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JKEIA), Vol. 15, No.

8, 30-December 2021 117

https://doi.org/10.21184/jkeia.2021.12.15.8.117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ISSN 1976-6211(Print)
ISBN 2384-017X(Online)
http://www.koen.or.kr

A Study of Determinants of Video-on-Demand View


: Focusing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VID-19 and Movie Views

Jin-Woo Hong1, Ji-Hwang Ha2, and Jee-Hyung Jo*3


1
Division of Cloud, SK Telecom, Manager
2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Yonsei University, Postgraduate Student
3
Department of Internet, Industry University, Ph.D. Candidate

A BSTRACT

The government's social distancing policy and concerns about COVID-19 are increasing restrictions on
outdoor leisure activities. Based on the decrease in outdoor leisure activities and the increase in indoor
leisure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new
confirmed cases of COVID-19 and the number of VOD views. This study conducted a time series analysis
for 348 days from February 18, 2020 to January 31, 2021.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number of daily
VOD views provided by the Korean Film Council and the number of new confirmed cases of COVID-19
provid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number
of confirmed COVID-19 cases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number of daily movie VOD
views at the 5% significance level. This results indicate that the more confirmed cases of COVID-10, the
more people watch movie VOD as indoor leisure activities. While previous studie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firmed cases of COVID-19 and indoor leisure activities in general, this study
tried to academically contribute by analyzing the impact on specific indoor leisure activitie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fficient promotions are
possible based on significant social issues, such as infectious diseases. According to the results, promotions
that respond quickly to changes are more effective than long-term promotions considering the climate or
seasons.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data,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based only on PPV, but
future research should also consider various billing forms such as PPM and SVOD.

K E Y W O R D S : COVID-19, Movie, VOD, Indoor leisure activities, Time series analysis

A R T I C L E I N F O : Received 19 November 2021, Revised 14 December 2021, Accepted 27 December 2021.

* Corresponding author : Jee-Hyung Jo E-mail address: jee_cho@yonsei.ac.kr


This paper was modified based on Jin-Woo Hong’s master’s thesis.

www.dbpia.co.kr
118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JKEIA), Vol. 15, No. 8, 30-Decemberr 2021

I. 서 론 이 감소하고 실내 여가활동을 증가하며, 실내 콘텐츠


시청이 여가활동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난다는 결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19(이하 COVID-19)는 2019 과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전반적인
년 말 발병하여,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였다. 코로나로 여가활동의 증감을 밝힐 뿐, 어떠한 실내 여가활동이
인한 감염 및 사망자가 늘어나면서 2020년 3월 세계보 증감되는지 세부적으로 규명하는 연구는 미진하다. 또
건 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전염병 경 한, 방법론 측면에서도 주로 설문조사라는 제한적인
보의 최고 단계‘팬데믹(pandemic)’을 선포했고, 관련 방법이 적용되었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지침을 마련하였다[1]. 우리나라에서도 급격한 확산세 이 연구의 목적은 COVID-19의 감염자 수 변화에 따
를 보이며, 감염병 위기 경보단계를 격상하고, 높은 수 른 영화 VOD 시청 건수의 변화를 분석하여, VOD 마
준의‘사회적 거리두기’를 실행하였다[2]. 케팅 전략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영화 관람
COVID-19의 확산으로 사람들의 일상의 모습은 크게 이 주요 여가활동 중 하나이고, 코로나19 이후 VOD를
변화되었다[2][3]. 특히, 방역 대책이 강화되면서 스포 통한 콘텐츠 시청이 늘어났다는 점을 바탕으로,
츠 센터, 공연장, 식당, 카페, 노래 연습장 등 사람들이 COVID-19 확진자 수와 영화 VOD 시청 건수 간에 관
여가활동을 하던 공간들이 폐쇄되었다[5]. COVID-19로 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COVID-19가 VOD 시청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는 실외 활동에 제약과 이에 따 이라는 특정 실내 여가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
른 실내 활동 증가로 요약되며, 변화된 생활방식으로 로써,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찾지 못한 시사점을 제
인한 스트레스로 우울감을 느끼는‘코로나 블루’라는 공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기존의 연구에서는 주로
신조어가 등장하기도 하였다[6]. 특히 실내 활동 중에 설문조사 방식을 통하여 여가생활의 변화를 추정하였
서도 주거지 내에서의 활동이 증가하게 되었는데, 이 는데, 본 연구에서는 영화진흥위원회에서 제공하고 있
는 전염 우려에 따른 실외 활동의 기피 현상과 재택근 는 실제 일별 영화 VOD 시청 건수와 질병관리청에서
무 및 온라인 교육의 증가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7]. 제공하는 일일 확진자 수를 기반으로 실증분석을 진행
위계적 여가 제약 이론에 따르면[8], 여가는 내적 요 한다.
인, 대인적 요인 구조적 요인으로 제약된다. 내적 요인 이 연구 결과는 실무적으로 전염병 상황을 고려한
은 여가활동에 대한 심리적인 요인으로 성격이나 당일 영화 VOD 마케팅 전략의 수립이나 고객 추천 알고리
의 기분을, 대인적 요인은 타인에게서 발생하는 여가 즘의 고도화에 기여할 수 있다. 학술적으로는
참여의 압력과 사회적 관계를, 그리고 구조적인 요인 COVID-19의 감염자 수 증가와 실내 여가활동 간의 관
은 외부 조건에 의하여 발생한 여가 참여 기회의 제한 계를 입증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는
을 의미한다. 이처럼 사회적 또는 구조적인 요인에 의 영화를 대표적인 실내 여가활동이며, 외부적인 요인
하여 여가활동을 수행할 수 없을 때, 대안 여가활동을 (External Factors)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고려함으로
선택하여 대체하여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여가 대체 써[15], 새로운 접근을 통해 영화 결정요인을 밝혔다는
(Lesure substitutability) 활동이 발생한다. 점에서 의미가 있다.
COVID-19의 확대는 앞서 설명한 요인 중 대인적 제
약 요인과 구조적 제약 요인 모두에 영향을 미치고, II. 선행연구 검토
이처럼 실외 활동에 제약이 생기면 접근성이 좋은 실
내 여가활동으로 여가 대체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할 2.1 코로나와 여가활동
수 있다. 그럼에도, 이와 관련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 코로나로 사람들의 비대면 생활이 장기간 지속되면
다. COVID-19와 사람들의 여가생활을 살펴본 연구들 서 사람들의 생활방식, 구체적으로 여가생활 방식에
은 코로나 시대에 여가활동이 코로나로 인한 스트레스 변화가 생겼다. 이에 따라, 최근 여가활동과 관련한 연
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9][10][11], 코로나 이후 사람들 구들은 코로나19와 관련하여 사람들의 여가활동을 분
의 여가활동이 어떻게 달라졌는지[5][12][13][14] 살펴보 석해오고 있다. 코로나와 여가활동을 살펴본 연구는
았다. 코로나 이후 여가활동의 변화를 살펴본 선행연 크게 두 흐름으로 살펴볼 수 있다.
구들은 공통적으로 COVID-19로 인하여 실외 여가활동 첫 번째는 코로나로 인한 사람들의 정신적, 심리적

www.dbpia.co.kr
A Study of Determinants of Video-on-Demand View : Focusing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VID-19 and Movie Views 119

스트레스와 여가활동을 살펴본 연구들이다. 이 연구들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은 코로나19 팬데믹의 장기화로 사람들의 스트레스가 따르면, COVID-19로 인하여 전체적인 여가시간이 증
높아진 상황에서 여가활동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주 가했는데, 특히 실내 여가활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
등[11]은 코로나19로 우울증이 급증한 청년들을 대상으 게 늘어났으며, 코로나 확산 이후 지인과의 만남, 영
로 COVID-19 전, 후에 여가활동 유형과 우울감 간의 화, 스포츠 관람 등은 감소했지만, TV/영상물 시청, 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코로나 전, 후 터넷/블로그/SNS 등 실내에서 즐길 수 있는 여가활동
의 여가활동 유형은 문화예술관람-문화예술관람, 문화 은 증가하였다. 사와 한[12]의 연구 또한 코로나19 이
예술관람-운동, 취미활동-취미활동, 운동-운동, 운동 후 여가활동 패턴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들의 연구
관람-운동 관람, 운동-오락 활동, 오락 활동-오락 활동 에 따르면, 코로나19 이전에는 스포츠 활동과 같은 신
등 7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이 군집 중, 운동-오락 체적 활동이 여가활동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지
활동에 속한 청년들의 우울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 만, 코로나19 이후에는 자연적 활동, 지적 활동, 신체
데, 이는 5인 이상 모임 금지, 스포츠 경기 직관 제한 적 활동, 사회적 활동, 문화적 활동이 여가활동에서 큰
등 활동적인 유형의 여가활동에 제약이 생기면서 나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는 전염병을 피하려고 여가활동
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스트레스 의 유형이 대면 활동이 적고, 안정적인 유형으로 바뀐
를 완화해주는 차원에서 여가활동의 역할을 살펴본 연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COVID-19 시
구들도 존재한다. 사 등[9]의 연구는 여가활동에 참여 대 대학생들의 여가 변화를 살펴본 박 등[5]에서도 유
한 성인들을 대상으로 코로나 전과 후에 여가활동 참 사하게 나타났다. 이들의 연구에 따르면, 감염병 확산
여 유형과 여가활동 참여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이후 스포츠, 영화 관람 같은 문화예술 관람 활동이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발병 후보 여가활동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었고, 게임, 유튜
다 이전에 여가활동 참여로 인한 스트레스 감소 효과 브 시청, 넷플릭스 시청 등 콘텐츠 소비가 증가하였다.
가 더 컸다. 하지만, 코로나19 이후에도 여가활동은 스 코로나19 시대 여가활동의 만족도를 연구한 한[14]의
트레스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여가 연구에서도 유사한 패턴이 보인다. 연구 결과에 따르
활동은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면, 사람들은 코로나19 이후 TV를 가장 많이 시청하였
다. 이[10]의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진지성 여가활 으며, 온라인 게임, 온라인 쇼핑/주문배달, 등산, 온라
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인 쇼핑 등이 그 뒤를 따랐다.
코로나 상황에서도 진지성 여가는 삶의 질을 유의미하 한편, 최근에는 텍스트 분석을 활용하여 코로나 전,
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코로나19로 일상생활 후 여가소비 활동을 분석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에 제약이 있는 상황에서도 여가활동을 꾸준히 지속하 [16][17]. 이들은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COVID-19
는 것이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전, 후 또는 pre-corona와 with-corona에 각각 사람들
뿐만 아니라, 실내에서의 꾸준한 여가활동은 여가에 의 키워드가 어떻게 변하였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
대한 긍정적인 심리적 자산을 높여주기 때문에 실외의 과, 공통적으로 코로나 전보다 비대면 온라인 콘텐츠
활동적인 여가활동만큼이나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 소비 패턴이 늘어나는 등‘홈코노미(home+economy)’
났다. 문화가 트렌드로 나타나며, 사람들의 여가활동이 실내
두 번째로, 코로나19 이후, 여가활동 유형과 패턴의 활동으로 변하였음을 암시한다.
변화를 살펴본 연구들이다. 2020년 국내에서는 대구에 이처럼 코로나19 이후 사람들의 여가활동 패턴 및
서 발생한 1차 대유행을 기점으로 정부의 사회적 거리 유형의 변화를 살펴본 연구들은 전염에 대한 회피행동
두기 정책이 본격화되었고, 세계적으로는 WTO가 펜데 으로 인하여 실외의 여가활동이 줄어들고 실내의 여가
믹을 선언하면서 COVID-19가 본격적으로 여가생활에 활동이 증가한다는 일관된 결과를 보인다. 특히, 이 연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코로나19가 여 구들은 실내 여가활동 중에서도 콘텐츠 소비가 늘어났
가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 다는 것을 보여준다[5][13][14].
었다.
진 등[13]은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COVID-19가

www.dbpia.co.kr
120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JKEIA), Vol. 15, No. 8, 30-Decemberr 2021

2.2 여가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2.3 영화 및 영화 VOD 시청 결정요인


이 파트에서 우리는 여가생활 및 영화/영화 VOD 시 본 연구는 사람들의 여가활동 중, 구체적으로 영화
청 결정요인을 살펴본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VOD 시청이 COVID-19와 관련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COVID-19 이외에 본 연구의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칠 목적으로 한다. 이 파트에서는 영화 VOD 시청에 영향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연구모형에 포함 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도록 한다.
하고자 한다. 영화의 흥행 결정요인과 관련한 실증 연구는 1970
사람들의 여가생활을 분석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년대 이후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국내에
스포츠학과 여행학을 중심으로 날씨와 여가생활 간의 서는 2000년대 이후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오
관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우선, 이[18]는 날씨가 고 있다[25]. 더불어 영화 VOD의 흥행요인도 영화 흥
일상 시간 배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는데, 이 연 행요인의 연장선상에서 분석이 이루어지되, VOD(Video-On-
구에 따르면 강수는 사람들의 시간 사용에 직접적인 Demand)의 속성을 고려한 연구들이 존재한다.
영향을 주었다. 이[19]는 스포츠 관람과 날씨 간의 관 Litman[26]은 선구자적으로 영화 흥행 결정요인을
계를 연구하였는데, 강수량 높아질수록 프로축구 일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개봉 영화 125편을 대상으로
관중 수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 등[20]은 날 흥행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는데, 연구 결과 제작비, 배
씨와 더 구체적인 여가활동, 등산 활동 간의 관계를 급사, 수상 이력, 개봉 시기 등이 영화 흥행과 정의 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 따르면, 봄과 겨울 계가 있었다. 국내에서도 다양한 연구들이 영화 흥행
에 기온은 등산 활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었으 결정요인을 살펴보았는데, 김 등[27]은 전통적인 흥행
며, 여름과 가을에 기온은 등산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 결정요인으로 지목되었던 제작비, 스크린 규모, 스타
을 미쳤다. 배우, 전문가 평점 외에도 마케팅 비용과 네티즌 평점
한편, 2015년 봄부터 국내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함 을 주요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김과 홍[25]은 소셜미디
에 따라 미세먼지에 대한 언론 보도가 시작되었다[21]. 어의 역할에 주목하여, 감독, 배우, 관람등급, 스크린
이로 인하여 미세먼지에 대한 사회적인 경각심이 높아 수, 배급사 파워, 소셜미디어를 영화의 흥행요인으로
졌고, 자연스럽게 미세먼지와 여가생활에 관련된 연구 꼽았다.
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예를 들어, 서[22]은 남녀 취 한편, 영화를 관람할 수 있는 창구가 다양화되면서
업자와 비취업자를 대상으로 미세먼지와 노동 시간과 영화 VOD의 흥행 결정요인에 관해서도 추가적인 연구
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미세먼지 농도가 나 가 진행되고 있다. 임과 강[28]은 인터넷 VOD의 시청
쁨 수준에서 매우 나쁨 수준으로 상향되었을 때, 여성 요인을 연구하였는데, 연구 결과, 극장에서의 관객 수,
의 여가시간이 감소하였다. 이와 일관된 결과로, An와 관람연령 등급, 장르, 예술적인 우수성이 영화 VOD의
Xiang[23]과 엄과 오[24]의 연구는 미세먼지 농도의 증 흥행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강[29]은 영화
가로 실외 여가활동 시간이 감소함을 밝히고 있다. 한 VOD의 가격, 홍보 횟수, 홀드백 기간을 주요 흥행요인
편, 박[21]은 실내 여가활동을 증가시키는 점에 착안하 으로 주장하였으며, 최[30]는 배급사 파워, 장르, 관람
여 미세먼지와 TV VOD 시청 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 연령 등급, 네티즌 평점을 영화 VOD의 주요 흥행요인
였다. 이 연구에 따르면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하면 TV 으로 분석하였다.
VOD 시청도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TV VOD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영화 VOD의 흥행요인에는
영화 VOD가 유사한 실내 여가활동이라는 점을 생각한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최근 들어 마케
다면, 미세먼지 농도는 영화 VOD에도 영향을 미칠 수 팅 비용이나 소셜미디어 등 새로운 변수들이 고려되고
있다. 있지만, 개봉 시기, 스크린 규모, 관람객과 같은 영화
이처럼 여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와 관련된 기본적인 특성들은 영화 흥행요인으로 꾸준
기존의 연구들은 날씨가 여가활동과 관련이 있다는 것 히 언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
을 공통적으로 밝히고 있다. 본 연구 또한 기온, 강수 로 하여 영화 개봉시 스크린의 수, 상영 시기, 공휴일,
량, 미세먼지를 모형에 포함하여 분석을 진행한다. 관람연령 등급을 연구모형에 포함하고자 한다.

www.dbpia.co.kr
A Study of Determinants of Video-on-Demand View : Focusing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VID-19 and Movie Views 121

2.4 기존 연구의 한계 및 본 연구의 시사점 이 늘어났다[32]. 이는 코로나19로 실외 활동에 제약이


본 연구는 COVID-19가 사람들의 여가생활에 변화를 생기면서 실내에서 영화 VOD를 시청하는 경향이 늘어
가져왔다는 점에 주목하여, 영화 VOD 시청 건수와 났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코로나19와 영화
COVID-19 확진자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 VOD 시청 간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
로 한다. 이에, COVID-19와 여가활동을 살펴본 연구와 고, 코로나19 확진자 수와 영화 VOD 시청 간의 관계
여가활동 및 영화 시청 결정요인에 대한 기존 문헌을 를 살펴보고자 한다.
정리하였는데, 선행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2020년 2월 18일부터 2021년 1월 31일까
첫째, 코로나와 여가활동의 관계를 살펴본 선행연구 지의 일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데이터 특성에 맞
를 정리해 보면, 코로나 이후 사람들의 여가활동이 어 게 시계열 분석을 적용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들을 바
떻게 달라졌는지 살펴본 연구들[5][12][13][14]은 비교적 탕으로 COVID-19 이외에도 영화 VOD 시청에 영향을
활발히 진행된 상태이다. 하지만, 모든 연구가 코로나 줄 수 있는 미세먼지, 날씨, 개봉시 스크린의 수, 상영
19 이후 전반적으로 실외 여가활동은 줄어들고, 실내 시기, 공휴일, 관람연령 등급을 통제하였다.
여가활동이 늘어났다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으며, 실내
특정 여가활동의 증감까지 확인하고 있는 연구는 부족 III. 연구 문제
하다.
무엇보다도, 코로나19 이후 사람들의 여가활동 변화 코로나19의 확대는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을 강화시
를 살펴본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실내 여가활동 중에서 키고, 감염 우려로 사람들의 실외 활동에 제약을 주면
도 콘텐츠 시청의 비중이 여가활동에서 차지하는 비율 서 대인적 제약 요인과 구조적 제약 요인 모두에 영향
이 늘어났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5][13][14]. 그러므 을 줄 수 있다. 즉, COVID-19 감염 우려로 인하여 외
로 코로나19와 사람들의 실내 콘텐츠 시청 간의 관계 부 여가활동에 큰 제약이 생기며, 사람들의 외출 횟수
를 살펴보는 것은 관련 사업자에게도 실무적 시사점을 가 줄어들고, 활동적인 여가 참여도 감소하는 것이다.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COVID-19 이후 실외 여가활동을 줄이고 실내 여가활
둘째,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설문조사 방법으로 연 동을 늘리는 현상들은 다수의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
구를 진행하였는데[9][10][11], 이는 응답자의 주관이 다[5][12][13][16].
개입될 위험이 있다. 소수의 연구가 미디어 데이터를 이처럼 여가를 제한하는 상황이 발생 되면 이를 극
활용하여 텍스트 분석으로 코로나 이후 사람들의 여가 복하고자 하는 전략적 행동이 발생하는데, 대표적인
가 어떻게 변하였는지 살펴보았으나[16][17], 키워드 분 활동이 여가 대체(Lesure substitutability)이다. 이는 어
석을 바탕으로 트렌드를 파악하는 데 그쳤기 때문에 떤 특별한 여가 경험을 원하더라도 사회적인 요인이나
코로나19와 특정 여가활동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 구조적인 요인으로 여가활동을 수행할 수 없을 때 대
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안 여가활동을 선택하여 대체하는 활동이다. 코로나19
마지막으로, 여가활동과 관련된 기존 문헌에 따르 상황에서도 여가에 제약이 생기면서 이에 대안적인 활
면, 날씨는 사람들의 여가활동과 깊은 관계가 있다. 하 동으로 접근성이 좋은 활동으로 여가 대체가 발생할
지만 선행연구는 성별, 나이 등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것을 예상할 수 있다.
통제하는 데 그쳐, 이러한 요인을 고려하지 못한 점도 그러나 기존 연구는 단순히 코로나19 이후, 전반적
한계로 남는다. 인 실내 여가활동이 늘어난다는 결과를 제시하는 데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의 한계를 보완하여, 실내 콘 그쳐, 특정한 실내 여가활동의 증감까지 다루고 있는
텐츠 시청 활동 중, 영화 VOD 시청과 COVID-19와의 연구는 다소 부족한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선행연구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영화 관람은 대표적인 여가 에 따르면, 실내 여가활동 중, 콘텐츠 시청의 비중이
활동으로, 여가활동 중 영화 관람이 차지하는 비중은 증가하였음에도 코로나19와 실내 콘텐츠 시청 간의 관
크다[31]. 하지만, 코로나19로 실외 활동에 제약에 생 계를 살펴본 연구는 아직 진행되지 않았다.
기면서 영화관에서 영화를 관람하기보다, 스트리밍 기 이 연구는 실내 콘텐츠 시청 중, 영화 VOD 시청에
반의 콘텐츠 등을 통해 실내에서 영화를 관람하는 일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31]에 따르

www.dbpia.co.kr
122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JKEIA), Vol. 15, No. 8, 30-Decemberr 2021

면, COVID-19 이후 전체 TV 시청률이 이전보다 2% 성상, 왜도 분포가 치우쳐있었기 때문에 자연로그를


증가했고, OTT 서비스 이용 트래픽도 전 월 대비 44% 취한 값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나 증가하는 등 OTT 이용량이 크게 증가했다. 뿐만
아니라, 20대에 한정된 결과이기는 하나 KBS의 (2) COVID-19 확진자 수
COVID-19 이후 여가 변화에 대한 조사에 따르면, 20 일별 COVID-19의 확진자 수를 파악하는 방법으로는
대 응답자의 56%가 TV 시청이 증가했다고 응답하였으 질병관리청의 정례브리핑 자료를 전수조사하는 방식과
며, 응답자의 68%가 미디어 중에서 OTT 이용이 증가 공공데이터 포털의 오픈 API 자료를 활용하는 방식이
했다고 답하였다[34]. 이러한 결과는 코로나 이후 여가 있다. 공공데이터 포털의 오픈 API 자료의 경우에는
활동의 변화를 살펴본 다수의 선행연구에서도 뒷받침 추가적인 역학조사를 거쳐 결과를 수정 보완하는데,
하고 있다[5][14][16]. 대중은 언론에서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질병관리청의
이러한 자료를 근거로, 우리는 코로나19의 확산 이 일일 정례브리핑을 기준으로 코로나 확진자 수준을 판
후 실내 여가활동 중, 미디어 소비가 늘어날 것으로 단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병관리
예상한다. 또한, 우리는 국민 대부분이 보편적으로 시 청의 정례브리핑 자료를 전수조사하는 방식으로 일일
행하는 여가활동은 TV 시청이며, 콘텐츠 측면에서 영 COVID-19 확진자 수를 산정하였다.
화에 대한 선호가 뚜렷하다는 점[35]을 바탕으로, 코로
나19와 영화 VOD 시청 간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을 것 (3) 미세먼지
이라고 예상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와 영화 일별 미세먼지 자료는 한국환경공단이 운영하는 에
VOD 시청 건수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어코리아에서 확보하였다. 에어코리아에서는 시도별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미세먼지 대기 정보를 일별로 제공하고 있어 해당 자
료를 바탕으로 시도별 인구를 가중평균하여 일별 미세
[연구 문제] 먼지 대푯값을 산정하였다.
COVID-19 확진자와 영화 VOD 시청 건수 간에는 어떠한 추가로 에어코리아에서는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
상관관계가 있을까? 먼지(PM2.5) 값을 구분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데,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는 상호 간 상관관계가 높기 때
Ⅳ. 연구 방법 문에[36], 미세먼지(PM10) 자료만을 분석모델에 포함하
였다. 미세먼지 농도의 단위로는 ㎍/㎥가 사용되었다.
4.1 연구 대상 및 데이터 수집
데이터 수집 기간은 2020년 2월 18일부터 2021년 1 (4) 기온
월 31일까지로 산정하였다. 이 기간은 전국적인 유행 기온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자료 개방 포털에
이 시작된 1차 유행부터 3차 유행의 진정일까지 포함 서 시도별 기온분석 자료를 활용하였다. 기온 역시 미
하며, 국내에서 발생한 급격한 COVID-19 확진자 변동 세먼지와 마찬가지로 시도별 인구를 가중평균하여 일
을 대부분 고려할 수 있다. 분석 단위는 일별 데이터 별 대푯값을 산정하였다. 단위는 분석의 편의를 위하
이고 최종 샘플은 348일이다. 각 변수에 대한 데이터 여 화씨(℉)를 사용하였다.
수집 과정은 다음과 같다.
(5) 강수량
(1) 영화 VOD 시청 건수 강수량 역시 기상청 제공하는 기상자료 개방 포털
일별 영화 VOD 시청 건수는 영화진흥위원회에서 에서 시도별 강수량분석 자료를 활용하였다. 강수량
운영하는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에 집계된 Olleh TV 또한 앞선 미세먼지 및 기온과 마찬가지로 시도별 인
(KT)의 온라인상영관 박스오피스 일간 산업통계 자료 구를 가중평균하여 일별 대푯값을 산정하였다. 강수량
를 활용하였다. 해당 자료는 PPV(Pay Per View)기준 의 단위로는 mm를 사용하였다.
자료이며, 정액제 이용 건수는 제외되었다. 데이터 특

www.dbpia.co.kr
A Study of Determinants of Video-on-Demand View : Focusing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VID-19 and Movie Views 123

(6) 관람연령 등급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2020-08-05 1,837

영상물등급위원회는 관람연령 등급을 전체, 12세 이 기생충 2019-05-30 1,783


#살아있다 2020-06-24 1,662
상, 15세 이상, 청소년 관람 불가, 제한 상영가의 5개
삼진그룹 영어토익반 2020-10-21 1,615
등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영
도굴 2020-11-04 1,573
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에 집계된 Olleh TV (KT)의 온라 시동 2019-12-18 1,515
인상영관 박스오피스 주간 이용순위를 참고하여 상위
20위권 영화의 관람연령 등급을 조사한 후, 이를 잠재 (8) 상영 시기
관객의 규모로 환산하여 연구 모델에 반영하였다. 영화산업의 최대 성수기는 여름휴가와 크리스마스
잠재 관객의 환산은 2020년 통계청 인구조사 자료 시즌이다[37].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해당 기간을 더미
를 기반으로 하여 해당 영화 VOD의 관람연령 이상의 변수로 모형에 포함했다.
전국 인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다만, 전체관람가의 경
우 김[36]의 연구를 참고하여 만 3세 이상의 전국 인구 (9) 공휴일
를 잠재 관객으로 산정하였다. 예를 들어 특정 주차의 본 연구에서는 주말과 법정 공휴일을 더미 변수화
영화 VOD 관람연령 등급이 전체관람가 5편, 12세 이 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상 관람가 9편, 15세 이상 관람가 8편, 청소년 관람 불
가 3편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했을 때, 잠재고객의 4.2 연구모형
규모는 전국 3세 이상 인구 * 5, 전국 12세 이상 인구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영화 VOD
* 9, 전국 15세 인구 * 8, 전국 18세 이상 인구 * 3을 시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모두 합한 뒤 천만으로 나누어 산정하였다. 연구의 종속변수는 일별 영화 VOD로, 일별 영화 VOD
시청 건수를 의미하고, 독립변수는 COVID-19 확진자
(7) 대작의 수 수로, 일별 COVID-19 확진자 수를 의미한다.

영화별로 제작비와 마케팅비를 공개하는 경우는 흔 한편, 코로나19 확진자 수 이외에 선행연구를 바탕

치 않기 때문에 자료를 구하는 데에 한계가 존재한다. 으로 여가활동과 영화 VOD 시청에 영향을 주는 요인

개봉 초기에 다수 관객 확보를 위하여 마케팅의 큰 비 들을 통제변수로 모형에 포함시켰다.

용이 스크린 수 확보와 연관이 있으므로, 대리 변수로 여가활동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날씨 변수

개봉일의 스크린 수를 고려하였다. 로, 미세먼지와 기온, 강수량을 고려하였다. 선행연구

본 연구에서는‘개봉일에 전국 스크린을 50% 이상 에 따르면 날씨가 좋지 않을수록 실외 여가활동이 줄

점유한 영화’를 대작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영화진흥 어든다. 따라서 미세먼지 농도가 올라갈수록 실내 활

위원회의 전국 극장 현황에 따르면 2020년 3,015개의 동인 영화 VOD 시청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스크린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1,500 스크린 이상에서 예상할 수 있다[21]. 또한, 본 연구는 종속변수인 영화

개봉한 영화 VOD를 선별하여 연구 모델에 반영하였으 VOD 시청 건수 사이에‘U’자형 관계가 있을 것이라

며, 영화 리스트는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고 예상했기 때문에 기온 제곱 값을 함께 모델에 반영


하였다. 즉, 단순히 기온이 높아지는 것으로 영화 VOD
<표 1>. 개봉일 기준 스크린 1,500 이상 영화 시청 건수가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기온이 높거나 추
(Tab. 1. Over 1,500 Screens on release date) 워질수록 영화 VOD 시청 건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
영화명 개봉일 스크린 하였다. 이는 덥거나 추운 날에는 야외 활동이 어려우
어벤져스 : 엔드게임 2019-04-24 2,760 므로 자연스럽게 실내 활동이 늘어날 것이고 이에 따
겨울왕국 2 2019-11-21 2,343
라 영화 VOD 시청 건수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할 수
반도 2020-07-15 2,338
있기 때문이다. 한편, 선행연구는 강수량이 높아질수록
테넷 2020-08-26 2,228
원더 우먼 1984 2020-12-23 2,185 스포츠 관람[19], 등산[20] 등 실외 여가활동이 줄어드
강철비2: 정상회담 2020-07-29 2,137 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강수량이 높아
백두산 2019-12-19 1,970 질수록 영화 VOD 시청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모

www.dbpia.co.kr
124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JKEIA), Vol. 15, No. 8, 30-Decemberr 2021

형에 포함시켰다. 4.3 분석 방법
다음으로, 이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영화 관 본 연구는 종속변수를 영화 VOD 일간 시청 건수로,
람의 결정요인들을 통제하였다. 우선, 관람연령 등급에 핵심적인 독립변수를 COVID-19의 일간 확진자 수로
의하여 잠재 관객의 규모가 결정되기 때문에 관람연령 설정한다. COVID-19 일간 확진자 수 이외에 영화
등급을 포함시켰다. 관람연령 등급이 높아질수록 잠재 VOD 시청 건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통제변수로
관객 규모가 줄어들기 때문에 관람연령 등급은 영화 고려한 후, 일간 COVID-19 확진자 수와 영화 VOD 시
VOD 시청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하고 통 청 건수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제변수로 포함시켰다. 또한, 제작비 혹은 마케팅비가 선형의 관계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선형 회귀분석
일정 수준 이상으로 투여될 때 양질의 콘텐츠 확보 측 (Linear Regression)이 널리 사용되며, 선형 회귀 분석
면에서 영화 VOD 시청 건수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은 최소자승법(OLS, Ordinary Least Squares method)을
이 연구는 대작의 수를 통제하였다. 한편, 기존 문헌에 기반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
따르면, 영화와 크리스마스 시즌이 영화 산업의 성수 분석한 시계열 데이터는 자료의 자기상관성(Autocorrelation)
기이며[37], 이와 같은 패턴은 장기간에 걸친 흥행 결 이나 불안정성(Non-stationarity)으로 인하여 최소자승
과를 통해 입증되고 있다. 따라서 상영 시기 더미를 법에 의하여 추정하는 경우 회귀계수가 허위의 값이
모형에 포함시켰다. 마지막으로, 여가활동에 있어서 공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38].
휴일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일과에서 벗어나 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시계열
가활동을 가질 수 있는 시간이 충분하게 존재하기 때 자료의 회귀분석에서 널리 쓰이는 Prais-Winsten 추정
문이다. VOD 시청과 관련된 선행연구에서도 공휴일은 법을 활용한 일반화된 최소자승법(GLS, Generalized
매우 유의한 수준으로 VOD 시청 건수에 영향을 미쳤 Least Squares method)을 적용하였다.
다[21]. 따라서 이 연구는공휴일 더미를 통제변수로 고
려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모형을 제 Ⅴ. 분석 결과
시하였으며, 변수에 대한 정의는 <표 2>에 설명되어
있다.
5.1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시청건수       확진자 이 연구는 2020년 2월 18일부터 2021년 1월 31일까

  미세먼지농도   기온   기온 지, 348일의 일별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기
  강수량   관람연령등급
  대작의 수   상영시기더미 술통계 결과는 <표 3>과 같다.
  공휴일더미  

<표 3>. 기술통계량


<표 2>. 변수의 정의 (Tab. 3. Descriptive Statistics)
(Tab. 2. Definition of Variables)
변수 단위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변수명 정의 VOD
ln(건) 10.30 0.45 9.54 11.62
VOD 시청 건수 일별 영화 VOD 시청 건수 시청 건수
COVID-19 확진자 일별 COVID-19 확진자 수 COVID-19
명 225.35 278.55 2 1,241
확진자
미세먼지(PM10) 일별 미세먼지의 시도별 인구 가중평균값 (㎍/㎥)
미세먼지
기온 일별 기온의 시도별 인구 가중평균값 (℉) ㎍/㎥ 33.61 14.61 7.15 95.22
(PM10)
기온2 일별 기온의 시도별 인구 가중평균값의 제곱 (℉)
기온 ℉ 56.55 16.88 9.42 83.83
강수량 일별 강수량의 시도별 인구 가중평균값 (mm) 기온2 ℉ 3481.97 1820.45 88.76 7026.81
주차별 잠재관객의 규모(상위 20위권 영화의 관람 강수량 mm 4.33 11.08 0 84.93
관람연령 등급
연령 등급을 기준으로 환산)
관람연령
수 93.83 0.73 92.15 95.40
대작의 수 1,500 스크린 이상에서 개봉한 영화 VOD의 수 등급
여름 휴가철, 크리스마스 더미[여름 휴가철, 크리 대작의 수 편 3.76 0.93 2 5
상영 시기
스마스면 1, 아니면 0] 상영 시기 dummy 0.36 0.48 0 1
공휴일 여부 주말, 공휴일 더미[주말, 공휴일이면 1, 아니면 0] 공휴일 여부 dummy 0.31 0.46 0 1

www.dbpia.co.kr
A Study of Determinants of Video-on-Demand View : Focusing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VID-19 and Movie Views 125

다음으로, 본격적인 분석에 앞서 변수 간의 상관관 공적분 검정은 개별 변수는 안정화되어 있지 않더라도


계를 살펴보았다. <표 4>에는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변수들의 선형결합이 안정적인지를 확인하는 검정으로
정리하였다. VOD 시청 건수와 COVID-19 확진자 수 써, 변수 간 적어도 1개 이상의 공적분 관계가 있으면
간에는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회귀식이 안정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39]. 본 연구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예상과 일치한 결과 변수 간에서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공적분 관계가 확인
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밖에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되었다.
살펴보면, 기온의 1차 항과 2차 항의 경우 상관관계가 다음으로, 자기상관을 확인하기 위하여 Breuch-Godfrey
존재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기온 이외에는 상관계수 검정을 진행하였다. 검정 결과, 자기 상관관계가 있는
가 0.7 상회하여 문제가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변수 것으로 판명되어, 최종적으로는 Prais-Winsten 분석 방
쌍은 없었다. 법을 적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Prais-Winsten 방법
을 적용한 이후 Durbin-Watson 검정을 진행하였는데,
<표 4>. 피어슨 상관계수 결괏값이 2.0 주변으로 가까워졌다. 즉, Prais-Winsten
(Tab. 4.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방법을 통해 자기상관까지 해결된 것으로 확인하였다.
구분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⑨ ⑩

VOD
시청 건수
1.000 5.3 분석 결과

COVID-1 0.169
연구 모델의 결과 도출을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1.000
9 확진자 ***
Prais-Winsten 추정법을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
미세먼지 -0.109 0.126
1.000 였으며, <표 5>에 제시하고 있다.
(PM10) ** **
일별 COVID-19 확진자 수와 일별 영화 VOD 시청
-0.681 -0.266
기온 -0.055
*** ***
1.000
건수의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5% 유의수준에서 유의
-0.608 -0.311 0.986 미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온2 -0.054 1.000
*** *** ***
COVID-19 확진자가 많은 날일수록 영화 VOD 시청 건
강수량 0.075
-0.175 -0.349
*** ***
0.328
***
0.346
***
1.000 수가 증가하였음을 의미하며, 이는 선행연구와도 일치
하는 결과이다. 위계적 여가 제약 이론에 따르면 여가
관람연령 0.172 0.139 -0.246 -0.273
0.083 -0.064 1.000
등급 *** *** *** *** 는 외부 조건에 의해 발생하는 여가의 참여기회 제한
0.364 -0.365 -0.379 -0.210 0.108 등의 구조적 요인에 의하여 제약되는데[8], 이렇게 여
대작의 수 0.032 0.066 1.000
*** *** *** *** **

상영 시기 -0.016
0.502 -0.153 -0.109
0.001
0.195 -0.107
-0.005 1.000 <표 5>. 분석 결과
*** ** *** *** **
(Tab. 5. Empirical Results)
공휴일
0.724
0.041 -0.080 -0.003 -0.007 -0.027 0.027 0.051 0.840 1.000 종속변수 영화 VOD 시청 건수
***
독립변수 Coef. t
COVID-19 확진자 0.0002 2.05**
5.2 시계열 자료의 안정성 검정 미세먼지 (PM10) -0.0016 -1.63
기온 -0.0059 -0.67
이 연구는 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하였기 때문에 본
기온2 0.0000 0.70
격적인 분석에 들어가기에 앞서, 자료의 안정성 및 자 강수량 0.0036 3.63***
기상관 검정을 진행하였다. 관람연령 등급 0.0995 2.47**
대작의 수 -0.0157 -0.40
먼저 해당 변수들의 불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상영 시기 -0.1706 -2.16**
Augmented Dickey-Fuller 단위근 검정을 시행하였다. 공휴일 여부 0.6144 29.27***
그 결과 COVID-19 일별 확진자 수, 기온, 기온의 제곱 cons 1.0071 0.27
N 348
항, 대작의 수, 관람연령 등급에서 단위근이 존재하는
DW 2.069
것으로 나타나, 불안정한 시계열 데이터로 판단하였다. Adj R2 0.812
검정 결과, 단위근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 F 167.77***
*, **, ***는 각각 10%, 5%, 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함.
문에 이 연구는 Johansen 공적분 검정을 실시하였다.

www.dbpia.co.kr
126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JKEIA), Vol. 15, No. 8, 30-Decemberr 2021

가를 제한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VOD의 경우에는 대부분 거실에서 가족들과 공동으로
전략적 행동이 발생한다. 즉, COVID-19의 확대로 실외 향유하는 매체이기에 관람연령 등급과 VOD 시청 건수
여가활동의 구조적인 제약이 심화함에 따라 대안적인 간에 강한 상관관계를 만들어 낼 것으로 예측된다. 대
활동으로 접근성이 뛰어난 영화 VOD 감상이 여가 대 작은 일일 영화 VOD 시청 건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
체가 발생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제작비나 스크린 수가 영화
본 연구에서는 실내 여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대 의 흥행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영화 VOD에서
기환경의 변수로 미세먼지 농도를 반영하였다. 미세먼 는 영향이 미미할 수 있음을 뜻한다[43].
지 농도가 일별 영화 VOD 시청 건수에 미치는 영향을 상영 시기의 경우 5% 유의수준에서 일일 영화 VOD
살펴보면, 미세먼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 시청 건수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선행연구와
로 나타나, 선행연구와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상반된 결과인데, 성수기인 여름방학 기간과
이러한 결과는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 먼저, 연 COVID-19 안정기가 겹쳐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질병
구 기간인 2020년에는 COVID-19로 사람들의 이동이나 관리청[44]의 자료에 따르면 주로 여름방학에 해당하는
공장 가동이 줄어들면서 대기환경이 좋아졌기 때문이 시기인 3기(5~8월)의 일평균 확진자 수는 39.8명에 불
다. 환경부[41]에 따르면, 2020년 전국 초미세먼지 연 과하며, 7~8월로 축소하여 살펴보아도 일평균 110명
평균 농도는 19mg/㎥로, 선행연구의 연구 기간인 2019 수준으로 매우 안정적으로 COVID-19가 관리되던 시기
년(23㎍/㎥)보다 낮은 수치이며 관측 이래 가장 큰 연 였다. 이에 따라 해당 시기에는 적극적으로 실외 여가
간 감소 폭을 보였다. 대기환경의 개선으로 인하여 미 활동이 발생하여 영화 VOD 감상이 줄었을 것으로 보
세먼지의 영향력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인다. 마지막으로, 공휴일 여부는 1% 유의수준에서 일
추가로 미세먼지 문제의 언론보도 자체가 줄어들어 일 영화 VOD 시청 건수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일반 대중의 관심이 떨어졌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사 주는 것으로 나타나, 예상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람들은 신체적으로 미세먼지를 체감하기 어려우므로,
언론에서 미세먼지를 보도하면서 미세먼지 문제를 중 Ⅵ. 결 론
요하게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42].
다음으로, 날씨와 관련된 변수들을 살펴보자. 이 연 COVID-19로 인한 감염 우려와 정부의 사회적 거리
구는 기온과 일일 영화 VOD 시청 건수 간에‘U’자 두기 정책으로 인하여 실외 여가활동의 제약이 커지고
형의 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지만, 두 변수 간에 있다. 이에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며, 대다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의 선행연구에서 COVID-19 이후 실내 활동을 중심으
기온과 VOD 시청 건수를 살펴본 박[21]의 결과와도 로 여가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일치한다. 기온은 돌발성 이벤트가 적고 다른 요인에 [5][12][13][14]. 하지만 COVID-19가 사람들의 여가활동
비해 충분히 예측 가능한 것이기 때문으로 이해되며, 에 제약을 부여함에 따라, 다른 여가활동으로 여가를
특히 연구 기간 내에서는 COVID-19와 같이 미증유의 대체하는 활동이 일어날 것임에도 선행연구는
상황이 벌어져 기온의 영향력이 더욱 축소되었을 것으 COVID-19 이후 전반적인 실내 여가활동이 줄어든다는
로 생각된다. 강수량은 일일 영화 VOD 시청 건수와 것을 밝히는 데 그쳐, 특정한 실내 여가활동의 증가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관계가 있었으며, 강수량 지 살펴보는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설문조사
과 여가시간 간의 관계를 살펴본 선행연구와도 일치하 나 SNS 언급량 등을 분석하여 실내 여가활동의 증가
는 결과이다[18]. 를 추정하는 다소 간접적인 방법을 적용한다는 한계점
한편,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영화 흥행요 이 있다.
인으로 알려진 관람연령 등급, 대작의 수, 상영 시기,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를 보완하여, 대표적인
공휴일 여부를 모델에 반영하였다. 관람연령 등급은 실내 여가활동인 영화 VOD 시청 건수와 COVID-19 간
5% 유의수준에서 일일 영화 VOD 시청 건수와 정의 의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데이터는 영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 진흥위원회가 제공하는 실제 IPTV 영화 VOD 데이터
과를 보였다. 특히 분석의 대상이 되는 IPTV 영화 와 질병관리청에서 발표하는 일일 코로나 확진자 수를

www.dbpia.co.kr
A Study of Determinants of Video-on-Demand View : Focusing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VID-19 and Movie Views 127

활용하였다. 코로나 확진자 수뿐만 아니라, 이 연구는 동 간의 관계를 살펴본 기존 연구는 대부분 코로나19
선행연구에서 실내 여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산으로 전반적인 실내 여가활동이 늘어났다는 결과
알려진 대기환경 변수(미세먼지)와 날씨(기온, 강수량) 를 보고하고 있다[5][12][13]. 사람들의 전반적인 여가
를 모형에 반영하였다. 아울러 영화 VOD 흥행요인을 활동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도 의미가 있겠지만, 여가
다룬 선행연구를 토대로 관람연령 등급, 대작의 수, 상 활동의 범위는 매우 넓으므로 특정 여가활동의 변화를
영 시기, 공휴일을 변수에 추가하였다. 연구한다면 더욱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이 연구는 COVID-19의 국내 주요 유행 경향을 충실하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연구는 코로나19 확산과
게 분석하기 위하여 질병관리청에서 발표한 COVID-19 영화 VOD 시청으로 대표되는 특정 실내 여가활동 간
의 국내유행시기 구분에 따라, 2020년 2월 18일부터 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로써 학술적 의미를 지닌다.
2021년 1월 31일까지 348일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둘째, 코로나와 여가활동을 살펴본 기존의 연구들은
또한, 시계열 자료가 지니는 불안정성과 자기상관성을 설문조사 방법을 적용하였는데[9][10][11], 이는 응답자
고려하여 Prais-Winsten 추정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 의 주관이 반영될 위험이 있다. 소수의 연구가 미디어
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텍스트 분석을 적용하였지만
첫째, 일별 COVID-19 확진자 수는 일별 영화 VOD [16][17], 키워드 분석을 통해 트렌드를 살펴보는 데 그
시청 건수에 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쳤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일일 영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COVID-19 VOD 데이터와 코로나 확진자 수를 활용하여 실증분석
확진자가 많은 날일수록 영화 VOD 시청 건수가 증가 하였다. 뿐만 아니라, 시계열 데이터의 특성에 맞는 방
하였음을 의미하며, 이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충분히 법론을 적용하였다는 점도 의미가 있다.
기대했던 결과이다. COVID-19와 관련된 대부분의 선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영화의 콘텐츠 적인 속성 이
행연구는 전염병의 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실내 여가 외에도 다양한 외부적인 변수를 고려하여 영화 VOD의
활동이 증가할 것으로 언급하였고 미디어의 이용 시간 결정요인을 확인하였다. 영화 시청요인에 관한 기존
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하였는데, 본 연구를 통하여 위 연구들은 영화 내적인 요소, 예컨대 스타파워나, 장르
와 같은 사실이 실증적으로 관찰되었다. 등을 주요 요소로 하여 영화 VOD 시청 건수와의 상관
둘째, 대기 및 기상환경과 관련된 변수에서는 강수 관계를 밝히려는 시도가 많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량만이 영화 VOD 시청 건수와 유의미한 정의(+) 관계 는 영화 내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COVID-19, 날씨, 대
가 있었다. 특히 최근 주목을 받았던 미세먼지는 유의 기 수준 등의 요인까지 고려하여 분석의 범위를 확정
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못했는데, 이는 본 연구의 하였다. 이처럼 이 연구는 VOD 감상을 단순히 영화라
시간 동안 미세먼지 상황이 호전되었고, 언론의 보도 는 콘텐츠 소비 측면과 더불어, 여가활동으로 간주함
또한 감소하면서 인지된 위협이 감소함으로 인하여 발 으로써 영화 시청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보다 종합적인
생한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기온도 유의미한 상관관 관점으로 접근한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계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이 연구는 실무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시사점
셋째, 영화 VOD 흥행요인과 관련해서는 변수 대부 을 제공할 수 있다.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늘어날수록
분이 영화 VOD 시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영화 VOD 시청이 늘어났다는 연구 결과는 전염병 등
주었다. 특히 공휴일의 경우 매우 강한 상관관계를 보 실내 여가생활이 강제되는 상황이 되었을 때, 사회적
여주었는데, 이는 휴일에 확보되는 추가적인 여가시간 으로 가장 이슈가 되는 이벤트를 기반으로 프로모션을
을 영화 감상에 사용한 것으로 살펴볼 수 있다. 대작의 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실제로 영화진
수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COVID-19 흥위원회 자료[45]에 따르면 2011년에 개봉한 전염병
상황으로 인하여 화제성 있는 영화들이 개봉 연기된 관련 영화 컨테이젼이 2020년 온라인박스오피스 9위를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기록하였다. 이는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사안을 활
이 연구의 학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용하여 다양한 방식의 프로모션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COVID-19의 확산이 특정 실내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 또한, 기후나 계절을 고려한 장기적인 관점의 프로
향을 분석한 연구로써 의미가 있다. 코로나와 여가활 모션보다는 상황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는 형태의 프

www.dbpia.co.kr
128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JKEIA), Vol. 15, No. 8, 30-Decemberr 2021

로모션의 성공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 [4] 보건복지부(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범


온이나 계절과 같은 요소는 사람들이 쉽게 예측할 수 정부대책회의 브리핑(2월 23일). 보건복지부.
있는 부분으로 여가활동을 결정하는 데 있어 영향력이 [5] 박광호, 이승연, 김진원(2020). 대학생들의 대
미약하지만, 강수량 등 갑작스러운 이벤트는 영화 학생들의 COVID-19 전후 여가변화와 여가동

VOD 관람과 밀접한 영향이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기 및 건강신념과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
이션학회지, 44(3): 69-96.
따라서 일별 상황에 맞춘 이벤트성의 프로모션 개발과
[6] 윤지인, 한진욱, 이지원(2021). 야외 여가활동
실행을 통해 고객의 유인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참여자의 코로나 관련 위험인지, 스트레스 수
그럼에도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닌다.
준 및 대처행동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
먼저 본 연구는 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1개 사(KT)의 션학회지, 45(1): 89-101.
PPV 자료를 분석하여, COVID-19와 영화 VOD 시청 건 [7] 하나금융경영연구소(2020). 코로나19가 가져
수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대부분의 VOD 이용자가 온 소비행태의 변화.
PPV, PPM, SVOD를 혼용하여 사용한다는 점에 비추어 [8] Crawford, D.W., & Godbey, G.(1987).
보았을 때, 다양한 지불 방식에 근거한 종합적인 연구 Reconceptualizing barriers to family leisure.
가 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Leisure Sciences, 9(3): 119-127.
[9] 사혜지, 이원상, 이봉규(2021). 코로나 블루와
또한, 본 연구는 자료의 한계상 IPTV 영화 VOD를
여가 활동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인터넷
기준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OTT 기반의 영화 VOD
정보학회, 22(2): 109-121.
에 관한 연구가 추가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IPTV 영
[10] 이윤정(2020). 코로나 팬데믹 하에서 진지성
화 VOD는 기본적으로 거실에서 영상을 공유하는 형태
여가가 삶의 질에 끼치는 영향. 인문사회과학
로 소비된다면, OTT는 주로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기술융합학회, 10(4): 17-28.
개인적으로 영상을 소비하는 차이를 지니고 있으므로 [11] 주진영, 이세경, 원형중(2021). COVID-19(코로
이에 관해서도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나) 발생 전후로 나타난 청년의 여가활동유
마지막으로, 보다 장기적으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형과 우울감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
간 상관관계를 추적할 필요가 있다. COVID-19로 일부 회, 45(2): 87-99.

영화의 개봉 일정이 연기되었고, 이로 인하여 영화 [12] 사혜지, 한지훈(2021). 코로나 19와 여가제약
: 위계적 여가제약 모델 검증. 한국체육학회
VOD 감상에도 영향이 있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
지, 60(1): 287-400.
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COVID-19의 종결 시점까지 후
[13] 진미정, 성미애, 손서희, 유재언, 이재림, 장영
속으로 진행되는 연구를 통해 장기간에 걸쳐서도 본
은(2020).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가족생활 및
연구의 결과를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가족관계의 변화와 스트레스. Fam. Environ.
Res, 58(3): 447-461.
[14] 한상겸(2021). 코로나19 시대 여가활동 만족도

References 에 대한 연구. 한국관광진흥학회, 9(1): 117-134.


[15] 이현영, 김남조(2017). 미세먼지 위험지각이
[1] WHO(2020). Coronavirus disease (COVID-19)
아웃도어레크리에이션 참여자의 행동에 미치
advice for the public.
는 영향. 관광학연구, 41(7): 27-44.
[2] 강진호, 박아름, 한승태(2020). 코로나-19로 인
[16] 김경식, 이연주, 한승진, 한승백(2019). 빅데이
한 대학생들의 라이프 스타일 변화 경험에
터를 활용한 여가트렌드 분석. 한국여가레크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
리에이션학회지, 43(1): 25-41.
회논문지, 14(5): 289-297.
[17] 이유진, 김태환, 황선환(2021). 빅데이터를 활용
[3] 이기언, 최성광(2021). 코로나19 상황에서 초·
한 Covid-19 여가소비 분석: Pre-Corona vs.
중·고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With-Corona.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45(2):
요인 분석: 학교생활, 가정생활, 일상적 스트
21-36.
레스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8] 이용관(2012). 날씨가 시간사용에 미치는 영
논문지, 15(3): 171-182. 향에 관한 연구. 경제학연구, 60(4): 75-101.

www.dbpia.co.kr
A Study of Determinants of Video-on-Demand View : Focusing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VID-19 and Movie Views 129

[19] 이섬균(2018). 날씨, 대기오염이 프로스포츠 [36] 김민영(2020). 미세먼지 및 대기오염의 정도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체육교 가 영화 관람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정
육과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조정형, 김영재, 차은주(2015). 여가활동과 기 [37] 김휴종(1998). 한국 영화스타의 스타파워 분
상·기후간의 관계분석. 여가학연구, 13(4): 석. 문화경제연구, 1(1): 165-200.
25-38. [38] 김기진, 최성희(2018). TV VOD 수요 분석:
[21] 박문호(2019). 공공 디지털 정보의 융합 : 미 시계열분석을 중심으로. 문화경제연구, 21(3):
세먼지 농도와 IPTV VOD 시청량의 상관관 59-88.
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석사 [39] 이건엽, 조지형, 조신(2019). IPTV VOD 서비
학위논문. 스 가격지수 산정 및 수요함수 추정. 정보통
[22] 서미숙(2015). 여성경제연구: 미세먼지 농도가 신정책연구, 26(2): 59-94.
경제활동시간에 미치는 영향. 여성경제연구, [40] 문화체육관광부(2020b). 코로나19 일상관련
12(1): 75-100. 거대자료(BigData) 분석.
[23] An, R., & Xiang, X.(2015). Ambient fine [41] 환경부(2021). 2020년 초미세먼지 농도 19 / , ㎍㎥
particulate matter air pollution and leisure-time 관측 이래 최저(1월 4일). 환경부.

physical inactivity among US adults. Public [42] 김영욱, 이현승, 이혜진, 장유진(2016). 미세먼
Health, 129: 1637-1644. 지 위험에 대한 전문가와 일반인의 인식차이와
커뮤니케이션 단서 탐색. 한국언론학회, 12(1):
[24] 엄영숙, 오형나(2019). 미세먼지 건강 위험과
53-117.
회피행동 : 야외여가활동 수요 감소를 사례로.
[43] 김형만(2009). 인터넷기반 VDO 창구에서의 유료
경제학연구, 67(2): 39-70.
영화 이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
[25] 김연형, 홍정한(2011). 영화흥행결정 요인과
학원 석사학위논문.
흥행성과 예측연구. 한국통계학회논문집, 18(6):
[44] 질병관리청(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859-869
발생 현황 정례브리핑 (12월 31일). 질병관리청.
[26] Litman, B. R.(1983). Predicting success of
[45] 영화진흥위원회(2020). 코로나19 충격: 2020년
theatrical movies: An empirical study. The
한국영화산업 가결산.
Journal of Popular Culture, 16(4): 159-175.
[27] 김미현, 김수은, 최영준(2010). 한국영화의 흥행
결정요인과 정책적 시사점. 영화연구, 46(1):
31-56. 영화 VOD 시청 건수 결정요인
[28] 임성준, 강정헌(2006). 인터넷 VOD 극장에서 : 코로나 19와 영화 시청의 관계를 중심으로
의 영화 흥행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전략경
홍진우1, 하지황2, 조지형3
영학회, 9(1): 53-76.
1
[29] 강철원(2009). IPTV VOD 영화 이용에 관한 연 클라우드사업본부, SK텔레콤, 매니저
2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대학원생
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박사과정
[30] 최융(2018). 영화 흥행 결정 요인이 유료방송
VOD 구매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언론
요 약
정보학과 석사학위논문.
[31] 김의재, 강현욱(2021). 한국 직장인의 여가활동 COVID-19의 감염 우려와 함께 정부의 사회적 거
트렌드 변화.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5(2): 리두기 정책으로 인하여 실외 여가활동의 제약이 커
1-11. 지고 있다. 이처럼 실외 여가활동이 줄어들고 실내
[32] 통계청(2020). 한국의 사회동향 2020. 여가활동이 증가하는 상황에 주목하여, 이 연구의 목
[33] 정보통신정책연구원(2020). 코로나19가 방송, 적은 COVID-19의 신규 확진자 수가 영화 VOD 시청
미디어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건수에 미치는 영향을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34] KBS공영미디어연구소(2020). 코로나19: 2차 연구는 2020년 2월 18일부터 2021년 1월 31일까지의
국민인식 조사결과. KBS. 348일을 대상으로 시계열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데이
[35] 문화체육관광부(2020a). 2020 국민여가활동조사. 터는 영화진흥위원회에서 제공하고 있는 실제 일별

www.dbpia.co.kr
130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JKEIA), Vol. 15, No. 8, 30-Decemberr 2021

영화 VOD 시청 건수와 질병관리청에서 제공하는 일 Jee-Hyung Jo Jeehyung Jo is


일 확진자 수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COVID-19 complete the doctoral program in
the Information Systems from
확진자 수는 일별 영화 VOD 시청 건수에 통계적으
Yonsei University.
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COVID-19 확진자가 많은 날일수록 영화 VOD 시청
건수가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기존 연구들이
COVID-19의 확산과 전반적인 실내 여가활동 간의 관 E-mail address: jee_cho@yonsei.ac.kr
계를 살펴본 것에 비해, 이 연구는 특정 실내 여가활
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로써 학술적으로 의
미가 있다. 한편, 이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전염병 등 실내 여가생활
이 강제되는 상황이 되었을 때, 사회적으로 가장 이
슈가 되는 이벤트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프로모션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려준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기
후나 계절을 고려한 장기적인 관점의 프로모션보다
는 상황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는 형태의 프로모션
의 성공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는 자료의 한계상 PPV만을 기준으로 연구가 진행되
었으나, 향후에는 PPM, S-VOD 등 다양한 과금 형태
를 고려하여 정교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핵심어 : COVID-19, 영화, VOD, 실내 여가활동,


시계열 분석

본 논문은 홍진우의 석사학위 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이다.

Jin-Woo Hong Jin-Woo Hong


received the M.S. degree in the
Information Systems from Yonsei
University in 2021.

E-mail address: aronos@sk.com

Ji-Hwang Ha Jikhwang Ha is
attending a master's degree in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on ICT Content
track.

E-mail address: jihwang7@yonsei.ac.kr

www.dbpia.co.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