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수능(94~17학년도), 모의고사(03~16년)

단원 : 항등식, 나머지정리
1. 다음 식의 분모를  으로 만들지 않는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4.음이 아닌 정수 에 대하여 을  로 나눈 나머지를  , 
    으로 나눈 나머지를  이라 하자. <보기> 중 항상 옳은 것을
    ⋯  
     ⋯         모두 고른 것은? 4)

이 성립할 때,     ⋯  의 값은? 1)

[3점][2000학년도 수능]
[1.5점][1995학년도 수능] [ 보 기 ]
①  ②   ③  ④    ⑤   ㄱ.      
ㄴ.      
ㄷ.      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2. 다항식           를    로 나누면 나머지가  이다.


 의 값은? 2)

5. 다항식 를     로 나눈 나머지가    일 때,


[1점][1996학년도 수능] 를    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시오. 5)

①  ②  ③  ④    ⑤    [2점][2001학년도 수능]

6. 다항식            에 대하여  를   로 나누


3. 다항식      를    로 나눈 나머지는? 3)

었을 때의 나머지를  ,  를  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3점][1998학년도 수능] 를  라고 하자.      일 때,  를    으로 나눈 나
①    ②   ③  머지를 구하시오. 6)

④    ⑤    
[3점][2003학년도 수능]

1 3
2 수학 영역
━━━━━━━━━━━━━━━━━━━━━━━━━━━━━━━━━━━━━━━━━━━━━━━━━━━━━━━━━━
항등식, 나머지정리

7. 7) 다항식    를    로 나눈 나머지는  이고,    로 나눈 10. 다항식    ⋯      을    로 나눈 몫을   라



나머지는   이다.    를      로 나눈 나머지를    라 고 할 때,   를    로 나눈 나머지는? 1 0)

고 할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3점][2006년 10월]


[2점][2003년 6월] ①    ②    ③   
 
④    ⑤   

8. 다항식  를    로 나눈 몫은    이고 나머지가  일


때,  를    로 나눈 나머지는? 8)

[2점][2004학년도 수능]
①  ②  ③  ④  ⑤ 

9.  을  로 나눈 나머지는? 9)

[3점][2006년 9월]
①  ②  ③  ④  ⑤ 

2 3
항등식, 나머지정리 수학 영역
━━━━━━━━━━━━━━━━━━━━━━━━━━━━━━━━━━━━━━━━━━━━━━━━━━━━━━━━━━
3
[해설] 수1-(2)항등식, 나머지정리 7) 21
다항식 P (x)를 x-1, x+2로 나눈 나머지가 각각 3, -3이므로
1) ① P (1)=3, P (-2)=-3 ………………………… ㉠
 
다항식 P (x)를      로 나누었을 때,
     ⋯    몫을 Q(x), 나머지를 R (x)=ax+b (단, a, b 는 상수)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양변에      ⋯   을 곱하면
P (1)=a+b=3 ( ∵ ㉠)
        ⋯    P (-2)=-2a+b=-3 ( ∵ ㉠)
       ⋯    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식은  의 항등식이므로      ⋯    8) ③

2) ③ 다항식    를    로 나눈 몫은    이고 나머지가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로 놓으면
나머지 정리에 의하여    를    로 나눈 나머지는   이고,
   로 나눈 나머지는 나머지 정리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②
3) ①   ⋯ 일 때  을  로 나눈 나머지를 차례로 쓰면
                       ⋯ 과 같이     이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  

이 때,    ×   이므로  을  로 나눈 나머지는  이다
4) ④
10) ③

직선  의 기울기는 
     ⋯          이고
  를    로 나눈 나머지는 이다.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가)   
∴         
 
직선  에 수직이고 점 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이므로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나)= 

   또는    이면
 ⊥
  또는   ⊥  이므로
∆  는 직각삼각형
∴ (다)=직각삼각형

5) 
 를     로 나눈 몫을  라 하면
나머지가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를    로 나눈 나머지는  이다.

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3 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