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8

화학

595 제

바른답
알찬풀이
Ⅰ 화학의 첫걸음 9~12쪽

009 ② 010 ④ 011 ⑤ 012 ① 013 ③ 014 CO_2


1 우리 생활 속의 화학
015 ④ 016 탄소 화합물 017 ③ 018 ② 019 ③

개념 확인 문제 9쪽 020 ④ 021 ⑤ 022 ③ 023 해설 참조 024 ②

001 × 002 ◯ 003 ◯ 004 Fe


005 (나), (다) 006 (다) 007 (나) 008 (가)
009 ②
ㄴ. 질기고 가벼우며 값이 싼 합성 섬유의 개발로 옷감의 대량 생산
001 이 가능해졌다. 면, 마 등의 천연 섬유는 촉감과 흡습성 등이 좋지만,
하버의 암모니아 합성으로 질소 비료를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되어 식 쉽게 닳고 대량 생산이 어려웠다.
량 생산량이 증가하였다. 오답 피하기 ㄱ. (가)는 석유나 천연가스를 원료로 하여 대량 생산하므
로 합성 섬유이다. 천연 섬유는 동식물로부터 얻는다.
002 ㄷ. 다양한 색의 옷을 입을 수 있는 것은 합성염료의 개발 때문이다.
면, 비단 등의 천연 섬유는 질기지 않아 쉽게 닳고, 대량 생산이 어려
웠다. 나일론, 폴리에스터 등의 합성 섬유는 질기고 가벼우며 값이 010 ④

싸서 옷감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다. ㄴ. 암모니아 합성법의 개발로 인해 질소 비료를 대량 생산할 수 있


게 되어 식량 부족 문제를 개선할 수 있었다.

003 ㄷ. 나일론은 석유를 원료로 하여 만들어지므로 탄소(C)와 수소(H)


콘크리트는 시멘트에 모래와 자갈 등을 섞고 물로 반죽한 뒤 건조한 등이 주요 구성 원소이다.
것이다. 철근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속에 철근을 넣어 콘크리트의 강 오답 피하기 ㄱ. 질소 기체와 수소 기체가 반응하여 암모니아 기체를
도를 높인 것으로, 대형 건물 및 대규모의 고층 건물 등을 건설하는 생성하므로 ㉠은 수소이다.
데 이용된다.
011 ⑤

Fe
㉠은 철, ㉡은 질소, ㉢은 암모니아이다.
004
자연에서 철(Fe)은 철광석으로 존재하는데, 철광석의 주성분은 철과
ㄱ. 철이나 알루미늄 등 금속을 건축 재료로 이용하게 되면서 대형

산소가 결합한 산화 철(Fe_2&O_3)이다. 따라서 코크스(C)를 이용하여 산


건물을 건설할 수 있게 되었다.
ㄷ. 하버가 암모니아 합성법을 개발하여 질소 비료의 대량 생산이 가
화 철로부터 순수한 철을 얻는 철의 제련 기술이 발달하면서 철을 건
능해졌고, 이를 통해 식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2C + O_2 ―→ 2CO
축 재료 및 가전제품이나 생활용품에 이용하게 되었다.
오답 피하기 ㄴ. 질소는 반응성이 매우 작은 안정한 기체로, 다른 물질

Fe_2&O_3 + 3CO ―→ 2Fe + 3CO_2


과 쉽게 반응하지 않는다.

개념 더하기 하버·보슈법
005
(가)는 메테인(CH_4), (나)는 아세트산(CH_3&C OOH), (다)는 에탄올
(나), (다)
H™

(C_2&H_5&OH)이다. 아세트산과 에탄올은 물에 잘 녹고, 메테인은 물에


촉매
NH£
(Fe£O¢)
N™ 고온, 고압

• 질소는 공기의 약 78`%를 차지하지만, 매우 안정한 기체이기 때문에 다


잘 녹지 않는다.

른 물질과 쉽게 반응하지 않는다.


006 (다)
• 하버와 보슈는 암모니아 합성에 필요한 최적의 온도와 압력, 촉매 등의
술의 주성분인 에탄올은 소독용 알코올, 손 소독제, 연료 등으로 이 조건을 알아내기 위한 연구 끝에 공기 중의 질소를 수소와 반응시켜 암모
용된다. 니아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공정을 만들었는데, 이 공정을 하버·보슈법
이라고 한다.

007 (나)
아세트산은 물에 녹아 산성을 나타내고, 에탄올은 물에 녹아 중성을 012 ①
나타낸다. ㉠은 암모니아, ㉡은 합성염료, ㉢은 철이다.
ㄱ. 암모니아(NH_3)의 구성 원소는 질소(N)와 수소(H)이다.
008 ㄴ. 나일론은 합성 섬유의 대표적인 예이다. 합성염료의
메테인은 액화 천연가스(LNG)의 주성분으로, 상온에서 기체 상태
(가) 오답 피하기

대표적인 예로 말라리아 치료제 연구 중에 발견된 최초의 합성염료


이며 가정용 연료로 이용된다. 인 모브가 있다.

2 바른답·알찬풀이
ㄷ. 철은 자연에서 산화 철(Fe_2&O_3)의 형태로 존재하므로 코크스(C) 018 ②
를 이용한 제련 과정을 거쳐 이용한다. ㄷ. 세 가지 물질 모두 탄소 화합물이고, 탄소(C)와 수소(H)를 포함
하므로 완전 연소 시 이산화 탄소(CO_2)와 물(H_2&O)이 생성된다.
013 ③
•학생 A: 암모니아 합성법의 개발로 질소 비료를 대량 생산하게 되
오답 피하기 ㄱ. 메테인과 에탄올은 연료로 이용되고, 아세트산은 연료
로 이용되지 않는다.
어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하였다.
•학생 C: 콘크리트에 철근을 섞어 강도를 높인 철근 콘크리트의 개
ㄴ. 에탄올과 아세트산은 상온에서 액체로 존재하고, 메테인은 상온
에서 기체로 존재한다.
발로 대형 건물을 건설할 수 있게 되었다.
•학생 B: 합성 섬유와 천연 섬유를 함께 사용하면서 인류 019 ③
물질 (가)는 탄소 화합물인 아세트산(CH_3&COOH)이다. 아세트산은
오답 피하기

의 의생활에 큰 변화가 생겼다.


식초의 주성분으로, 의약품이나 염료의 원료로 이용되고, 물에 녹아
014 CO_2
(나)에서 메테인(CH_4)이 연소하면 이산화 탄소(CO_2)와 물(H_2&O)이
산성을 나타낸다.
①은 메테인(CH_4), ②는 에탄올(C_2&H_5&OH), ④는 폼알데하
생성되고, (다)에서 산화 철(Fe_2&O_3)이 일산화 탄소(CO)와 반응하면 이드(HCHO), ⑤는 아세톤(CH_3&COCH_3)의 분자 모형이다.
오답 피하기

철(Fe)과 이산화 탄소(CO_2)가 생성된다.


020 필수 유형 ④

015 필수 유형 ④ 자료 분석하기 탄소 화합물의 분자 모형과 성질

자료 분석하기 실생활에 기여한 화학 반응


구분 (가) 아세트산 (나) 에탄올 (다) 메테인

(가) 암모니아의 합성: N_2 + 3H_2 ―→ 2NH_3 H


H
O
H H
O
H
O
HH
O
H
O
H H H
(가)  하버는 적절한 온도와 압력에서 질소와 수소를 반응시켜 암모니아를 C 분자 모형 C
C
C
C
C
C C CC

(나) 화석 연료의 연소: CH_4 + 2O_2 ―→ ( CO_2 ) + 2H_2&O


H C H C H C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H
H H
H H
H H
H H H
H H
H
H HH H
H
H H H O H H O H

(가)  화석 연료를 이용하여 난방과 조리를 하고, 전기를 생산하여 안락한 상태(상온) 액체 기체

(다) 철의 제련: Fe_2&O_3 + 3CO ―→ 2Fe + 3( CO_2 )


생활을 하게 되었다. 용해성(물) 잘 녹음. 잘 녹지 않음.
수용액의 액성 산성 중성 -
(가)  제련 기술의 발달로 금속을 건축 재료로 이용하면서 견고한 건물을 연소 생성물 이산화 탄소(CO_2), 물(H_2&O)
지을 수 있게 되어 주거 환경이 개선되었다.
• (가)는 식초의 주성분으로, 의약품이나 염료의 원료로 이용된다.
• (나)는 술의 주성분으로, 소독용 알코올, 손 소독제, 연료 등으로 이용된다.
ㄴ. (나)에서 생성되는 이산화 탄소는 지구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고
• (다)는 액화 천연가스(LNG)의 주성분으로, 가정용 연료로 이용된다.
재방출하는 과정에서 지구의 기온을 상승시키는 온실 기체이므로 지
구 온난화에 영향을 주는 물질이다. ㄱ. 메테인은 액화 천연가스(LNG)의 주성분이다.
ㄷ. (다)의 반응을 통해 얻은 철을 건축 재료로 이용하여 주거 환경이 ㄴ. 아세트산과 에탄올은 물에 잘 녹지만, 메테인은 물에 잘 녹지 않
개선되었다. 는다.
오답 피하기 ㄱ. 질소는 반응성이 매우 작은 안정한 기체이다. 따라서 오답 피하기 ㄷ. 메테인, 에탄올, 아세트산의 연소 생성물은 모두 이산
암모니아 합성 반응은 상온에서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다) 모두 2이다.
화 탄소와 물이다. 따라서 완전 연소했을 때 생성물의 가짓수는 (가)

016
탄소(C) 원자가 다른 C 또는 H, O, N 등 여러 가지 원자들과H공유
탄소 화합물
ⓐ 021 ⓑ ⓐ ⑤
H H H
H H H
결합 하여 이루어진 화합물을 탄소 화합물이라고 한다. C 자료 분석하기 아세트산과
C 에탄올의 분자 모형 C C
O O O
H H H H H H
• 수용액의 액성으로부터 (가)는 아세트산, (나)는H에탄올이다. H

ㄱ. 탄소(C) 원자는 원자가 전자 수가 4이므로 최대 4개의 다른 원자


017 ③
구분 (가) 아세트산 (나) 에탄올

ⓑ ⓐ ⓑ
와 결합할 수 있다.
O

에 2중, 3중 결합을 하여 다양한 구조를 만들 수 있다.


ㄷ. 탄소는 다른 탄소 원자와 연속으로 결합하거나, 탄소 원자 사이H H H H

ㄴ. 탄소 원자는 최대 4개의 다른 원자와 결합할 수 있고,


C 분자 모형 C C
H H H H H H H
오답 피하기 O O O
C C C C
탄소 원자끼리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탄소 이외에
H 수H H H H H H H

소, 산소, 질소 등의 원자와 결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탄소 수용액의 액성 산성 중성


화합물이 존재한다.

바른답·알찬풀이 3
ㄱ. 아세트산은 아스피린과 같은 의약품을 만드는 원료로 사용된다.
13쪽

ㄷ. 아세트산(CH_3&COOH)에서 H 원자 수는 4, C 원자 수는 2이다.
ㄴ. 에탄올은 상온에서 액체로 존재한다.

에탄올(C_2&H_5&OH)에서 H 원자 수는 6, C 원자 수는 2이다. 따라서


025 ④ 026 ③ 027 ⑤ 028 ⑴ ㉣ ⑵ 해설 참조

H 원자 수 비는 (가) 아세트산 (나) 에탄올


`Û` =4
2`Û`6
/ 2=2`Û`3이다.
/
C 원자 수
025 ④
ㄱ. 나일론과 아세트산은 모두 탄소 화합물이다.
022 ③
제시된 탄소 화합물의 구조식은 에탄올(C_2&H_5&OH)을 나타낸 것이다.
ㄷ. 아세트산은 물에 녹아 산성을 나타낸다.
오답 피하기 ㄴ. 최초의 합성 섬유인 나일론은 강도가 강하고 질기지
ㄱ, ㄷ. 에탄올은 휘발성이 있으며, 손 소독제로 이용된다.
만, 열에 약하여 열을 가하면 쉽게 변형되는 성질이 있다.
오답 피하기 ㄴ. 에탄올은 물에 녹아 중성을 나타낸다. 물에 녹아 산성
을 나타내는 것은 아세트산이다.
026 ③
023 자료 분석하기 탄소 화합물의 분류
자료 분석하기 탄소 화합물의 분류
㉠ (가) (나) ㉡

구성 원소는 C, H의 구성 원소는 C, H, O의 3가지이다. CH_4 CH_3&COOH


[분류 기준]
2가지이다. ㉠ 연료로 이용된다.
A B C

㉢ 완전 연소 생성물은 2가지이다.
CH¢ C™H∞OH CH£COOH
C_2&H_5&OH
㉡ 물에 잘 용해된다.

예 아니요

• CH_4, C_2&H_5&OH, CH_3&COOH을 분류 기준 ㉠ ̄㉢에 따라 분류하면 다


(가)
탄화수소인가?

• ㉠ 연료로 이용된다.  CH_4, C_2&H_5&OH


음과 같다.
예 아니요
• ㉡ 물에 잘 용해된다.  C_2&H_5&OH, CH_3&COOH
(나)

• ㉢ 완전 연소 생성물은 2가지이다.  CH_4, C_2&H_5&OH, CH_3&COOH이


식초의 주성분인가?

• A는 상온에서 기체로 존재한다.


㉠ ㉡ ㉢ 모두 해당되므로 ㉢은 (가)와 (나) 모두 적절하지 않다.
CH_4 CH_3&COOH C_2&H_5&OH
•  A는 CH_4이므로 분류 기준 (가)는 ㉠, B는 C_2&H_5&OH이다.
•C
 H_4은 C와 H로만 이루어진 탄화수소이다.
•  분류 기준 (나)는 ㉡, C는 CH_3&COOH이다.
•C
 H_3&COOH은 식초의 주성분이다.
 _2&H_5&OH과 CH_3&COOH은 물에 잘 녹는 물질이고, 3가지 원소로 구성
•C
ㄱ. B는 분류 기준 (가)와 (나)에 모두 해당하므로 C_2&H_5&OH이다.
ㄷ. A ̄C 1분자가 완전 연소할 때 생성되는 이산화 탄소(CO_2) 분자
되어 있다.

(가)는 CH_4의 성질, (나)는 CH_3&COOH의 성질에 해당하는 내용이 수는 A ̄C의 분자당 탄소(C) 원자 수와 같다. 따라서 1분자가 완전
어야 한다. 연소할 때 생성되는 이산화 탄소(CO_2) 분자 수는 A가 1, C가 2이므
(가)는 ㄱ, (나)는 ㄴ이다. CH_4은 C와 H로만 이루어진 탄화수소이므 로 C>A이다.
ㄴ. A가 CH_4, B가 C_2&H_5&OH, C가 CH_3&COOH이므로 ㉠
예시 답안

로 (가)는 ㄱ이 적절하다. 또 CH_3&COOH은 식초의 주성분이므로 (나)는 ㄴ이

은 (가)로 적절하고, ㉡은 (나)로 적절하다. A ̄C 모두 ㉢에 해당하


오답 피하기
적절하다.

채점 기준 배점(%) 므로 ㉢은 (나)로 적절하지 않다.

분류 기준 (가), (나) 중 1가지만 옳게 고르고, 그 까닭을 설명한 경우


분류 기준 (가), (나)를 모두 옳게 고르고, 그 까닭을 설명한 경우 100
50
027 ⑤
ㄱ. (가)와 (나)는 분자당 탄소(C ) 원자 수가 같으므로 에탄올
(C_2&H_5&OH)과 아세트산(CH_3&COOH) 중 하나이고, (나)와 (다)는 분
분자당 산소(O ) 원자 수가 2 인 것은 C H_3& C O O H 이므로 ㉠은
024 ②

자당 수소( H ) 원자 수가 같으므로 메테인(C H_4 )과 아세트산


CH_3&COOH이다. CH_4과 C_2&H_5&OH 중에서 분자당 수소(H) 원자 수 (CH_3&COOH) 중 하나이다. 따라서 (가)는 에탄올, (나)는 아세트산,
가 4인 것은 CH_4이므로 ㉡은 CH_4, ㉢은 C_2&H_5&OH이다. (다)는 메테인이고, a=2, b=1, c=4이므로 a+b+c=7이다.
ㄴ. CH_4과 C_2&H_5&OH은 연료로 이용된다.
ㄱ. CH_3&COOH은 C_2&H_5&OH을 발효하여 얻을 수 있다. ㄷ. (가) ̄(다) 1분자가 완전 연소할 때 생성되는 물(H_2&O) 분자 수는
ㄴ. 에탄올과 아세트산은 상온에서 액체로 존재한다.

ㄷ. ㉠의 CH_3&COOH에서 H 원자 수는 4, O 원자 수는 2이다. ㉢의
오답 피하기

(가) ̄(다)의 분자당 수소(H) 원자 수의 1


2이다. 따라서 1분자가 완
/
H 원자 수
C_2&H_5&OH에서 H 원자 수는 6, O 원자 수는 1이다. 따라서
O 원자 수 전 연소할 때 생성되는 물(H_2&O) 분자 수는 (나)가 2, (다)가 2이므로
는 ㉠이 2, ㉢이 6이므로 ㉢이 ㉠의 3배이다. (나)`Û`(다)=1`Û`1이다.

4 바른답·알찬풀이
6.02\10^23
수소(H_2) 분자는 수소(H) 원자 2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소(H_2)
028 032

분자 0.5`mol에는 수소(H) 원자 2\0.5`mol=1`mol이 들어 있으


서술형 해결 전략

므로 수소(H) 원자의 개수는 6.02\10^23개이다.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탄소 화합물의 정의를 알고, 우리 주위의 여러 가지 물질 중에서 탄소 화합물

(가) 16, (나) 44, (다) 100, (라) 46


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 C 원자 1개, H 원자 4개로 이루어진다.


033
(가) CH_4
STEP 2 관련 개념 모으기

 (12\1)+(1\4)=16
➊ 탄소 화합물이란?

 : C 원자 1개, O 원자 2개로 이루어진다.


(나) CO_2
 탄소(C) 원자가 다른 탄소(C) 원자나 수소(H), 산소(O), 질소(N), 플루

 (12\1)+(16\2)=44
오린(F) 등의 여러 가지 원자들과 공유 결합 하여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 탄소 원자는 최대 4개의 다른 원자와 결합할 수 있다.


➋ 탄소 화합물이 다양한 까닭은?

 탄소 원자끼리 연속으로 결합하거나 2중, 3중 결합을 하여 다양한 구 (다) CaCO_3: Ca 원자 1개, C 원자 1개, O 원자 3개로 이루어진다.
 (40\1)+(12\1)+(16\3)=100


 H_5&OH: C 원자 2개, H 원자 6개, O 원자 1개로 이루어진다.


조를 만들 수 있다.

(라) C_2&

 탄소(C) 원자 이외에 수소(H), 산소(O), 질소(N), 플루오린(F) 등의 원

 (12\2)+(1\6)+(16\1)=46
자와 결합할 수 있다.
➌ 탄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우리 주위의 물질은?

(가) 3.2`g, (나) 8.8`g, (다) 20`g, (라) 9.2`g


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플라스틱, 의약품, 섬유, 합성 세제, 화장품 등
034
질량(g)은 몰 질량(g/mol)과 물질의 양(mol)을 곱한 값과 같다.
다양한 생활용품들이 탄소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다.

⑴ 규소(Si)와 산소(O)로 이루어져 있는 유리는 탄소 화합물이 아니다.


0.2`mol의 질량
⑵ 예시 답안 탄소 원자가 최대 4개의 다른 원자와 결합할 수 있는데, 탄소 원 (가) CH_4 16 16`g/mol\0.2`mol=3.2`g
물질 화학식량

(나) CO_2 44 44`g/mol\0.2`mol=8.8`g


자끼리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고, 탄소 원자뿐만 아니라 수소, 산소, 질

(다) CaCO_3 100 100`g/mol\0.2`mol=20`g


소 등의 원자와 결합할 수 있기 때문

채점 기준 배점(%) (라) C_2H_5OH 46 46`g/mol\0.2`mol=9.2`g

8.96`L
탄소 화합물이 다양한 까닭을 옳게 설명한 경우 100
탄소 화합물이 다양한 까닭 중 일부만 옳게 설명한 경우 50 035
질량(g)
물질의 양(m o l )은 이므로 (가) 6.4` g 의 양은
몰 질량(g/mol)
6.4`g
=0.4`mol이다. 0`*C, 1`atm에서 기체의 부피(L)는
16`g/mol
2 몰과 화학식량 22.4`L/mol과 물질의 양(mol)을 곱한 값이므로 (가) 6.4`g의 부피
는 22.4`L/mol\0.4`mol=8.96`L이다.
개념 확인 문제 15쪽

030 ㉠ 6.02\10^23, ㉡ 아보가드로수 036 13.2`g


031 ㉠ 1, ㉡ 3 032 6.02\10^23 기체의 부피(L)
029 몰(mole)

0`*C, 1`atm에서 기체의 양(mol)은


033 (가) 16, (나) 44, (다) 100, (라) 46 22.4`L/mol
이므로 (나)

034 (가) 3.2`g, (나) 8.8`g, (다) 20`g, (라) 9.2`g 035 8.96`L 6.72`L
6.72`L의 양은 =0.3`mol이다. 따라서 (나) 6.72`L
22.4`L/mol
036 13.2`g 037 x=1, y=28, z=5
의 질량은 44`g/mol\0.3`mol=13.2`g이다.

x=1, y=28, z=5

12.5`L
029 037
원자, 분자, 이온 등과 같이 작은 입자를 세는 묶음 단위를 몰(mole) X_2의 분자량은 2이고, X_2 12.5`L의 양은 =0.5`mol이
몰(mole)

25`L/mol
므로 X_2의 질량은 2`g/mol\0.5`mol=1`g, x=1이다.
이라고 한다.

2.5`L
㉠ 6.02\10^23, ㉡ 아보가드로수 Y&_2 2.5`L의 양은 =0.1`mol이고, 그 질량은 2.8`g이
25`L/mol
1`mol은 입자 6.02\10^23개를 뜻하며, 6.02\10^23을 아보가드로
030
2.8`g
므로 Y&_2의 몰 질량은 =28`g/mol, y=28이다.
수라고 한다. 0.1`mol
X_2와 Y&_2의 분자량으로부터 X와 Y의 원자량은 각각 1, 14이므로
㉠ 1, ㉡ 3
YX_3의 분자량은 (1\3)+(14\1)=17이고, YX_3 3.4`g의 양은
암모니아(NH_3) 분자는 질소(N) 원자 1개와 수소(H) 원자 3개로 이
031
3.4`g
루어진다. 따라서 암모니아(NH_3) 분자 1`mol에는 질소(N) 원자 =0.2`mol이다. 따라서 YX_3의 부피는 25`L/mol\
17`g/mol
1`mol과 수소(H) 원자 3\1`mol=3`mol이 들어 있다. 0.2`mol=5`L, z=5이다.

바른답·알찬풀이 5
15~18쪽 042 ⑤

자료 분석하기 분자량으로부터 원자량 구하기


038 ④ 039 ③ 040 해설 참조 041 ④ 042 ⑤
화합물 (가) (나) (다)
AB&_2 AB&_2&C B&_2&C_2
049 X`Û`Y`Û`Z=7`Û`8`Û`6 050 a=4, b=12
043 ① 044 ② 045 ③ 046 ④ 047 ⑤ 048 ①

46 65 70
분자식
051 ④
분자량

•A  ̄C의 원자량을 각각 a ̄c라고 하면 (가) ̄(다)의 분자량은 a+2b


052 ② 053 ③

=46, a+2b+c=65, 2b+2c=70이다.


 a=14, b=16, c=19이다.
038 • 분자당 C 원자 수는 (나)가 1, (다)가 2이다.

 화합물 1`mol에 들어 있는 C 원자 수는 분자당 C 원자 수에 비례하
므로 (나)`Û`(다)=1`Û`2이다.
④ 분자량은 분자를 구성하는 모든 원자들의 원자량을 합한 값으로,
‘원자량\원자 수’의 총합이다.

(mole)이라고 하며, 1`mol은 입자 6.02\10^23개를 나타낸다. ㄱ. A_2&C_4의 분자량은 (14\2)+(19\4)=104이다.


오답 피하기 ①, ② 원자, 분자 등 작은 입자를 세는 묶음 단위를 몰

③ 원자량은 탄소(^12&C) 원자의 질량을 12로 정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ㄴ. A와 B의 원자량비는 A`Û`B=14`Û`16=7`Û`8이다.
ㄷ. 화합물 1`mol에 들어 있는 C 원자 수는 분자당 C 원자 수와 아
보가드로수를 곱한 값과 같으므로 분자당 C 원자 수에 비례한다. 분
하여 나타낸 원자의 상대적 질량이다.
⑤ 염화 나트륨(NaCl)처럼 분자로 존재하지 않는 물질은 화학식을
자당 C 원자 수는 (나)가 1, (다)가 2이므로 화합물 1`mol에 들어 있
는 C 원자 수는 (다)가 (나)의 2배이다.
이루고 있는 각 원자의 원자량을 합하여 화학식량을 나타낸다.

ㄱ. 탄소(C) 12`g에 들어 있는 C 원자의 수가 6.02\10^23이므로 C


039 ③

ㄱ. CH_4의 분자량은 (12\1)+(1\4)=16이고, (가)에서 CH_4( g)


043
원자 1개의 질량을 x`g이라고 하면 6.02\10^23`Û`12=1`Û`x가 성립

12 12`L
한다. 따라서 x= (g)이다. 12`L의 양은 =0.5`mol이므로 질량은 16`g/mol\
6.02\10^23 24`L/mol
ㄴ. 1`mol은 입자가 아보가드로수만큼 있는 것을 뜻하므로 산소(O) 0.5`mol=8`g이다.
1`mol은 O 원자 6.02\10^23개를 뜻한다. ㄴ. C_6&H_12&O_6의 분자량이 (12\6)+(1\12)+(16\6)
ㄷ. 이산화 탄소(CO_2)는 탄소(C) 원자 1개와 산소(O) 원자 9`g
오답 피하기

= 180 이므로 (다)에서 C_6& H _12& O_6 (s ) 9` g 의 양은 =


2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산화 탄소(CO_2) 1`mol에는 O 원자 180`g/mol
오답 피하기

2\1`mol=2`mol이 들어 있으므로 O 원자의 수는 2\6.02\10^23 0.05`mol이다. 따라서 C_6&H_12&O_6(s) 0.05`mol에서 수소(H) 원자의
양은 12\0.05`mol=0.6`mol이다.
ㄷ. (나)에서 H_2&O(l)의 밀도가 1`g/mL이므로 H_2&O(l) 9`mL의 질량
이다.

은 1`g/mL\9`mL=9`g이고, H_2&O의 분자량은 (1\2)+(16\1)

원자 1개의 질량비는 원자량비와 같다. 제시된 그림에서 탄소(C) 원 9`g


040
=18이므로 (나)에서 H_2&O(l)의 양은 =0.5`mol이다.
18`g/mol
자 7개의 질량은 X 원자 6개의 질량과 같고, X 원자 8개의 질량은
따라서 (나)의 H_2&O(l) 0.5`mol에서 산소(O) 원자의 양은 0.5`mol
Y 원자 7개의 질량과 같다.
이므로 질량은 16`g/mol\0.5`mol=8`g이다. (다)의 C_6&H_12&O_6(s)
X와 Y의 원자량을 각각 x, y라고 하면 7\12=6\x, 8\x=7\
0.05`mol에서 산소(O) 원자의 양은 6\0.05`mol=0.3`mol이므
y이므로 x=14, y=16이다. 따라서 X와 Y의 원자량은 각각 14, 16이다.
예시 답안

로 질량은 16`g/mol\0.3`mol=4.8`g이다. 따라서 산소(O)의 질

량은 (나)에서가 (다)에서의 5
3배이다.
/
채점 기준 배점(%)
X와 Y의 원자량을 구하는 과정을 옳게 설명한 경우
X와 Y 중 1가지만 옳게 구한 경우
100
50

2`g
044 ②

ㄴ. (나)에서 H_2( g) 2`g의 양이 =1`mol이므로 부피는


2`g/mol
ㄴ. X와 Y의 원자량이 각각 14, 16이므로 X_2&Y에서 구성 원소의
041 ④

22.4`L/mol\1`mol=22.4`L이다.
질량비는 X`Û`Y=(14\2)`Û`16=7`Û`4이다.
ㄱ. (가)에서 N_2 ( g ) 11.2` L 의 양이
11.2`L
=
ㄷ. XY&_2 1`mol에 들어 있는 X 원자 수는 N_A이고, Y 원자 수는 22.4`L/mol
오답 피하기

2N_A이므로 전체 원자 수는 3N_A이다. 따라서 XY&_2의 전체 원자 수 0.5`mol이므로 N_2( g)의 분자 수 x=N_A/mol\0.5`mol=0.5N_A


가 6N_A일 때 XY&_2의 양은 2`mol이다. 이다. (나)에서 H_2( g) 2`g의 양이 1`mol이므로 H 원자 수 y=분자
ㄱ. X_2 1`mol에는 X 원자 2`mol이 들어 있으므로 X_2 당 H 원자 수\N_A/mol\1`mol=2\N_A/mol\1`mol=2N_A
1`mol에 들어 있는 X 원자 수는 2N_A이다. 이다. 따라서 x<y이다.
오답 피하기

6 바른답·알찬풀이
ㄷ. (다)에서 NH_3( g) 5.6`L의 양은
5.6`L
=0.25`mol이
22.4`L/mol
047 ⑤

므로 NH_3의 전체 원자 수 z=NH_3의 구성 원자 수\N_A/mol×


자료 분석하기 기체의 부피와 양(mol)

0.25`mol=4\N_A/mol\0.25`mol=N_A이다. 따라서 (다)에


z
서 NH_3( g)의 양은 mol이다.
4N_A
피스톤
C™H™(g) CO™(g)
2V`L 2V`L
개념 더하기 물질의 양(mol)과 입자 수, 질량, 기체의 부피 관계 NH£(g)

(0`*C, 1`atm)
V`L
= =
6.02\10^23 몰 질량 22.4
입자 수 질량 기체의 부피
물질의 양(mol)=

• 입자 수=6.02\10^23(N_A)/mol\물질의 양(mol)
(가) (나) (다)

• 질량( g)=몰 질량( g/mol)\물질의 양(mol)


질량 질량
• 밀도는 이고, 분자량은 이다.

• 0`*C, 1`atm에서 기체의 부피(L)=22.4`L/mol\물질의 양(mol)


부피 양(mol)
• 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는 기체의 양(mol)에 비례한다.

•  밀도비=분자량비=(나) C_2&H_2`Û`(다) CO_2=26`Û`44=13`Û`22이다.


• 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기체의 밀도는 분자량에 비례한다.

 분자당 구성 원자 수는 (가) NH_3와 (나) C_2&H_2이 4로 같고, 기체의 양


• 전체 원자 수는 분자당 구성 원자 수\기체의 양(mol)과 같다. 

(mol)은 (가)`Û`(나)=1`Û`2이다.
045 필수 유형 ③

 전체 원자 수의 비=(가)`Û`(나)=1`Û`2이다.
자료 분석하기 기체의 부피와 양(mol), 질량

3`g
 3`g의 양은
•A =1
6`mol이다.
/ 라서 부피비=몰비=(가)`Û`(다)=1`Û`2이다.
18`g/mol
•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의 부피는 기체의 양(mol)에 비례한다. 따

 A의 부피는 24`L/mol\1
6`mol=4`L이다.
/
6`L
• B 6`L의 양은 =0.25`mol이다.
자량비가 (나) C_2&H_2`Û`(다) CO_2=13`Û`22이므로 기체의 밀도는 (다)
ㄱ.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기체의 밀도는 분자량에 비례한다. 분
24`L/mol
 B 0.25`mol의 질량이 8`g이므로 B의 분자량은
8
=32이다. 가 (나)의 2배보다 작다.
0.25
ㄴ. 분자당 구성 원자 수는 (가)와 (나)가 4로 같고, 기체의 양(mol)
12`L
• C 12`L의 양은 =0.5`mol이다. 은 (나)가 (가)의 2배이므로 전체 원자 수는 (나)가 (가)의 2배이다.
24`L/mol
 C의 질량은 44`g/mol\0.5`mol=22`g이다. ㄷ.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는 기체의 양(mol)에 비례
한다. 기체의 부피는 (다)가 (가)의 2배이므로 기체의 양(mol)도 (다)
ㄱ. B 6`L의 양은 0.25`mol이고, 그 질량은 8`g이므로 B의 몰 질 가 (가)의 2배이다.
8`g
=32`g/mol이다. 따라서 B의 분자량은 32이다.
0.25`mol
량은

ㄷ. C 12` L의 양이 0.5` m o l이므로 C의 질량은 44` g/m o l\


048 ①
온도와 압력이 일정하고, 부피가 같을 때 기체의 양(mol)이 모두 같
0.5`mol=22`g이다. 따라서 기체의 질량은 A가 3`g, B가 8`g,
으므로 기체의 질량비는 분자량비와 같다. A ̄C의 원자량을 각각
C가 22`g이므로 C가 가장 크다.
a ̄c라고 하면 (a+b+c)`Û`(2b+2c)`Û`(a+2b)=9.8`Û`14`Û`9.2가
ㄴ. A 3`g의 양이 1
6`mol이므로 A의 부피는 24`L/mol
/
ㄱ. a`Û`b`Û`c=14`Û`16`Û`19이므로 원자량은 C>A이다.
오답 피하기 성립한다.

\1
6`mol=4`L이다. 따라서 기체의 부피는 A가 4`L, B가 6`L이
/ ㄴ. 용기 속 B 원자 수는 분자당 B 원자 수\기체의 양
므로 A<B이다. (mol)과 같다. (나)와 (다)에서 분자당 B 원자 수가 같고, 기체의 양
오답 피하기

(mol)이 같으므로 용기 속 B 원자 수는 (나)와 (다)가 같다.


ㄷ. 1`g에 들어 있는 A 원자 수는 분자당 A 원자 수\1`g의 양
(mol)과 같다. 분자당 A 원자 수는 AB&C와 AB&_2가 1로 같고, 1`g
046 ④

양(mol) 의 양(mol)은 분자량에 반비례하므로 AB&C<AB&_2이다. 따라서 1`g


질량 질량
ㄱ. 분자량은 이고, 기체의 밀도는 이며, 온도와 압력
에 들어 있는 A 원자 수는 AB&C<AB&_2이다.
부피
이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는 기체의 양(mol)에 비례하므로 분자량은
0.8 0.8
기체의 밀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밀도비가 A`Û`C= `Û`
1.12 4.48 X`Û`Y`Û`Z=7`Û`8`Û`6
=4`Û`1이므로 분자량은 A가 C의 4배이다.
049
X ̄Z의 원자량을 각각 x ̄z라고 하면 기체 XY, XY&_2, ZY&_2의 분
3.2 0.8 자량은 각각 x+y, x+2y, z+2y이다.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ㄴ. B의 밀도는 g/L, C의 밀도는 g/L이므로 밀도비
2.24 4.48 기체의 부피는 기체의 양(mol)에 비례하므로 기체의 몰비는 XY`Û
는 B`Û`C=8`Û`1이다. 따라서 기체의 밀도는 B가 C의 8배이다.
7.5 23 44
ㄷ. A와 B의 부피로부터 기체의 양(mol)은 B가 A의 2배 XY&_2`Û`ZY&_2= `Û` `Û` =1`Û`2`Û`4이다. 따라서
x+y x+2y z+2y
이므로 기체 분자 수도 B가 A의 2배이다. x`Û`y`Û`z=7`Û`8`Û`6이다.
오답 피하기

바른답·알찬풀이 7
a=4, b=12 ㄱ. 분자량비는 (가)`Û`(나)=2`Û`1이므로 (가)는 AB&_2이고,
3`L
050
(나)는 B&_2이다.
오답 피하기

(가) XY&_4 3`L의 양은 =1


8`mol이고, (나) Y&_2&Z a`L의
/
24`L/mol ㄷ. 분자당 구성 원자 수는 (가)가 3, (나)가 2이고, 기체의 몰비는
a`L a 22`g (가)`Û`(나)=1`Û`2이다. 따라서 전체 원자 수의 비는 (가)`Û`(나)=
= `mol이며, (다) XZ_2 22`g의 양은
24`L/mol 24 44`g/mol
3`Û`4이므로 전체 원자 수는 (나)가 (가)의 4
3배이다.
/
양은

=1
2`mol이다. 전체 원자 수는 분자당 구성 원자 수\기체의 양
/

(mol)과 같으므로 전체 원자 수의 비는 (가)`Û`(나)`Û`(다)=(5\1


8)`Û
/
CH_4, HCHO, CH_3&OH의 분자량은 각각 16, 30, 32이므로 (가)에
053 ③

(3\ a )`Û`(3\1
2)=5`Û`4`Û`b이다. 따라서 a=4, b=12이다.
/
24 서 CH_4( g) 12.8`g의 양은 0.8`mol이고, HCHO( g) 15`g의 양은
x
0.5`mol이며, 첨가한 CH_3&OH( g) x`g의 양은 mol이다. 전체
32
원자 수는 분자당 구성 원자 수\기체의 양(mol)과 같다. (가)에서 전
051 ④

ㄴ. (가) 1
/
8`mol의 질량이 2`g이므로 (가)의 분자량은 16, (나)
체 원자 수는 CH_4( g)의 전체 원자 수와 HCHO( g)의 전체 원자 수를
6`mol의 질량이 3`g이므로 (나)의 분자량은 18이다. 따라서 분자
/
1 합한 값이므로 (5\0.8)+(4\0.5)=6(mol)이다. O 원자 수는 분

량비는 (가)`Û`(나)=8`Û`9이다. 자당 O 원자 수\기체의 양(mol)과 같다. (가)에서 O 원자 수는

ㄷ. 전체 원자 수는 분자당 구성 원자 수\기체의 양(mol)과 같다. HCHO( g)의 O 원자 수이므로 1\0.5=0.5(mol)이다. 따라서

(가)의 O
0.5 이다. (나)에서 전체 원자 수는 (가)의 전
=
6
(나)와 (다)를 혼합한 기체에서 전체 원자 수는 (나)의 전체 원자 수와 원자 수

(다)의 전체 원자 수를 합한 값이므로 (3\1


6)+(3\1
/ 2)=2(mol)
/
전체 원자 수
체 원자 수와 첨가한 CH_3&OH( g)의 전체 원자 수를 합한 값이므로
이다. Z 원자 수는 분자당 Z 원자 수\기체의 양(mol)과 같다. (나) x )(
6+(6\ mol)이고, O 원자 수는 (가)의 O 원자 수와 첨가한
와 (다)를 혼합한 기체에서 Z 원자 수는 (나)의 Z 원자 수와 (다)의 Z 32
x
원자 수를 합한 값이므로 (1\1
6)+(2\1
/ 2)=7
/ 6(mol)이다. 따라
/ CH_3&OH( g)의 O 원자 수를 합한 값이므로 0.5+ (mol)이다. 따
32
O 원자 수 0.5\32+x O 원자 수
서 (나)와 (다)를 혼합한 기체에서 Z
전체 원자 수 7
=/
1
2이다. 전체 원자 수 = 6\32+6x
원자 수 라서 (나)의 이다. 는 (나)

0.5\32+x 0.5
전체 원자 수
ㄱ. X ̄Z의 원자량을 각각 x ̄z라고 하면 기체의 분자량 가 (가)의 4
3배이므로
/ = \4
3, x=16이다.
/
은 (가) x+4y=16, (나) 2y+z=18, (다) x+2z=44이다. 따라 6\32+6x 6
오답 피하기

서 x=12, y=1, z=16이므로 원자량비는 X`Û`Z=3`Û`4이다.

052 ②

자료 분석하기 분자량비 구하기


질량

19쪽
(가) (나)
AB&_2 B&_2
x
(

`g 054 ③ 055 ⑤ 056 ① 057 해설 참조


)

054 ③

0 1 2 부피(L) 자료 분석하기 원자량비로 분자식 구하기

2가지 방법으로 (가)와 (나)의 분자량비를 구할 수 있다. Z A_2&B&_3


분자량 상( 댓값

① 온도, 압력, 질량이 같을 때 기체의 부피는 (나)가 (가)의 2배이다. 38

의 비는 (가)`Û`(나)=1`Û`2이고, 이때 질량 Y AB&_2
질량
①  기체의 양(mol)= 23

① 이 같으므로 분자량비는 (가)`Û`(나)=2`Û`1이다.


X AB
분자량
15
)

①  (가)의 부피가 2`L일 때 질량은 2x`g이므로 분자량비는 (가)`Û`(나)


② 온도, 압력, 부피가 같을 때 기체의 분자량비는 질량비와 같다.

=2x`Û`x=2`Û`1이다.
0 1 2
분자당 A 원자 수

• 원자량비는 A`Û`B=7`Û`8이고, 분자당 A 원자 수는 X와 Y가 1, Z가


ㄴ. A와 B의 원자량을 각각 a, b라고 하면 기체의 분자량은 (가)가 2이다.
•  X는 AB이고, Y는 X보다 분자량(상댓값)이 8만큼 크므로 AB&_2이다.
a+2b, (나)가 2b이고, 분자량비가 (a+2b)`Û`2b=2`Û`1이므로 a=
•  Z는 Y보다 분자량(상댓값)이 15만큼 크므로 A_2&B&_3이다.
2b이다. 즉, 원자량은 A가 B의 2배이다.

8 바른답·알찬풀이
ㄱ. 1`g의 양(mol)은 X가 1 a`Û`b=7`Û`8이므로 A의 원자량(a)을 7k, B의 원자량(b)을 8k라고
1
/
5, Y가 1
2
/
3이고, 분자당 B 원자 수는
하면 AB의 분자량은 7k+8k=15k, A_2&B의 분자량은 (7k\2)
X가 1, Y가 2이므로 1`g에 포함된 B의 양(mol)은 X가 1
1
/
5, Y가 +8k=22k이다. AB( g) 2n mol의 질량이 w g이고, A_2&B( g)
n mol의 질량이 11 g이므로 질량비는 AB( g)`Û`A_2&B( g)=w`Û`11
2
/
1
3\2이다. 따라서 Y>X이다.
=(15k\2n)`Û`(22k\n), w=15이다.
ㄴ. Z는 A_2&B&_3이므로 Z의 구성 원자 수의 비는 A`Û`B=2`Û`3이다. (다)에는 AB( g) 2n mol, A_2&B( g) n mol, A_2&B&_4( g) 2n mol이 들어
오답 피하기 ㄷ. 일정량의 A와 결합하는 B의 질량비는 각 분자에서 A 있다. 전체 분자 수는 전체 기체의 양(mol)과 같으므로 2n+n+2n
원자 1개당 B 원자 수에 비례하므로 Y`Û`Z=2`Û`3
2=4`Û`3이다.
/ =5n(mol)이고, A 원자 수는 분자당 A 원자 수\기체의 양(mol )
과 같으므로 (1\2n)+(2\n)+(2\2n)=8n(mol)이므로 (다)에서
A 원자 수
=x=8
5이다.
/
전체 원자 수

따라서 A
055
\w\x=7
8\15\8
/ 5=21이다.
/

B의 원자량
의 원자량
자료 분석하기 분자를 구성하는 원소의 질량비

X의 질량

(나) Y의 질량은 1이다.


Y의 질량
(상댓값) 14
057
(가) Y의 질량은 1이다.
7 서술형 해결 전략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0
7 14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의 부피는 기체의 양(mol)에 비례함을 이용하
X의 질량(상댓값) 여 실린더 속 기체의 양(mol)과 원자의 양(mol)을 구할 수 있어야 한다.
X의 질량
• (가)는 X의 질량이 7이고, 이 7이다.
Y의 질량
STEP 2 자료 파악

•  (가)의 구성 원소의 질량비는 X`Û`Y=7`Û`1이다. 구분 (가) (나)

X의 질량 AB&_3 B&_2&C
• (나)는 X의 질량이 14이고, 이 14이다.
Y의 질량 17 27
분자식

•  (나)의 구성 원소의 질량비는 X`Û`Y=14`Û`1이다. 1 1.5


질량(g)

•1 분자의 (가)와 (나)를 구성하는 X의 질량비는 (가)`Û`(나)=1`Û`2이고, Y


부피(L)

의 질량비는 (가)`Û`(나)=1`Û`1이다. ➊ (가)와 (나)에서 원자 A ̄C의 양(mol)은?


 (가)에 들어 있는 AB&_3( g)의 양을 n`mol이라고 할 때, (나)에 들어 있는
B&_2&C( g)의 양은 1.5n`mol이다.
ㄱ. (가)를 구성하는 X의 질량은 7, Y의 질량은 1이다. 따라서 (가)  AB&_3의 분자당 A 원자 수는 1, B 원자 수는 3이고, B&_2&C의 분자당 B
의 구성 원소의 질량비는 X`Û`Y=7`Û`1이다. 원자 수는 2, C 원자 수는 1이다.
ㄴ. Y의 질량이 1일 때 X의 질량은 (가)가 7, (나)가 14이므로 같은  (가)에 들어 있는 A와 B 원자의 양은 각각 n`mol, 3n`mol이고, (나)
에 들어 있는 B와 C 원자의 양은 각각 3n`mol, 1.5n`mol이다.
질량의 Y와 결합한 X의 몰비는 (가)`Û`(나)=1`Û`2이다.
➋ (가)와 (나)에서 원자 A ̄C의 질량은?
ㄷ. 물질 1`mol에 들어 있는 Y의 질량은 분자당 Y의 질량에 비례한  (가)와 (나)에 들어 있는 B의 질량은 각각 3`g이다.
 (가)에 들어 있는 A의 질량은 17-3=14(g), (나)에 들어 있는 C의
다. 분자당 Y의 질량은 (가)에서 1
8, (나)에서 1
/ 1
/
5이므로 물질 1`mol 질량은 27-3=24(g)이다.
에 들어 있는 Y의 질량은 (가)>(나)이다. STEP 3 관련 개념 모으기
• 물질의 양(mol)과 질량 사이의 관계는?
질량(g)
 물질의 양(mol)=
몰 질량(g/mol)
056 ①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는 기체의 양(mol)에 비례한
(가)와 (나)에 들어 있는 B의 질량은 각각 3`g이므로 (가)에 들어 있
다. (가)에 첨가한 A_2&B( g)의 부피는 (나)의 부피에서 (가)의 부피를
는 A의 질량은 14`g, (나)에 들어 있는 C의 질량은 24`g이다. (가)에서 기체의
예시 답안

뺀 값이므로 V`L이다. 따라서 (가)에 들어 있는 AB( g) w`g의 양을


양(mol)을 n이라고 하면 (가)에 들어 있는 A와 B 원자의 양(mol)은 각각 n,
2n`mol이라고 하면 A_2&B( g) 11`g의 양은 n`mol이다. 또 (나)에 첨
3n이고 (나)에 들어 있는 C 원자의 양(mol)은 1.5n이다. 따라서 A ̄C의 원
가한 A_2&B&_4( g)의 부피는 (다)의 부피에서 (나)의 부피를 뺀 값이므로
14 3 24
자량비는 A`Û`B`Û`C= `Û` `Û` =14`Û`1`Û`16이다.
2V`L이고, A_2&B_4( g) 46`g의 양은 2n`mol이다. A와 B의 원자량을 n 3n 1.5n
각각 a, b라고 하면 각 기체의 분자량은 AB가 a+b, A_2&B가 2a+b,
11
A_2&B&_4가 2a+4b이고, 기체의 몰비는 A_2&B( g)`Û`A_2&B&_4( g)= `Û
채점 기준 배점(%)
A ̄C의 원자량비를 구하는 과정을 옳게 설명한 경우
2a+b
A ̄C 3가지 중 2가지만 옳게 설명한 경우
100

46 A의 원자량
=1`Û`2이다. 따라서 a`Û`b=7`Û`8, 즉 =8
/
7이다. A ̄C의 원자량비만 옳게 쓰거나 3가지 중 1가지만 옳게 설명한 경우
70

2a+4b B의 원자량 30

바른답·알찬풀이 9
0.004
0.1`M 포도당 수용액 20`mL를 묽혀 x M 포도당 수용액 500`mL
3 화학 반응식과 몰 농도 065

를 만들었을 때 포도당의 양(mol)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0.1`M


\20`mL=x`M\500`mL, x=0.004이다.
개념 확인 문제 21쪽

058 a=5, b=4 059 30`L 060 36`g 061 40`g


062 ◯ 063 × 064 × 065 0.004

a=5, b=4
•H 원자 수를 맞추기 위해 생성물인 H_2&O 앞에 계수 4를 붙인다.
058

C_3&H_8 + aO_2 ―→ 3CO_2 + 4H_2&O → b=4


22~25쪽

•O 원자 수를 맞추기 위해 반응물인 O_2 앞에 계수 5를 붙인다.


C_3&H_8 + 5O_2 ―→ 3CO_2 + 4H_2&O → a=5 077 10
066 ④ 067 ⑤ 068 ③ 069 ① 070 ③ 071 ④
072 ⑤ 073 ③ 074 ② 075 ③ 076 ④

30`L
078 ④ 079 ③ 080 ⑤ 081 ③

059

다. 계수비로부터 부피비는 C_3&H_8( g)`Û`CO_2( g)=1`Û`3이다. 따라서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화학 반응식의 계수비와 기체의 부피비가 같
066 ④

C_3&H_8( g) 10`L가 반응할 때 생성되는 CO_2( g)의 부피는 30`L이다. ㄱ. 화학 반응식에서 화살표(→)의 왼쪽에는 반응물을, 오른쪽에는
생성물을 나타낸다. C_3&H_8은 반응물이므로 화살표의 왼쪽에 쓴다.

36`g ㄴ. 반응물인 C_3&H_8에서 H 원자 수가 8이므로 생성물인 H_2&O 앞에


계수 4를 붙인다.
060

C_3&H_8( g)`Û`H_2&O(l)=1`Û`4이다. C_3&H_8의 분자량이 (12\3)+(1\8) C_3&H_8( g) + 5O_2( g) ―→ 3CO_2( g) + 4H_2&O(l)


화학 반응식의 계수비는 몰비와 같다. 계수비로부터 몰비는

22`g ㄷ. CO_2는 상온에서 기체 상태이므로 ( g)로 표시한다.


=44이므로 반응한 C_3&H_8( g) 22`g의 양은 =0.5`mol이
44`g/mol
오답 피하기

다. 따라서 생성되는 H_2&O(l)의 양은 0.5`mol\4=2`mol이고,


ㄱ. 반응물에서 A 원자 수가 2, B 원자 수가 6이므로 생성물인 AB&_3
067
H_2&O의 분자량은 (1\2)+(16\1)=18이므로 H_2&O(l)의 질량은

18`g/mol\2`mol=36`g이다. 앞에 계수 2를 붙인다. 따라서 x=2이다.

서 반응 전 전체 분자 수는 4, 반응 후 전체 분자 수는 2이므로 반응
ㄴ. 전체 분자 수는 화학 반응식에서 각 분자의 계수 합과 같다. 따라
061 40`g
화학 반응식의 계수비는 몰비와 같다. 계수비로부터 몰비는 CO_2( g)`Û
O_2( g)=3`Û`5이다. CO_2의 분자량이 (12\1)+(16\2)=44이므 ㄷ. 계수비로부터 몰비는 A_2 ( g )`Û`B& _2 ( g )= 1 `Û` 3 이므로 A_2 ( g )
이 일어날 때 전체 분자 수는 감소한다.

33`g 0.5`mol은 B&_2( g) 1.5`mol과 완전히 반응한다.


로 CO_2( g) 33`g의 양은 =0.75`mol이다. 따라서 반응한
44`g/mol
O_2( g)의 양은 0.75`mol\5
3=1.25`mol이고, O_2의 분자량은 16\
/
068 ③

2=32이므로 O_2( g)의 질량은 32`g/mol \1.25`mol=40`g이다.


학 반응식에서 반응 전 O 원자 수는 4, 반응 후 O 원자 수는 2이다.
ㄱ. 화학 반응 전후 원자의 종류와 개수는 변하지 않는다. 제시된 화

따라서 ㉠은 O 원자 2개로 이루어진 O_2이다.


ㄴ. 계수비로부터 몰비는 H_2&O`Û`H_2&O_2=1`Û`1이고, H_2&O 9`g의 양은
몰 농도는 용액 1`L 속에 녹아 있는 용질의 양(mol)을 의미하며, 단
062
9`g
=0.5`mol이다. 따라서 분해해야 하는 H_2&O_2의 양은
위는 M 또는 mol/L를 사용한다. 18`g/mol
0.5`mol이고, H_2&O_2의 분자량은 34이므로 H_2&O_2의 질량은 34`g/mol
\0.5`mol=17`g이다.
0.1`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0.5`L에 들어 있는 수산화 나트륨의
063

양은 0.1`M(mol/L)\0.5`L=0.05`mol이다. 서 2`mol의 H_2&O_2가 분해될 때 생성물의 전체 질량은 반응한 H_2&O_2


오답 피하기 ㄷ. 반응 전후 반응물과 생성물의 질량은 보존된다. 따라

의 질량과 같으므로 34`g/mol\2`mol=68`g이다.

부피가 V L로 같은 1`M 설탕 수용액과 1`M 포도당 수용액에 들어


064

있는 용질의 양은 1`M\V`L=V`mol로 같다. 용질의 질량은 용질 ㄱ. 반응물인 aHCl(aq)과 생성물인 cH_2( g)에서 H 원자 수를 2로 맞


069 ①

의 양(mol)에 화학식량을 곱한 값과 같고, 설탕과 포도당의 화학식 추려면 a=2, c=1이고, 반응물인 Zn(s)과 생성물인 bZnCl_2(aq)에
량은 서로 다르므로 용질의 질량은 서로 다르다. 서 Zn 원자 수를 1로 맞추려면 b=1이다. 따라서 a+b+c=4이다.

10 바른답·알찬풀이
ㄴ. 반응 전 Al 원자 수는 2, Cl 원자 수는 6이고, ㉠ 앞에 화학 반응식의 계수비는 반응 몰비와 같고, 물질의 양(m o l )은
계수 2가 있으므로 ㉠은 Al 원자 1개와 Cl 원자 3개로 이루어진 질량(g) 기체의 부피(L)
오답 피하기

=
몰 질량(g/mol) 실험 조건에서 기체 1`mol의 부피(L/mol)
AlCl_3이다.
 이다.

반응한 M(s)의 질량과 생성된 H_2( g)의 부피를 알고 있으므로 M의

(가) Zn(s) + 2HCl(aq) ―→ ZnCl_2(aq) + H_2( g) 원자량과 실험 조건, 즉 t`*C, 1`atm에서 기체 1`mol의 부피를 알면
ㄷ. (가)와 (나)의 화학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나) 2Al(s) + 6HCl(aq) ―→ 2AlCl_3(aq) + 3H_2( g) M(s)과 H_2( g)의 몰비를 알 수 있다. 이로부터 화학 반응식의 계수비

계수비로부터 (가)에서 몰비는 Zn(s)`Û`H_2( g)=1`Û`1이고, (나)에서 를 구하여 M(s)과 HCl(aq)의 몰비를 구할 수 있다.

몰비는 Al(s)`Û`H_2( g)=2`Û`3이다. 따라서 같은 양(mol)의 Zn(s)과 ㄴ. 생성된 H_2( g)의 질량을 측정했다면 H의 원자량이 필
요하지만, H_2( g)의 부피를 측정하였으므로 H의 원자량은 필요한 자
오답 피하기

Al(s)을 충분한 양의 HCl(aq)에 넣어 반응을 완결시켰을 때 생성되


는 H_2( g)의 몰비는 (가)`Û`(나)=2`Û`3이다. 료가 아니다.

073 필수 유형 ③

ㄱ. 반응물의 계수의 합과 생성물의 계수의 합이 3으로 같지만, 생성


070 ③
자료 분석하기 화학 반응식의 양적 관계

물 중 H_2&O(l)이 액체이므로 반응 후 전체 기체의 부피는 감소한다.


반응한 CaCO_3(s)의 질량(g) 1.0 1.5
생성되는 CO_2( g)의 질량(g) 0.44 a
CH_4( g) + 2O_2( g) ―→ CO_2( g) + 2H_2&O(l)
ㄷ. 반응 전후 물질의 양적 관계는 다음과 같다.

• 화학식량은 CaCO_3이 (40\1)+(12\1)+(16\3)=100, CO_2가


반응 전(mol) 0.1 0.3
(12\1)+(16\2)=44이다.
반응(mol) -0.1 -0.2 +0.1 +0.2 1.0 0.44
 질량 관계로부터 반응 몰비는 CaCO_3`Û`CO_2= `Û` =1`Û`1
100 44
반응 후(mol) 0.1 0.1 0.2
반응 후 남은 O_2( g) 0.1`mol을 모두 반응시키기 위해 필요한 CH_4( g)
이다.

의 양은 0.05`mol이므로 CH_4( g)의 최소 부피는 24`L/mol\  몰비가 CaCO_3`Û`CO_2=1`Û`1이므로 계수비도 CaCO_3`Û`CO_2


• 화학 반응식의 계수비와 몰비는 같다.

=1`Û`1이다.
0.05`mol=1.2`L이다.
ㄴ. 반응 후 실린더에 O_2( g) 0.1`mol, CO_2( g) 0.1`mol,
ㄱ. 반응한 CaCO_3(s) 1.5`g의 양은
1.5`g
H_2&O(l) 0.2`mol이 남아 있다. 각 물질의 질량은 O_2( g)가 32`g/mol =0.015`mol이
오답 피하기

100`g/mol
\0.1`mol=3.2`g, CO_2( g)가 44`g/mol\0.1`mol=4.4`g,
므로 생성되는 CO_2( g)의 양은 0.015`mol이다. 따라서 CO_2( g)의 질
H_2&O(l)이 18`g/mol\0.2`mol=3.6`g이다. 따라서 질량이 가장
량은 44`g/mol\0.015`mol=0.66`g, a=0.66이다.
작은 것은 O_2( g)이다.
ㄴ. 화학 반응식의 계수비는 몰비와 같으므로 b=1이다.
ㄷ. H_2&O(l)의 밀도가 1`g/mL이므로 H_2&O(l) 9`mL의 질
9`g
오답 피하기

량은 9`g이고, 그 양은 =0.5`mol이다. 계수비로부터


071 ④

18`g/mol
2SO_2( g) + O_2( g) ―→ 2SO_3( g)
반응 전후 물질의 양적 관계는 다음과 같다.
몰비가 H_2&O(l)`Û`CaCO_3(s)=1`Û`1이므로 반응한 CaCO_3(s)의 양은
반응 전(mol) 0.4 0.4 0.5`mol이고, 질량은 100`g/mol\0.5`mol=50`g이다.
반응(mol) -0.4 -0.2 +0.4

반응 후(mol) 0.2 0.4


X_2( g) 2n`mol과 Y&_2( g) 4n`mol이 반응하였으므로 화학 반응식의
074 ②

ㄱ. SO_2( g) 0.4`mol과 O_2( g) 0.2`mol이 반응하여 SO_3( g) 0.4`mol


계수비는 X_2( g)`Û`Y&_2( g)=1`Û`2이고, 생성물을 구성하는 원자 수가
3 이하이므로 화학 반응식은 X_2( g) + 2Y&_2( g) ―→ 2XY&_2( g)이다.
을 생성한다.
ㄷ.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는 기체의 양(mol)에 비례
한다. 반응 전 전체 기체의 양은 0.8`mol이고, 반응 후 전체 기체의
X_2( g) + 2Y&_2( g) ―→ 2XY&_2( g)
ㄴ. 반응 전후 물질의 양적 관계는 다음과 같다.

양은 0.6` m o l 이므로 전체 기체의 부피비는 반응 전`Û` 반응 후


=0.8`Û`0.6=4`Û`3이다. 반응 전(mol) 4n 4n
ㄴ. O_2( g) 0.4`mol 중에서 반응한 O_2( g)의 양은 0.2`mol 반응(mol) -2n -4n +4n
이므로 질량은 32`g/mol\0.2`mol=6.4`g이다. 2n 4n
오답 피하기

반응 후(mol)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는 기체의 양(mol)에 비례한
072 ⑤ 다. 반응 전 전체 기체의 양은 8n`mol이고, 반응 후 전체 기체의 양
ㄱ, ㄷ. 금속 M이 +n의 양이온을 형성할 때 금속 M과 묽은 염산의 은 6n`mol이므로 반응 전 전체 기체의 부피 V_1과 반응 후 전체 기체
반응을 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단, n은 자연수) 의 부피 V_2의 비는 V_1`Û`V_2=8n`Û`6n=4`Û`3이다.
n
M(s) + nHCl(aq) ―→ MCl_n(aq) + H_2( g)
2 오답 피하기 ㄱ. 생성물의 화학식은 XY&_2이다.

바른답·알찬풀이 11
ㄷ. 실린더에 X_2( g) 4n`mol과 Y&_2( g) 2n`mol을 넣고 반응을 완결시 10
(가) 2`M A(aq) 300`mL와 1.2`M A(aq) x`mL에 들어 있는
077

X_2( g) + 2Y&_2( g) ―→ 2XY&_2( g) A의 양(mol)은 같으므로 2`M\300`mL=1.2`M\x`mL, x=


켰을 때 반응의 양적 관계는 다음과 같다.

반응 전(mol) 4n 2n 500이다.
반응(mol) -n -2n +2n (나) 2`M A(aq) 100`mL에 들어 있는 A의 양은 2`M\0.1`mL=
0.2`mol, 2.9`M A(aq) 500`mL에 들어 있는 A의 양은 2.9`M
반응 후(mol) 3n 2n
\0.5`L=1.45`mol이다. 따라서 A y`g의 양은 1.45`mol-
반응 후 전체 기체의 양이 5n`mol이므로 전체 기체의 부피는 V&_2보
0.2`mol=1.25`mol이고, 질량은 60`g/mol\1.25`mol=75`g,
y=75이다.
다 작다.

(다) 2`M A(aq) 250`mL에 들어 있는 A의 양은 2`M\0.25`L=


제시된 반응의 화학 반응식은 A_2( g) + 3B&_2( g) ―→ 2AB&_3( g)이다. 0.5`mol, 2.5`M A(aq) 100`mL에 들어 있는 A의 양은 2.5`M
075 ③

ㄱ. 계수비로부터 몰비는 A_2( g)`Û`B&_2( g)=1`Û`3이므로 A_2( g) 3`mol \0.1`L=0.25`mol이다. 따라서 두 용액을 혼합하고 물을 넣어


과 B&_2( g) 3`mol을 반응시키면 A_2( g) 2`mol이 반응하지 않고 남는 0.5`mol+0.25`mol
A(aq) 500`mL를 만들었을 때 몰 농도는
다. 따라서 X는 A_2이다. 0.5`L
=1.5`M, z=1.5이다.

A_2( g) + 3B&_2( g) ―→ 2AB&_3( g) 따라서 x\z =


500\1.5
=10이다.
ㄷ. 반응의 양적 관계는 다음과 같다.

y 75
반응 전(mol) 3 3
반응(mol) -1 -3 +2

반응 후(mol) 2 2
078 ④

전체 기체의 양(mol)은 (가)에서 6`mol이고, (나)에서 4`mol이므로


ㄷ. (나)에서 만든 0.2`M A(aq) 250`mL에 들어 있는 A의 양은
ㄴ. 정해진 몰 농도의 용액을 만들 때 부피 플라스크를 이용한다.

(가)에서가 (나)에서의 1.5배이다.


0.2`M\0.25`L=0.05`mol이고, A 0.05`mol의 질량은 3`g이
오답 피하기 ㄴ. 반응 전후 질량은 보존되므로 A_2( g) 1`mol의 질량과
3`g
다. 따라서 A의 몰 질량이 =60`g/mol이므로 A의 화
B&_2( g) 3`mol의 질량의 합은 AB&_3( g) 2`mol의 질량과 같다. 따라서 0.05`mol
A_2의 분자량+3\B&_2의 분자량 학식량은 60이다.
AB&_3의 분자량=
2 ㄱ. (가)에서 만든 A(aq)에서 용매인 물의 질량은 50`g,
이다.

용질인 A의 질량은 3`g이므로 용액의 질량은 50+3=53(g)이다.


오답 피하기

따라서 퍼센트 농도는 3


5
/
3\100≒5.7(%)이다.
076 ④

자료 분석하기 수용액에 들어 있는 용질의 양(mol)과 질량

1`% 500`g 500`mL


수용액 농도 용액의 질량 용액의 부피
079 필수 유형 ③

0.2`M 250`mL
(가)
(나) 자료 분석하기 수용액에 들어 있는 용질의 양(mol)과 질량

• (가)에서 NaOH의 질량은 500`g 중 1`%이므로 500`g\0.01=5`g • (나)에서 만든 수용액은 0.05`M NaOH(aq) 500`mL이다.
 NaOH의 양은 0.05`M\0.5`L=0.025`mol이다.
5`g  NaOH의 질량은 40`g/mol\0.025`mol=1`g이다.
이다.

 NaOH의 양은 =0.125`mol이다.
40`g/mol  (가)에서 x=1이다.
• (나)에서 NaOH의 양은 0.2`M\0.25`L=0.05`mol이다. • (라)에서 만든 수용액은 0.01`M NaOH(aq) 250`mL이다.
 NaOH의 질량은 40`g/mol\0.05`mol=2`g이다. •  (다)에서 0.05`M NaOH(aq) y`mL를 취하여 (라)의 NaOH(aq)을

ㄴ. NaOH의 질량은 (가)에서 5`g, (나)에서 2`g이므로 (가)가 (나)의 •  0.05`M\y`mL=0.01`M\250`mL이므로 y=50이다.
만들었다.

2.5배이다.
ㄷ. (가)와 (나)를 혼합한 용액에 들어 있는 N a O H 의 양은 (나)에서 만든 NaOH(aq)에 들어 있는 NaOH의 양은 0.05`M\

0.125`mol+0.05`mol=0.175`mol이고, 부피는 500`mL+ 0.5`L=0.025`mol이다. 따라서 (가)에서 녹인 NaOH의 질량은


250`mL=750`mL이다. 따라서 (가)와 (나)를 혼합한 용액의 몰 농 40`g/mol\0.025`mol=1`g, x=1이다.
0.175`mol (다)에서 0.05`M NaOH(aq) y`mL를 취하여 (라)에서 0.01`M
≒0.23`M이므로 (나)의 몰 농도인 0.2`M보다 크다.
0.75`L NaOH(aq) 250`mL를 만들었다. 따라서 0.05`M NaOH(aq)
도는

ㄱ. (가)에 들어 있는 NaOH의 양은 0.125`mol이고, y`mL와 0.01`M NaOH(aq) 250`mL에 들어 있는 NaOH의 양


(가)의 밀도가 1`g/mL이므로 (가) 500`g의 부피는 500`mL이다. (mol)이 같으므로 0.05`M\y`mL=0.01`M\250`mL, y=50
오답 피하기

0.125`mol
=0.25`M이다. 이다. 따라서 x =1
5
/
0이다.
0.5`L y
따라서 (가)의 몰 농도는

12 바른답·알찬풀이
2A( g) + B( g) ―→ 2C( g)
ㄱ. (가)에 들어 있는 A의 질량은 50\0.08=4(g)이므로 A의 양 4w 4w
080
반응 전(g)

4`g 반응(g) -4w -w +5w


=0.04`mol이다.
100`g/mol
반응 후(g) 3w 5w

ㄴ. (나)에 들어 있는 A의 양은 0.1`M\ 0.1`L=0.01`mol이므로


질량비는 A`Û`B`Û`C= 4 `Û` 1 `Û` 5 이고, 계수비로부터 몰비는
A의 질량은 100`g/mol\0.01`mol =1`g이다.
A`Û`B`Û`C=2`Û`1`Û`2이므로 A ̄C의 분자량을 각각 a, b, c라고
ㄷ. (다)에 들어 있는 A의 양(mol)은 (가)와 (나)에 들어 있는 A의
4 1 5
양(mol)을 합한 값이므로 0.05`mol이고, (다)의 부피는 250`mL `Û` `Û` =2`Û`1`Û`2이다. 따라서 분자량비는 a`Û`b`Û`c=
a b c
0.05`mol
하면

=0.2`M, x=0.2이다. 4`Û`2`Û`5이다.


0.25`L
반응 전 A( g) 4w`g의 양을 n`mol이라고 하면 B( g) 4w`g의 양은
이다. 따라서 (다)의 몰 농도는

2n`mol이고, 반응 전후 물질의 양적 관계는 다음과 같다.


2A( g) + B( g) ―→ 2C( g)
081 ③

반응 전(mol) n 2n
자료 분석하기 수용액에 들어 있는 용질의 양(mol)

n
반응(mol) -n - +n
2
용질
수용액 용액의 부피(L) 몰 농도(M)

4w 0.2 3n
종류 질량(g)
X a
반응 후(mol) n
2w 0.4 2
(가)
X b

0.2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는 기체의 양(mol)에 비례하므


(나)
Y w a

5n
(다)

• (가)와 (나)는 용질의 종류가 같고, 용질의 질량은 (가)가 (나)의 2배이다. 로 반응 전후 부피비 V_1`Û`V_2=3n`Û` =6`Û`5이다.
•  용질의 양(mol)은 (가)가 (나)의 2배이다. 2
따라서 C
의 분자량 V_1
\ =5 2\6
/ 5=3이다.
/
B의 분자량 V_2
• (가)와 (다)는 용액의 부피와 몰 농도가 같다.
•  용질의 양(mol)은 (가)와 (다)가 같다.

ㄱ. (가)에서 용질의 양을 2n`mol. (나)에서 용질의 양을 n`mol이라


ㄱ. (가)에 A( g) 1`L를 첨가하여 A( g)와 B( g)의 전체 부피가 6`L일
083 ⑤

2n`mol n`mol
=10n`M, (나)가 = 때 두 기체가 완전히 반응하여 C( g) 4`L를 생성한다. 따라서 반응 전
0.2`L 0.4`L
후 기체의 부피비는 반응 전`Û`반응 후=3`Û`2이다. 온도와 압력이
고 하면 몰 농도는 (가)가

2.5n`M이므로 (가)가 (나)의 4배이다. 따라서 a=4b이다.


ㄴ. (가)와 (다)에서 용질의 양(mol)이 같으므로 X 4w`g과 Y w`g의
3`Û`2=(1+b)`Û`c가 성립한다. 따라서 1+b>c이고, b=c=2이다.
일정할 때 화학 반응식의 계수비는 기체의 부피비와 같으므로

양(mol)이 같다. 따라서


4w w
X 의 화학식량 = Y의 화학식량 ㄴ. (가)에서 A( g) w`g의 양을 x`mol, B( g) 2w`g의 양을 y`mol이라
이므로 화

학식량은 X가 Y의 4배이다.
ㄷ. (나) 0.4`L에 들어 있는 용질의 질량은 2w`g이고, A( g) + 2B( g) ―→ 2C( g)
고 하면 (가)에서 (나)의 반응 전후 물질의 양적 관계는 다음과 같다.

(다) 0.2`L에 들어 있는 용질의 질량은 w`g이므로 용액 1`L당 용질 (가)(mol) x y


오답 피하기

의 질량은 (나)와 (다)가 같다. (가) → (나) 반응(mol) -x -2x +2x

(나)(mol) y-2x 2x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는 기체의 양(mol)에 비례하므
로 부피비가 (가)`Û`(나)=5`Û`4=(x+y)`Û`y이다. 따라서 x`Û`y=1`Û`4
w 2w 이므로 분자량비는 A`Û`B=2`Û`1이다.
= `Û`
A의 분자량 B의 분자량
ㄷ. (가) ̄(다)에서 반응 전후 물질의 양적 관계는 다음과 같다.
26~27쪽

A( g) + 2B( g) ―→ 2C( g)


(가)(mol) x 4x
082 ① 083 ⑤ 084 ④ 085 ④ 086 ③ 087 ④

090 ⑴ 2.4`L -2x +2x


088 ⑴ 해설 참조 ⑵ 해설 참조 089 해설 참조

⑵ 해설 참조 (가) → (나) 반응(mol) -x

(나)(mol) 2x 2x
(나) → (다) 반응(mol) 1`L 첨가(-x) -2x +2x

반응 후 B( g) 3w`g, C( g) 5w`g이 남아 있으므로 반응 전후 전체 질 4x


082
(다)(mol)

량은 8w`g으로 보존된다. 따라서 반응 전 A( g)와 B( g)의 질량은 각 실린더에 들어 있는 C ( g )의 양은 (나)에서 2 x`m o l , (다)에서
각 4w`g이다. 반응 전후 물질의 질량 관계는 다음과 같다. 4x`mol이므로 몰비는 (나)`Û`(다)=1`Û`2이다.

바른답·알찬풀이 13
50+a ,
084 ④ 086 ③

ㄱ. 용액의 밀도를 d`g/L라고 하면 용액의 부피(L)는 (가)가


d
자료 분석하기 화학 반응식의 양적 관계

200+2a 이다. 또 의 화학식량은 같고, 질량은 (나)가 (가)


A
A( g)의 B( g)의 d
반응 전 반응 후
(나)가

의 2배이므로 (가)에서 A의 양을 n`mol, (나)에서 A의 양을 2n`mol


실험 전체 기체의 전체 기체의

9w 5V 7V
질량(g) 질량(g) 부피(L) 부피(L)

2nd ,
w
이라고 하면 몰 농도비는 (가)`Û`(나)=3`Û`2= nd `Û`
9w 3w 15V 50+a 200+2a

a=50이다.

• 실험 Ⅱ에서 반응 후 실린더에 들어 있는 기체는 C( g)와 D( g)이고, 질량


비는 C( g)`Û`D( g)=4`Û`5이다. ㄷ. 용질인 A의 질량은 (가)에서 50`g, (나)에서 100`g이다. 따라서
•  실험 Ⅱ에서 A( g)와 B( g)가 완전히 반응한다.
50 100
•  반응 전 전체 질량이 12w`g이고, 반응 전후 질량이 보존되므로 반응 \100=50(%), (나)가
50+50 200+100
20w
퍼센트 농도는 (가)가

• 후 D( g)의 질량은 12`w`g\5


9=
/ `g이다.
3 \100=/
1
3
00(%)이므로 (가)가 (나)의 1.5배이다.

•  실험 Ⅰ에서 반응한 B( g) w`g의 양을 xn`mol이라고 하면 실험 Ⅱ에 ㄴ. A의 양(mol)은 (가)`Û`(나)=1`Û`2이고, 물의 양(mol)


•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는 기체의 양(mol)에 비례한다.

서 반응한 B( g) 3w`g의 양은 3xn`mol이다.


은 (가)`Û`(나)=1`Û`4이다. 따라서 A
의 양(mol)
오답 피하기

•  계수비로부터 몰비는 A( g)`Û`B( g)=1`Û`x이고, 실험 Ⅱ에서 A( g)와 은 (가)`Û`(나)=2`Û`1


물의 양(mol)
B( g)가 완전히 반응하므로 A( g) 9w`g의 양은 3n`mol이다.
이므로 (가)가 (나)의 2배이다.
A( g) + xB( g) ―→ C( g) + yD( g)
•  실험 Ⅰ과 실험 Ⅱ에서 반응 전후 물질의 양적 관계는 다음과 같다.

3n xn
•  ① 실험 Ⅰ

-n -xn +n +yn
•  반응 전(mol)
•  반응(mol) 087 ④

•  반응 후(mol) 2n n yn 자료 분석하기 수용액에 들어 있는 용질의 양(mol)과 질량

A( g) + xB( g) ―→ C( g) + yD( g)


3n 3xn
2`M
•  ② 실험 Ⅱ

x`M
혼합 전 수용액 또는 물의 부피(L) 혼합 용액

-3n -3xn +3n +3yn


•  반응 전(mol)

NaOH(aq) NaOH(aq)
실험 몰 농도 부피
•  반응(mol) 물

3n 3yn 0.2 0.2 0 2.5 0.4


(M) (L)

•  실험 Ⅰ에서 반응 전후 부피비 5`Û`7=(3n+xn)`Û`(3n+yn)이고,


•  반응 후(mol)

0.3 0 1.5

y z
실험 Ⅰ과 실험 Ⅱ에서 반응 후 부피비 7`Û`15=(3n+y n)`Û`(3n

+3yn)이다. 따라서 x=2, y=4이다. • 실험 Ⅰ은 2`M NaOH(aq) 0.2`L와 x`M NaOH(aq) 0.2`L를 혼합

•  실험 Ⅰ에서 혼합 용액 2.5`M NaOH(aq) 0.4`L에 들어 있는


한 것이다.

ㄴ. 질량비는 A`Û`D=9w`Û`
20w
=27`Û`20이고, 계수비로부터 몰 NaOH의 양(mol)은 2`M NaOH(aq) 0.2`L와 x`M NaOH(aq)
3 0.2`L에 들어 있는 NaOH의 양(mol)을 합한 것과 같다.
비는 A`Û`D=1`Û`4이므로 분자량비는 A`Û`D=27`Û`5이다. •  2.5`M\0.4`L=(2`M\0.2`L)+(x`M\0.2`L), x=3이다.
ㄷ. 실험 Ⅰ에서 반응 후 기체의 양은 A( g)가 2n`mol, C( g)가 • 실험 Ⅱ는 2`M NaOH(aq) 0.3`L에 물 y`L를 추가한 것이다.
•  실험 Ⅱ에서 혼합 용액 1.5` M N a O H(a q) z`L에 들어 있는
C의 양(mol)
n`mol, D( g)가 4n`mol이므로
전체 기체의 양(mol) 1
=/
7이다. NaOH의 양(mol)은 2`M NaOH(aq) 0.3`L에 들어 있는 NaOH의

ㄱ. x=2, y=4이므로 x+y=6이다. •  1.5`M\z`L=2`M\0.3`L, z=0.4이다.


양(mol)과 같다.

•  2`M NaOH(aq) 0.3`L에 추가한 물의 부피(L)는 z-0.3=0.4


오답 피하기

-0.3=0.1, y=0.1이다.

ㄴ. (나)에 들어 있는 A의 양(mol)은 (가) 5`mL에 들어 있는 A의


085 ④

ㄱ. x=3, y=0.1, z=0.4이므로 x+y+z=3.5이다.


0.6`g ㄷ. 실험 Ⅰ에서 만든 수용액에 들어 있는 NaOH의 양은 1.0`mol
양(mol)과 같다. (가)에 녹아 있는 A의 양은 =0.01`mol
60`g/mol
이고, 부피는 0.4`L이다. 또 실험 Ⅱ에서 만든 수용액에 들어 있는
이고, 부피는 100`mL이므로 (가)의 몰 농도는
0.01`mol
=0.1`M NaOH의 양은 0.6`mol이고, 부피는 0.4`L이다. 따라서 이들을 혼
0.1`L
이다. 따라서 (가) 5`mL에 들어 있는 A의 양은 0.1`M\0.005`L 합한 용액에 들어 있는 NaOH의 양은 1.6`mol이고, 부피는 0.8`L

=0.0005`mol이므로 (나)에 들어 있는 A의 양도 0.0005`mol이다. 1.6`mol


=2`M이다.
0.8`L
ㄷ. A의 양은 (가) 100`mL에서 0.01`mol, (나) 100`mL에서 0.0005`mol
이므로 몰 농도는

ㄴ. 실험 Ⅰ의 혼합 용액 속 NaOH의 양(mol)은 2.5`M


이므로 (가)가 (나)의 20배이다. 수용액에 물을 추가하여 묽혀도 수용
\0.4`L=1.0`mol이고, 실험 Ⅱ의 혼합 용액 속 NaOH의 양(mol)
오답 피하기

액에 들어 있는 용질의 양(mol)은 변하지 않으므로 (가)와 (나)에 각


은 1.5`M\0.4`L=0.6`mol이다. 따라서 혼합 용액 속 NaOH의
각 물을 추가하여 만든 1`L 수용액의 몰 농도는 (가)가 (나)의 20배이다.
오답 피하기 ㄱ. (가)의 몰 농도는 0.1`M이다. 양(mol)은 실험 Ⅰ에서가 실험 Ⅱ에서의 5
3배이다.
/

14 바른답·알찬풀이
(가)=(나), (가)에 들어 있는 NaOH의 질량은 100`g\0.08=8`g
이다. 또 (나)에 들어 있는 NaOH의 양은 2`M\0.1`L=0.2`mol이므로
088 예시 답안

NaOH의 질량은 40`g/mol\0.2`mol=8`g이다. 따라서 (가)와 (나)에 들


서술형 해결 전략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어 있는 용질의 질량은 같다.


화학 반응식을 나타내고, 화학 반응의 양적 관계를 계산할 수 있어야 한다.
채점 기준 배점(%)
STEP 2 자료 파악
➊ 반응 (가)에서 CH_4( g)과 O_2( g)가 반응하면 CO_2( g)와 H_2&O(l)이 생성된다.
(가)와 (나)에 들어 있는 용질의 질량을 각각 옳게 구하고, 부등호나

➋ 반응 (나)에서 H_2( g)와 O_2( g)가 반응하면 H_2&O(l)이 생성된다.


100

(가)와 (나)에 들어 있는 용질의 질량 중에서 1가지만 옳게 구한 경우


등호를 이용하여 비교한 경우

 X는 H_2&O이다.
 50

STEP 3 관련 개념 모으기

 1단계 : 반응물과 생성물을 화학식으로 나타내고, 화살표(→)의 왼쪽에


➊ 화학 반응식을 나타내는 과정은?
090
는 반응물을, 오른쪽에는 생성물을 쓴다. 반응물이나 생성물이 2가지 이 서술형 해결 전략

 2단계 : 반응물과 생성물을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와 개수가 같아지도


상이면 ‘+’로 연결한다.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 3단계 : 화학식 뒤의 ( 전 HCl(aq)의 몰 농도를 구할 수 있어야 한다.


록 계수를 맞춘다. 묽은 염산(HCl(aq))과 마그네슘(Mg(s)) 반응의 양적 관계를 이용하여 반응
) 안에 물질의 상태를 표시한다.
➋ 화학 반응의 양적 관계를 이용하여 생성물의 질량을 구하는 방법은? STEP 2 자료 파악
 화학 반응식의 계수비로부터 반응에 참여하는 물질 사이의 몰비를 구
 반응물은 HCl, Mg이고, 생성물은 MgCl_2, H_2이다.
➊ 묽은 염산과 마그네슘 반응의 화학 반응식은?
하고, 이를 통해 질량을 구하고자 하는 물질의 양(mol)을 구하여 질량으
HCl + Mg ―→ MgCl_2 + H_2
 H와 Cl 원자 수를 맞추기 위해 반응물인 HCl 앞에 계수 2를 붙인다.
로 환산(화학식량×물질의 양(mol))한다.

2HCl + Mg ―→ MgCl_2 + H_2


⑴ X는 H_2&O이고, (가)의 화학 반응식은 CH_4( g) + 2O_2( g) ―→
CO_2( g) + 2H_2&O(l), (나)의 화학 반응식은 2H_2( g) + O_2( g) ―→ 2H_2&O(l)
예시 답안

2HCl(aq) + Mg(s) ―→ MgCl_2(aq) + H_2( g)


 각 물질의 상태를 나타낸다.

➋ 반응한 Mg(s)의 질량과 양(mol)은?


⑵ (가) 18`g, (나) 36`g, (가)에서 몰비는 O_2( g)`Û`H_2&O(l)=1`Û`1이고, (나)에  Mg(s) 3`g을 넣어 반응 후 0.6`g이 남았으므로 반응한 Mg(s)의 질
이다.

서 몰비는 O_2( g)`Û`H_2&O(l)=1`Û`2이다. 따라서 O_2( g) 1`mol이 반응할 때 (가) 량은 3`g-0.6`g=2.4`g이다.


에서는 H_2&O(l) 1`mol이, (나)에서는 H_2&O(l) 2`mol이 생성된다. H_2&O의 분자  Mg의 원자량이 24이다.
2.4`g
량은 18이므로 생성되는 H_2&O(l)의 질량은 (가)에서 18`g, (나)에서 36`g이다.  Mg(s) 2.4`g의 양은 =0.1`mol이다.
24`g/mol
➌ 생성되는 H_2( g)의 양(mol)은?
 계수비로부터 몰비는 Mg(s)`Û`H_2( g)=1`Û`1이다.
채점 기준 배점(%)
H_2&O을 쓰고, (가)와 (나)의 화학 반응식을 모두 옳게 나타낸 경우  반응한 Mg(s)의 양이 0.1` mol이므로 생성되는 H_2( g)의 양은
H_2&O을 쓰고, (가)와 (나) 중에서 1가지만 옳게 나타낸 경우 0.1`mol이다.
100

➍ 반응한 HCl의 양(mol)은?


50
(가)와 (나)에서 생성되는 H_2&O(l)의 질량을 모두 옳게 구한 경우
 계수비로부터 몰비는 Mg(s)`Û`HCl(aq)=1`Û`2이다.
(가)와 (나) 중에서 1가지만 옳게 구한 경우
100

 반응한 Mg(s)의 양이 0.1` mol이므로 반응한 HCl(aq)의 양은



50

0.2`mol이다.
089
STEP 3 관련 개념 모으기
서술형 해결 전략 ➊ 화학 반응식의 계수비와 몰비의 관계는?
 화학 반응식의 계수비는 몰비와 같다.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➋ 질량을 이용한 양적 관계 계산은?
농도를 이용하여 수용액에 들어 있는 용질의 질량을 구할 수 있다.
 반응에 참여하는 물질의 질량으로부터 물질의 양(mol)을 구하고, 화
STEP 2 관련 개념 모으기 학 반응식의 계수비를 이용하여 다른 물질의 양(mol)을 구할 수 있다.

 용액 100`g 속에 녹아 있는 용질의 질량(g)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


⑴ 계수비로부터 몰비는 Mg(s)`Û`H_2( g)=1`Û`1이다. 반응한 Mg(s)
➊ 퍼센트 농도란?

\100
2.4`g의 양이 0.1`mol이므로 생성되는 H_2( g)의 양은 0.1`mol이
고, 부피는 24`L/mol\0.1`mol=2.4`L이다.
용질의 질량(g)
퍼센트 농도(%)=
용액의 질량(g)

⑵ 예시 답안 화학 반응식은 2HCl(aq) + Mg(s) ―→ MgCl_2(aq) + H_2( g)


100 이므로 Mg(s) 0.1`mol과 반응한 HCl(aq)의 양, 즉 x`M HCl(aq) 100`mL
퍼센트 농도(%)
 용질의 질량은 용액의 질량에 를 곱하여 구한다.

에 들어 있는 HCl의 양이 0.2`mol이다. 따라서 몰 농도는


0.2`mol
 용액 1`L 속에 녹아 있는 물질의 양(mol)을 나타낸 것 =2`M,
0.1`L
➋ 몰 농도란?

x=2이다.
\100
용질의 양(mol)
몰 농도(M)=
용액의 부피(L)
채점 기준 배점(%)
x를 구하는 과정을 옳게 설명한 경우

 용질의 질량은 몰 농도와 용액의 부피를 곱하여 용질의 양(mol)을 구 100
x만 옳게 구한 경우
한 다음, 화학식량과 용질의 양(mol)을 곱하여 구한다.
50

바른답·알찬풀이 15
ㄱ. ㉠으로 (가), 즉 아세트산을 분류했으므로 ㉠은 아세트산의 성질
28~31쪽
과 관련된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수용액이 산성 용액인가?’는 ㉠으
로 적절하다.
ㄴ. 메테인은 LNG의 주성분으로, 가정용 연료로 이용된다.
091 ⑤ 092 ④ 093 ③ 094 ① 095 ④ 096 ⑤
097 ③ 098 ④ 099 ③ 100 ④ 101 ② 102 ①
104 Y, W, X, Z ㄷ. 아세트산과 에탄올은 상온에서 액체로 존재한다.
105 ⑴ 7
103 (가) 에탄올, (나) 아세트산, (다) 메테인 오답 피하기

107 B, 11.7`g → 5.85`g


⑵ 해설 참조 106 해설 참조
108 해설 참조 094 ①

자료 분석하기 기체의 부피와 양(mol), 질량 관계

• 25`*C, 1`atm에서 기체 1`mol의 부피는 24`L이므로 각 기체의 양


091 ⑤
㉠은 NH_3(암모니아), ㉡은 CH_4(메테인), ㉢은 Fe_2&O_3(산화 철)이다.
(mol)과 분자량은 다음과 같다.

ㄱ. NH_3(암모니아)를 원료로 하는 질소 비료는 농산물의 생산량을


기체 (가) (나) (다)
A_2 BA_4 C
4.8 1.2 2.4
분자식
늘려 식량 부족 문제 해결에 기여하였다.
ㄴ. CH_4(메테인)은 물에 잘 녹지 않으며, 액화 천연가스(LNG)의 주
부피(L)
4.8`L 1.2`L 2.4`L
24`L/mol 24`L/mol 24`L/mol
=0.2`mol =0.05`mol =0.1`mol
성분으로 가정용 연료로 이용된다. 양(mol)

ㄷ. 철광석의 주성분인 Fe_2&O_3(산화 철)의 제련을 통해 철을 얻는다.


질량(g) 0.4 0.8 0.4
0.4 0.8 0.4
=2 =16 =4
철은 강도가 높아 건축 재료, 생활용품 등에 이용되며, 철근과 시멘
0.2 0.05 0.1
분자량

• A_2의 분자량이 2이다.


트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를 건축 재료로 활용하면서 대규모 건설

•  (A의 원자량\2)=2이므로 A의 원자량은 1이다.


이 가능해졌다.

•B  A_4의 분자량이 16이다.


•  (B의 원자량\1)+(A의 원자량\4)=16이므로 B의 원자량은 12
092 ④
(가)는 폼알데하이드(HCHO), (나)는 아세트산(CH_3&COOH)이다.
ㄴ. 아세트산에는 C 원자와 결합하는 H 원자 3개, O 원자와 결합하 • C는 일원자 분자이다.
이다.

•  분자량=원자량이므로 C의 원자량은 4이다.


는 H 원자 1개가 있다.

ㄱ.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는 기체의 양(mol)에 비례


O

하므로 기체의 몰비는 (가)`Û`(나)=4`Û`1이다. 따라서 분자 수는 (가)


C 원자와 결합하는
H H
H O

H 원자
H

가 (나)의 4배이다.
C
C C
O 원자와 결합하는
C C

ㄴ. 원자량비는 A`Û`C=1`Û`4이다.
H
H 원자
H H H
H H H
O

ㄷ. 1` g 에 들어 있는 A 원자 수는 1` g 에 들어 있는 기체의 양
H

ㄷ. (가)와 (나)를 구성하는 각 원자 수의 비는 C`Û`H`Û`O=1`Û`2`Û`1


오답 피하기

(mol)\분자당 A 원자 수이다. 분자량비는 (가)`Û`(나)=1`Û`8이므


로 1`g에 들어 있는 기체의 양(mol)은 (가)`Û`(나)=8`Û`1이고, 분자
로 같다.
O

당 A 원자 수의 비는 (가)`Û`(나)= 1`Û`2이다. 따라서 1`g에 들어 있


오답 피하기 ㄱ. 아세트산은 에탄올을 발효하여 얻는다.
O

는 A 원자 수는 (가)`Û`(나)=4`Û`1이므로 (가)가 (나)의 4배이다.


H C H
C C
C 093
H H ③
H H H
자료 분석하기 탄소 화합물의 분류
095 ④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는 기체의 양(mol)에 비례하
분자당 C 원자 수가 고, 기체의 질량이 같을 때 기체의 양(mol)은 분자량에 반비례한다.
분류 기준 예 아니요
▶수정

2인가? CH_3&COOH, C_2&H_5&OH CH_4


(가), (다) (나)

분자당 H 원자 수가
즉, 온도와 압력이 일정하고 기체의 질량이 같을 때, 기체의 부피는
분자량에 반비례한다. 제시된 그림에서 부피가 A( g)>B( g)이므로
4인가? CH_3&COOH, CH_4 C_2&H_5&OH
(가), (나) (다)

분자량은 B>A이다. 따라서 A는 SO_2, B는 SO_3이다.


CH_3&COOH CH_4, C_2&H_5&OH ㄴ. 분자량은 A(SO_2)가 64, B(SO_3)가 80이다. A( g)의 부피 V_1과
(가) (나), (다)

• 메테인(CH_4), 에탄올(C_2&H_5&OH), 아세트산(CH_3&COOH) 중에서 분자당 B( g)의 부피 V_2는 분자량에 반비례하므로 V_1`Û`V_2=1
/
6
4`Û`1
/
8
0=
C 원자 수가 2인 것은 C_2&H_5&OH과 CH_3&COOH이다.
 (나)는 CH_4이다. 5`Û`4이다.
• 메테인(CH_4), 에탄올(C_2&H_5&OH), 아세트산(CH_3&COOH) 중에서 분자당 O 원자 수 분자당 O 원자 수 O 원자 수
H 원자 수가 4인 것은 CH_4과 CH_3&COOH이다.
ㄷ. 는 와 같으므로
 (가)는 CH_3&COOH이고, (다)는 C_2&H_5&OH이다.
전체 원자 수 분자당 구성 원자 수 전체 원자 수

비는 A`Û`B=2
3`Û`3
/ 4=8`Û`9이다.
/
(가)는 아세트산, (나)는 메테인, (다)는 에탄올이다. 오답 피하기 ㄱ. A는 SO_2이다.

16 바른답·알찬풀이
ㄴ.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는 기체의 양(mol)에 비례
한다. 기체의 양이 (가)에서 2`mol, (다)에서 3`mol이므로 기체의
096 ⑤

2가지 질소 산화물을 이루는 질소와 산소의 질량 관계


부피비는 (가)`Û`(다)=2`Û`3이다. 따라서 기체의 부피는 (다)가 (가)
자료 분석하기

의 1.5배이다.
A NO_2
A 분자량 46
기체의 질량

산소의 질량
ㄷ. 반응 몰비는 A_2( g)`Û`B&_2( g)=1`Û`2이므로 (다)에 남아
16
B NO
분자량 30
있는 A_2( g) 1`mol이 모두 반응하려면 B&_2( g) 2`mol이 더 필요하다.
46 B 오답 피하기

30 8
g g
( )

( )
0 22.4 0 7
099 ③
CaCO_3(s)과 HCl(aq) 반응의 화학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기체의 부피(L) 질소의 질량(g)

• (가)에서 기체의 부피가 22.4`L일 때 기체의 양은 1`mol이다. CaCO_3(s) + 2HCl(aq) ―→ CaCl_2(aq) + H_2&O(l) + CO_2( g)
(가) (나)

•  기체의 몰 질량은 A가 46`g/mol, B가 30`g/mol이다.


ㄱ. x=1, y=2, z=1이므로 x+z=y이다.
• (나)에서 같은 질량의 질소와 결합한 산소의 질량비가 A`Û`B=2`Û`1이다.
•  같은 수의 질소 원자와 결합한 산소 원자 수의 비가 A`Û`B=2`Û`1 ㄴ. 계수비로부터 몰비는 CaCO_3(s)`Û`CO_2( g)=1`Û`1이다. 제시된 자

료에서 생성된 CO_2( g) 1.68`L의 양이


1.68`L
=0.07`mol이
•  A는 NO_2(분자량 46), B는 NO(분자량 30)이다. 24`L/mol
이다.

므로 반응한 CaCO_3(s)의 양은 0.07`mol이고, 질량은 100`g/mol


ㄴ. 일정량의 질소와 결합한 산소의 질량비가 A`Û`B=2`Û`1이다. 따 \0.07`mol=7`g이다. 따라서 10-w=7, w=3이다.
라서 일정량의 질소와 결합한 산소(O) 원자의 양(mol)도 A`Û`B=
ㄷ. CaCO_3(s) 10`g의 양은
10`g
=0.1`mol이므
2`Û`1이므로 A가 B의 2배이다. 100`g/mol
오답 피하기

ㄷ. N_2( g)가 O_2( g)와 반응하여 A(NO_2)를 생성하는 반응의 화학 반 로 CaCO_3(s) 10`g이 완전히 반응할 때 생성되는 CO_2( g)의 양은

응식은 N_2( g) + 2O_2( g) ―→ 2NO_2( g)이므로 계수비로부터 몰비는 0.1`mol이고, 부피는 24`L/mol \0.1`mol=2.4`L이다. 따라서
N_2( g)`Û`O_2( g)=1`Û`2이다. 따라서 1`mol의 N_2( g)가 완전히 반응하 반응 후 남은 CaCO_3(s)을 완전히 반응시킬 때 추가로 생성되는

기 위해 필요한 O_2( g)의 양은 2`mol이므로 O&_2( g)의 최소 질량은 CO_2( g)의 부피는 2.4`L-1.68`L=0.72`L이다.

32`g/mol\2`mol=64`g이다.
ㄱ. A는 NO_2, B는 NO이므로 기체 1`mol 중 산소(O) 원 100 ④

자의 양(mol)은 A가 B의 2배이다.
오답 피하기

자료 분석하기 기체의 화학 반응에서 양적 관계

097 ③
(가) ̄(다) 연소 반응의 화학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가) CH_4( g) + 2O_2( g) ―→ CO_2( g) + 2H_2&O(l)
피스톤 반응 B(g)`x`g

(나) C_3&H_8( g) + 5O_2( g) ―→ 3CO_2( g) + 4H_2&O(l)


C(g)
5`L

(다) 2C_4&H_10( g) + 13O_2( g) ―→ 8CO_2( g) + 10H_2&O(l)


A(g)`w`g
2`L

ㄱ. (가) ̄(다)는 모두 탄소(C)와 수소(H)로 이루어진 탄화수소이므


로 완전 연소하면 CO_2( g)와 H_2&O(l)이 생성된다.
(가) (나)

ㄷ. 뷰테인(C_4&H_10)의 분자량이 (12\4)+(1\10)=58이므로 (다)


• 기체가 관여하는 반응에서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화학 반응식의 계수

•  2A( g) ―→ b B( g) + C( g)에서 2`Û`(b+1)=2`Û`5이므로 b=4이다.


비와 기체의 부피비가 같다.

29`g •2  A( g) ―→ 4B( g) + C( g)에서 몰비는 A( g)`Û`B( g)`Û`C( g)=2`Û`4`Û`1


29` g의 양은 = 0.5` m o l 이다. 계수비로부터 몰비는
58`g/mol
C_4&H_10( g)`Û`CO_2( g)=1`Û`4이므로 C_4&H_10( g) 0.5`mol이 반응할 때 •  반응 전후 질량은 보존되므로 A( g) 2`mol의 질량=B( g) 4`mol의
이다.

질량+C( g) 1`mol의 질량이 성립한다.


CO_2( g)는 0.5`mol\4=2`mol이 생성된다. 따라서 0`*C, 1 atm에서
생성되는 CO_2( g)의 부피는 22.4`L/mol\2`mol=44.8`L이다.
반응 전후 질량이 보존되므로 A( g) 2`mol의 질량은 B( g) 4`mol의
ㄴ. (가)의 연소 반응에서 몰비는 CH_4( g)`Û`O_2( g)=1`Û`2
이고, (나)의 연소 반응에서 몰비는 C_3&H_8( g)`Û`O_2( g)=1`Û`5이다. 따 질량과 C( g) 1`mol의 질량을 합한 값과 같다. C =8
2
/
7이므
오답 피하기

A 분자량
분자량

라서 1`mol이 완전 연소하기 위해 필요한 O_2( g)의 최소 양은 (가)가


로 A의 분자량을 27M, C의 분자량을 8M이라고 하면, 2\27M
2`mol, (나)가 5`mol이므로 (나)가 (가)의 2.5배이다.
=4\(B의 분자량)+8M이므로 B의 분자량은 /
2
2
3M이다. 따라서

질량비는 A( g)`Û`B( g)`Û`C( g)=(2\27M)`Û`(4\/
2
2
3M)`Û`8M=
098 ④
생성물의 화학식이 AB&_2이므로 빨간색 입자가 A, 흰색 입자가 B이다.
ㄱ. (다)에서 반응 후 A_2( g) 1`mol이 남아 있으므로 화학 반응식은 27`Û`23`Û`4이고, A( g)의 질량이 w`g일 때 B( g)의 질량은 /
2
3w`g이
7
A_2( g) + 2B&_2( g) ―→ 2AB&_2( g)이다. 따라서 계수비로부터 몰비는
므로 x=/
2
3w이다.
7
A_2( g)`Û`B&_2( g)=1`Û`2이다.

바른답·알찬풀이 17
⑴ 먼저 N 원자 수를 맞추기 위해 반응물인 NaN_3(s) 앞에 계수 2,
101 ② 105
(가)와 (나)에 들어 있는 NaOH의 양(mol)은 다음과 같다.
1`g 2`g 생성물인 N_2( g) 앞에 계수 3을 붙인다.
=0.025`mol =0.05`mol
40`g/mol 40`g/mol 2NaN_3(s) ―→ bNa(s) + 3N_2( g) → a=2, c=3
(가) (나)

용액의 부피는 (가)가 0.05`L, (나)가 0.2`L이므로 몰 농도는 (가)가 Na 원자 수를 맞추기 위해 생성물인 Na(s) 앞에 계수 2를 붙인다.
0.025`mol 0.05`mol 2NaN_3(s) ―→ 2Na(s) + 3N_2( g) → b=2
=0.5`M, (나)가 =0.25`M이다.
0.05`L 0.2`L
따라서 a+b+c=7이다.
ㄴ. (다)에서 만든 용액에 들어 있는 NaOH의 양은 0.025`mol+
⑵ 예시 답안 계수비로부터 몰비는 NaN_3(s)`Û`Na(s)`Û`N_2( g)=2`Û`2`Û`3이
0.05`mol=0.075`mol이고, 용액의 부피는 0.5`L이므로 몰 농도
32.5`g
다. NaN_3의 화학식량이 65이므로 NaN_3(s) 32.5`g의 양은
0.075`mol 65`g/mol
=
=0.15`M이다. 따라서 z=0.15이다.
0.5`L 0.5`mol이고, NaN_3(s) 0.5`mol이 분해되면 Na(s) 0.5`mol과 N_2( g)

ㄱ. x=0.5, y=0.25이므로 x=2y이다. 0.75`m o l이 생성된다. 따라서 생성되는 N a(s)의 질량은 23`g/m o l\
ㄷ. 밀도가 1`g/mL이므로 (다)에서 만든 NaOH(aq) 500`mL의
오답 피하기

0.5`mol=11.5`g이고, N_2( g)의 부피는 24`L/mol\0.75`mol=18`L이다.


질량은 500`g이고, NaOH의 질량은 (가) 1`g+(나) 2`g=3`g이다.

따라서 퍼센트 농도는5


/
3
00\100=0.6(%)이다.
채점 기준 배점(%)
Na(s)의 질량(g)과 N_2( g)의 부피(L)를 구하는 과정을 모두 옳게 설
100

Na(s)의 질량(g)과 N_2( g)의 부피(L) 중 1가지만 옳게 설명한 경우


명한 경우
50

ㄱ. (가)에서 용액의 질량은 30`g+170`g=200`g이고, 용질인 A의


102 ①

질량은 30`g이므로 퍼센트 농도는2


3
/
0
00\100=15(%)이다.
106

ㄴ. (가) 20`g에 들어 있는 A의 질량은 3`g이므로 (나)에


기체가 관여하는 반응에서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화학 반응식의

3`g
오답 피하기

체의 부피비는 N_2( g)`Û`H_2( g)`Û`NH_3( g)=1`Û`3`Û`2이다.
계수비와 기체의 부피비가 같다. 따라서 암모니아 생성 반응에서 기
들어 있는 A의 양은 =0.05`mol이다. 따라서 (나)의 몰
60`g/mol
X( g)는 H_2( g)이다. 암모니아 생성 반응의 화학 반응식은 N_2( g) +
0.05`mol
=0.05`M이다. 3H_2( g) ―→ 2NH_3( g)이다. 기체가 관여하는 반응에서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예시 답안

1`L
때 화학 반응식의 계수비와 기체의 부피비가 같다. 따라서 N_2( g) 1`L와 H_2( g)
농도는

ㄷ. (가) 100` g 에 들어 있는 A 의 질량은 15` g 이므로 그 양은


4`L를 반응시키면 NH_3( g) 2`L를 생성하고, 반응하지 않은 H_2( g) 1`L가 남
15`g
=0.25`mol이고, (나) 100`mL에 들어 있는 A의 양은
60`g/mol
는다.

0.05`M\0.1`L=0.005`m o l이다. 따라서 (가) 100`g과 (나)


100` m L 를 혼합한 용액에 들어 있는 A 의 양은 0.25` m o l+
채점 기준 배점(%)

0.005`mol=0.255`mol이다. X( g)가 H_2( g)임을 옳게 설명한 경우


암모니아 생성 반응의 화학 반응식에서 계수비와 부피비가 같으므로
100

X( g)가 H_2( g)라고만 쓴 경우 50

B, 11.7`g → 5.85`g
103 (가) 에탄올, (나) 아세트산, (다) 메테인

0.2`M NaCl(aq) 500`mL에 들어 있는 NaCl의 양은 0.2`M


에탄올은 손 소독제에 이용된다. 아세트산은 에탄올을 발효하여 얻 107

\0.5`L=0.1`mol이므로 필요한 NaCl의 질량은 58.5`g/mol\


는다. 메테인은 가정용 연료로 이용된다.

0.1`mol=5.85`g이다.
104 Y, W, X, Z

자료 분석하기 원자 1개의 질량과 원자량


108
W X Y Z (다)에 들어 있는 NaOH의 양(mol)은 (가)와 (나)에 들어 있는
NaOH의 양(mol)을 합한 값과 같다.
원자

1개의 질량(g) 2\10&^-23 3\10&^-23


/
7 6\10&^-23
/
1 3\10&^-23
/
8
(가)에 들어 있는 NaOH의 질량이 240`g\0.05=12`g이므로 그
6\10^23개의
12`g
예시 답안
12 14 1 16
=0.3`mol이고, (나)에 들어 있는 NaOH의 양은 1`M\
40`g/mol
질량(g/mol) 양은
• 원자가 아보가드로수(6\10^23)만큼 있을 때의 질량은 원자 1`mol의 질 0.3`mol+0.5`mol
0.5`L=0.5`mol이다. 따라서 (다)의 몰 농도는 =
1`L
•  원자량은 원자 1`mol의 질량에서 단위를 뗀 값과 같다. 0.8`M이다.
량(g/mol)이다.

• 원자 6\10^23개의 질량(g/mol)은 W ̄Z가 각각 12, 14, 1, 16이다.


•  원자량은 Y<W<X<Z이다. 채점 기준 배점(%)

각 원자의 원자량은 W가 12, X가 14, Y가 1, Z가 16이다.


(다)의 몰 농도를 구하는 과정을 옳게 설명한 경우 100
(다)의 몰 농도만 옳게 쓴 경우 50

18 바른답·알찬풀이
117 12.01
Ⅱ 원자의 세계 평균 원자량은 각 동위 원소의 원자량과 존재 비율을 곱한 값을 더하

98.93 1.07
여 구한다.

C의 평균 원자량은 12\ +13.00\ =12\0.9893


4 원자의 구조
100 100
+13.00\0.0107≒12.01이다.
개념 확인 문제 33쪽

112 ×
115 9, 10 116 28
109 ㉡ 110 ㉠ 111 ◯
113 ×
117 12.01
114 ◯

1897년 톰슨은 음극선 실험을 통해 음극선이 (-)전하를 띤 입자의


109 ㉡ 33~36쪽

126 _1^3&Y
흐름이라는 것을 알아냈고, 그 후 과학자들이 이 입자를 전자라고 하 118 ⑤ 119 ⑤ 120 ② 121 해설 참조

였다. 122 (가) ㄴ, (나) ㄹ 123 ⑤ 124 ③ 125 ④


127 ③ 128 ① 129 ③ 130 ④ 131 ② 132 ③

1911년 러더퍼드는 알파(a) 입자 산란 실험을 통해 원자 중심에 부


110 ㉠ 133 해설 참조 134 ④

피가 매우 작고, 질량이 원자 질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전하를


띤 입자가 존재하는 것을 발견하여 이를 원자핵이라고 하였다. 118 ⑤
(가) 음극선의 진행 방향에 놓아 둔 바람개비가 돌아가는 것으로 보
111 아 음극선은 질량을 가진 입자의 흐름임(ㄷ)을 알 수 있다.
(가) ̄(다) 중에서 (다)는 원자핵 주위를 운동하고 있으므로 전자이 (나) 음극선에 자석을 가까이하면 경로가 휘어지는 것으로 보아 음극

가 (다)와 같은 1개이므로 (가)가 양성자, (나)가 중성자이다. 양성자


다. (가)와 (나)는 원자핵을 이루는 양성자와 중성자인데, (가)의 개수 선은 전자기적 성질이 있음(ㄴ)을 알 수 있다.
ㄱ. 음극선의 진로에 전기장을 걸어 주면 (+)극으로 휘어
는 (+)전하를 띤다. 지는 실험을 통해 음극선은 (-)전하를 띠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답 피하기

112 119 필수 유형 ⑤
중성자는 전하를 띠지 않는다. (-)전하를 띠는 입자는 전자이므로 자료 분석하기 러더퍼드의 알파(a) 입자 산란 실험
(다)이다.
[실험 결과]
• 대부분의 a 입자는 금박을 통 튕겨 나온 알파(a) 금박
113 과하였다.  원자의 내부는 대 입자
원자 질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원자핵이다. 전자의 질량은 원 부분 빈 공간이다.
자핵에 비해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다. • 일부 a 입자는 경로가 휘어졌
고, 극소수의 a 입자는 큰 각도
로 튕겨 나왔다.  원자의 중
알파(a) 입자 형광 스크린
114 심에 (+)전하를 띠는 매우 작

시된 원자에서 (가)는 1개, (나)는 2개이므로 질량수는 1+2=3이다.


질량수는 양성자 (가)의 개수와 중성자 (나)의 개수를 합한 값이다. 제 고 질량이 큰 입자가 존재한다.

입자 X는 원자핵이다.
115 9, 10 ㄱ. 러더퍼드는 알파(α) 입자 산란 실험을 통해 원자핵을 발견하였다.
ㄴ, ㄷ. 원자의 중심에 (+)전하를 띠고, 매우 작으면서 질량이 커 밀
다. ^19_9 F에서 원자 번호가 9이고, 질량수가 19이다. 따라서 양성자수
원소 기호의 왼쪽 아래에 원자 번호를 쓰고, 왼쪽 위에 질량수를 쓴

는 원자 번호와 같으므로 9이고, 중성자수는 질량수-양성자수=


도가 큰 입자가 존재한다. 이 입자를 원자핵이라고 한다.

19-9=10이다. 120 ②
ㄷ. (가)의 실험을 통해 발견한 전자는 (-)전하를 띠고, (나)의 실험
116 28 을 통해 발견한 원자핵은 (+)전하를 띤다.
질량수는 양성자수와 중성자수를 합한 값이다. 원자 A에서 질량수 ㄱ. (가)는 톰슨의 음극선 실험으로, 이 실험을 통해 (-)전
는 6+7=13이므로 a=13이다. 원자 B에서 중성자수는 14-7=
오답 피하기

7이므로 b=7이다. 원자 C에서 양성자수는 15-7=8이므로 c=8


하를 띠는 전자를 발견하였다.
ㄴ. (나)는 러더퍼드의 알파(a) 입자 산란 실험으로, 이 실험을 통해
이다. 따라서 a+b+c=13+7+8=28이다. (+)전하를 띠는 원자핵을 발견하였다.

바른답·알찬풀이 19
121 ㄱ. X와 Y는 전자 수가 같으므로 양성자수도 같아야 한다. 따라서
는 양성자이다.
ㄷ. X와 Y는 양성자수가 같고, 중성자수가 다른 동위 원소이다.
예시 답안원자의 내부는 대부분 빈 공간이고, 원자의 중심에 (+)전하를 띠는
- - - -

오답 피하기 ㄴ. 질량수는 양성자수와 중성자수의 합이므로 Y와 Z 모


매우 작고 질량이 큰 입자가 존재한다.
-

두 3이다.
채점 기준 배점(%)
원자의 구조를 옳게 설명한 경우 100

_1^3&Y
(+)전하를 띠는 원자핵이 존재한다고만 설명한 경우 50
126

다. Y의 원자 번호는 1, 질량수는 3이므로 _1^3&Y로 나타낸다.


원소 기호의 왼쪽 아래에 원자 번호를 쓰고, 왼쪽 위에 질량수를 쓴
122
톰슨은 (가)의 실험 결과 전자를 발견하였고, (+)전하를 띠는 공 모
(가) ㄴ, (나) ㄹ

양의 물질에 (-)전하를 띠는 전자가 듬성듬성 박혀 있는 모형(ㄴ)을


127 필수 유형 ③
제안하였다. 러더퍼드는 (나)의 실험 결과 원자핵을 발견하였고, 원
자 중심에 (+)전하를 띠는 원자핵이 있고 그 주위를 (-)전하를 띠 자료 분석하기 원자 또는 이온의 구성 입자 수와 질량수

A B C
는 전자가 운동하고 있는 모형(ㄹ)을 제안하였다.

7 8
원자 또는 이온
오답 피하기 ㄱ은 돌턴의 원자 모형, ㄷ은 보어의 원자 모형이다. c8
8 10
양성자수
a8
7 8 10
중성자수
123 ⑤

15 18
전자 수
(가)는 양성자, (나)는 중성자, (다)는 전자이다. 질량수 b 16
ㄱ. 양성자와 중성자는 원자핵의 구성 입자이다.
 A에서 7+a=15이므로 a=8이다. 
• 질량수=양성자수+중성자수이다. 

 B에서 8+8=16이므로 b=16이다.


ㄴ. 서로 반대 전하를 띠는 양성자와 전자 사이에 정전기적 인력이

 C에서 c+10=18이므로 c=8이다.


작용한다.

•C
ㄷ. 원자핵 속 양성자의 수가 원소의 종류를 결정한다.

 C는 원자가 전자를 얻어 형성된 음이온이다.


 는 전자 수>양성자수이다.

124 ③
분류 기준 (가)에 해당하는 A와 B는 각각 양성자와 중성자 중 하나
ㄱ. a=8, b=16, c=8이므로 a+b+c=32이다.
이고, 분류 기준 (나)에 해당하는 B와 C는 각각 양성자와 전자 중 하
ㄴ. C는 양성자수가 8, 전자 수가 10이므로 원자가 전자 2개를 얻어
나이다. 따라서 A는 중성자, B는 양성자, C는 전자이다.
ㄱ. 입자 1개의 질량은 중성자>전자이므로 A>C이다.
형성된 음이온이다.

ㄴ. 질량수=양성자수+중성자수이므로 질량수는 A 수와 B 수의 합
이다. A와 B는 양성자수가 각각 7과 8로 다르므로 동위 원소가 아
오답 피하기 ㄷ. 동위 원소는 양성자수가 같고, 중성자수가 다른 원소

과 같다.
ㄷ. 동위 원소는 양성자수가 같고, 중성자수가 다르므로 B
니다.

수가 같고, A 수가 다르다.
오답 피하기

ㄱ. (가)의 _1^3&H는 양성자수가 1, 질량수가 3, 중성자수가 2이다. 따라


128 ①

서 A는 양성자, B는 중성자이다.
125 ④

자료 분석하기 원자의 구성 입자

자수가 2, 중성자수가 1이므로 질량수는 (가)와 (다) 모두 3이다.


오답 피하기 ㄴ. 질량수는 양성자수와 중성자수의 합이다. (다)는 양성
양성자 중성자

1이므로 전자 수도 (가)와 (나) 모두 1이다.


전자 ㄷ. 원자는 양성자수와 전자 수가 같다. 양성자수는 (가)와 (나) 모두
- - - -
-

X Y Z

• 원자 X와 Y는 전자( - ) 수가 1이다. 


- - - 129 ③

 X와 Y의 양성자수도 1이어야 하므로  는 양성자이다.


원자 A ̄D의 양성자수와 중성자수는 다음과 같다.

A B C D
•-원자 X ̄Z의 구성 입자-수와 질량수는 다음과
- - -
-  는 양성자이므로
 --  는 중성자이다.-

5 5 6 7
원자
- - 같다.

X Y Z 6 5 6 7
양성자수
-

1 1 2
원자 중성자수

ㄱ. A와 B는 양성자수가 같고, 중성자수가 다른 동위 원소이다.


1 1 2
전자 수

ㄴ. 중성자수는 A와 C 모두 6이다.
1 2 1
양성자수

2 3 3 ㄷ. 질량수는 A가 11, B가 10, C가 12, D가 14이므로


중성자수

D>C>A>B이다.
질량수 오답 피하기

20 바른답·알찬풀이
130 ④ 134 ④
ㄱ. ^a&X 원자 모형에서 전자( -) 수와  의 수가 같으므로  는 양성 ㄴ, ㄷ. ^aX와 ^a+2X의 존재 비율을 각각 m, n이라고 하면 ^aX_2의 존
- - -

- - - 자이다. -따라서- - - - - - -
재 비율은 m^2, ^a+2X_2의 존재 비율은 n^2이다. 제시된 자료에서 m^2
ㄷ. 분자량이 서로 다른 X_2는 ^a&X_2(2a), ^a&X^b&X(a+b), ^b&X_2(2b)의 3가
 는 중성자이다.

=n^2=1
4이므로 m=n=1
/ 2이다. 따라서 평균 원자량은 a\1
/ 2+
/
- - -

ㄴ. 질량수는 b>a이므로 X의 평균 원자량=a\0.9999 (a+2)\1


2=a+1이고, 동위 원소의 존재비는 ^aX`Û`^a+2X=1`Û`1
/
지이다.

a+b 이다.
오답 피하기

+b\0.0001<
2
이다.
ㄱ. 동위 원소는 양성자수가 같고, 중성자수가 다르므로
^a&X와 ^a+2&X의 전자 수는 같다.
오답 피하기

존재 비율이 (가)는 20`%, (나)는 100`%, (다)는 80`%이므로 (가)와


131 ②

(다)의 존재 비율의 합이 100`%이다. 따라서 (가)와 (다)는 동위 원소


이다. 제시된 자료에서 ㉠은 (가)와 (다)가 각각 a, b로 다르므로 ㉠은
중성자수이다. (가)와 (다)의 양성자수는 (가)에서 질량수-중성자수
=2a-a=a이고, (나)의 양성자수는 질량수-중성자수=(2a-1)
37쪽

-a=a-1이다. 따라서 (가)와 (다)는 _5&Y이고, (나)는 _4&X이다. 138 ⑴ 3`Û`1

ㄴ. _5&Y로부터 (가)와 (다)의 양성자수 a=5이고, (다)의 중성자수


135 ② 136 ④ 137 ⑤ ⑵ 해설 참조

b=질량수-양성자수=(2a+1)-a=a+1=6이므로 a+b=11
이다. 135 ②

ㄱ. (가)는 _5&Y이다.
ㄷ. _5&Y의 평균 원자량은 2a\0.2+(2a+1)\0.8=2a+0.8이다.
오답 피하기 자료 분석하기 원자의 구성 입자 수와 질량수

질량수
양성자수 A
3
132 ③

ㄱ. X의 평균 원자량은 a\1
2+(a+2)\1
/ 2=a+1이다.
/
2 D
1.5 C

ㄴ. ^bY와 ^b+2&Y는 동위 원소이므로 화학적 성질이 같다.


1 B

ㄷ. 분자량이 서로 다른 XY는 ^aX&^bY(a+b), ^aX^b+2&Y 또


는 ^a+2X^bY(a+b+2), ^a+2X^b+2Y(a+b+4)의 3가지이다.
오답 피하기 0 1 2 3
전자 수

^aX^bY ^aX^b^+^2Y ^a^+^2X^bY ^a^+^2X^b^+^2Y  양성자수는 A와 B가 1, C가 2, D가 3이다.


• 전자 수는 양성자수와 같다.

• 원자 A ̄D의 구성 입자 수와 질량수는 다음과 같다.


분자식
^aX ^bY ^a&X ^b+2Y ^a+2X ^bY ^a+2X ^b+2Y
a b a b+2 a+2 b a+2 b+2
A B C D
원자량

a+b a+b+2 a+b+4


1 1 2 3
원자
분자량

3 1 3 6
양성자수

2 0 1 3
질량수
중성자수

Y&_2 중에서 분자량이 2b+2인 분자의 존재 비율을 구할 때 2를 곱하


133

는 것은 ^bY와 ^b+2Y의 2가지 조합(^bY^b+2Y 또는 ^b+2Y^bY)이 구분되지 ㄷ. D는 전자 수와 중성자수가 모두 3이다.


ㄱ. 중성자수는 B가 0으로 가장 작다.
ㄴ. 양성자수는 B가 1, C가 2이므로 C가 B의 2배이다.
않으며 이를 모두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오답 피하기

분자량이 서로 다른 Y&_2는 ^bY_2(2b), ^bY^b+2Y(2b+2), ^b+2Y_2(2b+4)


의 3가지이고, 2b+4>2b+2>2b이다. 따라서 분자량이 y, 즉 2b+2인
예시 답안

Y&_2의 존재 비율은 2\3


4\1
/ 4=6
/ 1
/
6이고, 분자량이 x, 즉 2b+4인 Y&_2의
분자량이 서로 다른 X_2가 3가지 존재하려면 X의 동위 원소는 2가지
136 ④

분자량이 x인 Y&_2의 존재 비율
존재 비율은 1
4\1
/ 4=1
/ 1
/
6이다. 따라서 = 여야 한다. X 의 동위 원소를 각각 ^M& X , ^N& X 라 하고, 원자량은
분자량이 y인 Y&_2의 존재 비율
M>N, 각각의 존재 비율은 m, n이라고 하면 3가지 X_2의 분자량
6이다.
/
1
은 2M>M+N>2N이다. 따라서 분자량이 2M(^M&X_2)인 분자
(가)는 존재 비율이 m^2, 분자량이 M+N(^M&X^N&X)인 분자 (나)는 존
재 비율이 2mn, 분자량이 2N(^N&X_2)인 분자 (다)는 존재 비율이 n^2
채점 기준 배점(%)
분자량이 가장 큰 Y&_2와 두 번째로 큰 Y&_2의 존재 비율을 구하는 과정
이다. m+n=1이고, 제시된 자료에서 2mn`Û`n^2=1`Û`1.5이므로
100

분자량이 다른 2가지 Y&_2 중 1가지의 존재 비율만 옳게 구한 경우


m=0.25, n=0.75이다.
을 옳게 설명한 경우
50

바른답·알찬풀이 21
ㄴ. X의 평균 원자량은 M\0.25+N\0.75이고, (나)의 분자량 ⑴ ^63&Cu의 존재 비율을 a, ^65&Cu의 존재 비율을 b라고 하면 a+b=1
b M+N 이고, 63\a+65\b=63.5이므로 a=0.75, b=0.25이다. 따라
b=M+N이므로 = =M\0.5+N\0.5이다. 따라
2 2 서 a`Û`b=3`Û`1이다.
b Cu의 양성자수가 29이므로 ^63&Cu의 중성자수는 34, ^65&Cu의 중
서 X의 평균 원자량은
2
성자수는 36이다. Cu 1`mol에 들어 있는 각 동위 원소의 중성자수는 동위
보다 작다. ⑵ 예시 답안

ㄷ. 1`g의 분자에 들어 있는 양성자수는 1`g의 양(mol)에 비례하므


로 분자량에 반비례한다. 분자량이 (가)>(나)이므로 1`g의 (가)에 들
Cu 1`mol에 들어 있는 ^6^5&Cu의 중성자수 1\36
원소의 존재 비율과 중성자수를 곱한 값과 같다.

어 있는 양성자수<1`g의 (나)에 들어 있는 양성자수이다. 따라서 = =6


1
/
7이다.
Cu 1`mol에 들어 있는 ^6^3&Cu의 중성자수 3\34
따라서

1`g의 (가)에 들어 있는 양성자수


<1이다.
1`g의 (나)에 들어 있는 양성자수
Cu 1`mol에 들어 있는 각 동위 원소의 중성자수의 비를 구하는 과
채점 기준 배점(%)

오답 피하기 ㄱ. 분자 (가)와 (나)의 존재 비율의 비는 m^2`Û`2mn=1`Û`6 100

=x`Û`1이다. 따라서 x=1


6이다.
/
정을 옳게 설명한 경우
^63&Cu와 ^65&Cu의 중성자수만 옳게 구한 경우 50

^35&B와 ^37&B의 존재 비율(%)을 각각 m, n이라고 하면 m+n=100이


137 ⑤

고, 평균 원자량은 35\ m +37\ n =35.5이므로 m=75,


100 100
n=25이다.
5 현대 원자 모형
ㄱ. (가)는 ^23&A^35&B이고, (나)는 ^23&A^37&B이므로 (가)와 (나)의 존재 비율(%)
은 각각 ^35&B와 ^37&B의 존재 비율(%)과 같다. 따라서 a=m=75, b=
개념 확인 문제 39쪽

b
n=25이다. 또 (나)의 화학식량 x=23+37=60이므로 x\ = 145 (가) 0, (나) 1
139 전자 껍질 140 높아진다 141 발머 142 ◯
143 × 144 ×
a

60\/
2
7
5=20이다.
146 (가)=(나) 147 (가)

m ^2
Ñ Ò \100
B&_2 중 ^35&B&_2의 존재 비율(%) 100 a
= =
(가)의 존재 비율(%) a 100
ㄴ. 이다. 139 전자 껍질

ㄷ. 중성자수는 ^37&B>^35&B이므로 1`mol에 들어 있는 중성자수는


보어 원자 모형에서 전자는 원자핵 주위의 특정한 에너지를 가진 원

(나) 1`mol에 들어 있는 중성자수


(나)>(가)이다. 따라서 >1이다.
형 궤도를 따라 운동하는데, 이 궤도를 전자 껍질이라고 한다.

(가) 1`mol에 들어 있는 중성자수

전자 껍질은 원자핵에서 가까운 것부터 K, L, M… 또는 n=1, 2, 3


140 높아진다

1312
138
…으로 표시하고, 전자 껍질의 에너지 준위는 E_n=- `kJ/mol
n^2
서술형 해결 전략

이다. 따라서 전자 껍질의 에너지 준위는 n이 커질수록, 즉 원자핵에


동위 원소의 존재 비율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Cu 1`mol에 들어 있는 각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서 멀어질수록 높아진다.
동위 원소의 중성자수의 비를 계산할 수 있다.
STEP 2 자료 파악
➊ ^63&Cu와 ^65&Cu의 존재 비율은?
수소 원자에서 n=3 → n=2의 전자 전이가 일어날 때 방출하는 빛
141 발머

 ^63&Cu의 존재 비율을 a, ^65&Cu의 존재 비율을 b라고 하면 평균 원자량


은 63×a+65×b=63.5이고, a+b=1이므로 a=0.75, b=0.25 의 선 스펙트럼은 가시광선 영역인 발머 계열이다.

➋ ^63&Cu와 ^65&Cu의 중성자 수는?


이다.

 Cu의 양성자수가 29이므로 중성자수는 다음과 같다.


142

^6^3Cu ^6^5Cu
원자핵 주위의 공간에서 전자를 발견할 확률 분포를 나타낸 것을 오

63 65
원자
비탈이라고 한다.

29 29
질량수

34 36
양성자수
143
주 양자수(n)는 오비탈의 크기와 에너지를 결정하는 양자수이다. 오
중성자수

STEP 3 관련 개념 모으기 비탈의 방향을 결정하는 양자수는 자기 양자수(m_l)이다.


➊ 동위 원소의 평균 원자량은?
 각 동위 원소의 원자량과 존재 비율을 곱한 값을 더하여 구한다. 144
다전자 원자에서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는 주 양자수(n)와 방위(부)
➋ 질량수란?

양자수(l)에 따라 달라진다.
 양성자수와 중성자수를 합한 값으로, 원소 기호의 왼쪽 위에 쓴다.

22 바른답·알찬풀이
145 (가) 0, (나) 1 151 필수 유형 ②
(가)는 s 오비탈이고, (나)는 p 오비탈이므로 방위(부) 양자수(l)는
(가)가 0, (나)가 1이다.
자료 분석하기 수소 원자의 전자 전이와 선 스펙트럼

n=∞ → n=2
n=•

º
B 발머 계열(가시광선 영역)

º
n=5
146 n=4

수소 원자에서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는 주 양자수(n)에 의해서만 달


(가)=(나) dc b a
n=3

라지므로 에너지 준위는 (가)=(나)이다.


n=2
n=2 → n=1 a ̄d는 모두 가시광선 영역인 발머 계열
A
라이먼 계열(자외선 영역) 의 선 스펙트럼이다.

147 n=1

s 오비탈은 방향에 관계없이 원자핵으로부터의 거리가 같으면 전자


(가)
(가) (나)

발견 확률이 같다. p 오비탈은 원자핵으로부터의 방향과 거리에 따 • E_1=-k`kJ/mol, E_2=-1


4k`kJ/mol, E∞=0`kJ/mol이다.
/
라 전자 발견 확률이 다르다. •  방출하는 빛의 에너지는 A에서 E_2&-E_1=3
/
4k`kJ/mol, B에서

• E∞-E_2=1
4k`kJ/mol이므로 A가 B의 3배이다.
/

ㄷ. 수소 원자가 수소 이온이 될 때 일어나는 전자 전이는 n=1 →


n=∞이다. A는 n=2 → n=1, B는 n=∞ → n=2이므로 A와
B에서 방출하는 빛에너지의 합은 수소 원자가 수소 이온이 될 때 필
40~43쪽

157 2
148 ② 149 ③ 150 ⑤ 151 ② 152 ④ 153 ⑤ 요한 최소 에너지와 같다.
154 해설 참조 155 ③ 156 ② ㄱ. A에서 방출하는 빛의 선 스펙트럼은 자외선 영역인
라이먼 계열이다. 따라서 (나)의 a ̄d에 해당하지 않는다.
오답 피하기

ㄴ. 방출하는 빛의 에너지는 A가 B의 3배이다. 방출하는 빛의 파장


158 해설 참조 159 ④ 160 ① 161 ③ 162 ②

은 에너지에 반비례하므로 B가 A의 3배이다.


163 ③ 164 ⑤ 165 ②

148 ②
152 ④
② 보어 원자 모형에서 전자 껍질의 에너지 준위는 원자핵에서 멀어
(가) 오비탈의 종류를 결정하는 양자수는 방위(부) 양자수이다.
질수록 높아진다.
(나) 오비탈 내 전자의 스핀 방향에 따라 결정되는 양자수는 스핀 자

③ 바닥상태의 수소 원자에서 전자는 K 전자 껍질(n=1)에 존재한다.


오답 피하기 ① 수소 원자의 에너지 준위는 불연속적이다.
기 양자수이다.
(다) 오비탈의 크기와 에너지를 결정하는 양자수는 주 양자수이다.
④ 보어 원자 모형으로 수소 원자의 선 스펙트럼을 설명할 수 있다.
⑤ 보어 원자 모형에서 전자는 원자핵 주위의 특정한 에너지를 가진

⑤ M 전자 껍질이므로 주 양자수(n)는 3이다. n=3일 때 가질 수


153 ⑤
궤도를 따라 운동하는데, 이 궤도를 전자 껍질이라고 한다.

있는 방위(부) 양자수(l)는 0, 1, 2이고, l=0일 때 자기 양자수(m_l)


는 0이다. l=1일 때 m_l=-1, 0, +1의 3가지이고, l=2일 때
ㄱ. 수소 원자에서 전자가 n=1인 전자 껍질에 존재하는 (가)는 가장
149 ③

m_l=-2, -1, 0, +1, +2의 5가지이다. 스핀 자기 양자수(m_s)는

+1
2, -1
/ 2의 2가지 값만 가진다.
/
낮은 에너지를 가지는 안정한 상태이므로 바닥상태이다.

①, ②, ③ M 전자 껍질이므로 주 양자수(n)가 3이다.


ㄴ. 전자 껍질의 에너지 준위는 원자핵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④ 방위(부) 양자수(l)가 0일 때 자기 양자수(m_l)는 0이다.


높아지므로 (가)에서 (나)로 될 때 에너지를 흡수한다. 오답 피하기

따라서 (가)와 (나)에서 각각 n=2인 전자 껍질로 전자가 전이할 때


오답 피하기 ㄷ. 전자 껍질 사이의 에너지 준위 간격은 일정하지 않다.

흡수 또는 방출하는 에너지의 크기는 같지 않다. 154


6가지, 3p 오비탈의 주 양자수(n)는 3이고, 방위(부) 양자수(l)는 1이
다. 따라서 자기 양자수(m_l)는 -1, 0, +1의 3가지가 가능하고, 스핀 자기 양
예시 답안
150 ⑤
ㄴ. 방출하는 빛의 파장은 에너지에 반비례하므로 b>a이다.
자수(m_s)는 +1
2과 -1
/ 2의 2가지가 가능하므로 양자수 조합은 총 6가지이다.
/
ㄷ. L 전자 껍질(n=2)로의 전자 전이에서 방출되는 선 스펙트럼의
에너지가 a>b이므로 전자 전이가 일어나기 전 전자가 위치한 전자
껍질의 에너지 준위는 a>b이다. 6 가지라고 쓰고, 전자가 가질 수 있는 양자수 조합을 옳게 설명한
채점 기준 배점(%)

ㄱ. a와 b는 가시광선 영역이므로 발머 계열의 스펙트럼


100

6가지만 옳게 쓴 경우
오답 피하기 경우

이다. 50

바른답·알찬풀이 23
p 오비탈의 모양과 특징
ㄱ. 1s, 2s, 2p, 3s 오비탈에서 주 양자수(n)와 방위(부) 양자수(l)의
155 ③ 개념 더하기

• 아령 모양이며, 오비탈의 방향에 따라 p_x, p_y, p_z의 3가지가 존재하고, 이


조합 (n, l)가 각각 (1, 0), (2, 0), (2, 1), (3, 0)이므로 n-l는 각각
1, 2, 1, 3이다. (나)는 공 모양이므로 1s, 2s, 3s 오비탈 중 하나인
들의 에너지 준위는 같다.

데, n-l가 (다)>(가)>(나)이므로 (나)는 1s 오비탈이다. 따라서


z z z z z z z
z z

(가)는 2s 오비탈, (다)는 3s 오비탈이다.


ㄷ. 수소 원자에서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는 주 양자수(n)에 의해서만
모양 y y y y y y y
y y

달라지므로 3s 오비탈>1s 오비탈이다. 따라서 (다)>(나)이다.


x x x x x x x
x x
p≈ p≈ p≈ py py pz pz

ㄴ. 방위(부) 양자수(l)는 (가)와 (다) 모두 0이다. •l=1이므로 m_l=-1, 0, +1이다.  3가지 오비탈이 존재한다.
py pz

•L 전자 껍질(n=2)부터 존재한다.


오답 피하기

특징
•원자핵으로부터의 방향과 거리에 따라 전자 발견 확률이 다

(가)는 n=3이므로 (가)의 l인 b는 0, 1, 2 중 하나이다. (나)는


156 ②
르다.

n=a이고 a<3 이므로 (나)의 l인 c는 0 , 1 중 하나이다. 이때


b<c이므로 (가)의 l(b)=0, (나)의 l(c)=1이다. 따라서 (가)는 3s 160
오비탈, (나)는 2p 오비탈이다.

ㄱ. (가)는 공 모양의 s 오비탈, (나)는 아령 모양의 p 오비탈이다.
ㄷ. (가)는 3s 오비탈이므로 자기 양자수(m_l)가 0이다. ㄴ. 방위(부) 양자수(l)는 (가)가 0, (나)가 1이므로 (가)<(나)
ㄱ. a=2, b=0, c=1이므로 a>b+c이다.
오답 피하기

ㄴ. n+l는 (가)와 (나) 모두 3이다.


오답 피하기 이다.
ㄷ. (가)는 방향에 관계없이 원자핵으로부터의 거리가 같으면 전자

2
발견 확률이 같지만, (나)는 원자핵으로부터의 방향과 거리에 따라

2s 오비탈의 주 양자수(n)는 2, 방위(부) 양자수(l)는 0, 자기 양자수


157 전자 발견 확률이 다르다.

(m_l)는 0이다. 따라서 a=2, b=0, c=0이므로 a+b+c=2이다. 161 필수 유형 ③

s 오비탈의 모양과 특징
자료 분석하기 오비탈의 종류와 특징
개념 더하기
z z z
• 공 모양이며, 주 양자수(n)에 따라 오비탈의 크기가 달라진다.

z z z z z z z z z
y y y

모양 y y y y y y y y y
x x x
(가) 2s 오비탈 (나) 2p_z 오비탈 (다) 1s 오비탈
x x x x x x x x x

• (가)와 (다)는 공 모양의 s 오비탈이다.


•l=0이므로 m_l=0이다.
1s 1s 1s 2s 2s 2s 3s 3s 3s

 (가)는 2s 오비탈, (다)는 1s 오비탈이다.


•모든 전자 껍질에 존재한다.
 오비탈의 크기가 (가)>(다)이므로 주 양자수(n)는 (가)>(다)이다.

• (나)는 아령 모양의 p 오비탈이므로 2p_z 오비탈이다.


특징
•방향에 관계없이 원자핵으로부터의 거리가 같으면 전자 발견
확률이 같다.

ㄱ. (가)와 (다)는 공 모양의 s 오비탈이고, 오비탈의 크기가 (가)>(다)


158 이므로 (가)는 2s 오비탈, (다)는 1s 오비탈이다.
ㄴ. (가)는 2s 오비탈이므로 n=2, l=0이다. 또 (나)는 2p_z 오비탈
이므로 n=2, l=1이다. 따라서 n+l는 (가)가 2, (나)가 3이므로
예시 답안 (나)>(가), 오비탈의 종류(모양)가 같을 때 주 양자수(n)가 클수록 오
비탈의 크기가 크고, 에너지 준위가 높다. 따라서 오비탈의 크기가 (나)>(가)이
므로 주 양자수(n)가 (나)>(가)이고, 에너지 준위도 (나)>(가)이다. (나)>(가)이다.
채점 기준 배점(%) 오답 피하기 ㄷ. 자기 양자수(m_l)는 (가)와 (다) 모두 0이다.
(가)와 (나)의 에너지 준위를 옳게 비교하고, 그 까닭을 주 양자수(n)
100

(가)는 1s 오비탈, (나)는 2s 오비탈, (다)는 2p_y 오비탈과 2p_z 오비탈


와 관련지어 설명한 경우 162 ②
(가)와 (나)의 에너지 준위만 옳게 비교한 경우 50

ㄴ. (다)의 2가지 2p 오비탈은 방향만 다르고 에너지 준위가 같다.


이다.

ㄱ. 주 양자수(n)가 같은 3개의 p 오비탈은 에너지 준위가 모두 같다. ㄱ. 방위(부) 양자수(l)는 (가)와 (나) 모두 0이다.
159 ④

ㄷ. p 오비탈의 방위(부) 양자수(l)는 모두 1이다. ㄷ. 자기 양자수(m_l)는 (가)와 (나)가 0이고, (다)의 2가지 2p 오비탈
오답 피하기

ㄴ. p 오비탈의 자기 양자수(m_l)가 -1, 0, +1의 3가지 은 각각 -1, 0, +1 중 하나이므로 (가) ̄(다)의 자기 양자수(m_l)의


이므로 p_x, p_y, p_z의 3가지가 존재한다. 합은 -1, 0, +1 중 하나이다.
오답 피하기

24 바른답·알찬풀이
163 ③
44~45쪽
자료 분석하기 오비탈의 분류

n=2, l=1
173 ⑴ 3s 오비탈 ⑵ 해설 참조
166 ① 167 ③ 168 ④ 169 ③ 170 ② 171 ③

1s 오비탈 2p 오비탈 3s 오비탈 172 해설 참조

n=1, l=0 n=3, l=0 174 ⑴ 해설 참조 ⑵ 해설 참조

예 주 양자수(n)가 아니요
1인가?

n=1일 때 l=0이고, n=2일 때 l=0, 1이다. (가)와 (나)의 n이


166 ①

각각 a, b이고, a+b=3이므로 a=1, b=2 또는 a=2, b=1이다.


예 방위(부) 양자수 아니요

또 (가)와 (나)의 l이 각각 c, d일 때 d>c이므로 c=0, d=1이다.


(l)가 1인가?

(가) 1s 오비탈 (나) 2p 오비탈 3s 오비탈 (다) 따라서 (가)는 n(a)=1, l(c)=0인 1s 오비탈이고, (나)는 n(b)=2,
l(d)=1인 2p 오비탈이다.
ㄱ. 주 양자수(n)는 (나)가 2, (다)가 3이므로 (다)>(나)이다. ㄱ. a=1, b=2, c=0, d=1이므로 a=d이다.
ㄴ. 자기 양자수(m_l)는 (가)와 (다) 모두 0이다. ㄴ. n=1인 오비탈은 1s 오비탈 1가지이다.
ㄷ. 수소 원자에서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는 주 양자수(n) ㄷ. 다전자 원자에서 주 양자수(n)가 같은 오비탈은 방위(부) 양자수
오답 피하기

에 의해서만 달라지므로 (가) ̄(다)의 에너지 준위는 (다)>(나)>(가) (l)가 클수록 에너지 준위가 높다. 따라서 다전자 원자에서 에너지 준
오답 피하기

이다. 위는 (나)의 2p 오비탈이 n=2, l=0인 2s 오비탈보다 높다.

(가)는 n+l=2, m_l=0이므로 n=2, l=0인 2s 오비탈이다.


167 ③

오비탈 A는 주 양자수(n)가 1이므로 방위(부) 양자수(l) a=0인 1s


164 ⑤

(나)는 n+l=3이므로 n=2, l=1 또는 n=3, l=0인데, m_l=


오비탈이고, (가)와 (나) 중에서 (가)이다. 따라서 오비탈 B는 (나)의
+1이므로 n=2, l=1인 2p 오비탈이다.
p 오비탈이므로 주 양자수(n)가 2, 방위(부) 양자수(l) b=1이다.
(다)는 n+l=4, m_l=0인데, (가) ̄(다)의 n이 3 이하이므로 n=3,
ㄱ. a=0, b=1이므로 b>a이다.
l=1인 3p 오비탈이다.
ㄴ. 주 양자수(n)는 (가)가 1, (나)가 2이므로 (나)>(가)이다.
ㄱ. (가)는 l=0, m_l=0이고, (다)는 l=1, m_l=0이다. 따라서
ㄷ. 다전자 원자에서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는 2p 오비탈>1s 오비탈
l+m_l는 (가)가 0, (다)가 1이므로 (다)>(가)이다.
이므로 (나)>(가)이다.
ㄷ. 수소 원자에서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는 주 양자수(n)에 의해서만
달라지므로 2s 오비탈과 2p 오비탈이 같다. 따라서 (가)=(나)이다.
ㄴ. 주 양자수(n)는 (나)가 2, (다)가 3이므로 (나)<(다)이다.
165 ②
오답 피하기
자료 분석하기 오비탈과 양자수의 관계

z 168 ④

a-1 a+1
오비탈 (나) (다) 자료 분석하기 오비탈과 양자수의 관계

1 0
주 양자수(n)
y

1 2 3
오비탈 (가) (나) (다)
방위(부) 양자수(l)
x
p 오비탈 s 오비탈
n+l n=1, l=1은
(가) p 오비탈
n=2, l=1 또는
n=1, l=0
• (가)는 아령 모양의 p 오비탈이다. n=3, l=0
→ n=2, l=0
•  (가)의 주 양자수(n)인 a는 2 이상이고, 방위(부) 앙자수(l)는 1이다.
존재하지 않음.

•a  =2인 경우 (나)의 n=a-1=1이다. 0 0 1


•  (나)에서 l=1이므로 제시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l=0일 때 m_l=-1은
l-m_l
•  a는 2가 아니다. l=0이므로 l=0이므로
m_l=0 m_l=0 → n=2, l=1이므로
존재하지 않음.

m_l=0

ㄷ. (가)와 (나)는 l=1이므로 가질 수 있는 자기 양자수(m_l)의 값이 • (n, l, m_l)는 (가)가 (1, 0, 0), (나)가 (2, 0, 0), (다)가 (2, 1, 0)이다.
-1, 0, +1의 3가지이다. •  (가)는 1s 오비탈, (나)는 2s 오비탈, (다)는 2p 오비탈이다.
ㄱ. a=2인 경우 (나)의 주 양자수(n)는 a-1=2-1=1
이므로 (나)의 n=1, l=1인데, 이러한 오비탈은 존재하지 않는다. ㄱ. 방위(부) 양자수(l)는 (가)가 0, (다)가 1이므로 (다)>(가)이다.
오답 피하기

따라서 a는 2가 아니다. ㄷ. 자기 양자수(m_l)는 (가) ̄(다) 모두 0이다.


ㄴ. (가)는 n=a, l=1이고, (다)는 n=a+1, l=0이다. 따라서 ㄴ. 수소 원자에서 에너지 준위가 가장 낮은 오비탈은 1s
n+l는 (가)와 (다) 모두 a+1이다.
오답 피하기

오비탈이므로 (가)이다.

바른답·알찬풀이 25
169 ③ 172
자료 분석하기 오비탈과 양자수의 관계 서술형 해결 전략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n+m_l 1 2 2
오비탈 (가) (나) (다)
보어 원자 모형이 현대 원자 모형으로 대체된 까닭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l 0 a1 a1 STEP 2 관련 개념 모으기

• a=0인 경우 (나)와 (다) 모두 n=2, l=0, m_l=0인 2s 오비탈이다.


➊ 보어 원자 모형은?

•  (가) ̄(다)가 서로 다른 오비탈이라는 조건과 n는 (다)>(나)인 조건에


 전자는 원자핵 주위의 특정한 에너지를 가진 원형 궤도를 따라 운동하
며, 이 궤도를 전자 껍질이라고 한다.

•  a=1이다.
맞지 않는다.  보어 원자 모형으로 수소 원자의 선 스펙트럼은 설명할 수 있지만, 다

• (n, l, m_l)는 (가)가 (1, 0, 0), (나)가 (2, 1, 0), (다)가 (3, 1, -1)이다.
전자 원자의 선 스펙트럼은 설명할 수 없다.

•  (가)는 1s 오비탈, (나)는 2p 오비탈, (다)는 3p 오비탈이다.


➋ 불확정성 원리에 따라 전자의 위치와 운동량은?
 전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정확히 알 수 없고, 특정한 위치에서

ㄱ. (나)는 n=2, l=1, m_l=0인 2p 오비탈이다.


발견될 확률만을 알 수 있다.

ㄴ. n+l는 (나)가 3, (다)가 4이므로 (다)>(나)이다.


➌ 현대 원자 모형은?
 원자핵 주위에서 전자를 발견할 확률 분포를 나타낸다.

오답 피하기 ㄷ. 자기 양자수(m_l)는 (가)와 (나) 모두 0이다.


예시 답안 보어 원자 모형은 다전자 원자의 선 스펙트럼을 설명할 수 없었고,
전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이 밝혀졌다. 따라서

ㄴ. (가)와 (나)는 2p 오비탈에서 같은 y축에 존재하므로 두 지점이


170 ②
보어 원자 모형은 원자핵 주위에서 전자를 발견할 확률 분포를 나타낸 현대 원
자 모형으로 대체되었다.
원자핵으로부터의 거리가 같다면 전자 발견 확률도 같다.

제시된 용어 3가지를 모두 사용하여 설명한 경우


오답 피하기 ㄱ. 오비탈은 원자핵 주위의 공간에서 전자를 발견할 확률 채점 기준 배점(%)

제시된 용어 중 2가지만 사용하여 설명한 경우


분포를 나타낸 것이므로 전자가 오비탈의 경계면을 따라 원운동하지 100
70

ㄷ. 제시된 그림은 전자 발견 확률이 90`%인 공간의 경계면을 나타


않는다.

낸 것이므로 원자핵으로부터의 거리가 r&_1일 때와 r&_2일 때 전자 발견 173


확률이 가장 높은 것은 아니다. 서술형 해결 전략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171 ③
오비탈과 양자수의 관계로부터 오비탈의 종류를 알아낼 수 있어야 한다.
자료 분석하기 오비탈과 양자수의 관계
STEP 2 자료 파악
• 제시된 그림으로부터 (가) ̄(다) 중 s 오비탈은 2개, p 오비탈은 1개이다.
• (가) ̄(다)의 주 양자수(n)는 2 또는 3이다.  (가)의 주 양자수(n)가 3이므로 (가)의 가능한 방위(부) 양자수(l)는 0,
➊ 주 양자수(n)로부터 알 수 있는 (가)와 (나)의 방위(부) 양자수(l)는?

 (가) ̄(다)는 2s, 2p, 3s, 3p 오비탈 중 2개의 s 오비탈과 1개의 p 오 1, 2이다.


 (나)의 주 양자수(n)가 2이므로 (나)의 가능한 방위(부) 양자수(l)는 0, 1
• n+l는 (가)와 (나) 모두 3이다.
비탈에 해당한다.

 (가)와 (나)는 n=2, l=1인 2p 오비탈, n=3, l=0인 3s 오비탈 중


이다.

 (가)의 l=0, (나)의 l=1이다.


➋ 방위(부) 양자수(l)는 (나)>(가)를 만족하려면?

 (가)는 n=3, l=0인 3s 오비탈, (나)는 n=2, l=1인 2p 오비탈이다.


하나이다.
• 수소 원자에서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는 (나)=(다)이다.

 (가)가 2p 오비탈이라면 (나)가 3s 오비탈이고, 제시된 그림으로부터


 (나)와 (다)는 주 양자수(n)가 같다. STEP 3 관련 개념 모으기

(다)는 2s 오비탈이므로 (나)와 (다)의 주 양자수(n)가 같다는 조건에 맞지


➊ 주 양자수(n)란?
 오비탈의 크기와 에너지를 결정하는 양자수로, 자연수 값만을 가진다.

 (가)는 3s 오비탈, (나)는 2p 오비탈, (다)는 2s 오비탈이다.  오비탈의 종류를 결정하는 양자수로, 주 양자수가 n일 때 0 , 1 …,
않는다. ➋ 방위(부) 양자수(l)란?

n-1까지의 정수 값을 가진다.
 l=0이면 s 오비탈, l=1이면 p 오비탈이다.
z z z

⑴ l는 (나)>(가)이므로 (가)의 l=0, (나)의 l=1이다. 따라서 (가)


y y y

는 3s 오비탈, (나)는 2p 오비탈이다.


x x x

3s 오비탈 → (가) 2p 오비탈 → (나) 2s 오비탈 → (다)


-1, 0, +1, (나)는 n=2, l=1인 2p 오비탈이다. 따라서 자기
양자수(m_l)는 -1, 0, +1의 3가지 값을 가질 수 있다.
⑵ 예시 답안

ㄷ. 방위(부) 양자수(l)는 (가)와 (다) 모두 0이다.


ㄱ. (가)와 (다)는 s 오비탈이므로 공 모양이고, (나)는 p 오
-1, 0, +1을 쓰고, (나)가 2p 오비탈이기 때문임을 설명한 경우
오답 피하기 채점 기준 배점(%)

-1, 0, +1만 쓴 경우
100

ㄴ. (나)는 n=2, l=1이므로 자기 양자수(m_l)가 -1, 0, +1이다.


비탈이므로 아령 모양이다.
50

26 바른답·알찬풀이
㉠ 2, ㉡ 반대
1개의 오비탈에 채워질 수 있는 최대 전자 수는 2이며, 이때 두 전자
174 176
서술형 해결 전략
의 스핀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이것을 파울리 배타 원리라고 한다.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원자핵으로부터의 방향과 거리에 따른 전자 발견 확률로부터 오비탈의 종류
를 알고, 다전자 원자에서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를 비교할 수 있어야 한다. 177 홀전자
바닥상태 전자 배치에서 에너지 준위가 같은 오비탈에 전자가 채워
STEP 2 자료 파악
• (가)는 방향에 관계없이 원자핵으로부터의 거리가 같을 때 전자 발견 확 질 때 홀전자 수가 많아지도록 채워지는 것을 훈트 규칙이라고 한다.

 (가)는 2s 오비탈이다. 1s^2 2s^2 2p^1


률이 같다.

• (나)는 x축 방향에서만 전자가 발견된다.


_5&B는 원자 번호가 5이므로 전자 수가 5이다. 따라서 바닥상태 전자
178
 (나)는 2p_x 오비탈이다.
배치는 1s^2 2s^2 2p^1이다.
STEP 3 관련 개념 모으기
➊ s 오비탈의 방향성?
 s 오비탈은 방향에 관계없이 원자핵으로부터의 거리가 같으면 전자 발 1s^2 2s^2 2p^6 3s^2 3p^1
_13&Al은 원자 번호가 13이므로 전자 수가 13이다. 따라서 바닥상태
179

➋ p 오비탈의 방향성?


전자 배치는 1s^2 2s^2 2p^6 3s^2 3p^1이다.
견 확률이 같다.

 p 오비탈은 m_l=-1, 0, +1이므로 오비탈의 방향에 따라 p_x, p_y, p_z


의 3가지가 존재한다.
 p 오비탈은 원자핵으로부터의 방향과 거리에 따라 전자 발견 확률이 1s^2
_3&Li^+은 전자 수가 3인 Li이 전자 1개를 잃어 생성된 양이온이다. 바
180

닥상태 전자 배치는 _3&Li이 1s^2 2s^1이므로 _3&Li^+은 1s^2이다.


다르다.
➌ 다전자 원자에서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
 다전자 원자에서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는 주 양자수(n)뿐만 아니라 방

1s^2 2s^2 2p^6 3s^2 3p^6
위(부) 양자수(l)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_17Cl^-은 전자 수가 17인 Cl가 전자 1개를 얻어 생성된 음이온이다.


181
⑴ 0, (가)는 방향에 관계없이 원자핵으로부터의 거리가 같으면 전자
발견 확률이 같으므로 2s 오비탈이다. 따라서 방위(부) 양자수(l)가 0이다. 바닥상태 전자 배치는 _17C l 가 1 s^2  2 s^2  2 p^6  3 s^2  3 p^5 이므로 _17C l^- 은
예시 답안

⑵ 2, 다전자 원자에서는 주 양자수(n)뿐만 아니라 방위(부) 양자수(l)에 따라서 1s^2 2s^2 2p^6 3s^2 3p^6이다.


도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가 달라진다. 따라서 (나)의 2p_x 오비탈과 에너지 준위
가 같은 오비탈은 2p_y 오비탈과 2p_z 오비탈이다.
_8&O는 전자 수가 8이므로 바닥상태 전자 배치가 1s^2 2s^2 2p^4이다. 2p
182

오비탈에 전자 4개가 채워질 때 홀전자 수가 많아지도록 전자가 채


0을 쓰고, (가)가 s 오비탈임을 옳게 설명한 경우
채점 기준 배점(%)

워지려면 3개의 중 1개의 오비탈에


0만 옳게 쓴 경우
100

되고, 나머지 2개의 오비탈에 전자가 각각 1개씩 채워져야 한다.
1s 오비탈2s 2p전자가 쌍을 이루어 배치

2를 쓰고, 다전자 원자에서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를 옳게 설명


50

100

2만 옳게 쓴 경우
⑵ 한 경우 예시 답안 1s 2s 2p
50

183
A는 쌓음 원리, 파울리 배타 원리, 훈트 규칙을 모두 만족하는 _6&C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이다.

184
B는 쌓음 원리, 파울리 배타 원리, 훈트 규칙을 모두 만족하는 _8&O의
6 전자 배치 규칙

개념 확인 문제 47쪽 바닥상태 전자 배치이다.

176 ㉠ 2, ㉡ 반대
178 1s^2 2s^2 2p^1 179 1s^2 2s^2 2p^6 3s^2 3p^1 180 1s^2
175 낮은 177 홀전자

A, B, D는 파울리 배타 원리를 만족하는 전자 배치이다. C는 2p 오


185
181 1s^2 2s^2 2p^6 3s^2 3p^6
비탈 중 1개에 스핀 방향이 같은 전자가 쌍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으
182 해설 참조 183 ◯
184 × 185 × 186 ◯
므로 파울리 배타 원리를 만족하지 않는다.

B가 안정한 이온이 될 때 가장 바깥 전자 껍질에 전자 2개를 더 채워


175 낮은 186
바닥상태 원자에서 전자는 에너지 준위가 가장 낮은 오비탈부터 차
례대로 채워지는데, 이것을 쌓음 원리라고 한다. 음이온이 되므로 D와 같은 전자 배치를 한다.

바른답·알찬풀이 27
ㄴ. 쌓음 원리를 만족하지 않는 전자 배치는 (라) 1가지이다.
ㄷ. 파울리 배타 원리를 만족하지 않는 전자 배치는 (나) 1가지이다.
47~50쪽

187 ① 188 ② 189 해설 참조 190 ② 191 ④ 오답 피하기 ㄱ. 바닥상태 전자 배치는 (가), (다) 2가지이다.
192 B, C 193 ⑤
B, C
194 ③ 195 해설 참조 196 ①
192
•학생 B: X는 쌓음 원리, 파울리 배타 원리, 훈트 규칙을 모두 만족
197 ④ 198 ④ 199 ⑤ 200 ④ 201 ③ 202 ①
203 ③

•학생 C: Y는 2p 오비탈에 전자 4개가 채워질 때 3개의 오비탈 중


하는 바닥상태 전자 배치이다.

187 ① 2개의 오비탈에 전자가 쌍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훈트 규칙을


ㄴ. 오비탈 기호 앞의 숫자가 주 양자수(n)를 나타낸다. 만족하지 않는다.
ㄱ. p 오비탈은 아령 모양의 오비탈이다. •학생 A: X는 바닥상태 전자 배치이고, Y는 들뜬상태
ㄷ. p 오비탈은 방향에 따라 3가지가 존재하므로 p 오비탈에 채워진
오답 피하기 오답 피하기

전자 수가 3일 때 3개의 p 오비탈에 전자가 각각 1개씩 채워진다. 따


전자 배치이다.

라서 X에서 전자가 들어 있는 p 오비탈 수는 3이다.


4가지 양자수가 모두 같은 전자는 존재할 수 없으므로 파울리 배타
193 ⑤

⑤ 1s 오비탈과 2s 오비탈에 스핀 방향이 같은 전자가 쌍을 이루어


원리를 만족하지 않는 전자 배치는 불가능한 전자 배치이다.
188 ②
(가)는 쌓음 원리, (나)는 파울리 배타 원리, (다)는 훈트 규칙이다.
배치되어 있으므로 파울리 배타 원리를 만족하지 않는 불가능한 전
자 배치이다.
189 ①, ② _6&C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이다.
(나), 파울리 배타 원리에 의하면 1개의 오비탈에 전자는 최대 2개까 ③ 2p 오비탈에 전자 2개가 채워질 때 3개의 오비탈 중 1개의 오비
오답 피하기

예시 답안

서 1s 오비탈에 전자가 3개 채워져 있고, 그중 2개의 전자는 스핀 방향이 같으


지 채워지며, 이때 두 전자의 스핀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제시된 전자 배치에 탈에 전자가 쌍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훈트 규칙을 만족하지
않는 _6&C의 들뜬상태 전자 배치이다.
④ 2s 오비탈이 모두 채워지지 않고 2p 오비탈에 전자가 채워져 있
므로 파울리 배타 원리를 만족하지 않는다.

채점 기준 배점(%) 으므로 쌓음 원리를 만족하지 않는 _6&C의 들뜬상태 전자 배치이다.


(나)를 고르고, 그 까닭을 옳게 설명한 경우 100

X는 1s 오비탈이 모두 채워지지 않고 2s 오비탈에 전자가 채워져 있


(나)만 옳게 쓴 경우 50 194 ③

으므로 쌓음 원리를 만족하지 않는다. Z는 2p 오비탈에 전자 4개가


채워질 때 3개의 오비탈 중 2개의 오비탈에 전자가 쌍을 이루어 배치
190 ②
② 전자 배치 규칙을 모두 만족하는 바닥상태 전자 배치이다.

ㄱ. 바닥상태 전자 배치는 Y 1가지이다.


되어 있으므로 훈트 규칙을 만족하지 않는다.
오답 피하기 ① 훈트 규칙을 만족하지 않는 들뜬상태 전자 배치이다.

ㄴ. Z는 훈트 규칙을 만족하지 않는 전자 배치이다.


③, ④, ⑤ 쌓음 원리를 만족하지 않는 들뜬상태 전자 배치이다.

오답 피하기 ㄷ. X와 Z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는 다음과 같다.


191 필수 유형 ④ 1s 2s 2p

자료 분석하기 산소(_8O) 원자의 전자 배치 X

따라서 홀전자 수는 X와 Z 모두 2이다.


1s 2s 2p 3s
(가)
1s 2s 2p 3s
(나) X
195
1s 오비탈이 모두 채워지지 않고 2s 오비탈에 전자가 채워져 있으므
1s 2s 2p
(다) 예시 답안
Y
X
로 쌓음 원리를 만족하지 않는다.
(라) 1s 2s 2p
1s 2s 2p
• (가)와 (다)는 쌓음 원리, 파울리 배타 원리, 훈트 규칙을 모두 만족한다. XA

• (나)는 2p 오비탈 중 1개에 스핀 방향이 같은 전자가 쌍을 이루어 배치된다.


 (가)와 (다)는 산소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이다.
B
채점 기준 배점(%)

• (라)는 2p 오비탈이 모두 채워지지 않고 3s 오비탈에 전자가 채워져 있다.


 (나)는 파울리 배타 원리를 만족하지 않는다. 쌓음 원리를 만족하지 않는 것을 옳게 설명하고, 바닥상태 전자 배치
1s 경우 2s 100
를 나타낸
 (라)는 쌓음 원리를 만족하지 않는다. X
바닥상태 전자 배치만 옳게 나타낸 경우 50

28 바른답·알찬풀이
1s 2s 2p

ㄱ. a=1, b=5, c=0, d=1이므로 a+b+c+d=7이다.


X

ㄱ. 홀전자 수는 X가 1, Y가 0이므로 X>Y이다. ㄴ. 전자가 2개 들어 있는 오비탈 수는 X가 4, Y가 5, Z가 1이다.


196
Z ①

ㄷ. X가 안정한 이온이 될 때 2p 오비탈에 전자 1개를 더 채워 음이


온이 되고, Y가 안정한 이온이 될 때 3s 오비탈의 전자 1개를 잃어
1s 2s 2p 3s

양이온이 된다. 따라서 X와 Y가 안정한 이온이 되었을 때의 전자 배


X

치는 1s^2 2s^2 2p^6이므로 전자 수는 모두 10이다.
Y

ㄴ. Z가 안정한 이온이 될 때 가장 바깥 전자 껍질(n=3)


에 들어 있는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되는데, 3s 오비탈의 전자 수가
오답 피하기
1s 2s 2p

2, 3p 오비탈의 전자 수가 1이므로 전자 3개를 잃는다.


ㄱ. X는 2s 오비탈이 모두 채워지지 않고 2p 오비탈에 전자가 채워
A 200 ④

Y 6 Z 7
B 전자가 들어 있는 오비탈 수는 가 , 가 이므로
ㄷ. Y<Z이다.

ㄴ. 주 양자수(n)가 2인 전자는 2s 오비탈과 2p 오비탈의 전자이다.


져 있으므로 쌓음 원리를 만족하지 않는다.

따라서 X가 3, Z가 5이므로 Z>X이다.


197 1s 2s
X 은 원자 C가 전자 2개를 잃어 생성된 양이온이고, D&^-은 원자 D

C^2+
ㄷ. 방위(부) 양자수(l)가 1인 전자는 p 오비탈의 전자이
1s 2s 2p

전자 1개를 얻어 생성된 음이온이다. 따라서 바닥상태 원자의 전


다. 바닥상태 X와 Y에서 2p 오비탈의 전자 수는 X가 1, Y가 2이
X 오답 피하기

자 배치는 C가 1s^2 2s^2 2p^6 3s^2, D가 1s^2 2s^2 2p^5이다.



Y

므로 X<Y이다.
Z

ㄴ. 원자 C는 s 오비탈의 전자 수와 p 오비탈의 전자 수가 각각 6이
p 오비탈의 전자 수
=1이다.
1s 2s 2p 3s

s 오비탈의 전자 수
므로
X 201 ③

Y 원자가 전자 수는 A와 C가 2, B가 5, D가 7이다.
ㄱ. 홀전자 수는 A가 0, B가 3이므로 A<B이다.
ㄷ. 자료 분석하기 바닥상태 원자의 전자 배치

X Y Z
오답 피하기

s 오비탈의 전자 수 3 4 4
원자
1s 2s 2p

s 오비탈의 전자 배치 1s^2 2s^1 1s^2 2s^2 1s^2 2s^2


A

• X는 s 오비탈의 전자 수가 3이므로 X의 전자 수는 3이다.


B

 X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는 1s^2 2s^1이다.


1s 2s • Y와 Z는 s 오비탈의 전자 수가 4이므로 3s 오비탈에 전자가 채워지지

A^2+은 원자 A가 전자 2개를 잃어 생성된 양이온이고, B^2-은 원자


198 ④

•  Y와 Z는 2p 오비탈까지 전자가 채워질 수 있다.


않는다.
X

Y 가 전자 2개를 얻어 생성된 음이온이다. 따라서 바닥상태 원자의


B
양자수(l)는 Z(1)>Y(0)이다.
전자 배치는 A가 1s^2 2s^2 2p^6 3s^2, B가 1s^2 2s^2 2p^4이다.
• 전자가 들어 있는 오비탈 중 에너지 준위가 가장 높은 오비탈의 방위(부)

 Y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는 1s^2 2s^2이다.


ㄱ. 전자 수=원자 번호는 A가 12, B가 8이므로 A>B이다.  Z는 2p 오비탈의 전자 수가 1 이상이다.
ㄴ. 원자가 전자 수는 A가 2, B가 6이므로 A<B이다.
ㄷ. 전자가 들어 있는 전자 껍질 수는 A가 3, B가 2이므 ㄱ. Y는 전자 수가 4이므로 원자 번호가 4이다.
로 A>B이다. ㄷ. p 오비탈의 전자 수는 Y가 0, Z>0이므로 Z>Y이다.
오답 피하기

오답 피하기 ㄴ. 홀전자 수는 X가 1, Y가 0이므로 Y<X이다.


199 ⑤

자료 분석하기 바닥상태 원자의 전자 배치 202 ①


주 양자수(n)에 따른 전자 수로부터 각 오비탈의 전자 배치는 다음과

s 오비탈 p 오비탈
오비탈의 전자 수
원자 홀전자 수 같다.

X 4 5 a1
Y 6 1 n=1 n=2 n=3
주 양자수(n)에 따른 전자 수
b5
전자 배치

Z 3 c0 d1 (가) 2 1s^2 8 2s^2 2p^6 0 –

2s^1 2p^6 3s^1 또는 3p^1


• X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는 1s^2 2s^2 2p^5이다. 2 1s^2 7 1
또는 2s^2 2p^5 또는 3d^1
 X의 홀전자 수는 1이므로 a=1이다.
(나)

• Y는 2p 오비탈에 전자 6개가 모두 채워져 있는데, 홀전자 수가 1이므로 ㄱ. (가)는 1s^2 2s^2 2p^6이므로 _10&Ne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이다.
3s 오비탈에 전자 1개가 채워져 있다. 
ㄴ. 전자가 들어 있는 오비탈 수는 (가)가 5, (나)가 6이므로
 Y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는 1s^2 2s^2 2p^6 3s^1이다.
(가)<(나)이다.
오답 피하기

 Y는 s 오비탈의 전자 수가 5이므로 b=5이다.


• Z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는 1s^2 2s^1이다. ㄷ. (나)에서 n=2인 전자 7개가 2s^1 2p^6 또는 2s^2 2p^5로 배치된다.
 Z는 p 오비탈의 전자 수가 0이므로 c=0이다.
Ne은 다전자 원자이므로 (나)에서 n=2인 전자가 들어 있는 오비탈
 Z는 홀전자 수가 1이므로 d=1이다.
의 에너지 준위는 2s 오비탈<2p 오비탈이다.

바른답·알찬풀이 29
X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는 1s^2 2s^2 2p^2이고, (가)는 1s 오비탈, (나)는
(가) ̄(다)에 들어 있는 전자의 스핀 자기 양자수(m_s)의 합은 모두 0 2p 오비탈, (다)는 2s 오비탈이다.
203 ③

이므로 (가) ̄(다) 오비탈에 모두 전자가 2개씩 채워져 있다. _11&Na의 ㄴ. 방위(부) 양자수(l)는 (가)와 (다) 모두 0이다.
바닥상태 전자 배치는 1s^2 2s^2 2p^6 3s^1이므로 (가)와 (나)는 1s 오비탈, ㄷ. X의 원자가 전자는 주 양자수(n)가 2인 2s 오비탈과 2p 오비탈
2s 오비탈 중 하나이고, (다)는 2p 오비탈이다. 의 전자이므로 X의 원자가 전자 수는 4이다.
ㄱ. 오비탈의 종류가 같을 때 주 양자수(n)가 클수록 오비탈의 크기 ㄱ. (나)는 2p 오비탈, (다)는 2s 오비탈이므로 (나)와 (다)
가 크다. 오비탈의 크기가 (가)<(나)이므로 (가)는 1s 오비탈, (나)는 의 전자 수는 모두 2이다. 즉, a=b=2이다.
오답 피하기

2s 오비탈이다.
ㄴ. 주 양자수(n)는 (가)가 1, (다)가 2이므로 (다)>(가)이다.
206 ③

ㄷ. Na이 안정한 이온이 될 때 가장 바깥 전자 껍질(n=3) 자료 분석하기 방위(부) 양자수(l)와 원자가 전자 수

에 들어 있는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되므로 3s 오비탈에 들어 있는


오답 피하기

X Y Z
전자 1개를 잃는다. 방위(부) 양자수(l)가 1인 전자 수
원자

원자가 전자 수
3 2
/
1 3
/
2

• 18족 원소를 제외한 바닥상태 2, 3주기 원자에서 l=1인 전자 수는 0


 ̄11 중 하나이고, 원자가 전자 수는 1 ̄7 중 하나이다.
• l=1인 전자 수가 3이고 원자가 전자 수가 1인 원자, l=1인 전자 수가
9이고 원자가 전자 수가 3인 원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  X는 l=1인 전자 수가 6, 원자가 전자 수가 2인 Mg이다.
• l =1인 전자 수가 1이고 원자가 전자 수가 2인 원자, l=1인 전자 수가
51쪽

3이고 원자가 전자 수가 6인 원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207 ⑴ 해설 참조 ⑵ 2 •  Y는 l=1인 전자 수가 2, 원자가 전자 수가 4인 C이다.
• l =1인 전자 수가 2이고 원자가 전자 수가 3인 원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204 ② 205 ④ 206 ③

•  Z는 l=1인 전자 수가 4, 원자가 전자 수가 6인 O이다.

X(Mg), Y(C), Z(O)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는 다음과 같다.


204 ②
바닥상태 원자 A ̄C의 전자 배치는 다음과 같다.
X(Mg): 1s^2 2s^2 2p^6 3s^2 Y(C): 1s^2 2s^2 2p^2 Z(O): 1s^2 2s^2 2p^4
A B C
ㄱ. n+l=3인 전자는 2p 오비탈과 3s 오비탈에 들어 있는 전자이
2 5 5
원자

므로 그 수는 X(Mg)가 8, Z(O)가 4이다.


1 3 2
전자가 들어 있는 오비탈 수

전자가 들어 있는 p 오비탈 수
1s^2 2s^1 1s^2 2s^2 2p^3 1s^2 2s^2 2p^4 는 X(Mg)가 3
/=1, Y(C)가 2
/
홀전자 수

전자가 들어 있는 s 오비탈 수
바닥상태 전자 배치 ㄴ.

ㄷ. 원자가 전자 수는 A가 1, B가 5, C가 6이므로 A ̄C의 원자가 =1, 즉 X와 Y 모두 1이다.


전자 수의 총합은 12이다. ㄷ. |전자의 m_s|의 합은 전자 수를 2로 나눈 값과 같다.
ㄱ. 원자 번호는 A가 3, B가 7, C가 8이다. 따라서 Y(C)가 3, Z(O)가 4이므로 Y<Z이다.
오답 피하기

ㄴ. 전자가 2개 들어 있는 오비탈 수는 A가 1, B가 2로 A<B이다.


오답 피하기

207
205 ④ 서술형 해결 전략

바닥상태 2주기 원자들의 전자 배치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자료 분석하기 주 양자수(n)에 따른 전자 수와 전자 배치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1 2 2
오비탈 (가) (나) (다)
STEP 2 관련 개념 모으기
• 바닥상태 _3&Li ̄_10&Ne의 전자 배치와 전자가 들어 있는 오비탈 수, 홀전자
2
주 양자수(n)
전자 수 a b
1s^2 2p^2 2s^2
수는 다음과 같다.
전자 배치

• 전자가 들어 있는 오비탈 수는 4이다. _3Li 1s^2 2s^1 2 1


원자 전자 배치 전자가 들어 있는 오비탈 수 홀전자 수

• 홀전자 수는 2이다.
_4Be 1s^2 2s^2 2 0
 X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는 1s^2 2s^2 2p^2이다.
_5B 1s^2 2s^2 2p^1 3 1
• (가)는 주 양자수(n)가 1이므로 1s 오비탈이다.
• (나)와 (다)는 주 양자수(n)가 2이므로 각각 2s 오비탈과 2p 오비탈 중 하 _6C 1s^2 2s^2 2p^2 4 2
나이다. _7N 1s^2 2s^2 2p^3 5 3
_8O 1s^2 2s^2 2p^4 5 2
 다전자 원자에서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는 2p 오비탈>2s 오비탈이
•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는 (나)>(다)이다.

_9F 1s^2 2s^2 2p^5 5 1
므로 (나)는 2p 오비탈, (다)는 2s 오비탈이다.
 a=b=2이다. _1_0Ne 1s^2 2s^2 2p^6 5 0

30 바른답·알찬풀이
1s 2s 2p
X

⑴ 전자가 들어 있는 오비탈 수가 X<Y<Z이고, 홀전자 수가 1인


Y
D
2주기 원자 X ̄Z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는 X가 1s^2 2s^1, Y가 1s^2 2s^2 2p^1, 1, 2, 13 ̄17족 원소는 족 번호의 끝자리 수가 원자가 전자 수와 같
213
Z

Z가 1s^2 2s^2 2p^5이다. 다. 따라서 A ̄E의 원자가 전자 수는 A와 E가 1, B가 2, C가 5,


예시 답안 1s 2s 2p D가 7이다.

A
X
214
Y

으므로 A가 1, B, C, D가 2, E가 3이다.
바닥상태 원자에서 전자가 들어 있는 전자 껍질 수는 주기 번호와 같
Z

채점 기준 배점(%)
X ̄Z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를 모두 옳게 나타낸 경우
3가지 중 2가지만 옳게 나타낸 경우
100
70

⑵ 전자가 들어 있는 오비탈 수는 X(Li)가 2, Y(B)가 3, Z(F)가 5


이므로 a=2이다.
53~54쪽

215 ⑤ 216 해설 참조 217 ① 218 ④ 219 ②


220 A, C 221 ③ 222 ①

215 ⑤

7 주기율표 (나) 멘델레예프는 원소들을 원자량 순으로 배열하여 최초의 주기율


표를 만들었으므로 (나)의 답은 ◯이다.
개념 확인 문제 53쪽 (다) 모즐리는 X선 연구 결과를 통해 원자핵의 (+)전하를 결정하는
방법을 알아내어 원자 번호를 정하였고, 원소들을 원자 번호 순으로
배열하였으므로 (다)의 답은 ×이다.
208 (나)–(다)–(가) 209 ◯ 210 ◯
211 × 212 금속 원소: B, E, 비금속 원소: A, C, D
213 D 214 A (가) 옥타브설은 원소들을 원자량 순으로 배열한 것이므로
(가)의 답은 ×이다.
오답 피하기

208 (나)–(다)–(가)
216
(가), (다), (가) 원소들을 원자량 순으로 배열하면 8번째 원소마다 화
(가)는 모즐리의 주기율표, (나)는 뉴랜즈의 옥타브설, (다)는 멘델레
예프의 주기율표에 대한 설명이다. 따라서 (가) ̄(다)를 순서대로 나
예시 답안

X선 연구 결과를 통해 원자핵의 (+)전하를 결정하는 방법을 알아내어 원자


학적 성질이 비슷한 원소가 나타나는 것을 옥타브설이라고 한다. (다) 모즐리는
열하면 (나)–(다)–(가)이다.
번호를 정하였고, 원소들을 원자 번호 순으로 배열하였다.

주기율표의 세로줄을 족이라고 하며, 1 ̄18족이 있다. 같은 족에 속


209

(가), (다)를 모두 고르고, 2가지 모두 옳은 내용으로 고쳐 쓴 경우


채점 기준 배점(%)

(가), (다) 중 1가지만 골라 옳은 내용으로 고쳐 쓴 경우


100
하는 원소들은 원자가 전자 수가 같다.
50

주기율표의 가로줄을 주기라고 하며, 1 ̄7주기가 있다. 같은 주기에


210
217 ①

속하는 원소들은 바닥상태 원자에서 전자가 들어 있는 전자 껍질 수 ㄴ. 멘델레예프는 발견되지 않은 원소의 자리를 빈칸으로 남겨두고,
가 같다. 그 성질을 예측하였다.

ㄷ. 화학적 성질이 비슷한 원소를 3개씩 묶어 세 쌍 원소로 분류한


오답 피하기 ㄱ. 멘델레예프는 원소들을 원자량 순으로 배열하였다.
211
원자가 전자 수는 원자 번호 증가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하므로 주기 것은 되베라이너의 세 쌍 원소설이다.
율이 나타난다.
218 ④
212 금속 원소: B, E, 비금속 원소: A, C, D •학생 A, B: 멘델레예프의 주기율표는 원소를 원자량 순으로, 현대
A는 H(수소), B는 Be(베릴륨), C는 N(질소), D는 F(플루오린), 주기율표는 원소를 원자 번호 순으로 배열하여 나타낸다.
E는 Na(나트륨)이다. 따라서 금속 원소는 B, E이고, 비금속 원소는 •학생 C: 현대 주기율표에서 가로줄을 주기, 세로줄을 족
A, C, D이다.
오답 피하기

이라고 한다.

바른답·알찬풀이 31
219 필수 유형 ②
55쪽
자료 분석하기 전자 배치와 주기율표
226 ⑴ A, B, D
• 바닥상태 원자에서 가장 바깥 전자 껍질의 전자 배치가 ns^a&np^b이다. ⑵ 해설 참조
223 ④ 224 ③ 225 ④

•  n은 주기 번호를 나타낸다.
•  a+b는 족 번호의 끝자리 수를 나타낸다.
•A  : 1s^1  1주기 1족에 속하는 수소(H)이다.
•B  : 2s^1  2주기 1족에 속하는 리튬(Li)이다.
223 ④

• C : 2s^2 2p^3  2주기 15족에 속하는 질소(N)이다. (가)에 속하는 원소는 Na, Mg이고, (나)에 속하는 원소는 O, S이다.
• D : 3s^2 3p^6  3주기 18족에 속하는 아르곤(Ar)이다. ㄴ. 바닥상태 원자에서 가장 바깥 전자 껍질의 전자 배치는 O가
2s^2 2p^4, S이 3s^2 3p^4이다. 따라서 홀전자 수는 O와 S 모두 2이다.
ㄷ. A ̄D 중에서 금속 원소는 B(Li) 1가지이다. ㄷ. Na과 Mg의 원자가 전자 수는 각각 1, 2이고, O와 S의 원자가
ㄱ. A(H)와 B(Li)는 모두 1족에 속하지만, 화학적 성질이 전자 수는 6이다. 따라서 원자가 전자 수는 (나)에 속하는 O와 S이 (가)
에 속하는 Na과 Mg보다 크다.
오답 피하기

ㄴ. 홀전자 수는 C(N)가 3, D(Ar)가 0이므로 C>D이다.


다르다.
오답 피하기 ㄱ. (가)는 주기율표의 왼쪽에 위치한 금속 원소, (나)는 주

A, C
기율표의 오른쪽에 위치한 비금속 원소에 해당한다.

B(Li)는 2주기 1족 원소이고, D(Ar)는 3주기 18족 원소이다.


220
224 ③

자료 분석하기 주기율표에 원소 배치하기

Li, F, Ne, Na 중에서 3주기 원소는 Na이고, 비금속 원소는 F과 • Li이 있는 칸부터 시계 방향으로 1주기 원소
221 ③

X  Z는 O이다.
Ne이다. 따라서 A는 Na이고, B와 C는 각각 F과 Ne 중 하나이며,
K

•L  i에서 뻗어 나간 2주기 1족 원소인


를 순서대로W 배치한다. Ar Na

D는 Li이다. Na을 배치하고, 그 칸부터 시계 방향으로 2


Li 칸에 Y Ne Ca
Cl F Li Mg

ㄱ. A(Na)와 D(Li)는 1족에 속하는 알칼리 금속이다. 알칼리 금속


Be
배치한다.  X는
Z O B Al

Na, W는 Ar이다.
S

은 원자가 전자 수가 1로 같아 화학적 성질이 비슷하다.


주기 원소를 순서대로C N C

•X  (Na)에서 뻗어 나간 칸에 3주기 1족 원소
Si P Si

ㄷ. A ̄D 중에서 3주기 원소인 A(Na)를 제외하고, B ̄D는 모두 인 K을 배치하고, 그 칸부터 시계 방향으로 3주기 원소를 순서대로 배치
2주기 원소이다. 따라서 B ̄D는 바닥상태 원자에서 전자가 들어 있 한다.  Y는 Ca이다.
는 전자 껍질 수가 2로 같다.
ㄴ. B와 C는 F과 Ne 중 하나이다. F과 Ne은 모두 비금 ㄱ. X(Na)와 Y(Ca)는 모두 금속 원소이다.
속 원소이지만, Ne은 비활성 기체이므로 음이온이 되기 어렵다. ㄴ. 양성자수는 W(Ar)가 18, Y(Ca)가 20이므로 Y>W이다.
오답 피하기

오답 피하기 ㄷ. 원자가 전자 수는 X(Na)가 1, Z(O)가 6이므로 X<Z


개념 더하기 주기율표에서 같은 족 원소의 성질
이다.

1족
구분 족 성질

게 반응하고, +1가의 양이온이 되기 쉽다.


알칼리 금속
반응성이 매우 커서 공기 중의 산소나 물과 쉽 225 ④

알칼리 금속보다는 반응성이 작고, +2가의


(H 제외)

2족
자료 분석하기 주기율표

• A와 B는 금속 원소이다.  A와 B는 각각 ㉠ 또는 ㉣ 중 하나이다.


알칼리

반응성이 크고, 금속과 반응하여 -1가의 음


토금속 양이온이 되기 쉽다.
• 원자 번호는 D>E>C이다.  C는 ㉡, D는 ㉤, E는 ㉢이다.
17족
•B  와 C는 같은 주기이다.  A는 ㉣, B는 ㉠이다.
할로젠 원소

• ㉠은 Li, ㉡은 O, ㉢은 F, ㉣은 Na, ㉤은 Cl이다.


이온이 되기 쉽다.

18족 •  A는 Na, B는 Li, C는 O, D는 Cl, E는 F이다.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다른 원소들과 거의 반
비활성 기체
응하지 않는다.

1 2 13 14 15 16 17 18
주기

C–(O) ㉡

3주기 원자 중에서 홀전자 수가 1인 원자는 Na, Al, Cl이고, 그중


222 ① 2 ㉠ (Li)–B ㉢ (F)–E

금속 원소인 것은 Na, Al이며, 3p 오비탈에 전자가 들어 있는 것은


3 ㉣ (Na)–A ㉤ (Cl)–D

Al, Cl이다. 따라서 A는 Al, B는 Na, C는 Cl이다.


ㄴ. C(Cl)는 17족에 속하므로 원자가 전자 수가 7이다. ㄴ. D(Cl)와 E(F)는 17족에 속하는 할로젠 원소로 원자가 전자 수
ㄱ. A는 Al이다. 가 7로 같아 화학적 성질이 비슷하다.
ㄷ. 바닥상태 전자 배치는 B (N a )가 1 s^2  2 s^2  2 p^6  3 s^1 , C (C l )가 ㄷ. A(Na)는 전자 1개를 잃어 양이온이 되고, C(O)는 전자 2개를 얻
오답 피하기

1s^2 2s^2 2p^6 3s^2 3p^5이다. 따라서 전자가 들어 있는 오비탈 수는 B가 어 음이온이 되어 2주기 18족 원소인 Ne과 같은 전자 배치를 한다.
6, C가 9이므로 C가 B의 1.5배이다. 오답 피하기 ㄱ. ㉣(Na)에 해당하는 원소는 A이다.

32 바른답·알찬풀이
226 229 증가

서술형 해결 전략 같은 족에서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전자 껍질 수가 증가하므로 이온


반지름이 증가한다.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바닥상태 원자의 원자가 전자 수와 전자가 들어 있는 전자 껍질 수로부터 주
기율표에서의 위치를 알고, 금속 원소와 비금속 원소를 구분할 수 있다. 230 감소

STEP 2 자료 파악 같은 족에서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전자 껍질 수가 증가하여 원자핵


➊ 주기율표에서 A ̄D의 위치와 원소 기호는? 과 전자 사이의 인력이 감소하므로 이온화 에너지가 감소한다.
A B C D


3 1 2 3
원자
231
1 1 16 17 A는 원자 반지름>이온 반지름이므로 양이온이 되는 금속 원소이다.
주기

원소 기호 Na H O Cl

➋ A ̄D를 금속 원소와 비금속 원소로 구분하면? 232


 A는 금속 원소이고, B, C, D는 비금속 원소이다. C는 원자 반지름<이온 반지름이므로 음이온이 되는 비금속 원소이
고, C의 음이온이 2주기 18족 원소인 Ne과 같은 전자 배치를 하므
로 2주기에 속한다.
STEP 3 관련 개념 모으기

 1, 2, 13 ̄17족 원소는 족 번호의 끝자리 수가 원자가 전자 수와 같다.


➊ 바닥상태 원자의 원자가 전자 수는?

➋ 바닥상태 원자의 전자가 들어 있는 전자 껍질 수는?

A와 B는 양이온이 Ne과 같은 전자 배치를 하므로 모두 3주기 금속


 주기 번호는 전자가 들어 있는 전자 껍질 수와 같다.
233
➌ 금속 원소의 성질은?
 금속 원소는 상온에서 대부분 고체이고, 열과 전기 전도성이 좋다. 원소이고, 같은 주기에서 원자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
하므로 원자 번호는 A>B이다.
 금속 원소는 고체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있다.

⑴ 바닥상태에서 가장 바깥 전자 껍질의 전자 배치는 A(Na)가 3s^1,


B(H)가 1s^1, C(O)가 2s^2 2p^4, D(Cl)가 3s^2 3p^5이다. 따라서 홀전자
234

수는 A, B, D가 모두 1이고, C가 2이다. 고, 같은 족에서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한다. A는 3주기 금속 원


이온화 에너지는 같은 주기에서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대체로 증가하

A, A는 전자가 들어 있는 전자 껍질 수가 3이므로 3주기 원소 소이고, D는 2주기 비금속 원소이므로 이온화 에너지는 A<D이다.
이고, 원자가 전자 수가 1이므로 1족 원소이다. 따라서 A는 3주기 1족 원소인
⑵ 예시 답안

Na으로 주기율표의 왼쪽에 위치한 금속 원소이기 때문에 고체 상태에서 전기 2


3번째 전자를 떼어 낼 때의 이온화 에너지인 E_3가 E_2에 비해 급격하
235
전도성이 있다.

게 증가하였으므로 A의 원자가 전자 수는 2이다.


A를 고르고, A가 3주기 1족 원소인 Na으로 금속 원소이기 때문임
채점 기준 배점(%)

100
을 옳게 설명한 경우
A가 금속 원소이기 때문이라고만 설명한 경우 50

58~61쪽

236 ⑤ 237 ④ 238 ② 239 ④ 240 ③ 241 ⑤


8 원소의 주기적 성질 242 ① 243 ④ 244 ⑤ 245 ③ 246 ⑤
247 A: O, B: Na, C: Cl, D: Ca 248 ② 249 ⑤ 250 ③
개념 확인 문제 57쪽
251 ③ 252 ④
227 증가 228 감소 229 증가 230 감소
231 × 234 ×
235 2
232 ◯ 233 ◯

236 ⑤
•학생 A: 다전자 원자에서 다른 전자들이 원자핵의 핵전하를 가리
227 증가 는 가려막기 효과 때문에 유효 핵전하가 실제 원자핵의 핵전하보다
작다.
•학생 C: Ne에서 Na으로 주기가 증가할 때 유효 핵전하가 급격히
같은 주기에서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유효 핵전하가 증가한다.

228 감소한다.
•학생 B: 같은 주기에서 원자가 전자가 느끼는 유효 핵전
감소
같은 주기에서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유효 핵전하가 증가하여 원자 오답 피하기

핵과 전자 사이의 인력이 증가하므로 원자 반지름이 감소한다. 하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증가한다.

바른답·알찬풀이 33
바닥상태 O, Na, Mg, Al의 홀전자 수는 각각 2, 1, 0, 1이다. 따
개념 더하기 주기가 증가할 때 유효 핵전하가 급격히 감소하는 까닭 240 ③

라서 제시된 자료에서 A는 Mg이고, D는 O이다. 홀전자 수가 1인


• 같은 전자 껍질에 위치한 전자의 가려막기 효과보다 안쪽 전자 껍질에 위

Na과 Al은 원자 번호가 Al>Na이고, 같은 주기에서 원자 반지름


치한 전자의 가려막기 효과가 더 크다.
• 주기가 증가할 때 전자 껍질 수가 증가하여 가려막기 효과가 증가하므로
유효 핵전하가 급격히 감소한다.
은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하므로 Na>Al이다. 따라서 B는
Na, C는 Al이다.
237 ㄱ. 전자 배치가 같은 이온의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한
다. 원자 번호가 D(O)<A(Mg)이므로 이온 반지름은 D>A이다.

ㄴ. 전자가 느끼는 유효 핵전하는 a>b이므로 원자핵과 전자 사이의
인력도 a>b이다. ㄷ. 같은 주기에서 유효 핵전하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증가한다.
원자 번호가 B(Na)<C(Al)이므로 유효 핵전하는 C>B이다.
한다. (가)의 원자 번호는 12, (나)의 원자 번호는 13이므로 전자가 ㄴ. 원자가 전자 수는 A(Mg)가 2, B(Na)가 1, C(Al)가
ㄷ. 원자가 전자가 느끼는 유효 핵전하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증가

느끼는 유효 핵전하는 c>b이다. 3, D(O)가 6이므로 D가 가장 크다.


오답 피하기

ㄱ. b가 느끼는 유효 핵전하는 다른 전자들의 가려막기 효


과 때문에 +12보다 작다.
오답 피하기

241 필수 유형 ⑤

자료 분석하기 유효 핵전하, 원자 반지름, 이온 반지름의 주기성

X ̄Z는 13족 원소(B), 14족 원소(C), 15족 원소(N) 중 하나이고, 바


238 ②

반지름

유효 핵전하 상( 댓값
200

닥상태 B, C, N에서 p 오비탈의 전자 수가 각각 1, 2, 3이다. 따라서


8
원자 반지름

X는 B, Y는 C, Z는 N이고, 원자 번호는 X(B)<Y(C)<Z(N)이다.


(가)
(
pm

ㄷ. 홀전자 수는 X(B)가 1, Y(C)가 2, Z(N)가 3이므로 X와 Y의


)
유효 핵전하 (나)
100 4

홀전자 수의 합은 Z의 홀전자 수와 같다.


(다)

)
이온 반지름
ㄱ. 같은 주기에서 원자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하므로 Z(N)<X(B)이다.
오답 피하기

aN bO cF d Na e Mg f Al
0 0

•a   ̄f는 각각 Ne을 제외하고 원자 번호가 연속인 2, 3주기 원자이고, 원


ㄴ. 같은 주기에서 유효 핵전하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증가하므로
Y(C)<Z(N)이다. 자 번호는 a<b<c<d<e<f이다.
 a는 N, b는 O, c는 F, d는 Na, e는 Mg, f는 Al이다.
239 ④ • (가)는 같은 주기에서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한다.
 같은 주기에서 원자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하므로 (가)
자료 분석하기 원자 반지름과 이온 반지름의 주기성
는 원자 반지름이다.
원자 반지름은 C>B>A이다. 이온 반지름은 ㉢>㉡>㉠이다. • (나)는 같은 주기에서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증가한다.
원자 반지름

이온 반지름

154  같은 주기에서 유효 핵전하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증가하므로 (나)


133 130 는 유효 핵전하이다.
102 • (다)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한다.
 전자 배치가 같은 이온의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하므로
70 72
pm
(

pm
 a ̄c는 원자 반지름<이온 반지름, d ̄f는 원자 반지름>이온 반지
(다)는 이온 반지름이다.
)

름이다.
A B C ㉢
2주기 비금속 원소 (가) 3주기 금속 원소
㉠ ㉡
(나)

• (가)에서 A의 원자 반지름은 ㉠ ̄㉢의 이온 반지름보다 작고, B와 C의


ㄴ. (가)는 원자 반지름, (나)는 유효 핵전하, (다)는 이온 반지름이다.
ㄷ.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유효 핵전하가 증가하여 원자핵과 전자 사이
•  A는 원자 반지름<이온 반지름이므로 음이온이 되는 비금속 원소, B
원자 반지름은 ㉠ ̄㉢의 이온 반지름보다 크다.
의 인력이 증가하므로 전자 배치가 같은 이온의 반지름이 감소한다.
와 C는 원자 반지름>이온 반지름이므로 양이온이 되는 금속 원소이다. ㄱ. 제시된 자료에서 a ̄c는 모두 (다)>(가)이다. 또 a ̄c
•  A는 2주기 원소, B와 C는 3주기 원소이고, 같은 주기에서 원자 반지
오답 피하기

름은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하므로 원자 번호는 B>C>A이다.


는 비금속 원소이므로 전자를 얻어 음이온이 되면서 이온 반지름이

• 전자 배치가 같은 이온의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한다.  증가한다. 따라서 a ̄c는 모두 원자 반지름<이온 반지름이다.
 (나)에서 원자 번호는 ㉠>㉡>㉢이다.

A와 B는 원자 반지름<이온 반지름이므로 2주기 비금속 원소 O, F


242
ㄴ. A는 원자 반지름<이온 반지름이므로 비금속 원소이다.

ㄷ. 같은 주기에서 유효 핵전하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증가하므로 중 하나이고, C와 D는 원자 반지름>이온 반지름이므로 3주기 금속


B>C이다. 원소 Na, Mg 중 하나이다. 이때 같은 주기에서 원자 반지름은 원자
ㄱ. (가)에서 원자 번호는 B>C>A, (나)에서 원자 번호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하므로 A는 F, B는 O, C는 Mg, D는 Na이다.
는 ㉠>㉡>㉢이므로 ㉠은 B 이온이다. ㄱ. A(F)와 B(O)는 2주기 원소이다.
오답 피하기

34 바른답·알찬풀이
ㄴ. 같은 주기에서 유효 핵전하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ㄱ. 같은 주기에서 원자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하므로
증가하므로 D(Na)<C(Mg)이다. a(Be)가 가장 크다.
오답 피하기

ㄷ. 바닥상태에서 전자가 들어 있는 p 오비탈 수는 B(O)와 C(Mg) ㄴ. 원자가 전자 수는 a(Be)가 2, b(F)가 7, c(C)가 4, d(O)가 6,
모두 3이다. e(N)가 5이므로 b가 가장 크다.
ㄷ. 같은 주기에서 유효 핵전하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증가하므로 b(F)가 가장 크다.
오답 피하기
243 ④
F은 비금속 원소이므로 원자 반지름<이온 반지름이고, Na과 Mg
제1 이온화 에너지의 예외적 경향이 나타나는 까닭
은 금속 원소이므로 원자 반지름>이온 반지름이다. 따라서 A ̄C
개념 더하기

이 가장 큰 A는 F이다. B와 C는 Na과 Mg 중 하나 2족 13족 15족 16족


이온 반지름 족

이고, 유효 핵전하는 B>C이다. 같은 주기에서 유효 핵전하는 원자


원자 반지름
ns^2 ns^2np^1 ns^2np^3 ns^2np^4
가장 바깥 전자 껍질의

번호가 커질수록 증가하므로 B는 Mg, C는 Na이다.


전자 배치

•2  족 원소와 13족 원소: 2족 원소에서 에너지가 낮은 s 오비탈에서 전자


ㄱ. A(F)는 2주기, B(Mg)는 3주기에 속하므로 전자 껍질 수는 1개를 떼어 내는 것보다 13족 원소에서 에너지가 높은 p 오비탈의 전자
B>A이다. 따라서 원자 반지름은 B>A이다. 1개를 떼어 내는 것이 더 쉽다.  이온화 에너지: 2족 원소>13족 원소
• 15족 원소와 16족 원소: p 오비탈의 짝 지은 전자 사이에 반발력이 작
ㄷ. 바닥상태 전자 배치는 A(F)가 1s^2 2s^2 2p^5, C(Na)가 1s^2 2s^2 2p^6 
용하므로 15족 원소의 p 오비탈에서 홀전자 3개 중 1개를 떼어 내는 것
s 오비탈의 전자 수
3s^1이다. 따라서 p 오비탈의 전자 수 는 A가 4
/
5, C가 5
/
6이므로 보다 16족 원소의 p 오비탈에서 짝 지은 전자 중 1개를 떼어 내는 것이
더 쉽다.  이온화 에너지: 15족 원소>16족 원소
C>A이다.
ㄴ. 전자 배치가 같은 이온의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커질
수록 감소한다. 원자 번호가 C(Na)<B(Mg)이므로 이온 반지름은
오답 피하기

ㄱ. A가 속한 주기에서 16족 원자의 제1 이온화 에너지는 15족 원


246 ⑤

B<C이다.
자인 A보다 작다. 따라서 제1 이온화 에너지는 B>A>A가 속한
244 ⑤ 주기의 16족 원자이고, 이온화 에너지는 같은 족에서 원자 번호가
(가) 같은 주기에서 원자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한다. 커질수록 감소하므로 A는 3주기, B와 C는 2주기에 속한다.
원자 번호가 C<N이므로 원자 반지름은 C>N이다. 따라서 (가)의 ㄴ. A는 이온이 되면 3주기 18족 원소인 Ar의 전자 배치를 갖고, B
답은 ◯이다. 는 이온이 되면 2주기 18족 원소인 Ne의 전자 배치를 가진다. 따라
서 이온 반지름은 A>B이다.
증가하므로 2주기에서 제1 이온화 에너지는 Ne이 가장 크다. 따라서
(다) 같은 주기에서 이온화 에너지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대체로

(다)의 답은 ×이다.
ㄷ. 같은 주기에서 유효 핵전하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증가한다.
원자 번호가 B<C이므로 유효 핵전하는 C>B이다.
(나) 금속 원소인 Li은 이온이 되면 전자를 잃어 1주기 18
족 원소인 He의 전자 배치를 갖고, 비금속 원소인 O는 이온이 되면
오답 피하기

A: O, B: Na, C: Cl, D: Ca
전자를 얻어 2주기 18족 원소인 Ne의 전자 배치를 가지므로 이온 원자 A가 전자 2개를 얻어 음이온이 될 때, 원자 B가 전자 1개를 잃
247

반지름은 O>Li이다. 따라서 (나)의 답은 ◯이다. 어 양이온이 될 때 1s^2 2s^2 2p^6, 즉 전자 수가 10인 Ne의 전자 배치를
가진다. 따라서 원자의 전자 수는 A가 8, B가 11이므로 A는 O, B
는 Na이다. 원자 C가 전자 1개를 얻어 음이온이 될 때, 원자 D가
245 ③

자료 분석하기 홀전자 수와 제1 이온화 에너지의 주기성 전자 2개를 잃어 양이온이 될 때 1s^2 2s^2 2p^6 3s^2 3p^6, 즉 전자 수가 18


인 Ar의 전자 배치를 가진다. 따라서 원자의 전자 수는 C가 17, D

가 20이므로 C는 Cl, D는 Ca이다.


bF
1800
eN
1 1600
이온화 에너지

dO
1400
c C
1200
a Be
1000

A(O)는 2주기 16족, B(Na)는 3주기 1족, C(Cl)는 3주기 17족,


800 248 ②
600

D(Ca)는 4주기 2족에 속한다.


400
200
(

ㄷ. 원자가 전자 수는 A(O)가 6, B(Na)가 1이므로 A>B이다.


kJ
0
mol 1 2 3

a(Be)<c(C)<e(N)<d(O)<b(F)이다.
원자 번호는 홀전자 수
)

• 2주기 1족 ̄17족 원소의 제1 이온화 에너지: F>N>O>C>Be>B>Li


ㄱ. 같은 주기에서 원자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
소한다. 원자 번호는 B(Na)<C(Cl)이므로 원자 반지름은 C<B이다.
오답 피하기

•a  는 홀전자 수가 0이므로 Be이고, e는 홀전자 수가 3이므로 N이다.


• c 와 d는 홀전자 수가 2이므로 각각 C와 O 중 하나이다.
 제1 이온화 에너지가 O>C이므로 d는 O, c는 C이다. 가하고, 같은 족에서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한다. C(Cl)는 3주
ㄴ. 이온화 에너지는 같은 주기에서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대체로 증

• b 는 홀전자 수가 1이므로 Li, B, F 중 하나이다.


기 17족 원소이고, D(Ca)는 4주기 2족 원소이므로 제1 이온화 에너
 b의 제1 이온화 에너지가 e(N)보다 크므로 b는 F이다.
지는 D<C이다.

바른답·알찬풀이 35
X는 E_2>>E_1이므로 1족 원소이고, Y는 E_4>>E_3이므로 13족 원소
249 ⑤ 252 필수 유형 ④

이다. 따라서 Z는 2족 원소이다.


자료 분석하기 이온화 에너지의 주기성

ㄴ. 3주기에서 제1 이온화 에너지는 1족 원소<13족 원소<2족 원


O

이온화 에너지 상( 댓값
N
소이므로 a<738이다.
제1 이온화 에너지

ㄷ. Z는 2족 원소이므로 E_3>>E_2이고, X ̄Z 중 제3 이온화 에너지


제2 이온화 에너지

가 가장 크므로 b>6912이다.
: Be-B
예외적 경향

ㄱ. X는 1족 원소이므로 원자가 전자 수가 1이다. N-O


또는

오답 피하기

)
개념 더하기 순차 이온화 에너지 0 X Y Z X Y Z
• 순차 이온화 에너지의 크기: 이온화 차수가 커질수록, 전자 수가 작아질 • 2주기에서 원자 번호가 연속이고 X<Y<Z일 때, 제1 이온화 에너지
가 X<Z<Y이다.  (X, Y, Z)는 (Li, Be, B) 또는 (C, N, O)이다.
화 에너지가 증가한다.  E_1<E_2<E_3<…  가 Li, Y가 Be, Z가 B라면 제2 이온화 에너지는 1족 원소인 X(Li)
수록 전자 사이의 반발력이 작아져 유효 핵전하가 증가하기 때문에 이온
•X
• 순차 이온화 에너지와 원자가 전자 수: 원자가 전자를 모두 떼어 내고 안 가 가장 커야 한다.  X는 C, Y는 N, Z는 O이다.

한다.  n번째 전자를 떼어 낼 때의 이온화 에너지(E_n)가 급격하게 증


쪽 전자 껍질에 있는 전자를 떼어 낼 때 이온화 에너지가 급격하게 증가

가하면 원자가 전자 수는 n-1이다. ㄴ. 홀전자 수는 Y(N)가 3, Z(O)가 2이므로 Y>Z이다.


ㄷ. 바닥상태 전자 배치는 X(C)가 1s^2 2s^2 2p^2, Z(O)가 1s^2 2s^2 2p^4이
다. 따라서 전자가 들어 있는 p 오비탈 수는 X가 2, Z가 3이므로
Z>X이다.
250 ③

ㄱ. X가 Li이라면 X ̄Z 중 제2 이온화 에너지가 가장 커


자료 분석하기 원자 반지름의 주기성
Na
야 하므로 X는 C, Y는 N, Z는 O이다. 따라서 X는 14족 원소이다.
오답 피하기
원자 반지름

Mg
Li
150 Al

Be
(

pm
)

100
62~63쪽
0
A B C D E

• 원자 반지름은 3주기 원자>2주기 원자이고, 같은 주기에서 원자 번호


253 ③ 254 ④ 255 ① 256 ② 257 ③ 258 ⑤
259 ⑴ A, B, C, D ⑵ 해설 참조
•  원자 반지름이 가장 큰 E는 Na이다. 261 ⑴ A: F, B: Mg, C: Al
가 작을수록 크다.

 와 D는 원자가 전자의 n=3이므로 Mg, Al 중 하나이다.


⑵ 해설 참조
•B
260 해설 참조

•  원자 반지름은 Mg>Al이므로 B는 Al, D는 Mg이다.


• A와 C는 Li, Be 중 하나이다.
•  원자 반지름은 Li>Be이므로 A는 Be, C는 Li이다. 253 ③
같은 주기에서 유효 핵전하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증가하므로 유
ㄱ. A는 Be, B는 Al, C는 Li, D는 Mg, E는 Na이다. 효 핵전하는 F>O, Al>Mg이다. 바닥상태 O, F, Mg, Al에서 전
ㄴ. 제1 이온화 에너지는 같은 주기에서 A(Be)>C(Li), D(Mg)> 자가 들어 있는 p 오비탈 수는 O, F, Mg이 3, Al이 4이므로 A는
B(Al)>E(Na)이고, 같은 족에서 A(Be)>D(Mg)이므로 A가 가장 Al이다. 또 홀전자 수는 Mg이 0, F과 Al이 1, O가 2이고, 홀전자
수는 C>D인 조건에 따라 B ̄D를 정했을 때 원자가 전자가 느끼
ㄷ. 제2 이온화 에너지는 1족 원소 중 원자 번호가 작은 것 는 유효 핵전하는 C>B>A인 조건의 만족 여부는 다음과 같다.
크다.

이 가장 크다. 따라서 2주기 1족에 속하는 C(Li)가 가장 크다.


오답 피하기

원자가 전자가 느끼는 유효 핵전하가 B(F)>C(O)이다.


D(Mg) B(F)
C(O)
 제시된 조건(C>B)을 만족하지 않는다.
원자가 전자가 느끼는 유효 핵전하가 A(Al)>B(Mg)이다.
ㄱ. C와 D는 원자 번호가 크지만, 제1 이온화 에너지가 작으므로 3
D(F) B(Mg)
251 ③

주기 금속 원소이다. 이때 C의 제2 이온화 에너지가 가장 크므로 C는


 제시된 조건(B>A)을 만족하지 않는다.
원자가 전자가 느끼는 유효 핵전하가 C(F)>B(O)이다.
C(F) D(Mg) B(O)
1족 원소이다. 따라서 A는 F, B는 Ne, C는 Na, D는 Mg이다.
 제시된 조건(C>B)을 만족한다.

ㄷ. B(Ne)에서 C(Na)로 주기가 증가할 때 유효 핵전하는 급격히 감 ㄱ. A는 Al, B는 O, C는 F, D는 Mg이다.


소하므로 원자가 전자가 느끼는 유효 핵전하는 B>C이다. ㄷ. 전자 배치가 같은 이온의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한
다. 원자 번호는 C(F)<A(Al)이므로 이온 반지름은 C>A이다.
ㄴ. 원자가 전자가 느끼는 유효 핵전하는 D(Mg)<A(Al)
ㄴ. 전자 배치가 같은 이온의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커질수
록 감소한다. 원자 번호는 A(F)<C(Na)이므로 이온 반지름은 C<A
오답 피하기

이므로 x<1이다.
오답 피하기

이다.

36 바른답·알찬풀이
A는 3주기 13족 원소, B는 2주기 14족 원소, C는 3주기 15족 원
소, D는 3주기 16족 원소, E는 2주기 17족 원소이다.
254 ④
바닥상태에서 p 오비탈의 전자 수가 6인 원자는 Ne, Na, Mg이므
ㄴ. 3주기에서 제1 이온화 에너지는 15족 원소>16족 원소이므로
C>D이다.
로 이들을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ㄱ. A ̄E 중에서 2주기 원소는 B와 E의 2가지이다.


분류 기준 예 아니요
(가) Na (나) Ne, Mg
바닥상태에서 s 오비탈의 전자 수가 4인가? ㄷ. 원자 반지름은 3주기 원자>2주기 원자이므로 2주기에 속하는
바닥상태에서 홀전자가 있는가? 오답 피하기

(다) Ne (라) Na, Mg


E보다 3주기에 속하는 A가 크다.
ㄴ. Ne에서 Na으로 주기가 증가할 때 유효 핵전하는 급격히 감소하
므로 원자가 전자가 느끼는 유효 핵전하는 Ne>Na이다. 2주기 원자에서 제2 이온화 에너지의 예외적 경향
ㄷ. Ne, Na, Mg 중에서 제1 이온화 에너지는 Ne이 가장 크다.
개념 더하기

•2
 주기 2족, 13족 ̄17족 원소의 바닥상태 원자에서 가장 바깥 전자 껍
오답 피하기 ㄱ. (나)와 (라)에 공통으로 해당하는 원자는 Mg이다. 질의 전자 배치는 다음과 같다.

N, O, Na, Mg의 원자 반지름, 이온 반지름, 제1 이온화 에너지는


255 ① 족 원소
가장 바깥 전자
족 원소
가장 바깥 전자

2족 2s^2 15족 2s^2 2p^3


껍질의 전자 배치 껍질의 전자 배치
Be N
13족 B 2s^2 2p^1 16족 O 2s^2 2p^4
•원자 반지름: 원자 반지름은 3주기 원자>2주기 원자이고, 같은 주기
다음과 같다.

14족 C 2s^2 2p^2 17족 F 2s^2 2p^5


에서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한다. 따라서 Na>Mg>N>O이다.
• 전자를 1개씩 떼어낸 B와 C, O와 F의 전자 배치는 각각 Be과 B, N와
O의 전자 배치와 같다.  B와 C, O와 F의 제2 이온화 에너지에서도
•이온 반지름: 전자 배치가 같은 이온의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커질
수록 감소한다. 따라서 N>O>Na>Mg이다. 제1 이온화 에너지와 같은 예외적 경향이 나타나므로 제2 이온화 에너
•제1 이온화 에너지: 제1 이온화 에너지는 2, 3주기에서 2족 원소 지는 B>C, O>F이다.
• 2주기에서 제2 이온화 에너지는 1족 원소>>18족 원소>16족 원소>
>1족 원소, 15족 원소>16족 원소이므로 N>O, Mg>Na이다.
17족 원소>15족 원소>13족 원소>14족 원소>2족 원소이다.
또 제1 이온화 에너지는 3주기 2족 원소인 Mg이 2주기 16족 원소
인 O보다 작다. 따라서 N>O>Mg>Na이다.
ㄴ. 2주기에서 제2 이온화 에너지는 16족 원소>15족 원소이므로
X(O)>Z(N)이다.
257 ③
ㄱ. 같은 주기에서 유효 핵전하가 B>A>C이므로 원자 번호가 C<
ㄱ. W는 제2 이온화 에너지가 가장 크므로 Na이다. 제시
A<B이다. 1족 원소는 같은 주기에서 제1 이온화 에너지가 가장 작
된 자료에서 ㉠의 상댓값은 Z>X>W>Y이고, ㉡의 상댓값은
오답 피하기

제2 이온화 에너지
Z>X>Y>W이므로 ㉠은 이온 반지름, ㉡은 제1 이온화 에너지 고, 제2 이온화 에너지가 가장 크다. 따라서
제1 이온화 에너지
가가
이다. 따라서 X는 O, Y는 Mg, Z는 N이다. 장 큰 C는 1족 원소이므로 Na이고, A는 Mg, B는 Al이다.
ㄷ. 같은 주기에서 유효 핵전하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증가한다. ㄷ. 바닥상태 전자 배치는 A (M g )가 1 s^2  2 s^2  2 p^6  3 s^2 , C (N a )가
원자 번호가 W(Na)<Y(Mg)이므로 유효 핵전하는 W<Y이다.
1s^2 2s^2 2p^6 3s^1이다. 따라서 전자가 2개 들어 있는 오비탈 수는 A가
256 ② 6, C가 5이므로 A>C이다.

제2 이온화 에너지의 주기성


ㄴ. 전자 배치가 같은 이온의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커질
수록 감소한다. 원자 번호가 A(Mg)<B(Al)이므로 이온 반지름은
오답 피하기
자료 분석하기

17족 2 ¥ 3.4 2주기 B<A이다.


원자가 전자 수


(

16족
이온화 에너지

10‹
6 kJ 3.0

15족
mol

2주기
5 2.6
3주기
258
)


14족 E_2 E_3 로 가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보아 족 원소이다.
A는 <<
E_1 E_1
E_3 2
4 2.2
3주기
13족 3주기
E_6 E_7 로 가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보아 족 원소이
3 1.8

B는 <<
E_1 E_1
E_7 16
0 A B C D E 0 A B C D E

다. C는 E_5 << E_6 로 E_6가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보아 15족 원소


• E는 2주기 17족 원소이고, A ̄D는 각각 13족 ̄16족 원소이다.
(가) (나)

• 이온화 에너지는 2주기 원소>3주기 원소이고, 2주기에서 제2 이온화 E_1 E_1


에너지는 16족 원소>17족 원소>15족 원소>13족 원소>14족 원

ㄱ. A는 2족 원소이다.
이다.

•  B, C, D가 같은 2주기 원소라면 (나)에서 D>C>B여야 하는데, 제


소이다.

시된 자료가 B>D>C이므로 B는 2주기 14족 원소, C는 3주기 15족 ㄴ. 3주기에서 제1 이온화 에너지는 15족 원소>16족 원소이므로
원소, D는 3주기 16족 원소이다. C>B이다.
•  A가 2주기 원소라면 (나)에서 A>B여야 하는데, 제시된 자료가
ㄷ. 바닥상태에서 홀전자 수는 A가 0, B가 2, C가 3이므로 C가 가
B>A이므로 A는 3주기 13족 원소이다.
장 크다.

바른답·알찬풀이 37
➋ 2주기에서 제1 이온화 에너지는?
 Ne>F>N>O>C>Be>B>Li이다.
259
서술형 해결 전략
➌ 같은 주기에서 원자 반지름의 주기성은?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 같은 주기에서 원자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유효 핵전하가 증
가하므로 감소한다.
이온의 전자 수로부터 원자 번호를 알아내고, 등전자 이온의 이온 반지름을

W>Y>X>Z, W ̄Z의 홀전자 수는 1, 2, 2, 3 중 하나이다. W


비교할 수 있다.

와 X의 홀전자 수가 2로 같고, 제1 이온화 에너지가 X>W이므로 W는 C,


예시 답안
STEP 2 자료 파악

 A ̄D의 이온은 모두 전자 수가 10인 Ne의 전자 배치를 가진다. X는 O이다. Y와 Z는 홀전자 수가 1인 B, F, 홀전자 수가 3인 N 중 하나이
• 이온의 전자 수로 알 수 있는 각 원자의 전자 수는?

 a는 8, b는 9, c는 11, d는 12이다. 고, 제1 이온화 에너지가 Z>Y>X>W이므로 Y는 N, Z는 F이다. 같은


3 관련 개념 모으기 주기에서 원자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하고, 원자 번호는 W(C)
<Y(N)<X(O)<Z(F)이므로 원자 반지름은 W>Y>X>Z이다.
STEP
➊ 전자 수와 양성자수, 원자 번호의 관계는?
 원자는 전기적으로 중성이므로 전자 수와 양성자수가 같다. 따라서 전

4가지 원자를 모두 알아내어 원자 반지름을 비교하고, 그 까닭을 옳


채점 기준 배점(%)
자 수와 원자 번호가 같다.
➋ 등전자 이온에서 이온 반지름의 주기성은?
100

4가지 원자 중 일부만 옳게 알아낸 경우


 전자 배치가 같은 이온의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하는데, 게 설명한 경우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유효 핵전하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50

⑴ 원자 번호는 A가 8, B가 9, C가 11, D가 12이다. 261


⑵ 예시 답안 A>B>C>D, 원자 번호는 A<B<C<D이고, 전자 배치가 서술형 해결 전략
같은 이온에서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유효 핵전하가 증가하여 이온 반지름이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원자 반지름, 이온 반지름, 이온의 전하를 이용하여 원자 A ̄C가 무엇인지
감소하기 때문이다.

채점 기준 배점(%) 알아내고, 제1 이온화 에너지를 비교할 수 있다.

A ̄D의 이온 반지름을 옳게 비교하고,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유효 STEP 2 자료 파악


➊ F, Mg, Al의 원자 반지름은?
100

 F은 2주기 원소이다.
핵전하가 증가하여 이온 반지름이 감소한다고 설명한 경우
A ̄D의 이온 반지름을 옳게 비교하고,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이온
 Mg과 Al은 3주기 원소이고, 원자 번호가 Al>Mg이다.
70

 원자 반지름은 3주기 원자>2주기 원자이고, 같은 주기에서 원자 번


반지름이 감소한다고만 설명한 경우

호가 커질수록 감소하므로 Mg>Al>F이다.

➋ F, Mg, Al의


|이온의 전하|
260 이온 반지름
은?
서술형 해결 전략
F>Mg>Al이다.
 전자 배치가 같은 이온의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하므로

 |이온의 전하|는 F&^-이 1, Mg^2+이 2, Al^3+이 3이므로 |이온의 전하|


홀전자 수와 제1 이온화 에너지를 이용하여 원자 W ̄Z이 무엇인지 알아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는 Al>Mg>F이다.

 A ̄C의 은 A>B>C이고, 이 값은 F, Mg, Al 중


내고, 원자 반지름을 비교할 수 있다.
|이온의 전하|
이온 반지름

➊ 2주기에서 원자 번호가 연속이고, 홀전자 수의 합이 8인 경우는?


2 자료 파악
Al이 가장 작으므로 C는 Al이다.
STEP

 W ̄Z의 홀전자 수는 1, 2, 2, 3 중 하나의 값을 갖는다.


 2주기에서 원자 번호가 연속이고, 홀전자 수가 1, 2, 2, 3 중 하나의
• 같은 주기에서 제1 이온화 에너지의 주기성은?
STEP 3 관련 개념 모으기

값을 갖는 조합은 (B, C, N, O) 또는 (C, N, O, F)이다.


 같은 주기에서 제1 이온화 에너지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유효 핵전
 W와 X는 홀전자 수가 2로 같으므로 C, O 중 하나이다.
 Y와 Z는 홀전자 수가 1인 B, F, 홀전자 수가 3인 N 중 하나이다.

하가 증가하여 원자핵과 전자 사이의 인력이 증가하므로 대체로 증가

➋ 제1 이온화 에너지로부터 W, X는?


 제1 이온화 에너지는 2족 원소와 13족 원소, 15족 원소와 16족 원소
한다.

 C와 O의 제1 이온화 에너지는 O>C이다.


 제시된 자료에서 W와 X의 제1 이온화 에너지는 X>W이므로 W
에서 예외적 경향을 나타낸다.

는 C, X는 O이다.

➌ 제1 이온화 에너지로부터 Y, Z는?


 B, C, N, O, F의 제1 이온화 에너지는 F>N>O>C>B이다.
이 가장 작은 C는 Al이고, F과 Mg의 원자 반지
|이온의 전하|
이온 반지름

 제시된 자료에서 제1 이온화 에너지는 Z>Y>X(O)>W(C)이다.
름은 Mg>F이므로 A는 F, B는 Mg이다.
 Y는 홀전자 수가 3인 N, Z는 홀전자 수가 1인 F이다.
➍ W ̄Z의 원자 번호는? B>C, 3주기에서 제1 이온화 에너지는 2족 원소>13족 원소


이므로 B(Mg)>C(Al)이다.
예시 답안

 원자 번호는 W(C)<Y(N)<X(O)<Z(F)이다.

➊ 바닥상태 2주기 원자의 홀전자 수는?


STEP 3 관련 개념 모으기

B와 C를 모두 알아내어 제1 이온화 에너지를 비교하고, 그 까닭을


채점 기준 배점(%)

Li Be B C N O F Ne
100

1 0 1 2 3 2 1 0 B와 C의 제1 이온화 에너지만 옳게 비교한 경우


원자 옳게 설명한 경우
홀전자 수 50

38 바른답·알찬풀이
ㄱ. A는 전자가 들어 있는 s 오비탈 수와 p 오비탈 수가 각각 2이고,
64~67쪽 266 ⑤

C는 전자가 들어 있는 s 오비탈 수와 p 오비탈 수가 각각 3이다. 따


전자가 들어 있는 s 오비탈 수
262 ④ 263 ④ 264 ③ 265 ② 266 ⑤ 267 ①

는 A와 C 모두 1이다.
274 ^18_8A, _11 전자가 들어 있는 p 오비탈 수
^23B
268 ③ 269 ③ 270 ④ 271 ③ 272 ③ 273 ⑤
라서

276 1s^22s^22p^4 ㄴ. A와 B의 원자가 전자는 주 양자수(n)가 2인 2s 오비탈과 2p 오


275 ⑴ (가): 수소 원자의 에너지 준위, (나): 다전자

비탈의 전자이므로 원자가 전자 수는 A가 4, B가 6이다. 따라서


원자의 에너지 준위 ⑵ 해설 참조
278 ⑴ ㉠ A, ㉡ D, ㉢ E, ㉣ B, ㉤ C
B>A이다.
277 해설 참조 ⑵ 해설 참조

ㄷ. A ̄C의 전자 배치는 쌓음 원리, 파울리 배타 원리, 훈트 규칙을


279 해설 참조

모두 만족하는 바닥상태 전자 배치이다.


262 ④
ㄴ. 대부분의 알파(a) 입자가 산란되지 않고 금박을 통과하므로 원자

2주기에서 s 오비탈의 전자 수와 p 오비탈의 전자 수가 각각 4로 같


267 ①
내부의 대부분은 빈 공간임을 알 수 있다.
ㄷ. 소수의 알파(a) 입자가 산란되므로 원자 중심에 (+)전하를 띠는
아서 p =1인 X는 O이고, 홀전자 수와 원자가 전
s 오비탈의 전자 수
오비탈의 전자 수
매우 작고 질량이 큰 입자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ㄱ. 전자는 톰슨의 음극선 실험으로 발견되었다. 자 수가 모두 1인 Y는 Li이다. 또 Y(Li)는 전자가 들어 있는 오비탈
오답 피하기

수가 2이므로 Z는 전자가 들어 있는 오비탈 수가 4인 C이다. X ̄Z


263 ④

X(O): 1s^2 2s^2 2p^4 Y(Li): 1s^2 2s^1 Z(C): 1s^2 2s^2 2p^2


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는 다음과 같다.

X 원자는 원자핵의 전하량이 +3이므로 양성자수와 전자 수가 3이


원자는 전기적으로 중성이므로 양성자수와 전자 수가 같다. 따라서

ㄴ. 원자가 전자 수는 Y(Li)가 1, Z(C)가 4이므로 Z>Y이다.


고, Y 원자는 원자핵의 전하량이 +8이므로 양성자수와 전자 수가 ㄱ. 홀전자 수는 X(O)가 2, Y(Li)가 1이므로 Y<X이다.
8이다. ㄷ. 전자가 2개 들어 있는 s 오비탈 수는 X(O)와 Z(C) 모두 2이다.
오답 피하기

ㄱ. 전자 수는 X 원자가 3, X 이온이 2이다. 따라서 X 이온은 X 원


자가 전자 1개를 잃어 형성된 양이온이다.
ㄴ. X 이온은 전자 수가 2로 1주기 18족 원소인 He의 전자 배치를 268 ③

갖고, Y 이온은 전자 수가 10으로 2주기 18족 원소인 Ne의 전자 자료 분석하기


배치를 가진다. 따라서 이온 반지름은 Y>X이다.
원자에 있는 모든 전자의 주 양자수(n)의 합

ㄷ. X 원자와 Y 원자의 전자 수 차이는 5이다.


nt
오답 피하기 Na
a+9
F

N
a+4

주 양자수(n)가 3 이하이고, (다)>(나)>(가)이므로 (가) ̄(다)의 n


264 ③ a

는 각각 3, 2, 1이다. 따라서 (가)는 1s 오비탈이다. 자기 양자수(m_l)


가 (가)>(나)이고, (가)는 m_l=0이므로 (나)는 m_l=-1인 2p 오비
탈이다. 방위(부) 양자수(l)가 (다)>(나)이고, (나)는 l=1이므로 (다)
0 X Y Z

• n_t는 원자에 있는 모든 전자의 주 양자수(n)의 합이다.


는 l=2인 3d 오비탈이다.  2주기 원자(n=2)는 전자 1개가 증가하면 n_t가 2만큼 증가한다. 
ㄱ. (가)는 1s 오비탈이므로 자기 양자수(m_l)가 0이다.  3주기 원자(n=3)는 전자 1개가 증가하면 n_t가 3만큼 증가한다.
• X와 Y는 n_t 차이가 4이다.
ㄴ. 수소 원자에서 에너지 준위는 주 양자수(n)에 의해서만 달라진
 X와 Y는 모두 2주기 원자이고, 원자 번호는 Y가 X보다 2만큼 크다.
다. 따라서 (나)의 2p 오비탈보다 에너지 준위가 낮은 오비탈은 주 • Y와 Z는 n_t 차이가 5이다.
양자수(n)가 1인 1s 오비탈 1가지이다.  Z는 Y보다 n=2인 전자 1개와 n=3인 전자 1개를 더 가진다.
 Z는 원자 번호가 11인 3주기 원자 Na이다.
ㄷ. 방위(부) 양자수(l)는 (다)>(나)이고, (나)는 2p 오비
 Y는 원자 번호가 9인 2주기 원자 F이고, X는 원자 번호가 7인 2주
탈이므로 방위(부) 양자수(l)가 1이다. 따라서 (다)의 방위(부) 양자수
오답 피하기

기 원자 N이다.
(l)는 2이다.
X ̄Z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는 다음과 같다.
X(N): 1s^2 2s^2 2p^3 Y(F): 1s^2 2s^2 2p^5 Z(Na): 1s^2 2s^2 2p^6 3s^1
ㄱ. X(N)의 n_t는 (1\2)+(2\5)=12이므로 a=12이다.
265 ②
(가)는 공 모양의 s 오비탈, (나)와 (다)는 아령 모양의 p 오비탈이다.
ㄷ. (가)는 방위(부) 양자수(l)와 자기 양자수(m_l)가 모두 0이다. ㄷ. 모든 전자의 방위(부) 양자수(l)의 합은 X(N)가 (0\4)+(1\3)
ㄱ. 방위(부) 양자수(l)는 (나)와 (다) 모두 1이다. =3, Y(F)가 (0\4)+(1\5)=5이다. 따라서 Y>X이다.
ㄴ. (나)와 (다)의 p 오비탈은 방향만 다르고 에너지 준위는 같다. ㄴ. 홀전자 수는 Y(F)와 Z(Na) 모두 1이다.
오답 피하기

오답 피하기

바른답·알찬풀이 39
269 ㄷ. f(Ne)에서 a(Na)로 주기가 증가할 때 유효 핵전하는 급격히 감
소하므로 원자가 전자가 느끼는 유효 핵전하는 f>a이다.

자료 분석하기 주기율표와 원소의 주기성


ㄱ. 같은 주기에서 원자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
소한다. 원자 번호는 d(N)<c(O)이므로 원자 반지름은 c<d이다.
오답 피하기

1 2 13 14 15 16 17 18
주기

2 B(Li) A(O)
271 ③
3 C(Mg) D(P) 자료 분석하기 이온 반지름과 제1 이온화 에너지의 주기성
1 0 1 2 3 2 1 0


 와 B가 3주기 원소라면 홀전자 수가 A>B이므로 A는 3주기 15족
홀전자 수

•A
원소, B는 3주기 2족 원소이다.
1
DN

이온화 에너지
1500
OC
•  A와 B의 홀전자 수가 각각 3, 0이므로 홀전자 수가 A>B>C인 조
홀전자 수 3
홀전자 수 2
1000

•  A와 B는 2주기 원소이므로 A는 2주기 16족 원소(O), B는 2주기 1


B Mg
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Al A 홀전자 수 0
홀전자 수 1
• B의 홀전자 수가 1이므로 C는 홀전자 수가 0인 3주기 2족 원소(Mg)
족 원소(Li)이다. 500

(
kJ
mol

•  D는 3주기 15족 원소(P)이다.


이다.

)
0 50 100 150 200
이온 반지름(pm)

• 원자 번호가 7 ̄13인 원자는 N, O, F, Na, Mg, Al이다.(Ne은 제외)


ㄱ. 같은 주기에서 원자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한다.
원자 번호는 B(Li)<A(O)이므로 원자 반지름은 B>A이다. 이온 반지름은 N>O>F>Na>Mg>Al이다.
•  전자 배치가 같은 이온의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하므로

•2  주기에서 제1 이온화 에너지는 F>N>O이고, 3주기에서 제1 이온


화 에너지는 Mg>Al>Na이다.
ㄴ. 전자 배치가 같은 이온의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한
다. 원자 번호는 A(O)<C(Mg)이므로 이온 반지름은 A>C이다. •  제1 이온화 에너지는 3주기 2족 원소인 Mg이 2주기 16족 원소인
O보다 작으므로 F>N>O>Mg>Al>Na이다.
• 제시된 A ̄D의 이온 반지름과 제1 이온화 에너지는 D>C>B>A
ㄷ. 같은 주기에서 유효 핵전하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증가한다. 원자 번호는 C(Mg)<D(P)이므로 유효 핵전하는 C<D
오답 피하기

•  A는 Al, B는 Mg, C는 O, D는 N이다.


이다.
이다.
•  A ̄D의 홀전자 수는 각각 1, 0, 2, 3이다.

270 ㄱ. 원자 반지름은 3주기 원자>2주기 원자이고, 같은 주기에서 원


제1 이온화 에너지의 주기성 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하므로 B(Mg)가 가장 크다.


ㄷ. 바닥상태 전자 배치는 A(A l)가 1s^2 2s^2 2p^6 3s^2 3p^1, C(O)가
자료 분석하기

1s^2 2s^2 2p^4이다. 따라서 바닥상태에서 전자가 들어 있는 p 오비탈 수


1

는 A가 4, C가 3이므로 A>C이다.
이온화 에너지 상( 댓값

Ne
F
N
ㄴ. 같은 주기에서 유효 핵전하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증
가한다. 원자 번호는 D(N)<C(O)이므로 유효 핵전하는 D<C이다.
오답 피하기
O
Mg
Na

272 ③
)

0 a b c d e f 자료 분석하기 바닥상태 원자의 홀전자 수와 원자 반지름


• 바닥상태에서 전자가 들어 있는 p 오비탈 수가 3인 원자는 N, O, F,
AN B Cl CS DO EF
Ne, Na, Mg이다.
y+1 y+1
원자
x y y
N 1s^2 2s^2 2p^3 Ne 1s^2 2s^2 2p^6
홀전자 수

O 1s^2 2s^2 2p^4 Na 1s^2 2s^2 2p^6 3s^1 1.4a 1.4b b a


원자 반지름

F 1s^2 2s^2 2p^5 Mg 1s^2 2s^2 2p^6 3s^2
(상댓값)

• A ̄E는 각각 N, O, F, S, Cl 중 하나이다.
•2
 주기에서 제1 이온화 에너지는 Ne>F>N>O이고, 3주기에서 제1  N, O, F, S, Cl의 홀전자 수는 각각 3, 2, 1, 2, 1이다.
이온화 에너지는 Mg>Na이다.  y=1이다.
 제1 이온화 에너지는 3주기 2족 원소인 Mg이 2주기 16족 원소인 •B  와 E는 홀전자 수가 1인 F과 Cl 중 하나이다.
O보다 작으므로 Ne>F>N>O>Mg>Na이다.  원자 반지름이 B>E이므로 B는 3주기에 속하는 Cl, E는 2주기에
 제시된 a ̄f의 제1 이온화 에너지는 f>e>d>c>b>a이다. 속하는 F이다.
 a는 Na, b는 Mg, c는 O, d는 N, e는 F, f는 Ne이다. • C와 D는 홀전자 수가 2인 O와 S 중 하나이다.
 원자 반지름이 C>D이므로 C는 3주기에 속하는 S, D는 2주기에
속하는 O이다.
•A  는 N이고, 홀전자 수가 3이므로 x=3이다.
ㄴ. 전자 배치가 같은 이온의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한
다. 원자 번호는 e(F)<b(Mg)이므로 이온 반지름은 e>b이다.

40 바른답·알찬풀이
ㄱ. x=3, y=1이므로 x+y=4이다.
ㄴ. 2주기에서 제1 이온화 에너지는 17족 원소>16족 원소이다. 따
채점 기준 배점(%)

라서 제1 이온화 에너지는 E(F)>D(O)이다.


수소 원자와 다전자 원자에서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 차이를 원자핵
100
과 전자, 전자와 전자 사이에 작용하는 힘과 관련지어 설명한 경우

ㄷ. 같은 주기에서 유효 핵전하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증 수소 원자에서는 주 양자수(n), 다전자 원자에서는 주 양자수(n)와

가한다. 원자 번호는 C(S)<B(Cl)이므로 유효 핵전하는 C<B이다.


오답 피하기
50
방위(부) 양자수(l)에 따라 달라진다고만 설명한 경우

1s^2 2s^2 2p^4
바닥상태에서 A는 전자가 들어 있는 오비탈 수가 5이므로 1s 오비
273 ⑤ 276

탈, 2s 오비탈, 2p 오비탈에 전자가 들어 있다. 따라서 n+l=3인


자료 분석하기 순차 이온화 에너지와 방위(부) 양자수, 홀전자 수


Be
전자는 2p 오비탈의 전자이고, 그 수가 4이므로 A의 바닥상태 전자
배치는 1s^2 2s^2 2p^4이다.
-
E™
상( 댓값

X는 p 오비탈의 전자 수가 7이므로 2p 오비탈이 모두 채워져 있고,


277
)

C
B Li

3p 오비탈에 전자 1개가 들어 있다. Y는 s 오비탈의 전자 수가 5이


므로 1s 오비탈, 2s 오비탈이 모두 채워져 있고, 3s 오비탈에 전자 1
0 W X Y Z

E_3 개가 들어 있다. Z는 s 오비탈과 p 오비탈의 전자 수가 모두 6이므로


•Z
E_2
1s, 2s, 2p, 3s 오비탈이 모두 채워져 있다.
는 가 가장 크다.

 Z는 E_3가 급격히 증가했으므로 2주기 2족 원소인 Be이다.


 원자 번호가 연속이므로 W ̄Z는 (Li, Be, B, C) 또는 (Be, B, C, N) Y, Z, X, 바닥상태 전자 배치는 X가 1s^2 2s^2 2p^6 3s^2 3p^1, Y가
1s^2 2s^2 2p^6 3s^1, Z가 1s^2 2s^2 2p^6 3s^2이다. 따라서 X ̄Z는 모두 3주기 원자이
예시 답안

• 모든 전자의 방위(부) 양자수(l)의 합은 X와 Z가 같다.  고, 각각 13족, 1족, 2족에 속한다. 같은 주기에서 유효 핵전하는 원자 번호가
이다.

 Z(Be)는 모든 전자의 방위(부) 양자수(l)의 합이 0이다. 커질수록 증가하므로 원자가 전자가 느끼는 유효 핵전하는 Y<Z<X이다.
 Li, B, C, N 중에서 모든 전자의 방위(부) 양자수(l)의 합이 0인 것은
Li이므로 X는 Li이다.
 W ̄Z의 조합은 (Li, Be, B, C)이다.
채점 기준 배점(%)
Y, Z, X를 쓰고, 바닥상태 전자 배치와 관련지어 그 까닭을 옳게 설
•W  와 X의 홀전자 수는 같다.
 X(Li)는 홀전자 수가 1이다.
100
명한 경우
Y, Z, X만 옳게 쓴 경우
 B, C 중에서 홀전자 수가 1인 것은 B이다.
50

 W는 B, X는 Li, Y는 C, Z는 Be이다.

⑴ 3주기 금속 원소인 B가 ㉣이므로 A는 ㉠, C는 ㉤이다. 원자가


278
원자 번호는 X(Li)<Z(Be)<W(B)<Y(C)이다.
ㄱ. Y(C)는 14족 원소이므로 원자가 전자 수는 4이다. 전자 수는 ㉢>㉡이므로 D는 ㉡, E는 ㉢이다.
E_2 D>E>B, 전자 배치가 같은 이온의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커질
ㄷ. X(Li)는 E_2가 급격히 증가하므로 는 X(Li)>Z(Be)이다.
E_1

수록 감소하고, 원자 번호는 D(N)<E(O)<B(Na)이므로 이온 반지름은 D>E
예시 답안

ㄴ. 같은 주기에서 원자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B이다.


감소하므로 W(B)<X(Li)이다.
오답 피하기

채점 기준 배점(%)

^18_8&A, _11
^23&B
이온 반지름을 비교하고, 그 까닭을 옳게 설명한 경우 100
274 이온 반지름만 옳게 비교한 경우 50
원자를 원소 기호로 나타낼 때 원소 기호의 왼쪽 아래에 원자 번호를

와 같다. 원자핵의 전하량을 양성자 1개의 전하량으로 나누면 양성


쓰고, 왼쪽 위에 질량수를 쓴다. 이때 원자 번호는 원자의 양성자수

2족 원소, 13족 원소, 14족 원소의 홀전자 수는 각각 0, 1, 2이므로


279
자수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A는 양성자수가 8, 중성자수가 10, 질
총합이 3이다.
량수가 18이고, B는 양성자수가 11, 중성자수가 12, 질량수가 23
Y>Z>X, 원자 번호가 연속이면서 홀전자 수의 총합이 3인 경우
는 2족 원소, 13족 원소, 14족 원소이고, 같은 주기에서 원자 반지름은 원자
예시 답안
이다.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하므로 X는 13족, Y는 14족, Z는 2족에 속한다. 2주기


에서 제1 이온화 에너지는 14 족 원소> 2 족 원소> 13 족 원소이므로
275
⑴ 수소 원자의 에너지 준위는 주 양자수(n)에 의해서만 달라진다. Y>Z>X이다.
⑵ 예시 답안 수소 원자에서는 원자핵과 전자 사이의 인력만 작용하므로 오비

제1 이온화 에너지를 옳게 비교하고, 그 까닭을 설명한 경우


채점 기준 배점(%)
탈의 에너지 준위가 주 양자수(n)에 의해서만 달라진다. 다전자 원자에서는 원

제1 이온화 에너지만 옳게 비교한 경우


100
자핵과 전자 사이의 인력뿐만 아니라 전자와 전자 사이의 반발력도 작용하므
로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가 주 양자수(n)와 방위(부) 양자수(l)에 따라 달라진다. 50

바른답·알찬풀이 41
Ⅲ 화학 결합과 분자의 세계 70~72쪽

288 (+)극: 염소(Cl_2), (-)극: 나트륨(Na) 289 ③ 290 ②


293 이온 결합, AB&_2
9 이온 결합
291 ④ 292 ③ 294 ②
295 ⑴ KF, 플루오린화 칼륨 ⑵ Na_2&O, 산화 나트륨 ⑶ MgCl_2, 염화 마그
네슘 ⑷ Al_2&O_3, 산화 알루미늄 296 A&^+, B^2-, C&^-, E^2+
개념 확인 문제 69쪽

280 ㉠ 나트륨(Na), ㉡ 염소(Cl_2) 281 전자


283 b 284 ×
297 ② 298 ④ 299 ① 300 ⑤ 301 ④
282 ㉠ 반발력, ㉡ 인력
287 CaO
302 해설 참조 303 해설 참조
285 ◯ 286 ◯

280 ㉠ 나트륨(Na), ㉡ 염소(Cl_2) 288 (+)극: 염소(Cl_2), (-)극: 나트륨(Na)

염화 나트륨 용융액에 전류를 흘려 주면 (-)극에서는 나트륨 이온 NaCl 용융액의 전기 분해


(Na^+)이 전자를 얻어 금속 나트륨(Na)이 생성되고, (+)극에서는
자료 분석하기

• (+) 극에서는 염화 이온이 전자를


염화 이온(Cl^-)이 전자를 잃어 염소(Cl_2) 기체가 생성된다.
2Cl^- ―→ Cl_2 + 2e&^-
잃는 반응이 일어난다.
NaCl
• (-) 극에서는 나트륨 이온이 전자
용융액
281 전자

Na^+ + e&^- ―→ Na
를 얻는 반응이 일어난다.
염화 나트륨 용융액이나 물에 전극을 연결하여 전기 분해 하면 성분
(-) (+)
원소로 분해되는 것으로 보아 화학 결합에 전자가 관여하는 것을 알 전원 장치
수 있다.
염화 나트륨(NaCl) 용융액을 전기 분해 하면 (+)극에서는 Cl^-이
282 ㉠ 반발력, ㉡ 인력 전자를 잃어 Cl_2 기체가 생성되고, (-)극에서는 Na^+이 전자를 얻어
(가)는 이온 사이의 반발력에 의한 에너지 변화, (나)는 이온 사이의 금속 Na이 생성된다.
인력에 의한 에너지 변화이다.

b
289 ③
ㄱ. (+)극에서는 자극적인 냄새가 나는 기체인 Cl_2가 생성된다.
283
이온 사이의 인력과 반발력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인 b에서 이온 결
ㄷ. NaCl 용융액의 전기 분해 실험을 통해 이온 결합의 형성에 전자
합이 형성된다.
가 관여함을 알 수 있다.
오답 피하기 ㄴ. (-)극에서는 Na^+이 전자를 얻어 금속 Na이 생성되
284
는 반응이 일어난다.
이온 결합 물질은 독립된 분자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양이온과 음
이온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결정 구조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염화 나
트륨(NaCl)은 그림과 같은 구조를 이룬다.
290 필수 유형 ②

Cl— Na± 자료 분석하기 물의 전기 분해

(가) (나)

전류를 흐르게 (-) (+)


물 + NaOH 하는 역할
285
• (+)극에서는 물이 전자를 잃어 산소 기체가 생성된다.
2H_2&O ―→ O_2 + 4H^+ + 4e&^-  (가)는 산소 기체이다.
이온 결합 물질은 액체 상태에서 양이온과 음이온이 이동할 수 있으

• (-)극에서는 물이 전자를 얻어 수소 기체가 생성된다.


므로 전기 전도성이 있다.

4H_2&O + 4e&^- ―→ 2H_2 + 4OH&^-  (나)는 수소 기체이다.


286 • 전체 반응식: 2H_2&O ―→ 2H_2 + O_2

ㄴ. (-)극에서는 물이 전자를 얻어 수소 기체가 생성된다.


이온 결합 물질에 힘을 가하면 이온의 위치에 변화가 생겨 같은 전하

ㄱ. (+)극에서는 산소 기체가 생성되고, (-)극에서는 수


를 띠는 이온끼리 강하게 반발하므로 쉽게 쪼개지거나 부서진다.
오답 피하기

287 CaO 소 기체가 생성되므로 (가)는 산소 기체, (나)는 수소 기체이다.


이온 사이의 거리가 가장 가깝고 이온의 전하량이 큰 CaO의 녹는점 ㄷ. 물에 넣어 준 수산화 나트륨은 전류를 흐르게 하는 역할만 하고,
이 가장 높다. 물이 산소와 수소로 전기 분해된다.

42 바른답·알찬풀이
ㄴ. B는 2주기 17족 원소이므로 원자가 전자 수는 7이다.
ㄱ. A는 4주기 1족 원소이다.
291
X는 3주기 1족 금속 원소이고, Y는 3주기 17족 비금속 원소이다.

반응에서 X는 전자를 1개 잃어 X^+이 되고, Y는 전자를 1개 얻어 ㄷ. AB는 금속 원소의 양이온과 비금속 원소의 음이온이 결합한 이
오답 피하기

Y&^-이 되며, X^+과 Y&^-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XY가 생성된다. 온 결합 물질이므로 고체 상태에서는 전기 전도성이 없다.
ㄴ. (가)는 X^+과 Y&^-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결합한 화합물이다.
295
A^a+과 B^b-이 결합하여 생성되는 물질의 화학식은 A_b&B_a이다.
ㄷ. (가)는 이온 결합 물질로, 고체 상태에서는 이온의 이동이 자유롭

ㄱ. (가)는 독립된 분자로 존재하지 않고, X^+과 Y&^-이 1`Û`1 ⑴ K^+과 F&^-은 1`Û`1로 결합하여 KF(플루오린화 칼륨)을 생성한다.
지 않아 전기 전도성이 없다.

⑵ Na^+과 O^2-은 2`Û`1로 결합하여 Na_2&O(산화 나트륨)을 생성한다.


오답 피하기

⑶ Mg^2+과 Cl^-은 1`Û`2로 결합하여 MgCl_2(염화 마그네슘)을 생성


의 개수비로 결합한 이온 결정으로 존재한다.

⑷ Al^3+과 O^2-은 2`Û`3으로 결합하여 Al_2&O_3(산화 알루미늄)을 생성


292 필수 유형 ③ 한다.

자료 분석하기 이온 결합의 형성과 에너지 변화


한다.
⑴ KF, 플루오린화 칼륨 ⑵ Na_2&O, 산화 나트륨 ⑶ MgCl_2, 염
에너지

화 마그네슘 ⑷ Al_2&O_3, 산화 알루미늄



(가) 반발력에 의한 에너지 변화

A^+, B^2-, C&^-, E^2+


0 a
r
296
금속 원소는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되어 18족 원소와 같은 전자 배치
전체 에너지 변화

를 이루고, 비금속 원소는 전자를 얻고 음이온이 되어 18족 원소와


(나) 인력에 의한 에너지 변화
re

•A는 원자가 전자 수가 1이므로 전자 1개를 잃어 A^+이 된다.


같은 전자 배치를 이룬다.

• 이온 사이의 거리가 r&_e일 때 인력과 반발력이 균형을 이루므로 이 지점에 •B는 원자가 전자 수가 6이므로 전자 2개를 얻어 B^2-이 된다.
• (가)는 반발력에 의한 에너지 변화, (나)는 인력에 의한 에너지 변화이다.

•C는 원자가 전자 수가 7이므로 전자 1개를 얻어 C&^-이 된다.


서 이온 결합이 형성된다.

•E는 원자가 전자 수가 2이므로 전자 2개를 잃어 E^2+이 된다.


ㄱ. (가)는 반발력에 의한 에너지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나)는 인력
에 의한 에너지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ㄷ. 이온 사이의 거리가 r&_e일 때 인력과 반발력이 균형을 이루어 에너
297
ㄴ. EC_2에서 E^2+은 금속 원소인 E가 전자 2개를 잃어 생성된 양이

온으로, 비활성 기체인 D와 전자 배치가 같다. 또 C&^-은 비금속 원소


지가 가장 낮다. 따라서 이 지점에서 이온 결합이 형성된다.
ㄴ. a에서는 반발력이 인력보다 우세하게 작용한다.
인 C가 전자 1개를 얻어 생성된 음이온으로, 비활성 기체인 D와 전
오답 피하기

이온 결합, AB&_2
자 배치가 같다.
ㄱ. A와 B가 전자를 잃거나 얻어 생성된 안정한 이온은
293
금속 원소인 A는 전자 2개를 잃어 A^2+이 되고, 비금속 원소인 B는
각각 A^+, B^2-이다. 이들 이온은 A^+`Û`B^2-=2`Û`1의 개수비로 결
오답 피하기

전자 1개를 얻어 B&^-이 된다. A^2+과 B&^- 사이에는 정전기적 인력이


합하여 화합물 A_2&B를 생성한다.
작용하여 이온 결합이 형성되는데, 이때 A^2+`Û`B&^-=1`Û`2의 개수비
로 결합하여 화합물 AB&_2가 생성된다.
ㄷ. 이온 결합 물질은 금속 양이온과 비금속 음이온으로 이루어져 있
다. B와 C는 모두 비금속 원소이므로 BC_2는 공유 결합 물질이다.

294 ②
298 ④
자료 분석하기 이온 결합의 형성 ④ 상온에서 고체 상태로 존재하며, 액체와 수용액 상태에서 전기 전
전자 1개 잃음. 전자 1개 얻음. 도성이 있는 물질은 이온 결합 물질이다. 이온 결합 물질은 외부에서
± 힘을 가하면 이온의 배열이 변하여 같은 전하를 띤 이온들 사이에 반

+ + + + 발력이 작용하므로 부서지거나 쪼개지기 쉽다. 이온 결합 물질은 금
속 원소와 비금속 원소가 결합하여 생성되므로, 보기의 물질 중
CaCl_2이 이에 해당한다.
① Fe은 금속 원소이다.
A A± B— B

•A  ^+는 A가 전자 1개를 잃어 생성된 이온이므로, A는 A^+보다 전자가


②, ⑤ Cl_2와 C_6&H_12&O_6은 모두 비금속 원소로 이루어진 공유 결합 물
오답 피하기

1개 더 많다.  A는 4주기 1족 원소이다.


•B  &^-는 B가 전자 1개를 얻어 생성된 이온이므로, B는 B&^-보다 전자가 1
개 더 적다.  B는 2주기 17족 원소이다.
질이다.
③ HCl는 물에 녹아 이온화하므로 수용액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 AB는 A^+과 B&^-이 정전기적 인력으로 결합한 이온 결합 물질이다.
있지만, 비금속 원소인 수소와 염소로 이루어진 공유 결합 물질이다.

바른답·알찬풀이 43
299 ① 302
예시 답안 녹는점은 AX가 AY보다 높다. 이온 결합 물질의 녹는점은 이온 사
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이온의 전하량이 클수록 높다. AX와 AY는 구성 이
자료 분석하기 이온 결합 모형

전자 2개 잃음. 전자 2개 얻음.
온의 전하량이 같고, 이온 사이의 거리는 AX<AY 이므로 녹는점은 AX>
AY이다.
¤± ¤—

+ + + +
채점 기준 배점(%)
녹는점을 옳게 비교하고, 그 까닭을 이온의 전하량 및 이온 사이의
A A¤± B¤— B 100

• 화합물 AB에서 A는 금속 원소이고, B는 비금속 원소이다.


거리를 비교하여 설명한 경우

• 금속 양이온인 A^2+은 A 원자가 전자 2개를 잃어 생성된 것이므로, A는


녹는점을 옳게 비교하고, 그 까닭을 이온 사이의 거리만 비교하여
70

A^2+보다 전자가 2개 더 많다.


설명한 경우

• 비금속 음이온인 B^2-은 B 원자가 전자 2개를 얻어 생성된 것이므로, B


녹는점만 옳게 비교한 경우 30

는 B^2-보다 전자가 2개 더 적다.


303
ㄴ. AB는 A^2+과 B^2-이 결합하여 생성된 이온 결합 물질이다. 이온 예시 답안 이온 결합 물질은 외부에 힘을 가함.

결합 물질은 액체 상태에서 이온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서 힘을 가하면 이온의 위치가 변하


+- - +- - +- -
면서 같은 전하를 띠는 이온끼리 접 - +- - + - +

ㄱ. A^2+은 2주기 비활성 기체인 Ne과 전자 배치가 같으


전기 전도성이 있다. + -
하여 반발력이 작용하므로 쉽게 부 +- - +- - - + + -

므로, A는 Ne보다 전자가 2개 더 많은 3주기 2족 원소이다. 또 B^2-


오답 피하기
- + - + + - - +
서지거나 쪼개진다.

도 2주기 비활성 기체인 Ne과 전자 배치가 같으므로, B는 Ne보다


- + 쪼개짐.

전자가 2개 더 적은 2주기 16족 원소이다.


채점 기준 배점(%)

ㄷ. AB는 이온 결합 물질로,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이온의 배열이


이온 결합 물질에 힘을 가했을 때의 입자 모형을 옳게 그리고 일어나
100

입자 모형이나 힘을 가했을 때의 변화 중 1가지만 옳은 경우


는 변화를 옳게 설명한 경우
달라져 같은 전하를 띤 이온 사이에 반발력이 작용하므로 쉽게 부서 50
지거나 쪼개진다.

300 ⑤
AB&_2는 이온 결합 물질이다. 이온 결합 물질은 전기적으로 중성이므
로 양이온과 음이온의 전하량 총합은 0이다.
73쪽

ㄱ. AB&_2의 화학 결합 모형에서 음이온 전하량의 합이 -2이므로 양


이온인 A^n+에서 n=2이다.
307 ⑴ 해설 참조 ⑵ A: O_2, B: H_2, 1`Û`2
304 ① 305 ② 306 ③

ㄴ. A가 A^2+이 될 때 전자 2개를 잃어 Ne과 같은 전자 배치를 가지


⑶ 해설 참조

므로 A는 3주기 2족 금속 원소이다. 따라서 A는 고체 상태에서 전


기 전도성이 있다.
ㄷ. AB&_2는 액체 상태에서 이온이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전기 전도성이
304 ①
ㄱ. 이온 사이의 거리는 (가)>(나)이고, 이온 반지름은 Mg^2+<Ca^2+
있다. 이므로 (가)는 CaS, (나)는 MgS이다.
ㄴ. 이온의 전하량이 같을 때 이온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
수록 녹는점이 높아진다. 따라서 녹는점은 (가)<(나)이다.
오답 피하기

301 ④
이온 결합 물질은 고체 상태에서는 이온들이 강하게 결합하여 이동 ㄷ. 이온 반지름은 O^2-&<S^2-이므로 이온 사이의 거리는 MgO<
할 수 없으므로 전기 전도성이 없고, 액체 상태에서는 이온들이 이동 MgS이다. 따라서 이온 사이의 거리가 더 가까운 MgO이 MgS보다
할 수 있으므로 전기 전도성이 있다.
ㄱ. XY는 고체 상태에서는 전기 전도성이 없고, 액체 상태에서는 전
녹는점이 높다.

305 ②
A는 수소(H), B는 리튬(Li), C는 산소(O), D는 플루오린(F)이다.
기 전도성이 있으므로 이온 결합 물질이다.

ㄴ. B&_2&C(Li_2&O)는 이온 결합 화합물이므로 액체 상태에서 전기 전도


ㄷ. 이온 결합 물질에 힘을 가하면 이온이 이동하면서 같은 전하를
띤 이온끼리 접할 수 있는데, 이때 이온 사이의 반발력이 작용하므로
성이 있다.
ㄱ. A_2&C(H_2&O)는 비금속 원소로 이루어진 공유 결합 물질
부서지거나 쪼개지기 쉽다.
ㄴ. 이온 결합 물질인 XY는 금속 원소와 비금속 원소로
이루어져 있다. 반응식 2X + Y&_2 ―→ 2XY에서 분자인 Y&_2를 이
오답 피하기 오답 피하기

이다.
루는 Y는 비금속 원소이고, X는 금속 원소이다. 따라서 X는 고체 ㄷ. AD(HF)는 비금속 원소로 이루어진 공유 결합 물질이므로 액체 상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있다. 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없다.

44 바른답·알찬풀이
306 ③ 10 공유 결합과 금속 결합
자료 분석하기 이온 결합 화합물의 전자 배치
개념 확인 문제 75쪽

310 ×
± —
¤± ¤— 308 ◯ 309 ◯ 311 ◯
312 ×
+ + + + +
313 자유 전자 314 (가) 315 (다)
316 (나)

 는 A^+보다 전자 1개가 더 많다.  A는 3주기 1족 원소이다.


A± CD— B¤± C¤—

•A
• B는 B^2+보다 전자 2개가 더 많다.  B는 3주기 2족 원소이다.
• C는 C^2-보다 전자 2개가 더 적다.  C는 2주기 16족 원소이다.
308
• CD&^-의 화학 결합 모형에서 가장 바깥 전자 껍질에 존재하는 전자 수는 CO_2 분자에서 C 원자와 2개의 O 원자가 각각 2개의 전자쌍을 공유
14이고, CD&^-의 전하량이 -1이므로 C와 D의 원자가 전자 수의 합은 하여 결합하므로 분자 내에 2중 결합이 존재한다.
13이다. 이때 C의 원자가 전자 수는 6이므로 D의 원자가 전자 수는 7
이다.  D는 3주기 17족 원소이다.
공유
전자쌍
8+ 6+ 8+

ㄱ. Ne과 전자 배치가 같은 A^+은 A가 전자 1개를 잃어 생성된 이


온이므로 A는 3주기 1족 원소이다. 또한 CD&^-의 화학 결합 모형에
O C O

서 D는 3주기 17족 원소이다.


ㄴ. A는 3주기 1족, B는 3주기 2족 원소이다. 같은 주기에서 원자
309
C는 2개의 O 원자와 전자쌍을 공유하여 가장 바깥 전자 껍질에 8개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감소하므로 원자 반지름은 A>B이다. 의 전자를 채움으로써 Ne과 같은 전자 배치를 이룬다. 즉, C는 옥텟
ㄷ. A와 C의 안정한 화합물은 A^+과 C^2-이 결합한 이온
결합 물질이므로 A_2&C이다.
오답 피하기
규칙을 만족한다.

310
O는 전자를 얻어 음이온이 되는 것이 아니라, C 원자와 전자쌍을 공
유하여 가장 바깥 전자 껍질에 8개의 전자를 갖는다.
307
서술형 해결 전략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311


물의 전기 분해 실험에서 생성되는 기체의 종류와 부피비를 알고, 물의 전기
공유 결합 물질은 비금속 원자 사이의 공유 결합으로 형성된다.
분해 실험 결과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STEP 2 관련 개념 모으기
312
➊ 순수한 물은 전류가 통하지 않는데, 물의 전기 분해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은? 흑연을 제외한 대부분의 공유 결합 물질은 고체 상태에서 전기 전도
 물에 수산화 나트륨, 황산 나트륨 등의 전해질을 넣으면 물에 전류가 성이 없다.
흐르므로 전기 분해가 가능해진다.

 (+)극에서는 O_2( g), (-)극에서는 H_2( g)가 생성된다. 이때 O_2( g)와


➋ 물의 전기 분해 시 각 전극에서 생성되는 기체의 종류 및 부피비는?
313 자유 전자

H_2( g)의 부피비는 1`Û`2이다. 금속 결합은 금속 양이온과 자유 전자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결합이다. 금속의 전기 전도성, 전성, 연성 등의 성질은 자유 전자가
⑴ 금속 양이온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므로 나타난다.
Na_2&SO_4을 넣는다.
예시 답안 순수한 물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전류가 흐르게 하기 위해

⑵ (+)극에서 생성되는 A( g)는 O_2( g)이고, (-)극에서 생성되는 314 (가)

B( g)는 H_2( g)이다. 물의 전기 분해에서 전체 반응식은 다음과 같으


므로 O_2( g)와 H_2( g)의 부피비는 1`Û`2이다.
(가)의 금속 결정에서는 자유 전자가 금속 양이온 사이를 자유롭게

2H_2&O(l) ―→ 2H_2( g) + O_2( g)


이동하므로 고체와 액체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있다.

⑶ 예시 답안 물을 전기 분해 하면 성분 원소로 분해되므로 물을 구성하는 산 315 (다)


소 원자와 수소 원자의 결합에 전자가 관여함을 알 수 있다. (다)의 이온 결정은 고체 상태에서는 이온이 이동할 수 없어 전기 전
도성이 없지만, 액체와 수용액 상태에서는 양이온과 음이온이 자유
채점 기준 배점(%)
⑴ Na_2&SO_4(aq)을 넣는 까닭을 옳게 설명한 경우
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전기 전도성이 있다.
100
산소 원자와 수소 원자의 결합에 전자가 관여한다는 점을 언급
100
하여 옳게 설명한 경우 316 (나)

물 분자를 구성하는 입자를 언급하지 않고 결합에 전자가 관여 (나)의 공유 결정은 구성 원자들이 공유 결합으로 그물처럼 연결되어
70
한다고만 설명한 경우 있으므로 녹는점이 매우 높다.

바른답·알찬풀이 45
76~79쪽 321 필수 유형 ②

⑴ NH_3 ⑵ 공유 전자쌍 수: 3, 비공유 전자쌍


자료 분석하기 공유 결합 물질의 화학 결합 모형

• A 원자: 원자가 전자 수가 1인 1주기


수: 1
317 ④ 318 ④ 319
320 I&_2, HF, H_2&SO_4 321 ② 322 ④ 323 ⑤
324 ⑴ 이온 결합, B&_2&D ⑵ CA_3 •B  원자: A_2&B에서 B 원자 주위의 비공
원소이다.

유 전자쌍 수는 2, 공유 전자쌍 수도 2
325 해설 참조 326 ⑤ +

이므로 B는 원자가 전자 수가 6인 2주
327 ① 328 ② 329 ② 330 ② 331 ④ 332 ③
333 ⑤ 334 ④ + +
기 원소이다.

같은 종류의 원자가 2개이므로


A_2&B에서 A에 해당
317 ④
•학생 A: 비금속 원소의 원자가 화합물을 형성할 때는 전자의 이동
ㄷ. A_2 분자에서 A 원자들은 1개의 전자쌍을 공유하여 He과 같은
전자 배치를 이루고, B&_2 분자에서 B 원자들은 2개의 전자쌍을 공유
에 의해 양이온과 음이온을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원자들이 각각 전

하여 Ne과 같은 전자 배치를 이루므로 공유 전자쌍 수는 B&_2>A_2


자를 내놓아 만든 전자쌍을 공유하면서 결합을 형성한다.
•학생 C: 공유 결합 물질은 대부분 분자로 존재하지만, 다이아몬드

ㄱ. A_2&B는 2개의 단일 결합을 포함하며, 2중 결합은 포함


이다.
등의 공유 결정은 원자들이 분자를 형성하지 않고 연속으로 공유 결
오답 피하기
합을 이루어 그물처럼 연결된 결정으로 존재한다.
•학생 B: 같은 종류의 비금속 원자들이 결합하는 경우에
ㄴ. A_2&B에서 공유 전자쌍 수는 2이고, 비공유 전자쌍 수도 2이므로
하지 않는다.

도 원자들이 전자쌍을 공유하면서 결합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H_2,


오답 피하기

O_2, N_2 등은 모두 공유 결합으로 생성된 물질이다. =1이다.


비공유 전자쌍 수
공유 전자쌍 수

318
ㄴ. 염화 수소 분자에서 공유 전자쌍 수는 1이고, 결합에 참여하지
④ 322
AB&_2는 A 원자 1개와 B 원자 2개로 이루어진 분자이고, CD_2&A는 C

않는 비공유 전자쌍 수는 3이다. 원자 1개, D 원자 2개, A 원자 1개로 이루어진 분자이다.


ㄷ. 염화 수소 분자에서 염소 원자는 가장 바깥 전자 껍질에 8개의 ㄱ. 화학 결합 모형에서 AB&_2는 원자가 전자 수가 7인 원자 2개와 원
전자를 가지므로 옥텟 규칙을 만족한다. 자가 전자 수가 6인 원자 1개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A는 원자가
전자 수가 6인 산소이고, B는 원자가 전자 수가 7인 플루오린이다.
각각 전자 1개씩을 내놓아 만들어진 전자쌍을 공유하여 결합함으로
ㄱ. 염화 수소는 비금속 원소인 수소 원자와 염소 원자가
ㄴ. CD_2&A에서 A가 산소이므로 C는 원자가 전자 수가 4인 탄소이
오답 피하기

써 생성된다. 즉, 염화 수소는 공유 결합 물질이다. 고, D는 수소이다. 따라서 CA_2(CO_2)의 공유 전자쌍 수는 4이다.


ㄷ. 공유 전자쌍 수는 CB&_4(CF_4)가 4이고, C_2&D_2(C_2&H_2)는
⑴ NH_3 ⑵ 공유 전자쌍 수: 3, 비공유 전자쌍 수: 1 5이다.
오답 피하기

319
⑴ 질소 원자의 원자가 전자는 5개이므로 옥텟 규칙을 만족하려면
수소 원자와 총 3개의 전자쌍을 공유해야 한다. 수소 원자의 원자가
전자는 1개이므로 질소 원자 1개는 총 3개의 수소 원자와 각각 전자
323 ⑤
ㄴ. 에너지가 가장 낮은 지점인 b에서 수소 분자가 형성되며, 이때의
쌍 1개씩을 공유하여 결합한다. 따라서 질소 원자 1개와 수소 원자 원자핵 사이의 거리 b가 수소 분자의 공유 결합 길이이다.
3개가 결합하여 암모니아(NH_3)를 생성한다. ㄷ. b-c 구간에서는 수소 원자 사이의 인력이 반발력보다 우세하
⑵ 암모니아(NH_3)에서 질소 원자는 3개의 수소 원자와 각각 전자쌍
을 공유하여 결합하므로 공유 전자쌍 수는 3이고, 질소 원자의 원자
나, 원자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가깝지 않아서 결합이 형성되지 않

가 전자 5개 중에서 2개의 전자가 공유 결합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비


는다.
ㄱ. b에서 원자 사이의 인력과 반발력이 균형을 이루어 공
공유 전자쌍 수는 1이다.
오답 피하기

유 결합이 형성된다.

320 I&_2, HF, H_2&SO_4 324 ⑴ 이온 결합, B&_2&D ⑵ CA_3


공유 결합 물질은 비금속 원소의 원자들이 전자쌍을 공유하며 결합 ⑴ 금속 원소인 B와 비금속 원소인 D가 안정한 화합물을 형성할 때
하여 이루어진 물질이다. 따라서 I&_2, HF, H_2&SO_4이 공유 결합 물질 B는 B^+이 되고, D는 D^2-이 된다. B^+과 D^2-은 정전기적 인력에 의
해 이온 결합을 형성하여 B&_2&D를 생성한다.
⑵ C와 A는 모두 비금속 원소이고, C의 원자가 전자 수는 5, A의
에 해당한다.
He은 비금속 원소이지만, 비활성 기체로 공유 결합을 형
성하지 않고 원자로 존재한다. CuCl_2와 K_2&O은 금속 원소의 양이온 원자가 전자 수는 1이므로 C 원자는 A 원자와 결합할 때 총 3개의
오답 피하기

과 비금속 원소의 음이온 사이의 이온 결합으로 이루어진 이온 결합 전자쌍을 공유한다. 따라서 C 원자 1개와 A 원자 3개가 결합하여
물질이다. CA_3를 생성한다.

46 바른답·알찬풀이
325 ㄴ. (가)는 이산화 탄소(CO_2) 분자들이 분자 사이의 인력에 의해 규
염화 나트륨(NaCl)은 이온 결합 물질로 액체와 수용액 상태에서 전 칙적으로 배열된 분자 결정이고, (나)는 모든 탄소(C) 원자들이 공유
기 전도성이 있다. 반면 설탕(C_12&H_22&O_11)은 공유 결합 물질로 액체와 결합으로 그물처럼 연결된 공유 결정이다. 공유 결정은 구성 원자들
수용액 상태에서 모두 전기 전도성이 없다. 또 NaCl은 양이온과 음 이 모두 공유 결합을 이루고 있으므로 분자 결정보다 녹는점이 높다.
이온 사이에 강한 정전기적 인력이 작용하므로 분자 사이의 인력으 오답 피하기 ㄱ. (가)는 분자 결정, (나)는 공유 결정이다.
로 결정을 이루고 있는 C_12&H_22&O_11보다 녹는점이 높다. ㄷ. (가)는 분자로 이루어진 물질이지만, (나)는 분자로 이루어진 물
예시 답안 •액체나 수용액 상태에서 이온 결합 물질은 전기 전도성이 있지만, 질이 아니다.
공유 결합 물질은 전기 전도성이 없다. 따라서 염화 나트륨과 설탕을 각각 용
융액으로 만들거나 물에 녹여 수용액 상태로 만들어 전기 전도성을 확인한다. 329 ②
이때 전기 전도성이 있으면 이온 결합 물질인 염화 나트륨이고, 전기 전도성이 철제 농기구와 알루미늄박은 외부에서 힘을 가했을 때 금속이 넓게
없으면 공유 결합 물질인 설탕이다. 펴지는 성질인 전성을 이용하여 만든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온 결합 물질은 분자로 존재하는 공유 결합 물질보다 녹는점
이 높다. 따라서 염화 나트륨과 설탕의 녹는점을 측정하여 비교했을 때 녹는점 330 ②
이 더 높은 물질이 이온 결합 물질인 염화 나트륨이다. ② 고체와 액체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있으며, 외부에서 힘을 가했
을 때 넓게 펴지는 성질이 있는 물질은 금속이다. 주어진 물질 중 금
속은 Cu이다.
채점 기준 배점(%)

① C(흑연)은 공유 결합 물질이지만, 예외적으로 고체 상


액체나 수용액 상태에서의 전기 전도성을 확인한다는 내용(또는 녹
는점을 측정하여 비교한다는 내용)을 포함하여 설명하고, 두 물질을 100 오답 피하기
옳게 구별한 경우
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있다. 그러나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부서지기
액체나 수용액 상태에서의 전기 전도성을 확인한다는 내용(또는 녹
쉽다.
③ CuCl_2는 이온 결합 물질로, 고체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없다.
는점을 측정하여 비교한다는 내용)을 포함하여 설명했으나, 두 물질 50

④, ⑤ CO_2, C_6&H_12&O_6은 비금속 원소로 이루어진 공유 결합 물질이


을 옳게 구별하지 못한 경우

326 ⑤ 다. 공유 결합 물질은 대부분 고체와 액체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A는 수소(H), B는 산소(O), C는 플루오린(F), D는 마그네슘(Mg), 없다.
E는 염소(Cl)이다.
ㄱ. AE(HCl)는 비금속 원소로 이루어진 공유 결합 물질이다. 331 ④

ㄴ. 공유 전자쌍 수는 B&_2(O_2)가 2, C_2(F_2)가 1이다. 자료 분석하기 이온 결정과 금속 결정

ㄷ. DC_2(MgF_2)는 이온 결합 물질이므로 DC_2(l)는 이온의 이동이 + + + + 양이온


- + - + - 음이온 - - - -
가능하여 전기 전도성이 있다. + + + +
+ - + - + 양이온
- - - -
-

327 ① - + - + - + + + +

ㄱ. 다이아몬드와 흑연은 모두 탄소(C) 원자의 공유 결합으로 이루어


- -
- - - 전자
+ - + - + + +
-
+
-
+

진 물질이다. (가) (나)

오답 피하기 ㄴ. 고체 상태에서 다이아몬드는 전기 전도성이 없지만, • (가)는 음이온과 양이온으로 이루어진 이온 결정의 결합 모형이다.
• (나)는 금속 양이온과 자유 전자로 이루어진 금속 결정의 결합 모형이다.

ㄷ. 다이아몬드는 탄소 원자 1개가 다른 탄소 원자 4개와 결합하고


흑연은 전기 전도성이 있다.

있고, 흑연은 탄소 원자 1개가 다른 탄소 원자 3개와 결합하고 있다.


ㄴ. 고체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있는 물질은 금속 결정이다.
ㄷ. 외부에서 힘을 가했을 때 이온 결정은 쉽게 부서지지만, 금속 결
정은 부서지지 않고 모양만 변한다.
328 ②
오답 피하기 ㄱ. 이온 결정과 금속 결정은 녹는점이 높아 상온에서 대
자료 분석하기 분자 결정과 공유 결정(원자 결정)
부분 고체 상태로 존재한다.
C
CO™
332 ③
Fe은 금속 결합 물질, CaCl_2은 이온 결합 물질, HCl는 공유 결합
물질이다. 기준 (가)는 Fe만 만족하고 CaCl_2과 HCl는 만족하지 않
아야 한다. 금속과 이온 결합 물질은 금속 양이온을 포함하며, 둘 다
액체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있으므로 이 조건은 기준 (가)로 적절
하지 않다. 고체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있는 물질은 금속인 Fe뿐
(가) 드라이아이스 (나) 다이아몬드

• (가)는 분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결정을 이룬 분자 결정이다.


• (나)는 원자들이 공유 결합으로 그물처럼 연결되어 결정을 이룬 공유 결
이므로 기준 (가)로는 ‘고체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있는가?’가 적절
정(원자 결정)이다.
하다.

바른답·알찬풀이 47
333 필수 유형 ⑤ 336 ④

자료 분석하기 화학 결합과 물질의 특성 자료 분석하기 AB와 CBD_2의 화학 결합 모형

6인 산소
원자가 전자 수가
Mg^2+ O^2-
녹는점 전기 전도성
- + - + 물질
(*C)

A 1083
+

+ + 고체 액체
- - ¤± ¤—
원자가

7인
- + - +
B 114
있음. 있음. 전자 수가
+ +
+ +
+ - + -
C 801
없음. 없음.
플루오린
(가) (나) 없음. 있음.
+

4인 탄소
원자가 전자 수가

•A
• (가)는 이온 결정, (나)는 분자 결정의 모형이다.
AB CBD™

• A^2+과 B^2-이 모두 Ne의 전자 배치를 가지므로 A는 마그네슘(Mg)이


 는 녹는점이 높고, 고체와 액체 상태에서 모두 전기 전도성이 있다. 

• B는 A나 C에 비해 녹는점이 낮고, 고체와 액체 상태에서 모두 전기 전 고, B는 산소(O)이다.


 금속 결정

•C  BD_2는 산소 원자 1개, 탄소 원자 1개, 플루오린 원자 2개로 이루어져


•C 있으므로 D는 플루오린(F)이다. 따라서 C는 중심 원자인 탄소(C)이다.
도성이 없다.  분자 결정
 는 녹는점이 높고, 고체 상태에서는 전기 전도성이 없으나 액체 상태에

ㄱ. A(s)는 Mg(s)으로 전기 전도성이 있다.


서는 전기 전도성이 있다.  이온 결정

ㄴ. C는 원자가 전자 수가 4이므로 2주기 14족 원소인 탄소(C)이다.


ㄷ. BD&_2는 OF_2로 공유 전자쌍 수는 2, 비공유 전자쌍 수
(가)는 양이온과 음이온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이온 결정
인 C이고, (나)는 분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분자 결정
인 B이다.
오답 피하기

는 8이다. 따라서 =4이다.


비공유 전자쌍 수
공유 전자쌍 수
334 ④
ㄱ. 액체와 고체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있는 물질인 (가)는 금속 결 337
정인 B이고, 액체 상태에서는 전기 전도성이 있으나 고체 상태에서 A는 2주기 금속 원소이고, B ̄E는 2주기 비금속 원소이다.

는 전기 전도성이 없는 물질인 (나)는 이온 결정인 C이다. 승화성이 ㄱ. B는 원자가 전자 수가 4, E는 원자가 전자 수가 7이므로 B 원자


있는 물질인 (다)는 분자 결정인 A이고, 승화성이 없는 물질인 (라) 는 E 원자와 결합할 때 총 4개의 전자쌍을 공유한다. 따라서 B 원자
는 공유 결정인 D이다. 는 E 원자 4개와 공유 결합을 형성하여 BE_4를 생성한다.
ㄷ. 분자 결정인 (다)와 공유 결정인 (라)는 모두 공유 결합으로 생성 ㄴ. A는 원자가 전자 수가 1인 금속 원소로, 전자 1개를
잃고 A^+이 된다. 또 D는 원자가 전자 수가 6인 비금속 원소로, 전자
오답 피하기

된 물질이다.
오답 피하기 ㄴ. 이온 결정인 (나)는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쉽게 부서지 2개를 얻어 D^2-이 된다. 따라서 A^+과 D^2-은 2`Û`1의 개수비로 이
거나 쪼개진다. 온 결합을 형성하여 이온 결합 물질인 A&_2&D를 생성한다.
ㄷ. CE_3 분자에서 C는 원자가 전자 수가 5로, 이 중 3개의 전자를
공유하여 공유 전자쌍을 만들고, 나머지 2개의 전자는 결합에 참여
하지 않는다. E는 원자가 전자 수가 7로, 이 중 1개의 전자를 공유하
여 공유 전자쌍을 만들고, 나머지 6개의 전자는 결합에 참여하지 않
는다. 따라서 C 원자 1개와 E 원자 3개가 공유 결합 하여 생성된
CE_3 분자에서 공유 전자쌍 수는 3이고, 비공유 전자쌍 수는 1+
80~81쪽

335 ② 336 ④ 337 ① 338 ① 339 ⑤ 340 ④ (3\3)=10이다.


341 해설 참조 342 해설 참조 343 해설 참조

338
2종류의 2주기 원소로 이루어진 3원자 분자 중 구성 원소가 모두 옥

335
텟 규칙을 만족하는 것은 CO_2와 OF_2이다. 이때

A는 수소(H), B는 리튬(Li), C는 질소(N), D는 산소(O)이다.
비공유 전자쌍 수

ㄴ. 분자의 공유 전자쌍 수는 C_2(N_2)가 3, D_2(O_2)가 2이다.


CO_2가 1, OF_2가 4이다. 따라서 (가)는 CO_2, (다)는 OF_2이고, (가)와


공유 전자쌍 수

오답 피하기 ㄱ. B&_2D
& (Li_2&O)는 금속 원소인 B(Li)와 비금속 원소인 D(O) (다)의 공통 원소인 X는 산소(O)이다. 또 Y는 탄소(C), Z는 플루오
가 결합한 이온 결합 화합물이므로 분자로 존재하지 않고 이온 결정 린(F)이다.

ㄷ. C_2&A_2(N_2&H_2)에서 C 원자 1개는 전자쌍 3개를 공유하므로 C 원


ㄱ. (나)의 구성 원소는 Y(C), Z(F)이고, =3이므
으로 존재한다.
비공유 전자쌍 수

자끼리 전자쌍 2개를 공유하여 2중 결합을 형성하고, 각각의 C 원자 로 (나)는 YZ_4(CF_4)이다. 따라서 ㉠은 5이다.
공유 전자쌍 수

가 A 원자와 전자쌍을 1개씩 공유하여 결합한다. 따라서 C_2&A_2 분자 ㄴ. Z_2는 F_2으로, 단일 결합으로 이루어진 분자이다.
의 공유 전자쌍 수는 4이다. ㄷ. 다중 결합이 있는 것은 (가) CO_2 1종류이다.
오답 피하기

48 바른답·알찬풀이
339 ⑤ 342
자료 분석하기 물질의 분류 서술형 해결 전략

구분 예 아니요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분자인가? ㉠ O_2, CH_3&COOH ㉡ Fe, Fe_2&O_3, CaCl_2 금속 결합을 모형으로 나타내고, 금속에 힘을 가했을 때 자유 전자들이 이동

Fe, Fe_2&O_3, CaCl_2 O_2, CH_3&COOH


하여 결합을 유지함을 알아야 한다.
(가)
2 관련 개념 모으기
㉢ Fe_2&O_3, CaCl_2 ㉣ O_2, Fe, CH_3&COOH
이온 결합 STEP
물질인가? ➊ 금속 결합이란?
 금속 원자는 쉽게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되는데, 이때 금속 원자로부
액체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있는가?
터 떨어져 나온 전자를 자유 전자라고 한다. 이러한 금속 양이온과 자유

ㄱ. ㉠은 분자이므로 공유 결합 물질인 O_2와 CH_3&COOH이 이에 해


전자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결합을 금속 결합이라고 한다.
➋ 금속에 힘을 가했을 때 자유 전자의 역할은?
당한다. 공유 결합 물질은 비금속 원소로만 이루어져 있다.  자유 전자는 한 원자에 구속되지 않고 금속 양이온 사이를 자유롭게

ㄴ. (가)는 금속인 Fe과 이온 결합 물질인 Fe_2&O_3, CaCl_2은 해당하


이동하므로, 금속에 힘을 가하여 원자의 위치가 변해도 자유 전자가 이동

면서 공유 결합 물질인 O_2, CH_3&COOH은 해당하지 않는 기준이다.


하면서 결합을 유지해 주므로 금속에 힘을 가해도 쉽게 부서지지 않고 모

Fe과 Fe_2&O_3, CaCl_2은 액체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있지만, O_2,


양만 변한다.

CH_3&COOH은 액체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없다. 따라서 ‘액체 상 예시 답안 금속은 금속 양이온과 자유 전자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있는가?’는 (가)로 적합하다.
ㄷ. 주어진 물질 중 이온 결합 물질이 아닌 것은 O_2, Fe, CH_3&COOH
힘을 가하여 금속 양이온의 위치가 변해도 자유 전자가 이동하면서 결합이 유

3가지이다.
지되므로 모양만 변한다.
힘을 가함.
-
+ +
- - - - - - -
+ + + + + + + +
340 ④
-

(가) AB&_2는 공유 결합 물질이므로 A와 B는 비금속 원소인 O와 F이


-
- - - - - -
+ + + + + + + +

다. 또한 (나)는 고체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있으므로 C는 금속 원


- - - - -
-
+ + + + + +
변형됨.

소인 Mg이다.
- -

채점 기준 배점(%)
ㄱ. (나)는 금속이므로 ㉠은 금속 결합이다.
ㄷ. (다)는 금속 원소인 C와 비금속 원소인 A로 이루어진 이온 결합
외부에서 금속에 힘을 가했을 때 일어나는 변화를 금속 결합 모형과
100

물질이므로 (다)에서 C는 양이온으로 존재한다.


함께 옳게 설명한 경우

ㄴ. AB&_2는 공유 결합 물질로, 액체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


금속에 일어나는 변화만 설명하거나 금속 결합 모형만 그린 경우 50
오답 피하기

이 없다.
343
341 서술형 해결 전략
서술형 해결 전략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아이오딘과 다이아몬드의 녹는점 차이를 결정의 종류와 관련지어 해석할 수
수소(H) 원자와 염소(Cl) 원자는 모두 비금속 원소로서 옥텟 규칙을 만족하 있어야 한다.
기 위해 공유 결합을 형성함을 알아야 한다. STEP 2 관련 개념 모으기
STEP 2 관련 개념 모으기 ➊ 분자 결정이란?
➊ 공유 결합이란?  공유 결합 물질 중 분자들이 분자 사이의 인력에 의해 규칙적으로 배
 비금속 원자들이 각각 전자를 내놓아 형성된 전자쌍을 공유하는 결합 열되어 형성된 결정을 분자 결정이라고 한다.
이다. ➋ 공유 결정이란?

 원자가 전자 수는 수소(H) 원자가 1, 염소(Cl) 원자가 7이다. 따라서


➋ 수소(H) 원자와 염소(Cl) 원자가 공유하는 전자쌍 수는?  공유 결합 물질 중 원자들이 공유 결합으로 그물처럼 연결된 결정을

두 원자는 전자쌍 1개를 공유하여 단일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수소 원자


공유 결정(원자 결정)이라고 한다.

는 헬륨, 염소 원자는 아르곤과 같은 전자 배치를 이룬다. 예시 답안 아이오딘은 분자들이 분자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규칙적으로
배열된 분자 결정이고, 다이아몬드는 원자들이 공유 결합으로 그물처럼 연결된
예시 답안 공유 결합, 수소 원자와 염소 원자는 각각 전자를 하나씩 내놓아 전 공유 결정이다. 분자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보다 원자 사이의 공유 결합이 훨씬
자쌍을 형성하고, 이 전자쌍을 공유하는 공유 결합에 의해 염화 수소를 생성 강하므로 다이아몬드의 녹는점은 아이오딘의 녹는점보다 매우 높다.
한다.
채점 기준 배점(%)
채점 기준 배점(%) 아이오딘과 다이아몬드의 녹는점 차이를 결정의 종류와 구성 입자
100
결합의 종류가 공유 결합임을 쓰고, 각 원자가 전자쌍을 공유하여 결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을 비교하여 옳게 설명한 경우
100
합한다는 점을 언급하여 결합 원리를 옳게 설명한 경우 아이오딘은 분자 결정이고, 다이아몬드는 공유 결정이기 때문이라고
60
결합의 종류가 공유 결합인 것만 쓴 경우 40 만 설명한 경우

바른답·알찬풀이 49
원자가 전자 수는 N가 5, H가 1이므로 원자가 전자 수의 총합은 9
11 결합의 극성과 루이스 전자점식 353

이나, 양이온이므로 8개의 전자점만 나타낸다. 따라서 N와 H 사이


에 각각 1개씩의 공유 전자쌍을 나타내고, 이온의 전하를 표시한다.
개념 확인 문제 83쪽

344 ◯ 345 ◯ 346 × 347 F_2, O_2


348 HF, NH_3, H_2&O HF
349 Cl 350 해설 참조 답 H ±
Cl C
351 해설 참조 352 해설 참조 353 해설Cl참조 H S Li± Cl — H N H
Cl H H

344
전기 음성도는 같은 주기에서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대체로 증가
하고, 같은 족에서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대체로 감소하므로 Na
84~87쪽

<Mg<O<F이다. 따라서 A는 Na이다. 354 ② 355 ③ 356 해설 참조 357 ③ 358 ④


359 ② 360 해설 참조 361 ① 362 ② 363 ⑤
345
B(Mg)와 C(O)의 안정한 화합물의 화학식은 BC(MgO)이다.
364 ⑤ 365 ⑤ 366 ① 367 해설 참조 368 ③
369 ② 370 ③ 371 ①

346
C(O)와 D(F)는 모두 비금속 원소이므로 안정한 화합물은 공유 결합
354 ②
•학생 B: 전기 음성도가 가장 큰 원소는 플루오린(F)이며, 플루오
물질이다.

린의 전기 음성도는 4.0이다.
F_2, O_2
•학생 A: 전기 음성도는 공유 결합을 형성한 두 원자가
347
F_2과 O_2는 같은 종류의 원자 사이의 무극성 공유 결합으로 이루어진
오답 피하기

공유 전자쌍을 끌어당기는 힘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학생 C: 같은 족에서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원자 반지름이 증가
물질이다.

HF, NH_3, H_2&O


하므로 전기 음성도가 대체로 감소한다.
348
HF, NH_3, H_2&O은 서로 다른 종류의 원자 사이의 극성 공유 결합으
355 ③
(a)는 분자 전체에 전자가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므로 무극성 공유 결
로 이루어진 물질이다.

합, (b)는 부분적인 양전하(d^+)와 부분적인 음전하(d&^-)를 띠고 있으므


HF
로 극성 공유 결합, (c)는 (+)전하를 띤 입자와 (-)전하를 띤 입자로
349
전기 음성도는 F>O>N이므로 분자를 구성하는 결합의 극성은
H-F>H-O>H-N이다.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온 결합을 나타낸다.
ㄱ. F_2은 (a)와 같은 무극성 공유 결합으로 이루어진 분자이다.
ㄷ. 극성 공유 결합을 나타내는 (b)에서 부분적인 음전하(d&^-)를 띤

C와 Cl 사이에 각각 1개씩의 공유 전자쌍을 나타내고, 각각의 Cl에


350
원자는 부분적인 양전하(d^+)를 띤 원자보다 전기 음성도가 크다.

3개의 비공유 전자쌍을 나타낸다. ㄴ. 영역 Ⅰ에 속하는 물질은 구성 원자의 전기 음성도 차


이가 크며, 금속 원소와 비금속 원소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c)의
오답 피하기

답 ±
Cl H
Cl C Cl H S Li± Cl — H N H 이온 결합으로 이루어진 물질이다.
Cl H H
356

S과 H 사이에 각각 1개씩의 공유 전자쌍을 나타내고, S 주위에 2개


예시 답안
351 염화 수소를 구성하는 수소와 염소의 전기 음성도 차이보다 염화 나
트륨을 구성하는 나트륨과 염소의 전기 음성도 차이가 더 크다. 수소와 염소처
럼 전기 음성도 차이가 크지 않은 원자들이 결합하는 경우에는 전자쌍을 공유
의 비공유 전자쌍을 나타낸다.
Cl H ± 하여 공유 결합을 형성하고, 나트륨과 염소처럼 전기 음성도 차이가 큰 원자들

Cl C Cl H S Li± Cl — H N H 이 결합하는 경우에는 전기 음성도가 작은 원자에서 전기 음성도가 큰 원자로
Cl H H
전자가 이동하여 이온 결합을 형성한다.

채점 기준 배점(%)
352
LiCl은 이온 결합 물질이므로 양이온인 Li^+은 이온식으로 나타내
두 물질에서의 화학 결합을 전기 음성도 차이와 관련지어 옳게 설명

고, 음이온인 Cl^- 주위에는 8개의 전자를 표시하여 나타낸다.


100
한 경우
H ± 두 물질에서 구성 원자의 전기 음성도 차이를 옳게 설명했으나 화학
답 Li± Cl — 60
H S H N H 결합과 관련지어 옳게 설명하지 못한 경우
H H

50 바른답·알찬풀이
개념 더하기 전기 음성도 차이와 화학 결합의 종류 359 ②

전기 음성도가 같은 원자들은 무극성 공유 결합을 형성하고, 전기 음성도가 자료 분석하기 전기 음성도와 결합의 종류


서로 다른 원자들은 극성 공유 결합을 형성한다. 이때 전기 음성도 차이가
d± d— (+) (-)
매우 크면 전기 음성도가 작은 원자에서 전기 음성도가 큰 원자로 전자가
이동하여 이온 결합을 형성한다. A A A B C B
전기 음성도 0 1.9 3.1 (가) (나) (다)
차이
d— (-) • (가)는 같은 종류의 원자 사이의 무극성 공유 결합으로 이루어진 분자이다.
d± (+)
• (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원자 사이의 극성 공유 결합으로 이루어진 분자
H™ HF NaF
어당겨 부분적인 음전하(d&^-)를 띠고, 전기 음성도가 작은 원자가 부분적
이다. 이때 전기 음성도가 큰 원자가 공유 결합의 전자쌍을 더 강하게 끌

무극성 극성 인 양전하(d^+)를 띤다.  전기 음성도는 B>A이다.


결합 형태 이온 결합

합으로 이루어진 물질을 나타낸 것이다.  원자의 전기 음성도 차는 CB


공유 결합 공유 결합 • (다)는 (+)전하를 띠는 양이온과 (-)전하를 띠는 음이온 사이의 이온 결

가 AB보다 크다.  전기 음성도는 B>A>C이다.


357
③ H_2, Cl_2, HCl, H_2&O, NaCl 중 2원자 분자이고, 상온에서 기체 ㄴ. (가)의 A_2는 같은 종류의 원자로 이루어진 분자이므로 무극성 공

상태로 존재하는 것은 H_2, Cl_2, HCl이다. 이 중 구성 원자의 전기 음 유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성도가 달라 극성 공유 결합을 하는 것은 HCl이다. ㄱ. (나)의 AB는 극성 공유 결합으로 이루어진 물질이고,
(다)의 CB는 이온 결합 물질이다. 구성 원자의 전기 음성도 차가 클
오답 피하기

①, ② H_2, Cl_2는 구성 원자의 전기 음성도가 같아 무극성


수록 결합의 이온성이 커지므로 원자의 전기 음성도 차는 AB<CB이
오답 피하기

④ H_2&O은 3원자 분자이며, 상온에서 액체 상태이다. 다. 따라서 전기 음성도는 B>A>C이다.


공유 결합을 한다.

⑤ NaCl은 이온 결합 물질로, 분자가 아니다. ㄷ. (다)의 CB는 이온 결합 물질로, 고체 상태에서는 양이온과 음이


온이 정전기적 인력으로 강하게 결합되어 있어 이온이 이동할 수 없
358 필수 유형 ④ 으므로 전기 전도성이 없다.
자료 분석하기 전기 음성도의 주기성

X Y Z
360
A_2에서 A 원자 사이의 결합은 원자 사이에 전기 음성도 차이가 나
3.0 3.5 4.0
원자
예시 답안
전기 음성도

성 공유 결합이다. AB에서 A와 B 원자 사이의 결합은 전기 음성도가 큰 B


지 않아 공유 전자쌍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동등하게 공유되는 무극
• 전기 음성도는 같은 주기에서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대체로 증가하고, 같
원자 쪽으로 공유 전자쌍이 치우쳐서 A 원자는 부분적인 양전하(d^+)를, B 원
• X ̄Z은 2, 3주기 원소이고, X와 Z는 같은 17족이며, 전기 음성도는
은 족에서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대체로 감소한다.

자는 부분적인 음전하(d&^-)를 띠는 극성 공유 결합이다.


Z>X이다.  X는 3주기 17족, Z는 2주기 17족 원소이다.
•Y  의 전기 음성도는 X보다 크고 Z보다 작다. 이때 X가 3주기 원소 중
전기 음성도가 가장 크므로 Y는 2주기 원소이다.
채점 기준 배점(%)
A_2와 AB의 결합을 전기 음성도를 이용하여 옳게 설명한 경우 100
A_2와 AB가 각각 무극성 공유 결합과 극성 공유 결합이라는 것만
ㄴ. X는 3주기 17족 원소로 원자가 전자 수가 7이고, 2주기 원소인
Y는 2주기 17족 원소인 Z보다 전기 음성도가 작으므로 원자가 전자
60
쓴 경우

수는 7보다 작다. 따라서 원자가 전자 수는 X>Y이다.


ㄷ. 전기 음성도는 Y가 3.5, Z가 4.0이므로 Y와 Z의 결합에서
361 ①

Y는 부분적인 양전하(d^+)를 띤다.


자료 분석하기 분자의 쌍극자 모멘트

ㄱ. 3주기 17족 원소인 X의 전기 음성도가 3.0이므로 전


기 음성도가 3.5인 Y는 2주기 원소이다.
오답 피하기 쌍극자 모멘트를 화살표로 나타낼 때 화살표의 끝부분(화살촉 부분)이
부분적인 음전하(d^-)를 향한다.
d^+

1 ̄3주기 원소의 전기 음성도


A d^- d^+ d^-
개념 더하기

1 2 13 14 15 16 17
d^- B B d^- A C A

주기
H
1
AB™ CA™

2.1
• 극성 공유 결합에서 전기 음성도가 큰 원자가 부분적인 음전하(d^-)를, 전

Li Be B C N O F
2 • AB&_2에서 화살표 끝이 향하는 B가 부분적인 음전하(d^-)를, 화살표 시작
기 음성도가 작은 원자가 부분적인 양전하(d^+)를 띤다.

1.0 1.5 2.0 2.5 3.0 3.5 4.0 점의 A가 부분적인 양전하(d^+)를 띤다.  전기 음성도는 B>A이다.
Na Mg Al Si P S Cl
3 • CA_2에서 화살표 끝이 향하는 A가 부분적인 음전하(d^-)를, 화살표 시작
0.9 1.2 1.5 1.8 2.1 2.5 3.0 점의 C가 부분적인 양전하(d^+)를 띤다.  전기 음성도는 A>C이다.

바른답·알찬풀이 51
ㄱ. AB&_2와 CA_2에서 전기 음성도가 각각 B>A, A>C이므로 전기 ㄱ. 같은 주기에서 원자 번호가 클수록 전기 음성도가 크므로 전기
음성도는 B>A>C이다. 음성도는 X>Z>Y이다.
ㄴ. 공유 전자쌍 수는 (가)와 (다)가 모두 4로 같다.
ㄷ. 다중 결합을 포함하는 분자는 (다) 1가지이다.
ㄴ. 같은 주기에서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전기 음성도가
대체로 증가하므로 원자 번호는 B>A>C이다. 따라서 원자가 전자
오답 피하기

수는 B>A>C이다.
ㄷ. AB&_2의 A-B 결합에서 쌍극자 모멘트를 나타내는 화살표의 끝 366
이 B를 향하므로 B는 부분적인 음전하(d^-)를 띤다. MX는 M^2+과 X^2-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M은 2족, X는 16족 원

소이다. Y&_2의 루이스 전자점식에서 Y 원자의 비공유 전자쌍 수는 3,


362 공유 전자쌍 수는 1이므로 Y는 17족 원소이다.
BA_2에서 중심 원자는 B이므로 A는 1주기 1족 원소인 수소(H), B

ㄱ. X는 16족 원소이다.
는 2주기 16족 원소인 산소(O)이다. CB&_2에서 중심 원자는 C이고 B
ㄴ. X, Y가 2, 3주기 원소이고, 16족 원소인 X의 전기
가 산소이므로 C는 2주기 14족 원소인 탄소(C)이다.
음성도가 17족 원소인 Y의 전기 음성도보다 크므로 X는 2주기,
오답 피하기

ㄷ. (가) BA_2와 (나) CB&_2는 서로 다른 원자 사이의 결합인 극성 공유


Y는 3주기 원소이다.
ㄷ. MY&_2는 M^2+과 Y&^-으로 이루어진 이온 결합 물질이므로 액체 상
ㄱ. B는 2주기 16족 산소(O), C는 2주기 14족 탄소(C)이
결합으로 이루어진 분자이다.

태의 MY&_2는 전기 전도성이 있다.


므로 전기 음성도는 B>C 이다.
오답 피하기

ㄴ. BA_2에서 공유 전자쌍 수와 비공유 전자쌍 수는 모두 2이고,


CB&_2에서 공유 전자쌍 수와 비공유 전자쌍 수는 모두 4이다. 따라서
367
2주기 원소의 루이스 전자점식
는 BA_2와 CB&_2이 모두 1로 같다.
자료 분석하기
비공유 전자쌍 수
공유 전자쌍 수
루이스
A
A
AA
A B
B
BBB C
C
CCC D
D
DD
D E
E
EE
E
1 4 5 6 7
전자점식
363 ⑤ 원자가 전자 수
자료 분석하기 분자의 루이스 전자점식 금속·비금속 금속 비금속

• B 원자 1개와 E 원자의 안정한 화합물: B 원자의 원자가 전자 수는 4


이고, E 원자의 원자가 전자 수는 7이므로 B 원자 1개는 E 원자 4개와
공유 전자쌍 공유 전자쌍 공유 전자쌍

결합하여 BE_4를 생성한다.


O O F F N N
• C 원자 1개와 E 원자의 안정한 화합물: C 원자의 원자가 전자 수는 5이
고, E 원자의 원자가 전자 수는 7이므로 C 원자 1개는 E 원자 3개와 결
O™ F™ N™
공유 전자쌍 수: 2 공유 전자쌍 수: 1 공유 전자쌍 수: 3
비공유 전자쌍 수: 4 비공유 전자쌍 수: 6 비공유 전자쌍 수: 2 합하여 CE_3를 생성한다.

ㄱ. 공유 전자쌍 수는 O_2가 2, F_2이 1, N_2가 3이다. 따라서 공유 전 B는 단일 결합 4개, E는 단일 결합 1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B
자쌍 수는 N_2>O_2>F_2이다. 1개가 중심 원자인 B와 E의 안정한 화합물은 BE_4이다. C는 단일
ㄴ. N_2는 두 N 원자 사이에 3중 결합을 이루고 있다. 결합 3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C 1개가 중심 원자인 C와 E의 안정
ㄷ. O_2에서 공유 전자쌍 수는 2, 비공유 전자쌍 수는 4이다. 한 화합물은 CE_3이다.

BE_4 CE_3
364
ㄱ. A 원자의 원자가 전자는 5개로, 이 중 홀전자는 3개이다. 따라

화합물

서 A 원자 2개가 결합하여 A_2를 생성할 때 3개의 홀전자가 공유 전


E
E

자쌍을 만든다. 따라서 A_2는 3중 결합을 포함한다.


E B E E C E
루이스 전자점식 E B E E C E
E E
ㄴ. A_2에서 A 원자는 각각 1개의 비공유 전자쌍을 가지므로, A_2의
E E

비공유 전자쌍 수는 2이다.


ㄷ. A_2는 같은 종류의 원자들이 결합하므로 무극성 공유 결합을 포 368
③ BD&_2의 구조식은 D=B=D로, 공유 전자쌍 수는 4이다.

① C&_2에서 C 원자 1개의 홀전자 수가 3이므로 C&_2의 구조


함한다.

식은 C≡C이다. 따라서 C_2는 3중 결합을 포함한다.


오답 피하기

365
(가)에서 X의 공유 전자쌍 수는 1, 비공유 전자쌍 수는 3이므로 X의 ② E_2의 구조식은 E-E이므로 E_2는 단일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원자가 전자 수는 7이다. (가)에서 Y의 공유 전자쌍 수가 4이므로 ④ AE는 금속 양이온인 A^+과 비금속 음이온인 E&^-으로 이루어진
Y의 원자가 전자 수는 4이다. (나)에서 Z의 공유 전자쌍 수는 2, 비공
유 전자쌍 수는 2이므로 Z의 원자가 전자 수는 6이다. 즉, X는 2주기
이온 결합 물질이므로 수용액에서 전기 전도성이 있다.
⑤ D&_2&E_2의 구조식은 E-D-D-E로, D와 D의 결합은 무극성 공
17족, Y는 2주기 14족, Z는 2주기 16족 원소이다. 유 결합이다.

52 바른답·알찬풀이
369 필수 유형 ② 371 ①

자료 분석하기 분자와 이온의 루이스 전자점식 자료 분석하기 분자의 구조식

Y의 비공유 전자쌍 수
=4-1=3
A ± W의 비공유 전자쌍 수
=4-3=1
Y
A B A A CA

-
A Y-W=W-Y Y-X-Y Y-Z-Y
X의 비공유 전자쌍 수 Z의 비공유 전자쌍 수

-
=4-4=0 =4-2=2
• (가)에서 B와 전자쌍 1개를 공유하는 A는 원자가 전자 수가 1인 수소
(가) (나)
Y
(H)이고, 비공유 전자쌍과 공유 전자쌍이 각각 2개인 B는 원자가 전자
• 각 원자가 옥텟 규칙을 만족할 때 원자 주위의 전자쌍 수는 4이므로, ‘각
(가) (나) (다)

수가 6인 산소(O)이다.
• (나)에서 C 주위의 공유 전자쌍이 4개이나 이온의 전체 전하가 +1이므 원자의 비공유 전자쌍 수=4-공유 전자쌍 수’이다.
로 이온을 구성하는 A와 C의 원자가 전자 수 총합은 9이다. 따라서 C
는 원자가 전자 수가 5인 질소(N)이다.
• 옥텟 규칙을 만족하는 각 원자의 원자가 전자 수는 (공유 전자쌍의 수+
비공유 전자쌍을 이루는 전자의 수)와 같다.

W X Y Z
ㄷ. B는 2주기 16족 원소인 산소(O)이고, C는 2주기 15족 원소인 3 4 1 2
원소

질소(N)이다. 따라서 공유 전자쌍 수는 B&_2(O_2)가 2, C_2(N_2)가 3이다. 1 0 3 2


공유 전자쌍 수

ㄱ. C의 원자가 전자 수는 5이다. 5 4 7 6
비공유 전자쌍 수

ㄴ. A&_2&B&_2의 구조식은 A-B-B-A이므로 A&_2&B&_2는 다중 결합을


오답 피하기 원자가 전자 수

 W는 2주기 15족 원소인 N, X는 2주기 14족 원소인 C, Y는 2주기


포함하지 않는다. 17족 원소인 F, Z는 2주기 16족 원소인 O이다.

370 ③ ㄱ. (가)는 F-N=N-F로서 공유 전자쌍 수는 4, 비공유 전자쌍


CS_2의 루이스 전자점식 그리기
수는 8이므로 =8
4=2이다.
/
자료 분석하기 비공유 전자쌍 수

[1단계] 구성 원자의 원자가 전자 수의 합(㉠)을 구한다.


공유 전자쌍 수
ㄴ. XZY&_2는 COF_2로, 중심 원자는 X(C)이고 X-Y
[1단계]  C의 원자가 전자 수는 4, S의 원자가 전자 수는 6이므로 ㉠
(C-F) 결합과 X=Z(C=O)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무극
오답 피하기

=4+6+6=16이다.
[2단계] 모든 구성 원자가 옥텟 규칙을 만족하기 위한 전자 수의 합(㉡)을 구 성 공유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다.

[1단계]  구성 원자는 모두 3개이므로 ㉡=3\8=24이다.


한다.

비공유 전자쌍 수는 8이다.


ㄷ. (다)를 구성하는 모든 원자들이 옥텟 규칙을 만족하므로 분자의

[3단계] 분자의 구성 원자들이 옥텟 규칙을 만족하는 데 부족한 전자의 수

[1단계]  ㉢=㉡-㉠=24-16=8


(㉢=㉡-㉠)를 구한다.

[4단계] 한 분자에 포함된 공유 전자쌍 수를 구한다.


[1단계]  구성 원자들이 옥텟 규칙을 만족하는 데 부족한 전자의 수가 8
이므로, 공유 전자쌍 수는 8\1
2=4이다.
/
88~89쪽

[5단계] 중심 원자를 정하여 원자를 배열하고, 공유 전자쌍과 비공유 전자쌍 372 ⑤ 373 ① 374 ④ 375 ④ 376 ① 377 ④

[1단계]  CS&_2의 중심 원자는 탄소(C)이고, C 원자 1개에 S 원자 2개가


을 배치한다. 378 ⑴ 해설 참조 ⑵ 해설 참조 379 ⑴ 해설 참조 ⑵ 해설 참조 ⑶ 해설

결합한다. C 원자의 공유 전자쌍이 4개이므로 C 원자 1개와 S 원


참조

자 1개는 2개의 전자쌍을 공유한다. 따라서 모든 원자가 옥텟 규칙


을 만족하려면 S 주위에 각각 2개의 비공유 전자쌍을 배치하여 다
372
BC의 루이스 전자점식에서 B와 C 모두 비공유 전자쌍 수는 3, 공유
음과 같이 루이스 전자점식을 완성한다. ⑤

전자쌍 수는 1이므로 B와 C 모두 17족 원소이다.


S C S

ㄱ. BC에서 C가 부분적인 음전하(d^-)를 띠므로 전기 음성도는 C>


ㄱ. 탄소(C)의 원자가 전자 수는 4, 황(S)의 원자가 전자 수는 6이다.
화-09-47 ▶(신규)상

B이다. B와 C가 모두 17족 원소이므로 전기 음성도가 더 큰 C가


따라서 구성 원자의 원자가 전자 수의 합(㉠)은 4+6+6=16이다.
2주기 원소, 전기 음성도가 작은 B가 3주기 원소이다.
ㄷ. 구성 원자가 옥텟 규칙을 만족하는 데 부족한 전자의 수(㉢)가

8이므로, 공유 전자쌍 수는 8\1


2=4이다.
/
ㄴ. 극성 공유 결합에서 부분적인 음전하(d^-)를 띠는 원자의 전기 음
성도가 더 크다. 따라서 AB와 BC에서 전기 음성도는 각각 B>A,
ㄴ. 구성 원자의 원자가 전자 수의 합(㉠)은 16이고, 모든 C>B이므로 전기 음성도는 C>B>A이다.
구성 원자가 옥텟 규칙을 만족하기 위한 전자 수의 합(㉡)은 24이므 ㄷ. A ̄C가 1 ̄3주기 원소이고, B와 C가 17족 원소이므로 AB에
오답 피하기

서 B와 전자쌍 1개를 공유하는 A는 1주기 1족 원소이다. 따라서 원


-㉠=24-16=8이다.
로, 구성 원자가 옥텟 규칙을 만족하는 데 부족한 전자의 수(㉢)는 ㉡
자가 전자 수는 B=C>A이다.

바른답·알찬풀이 53
373 ① 376 ①
ㄱ. 같은 주기에서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전기 음성도가 대체로 증 자료 분석하기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 수의 비와 분자식

감소한다. 그런데 14족 원소인 A가 15족 원소인 B보다 전기 음성


가하고, 같은 족에서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전기 음성도가 대체로
분자 (가) (나) (다)

도가 크므로 A는 2주기, B는 3주기 원소이다.


ㄴ. 16족 원소인 C가 17족 원소인 D보다 전기 음성도가
YYY ZZZ
원자 수의 비 XXX YYY

크므로 C는 2주기, D는 3주기 원소이다. 따라서 원자 번호는 C<D


오답 피하기 XXX XXX

2 =8
4
/ 3 =/
1
4
2
비공유 전자쌍 수

ㄷ. AD&_4는 14족 원소인 A가 중심 원자이며, A 원자에 D 원자 4개


이다. -
공유 전자쌍 수

• (다)에서 Z와 X의 원자 수의 비가 1`Û`4이므로 (다)의 분자식은 ZX_4이


다. ZX_4에서 공유 전자쌍 수가 4이므로 비공유 전자쌍 수는 12이다. 따
라서 Z는 원자가 전자 수가 4인 탄소(C)이고, X는 원자가 전자 수가 7
가 결합하므로 극성 공유 결합만 포함한다.

• (나)에서 Y와 X의 원자 수의 비가 1`Û`3이므로 (나)의 분자식은 YX_3이


374 ④ 인 플루오린(F)이다.

고, Y는 질소(N)이다.
자료 분석하기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와 전기 음성도

• (가)에서 X는 플루오린(F), Y는 질소(N)인데, Y와 X의 원자 수의 비는


d&^-
• 1`Û`1이고, =2이므로 (가)의 분자식은 Y&_2&X_2이다.
Y 비공유 전자쌍 수
d&^-
d&^+
공유 전자쌍 수
d&^-
d&^-
X Z
d&^+ d&^+
ㄱ. (가)에서 Y와 X의 원자 수의 비가 1`Û`1이고,
Y
Y 비공유 전자쌍 수
d&^-
Y Y Y

=2이므로 (가)의 분자식은 Y&_2&X_2이다. Y&_2&X_2에서 두 Y 원자는 무극


공유 전자쌍 수
XY¢ ZY™
전기 음성도: X<Y 전기 음성도: Y<Z
성 공유 결합을 형성한다.
ㄴ. 단일 결합만으로 이루어진 분자는 (나) YX_3와 (다)
• 쌍극자화-09-40 ▶(신규)상
모멘트를 나타낼 때는 전기 음성도가 작은 원자에서 전기 음성도

ZX_4 2가지이다.
오답 피하기

• 단일 결합 4개를 형성하는 X는 원자가 전자 수가 4인 14족 원소이고,


가 큰 원자로 화살표가 향하게 그린다.

단일 결합 1개를 형성하는 Y는 원자가 전자 수가 7인 17족 원소이다. ㄷ. 전기 음성도는 Z(C)<Y(N)<X(F)이다.


단일 결합 2개를 형성하는 Z는 원자가 전자 수가 6인 16족 원소이다.

ㄴ. 원자가 전자 수는 X가 4, Y가 7, Z가 6이므로 X<Z<Y이다.


377
X, Y는 옥텟 규칙을 만족하는 2주기 원소이므로 탄소(C), 질소(N),

ㄷ. Y-Z 결합에서 쌍극자 모멘트를 나타내는 화살표가 Y에서 Z를


산소(O)가 가능하다. 제1 이온화 에너지는 C<O<N이고, 전기 음
향하고 있으므로 전기 음성도는 Z가 Y보다 크다. 따라서 Y는 부분
성도는 C<N<O이다. 주어진 자료에서 제1 이온화 에너지는 X<Y
적인 양전하(d^+)를, Z는 부분적인 음전하(d&^-)를 띤다.
이고, 전기 음성도는 X>Y이므로 X는 산소(O), Y는 질소(N)이다.
ㄱ. Y는 17족, Z는 16족 원소이다. 두 원소가 같은 주기
따라서 (가)는 F-X-X-F이고, (나)는 F-Y=Y-F이다.
의 원소라면 17족 원소인 Y의 전기 음성도가 16족 원소인 Z의 전기
오답 피하기

ㄴ. 전기 음성도는 F>X>Y이므로 (가)의 F-X 결합과 (나)의


음성도보다 커야 한다. 그런데 ZY&_2에서 쌍극자 모멘트를 나타내는
F-Y 결합에서 F은 부분적인 음전하(d&^-)를 띠고, X와 Y는 모두
화살표가 Y에서 Z를 향하므로 전기 음성도는 Z가 Y보다 크다. 따
라서 Z는 2주기, Y는 3주기 원소이다.
부분적인 양전하(d^+)를 띤다.
ㄷ. (나)는 공유 전자쌍 수가 4, 비공유 전자쌍 수가 8이다. 따라서 (나)

=8
4=2이다.
/
375 비공유 전자쌍 수

ZYW에서 Z와 W는 비공유 전자쌍 수가 3, 공유 전자쌍 수가 1이


④ 에서

ㄱ. 공유 전자쌍 수는 (가)에서 3, (나)에서 4이다.


공유 전자쌍 수

므로 모두 17족 원소이다. Z와 W는 각각 2, 3주기 원소 중 하나이


오답 피하기

고, 원자 번호가 W>Z이므로 W는 3주기 17족 원소인 염소(Cl), Z


는 2주기 17족 원소인 플루오린(F)이다. Y는 비공유 전자쌍 수가 2, 378
공유 전자쌍 수가 2이므로 원자가 전자 수가 6인 16족 원소이다.
이때 원자 번호는 Z>Y 이므로 Y 는 2 주기 16 족 원소인 산소(O )
서술형 해결 전략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ㄱ. Y가 16족 원소이므로 Y는 전자 2개를 얻고 Y^2-이 되어 옥텟


이다. 분자의 루이스 전자점식을 통해 공유 전자쌍 수와 비공유 전자쌍 수 및 각
원소의 원자가 전자 수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규칙을 만족한다. 따라서 a=2이다. STEP 2 관련 개념 모으기


ㄴ. 공유 전자쌍 수는 Y&_2(O_2)가 2, W&_2(Cl_2)가 1이다. ➊ 공유 전자쌍과 비공유 전자쌍이란?

ㄷ. YZ_2(OF_2)에서 전기 음성도가 Z>Y이므로 Y는 부분


 공유 전자쌍은 공유 결합에 참여하는 전자쌍으로, 결합을 형성하는 두
오답 피하기
원자가 각각 전자를 내놓아 만든다. 비공유 전자쌍은 한 원자에만 속해
적인 양전하(d^+)를 띤다. 있는 전자쌍으로, 공유 결합에 참여하지 않는다.

54 바른답·알찬풀이
➋ 각 원소의 원자가 전자 수는?
12 분자의 구조와 성질
 공유 전자쌍 수와 비공유 전자쌍을 이루는 전자의 개수를 합하여 각
원소의 원자가 전자 수를 구한다.
개념 확인 문제 91쪽

예시 답안 ⑴ 공유 전자쌍은 두 원자가 각각 전자를 내놓아 만들어진 전자쌍으 380 직선형 381 직선형 382 평면 삼각형 383 삼각뿔형
384 극성 분자 385 무극성 분자 386 무극성 분자 387 극성 분자
389 × 390 ×
로, 공유 결합에 참여하는 전자쌍을 말한다. 비공유 전자쌍은 각 원소의 원자가

⑵ (가)에서 공유 전자쌍 수는 4, 비공유 전자쌍 수는 1이며, (나)에서 공유 전


전자 중 화학 결합에 참여하지 않은 전자쌍을 말한다. 388 ◯ 391 ◯

자쌍 수는 3, 비공유 전자쌍 수는 6이다. 각 원소의 원자가 전자 수는 A는 5,


392 (가), (나) 393 (다)

B는 4, C는 1, D는 7, E는 6이다.
380
BeF_2은 중심 원자 주위에 공유 전자쌍 2개가 존재하므로 직선형 구
직선형
채점 기준 배점(%)

정의 중 1가지만 옳게 설명한 경우
공유 전자쌍과 비공유 전자쌍의 정의를 모두 옳게 설명한 경우 100
⑴ 조이다.
50
(가)와 (나)의 공유 전자쌍 수와 비공유 전자쌍 수 및 원소 A ̄E
381
CO_2는 중심 원자 주위에 2중 결합 2개가 존재하므로 직선형 구조이다.
100 직선형
의 원자가 전자 수를 모두 옳게 쓴 경우

(가)와 (나)의 공유 전자쌍 수와 비공유 전자쌍 수만 옳게 쓴 경우
원소 A ̄E의 원자가 전자 수만 옳게 쓴 경우
50
382
BCl_3는 중심 원자 주위에 공유 전자쌍 3개가 존재하므로 평면 삼각
평면 삼각형

379
형 구조이다.
서술형 해결 전략

383
NH_3는 중심 원자 주위에 공유 전자쌍 3개와 비공유 전자쌍 1개가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삼각뿔형

분자의 구조식을 통해 구성 원자의 원자가 전자 수를 알고, 전기 음성도를 비


교하여 극성 공유 결합에서의 부분 전하를 알아낼 수 있어야 한다. 존재하므로 삼각뿔형 구조이다.
STEP 2 관련 개념 모으기
384
HCl는 서로 다른 원자의 극성 공유 결합으로 이루어진 2원자 분자
➊ 전기 음성도의 주기성은? 극성 분자
 같은 주기에서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전기 음성도가 대체로 증가하
고, 같은 족에서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전기 음성도가 대체로 감소한다.
➋ 극성 공유 결합이란? 이므로 극성 분자이다.

쌍이 치우쳐 전기 음성도가 큰 원자는 부분적인 음전하(d&^-)를 띠고, 전기


 서로 다른 원자가 결합할 때 전기 음성도가 큰 원자 쪽으로 공유 전자
385
CCl_4는 분자 내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 합이 0이므로 무극성 분자이다.
무극성 분자
음성도가 작은 원자는 부분적인 양전하(d^+)를 띠는 결합이다.

⑴ A ̄C가 옥텟 규칙을 만족하므로 (가)에서 A에는 각각 1개의 공


유 전자쌍과 3개의 비공유 전자쌍이 존재하고, B에는 2개의 공유 전자쌍과 2개
예시 답안
386
I&_2은 같은 종류의 원자 사이의 무극성 공유 결합으로 이루어진 2원자
무극성 분자

의 비공유 전자쌍이 존재한다. 따라서 원자가 전자 수는 A가 7, B가 6이다.


또한 (나)에서 C에는 4개의 공유 전자쌍만 존재하므로 C의 원자가 전자 수는
분자이므로 무극성 분자이다.

4이다. 따라서 A는 17족, B는 16족, C는 14족 원소이다.


⑵ A>B>C, 같은 주기에서 전기 음성도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대체로 증
387
NH_3는 삼각뿔형 구조로, 분자 내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 합이 0이 아
극성 분자

가한다. A ̄C는 모두 2주기 원소이고, 원자 번호는 A>B>C이므로 전기


음성도도 A>B>C이다. 니므로 극성 분자이다.
⑶ (가)에서 전기 음성도는 A>B이므로 A는 부분적인 음전하(d&^-)를 띠고, B
는 부분적인 양전하(d^+)를 띤다. (나)에서 전기 음성도는 B>C이므로 B는 부 388
분적인 음전하(d&^-)를 띠고, C는 부분적인 양전하(d^+)를 띤다. X의 원자가 전자 수는 6이므로 X는 2주기 16족 원소인 O이다.

채점 기준 배점(%)
A ̄C의 족을 쓰고 그 까닭을 옳게 설명한 경우
389
(가) ̄(다)에서 중심 원자 주위의 전자쌍 수는 4로 모두 같으나, 비
100
A ̄C의 족만 옳게 쓴 경우

공유 전자쌍 수가 (가)>(나)>(다)이므로 결합각은 (가)<(나)<(다)
60
A ̄C의 전기 음성도를 전기 음성도의 주기성과 관련지어 옳
100
⑵ 게 비교한 경우 이다.
전기 음성도가 A>B>C인 것만 쓴 경우 60
(가)와 (나)를 구성하는 원자의 부분적인 전하를 모두 옳게 설명 390
100
⑶ 한 경우
(가)와 (나) 중 1가지만 부분적인 전하를 옳게 설명한 경우
(나)는 삼각뿔형 구조이므로 모든 원자가 같은 평면에 존재하는 평면
50 구조가 아니다.

바른답·알찬풀이 55
391 396 ⑤

이 전자쌍 반발 이론이다. 같은 크기의 풍선을 각각 2개, 3개, 4개 사


(다)는 정사면체 구조이므로 입체 구조이다. 중심 원자 주위의 전자쌍들이 반발력을 최소화하도록 배치된다는 것

392
(가)와 (나)는 분자 내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 합이 0인 무극성 분자
(가), (나) 용하여 각각의 풍선이 가능한 한 멀리 떨어지도록 배치되었을 때의
모양을 통해 분자의 구조를 예측할 수 있다.
이다. ⑤ 분자에서 중심 원자 주위의 전자쌍은 풍선의 배열과 마찬가지로

① 중심 원자 주위의 전자쌍이 4개인 경우 전자쌍들은 입


가능한 한 서로 멀리 떨어져 배치되려고 한다.
393 (다)
오답 피하기
(다)는 극성 분자이므로 기체 상태의 분자가 전기장에서 일정한 방향 체 구조인 사면체 모양으로 배치된다.
으로 배열한다. ② 전자쌍 반발 이론에 따르면 전자쌍 사이의 반발이 줄어들수록 결

③ 중심 원자 주위의 전자쌍이 2개, 3개인 경우에는 옥텟 규칙을 만


합각이 크다.

족하지 않는다.
92~95쪽
④ 중심 원자와 결합하는 원자의 종류가 항상 같은 것은 아니다.

394 ⑤ 395 ③ 396 ⑤ 397 ② 398 ⑤ 399 ④


397
㉡의 직선형 구조를 이루는 분자는 중심 원자에 2개의 원자가 결합

400 ② 401 ④ 402 ⑤ 403 ① 404 ③ 405 ④
406 ② 407 ④ 408 ④ 409 ④ 410 해설 참조

구조를 이루는 분자는 중심 원자에 3개의 원자가 결합하고, 중심 원


하고, 중심 원자에 비공유 전자쌍이 없어야 한다. ㉢의 평면 삼각형

자에 비공유 전자쌍이 없어야 한다.


② BeH_2은 직선형 구조이고, BCl_3는 평면 삼각형 구조이다.
394
ㄱ, ㄷ. 중심 원자 A와 결합한 3개의 B 원자가 같은 평면에 삼각형

① H_2&O은 굽은 형 구조이고, BCl_3는 평면 삼각형 구조이다.


을 이루어 배열하며, 결합각(a)은 120*이다.
③ SO_2은 굽은 형 구조이고, HCHO는 중심 원자에 2중 결합 1개,
오답 피하기

ㄴ. A의 원자가 전자 3개가 3개의 공유 전자쌍을 이루므로 중심 원


단일 결합 2개가 존재하므로 평면 삼각형 구조이다.
④ CO_2는 직선형 구조이지만, NH_3는 삼각뿔형 구조이다.
자에는 비공유 전자쌍이 없다.

395 ③ ⑤ BeF_2은 직선형 구조이지만, NF_3는 삼각뿔형 구조이다.

자료 분석하기 BeF_2과 H_2O의 구조와 결합각


398 필수 유형 ⑤

화학식 BeF_2 H_2O 자료 분석하기 2주기 원소의 수소 화합물의 구조와 결합각


aa bb
분자 모양 H
F-Be-F
F-Be-F H-O-H
H-O-H

a=180* b=104.5*
분자 구조 직선형 굽은 형
X H Y H Z
결합각 H H H

•2 a
(109.5*)
g
(104.5*)
b
(107*)
 주기 원자가 공유 결합을 형성할 때 공유 전자쌍 수와 비공유 전자쌍 H
H H
XH_4 YH_3 ZH_2
수는 다음과 같다.

Be B C N O F
정사면체 구조 삼각뿔형 구조 굽은 형 구조

2 3 4 3 2 1
원자
비공유 전자쌍은 공유 전자쌍에 비해 공간을 더 많이 차지하여 다른 전자쌍

0 0 0 1 2 3
공유 전자쌍 수
들과 더 크게 반발한다. 따라서 중심 원자 주위에 비공유 전자쌍의 수가 많
비공유 전자쌍 수
을수록 결합각은 작아진다.

ㄷ. BeF_2은 중심 원자인 Be 주위에 비공유 전자쌍이 없으므로 직선 ㄱ. XH_4, YH_3, ZH_2에서 중심 원자는 모두 옥텟 규칙을 만족하므로
형 구조이고, H_2&O은 중심 원자인 O 주위에 비공유 전자쌍 2개가 있 중심 원자 주위의 전자쌍은 4개이고, 전자쌍은 가능한 한 멀리 떨어
으므로 굽은 형 구조이다. 직선형 구조와 굽은 형 구조는 분자 내의 져 배열하므로 사면체 모양으로 배열한다.

ㄱ. BeF_2은 직선형 구조이므로 결합각(a)은 180*이고,


모든 원자가 같은 평면에 존재하는 평면 구조이다. ㄴ. 중심 원자 주위의 비공유 전자쌍 수가 많을수록 결합각은 작아진
다. 따라서 비공유 전자쌍이 없는 XH_4의 결합각이 가장 크고, 비공
H_2&O은 굽은 형 구조이므로 결합각(b)은 104.5*이다.
오답 피하기

유 전자쌍의 수가 가장 많은 ZH_2의 결합각이 가장 작으므로 결합각


ㄴ. BeF_2은 중심 원자인 Be 주위에 4개의 전자가 존재하므로 옥텟 은 a>b>r이다.
규칙을 만족하지 않지만, H_2&O은 중심 원자인 O 주위에 8개의 전자 ㄷ. 분자의 구조가 정사면체인 XH_4와 삼각뿔형인 YH_3는 입체 구조
가 존재하므로 옥텟 규칙을 만족한다. 이고, 굽은 형인 ZH_2는 평면 구조이다.

56 바른답·알찬풀이
399 401
BCl_3는 중심 원자인 B 주위에 공유 전자쌍만 3개 있으므로 평면 삼
④ ④

BCl_3, HCHO, NH_3의 분자 구조


각형 구조이고, NF_3는 중심 원자인 N 주위에 공유 전자쌍 3개와 비
자료 분석하기

BCl_3 HCHO NH_3


공유 전자쌍 1개가 있으므로 삼각뿔형 구조이다.
구분

ㄱ, ㄴ. 평면 삼각형 구조인 BCl_3의 결합각(a)은 120*이고, 삼각뿔형


Cl O
Cl Cl O

=
O

구조인 NF_3의 결합각(b)은 120*보다 작다.


B C N-

-
=

=
구조식 B B CCl C NH- N-H -

-
-
H

-
-
-
Cl H
H- H- H H
ㄷ. 평면 삼각형 구조인 BCl_3는 평면 구조이고, 삼각뿔형

-
-

-
H

-
-

-
-

-
Cl Cl H Cl HH
Cl H
H H

구조인 NF_3는 입체 구조이다.


오답 피하기 분자 구조 평면 삼각형 평면 삼각형 삼각뿔형

• 화합물에서 원자의 옥텟 규칙: 2주기 13족 원소인 붕소(B)는 전자쌍을


3개 가지므로 옥텟 규칙을 만족하지 않는다. 2주기 14족 ̄18족 원소는
공유 전자쌍과 비공유 전자쌍의 합이 4로서 옥텟 규칙을 만족한다.
개념 더하기 분자의 구조와 결합각

• 중심 원자 주위의 공유 전자쌍 수와 비공유 전자쌍 수의 합이 4일 때 전 • 중심 원자에 3개의 원자가 결합한 분자의 구조: 중심 원자 주위에 비공
자쌍은 사면체 모양으로 배열한다. 유 전자쌍이 있으면 삼각뿔형이고, 중심 원자 주위에 비공유 전자쌍이 없
• 비공유 전자쌍과 공유 전자쌍 사이의 반발력은 공유 전자쌍과 공유 전자 으면 평면 삼각형이다.

• 질소 원자 1개에 같은 종류의 원자가 3개 결합한 분자는 삼각뿔형 구조


쌍 사이의 반발력보다 크다.
중심 원자가 옥텟 규칙을 만족하는 분자는 HCHO와 NH_3이고, 옥
텟 규칙을 만족하지 않는 분자는 BCl_3이다. 따라서 (나)는 BCl_3이
로, 정사면체 구조인 분자보다 결합각이 작다. 이때 결합한 원자의 종류

 삼각뿔형 구조인 NH_3와 NF_3의 결합각 비교 고, (가)는 NH_3이다.


에 따라 결합각이 달라진다.

ㄱ. 결합각은 평면 삼각형 구조인 (나)가 삼각뿔형 구조인 (가)보다


N N
H H F F 크다.
ㄷ. HCHO의 구조는 평면 삼각형이고, (가) NH_3의 구조는 삼각뿔
107#$ 102.5#$
H F
NH£ NF£

•  NH_3는 중심 원자인 N가 H보다 전기 음성도가 더 커서 공유 전자쌍 ㄴ. HCHO는 중심 원자인 탄소(C)에 2종류의 원자가 결
형이므로 ‘평면 구조인가?’는 ㉠으로 적절하다.

이 N 원자 쪽으로 치우친다. 그러나 NF_3는 중심 원자인 N보다 F의




합했으므로 쌍극자 모멘트가 0이 아닌 극성 분자이다.


오답 피하기

전기 음성도가 더 커서 공유 전자쌍이 F 원자 쪽으로 치우친다. 따라


서 N 원자 주위의 공유 전자쌍이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고, 이로 인
해 비공유 전자쌍은 더 넓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NF_3의 결합각은
NH_3의 결합각보다 작다.
402 ⑤
•학생 B: 극성 공유 결합으로 이루어진 분자이더라도 각 결합의 쌍
극자 모멘트 합이 0인 경우에는 무극성 분자이다.
400 ② •학생 C: CH_4은 극성 공유 결합으로 이루어진 분자이지만, 정사면
자료 분석하기 체 구조로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 합이 0인 무극성 분자이다.
•학생 D: 같은 종류의 원자 사이의 무극성 공유 결합으로 이루어진
임의의 원소로 이루어진 분자의 구조식

2원자 분자는 무극성 분자이다.


분자 (가) (나) (다)
YXZ XY&_4 ZY&_3
•학생 A: 극성 공유 결합으로 이루어진 분자이더라도 분
분자식

자의 전하 분포가 대칭적이어서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 합이 0이면


Y 오답 피하기
Y Y
-

Y-X∫Z
-

Y-X-Y Y-Z-Y
구조식 ∫Z ∫Z
Y-XY-X Y-X-Y
Y-X-YY-Z-Y
Y-Z-Y
-

-
-

Y Y 무극성 분자이다.
Y Y Y Y

구조 직선형 정사면체 삼각뿔형

•X   ̄Z는 옥텟 규칙을 만족하므로 (가) ̄(다)를 구성하는 원자 주위에는


403
BeH_2과 CO_2는 직선형 구조로 분자의 쌍극자 모멘트가 0인 무극성

전자쌍이 4개씩 존재한다.


•X  Y&_4에서 중심 원자는 X이고, X는 4개의 Y와 각각 1개의 전자쌍을 공 분자이고, H_2&S는 굽은 형 구조로 분자의 쌍극자 모멘트가 0이 아닌
유하므로 X는 14족 원소인 탄소(C)이고, Y는 17족 원소인 플루오린(F) 극성 분자이다. 따라서 기준 (가)로는 ‘분자의 쌍극자 모멘트가 0인
가?’가 적절하다. CO_2는 중심 원자 주위의 전자쌍 수가 4로 옥텟 규
• ZY&_3에서 Z는 전자쌍 3개를 공유하므로 옥텟 규칙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이다.

비공유 전자쌍 1개를 갖는다. 따라서 Z는 15족 원소인 질소(N)이다. 칙을 만족하지만, BeH_2은 중심 원자 주위의 전자쌍 수가 2로 옥텟
•Y  XZ에서 중심 원자는 공유 전자쌍을 가장 많이 갖는 X이다. YXZ는
중심 원자 X가 Y, Z와 각각 전자쌍 1, 3개를 공유하는 직선형 구조이다.
규칙을 만족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준 (나)로는 ‘중심 원자가 옥텟 규
칙을 만족하는가?’가 적절하다.

ㄴ. 다중 결합을 포함한 분자는 3중 결합을 포함한 (가) 1가지이다. 개념 더하기 중심 원자가 옥텟 규칙을 만족하지 않는 분자

• 중심 원자가 Be인 분자는 중심 원자 주위의 전자쌍 수가 2이므로 중심


ㄷ. 직선형 구조인 (가)의 결합각은 180°이고, (나)와 (다)는 각각 정 원자 주위에 4개의 전자만 존재한다.  BeH_2, BeF_2
오답 피하기 ㄱ. (가)는 직선형 구조이다.

• 중심 원자가 B인 분자는 중심 원자 주위의 전자쌍 수가 3이므로 중심 원


사면체 구조와 삼각뿔형 구조로 결합각의 크기는 (나)>(다)이다. 따
자 주위에 6개의 전자만 존재한다.  BCl_3
라서 결합각은 (가)>(나)>(다)이다.

바른답·알찬풀이 57
ㄴ. (가)는 쌍극자 모멘트가 0이 아닌 극성 분자이고, (나)는 쌍극자
404
일반적으로 탄소(C)나 규소(Si)와 같은 14족 원소가 중심 원자일 때
③ 오답 피하기 ㄱ. (가)는 굽은 형 구조, (나)는 직선형 구조이다.

결합하는 4개의 원자가 같은 종류인 경우에는 정사면체 구조를 이루 모멘트가 0인 무극성 분자이다.
며, 결합각은 109.5*이고, 무극성 분자이다. 결합하는 원자의 종류
가 2종류 이상인 경우에는 전하의 분포가 비대칭이므로 정사면체 구 407 필수 유형 ④

조가 아니며, 극성 분자이다. 자료 분석하기 극성 물질과 무극성 물질의 대전체 실험


ㄷ. CH_4과 CH_3&F을 이루는 결합은 모두 극성 공유 결합이다.
ㄱ. CH_4은 정사면체 구조로 결합각(a)이 109.5*이지만,
A B

CH_3&F은 사면체 구조로 결합각(b)이 109.5*가 아니다.


오답 피하기

ㄴ. CH_4은 무극성 분자로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가 0이지만, CH_3&F


은 극성 분자로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 합이 0이 아니다.
- - - - - -
- - - - - -

개념 더하기 CH_4과 CH_3F의 결합각


• 극성 물질의 액체 줄기에 (-)대전체를 가까이하면 분자에서 부분적인

휘어진다.  A는 극성 물질이다.
F 양전하(d^+)를 띠는 부분이 대전체를 향하므로 물줄기가 대전체 쪽으로
H

108.7* • B의 액체 줄기는 대전체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B는 무극성 물질이다.


C C

ㄱ. (-)대전체를 가까이했을 때 A의 액체 줄기는 휘어지고, B의 액


H H
110.2*
H H
109.5*
a b

체 줄기는 휘어지지 않는 것으로 보아 A는 극성 물질이고, B는 무극


H H

CH¢ CH£F

 H_4은 중심 원자인 C에 H 원자 4개가 결합한 정사면체 구조의 분자이


•C
성 물질이다.
므로 결합각 ∠HCH(a)=109.5*이다. ㄴ. 극성 물질인 A와 무극성 물질인 B를 혼합하면 섞이지 않고 층을
 H_3&F은 중심 원자인 C에 H 원자 3개와 F 원자 1개가 사면체 구조
•C
로 결합한 분자이다. 이때 F의 전기 음성도는 C보다 크므로 C-F 결
이룬다.
ㄷ. A의 액체 줄기에 (+)대전체를 가까이하면 A 분자에
합의 공유 전자쌍이 F 쪽으로 치우친다. 이로 인해 C-F 결합의 공유
오답 피하기

전자쌍이 차지하는 공간은 C-H 결합의 공유 전자쌍이 차지하는 공 서 부분적인 음전하(d^-)를 띠는 부분이 대전체를 향하므로 액체 줄기
간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결합각 ∠HCF는 109.5*보다 작아지고, 결
합각 ∠HCH(b)는 109.5*보다 커진다.
가 대전체 쪽으로 휘어진다.

408 ④
④ 전기장 속에서 A 분자가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하였으므로, A는
극성 분자이다. NH_3는 극성 분자이므로 A로 적절하다.
405
A는 2주기 14족 원소인 탄소(C), B는 2주기 15족 원소인 질소(N),

①, ②, ③, ⑤ Ar, CH_4, BCl_3, C_2&H_4은 모두 무극성 분자


C는 2주기 16족 원소인 산소(O), D는 2주기 17족 원소인 플루오린
오답 피하기

(F)이다.
로, 전기장 속에서 방향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ㄱ. CD_2(OF_2)는 중심 원자 주위의 공유 전자쌍 수가 2, 비공유 전자 개념 더하기 전기장 속에서 극성 분자와 무극성 분자의 배열

쌍 수가 2인 굽은 형 구조로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 합이 0이 아닌 극 • 기체 상태의 극성 분자는 전기장 속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한다. 이때

인 음전하(d&^-)를 띤 부분은 전기장의 (+)극 쪽을 향한다.


ㄷ. BD&_3(NF_3)는 중심 원자 주위의 공유 전자쌍 수가 3, 비공유 전자
성 분자이다. 부분적인 양전하(d^+)를 띤 부분은 전기장의 (-)극 쪽을 향하고, 부분적

쌍 수가 1이므로 삼각뿔형 구조이며, 극성 분자이다. AD&_4(CF_4)는


• 기체 상태의 무극성 분자는 전기장 속에서 방향성 없이 무질서한 배열을

중심 원자 주위의 공유 전자쌍 수가 4이므로 정사면체 구조이며, 무


한다.

극성 분자이다. 따라서 분자의 쌍극자 모멘트는 BD&_3>AD&_4이다.


(-) d± d— (+) (-) (+)
d± d—
극 극 극 극

ㄴ. BD&_3(NF_3)의 중심 원자 주위에는 비공유 전자쌍이 존


d± d—
d± d—
d± d—

재하고, AD&_4(CF_4)의 중심 원자 주위에는 공유 전자쌍만 존재하므로


오답 피하기
d± d— d± d—

결합각은 BD&_3<AD&_4이다.
전기장 속에서 극성 분자의 배열 전기장 속에서 무극성 분자의 배열

406 409
(가)는 중심 원자의 비공유 전자쌍 수가 2이고, 플루오린(F) 원자 2
② ④

개가 결합한 굽은 형 구조이다. (나)는 중심 원자인 탄소(C) 2개가 3


‘극성 물질은 극성 용매에 잘 용해되고, 무극성 물질은 무극성 용매에

중 결합을 이루고 있고, 각각의 탄소에 플루오린(F) 1개가 결합한 직


잘 용해된다.’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이다. 따라서 극성 용매
에서 이온 결합 물질이나 극성 물질의 용해도와 무극성 물질의 용해
선형 구조이다.
ㄷ. (가)에서 O-F 결합과 (나)에서 C-F 결합은 극성 공유 결합이다.
도를 각각 비교하고, 무극성 용매에서 이온 결합 물질이나 극성 물질
의 용해도와 무극성 물질의 용해도를 각각 비교해야 한다.

58 바른답·알찬풀이
④ 물은 극성 용매이므로 X는 무극성 용매이어야 하고, NaCl은 극 412
성인 물에 잘 녹는 이온 결합 물질이므로 Y는 무극성 물질이어야 한

다. 따라서 X에는 무극성 용매인 사염화 탄소(CCl_4)가 적합하고,


자료 분석하기 수소와 산소, 산소와 나트륨의 화합물

Y에는 무극성 물질인 아이오딘(I&_2)이 적합하다.


수소(H) 산소(O) 나트륨(Na)

①, ②, ③, ⑤ 메탄올(CH_3&OH)은 극성 용매이고, 황산 구
→ 비금속 원소 → 비금속 원소 → 금속 원소
A B C

리(Ⅱ)(CuSO_4)는 이온 결합 물질, 포도당(C_6&H_12&O_6)은 극성 물질이다.


오답 피하기

1+ 8+ 11+

410
극성 물질은 극성 용매에 잘 녹고, 무극성 물질은 무극성 용매에 잘
녹는다. AB&_3의 중심 원자에 비공유 전자쌍이 없는 경우 평면 삼각형
구조이고,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 합이 0이 되므로 무극성 분자이다. 화합물 (가) 화합물 (나)

AB&_3의 중심 원자에 비공유 전자쌍이 1개 있는 경우 삼각뿔형 구조 • A(H)와 B(O)로 이루어진 화합물 (가)는 A_2&B(H_2&O) 또는 A_2&B&_2(H_2&O_2)
이고,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 합이 0이 아니므로 극성 분자이다.
• 금속 원소인 C(Na)와 비금속 원소인 B(O)로 이루어진 화합물 (나)는
이다.

AB&_3의 분자 구조는 삼각뿔형이다. AB&_3의 분자 구조가 삼각뿔형인


C_2&B(Na_2&O)이다.
예시 답안

AB&_3가 극성 용매인 물에 잘 용해되었으므로 AB&_3는 분자 구조가 삼각뿔형인


경우에는 극성 분자이고, 평면 삼각형인 경우에는 무극성 분자이다. 그런데

ㄱ. (가)는 비금속 원소들이 결합하여 생성되는 공유 결합 물질로,


A_2&B 또는 A_2&B&_2이다. 따라서 극성 공유 결합인 A-B 결합을 포함
극성 분자이다.

채점 기준 배점(%)

ㄴ. B는 2주기 16족 비금속 원소이고, C는 3주기 1족 금속 원소이


한다.
분자 구조가 삼각뿔형이라는 것과 극성 용매인 물에 잘 용해되었으

므로 이온 결합을 형성한다. B의 안정한 이온은 B^2-, C의 안정한 이


100
므로 극성 분자라는 내용을 모두 포함하여 옳게 설명한 경우

온은 C^+이므로 (나)의 화학식은 C_2&B이다.


분자 구조가 삼각뿔형이라는 것은 옳게 썼으나 극성 용매인 물에 대
70
한 용해성을 포함하지 않고 극성 분자라고만 설명한 경우
ㄷ. (가)는 공유 결합 물질이고, (나)는 이온 결합 물질이
다. 따라서 이온 결합을 이루는 B와 C의 전기 음성도 차이가 공유
분자 구조가 삼각뿔형이라는 것만 쓴 경우 50 오답 피하기

결합을 이루는 A와 B의 전기 음성도 차이보다 크다.

413 ④

자료 분석하기 임의의 원소로 이루어진 분자의 구조식

(가) X_2W_2 (나) Y_2W_4


96~97쪽
분자
W W
W-Y-Y-W
W-Y-Y-W Y- Y-
-
-

411 ③ 412 ④ 413 ④ 414 ① 415 ① 416 ③


=
∫X-W
=
W-X ∫X-W
W-X W-X-W
W-X-W

-
-
구조식
-
-
W W W W Z ZW W
-
-

(다) XW_4 (라) YZW


417 해설 참조 418 ⑴ 해설 참조 ⑵ 해설 참조
W W
분자

W W
W-Y-Y-W -
-

W-Y-Y-W Y- Y
-

=
411 ∫X-W
=
③ ∫
W-X W-X-W
-
-

W-X 구조식
X-W W-X-W
-
-

W W Z ZW W
W W
-
-

자료 분석하기 분자의 구성 원자 수와 구조 W W

• W ̄Z는 옥텟 규칙을 만족하므로 각각 C, N, O, F 중 하나이다.


• (다) XW&_4에서 X는 탄소(C), W는 플루오린(F)이다.
구분 (가) (나) (다)

• 산소(O)는 전자쌍을 2개 공유하므로 (나)의 Y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Y는 질소(N)이다.
분자

• X, Y, W가 각각 C, N, F이므로 (라)에서 Z는 산소(O)이다.


모형

4 3 4
④ WXY에서 전자쌍을 4개 공유하는 X(C)가 중심 원자이고, 구조
구성 원자 수
분자 구조 평면 삼각형 굽은 형 삼각뿔형

식은 W-X≡Y이므로 WXY의 구조는 직선형이다.

트의 합이 0이므로 무극성 분자이다.


ㄱ. 구성 원자 수가 같은 분자는 (가)와 (다)이고, 중심 원자에 비공유 오답 피하기 ① (가)는 분자 내 결합이 대칭을 이루고 있어 쌍극자 모멘

② (나)는 각 중심 원자에 비공유 전자쌍이 1개씩 있으므로 삼각뿔형


전자쌍이 있는 분자는 굽은 형 구조인 (나)와 삼각뿔형 구조인 (다)이
다. 따라서 X는 (가), Y는 (나), Z는 (다)이다.
ㄴ. 굽은 형 구조인 B는 분자의 쌍극자 모멘트가 0이 아닌 극성 분자 2개가 연결된 입체 구조이다.
이다. ③ (라)는 중심 원자에 비공유 전자쌍이 1개 있고, 2개의 원자가 결
오답 피하기 ㄷ. BCl_3는 평면 삼각형 구조로 X와 같은 구조이다. 합하고 있는 굽은 형 구조이다.

바른답·알찬풀이 59
⑤ (다)는 4개의 X-W 결합으로 이루어진 분자로 무극성 공유 결 416 ③

로 W는 3주기 14족, X는 2주기 14족, Y는 3주기 17족, Z는 2주


합을 포함하지 않는다. 전기 음성도는 같은 족에서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대체로 감소하므

N_2H_4의 분자 모형
기 17족 원소이다.
개념 더하기

ㄱ. W는 3주기 14족, Z는 2주기 17족 원소이므로 원자 번호는


• 전자쌍 반발 이론에 의하면 전자쌍의 반발력이 최소가 되도록 중심 원자

W>Z이다.
에 결합한 원자와 비공유 전자쌍을 배열한 후, 원자들의 배열 모양으로

• N_2&H_4은 중심 원자인 질소(N) 주위에 비공유 전자쌍이 각각 1개씩 있고, ㄷ. 전기 음성도는 Y<Z이므로 YZ에서 Y는 부분적인 양전하(d^+)
분자의 모양을 결정한다.

각 질소에 결합한 원자가 3개이므로 삼각뿔형 2개를 연결한 모양이다. 를 띤다.


ㄴ. XY&_4(CCl_4)는 무극성 물질이므로 극성 물질인 물
 입체 구조이다.

(H_2&O)과 잘 섞이지 않는다.


오답 피하기
H
N

417
서술형 해결 전략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414 ①

2주기 원소로 이루어진 분자의 구조식


주어진 분자식을 보고 루이스 구조식을 그린 다음, 분자의 구조를 예측할 수
자료 분석하기 있어야 한다.
STEP 2 자료 파악
옥텟 규칙 만족 → 14족 Y W 주어진 분자식에서 분자를 구성하는 각 원자가 몇 개의 공유 전자쌍과 비공
-

유 전자쌍을 가질 수 있는지 파악한다.


W=X=W Y-Z-Y Y-X-Y
공유 전자쌍 2개이므로 공유 전자쌍 3개이므로 공유 전자쌍 1개이므로
STEP 3 관련 개념 모으기

비공유 전자쌍 2개 비공유 전자쌍 1개 비공유 전자쌍 3개


➊ 각 분자의 중심 원자는?
→ 16족 → 15족 → 17족 NOCl COCl_2
•질소(N): 3 •탄소(C): 4
분자식

• (가)는 중심 원자인 X 주위에 공유 전자쌍 4개가 있으므로 비공유 전자


(가) (나) (다)

•산소(O): 2 •산소(O): 2
구성 원자의

•염소(Cl): 1 •염소(Cl): 1
• (나)는 중심 원자인 Z 주위에 공유 전자쌍 3개가 있으므로 비공유 전자
공유 전자쌍 수
쌍은 없다. 따라서 (가)의 분자 구조는 직선형이다.

쌍 1개를 가져야 옥텟 규칙을 만족할 수 있다. 따라서 (나)의 분자 구조는


중심 원자 질소(N) 탄소(C)

• (다)는 중심 원자인 X 주위에 공유 전자쌍 4개가 있으므로 비공유 전자


삼각뿔형이다. ➋ 분자의 구조식을 그리는 방법은?

자쌍 수에 따라 단일 결합을 형성하는지, 2중 결합을 형성하는지를 결정


 중심 원자를 가운데에 놓고, 나머지 원자를 배치한 후 가능한 공유 전
쌍은 없다. 따라서 (다)의 분자 구조는 평면 삼각형이다.

그린다. 이때 비공유 전자쌍의 수는 질소는 1, 산소는 2, 염소는 3이다.


한다. 그 다음 옥텟 규칙을 만족하도록 각 원자 주위에 비공유 전자쌍을

종류가 모두 같아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 합이 0인 (가) 1가지이다.


ㄱ. 무극성 분자는 중심 원자에 비공유 전자쌍이 없고, 결합한 원자의 ➌ 분자의 구조는?

다. NOCl의 경우 중심 원자에 2개의 원자가 결합하고 비공유 전자쌍이


ㄴ. X는 14족, Z는 15족 원소이므로 원자 번호는 X<Z
 구조식을 참고하여 전자쌍 반발 이론에 따라 각 분자의 구조를 예측한

1개 있으므로 굽은 형 구조이다. COCl_2는 중심 원자에 3개의 원자가 결


오답 피하기

이다. 합하고 비공유 전자쌍이 없으므로 평면 삼각형 구조이다.


ㄷ. (가)와 (다)는 분자 내의 모든 원자가 같은 평면에 존재한다.

예시 답안
O
415
구성 원소가 C, H이며 원자 수가 4인 (가)의 분자식은 C_2&H_2이고, 구

=

C-
조식은 H-C≡C-H로 공유 전자쌍 수(y)는 5이다. 구성 원소가 -
N, H이며, 공유 전자쌍 수(y)는 5인 (나)의 분자식은 N_2&H_4이다. (다)
O=N-Cl Cl Cl

는 H_2&O_2로 구성 원자 수(x)는 4이다. NOCl은 중심 원자인 N에 2개의 원자가 결합하고 있고, N 주위에 비공유 전
NOCl COCl™

ㄱ. 중심 원자가 C 1개인 C와 H의 화합물은 CH_4이고, 구성 원자 자쌍 1개가 있으므로 굽은 형 구조를 이룬다. COCl_2은 중심 원자인 C에 3개
수는 5이므로 (가)가 아니다. 또한 C의 수가 3 이상인 경우 구성 원 의 원자가 결합하고 있고, C 주위에 비공유 전자쌍이 없으므로 평면 삼각형 구
자 수는 6보다 크므로 (가)로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가)는 C 원자
수 2, H 원자 수 2인 C_2&H_2라고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y=5이다.
조를 이룬다.

ㄴ. (나)는 N_2&H_4이고, 중심 원자에 비공유 전자쌍이 있어


채점 기준 배점(%)
NOCl과 COCl_2의 구조식을 옳게 그리고, 분자의 구조를 모두 옳게
쌍극자 모멘트가 0이 아니므로 극성 분자이다.
오답 피하기
100

ㄷ. (다)는 H_2&O_2로, 각 산소(O) 원자에 비공유 전자쌍 2개가 존재하


설명한 경우
NOCl과 COCl_2의 구조식만 옳게 그린 경우
NOCl과 COCl_2의 분자 구조만 옳게 설명한 경우
50
므로 직선형 구조가 아니다.

60 바른답·알찬풀이
418 419 ②
물(H_2&O)을 전기 분해 하면 (+)극에서는 산소(O_2) 기체, (-)극에서는
수소(H_2) 기체가 1`Û`2의 부피비로 발생한다. (나)에서 기체 A와 B가
서술형 해결 전략

1`Û`2의 부피비로 발생했으므로 기체 A는 산소, 기체 B는 수소이다.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ㄴ. 기체 A는 산소(O_2)이다. 산소 분자의 공유 전자쌍 수는 2, 비공


주어진 분자의 구조를 파악하고 분자 구조의 특징이나 극성 등의 기준에 따

유 전자쌍 수는 4이다.
라 물질을 분류할 수 있어야 한다.
STEP 2 자료 파악

 BeF_2(직선형 구조), BCl_3(평면 삼각형 구조), OF_2(굽은 형 구조),


➊ 분자 내의 모든 원자가 같은 평면에 존재하는 분자는? 오답 피하기 ㄱ. (가)에서 순수한 물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물은 이

HCHO(평면 삼각형 구조)이다.


온 결합 물질이 아니다.

➋ BeF_2, BCl_3, CF_4와 OF_2, HCHO, CH_2&F_2을 구분 짓는 차이점은?


ㄷ. (나)에서 물에 수산화 나트륨을 넣고 전류를 흐르게 하면 물이 수
 BeF_2, BCl_3, CF_4는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 합이 0인 무극성 분자이
다. 반면 OF_2, HCHO, CH_2&F_2은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 합이 0이 아닌
소와 산소로 분해된다. 수산화 나트륨은 물에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
해 사용하는 전해질이다.
극성 분자이다.

 OF_2, CF_4, HCHO, CH_2&F_2은 중심 원자 주위의 전자쌍 수가 4이므


➌ 중심 원자가 옥텟 규칙을 만족하는 분자는?
420 ③
로 옥텟 규칙을 만족한다. 자료 분석하기 이온 결합과 공유 결합

➊ 원자 수가 3 이상인 분자의 구조는?


STEP 3 관련 개념 모으기
¤± ¤— +

2 3 4 3 2

 공유 + +
+ +
전자쌍 수

0 0 0 1 2
+
비공유
전자쌍 수
AB CD™B

• AB에서 A는 전자 2개를 잃고 A^2+이 되고, B는 전자 2개를 얻어 B^2-


평면
분자 구조 직선형 정사면체 삼각뿔형 굽은 형

이 되므로 A는 3주기 2족 원소인 Mg이고, B는 2주기 16족 원소인 O


삼각형

 분자 내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 합이 0이면 무극성 분자이고, 결합의


➋ 분자의 극성은?

•C D_2&B에서 중심 원자인 C의 원자가 전자 수는 4이므로 C는 2주기 14


이다.

쌍극자 모멘트 합이 0이 아니면 극성 분자이다.


족 원소인 C이고, D의 원자가 전자 수는 1이므로 D는 1주기 1족 원소
인 H이다.
⑴ 분자 내의 모든 원자가 같은 평면에 존재하는 ㉠에 해당하는 물질
은 직선형 구조인 BeF_2, 평면 삼각형 구조인 BCl_3와 HCHO, 굽은 형 구조인
예시 답안

A는 마그네슘(Mg), B는 산소(O), C는 탄소(C), D는 수소(H)이다.


OF_2가 있다. 중심 원자가 옥텟 규칙을 만족하지 않는 ㉡에 해당하는 물질은 ㄷ. CB&_2는 CO_2로, 공유 전자쌍 수는 4, 비공유 전자쌍 수도 4이다.
BeF_2과 BCl_3가 있다.
⑵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 합이 0인가?(무극성 분자인가?), BeF_2, BCl_3, CF_4 따라서 CB&_2의 =1이다.
비공유 전자쌍 수

는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 합이 0인 무극성 분자이고, OF_2, HCHO, CH_2&F_2은


ㄱ. A는 3주기 2족 원소인 마그네슘(Mg)이고, B는 2주기
공유 전자쌍 수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 합이 0이 아닌 극성 분자이므로 (가)에는 ‘결합의 쌍극자


16족 원소인 산소(O)이다.
오답 피하기

모멘트 합이 0인가?(무극성 분자인가?)’가 적절하다.


ㄴ. CD&_2&B는 중심 원자인 탄소에 결합한 원자의 종류가 2가지이므로
채점 기준 배점(%)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 합이 0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CD&_2&B는 극성
㉠과 ㉡에 해당하는 물질을 모두 옳게 설명한 경우 100 분자이다.

㉠ 또는 ㉡ 중 한 가지만 옳게 설명한 경우 50
(가)의 분류 기준을 옳게 쓰고 그 까닭을 옳게 설명한 경우 100
⑵ 421 ①
(가)의 분류 기준만 옳게 쓴 경우 50
자료 분석하기 이온 결합의 형성과 에너지 변화
에너지

(가)
98~101쪽
0
(c) (b) (a) 이온 사이의 거리
419 ② 420 ③ 421 ① 422 ① 423 ④ 424 ②
425 ③ 426 ④ 427 ② 428 ④ 429 ④ 430 ①
re (나)

433 ⑴ 공유 전자쌍 수: 4, 비공유 전자쌍 수: 4


431 해설 참조 432 해설 참조

⑵ 해설 참조 ⑶ 해설 참조

• (b)에서 인력과 반발력이 균형을 이루어 이온 결합이 형성된다.  이때


434 ⑴ 해설 참조 ⑵ 해설 참조 • (가)는 반발력에 의한 에너지 변화, (나)는 인력에 의한 에너지 변화이다.

435 ⑴ BCl_3, C_2&F_4 ⑵ FCN ⑶ CH_3&Cl, NF_3


의 거리 r&_e가 이온 결합 길이이다.
436 해설 참조

바른답·알찬풀이 61
이온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양이온과 음이온 사이에 작용 424 ②
하는 반발력에 의한 에너지는 증가하고, 인력에 의한 에너지는 감소 자료 분석하기 Br_2, MgBr_2, Mg의 분류
한다. 이때 인력과 반발력이 균형을 이루어 전체 에너지가 가장 낮은
거리(r&_e)에서 이온 결합이 형성된다. 구분 예 아니요
분자인가? Br&_2 MgBr&_2, Mg
ㄱ. (나)는 이온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에너지가 감소하므
Mg Br&_2, MgBr&_2
고체 상태에서
로 인력에 의한 에너지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전기 전도성이 있는가?

• 3가지 물질 중 분자인 것은 공유 결합 물질인 Br&_2이므로 (가)는 Br&_2이다.


ㄴ. 인력에 의한 에너지와 반발력에 의한 에너지의 합이
최소인 지점 (b)에서 인력과 반발력이 균형을 이룬다. (c)는 반발력
오답 피하기

•3  가지 물질 중 분자가 아닌 것은 이온 결합 물질인 MgBr&_2과 금속인


Mg이다. 이 중 고체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있는 (나)는 Mg이고, 고체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없는 (다)는 MgBr&_2이다.
이 인력보다 우세한 지점이다.
ㄷ. NaCl과 KBr을 구성하는 이온의 반지름을 비교하면 Na^+<K^+,
Cl^-<Br&^-이므로 KBr이 생성될 때 이온 사이의 거리는 NaCl이
ㄴ. (나)는 금속인 Mg으로, 외부에서 힘을 가했을 때 펴지는 성질이
생성될 때 이온 사이의 거리인 r_e보다 멀다.
있다.
오답 피하기 ㄱ. (가)는 공유 결합 물질인 Br&_2이다. Br&_2은 무극성 분자
422 ①
이므로 극성 용매인 물에 잘 녹지 않는다.
ㄷ. (다)는 이온 결합 물질인 MgBr&_2으로, 액체 상태에서 이온의 이
자료 분석하기 다원자 이온의 화학 결합 모형

YX^- XZ_4^+ 동이 가능하므로 전기 전도성이 있다.


이온의 전하가 -1이므로 전 Z의 원자가 전자 수는 1이고
이온식

자를 1개 얻은 상태이다. 따라 이온의 전하가 +1이므로 전자


1개를 잃은 상태이다. 따라서
425
홀전자 수가 0인 A는 베릴륨(Be)이고, B는 홀전자 수가 1이고, B&_2
서 X와 Y의 원자가 전자 수는

각각 4와 5 중 하나이다. X의 원자가 전자 수는 5이다.


로 존재하며 전기 음성도가 4보다 작으므로 수소(H)이다. C는 홀전
자 수가 1이고 Be보다 전기 음성도가 작으므로 리튬(Li)이다. 홀전
화학 결합 ± ±

자 수가 2인 D와 E는 탄소(C)와 산소(O) 중 하나인데, 이 중 전기


+ +
모형 — —

음성도가 큰 D는 산소(O)이고, 전기 음성도가 작은 E는 탄소(C)이


+ + + + + ++ ++ +

다. 그리고 홀전자 수가 3인 F는 질소(N)이다.


ㄱ. A와 C는 각각 Be과 Li으로 금속 원소이다.
+ +

+1이므로 ㄴ. A ̄F 중 16족 원소인 D(O)의 원자가 전자 수가 가장 크다.


•X  Z_4&^+의 전하가YX— YX— 전자를 1개 잃은 상태이다.
XZ¢± 원자인 X
주위의 공유 전자쌍 수가 4이고, Z의 원자가 전자 수가 1이므로 X의 원
중심XZ¢±

ㄷ. ED_2(CO_2)는 무극성 분자이고, FB&_3(NH_3)는 극성 분


자가 전자 수는 5이다. 따라서 X는 질소(N)이고, Z는 수소(H)이다.
자이다. 따라서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 합은 ED_2가 FB&_3보다 작다.
오답 피하기

• YX&^-의 전하가 -1이므로 전자 1개를 얻은 상태이다. YX&^-의 공유 전


자쌍 수는 3이고 X의 원자가 전자 수가 5이므로 Y의 원자가 전자 수는
4이다. 따라서 Y는 탄소(C)이다. 426
AC에서 전자를 2개 잃고 Ne의 전자 배치를 갖는 A는 3주기 2족

ㄱ. XZ_4&^+의 화학 결합 모형에서 Z는 수소(H)이다. 따라서 Z_2(H_2) 원소인 마그네슘(Mg)이고, 전자를 2개 얻어 Ne의 전자 배치를 갖
분자의 공유 전자쌍 수는 1이다. 는 C는 2주기 16족 원소인 산소(O)이다. AD&_2에서 전자를 1개 얻어
ㄴ. X(N)의 원자가 전자 수는 5, Y(C)의 원자가 전자 수 Ar의 전자 배치를 갖는 D는 3주기 17족 원소인 염소(Cl)이다.
는 4이므로 X와 Y의 원자가 전자 수의 합은 9이다.
오답 피하기

ㄱ. 반응 전후 원자의 종류와 개수가 같아야 하므로 (가)는 BD(HCl)


ㄷ. X_2&Z_4(N_2&H_4)는 중심 원자인 X(N)에 비공유 전자쌍이 있으므로
삼각뿔형 2개가 연결된 입체 구조이다. ㄴ. A는 3주기 2족 원소이고, D는 3주기 17족 원소이다.
이다.

ㄷ. CD&_2(OCl_2)는 굽은 형 구조로,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


합이 0이 아닌 극성 분자이다.
오답 피하기
423 ④
(가)는 분자 결정, (나)는 이온 결정, (다)는 공유 결정(원자 결정), (라)
427
W ̄Z는 2주기 원소이며 전기 음성도가 W>Y>Z>X이므로
는 금속 결정의 입자 모형이다. ②
ㄱ, ㄷ. 분자 결정인 (가)와 공유 결정인 (다)는 모두 공유 결합 물질
이다. (다)는 원자들이 공유 결합으로 그물처럼 연결된 결정이고, (가) W는 플루오린(F), X는 탄소(C), Y는 산소(O), Z는 질소(N)이다.
ㄴ. X_2&W&_2와 XY&_2는 직선형 구조이고, ZW&_3는 삼각뿔형 구조이다.
ZYW는 중심 원자인 Z(N)에 원자 2개가 결합했고, Z 원자 주위에
는 분자들이 분자 사이의 인력에 의해 규칙적으로 배열된 결정이므
로 녹는점은 (다)가 (가)보다 높다.
ㄴ. 이온 결정인 (나)는 고체 상태에서 이온들이 이동할 수 비공유 전자쌍이 1개 있으므로 굽은 형 구조이다.
ㄱ. 무극성 분자는 X_2&W&_2와 XY&_2이다.
오답 피하기

없으므로 전기 전도성이 없고, 금속 결정인 (라)는 고체 상태에서 자


ㄷ. ZYW에서 중심 원자는 공유 전자쌍을 가장 많이 갖는 Z(N)이다.
오답 피하기

유 전자가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전기 전도성이 있다.

62 바른답·알찬풀이
428 ④ ㄱ. (나) CB&_2(OF_2)는 굽은 형 구조로 중심 원자에 비공유 전자쌍이

자료 분석하기 루이스 전자점식과 구성 원자의 원자가 전자 수 있는 극성 분자이다. 따라서 (나)는 기체 상태에서 전기장을 걸어 주

비공유 전자쌍이 3, 비공유 전자쌍이 2, 비공유 전자쌍이 0,


면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한다.
공유 전자쌍이 1인 공유 전자쌍이 2인 공유 전자쌍이 4인 ㄴ. 전기 음성도는 A(C)<C(O)<B(F)이므로 (가) AC&_2
(CO_2)에서 C는 부분적인 음전하(d&^-)를 띠고, (나) CB&_2(OF_2)에서
오답 피하기
X는 17족 원소 Y는 16족 원소 Z는 14족 원소

X X Y Y Y Z Y C는 부분적인 양전하(d^+)를 띤다. 따라서 (가)와 (나)의 극성 공유 결


합에서 C의 부분적인 전하의 종류는 다르다.
ㄷ. A_2&B&_4(C_2&F_4)에서 공유 전자쌍 수는 6이다.
• 전기 음성도의 주기성: 같은 주기에서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전기 음
성도가 대체로 증가하고, 같은 족에서는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전기 음성

•X  와 Y가 같은 주기이거나, X가 2주기, Y가 3주기라면 전기 음성도는


도가 대체로 감소한다.

X>Y이다. 그러나 전기 음성도가 Y>X이므로 Y는 2주기 16족 원소


431
녹는점은 MgO이 NaCl보다 높다. 이온 결합 물질의 녹는점은 이온
이고, X는 3주기 17족 원소이다.
예시 답안

MgO이 NaCl보다 크고, 이온 사이의 거리는 MgO이 NaCl보다 가깝기 때


의 전하가 클수록, 이온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증가하는데, 이온의 전하는

ㄴ. 원자가 전자 수는 X가 7, Y가 6, Z가 4이므로 X>Y>Z이다.


ㄷ. ZY&_2에서 Z에 결합한 원자 수가 2이고 비공유 전자쌍이 없으므
문이다.

로 ZY&_2의 구조는 직선형이다. YX_2는 중심 원자 Y 주위의 비공유


채점 기준 배점(%)
MgO과 NaCl의 녹는점을 옳게 비교하고, 그 까닭을 이온의 전하
전자쌍 수가 2, 공유 전자쌍 수가 2이므로 굽은 형이다. 따라서 결합
각은 ZY&_2>YX_2이다.
100
와 이온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옳게 설명한 경우
MgO과 NaCl의 녹는점을 옳게 비교하고, 까닭을 이온의 전하 또
ㄱ. 17족 원소인 X보다 16족 원소인 Y의 전기 음성도가 는 이온 사이의 거리 중 1가지만 이용하여 옳게 설명한 경우
70

더 크므로 X는 3주기, Y는 2주기 원소이다.


오답 피하기

MgO과 NaCl의 녹는점만 옳게 비교한 경우 30

429
(가)는 B 주위에 공유 전자쌍 3개만 존재하므로 평면 삼각형 구조이

432

고, (나)는 O 주위에 공유 전자쌍 2개와 비공유 전자쌍 2개가 존재하


예시 답안 금속 결합 물질은 고체와 액체 상태에서 자유 전자가 이동할 수 있으

므로 굽은 형 구조이며, (다)는 C 주위에 비공유 전자쌍이 없고 결합


므로 고체와 액체 상태에서 모두 전기 전도성이 있다. 이온 결합 물질은 고체

한 원자 수가 2이므로 직선형 구조이다.


상태에서는 이온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해 전기 전도성이 없고, 액체 상태에
서는 이온이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전기 전도성이 있다.
ㄱ. (가)는 평면 삼각형 구조이므로 분자 내의 모든 원자가 한 평면에
채점 기준 배점(%)

ㄷ. 결합각은 (가)가 120°이고, (나)가 109.5°보다 작으며, (다)가


존재하는 평면 구조이다.
금속 결합 물질과 이온 결합 물질 각각의 고체와 액체 상태에서의 전
100

180°이므로 (다)>(가)>(나)이다.
기 전도성을 옳게 쓰고, 그 까닭을 옳게 설명한 경우

ㄴ. (가)는 분자 내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 합이 0인 무극성


금속 결합 물질과 이온 결합 물질의 고체와 액체 상태에서의 전기

분자이고, (나)와 (다)는 분자 내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 합이 0이 아


오답 피하기 전도성을 옳게 쓰고, 두 물질 중 하나의 경우만 까닭을 옳게 설명한 70
경우
금속 결합 물질과 이온 결합 물질의 고체와 액체 상태에서의 전기 전
닌 극성 분자이다. 50
도성만 옳게 쓴 경우

430 ①
433
자료 분석하기 분자의 구성 원소와 구조

자쌍과 비공유 전자쌍의 수는 각각 4이다.


⑴ 분자 (가)의 루이스 전자점식은 O C O 이다. 따라서 공유 전
분자 (가) (나) (다)
구성 원소 A, C C, B A, B 예시 답안 ⑵ (가)의 C=O 결합은 전기 음성도가 서로 다른 원자 사이의 공유
분자 구조 직선형 굽은 형 정사면체
⑶ (가)는 직선형 구조이므로 분자를 구성하는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 합이 0이
결합이므로 극성 공유 결합이다.

• 2주기 원소 중 화합물에서 옥텟 규칙을 만족하는 원소는 탄소(C), 질소


(N), 산소(O), 플루오린(F)이다. 다. 따라서 무극성 분자이다.

따라서 A와 B는 탄소 또는 플루오린 중 하나이다.


 정사면체 구조의 분자를 만드는 원소는 탄소(C)와 플루오린(F)이다.
채점 기준 배점(%)

=4이며, 굽
결합의 극성을 전기 음성도를 언급하여 옳게 설명한 경우 100
비공유 전자쌍의 수 ⑵
• 탄소 또는 플루오린을 포함한 분자로,

은 형 구조인 분자 (나)는 CB&_2(OF_2)이다.


공유 전자쌍의 수 극성 공유 결합이라고만 쓴 경우 50

 (나), (다)에 공통으로 포함된 원소인 B는 플루오린(F), (나)의 C는 산


(가)가 무극성 분자임을 쓰고 그 까닭을 분자 구조와 쌍극자 모
100

소(O), (다)의 A는 탄소(C)이다.


멘트 합으로 설명한 경우

• A와 B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사면체 구조인 (다)는 AB&_4(CF_4)이고, A와


⑶ (가)가 무극성 분자임을 쓰고 분자 구조의 언급 없이 쌍극자 모
70
C로 구성되어 있으며 직선형 구조인 (가)는 AC_2(CO_2)이다.
멘트 합으로만 설명한 경우
(가)가 무극성 분자인 것만 쓴 경우 50

바른답·알찬풀이 63
434
Ⅳ 역동적인 화학 반응
예시 답안 ⑴
분자식 CH_4 NH_3 H_2O 13 동적 평형과 물의 자동 이온화
HH
H- -
-- --
H-C-H
H-C-H H-N-H
H-N-H O-H
O-H 개념 확인 문제 103쪽
구조식 H-C-H H-N-H O-H

-
--

-
--
HH HH HH 437 가역 반응 438 비가역 반응 439 가역 반응 440 ◯
441 × 443 NO_2( g), N_2&O_4(g)
H H H
445 1.0×10^-7 446 1×10^-8`M
442 ◯
444 K_w
분자 구조 정사면체 삼각뿔형 굽은 형

⑵ CH_4>NH_3>H_2&O, 세 분자 모두 중심 원자 주위의 전자쌍 수가 4인데,


이 중 비공유 전자쌍 수는 CH_4이 0, NH_3가 1, H_2&O이 2이다. 이때 비공유 전
437
H_2&O의 증발과 응축은 조건에 따라 정반응과 역반응이 모두 일어날
가역 반응

위에 비공유 전자쌍이 많을수록 결합각이 감소한다. 따라서 결합각은 CH_4이


자쌍 사이의 반발력이 공유 전자쌍 사이의 반발력보다 더 크므로 중심 원자 주

가장 크고, H_2&O이 가장 작다. 수 있는 가역 반응이다.

채점 기준 배점(%)
438
HCl(aq)과 NaOH(aq)의 중화 반응은 역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
비가역 반응
구조식을 옳게 그리고, 분자의 구조를 모두 옳게 쓴 경우 100

구조식만 옳게 그리거나, 분자의 구조만 옳게 쓴 경우 50
결합각의 크기를 옳게 비교하고, 그 까닭을 옳게 설명한 경우 100 는 비가역 반응이다.

결합각의 크기만 옳게 비교한 경우 50
439
CaCO_3(s), H_2&O(l), CO_2( g)가 반응하여 Ca(HCO_3)_2(aq)이 생성되
가역 반응

435 ⑴ BCl_3, C_2&F_4 ⑵ FCN ⑶ CH_3&Cl, NF_3 는 반응은 조건에 따라 정반응과 역반응이 모두 일어날 수 있는 가역
반응이다. 이 반응의 정반응은 석회 동굴이 생성되는 반응과 같고,
자료 분석하기 분자식과 분자 구조

BCl_3 OF_2 COF_2 CH_3Cl


역반응은 종유석이 생성되는 반응과 같다.
분자식
중심 원자 B O C C 440
분자 구조 평면 삼각형 굽은 형 평면 삼각형 사면체
일정한 온도에서 밀폐된 용기에 일정량의 액체를 넣으면 처음에는

C_2F_4 NF_3 FCN H_2S


극성 여부 무극성 극성 극성 극성
증발이 주로 일어나 물의 양이 줄어들다가, 충분한 시간이 지나면 증
분자식
C N C S
발 속도와 응축 속도가 같아 겉보기에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삼각형 2개가
중심 원자
보이는 동적 평형 상태(상평형)에 도달한다.
분자 구조 삼각뿔형 직선형 굽은 형
이어진 구조
극성 여부 무극성 극성 극성 극성 441
액체의 증발과 기체의 응축이 동적 평형 상태에 이르면 증발 속도와
응축 속도가 같아 겉보기에는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자 모멘트 합이 0이면 무극성 분자이다. 따라서 무극성 분자는 BCl_3


⑴ 분자의 구조가 대칭을 이루고 있어 분자를 구성하는 결합의 쌍극

와 C_2&F_4이다.
442
⑵ FCN의 구조식은 F-C≡N이므로 직선형 구조이다.
액체의 증발과 기체의 응축이 동적 평형 상태에 이르면 증발 속도와

⑶ CH_3&Cl은 사면체, NF_3는 삼각뿔형 구조이므로 입체 구조이다.


응축 속도가 같으므로 용기 속 액체 분자와 기체 분자의 수가 일정하
게 유지된다.

443 NO_2( g), N_2&O_4( g)


NO_2( g)를 밀폐 용기에 넣으면 2NO_2( g) FLLE N_2&O_4( g)의 반응이 일
436
예시 답안 암모니아는 삼각뿔형 구조로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 합이 0이 아닌
어난다. 충분한 시간이 지나 반응이 동적 평형에 도달하면 용기 속에
로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 합이 0인 무극성 분자이므로 극성 용매인 물에 잘 녹 는 NO_2( g)와 N_2&O_4( g)가 함께 존재하게 된다.
극성 분자이므로 극성 용매인 물에 잘 녹는다. 그러나 메테인은 정사면체 구조

지 않는다.
444 K_w
채점 기준 배점(%)
일정한 온도에서 물의 자동 이온화 반응이 동적 평형을 이루면
[H_3&O^+]와 [OH&^-]의 곱은 항상 일정한 값을 가지며, 이를 물의 이온
암모니아와 메테인의 분자 구조 및 분자의 쌍극자 모멘트를 이용하
100

화 상수(K_w)라고 한다. pH는 수용액 속 수소 이온 농도를 간단한 숫


여 분자의 극성과 물에 대한 용해도의 관계를 옳게 설명한 경우

자로 나타낸 값으로, pH=-log[H_3&O^+]이다.


암모니아와 메테인의 분자 구조 및 분자의 쌍극자 모멘트를 언급하
50
지 않고 분자의 극성과 물에 대한 용해도의 관계만 옳게 설명한 경우

64 바른답·알찬풀이
445 1.0×10^-7
25`*C에서 순수한 물의 [H_3&O^+]=[OH&^-]이고, K_w=[H_3&O^+][OH&^-]
채점 기준 배점(%)

=1.0×10^-14이므로 [H_3&O^+]=1.0×10^-7`M이다.
염화 코발트 육수화물의 생성과 분해 과정을 옳게 설명하고, 전체 반
100
응을 화학 반응식으로 옳게 나타낸 경우
염화 코발트 육수화물의 생성과 분해 과정만 옳게 설명하거나 화학

1×10^-8`M
50
반응식만 옳게 나타낸 경우
446
25`*C에서 K_w=[H_3&O^+][OH&^-]=1×10^-14이고, 수용액의 [H_3&O^+]
는 1×10^-6`M이므로 수용액의 [OH&^-]는 1×10^-8`M이다.
개념 더하기 염화 코발트 종이의 색 변화

• 파란색 염화 코발트 종이에 물을 떨어뜨리면


•  CoCl_2 + 6H_2&O ―→ CoCl_2·6H_2&O


물이 닿은 부분이 분홍색을 나타낸다.

104~107쪽
• 분홍색으로 변한 부분을 헤어드라이어로 가열 헤어
하여 수분을 날리면 다시 파란색 염화 코발트 드라이어

•  CoCl_2·6H_2&O ―→ CoCl_2 + 6H_2&O


447 ③ 448 ④ 449 해설 참조 450 ⑤ 451 ② 종이가 된다.
452 ① 453 ② 454 ① 455 ② 456 해설 참조
457 ② 458 ③ 459 해설 참조 460 ① 461 ⑤
462 ⑤ 463 ①
450 필수 유형 ⑤

자료 분석하기 물의 상태 변화와 동적 평형
447 ③
증발 속도=
(가) 물의 상태 변화는 조건에 따라 정반응과 역반응이 모두 일어날
응축 속도

(나) 황산 구리(Ⅱ) 오수화물(CuSO_4·5H_2&O)을 가열하면 물을 잃고


수 있는 가역 반응이다. H™O(g) (동적 평형)

황산 구리(Ⅱ)(CuSO_4)가 되고, 황산 구리가 물과 결합하면 황산 구


리(Ⅱ) 오수화물이 형성되므로 이 과정은 가역 반응이다. H™O(l)

오답 피하기 (다) 금속과 산이 반응하여 기체가 발생하는 반응은 역반 (가) (나) (다)

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비가역 반응이다. • 온도가 일정할 때 물의 증발 속도는 일정하다.


• 시간이 지나면 용기 속 수증기의 양이 증가하여 수증기의 응축 속도가 빨
라지고, 응축 속도가 증발 속도와 같아지면 동적 평형 상태가 된다.
448 ④
•  (가)와 (나)에서는 증발 속도가 응축 속도보다 빠르고, (다)에서는 증발
④ 염화 코발트 육수화물에서 물을 제거하면 다시 염화 코발트가 되 속도와 응축 속도가 같다.
는지 확인해야 하므로 분홍색으로 변한 염화 코발트 종이를 건조시
켜 다시 파란색이 되는지 확인한다. ㄱ, ㄴ. 동적 평형에 도달하기 전에는 H_2&O의 증발 속도가 응축 속도
오답 피하기 ① 물을 한 방울 더 떨어뜨리면 염화 코발트 육수화물이 보다 빠르므로 (가)에서 (다)로 갈수록 H_2&O(l)의 양(mol)은 감소하
생성되어 염화 코발트 종이가 분홍색을 나타내므로 염화 코발트 육 고, H_2&O( g)의 양(mol)은 증가한다. 따라서 H_2&O(l)의 양(mol)은
수화물의 생성과 분해 반응이 가역 반응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없다. (가)>(나)>(다)이고, H_2&O( g)의 양(mol)은 (가)<(나)<(다)이다.
② 페놀프탈레인 용액은 염기성에서 붉은색을 나타내는 지시약으로, ㄷ. (다)는 동적 평형 상태이므로 H_2&O(l)의 증발 속도와 H_2&O( g)의
염화 코발트 육수화물의 생성 반응과 분해 반응이 가역 반응이라는 응축 속도가 같다.
것을 확인할 수 없다.
③, ⑤ 염화 코발트 종이는 물을 흡수하면 분홍색으로 색이 변하므로 451 ②
물의 존재를 확인할 때 사용한다. 묽은 염산은 산성 물질이고, 수산 일정 온도에서 진공 상태인 밀폐 용기에 H_2&O(l)을 넣으면 H_2&O(l)의
화 나트륨은 염기성 물질이며, 산성 물질과 염기성 물질을 확인할 때 표면에서 증발이 일어나고, 용기 속에 H_2&O( g)가 존재하게 되면 응축
이 일어난다. 이때 충분한 시간이 지나면 물의 증발 속도와 응축 속
도가 같아져 동적 평형 상태에 도달하고, 용기 속 H_2&O(l)의 양과 H_2&O( g)
는 리트머스 종이 등을 사용한다. 따라서 묽은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분홍색으로 변한 염화 코발트 종이에 떨어뜨리는 것으로는
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ㄷ. 용기 속 H_2&O(l)의 부피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시점인 t_2에서
염화 코발트 육수화물의 생성 반응과 분해 반응이 가역 반응이라는

H_2&O은 동적 평형 상태이다. 이로부터 t_1일 때는 동적 평형에 도달하


것을 확인할 수 없다.

449 지 않은 시점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H_2&O(l)의 양(mol)은 t_1일 때가


CoCl_2가 수분을 흡수하여 CoCl_2·6H_2&O이 생성된다. CoCl_2·6H_2&O t_2일 때보다 크고, H_2&O( g)의 양(mol)은 t_2일 때가 t_1일 때보다 크므
을 가열하면 수분이 날아가 CoCl_2로 분해된다. 전체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예시 답안

H_2&O( g)의 양(mol)
은 t_2일 때가 t_1일 때보다 크다.
CoCl_2 + 6H_2&O FLLE CoCl_2·6H_2&O H_2&O(l)의 양(mol)

바른답·알찬풀이 65
오답 피하기 ㄱ. t_3일 때는 동적 평형 상태이므로 H_2&O의 증발과 응축이 454 ①
같은 속도로 일어난다.
ㄴ. 일정한 온도에서 H_2&O의 증발 속도는 일정하므로 H_2&O의 증발 속
자료 분석하기 물의 증발 속도와 응축 속도

도는 t_1일 때와 t_2일 때가 같다.


㉠은 시간에 따라 그 속도가 일정
→ 증발 속도

속도
증발 속도=응축 속도
증발 속도>응축 속도 → 동적 평형 ㉠

452 ①
H™O(g)

자료 분석하기 상태 변화와 동적 평형 응축 속도
H™O(l) H™O(l)
t¡ t™ 시간

t_2일 때 증발 속도=응축 속도
(가) (나) (다)

→ 동적 평형

X(l) X(`g`)
ㄱ. (다)에서 ㉠은 시간에 따른 속도가 일정하므로 증발 속도이다.
ㄴ. (나)는 물의 증발 속도와 수증기의 응축 속도가 같은
동적 평형 상태이므로 (다)에서 t_2 이후의 상태와 같다.
(가) (나) (다) 오답 피하기

• (다)에서 X(l)의 질량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  X(l)의 증발 속도=X( g)의 응축 속도  동적 평형 상태 ㄷ. H_2&O의 증발 속도는 t_1일 때와 t_2일 때가 같고, H_2&O의 응축 속도
•X
• X( g)의 질량: (가)<(나)<(다) 는 t_2일 때가 t_1일 때보다 빠르다. 따라서 H_2&O의 는 t_2일
 (l)의 질량: (가)>(나)>(다)
응축 속도
증발 속도
때가 t_1일 때보다 크다.
진공 상태인 밀폐 용기에 X(l) w_1`g을 넣으면 일정한 속도로 증발이
일어나고, 용기 속에 X( g)이 증가하면서 응축 속도가 증가하다가 증
455 ②
발과 응축이 같은 속도로 일어나는 동적 평형에 도달한다. 동적 평형
상태에서 X(l)의 양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다)에서 X(l)의 질량이
자료 분석하기 용해 평형

w_2`g으로 일정하므로 (다)는 동적 평형에 도달한 상태이다.

X의 질량: 25`g X의 질량: 25`g


ㄴ. (나)는 동적 평형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이고, (다)는 동적 평형 상
태이므로 용기 속 X(l)의 양(mol)은 (나)>(다)이다.
용액에 녹아 있는 용액에 녹아 있는

ㄱ. 진공 상태인 밀폐 용기에 X(l) w_1`g을 넣은 후 동적 평 X(s)`5`g X(s)`10`g

형에 도달했을 때 X(l)의 질량이 w_2`g이 되므로 w_1>w_2이다.


오답 피하기

ㄷ. t_2 분이 지났을 때는 동적 평형 상태이므로 t_2 분 이후 시간이 지나


(가) (나)

• (가)는 동적 평형 상태이므로 (가)에서 X의 용해 속도=석출 속도이다.


도 용기 속 X( g)와 X(l)의 양(mol)은 일정하다.
• (가)에 X`w`g을 추가해 주어도 용액 속으로 용질이 더 녹아 들어가지 않
는다.
453 ②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량의 물이 들어 있는 비커에 충분한 양의 ㄷ. (가)는 동적 평형(용해 평형) 상태이므로 (가)에서 X의 용해 속도
C_6&H_12&O_6(s)을 넣어 주면 처음에는 용질의 용해 속도가 석출 속도보 와 석출 속도는 같다.
다 빨라 용질이 용액 속으로 녹아 들어간다. 충분한 시간이 지나 용 ㄱ. (가)는 동적 평형 상태에 도달한 포화 용액이므로 (가)에
용질 X(s)를 더 넣어 주어도 X(s)가 용액 속에 더 녹아 들어가지 않
오답 피하기
액 속에 녹아 들어간 용질의 양이 최대가 되면 용질의 용해 속도와
석출 속도가 같아지는 동적 평형(용해 평형) 상태에 도달하는데, 이 는다. 이때 (나)에서 X(s)의 질량이 10`g이므로 (가)에 더 넣어 준
때 비커 속 C_6&H_12&O_6(s)의 질량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주어진 표에서 X(s)의 질량 w=5(g)이다.
t_3 이후 C_6&H_12&O_6(s)의 질량이 일정하므로 이때 동적 평형 상태에 도 ㄴ. 용액 속에 녹아 있는 X의 양(mol)은 (가)에서와 (나)에서가 같으
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므로 X(aq)의 몰 농도(M)는 (가)=(나)이다.
ㄷ. t_3일 때 동적 평형 상태에 도달하므로 용액 속에 녹아 있는 C_6&H_12&O_6
의 양(mol)은 t_3일 때와 t_4일 때가 같다. 따라서 C_6&H_12&O_6(aq)의 몰
농도는 t_3일 때와 t_4일 때가 같다.
456

ㄱ. t_1일 때와 t_2일 때는 동적 평형에 도달하기 전으로,


염화 나트륨이 최대한으로 녹아 있는 수용액에서는 염화 나트륨의

C_6&H_12&O_6의 용해 속도가 석출 속도보다 빨라 용질이 계속 용액 속에


오답 피하기
용해와 석출이 같은 속도로 계속해서 일어나므로 겉으로는 용해가

녹아 들어간다. 따라서 용액 속에 녹아 있는 C_6&H_12&O_6의 양(mol)은 t_2


멈춘 것처럼 보이는 동적 평형 상태를 이루고 있다.
^23&Na이 포함된 고체 염화 나트륨이 더 이상 줄어들지 않을 때 동적
일 때가 t_1일 때보다 크다.
예시 답안

평형에 도달하였고, 이때에도 용해와 석출은 계속 일어나므로 ^24&Na이 포함된


ㄴ. t_2일 때는 동적 평형에 도달하기 전이므로 C_6&H_12&O_6의 용해 속도
나트륨과 수용액에서 모두 ^24&Na이 발견된다.
고체 염화 나트륨을 넣으면 용해와 석출이 일어나 바닥에 가라앉은 고체 염화
가 석출 속도보다 빠르다.

66 바른답·알찬풀이
수용액 B의 pH와 pOH가 x로 같으므로 x는 7이다. 또 25`*C에서
z
예시 답안

pH와 pOH의 합은 14이므로 수용액 A에서 5y+ =14, 수용액 C에서


채점 기준 배점(%)

3
동적 평형(용해 평형)에 도달하여 용해와 석출이 계속 일어나기 때문

y+z=14이다. 이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y=2, z=12이다. 따라서 x+y+


100
이라고 설명한 경우

z=7+2+12=21이다.
동적 평형(용해 평형)에 도달하였기 때문이라고만 설명한 경우 60

채점 기준 배점(%)
457 필수 유형 ②

풀이 과정 중 일부에 오류가 있어 x ̄z 중 1가지가 옳지 않은 경우


풀이 과정과 답을 모두 옳게 설명한 경우 100
자료 분석하기 이산화 질소 반응의 동적 평형
30

2NO_2( g) FLLE N_2&O_4( g)



㉡ 460 ①
ㄱ. 물 분자 사이에 H^+을 주고받아 H_3&O^+과 OH&^-을 생성하므로 ㉠
은 OH&^-이다.

+ -

O O O O
NO™(g) + H H +
H H H H H H

ㄴ. 물의 이온화 상수 K_w=[H_3&O^+][OH&^-]=k이므로 수
용액에서 [H_3&O^+]=[OH&^-]=√k` M이다.
오답 피하기
(가) (나)

ㄷ. 온도가 일정할 때 물의 이온화 상수 K_w는 일정하다. 따라서 순수


• 일정한 온도에서 밀폐된 용기에 NO_2( g)를 넣으면 처음에는 정반응(㉠)이
• ㉠은 정반응, ㉡은 역반응이다.

역반응(㉡)보다 빠른 속도로 일어나 적갈색인 NO_2( g)의 양(mol)이 줄어 한 물에 염산을 소량 넣어도 K_w=k이다.


들고, 무색인 N_2&O_4( g)가 생성되므로 용기 속 기체의 색이 옅어진다.
• (나)에서 동적 평형(화학 평형)에 도달하면 정반응(㉠)과 역반응(㉡)이 같 461 ⑤
K_w
25`*C에서 K_w=[H_3&O^+][OH&^-]=1\10^-14이므로 [OH&^-]= [H_3&O^+]
은 속도로 일어나 겉으로는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ㄷ. (나)는 동적 평형 상태이므로 용기 속 NO_2( g)와 N_2&O_4( g)의 양


1\10^-14`M [H_3&O^+] 1\10^-5`M
= =1\10^-9`M이다. 따라서 =
(mol)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NO_2( g)의 양(mol) 1\10^-5`M [OH&^-] 1\10^-9`M
N_2&O_4( g)의 양(mol)
=10000이다.
은 일정하다.

오답 피하기 ㄱ. (나)는 동적 평형 상태이므로 정반응(㉠)과 역반응(㉡)

ㄴ. 화학 반응식으로부터 반응 몰비는 NO_2( g)`Û`N_2&O_4( g)=2`Û`1임


이 같은 속도로 일어난다. 462 필수 유형 ⑤

자료 분석하기 수용액의 H_3O^+와 OH^- 농도

[H_3O^+] (M) [OH^-] (M)
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화학 반응식의 계수비로는 동적 평형에 도달

1\10^-2
할 때까지 반응한 물질의 몰비만 알 수 있으며, 동적 평형 상태에서 수용액

존재하는 물질의 양(mol)은 주어진 정보만으로 알 수 없다. 1\10^-12

1\10^-10
(가)
(나) ㉠ 1\10^-4

458 • 25`*C 수용액에서 K_w=[H_3&O^+][OH&^-]=1\10^-14로 일정하다.


• (가)에서 [OH&^-]=1\10^-12`M이고, (나)에서 [H_3&O^+]=1\10^-4`M이다.

•학생 A: H_2&O 분자들 사이에 H^+을 주고받아 H_3&O^+과 OH&^-을 생
성하는 반응과 H_3&O^+과 OH&^-이 반응하여 H_2&O을 생성하는 반응은
가역적으로 일어난다. ㄱ. (가)에서 [OH&^-]=1\10^-12`M이다. 따라서 [H_3&O^+]>[OH&^-]이
•학생 B: 물의 자동 이온화 반응에서 한 H_2&O 분자가 H^+을 내놓으
ㄴ. (나)에서 [H_3&O^+][OH&^-]=1\10^-14이고, [OH&^-]=1\10&^-10`M
므로 (가)는 산성이다.
면 OH&^-이 되고, 다른 한 H_2&O 분자가 H^+을 받으면 H_3&O^+이 되므
로 순수한 물에서는 [H_3&O^+]와 [OH&^-]가 같다. 이므로 [H_3&O^+]=1\10^-4`M 이다.
•학생 C: 일정한 온도에서 물의 이온화 상수(K_w), 즉 ㄷ. (가)의 pH는 2이고, (나)의 pH는 4이다. 따라서 pH는 (가)<(나)
[H_3&O^+][OH&^-]는 일정하므로 순수한 물에 산성 물질인 염산을 넣어
오답 피하기

이다.
주면 순수한 물에서보다 [H_3&O^+]는 증가하고, [OH&^-]는 감소한다.
따라서 pH는 감소하고, pOH는 증가한다. 463
(가)의 pH가 2이므로 [H_3&O^+]=1\10^-2`M이다. [H_3&O^+]는 (가)가

459 (다)의 100배이므로 (다)의 [H_3&O^+]=1\10^-4`M이고, (다)의 [OH&^-]


25`*C에서 물의 이온화 상수 K_w=[H_3&O^+][OH&^-]=1\10^-14이므로 =1\10^-10이다.
수용액에서 -l&o&g`[H_3&O^+][OH&^-]=-l&o&g`[H_3&O^+]+(-l&o&g`[OH&^-]) ㄱ. (가)의 pH가 2이므로 [H_3&O^+]=1\10^-2`M이고, [OH&^-]=
=14이다. 즉, pH+pOH=14로 일정하다. 1\10^-12`M이다.

바른답·알찬풀이 67
ㄴ. (다)의 [OH&^-]=1\10^-10`M이고, pOH는 10이다.
(나)의 pOH는 (다)의 pOH보다 1만큼 크므로 11이다.
오답 피하기 개념 더하기 물과 수증기의 동적 평형에서 증발 속도와 응축 속도

ㄷ. (다)의 [H_3&O^+]=1\10^-4`M이다.

속도
일정한 온도에서 증발 속도는 일정하다.
증발

H_2&O( g)의 분자 수

같은 지점인 t_3에서 동적
증발 속도와 응축 속도가
가 점점 증가하면
서 응축 속도도 증
응축 평형이 이루어진다.
가한다.
108~109쪽 0 t¡ t™ t£ 시간

• t _1, t_2 : 증발 속도>응축 속도  H_2&O(l)의 양(mol)이 감소


• t _3 : 증발 속도=응축 속도  동적 평형, H_2&O(l)의 양(mol)과 H_2&O( g)의
464 ① 465 ③ 466 ③ 467 ⑤ 468 ① 469 ②
470 해설 참조 471 해설 참조 472 해설 참조 양(mol)이 일정하게 유지

464 ① 466 ③

자료 분석하기 용해 평형 자료 분석하기 가역 반응에서 동적 평형

2A( g) FLLE 3B( g) + C( g)


X(s)추가 증류수 추가

X(s) 전체 동적 평형
기체의 0.6
양(mol)
(가) (나) (다)
0.5
• (나)는 (가)에 X(s)를 추가한 상태로, 더 녹아 들어가는 X(s)가 없다.
• (가)는 동적 평형(용해 평형) 상태이다.  용해 속도=석출 속도

• (다)에는 X(s)가 추가로 녹을 수 있으므로 동적 평형 상태가 아니다. 0.4


넣어 준 A의
반응 전

ㄱ. (가)는 X의 용해 속도와 석출 속도가 같은 동적 평형(용해 평형)


양(mol)
0 t¡ t™ t£
반응 시간

• 화학 반응식의 계수비에 의해 반응물과 생성물의 몰비는 A`Û`B`Û`C=


2`Û`3`Û`1이다.
상태이다.
ㄴ. (가)는 동적 평형 상태이므로 (가)에 X(s)를 추가해도
• 반응 전 전체 기체의 양(mol)이 0.4`mol이므로 반응 전 넣어 준 A의
오답 피하기

양(mol)은 0.4`mol이다.
용액 속으로 용질이 더 녹아 들어가지 않는다. 따라서 용액 속에 녹
아 있는 용질의 양(mol)은 (가)와 (나)에서 같으므로 X(aq)의 몰 농도 • t _2일 때부터 용기 속 전체 기체의 양(mol)이 변하지 않으므로 t_2일 때
는 (가)와 (나)에서 같다. 동적 평형에 도달한다.  t_2 이후 정반응과 역반응의 속도는 같다.

ㄱ. 반응 전 전체 기체의 양(mol)은 반응물인 A의 양(mol)과 같으


ㄷ. (다)는 용질이 더 녹을 수 있으므로 동적 평형 상태가 아니다.

465 므로 용기에 넣어 준 A의 양은 0.4`mol이다. 반응 시간이 t_1일 때까


지 반응한 A의 양을 2a`mol이라고 하면 생성된 B의 양은 3a`mol,

C의 양은 a`mol이다. 이때 전체 기체의 양은 (0.4-2a)+3a+a=


자료 분석하기 물의 상태 변화와 동적 평형

H_2&O( g)의 양(mol) 일정하게 유지


0.4+2a=0.5(mol)이다. 이 식을 풀면 a=0.05(mol)이므로 t_1일
때 A의 양은 0.3`mol, B의 양은 0.15`mol, C의 양은 0.05`mol
H™O(`g) → 증발 속도=응축 속도
의양

→ 동적 평형
B

마찬가지로 반응 시간이 t_2일 때까지 반응한 A의 양을 2b`mol이라


A 이다.
(

mol
)

→ 증발 속도 > 응축 속도 고 하면 생성된 B의 양은 3b`mol, C의 양은 b`mol이다. 이때 전체


동적 평형에 도달하기 전 상태

기체의 양은 (0.4-2b)+3b+b=0.4+2b=0.6(mol)이다. 이 식
H™O(l)

을 풀면 b=0.1(mol)이므로 t_2일 때 A의 양은 0.2`mol, B의 양은


0 시간

0.3`mol, C의 양은 0.1`mol이다. 따라서 t_1일 때 A의 양(mol)과


(가) (나)

ㄱ. A는 동적 평형에 도달하기 전 상태이고, B는 동적 평형 상태이 t_2일 때 B의 양(mol)은 0.3`mol로 같다.


므로 H_2&O(l)의 양(mol)은 A>B이다.
ㄴ. A는 동적 평형에 도달하기 전 상태이므로 H_2&O의 증발 속도는
ㄷ. 가역 반응이 동적 평형을 이루면 정반응과 역반응이 같은 속도로
일어나 겉으로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므로 t_3일 때 강
응축 속도보다 빠르다. 철 용기에는 반응물인 A( g)와 생성물인 B( g), C( g)가 모두 존재한다.
오답 피하기 ㄷ. B는 동적 평형 상태이므로 증발과 응축이 같은 속도로 오답 피하기 ㄴ. t_2일 때 동적 평형에 도달하므로 t_2에서 정반응의 속도
일어난다. 와 역반응의 속도는 같다.

68 바른답·알찬풀이
ㄴ. (가)에서 HCl(aq)의 몰 농도는 0.01`M이므로 [H_3&O^+]=1.0×
10^-2`M이고, pH는 2이다. (나)에서 NaOH(aq)의 몰 농도는 0.1`M
467 ⑤

이므로 [OH&^-]=0.1`M이고, [H_3&O^+]=1.0×10^-13`M이므로 pH


자료 분석하기 수용액의 [H_3O^+]와 [OH^-]

(나)의 pH
는 13이다. 따라서 =/
1
2
3<7이다.
[H£O±]

(가)의 pH
(
M
[H_3&O^+]=a`M, [OH&^-]=x`M
)

a P

[H_3&O^+]=[OH&^-]=b`M

[H_3&O^+]=c`M, [OH&^-]=10x`M
Q 470
b
R 서술형 해결 전략
c
x b 10x
[OH—](M)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Q  에서 K_w=b^2=1.0\10^-14, b=1.0\10^-7이다.
고체와 기체 사이의 상태 변화는 가역적으로 일어나며, 주어진 조건에서 충

• P에서 a×x=1.0\10^-14, R에서 c\10x=1.0\10^-14이다.


분한 시간이 지나면 동적 평형에 도달한다는 것을 파악해야 한다.
STEP 2 관련 개념 모으기

ㄱ. Q에서 [H_3&O^+]=b=1.0\10^-7`M이므로 수용액의 pH는 7이다.  용기 (가)와 (나)에서 동적 평형에 도달하면 (가)에는 ^127&I&_2(s)과 ^127&I&_2( g)
➊ 상태 변화는 가역적으로 일어나는가?

ㄴ. 25`*C에서 수용액의 K_w=[H_3&O^+][OH&^-]=1.0\10^-14로 일정 이, (나)에는 ^131&I&_2(s)과 ^131&I&_2( g)이 각각 존재한다.


하므로 P에서 a\x=1.0\10^-14이고, R에서 c×10x=1.0\
 각 용기 속 기체가 분자 운동에 의해 용기 전체로 퍼지므로 ^127&I&_2( g)과
➋ 꼭지를 열면 일어나는 변화는?

a
10^-14이다. 이로부터 a×x=c×10x, a=10c이므로 c =10이다. ^131&I&_2( g)은 (가)와 (나)에 모두 존재한다.

ㄷ. a =10이므로 [H_3&O^+]는 P에서가 R에서의 10배이다. 따라서  (가)와 (나)에서 ^127&I&_2( g) FLE ^127&I&_2(s) 반응과 ^131&I&_2( g) FLE ^131&I&_2(s) 반응이
➌ 꼭지를 열고 충분한 시간이 지난 후 일어나는 반응은?

c
pH는 R에서가 P에서보다 1만큼 크다.
모두 일어난다.

예시 답안 ^127&I&_2, ^131&I&_2, 꼭지를 열면 ^127&I&_2 기체와 ^131&I&_2 기체가 용기 (가)와 (나)를


채우고, I&_2 고체가 기체로 되는 반응과 I&_2 기체가 고체로 되는 반응이 가역적으
468
ㄱ. (가)에서 [H_3&O^+]=0.01`M이므로 pH는 2이다. 25`*C에서

pH+pOH=14이므로 pOH는 12이다. 고체 상태의 ^127&I&_2과 ^131&I&_2이 모두 발견된다.


로 일어나다가 충분한 시간이 지나면 동적 평형에 도달하므로 용기 (가)에서는

ㄴ. (나)에서 pH=3이므로 [H_3&O^+]=0.001`M이고, 수


용액 속 H_3&O^+의 양(mol)은 (가)에서 수용액 속 H_3&O^+의 양(mol)과
오답 피하기
채점 기준 배점(%)

같으므로 0.01`M\0.2`L=0.002`mol이다. 이때 (나)의 부피는


(가)에서 발견되는 분자의 종류와 그 까닭을 모두 옳게 설명한 경우 100

(0.2+V)`L이므로
0.002
=0.001, 이 식을 풀면 V=1.8이다.
(가)에서 발견되는 분자의 종류만 옳게 설명한 경우 40

(0.2+V)
ㄷ. (나)에서 HCl(aq)에 들어 있는 H^+의 양은 0.002`mol이고, (나)
의 부피는 2` L이다. (다)의 부피가 3` L 이므로 추가한 0.01` M
471

NaOH(aq)의 부피는 1`L이다. 따라서 0.01`M NaOH(aq) 1`L에


서술형 해결 전략

들어 있는 OH&^-의 양(mol)은 0.01`M\1`L=0.01`mol이다. 산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의 H^+과 염기의 OH&^-은 1`Û`1의 개수비로 반응하므로 (다)에는 반


용질이 더 이상 녹지 않고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는 동적 평형(용해 평형)을

응하고 남은 OH&^-이 존재한다. 따라서 (다)는 염기성이다.


이룬 상태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STEP 2 관련 개념 모으기
➊ 용해 평형이란?
469 ②
[H_3&O^+]
 용질이 용해되는 속도와 용액에 녹아 있는 용질이 석출되는 속도가 같

[OH&^-] 1.0 10
= × ^10이므로 [O H&^-]=a`M이라고 하면
아 겉보기에 용해가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상태이다.
(가)에서

[H_3&O^+]=(1.0×10^10×a)`M이고, K_w=[H_3&O^+][OH&^-]=1.0\10^10&
➋ 동적 평형에 도달한 용액 속 용질의 양(mol)은?
 용액 속으로 녹아 들어가는 용질의 양(mol)과 용액에서 석출되는 용

\a^2=1.0×10^-14이므로 a=1.0×10^-12이다. 따라서 (가)의 [H_3&O^+]


질의 양(mol)이 같으므로 용액에 녹아 있는 용질의 양(mol)은 일정하게

=1.0×10^-2`M이므로 (가)에서 HCl(aq)의 몰 농도는 0.01`M이


유지된다.

고, (나)에서 NaOH(aq)의 몰 농도는 0.1`M이다.


➌ 동적 평형에 도달한 용액에 용질을 더 넣어 줄 때 용액에 녹아 있는 용질
의 양(mol)은?

ㄷ. (나)에 물을 넣어 100`mL로 만들면 용질의 양(mol)은 일정하고


 동적 평형에 도달한 상태이므로 용해와 석출이 같은 속도로 일어날 뿐

부피는 10배가 되므로 희석한 용액의 몰 농도는 0.01`M이 된다. 따


용액에 용질이 추가로 녹아 들어가지는 않는다. 따라서 용액에 녹아 있는

라서 [Na^+]=1.0×10^-2`M, [OH&^-]=1.0×10^-2`M, [H_3&O^+]=


용질의 양(mol)은 변하지 않고 일정하다.

[Na^+]
1.0×10^-12`M이다. 따라서 [H_3&O^+] =1.0×10^10이다.
예시 답안 동적 평형(용해 평형)에 도달하면 용해되는 설탕 분자 수와 석출되는

ㄱ. x= 0.01이다.
설탕 분자 수가 같아져 설탕물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설탕을 더
오답 피하기 넣어 주어도 용액 속에 녹아 있는 설탕 분자 수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바른답·알찬풀이 69
채점 기준 배점(%) 477
동적 평형에 도달한 상태라는 것을 언급하고, 용액 속에 녹아 있는 염은 산의 음이온과 염기의 양이온이 결합하여 형성된 물질로, 반응
100
설탕 분자 수가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설명한 경우 하는 산과 염기의 종류에 따라 생성되는 염의 종류가 다르다.
설탕 분자 수가 일정하게 유지된다고만 설명한 경우 60

478
472 지시약은 용액의 액성에 따라 색이 달라지므로 중화 적정에서 지시
서술형 해결 전략 약의 색 변화를 통해 중화점을 확인할 수 있다.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pH와 [H_3&O^+]의 관계를 이용하여 수용액 속 [H_3&O^+]를 구할 수 있어야 한
479
HCl(aq)과 NaOH(aq)의 몰 농도가 같으므로 각 용액에 포함된 H^+
(가) 염기성, (나) 중성, (다) 산성

또는 OH&^-의 양(mol)은 용액의 부피에 비례한다. (가)에서는 H^+의


다. 또, 수용액 속 용질의 양(mol)은 용액의 몰 농도(M)와 부피(L)를 곱하여

양(mol)<OH&^-의 양(mol)이므로 (가)는 염기성이다. (나)에서는


구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2 관련 개념 모으기
H^+의 양(mol)=OH&^-의 양(mol)이므로 (나)는 중성이다. (다)에서
STEP
➊ pH의 의미는?
 pH=-log[H_3&O^+]이다. 주어진 수용액의 pH가 3이므로 [H_3&O^+]=
는 H^+의 양(mol)>OH&^-의 양(mol)이므로 (다)는 산성이다.
1.0\10^-3`M이다.
➋ 수용액 속 H_3&O^+의 양(mol)은?
 [H_3&O^+]=1.0\10^-3`M이고, 수용액의 부피가 0.01`L이므로 수용 480
액 속 H_3&O^+의 양(mol)은 1.0\10^-3`M\0.01`L=1.0\10^-5`mol (가)는 염기성, (나)는 중성, (다)는 산성이므로 pH는 (가)가 가장 크다.
(가)

이다.

0.001`mol
pH가 3이므로 [H_3&O^+]=1.0\10^-3`M이다. 또 수용액의 부피가
481
(다)에서 Na^+은 반응에 참여하지 않으므로 Na^+의 양(mol)은 반응 전
0.01`L이므로 수용액 속 H_3&O^+의 양(mol)은 1.0\10^-3`M\0.01`L=
예시 답안

NaOH의 양(mol)과 같다. 따라서 0.1`M\0.01`L=0.001`mol


1.0\10^-5`mol이다.
이다.
채점 기준 배점(%)
H_3&O^+의 양(mol)을 구하는 과정을 옳게 설명한 경우 100 482 0.1`M
H_3&O^+의 양(mol)을 옳게 구했으나 풀이 과정의 설명이 미흡한 경우 60 HCl(aq)의 몰 농도를 x`M이라고 하면 중화 반응의 양적 관계는 다

1×x`M×0.04`L=2×0.1`M×0.02`L, x=0.1
음과 같다.

14 산 염기 반응

개념 확인 문제 111쪽

473 브뢴스테드·로리 산 474 브뢴스테드·로리 염기


475 브뢴스테드·로리 산 476 ◯ 477 ×
112~115쪽

481 0.001`mol 482 0.1`M


478 ◯ 479 (가) 염기성, (나) 중성, (다) 산성
480 (가)
483 ⑤ 484 ③ 485 ⑤ 486 ② 487 ② 488 ⑤
489 ④ 490 ⑤ 491 (가) Na^+, (나) Cl^-, (다) H^+, (라) OH&^-
492 해설 참조 493 ④ 494 ⑤ 495 ⑤ 496 ①
473
HCl는 H_2&O에게 H^+을 주므로 브뢴스테드·로리 산이다.
브뢴스테드·로리 산
497 ② 498 ③ 499 ④

474
HCO_3&^-은 H_2&O로부터 H^+을 받으므로 브뢴스테드·로리 염기이다.
브뢴스테드·로리 염기
483 ⑤
ㄱ. (가)의 정반응에서 H^+을 내놓는 물질은 H_2&O이고, 역반응에서
475 H^+을 내놓는 물질은 NH_4&^+이다. 따라서 (가)에서 브뢴스테드·로리
HF는 (CH_3)_3&N에게 H^+을 주므로 브뢴스테드·로리 산이다. 산은 H_2&O과 NH_4&^+이다.
브뢴스테드·로리 산

ㄴ. (나)의 정반응에서 다른 물질로부터 H^+을 받는 물질은 H_2&O이


476 고, 역반응에서 H^+을 받는 물질은 HCO_3&^-이다. 따라서 (나)에서 브
중화 반응이 일어날 때 산의 H^+과 염기의 OH&^-이 다음과 같이 1`Û`1 뢴스테드·로리 염기는 H_2&O과 HCO_3&^-이다.
의 몰비로 반응하여 H_2&O을 생성한다. ㄷ. H_2&O은 (가)에서는 브뢴스테드·로리 산, (나)에서는 브뢴스테드·
H^+(aq) + OH&^-(aq) ―→ H_2&O(l) 로리 염기로 작용하므로 양쪽성 물질이다.

70 바른답·알찬풀이
484 ③ ㄷ. ㉢ NH_3는 HF로부터 H^+을 받아 NH_4&^+이 되므로 브뢴스테드·
아레니우스 산 염기 정의에 따르면 산은 수용액에서 H^+을 내놓는 물 로리 염기이다.
질이고, 염기는 수용액에서 OH&^-을 내놓는 물질이다. 브뢴스테드· 오답 피하기 ㄱ. ㉠ HS&^-은 H_2&O로부터 H^+을 받아 H_2&S로 되므로 브뢴
로리 산 염기 정의에 따르면 산은 H^+을 내놓는 물질이고, 염기는 스테드·로리 염기이다.
H^+을 받는 물질이다. ㄴ. ㉡ CH_3&OH은 수용액에서 OH&^-을 내놓을 수 없으므로 아레니우
ㄱ. KOH은 물에 녹아 OH&^-을 내놓으므로 아레니우스 염기이다. 스 염기가 아니다. 주어진 반응에서 CH_3&OH은 HCl로부터 H^+을 받
ㄷ. (다)에서 NH_3는 HCl로부터 H^+을 받으므로 브뢴스테드·로리 아 CH_3&OH_2&^+이 되므로 브뢴스테드·로리 염기이다.
염기로 작용한다.
ㄴ. (나)에서 H_2&O은 CH_3&C OOH으로부터 H^+을 받아
488 ⑤

H_3&O^+이 되므로 브뢴스테드·로리 염기로 작용한다.


오답 피하기
자료 분석하기 산 염기 반응

485 ⑤ (가) X + NH_3 ―→ NH_4&Cl

다른 물질로부터 H^+을 받는 물질이 브뢴스테드·로리 염기이다. (나) X + H_2&O ―→ H_3&O^+ + Cl^-

(가) H_2&O은 H_2&S로부터 H^+을 받아 H_3&O^+이 되므로 브뢴스테드·로 (다) X + Y ―→ KCl + H_2&O

 화학 반응 전후 원자의 종류와 수가 같도록 화학 반응식을 완성하면 X


리 염기이다.
(나) CH_3&NH_2은 H_2&O로부터 H^+을 받아 CH_3&NH_3&^+이 되므로 브뢴
는 HCl, Y는 KOH이다.
스테드·로리 염기이다.
(다) NH_3는 HCl로부터 H^+을 받아 NH_4&^+이 되므로 브뢴스테드·로
ㄱ. X는 HCl이다. HCl는 물에 녹으면 H^+을 내놓는 아레니우스 산
리 염기이다.
으로 작용한다.
ㄴ. (나)의 반응식을 완성하면 HCl + H_2&O ―→ H_3&O^+ + Cl^-이다.
(나)에서 H_2&O은 HCl가 내놓은 H^+을 받으므로 브뢴스테드·로리
486 필수 유형 ②

자료 분석하기 산과 염기의 정의
염기이다.
H
+ - ㄷ. Y는 KOH이다. KOH은 물에 녹으면 OH&^-을 내놓는 아레니우
N H H
(가) + N +
H
H
H O H H H O 스 염기로 작용한다.
H
H^+ 받음.(염기) H^+ 줌.(산) H^+ 줌.(산) H^+ 받음.(염기) 개념 더하기 아레니우스와 브뢴스테드·로리의 산 염기 정의
+
구분 산 염기
수용액에서 H^+을 내 수용액에서 O H& ^- 을
O O
(나) F H + F— + H H
H H
H

H^+ 줌.(산) H^+ 받음.(염기) H^+ 받음.(염기) H^+ 줌.(산)


아레니우스 정의
놓는 물질 내놓는 물질
브뢴스테드·로리 정의 H^+을 주는 물질 H^+을 받는 물질

ㄷ. H_2&O은 (가)에서 브뢴스테드·로리 산, (나)에서 브뢴스테드·로리


염기로 작용하므로 양쪽성 물질이다.
ㄱ. (가)의 정반응에서 NH_3는 H_2&O로부터 H^+을 받는 브
489 ④
오답 피하기
자료 분석하기 중화 반응
뢴스테드·로리 염기이다.
ㄴ. (나)의 정반응에서는 HF가 H_2&O에게 H^+을 주므로 HF는 브뢴
스테드·로리 산, H_2&O은 브뢴스테드·로리 염기이다. 역반응에서는
H_3&O^+이 F&^-에게 H^+을 주므로 H_3&O^+은 브뢴스테드·로리 산, F&^-은
+
H^+ OH&^-
브뢴스테드·로리 염기이다. + +
+ A(aq) B(aq) 혼합 용액

487 + + ② • 혼합 용액은 산성이므로 H^+이 들어 있다.


•  의 수는 반응 후 감소하므로 은 H^+이다.
•  은 B(aq)에는 있고 혼합 용액에는 없으므로 OH&^-이다.
자료 분석하기 산 염기 반응

+ H_2&O ―→ H_2&S + OH&^-


• 은 산의 음이온, 은 염기의 양이온이다.
• ㉠

+ HCl ―→ CH_3&OH_2&^+ + Cl^- ㄴ. A(aq)은 산성, B(aq)은 염기성이므로 pH는 A(aq)<B(aq)이다.


ㄷ. B(aq) 10`mL에 들어 있는 OH&^-의 수를 N이라 하면 혼합 용액
• ㉡

• HF + ―→ NH_4&F
에 들어 있는 H^+의 수도 N이므로 두 수용액을 반응시키면 완전히

+

은 HS&^-, ㉡은 CH_3&OH, ㉢은 NH_3이다.


 화학 반응 전후 원자의 종류와 수가 같도록 화학 반응식을 완성하면 ㉠
중화된다.
오답 피하기 ㄱ. 은 OH&^-이다.

바른답·알찬풀이 71
490 ⑤ 채점 기준 배점(%)
자료 분석하기 중화 반응의 양적 관계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몰 농도를 구하는 과정을 옳게 설명한 경우 100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몰 농도만 옳게 구한 경우 40

염산 2`mL 염산 2`mL 염산 2`mL


H± H± H±
Cl— Cl— Cl—

493 ④
Na± Cl—
Na± Na± Cl—
OH— Na± Cl— Cl— H± 자료 분석하기 중화 반응
OH— Na±
Na± OH— Na± Cl— Na± Cl—

H^+
• 중화 반응이 완전히 일어날 때까지 사용된 염산의 부피: 4`mL
H^+
(가) (나) (다) 중화점 (라)

 1\0.2`M\0.01`L=1\x`M\0.004`L ∴ x=0.5
• 중화 반응의 양적 관계

• 중화 반응에서 산의 H^+과 염기의 OH&^-이 반응할 때 산의 음이온이 첨


가되므로 (가) ̄(다)에서 전체 이온 수는 일정하다.

• (가) ̄(다) 중 산 수용액이 2가지이고, (가)와 (나)에는 공통으로


(가) (나) (다)

은 H^+이다.
이들

부피는 4`mL이다. 따라서 1\0.2`M\0.01`L=1\x`M\0.004`L • (다)는 염기 수용액이다.  와 은 각각 염기의 양이온과 OH&^- 중


ㄱ. (다)에서 중화 반응이 완전히 일어나므로 (다)까지 사용된 염산의 어 있다. 

하나이므로 (다)에 들어 있는 OH&^- 수는 2N이다.


이므로 x=0.5이다.
ㄴ. (나)에는 OH&^-이 존재하므로 (나)는 염기성 용액이다. 따라서 용
ㄴ. (가)와 (나)의 부피는 같고, 수용액에 들어 있는 H^+의 수는 (가)
액의 pH는 7보다 크다.
<(나)이므로 pH는 (가)>(나)이다.
ㄷ. 용액의 부피는 (가)가 10`mL, (나)가 12`mL, (다)가 14`mL, (라)
ㄷ. (가)에 들어 있는 H^+ 수는 N이고, (다)에 들어 있는 OH&^- 수는
가 16`mL이므로 단위 부피당 이온 수는 (가)가
4N , (나)가 4N ,
10 12 2N이므로 (가)와 (다)의 혼합 용액은 OH&^-이 들어 있는 염기성이다.
4N , (라)가 6N 이다. 따라서 단위 부피당 이온 수는 (다)가 이 H^+이고,
14 16
오답 피하기 ㄱ. (가)와 (나)에 공통으로 들어 있는 은
(다)가
(나)의 음이온이다.
가장 작다.

(가) Na^+, (나) Cl^-, (다) H^+, (라) OH&^-


494 ⑤
491
자료 분석하기 중화 반응의 양적 관계
자료 분석하기 중화 반응에서 이온 수 변화
이온 수 상( 댓값

(가) 이온 수 계속 증가 → Na^+

이온 수 일정 → Cl^-

(나) Cl—
Na±

감소 → H^+
중화점까지 이온 수
OH—

• HCl(aq) 100`mL에 들어 있는 H^+ 수를 3N이라고 할 때 NaOH(aq)


)

100`mL에 들어 있는 OH&^- 수는 5N이다.  x`Û`y=3`Û`5


(다) (라)
증가 → OH&^-
중화점 이후부터 이온 수

• 용액 속 용질의 양은 용액의 부피에 비례한다.  HCl(aq) 50`mL에 들


어 있는 H^+ 수는 1.5N, 즉 0.5x`mol이다. 또 NaOH(aq) 30`mL
0 5 10 15 20 25

에 들어 있는 OH&^- 수는 1.5N, 즉 0.3y`mol이다.


NaOH(aq)의 부피(mL)

•H  Cl(aq) 50`mL에 들어 있는 H^+ 수와 NaOH(aq) 30`mL에 들어


있는 OH&^-의 수는 1.5N으로 같다.  혼합 용액은 완전히 중화된다.
(가)는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넣는 만큼 계속 증가하므로 구경꾼
이온인 Na^+이다. (나)는 중화 반응이 진행되는 중에도 그 수가 일정
하게 유지되므로 구경꾼 이온인 Cl^-이다. (다)는 중화 반응이 진행되 ㄱ. HCl(aq) 50`mL에 들어 있는 H^+ 수와 NaOH(aq) 30`mL에
면서 꾸준히 감소하다가 중화 반응이 완전히 일어난 후부터 존재하 들어 있는 OH&^- 수가 같으므로 두 수용액의 혼합 용액은 완전히 중
지 않으므로 H^+이다. (라)는 중화 반응 진행 중에는 존재하지 않다 화된다. 따라서 혼합 용액의 액성은 중성이므로 pH는 7이다.
가 중화 반응이 완전히 일어난 후부터 존재하므로 OH&^-이다. ㄴ. 혼합 용액은 완전히 중화되었으므로 용액 속에 들어 있는 양이

(mol)은 NaOH(aq) 30`mL에 들어 있는 Na&^+의 양(mol)과 같은


온은 염기의 양이온이다. 따라서 혼합 용액 속 전체 양이온의 양
492
이온 수 변화 그래프로부터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20`mL를 넣었을
때 중화 반응이 완전히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0.2`M 묽은 염산 0.3y`mol이다.
예시 답안

10`mL를 완전히 중화하는 데 x`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20`mL가 사용되 ㄷ. 혼합 용액은 중성이므로 산의 H^+과 염기의 OH&^-이 모두 반응하
었으므로 중화 반응의 양적 관계를 이용하면 1\0.2`M\0.01`L=1\x`M 였다. 따라서 중화 반응으로 생성된 H_2&O 분자의 양(mol)은 반응 전
\0.02`L, x=0.1이다. HCl(aq) 50`mL에 들어 있는 H^+의 양(mol)과 같은 0.5x`mol이다.

72 바른답·알찬풀이
ㄱ. 0.1`M HCl(aq) 40`mL를 완전 중화시키는 데 사용된 x`M
NaOH(aq)의 부피가 20`mL이므로 다음과 같은 양적 관계가 성립
495 필수 유형 ⑤

자료 분석하기 중화 반응에서 이온 수 변화

1\0.1`M\0.04`L=1\x`M\0.02`L, x=0.2
한다.
A
이온의 양
ㄴ. 일정량의 HCl(aq)에 NaOH(aq)을 넣어 주면서 반응
시킬 때 중화점까지 반응하여 소모된 H^+의 양(mol)만큼 NaOH의
오답 피하기

중화점

Na^+ 양(mol)이 추가된다. 즉, 중화점까지 용액 속 전체 이온의 양


¥
(

P
10—‹`mol 2
(mol)은 일정하므로 P와 Q에서 전체 이온의 양(mol)은 같다. 이때
)

용액의 전체 부피는 P에서 50`mL, Q에서는 60`mL이므로 단위 부


0 10 20 30
NaOH(aq)의 부피(mL)

•A 피당 이온의 양(mol)은 P에서가 Q에서의 6


5배이다.
/
NaOH(aq)을 넣어 주는 대로 증가한다.  A 이온은 OH&^-이다.
 이온은 반응 초기에는 존재하지 않다가 일정 지점(중화점) 이후부터

• 중화점에 도달한 후 NaOH(aq)을 10`mL 더 추가한 지점인 P에서 A ㄷ. P는 중화 반응이 절반 진행된 지점이므로 P에서 H^+의 양(mol)
이온의 양(mol)이 0.002`mol이다.  NaOH(aq) 10`mL에 들어 있
은1
2\0.1`M\0.04`L=0.002`mol이다.
/
는 OH&^-의 양(mol)은 0.002`mol이다.
또 R은 중화점 이후 NaOH(aq)을 10`mL 추가한 지점이므로 R에
ㄱ. A 이온은 반응 초기에는 존재하지 않다가 일정 지점 이후부터 서 OH&^-의 양(mol)은 0.2`M\0.01`L=0.002`mol이다.
NaOH(aq)을 넣어 주는 대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NaOH(aq)에 P에서 H^+의 양(mol)
=1이다.
R에서 OH&^-의 양(mol)
들어 있는 이온 중 반응에 참여하는 이온인 OH&^-이다.
따라서

ㄴ. P에서 OH&^-의 양이 0.002`mol이므로 NaOH(aq) 10`mL에


들어 있는 OH&^-의 양은 0.002`mol이다. 이로부터 NaOH(aq)의
497
ㄴ. (나)에 들어 있는 H^+의 양(mol)은 2\0.1`M\0.01`L=

몰 농도를 y`M이라고 하면 y`M\0.01`L=0.002`mol, y=0.2이


0.002`mol이고, (다)에 들어 있는 OH&^-의 양(mol)은 1\0.2`M
다. 즉, NaOH(aq)의 몰 농도는 0.2`M이다.
\0.04`L=0.008`mol이다. 따라서 (나)와 (다)를 혼합하면 중화
x`M HCl(aq) 40`mL를 완전히 중화시키는 데 사용된 0.2`M
반응이 일어나고 OH&^- 0.006`mol이 남으므로 혼합 용액은 염기성
NaOH(aq)의 부피가 20`mL이므로 중화 반응의 양적 관계에 따라
1\x`M\0.04`L=1\0.2`M\0.02`L이고, x=0.1이다.
이다.
ㄱ. (가)와 (나)에서 HCl(aq)과 H_2&SO_4(aq)의 몰 농도는
ㄷ. Cl^-은 구경꾼 이온이므로 P에서 Cl^-의 양(mol)은 x`M HCl(aq)
같지만 산의 가수가 다르므로 같은 부피의 용액 속 H^+의 양(mol)은
오답 피하기

40`mL에 들어 있는 Cl^-의 양(mol)과 같다. x=0.1이므로 Cl^-의


H_2&SO_4(aq)이 HCl(aq)보다 크다. 따라서 pH는 (가)가 (나)보다 크다.
양(mol)=0.1`M\0.04`L=0.004`mol이다. 또 Na^+도 구경꾼
ㄷ. (가)에 들어 있는 H^+의 양(mol)은 1\0.1`M\0.02`L=
이온이므로 용액 속 Na^+의 양(mol)은 넣어 준 NaOH(aq)의 부피
0.002`mol, (나)에 들어 있는 H^+의 양은 0.002`mol, (다)에 들어
에 비례한다. 따라서 P에서 NaOH(aq) 30`mL에 들어 있는 Na^+
있는 OH&^-의 양은 0.008`mol이다. 따라서 (가), (나), (다)를 혼합
의 양(mol)은 0.2`M\0.03`L=0.006`mol이다. 즉, P에서 이온
한 용액에는 OH&^- 0.004`mol이 존재하므로 완전히 중화되지 않는다.
[Na^+]
의 몰비는 Na^+`Û`Cl^-=0.006`Û`0.004=3`Û`2이므로
[Cl^-] 3
=/
2
498 ③
이다.
중화 적정 실험에서 농도를 정확하게 알고 있는 산 또는 염기 수용액
496
쓰는 실험 장치는 뷰렛이다. 실험 결과 중화점까지 넣어 준 0.5`M
① (표준 용액)을 농도를 모르는 염기 또는 산 수용액에 조금씩 가할 때
중화 반응에서 생성된 H_2O 수의 변화
N a O H (a q )의 부피가 20` m L 이므로 1 \x`M\ 0.05` L= 1 \
자료 분석하기

0.5`M\0.02`L, x=0.2이다.
생성된

Q R
H™O
의양

중화점
P
499 필수 유형 ④

자료 분석하기 중화 적정
(

mol

• 넣어 준 0.1`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부피는 22`mL였다. 


)

10 20 30  묽힌 식초 20`mL 속 아세트산의 몰 농도를 x`M이라고 하면 다음과


NaOH(aq)의 부피(mL)

• 중화 반응에서 산의 H^+과 염기의 OH&^-이 반응하여 H_2&O이 생성된다. 1\x`M\0.02`L=1\0.1`M\0.022`L, x=0.11
같은 양적 관계가 성립한다.

• 생성되는 H_2&O의 양이 최대가 된 후 일정하게 유지되기 시작하는 지점에


서 중화 반응이 완결된다.  Q가 중화점이다.
• 0 .1` M H C l(a q) 40` m L를 완전히 중화시키는 데 필요한 x`M 실험에서 식초를 1
1
/
0로 묽힌 수용액의 농도가 0.11`M이므로 묽히
NaOH(aq)의 부피는 20`mL이다.
기 전 식초 속 아세트산의 몰 농도는 1.1`M이다.

바른답·알찬풀이 73
ㄱ. 수용액에 들어 있는 양이온의 전하량 총합과 음이온의 전하량 총
116~117쪽
합은 같다. 이로부터 혼합 용액 속 은 음이온이고, 과 은양

500 ③ 501 ⑤ 502 ③ 503 ② 504 ⑤ 505 ② 이온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혼합 용액에 H^+이 존재하므로 혼합 용

506 ⑴ A: Na^+, B: H^+, C: Cl^-


ㄷ. y`M Ca(OH)_2(aq) 10`mL에 들어 있는 Ca^2+의 수가 2N이므
⑵ 해설 참조 액의 액성은 산성이다.

로 OH&^-의 수는 4N이다. 혼합 용액에 들어 있는 H^+ 수가 N이므로


507 해설 참조 508 ⑴ (가)–(라)–(나)–(다) ⑵ 해설 참조

혼합 용액을 완전히 중화시키는 데 필요한 OH&^-의 수는 N이다. 따


라서 혼합 용액에 Ca(OH)_2(aq) 2.5`mL를 넣으면 완전히 중화한다.
ㄴ. 혼합 용액에 들어 있는 Cl^-의 수가 5N이므로 혼합 용
500 ③
ㄱ. (가)에서 H_2&O은 CH_3&NH_2에게 H^+을 주므로 브뢴스테드·로리
액 속 음이온의 전하량 총합을 -5N이라고 하면 양이온의 전하량
오답 피하기

총합이 +5N이어야 한다. 따라서 은 H^+이고, 은 Ca^2+이다.


산이다.
ㄷ. (다)에서 NH_3는 H_3&O^+으로부터 H^+을 받으므로 브뢴스테드·로
Cl^-과 Ca^2+은 반응에 참여하지 않으므로 반응 전 Cl^-과 Ca^2+의 양
(mol)은 혼합 용액에 들어 있는 각 이온의 양(mol)과 같다. 이로부
리 염기이다.
ㄴ. (나)에서 HCOO&^-은 H_2&O로부터 H^+을 받으므로 브뢴
터 x`M HCl(aq) 20`mL에 들어 있는 Cl^-의 양(mol)과 y`M
오답 피하기

Ca(OH)_2(aq) 10`mL에 들어 있는 Ca^2+의 양(mol)의 비는 Cl^-


스테드·로리 염기이다.

501 ⑤ `Û`Ca^2+=5`Û`2이다. 용액 속 용질의 양(mol)=몰 농도(M)\부피


(L)이므로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
Cl^-`Û`Ca^2+=(x`M\0.02`L)`Û`( y`M\0.01`L)=5`Û`2
자료 분석하기 산과 염기

이 식을 풀면 x=5
4y이다.
/
H£O±

A—

OH— 503 ②

HA(aq) BOH(aq) 자료 분석하기 중화 반응에서 이온 수비


(가) (나)

•H  A(aq) 속 A&^- 수와 BOH(aq) 속 B^+ 수가 같고, 두 수용액의 부피가 H^+ Cl^-


NaOH(aq) NaOH(aq)

같다.  몰 농도가 같으므로 x=y이다. Na^+ Cl^- Na^+


a`mL 추가 b`mL 추가

• BOH는 물에 녹아 OH&^-을 내놓는다.  아레니우스 염기이다. Na^+ Cl^- OH&^-


(가) (나) (다)

• 일정량의 HCl(aq)에 NaOH(aq) 을 넣은 (가)에 들어 있는 이온의 종류


로 녹인 용질의 양(mol)은 같다. 따라서 x =1이다.
ㄱ. 두 수용액의 부피가 같고, 수용액에 들어 있는 이온 수가 같으므
가 3가지이다.  (가)는 중화점에 도달하지 않은 산성 용액이다.
y • (나)에서 이온의 종류가 2가지이다.  (나)에서 중화점에 도달한다.
ㄴ. BOH는 물에 녹아 OH&^-을 내놓으므로 아레니우스 염기이다. • (다)는 중화점에 도달한 용액에 NaOH(aq)을 추가한 용액이다.
ㄷ. HA와 H_2&O이 반응하여 A&^-과 H_3&O^+으로 되므로 HA는 H_2&O에
게 H^+을 주는 브뢴스테드·로리 산으로 작용한다. ㄴ. (가)에 들어 있는 이온 수비는 H^+`Û`Na^+`Û`Cl^-=1`Û`1`Û`2이
므로 (가)는 중화 반응이 절반 진행된 용액이다. 이로부터 x`M
502 ③ HCl(aq) 10`mL를 완전히 중화하는 데 필요한 NaOH(aq)의 부피
는 20`mL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양적 관계가 성립한다.
1\x`M\0.01`L=1\y`M\0.02`L
자료 분석하기 중화 반응

이 식을 풀면 x=2y이다.
Cl^- 오답 피하기 ㄱ. (나)가 중화점에 도달한 상태이므로 (가)는 아직 중화
H^+
Ca^2+ 점에 도달하지 않은 산성 수용액이다. 따라서 (가)에서 가장 많은 비
율을 차지하는 ㉠은 산의 음이온인 Cl^-이다.
ㄷ. (가)는 HCl(aq) 10`mL에 NaOH(aq) 10`mL를 넣어 중화 반
• 반응 전 HCl(aq)의 이온 수비는 H^+`Û`Cl^-=1`Û`1이다.
• 반응 전 Ca(OH)_2(aq)의 이온 수비는 Ca^2+`Û`OH&^-=1`Û`2이다.
(가)에 첨가한 NaOH(aq)의 부피 a=10(mL)이다.
응이 절반 진행된 용액이고, (나)는 중화 반응이 완결된 용액이므로

• 수용액 속 이온의 전하량 총합은 0이다. 


(나)에 NaOH(aq)를 첨가한 용액인 (다)에서 가장 많은 수로 존재하
은 음이온이고, , 은

• Cl^-은 반응에 참여하지 않으므로 은 Cl^-이다. 는 이온은 염기의 양이온인 Na^+이다. (나)와 (다)에서 Cl^-의 수는
양이온이다.

• 수용액 속 음이온의 전하량 총합이 -5이므로 양이온의 전하량 총합은


같고, (다)에서 이온 수비는 Na^+`Û`Cl^-=2`Û`1이므로 Na^+ 수는 (다)
+5이어야 한다. 따라서 은 H^+, 은 Ca^2+이다.
가 (나)의 2배이다. 따라서 b=20(mL)이므로 a+b=30이다.

74 바른답·알찬풀이
ㄷ. (다)에서 혼합 전 H^+의 양(mol)은 1×0.1`M×0.05`L=
0.005`m o l이고, O H&^-의 양(m o l)은 2×0.05`M×0.06`L=
504 ⑤

0.006`mol이다. 따라서 혼합 용액은 염기성이고, 혼합 용액 속 OH&^-


자료 분석하기 중화 반응에서 이온 수 변화

이온의 양(\10^-^3`mol)
NaOH(aq)의 의 양(m o l )은 z= 0.006 - 0.005 = 0.001 (m o l )이다. y=
0.001(mol)이므로 z=y이다.
부피(mL) ㉠ Cl^- ㉡ H^+ ㉢ Na^+
10 4 2 2
20 x 0 4
40 y 506
•N  a^+은 구경꾼 이온이므로 그 양(mol)은 NaOH(aq)의 부피에 비례한
다.  ㉢은 Na^+이다.
서술형 해결 전략

• H^+은 중화 반응에 참여하므로 NaOH(aq)을 첨가하는 대로 그 수가 감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소한다.  ㉡은 H^+이다. 중화 반응에서 산의 음이온과 염기의 양이온은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다는
• ㉠은 구경꾼 이온인 Cl^-이다. 것을 알고, 혼합 용액에서 이온의 양(mol)을 통해 각 이온이 어떤 이온인지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ㄱ. 일정량의 HCl(aq)에 NaOH(aq)을 조금씩 넣어 줄 때 그 수가 STEP 2 자료 파악


➊ 이온 A의 종류는?
감소하는 ㉡이 H^+이고, 그 수가 증가하는 ㉢은 Na^+이므로 나머지
 Na^+은 구경꾼 이온이므로 그 양(mol)이 NaOH(aq)의 부피에 비례
㉠은 Cl^-이다. 따라서 ㉠과 ㉢은 구경꾼 이온이다. 한다.  A는 Na^+이다.
ㄴ. ㉠은 구경꾼 이온인 Cl^-이므로 그 양(mol)이 일정하다. 따라서 ➋ 이온 B와 C의 종류는?

x=4이다. 또 ㉢은 Na^+으로, 넣어 준 NaOH(aq) 부피에 비례하여


 B는 NaOH(aq)의 부피가 늘어나면 그 양(mol)이 감소하므로 중화
반응에 참여하는 H^+이다.  B가 H^+이므로 나머지 C는 Cl^-이다.
그 양(mol)이 증가하므로 y=8이다. 따라서 y =8
4=2이다.
/
x
ㄷ. HCl(aq) 10`mL에 NaOH(aq) 20`mL를 넣을 때 H^+의 양
STEP 3 관련 개념 모으기

 H^+이 과량이므로 OH&^-은 모두 반응하여 수용액에 존재하지 않는다.


(mol)이 0이고, Cl^-과 Na^+의 양(mol)이 같으므로 HCl(aq) 10`mL
➊ 제시된 중화 반응에서 염기 수용액 속 이온의 양(mol) 변화는?

 Na^+은 반응에 참여하지 않으므로 넣어 준 염기 수용액의 부피에 비


를 완전 중화시키는 데 사용된 NaOH(aq)의 부피는 20`mL이다.
따라서 수용액의 몰 농도는 HCl(aq)이 NaOH(aq)의 2배이다.
례하여 그 양(mol)이 증가한다.

 H^+은 반응에 참여하므로 넣어 준 염기 수용액 속 OH&^-의 양(mol)만


➋ 제시된 중화 반응에서 산 수용액 속 이온의 양(mol) 변화는?

 Cl^-은 반응에 참여하지 않으므로 그 양(mol)이 변하지 않는다.


큼 그 양(mol)이 감소한다.
505 ②

⑴ A의 양(mol)은 NaOH(aq)의 부피에 비례하므로 A는 Na^+이


자료 분석하기 중화 반응의 양적 관계

H^+의 양(mol) OH&^-의 양(mol)


고, B의 양(mol)은 NaOH(aq)의 부피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므로 B
H^+ 또는 OH^-의 는 H^+이다. 실험 Ⅰ, Ⅱ에서 혼합 용액은 모두 산성 수용액이므로
0.1`M x`M
혼합 전 용액의 부피(mL)
혼합

HCl(aq) Ba(OH)_2(aq) C는 Cl^-이다.


용액 양(mol)

60 0.006 50 0.1x y 0.006-0.1x 16n, 실험 Ⅰ에서 NaOH(aq) 10`mL에 들어 있는 Na^+의 양


80 0.008 100 0.2x 2y 0.2x-0.008 과 OH&^-의 양은 각각 2n`mol이고, 혼합 용액 속 H^+의 양이 6n`mol이므로
(가) ⑵ 예시 답안

50 0.005 60 0.12x HCl(aq) 10`mL에 들어 있는 H^+의 양은 8n`mol이다. C는 HCl(aq)의 구


(나)
(다) z 0.12x-0.005

• HCl은 1가 산이고, Ba(OH)_2은 2가 염기이다.


경꾼 이온인 C l^-이고, H C l(a q)의 부피는 실험 Ⅰ과 Ⅱ에서 같으므로
• (가)가 염기성이면 Ba(OH)_2(aq)의 부피가 HCl(aq)의 부피보다 더 큰 x=y=8n이다. 따라서 x+y=16n이다.
(나)도 염기성이다.  (가)는 산성이고, (나)는 염기성이다.
채점 기준 배점(%)
x+y를 옳게 구하고 풀이 과정을 옳게 설명한 경우
ㄴ. (가)에서 혼합 전 H^+의 양(m o l)은 1×0.1`M×0.06`L=
100
x+y만 옳게 쓴 경우
0.006`mol이고, OH&^-의 양(mol)은 2\x`M×0.05`L=0.1x`mol
50

이다. (가)는 산성이므로 혼합 용액 속 H^+ 의 양 y= 0.006 -


0.1x(mol)이다. (나)에서 혼합 전 H^+의 양(mol)은 1×0.1`M×
0.08`L=0.008`mol이고, OH&^-의 양(mol)은 2×x`M×0.1`L=
507

0.2x`mol이다. (가)는 염기성이므로 혼합 용액 속 OH&^-의 양(mol)


서술형 해결 전략

2y=0.2x-0.008(mol)이다. 따라서 2×(0.006-0.1x)=0.2x


중화 반응에서 산의 H^+과 염기의 OH&^-은 1`Û`1의 몰비로 반응한다는 것을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0.008, x=0.05(M)이다.
ㄱ. (가)가 염기성이면 Ba(OH)_2(aq)의 부피가 HCl(aq)의
이해하고, 중화 반응의 양적 관계 식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오답 피하기
STEP 2 관련 개념 모으기

로 다르려면 (가)는 산성이어야 한다. 따라서 (가)의 pH는 7보다 작다.


부피보다 더 큰 (나)도 염기성이어야 하므로 (가)와 (나)의 액성이 서
 nM&V=n'M'V'
➊ 중화 반응의 양적 관계를 나타내는 식은?

바른답·알찬풀이 75
➋ 혼합 용액에서 OH&^-의 양(mol)을 구하는 방법은?
 OH& ^- 의 양(mol)=가수\몰 농도(M)\부피(L)임을 이용하여
15 산화 환원 반응
Ca(OH)_2(aq)에 들어 있는 OH&^-의 양(mol)과 NaOH(aq)에 들어 있는
OH&^-의 양(mol)을 각각 구하여 합한다. 개념 확인 문제 119쪽
➌ 혼합 용액 속 OH&^-을 모두 중화하기 위해 필요한 H^+의 양(mol)은?
 중화 반응에서 산의 H^+과 염기의 OH&^-은 1`Û`1의 몰비로 반응하므
509 ㉠ 얻거, ㉡ 잃으 510 증가
512 산화제: Fe_2&O_3, 환원제: CO
로 혼합 용액 속 OH&^-을 모두 중화하려면 OH&^-과 같은 양(mol)만큼의

511 ㉠ 환원, ㉡ 산화

H^+이 필요하다. 513 산화제: Cl_2, 환원제: Na 514 산화제: SO_2, 환원제: H_2&S
515 +4 516 -3 517 +5 518 +4

0.1`M Ca(OH)_2(aq)에 들어 있는 OH&^-의 양(mol)은 2\0.1\ 519 a=1, b=2, c=1, d=1 520 2`mol

0.3=0.06(mol)이고, 0.2`M NaOH(aq)에 들어 있는 OH&^-의 양(mol)은


예시 답안

1\0.2\0.2=0.04(mol)이므로 두 염기 수용액은 혼합한 용액에 들어 있


는 OH&^-의 양은 0.1`mol이다. 따라서 혼합 용액을 완전히 중화하는 데 필요
509 ㉠ 얻거, ㉡ 잃으

한 H^+의 양은 0.1`mol이므로 0.1`M H_2&SO_4(aq)의 최소 부피를 x`L라 하면 어떤 물질이 산소를 얻거나 전자를 잃으면 산화되고, 산소를 잃거나

2\0.1\x=0.1, x=0.5(L)이다. 전자를 얻으면 환원된다.

채점 기준 배점(%) 510
H_2&SO_4(aq)의 최소 부피를 구하는 과정을 옳게 설명한 경우
증가
100
H_2&SO_4(aq)의 최소 부피만 구한 경우
산화수가 증가하는 반응은 산화 반응, 산화수가 감소하는 반응은 환
40
원 반응이다.

508 511 ㉠ 환원, ㉡ 산화


자신은 환원되면서 다른 물질을 산화시키는 물질을 산화제라 하고,
서술형 해결 전략
자신은 산화되면서 다른 물질을 환원시키는 물질을 환원제라 한다.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중화 적정 실험에 사용되는 실험 기구의 종류와 그 용도를 알고, 중화 적정 512 산화제: Fe_2&O_3, 환원제: CO

Fe_2&O_3은 산소를 잃어 환원되므로 산화제로 작용하고, CO는 산소를


실험 과정을 알고 있어야 한다.
STEP 2 관련 개념 모으기
얻어 산화되므로 환원제로 작용한다.
➊ 용액을 정확한 부피만큼 취하여 옮길 때 이용하는 실험 기구는?

산화제: Cl_2, 환원제: Na


 피펫은 정확한 부피의 액체 물질을 옮길 때 사용하는 실험 기구로, 중
513
Na은 전자를 잃고 Na^+으로 산화되므로 환원제로 작용하고, Cl_2는
화 적정 실험에서는 농도를 모르는 산 또는 염기 수용액을 피펫으로 정확

전자를 얻어 Cl^-으로 환원되므로 산화제로 작용한다.


한 부피만큼 취하여 삼각 플라스크에 넣는다.
➋ 농도를 알고 있는 수용액(표준 용액)을 넣는 실험 기구는?
 뷰렛은 다른 물질에 떨어뜨린 액체의 양을 측정하는 실험 기구로, 중

산화제: SO_2, 환원제: H_2&S


화 적정 실험에서는 농도를 알고 있는 산 또는 염기 수용액을 뷰렛에 넣
514
SO_2에서 S의 산화수는 +4이고, 생성물에서 0으로 감소하므로 SO_2
고, 농도를 모르는 염기 또는 산 수용액에 조금씩 가한다.

은 환원된다. H_2&S에서 S의 산화수는 -2이고, 생성물에서 0으로 증


➌ 중화점을 확인하는 방법은?
 중화점에서 용액의 액성이 달라지므로 페놀프탈레인 용액 등 용액의

가하므로 H_2&S는 산화된다. 따라서 SO_2은 산화제, H_2&S는 환원제로


액성에 따라 색 변화가 있는 지시약을 이용하여 중화점을 확인한다.

⑴ 중화 적정 실험을 통해 HCl(aq)의 농도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다


작용한다.

+4
① HCl(aq) 10`mL를 피펫으로 취하여 삼각 플라스크에 넣고, 페놀
음 과정을 거친다. 515
화합물에서 각 원자의 산화수 합은 0이므로 N의 산화수를 x라 할
프탈레인 용액을 2 ̄3방울 떨어뜨린다.(가) 때 x+(-2)×2=0, x=+4이다.
② 뷰렛을 이용하여 0.1`M NaOH(aq)을 삼각 플라스크에 조금씩
516 -3
화합물에서 각 원자의 산화수 합은 0이므로 N의 산화수를 x라 할
넣으면서 삼각 플라스크를 흔들어 준다.(라)

때 x+(+1)×3=0, x=-3이다.
③ 용액 전체가 붉은색으로 변한 순간 뷰렛의 꼭지를 잠그고, 넣어
준 NaOH(aq)의 부피를 계산한다.(나)
④ nM&V=n'M'V' 식을 이용하여 HCl(aq)의 몰 농도를 구한다.(다)
+5
㉠ 피펫, ㉡ 페놀프탈레인, 피펫은 HCl(aq)을 정확한 부피만큼
517
KNO_3의 NO_3&^-에서 원자의 산화수 총합은 -1이다. 따라서 N의 산
⑵ 예시 답안

화수를 x라 할 때 x+(-2)×3=-1, x=+5이다.


취하여 옮길 때 사용한다. 페놀프탈레인 용액은 중화점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
한다.

518 +4
화합물에서 각 원자의 산화수 합은 0이므로 N의 산화수를 x라 할
채점 기준 배점(%)

때 x×2+(-2)×4=0, x=+4이다.
㉠과 ㉡을 모두 옳게 쓰고, 그 역할을 모두 옳게 설명한 경우 100
㉠과 ㉡ 중 1가지만 그 이름과 역할을 옳게 설명한 경우 50

76 바른답·알찬풀이
519 a=1, b=2, c=1, d=1 523
ㄱ. (가)에서 생성된 B 이온의 산화수가 +1이라고 하면 반응한 B

Fe + 2HCl ―→ FeCl_2 + H_2이다.


반응 전후 원자 수와 산화수 변화를 맞추어 화학 반응식을 완성하면
원자의 양(mol)과 생성된 A 원자의 양(mol)이 같은데, 반응한 B의
질량 w_1`g이 석출된 A의 질량 w_2`g보다 크므로 원자량은 B>A이
520 2`mol 다. 또 B 이온의 산화수가 +2 또는 +3이라고 하면, 반응한 B 원자
HCl의 H^+ 2`mol이 전자 2`mol을 얻어 H_2 1`mol이 생성된다. 의 양(mol)보다 석출된 A 원자의 양(mol)이 크다. 따라서 원자가
2H^+ + 2e&^- ―→ H_2 같은 양(mol)일 때 질량은 B>A이므로 원자량은 B>A이다.
ㄴ, ㄷ. (가)에서 반응이 일어나므로 산화되기 쉬운 정도는 B>A이
다. (나) 과정 후 금속 C는 모두 반응하였고 석출된 금속의 종류가
A, B 2가지이므로 (나) 과정에서 C는 산화되고 A^+과 B 이온은 환
원되었다. 따라서 금속이 산화되기 쉬운 정도는 C>B>A이다.

120~123쪽
524 ④
521 ⑤ 522 ③ 523 ⑤ 524 ④ 525 ③ 자료 분석하기 산과 금속의 산화 환원 반응
526 해설 참조 527 ④ 528 ③ 529 ⑤ 530 ⑤
H™
531 ⑴ 해설 참조 ⑵ 해설 참조 532 ① 533 ②
534 해설 참조 535 ③ 536 ③ 537 ③ 538 ⑤
H± H±
Cl— Cl— H H
HCl(aq)
Cl—
Cl— Mg
Mg 조각
Mg¤±
521 ⑤
ㄱ. (가)에서 CH_4은 산소를 얻어 산화된다. 또는, (가)에서 C의 산화 • Mg이 전자를 잃고 Mg^2+으로 산화되고, H^+은 전자를 얻어 H_2로 환원
수는 반응물인 CH_4에서 -4이고, 생성물인 CO_2에서 +4이다. 즉 된다.  Mg + 2H^+ ―→ Mg^2+ + H_2
•H  ^+ 2개가 반응하여 Mg^2+ 1개가 생성된다.  양이온의 양(mol) 감소
C의 산화수가 증가하므로 CH_4은 산화된다.
•C  l^-은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다.  음이온의 양(mol) 일정
ㄴ. (나)에서 HCl의 H^+이 전자를 얻어 H_2로 되므로 HCl은 환원

ㄴ. 수용액 속 음이온의 양(mol)은 일정하고, 양이온의 양(mol)은


된다.
ㄷ. (다)에서 CuO의 Cu^2+이 전자를 얻어 Cu로 되므로 CuO는 환
양이온의 양(mol)
음이온의 양(mol)
원된다. 감소하므로 은 감소한다.

ㄷ. Mg의 원자량이 24이므로 Mg 2.4`g의 양은 0.1`mol이다.


Mg 1`mol이 반응할 때 이동한 전자의 양이 2`mol이므로 Mg
522 필수 유형 ③

자료 분석하기 금속과 금속 이온의 산화 환원 반응 0.1`mol이 반응할 때 이동한 전자의 양은 0.2`mol이다.


오답 피하기 ㄱ. Cl^-은 반응에 참여하지 않으므로 산화되거나 환원되
지 않는다.

525 ③
제시된 탄소 화합물을 구성하는 원소의 전기 음성도는 O>N>C>
H이다. ㉠에서 N-C 결합의 전자쌍은 N 원자가 모두 가져가고,
Cu(s) Ag(s)

• 반응 전 수용액에는 Ag^+이 들어 있다. C-H 결합의 전자쌍은 C 원자가 모두 가져가므로 ㉠의 산화수는
• 반응 후 Ag(s)이 석출된다.  Cu는 전자를 잃어 Cu^2+이 되고, Ag^+은 -1이다. ㉡에서 C=O 결합과 C-O 결합의 전자쌍은 O 원자가
전자를 얻어 Ag이 된다.
모두 가져가므로 ㉡의 산화수는 +3이다. ㉢에서 C-H 결합의 전
자쌍은 C가 모두 가져가므로 ㉢의 산화수는 -3이다. 따라서 산화
• 산화된 물질이 잃은 전자의 양(mol)과 환원된 물질이 얻은 전자의 양

 화학 반응식: 2Ag^+(aq) + Cu(s) ―→ 2Ag(s) + Cu^2+ 수의 합은 ㉠+㉡+㉢=-1+(+3)+(-3)=-1이다.


(mol)은 같다. 

 반응하고 생성되는 이온의 몰비는 Ag^+`Û`Cu^2+=2`Û`1이다.

ㄱ. Cu는 전자를 잃고 Cu^2+으로 산화된다.


526
X ̄Z은 분자를 형성하므로 2주기 비금속 원소이고, 전기 음성도는
ㄴ. Ag^+ 2개가 반응할 때 Cu^2+ 1개가 생성되므로 수용액 속 양이
Y>Z>X>H이다. 따라서 X-H 결합의 전자쌍은 X 원자가 가져가고,
예시 답안

X-Y 결합의 전자쌍과 Y-Z 결합의 전자쌍은 Y 원자가 가져가고, Z-H


ㄷ. 수용액 속 Ag^+ 1개가 Ag(s)으로 될 때 전자 1개를
온 수는 감소한다.
결합의 전자쌍은 Z 원자가 가져간다. 따라서 X의 산화수는 -2, Y의 산화수
얻으므로 Ag 1`mol이 석출될 때 이동한 전자의 양은 1`mol이다.
오답 피하기

는 -2, Z의 산화수는 -1이다.

바른답·알찬풀이 77
530 ⑤
ㄱ. 실험 Ⅰ에서 CuO와 C가 반응하여 Cu와 X가 생성되므로 화학
채점 기준 배점(%)
X ̄Z의 산화수를 구하는 과정을 모두 옳게 설명한 경우
X ̄Z 중 2가지 원자의 산화수만 옳게 설명한 경우 반응식은 2CuO + C ―→ 2Cu + CO_2이고, X는 CO_2이다. Cu
100

X ̄Z 중 1가지 원자의 산화수만 옳게 설명한 경우 의 산화수는 CuO에서 +2이고 Cu에서 0이므로 Ⅰ에서 Cu의 산화
60
30
수는 감소한다.
ㄴ. Ⅱ에서 CuO와 H_2가 반응하여 Cu와 Y가 생성되므로 화학 반응
식은 CuO + H_2 ―→ Cu + H_2&O이고, Y는 H_2&O이다. H의 산화
527 필수 유형 ④

수는 H_2에서 0이고, H_2&O에서 +1이다. 즉 H의 산화수가 증가하므


자료 분석하기 산화수

-1 -1 로 H_2는 산화된다.
ㄷ. O의 산화수는 X(CO_2)와 Y(H_2&O)에서 모두 -2로 같다.
Z Z
-2 +3 -1 -1 +2 -1 -1 +2 -1
-
-

Y=X-Z Z-X-X-Z Z-Y-Z


㉠ ㉡ +2 ㉢ 531
•X   ̄Z는 2주기 원소이고, 각 분자에서 옥텟 규칙을 만족한다.  ⑴ 실험 Ⅰ에서 수용액의 밀도가 감소한 것으로 보아 A가 전자를
 각 분자에서 X에는 비공유 전자쌍이 1개, Y에는 비공유 전자쌍이 2 잃고 산화하여 A^2+이 되고 수용액 속 Cu^2+은 전자를 얻고 환원되어 Cu가 되
예시 답안

개, Z에는 비공유 전자쌍이 3개 있다. 는 반응이 일어난다. 이때 수용액의 밀도가 감소하므로 이온의 질량은 Cu^2+
 X ̄Z의 원자가 전자 수는 각각 5, 6, 7이다.
>A^2+이다. 따라서 원자량은 Cu>A이다.
• X는 N, Y는 O, Z는 F이다. 
⑵ 실험 Ⅰ에서 반응이 일어나므로 A는 Cu보다 산화되기 쉽다. 또 실험 Ⅱ에
 전기 음성도는 Z>Y>X이다.
서 반응이 일어나므로 B는 A보다 산화되기 쉽다. 이로부터 금속의 산화되기
가정한다.  X=Y 결합의 전자쌍은 Y가 가져가고, X-Z 결합의 전 쉬운 정도는 B>A>Cu이므로 Cu^2+ 수용액에 금속 B를 넣으면 B는 전자를
• 산화수를 구할 때는 전기 음성도가 큰 원자가 전자쌍을 모두 가져간다고

자쌍은 Z가 가져가며, Y-Z 결합의 전자쌍은 Z가 가져간다. 잃고 산화되어 B 이온이 되고, Cu^2+은 전자를 얻고 환원되어 Cu로 석출된다.

X=Y 결합의 전자쌍은 Y가 가져가고, X-Z 결합의 전자쌍은 Z가


채점 기준 배점(%)
실험 결과와 관련지어 A와 Cu의 원자량을 옳게 비교하여 설
가져가므로 산화수 ㉠은 +3이다. X-Z 결합의 전자쌍은 Z가 가져 100

가므로 산화수 ㉡은 +2이다. Y-Z 결합의 전자쌍은 Z가 가져가므


⑴ 명한 경우
Cu의 원자량이 A보다 크다는 것만 쓴 경우
로 산화수 ㉢은 +2이다.
40
금속이 산화되기 쉬운 정도를 비교하여 실험 결과를 옳게 예측
100
⑵ 하여 설명한 경우
B의 산화와 Cu^2+의 환원이 일어난다는 것만 쓴 경우 40
528 ③

자료 분석하기 산화수와 산화 환원 반응
532 ①
+1 -2 ㄱ. (가)에서 반응 전후 원자의 종류와 수가 같도록 X의 화학식을 완
H O 성하면 NO이다. 이때 전기 음성도는 O>N이므로 N의 산화수는
+1 -2 -2 +1 0 +1 -2 +1 +1 -2
+2이다.
-

H-C-O-H + O™ H-C-O-H + H™O


+2
ㄴ. (나)에서 반응 전후 원자의 종류와 수가 같도록 Y의 화
-

H +1
학식을 완성하면 HClO이다. 이때 분자의 구조식은 H-O-Cl이고
오답 피하기

• 전기 음성도는 O>C>H이다.


전기 음성도는 O>Cl>H이므로 H의 산화수는 +1, O의 산화수는
•C  -H 결합의 전자쌍은 C가 가져가고, C-O 결합, C=O 결합,
O-H 결합의 전자쌍은 O가 가져간다. -2이고, Cl의 산화수는 +1이다.
ㄷ. H_2&O에서 H의 산화수는 +1, O의 산화수는 -2이다. 또 H와
ㄱ. 반응물에서 C의 산화수는 -2이고, 생성물에서 C의 산화수는 O를 포함한 생성물 HCl과 HClO에서도 H의 산화수는 +1, O의
+2이다. 따라서 C의 산화수는 4 증가한다. 산화수는 -2이다. 따라서 구성 원자의 산화수 변화가 없으므로 H_2&O
ㄷ. O의 산화수는 O_2에서 0이고, 생성물에서 -2이다. 즉 산화수가 은 산화제도 환원제도 아니다.
감소하므로 O_2는 환원된다.
ㄴ. 반응물과 생성물에서 H의 산화수는 +1로 일정하다.
오답 피하기
533 ②

자료 분석하기 산화 환원 반응식

(가) CH_4 + NH_3 ―→ HCN + 3   X


529
H_2

전기 음성도는 F>O>H>Na이다. 이로부터 H_2&O_2에서 H의 산화
(나) C_2&H_4 + X ―→ Y
수는 +1이므로 O의 산화수 ㉠은 -1이다.
C_2&H_6
H_2

Na_2&O에서 Na의 산화수가 +1이므로 O의 산화수 ㉡은 -2이다. (다) 2   Y + 7O_2 ―→ 4CO_2 + 6H_2&O
C_2&H_6
OF_2에서 F의 산화수가 -1이므로 O의 산화수 ㉢은 +2이다.
 (가)에서 X는 H_2이고, (나)에서 Y는 C_2&H_6이다.
O_2&F_2에서 F의 산화수가 -1이므로 O의 산화수 ㉣은 +1이다.

78 바른답·알찬풀이
ㄷ. (다)에서 H의 산화수는 반응물인 Y(C_2&H_6)에서 +1이고, 생성물
인 H_2&O에서 +1이다. 따라서 H의 산화수는 변하지 않는다.
537 필수 유형 ③

ㄱ. HCN의 구조식은 H-C≡N이다. 이때 전기 음성도


자료 분석하기 산화 환원 반응식

는 N>C이므로 C≡N 결합에서 전자쌍은 N가 모두 가져간다. 이 a MnO_4&^- + b Sn^2+ + c H^+ ―→ a Mn^2+ + b Sn^4+ + 8H_2&O
오답 피하기

로부터 HCN에서 N의 산화수는 -3이고, NH_3에서 N의 산화수도  (a ̄c는 반응 계수)

-3이므로 (가)에서 N의 산화수는 변하지 않는다. • Mn의 산화수는 MnO_4&^-에서 +7, Mn^2+에서 +2이다.  5 감소
ㄴ. 전기 음성도는 C>H이므로 주어진 화합물에서 H의 산화수는 • Sn의 산화수는 Sn^2+에서 +2, Sn^4+에서 +4이다.  2 증가
+1이다. 따라서 C의 산화수는 C_2&H_4에서 -2이고, Y(C_2&H_6)에서는
2MnO_4&^- + 5Sn^2+ + c H^+ ―→ 2Mn^2+ + 5Sn^4+ + 8H_2&O
• 증가한 산화수와 감소한 산화수가 같도록 계수를 맞추면 다음과 같다.

-3이다. 따라서 C의 산화수는 C_2&H_4에서가 Y에서보다 1만큼 크다. • 반응 전후 산화수 변화가 없는 H와 O의 원자 수가 같도록 계수를 맞추

2MnO_4&^- + 5Sn^2+ + 16H^+ ―→ 2Mn^2+ + 5Sn^4+ + 8H_2&O


면 다음과 같다.

•  a=2, b=5, c=16이다.


534
(나) C_2&H_4, (다) O_2, (나)에서 C의 산화수는 C_2&H_4에서 -2이고,
Y(C_2&H_6)에서 -3이다. 즉, C의 산화수는 감소하므로 C_2&H_4은 자신이 환원되
예시 답안

ㄱ. Mn의 산화수는 MnO_4&^-에서 +7이고, Mn^2+에서 +2이다. 따


면서 다른 물질을 산화시키는 산화제이다. (다)에서 O의 산화수는 O_2에서 0이
고, CO_2와 H_2&O에서 -2이다. 즉, O의 산화수는 감소하므로 O_2는 자신이 환 라서 Mn의 산화수는 감소한다.
ㄷ. Sn^2+ 1`mol이 전자 2`mol을 잃어 Sn^4+으로 되므로 Sn^4+ 1`mol
이 생성될 때 이동한 전자의 양은 2`mol이다.
원되면서 다른 물질을 산화시키는 산화제이다.

ㄴ. b=5, c=16이므로 b+c=5+16=21이다.


채점 기준 배점(%)
오답 피하기
(나)와 (다)에서 반응물과 생성물의 산화수를 비교하여 산화제를 옳게
100

(나)와 (다) 중 1가지의 산화제를 옳게 설명한 경우


설명한 경우
538
ㄱ. S의 산화수는 H_2&S에서 -2이고, 원소인 S에서는 0이다. 이로부

60

터 (가)에서 S의 산화수 변화는 ‘2 증가’임을 알 수 있다.


산화제로 작용한 물질만 옳게 쓰고 그 까닭의 설명이 미흡한 경우 30

ㄴ. Mn의 산화수는 MnO_4&^-에서 +7이고, Mn^2+에서 +2이다. 따


라서 Mn의 산화수 변화는 ‘5 감소’이다. 따라서 (나)에서 증가한 산화
535 ③
반응 전후 원자의 종류와 수가 같도록 화학 반응식의 계수를 맞추면

2MnO_4&^- + 5H_2&S + c H^+ ―→ 2Mn^2+ + 5S + d H_2&O


수와 감소한 산화수가 같도록 반응식의 계수를 맞추면 다음과 같다.

(가) C_2&H_4 + 3O_2 ―→ 2CO_2 + 2H_2&O


다음과 같다.

이로부터 a=2, b=5이므로 a+b=7이다.


(나) Fe_2&O_3 + 3CO ―→ 2Fe + 3CO_2
ㄱ. a+b+c=3+2+2=7이다.
2MnO_4&^- + 5H_2&S + 6H^+ ―→ 2Mn^2+ + 5S + 8H_2&O
ㄷ. 완성된 산화 환원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ㄴ. (나)에서 Fe의 산화수는 Fe_2&O_3에서 +3이고, Fe에서 0이므로


이로부터 반응 몰비는 MnO_4&^-`Û`H^+=2`Û`6=1`Û`3임을 알 수 있다.
산화수는 감소한다.
ㄷ. (가)에서 산화제는 O_2이고, (나)에서 산화제는 Fe_2&O_3
이다. 반응 몰비는 (가)에서 O_2`Û`CO_2=3`Û`2이고, (나)에서 Fe_2&O_3`Û
오답 피하기

CO_2=1`Û`3이다. 따라서 CO_2 1`mol이 생성될 때 반응한 산화제의 양

은 (가)에서가 3
/
2`mol이고, (나)에서가 1
/
3`mol이므로 (가)에서가 124~125쪽

(나)에서의 9
2배이다.
/
539 ① 540 ① 541 ③ 542 ② 543 ① 544 ①
545 해설 참조 546 ⑴ 해설 참조 ⑵ 해설 참조
536 ③ 547 해설 참조
ㄱ. (가)와 (나)에서 화학 반응식의 계수를 맞추면 다음과 같다.
(가) Mg + S ―→ MgS
(나) Mg + CO ―→ MgO + C 539
따라서 a=b=1이다. ㄱ. (가)에서 S의 산화수는 Cu_2&S에서 -2이고, SO_2에서 +4이다.

ㄴ. (나)에서 C의 산화수는 CO에서 +2이고, C에서 0이다. 즉, C 따라서 S의 산화수는 증가한다.


의 산화수가 감소하므로 CO는 자신이 환원되면서 다른 물질을 산화 ㄴ. (나)에서 H의 산화수는 H_2에서 0이고, H_2&O에서 +1
이다. H의 산화수가 증가하므로 H_2는 자신이 산화되면서 다른 물질
오답 피하기

ㄷ. (가)와 (나)에서 Mg 1`mol이 Mg^2+으로 될 때 전자


시키는 산화제이다.

2`mol이 이동하므로 Mg 1`mol이 반응할 때 이동한 전자의 양(mol)


오답 피하기 을 환원시키는 환원제이다.

은 2`mol로 같다. 성하면 NO이다. 따라서 ㉠에서 N의 산화수는 +2이다.


ㄷ. (다)에서 반응 전후 원자의 종류와 수가 같도록 ㉠의 화학식을 완

바른답·알찬풀이 79
540 ① 542 ②

자료 분석하기 금속과 금속 이온의 산화 환원 반응 자료 분석하기 산화수와 산화 환원 반응

X^+ 금속 Y를 Y^3+ 금속 Z를 Z^2+ aA_x&B + b C_2 ―→ cAC + dB (a ̄d는 반응 계수)


넣음. 넣음.

산화수
(가) (나)
A A
+1
Z를 XNO_3(aq)
금속 Y를 금속 Z를

(가) B
넣음. 넣음.

) 3(나) ) 1개가 생성된다. 


금속 C
금속 Y를(가)• (가) 과정에서 X^+( 개가 반응하여 Y 이온(
넣음. 0

 반응 개수비는 X^+`Û`Y 이온=3`Û`1이므로 산화수비는 X^+`Û`Y 이온


(나) C
금속 Z를
-1

=1`Û`3이다.  Y(나)
넣음. (나) 넣음.

이온은 Y^3+이다.
B

• (나) 과정에서 X^+ 4개가 반응하여 Z 이온( ) 2개가 생성된다. 


(가) -2

 반응 개수비는 X^+`Û`Z 이온=2`Û`1이므로 산화수비는 X^+`Û`Z 이온


=1`Û`2이다.  Z 이온은 Z^2+이다.
속 Z를 반응 전 반응 후

• 반응물인 A_x&B에서 A의 산화수는 +1이고, B의 산화수는 -2이며, 화


넣음.

합물에서 구성 원자의 산화수 합은 0이므로 x=2이다.


은 Z 이온(Z^2+)으로 산화수는 +2이다. • 생성물인 AC에서 A의 산화수가 +1이므로 C의 산화수는 -1이다.
나)
ㄱ.
ㄴ. (가)에서 X^+은 전자를 얻어 X로 되고, Y는 전자를 잃  (나)는 C이고, (가)는 B이다.
고 Y^3+으로 된다. 따라서 (가)에서 X^+은 자신이 환원되면서 다른 물
오답 피하기

질을 산화시키는 산화제이다. 이때 NO_3&^-은 반응에 참여하지 않으므 ㄷ. AC에서 A의 산화수는 양의 값(+1)이고 C의 산화수는 음의 값
로 산화되거나 환원되지 않는다. 즉, NO_3&^-은 산화제도 환원제도 아 (-1)이므로 전기 음성도는 C>A이다.
니다. 오답 피하기 ㄱ. x=2이므로 반응 전후 원자의 종류와 수가 같도록 화
ㄷ. (가)에서 Y가 산화되고 X^+이 환원되므로 금속이 산화되기 쉬운
A_2&B + C_2 ―→ 2AC + B
학 반응식을 완성하면 다음과 같다.
정도는 Y>X이다. 또 X^+과 Y^3+이 들어 있는 수용액에 금속 Z를
넣을 때 X^+ 수만 감소하고, 반응하지 않은 금속 Z가 남아 있는 것으 이로부터 a=1, b=1, c=2, d=1이므로 a+c>b+d이다.
로 보아 Z는 Y^3+을 환원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금속이 산화되기 쉬 ㄴ. B의 산화수는 A_2&B에서 -2이고, B에서 0이다. 즉, B의 산화수
운 정도는 Y>Z>X이다. 가 증가하므로 A_2&B는 자신이 산화되면서 다른 물질을 환원시키는 환
원제이다.

541 ③
543 ①
자료 분석하기 산화 환원 반응식
자료 분석하기 산화 환원 반응의 양적 관계

(가) 2H_2&SO_4 + Cu ―→ CuSO_4 + 2H_2&O + X SO_2


a Cr&_2&O_7&^2- + b Sn^2+ + c H^+ ―→ d Cr^m+ + e Sn^4+ + 7H_2&O
X + 2Mg ―→ S + 2MgO
SO_2
(나)  (a ̄e는 반응 계수)

• (가)와 (나)에서 반응 전후 원자의 종류와 수가 같도록 X의 화학식을 완 Sn›±


성하면 SO_2이다.
의양

• H_2&SO_4의 SO_4&^2-에서 구성 원자의 산화수 합은 -2이므로 S의 산화수


를 x라 하면 x+(-2)\4=-2, x=+6이다.
3
(

mol

• SO_2에서 S의 산화수를 y라 하면 y+(-2)\2=0, y=+4이다.


)

ㄱ. (가)에서 X의 화학식은 SO_2이고, O의 산화수는 -2이므로 SO_2


에서 S의 산화수는 +4이다.
0 1 Cr™O¶¤—의 양(mol)

ㄴ. (가)에서 S의 산화수는 H_2&SO_4에서 +6이고, X(SO_2)에서 +4이 • 생성물에서 O 원자 수가 7이므로 반응물에서 Cr&_2&O_7&^2-의 계수 a=1
다. 즉 S의 산화수는 감소하므로 H_2&SO_4은 자신이 환원되면서 다른 이다.  d=2이다.
• 그래프에서 반응 몰비는 Cr&_2&O_7&^2-`Û`Sn^4+=1`Û`3이다.  a=1이므로
물질을 산화시키는 산화제이다. 이때 CuSO_4에서 S의 산화수가 +6
e=3이다.  e=3이므로 b=3이다.
이고, H_2&SO_4의 계수가 2이므로 H_2&SO_4 중 일부만 환원되어 SO_2로 • 생성물에서 H 원자 수가 14이므로 c=14이다.

ㄱ. Sn의 산화수는 Sn^2+에서 +2, Sn^4+에서 +4이고, Sn^2+과 Sn^4+


된 것이다.

SO_2 + 2Mg ―→ S + 2MgO 의 반응 계수가 3이므로 증가한 산화수는 6이다. Cr의 산화수는
오답 피하기 ㄷ. (나)의 화학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SO_2 1`mol이 반응할 때 Mg 2`mol이 반응하고, Mg 1`mol이 반응 Cr&_2&O_7&^2-에서 +6이고, Cr^m+에서 +m이며, Cr 원자 수는 2이므로
하여 MgO이 생성될 때 이동하는 전자의 양은 2`mol이다. 따라서 감소한 산화수는 2\(6-m)이다. 이때 증가한 산화수와 감소한 산
X(SO_2) 1`mol이 반응할 때 이동하는 전자의 양은 4`mol이다. 화수가 같으므로 2\(6-m)=6, m=3이다.

80 바른답·알찬풀이
오답 피하기 ㄴ. a=1, e=3, b=3이고, 산화수 변화가 없는 H, O 원 채점 기준 배점(%)

Cr&_2&O_7&^2- + 3Sn^2+ + 14H^+ ―→ 2Cr^3+ + 3Sn^4+ + 7H_2&O


자 수가 같도록 계수를 맞추면 화학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분모의 값이나 분자의 값 중 1가지만 옳게 구한 경우
풀이 과정과 답을 모두 옳게 설명한 경우 100

따라서 c =/
50

b
1
3
4이다.
& _7&^2- 1`mol이 환원되어 Cr^3+ 2`mol이 생성될 때 전자 6`mol
ㄷ. Cr&_2O 546
이 이동하므로 Cr^3+ 1`mol이 생성될 때 전자 3`mol이 이동한다. 서술형 해결 전략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화합물을 구성하는 원자의 산화수 합이 0임을 적용하여 특정 원자의 산화수
544 ①

자료 분석하기 산화 환원 반응식 를 구할 수 있어야 한다.


STEP 2 관련 개념 모으기
➊ 제시된 화합물에서 H의 산화수는?
• (가)와 (나)에서 완성된 화학 반응식과 산화수 변화는 다음과 같다.
+1 -1 +1 -2 0
• (가) 2H_2&O_2 ―→ 2H_2&O + O_2  H의 전기 음성도는 N, O보다 작으므로 H의 산화수는 +1이다.
+1 -1 +1 -1 +1 +6 -2 0 +1 +6 -2 +1 -2
➋ 제시된 화합물에서 O의 산화수는?
• (나) H_2&O_2 + 2KI + H_2&SO_4 ―→ I&_2 + K_2&SO_4 + 2H_2&O
 O의 전기 음성도는 N, H보다 크므로 O의 산화수는 -2이다.

ㄱ. (가)의 반응물과 생성물을 구성하는 O의 산화수 -1, -2, 0 중 ⑴ N의 산화수는 N_2에서 0이다. 또 NO에서 O의 산화수가 -2이므
에서 가장 작은 것은 -2이다. 로 N의 산화수는 +2이다. 즉, (가)에서 N의 산화수는 0에서 +2로 증가한다.
예시 답안

ㄴ. 화학 반응식의 계수로부터 H_2&O_2와 H_2&O의 반응 몰비 ⑵ (나)에서 N의 산화수는 반응물인 NO_2에서 +4이고, 생성물 중 HNO_3에
는 (가)에서 1`Û`1이고, (나)에서 1`Û`2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H_2&O 서 +5, NO에서 +2이다. 또 H, O의 산화수는 H_2&O에서 각각 +1, -2이
오답 피하기

1`mol이 생성될 때 반응한 H_2&O_2의 양은 (가)에서 1`mol, (나)에서 고, 생성물인 HNO_3과 NO에서도 각각 +1, -2이다. 즉, (나)에서 산화되는

0.5`mol이므로 (가)가 (나)의 2배이다. 물질과 환원되는 물질은 모두 NO_2이므로 산화제와 환원제는 모두 NO_2이다.

ㄷ. (나)에서 H_2&S O_4을 구성하는 원자의 산화수는 변하지 않으므로


H_2&SO_4은 산화되거나 환원되지 않는다. 즉, 산화제도 환원제도 아니다.
채점 기준 배점(%)
반응물과 생성물에서 N의 산화수를 구하여 산화수 변화를 옳
100
⑴ 게 설명한 경우
545 N의 산화수가 증가한다는 것만 쓴 경우 60
서술형 해결 전략 각 원자의 산화수 변화를 이용하여 산화제와 환원제를 모두 옳
100

산화제와 환원제 중 1가지만 옳게 설명한 경우


⑵ 게 설명한 경우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50
금속과 금속 이온의 반응에서 전체 양이온의 양(mol) 변화로부터 반응한 금
속 이온과 생성된 금속 이온의 산화수를 구할 수 있어야 한다.
STEP 2 관련 개념 모으기 547
➊ 금속과 금속 이온의 반응에서 수용액 속 양이온의 양(mol)이 증가하는
서술형 해결 전략
경우는?
 반응한 금속 양이온의 양(mol)보다 생성된 금속 양이온의 양(mol)이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큰 경우이다.  산화수: 반응한 금속 양이온>생성된 금속 양이온 산화 환원 반응식에서 증가한 산화수와 감소한 산화수가 같도록 계수를 맞
➋ 금속과 금속 이온의 반응에서 수용액 속 양이온의 양(mol)이 감소하는 출 수 있어야 한다.
경우는?
 반응한 금속 양이온의 양(mol)보다 생성된 금속 양이온의 양(mol)이 STEP 2 관련 개념 모으기

 Co의 산화수는 Co^2+에서 +2이고, Co^3+에서 +3이다. 또 Mn의


작은 경우이다.  산화수: 반응한 금속 양이온<생성된 금속 양이온 ➊ 반응물과 생성물을 구성하는 원자의 산화수는?

산화수는 MnO_4&^-에서 +7이고, Mn^2+에서 +2이다.


예시 답안 A^a+ 수용액에 금속 B를 넣은 수용액 Ⅰ에서 반응이 일어나는 동안
전체 양이온의 양(mol)이 증가하므로 B 이온의 산화수는 A 이온보다 작다.
➋ 산화 환원 반응식을 완성하는 방법은?

또한 A^a+ 수용액에 금속 C를 넣은 수용액 Ⅱ에서 전체 양이온의 양(mol)이


 산화되는 물질의 증가한 산화수와 환원되는 물질의 감소한 산화수가

감소하므로 C 이온의 산화수는 A 이온보다 크다. A ̄C 이온의 산화수가 +1,


같고, 반응 전후 원자의 종류와 수가 같도록 계수를 맞춘다.

+2, +3 중 하나이므로 A ̄C 이온은 각각 A^2+, B^+, C^3+이고, a=2이다. Co의 산화수는 1 증가하고, Mn의 산화수는 5 감소한다. 이로부터
(가)에서 반응한 A^2+의 양을 3x`mol이라고 하면 생성된 C^3+의 양은 2x`mol Co^2+와 Co^3+의 계수를 5라 하면 MnO_4&^-과 Mn^2+의 계수는 1이다. 또 반응
예시 답안

이다. 반응 전 A^2+의 양이 1.2`mol이므로 (가)에서 전체 양이온의 양(mol)은 전후 H 원자와 O 원자의 수가 같도록 계수를 맞추면 H^+의 계수는 8이고,
1.2-3x+2x=1.2-x(mol)이고 이 값이 1.0이므로 x=0.2(mol)이다. H_2&O의 계수는 4이다. 따라서 완성된 화학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따라서 (가)에서 A^2+의 양(mol)은 1.2-3×0.2= 0.6(mol)이다. 한편 (나) 5Co^2+ + MnO_4&^- + 8H^+ ―→ 5Co^3+ + Mn^2+ + 4H_2&O
지점은 A^2+ 1.2`mol이 모두 반응하여 B^+ 2.4`mol이 생성된 지점이므로
(나)에서 전체 양이온의 양은 2.4`mol이다.
채점 기준 배점(%)

2.4
= =4이다.
계수를 맞추어 화학 반응식을 완성하는 과정을 옳게 설명한 경우 100

(가)에서 A^a+의 양(mol) 0.6


(나)에서 전체 양이온의 양(mol)
따라서 화학 반응식만 옳게 완성하고 과정 설명이 미흡한 경우 70

바른답·알찬풀이 81
16 화학 반응과 열의 출입 557 ③
ㄱ. 반응물의 에너지 합이 생성물의 에너지 합보다 크므로 반응이 일
개념 확인 문제 127쪽 어날 때 반응물과 생성물의 에너지 차이만큼 주위로 열을 방출하는
548 발열 549 흡열 550 발열 551 ◯ 발열 반응이다.
552 × 553 × ㄴ. 발열 반응이 일어날 때 열을 방출하므로 주위의 온도가 높아진다.
556 2100`J ㄷ. 물질의 에너지 합은 반응물인 A( g)가 생성물인 B( g)
554 방출 555 흡수
오답 피하기

보다 크다.

548 발열
558 ⑤
에탄올이 연소하면서 열과 빛을 방출하므로 발열 반응이다.
자료 분석하기 화학 반응과 열의 출입

549 흡열 온도계
탄산수소 나트륨이 열을 흡수하여 분해되므로 흡열 반응이다.

질산 암모늄
550 발열 진한 황산

묽은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이 중화 반응 할 때 열을 방출하므



로 발열 반응이다. 물

㉠  뷰테인을 연소시켜 물 ㉡  질 산 암모늄을 물에 ㉢  진한 황산을 물에 용


551
Ba(OH)_2과 NH_4&Cl의 반응은 열을 흡수하는 흡열 반응이다.
을 끓였다. - 발열 용해시켰더니 용액의 온 해시켰더니 용액의 온도
도가 낮아졌다. - 흡열 가 높아졌다. - 발열

• ㉠ : 뷰테인이 연소할 때 주위로 열을 방출한다.  발열 반응


552 • ㉡ : 질산 암모늄이 용해될 때 용액의 온도가 낮아지므로 용해 과정에서
반응이 일어날 때 열을 흡수하여 주위의 온도가 낮아지므로 나무판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한다.  흡열 반응
• ㉢ : 진한 황산이 용해될 때 용액의 온도가 높아지므로 용해 과정에서 주
에 묻힌 물이 얼어붙어 나무판이 삼각 플라스크에 달라붙는다. 위로 열을 방출한다.  발열 반응

553 ㄱ. ㉠은 발열 반응이므로 반응이 진행될 때 온도가 높아진다.


메테인의 연소 반응은 열을 방출하는 발열 반응이다.
ㄴ. ㉡은 흡열 반응이므로 생성물의 에너지 합이 반응물의 에너지 합
보다 크다.
554 방출
ㄷ. ㉢에서 진한 황산이 용해될 때 용액의 온도가 높아지므로 용해
철가루 손난로는 철의 산화 반응에서 방출하는 열을 이용하여 손을
과정에서 열을 방출한다. 즉 ㉢은 발열 반응이다.
따뜻하게 하는 장치이다.

555 흡수 559 필수 유형 ④

냉각 팩은 질산 암모늄이 물에 용해되는 반응에서 열을 흡수하여 온 자료 분석하기 화학 반응과 열의 출입


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이용한 장치이다.

556 2100`J
용액이 잃은 열량은 4.2`J/(g·*C)×(90+10)`g×5`*C=2100`J이다.
Ba(OH)™+
NH¢Cl

나무판

• 나무판 위의 물이 얼어붙는다.  주위의 온도가 낮아졌다.


• 플라스크 안에서 일어나는 반응은 열을 흡수하는 흡열 반응이다.

ㄴ. 나무판 위의 물이 얼면서 나무판이 삼각 플라스크에 붙는 것으로


127~130쪽
보아 반응이 일어날 때 주위의 온도가 낮아진다.
ㄷ. 흡열 반응이므로 생성물의 에너지 합은 반응물의 에너지 합보다
565 44.1`kJ/mol
557 ③ 558 ⑤ 559 ④ 560 ③ 561 ③
크다.
ㄱ. Ba(OH)_2과 NH_4&Cl은 다음과 같이 반응한다. 이때 구
562 해설 참조 563 ② 564 ⑤
566 ① 567 ③ 568 해설 참조 569 ③ 오답 피하기

Ba(OH)_2 + 2NH_4&Cl ―→ BaCl_2 + 2NH_3 + 2H_2&O


570 해설 참조 571 ⑤ 성 원자의 산화수가 변하지 않으므로 산화 환원 반응이 아니다.

82 바른답·알찬풀이
560 ③ 566 ①
ㄱ. CaCl_2(s)의 용해 반응은 발열 반응이고, 금속과 산의 반응도 발 ㄱ. X(s)가 용해될 때 용액의 온도가 높아지므로 X(s)의 용해 반응은
열 반응이다. 따라서 두 반응의 열 출입 방향은 같다. 발열 반응이다.
ㄴ. 발열 반응이 일어날 때 주위로 열을 방출하므로 주위의 온도가 오답 피하기 ㄴ. (라)에서 용해되는 용질의 질량은 일정하므로 방출하

도 변화는 용액의 양이 적을 때보다 감소한다. 따라서 t<22이다.


높아진다. 는 열량은 변하지 않으나, 용액의 전체 질량이 증가하므로 용액의 온
ㄷ. 반응이 일어날 때 열을 방출하므로 반응물의 에너지
ㄷ. X(s)의 용해 과정에서 열을 방출하므로 이 반응은 냉각 팩에 이
오답 피하기

합은 생성물의 에너지 합보다 크다.


용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561 ③
567 ③
ㄱ, ㄴ, ㄷ. 나프탈렌이 연소할 때 발생한 열(Q)은 열량계 속 물과 열
㉠ 질산 암모늄이 물에 녹으면서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량계가 흡수한 열량과 같다. 물이 흡수한 열량은 물의 비열(c물), 물의


낮아지므로 흡열 반응이다.

질량(m물), 물의 온도 변화(Dt)의 곱으로 구하고, 열량계가 흡수한 열


㉢ 얼음이 녹는 과정에서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낮아지

량은 열량계(C열량계)의 열용량과 물의 온도 변화의 곱(Dt)으로 구한다.


므로 흡열 반응이다.

Q=(c물\m물\Dt)+(C열량계\Dt)
오답 피하기 ㉡ 가스의 연소 반응에서 주위로 열을 방출하므로 발열 반

ㄹ. 나프탈렌 1`g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량을 구할 때 나


응이다.
오답 피하기

562 프탈렌의 분자량은 사용되지 않는다.


예시 답안 용질이 용해될 때 (가)에서는 용액의 온도가 높아졌고, (나)에서는 용
액의 온도가 낮아졌으므로 (가)는 열을 방출하는 발열 반응이고, (나)는 열을 흡 568
수하는 흡열 반응이다. 예시 답안 물의 비열, 물의 질량, 연소 전 물의 온도, 연소 후 물의 온도, 연소 후
과자의 질량이 필요하다. 과자가 연소할 때 발생한 열을 물이 모두 흡수하므로
채점 기준 배점(%)
물이 흡수한 열량을 구해야 하는데, 이때 필요한 자료는 물의 비열, 물의 질량,
용액의 온도 변화를 이용하여 열의 출입 방향을 판단하고 (가)와 (나)

온도를 알아야 한다. 또 과자 1`g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량을 구하기 위해 연


100 물의 온도 변화이므로 물의 비열, 물의 질량, 연소 전 물의 온도, 연소 후 물의
를 각각 발열 반응과 흡열 반응으로 옳게 구분하여 설명한 경우
(가)와 (나) 중 1가지만 옳게 구분하여 설명한 경우 50
소 후 과자의 질량을 추가로 측정하여 연소한 과자의 질량을 구해야 한다.
(가)와 (나)의 구분만 옳고 까닭을 설명하지 못한 경우 40
채점 기준 배점(%)
필요한 자료를 모두 쓰고 그 까닭을 옳게 설명한 경우 100
563 ②

필요한 자료 중 1 ̄2가지가 누락된 경우


필요한 자료를 모두 썼으나 까닭의 설명이 미흡한 경우 70
(가) 도시가스의 연소 반응은 열을 방출하는 발열 반응이다.
40
(나) 물의 증발은 물이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수증기로 상태 변
화 하는 흡열 반응이다.
569 필수 유형 ③
(다) 산화 칼슘의 용해 반응은 열을 방출하는 발열 반응으로, 이를 이
용하여 발열 도시락을 만든다. 자료 분석하기 화학 반응에서 열 출입 측정

(라) 질산 암모늄의 용해 과정은 열을 흡수하는 흡열 반응이다. [실험 과정]

100`g을 넣고 물의 온도(t_1`*C)를 측정
(가) 오른쪽 그림과 같이 간이 열량계에 물 온도계
젓개
564 ⑤ 고무마개 뚜껑

(나) (가)의 열량계에 NaOH(s) 1`g을 넣고


한다.
ㄱ. (가)는 간이 열량계이고, (나)는 통열량계이다.
ㄴ. (나)는 (가)에 비해 단열 처리가 잘 되어 있어 열 손실이 적다. 젓개로 저어 모두 녹인 후 수용액의 온도
스타이로폼

 NaOH(s)이
(t_2`*C)를 측정한다.
ㄷ. 통열량계는 용기가 밀폐되어 있어 연소 반응과 같이 기체가 발생 컵
 물에 용해되는 반응에서 일
하는 반응에서 출입하는 열을 측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어나는 온도 변화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44.1`kJ/mol • t _1<t_2이다.
[실험 결과]
565
NaOH 4`g이 물에 용해될 때 발생하는 열은 용액이 모두 흡수한다.  실험 결과 수용액의 온도가 높아졌으므로 NaOH(s)이 물에 용해되는
반응은 발열 반응이다.

의 곱으로 구한다. 용액의 질량은 (96 + 4 )`g 이고, 온도 변화는


용액이 흡수한 열량은 용액의 비열, 용액의 질량, 용액의 온도 변화

한 열량 Q=c×m×Dt=4`J/(g·*C)×(100+1)`g×(t_2&-t_1)`*C=
 반응에서 발생한 열량을 용액이 모두 흡수한다고 가정하면 용액이 흡수

(30.5-20)`*C이므로 용액이 흡수한 열량은 다음과 같다. 404(t_2&-t_1)`J이다.


4.2`J/(g·*C)×100`g×10.5`*C=4410`J
NaOH 4`g은 0.1`mol이므로 1`mol이 용해될 때 발생하는 열량은 ㄱ. 용해 후 용액의 온도는 용해 전보다 높으므로 NaOH(s)이 물에
44100`J/mol, 즉 44.1`kJ/mol이다. 용해될 때 열을 방출한다.

바른답·알찬풀이 83
ㄷ. 주어진 자료로부터 구한 열량은 NaOH(s) 1`g이 물에 용해될 때
발생한 열량이므로 NaOH(s) 1`mol이 용해될 때 발생하는 열량을
574 ④

구하기 위해서는 NaOH의 화학식량이 필요하다.


메테인의 연소 반응, 금속과 산의 반응, 산과 염기의 중화 반응은 모

ㄴ. NaOH(s) 1`g이 물에 용해될 때 발생한 열량은 다음


두 발열 반응이다.
오답 피하기 ㄴ. 열을 방출하므로 주위의 온도가 높아진다.

4`J/(g·*C)\(100+1)`g\(t_2&-t_1)`*C
과 같다. ㄷ. 열을 주위로 방출하므로 물질의 에너지 합은 반응물이 생성물보

=404(t_2&-t_1)`J/g
1`g
다 크다.
오답 피하기 ㄱ. 모두 발열 반응이므로 주위로 열을 방출한다.

570
NH_4&NO_3이 용해될 때 출입하는 열량은 용액의 온도 변화에 사용된
575

다. 용액의 온도가 낮아지므로 용액이 잃은 열량은 4`J/(g·*C)\100`g\


예시 답안
서술형 해결 전략

6.5`*C=2600`J이다. NH_4&NO_3의 화학식량이 80이므로 8`g은 0.1`mol이


다. 따라서 NH_4&N O_3 1`mol이 물에 용해될 때 출입하는 열량의 크기는 각 물질이 용해될 때의 온도 변화를 파악하고 이를 물질의 양이 1`mol일 때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26000`J/mol, 즉 26`kJ/mol이다. 로 환산하여 출입하는 열량을 비교해야 한다.


STEP 2 관련 개념 모으기
채점 기준 배점(%)
➊ 반응에서 출입하는 열량을 비교하면?
출입하는 열량을 구하는 과정을 옳게 설명한 경우 100
록 크다. 온도 변화는 A>B이므로 출입하는 열량도 A>B이다.
 수용액의 비열과 질량이 같으므로 출입하는 열량은 온도 변화가 클수

➋ 각 물질 1`mol이 용해될 때 출입하는 열량은?


출입하는 열량만 옳게 구한 경우 50

 각 물질 1`g이 용해될 때 출입하는 열량에 물질의 몰 질량을 곱하면


571 물질 1`mol이 용해될 때 출입하는 열량을 구할 수 있다.

ㄱ. X가 용해될 때 수용액의 온도가 높아지므로 X의 용해 반응은 발
열 반응이다.
ㄴ. Y가 용해될 때 수용액의 온도가 낮아지므로 Y의 용해 반응은 흡 수록 크다. 즉, 각 물질 1`g이 용해될 때 출입하는 열량은 A가 B보다 크다. 이
예시 답안 수용액의 비열과 질량이 같으므로 출입하는 열량은 온도 변화가 클

열 반응이다. 때 화학식량은 A>B이므로 각 물질 1`mol이 용해될 때 출입하는 열량은 A


가 B보다 크다.
비례한다. 이때 온도 변화는 X 1`g이 용해될 때가 Y 1`g이 용해될
ㄷ. 수용액의 비열과 질량이 같으므로 출입하는 열량은 온도 변화에

때보다 크므로 각 물질 1`g이 용해될 때 출입하는 열량은 X>Y이다. 온도 변화와 화학식량을 이용하여 1`mol이 용해될 때 출입하는 열
채점 기준 배점(%)

100
량을 옳게 비교하여 설명한 경우
출입하는 열량의 비교만 옳은 경우 50

131쪽
576
572 ⑤ 573 ③ 574 ④ 575 해설 참조 576 해설 참조 서술형 해결 전략

STEP 1 문제 포인트 파악
과자의 연소 반응에서 발생하는 열이 물의 온도 변화에 사용된다는 것을 이
572 ⑤ 용하여 출입하는 열량을 구할 수 있어야 한다.

ㄱ. 뷰테인의 연소 반응은 열을 방출하는 발열 반응이다. STEP 2 관련 개념 모으기


ㄴ. 물이 끓어 수증기로 되는 과정은 흡열 반응이므로 주위로부터 열 ➊ 물이 흡수한 열량을 구하는 방법은?

➋ 과자 1`g이 연소할 때 발생한 열을 구하는 방법은?


 물의 비열(c), 물의 질량(m), 물의 온도 변화(Dt)의 곱으로 구한다.
을 흡수한다.
ㄷ. 질산 암모늄의 용해 반응은 냉각 팩에 이용되는 것으로 보아 열  물이 흡수한 열량을 연소한 과자의 질량으로 나눈다.
을 흡수하는 흡열 반응이다. 따라서 생성물의 에너지 합이 반응물의

얻은 열량은 4.2`J/(g·*C)\100`g\17`*C=7140`J이다. 연소한 과자의 질


에너지 합보다 높다. 예시 답안 과자가 연소할 때 발생한 열량은 물이 얻은 열량과 같다. 따라서 물이

량은 1.7`g이므로 과자 1`g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량은


7140`J
=4200`J/g,
1.7`g
573 ③
ㄱ. NH_4&NO_3이 용해될 때 용액의 온도가 낮아지므로 NH_4&NO_3의
즉 4.2`kJ/g이다.
용해 반응은 흡열 반응이다.
ㄷ. 수증기가 응축하여 물로 되는 과정은 열을 방출하는 발열 반응
과자 1`g이 연소할 때 출입하는 열량을 구하는 과정을 옳게 설명한
채점 기준 배점(%)
이다.
ㄴ. N H_4& N O_3 이 물에 용해될 때 온도가 낮아지므로
100

과자 1`g이 연소할 때 출입하는 열량만 옳게 구한 경우


경우

NH_4&NO_3의 용해 반응은 냉각 팩에 이용할 수 있다.


오답 피하기
50

84 바른답·알찬풀이
580
ㄱ. NaOH(aq) 1`L에 녹아 있는 NaOH의 양이 0.1`mol이므로 몰

132~135쪽

농도는 0.1`M이다.
ㄴ. [OH&^-]=0.1`M이므로 pOH는 1이다. 25`*C에서 pH+pOH
577 ③ 578 ① 579 ⑤ 580 ⑤ 581 ① 582 ⑤

592 6 =14이므로 pH는 13이다.


583 ③ 584 ④ 585 ③ 586 ② 587 ① 588 ⑤

593 0.02`M [OH&^-]


589 ④ 590 해설 참조 591 해설 참조

ㄷ. [H_3&O^+]=1\10^-13` M이고, [OH&^-]=1\10^-1` M이므로
[H_3&O^+]
594 해설 참조 595 해설 참조

=1\10^12이다.
577 ③

자료 분석하기 상평형과 용해 평형 581 ①

자료 분석하기 중화 반응의 양적 관계

NaCl(s)을 녹임. H™O(g)

HCl(aq) 30 0 10
혼합 용액 (가) (나) (다)

H_2SO_4(aq) 0 10 10
NaCl(aq) 혼합 전
H™O(l)
NaCl(s)
NaOH(aq) 20 10
용액의

(가) (나)
부피(mL) x

• (나)는 H_2&O( g)과 H_2&O(l)이 동적 평형을 이룬 상태이다. 


6 10 9
혼합 용액의 액성 중성 산성 염기성
 H_2&O의 증발 속도=응축 속도
• (나)는 NaCl(aq)과 NaCl(s)이 동적 평형을 이룬 상태이다. 
[Na^+]+[H^+](상댓값)

• (가)는 중성 용액이므로 용액 속 [H^+]=0이다. 


 NaCl의 용해 속도=NaCl의 석출 속도
 [Na^+]의 상댓값은 6이다.
• [Na^+]=6`M이라 하면 (가)의 총 부피가 50`mL이므로 혼합 용액 속
ㄱ. (가)는 H_2&O(l)이 들어 있는 초기 상태로, 동적 평형에 도달하기 Na^+의 양(mol)은 6`M×0.05`L=0.3`mol이다. 
전의 상태이므로 H_2&O(l)의 증발 속도가 H_2&O( g)의 응축 속도보다 빠  NaOH(aq) 20`mL에 들어 있는 Na^+의 양은 0.3`mol이다.
0.3`mol
•  NaOH(aq)의 몰 농도는 =15`M이다.
0.02`L
르다.
ㄴ. (가)에서 H_2&O(l)이 증발하여 H_2&O( g)이 되고, (나)에서 증발 속도
와 응축 속도가 같아질 때까지 H_2&O( g)의 양(mol)이 증가하므로 ㄱ. (다)의 액성이 염기성이므로 [H^+]=0이고, [Na^+]를 9`M이라고
H_2&O( g)의 양(mol)은 (가)<(나)이다. 하면 (다)의 총 부피가 (20+x) mL이므로 Na^+의 양(mol)은 9×
ㄷ. (나)에서 NaCl(aq)과 NaCl(s)이 동적 평형을 이루고 (20+x)×10^-3`mol이다. 이는 NaOH(aq) x`mL에 들어 있는
NaCl의 용해 속도
오답 피하기

=1이다. Na^+의 양(mol)인 15\x\10^-3`mol과 같다. 따라서 9×(20+x)


NaCl의 석출 속도
×10^-3`mol=15\x\10^-3`mol이고, 이 식을 풀면 x=30이다.
있으므로

ㄴ. (가)는 중성 용액이므로 [H^+ ]= 0 이고, [N a^+ ]를


6`M이라고 하면 (가) 용액 속 Na^+의 양(mol)은 몰 농도(M)×부피
오답 피하기
578 ①
ㄱ. H_2&O(l)의 증발과 H_2&O( g)의 응축은 조건에 따라 모두 일어날 수
(L)이므로 6`M×0.05`L=0.3`mol이다. 이는 NaOH(aq) 20`mL
에 들어 있는 Na^+의 양(mol)과 같다. NaOH(aq)의 몰 농도를
있는 가역 반응이다.

a`M이라고 하면 a`M\0.02`L=0.3`mol이다. 이 식을 풀면 a=
2t일 때 H_2&O의 응축 속도가 증발 속도와 같은 a가 되므로 동적 평형
오답 피하기 ㄴ. 일정한 온도에서 물의 증발 속도는 일정하다. 또 시간

15이다. 또 (가)에서 반응 부피비가 HCl(aq)`Û`NaOH(aq)= 3`Û`2


에 도달한다. 따라서 3t일 때도 용기 안의 H_2&O은 동적 평형 상태이
이므로 몰 농도 비는 HCl(aq)`Û`NaOH(aq)=2`Û`3이다. 이로부터
고, x=a이므로 x =1이다.
a HCl(aq)의 몰 농도는 10`M이다.
ㄷ. t일 때는 동적 평형에 도달하기 전이므로 H_2&O( g)의 양(mol)은 (나)에서 NaOH(aq) 10`mL에 들어 있는 Na^+의 양(mol)은 15`M
2t일 때가 t일 때보다 크다. ×0.01`L=0.15`mol이고, 혼합 용액 속 Na^+ 양(mol)과 H^+ 양
(mol)의 합은 10`M×0.02`L=0.2`mol이다. 따라서 용액 속 H^+
579 의 양은 0.05`mol이므로 반응 전 H_2&SO_4(aq) 10`mL에 들어 있는
H^+의 양은 0.2`mol이고, H_2&SO_4(aq)의 몰 농도를 b`M이라고 하면

ㄱ. 물 분자 하나가 H^+을 내놓고 OH&^-이 되면 다른 한 분자는 H^+
을 받아 H_3&O^+이 되므로 순수한 물에서 [H_3&O^+]와 [OH&^-]는 항상 같다. H_2& S O_4 (a q )이 내놓을 수 있는 H^+ 의 양(m o l )은 2 \b`M\
ㄴ. 온도가 높을수록 [H_3&O^+]와 [OH&^-]의 곱이 커지므로 물이 이온화 0.02`L=0.2`mol, 이 식을 풀면 b=10이다. 따라서 몰 농도는
하여 생성된 H_3&O^+과 OH&^-이 많다. 즉, 온도가 높을수록 물의 이온 H_2&SO_4(aq)과 HCl(aq)이 10`M로 같다.
ㄷ. (다)에서 NaOH(aq) 30`mL가 내놓은 OH&^-의 양(mol)은 15`M
\0.03`L=0.45`mol이다. 또 HCl(aq) 10`mL가 내놓은 H^+의
화가 잘된다.
ㄷ. 순수한 물에 염산을 넣어 준 산성 수용액에서는 [H_3& O ^+ ]>
[OH&^-]이므로 순수한 물에 비해 [OH&^-]가 작아진다. 양(mol)은 10`M\0.01`L=0.1`mol이고, H_2&SO_4(aq) 10`mL가

바른답·알찬풀이 85
내놓은 H^+의 양(mol)은 2\10`M\0.01`L=0.2`mol이다. 이로
부터 (다)에서 반응하지 않고 남은 OH&^-의 양(mol)은 0.45`mol-
585 ③

(0.1+0.2)`mol=0.15`mol이다. 한편 H_2&SO_4(aq) 15`mL가 내놓


자료 분석하기 금속 이온과 금속의 산화 환원 반응

는 H^+의 양(mol)은 2\10`M\0.015`L=0.3`mol이므로 (다)에


Cu

H_2&SO_4(aq) 15`mL를 추가한 용액은 산성이다.

582 ⑤

자료 분석하기 중화 반응에서 이온 수 변화

HA(aq) OH&^- A&^- HB(aq)


B&^- • Cu의 산화: Cu는 전자를 잃고 Cu^2+으로 수용액 속에 녹아 들어간다.

• Ag^+의 환원: Ag^+이 전자를 얻어 금속 Ag으로 석출된다.


10`mL 10`mL  수용액의 색이 점점 파랗게 변한다.
OH&^-
• 전체 반응식: Cu + 2Ag^+ ―→ Cu^2+ + 2Ag
aq) HB(aq) HA(aq) NaOH(aq)`20`mL
HB(aq) HB(aq) (가) (나)

수가 감소하므로 는 반응에 참여하는 OH&^-이고, (가)에 ㄱ. Cu는 전자를 잃어 산화되고, Ag^+은 전자를 얻어 환원된다.
L 10`mL 10`mL 10`mL 10`mL

는 OH&^-이 존재하므로
10`mL (가)는 염기성 용액이다.  은 산의 A&^-이고,
HA(aq) • (가)에서 의 HB(aq)

ㄷ. Ag^+ 2`mol이 금속 Ag으로 석출될 때 Cu^2+ 1`mol이 생성되


Na^+은 반응에 참여하지 않으므로 그 수는 4이다.
10`mL

• (나)는 OH&
(가)^-이 존재하는 (나) 은 산의 B&^-이다. 
10` 1`Û`2이다.
어 수용액에 녹아 들어가므로 수용액 속 양이온 수는 감소하며, 원자
mL에 HA(aq)`Û`HB(aq)= 량이 Ag>Cu이므로 수용액의 밀도는 감소한다.
H(aq)`20`mL(가) (나) (나) 염기성 용액이므로

ㄴ. Ag 1`mol이 석출될 때 이동한 전자의 양은 1`mol이다.


0`mL 
(가) 들어 있는 이온 수 비는
(나)
HA(aq)

ㄱ. NaOH(aq)에 HA(aq)을 넣을 때
HB(aq) 오답 피하기
10`mL 10`mL
의 수가 감소하므로 (가)에
HB(aq)10`mL 서 은 OH&^-이다. 따라서
)
HA(aq) HB(aq)
10`mL(가)는 염기성 용액이다. 586 ②
10`mL
ㄴ.(가)(나)에는 이 나타나 있지는 (나) 않지만 (가)와 액성이 같다고 하였
용액이다. 따라서 (나)의 은 B&^-이다.
L) HB(aq) 자료 분석하기 산화수
HA(aq) HB(aq)
H +1 +1 H O -2 +1 H H +1
^-이다. HA(aq) 10`mL에 들
L 으므로 10`mL
(나)는 염기성
(가)는 염기성 용액이므로 은 A&
10`mL
(나) 10`mL
㉠ -4 ㉡ -3 ㉢ -3 -1
어 있는 A&^-의 수는 1이다. 또, (나)에서
q)`20`mL ㄷ.(나) (가) (나)

은 B&^-이므로 HB(aq)

- -

- -
=

- -
- -
+1 +1 +1 +3 -2 +1 +1 -2 +1
H-C-H H-C-C-O-H H-C-C-O-H

10`mL 에 들어 있는 B&^-의 수는 2(나) H +1 H +1 +1 H H +1


(가) (나)

는 이온 수는 HB(aq)가 HA(aq)의 2배이므로 산 수용액의 몰 농도


20`mL (가) 이다. 따라서 같은 부피에 들어 있
• 전기 음성도: O>C>H

또한 HB(aq)가 HA(aq)의 2배이다.


• C-H 결합의 전자쌍은 C가, C-O 결합과 C=O 결합의 전자쌍은 O
가 가져간다.

㉠의 산화수는 -4이고, ㉡의 산화수는 -3, ㉢의 산화수는 +3, ㉣


583 ③

의 산화수는 - 1 이다. 따라서 탄소 ㉠ ̄ ㉣의 산화수의 합은


ㄱ. 중화 적정 실험에서 농도를 알고 있는 용액(표준 용액)을 넣어 사

-4+(-3)+(+3)+(-1)=-5이다.
ㄷ. H_2& S O_4 (a q ) 10` m L 를 완전 중화시키는 데 사용된 0.1` M
용하는 실험 기구는 뷰렛이다.

N a O H (a q )의 부피가 20` m L 이므로 H_2& S O_4 (a q )의 몰 농도를


y`M이라고 하면 2\y`M\0.01`L=1\0.1`M\0.02`L, 이 식
587
ㄱ. (가)에서 O의 산화수는 O_2에서 0이고, OF&_2에서 +2이다. 즉,

을 풀면 y=0.1이다.
O의 산화수가 증가하므로 O_2는 자신이 산화되면서 다른 물질을 환
ㄴ. 0.1`M NaOH(aq) 500`mL 속에 녹아 있는 NaOH
의 양(mol)은 1\0.1`M\0.5`L=0.05`mol이고, NaOH의 화
오답 피하기

ㄴ. (나)에서 Br의 산화수는 BrO_3&^-에서 +5이고, Br&^-에


원시키는 환원제이다.

학식량은 40이므로 x=40\0.05=2이다.


서 -1이다. 따라서 Br의 산화수는 감소한다.
오답 피하기

ㄷ. (나)에서 I의 산화수는 I&^-에서 -1이고, I&_2에서 0이다. 또한 I&^- 2


개가 산화되어 I&_2 분자 1개로 되므로 a는 c의 2배이고, c=1일 때
584 ④
NaOH(aq)의 몰 농도를 a`M이라고 하면 HCl(aq), H_2&SO_4(aq)과
I의 전체 산화수는 2 증가한다. Br의 산화수는 6 감소하므로 증가한
의 중화 반응에서 각각 다음과 같은 양적 관계가 성립한다.
•NaOH(aq)과 HCl(aq) 반응의 양적 관계: 
BrO_3&^- + 6I&^- + b H^+ ―→ Br&^- + 3I&_2 + d H_2&O
산화수와 감소한 산화수가 같도록 계수를 맞추면 다음과 같다.

1\a`M\0.02`L=1\x`M\0.01`L, x=2a
한편 반응물과 생성물에서 산화수 변화가 없는 H와 O의 원자 수가
•NaOH(aq)과 H_2&SO_4(aq) 반응의 양적 관계:

•1\a`M\0.03`L=2\y`M\0.01`L, y=3
2a
/ BrO_3&^- + 6I&^- + 6H^+ ―→ Br&^- + 3I&_2 + 3H_2&O
같도록 계수를 맞추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x`Û`y=4`Û`3이므로 x
y=4
/ 3이다.
/ 따라서 a=6, b=6, c=3, d=3이므로 a+c =1이다.
b+d

86 바른답·알찬풀이
588 593 0.02`M
(가)에서 존재하는 음이온은 2가지이므로 Cl^-, Br&^-이다. 이때 두 이

ㄱ. (가)에서 CH_3&COONa(s)이 석출될 때 열이 발생하므로 발열 반
온의 몰비가 2`Û`1이고, 산 수용액의 부피가 같으므로 산 수용액의
몰 농도 비는 2 `Û` 1 이다. H C l (a q )의 몰 농도가 0.2` M 이므로
응이다.
ㄴ. CH_3&COONa(s)을 용해시키기 위해 끓는 물에 넣어 열을 공급하
므로 CH_3&COONa(s)의 용해 반응은 흡열 반응이다. HBr(aq)의 농도를 0.4`M이라고 가정하면, 산 수용액 속 H^+의 양
ㄷ. CH_3&COONa(s)이 용해 반응은 흡열 반응이므로 반응에서 생성 (mol)은 0.2×0.01+0.4×0.01=0.006(mol)이고, NaOH
30`mL 속 OH&^-의 양도 0.006`mol이므로 NaOH(aq)의 몰 농도
는 0.2`M이 된다. (나)에서 존재하는 음이온의 종류는 3가지이므로
물의 에너지 합은 반응물의 에너지 합보다 크다.

589 ④ C l^- , B r& ^- , O H& ^- 이다. 이때 산 수용액 속 H^+ 의 양은 0.2` M


A가 용해될 때는 용액의 온도가 높아지므로 A의 용해 반응은 열을 HCl(aq) 10`mL에서 0.002`mol, 0.4`M HBr(aq) 30`mL에서
방출하는 발열 반응이고, B가 용해될 때는 용액의 온도가 낮아지므 0.012`mol이고, 0.2`M NaOH(aq) 60`mL 속 OH&^-의 양은
로 B의 용해 반응은 열을 흡수하는 흡열 반응이다. 0.012`mol이 되는데, 이 경우 용액의 액성은 산성이 되어야 하므로
자료에 부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몰 농도는 HCl(aq)이 0.2`M,
고, 온도 변화는 A가 B보다 크므로 용질 1`g을 녹일 때 출입하는 열
ㄴ. 수용액 (가)와 (나)에서 용액의 질량과 비열 및 용질의 질량은 같
HBr(aq)이 0.1`M이다.
량의 크기는 A가 B보다 크다. (가)에서 산 수용액 속 H^+의 양(mol)은 0.2\0.01+0.1\0.01
ㄷ. B의 용해 반응에서 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낮아지므로 냉각 팩에 = 0.003 (m o l )이므로 N a O H (a q ) 30` m L 속 O H& ^- 의 양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B이다. 0.003`mol이고, NaOH(aq)의 몰 농도는 0.1`M이다. 이로부터
ㄱ. A가 물에 용해될 때 열을 방출하여 용액의 온도가 높 (나)에서 혼합 전 0.2`M HCl(aq) 10`mL에 들어 있는 H^+과 Cl^-의
양은 각각 0.002`mol, 0.1`M HBr(aq) 30`mL에 들어 있는 H^+과
오답 피하기

아진다.
Br&^-의 양은 각각 0.003`mol, 0.1`M NaOH(aq) 60`mL에 들어
590 있는 OH&^-의 양은 0.006`mol이다. 따라서 혼합 용액에 존재하는
t_3, 동적 평형 상태에서 X의 증발 속도와 응축 속도가 같아지므로 Cl^-, Br&^-, OH&^-의 몰비는 0.002`Û`0.003`Û`{0.006-(0.002+
예시 답안

증발 속도 1
= 이 되는 시간에 동적 평형에 도달한다. 이때 c>1이므로 t_2일 0.003)}=3`Û`2`Û`1이므로 ㉠에 해당하는 이온은 Cl^-이고, [Cl^-]
응축 속도

0.002`mol =
때는 동적 평형에 도달하기 전이고, t_3일 때는 동적 평형에 도달한다. = 0.02`M이다.
0.1`L
채점 기준 배점(%)
동적 평형에 도달한 시간을 옳게 쓰고, 그 까닭을 옳게 설명한 경우 100 594
동적 평형에 도달한 시간만 옳게 쓴 경우 40 S의 산화수는 S에서 0이고, SO_2에서 +4이므로 4 증가한다. 이때
S 원자 수가 3이므로 전체 산화수는 12 증가한다. 이로부터 감소한 산화수 또
예시 답안

591 한 12이어야 한다. 한편 Cr의 산화수는 K_2&Cr&_2&O_7에서 +6이고, 반응물에서


예시 답안 a<b, 0<t_1<t_2<t_3이고, t_3일 때 동적 평형에 도달하므로 t_1, t_2일 Cr 원자 수가 4이므로 Cr_x&O_y에서 Cr의 산화수를 +m이라고 하면 다음 관

4\(6-m)=12
계식이 성립한다.

일정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용기 속 X( g)의 양(mol)이 증가하여 응축 속도가


때는 동적 평형에 도달하기 전 상태이다. 이때 온도는 일정하므로 증발 속도는

이 식을 풀면 m=3이다. 즉, Cr_x&O_y에서 Cr의 산화수는 +3이고, O의 산화수


는 t_2일 때가 t_1일 때보다 크다. 따라서 a<b이다.
는 -2이므로 x=2, y=3이다. 따라서 x+y=5이다.
응축 속도
빨라지므로
증발 속도

채점 기준 배점(%) 채점 기준 배점(%)
a와 b의 크기를 옳게 비교하고, 그 까닭을 옳게 설명한 경우 100 x+y의 값과 풀이 과정을 모두 옳게 설명한 경우 100
a와 b의 크기만 옳게 비교한 경우 40 x+y의 값만 옳게 쓴 경우 60

592 6
㉠ 0.01`M HCl(aq)에서 [H_3&O^+]=0.01`M, 즉 1\10^-2`M이다.
595

pH 2
반응이 일어날 때 열을 방출하는 반응은 발열 반응, 열을 흡수하는

따라서 pH는 2이므로 = =200이다.


[H_3&O^+] 1\10^-2
반응은 흡열 반응이다.

㉡ 0.01`M H_2&SO_4(aq) 100`mL를 완전히 중화시키는 데 필요한


예시 답안 발열 반응은 (가) 연소 반응, (나) 중화 반응이고, 흡열 반응은 (다) 열

0.01`M NaOH(aq)의 부피는 200`mL이다.


분해 반응, (라) 광합성이다.

㉢ K_2&Cr&_2&O_7에서 2\(+1)+2\(Cr의 산화수)+7\(-2)=0이므


채점 기준 배점(%)

로 Cr의 산화수=+6이다.
(가) ̄(라)를 모두 발열 반응과 흡열 반응으로 옳게 구분하여 설명한
100

따라서 Ù \㉢Ù=Ù/
2
00\(+6)Ù=6이다. 4가지 반응 중 1가지를 잘못 구분한 경우
경우

30

바른답·알찬풀이 87
memo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