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6

대중가요를 활용한 한국어

연어 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f Korean collocation teaching method
using Korean popular songs

한국외국어대학교 KFL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황경은
대중가요를 활용한 한국어
연어 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f Korean collocation teaching method
using Korean popular songs

지도교수 채 호 석

이 논문을 KFL석사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합니다

2020년 8월 일
한국외국어대학교 KFL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황경은
목 차
1. 서론 ········································································································································1
1.1. 연구 목적 ··························································································································1
1.2. 선행 연구 ··························································································································3
1.2.1 연어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 ····················································································4
1.2.2 대중가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 ··········································6
1.3 연구 방법 ···························································································································9
2. 연어의 정의와 I.S.P. Nation의 어휘 교육 원리 ···················································11
2.1 연어의 정의와 특성 ·······································································································11
2.2 I.S.P. Nation의 어휘 교육 원리와 교육방법 ·························································18
2.2.1 의미 초점 입력 ··········································································································19
2.2.2 의미 초점 출력 ··········································································································20
2.2.3 언어 초점 학습 ··········································································································23
2.2.4 유창성 발달 ················································································································28
3. 연어 교육에 활용하는 대중가요 ·················································································32
3.1 연어 교육 도구로 대중가요를 활용하는 이유 ·························································32
3.2 대중가요 선정기준 ·········································································································41
3.3 선정된 대중가요의 연어 교육 원리 적용 방법 ·······················································48
4. 대중가요를 활용한 연어 교육 방안 제시 ·······························································66
4.1 연어 교육 방안의 수업 모형 ·······················································································66
4.2 존박의 <네 생각>을 활용한 연어 교육 방법 ·························································70
4.3 존박의 <네 생각>를 활용한 연어 교육 방안의 예시 ···········································77
5. 결론 ·····································································································································86
참고문헌 ····································································································································88
부 록 ········································································································································91
ABSTRACT ··························································································································100
<표 차례>
<표 1> 연어에 대한 정의의 정리 ····················································································11
<표 2> 각 연구자 간의 상충하는 연어에 대한 연구 내용 ··········································13
<표 3> 한성우(2018)의 대중가요와 말뭉치에서 ‘사랑’ 빈도수 분석 ·······················34
<표 4> 구어의 특징을 가진 대중가요 ‘산이(San E)의 <아는사람 얘기>’ ·············37
<표 5> 구어의 특징을 가진 대중가요 ‘Homme의 <밥만 잘 먹더라>’ ····················37
<표 6> 구어의 특징을 가진 대중가요 ‘이현의 <가슴이 시린 게>’ ··························38
<표 7> 구어의 특징을 가진 대중가요 ‘아이오아이의 <너무너무너무>’ ··················39
<표 8> 선정된 대중가요와 연어 목록 ··············································································47
<표 9>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를 위한 <내가 노래를 못해도> 가사 6등분 ······55
<표 10>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를 위한 <이 나이 먹도록> 가사 14등분 ··········58
<표 11> OHE 교수 방법론(이종은 2005) ········································································67
<표 12> I.S.P. Nation의 원리와 OHE 교수 방법론을 결합한 수업 모형 ················68
<표 13> ‘-해체’로 정리되는 <네 생각> 전체 가사 ······················································70
<표 14>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를 위한 <네 생각> 가사 14등분 ························72
<표 15> 연어 교육 방안 예시의 개괄적인 내용 ····························································77
<표 16> 존박의 <네 생각>을 활용한 연어 교육 방안의 예시 ··································77

<그림 차례>
<그림 1> 세종 상세전자사전 단순검색기 ········································································15
<그림 2> ‘가슴이 설레다’ 검색 시, 검색 결과 표시 방법 ···········································16
<그림 3> ‘세종 상세전자사전 단순검색기’에서 ‘나다’의 검색 결과 ························27
<그림 4> 비언어적인 특징을 보이는 대중가요 ‘아이오아이의<너무너무너무>’ ····40
<그림 5> 연어 ‘나이를 먹다’의 ‘예문 찾기’ ································································60
1. 서론
1.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대중가요를 활용한 한국어 연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
이다. John Rupert Firth는 최초로 말뭉치 지향적 연어 연구 방법론을 전개한
영국의 언어 학자이다. Firth(1951)의 연구에서 “단어의 의미는 그것과 함께 나
타나는 단어들에 의해 파악된다.”라고 하면서 collocation이라는 술어 자체를 먼
저 사용했다고 한다.1) 즉, 단어의 의미를 알기 위해서는 함께 나타나는 단어인
연어(collocation)를 알아야 파악된다는 의미이다. 연어를 연구한 Michael Lewis
에 의하면 외국어를 배울 때 연어를 알면 복잡한 생각을 쉽게 표현할 수 있고
유창하게 된다고 설명하고 있다.2) 또한 양수영(2008)의 연구에서도 외국인 학습
자의 연어 능력과 한국어 숙달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보
이면서 연어 교육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연어 교
육의 필요성을 느껴 연어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하지만 기존의 외국인들을 위한 한국어 연어 교육에 관한 연구들을 보면 연
어 교육 도구가 한국어 교재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과제 형태나 문제풀이 형
태로 된 것들이 많다. 한국어 교재는 한국어 학습자들에게는 매일 보는 교육 도
1) 임근석,「한국어 연어 연구의 전개와 쟁점에 대하여」,『국어학』,국어학회, 2011, pp. 366-367.
2) Lewis, Michael(2000)에서 연어의 중요성을 9가지로 분석하고 있다. 1. The lexicon is not
arbitrary. (어휘는 자의적이지 않다.) 2. Predictability (예측가능성) 3. The size of the phrasal
mental lexicon (어휘부의 크기가 커진다.) 4. The role of memory. (기억하게 해준다.) 5.
Fluency(유창성) 6. Complex ideas are often expressed lexically.(복잡한 생각을 어휘로 표현
하게 해준다.) 7. Collocation makes thinking easier. (연어는 생각을 쉽게 만들어준다.) 8.
Pronunciation is integral.(발음이 완전하다) 9. Recognising chunks is essential for
acquisition.(덩어리째 인식하는 것은 습득에 필수적이다.) [ Lewis, Michael. Teaching
Collocation – Further Developments in the Lexical Approach. (England:Language
Teaching Publications, 2000), pp. 53-56. ]

- 1 -
구이기 때문에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으로는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나 의
욕을 끌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본다.
해외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한국 드라마와 가요를 중심으로 교육한 사례를 연
구한 김훈태(2013)는 이탈리아 베니스 대학과 태국 쏭클라 대학의 한국어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전공을 선택한 동기’에 대해서 설문조사를 했다. 그
결과 학생들 대부분이 K-Pop, 드라마, 영화 등 한국의 대중문화에 관심을 가지
면서 한국어 전공을 선택하게 됐다고 응답했다고 한다. 한국 대중문화의 인기는
‘한류’라는 이름으로 ‘1990년대 말부터 아시아에서 일기 시작한 한국 대중문화의
열풍’3)이라고 하는데, 요즘은 아시아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도 한류팬이 생기고
그들은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4)고도 한다.
한국의 대중문화 중 대중가요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큰 인기를 누리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어 교육 도구로도 가치가 있다는 것은 TV 프로그램을 통해
서 알 수 있다. 2020년 2월 10일부터 2020년 3월 23일까지 방영한 tvN의 <노랫
말 싸미>라는 예능 프로그램은 ‘케이팝 어학당’이라는 부제를 달고, 외국인들에
게 한국의 대중가요를 이용해서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배우는 취지로 방송되었
다.
대중가요를 활용해서 한국어를 교육할 수 있는 배경으로는 대부분의 대중가
요가 ‘사랑’을 소재로 한 ‘사랑타령’5)이라고 하기 때문이다. 이 ‘사랑’이라는 감정
은 인류 보편적인 감정이라서 외국인 학습자들에게도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소재이다. 그러한 이유로 대중가요를 활용한다면 한국어라는 외국어를 낯
설지 않게 배울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외국인에게
한국어 연어 교육 도구로 대중가요를 활용하고자 한다.
3) doopedia 두산백과, 「한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21901&cid=40942&
categoryId=31614, (2020-05-14 접속).
4) 윤대헌,「미 한류팬, ‘한국어 배우기’ 열풍」,『스포츠경향』, 2012.10.16., http://sports.
khan.co.kr/bizlife/sk_index.html?cat=view&art_id=201210161808123&sec_id=560101&pt=nv
(2020-05-14 접속).
5) 한성우, 『노래의 언어:유행가에서 길어 올린 우리말의 인문학』, 어크로스, 2018, p. 107.
- 2 -
대중가요를 연어 교육 도구로 활용하는 또 다른 이유는 본 연구에서 이용하
는 연어 교육 원리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연어는 연어핵과 연어변의 공기관계에서 모어 화자들의 심리적 현저성을 갖
고 있고, 연어변의 의미가 다의화 되어서 축자적으로 투명하지 않은 ‘반투명’한
의미를 갖는 특징이 있다. 그러한 이유로 연어 교육 방안의 가장 큰 주축은 ‘의
미’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그래서 본 연구는 연어의 특징을 고려해서 I.S.P.
Nation(2008)의 ‘의미 초점 입력’, ‘의미 초점 출력’, ‘언어 초점 학습’, ‘유창성 발
달’이라는 4가지 가닥을 연어 교육의 원리로 사용하고자 한다. I.S.P. Nation은
외국어 어휘에 대한 교수와 학습에 관해 꾸준히 연구 저서를 발간하고 있는 언
어 학자이다. 그의 입장은 Stephen Krashen의 자연적 접근법(Natural
approach)과 Michael Lewis의 어휘적 접근법(Lexical approach)에 연결되어 있
어서, 기존의 외국어 어휘 교육 이론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이론으로 본다.
그리고 이 I.S.P. Nation(2008)의 4가지 가닥의 어휘 교수 이론은 ‘메시지에 초
점을 둔(message-focused)’ 의사소통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핵심이 되는
조건이 있다. 이는 대중가요가 특정 ‘메시지’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 부합하기 때
문에, 대중가요를 활용하는 것은 I.S.P. Nation(2008)의 어휘 교육 원리에 부합
한다고 설명할 수 있겠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연어의 특성을 고려하여 I.S.P. Nation(2008)의 어휘
교육 원리를 적용한 한국어 연어 교육 방안에 대중가요를 활용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1.2. 선행 연구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연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하고, 그 교육 도구로써 대중가요를 활용하고자 한다. 그래서 선행 연구로
기존의 한국어 교육에서 외국인을 위한 연어 교육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그 교

- 3 -
육 방안 원리를 살펴본다. 그리고 대중가요를 도구로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를 한 선행 연구에서는 교육 도구로써 대중가요의 가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1.2.1 연어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
한국어 교육에서 외국인을 위한 연어 교육에 관한 연구는 연어 유형에 따른
연구와 다양한 연어 교육 원리에 따른 연구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선행 연구들
이 연어를 어떠한 원리로 교육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신지영(2008)은 기존의 연구가 ‘체언+용언’형 연어에 치우쳐 연구되고 있는 점
을 지적하면서 ‘부사류+용언’형 연어 교육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연어를 유형별
로 나누면 ‘부사류+용언’형 연어의 수가 ‘체언+용언’형 연어에 비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마음에 쏙 들다’처럼 자연스럽고 좀 더 명확한 의사소통을 위
해서는 ‘부사류+용언’형 연어가 반드시 학습해야 하는 연어 유형임을 설명하였
다. 그 교육 원리로는 Lewis(1993)의 어휘적 접근법(Lexical approach)을 바탕
으로 하면서 교사 중심의 ‘제시-연습-생산(Present-Practice-Produce)’와 학습자
중심의 ‘관찰-가설-실험(Observation-Hypothesis-Experiment)’을 사용 상황의
변인에 따라 선택 적용하였다. 학습 목표로 할 연어 항목을 한국인들이 자주 사
용하는 표현으로 추출하기 위해 드라마, 라디오 프로그램, 토크쇼 등의 자료를
이용한 점이 연어 표현의 실제성을 더해서 좋았다. 그러나 제시한 교육 방안에
서 ‘부사류+용언’형 연어라는 유형에 맞추다 보니 다소 ‘부사’표현에 대한 용법
에 집중된 것으로 보였다.
김지은(2010)은 외국인 학습자들이 연어에 대한 무지로 ‘멍이 들다’라는 표현
을 ‘멍이 났어요’, ‘멍이 있어요’와 같은 어색한 표현을 쓰는 예시를 들면서 연어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리고 연어에 대한 개념과 성립조건을 수립하고,
연어가 특정 분야에 의존적(domain-dependent)인 특성에 맞게 ‘주제 중심’의 교
육을 제안하였다. 그래서 한국어 교재 분석을 통해 어휘 빈도를 기준으로 학습

- 4 -
용 어휘를 선정하여, 주제별로 범주화하고 난이도에 맞춰 등급화하였다. 연어
교수 및 학습의 실제로 ‘도입-제시-연습-활용-사용’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에
적합한 실례를 다양한 등급에서 선정하여 부분적으로 제시하였다. 연어의 의미
관계를 학습하기 위한 활동도 제시되고 연어의 특성과 주제 범주별로 교안을
제안한 것은 적절해 보였다. 그러나 제시된 과제들이 기존의 한국어 교재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학습 유형이라서 학습자들이 새로움을 느끼기에는 어려워
보였다.
이원미(2010)는 어휘접근법을 활용하여 연어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외국인
학습자들의 연어 시험 문항에서 나온 오류를 분석하면서 연어 교육에 대한 중
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학습자들이 드러낸 오류를 ‘체언의 오류’, ‘용언의 오
류’, ‘조사의 오류’로 분류하였는데, 이는 ‘연어’의 특성에 초점을 두지 않은 것으
로 보였다. 그리고 연어에 대한 정의가 학자마다 다양하다는 점이 언급되는 것
은 본 연구에서도 인정하는 부분이지만, ‘연어의 의미가 투명성이 높으며, 연어
가 축자적 의미로 사용된다.’라고 설명하는 것은 본 연구와는 다른 의견이었다.
김민혜(2014)는 ‘체언+용언’형을 중심으로 연어 교육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학습자들이 연어를 학습하여 좀 더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출발한 연구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뜻과 같다. 그리고 제
시된 연어 교육 방안의 예시를 보면 ‘스트레스가 쌓이다’라는 연어를 봤을 때
학습자들이 쉽게 연상하는 ‘쌓이다’의 의미를 ‘돌을 쌓아올린 그림’으로 제시하
면서, 연어가 갖고 있는 ‘반투명한 의미’에 접근해 가는 교육 방안을 제시한 것
이 의미 있어 보였다.
전윤선(2018)은 연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원리로 연상 기억법을 이용하였
다. 제시된 연어 교육 방안 예시를 보면 ‘커피를 뽑다’라는 연어에서 ‘뽑다’라는
글자 중 ‘뽑’의 종성인 ‘ㅂ’에 커피컵을 연상시키는 그림을 이용한 것이 흥미로
워 보였다. 그러나 ‘관심을 보이다’라는 연어에서는 청각적 연상을 이용하여 ‘남
자아이가 여자아이에게 뽀뽀하는 사진’을 사용하면서, ‘boy가 여자아이에게 관

- 5 -
심을 boy다.’라고 연상법을 활용한 제시가 있었다. 제시된 연어 교육법이 연상
을 이용 하였다는 점에서 흥미로워 보였으나, 연어의 축자적인 형태를 연상하기
에만 좋아 보였다. 다시 말해 의미적인 측면에서는 오역의 소지가 있어 보였다.
앞서 언급한 ‘관심을 보이다’를 교육할 때, 남자아이가 여자아이에게 뽀뽀하는
사진을 사용하고 있어서 학습자에게는 ‘관심을 보이다’의 의미를 ‘뽀뽀하다’라고
오역할 수 있는 소지가 있어 보였다. 연상이라는 추상적인 정신활동이 학습자의
개인적인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다소 오역의 소지가 있어 보였다.
위에서 살펴본 선행 연구를 통해 자연스럽고 유창한 한국어 능력을 위해 연
어 교육의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연어 교육의 원리는 연어의
특성에 맞춰 교육해야 학습자들이 그 의미를 올바르게 습득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I.S.P. Nation(2008)의 어휘 교육 원리의 4가지 가
닥인 ‘의미 초점 입력’, ‘의미 초점 출력’, ‘언어 초점 학습’, ‘유창성 발달’을 이용
하여 연어 교육을 하면 ‘반투명한’ 연어의 의미에 초점을 맞춰 올바른 이해를
도울 수 있다고 보아 이를 적용하고자 한다.

1.2.2 대중가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


본 연구에서는 연어 교육의 도구로 대중가요를 활용하고자 한다. 그 이유는
연어 교육 원리에 적용할 수 있게 각 노래가 ‘메시지’를 갖고 있다는 점과 ‘사
랑’을 소재로 한 노래가 많아서 외국인 학습자들에게도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이 있기 때문이다. 본 절에서는 기존의 한국어 교육에서 대중가요를
활용한 연구들을 살펴보면서, 대중가요의 활용 가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변혜원(2007)은 노래를 활용하여 한국어 수업을 구성한다면 어떠한 모형으로
나타낼 수 있는지 그 수업 모형을 연구하였다. 노래를 활용하여 언어 교육을 하
면 좌뇌와 우뇌를 동시에 발달시킬 수 있다는 점을 장점으로 제시하였고, 노래
의 특성상 반복이 많고 멜로디가 있어 지루하지 않다는 특성이 있어서 장기기

- 6 -
억에 도움이 된다는 점으로 ‘SSIMH현상(the Song Stuck In My Head
phenomenon)’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교육에서 노래를 활용하고 있는 그
현황을 한국어 교수에 임하고 있는 교사 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은 노래를 활용하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 동기를 형
성한다는 데에 뜻을 같이하고 있었고, 교재의 내용과 연계되는 노래를 사용해야
학습자들에게 유의미한 교재가 될 것이라는 의견을 내고 있었다. 이 연구를 통
해 한국어 교육에 노래를 활용하는 것은 학습자의 동기 유발과 장기기억 등의
학습 효과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고, 학습의 내용과 동떨어지지 않은 노래로
선정하는 데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박재희(2008)는 노래를 통한 한국어 교육 방안을 연구하였다. 기존의 교사 중
심의 방식에서 벗어나기 위해 동아리라는 형태로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되도록
한 것이 큰 특징이다. 그리고 노래를 한국어의 교육 도구로 활용하는 다양한 장
점을 이론적 배경에서 설명하였다. 노래 활용의 효과로 여섯 가지 장점을 나열
하였는데, 그 중 ‘한국어 사용을 유창하게 향상 시킨다’는 효과가 언어 학습에
어떻게 이어지는지 세부 설명되어 있어서 이를 요약하여 언급하고자 한다. 첫
째, 노래 가사는 의미가 내재 된 표현이 많아서 한국어 의미에 주의 집중해서
가르칠 수 있다고 하였고, 둘째, 실제 한국인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배울 수 있
어서 실제성이 있다고 하였다. 셋째, 노래 가사에는 문어체보다 구어체 표현이
많아서 의사소통을 잘하게 된다고 하였고, 넷째, 노래 가사에 표현된 어휘를 덩
어리 단위로 익힐 수 있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노래 가사는 반복적인 요소가
있어서 학습한 내용을 수시로 반복하기에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 대중가요를 활용하는 것이 한국어 학습에 효과적이고 그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김가람(2015)은 K-Pop을 활용해서 한국어의 연음 발음을 교육하는 방법을 연
구하였다. 이 연구에서 한국어 연음 교육을 위한 도구로 K-Pop을 활용하는 이
유로 학습에 효과가 있다는 점을 설명하고 있다. 그 학습 효과로 한국의 가수

- 7 -
오디션 프로그램에 참여한 외국인 참가자들이 오디션 기간 동안 노래를 부르면
서 한국어 발음이 상당 수준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는 것을 배경으로 해서 연음
발음 교육을 위한 도구로 삼았다는 설명을 했다. 이는 한국어 교육 도구로
K-Pop은 효과가 있었다는 설명이었다. 그 외에 대중가요를 통해 언어도 배우
고 문화도 배우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하였고,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학습할 때
가요라는 요소가 학습자 부담을 감소시켜 준다는 설명도 하였다. 그리고 노래의
특성상 반복이 많아서 학습을 자연스럽게 반복하게 한다는 설명까지 덧붙여 있
었다. 이를 통해 대중가요의 학습 효과가 여러 가지 방면에서 효과가 있다는 점
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김나경(2018)은 가요를 활용하여 한국어 구어 담화 능력을 향상 시키기 위한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는 연구를 하였다. 한국어 구어 담화 능력을 향상 시키기
위해 가요를 활용할 때의 효과를 여섯 가지로 나열하였는데,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가요를 통해 자연스러운 구어체를 접할 수 있고, 둘째, 가요
를 이용하면 학습자가 감정이입을 하도록 돕는다고 설명하였다. 셋째, 가요를
활용한 수업은 학습자에게 심리적 부담감을 감소시키고, 넷째, 반복되는 가사를
통해 학습을 장기기억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다섯째, 학습과 관련한 가요를
배우게 되면 학습자의 언어 능력을 향상 시키고, 여섯째, 가요를 활용하여 발음
수업을 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이 연구와 위 선행 연구를 통해 대중가요의
학습적인 효과는 학습자 부담을 낮춰준다는 것과 반복을 통한 장기기억에 효과
가 있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발견할 수 있었다.
위에서 살펴본 선행 연구를 통해 대중가요를 한국어 교육의 도구로 활용할
때는 학습 목표에 적절하게 선정해야 학습 효과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
리고 대중가요를 교육 도구로 활용하면 학습자들의 흥미 유발과 학습자 부담을
감소시키는 등 학습에 대한 심미적인 장점이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특
히 박재희(2008)의 연구는 대중가요 가사에는 한국인들이 실제 사용하는 언어가
담겨 있다는 점과 가사에 내재 된 표현을 통해 의미를 중심으로 수업할 수 있

- 8 -
다는 효과를 설명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가 대중가요를 활용하는 바탕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도와주는 연구라고 보았다.

1.3 연구 방법
본 연구는 대중가요를 활용하여 한국어 연어를 교육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어 연어는 연어핵과 연어변이 서로를 제한적으로
선택하여 함께 출현하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 외국인 학습자에게는 설명하기 어
려운 한국어 모어 화자들의 심리적 현저성이 담겨있다는 점이 교육하기에 매우
까다로운 점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들이 공감하면서 향유하는 대중
가요를 활용하여 연어를 교육하면 효과적일 것이라는 생각에서부터 시작하였다.
특히 대중가요는 ‘사랑’을 소재로 한 노래가 많아서 외국인 학습자들이 공감하
기에도 어려움이 없고, 이를 바탕으로 가사를 이해해 나가면서 노래에 담긴 연
어를 학습하면 ‘의미’에 초점을 맞춰서 학습하게 된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본 연
구를 구성하고자 한다.
위의 선행 연구를 통해서 연어 교육 방안의 원리와 대중가요의 한국어 교육
도구로서의 가치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대중가요에 담긴 ‘메시지’를 이용하
여, I.S.P. Nation(2008)의 어휘 교육 이론인 ‘의미 초점 입력’, ‘의미 초점 출력’,
‘언어 초점 학습’, ‘유창성 발달’이라는 4가지 가닥을 원리와 OHE(Observation-
Hypothesis-Experiment) 교수 방법론을 결합한 틀에 구체적인 연어 교육 교안
의 예시를 제시할 것이다.
2장에서는 한국어 연어에 대한 정의와 특성을 알아보고, 연어 교육 방안의 원
리로 I.S.P. Nation(2008)의 어휘 교육 원리와 교육방법을 설명하겠다. 한국어
연어에 대한 정의는 연구자마다 다양하게 내리고 있어서 그 연구들의 상이한
내용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해소로 국립국어원(2004)의 연구자료인「21세기 세
종계획 전자사전 개발」의 연어 분과 연구로 임홍빈과 임근석(2004)의「21세기

- 9 -
세종계획 전자사전구축분과 연어 사전의 정보구조와 기술내용」의 내용을 기준
으로 연어의 정의와 특성을 따르기로 하겠다. 그리고 연어의 특성에 맞는 교육
방안의 원리로 I.S.P. Nation(2008)의 ‘의미 초점 입력’, ‘의미 초점 출력’, ‘언어
초점 학습’, ‘유창성 발달’의 원리 개념을 설명하고 그 교육방법도 소개하겠다.
3장에서는 대중가요를 연어 교육 방안의 도구로 사용하는 그 필요성을 설명
한다. 그리고 연어 교육 방안 원리에 적합한 대중가요 선정기준을 정하고, 최종
선정된 대중가요를 I.S.P. Nation(2008) 어휘 교육 원리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
는지를 설명하겠다.
4장에서는 대중가요를 도구로 한 연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에 앞서, 해당 교
육 방안에 적합한 교수모형으로 OHE(Observation-Hypothesis-Experiment) 교
수 방법론을 선택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4.2절에서는 선정된 가요 중 하나인 존
박의 <네 생각>을 활용한 구체적인 연어 교육 방법을 설명하겠다. 마지막으로
4.3절에서 I.S.P. Nation(2008)의 4가닥의 원리와 OHE(Observation-Hypothesis-
Experiment) 모형을 결합한 틀에 존박의<네 생각>을 활용한 구체적인 연어 교
육 방안의 예시를 제시하고자 한다.
5장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 내용을 요약하고 본 연구가 가지는 시사점과 후
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 10 -
2. 연어의 정의와 I.S.P. Nation의 어휘 교육 원리
본 장에서는 연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에 앞서 연어에 대한 정의와 특성을
고찰한다. 그리고 연어 교육을 할 때 사용할 교육 방안 원리로 I.S.P.
Nation(2008)의 어휘 교육 원리의 내용과 교육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2.1 연어의 정의와 특성


국내에서 이루어진 연어 연구는 순수언어학적인 연구와 응용언어학적인 연구
로 나뉘어서 볼 수 있는데, 임근석(2006)에 따르면 국내 연어 연구는 199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국내의 연어 연구는 국외의 연
구에 먼저 의존할 수 밖에 없었는데, 인구어인 서양의 언어와 교착어인 한국어
와의 유형론적인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답습한 것들이 많았다고 한다. 그러한
이유와 연어의 위치가 관용표현과 자유 결합의 중간지점에 있다는 의견이 대다
수여서 현재 한국어 연어에 대한 정의가 명시적으로 내려져 있다고 보기 어렵
다. 그래서 선행 연구들이 연어의 개념을 어떻게 다르게 정의 내리고 있는지 살
펴보도록 하겠다. 국어학계의 선행 연구로는 이희자(1994), 김진해(2000), 임홍빈
(2002), 임근석(2006)의 연구를 살펴보았고, 한국어 학계의 선행 연구로는 문금
현(2002), 한송화․강현화(2004), 김지은(2010), 여숙연(2019)의 연구를 살펴보았
다. 이들의 연구한 내용에서 연어의 정의를 정리하면 다음의 표와 같다.
<표 1> 연어에 대한 정의의 정리
연구자 연어에 대한 정의
연어는 숙어와 함께 관용구의 하위 개념으로 분
1. 이희자(1994) 류된다. 그리고 연어는 다시 ‘의미적 연어’, ‘통사적
연어’, ‘형태적 연어’로 나뉘어서 정의되고 있다. 먼

- 11 -
저 ‘의미적 연어’는 “구성 요소들의 합이 일정한
뜻을 전달하기는 하나, 요소들이 전의에 기초하여
습관적으로 굳어져 쓰이는 것들”이라고 정의되고
있다. 그리고 ‘통사적 연어’는 “관용적인 어절의 결
합이 통사적인 요인에 인한 선택 제약 관계에 있
는 말들”이며, ‘형태적 연어’는 “통사나 의미 현상
이 아닌 고정된 어휘꼴이나 혹은 극히 제한된 활
용꼴로 나타나는 어휘론적인 현상으로 설명되는
어절들의 관계”라고 정의되고 있다.
연어를 크게 ‘광의의 연어’와 ‘협의의 연어’로 나
누어 설명하는데, ‘광의의 연어’는 단순한 공기 관
2. 김진해(2000) 계에 있는 말들을 일컫고, ‘협의의 연어’는 “특정
어휘가 다른 어휘를 요구하면서 제한적 공기 관계
를 맺는 것”으로 정의하면서, 이 ‘협의의 연어’를
해당 연구에서 ‘연어’로 본다고 설명하였다.
“연어는 둘 이상의 단어가 축자의미를 유지하면
3. 문금현(2002) 서 긴밀한 결합 관계를 형성하는 어군으로 출현
빈도가 높고 심리적인 현저성이 높다.”
연어를 판별해 가는 과정에서 연어에 대한 기준
4. 임홍빈(2002) 을 설정한 것이 연어에 대한 정의로 설명되고 있
다. 이를 간추리면 ‘연어핵과 연어변이 일정한 의
미 단위로 행동한다’고 요약할 수 있다.
“함께 나타나는 단어들의 결합 혹은 통계적으로
일정한 수준 이상으로 함께 나타날 가능성이 더욱
많은 어휘들의 결합으로서, 말뭉치상에서 높은 빈
5. 한송화․강현화(2004) 도로 결합하는 구 뿐만 아니라, 모어 화자가 특별
한 결합이라고 생각지 않더라고 학습자가 오류를
양산해 내거나 스스로 텍스트에서 유용한 연어라
고 선택하는 것들도 그 대상이 된다.”
“연어는 어휘 요소 상호간 또는 어휘요소와 문
6. 임근석(2006) 법요소 간의 긴밀한 통사적 결합 구성으로, 선택
의 주체(연어핵)가 되는 어휘요소가 선택의 대상
- 12 -
이 되는 어휘 요소나 문법 요소(연어변)를 제약적
으로 선택한 구성이다.”
“연어핵에 의해 연어변이 다의화 하였거나 연어
7. 김지은(2010) 핵과 연어변의 결합이 아주 제한적이어서 하나의
의미단위로 인식 가능한 언어 형식”
“연어란 구성 요소들이 서로 제한적인 결합관계
8. 여숙연(2019) 를 가지고 구성 요소의 대치가 자유롭지 않은 덩
어리 표현이다.”
그리고 각 연구자 간의 상충하는 연구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다.
<표 2> 각 연구자 간의 상충하는 연어에 대한 연구 내용
연어의 종류 각 연구자 간의 상충하는 연어 연구 내용
이희자(1995)에서는 ‘~바람에’를 통사적 현상이 아닌 ‘고
정된 어휘꼴’인 ‘형태적 연어’로 구분하고 있는데 반해, 김진
‘~바람에’ 해(2000)에서는 ‘~바람에’ 앞에 관형형 어미 ‘-는’만 올 수
있어서 선행절에 대한 일정한 제약 조건이 따르는 ‘형태․통
사론적 단위’라고 꼬집고 있다.
이희자(1995)에서는 ‘의미적 연어’로 구분하고 있으나, 문금
‘속이 없다’ 현(2000)에서는 ‘상용구절’로 구분하고 있다.
김진해(2000)에서는 ‘단위명사에 의한 연어’로 보면서 ‘개비’
‘담배’와 ‘개비’ 가 ‘담배’를 선택한다고 보고 있으나, 임근석(2006)에서는 ‘담
배’가 연어핵이 되어 ‘개비’를 선택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렇게 기존의 연구들에서 연어에 대한 정의를 다양하게 내리고 있고, 그 연
구 내용에서도 많은 차이점을 보이는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 이에 대한 해소로,
본 연구에서는 공식성 있게 국립국어원에서 개발한 세종전자사전의 연어 사전
에 대한 연구 내용을 따르기로 한다. 그 연구는 임홍빈과 임근석이 연구한 것으
- 13 -
로(2004) 「21세기 세종계획 전자사전구축분과 연어사전의 정보구조와 기술내
용」에서 밝히는 연어의 정의와 연어 판별 기준을 연어의 특성으로 적용하기로
하겠다. 이 연구에서는 연어란, “둘 또는 그 이상의 어휘소들 사이에 전형적으
로 결합 되는 공기 관계가 성립할 때 이들 어휘소의 연쇄를 가리키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연어사전을 개발할 때 적용한 연어 판별 기
준을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1) 일차 기준: 의미의 투명성
두 어휘소 A와 B가 결합했을 때, A의 의미를 A 라 하고 B의 의미를 B 라고 하면,
´ ´

A+B의 의미가 A +B 이면 자유 결합이고, A +B˝ 또는 A˝+B 이면 연어이고, C′이면


´ ´ ´ ´

관용표현이다. 즉, 관용표현은 구성 요소의 의미와는 무관한 새로운 의미를 지 서 의미 녀

상 투명하고, 연어는 연어핵의 의미는 투명하고 연어변의 의미는 투명할 수도 있고


어느 정도 투명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 자유 결합은 의미가 완전히 투명하다.


(2) 보조 기준 1: 공기성
두 어휘소의 결합이 의미상 투명하더라도, 두 요소가 빈 히 결합 되어 사용 으로써
번 됨

이 결합이 화자들의 의식에 심리적 현저성을 것으로 인정되면, 연어적인 성격을 가


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보조 기준 2: 역의 가능성
번 불

두 어휘소의 결합이 의미상 투명하더라도, 다른 언어(주로 영어 표현을 가리 )로 킴 번

역할 때 단어 대 단어(word-to-word)의 역이 가능하여 단어 결합 전체에 대한 대


번 불

역어를 제시할 수 밖에 없는 경우, 연어적 성격을 가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판별 기준을 본 연구에서는 연어의 특징으로 선택하여 따르기로 한다. 이


내용을 정리하면 연어는 연어변의 의미가 반투명하고, 연어핵과 연어변의
① ②

결합이 심리적 현저성을 며, 다른 단어로 역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띄 ③ 번 불

있다고 요약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세종 전자사전에서 연어를 전산 처리하는 과정을 좀 더 주의해야

- 14 -
하는데, 그 이유는 기초적인 전산처리 과정이 외국의 연구를 적용하였기 때문이
다. 연어를 전산 처리하는 과정에서 Mel uk (1996)의 어휘함수(lexical

function)6)를 도입해 계산하고 있는데, 이 어휘함수는 한국어의 특성을 오 이 롯

적용시킬 수는 없었다. 그래서 한국어 특유의 연어 표현인 ‘가야금을 다’ 또는 뜯

‘ 살맞게 다’ 등과 같은 표현들을 추가적으로 었다고 한다. 그 외에도 ‘마


곰 굴 넣

음에 리다, 자동차를 다’ 등 약 삼 개 정도가 어휘함수로 상정하기 어려


걸 몰 천

워, 60여 개의 의미 유형을 사용하여 이를 보충하고 있다고 한다. 이를 통해


세종 전자사전에서도 한국어의 모 연어를 포함하고 있지는 않다는 점에 유의


해야 한다. 다음은 세종 전자사전인 ‘세종 상세전자사전 단순검색기’의 모습이


다.
<그림 1> 세종 상세전자사전 단순검색기

6) Mel uk (1996)의 어휘함수(lexical function)는 하나의 어휘소가 특정한 의미 관계로 다른 어


휘소와 결합 할 때, 그 결합이 자동적으로 결정되는 두 어휘소 간의 결합관계를 표상하기 위


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키워드 명사가 가리키는 대상의 상태가 나 ’이라는 의미 관계를
빠짐

‘가세( )’에 적용하면 ‘가세가 기울다’가 되고, 그 결합 관계는 ‘Degrad(가세)=기울다’와 같은


家勢

어휘함수로 표상되는 것이다. [ 임홍빈, 임근석(2004),「21세기 세종계획 전자사전구축분과 연


어사전의 정보구조와 기술내용」,『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사전학회, p.
159. ]
- 15 -
본 연구에서는 ‘세종 상세전자사전 단순검색기’를 이용하여 대중가요 가사 속
에 있는 연어를 검색할 것이다. 시범적으로 대중가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표현
인 ‘가슴이 설레다’를 검색해 보았다. 이 사전의 장점은 검색할 때 ‘ 사’에서 품

‘연어’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고, ‘표제어’라고 되어있는 에 검색할


연어를 적어 으면 검색할 수 있다. ‘가슴이 설레다’의 검색 결과를 보면 다음


의 그림과 같다.
<그림 2> ‘가슴이 설레다’ 검색 시, 검색 결과 표시 방법

검색 결과를 보면 ‘가슴이 설레다’의 ‘연어핵’과 ‘연어변’의 정보와 ‘변이형’ 정


보, ‘영어 대역어’ 정보, 그리고 ‘의미 부류’에 대한 정보까지 다양한 분석들이
표시된다.
이 세종 전자사전을 통해 대중가요의 가사 속의 연어를 검색하는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사전에서 연어 처리 과정에서 사용한 ‘어휘함수(lexical
function)’로는 다 상정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있었다고 했다. 그래서 한국어의
연어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또한 ‘어휘함수(lexical
function)’로 연어 관계를 처리할 때, 어휘소 간의 결합 관계를 ‘자동적’으로 인
지하기 때문에, 일부 공기성이 높은 자유 결합도 연어로 발견될 수 있음을 예상

- 16 -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기존의 연구에서도 살펴 보았 이 연어의 개념이 관용

표현과 자유 결합 사이의 연속변차선상에 여있는 특징으로 말미 아 정확하


놓 암

게 해소할 수 없는 부분임을 감안 하여야 하겠다.


하지만 세종 전자사전에서 연어를 분류하는 기준에 있어서 기존의 연구자들
의 연구 내용과 일치하는 부분이 있다. 김지은(2010)에서 ‘연어변이 다의화 하였
다’고 설명하고 있는 부분이 있는데, 이는 세종 전자사전에서 연어 판별 기준에
서 설명한 ‘연어변의 의미는 투명할 수도 있고 어느 정도 투명할 수도 있다.’

는 설명과 일치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김진해(2000)에서 연어는 모국어 화자들


이 그 어휘소들의 연결 관계를 쉽게 연상할 수 있는 ‘심리적 현저성’이 있다고
설명하고 있고, 문금현(2002)도 연어가 ‘심리적 현저성이 높다’라고 설명하고 있
다. 이는 위의 세종 전자사전에서 연어 판별의 보조 기준에서 ‘이 결합이 화자
들의 의식에 심리적 현저성을 것으로 인정되면, 연어적인 성격을 가지는 것

으로 볼 수 있다.’라고 설명한 것과 일치하는 내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종 상세전자사전 단순검색기’에서 검색되는 연어를
본 연구에서 인정하는 ‘연어’로 따르기로 한다.

- 17 -
2.2 I.S.P. Nation의 어휘 교육 원리와 교육방법
본 절에서는 본 연구에서 적용할 연어 교육 방안의 원리로 I.S.P.
Nation(2008)의 어휘 교육 원리와 그 교육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I.S.P.
Nation은 외국어로서 어휘를 학습할 때 어떠한 원리로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오고 있는 연구자 중 한 명이다. 그의 어휘 교육 원리를
본 연구에서 연어 교육 원리로 적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그는 연어를 다단어(Multi- ord nits)항목 중에 하나로 포함하여 구분하고
W U

있고7), 그 다단어 항목 학습 원리로 ‘의미 초점 입력’, ‘의미 초점 출력’, ‘언어


초점 학습’, ‘유창성 발달’이라는 4가지 가닥으로 교수 및 학습 원리를 연구하여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연어 교육의 도구로 대중가요를 활용할
것이다. 그 이유는 각 노래에는 ‘이야기’가 있다8)는 점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그
‘이야기’에 담긴 내용과 의미를 활용하면, 그 노래 속에 있는 연어에 접근할 때
‘의미’에 초점을 둘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렇게 노래 속 연어의 ‘의미’
에 초점을 둔 교수 방법으로 진행하면, 다의화 된 연어변의 의미에 접근할 수
있고 또한 I.S.P. Nation(2008)의 어휘 교육 원리의 핵심 조건인 ‘메시지에 초점
을 두는 것’에 적용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I.S.P. Nation(2008)의 어
휘 교육 원리가 대중가요를 활용한 연어 교육 방안에 적합하다고 보아 이를 적
용하고자 한다. 본 절에서 설명할 I.S.P. Nation의 어휘 교육 원리는 그의 저서
중 2008년도의 저서와 2018년에 한국어로 역된 저서의 원본인 2013년도의 연 번

구 내용을 바탕으로 ‘의미 초점 입력’, ‘의미 초점 출력’, ‘언어 초점 학습’, ‘유창

7) Nation, I.S.P.(2008)에서 “There are many different kinds of multi-word units and lots of
names for them – idioms, collocations, lexical bundles, formulaic items.(다단어 항목에는 다
양한 종류와 그것들을 부르는 많은 이름이 있다._관용어, 연어, 어휘 음, 공식 항목)”라고 설 묶

명하고 있다. [ Nation, I.S.P. Teaching vocabulary:strategies and techniques. (Boston:


Heinle, 2008), p. 117. ]
8) 김태희, 『대중가요 작사』, 커 니케이션 스, 2015, pp. 12-19.
뮤 북

- 18 -
성 발달’의 내용을 알아보고, 그 원리를 활용한 교육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2.2.1 의미 초점 입력
의미 초점 입력은 제목에서 알 수 있다시피 연어라는 어휘의 ‘의미’에 초점을
맞 입력을 하는 방법으로 기와 읽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원리이다. 이 입력
춘 듣

하는 과정에서 효과적인 ‘ 기’와 ‘읽기’ 수업이 되려면 갖추어야 할 조건이 있


다. 그 조건9)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입력되는 교육 자료의 어휘는 ‘메시지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② 입력되는 자료는 학습자가 흥미로워해야 한다.
③ 입력되는 어휘의 98 를 학습자가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

④ 2 의 미지어를 문 에서 추론할 수 있어야 한다.


% 맥

⑤ 학습 대상이 될 미지어는 반복 출현을 해야 한다.


입력되는 어휘 자료가 ‘메시지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조건은 ‘의미 초점 입
력’이라는 제목과 개연성이 있는 조건이다. 입력 자료에 담긴 메시지가 명확해
야 그 메시지를 활용하여 어휘의 의미에 접근해 수 있기 때문이다. 두 째 갈 번

조건으로 학습자가 흥미로워하는 자료가 제시되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본 연


구의 서론에서 미국의 한류팬들이 K-pop에 관심을 가지면서 한국어 학습을 하
게 됐다는 내용을 다루면서 본 연구의 교육 도구로 ‘대중가요’를 선정한 이유를
밝 다. 론 외국인 학습자 모두가 ‘K-Pop 팬’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대다수
혔 물

의 학습자들이 ‘K-pop’에 대해서는 알고 있을 만하다. 그러한 점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활용할 ‘대중가요’는 학습자들에게 흥미로운 자료가 된다고 볼 수 있
다. 세 째 조건으로 입력되는 어휘의 98 를 알고 있어야 한다는 조건과 네
번 %

번째 조건으로 2 의 미지어가 나와야 한다고 제시되고 있다. 이는 다시 말해


%

학습자가 98 의 어휘를 이용하여 2 의 미지어의 의미를 추론할 수 있어야 한


% %

9) Nation, I.S.P. Teaching vocabulary:strategies and techniques. (Boston: Heinle, 2008), p. 22.
- 19 -
다는 말이다. 마지막 조건으로 미지어가 ‘반복 출현’을 해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
다. 입력에서 ‘충분한 반복’을 해야 우연적 학습을 강화할 수 있고, 어휘에 대한
‘수용적 지식’을 형성할 수 있다.10) 이 ‘입력’ 과정에서 어휘 의미 학습의 효과를
높이는 방법이 ebb과 Chang(2013)의 연구에서(I.S.P. Nation에서 재인용,
W

2013/2018) 제시되고 있는데,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어 지식을 가지고 입력할


때 ‘ 기’와 ‘읽기’를 동시에 하면 우연적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설명하

고 있다. 이 ‘ 기’와 ‘읽기’를 동시에 하는 방법은 본 연구에서 제시할 예시 교


안에서 구성할 교육방법에 적용할 부분이다.

2.2.2 의미 초점 출력
‘의미 초점 출력’은 학습자의 어휘 지식을 ‘말하기’와 ‘쓰기’를 통해 교육하는
방법이다.11) 하지만 보통의 학습자들은 이해 어휘보다 표현 어휘의 양이 적기
때문에, 어휘에 대한 수용적 지식을 사용하는 방법을 잘 모른다는 전제가 있다.
그래서 교사는 학습자들이 알고 있는 어휘 지식을 더 발전시킬 수 있도록 만드
는 활동에 더 집중해야 하고, 학습자가 갖고 있는 어휘 지식을 사용하도록 더
압 박해야 하는 것이 ‘의미 초점 출력’ 단계에서 교사가 해야 하는 역할이다.12)
‘의미 초점 출력’에서도 ‘메시지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과 ‘98 의 어휘를 %

알고 있어야 한다’는 조건은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다.13)


10) Stuart ebb & Paul Naion. How vocabulary is learned. (Oxford: Oxford niversity Press,
W U

2017), p. 180.
11) Nation, I.S.P. Teaching vocabulary:strategies and techniques. (Boston: Heinle, 2008), p. 2.
12) Nation, I.S.P. Teaching vocabulary:strategies and techniques. (Boston: Heinle, 2008), pp.
44-45.
13) Nation, I.S.P. Teaching vocabulary:strategies and techniques (Boston: Heinle, 2008), p. 130
에서 ‘meaning-focused input (의미 초점 입력)’, ‘meaning-focused output (의미 초점 출력)’,
‘Language-focused learning (언어 초점 학습)’, ‘ Fluency development(유창성 발달)’의 조건을
다음의 표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 20 -
교육방법으로는 ‘의미 초점 출력’과 ‘의미 초점 입력’ 함께 연계하여 적용한
교육방법이 있다.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와 ‘말하기, 기, 그리고 쓰기’로 2가 듣

지 방법이 있는데, 이렇게 ‘입력’과 ‘출력’을 연계한 학습을 진행하는 데에는 읽


기, 기, 말하기, 쓰기가 원활하게 기능하게 된다는 의미가 있다. 이에 대해서

Dobao(2014)의 연구를 활용하여(Stuart ebb & Paul Nation에서 재인용,


W

2017) 설명하면 ‘입력’과 ‘출력’이 연계되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그는 소 모의 그 으로 대화를 하면,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한 학습
규 룹

자의 출력(output)이 다른 학습자에게는 입력(input)이 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래서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와 ‘말하기, 기, 그리고 쓰기’ 활동을 하면 ‘입

력’과 ‘출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각 활동을 하는 교육방


[Table 8.2 STRANDS, CONDITIONS AND ACTIVITIES FOR DEALIN ITH ACADEMIC
G W

VOCAB LAR ]
U Y

Strand Conditions Activities


Meaning-focused 98 %

vocabulary
coverage of Reading academic texts
Reading newspapers
input Message focus Listening to formal lectures
Learning A L words and phrases
W

80 +
Language-focused vocabulary
% coverage of on cards
learning Learning word parts
Deliberate attention Learning vocabulary through
intensive reading
98 coverage iving prepared formal talks
G

Meaning-focused Message focus


%
Speaking about what has been
output ritten input read
W
Doing academic writing
Reading easy academic texts
Fluency 100 % coverage Doing repeated reading of
development Easy material newspapers and academic texts
Speed Writing based on academic reading
iving well prepared talks
G

- 21 -
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14)
이 활동은 학습자 개인별로 하기에 적합한 활동으로, 각 학습자가 ‘읽기’를 통
해 배출한 생각으로 ‘토론’을 하고 ‘글쓰기’까지 이어지는 활동이다. 활동 방법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15)
① 각 학습자들은 한 가지 주제에 대해 다른 내용이 쓰여진 글을 는다. 받

② 각 학습자들은 그 주제에 대한 다른 의견을 가지고 ‘토론’을 한다.


③ 그 ‘토론’ 과정을 통해 나온 의견을 정리하여 ‘글쓰기’를 개인별로 한다.
이 활동은 ‘읽기’를 통해 ‘의미 초점 입력’이 된 것을 바로 ‘토의(말하기)’와
‘글쓰기’로 이어지게 해서 ‘의미 초점 출력’까지 할 수 있는 연계 활동으로 매우
효 적인 학습 방법이다.

(2) 말하기, 기, 그리고 쓰기16)


이 활동은 ‘말하기’, ‘ 기’, 그리고 ‘쓰기’ 활동을 연계해서 할 수 있는 활동으


로, 위 활동과 마 가지로 ‘의미 초점 입력’과 ‘의미 초점 출력’을 이어서 할 수


있는 유용한 학습 방법이다.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와 다른 점은 ‘말하기, 듣

기, 그리고 쓰기’는 개인별이 아닌 그 별로 하기에 좋은 활동이다. 이 활동을 룹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17)


① 교사가 모 그 에 특정 주제를 준다.
든 룹

② 각 그 은 그 주제에 대한 레인스토 을 함께 해 나간다. 이 과정에서


룹 브 밍

자연스럽게 학습자들은 ‘말하기’ 활동을 하게 되고, 그 레인스토 활동을 통 브 밍

14) Nation, I.S.P. (2008)에서는 ‘Read, discuss, and write’라고 영문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본고에
서 한국어로 역하였음. 번
15) Nation, I.S.P. Teaching vocabulary:strategies and techniques. (Boston: Heinle, 2008), p. 91.
16) Nation, I.S.P. (2008)에서는 ‘Speak, listen, and write’라고 영문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본고에
서 한국어로 역하였음. 번
17) Nation, I.S.P. Teaching vocabulary:strategies and techniques. (Boston: Heinle, 2008), p. 92.
- 22 -
해 나온 다양한 생각을 목록으로 ‘ 다’. 쓴

③ 각 그 은 다른 그 들과 작성한 목록을 공유하는데, 이때 한 그 에 있는


룹 룹 룹

사람이 다른 그 으로 가서 자신의 그 의 목록을 ‘말한다.’


룹 룹

④ 이때 그 다른 그 의 사람들은 그 사람의 이야기를 ‘ 고’, 자신들의 목록


룹 듣

을 ‘수정’하면서 ‘다시 쓰게’ 된다.


⑤ 이 과정에서 같은 그 에서 온 사람이 2명 이상 치면 안 된다는 점에
룹 겹

유의해야 한다. 이렇게 각 그 의 목록이 함께 공유되고, 최종적인 목록이 생


룹 탄

하게 된다.
이 활동은 학습자들이 소 모로 ‘말하기’를 하고, 그 출력을 입력 아 ‘ 기’
규 받 듣

로 이어진다. 그리고 이를 다시 ‘쓰기’로 출력하는 방식으로 ‘입력’과 ‘출력’이 순


환되게 된다.

2.2.3 언어 초점 학습
언어 초점 학습은 말 그대로 ‘어휘’ 그 자체에 초점을 두어 학습을 하는 것으
로, ‘입력’이나 ‘출력’에 초점을 두기보다 ‘언어에 초점을 두고’ 학습을 하는 것이
다. 그래서 다소 ‘의미 초점 입력’과 ‘의미 초점 출력’ 학습과는 동떨어진 학습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교사가 운영하기에 따라 달라진다. 하나의 수업을 4가지
가닥으로 나 서 숙제를 부과하여 운영할 수도 있고, 한 학기에 단과로 나누어

서 4가지 가닥을 운영할 수도 있다.18)


언어 초점 학습에서 기본적인 조건은 13) 각주에서 참고할 수 있는데, 그 번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80 이상의 어휘 커 이 되어야 한다.
% 버율

② ‘의도적 학습’을 하는 것이 가장 핵심이다.


위에서 살펴본 ‘의미 초점 입력’과 ‘의미 초점 출력’에서는 98 의 어휘 커 % 버

18) Nation, I.S.P. Teaching vocabulary:strategies and techniques. (Boston: Heinle, 2008), p. 2.
- 23 -
율 이 기반이 되어야 했다. 그래야 학습자 부담이 크지 않은 상황에서 ‘수용적
지식’과 ‘생산적 지식’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언어 초점 학습’은
②번 조건에서 보다시피 ‘의도적 학습’을 해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는 좀
더 명시적으로 ‘언어에 초점’을 맞추어서 학습하는 것이기 때문에, 언어에 대한
이해도가 80 정도가 되어야 새로운 어휘 지식이 습득되는 데에 유의미한 학
%

습이 될 것이라고 해석된다.
‘언어 초점 학습’을 하는 교육방법으로는 ‘알아차리기’, ‘문 에서 추론하기’, 맥

‘사전 사용하기’, ‘어원 찾기’가 있다. 각 활동을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1) 알아차리기
‘알아차리기’는 의도적으로 학습 단어에 주의를 집중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교사가 주도적으로 하는 ‘학습 단어에 기, 두 운 글 체, 색 달리하
밑줄 긋 꺼 씨 깔

기’와 학습자가 주도하는 ‘반복 출현하는 단어 발견하기’방법이 있다. 이 방법


들19)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① 학습 단어에 ‘ 밑줄 긋 기’, ‘두 운 글 체’, ‘색 달리하기’
꺼 씨 깔

이 방법은 교사가 주도하는 방법으로 학습 단어에 을 거나, 두 운 글 밑줄 긋 꺼

씨 체로 바꾸고, 색 을 달리하면서 해당 어휘에 대해 강화하는 방법이다.


Sonbul과 Schmitt(2013)의 연구에서는 (I.S.P. Nation에서 재인용, 2013/2018) 이


렇게 ‘ 밑줄 긋 기’, ‘두 운 글 체’, ‘색 달리하기’를 하면 해당 어휘에 대한 학
꺼 씨 깔

습의 기회가 많아진다고 설명하고 있다.


훨씬

② 반복 출현하는 단어 발견하기
이 활동은 학습자가 학습할 어휘에 의도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는 방법이다. 학
습자는 읽기를 하기 전에 텍스트를 르게 어보면서 반복하여 출현하는 단어
빠 훑

19) Nation, I.S.P. ,『I.S.P. Nation 외국어 어휘의 교수와 학습』, 김창구 외 역, 소통, 2018, p.
548.
- 24 -
들을 알아차 수 있다.20) 이를 진행하기 위해서 교사는 학습자에게 텍스트를

주고 반복되는 단어를 고르도록 지도할 수 있다.


(2) 문 에서 추론하기

문 에서 추론하는 방법도 의도적으로 학습 단어에 집중하여 학습하는 방법


으로 기나 읽기를 하는 동안 부수적으로 이루어 수 있다. 그래서 학습자가


듣 질

‘ 기’와 ‘읽기’ 스킬이 좋아야 ‘문 에서 추론하기’ 활동의 효과가 나타날 수 있


듣 맥

다. ‘문 에서 추론하기’ 위한 텍스트의 조건21)은 다음과 같다.


① 문 을 추론하기 위해 트가 되는 내용이 ‘절 (clause)’ 이나 ‘문장


맥 힌

(sentence)’으로 되어 있어야 한다.


② 미지어 근처에 트가 있어야 한다. 힌

③ 문 을 추론하기 위한 정보는 이전 읽기 자료에서 이미 제시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에 맞는 읽기 자료로 학습을 하면, ‘언어 초점 학습’이 유의미해진


다. 이것은 본 연구에서 도구로 대중가요를 선정할 때의 기준으로 적용할 내

용으로 3.2절에서 언급하게 될 내용이다.


(3) 사전 사용하기
사전을 사용하는 것도 ‘언어 초점 학습’의 한 방법이다. 사전을 사용하면 수용
적 지식과 생산적 지식을 사용하게 된다. 사전을 사용할 때는 ‘핵심 의미 찾기’
와 ‘예문 읽기’를 하면서 좀 더 어휘에 대한 지식을 효 적으로 활용할 수 있 율

다.22)
① 핵심 의미 찾기
‘핵심 의미 찾기’를 하면 학습자가 모국어로 알고 있는 단어들을 핵심 의미
20) Nation, I.S.P. Teaching vocabulary:strategies and techniques. (Boston: Heinle, 2008), p. 79.
21) Nation, I.S.P. Teaching vocabulary:strategies and techniques. (Boston: Heinle, 2008), p. 74.
22) Nation, I.S.P. Teaching vocabulary:strategies and techniques. (Boston: Heinle, 2008), pp.
116-117.
- 25 -
중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때, ‘반투명’한 연어변의 의미를 파악할 때 트가 되 힌

는 의미를 찾을 수 있다.
②예문 읽기
사전을 검색하면 해당 어휘에 대한 예문이 제시되어 있다. 제시된 예문이 다
양하면 다양할수록 해당 어휘의 다양한 용법을 이해하는 기회가 된다.
(4) 어원 찾기 (글자 그대로의 연어와 연어의 본래 의미와의 차이 설명하기)
‘어원 찾기’는 ‘언어 초점 학습’의 방법으로 I.S.P. Nation의 저서에서 지속적으
로 확인할 수 있다.23) 하지만 연어는 어원이 있다기보다는 2.1절에서 연어의 특
성으로 연어변의 의미가 반투명하다는 특징을 서술했다. 그래서 필자는 ‘어원
찾기’를 연어의 특성에 맞게 ‘글자 그대로의 연어와 연어의 본래 의미와의 차이
설명하기’로 바꾸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I.S.P. Nation이 설명한 ‘어원 찾기’의 방법은 다단어 항목의 은유적 표현을
해석하는 전 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 ‘어원 찾기’를 하는 방법은 Boers(2001)의

연구에서 (I.S.P. Nation에서 재인용, 2013/2018) 비유적 표현의 어원을 찾아서


다단어 항목의 형식과 의미의 연결 학습에 대한 실험 내용을 설명하고 있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은유적 표현의 어원을 금해하는 학습자가 강력한 학습 효과가 있다.

② 은유적 표현의 문자 그대로의 의미를 인식하고, 학습자 스스로 문자 그대


로의 표현과 은유적 표현을 연결해 본다.
필자가 제안하는 ‘글자 그대로의 연어와 연어의 본래 의미와의 차이 설명하
기’ 학습 방법도 이 원리를 그대로 담고 있는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 예를 들어, ‘화가 나다’라는 연어가 학습 어휘라면 학습자들에게 ‘보이는
23) Nation, I.S.P.(2008)과 Nation, I.S.P.(2018)에서 지속적으로 ‘어원 찾기’가 ‘언어 초점 학습’의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Nation, I.S.P.(2018)에서는 다단어 항목의 형식과 의미의 연결 학습
에 대한 실험으로 ‘비유적 표현의 어원에 대한 가설’을 설명하고 있는데, 이것이 Boers(2001)
의 연구 내용이다.
- 26 -
글자 그대로 해석해 보세요’라고 하면서 학습자들의 주의를 집중시킨다.
② 예상되는 학습자들의 대답은 “‘화’는 ‘나’이다.” 이다.
③ 하지만 교사가 ‘화가 나다’의 본래 의미를 제시한다. 이 때 의미를 제시하
는 방법은 그림으로 ‘화가 난 사람’의 모습을 보여 수도 있고, 가능하다면 학

습자의 모국어로 제시해 주는 방법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학습자는 위의


Boers(2001)의 실험 내용처럼 ‘어원을 금해 하는’ 효과를 여기서 적용시킬 수


있다. 학습자들은 연어가 보이는 그대로의 의미와 실제 갖고 있는 의미가 다르


다라는 것을 인지하게 되기 때문이다.
④ 그 후 학습자에게 ‘세종 상세전자사전 단순검색기’를 이용해서 연어변 ‘나
다’를 검색해서 그 의미를 분석하게 한다. ‘나다’를 검색했을 때, 나오는 화면은
다음과 같다.
<그림 3> ‘세종 상세전자사전 단순검색기’에서 ‘나다’의 검색 결과

⑤ ‘나다’를 검색하면 ‘동의어’로 ‘생기다’라는 단어를 발견할 수 있다. 이 과정


에서 학습자는 ‘나다’의 의미가 ‘생기다’라는 뜻과 유사하다는 점을 찾으면서 ‘화
가 나다’라는 연어의 본래 의미를 ‘화가 생기다’로 재해석 하게 된다.
⑥ 다음으로 학습자가 ‘화가 나다’에서 ‘나다’의 의미를 확실히 인지할 수 있
도록 유사한 연어를 제시한다. 유사한 표현으로 ‘여드름이 나다’ 또는 ‘김이 나
- 27 -
다’를 제시하면서 사진으로 의미를 이해시키면 학습자는 연어변 ‘나다’의 의미를
좀 더 견고하게 정립할 수 있다.
⑦ 다시 처음에 학습자가 글자 그대로 인지했 “‘화’는 ‘나’이다.”의 의미와 던

본래 ‘화가 나다’의 의미의 차이를 확인하면서 ‘화가 나다’가 ‘연어’라는 것을 인


지 하고, 연어변 ‘나다’에 내재된 의미를 학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학습
하면 위의 Boers(2001)의 실험 내용의 처럼 학습자 스스로 문자 그대로의 ②번

의미과 연어 본래의 의미를 연결해 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글자 그대로의 연어와 연어의 본래 의미와의 차이 설명하기’를 진행
하면, ‘어원 찾기’의 과정처럼 ‘글자 그대로의 의미’와 ‘본래 연어의 의미’ 사이에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학습자들이 인지하면서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다. 그
리고 학습이 나면 ‘연어 본래의 의미’를 바로 인식하게 되고, 학습자가 글자

그대로의 의미과 본래 연어의 의미를 연결해 볼 수 있다. 그래서 필자가 제안한


‘글자 그대로의 연어와 연어의 본래 의미와의 차이 설명하기’ 학습 방법은 ‘어원
찾기’의 원리를 그대로 따르고 있음을 알리는 바이다.
2.2.4 유창성 발달
‘유창성 발달’은 학습 어휘를 새롭게 배우는 것이 아니다. 이는 말 그대로 ‘유
창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이미 알고 있는 연어를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
는 것이 ‘유창성 발달’의 극적인 목표이다.24) ‘유창성 발달’을 위한 조건25)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① 메시지에 초점을 둔 입력이 있어야 한다.
② 듣기 자료가 흥미로워야 한다.
③ 학습자에게 쉽고 숙한 자료를 이용하고 해당 자료의 어휘를 학습자가

100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

24) Nation, I.S.P. Teaching vocabulary:strategies and techniques. (Boston: Heinle, 2008), p. 2.
25) Nation, I.S.P. Teaching vocabulary:strategies and techniques. (Boston: Heinle, 2008), p. 35.
- 28 -
④ 교사는 학습자가 소의 속도보다 르게 하도록 박을 주어야 한다.
평 빠 압

⑤ 입력하는 양이 많아야 한다.


이러한 조건으로 ‘유창성 발달’을 위한 학습 방법으로는 ‘ 르게 읽기’, ‘4/3/2 빠

활동’, ‘10분 쓰기’ 등의 활동이 있다. 각 활동을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르게 읽기

빠르게 읽기는 유창성 발달을 위한 유용한 방법 중 하나이다. 르게 읽기를 빠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① 쉬운 텍스트여야 한다.
② 정기적인 연습을 해야 한다.
③ 빨리 읽도록 박을 주어야 한다. 압

쉬운 텍스트여야 한다는 조건은 위의 ‘유창성 발달’의 조건과도 같이 학습자


가 100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텍스트여야 한다는 것과 일 상통한다. 그 조
% 맥

건이 충족해야 학습자가 리 읽어도 ‘의미 초점 입력’이 이루어 수 있기 때


빨 질

문이다. 다음으로 ‘정기적인 연습’을 해야 하는 조건을 충족하려면 ‘일주일에 약


세 정도의 간격’으로 연습을 하면 된다. 그리고 연습할 때 학습자들이 시간

을 정해 고 읽으면서 그 속도를 그래프로 기록하면 ‘ 리 읽도록 박’을 주는


놓 빨 압

방법이 된다.26)
(2) 4/3/2 활동
4/3/2 활동은 ‘말하기’ 실력에 ‘유창성’을 더하는 활동이다. 이 활동을 하기 위
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① 의사 소통 활동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② 쉬 운 활동이 되어야 한다.
③ 평 소보다 높은 수행력을 낼 수 있도록 박을 주어야 한다. 압

26) Nation, I.S.P. Teaching vocabulary:strategies and techniques. (Boston: Heinle, 2008), p. 78.
- 29 -
④연습 이 많아야 한다.

이러한 조건이 갖춰진 ‘4/3/2 활동’을 하는 방법27)은 다음과 같다.


가) 활동의 형태로, 학습자 A가 학습자 B에게 주어진 주제를 가지고 4분

간 이야기를 전달한다.
나) 학습자 A는 파트너를 바 서 같은 이야기를 3분 안에 전달한다.

다) 또 파트너를 바 서 같은 내용을 2분 안에 전달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 동안에 학습자는 말하기 속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야


기를 반복해 보면서 오류를 여 수 있고, 좀 더 복잡한 문장을 사용할 수 있
줄 갈

는 효과가 있다고 Nation(1989)의 연구에서 (I.S.P. Nation에서 재인용, 2008) 밝


히고 있다.
(3) 10분 쓰기
10분 쓰기는 ‘유창성 발달’을 위한 ‘쓰기’ 학습 방법이다. 이는 ‘유창성 발달’이
목표인 만 ‘ 르고 쉽게 수 있는’ 활동이 되어야 한다. 그래서 교사는 10분
큼 빠 쓸

안에 수 있을 만한 운 주제를 주어야 한다. 그리고 학습자들이 쓰기를 하


쓸 쉬

는 10분 동안 자나 문법 교정을 하지 않고, 내용을 더 많이 쓰도록 려한


철 독

다.28)
이 장에서는 연어의 정의와 특성을 정리하였고, 연어의 교육 원리로 I.S.P.
Nation(2008)의 어휘 교육 원리 채택하여 설명하였으며 그 교육방법도 정리하였
다. 본 연구에서는 연어의 특성상 ‘반투명’한 연어변의 의미에 초점을 두어 접근
을 해야 한다고 보아 I.S.P. Nation(2008)의 원리를 연어 교육 원리로 따르게 되
었다. 그래서 I.S.P. Nation(2008)의 어휘 교육 원리로 ‘의미 초점 입력’, ‘의미 초
점 출력’, ‘언어 초점 학습’, ‘유창성 발달’의 4가지 가닥을 설명하였고, 그 원리
를 활용한 교육방법을 Nation의 저서들을 확인하면서 서술하였다. 다음 장에서
27) Nation, I.S.P. Teaching vocabulary:strategies and techniques. (Boston: Heinle, 2008), p. 56.
28) Nation, I.S.P. Teaching vocabulary:strategies and techniques. (Boston: Heinle, 2008), p. 88.
- 30 -
는 이러한 교육 원리에 적합한 도구로 활용하기 위하여 대중가요가 어떻게 연
어 교육에 적절한지에 대해서 알아보고, 교육 원리에 적합한 대중가요를 선정하
기 위한 선정기준을 세우고, 선정된 대중가요를 연어 교육 원리에 적용하는 방
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 31 -
3. 연어 교육에 활용하는 대중가요
본 장에서는 한국어 연어 교육 방안의 도구로써 대중가요를 활용하는 그 이
유와 타당성에 대해서 논할 것이다. 그리고 연어 교육 방안에 적용할 수 있는
대중가요를 선정하기 위해 적합한 선정기준을 세우고, 최종 선정된 대중가요를
I.S.P. Nation(2008)에 적용 시키는 방법을 서술하고자 한다.
3.1 연어 교육 도구로 대중가요를 활용하는 이유
대중가요를 연어 교육 방안의 도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대중가요의 특성이
연어 교육 원리와 연어의 특성에 부합하는 지점이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사
용하는 연어 교육 원리로 I.S.P. Nation(2008)의 어휘 교육 원리를 제시했고, 그
원리의 초점에는 ‘메시지에 초점이 되어야 한다’는 내용이 핵심이 되는 조건이
었다. 그래서 이에 맞 리는 대중가요의 특징과 연어 교육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점을 3가지로 설명할 것이다. 첫째, 대중가요가 ‘메시지’를 갖고 있다는 점


을 설명한다. 둘째, ‘사랑’을 소재로 한 대중가요를 중심으로 활용하여, 외국인
학습자들에게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랑’이라는 감정을 소재로 함은 유의미
하다는 것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연어’의 출현이 문어 스보다 구어
코퍼 코퍼

스에서 훨씬 높은 빈도수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중가요의 가사가


‘구어체’라는 것을 설명하고자 한다.
(1) 대중가요에는 ‘메시지’가 있다.
대중가요의 가사에는 ‘메시지’가 있다. ‘메시지’라는 단어를 “표준국어대사전”
에서 찾아보면, 두 째 정의에서 “「2」 문예 작 이 담고 있는 교훈이나 의
번 품

도.”라고 기술되어 있다. 대중가요는 멜로디에 가사를 담아 그 노래를 는 사 듣

람에게 전하는 메시지가 담긴 노래이다. 즉, 대중가요는 메시지가 담긴 문예 작

- 32 -
품 이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 대중가요를 작사할 때는 대중들이 공감할 수 있는
가사를 쓰기 위해 ‘주인공’, ‘주제’, ‘소재’를 기본 3요소로 ‘이야기’를 만드는 과
정이 필요하다고 한다.(김태희, [대중가요 작사], 11-19) 조연원(2016)에서도 대
중가요의 메시지는 노래 가사를 통해 대중들에게 전달되고 대중들의 공감을 얻

기 때문에 사회․문화적인 가치를 가진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


으로 대중가요에는 ‘메시지’가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따르는
I.S.P. Nation의 어휘 교육 원리는 ‘메시지에 초점을 둔’ 입력이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다. 그래서 대중가요에 담긴 ‘메시지’를 이용한다면 ‘의미에 초점’을 둔
입력과 출력을 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대중가요의 가사에 있는 연어의 의미에
접근할 수 있다고 본다.
(2) ‘사랑’을 소재로 한 대중가요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공감할 수 있다.
대중가요는 대부분이 ‘사랑하는 사람에게 전하는 메시지’라고 볼 수 있다. 실
제로 1923년의 <희 가>부터 2016년까지의 대중가요의 언어를 연구한 한성우

(2018)의 저서『노래의 언어:유행가에서 길어 올린 우리말의 인문학』을 보면


노랫말에서는 사랑이 없으면 아무것도 아닌 것처럼 보일 정도로 노래 가사와
제목에서 ‘사랑’이라는 단어가 많았다고 한다. 그는 우리가 일상 속에서 사용하
는 말뭉치와 노래 가사와 제목의 단어를 분석하여 이를 명하였다. 그 분석 결

과 우리의 일상에서는 ‘사랑’이라는 단어가 104위를 차지한 데에 반해, 노래 제


목과 가사에서는 ‘사랑’이라는 단어가 단연 ‘1위’를 차지했다고 보고 하고 있다.
그러면서 이 분석 결과는 ‘사랑’이라는 두 글자로 분석한 것이라고 하면서 ‘러
브 ’ 또는 ‘love’까지 포함 시키면 수치는 더 높아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다

음의 표은 한성우(2018)가 연구한 ‘사랑’이라는 단어의 말뭉치 분석표이다.

- 33 -
<표 3> 한성우(2018)의 대중가요와 말뭉치에서 ‘사랑’ 빈도수 분석
순위 제목 가사 말뭉치
1 사랑 1,608 7.83 사랑 43,583 4.39 사람 236,751 1.62
2 사람 352 1.71 말 21,960 2.21 때 202,419 1.39
3 이별 321 1.56 사람 19,460 1.96 말 156,006 1.07
4 눈물 292 1.42눈물 16,771 1.69 일 146,937 1.01
5 여자 279 1.36 때 16,113 1.62 문제 110,282 0.76
6 남자 258 1.26 맘 15,647 1.58 속 93,311 0.64
7 날 248 1.21 이제 15,479 1.56 경우 90,521 0.62
8 말 171 0.83 마음 15,352 1.55 사회 81,403 0.56
9 밤 169 0.82 날 15,224 1.53 자신 79,913 0.55
10 노래 165 0.80 속 14,067 1.42 정부 77,068 0.53
......... ......... .........
104 소년 30 0.15 어 1,606 0.16 사랑 27,367 0.19

그리고 본 연구에서 대중가요를 선정할 때 ‘발라드’로 장르를 제한하여 선정


할 것이다. 그 이유는 학습자들이 고 이해하기에 적당한 르기라는 장점도
듣 빠

있고, ‘발라드’에서 ‘사랑’을 주제로 한 노래가 더 많기 때문이다. 조연원(2016)의


연구를 이용하면 ‘발라드’에 ‘사랑’을 주제로 한 노래가 많다는 것을 좀 더 쉽게
설명할 수 있겠다. 조연원(2016)에서는 발라드의 가사가 주로 ‘사랑’ 그리고 ‘이
별’과 관련한 절한 감정을 나타내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사랑과 이별을 소재

로 하는 드라마 OST로 발라드가 많이 쓰이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렇게 ‘사랑’을 소재로 한 대중가요를 연어 교육의 도구로 선정하는 이유는
외국인 학습자들도 이해하기 운 소재이기 때문이다. ‘사랑’이라는 감정이 인류

보편적인 감정이라는 데에는 반론할 사람이 없을 것이다. 외국인 학습자에게 어


려운 한국어로 된 대중가요가 처음에는 낯설 수 있지만, ‘사랑 노래’라고 알려주
고 들으면 멜로디와 가사에 좀 더 감정 이입하기 울 수 있다. 김나경(2018)에

서도 가요를 활용하면 학습자가 감정이입을 할 수 있다고 하면서, 비록 학습자


가 가사의 뜻을 파악하지 못한다 해도 분위기를 통해 내용인지 밝은 내용
슬픈

인지에 대해서는 느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사랑’을


- 34 -
소재로 한 대중가요를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쉽게 감정이입하고 이해할 수 있는
교육의 도구로 사용하고자 한다.
(3) 연어는 구어 스에서 빈도수가 높고, 대중가요의 언어는 ‘구어체’이다.
코퍼

연어는 한국어 교재에서 어휘의 범주로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외국인 학습자
들이 교실 밖에서 한국인들과 대면하게 되면, 한국어 교재에서는 보지도 지도 듣

못한 연어 표현을 만나게 될 확 이 높다. 그 이유는 한국어 모어 화자들은 외


국인 학습자들의 기대에 맞게 말해 주는 교사가 아니며, 한국어 모어 화자들이


쓰는 표현들은 교재처럼 정제되거나 교정된 형태가 아니라 실생활에서 쓰는 입
말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외국인 학습자들에게는 좀 더 현실감 있는 연어 표현
을 마주할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그러한 이유와 더 어 연어는 문어 스보 불 코퍼

다 구어 스에서 더 자주 출현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코퍼

Shin, Dongkwang(2006)에서는 British National Corpus (BNC)에서 약


10,000,000개의 실행 단어의 구어 스와 같은 양의 문어 스로 Australian
코퍼 코퍼

Corpus of English, the Brown corpus, the Lancaster-Oslo/Bergen corpus, the


Kolhapur corpus, the ellington ritten Corpus, BNC에서 연어를 추출하여
W W

그 두 스의 연어 출현 빈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자주 출현하는 스를


코퍼 코퍼

50위로 정리하였을 때, 구어 스와 문어 스에서 중복하는 목록은 15개였


코퍼 코퍼

다고 한다. 그 15개 목록에서도 각 단어의 출현빈도를 비교했을 때, 구어 코퍼

스에서 연어의 빈도수가 문어 스에서의 연어 빈도수보다 항상 높았다고


코퍼 증

명하고 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연어를 학습하기 위해서는 ‘구어’ 자료를 활


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자료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훨씬

그렇다면 대중가요의 가사가 ‘구어체’라는 것을 명해야 한다. 구어란 주로 증

음성을 통해 메시지가 전달되고, 말하기 및 기에 관여한다고 한다. 그리고 구듣

어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한국어


교육학 사전], 1058-1059)

- 35 -
첫째, 계획적이지 않고 즉시 발현된다.
둘째, 반복적 표현, 부연 설명, ’음, 어‘와 같은 간투사 등의 여적 표현을 사

용한다.
셋째, 구나 문장의 단위로 나타나는 무리성이 있다.
넷째, 생 과 축약이 많이 일어난다.

다섯째,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보조적으로 수반한다.


구어의 정의가 음성을 통해 메시지가 전달된다고 하였다. 이는 대중가요가 가
수의 음성을 통해 발현된다는 점에서 일치한다. 그리고 대중가요는 청각을 중심
으로 하는 매체이기 때문에 구어체의 모습을 보인다.29) 하지만 구어의 특징 중
에서 ‘계획적이지 않고 즉시 발현된다.’는 특징만은 제외해야 한다. 대중가요는
구어체로 실현되지만, 작사가와 작 가에 의해 미리 계획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특징만은 제외하고 구어의 정의와 나 지 특징에 대중가요가 어떻게 부합하


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러면 구어의 특징을 두 째부터 살펴보고자 하는데,


편의상 (1) 부터 표시한다.


(1) 구어는 반복적 표현, 부연 설명, ‘음, 어’와 같은 간투사 등의 여적 표현 잉

을 사용한다.
이 특징에 부합하는 대중가요는 가수 산이(San E)의 <아는사람 얘기>를 예
시로 살펴볼 수 있다. <아는사람 얘기>의 가사의 일부를 보면 다음과 같다.

29) 이미향 외(2013)에서 라디오, 가요, 광고는 청각만을 이용하는 매체로 이 매체들은 말로 메시
지를 전달하는 것으로 청각을 중심으로 하는 매체는 구어체의 전형을 제공한다고 설명하고 있
다.
- 36 -
<표 4> 구어의 특징을 가진 대중가요 ‘산이(San E)의 <아는사람 얘기>’
내가 아는 사람 얘기해 게 줄

며칠 전 사랑하는 그 와 어진녀 헤 나 방금 나라고 했니


주위 그 아는 사람
냥 너무 감정이입 했나 이해 되지? 봐

힘들고 많이 하 데 슬퍼 던 근데 어떻게 이렇게 자세히도 아 냐

너는 어떻게 생각해 고?
아 내 얘기는 절대 아니야 어... 하거 친 든

그 그 아는 사람 얘기
냥 냥

표의 을 보면 ‘아’라는 간투사를 어서 급하게 본인의 이야기가 아 을


왼쪽 넣 님

설명하려는 의도를 표현했고, ‘그 ’을 반복해서 표현함으로써 대충 둘러대려는


의도를 표현했다. 그리고 표의 오른 을 보면 ‘어... 하거 ’이라는 가사가 있


쪽 친 든

다. 이 가사는 ‘어...’라는 간투사를 쓰면서 사실은 내 얘기이지만, 내 얘기라고


말하고 지 않은 의도가 ‘어..’라는 간투사에서 그 설임이 잘 표현 되고 있다.
싶 망

(2) 구어는 구나 문장의 단위로 나타나는 무리성이 있다.


이 특징에 부합하는 예시로 볼 대중가요는 가수 Homme의 <밥만 잘 먹더
라>이다. <밥만 잘 먹더라>의 가사의 일부를 보면 다음과 같다.
<표 5> 구어의 특징을 가진 대중가요 ‘Homme의 <밥만 잘 먹더라>’
사랑이 떠나가도
가슴에 멍이 들어도
한 순간 뿐이더라
밥만 잘 먹더라
죽 는 것도 아니더라

- 37 -
위 가사에서 보면 ‘사랑이 떠나가도’와 ‘가슴에 멍이 들어도’라는 ‘구’ 단위의
말이 반복되면서 이별을 해서 아 심정을 강조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이어지

는 ‘한 순간 뿐이더라’, ‘밥만 잘 먹더라’, ‘ 는 것도 아니더라’라는 ‘문장’으로


나열되면서 ‘이별해서 들어도 살만하다’라는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 이렇게


‘구나 문장 단위로 나타나는 무리성’은 대중가요의 가사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3) 구어는 생 과 축약이 많이 일어난다.

이에 대한 예시로는 가수 이현의 <가슴이 시린 게>의 가사를 참고할 수 있


다. <가슴이 시린 게>의 가사의 일부를 보면 다음과 같다.
<표 6> 구어의 특징을 가진 대중가요 ‘이현의 <가슴이 시린 게>’
가슴이 시린 게 이 나는데 눈물

바라만 보는 게 말도 못하는데
그대가 없는 게 어야 하는데 웃

습관처럼 익숙해져 습관처럼 그대 앞에서


난 아 도 모르네요 바보처럼 사랑해서
이 나는데
픈 줄
눈물

위 표의 을 보면 ‘축약’의 형태의 가사를 볼 수 있다. ‘가슴이 시린 게/


왼쪽

바라만 보는 게 / 그대가 없는 게’의 부분에서 ‘게’는 ‘것’과 ‘이’를 축약한 형태


로 구어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표의 오른 을 보면 ‘생 ’의 방법으로 의미를
쪽 략

전달하는 가사가 나온다. ‘습관처럼 그대 앞에서/ 바보처럼 사랑해서/ 이 나 눈물

는데’라는 가사는 말 을 리면서 울지 못한다는 말을 생 하고 있다. 이렇게


끝 흐 략

생 과 축약이 많이 일어난다.’는 구어의 특징이 대중가요 가사에서 실현되고


있다.

- 38 -
(4) 구어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보조적으로 수반한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이란 ‘준언어’와 ‘신체언어’로 설명된다. ‘준언어’는 ‘목소리
의 강세, 속도, 목소리의 크기, 억양, 지’를 뜻하고, ‘신체언어’는 ‘ , 시선’과
휴 몸짓

같은 신체적인 데에서 표현되는 언어를 뜻한다.30) 대중가요는 가수가 멜로디에


감정을 실어서 가사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길게 여 려 부른다 지, 특히 강 늘 뜨 든

조하고 은 감정이 담긴 가사를 르고 반복적으로 표현하면서 억양을 달리


싶 빠

표현하기도 한다. 이에 대한 예시로 가수 아이오아이(I.O.I)의 <너무너무너무>


라는 노래의 일부를 살펴볼 수 있다. 그 가사의 일부를 보면 다음과 같다.
<표 7> 구어의 특징을 가진 대중가요 ‘아이오아이의 <너무너무너무>’
날 너무너무너무
너무너무너무
너무너무너무
너~무너~무너무
너무너무너무
너무 좋아하면 그때 말해 줘

위 가사에서 ‘너무너무너무’라는 가사를 부를 때 가수들은 ‘간절하게 좋아하는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두 을 감았다 면서 ‘너~무 너~무’라고 길게
눈 꼭 뜨 늘

여 려 부르는 모습을 무대 위에서 연출한다. 다음 그림을 참고하면 확인할 수


있다.

30)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한국어교육학 사전』, 하우, 2014, p. 1059.


- 39 -
<그림 4> 비언어적인 특징을 보이는 대중가요 ‘아이오아이의<너무너무너무>’

이렇게 대중가요 가수들은 가사의 내용을 최대한 감정을 담아 살리기 위해


적절한 ‘ ’과 ‘시선’을 이용하고, 목소리를 활용해 감정의 고조선을 적절히 나
몸짓

타내며 노래한다. 이렇게 대중가요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보조적으로 수반한


다.’는 구어의 특징에 부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대중가요를 연어 교육의 도구로 활용하는 이유로 대중가요에는 메
시지가 있어서 연어 교육 원리에 부합한다는 것을 설명했다. 그리고 ‘사랑’을 소
재로 한 대중가요는 외국인 학습자가 이해하기가 쉽다는 이유도 있었다. 마지막
으로 구어 스에 연어가 자주 출현한다는 것과 구어의 특성에 부합하는 대
코퍼

중가요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이유로 대중가요를 연어 교육의 도구로 활용하면


한국어 교재보다 훨씬 효과적인 교육 도구가 될 것이라고 본다. 다음 절에서는
연어 교육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대중가요를 선정하기 위한 기준을 세우도
록 하겠다.

- 40 -
3.2 대중가요 선정기준
본 절에서는 연어 교육 방안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대중가요를 선정하기 위한
선정기준을 세우고자 한다. 교육 도구에 대한 선정기준을 내리기 전, 이 도구를
활용하여 수업할 수 있는 학습자의 수준이 정해야 하고, 학습자의 조건도 정해
야 교수가 지도에 대비할 수 있다. 그래서 학습자 수준과 학습자 조건을 먼저
정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선정할 대중가요의 범위를 정하고, 그 범
위에서 본 연구의 연어 교육 방안에 적합한 기준을 세워서 최종적으로 I.S.P.
Nation(2008)의 어휘 교육 원리를 적용하여 수업할 수 있는 대중가요와 연어 목
록을 선정하고자 한다.
(1) 대상 학습자의 수준과 조건
어 교육의 도구를 선정할 때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할 점은 그 도구를 이

해할 수 있는 학습자의 수준31)이다. 학습자가 이해할 수 없는 교육 도구는 아무


리 좋은 도구라고 해도 학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의 도

구로 한국어 모어 화자들이 는 대중가요를 활용할 것이다. 그 데 대중가요의


듣 런

가사에는 다양한 한국어의 어미 활용과 한국어 모어 화자들의 관에 의해 이 직

해되는 표현과 축약된 형태들이 나온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는 학습자의 수준은 적어도 다양한 어미 활용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
을 고려하였다. 그래서 가장 적절한 학습자 수준은 국립국어원의 연구자료인
「2017년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 과정」에서 정하고 있는 ‘중급’32)으로 정
31) Nation, I.S.P. Teaching vocabulary:strategies and techniques. (Boston: Heinle, 2008), p. 157.
32) 국립국어원의 연구자료인「2017년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에서 제시한
등급 기준에서 ‘중급’에 해당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마주치는 문제를 대부분 해결할 수 있으며, 숙한 친

중급 3급 사회적 에서 요구되는 과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 숙한


맥락 친

사회적․추상적 주제와 자신의 관심 분야에 대해 간단하게 의사소통

- 41 -
하기로 한다.
-대상 학습자의 수준: 한국어 중급 학습자
다음으로는 대상 학습자의 조건을 살펴보겠다. 학습 도구가 효과를 드러내려
면 학습자가 흥미 있어 하는 도구여야 한다. 론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의 대중

가요를 좋아하는 학습자가 많다고도 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학습자들도 분


명히 있을 것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 제시할 연어 교육 방안에서 대상으로 할
학습자의 조건으로 ‘한국의 대중가요에 특히 관심이 많은 학습자’로 제한할 필
요가 있다. 그래야 수업을 준비하는 교사가 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
다.
- 대상 학습자 수준과 조건: 한국의 대중가요에 특히 관심이 많은 중급 학습자
(2) 대중가요의 범위
이제는 대중가요를 어느 범위 안에서 선정해야 하는지 그 큰 기준을 세워야
한다. 본 연구에서 한국의 대중가요를 도구로 삼는 이유 중 하나는 한국어 모어
화자들의 구어체를 담고 있다는 점이 있었다. 즉, 한국인들의 입말이 담겨 있다
할 수 있다. 문어와 구어를 어느 정도 구분해 사용할 수 있다. 대부분
의 한국의 일상생활 문화와 대표적인 행동 문화, 성취 문화를 이해하
고 자국의 문화와 비교할 수 있다.
숙한 사회적 에서 요구되는 과제를 대부분 해결할 수 있으며,
친 맥락

자신의 업과 관련된 기본적인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숙한 사회


직 친

적․추상적 주제와 자신의 관심 분야에 대해 비교적 유창하게 의사소


4급 통할 수 있다. 문어와 구어를 적절히 구분해 사용할 수 있으며, 대상
과 상황에 따라 격식과 비격식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국의 대
표적인 행동 문화, 성취 문화를 이해하고 자국의 문화와 비교할 수 있
다.

- 42 -
는 말이다. 이 입말을 좀 더 실제성 있게 다루려면 현재 한국어 모어 화자들이
사용하는 언어 자료여야 할 것이다. 시기적으로 현재는 2020년이지만 그동안 축
적된 자료에서 가장 현재의 모습을 담고 있는 시간적 범위를 정하자면 2010년
대가 될 것이다. 그래서 2010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인들에게 가장 인기 있었 던

대중가요를 범위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 데 현재 한국에는 음악 스트리 서비스 이 ‘멜론(Melon)’, ‘지니
런 밍 앱 뮤직

(genie)’, ‘ 넷(Mnet)’, ‘네이 (Naver Music)’ 등 다양하다. 만약 이 중에서


엠 버뮤직

특정 의 시대별 차트를 사용한다면 관성이 떨어 것이다. 그래서 이에 대


앱 객 질

한 해소로 ‘가온차트’라는 대한민국 공인 음악차트를 사용하기로 한다. 이 ‘가온


차트’의 순위 집계 방식은 국내 10여개 주요 음악서비스 사업자와 이동통신사에
서 제공하는 음악서비스의 온라인 매출데이터 및 국내 주요 음반 유통사, 해외
직 배사의 오프라인 음반 판매 의 집계를 하는 방식이다. 그래서 ‘가온차트’
량 총

의 2010년부터 2019년의 시대별 차트를 기준으로 하면 관적인 기준으로 가요객

를 선정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가온 차트에서는 ‘해외 배사의 오프라인 직

음반 판매 ’까지 집계하고 있어서, 해외 음반까지 시대별 차트에 포함 되어


량 총

있고, 심지어 2010년대보다 이전에 출시된 노래인데도 2010년에 특히 인기가 있


었 노래까지 시대별 차트에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2010년대의 한국의 대중가요를 범위로 해야 한국어 연어


교육이 될 것이기에 ‘가온차트’의 시대별 차트를 활용하되 해외 과 2010년 이 곡

전에 출시된 노래는 제외하기로 하였다.


- ‘가온차트’의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시대별 차트의 노래를 범위로 하되, 해
외 과 2010년 이전 출시 은 제외한다.
곡 곡

(3) 연어 교육 방안 원리에 적합한 대중가요 선정기준


이제는 위 범주에 있는 대중가요 중에서 본 연구에 적합한 대중가요로 선정

- 43 -
하는 기준을 세워야 한다.
첫 째 기준은 ‘사랑’을 소재로 한 ‘발라드’ 으로 한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번 곡

이 기준은 3.1절에서 언급하였 이 ‘사랑’을 소재로 한 ‘발라드’ 으로 선정해야


듯 곡

외국인 학습자들이 쉽게 이해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발라드’ 의 르 곡 빠

기 또한 너무 르지 않아서 학습자 부담도 완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


러나 요즘의 발라드 들은 노래 중간에 이 입되기도 한다. 노래 중간에


곡 랩 삽 삽

입되는 른 은 학습자를 당황 시킬 수 있다. 그래서 이 입된 발라드 은


빠 랩 랩 삽 곡

제외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고려해야 할 점은 ‘영어 가사’이다. ‘영어 가사’는 일


부 외국인 학습자들의 출신 배경에 따라 오히려 트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힌

본 연구는 한국어 연어 교육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oh’나 ‘yeah’ 정도의 추임


새를 제외하고는 ‘영어 가사’가 노래의 메시지에 영향을 주면 안 된다. 그래서
‘영어 가사’가 노래 내용에 영향을 주는 경우는 제외하기로 한다. 그리고 시대별
차트에 포함된 노래 중 심의에 의해 ‘19금’으로 판정된 은 교육이라는 목적에 곡

서 벗어나기 때문에 제외하기로 한다.


① 사랑을 소재로한 발라드 만 선정한다.곡

② 랩 이 입된 발라드 은 제외한다.
삽 곡

③ ‘영어 가사’가 노래 내용에 관여하는 은 제외한다. 단, 추임새 수준으로


‘oh’ 또는 ‘yeah’ 정도가 입된 은 포함한다.


삽 곡

④ 심의에 의해 ‘19금’으로 판정된 은 제외한다.


지금까지의 기준은 교육 도구로써의 기본적인 조건들이라고 볼 수 있다. 이제


는 ‘연어 교육 원리’에 부합하는 조건으로 선정기준을 구체적으로 정해야 한다.
‘연어 교육 원리’는 2.2절에서 I.S.P. Nation(2008)의 어휘 교육 원리로 제시되었
다. 그 원리의 4가지 가닥 중 ‘의미 초점 입력’의 조건으로 ‘충분한 반복’이 있어
야 한다는 조건이 있었다. 대중가요는 ‘ 기 자료’로 ‘입력’ 되고, 대중가요 가사

- 44 -
는 ‘읽기 자료’로 역시 ‘입력’의 단계에서 쓰이는 교육 도구이다.
이에 대한 기준으로 먼저 ‘가사에서 연어를 마나 자주 출현하는가’를 살펴

봐 야 한다. 그래서 위에서 언급한 기준에 맞게 추려진 대중가요에서 연어가 평

균 적으로 몇 번 출현하는지 그 을 계산해 보았다. 먼저 위의 기준으로 추


평균값

려낸 발라드 은 229 이었다. 이 229 중 가사 속에 연어가 출현하였을 때


곡 총 곡 곡

‘세종 상세전자사전 단순검색기’에서 ‘연어’로 검색되면 1개로 인정하는 방식으


로 연어의 개수를 계산하였다. 이때 같은 연어가 중복하여 출현하면 각 1회로
인정하여 출현 수를 산출하였다. 그렇게 해서 연어 출현 수의
횟 총 횟 을 평균값

계산하였을 때, ‘3.7 ’이라는


번 이 나 다. 그래서 ‘연어가 적어도 3 이상
평균값 왔 번

출현해야 한다’는 조건이 성립되었다.


다음으로 ‘충분한 반복이 이루어지는가’를 살펴 야 한다. 그래서 가사에서 출

현하는 연어가 중복하여 출현하는 수의 횟 이 필요했다. 그


평균값 은 ‘3.02
평균값

번 ’이었다. 그래서 ‘하나의 연어가 3 이상 중복하여 출현해야 한다’는 조건이


성립된다.
그리고 또한 연어 교육 원리와 교육방법에 부합하는 가사의 대중가요로 선정
해야 하는 기준이 만들어져야 한다. 먼저 대중가요 전체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명확해야 한다. 그것은 2.2절에서 연어 교육 원리의 핵심 조건으로 ‘메
시지에 초점을 둔’ 입력 자료가 있어야 한다고 제시되었고, 3.1절에서도 대중가
요에는 ‘메시지’가 있다는 설명이 있었다. 그래서 ‘메시지가 명확한 대중가요로
선정해야 한다’는 조건이 성립된다. 외국인 학습자에게 메시지가 명확하게 전달
되려면 적어도 가사를 종결어미로 정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외국인 학습
자들이 어려움 없이 문장을 구분하고 의미를 판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사가 종결어미로 정리가 되어야 한다’는 조건도 성립되었다.
마지막으로 연어 교육 원리의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대중가요를 선정하는
기준이 있어야 한다. 2.2절에서 제시한 연어 교육 원리의 교육 방법에서 ‘문 에 맥

서 추론하기’가 있었다. 이는 연어변의 의미가 ‘반투명’하다는 연어의 특징에 부

- 45 -
합하는 교육방법으로 이에 맞는 기준이 정해져야 한다. ‘문 에서 추론하기’의 맥

조건이 “ 트가 되는 내용이 ‘절(clause)’ 이나 ‘문장(sentence)’으로 미지어 근처


에 나타나야 한다”고 하였다. 그래서 ‘연어 근처에 문 에서 추론할 수 있는 맥 힌

트가 절이나 문장으로 나타나야 한다.’는 조건이 성립된다. 지금까지의 대중가요


선정기준을 모두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가온차트’의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시대별 차트의 노래를 범위로 하되,
해외 과 2010년 이전 출시 은 제외한다.
곡 곡

② 사랑을 소재로 한 발라드 만 선정한다. 곡

③ 랩 이 입된 발라드 은 제외한다.
삽 곡

④ ‘영어 가사’가 노래 내용에 관여하는 은 제외한다. 단, 추임새 수준으로


‘oh’ 또는 ‘yeah’ 정도가 입된 은 포함한다.


삽 곡

⑤ 심의에 의해 ‘19금’으로 판정된 은 제외한다. 곡

⑥ 노래 한 당 연어가 적어도 3 이상 출현해야 한다.


곡 번

⑦ 노래에 출현하는 연어 중 하나의 연어가 3 이상 중복 출현해야 한다. 번

⑧ 외국인 학습자가 종결어미로 가사를 정리할 수 있어서 가사에 담긴 ‘메시


지’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⑨ 문 에서 연어의 의미를 추론할 수 있는 트가 되는 내용이 절 또는 문
맥 힌

장으로 학습 대상 연어 근처에 나타나야 한다.


이 선정기준에 맞는 대중가요를 선정하기 위해 접 노래를 고 가사를 읽 직 듣

어가면서 ‘메시지’가 명확하고 ‘문 에서 추론하기’를 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


다. 그렇게 해서 최종적으로 선정된 대중가요와 연어 목록을 제시하면 다음 표


와 같다.

- 46 -
<표 8> 선정된 대중가요와 연어 목록
번호 노래 제목 및 가수명 연어 목록 (중복 수) 횟

시간이 러도 (3)
언제나

1 을 면 (1)
눈 뜨
: 각 려도 (1)
눈물 흘
비바람 아쳐도 (1)

2 가슴이 시린 게 고개를 돌려 요 (1)봐

: 이현 이 나는데 (3)
눈물

3 내가 노래를 못해도 인기가 떨어져도 (4)


: SE7EN 그림자가 지고 (1)
4 이 나이 먹도록 이 나이 먹도록 (10)
: 바이브 시간이 수록 (2)

조차 크게 지 (1)
숨 쉬

구르미 그린 달 이 많아 (2)

5 : 거미

용기 내 볼게요 (3)
어오는 바람에 (3)

을 이고 (1)
맘 졸

6 네 생각 을 면 (2)
눈 뜨

: 존박 생각이 나 (15)
본 절에서는 I.S.P. Nation(2008)의 어휘 교육 원리와 연어의 특성을 고려한
대중가요 선정기준을 제시하였고, 정해진 기준에 맞게 대중가요와 연어 목록이
최종 선정되었다. 다음 절에서는 이 대중가요들을 I.S.P. Nation(2008)의 원리에
적용할 때 어떻게 교육할 수 있는지 그 교육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 47 -
3.3 선정된 대중가요의 연어 교육 원리 적용 방법
본 절에서는 선정된 대중가요에 I.S.P. Nation(2008)의 어휘 교육 원리를 적용
할 때 어떠한 방법으로 수업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서술하고자 한다. 각 노래에
적용할 교육방법은 2.2절에서 서술한 교육방법 중 적합한 것으로 선택할 것이
다. 그러한 서술을 통해 선정된 대중가요가 모두 I.S.P. Nation(2008)의 원리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설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선정된 대중가요 중 존박의
<네 생각>은 본 연구의 4장에서 구체적인 예시로 선택할 것이기 때문에, 본 절
에서는 설명을 생 하도록 하겠다. 그러면 <표 8>에서 제시된 순서대로 각의
략 허

<언제나>부터 거미의 <구르미 그린 달 >까지 교육방법을 서술하겠다.


(1) 각의 <언제나>

<언제나>를 활용한 연어 학습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말하기, 듣

기, 그리고 쓰기’ 활동 방법을 통해 ‘의미 초점 입력’과 ‘의미 초점 출력’을 동시


에 진행한다. 그리고 ‘언어 초점 학습’으로 ‘색 달리하기’의 방법으로 학습 연

어에 대한 인지를 주고, ‘문 에서 추론하기’ 방법으로 연어에 대한 의미에 접근


하는 교육을 한다. 마지막으로 ‘유창성 발달’의 활동으로 ‘ 르게 읽기’를 하여 빠

학습자들이 학습 연어의 의미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활동을 적용하고자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의 설명과 같다.
① 말하기, 기, 그리고 쓰기

‘말하기, 기, 그리고 쓰기’ 활동을 적용하는 이유는 각의 <언제나>는 가


듣 허

사의 반복이 많아서 그 별로 함께 그 의미를 토의하는 것이 개별적으로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를 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다.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를


하려면 다른 내용이 담긴 텍스트로 구분해야 하는데, 중복되는 가사가 많은 노
래는 ‘말하기, 기, 그리고 쓰기’ 활동을 하는 것이 더욱 유의미하다. 그러면 이

- 48 -
활동을 적용한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사랑’ 노래를 들려 것이라고 인지를 준 후, 가사 줄

가 없는 상태에서 각의 <언제나>를 들려준다.


나) 교사와 학습자들이 토의를 간단히 하여 1차적으로 노래에 담긴 메시지를


추측한다.
다) 학습자들을 그 으로 나 다. 룹 눈

라) 교사는 각의 <언제나>를 무한 반복으로 재생을 시켜두어서 학습자들


에게 ‘충분한 반복’되는 입력을 준다.


마) 각 그 은 각의 <언제나>를 ‘들으면서’, 이 노래가 주는 메시지가 무
룹 허 엇

인지에 대해 토의한다. 그리고 각 그 은 이 노래가 주는 메시지에 대해서 목록


화하여 ‘ 다.’쓴

바) 각 그 의 사람들이 한 명 다른 그 으로 이동하여 본인 그 의 목록
룹 씩 룹 룹

을 ‘이야기’한다. 이 때 다른 그 의 사람들은 다른 그 의 목록을 잘 ‘ 고’, 본


룹 룹 듣

인 그 의 목록을 수정한다. 이때 주의할 사항은 각 그 에 같은 그 에서 온


룹 룹 룹

사람이 치지 않도록 주의한다.


사) 모 그 이 공유한 목록을 수정하여, 반 전체는 교사에게 각의 <언제


든 룹 허

나>가 주는 메시지가 무 인지에 대해서 보고한다. 엇

이렇게 ‘말하기, 기, 그리고 쓰기’의 방법으로 노래에 담긴 ‘메시지’를 추출


하고, 그 메시지를 연어 ‘시간이 르다’의 의미에 접근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


할 준비를 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언어 초점 학습’의 방법으로 ‘색 달 깔

리하기’와 ‘문 에서 추론하기’의 방법을 설명하겠다.


② ‘색 달리하기’, ‘문 에서 추론하기’
깔 맥

여기서 ‘색 달리하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연어 ‘시간이 르다’가 3 중복


깔 흐 번

되기 때문에 10 이상 반복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색 달리하기’로 교사가 먼


번 깔

저 표시하여 인지를 주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이 외에도 ‘ 기’ 또는 ‘두 밑줄 긋 꺼

- 49 -
운 글 체’처럼 교사가 인지를 주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겠다. 그리고 ‘언어 초

점 학습’을 하는 방법으로 ‘문 에서 추론하기’를 하는 이유는 각의<언제나>


맥 허

의 가사에서 연어 ‘시간이 르다’를 추론하기에 좋은 트가 노래 전체적인 내


흐 힌

용에 담겨 있다. 그래서 학습자들이 ‘말하기, 기, 그리고 쓰기’에서 파악한 메 듣

시지를 도구로 하여, 연어의 의미에 접근하는 방법으로 ‘문 에서 추론하기’를 맥

적용하는 것이 좋겠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 교사는 각의 <언제나>에서 3 반복 출현하는 ‘시간이 러도’를 색
허 번 흘 깔

을 달리한 가사를 읽기 자료로 학습자들에게 제시한다.


나) 학습자들은 ‘시간이 러도’를 하나의 단위로 인지하게 되고, 학습 대상이

라는 것을 알아 다. 챈

다) 교사는 칠판에 원형 ‘시간이 르다’를 판서하고 읽어주면서 학습자들에


게 연어의 ‘형태’를 인지시킨다.


라)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시간이 르다’가 무 의미 인지 가사를 읽으면서
흐 슨

힌트가 되는 내용을 찾으라고 지시를 준다.


마) 학습자는 ‘ 사랑해 시간이 러도/ 사랑해 세상이 변해도/난 언제나
널 흘 널

내 을 지켜주는 네가 있어서 참 다행이야 고마워’라는 가사에서 ‘세상이 변해


도’를 통해 ‘시간이 르다’의 의미를 추측할 수 있다.


바) 학습자들은 ‘말하기, 기, 그리고 쓰기’에서 발견한 <언제나>의 ‘메시지’


를 초점에 맞춰 각 가사의 세부의미를 함께 해석하면서 ‘시간이 르다’의 의미 흐

를 도출해 낼 수 있다.
여기서 ‘문 추론하기’의 방법을 학습자 개인별로 진행할 때는 사전을 이용

하도록 할 수 있고, 그 별로 진행할 때는 각의<언제나>를 배경 음악으로 틀


룹 허

어 아서 학습자들이 기와 말하기를 통해 ‘입력’과 ‘출력’을 순 시키게 하는


놓 듣 환

방법을 수 있다. 다음으로는 ‘유창성 발달’을 위한 ‘ 르게 읽기’ 학습 방법을


쓸 빠

설명하겠다.

- 50 -
‘ 르게 읽기’
③ 빠

허 각의 <언제나>는 반복되는 구절이 많고, 문장의 구조도 복잡하지 않아서


학습자들이 읽기에 부담이 적다. 그래서 ‘ 르게 읽기’를 연습하는 것이 효과적

이다. 그래서 일주일에 세 정도의 간격을 두고 여러 반복 학습하는 활동으


번 번

로 진행한다. 하지만 수업에서 진행하는 방법을 설명하자면, 교사가 초시계를


재며 학습자들 간의 경쟁을 붙여서 가장 르게 읽는 사람을 선정하는 방식으

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겠다.


(2) 이현의 <가슴이 시린 게>
이현의 <가슴이 시린 게>를 활용한 연어 학습의 구성은 ‘말하기, 기, 그리

고 쓰기’의 방법으로 노래에 담긴 ‘메시지’를 명확히 인지한다. 다음으로 ‘언어


초점 학습’으로 ‘ 기’와 ‘어원 찾기’(글자 그대로의 연어와 연어의 본래 의
밑줄 긋

미와의 차이 설명하기)를 통해 학습 연어의 의미를 이해한다. 마지막으로 ‘유창


성 발달’을 위한 활동으로 ‘10분쓰기’ 활동을 하여 연어 ‘ 이 나다’에 대한 사
눈물

용을 익 다. 각 학습 활동의 방법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① 말하기, 기, 그리고 쓰기

이현의 <가슴이 시린 게>에서 ‘말하기, 기, 그리고 쓰기’의 방법을 쓰는 이


유는 각의<언제나>와 같은 이유이다. 가사에 반복이 많기 때문에 ‘읽기, 토


의, 그리고 쓰기’의 읽기 자료로 구분할 가사가 다양하지 않다. 그래서 ‘말하기,


듣기, 그리고 쓰기’의 방법을 적용한다. 이를 적용한 구체적인 교육방법은 다음
과 같다.
가)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사랑’ 노래를 들려 것이라고 인지를 준 후, 가사

가 없는 상태에서 이현의 <가슴이 시린 게>를 들려준다.


나) 교사와 학습자들이 토의를 간단히 하여 1차적으로 노래에 담긴 메시지를
추측한다.

- 51 -
다) 학습자들을 그 으로 나 다. 룹 눈

라) 교사는 이현의 <가슴이 시린 게>를 무한 반복으로 재생을 시켜두어서


학습자들에게 ‘충분한 반복’되는 입력을 준다.
마) 각 그 은 이현의 <가슴이 시린 게>를 ‘들으면서’, 이 노래가 주는 메시

지가 무 인지에 대해 토의한다. 그리고 각 그 은 이 노래가 주는 메시지에 대


엇 룹

해서 목록화하여 ‘ 다.’ 쓴

바) 각 그 의 사람들이 한 명 다른 그 으로 이동하여 본인 그 의 목록
룹 씩 룹 룹

을 ‘이야기’한다. 이 때 다른 그 의 사람들은 다른 그 의 목록을 잘 ‘ 고’, 본


룹 룹 듣

인 그 의 목록을 수정한다. 이때 주의할 사항은 각 그 에 같은 그 에서 온


룹 룹 룹

사람이 치지 않도록 주의한다.


사) 모 그 이 공유한 목록을 수정하여, 반 전체는 교사에게 이현의 <가슴


든 룹

이 시린 게>가 주는 메시지가 무 인지에 대해서 보고한다. 엇

이때 학습자들이 교사에게 보고하게 될 예상 메시지는 ‘사랑하는 사람과 어 헤

져서 이 날 것 같은데 울지 못하고 있어요’이다. 그 외에도 다양하게 나올


눈물

예상 메시지는 교사가 교정해 주기보다는 학습자가 노래 전체의 의미를 이해하


도록 다시 한 ‘말하기, 기, 그리고 쓰기’를 진행하여 학습자들이 다시 수정
번 듣

하게 하는 방법을 하는 것이 좋겠다. 다음으로는 ‘언어 초점 학습’을 설명하겠


다.
② ‘ 기’와 ‘어원 찾기’(글자 그대로의 연어와 연어의 본래 의미와의 차
밑줄 긋

이 설명하기)
이현의<가슴이 시린 게>에서 ‘언어 초점 학습’으로 ‘ 기’를 사용하는 밑줄 긋

이유는 각의<언제나>에서 ‘색 달리하기’를 사용하는 이유와 동일하다. 괄목


허 깔

할 정도로 중복이 많지는 않기 때문에 교사가 먼저 인지를 주는 방법을 사용하


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어원 찾기’(글자 그대로의 연어와 연어의 본래 의미와
의 차이 설명하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연어 ‘ 이 나다’에서 연어변 ‘나다’의 눈물

- 52 -
의미가 다의화 된 것을 학습시키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이 학습 방법을 통해
학습자들은 연어라는 어휘의 구조를 인지하고, 연어변의 축자적인 의미와 내재
화된 의미의 차이를 인지하면서 앞으로 연어 사용에 대한 지식을 힐 수 있다.넓

이에 대한 교육방법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가) 이현의 <가슴이 시린 게>에서 중복 출현하는 연어는 ‘ 이 나는데’이
눈물

다. 교사는 ‘ 이 나는데’를 ‘
눈물 밑줄 긋 기’한 가사를 읽기 자료로 학습자들에게
제시한다.
나) 학습자들은 ‘ 이 나는데’를 하나의 단위로 인지하게 되고, 학습 대상이
눈물

라는 것을 알아 다.

다) 교사는 칠판에 ‘ 이 나다’라고 판서를 하고 읽어주면서 학습자들에게


눈물

연어의 ‘형태’를 인지시킨다.


라)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 이 나다’를 보이는 글자 그대로 해석해 보라고
눈물

한다.
마) 예상되는 학습자들의 대답은 “ 은 ‘나’이다”이다.
눈물

바) 하지만 교사는 ‘ 이 나다’의 본래의 의미를 사진 자료를 이용하여 제


눈물

시한다. 그러면서 ‘ 이 나다’가 “ 이 ‘나’이다”가 아니라 을 리는


왜 눈물 눈물 눈물 흘

현상에 대한 의미인지 의구심을 갖도록 한다.


사)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세종 상세전자사전 단순검색기’를 통해 ‘ 이 나 눈물

다’를 최대한 구체적으로 검색해 보게 지시한다.


아) 학습자들은 ‘ ’, ‘이’, ‘나’, ‘다’, ‘나다’ 등등 자세하게 검색해 본다.
눈물

자) 그러면서 학습자들은 그 과정 속에서 ‘나다’의 유사의미로 ‘생기다’를 발


견할 수 있다. (<그림 3> 참조)
차)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 이 나다’를 보이는 그대로 봤을 때의 의미와
눈물

본래 의미 사이의 차이점을 발표하게 한다. 그리고 ‘ 이 나다’의 본래 의미를


눈물

제대로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카 ) 교사는 마지막으로 ‘김이 나다’, ‘여드름이 나다’를 추가적으로 제시하여

- 53 -
연어변 ‘나다’의 의미를 확실히 인지할 수 있게 사진 자료를 이용하여 지도할
수 있다.
③ ‘10분 쓰기’- 나는 ~할 때 이 난다.
눈물

위의 ‘언어 초점 학습’을 통해 연어 ‘ 이 나다’의 의미를 이해했다. 그러면


눈물

그 이해를 바탕으로 ‘ 이 나다’라는 연어를 능숙하게 사용하기 위한 학습으


눈물

로 ‘10분 쓰기’ 활동을 할 수 있겠다. 이 활동을 할 때는 문법적인 교정은 되도


록 삼가고, 의미 활용을 올바로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교사와 학습자 간의 의사
소통을 하는 것이 교수 및 학습 방법이 되겠다. 그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
다.
가) 교사는 ‘ 이 나다’의 의미를 유창성 있게 사용할 수 있게 운 주제로
눈물 쉬

‘나는 ~할 때 이 난다.’라는 주제를 칠판에 판서를 통해 제시한다.


눈물

나) 학습자들에게 이 주제에 대해서 최대한 많이 쓰라고 지시한다.


다) 학습자들은 자유롭게 작문을 한다.
라) 교사는 10분 동안 학습자들의 글쓰기를 지도한다. 이때 문법이나 자에 철

대한 교정은 하지 않도록 하여 ‘유창성 발달’을 위한 활동이 되도록 유의해야


한다. 단, 내용에 대한 의미에 대해서만 학습자와 교사가 상의하여 ‘메시지’가
명확한 글쓰기 활동이 되도록 지도한다.
(3) SE7EN의 <내가 노래를 못해도>
이 에는 SE7EN의 <내가 노래를 못해도>의 수업 구성을 알아보겠다. 이 노

래는 가사의 내용이 여러 개로 구분할 수 있게 중복이 적고 내용이 다양하다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 ‘의미 초점 입력’과 ‘의미 초점 출력’을 연계한 활동으로 ‘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를 적용해 볼 수 있겠다. 다음으로 ‘언어 초점 학습’으
로 ‘두 운 글 체’와 ‘문 에서 추론하기’를 하고, ‘유창성 발달’의 활동으로
꺼 씨 맥

‘4/3/2활동’을 적용할 수 있다. 먼저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를 하는 방법을 설

- 54 -
명하겠다.
①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
가) 한 가지 주제에 대한 다른 읽기 자료를 학습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내가 노래를 못해도>의 가사를 6등분 한다.
<표 9>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를 위한 <내가 노래를 못해도> 가사 6등분
1. 내가 모 든 걸 잃어도 /내 인기가 떨어져도/ 더 이상 노 못하고/ 다른 랠

직 업을 가져도/나라는 이유만으로/날 계속 사랑해 수 있니 줄

2. 화면에 나오는 내 모습이 진 내 전부가 아니란 건 알고 있는지 알고


있는지/ 자신감 치는 내 모습이 날 더 안하게 하는 건 알고 있는지 알


넘 불

고 있는지/화려한 조명 속에 서있는 모습 에 진한 그림자가 지고 있어


3. 너는 날 사랑한다 하지만 니가 사랑하는 게 정말 내가 맞는지 내가 맞는


지/ 나에게 반했다고 하지만 너를 반하게 한 게 정말 내가 맞는지 내가 맞
는지
4. 네가 나의 안에/ 안겨 날 바라볼 때/ 이 문을 하고 어
품 런 질 싶

5. 언 간 오게 되겠지 오게 되겠지/ 함성 소리가 어 무대를 내려와서


젠 줄 든

내 어 가 처지면서 어 가 처지고 고개가 떨 때 그때도/내 에 내


깨 깨 궈질 옆 옆

에 니가 서 있을 지 런

6. 내가 모 어도/ 내 인기가 떨어져도/ 더 이상 노 못하고/ 다른


든걸 잃 랠 직

업을 가져도/ 나라는 이유만으로/ 내 에 있어 수 있겠니/ 고 어


옆 줄 묻 싶

나) 교사는 SE7EN의 <내가 노래를 못해도>를 무한 반복하여 재생시켜서 학


습자들이 충분한 입력을 을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 둔다.

다) 그리고 각 학습자들이 나 가진 가사를 고 읽어가면서 이 노래가 주


눠 듣

는 메시지가 무 인지 학습자들끼리 토의를 하게 한다.


- 55 -
라) 학습자들이 토의한 결과를 통해 나온 SE7EN의 <내가 노래를 못해도>의
메시지를 ‘쓰기’의 형태로 교사에게 보고한다.
이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의 방법으로 학습자들은 노래 전체의 ‘메시지’를
도출하게 되고, 이 메시지를 도구로 하여 연어 ‘인기가 떨어지다’의 의미에 접근
하기 위한 준비를 하게 된다. 다음은 ‘언어 초점 학습’으로 ‘반복 출현하는 단어
발견하기’와 ‘문 에서 추론하기’를 하는 방법을 설명하겠다.

② ‘두 운 글 체’와 ‘문 에서 추론하기’
꺼 씨 맥

이 노래에서는 연어 ‘인기가 떨어지다’가 학습 목표이고 충분히 반복되고 있


다. 하지만 학습자가 접 찾아내기에는 ‘인기가 떨어지다’가 연어라는 것을 학

습자들이 알지 못한다. 그래서 ‘두 운 글 체’로 교사가 먼저 연어라고 알려주


꺼 씨

는 방법으로 진행해야겠다. 그리고 노래의 내용이 가수가 실제로 가수인 상황에


대한 본인의 진 한 속마음을 사랑하는 사람에게 고백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그

메시지를 도구로 하여 연어 ‘인기가 떨어지다’의 의미를 ‘문 에서 추론하기’를 맥

통해 학습하는 것이 유의미하다. 이에 대한 구제 인 교육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 SE7EN의 <내가 노래를 못해도>에서 중복 출현하는 연어는 ‘인기가 떨


어져도’이다. 교사는 ‘인기가 떨어져도’를 ‘두 운 글 체’한 가사를 읽기 자료로
꺼 씨

학습자들에게 제시한다.
나) 학습자들은 ‘인기가 떨어져도’를 하나의 단위로 인지하게 되고, 학습 대상
이라는 것을 알아 다. 챈

다) 교사는 칠판에 원형인 ‘인기가 떨어지다’를 판서하고 읽어주면서 학습자


들에게 연어의 ‘형태’를 인지시킨다.
라) 그리고 교사는 ‘인기가 떨어지다’가 무 의미인지 가사에서 트가 되는
슨 힌

절이나 문장을 찾아보라고 지시하면서 ‘문 에서 추론하기’를 진행한다.


마)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 활동을 통해 명확하게 인지된 노래의 ‘메시지’를


도구로 하여 ‘인기가 떨어지다’의 의미를 학습자가 추론해 본다. 학습자들이 찾

- 56 -
을 것으로 예상되는 트가 되는 절이나 문장은 ‘내가 모
힌 어도 /내 인기든 걸 잃

가 떨어져도/ 더 이상 노 못하고/ 다른 업을 가져도’이다.


랠 직

이 때 ‘문 에서 추론하기’의 방법을 진행할 때는 학습자들 개인적으로 하기


보다는 그 별로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이겠다. 그리고 그 별로 진행하면서 문


룹 룹

맥에서 추론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학습자 개개인별로 자연스럽게 터득하게 되


고, 트가 되는 절이나 문장을 찾아내는 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그렇게 해서

연어 ‘인기가 떨어져도’의 학습하면 ‘인기’라는 추상적인 명사를 부정하는 표현


을 할 때 ‘떨어지다’라는 리적인 표현을 사용한다는 것을 학습하는 것이 핵심

이 되겠다. 다음으로는 ‘유창성 발달’을 위한 ‘4/3/2 활동’을 살펴 보겠다.


③ 4/3/2 활동
SE7EN의 <내가 노래를 못해도>를 활용한 ‘유창성 발달’의 방법으로 ‘4/3/2
활동’을 하는 이유는 본 노래가 고백투의 노래이기 때문에 학습자가 다른 사람
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활동을 하기에 적합하다고 보았다. 이 학습을 하는 방
법은 다음과 같다.
가) 학습자 A가 학습자 B에게 4분동안 노래의 내용을 전달한다.
나) 학습자 A는 파트너를 바 서 3분동안 노래의 내용을 전달한다.

다) 학습자 A는 또 파트너를 바 서 2분동안 노래의 내용을 전달한다.


라) 이 방식으로 반 전체의 학습자들이 파트너를 바 서 4/3/2 활동을 한다.꿔

마) 이 때 교사는 원활한 진행을 위해 바 는 파트너 순서를 미리 정해주는


것이 좋다.
(4) 바이 의 <이 나이 먹도록>

바이 의 <이 나이 먹도록>은 ‘이 나이 먹도록 ~라는 건 ~거겠지’라는 문


장으로 모두 정리할 수 있는 노래이다. 이렇게 인과관계로 해석되는 문장이 반


복되기 때문에 학습자가 문장을 구분하기 편하다는 장점이 있는 노래이다. 바이

- 57 -
브 의 <이 나이 먹도록>을 활용한 연어 학습을 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의미 초
점 입력’과 ‘의미 초점 출력’을 연계한 학습으로는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를
한다. 노래 가사에 사랑하는 사람을 지 못하는 이유들이 다양한 인과관계로

나열 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언어 초점 학습’으로는 10 중복 출현하는 번

‘이 나이 먹도록’을 학습자가 접 찾도록 하는 ‘반복 출현하는 단어 발견하기’


로 지도한다. 그리고 이어지는 ‘언어 초점 학습’으로는 ‘사전 사용하기’의 ‘예문


찾기’를 하면서 학습 연어 ‘나이를 먹다’의 연어변 ‘먹다’의 의미를 다양한 예문
을 통해 학습한다. 마지막으로 ‘유창성 발달’을 위한 활동으로 ‘10분 쓰기’ 활동
을 한다.
①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
이 노래에서는 사랑하는 사람을 지 못하는 다양한 이유가 나열되어있다. 그

래서 이를 분할하여 읽기 자료로 활용하기에 적합하여 ‘읽기, 토의, 그리고 쓰


기’의 방법을 쓰는 것이 좋겠다. 이 활동을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 한 가지 주제에 대한 다른 읽기 자료를 학습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이 나이 먹도록>의 가사를 14등분 한다.
<표 10>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를 위한 <이 나이 먹도록> 가사 14등분
1. 이 나이 먹도록 자라는 건 여전히 누군가 그리운 거겠지

2. 이 나이 먹도록 외롭다는 건 돌아온다는 착각이겠지


3. 이 나이 먹도록 기다리는 건 사랑이 아니라 집착이겠지


4. 이 나이 먹도록 외롭다는 건 아 도 그 사람 못 어서겠지
직 잊

5. 세월이 수록 더욱 심해지는 건 여전히 아 도 니가 그리운 거겠지


갈 직

6. 시간이 수록 더욱 아파오는 건 너는 내 마음을 그


갈 거야 땐 몰랐던

- 58 -
7. 이 나이 먹도록 사랑을 못한 건 여전히 그 사람 못 어서겠지 잊

8. 이 나이 먹도록 나 바보 같은 건 난 아 사랑을 모르는 거겠지


9. 이 나이 먹도록 결 을 못한 건 여전히 누군가 기다리는 거야


10. 이 나이 먹도록 나 후회되는 건 사랑한단 말을 못했 거야 던

11. 세월이 수록 더욱 심해지는 건 여전히 아 도 니가 그리운 거겠지


갈 직

12. 시간이 수록 더욱 아파오는 건 그대는 내 마음을 그대는 내 마음을 그


대는 그대는 그
왜 왜 거야
땐 몰랐던

13. 이 나이 먹도록 지 못한 건 여전히 아 도 사랑하는 거야


널 잊 직

14. 이 나이 먹도록 나 기대하는 건 니가 나에게로 돌아오는 거야 니가 나에


게로 돌아오는 거야
나) 교사는 바이 의 <이 나이 먹도록>을 무한 반복하여 재생시켜서 학습자

들이 충분한 입력을 을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 둔다.


다) 그리고 각 학습자들이 나 가진 가사를 고 읽어가면서 이 노래가 주


눠 듣

는 메시지가 무 인지 학습자들끼리 토의를 하게 한다.


라) 학습자들이 토의한 결과를 통해 나온 바이 의 <이 나이 먹도록>의 메


시지를 ‘쓰기’의 형태로 교사에게 보고한다.


이 학습 방법을 통해 학습자들이 도출할 예상 메시지는 ‘사랑하는 사람을 못
잊어요’이다. 만약 학습자들이 도출한 메시지가 교사가 봤을 때 적합하지 않다
면, 다시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의 방법을 시도해 보면서 학습자들이 스스로
수정하여 메시지를 다시 도출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 좋겠다. 다음으로 ‘언어 초
점 학습’으로 ‘반복 출현하는 단어 발견하기’와 ‘사전 사용하기’의 ‘예문 찾기’를
진행한다.

- 59 -
② ‘반복 출현하는 단어 발견하기’와 ‘사전 사용하기’의 ‘예문 찾기’
이 노래에서는 ‘이 나이 먹도록’이라는 연어가 10 반복되기 때문에 학습자

들이 접 찾아내기가 쉽다. 그래서 ‘반복 출현하는 단어 발견하기’의 방법으로


‘언어 초점 학습’을 하고, ‘사전 사용하기’의 ‘예문 찾기’를 통해 연어변 ‘먹다’의


다의화 된 의미에 초점을 맞춰 학습할 수 있다. 이를 교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이 노래에서 자주 나오는 말이 무 인지 찾아보라

고 지시를 준다.
나) 학습자들은 스스로 노래 가사를 어보면서 가장 많이 출현하는 ‘이 나이

먹도록’이라는 연어를 선택한다.


다) 교사는 칠판에 ‘나이를 먹다’라는 연어의 원형을 판서하고 읽어주면서 학
습자들에게 연어의 ‘형태’를 인지시킨다.
라) 그리고 교사는 ‘나이를 먹다’가 무 의미인지 의문을 갖게 하기 위해 나

이를 ‘ 취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려준다.


마) 학습자들에게 ‘세종 상세전자사전 단순검색기’를 이용하여 ‘나이를 먹다’


의 예문을 찾아보게 한다. 그 검색 결과는 다음의 그림과 같다.
<그림 5> 연어 ‘나이를 먹다’의 ‘예문 찾기’

- 60 -
바) 검색 결과 ‘세월이 가면 사람이 나이를 먹는다.’와 ‘형이 동생보다 나이를
더 먹었다.’라는 예문을 찾을 수 있다.
사) 이 예문에 대한 의미를 학습자가 찾도록 예문을 더 운 표현으로 다시

쓰게 하면서 ‘나이를 먹다’의 의미에 대한 이해를 체계화 한다.


이 활동들을 통해 연어 ‘나이를 먹다’에서 연어변 ‘먹다’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이렇게 연어 ‘나이를 먹다’의 의미를 이해한 것을 사용하기 위한 교육방법
으로 ‘유창성 발달’을 위한 ‘10분 쓰기’ 활동을 다음으로 진행한다.
③ ‘10분 쓰기’
연어 ‘나이를 먹다’를 ‘사전 사용하기’의 ‘예문 찾기’에서 이해한 의미를 사용
하는 학습을 할 차례이다. 이를 위한 교육방법으로 ‘10분 쓰기’를 할 수 있겠다.
이를 진행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이현의 <가슴이 시린 게>에서의 방법과 동일
하다. 다만 ‘10분 쓰기’를 위한 주제는 ‘나이를 먹으면 ~어서 좋다/나 다’를 주

는 것이 다양한 상황을 학습자가 생각해 볼 수 있는 주제일 것으로 보아 이 주


제문을 추 한다.

(5) 거미의 <구르미 그린 달 >빛

거미의 <구르미 그린 달 >은 드라마 ‘구르미 그린 달 ’의 OST여서 한국


빛 빛

드라마를 좋아하는 학습자들에게는 더욱 효과적인 수업 도구가 될 수 있다. 그


리고 노래의 가사도 ‘-해요체’로 정리하기에 매우 용이한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
고 메시지가 ‘좋아하는 사이에서 서로 말하지 못하는 마음’이라는 것이 가사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어서 학습자들이 ‘사랑’이라는 감정을 이해하면서 메시
지를 파악하기에 쉽다. 특히 이 드라마를 본 학습자라면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 이전에 드라마 시청을 하는 방법으로 장기적인 학습 계획을
짜는 것도 방법이다. 이 노래를 활용한 연어 학습 구성은 ‘말하기, 기, 그리고

쓰기’의 방법으로 가사에 담긴 메시지를 도출해 낸다. 다음으로 ‘언어 초점 학

- 61 -
습’으로 ‘두 운 글 체’로 학습 연어에 대한 인지를 주고, ‘문 에서 추론하기’
꺼 씨 맥

를 통해 연어 ‘용기를 내다’의 의미에 접근한다. 마지막으로 ‘유창성 발달’을 위


한 활동으로 ‘4/3/2 활동’을 하는 것으로 구성하려고 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
용은 다음과 같다.
① 말하기, 기, 그리고 쓰기

거미의 <구르미 그린 달 >은 반복된 내용이 많기 때문에, ‘읽기, 토의, 그리


고 쓰기’의 방법보다는 ‘말하기, 기, 그리고 쓰기’의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이


가사를 좀 더 효과적이다. 이 노래는 드라마 OST라는 점을 활용하여 드라마의


내용이 담긴 비디오를 ‘말하기, 기, 그리고 쓰기’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
뮤직 듣

겠다. 이 노래를 활용한 ‘말하기, 기, 그리고 쓰기’를 진행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 (드라마 ‘구르미 그린 달 ’을 시청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거나, 교사

가 드라마의 내용을 요약하여 알려주는 방식으로 드라마 내용에 대한 배경지식


을 활성화한 후 시작하는 것이 좋다.)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가사가 없는 상태에
서 거미의<구르미 그린 달 >의 비디오를 보여준다.
빛 뮤직

나) 교사와 학습자들이 토의를 간단히 하여 1차적으로 노래에 담긴 메시지를


추측한다.
다) 학습자들을 그 으로 나 다. 룹 눈

라) 교사는 거미의 <구르미 그린 달 >을 무한 반복으로 재생을 시켜두어서빛

학습자들에게 ‘충분한 반복’되는 입력을 준다.


마) 각 그 은 거미의<구르미 그린 달 >을 ‘들으면서’, 이 노래가 주는 메시
룹 빛

지가 무 인지에 대해 토의한다. 그리고 각 그 은 이 노래가 주는 메시지에 대


엇 룹

해서 목록화하여 ‘ 다.’ 쓴

바) 각 그 의 사람들이 한 명 다른 그 으로 이동하여 본인 그 의 목록
룹 씩 룹 룹

을 ‘이야기’한다. 이 때 다른 그 의 사람들은 다른 그 의 목록을 잘 ‘ 고’, 본


룹 룹 듣

- 62 -
인 그 의 목록을 수정한다. 이때 주의할 사항은 각 그 에 같은 그 에서 온
룹 룹 룹

사람이 치지 않도록 주의한다.


사) 모 그 이 공유한 목록을 수정하여, 반 전체는 교사에게 거미의 <구르


든 룹

미 그린 달 >이 주는 메시지가 무 인지에 대해서 보고한다.


빛 엇

이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이 도출해 낼 예상되는 메시지는 ‘사랑하는 사람이


있지만 조심스럽게 그 마음을 전해요’이다. 메시지를 도출하기에 활용할 수 있
는 도구가 비디오도 있고, 드라마 내용에 대한 배경지식이 있기 때문에 학
뮤직

습자들이 좀 더 상세한 메시지를 도출해 낼 수 있다고 본다. 그러면 이 메시지


를 활용하여 연어 ‘용기를 내다’에 접근할 수 있는 ‘언어 초점 학습’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② ‘두 운 글 체’와 ‘문 에서 추론하기’
꺼 씨 맥

이 노래에서는 3 이상 반복 출현하는 연어는 ‘ 어오는 바람에’와 ‘용기 내


번 불

볼게요’로 2가지이다. 하지만 ‘ 어오는 바람에’는 ‘바람이 다’로 정리할 수 있


불 불

는데, 이는 「2017년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 과정」에서 ‘초급’어휘로 정하


고 있기 때문에 생 하기로 한다. 결론적으로 학습 대상 연어는 ‘용기 내 볼게

요’의 원형 ‘용기를 내다’이다.


여기서 ‘두 운 글 체’를 사용하는 이유는 위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교
꺼 씨

사가 인지를 주는 편이 학습자 화적이기 때문이다. 이는 역시 ‘색 달리하기’


친 깔

또는 ‘ 밑줄 긋기’와 같은 방식으로 대체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언어 초점 학습’


으로 ‘문 에서 추론하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드라마 내용이 있기 때문에, 이
맥 맥

락을 이용하여 연어 ‘용기를 내다’의 의미에 접근하는 것이 유의미할 것으로 보


아 이를 적용하기로 한다. 이를 교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 거미의 <구르미 그린 달 >에서 교사가 ‘용기 내 볼게요’를 ‘두 운 글
빛 꺼 씨

체’로 표시한 가사를 학습자들에게 제시한다.


나) 학습자들은 ‘용기 내 볼게요’를 하나의 단위로 인지하게 되고, 학습 대상

- 63 -
이라는 것을 알아 다.챈

다) 교사는 칠판에 ‘용기를 내다’라고 판서를 하고 읽어주면서 학습자들에게


연어의 ‘형태’를 인지시킨다.
라) 그리고 교사는 ‘용기를 내다’가 무 의미인지 가사에서 트가 되는 절
슨 힌

이나 문장을 찾아보라고 지시하면서 ‘문 에서 추론하기’를 진행한다.


마) ‘말하기, 기, 그리고 쓰기’ 활동을 통해 명확하게 인지된 노래의 ‘메시지’


를 도구로 하여 ‘용기를 내다’의 의미를 학습자가 추론해 본다. 학습자들이 찾을


것으로 예상되는 트가 되는 절이나 문장은 ‘ 이 많아 기만 했지만’ 이다.
힌 겁 숨

이 가사에서 ‘지만’이라는 ‘대조’의 연결어미를 통해 ‘용기를 내다’는 ‘ 이 없고 겁

숨지 않다’라는 의미로 추측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학습자들은 드라마의 내용을 이용해서 트를 다양하게 추출해 낼 힌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는 연어 ‘용기를 내다’의 의미를 능숙하게 사용하기 위


한 방법으로 ‘4/3/2 활동’을 진행하는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③ ‘4/3/2 활동’
이 노래는 ‘고백하는 형태’의 가사이기 때문에 전하고 은 메시지를 요약하 싶

여 전달하는 활동을 하기에 쉽고 적절하다. 그래서 ‘4/3/2 활동’을 통해 연어 ‘용


기를 내다’의 의미 사용을 연습하고자 한다. 이를 학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 학습자 A가 학습자 B에게 4분동안 노래의 내용을 전달한다.
나) 학습자 A는 파트너를 바 서 3분동안 노래의 내용을 전달한다.

다) 학습자 A는 또 파트너를 바 서 2분동안 노래의 내용을 전달한다.


라) 이 방식으로 반 전체의 학습자들이 파트너를 바 서 4/3/2 활동을 한다.


마) 이 때 교사는 원활한 진행을 위해 바 는 파트너 순서를 미리 정해주는


것이 좋다.
이렇게 선정된 가요를 활용한 연어 교육방법을 살펴 보았다. 이는 필자가 연

- 64 -
어 교육 원리를 적절히 활용하는 방법으로 추 하는 내용이다. 이를 참고하고자

하는 교사는 2.2절의 연어 교육 원리를 숙지하여 세부적인 지도방법은 수정할


수 있다. 그러면 다음 장에서는 존박의 <네 생각>을 활용하여 구체적인 연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로 한다.

- 65 -
4. 대중가요를 활용한 연어 교육 방안 제시
본 장에서는 연어 교육에 적합한 도구로 선정된 대중가요 6 중 존박의 <네 곡

생각>을 선택하여 교육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4.1절에서는


연어 교육 방안에 도입할 수업 모형인 OHE(Observation-Hypothesis-Exp
eriment) 교수 방법론을 살펴본다. 그리고 4.2절에서는 <네 생각>의 연어 교육
방법을 ‘의미 초점 입력’, ‘의미 초점 출력’, ‘언어 초점 학습’, ‘유창성 발달’의 목
적에 적합한 교육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4.3절에서는
OHE(Observation-Hypothesis-Experiment) 교수 방법론에 I.S.P. Nation(2008)
의 어휘 교육 원리를 결합한 틀에 존박의 <네 생각>을 활용한 연어 교육 방안
을 제시하고자 한다.

4.1 연어 교육 방안의 수업 모형
본격적으로 연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에 앞서 연어 교육에 적합한 수업 모
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I.S.P. Nation의 어휘 교육 원리에서 제시하는 교육
방법을 따라 적용하면 자연스럽게 수업 절차와 방법이 정해지겠지만, 기본적인
수업 모형은 기존의 연구자들에 의해 명된 수업 모형을 따르는 것이 본 연구

에서 제시할 방안에 대한 실 성을 보여주는 방법이 된다고 본다.


연어 교육 방안의 수업 모형은 Lewis(1993)의 연구에서 (안정은에서 재인용,


2010) 연어 학습의 교수 방법으로 OHE(Observation-Hypothesis-Experiment)
교수 방법론을 제안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이종은(2005)에서는 Lewis(1993)의
연구에서는 실제 언어 교육과 교수-학습이론 사이를 연결 는 구체적인 논의가 짓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Schmitt(2000) 외의 3명의 연구자들의 연구33)에서


33) 이종은(2005)에서 Schmitt(2000), Batstone(1996), Tomlinson(2003), Thornbury(1997)를 언급
하면서, 언어 학습이론으로 ‘인지와 인식(Noticing, Language Awareness)’를 가하여 설명하 첨

고 있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학습 자료와 교사가 학습자들이 덩어리 어휘들을 발견하고 인식


- 66 -
논의되고 있는 ‘인지와 인식(Noticing, Language Awareness)’를 가하여 발전

시킨 OHE 교수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표 11> OHE 교수 방법론(이종은 2005)
단계 특징
관찰 인지․인식을 위한 과제 ․학습자 중심
(Observation) ․하향식(top-down) 접근
가설 관찰․발견을 위한 과제 ․언어사용과 유창성에 초점
(Hypothesis) ․개념과 인지 중심의 학습 과정
중시
실험 구․시도를 위한 과제 ․교수항목의 통합적 학습
(Experiment)

․과제중심, 내용중심, 스 중심
코퍼

의 교수-학습
이종은(2005)이 제시한 OHE 교수 방법론을 채택하는 이유는 기존의 연어 교
육 연구에서 많이 따르고 있는 Lewis의 연구 내용을 비판적으로 연구 및 수정
하여 제시한 것으로 보아 해당 연구의 내용을 따르기로 한다. 그러면 이종은
(2005)에서 연구한 OHE 방법론의 각 단계의 교수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
관찰(Observation)단계에서는 구어 및 문어 텍스트, 그림, 미디어 장면이나 오
디오 클립 등 다양한 실제 자료를 사용하여, 학습자 스스로 관찰을 통해 학습할
학습 어휘를 인지 및 인식하는 단계이다. 이때 교사가 명시적으로 어휘 항목을
학습 자료를 통해 부각 시켜 학습자가 이를 관찰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고, 반대
로 함축적으로 교사가 실제 학습 자료를 재구성하여 학습자들이 인지 및 인식
하도록 이 는 방법이 있다고 한다.

다음으로 가설(Hypothesis)단계에서는 학습자가 발견한 어휘 항목의 의미와


사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스스로 가설을 도출하는 과정이다. 이때 교사는 학습
하는 데에 있어서 도움을 주는 학습 과정이라고 설명되어 있다.
- 67 -
자들이 가 수 있는 어휘 항목에 관한 문들에 충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
질 질

어야 한다. 가설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이나 소집단으로 나누어 과제를 수행


한 후에 서로 비교 및 토론하는 과정을 통해 어휘 항목을 학습한다.


마지막으로 구․시도(Experiment)단계에서는 어휘 항목을 가지고 의사소통

활동을 한다. 이때 학습자들이 어휘 항목을 바르게 이해하고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능력(productive and receptive skill)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 로, 교사는

학습자들이 학습한 여러 어휘 항목을 통합적으로 사용하도록 장해야 한다. 권

이종은(2005)은 OHE 교수 방법론은 학습자들이 스스로 언어가 어떻게 사용


되는가를 발견 및 인식하도록 돕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과정이고, 학습자
들이 교사나 학습 자료에 의존하기보다 자립적으로 언어 학습을 하도록 도와주
는 학습 과정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I.S.P. Nation(2008)의 어휘 교육 원리와 OHE 교수 방법론을 결
합한 모형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표 12> I.S.P. Nation의 원리와 OHE 교수 방법론을 결합한 수업 모형
I.S.P. Nation의 어휘 교 OHE
육 원리 교수 방법론 학습 방법
의미 초점 입력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
+ 의미 초점 출력
관찰
(Observation) ‘알아차리기’
언어 초점 학습 ‘어원 찾기’
가설
(Hypothesis) (글자 그대로의 연어와 연어의
본래 의미와의 차이 설명하기)
유창성 발달 구․시도
(Experiment) ‘10분 쓰기’

이 표를 자세히 설명하자면, 가장 먼저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의 방법으로

- 68 -
‘의미 초점 입력’과 ‘의미 초점 출력’ 가닥의 학습을 하게 된다. 이 학습 단계에
서는 ‘언어 초점 학습’에서 집중적으로 학습할 연어 ‘생각이 나다’의 의미 추론
을 할 수 있도록 노래에 담긴 ‘메시지’를 발견하는 과정이 된다. 이 단계는
OHE 교수 방법론에 해당 되는 내용은 아니다.
다음으로 ‘언어 초점 학습’에서 학습자가 접 노래를 들으면서 가장 많이 반

복되는 어휘를 찾도록 하면서 연어 ‘생각이 나다’를 발견한다. 이 과정이 OHE


교수 방법론의 관찰(Observation)단계가 적용된다. 다음 학습으로 ‘어원 찾기’
(글자 그대로의 연어와 연어의 본래 의미와의 차이 설명하기)를 통해 학습자는
‘생각이 나다’의 실제 의미와 사용에 대한 가설(Hypothesis)을 설정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사전을 통해 연어변의 의미를 파악하면서 학습자는 그 가설을 수
정 및 확인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구․시도(Experiment)단계는 ‘유창성 발달’의 ‘10분 쓰기’ 활동

을 통해 연어 ‘생각이 나다’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학습을 하게 된다.


이 수업 모형은 4.3절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할 연어 교육 방안의 수업 모형으
로 사용될 것이다. 다음 절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I.S.P. Nation의 어휘 교육 원
리를 존박의 <네 생각>에 적용하여 다양한 학습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
록 하겠다.

- 69 -
4.2 존박의 <네 생각>을 활용한 연어 교육 방법
본 절에서는 존박의 <네 생각>를 활용하여 연어 교육 방법을 설명한다. 교육
방법을 제시하는 순서는 I.S.P. Nation의 ‘의미 초점 입력’, ‘의미 초점 출력’, ‘언
어 초점 학습’, ‘유창성 발달’의 순서로 제시한다. 각 가닥에서 달성해야 하는 학
습의 목표를 설명하고 해당 자료가 해당 가닥의 원리에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해서 서술하겠다.
가장 첫 째 교육방법은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이다. 이 학습은 ‘의미 초

점 입력’을 통한 기와 읽기의 학습과 ‘의미 초점 출력’를 통한 말하기, 쓰기


학습을 한 에 진행하는 방법이다. 이 학습을 하는 극적인 목표는 ‘대중가요


번 궁

의 메시지 파악하기’이다. I.S.P. Nation(2008)의 어휘 교육 원리에서는 ‘메시지


에 초점을 둔 입력’을 해야 한다는 것이 ‘의미 초점 입력’과 ‘의미 초점 출력’ 뿐
만 아니라 ‘유창성 발달’ 단계에서 공통되는 조건으로 제시되는 내용이다.
외국인 학습자가 쉽게 이해시키기 위하여 교사는 미리 ‘사랑’에 대한 노래라
는 인지를 주어야 한다. 그렇게 해서 학습자가 노래 가사에 담긴 메시지 파악에
도움을 주도록 해야 하겠다. 그리고 존박의 <네 생각>의 가사는 ‘-해체’로 되어
있어서 외국인 학습자가 의미 구분하기에 용이한 편이다. 이는 대중가요 선정기
준 과 부합하는 내용이며, 가사 전체를 ‘-해체’로 제시하여 확인해 보겠다.

<표 13> ‘-해체’로 정리되는 <네 생각> 전체 가사


<네 생각>
존박
아 에 을 면 네 생각이 나
침 눈 뜨

창밖을 바라보다 네 생각이 나


그렇게 멍하니 또 하루가 러가 흘

너도 날 가 은 떠올 까
끔씩 릴

- 70 -
네 생각이 나
어느새 내 주변의 모 건 익숙한 향기로 너에게 들어
든 물

화초에 이 피어 네 생각이 나

예 볼 때마다 네 생각이 나
쁜 걸

내 취향은 아니지만 네가 좋아하는 그 노랫말 하루 종일 흥 거려 얼

네 생각이 나
사랑이 내게도 찾아 나 왔 봐

어느새 내 주변의 모 건 처음 보는 색으로 내 처럼 피어나


든 맘

푸르 하 에 무지 이 나
던 늘 갯빛

갈라진 목길도 모네의 그림 같아


이렇게 변한 나를 내가 도 참 우습기만 하지만 어 수 없나


봐 쩔 봐

하루 종일 바보처럼 네 생각이 나
그렇게 멍하니 또 하루가 러가 흘

아 에 을 면 네 생각이 나
침 눈 뜨

양치를 하다가도 네 생각이 나


그렇게 멍하니 또 하루가 러가 흘

너도 날 가 떠올 까 네 생각이 나
끔 릴

화초에 이 피어 네 생각이 나

커피를 마시다가 네 생각이 나


이렇게 변한 나를 내가 도 참 우습기만 하지만 어 수 없나
봐 쩔 봐

온종일 바보처럼 네 생각이 나


네 생각이 나
오 네 생각이 나

이렇게 외국인 학습자가 존박의 <네 생각>의 가사를 보고 명확하게 메시지

- 71 -
를 읽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의미 초점 입력’과 ‘의미 초점
출력’을 결합한 학습인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의 교육방법을 설명하겠다.
(1) 존박의 <네 생각>를 활용한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의 교육방법
존박의 <네 생각>은 사랑하는 사람이 생각이 나는 다양한 상황을 노래하는
곡 으로, 다양하게 가사를 구분할 수 있다. 이렇게 구분한 가사를 학습자들에게
읽기 자료로 제공하고, 학습자들이 함께 토의하여 노래 전체에 담긴 메시지를
도출해 내는 학습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좋겠다. 이를 적용한 방법은 ‘읽기, 토
의, 그리고 쓰기’로 학습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교사는 가사를 제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존박의 <네 생각>을 들려준다. 이
때 교사는 들려주는 노래가 ‘사랑’을 주제로 한 노래임을 알려준다.
②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무 을 들었는지 어보면서, 학습자들의 ‘ 기’의
엇 물 듣

‘수용적 지식’을 활성화 시킨다.


③ 본격적으로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 활동을 위해 각 학습자에게 <네 생
각>의 가사를 내용별로 14등분 하여 읽기 텍스트를 제공한다.
<표 14>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를 위한 <네 생각> 가사 14등분
1. 아 에
침 눈을 면 네 생각이 나/ 창밖을 바라보다 네 생각이 나

2. 그렇게 멍하니 또 하루가 흘 러가/ 너도 날 가 은 떠올 까 네 생각이


끔씩 릴


3. 어느새 내 주변의 모 든 건 익숙한 향기로 너에게 들어 물

4. 화초에 꽃이 피어 네 생각이 나/ 예 볼 때마다 네 생각이 나


쁜 걸

5. 내 취향은 아니지만 네가 좋아하는 그 노랫말/ 하루 종일 흥 거려 네 생 얼

각이 나
6. 사랑이 내게도 찾아 나 왔 봐

7. 어느새 내 주변의 모 든 건 처음 보는 색으로 내 처럼 피어나


- 72 -
8. 르 하 에 무지 이 나/ 라진 목길도 모네의 그림 같아
푸 던 늘 갯빛 갈 골

9. 이렇게 변한 나를 내가 도 참 우습기만 하지만 어 수 없나 / 하루


봐 쩔 봐

종일 바보처럼 네 생각이 나
10. 그렇게 멍하니 또 하루가 러가 흘

11. 아 에 을 면 네 생각이 나/ 양치를 하다가도 네 생각이 나


침 눈 뜨

12. 그렇게 멍하니 또 하루가 러가/ 너도 날 가 떠올 까 네 생각이 나


흘 끔 릴

13. 화초에 이 피어 네 생각이 나/ 커피를 마시다가 네 생각이 나


14. 이렇게 변한 나를 내가 도 참 우습기만 하지만/ 어 수 없나 /온종


봐 쩔 봐

일 바보처럼 네 생각이 나/네 생각이 나/ 오 네 생각이 나


④ 교사는 ‘이 노래는 무 내용인가요?’라는 주제를 주고, 학습자들은 각자

읽은 가사를 이용해서 이 노래의 내용이 무 인지에 대한 ‘토의’를 한다. 이때엇

교사는 존박의 <네 생각>을 무한 반복하여 재생시켜서 학습자들이 충분한 입


력을 을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 둔다. (- ebb과 Chang(2013)의 연구에 따
받 W

라 ‘ 기’와 ‘읽기’를 동시에 학습하는 효과를 누 수 있다.)


듣 릴

⑤ 토의를 하는 학습자들은 서로의 의견을 종합하여 <네 생각>의 주된 ‘메시


지’를 글로 ‘써서’ 정리한다.
⑥ 글로 정리한 노래 <네 생각>의 메시지를 교사에게 ‘보고’한다.
⑦ 교사는 학습자들의 보고를 고 올바르게 이해했는지 세부내용을 교정 및

수정하면서 지도한다.
이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이 도출할 것으로 예상되는 메시지는 ‘사랑하는 사람
이 계속 생각이 나요’이다. 이 메시지는 ‘언어 초점 학습’에서 ‘어원 찾기’ 하는
과정에서 트를 찾는 도구로 활용될 것이다. 다음으로는 ‘반복 출현하는 단어

발견하기’와 ‘어원 찾기’(글자 그대로의 연어와 연어의 본래 의미와의 차이 설명


하기)를 활용하여 연어 ‘생각이 나다’의 의미에 접근하는 ‘언어 초점 학습’을 진
행한다.

- 73 -
(2) 존박의 <네 생각>를 활용한 ‘반복 출현하는 단어 발견하기’와 ‘어원 찾
기’(글자 그대로의 연어와 연어의 본래 의미와의 차이 설명하기)의 교육방법
존박의 <네 생각>의 가사에는 ‘생각이 나’가 15 이나 반복되기 때문에 학습

자가 찾도록 하는 것이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그래서 ‘반복 출


현하는 단어 발견하기’를 적용하고, OHE 교수 방법론 중 관찰(Observation)단
계를 이에 적용하게 된다. 이어서 ‘어원 찾기’(글자 그대로의 연어와 연어의 본
래 의미와의 차이 설명하기)를 학습하는데, 이는 OHE 교수 방법론 중 가설
(Hypothesis)단계로 적용하게 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방법은 다음과 같
다.
①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이 노래에서 자주 나오는 말이 무 인지 찾아보라고

지시를 준다.
② 학습자들은 스스로 노래 가사를 어보면서 가장 많이 출현하는 ‘네 생각

이 나’라는 연어를 선택한다. - 관찰(Observation) 단계


③ 교사는 칠판에 ‘생각이 나다’라는 연어의 원형을 판서하고 읽어주면서 학
습자들에게 연어의 ‘형태’를 인지시킨다.
④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생각이 나다’를 보이는 글자 그대로 해석해 보라고
한다.
⑤ 예상되는 학습자들의 대답은 “생각은 ‘나’이다”이다.
⑥ 하지만 교사는 ‘생각이 나다’의 본래 의미를 설명한다. 설명하는 방법은 배
고 상황에서 생각나는 음식을 말하게 하면서 그 사고의 과정을 설명할 수 있

다. 그리고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 단계에서 도출한 메시지와 트가 되는 절


인 ‘너도 날 가 은 떠올 까’라는 구절을 학습자들이 찾으면서 문 에서 추


끔씩 릴 맥

론할 수도 있다.
⑦ 그렇게 해서 ‘생각이 나다’가 “생각은 ‘나’이다”가 아닌지 의구심을 갖

도록 한다. - 가설(Hypothesis) 단계
⑧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세종 상세전자사전 단순검색기’를 통해 ‘생각이 나

- 74 -
다’를 최대한 구체적으로 검색해 보게 지시한다.
⑨ 학습자들은 ‘생각’, ‘이’, ‘나’, ‘다’, ‘나다’ 등등 자세하게 검색해 본다.
⑩ 학습자들은 그 과정 속에서 ‘나다’의 유사의미로 ‘생기다’를 발견할 수 있
다. (<그림 3> 참조)
⑪ 교사는 학습자들이 ‘생각이 나다’를 보이는 그대로 봤을 때의 의미와 본래
의미 사이의 차이점을 찾도록 한다. 그리고 ‘생각이 나다’의 본래 의미를 제대로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⑫ 교사는 마지막으로 ‘화가 나다’, ‘기운이 나다’를 추가로 제시하여 연어변
‘나다’의 의미를 확실하게 인지하도록 지도한다.
이 과정 중에서 ‘어원 찾기’(글자 그대로의 연어와 연어의 본래 의미와의 차
이 설명하기)를 할 때, 그 별로 학습을 하는 방법이 좋겠다. ‘세종 상세전자사

전 단순검색기’를 통해 확인한 정보에 대해서 이해하려면 그 별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이는 OHE 교수 방법론에서 가설(Hypothesis)을 수정 및 확인하는


방법으로 이나 소집단으로 한다는 설명에 부합하는 방법이다. 다음으로는 연

어 ‘생각이 나다’를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의미를 사용하는 ‘유창성 발달’의 단


계를 설명하겠다.
(3) 존박의 <네 생각>를 활용한 ‘10분 쓰기’의 교육방법
‘10분 쓰기’ 는 학습이 완료된 ‘생각이 나다’라는 연어의 의미를 유창하게 사
용하기 위한 목표가 있다. 이를 위해 학습자가 ‘메시지에 초점을 둔’ 언어 활동
을 할 수 있도록 학습자 본인의 이야기를 쓰는 학습이 되는 것이 유의미하다.
그리고 이 학습은 OHE 교수 방법론 중 구(Experiment)단계에 해당하는 것으

로, 학습자와 교사 간의 의사소통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교육방법이다. 학습자가


개별적으로 ‘10분 쓰기’를 통해 연어 ‘생각이 나다’를 올바로 쓰고 있는지 교사
와 학습자가 대화를 통해 확인하는 지도를 하면서 활동을 마무리한다. 이 교육
의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75 -
①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생각이 나다’의 의미를 보고하게 하여 제대로 이해
했는지 확인한다.
② 교사는 ‘나는 ~할 때 ~ 생각이 난다’라는 주제를 제시한다.
③ 학습자들에게 이 주제에 대해서 최대한 많이 쓰라고 지시한다.
④ 학습자들은 자유롭게 작문을 한다.
⑤ 교사는 10분 동안 학습자들의 글쓰기를 지도한다. 이때 문법이나 자에 철

대한 교정은 하지 않도록 하여 ‘유창성 발달’을 위한 활동이 되도록 유의한다.


단, 내용에 대해서만 학습자와 상의하여 ‘메시지’가 명확한 글쓰기 활동이 되도
록 지도한다.
이 활동은 구(Experiment)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학습자가 목표 어휘 항

목을 사용하여 의사소통하는 것이 해당 단계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학습 단계이


다. 그래서 학습자가 연어 ‘생각이 나다’를 이용하여 글을 이용하여 발표를

하거나, 으로 서로 정보를 공유하여 학습자 간의 의사소통도 이루어지도록 하


는 방법을 쓰는 것이 좋겠다.
이렇게 존박의 <네 생각>을 활용하여 연어 ‘생각이 나다’를 학습하는 수업을
구성할 수 있다. 각 학습의 구성이 I.S.P. Nation(2008)의 어휘 교육 원리의 4가
지 가닥에 집중한 학습 방법이 내용이 되었고, 그 과정에서 OHE 교수 방법론
을 적용하여 학습 방법에 실 성을 더했다. 그러면 다음 절에서는 <표 12>의

수업 모형에 맞게 존박의 <네 생각>을 활용한 연어 교육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76 -
4.3 존박의 <네 생각>를 활용한 연어 교육 방안의 예시
본 절에서는 존박의 <네 생각>을 도구로 한 연어 교육 방안의 구체적인 예
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예시에는 본 연구에서 이용하는 I.S.P. Nation(2008)
의 ‘의미 초점 입력’, ‘의미 초점 출력’, ‘언어 초점 학습’, ‘유창성 발달’의 4가지
가닥에 OHE 교수 방법론을 결합한 수업 모형을 적용한다.
<표 15> 연어 교육 방안 예시의 개괄적인 내용
학습 목표 대중가요를 도구로 하여, 연어의 의미를 이해하고 사용한다.
존박의 <네 생각>을 활용하여, 연어 ‘생각이 나다’를 I.S.P.
학습 내용 Nation의 어휘 교육 원리와 OHE 수업 모형을 바탕으로 학습한
다.
대상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 과정’에서 정하고 있는 ‘중급’ 수준
학습자 의 학습자 중 한국의 대중가요에 특히 관심이 많은 학습자 14명
도입: 3분
수업 시간 의미 초점 입력+의미 초점 출력: 10분
언어 초점 학습: 15분
유창성 발달: 15분

<표 16> 존박의 <네 생각>을 활용한 연어 교육 방안의 예시


(T: 교사, S: 학습자, Ss: 학습자들)
과정 교수·학습 활동
T: 안 하세요, 여러분

도입 Ss: 안 하세요, 선생
녕 님

T: 여러분 한국의 노래 좋아해요?

- 77 -
Ss: 네
T: 잘 됐어요. 오 은 ‘K-pop’을 고, 한국어를 배울 거에요. 준비
늘 듣

됐나요?
Ss: 네, 좋아요.
T: 그러면 지금 노래 하나를 들려 게요. 이 노래는 ‘사랑하는

사람이 생 을 때’ 는 노래예요. 이 노래가 어 메시지를 전하고


겼 듣 떤

있는지 잘 들어 보세요.
[존박의 <네 생각>을 1 재생한다.-의미 초점 입력]

T: 여러분, 이 노래에서 무 이야기를 하고 있어요? 슨

Ss: 니 생각이 나~ 니 생각이 나~를 계속 이야기해요.


T: 그래요. 이 노래는 존박의 <네 생각>이라는 노래예요. 그러면
선생 이 이 노래 가사를 게요. 한 사람 한 가사를 을
님 줄 씩 줄씩 받

거에요. 그러면 각자 은 노래 가사는 다른 내용이겠 ? 각자


받 죠

갖고 있는 가사를 읽고, 이 노래 전체에서 전하는 ‘메시지’가


‘의미 무 인지 여러분들끼리 토의해 보세요.

초점 ※ 14등분 한 존박의 <네 생각>의 가사는 <표 14>를 참고한다.


입력’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의 단계
+
‘의미 [학습자들이 읽고 토의를 하는 동안 존박의 <네 생각>은 무한
초점 반복하여 재생된다. 이렇게 ‘충분한 반복’을 통한 입력을 하게 되고,
출력’ 학습자들은 기와 읽기를 동시에 하여 우연적 학습의 효과를

높인다. ( ebb과 Chang(2013)의 연구를 활용) - 의미 초점 출력]


W

T: 토의가 났나요?

Ss: 네
T: 존박의 <네 생각>은 무 ‘메시지’를 전하고 있어요?

S1: 아 에도 니 생각이 나고, 커피를 마 도 니 생각이 나요. 계속


침 셔

계속 생각이 나요. 이 남자가 어 여자를 좋아해요. 떤

T: 오~ 아주 잘했어요. 맞아요. 이 노래는 사랑에 진 한 남자가 빠

- 78 -
좋아하는 여자를 계속 떠올리는 노래에요. 그래서 소하고 같은 평 똑

하루인데, 그 순간에도 계속 그 사람이 생각이 난다는 이야기예요.


그러면 여러분들이 토의한 내용을 여기 칠판에 적어 볼까요?
[예상되는 학습자들의 판서: 남자가 여자를 좋아해서 계속 생각이
나요.]
[‘반복 출현하는 단어 발견하기’와 ‘어원찾기’
(글자 그대로의 연어와 연어의 본래 의미와의
차이 설명하기)-언어 초점 학습]
① ‘반복 출현하는 단어 발견하기’
관찰

그러면 여러분 우리가 오 배울 단어는
(Observation) 무T: 자,일까요? !


여러분이 한 찾아볼까요?
(학습자들은 15 반복 출현하는 연어‘생각이

나’를 관찰 및 발견할 수 있다.)


‘언어
초점 Ss: 생각이 나~ !

학습’ ② ‘어원 찾기’(글자 그대로의 연어와 연어의 본래


의미와의 차이 설명하기)
T: 맞아요 [판서로 ‘생각이 나다’를 다] ‘생각이
! 쓴

나다.’를 보면 무 말처럼 보여요? 보이는 글자


가설 그대로 보고 말해보세요.
(Hypothesis) S1: 생각이 ‘나’예요. 하하
T: 오, 네 그렇게 보이네요. 그 데 우리가 이
! 런

노래를 고 읽고 토의를 했을 때 ‘생각이 나다’가


런그 의미였나요?
Ss: 아니요. 좋아하는 사람이 계속 리에 있어요.머

T: 네, 맞아요. 존박의<네 생각> 가사에서

- 79 -
‘생각이 나다’와 비 한 뜻을 가진 말이 나와요.

혹시 무 말이 비 한지 찾아볼까요? [문 에서
슨 슷 맥

추측하기]
(학습자들이 가사를 읽으면서 ‘생각이 나다’와
비 한 말을 찾는다.-가설을 세운다)

T: 찾았어요?
S2: 너도 날 가 은 떠올 까 끔씩 릴

T: 맞아요. 아주 잘 찾았어요 무언가를 리 ! 머

속에서 떠올리는 것, 우리는 ‘생각이 나다’라고


말해요. 그 데 여러분 ‘생각이 나다’가 “생각이

‘나’예요”가 아니라 ‘떠올리다’일까요? 그


이유를 한 찾아보세요. ‘세종 상세전자사전


단순검색기’를 이용해서 ‘생각이 나다’를 분석해


보세요. 그리고 의 구들과 함께 토의를 해서
옆 친

‘생각이 나다’의 진 의미가 무 인지 찾으세요.


짜 엇

T: 찾아봤나요? 무 내용을 찾았어요? 슨

S5: ‘나다’가 ‘나예요’가 아니에요. ‘나다’는


‘생기다’하고 뜻이 비 해요(<그림3>참고)

T: 오 정말 잘 찾았네요. 그러면 ‘생각이 나다’는


!

다른 말로 하면 예요? 뭐

S6: 생각이 생기다. (-가설을 수정 및 확인한다)


T: 네, 그렇 . ‘생각이 나다’는 ‘생각이

생기다’하고 같은 의미예요. 그러면 여러분,


‘생각이 나다’를 보이는 그대로 봤을 때는 무 슨

의미였 ? 죠

Ss: 생각은 나예요.


T: 그 데 사전을 찾아보니까 원래 의미가 ?
런 뭐죠

- 80 -
Ss: ‘생각이 생기다.’ 예요.
T: 네, ‘생각이’라는 말은 ‘나다’라는 말과 항상
함께 나타나요. 이 것을 ‘연어’라고 해요. 이때

‘나다’의 의미가 ‘생기다’라는 의미로 쓰이면서


‘생각이’와 함께 나타나는 거에요.
Ss: 아~
T: 그러면 여러분, ‘화가 나다’와 ‘기운이 나다’를
보세요. ‘화가 나다’는 무 말일까요? 슨

Ss: 화가 생기다.
T: 그렇 . 여러분은 언제 ‘화가 나요’?

S2: 청소해야 해요. 화가 나요.


T: 하하, 네. 청소하는 거 들어요. 그러면 화가

나요. 그럼 ‘기운이 나다’는 무 뜻이 ? ‘기운’이슨 죠

뭐 에요?
Ss: 모르겠어요...
T: ‘기운’은 ‘ ’과 같은 말이에요. 그럼 ‘기운이
힘!

나다’를 다른 말로 하면?
Ss: 이 생기다.

T: 맞아요. 아주 잘했어요 여러분은 언제 ‘기운이


!

나요?’
S3: 밥을 먹으면 기운이 나요.
T: 오, 그렇 우리는 밥을 먹으면 기운이 나요.
죠!

힘 이 생겨요 !

여러분 이제 ‘생각이 나다’, ‘화가 나다’, ‘기운이


나다’를 보면 무 말인지 알 수 있 ?
슨 죠

Ss: 네
!

[‘10분 쓰기’- 유창성 발달-탐구․시도]


‘유창성 탐구․시도 T: 자, 그러면 여러분 우리 ‘생각이 나다’를
발달’ (Experiment) 이용해서 글쓰기를 해 요 봐 !

- 81 -
(칠판에 판서한다. ‘나는 ~할 때, ~생각이 난다.’)
T: 읽어 볼까요?
Ss: 나는 ~ 할 때, ~ 생각이 난다.
T: 존박은 ~ 할 때, ~ 생각이 난다고
노래했나요?
Ss: 아 에 을 면 네 생각이 나~ 창밖을
침 눈 뜨

바라보다 네 생각이 나~
T: 네, 이제는 여러분들의 이야기를 접 써 직

볼게요. 지금부터 여러분 공 에 ‘나는 ~할 때,


~ 생각이 난다.’를 최대한 많이 적어보세요.


쓰면서 의 구들과 함께 의견을 나 도
옆 친 눠

좋아요.
(10분 동안 교사는 학습자들이 적는 내용을
중점으로 지도한다. 학습자가 쓰려는 의도와 쓴

내용이 맞는지 확인하면서 학습자가 올바르게


‘생각이 나다’의 의미를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 및
지도한다.)
T: 여러분 오 배운 단어가 ?
늘 뭐죠

Ss: 생각이 나다.


T: 네, ‘생각이 나다’는 다른 말로 하면 예요? 뭐

Ss: 생각이 생기다.


T: 좋아요. 그러면 ‘나다’가 ‘생기다’라는 의미로
쓰인 다른 연어는 가 있었 ?뭐 죠

Ss: ‘화가 나다’ 하고 ‘기운이 나다’ 요.


T: 오 여러분들 너무 잘했어요. 오 수업은
늘 늘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모두 수고하 어요. 셨

감사합니다.
위에서 제시한 교안의 각 학습 단계를 ‘도입’, ‘의미 초점 입력’, ‘의미 초점 출

- 82 -
력’, ‘언어 초점 학습’, ‘유창성 발달’을 가닥으로 한 학습 방법을 교안에서 확인
할 수 있었다. 먼저 ‘도입’에서는 학습자들에게 한국의 노래를 좋아하는지 어 물

보면서 학습에 대한 의욕을 고취 시키고 있다. 이는 3.2절에서 학습자 조건을


‘한국의 대중가요에 특히 관심이 많은 중급 학습자’로 정한 이유가 설명되는 부
분이다. 그리고 학습자들에게 ‘사랑에 관한 노래’라고 인지를 주면서 다음으로
이어지는 ‘의미 초점 입력’과 ‘의미 초점 출력’에서 노래의 메시지를 도출하기
위한 트로 작용하게 된다.

다음으로 ‘의미 초점 입력’과 ‘의미 초점 출력’을 연계한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의 학습을 시작한다. 이때 처음에 1 만 노래를 입력시켜 주면서 노래 전

체의 분위기와 반복 출현하는 ‘생각이 나’를 인지하게 하는 시간을 갖게 된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학습자들에게 존박의 <네 생각>의 가사를 14등분 하여 나
눠 주면서 ‘읽기, 토의, 그리고 쓰기’의 학습이 시작된다. 학습자들은 각자 다른
내용의 가사를 읽고, 이 노래 전체의 메시지가 무 인지 토의를 하게 된다. 이

때 학습자들이 토의하는 동안 존박의 <네 생각>을 배경 음악 정도의 볼 으로 륨

무한 반복하여 재생해 두는 것이 세부적인 지도방법이다. 이는 기와 읽기를 듣

동시에 진행하면 우연적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ebb과 Chang(2013)의


W

연구를 적용한 것이다. 이 과정 중에서 자연스럽게 입력을 위한 읽기를 하고,


출력을 위한 토의를 하고, 도출한 메시지를 글로 써서 교사에게 보고하면서 ‘읽
기, 토의, 그리고 쓰기’의 단계의 수업이 마무리된다.
다음으로는 ‘언어 초점 학습’으로 ‘반복 출현하는 단어 발견하기’ 활동을 하는
데, 이는 OHE 교수 방법론에서 ‘관찰(Observation)’ 단계에 해당하는 학습 활동
이다. 이 ‘관찰(Observation)’ 단계에서는 학습 목표가 되는 연어 ‘생각이 나다’
를 인지 및 인식을 위한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그래서 15 반복되는 연어 ‘생

각이 나’를 학습자가 접 찾아보고, 이를 인지하는 학습을 하는 것이다. 다음으


로 이어지는 ‘어원 찾기’(글자 그대로의 연어와 연어의 본래 의미와의 차이 설


명하기) 활동은 OHE 교수 방법론에서 ‘가설(Hypothesis)’에 해당하는 단계이다.

- 83 -
이 때 학습자들은 연어 ‘생각이 나다’가 보이는 그대로의 의미인 ‘생각은 나이
다’라는 가설을 세우고, 교사는 그 본래의 의미가 다르다는 것을 ‘배고 상황에 픈

서 생각 나는 음식을 말하기’ 하면서 연어의 본래 의미에 대한 의구심을 갖게


한다. 이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은 연어 ‘생각이 나다’가 보이는 그대로의 의미가
아닌 다른 의미로 해석되는 것에 대하여 의문을 갖게 되고, 가설(Hypothesis)단
계의 목표인 학습 단어에 대한 관찰 및 발견을 하게 된다. 이를 학습하기 위하
여 학습자가 ‘세종 상세전자사전 단순검색기’를 이용하여 연어변 ‘나다’의 의미
를 분석해 본다. 이 때 학습자들이 함께 토의하여 함께 가설을 수정해 나가는
과정을 만 다. 그 결과 연어변 ‘나다’의 유사어 ‘생기다’를 대입하게 되고, 학습

자들은 가설을 수정 및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교사가 추가 연어 ‘화가 나다’와


‘기운이 나다’를 제시하면서, 학습자들은 연어변 ‘나다’의 의미를 재확인하고 연
어 ‘생각이 나다’에 대한 이해를 확립할 수 있다. 이는 다음으로 이어 ‘유창성 질

발달’ 단계에서 학습 목표 연어를 유창하게 사용하기 위한 준비 단계가 된다.


마지막으로 ‘유창성 발달’을 위한 학습으로 ‘10분 쓰기’를 한다. 이는 OHE 교
수 방법론 중 구(Experiment)단계에 도달하는 학습 활동이 된다. 학습자는 연

어 ‘생각이 나다’의 의미를 이해하고 유창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교사는 ‘나는


~ 할 때, ~ 생각이 난다’라는 운 주제문을 제시하는 것을 필자는 추 한다.
쉬 천

그리고 이는 학습자가 본인의 이야기를 대입시키기 좋은 주제이기 때문에 학습


자가 유의미한 의미 사용을 할 수 있게 된다. 이 구(Experiment)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목표 어휘 항목을 사용하고 이를 이용하여 의사소통을 하는 단계이


다. 그래서 교사와 함께 의미 사용에 대해 의논을 하면서, 동시에 학습자들끼리
주제문 ‘나는 ~ 할 때, ~ 생각이 난다’에 대한 레인스토 을 함께 해 나가면
브 밍

서 의미 사용을 여러 할 수 있겠다. 이렇게 ‘10분 쓰기’까지 하면 모 학습은


번 든

마무리가 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어 교육을 위한 예시 교안은 I.S.P. Nation(2008)의 어
휘 교육 원리를 적용하여 연어변의 다의화 된 의미에 초점을 맞 연어 학습 춘

- 84 -
교안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 대중가요를 도구로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학습 의욕
을 고취 시 고, 그 노래에 담긴 메시지를 활용하여 ‘의미 초점’의 기, 읽기,
켰 듣

말하기, 쓰기 활동을 연계하였다. 그리고 이 학습 활동들은 학습자가 학습 목표


어휘를 관찰(Observation)하고, 어휘의 의미에 대한 가설(Hypothesis)을 세우고
수정한 후, 구(Experiment)로 해당 어휘를 사용하는 OHE 교수 방법론에 맞

게 구성되었다. 이 교안을 참고하려는 교사는 연어변의 다의화 된 의미에 대해


서 미리 확인하고, 이를 학습하기에 적절한 대중가요를 3.2절에서 세운 선정기
준에 따라 잘 선별한다면 재미있는 연어 교수 교안을 작성할 수 있으리라 생각
한다.

- 85 -
5. 결론
본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연어 교육을 하기 위하여 대중가
요를 활용하겠다는 생각에서부터 시작된 연구이다.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연어
는 수많은 어휘 중 하나로만 제시되고, 연어의 특징이나 의미 사용에 대한 학습
이 자세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하지만 연어는 연어핵과 연어변의 공기
관계에서 있어서 한국어 모어 화자들의 심리적 현저성을 기 때문에, 그 관계

를 인지하기 위한 특별한 교육 도구가 필요하였다. 이 관점에 주목하여 외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 동기가 되고 있는 한국의 대중가요(K-pop)를 활용하고
자 하였다.
한국의 대중가요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인기가 많다는 장점도 있지만, 대중
가요의 대부분이 ‘사랑’을 주제로 하고 있어서 외국인 학습자들이 이해하고 학
습하기에 어려움이 없다는 점이 있었다. 그 외에도 연어는 구어 스에서 자 코퍼

주 출현한다는 연구를 바탕으로 구어체로 된 대중가요를 활용하는 것이 유용하


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대중가요에는 각 노래마다 특정한 이야기인 ‘메
시지’가 담겨 있어서, 이를 활용하여 다의화 된 연어변의 의미에 초점을 둔 원
리를 적용한 학습 교안을 구성하기에 적합하다고 보아서 이를 도구로 삼았다.
연어의 정의와 특성에 대한 연구는 국내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는 있지만,
학자들마다 다양하게 내리고 있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국립국어원에서 개
발한 세종전자사전의 연어 사전에 대한 연구 내용을 따라 정의 내리고 그 판별
기준을 연어의 특성으로 삼았다. 그래서 2010년대의 대중가요에 담겨 있는 연어
를 ‘세종 상세전자사전 단순검색기’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추출하였다. 그리고 연
어 교육 원리에 적합한 기준에 따라 각의 <언제나>, 이현의 <가슴이 시린

게>, SE7EN의 <내가 노래를 못해도>, 바이 의 <이 나이 먹도록>, 거미의


<구르미 그린 달 >, 존박의 <네 생각>까지 6 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에


빛 총 곡

서는 선정된 가요 중 존박의 <네 생각>을 선택하여 구체적인 연어 교육 방안

- 86 -
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외국인 학습자들이 교재에서 배울 수
없는 한국인들이 실 적으로 사용하는 언어 자료가 담긴 대중가요의 가사를 활

용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많은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배우게 되는


동기로 K-pop이라고 리는 한국의 대중가요의 영향을 많이 는다는 것은 흔
불 받

한 사실이다. 그래서 대중가요를 활용한 것은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연어


학습을 하기에 매우 흥미롭고 또한 실제적인 교육 도구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2010년대의 음악을 범위로 하여 현재 한국어 모어 화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연어를 학습의 목표로 삼은 것은 유의미한 자료를 활용하였다고 본다.
그리고 이를 도구로 활용하여 연어의 특성에 맞게 ‘의미 초점’의 원리를 적용한
교안을 제시한 것은 효과적이면서 학습자 화적인 교안을 제시한 것이라는 데

에 의의가 있다. 그리고 연어를 학습한다는 것은 복잡한 생각을 쉽게 표현할 수


있고, 정제되어 있는 교실 경에만 제한된 의사소통이 아닌 실제 모어 한국어

화자들과의 의사소통에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학습 효과가 있다. 그러한 부


분에서 그동안 한국어 교재에서 크게 에 지 않았 연어를 학습 목표로 하
눈 띄 던

였다는 점과 이를 위해 대중가요를 활용한 점은 외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


습에 대한 세심한 배려를 한 것이라고 본다.
연어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학습할 때 반드시 마주치게 되는 필수
어휘 항목이다. 그리고 이를 학습하게 되면 한국어 모어 화자들의 입말을 이해
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래서 앞으로도 많은 연어 교육에 관한 연구
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앞으로의 연어 교육 연구에서는 연어의 특징에 집중
하여 이를 학습자들에게 인지시키고, 학습을 통해 연어의 사용을 어 응용할넘

수 있는 교육 방안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그 후속 연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본 연구가 참고될 수 있기를 바란다.

- 87 -
참고문헌
김가람(2015), 「대중가요(K-Pop)를 활용한 한국어 연음 현상 발음 교육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나경(2018), 「한국어 구어 담화 능력 향상을 위한 가요 활용 연구」, 배재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민혜(2014),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연어 교육 방안-
‘체언+용언’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중 외 (2017),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 (2017-01)

서울:국립국어원.
김지은(2010), 「한국어 연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김진해(2000), 「국어 연어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김태희(2015), 『대중가요 작사』, 커 니케이션 스.
뮤 북

김훈태(2013), 「해외 한국어 교육현장에서의 한국 대중문화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드라마와 가요를 중심으로」,『한국어 교육』, 24(2), 국제한국
어교육학회.
문금현(2002),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연어 학습 방안」,『국어교육』,
(109), 한국어교육학회.
박재희(2008), 「노래를 통한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 교육 연구」, 고려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변혜원(2007), 「노래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모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2014), 『한국어교육학 사전』, 하우.
신지영(2008),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사류+용언’형 연어 교육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정은(2010), 「한국어 연어 교육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88 -
양수영(2008), 「중․고급 학습자의 어휘적 연어 능력과 한국어 숙달도의 상관
관계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여숙연(2019),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적 연어 교육 방안 연구:명사
류 복합구성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이미향 외(2013), 『한국어교육과 매체언어』, 역 .

이원미(2010), 「어휘접근법을 활용한 한국어 연어 교육 연구」, 동국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종은(2005), 「어휘적 접근법을 통한 한국어 의존용언 교육 연구」, 상명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이희자(1994), 「현대 국어 관용구의 결합 관계 고찰」, 『한국정보과학회 언어
공학연구회 학술발표 논문집』, 1994(10),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임근석(2006), 「한국어 연어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임근석(2011), 「한국어 연어 연구의 전개와 쟁점에 대하여」,『국어학』, 61, 국
어학회.
임홍빈(2002), 「한국어 연어의 개념과 그 통사, 의미적 성격」,『국어학』, 39,
국어학회.
임홍빈, 임근석(2004), 「21세기 세종계획 전자사전구축분과 연어사전의 정보구
조와 기술내용」,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사전학회.
전윤선(2018), 「연상 기억법을 이용한 한국어 연어 교육 방안 연구」, 고려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연원(2016), 「대중가요의 언어적 특성과 청소년 인식 연구」, 고려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성우(2018), 『노래의 언어:유행가에서 길어 올린 우리말의 인문학』, 어크로
스.
한송화, 강현화(2004), 「연어를 이용한 어휘 교육 방안 연구」,『한국어 교육』,
15(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89 -
Shin, Dongkwang. “A Collocation Inventory for Beginners” Ph.D dissertation,
Victoria niversity of ellington, 2006.
U W

Lewis, Michael (2000). Teaching Collocation – Further Developments in the


Lexical Approach. Hove, England:Language Teaching Publications.
Nation, I.S.P. (2018).『(I.S.P. Nation의) 외국어 어휘의 교수와 학습』, 김창구
외 역, 서울:소통.
Nation, I.S.P. (2008). Teaching vocabulary:Strategies and Techniques. Boston, MA:
Heinle Publications.
W ebb, Stuart Alexander & I.S.P. Nation (2017). How vocabulary is learned.
Oxford, England:Oxford niversity Press.
U

윤대헌,「미 한류팬, ‘한국어 배우기’ 열풍」,『스포츠경향』, 2012.10.16., http://sports.


khan.co.kr/bizlife/sk_index.html?cat=view&art_id=201210161808123&sec_id=560101&pt
=nv (2020-05-14 접속).
doopedia 두산백과, 「한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21901&cid=40
942&categoryId=31614, (2020-05-14 접속).

- 90 -
부 록
<최종 선정된 대중가요의 가사와 연어 정보>
1. 언제나 각 허

앨 범 언제나 발매일 2010.11.04. 장르 발라드


널 사랑해 시간이 흘러도
널 사랑해 세상이 변해도
난 언제나 내 을 지켜주는 곁

네가 있어서 참 다행이야 고마워


아 에 눈을 뜨면 네 생각에
침 늘

나 한 미소로 시작하고

지 하루 에서 또 네 생각에
친 끝

난 누구보다 더 난 행복한 사람
이제 프지 않아 다신 울지도 않아

내 모 다 바쳐서
든 걸

널 사랑해 시간이 흘러도


널 사랑해 세상이 변해도
난 언제나 내 을 지켜주는 네가

있어서 참 다행이야 고마워


니가 눈물 흘려도 춰 순 없지만 멈 줄

너의 에서 함께 울어 게
곁 줄

이제 아프지 말자 다신 울지도 말자
내 모 다 바쳐서
든 걸

- 91 -
널 사랑해 시간이 흘러도
널 사랑해 세상이 변해도
난 언제나 내 을 지켜주는 네가

있어서 참 다행이야 고마워


천 번을 어져도 넘

또다시 쓰러져도
다시 일어날거야
비바람 몰아쳐도
어 이 내려도 지켜 게
둠 널 줄

너 때문에 하루를 살아가


너 때문에 내 심장은 어 뛰

저 하 에 소리쳐 사랑할 한 사람

세상에 너 뿐이라고 사랑해


연어 4개(1개 3번 반복)=6번 출현
2. 가슴이 시린 게 이현
앨 범 신사의 격 OST Part 3 발매일 2012.06.17. 장르 발라드, 국내드라마

날 돌아 요 봐줘

곁에 있어요
고개를 돌려봐요
만 보네요
딴 곳

늘그 듯이랬

먼 만 보네요

그 사람을 사랑하는
그 보면서 살아 가는 게

- 92 -
내 사랑인 아나요걸

가슴이 시린 게
바라만 보는 게
그대가 없는 게
습관처럼 익숙해져
난 아 도 모르네요
픈 줄

눈물이 나는데
말도 못하는데
웃어야 하는데
습관처럼 그대 앞에서
바보처럼 사랑해서
눈물이 나는데
단 한 이라도

그대 들면힘

나를 래요봐줄

울지 마요 울지 마요
그 보면서 기도해 요
댈 봐

나의 바램을 아나요
가슴이 시린 게
바라만 보는 게
그대가 없는 게
습관처럼 익숙해져
난 아 도 모르네요
픈 줄

눈물이 나는데
말도 못하는데
웃어야 하는데

- 93 -
습관처럼 그대 앞에선
바보처럼 사랑해서
이렇게 는데 웃

가슴이 시린 게
바라만 보는 게
모른 하는 게

아닌 하는 게

못 본 하는 게척

그 만나 매일매일

난 래 배운 사랑이
몰 죠

그리워하는 데
잡고만 은데 싶

안고만 은데 싶

사랑한다 한마디조차
못하고서 돌아서 죠

그리워하는데
연어 2개 (1개 3번 반복) = 총 4회 출현
3. 내가 노래를 못해도 SE7EN
앨 범 Se7en New Mini Album 발매일 2012.02.01. 장르 발라드
내가 모 어도
든 걸 잃

내 인기가 떨어져도
더 이상 노 못하고 랠

다른 업을 가져도

나라는 이유만으로
날 계속 사랑해 수 있니 줄

- 94 -
화면에 나오는 내 모습이
진 내 전부가 아니란 건

알고 있는지 알고 있는지
자신감 치는 내 모습이

날 더 안하게 하는 건

알고 있는지 알고 있는지
화려한 조명 속에 서있는 모습 에 뒤

진한 그림자가 지고 있어
내가 모 어도
든걸 잃

내 인기가 떨어져도
더 이상 노 못하고 랠

다른 업을 가져도

나라는 이유만으로
날 계속 사랑해 수 있니 줄

너는 날 사랑한다 하지만
니가 사랑하는 게
정말 내가 맞는지 내가 맞는지
나에게 반했다고 하지만
너를 반하게 한 게
정말 내가 맞는지 내가 맞는지
네가 나의 안에 품

안겨 날 바라볼 때
이 문을 하고 어
런 질 싶

내가 모 어도
든걸 잃

내 인기가 떨어져도

- 95 -
더 이상 노 못하고 랠

다른 업을 가져도

나라는 이유만으로
날 계속 사랑해 수 있니 줄

언 간 오게 되겠지 오게 되겠지

함성 소리가 어 무대를 내려와서


줄 든

내 어 가 처지면서 어 가 처지고
깨 깨

고개가 떨 때 그때도
궈질

내 에내 에
옆 옆

니가 서 있을 지 런

내가 모 어도
든걸 잃

내 인기가 떨어져도
더 이상 노 못하고 랠

다른 업을 가져도

나라는 이유만으로
내 에 있어 수 있겠니
옆 줄

묻고 어 싶

연어 2개 (1개 4회 반복) =총 5회 출현
4. 이 나이 먹도록 바이 브

앨 범 Organic Sound 발매일 2013.05.15. 장르 발라드


이 나이 먹도록 자라는 건 여전히 누군가 그리운 거겠지

이 나이 먹도록 외롭다는 건 돌아온다는 착각이겠지


이 나이 먹도록 기다리는 건 사랑이 아니라 집착이겠지


이 나이 먹도록 외롭다는 건 아 도 그 사람 못 어서겠지
직 잊

세월이 수록 더욱 심해지는 건 여전히 아 도 니가 그리운 거겠지


갈 직

시간이 갈수록 더욱 아파오는 건 너는 내 마음을 그 거야 땐 몰랐던

- 96 -
이 나이 먹도록 사랑을 못한 건 여전히 그 사람 못 어서겠지 잊

이 나이 먹도록 나 바보 같은 건 난 아 사랑을 모르는 거겠지


이 나이 먹도록 결 을 못한 건 여전히 누군가 기다리는 거야


이 나이 먹도록 나 후회되는 건 사랑한단 말을 못했 거야 던

세월이 수록 더욱 심해지는 건 여전히 아 도 니가 그리운 거겠지


갈 직

시간이 갈수록 더욱 아파오는 건 그대는 내 마음을 그대는 내 마음을


그대는 그대는 그
왜 왜 거야
땐 몰랐던

이 나이 먹도록 지 못한 건 여전히 아 도 사랑하는 거야


널 잊 직

이 나이 먹도록 나 기대하는 건 니가 나에게로 돌아오는 거야


니가 나에게로 돌아오는 거야
연어 2개 (1개 10회 반복) = 총 12회 출현
5. 구르미 그린 달빛 거미
앨 범 구르미 그린 달 OST Part.3 발매일 2016.09.06. 장르 발라드, 국내드라마

말하지 않아도 난 알아요


그대 안에 오 한사람 바로 나란
직 걸

떨리는 내 을 들킬까 숨조차 크게 쉬지 못한 그 나였


맘 봐 런 죠

겁이 많아 기만 했지만

내 사랑을 그대가 부르면 용기 내 볼게요


얼어있 던 꽃잎에 그대를 담아서
불어오는 바람에 그대 내게 오는 날
나를 스쳐 지나치지 않도록 그대만 보며 살아요
아무도 모르게 키워 혹시 그대가 치 까
왔죠 눈 챌

내 맘을 졸이고 겁이 많아 기만 했지만 숨

- 97 -
내 사랑을 그대가 부르면 용기 내 볼게요
얼어있 에 그대를 담아서
던 꽃잎

불어오는 바람에 그대 내게 오는 날
나를 스쳐 지나치지 않도록 기도 할게요
더 이상 설이지 않을게요

그대라면 어디 난 아요든 괜찮

하 은 나를 어준 사람 그대 에서 이 사랑을 지킬게요
찮 믿 곁

내 사랑이 그대를 부르면 용기 내 래요 줄

얼어있 에 그대를 담아서


던 꽃잎

불어오는 바람에 그대 내게 오는 날 나를 스쳐 지나치지 않도록


그대만 보며 살아요
연어 5개 (2개 3번 반복, 1개 2번 반복) = 총 10회 출현
6. 네 생각 존박
앨 범 네 생각 발매일 2016.07.15. 장르 발라드
아 에 눈을 뜨면 네 생각이 나

창밖을 바라보다 네 생각이 나


그렇게 멍하니 또 하루가 러가 흘

너도 날 가 은 떠 올 까 네 생각이 나
끔씩 릴

어느새 내 주변의 모 건 익숙한 향기로 너에게 들어


든 물

화초에 이 피어 네 생각이 나

예 볼 때마다 네 생각이 나
쁜 걸

내 취향은 아니지만 네가 좋아하는 그 노랫말 하루 종일


흥 거려 네 생각이 나

- 98 -
사랑이 내게도 찾아 나 왔 봐

어느새 내 주변의 모 건 처음 보는 색으로 내 처럼 피어나


든 맘

푸르 하 에 무지 이 나 라진 목길도 모네의 그림 같아
던 늘 갯빛 갈 골

이렇게 변한 나를 내가 도 참 우습기만 하지만 봐

어 수 없나
쩔 봐

하루 종일 바보처럼 네 생각이 나
그렇게 멍하니또 하루가 러가 흘

아 에 눈을 뜨면 네 생각이 나

양치를 하다가도 네 생각이 나


그렇게 멍하니 또 하루가 러가 흘

너도 날 가 떠올 까 네 생각이 나
끔 릴

화초에 이 피어 네 생각이 나

커피를 마시다가 네 생각이 나


이렇게 변한 나를 내가 도 참 우습기만 하지만 봐

어 수 없나
쩔 봐

온종일 바보처럼 네 생각이 나 네 생각이 나 오 네 생각이 나


연어 2개 (1개 15번 반복, 1개 2번 반복) = 총 17회 출현

- 99 -
ABSTRACT

A Study of Korean collocation teaching


method using Korean popular songs
Hwang, Kyung-Eun
Ma or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j

The raduate School of KFL


G

Hankuk niversity of Foreign Studies


U

This study is aimed to suggest a teaching method of Korean collocations


using 2010’s K-pop lyrics, by applying I.S.P. Nation(2008)’s principle. Korean
collocation is used very frequently among Korean native speak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ase and collocator is related to Korean native
speakers intuition. Dongkwang Shin(2006)’s study have shown that
'

collocations appear much more frequently in spoken corpus than in written


corpus, while K-pop s lyrics is most likely written in spoken language, so it
'

could be a tool of collocation teaching method.


Secondly, most of the K-pop songs is about Love . Love is a universal
' '

emotion that foreign learners can understand easily. It will be lower the
barrier for foreign learners to approach to the meaning of collocation when
they can understand the message of the lyrics.

- 100 -
Thirdly, K-pop lyrics fulfilled the ‘message focused conversation’ condition,
which is suggested to be important for ‘meaning-focused input’,
‘meaning-focused output’, ‘language-focused learning’ and ‘fluency
development’ according to I.S.P Nation(2008)’s studies.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a Korean collocation teaching method
using lyrics of John Park s song which is named Think about you . The
' " "

frame of this teaching method is based on I.S.P. Nation s studies mentioned


'

above and the OHE paradigm which 이종은(2005) have modified and
developed.
In this teaching method, Read, discuss, and write , Noticing , Finding
' ' ' ' '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agmatic meaning and the literal meaning of
collocation , and 10-minutes writing is included to develop learners’ 4 basic
' ' '

language skills with comprehensive practice.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K-pop draws foreign learners’ attention as
an educational tool meanwhile it leads the way to learn collocation with
meaning-focused approach. Korean collocation is necessary for foreign
learners who aimed to acquire native level Korean ability. In further study
of this topic, characteristics of Korean collocations and the way to encourage
learners to apply them in their utterance should also be considered to
develop a better solution.

- 101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