. 납품자는 계약기관의 승인
아래 이 규격서에 규정된 검사 또는 이와 동등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4.2 검사방법 및 절차
검사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가. 최초생산품 검사
나. 정규생산품 검사
1) 수락검사
2) 환경시험

4.2.1 최초생산품 검사
검사방법은 수락검사를 만족스럽게 통과한 최초생산품 샘플 및 환경시험 샘플
은 다음의 시험을 받아야 한다. 최초생산품 검사 및 환경시험의 결과에 관한
공인된 검사 자료들은 계약기관에 제출되어야 하며, 본 규격서의 요구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은 불합격으로 한다.

4.2.1.1 진동시험
4.2.1.1.1 스위치를 가능한한 실제 조립되는 상태로 시험치구에 고정시켜 서로
수직인 셋방향으로 시험계획Ⅰ에 따라 진동시험한다.
시험계획Ⅰ

최소시험시간(분)
진동수 진폭
실온
10-30 1.52±0.15mm 60
31-60 3G±0.3G 60
61-100 3G±0.3G 60

각 시험구간 사이에는 3-5분 동안 일정한 속도로 연속적인 주파수를 변화 시


킨다. 대체방법으로 스위치는 시험계획Ⅰ의 진동수와 진폭의 범위에 걸쳐서
5Hz를 넘지 않는 진동수 간격으로 특정한 진동수에서 각 시험축에 대하여 진
동 시험한다.
총 시험시간은 시험계획Ⅰ보다 작아서는 안되며, 특정 진동수에 대해서 시간
을 균일하게 나눈다.
4.2.1.1.2 스위치를 가능한한 실제조립되는 상태로 시험치구에 고정시켜 서로

- 199 -
KDS - PRF – 1355-1010

수직인 세 방향으로 시험계획Ⅱ에 따라 진동시험 한다.


시험계획Ⅱ

최소시험시간(분)
진동수 진폭
실온
20-60 1G±0.1G 15
61-150 1G±0.1G 15
각 시험구간 사이에서는 3-5분 동안 일정한 속도로 연속적으로 주파수를 변화
시킨다. 대체시험 방법으로 스위치는 시험계획Ⅱ의 진동수와 진록에 걸쳐서
5Hz를 넘지않는 진동수 간격으로 특정한 진동수에서 각 시험추겡 대하여 진동
시험한다. 총 시험시간은 시험계획Ⅱ보다 작아서는 안되며, 특정진동수에 대해
서 시간을 균일하게 나눈다.

4.2.1.2 충격시험
가능한한 실제 조립 상태로 시험치구에 고정된 스위치는 150±15G 8ms 이상
인 충격파를 받아야 한다.

4.2.1.3 가속도 시험
가능한 한 실제 조립되는 상태로 시험치구에 고정된 스위치는 15±2G의 가속
도를 0.2초 이상 견뎌야 한다. 시험은 서로 수직인 세 축 방향으로 실시하며
각축에서 관성력을 양방향으로 작용시킨다.

4.2.1.4 온도시험
스위치를 실제 조립상태와 유사하게 O링 윗부분만 노출되도록 시험치구에 고
정시켜 –40℃±3℃의 저온에서 48±5시간 55℃±3℃의 고온에서 48±5시간 각
각 유지시킨다.

4.2.1.5 압력시험
정부 검사관의 재량에 따라 압력시험은 스위치 단독으로 실시할 수도 있고 기
폭기 KMK19 MOD12에 조립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스위치 단독으로 실시할
때는 O-RING 윗부분만 노출되도록 한다.
4.2.1.5.1 스위치는 절대압력 88±10mmHg(1.7±0.2pisa)에서 최소 15분간 압
력시험 한다.
4.2.1.5.2 스위치는 절대압력 517±51mmHg(10±1pisa)와 대기압 776±51mmHg
(15±1pisa)사이를 1분에 6회 동안 반복하여 최소 30분간 시험한다.
4.2.1.5.3 스위치 41.1kg/㎠±5%(600pisa±5%)의 압력을 30분 이상 받아야 한다.

- 200 -
KDS - PRF – 1355-1010

4.2.1.6 작동 수명시험
4.2.1.6.1 1회의 정의
스위치의 1회 작동은 스위치가 열려있는 상태에 드라이버가 90°회전하여 닫혀
있는 상태로 되는 것이다.
4.2.1.6.2 작동 수명시험
스위치를 시험치구에 고정시키고 드라이버로 플라스틱 시일을 뚫고 돌린다. 다
음 작동에 들어가기 전에 스프링 하중을 받아 눌려 있는 이동접점을 플라스틱
구멍을 통해 적합한 공구를 넣어 드라이버를 돌려 열리 이치로 함으로써 원위
치시킨다.

4.2.2 수락시험
4.2.2.1 시험조건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스위치의 수락감사는 다음의 조건에서 실시한다.
4.2.2.1.1 온도
실온 18℃에서 35℃
4.2.2.1.2 고도
정상지면
4.2.2.1.3 진동
없어야 한다.
4.2.2.1.4 습도
실온에서 상대습도 95%이하

4.2.2.2 시험 및 검사기기
납품자는 시험에 필요한 모든 기기를 공급 및 유지하여 수락검사를 할 수 있도
록 한다. 시험기기는 요구 수량이 명시되지 않았을 때에는 시험수량에 적합하
도록 하며, 요구된 수락시험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정밀한 것이어야 한다.

4.2.2.3 시험기기
다음의 품목은 본 규격서의 수락시험에 필요한 것들이다.
4.2.2.3.1 4.5kg의 힘을 낼 수 있는 기기
4.2.2.3.2 5.8kg-cm까지 토오크를 측정할 수 있는 적합한 기기
4.2.2.3.3 0.1Ω 단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저항 측정기
4.2.2.3.4 직류 500V 전원을 갖고 있으며 10MΩ단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절연저
항 측정기

4.2.2.4 시험순서
수락시험은 다음의 순서에 따라 실시한다.

- 201 -
KDS - PRF – 1355-1010

4.2.2.4.1 접점 결합체 시험
접점 결합체를 하우징에 조립하기 전에 4.5kg을 접점축의 양쪽으로 작용한다.
접점 결합체는 3.5.1의 요구사항을 만족하여야 한다.
4.2.2.4.2 접점 결합체 보증시험
접점 결합체를 하우징에 스테이킹한 후 플라스틱 구멍을 통해 토오크
5.8kg-cm를 작용한다. 접점결합체는 3.5.2의 요구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4.2.2.4.3 작동 토오크 시험
이 시험은 플라스틱 시일을 조립하기 전의 스위치에 대하여 실시한다. 스위치
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드라이버의 양쪽방향으로 360gr-cm의 토오크를 작용한
다. 이때 스위치는 닫혀서는 않되며, 토오크를 증가시켜 360gr-cm보다 크게되
면 닫여져야 한다. 스위치가 닫혀지는데 소요되는 것보다 144gr-cm 토오크를
더 가했을 때 스위치는 열리는 위치로 되돌아가서는 안 된다. 시험을 위해서
닫혀진 스위치를 열기 위해서 접점 결합체의 구멍을 통해 적합한 공구를 넣어
이동 접점을 충분히 눌러 드라이버로 90° 회전시킨다.
4.2.2.4.4 접촉저항 시험
스위치가 닫혀진 상태에서 접점핀과 하우징 간의 저항을 측정한다. 스위치는
3.5.4의 요구사항을 만족하여야 한다.

4.2.2.4.5 절연저항 시험
스위치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접점핀과 하우징간의 절연저항을 시험한다. 스위
치는 3.5.5의 요구사항을 만족한다.

5. 포장 및 표시
5.1 포 장
5.1.1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스위치는 적용도면에 따라 기폭기, 어뢰용
KMK19 계열에 조립된 상태로 납품한다. 따라서 스위치만의 속포장 및 겉포장
은 필요없다.

5.1.2 여분이나 대체품으로 납품되는 스위치는 계약기관의 지시에 따라 속포장


및 겉포장하여야 한다. 계약기관의 지시가 없을 경우 MIL-P-116의 IC-2에 따
라 속포장 하고 MIL-E-17555의 국내용 용기로 겉포장 한다.

5.2 표 시
도면이나 계약서에 특별히 명시되지 한은 표지는 MIL-STD-129에 따른다.

- 202 -
KDS - PRF – 1355-1010

6. 주기
6.1 용도
스위치조립체, 자멸용 KMK1 MOD1은 기폭기, 어뢰용 KMK19 계열에 사용된다.

6.2 조달 요구조건
조달문서에는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
가. 본 규격서의 명칭, 번호 및 일자
나. 본 규격서나 관련도면 및 문서의 예외규정
다. 여분 및 대체품 스위치의 수량 및 포장기준
라. 최초생산품 및 정규생산품 검사기관
마. 납품장소
바. 검사를 정부 이외의 기관에서 수행할 때 최초생산품 및 정규생산품 검사

공인된 검사자료는 계약기관에 제출해야 한다.

이 규격은 MIL-S-19816A를 참조하여 작성한 것이다.

<그림1> 최초생산품 샘플검사


최초생산품 샘플

수락 검사 : 그림2

진동 시험

진동 시험

충격 시험

가속도 시험

온도 시험

압력 시험

작동수명 시험

수락검사 : 그림2

AC = 0, RE = 1

- 203 -
KDS - PRF – 1355-1010

<그림2> 수락검사 : 100% 검사


접점결합체 시험

접점결합체 보증시험

작동 토오크시험

접촉저항 시험

절연 저항 시험

AC = 0, RE = 1

<그림3> 환경시험
환경시험용 샘플

진동시험

진동시험

충격시험

가속도 시험

온도 시험

압력시험

작동수명시험

수락검사 : 그림2

AC = 0, RE = 1
작성부서 : 국방과학연구소

- 204 -
부록 # 7 : 호스, 조립체 성능형 규격 전환(초안) 47201439368외 2건

국 방 규 격

규격번호 : KDS-PRF–4720-0037
재고번호 : 47201439368외 2건
제정일자 : 75.11.4
개정일자 : 2014.00.00

호스 조립체
(HOSE ASSEMBLY, NON-METALLIC)

1. 적용범위 및 분류
1.1 적용범위
본 규격서는 차량에 사용되는 호오스(HOSE)(이하 호오스라 한다)에 대하여 규
정한다.

1.2 분류
차량에 사용되는 호오스는 아래와 같이 분류한다.
형 분 류 비 고
Ⅰ형 1/4톤(M151) 차량용 차량엔진 부품
Ⅱ형 2 1/2톤(M602, M49C) 차량용 차량 유조탱크 부품
Ⅲ 형 5톤(M54) 차량용 차량부품

2. 적용자료 및 문서
2.1 일반사항
아래문서 및 도면은 규정된 범위 내에서 본 규격서와 함께 적용되며,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경우 유효한 최신판을 적용한다.

2.2 정부문서
규 격 서
미국방규격서
MIL R 3065 고무제품

- 205 -
MIL H 370 접지 못한 액체연료용 고무호스 및 호스조립체
MIL H 3992 고무호스와 고무호스 뭉치

표 준 서
한국산업표준
KS A 3101 샘플링 검사통칙
KS A 3109 계수조정형 샘플링 검사
KS A 3151 랜덤 샘플링 방법

도 면
8754586 호오스
8754585 호오스
8327852 호오스조립체
8327000K 호오스조립체

2.3 우선순위
상기 문서 및 도면은 규정된 범위 내에서 본 규격서와 함께 적용되며 계약 당
시에 유효한 최신판을 적용한다.

3. 필요조건
3.1설계(또는 구성)
호오스의 형태와 치수는 각 도면에 일치하여야 한다.
형 적용도면 번호

Ⅰ형 8754586
8754585
Ⅱ형 8327852
Ⅲ 형 8327000K

3.2 재료
호오스의 재료는 각 규격을 따른다.
형 재료명 적용 규격
Ⅰ형 고무제품 MIL R 3065
Ⅱ형 B종, C형 MIL H 370
Ⅲ 형 고무호스 및 고무조립체 MIL H 3992 1형, 1종

- 206 -
3.3 운용 특성
Ⅱ형 호오스는 구부리거나 접어서는 안된다.

4. 검사와 시험 및 품질보증
4.1 일반사항
4.1.1 검사책임
검사기관은 방위사업청 또는 국가공인기관에서 실시함을 원칙으로 한다.

4.1.2 품질보증
검사기관은 품질보증상 필요한 범위 내에서 검사 및 시험내용을 추가 또는 조
정할 수 있다.

4.2 검사방법 및 절차
4.2.1 로트의 구성
로트는 KS A 3101, 6항에 따라 구성하며 검사로트의 크기는 검사기관에서 결
정한다.

4.2.2 시료의 크기 및 채취 방법
4.2.2.1 관능 및 치수검사용 시료는 KS A 3109의 일반검사수준에 의하여 정한
다.
4.2.2.2 완제품 및 부품에 대한 이화학 및 성능시험용 시료는 KS A 3109의 특
별검사수준에 의하여 정한다.
4.2.2.3 원자재의 로트별 이화학시험용 시편은 시험항목별 소요에 따라 정한다.
4.2.2.4 모든 시료는 KS A 3151 랜덤 샘플링방법에 의하여 채취한다.
4.2.2.5 위 각 항을 운영함에 있어서 샘플링 검사방식(검사수준, 롯트 및 시료
의 크기, AQL)과 검사방법 등은 제품의 중요성, 생산업체의 능력 및 조변량
등을 고려하여 검사기관에서 결정한다. 단, AQL은 최초시료의 조사결과 얻어
진 통계량으로서 판정할 수 있다.

4.2.3 시제품 검사
신규 생산제품 또는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품목에 대하여 생산업체는 양산이전
에 시제품을 검사기관에 제시하여야 하며 검사 기관은 본 규격서에 규제된 시
험 및 검사의 실시결과에 따라 표준제품을 설정하고 양산에 착수토록 한다.

4.2.4 공정 및 중간검사
4.2.4.1 제품의 불량품 발생장비를 위하여 생산지도기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 207 -
시는 공정간 또는 중간제품에 대하여 본 규격서에 규제된 사항과 같은 검사를
실시한다.
4.2.4.2 공정 및 중간검사는 생산지도기관에서 실시함을 원칙으로 하며 능력부
족시는 검사기관에 의뢰할 수 있다.

4.2.5 관능 및 치수검사
관능 및 치수검사는 3.1항에 규제된 사항과 5항 포장 및 표지에 대하여 검사
한다.

4.2.6 이화학 및 성능 검사
4.2.6.1 재료시험
원자재시험은 3.2항 관련규격에 적용되는 시험방법에 따른다.
4.2.6.2 성능검사
적용장비에 부착하여 성능상 지장없이 필요조건에 일치해야 한다.
4.2.6.3 노화시험(Ⅰ형만 수행)
MIL R 3065의 관련규격에 적용 시험하여야하며, 필요조건에 일치해야 한다.

5. 포장 및 표시
5.1 포 장
호스의 포장은 다음의 절차에 따른다.

5.1.1 개포장

형 재료 수량 방법

Ⅰ형 0.6mm 포리에치렌 필림 1개 비닐봉에 넣어 봉한다.

두께 0.06mm이상 그라
프라스틱 마개 2개 및 프트 종이로 싸서 봉한
Ⅱ형 1개
0.06mm이상 그라프트지 다.(양끝 부분은 마개로
막는다.)

Ⅲ 형 접착성 면테이프 1개 끝결합구를 완전히 싼다.

5.1.2 중간포장

- 208 -
형 재료 수량 방법
1mm단판지 B형상자 상자에 넣고 밀봉한 후
Ⅰ형 1상자(10개)
(국방부규격 30-137-72) 접착면테이프로 붙인다.
3mm이상 마대끈, 2mm이상 3부분으로 묶어 상자에
Ⅱ형 B형단판지 상자 10개 넣는다(25mm이상 접착
(국방부규격 30-137-72) 면 테이프 사용)
양면골판지 3종 이상 B형 상 날개를 접어넣고 폭
Ⅲ 형 자 10개 50mm이상 접착성면테
(국방부규격 30-137-72) 이프로 붙인다.

5.1.3 외포장

형 재료 수량 방법
이중양면골판지 2종이상 A형 상자에 넣고 폭 50mm
Ⅰ형 상자 10상자(100개) 이상 접착면체이프로 붙
(국방부규격 30-137-72) 인다.
이중양면골판지 3종 이상 A
50mm이상 접착성 면테
Ⅱ형 형 상자 5상자(50개)
이프로 붙인다.
(국방부규격 30-137-72)
이중양면골판지 3종이상 A형 날개를 접고 폭 50mm
Ⅲ 형 상자 10상자(100개) 이상 접착성면테이프로
(국방부규격 30-137-72) 붙인다.
결속 : 프라스틱대 1형으로 # 형이 되게 결속한다.

5.1.4 상자의 크기 및 중량은 내용물에 따라 가감조절한다.

5.2 표 시
5.2.1 Ⅰ형 호오스는 제작시 사용상 지장없는 부분에 부품번호를 표시해야 한다.

5.2.2 개포장에는 재고번호, 품명, 적용장비, 수량, 제조년월일을 인쇄하여 붙인다.

5.2.3 중간포장상자에는 국방부표지(80-102-71), 재고번호, 품명, 적용장비, 수


량, 제조년월일을 선명히 표지한다.

5.2.4 외부포장상자에는 국방부표지(80-102-71), 재고번호, 품명, 적용장비, 수


량, 중량, 부피, 롯트번호, 제조년월일, 제조회사명을 흑색으로 선명히 표지할
것이며 크기에 대하여 계약당사자간의 협의에 의한다.

5.3 포장 및 표지는 운반 및 취급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 209 -
부록 # 8 : 성능형 규격 전환 작성 검토결과 로드맵 포함 세부 현황

❍ 로드맵 대상 품목 판단결과
구분 계 활성 비활성
소계 KDS KDC 소계 KDS KDC
계 1,097 533 362 154 564 491 154
공개 475 246 153 93 229 159 70
비공개 686 270 209 61 416 332 84

❍ 품목별 상태별 국방규격의 종류별 현황


공개/비공개

상태별
순위 품 명 계 활성 비활성
소계 KDS KDC 소계 KDS KDC
총계 1,097 533 153 / 209 93 / 61 564 159 / 332 70 / 84
1 Hose 142 69 21 / 10 19 / 19 73 24 / 30 27 / 15
2 Cable 190 105 55 / 35 13 / 5 85 28 / 52 7 / 8
3 Filter 135 74 17 / 29 24 / 4 61 20 / 32 7 / 9
4 Valve 136 66 16 / 23 10 / 12 70 16 / 42 9 / 29
5 Adapter 91 44 12 / 5 11 / 13 47 17 / 20 5 / 16
6 Battery 108 67 13 / 48 4 / 3 41 8 / 27 5 / 1
7 Fuses 148 47 1 / 43 1 / 2 101 7 / 93 0 / 1
8 Capacitor 12 3 0 / 2 0 / 1 9 1 / 5 1 / 1
9 Transformer 20 11 4 / 4 3 / 0 9 4 / 4 0 / 0
10 Resistor 16 11 5 4 / 1 1 / 1
11 Coil 9 3 2 / 1 6 1 / 2 3 / 0
12 Relay 6 6 3 / 3
13 메타 8 1 1 / 0 7 5 / 2
14 Oscillator 10 1 0 / 1 9 6 / 3
15 Switch 62 29 11 / 6 8 / 2 33 11 / 14 5 / 3
16 Crystal unit 2 2 0 / 2
17 반도체 3 2 0 / 2 1 1 / 0
18 Electron tube 2 2 2 / 0
19 TR 1 1 1 / 0

공개의 성격상 상용품과 연계가능성의 증대로 전환품목의 우선대상


-
- 경제성 효과 측면에서는 공개품목 보다 비공개 품목을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시 기대
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
❍ 성능형 규격 작성이 효율적인 무기체계/전력지원체계 국방규격 목록 : 별책 참조

- 210 -
부록 # 9 : 혼합형 규격 작성 가이드

부록 # E 혼합형 규격 작성 가이드
개요
E.1
본 지침은 혼합형 규격서를 작성하는데 필요한 세부 양식 요구조건을 규정한다.
혼합형 규격은 다음과 같이 주요 무기체계에서 하위체계 및 품목을 특성에 맞게 상세형과 성능형
규격으로 구성하는 형태의 규격을 말한다.

[상세형 기반 혼합형 규격] [성능형 기반 혼합형 규격]

분류체계를 고려한 혼합형 규격의 전환가능한 유형 검토기준은 다음과 같다.


구 분 기능 및 특성을 고려한 유형 혼합형 규격 전환 기준
• 복잡한 기능을 보유한 하위체계가 다수 • 혼합형 규격으로 체계는 성능형 규격 가능
쳬계 유형 • 성능 및 제원 등 방호력 관련 표기 여부 • 필요하다면 혼합형 규격으로 상세형 규격
• 국내 연구개발 및 방산지정 품목여부 • 혼합형 규격으로 체계는 성능형, 하위품목 상세형
• 구성품 및 결합체의 구성수가 다수 여부 • 혼합형 규격으로 부체계는 성능형 규격 가능
• 부체계의 기능적 특성을 고려 • 특별한 기능적 특성이며 필요시 상세형
부체계 유형 • 연구개발 및 국내구매는 혼합형 규격,
• 연구개발 및 구매(국내, 해외) 여부
해외 구매는 단종 대비 성능형 규격 가능
• 방산지정 품목 여부 • 지정품목은 체계와 동일하게 성능형 규격 가능
• 혼합형 규격으로 성능형 규격 가능, 하위 품목은
구성품 및 • 하부 품목의 다수 여부
특성을 고려 성능형과 상세형 모두 활용
결합체(조립
• 전기, 전자, 광학, 기계기능 등 특성고려시 다기능
체) • 혼합형으로 기능별 특성에 맞게 적용
혼합품목 여부
유형
• 민수규격 및 상용품 활용 여부 • 성능형 규격으로 분류
• 특성을 고려하고 규격과 도면의 수량 등을 고려
• 가공품 조립형태 기능품목 여부 등 특성을 고려
성능형 또는 상세형 규격으로 선택
부품의 유형
• 인터페이스 등 고려 단일 기능품목 여부 • 성능형 규격으로 분류 가능
• 특수제작을 요하는 특성이면 • 상세형 규격으로 분류

- 211 -
현 국방규격의 기술자료별 유형을 고려한 혼합형 규격의 전환 가능한 유형 검토기준은 다음과
같다.
구 분 상부 체계가 성능형 규격의 검토 유형 상부 체계가 상세형 규격의 경우 검토 유형
• 성능 및 중요도에 따라 상세형 도면 • 군사 기술적 보호여부를 고려 성능형 도면
• 구성품 및 결합체 특성에 따라 성능형과 • 구성품 및 결합체 특성에 따라 성능형과
도면 상세형을 복합적으로 선정 상세형을 복합적으로 선정
• 제작 또는 구매여부에 따라 성능형과 상세형 • 제작 또는 구매여부에 따라 성능형과 상세형
구분 선정 구분 선정
품질보증요구서 • 도면이 성능형 이면 비공개를 고려한 상세형과 유사한 형태 필요
(QAR) • 규격의 공개 여부를 고려한 검사기준의 필요성과 야전부대 운용을 고려 상세형 형태 필요
SW 기술자료 • 규격의 유형과는 무관하게 작성법에 의해 필요한 자료로 분류
포장제원표 • 규격의 유형과는 무관하게 작성법에 의해 필요한 자료로 분류
부품/BOM 목록 • 규격의 유형과는 무관하게 작성법에 의해 필요한 자료로 분류

연구개발 진행 단계별 혼합형 규격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업무분류는 다음 표와 같다.


구 분 개발기관/업체 규격관리기관/IPT
• 규격화 계획 완성 • 요구 성능과 계획 검토(ORD비교)
규격화 계획단계 • 시장조사 • 선행연구 내용 고려 체계요구 조건
• 체계개발 실행계획에 규격화 반영 검토 ; TRL 및 상용품목 식별
• 군수지원성 분석, 시장조사 • 상위 규격은 성능형 규격 우선 검토
• ILS 요소 분석 • 표준부품 및 상용부품 획득/사용계획
체계설계 및 규격화
• 체계규격서 초안 : 성능형 또는 확인(SRR, SFR 간에 확인)
상세형 형태 결정 • 체계 규격에 대한 형태 결정 검토
• 기본설계 검토(PDR)시 부 체계
• 체계 규격서 완성
규격에 대한 형태 검토결과 확인
• 개발규격서 초안 작성/완성
부체계 설계 및 - 성능위주 작성 여부
• 기본설계 검토 : 구성품 수준 개략 설계
규격화 - 규격의 수준 및 범위 설정
• 상세설계 검토 : 부체계 별 유용한 성능형
• 상세설계 검토(CDR)시 부 체계
또는 상세형 규격 형태 결정
규격에 대한 형태 검토
• 상세설계 검토 : 부품 수준 개략 설계 • 규격과 하위 기술자료와의 형태 검토
제품(구성품, • 제품규격서 초안 작성/완성 • 상세설계 검토(CDR)시 구성품, 부품
결합체, 부품)
설계 및 규격화 • 조달단위, 보급품 단위로 규격화 규격에 대한 형태 검토
• 부품단위는 도면으로 관리 • 필요시 성능형 도면 관리 검토

규격화 완성 • 국방규격(안) 작성 심의시 혼합형


• 국방규격(안) 작성 심의 제안
및 승인 규격의 형태 확인 적절성 검토

- 212 -
연구개발간 규격화 과정에서의 혼합형 규격작성 및 전환절차는 다음과 같다.

전환대상 시장조사 규격전환 성능형 규격


단계 ⇒ ⇒ ⇒
분류 (필요시) 결정 전환

• 기능/성능 등 필수
검 • 국방규격의 작성대상 • 개발규격서 초안 • 비용 대 효과 요소규제
토 /분류 기준 등 참고 작성단계 /기술발전추세 • 제조형 도면
내 • 체계규격서 초안 • 기본설계 단계 • 규격의 효과활용 최소화
용 완성 자체제작 및 외주 가능성 • 규격작성형식 준수
• 구성품 수준 개략 구매 결정 (정부/업체) • 시제품 제작단계
설계 단계 • 제품규격서 초안 • 제품규격서 보완
작성단계 • 기술자료 최신화
• 상세설계 단계

국방규격의 유형을 고려한 전환 가능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구분 주체계가 성능형 규격의 경우 주체계가 상세형 규격의 경우
성능형 규격 상세형 규격 성능형 규격 상세형 규격
하부규격 하부규격 하부규격 하부규격 하부규격 하부규격
부체계 하부규격 하부규격
보유시 미보유시 보유시 미보유 보유시 보유시
미보유 미보유
성능형 상세형 성능형 상세형 성능형 성능형
특성고려 특성고려
유지 전환가능 전환가능 유지 유지가능 전환가능
하부 규격 보유(성능형 특성에 따라 및 특성에 따라 및 성능형
구성품 및
가능)와 하부규격 보유 여부에 하부규격 보유 여부에 규격 또는
결합체(조립체)
특성에 따라 따라 따라 하부규격 보유
특성에 따라
특성에 성능형 특성에
부품 성능형 또는
따라 규격 가능 따라
상세형

E.2규격서 시작부
규격서의 시작부 상단 중앙에는 “국방규격서”를 명시하고 좌측에는 국방부표지를 표시한다.
규격제정 이전의 규격서 초안 첫 쪽 중앙 상단 “국방규격” 아래에 “(초안)”이라고 기록하여야
한다.
규격서 제목
E.2.1
규격서 제목은 표준품명을 적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제품 특성상 다음 지침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목록화 기관인 방위사업청(계약관리본부)과 규격서 작성관리기관이 협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주요 조립체 또는 최종 제품에 관한 언급은 유사 품목과 구별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만 제목에 포함시켜야 한다.

- 213 -
표준품명
E.2.1.1
표준품명은 지정품명집 KH6을 참고로 하여 방위사업청(계약관리본부)에서 부여하며 규격서나
도면의 제목에 우선 적용한다.
표준품명의 구성
E.2.1.2
표준품명은 기본명과 수식어 및 부가명으로 구성된다.
가. 기본명
기본명은 어떤 품목에 대하여 하나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한 하나의 명사 (예를 들면 “의자”,
“칫솔” 등) 또는 하이픈으로 연결된 명사군(예를 들면 “녹음기-재생기”, “송신기-수신
기” 등), 그리고 단일명사로 어떤 품목에 대한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때 사용되는 최소한의 단어로 사용되는 명사구(예를 들면 “재봉틀”, “챠트판” 등)이다.
나. 수식어
수식어는 기본명에 의해 확정된 어떤 품목의 개념의 범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명사(명사
구) 또는 형용사(형용사구)이며, 품목의 형상, 구조, 형 태, 기능, 사용목적 및 사용처(적용장비)
등을 표현한다.
다. 부가명
물품취급자가 품명에 의해 품목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품명 말미에 재고번호별 치수,
호수 등의 품목 기본 특성 및 별칭을 괄호 안에 표기한다.
E.2.1.3품명 표기 원칙
제목의 표기시는 아래 원칙에 따라 부여한다.
가. 역명법 표기
표준품명은 품명에 의한 유사품목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고, 각종 문서상에 품목의 기본개념을
우선적으로 표기할 수 있도록 기본명을 앞에 표기하고, 콤마(,) 뒤에 수식어를 표기
나. 역명법 표기 예외(순명법 표기)
1) 영문표기는 역명법 사용이 문제가 없으나 한글 표기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명칭과 현저하게
상이하여 사용상 문제가 있는 경우
보기 PEPPER, RED, GRIND (고추, 적색, 갈은형 → 고춧가루)
2) 품명을 역명법으로 표기시 품목의 기본적인 개념이 잘못 이해될 우려가 있을 경우
보기 “계산척(SLIDE RULE)”, “챠트판(CHART BOARD)”, “급수펌프조립체 (WATER
PUMP ASSEMBLY)“ 등
3) 수식어가 단순한 재료를 의미하지 않고 지정된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보기 “납땜인두(SOLDERING IRON)”, “푸주칼(BUTCHER'S STEEL)”

- 214 -
4) 일반적인 용기를 의미하지 않고 어떤 지정된 용기를 의미하는 경우
보기 “접속함(JUNCTION BOX)”
다. 부가명 표기
품명 말미에 괄호로 묶어서 표기한다.
라. 콤마(,)의 사용
1) 기본명이나 다른 선행하는 수식어로부터 수식어를 분리할 때 사용
보기 “톱, 수동식, 가로켜기용”
2) 품명이 세 개 이상의 주요한 요소를 포함할 때 사용
보기 “아스프린, 페노바르비탈, 인산코데인, 페나세틴 및 카페인 정”
3) 한 품명 내 수식어 사이는 붙여 쓴다.

용어 선택 기준
E.2.1.4
표준품명에 적용되는 용어는 한글 맞춤법에 따른 표준어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가능하면
KS 및 관련 산업계에서 통용되는 용어를 선택한다.
가. 기본명
1) 어떤 품목의 특수한 기본개념을 의미하는 명사나 명사구 사용
보기 기록액체(×) → 잉크(○), 보는유리(×) → 거울(○)
2)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진 보편타당성 있는 용어 사용
3) 약어, 심벌, 기호는 가급적 사용금지
보기 티브이(×) → 텔레비전(○), 브이티알(×) → 영상기록기(○)
4) 불확정 명사나 비한정 용어의 사용금지
보기 세트, 키트, 유니트, 모듈, 액 등
5) 외래어보다는 한글명칭 우선 사용
보기 팩스(×) → 모사전송기(○)
6) 특수용어, 기술용어는 정부 또는 해당 공인협회 등에서 승인한 용어 사용
7) 특정업체의 상표명, 저작권명 사용금지
보기 크리넥스(×) → 화장지(○), 스카치테이프(×) → 접착테이프(○)
나. 수식어
1) 의약품, 화학, 기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2개 이내의 수식어로 제한
2) 제1수식어는 기본명의 개념을 한정하며, 제2수식어는 제1수식어로 제한된 기본명의 다른
특성을 표현
3) 품목의 형상, 구조, 형태 및 기능을 표시하는 수식어는 그 품목의 사용 목적이나 사용처를
표시하는 수식어에 우선하여 채택

- 215 -
보기 스위치, 전조등용, 광선택용(×) → 스위치, 광선택용, 전조등용(○)
4) 재질(재료)명의 수식어 사용금지
보기 튜브, 황동제(×) → 튜브, 금속제(○)
다. 부가명
1) 물품취급자가 품목 식별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는 품목의 치수, 호수 등 최소한의
물품별 고유 기본 특성
보기 전투복 상의(1호), 전투화(240미리), 경유(DF-1), 건전지(BA-30S)
2) 특정업체의 상표명, 저작권명 사용금지
라. 맞춤법 및 외래어 표기
1) 모든 맞춤법은 한글 맞춤법(문교부 고시 제88-1호, 1988.1.19)에 따름
2) 외래어의 표기는 “외래어 표기법” (문교부 고시 제85-11호, 1986.1.7)에 따라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함. 다만, 장음부호로 쓰였던 “아, 어, 오, 우, 이” 의 모음표기는 생략함
보기 비임(BEAM) → 빔, 오옴(OHM) → 옴, 초우크(CHOKE) → 초크
규격의 식별
E.2.2
규격서는 첫 장 우측 상단에 규격서의 식별을 위하여 다음 절에 규정한 사항을 기록하여야
한다.
규격번호, 재고번호 및 일자
E.2.2.1
규격서 식별을 위해 규격번호, 재고번호, 제․개정 일자를 순서대로 기록한다. 규격번호는 “KDS”
또는 “KDC" 다음에 한 칸을 띄고 ”군급번호“, ”-“ 와 ”일련번호“를 이어서 쓴다.
다음 줄에는 재고번호를 기록하며, 하나의 규격서에 둘 이상의 재고번호가 있을 경우 재고번호
4개 이하는 재고번호를 모두 표시하고 5개 이상인 경우는 “대표재고번호 등 (품목수) 품목”으로
표기한다.
제정일자는 규격 심의 승인날짜(효력발생일자)를 표기하며, 첫 번째 쪽에 있는 규격번호 밑에
표시해야 한다(재고번호가 있을 경우 재고번호 밑에 표시)초안인 경우는 이 공간에 날짜를 기록해
서는 안 된다. 그 위치는 그 규격서가 승인될 때까지 빈 공간으로 남겨두어야 한다.
만일, 개정이 발생하면 제정일자 밑에 최종 개정일자를 표기한다
보기 규격번호 : KDS 6500-1001
ICS 코드 : XX.XXX.XX
재고번호 : 0000000000000
제정일자 : 2002. 10. 30
개정일자 : 2003. 12. 31

- 216 -
※ 규격번호, ICS코드, 재고번호, 제정일자, 개정일자를 전산으로 관리하는 경우 규격서에 명기하지
않고 규격서 인쇄시 머리말 꼬리말로 명시한다.
임시규격서를 정식규격화한 경우의 표기
E.2.2.2
임시규격서는 군수품의 구매 및 획득시 기술자료가 미비할 때 제정하는 규격서로서 정식규격화하
지 아니하고는 동일 품목의 군수품 구매에 원칙적으로 재사용하지 못하는 규격서를 말하며
다음 방법으로 명확하게 구분한다.
가. 국방규격 표시를 "KDC"로 표시하고 일련번호 앞에 "T"를 붙인다.
나. 이를 정식규격으로 대체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보기 규격번호 : KDS 0050-9001-2
ICS 코드 : XX.XXX.XX
재고번호 : 0000000000000
제정일자 : 2002. 6. 30
아래 문서를 대체
규격번호 : KDC 0050-T4001
※ 규격번호, ICS코드, 재고번호, 제정일자, 개정일자를 전산으로 관리하는 경우 규격서에
명기하지 않고 규격서 인쇄시 머리말 꼬리말로 명시한다.
E.3규격서 본문 구성 및 작성법
모든 규격서는 아래와 같이 번호와 제목이 부여된 6개의 장을 포함하여야 한다. 목차표와 겉표지는
사용하지 않는다. 장문의 규격서인 경우, “가, 나, 다, ...” 순서 색인이 사용될 수 있다 (#.5
참조)
E.3.1 적용범위 및 분류
적용범위
E.3.1.1
적용범위는 품명과 이를 수식하는 말과 규격서의 적용범위에 대한 명확하고 간결한 표현으로
구성되며, 필요시 특정한 세부 적용범위 보다는 품목의 용도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하다면 참고내용은 6장에 수록될 정보로 작성되도록 한다. 적용 범위에 필요조건 및 그림은
포함하지 않는다.
즉 본 항에는 그 규격이 규정하는 내용의 개요 및 그 규격이 적용할 수 있는 범위를 규정한다.

- 217 -
분류
E.3.1.2
본 항에는 규격서에 2개 이상의 형상품목을 포함할 경우에 작성하며(모든 규격서에 작성 불필요),
일반적으로 품종에 대한 형(Type), 종(Class), 등급(Grade), 조성(Composition) 등의 분류 명칭으로
작성한다. 분류 명칭은 규격서 내에서 동일하게 사용되어야 한다. 분류체계는 산업관례의 변화와
같은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 규격서 개정 시에도 동일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품목의 호환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화가 있는 경우, 원래의 명칭을 삭제하고, 새로운 분류를 추가한다. 품목의
변화 없이 명칭에 변화가 있을 경우에는 신, 구 명칭을 비교한 상호 참조표를 6장에 수록하여야
한다.
기타 분류
E.3.1.2.1
품명, 형, 등급, 종 등으로 위에서 명시한 것처럼 차이점을 명확히 나타내지 못한다면, 색상,
형태, 크기, 동력 공급, 온도 범위, 상태, 단위, 포장, 계급, 용도, 절연재, 종류, 다양성 같은 다른
항목을 사용할 수 있다.
신뢰성 수준에 대한 분류
E.3.1.2.2
규격이 여러 수준의 신뢰성 요구조건을 포함하고 있을 때, 규격의 1장에는 신뢰성 수준을 포함해야
한다.
적용자료 및 문서
E.3.2
2장에는 규격, 표준, 도면, 기타 간행물 등으로 구분하며 규격서 내의 3장, 4장 및 5장 참조하고
있는 모든 자료/문서를 포함하여야 한다. 자료가 예 또는 배경정보로서만 인용될 경우에는 2장에
포함할 필요는 없다. 만일, 참조된 규격의 수가 너무 많을 때에는 규격서의 6장에 명기하고
이를 2장에서 언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수의 규격을 적용문서로 기술하며, 주로 시험방법 표준, 연동성 관련 도면/규격
등을 기술한다.
2장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2.1 일반사항
2.2 정부문서
2.3 비정부문서 및 기타 간행물
2.4 우선순위

- 218 -
일반사항
E.3.2.1
본 항에는 적용문서의 적용원칙에 대해 기재한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기술할 수 있다.
아래문서 및 도면은 규정된 범위 내에서 본 규격서와 함께 적용되며, 문서의 개정기호에 관한사항

이 명시되어 있지 않는 한 입찰 공고일 당시에 유효한 최신판을 적용한다.”
정부문서
E.3.2.2
본 항에는 적용 문서 중 국가 및 정부부처 규격, 표준, 핸드북 등에 대해 식별번호(규격번호
등) 및 문서제목을 기재하며, 가능한 개정번호, 접미어(규격 작성관리기관 기호)는 제외한다.
제목은 문서에 명시된 것을 사용해야 한다. 국가 및 부처 규격, 표준, 핸드북, 도면, 그리고
적용 가능한 간행물은 정부(국가), 국방부, 방위사업청 및 산하기관(예를 들면, 각 군, 군수사,
국과연 등)과 같은 각각의 단체 명칭에 대하여 숫자순으로 배열하여야 한다.
적용문서로 재료, 부품, 구성품, 제조공정 문서 및 기타 상세형 규격은 가급적 사용을 배제하고,
시험방법 표준, 연동성 관련 도면/규격 위주로 기재한다.
정부문서는 가능하다면 아래의 순서대로 배열한다.
규격서
국방규격서
미 연방규격서
미 군사규격서
기타 규격서
표준서
한국산업표준
국방표준서
미 연방표준서
미 군사표준서
기타 표준서
도면
소프트웨어 기술자료
기타 간행물
- 219 -
교범
핸드북
규정
편람
회보
기타
비정부문서 및 기타 간행물
E.3.2.3
정부에 의해 제정되지 않는 비정부문서와 기타 간행물은 각각의 민간 표준화 기관별로 적당한
순서(숫자 순, 또는 가나다 순)로 기록하여야한다. 문서는 가능하다면, 식별번호와 문서제목을
기록하여야 한다. 문서제목은 문서에 명시된 것을 사용한다.
비정부문서는 가능하다면 아래의 순서대로 배열한다.
규격서
표준서
도면
소프트웨어 기술자료
기타 간행물
우선순위
E.3.2.4
규격서 안에서 언급된 적용문서와 규격서의 요구조건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피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표현이 포함될 수 있다.
본 규격서의 내용과 적용문서의 내용이 상이할 경우에는 본 규격서의 내용을 우선 적용한다.

그러나 특별한 면제가 부여되지 않는 한, 본 규격서의 어떤 항목도 관련 법률이나 규정에 우선할
수 없다.”
필요조건
E.3.3
규격서의 3장은 일반적으로 그 규격서가 만들고자 하는 제품의 필수 요구조건을 기술하되 제품의
형상, 기능, 호환성 및 연동성 위주로 명기하여야 하며, 필요조건은 경쟁을 유발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술하여야 한다. 또한 필요조건은 분명하여야 하며 시험이나 검사를 통한 정부 수락에 대한
확고한 기준이나 불합격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공하여야 한다.
다음은 규격서 3장을 작성할 때 고려되어야 하는 몇 가지 구성 항을 기술하였다. 규격서의 특성에

- 220 -
따라 아래 항 중 일부는 생략할 수 있고 필요하다면 다른 항도 적절히 추가하여 작성 할 수도
있다.

3장. 필요조건 15. 에너지 효율


1. 일반규격서, 기술시방서에 관한 내용 16. 인적 요소
2. 인증 17. 안전
3. 최초생산품 18. 화학적, 물리적 특성
4. 견본 19. 전자기 간섭
5. 자재 20. 치수
6. 환경 고려사항 21. 중량
7. 재활용, 재생, 재투입 물자 22. 색상
8. 설계 23. 끝손질
9. 구성 24. 명판
10. 하드웨어 25. 위조 방지
11. 신뢰성 26. 관급품
12. 정비성 27. 정부 대여품
13. 운반성 28. 일솜씨
14. 성능 특성 29. 4장의 검사/시험되는 항목에 대한 필요 조건

각 항목은 필요시 유사한 항목끼리 적절히 합치거나 분리하여 작성 할 수도 있고 항목명도


변경가능하다.
예를 들면 “재료”, “공정”, “부품” 항은 하나의 항으로 합쳐 “재료 및 부품” 또는
“재료, 부품 및 공정” 등으로 표현할 수 있고, “연동요구조건”, “운용 특성”항도 하나의
항으로 작성할 수 있다.
또한, 필요시 항목명도 적절히 변경가능하고, 기동 장비 등의 경우에는 “내구도” 등에 관한
항목도 추가할 수도 있다.
상세형 기반 혼합형 규격서
E.3.3.1
상세형 규격서는 모든 상세 필요조건 혹은 성능과 상세 필요조건이 혼합된 상태로 구성 될
수 있다. 가능한 범위까지 최대한 확장하면, 상세형 규격서의 필요조건은 “성능”을 나타내는
것이 되어야한다. 상세형 규격서는 재질, 설계, 제조 필요조건 또는 필요조건이 획득 대상의
적합성, 안전성, 호환성 보증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규제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기술되어야만
한다. 그림 6은 상세형 규격서의 필요조건 예를 나타낸 것이다.

- 221 -
성능형 기반 혼합형 규격서
E.3.3.2
성능형 규격서의 필요조건은 제품의 형상, 기능, 그리고 요구되어지는 것이 무엇인가를 명기하여야
한다. 성능형 규격서의 필요조건은 필요조건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을 기술해서는 안 되고,
특정 재료나 제품의 사용이나, 상세 설계방법 또는 기존 제품과 상호 호환성을 보증하는데 필요한
요구조건의 범위를 넘어선 제조 요구조건을 기술해서도 안 된다. 성능형 규격서로 지정된 일반
규격서의 부수 규격내에 있는 요구조건 역시 성능 요구조건으로 기술되어야 한다. 그림 5는
성능형 규격서의 필요조건 예를 나타낸 것이다(부록 D 성능형 규격 작성 지침 참조)
다음은 각 항목별에 대한 세부 작성요령을 설명한다.
설계(Design)(또는 구성)
E.4.1
성능형 규격에는 일반적으로 ‘방법(how-to)’ 또는 특정 설계요구 조건을 명시하지 않으나,
설계 검증을 위한 사항은 포함할 수 있다. 설계 검증은 재료 및 부품의 모든 성능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 성능형 규격의 핵심 요소이다. 또한 아주 중요한 상호호환성이나 인터페이스에 관한
설계정보는 포함 가능하다.
특히, 기존 장비의 미리 정해진 해법(solution)의 특정 특성을 반영한 설계정보를 제외하는 것이
중요하다.
E.4.2재료(Material)
성능형 규격에는 재료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은 생산업체에 일임하지만 약간의 재료 특성(예
: 부식내성)은 필요시 명시할 수 있다.

단, 성능이나 기능에 아주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재료 정보는 포함해야 하나, 그 수는 가능한


최소화 한다.
재료, 부품, 공정 항목은 적절히 합치거나 분리할 수도 있다.
보기 1. 쌍안경
4.2 재료
계약자는 본 규격서에 규제된 모든 성능이나 환경 요구조건에 일치될 수 있는 재료를 선택하여야
한다. MIL-P-11268에 적합한 재료를 추천하나, 이것은 의무사항은 아니다. 재활용 자재는 가능하면 최대한
사용하여야 한다.

보기 2. 야간투시경
4.2 부품 및 재료
계약자는 본 규격서에 규정된 운용 및 환경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부품과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적용도면에 명시된 재료는 추천사항이지 의무사항은 아니다.

- 222 -
보기 3. 미 군사규격 사례
상세형 군사 규격 MIL-C-11264D<컨테이너: 목재, 선박, 재활용 – 탱크 자동 엔진, 변속기, 차동장치,
트랜스퍼, 최종구동장치, 구동축, 유사 어셈블리>에서 성능형 군사 규격 MIL-PRF-11264E<컨테이너: 목재,
선박, 재활용 – 탱크 자동 엔진, 변속기, 차동장치, 트랜스퍼, 최종구동장치, 구동축, 유사 어셈블리>으로
전환한 사례 자료
MIL-C-11264D <컨테이너: 목재, 선박, 재활용 - MIL-PRF-11264E <컨테이너: 목재, 선박, 재활용 -
탱크 자동 엔진, 변속기, 차동 장치, 트랜스퍼, 탱크 자동 엔진, 변속기, 차동 장치, 트랜스퍼,
최종구동장치, 구동축, 유사 어셈블리> 최종구동장치, 구동축, 유사 어셈블리>
4.2 자재. 자재는 여기서 명시되고 규격 및 자재 요구사항은 모두 삭제되었다. 다음은 성능
표준에서 언급된 바와 같아야 한다. 자재는 요구사항의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상세형 규격
성능이나 완제품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주는 결함이 MIL-C-11264D은 성능형 규격을 포함하지 않는다.
없어야 한다(4.6.1 참조)
4.2.1 목재군(wood groups)의 사용. MIL-STD-731 4.3 특성.
목록에 있는 모든 목재는 유형 I 컨테이너의 목재로 4.3.1 성능.
사용 가능하다. 목재군 II, III, IV에 해당하는 종만 4.3.1.1 적층 가능성. 컨테이너는 가득찬 컨테이너는
유형 II에서 유형 V 컨테이너의 목재로 사용 1.5의 안전 계수로 4900 mm 높이로 쌓을 수 있는
가능하다(4.6.1 참조) 방식으로 시공되어야 한다. 컨테이너 적층
4.2.2 목재. 목재는 수분 함유량이 오븐 건조 무게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부와 하부 접촉면을
19 퍼센트를 초과하지 않고 12 퍼센트 서로 잠글 수 있는 방법이 있어야 한다(4.6.2.1 참조)
미만이어서는 안 된다. 조각은 규정된 공정이나 4.3.1.2 거친 취급. (4.6.2.2 참조)
못질에 방해가 되는 결함이 없어야 한다. 옹이의 4.3.1.2.1 비스듬히 떨어뜨림. 컨테이너는 내용물의
지름이 조각 너비의 4분의 1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손상이나 이동 없이 비스듬히 떨어뜨리는 것을
외부 판자는 겉 표면을 충분히 매끄럽게 하여 판독 견딜 수 있어야 한다(4.6.2.2.1 참조)
가능한 스텐실 마킹이 가능해야 한다. 목재는 4.3.1.2.2 진자 충격. 컨테이너는 내용물의 손상이나
여기서 다르게 명시되지 않는 이상 호칭 치수여야 이동 없이 진자 충격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4.6.1 참조) 한다(4.6.2.2.2 참조)
4.2.3 못. FF-N-105에 부합하는 시멘트 코팅된 싱커 3.3.1.2.3 경사면 충격. 컨테이너는 내용물의
못 또는 화학적으로 에칭한(etched) 싱커 못을 손상이나 이동 없이 경사면 충격을 견딜 수 있어야
사용한다. 코팅하지 않은 못(bright nails)은 1/8 인치 한다(4.6.2.2.3 참조)
미만으로 클린치된(clinched) 경우 사용 3.3.1.2.4 모서리로 떨어뜨림. 컨테이너는 내용물의
가능하다(4.6.1 및 4.6.2 참조) 손상이나 이동 없이 모서리로 떨어뜨리는 것을
4.2.4 볼트. FF-B-584에 부합하는 표준 견딜 수 있어야 한다(5.6.2.2.4 참조)
캐리지(carriage) 또는 스텝 볼트를 사용한다(4.6.1 3.3.1.2.5 진동. 컨테이너는 내용물의 손상이나 이동
및 4.6.2 참조) 없이 진동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5.6.2.2.5 참조)
4.2.5 래그 볼트(lag bolts) 래그 볼트는 FF-B-561에
의거한다(4.6.1 및 4.6.2 참조) 섹션 4.3.2와 4.3.3은 예시에서 제외됨.
4.2.6 나사받이. FF-W-92에 부합하는 평 와셔(flat
washers)를 보든 잠금 볼트의 너트 아래 4.3.4 신뢰성. 컨테이너는 일반적으로 사용할 때
사용한다(4.6.1 및 4.6.2 참조) 수리가 필요한 시점 이전에 최소한 20회의 사용이
4.2.7 금속 스트래핑(metal strapping) 금속 가능하도록 시공되어야 한다.
스트래핑은 1 인치 너비에 0,0625 인치 두께 표준의 4.3.5 정비성. 컨테이너는 수리가 가능하도록
펀치 스트래핑(punched strapping)을 사용하거나 1 시공되어야 한다.
1/2 인치에 0.035 인치 두께의 구조 4.3.6 환경 조건.
스트래핑(salvaged strapping)을 사용할 수 4.3.6.1 기온. 컨테이너는 –55°C에서 +70°C의 기온
있다(5.6.1 및 5.6.2 참조) 범위에서 균열이나 변형 또는 다른 손상의 징후
4.2.8 검사 힌지(inspection hinges) 검사 힌지는 그림 없이 견딜 수 있어야 한다(.6.5.1 참조)
1에 부합해야 한다(4.6.1 및 4.6.2 참조) 4.3.6.2 습도. 컨테이너는 5%에서 100%의 습도
4.2.9 합판. 합판은 AA-55057, 유형 C(ANSI/HPMA Hp 범위에서 균열이나 팽창, 변형 또는 다른 손상의
1983) 또는 유형 A (외부 접착제가 있는 내부 징후 없이 견딜 수 있어야 한다(5.6.5.2 참조)
표준)에 부합해야 한다(4.6.1 및 4.6.2 참조)
4.2.10 방부제 적용. 너트, 부양 장치, 나사받이,
볼트, 누름쇠, 스트랩은 MIL-C-
16173 등급 1에 부합하는 부식 방지 화합물로
코팅해야 한다(.6.1 및 5.6.2 참조)

- 223 -
부품(Parts)
E.4.3
성능형 규격에는 일반적으로 특정 부품을 명시하지 않고 3장의 필요조건(성능, 환경조건, 호환성,
연동성 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부품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기술한다.
보기 속도계(SPEEDOMETER)
4.3 부품
4.3.1 케이스 창
케이스 창은 외부 전원으로 조명되는 다이얼을 쉽게 볼 수 있는 부품이어야 한다.

4.3.2 포인터
포인터는 다이얼이나 창에 닿지 않아야 하며, 포인터의 모양은 다이얼의 수치를 읽기 쉽게 가리킬
수 있는 모양으로 되어야 한다. 또한 포인터의 상위 부분의 1/2 이상은 무광택의 흰색이어야 한다.

공정(Processes)
E.4.4
성능형 규격에는 공정에 대한 요구조건은 거의 규정하지 않는다. 필요시 계약자가 3장의 필요조건
(성능, 환경조건, 호환성, 연동성 등)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공정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기술한다.
필요시 “공정”항은 “제조 및 조립”항과 합쳐 기술 할 수도 있다.
보기 1. 모터, 유입식
4.4 공정
4.4.1 전기도금
모든 알루미늄 합금 부품들은 계약조건에 따라 전기도금을 하고 본 규격서의 성능 및 환경조건에
만족해야 한다.

보기 2. 미 군사규격 사례
상세형 군사 규격 MIL-F-19004A<팬, 원심, 고정 및 휴대, 환기, 해군함상>에서 성능형 군사 규격
MIL-PRF-19004B<팬, 원심, 고정 및 휴대, 환기, 해군함상>으로 전환한 사례 자료
MIL-F-19004A<팬, 원심, 고정 및 휴대, 환기, MIL-PRF-19004B<팬, 원심, 고정 및 휴대, 환기,
해군함상> 해군함상>
4.5.1.2 용접된 부품. 용접된 부품은 페인트칠 3.3 페인트칠과 용접.
이전에 플럭스(flux) 흔적이 제거되어야 한다. 이는 3.3.1 공장 코팅. 장비 및 구성 요소 물품은
용접을 끓는 물에 담그고 솔질을 하여 수행 제조자의 표준 피니시를 거쳐 제공되어야 하나
가능하다. 닿을 수 없는 용접에 대해서 그 부분은 3.2의 요구사항에 해당하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
차가운 10 퍼센트 황산 용액에 30분간 담그거나 3.3.2 용접 및 관련 절차. 용접되거나 납땜할
150°F의 5 퍼센트 황산 용액에 10분간 부품의 표면에는 녹, 스케일(scale), 페인트, 윤활제
담금으로써 세척 가능하다. 황산은 안쪽과 바깥쪽 및 다른 이물질이 없어야 한다. 용접 관련 절차는
표면 모두에 닿을 것이다. 산 처리 이후에는 미국 용접 협회의 인증을 받은 인력에 의해
깨끗하고 따뜻한 물에 산의 흔적이 감지되지 않을 수행되어야 한다. NAVSEA 기술 출판물
때까지 씻어 내야 한다. 남아 있는 플럭스는 S9074-ARGIB-010/278을 가이드로 사용할 수 있다.
표면에 증류수를 침출하고 5 퍼센트의 질산은
용액을 몇 방울 떨어뜨려 감지할 수 있다. 흰 색
침전물이 플럭스가 있음을 알려준다.

4.5.4 페인트칠. 팬 임펠러(impellers)의 노출된


표면, 팬 스크롤의 안쪽 표면, 기류의 모든 부품의
노출된 표면, 이미 칠해지지 않은 모터의 외부
표면은 TT-P-645에 의거하여 아연크롬산염

- 224 -
프라이머으로 코팅해야 하며, 다음에는
TT-V-119에 의거하여 페놀 니스로 코팅해야 한다.
모든 팬 스크롤(타입 0 팬은 제외)의 외부와 도관
상자는 TT-E-489에 의거하여 아연크롬산염
프라이머 한 겹과 붉은 색 페인트의 마무리 한
겹으로 처리해야 한다.

장 주기”는 반드시 작성해야 할 필요성은 없지만, 과거 해결책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7
성능 요구사항에 대하여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의도하지 않은
방향을 제시할 수 있으므로 신중히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현재 업계의 기술정도를 반영해야
한다. 다음은 미 군사규격에서 사용한 사례이다.
보기 3. 미 군사규격 사례
상세형 군사 규격 MIL-S-8805D<스위치 및 스위치 어셈블리, 민감성, 스냅 액션(기본 제약, 푸시 버튼,
토글 스위치>에서 성능형 군사 규격 MIL-PRF-8805E<스위치 및 스위치 어셈블리, 민감성, 스냅 액션(기본
제약, 푸시 버튼, 토글 스위치>으로 전환한 사례 자료

MIL-S-8805D <스위치 및 스위치 어셈블리, 민감성, MIL-PRF-8805E <스위치 및 스위치 어셈블리,


스냅 액션(기본 제약, 푸시 버튼, 토글 스위치)> 민감성, 스냅 액션(기본 제약, 푸시 버튼, 토글
스위치)>
4.5.2 단자. 단자는 명시된 것과 같다(4.1과 7.2 3.5.2 단자. 단자는 명시된 것과 같다(3.1과 6.2
참조) 참조)
4.5.2.1 납땜 단자. 남땜 단자는 납땜을 용이하게 3.5.2.1 납땜 단자. 남땜 단자는 납땜을 용이하게
하도록 처리되어야 한다. 고온 연납이나 고온 주석 하도록 처리되어야 한다. 고온 연납 담금과 같은
담금과 같은 코팅이 허용된다. 금 도금은 사용하지 코팅이 허용된다. 최소 0.000030 인치의 금 도금이
말아야 하나, 납땜 러그 단자가 금과 접촉하는 사용될 수 있으며 니켈이나 팔라듐과 같은 확산
것이 필수 적인 경우는 예외로 하며, 이때 금 장벽을 덮어야 한다. 은 도금은 외부 코팅으로
도금은 0.000030 인치에서 0.000100 인치까지 사용 사용하지 않는다. 도금에 대한 추가 정보 및
가능하다. 은 도금은 외부 코팅으로 사용하지 가이드는 6.14를 참조.
않는다. 3.5.2.2 인쇄된 회로 보드 단자.
4.5.2.2 인쇄된 회로 보드 단자. 인쇄된 회로 보드 인쇄된 회로 보드에 직접 납땜해야 하는 단자는
단자는 주석-납 도금하거나 연납에 담금한다. 금속 합금 도금이나 연납 담금을 한다. 주석-납
주석-납 도금은 MIL-P-81728에 의거하여 최소 100 혼합물을 사용한다. 도금은 최소 100
마이크로인치여야 한다. 연납 담금은 QQ-S-571에 마이크로인치여야 한다. 주석-납 도금과 고온 연납
의거하여 60-40 연납으로 최소 두께는 100 담금에 대한 추가 정보 및 가이드는 6.14를 참조.
마이크로인치이다. (이 부분은 섹션 6 주석에서 발췌한 가이드이다.)
6.14 단자 피니시 및 도금.
6.14.1 금 도금. 이 규격의 금 도금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SAE-AMS-2422, 유형 II, 클래스 1을
추천한다.
6.14.2 주석-납 도금. 이 규격의 주석-납 도금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SAE-AMS-P-81728을
추천한다.
6.14.3 니켈 도금. 이 규격의 니켈 도금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SAE-AMS-QQ-N-290을 추천한다.
6.14.4 은 도금. 이 규격의 은 도금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ASTM B700을 추천한다.
6.14.5 고온 연납 담금. 이 규격의 연납 담금(60-40
주석 납)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EIA/IPC
J-STD-006을 추천한다.

- 225 -
성능형 규격에서는 구체적 공정을 요구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규칙이나, 다음의 경우에는
성능형 규격에서 정확한 절차를 구체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① 해당 공정이 군에 완전히 특수화된 것이고 국방부가 그 특수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절차를
개발한 경우
② 해당 공정의 적용이 물품의 운영 성능을 위하여 필수적인 경우
③ 물품의 제조자가 절차에 대해 전혀 전문성이 없고 제조자가 해당 절차의 대안을 개발하거나
제안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경우
보기 4. 미 군사규격 사례(MIL-PRF-32137 <필터, 가스 – 미립자: NBC, 100 CFM, M48A1>)
3.4.5 조항은 필터의 하우징(housing)이나 캐니스터(canister)의 외부 금속 표면 전체에 대해서 MIL-DTL
-64159 <코팅, 물 분산성 지방성 폴리우레탄, 화학작용제방호> 또는 MIL-C-53039 <코팅, 지방성 폴리우레탄,
단일 요소, 화학작용제방호>를 충족하는 CARC 탑코트(topcoats)를 적용할 것을 요구한다.

보기 5. 미 군사규격 사례(MIL-PRF-49080C <동력 공급, PP-2953D/U와 PP-6224C/U>)


3.13.1 조항은 동력 공급원의 외부 표면을 무광택 녹색 383 CARC로 칠할 것을 요구하며, 이는 MIL-DTL
-64159 <코팅, 물 분산성 지방성 폴리우레탄, 화학작용제방호> 또는 MIL-C-53039 <코팅, 지방성 폴리우레탄,
단일 요소, 화학작용제방호>에 의거한 것이다.

보기 6. 미 군사규격 사례(155MM 대포)


부록 C의 3.2.2.6.1 조항에서 MIL-C-53039 <코팅, 지방성 폴리우레탄, 단일 요소, 화학작용제방호>에
의거하여 해당 시스템을 칠할 것을 요구한다.

시공, 제조 및 조립(Construction, Fabrication, Assembly)


E.4.5
성능형 규격에는 거의 명시하지 않는다.
다음의 미 군사규격 사례는 이음새 성능에 관련한 MIL-PRF-81542B의 조항의 일부이다. 이 사례에
서 보듯이 이음새를 어떻게 결합할 것인지에 대하여 상세형 규격에서 명시되어 있던 구체적
지시사항을 성능형 규격에서는 제외하고 작성되었다.
보기 미 군사규격 사례
상세형 군사 규격 MIL-L-81542A<구명보트, 공기주입식, 1인용 LR-1 유형>에서 성능형 군사 규격
MIL-PRF-81542B<구명보트, 공기주입식, 1인용 LR-1 유형>으로 전환한 사례 자료
MIL-L-81542A<구명보트, 공기주입식, 1인용 MIL-PRF-81542B<구명보트, 공기주입식, 1인용
LR-1유형> LR-1유형>
3.4.3 이음새 결합, 이음새 테이프, 패치, 부착물. 3.19 기능/운영. 구명보트는 4.11에 명시한대로
이음새 공사와 이음새 테이프, 패치, 부착물 결합은 시험될 때 필요한 당기는 힘을 가하면 60초 이내에
3.4.2의 기법과 조치를 사용하여 조립된 구명보트 설계 모양으로 부풀어야 한다. 구명보트가 부풀어
검사 이전에 접착제가 최적의 결합 속성을 오르는 동안 기체 흐름의 방해나 막힘, 기체가
발휘하고 모든 이음새, 테이프, 패치, 부착물은 이 대기로 손실, 다른 부품에 의한 제한 등이
규격의 요구사항과 부합해야 한다. 모든 이음새, 발생하는지 관찰되어야 한다. 어떤 측면에서든
테이프, 패치, 부착물은 해당 도안에 구체화된 구조상이나 자재의 고장 흔적이 있어서는 안 된다.
접착제로 고정되어야 한다. 튜브 방사상 접합 모든 봉인된 부분, 이음새, 이음새 테이프,
이음새는 67A318H2에 명시된 이음새 테이프로 부착물은 원래대로 유지되어야 하고 분리의 징후가
안쪽과 바깥쪽 면이 덮여야 한다. 67A318H2에 보여서는 안 된다. 바닥은 뒤틀리지 않아야 하고
기술된 바와 같이 튜브의 세로 이음새의 안쪽은 보트 측면 높이에 차이가 있어서는 안 된다. 세워진
이음새 테이프로, 바깥쪽은 바닥 부착물로 덮여야 캐노피(canopy)는 해방 35노트 바람과 52노트
한다. 모든 이음새 테이프는 팽팽하거나 주름지지 돌풍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구명보트는 해방

- 226 -
않게 이음새에 적용되어야 하며 해당 도안 조건(open sea condition)에서 17노트에서 27노트의
요구사항에 부합하도록 적용되어야 한다. 바닥, 바람 과 6에서 10피트의 파도에 대해 내항성과
패치, 부착물 또한 구명보트에 팽팽하거나 안정성을 구현해야 한다. 보트는 비행 수트,
주름지지 않게 접합되어야 한다. 기본 패치의 내부 구명조끼, 부풀은 구명구, 비행 부츠 등의 표준
직경 오프닝은 입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튜브 항공 구명장비를 장착한 1인이 쉽게 승선 가능해야
부착물을 단단히 하며 그것의 오프닝과 일치해야 한다. 인체측정 데이터에 대해서는 표 1을 참조.
한다. 접착제는 이음새 테이프, 이음새, 패치,
부착물의 가장자리와 평행하는 일직선으로 3.20.1.1 저온. 구명보트는 4.12.1.1에서 명시한대로
적용되어야 하고, 이음새 테이프, 이음새, 패치, 시험했을 때 0 °F에서 5분 내 승선 가능한 형태로
부착물의 가장자리에서 최대 1인치까지 확장된다. 부풀어 올라야 한다. 부풀어 오를 때, 기체 흐름에
봉인된 주변의 이음새 테이프 또는 이음새 대한 방해나 부품에 의한 제한이 없어야 한다. 모든
테이프의 한 쪽 끝이 다른 쪽 끝과 만나는 부위는 이음새, 이음새 테이프, 봉인된 영역, 부착물은
3/4 플러스 1/2 마이너스 0 인치만큼 서로 겹쳐져야 온전하게 유지되고 분리의 흔적을 보여서는 안
한다. 접착제는 건조 시 정돈되고 균일한 된다. 모든 측면에서 시공 및 자재 고장 흔적이
모양이어야 한다. 접착제는 엉긴 채로 있으면 안 있어서는 안 된다.
되고 건조 시 직물, 이음새 테이프, 부착물이
구명보트의 어느 지점에서든 줄어들거나 주름지게 3.20.1.2 고온. 구명보트는 4.12.1.2에서 명시한대로
되어서는 안 된다. 구명보트는 접착제가 엉긴 시험했을 때 160 °F에서 60초 내 설계한 형태로
덩어리나 과도한 접착제로 인한 얼룩이 없어야 부풀어 올라야 한다. 부풀어 오를 때, 기체 흐름에
한다. 대한 방해나 부품에 의한 제한이 없어야 한다. 모든
이음새, 이음새 테이프, 봉인된 영역, 부착물은
3.4.4 이음새와 바늘땀(stitching) 공기주입실 온전하게 유지되고 분리의 흔적을 보여서는 안
직물에나 구명보트 바닥 등 모든 구명보트 된다. 모든 측면에서 시공 및 자재 고장 흔적이
이음새에서 바늘땀은 사용하지 않는다. 바느질은 있어서는 안 된다.
부속품 시공에서만 사용되는데 구명보트에
최종적으로 부착할 때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3.20.4 노후화/라이프 사이클 가속화. 4.12.4에
부속품의 모든 기계 바늘땀은 해당 도안에서 명시한 대로 시험했을 때 포장된 구명보트는
명시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보강 노후화/라이프 사이클 가속화 효과를 견딜 수
바늘땀(bartacks)을 제외한 모든 바느질은 있어야 한다. 구명보트는 4.12.4에 명시된 대로
FED-STD-751에 의거한 바늘땀 유형 301로 해야 실행했을 때 60초 이내에 부풀어야 한다. 부풀어
하고 인치당 6개에서 10개의 바늘땀을 포함해야 오를 때, 기체 흐름에 대한 방해나 부품에 의한
한다. 바늘땀의 각 열은 이음새 가장자리에 평행한 제한이 없어야 한다. 모든 이음새, 이음새 테이프,
일직선이어야 한다. 모든 열의 바늘땀은 봉인된 영역, 부착물은 온전하게 유지되고 분리의
일직선에서 1/32 인치 내외의 오차가 허용된다. 흔적을 보여서는 안 된다. 모든 측면에서 시공 및
바늘땀의 끝은 백스티치로 박음질해야 하고 최소 자재 고장 흔적이 있어서는 안 된다. 이 시험
1/2 인치는 서로 겹쳐져야 한다. 실이 끊어지거나 직후에 구명보트는 4.5에 명시한대로 외관상으로
빠진 경우 적어도 1 인치는 다시 박음질해야 한다. 점검되어야 하며 4.10에 명시한대로 압력/누출
실의 적당히 팽팽하게 유지되어 느슨하거나 꽉 검사를 해야 한다.
조이면 안 되고 잠금장치는 같이 박음질된 자재에
내장되어야 한다. 이음새는 비틀리거나 주름이
지면 안 되고 부품의 어떤 부분도 관련 없는 곳에
끼어 있어서는 안 된다. 모든 실 끝은 1/4에서 3/8
인치 길이로 다듬어야 한다. 이음새 가장자리는
적절히 떼어 내고 접힌 부분이 있어서는 안 된다.
얼룩을 방지하기 위해 모든 박음질에 비윤활식
실을 사용한다.

성능(Performance) 특성
E.4.6
성능 특성 항에는 적당한 제목 하에 체계, 품목, 구성품이 가져야 할 모든 성능필요조건에 대한
공통 필요조건과 세부 필요조건을 기술하여야 한다.
성능형 규격은 어떤 항목이나 시스템의 운용에 대한 능력 또는 기능 측면에서 발휘해야 할
사항을 기술하며, 목표나 최선이 아닌 성능 특성의 상한 및 하한을 요구조건으로 기술한다.
- 227 -
보기 1. 쌍안경
4.6 성능 특성
4.6.1 관측각
관측각은 39도 이상이어야 한다.

4.6.2 배율
배율은 4.5배 이상이어야 한다.

4.6.3 관측범위
쌍안경은 지름을 이용하여 산출시 최소한 50 %의 중첩을 제공하여야 하는데, 이 중첩은 상의 면적이
아니다. 이 조건은 고정된 디옵터의 조절 상태에서 만족하여야 한다.

4.6.4 초점
렌즈의 초점은 -2.5 ± 0.3 디옵터 이어야 한다.

4.6.5 편평도
쌍안경의 접선 방향 편평도는 40 ㎜ 형식에서는 바깥의 50 %는 ±0.50 디옵터 이내이어야 하며,
고정된 디옵터의 조절 상태에서는 중앙의 50 %는 ±0.25 디옵터 이내 이어야 한다.

4.6.6 분해능
쌍안경의 축 방향 분해능은(관측 부분의 중앙 25 %) ㎜당 35.9줄 쌍 보다 적지 않아야 한다. 나머지
관측 부분은 ㎜당 17.9줄 쌍의 분해능을 가져야 한다.

4.6.7 효과적인 초점 거리
효과적인 초점 거리는 44.0 ± 0.4 ㎜에 있어야 한다.

4.6.8 선형 변형
쌍안경의 선형 변형은 고정된 디옵터 조절 상태에서 측정하였을 때 40 ㎜ 형식의 가장자리에서 5.3
± 0.1 % 원통형 변형만이 허용된다.

보기 2. 레이더 세트
4.6 성능 특성
4.6.1 시스템 성능
4.6.1.1 최대탐지거리
최대탐지거리는 안테나 높이 20m, 표적크기 2㎡, 표적높이 1m인 조건에서 자유공간상 12.2NM이상
이어야 한다.

4.6.1.2 최소탐지거리
최소탐지거리는 50m이하 이어야 한다.

4.6.1.3 최대전시가능거리
레이더의 최대전시 가능거리는 108NM 이상이어야 한다.

4.6.1.4 거리정확도
탐지표적에 대한 거리 정확도는 단 펄스모드 기준시 12m이내 이어야 한다.

4.6.1.5 거리분해능력
탐지표적에 대한 거리분해 능력은 단 펄스모드 기준시 50m이내 이어야 한다.

4.6.1.6 방위 정확도
탐지표적에 대한 방위정확도는 2도이내 이어야 한다.

4.6.1.7 방위분해능력
탐지표적에 대한 방위분해능력은 2도이내 이어야 한다.

- 228 -
물리적 특성(Physical Characteristics)
E.4.7
성능형 규격은 크기, 무게, 의인화 데이터 등과 같은 물리적 특성을 포함함으로써 필요한 물리적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시스템이나 장비, 부품, 인간과의 상호운용성을 분명히 할 수 있다.

보기 1. 포탑, 상륙돌격장갑차(병력용)
4.7 물리적 특성
4.7.1 전체 최대치수
4.7.1.1 폭
포탑이 탑재된 상태에서(총은 전방지향) 선회베어링 중심에서 포탑의 외부 최우측 지점까지는
622.3㎜(24.5inch) 이하이어야 한다.

4.7.1.2 길이
포탑의 길이는 차량의 해치작동에 간섭되지 말아야 한다.

4.7.1.3 높이
해치 폐쇄 및 무장수평상태에서 차량지붕으로부터 포탑정점까지의 높이는
981㎜(38.625inch)이하이어야 한다.

4.7.2 중량
포탑의 중량(사수제외, 무장, 탄약 및 포탑에 장착되는 모든 부수품목 포함)은
1049~1115㎏(2314~2458lbs)이어야 한다.

보기 2. 공기 조절기
4.7 물리적 특성
4.7.1 중량
공기조절기의 중량은 71㎏ 이하이어야 한다.
4.7.2 크기
냉난방장치의 크기 치수 및 공차는 다음과 같다.
폭 1000(㎜) × 깊이 480(㎜) × 높이 400(㎜), 공차 ± 5(㎜) (장착부 치수)

보기 3. 미 군사규격 사례(MIL-PRF-32076 탄약 일체화)


4.4.3 화물 운반대(Pallet) 다음 요구사항은 화물 운반대와 국방부/NATO 물품 목록에 있는 기존 자재
취급 장비의 연동을 위한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ASME 부품 번호 MH1/9-11 BW 4048P에 부합하는 목재
운반대가 이 단락의 요구사항 대신에 사용 가능하다.

4.4.3.1 일반.
4.4.3.1.1 크기. 화물 운반대 크기는 길이 1016 mm에 너비 1219 mm로 플러스 마이너스 6mm까지
가능하다. 길이 1016 mm에 너비 1219 mm 이외의 운반대는 조달 활동에서 우선 승인을 받지 않으면 사용이
불가능 하다.
4.4.3.1.2 4 방향 엔트리(entry) 4 방향 엔트리 역량이 있는 화물 운반대가 제공되어야 한다.
4.4.3.1.3 아래 표면. 지면과 맞닿는 하중이 실리는 표면, 즉 화물 운반대의 풋프린트(footprint)는 상부
영역의 최소 40 퍼센트가 되어야 한다.
4.4.3.1.4 지게차 가지 오프닝(tine opening) 지게차 슬롯은 최소 89 mm 높이와 최소 254 mm 너비로
두 군데 위치하며 운반대의 모든 네 면에 닿는다.
4.4.3.1.5 높이. 화물 운반대의 최대 높이는 140 mm이다.
4.4.3.1.6 편평도(flatness) 화물 운반대 바닥이 편평한 지면에 위치했을 때 운반대 상부는 평균 운반대
높이에서 6 mm 이상 차이가 나면 안 된다.
4.4.3.1.7 정방성(squareness) 두 개의 대각선의 모서리 길이 차이가 19 mm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4.4.3.1.8 날개. 날개의 너비는 64 mm 미만이어서는 안 된다.

- 229 -
환경요구조건(Environmental Requirements)
E.4.8
장비나 물자가 수송, 저장, 지원 및 사용 중에 당면할 것으로 예상되는 환경조건이 규정되어야
한다. 필요에 따라 기후, 충격, 진동, 소음, 유해가스 등과 같은 환경조건에 대한 규정을 부절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보기 1. 레이더 세트
4.8 환경 조건
4.8.1 온도
4.8.1.1 고온
레이더 장비는 +50℃온도에서 성능의 저하 없이 동작할 수 있어야 하며 안테나는 +71℃(송수신기 및
원격운용기 +63℃)에 노출시에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4.8.1.2 저온
안테나는 -28℃(송수신기 및 원격운용기 0℃)에서 성능의 저하 없이 동작할 수 있어야 하며, 안테나는
-51℃(송수신기 및 원격운용기 -10℃)까지 내려가는 저온에 노출 시에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4.8.2 습도
레이더 장비는 온도 +30℃~+50℃에서 상대습도 90±5%까지 운용 가능하여야 한다.

4.8.3 소음
레이더 장비의 소음은 송수신기 70㏈이내, 원격운용기 63㏈이내, 안테나는 79㏈이내 이어야 한다.

4.8.4 빙부하
안테나는 4.5 lb/ft²의 부하에서 정상동작하여야 한다.

4.8.5 경사
레이더 장비는 경사도 +45도~-45도 조건하에서 정상동작하여야 한다.

4.8.6 수밀
안테나는 MIL-STD-180E TABLE Ⅱ의 수밀조건하에서 정상동작하여야 한다.

4.8.7 진동
레이더 장비는 주파수는 5~33㎐, 진폭 0.01~0.10inch, X, Y, Z 방향에 대하여 진동 시험 후
정상동작하여야 한다.

4.8.8 충격
레이더 장비는 MIL-S-901D GRADE A, TYPE A, CLAS Ⅰ(안테나), CLASSⅡ(송수신기 및 원격운용기)에
따라 충격 시험 후 정상동작하여야 한다.

4.8.9 염수분무
안테나는 MIL-STD-810E 509.3에 따라 장비 또는 시편을 제작하여 시험 실시 후 이상이 없어야 한다.

보기 2. 시험세트, 사격통제장치용
4.8 환경 조건
4.8.1 온도
4.8.1.1 운용 시험
사통 시험세트는 주위 온도 +10℃~+40℃에서 정상 동작하여야 한다.

4.8.1.2 비 운용 시험
사통 시험세트는 주위 온도 -40℃~+63℃에 노출 후 표준 대기 상태에서 정상 동작하여야 한다. 단,
전원 시험세트는 주위 온도 -20℃~+50℃에 노출 후 표준대기 상태에서 정상 동작하여야 한다.

4.8.2 진동

- 230 -
사통 시험세트는 주파수 범위 5~500㎐의 임의진동(Random Vibration)을 3축(X, Y, Z)에 각각 가한 후
정상 동작하여야 한다.

4.8.3 정비 충격
사통 시험세트는 정비 작업 중 또는 콘솔에 설치 및 해체 작업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정비 충격을 가한
후 정상 동작하여야 한다.

일솜씨(Workmanship)
E.4.9
성능형 규격에는 기본적인 요구조건만 명시한다. 필요시 계약자가 일솜씨 관련 요구조건 만족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기술한다.
보기 소음기관단총, 9 밀리미터
4.9 일솜씨
모든 부품 및 조립체는 완전하고 숙련된 일솜씨로 제작, 조립되어야 하며 덧살, 날카로운 모서리,
그리스, 먼지, 녹, 부식물 및 기타 이물질이 없어야 한다. 사용되는 세척방법은 어떠한 부품에도 해롭지
않아야 하며, 세척제로 인하여 부품이 오염되어서는 안 된다.

연동요구조건(Interface Requirements)
E.4.10
연동요구조건은 일반적으로 형태(form)나 적합성(fit) 요구조건은 상호 운용성 및 상호호환성을
보장해야 한다. 이러한 요구조건은 물리적, 전자적, 전자 연결, 상호 교환 가능한 부품, 디지털
상호운용성, 자재간 호환성 등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상세형 규격은 자재, 부품, 설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요구하기 때문에 대개 고유의 인터페이스, 상호운용성, 호환성에 대한 요구사항
을 포함하고 있다. 성능형 규격을 작성할때의 어려운 점은 자재, 부품, 설계에 대한 구체적 요구
사항은 제외하면서도 모든 필수적 인터페이스, 상호운용성, 호환성 요구사항을 표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규격을 작성시 연동요구조건은 주의 깊게 제기, 검토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적절한 수준에서
정비가 될 수 있도록 규격에 필요한 연동요구조건을 열거하여야 하지만, 더 좋은 연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과도한 설계방안을 요구하여서는 안 된다.
또한 성능형 규격에서 상세형 규격을 인용하지 않는 것이 법칙이나, 인터페이스, 상호운용성,
호환성에 대하여 분명히 해야 할 경우에는 상세형 규격 및 기타 문서를 인용할 수 있다.
보기 1. 포병전술 사격지휘장비
4.10 통신장비 연동기능
포병전술 사격지휘장비는 다음과 같은 유무선 통신장비와 연결되어 구성 장비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어야 한다.
가. PRC-999K 무전기, VRC-946K 계열 무전기
나. C-939K 원격 조정기 세트
다. TA-512K 전술용 전자식 전화기

보기 2. 포, 함정탑재용, 구경 5인치 62 구경장


4.10 외부 연동 정의

- 231 -
이 장은 함포의 포대, 탄 및 탄 이송에 대한 외부 연동을 정의한다.

4.10.1 포대에 대한 함포 연동

4.10.1.1 연속 정렬
함포는 양탄기가 여러 가지 구조의 탄약고 배치에 맞추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면의
규정에 따라야 한다.

4.10.1.2 구성품 연동
함포의 주요 구성품은 상호간 및 본 규격서에 규정된 요구 조건, 달리 인용된 참조 문서에 따라
함정과 기계적, 기능적 및 전기적으로 연동되어야 한다.

4.10.1.3 설치 적응성
함포는 중앙, 좌/우현 및 포좌(Sponson) 어디에도 설치될 수 있어야 한다.

4.10.1.4 포대 공압
함정에서 공급되는 공압은 포연 분사장치(gas ejector system)에서는 공기 유동량이
1.38㎥(48.7ft3)/min일 때 12.3kg/㎠ (175psig)이고, 선회 및 고저 비상 구동장치에서는 1.27㎥(45ft3)/min일 때
7.0kg/㎠(100psig)이어야 한다.

4.10.1.5 포대 전원
함포는 함정으로부터 주 전원을 공급받는다. 전원의 총 전력량은 평균대기 부하(Standby load)가
31.8㎾이고, 사격 부하는 평균 180.6㎾이어야 한다.

4.10.1.6 440 VAC 전원 공급


여러 가지 구동 장치를 위한 440V, 3상, 60Hz 주 전원은 함상 전원 장치로부터 공급되어야 한다.

4.10.1.7 비상 전원
함포의 440V, 3상, 60Hz 비상 전원은 함정 주 비상 전원 장치에 의해 공급되어야 한다.

보기 3. 미 군사규격 사례(MIL-PRF-370 호스와 호스 어셈블리, 비금속:탄성중합체, 액화연료)


4.4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4.4.1 기존 장비에 연결. 여기서 정의된 호스 또는 호스 어셈블리는 기존 장비 및 호스 어셈블리와


연결될 것이 요구된다. 인터페이스 지점, 엔드 피팅(end fittings)이 통제되어야 한다. 다시 부착 가능한 엔드
피팅은 여기서 명시하는 바와 같아야 한다. -A-59326은 캠 잠금 피팅을 위해 사용된다. A-A-52592는 홈이
있는 엔드 피팅(end fittings)을 위해 사용된다. A-A-59377은 무성 연결 장치의 빠른 연결 해제를 위해
사용된다.

4.4.2 연료 및 용수 호환성. 완성된 호스는 용수와 다음의 석유 연료에 의해 품질이 저하되지 않으며
이에 대한 저항성이 있고 해로운 효과를 가해서는 안 된다. 호스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 요구사항을 특정
시험 용액에 맞추는 것은 완성된 호스가 연료 호환성 요구사항에 부합한다는 출분한 증거를 제공한다.
a. MIL-DTL-83133 (JP-8) (NATO F-34)
b. MIL-DTL-5624 (JP-5) (NATO F-44)
c. A-A-52557 (디젤-군, NATO F-54 포함)
d. ASTM D975 (디젤-미 상용)
e. ASTM D1655 (Jet A-1)
f. MIL-F-46162 (유형 I과 II등급 디젤)

운용 특성(Operating Characteristics)
E.4.11

본 항은 장비의 운용에 대한 요구사항이 있을 경우에 작성한다.


보기 발전기세트, 가솔린엔진식
4.11 운용 성능

- 232 -
4.11.1 운용 시험
발전기 2대를 조절기에 연결하고 무선 접속부 세트 GRC-650K 및 다중 집선기 세트 GTC-620K를
연결시켜 4시간씩 교대로 운전하며 24시간 운용할 때 통신의 두절 없이 동작하여야 한다. 단, 위 시험을 대체
부하로 수행할 경우에는 실 부하 조건으로 실시한다.

4.11.2 전환 시험
발전기 2대를 작동시켜 조절기에 연결하고 선택스위치를 5회 절환시 GRC-650K 및 GTC-620K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지 않아야 한다.

신뢰성(Reliability)
E.4.12
신뢰성 필요조건 항에는 신뢰도를 신뢰 수준을 포함하여 수치로 규정하여야 하며, 가능하면
임무수행 조건으로 규정하되 각 요구조건(예 : 평균고장시간 MTBF, 평균교체주기 MTBR 등)에
대해 최소치를 명시한다.
보기 1. 포탑, 상륙돌격장갑차
4.12 신뢰성
포탑은 창정비 없이 600시간 또는 4827㎞(3000mile)를 운용할 확률이 90% 이상이어야 한다. 포탑의
신뢰성은 차량의 최초 600시간 또는 4827㎞(3000mile) 운용구간에 걸쳐 12.5 임무시간을 완수할 확률이 90%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결과적인 고장간 평균시간(MTBF)은 118.5시간 이상이어야 한다.
보기 2. 1 1/4톤 트럭
4.12 신뢰성
주행조건에 따라 주행하는 동안 고장간 평균 주행거리(MKBF)가 K311A1은 3360㎞이상, K312A1은
2575㎞이상이어야 한다.

정비성(Maintainability)
E.4.13
정비성은 평균수리시간(MTTR) 또는 비행/운용시간당 정비인시와 같은 항목에 대하여 수치로
규정하여야 한다. 현실적인 필요조건의 결정은 신뢰도에 대한 내용과 유사하다.
규격에는 정비성에 대한 아래의 요구조건 등을 기술한다.
가. 평균 및 최대 고장시간
나. 평균 및 최대 정비시간
다. 운용 및 정비시간 비율
라. 정비시 요구되는 인원수
보기 1. 1 1/4톤 트럭
4.13 정비성
4.1.1의 주행조건에 따라 주행하는 동안 운전자나 승무원이 실시하는 점검 및 수리시간을 제외한 총
정비율(MR)이 K311A1은 0.157이하, K312A1은 0.250이하 이어야 한다.

보기 2. 포탑, 상륙돌격장갑차
4.13 정비성
본 항의 규정은 MIL-STD-721에 따른다.

4.13.1 정비시간
포탑은 운용시간당 0.40 정비인시 이하의 정비율(MR)을 가져야 한다. 최대정비 시간은 표2와 같다.

- 233 -
정비범위 시간 정비계단
승무원 정비 및 점검(2명) 1.0 정비인시 1, 2 계단
계획 부대정비 4.0 정비인시 2, 3 계단
비계획 부대정비 4.0 정비인시 2, 3 계단
비계획 직접지원 12.0 정비인시 4 계단

4.13.2 정비율 계산
정비율(MR)은 소요된 모든 정비인시(승무원 정비 및 점검 제외)를 합하여 그것을 총운용 시간으로
나누어서 계산한다.

4.13.3 고장율 및 수리시간


평균수리시간(MTTR)은 전체시험기간 동안에 발생하는 고장률로 정의된다. 평균수리시간은 1.5시간
이하가 되어야 한다. 이것으로 고유가동성(Ai)은 98%이상이 된다. Ai=MTBF÷(MTBF+ MTTR)로 계산되며,
여기서 MTBF는 고장간 평균시간이다.

호환성(Interchangeability)
E.4.14
이 항에는 구성품 및 조립체의 호환 가능 또는 대체 가능한 수준에 대한 필요조건을 규정해야 한다.
보기 1. 모터, 유압식
4.14 호환성
모터를 구성하고 있는 동일한 제작사의 동일한 부품번호를 모든 부품들은 조립이나 성능상의 변동
없이 서로 교환이 가능해야 한다.
보기 2. 전차장 조준경
4.14 호환성
KCPS의 모든 구성품들은 같은 부품번호를 가진 구성품에 대하여 형상변경이나 성능저하 또는 ±3.5mil
이상의 포구조준감사 조정 없이 상호 교환이 가능해야 한다.
보기 3. 소음기관총, 9밀리미터
4.14 호환성
도면상에 달리 규정되지 않는 한, 동일 부품(수리부속 포함)은 상호 호환성이 있어야 하며, 10정에
대한 호환성 시험은 4.6.14항에 제시된 규정에 따라야 한다.

E.5검사와 시험 및 품질보증
5장에는 제품, 재료, 공정 또는 성능이 규격서 3장의 필요조건과 일치하는 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행해지는 모든 품질보증 및 검사활동을 기술한다.
검사와 시험에는 일반적으로 (1) 최초생산품 검사, (2) 품질적합성 검사, (3) 확인 검사로 나눌
수 있으며, 검사와 시험에 따르는 결점의 분류는 KS A ISO 2859에 따라 치명결점, 중결점, 경결점
등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결점에 대하여 합격품질수준(AQL)을 결정하여야 한다.

- 234 -
성능형 규격에는 재료, 제조방법 등이 일반적으로 명기되지 않으므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성능품질
의 편차의 확대성을 고려하여, 최초생산품 검사항목에 이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장에서는 어떤 검사가 그 제품, 재료 또는 공정에 대한 필요조건과 직접 관련되는 가를 명확히
나타내기 위하여 3장의 필요조건 규정 항 순서와 동일 순서로 규정하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항을 포함하되 필요시 가감 또는 변경할 수 있다.
5.1 일반사항
5.2 검사의 분류
5.3. 검사방법 및 절차

일반사항
E.5.1
제품의 품질보증을 위한 일반사항 즉, 검사책임, 품질보증 제도, 검사장비 등 필요한 사항들을
기술하되 필요시 항목을 가감, 변경하여 작성한다.
검사의 책임”항은 규격서에 규정된 검사/시험 수행에 대한 책임은 계약자에 있고, 정부는

규정된 모든 검사/시험 입회 또는 별도의 검사 수행 등 모든 검사/시험을 할 권리를 보유한다는
것을 기술한다.

보기 1. 1 1/4톤 트럭
5.1. 일반 사항
5.1.1 검사의 책임
계약서에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계약자는 본 규격서에 명시된 모든 검사를 수행할 책임이 있다.
계약자는 정부가 인정하는 범위 내에서 자체 또는 다른 적절한 시설을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정부는 제품이 규정된 요구조건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검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될 때에는
규격서에 명시되어 있는 어떠한 검사라도 수행할 권리가 있다.

5.1.2 품질보증제도
계약서에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계약자는 계약에 의해 제품의 검사 및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는
효과적인 품질보증 제도를 갖추어야 한다.

5.1.3 정부확인
계약자가 실시하는 모든 품질보증 활동은 정부의 확인을 받아야 하며, 확인 중에 발견된 모든
결함사항은 계약자가 즉시 수정 보완하여야 한다. 정부가 확인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고, 확인된 결함에 대해
수정 보완 조치가 완전히 끝날 때까지 장비의 수락이 지연될 수 있다.
가. 문서화된 품질보증 계획의 실행, 방법 및 절차의 적용 여부 확인
나. 제품의 품질에 대한 계약자의 제시 자료 및 제품 확인

보기 2. 지상감시레이더
5.1. 일반 사항
5.1.1 검사책임
별도로 규정하지 않으면 납품자는 이 규격서에 규정된 모든 검사를 수행할 책임이 있으며 정부 또는
대행기관이 인정하는 자체 설비 또는 공인된 일반시험소를 이용할 수 있다. 정부 또는 대행기관은 납품물자
및 용역이 규정된 필요조건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이 규격서에 규정된

- 235 -
어떠한 시험도 실시할 권리를 갖는다. 납품자는 정부 또는 대행기관의 승인 아래 이 규격서에 규정된 검사
또는 이와 동등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5.1.2 검사장비
납품자는 검사에 필요한 장비를 준비 및 정비할 책임이 있다. 시험 및 검사장비의 보정은 KS A
10012-1 을 따라야 한다. KS A 10012-1 을 따를 수 없을 경우는 특수 보정 조건을 준비하여 정부 또는
대행기관의 승인을 얻어 사용한다.

5.1.3 검사의 조건
지상감시레이더의 검사는 별도로 규정하지 않으면 아래 조건 하에서 실시한다. 이때 검사는 무순이며
전용 검사 장비를 사용할 수 있다.
가. 주위온도 : 23 ± 10 ℃
나. 상대습도 : 50 ± 30 %

검사의 분류
E.5.2
제품의 품질확인을 위한 검사의 종류에 대해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필요시 검사의
종류를 가감 또는 변경하여 기술할 수도 있다.
가. 최초생산품 검사
나. 품질적합성 검사
다. 확인 검사
라. 기타 검사(필요시)
성능형 규격은 상세형 규격에 비해 제품의 변경(개선을 위한 재료 및 공정의 변경이 상세형
규격보다 유연함) 사항에 대한 성능 입증을 위해 최초생산품 검사에 대한 필요성이 비교적
많이 강조된다.
또한 양산품 수락을 위한 품질적합성 검사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세부 검사 수행계획(검사
를 위한 로트구성, 샘플수량, 검사방법 등)을 계약자에게 작성토록 명시할 수 있다.
최초생산품 검사
E.5.2.1
규격서의 필요조건에 일치하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양산 최초생산 물량에
대해 실시하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적용토록 하기 위해 명시된 검사이다.
가. 계약업체가 정부에 해당제품을 처음 납품하고자 할 때
나. 계약업체가 정부에 해당제품을 납품한 실적이 있으나
1) 공정이나 규격의 중요사항이 변경되었을 때
2) 장기간 생산이 중단된 경우
3) 이전 계약으로 납품한 제품이 수명 기간 중 중대한 문제가 발생 되었을 때

- 236 -
또한, 최초생산품 검사는 품질적합성검사와 연관되는 요구조건을 상호 참조할 수 있도록 도표화하
는 것을 추천한다(표 1~2 참조)
품질적합성 검사
E.5.2.2
품질적합성 검사는 생산제품이, 규격의 요구조건에 만족함을 입증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검사로
구성되어야 한다. 품질적합성 검사 항목에는 검사 절차, 검사 단위 수량, 그리고 필요조건과
일치함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 등이 서술되어야 한다.
품질적합성 검사는 최초생산품 검사에 명기된 검사항목과 동일하여도 되지만, 규격서 요구사항
입증이 장기 소요되는 항목이나 특별한 시험들은 반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품질적합
성 검사에 연관되는 필요조건을 최초생산품 검사와 상호 참조할 수 있도록 도표화하는 것을
추천한다(표 1~2 참조)
또한, 단일 계약건으로 장기간 생산 납품하는 품목에 대해서는 최초생산품 검사에서 입증된
전체적인 품질 수준이 생산기간 동안에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는 ‘확인검사’를
추가할 수 있다.
표 1. 검사의 분류
항번 항목 검사절차 최초생산품검사 품질적합성검사 확인검사 비고
3.3.1 환경조건 4.3.1 o o o
3.3.2.1 진동 4.3.2.1 o o o
3.3.2.2. 충격 4.3.2.2 o o o
3.3.2.3 고도 4.3.2.3 o o
3.3.3.1 온도 4.3.3.1 o o o
3.3.3.2 습도 4.3.3.2 o o
3.4 전기적특성 4.4 o o o

표 2. 검사의 분류
필 요 조건 검 사절 차
비 고
항번 항목 최초생산품검사 품질적합성검사 확인검사
3.3.1 환경조건 4.3.1 4.3.1 4.3.1
3.3.2.1 진동 4.3.2.1 4.3.2.1 4.3.2.1
3.3.2.2. 충격 4.3.2.2 4.3.2.2 4.3.2.2
3.3.2.3 고도 4.3.2.3 4.3.2.3
3.3.3.1 온도 4.3.3.1 4.3.3.1 4.3.3.1
3.3.3.2 습도 4.3.3.2 4.3.3.2
3.4 전기적특성 4.4 4.4 4.4

- 237 -
검사시료 샘플링
E.5.2.3
샘플링은 규격 요구조건 일치 여부를 입증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다. 규격서에는 성능의 입증
및 호환성 확보를 위한 최소한의 샘플링 조건, 합격품질수준 만을 명시하고 일반적인 치수검사
조건은 가능하면 포함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한 조항은 가능하다면 해당 제품도면에 대한 품질보증
요구서(QAR)상에 기술하도록 하고 규격서에는 명기하지 않을 것을 권장한다.
결함 분류
E.5.2.4
가능하다면, 결함의 분류는 4장에 명시되어야 한다. 결함의 분류는 다음과 같이 숫자로 기록하여야
한다.
1 ∼ 99 : 치명결점
101 ∼ 199 : 중결점
201 ∼ 299 : 경결점

만약 추가적인 그룹이 필요하다면 301, 401, 501 등과 같은 순으로 선택한다. 만약 어떤 그룹의


결점수가 100을 초과할 경우 계속되는 순서는 101a, 102a, 103a와 같이 첨자를 붙여 사용한다.

보기 지상감시레이더
5.2 검사의 분류
검사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가. 최초 생산품 검사
나. 품질 적합성 검사
다. 확인 검사
5.2.1 최초생산품 검사
계약서에 별도로 규정하지 않으면 정부품질보증기관은 개발완료 후 최초 생산되는 생산품에 대하여
본 규격서에 따라 최초생산품 검사를 실시한다. 규격서의 필요조건에 대한 입증이 한번 완료되면 잔여
생산품에 대해서는 4.2.2항에 규정된 품질적합성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최초생산품의 수량은 계약서에
별도로 규정하지 않으면 2대로 표 5에 규정된 최초생산품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5.2.1.1 최초생산품 검사 불량
최초생산품 검사시 이 규격서의 필요조건에 일치하지 않는 품목에 대해서는 생산자는 결함의 원인을
규명하고, 수정 및 정비 후 재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5.2.1.2 최초생산품 납품
계약서에 별도로 규정하지 않으면 최초생산품 검사에 합격한 장비는 납품될 수 있다. 단, 신뢰도

- 238 -
시험을 한 장비는 납품에서 제외 한다.

5.2.2 품질적합성 검사
품질적합성 검사는 표 5에 규정된 바와 같이 전수검사와 확인검사로 구분되며 4.3에 규정된
검사방법에 따라 실시되어야 한다.

5.2.2.1 전수 검사 (100 % 검사)


표 5의 전수검사로 규정된 필요항목에 대하여 이 규격서에서 규정한 시험 및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5.2.2.2 전수검사 불량
전수검사에서 불량으로 판정된 모든 생산품은 불합격처리 할 수 있다. 불합격된 생산품은 수정 및
정비 후 재검사를 받을 수 있다.
표 5. 검사의 분류

최초생산품 검사 품질적합성검사
검사항목 필요조건 시험방법 확인검사
시료 1 시료 2 전수검사
시료 1 시료 2

성능 3.4. 4.4
직류전원 3.4.1.1.1 4.4.1.1.1 O O O O O
교류전원 3.4.1.1.2 4.4.1.1.2 O O O O O
최대탐지거리 3.4.1.2 4.4.1.2 O O O
탐지정확도 3.4.1.3 4.4.1.3 O O O O O
거리 분해능 3.4.1.4.1 4.4.1.4.1 O O
방위각 분해능 3.4.1.4.2 4.4.1.4.2 O O
탐지 방식 3.4.1.5 4.4.1.5 O O O O O
방위각 작동 범위 3.4.1.6 4.4.1.6 O O O O O
고각 조절 범위 3.4.1.7 4.4.1.7 O O O O O
원격 운용 거리 3.4.1.8 4.4.1.8 O O O O O
지역 탐색 3.4.1.9 4.4.1.9 O O O O
표적 획득 및 추적 3.4.1.10 4.4.1.10 O O O O O
데이터 전송 3.4.1.11 4.4.1.11 O O
표적 위치 식별 3.4.1.12 4.4.1.12 O O
표적 구분 전시 3.4.1.13 4.4.1.13 O O

신뢰도 3.5 4.5 O

5.2.3 확인검사
별도로 규정하지 않으면 공급자는 검사기간, 경비, 재사용 불능 등의 이유로 전수검사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필요조건의 품질을 유지 조정하기 위하여 확인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확인검사 주기는
최초생산품 검사 실시 이후 생산 누적 대수 50 대 마다 실시한다. 확인검사 시료는 2 대로 한다.

- 239 -
5.2.3.1 확인 검사 불량
확인 검사 중에서 어느 항목이라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에 불합격으로 판정한다. 공급자는 불합격
원인을 규명하고 그 결과와 수정방안을 정부 검사관에게 통보하여 정부 검사관의 승인을 얻은 후 시정
조치를 하며 불합격된 검사 항목부터 검사를 다시 실시한다. 시정 조치를 한 후 정부 검사관은 장비의 성능이
규정된 필요조건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이 규격서에 규정된 어떠한 검사도
재실시할 권리를 가진다.

E.5.3검사방법 및 절차
4장(필요조건)에 명시된 요구항목(성능, 호환성, 연동성, 환경조건 등)에 대한 요구조건을 입증
또는 확인하는데 필요한 세부 검사방법 및 절차를 기술한다.
성능형 규격에서는 양산품 수락을 위한 품질적합성 검사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세부
검사 수행계획(검사를 위한 로트구성, 샘플수량, 검사방법 등)을 계약자에게 작성토록 명시할
수 있다.
. 보기 A, B-스풀조립체
5.3 검사방법 및 절차
5.3.1 전기적 특성시험
스풀은 다음의 시험절차에 따라 시험 하였을 때 3.3.1항의 모든 전기적 특성을 만족시켜야 한다.

5.3.1.1 부피저항율
스풀의 부피저항율은 KS C 3102, 3002의 시험방법 및 절차에 따라 측정하여야 하며, 3.3.1항의
필요조건에 일치하여야 한다.

5.3.1.2 내전압
스풀은 KDS 0710-0015(전기전자부품의 시험방법)의 시험방법 301에 따라 시험하며 3.3.1항의
필요조건에 일치하여야 하고, 다음 세부사항을 적용한다.
가. 시험전압 : 350VAC, 또는 500VDC
나. 시험전압 인가점 : 스풀의 도체와 도체간

5.3.1.3 절연저항
스풀은 KDS 0710-0015의 시험방법 302에 따라 시험하여야 하며 3.3.1항의 필요조건에 일치하여야
한다.

5.3.2 인장력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피복된 상태의 스풀 와이어를 시험 시 3.3.2항의 필요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5.3.3 정전용량
스풀의 도체와 도체 각각의 양단에 정전용량 측정기(LCR METER)를 연결하여 정전 용량을 측정 시
3.3.3항의 필요조건에 일치하여야 한다.

5.3.4 감쇠율
A, B-스풀을 연결하고 신호 주파수는 1㎑로 하여 시단부와 종단부 사이의 감쇠율을 측정 시 3.3.4항의
필요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5.3.5 풀림시험
품질보증요구서(QAR Q55407900) 4.1항에 따라 시험 시 3.3.5항의 필요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 240 -
5.3.6 환경시험
환경시험은 아래 표6에 따른다.
<표6> 환경시험 항목
항 목 필요조건 검사방법
고 온 3.3.6.1항 4.3.6.1항
저 온 3.3.6.2항 4.3.6.2항
진 동 3.3.6.3항 4.3.6.3항
수 압 3.3.6.4항 4.3.6.4항
충 격 3.3.6.5항 4.3.6.5항

5.3.6.1 고온시험
스풀의 고온시험은 KDS 0010-0003의 시험방법 501에 따르며 다음의 조건으로 시험한다.
단계 1 : 고온조에 스풀을 투입한다.
단계 2 : 내부온도를 +55℃±2℃로 24시간 유지시킨다.
단계 3 : 상온에서 2시간 저장 후 3.3.6.1항의 필요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5.3.6.2 저온시험
스풀의 저온시험은 KDS 0010-0003의 시험방법 502에 따르며 다음의 조건으로 시험한다.
단계 1 : 저온조에 스풀을 투입한다.
단계 2 : 내부온도를 -10℃±1℃로 24시간 유지시킨다.
단계 3 : 상온에서 2시간 저장 후 3.3.6.2항의 필요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5.3.6.3 진동시험
스풀의 진동 시험은 KDS 0010-0003의 시험방법514-1에 따르며 아래 표7의 조건으로 시험한 후
3.3.6.3항의 필요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표7> 진동시험 조건
SWEEP
주파수(㎐) 진폭/가속도 시험시간 시험축
TIME
10 ~ 30 ±0.45㎜±10% 180분
x,y,z 7분
31 ~ 100 1.7g±10% (각축60분)
30분
101 ~ 150 1.0g±10% x,y,z 7분
(각축10분)

5.3.6.4 수압시험
품질보증요구서(QAR Q55407900) 4.2항에 따라 시험 시 3.3.6.4항의 필요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5.3.6.5 충격시험
스풀의 충격시험은 KDS 0010-0003의 시험방법 516-1에 따르며 아래 표8의 조건으로 시험한 후
3.3.6.5항의 필요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표8> 충격시험 조건
방향 횟수 충격값 지속시간
14g± 15% 8㎳
X(+) 각1회
11.5g± 15% 11㎳
28g± 15% 8㎳
Y(+) 각1회
23g± 15% 11㎳
28g± 15% 8㎳
Z(+) 각1회
23g± 15% 11㎳

- 241 -
E.6포장 및 표시
이 장에는 품목의 특성에 따라 저장 및 수송하는 동안 품질이나 외형의 손상이 없도록 적절한
포장 및 포장물의 내용을 알 수 있는 표시 방법이 기술되어야 한다.
포장 요구조건은 군수의 물류체계를 고려하여 개발기관에서 설정하며, 가능하면 품목별로 작성하
는 것은 지양하고 유사 품목별로 포장 표준화를 이루도록 한다. 제품의 특성상 특별한 조건이
요구될 경우 적절히 기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항을 포함하되 필요시 가감 또는 변경할 수 있다.
6.1 포장
6.2 표시

성능형 규격의 경우 계약서/구매요구서에 구매조건에 적합한 포장조건을 명시하도록 할 수 있다.


포장
E.6.1
포장은 제품의 특성, 용도, 유통 경로, 저장기간, 취급 횟수 등을 고려하여 경제적인 포장이
되도록 하며, 동일 품목이라도 일반 운영물자와 비축물자, 장기 저장물자, 특수지역 보급 물자
등으로 구분하여 적정한 포장방법으로 규제할 필요가 있다..
포장은 필요에 따라 단위포장, 내부포장, 외부포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각의 포장에 대하여
재료, 수량, 방법을 규정하고 결속은 외부포장에 명시한다.
포장재료 및 방법은 KDC 0001-P4001을 참조하여 작성한다.
표시
E.6.2
제품의 식별, 보호, 안전 운반 및 저장에 필요한 표지에 대해 기술한다. 필요하다면, 표지에
관한 필요조건은 「유해화학물질관리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소방법」, 「총포․도검․화
약류 등 단속법」 등 관련법규를 참조하여 설정한다. 5장의 “표시”항은 “3장 필요조건”에서
규정하는 제품 표지(명판 등)와는 구별되어야 한다.
보기 작업등 세트
6. 포장 및 표시
6.1 포장
6.1.1 단위포장
작업등 세트의 구성품은 청결하게 한 후 관련도면(또는 계약요구조건)에 따라 포장되어야 한다.

6.1.2 외부포장
단위포장 및 부수장비 포장상자를 외포장상자에 넣고 관련도면(또는 계약요구조건)에 따라 포장한다.

- 242 -
6.2 표시
6.2.1 단위포장
단위 포장에서는 국방부 표지(KDS 8455-0002), 재고번호, 품명, 적용 장비, 단위, 수량, 제조년월일,
제조회사명을 선명하게 표시하여야 하며, 세부내용은 관련도면(또는 계약요구조건)에 따른다.

6.2.2 외부포장
외부 포장에서는 국방부표지(KDS 8455-0002), 재고번호, 품명, 적용 장비, 단위, 수량, 중량, 부피,
로트번호, 제조년월일, 제조회사명을 선명하게 표시하여야 하며 세부내용은 관련도면(또는 계약요구조건)에
따른다.

E.7 주기
7장에는 요구조건은 필요하지 않으며 일반적이고 보충적인 성격의 정보를 기술한다. 이는 규격의
용도, 제품의 적당한 형태나 등급의 선택, 추가적인 대체 자료 등과 같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작성된다. 7장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절히 가감 변경할 수 있다.
7.1용도
7.2 조달 요구조건
7.3 기술교범 규격 정보
7.4 견본
7.5 용어 정의
7.6 상호 참조표
7.7 관급 및 정부 대여재산
7.8 핵심어(주제어) 색인
상기 사항 중 자주 명기되는 6.1, 6.2 항에 대해 설명하겠다..
E.7.1용도
본 규격에 준한 제품의 사용과 관련된 정보는 6.1의 서두에 명기한다. 규격서 안에 등급과 형별
차이점은 규격서 안에서 설명되어야 하며 어떤 제품이나 재료가 잘 적용되지 않는 특별한 경우가
있을 경우, 이러한 정보는 명기하도록 한다.
E.7.2조달 요구조건
이 항목에는 입찰공고, 계약서 또는 기타 구매문서로 조달기관에 의해 행하여지는 모든 선택사항이
수록되도록 한다.
보기 1. 압축기 세트
7. 주기
7.1 용도
본 규격서에 의해 규정된 압축기는 선상에서의 화재 진화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물을 준비할

- 243 -
필요가 없다.

7.2 조달 요구조건
조달문서는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
가. 규격서 제목, 번호 및 일자
나. 형 및 등급(1.2 참조)
다. 조달 및 소요 제기시 인용된 국방규격목록의 간행물. 필요시, 민간의 참조문서의 특정 간행물(2.2.1
및 2.2.2 참조)
라. 최초 생산품이 요구되는 경우(3.1 참조)
마. 아연 도금, 필요시(3.2 참조)
바. A로트 혹은 B로트 시험이 요구되는 경우(4.2.1 참조)
보기 2. 조준등, 적외선 광학용
7. 주 기
7.1 용 도
본 규격서는 조준등, 적외선-광학용에 대하여 적용한다.

7.2 조달요구조건
조달문서에는 다음 사항을 규정한다.
가. 본 규격의 제목, 규격번호 및 규격 제정일
나. 최초생산품 시험 실시 여부

7.3 관급 자재
계약서 또는 구매요구서 상에 별도의 규정이 없는 한, 정부는 4절의 “검사 및 시험”에 사용할 아래
표6의 관급자재를 공급하여야 한다.

표6.관급자재
품 명 수 량
구경 5.56㎜ 탄환 및 탄창 필요량
M16A1 소총 필요량
K-1A 소총 필요량
K-2 소총 필요량
야간투시경,KAN/PVS-7 필요량

7.4 신뢰도시험 시제에 대한 조치


최초생산품 시료중 신뢰도 시험에 사용된 조준등은 납품 할 수 없다.

- 244 -
부록 # 10 : 보완요구사항 조치결과

'13년 민‧군규격표준화사업 연구과제 보완요구 조치결과

□ 과 제 명 : 국방규격의 성능형 규격 전환 확대방안

□ 연구기관(연구책임자) : 안보경영연구원(이용문)

□ 중간평가 보완요구 조치결과 현황

보완요구(항목수) 조치결과(건수)
완료 미완료 조치 중
15 15

○ 세부내용

순번 보완요구 조치결과
내용 날짜 내용 날짜 비고
•규정개정(안) 작성시 실무에
적용가능 하도록 본문 및 부
록 내용 보강
- 부록#1 규정개정(안)
• 성능형 규격 작성대상 및 유

• 연구결과를 실질적으로 형제시


2014. - 부록#2 규격 재개정 및 전환 2014.
1 완료
3.17 간 성능형 규격 검토 대상 분 7월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도출 류 기준표 제시
• 혼합형 규격 작성대상 및 유
형제시
- 부록#9 혼합형 작성 가이드
혼합형 규격 전환가능한 유형
분류 기준표 제시

- 245 -
순번 보완요구 조치결과
내용 날짜 내용 날짜 비고
• 혼합형 규격 개념연구
(제4장 제1절에 제시_-개념정
립 결과 체계및 부체계, 결합
체, 부품 모두 적용이 가능함
• 체계장비의 성능형 규격 -유형별 검토결과 제시
2014. 2014.
2 적용 가능 여부에 대한 • 실무에 적용이 용이 완료
검토 및 연구 필요
3.17 하도록 유형별 검토 7월
기준 제시(표4-5, 4-6)
-부록#9 혼합형 작성 가이드
혼합형 규격 전환가능한 유형
분류 기준표 제시
• 3개 품목 시범 성능형 규격
전환을 단품위주로 추진하고
(제3장 제1절),
• 단품류에 대한 성능형
2014. • 결과품목에 대한 경제적 효 2014.
3 완료
규격 전환 시 효과분석
3.17 과분석 결과 제시 6월
필요 (제3장 제2절 성능형 규격 시
범정비 결과 경제적 효과분
석)
성능형 규격 적용실태 국내

의 현상분석 부분에 추가보완
(제2장 제3절)
- 성능형규격과 도면의 결함
발생시 조달이 불가하며, 견
본 제공이 필요함(표 2-23참
• 성능형 도면으로 조달시 2014.
조) 2014.
4 - 제작후 검사 및 조립과정에 완료
조달측면에서 검토 필요 3.17 서 발생하는 제한사항 예방 4월
지침 필요성 제시
- 공개경쟁 품목으로 개발업
체가 아닌 일반업체 기술력
부족으로 발생 문제 제시
• 지침 개정 내용 보완
(제2장 제4절 개선방안)

- 246 -
순번 보완요구 조치결과
내용 날짜 내용 날짜 비고
성공사례 2가지

- 재충전용 전지류 성능형 규
격 작성이 대표적인 성공사례

- 함정의 유수분리기는
규격이 없이 목록관리 상태
에서 영세 중소 기업의 입장
과 상용화를 고려 성능형 규
• 성능형 규격 확대를 위한 2014. 격 작성 이후 현재는 상용화 2014.
5 완료
실질적인 사례도출 필요 3.17 되어 상용화 목표달성 5월
- 2006년 지침제정이후
성능형 작성이 되어야하는
품목이지만 상세형으로 작성
되었지만 내용이 미흡한 사례
발굴제시
• 시범사업 대상 검토 및 상세
형을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검
토 시 활용
규격과 기술자료인 도면의

용도와 특성을 고려하면 규격
은 최대한 성능형으로 도면은
상세형이 바람직함
• 성능형 규격 작성대상 및 유

• 국방규격(도면)에 대한 형제시
2014. - 부록#2 규격 재개정 및 전환 2014.
6 완료
3.17 간 성능형 규격 검토 대상 분 7월
성능형, 상세형의 명확한
분류 기준 및 산출물 제시 류 기준표 제시
• 혼합형 규격 작성대상 및 유
형제시
- 부록#9 혼합형 작성 가이드
혼합형 규격 전환가능한 유형
분류 기준표 제시

- 247 -
순번 보완요구 조치결과
내용 날짜 내용 날짜 비고
이론적 연구로는 체계와 부체

계, 구성품 및 결합체, 부품의
경우 성능형으로 작성 유형을
검토하여 기준표를 제시하고
(제3장 제1절, 부록#2)
• 전환을 위한 현 국방규격을
검토시에는 미국의 성능형
규격을 분석한 품목을 활용
하여 국내 현보유 규격에 대
• 외국규격 이외에 현재
2014.
한 분류후 2014.
7 작성되어 있는 규격으로 (제 3장 제3절, 부록#8)
3.17 • 전환을 위한 로드맵을 작성시 7월
완료
분류 검토
에는 우선적으로 전기/전자
부품을 위주로 검토하였음
• 혼합형 규격의 개념을 검토시
에는 한국의 연구 개발 절차
와 관련하여 성능형 분류시기
와 개념을 정립하여 유형별
검토 기준표를 개정안 부록
(#1,2,3)및 가이드 북에 수록
(부록 # 9)

미국의 조직에 대한 사례는



검토가 제한적이며,
• 국방개혁차원에서 강력 - 획득조직에서 각종법과 지침
추진할 수 있도록 미국의 에 의해 담당자에 의해 국방
성공사례를 벤치마킹 개혁을 추진
- 1994년 규격과 표준 2014.
2014.
(Specificatio and Standards)에
하여 최종보고서에
8 완료
충실히 반영 필요(조직, 3.17 관한 정책 각서(memorandum) 7월
전문 인력 양성, 유사성 및 각종 지침에 의해 추진
품목 제시, 지침서, • 전문인력 양성관련 사항은 필
추진성과 등) 요한 요소이나 미국의 사례를
통해 벤치마킹할 내용은 식별
이 제한되었음

- 248 -
순번 보완요구 조치결과
내용 날짜 내용 날짜 비고
• 유사성 품목은 시범품목 대상
검토 및 로드맵 검토시 확인
하여 활용 하고 제시(표 2-10,
3-3)
체계레벨 성능형 규격은
-
• 국방개혁차원에서 강력 극히 미소하고, 대부분 최하
추진할 수 있도록 미국의 위 수준 부품으로 교체위주
성공사례를 벤치마킹 정비 대상임
• 지침서는 미국의 성능형 규격
하여 최종보고서에 2014. 2014.
8 작성 가이드 SD-15를 번역하 완료
충실히 반영 필요(조직, 3.17 여 벤치마킹하고, 7월
전문 인력 양성, 유사성 규정개정시“국방규격의 서식
품목 제시, 지침서, 및 작성에 관한 지침 부록
추진성과 등) D”최신화에 활용하였음
• 추진성과 분야는 기 연구 분
야에서 제시된 내용이외 추가
적인 사항은 제시 되지 않고
있으며 대표 적인 사례는(표
2-11)에 소개 하였음

• 개선방안 제시(안)에서 확대방


안 포함(4절 5항)
• 성능형 규격 전환 시범 품목
을 통한 효과분석 시 조달인
프라 관련 분석
- 산업연관 분석을 통한 경제
• 국내 군수품 조달 인프라
2014.
적 파급효과 분석 2014.
9 (조달규모, 업체 기술수준 등)를 - 부품단종으로 인한 사용 불 완료
3.17 능 발생방지 효과를 확인하기 6월
고려한 확대방안 제시
위한 현재가치 계산
- 산업의 진입장벽 축소 효과
분석
- 일자리 창출효과 분석
(제3장 제2절 경제적 효과 분석
참조)

- 249 -
순번 보완요구 조치결과
내용 날짜 내용 날짜 비고
• 최종결과보고서 본문 수록사

- 국방규격의 성능형 제한사항
(사례추가) : 본문
- 국방 표준화 정보체계 연계
활용(안) : 본문
- 경제적 효과분석 : 본문
- 미국의 성능형 규격 확대정
책, 제도, 규정내용 : 본문
- 국내의 성능형 규격 관련 정
책, 제도, 규정 미비점 : 본문
• 최종 결과물의 형태와 - 시범사업(3개 이상) 국방규격
2014.
10 명확한 일정 준수 개정(안) : 본문/부록(#4,5,6,7) 2014.
- 성능형 규격 확대를 위한 관
3.17 8월 완료,
여부 제시
련 규정 개정(안) : 본문/부록
(#1,2,3)
성능형 규격 작성이 효율적
-
인 무기체계/비무기 체계 품
목 리스트 : 부록(별첨)
- 혼합형 규격 작성 가이드
: 부록 # 9, 10
• 일정준수 여부 : 초안 완료,
전문가 토의 결과 보완중,
최종평가 결과를 포함하여
보완 후 연구기간내 완료
기존 연구내용에 대한 인용

근거를 각주표기
• 기존 연구내용에 대한 최신화
• 기존에 연구된 사항이나
2014. 시 근거제시 2014.
11 완료
규정 등에 대한 명확한
3.17 • 자료출처에서 기존연구 사항 7월
차별성 제시 필요 에 대한 내용명시
• 참고문헌에 기존 연구 자료
명시

- 250 -
순번 보완요구 조치결과
내용 날짜 내용 날짜 비고
• 시범사업(3건 이상)에 대하여
품목의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분석방법 적용으로 경제적 효
과 검증
• 성능형 규격 전환 시범 품목
에 적용된 분석 방법
- 산업연관 분석을 통한 경제
• 성능형 규격의 효과성에 2014. 적 파급효과 분석 2014.
12 완료
대한 검증 필요 3.17 - 부품단종으로 인한 사용 불 6월
능 발생방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현재가치 계산
- 산업의 진입장벽 축소 효과
분석
- 일자리 창출효과 분석
(제3장 제2절 경제적 효과 분
석 참조)
개선방안 연구분야에서 현실

태 분석시 관련기관 및 업체
의 의견과 자체 연구토의를
통해서 실제적인 문제점을 분

- 관련 규정의 실태분석
- 기간 중 연구결과 후속 조치

• 우리나라 현실에 적합한 와 관련된 실태분석


2014. - 분야별 제도 검토 2014.
13 완료
3.17 - 관련기관 의견수렴
성능형 규격화 문제점
5월
연구 필요 - 방산업체의 의견수렴
• 기 연구 자료를 통한사례연구
대상검토 시 명명된 성능형
규격의 실태 분석
• 사례를 통한 문제점 검토
: 사례 # 3
• 현실성 있는 적용대안을
연구 제시

- 251 -
순번 보완요구 조치결과
내용 날짜 내용 날짜 비고
기 연구분야에 대한 보완 과

관련기관 및 전문가 의견수렴
(7월30일)을 통해 보완
-미국의 국방개혁 결과에 대한
자료 벤치마킹
-기 연구자료 벤치마킹
-관련기관 및 업체의
의견수렴과 설문조사 결과 활
용 시범사업 대상 검토
-미국의 성능형 규격관련 가이
드 번역 활용
- 미국의 성능형 규격의 유형
및 특성을 분석
- 국방규격 목록을 확보
유사한 규격에 대한 검토
-시범사업에 다수의 국방 규격
• 실질적인 개선방안
2014. 을 대여 받아 다양한 참고연 2014.
14 완료
3.17 구를 하기위해 당 연구소의 5월
수립과 시범사업에 보다
많은 자원 투입이 필요 전문인력 최대 활용
-현재의 국방규격 작성 지침과
미국의 성능형 규격 가이드를
비교하여 성능형 규격 작성
가이드 개정(안) 작성완료
• 성능형 규격 전환시 고려 사
항과 절차 검토 발전
-시범사업 대상 판단
-성능형 전환 절차 검토
-유형별 성능형 규격에 대한
검토 기준표 작성
-단품으로 경제적 효과 분석이
가능한 품목선정
-선정된 품목과 유사한 미국의
상세형 및 성능형 규격 번역
활용

- 252 -
순번 보완요구 조치결과
내용 날짜 내용 날짜 비고
시범사업을 통해 세부적인 내

용분석을 피드백시켜 보다 현
실적인 검토제원을 활용하여
로드맵 보완
• 미국의 성능형 규격 품명과
유사한 국방규격의 검색 결과
목록 확보
• 국방규격의 대상품목별 상태
별(활성, 비활성, 폐지) 현황
기초 조사
• 성능형으로 우선적인 전환대
상 분류(대분류)
: 활성 및 비활성 품목으로 한 완료
정 로드맵 작성 (7월23
• 시범사업을 통해 파악된 검증

• 시범사업에 따른 소요 의 필요성 여부를 고려하지 국방규
2014. 않은 5개년 계획수립 2014.
15 격
3.17 - 전환대상을 기준으로 활성 7월
제원 분석결과 수행
가능한 로드맵 작성 필요 품목을 우선 계획 목록으
- 전환사업의 특성을 별도 분 로
석하기 위해 1차년도는 단품 최신화
위주, 소수 품목 배정 계획 )
수립
- 2차년도부터 숙달의 정도를
고려 연간 200여품목 정도 배

- 도면이 많은 품목은 상세형
으로 유지
- 소요예산의 추정이 곤란하므
로 개략적이 품목으로 중분류
- 단품 ⇨ 조립체 순서로 연도
별 로드맵 구성
- 품목별 특성을 고려한
세부 분류는 제한됨

- 253 -
□ 연구목표 및 결과

연구목표(내용) 연구결과(’11.8.3 기준)


¡ 국방규격의 성능형 규격 전환확 ¡ 달성
대가 제한되는 원인 및 대안제시 - 국방규격의 성능형 규격 제한사항
- 사례 추가(3건) 검토
- 국방 표준화 정보체계 연계 활용(안)
- 미국의 성능형 규격 확대정책, 제도,
규정내용 검토
- 국내의 성능형 규격 확대를 위한 관련
규정 개정(안) 제시
- 성능형 규격 작성 가이드 개정(안)
- 성능형 규격 유형 검토 기준제시

¡ 현 국방규격을 검토 성능형 규격 ¡ 달성
- 시범 품목 대상 검토
으로 전환해야 할 마스터 플랜
- 미국의 유사 품목 상세형 및
수립 성능형 규격 번역을 통한 검토
- 미국의 성능형 가이드 북 번역
- 시범 품목 성능형 규격 전환
(4건 작성 3건 채택)
- 시범 품목에 대한 경제적 효과
분석
- 국방규격의 성능형 전환 대상
검토 로드맵 작성
- 성능형 규격 작성이 효율적인
무기/전력지원체계 품목 목록 제시

¡ 혼합형(Hybrid) 규격으로의 전환 ¡ 달성
- 혼합형 규격에 대한 개념 정립
연구
- 혼합형 규격의 유형 검토
※ 검토기준 작성 제시
- 혼합형 규격의 전환 절차 검토
- 혼합형 규격의 전환 방안 제시
- 혼합형 규격 작성 가이드 북
부록으로 작성 제시

- 254 -
□ 최종평가 보완요구 조치결과 현황

보완요구(항목수) 조치결과(건수)
완료 미완료 조치 중
6 6

○ 세부내용

순번 보완요구 조치결과
내용 날짜 내용 날짜 비고
기간중 연구결과를 모두

• 미국 통계자료에 대한 보완
취합하고, 확인 가능한
- 2006-2014년의 성능형 규 2014
내용을 통계자료를 작성 2014.
• 년도별 제정 및 폐지 현황
1 격 제•개정, 폐지에 대한 . 완료
8~9월
통계 8.20
파악 및 통계(표2-5, 2-6)
• 본문에 포함(p11-12)
자료 포함

현황분석 내용 보강

• 문제점 도출내용 보강
• 성능형 규격 확대를 위한 2014
및 재정리(p34, 44) 2014.
• 확대가 왜 안되는지?
2 현황분석, 문제점 도출, . 완료
8~9월
해결방안제시 내용 보완 3.17
핵심사항 재정리(p34)
• 해결방안 재정리(p44)

• 실패원인을 별도로
• 성능형 규격 전환 실패 분석 핵심내용 요약
2014
원인분석 및 해결책 제시(p43) 2014.
3 . 완료
제시내용 구체적으로 • 해결방안은 문제점 도출 8~9월
8.20
보완 사항과 함께 재정리
(p49-50)

- 255 -
순번 보완요구 조치결과
내용 날짜 내용 날짜 비고
•문제점 도출 및 실패
원인분석과 연계하여
• 국내제도 및 절차 개선사항
개선사항 구체화
내용 보완
•방위사업청의 분리된
- 제도변화, 전문인력 확보,
2014. 조직 및 교육훈련이 2014.
4 규격조정위원회 조정 실적보고, 완료
8.20 필요한 규격업무 담당관의 9월
조직인력에 담당자 임명 등
역량확보 문제 개선안 제시
강력히 추진할 수 있는
(p44-50)
내용 포함
•장, 단기과제 정책건의
사항 제시(p44-50)
• 용어의 정의를 우선
(p114)
• 개념의 검토부분 보완
(p114-116)
혼합형 규격의 재정에

관한 사항추가 보완
• 혼합형 규격에 대한 검토 • 유형 및 전환에 관한
5 및 분석 등 심층검토
2014.
사항 보완 (p121-123)
2014.
완료
• 성능형 규경이 정착
8.20 9월
내용 제시
되기 이전에 혼합형
규격이 적용이 혼란
스럽다는 전문가토의
사항에 대하여 필요성
문제를 재검토 삽임
(p124)

•분석기법에 대한 수식
등 보조설명
•결과에 대한 내용 보완
•성능형 규격에 대한 경제성 2014. •외국의 효과분석 내용을 2014.
6 완료
분석내용 구체화 제시 8.20 일부 비교하여 보충 9월
설명
•총괄적인 경제성 분석
보완

- 256 -
부록 # 11 : SD-15 미 성능형 규격 가이드북 해석판

D-15

성능형 규격 가이드
1장: 서론
목적
이 문서는 성능형 관련 용어(performance terms)의 요구사항에 대한
작성(stating)과 부합성(conformance)을 평가하기 위한 충분한 설명
을 제공하는 것을 중점으로 성능형 규격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이
문서는 DoD 4120.24-M(국방 규격 프로그램(DSP) 정책과 절차)에 기
반하여 만들어진 국방 성능에 중점을 두었으며, 원칙(principles)과 기
법(technique)은 각각 프로그램만의 성능형 규격, 성능기반 구매 설명,
상업적 아이템 설명과 다른 종류의 조달 규격(specification)에도 적용
될 수 있다. 이 지침서는 포맷과 MIL-STD-961(국방과 프로그램 고유
의 규격 포맷과 내용(Defense and Program-Unique Specifications
Format and Content))에 기반한 성능형 규격을 적기 위한 콘텐츠 요
구사항을 보충하기 위함이다.

- 257 -
배경
1994년 성능과 규격(Specification and Standards)에 관한 정책각서
(memorandum)을 시작으로 가능할 때마다 요구사항을 성능용어로 만드는 것
이 공공연하게 통영되어왔다. 사실, 1952년에 DSP의 설립 이후 실행가능할 때
마다 요구사항을 성능형 관련 용어로 표현하는 것이 강조되어 왔다. 페리 장관
의 정책 각서에서 변화된 사항은 (1) 상세형 국방규격 요구사항을 사용 시 DoD
훈령(Instruction) 5000.02(국방획득체계의 운영)에 정의된 모든 중요 획득 범
주(category) 프로그램의 경우, 포기서류(Waiver)가 필요하고, (2) 국방성능형
규격이나 MIL-PRF같은 새로운 형태의 문서 지정이다.
1994년의 획득 개혁 시작 전에는, 성능형 용어로 설명된 국방규격 요구사항과
상세형 용어로 설명된 국방규격 그리고 혼합형으로 설명된 국방규격 요구사항
과의 차이가 없었다. ACAT프로그램에서 필요한 요구사항이 상세형 국방규격
일시 양해각서(Waiver)가 필요하도록 페리장관이 요구하면서 성능형 국방규
격으로 작성시 양해각서(Waiver)가 필요 없음에 따라, 상세형 국방규격과, 성
능형 국방규격간의 명확한 구분이 더욱 중요해 졌다. 또한 성능형 규격을 구성
하는 요소는 무었이고 어떻게 성능형 요구사항을 작성하는지가 더욱 중요해짐
에 따란 1995년 6월 첫 지침서가 배포되었다.

- 258 -
1994년부터 2000년까지 DoD는 29,000개 이상의 국방 규격과 기
준을 검토하였으며, 6,100개의 문서가 대체(replacement)없이
취소되었으며, 3,500개가 비정부 기준, 상업 용품 설명, 핸드북 그
리고 국방 성능형 규격으로 대체되어 취소되었다. 오늘날 DSP아
래에 약 2,600개의 국방 성능형 규격이 있다.
2005년 3월 29일, DSP 정책 메모 05-3(Elimination of Waiver
to Cite Military Specifications and Standards in
Solicitations and Contracts)이 발행되었다. 규격과 기준을 적
정하게 적용하고 목적 및 특정 기호에 맞는 요구사항을 작성할 수
있도록 DoD는 요구사항을 성능형 용어, 비국방 규격과 상용 물품
설명을 사용하게 하면서 양해각서(waiver)작성은 취소되었다.

1990년대의 국방획득 개혁 계획에서의 지속적으로 오해되어온 것


은 모든 상세형 국방규격과 기준이 모두 취소되었다는 것이다. 수
천개의 문서가 취소되거나 비정부 기준, 상엉 욥품 설명 그리고
국방 성능형 규격으로 대체되었지만, DoD는 수천개의 상세형 규
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여전히 국방획득 절차에서 중요한 역할을
지속적으로 담당하고 있다.

- 259 -
따라서, 성능형 규격을 DoD는 언제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정하고
이득이 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지침서는 그러한 이
해를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1995년 처음 SD-15가 발간된 이후로 많은 것이 바뀌어왔다. 이
업데이트는 그간 최근 정책, 절차 그리고 성능형 규격 관련 척학
과 지금까지 배운 레슨과 사례를 담고 있다.

규격 범주(Categories of Specification)
많은 규격을 범주 나누는 방법이 있다. 규격은 우선 개발하는 주
체에 따라 구분되어 질 수 있다. 사례로, 정부 규격, 산업 규격 그
리고 기업 규격이 있을 수 있다. 또 지리적 기원에 따라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국제 규격, 지역(regional) 규격, 국가 규격이 있
을 수 있다. 또 기능위주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능형 규격
이나 상세형 규격이 있을 수 있다.

- 260 -
성능형 규격
성능형 규격은 요구되는 결과나 준수사항을 입증하기 위한 기준
을 어떻게 달성해야된다는 상세한 설명없이 요구사항을 작성하는
것이다. 성능형 규격은 물품의 운영적 요구사항, 물품의 능력 그
리고 운영될 환경, 인터페이스, 상호운영성 그리고 호환성 등을
설명하게 된다. 또한 성능형 규격은 사전에 형성된 결과를 제시하
지 않는다.

상세형 규격
성능형 규격과 대비되어 상세형 규격을 사전에 형성된 요구사항
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여 어떻게 물품이 생산되어야 하는지를
설명한다. 상세형 규격은 사용될 자재, 특정 부품 및 부속품 그리
고 어떻게 물품이 제작/조립될지를 설명하게 된다. 상세형 규격은
가끔 “build-to-print"라고 지칭되기도 한다.

- 261 -
성능형 vs 상세형 규격
보통 계약자들이 고객의 요구사항에 대하여 혁신적이고 기술적으
로 진보되고 최상의 가치를 부여하는 솔루션을 낼 수 있도록 유연
성을 부여할 수 있는 성능형 용어에 기반한 요구사항이 선호된다.
상세형 규격은 고객의 요구사항에 대한 하나의 솔루션만이 나올
수 있게 한정하게 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제시된 솔루션은
지술적으로 최고의 방법이 아닐수도있고 있고, 비용효과적 솔루션
이 아닐 수도 있다. 특히 체계단계의 생산전이나 상품개발 단계
에서 성능형 규격을 사용하여 요구사항을 전달하는 것이 다양한
기술적 옵션을 열어둘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
성능형 규격은 몇몇의 공급자만 생산이 가능한 특정 솔루션을 강
제하지 않음으로써, 상용 공급자 같은 잠재적 공급자의 수를 늘릴
수 있다. 잠재적 공급자가 많다는 것은 주로 더 적은 비용, 더 좋
은 상품 유효성과 지원, 더 안정적인 산업기반 그리고 더 적은 노
후화 관련 이슈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성능형 규격을 사용하면 정부는 계약자가 어떻게 요구사항을 맞
추어야 하는지를 말해주지않음으로써 설계위험을 이전할 수도 있
다.

- 262 -
대비되어, 상세형 규격은 정부가 자재, 부속품, 부품 그리고 제장
과 조립 절차를 만듦으로써 원래의 요구 목적을 달성하는데 더 많
은 위험을 갖게 된다.
성능형 규격은 보통 상세형 규격에 비해 더 적은 문서를 요구한다.
이것은 특히 더 비싸고, 어렵고 그리고 상세형 규격을 지속하기에
더 많은 자원이 필요되는 물품, 기술이 급격히 변하는 분야에 더
해당한다.
성능형 규격이 사용 및 개발하는게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지
만 여전히 상세형 규격을 개발하고 사용하는게 더 선호되는 경우
도 있다. DoD는 개발된 상품의 고유 특성으로 인하여 오로지 국
방에만 특화되고 상업적 잠재성이 없고 소수의 특정 공급자만이
제공할 수 있는 물품에 많은 자원을 투자해야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시 상세형 규격이 선호된다. 체계 개발 절차에서 상품개발과
예비 설계시 성능형 규격이 더 많이 쓰이고 있다. 물품의 베이스
라인이 성숙되고 점점 만드는 단계의 설명이 될수록 성능형과 상
세형 규격이 섞이게 된다. 기준 솔루션이 만들어지고 나면 DoD는
예산, 자원 그리고 시간상 다른 잠재적 솔루션을 평가할 여력이
없게 된다. DoD가 상세형 규격이 적정하다고 판단한 몇 개의 사
례는 다음과 같다.

- 263 -
∙ 미군의 궤도차향 지원 트랙 체계를 위한 육군의 규격
(MIL-DTL-11891)
∙ 잠수함 위장 페인트를 위한 해군의 규격, MIL-DTL-24631.
∙ 조종사 안전에 필수적인 중력을 견딜 수 있는 전투 조종사들이
입는 내중력 전투복을 위한 공군의 규격, MIL-DTL-83406.
또한 요구사항의 성격이 특정 솔루션을 요구해야 함으로써 상세
형 규격이 의무화되는 경우도 있다. 가령,
∙ 육군명예장식용 메달(Army Medal of Honor Decoration)은
모든 메달들이 같은 모습을 띌 수 있도록 형상, 크기, 그리고 자재
에 관한 상세하게 정해져있는 세부사항들이 필요하다.
∙ 국립지리정보국의 특정지여고 심볼의 디지털 디스플레이에 관
한 규격의 경우 해당 심볼에 대한 내용과 포맷을 정확히 지정해야
모든 무기체계 및 장비에 같은 모양으로 뜨기 때문에 상세형 규격
이 필요하다.
이 지침에 적용가능한 문서들
밑의 리스트들은 참조된 모든 문서를 리스트한 것이 아니다. 이
지침서는 실제 사례들의 목적을 참조한다.

- 264 -
이 문서들의 상당수는 ASSIST(Acquisition Streamlining and
Standardization Information System) 데이터 베이스에서 획득
가능하며 링크는 다음과 같다 http://assist.daps.dla/quicksearch.
밑에 나열된 문서들은 이 지침서의 특정 면들을 더 이해하는데 도
움이 되는 문서일 뿐이다.

CJCSI 3170.01, Joint Capabilities Integration and


Development System24)
Defense Acquisition Guidebook25)
DoD 4120.24-M, Defense Standardization Program (DSP)
Policies and Procedures26)
DoD Directive 5000.01, The Defense Acquisition System27)
DoD Instruction 5000.02, Operation of the Defense Acquisition System28)
Federal Acquisition Regulation29)
Federal Standardization Manual30)
MIL-STD-961, Defense and Program-Unique
Specifications Format and Content31)
OMB Circular A-119, Federal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and Use of Voluntary Consensus Standards
and in Conformity Assessment Actwww.dsp.dla.mil

- 265 -
2장: 성능형 규격 정책

일반사항
성능형 규격의 개발과 사용을 위해 DoD 정책과 절차를 제시하는
문서들은 다음과 같다.
∙ Federal Acquisition Regulation
∙ DoD 4120.24-M, Defense Standardization Program
Policies and Procedures
∙ Defense Acquisition Guidebook

성능형 규격 관련 내용과 포맷에 관련한 요구사항은


MIL-STD-961(Defense and Program-Unique Specification
Format and Content)에 포함되어 있다.

모든 문서들은 필요시 상세형 규격이 수용가능함을 인정함과 동


시에 성능형 규격의 개발과 사용을 더 우선시 하고 있다. 밑의 내
용은 성능형 규격관련 문서에서 발췌한 것이다. 몇몇의 케이스에
서는 정책 포인트의 명확성을 위해 부가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 266 -
연방획득규정(FAR: Federal Acquisition Regulation)
FAR 단락(paragraph) 11.101 로부터 발췌
“(a) 기관들은 그들의 니즈에 맞게 다음과 같은 우선순위에 맞추
어 기존의 요구사항 문서 또는 기존의 문서를 변경 및 취합한 문
서 또는 새로운 요구사항 문서를 만들 수 있음.

(1) 법에 의해 사용되도록 정해진 문서.


(2) 성능형 중심의 문서
(3) 상세형 중심의 문서
(4) 기준, 규격과 정부 및 국장 이외의 곳에서 출판된 관련 간행물.

(b) OBM Circular A-119에 근거하여 (Federal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and Use of Voluntary Consensus
Standards and in Conformity Assessment Activities와
Section 12(d) of the National Technology Transfer and
Advancement Act of 1995, Pub. L. 104-113 (15 U.S.C.
272 note)), 관련 기관들은 반드시 정부에서만 고유하게 쓰이
는 표준 대신에 공통의 표준이 있을 시 법에 접촉되거나 비현
실적이지 않는 이상 그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 267 -
논평(Commentary): FAR의 정책들은 가끔 명확하지 않을 때가
있다. 11.101(b) 호(Subparagraph)는 공법(Public Law)과
OMB Circular A-119가 연방기관이 비정부0표준 같은 자발
적 표준을 법에 접촉되거나 실현불가능하지 않는 이상 사용하
도록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11.101(a)(2)호(subparagraph)
는 성능형 중심의 문서를 선호하며 이는 상세형의 비정부 표준
보다 성능형의 정부 규격을 더 선호한다는 것이다. 이 건에 관
한 것을 명확하게 하는 것은 11.101(a)(1)호이다. 이 호에서는
법에서 요구하는 문서가 최우선순위가 된다고 밝히고 있으며
공법(Public Law) 104-113은 비정부 표준을 정부만의 표준보
다 우선시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만약 성능형 기반의 비정
부 표준과 상세형 기반의 비정부 표준이 있을 시에는 성능형
기반의 비정부형 표준이 선호된다.

- 268 -
DoD 4120.24-M, 국방 표준 프로그램 정책과 절차

성능형 용어(terms)에 관련한 요구사항에 대한 선호도는


DoD-4120.24-M에 나오고있으며 전반적인 정책에 관련한 기본
은 다음과 같음.
C 3.7 상품 설명
즉각적인 기술적 니즈와, 획득 니즈를 만족하고 물류지원, 경쟁
품질, 상용품 사용의 절차, 최고의 가치 획득, 표준화 같은 것을
포함하는 장기적인 획득 목표를 반영하는 상품에 대한 설명을 하
려면 제대로 된 타입의 상품설명을 개발하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
하다.
C.3.8.1 일반사항
DoD는 국방과 연박 규격과 표준화에 있어 상세형 규격보다는 성
능형 규격을 선호하고, 비정부 표준화를 선호함.

- 269 -
국방 획득 가이드 북
다음은 'Defense Acquisition Guidebook'의 섹션 11.6인
'Implementing a Preformance-Based Business
Environment"에서 발췌한 것이다.

“국방부는 새로운 체계를 구매할 시, 주요 변화를 줄시, 현 체계를


업그레이드 할 시 그리고 모든 획득분류에서 사용품을 사용할 시
에는 보통 성능형 규격(i.e.. DoD성능형 규격, 상엄용품 설명 그리
고 성능형 비정부 표준)을 사용할 것이다. 국방부는 추가적으로
현재 있는 체계를 재조달 할시에는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하는 것
을 강조하고 있다.”

“만약 필수적인 인터페이스나 상호운용성 요구사항에 대한 것이


성능형 규격이 실행가능하지 않거나 성능형 용어로 요구사항을
작성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면 국방부는 니즈를 규범적
(Prescriptive)요구사항을 사용하여(i.e. 크기, 자재 등등)을 사용
하여 작성한다.”

- 270 -
“체계, 부체계, 부속품, 초도생산계약 후의 서비스, 생산 후 기술
적 결합 및 무기운용체계 최신화 등을 조달 시 성능형 규격을 사
용하거나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하도록 한다.”

3장. 요구사항의 정의

“간극은, 무엇을 원하는지만 안다면 발명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아는 발명가와, 과학이 얼마나 해줄 수 있는지만
안다면 무엇을 원하고 요청할 것인지 아는 군인 사이에 발
생한다. 이 간극은 아직 결코 메워지지 않았다.”
- 윈스턴 처칠(Winston Churchill)의 <제1차 세계대전
(The Great War)>에서.

- 271 -
사용자 니즈(needs)의 식별 및 정의
윈스턴 처칠은 전투원(warfighter)의 니즈를 식별하고 정의
하는 것과 그 해결을 위해 기술 커뮤니티와 커뮤니케이션하
는 것의 어려움을 잘 알고 있었다. 전투원이 획득 및 라이
프사이클(life-cycle) 지원의 궁극적인 수혜자이기 때문에
전투원이 물품(material)의 필요를 정의하는 것이 적절하다.
합동능력통합개발시스템(Joint Capabilities Integration
and Development System, JCIDS)은 미래 국방 프로그램
의 요구사항을 정의하는 절차이다. 아래는 물품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기술하는 데 관련되는 절차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다. JCIDS 절차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CJCSI 3170.01 <합
동능력통합개발시스템>을 참조하기 바란다.
JCIDS는 전투사령관이 확인한 역량의 부족이나 간극에 대
해 명시한다. JCIDS는 모든 국방부서의 니즈를 반영하고자
하며 성능형에서 필요한 역량을 식별하는 요구사항 발생 절
차에 초점을 두는 요구사항의 개발에 대해 안내한다. JCIDS
가 주요하게 강조하는 것은 작전상의 공백(operational
gap)이 비물질적 해결(예: 정책, 훈련 등의 변화), 물질적
해결, 두 가지의 혼합 중 어떤 것이 필요한지 결정하는 것
이다.

- 272 -
JCIDS 절차는 역량기반평가(Capabilities Based Assessment,
CBA)의 개발로 시작되는데, 이는 요구되는 역량, 역량의 차
이, 관련된 작전상 위험, 비물질적 해결의 실행 가능성 평
가, 가능한 해결 유형 추천 등을 식별한다. CBA 결과는 비
물질적 해결을 위한 합동 정책, 조직, 훈련, 물품, 리더십,
교육, 인력 및 설비 변경 추천(Doctrine, Organization,
Training, Materiel, Leadership and Education,
Personnel or Facilities Change Recommendation,
DCR) 또는 물질적 해결을 위한 최초역량문서(Initial
Capabilities Document, ICD)에 문서화된다. ICD는 역량
차이나 다른 결점을 식별하고 물질적 접근을 평가한다. ICD
는 궁극적으로 물질적 개발 결정을 승인하고 제안된 물질적
해결이 실행 가능한지 구현할 것인지에 대한 A단계 결정
(Milestone A decision)을 지지한다.

기술 개발 단계가 완료될 때, 제안된 물질적 해결의 작전


상 수행 속성을 식별하기 위해 역량개발문서(Capability
Development Document, CDD)가 개발된다. CDD는 엔지
니어링 및 제조 개발 단계를 시작할 것인지에 대한 B단계
결정(Milestone B decision)을 지지한다. 엔지니어링 및 제
조 개발 단계가 완료될 때, 요구되는 역량을 제공하는 시스
템의 실제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역량생산문서(Capability
Production Document, CPD)가 개발된다.

- 273 -
CPD는 생산 및 배치를 시작할 것인지에 대한 C단계 결정
(Milestone C decision)을 지지한다. CPD와 CDD의 주요
차이점은 CPD가 개발 절차 동안 얻은 교훈을 반영하여 주
요 수행 한도의 기준치(thresholds)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CDD와 CPD 모두의 경우, 사용자는 물품 개발자가
가장 비용 효율적이고 기술적으로 진보한 해결을 추구하는
것을 불필요하게 차단하지 않고 조달 활동이 이러한 요구사
항을 성능형 규격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니즈를 반드시 명
시해야 한다.
JCIDS 절차는 전투원의 시스템 획득에 해단 요구사항을 식
별해야 하는데, 시스템이나 장비가 배치되고 나면 프로그램
사무소 및 조달 활동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
해 많은 다른 절차가 존재한다. 정부-산업 간 데이터 교환
프로그램(Government-Industry Data Exchange
Program, GIDEP), 제품 품질 결함 보고서(Product
Quality Deficiency Reports, PQDRs), 자재 결함 보고서
(Material Deficiency Reports, MDRs), 엔지니어링 조사
(Engineering Investigations, EIs), 인수 검사 결함 보고
서(Acceptance Inspection Deficiency Report, AIDRs),

합동 결함 보고 시스템(Joint Deficiency Reporting


System, JDRS), 엔지니어링 실행 연구(Engineering
Practice Studies, EPS)는

- 274 -
그러한 메커니즘과 도구의 일부로 배치된 시스템 및 장비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을 수집하고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때때
로 이러한 피드백은 규격의 개발이나 업데이트를 유발한다.
가능하다면 사용자 요구사항은 필요한 역량 또는 개선의 측
면에서 명시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성능형 규격에
반영될 수 있다.
시장조사 및 분석
효과적인 성능형 규격을 작성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실제 니
즈와 이를 충족할 수 있는 제품의 기술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모두 충족하는 최선의 방법은 사용자
를 프로세스에 참여시키는 시장조사 및 분석을 통해서이다.
시장조사 및 분석은 식별된 사용자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시장 역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을 의
미한다.
시장조사 및 분석은 다음과 같은 이슈에 대한 정보를 수집
하고 이해하는 데 필요 하다.
Ÿ 현 기술 상황 및 복잡성
Ÿ 공급 역량
Ÿ 제품 수용성
Ÿ 제품 비용 또는 가격 범위
Ÿ 일정 가능여부
Ÿ 일반적 계약 조건

- 275 -
시장조사 및 분석은 요구사항을 정의하기 위한 모든 노력에
서 중요한 부분이 되어야 한다. 성능형 규격 초안에 대한 업
데이트는 새로운 시장 데이터가 나오고 업계와 사용자로부터
의 피드백이 타당한 획득 전략 추천을 개발하는 데 적합한
변화라고 인정될 때마다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시장조
사에서 수집된 전보는 관련 기술, 가능한 대안, 상업 제품으
로 요구사항을 충족할 가능성 등을 이해하기 위해 분석될 수
있어야 한다. 좋은 방법은 성능형 규격의 초안을 사용자와 업
계에 보내 리뷰 및 코멘트를 받아서 모든 사람이 작전상 요
구사항에 대해 동일한 이해를 공유하며 규격이 요구사항을
충족함을 확인하는 것이다. 규격 초안에 대한 사용자와 업계
의 피드백은 획득 사이클 시간을 단축시키고, 부가가치가 없
는 불필요한 비용 발생을 방지하고, 과도하게 복잡하거나 불
필요한 요구사항을 제거하고, 최종 성능형 규격을 포함한 차
후의 요청에 대한 업계 반응성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시장조사에 대한 더 자세한 가이드는 SD-5 <시장 조사: 상


업 제품 및 서비스와 정부 획득 규정에 대한 정보 수집>의
파트 10, 시장 조사 부분을 참조하기 바란다.

- 276 -
성능형 규격의 개발
성능형 규격을 개발함에 있어서, 공급자가 사용자에게 실행
가능하고 실용적이고 운용 가능한 해결책을 제공하는데 필
수적인 니즈의 측면만을 기술해야 한다. 결과 중심, 측정
가능성, 작전상, 기능상, 수행 역량 및 특성 등의 측면에서
니즈를 설명함으로써, 니즈는 시스템 엔지니어링 배분, 설
계, 제조, 획득 절차의 일환으로 발생하는 확인 기능 등에
걸쳐서 확인 가능하게 될 것이다. 다음 분야는 사용자 요구
사항이 일반적으로 발생되는 전형적인 니즈를 보여준다.
Ÿ 지휘, 통제, 커뮤니케이션, 컴퓨터와 지능 구조 인터페이
스, 프로토콜 공용성, 상호운영성
Ÿ 물리적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시스템과의 상호운영성,
지원 장비나 설비
Ÿ 범위
Ÿ 속도
Ÿ 동력
Ÿ 봉투(크기)
Ÿ 효율성
Ÿ 정확성
Ÿ 탑재량

- 277 -
Ÿ 안전성
Ÿ 내구성
Ÿ 음향
Ÿ 환경 조건
Ÿ 핵, 생물학적, 화학적 효과
Ÿ 신뢰성
Ÿ 가용성
Ÿ 정비성
Ÿ 상호교환성
Ÿ 지원성
Ÿ 운반성
Ÿ 전자기적 효과
Ÿ 인간 요소 통합
모든 성능형 규격을 개발함에 있어서 데 첫 번째 단계는 작
전상 요구사항을 완전히 이해하는 것이다. 기본적인 질문들
을 다음과 같다.
Ÿ 어느 요구사항이 최소의 기준치인가?
Ÿ 무엇이 각 기준치인가? 이에 개한 이해를 얻는 최선의
방법은 사용자가 요구사항의 개발에 참여하게 하는 것이
다.

- 278 -
Ÿ 무엇이 적용을 제한하는가? 운영이나 사용에 대한 모든
제약은 명시되어야 하며, 예를 들면 자연적, 유도된 환
경, 다른 시스템이나 장비와의 인터페이스, 운영이나 유
지 한계 등이 있다.
Ÿ 이 요구사항이 필요한가?
Ÿ 이 요구사항이 성취 가능한가?
Ÿ 이 요구사항이 검증 가능한가?
Ÿ 이 요구사항을 어떻게 검증할 것인가?
Ÿ 어떤 종류의 검사가 수행되어야 하는가?

4장. 성능형 규격의 유형

이 가이드는 주로 MIL-STD-961 <국방과 프로그램 특화


규격 형식 및 내용>에서 다루는 국방과 프로그램 특화 규격
에 대한 것이지만, 이 장에서는 다른 유형의 성능형 규격이
언급될 것이다. 서로 다른 유형의 성능형 규격들의 계획,
양식상 요소, 형식, 내용 등은 다양할 수 있지만 성능형 규
격을 작성하는 기본적인 원칙은 유사하다.

- 279 -
비정부 성능형 표준
OMB Circular A-119 <자발적 합의 표준의 개발 및 사용
과 적합성 평가 활동에 대한 정부의 참여>는 각 “기관이 관
행적 표준 대신에 성능형 표준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할 경
우, 성능형 표준을 사용하는 것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것이
연방 정부의 정책임을 명시하고 있다. 비정부 표준이 성능
형으로 작성되었음을 평가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이러한 평
가를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문서를 읽어야만 한다. 그러
나 많은 경우에는 문서 제목이 성능형 규격 또는 표준인지
알려준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Ÿ AIA NAS 1192 <알루미늄 합금 하드 아도닉 코팅(Hard
Anodic Coatings)의 성능형 규격>
Ÿ ANSI/CEA 2009 <공공 경보 수신기의 성능형 규격>
Ÿ ASTM C1157 <수경성 시멘트의 성능형 규격>
Ÿ IEC 60081 <이중 마개의 형광등 - 성능형 규격>
Ÿ IPC 6011 <인쇄 기판의 일반 성능형 규격>
Ÿ ISO 15837 <선박 및 해양 기술 – 파이핑 시스템에서
사용을 위한 개스킷 기계적 연동 – 성능형 규격>
Ÿ NEMA WC 63.2 <동축 전제 데이터 통신의 성능형 규격>
Ÿ SAE AS5498 <기내 결빙 감지 시스템의 성능형 규격>

- 280 -
대부분의 비정부 표준은 상세한 설계 요구사항이나 상세한
설계와 수행 요구사항의 조합으로 작성되어있다. OMB
Circular A-119가 성능형 비정부 표준을 우선시하지만, 비
정부 표준이 정부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정부 문서
보다 어떤 유형이든 비정부 표준 문서를 우선시하기도 한
다. 비정부 표준은 대개 이를 출간하는 표준 개발 기관으로
부터 온라인상으로 구할 수 있다.

상용 물품 설명
상용 물품 설명(commercial item descriptions, CIDs)는 본질
적으로 성능형 규격으로 분류되지 않지만 성능에 기반하는 문서
이다. CID는 간략하고 단순한 규격으로써, 정부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상용 제품의 기능, 수행, 물리적 인터페이스 요구사항을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매우 상세한 설계 요구사항을 작
성한 CID의 사례도 있지만, CID가 미국 총무청의 정부 표준화
매뉴얼이 정한 기준에 의거하여 작성되었다면 일반적으로 성능
형 규격으로 간주될 수 있다. CID는 온라인에서 무료로 볼 수
있으며 획득 간소화 및 표준화 정보 시스템(Acquisition
Streamlining and Standardization Information System,
ASSIST) http://assist.daps.dla/quicksearch/의 데이터베이스
를 참조하기 바란다.

- 281 -
국방 성능형 규격
국방 성능형 규격은 군 특화된 자재. 부품, 요소, 장비, 자
급 및 지원 물품, 여러 시스템이나 장비 또는 여러 프로그
램에서 사용될 수 있는 품목의 시스템 수준 이하의 가능한
모든 물품에 대한 표준화를 목적으로 한다. 국방 성능형 규
격에 대한 형식과 내용 요구사항은 MIL-STD-961 <국방과
프로그램 특화 규격 형식 및 내용>에서 다루고 있다. 이 문
서는 “ML-PRFs”라고 불리는데, 문서 식별자가 “MIL-PRF”
로 시작하기 때문이다(예: MIL-PRF-1234) 국방 성능형 규
격은 온라인에서 무료로 볼 수 있으며 ASSIST
http://assist.daps.dla/quicksearch/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기 바란다.
가이드 규격
가이드 규격(규격 가이드라고 칭하기도 함)은 주로 유사 물
품군의 개발과 관련된 필수적인 성능형 변수를 식별한다.
가이드 규격은 시스템, 하위시스템, 장비, 어셈블리 등의 유
형에 대한 프로그램 특화 규격을 개발하는 표준 템플릿 시
작점이다. 가이드 규격은 특정 물품을 위한 것이 아니라 한
제품 유형의 일반적 요구사항을 다룬다. 예를 들면, 항공
시스템에 대한 가이드 규격은 있을 수 있지만 F-35기에 대
한 가이드 규격은 있을 수 없다.

- 282 -
항공 시스템에 대한 가이드 규격은 F-35기에 대한 프로그
램 특화 시스템 규격을 개발하는 템플릿의 역할을 할 것이
다. 가이드 규격은 재조달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어서는 안
되며, 일반적으로 요소, 부품, 자재의 획득을 위해서 사용되
어서도 안 된다. 가이드 규격의 형식과 내용 요구사항은 유
동적이지만 최소한의 요구사항은 DoD 4120.24-M <국방
표준화 프로그램 정책과 절차>에 나와 있다. 가이드 규격은
온라인에서 무료로 볼 수 있으며 ASSIST
http://assist.daps.dla/quick search/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기
바란다.

가이드 규격은 프로그램 특화 규격을 개발할 때 반드시 포


함되거나 고려되어야 하는 성능 역량을 식별한다. 전형적으
로 특정 성능 역량은 가이드 규격에서 빈 칸으로 남겨져 있
으며 필요한 성능 역량으로 이를 채움으로써 프로그램 특화
요구사항에 맞춰진다. 그 빈 칸은 정부나 계약자, 또는 전
부-계약자 통합 제품 팀에 의해서 제품 개발 프로세스의 적
절한 시점에 필요한 프로그램 특화 규격을 개발하기 위해
채워질 수 있다.

- 283 -
가이드 규격은 그 빈 칸이 어떻게 채워질 것인지에 대한 방
향을 제시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가이드는 어떻게 결과를
성취할 것인가 보다는 어떻게 요구되는 결과 측면에서 성능
역량을 명시할 것인가에 대해서 제공된다. 성능 요구 사항
에 도달하는 데에는 큰 유동성이 주어지지만 일부 경우에
이미 알려진 필요한 상호운영성이나 인터페이스 요구사항이
있을 때, 가이드 규격은 그 필요한 상호운영성이나 인터페
이스 요구사항을 구체적으로 명시할 수 있다.
가이드 규격은 각 성능 변수에 대한 검증 요구사항을 포함
한다. 검증 요구사항은 일반적으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
해 선택될 수 있는 여러 옵션을 제공한다.
가이드 규격은 해당 물품에 대해 적용될 수 있는 가능한 성
능 능력을 다양하게 예측하는 포괄적인 문서인 경향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가이드 규격은 불필요한 요구사항을 조정
하게 하는 가이드를 포함하여 개발 중인 특정 프로그램에
필요한 요구사항만이 포함되도록 한다. 또한 대개 가이드
규격은 과거 발생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이전의 프로그램
에서 얻은 교훈을 강조한다.
부록 B는 가이드 규격에서 볼 수 있는 성능 요구사항의 유
형에 대한 예시를 제공한다.

- 284 -
프로그램 특화 성능형 규격
여러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국방 규격과는
다르게, 프로그램 특화 규격은 보통 하나의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에만 적용된다. 프로그램 특화 규격에는 다섯
가지 유형이 있다: 시스템 규격, 물품 규격, 소프트웨어 규
격, 자재 규격, 절차 규격. 시스템 개발 중에는 이러한 다른
유형의 프로그램 특화 규격은 세부 수준을 다르게 하여 시
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프로그램 특화 규격의 형식과 내용
은 MIL-STD-961 <국방과 프로그램 특화 규격 형식 및 내
용>에서 다루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이드 규
격은 가능하다면 프로그램 특화 규격의 개발을 돕는 템플릿
으로 사용될 수 있다. 프로그램 특화 규격 사본은 일반적으
로 프로그램 사무소나 주요 계약자에게만 사용 가능하다.

시스템 획득을 위해서 정부는 시스템을 기술함에 있어서 최


고 수준 기능, 성능, 사용자가 정한 운영 요구사항에서 도
출된 인터페이스의 측면을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시스템
수준의 설명은 프로그램 특화 시스템 성능형 규격에 문서화
된다.

- 285 -
이후 시스템 규격 요구사항은 시스템 수준 이하의 물품으로
내려오거나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물품 설명은 대개 프로
그램 특화 물품의 성능형 규격에 포함되는데 이는 지정된
기본 설계 요구사항이 된다. 때로는 그 물품 설명이 여러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국방 성능형 규격에
포함되기도 한다. 부록 C는 프로그램 특화 성능형 규격의
예시를 제공한다.

설계 활동은 물품 성능 요구사항을 제조 요구사항으로 옮기


는데 이는 물품 상세형 규격으로 문서화되어 궁극적으로 제
품 기준치가 되고 성능형과 상세형 설계 프로그램 특화 물
품 규격, 소프트웨어 규격, 절차 규격, 자재 규격, 비정부
표준, 상용 물품 설명, 국방 규격 및 표준, 정부 규격 및 표
준, 도안, 기술적 매뉴얼, 기타 유형의 기술적 문서 등을 모
두 포함할 수 있는 기술적 데이터 패키지(Technical Data
Package)가 된다.

- 286 -
5장. 성능형 규격의 작성

국방 성능형 규격과 프로그램 특화 성능형 규격의 작성을


위한 형식과 내용은 MIL-STD-961 <국방과 프로그램 특화
규격 형식 및 내용>에서 다루고 있다. 이 정보를 이 장에서
반복하지는 않을 것이다. 대신 이장에서는 성능형 규격이
상세형 규격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다룰 것이며, 여러 미
국방부(DoD) 활동에서 상세형 규격을 성능형 규격으로 어
떻게 재작성했는지에 대한 사례를 제시할 것이다. 이 장에
서 제시되는 사례들은 규격 출판 당시에 발췌한 텍스트의
일부분을 편집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서의 뒤쪽에 반복되
는 부분이 상세형 규격이며 같은 문서의 앞쪽에 반복되는
부분이 성능형 규격이다. 이 사례들은 구체적 학습 포인트
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의 기술적 요구사항이나 문서
의 최신판, MIL-STD-961의 최신 형식 및 내용 요구사항을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 287 -
성능형 규격과 상세형 규격의 비교
규 격 성능형 규격 상세형 규격
요구사

섹션 1 양 규격에서 동일함.
- 범위

섹션 2 성능형 규격은 일반적으로 상세형 규격은 일반적으로


– 준거 더 적은 참조 문서가 있다. 성능형 규격보다 더 많은
문서 시험 방법 표준, 인터페이스 참조 문서가 있다. 그
도안, 표준, 규격, 기타 이유는 자재와 부품 및
성능형 규격 등을 참조한다. 요소 규격, 제조 프로세스
그러나 때로는 성능형 규격 문서, 기타 상세형 규격
하나에 많은 참조 문서가 등을 참조로 사용하는 것이
있을 수 있는데, 특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성능형 규격이 충족함을
검증해야 하는 많은 시험
방법 표준이 있는 경우에
그러하다. 일반적으로
성능형 규격은 상세형
규격을 참조해서는 안 되나,
인터페이스, 상호운영성,
또는 다은 시스템, 장비,
부품, 운영 환경 등과의
호환성을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는 예외로 한다.

- 288 -
섹션 3 성능형 규격과 상세형 규격의 가장 큰 차이점은 섹션
- 3이다.
요구사항

1. 일반 무엇이 요구되는지를 “어떻게”에 대한 것과


명시하지만 어떻게 해야 구체적 설계 요구사항을
하는지는 명시하지 않는다. 포함한다. 가능한 많은 성능
계약자에게 특정한 자재나 요구사항을 포함해야 하지만
절차, 부품 등을 한정해서는 상세형 요구사항과
안되지만, 정부가 품질이나 상충해서는 안 된다.
신뢰성, 환경, 안전 등의
문제가 있다고 할 때 특정
자재나 절차, 부품을 금지할
수 있다.

2. 자재 구체적 사항은 계약자에게 규격이나 표준에 부합하는


맡기나, 일부 자재 특성을 특정 자재를 요구할 수
요구할 수 있다(예: 부식 있다.
저항성) 또한 특정 자재,
해롭거나 독성 물질, 환경에
해가 되는 물질 등의
사용을 금지할 수 있다.

3. 성능 물품이나 시스템이 역량, 상세형 규격은 대개 성능


기능, 운영의 측면에서 요구사항을 갖는다. 그러나
무엇을 할 것인지 명시한다, 이는 다른 상세 설계
상하한의 성능 특성이 요구사항이 그 성능
목표나 최선의 노력으로서가 요구사항을 충족시키지
아닌 요구사항으로 못하는 경우에는 위험할 수
명시된다. 있다.

- 289 -
4. 설계 “어떻게” 설계하는지에 “어떻게”에 대한 것과
대해서는 다루지 않지만 구체적 설계 요구사항을
설계 검증을 위한 포함한다. 대개 정확한
요구사항은 포함한다. 설계 부품과 요소를 구체화한다.
검증은 자재 및 부품이 구체적 도안에 부합하는
모든 성능 요구사항을 요구사항을 명시한다.
충족시키는 성능형 규격의
필수적 요소이다.
5. 인터페이스, 상호운영성, 물품과 부품의 무게, 크기,
물리적 물품의 운영 환경, 전체 면적 등을 구체화한다. 설계
특성 무게 및 포장 크기, 인간 관련 상세 내용은 대개
요소 등에 필요한 범위 인터페이스 등에 필요한 것
내에 한해 구체적 내용을 이상이다.
제시한다.
6. 상세형 규격과 성능형 규격이 유사하다. 상호운영성,
인터페 상호교환성, 호환성을 확인하기 위해 형태와 핏(fit)
이스, 요구사항이 가능하다.
상호운
용성,
호환성
요구사

7. 절차 대개는 절차를 구체화하지 결과를 성취하기 위해
않지만, 만약에 그럴 경우 따라야 할 절차와 과정(온도,
요구사항은 절차의 바람직한 시간, 다른 조건)을 주로
결과로서 명시되고, 정확히 구체화한다. 예를
계약자의 일반적인 상용 들어, 온도, 가열 냉각, 기계
절차를 필요로 하거나, 가공, 피니싱(finishing),
가이드로서 제공된다. 페인트칠, 용접, 납땜 과정
등이 있다.

- 290 -
8. 부품 구체적 부품을 요구하지 어떤 조임장치, 전자 부품,
않는다. 시트 스톡(sheet stock)
등이 사용될 것인지
명시한다.

9. 일반적으로 시공, 제조, 관련 단계를 기술하거나


시공, 조립 요구사항을 구체화하지 따라야할 과정을 참조한다.
제조, 않는다. 또한 어떻게 개별 요소가
조립 조립되는지 설명한다.

10. 일부 경우에 매우 일반적인 어떻게 물품이 작동하는지에


운영 설명을 제외하고는 기술하지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특성 않는다.

11. 매우 적은 요구사항 일부 경우, 단계나 과정을


작업숙 구체화한다.
련도

12. 양적 측면에서 신뢰성을 주로 알려진 믿을만한


신뢰성 명시한다. 또한 요구사항이 설계를 요구함으로써 신뢰성
충족되어야 하는 조건을 을 획득한다.
반드시 규정한다. 최소치가
각 요구사항에 대해
명시되어야 한다(예: 평균
고장 간격, 평균 교체 간격
등)

- 291 -
13. 양적인 정비성 요구사항을 예방적 정비성 요구사항이
정비성 구체화하는데, 평균 및 최대 어떻게 충족될 것인지
고장 시간, 평균 및 최대 구체화되어야 한다(예:
수리 시간, 정비 활동 간 성능에서 언급된 것에
평균 시간, 운영 시간 대 추가하여 따라야 할 구체적
정비 시간 비율, 정비 윤활 절차) 또한 유지보수
활동에 필요한 인원 수 및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기술 수준 제한, 운영 정확한 설계를 주로
시간당 정비 비용 등이 구체화한다.
있다. 추가적으로 해당
물품과 같이 사용 가능한
기존 정부 및 상용 진단
장비가 반드시 식별되어야
한다. 해당 물품과 진단
장비 간 호환성이 반드시
구체화되어야 한다.
14. 성능형과 상세형 규격 모두 고장이나 기계적 손상에 대한
환경적 근거를 얻기 위해 습도, 온도, 충격, 진동, 기타 환경적
운영 운영 요구사항을 갖는다.
요구사

섹션 4 성능형과 상세형 규격 모두 규격 요구사항에 부합함을
- 검증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1. 일반 성능형과 상세형 규격이 성능형과 상세형 규격이
유사하다. 기능적인 것을 더 유사하다. 일부 경우에
강조한다. 일부 경우에 설계에 대한 외관 검사를
성능에 대해 비교적 더 추가적으로 강조한다.
많은 검사를 수행한다.

- 292 -
2. 성능형과 상세형 규격이 성능형과 상세형 규격이
초도생 유사하다. 그러나 “혁신적” 유사하다.
산품 접근의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에 초도생산품 검사에
대한 필요성이 더 높을
경우가 많다.

3. 검사 양 규격이 동일하다.
조건

4. 자격 성능형과 상세형 규격이 성능형과 상세형 규격이


매우 유사하다. 다수의 매우 유사하다.
성능형 규격이 급변하는
기술 제품을 다루기 때문에
대부분의 성능형 규격은
자격 조항이 있다.

섹션 5 포장 정보는 주로 계약서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사실상


- 포장 성능형과 상세형 규격 간 차이가 없다. 모든 포장 관련
상세 요구사항은 성능형과 상세형 규격 둘 다에서
제외되어야 하며 MIL-STD-961에 명시된 표준문안의
포장 관련 단락이 사용되어야 한다.

섹션 6 주석 섹션은 양 규격에서 유사하나 특히 성능형 규격에서


- 주석 특히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과거에 유용했던
접근법이나 해결책에 대한 레슨 및 가이드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섹션이다.

- 293 -
사례 1. 섹션 2 준거 문서의 비교

상세형 규격을 성능형 규격과 구별하는 한 가지 특성은 준


거 문서의 개수이다. 아래 목록은 상세형 군 규격
MIL-H-49078 <핸드셋 H-250( )/U>에 명시된 참조 문서
와 이것을 성능형 규격으로 재작성한 것이다. 상세형 규격
은 35개의 참조 문서가 있으며 계약자에세 부품, 자재, 절
차의 선택과 핸드셋의 포장, 시험 장비의 설치, 테스트 장
비의 종류, 테스트 장비의 교정 방법 등에 대해 구체적인
지시를 제공한다. 상세형 규격을 성능형으로 재작성할 때,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요구사항은 기능적, 운영상 요구사항
으로 대체되어 거의 모든 참조 문서가 제외된다. 수정된 성
능형 규격 MIL-PRF-49078A는 연결 플러그에 대한 하나의
참조 문서만을 명시했는데 이는 핸드셋과 트랜시버
(transceiver) 인터페이스와 상호운영성을 위해 필요한 것
이다. 상세형 군 규격과 수정된 성능형 규격의 전문은
ASSIST 데이터베이스(http://assist.daps.dla/quicksearch/)
에서 볼 수 있다.

- 294 -
상세형 군 규격 MIL-H-49078 <핸드셋 H-250( )/U>의 참 해당 규격을 성능형 규
조 문서 격으로 재작성한
MIL-PRF-49078A <핸
드셋 H-250( )/U>의 참
조 문서
규격 규격

연방정부 국방부
T-T-871 <노끈, 섬유 면직물> MIL-C-55116/1
NN-P-71 <화물 운반대, 자재 운반, 목재> <커넥터, 플러그,
QQ-S-781 <스트랩, 철, 플랫, 인장> 파이브핀 오디오,
PPP-B-566 <상자, 폴딩, 판지> 크림프 슬리브
PPP-B-585 <상자, 목재, 와이어제본> 단자(Crimp
PPP-B-601 <상자, 목재, 합판> Sleeve
PPP-B-621 <상자, 목재, 못 잠금 모서리> Terminals),
PPP-B-636 <상자, 섬유> 와이어 스트레인
PPP-B-640 <상자, 섬유판, 골판지, 삼중양면> 릴리프(Wire
PPP-B-676 <상자, 셋업> Strain Relief,
PPP-C-795 <완충제, 플라스틱 필름> U-229>
PPP-C-843 <완충제, 셀룰로오스>
PPP-C-1797 <완충제, 폴리프로필렌 발포고무>
PPP-F-320 <섬유판, 골판지, 솔리드시트>
PPP-S-760 <스트랩, 비금속 (커넥터)>
PPP-T-97 <테이프, 감압접착제>

- 295 -

MIL-P-116 <보존-포장, 방법>
MIL-P-11268 <전자 장비에서 사용하는 부품,
자재, 프로세스>
MIL-M-13231 <전자 물품 마킹(marking)>
MIL-F-14072 <지상 전자 장비의
피니시(finishes)>
표준
MIL-STD-105 <속성별 검사를 위한 샘플링
절차 및 표>
MIL-STD-129 <선적 및 보관 마킹>
MIL-STD-147 <화물 운반대와 컨테이너 단위
하중>
MIL-STD-202 <전자 전기 부품의 시험 방법>
MIL-STD-252 <유선 장비, 외관상 및 기계적
결함의 분류>
MIL-STD-454 <전자 장비에 대한 표준 일반
요구사항>
MIL-STD-810 <환경 시험 방법>

도안
육군 전자사령부
SC-GL-58877 <커넥터 U-182의
게이지(gages)>
DL-SM-B-27649 <Handset H-250( )/U>
SC-D-621083 <마이크 및 이어폰 시험실
해군
SK-N-864 <장비 생산 총기 발포 시뮬레이션>

비정부 출간물

- 296 -
미국표준협회(ANSI)
S3.7 <이어폰 커플러(coupler) 교정>
S1.10 <마이크 교정>
S1.12 <실험실 표준 마이크 규격>

전기전자기술인협회(IEEE)
258 <접화(close-talking) 마이크 시험 절차>

- 297 -
사례 2. 섹션 2 준거 문서의 비교

앞 장의 사례 1에서 본대로 상세형 규격은 정확한 자재, 부


품, 절차를 구체화하므로 성능형 규격보다 대개 더 많은 참
조 문서가 있다. 그러나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이 사례에
서 아래 목록은 상세형 군 규격 MIL-H-370G <호스와 호
스 어셈블리, 비금속: 탄성중합체, 액화 연료>에 명시된 참
조 문서와 이것을 성능형 규격으로 재작성한 것이다. 상세
형 규격은 자재, 연결 부품(이음쇠와 클램프(fittings and
clamps) 등), 시험 방법 표준과 관련된 18개의 참조 문서
가 있다. 이 경우, 재작성된 성능형 규격인 MIL-PRF-370H
에는 거의 동일한 개수의 참조 문서가 있다. 그러나 성능형
규격의 참조 문서 유형은 다르다. 성능형 규격은 상세 자재
규격을 제외하며 성능 요구사항에 부합하는지 확인하기 위
한 시험 방법 표준의 개수를 증가시켰다. 상세형 군 규격과
수정된 성능형 규격의 전문은 ASSIST 데이터베이스
(http://assist.daps.dla/quicksearch/)에서 볼 수 있다.

- 298 -
상세형 군 규격 MIL-H-370G 해당 규격을 성능형 규격으로 재
<호스와 호스 어셈블리, 비금속: 작성한 MIL-PRF-370H <호스와
탄성중합체, 액화 연료>의 참조 호스 어셈블리, 비금속: 탄성중합
문서 체, 액화 연료>의 참조 문서
규격 연방정부

연방정부 상용 물품 설명
WW-C-440 <클램프(clamps), A-A-59326 <커플링
호스, (저압력)> 반쪽(coupling halves), 빠른
분리, 캠 잠금(cam-locking)>
군 A-A-59377 <빠른 분리, 무성
MIL-H-775 <호스 및 어셈블리, 커플링>
고무, 플라스틱, 직물, 또는
금속(튜브 포함); 표준
이음쇠(fittings), 노즐, FED-STD-595 <정부 조달 사용
스트레이너(strainer), 포장 색상>
관련>
MIL-C-27487 <커플링 미국재료시험협회(ASTM)
반쪽(coupling halves), 빠른 ASTM D 380 <고무 호스 표준
분리, 캠 잠금(cam-locking) 시험 방법>
유형> ASTM D 381 <제트 증발
연료에 존재하는 고무질(gum)
표준 표준 시험 방법>
ASTM D 412 <가황 고무,
연방정부 열가소성 고무, 열가소성
FED-STD-H28 <나사 탄성중합체 표준 시험 방법>
날(screw-thread) 정부 서비스 ASTM D 413 <고무 속성 표준
표준> 시험 방법 – 접착성에서 신축성
FED-STD-H28/10 <나사 날 기질>
정부 서비스 표준 (섹션 10 미국 ASTM D 471 <고무 속성 표준

- 299 -
시험 방법 – 액체의 효과>
국립 호스 커플링 및 소방 호스 ASTM D 518 <표면 균열에
커플링 나사 날)> 대한 고무 변질 표준 시험 방법>
FED-STD-595 <정부 조달 사용 ASTM D 746 <충격에 의한
색상> 플라스틱 및 탄성중합체 취성
온도 표준 시험 방법>
군 ASTM D 790 <비강화 및 강화
MIL-STD-105 <속성별 검사를 플라스틱과 전기 절연 재료의
위한 샘플링 절차 및 표> 굴곡성 표준 시험 방법>
MIL-STD-129 <선적 및 보관 ASTM D 1053 <고무 속성 표준
마킹(marking)> 시험 방법 - 저온 경화: 신축
중합제 및 코팅 직물>
미국재료시험협회(ASTM) ASTM D 1149 <고무 변질 표준
B 26 <알루미늄 합금 모래 시험 방법 - 표면 오존 균열>
주조> ASTM D 2137 <고무 속성 표준
D 380 <고무 호스> 시험 방법 - 신축 중합제 및
D 381 <제트 증발 연료에 코팅 직물의 취성점(brittleness
존재하는 고무질(gum)> point)>
D 412 <고무 장력 속성>
D 413 <고무 속성 - 접착성에서 미국기계학회(ASME)
신축성 기질> ASME B1.20.1 <관용 나사,
D 471 <고무 속성 – 액체의 일반 목적(인치)>
효과>
D 518 <고무 변질> 미국수도협회(AWWA)
D 1053 <고무 속성 - 저온 AWWA C606 <홈이 있는
경화: 신축 중합제 및 코팅 숄더형 접합(shouldered joint)>
직물>
D 1149 <고무 변질 - 표면 오존
균열> (판상시편)>
D 3951 <상용 포장 수행 표준>

- 300 -
사례 3. 자재 요구사항

일반적으로 상세형 규격과 성능형 규격의 가장 큰 차이점


중 하나는 상세형 규격이 구체적이고 광범위한 자재 요구사
항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상세형 규격 MIL-C-11264D <컨
테이너: 목재, 선박, 재활용 - 탱크 자동 엔진, 변속기, 차
동 장치, 트랜스퍼, 최종구동장치, 구동축, 유사 어셈블리>
를 성능형 규격 MIL-PRF-11264E로 재작성하면 모든 자재
요구사항은 제외되며 성능 기반 요구사항으로 대체되는데
이는 내구성, 환경 유해 요인에 대한 저항성, 생존 충격, 조
립 및 분해 용이성 등에 합당한 특성 등이다. 제목 또한 변
경된다. 상세형 규격에서 기술한 기본 물품은 목재 선박 컨
테이너였다. 성능형 규격은 “목재”라는 단어를 제목에서 삭
제하는데 이는 성능형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 목재
이외의 다른 자재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세형 군 규
격과 수정된 성능형 규격의 전문은 ASSIST 데이터베이스
(http://assist.daps.dla/quicksearch/)에서 볼 수 있다.

- 301 -
MIL-C-11264D <컨테이너: 목재, MIL-PRF-11264E <컨테이너:
선박, 재활용 - 탱크 자동 엔진, 목재, 선박, 재활용 - 탱크 자동
변속기, 차동 장치, 트랜스퍼, 최 엔진, 변속기, 차동 장치,
종구동장치, 구동축, 유사 어셈블 트랜스퍼, 최종구동장치, 구동축,
리> 유사 어셈블리>
3.2 자재. 자재는 여기서 지재 요구사항은 모두
명시되고 규격 및 표준에서 제외되었다. 다음은 성능
언급된 바와 같아야 한다. 자재는 요구사항의 일부를 발췌한
성능이나 완제품의 내구성에 것이다. 상세형 규격
악영향을 주는 결함이 없어야 MIL-C-11264D은 성능형 규격을
한다(4.6.1 참조) 포함하지 않는다.
3.2.1 목재군(wood groups)의
사용. MIL-STD-731 목록에 있는 3.3 특성.
모든 목재는 유형 I 컨테이너의 3.3.1 성능.
목재로 사용 가능하다. 목재군 II, 3.3.1.1 적층 가능성. 컨테이너는
III, IV에 해당하는 종만 유형 가득찬 컨테이너는 1.5의 안전
II에서 유형 V 컨테이너의 목재로 계수로 4900 mm 높이로 쌓을
사용 가능하다(4.6.1 참조) 수 있는 방식으로 시공되어야
3.2.2 목재. 목재는 수분 한다. 컨테이너 적층 안전성을
함유량이 오븐 건조 무게의 19 높이기 위하여 상부와 하부
퍼센트를 초과하지 않고 12 접촉면을 서로 잠글 수 있는
퍼센트 미만이어서는 안 된다. 방법이 있어야 한다(4.6.2.1 참조)
조각은 규정된 공정이나 못질에 3.3.1.2 거친 취급. (4.6.2.2 참조)
방해가 되는 결함이 없어야 한다. 3.3.1.2.1 비스듬히 떨어뜨림.
옹이의 지름이 조각 너비의 컨테이너는 내용물의 손상이나
4분의 1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이동 없이 비스듬히 떨어뜨리는
외부 판자는 겉 표면을 충분히 것을 견딜 수 있어야
매끄럽게 하여 판독 가능한 한다(4.6.2.2.1 참조)
스텐실 마킹이 가능해야 한다.
목재는 여기서 다르게 명시되지

- 302 -
않는 이상 호칭 치수여야
한다(4.6.1 참조)

3.2.3 못. FF-N-105에 부합하는 3.3.1.2.2 진자 충격. 컨테이너는


시멘트 코팅된 싱커 못 또는 내용물의 손상이나 이동 없이
화학적으로 에칭한(etched) 싱커 진자 충격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4.6.2.2.2 참조)
못을 사용한다. 코팅하지 않은
3.3.1.2.3 경사면 충격.
못(bright nails)은 1/8 인치 컨테이너는 내용물의 손상이나
미만으로 클린치된(clinched) 이동 없이 경사면 충격을 견딜 수
경우 사용 가능하다(4.6.1 및 있어야 한다(4.6.2.2.3 참조)
4.6.2 참조) 3.3.1.2.4 모서리로 떨어뜨림.
3.2.4 볼트. FF-B-584에 컨테이너는 내용물의 손상이나
이동 없이 모서리로 떨어뜨리는
부합하는 표준 캐리지(carriage)
것을 견딜 수 있어야
또는 스텝 볼트를 사용한다(4.6.1
한다(4.6.2.2.4 참조)
및 4.6.2 참조) 3.3.1.2.5 진동. 컨테이너는
3.2.5 래그 볼트(lag bolts) 래그 내용물의 손상이나 이동 없이
볼트는 FF-B-561에 진동을 견딜 수 있어야
의거한다(4.6.1 및 4.6.2 참조) 한다(4.6.2.2.5 참조)
3.2.6 나사받이. FF-W-92에
섹션 3.3.2와 3.3.3은 예시에서
부합하는 평 와셔(flat
제외됨.
washers)를 보든 잠금 볼트의
너트 아래 사용한다(4.6.1 및 3.3.4 신뢰성. 컨테이너는
4.6.2 참조) 일반적으로 사용할 때 수리가
3.2.7 금속 스트래핑(metal 필요한 시점 이전에 최소한
strapping) 금속 스트래핑은 1 20회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시공되어야 한다.
인치 너비에 0,0625 인치 두께

- 303 -
표준의 펀치 스트래핑(punched
strapping)을 사용하거나 1 1/2
인치에 0.035 인치 두께의 구조
스트래핑(salvaged strapping)을
사용할 수 있다(4.6.1 및 4.6.2
참조) 3.3.5 정비성. 컨테이너는 수리가
3.2.8 검사 힌지(inspection 가능하도록 시공되어야 한다.
hinges) 검사 힌지는 그림 1에 3.3.6 환경 조건.
부합해야 한다(4.6.1 및 4.6.2 3.3.6.1 기온. 컨테이너는
–55°C에서 +70°C의 기온
참조)
범위에서 균열이나 변형 또는
3.2.9 합판. 합판은 AA-55057,
다른 손상의 징후 없이 견딜 수
유형 C(ANSI/HPMA Hp 1983) 있어야 한다(4.6.5.1 참조)
또는 유형 A (외부 접착제가 3.3.6.2 습도. 컨테이너는 5%에서
있는 내부 표준)에 부합해야 100%의 습도 범위에서 균열이나
한다(4.6.1 및 4.6.2 참조) 팽창, 변형 또는 다른 손상의
3.2.10 방부제 적용. 너트, 부양 징후 없이 견딜 수 있어야
한다(4.6.5.2 참조)
장치, 나사받이, 볼트, 누름쇠,
스트랩은 MIL-C-
16173 등급 1에 부합하는 부식
방지 화합물로 코팅해야
한다(4.6.1 및 4.6.2 참조)

- 304 -
사례 4. 설계 요구사항

상세형 규격은 대개 도안과 부품 규격을 명시함으로써 제품


설계를 기술한다. 따라서 계약자가 혁신적 설계나 최신 기
술을 반영한 설계를 제시할 여지가 적다. 또한 이는 규격과
참고 도안 및 부품 규격을 현재의 업계 수행을 반영하도록
유지하는 활동에 부담이 된다. 상세형 규격 MIL-L-25370E
<밸브, 압축 공기 팽창기(구명 기구 - M1-A)>에서 상세
설계 도안은 각 밸브 부품 규격에 대해 명시되어 있다. 재
작성된 성능형 규격 MIL-PRF-25370F <밸브, 압축 공기
팽창기(구명 기구 - M1-A)>에서 상세 설계 도안은 제외되
며 운영 요구사항과 성능형 규격에 포함된 그림으로 대체되
어 인터베이스 배열과 크기를 보여준다. 상세형 군 규격과
수정된 성능형 규격의 전문은 ASSIST 데이터베이스
(http://assist.daps.dla/quicksearch/)에서 볼 수 있다.

- 305 -
MIL-L-25370E <밸브, 압축 공기 MIL-PRF-25370F <밸브, 압축
팽창기(구명 기구 - M1-A)> 공기 팽창기(구명 기구 -
M1-A)>
3.5 설계 및 시공. 팽창 3.6 운영. 압축 공기 팽창기
어셈블리의 지름과 모양은 그림 밸브는 전 세계 환경 조건에서
1에 부합해야 한다. 항공 승무원에 의해 운영될 수
3.5.1 팽창 어셈블리 하우징. 있어야 한다. 이는 표준 비행
팽창 어셈블리 하우징은 고압 장구를 장착한 사람에 의해 쉽게
다이캐스트 알루미늄으로 작동될 수 있어야 한다.
양극산화처리하고 중크롬산염으로 3.6.1 팽창기 밸브 하우징.
봉인한다. 방출 메커니즘은 외부 팽창기 밸브는 개봉되지 않은
레버와 내부 피어싱 핀으로 상태의 팽창기 밸브 하우징과
이루어지며 어느 지점에서든 함께 작동하는 구동장치로
레버로 구명구 셀 압력 누출을 구성된다. 구동장치는 개봉되지
방지하는 봉인 부분이 있다. 팽창 않은 상태로 고정되어야 한다.
어셈블리 주입구는 팽창기 밸브는 뚫려있는 실린더
MIL-C-25369에 부합하는 입구에서 즉각적으로 집어넣을 수
이산화탄소 실린더를 끼울 수 있는 피어싱 메커니즘으로
있다. 이산화탄소 실린더를 구성되며 어느 지점에서든
주입구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동장치로 구명구 셀의 누출을
잠금장치가 제공되어야 한다. 방지하는 봉인 부분이 있다.
배출구는 팽창 어셈블리를 구명구 팽창기 밸브 주입구는
셀에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어야 MILPRF-25369에 부합하는
한다. 레버를 작동시켰을 때 뚫려 이산화탄소 실린더를 끼울 수
있는 이산화탄소 실린더에서 있다. 이산화탄소 실린더를
배출구로 기체를 전도하기 위한 주입구에 고정시키기 위해 잠금
통로가 제공되어야 한다. 메커니즘이 제공되어야 한다.
3.5.1.1 피어싱 핀. 피어싱 핀은 배출구는 그림 2와 같이 팽창기
카드뮴 도금된 강철로 0.010 밸브를 구명구 셀 밸브대에
인치의 경화심도를 가져야 한다.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어야 한다.

- 306 -
뚫려있는 실린더 입구에 핀을 구동 시 뚫려 있는 이산화탄소
즉각적으로 집어넣기 위한 실린더에서 배출구로 기체를
스프링을 제공해야 한다. 전도하기 위한 통로가 제공되어야
3.5.1.2 레버. 라이너(liner)는 한다. 배출구는 어느 면이
1/8 인치 두께 카디뮴 도금 밸브대 아래를 향하고 있는지에
강철로 0.010 인치의 경화심도를 관계 없이 밸브대 구멍과
가져야 한다. 레버는 운영되지 일치해야 한다
않을 때 위치에서 고정된
스테인레스 스틸 핀과 같이 3.6.2 밸브대 마개. 밸브대
위치한다. 레버는 그림 1과 같이 마개(그림 2 참조)가 팽창기를
팽창 어셈블리 면에 대하여 밸브대에 고정시키기 위해
놓는다. 레버를 운영되지 않을 때 제공되어야 한다.
위치로 고정시키기 위해 유형 III,
레터 크기 E, 색상 옵션
V-T-295의 실을 사용한다.
레버의 모든 면은 명목상 반경
또는 만분지일 인치를 갖는다.
3.5.1.3 배출구. 각각의 팽창
어셈블리는 도안 52A6598에
부합하는 밸브대에 고정하기 위한
배출구가 있다. 배출구의 기체
통로는 배출구의 어느 면이
밸브대 아래를 향하고 있는지에
관계 없이 밸브대 구멍과
일치해야 한다.

- 307 -
3.5.1.4 잠금장치. 각각의 팽창
어셈블리에는 MIL-C-25369에
부합하여 설치된 이산화탄소
실린더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나사식 잠금장치가
있다. 나사 머리는 슬롯식이고
이산화탄소 실린더를 조이도록
조정되었을 때 팽창 어셈블리를
상회하지 않는다. 나사 머리와
슬롯은 둥글게 처리되어 거친
부분이 없어야 한다. 나사 구멍
위는 납작하고 매끈하여 날카로운
면이나 거친 부분이 없어야 한다.
3.5.2 끈. 도안 56K3881에
부합하는 끈이 레버에 부착되어야
한다.
3.5.3 개스킷. 개스킷은 팽창
어셈블리의 주입구와 배출구의
부착 지점을 봉인하기 위해
제공된다. 주입구 개스킷은 도안
58A3567에 부합해야 한다.
배출구 개스킷은 도안 58A3568
및 58A3569에 부합해야 한다.
3.5.4 밸브대 마개. 도안
52A6600에 부합하는 밸브대
마개가 팽창 어셈블리를 밸브대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되어야
한다.

- 308 -
사례 5. 인터페이스, 상호운영성, 호환성 요구사항

상세형과 성능형 규격 모두 인터페이스, 상호운영성, 호환


성 내용이 포함된다. 이러한 요구사항은 다른 방식으로 표
현될 수 있는데 몇 가지 예를 들자면 물리적, 전자적, 전자
연결, 상호교환 가능한 부품, 디지털 상호운영성, 자재 간
호환성 등이다. 상세형 규격이 구체적 자재, 부품, 설계의
사용을 요구하기 때문에 대개 고유의 인터페이스, 상호운영
성, 호환성 요구사항이 있다. 성능형 규격을 작성할 때 한
가지 어려운 점은 구체적 자재, 부품, 설계에 대한 요구사
항은 제외하면서도 모든 필수적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성,
호환성 요구사항을 식별한다는 것이다. 상세형 규격인
MIL-H-370 <호스와 호스 어셈블리, 비금속: 탄성중합체,
액화 연료>에는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성, 호환성으로 식별
되는 요구사항이 없으나 이러한 요구사항은 규격의 자재,
부품, 설계, 구조 요구 사항에는 포함되어 있다.
MIL-PRF-370J <호스와 호스 어셈블리, 비금속: 탄성중합
체, 액화 연료>가 발행되었을 때, 여기에는 인터페이스 요
구사항이 포함되어 호스가 기존 장비, 연료 및 용수 호환성
요구사항에 첨부되고 호스가 이송하고자 하는 액체를 저하
시키지 않도록 한다. 아래는 MIL-PRF-370J의 인터페이스
요구사항이다. 참조 문서 몇몇은 상세형 군 규격이다. 상
세형 규격을 성능형 규격에서 인용하지 않는 것이 법칙이나
인터페이스, 상호운영성, 호환성을 분명한 목적으로 할 경

- 309 -
우에 상세형 규격 및 기타 문서를 인용하는 것이 허용된다.
이 성능형 규격의 전문은 ASSIST 데이터베이스
(http://assist.daps.dla/quicksearch/)에서 볼 수 있다.

3.4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3.4.1 기존 장비에 연결. 여기서 정의되는 호스 또는 호스
어셈블리는 기존 장비 및 호스 어셈블리와 연결될 것이 요
구된다. 인터페이스 지점, 엔드 피팅(end fittings)이 통제되
어야 한다. 다시 부착 가능한 엔트 피팅은 여기서 명시하는
바와 같아야 한다. A-A-59326은 캠 잠금 피팅을 위해 사
용된다. A-A-52592는 홈이 있는 엔드 피팅(end fittings)
을 위해 사용된다. A-A-59377은 무성 연결 장치의 빠른
연결 해제를 위해 사용된다.

3.4.2 연료 및 용수 호환성. 완성된 호스는 용수와 다음의


석유 연료에 의해 품질이 저하되지 않으며 이에 대한 저항
성이 있고 해로운 효과를 가해서는 안 된다. 호스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 요구사항을 특정 시험 용액에 맞추는 것은 완
성된 호스가 연료 호환성 요구사항에 부합한다는 출분한 증
거를 제공한다.

- 310 -
a. MIL-DTL-83133 (JP-8) (NATO F-34)
b. MIL-DTL-5624 (JP-5) (NATO F-44)
c. A-A-52557 (디젤-군, NATO F-54 포함)
d. ASTM D975 (디젤-미 상용)
e. ASTM D1655 (Jet A-1)
f. MIL-F-46162 (유형 I과 II등급 디젤)

사례 6. 물리적 특성
성능형 규격은 크기, 무게, 의인화 데이터 등과 같은 물리
적 특성을 포함함으로써 필요한 물리적 인터페이스 또는 다
른 시스템이나 장비, 부품, 인간과의 상호운영성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MIL-PRF-32076 <탄약 일체화>는 패키지 탄
약에 대한 일체화 요구사항을 다룬다. 아래는 화물 운반대
크기에 대한 것으로 표준 지게차 트럭이 탄약 운반대를 들
어 올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필수적인 성능 요구사
항이다. 이 성능형 규격의 전문은 ASSIST 데이터베이스
(http://assist.daps.dla/quicksearch/)에서 볼 수 있다.

- 311 -
3.4.3 화물 운반대(Pallet) 다음 요구사항은 화물 운반대와
국방부/NATO 물품 목록에 있는 기존 자재 취급 장비의 연
동을 위한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ASME 부품 번호
MH1/9-11 BW 4048P에 부합하는 목재 운반대가 이 단락
의 요구사항 대신에 사용 가능하다.
3.4.3.1 일반.
3.4.3.1.1 크기. 화물 운반대 크기는 길이 1016 mm에 너
비 1219 mm로 플러스 마이너스 6
mm까지 가능하다. 길이 1016 mm에 너비 1219 mm 이외
의 운반대는 조달 활동에서 우선 승인을 받지 않으면 사용
이 불가능 하다.
3.4.3.1.2 4 방향 엔트리(entry) 4 방향 엔트리 역량이 있는
화물 운반대가 제공되어야 한다.
3.4.3.1.3 아래 표면. 지면과 맞닿는 하중이 실리는 표면,
즉 화물 운반대의 풋프린트(footprint)는 상부 영역의 최소
40 퍼센트가 되어야 한다.
3.4.3.1.4 지게차 가지 오프닝(tine opening) 지게차 슬롯
은 최소 89 mm 높이와 최소 254 mm 너비로 두 군데 위
치하며 운반대의 모든 네 면에 닿는다.
3.4.3.1.5 높이. 화물 운반대의 최대 높이는 140 mm이다.
3.4.3.1.6 편평도(flatness) 화물 운반대 바닥이 편평한 지
면에 위치했을 때 운반대 상부는 평균 운반대 높이에서 6
mm 이상 차이가 나면 안 된다.
3.4.3.1.7 정방성(squareness) 두 개의 대각선의 모서리 길
이 차이가 19 mm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3.4.3.1.8 날개. 날개의 너비는 64 mm 미만이어서는 안 된
다.

- 312 -
사례 7. 절차 요구사항
상세형 규격과 성능형 규격의 또 다른 주요 차이점은 상세
형 규격은 용접, 납땜, 도금, 세정, 피니싱(finishing), 코팅,
페인트칠 등과 같은 절차에 대해 구체적이고 광범위한 요구
사항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성능형 규격은 일반적으로 절차
를 구체화하지 않거나, 요구사항이 절차의 바람직한 결과로
서 명시되고, 계약자의 일반적인 상용 절차를 필요로 하거
나, 가이드로서 제공된다. MIL-F-19004A <팬, 원심, 고정
및 휴대, 환기, 해군함상>을 성능형 규격으로 재작성할 때
에 이러한 접근법이 사용되었다. 상세형 군 규격과 수정된
성능형 규격의 전문은 ASSIST 데이터베이스
(http://assist.daps.dla/quicksearch/)에서 볼 수 있다.

- 313 -
MIL-F-19004A <팬, 원심, 고정 MIL-PRF-19004B <팬, 원심,
및 휴대, 환기, 해군함상> 고정 및 휴대, 환기, 해군함상>
3.5.1.2 용접된 부품. 용접된 3.3 페인트칠과 용접.
부품은 페인트칠 이전에 3.3.1 공장 코팅. 장비 및 구성
플럭스(flux) 흔적이 제거되어야 요소 물품은 제조자의 표준
한다. 이는 용접을 끓는 물에 피니시를 거쳐 제공되어야 하나
담그고 솔질을 하여 수행 3.2의 요구사항에 해당하는
가능하다. 닿을 수 없는 용접에 경우는 예외로 한다.
대해서 그 부분은 차가운 10 3.3.2 용접 및 관련 절차.
퍼센트 황산 용액에 30분간 용접되거나 납땜할 부품의
담그거나 150°F의 5 퍼센트 황산 표면에는 녹, 스케일(scale),
용액에 10분간 담금으로써 세척 페인트, 윤활제 및 다른 이물질이
가능하다. 황산은 안쪽과 바깥쪽 없어야 한다. 용접 관련 절차는
표면 모두에 닿을 것이다. 산 미국 용접 협회의 인증을 받은
처리 이후에는 깨끗하고 따뜻한 인력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
물에 산의 흔적이 감지되지 않을 NAVSEA 기술 출판물
때까지 씻어 내야 한다. 남아 S9074-ARGIB-010/278을
있는 플럭스는 표면에 증류수를 가이드로 사용할 수 있다.
침출하고 5 퍼센트의 질산은
용액을 몇 방울 떨어뜨려 감지할
수 있다. 흰 색 침전물이
플럭스가 있음을 알려준다.

3.5.4 페인트칠. 팬
임펠러(impellers)의 노출된 표면,
팬 스크롤의 안쪽 표면, 기류의
모든 부품의 노출된 표면, 이미
칠해지지 않은 모터의 외부
표면은 TT-P-645에 의거하여
아연크롬산염 프라이머으로
코팅해야 하며, 다음에는
TT-V-119에 의거하여 페놀
니스로 코팅해야 한다. 모든 팬
스크롤(타입 0 팬은 제외)의
외부와 도관 상자는 TT-E-489에
의거하여 아연크롬산염 프라이머
한 겹과 붉은 색 페인트의 마무리
한 겹으로 처리해야 한다.

- 314 -
사례 8. 절차 요구사항

비의무적인 섹션 6 각주를 이용하여 성능 요구사항을 충족


시킬 수 있는 과거 해결책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은
유용한 접근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신중히 사
용되어 대안 해결책이 정부로부터 허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의도하지 않은 메시지를 전달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가이드는 현재 업계 수행과 기술을 반영해야 한다. 다음 사
례는 상세형 규격 MIL-S-8805D <스위치 및 스위치 어셈
블리, 민감성, 스냅 액션(기본 제약, 푸시 버튼, 토글 스위
치)>에 대한 것인데, 구체적인 절차 규격은 상세형 규격에
서 제외되었다. 가능한 도금 및 고온 납땜 담금 절차는 성
능형 규격 MIL-PRF-8805E의 섹션 6 각주의 가이드에서
제공된다. 제안된 절차는 상세형 규격의 예전 의무 절차에
서 업데이트되고 확장된 것이다. 상세형 군 규격과 수정된
성능형 규격의 전문은 ASSIST 데이터베이스
(http://assist.daps.dla/quick search/)에서 볼 수 있다.

- 315 -
MIL-S-8805D <스위치 및 스위 MIL-PRF-8805E <스위치 및
치 어셈블리, 민감성, 스냅 액션 스위치 어셈블리, 민감성, 스냅
(기본 제약, 푸시 버튼, 토글 스 액션(기본 제약, 푸시 버튼, 토글
위치)> 스위치)>
3.5.2 단자. 단자는 명시된 것과 3.5.2 단자. 단자는 명시된 것과
같다(3.1과 6.2 참조) 같다(3.1과 6.2 참조)
3.5.2.1 납땜 단자. 남땜 단자는 3.5.2.1 납땜 단자. 남땜 단자는
납땜을 용이하게 하도록 납땜을 용이하게 하도록
처리되어야 한다. 고온 연납이나 처리되어야 한다. 고온 연납
고온 주석 담금과 같은 코팅이 담금과 같은 코팅이 허용된다.
허용된다. 금 도금은 사용하지 최소 0.000030 인치의 금
말아야 하나, 납땜 러그 단자가 도금이 사용될 수 있으며
금과 접촉하는 것이 필수 적인 니켈이나 팔라듐과 같은 확산
경우는 예외로 하며, 이때 금 장벽을 덮어야 한다. 은 도금은
도금은 0.000030 인치에서 외부 코팅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0.000100 인치까지 사용 도금에 대한 추가 정보 및
가능하다. 은 도금은 외부 가이드는 6.14를 참조.
코팅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3.5.2.2 인쇄된 회로 보드 단자.
3.5.2.2 인쇄된 회로 보드 단자. 인쇄된 회로 보드에 직접
인쇄된 회로 보드 단자는 납땜해야 하는 단자는 금속 합금
주석-납 도금하거나 연납에 도금이나 연납 담금을 한다.
담금한다. 주석-납 도금은 주석-납 혼합물을 사용한다.
MIL-P-81728에 의거하여 최소 도금은 최소 100
100 마이크로인치여야 한다. 마이크로인치여야 한다. 주석-납
연납 담금은 QQ-S-571에 도금과 고온 연납 담금에 대한
의거하여 60-40 연납으로 최소 추가 정보 및 가이드는 6.14를
두께는 100 마이크로인치이다. 참조.
(이 부분은 섹션 6 주석에서
발췌한 가이드이다.)
6.14 단자 피니시 및 도금.

- 316 -
6.14.1 금 도금. 이 규격의 금
도금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SAE-AMS-2422, 유형 II,
클래스 1을 추천한다.
6.14.2 주석-납 도금. 이 규격의
주석-납 도금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SAE-AMS-P-81728을
추천한다.
6.14.3 니켈 도금. 이 규격의
니켈 도금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SAE-AMS-QQ-N-290을
추천한다.
6.14.4 은 도금. 이 규격의 은
도금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ASTM B700을 추천한다.
6.14.5 고온 연납 담금. 이
규격의 연납 담금(60-40 주석
납)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EIA/IPC J-STD-006을
추천한다.

- 317 -
사례 9. 절차 요구사항
성능형 규격에서 구체적 절차를 요구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
규칙이나, (a) 해당 절차가 군에 완전히 특수화된 것이고 국
방부가 그 특수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절차를 개발한 경우,
(b) 해당 절차의 적용이 물품의 운영 성능을 위해 필수적인
경우, (c) 물품의 제조자가 절차에 대해 전혀 전문성이 없고
제조자가 해당 절차의 대안을 개발하거나 제안하는 것이 거
의 불가능한 경우에는 성능형 규격에서 정확한 절차를 구체
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성능형 규격에서 구체적 절차가 요
구되는 좋은 예시가 화학작용제방호코팅(Chemical Agent
Resistant Coating, CARC)의 적용으로, 이는 물품 표면이
화학작용제에 노출된 이후에 오염물질을 쉽고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은 CARC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성능형 규격의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Ÿ MIL-PRF-32137 <필터, 가스 – 미립자: NBC, 100
CFM, M48A1>의 3.4.5 조항은 필터의 하우징(housing)
이나 캐니스터(canister)의 외부 금속 표면 전체에 대해
서 MIL-DTL -64159 <코팅, 물 분산성 지방성 폴리우
레탄, 화학작용제방호> 또는 MIL-C-53039 <코팅, 지방
성 폴리우레탄, 단일 요소, 화학작용제방호>를 충족하는
CARC 탑코트(topcoats)를 적용할 것을 요구한다.

- 318 -
Ÿ MIL-PRF-49080C <동력 공급, PP-2953D/U와
PP-6224C/U> 3.13.1 조항은 동력 공급원의 외부 표면
을 무광택 녹색 383 CARC로 칠할 것을 요구하며, 이는
MIL-DTL -64159 <코팅, 물 분산성 지방성 폴리우레탄,
화학작용제방호> 또는 MIL-C-53039 <코팅, 지방성 폴
리우레탄, 단일 요소, 화학작용제방호>에 의거한 것이다.

Ÿ 부록 C의 3.2.2.6.1 조항에 있는 경량 155MM 대포 시


스템에 대한 시스템 성능형 규격은 MIL-C-53039 <코
팅, 지방성 폴리우레탄, 단일 요소, 화학작용제방호>에
의거하여 해당 시스템을 칠할 것을 요구한다.

- 319 -
사례 10. 시공 요구사항
성능형 규격은 완제품이 어떻게 시공되거나 조립되는지에
대한 요구사항을 포함해서는 안 된다. 완제품에 대한 상세
형 규격은 주로 어떻게 물품이 제조되는지에 대한 길고 구
체적인 지시사항을 포함하여 더 비용 효율적이거나 우수한
성능의 대안적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상
세 시공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것은 만약 그 규격이 최신으
로 유지되지 못하고 최신 업계 수행을 반영하지 않을 경우
주요한 문제점이 된다. 상세형 규격 MIL-L-81542A <구명
보트, 공기주입식, 1인용, LR-1 유형>에 대한 다음 사례에
서 이음새를 어떻게 결합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 지시사항
은 성능형 규격 MIL-PRF-81542B <구명보트, 공기주입식,
1인용>에서 제외되고 성능 결과물로 대체되었다. 아래는 이
음새 성능에 관련한 MIL-PRF-81542B의 조항의 일부이다.
상세형 군 규격과 수정된 성능형 규격의 전문은 ASSIST
데이터베이스(http://assist.daps.dla/quicksearch/)에서
볼 수 있다.

- 320 -
MIL-L-81542A <구명보트, 공 MIL-PRF-81542B <구명보트,
기주입식, 1인용, LR-1 유형> 공기주입식, 1인용, LR-1 유형>
3.4.3 이음새 결합, 이음새 테이 3.19 기능/운영. 구명보트는
프, 패치, 부착물. 이음새 공사와 4.11에 명시한대로 시험될 때 필
이음새 테이프, 패치, 부착물 결 요한 당기는 힘을 가하면 60초
합은 3.4.2의 기법과 조치를 사 이내에 설계 모양으로 부풀어야
용하여 조립된 구명보트 검사 이 한다. 구명보트가 부풀어 오르는
전에 접착제가 최적의 결합 속성 동안 기체 흐름의 방해나 막힘,
을 발휘하고 모든 이음새, 테이 기체가 대기로 손실, 다른 부품
프, 패치, 부착물은 이 규격의 요 에 의한 제한 등이 발생하는지
구사항과 부합해야 한다. 모든 관찰되어야 한다. 어떤 측면에서
이음새, 테이프, 패치, 부착물은 든 구조상이나 자재의 고장 흔적
해당 도안에 구체화된 접착제로 이 있어서는 안 된다. 모든 봉인
고정되어야 한다. 튜브 방사상 된 부분, 이음새, 이음새 테이프,
접합 이음새는 67A318H2에 명 부착물은 원래대로 유지되어야
시된 이음새 테이프로 안쪽과 바 하고 분리의 징후가 보여서는 안
깥쪽 면이 덮여야 한다. 된다. 바닥은 뒤틀리지 않아야
67A318H2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하고 보트 측면 높이에 차이가
튜브의 세로 이음새의 안쪽은 이 있어서는 안 된다. 세워진 캐노
음새 테이프로, 바깥쪽은 바닥 피(canopy)는 해방 35노트 바람
부착물로 덮여야 한다. 모든 이 과 52노트 돌풍을 견딜 수 있어
음새 테이프는 팽팽하거나 주름 야 한다. 구명보트는 해방 조건
지지 않게 이음새에 적용되어야 (open sea condition)에서 17노
하며 해당 도안 요구사항에 부합 트에서 27노트의 바람 과 6에서
하도록 적용되어야 한다. 바닥, 10피트의 파도에 대해 내항성과
패치, 부착물 또한 구명보트에 안정성을 구현해야 한다. 보트는
팽팽하거나 주름지지 않게 접합 비행 수트, 구명조끼, 부풀은 구
되어야 한다. 기본 패치의 내부 명구, 비행 부츠 등의 표준 항공
직경 오프닝은 입으로 공기를 주 구명장비를 장착한 1인이 쉽게
입하는 튜브 부착물을 단단히 하 승선 가능해야 한다. 인체측정

- 321 -
며 그것의 오프닝과 일치해야 한 데이터에 대해서는 표 1을 참조.
다. 접착 3.20.1.1 저온. 구명보트는
4.12.1.1에서 명시한대로 시험했
제는 이음새 테이프, 이음새, 패 을 때 0 °F에서 5분 내 승선 가
치, 부착물의 가장자리와 평행하 능한 형태로 부풀어 올라야 한
는 일직선으로 적용되어야 하고, 다. 부풀어 오를 때, 기체 흐름에
이음새 테이프, 이음새, 패치, 부 대한 방해나 부품에 의한 제한이
착물의 가장자리에서 최대 1인치 없어야 한다. 모든 이음새, 이음
까지 확장된다. 봉인된 주변의 새 테이프, 봉인된 영역, 부착물
이음새 테이프 또는 이음새 테이 은 온전하게 유지되고 분리의 흔
프의 한 쪽 끝이 다른 쪽 끝과 적을 보여서는 안 된다. 모든 측
만나는 부위는 3/4 플러스 1/2 면에서 시공 및 자재 고장 흔적
마이너스 0 인치만큼 서로 겹쳐 이 있어서는 안 된다.
져야 한다. 접착제는 건조 시 정 3.20.1.2 고온. 구명보트는
돈되고 균일한 모양이어야 한다. 4.12.1.2에서 명시한대로 시험했
접착제는 엉긴 채로 있으면 안 을 때 160 °F에서 60초 내 설계
되고 건조 시 직물, 이음새 테이 한 형태로 부풀어 올라야 한다.
프, 부착물이 구명보트의 어느 부풀어 오를 때, 기체 흐름에 대
지점에서든 줄어들거나 주름지게 한 방해나 부품에 의한 제한이
되어서는 안 된다. 구명보트는 없어야 한다. 모든 이음새, 이음
접착제가 엉긴 덩어리나 과도한 새 테이프, 봉인된 영역, 부착물
접착제로 인한 얼룩이 없어야 한 은 온전하게 유지되고 분리의 흔
다. 적을 보여서는 안 된다. 모든 측
3.4.4 이음새와 바늘땀 면에서 시공 및 자재 고장 흔적
(stitching) 공기주입실 직물에나 이 있어서는 안 된다.
구명보트 바닥 등 모든 구명보트 3.20.4 노후화/라이프 사이클 가
이음새에서 바늘땀은 사용하지 속화. 4.12.4에 명시한 대로 시
않는다. 바느질은 부속품 시공에 험했을 때 포장된 구명보트는 노
서만 사용되는데 구명보트에 최 후화/라이프 사이클 가속화 효과
종적으로 부착할 때에는 사용하 를 견딜 수 있어야 한다. 구명보

- 322 -
지 않는다. 부속품의 모든 기계 트는 4.12.4에 명시된 대로 실행
바늘땀은 해당 도안에서 명시한 했을 때 60초 이내에 부풀어야
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보강 바 한다. 부풀어 오를 때, 기체 흐름
늘땀(bartacks)을 제외한 모든 에 대한 방해나 부품에 의한 제
바느질 한이 없어야 한다. 모든 이음새,
은 FED-STD-751에 의거한 바 이음새 테이프, 봉인된 영역, 부
늘땀 유형 301로 해야 하고 인 착물은 온전하게 유지되고 분리
치당 6개에서 10개의 바늘땀을 의 흔적을 보여서는 안 된다. 모
포함해야 한다. 바늘땀의 각 열 든 측면에서 시공 및 자재 고장
은 이음새 가장자리에 평행한 일 흔적이 있어서는 안 된다. 이 시
직선이어야 한다. 모든 열의 바 험 직후에 구명보트는 4.5에 명
늘땀은 일직선에서 1/32 인치 시한대로 외관상으로 점검되어야
내외의 오차가 허용된다. 바늘땀 하며 4.10에 명시한대로 압력/누
의 끝은 백스티치로 박음질해야 출 검사를 해야 한다.
하고 최소 1/2 인치는 서로 겹쳐
져야 한다. 실이 끊어지거나 빠
진 경우 적어도 1 인치는 다시
박음질해야 한다. 실의 적당히
팽팽하게 유지되어 느슨하거나
꽉 조이면 안 되고 잠금장치는
같이 박음질된 자재에 내장되어
야 한다. 이음새는 비틀리거나
주름이 지면 안 되고 부품의 어
떤 부분도 관련 없는 곳에 끼어
있어서는 안 된다. 모든 실 끝은
1/4에서 3/8 인치 길이로 다듬어
야 한다. 이음새 가장자리는 적
절히 떼어 내고 접힌 부분이 있
어서는 안 된다. 얼룩을 방지하
기 위해 모든 박음질에 비윤활식

- 323 -
실을 사용한다.
검사
정부는 다양한 검사 기법(예: 시험 및 평가, 구현, 시뮬레이
션 및 모델링, 조사, 분석)을 사용하여 해당 시스템이나 물
품이 성능 요구사항과 사용자 니즈를 충족하는지 확인한다.
상세형 규격에서 검사는 조사 및 구현을 주로 이용하여 완
제품에서 자재와 부품의 구체적이고 광범위한 목록에 대한
빌드-투-프린트(build-to-print) 요구사항에 부합하는지 확
인한다. 성능형 규격은 구체적 자재, 부품, 설계, 절차를 요
구하지 않기 때문에, 조사 및 구현 보다는 시험 및 평가,
시뮬레이션 및 모델링, 분석을 더 강조한다. 상세형 규격에
서 특정 자재와 부품에 대한 여러 요구사항을 한 번의 조사
나 구현 시험으로 확인하는 것이 대개 가능하지만, 성능형
규격에서는 일반적으로 요구사항과 검사 간 일대일 관계가
성립한다. 부록 C에 나오는 유용한 방법은 요구사항에 해당
하는 검사를 매치시킨 표를 포함시키는 것이다.
성능형 규격에서 사용하는 검사 기법 유형과 필요한 시험
및 평가의 양은 다양한 위험 요소에 따라 달라지는데 예를
들면 해당 물품이 중요한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지, 개발
이 필요한지, 수용가능한 비개발 물품이 존재하는지, 기술
이 잘 이해되고 안정적인지, 급변하는 기술인지 등이 있다.

- 324 -
성능형과 상세형 규격 모두에 해당하는 여러 유형의 검사는
서로 유사한 경향이 있으며 이는 MIL-STD-961 <국방과
프로그램 특화 규격 형식 및 내용>에서 논의된다. 성능형과
상세형 규격을 구별하는 특성이 주로 섹션 3 요구사항 부분
에 있지만, 시험 절차의 과도한 규격을 방지하기 위해서 섹
션 4 검사 부분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가능한 항목에
대해서는 시험과 관련한 비정부 표준이 명시되어야 한다.
검사 방법 및 기준을 정의하는 것은 요구사항을 정할 때 가
장 중요하다. 프로그램은 구체적이고 완전한 요구사항 준수
계획 없이는 불필요한 비용, 일정, 성능상 위험을 가정한다.
검사는 여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성능형 규격은
독창성과 혁신을 장려하고 다양한 설계와 접근법을 허용하
기 때문에 제조 이전에 모든 규격 요구사항에 부합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초도생산품 검사나 자격 조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SSIST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모든 국방 성능
규격은 초도생산품 검사 또는 자격 조항을 갖고 있다.
국방 규격에서 자격 조항
자격은 취득 이전의 독립된 과정으로 이를 통해 제조자의
역량이나 제조자 또는 유통업자의 제품이 검사되고 시험되
고 승인되며, 이는 규격 요구사항에 부합하고 다음으로는
인정품목록(Qualified Product Database, QPD)의 일부인
전자 인정품목록(qualified products list, QPL)에 제품을
포함시키거나 전자 인정제조자목록(qualified manufacturers
list, QML)에 제조자를 포함시키기 위해서이다. 자격 유지
기준은 지속적인 자격 상태의 완전성을 분명히 하기 위해
기간제로 적용된다.

- 325 -
성능형 규격에서 자격 조항의 주요 이점은 급변하는 기술
제품을 포함하고 자격이 제조자의 제조 프로세스에 대한 정부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조자가
자재, 부품, 절차 등을 자주 변경하더라도 정부는 완제품이
성능형 규격 요구사항은 충족시킬 것이라는 확신을 가질 수
있다. 왜냐하면 자격 하에 정부는 공급자와 장기적 관계를
수립하게 되어 공급자가 요구사항에 지속적으로 부합하고
제품 품질을 개선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격은 제조자의 프로세스나 계약 체결 이전의 제품에 대해
장기적이거나 매우 복잡한 평가 및 시험을 완료함으로써 제
품 가용성을 향상시키고 조달 절차를 단축한다. 자격은 필
수적인 품질, 신뢰성, 성능, 안전을 갖춘 제품 가용성을 향
상시킴으로써 준비도를 개선한다. 자격은 또한 반복적인 감
사 및 시험을 없앰으로써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된다.
국방부 자격 프로그램과 자격 이전에 충족해야 하는 기준
및 승인에 대한 세부 내용은 국방부 규격에 포함 가능하며,
DoD 4120.24-M <국방 표준 프로그램 정책 및 절차>와
SD-6 <자격 관련 조항: 자격 취득 제품 및 제조자 목록>을
참조하면 된다. 국방 규격에 자격을 포함하기 위한 형식과
내용 요구사항에 대해서는 MIL-STD-961 <국방과 프로그
램 특화 규격 형식 및 내용>을 참조하면 된다.

- 326 -
초도생산품 검사
성능형 규격 요구사항에 부합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자격
조항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지만, 이것이 항상 적절한 것
은 아니다. 자격 조항은 높은 시험 비용이나 취득 지연 때
문에 장기적이거나 특화된 시험이 아닌 다른 유형의 시험을
시행하는 것이 비실용적일 때 적합하다. 자격 조항은 또한
고장이 참사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중요한 안전 물품에 대
해 적합하다. 그러나 자격은 제조자의 생산 설비, 조사 시
스템, 품질 및 신뢰성 확인 프로그램, 시험 설비, 프로세스,
자재 등에 대한 감사를 실시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뿐만 아니
라 자격 시험을 목도하고 시행하기 위해 상당한 정부 자원
을 필요로 한다. 자격은 끊임없는 감독과 제조자에 대한 주
기적 재심사를 요구하는 지속적인 과정이다.
자격에 필요한 자원 때문에, 그리고 대부분의 규격이 DoD
4120.24-M <국방 표준 프로그램 정책 및 절차>에 명시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격을 요청하기 위해서
ASSIST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대부분의 국방 규격은 초도
생산품 검사에 의존하여 제조자가 규격 및 모든 계약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물품을 생산할 수 있는지 생산이 시작되기
이전에 확인하고자 한다.
취득의 이전에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자격과 다르게 초도생
산품 검사는 필요시 계약에서 요구될 수 있다. 아래는 연방
획득규정(Federal Acquisition Regulation, FAR)의 파트
9에서 계약상 초도생산품 검사의 요구를 권고하는 경우와
권고하지 않는 경우를 보여준다. FAR 9.303(c)는 해당 제
품이 성능형 규격에 의해 기술되었다면, 자격 요구사항
(FAR 9.304(b) 참조)이 없는 한 초도생산품 검사를 권유한
다.

- 327 -
다음은 FAR의 하위 파트 9.303에서 발췌된 것이다:
[초도생산품] 시험 및 승인은 다음의 경우에 적합하다.
(a) 계약자가 이전에 해당 제품을 정부에 공급하지 않음. 또는
(b) 계약자가 이전에 해당 제품을 정부에 공급하였으나,
(1) 절차나 규격에 상당한 변화가 발생함. 또는
(2) 상당 기간 제조가 중단됨. 또는
(3) 이전의 계약 하에 취득한 제품이 수명 내 문제를 유발함.
(c) 제품이 성능형 규격에 의해 기술됨. 또는
(d) 제조 표준이 되기 위해서 승인된 초도생산품이 있는 것이 필수
적임.

다음은 FAR의 하위 파트 9.304에서 발췌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도생산품] 시험 및 승인은 다음을 위한 계약에서는
요구되지 않는다.
(a) 연구나 개발. 또는
(b) 계약체결 이전에 자격을 요구하는 제품(예: 적용 가능한 자격
을 충족하는 제품 목록이 존재하는 경우(하위 파트 9.2를 참조))
또는
(c) 상용 시장에서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제품. 또는
(d) 완전하고 구체적인 기술 규격에서 다루어지는 제품. 요구사항
이 매우 획기적이거나 까다로워서 그 제품이 요구사항을 시험 및
승인 없이 충족할 수 있는지 의문이 드는 경우는 제외.

- 328 -
부록 A

정의

이 가이드에 사용된 용어에 대한 다음의 정의는


MIL-STD-961 <국방과 프로그램 특화 규격 형식 및 내용>
에서 발췌한 것이다.

획득 효율화 및 표준화 정보 시스템(ASSIST) 미 국방부에


서 사용하는 표준화 문서 관련 정보가 포함된 공식 데이터
베이스. ASSIST는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정부 문서에 대한 전자적 접근을 제공한다. ASSIST는
http://assist.daps.dla/quicksearch 또는 http://
assist.daps.dla.mil로 접속 가능하다.

분석. 설립된 기술적 또는 수학적 모형이나 시뮬레이션, 알


고리즘, 차트, 그래프, 회로도, 그 외 기술된 요구사항이 충
족되었다는 근거를 제공하기 위한 과학적 원칙과 절차를 사
용하는 검증의 한 요소.

- 329 -
국방 규격. 다수의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고
ASSIST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국방 표준화 프로그램의
인가 절차 하에 개발된 규격.
데모(demonstration) 요구되는 기능이 규격 시나리오 하에
성취됨을 증명하기 위해 물품의 실제 작동을 수반하는 검증
의 한 요소. 해당 물품은 계장화(instrumented) 및 성능이
모니터될 수 있다.
상세형 규격. 설계 요구사랑을 구체화하는 규격으로 사용될
자재, 요구사항을 충족할 방법, 물품의 공정 및 건설 방법
등에 대한 것이다. 성능형 및 상세형 요구사항을 모두 포함
하는 규격은 상세형 규격으로 간주된다. 국방 규격 및 프로
그램 특화 규격 모두 상세형 규격으로 지정될 수 있다.
검사(examination) 일반적으로 비파괴적이고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 간단한 물리적 조작, 기계적 및 전자적
계량과 측정을 사용하는 검증의 한 요소.
조사(inspection) 공금 및 서비스가 명시된 요구사항에 부
합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검사 및 시험.

- 330 -
호환 가능 물품. 성능, 신뢰성, 정비성에 있어서 유사하거나 동
일한 목적의 다른 물품과 동등한 기능적 및 물리적 특성을 보
유한 물품. 호환 가능 물품은 적합성이나 성능을 선택할 필요
없이, 그리고 약간의 조정 이외에는 해당 물품 자체나 접합된
물품의 변경 없이 다른 물품으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품 규격. 프로그램 특화 규격의 한 유형으로 부품 및 시


스템의 요소에 해당하는 기타 물품의 유형, 적합성, 기능,
수용 방법 등을 기술한 것이다.

자재 규격. 프로그램 특화 규격의 한 유형으로 원자재 또는


가공된 자재, 이를테면 금속, 플라스틱, 화학품, 합성품, 직
물, 그 외 완성 부품이나 물품으로 가공되지 않은 기타 자
재 등에 대해 기술한 것이다.

비정부 표준. 표준, 규격, 핸드북, 관련 문서를 기획, 개발,


수립, 편성하는 민간 부문의 협회, 조직, 기술 협회에 의해
개발된 국내 및 국제 표준 문서. 이 용어는 개인 회사의 표
준은 포함하지 않는다. 미 국방부에 의해 채택된 비정부 표
준은 ASSIST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되어 있다.

- 331 -
성능형 규격. 요구되는 결과를 부합 검증 기준과 함께 명시
하되, 그 결과를 성취하기 위한 방법은 제시하지 않는 규격.
성능형 규격은 해당 물품에 대한 기능적 요구사항, 작동 환
경, 인터페이스 및 호환성 특징을 정의한다. 국방 규격 및
프로그램 특화 규격 모두 상세형 규격으로 지정될 수 있다.
절차 규격. 프로그램 특화 규격의 한 유형으로 자재 및 물
품의 공정이나 처리 절차를 설명한다.
프로그램 특화 규격. 특정 프로그램 내에서 사용되거나 단
일 시스템의 일부로서 다른 시스템에서의 사용 가능성이 적
다고 판단되는 경우의 시스템, 물품,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절차, 개발되거나 생산된 자재(반복 생산 및 예비 구매 포
함) 등을 설명하는 규격.
자격. 획득에 선행하는 별개의 절차로서 이를 통해 제조자
의 역량이나 제조자 또는 유통업자의 제품을 검사하고 시험
하고 규격 요구사항에 부합하는지 승인하며, 다음으로는 인
정품목록(qualified products list, QPL)에 제품을 포함시키
거나 인정제조자목록(qualified manufacturers list, QML)
에 제조자를 포함시킨다.

- 332 -
소프트웨어 규격. 프로그램 특화 규격의 한 유형으로 자동
획득, 저장, 조작, 관리, 이동, 통제, 디스플레이, 변환, 호
환, 전송, 데이터나 정보의 수용 등에 대한 요구사항 및 요
구사항의 검증을 설명한다.

규격. 획득을 지원하기 위해 준비되는 서류로서 자재에 대


한 필수적인 기술적 요구사항 및 그 요구사항이 충족되었는
지 결정하기 위한 기준을 설명한다.

시스템 규격. 프로그램 특화 규격의 한 유형으로 임무 필요


사항을 충족하기위해 요구되는 역량을 도출하기 위해서 같
이 기능해야만 하는 요소들의 조합(하드웨어, 장비, 소프트
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요구사항 및 요구사항의
검증을 설명한다.

검증(verification) 명시된 요구사항이 충족되었다는 객관적


증거 제시를 통한 확인. 객관적 증거는 관찰, 측정, 시험,
기타 수단 등을 통해 얻을 수 있다.

- 333 -
부록 B
가이드 성능형 규격 요구사항의 예시
다음은 합동 서비스 규격 가이드 JSSG 2001 <항공기>에서 추출한
것으로 성능 요구사항이 가이드 규격에서 어떻게 표현될 수 있는지에
대한 하나의 예시를 보여주고자 한다. 이 요구사항은 공중 급유 엔벌
로프(aerial refueling envelope)를 위한 것이다. 가이드 규격에서
공통되는 사항은 다음과 같다.

Ÿ 공중 급유 엔벌로프 요구사항에 대한 3.1.1.1.1 단락 아래 두 개


의 빈 칸은 프로그램 특화 규격을 개발할 때 반드시 결정되어야
한다.
Ÿ 요구사항 아래 제공되는 가이드는 어떻게 빈 칸을 채울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가이드 규격은 성능 역량을 결정하는데 융통성을 제
공하지만 ‘요구사항 가이드(Requirements Guidance)’에서 절차
상 작동을 명시하는 것이 필요하다면 최소한 NATO STANAG
3971 및 연합전술간행물(ATP) 56 <공중 급유>는 명시해야 한다.
이는 공중 급유 호환성을 확인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Ÿ 이 요구사항의 ‘교훈(Lessons Learned)’ 단락을 확인할 것.
Ÿ 부합성을 확인하기 위한 검증 단락에는 어떤 조사, 분석, 시뮬레
이션, 데모, 시험이 시행되어야하는지에 대해서는 빈 칸으로 남겨
져 있다. 빈 칸을 어떻게 채울 것인지에 대한 가이드를 확인할
것. 시스템 요구사항 검토(System Requirements Review, SSR),
시스템 기능 검토(System Functional Review, SFR), 사전 설계
검토(Preliminary Design Review, PDR),

- 334 -
주요 설계 검토(Critical Design Review, CDR), 첫 비행 검토(First
Flight Review, FFR), 시스템 검증 검토(System Verification
Review, SVR) 동안에 어떤 검증이 행해져야 하는지에 대한 지시를
확인할 것.

JSSG 2001 전문은 ASSIST 데이터베이스 http://assist.daps.dla/quicksearch/


에서 확인할 수 있다.

3.1.1.1.1 공중 급유 엔벌로프
항공기는 __(1)__ 엔벌로프를 통해서 __(2)__에 부합하는
공중 급유 작동이 가능해야 한다.
요구사항 근거(3.1.1.1.1)
이는 안전 및 운영 역량 요구사항이다. 공중 급유를 위해서
급유용 항공기(tanker)와 수급 항공기(receiver)는 공중 급
유 하부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는 유사한 비행속도와 고도
의 엔벌로프를 갖고 있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선박 대 헬리
콥터 공중 급유(HIFR)에서 항공기와 선박은 각각이 급유 중
기능할 수 있는 공통으로 작동하는 엔벌로프를 갖고 있어
야 한다. 항공 급유 작동 중에 사용될 구체적 항공 급유 절
차는 급유용 항공기와 수급 항공기 공중 급유 하부시스템의
설계 요구사항 다수를 지시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적용될
공중 급유 절차를 확인하여 안전하고 성공적인 공중 급유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 335 -
요구사항 가이드(3.1.1.1.1)
빈칸 1. 비행속도 범위(KCAS) 및 고도 범위(기압 고도 –
피트)의 측면에서 엔벌로프를 구체화할 것.
빈칸 2. 수급 항공기와 급유용 항공기 간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조건을 구체화할 것. 요구사항 3.4.6.2.1 수급 항
공기 인터페이스 및 3.4.6.2.2 급유용 항공기 인터페이스를
언급하는 것이 적절하다. 만약 이 단락에서 절차상 작동을
명시하는 것이 필요하다면 최소한 NATO STANAG 3971
및 연합전술간행물(ATP) 56 <공중 급유>는 명시해야 한다.
만약 다른 절차들 또한 요구된다면 그 절차가 공중 급유 작
동과 관련한 모든 요인들을 적합하게 명시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절차는 반드시 주간과 야간 조건(야간투시경이 있을
경우와 없을 경우), 사용(employment)과 배치
(deployment) 시나리오, 급유용 항공기와 수급 항공기 랑
데부(집결) 방법, 다양한 위협 단계에서 감지 및 요격을 위
한 통신 기술, 단일 및 복수의 급유용 항공기와 단일 또는
복수의 수급 항공기 조합에 대한 급유용 항공기와 수급 항
공기 대형(formation) 기법, 단일/복수 수급 항공기 조합에
대한 급유/수급 접속 과정 등을 명시해야 한다.

- 336 -
요구사항 교훈(3.1.1.1.1)
급유용 항공기와 수급 항공기의 공중 급유 하부시스템에서
작동할 수 있는 비행속도 및 고도 엔벌로프는 하부시스템에
따라 다양하다. 다중 지점 드로그 급유기(multi-point
drogue tankers)에서 중앙선 호스 감개 하부시스템과 날개
포드 하부시스템은 다른 비행속도 및 고도로 작동하는 엔벌
로프를 갖는다. 각 수급 항공기는 공중 급유 하부시스템을
작동할 수 있는 고유한 비행속도 및 고도 엔벌로프를 갖는
다. 신규 급유용 항공기 공중 급유 하부시스템이든 개발 중
인 수급 비행기 공중 급유 하부시스템이든 각 공중 급유 하
부시스템에 대한 비행속도 및 고도 엔벌로프는 해당 하부시
스템의 작전상 유용성 및 해당 항공기의 임무 유연성을 최
대화하기 위해 가능한 광범위하도록 규정되어야한다.
미국 정부는 조건이나 예외 없이 NATO STANAG 3971
을 준수하는 데 동의하였다. 고로 공중 급유 하부시스템이
있는 모든 신규 수급/급유 항공기는 NATO STANAG 3971
절차에 따라 공중 급유 작동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신
규의 수급 항공기는 급유용 항공기의 공중 급유 하부시스템
에 대해 수립된 절차를 사용하여 급유가 가능해야 한다. 각
급유용 항공기와 그 공중 급유 하부시스템에는 관련된 고유
의 절차가 있을 수 있다. USAF KC-135 급유용 항공기(붐
(boom) 및 드로그(drogue) 하부시스템)의 공중 급유 절차
는 TO 1-1C-1-3에서 제공된다. USAF KC-10 급유용 항
공기(붐(boom) 및 드로그(drogue) 하부시스템)의 공중 급
유 절차는 TO 1-1C-1-33에서 제공된다.

- 337 -
USAF HC/MC-130 급유용 항공기(윙 드로그(wing
drogue) 하부시스템)의 공중 급유 절차는 TO 1-1C-1-20
에서 제공된다. 미 해군/USMC 급유용 항공기의 공중 급유
절차는 NAVAIR NATOPS 00-80T-110에서 제공된다.
신규의 급유용 항공기는 수급 항공기의 기존 공중 급유 절
차와 일관되는 절차를 사용하여 수급 항공기에 대한 공중
급유가 가능해야 한다. USAF는 각 수급 항공기에 대한 공
중 급유 절차를 규정하였다. 이 절차는 TO 1-1C-1-XX 시
리즈(XX는 각 수급 항공기 고유 숫자를 나타냄, 예:
1-1C-1-35는 C-17에 대한 것)에 포함되어 있다. 미 해군
및 USMC 수급 항공기를 위한 공중 급유 절차는 각 항공기
에 대한 NATOPS 비행 매뉴얼에서 제공된다. NATO
STANAG 3971 (ATP 56)은 현재 동맹한 급유 항공기와 수
급 항공기에 대한 접선 지점(POC) 목록을 포함하고 있다.
공중 급유 지원이 동맹 항공기에 제공되거나 그로부터 획득
될 경우, POC는 문서상 공중 급유 절차에서 어떤 특별한
변화나 예외가 각자의 항공기에 필요한지 결정해야 한다.
동맹 국가는 STANAG에 조건부로 동의했을 수도 있고 향
후의 항공기에 대해서는 동의했으나 협력 당시의 기존 항공
기에 대해서는 예외로 했을 수도 있다.
수급 항공기는 급유용 항공기 승무원이나 공중 급유 하부시
스템이 특별한 절차를 적용하도록 요구해서는 안 된다. 예
를 들어, 연료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중 급유 펌프의
숫자는 공중 급유 과정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예
전에 일부 수급 항공기는 급유용 항공기에 대해 연료 압력
의 과도현상 때문에 최초에 연료를 전달할 때 사용되는 펌
프 개수를 제한할 것을 요구하였다. 연료 흐름이 안정된 상
태로 유지되기 시작하면 급유용 항공기는 연료를 전달하는

- 338 -
데 사용되는 공중 급유 펌프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
이와 유사하게, 연료 전달 과정의 마지막에 연료 압력이 급
등하는 것을 완화하기 위해 급유용 항공기에 대해 공중 급
유 펌프의 개수를 줄이도록 요구하는 것 또한 피해야 한다.

4.1.1.1.1 공중 급유 엔벌로프 검증
측정 SRR/S PD CD FF
요구사항 요소 SVR
량* FR R R R
항공기는 명시된 엔벌 (1) A A A,S A,S,D,
로프를 통해 공중 급유 T,I
작동이 가능하다.
*측정량 항목에서 괄호 안 숫자는 요구사항의 빈칸 번호를
나차낸다.
A = 분석(Analysis)
D = 데모(Demonstration)
I = 조사(Inspection)
S = 시뮬레이션(Simulation)
T = 시험(Test)
검증 논의(4.1.1.1.1)
급유용 항공기 및 수급 항공기의 공중 급유 작동을 위한 요
구사항의 검증은 3.4.6.2.1 수급 항공기 인터페이스 및
3.4.6.2.2 급유용 항공기 인터페이스 단락에서 다뤄진다. 다
음의 검증 논의는 3.1.1.1.1 공중 급유 엔벌로프에 대한 검

- 339 -
증 방법에 한정된다. 3.1.1.1 비행 엔벌로프에 대한 검증은
3.1.1.1.1 공중 급유 엔벌로프에 대한 검증에 선행하며, 비
행 엔벌로프에서 이미 정해진 요구사항과 검증은 이어지는

공중 급유 엔벌로프 검증의 기준이 된다. 따라서 3.1.1.1 비


행 엔벌로프에서 조사되거나 분석되거나 시뮬레이션되거나
시험되거나 데모를 거치지 않은 모든 급유 기능이나 특성에
대한 검증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 방법은 동일한 비행 엔벌
로프 특성에 대한 이중의 검증을 최소화하거나 없애기 위한
것이다. 3.1.1.1.1 공중 급유 엔벌로프에 대한 검증의 목적
은 궁극적으로 급유용 항공기와 수급 항공기가 성공적으로
공중 급유 하부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는 유사한 비행속도
및 고도 엔벌로프를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또한
공중 급유 동안 항공기에 배치되는 급유 붐이나 드로그 시
스템, 또는 둘 다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질적으로
검증은 공중 급유 엔벌로프를 검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시험, 데모 등 일련의 분석을 통합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이
루어져야 한다.
주요 개발 활동
주요 개발 활동은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
다.

- 340 -
SRR/SFR: 항공기 설계 컨셉 분석은 공중 급유 엔벌로프와
비교하여 발전하는 비행 엔벌로프의 한 기능에 상대적인 노
력이 수행될 것임을 나타낸다. 제안된 공중 급유 엔벌로프
의 분석은 공중 급유 엔벌로프 요구사항이 성취될 수 있음
을 나타낸다.

PDR: 항공기 초기 설계 분석은 요구되는 공중 급유 엔벌로


프가 성취 가능하고 전체 비행 엔벌로프 요구사항과 양립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분석은 전체 비행 엔벌로프 시뮬레이
션에 통합되어있을 공중 급유 시뮬레이션을 규정한다. 분석
은 공중 급유 풍동(wind tunnel) 시험에 요구되는 모든 모
델링이 결정되었음을 보여준다.

CDR: 완성된 풍동 모델링 시험과 비행 및 공중 급유 시뮬


레이션의 분석은 명시된 공중 급유 엔벌로프를 성취할 수
있는 항공기의 능력을 확인한다.

FFR: 이 단계에는 특별한 검증 활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 341 -
SVR: 분석, 시뮬레이션, 데모, 조사, 시험은 공중 급유 엔
벌로프가 성공적으로 성취되었고 위험이 제거되었거나 명시
된 요구 사항과 일치함을 확인한다.
최종 검증 기준 샘플
공중 급유 엔벌로프는 __(1)__ 분석, __(2)__ 시뮬레이션,
__(3)__ 데모, __(4)__ 시험, 이어서 __(5)__ 조사를 통해
공중 급유 엔벌로프 요구사항이 성취되었음을 확인하는 경
우에 충족된다.
1. 항공기의 공중 급유 엔벌로프가 충족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한 공중 급유 비행 및 지상 분석의 유형 및 범위를 밝힐
것. 분석은 명시된 비행속도 및 고도에서 공중 급유 장비
및 부착 구조의 공기역학 및 구조적 하중을 포함하나 이것
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급유용 항공기와 수급 항공기의 통
제성 분석은 중력 중심과 총중량 범위에서 수행되어야 한
다. 수급 항공기 분석은 원 엔진 아웃(one-engine-out) 급
유 능력, 붐이나 드로그에 대한 수급 항공기의 충격파 효
과, 폐쇄율과 상승력을 위한 엔진 파워를 포함한다. 붐 시
스템 분석은 수급용 항공기와 연결된 경우 및 연결되지 않
은 경우 모두에서 붐의 통제력, 기온 및 비연결 비율의 적
용 가능 범위에서 래치(latch)의 힘, 래치와 언래치
(unlatch)

- 342 -
횟수, 작동 엔벌로프에서 플러터(flutter) 분석을 포함해야
한다. 호스 및 드로그 시스템은 호스 반응성과 감는 속도,
호스 확장력, 드로그 안정성, 카티너리 곡선(catenary
curve)을 고려해야 한다. 증기 희석에 대한 환기 분석은 임
무의 모든 단계에서 수행되어야 하며 이는 정지 또는 저속
지상 작동, 높은 고도/낮은 공기 밀도 및 다른 특수한 조건
을 포함하나 이것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2. 항공기의 공중 급유 엔벌로프가 충족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해 요구되는 공중 급유 비행 시뮬레이션의 유형 및 범위
를 밝힐 것.

3. 항공기의 공중 급유 엔벌로프가 충족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해 요구되는 공중 급유 비행 데모의 유형 및 범위를 밝힐
것. 데모는 고도, 비행속도, 총중량 범위에 걸쳐 급유용 항
공기 비행 자질과 수급 항공기 취급 자질을 포함하나 이것
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붐 통제성과 호스 및 드로그 안정성
은 작동 엔벌로프에서 급유용 항공기와 수급 항공기의 총중
량 범위의 평가를 포함하여 평가되어야 한다. 다양한 수급
항공기의 붐 또는 그로그에 대한 충격파 효과가 평가되어야

- 343 -
한다. 호스 및 드로그 시스템에 대해서는 카티너리 곡선과
호스 반응성이 평가되어야 한다. 붐 시스템에 대해서는 래
치 및 언래치 횟수가 결정되어야 한다. 급유용 항공기 폐쇄
를 위한 수급 항공기 엔진 파워 가용성의 데모는 원 엔진
아웃 파워 레벨 평가를 포함하여 해당 시 수행되어야 한다.

4. 항공기의 공중 급유 엔벌로프가 충족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해 요구되는 공중 급유 비행 및 지상 시험의 유형 및 범
위를 밝힐 것. 시험은 프로브와 붐 하중과 같은 공중 급유
장비의 구조적 하중 평가, 작동 엔벌로프 내 모든 기온에서
붐 시스템의 래치 힘과 비연결을 포함해야 한다. 이외 다른
시험에 대해서는 이 규격의 수급 항공기와 급유용 항공기
인터페이스의 검증 섹션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롤오버 타입
급유 용기에 대해서는 개폐 횟수가 충족될 수 있음을 확인
하기 위해 비행 시험이 수행되어야 한다. 시뮬레이션되는
지상 시험은 모든 비행 변수(예: 기온, 항공 하중, 항공기
구조)를 모방할 수 있는 경우 적용 가능하다.

5. 항공기의 공중 급유 엔벌로프가 충족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어야 하는 비행 후 공중 급유 조사가 있다면 그
유형 및 범위를 밝힐 것. 조사는 액체 누출과 박스 배수 및

- 344 -
갈라짐, 휘어짐, 심한 마모 등을 포함한 일반적인 장비 양
호성을 포함하나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호스 및 드로
그 시스템은 호스 손상 및 마모와 드로그 캐노피 손상을 포
함해야한다.

- 345 -
부록 C

성능형 규격의 특정 프로그램(Program-Unique) 예시

PRF13018850
CAGE Code: 19200
11 October 2007

작전용 멜빵끈(Sling, Tactical) 성능형 규격

U.S. Army armament Research, Development and


Engineering Center(ARDEC)
Picatinny, NJ 07806-5000

작성
ARDEC Quality Engineering and Systems
Assurance(QESA)
Close Combat Team-AMSRD-AAR-QEW-C

- 346 -
이 규격은 2007년 10월 11일에 ARDEC 성능형 규격 검토
패널에 의하여 승인되었으며, MIL-STD-916E의 기준에 부
합하는 성능형 규격이며, ARDEC 기준에 의한 적용가능한
육군 지침서이다. 이에 대한 증명서와 허가기관의 승인사인
등도 가지고 있으며 요청에 따라 제공 가능하다.

배포 성명서 A. 공공 배포 승인됨; 배포가 제한되지 않음.

1.0 범위
1.1 범위. 이 규격은 멜빵 끈 작전용(이제부터 이를 작전
용 멜빵끈 또는 TS라고 명칭하기로 한다)의 성능적 요구사
항을 규정하고 검증절차를 식별한다.
1.2 요구사항 수준. 이 규격은 특정 성능 파라미터를 위
한 두 가지의 가치를 기술하고 있다. 역치(T:Threshold)는
최소한의 허용가능 수준이다. 목표(O:Objective)는 작전용
멜빵끝이 운영적으로 상당히 발전된 역량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목표 수준이다. 만약 하나의 요구만이 명시되어 있
다면 이는 역치 요구사항이다.

- 347 -
2.0 적용가능한 문서
2.1 일반사항. 이 문서에 나열되는 문서들은 이 규격의
섹션 3과 4 부분에 자세히 나와있다. 이 섹션은 이 규격의
다른 섹션에 인용된 문서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추가적
정보나 예시를 갖고 있지 않다. 이 리스트의 완성도를 위해
최대한 노력하였지만 문서 사용자는 이 규격의 섹션 3과 4
에 나와 있는 문서들의 모든 상세 요구사항을 맞추도록 노
력하여야 한다.

2.2 정부 문서.
2.2.1 규격, 기준 그리고 핸드북. 다음의 규격, 기준 그리
고 핸드북은 이 규격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는 역할을 한
다.
정부 규격
P-C-111 탄소 제거제(Carbon Removing
Compound)
국방 규격 부서(Department of Defense Standards)
MIL-PRF-372 청정제(Cleaning Compound), 용제(Solvent:
소총 구격과 자동 항공기 무기를 위한 것)

- 348 -
MIL-L-14107 윤활유, 무기, 낮은 온도
MIL-G-21164 기계의 윤활유(Grease), 이황화 몰리브
덴(molybden disulphide), 낮거나 높은
온도, NATO 코드 넘버 G-353
MIL-L-46000 윤활유(Lubricant), 반액체(Semi-Fluid)
(자동화기: Automatic Weapons)
MIL-PRF-63460 윤활유, 세정제, 무기와 무기체계를
위한 방부제

국방규격 부서(Department of Defense Standards)


MIL-STD-129 수송과 보관을 위한 밀리터리 마킹
(Military Marking)
MIL-STD-810 환경공학적 고려와 랩 시험
MIL-STD-1472 인강공학
MIL-STD-1916 제품 수작을 위한 DoD의 선호하는 방
법들
(이 문서들은 http://assist.daps.dla.mil/quicksearch/ 또
한 700 Robbins Avenue, Building 4D, Philadelphia,
PA 19111-5094에 있는 규격화 문서 오더 데스트에서 받을
수 있음.)

- 349 -
2.2.2 다른 정부기관 문서, 드로잉(Drawings) 그리고 발행물.
다음의 다른 정부 문서와, 드로잉과 발행물들은 이 문서가 더
세세하게 다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이 문서의 발행은 요청서나 계약서에 언급된 것이다.

육군 야전 교범(Army Field Manual)


FM 3-22 소총 사격술 M16A1, M16A2/3, M16A4, 그리고 M4 카빈총
(이 야전 교범들은 General Davis J. Reimer Training and
Doctrine Digital Library인 다음 주소에서 볼 수 있다.
www.adtdl.army.mil/cgi-bin/atdl.dll/fm/2-33/fm2-33.htm)

미 육군 개발시험 지휘(US Army Development Test


Command)
TOP 3-2-045 자동화 무기, 머신건, 손 사용 무기 또
는 견착무기
(이 문서들의 사본은 US Army Developmental Test
Command, ATTN: Publications, 314 longs Corner
Road, Aberdeen Proving Ground, MD, 21005-5005, 이
나 online at
http://www.dtc.army.mil/publications/topsindex.aspx
에서 요청할 수 있음.

- 350 -
2.3 비정부 간행물. 다음의 다른 정부 문서와, 드로잉과
발행물들은 이 문서가 더 세세하게 다루어질 수 있도록 한
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이 문서의 발행은 요청서나 계
약서에 언급된 것이다.

국제 미국재료시험협회 (ASTM International)


ADTM B117 염분 스프레이 기구 운영을 위한 표준 관
행(Standard Practice)
ASTM D3951 상업용 포장을 위한 표준 관행
(ASTM 표준 관련 문서는 http://www.astm.org/ 에서나
국제 미국재료시험협회(ASTM International), 100 Barr
Harbor Drive, PO Box C700, West Conshohocken PA
19428-2959에서 획득할 수 있음.)

2.4 비정부 간행물. 이 문서와 여기에 인용된 문서들 간의


문제가 있을 시 따르는 순서가 있다. 이 문서의 어떠한 것
도 적용가능한 법이나 법규를 특별한 예외조항이 없는 이상
대체할 수 없다.

- 351 -
3.0 요구사항

3.1 설계검증 (Design Verification)


테이블 I과 4.1에 부합하여 작전용 멜빵은 설계검증 대상이
다.
3.2 초도 생산품 검사 (First article inspection)
테이블 I과 4.1dp 부합하여 작전용 멜빵은 설계검증 대상이
다. When specified (see 6.2), a sample of the
Tactical Sling shall be subjected to design
verification in accordance with table I and 4.1.
3.3 적합성 검사 (Conformance inspection)
테이블 I과 4.1dp 부합하여 작전용 멜빵은 설계검증 대상이
다. When specified (see 6.2), a sample of the
Tactical Sling shall be subjected to design
verification in accordance with table I and 4.1.

3.4 운영 요구사항(Operating requirements)


3.4.1 메어 총 자세(High ready position)
작전용 멜빵은 무기를 메어 총 자세(섹션 6.4.1참조)를 할
수 있도록 한다.

- 352 -
3.4.2 X 메어 총 자세(Low ready position)
작전용 멜빵은 무기를 X메어 총 자세(섹션 6.4.2참조)를 할
수 있도록 한다.

3.4.3 수정 가능성.
작전용 멜빵은 전투원들이 FM3-22(챕서 4와 7)에서 정의된
전투 자세를 가능하게 함:
● 지원된 개별 참호 사격 자세
● 기본 비지원 엎드려 사격 자세
● 다른 엎드려 사격자세
● 무릎 꿇어 지원 사격자세
● 서서 쏴 자세
● 수정지원사격자세

3.5 인터페이스와 상호운용성 요구조건

3.5.1 벨트를 만드는 띠. 병사가 어깨에 매는 작전용 멜


빵 벨트의 넓이는 1.0인치 이하여야하며 2.0인치 이하여야
함. 작전용 멜빵 벨트는 폭신하고 촘촘한 합성수지로 만들
어진다.

- 353 -
3.5.2. 양손잡이.
작전용 멜빵은 M16과 M4 시리즈 총에는 양손잡이용이 될
수 있어야 함.

3.5.3. 신속분리.
작전용 멜빵은 전투원으로부터 무기를 떼어내기 위하여 한
손 신속분리 타입 잠금장치를 가져야 함. 잠금장치는 더 이
상의 행동이 필요없이 완전히 분리되어야 함. 전투원이 무
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멜빵을 늘어트리는 것은 “완전 분
리”라고 할 수 없다.

3.5.4. 불간섭.
작전용 멜빵은 무기의 성능을 사용하는데 방해가 되면 안된
다. (배출구를 막거나, 탄약통 충전 방해, 개머리판 폐쇄 및
확대 등)
3.5.5. 호환성.
작전용 멜빵은 보호용의상(MOPP IV와 벙어리 장갑을 제외
한 북극용 기어)을 입고 MIL-STD-1472에 해당하는 여성군
인의 5%에서 남성군인의 95%까지 사용, 유지 가능하다.

- 354 -
3.5.6. 작전용 멜빵 부착.
작전용 멜빵은 도구(T)를 사용하지 않고 M16, M16A2,
M16A4 MWS(Modular Weapon System), M4와 M4MWS
에 부착이 가능하다. 작전용 멜빵은 M203 GL(Grande
Launcher)과 결합시 다른 도구(O)없이 그 전에 식별된 무
기들에 부착이 가능하다.

3.5.7 소음성.
작전영 멜빵은 10m(T), 5m(O)의 거리에서 오픈할 때 소리
가 들리지 않아야 하며, 작전시 닫혀있거나 늘릴 때 조용해
야 함.
3.6. 환경 요구조건.
3.6.1. 온도.
작전용 멜빵은 화씨 -55도 이상 및 155도 이하에서 제 기
능을 발휘할 수 있음.
3.6.2. 염수분무.
작전용 멜빵은 최소 48시간의 염분에 노출되고서도 부식의
증거가 없어야 하며, 완전 운용이 가능하고 운용하기에 안
전해야 한다.

- 355 -
3.6.3. 화학 공존가능성 테스트.
작전용 멜빵은 육군기분 화학제들인 다음과 같은 화학제들
사용이 가능하여야 한다.
● P-C-111: 탄소제거화합물
● MIL-PRF-372: 청결제, 용제(Solvent)
● MIL-L-14107: 윤활유, 무기, 낮은 기온
● MIL-G-21164: 윤활유, 이황화 몰리브덴, 낮고 높은
기온, NATO 코드넘버 G-353
● MIL-L-46000: 윤활유, 반유동체(자동화 무기)
● MIL-PRF-63460: 윤활유, 세정제, 그리고 무기와
무기체계를 위한 방부제
3.7. 지원과 소유 요구사항.
3.7.1. 부착.
작전용 멜빵은 앞쪽 회전고리(swivel)과 개머리판의 부착 위
치(T)에 부착이 가능하다. 작전용 멜빵은 무기에(O) 다수 위
치에 부착이 가능한 옵션이 있다.

3.7.2. 색깔.
작전용 멜빵은 칙칙한 반사되지 않는 색깔이어야 한다.

- 356 -
3.7.3. 내구성.
작전용 멜빵은 총 M16총으로 1260발을 쏜 후에도 녹지 않
아야 하며, 모양이 변하지 않아야 하고 고장나면 안된다.

3.7.4. 세공 완성도.
완제품과 각 구성품(솔기, 안전띠, 라미네이션, 틈(crack),
칼날, 날(nick), 스크래치, 튀어나온 부분, 기형, 그리고 운
용성, 기능발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어떠한 것
들)에 하자가 없어야 한다. 핀(Fin) 및 다른 이물질은 제거
되어야 한다. 그리고 모양을 다듬거나 용접을 통한 보수를
포함한 보수작업 등과 같은 작업은 계약담당자의 허락없이
이루어질 수 없다.

4.0 검증.

- 357 -
표 1. 요구사항/검증 상호참조 매트릭스
검증방법
검증 단계
1. 분석
A. 설계 검증
2. 시연
B. 최초생산품
3. 검사
C. 적합성
4. 테스트
섹션
섹션 3 요구사항 4 검증방법 검증 단계
방법
1 2 3 4 A B C
4-0-
3.1 설계 검증 4.1 X X X
1
4-0-
3.2 최초생산품 검사 4.2 X X X
1
4-0-
3.3 적합성 검사 4.3 X X X
1
2-0- 2-0- 2-0-
3.4 운용 요구사항 4.4 X X X
1 1 1
3.4. 2-0- 2-0- 2-0-
메어 총 자세 4.4.1 X X X
1 1 1 1
3.4. 2-0- 2-0- 2-0-
X 메어 총 자세 4.4.2 X X X
2 1 1 1
3.4. 2-0- 2-0- 2-0-
수정가능성 4.4.3 X X X
3 1 1 1
인터페이스와 상호운 2-0- 2-0- 2-0-
3.5 4.5 X X X
용성 1 1 1

- 358 -
3.5. 2-0- 2-0- 2-0-
벨트를 만드는 띠 4.5.1
1 1 1 1
3.5. 2-0- 2-0- 2-0-
양손잡이 4.5.2 X X X
2 1 1 1
3.5. 2-0- 2-0- 2-0-
신속분리 4.5.2 X
3 1 1 1
3.5. 2-0- 2-0- 2-0-
불간섭 4.5.4 X
4 1 1 1
3.5. 2-0- 2-0- 2-0-
호환성 4.5.5 X
5 1 1 1
3.5. 2-0- 2-0- 2-0-
작전용 멜빵 부착 4.5.6 X X X
6 1 1 1
3.5. 2-0- 2-0- 2-0-
소음성 4.5.7 X
7 1 1 1
4-0- 4-0-
3.6 환경 요구조건 4.6 X
1 1
3.6. 2-0- 2-0-
온도 4.6.1 X
1 1 1
3.6. 1-0- 1-0-
염수분무 4.6.2 X
2 1 1
3.6. 화학 공존가능성 테스 3-0- 3-0-
4.6.3 X
3 트 1 1
2-0- 2-0- 2-0-
3.7 지원과 소유 요구사항 4.7 X X X
1 1 1
3.7. 2-0- 2-0- 2-0-
부착 4.7.1 X X X
1 1 1 1
3.7. 색깔 4.7.2 X X 2-0- 2-0- 2-0-

- 359 -
2 1 1 1
3.7. 2-0- 2-0- 2-0-
내구성 4.7.3 X
3 1 1 1
3.7. 2-0- 2-0- 2-0-
세공 완성도 4.7.4 X
4 1 1 1
노트: 검증(4-0-1) 테스트 4, 0번의 실패시 승인, 1번 실패부터
부적합.

4.1. 설계검증.
(6.2참조) 설계검증은 표1에 나온 것과 같이 시연, 검사 그
리고 모든 성능 요구사항에 대한 테스트를 통해 수행됨.

4.1.1. 설계 검증 부적합.
만약 샘플이 어떠한 성능적 요구사항이라도 만족하지 못할
시 설계는 부적합으로 됨.

4.2. 최초생산품 검사.


(6.2 참조), 최초생산품 검사는 표1에 나온 것과 같이 시연,
검사 그리고 모든 성능 요구사항에 대한 테스트를 통해 수
행됨.

4.2.1. 최초생산품 부적합.


만약 샘플들이 어떠한 성능적 요구사항이라도 만족하지 못
할시 설계는 부적합으로 됨.

- 360 -
4.3. 적합성 검사. (6.2참조)
적합성 검사는 샘플들이 표1에 나온 것과 같이 시연, 검사
그리고 모든 성능 요구사항에 대한 테스트를 통해 수행됨.

4.3.1. 제조 승인(Lot formation)


제조승인은 MIL-STD-1916의 성능 요구사항이 만족됐을
시 시행됨.

4.3.2. 제조 부적합(Lot Rejection)


어떠한 샘플이라도 성능 요구사항 불만족시 부적합 판정을
받게됨.

4.4 운용 검증.

4.4.1. 메어 총 자세.
작전용 멜빵은 M16과 M4에 부수적 장비를 탑재하여 검증
단계를 거칠 수 있다.

4.4.2. X 메어 총 자세.
작전용 멜빵은 M16과 M4에 부수적 장비를 탑재하여 검증
단계를 거칠 수 있다.

- 361 -
4.4.3. 수정가능성.
작전용 멜빵은 챕터 4와 7의 FM 3-22매뉴얼에 명시돼있는
다수의 전투 및 운반자세를 위한 수정이 전투원들에게 잘
제공이 되는지를 검증한다. 작전용 멜빵은 M16과 M4에 부
수적 장비를 탑재하여 검증 단계를 거칠 수 있다.

4.5. 인터페이스와 상호운용성 검증.

4.5.1. 벨트를 만드는 띠.


작전용 멜빵 벨트의 넓이는 SMTE를 사용하여 재며, 폭신하고
촘촘한 합성수지로 만들어졌는지를 눈으로 검사할 수 있다.
4.5.2. 양손잡이.
작전용 멜빵은 오른손, 왼손 모두에게 가능한지 검사될 수
있다. 작전용 멜빵은 M16과 M4에 부수적 장비를 탑재하여
검증 단계를 거칠 수 있다.
4.5.3. 신속분리.
작전용 멜빵은 요구사항대로 전투원이 무기를 분리할 때 한
손으로 신속분리가 가능한 잠금장치인지 시연할 수 있다.
작전용 멜빵은 M16과 M4에 부수적 장비를 탑재하여 검증

- 362 -
단계를 거칠 수 있다.
4.5.4. 불간섭.
작전용 멜빵은 M16과 M4시리즈 통에 부탁되어 다양한 전
투 자세에서 무기를 사용, 제 성능을 발휘하는데 방해를 하
지는 않는지 검사될 수 있다.

4.5.5. 호환성.
작전용 멜빵은 검증 4.4.1, 4.4.2, 그리고 4.4.3을 운영자가
MOPP IV 또는 북극 기어를 착용한 상태에서 시행함으로써
검증될 수 있음.
4.5.6. 무기체계 부착.
작전용 멜빵은 M4와 M16시리즈 총에 다른 도구 없이 부착
되어 시연될 수 있다.
4.5.6. 소음성.
작전용 멜빵은 10m(T)와 5m(O) 거리에서 사용자 테스트를
통하여 시연될 수 있다.
● 세 명의 테스트하는 사람이 M16시리즈 총에 부탁된
작전용 멜빵을 바라보고 10m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 운영자는 조심스럽게(가장 소리가 안나도록 노력하
면서) 사격자세를 취한다(FM-3-22 매뉴얼 참조): 서서 쏴

- 363 -
자세, 무릎꿇어 비지원 사격자세, 다른 엎드려 쏴 자세들.
테스트하는 사람들은 시험시 작전용 멜빵 소리를 들을 시
손을 든다.
● 운영자는 사격자세들을 총 다섯 번씩 한다.

● 작전용 멜빵은 다음 사격자세로 바꿀 때마다 세명의


테스트하는 사람이 모두 손들지 않는 이상 패스하는 것으로
한다.
● 작전용 멜빵(O)로부터 5m 떨어져서 소음성 테스트
를 다시 진행한다.

4.6. 환경적 검증.

4.6.1. 운영 기온.

4.6.1.1. 최고 기온.
작전용 멜빵은 M16 시리즈 총에 부착될 수 있으며
MIL-STD-810에 부합하여 화씨 155도 기온에서 3시간 동
안 있게 된다. M16 시리즈 총을 통해서 210발을 발사하게

- 364 -
된다. 발사는 기온 챔버에서 나온 후 6분 이내로 돼야한다.
만약 사격전에 시간이 오래걸렸을 시 작전용 멜빵과 M16총
은 추가 30분을 다시 기온 챔버에서 보낸 다시 조건을 만
족시키도록한다. 작전용 멜빵은 사격하는 동안이나 그 후에
아무 문제가 없는지 검사될 수 있다.

4.6.1.2. 최저 기온.
작전용 멜빵은 작전용 멜빵은 M16 시리즈 총에 부착될 수
있으며 MIL-STD-810dp 부합하여 화씨 -55도 기온에서 3
시간 동안 있게 된다. M16 시리즈 총을 통해 210발을 발사
하게 된다. 발사는 기온 챔버에서 나온 후 6분 이내로 돼야
한다. 만약 사격전에 시간이 오래걸렸을 시 작전용 멜빵과
M16총은 추가 30분을 다시 기온 챔버에서 보낸 다시 조건
을 만족시키도록한다. 작전용 멜빵은 사격하는 동안이나 그
후에 아무 문제가 없는지 검사될 수 있다.
4.6.2. 염수분무.
작전용 멜빵은 ASTM B117에 따라 5% 소금 용해제에 48
시간 동안 노출될 수 있다. 이렇게 노출된 후 작전용 멜빵
은 아무 문제가 없는지 검사받게 된다.

- 365 -
4.6.3. 화학 공존가능성 테스트.
여섯 개의 작전용 멜빵이 테스트를 위해 사용된다. 스프레
이나 페인트 붓을 통하여 각각의 용액을 작전용 멜빵에 스
프레이 하거나 붓칠할 수 있다. 각각의 용액에 1시간 이상
노출된 후, 작전용 멜빵이 아무 문제없는지 검사될 수 있
다.

4.7. 지원과 소유 요구사항.


4.7.1. 부착.
작전용 멜빵은 총의 회전고리와 개머리판 부착 부분에 부착
이 제대로 되는지 테스트 될 수 있다.
4.7.2. 색깔.
작전용 멜빵은 칙칙한 반사되지 않는 색깔인지 시각적으로
확인한다.
4.7.3. 내구성.
작전용 멜빵은 M16 시리즈 총에 탑재되어 1260발의 발사
후에 녹거나, 모양이 변하거나, 운영을 못하게 되는지를 테
스트 함.
4.7.4. 세공완성도.
작전용 멜빵의 제작이 잘되었는지 시각적으로 검사할 수 있
다.

5.0. 포장. 획득을 위한 포장 요구사항은 계약서나 오더(6.2


참조)에 자세히 나와 있다. 포장자재가 DoD나 내부인력에

- 366 -
계약되어 진행될 시에는, 이 인원들은 포장요구사항에 부합
할 수 있도록 책임감있게 해야 한다. 포장 요구사항은 국방
기관의 밀리터리 서비스 내의(Military Service of
Defense Agency) 재고 조정 기관(Inventory Control
Point)의 포장활동이나 국방서비스의 체계 명령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포장 데이터 검색은 군사부서나(Military
Department) 국방기관(Defense Agency)의 자동화 된 포
장 파일, CD 또는 관련 부서와 연락하여 가능하다.

6.0. 노트.
(이 섹션은 일반적이거나 설명을 도와주는 내용을 담고 있
으며 필수적인 사항들은 아니다.)

6.1. 의도된 사용.


작전용 멜빵은 전투원이 총 발사와 무관한 작업을 하고 있
으면서 무기에 대한 준비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6.2. 획득 요구사항.
획득 분서는 다음을 명시하여야 한다.
a. 타이틀, 숫자, 명시사항 날짜, 섹션 2에 나온 문서들
에 대한 출처, 섹션6으로부터의 적용가능한 문서들.
b. 설계 검증을 위한 요구사항.
c. 최초생산품 검증을 위한 요구사항.

- 367 -
d. 적합성 검증을 위한 요구사항.
e. 포장 요구사항(5.0 참조)

6.3. 추가적 정보.


이 아이템에 명시된 자재들은 사용품이다. 공급자는 비개발
생산역량을 필수적으로 갖고 있어야 한다.

6.4. 사격준비자세
6.4.1 메어 총 자세(High ready position) 총기 개머리판
을 겨드랑이 아래에 끼우고 총열은 약간 위를 향하게 하여
가늠쇠 포스트 꼭대기가 조준선 바로 아래 위치하되 사격자
의 주변시야 내에 있도록 한다. 발포하지 않는 손은 앞쪽
멜빵 고리를 향해 핸드가드를 쥐고, 방아쇠를 당기는 손가
락을 방아쇠 바깥에 두며 발포하는 손의 엄지는 변환 레버
에 둔다. 준비 자세에서 타겟과 교전을 시작하기 위해서 사
격자는 타겟을 찌르려는 듯이 총기를 앞쪽으로 밀고 개머리
판이 몸을 타고 오르게 하여 어깨에 단단히 갖다 댄다. 이
기술은 건물이나 방, 벙커 출입구의 외부 라인업에 가장 적
합하다.

- 368 -
6.4.2 X 메어 총 자세.
총기 개머리판을 어깨 주머니에 단단히 위치시키고 총열은
45도 각도로 아래를 향하게 한다. 발포하지 않는 손은 앞쪽
멜빵 고리를 향해 핸드가드를 쥐고, 방아쇠를 당기는 손가
락을 방아쇠 바깥에 두며 발포하는 손의 엄지는 변환 레버
에 둔다. 준비 자세에서 타겟과 교전을 시작하기 위해서 사
격자는 적절한 시야가 확보될 때까지 총기를 들어올린다.
이 기술은 건물 내부 움직임에 가장 적합하다.
6.5. 중요단어 리스트.
백병전(close quarter battle)
CQB
CQB 작전용 멜빵
M4 멩빵
M4 작전용 멜빵
M16 멜빵
M16 작전용 멜빵
소화기(small arms)
작전용 멜빵

24) http://www.dtic.mil/cjcs_directives/cdata/unlimit/3170_01.pdf
25) https://akss.dau.mil/dag/DoD5000.asp?view=document
26) www.dsp.dla.mil
27) http://www.dtic.mil/whs/directives/
28) http://www.dtic.mil/whs/directives/
29) http://farsite.hill.af.mil/
30) www.dsp.dla.mil
31) www.assistdocs.com http://assist.daps.dla.mil

- 369 -
이면은 공백임

- 370 -
보고서요약문 1. 보고서번호 :

2. 보고서 명 : 국방규격의 성능형 규격 전환 3. 발행부서 : 국방기술품질원 사업관리실


확대방안 연구
4. 기술분야 : 국방표준화 정책연구

5. 저자(공저자 포함)
6. 보고서 종류 : 기술용역 사업결과 보고서
이용문, 김철수, 이승현, 장진수, 박지현,

라정주 7. 발간일자 : 2014.12.

8. 면수 373

9. 키워드 10. 비밀등급 : 평문


표준, 표준화, 국방규격, 성능형 규격
11. 재분류 예정일 : -

12. 발행부수 : 70

13. 공개등급 :
원내공개 국방망공개 일반공개
( ) ( ) ( 0 )

14. 수행연구기관 15. 위탁연구기관


국방기술품질원 방위사업청

16. 요약문 :

본 연구는 단계별 성능형 규격 전환확대를 추진하는 마스터 플랜을 제시하고 방침에


따라 국방규격 정비를 추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성능형 규격의 현실태 분석”, “성능형 규격으로 전환 사례 작성”, “경제적


효과 및 혼합형 규격 전환 가능 방법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우리는 본 연구에서 "규정 개정(안) ", "정책 로드맵", "혼합형 규격 작성 가이드


북 작성"을 통하여 국방규격체계 발전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371 -
Report Documentation Page 1. Report Number : DTaQ-14-0000-R
2. Title : 3. Publishing Department : DTaQ project
management office
4. Field of Subject : Defense Standardization
Policy Reasearch
5. Authors(Coauthor)
6. Type of Report : Reasearch Report
Lee Yong Moon , Kim Choul su ,
Lee Seung Hyun, Chang Gene soo' 7. Date of Publication : . Dec. 2014
Park Jee Hyun, La Jung Joo
8. Number of Pages : 373

9. Key Word(s) 10. Security Class : plain text   

Standard, Specification,
11. Declassification Schedule : -
Military Specification,
Performance Specification 12. Number of Copies : 70

13. Release Grade :


DTaQ only( ) MND only( )
General public( 0 )
14. Performing Organization Name 15. Sponsoring Organization Name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16. Abstract : This study Propose the master plan for extending the application of
performance specification and reset military specification.
To this and, we performed "the current status analysis of the performance specification",
converse the performance specification from the detailed specification for 3 items, "analyse
the economic impact and the transition to hybrid specification that is possible types and
methods".
Consequently, we aims to upgrading of military specification system in this study that
"suggest the amended regulations for extending of performance specification", "present the
detail process framework for military standardization policy roadmap" and "present a writing
guide-line for the hybrid specification".

- 372 -
○ 대내 배부처 목록

순번 배포처 부수
1 서울센터 1

2 대전센터 1

3 대구센터 1

4 부산센터 1

5 창원센터 1

6 사천센터 1

계 6

○ 대외 배부처 목록

참 조
구분 순번 수신처
부서명 부수
1 국방부 4

2 방위사업청 4

3 육군본부 1

4 해군본부 1

5 공군본부 1

6 육군 군수사령부 2

7 해군 군수사령부 1

8 공군 군수사령부 1

계 15

- 373 -
경 고 문

본 기술보고서의 판권과 보고서의 내용으로부터 얻어지는


특허권은 국방기술품질원에 속하며, 발행기관의 승인 없이
무단 복제, 복사할 수 없음.

제 목 : 국방규격의 성능형 규격 전환 확대방안 연구


발 행 일 : 2014. 12.
발행부수 : 70부
발 행 처 : 국방기술품질원
경상남도 진주시 동진로 420 (우660-031)
☎(055) 751 - 5741
인 쇄 처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