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5

<일반해양학 14장>

플랑크톤, 조류, 해산식물


Part 1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조형미

1
2
플랑크톤(plankton)

• 부유생물로 수중을 떠도는 생활을 하는 생물


- 바닷물이 흘러가는대로 떠다니거나 약하게 유영하며,
파도나 해류의 흐름을 거슬러 지속적으로 이동할 수는 없음

• “Planktos” (그리스어): 돌아다니는, 헤매는, 방랑하는

• 떠살이 생물(순수한국어 표현)

• 유영동물(nekton), 저서생물(benthos)과는 구별됨

3
Marine life 3 categories:

1. Benthos: bottom dwellers (sponges, crabs, marine algae)


2. Nekton: strong swimmers (whales, fish, squid)
3. Plankton: animal/plants that drift in water.
The have little control over their movement.
(diatoms, dinoflagellates, larvae, jellyfish, bacteria)

4
Marine life 3 categories:

1. Benthos: bottom dwellers (sponges, crabs, marine algae)


2. Nekton: strong swimmers (whales, fish, squid) 표영성 vs. 저서성 대양어류 vs. 연안어류
(부어류 vs. 저어류)
3. Plankton: animal/plants that drift in water.
The have little control over their movement.
(diatoms, dinoflagellates, larvae, jellyfish, bacteria)

5
Marine life 3 categories:

1. Benthos: bottom dwellers (sponges, crabs, marine algae)


2. Nekton: strong swimmers (whales, fish, squid)
3. Plankton: animal/plants that drift in water.
The have little control over their movement.
(diatoms, dinoflagellates, larvae, jellyfish, bacteria)

분류학적으로는 식물플랑크톤과 동물플랑크톤으로 구별한다.

• 식물플랑크톤 (에너지 합성 O)
- 체내에 클로로필 등의 색소를 갖고 광합성에 의해 독립 영양을 영위

• 동물플랑크톤 (에너지 합성 X)
- 다른 생물이나 그 파편을 포식하는 종속 영양을 영위

6
플랑크톤 채집 방법은 개체의 크기에 달려 있다
1925~1926년 독일의 대서양 해양과학 탐사기간 동안 탐사선 메테오르호에
승선한 생물학자들은 대규모의 체계적 플랑크톤 연구를 최초로 수행

▶ 표준 원추형 그물은 미세한 망목을 갖고 입구의 지름이


1 m까지 되는 그물이며 일정 거리를 두고 배 뒤에서 끈다.
개체 밀도는 잡힌 개체수와 채집할 때 네트를 통과한 물의
부피로 추정한다.

7
8
플랑크톤 채집 방법은 개체의 크기에 달려 있다
“Bongo net sampling”

9
크기에 따른 플랑크톤 분류체계

▶ 크기에 따라 7단계로 구분한 플랑크톤 분류체제. 각 분류군은 이전 단계보다 10배 정도 크다.


10
Phytoplankton
식물플랑크톤은 독립영양생물이다

해양의 일차생산을 책임진다! 산소를 생산한다!

11
Picoplankton
피코플랑크톤(초미세플랑크톤)
남조박테리아(남세균, cyanobacterium)

• 이전에는 남조류(Blue-green algae)라 하여 진핵생물


(Eukaryotes)의 일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원핵생
물(Prokaryotes)로 그 분류 체계가 재수정되고 있는
세균의 일종

• 전 세계 해양에 존재하는 광합성 초미세플랑크톤 군


집 지배

• 영양염 농도가 낮은 열대 해역 표층에서 초미세플랑


크톤이 모든 광합성 활동의 80% 기여할 것으로 추정

12
미생물 먹이고리(microbial loop)

13
돌말류(규조류, diatom)
• 남조류를 제외하면, 플랑크톤 중 가장 광합성 생산력이 높음
• 1억년 전 백악기 때부터 식물플랑크톤의 생산을 주도
• 단단한 세포벽 돌말껍데기(frustule) 질량의 95%가 규산질(SiO2)
• 대부분 단세포, 이분법 번식을 함

14
돌말류(규조류, diatom)의 세포분열 번식

▶ 광학현미경에서 관찰한 돌말류의 세포분열


증대포자 형성

15
와편모조류(dinoflagellate)

• 단세포 독립영양생물
• 셀로로오스성 세포벽 사이에 파여진 홈 속에 2개의 채찍형 편모(flagella)를 가지고 있다
• 편모 중 하나는 개체를 앞으로 나아가게 하고, 다른 하나는 물속에서 회전하게 한다 (dino:소용돌이, flagellum:채찍)
• 와편모조류는 편모를 이용하여 방향과 깊이를 조절하여 연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최적의 빛조건, 영양염 조건)
• 광범위하게 분포, 이분법 번식, 단독생활
16
와편모조류(dinoflagellate) – ex) 황록공생조류

17
와편모조류(dinoflagellate)
생물 발광(bioluminescence) 신비한 몰디브 해변의 마법?

18
적조(red tide)
• 플랑크톤의 이상 증식으로 바다와 강, 운하, 호수 등이 변색하는 현상
• 유해성 조류 대발생(harmful algae bloom, HAB)

19
녹조(green tide)

▶ 녹조류 파래(Enteromorpha) 대발생.


2008년 중국 칭다오의 올림픽 요트 경기장
을 초토화 시킴

20
석회비늘편모조류(coccolithophore)

▶ 유명한 도버의 화이트 클리프


- 암석화된 코콜리스가 융기한 것.
- 약 1억년 전 해저에 퇴적된 석회성분
이 다른 퇴적물로 덮인 후에 열과 압력
을 받아 부드러운 석회암으로 되었다.

▶ 석회비늘편모조류의 대발생.
www.earthguide.ucsd.edu
21
미세 조류의 친환경적인 활용
녹조로 녹조를 해결하다

▶ 녹조라떼?

▶ 수족관용 algae turf scrubber 22


미세 조류의 친환경적인 활용
바이오 디젤(biodiesel)
우리 바다에서 만드는 초록빛 기름, 바이오매스
- 미세조류(algae)로 부터 바이오 연료 추출
콩, 옥수수 등 곡물을 이용하는 것에 비해 저렴하고, 곡물 가격 상승으로부터 자유로움

23
미세 조류의 친환경적인 활용
바이오 디젤(biodiesel)

해양 바이오디젤 연료로 서울-부산 주행 성공

24
 요약

• 해양에서 떠다니는 생물인 ‘플랑크톤’


• 식물플랑크톤은 돌말류, 와편모조류와 같은 큰 단세포 식물성 개체와 박테리아와 남조박테리아를 포함
 해양의 일차 생산력의 대부분을 책임지고 있음
• 녹조와 적조
• 미세조류의 친환경적 활용의 예

2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