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1

삼계탕용 한약재의 안전실태 조사

2007. 10.

소비자안전센터
식의약안전팀
◀ 목 차 ▶

I. 조사개요 ························································································1
1. 조사배경 및 목적 ·········································································1
2. 조사대상 ···························································································2
3. 조사내용 및 방법 ···········································································2
4. 조사기간 ···························································································2

II. 일반현황 ·······················································································3


1. 시장현황과 제품형태 및 내용물 ···············································3
2. 잔류 이산화황 및 중금속 허용기준 ·········································6
3. 삼계탕용 한약재 관련 소비자 위해 사례 ·······························8

Ⅲ. 조사결과 ·····················································································9
1. 이산화황 시험결과 ········································································9
2. 중금속 시험결과 ···········································································11
3. 제품의 표시 실태 ·········································································12

Ⅳ. 문제점 및 대책 ······································································14
1. 한약재의 위해물질 검사기준 일원화 ·····································14
2. 식품용 한약재에 대한 중금속 허용기준 제정 ····················14
3. 삼계탕용 한약재의 위해물질 검사 확대 및 품질규격화 ··15
4.「식품등의 표시기준」에 부합한 제품 표시 ························16

별첨 삼계탕용 한약재 제품의 표시실태 ······································· 17


Ⅰ. 조사개요

1. 조사배경 및 목적

○ 우리나라에서 소비자들이 가장 즐겨먹는 보양식품은 삼계탕으로 알려


져 있음. 요즈음 삼계탕 수요는 계절에 관계없이 소비되고 있지만,
특히 여름철 삼복(三伏)더위 시기에 급증하고 있음.

- 이와 함께 삼계탕에 들어가는 식품용 한약재(황기, 천궁, 당귀 등)


의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음.

○ 삼계탕용 한약재는 최근 2년 전부터 소비가 늘면서 시중의 백화점과


대형할인점 그리고 재래시장에서 판매되고 있음.

- 삼계탕용 한약재에는 공통적으로 황기가 가장 많이 들어가고, 당귀,


천궁, 오가피, 헛개나무, 엄나무, 대추, 은행 등이 들어감.

- 원산지는 중국산․국내산 재료가 섞여 있거나, 중국산 또는 국내산


재료만으로 포장되어 판매되며, 국내산 제품의 가격이 다소 비쌈.

○ 한편, 2006년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청의 한약재 위해물질 검사


결과, 동년 6월말 현재 수입 한약재의 부적합 비율이 12.2%로 어느 해
보다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이는 2005년 잔류 이산화황 검사와 2006년 중금속 검사를 추가한


결과로 보임.

- 184건의 부적합 건수 중 잔류 이산화황 기준 초과가 68건으로 가


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중금속이 검출된 사례도 24건이나 됨.

○ 이에 식품용 한약재의 위해성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하나의 사례로


서 시중에서 판매되는 삼계탕용 한약재 제품을 여름철 삼복더위로
삼계탕 소비가 급증하는 시기에 수거하여 잔류 이산화황과 중금속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나
타난 문제점에 대해서는 제도개선 등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함.

- 1 -
2. 조사대상

○ 백화점, 대형할인점, 재래시장에서 판매되는 닭고기와 함께 포장되


거나, 별도 포장된 삼계탕용 한약재 : 31종

- 백화점, 대형할인점 : 13종

- 재래시장 : 18종

3. 조사내용 및 방법

조사내용 조사방법

○ 이산화황 잔류 실태
○ 중금속(납, 카드뮴, 수은, 비소) 오염 시험검사*
실태

○ 원산지 및 식품의 유형 등 표시사항 실태조사

○ 관련 법규, 잔류 및 허용 기준 자료조사

* 시험검사는 한국소비자원 시험검사국에서 수행

4. 조사기간

○ 2007. 7. 31. ~ 10. 30. (3개월)

- 2 -
Ⅱ. 일반현황

1. 시장현황과 제품형태 및 내용물

가. 시장현황

○ 삼계탕용 한약재 제품은 백화점이나 대형할인점의 닭고기 매장


에서 닭고기와 함께 포장된 상태로 판매되거나, 재래시장의 닭
고기나 한약재 판매점에서 닭고기와는 별개로 삼계탕용 한약재
만을 포장한 제품이 판매되고 있음.

- 판매 가격은 삼계탕용 한약재가 함께 포장된 닭고기는 5,000원


정도에 구입할 수 있고, 삼계탕용 한약재만을 모아 포장한 제
품은 1,500~3,500원 정도임.

○ 삼계탕용 한약재 시장은 여름철 삼복더위에 활기를 띄게 되고


40~50여 개의 중소업체들이 관여하고 있는데, 생산이나 판매
통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임.

- 단지 도계(屠鷄) 숫자 중 삼계(蔘鷄) 숫자를 파악하여 통상 삼


계와 함께 판매되는 삼계탕용 한약재의 판매 정도를 추정함.

- 2006년 도계숫자는 6억8백5십만마리이고 삼복더위 기간인 6~8


월 도계(191,233,000마리)중 19.6%(37,481,668마리)가 삼계임.

※ 삼계는 원래 산란계의 암컷과 육계 수컷을 교잡하여 산출됨.

나. 제품형태 및 내용물

1) 닭고기와 함께 포장된 삼계탕용 한약재

○ 아래 [사진1]처럼 닭고기 포장 내에 삼계탕용 한약재 포장을


넣은 제품임.

- 동 제품은 삼계탕용 한약재만으로 포장된 제품과 내용물에서

- 3 -
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으나, 제품의 차별화로 한약재의
내용물이 일부 상이한 경우도 있음.

[사진1] 닭고기와 함께 포장된 삼계탕용 한약재

2) 삼계탕용 한약재만으로 포장된 제품

○ 아래 [사진2]처럼 삼계탕용 한약재만을 모아 포장된 제품임.

[사진2] 삼계탕용 한약재만으로 포장된 제품

- 4 -
3) 삼계탕용 한약재의 내용물

○ 삼계탕용 한약재에는 전체적으로 식품용 한약재 20여 개 품목


이 들어감. 이외에도 대나무, 죽염, 찹쌀이 들어가는 제품이
있음.

- 삼계탕용 한약재 1개 제품 당 내용물은 한약재 약 5~8 품목


이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남.

【 삼계탕용 한약재로 들어가는 품목들 】

황기, 가시오가피, 천궁, 녹각, 헛개나무(지구목), 헛개나무 열


매(지구자), 당귀, 감초, 둥글레(황정), 건삼, 밤(건율), 대추, 녹
두, 뽕나무(상지), 엄나무(해동피), 은행(백과), 사삼(잔대), 하수
오, 오가목, 산삼배양근 등

○ 삼계탕용 한약재는 식품과 의약품에 공동으로 사용되는 한약


재임. 현재 「대한약전」 및 「생약규격집」에 수재된 한약재
520개 품목 중 189개 품목을 식품과 의약품 공동으로 사용함.

[사진3] 삼계탕용 한약재 1개 제품의 내용물

- 5 -
○ 삼계탕용 한약재에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품목은 황기이고,
황기의 제품 당 배합비율은 30%~70%를 차지함. 평균적으
로는 52%임.

2. 잔류 이산화황 및 중금속 허용 기준

가. 이산화황

1) 특성

○ 황과 산소의 화합물(SO2)이고, 황이 연소할 때에 발생하는 기


체로 무색의 달걀 썩는 자극성 냄새가 나는 아황산가스, 아황
산무수물이라고도 함.

○ 이산화황은 표백제, 보존제, 산화방지제 등으로 사용되는


식품첨가물로, 한약재를 연탄불에 말리거나 충해를 막기
위해 유황을 태워 쪼일 경우 잔류할 수 있는 유해물질임.

2) 인체 유해성

○ 급성피해로는 불쾌한 자극성 냄새, 시정감소, 생리적 장애,


압박감 등이 있고, 만성피해로는 폐렴, 기관지염, 천식, 폐포
의 확대로 폐가 부푸는 폐기종 등임.

- 미국 식의약청(FDA) 조사에 따르면, 기관지 수축, 두통, 복


통, 구토, 현기증, 발진 등 6가지가 보고됨.

○ 특히 천식환자들은 소량만 섭취해도 기도와 폐포를 자극, 호


흡곤란 등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음.

3) 잔류 기준

○ 삼계탕용 한약재는 식품용 한약재로 기타식품의 잔류 이산화


황 기준을 적용함.

- 6 -
※ 식품에 잔류하는 이산화황(SO2)으로서 아래의 기준 이상
남지 아니하도록 사용하여야 함. [식품첨가물공전(식품의약
품안전청 고시 제2007-15호, 2007.3.20. 참고)]

- 기타 식품 : 0.03g/kg (30mg/kg, 30ppm)

나. 중금속

1) 특성

○ 중금속은 비중이 4~5인 무거운 금속임. 유해 중금속으로는 수


은, 납, 카드뮴, 비소, 알루미늄 등이 꼽힘. 식품에 든 중금속
은 토양, 하천, 바다에 오염된 중금속이 뿌리, 아가미 등을 통
해 동식물에 흡수됨.

2) 인체 유해성

○ 납(Pb)은 소량이 장기간에 걸쳐서 체내에 축적되어 나타남.


만성중독 증세로는 피로와 두통, 식욕감퇴, 지각소실, 체중감
소, 사지마비, 시력장애 등임.

○ 카드뮴(Cd)은 심각한 중독증을 일으키는 매우 독성이 강한


중금속임. 만성중독 증상으로 신장장애, 골연화증, 효소작용
저해 등임.

○ 수은(Hg)은 세포와 원형질에 대한 독성작용이 있어 여러 효


소계를 차단하고 신장과 신경계에 대한 심한 위해가 있음.

○ 비소(As)에 의한 급성중독은 주로 무기화합물, 특히 아비산염


을 섭취했을 때 나타나는데, 메스꺼움, 구토, 설사, 복통, 탈
수 등임. 만성중독 증상으로는 두통, 피로, 피부이상, 지각장
해, 운동장해, 정신착란, 신장장해, 간장장해 등임.

- 7 -
3) 허용 기준

○ 삼계탕용 한약재와 같은 식품용 한약재에 대한 중금속 허


용기준은 규정되어 있지 않음.

○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한약재의 유통체계는 식품용 한약재


가 의약용 한약재로 전환되어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한약재를 포함하는 ‘생약 등의 중금속 허용기준’을 준용․
분석해 봄.

※ 생약(한약과 한약재를 포함) 등의 중금속허용기준 (식품의약품안


전청 고시 제2006-17호, 2006.4.21. 참고)

- 식물성 생약은 납 5mg/kg(5ppm) 이하, 비소 3mg/kg 이하,


수은 0.2mg/kg이하, 카드뮴 0.3mg/kg 이하임.

3. 삼계탕용 한약재 관련 소비자 위해 사례

[사례1] 삼계탕용 한약재 넣은 닭고기 먹은 후 두드러기 발생 건


○ 2007.6경 소비자 홍모씨(여)는 대형할인점에서 삼계탕용 한약재
가 동봉되어 있는 닭고기 포장제품을 구입하여 식구들과 함께
먹은 후 온 가족이 두드러기가 발생함. 13개월된 아기는 병원
치료를 받았으나 일주일이 지나도록 호전이 되지 않음.

[사례2] 삼계탕용 한약재의 이물 혼입 건


○ 2007.8경 모 음식점에서 손님이 주문한 삼계탕에 황기, 오가피,
대추 등 삼계탕용 한약재를 넣어 제공하였는데, 벌레가 나와
먹을 수 없었으므로 음식점에서 삼계탕용 한약재 제조사를 상
대로 보상을 요구함.

- 8 -
Ⅲ. 조사결과

1. 이산화황 시험결과 : 별첨1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삼계탕용 한약재 10개 제품에서 폐렴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이산화황이 잔류 기준을 초과하
여 검출(최대 14배까지 검출)됨.

□ 식품용 한약재의 잔류 이산화황 기준[30mg/kg(=ppm)]을 초과한 제


품은 시험검사 대상 31개 제품 중 10개 제품으로 잔류 이산화황 기
준 부적합률이 32.3%인 것으로 나타남.

○ 1개 제품(표1)은 닭고기와 함께 포장된 삼계탕용 한약재임.

- 잔류 이산화황이 기준의 12배에서 14배까지 검출됨.

[표1] 잔류 이산화황 기준을 초과한 닭고기 동봉 삼계탕용 한약재

판매처/ 원재료명과 함량 시험검사 결과


번호 제품명 내용량
제조원 (원산지) (mg/kg)
- 황기15g, 감초2g
마니커 (주)마니커/ (중국산) 352, 406,
1 80g
녹두삼계탕 곰식품 - 가시오가피10g, 당 415, 420
귀1g, 녹두52g(국산)

○ 9개 제품(표2)은 삼계탕용 한약재만으로 포장된 제품임.

- 잔류 이산화황이 불검출 되는 것부터 기준의 12배까지 검출됨.

- 잔류 이산화황의 검출정도가 시료마다 차이를 보이는 것은 삼계


탕용 한약재가 균일한 재료로 구성된 공산품과 다르기 때문임.

- 9 -
[표2] 잔류 이산화황 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된 삼계탕용 한약재(닭고기
와 별도 포장 제품)

판매처/ 원재료명과 함량 시험검사 결과


번호 제품명 내용량
제조원 (원산지) (mg/kg)
- 황기47g,천궁2g, 대추3g
한방 (중국산) 불검출, 불검출,
1 두성식품 60g
삼계탕 - 당귀2g,헛개나무3g,오가 248, 355
피3g (국산)
- 황기45g,오가피4g,대추
4g, 천궁2g (중국산)
수빈 불검출, 12,
2 수빈유통 - 감초3g (러시아산) 70g
한방초 64, 81
- 죽염3g,하수오4g,지구목
5g (국산)
한방토 종 - 황기69%,감초3%(중국)
대아 리 식
닭오리백 - 녹각2% (러시아산) 122, 191,
3 품․ 유 통 68g
숙 ․ 삼계 - 오가목5%, 대추12%,엄 342, 357
․무역
탕용 나무5%,당귀3% (국산)
- 황기44% (중국산)
한방백 숙
고 려 인 삼 - 엄나무25%,오가피10%, 71, 84,
4 삼계탕재 70g
사 당귀10%,대추6%,은행 141, 173

5% (국산)
- 황기44% (중국산)
풍천인삼
궁 중삼계 - 오가피12.5%,대추6%, 불검출, 84,
5 약초 영 농 60g
탕재료 천궁12.5%,엄나무25% 90, 122
조합법인
(국산)
- 황기40g (중국산)
부부식품/
- 천궁5g,대추5g,헛개나무 242, 263,
6 한방백숙 성 일 무 역 85g
10g,오가피10g,엄나무 267, 367
상사
10g,둥글레5g (국산)
- 황기53%,감초9%,천궁
한방초
9% (중국산) 49, 105,
7 (삼계탕재 장수유통 60g
- 오가피9%,헛개나무 124, 147
료)
11%,대추9% (국산)

- 10 -
판매처/ 원재료명과 함량 시험검사 결과
번호 제품명 내용량
제조원 (원산지) (mg/kg)
- 황기30% (중국산)
한방전통
- 녹각4% (러시아산)
삼계탕 62, 62,
8 성우유통 -오가피30%,헛개나무20%, 100g
68, 69
황율8%,대추8%,당귀8%
(국산)
- 황기35g,둥글레2g,오가
전통삼계 피3g (중국산) 113, 161
9 천연BIO 50g
탕 - 당귀3g,대추4g,헛개나무 189, 220
3g (국산)

2. 중금속 시험결과 : 별첨2

삼계탕용 한약재에 대한 중금속 허용기준이 없어 「생약등의중


금속허용기준」을 준용하여 시험해 본 결과, 모든 제품이 허용
기준 이내임.

○ 삼계탕용 한약재와 같은 식품용 한약재에 대한 중금속 허용기준


은 규정되어 있지 않음.

○ 이에 의약용 한약재의 시험검사 기준인「생약 등의 중금속 허용


기준 및 시험방법」(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06-17호, 2006.4.
21.)을 준용하여 시험함.

- 식물성 생약은 납 5mg/kg 이하, 비소 3mg/kg 이하, 수은


0.2mg/kg 이하, 카드뮴 0.3mg/kg 이하임.

○ 시험검사 결과, 31개 제품 모두가 허용기준 이내임.

- 11 -
3. 제품의 표시 실태 : 별첨3

잔류 이산화황 기준을 초과한 삼계탕용 한약재 10개 제품의 원


산지는 모두가 중국산과 국내산 재료가 혼합된 제품이었고,
제품표시는 「식품등의 표시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남.

가. 원산지 표시

○ 조사대상인 삼계탕용 한약재 31개 제품 모두 원산지 표시를 하


고 있음.

- 삼계탕용 한약재가 국내산만으로 포장된 제품이 9개이고, 중국


산만으로 포장된 제품이 1개이며, 국내산과 중국산이 혼합되어
포장된 제품이 21개임.

○ 본 잔류 이산화황에 대한 시험검사 결과, 잔류 기준(30mg/kg)을


초과한 삼계탕용 한약재는 10개 제품으로 나타났는데, 모두가
중국산과 국내산 재료가 혼합되어 포장된 제품임.

- 특히 잔류기준을 초과한 제품 재료의 함량 비율이 55% 정도를


차지하는 황기는 모두가 중국산인 것으로 나타남.

나. 제품 표시

○ 삼계탕용 한약재 제품에 대한 표시 실태를 「식품등의 표시기


준」(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07-3호)에 따라 살펴봄.

○ 식품 등의 표시기준에 따른 표시사항으로는 식품의 유형, 업소


명 및 소재지, 제조연월일, 유통기한, 내용량, 원재료명 및 함량,
성분명 및 함량, 영양성분, 기타 식품 등의 세부 표시기준에서
정하는 사항임.

- 12 -
1) 식품의 유형에 대한 표시

- ‘기타식품류’로 표시된 제품이 9개, ‘농산물’로 표시된 제품이 6


개, ‘일반가공식품’으로 표시된 제품이 1개, 표시 자체가 없는
제품이 15개로 나타남.

2) 내용량에 대한 표시

- 내용량 표시사항을 내용량, 중량, 총중량과 같이 제품에 따라 달


리 표시하고 있음.

- 1개 제품은 내용량을 전혀 표시하지 않고 있으며, 3개 제품은 내


용물 중 개별 재료의 중량만을 표시함.

3) 원재료명(성분명) 및 함량 표시

- 원재료명 및 함량 표시를 ‘성분과 함량’, ‘품명과 중량’, ‘내용물


표시’, ‘성분배합비율’, ‘원산지 및 함량’, ‘원료명’ 등 다양하게 표
시하고 있음.

- 함량 표시는 무게 단위인 ‘g’으로 표시하거나 비율 단위인 ‘%’로


표시하고 있음.

- 1개 제품은 ‘성분 및 함량’이라고 표시하고 있으나 원재료별 실


제 함량(g 또는 %)은 표시하지 않음.

4) 유통기한 표시

- 3개 제품은 ‘포장일’만 표시하고 있을 뿐 유통기한 표시는 하지


않음.

- 13 -
Ⅳ. 문제점 및 대책

1. 한약재의 위해물질 검사기준 일원화

○ 현재 한약재의 일부가 식품과 의약품에 공용으로 사용되고


있음. 「대한약전」 및 「생약규격집」에 수재된 한약재 520
개 품목 중 189개 품목은 식품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한약재
임.

○ 삼계탕용 한약재를 포함한 식품용 한약재의 잔류 이산화황


(SO2) 기준은 「식품첨가물공전」(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07-15호) 상 기타식품류 0.03g/kg(=30ppm)으로 규정하
고 있음.

○ 의약용 한약재의 잔류 이산화황 기준은 「생약(한약과 한


약재를 포함)의 잔류 이산화황 검사기준 및 시험방법」(식품
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5-44호)에서 품목 별로 30ppm 이하
부터 1,500ppm 이하로 규정하고 있음.

⇒ 한약재의 위해물질 중 잔류 이산화황 검사 기준을 30ppm


으로 일원화하여 규정함으로써, 안전하지 않은 한약재가
전환하여 유통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해야 할 것임.

2. 식품용 한약재에 대한 중금속 허용기준 제정

○ 식품용 한약재에 대한 중금속 허용기준은 규정되어 있지


않음.

- 14 -
○ 의약용 한약재는 「생약 등의 중금속 허용기준」(식품의약
품안전청고시 제2006-17호)이 규정되어 있음.
- 납 5mg/kg이하, 비소 3mg/kg이하, 수은 0.2mg/kg이하,
카드뮴 0.3mg/kg이하임.

○ 금번 식품용 한약재에 대한 중금속 시험검사 시 의약용 한


약재인 「생약 등의 중금속 허용기준」을 준용해 본 결과,
다행히 의약용 한약재의 중금속허용기준을 초과하는 제품은
없었으나 초과할 수 있는 제품이 생산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함.

⇒ 식품용 한약재의 소비자 섭취량, 섭취빈도, 섭취방법 등을


고려하여 그에 맞는 합리적인 중금속 허용기준을 마련해
야 할 것임.

3. 삼계탕용 한약재의 위해물질 검사 확대 및 품질규격화

○ 대형할인점, 백화점, 재래시장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삼계탕


용 한약재에 대한 위해물질(잔류 이산화황과 중금속) 검사
결과, 시험대상 31개 제품 중 10개 제품(부적합률 32.3%)
에서 이산화황이 잔류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남.
그중에는 기준의 14배를 초과하는 제품도 있음.

○ 또한 삼계탕용 한약재에 대한 잔류 이산화황 시험검사에


서 제조연월일이 같은 동일 제품에 대한 시험검사 결과가
큰 차이를 보임. 이는 제품의 품질이 규격화되어 있지 않
고, 제품 재료의 체계적인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추정됨.

- 15 -
⇒ 위해물질 검사의 주기적 실시 및 품질 규격화 등 제품의
안전관리가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함.

4.「식품등의 표시기준」에 부합한 제품 표시

○ 삼계탕용 한약재 제품의 표시실태를 「식품 등의 표시기


준」(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07-3호)에 따라 조사해 본
결과,
- 동 제품의 ‘식품의 유형’을 전혀 표시하지 않은 제품이 15
개, ‘기타식품류’로 표시한 제품이 9개, ‘농산물’ 6개, ‘일반
가공식품’ 1개로 나타남.
- ‘내용량’을 전혀 표시하지 않거나(1개 제품), 개별 재료에 대
한 중량만을 표시함.(3개 제품)
- ‘원재료명(성분명) 및 함량’ 표시를 ‘성분과 함량’, ‘품명과
중량’, ‘내용물 표시’, ‘성분배합비율’, ‘원산지 및 함량’ 등
다양하게 표시하고, 함량 표시도 ‘g’으로 표시하거나 ‘%’로
표시함.
- ‘유통기한’ 표시도 3개 제품은 ‘포장일’만 표시하여 유통
마감 기한을 알 수 없음.

⇒ 식품의 표시사항은 제품에 대한 기본적인 소비자정보로서


소비자가 제품의 안전성 등을 판단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됨. 삼계탕용 한약재에 대한 표시를 정부의 기준(식품등의
표시기준)에 부합하게 표시하도록 관리가 필요함.

별첨 삼계탕용 한약재 제품의 표시실태 1부. 끝.

- 16 -
<별첨> 삼계탕용 한약재 제품의 표시실태

업소명 및 업소명 및
번 제품명/ 원재료명 제조연월일/ 기타
소재지/ 소재지/ 내용량
호 식품의 유형 (성분명) 및 함량 유통기한 표시
제조업소명 판매업소명
유통기한 보관방법,
옛날 백숙용 제조원/
판매원/ 원재료명 및 함량 :별도표시일 주의사항,
1 ※닭고기와 포장/ 주소, 내용량
주소 (g) / 원산지 까지 반품교환
표기없음 전화번호
(2008.9.2) 장소
유통기한:
옛날 삼계탕용 제조원/
판매원/ 성분 및 배합비율 별 도 표시일 보관방법,
2 ※닭고기와 포장/ 주소, 총중량
주소 (g) / 원산지 까지 교환장소
표기없음 전화번호
(2008.9.2.)
마니커 제조일( 20 0 7.
포장소분원/
녹두삼계탕 판매원/ 성분 및 배합비율(g) 6.12.)/유통기
3 주소, 내용량 교환장소
※닭고기와 포장/ 주소 / 원산지 한:제조일로부
전화번호
표기없음 터12개월
마니커 제조일:별도표
포장소분원/
삼계탕용 판매원/ 성분 및 배합비율(g) 기(2007.7.6)/
4 주소, 내용량 교환장소
※닭고기와 포장/ 주소 / 원산지 유통기한:제조
전화번호
표기없음 일부터12개월
포장일( 20 0 6. 보관방법,
수 입 원및유 통
아줌마삼계탕재료 9.27)/유통기 반품및교환
5 수출회사 판 매 원/ 주 소, 중량 원료명(g)/ 원산지
/표기없음 한:포장로부터 처, 허가번
전화번호
24개월까지 호
전통백숙삼계탕/ 제조 및 판매 보관방법,
제품유형:기타식품 원/주소, 성분 및 함량(%)/ 유 통 기 한 : 반품및교환,
6 좌동 내용량
류 소비자상담 실 원산지 2009.3.15.까지 소비자권장
전화번호 가
토종황기백숙재료 판 매 원/ 주 소, 유통2009.5.14. 보관방법,반
성분함량(%)/
7 /제품유형:기타농 - 소비자상담 실 중량 ( 하 단 별 도 인 품및교환장
원산지
산물 전화번호 쇄) 소
토종
포장판매원/ 유통2009.6.18 보관방법,
삼계탕재료모음/ 성분 및 함량(%)/
8 - 주소,소비자상 중량 까지(하단별도 반품및교환
식품유형:기타농산 원산지
담실전화번호 인쇄) 장소

유통기한:별도
한방삼계탕/ 제조원/ 판매처/ 성분 및 배합비율(g) 보관방법,
9 총중량 표기(2008.12.
표기없음 주소,전화번호 좌동 / 원산지 교환장소
30까지)

- 17 -
업소명 및 업소명 및 제조연월일
번 제품명/ 원재료명 기타
소재지/ 소재지/ 내용량 /
호 식품의 유형 (성분명) 및 함량 표시
제조업소명 판매업소명 유통기한
두레촌 한방초/ 성분 및 함량 : 성분 유통기한:2009 교 환 및 반
제조원,판매원
10 식품의유형: 기타 주소,전화번호 없음 명은 표기, 함량은 표 년11월30일까 품장소: 전
여부표기없음
식품류 기 없음 / 원산지 지 화번호
포장일:상하단
삼계탕 부재료/ 제조원,판매원 품명, 중량(g) /
11 주소,전화번호 없음 면표기(2007.7. 보관방법
표기없음 여부표기없음 원산지
25.)
대나무삼계탕/ 제조원/ 유통기한 보관방법,
내용물표시(%)/
12 제품유형: 기타식 주소,소비자상 - 내용량 (2008.12.31.까 반 품 및 교
원산지
품류 담실전화번호 지) 환
수빈 한방초(1)/ 보관방법,
소분원/ 공 장 판매원/ 성분 및 함량(g)/ 유통기한:2008
13 식품의유형: 기타 총중량 반품및교
주소,전화번호 전화번호 원산지 년12월31일
식품류 환처
수빈 한방초(2)/ 판매처 및 교
소분원/ 호 만 성분 및 함량(g)/ 유통기한:2007
14 식품의유형: 기타 환처/ 주소, 총중량 없음
기록 원산지 년12월31일
식품류 전화번호
유통기한:별도 보관방법,
간편한 백숙용/ 제조원/ 주소, 원재료명 및 함량(g)
15 판매원/ 주소 내용량 표시일까지 반품및교
표기없음 전화번호 / 원산지
(2008.9.2.) 환장소
제조․판매원 유통기한:포장
삼계탕 재료/
/주소,소비자 성분배합비율(g) / 일로 부터 1 년
16 식품의유형: 기타 좌동 중량 없음
상담실전화번 원산지 까지 ( 포 장 일
식품류
호 :2007.7.6.)
보관방법,
한방토종닭오리/ 판매처/ 성분및배합비율(%)/ 유 통 기
17 - 총중량 반품및교
표기없음 주소,전화번호 원산지 한:2008.12.31.

유통기한:전면
한방백숙삼계탕
제조원/주소, 내용물표시(%)/ 상단표시일까 보관방법,
18 재료/제품유형:기 - 내용량
전화번호 원산지 지 ( 2 0 0 8 . 1 2 . 교환장소
타식품류
31.까지)
판매원/ 유통기한:후면
궁중삼계탕재료/ 원재료명 및 함량
19 - 주소,소비자상 내용량 하단표기일까 교환장소
제품유형:농산물 (%)/ 원산지
담실전화번호 지(2008.6.10)
한방토종닭, 오리 제조원/주소, 유통기한:별도 보관법,
판매원/주소, 성분배합비율(g)/
20 백숙, 한방백숙/ 소비자상담실 중량 표시(08.12.20 반 품 및 교
전화번호 원산지
표기없음 전화번호 까지) 환장소
판매처및교환 유통기한:2009
한방초/ 원산지 및 함량(%)/
21 - 처/주소,전화 중량 년12월30일까 없음
표기없음 원산지
번호 지

- 18 -
업소명 및 업소명 및 제조연월일
번 제품명/ 원재료명 기타
소재지/ 소재지/ 내용량 /
호 식품의 유형 (성분명) 및 함량 표시
제조업소명 판매업소명 유통기한
포장일만표기
삼계탕부재료/ 제조원,판매원 품명, 중량(g) /
22 주소,전화번호 없음 (포장일2007.7. 보관방법
표기없음 여부표기없음 원산지
28.)
제조원/주소, 유통기한:별도 보관법,
산삼전통백숙/ 판매원/ 성분배합비율(g) /
23 소비자상담실 중량 표시(2008.6. 반 품 및 교
표기없음 주소,전화번호 원산지
전화번호 30.) 환장소
한방백숙삼계탕/ 제조원/ 유통기한:밑면 보관방법,
성분 및 배합비율(%)
24 식품의유형: 일반 주소,소비자상 - 총중량 표시일까지 반품및교
/ 원산지
가공식품 담실전화번호 (2008.12.31.) 환
한방전통삼계탕/ 유통기한:전면
제조원/주소, 성분 및 함량(%)/ 보관방법,
25 제품유형: 기타식 - 총중량 상단표시일까
전화번호 원산지 교환장소
품류 지(2009.8.30.)
판매원/ 유통기한:별도
태전황기백숙/ 제조원/ 중량, 성분함량(%)/
26 소비자상담실 표시(2009.4. 교환장소
식품유형:농산물 주소 내용량 원산지
전화번호 15.까지)
하수오삼계재료/ 판매원/주소, 유통기한:포장 보관방법,
내용물표시(g)/
27 제품유형: 기타식 - 소비자상담실 중량 일로부터1년 반 품 및 교
원산지(상단 표기)
품류 전화번호 (2007.7.6.) 환처
제조원/주소, 유통기한:별도
(국)동진황기백숙 성분함량(%) /
28 소비자상담실 - 중량 표시(2009.4.2. 교환장소
/식품유형:농산물 원산지
전화번호 까지)
유통기한:별도
인삼골삼계탕재료 제조원/주소, 원재료명 및 함량(g) 보관방법,
29 - 내용량 표기일까지
/식품유형:농산물 전화번호 / 원산지 교환장소
(2008.12.31.)
제조원,판매원 포장일만표기
삼계탕 부재료/ 품명, 중량(g)/
30 주소,전화번호 여부 표기없 없음 (제조2007.7. 보관방법
표기없음 원산지
음 3.)
제조 및 판매 유통기한:별도
전통삼계탕/ 성분 및 배합비율(g) 보관방법,
31 처/ 주소, 좌동 총중량 표기일까지
표기없음 / 원산지 교환장소
전화번호 (2008.9.2.)

- 19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