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No.

CP-SS-1679K

디지트로닉TM
디지털 지시조절계
SDC40B
개 요
DigitronikTM SDC40B는 온도, 압력, 유량, 레벨, PH 등을 제어하
는 범용 컨트롤러입니다. 1대에 PID 조절계 기능 및 다수의 보
조 연산기능이 모두 탑재되어 있어 비용 대비 성능이 높은 장치
계장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의 조합은 PC 로더로
고객이 직접 자유롭게 디자인할 수 있습니다.

장 점
■ 다양한 입출력
• 아날로그 입력을 3점 장비했습니다.
•• 입력1: 열전대, 측온저항체, 직류 전류, 직류 전압에서 선택
•• 입력2: DC4 ~ 20mA, DC1 ~ 5V에서 선택
•• 입력3: DC1 ~ 5V ■ 다양한 제어 연산
• 입력 처리는 절선 근사, 온도 보정, 압력 보정, 제곱근 연산 • 4종류의 컨트롤 타입과 연산 유닛을 조합해 로컬 제어와 캐
을 장비했습니다. 스케이드 제어뿐 아니라 피드 포워드 제어, 비선형 제어, 낭
• 디지털 입력을 12점 장비했습니다. 비 시간 보상 제어, 오버라이드 제어 등 폭넓은 제어 방법으
•• 무전압 접점(릴레이 접점), 오픈콜렉터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 디지털 입력 처리부에서 2n 인덱스형 데이터로 변환할 수 • 일반적인 PID 오토 튜닝과 함께 다음 3타입을 선택, 조합할
있습니다. 수 있습니다. (노멀형 PID 연산 방식만 해당)
•• 본체의 모드 전환이나 선택 설정 외에 내부 연산과 직접 • 2자유도 PID: 실행 특성용과 외란 응답 특성용 PID를 각각
연결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독립적으로 준비하여 퍼지룰로 자동 전환합니다.
• 아날로그 출력은 3점(5G 타입) 또는 2점(2G 타입)을 장비했 • 스마트 튜닝: 오버슈트 억제에 효과적입니다.
습니다. • 뉴럴 네트워크: 광범위한 응답 특성에 대응하여 PID 정수
•• 5G 타입……DC4 ~ 20mA(3점) 를 자동 미세 조정합니다.
•• 2G 타입……M/M 구동용 릴레이(1점), DC4 ~ 20mA • 연산식(사칙연산, 셀렉터, 절선 테이블 등)을 약 80종류 준비
(1점) 했습니다. 최대 50개의 연산 유닛에 할당하여 사용합니다.
• 디지털 출력을 8점 장비했습니다. • 모드 전환시 출력 범프를 발생시키지 않는 오토 밸런스 기능
•• SPST 릴레이 출력(2점), SPDT 릴레이 출력(1점), 오픈콜 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렉터 출력(5점) • 아날로그 입력 이상, 연산 이상 등을 검출하여 인터록할 수
•• 내부 연산 결과를 출력에 자유롭게 할당할 수 있습니다. 있습니다.
■ 간단한 컨피규레이션과 조작
기능 구성 • 컨피규레이션(연산 유닛의 조합)은 로더로 간단하게 설정합
• 입력……아날로그 입력 수 :3점, 디지털 입력 수: 12점 니다.
• 출력……아날로그 출력 수 :3점(5G 타입), 2점(2G 타입) • 사용자 정의가 가능한 펑션 키가 2개 내장되어 있습니다.
디지털 출력 수 :8점 각각에 8개 데이터 항목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 연산식 종류: 약 80개 • PC 로더로 아날로그 데이터의 트랜드 모니터를 할 수 있습니다.
• 연산 유닛 수: 50개
• 가변 파라미터…… %형: 40개, 시간형: 10개
기능 구성도
플래그형: 20개, 인덱스형: 10개
沋崫͑熞庲͑塶決瘶 櫶斶͑氦埡͑塶決瘶
• 고정 파라미터…… 제한 없음 娚滆瘾͑沋崫͑熞庲 ͙牢堆͑ͦ͡儢͑浶穯͚ 犢崫͑熞庲͑塶決瘶

• PID 유닛 수 : 최대 2유닛 橊喦嵢勾͑沋崫 沋崫͑熞庲抆 櫶斶͑熞庲抆 犢崫͑熞庲抆


櫶斶͑氦埡͑朞ͫ͑ͦ͡儢 橊喦嵢勾͑犢崫
• PID 파라미터 그룹 수 :8그룹 Ͳͺ΃͑͑͑͑͢ 沋

͢

Ͳ΀͑͑͢
Ͳͺ΃͑͑͑ͣ͑ 櫶斶͑氦埡 櫶斶͑氦埡 微瘶͑穂姢愷͙ͣ͸͑犢崫͚
熞 ͑
• 공업 단위 파라미터 :8개/1PID당 총 16개 Ͳͺ΃͑͑͑ͤ 庲 Ͳ΀͑͑ͣ
͑

崫 Ͳ΀͑͑ͤ
͑

娚滆瘾͑沋崫 ͑
娚滆瘾͑犢崫
• 절선 테이블 : 3테이블(접속 가능), 16절점/1테이블
͑

͵ͺ͑͑͑͑͑͑͢ 熞 ͵΀͑͑͢
͵ͺ͑͑͑͑͑ͣ͑ ͦ͡ ͑ ͵΀͑͑ͣ
• PTB(%→%) 테이블 : 4테이블, 16절점/1테이블,
͑ ͑

͑ 櫶斶͑氦埡 櫶斶͑氦埡 庲
͵ͺ͑͑͑͑͑ͣ͢
͵΀͑͑ͩ
절선 테이블로 사용 가능
櫶͑͑͑͑͑͑͑͑͑斶͑͑͑͑͑͑͑͑͑柣͙͑͑͑͑ͩ͡涋幞͚
• TTB(%→시간) 테이블 : 4테이블, 16절점/1테이블
洎昦͑塶決瘶 儆懆͑砒岂惾瘶 洢檺͑櫶斶͑塶決瘶͑ 晑櫋͑塶決瘶
击櫋͑埮氊͑砒岂惾瘶 ΁ͺ͵͑砒岂惾瘶 稊嵢癓瞾
Άͷ疪͑熞庲͑塶決瘶
瞾岢姢͑熞庲͑塶決瘶

1
사 양
아날로그 입력 1부 입력 종류 열전대 · 측온저항체 · 직류 전압 · 직류 전류의 멀티 레인지  주의. 표1 참조
(AIR1) 입력 지시정밀도 ±0.1%FS±1U(기준 조건에서, 표시값 환산, 레인지에 따라 다른 경우 있음)
입력 샘플링 주기 0.1 ~ 0.5s(연산 주기 설정에 따름)
입력 바이어스 전류 열전대, 직류 전류 입력: ±1.3µA 최대(피크값, 기준 조건에서)
1V 이상인 레인지는 −3µA 최대
입력 임피던스 직류 전류 입력 : 50Ω±10%(동작 조건에서)
측정 전류 측온저항체 입력 : 1.04±0.02mA   A단자에서 유출(동작 조건에서)
배선저항의 영향 열전대, 직류 전류 입력: 양단의 배선저항 250Ω에서 지시값의 변화는 입력 환산으로
ㆍㆍ0 ~ 10mV, −10 ~ +10mV : 35µV 이내
ㆍㆍ0 ~ 100mV : 60µV 이내
ㆍㆍ기타 : 750µV 이내
측온저항체 입력 : 배선저항 0~10Ω 범위에서 ±0.01%FS/Ω 최대
최소 분해능이 0.01℃인 레인지는 ±0.02%FS/Ω 최대
허용 배선저항은 85Ω 최대(제너배리어의 사용은 분해능이 0.1℃ 레인지에서만 가능. 단, 현장
조정 필요)
허용 병렬 저항 열전대 단선 검출 허용 병렬 저항: 1MΩ 이상
최대 허용 입력 열전대, 직류 전류 입력 : −5 ~ +15V
직류 전류 입력 : 28mA
번아웃(Burn Out) 내부에서 업스케일과 다운스케일 선택이 가능
레인지 오버 판정 110%FS 이상 : 업스케일로 판정
−10%FS 이하 : 다운스케일로 판정 (단, JIS Pt100: −200.0 ~+500.0℃,
JIS JPt100: −200.0 ~+500.0℃ 입력은 다운스케일하지 않는다. B: 0.0 ~1800.0℃ 입력의 지시값 하한은
20℃이다.)
냉접점 보상 정밀도 ±0.5℃ (기준 조건에서)
냉접점 보상 방법 계기 내에서 보상 및 계기 밖에서의 보상(0℃만 해당) 선택 가능
스케일링 −19999 ~ +26000U
(리니어 입력일 때만 설정 가능. 역스케일링 가능. 소수점 위치 임의 설정 가능. 단, 분해능은 1/20000까지)
아날로그 입력 2부 입력 종류 DC4 ~ 20mA, DC1 ~ 5V  주의. 표1 참조
(AIR 2) 입력 지시정밀도 ±0.1%FS±1U(기준 조건에서, 표시값 환산)
입력 샘플링 주기 0.1 ~ 0.5s(연산 주기 설정에 따름)
입력 바이어스 전류 DC1~ 5V 입력 : ±10µA 최대(동작 조건에서)
입력 임피던스 DC1 ~ 5V 입력 : 1MΩ 이상(동작 조건에서)
DC4 ~ 20mA 입력 : 50Ω±10%(동작 조건에서)
최대 허용 입력 DC1 ~ 5V 입력 : 0 ~ 6V
DC4 ~ 20mA 입력 : 28mA
번아웃 다운스케일
레인지 오버 판정 110%FS 이상 : 업스케일로 판정
−10%FS 이하 : 다운스케일로 판정
스케일링 −19999 ~ +26000U (역스케일링 가능. 소수점 위치 임의 설정 가능. 단, 분해능은 1/20000까지)
아날로그 입력 3부 입력 종류 DC1 ~ 5V  주의. 표1 참조
(AIR3) 입력 지시정밀도 ±0.1%FS±1U (기준 조건에서, 표시값 환산)
입력 샘플링 주기 0.1 ~ 0.5s (연산 주기 설정에 따름)
입력 바이어스 전류 ±10μA 최대(동작 조건에서)
입력 임피던스 1MΩ 이상(동작 조건에서)
최대 허용 입력 0 ~ 6V
번아웃 다운스케일
레인지 오버 판정 110%FS 이상 : 업스케일로 판정
−10%FS 이하 : 다운스케일로 판정
스케일링 −19999 ~+26000U(역스케일링 가능, 소수점 위치 임의 설정 가능. 단, 분해능은 1/20000까지)
디지털 입력 입력점 수 12점
(DI 1~12) 접속 가능 출력 형태 무전압 접점(릴레이 접점) 및 오픈콜렉터(0V 방향으로
−1.6V 전류를 싱크)
+0.6V
개방시 단자 전압 커먼 단자(y단자)와 각 입력 단자 간에서
−1.0mA12V (동작 조건에서)
+0.6mA
단락시 단자 전류 각 단자에서 유출되는 전류는 6mA (동작 조건에서)
허용 접점 저항 ON 판정 :700Ω 이하 (동작 조건에서)
(무전압 접점) OFF 판정 :10kΩ 이상
오픈콜렉터 3V 이하(동작 조건에서)
ON시 잔류 전압
오픈콜렉터 0.1mA 이하(동작 조건에서)
OFF시 누설 전류
타 계기와의 병렬 접속 당사 SDC40 시리즈와 접속 가능.
입력 샘플링 주기 0.1 ~ 0.5s(연산 주기 설정에 따름)
ON 검지 최소 유지 시간 0.2 ~ 1.0s(연산 주기 설정의 2배)

2
입력 처리부 아날로그 실제 입력에 대해 아래 그림과 같이 ①절선 근사, ②온도 보정, ③압력 보정, ④제곱근 연산, ⑤디지털 필터 를 처리할 수 있
습니다.
柪洢͑沋崫 Ͳͺ΃͑͢ Ͳͺ΃͑ͣ Ͳͺ΃͑ͤ
柪洢͑沋崫 Ͳͺ΃͑͢ Ͳͺ΃͑ͣ Ͳͺ΃͑ͤ
柪洢͑沋崫 Ͳͺ΃͑ͤ 柪洢͑沋崫 洎昦͑匂斲 欮壊͑懺洛 橛崫͑懺洛 洢凷匂͑櫶斶 穊瘶 熞庲篊͑沋崫
Ͳͺ΃͑͢ Ͳͺ΃͑ͣ 柪洢͑沋崫 洎昦͑匂斲 欮壊͑懺洛 橛崫͑懺洛 洢凷匂͑櫶斶 穊瘶
柪洢͑沋崫 柪洢͑沋崫Ͳͺ΃͑͢ Ͳͺ΃͑ͣ Ͳͺ΃͑ͤ ͑ 橛崫͑懺洛 ͑ 熞庲篊͑沋崫
Ͳͺ΃͑͢ Ͳͺ΃͑ͣ Ͳͺ΃͑ͤ 柪洢͑沋崫
͑ 洎昦͑匂斲 欮壊͑懺洛 洢凷匂͑櫶斶
͑ 穊瘶 熞庲篊͑沋崫
ᐭ͑͑洎昦͑匂斲 ΅ͳͽ ΅ͳͽ ΅ͳͽ 柪洢͑沋崫
͑ 洎昦͑匂斲 洎昦͑匂斲
柪洢͑沋崫 欮壊͑懺洛 欮壊͑懺洛 橛崫͑懺洛 橛崫͑懺洛 洢凷匂͑櫶斶
͑ 穊瘶
洢凷匂͑櫶斶 熞庲篊͑沋崫
穊瘶
ᐭ͑͑洎昦͑匂斲 ΅ͳͽ ΅ͳͽ ΅ͳͽ 熞庲篊͑沋崫
͑ ͡ ͑

沋崫 熞͑庲 匶͑垫
͑΅ͳͽ ΅ͳͽ ΅ͳͽ ͡ ͑ 氦峏͑柦笾 ͡ ͡ ͑ ͡
ᐭ͑͑洎昦͑匂斲

沋崫
͑ 氦峏͑柦笾 ͡ ͡ ͡ ͵ͺ͸͑͟
ᐮ͑͑欮壊͑懺洛
΅ͳͽ ΅ͳͽ ΅͟ʹ΀;΁
΅ͳͽ ΅͟ʹ΀;΁ ΅͟ʹ΀;΁ ͡ ΅ͳͽ͑͑͢ ͵ͺ͸͑͟
ᐭ͑͑洎昦͑匂斲

沋崫
͑ᐮ͑͑欮壊͑懺洛 ΅͟ʹ΀;΁
ᐭ͑͑洎昦͑匂斲 ΅͟ʹ΀;΁
΅ͳͽ ΅͟ʹ΀;΁
΅ͳͽ ΅ͳͽ 氦峏͑柦笾 ΅ͳͽ͑͑͢ ͷͺͽ΅
͑ ͡ Ͳͺ΃͑͑ͤ ͡ ͡ ͡ ͵ͺ͸͑͟
ͷͺͽ΅ Ͳͺ͑͑ͤ


͑ᐮ͑͑欮壊͑懺洛 ΅͟ʹ΀;΁ ΅ͳͽ͑͑͢͡ Ͳͺ͑͑ͤ

熞͑崫
΅͟ʹ΀;΁ ΅͟ʹ΀;΁ Ͳͺ΃͑͑ͤ ΅ͳͽ͑͑ͣ ͡ ͡ ͢ ͡ ͢͡ ͢ ͷͺͽ΅ ͢ Ͳͺ͑͑ͤ

沋崫 熞͑庲 匶͑垫
͑ ͑ 氦峏͑柦笾 氦峏͑柦笾 ͡ ͡ ͵ͺ͸͑͟
ᐯ͑͑橛崫͑懺洛 ΁͟ʹ΀;΁ ΁͟ʹ΀;΁ ΁͟ʹ΀;΁ ΅ͳͽ͑͑ͣ ͢ ͢ ͵ͺ͸͑͟


熞͑庲
ᐮ͑͑欮壊͑懺洛
͑ᐯ͑͑橛崫͑懺洛 ΅͟ʹ΀;΁
ᐮ͑͑欮壊͑懺洛
΁͟ʹ΀;΁ ΅͟ʹ΀;΁
΅͟ʹ΀;΁
΁͟ʹ΀;΁ ΅͟ʹ΀;΁
΅͟ʹ΀;΁
΁͟ʹ΀;΁ ΅͟ʹ΀;΁ Ͳͺ΃͑͑ͤ ΅ͳͽ͑͑͢ ΅ͳͽ͑͑͢
͑ ΅ͳͽ͑͑ͣ ͢ ͢ ΅͟ʹ΀;΁ ͢ ΁͟ʹ΀;΁ ͷͺͽ΅ Ͳͺ͑͑ͤͷͺͽ΅
΄΂΃΅


Ͳͺ΃͑͑ͤ

匶͑庲
͑ᐯ͑͑橛崫͑懺洛
͑ ͑ ΁͟ʹ΀;΁ ΁͟ʹ΀;΁ ΁͟ʹ΀;΁ Ͳͺ΃͑͑ͤ ΅ͳͽ͑͑ͤ ΁͟ʹ΀;΁ Ͳͺ͑͑ͤ
͢ ΅͟ʹ΀;΁ ΄΂΃΅

͑ ͑ 匶͑垫
ᐰ͑͑洢凷匂͑櫶斶 ΄΂΃΅ ΄΂΃΅ ΄΂΃΅ ΅ͳͽ͑͑ͤ
΅ͳͽ͑͑ͣ ͢ ͢ ͢ ͢


欮壊͑柦笾΅ͳͽ͑͑ͣ ͢

匶垫
ᐯ͑͑橛崫͑懺洛
͑ᐰ͑͑洢凷匂͑櫶斶 ΁͟ʹ΀;΁
ᐯ͑͑橛崫͑懺洛΄΂΃΅ ΁͟ʹ΀;΁
΄΂΃΅
΁͟ʹ΀;΁ ΁͟ʹ΀;΁
΄΂΃΅
΁͟ʹ΀;΁ ΁͟ʹ΀;΁ ΅ͳͽ͑͑ͤ ΅͟ʹ΀;΁ ΁͟ʹ΀;΁ ΄΂΃΅
͑ 欮壊͑柦笾
͑ᐰ͑͑洢凷匂͑櫶斶
͑ ͑ ΄΂΃΅ ΄΂΃΅ ΄΂΃΅ 沋崫͑熞庲
΅͟ʹ΀;΁
΅ͳͽ͑͑ͤͲͺ΃͑͑͢ ΅ͳͽ͑͑ͤ ΁͟ʹ΀;΁ ΄΂΃΅
ᐱ͑͑娚滆瘾͑穊瘶͑ ͵ͺ͸͑͟ ͵ͺ͸͑͟ ͵ͺ͸͑͟ 欮壊͑柦笾 沋崫͑熞庲 ΅͟ʹ΀;΁ Ͳͺ͑͑͢ ΁͟ʹ΀;΁ ΄΂΃΅
ᐰ͑͑洢凷匂͑櫶斶
͑ᐱ͑͑娚滆瘾͑穊瘶͑ ΄΂΃΅
ᐰ͑͑洢凷匂͑櫶斶͵ͺ͸͑͟ ΄΂΃΅
͵ͺ͸͑͟ ΄΂΃΅
͵ͺ͸͑͟ Ͳͺ΃͑͑͢ Ͳͺ͑͑͢
͑ᐱ͑͑娚滆瘾͑穊瘶͑ ͑͑͑͑͑ ΄΂΃΅ ͷͺͽ΅΄΂΃΅ ͷͺͽ΅΄΂΃΅ ͷͺͽ΅ 欮壊͑柦笾 沋崫͑熞庲
欮壊͑柦笾
Ͳͺ͑͑͢
͑͑͑͑͑ ͑ ͵ͺ͸͑͟
ͷͺͽ΅ ͵ͺ͸͑͟
ͷͺͽ΅ ͵ͺ͸͑͟
ͷͺͽ΅ Ͳͺ΃͑͑͢ 沋崫͑熞庲 橛崫͑柦笾 沋崫͑熞庲
ᐱ͑͑娚滆瘾͑穊瘶͑
͑͑͑͑͑ ͵ͺ͸͑͟
ͷͺͽ΅ ͵ͺ͸͑͟
ͷͺͽ΅ ͵ͺ͸͑͟
ͷͺͽ΅ Ͳͺ΃͑͑͢
橛崫͑柦笾 Ͳͺ͑͑͢
ᐱ͑͑娚滆瘾͑穊瘶͑ ͵ͺ͸͑͟ ͵ͺ͸͑͟ ͵ͺ͸͑͟ Ͳͺ΃͑͑͢ 沋崫͑熞庲 Ͳͺ͑͑͢
͑͑͑͑͑ ͑͑͑͑͑ ͷͺͽ΅ ͷͺͽ΅
ͷͺͽ΅ ͷͺͽ΅
ͷͺͽ΅ ͷͺͽ΅ 橛崫͑柦笾 沋崫͑熞庲 Ͳͺ΃͑͑ͣ Ͳͺ͑͑ͣ
熞庲篊͑沋崫 Ͳͺ͑͢ Ͳͺ͑ͣ Ͳͺ͑ͤ Ͳͺ΃͑͑ͣ
橛崫͑柦笾 沋崫͑熞庲
橛崫͑柦笾 Ͳͺ͑͑ͣ
熞庲篊͑沋崫 Ͳͺ͑͢ Ͳͺ͑ͣ Ͳͺ͑ͤ Ͳͺ΃͑͑ͣ Ͳͺ͑͑ͣ
沋崫͑熞庲 沋崫͑熞庲
熞庲篊͑沋崫 Ͳͺ͑͢ Ͳͺ͑ͣ Ͳͺ͑ͤ Ͳͺ΃͑͑ͣ Ͳͺ͑͑ͣ
熞庲篊͑沋崫 熞庲篊͑沋崫 Ͳͺ͑͢ Ͳͺ΃͑͑ͣ Ͳͺ͑͑ͣ
Ͳͺ͑ͣ
Ͳͺ͑͢ Ͳͺ͑ͤ
절선 근사 16절선Ͳͺ͑ͣ 근사 패턴을 Ͳͺ͑ͤ 3개 준비. 아날로그1, 2, 3에 대해 할당 가능.
온도 보정 昪凊͙徯祢͚͑欮壊͜洛朞
昪凊͙徯祢͚͑欮壊͜洛朞
懺洛͑氦峏͑柦笾౓͑͑͑ ͑ ͑ ͑ ͑ ͑ ͑ ͑ ͑ ͑ ͑͑͑͑͑͑͑͑ϧ氦峏͑柦笾
懺洛͑氦峏͑柦笾౓͑͑͑ ͑昪凊͙徯祢͚͑欮壊͜洛朞
͑ ͑ ͑ ͑ ͑ ͑͑͑͑͑͑͑笊沲͑欮壊͜洛朞
͑ ͑ ͑ ͑͑͑͑͑͑͑͑ϧ氦峏͑柦笾 정수 단위는 ℃,° F에서 선택 가능
(T.COMP) ͑͑͑͑͑͑͑笊沲͑欮壊͜洛朞
懺洛͑氦峏͑柦笾౓͑͑͑ 昪凊͙徯祢͚͑欮壊͜洛朞
͑ ͑ ͑ ͑ ͑昪凊͙徯祢͚͑欮壊͜洛朞
͑ ͑ ͑ ͑ ͑͑͑͑͑͑͑͑ϧ氦峏͑柦笾
懺洛͑氦峏͑柦笾౓͑͑͑
懺洛͑氦峏͑柦笾౓͑͑͑͑ ͑ ͑ ͑͑ ͑͑ ͑͑ ͑͑͑ 笊沲͑欮壊͜洛朞
͑͑͑͑͑͑͑笊沲͑欮壊͜洛朞
͑ 笊沲͑欮壊͜洛朞
懺洛͑氦峏͑柦笾౓͑͑͑ ͑͑͑ ͑͑͑͑͑͑͑͑ϧ氦峏͑柦笾
͑͑ ͑͑ ͑͑ ͑͑ ͑͑͑͑͑͑͑͑͑ϧ氦峏͑柦笾
͑ ͑ ͑͑ϧ氦峏͑柦笾
압력 보정 ͑͑͑͑͑͑͑笊沲͑欮壊͜洛朞
懺洛͑氦峏͑柦笾౓͑͑͑ ͑ 笊沲͑欮壊͜洛朞
͑ ͑ ͑͑͑͑͑͑͑͑笊沲͑欮壊͜洛朞
͑ ͑ ͑昪凊͙徯祢͚͑欮壊͜洛朞͑
͑ ͑ ͑͑ϧ氦峏͑柦笾 정수 단위는,MPa,kPa,Pa,kgf/cm2,mmH2O
懺洛͑氦峏͑柦笾౓͑͑͑昪凊͙徯祢͚͑欮壊͜洛朞͑
͑ 笊沲͑欮壊͜洛朞
͑ ͑ ͑ ͑ 笊沲͑欮壊͜洛朞
͑ ͑ ͑ ͑ ͑͑ϧ氦峏͑柦笾
(P.COMP) 懺洛͑氦峏͑柦笾౓͑͑͑ 昪凊͙徯祢͚͑欮壊͜洛朞͑ ͑ ͑ ͑ ͑ ͑͑ϧ氦峏͑柦笾 에서 선택
͑ ͑ ͑ ͑ ͑͑ ͑͑ ͑͑ ͑͑ ͑͑ ͑͑ϧ氦峏͑柦笾
懺洛͑氦峏͑柦笾౓͑͑͑
昪凊͙徯祢͚͑欮壊͜洛朞͑
昪凊͙徯祢͚͑欮壊͜洛朞͑
제곱근 연산(SQRT) 드롭아웃 값: 0.0 ~ 100.0% ͑͢
͑͢ 가변
͢焮͑滆櫶͑櫶斶͑ͫ͑犢崫͑౓͑ ͑ ͑ ͑ ͑ ϧ沋崫
͢焮͑滆櫶͑櫶斶͑ͫ͑犢崫͑౓͑ ͑ ͑͑͑͢ ͑ ϧ沋崫͢ు΅ϧ΄
디지털 필터
͢焮͑滆櫶͑櫶斶͑ͫ͑犢崫͑౓͑ ͑ ͑͢͢ు΅ϧ΄
͑ ͑ ͑ ϧ沋崫 T: 필터 정수 0.0 ~ 120.0s(0.0은 필터 없음)
͢焮͑滆櫶͑櫶斶͑ͫ͑犢崫͑౓͑ ͢ు΅ϧ΄
͑ ͑ ͑ ͑ ϧ沋崫 ͑͢
͢焮͑滆櫶͑櫶斶͑ͫ͑犢崫͑౓͑
͢ు΅ϧ΄ ͢ు΅ϧ΄ ͑ ͑ ͑ ͑ ϧ沋崫
(DIG.FILT) S: 라플라스 연산자
연산 처리부 약 80종류의 연산식을 최대 50개의 연산 유닛에 할당할 수 있습니다.
΀Ά΅౓Ηా͹͢ూ͹ͣూ΁͢ూ΁ͣి͑
΀Ά΅౓Ηా͹͢ూ͹ͣూ΁͢ూ΁ͣి͑
각 연산식은 다음과 같은 형식이 있으며 최대 4입력에 대한 연산을 처리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연산식 일람을 참조.
΀Ά΅౓Ηా͹͢ూ͹ͣూ΁͢ూ΁ͣి͑
欎͑ͫ͑͢塭晎 欎ͣ͑ͫ͑欮娢崎決͑痆決弾
欎͑ͫ͑͢塭晎 欎ͤ͑ͫ͑洇斶͑碊枪͑犢崫
΀Ά΅౓Ηా͹͢ూ͹ͣూ΁͢ూ΁ͣి͑
΀Ά΅౓Ηా͹͢ూ͹ͣూ΁͢ూ΁ͣి͑ 欎ͣ͑ͫ͑欮娢崎決͑痆決弾 欎ͤ͑ͫ͑洇斶͑碊枪͑犢崫
欎͑ͫ͑͢塭晎 ͹͢ ͹ͣ 欎ͣ͑ͫ͑欮娢崎決͑痆決弾 ͹͢ ͹͢
欎ͤ͑ͫ͑洇斶͑碊枪͑犢崫 ͹ͣ
欎͑ͫ͑͢塭晎͹͢ ͹ͣ ͹͢ ͹ͣ
͹͢ 欎ͤ͑ͫ͑洇斶͑碊枪͑犢崫
欎͑ͫ͑͢塭晎
͹ͣ 欎ͣ͑ͫ͑欮娢崎決͑痆決弾
欎ͣ͑ͫ͑欮娢崎決͑痆決弾 ͹͢ 欎ͤ͑ͫ͑洇斶͑碊枪͑犢崫 埮沖͖͑ͫ͑笛͑塶決瘶埮沖͖͑ͫ͑笛͑塶決瘶
͹͢ ͹͢ ͹ͣ
͹͢ ͹ͣ ͹͢ ͹ͣ ͹͢ ͹͢ ͹͢ ͹ͣ ͹͢ ͹ͣ 埮沖͖͑ͫ͑笛͑塶決瘶埮沖͑ͫ͑柢儊笛͑塶決瘶
埮沖͑ͫ͑柢儊笛͑塶決瘶
΁͢ ΁͢ 埮沖͖͑ͫ͑笛͑塶決瘶
΁͢ 埮沖͖͑ͫ͑笛͑塶決瘶
埮沖͑ͫ͑柢儊笛͑塶決瘶埮沖͑ͫ͑稒岞勾笛͑塶決瘶
΁͢Ͳ͵͵ ΀Ϳ͵΅
΁͢ ΁͢ʹ΁Ή 埮沖͑ͫ͑稒岞勾笛͑塶決瘶
Ͳ͵͵ ΁͢ ΀Ϳ͵΅
΁ͣ ΁͢ ʹ΁Ή ΁͢ 埮沖͑ͫ͑柢儊笛͑塶決瘶
Ͳ͵͵ ΀Ϳ͵΅ ʹ΁Ή ΁ͣ 埮沖͑ͫ͑柢儊笛͑塶決瘶
埮沖͑ͫ͑汾塷枪笛͑塶決瘶
埮沖͑ͫ͑稒岞勾笛͑塶決瘶
΁ͣ
΁͢ ΁͢ ΁ͣ
΁͢ 埮沖͑ͫ͑汾塷枪笛͑塶決瘶
Ͳ͵͵ ΁͢ ΀Ϳ͵΅ ΁͢ ʹ΁Ή ΁͢ 埮沖͑ͫ͑稒岞勾笛͑塶決瘶
埮沖͑ͫ͑稒岞勾笛͑塶決瘶
Ͳ͵͵ ΁ͣ ΀Ϳ͵΅ ʹ΁Ή ΁ͣ ͑
埮沖͑ͫ͑汾塷枪笛͑塶決瘶
͑
΁ͣ ΁ͣ ΁ͣ ΁ͣ 埮沖͑ͫ͑汾塷枪笛͑塶決瘶
埮沖͑ͫ͑汾塷枪笛͑塶決瘶
΀Ά΅ ΀Ά΅ ΀Ά΅ ͑
΀Ά΅ ΀Ά΅ ΀Ά΅ ͑
΀Ά΅ ా΀Ά΅౓΁͢ϧ͹͢ు΁ͣϧ͹ͣి͑ ΀Ά΅ ͑
ా΁͢ΞΚΟ篊͑΀Ά΅͑ ΀Ϳి͑ ΀Ά΅ ͙沋崫͑͹͢汊͑洇斶͑͝͹ͣ͑͝΁͢櫖昢͑滆洛夞垚͑洇斶͑崎汾滆櫖͑娶幾͑碊枪͑犢崫͚
ా΀Ά΅౓΁͢ϧ͹͢ు΁ͣϧ͹ͣి͑ ా΁͢ΞΚΟ篊͑΀Ά΅͑
΀Ά΅
ా΀Ά΅౓΁͢ϧ͹͢ు΁ͣϧ͹ͣి͑΀Ά΅ ΀Ά΅ ΀΀Ϳి͑
Ά΅ ͙沋崫͑͹͢汊͑洇斶͑͝͹ͣ͑͝΁͢櫖昢͑滆洛夞垚͑洇斶͑崎汾滆櫖͑娶幾͑碊枪͑犢崫͚
΀Ά΅ ΀Ά΅
ా΁͢ΞΚΟ篊͑΀Ά΅͑ ΀Ϳి͑ ͙沋崫͑͹͢汊͑洇斶͑͝͹ͣ͑͝΁͢櫖昢͑滆洛夞垚͑洇斶͑崎汾滆櫖͑娶幾͑碊枪͑犢崫͚
ా΀Ά΅౓΁͢ϧ͹͢ు΁ͣϧ͹ͣి͑
ా΀Ά΅౓΁͢ϧ͹͢ు΁ͣϧ͹ͣి͑ ా΁͢ΞΚΟ篊͑΀Ά΅͑ ΀Ϳి͑ ͙沋崫͑͹͢汊͑洇斶͑͝͹ͣ͑͝΁͢櫖昢͑滆洛夞垚͑洇斶͑崎汾滆櫖͑娶幾͑碊枪͑犢崫͚
ా΁͢ΞΚΟ篊͑΀Ά΅͑ ΀Ϳి͑ ͙沋崫͑͹͢汊͑洇斶͑͝͹ͣ͑͝΁͢櫖昢͑滆洛夞垚͑洇斶͑崎汾滆櫖͑娶幾͑碊枪͑犢崫͚

연산 주기 설정 0.1 ~ 0.5s(0.1s 단위로 설정 가능)


PID 제어 • 출력부 연산식 안의 PID 연산 유닛1(PID 1) 또는 PID 연산 유닛2(PID 2)를 사용하여 실현.
최대 50개의 연산 유닛에 대해 PID 연산 유닛 1, 2를 각각 1개만 할당할 수 있습니다.
컨트롤 타입 PID 연산 유닛1 PID 연산 유닛2 타입 0 ~ 3은 셋업에서 설정.
(PID 1) (PID 2) MAN 연산 유닛은 2개의
타입0 로컬 설정 사용하지 않음 PID 연산 유닛에 대해
타입1 리모트/로컬 설정 사용하지 않음 1개만 사용 가능
타입2 리모트/로컬 설정 리모트 설정
타입3 로컬 설정 리모트/로컬 설정
형번 2G 5G
아날로그 A01 M/M 구동용 릴레이 접점 출력 전류 출력(DC4 ~ 20mA)
출력 신호 A02 없음 전류 출력(DC4 ~ 20mA)
A03 전류 출력(DC4~20mA) 전류 출력(DC4 ~ 20mA)
제어 동작 위치 비례 PID 및 전류 비례 PID 전류 비례 PID
연산 방식 각 PID 연산 유닛에서 노멀형 또는 미분 선행형을 선택 가능
비례대(P) 0.1 ~ 999.9%(ON/OFF는 불가능)
적분 시간(I) 0.0 ~ 6000.0s(I=0일 때 PD 동작)
미분 시간(D) 0.0 ~ 6000.0s(D=0일 때 PI 동작)
적분 리미트 하한: −200.0 ~ 적분 리미트 상한% 상한: 적분 리미트 하한 ~ 200.0%
불감대 0.0 ~ 100.0%(0일 때 불감대 기능 없음)
출력 변화율 리미트 0.0 ~ 100.0%/연산 주기(0일 때 리미트 없음)
매뉴얼 리셋 0.0 ~ 100.0%
PID 그룹 수 8그룹(PID 연산 유닛1, 2에 대해 공통)
PID 오토 튜닝 리미트 사이클법에 따른 PID값 자동 설정+뉴로&퍼지(2자유도)&스마트 방식
(밑줄 친 부분은 노멀형 PID 연산 방식만 대응)
RSP 레시오 PID 연산 유닛1 및 2의 RSP에 대해 −999.9 ~ +999.9%
RSP 바이어스 PID 연산 유닛1 및 2의 RSP에 대해 −999.9 ~ +999.9%
편차 알람 PID 연산 유닛1 및 2의 절대값|SP−PV|에 대해 0.0 ~ 100.0%
PV 알람 상한 PID 연산 유닛1 및 2의 PV에 대해 −10.0 ~ +110.0%
PV 알람 하한 PID 연산 유닛1 및 2의 PV에 대해 −10.0 ~ +110.0%
알람 히스테리시스 편차 알람, PV 알람 상한, PV 알람 하한의 히스테리시스 0.0 ~ 100.0%

3
출력 처리부 아날로그 출력 형번 2G의 M ⁄ M 구동용 접점 형식 : 2SPST
(AO1~AO3) AO1 릴레이 접점 접점 정격 : 2.5A  (DC30V L/R=0.7ms)
출력 4A  (AC120V cosφ=0.4)
2A  (AC240V cosφ=0.4)
접점 허용 전압 : 250V(AC) 저항 부하, 125V(DC) 저항 부하,
125V(DC) L/R=0.7ms 250V(AC) cosφ=0.4
최대 개폐 전력 : 75W(L/R=0.7ms) 480VA(cosφ=0.4)
기계적 수명 : 1000만 회
전기적 수명 : 10만 회(접점 정격에서 cosφ=0.4 빈도 30회/min)
최소 개폐 전압 : 5V
최소 개폐 전류 : 100mA
MFB(모터 피드백) 입력 범위 : 100 ~ 2500Ω
MFB(모터 피드백) 단선시 제어 : MFB 위치 추정에 따른 동작 계속 유/무 선택 가능
형번 2G의 전류 출력 출력 전류 :DC4 ~ 20mA
AO3 (4~20mA) 허용 부하 저항 :680Ω 이하(동작 조건에서)
출력 정밀도 :±0.1%FS 이하(동작 조건에서)
형번 5G의 출력 분해능 :1/10000
AO1, 돌입 전류 :25mA 이하 50ms 이하(250Ω 부하시)
AO2, 최대 출력 전류 :DC21.6mA
AO3 최소 출력 전류 :DC2.4mA
개방시 단자 전압 :25V 이하
출력 갱신 주기 :0.1 ~ 0.5s(연산 주기 설정에 따름)
디지털 출력 DO1 SPST 릴레이 접점 전기 정격 :AC250V DC30V 1A 저항 부하
(DO1~DO8) DO2 기계적 수명 :2000만 회 전기적 수명: 10만 회(정격에서)
최소 개폐 전압 · 전류 : 10V, 10mA
DO3 SPDT 릴레이 접점 전기 정격 :AC250V DC30V 2A 저항 부하
기계적 수명 :5000만 회 전기적 수명: 10만 회(정격에서)
최소 개폐 전압 · 전류 : 10V, 10mA
DO4 ~ DO8 오픈콜렉터 외부 공급 전압 :DC10 ~ 29V
최대 부하 전류 :70mA/점
OFF시 누설 전류 :0.1mA
지시 • 설정부 제1표시부 디지털 5자리 녹색 대형 7세그먼트
기본 표시 상태에서 PV를 표시. 컨트롤 데이터 설정 상태에서 항목 코드를 표시. 알람 발생시 알람 코드를 표시.
제2표시부 디지털 5자리 주황색 7세그먼트
기본 표시 상태에서 SP를 표시. 컨트롤 데이터 설정 상태에서 설정값을 표시.
제3표시부 디지털 2자리 주황색 7세그먼트
기본 표시 상태에서 제2표시부에 SP값을 표시했을 때 LSP/RSP 구별을 표시.
컨트롤 데이터 설정 상태에서 항목 코드를 보조 표시.
바 LED 표시 12개의 녹색 가로형 집합 LED
아날로그 모니터(제어 출력을 포함) 또는 디지털 모니터로 사용 가능.
각종 스테이터스 표시 18개의 면 발광 LED 표시
SP · LCK · OUT · CH1(PID 연산 유닛1) · CH2(PID 연산 유닛2) · FLW(팔로우 모드) · AUT(오토 모드) · MAN(매뉴
얼 모드) · CAS(캐스케이드 모드) · IM(인터록 매뉴얼 모드) · AT(오토 튜닝) · FZY(퍼지 전환중) · OUT1 · OUT2 ·
OUT(막대그래프가 제어 출력) · UF1 · UF2 · UF3(사용자 정의)
조작용 키 13개의 고무 키(2개는 사용자 정의 가능)
로더 접속용 PORT
1개(전용 접속 케이블 사용, 스테레오 미니핀 잭)
모드 일반 운전 모드 오토 모드 PID 연산 유닛이 정치(定値)(LSP) 제어를 한다.
매뉴얼 모드 MAN 연산 유닛이 수동 설정값을 출력한다.(단, MAN 연산 유닛은 1개만 사용 가능)
PID 연산 유닛은 적분 동작만 한다.
캐스케이드 모드 PID 연산 유닛이 캐스케이드 설정값(RSP) 제어를 한다.
팔로우 모드 MAN 연산 유닛이 SDC40B로 팔로우 입력을 출력한다.
비상 운전 모드 인터록 매뉴얼 모드 : 아날로그 입력 오버 또는 연산 오버 플로우 또는 연산 오버로드를 검출 시에 이 모드로 이행 가능.
통신 통신 방식 통신 규격 RS−485 RS−232C
네트워크 멀티 드롭 방식, 계기는 자국 기능만 해당 1대1, 계기는 자국 기능만 해당
1:16 이하(DIM), 1:31 이하(CMA · SCM)
정보 방향 반이중(半二重) 반이중
동기 방식 조보(調步)동기 조보동기
인터페이스 방식 전송 방식 평형(디퍼런셜)형 비평형형
데이터 라인 bit SERIAL bit SERIAL
신호선 송수신 5개(3선 접속도 가능) 송수신 3개
통신 속도 4800, 9600bps 4800, 9600bps
통신 거리 최대 500m (총합) 15m 최대
(MA500DIM 접속인 경우에는 300m)
기타 RS−485에 준거 RS−232에 준거

4
통신 전문 캐릭터 캐릭터 구성 11bit/캐릭터 11bit/캐릭터
포맷 1스타트, 짝수 패리티, 1스톱 또는 1스타트, 짝수 패리티, 1스톱 또는
1스타트, 패리티 없음, 2스톱 1스타트, 패리티 없음, 2스톱
데이터 길이 8bit 8bit
절연 모든 입출력 간은 완전 절연
주의1) RS−485 통신은 RS−485가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 외에 당사의 MX200,MA500(DK 링크, DIM), CMA50과의 접속도 가능합니다.
일반 사양 메모리 백업 사용자 설정(디자인 데이터 및 컨트롤 데이터) : 불휘발성 반도체(EEPROM)
모드, 로컬 SP, 제어 출력(AO1), 홀드 연산 : 슈퍼 커패시터로 백업된 RAM(24h 유지)
정격 전원 전압 AC100 ~ 240V 50/60Hz
허용 전원 전압 AC90 ~ 264V 50/60Hz
소비 전력 30VA 이하
전원 투입시 30mA 최대 10ms(동작 조건에서)
돌입 전류 [주의]
여러 대를 동시에 투입할 때는 전원 용량을 충분히 준비하거나 투입 타이밍을 변화시켜가면서 실시해 주십시오.
돌입 전류로 인해 전압 강하가 발생하여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전원 투입 후에는 2초 이내
에 정격 전원 전압에 도달해야 합니다.
전원 투입시 동작 리셋 시간: 15s 최대 (통상 동작을 할 때까지의 시간, 동작 조건에서)
정전 불감 시간 AC전원 모델 20ms 이하
DC전원 모델 정전되지 않을 것
정전 복귀 처리 하기 핫 스타트와 콜드 스타트를 선택 가능
실제 정전 내용
선택 RAM 백업
복귀 처리 모드 로컬 SP 제어 출력(AO1)
핫 스타트 정상시 핫 스타트 정전전 정전전 정전전
선택시 NG시
콜드 스타트 콜드 스타트 프리셋 모드 프리셋 LSP 프리셋 값
−(관계 없음)
선택시
절연 저항 전원 단자(① 또는 ②)와 그라운드 단자(③)간 DC500V 메가에서 20MΩ 이상
내전압 전원 단자와 그라운드 단자간 : AC1500V 50/60Hz 1min
릴레이 출력과 그라운드 단자간 : AC1500V 50/60Hz 1min
다른 전원 이외와 그라운드 단자간 : AC500V 50/60Hz 1min
절연된 단자간 : AC500V 50/60Hz 1min
기준 조건 주위 온도 23±2℃
주위 습도 60±5%RH
정격 전원 전압 AC105V±1%
전원 주파수 50±1Hz 또는 60±1Hz
내진동성 0m/s2
내충격성 0m/s2
설치 각도 기준면(수직) ±3°
동작 조건 주위 온도 범위 0 ~ 50℃
주위 습도 범위 10 ~ 90%RH(결로되지 않을 것)
정격 전원 전압 AC100 ~ 240V 50/60Hz
DC24V
전원 주파수 50±2Hz 또는 60±2Hz
내진동성 0 ~ 1.96m/s2
내충격성 0 ~ 9.81m/s2
설치 각도 기준면(수직) ±10°
설치 상태 영구 접속형 장치 · 실내 설치 · 판넬 설치
적합 규격 EN61010−1, EN61326
과전압 카테고리 CategoryⅡ(IEC60364−4−443, IEC60664−1)
오염도 Pollution degree 2
고도 2000m 이하
운송 보관 조건 주위 온도 범위 −20 ~+70℃
주위 습도 범위 10 ~ 95%RH(결로되지 않을 것)
내진동성 0 ~ 4.90m/s2 (10 ~ 60Hz X, Y, Z 각 방향 2h)
내충격성 0 ~ 490m/s2 (상하 방향 3회)
포장 낙하 시험 낙하 높이 90cm (1각 3능 6면에서 자유낙하법에 따름)
마스크, 케이스 재질 마스크: 멀티론(Multilon) 케이스: 폴리카보네이트
마스크 케이스 색상 마스크: 진회색 케이스: 연회색
설치 전용 설치 금구로 판넬 설치
질량 약 900g

5
표준 부속품 품명 형번 개수 보조 부품 품명 형번
단위 표시 라벨 N−3132 1 (별매) 하드 방진 커버 세트 81446083−001
설치 금구 81405411−001 1세트(2개) 소프트 방진 커버 세트 81446087−001
취급설명서 기본편 CP−UM−1679(일본어판) 1 단자 커버 세트 81446084−001
PC 로더 패키지 SLP−C4BJ60
기타 준비 취급설명서 연산기능편 CP−UM−1680K(한국어판)
취급설명서 취급설명서 디지트로닉 CP−UM−1683K(한국어판)
CPL 통신 SDC40B편

표 입력 종류ᆞ레인지(셋업에서 선택) 입력2 직류 전류, 직류 전압


입력1 열전대, 측온저항체, 직류 전류, 직류 전압 입력 형식 레인지

기호 ℃레인지 4 ~ 20mA 스케일링 설정 범위


−19999 ~+26000
K(CA) 0.0 ~ 1200.0 1 ~ 5V (소수점 위치 변경 가능, 역스케일링 가능)
K(CA) 0.0 ~800.0
K(CA) 0.0 ~400.0 입력3 직류 전압
K(CA) -200.0 ~+1200.0 입력 형식 레인지
K(CA) -200.0 ~+300.0 스케일링 설정 범위
K(CA) -200.0 ~+200.0 1 ~ 5V −19999 ~ +26000
E(CRC) 0.0 ~800.0 (소수점 위치 변경 가능, 역스케일링 가능)
J(IC) 0.0 ~800.0
T(CC) -200.0 ~+300.0 • 지시정밀도(±0.1%FS)에서 벗어난 항목
B(PR30−6) 0.0 ~1800.0 ㆍK열전대,
ㆍ T열전대의 −100℃ 이하는 ±1℃±1U
R(PR13) 0.0 ~1600.0
ㆍB열전대의
ㆍ 260℃ 이하는 ±4.0%FS±1U
S(PR10) 0.0 ~1600.0
260 ~ 800℃는 ±0.4%FS±1U
W(WRe5−26) 0.0 ~2300.0
800 ~ 1800℃는 ±0.2%FS±1U
W(WRe5−26) 0.0 ~1400.0
ㆍR열전대,
ㆍ S열전대의 100℃ 이하는 ±0.2%FS±1U
PR40−20 0.0 ~1900.0
100 ~ 1600℃는 ±0.15%FS±1U
Ni−Ni · Mo 0.0 ~1300.0
ㆍPR40−20열전대의
ㆍ 300℃ 이하는 ±2.5%FS±1U
N 0.0 ~1300.0
PLⅡ 0.0 ~1300.0
300 ~ 800℃는 ±1.5%FS±1U
DIN U -200.0 ~+400.0 800 ~ 1900℃는 ±0.5%FS±1U
DIN L -200.0 ~+800.0 ㆍ측온저항체
ㆍ 입력에서 소수점 이하 2자리 레인지는 ±0.15%FS±1U
JIS ’89 Pt100 -200.0 ~+500.0 ㆍ ~ 10mV 레인지는 ±0.15%FS±1U
ㆍ0
(IEC Pt100Ω) -200.0 ~+200.0 ㆍDIN
ㆍ U 열전대의 −100℃ 이하는 ±2℃±1U
-200.0 ~+150.0 −100℃ ~ 0℃는 ±1℃±1U
-50.0 ~+200.0 ㆍDIN
ㆍ L 열전대의 −100℃ 이하는 ±1.5℃±1U
-60.0 ~+40.00
-40.0 ~+60.00 • 입력 센서의 규격에 대하여
0.0 ~500.0
열전대 K, E, J, T, B, R, S: JIS C 1602−1981
0.0 ~300.0
WRe5−26: Hoskins 자료
0.00~100.00
PR40−20: Johnson Matthey 자료
-200.0 ~+500.0
-200.0 ~+200.0 Ni−NiMo: General Electric 자료
-100.0 ~+150.0 N: N.B.S. Monograph 161
-50.0 ~+200.0 PLⅡ: Engelhard Industries 자료(IPTS68)
JIS’ 89 JPt100 -60.00 ~+40.00 DIN U, DIN L: DIN43710−1985
-40.00 ~+60.00 금철크로멜: HAYASHIDENKO 자료
0.0 ~500.0
측온저항체 Pt100, JPt100: JIS C 1604−1989
0.0 ~300.0
0.00 ~100.00
4 ~20mA
0 ~20mA
0 ~ 10mV
-10 ~+10mV 스케일링 설정 범위
0 ~100mV −19999 ~+26000
0 ~1V (소수점 위치 변경 가능)
-1 ~+1V (역스케일링 가능)
1 ~5V
0 ~5V
0 ~10V

6
데이터와 설정 방법 ◎: 설정 가능 ○: 일부 설정 가능 △: 모니터 가능 −: 설정 · 모니터 불가
분류 데이터명 내용 콘솔에서 PC 로더에서
디자인 데이터 연산 유닛 데이터 연산식, 접속 등을 지정하는 데이터 △ ◎
출력 처리 데이터 출력 처리의 접속을 지정하는 데이터 △ ◎
컨트롤 데이터 셋업 데이터 컨트롤 타입, 연산 주기 등을 지정하는 데이터 ○ ◎
입력 처리 데이터 입력 처리의 종류를 지정하는 데이터 ○ ◎
제어 연산 데이터 PID 연산 타입, 사용 PID 그룹 등을 지정하는 데이터 ○ ◎
PID 파라미터 PID 그룹 0 ~ 7의 제어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데이터 ◎ ◎
절선 데이터 절선의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 ○ ◎
가변 파라미터 연산 처리로 사용하는 계수, 정수 등을 설정하는 데이터 ◎ ◎
공업 단위 파라미터 공업 단위로 설정하기 위한 파라미터 ◎ ◎
UF키 처리 데이터 사용자 펑션(UF) 키1, 2에 할당하는 기능을 지정하는 데이터 ○ ◎
디지털 입력 처리 데이터 DI1 ~ DI12을 인덱스형 데이터로 사용하기 위한 데이터 △ ◎
ID 데이터 하드웨어 타입, ROM ID 등의 EEPROM 상에 없는 ID 데이터 △ △
프로텍트 Keylock 등을 설정하는 데이터 ◎ ◎
트랜드 처리 데이터 PC 로더에서 데이터 트랜드 기능을 사용할 때 지정하는 데이터 − ◎

연산식 일람
번호 연산식명 약칭 내용
1 덧셈 ADD OUT=P1×H1+P2×H2
2 뺄셈 SUB OUT=P1×H1−P2×H2
3 곱셈 MUL OUT=H1×H2
4 나눗셈 DIV OUT=H1/H2+P1
͹͢
5 절대값 ABS OUT=|H1|
6 제곱근 SQR OUT=
7 최대값 MAX OUT=MAX(H1, H2, P1, P2)
8 최소값 MIN OUT=MIN(H1, H2, P1, P2)
9 4점 덧셈 SGM OUT=H1+H2+P1+P2
10 하이 셀렉터/로우 리미터 HSE H1≧H2일 때 OUT=H1, H1<H2일 때 OUT=H2, 로우 리미터로 사용할 경우에는 H2가 하한 리미트 값
11 로우 셀렉터/하이 리미터 LSE H1≧H2일 때 OUT=H2, H1<H2일 때 OUT=H1, 하이 리미트로 사용할 경우에는 H2가 상한 리미트 값
12 하이 로우 리미터 HLLM 하이 리미트 값 P1과 로우 리미트 값 P2로 H1을 리미트
13 하이 모니터 HMS H1이 하이 모니터 값 H2 이상일 때 출력 ON(히스테리시스 폭=P2)
14 로우 모니터 LMS H1가 로우 모니터 값 H2 이하일 때 출력 ON(히스테리시스 폭=P2)
15 편차 모니터 DMS H1과 H2의 편차가 편차 모니터 값 P1 이상일 때 출력 ON(히스테리시스 폭=P2)
16 변화율 리미터 DRL 입력 H1의 1min 변화가 + 측에 H2%, −측에 P1% 이내가 되도록 리미트
17 변화율 모니터 DRM 입력 H1의 1min 전의 입력에 비해 + 측에 H2% 이상 또는 −측에 P1% 이내일 때 출력 ON
18 조작 출력 MAN 매뉴얼 출력 조작 유닛
19 컨트롤러 #1 P1D1 PID 컨트롤러1 (오토 튜닝 탑재)
20 컨트롤러 #2 P1D2 PID 컨트롤러2 (오토 튜닝 탑재)
21 낭비 시간 DED OUT=e−P1ㆍS×H1(입력 H1을 낭비 시간 P1s 뒤에 출력한다)
22 진행 · 지연 L/L OUT=(1+P1 · S)/(1+P2 · S)×H1
23 미분 LED OUT=P1 · S/(1+P2 · S)×H1
24 적분 INT OUT=H1/P1 · S(적분 시간 P1s로 입력 H1를 적분한다)
25 이동 평균 MAV ͢ ͤ͡
Κ
΀Ά΅ͮ Է ͑͹͢
ͤ͡
΁͢
ͤ͡ Κͮ͢

26 래치 RS 세트 입력 H1의 플래그형 데이터를 유지하고 H2 입력으로 리셋한다


27 논리곱 AND OUT=H1∧H2∧P1∧P2
28 논리합 OR OUT=H1∨H2∨P1∨P2
29 배타적 논리합 XOR OUT=H1∨H2
30 반전 NOT OUT= ͹ ͢
31 2점 전환 스위치 SW P1을 통해 %형 데이터 H1과 H2를 전환한다
32 완화형 스위치 SFT H1과 H2를 P2(%)의 기울기로 전환한다
33 시간형 스위치 TSW P1을 통해 시간형 데이터 H1과 H2를 전환한다
34 플래그형 스위치 FSW P1을 통해 플래그형 데이터 H1과 H2를 전환한다
35 얼터네이트 스위치 ALSW H1의 실행 엣지로 출력을 반전
36 타이머 TIM P1s마다 펄스 출력
37 온딜레이 타이머 ONDT P1s후 출력 ON
38 오프딜레이 타이머 OFDT P1s후 출력 OFF
39 원쇼트 타이머 OST P1s의 펄스를 출력

7
ͤ͡
͢ Κ
΀Ά΅ͮ Է ͑͹͢
ͤ͡
΁͢
ͤ͡ Κͮ͢
번호 연산식명 약칭 내용
40 적산 펄스 출력Ⅰ CPO 입력 H1에 비례한 펄스 수 출력
41 적산 펄스 출력Ⅱ CPX 입력 H1을 적산하여 P1로 설정되는 출력 펄스 중량에 도달하면 1펄스 출력한다
42 펄스 폭 변조 PWM 주기 P1 중에서 출력이 ON되는 비율이 입력 H1에 비례한다
43 삼각파 발생 RMP 상승 기울기 파형을 출력
44 로그 LOG OUT=LOG10(H1) 또는 OUT=LOGe(H1)
45 지수 EXP OUT=10H1또는 OUT=eH1
46 (미사용)
47 (미사용)
48 (미사용)
49 (미사용)
50 (미사용)
51 제어 변수 변경 #1 PMD1 PID1용 제어 변수 변경(PID 그룹 번호 변경도 가능)
52 제어 변수 변경 #2 PMD2 PID2용 제어 변수 변경(PID 그룹 번호 변경도 가능)
53 모드 전환 (스테이터스 검출) MOD 팔로우/매뉴얼/오토/캐스케이드 모드 전환
54 모드 전환 (엣지 검출) MODX 팔로우/매뉴얼/오토/캐스케이드 모드 전환
55 오토 튜닝 발정(發停) 1 AT1 PID1 유닛의 오토 튜닝 실행/정지
56 오토 튜닝 발정 2 AT2 PID2 유닛의 오토 튜닝 실행/정지
57 데이터 홀드 HOLD 정전시 입력 H1을 유지하고 재시작할 때 그대로 출력
58 레이즈/로우어(raise/lower) 유닛 RL H1=ON(raise) 또는 H2=ON(lower)로 출력을 증감
59 리셋 유닛 RST 인터록 매뉴얼 모드의 해제
60 (미사용)
61 절선 테이블 #1 TBL1 절선 테이블 #1(16절점)
62 절선 테이블 #2 TBL2 절선 테이블 #2(16절점)
63 절선 테이블 #3 TBL3 절선 테이블 #3(16절점)
64 역절선 테이블 #1 TBR1 절선 테이블 #1(16절점)의 역함수
65 역절선 테이블 #2 TBR2 절선 테이블 #2(16절점)의 역함수
66 역절선 테이블 #3 TBR3 절선 테이블 #3(16절점)의 역함수
67 시간→% 변환 TTP 시간형 데이터를 %형 데이터로 변환
68 %→시간 변환 PTT %형 데이터를 시간형 데이터로 변환
69 공업 단위 파라미터 선택 #1 E_P1 PID1 유닛의 공업 단위 파라미터를 선택 출력
70 공업 단위 파라미터 선택 #2 E_P2 PID2 유닛의 공업 단위 파라미터를 선택 출력
71 (미사용)
72 (미사용)
73 (미사용)
74 (미사용)
75 (미사용)
76 (미사용)
77 (미사용)
78 (미사용)
79 (미사용)
80 (미사용)
81 %→% 테이블 #1 PTB1 테이블 접속을 할 수 없는 경우 이외에는 절선 테이블과 동일
82 %→% 테이블 #2 PTB2 테이블 접속을 할 수 없는 경우 이외에는 절선 테이블과 동일
83 %→% 테이블 #3 PTB3 테이블 접속을 할 수 없는 경우 이외에는 절선 테이블과 동일
84 %→% 테이블 #4 PTB4 테이블 접속을 할 수 없는 경우 이외에는 절선 테이블과 동일
85 %→시간 테이블 #1 TTB1 %형 데이터를 절선 테이블로 시간형 데이터로 변환
86 %→시간 테이블 #2 TTB2 %형 데이터를 절선 테이블로 시간형 데이터로 변환
87 %→시간 테이블 #3 TTB3 %형 데이터를 절선 테이블로 시간형 데이터로 변환
88 %→시간 테이블 #4 TTB4 %형 데이터를 절선 테이블로 시간형 데이터로 변환
89 (미사용)
90 (미사용)
91 사용자 램프 출력 #1 UF1 사용자 램프 제어 유닛 #1
92 사용자 램프 출력 #2 UF2 사용자 램프 제어 유닛 #2
93 사용자 램프 출력 #3 UF3 사용자 램프 제어 유닛 #3
94 막대그래프 표시 전환 BLED 막대그래프 표시 내용 선택
95 기본 표시 추가 #1 DSP1 제1, 제2표시부에서의 기본 표시 추가 #1
96 기본 표시 추가 #2 DSP2 제1, 제2표시부에서의 기본 표시 추가 #2
97 기본 표시 추가 #3 DSP3 제1, 제2표시부에서의 기본 표시 추가 #3
98 기본 표시 추가 #4 DSP4 제1, 제2표시부에서의 기본 표시 추가 #4
99 (미사용)

8
형번 구성 예 : C40B5G4AS09100
기본 형번 제어 출력 기능 전원 옵션1 옵션2 추가 처리 사양
C40B 디지털 지시조절계
2G 위치 비례 출력
5G 전류 출력(4 ~ 20mA/0 ~ 20mA)
입력 1: 열전대, 측온저항체, 직류 전류, 직류 전압의 멀티 레인지
4 2: 직류 4 ~ 20mA, 직류 1 ~ 5V
3: 직류 1 ~ 5V
AS AC전원(AC90 ~ 264V: 프리 전원)
주의) 보조 출력 1점, 디지털 입력 12점, 디지털 출력 8점
06
(릴레이 3점, 오픈콜렉터 5점)
주의) 보조 출력 2점, 디지털 입력 12점, 디지털 출력 8점
09
(릴레이 3점, 오픈콜렉터 5점)
1 통신기능 없음
2 RS−485 통신
3 RS−232C 통신
00 추가 처리 없음
D0 검사성적서 포함
Y0 제품납입 증명 대응
주의) 옵션 06은 제어 출력 2G일 때만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옵션 09는 제어 출력 5G일 때만 지정할 수 있습니다.

9
외형치수도 (단위: mm)

F73E
埮沖͑珪憊͑显瞾͙懊壊͑渂怾禎͚ ͑
͙͚ͩ͢ ͩͥͥͧͩͥ͢͢͡͞͡͡
穞姢͑愯滊͑珪憊͑显瞾͙懊壊͑渂怾禎͚
ͩͥͥͧͩͤ͢͢͡͞͡͡ ͦ͢ ͦͪͦ͢͟
ͤͨ͢

ͪͧ

Ͳ ͳ
ͲృͲ
΃ͽΈ
ʹͲ΄ ʹ͹͢
͢ ͢͢ ͣ͢ ͣͧ

ͲΆ΅ ʹ͹ͣ
ͺ; ͣ͢ ͣͣ
ͣ ͣͨ
;ͲͿ
΄΁ ͤ͢ ͣͤ ͣͩ
ͤ
ͽʹͼ
΀Ά΅
ͥ ͥ͢ ͣͥ ͣͪ
΀Ά΅
͙ͧ͢͡ϧ͚ͥ͢͡
ͪͧ

ͦ ͦ͢ ͣͦ ͤ͡
Άͷ͢ Άͷͣ Άͷͤ ΀΅͢ ΀΅ͣ Ͳ΅ Ͷ΋Ί
Άͷ͢ Άͷͣ ͵ͺ΄΁
ͧ ͧ͢ ͤ͢

;ͲͿ ͲΆ΅΀ ʹͲ΄ ΁Ͳ΃Ͳ ͨ ͨ͢ ͤͣ

ͽ΀Ͳ͵Ͷ΃ Ͳ΅ ͶͿ΅ ͩ ͩ͢ ͤͤ

ͪ ͪ͢ ͤͥ

͢͡ ͣ͡

嵣͑喞斲 埮沖͑喞斲 ;ͤͦ͟


Ͳ ͳ
暒稊瞾͑愯滊͑珪憊͑显瞾 埮沖͑喞斲 ;ͤͦ͟
͙懊壊͑渂怾禎͚ 昪獞͑匎割 ͑ͩͥͦͥ͢͢͢͢͡͞͡͡
ͩͥͥͧͩͨ͢͢͡͞͡͡
ͳృͳ

͢ ͣͧ
ͥ͢ ͥͪ ͦͨ
ͣ ͣͨ

ͥͣ ͦ͡ ͦͩ
ͤ ͣͩ

ͥ ͥͤ ͦ͢ ͦͪ ͣͪ

‫ͦͪ͟͢ػ‬

‫ͣͪ͟͡ػ‬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프트 방진 커버 세트 형번 81446087−001 단자 커버 세트 형번81446084−001


(실리콘 고무 투명) [표준 단자 베이스 및 증설 단자 베이스 양쪽에 설치 가능]
(난연성 내열 염화비닐시트 회색)
ͦ͢ ͪ͡
ͣ͢
͙͚ͦ͟͡
ͪͩ ͥͦ
ͦ͢͟
͙͚ͤͣ͟

ͦͤͧ͑͟͞割当͑
ͨ͢
ͦͦ͟
ͤͨ͢͟

΃ͩ͢͟
ͧͪͧ͟
ͦͧ͢͟
ͪͦ
ͪͩ

ͨͪ
ͪ͡
ͥ͢
ͣͪͦ͟

͙͚ͩͧ ͣͨ͟

하드 방진 커버 세트 형번81446083−001
(폴리카보네이트 투명)
ͧ͢
ͩ ͧ ͧ͢͡
ͥ
ͥͨ͟ ͪͧͧ͟
ͥͨ͟
͢͟͢
͙͚ͪͧͩ͟

ͪͧͧ͟
ͧ͢͡

10
판넬 커팅 치수 (단위: mm)

ͪͣ ుͩ͟͡
일반 및 소프트 ͡방진 커버를 사용하는 경우 ͪͣ ుͩ͟͡
하드 방진 ͡커버를 사용하는 경우 ͥͧ 횡렬 밀착 설치
ాͿృ͢ిϧͪͧ ͥͧ
ͪͣ ుͩ͟͡
͡ ͪͣ ుͩ͟͡
͡ ͥͧ ాͿృ͢ిϧͪͧ ͥͧ
ుͩ͟͡

ుͩ͟͡

ుͩ͟͡
͡

͡
ͪͣ ుͩ͟͡

ͪͣ ుͩ͟͡

ͪͣ ుͩ͟͡
ͪͣ

ͪͣ

ͪͣ
͡

͡
ͦ͢͡ 決旇
ͦ͢͡ 決旇
Ϳϧͪͧృͥ

ͦ͢͡ 決旇
ͦ͢͡ 決旇
ాͿ౐昪獞͑堆朞͚
Ϳϧͪͧృͥ
ాͿ౐昪獞͑堆朞͚

ͪͪ 決旇 ͨ͢͡ 決旇

ͪͪ 決旇 ͨ͢͡ 決旇

단자 접속도

· 표준 단자 배열
凊匶͑洊毖 ͣ͸ ͦ͸
ు͑ ృ͑
Ͳʹͪ͡ίͣͧͥ· ͢ ͵ʹ͑ ͢͢ ͣ͢ ͵ͺ͢ ͣͧ 橊喦嵢勾
凊匶͑洊毖 ͣ͸ ͦ͸
ͦ͡౅ͧ͡͹Ϋ ͥίͣ͡ΞͲ ͵ʹ͢ίͦ· 沋崫ͤ
ు͑ ͣͨ ృ͑
ͣ͢ ృ͑
͵ʹ͑ ͣ͢
͢͢ ͣͣ
ͣ͢ ͵ͺͣ
͵ͺ͢ ͣͧ ు͑ 橊喦嵢勾
Ͳʹͪ͡ίͣͧͥ·
ͦ͡౅ͧ͡͹Ϋ ͥίͣ͡ΞͲ ͵ʹ͢ίͦ· 沋崫ͤ
͸Ϳ͵ Ͳ΀͑͢͝
ͣͤ ృ͑ ͤ͢
ͣ͢ ͣͤ
ͣͣ ͵ͺͤ
͵ͺͣ ͣͨ
ͣͩ ు͑
ు͑
Ͳ΀ͣ
͵ʹͥίͣ͡ΞͲ
͸Ϳ͵ Ί ͵ʹ͑ Ͳ΀͑͢͝ ͣͪ ృ͑ 橊喦嵢勾
ͥ
ͤ ͥ͢
ͤ͢ ͣͥ
ͣͤ ͵ͺͥ
͵ͺͤ ͣͩ ు͑
ృ͑
ͥίͣ͡ΞͲ
ు͑
Ͳ΀ͣ ͵ʹ͢ίͦ· 沋崫ͣ
͵΀͢ ΅ ృ͑ ͵ʹͥίͣ͡ΞͲ
Ί ͵ʹ͑ ʹ΀; ృ͑
ు͑ 橊喦嵢勾
ͦ
ͥ ͦ͢
ͥ͢ ͣͦ
ͣͥ ͵ͺͥ ͤ͡
ͣͪ ృ͑
ͥίͣ͡ΞͲ ు͑
͵ʹ͢ίͦ· 沋崫ͣ
͵΀͢ ͸΅ ృ͑ ʹ΀; ͤ͢ ు͑ 洊幞͑沋崫
ͧ
ͦ ͧ͢
ͦ͢ ͣͦ ͤ͡ ͵ʹΞͲ͑͑͑͑
͵΀ͣ ͸ ృ͑
ు͑
娚滆瘾 ͨ
ͧ ు͑ ͨ͢
ͧ͢ ͤͣ
ͤ͢ ͵ʹΞͲ͑͑͑͑洊幞͑沋崫
猧欮洆穳熺 橊喦嵢勾
犢崫 ͵΀ͣ ͵ʹͥίͣ͡ΞͲ Ͳ΀ͤ ృ͑ 沋崫 沋崫͢
娚滆瘾 ͩ
ͨ ృ͑ ͩ͢
ͨ͢ ͤͤ
ͤͣ
ు͑ ృ͑ 猧欮洆穳熺 橊喦嵢勾
犢崫 ͵ʹͥίͣ͡ΞͲ Ͳ΀ͤ ·͑͝Ξ· 沋崫 沋崫͢
͵΀ͤ ͪ
ͩ ృ͑ ͪ͢
ͩ͢ ͤͥ
ͤͤ ు͑
ృ͑ 洊橛͑沋崫
ీ͑ ·͑͝Ξ·
͵΀ͤ ͢͡
ͪ ͣ͡
ͪ͢ ͤͥ
ు͑ృ͑
洊橛͑沋崫
ీ͑ ు͑ 櫺洊堆͑沋崫
͢͡ ͣ͡
ృ͑
ు͑ 櫺洊堆͑沋崫
懺浶͑犢崫
͑ͥ~ͣ͡ΞͲ
懺浶͑犢崫
崎瑚塚͑姷
͑ͥ~ͣ͡ΞͲ
崎瑚塚͑姷

ీͣ͸ ͨ͢ ͩ͢
微塾汾͑凃殶͑懺浶͑犢崫汆͑͑͑͑͑͑͑͑͑͑沋城埪͟
௙ͦ͸ ͥ͢ ͦ͢
微塾汾͑凃殶͑懺浶͑犢崫汆͑͑͑͑͑͑͑͑͑͑愕͑͑͑͑͑͑͑͑͑͑沋城͑
ͨ͢ ͩ͢ 埪͟
ీͣ͸ ͨ͢ ͩ͢
微塾汾͑凃殶͑懺浶͑犢崫汆͑͑͑͑͑͑͑͑͑͑沋城埪͟
· 증설 단자 배열 ͥ͢ ͦ͢
͵΀ͥ ௙ͦ͸ 微塾汾͑凃殶͑懺浶͑犢崫汆͑͑͑͑͑͑͑͑͑͑愕͑͑͑͑͑͑͑͑͑͑沋城͑
ͩ͢
ͨ͢ ΄͵Ͳ 埪͟
͵ͺ͑ͦ ͥ͢ 抆穞 ͥͪ ͦͨ
RS-485의 경우 ͵΀ͦ ΄͵ͳ
͵ͺ͑ͧ ͥͣ 抆穞 ͦ͡ ͦͩ
凊匶͑洊毖 ͣ͸ ͦ͸
͵΀ͧ
͵΀ͥ 抆穞 ు͑ ΃͵Ͳ
͵ͺ͑ͨ
͵ͺ͑ͦ ͥͤ
ͥ͢
͢ ͦ͢
ͥͪ ͢͢ ͦͨ ΄͵Ͳ ͵ͺ͢
ͣ͢ ͦͪ ͣͧ 歾抆͑皻柦
ృ͑
͵ʹͣͧ͢͟ίͣͧͥ͟·
凊匶͑洊毖 ͵ʹ͑ 橊喦嵢勾
͵΀ͨ ͣ͸ ͦ͸ ͵ʹ͢ίͦ·
ͦ͡౅ͧ͡͹Ϋ ͵΀ͦ 抆穞 ͥίͣ͡ΞͲ ΃͵ͳ 沋崫ͤ
͵ͺ͑ͩ
͵ͺ͑ͧ ͥͥ
ͥͣ 抆穞 ͦͣ ు͑
ͦ͡ ͧ͡ ΄͵ͳ ͣͨ ృ͑
ͣ͢ ృ͑ ͵ʹ͑ ͣ͢
͢͢ ͣ͢ ͦͩ
ͣͣ ͵ͺͣ
͵ͺ͢ ͣͧ ు͑ 橊喦嵢勾
͵ʹͣͧ͢͟ίͣͧͥ͟·
͵΀ͩ
͵΀ͧ ͥίͣ͡ΞͲ ΄͸ ͵ʹ͢ίͦ· 沋崫ͤ
ͦ͡౅ͧ͡͹Ϋ
͵ͺ͑ͪ
͸Ϳ͵
͵ͺ͑ͨ ͥͦ 抆穞
抆穞 ͦͤ Ͳ΀͑͢͝ ͧ͢ ΃͵Ͳ 歾抆͑皻柦
ͥͤ
ͣͤ ͦ͢ ృ͑ ͤ͢
ͣ͢ Ͳ΀ͣ ͣͣ ͦͪ
ͣͤ ͵ͺͤ
͵ͺͣ ͣͨ
ͣͩ ు͑
͵΀ͨ ు͑ ͵ʹͥίͣ͡ΞͲ
΃͵ͳ
͵ͺ͢͡
͵ͺ͑ͩ͸Ϳ͵ ͥͧ
ͥͥ
ͥ
ͤ 抆穞 Ί ͦͥ
ͦͣ ͵ʹ͑ ͥ͢
Ͳ΀͑͢͝
ͣͥ ͧ͡
ͣͤ ͵ͺͥ
͵ͺͤ ͣͪ
ͣͩ
ృ͑
ు͑
ృ͑
橊喦嵢勾
ͥίͣ͡ΞͲ ͤ͢ Ͳ΀ͣ
ు͑ ͧͣ ͵ʹ͢ίͦ· 沋崫ͣ
͵΀͢ ͵΀ͩ ΅ ͦͤ ృ͑ 愚決檺枪͑箒嵢 ΄͸ ͵ʹͥίͣ͡ΞͲ
͵ͺ͢͢
͵ͺ͑ͪ ͥͨ
ͥͦ 抆穞 Ί ͦͦ ͵ʹ͑ ʹ΀;
ͧ͢ ృ͑
ు͑ 橊喦嵢勾
ͦ
ͥ ͦ͢
ͥ͢ ͣͦ
ͣͥ ͵ͺͥ ͤ͡
ͣͪ ృ͑
ͥίͣ͡ΞͲ ͧͤ ు͑ 沋崫ͣ
͵΀͢ ͸΅ ͵ʹ͢ίͦ·
͵ͺͣ͢
͵ͺ͢͡ ͥͩ
ͥͧ ͦͧ
ͦͥ ృ͑ ʹ΀; ు͑ 洊幞͑沋崫
ͧ
ͦ ు͑ ృ͑ ͧ͢
ͦ͢ ͣͦ ͤ͢
ͤ͡ ͵ʹΞͲ͑͑͑͑
͵΀ͣ ͧͥ
ͧͣ ృ͑
歾抆͑洊毖͸ ు͑
͵ͺ͢͢
娚滆瘾
ͣͦ 埮沖嵢 ͥͨ
ͨ
ͧ ͦͦ 愚決檺枪͑箒嵢
ͨ͢ ͤͣ
ͤ͢ ͵ʹΞͲ͑͑͑͑洊幞͑沋崫
͵ʹ͢͡~ͣͪ· ు͑ ͧ͢ 猧欮洆穳熺 橊喦嵢勾
犢崫 ͵΀ͣ ͵ʹͥίͣ͡ΞͲ Ͳ΀ͤ ͧͤ ృ͑ 沋崫 沋崫͢
͵ͺͣ͢
娚滆瘾 ͥͩ
ͩ
ͨ ͦͧ ృ͑ ͩ͢
ͨ͢ ͤͤ
ͤͣ
ు͑ ృ͑ ు͑ ృ͑ 猧欮洆穳熺 橊喦嵢勾
犢崫 ͵ʹͥίͣ͡ΞͲ ͧͥ
歾抆͑洊毖 Ͳ΀ͤ ·͑͝Ξ· 沋崫 沋崫͢
ͣͦ 埮沖嵢 ͵΀ͤ ͪ
ͩ ృ͑ ͪ͢
ͩ͢ ͤͥ
ͤͤ
͵ʹ͢͡~ͣͪ· ు͑
ృ͑ 洊橛͑沋崫
ీ͑ ·͑͝Ξ·
͵΀ͤ ͢͡
ͪ ͣ͡
ͪ͢ ͤͥ
ు͑ృ͑
洊橛͑沋崫
ీ͑ ు͑ 櫺洊堆͑沋崫
͢͡ ͣ͡
RS-232C의 경우 ృ͑
櫺洊堆͑沋崫
ు͑
懺浶͑犢崫
͑ͥ~ͣ͡ΞͲ
ͦͪ ΃͵ 懺浶͑犢崫
崎瑚塚͑姷
͑ͥ~ͣ͡ΞͲ
΄͵
ͧ͡ 崎瑚塚͑姷
΄͸
ͧ͢ ΃͵
ͦͪ

΄͵ ీͣ͸ 微塾汾͑凃殶͑懺浶͑犢崫汆͑͑͑͑͑͑͑͑͑͑沋城埪͟
ͨ͢ ͩ͢
ͧ͡
௙ͦ͸ 微塾汾͑凃殶͑懺浶͑犢崫汆͑͑͑͑͑͑͑͑͑͑愕͑͑͑͑͑͑͑͑͑͑沋城͑
ͥ͢ ͦ͢ ͨ͢ ͩ͢ 埪͟
΄͸ ీͣ͸ 微塾汾͑凃殶͑懺浶͑犢崫汆͑͑͑͑͑͑͑͑͑͑沋城埪͟
ͨ͢ ͩ͢
ͧ͢
௙ͦ͸ 微塾汾͑凃殶͑懺浶͑犢崫汆͑͑͑͑͑͑͑͑͑͑愕͑͑͑͑͑͑͑͑͑͑沋城͑
ͥ͢ ͦ͢ ͨ͢ ͩ͢ 埪͟
11
■결선상의 주의사항 3. 설치 환경의 노이즈 발생원과 대책
1. 계기내 절연 설치 환경의 노이즈 발생원에는 일반적으로 다음 사항을
.
柪昦͑割把 汆͑洎櫶夞檺͑沎汒 고려할 수 있습니다.
洖昦͑抆把 汆͑洎櫶夞檺͑沎滆͑橐汒
릴레이 및 접점, 전자 코일, 전자 밸브, 전원 라인(특히,
橊喦嵢勾͑犢崫͙͢Ͳ΀͚͢
沋崫͙͢Ͳͺ΃͚͢ ͙洢檺͑犢崫͑ͥίͣ͡ΞͲ͚ AC90V 이상), 유도 부하, 인버터, 모터의 정류자(整流子),
͙禆͑彆矶͚
橊喦嵢勾͑犢崫͙ͣͲ΀͚ͣ 위상각 제어 SCR, 무선 통신기, 용접 기계, 고압 점화 장치 등.
沋崫͙ͣͲͺ΃͚ͣ ͑
娚 ͙懺浶͑犢崫͑ͥίͣ͡ΞͲ͚ (1) 반응이 빠른 노이즈에 대한 대책
͙ͥίͣ͡ΞͲ͑‫͑͢נ‬ίͦ·͚ ͑
橊喦嵢勾͑犢崫͙ͤͲ΀͚ͤ 반응이 빠른 노이즈에는 CR 필터가 효과적입니다.
͑

沋崫͙ͤͲͺ΃͚ͤ ͙懺浶͑犢崫͑ͥίͣ͡ΞͲ͚
͑ 권장 필터 당사 형번 81446365-001
͙͢ίͦ·͚
͑

嵢塚͑皻柦͑沋犢崫 ͑ 娚滆瘾͑犢崫͢ (2) 파고값이 높은 노이즈에 대한 대책
͙庺崎決͑犢崫͑͢Β͚
͑ 파고값이 높은 노이즈에는 배리스터가 효과적입니다.
͑箒 娚滆瘾͑犢崫ͣ
娚滆瘾͑沋崫
͙庺崎決͑犢崫͑͢Β͚
단, 배리스터는 고장이 발생되면 단락되므로 사용시 주의
ͣ͢洖 ͑
͑嵢 해 주십시오.
娚滆瘾͑犢崫ͤ
͙庺崎決͑犢崫͑͢Β͢Γ͚ 권장 배리스터 당사 형번 81446366-001(AC100V용)
皻柦͑沋犢崫 娚滆瘾͑犢崫͑ͥίͩ 81446367-001(AC200V용)
ా΃΄ృͥͩͦ͑‫΄΃͑נ‬ృͣͤͣʹి ͙欪税瑢崏瘶͑犢崫͚

侻ⴆ⪞#㊆ᴏ#8J+ⳮṂ#㊆ᴏ,#㖪Ɐ侼 4. 접 지
본 계기의 접지는 단자③의 FG 단자에 1점 접지로 하고,
沋崫͙͢Ͳͺ΃͚͢ 橊喦嵢勾͑犢崫͙͢Ͳ΀͚͢ 간접 결선을 하지 마십시오. 실드선을 접지하기 어려울 때
͙禆͑彆矶͚ ͙洢檺͑犢崫͑͢ʹ͑庺崎決ϧ͚ͣ
는 접지 단자대(어스바)를 별도로 준비해 주십시오.
微瘶͑穂姢愷͑沋崫 접지 종류 :제3종 접지 이상(100Ω 이하)
沋崫͙ͣͲͺ΃͚ͣ ͑

͙ͥίͣ͡ΞͲ͢͠ίͦ·͚ ͑ 접지선 :2mm2이상의 연강선(AWG14)
͑ 橊喦嵢勾͑犢崫͙ͤ͑Ͳ΀͚ͤ 접지선 길이 :최대 20m
沋崫ͤాͲͺ΃ͤి 滆
͑ ͙懺浶͑犢崫͑ͥίͣ͡ΞͲ͚
ా͢ίͦ·ి
͑
瘾 ͤ ͷ͸
嵢塚͑皻柦͑沋犢崫 ͑ 娚滆瘾͑犢崫͢
͙庺崎決͑犢崫͑͢Β͚
͑

͑ 娚滆瘾͑犢崫ͣ ͑͑ 洗滆埮沖堆
娚滆瘾͑沋崫
͙庺崎決͑犢崫͑͢Β͚ ా檺枪愚ి
ͣ͢洖 ͑ 洢ͤ涋͑洗滆͑決旇
͑嵢 娚滆瘾͑犢崫ͤ
͙庺崎決͑犢崫͑͢Β͢Γ͚

皻柦͑沋犢崫 娚滆瘾͑犢崫͑ͥίͩ
ా΃΄ృͥͩͦ౅΃΄ృͣͤͣʹి ͙欪税瑢崏瘶͑犢崫͚
5. 배선 공사상의 주의사항
侻ⴆ⪞#㊆ᴏ#5J+⯮㍂#⌮ᴪ,#㖪Ɐ侼
(1) 노이즈 대책 후의 전원선은 1차측과 2차측을 함께 묶거나
2. 계기 전원의 노이즈 대책 동일 배선관 또는 동일 덕트 안에 넣지 마십시오.
(1) 노이즈 절감 (2) 입출력선과 통신선은 AC90V 이상의 동력선이나 전원선에
노이즈가 적은 경우에도 라인 필터를 사용하여 최대한 노 서 50cm 이상 떨어뜨려 주십시오. 또한, 동일 배선관이
이즈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조치해 주십시오. 나 동일 덕트 안에 넣지 마십시오.
(2) 노이즈가 많은 경우
노이즈가 많은 경우에는 절연 트랜스와 라인 필터를 사용 6. 결선후 점검
하여 노이즈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조치해 주십시오. 결선이 완료되면 반드시 결선 상태를 점검 및 확인해 주십
  · AC전원 모델 시오. 결선이 잘못되면 계기의 고장 및 고장의 원인이 되
본 기기의 전원은 단상 계기용 전원에서 취하여 최대한 노 므로 주의해 주십시오. 
이즈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해 주십시오.
ͣͣ͡͡͠͡͡· 劒沫禎
͢͢͡͡͠͡͡· ͩͥͥͧͤͧͥ͢͢͞͡͡
洎櫶͑瞾岢枪 岂汾͑穊瘶 ΄͵ʹͥ͡
凊匶͑洊毖
͢ ͤ ͢
Ͳʹͪ͡ίͣͧͥ·͑ Ͷ ͣ
ͦͧ͡͠͡͹Ϋ
ͣ ͥ ͤ

洗滆 洗滆
痆͑箒嵢

ͣͣ͡͡͠͡͡· 劒沫禎
͢͢͡͡͠͡͡· ͩͥͥͧͤͧͥ͢͢͞͡͡
洎櫶͑瞾岢枪 岂汾͑穊瘶 ͵ʹͣͥ·ρ͖͢͡ ΄͵ʹͥ͡
凊匶͑洊毖
͢ ͤ ͵ʹ ͢
埮旇Ͳʹ ు͑
Ͷ 洊毖
ͦͧ͡͠͡͹Ϋ
沫獞 ృ͑
ͣ ͥ ͣ
͑ ͤ
洗滆
洗滆
痆͑箒嵢 痆͑箒嵢

12
13
주문·사용시에는 하기의 URL로 접속하여「주문시의 주의사항」,
「주문시의 승낙사항」을 반드시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http://www.azbil.com/products/bi/order.html

[주의] 이 자료의 기재 내용은 예고없이 변경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양해 부탁드립니다. (05)

아즈빌주식회사 한국아즈빌주식회사
【일본 본사•제조처】 【한국 법인 • 판매처】
도쿄 치요다구 마루노우치 2-7-3 도쿄빌딩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 31길 12 태평양물산빌딩 11층
URL: http://www.azbil.com/ TEL: (02)2168-7800 FAX: (02)761-9363
URL: http://kr.azbil.com/

일본어판 수 2012년 9월 초판 발행(KR Y)


2013년 10월 개정 11판 2015년 2월 개정 3판 (KR Y)

© 2012-2015 Azbil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1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