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2020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사업

<ART MUST GO ON_예술활동형>심의결과

1 추진 경과

▢ 심의 대상사업 : 총 1,521건

▢ 심의위원회 구성
○ 예술분야 및 뉴미디어 분야 전문가 3~8명 내외로 구성(※ 심의건수 기준)
- 예술분야 심의위원의 경우 다양한 장르적 특징을 이해하고 검토할 수 있는 전문가로 구성
- 분야별로 뉴미디어-MCN 영상 콘텐츠 분야의 1명 이상의 전문가 위촉
○ 구성인원 : 총 16명

분야 심의위원
김대홍(서울예대 영상학부 디지털아트 교수), 김일송(공연칼럼니스트), 김재리(드라마터그),
공연예술
박정용(벨로주 대표), 박지선(독립 프로듀서), 송현민(음악평론가), 신태연(예술의전당
기반
영상문화부 PD), 허명진(무용평론가)
박대용(TBS 뉴미디어 전략팀 팀장), 심소미(독립 큐레이터), 안소연(미술비평가),
시각예술
여운승(미디어아티스트, 이화여대 융합콘텐츠학과 교수), 유원준(영남대학교 미술학부
기반
트랜스아트전공 교수)
김나영(문학평론가, 서울여대 초빙교수), 서효인(시인, 민음사 편집부 팀장),
문학
정재만(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문화지원본부장)

▢ 심의진행 일정
분야 심의건수 행정심의 서류심의 토론심의 결과발표
공연예술
1,162건 09.14.(월)~09.22.(화) 09.14.(월)~09.22.(화) 09.24.(목)
기반
시각예술
314건 09.14.(월)~09.21.(월) 09.14.(월)~09.21.(월) 09.23.(수) 09.28.(월)
기반

문학 45건 09.14.(월)~09.16.(수) 09.14.(월)~09.16.(수) 09.22.(화)

- 1 -
2 심의결과

▢ 최종 심의결과 : 총 75건 선정, 2,379,200천원 지원결정

구분 공연예술 기반 시각예술 기반 문학 합계

지원건수 1,162건 314건 45건 1,521건


선정건수 49건 20건 6건 75건
지원결정액 1,801,000,000원 461,400,000원 116,800,000원 2,379,200,000원

▢ 세부 선정결과
○ 공연예술 기반 ※관리번호순

연번 관리번호 선정단체(인) 대표자 사업명 지원결정액


극단 프로젝트그룹
1 202054661 이지수 Art must go on_예술활동형_공연예술기반 59,000,000
연희공방
2 202054674 박은혜 박은혜 오르간 세상을 향해 말을 걸다-The Space 15,000,000
3 202054700 코끼리들이 웃는다 이진엽 프로젝트 물질 (가제) 31,000,000
4 202054824 박해은 박해은 20XX미래생존가이드 17,000,000
5 202054860 박민희 박민희 HAEPAARY 59,000,000
6 202054949 바흐솔리스텐서울 박승희 제1회 종로 고음악제 32,000,000
7 202055054 영롱 김소영 언더그라운드 아카이브 59,000,000
Not Alone Project(온라인 미디어를 위한
8 202055229 이원아트팩토리 이지연 60,000,000
협업프로젝트)
9 202055297 서정민 서정민 모든 것은 빛나리 13,000,000
10 202055350 초인 박정의 스프레이 55,000,000
11 202055443 고래야 안상욱 <판타지아 1950> 생중계 및 라이브 클립 제작 43,000,000
12 202055532 양선용 양선용 양선용 프로젝트 <Rain> / <Summer> 51,000,000
13 202055651 고블린파티 지경민 미완성 23,000,000
14 202055697 나우뮤직랩 이한철 나우 방-방 콘서트 9,000,000
온라인 영상 콘텐츠로 함께 하는 공명의
15 202055753 사단법인 공명 서형원 60,000,000
음악 여행 “대숲과 바다와 산”
16 202055823 무브먼트당당 김민정 얼굴들(Face-to-face) 40,000,000
더하우스콘서트(TheH
17 202055895 박창수 24시간 프로젝트 시즌 3 60,000,000
ouseConcert)
18 202056010 김소월 김소월 방관자 36,000,000
19 202056015 스튜디오그레이스 양은혜 online: 극장을 설계하는 사람들 54,000,000
20 202056022 플레인비주얼샵 김정은 [전통공연X미디어아트]신명의 판을 열다 30,000,000
21 202056191 극단 실한 정현준 배리어프리 공연영상 제작_연극 <낯선 이> 37,000,000
22 202056332 삼삼(332-10) 박서혜 커넥트_다시,연결 18,000,000

- 2 -
연번 관리번호 선정단체(인) 대표자 사업명 지원결정액
23 202056338 앰비규어스댄스컴퍼니 장경민 숨쉬듯이 BREATHE 영상콘텐츠 제작 36,000,000
24 202056373 박진희 박진희 Classic:The HIP in Seoul 11,000,000
25 202056436 퍼폼스 오브 칼라 김정현 재난이 비켜난 자리 (가제) 54,000,000
26 202056508 안은미컴퍼니 안은미 은미고온 60,000,000
27 202056686 천하제일탈공작소 이주원 배리어프리(barrier free) <삼대의 판> 32,000,000
28 202056903 전윤환 전윤환 App Theatre <신의 놀이> 42,000,000

29 202056941 홍민기 홍민기 언노멀 월드 Unnormal World (가제) 60,000,000

30 202057058 이면 정해성 프로젝트 시.시.비.비. 13,000,000


최보결의 춤의 학교 코로나블루 극복 <Online Dance
31 202057153 최보결 60,000,000
Bogyeol Dance Life ON>프로젝트
이정연댄스프로젝트 Art & Technology
32 202057197 이정연 댄스 프로젝트 이정연 11,000,000
<루시드 드림>
33 202057282 잔다리컬쳐컴퍼니 공윤영 잔다리페스타 UNREAL 2020 50,000,000
다중 공간에서의 사운드맵 프로젝트 -
34 202057327 조은희 조은희 28,000,000
Soundmap Project in Multi Space
스마트 폰으로 Smart하게 즐기는
35 202057336 햇살놀이터 신민규 21,000,000
<거인이야기>
모파상에 대한 고백 가상전용
36 202057340 장정인 장정인 36,000,000
극장(인터랙티브 온라인 영상콘텐츠)
37 202057345 배인경 배인경 내일은 맑을 수도 있습니다 11,000,000
38 202057365 극단애인 김지수 극단 애인의 1인 무대 36,000,000
39 202057377 조재윤 조재윤 ART MUST GO ON_페스티벌 파란만장 13,000,000
40 202057474 Creative group 노니 김경희 기억하는 사물들_플로팅 랩 58,000,000
41 202057512 송현주 송현주 TRACERS 2.5 25,000,000
42 202057520 최새봄 최새봄 시베리아 황당열차 23,000,000
관객 참여형 온라인 장례식 <나는 약하니까,
43 202057666 배선희 배선희 16,000,000
거짓말을 해줘>
텅빈 과수원 - 빛 몸 리듬, 48시간 논스톱
44 202057806 감희경 감희경 45,000,000
퍼포먼스 라이브 스트리밍
45 202057849 김혜연 김혜연 혜석을 해석하다 36,000,000
46 202057958 조순 조순 시그마 커넥트 24,000,000
저드슨드라마 모바일앱 volume 2.: 온라인
47 202057988 정세영 정세영 55,000,000
보물찾기 능동형 공연
48 202057996 이가은 이가은 무더니즘 29,000,000
49 202058044 창작집단 꼴 손현규 AR&DEEP FAKE THEATER <으르렁대는 은하수> 55,000,000
1,801,000,000원

- 3 -
○ 시각예술 기반 ※관리번호순

연번 관리번호 선정단체(인) 대표자 사업명 지원결정액


1 202054683 이해강 이해강 FinalFla.sh 22,000,000
2 202054901 이유주 이유주 HI_COVID 3,400,000
3 202055360 시청각 안인용 추상 캐비닛 31,000,000
4 202055585 주연우 주연우 가까운 것과 다른 것(가제) 9,000,000
5 202055721 강민정 강민정 조와 조와 조 20,000,000
6 202055728 권아람 권아람 블루스크린(Blue Screen) 15,000,000
7 202055815 박서은 박서은 롤러컨베이어 II - 언어의 생산, 사건이 되다 22,000,000
8 202055918 오용석 오용석 비접촉연결지구(가제) 24,000,000
9 202056088 오주영 오주영 <Unexpected Scenery(기대치 않은 풍경)> 20,000,000
10 202056150 홍희진 홍희진 문학카바레 <불균등한 반쪽들> 30,000,000
KIMYOU
11 202056160 레드어니언 Plug-In City : 도시에 플러그인 하다 50,000,000
NGHUI
아시아 무빙이미지 웹 전시 플랫폼 - 시카다
12 202056231 서종근 서종근 17,000,000
채널(CICADA CHANNEL)
13 202056382 신지선 신지선 루머 (천장산의 진짜 이야기) 20,000,000
14 202056704 정자영 정자영 빛 27,000,000
당신의 플로어플랜: 매체로서의 온라인 플랫폼
15 202056790 변현주 변현주 16,000,000
탐구 (가제)
16 202056951 김태은 김태은 레트로 퓨쳐리즘 리포트 (Retro Futurism report) 30,000,000
17 202057235 이상민 이상민 시홀 Seehole (가제) 15,000,000
18 202057448 전혜인 전혜인 좌표잔치(좌잔) 27,000,000
스페이스바
19 202057839 송지선 구애스트_현대미술 작가들이 만드는 VR미술탐험 50,000,000
유한책임회사
20 202057853 박아람 박아람 콜 Call 13,000,000
461,400,000원

○ 문학 ※관리번호순

연번 관리번호 선정단체(인) 대표자 사업명 지원결정액


1 202055239 김혜주 김혜주 서울문화재단 <ART MUST GO ON_예술활동형> 21,000,000
2 202055300 문소영 문소영 오분오시 14,400,000
3 202055688 노플라블럼 김학영 어쩌면 당신의 가방이 무거워질 수도 있겠지만 4,400,000
4 202056036 사단법인 피치마켓 함의영 느린학습자를 위한 5개 문학 비디오북과 오디오북 제작 45,000,000
5 202056785 김도은 김도은 듣는 희곡: (괄호)에 귀대면 19,800,000
6 202057240 고요서사 차경희 플레잉 레터: 라이터스 보이스 12,200,000
116,800,000원

- 4 -
▢ 심의총평

▢ 공연예술 기반

유래 없는 코로나19로 인해 공연예술이 온라인 세상으로 망명하고 있다. 본 사업은 이러한 온라인으로


의 진입을 돕고 앞으로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활동을 도모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설계되었다. 예술가들
은 온라인을 제2, 제3의 무대 삼아 활동해야 하는 시대가 열렸다.
공연예술계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현장 관계자와 온라인 콘텐츠 제작 전문가가 함께 한 심사로,
서류심의와 현장 토론을 거쳐 1,162건 중에 최종 지원작 49건과 후보 3건을 선정하였다.
서울문화재단에서 행하는 여타의 지원사업과의 차이점은 작품의 구현이 온라인을 통해 진행된다는 점
이다. 이에 따라 온라인/영상/인터넷 플랫폼이라는, 다소 낯선 환경 구현을 작품 계획과 제작 단계에
반영하여야 한다. 따라서 심의는 온라인으로 들어갈 공연 콘텐츠(내용)에 대한 우수성을 검토함과 동시
에 온라인 미디어-플랫폼과의 적합성(형식)을 놓고 양면적 검토를 취하는 전략을 통해 진행했다.
먼저 전반적으로 검토해보면 지원금의 액수가 크다. 영상 작업이 추가되면서 전체적인 사업비(제작비·
인건비)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또한 우수의 장비를 동원·사용하려는 지원자는 그에 대한 욕심이 제작비
에 고스란히 반영되었다.
이러한 상황을 배경으로 심의위원들이 몇 개의 기준을 정하여 본 심의에 임했다.
* 온라인미디어를 통한 창작과 유통에 대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작품인가?
* 온라인미디어로 구현되기 이전에, 무대에 올린다 하여도 충분히 예술적 필요충분조건을 만족시킬 만
한 ‘예술적 가치’를 잘 담고 있는가?
* 온라인미디어 프로젝트를 관람할 최종 대상이 익명적 대중 인만큼 ‘대중성’에 대한 의식과 인식, 더
불어 ‘영상물=대중성’이라는 도식에 치우치지 않고 예술성과 대중성의 균형을 잘 잡고 있는가?
* 온라인미디어 프로젝트가 예술가에게는 아카이브적 기능으로 제공하며, 동시에 관객(user)에게는 접
근성을 높이는 플랫폼의 이점을 잘 살리고 있는가?
* 미디어를 기술적 도구나 수단으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변화된 시대를 예술가의 관점으로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달라진 창작 환경에서 어떤 예술적 사유를 지속할 수 있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이
있는가?
위와 같은 질문 하에 1천여건이 넘는 지원작들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심의의 기준은 예상컨대 비단
본 사업에만 해당되는 기준으로 산출되었지만, 앞으로 공연과 영상이 접속되는 콘텐츠와 현장에 적용될
비평적 기준이 되리라 생각한다.
본 사업은 코로나로 인해 신속히 설계된 사업이지만, 2020년 내로 마쳐야 한다면 지원 선정자들에게
주어지는 시기는 기존 사업에 비해 짧은 시간들일 것이다. 따라서 짧은 시간 안에 제작한다하여도 이후
지속되며 활용·이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지속 여부성도 중요한 검토 사항이 되었다.
어느 예술가든 자신의 작품이 공연영상물로 구현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작업한 이들은 없을 것이다.
따라서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설계·진행되는 본 사업은 온라인에서의 구현의 방법론이 없는 모든 예술
가들에게 있어서 어렵게 다가가는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그 안에서 누군가는 영상을 통해 기존에 숨겨
져 있는 ‘새로운 문법’을 발견·구현할 수 있는 기회로 삼을 것이고, 또 누군가에게는 기존 생각지 못했
던 영상 미디어/플랫폼과의 조우를 통해 새로운 문법을 개발·고안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
라서 심의위원들이 많은 비중을 둔 것은 미디어와의 이접(移接)을 계기로 자신들이 보지 못했던 내면의
새로운 문법을 일깨워주고 영향을 줄 수 있는가였다.
본 사업은 예술가들의 경력단절 방지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 따라서 심의위원들도 코로나로 인해 무
대를 잃은 예술가들이 자신들의 언어와 표현의 기회를 잃지 않도록 하는 연장선으로서의 계기이며, 동

- 5 -
시에 영상/온라인/플랫폼이라는 미래적 표현양식을 미리 당겨 실험해보는 데에 큰 도움이 되었으면 하
는 마음이다.
가을은 결실의 계절이다. 하지만 결실을 맺어야 할 때에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는 지원자들이 본 사업
취지와 의미에 잘 부합되는 결과물을 내놓아, 예술이 걸어가야 할 미래적 시간을 앞당겨보는 계기가 본
사업을 통해 펼쳐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 시각예술 기반

2020년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지원사업의 경우, 지원신청건수가 총 314건으로 지원규모에 비해 상대


적으로 많았으며 지원사업의 내용이 되는 ‘온라인 예술활동’의 범주가 생각보다 넓었다. 또한 지원 대
상의 경우에도 포괄적으로 공지되었기에 심사의 진행 및 선정자 결정의 과정이 녹록치 않았음을 밝
힌다.
개인의 창작물을 온라인화 하는 사업 및 온라인 전시의 방법을 모색하거나 온라인 기반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개인 지원자뿐만 아니라 단체(미술관, 미
술관 외 전시공간, 협회 등)의 지원이 고르게 구성되어있어 선정 대상에 관한 고민을 불러일으켰다.
본 지원사업을 심의하는데 있어서 기존에 창작활동을 평가하는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는데 어려움
이 있었다. 우수한 창작자들이 다수 지원하였으며 신작 활동과 아카이빙으로도 의미 있는 것들이 많
았으나, 예술 교류 콘텐츠 마련, 인터뷰 아카이빙, 웹사이트 구축, 오프라인 활동 아카이브 구축, 온
라인 작품집의 형식을 띈 지원 등 온라인 환경에 대한 분석 없이 단순 콘텐츠나 보조적 수단의 사업
이 상당이 많았기 때문이다.
온라인 플랫폼 구축을 단순히 한시적 웹사이트 디자인 및 설계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개인
창작물의 온라인화 작업 역시 매체를 보조적인 기록의 수단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다수 드러났다. 온
라인 플랫폼과 매체적 특성을 이해하여 그 특이성을 시각예술 창작에 접목하려는 다양한 시도의 필
요성이 크게 느껴진 바, 심의의 과정에서도 온라인미디어 활용의 당위성과 그 다양성 및 실험성을 주
요하게 판단하고자 했으며 시각예술 현장에서 끼치게 된 영향력과 파급력을 높게 평가했다. 시각예술
이 가져온 현장 경험이 온라인미디어를 통해 또 다른 방법으로 경험되고 접근될 수 있는 가능성과
실험성의 당위가 더 구체적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다.
심의위원들의 토론을 거쳐, 이번 공모사업이 촉진할 새로운 온라인 환경의 지형도를 구체적으로 제
시하는 사업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기존 플랫폼을 온라인으로 확장하는 연구, 온라인의 한계와 경계
를 넘어 새로운 가능성에 적극적으로 도전하는 프로젝트, 변화하는 전시환경과 이를 전환하는 실천적
방법론의 독창성에 의의를 두었다.
특이할 점은, 새로운 온라인 환경을 구축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개별 장르의 전문성보다는 미술, 공
연, 사운드, 디자인, 문학, 건축, 프로그래밍 개발, 게임 등 예술가와 다양한 학제 간 교류들 사이에
서 도모되고 있는 지점이다. 향후 온라인미디어 기반의 지속가능성, 온오프라인의 환경의 유기적 네
트워크에 대한 논의들은 문화예술계에 남겨진 숙제라 생각한다.
지원 사업의 예산 폭이 한정되어 있기에 보다 많은 작품들을 지원하지 못한 아쉬움도 있다. 향후
온라인 예술활동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 및 논의가 요구된다고 생각한다.

- 6 -
▢ 문학
코로나19로 인해 문학 창작자뿐만 아니라 독자까지도 문학적 수혜를 보지 못하는 상황에서 작가와
독자를 무리 없이 연결할 수 있는 콘텐츠의 유연함을 우선적으로 살펴보았다. 때문에 온라인 매체에
대한 이해도와 현재 문학 지형에 대한 비판적이고 실질적인 이해의 균형감이 중요한 심사 기준이 되
었다.
아쉬웠던 점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매체의 변화를 모색하는 와중에 문학에 대한 상상력을 확
장하는 경우보다는 영상 촬영 및 업로드를 이용한 단순한 이동만을 고려하는 프로젝트가 많았다는
것이다. 또한 심의 과정에서 문학이 대중과 소통하는 방법이란 주로 작가 낭독회를 통한 독자와의 만
남이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다수의 지원서가 오프라인에서 이뤄지지 못하는 만남을 온라인
상으로 옮겨오려는 시도를, 형식상에서의 다양한 모색으로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한 동향이
었다.
따라서 형식에 관한 차별화보다는 위기에 처한 현재 우리의 일상, 공동체의 일상에 필요한 이야기
를 문학적인 상상력을 동원해 풀어내려는 기획을 눈여겨 볼 수밖에 없었다. 주제적인 차원에서의 독
창성과 현재성을 균형 있게 고려하되, 실현 가능성과 기대 효과가 높은 형태의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자 고심했다. 그 과정에서 이전에 하던 사업의 연장선에 있는 사업, 개인 창작자 혹은 특정 단체 위
주의 사업은 되도록 제외하였다.
작가의 개별적인 창작 환경뿐만 아니라 공동의 삶에 놓인 여러 환경적인 제약까지도 문학적 상상
력을 통해 극복해보려는, 문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하되 작가와 독자의 소통에 관한 열린 태도를 가진
프로젝트들을 독자들에게 소개할 수 있어서 기쁘다.
펜데믹이 불러온 뉴노멀의 시대에도 문학과 문화의 향유는 계속되어야 할 것이고, 여기에서 검토한
여러 감각과 사유의 기획들이 그 씨앗이 될 것이라 믿는다. 문학으로 하여금 우리 모두가 이 난관을
극복할 작은 용기를 얻기를 바란다.

- 7 -
3 심의 방법

▢ 심의절차
[ 1차 ] 행정심의 ▶ [ 2차 ] 전문가 심의 ▶ [ 3차 ] 토론심의
필수제출서류 확인 제출된 지원신청서 검토 전문가 집체토론
지원사업 적정성 여부 논의 및
신청서류 검토 심의지표에 따른 채점, 예산검토/지원금 의결 및
결격사유 발생 시 제외 전문가 서류심의 예비순위 선정 및 지원 부적격자
확인 후 조치 등

▢ 심의대상 및 선정규모
분야 총 지원결정액
접수건수 1,162건
공연예술 기반 1,801,000,000원
선정건수 49건
접수건수 314건
시각예술 기반 461,400,000원
선정건수 20건
접수건수 45건
문학 116,800,000원
선정건수 6건

▢ 심의기준

구분 심의지표

사업 목적의 적절성 및 ○ 본 사업 목적과 부합하는 계획인가?


충실성(30%) ○ 계획은 구체적으로 수립하였는가?

○ 온라인미디어로 공유되기에 적절한 예술활동인가?


○ 사업 기간 내 해당 사업을 실현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었는가?
예술성 및 작업의 충실성 (40%) ○ 사업 추진을 위한 예산 계획은 적절한가?
○ 사업 계획을 토대로 볼 때, 접근방법, 실행방법 등이 얼마나
독창적인가? (※해당하는 경우에 한함)

○ 해당 프로젝트를 통해 시민의 문화예술 향유에 기여할 수 있는가?


기대효과 및 발전가능성 (30%)
○ 해당 프로젝트가 예술의 가치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가?

▢ 심의선정 원칙
○ 지원신청 자격, 필수서류 제출여부 등 행정사항 검토
○ 전년도 지원사업 운영실적 환류 및 관리규정의 적용
① ‘예술지원사업 지원금관리규정’ 미 준수 단체에 대한 지원자격 부적격 처리
- 재단 지원 선정사업에 대한 정산 및 성과보고서 미제출 또는 기한 초과
○ 예비선정
- 향후 기한 내 지원사업 포기신청, 사업 중복선정여부 확인에 따른 선정 포기 또는 취소 건이
발생할 경우 심의결과 차순위자/단체를 예비선정하고 취소된 사업의 가용예산 범위 내에서
지원금액을 결정함
- 8 -
4 향후 절차 및 일정 안내

▢ 향후 절차
예비선정자/단체 e나라도움
심의 선정결과 중복선정 등에 따른 사업
대상 확정 및 회원가입 및
발표 ▶ 포기신청 ▶ ▶
개별 통보 사업등록 안내
10.12(월)~
09.28.(월) ~10.09.(금) ~10.16.(금)
10.16.(금)

▢ 동일한 사업으로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사업을 포함한 서울문화재단 예술지원사업 및 타


기관 지원사업 중복선정에 대한 처리절차 및 방법
○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지원사업에 선정된 동일한 사업으로 당해 연도의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국고, 문예진흥기금 및 지방비를 지원받을 경우에는 수행할 사업을 택1 후, 2020년 10월 9일
(금)까지 재단으로 통보
※ 예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지원사업
- 공연예술 중장기창작활동지원, 공연예술창작산실 올해의 신작, 공연예술창작산실 올해의 레퍼토
리, 시각예술창작산실 전시지원, 소외계층문화순회사업 등
- 타 지역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지원사업
○ 통보기한 이후에라도 국고 및 지방비를 지원받는 사업으로 중복선정임이 확인될 경우, 해당사
업은 지원이 취소될 수 있음

▢ 지원사업 포기신청 기한 안내
○ 결과 발표 후, 선정된 예술인/단체가 부득이한 사유로 사업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2020년
10월 9일(금)까지 사업포기 신청을 할 수 있음.
○ 신청방법 : 심의결과 발표일로부터 2주 이내 국가문화예술지원시스템 등록
※ 위 신청기한 이후에 사업포기를 하는 경우, 사업자는 차기년도 서울예술지원 1차, 2차 심의
과정에서 배제됨. 단, 재단이 인정하는 적절한 사유가 있을 경우 예외로 함

▢ 지원금 교부 : 2020년 10월~12월 중순

▢ 향후 지원사업 수행 시 행정사항
○ 선정 후에라도 미정산 및 위반행위 등 결격 사유가 확인될 경우, 해당사업은 지원이 취소되거
나 보조금 규정 위반행위 처리기준에 따라 처분될 수 있음.
○ 모든 사업자는 지원 결정된 금액에 따른 교부신청서를 사업실시 전 제출할 수 있으며, 지원금
사용규정 및 의무이행사항에 따라 교부신청서 승인 후 지원금이 교부됨. 전년도 사업 정산보고
서 미제출 시 금년도 지원금이 교부되지 않음

- 9 -
○ 총 사업비 내 자체부담금 10% 이상 비율 준수
○ 필수 사항에 대해 미동의 시 선정 취소 될 수 있음.
○ 본 사업과 관련하여 사업 모니터링, 설문조사, 성과공유회 등을 실시할 계획이며 진행사항 및
실적자료 요청 시 적극 협조 요망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주관)

▢ 기타사항
○ 재심의 절차는 서울예술지원 1차 공모와 동일하게 진행 됨

▢ 사업 등록을 위한 e나라도움 회원 가입 및 지원금 전용 통장 개설


○ 원활한 사업 등록 및 교부신청을 위해 e나라도움 회원가입
- e나라도움 회원 가입 및 [기관등록] 완료
- 국가문화예술지원시스템 신청 명의와 동일한 주체가 회원가입 진행
○ 지원금 전용 통장 개설
- 선정확인 공문 및 기타 필요서류 지참 후 가까운 은행에서 보조금 전용 통장 개설(e나라도움)
(※하단의 <참고. 보조금 통장 개설 시 필요 준비서류> 참고)
- 보조금 전용카드 개설 (선택가능)
- 공인인증서 및 OTP 준비

- 10 -
<참고. 보조금 통장 개설 시 필요 준비서류 (계좌개설, OTP, 전용카드)>
(※ 우리은행 예시이며, 다른 은행의 경우 개별 확인 필요)

법인(법인등록번호 보유단체) 법인 이외의 임의단체


구 분 개인 (고유번호증에 법인등록번호 (고유번호증 보유, 개인사업자
보유한 단체 포함) 법인등록번호 미보유 사업자등록증)
․ 사업자등록증(또는 고유번호증)
본인 ․ 대표자 신분증 ․ 고유번호증 또는 납세번호증
․ 신분증(주민등록증 등) ․ 도장(거래인감, 법인인감) ․ 대표자 신분증
또는
․ 도장(서명) ․ 법인인감증명서 ․ 도장
대표자 ․ 법인등기부등본 ․ 단체정관
․ 주주명부
※개인의 경우 통장개설만 가능 ․ 사업자등록증
․ 본인의 신분증(사본가능) ․ 대리인 신분증 ․ 고유번호증 또는 납세번호증
․ 대리인의 신분증 ․ 위임장 ․ 대리인 신분증
대리인 ․ 위임장(본인(대표자) 인감 날인) ․ 도장(거래인감, 법인인감) ․ 도장
․ 본인(대표자)의 개인 인감증명서 ․ 법인인감증명서 ․ 공문 또는 대표자의 개인인감증명서
․ 인감도장 ․ 법인등기부등본 ․ 단체정관
․ 개인사업자등록증 (사본) ․ 주주명부

※ 유의사항
1. 법인인감증명서 • 법인등기부등본 • 개인인감증명서(발금일로부터 3개월 이내)
2. 본인 및 대표자의 개인인감증명서는 본인(대표자)이 직접 발급해야합니다. (대리인 발급 불가)
3. 인터넷 뱅킹 신청은 계좌 개설 시 별도 요청해야 합니다.(계좌 개설 시 신청하는 것이 편함)
4. 위임장 또는 공문에는 대리인 인적사항(주민등록번호, 직위, 연락처 등)과 위임내용이 기입되어야 합니다.
• 위임내용 예시 : 계좌개설, 인터넷뱅킹, 카드발급에 관한 은행 업무를 위임합니다.
5. 통장 또는 카드 대리인 해지 시 신규와 동일한 서류 지참하여 가까운 지점으로 방문하여 해지해야
합니다.(개인 및 개인사업자는 대리인 해지 불가)

ㅇ 이용가능 은행 및 카드사
<이용가능 은행> : 경남은행, 광주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신한은행, 수협은행(단위수협 포함), 우리은행,
전북은행, 제주은행, 한국산업은행, 한국씨티은행, IBK기업은행, KB국민은행, KEB하나은행,
NH농협은행(단위농협 포함), SC제일은행, 우체국, 새마을금고, 신협, 산림조합중앙회
<이용가능 카드사>
신용카드 체크카드 신용카드 체크카드
카드사명 카드사명
법인 개인 법인 개인 법인 개인 법인 개인
광주 O O O O 하나 O O O O
농협 O O O O 국민 O - - -
수협 O O O O 대구 O - - -
신한 O O O O 롯데 O - - -
우리 O O O O 삼성 O - - -
전북 O O O O 현대 O - - -
경남 O - O O SC제일은행 O - - -
부산 O - O O 새마을금고중앙회 - - O O
제주 O - O O 우체국 - - O O
기업 O - O - 신협 - - O -

※ 법인은 기업/개인사업자를 포함함


※ 카드사에 따라 카드신청 후 수령까지 일정기간 소요될 수 있음
※ 보조금 전용 신용카드 발급 시 해당 카드사에 사업수행확인서 제출이 필요함
※ 카드 발급 관련 문의는 카드사 고객센터, 카드 사용 관련 문의는 e나라도움 사용자지원센터 (1670-9595)로 문의
※ 보조금 전용카드로 결제한 내역은 2~3일 내외로 카드사에서 e나라도움으로 전송됨

- 11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