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물리학 1

답안 <Ⅰ. 역학과 에너지 1-1~3>

기초 문제   이다.

1. ⑤
6. ④
[해설]
[해설]
{정답 맞히기}
{정답 맞히기}
(가) 변위는 처음 위치에서 나중 위치까지의 직선거리이므로 출발
점과 도착점이 같으면 경로가 달라도 변위는 같다. ㄴ. 물체가  의 속력으로 등속 직선 운동을 하고 있으므로 
(나) 물체가 출발했다가 제자리로 돌아온 경우 위치의 변화량이  초일 때 속력은    이다.

이므로 변위는  이다. ㄷ. 물체는  초일 때  이동했으므로  초부터  초까지 이동한


(다) 이동 거리는 실제로 이동한 거리를 말하고, 변위는 위치의 변 거리는  이다.
화량이므로 직선 운동이 아닌 경우 이동 거리는 변위의 크기 {오답 피하기}
보다 항상 크다. ㄱ. 시간에 따라 이동 거리가 일정하게 증가하고 있으므로 물체는
등속 직선 운동을 한다.

2. ③
[해설]
7. ④
이동 거리는 철수가 실제로 이동한 거리이므로  이고, 변위의 [해설]
{정답 맞히기}
크기는 처음 위치에서 나중 위치까지의 직선 거리이므로  이다.
(나) 가속도는 단위 시간 동안의 속도 변화량이므로 가속도가 이
면 속도는 일정하다.
3. ①
(다) 운동 방향과 가속도의 방향이 같으면 속력은 계속 증가하고,
[해설] 운동 방향과 가속도의 방향이 반대이면 속력은 감소한다.
{정답 맞히기} {오답 피하기}
ㄱ. 일직선상에서 운동하므로  초부터  초까지 변위의 크기와 이동 (가) 가속도의 크기가 클수록 시간에 따른 속도 변화량의 크기는
거리는  로 같다. 크다.
{오답 피하기}
ㄴ.  초부터  초까지 이동 거리는  , 변위의 크기는  이 8. ③
다.
[해설]
ㄷ. 평균 속력은 이동 거리를 걸린 시간으로 나눈 값이다.  초부터 {정답 맞히기}
 초까지 이동 거리가  이므로 평균 속력은 속력-시간 그래프에서 기울기는 가속도이므로  초일 때 물체의
 가속도의 크기는

  이고, 그래프의 아래 면적은 이동
     이다.

거리이므로  초부터  초까지 이동한 거리는  이다.

4. ②
9. ①
[해설]
[해설]
{정답 맞히기}
{정답 맞히기}
ㄴ.  초부터  초까지  와  의 이동 거리가  로 같으므로
ㄴ.    에서 가속도의 크기는  가  의  배이고, 시간은
평균 속력은 같다.
{오답 피하기}

 배이므로  를 지날 때의 속력은  가  의  배이다.

ㄱ.  ,  ,  가 직선상에서 운동하므로  초부터  초까지 이동
{오답 피하기}
거리는  ,  ,  가  로 같다.

ㄷ.  초부터  초까지  의 변위가  이므로  의 평균 속도의 ㄱ.     에서 걸린 시간이  가  의  배이므로 가속도의

크기는   이다. 크기는  가  의  배이다.
 
5. ④ ㄷ.    이므로 평균 속력은  가  의  배이다.

[해설]
{정답 맞히기} 10. ③
토끼의 속도를    라고 하면, 거북의 속도는    이다.
[해설]
따라서 토끼에 대한 거북의 상대 속도
{정답 맞히기}
 토 거   거   토          이므로 왼쪽으로
ㄱ.  를 이동하는 데   초가 걸렸으므로  구간에서 물체
- 1 -
의 평균 속력은   이다. ㄷ.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지구가 물체를 당기는 힘)의 반작용은 물

ㄴ.   초 간격으로 찍은 물체의 이동 거리가  로 같으므로 물 체가 지구를 당기는 힘이다.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과 수평면이

체는 등속도 운동을 하고 있다 물체에 작용하는 힘은 힘의 평형 관계에 있다.

{오답 피하기}
ㄷ. 물체가 등속도 운동을 하고 있으므로 물체에 작용하는 합력(알 16. ③
짜힘)은  이다. [해설]
{정답 맞히기}
11. ④  , 의 가속도는 같으므로 의 가속도의 크기는

[해설] 
     이므로  에 작용하는 합력(알짜힘)의 크기는  
{정답 맞히기} 
ㄴ. 이불을 막대기로 두드려서 먼지를 터는 것은 먼지가 정지해 있 이다.  에 작용하는 힘은  가  를 당기는 힘뿐이므로  가  를
으려는 관성을 이용한 것이다. 당기는 힘의 크기는   이다.
ㄷ. 버스가 급정거하면 승객의 몸이 앞으로 쏠리는 것은 관성 때문
이다.
17. ④
{오답 피하기}
[해설]
ㄱ. 노를 저으면 배가 앞으로 나아가는 것은 노가 물을 밀면 물이
{정답 맞히기}
노를 미는 작용 반작용과 관련된다.
ㄱ. 물체는 수평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으므로 수
평면이 물체를 미는 힘의 크기는 중력의 크기와 같은  이
12. ②
다.
[해설]
   
{정답 맞히기} ㄴ. 가속도        이므로 물체에 작용하는 마
 
ㄷ. 손이 책을 누르는 힘의 반작용은 책이 손을 미는 힘이다. 따라
찰력의 크기     이다
서 두 힘은 작용 반작용의 관계에 있다.
{오답 피하기}
{오답 피하기}
ㄱ. 책이 받는 힘은 손이 누르는 힘과 책상이 책을 미는 힘, 그리고 ㄷ. 물체의 가속도의 크기는    이고,        이므로
지구가 책을 당기는 힘이다. 물체가  이동했을 때 속력은   이다.
ㄴ. 책상이 책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손이 책을 누르는 힘과 책의
무게를 더한 값과 같다.
18. ③
[해설]
13. ① {정답 맞히기}
[해설] ㄱ. 수영 선수가 물을 밀 때, 물이 수영 선수를 밀어서 앞으로 나가
{정답 맞히기} 는 것은 작용 반작용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
  ㄴ. 오징어가 물을 뒤로 분사할 때, 물이 오징어를 앞으로 밀어서
ㄱ.  ,  의 가속도의 크기          이다.
 앞으로 가는 것은 작용 반작용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
{오답 피하기} {오답 피하기}
ㄴ. 에 작용하는 힘은 가  를 미는 힘이므로  가  를 미는 ㄷ. 물체에 중력이 작용하여 속력이 증가하는 것은 가속도 법칙으로

힘이 알짜힘이다. 따라서      ×      이다. 설명할 수 있다.

ㄷ. 합력(알짜힘)은    이다. 따라서   이다.


19. ①
14. ④ [해설]
{정답 맞히기}
[해설]
{정답 맞히기} ㄱ.  ,  가 정지해 있으므로  ,  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와 
  가  를 당기는 힘의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이다. 따라서 
가속도는    이므로    이고, 이동 거리는     이 가  를 당기는 힘의 크기는  이다.
 
므로  이다. {오답 피하기}
ㄴ. 는 정지해 있으므로 가  를 당기는 힘의 크기는  에 작용
15. ③ 하는 중력의 크기와 같은  이다. 따라서  가  를 당기는
힘은  에 작용하는 중력과  가  를 당기는 힘의 합과 평형을
[해설]
이루고 있다.
{정답 맞히기}
ㄱ. 중력    이므로  이다. ㄷ.  가  를 당기는 힘의 반작용은  가  를 당기는 힘이다
ㄴ. 물체는 정지해 있으므로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과 수평면이 물체
를 미는 힘은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이다. 따라서 수평면이 20. ①
물체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  이다. [해설]
{오답 피하기} {정답 맞히기}

- 2 -
ㄱ. 철수가 벽을 힘 로 밀면, 벽도 철수를 힘 로 민다. 따라서 5. ⑤
벽이 철수를 미는 힘의 크기는  이다. {정답 맞히기}
{오답 피하기}
ㄱ. 의 속력은   , B의 속력은  이다. 따라서  ,
ㄴ. 철수는 수평면을 오른쪽으로 민다. 따라서 수평면이 철수에게
의 속력은 같다.
작용하는 마찰력의 방향은 왼쪽이다.
ㄷ. 철수가 정지해 있으므로 벽이 철수를 미는 힘과 수평면이 철수
ㄴ. 그림에서  초일 때  ,  는 같은 위치에 있으므로  와  는
만난다.
에게 작용하는 마찰력은 힘의 평형 관계에 있다.
ㄷ. 에 대한 의 상대 속도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초부
터  초까지  에 대한  의 상대 속도의 크기는   로 일
심화 문제 정하다.

1. ④
[해설] 6. ③
이동 거리와 변위 [해설]
{정답 맞히기} 속도 - 시간 그래프 해석
ㄱ. 이동 거리는 실제로 이동한 거리이므로  가  보다 크다. {정답 맞히기}

ㄷ. 평균 속도는 변위를 걸린 시간으로 나눈 값이므로  와  가 ㄱ. 속도-시간 그래프에서 그래프의 기울기는 가속도이므로  초일



같다. 때 가속도의 크기는    이다.
{오답 피하기} ㄴ.  초부터  초까지는 속도가 일정하므로 가속도가  이다.
ㄴ. 변위는 와 를 잇는 직선거리이므로 와 가 같다. {오답 피하기}
ㄷ. 자동차가 직선 도로를 따라 운동하므로 속도-시간 그래프에서
2. ③ 면적은 이동 거리이다. 따라서  초부터  초까지 이동 거리는
[해설]  이다.
위치 - 시간 그래프 해석
{정답 맞히기} 7. ⑤
ㄱ.  ~  초 구간에서 속도가 점점 감소하므로 운동방향과 가속도의 [해설]
방향은 반대이다. 속력이 다른 두 물체의 운동
ㄷ.  ~  초 동안 물체의 변위가  이므로 평균 속도의 크기는 {정답 맞히기}
  이다. ㄱ. 는 직선상에서   의 일정한 속력으로 운동을 하고 있으
{오답 피하기} 므로 등속도 운동을 한다.
ㄴ.  초까지는 속도가 (+)이고,  초 이후에는 속도가 (-)이므로 ㄴ. 속력-시간 그래프에서 그래프의 아래 면적은 이동 거리이므로
 초일 때 운동 방향이 바뀐다.  초부터  초까지  의 이동 거리는  이다.
ㄷ.  초부터  초까지  의 이동 거리는  ,  의 이동 거리는
3. ①  이다.  초일 때  가  보다  앞서 있으므로  초일
[해설] 때  와 는 만난다.
방향이 변하는 운동
{정답 맞히기} 8. ④
ㄱ. 위치-시간 그래프에서 기울기는 속도이므로  초일 때 운동 [해설]
방향이 바뀐다. 등가속도 직선 운동
{오답 피하기} {정답 맞히기}
ㄴ.  초일 때의 속력은  ,  초일 때의 속력은  로,  초 ㄴ.  초부터  초까지 평균 속력은   이므로 이동거리는 
일 때가  초일 때의  배이다. 이다.
ㄷ.  초부터  초까지 변위는  이므로 평균 속도의 크기는  이다. ㄷ. 자동차는  초마다   씩 속력이 증가하므로  초일 때 속력
은    이다.
4. ① {오답 피하기}

[해설] ㄱ. 가속도는 속도의 변화량을 시간으로 나눈 것이다. 자동차가 초


속력이 다른 두 물체의 운동 마다   씩 속력이 증가하므로 가속도의 크기는    이
{정답 맞히기} 다.
ㄱ. 거리-시간 그래프이므로 기울기는 속력이다. 따라서 의
속력은   ,  속력은  이므로  가  의  배이다. 9. ⑤
{오답 피하기}
[해설]
ㄴ. 그래프에서 와  사이의 거리는 점점 멀어짐을 알 수 있다. 가속도가 다른 두 물체의 운동
ㄷ.  , 의 속력이 일정하므로 , 의 속력의 차이는 일정하다. {정답 맞히기}
ㄱ.  , 의 속도 차는  초일 때   ,  초일 때   이므
- 3 -
로  초일 때가  초일 때의  배이다. ㄱ.  구간의 평균 속력은   ,  구간은    ,
ㄴ. 가속도의 크기는  는  
,  는  
이므로 가   구간은    이다. 따라서 가속도의 크기는

의  배이다.   


     이다.
ㄷ.  와 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고,  초부터  초까지 이  
동 거리는  ,  이므로  초일 때  와  사이의 거리는
 이다. 14. ④
[해설]

10. ③ {정답 맞히기}


ㄴ.  초일 때  가  앞에 있었으며,  와  는  초일 때까지
[해설]
가속도-시간 그래프 해석 점점 가까워지다가  초일 때 충돌한다.

{정답 맞히기} ㄷ.  초에서  초까지 변위가 같으므로  ,  의 평균 속도는 같다.

ㄱ. 가속도-시간 그래프에서 아래 면적은 속도의 변화량이므로  {오답 피하기}

초일 때 물체의 속도는    이다. 따라서  초일때 속력은 ㄱ.  초에서  초까지  ,  의 속도 차는 감소하다가 증가한다.
  이다.
ㄴ.  초에서  초까지 물체의 운동 방향과 가속도의 방향이 반대이 15. ③
므로 속력이 감소한다. [해설]
{오답 피하기} {정답 맞히기}
ㄷ.  초일 때 속도는   이고,  초일 때 속도는    이 ㄱ. 를 지날 때까지  , 는 같은 시간 동안 이동한 거리가 같
므로  초일 때와  초일 때 운동 방향은 같다. 으므로 평균 속력이 같다.
ㄴ. , 의 평균 속력이 같으므로 의 평균 속력
11. ③   
   이다. 따라서  를 지날 때  의 속력(   )은
[해설] 
등속 직선 운동   이다.
{정답 맞히기} {오답 피하기}
ㄱ. 토끼의 속력이 사자의 속력보다 작으므로 사자가 볼 때 토끼는 ㄷ.        를 이용하여  사이의 거리를 구하면 
사자 쪽으로 운동한다.
이므로    이다.
ㄴ. 속력이 사자가 토끼보다   빠르므로 사자와 토끼 사이의
거리는  초에  씩 가까워진다.
{오답 피하기}
16. ⑤
ㄷ. 사자가 토끼보다  빠르므로 초당  씩 가까워진다. 따 [해설]
{정답 맞히기}
라서 사자와 토끼는  초 후에 만난다.
ㄱ. 등가속도 직선 운동을 할 때 자동차의 평균 속력은
처음 속력  나중 속력
12. ④  
이다. 따라서  초일 때 자동차의

[해설]
속력이  이므로  초부터  초까지 평균 속력은 
{정답 맞히기}
이다.
ㄴ.  초일 때  ,  가  지점에 있으므로  와  가 만난다. ㄴ.  초부터  초까지 속력이 증가하고,  초부터  초까지 속력이
ㄷ.  초부터  초까지  의 이동 거리는  ,  의 이동 거리는
감소하므로 자동차의 속력은  초일 때가 최대이다. 따라서 속
 이므로 평균 속력은  가  의  배이다. 력의 최댓값은    이다.
{오답 피하기}
ㄷ. 자동차의 속력은  초일 때    ,
 초일 때  ,  초일
ㄱ.  초부터  초까지  는 앞으로  이동한 후 뒤로  이동
때  이다. 따라서  초부터  초까지이동한 거리와  초부터 
하여  지점에 있다. 따라서 이동 거리는  이다.
초까지 이동한 거리는 같고, 이 둘의 합은  초부터  초까지 이
동한 거리와 같다. 따라서  초부터  초까지 이동한 거리는
13. ④
 이다.
[해설]
{정답 맞히기}
17. ①
ㄴ.  에서  까지 물체의 평균 속력은
[해설]

       이다. {정답 맞히기}

ㄱ.  초에서  초까지  ,  사이의 거리가  가까워졌으므
ㄷ.  지점에서 속력이  이면  지점에서 속력은      이고,
로 속력은  가  보다  더 크다. 따라서  의 속력은
      
 구간의 평균 속력은    에서   이다.

{오답 피하기}
     이다.
ㄴ.  초에서  초까지  와  사이의 거리는  로 일정하
{오답 피하기}

- 4 -
므로 의 속력은   이다. 따라서 이동한 거리는  [해설]
이다. 힘과 운동

ㄷ.  초부터  초까지  가  보다   더 빠르므로  의 {정답 맞히기}


ㄱ. 등가속도 직선 운동을 하는 물체의 이동 거리는
속력은    이다.

        이다.  초 동안  를 이동하였으므로 가

18. ①
속도는  이다.
[해설]
ㄴ. 합력    이다. 따라서 물체에 작용하는 합력은   이다.
{정답 맞히기}
ㄷ. 물체에 작용하는 합력이   이고, 오른쪽으로   의 힘이 작용
ㄱ. 거리-시간 그래프에서 기울기는 에 대한 의 속도를 나타내
하므로 마찰력은 왼쪽으로  이다.
므로  초부터  초까지 는  보다   만큼 느리다. 따라
서  초일 때  의 속력은   이다.
{오답 피하기} 23. ③
ㄴ.  는  초부터  초까지  ,  초부터  초까지  의 [해설]
속력으로 운동하므로 운동 방향이 바뀌지 않았다. 힘과 운동
ㄷ.  초부터  초까지  의 속력은   이므로  의 이동 거 {정답 맞히기}

리는  이다.     ′  
ㄱ. (가), (나)에서 가속도가 같으므로    
 
19. ⑤ 이다. 따라서  ′   이다.
[해설] ㄴ.  ′ 은  이고,  ,  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크기는 각각
{정답 맞히기} 
ㄱ. 연직 위로 던져 올린 물체에 작용하는 힘은 중력뿐이므로 올라  ,   이므로, (다)에서 의 가속도

간 후 내려올 때까지 등가속도 운동을 한다. 따라서  와  에서         
가속도는 중력 가속도  로 같다.      이다.
 
ㄴ. 물체는 등가속도 운동을 하고,  에서 최고점까지, 최고점에서 {오답 피하기}
 까지의 거리가  로 같으므로  에서의 속력은  이다. ㄷ. (다)에서 가  를 미는 힘의 크기를  라고 하면,

  
ㄷ.  에서 최고점까지 운동할 때,     이므로    이다.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가  를 미는
  
 
20. ③ 힘의 크기는  이다.

[해설]
관성 법칙
24. ③
{정답 맞히기}
[해설]
철수 : 질량이 클수록 운동 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이 크다. 즉, 질
작용 반작용 법칙
량이 클수록 관성이 크다.
{정답 맞히기}
영희 : 버스가 급정거할 때 사람이 앞으로 넘어지고, 버스가 급출발
할 때는 뒤로 넘어지는 것은 관성 때문이다. ㄱ. 두 자석  , 를   이므로
넣었을 때 저울에 나타난 값이

{오답 피하기}  ,  의 무게는 각각  이다. 따라서  의 질량은  이


민수 : 물체가 정지해 있으면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려 한다. 따라서 다.
정지해 있는 물체도 관성이 있다. ㄷ.  가 에 작용하는 자기력과 가  에 작용하는 자기력은 작
용 반작용의 관계에 있다.
21. ③ {오답 피하기}

[해설]
ㄴ. 저울이 자석 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  이고,  와 
작용 반작용 법칙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의 크기는 의 중력과 같은   이다.
{정답 맞히기} 따라서 저울이 자석 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와  사이
ㄱ. 철수가 벽을 미는 힘의 반작용은 벽이 철수를 미는 힘이다. 에 작용하는 자기력의  배이다.
ㄷ. 야구 방망이가 공을 미는 힘의 반작용은 공이 야구 방망이를 미
는 힘이다.
25. ⑤
{오답 피하기}
[해설]
ㄴ. 지구가 책을 당기는 힘의 반작용은 책이 지구를 당기는 힘이다.
힘과 운동
지구가 책을 당기는 힘과 책상이 책을 떠받치는 힘은 힘의 평형
{정답 맞히기}
관계이다.
ㄱ. 용수철이 늘어나면 탄성력도 증가하므로 철수가 용수철을 당기
는 힘의 크기는 점점 증가한다.
22. ⑤ ㄴ. 철수가 용수철을 당기는 힘과 용수철의 탄성력(용수철이 철수를
당기는 힘)은 작용 반작용의 관계에 있다.

- 5 -
ㄷ.  과  의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이다.            이고,     이므로  가
를   이다.
미는 힘의 크기는
26. ④ ㄷ. 합력(알짜힘)은    이다. 따라서   이다.
{정답 맞히기}
ㄱ. 지구가 책을 당기는 힘의 반작용은 책이 지구를 당기는 힘이다. 30. ⑤
따라서  과  는 작용 반작용의 관계에 있다. [해설]
ㄷ. 책은 정지해 있으므로 지구가 책을 당기는 힘과 책상이 책을 미 가속도 법칙 응용
는 힘은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이다. 따라서  과  의 크 {정답 맞히기}

기는 같다. ㄱ. (가)와 (나)에서 가속도의 크기를 각각 가  , 나  라 하고 


{오답 피하기} 와 를 하나의 물체로 생각하여 운동 방정식을 적용하면,
ㄴ. 책이 책상을 미는 힘과 책상이 책을 미는 힘은 작용 반작용의   가  ,   나  이다. 따라서  의 가속도의 크기는
관계에 있다. 따라서  과  는 작용 반작용의 관계에 있다.
(나)에서가 (가)에서의  배이다.

27. ⑤ ㄴ. (가)에서 가 받는 알짜힘의 크기는  ×    , (나)에서

[해설] 
가 받는 힘의 크기는  ×    이므로, 두 힘의 크기는
힘과 운동 
{정답 맞히기} 서로 같다.
ㄱ. 줄이 움직이지 않으므로 철수가 줄을 당기는 힘과 민수가 줄을 ㄷ. 작용 반작용 법칙을 적용하면 (가)에서  가  에 작용하는 힘
당기는 힘의 크기는 같다. 은 가 받는 알짜힘과 크기가 같고, (나)에서  가  에 작용
ㄴ. 철수는 움직이지 않으므로 합력이  이다. 따라서 철수에게 작용 하는 힘은 가 받는 알짜힘과 크기가 같다. 따라서 (가)에서
하는 두 힘, 줄이 철수를 당기는 힘과 수평면과의 마찰력이 크
 가  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와 (나)에서  가  에 작용하는
기는 같고 방향이 반대이다.
힘의 크기는 같다.
ㄷ. 줄이 철수와 민수를 당기는 힘은 같고, 철수와 민수는 움직이지
않으므로 마찰력의 크기는 같다.
31. ②
{정답 맞히기}
28. ②
ㄴ. 의 가속도의 크기가 (나)에서가 (가)에서의  배이므로  에
[해설]
힘과 운동 작용하는 합력(알짜힘)은 (나)에서가 (가)에서의  배이다.
{정답 맞히기} {오답 피하기}

ㄴ. 줄이 영희를 당기는 힘의 크기와 줄이 철수를 당기는 힘의 크기  


ㄱ. (가)에서 의 가속도는      이고, (나)에서  의
는 같다. 따라서 철수가 줄을 당기는 힘과 줄이 철수를 당기는  
힘은 작용 반작용의 관계에 있으므로 철수가 줄을 당기는 힘의 
가속도     이다. 따라서  의 가속도의 크기는 (나)
크기는   이다. 
{오답 피하기} 에서가 (가)에서의  배이다.
ㄱ. 영희가 줄을 당기는 힘의 반작용은 줄이 영희를 당기는 힘이다. ㄷ. 실이 를 당기는 힘은 에 작용하는 합력(알짜힘)이므로
ㄷ. 수평면이 철수에게 작용하는 힘을 ′ 라 하면, 철수와 영희는 
(가)에서는   이고, (나)에서는  이다. 따라서 (나)에서
      ′    
같은 가속도로 운동하므로      이다. 가 (가)에서의  배이다.
 
수평면이 철수에게 작용하는 힘의 크기와 철수가 수평면에 작
용하는 힘의 크기가 같으므로 철수가 수평면을 미는 힘의 크기 32. ②
는   이다. [해설]
가속도 법칙

29. ① (가), (나)에서 수레의 가속도는 각각


 
   ,     이므로
 
[해설]
가속도 법칙 가   나      이다. 용수철저울이 가리키는 값은 수레에 작
{정답 맞히기} 용하는 알짜힘이므로 (가), (나)에서 용수철저울이 가리키는 값은
합력 알짜힘   
ㄱ. 가속도=  이므로 , 의 가속도는 각각   ,   이므로 가   나      이다.
질량  

         이다.
 33. ③
{오답 피하기} [해설]
ㄴ. 에 작용하는 힘은  가 를 미는 힘(   )과 에 힘과 운동 응용
작용하는 마찰력(   )이다. 따라서 {정답 맞히기}

- 6 -
ㄱ.  , 의 질량을  ,  의 질량을  라 하고,  ~  초 동안 기는   이다.
 , , 를 하나의 물체로 보고 운동 방정식을 적용하면 ㄴ. (나)에서 수평면이 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크기는   이고,
 ×       ×  에서    이다. 수평 방향으로   의 힘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 ,  의 가속도

ㄷ.  초일 때  ,  가  를 당기는 힘의 크기를 각각  ,   라 하 는   이다.
{오답 피하기}
고 의 운동 방정식을 적용하면,
ㄷ. 에 작용하는 알짜힘은   이고,  에 작용하는 힘은  가 
 ×         ×  에서      이다.
에 작용하는 마찰력뿐이므로 (나)에서  가 에 작용하는 마
{오답 피하기}
찰력의 크기는   이다.
ㄴ. 와 의 질량이 같으므로 의 크기는 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와 같다.
38. ③
34. ③ [해설]
{정답 맞히기}
{정답 맞히기}
ㄱ. 는정지해 있으므로 알짜힘은  이다. 탁자가  를 미는 힘이
ㄱ. (나)에서 그래프의 아래 면적이 운동량의 변화량이므로  초일
 이므로  가  를 당기는 자기력은  의 중력과 같다. 따라서
때  , 의 운동량은  ∙   이다. 따라서  의 속력은
 가  를 당기는 자기력의 크기는  이다.
  이다.
ㄴ.  는 정지해 있으므로 알짜힘은  이다.  에 작용하는 힘은 아
ㄴ. 에 작용하는 힘은 마찰력뿐이므로    , 따라서  에 작
래로 중력과 가  를 당기는 자기력이 있고, 위로 탁자가 
용하는 마찰력의 크기는  초일 때는   ,  초일 때는   이
를 미는 힘이 있다. 따라서 탁자가 를 미는 힘의 크기는
다. 따라서  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크기는  초일 때가  초일
 이다.
때의  배이다.
{오답 피하기}
{오답 피하기}
에 작용하는 중력에 대한 반작용은 가 지구를 당기는 힘이다.
ㄷ.  초일 때  ,  의 운동량은  ∙   이므로  의 운동
량의 크기는  ∙    이다.
39. ②
[해설]
35. ③
{정답 맞히기}
[해설]
ㄴ. (나)에서 는 질량이  의  배이므로 마찰력의 크기는 
힘과 운동 응용
이고, 일정한 속력으로 운동하므로 전동기가 물체를 당기는 힘
두 물체가 일정한 속력으로 운동하므로 알짜힘은  이다. 따라서 실
       이다.
이 물체를 당기는 힘의 크기는  이고, 질량이  인 물체에 작 {오답 피하기}
용하는 마찰력은 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  이므로
ㄱ. (가)에서 는 일정한 속력으로 운동하므로 수평면과  사이
   이다. 의 마찰력    이다.
ㄷ. (가)와 (나)에서 는 일정한 속력으로 운동하므로 실이 를
36. ② 당기는 힘은  로 같다.
[해설]
힘의 분석
40. ④
{정답 맞히기}
[해설]
ㄴ. 가  에 작용하는 힘의 반작용은  가 에 작용하는 힘이
{정답 맞히기}
다. 따라서 (가)에서  가 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 이다.
ㄴ. 는 정지해 있으므로 알짜힘은  이다.  는 실이 당기는 힘이
{오답 피하기}
오른쪽으로  , 왼쪽으로   이므로  에 작용하는 마찰력
ㄱ. (가)에서 는 정지해 있으므로     이다.
은 왼쪽으로   이다.
     
ㄷ. (나)에서  , 의 가속도는  이므로  에 작용하는 알짜 
ㄷ.  ,  ,  의 가속도가  이므로    이다.
 
 따라서 운동하는 동안  에 작용하는 마찰력   의 크기는  
힘은   이다. 따라서 (나)에서  가  에 작용하는 힘의 크
 이다.
 {오답 피하기}
기는    이다.
 ㄱ. 가 정지해 있을 때,  가  를 당기는 힘의 크기는   이
고, 가  를 당기는 힘의 크기는  이다. 따라서  가  를
37. ③ 당기는 힘의 크기는  가  를 당기는 힘의 크기보다 크다.
[해설]
힘과 운동 응용
41. ③
{정답 맞히기}
[해설]
ㄱ. 에 작용하는 알짜힘의 크기는   이고, 수평방향으로  의
{정답 맞히기}
힘으로 당기고 있으므로 수평면이 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크

- 7 -
 의 중력 운동한다.
ㄱ.  구간에서  , , 의 가속도    이므로
전체 질량 ㄷ. (나)에서 는 정지해 있으므로 실이 를 당기는 힘의 크기는

   이다. 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와 같다.

ㄴ.  구간에서 에 작용하는 힘은 에 의한 마찰력뿐이므로


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크기     이다. 따라서  와  마무리 문제
사이의 마찰력의 크기는   이다. 1. ②
{오답 피하기} [해설]
ㄷ.  구간에서 물체 와 수평면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크 {정답 맞히기}
기와 실이 를 당기는 힘의 크기는 같으므로 와 수평면 사 ㄴ.  초에서  초까지  ,  는 각각   ,   의 일정한 속
이의 마찰력은   이다. 력으로 운동한다. 따라서  초일 때 속력은  가  의  배이다.
{오답 피하기}
42. ① ㄱ.  초에서  초까지 이동 거리는  가  ,  가  이다. 따라
[해설] 서  초에서  초까지 이동 거리는  가  보다 크다.
{정답 맞히기} ㄷ.  초일 때  ,  는  지점에서 만난다.
ㄱ. 운동하는 물체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수평면이 물체를 미는 힘의
크기에 비례하므로 (가)에서 물체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크기는 2. ⑤
 가  보다 크다.
[해설]
{오답 피하기}
{정답 맞히기}
ㄴ. 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크기는 (가)에서  , (나)에서는 철수가  에서  까지
이동하는 데  초, 영희가  에서  까지
 이동하는 데  초가 걸리므로 영희의 속력은 철수의 속력의  배이
 이다. 따라서 (나)에서가 (가)에서의  배이다.

다. 철수와 영희가  로부터  떨어진 지점에서 스쳐 지나므로
ㄷ.  가  를 당기는 힘의 크기와  가  를 당기는 힘의 크기는
철수는  , 영희는  이동한다. 따라서  와  사이의 거
같다.  가  를 당기는 힘은  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크기와
리는  이다.
같으므로 (가)에서는   , (나)에서는   이므로 (나)에서
가 (가)에서보다 크다.
3. ①
[해설]
43. ⑤
{정답 맞히기}
[해설]
ㄱ. 가속도의 크기는  가  의  배이므로    이다.
{정답 맞히기}
{오답 피하기}

       이고,       이므로 ㄴ.  와 의 속력이 같아질 때  가  보다  앞서 있으므로

     이다. 따라서 두 자동차가 기준선을 통과한 순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이다.
간부터 속력이  로 같아질 때까지 걸린 시간  는  초이다.
ㄷ.    ,    초이므로
44. ④
     
[해설]         이다.
 
{정답 맞히기}

ㄱ. (나)에서  초에서  초까지 가속도가    이므로  는  


이다.
ㄷ. 속도-시간 그래프에서 그래프의 아래 면적이 변위(이동 거리)
이고, 물체가 마찰이 있는 면에서  초에서  초까지 운동하므로
   이다.
{오답 피하기}
ㄴ.  초일 때 마찰이 있는 면에 진입하고, 이때 가속도는
    이다.         이므로 이때 마찰력
4. ⑤
     이다.
[해설]
{정답 맞히기}
45. ①
(가)에서 용수철저울의 눈금값은 실이  , 를 당기는 힘의 크기
[해설]
와 같고, 실이  , 를 당기는 힘의 크기는 각각  이므로
{정답 맞히기}
가  는  이다. (나)에서 용수철저울의 눈금값은 실이 를 당
ㄱ. (나)에서  , 가 정지해 있으므로 질량은  가  보다 크다.
{오답 피하기} 기는 힘의 크기와 같고, 실이 를 당기는 힘의 크기는  이다.
ㄴ. 질량이  가  보다 크므로 (가)에서  , 는 각각 등가속도   
      이므로  나     이다. 따라서
  
- 8 -
가    나      이다.

5. ③
[해설]
{정답 맞히기}
ㄱ.  가  를 당기는 힘은  가  를 당기는 힘과 같은  이다.
 는 등속도 운동하므로 q가  를 당기는 힘의 크기는  이
다. 따라서  가  를 당기는 힘은  가  를 당기는 힘보다 크
다.
ㄴ. 는 등속도 운동하므로 의 질량은  이고,  가  를 당기는
힘의 크기는  이다.
{오답 피하기}
ㄷ.  가  를 당기는 힘의 반작용은  가  를 당기는 힘이다.

6. ⑤
[해설]
{정답 맞히기}
ㄱ. 실이 , 를 당기는 힘을  ,   라고 하면

          이다.    이므로 (가)에서  가


 를 당기는 힘은  가  를 당기는 힘보다 크다.
ㄴ.  ,  ,  의 질량을 각각  ,  ,  , (가)와 (나)에서 물

체의 가속도를  라고 하자. (가)와 (나)에서 가속도가 같으므


     
로      이고,        …
전체 질량 전체 질량
①이다. (가)에서        , (나)에서

        ′ 이다. 실이  를 당기는 힘의 크기는 (나)


에서가 (가)에서의  배이므로            이
고,    … ②이다. ②를 ①에 대입하면    ,
   이다.
 
ㄷ. (가)에서 물체의 가속도     이므로   이다.
 

- 9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