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1

文學碩士學位論文

韓國語 連語 硏究史 考察

劉 永 寬

江原大學校 大學院

國語國文學科

2020년 2월
崔洪烈 敎授 指導

文學碩士學位論文

韓國語 連語 硏究史 考察

- The Research of Korean Collocations history on Korean Language

이 논문을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江原大學校 大學院

國語國文學科

劉 永 寬
劉永寬의 碩士 學位論文을
合格으로 判定함

2019년 12월

審査委員長 印

委 員 印

委 員 印
目 次

1. 서론 ······························································································································ 1
1.1. 연구목적 ················································································································ 1
1.2. 연구대상과 방법 ·································································································· 2
1.3. 선행연구 검토 ······································································································ 9

2. 연어의 개념과 유형 연구사 ················································································ 15


2.1. 연어의 개념 연구사 ·························································································· 15
2.2. 연어의 유형 연구사 ·························································································· 28

3. 연구 유형별 분석 ··································································································· 42
3.1. 시기별 연구 경향 ······························································································ 42
3.1.1. 1기 : 태동기 ································································································ 44
3.1.2. 2기 : 성장기 ································································································ 46
3.1.3. 3기 : 성숙기 ································································································ 51
3.2. 교육 대상별 연구 경향 ···················································································· 58
3.3. 주제별 연구 경향 ······························································································ 65
3.4.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 ···················································································· 67

4. 결론 ···························································································································· 73

□ 참고문헌 ·················································································································· 75
□ Abstract ·················································································································· 91
표 목 차

표 1. 분석 대상 논문 목록 ······················································································· 3
표 2. 연구 언어권 분류 ····························································································· 4
표 3. 학위논문 주제의 연도별 분류 ······································································· 5
표 4. 학술지 논문 주제의 연도별 분류 ································································· 6
표 5. 국외 학자들에 의한 연어의 개념 ······························································· 17
표 6. 국내 연구자별 연어 범주 ··········································································· 17
표 7. 연어에 대한 기존 정의 ················································································· 18
표 8. 연어의 기준(문금현, 2002) ··········································································· 20
표 9. 구성 요소의 결합의 정도성(유해준, 2011) ··············································· 24
표 10. 연어의 개념 범주(유해준, 2011) ······························································· 25
표 11. 연어에 대한 정의 ························································································· 26
표 12. 문법적 연어의 하위 유형(Benson et al. 1987) ····································· 28
표 13. 어휘적 연어의 하위 유형(Benson et al. 1987) ··································· 29
표 14. 연어의 유형(Carter, 1987) ·········································································· 29
표 15. 연어의 유형(Lewis, 2000) ·········································································· 30
표 16. 연어의 유형(이희자, 1995) ········································································· 30
표 17. 의미 · 통사적 특성에 따른 연어의 유형(최경숙, 1997) ····················· 31
표 18. 연어의 분류(강현화, 1997) ········································································· 31
표 19. 연어의 유형(김진해, 2000) ········································································· 32
표 20. 연어의 유형(문금현, 2002) ········································································· 33
표 21. 연어의 유형(한송화·강현화, 2004) ··························································· 34
표 22. 문법적 연어의 구성(홍혜란, 2007) ··························································· 34
표 23. 명사의 연어 결합 양식 ············································································· 35
표 24. 의존명사의 연어 결합 양식 ······································································· 35
표 25. 동사의 연어 결합 양식 ··············································································· 35
표 26. 형용사의 연어 결합 양식 ··········································································· 36
표 27. 부사의 연어 결합 양식 ··············································································· 36
표 28. 기타 품사의 연어 결합 양식 ····································································· 36
표 29. 한·일 연어 대응 유형(김선효, 2010) ······················································· 37
표 30. 한·일 연어 대응 유형(유은성, 2007) ······················································· 37
표 31. 연어의 유형(임근석, 2010) ········································································· 38
표 32. ‘상징부사+용언’형 연어의 분류(문정현, 2012) ······································· 39
표 33. 어휘적 연어의 유형(김기태, 2014) ··························································· 40
표 34. 연대별 한국어 연어에 관한 학위논문 개황 ··········································· 41
표 35. 시기별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분류 ····················································· 42
표 36. 시기별 연구 편수 ························································································· 43
표 37. 1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 분류(학위논문) ·············································· 45
표 38. 1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학술지논문) ······················································ 45
표 39. 1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학위논문, 학술지논문) ··································· 45
표 40. 2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학위논문) ·························································· 46
표 41. 2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학술지논문) ···················································· 47
표 42. 2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 편수(학술지논문) ············································ 49
표 43. 1기와 2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 주제별 편수 ········································· 50
표 44. 3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학위논문) ·························································· 51
표 45. 3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학술지논문) ······················································ 53
표 46. 3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 편수(학술지논문) ············································ 55
표 47. 1기, 2기, 3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 대비(학위논문) ······························ 56
표 48. 1기, 2기, 3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 대비(학술지논문) ·························· 57
표 49. 연구 언어권 분류 ························································································· 59
표 50. 2018년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국가별 통계 현황 ································· 60
표 51. 언어권별 연구 수의 변화 추이(학위논문, 학술지논문) ······················· 60
표 52.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 분류 ······································· 62
표 53. 중국인 초급 학습자 연어 교육의 목적과 목표 ····································· 63
표 54. 형태 초점 접근법의 기법 ··········································································· 64
표 55. 시기별 연구 주제 분석 결과(학위논문, 학술지논문) ··························· 65
표 56. 한국어 연어에 대한 비교·대조 연구의 주제별 분류 ··························· 66
표 57. 기존의 교수법과 어휘접근법의 수업모형 비교 ····································· 68
표 58. 어휘접근법을 활용한 연어 교수·학습 모형 ··········································· 68
표 59. 한국어 연어 교육의 수업 모형(김지은, 2010) ······································· 69
표 60. 플립드 러닝의 구성 요소별 특징(김규훈, 2015) ··································· 70
표 61. 연어의 개념과 분류 및 교수·학습 방향(김규훈, 2015) ······················· 71
표 62. 연어 교육을 위한 연상의 분류(전윤선, 2018) ······································· 71
그림 목 차

그림 1. 연어와 관용어의 경계구분(김기태, 2014) ············································· 25


그림 2. 시기별 연구 편수(학위논문, 학술지논문) ············································· 44
그림 3. 1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 ··········································································· 46
그림 4. 2기의 주제별 한국어 연어 연구(학위논문) ·········································· 47
그림 5. 2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학위논문, 학술지논문) ································· 49
그림 6. 1기와 2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 주제별 대비 ······································· 51
그림 7. 3기의 주제별 한국어 연어 연구(학위논문) ·········································· 52
그림 8. 3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 편수 분포(학위논문) ···································· 53
그림 9. 3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 편수 분포(학술지논문) ································ 56
그림 10. 1기, 2기, 3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 대비(학위논문) ·························· 57
그림 11. 1기, 2기, 3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 대비(학술지논문) ······················ 58
그림 12. 언어권별 연구 수의 변화 추이 ····························································· 61
그림 13.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 분류 ··································· 62
그림 14. 국내 중국인 유학생 현황 ······································································· 64
그림 15. 시기별 연구 주제 비율 분포 ································································· 65
그림 16. 한국어 연어에 대한 비교·대조 연구의 주제별 분류 ······················· 66
韓國語 連語 硏究史 考察

劉 永 寬

江原大學校 大學院 國語國文學科

본 논문은 한국어에서의 연어 연구를 연구사를 중심으로 고찰하여 그 현황을 살펴보았다. 한


국어에서의 연어는 2000년을 전후하여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1990년대는 태동기로 일부 국어학
적인 분야에서만 연어의 개념 및 유형을 살펴보는데 그쳤지만, 2000년 이후부터는 외국어로서
의 한국어 교육학이 크게 대두되면서 연어 연구도 폭발적으로 늘게 되었다. 연어 연구에서 가
장 기초가 되는 ‘연어의 개념’과 ‘연어의 유형’에 대한 연구가 1990년대 말부터 계속해서 연구
되고 있다. 학자들마다 관점이 상이하기 때문에 개념과 유형이 다양하게 제시될 수밖에 없지
만, 일반적으로 “둘 이상의 단어가 글자 그대로의 의미를 유지하면서 긴밀한 결합 관계를 형성
하는 어군으로 출현 빈도가 높고 심리적인 현저성이 높은 것을 말한다.”라고 그 개념을 정의하
고 있다. ‘의미의 지속성’, ‘결합의 긴밀성’, ‘고빈도의 출현’ 등에 초점을 두고 있다.
연어의 유형에 대해서도 일반적으로 어휘소와 어휘소와의 결합을 어휘적 연어, 어휘소와 문
법소와의 결합을 ‘문법적 연어’로 정의하며 그 유형을 크게 나누고 있다. 유형 분류를 통해 그
세부적인 목록을 말뭉치나 한국어 교재에서 추출하였는데, [체언+용언]형 연어가 대다수를 이
루고 있다. 연어는 특별한 공기관계를 이루는 것이기 때문에 [부사(어)+용언]형 연어도 상당수
발견되고 있다.
한국어 연어 연구를 유형별로 분석해 보았는데, ‘시기별, 대상별, 주제별 그리고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시기별로는 1990년부터 현재까지 10년 단위로 하여 1/2/3기로
나누어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을 확인하였다. 학위논문의 경우 특별히 박사학위논문에 많이 집
중하였다. 대상별로는 학습자의 언어권별로 분류하였는데,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
구 결과가 가장 많았다. 국내에 유입되는 학습자들의 많은 수가 중국인이라는 데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각 연구 논문의 주제들을 크게 ‘통합 연구, 연어 목록 및 유형에 대한 연
구, 비교·대조 분석에 대한 연구, 오류 분석에 대한 연구, 교수·학습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그
리고 기타’로 나누어서 파악하였다. 2000년대 이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학에 보다 집중되
면서 ‘외국어와의 비교·대조, 교수·학습 활용 방안’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연
어 교육은 어휘의 한 분야로 보아 ‘어휘적 접근법(Lexical Approach)’을 활용한 방법에 치중하
였다. ‘어휘접근법, 주제 중심교육 방법, 연상기억법’ 등이 있는데, 제시된 방법들은 실제적이고
개별적인 문법과 어휘를 맥락화된 상황과 결부시켜 지도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 핵심주제어

연어, 한국어 연어, 연어의 개념, 유형, 연어 연구, 연구사


1. 서론 (序論 )

1.1. 연구목적(硏究目的)

본 연구는 한국어(韓國語)에서의 연어(連語, collocations) 연구를 연구사를 중심으로 고찰(考


察)하여 그 현황(現況)을 밝히고 후속 연구 과제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에서의
연어 연구는 2000년을 전후하여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1) 연구가 어떤 흐름으로 전개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찾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그 이유는 현재까지의 결과물들의 양적(量的)
분석과 질적(質的) 분석을 통해 유추해 볼 수 있다. 연구의 내용 중 양적으로 가장 많은 지분
을 차지하는 것이 외국어와의 대조(對照) 연구, 문법적 구조(構造)에 따른 분류(分類) 연구, 외
국인 학습자(學習者)들의 오류(誤謬) 분석 연구 등이다. 임근석(2010)의 선행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순수언어학적인 관점과 응용언어학적인 관점 등에서는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
졌지만 연구사적(史的)인 관점에서는 여전히 많이 부족(不足)한 실정이다.
연어 연구는 말뭉치 언어학(言語學)과 어휘(語彙) 교육 분야에서 주로 다룬다. 말뭉치 언어
학에서는 연어에 대해 단어들의 빈번(頻繁)한 결합과 경험적(經驗的)이고 계량적(計量的)인 관
점에서 접근하여 이 연어를 계량적인 방법으로 찾아내는 것을 중요한 연구 주제로 삼고 있다.
어휘 교육 분야에서는 연어를 관용(慣用)표현의 한 범주(範疇)로 설정하여 관용어(慣用語)나 속
담(俗談)과 그 개념(槪念)이 어떻게 다른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지 그 기준(基準) 등을 제시
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 경우가 많다. 또한 개별 한국어 교재(敎材)에서 나타나는 연어의 구
체적(具體的)인 예(例)를 제시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연어란 일반적으로 “둘 이상의 단어가 글자 그대로의 의미(意味)를 유지하면서 긴밀(緊密)한
결합 관계를 형성하는 어군으로 출현(出現) 빈도(頻度)가 높고 심리적(心理的)인 현저성(顯著
性)이 높은 것을 말한다.”라고 한다. 모국어 화자인 한국 사람들에게는 어떠한 어휘가 특별한
부사어(副詞語)나 서술어(敍述語)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지만 한국어를 학습하
는 외국인들에게는 상당히 어려운 일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학습을 할 때 단순반복적인 암
기로밖에 할 수 없는 것이다. 개별 어휘를 많이 알고 있지만 그것과 긴밀하게 결합하는 것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실생활(實生活)에서의 활용(活用)이 당연히 떨어질 수밖에 없다.

1) 임근석(2010), 『한국어 연어 연구』, 역락, p.11.


1. 순수언어학적인 논의 – 홍재성(1993, 1995, 1997), 이희자(1994), 박성숙(1997), 최경숙(1997), 한영균(1997, 강
현화(1998), 이동혁(1998, 2004), 김진해(2000), 임홍빈(2002), 송정근(2002), 임근석(2005ㄱ, 2005ㄴ, 2006,
2008), 박진희(2005), 임유종(2005) 등
2. 응용언어학적 연구 – 옥철영(1993), 윤준태(1997), 홍종선 외(2000), 한영균(2002), 박병선(2003), 임근석(2002,
2007, 2009ㄱ, 2009ㄴ, 2009ㄷ, 2010), 임홍빈·임근석(2004), 이동혁(2005), 한정한(2007, 홍혜란(2007) 등

- 1 -
연어는 한국어 교육에서 꼭 가르쳐야 하는 것들 중 하나이다.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20여
년 이상 연구가 진행되면서 다양한 교수·학습 방안들이 나오고 있지만 그것을 일반화(一般化)
하는 것이 쉽지는 않다.
연어에 대한 연구는 국어학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2000년 이후 꾸준히 이루
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쉬운 것은 지금까지의 연구 동향(動向)에 대해 정리해 주고 분석해 주
는 연구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임근석(2011)에서 그 이전까지의 연어 연구에 대한 전개와 쟁
점에 대한 연구 결과를 내어 놓긴 했지만 한국어 교육에 치우친 경향이 있고, 현재까지의 연구
사적인 후속 연구가 없다. 따라서 2000년대를 전후한 연어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어느 분야에
연구가 집중되어 있는지, 어느 분야가 부족한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나온 연구들을
정리하여 여러 관점으로 분류하고 더 자세하게 분석하여 부족한 부분들을 파악해야 앞으로의
연어 연구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밝힌 이러한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범위와 내용을 한국교육학술정보원
(RISS) - 이하 리스 또는 RISS - 에서 확인할 수 있는 1990년대부터 2019년 8월까지 발표된
국어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학 분야의 연어에 대한 학위논문(學位論文) 151편과 학술(學
術)지 연구논문 100편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연어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주목적
으로 한다.
본 연구는 RISS 에서 선정한 연구 논문들을 시기(時期)별, 교육대상(對象)별, 주제(主題)별,
교육 방법별로 분류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시기별로는 1990년부터 1999년까지를 1기, 2000년부
터 2009년까지를 2기, 2010년부터 2019년까지를 3기로 나눠 한국어 연어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본다. 교육대상별로는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주로 이루어진 연구들을 확인
하여 외국인 학습자들의 상황에 맞게 진행되었는지 살필 것이다. 주제별로는 한국어 연어 연구
가 각 주제에 맞게 균형을 이루고 있는지 등을 확인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육적으로 어떠한
방법적인 결과가 있었는지 볼 것이다.

1.2. 연구대상(硏究對象)과 방법(方法)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1990년대부터 2019년까지 발표된 국어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학 분야의 한국어 연어에 대한 연구 논문 251편(학위논문 151편, 학술지 연구 논문 100편)이다.
분석을 위한 목록 추출(抽出)은 RISS 에서 제공하는 논문을 기준으로 하였는데, 일부 원문
을 보기 어려운 연구 논문들은 목록만 추가하고 내용은 제외하였다. 본 사이트에 ‘한국어’로 검
색한 뒤 ‘연어’로 결과 내 재검색을 하면 학위논문 370편, 학술지논문 337편이 나온다. 이렇게
나온 논문들의 제목과 원문의 목차, 초록 등을 연구 목적에 따라 1차적인 분류를 거쳐 최종적
으로 학위논문 151편과 학술지논문 100편이 선정(選定)되었다.

- 2 -
[표 1 분석 대상 논문 목록 ]

분 류 제 목 출 처
박경미, 권태은, 정희란, 이소영, 박혜연, 박숙영, 양수향, 이준혁, 이지
혜, Do Ngoc Luyen, 강서영, 정숙향, 조미정, 홍혜란, 박현정, 정은
혜, 신지영, 이민성, 김은영, 최경옥, 박혜숙, 양수영, 박민희A, 허영화,
오유영, 일노궁내앙, 이정현, 기단봉, 성아영, 이원미, 조미헤, 신아랑,
안정은, 허영임, 유연, 이미진, 윤소영, 조현지, 장옥경, 함윤희, 김진
희, 왕춘예, 야마시타아이, 이두행, 문정현, I.Nadezda, 이진실, 류정
민, 송안나, 심은경, Hu Meng, 오기노신사쿠, 박정은, 오명희, 김경민,
안재경, 하윤정, 웨 노에 흐닌쏘, 서희경, 남현경, 장소원, 채희령, 박
석사학위
지은, 이목자, 석아남, 정인경, 란첨, 김병욱, 김혜진, 당광월, 서연숙,
학위 논문 인진륀, 박수경, Myat Nilar Soe, 김학훈, 김은숙, 유정태, 김민혜, 이
가라시 유카코, 이성숙, 高地朋成, 김경난, 윤혜연, 한주연, 유열영, 유
정, 조명선, 장리, 은하연, 쇼키로프 이크볼, 박혜인, 저우위, 고우미,
주가문, 최주미, 윤권하, 유성희, 하은선, 차경신, 이비비, 조총희,
Dong Fnagyuan, 왕찬찬, 당천항, 김지혜, 정은주, 허려나, 전윤선,
김희정, 임건동, 이유림, 김하늘, 박지윤, 왕시엔, 유선향, 백욱, 이소
라, 채병열, 박민희B
채명숙, 김진해, 이동혁, 김한샘, 임근석, Fan Qihui, 김지은, 유해준,
박사학위 이경선, 왕효휘, 김기태, Liu Lina, 이양금, 진정정, 유문명, 두도, 이
숙진, 왕유가, 여숙연,

한국정보과학회, 한국어 의미학, 한국어학, 국어학, 국어교육, 한어문교육, 한국어 교육,


이중언어학, 독어학, 한국사전학, 노어노문학, 여성학논집, 한국언어문화학, 문창어문논
집, 이탈리아어문학, 어문연구, 슬라브학보, 일본연구, 비교문화연구, 스페인어문학, 프랑
스문화연구, 응용언어학, 프랑스어문연구, 슬라브어연구, 문법교육, 한말연구, 러시아어문
학술지
학, 언어학 연구, 언어학연구, 어문논집, 언어과학, 선청어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인문
논문
과학논집, 한성어문학, 한국(조선)어교육연구, 한국어문화교육,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인문학연구, 일본어교육연구, 외국어교육, 중동연구, 한민족 문화연구, 국제어문, 일어일
문학연구, 언어와 언어학, 언어와 문화, 영어영문학연구, 언어사실과 관점, 언어치료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한국어와 문화, 민족문화연구, 언어연구

본 연구는 대상 논문들을 시기별, 교육대상별, 주제별, 교육 방법 및 목적으로 크게 4분하였


다. 먼저 국어(한국어)에서 연어를 어떻게 정의(定意)하고 그 유형(類型)을 분류(分類)하는지
파악하였다. 그 다음 대상 논문들을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기본적인 틀을 만들고, 대상
논문들을 구분하였다.
시기별, 교육대상별, 주제별, 교육 방법 및 목적에 따른 분석 기준과 하위분류 항목에 대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

- 3 -
가. 시기별

한국어 연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진 최근 2019년까지 3기로 나누어 학위논문과 학술지 연


구논문들을 살펴보았는데, 1990년부터 1999년까지를 1기로, 이후 10년 단위로 2기, 3기로 나누
어 연구 흐름을 분석했다.

나. 교육 대상별

앞서 밝혔듯이 한국어 연어에 대해서 한국인은 모국어 화자이기 때문에 한국인 화자를 대상
으로 연구는 일부만 대상에 포함시켰다. 한국어 교육적인 차원에서 주로 외국인 학습자들이 되
겠는데 연구 대상의 분포와, 주로 높은 비율(比率)을 차지한 학습자들의 언어(言語)권을 중심으
로 파악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대상도 일부 고려하였다.

[표 2 연구 언어권 분류]

학위논문 학술지논문
중국어권 학습자 28 10
일본어권 학습자 5 2
러시아어권 학습자 4 1
영어권 학습자 4 1
미얀마어권 학습자 3 0
프랑스어권 학습자 1 1
언어권
베트남어권 학습자 1 0

연구 대상 몽골어권 학습자 1 0
인도네시아권 학습자 1 0
타지크어 학습자 1 0
태국어권 학습자 0 1
한국인 고등학생 2 0

초급 학습자 6 4
학습자 수준 중급 학습자 3 0
고급 학습자 3 2

다. 주제별

다음은 한국어 연어와 관련된 학위논문을 통합 연구, 연어 목록 및 유형, 비교·대조 분석,

- 4 -
오류 분석, 교수·학습 및 활용 방안 등의 주제에 따라 연도별로 분류한 것이다.

[표 3 학위논문 주제의 연도별 분류]

내용 연어 목록2)및 비교·대조 교수·학습,


통합 연구 오류 분석 기타
연도 유형 분석 활용 방안
1998 채명숙(박사)
2000 김진해(박사)
2002 박경미 권태은
2003
2004 이동혁(박사) 이소영,정희란
양수향.박혜연
2005 서아란,박숙영
이준혁
Do Ngoc
2006 임근석(박사) 이지혜
Luyen
2007 강서영 홍혜란,정은혜 박현정,정숙향 조미정
신지영,하성예
2008 박이정 박혜숙 최경옥 양수영,이민성
박민희A
2009 박영수,안정은 조은영,김윤경 일노궁내앙 김윤경,허영화 오유영
신아랑,이미진 FanQiHui, 김지은(박사), 윤이나,이두행
2010 안정은 유연
이정현,허영임 기단봉,성아영 이원미 조미혜,
유해준(박사)
이경선(박사) 윤소영,조현지
2011 왕춘예 야마시타아이
장옥경,함윤희 이두행
허영임,김진희

Hu Meng
오기노신사쿠
류정민,문정현 왕효휘(박사), 송안나,안재경
2012 이원미 박정은,김경민
심은경 I.Nadezda, 오명희,안재경
이진실,하윤정
웨노에흐닌쏘

당광월,란첨
서희경,이혜영
2013 채희령 박지은 석아남,인진륀 이목자,서연숙 정인경,김병욱
장소원,
남현경,김혜진
김기태(박사), 유정태, 김민혜,김은숙
2014 다카치 김학훈 이가라시 LiuLina(박사) 이성숙,황정아
토모나리(박사) 유카코 김경난
이양금,장리
2015 유정 은하연 유열영,한주연
조명선,윤혜연

- 5 -
쇼키로프
박혜인,유성희 이크볼, 최주미,하은선
2016 주가문
진정정(박사) 윤권하,저우위 윤권하
차경신,고우미
두도(박사) DongFangyu
2017 유문명(박사) an(박사), 김지혜,정은주 조총희
이비비,당천항 왕찬찬
이숙진(박사)
2018 허려나 임건동 전윤선 김수영,김희정
이유림
왕유가(박사) 여숙연(박사) 박민희B,
2019 김하늘
백욱,이소라 박지윤,왕시엔 유선향,채병열
합계 11 26 40 14 31 29

아래는 학술지 논문을 연도별로 분류한 것이다.

[표 4 학술지 논문 주제의 연도별 분류]

연도 주 제 출판
1993 “영어-한국어 기계 번역을 위한 연어와 숙어 트랜스퍼 사전” 한국정보과학회
“일-한 기계 번역 시스템에서 연어패턴을 이용한 일본어-한국어
1994 한국정보과학회
변환 모델”
“품사 태깅된 말뭉치로부터 한국어 연어 추출” 한국정보과학회
1995
“연어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철자 검사기의 기능 개선” 한국정보과학회
1996 “연어 정보에 기반한 한국어 철자 검사와 교정기의 구현” 한국정보과학회
1999 “연어의 의미 관계” 한국어의미학
2000 “한국어 연어 정보의 분석 응용” 한국어학
“한국어 연어의 개념과 그 통사·의미적 성격” 국어학

“한국어 정보 처리와 연어 정보” 국어학


2002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연어 학습 방안” 국어교육
“엔트로피를 이용한 한국어 연어 추출” 한국정보과학회
200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 교육” 한어문교육
2004 “연어를 이용한 어휘 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
“한국어 연어의 다국어 대조 연구” 이중언어학
“독일어와 한국어의 명사-동사 연어 비교 분석” 독어학
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에서의 연어 연구” 한국사전학
“연어 사전 기술에서의 말뭉치 활용” 한국사전학

2) 어휘적 연어와 문법적 연어

- 6 -
“한국어-러시아어 연어 사전 편찬을 위한 연구” 노어노문학
“다국어 연어 DB 구축과 말뭉치 활용” 한국사전학
“명사를 중심으로 하는 문법적 연어 구성” 한국어의미학
“연어 구성에 나타난 남녀 은유의 양상” 여성학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교수·학습 방안” 문창어문
“‘명사+부리다’ 연어 구성에서의 의미 전이” 한국어학
2006 “한국어-이탈리아어 연어 대조 연구” 이탈리아어문학
“한국어 학습자들의 연어 오류 연구-러시아어 모어 학습자” 어문연구
“한국어-러시아어 연어 사전에서의 연어핵의 다의성의 문제” 슬라브학보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연어 사전의 편찬” 한국사전학
“외국어교육적인 관점에서 한국어와 일본어 연어의 대조” 일본연구
“한국어 고급학습자의 문법적 연어 오류 분석” 비교문화연구
“한국어와 스페인어 연어 유형 대조 ” 스페인어문학
“연어 관계의 제자리 찾기” 한국어학
2007 “제약기반문법에 의한 한국어 연어 분석” 언어와언어학
“한국어 연어의 다국어 대응 유형 분석” 이탈리아어문학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적 연어 사용연구” 이중언어학
“‘-는 바람에’ 유형의 사전기술과 전산처리 - [원인]의 문법적 연
한국어학
어”
“한-프랑스어 연어 대조에서 어휘함수의 활용” 프랑스문화연구
“연어의 의미 기술과 어휘함수” 이탈리아어문학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언어의 유형” 응용언어학
2008
“한국어와 프랑스어 연어의 대조” 프랑스어문교육
“한국어-러시아어 연어변의 의미투명성 판단기준” 슬라브어연구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용 어휘와 연어 추출” 문법교육
“문법적 연어와 한국어 교육 – 조사적 연어” 한국어교육
“코퍼스 기반 한·일 기본어휘의 연어 구성 대조 분석” 국어학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형용사의 연어 관계 연구” 한말연구
2009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문법적 연어 후보 추출” 한국어학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연어습득양상” 이중언어학
“연어 관계를 통한 한국어 성분 부사 선정” 한국어의미학
“어휘함수와 한국어-러시아어 연어의 의미기술” 러시아어문학
“일본어권 학습자를 위한 어휘적 연어 학습” 이중언어학
“한국어 교육에서의 연어 교육 양상” 언어학연구
2010 “연어적 구성을 통한 한국어 교육용 어휘 구성 방안” 어문논집

“한국어 교육에서 의존명사에 의한 문법적 연어” 언어과학

- 7 -
“한국어 연어 교육 연구-[체언+용언]형 연어 중심” 선청어문
“한국어 교육용 어휘 문법 항목의 위계화”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와 몽골어 연어 대조” 인문과학논집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 교육 방안” 한성어문학
“용언형 연어의 문법범주” 한국어학
“한국어 연어의 개념과 특성 및 유형” 한국(조선)어교육연구
“어휘함수를 활용한 연어의 의미관계 기술” 한국어문화교육
“한국어 학습자들의 연어 연상 패턴과 연어 학습 활동 개발”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

“어휘적 연어의 형성과 유추” 한국어학


2011 “한국어 연어 연구의 전개와 쟁점” 국어학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정보 기술 방안” 인문학연구
“일본어 어휘교육을 위한 한국어 ‘명사(를)+받다’ 연어 패턴” 일본어교육연구
2012 “연어의 논항과 의미역” 한국어학
“{명사+동다 ‘불다, 덜다, 피우다’} 연어에 대한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한국어 형용사 ‘착한’의 연어에 관한 고찰” 언어과학
“한국어-아랍어 번역의 연어 연구” 중동연구
“한·영 대조를 통한 한국어 연어 교육의 효과” 외국어교육
2013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교육 방안” 언어과학
“한·일 연어 대조를 통한 감정명사의 의미영역 비교” 언어학연구
“한국어 연어사전의 구출을 위한 전산적 방법론” 한국사전학
2014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법적 연어” 인문과학연구
“‘부사+용언’ 관계를 이용한 타당한 연어 검정 방법” 한국어학
“일본어와 한국어의 명사 연어 구성 – 결합 관계” 일본문화연구
“문법 교육에서 어휘적 연어 수용의 한 방향” 한국어 의미학
2015 “플립드 러닝 기반 한국어 어휘 학습의 가능성 – 연어 중심” 문법교육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법적 연어 분류 – 한국어 교재 분석” 한민족문화연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 교육 내용 - ‘일상생활’ 관련” 국제어문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교육”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
“한국어와 일본어의 ‘명사(조사)+형용사’형 연어에 대한 대조” 일어일본학연구
“한국어 구어 말뭉치를 대상으로 한 연어구성 추출 방법 비교” 언어와언어학
“태국인 초·중급 학습자가 한국어 연어 습득 과정에서 보이는 유추
이중언어학
2016 적 관점”
“일본인 학습자 대상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대조 분석적 연
언어와문화
어 목록 연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연구 – 초급 단계 학습자” 한국문법교육학회
2017 “연어 구성에서의 ‘을/를’ 명사구 중출” 한국어의미학

- 8 -
“‘나다, 들다’의 연어를 활용한 어휘 교육” 한국어교육

“영어와 한국어의 연어” 영어영문학연구

“숙달도에 따른 중국인 학습자의 연어 습득” 한국어와문화


“한국어 중급 교재 연어에 대한 어휘함수 기반 분석” 언어사실과관점
“코퍼스를 활용한 피동사 연어 구성의 통계적 분석” 한국언어문화학
“한국어 처소 표지와 이동 동사의 연어 관계”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초급 프랑스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목록 선정” 이중언어학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연어 사용 오류 분석”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
2018
“농촌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연어능력 특성” 언어치료연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중 ‘체언+용언’형 연어 대응 양상”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주석 유형에 따른 한국어 연어의 우연적 학습 효과” 한국어와문화
2019 “초급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적 연어 교육 방안” 한국어와문화
“심리변화 관련 주술관계 연어의 선택 제약 분석” 민족문화연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체언+용언’형 연어 오류 양상” 언어연구

라. 교육 방법

교육 내용에 대한 접근은 한국어 연어 연구의 주제별 분류에서 그 세부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교육 대상에 대한 부분은 연구 대상별 분류에서 그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논
문에서는 교육 방법에 초점을 두어 그 내용과 확인하도록 하겠다.

1.3. 선행 연구 검토

2000년 이후 연어의 연구 결과는 앞서 밝혔듯이 학위논문이 약 150여 편, 연구논문이 100여


편 이상에 이른다. 국어학(國語學)적 관점(觀點)과 한국어(韓國語) 교육학적(敎育學的) 관점(觀
點)으로 나눌 필요가 있다. 국어 교육과 관련된 박사 논문과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박사 논문
이 상당수 발표되었다.
국어학에서는 연어를 규명(糾明)하는 데 집중하였다. 초기에는 연어와 유사한 관용표현과의
차별(差別)성을 밝히는데 집중했고, 후에는 연어의 범주(範疇)를 설정(設定)하는 것에 대한 논
의가 주를 이뤘다.
김진해(2000)3)는 광의(廣義)의 연어와 협의(狹義)의 연어로 나누고 연어의 일반적 특성을 살
펴보았는데, “통사(統辭)·의미적(意味的)으로 관련을 맺고 있는 어휘이면서 동일한 문장에서 동

3) 김진해(2000), 「국어 연어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9 -
시에 나타나는 어휘들의 공기(共起) 관계(關係)로, 어휘들의 단순한 공기 현상”을 ‘광의의 연어’
로 보았으며. “특정 어휘가 다른 어휘를 요구함으로써 발생하는 어휘소들간의 제한적인 공기
관계”를 ‘협의의 연어’로 보았다. 또한 연어를 어휘적(語彙的) 연어와 형태(形態)·통사적(統辭
的) 연어로 대분류하고 어휘적 연어를 전제적(專制的) 연어, 관습적(慣習的) 연어로 하위분류하
였다. 그리고 연어 범주를 설정했을 때의 의의를 밝힌 것이 특기할 만하다.
이동혁(2004)4)에서는 기존의 연어관계(連語關係)를 검토(檢討)하여 그동안 단순한 공기 현상
의 측면에서만 정의하였던 연어관계의 개념을 5가지의 문제점을 통해 밝히며 연어관계가 어휘
체계를 구성하는 어휘관계임을 밝혔으며, 연어관계가 어떻게 형성되고 그 의미적인 양상은 어
떻게 이루어져 있는지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또한 연어관계의 전산(電算)적 처리(處理)에 대해
밝히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임근석(2006)5)에서는 자연스러운 연어 판별(判別)의 기준(基準)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어휘
소와 어휘소의 결합만을 연어의 대상으로 삼던 기존의 연어 연구에서 벗어나 문법적 연어의
개념을 정립하는데 중요한 목표를 두고 연구하였다. 또한 연어의 하위 유형에 대한 가장 중요
한 유형 분류 기준을 ‘기능’으로 보고 있다. 특별히 연어의 구성을 연어핵(連語核)과 연어변(連
語邊)의 결합으로 파악하는데 어휘적 연어를 체언(體言)적 연어6), 용언(用言)적 연어7)로 크게
양분한다. 문법적 연어는 문법적인 기능의 실현과 기능의 제약을 기준으로 분류하기도 하였다.
한국어 교육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고 있는데, 문금현(2002), 한송
화·강현화(2004), 홍혜란(2007), 김지은(2010), 유해준(2011), 이경선(2011), 김기태(2014), 이숙진
(2018), 여숙연(2019) 등이 있다.
문금현(2002)8)에서는 외국인들이 관용표현이나 상용(常用)구절, 연어, 일반구절 등 습관적으
로 공기하는 형태들을 습득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것들을 ‘의미의 구조(構造), 의미의 투명성(透
明性), 비유성(比喩性) 유무, 분석 가능성, 구성 요소의 대치(代置), 통사적 제약 유무’를 기준으
로 구분하고 위의 각 표현들이 한국어 표현 능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강조하면서
어휘 교육에서의 연어 학습(學習) 방안(方案)을 제시(提示)하고 있다. 또한 의미적인 결합에 의
한 공기관계로 형성된 것을 어휘적 연어9) 그리고 문법적인 결합에 의한 공기관계로 형성된 것

4) 이동혁(2004), 「국어 연어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임근석(2006), 「한국어 연어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위의 책.
1. ‘명사+명사’형 연어
2. ‘관형사+명사’형 연어
3. ‘동사/형용사+명사’형 연어
7) 위의 책.
1. ‘명사+동사/형용사’형 연어
2. ‘부사+동사/형용사’형 연어
8) 문금현(2002),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연어(連語) 학습 방안」, 『국어교육』 한국어교육학회 109권.
9) 1. 주술관계 연어 : 구역질이 나다 / 군침이 돌다 / 나이가 들다 / 눈이 부시다 / 똥이 마렵다 / 배가 고프다
2. 목술관계 연어 : 김을 매다 / 멱을 감다 / 몸부림을 치다 / 물구나무를 서다 / 손뼉을 치다 / 방귀를 뀌다
3. 수식관계 연어 : [체언+관형격조사+체언]형 : 간발의 차 / 우연의 일치 / 최후의 보루 / 한 치의 오차
[부사+용언]형 : 깜빡 잊다 / 깜짝 놀라다 / 누누이 강조하다

- 10 -
을 문법적 연어10)로 분류하였다. 또한 실제 사용되고 있는 문어자료와 구어자료를 분석하여 초
급, 중급, 고급으로 목록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목록을 선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보여주지 않
고 있는 것이 한계점으로 지적을 받고 있다. 그러나 체계적인 연어 목록과 구체적인 학습 방안
이 없던 당시의 현실을 생각했을 때 이 연구는 큰 성과(成果)라고 할 수 있다.
한송화·강현화(2004)11)는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들에게 문법(文法) 교육보다 어휘(語彙) 교
육이 더 중요하다는 점을 근거로 하여 조금 더 유창(流暢)하고 정확(正確)한 의사소통(意思疏
通)을 위해 연어를 활용한 교육이 필요(必要)함을 제기하였다. 학습자가 새로운 언어를 배우기
위해서는 학습자에게 더 다양한 언어를 배울 기회(機會)를 주어야 한다는 주장 하에 어휘의 연
어 교육을 강조(强調)하였다. 해당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연어 교육의 중요성을 연어 내부
정보 제시에서 찾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홍혜란(2007)12)에서는 한국어 고급학습자(高給學習者)의 학습자 말뭉치와 작문 자료를 통해
문법적 연어 오류를 분석함으로써 체계적(體系的)이고 효율적(效率的)인 문법 교수를 위한 기
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현재 덩어리표현(chunk) 단위인 어휘접근적(語彙接近的) 문형표
현의 제시 비율이 한국어교재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제시는 실제 교육 현장이 충
분히 반영되지 않은 결과로 지적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오류 분석 연구가 주로 학습자의
모어(母語)와 한국어의 구조적 차이 또는 학습자의 학습 부족 등에서 오류(誤謬)의 원인(原因)
을 찾고자 했던 경향을 밝히며, 실제 교수 현장에서 어휘접근적 문형표현과 관련된 오류의 특
성을 보여주지 못했음을 지적하였다.
김지은(2010)13)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어휘력(語彙力)을 신장(伸張)시키는데 연어 교육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전제 하에 어휘 교육에서 최대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단어의 결합 정
보를 교육시킬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먼저 한국어 연어가 성립되는 조건을 구성적(構成的) 조
건과 의미적(意味的) 조건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한국어 연어를 교육하는 내용을 “‘일상생활’,
여가생활‘, 건강’, ‘생각과 감정’, ‘단체생활’, ‘대인관계’, ‘경제활동’, ‘사회와 문화’, 자연현상”으로
세분화(細分化)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연어를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교수(敎授) 방안(方案)
을 모색(摸索)하였는데, 일반적인 ’도입–제시- 연습–사용–정리‘의 수업 모형을 따르지만 학
습자의 자발적(自發的)이고 능동적(能動的)인 참여(參與)를 중요시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
습 활동들을 제시하였다. 실제적인 과제 활동을 통해 연어 지식이 이해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
라 능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設計)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부사어+용언]형 : 감기에 걸리다 / 병에 걸리다 / 충격에서 벗어나다 / 타성에 젖다


[용언+관형형 어미+체언]형 : 감칠 맛 / 단적인 예 / 막다른 골목 / 왕성한 식욕
10) 문금현(2002), 앞의 논문, p.222.
결코 ~ㄹ 수 없다, 단지 ~ㄹ 뿐이다, 만약에 ~면, ~는 바람에, 반드시 ~야 하다, 비록 ~일지라도, 설마 ~ㄹ까, 아무
리 ~아도, ~에도 불구하고, 왜냐하면 ~기 때문이다, 차마 ~ㄹ 수 없다, 하마터면 ~ㄹ 뻔하다 등
11) 한송화, 강현화(2002), 「연어를 이용한 어휘 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 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집 3호.
12) 홍혜란(2007),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문법적 연어 오류 분석 – 학습자 말뭉치와 작문 자료를 중심으로」, 『비교문
화연구』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11집 1호.
13) 김지은(2010), 「한국어 연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1 -
유해준(2011)14)에서는 연구자별로 상이한 연어의 범주를 정리했으며 그에 따라 문법적 연어
가 어떠한 용어와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는지를 밝혀 연어가 어휘 범주와 문법 범주로 나뉘어
교수되어야 하는 타당성(妥當性)을 설명(說明)하였다. 또한 표준화(標準化)된 문법적 연어 항목
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먼저 연구하고 코퍼스 자료와 실제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 교
재를 분석하여 실제 교수해야 할 문법적 연어의 항목(項目)을 위계화(位階化)하였다. 사용상의
빈도(頻度)와 학습적(學習的) 용이(容易)성에 따라 분류를 하였는데, 학습적 용이성에 다른 항
목은 결합적 구성 관계와 의미적 투명 관계로 재분류하였다.15) 여기에서는 교육 목적에 따라
위계화한 문법적 연어를 제시하였는데, 한국어 교육에 우선적으로 필요한 공기성이 높은 목록
이기 때문에 고빈도의 자유 결합, 통사적 결속 제약이 있는 공기어 등은 누락되어 있다.
이경선(2011)16)은 크게 어휘적 연어와 문법적 연어로 나뉜 한국어 교육에서의 연어 연구에
서 특히 의존명사(依存名詞)의 문법적 연어에 대해 연구한 것에 큰 의의가 있다. 기존의 문법
적 연어 교육이 현대 한국어의 사용 빈도(頻度)나 학습 난도(難度)와 무관하게 제시되어 있어
체계적이지 않았음을 한국어 교육 자료 분석을 통해 밝히고, 의존명사의 문법적 연어가 한국어
교육에서 왜 필요한지 그 타당성(妥當性)을 증명(證明)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육 자료를 토대로
의존명사의 연어 항목을 초급, 중급, 고급 단계로 선정·배열 후 언어의 형태(形態)와 의미(意
味), 기능(機能)뿐만 아니라 정확성(正確性)하고 유창성(流暢性)에도 초점을 두는 형태(形態) 초
점(焦點) 접근법에 따라 교수-학습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연구자도 밝히고 있듯이
불분명한 문법경계의 형태를 분류하지 못한 점과 의존명사의 문법적 개별 항목의 형태, 의미,
사용한 대한 종합적(綜合的)인 논의가 부족한 것이 과제로 남는다.
김기태(2014)17)에서는 한국어의 어휘적 연어에 초점을 두어 그 동안 연어의 정의, 왜 한 어
휘가 특정어휘와 결합하는지에 대한 연구, 문장성분의 결합으로 나타나는 연어 유형, 외국인들
에게 어떻게 연어를 가르칠 것인가 등의 전반적인 연구 부분을 다시 확인하고, 특별히 『21세
기 세종계획 최종성과물』에 등재되지 않은 연어(連語)의 목록을 다시 작성한 데 연구의 의의
가 있다. 연어의 결합력(結合力)에 따라 연어의 유형을 전형적(典型的) 연어, 전제적(專制的) 연
어, 다의적(多義的) 연어, 의존적(依存的) 연어로 나눈 것이 특기할 만하다.18) 또한 『21세기 세
종계획 전자사전』내의 『연어사전』에 상징부사(象徵副詞)를 포함하고 있는 연어의 수가 상당
히 적음을 통해 상징부사를 포함한 연어도 고려의 대상임을 지적하였다.

14) 유해준(2011), 「한국어 교육 문법적 연어 항목 선정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위의 논문, p.102.
사용의 실제성 학습의 용이성
빈도 결합 관계 의미 관계
분절되지
고빈도 저빈도 분절되는 연어 반투명 불투명
않는 연어
초급 ➜ 고급 초급 ➜ ➜ 고급 초급 ➜ ➜ ➜ 고급

16) 이경선(2011),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의존명사의 문법적 연어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김기태(2014), 「한국어 어휘적 연어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위의 논문, p.71.

- 12 -
이숙진(2018)19)은 여전히 불명확한 연어의 개념들을 정리하고 연어 목록 선정에 대한 객관
성이 부족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객관적(客觀的)이고 체계적(體系的)인 연
어 목록 구축을 위해 의미 항목(項目)별, 학습 등급(等級)별로 연어를 분류하여 새로 제시하였
다. 특별히 한국어 연어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체언+용언’형 연어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
다. ‘체언’ 중 의존명사, 대명사, 수사를 제외한 일반명사(一般名辭)로 한정하고, ‘용언’은 동사와
형용사를 모두 포함한 것은 아쉬운 점으로 남는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들의 학습 효과를 위해
한국어 연어를 의미 항목에 따라 신체, 감정, 삶과 대인 관계, 의식주, 사회생활, 교육과 여가
활동, 자연의 7가지로 설정해서 제시하였다. 연어의 학습 등급 판정의 기준으로 연어 구성(構
成) 요소(要素)의 난도(難度), 실재성(實在性), 학습용이성(學習容易性), 연어의 투명성(透明性)
과 추상성(抽象性), 출현빈도(出現頻度)를 고려(考慮)하였다. 연어를 ‘초급, 중급, 고급’으로 나누
어 등급별로 어떤 내용과 유형을 학습해야 하는지를 밝혔다.20)
여숙연(2019)21)에서는 한국어에 대한 직관(直觀)이 없어 어휘 요소와 문법 요소를 따로 나
누어 배우고 이것을 구조화(構造化)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의 문법
적 연어를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어휘 요소와 문법 요소가 덩어리
(chunk)로 함께 구성된 표현을 학습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사용 정확성과 유창성을
높일 수 있다고 보았다. 특별히 한국어의 문법적 연어와 중국어의 대조(對照)를 통해 ‘일대다,
다대일, 일대일, 대응이 없는 유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한국어 문법적 연어의 의미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으로 15가지22)를 제시하였다. 이어서 문법 교육의 다양한 교수 방법 중

결합력
전형적 연어 전제적 연어
어휘 관용표현
다의적 연어 의존적 연어

19) 이숙진(2018), 「한국어 교육을 위한 ‘체언+용언’형 연어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위의 논문, p.107.
등급 어휘 내용 어휘 유형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장소와 관련된 어휘 및 주변의
1급
초급 사물에 대한 어휘 - 단일어, 고유어, 일상어
2급 공공장소와 관련된 어휘

3급 일생생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친숙한 어휘 - 한자어, 외래어, 합성어, 파생어


중급 - 빈도수가 높은 관용어, 사자성
4급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나 친숙하지 않은 어휘 어, 속담
- 한자어, 외래어, 파생어, 합성
5급 전문 분야에서 사용하는 어휘
어, 전문어, 시사용어, 방언
고급
- 비교적 어려운 관용어, 사자성
6급 사회, 문화, 생활 전반에 걸친 확장 어휘
어, 속담

21) 여숙연(2019),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적 연어 교육 방안 연구 – 명사류 복합구성을 중심으로-」, 숙명


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시간 표현, 경험 표현, 원인 표현, 배경 표현, 조건 표현, 추가 표현, 대조 표현, 정도 표현, 의지·계획 표현, 상태
표현, 가식 표현, 능력 표현, 강조·한정 표현, 당연 표현, 추측·판단 표현

- 13 -
형태(形態) 초점(焦點) 접근(接近)법을 활용하여 실제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한국어의 문법
적 연어를 의존명사와 결부시켜 제시한 것이 특징적이다. 하지만 연구자도 밝히고 있듯이 학습
자 문법 테스트 문항 자료가 번역 문항이나 구어 자료 분석 등이었고, 유형이 선다형으로 구성
되어 정확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점이 한계로 남는다.

- 14 -
2. 연어의 개념과 유형 연구사

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육에서 사용하는 연어(連語, collocations)의 개념을 정의하는 것은 매


우 어렵다. 한국어(韓國語) 교육학(敎育學) 사전(事典)에서는 말뭉치 언어학 관점과 어휘 교육
적 관점의 두 가지로 접근을 하고 있는데, 먼저 말뭉치 언어학에서는 “연어(連語, collocations)
는 둘 이상의 단어의 결합이 기대되는 것보다 더 자주 함께 나타나는 경우를 지칭(指稱)한다”
고 하여, 넓은 관점에서의 공기 관계(共起, co-occurrence)로 다루고 있다. 말뭉치 언어학에서
는 연어에 대해 빈번한 단어 결합을 통해 경험적이고 계량적인 관점으로 접근하며, 이론 언어
학에서는 통사·의미적 제약 결합이라는 관점에서 정의한다.23) 어휘 교육적 관점에서는 “연어
(連語, collocations)는 둘 이상의 단어가 글자 그대로의 의미를 유지하면서 긴밀(緊密)한 결합
(結合) 관계(關係)를 형성하는 어군으로 출현 빈도가 높고 심리적인 현저성이 높은 것을 말한
다.”고 밝히고 있다.24)
연어라는 개념은 Firth(1957)의 “you shall judge a word by the company it keeps”라는 정
의에서 보통 시작되고 있는데, 연어에 포함되는 예들이 다양한 생성 원인과 구성 방식을 갖고
있으며 공기 관계의 긴밀성에서도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구별하거나 발
전된 정의를 내리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2.1. 연어의 개념 연구사

연어(連語, collocations)의 개념에 대한 것은 먼저 연어의 범주에 대한 이해가 수반된다. 연


어는 관용표현의 하위 범주에서 주로 다뤄지는데, 먼저 한국어 교육학 사전(2014)25)에서는 “관
용표현(慣用表現, idiomatic expressions)은 습관적으로 굳어져 익숙하게 쓰이는 표현이되 둘
이상의 언어 기호가 단순한 의미의 합으로 쓰이지 않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라고 밝히고 있
다. “습관적(習慣的)으로 굳어져 익숙한 표현으로 협의의 관용 표현이 가져야 할 여러 조건을
갖추고 있지 않더라도 관용적 의미를 가지고 습관적으로 쓰이는 표현”을 말하는데, 광의의 관
용 표현에는 연어, 속담, 격언, 상용 구절, 간접 표현, 금기담 등이 있다.
임지룡(2011)에서는 H. Jackson 의 견해를 빌려 “연어는 상호의존적 기대치를 갖는 낱말의
결합관계를 말한다.”라고 하며 “다른 낱말과 의미적으로 공기관계에 놓이는 결합관계를 연어라
하고 연어를 통하여 나타나는 의미를 연어적 의미라고 한다.”고 정의하였다.26)

23)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편(2014), 『한국어 교육학 사전』, 도서출판 하우, p.148.
24) 위의 책 p.553.
25) 위의 책 p.552.

- 15 -
1) ㄱ. 어머니가 밥을 셨다.
ㄴ. 아버지가 상을 셨다.
ㄷ. 할아버지가 만물상을 셨다.

1) ㄱ,ㄴ의 빈자리에는 ‘차리다, 준비하다, 올리다, 놓다’ 등이 올 수 있다. “준비한 음식 등을


먹을 수 있게 상 위에 놓다”의 의미로 ‘밥을 차리다, 상을 차리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하지
만 ㄷ의 자리에는 ‘차리다’가 올 경우, ‘시작하다, 운영하다’ 등의 의미로 사용된다.

2) ㄱ. 사슴이 [물 / (?)약 / 공기]을/를 마신다.


ㄴ. (?)아버지가 예쁜 음악을 들었다.
ㄷ. (?)할머니가 떡을 마신다.

2) ㄱ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목적어 ‘물, 약, 공기’는 서술어 ‘마시다’와 공기할 수 있다. 하


지만 주어에 사람이 아닌 동물이 나타났을 때는 ‘(?)사슴이 약을 마시다’와 같이 어색한 표현이
된다. 2) ㄴ에서도 ‘아버지가 음악을 듣다’는 문제가 없지만 ‘예쁜 음악’이 들어가게 되면 문장
의 문법성을 판단하기 어렵게 된다. 2) ㄷ에서도 ‘떡’이라는 음식은 일반적으로 ‘먹다’와 공기하
고, 서술어 ‘마시다’는 목적어로 [+액체]의 자질을 가진 것을 취하기 때문에 ‘떡을 마시다’는 어
색한 표현이 되고 만다. 이렇게 문장 내에서 주어, 목적어, 서술어의 관계 안에서 공기하는 어
휘소와 연어제약이 존재한다.
임지룡(2011)에서는 공기제약의 양상을 ‘주어·목적어·서술어, 부사어, 사람·짐승·식물, 생물과
무생물, 공간·시간·존재’의 5가지로 나누어 정리하였다.27)

은하연(2015)에서는 국외 학자들에 의한 연어의 개념을 아래와 같이 정리하고 있다.28)

26) 임지룡(2011), 『국어 의미론』, 탑출판사, p.203.


27) 위의 책. pp.206-209.
① 주어·목적어·서술어
{동생/개/⁕의자}가 소리를 듣는다.
② 부사어
(?)추운 교실에서 아이들이 발에 털모자를 쓰고 있다.(*발에 털모자를 쓰다 -> 발에 모자를 신다)
③ 사람 · 짐승 · 식물
‘기르다 : 키우다’는 ‘사람, 짐승, 식물’ 모두 공기할 수 있지만, ‘양육하다 : 사람, ’사육하다 : 동물‘, ’재배하다 ;
식물‘에만 공기한다.
④ 생물과 무생물
아이들이 열을 견딘다 / 참는다.
기계가 열을 견딘다 / ⁕참는다
⑤ 공간 · 시간 · 존재
28) 은하연(2015),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나타나는 연어 오류 분석 – 영어권 학습자 말뭉치 자료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7.

- 16 -
[표 5 국외 학자들에 의한 연어의 개념]

연구자(연도) 연어의 정의
Sinclair “연어는 둘 혹은 그 이상의 단어들이 한 텍스트 속에서 서로 가깝게 등장하는 것,
(1970) 연어의 문맥 의존성을 강조함”
Robins
“한 어휘가 습관적으로 다른 특정 어휘와 긴히 연합한 결합”
(1980)
Cruse(1986) “습관적으로 공기하지만 구성 성분의 의미가 투명한 어휘 연속체”
Nattinger and
“연어는 적정한 문맥 속에서 이미 고정적으로 형성된 결합관계를 맺고 있는 어휘
DeCarrico
들, 연어적 능력이 인간 언어 능력 중 화용 능력의 가장 중심에 있다고 봄”
(1992)
Michael Lewis
“예측 가능한 방법을 통해 단어를 결합하는 방법”
(1993)

유해준(2011)에서는 연구자별로 연어의 범주를 어떻게 나누고 있는지 아래 표와 같이 정리


하고 있다.29)

[표 6 국내 연구자별 연어 범주]

연구자 연어 범주
의미적 연어 : 습관적으로 굳어져 쓰이는 것들
이희자(1995) 통사적 연어 : 관용적인 어절의 결합이 통사적 요인에 의한 것들
형태적 연어 : 제한적인 활용꼴로 나타나는 어휘론적 현상으로 설명되는 어절들30)
양영희(1995) 구 이상의 단위가 축자적 의미에서 비롯한 새로운 의미를 나타내는 형식
다른 낱말과 의미적으로 공기 관계를 이루는 것들로 구성 성분의 의미가 투명한
최경봉(1995)
복합체31)
구성 성분의 의미의 조합으로 전체 구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어휘 연속체, 공
최경숙(1997)
기 관계를 형성하며 의미적 긴밀성을 지니고 구성 성분의 요소는 상호 선택적
하나의 어휘 항목이 다른 몇 개의 어휘 항목과 함께 어울려 나타나는 것으로 긴밀
강현화(1997)
하고 고정적인 어휘 관계32)
넓은 의미 : 단순한 두 단어의 결합체
이동혁(1998) 좁은 의미 : 일반 자질의 제약이 아닌 특수한 단어의 제약에 의해 결합된 두 단어
의 결합체
구성 요소들의 의미가 다의화를 거치지 않아 축자 의미를 그대로 드러내긴 하지만
문금현(1999)
습관적으로 공기하는 것
광의의 연어 : 통사·의미론적으로 관련을 맺고 있는 어휘가 동일한 문맥에서 동시
김진해(2000) 에 나타나는 어휘들의 공기 관계
협의의 연어 : 특정 어휘가 다른 어휘를 요구하며 발생하는 어휘소들간의 제한적

29) 유해준(2011), 앞의 논문, pp.10-11.

- 17 -
공기 관계33)

홍종선 외(2001) 이웃하여서 자주 쓰이는 단어들이나 출현 환경에 제약성을 크게 갖는 단어들


임근석(2002) 어휘소 상호 간 또는 어휘소와 문법소 간의 긴밀한 결합 관계를 나타냄
임홍빈(2002) 연어 관계에 있는 어휘소가 문법적 관계에 가장 기본적인 구성을 이룬 것34)
연어 관계는 의미 분절로 인하여 의미 계열이 다른 어휘소들이 맺는 직접적인 어
이동혁(2004)
휘 관계35)

유해준(2011)에서 인용

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연어(連語, collocations)는 연구자들마다 그 범주가 상이


하다. 그에 따라 연어를 정의하는 것도 매우 다르다. 김진해(2000)에서는 최현배(1929)에서부터
윤준태(1999)까지의 연구 결과를 통해 아래 표와 같이 정의하였다.

[표 7 연어에 대한 기존 정의 ]

연구자 용어 개념
이은말 “여러 낱말이 모여서 한 겹진(複雜한)한 뜻을 나타내되, 아직
최현배(1929)
(連語) 온전한 생각을 나타내는 것이 되지 못한 것”
① 의미적 연어 : 구성 요소들이 그의 의미의 합으로 일정한 뜻
을 전달하기는 하지만, 결국 그 요소들의 전의에 기초하여 습관
적으로 굳어져서 쓰이게 된 것들.
이희자(1994) 연어 ② 통사적 연어 : 관용적인 어절의 결합이 동사적인 요인으로
인한 것들.
③ 형태적 연어 : 고정된 어휘꼴이나 혹은 극히 제한된 활용꼴
로 나타나는 어휘론적인 현상으로 설명되는 어절들의 관계
“여러 낱말이 모여서 한 겹진 뜻을 나타내되, 아직 온전한 생각
국어학사전(1995) 이은 말 을 나타내는 것이 되지 못한 것, 곧 겹씨와 마디의 중간에 있는
낱말의 결합체”
“구 이상의 단위가 축자적 의미에서 비롯한 새로운 의미를 나
양영희(1995) 결속연어
타내는 형식”

“다른 낱말과 의미적으로 공기관계에 놓이는 것. 어휘들간의 결


최경봉(1995) 連語
합이 긴밀하고 상호 예측 가능한 것. 사전처리가 필요한 것은

30) 이희자(1995), 「현대 국어 관용구의 결합 관계 고찰」, 『대동문화연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제30집,


p.421.
31) 최경봉(1995), 「국어사전에서의 관용적 표현」, 『한남어문학』 한남대학교 한남어문학회 제20집, p.277.
32) 강현화(1997), 「[체언+용언]꼴의 연어 구성에 대한 연구」. 『사전편찬학 연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제8권1
호, p.191.
33) 김진해(2000), 앞의 논문, pp.20-21.
34) 임홍빈(2002), 「한국어 연어의 개념과 그 통사·의미적 성격」. 『국어학』 국어학회 39집, p.291.
35) 이동혁(2004), 「국어 연어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36.

- 18 -
한정된 어휘들과 공기관계를 형성하는 경우”
“규칙적인 통사관계에 의해 구성되기는 했으나, 어휘적 차원에
서 특별히 긴밀하고 제한적인 결합관계를 보이는 두 단어의 연
홍재성(1995) 연어 쇄, 두 동사 위치에서의 분포의 개방성이나 의미 해석의 투명
성, 합성성의 면에서, 자유로운 구성과 숙어 표현이나 합성어의
중간 정도의 성격을 보이는 것.”
“구성 요소들의 의미가 다의화를 거치지 않아 축자 의미를 그
문금현(1996) 연어
대로 드러내긴 하지만, 습관적으로 공기(共起)하는 것”
“구성 성분의 의미의 조합으로 전체 구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
최경숙(1997) 연어 는 어휘 연속체, 공기 관계를 형성하며, 의미적 긴밀성을 지니
고 구성 성분의 요소는 상호 선택적이다”
“어휘의 제한적 공기관계로 공기확률이 높은 어휘의 결합, 즉
박성숙(1997) 연어 개연성이 높은 제한적인 어휘항목의 연쇄, 쉽게 말해 연어란 같
은 문맥 속에 자주 함께 쓰이는 ‘동료 어휘군’”
연세한국어사전 “명사가 어느 특정한 통사와 잘 어울려 쓰이는 공기 관계를 나
연어
(1998) 타내는 구조”
“말뭉치에서 하나의 어휘 항목은 다른 몇 개의 어휘 항목과 함
께 나타나는 경향이 많은데 이러한 어휘 항목의 긴밀하고 고정
강현화 연어
적인 공기 관계. 즉 연어는 기본적으로 통어적 구성이며 다만
(1998, 1999) 複合句
두 구성 요소가 긴밀한 관계를 보이는 것에 불과하다(1999년
논문에 複合句로 재명명). 숙어(관용어)도 연어에 포함시킴”
“특수한 단어끼리의 관습적인 구 결합체이면서, 연어의 구성 단
이동혁(1998) 연어 위 중 적어도 하나의 단어가 기본 의미가 아닌 비유적 의미로
쓰인 것”
“표본으로부터 조사된 동사와 명사구의 쌍들 중에서 각 동사에
대한 명사구의 분포를 조사하여, 다른 명사구에 비해 많은 빈도
로 공기하고 있는 동사와 명사 쌍(1998).
윤준태
연어 자연어의 단어들 중에는 흔히 반복적으로 군을 이루면서 발생
(1998, 1999)
하는 특징을 가지는 것들이 있다. 즉, 이들에 속하는 단어들은
임의적이지만 우연에 의해 기대되는 것 이상으로 자주 발생하
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1999)“

김진해(2000)에서 인용

연어는 일반 자유결합과 관용어 사이에 위치해서 그 위치(位置)가 아주 모호한데, 연어는 구


성 요소의 의미를 반영한다는 부분에서 관용어와 다른 반면, 출현 빈도가 높고 머리에서 쉬이
떠오르며 심리적(心理的)으로 현저(顯著)하게 나타난다는 점에서 자유결합과 다르다. 따라서 그
인접 범주인 관용어, 자유결합과 분명한 경계선으로 나누어져 있다고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자유결합과 연어, 관용어와 연어 사이에는 명확하게 확인할 수는 없는 불분명한 공유 영역이

- 19 -
있다고 봐야만 한다.36) 김진해(1999)에서는 “구성요소 중 하나가 다른 하나를 제한적(制限的)으
로 요구(要求)하는 것”을 연어 구성이라고 하였는데, 연어의 범주를 규정하는데 ‘단일방향성’을
기준으로 보았다.37)

3) ㄱ. 눈을 감다/뜨다, 방귀를 뀌다, 개가 짖다, 코를 골다


ㄴ. 물구나무를 서다, 전철을 밟다, 시치미를 떼다, 부산을 떨다, 몸부림을 치다

3) ㄱ의 체언 ‘눈, 방귀, 개, 코’는 다양한 용언과 결합할 수 있지만. ‘감다/뜨다, 뀌다, 짖다,
골다’는 결합할 수 있는 체언이 제한적이다.

김진해(2000) 이후 문금현의 연구가 한국어 연어의 개념을 정리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문금


현(2002)38)에서는 “둘 이상의 단어가 축자의미를 유지하면서 긴밀한 결합 관계를 형성하는 어
군으로 출현 빈도가 높고 심리적인 현저성이 높은 것”이라고 연어를 정의하였다. 문금현(2002)
은 연어를 일반구절과 관용구절의 중간쯤으로 여기고, 관용구절, 상용구절, 연어, 일반구절을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비교하여 분류하였다.

[표 8 연어의 기준(문금현, 2002)]

관용구절 상용구절 연어 일반구절


Aa+B=AaB
의미의 구조 A+B=C A+B=AB A+B=AB
A+Bb=ABb
의미의 투명성
불투명 반투명 투명 투명
(유추 가능성)
비유성 여부 有 有無 無 無
분석 가능성 불가능 가능 가능 가능
구성 요소의 대치 제약 반제약 반제약 자유 대치
통사적 제약 强 弱 無 無

위에서 보는 것처럼 연어는 관용구절에 비하여 구성 요소 사이의 결속력(結束力)이나 통사


적 제약의 정도가 약하지만 일반구절에 비하면 그 정도가 강한 편이다. 연어 구성은 두 구성
요소 중에 한 쪽이 다른 요소를 요구하기 때문에 한 방향으로의 일정한 방향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구성 요소 중 하나가 다른 하나를 제한적으로 요구한다는 것은 특정 어휘가 의미를
형성하기 위해서 결합 가능한 어휘를 제한적으로 요구한다는 의미이다.39)

36) 김진해(2000), 앞의 논문, p.34.


37) 김지은(2010), 앞의 논문, p.8.
38) 문금현(2002), 앞의 논문, p.220.

- 20 -
임홍빈(2002)에서는 자유 결합과 연어가 어떻게 구별되는지 그 차이점을 밝히고 이에 따라
연어의 성격을 4가지로 정리하면서 연어의 의미를 정의하였다. 첫째, 연어 관계를 이항적인 어
휘적 의존 관계로 보았다. 둘째, 한 요소가 다른 요소를 선택하는 관계로 정의하였다. 셋째, 두
요소를 ‘연어핵’과 ‘연어변’으로 명명하였다. 넷째, 연어 관계의 주를 이루는 ‘명사+용언’ 구성에
서 명사가 핵을 이루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네 가지 성격을 바탕으로 연어를 정의하였는데,
“연어 관계에 있는 어휘소가 문법적 관계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을 이룬 것”이라고 정의하였
다.40)
이동혁(2004)에서는 “특정한 두 어휘소의 긴밀하고 제한적인 공기관계”로 정의되고 있는 연
어의 개념을 ‘공기관계의 모호함’과 ‘두 어휘소 사이의 관계가 긴밀하고 제한적임을 어떻게 보
장할 것인가’41)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연어 관계와 연어 표현의 개념을 정의하였는데, “연어
관계는 의미 분절로 인하여 의미 계열이 다른 어휘소들이 맺는 직접적인 어휘관계이다.”라고
연어 관계를 정리하고, 연어 표현의 개념은 “연어 관계에 있는 어휘소 X 와 어휘소 Y 의 연쇄
체를 연어 표현이라고 한다." 라고 정의하였다.42)
한송화·강현화(2004)는 연어의 의미를 한국어 교육에 어떻게 적용(適用)시킬지에 관해 중점
적으로 논의를 하였다. “함께 나타나는 단어들의 결합 혹은 통계적(統計的)으로 일정한 수준
이상으로 함께 나타날 가능성이 더욱 많은 어휘들의 결합”으로 연어를 정의하며, 말뭉치 상에
서 높은 빈도로 결합하는 구와 더불어 모어 화자가 특별한 결합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것이지
만 학습자가 오류를 만들어 내거나 스스로 텍스트에서 쓸모 있는 연어라고 선택하는 것들도
그 대상으로 보았다.43)
이승연·최은지(2007)에서는 앞선 논의들을 통해 연어 관계란 문법적 관계를 이루는 두 언어
요소 사이의 선택(選擇) 관계(關係)라고 정리하였다. 이때의 선택이란 1차적으로 의미적(意味
的) 선택을 전제로 하며, 2차적으로는 어휘적(語彙的) 선택을 전제한다고 보았다. 특별히 한국
어 교육적 측면을 고려하여 한국어 교육의 관점에서 연어의 개념을 조금 더 넓은 의미로 정의
하였다. “특정 맥락에서 하나의 어휘적 요소가 이어지는 어휘를 선택하는 관계이며, 두 어휘가
통사적·의미적 결합 관계이면서 어휘적 선택 관계를 가지고 있을 때 연어라고 한다."라고 정의
했으며 특별히 연어 관계를 규정할 때 맥락을 중요한 요인으로 삼았다.44)

4) ㄱ. 나에게 새로운 생활이 .


ㄴ. 한국에 처음 왔을 때는 돈이 없어서 생활이 .

39) 이경석(2011),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의존명사의 문법적 연어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3-14에
서 재인용.
40) 임홍빈(2002), 앞의 논문, pp.291-293.
41) 이동혁(2004), 앞의 논문,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휘 차원과 의미 범주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42) 위의 논문, pp.34-36.
43) 한송화·강현화(2004), 앞의 논문, pp.5-6.
44) 이승연·최은지(2007),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적 연어 사용 연구」, 『이중언어학』 이중언어학회 제34권, p.5.

- 21 -
4)의 문장에서는 ‘새로운’과 ‘돈이 없어서’라는 표현들이 맥락을 형성하며, 그 안에서 명사
‘생활’이 후행 어휘를 제한된 범위 내에서 선택한다. 4)ㄱ에 사용될 수 있는 어휘는 ‘시작되다’,
‘펼쳐지다’ 정도이며, 4)ㄴ에는 ‘어렵다’, ‘힘들다’ 정도일 것이다.

박이정(2008)에서는 연어에 대한 내용을 "대중성을 가지고 있다, 구성요소의 분석이 가능하


다, 의미의 투명성은 분명하지 않으나 본래의 뜻을 가지고 있다, 긴밀하고 제한된 결합 관계이
다, 선택어가 피선택어를 요구하는 선택적 어휘 연속체이다'의 다섯 가지로 정리하면서 연어를
“의미적 공기 관계를 유지하며 긴밀하고 제한된 결합관계로 하나의 어휘소(체언)가 다른 하나
의 어휘소(용언)를 요구하는 선택적 어휘 연속체이다."라고 정의하고 있다.45)
하지만 체언과 용언의 결합으로만 연어를 제한한 것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이후의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부사와 용언의 결합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임근석(2010)에서는 기존의 연구 결과들을 통해 연어를 의미적, 어휘적, 통계적, 종합적 정의


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임근석, 2010 ; 41-42)
가) 의미적 정의
ㄱ. Cruse(1986:40-41) : 연어는 습관적으로 공기하지만 각각의 어휘 구성 성분이 의미
구성 성분이라는 점에서 완전히 투명한 어휘 연속체이다. 결속연어는 연어 가운데 구
성 요소가 분리되기 어려운 형식이다.
ㄴ. 송정근(2002:42) : 통사론적으로 어휘 제약을 통해 서술어와 논항이 결합되고, 의미론
적으로 구성 성분의 축자적 의미의 합이 아닌 전체 의미를 갖지만 구성 성분 중 한
성분의 축자적 의미가 투명한 구.
나) 어휘적 정의
ㄱ. Wanner(1996:15) : 주어진 의미를 표현하기 위한 어휘소 L1의 선택이 L2에 의존적
이고(contingent) L2에 이 의미가 적용되면, L1과 L2는 연어 관계에 있다.
ㄴ. 김진해(2000:36) : 협의의 연어는 특정 어휘가 다른 어휘를 요구함으로써 발생하는
어휘소들간의 제한적 공기 관계이다.
ㄷ. 임홍빈(2002:279) : 연어 관계는 기본적으로 일정한 문법적 구성에 나타나는 두 어휘
소가 사이의 어휘적 선택관계이다.
ㄹ. 이동혁(2004:36) : 연어 관계는 의미 분절로 인하여 의미 계열이 다른 어휘소들이 맺
는 직접적인 어휘관계이다.
다) 통계적 정의
ㄱ. Firth(1951:196) : 연어의 의미는, 단어의 의미에 대한 개념적 또는 추상적 접근과 직
접적으로 관련되는 것이 아니라, 결합적 층위에서 추출된다.

45) 박이정(2008), 「국어의 연어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2 -
ㄴ. Sinclair(1991:170) : 연어는 둘이나 그 이상의 단어들이 한 텍스트 속에서 가깝게 나
타난 것이다.
ㄷ. 한영균(2002:143) : 연어 관계란 기본적으로 한 문장 안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어울
려 쓰이는 단어의 결합 관계를 지칭하는 것이다.
라) 종합적 정의
ㄱ. 최경숙(1997) : 구성 성분의 의미의 조합으로 전체 구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어휘
연속체, 공기 관계를 형성하며, 의미적 긴밀성을 지니고 구성 성분의 요소는 상호 선
택적이다.
ㄴ. 임근석(2002:21) : 협의의 연어의 하위 유형으로서, 문장 안에서 일정한 통사적 구성
을 구성하는 2개의 구성요소(어휘소)가 서로 공기성이 높고, 분포의 제약이 있으며, 의
미적으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경우를 어휘적 연어라 한다.

이경선(2011)은 국어학과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적 연어의 용어와 개념이 통일되어 있지 않


고 문법적 연어의 유형 역시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른 것을 지적하였지만, “어휘 요소와 문법
요소가 제한적인 공기 관계를 이루는 고빈도의 결합 구성의 형태이고 하나의 단위로 사용된
다.”는 것은 공통된 의견으로 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문법적 연어를 “어휘 요소와 문
법 요소가 제한적으로 결합하는 구성으로 하나의 단위를 이루는 것”으로 정의하였다.46)

5) ㄱ. 비가 오는 바람에 택시를 탔어요.


ㄴ. *비가 온 바람에 택시를 탔어요.
ㄷ. *비가 오는 바람으로 택시를 탔어요.

5)ㄱ에서 ‘-는 바람에’는 <이유>를 나타내는 문법적 연어이다. 어휘 요소인 ‘바람’에는 문법


요소인 선행 요소 ‘-는’과 후행 요소 ‘-에’에 대하여 제한적인 선택을 한다. 이러한 문법 요소
‘-는’과 ‘-에’에는 다른 문법 요소가 들어가게 되면 비문이 된다.

연어를 정의할 때 가장 중요한 것으로 밝히고 있는 것이 결합의 ‘제한성(制限性)’과 결합의


‘공기성(共起性)’이다. 유해준(2011)에서는 구성 요소의 결합의 정도성에 따라 자유결합과 연어,
관용표현으로 나누고 있다.47)

46) 이경선(2011), 앞의 논문, pp.23-24.


47) 유해준(2011), 앞의 논문, p.25.

- 23 -
[표 9 구성 요소의 결합의 정도성]

자유 결합 연 어 관용표현

◀-------------------------------------------------▶

자유로운 공기 관계 긴밀한 공기 관계

하지만 연어를 자유 결합과 관용표현과 경계선을 나누는 것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연
어는 자유결합이나 관용표현과 구분되는 것도 있지만 공유되는 영역도 있기 때문이다.

6) 동생이 미역국을 먹었다.

위의 문장은 관용적인 의미로도, 연어의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다. 임지룡(2011)에서는 관용


표현(관용어, 관용구, 숙어, 익은말, 익힘말)을 “둘 이상의 어휘소가 내용적으로 의미가 특수화
되어 있고, 형식으로 구성방식이 고정되어 있는 결합관계를 말한다.”고 하였다.48) 위의 문장을
의미적인 측면에서 보면 ‘미역국 먹다’는 문자 그대로 ‘미역으로 끓인 국을 먹었다’와 ‘실패하다
(낙방하다, 시험에 떨어지다)’라는 관용어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문장을 모국어
화자는 상황맥락(狀況脈絡)과 모국어의 직관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뜻을 보다 정확하게 유추
할 수 있지만 외국인은 모국어 화자와 같은 언어 직관이 없기 때문에 관용 표현인지 연어인지,
자유 결합인지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유해준(2011)은 문법적 연어와 비슷한 개념으로 쓰이고 있는 연어, 구문 표현, 형태적 연어,
관용구, 문법 표현 등의 비슷한 개념들과의 차이점을 밝힘과 동시에 문법적 연어의 개념 범주
를 밝혔는데, 문법적 연어가 되기 위한 기준을 “문법요소와 어휘요소로 이루어진 비자립적 덩
어리 표현”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통사적으로 제한적인 결합 관계를 가지고 비분리적인 덩어
리”로 정의하여 고빈도의 구 구성을 이루고 있는 것을 모두 문법적 연어로 보는 것에 반대하
였다.49)
유해준은 ‘의미의 투명성, (통사적)결속 제약, 결합 원리’의 세 가지 기준을 가지고, 자유 결
합과 공기어, 연어, 관용표현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48) 임지룡(2011), 『국어의미론』, 탑출판사, p.193.


49) 유해준(2011), 앞의 논문, p.30.

- 24 -
[표 10 연어의 개념 범주]

범위 패턴(pattern)
제약조건 자유 결합 공기어 연어 관용표현
투명성 투명 투명 반투명 불투명
결속 제약 x o o o
A+B=A’B
결합 원리 A+B=A,B A+B=AB A+B=C
A+B=AB’

김기태(2014)에서는 연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일부 개념, 즉 ‘연어의 관습성’, ‘연어의 긴밀


성’, ‘공기관계’, ‘선택관계’에 대해 필자의 의견을 밝히며 연어의 개념을 정리하고 있다.50) 앞의
개념들의 문제점들을 지적하며 그 대안으로 연어가 어떻게 생성되는지에 주목하였다. 두 가지
방법을 제시하였는데, 첫째는 “한 어휘가 다른 어휘를 전제하고 출현을 강제하거나 우연히 또
는 관습적으로 어휘의 어울림이 제약적인 경우 두 어휘는 결합력을 가지며, 이 결합력이 연어
를 생성하는 원인이 된다.”고 보았다. 둘째는 “다의화가 특정 상황에서 다른 어울리도록 결합
력을 발생시키므로 연어를 생성하는 기제가 된다.”고 보았다.
또한 연어와 관용어의 경계를 의미의 쓰임을 통해 나누고 있는데 아래 표와 같다.51)

[그림 1 연어와 관용어의 경계구분]

연어 관용표현
‘다의적 쓰임’ ‘비유적 쓰임’

기본 의미 은유/환유

다의적 의미 임시적 의미
사전에 등재 사전에 미등재

채병열(2019)에서는 실제 문법 연어의 사용 양상을 통해 문법 연어를 종합적으로 정의하였


다. 형태·통사적 특성으로 첫째, “문법 연어를 구성하는 문법소로 음운·형태적인 독립성이 없는
형태소를 가진다.”라고 하였는데, 한국어에서는 조사와 어미로 구분된다. 둘째, 문법 연어 내에
나타나는 어휘소와 그것에 선·후행하는 문법소의 결합 관계에서 특정한 제약이 존재한다. 셋
째, 일부 문법 연어는 한국어 문법의 일반적인 통사 규칙을 따른다. 넷째, 문법 연어의 문법소
와 용언이 결합할 때는 시제 등과 관련한 제약이 존재한다. 또한 의미적 특성으로 "문법 연어

50) 김기태(2014), 앞의 논문, pp.20-27.


51) 위의 논문, p.53.

- 25 -
의 전체 의미는 해당 연어를 이루는 각각의 단어로부터 투명하게 나오는 것이 아니므로, 의미
적 불투명을 지닌다."고 하였다.52)

여숙연(2019)에서는 기존의 연어 연구들이 ‘어휘소+어휘소’의 구성에 집중했던 것을 지적하


며 ‘구성요소 간의 긴밀한 결합’이라는 개념에 의거하여 ‘문법소+어휘소’의 구성도 연어의 범주
에 들어갈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에 따라 연어를 “구성 요소들이 서로 제한적인 결합관계
를 가지고 구성 요소의 대치가 자유롭지 않은 덩어리 표현이다.”라고 정의하였다.53)

2000년 이후 지금까지 연어의 개념에 대한 연구를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다

[표 11 연어에 대한 정의]

연구자 용어 개념
광의의 연어 : 통사·의미론적으로 관련을 맺고 있는 어휘가 동일한
김진해 문맥에서 동시에 나타나는 어휘들의 공기 관계
연어
(2000) 협의의 연어 : 특정 어휘가 다른 어휘를 요구함으로 발생하는 어휘
소들간의 제한적 공기 관계54)
문금현 둘 이상의 단어가 축자의미를 유지하면서 긴밀한 결합 관계를 형성
연어
(2002) 하는 어군으로 출현 빈도가 높고 심리적인 현저성이 높다.55)
임홍빈 연어 관계에 있는 어휘소가 문법적 관계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을
연어
(2002) 이룬 것56)
연어 관계의 개념 : 연어 관계는 의미 분절로 인하여 의미 계열이
이동혁 다른 어휘소들이 맺는 직접적인 어휘관계이다.
연어 관계
(2004) 연어 표현의 개념 : 연어 관계에 있는 어휘소 X와 어휘소 Y의 연쇄
체를 연어 표현이라고 한다.57)
한송화·강현화 함께 나타나는 단어들의 결합 혹은 통계적으로 일정한 수준 이상으
연어
(2004) 로 함께 나타날 가능성이 더욱 많은 어휘들의 결합58)
특정 맥락에서 하나의 어휘적 요소가 이어지는 어휘를 선택하는 관
이승연·최은지
연어 계이며, 두 어휘가 통사적·의미적 결합 관계이면서 어휘적 선택 관
(2007)
계를 가지고 있을 때 연어라고 한다.59)
의미적 공기 관계를 유지하며 긴밀하고 제한된 결합관계로 하나의
박이정
연어 어휘소(체언)가 다른 하나의 어휘소(용언)를 요구하는 선택적 어휘
(2008)
연속체이다.60)

임근석 협의의 연어의 하위 유형으로서, 문장 안에서 일정한 통사적 구성을


연어
(2010) 구성하는 2개의 구성요소(어휘소)가 서로 공기성이 높고, 분포의 제

52) 채병열(2019), 「한국어 관용 표현의 통사 분석 연구-문법 연어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p.36.
53) 여숙연(2019), 앞의 논문, p.24.

- 26 -
약이 있으며, 의미적으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경우를 어휘적 연어
라 한다.61)

어휘·문법적으로 상호 연결이 가능한 형태소들의 조합.


개별적 형태소들 사이에 가지게 되는 상호 기대(mutual
여춘연 expectations)와 언어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형태소의 배합을 지칭
연어
(2010) 하는 개념으로, 형태적으로 분석 가능한 두 어절 이상의 형태소(어
휘소나 문법소)간의 고빈도 공기 결합 구성으로 문장 안에서 하나의
통합된 구문 단위처럼 쓰이면서 의미적으로 투명한 언어 형태.

이경선 어휘 요소와 문법 요소가 제한적으로 결합하는 구성으로 하나의 단


문법적 연어
(2011) 위
임홍빈·임근석(2004)의 연어 개념에 동의 :
유해준
협의의 연어 연어 구성을 이루는 두 어휘소 는 선택의 방향성을 가지며 언어핵
(2011)
과 연어변이 인접성을 가지고 하나의 단위처럼 행동한다.62)
상호의존적 기대치를 갖는 낱말의 결합관계
임지룡
연어 다른 낱말과 의미적으로 공기관계에 놓이는 결합관계를 연어라 하고
(2011)
연어를 통하여 나타나는 의미를 연어적 의미라 한다.63)
은하연 통계적으로 공기할 확률이 높은 어휘 요소 간 혹은 어휘와 문법 요
연어
(2015) 소간의 긴밀한 결합 관계64)
두도 어휘소와 어휘소, 또는 어휘소와 문법소가 상호간 긴밀하게 결합하
연어
(2017) 는 것65)
채병열 문법 연어는 형태·통사적 특성 혹은 의미적 특성을 충족하는 하나의
문법 연어
(2019) 단위 표현을 말한다.66)
여숙연 구성 요소들이 서로 제한적인 결합관계를 가지고 구성 요소의 대치
연어
(2019) 가 자유롭지 않은 덩어리 표현67)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연어의 정의는 연구의 초점(焦點)이 어


디에 있느냐에 따라 조금씩 상이(相異)하게 나타난다. 연어를 이루는 요소의 의미와 형태, 결합
관계에 따른 의미의 예측 가능성, 공기 관계의 고정성 정도 등에 따라 정의는 다르지만 “어휘

54) 김진해(2000), 앞의 논문, p.20.


55) 문금현(2002), 앞의 논문, p.220.
56) 임홍빈(2002), 앞의 논문, p.291.
57) 이동혁(2004), 앞의 논문, p.36
58) 한송화·강현화(2004), 앞의 논문, p.5.
59) 이승연·최은지(2007), 앞의 논문, p.5.
60) 박이정((2008), 앞의 논문, p.17.
61) 임근석(2010), 앞의 논문.
62) 유해준(2011), 앞의 논문, p.25.
63) 임지룡(2011), 앞의 책, p.203.
64) 은하연(2015), 앞의 논문, p.18.
65) 두도(2017), 「한국어 의존명사 중심 문법적 연어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6) 채병열(2019), 앞의 논문, p.36.
67) 여숙연(2019), 앞의 논문, p.24.

- 27 -
요소 간의 공기 관계”라는 부분에서는 대부분 동의한다.68) 앞서 한국어(韓國語) 교육학(敎育學)
사전(事典)(2014)에서 밝혔듯이 말뭉치 언어학에서는 연어를 “둘 이상의 단어의 결합이 기대되
는 것보다 더 자주 함께 나타나는 경우”로 연어를 정의하며 ‘고빈도(高頻度)’에 조금 더 초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어휘 교육적 관점에서는 “둘 이상의 단어가 글자 그대로의 의미를 유지하면
서 긴밀한 결합 관계를 형성하는 어군으로 출현 빈도가 높고 심리적인 현저성이 높은 것”으로
정의하여 ‘의미의 지속성’, ‘결합의 긴밀성’, ‘고빈도의 출현’ 등에 초점(焦點)을 두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2. 연어의 유형 연구사

연어를 정의하는 것만큼 어려운 것이 연어의 유형을 나누는 것이다. 연어의 정의에서 확인
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연어는 형태(形態)·통사적(統辭的)인 부분과 의미적(意味的)인 부분으로
나눠서 생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를 문법적(文法的) 연어, 후자를 어휘적(語彙的) 연어
라고 한다. 큰 틀에서는 문법적 연어와 어휘적 연어의 두 유형으로 연어를 분류할 수 있지만
이것 역시 학자들마다 그 의견이 다르다.
Benson et al.(1986, 1987)에서 먼저 연어를 문법적 연어와 어휘적 연어로 분류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가) Benson et al.(1986)의 연어와 문법적 연어


ㄱ. 연어 : 고정적(固定的)이며 확인 가능하고 비-관용구적인 많은 구와 구성을 순환적
(循環的) 결합, 고정적(固定的) 결합, 또는 연어라고 한다.
ㄴ. 문법적 연어 : 명사, 동사, 형용사와 같은 지배적 단어와 전치사 및 부정사나 절과 같
은 문법적 구조로 이루어진 구를 말한다.
나) Benson et al.(1987)의 연어의 유형69)

[표 12 문법적 연어의 하위 유형 (Benson et al. 1987)]

연어 유형 예
G1 : N + PREP(명사 + 전치사) blockade against, apathy towards

G2 : N + to + INF(명사 + to + 부정사) a pleasure to do something, an attempt to

68) 홍혜란(2007), 앞의 논문, p.5.


69) 임홍빈(2002), 「한국어 연어의 개념과 그 통사·의미적 성격,」 『국어학』 국어학회 39집, p.302,
강서영(2007),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적 연어 사용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3.
재구성.

- 28 -
do something
G3 : N + that + Clause(명사 + that + 절) an agreement that..., an oath that...
G4 : PREP + N(전치사 + 명사) by accident, to somebody’s advantage
G5 : A + PREP(형용사 + 전치사) (to) be angry at, (to) be afraid of
(to) be necessary to do something, (to) be
G6 : A + to + INF(형용사 + to + 절)
ready to do something
(to) be afraid that..., (to) be imperative
G7 : A + that + Clause(형용사 + that + 절)
that...
A형 = SVO to O ↔SVOO
G8 : 동사유형에 따른 구성(19가지) (여격이동 변형 가능 동사)
B형 = SVO to O(여격이동 변형 불가능)

[표 13 어휘적 연어의 하위 유형 (Benson et al.)]

연어 유형 예
L1 : 동사 + 명사/대명사/전치사구 reach a verdict, apply a principle
L2 : 동사 + 명사 ease tension, override a veto
L3 : 형용사 + 동사 rough estimate, sweeping generalization
L4 : 명사 + 동사 bee buzz/sting/swarm, bomb explodes
L5 : 명사1 + of + 명사2 flock of sheep, pack of dog
L6 : 부사 + 형용사 closely acquainted, hopelessly addicted
L7 : 동사 + 부사 appreciate sincerely, apologize humbly

Carter(1987)는 어휘 연결의 제약성 여부를 기준으로 연어를 분류했다70).

[표 14 연어의 유형(Carter, 1987)]

연어 유형 설명
제약적인 연어 “한 어휘 항목의 출현이 다른 어휘 항목에 의해 조건 부여
(Most restricted collocation) 되는 것으로 주로 고정된 표현들”
준 제약적인 연어
“제한된 수의 다른 어휘 항목과 쉽게 공기하는 것들”
(Semi-restricted collocational range)
비 제약적인 연어 “특정 어휘 항목이 매우 넓은 범위의 어휘들과 개방적으로
(Unrestricted collocations) 결합할 수 있는 것들”

Lewis(2000)는 연어의 대상어(node)와 결합어(collocator)간의 결속력을 기준으로 어휘적 연


어를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71)

70) 강서영(2007), 앞의 논문에서 재인용.

- 29 -
[표 15 연어의 유형(Lewis, 2000)]

연어 유형 설명
강한 연어(strong collocation) “속담이나 격언을 포함하는 관용적 표현”
‘대상어와 결합어 사이의 결속력이 강하지 못하고 하나의 대
약한 연어(weak collocation)
상어에 수많은 결합어가 올 수 있는 경우“
“강한 연어와 약한 연어 사이의 중간 정도의 결합력을 가진
중간 연어(inter collocation) 연어로서 하나의 대상어가 둘 이상 몇 개의 한정된 결합어와
만 결합하는 경우”

Benson(1986)과 Carter(1987), Lewis(2000)의 분류를 바탕으로 국내 학자들의 연구도 상당한


진척(進陟)이 있었는데, 연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전인 1990년대 가장 대표적
인 연구로는 이희자(1995), 최경숙(1997), 이동혁(1998), 강현화(1997), 김진해(1999, 2000) 등이
있고, 2000년대 이후 문금현(2002), 임홍빈(2002), 임근석(2002), 한송화·강현화(2004), 홍혜란
(2007), 김선효(2010), 문정현(2012), 김기태(2014) 등이 있다.
이희자(1995)에서는 연어의 유형을 의미적(意味的), 통사적(統辭的), 형태적(形態的) 연어로
나누고 있다. 먼저 의미적 연어는 “구성 요소들이 그의 의미의 합으로 일정한 뜻을 전달하기는
하지만 결국 그 요소들의 전의에 기초하여 습관적(習慣的)으로 굳어져서 쓰이게 된 것들을 일
컫는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통사적 연어는 “관용적(慣用的)인 어절(語節)의 결합(結合)이 통사
적인 요인으로 인한 것”이라고 정의하며 ‘용언(用言)에 의한 선택(選擇) 제약(制約), 체언(體言)
에 의한 선택 제약, 부사어(副詞語)에 의한 선택 제약, 통사적인 공기 관계’로 하위분류하였다.
형태적 연어는 “통사나 의미 현상으로서가 아니라 고정(固定)된 어휘꼴이나 혹은 극히 제한된
활용꼴로 나타나는 어휘론적인 현상으로서 설명되는 어절들의 관계”라고 정의하였다.

[표 16 연어의 유형(이희자, 1995)]72)

연어 유형 연어의 예
의미적 연어 뒤가 꿀리다, 속을 끓이다 등
ㄱ. 용언 선택 제약 : 귀를 막다, 입을 다물다, 눈을 감다 등
ㄴ. 체언 선택 제약 : 거드름을 피우다, 물구나무를 서다 등 *물구나무를 앉다
통사적 연어 ㄷ. 부사어 선택 제약 : 가랑이가 찢어지게 가난하다, 코가 삐뚤어지게 마시다 등
ㄹ. 통사적 공기 관계 : 단지 –ㄹ 뿐이다, 결코 –ㄹ 수 없다, 반드시 –어/아야 하
다 등
형태적 연어 -려나 보다, -에 따라서, -ㄴ가 보다, -에 대한 등

71) 임병준(200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교육」, 『한어문교육』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11집, p.100.
72) 이희자(1995), 앞의 논문, pp.421-430.

- 30 -
최경숙(1997)은 연어를 구성요소의 통사적(統辭的) 특성(特性)과 의미(意味) 전환(轉換)에 따
라 6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있는데 아래 표와 같다.

[표 17 의미 통사적 특성에 따른 연어의 6가지 유형(최경숙, 1997)]73)

유 형 예
연어를 구성하는 요소가 모두 기본의미에서 파생된 의미 1) 길을 뚫다
유형Ⅰ
로 전이되는 것 2) 손(이) 거칠다
앞의 명사는 기본의미에서 파생된 의미로 전이되어 쓰이 1) 가슴(이) 설레다
유형Ⅱ
고 뒤의 동사는 기본의미를 지님. 2) 손이 부족하다

앞의 명사는 기본의미 그대로를 지니지만 뒤의 동사는


1) 구색을 맞추다
유형Ⅲ 의미가 전이되어 쓰이는 것으로, 앞에 오는 명사가 뒤의
2) 두각을 나타내다
동사를 제약 함.

연어를 구성하는 요소 모두 기본의미 그대로를 가지지만 1) 눈을 뜨다


유형Ⅳ
동사가 특정 명사하고만 결합하는 것이 특징. 2) 빨래를 하다
주로 양태 부사에 의해 생기는 통사적 공기 관계에 있는
것으로 부사는 문장에서 다른 단어, 표현과 호응하여 쓰 1) 단지 –ㄹ 것이다
유형Ⅴ
이는 것이 일반적이고 구성하는 요소가 모두 기본의미 2) 모름지기 –야 하다
그대로 쓰인다.
통사나 의미 현상으로서가 아니라, 고정된 어휘형태나 1) -바람에
유형Ⅵ 혹은 극히 제한된 활용 형태로 나타나는 어휘론적인 현 2) -에 대한
상으로서 설명되는 형식. 3) -ㄴ인 것이다

강현화(1997)에서는 1차적으로 연어의 구성을 ‘명사+명사’, ‘명사+동사’, ‘관형어+명사’, ‘부사+


동사’, ‘조사+동사’ 등의 형태로 분류하였다. 또한 해당 체언이나 용언의 의미적(意味的)인 전이
성(轉移性) 여부와 제약성(制約性) 여부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류하였다.

[표 18 연어 분류 (강현화, 1997)]74)

유 형 설 명 예시
전철을 밟다, 각축을 벌이다,
① 체언으로서의 독립적인 지위를 가지지 못하며 특정 용언
물구나무를 서다, 주눅이 들다,
과만 공기하는 구성
a+B 골탕을 먹다 등
② 체언에 약간의 독립적 쓰임이 있으나 특정 용언과만 공 제비를 뽑다, 영문을 모르다,
기하는 구성 넉살이 좋다, 염치를 모르다 등
a′+B 체언이 비유적으로 쓰인 구성 골수에 사무치다, 뒤를 캐다,

73) 허영화(2009),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주제중심 연어교육 방안」,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20.에서
재인용.

- 31 -
수포로 돌아가다 등
목이 잠기다, 풀을 먹이다, 죄
A+b′ 용언이 비유적으로 쓰인 구성
를 벗다, 정신이 팔리다 등
사기를 치다 심술을 부리다. 난
A+b 용언의 의미가 약화되어 체언과 긴밀한 관계를 보이는 구성
리를 떨다 등
① 의미 원소가 같은 동사류의 선택 제약에 의해 연어를 이 개가 짖다, 사자가 포효하다,
루는 구성 북을 치다, 피리를 불다, 모자
를 쓰다, 신을 신다 등
A+B 결원이 생기다, 꿈이 깨지다,
② 독립된 체언이 특정 동사와 높은 빈도로 쓰인 구성
미련을 남기다, 배를 곯다 등
춤을 추다, 꿈을 꾸다, 짐을 지
③ 동족 목적어 구문
다 등

① 체언과 용언이 모두 제약된 쓰임을 가지는 구성


일침을 놓다, 거덜이 나다/-을
② 제약된 체언이 의미가 약화된 용언과 이루는 구성
a+b 내다, 허탕을 치다, 덜미를 잡
③ 체언과 용언의 구 전체가 비유적으로 쓰인 구성
히다, 군침을 삼키다 등
④ 숙어 구성

속을 태우다, 입이 무겁다, 손
a′+b′ 체언과 용언 각각이 비유적으로 쓰인 구성
을 타다, 애를 먹이다 등

김진해(2000)에서는 연어를 크게 어휘적 연어와 형태·통사적 연어로 분류하였다. 어휘적 연


어는 선택어의 통사적 범주에 따라 용언에 의한 연어와 부사에 의한 연어, 체언에 의한 연어와
수식어에 의한 연어로 소분류하였다. 그리고 다시 형태·통사적 연어는 선택어의 통사 범주를
기준으로 ‘부사에 의한 연어와 의존 명사에 의한 연어 그리고 보문 동사에 의한 연어’ 등으로
나누었다. 다음 표는 위의 논문의 결과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표 19 연어의 유형, 김진해(2000)]75)

용언에 의한 전제적 연어
전제적 연어 부사에 의한 전제적 연어
단위명사에 의한 연어
어휘적 연어 제약적 연어
연어 체언에 의한 관습적 연어
준-제약적 연어
관습적 연어
[수식어·피수식어]형 관습적 연어
[체언-(의)]형 관습적 연어

형태·통사적 연어 부사에 의한 형태·통사적 연어 양태 부사에 의한 연어

74) 강현화(1997), 앞의 논문, pp.194-205.

- 32 -
부정 극어에 의한 연어
의존 명사에 의한 형태·통사적 연어
보문 동사에 의한 형태·통사적 연어

문금현(2002)에서는 크게 어휘적(語彙的) 연어와 문법적(文法的) 연어로 나누었는데, “의미적


인 결합에 의해 공기관계가 형성된 것을 어휘적 연어, 문법적인 결합에 의해서 공기관계가 형
성된 것을 문법적 연어”라 하였다. 어휘적 연어는 통사적(統辭的)인 기준(基準)에 의해 주술(主
述)관계, 목술(目述)관계, 수식(修飾)관계로 나누고, 수식관계 연어는 결합되는 품사(品詞)적인
정보(情報)에 의해 4가지로 다시 나누었다.

[표 20 연어의 유형, 문금현(2002)]76)

주어+서술어
눈이 부시다, 배가 고프다, 구역질이 나다, 군침이 돌다 등
관계
목적어+서술어
몸부림을 치다, 손뼉을 치다, 김을 매다, 방귀를 뀌다 등
관계
어휘적 연어 [체언+관형격조사+체언] 한 치의 오차, 간발의 차
[부사+용언] 깜짝 놀라다, 깜빡 잊다
수식관계
[부사어+용언] 병에 걸리다, 감기에 걸리다
[용언+관형형어미+체언] 왕성한 식욕, 막다른 골목
문법적 연어 단지 –ㄹ 뿐이다, 결코 –ㄹ 수 없다, -에도 불구하고, 만약에 –면, -는 바람에

임홍빈(2002)에서는 연어를 연어핵과 연어변의 이항적인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고, 연어


의 유형을 “N_V(명사 + 동사), N_A(명사 + 형용사), ADV_V(부사/부사어 + 동사), ADV_A(부
사/부사어 + 형용사), N 의_N(명사 + 속격조사 + 명사)”의 5가지로 나눴다.77)

임근석(2002)에서는 언어 표현의 구성 요소가 특정한 통사적 구성을 이룬다는 점에 주목하


여 연어 구성을 어휘적 연어와 문법적 연어의 두 가지로 유형화하였는데, “가닥이 잡히다, 가
랑비가 내리다. 가뭄이 들다 등”을 주술관계, “가닥을 잡다, 가래침을 뱉다, 가부좌를 틀다 등”
을 목술관계, “갈림길에 서다, 감사에 들어가다 등”을 부사어-서술어 관계로 나누고, 수식관계
는 “[체언+관형격 조사+체언]형, [부사+용언]형, [용언+관형사형 어미+체언]형”의 3가지로 하위
분류하였다.78)

75) 김진해(2000), 앞의 논문, pp.46-47.


76) 문금현(2002), 앞의 논문, pp.221-222.
77) 임홍빈(2002), 앞의 논문, p.295.
78) 이소영(2004), 「신문기사 텍스트에서 한일 연어구성 비교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4.

- 33 -
한송화·강현화(2004)에서는 어휘 교육적 차원에서 관심을 두어야 하는 연어들의 목록을 살
펴 10가지의 유형으로 나눴다.

[표 21 연어의 유형, 한송화·강현화(2004)]

유 형 예
비교적 고정되어 있고 거의 변화가 허용되지 않는
미역국을 먹다, 새빨간 거짓말
표현인 관용구나 은유적 표현, 구동사
함께 나타나는 것이 어휘의 의미 자질 등으로 자 무거운 : 짐, 책가방, 물체, 물건, 돌(예측 가능)
연스럽게 예측되지 않는 어휘간의 결합 무거운 : 책임, 부담, 죄, 몸(예측 불가능)
빈도가 높은 어휘 결합 높은 구두, 높은 파도, 빨간 불, 빨간 장미
명사를 중심으로 한 연어 구조 합격하다, 시험 + 보다, 붙다, 떨어지다
기존의 연어 영역보다 조금 더 확장된 연어 영역 시험 + 있다, 망치다, (안) 나오다
품사와 관계없이 선행과 후행의 연어 정보 수능 시험, 입학시험
세 단어 이상의 결합 시험을 완전히 망치는, 시험을 잘 보면
추상적 어휘의 연어 별, 아무+생각, 황당한, 좋은+생각
맥락을 고려한 연어 구조 ‘시험을 치르다, 시험을 보다’의 차이
학습자 오류를 중심으로 한 연어 구조 서명을 쓰다, 해가 나간다

홍혜란(2007)에서는 문법적 연어를 “어휘 요소와 문법 요소 간의 고빈도 공기 결합 구성으


로 문장 안에서 하나의 어휘처럼 쓰이면서 문법적 기능을 담당하는 어휘-문법적 구성”으로 정
의하며, ‘명사 중심, 용언 중심, 의존명사 중심’으로 먼저 분류하고, 그것을 연결형(連結形)과 종
결형(終結形)으로 다시 나누어서 분류하였다.

[표 22 문법적 연어의 구성, 홍혜란(2007)]

구 분 예 시
-의 경우에는, -(으)ㄴ/는 가운데, -(으)ㄴ/는 반면(에), -기 전에, -(으)
연결형
명사 중심 ㄴ/는 탓(에)
종결형 -(기)가 일쑤이다, -(으)ㄴ/는 감이 있다, -(으)ㄴ/는 모양이다
연결형 -(으)로 볼 때, -은/는 고사하고, -(으)로 인해서, -에 의하면
용언 중심
종결형 -(으)ㄴ/는지 모르다, -(으)ㄴ/는/(으)ㄹ듯하다, -(으)ㄹ까 봐(서)

의존명사 연결형 -는 김에, -(으)ㄴ/는 데다가, - 때문에/기 때문에, -(으)ㄴ/는 탓에


중심 종결형 -(으)려던 참이다, -는 데 좋다, -(으)ㄹ 뻔하다, -(으)ㄹ 수 있다

강현화(2008)에서는 연어 사전에서 제시한 표제어(表題語) 2,312개를 분석하여 개별 품사에


따른 연어의 형식적(形式的) 유형(類型)을 제시하였다. 개별 의미항목으로는 8,257개의 의미항

- 34 -
목이 나온다. 결합 위치에 따라 선행결합(先行結合) 연어와 후행결합(後行結合) 연어, 무결합
(無結合) 연어로 나누었는데, 표제어의 앞에 다른 요소가 공기하는 것을 선행 연어, 표제어의
뒤에 공기하는 것을 후행 연어라 하였다. 개별 의미항목이 연어 관계를 구성하지 않는 경우는
무결합으로 보았다.79)

다음은 명사의 결합 양식이다.


[표 23 명사의 연어 결합 양식]

선행결합형 후행 결합형 선행 결합형 후행 결합형


결합 유형 빈도 결합 유형 빈도 결합 유형 빈도 결합 유형 빈도
관+명 597 명+관 - 명+명/대 - 명/대+명
동+명 11 명+동 986 관+명/부 7 명/관+명 2
명+명 763 명+명 605 동+명/부 1 명/부+동 18
부+명 32 명+부 8 부+명/부 8 명/부+명 11
형+명 2 명+형 1 부+명/부 8 명/부+부 2
부+명/관 1 명/관+부

다음은 의존명사의 결합 양식이다.

[표 24 의존명사의 연어 결합 양식]

선행결합형 후행 결합형 선행 결합형 후행 결합형


결합 유형 빈도 결합 유형 빈도 결합 유형 빈도 결합 유형 빈도
관+의명 3 의+관 - 동+의명 1 의명+동 -
동+의명 8 의명+명 3 부+의명 - 의명+부 1

다음은 동사의 결합 양식이다.


[표 25 동사의 연어 결합 양식]

선행결합형 후행 결합형 선행 결합형 후행 결합형


결합 유형 빈도 결합 유형 빈도 결합 유형 빈도 결합 유형 빈도
관+동 3 동+관 - 명+동/형 4 동/형+명 -
동+동 108 동+동 325 부+동/형 2 동/형+부 -
부+동 645 동+부 1 동+보조동사 19 보조동사+동 -
명+동 1932 동+명 101 명+보조동사 1 보조동사+명 1

79) 강현화(2008), 「한국어 교육을 위한 연어의 유형에 대한 고찰」, 『응용언어학』 한국응용언어학회 24집 3호,
pp.204-206.

- 35 -
형+동 3 동+형 1 부+보조동사 3 보조동사+부 -

다음은 형용사의 결합 양식이다.

[표 26 형용사의 연어 결합 양식]

선행결합형 후행 결합형 선행 결합형 후행 결합형


결합 유형 빈도 결합 유형 빈도 결합 유형 빈도 결합 유형 빈도
관+형 1 형+관 - 동+형 - 형+동 175
동+형 25 형+동 - 형+형 8 형+형 4
명+형 351 형+명 268 형+보조형용사 7 보조형용사+형 -
부+형 157 형+부 2

다음은 부사의 결합 양식이다.


[표 27 부사의 연어 결합 양식]

선행결합형 후행 결합형 선행 결합형 후행 결합형


결합 유형 빈도 결합 유형 빈도 결합 유형 빈도 결합 유형 빈도
동+부 3 부+동 145 형+부 - 부+형 4
명+부 22 부+명 15 동+부/명 3 부/명+동 10
관+부 - 부+관 2 명+부/명 1 부/명+명 1
부+부 32 부+부 26 부+부/명 3 부/명+부 1

다음은 기타 품사의 결합 양식이다.


[표 28 기타 품사의 연어 결합 양식]

선행결합형 후행 결합형 선행 결합형 후행 결합형


결합 유형 빈도 결합 유형 빈도 결합 유형 빈도 결합 유형 빈도
명사+수사 1 수사+명사 - 명사+대명사 1 대명사+수사 2
명사+관형사 - 관형사+명사 -

이상의 결합 양식을 보면 선행결합에서는 체언이 앞서는 것, 후행결합에서는 용언이 뒤서는


것이 상대적으로 훨씬 많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부사어의 경우 수식어가 선행하고 피수식어가
후행하는 한국어의 통사적 특징으로 인해 ‘동/형+부사/부사어’의 형태는 아주 적음을 확인할 수
있다.

김선효(2010)는 한국어의 연어와 여기에 대응되는 일본어와의 어휘(語彙)·의미(意味)·통사(統

- 36 -
辭) 구조(構造)에 근거하여 한국어 연어, 특히 어휘적 연어를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표 29 한·일 연어 대응 유형, 김선효(2010)]80)

대응 유형 해당 연어
제1항과 제2항의 어휘·의미·통사 구조가 1:1로 대응하는 노래를 부르다, 돈을 벌다, 사진을
1유형
경우 찍다, 계획을 세우다 등
2유형 제1항의 체언이 다르게 대응되는 경우 눈살을 찌푸리다, 은혜를 갚다 등
감기에 걸리다, 꿈을 꾸다, 더위를
3유형 제2항의 용언이 다르게 대응되는 경우
타다 등
제1항과 제2항의 어휘·의미가 군침일 돌다, 번개가 치다, 수다를
제1항과 제2항이 모두 다르게 대응되는 경우 떨다 등
4유형
다르게 대응되는 경우 길이 막히다, 단풍이 들다, 줄을 서
용언으로 대역되는 경우
다 등
한국어 고유의 개념이거나 특별한 지시대상으로 인하여 고사를 지내다, 메주를 수다, 회포를
5유형
일본어의 대역이 어색하거나 어려운 경우 풀다 등

김선효에 앞서 유은성(2007)에서는 한국어와 일본어와의 연어 대응(對應) 관계(關係) 및 대


응 유형을 [명사+(조사)+동사]형 연어를 중심으로 분류하였다.

[표 30 한·일 연어 대응 유형(유은성, 2007)]81)

대응 유형 해당 연어
관심을 가지다, 납득이 가다,
한국어 연어와 일본어 연어의 동사가 대응되는 경우
힘이 되다, 영향을 미치다
소문이 나다, 싸움을 걸다,
동사가 대응되지 않는 경우
주사를 놓다, 이해가 되다.
한국어 연어와 일본어 연어의 박수를 치다, 장난을 치다,
일본어의 ‘する(하다)’에 대응하는 유형
동사가 대응되지 않는 경우 맞선을 보다, 화상을 입다
샤워를 하다, 희생을 하다,
한국어의 ‘하다’에 대응하는 유형
거짓말을 하다, 메모를 하다
게으름을 피우다, 춤을 추다,
일본어의 단일동사에 대응하는 유형 미소를 짓다, 부끄러움을 타
한국어 연어와 일본어 단일동

사가 대응되는 경우
꾸중을 듣다, 생각이 나다,
일본어의 동사 수동형에 대응하는 경우
비웃음을 사다

80) 김선효(2010),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적 연어 학습 방안」, 『이중언어학』 이중언어학회 제44권,
pp.32-41, 심은경(2012:12)에서 재인용.

- 37 -
일본어 연어와 한국어 단일동사에 대응하는 경우 다치다, 졸다, 뒤쳐지다

오기노신사쿠(2012)에서는 김선효(2010)의 유형을 참고하여 용어를 간소화(簡素化)하고, 동


사 부분을 좀 더 세밀(細密)하게 분류하려고 시도하였다. 또한 일본어에 없거나 일본어로부터
유추하기 어려운 연어를 위해 새로운 유형을 마련하기도 하였다.82)
임근석(2010)은 연어를 어휘적 연어와 문법적 연어로 분류하였는데, 어휘적 연어와 문법적
연어의 차이점을 4가지로 정리하였다.83)

[표 31 연어의 유형, 임근석(2010)]

‘명사+명사’형 연어
‘명사+관형격 조사+명사’형 연어
체언적 연어
어휘적 연어 ‘관형사+명사’형 연어
‘동사/형용사+명사’형 연어

용언적 연어 ‘명사+동사/형용사’형 연어

81) 유은성(2007), 「외국어교육적인 관점에서 한국어와 일본어 連語의 대조연구 - 「명사(조사)동사」형을 중심으로」,
『일본연구』 한국외국어외대학교 일본연구소 제33호, pp.328-334, 심은경(2012:11)에서 재인용.
82) Ogino Shinsaku(2012),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교육 – 한·일 간의 동사 용법 차이를 중심으로」, 서
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7.

[한·일 연어 유형 분류]

유형 대응 관계 예
제1유형 명사와 동사가 대응 옷을 입다
제2유형 명사가 다르게 대응 축구를 하다
제3유형 - 1 동사가 다르게 대응 책을 덮다
제3유형 - 2 일본어의 “suru”에 대응 냄새가 나다
제3유형 - 3 한국어의 “하다”에 대응 샤워를 하다
제4유형 – 1 명사와 동사가 다르게 대응 화를 내다
제4유형 - 2 일본어 단일 동사에 대응 힘을 내다
제4유형 – 3 일본어 동사 수동형에 대응 사랑을 받다
일본어에 없거나 일본어로부터 예측하기 차이를 두다
제5유형
어려운 연어 차가 서다

83) 임근석(2010), 『한국어 연어 연구』, 도서출판 월인.


가) 어휘적 연어와 문법적 연어의 차이점
ㄱ. 어휘적 연어는 어휘적 기능과 관련이 있고, 문법적 연어는 문법적 기능과 관련이 있다.
ㄴ. 어휘적 연어와 문법적 연어의 연어핵과 연어변은 그 어휘적 특성에서 차이가 있다. 어휘적 연어의 경우 연어핵
은 어휘소의 특성을 온전히 가지고 있는 구성요소인 반면, 문법적 연어의 경우 어휘소의 특성을 많이 상실한 구성
요소도 연어핵의 자리에 올 수 있다.
ㄷ. 문법적 연어는 어휘적 연어와 달리 구성요소 간의 강한 인접성을 가진다.
ㄹ. 어휘적 연어와 문법적 연어는 연어핵이 연어변을 선택한다고 할 때, ‘선택한다’는 의미가 다르다. 어휘적 연어의
경우 연어핵이 연어변을 어휘소 차원에서 선택한다. 하지만 문법적 연어의 경우 선택 가능한 후보들의 집합이 닫혀
있다.

- 38 -
‘동사/형용사+동사/형용사’형 연어
‘부사+동사/형용사’형 연어
‘어미+용언어간+어미’ 유형
조사적 연어 ‘격조사+명사+조사’ 유형
‘격조사+부사(어)’ 유형
문법적 기능 실현 ‘어미+명사+조사’ 유형
문법적 연어 ‘어미+용언+어미’ 유형
어미적 연어
‘어미+명사+어미’ 유형
‘어미+용언어간’ 유형
연어핵이 명사인 경우
문법적 기능 제약
연어핵이 동사인 경우

문정현(2012)은 ‘상징부사+용언’의 형태의 연어를 손남익(1998)의 유형 분류를 참고하여 4가


지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구성의 형태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주로 ‘체
언+용언’형의 연어에 집중하였는데 상징부사(象徵副詞)에 초점을 맞춘 것이 특기할 만하다.

[표 32 ‘상징부사+용언’형 연어의 분류, 문정현(2012)]84)

유 형 연어구성형태 구성 특징 예
상징부사와 공기할 수 있는 주어와 서
땀을 뻘뻘 흘리다, 혀를 끌끌 차
제1유형 일대일 술어가 각각 하나인 형태로 나타나는
다, 가슴이 철렁 내려앉다 등(8개)
경우
상징부사가 공기할 수 있는 주어는 특
정한 의미자질로 표시되는 여러 개의 벌떡 일어나다, 꾹 참다, 꾸벅 인
제2유형 다대일
어휘이고, 공기할 수 있는 서술어는 한 사하다, 바들바들 떨다 등(108개)
개의 어휘인 경우
상징 부사어와 공기할 수 있는 주어는
하나의 어휘이고, 상징부사와 공기할 수
덥석 잡다, 말똥말똥 보다, 모락모
제3유형 일대다 있는 서술어는 일정한 의미군에 속하는
락 피어오르다, 힐끔 보다 등
여러 개의 서술어인 형태로 나타낼 수
있는 경우

서술어가 문장에 나타나지 않아도 상징


뚝, 흠뻑, 성큼, 물씬, 후끈, 발칵,
제4유형 일대영 부사가 생략된 서술어의 기능을 대신하
싱글벙글 등
는 경우

김기태(2014)에서는 ‘연어를 구성하는 어휘가 다의적으로 쓰였는지 기본적으로 쓰였는지’를

84) 문정현(2012),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징부사+용언‘형 연어 연구」, 배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48-62.

- 39 -
기준으로 연어를 분류하였다. 또한 두 어휘가 모두 기본의미로 사용된 경우를 다시 3가지로 나
눴는데 그 결과는 앞서 밝힌 것과 같다. 다음 표는 유형별로 어떠한 실례(實例)가 있는지 보여
준다.

[표 33 어휘적 연어의 유형, 김기태(2014)]85)

유 형 의미 예
코를 골다, 방귀를 뀌다, 눈을 치뜨다
연어를 구성하는 한 어휘가 다른 어휘의 의미를 등
전제적 연어
포함하고 그 출현을 강제하는 연어 하하 웃다, 엉엉 울다, 살이 피둥피둥
찌다 등
두 어휘 모두 기본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제한적
미역을 감다, 불을 끄다, 펄펄 끓다,
전형적 연어 인 어휘 결합으로 인해 결합력을 갖는 구성의
숨이 가쁘다 등
연어
연어를 구성하는 두 어휘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의 어휘가 의미 확장을 통해 특정 문맥을 설정 뜸을 들이다, 재미를 보다, 어이가 없
다의적 연어
하여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어휘를 제한하고, 이 다, 맴을 돌다 등
로 인해 결합력을 얻는 연어
두 어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휘가 다의적
으로 쓰인 연어. 그러나 다의적 연어가 용언 혼
헤엄을 치다, 재롱을 부리다, 버릇을
의존적 연어 자서도 그 의미를 정확하게 드러내는 반면에 의
들이다 등
존적 연어의 용언들은 그 의미가 정확하게 드러
나지 않음.

본 논문에서 다루지는 않았지만 여숙연(2019)에서는 이미혜(2002)와 최윤곤(2005)에서 표현


항목, 표현 문형으로 분류한 유형도 연어의 유형 연구에서 다루고 있다. 특히 이미혜의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표현항목(表現項目)’으로 덩어리 표현의 본격적인 연구라는 점에 의의를 두기
는 하지만 분류에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최윤곤(2005)의 연구는 일반적인 형태·
통사적 구문표현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형태적인 것과 통사적인 것으로 1차 분류를 하고, 그것
을 다시 세분하였다. 특히 통사적(統辭的) 구문(句文)표현을 ‘사동(使動), 피동(被動), 부정(不
定), 인용(引用)’등의 문법적 의미를 기준으로 나눈 것이 특징이다.86)

85) 김기태(2014), 앞의 논문, pp.66-98.


이숙진(2018), 앞의 논문 p.34에서 재인용.
86) 여숙연(2019), 앞의 논문 pp.26-27.
① 이미혜(2002)의 표현 항목의 분류

용어 유 형 예시
명사형 결합형 -기(가) 그지없다/한이 없다, -기 다행이다
표현 항목 의존명사 결합형 -(으)ㄹ 겸, -는 길에
조사 결합형 -에 의하여, -(으)ㄹ 인해

- 40 -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볼 때, 연어는 크게 어휘적 연어와 문법적 연어의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휘소(語彙素)와 어휘소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어휘적 연어로 정의하
고 그것을 ‘체언+용언’, ‘수식어+피수식어’ 등의 형태적·통사적인 구성에 따라 재분류하는 경향
이 많이 있었다. 하지만 엄밀히 밝히면 이러한 구성이 한국어의 문법적 특징을 나타내는 형태·
통사적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에 어휘적 연어도 문법적 연어의 하위 범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현재 문법적 연어로 보는 대부분의 예들이 ‘-(으)ㄴ/는 김에’, ‘-기 때문에’, ‘-에도 불구하
고’ 등의 문형으로 이루어진 것들이다. 연어는 사전적인 의미에서 보듯이 하나의 단어/형태소
로 구성될 수 없기 때문에 개별적인 문법요소만으로는 그 구성조차 이룰 수 없다.

본 연구에서 참고하고 있는 학위논문이 연대별로 얼마나 쓰였는지 그 개황을 아래 표를 통


해 확인하겠다.

[표 34 연대별 한국어 연어에 관한 학위논문 개황]

1990~1999 2000~2009 2010~2019


구 분 합계
석사 박사 석사 박사 석사 박사
권수 1 1 5 3 97 14 151

표에서 알 수 있듯이 한국어 연어에 대한 연구는 2000년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특히 3


기라고 할 수 있는 2010년 이후 상당한 양의 결과가 나왔다고 할 수 있다. 다음 장에서 각 시
기별, 교육대상별, 주제별, 교육 방법 및 목적에 따른 결과들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진행되었는
지 그 양적, 질적인 정도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연결어미 결합형 -아/어/여서 그런지, -(으)면 몰라도

② 최윤곤(2005)의 표현 문형의 분류

1차 분류 2차 분류 3차 분류 예시
전성어미+체언 -(으)ㄴ/는 김
전성어미+용언 -기 위해
연결형 연결어미+용언 -아/어/여 가지고
종결어미+용언 -(으)ㄹ까 봐
형태적 구문표현
조사+용언 -에 의해서
전성어미+용언 -(으)ㄴ/는 척하
종결형 연결어미+용언 -(으)러 가다
종결어미+용언 -(으)ㄴ가 보다
보조용언 구문 -고 있다
사동 구문표현 -게 하다
통사적 구문표현 피동 구문표현 -게 되다
부정 구문표현 -지 못하다
인용 구문표현 -라고 하다

- 41 -
3. 연구 유형별 분석

이 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선정한 한국어 연어에 대한 학위논문(學位論文) 151 편과,


학술지(學術誌) 연구논문(硏究論文) 100편을 분석하여 한국어 연어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자
한다.

3.1. 시기별 연구 경향

한국어 연어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 들어 큰 폭(幅)으로 성장(成長)했다고 할 수 있다. 학


위논문과 학술지논문의 양적인 증가에서 이러한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국어교육에서는 모국
어 화자들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크게 드러나지 않았지만, 한국어 학습에 대한
수요가 1990년 이후 늘어나면서 한국어 교육에서 연어 연구 역시 큰 폭으로 증가했다. 1990년
부터 1999년까지를 한국어 연어 연구의 태동기(胎動期)라고 명한다면, 2000년부터 2009년까지
를 성장기(成長期), 2010년부터 2019년까지를 성숙기(成熟期)라고 할 수 있다.
한국어 연어 연구에 대한 학위논문 151편과 학술지 연구 논문 100편을 시기별로 분석해 보
면 다음 표와 같다.

[표 35 시기별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분류]

출판 학위논문
학술지 논문 합계 비율(%)
연도 석사 박사
1993 1 1
1994 1 1
8편
1995 2 2
1기
1996 1 1
3.18%
1998 1 1 2
1999 1 1
2000 1 1 2
2002 2 4 6
2003 1 1
2004 2 1 1 4 78편
2기 2005 5 8 13

2006 2 1 5 8 31.07%

2007 6 10 16
2008 8 4 12

- 42 -
2009 8 8 16
2010 11 1 13 25

2011 9 2 1 12

2012 15 1 5 21
2013 15 4 19 165편
3기 2014 10 3 2 15
2015 8 7 15 65.73%
2016 11 1 5 17
2017 6 3 8 17
2018 6 1 2 9
2019 8 2 5 15
합계 133 18 100 251 100%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1993년부터 2019년까지 26년 동안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은 연


평균 10편정도(학위논문 6편, 학술지논문 4편)가 발표되었음을 볼 수 있다. 단일시기로 볼 때,
학위논문은 2012년에 16편으로 가장 많았지만, 박사논문으로 한정했을 때는 2014년과 2017년이
각각 3편씩으로 가장 많았다. 학술지논문은 2010년에 13편으로 가장 많았다.87)
한국어 연어에 대한 연구는 3기로 지칭하는 2010년 이후로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관련 박사논문의 수가 14편으로 전체의 77.7%를 차지한다. 2000년부터 2009년까지 한국어 연
어의 기본(基本) 개념(槪念)이 정립(定立)되었기에 이러한 양적(量的), 질적(質的) 증가(增加)가
가능(可能)한 것으로 보인다.

[표 36 시기별 연구 편수]

시기 / 출판 학위 논문 학술지 논문 합계

1기 2 6 8

2기 36 42 78

3기 113 52 165

합계 151 100 251

시기별 연구 결과를 보면 1기 때는 앞서 밝혔듯이 한국어 연어 연구의 태동기(胎動期)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이 상당히 적다. 하지만 2기부터는 그 수가

87) 학위논문이나 학술지논문이 전혀 없는 시기도 일부 있는데 연구 결과가 전혀 없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앞서 이


야기했지만 본 연구의 대상으로 삼은 논문은 RISS에서 ‘한국어’, ‘연어’를 주제어로 검색하였기 때문에 ‘관용어’나
‘명사 복합구’와 같은 연구에서는 확인이 안 된 것도 많이 있다.

- 43 -
대폭(大幅) 상승(上昇)한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2기 때와 3기 때를 비교해 볼 때도 학위논문의
발표수가 3배 정도 차이가 난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한국어 연어의 연구는 시기에
따라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는 각 시기별로 어떠한 흐름으로 한국어 연어가 연구되었는지 알아보겠다.

[그림 2 시기별 연구 편수]

140
120
100
80 학위논문
60 학술지 논문
40
20
0
1기 2기 3기

3.1.1. 1기 : 태동기

1기는 1990년부터 1999년까지 10년으로 한국어 연어 연구의 태동기라고 할 수 있다. 사전

(事典) 편찬, 철자 검사 등 도구적(道具的) 목적의 연구에서 학문적(學問的) 연구로의 전환기


(轉換期)이다. 이 시기에는 한국어 연어에 대한 학위논문의 수가 상당히 적었다. RISS 에서 확
인이 가능한 목록으로 8편이 있고, 앞서 연구의 자료로 다른 논문에서 인용한 연구 목록을 포
함하면 15편 정도가 된다. 이동혁(1998)에서는 연어에 대해 의미적(意味的)으로 접근하여 파악
하고자 하였다. 채명숙(1998)의 박사학위논문은 연어 정보(情報)를 활용(活用)하여 한국어 문서
교정 시스템을 구현(具顯)하고자 하였는데, 순수한 한국어 연어의 연구가 아닌 한국어 문서(文
書) 교정(矯正) 시스템 구현(具現)이라는 2차적 목적에 큰 의미를 두었다. 1기에는 이희자
(1995), 양영희(1995), 최경봉(1995), 최경숙(1997), 강현화(1998), 이동혁(1998), 문금현(1999) 등
에 의해 한국어 연어의 개념이 조금씩 정립되면서 한국어 연어에 대한 연구도 활발해졌다.

- 44 -
[표 37 1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 분류(학위논문)]

내용 연어 목록 비교·대조 교수·학습,
통합 연구 오류 분석 기타
연도 및 유형 분석 활용 방안
1998 이동혁 채명숙(박사)
총합 1 1

다음은 1기에 발표된 한국어 연어 연구의 학술지 논문 경향이다.

[표 38 1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학술지논문)]

연도 연구자 주 제 출판
“영어-한국어 기계 번역을 위한 연어와 숙어 트랜스퍼
1993 이호석, 김영택 한국정보과학회
사전”
김은자, 이종혁, “일-한 기계 번역 시스템에서 연어패턴을 이용한 일본
1994 한국정보과학회
이근배 어-한국어 변환 모델”
이공주, 김재훈,
“품사 태깅된 말뭉치로부터 한국어 연어 추출” 한국정보과학회
김길창
1995
심철민, 김현진,
“연어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철자 검사기의 기능 개선” 한국정보과학회
김영진, 권혁철
“연어 정보에 기반한 한국어 철자 검사와 교정기의 구
1996 심철민, 권혁철 한국정보과학회
현”
1999 김진해 “연어의 의미 관계” 한국어의미학

한국어 연어 연구 1기에는 학위논문의 수도 적고, 그 주제(主題)도 매우 제한(制限)되었다.


학술지 논문 역시 이와 비슷한데, 그 양은 학위논문의 2편에 비해 6편으로 조금 더 많지만 큰
의미를 둘 수 있을 정도는 아니다. 주제 역시 순수(純水)하게 한국어 연어에 대해 연구를 한
결과물은 김진해(1999)의 논문 한 편 정도이다. 조금 더 이른 시기에 연어에 대해 인지(認知)하
고 그것을 사전 편찬이나 외국어의 번역, 철자 검사 등의 2차적 목적으로 접근한 것은 의의가
있지만 연어가 어느 범주(範疇)에 있고, 그 개념(槪念)은 무엇이며, 어떠한 유형(類型)이 있는지
에 대한 논의(論議)는 많이 부족(不足)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김진해(1999)의 연구 결과는
큰 의미가 있다.
[표 39 1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학위논문, 학술지논문)]

주제 / 유형 학위 논문 학술지 논문
통합 연구 1 1
연어 목록 및 유형 1
비교·대조 분석
오류 분석
교수·학습 활동 방안
기타 1 4

- 45 -
[그림 3 1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

5
통합연구
4
연어목록 및 유형
3
비교대조 분석
2
오류 분석
1 교수학습 활동 방안
0 기타
학위논문 학술지 논문

[표 39]와 [그림 3]을 보면 1기 때의 한국어 연어 연구에 대한 경향을 조금 더 쉽게 알 수


있다. 국어학적인 연어 연구도 많이 없던 시기였기 때문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에서의 연어 연
구도 많이 부족하다. 특히 외국어와의 비교(比較)·대조(對照), 학습자(學習者)의 오류(誤謬) 분
석(分析), 교수(敎授)·학습(學習) 방안(方案) 등에 대한 연구는 너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3.1.2. 2기 : 성장기

2기는 성장기로 국어학적(國語學的) 접근에서 외국어(外國語)로서의 한국어 교육으로의 전환


기라고 할 수 있다. 2000년부터 2009년까지의 10년은 학위논문 36편(박사논문 3편), 학술지논문
42편이 발표되었는데, 한국어 연어에 대한 연구가 극히 부족했던 1기와는 달리 다양한 주제와
한국어 연어의 개념과 유형 등에 대한 정립(正立)이 이루어진 시기이다. 특히 외국어(外國語)로
서의 한국어(韓國語) 교육(敎育) 분야(分野)가 약진(躍進)하면서 ‘외국어와의 비교·대조’가 조금
더 풍성(豊盛)하게 이루어졌고, 한국어를 누구에게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등에 대한 교수(敎
授)·학습적(學習的) 관점(觀點)에서 접근하는 논문들이 많아졌다.

[표 40 2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학위 논문)]

내용 연어 목록 비교·대조 교수·학습,
통합 연구 오류 분석 기타
연도 및 유형 분석 활용 방안
2000 김진해(박사)
2002 박경미 권태은
2004 이동혁(박사) 이소영,정희란

2005 양수향.박혜연 서아란,박숙영

- 46 -
이준혁
Do Ngoc
2006 임근석(박사) 이지혜
Luyen
2007 강서영 홍혜란,정은혜 박현정,정숙향 조미정
신지영,하성예
2008 박이정 박혜숙 최경옥 양수영,이민성
박민희A
2009 박영수,안정은 조은영,김윤경 일노궁내앙 김윤경,허영화 오유영,

[그림 4 2기의 주제별 한국어 연어 연구(학위논문)]

3.5
통합연구
3.0
2.5 연어목록 및 유형
2.0 비교대조
1.5 오류분석
1.0
교수학습활용방안
0.5
기타
0.0
2000 2002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이상에서 볼 수 있듯이 2004년 이전까지는 한국어 연어를 외국어와 비교·대조해서 연구하는


논문은 거의 없었다. 또한 후술(後述)하겠지만 문금현(2002)를 기점으로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연어를 활용한 어휘 학습 방안에 초점을 두면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이라는 실
용학문적(實用學問的) 접근으로 많이 바뀌게 되었다.
다음은 2기에 발표된 한국어 연어 연구의 학술지 논문 경향이다.

[표 41 2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학술지 논문)]

연도 연구자 주 제 출판
최호철·강범모·
2000 “한국어 연어 정보의 분석 응용” 한국어학
홍종선
임홍빈 “한국어 연어의 개념과 그 통사·의미적 성격” 국어학
서상규 “한국어 정보 처리와 연어 정보” 국어학
2002
문금현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연어 학습 방안‘ 국어교육
박경미·송만석 “엔트로피를 이용한 한국어 연어 추출” 한국정보과학회
2003 임병준 “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 교육” 한어문교육
2004 한송화·강현화 “연어를 이용한 어휘 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
2005 신자영 “한국어 연어의 다국어 대조 연구” 이중언어학

- 47 -
송석희 “독일어와 한국어의 명사-동사 연어 비교 분석” 독어학
김미현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에서의 연어 연구” 한국사전학
“연어 사전 기술에서의 말뭉치 활용”
임유종 한국사전학
“다국어 연어 DB 구축과 말뭉치 활용”
유승만 “한국어-러시아어 연어 사전 편찬을 위한 연구‘ 노어노문학
이은경 “명사를 중심으로 하는 문법적 연어 구성” 한국어의미학
전혜영 “연어 구성에 나타난 남녀 은유의 양상” 여성학
박현정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교수·학습 방안” 문창어문
최형강 “명사+부리다’ 연어 구성에서의 의미 전이” 한국어학

이기철 “한국어-이탈리아어 연어 대조 연구” 이탈리아어문학


2006
“한국어 학습자들의 연어 오류 연구-러시아어 모어 학습
양수향 어문연구
자”
“한국어-러시아어 연어 사전에서의 연어핵의 다의성의 문
유승만 슬라브학보
제”
정희정·한송화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연어 사전의 편찬” 한국사전학

유은성 “외국어교육적인 관점에서 한국어와 일본어 연어의 대조” 일본연구


홍혜란 “한국어 고급학습자의 문법적 연어 오류 분석” 비교문화연구
신자영·이만기 “한국어와 스페인어 연어 유형 대조” 스페인어문학
김진해 “연어 관계의 제자리 찾기” 한국어학
2007 이해윤 “제약기반문법에 의한 한국어 연어 분석” 언어와언어학
신자영·이기철 “한국어 연어의 다국어 대응 유형 분석” 이탈리아어문학
이승연·최은지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적 연어 사용연구” 이중언어학
“‘-는 바람에’ 유형의 사전기술과 전산처리 - [원인]의 문
한정한 한국어학
법적 연어”
나윤희 “한-프랑스어 연어 대조에서 어휘함수의 활용” 프랑스문화연구
나윤희·신자영·
“연어의 의미 기술과 어휘함수” 이탈리아어문학
이기철
2008 강현화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언어의 유형” 응용언어학
나윤희 “한국어와 프랑스어 연어의 대조” 프랑스어문교육
유승만 “ 국어-러시아어 연어변의 의미투명성 판단기준” 슬라브어연구
김민국 “ 문목적 한국어 교육용 어휘와 연어 추출” 문법교육

“문법적 연어와 한국어 교육 – 조사적 연어” 한국어교육


임근석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문법적 연어 후보 추출” 한국어학
2009
한영균 “코퍼스 기반 한·일 기본어휘의 연어 구성 대조 분석” 국어학

백낙천·김정선·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형용사의 연어 관계 연구” 한말연구
이용훈

- 48 -
장미경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연어습득양상” 이중언어학
고경태 “연어 관계를 통한 한국어 성분 부사 선정” 한국어의미학
유승만 “어휘함수와 한국어-러시아어 연어의 의미기술” 러시아어문학

[표 42 2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 편수(학술지 논문)]

주 제 편 수
통합 연구 6
연어 목록 및 유형 9
비교·대조 14
오류 분석 1
교수·학습 활용 방안 4
기타 8
합계 42

위의 표를 보면 2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가 연도에 따라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전보다 다양(多樣)한 주제(主題)를 연구(硏究)하는 것도 볼 수 있다. 아래 그
림을 통해 볼 수 있는 것처럼 학위논문에서는 학습자의 오류 분석과 교수·학습 활용방안에 대
한 논문이 많았는데, 학술지 논문에서는 외국어와의 비교·대조 논문이 압도적(壓倒的)으로 많
이 발표되었다. 그리고 세부적(細部的)인 목록에서는 차이(差異)가 있겠지만 한국어 연어의 목
록과 유형에 대한 연구도 점점 심화(深化)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아래 그림은 한국어 연어 연구 2기의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주제별 연구 편수이다. 기
타 다양한 주제의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이 발표되었으나 주제 분류의 모호성 때문에 분류하
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림 5 2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학위논문, 학술지논문)]

20

15

10 학위논문
5 학술지논문

0
통합연구 연어목록 비교대조 오류분석 교수학습 기타
및 활용
유형

- 49 -
[표 43 1기와 2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 주제별 편수]

주제 1기 2기
통합연구 2 12
연어목록 및 유형 1 13
비교·대조 0 18
오류 분석 0 7
교수·학습 활용 0 14
기타 5 14
합계 8 78

[그림 5]는 한국어 연어 연구 1기와 2기의 연구 주제별 연구 논문의 수를 나타낸 것이다. 양


적으로 급격(急激)한 차이(差異)를 보이고 있는 것을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다. 앞서 밝혔듯이
한국어 연어 연구 1기에는 국어학적 연구가 주를 이뤘었다. 이러한 이유로 외국어와의 비교·대
조,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오류에 대한 분석 연구는 거의 전무(全無)했다고 할 수 있다. 한
국어 연어 연구 2기에 들어서야 앞선 연구들의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주제에 접근하기 시작했
고, 이와 더불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이 크게 성장하면서 교수·학습 및 그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대폭 늘었다. 그리고 다양한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한국어 연어를 설명하려는 노
력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특히 한국어 연어 사전 편찬을 위한 연구들이 있었는데 그러한 연
구의 결과로 나온 것이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세대학교와 경희대학교의 교수 8명
이 공동저자로 참여하여 발간한 김하수 외(2007)의『(한국어 교육을 위한)한국어 연어사
전』이다.88)

88)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239824.html
김하수 연세대 국문학과 교수가 대표집필하고 연세대와 경희대 교수 8명이 공동저자로 참여한 <한국어 연어사전>(커뮤
니케이션북스)은 총1291쪽(부록까지 하면 1404쪽)에 한 쪽당 보통 1~3개의 표제어를 담고 있다. 명사, 동사, 형용
사, 부사 등 여러 품사형의 표제어에는 한문표기와 영어 뜻풀이가 붙고 이어 표제어 앞(선행어)과 뒤(후행어)에 오
는 말들을 열거하고, 실제 사용할 때의 예문들도 따로 골라 놓았다.
연어(連語, collocation)란 말을 하거나 작문을 할 때 가장 자연스럽게 결합하는 말을 가리킨다. 예컨대 ‘눈을 벌리다’
가 아니라 ‘눈을 뜨다’이고, ‘난폭 운전’이지 ‘무모 운전’이 아니며, ‘누명을 쓰다’이지 ‘누명을 입다’ 또는 ‘누명을
당하다’가 아니다. 각 면에는 표제어를 중심으로 앞뒤로 이처럼 자연스럽게 결합될 수 있는 단어와 구절, 문장들이
빽빽하게 정리돼 있다.
김 교수 등이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지난 4년간 진행한 프로젝트의 성과물을 엮은 <한국어 연어사전>은 학
습자의 편의를 우선해 품사 분류나 연어 단위 등 언어학의 이론적인 부분, 문법에 얽매이지 않고 문장 안의 단어
기능과 활용 등 실용적인 측면을 자세히 다뤘다. 중급 이상의 한국어 학습자 어휘교육 교재로 활용하기에 좋다고
출판사 쪽은 밝혔다. 연어사용법은 외국어를 공부하거나 사용할 때 특히 그 필요성을 통감하게 되는데, 그런 점에
서 이 사전은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에게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 교수는 ‘한국어 교육을 위한’이란 부제를 단 이 책이 “우리 말에 대한 전문가들이 언어의 주인인 대중에게, 또 그들
과 시시각각 대면하는 현장의 교사들에게 배움과 보람의 수단으로 이용하기를 바라면서 내놓는 징표이자 작은 수공
예품”이라고 말했다. 별책부록으로 <한국어 연어목록>도 함께 내놨다.

- 50 -
[그림 6 1기와 2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 주제별 대비]

25

18.75

12.5 1기
6.25 2기

0
통합연구 연어목록 비교대조 오류분석 교수학습 활용 기타

유형

연어 연구 1기 10년과 2기 10년의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면 발표된 연구 논문의 수가 압도적


으로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다. 2기 때는 비교·대조, 교수·학습 분야에 조금 더 편중(偏重)
되기는 하지만 1기에 비해 연구 주제가 확실(確實)해지고 명확(明確)해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1.3. 3기 : 성숙기

3기는 성숙기로 연구(硏究) 업적(業績) 확대기(擴大期)라고 할 수 있다. 2010년부터 2019년


8월 현재까지로, 113편의 학위논문(박사논문 14편)과 52편의 학술지논문이 발표되었다. 2019년
12월까지로 그 시기(時期)를 확대(擴大)하면 연구 결과는 조금 더 증가(增加)할 전망(展望)이
다. 3기는 한국어 연어 연구 1기부터 2기까지의 20년간의 연구 논문 80여 편보다 대략 2배 정
도가 증가하였다. 특별히 한국어 연어 연구에 대한 학위논문의 수가 급속(急速)하게 증가한 시
기이다. 학위논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주제도 더 다양해졌고, 2007년 발간된 김하수 외(2007)
의 한국어 연어사전에 기초하여, 한국어 연어 목록을 조금 더 세분화(細分化)하고 체계화(體系
化)하는 연구가 많아졌다.

[표 44 3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학위논문)]

내용 연어 목록 비교·대조 교수·학습,
통합 연구 오류 분석 기타
연도 및 유형 분석 활용 방안
신아랑,이미진 FanQiHui, 김지은(박사), 윤이나,이두행
2010 안정은 유연
이정현,허영임 기단봉,성아영 이원미 조미혜,
유해준(박사) 윤소영,조현지
2011 왕춘예 야마시타아이
이경선(박사) 이두행

- 51 -
장옥경,함윤희
허영임,김진희
Hu Meng
오기노신사쿠
류정민,문정현 왕효휘(박사), 송안나,안재경
2012 이원미 박정은,김경민
심은경 I.Nadezda, 오명희,안재경
이진실,하윤정
웨노에흐닌쏘
당광월,란첨
서희경,이혜영
2013 채희령 박지은 석아남,인진륀 이목자,서연숙 정인경,김병욱
장소원,
남현경,김혜진
김기태(박사), 유정태, 김민혜,김은숙
2014 다카치 김학훈 이가라시 LiuLina(박사) 이성숙, 정아
토모나리(박사) 유카코 김경난
이양금,장리
2015 유정 은하연 유열영,한주연
조명선,윤혜연

쇼키로프
박혜인,유성희 이크볼, 최주미,하은선
2016 주가문
진정정(박사) 윤권하,저우위 윤권하
차경신,고우미

두도(박사) DongFangyu
2017 유문명(박사) an(박사), 김지혜,정은주 조총희
이비비,당천항 왕찬찬
이숙진(박사)
2018 허려나 임건동 전윤선 김수영,김희정
이유림
왕유가(박사) 여숙연(박사) 박민희B,
2019 김하늘
백욱,이소라 박지윤,왕시엔 유선향,채병열

[그림 7 3기의 주제별 한국어 연어 연구(학위논문)]

8
7 통합연구
6 연어목록 및 유형
5
비교대조
4
3 오류분석
2 교수학습활용
1 기타
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 52 -
[그림 8 3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 편수 분포(학위논문)]

50

37.5

25
권수
12.5

0
통합연구 연어목록 비교대조 오류분석 교수학습활용 기타

유형

위의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한국어 연어 연구 3기에서도 여전히 외국어와의 비


교·대조 분야에 편중(偏重)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연어의 목록에 대한 연구와 교수·
학습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도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
자가 크게 증가하면서 이에 맞추어 효과적(效果的)인 한국어(韓國語) 교육(敎育)을 위해 다양성
(多樣性)을 추구(追求)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연어목록에 대한 연구는 문어나 구어 말뭉
치에서 연어 목록을 추출하는 방향이 아니라 현재 각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
국어 교재(敎材)에서 그 목록을 추출(抽出)하는 방법을 많이 취했다. 이러한 이유로 실제 다양
한 상황에서 모국어 화자들이 사용하는 연어보다 외국인 학습자들이 꼭 알아야 하는, 교육적
목적에 근거한 목록들이 많이 나오게 되었다.
학술지 논문은 다양성(多樣性)의 측면(側面)에서는 더 확대(擴大)되었다고 볼 수 있다.

[표 45 3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학술지논문)]

연도 연구자 주 제 출판
김선효 “일본어권 학습자를 위한 어휘적 연어 학습” 이중언어학
이정현 “한국어 교육에서의 연어 교육 양상” 언어학연구
“연어적 구성을 통한 한국어 교육용 어휘 구성 방
어문논집
유해준 안”
“한국어 교육용 어휘 문법 항목의 위계화”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경선 “한국어 교육에서 의존명사에 의한 문법적 연어” 언어과학
2010
나카카와 아키오 “한국어 연어 교육 연구-[체언+용언]형 연어 중심” 선청어문
데 엥흐자야 “한국어와 몽골어 연어 대조” 인문과학논집
김원경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 교육 방안” 한성어문학
한정한 “용언형 연어의 문법범주” 한국어학
여춘연 “한국어 연어의 개념과 특성 및 유형” 한국(조선)어교육연구
김미경 “어휘함수를 활용한 연어의 의미관계 기술” 한국어문화교육

- 53 -
“한국어 학습자들의 연어 연상 패턴과 연어 학습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
김메리
활동 개발” 육
조은영 “어휘적 연어의 형성과 유추” 한국어학
2011 임근석 “한국어 연어 연구의 전개와 쟁점” 국어학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정보 기술 방
도원영, 범기혜 인문학연구
안”
“일본어 어휘교육을 위한 한국어 ‘명사(를)+받다’
유은성 일본어교육연구
연어 패턴”
2012
최형강 “연어의 논항과 의미역” 한국어학
“{명사+동다 ‘불다, 덜다, 피우다’} 연어에 대한 연
나카가와 아키오 한국언어문화학
구”
김철규 “한국어 형용사 ‘착한’의 연어에 관한 고찰” 언어과학
이계연 “한국어-아랍어 번역의 연어 연구” 중동연구
이양금 “한·영 대조를 통한 한국어 연어 교육의 효과” 외국어교육
2013 김동국, 이상률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교육 방안” 언어과학
“한·일 연어 대조를 통한 감정명사의 의미영역 비
이연정 언어학연구
교”
진두현 “한국어 연어사전의 구축을 위한 전산적 방법론” 한국사전학
2014
이인희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법적 연어” 인문과학연구
“‘부사+용언’ 관계를 이용한 타당한 연어 검정 방
정성훈 한국어학
법”
홍영주 “일본어와 한국어의 명사 연어 구성 – 결합 관계” 일본문화연구
신명선 “문법 교육에서 어휘적 연어 수용의 한 방향” 한국어 의미학
“플립드 러닝 기반 한국어 어휘 학습의 가능성 –
김규훈 문법교육
연어 중심”
2015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법적 연어 분류 – 한국어
박종호 한민족문화연구
교재 분석”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 교육 내용 - ‘일상생
송대헌, 윤정아 국제어문
활’ 관련”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
진정정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교육”

“한국어와 일본어의 ‘명사(조사)+형용사’형 연어에
유은성 일어일본학연구
대한 대조”
“한국어 구어 말뭉치를 대상으로 한 연어구성 추
이은하 언어와언어학
출 방법 비교”
“태국인 초·중급 학습자가 한국어 연어 습득 과정
2016 크라우머 와니다 이중언어학
에서 보이는 유추적 관점”
“일본인 학습자 대상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오기노 신사쿠 언어와문화
대조 분석적 연어 목록 연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연구 – 초급
유문명 한국문법교육학회
단계 학습자”

- 54 -
최형강 “연어 구성에서의 ‘을/를’ 명사구 중출” 한국어의미학
임춘매 “‘나다, 들다’의 연어를 활용한 어휘 교육” 한국어교육
오상룡 “영어와 한국어의 연어” 영어영문학연구
여숙연 “숙달도에 따른 중국인 학습자의 연어 습득” 한국어와문화
“한국어 중급 교재 연어에 대한 어휘함수 기반 분
윤권하, 이선웅 언어사실과관점
석”
2017
“코퍼스를 활용한 피동사 연어 구성의 통계적 분
이정현 한국언어문화학
석”
최예빈, 정해권,
“한국어 처소 표지와 이동 동사의 연어 관계”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홍혜란
“초급 프랑스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목
장윤정, 이세훈 이중언어학
록 선정”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
유문명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연어 사용 오류 분석”
2018 육
이경희, 강은희 “농촌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연어능력 특성” 언어치료연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중 ‘체언+용언’형 연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
황려명, 박덕유
대응 양상” 구
“주석 유형에 따른 한국어 연어의 우연적 학습 효
유선향 한국어와문화
과”
2019 “초급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적 연어
여숙연 한국어와문화
교육 방안”
범기혜 “심리변화 관련 주술관계 연어의 선택 제약 분석” 민족문화연구
Jian-Dong, Lin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체언+용언’형 연어 오류
언어연구
김은호 양상”

[표 46 3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 편수(학술지 논문)]

주 제 편 수
통합 연구 6
연어 목록 및 유형 11
비교·대조 8
오류 분석 2
교수·학습 활용 방안 10
기타 15
합계 52

- 55 -
[그림 9 3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 편수 분포(학술지 논문)]

20

15

10
권수
5

0
통합연구 연어목록 비교대조 오류분석 교수학습활용 기타

유형

3기는 52편으로 2기의 42편에 비해 연구 편수가 소폭 상승(上昇)하였다. 연구 주제별로는 연


어목록 및 유형에 대한 연구는 큰 차이가 없다. 비교·대조 연구는 소폭 감소하였으나 그 동안
많이 다루지 않았던 다른 외국어에 대한 연구 결과들이 나와서 큰 의미가 있다. 3기 학술지 논
문의 가장 큰 특징은 교수·학습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의 확대이다. 2기의 학위논문에서는 많
이 발표되었지만 학술지논문에서는 그 비율(比率)이 상대적으로 많이 낮았었는데, 3기에 접어
들며 다시금 관심이 많아지며 그 연구 성과(成果)가 나오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타
주제에 대한 논문의 수가 적지 않게 나타나는데, 김규훈(2015)의 연구는 ‘플립드 러닝 방식’이
라는 새로운 방식(方式)을 접목(接木)하여 한국어 어휘(語彙) 학습(學習)의 가능성(可能性)을
모색(摸索)해 보기도 하였다. 또한 크라우머 와니다(2016), 여숙연(2017)에서는 학습자(學習者)
의 연어 습득(習得)과 관련하여 고찰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지금까지는 주로 대학기관에서 한
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들에게 주목하여 한국어 연어 중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지 고민했는데,
이경희·강은희(2018)는 국내(國內)에 거주(居住)하는 농촌(農村) 여성결혼이민자(女性結婚移民
者)들에게 초점을 맞추어 그 대상(對象)을 확대(擴大)했다고 할 수 있다.89)

[표 47 1기, 2기, 3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 대비(학위논문)]


1기 2기 3기 총합
주제
통합 연구 1 6 5 12
연어 목록 및 유형 4 21 25
비교·대조 4 35 39

89) 한주연(2015), 김수영(2018)에서도 여성 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를 연구하였다.


한주연(2015), “연어 관계를 이용한 의성어·의태어 교육 방안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
로,” 경희사이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수영(2018),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직업 관련 어휘 선정 및 교육 방안,”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 56 -
오류 분석 6 8 14
교수·학습 활용 11 23 34
기타 1 6 21 28
총합 2 37 113 151

[그림 10 1기, 2기, 3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 대비(학위논문)]

50

37.5

25 1기

2기
12.5
3기
0
통합연구 연어목록 비교대조 오류분석 교수학습활용 기타

유형

[표 47]과 [그림 10]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한국어 연어 연구는 1기부터 3기까지 꾸준히 증


가(增加)하고 있는 경향(傾向)을 보인다. 1기 때는 아직 국어학적 접근만 있었기 때문에 외국어
와의 비교·대조나 학습자들의 오류 분석 등은 거의 나타나지 않지만, 2기, 3기로 갈수록 외국
어로서의 한국어 교육학으로 연구(硏究) 방향(方向)이 많이 전환(轉換)되면서, 그에 따라 연구
의 흐름도 달라졌다고 할 수 있다. 앞서 1기를 한국어 연어 연구의 태동기로, 2기를 한국어 교
육 분야로의 전환기, 3기를 확대기로 분류하였었는데, 위의 표와 그림을 통해 명확(明確)하게
확인(確認)할 수 있다. 이후 2020년부터를 4기로 지칭한다면 최근의 공학적(工學的) 연구(硏究)
의 흐름에 맞게 다채로운 연구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豫想)한다. 하은선(2016), 김희정(2018)
에서는 모바일을 통한 한국어 연어 학습 방안을 이미 연구하고 있다.90)

[표 48 1기, 2기, 3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 대비(학술지 논문)]


1기 2기 3기 총합
주제
통합 연구 1 6 6 13
연어 목록 및 유형 1 9 11 21
비교·대조 14 8 22
오류 분석 1 2 3

90) 하은선(2016), “한국어 초급 학습자 대상 주제별 연어 학습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초 설계,” 이화여자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희정(2018), “모바일 기반 한국어 연어 학습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57 -
교수·학습 활용 4 10 14
기타 4 8 15 27
총합 6 42 52 100

[그림 11 1기, 2기, 3기의 한국어 연어 연구 대비(학술지 논문))

20

15

10 1기

2기
5
3기
0
통합연구 연어목록 비교대조 오류분석 교수학습활용 기타

유형

학술지 논문 역시 1기부터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1기는 한국어 연어에 대한


연구 자체가 많이 부족했던 시기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물의 수도 상대적으로 상당히 적었고,
연구 주제도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2기로 넘어오면서 주제(主題)가 다양화(多樣化)되고, 그 내
용(內容)도 심층적(深層的)으로 다루게 되었다. 2기와 3기를 비교했을 때, 그 증감(增減)을 살펴
보면 교수·학습 활용 분야에 조금 더 집중(執中)된 것을 볼 수 있다. 이것 역시 학위논문의 양
적·질적 증가와 무관하지 않다고 할 수 있는데, 순수 국어학적 연구에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학으로 초점이 많이 옮겨졌음을 시사(示唆)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모국어 화자인 한국
인들에게는 한국어 연어 정보가 학교(學校) 교육(敎育)을 통한 공교육(公敎育)에서 자연스럽게
습득(習得)이 되고, 성장과정(成長過程)을 통해 자연스럽게 내재(內在)된 정보를 활용하여 한국
어 연어가 쉽게 습득될 수 있지만 외국인들에게는 이러한 모국어 정보가 없기 때문에 조금 더
효율적(效率的)인 방법을 찾을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어 교수·학습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지속적(持續的)으로 성장(成長)할 것이라고 예상(豫想)할 수 있다.

3.2. 교육 대상별 연구 경향

대상별 연구 경향에서는 연구 대상의 분포(分布)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살펴보고 특히


높은 비율을 차지한 학습자의 언어권을 중심으로 그 결과를 통해 동향을 보도록 하겠다.
한국어 연어 연구에 대한 학위논문 151편, 학술지 논문 100편 중에 중국어(中國語)권 학습자
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38편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일본어(日本語)권이 7편, 영어(英

- 58 -
語)권, 러시아권이 5편으로 그 뒤를 이었다. 국내(國內) 체류(滯留)하는 중국인(中國人) 학습(學
習)자들이 많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일부 예상할 수 있다. 언어 이용자 수를
고려(考慮)했을 때, 영어권 학습자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相對的)으로 많이 적다.

[표 49 연구 언어권 분류]

학위논문 학술지논문 총합
중국어권 학습자 28 10 38
일본어권 학습자 5 2 7
러시아어권 학습자 4 1 5
영어권 학습자 4 1 5
미얀마어권 학습자 3 0 3
프랑스어권 학습자 1 1 2
언어권 베트남어권 학습자 1 0 1
몽골어권 학습자 1 0 1
연구 대상
인도네시아권 학습자 1 0 1
타지크어 학습자 1 0 1
태국어권 학습자 0 1 1
한국인 고등학생 2 0 2
합계 51 16 67
초급 학습자 6 4 10
학습자 수준 중급 학습자 3 0 3
고급 학습자 3 2 5

위의 [표 4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중국어권 학습자에 대한 연구가 전체 67편 중에 38편으


로 거의 57%를 차지한다. 이정희(2014)에서는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
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고 제시하였다.91) 국내 체류하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수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아래 표는 2018년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국가(國家)별 통계(統計) 자료
이다.92)

91) LUO GUANGCHUN(2017), p.37에서 재인용.


92) http://kosis.kr/index/index.do

- 59 -
[표 50 2018년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국가별 통계 현황]

중국
(한국계 우즈베
국가 베트남 몽골 일본 기타 합계
중국인 키스탄
포함)
유학생
68,993 45,143 8,650 7,840 2,676 27,368 160,670
수(명)
비율(%) 42.9% 28.0% 5.38% 4.87% 1.66% 17.03% 100%

2018년 기준 중국인 유학생의 수가 전체 유학생 수의 43%정도를 차지하는 것을 볼 수 있


다. 그 다음 베트남, 몽골, 우즈베키스탄, 일본 순인데, 중국인 유학생이 많은 만큼 연구 결과물
도 많을 수밖에 없었다. 이후 베트남, 몽골, 우즈베키스탄 등도 연구 결과물이 확충(擴充)될 것
으로 예측(豫測)할 수 있다.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연구 결과에서는 중국어권, 일본어권, 러시아어권, 영어권 순으로
나타나는데, 국내 체류하는 언어권별 외국인들의 비율과는 그 순위가 일치하지 않는다. 여전히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 치중(置重)되어 있는데, 연구가 다양한 언어권의 학
습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것을 증명(證明)하고 있는 것이다. 국내에 체류하는
유학생들의 수에 많은 영향(影響)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각 언어권별로 연구자의 수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그 추이(推移)를 다음 표로 정리할 수


있다.

[표 51 언어권별 연구 수의 변화 추이(학위논문, 학술지 논문)]

연도별 중국어권 일본어권 러시아어권 영어권 기타언어권 합계


2004 1 1
독일어1
2005 2 1 5
기타1
이탈리아어1
2006 1 2 4
베트남어1
스페인어3
2007 3 1 이탈리아어1 8
프랑스어1
로만스어1
2008 1 3
프랑스어1
2009 2 1 3
2010 3 1 몽골어1 6

- 60 -
스페인어1
2011 1 1
2012 3 3 2 1 미안마어1 10
미얀마어1
2013 6 2 1 아랍어1 12
중학교3년1
미얀마어1
다문화
2014 1 2 초등학생1 7
몽골어1
이주노동자1
프랑스어1
2015 3 2 1 여성결혼 8
이민자1
타지크어1
2016 3 4 9
태국어1
2017 7 1 프랑스어1 9
여성결혼
2018 4 1 6
이민자1,
2019 4 인도네시아어1 5
합계 38 19 8 6 26 97

[그림 12 언어권별 연구 수의 변화 추이]

50

40

30

20 권수

10

0
중국어권 일본어권 러시아어권 영어권 기타 언어권

[표 51]과 [그림 12]를 보면 앞선 연구 대상자별 결과보다 결과물의 수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1장에서 밝힌 결과는 순수하게 대상자를 목적으로 한 결과이고, 위의 결과는 대응 연구
등의 비교·대조 분석 결과를 포함(包含)시킨 것이다.
위에서 볼 수 있듯이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높은 비중(比重)을 차지

- 61 -
하고 있다. 중국인 학습자와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전체의 50%를 넘고 한국
어 연어 연구 2기부터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외 학습자를 대상으로는 그 수가 비교적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기타 언어권에서는 스페인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4편, 프랑스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4편, 미얀마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3편 정도로 많은 수를 차지하며, 국내 학습자 중
여성결혼이민자와 다문화(多文化) 초등학생(初等學生)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결과를 눈여겨 볼
만하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국내 여성결혼이민자와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증가하는 다문화
자녀들을 위한 한국어 연어 연구가 지금보다 더욱 세밀(細密)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언어권별로 비교했을 때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월등(越等)히 많음을 확
인할 수 있다. 중국인 연구자의 연구 결과와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 결과를 통해
현재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의 흐름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표 52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 분류]

주제 비교·대조 학습자 교수·학습 합계


어휘적 연어 기타
언어권 중국어 대응 오류 분석 방안 (%)
15 9 7 2 5 38
중국어권
39.47% 23.68% 18.42% 5.26% 13.15% (100%)

[그림 13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 분류]

20

15

10
권수
5

0
비교대조/중국어 학습자 오류 분석 교수학습 방안 어휘적 연어 기타
대응

[표 52]와 [그림 13]을 보면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는 비교·대조 및 중


국어와의 대응 관계를 연구한 논문이 40%정도로 가장 많았다. 어휘적 연어 부분은 한국어 연
어와 중국어와의 대응 관계의 범위 안으로 포함시킬 수 있겠다. 학습자 오류 분석과 교수·학습
방안에 대한 연구도 적은 편은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연구의 수가 적어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
한 연구는 비교·대조 및 중국어와 대응 양상을 살피는 연구에 편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기타 연구 목록에는 ‘사전 편찬을 위한 연구’, ‘숙달도에 따른 연어 습득’ 등이 있다.

- 62 -
비교·대조 및 중국어 대응에 대한 연구는 어휘적(語彙的)으로는 신체어휘(身體語彙)와 ‘먹다’
류 동사를 중심으로 하는 연구가 많았다. 통사적(統辭的)으로는 주술, 목술 관계를 주목하여 보
기도 하였다. 박사학위논문이 2편 있는데, 먼저 왕효휘(2012)는 통사적(統辭的) 대응(大應)과 의
미적(意味的) 대응(對應)으로 먼저 분류하고 그 안에서 세부적으로 어떠한 유형으로 대응되는
지 파악하였다. 두도(2017)에서는 의존명사 중심 문법적 연어의 중국어 대응 표현에 대해 ‘시간
(時間), 추측(推測)·판단(判斷), 이유(理由)·원인(原因), 정도(定度), 조건(條件), 당연(當然), 계획
(計劃), 상태(狀態)·상황(狀況), 강조(强調)·한정(限定), 능력(能力), 목적(目的)’의 양태(樣態)적
범위로 나누어서 파악(把握)하였다.
학습자 오류 분석에 대한 연구는 어떠한 오류 유형이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와 오류 유형
에 따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로 나눌 수 있다. 정숙향(2007)에서는 통계적으로 어떠한
오류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초급·중급·고급 학습자들을 위한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유연
(2010)에서는 한국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와 중국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 등으로 연어 사용
의 오류를 밝히고 있는데, 오류 유형(類型)에 따른 교육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것이 한계
(限界)이다. 임건동(2018)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연어 오류를 ‘체언, 용언, 조사 오류’
로 분류하고 이를 ‘모국어(母國語) 간섭(干涉), 목표어(目標語) 영향’의 두 가지로 세분하여 제
시하였다.93) 또한 체언에 의한 오류와 용언에 의한 오류를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그 교수·학
습 방안을 같이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조사에 의한 오류는 유형으로 제시되어 있지만 그 교
수·학습 방안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교수·학습 방안에 대한 연구는 오류(誤謬) 유형(類型)에 대응(對應)하여 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效果的)인 것을 알 수 있다. 교수·학습 방안 연구 중 유의미한 결과들을 살
펴보도록 하겠다. 박현정(2007)은 학습자 분석을 통해 그에 맞는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는데,
‘말하기·듣기, 쓰기·읽기’로 하나의 언어기능만 사용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이목자(2013)에서
는 실제 학습자들의 작문 200여 편을 분석하여 오류를 분석해냈다. 오류의 유형은 제시하고 있
지만 그 오류에 대해 어떻게 교수해야 하는지 밝히지 않은 것은 한계이다. 김병욱(2013)의 연
구는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연어 교육의 목적과 목표를 제시한 것이 특징
이다.94)

[표 53 중국인 초급 학습자 연어 교육의 목적과 목표]

한국어로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연어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연어 사용


목적
의 양적 능력과 질적 능력을 종합적으로 기른다.
목표 초급 1. 연어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93) ‘모국어 간섭, 목표어 영향’은 유연(2010)에서 밝힌 ‘한국어의 영향(목표어), 중국어의 영향(모국어 간섭)’과 일맥상
통한다.
94) 김병욱(2013),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교육 방안 연구 ‘체언+용언’형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59.

- 63 -
2. 초보적인 언어 기능(자기소개, 의식주에 관한 기본적인 행위 등)을 수행하
는 한에서 사용하는 한국어와 중국어 간의 용언의 차이를 인식하며, 한국어
연어를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숙연(2019)에서는 교수자와 학습자, 그리고 교재 분석을 통해 한국어의 문법적 연어를 중


국인 학습자에게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를 연구하였다. 특히 의존명사에 초점을 맞추어 문법적
연어를 정리한 것이 특징이다. 문법적 연어 교육을 위해 형태 초점 접근법을 활용하였다. 다음
은 형태 초점 접근법을 활용한 수업 모형과 단계별 과제이다.95)

[표 54 형태 초점 접근법의 기법]

수업 단계
도입 입력홍수
입력강화, 명시적 규칙 설명, 규칙 설명(연역식, 귀납식), 의식 고양 과제, 상호
제시
작용 강화, 정원 가로지르기
연습 상호 작용 강화, 상호 오류 수정하기, 오류 수정 요구하기
활용 상호 작용 강화, 상호 오류 수정하기, 오류 수정 요구하기
정리 오류 인식 수정하기

[그림 14 국내 중국인 유학생 현황]

80000
70000
60000
50000 합계
40000 남자
30000
여자
20000
10000
0
2010 2011 2012 2013 2015 2016 2017 2018

중국인 학습자의 수는 2010년 63,676명에서 2018년 68,112명으로 2013년까지 소폭(小幅) 감


소했지만 2014년부터 다시 증가하고 있다. 국가 단위로 봤을 때, 여전히 가장 많은 수를 차지
하고 있다. 또한 2015년부터 베트남 학습자들의 유입(流入)이 눈에 띄게 증가(增加)하고 있다.
하지만 베트남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과 비교했을
때 그 수가 상당히 적다. 앞으로 베트남 학습자들의 유입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다른 국

95) 여숙연(2019), 앞의 논문, p.227.

- 64 -
적의 학습자들에 비해 불체율(不滯率), 이탈율((離脫率)이 높은 편이긴 하지만 학습자(學習者)
요인(要因)에 대한 정확한 분석(分析)이 선행(先行)되고, 학습 대상자에 대한 효과적(效果的)인
교수(敎授)·학습(學習) 방안(方案)이 마련된다면 한국어 학습에 대한 선순환(善循環)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3.3. 주제별 연구 경향

주제별 연구 경향은 1기부터 3기까지 외국어와의 비교·대조가 72편으로 가장 많았고, 교수·


학습 활용 방안과 연어 목록 및 유형에 대한 연구가 각 47편으로 그 뒤를 이었다. 국어(한국
어) 연어를 통합적(統合的)인 시각(視覺)에서 연구한 것도 적지 않았는데, 한국어 연어 연구가
성장기를 거쳐 성숙기로 접어들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비교·대조 연구 및 교수·학습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시기마다 가장 많은 연구 결과물을 만들어 냈는데 이는 순수국어학 연구
가 선행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학에 접목(接木)시켰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표 55 시기별 연구 주제 분석 결과(학위논문, 학술지 논문]

시기
1기 2기 3기 합계
주제
통합 연구 2 12 11 25
연어 목록 및 유형 1 13 33 47
비교·대조 분석 26 44 70
오류 분석 7 10 17
교수·학습 활용 14 32 46
기타 5 14 27 46
합계 8 86 157 251

[그림 15 시기별 연구 주제 비율 분포]

50
통합 연구
40
연어 목록 및 유형
30 비교 대조 분석
20 오류 분석
10 교수 학습 활용

0 기타
1기 2기 3기

- 65 -
[그림 15]를 보면 각 주제별로 1기에서 3기로 갈수록 대부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외국어와의 비교·대조 분석 연구가 상대적(相對的)으로 눈에 띄게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한국어 연어에 대한 통합적(統合的)인 관점(觀點)에서의 연구는 2기에서 3기로 가면서 소폭 감
소하고 있는데,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이론적인 설명은 비록 하나의 공통된 합의사항(合意事項)
으로 정리할 수는 없지만, 상당한 수준(水尊)으로 정착(定着)되었음을 보여준다.
한국어 연어에 대한 비교·대조 연구는 그 범위(範衛)를 조금 더 자세하게 했을 때, 54편 정
도로 파악할 수 있다. 그 중 중국어와의 비교가 16편으로 가장 많고, 일본어와의 비교 연구는
15편, 스페인어·영어·프랑스어·독일어·러시아어와의 비교 연구가 각 3편, 미얀마어와의 비교 연
구는 3편, 그 외 몽골어와 타지크어와의 비교 연구 등이 있다.
비교·대조 연구를 주제(主題)별로 구분(區分)했을 때, 한국어(韓國語)의 통사적(統辭的) 구조
(構造)에 근거(根據)한 대조 분석(分析)이 54편 중 13편으로 나타났고, 신체(身體)와 관련(關聯)
된 대조 연구가 8편, 개별 어휘(語彙)에 대응(對應)하는 관계에 대한 연구가 7편, 감정(感情)이
나 심리(心理)를 나타내는 표현에 대한 연구가 5편으로 나타났다.

[표 56 한국어 연어에 대한 비교·대조 연구의 주제별 분류]

한국어 연어에 대한 비교·대조 연구 해당 편수 해당 비율(%)


통사적 구조에 근거한 연구 13 24.07
신체와 관련된 연구 8 14.81
개별 어휘에 대응하는 관계 연구 7 12.96
감정·심리를 나타내는 표현 연구 5 9.26
기타 21 38.88

[그림 16 한국어 연어에 대한 비교·대조 연구의 주제별 분류]

25
20
15
10
5
0 편수
통사적 신체와 개별 감정/심리를 기타
구조에 관련된 어휘에 나타내는
근거한 연구 대응하는 표현
연구 관계 연구
연구

- 66 -
위의 [표 56]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한국어 연어에 대한 비교·대조 연구는 한국어의 통사적
구조에 근거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다. 이는 한국어(韓國語) 연어(連語)의 유형(類型)이 ‘주술/
목술/수식’의 관계로 대부분 이루어져 있다는 데에서 그 근거(根據)를 찾을 수 있다.

3.4.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 경향

한국어 연어 연구에서 특히 교육 방법에 집중한 것이 있다.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유의미(有


意味)한 학습 효과를 주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국적이나 학습 수준 등의 배경지식이 뒷받침 되
어야 한다. 그러한 배경지식(背景知識)을 바탕으로 학습자 수준에 맞는 교육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원미(2010)에서는 어휘접근법(語彙接近法)을 통해, 김지은(2010)에서는 주제
중심교육(主題中心敎育) 방법을 통해, 김규훈(2015)에서는 플립드 러닝 기반(基盤) 학습을 통해,
전윤선(2018)에서는 연상기억법(聯想記憶法)을 통해 한국어 연어를 교육하고자 하였다.
이원미(2010)에서는 한국어 연어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체언+용언]형 어휘적 연
어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문맥적(文脈的)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어휘와의 관련성
(關聯性)을 통해 어휘의 의미를 파악하도록 하였다. 학습자의 사전(事前) 지식(知識)이나 경험
(經驗)을 학습 활동에 활용할 때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았다. Lewis(1993)의 어휘접근법
(Lexical Approach)96)을 차용(借用)하였다. 연구자의 결과에 따르면 교사들은 연어 지도에 대
한 정보가 많이 부족하고, 학습자들은 사용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학습자들은 용언
과 조사의 오류가 특히 높게 나타났는데, 이렇게 가시적(可視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부분들을
교사들이 각별히 인지하고 교수해야만 한다. 특히 교실 현장에서 개별적(個別的)인 문법·어휘
교수보다 맥락화(脈絡化)된 큰 틀 안에서 통합하여 지도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96) 어휘접근법의 주요 핵심 원리(Lewis, 1993:61)


① 언어는 어휘화된 문법이 아니라 문법화된 어휘로 구성한다.
② 문법과 어휘의 이분법은 무의미하며, 대다수 언어는 다어(multi-words)인 덩어리(chunks)어휘로 구성된다.
③ 언어 교수의 핵심요소는 학습자에게 덩어리 어휘를 인식하게 하고, 또한 덩어리화하는 능력(chunking skill)을 발
전시키는 것이다.
④ 구조적인 패턴이 유용하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어휘 패턴과 은유 패턴에도 중요성을 부과해야 한다.
⑤ 연어를 교수요목 내에서 구조의 원칙으로 통합한다.
⑥ 구조로서의 문법은 어휘에 종속된 개념이다.
⑦ 언어교수에서 일차적으로 중요한 것은 맥락의 상황요소이기보다는 공텍트스(co-text)이다.
⑧ 성공적인 의사소통은 정확성 그 이상의 개념이다.
⑨ 연습 문제와 생산보다는 과제와 그 수행과정을 강조한다.
⑩ 글보다 말의 중요성을 인정한다.
⑪ 오류를 학습 처리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내재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원미(2010), 「어휘접근법을 활용한 한국어 연어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8-19.

- 67 -
[표 57 기존의 교수법과 어휘접근법의 수업모형 비교]97)

기존의 교수법 어휘접근법


관찰
수업 모형 제시 → 연습 → 결과
실험 가설

- 학습자 중심
- 교사 중심 - 하향식 접근
- 상향식 접근 - 언어사용과 유창성에 초점
중점 사항 - 언어지식과 정확성에 초점 - 개념과 인지 중심의 학습과정 중시
- 개념과 인지 중심의 학습 과정 결여 - 교수항목의 통합적 학습
- 개별 교수항목의 분리학습 - 과제 중심, 내용중심, 말뭉치 중심의
교수-학습

아래 표는 김낙복(2005)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모형을 재구성(再構成)한 것이다.

[표 58 어휘접근법을 활용한 연어 교수·학습 모형]

단계 교사 활동 학습자 활동
-제시된 연어 자료에 집중
- 학습할 연어 맥락을 활용, 제시
관찰 - 입력 강화시킨 연어 자료 인
- 자료를 통한 연어 어휘 입력 강화 제시
식 및 연어 의미 파악
- 다양한 연어 입력 및 활동을
발견·가설 - 연어 중심의 다양한 학습 활동 및 게임 제시
통한 규칙성 발견 및 가설 설정
- 설정된 가설의 실험 및 검증
- 연어 학습 활동 제시
- 새로 제시된 연어와 기존 학
- 새로운 연어 자료 제시
습한 연어를 활용한 활동통한
실험 - 창의적 활동 제시
규칙 적용
- 자기평가 활동 제시
- 설정된 가설의 일반화
- 교사관찰 자료 제시
- 추후 학습으로 피드백

위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모형은 그 대상을 연어로 한정했을 때 유의미(有意味)한 모형이다.


따라서 모든 한국어 수업 현장에 적용(適用)시킬 수 없고, 그 효용성(效用性)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학습 대상이나 환경에 따라 적절(適切)하게 조절(操切)한다면 충분히 사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김지은(2010)에서는 연어의 구성이 주로 통사적 단위로 이루어져 있음을 지적하며 교수 방
법 또한 문법 교육의 층위에서, 어휘 교육의 층위에서, 절충적 층위에서 가능함을 밝혔다. 그

97) 위의 논문.

- 68 -
중 어휘 교육의 방법이 적절함을 다음의 이유로 설명하였다. 첫째, 연어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
요소 간의 결합이 규칙 비의존적(非依存的)이며 개별적이다. 둘째, 연어는 연어핵이 연어변을
선택할 때, 그 선택이 어휘 개별적이다.98)
특히 한국어 연어를 교수·학습하는 시점(始點)을 초급으로 보았는데, 이는 한국어 연어가 구
조적(構造的)으로는 통사적인 구성을 이루지만 의미적(意味的)으로는 하나의 덩어리로 인식되
기 때문에, 개별 어휘에 대한 선행 지식이 없더라도 하나의 의미 덩어리로 학습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학습해야 할 목록으로 제공되는 어휘들 중 사용빈도(使用頻度)가 높은 기본 동사
들은 실제 언어생활(言語生活)에서 보편적(普遍的)으로 사용되며 기본 의미와 확장된 의미 모
두 폭넓게 사용되기 때문에 연어는 초급에서부터 학습해야만 한다.
이러한 근거들을 바탕으로 한국어 연어의 교육 내용을 “일상생활, 여가생활, 건강, 생각과
감정, 단체생활, 대인관계, 경제활동, 사회와 문화, 자연현상”의 9가지 주제로 그 목록을 정리하
였다.99)
한국어 연어 교육을 위한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는데, 전통적인 어휘 교육 모형인
PPP(Presentation-Practice-Product)모형과 OHE(Observation-Hypothesis-Experiment)의 장단
점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표 59 한국어 연어 교육의 수업 모형]

단계 내용
- 동기 유발, 학습 목표 확인
도입
- 사전지식 활성화
- 목표 연어 입력 자료 제시
제시
- 목표 연어 인식 및 의미 파악

98) 김지은(2010), 「한국어 연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27-28.
99) 위의 논문, p.97.
[‘자연현상’ 관련 연어 목록]
소주제 등급 연어 목록
초급 비가 오다, 눈이 오다, 바람이 불다
날씨가 흐리다, 태풍이 오다, 소나기가 오다, 소나기를 만나다, 비를 맞다, 눈
중급 을 맞다, 눈이 부시다, 추위가 풀리다, 날씨가 풀리다, 날이 풀리다, 추위와 싸
날씨
우다, 더위를 먹다, 더위를 이기다
번개가 치다, 천둥이 치다, 안개가 끼다, 안개가 깔리다, 코트를 걸치다, 피부
고급
가 타다, 얼굴이 타다
초급 불이 나다, 개가 짖다
연기가 나다, 연기를 내다, 먼지가 나다, 향기가 나다, 소리가 나다, 빛이 나
중급
다, 파도가 일어나다, 향기를 내다, 단풍이 들다
자연
지진이 나다, 화재가 나다, 홍수가 들다, 해가 기울다, 달이 기울다, 그늘이 지
고급 다, 단풍이 지다, 물결이 치다, 빛을 내다, 빛깔이 나다, 빛깔을 내다, 덩어리
가 지다, 조각이 나다, 꼬리를 치다, 알을 까다, 알을 품다

- 69 -
- 통제된 연습, 연어의 내재화
연습
- 새로 제시된 연어와 기존에 학습한 연어 지식의 구조화
-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의 연어 사용
사용
- 교사의 피드백
- 학습 내용 정리
정리 - 학습 목표의 달성 여부 확인
- 과제 제시

김규훈(2015)에서는 최근 들어 주목을 받고 있는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방식으로 한


국어 어휘 학습이 가능한지 그 가능성(可能性)을 모색(摸索)해 보았다. 특히 여러 어휘의 양상
가운데 연어에 집중하였는데, 연어는 실제 사용 맥락을 직접적(直接的)으로 반영(反映)하기 때
문에 플립드 러닝 방식에 적합(適合)한 것으로 판단(判斷)하였다.
다음 표는 수업의 기본 요소인 ‘교사, 학습자, 텍스트, 환경’의 특징을 플립드 러닝 방식을
통해 파악한 것이다.

[표 60 플립드 러닝의 구성 요소별 특징]100)


구성 요소 플립드 러닝 전통적인 수업
- 수업 설계자, 활동 조력자, 동료 학습
교사 - 강의 전달자, 활동 촉진자

- 강의 내용으로서의 동영상
텍스트 - 교재의 텍스트와 활동
- 활동을 위한 활동지
학습자 - 강의 시청자, 활동 주체 - 수동적인 강의 이해와 활동 이행
- 과제 수행 공간으로서의 교실
- 개별화 교육이 가능한 교실 - 중위권 수준에 맞춘, 강의를 들은 다음
환경
- 학부모와 학습 내용의 소통이 가능한 에 활동하는 교실
학교

전통적인 교수 모형에서는 단순하게 어휘를 암기하고 정의 내리는 정도의 접근이었는데, 점


점 문맥 상황을 통한 의미를 중요하게 보는 것으로 바뀌었다. 개별 낱말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
하지만 개별 낱말의 결합이 이루고 있는 어군[연어]을 교수해야 한다는 어휘 중심 교수법이 대
두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듯 한국어 어휘 교육 방법에 대한 논의에서도 ‘활동
중심’, ‘상황 중심’, ‘의사소통 중심’ 등의 단어들이 자주 등장한다. 한국어 교육의 첫 번째 지향
점이 ‘생활 한국어 능력’을 함양시키는 것이라고 볼 때, 위에서 제시한 플립드 러닝 방식 등의
상황 맥락을 강조하여 한국어 어휘를 학습하는 교육 방법들은 확대될 필요가 있다.

100) 김규훈(2015), 「플립드 러닝 기반 한국어 학습의 가능성 모색 – 연어(collocation)를 중심으로」, 『문법교육』 한국


문법교육학회 24권, p.35.

- 70 -
다음 표는 한국어 어휘 중 연어에 대한 분류 및 교수·학습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표 61 연어의 개념과 분류 및 교수·학습 방향]101)

개념 의미가 투명하고 맥락적으로 빈번하게 결합하는 어휘의 공기 관계


- 어휘적 연어 : 어휘소 상호 간의 공기 관계
분류
- 문법적 연어 : 어휘소와 문법소 간의 공기 관계
교수·학습 - 어휘적 연어 : 의사소통 상황에서 의미의 적절한 이해와 창조적 표현
방향 - 문법적 연어 : 문맥에 따른 결합 형태의 정확한 이해와 통사적 사용

어휘적 연어든 문법적 연어든 그 연어가 사용된 맥락(context)을 떠나서는 그 의미를 정확


히 파악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교수·학습 상황에서 ‘의사소통 상황’을 항상 고려하며 강조
되고 있는 것이. 의사소통 상황에서 상황 맥락(situational context)을 고려하여 사용되는 연어
들을 실제로 사용해 보는 것이 매우 중요한 활동이 됨을 알 수 있다. 문법적 연어도 문맥
(literal context)에서 빈번한 결합을 보이는 어휘소와 문법소의 결합이다. 이를 통해 형태·통사
적으로 문장 내에서 빈번하게 결합하는 그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어휘적 연어와
문법적 연어 모두 실제 사용의 맥락을 우선시하는 것이 교육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이
라고 할 수 있다.
전윤선(2018)에서는 한국어 어휘적 연어 교수·학습에 연상 기억법을 이용한 방법을 다각도
로 접목시켜 보았다. 먼저 감각을 단서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시각적 단서, 청각적 단서’ 두 가
지로 나누었다. 그 다음은 체계화를 사용하는 기억 방법이다.102) 이러한 방법들을 크게 기호적
인 연상과 의미적인 연상으로 나누고, 그것을 다시 ‘시각적 연상, 청각적 연상’, ‘행위적 연상,
상태적 연상’으로 분류하였다.

[표 62 연어 교육을 위한 연상의 분류]103)

연상 연상의 유형 정의 연상의 단서 연어의 예


- 연어 구성 요소의 형태를 통해 전체 의 서술어 일부의 커피를 뽑다, 줄을
시각적 연상
기호적 미를 이해하는 방식의 연상 철자 형태 짓다, 불을 끄다
연상 - 연어 구성 요소의 발음을 단서로 하여 서술어 일부의 관심을 보이다, 몸
청각적 연상
연어 전체의 의미와 관련지어 기억을 돕는 발음 을 던지다, 비가

101) 김규훈(2015), 앞의 논문. p.42.


102) 전윤선(2019), 「연상 기억법을 이용한 한국어 연어 교육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38-46.
① 시각적 단서를 사용하는 방법 : 말뚝단어법(숫자-모양 기억법), 파자법, 첫 문자 기법
② 청각적 단서를 사용하는 방법 : 말뚝단어법(숫자-압운 기억법), 운율기억법, 핵심어기법
③ 체계화를 사용하는 방법 : 마인드 맵핑법, 스토리 연상법, 장소법
103) 위의 논문, p.35, p.71 표를 재구성.

- 71 -
연상 그치다

- 연어 전체의 의미가 행위의 의미를 구현 수다를 떨다, 부상


행위적 연상 하며 서술어의 의미를 통해 결합될만한 체 서술어의 의미 을 입다, 여유를
의미적 언을 연결 짓는 방식의 연상 부리다
연상
- 연어 전체의 의미가 체언의 상태를 구현 눈이 밝다, 밤이
상태적 연상 하며 체언의 상태에 해당하는 서술어를 연 체언의 상태 깊다, 목소리가 낮
결 짓는 방식의 연상 다

위에서 제시한 연상 기억법은 학습자의 배경 지식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


습자마다 기억에 유리한 단서가 다를 수 있다. 연구자가 밝히고 있는 방법 및 단서들은 절대적
인 것이 될 수 없다. 개별 학습자마다 경험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배경 지식 또한 다를 수밖에
없다. 교수자는 학습자의 상황에 맞게 연상의 단서를 다르게 설정해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 72 -
4. 결론 (結論 )

본 연구는 국어(한국어)에서의 연어 연구를 연구사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약 30여 년간의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을 참고하여 그 현황 및 후속 연구 과제를 밝
히고자 하였다. 연어 연구에서 현재 양적으로 가장 많은 지분을 차지하는 것이 외국어와의 대
조 연구, 문법적 구조에 따른 분류 연구, 학습자들의 오류 분석 등이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대상을 검토하였다. 특히 연구의 대상으로 삼은 것은 현재
까지 발표된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이다. 학위논문 150여 편, 학술지논문 100여 편이다. 그 중
한국어 연어 연구에 대한 박사학위논문은 20편 정도이다. 박사학위논문의 대다수가 2000년 이
후에 발표되었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는데, 연어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 확인하였다. 2.1.에서는
연어의 개념이 연구자들마다 어떻게 다른지 표를 통해 제시하였다. 연구자마다 그 개념이 조금
씩 다르지만 “둘 이상의 단어가 글자 그대로의 의미를 유지하면서 긴밀한 결합 관계를 형성하
는 어군으로 출현 빈도가 높고 심리적인 현저성이 높은 것을 말한다.”라고 정의하며, ‘의미의
지속성’, ‘결합의 긴밀성’, ‘고빈도의 출현’이라는 것에는 대부분 동의한다.
또한 2.2.에서는 대표적인 연구자들의 연어 분류 유형을 제시하였다. 연어는 가장 일반적으
로 어휘적 연어와 문법적 연어로 양분하는데, 어휘적 연어를 형태·통사적 의미에 따라 세분화
하여 밝히기도 하였다. 대표적으로 한국어 연어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체언+용언]형태이다.
이에 따라 한국어 연어 목록을 실제 학습자 말뭉치와 한국어 교재에서 추출한 연구 결과물도
많이 있다.
3장에서는 연어 연구의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3.1.에서는 시기별 연구 경향을 밝혔는데, 1990
년부터 10년 단위로 1기, 2기, 3기로 나누었다. 1기는 연어 연구의 태동기로 사전 편찬 및 철자
검사 등의 도구적 목적의 연구에서 학문적 목적 연구로의 전환기라고 할 수 있다. 연구 결과물
도 상당히 적고, 극히 제한된 주제의 연구물만 있었다. 2기는 성장기로서 순수국어학적 접근에
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으로 전환기라고 할 수 있다. 국어학에서의 개념 정립을 토대로
한국어 교육학이 눈에 띄게 성장하였다. 이에 따라 주제도 다양해지고, 외국어와의 비교·대조
등의 연구 결과물들이 많아지기 시작했다. 3기는 성숙기로 연구 업적이 크게 확대되는 시기라
고 할 수 있다. 특히 비교·대조, 교수·학습과 관련한 논문들이 아주 많아진 시기이다. 국내외
한국어 교육의 증가와 무관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3.2.에서는 교육대상별 연구 경향을 살폈는데, 학습자들의 언어권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학습
자의 수준을 고려한 결과도 있었지만 언어권별 분류에 초점을 맞췄다. 학습자들의 언어권별로
분류했을 때,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이는 중국인 유학생의 증가
와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 중국인 유학생은 소폭 감소한 적도 있지만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 73 -
중국 내에서도 한국어 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가 어떻게 대응되
는지를 밝히는 연구가 주를 이루기도 하였다. 3.3.에서는 주제별 연구 경향을 살펴보았는데, 크
게 5가지로 나누어 그 내용을 살펴보았다. 한국어 연어에 대한 ‘통합 연구, 연어 목록 및 유형
에 대한 연구, 외국어와의 비교·대조 연구, 학습자들의 오류 분석에 대한 연구, 교수·학습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등으로 나누었다.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 내용들은 ‘기타’로 분류하여 살펴보
았는데, 그 양이 적지 않은 편이다. 주제별로 살펴보았을 때, 앞서 밝혔듯이 2기 초기까지는 통
합 연구 및 연어의 유형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뤘다. 2기 중·후기부터 3기까지는 앞서 정립된
연어의 개념과 유형에 근거하여 그 세부적인 목록들을 제시하는 연구들이 많아졌다. 특히 외국
어와의 비교·대조 연구와 교수·학습 활용 방안, 학습자 오류 분석에 대한 연구가 많아졌다.
3.4.에서는 특별한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를 제시하였다. 앞서 교수·학습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많아졌음을 밝혔다. 연어라고 하는 특별한 관계의 어휘를 가르치기 위해서는 상황맥락
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그래서 크게 대두되고 있는 접근법이 어휘적 접근법이다. 이를 바탕
으로 하여, ‘주제 중심 교육 방법’, ‘연상기억법’ 등을 제시하였다. 특히 최근의 학습자 분석을
통해 ‘플립드 러닝 기반 학습’을 제시한 것도 주목할 만하다. 하지만 좀 더 다양한 방법들이 있
어야만 한다.
본 연구는 한국어 연어 연구에 대해 연구사적으로 분석한 것에 그 의미가 있다. 1990부터
10년 단위로 나누어 3기로 구분하고, 발표된 논문의 내용을 분석하여 5가지 주제로 나누는 등
의 작업을 하였다. 하지만 한국어 연어 연구의 첫 시기를 1990년으로 잡은 것에 대한 근거가
부족하다. 또한 본론에서도 언급했던 것처럼 ‘한국어’, ‘연어’라는 주제어로만 RISS 에서 검색하
였기 때문에 조금 더 큰 범위인 관용어에서 다루는 한국어 연어들은 그 목록이 상당수 누락되
었다. 연구자 스스로도 연구의 가장 미흡한 점으로 꼽을 수 있는 부분이다. 그리고 주제별 분
류에서도 ‘기타’ 항목에 포함되는 연구 논문들이 많이 있었다. 조금 더 꼼꼼하게 살폈더라면
‘통합연구, 목록 및 유형에 대한 연구, 비교·대조 연구, 학습자 오류 분석에 대한 연구, 교수·학
습 및 활용에 대한 연구’ 외에도 묶을 수 있는 하나의 주제가 확인되었을 것이다. 교육 대상별
분류에서는 전통적으로 가장 많은 중국인 학습자에 대한 분석만 포함되어 있는 것이 한계로
남는다. 최근 급격하게 늘고 있는 베트남, 우즈베키스탄 등의 학습자에 대한 분석이 조금 더
세밀한 분석을 통해 포함되었으면 연구의 가치를 더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어 연어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꾸준히 계속될 것이라고 본다. 본 논문에서는 1990년
을 기점으로 현재까지의 약 30년에 대한 연구 결과만 가지고 분석·제시하였는데, 이후로도 연
구사적으로 접근하여 분석하는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바란다.

- 74 -
참고문헌(參考文獻)

기본자료(基本資料)

김성애(2016),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연어학습사전』, 소통.


김하수(2007),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연어사전』,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편(2014), 『한국어 교육학 사전』, 도서출판 하우.

단행본(單行本)

김은혜(2017),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 교육론』, 역락.


여춘연(2010), 『한국어 문법연어 연구』, 집문당.
우형식(2009),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어휘의 이해』,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이선웅(2019), 『한국어 어휘 교육론』, 한국문화사.
임근석(2010), 『한국어 연어 연구』, 도서출판 월인.
임 려(2013), 『한국어 관용어와 관용어 교육』, 미르.
임지룡(2011), 『국어의미론』, 탑출판사.
(2018), 『한국어 의미론』, 한국문화사.
홍종선(2001), 『한국어 연어 관계 연구』, 월인.
홍재성(2004), 『(21세기 세종계획) 전자사전 개발』, 문화관광부 국립국어원.

학위논문(學位論文)

강서영(2007),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적 연어 사용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고우미(2016), 「한·일 심리형용사 유의어 대조 연구 : ‘무서움’과 ‘외로움’에 대한 연어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기단봉(2010),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대조 연구 : 목술관계 연어를 중심으
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경난(2014), 「한국어 연어 교육 방안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경민(2012), 「한국 고등학교 학습자의 ‘형용사+명사’와 ‘동사+명사’ 연어 능력 연구」, 국제영

- 75 -
어대학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기태(2014), 「한국어 어휘적 연어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민혜(2014),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연어 교육 방안 - ‘체언+용언’형
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병욱(2013),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교육 방안 연구, ‘체언+용언’형을 중심
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수영(2018), 「여성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직업 관련 어휘 선정 및 교육 방안」, 한양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윤경(2009), 「한국어 ‘상징부사+용언’형 연어의 목록과 교수 활동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숙(2014), 「다문화 초등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용 연어 선정과 학습방안 연구 [체언+용
언]형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영(2008), 「한국어 교육용 학술어 선정과 공기관계 연구 : 명사 분포를 중심으로」, 연세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지은(2010), 「한국어 연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지혜(2017),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 교육 방안 연구 – 주술, 목술 관계 연어를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진해(2000), 「국어 연어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진희(2011), 「한국어 교재의 문법적 연어 구성 연구 : 의존명사 구성을 중심으로」, 연세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하늘(2019), 「강조적 정도부사와 용언의 연어 관계 연구 : 구어와 문어의 차이를 중심으
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학훈(2014), 「한국어 어휘교육을 위한 연어 관계 연구 - 정도부사의 계량적 분석을 통해」,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혜진(2013), 「일·한 병렬 말뭉치에 기반한 연어 대조 연구 : 어휘 공백을 중심으로」, 연세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희정(2018), 「모바일 기반 한국어 연어 학습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남현경(2013), 「한·중 미각형용사 의미 대조 연구 : 연어 목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다카치 토모나리(2014), 「현대 한국어 문법적 연어의 양태체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당광월(2013), 「한·중 연어 대응 양상 연구 - ‘먹다’류 동사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76 -
당천항(2017), 「동문유해에 나타나는 한국어 만주어 연어 비교 연구 : ‘체언+용언’형 연어를 중
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두 도(2017), 「한국어 의존명사 중심 문법적 연어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연세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라광춘(2017), 「한국어 교육학에서의 관용표현 연구사 고찰」,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란 첨(2013), 「한·중 연어의 구성·의미 대조 연구 - ‘마음心’ 관련 표현을 중심으로」, 경희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류정민(2012), 「한국어 초급어휘교육을 위한 연어 선정 연구 ‘체언+용언’형을 중심으로」, 동아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정현(2012),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징부사 + 용언’형 연어 연구」, 배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경미(2002), 「엔트로피를 이용한 한국어 연어 추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민희A(2008), 「연어를 활용한 전치사 교수법에 대한 연구 : 문법적 연어를 중심으로」, 단국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민희B(2019), 「의존명사를 포함한 한국어 관용표현 연구 – ‘숙어-연어’ 통사 분석 자료 구
축 방안」,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수경(2014), 「한국인 기초학습자들의 코퍼스를 통한 동사와 명사의 연어분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숙영(2005), 「한국어 어휘교육을 위한 연어 활용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영수(2009), 「상징부사의 연어적 공기관계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이정(2008), 「국어의 연어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정은(2012), 「어휘 함수를 활용한 한국어 연어 교육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박지윤(2019), 「인도네시아 학습자 대상 한국어 연어 교육 방안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박지은(2013), 「한국어 학습용 기본명사의 연어 구성 분석 : ‘명사+용언’ 유형의 연어 구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현정(2007),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교수-학습 방안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혜숙(2007), 「한국어 교재의 연어 제시 방안 연구 – 독일어 교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혜연(2005), 「부산지역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연어 사용의 오류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 77 -
석사학위논문.
박혜인(2016),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신체명사+용언’형 연어 선정 연구」, 울산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백 욱(2019), 「한국어 ‘먹다’ 연어 구성의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범기혜(2010), 「중국어와의 대조를 통해 본 한국어 연어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서아란(2005), 「연어와 국어 교육」, 강릉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연숙(20131), 「중학생의 연어오류 유형분석과 효과적인 지도방안 : 3학년을 중심으로」, 인
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희경(2013), 「한국어 동사 다의어의 연어중심 교육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석아남(2013),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에서의 대응 양상 연구 – 주술, 목술 관계 연어를 중심
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성아영(2010), 「한국어와 스페인어의 연어 대조 분석 : 신체어휘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안나(2012), 「러시아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교육 방안」,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쇼키로프 이크볼(2016), 「한국어와 타지크어 동사의 의미 대조 연구 – 연어를 중심으로」, 계
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수련(2018), 「한국어 관용어 습득과 어휘 학습 전략의 상관성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아랑(2010), 「한국어 연어 교육 연구 – 명사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신지영(2008), 「외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사류+용언’형 연어 교육 방안 연구」, 한국외
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심은경(2012),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체언+용언’ 형태의 연어 사용 양상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세영(2018), 「비즈니스 한국어 전문 어휘 선정 및 교육 방안 연구 – 경영 직무를 중심으
로」,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재경(2012), 「한국어 어휘 능력 향상을 위한 연어 교육 연구 – 영어권 학습자를 대상으
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정은(2009), 「한국어 연어 교육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야마시타아이(2011), 「일본인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교육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 78 -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수영(2008), 「중·고급 학습자의 어휘적 연어 능력과 한국어 숙달도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
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수향(2005), 「연어 오류 분석을 통한 어휘 교육 연구 – 러시아어권 학습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여숙연(2019),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적 연어 교육 방안 연구 – 명사류 복합구
성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오기노신사쿠(2012),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교육 연구 : 한·일 간의 동사 용법
차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명희(2012), 「영어권 초급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표현 지도 방안」, 인하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오유영(2009), 「연어 주석이 우연적 연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왕시엔(2019),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다의어 교육 방안 연구 : 신체어 눈[眼]」의 연
어 표현을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왕유가(2019), 「한·중 연어 사전 편찬을 위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왕찬찬(2017), 「모국어 간섭에 의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오류 분석 연구 – 동사, 형
용사 연어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왕춘예(2011), 「한국어 연어의 중국어 대응양상 연구 : 신체어 관련 연어를 중심으로」, 중앙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왕효휘(2012), 「한국어 연어의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웨 노에 흐닌 쏘(2012), 「한국어와 미얀마어 ‘크다/작다, 많다/적다’의 연어관계 대조 연구 :
(체언+용언)형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문명(2017),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구성 대조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유선향(2019), 「주석 유형에 따른 한국어 연어의 우연적 학습 효과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성희(2016), 「학습자 말뭉치의 문법적 연어 사용 양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유 연(2010), 「중국인 학습자의 연어 사용 오류에 대한 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유열영(2015), 「한국어 동사구 연어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대상으로」, 부
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 정(2015),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징부사의 연어구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 79 -
위논문.
유정태(2014), 「몽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교육 연구」,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유해준(2011), 「한국어 교육 문법적 연어 항목 선정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윤권하(2016), 「어휘 함수 기반의 한국어 중급 교재 연어 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윤소영(2011), 「한국어 형용사 유의어 교육 연구 – 연어 구성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윤이나(2010), 「초등학교 다문화 학생의 ‘학습 한국어’ 실태와 그 지원 방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혜연(2015), 「한국어 연어에 대한 일본어 대응 양상 연구 : 주술관계와 목술관계를 중심으
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은하연(2015),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나타나는 연어 오류 분석 – 영어권 학습자 말뭉
치 자료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가라시 유카코(2014), 「한·일 신체 증상에 관한 연어 대조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이경선(2011),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의존명사의 문법적 연어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이동혁(1998), 「국어의 연어적 의미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국어 연어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목자(2013), 「오류 분석을 통한 한국어 연어 교육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미진(2010), 「한국어 교육을 위한 정도부사의 연구 – 공기 관계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민성(2008), 「한국어 연어 교재 개발 방안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이비비(2017), 「어휘함수를 이용한 한-중 연어 대조 연구 – 주술관계 연어를 중심으로」, 국
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성숙(2014), 「이주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교육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소라(2019), 「한·독 감정명사 연어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소영(2004), 「신문기사 텍스트에서의 한·일 연어구성 비교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이숙진(2018), 「한국어 교육을 위한 ‘체언+용언’형 연어 연구」, 강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80 -
이양금(2015), 「한·영 대조를 통한 한국어 문화어 교육 방안 연구 – 관용어, 연어, 속담을 중
심으로」,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원미(2012), 「어휘접근법을 활용한 한국어 연어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유림(2018),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 대상 연어 교육 연구 ‘체언+조사+용언’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재춘(2010), 「관용구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정현(2010), 「한국어 교육에서의 연어 분포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준혁(2005), 「영어 학습자의 연어 사용의 오류와 효과적인 지도방안」, 계명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이지혜(2006), 「심리형용사 유의어의 의미변별과 사전 기술 연구 : 연어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진실(2012), 「한국어 연어 구성과 그에 대응되는 러시아어 대응 표현의 대조 연구 : 한국어
동사 ‘보다’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혜영(2013), 「시간 관계 연결어미적 연어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인진륀(2013), 「한국어와 미얀마어 ‘나다’의 연어표현 대조」,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임건동(2018), 「한국어 학습자 연어 오류 양상에 따른 교육 방안 모색 – 중국인 한국어 학습
자의 ‘체언+용언’형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일노궁내앙(2009), 「한·일 연어 대조연구 : ‘명사+(조사)+동사’형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근석(2002), 「현대 국어의 어휘적 연어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한국어 연어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임지아(2005), 「한국어 교육용 어휘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 리(2015), 「한국어 목술관계 연어의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장소원(2013), 「한국어 연어 유형 분포 분석 – 한국어능력시험 고급 읽기 영역을 대상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옥경(2011),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체언+용언’형 연어목록 선정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저우위(2016), 「한국어 교육용 기초연어 선정 연구 – 주동연어와 사동연어를 중심으로」, 가
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윤선(2018), 「연상 기억법을 이용한 한국어 연어 교육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81 -
정선란(2018),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어휘에 관한 연구」,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정숙향(2007), 「오류 분석을 통한 연어 교수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은주(2017), 「한국어 교육에서의 ‘의성어/의태어’ 결합형 연어 교육 방안 연구」, 동덕여자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은혜(2007), 「고등학교 학습자들의 어휘적 연어 사용상의 오류 분석 연구」, 인하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인경(2013), 「초급 학습자를 위한 연어 교육 방안 연구 ‘체언+용언’형을 중심으로」, 선문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희란(2004), 「영어와 한국어에 나타난 ‘두려움(fear)’의 연어 및 은유적 양상 비교」, 부경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명선(2015), 「한국어 의존명사 포함 연어적 표현과 프랑스어 대응표현 연구 – 프랑스어권
학습자를 위한」,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미정(2007), 「Light Verb 개념을 활용한 연어 사용 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 한국교원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미혜(2010), 「연어 지도가 한국어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조은영(2009), 「현대국어 어휘적 연어의 형성과 의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총희(2017),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연어 능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현지(2011), 「거주기간과 상호작용이 여성 결혼이민자의 연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
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주가문(2016),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적 연어 오류 분석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진정정(2016), 「중국인을 위한 문화·주제 중심 한국어 어휘적 연어 교육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차경신(2016), 「한·일 외래어의 대조 연구 – 의미·조어 방식·연어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채명숙(1998), 「연어 규칙에 기반한 한국어 문서 교정 시스템의 구현」,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채병열(2019), 「한국어 관용 표현의 통사 분석 연구 – 문법 연어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채희령(2013), 「연어, 관용어의 결합 제약과 정도성에 관한 연구 - ‘명사+용언’형을 중심으

- 82 -
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경옥(2008), 「어휘적 연어의 오류분석 –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울산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주미(2016), 「문학텍스트 내 어휘 주석 유형에 따른 한국어 연어 습득 연구」, 이화여자대학
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하성예(2008), 「연어 학습을 위한 어휘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하윤정(2012), 「영어동사 ‘open’ 한국어 동사 ‘열다’의 목적어 연어 비교」,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하은선(2016), 「한국어 초급 학습자 대상 주제별 연어 학습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초 설
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주연(2015), 「연어 관계를 이용한 의성어·의태어 교육 방안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경희사이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함윤희(2011),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상징부사 중심 연어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허려나(2018), 「한·중 착탈어 관련 연어 표현 대비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허영임(2011), 「한국어 교육을 위한 연어 선정 연구 - [체언+용언]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허영화(2009),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주제중심 연어교육 방안」,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홍혜란(2000),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적 연어 오류 유형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정아(2014),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직유 표현 연구 – 연어 관계를 중심으로」, 연
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Do Ngoc Luyen(2006),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 교수-학습 방안 연구」, 서울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Dong Fangyuan(2017), 「교사의 수정적 피드백이 쓰기에서 어휘적 오류 수정에 미치는 영향 :
중국인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Fan Qihui(2010), 「중국어와의 대조를 통해 본 한국어 연어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Hu Meng(2012), 「한국어 연어의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 : 신체어휘를 중심으로」,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I. Nadezda(2012), 「러시아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교육 : ‘работать’동사와 한국어
대응 표현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83 -
Liu Lina(2014),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명사 중심 문법적 연어 교육 연구」, 충남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Myat Nilar Soe(2014), 「한국어의 신체 어휘 연어에 대응되는 미얀마어 표현 대조 연구 : 가
슴, 고개, 귀, 눈, 마음, 머리, 목, 얼굴, 입, 코,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연구논문(硏究論文)

강현화(2008), 「한국어 교육을 위한 연어의 유형에 대한 고찰」, 『응용언어학 』 한국응용언어학


회 제24집 3호, pp.197-217.
고경태(2009), 「연어 관계를 통한 한국어 성분 부사 선정에 대한 시론」, 『한국어의미학』 한
국어의미학회 제28권, pp.29-48.
김규훈·이준영·김혜숙(2013), 「국어학 : 연어의 어휘 교육적 활용 방안 탐색」, 『새국어교육』
한국국어교육학회 제95권, pp.521-555.
김동국·이상률(2013),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교육 방안 연구」, 『언어과학』 한국
언어과학회 제20권 4호, pp.19-34.
김메리(2010), 「한국어 학습자들의 연어 연상 패턴과 연어 학습 활동 개발 방안 연구」, 『외
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제35권, pp.1-21.
김미경(2010), 「어휘함수를 활용한 연어의 의미관계 기술 :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연어를 중심
으로」, 『한국어문화교육』 한국어문화교육학회 제4권 1호, pp81-103.
김미현(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사전”에서의 연어(collocation) 연구」, 『한국사전
학』한국사전학회 제6호, pp.173-196.
김민국(2009),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용 어휘와 연어 추출 – 키워드 개념의 활용을 중심으
로」, 『문법교육』 한국문법교육학회 제11권, pp.141-171.
김선효(2010),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적 연어 학습 방안」, 『이중언어학』 이
중언어학회 제44권, pp.25-47.
김원경(2010),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 교육 방안」, 『한성어문학』 한성대학교 한성어문
학회 29권, pp.211-231.
김은자·이종혁·이근배(1994), 「일-한 기계 번역 시스템에서 연어패턴을 이용한 일본어-한국어
변환 모델」, 『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한국정보과학회 21권 1호, pp.833-836.
김진해(1999), 「연어(collocation)의 의미 관계에 대하여」, 『한국어 의미학』 한국어의미학회
제4권, pp.239-279.
(2000), 「연어의 계열 관계 연구」, 『국어학』 국어학회 제35권, pp.199-222.
(2007), 「연어 관계의 제자리 찾기」, 『한국어학』 한국어학회 37권, pp.229-260.

- 84 -
(2013), 「연어 연구의 의미론적 함의 – 목록과 경향 사이에서」, 『국어학』 국어학회
제68권, pp189-223.
김철규(2012), 「한국어 형용사 ‘착한’의 연어에 관한 단기 통시적 고찰」, 『언어과학』 한국언
어과학회 제19권 제4호, pp.65-87.
나윤희(2007), 「한-프랑스어 연어 대조에서 어휘함수의 활용」, 『프랑스문화연구』 한국프랑
스문화학회 제14권, pp.355-376.
(2008), 「한국어 ‘화’와 프랑스어 ‘colere’ 연어 대조 – 프랑스어 연어사전의 활용을 중
심으로」, 『프랑스어문교육』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제28집, pp.193-216.
나윤희·신자영·이기철(2008), 「연어의 의미 기술과 어휘함수 : 한국어 명사+동사 연어 구성의
로만스어 대응형을 중심으로」, 『이탈리아어문학』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제23권,
pp.87-113.
나카가와 아키오(2010), 「한국어 연어교육 연구 - [체언+용언]형 연어를 중심으로」, 『선청어
문』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제38권, pp.253-288.
(2012), 「{명사+동사 ‘부리다, 떨다, 피우다’} 연어에 대한 연구 – 한국어 교육
의 입장에서」, 『한국언어문화학』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제9권 제1호, pp.39-78.
데 엥흐자야(2010), 「한국어와 몽골어 연어 대조 연구 : ‘머리’를 중심으로」, 『인문과학논
집』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제21권.
도원영·범기혜(2011),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정보 기술 방안 – 한중학습사전
개발을 위한 시고」, 『인문학연구』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제22권, pp.209-239.
문금현(2002),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연어(連語) 학습 방안」, 『국어교육』 한국어교육학
회 109권, pp.217-250.
박종호(2015),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법적 연어 분류에 대한 연구 – 대학기관 한국어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한민족 문화연구』 한민족문화학회 제50권, pp.239-264.
박현정(2006),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교수 학습 방안 연구」, 『문창어문논집』
문창어문학회 제43권, pp.97-124.
백낙천·김정선·이용훈(2009),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형용사의 연어 관계 연구 – 서울대 언어
교육원 <한국어1,2> 교재를 중심으로」, 『한말연구』 한말연구학회 제25권,
pp.113-138.
범기혜(2019), 「심리변화 관련 주술관계 연어의 선택 제약 분석」, 『민족문화연구』 고려대학
교 민족문화연구원 제83권, pp.669-694.
송대헌·윤정아(2015),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 교육 내용 연구 - ‘일상생활’과 관련된 어
휘를 중심으로」, 『국제어문』 국제어문학회 제64권, pp. 323-348.
송석희(2005), 「독일어와 한국어의 명사-동사 연어 비교 분석」, 『독어학』 한국독어학회 11
권, pp.187-213.

- 85 -
신명선(2015), 「문법 교육에서 어휘적 연어 수용의 한 방향」, 『한국어 의미학』 한국어의미
학회 제47권, pp.55-83.
신자영(2005), 「한국어 연어의 다국어 대조 연구」, 『이중언어학』 이중언어학회 제28권,
pp.185-203.
신자영·이기철(2007), 「한국어 연어의 다국어 대응 유형 연구 : 스페인어와 이탈리아어를 중심
으로」, 『이탈리아어문학』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제21권, pp.65-82.
신자영·이만기(2007), 「한국어와 스페인어 연어 유형 대조 연구 : 신체어를 중심으로」, 『스
페인어문학』 한국스페인어문학회 제42권, pp.31-48.
심철민·김현진·김영진·권혁철(1995), 「연어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철자 검사기의 기능 개선」,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학술발표 논문집』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
구회, pp.86-90.
심철민·권혁철(1996), 「연어 정보에 기반한 한국어 철자 검사와 교정기의 구현」, 『정보과학
회논문지』 한국정보과학회 제23권 7호, pp.776-785.
양수향(2006), 「한국어 학습자들의 연어 오류 연구 – 러시아어 모어 학습자의 ‘체언+용언’ 형태의
오류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제34권 2호, pp.421-443.
여숙연(2017), 「숙달도에 따른 중국인 학습자의 연어 습득 연구 – 목술 관계 중심으로」,
『한국어와 문화』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제22권, pp.43-66.
(2019), 「초급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적 연어 교육 방안 연구 – 명사류 복
합구성을 중심으로」, 『한국어와 문화』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제26
권, pp.5-49.
여춘연(2010), 「한국어 연어의 개념과 특성 및 유형」, 『한국(조선)어교육연구』 중국한국(조
선)어교육연구학회 제7권, pp.109-127.
오기노신사쿠(2016), 「일본인 학습자 대상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대조 분석적 연어 목록
연구 - [명사+이(가)/을(를)+동사]형 연어를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한국언
어문화교육학회 제12권 2호, pp.143-177.
오상룡(2017), 「영어와 한국어의 연어」, 『영어영문학연구』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제59권 3
호, pp.263-279.
유문명(2016),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연구 – 초급 단계 연어를 중심으로」,
『한국문법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한국문법교육학회, 2016권 1호, pp.74-84.
(2018),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연어 사용 오류 분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제49권, pp.175-195.
유선향(20190, 「주석 유형에 따른 한국어 연어의 우연적 학습 효과 연구」, 『한국어와 문
화』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제26권, pp.209-249.
유승만(2005), 「한국어-러시아어 연어 사전 편찬을 위한 기초 연구」, 『노어노문학』 노어노

- 86 -
문학회 17권 3호, pp.17-42.
(2006), 「한국어-러시아어 연어 사전에서 연어핵의 다의성의 문제」, 『슬라브학보』 한
국슬라브학회 제21권 1호, pp.1-25.
(2008), 「한국어-러시아어 연어변의 의미투명성 판단기준에 대한 연구」, 『슬라브어연
구』 한국슬라브어학회 제13권, pp.141-153.
(2009), 「어휘함수와 한국어-러시아어 연어의 의미기술」,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한국러시아문학회 제30호, pp.263-281.
유은성(2007), 「외국어교육적인 관점에서 한국어와 일본어 연어의 대조 연구 : 명사(조사)동사
형을 중심으로」, 『일본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일본연구소 제33권, pp.325-346.
(2012), 「일본어 어휘교육을 위한 한국어 ‘명사(를)+받다’ 연어패턴에 대한 일고찰 – 대
응되는 일본어 표현을 중심으로」, 『일본어교육연구』 한국일어교육학회 제2권,
pp.67-80.
(2016), 「한국어와 일본어의 ‘명사(조사)+형용사’형 연어에 관한 대조연구」, 『일어일문
학연구』 한국일어일문학회 제97권 1호, pp.123-143.
유해준(2010), 「연어적 구성을 통한 한국어 교육용 어휘 구성 방안」, 『어문논집』 중앙어문
학회 제43집, pp.31-48.
(2010), 「한국어 교육용 어휘 문법 항목의 위계화 방안 – 연어적 구성 항목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0권, pp.403-413.
윤권하·이선웅(2017), 「한국어 중급 교재 연어에 대한 어휘함수 기반 분석」, 『언어사실과 관
점』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제42권, pp.187-210.
이경선(2010), 「한국어 교육에서 의존명사에 의한 문법적 연어 연구」, 『언어과학』 한국언어
과학회 제17권 제3호, pp.45-65.
이경희·강은희(2018), 「농촌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연어능력 특성」, 『언어치료연구』 한
국언어치료학회 제27권 제4호, pp.1-8.
이계연(2013), 「한국어-아랍어 번역의 연어 연구 - “골드미스” 어휘망을 중심으로」, 『중동연
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동연구소 제32권 제2호, pp.141-174.
이공주·김재훈·김길창(1995), 「품사 태깅된 말뭉치로부터 한국어 연어 추출」, 『한국정보과학
회 학술발표논문집』 한국정보과학회 제22권 제2호, pp.623-626.
이기철(2006), 「한국어-이탈리아어 연어 대조 연구 - ‘머리’를 중심으로」, 『이탈리아어문
학』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제19호, pp.119-142.
이동혁(2003), 「연어 표현의 유형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국어국문학회 135권, pp.131-161.
이승연·최은지(2007),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적 연어 사용 연구」, 『이중언어학』 이중언어학
회 제34권, pp.299-321.
이양금(2013), 「한·영 대조를 통한 한국어 연어 교육의 효과 연구」, 『외국어교육』 한국외국

- 87 -
어교육학회 제20권 제3호, pp.395-418.
이연정(2013), 「한·일 연어 대조를 통한 감정명사의 의미영역 비교」, 『언어학연구』 한국중
원언어학회 제27권, pp.241-261.
이은경(2005), 「명사를 중심어로 하는 문법적 연어 구성」, 『한국어 의미학』 한국어의미학회
17권, pp.177-205.
이은하(2016), 「한국어 구어 말뭉치를 대상으로 한 연어구성 추출 방법들의 비교 : 재현가능
연구」, 『언어와 언어학』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제70권, pp.497-539.
이정현(2010), 「한국어 교육에서의 연어 교육 양상 연구」, 『언어학 연구』 한국중원언어학회
제16권, pp.205-224.
(2017), 「코퍼스를 활용한 피동사 연어 구성의 통계적 분석 – 한국어교육을 위한 ‘보이
다’ 용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제14권 제
1호, pp.143-170.
이해윤(2007), 「제약기반문법에 의한 한국어 연어 분석」, 『언어와 언어학』 한국외국어대학
교 언어연구소 제39권, pp.177-197.
이호석·김영택(1993), 「영어-한국어 기계번역을 위한 연어와 숙어 트랜스퍼 사전」, 『정보과
학회논문지』 한국정보과학회 제20권 제7호, pp976-987.
이희자(1995), 「현대 국어 관용구의 결합 관계 고찰」, 『대동문화연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
화연구원 제30권, pp.411-444.
임건동·김은호(2019),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체언+용언’형 연어 오류 양상에 대한 연구」,
『언어연구』 한국현대언어학회 제34권 제4호, pp.607-628.
임근석(2008), 「문법적 연어와 문법화의 관계」, 『국어학』 국어학회 제51권, pp.115-147.
(2009), 「문법적 연어와 한국어 교육 – 조사적 연어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국
제한국어교육학회 제20권 3호, pp.161-184.
(2009)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문법적 연어 후보 추출」, 『한국어학』 한국어학회 제
45권, pp.305-333.
(2011), 「한국어 연어 연구의 전개와 쟁점에 대하여」, 『국어학』 국어학회 제61권,
pp.359-387.
임병준(200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교육」, 『한어문교육』 한국언어문학
교육학회 제11권, pp.97-112.
임유종(2005), 「연어 사전 기술에서의 말뭉치 활용」,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사전학회, pp.5-8.
(2005), 「다국어 연어 DB 구축과 말뭉치 활용」, 『한국사전학』 한국사전학회 제6권,
pp.119-143.
임춘매(2017), 「‘나다, 들다’의 연어를 활용한 어휘 교육 방안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 88 -
『한국어 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제28권 2호, pp.89-112.
(2019), 「개념적 은유와 영상도식을 활용한 연어의 의미교육 지침 방안」, 『한국어교
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제30권 2호, pp.311-332.
임홍빈(2002), 「한국어 연어의 개념과 그 통사·의미적 성격」, 『국어학』 국어학회 39권,
pp.313-320.
장미경(2009),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연어습득양상」, 『이중언어학』 이중언어학회 제39권,
pp.293-316.
장윤정·이세훈(2017), 「초급 프랑스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목록 선정 연구」, 『이중
언어학』 이중언어학회 제66권, pp.107-130.
전혜영(2005), 「연어 구성에 나타난 남녀 은유의 양상」, 『여성학논집』 이화여자대학교 한국
여성연구원 제22권 제1호, pp.53-77.
정성훈(2015), 「‘부사-용언’관계를 이용한 타당한 연어 검정 방법 검토」, 『한국어학』 한국어
학회 66권, pp.245-278.
정희정·한송화(2007),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연어 사전’의 편찬」, 『한국사전학』 한국
사전학회 제10호, pp.115-137.
조은영(2010), 「어휘적 연어의 형성과 유추」, 『한국어학』 한국어학회 제48권, pp.299-331.
진두현(2014), 「한국어 연어사전의 구축을 위한 전산적 방법론 연구」, 『한국사전학회 학술대
회 발표논문집』 한국사전학회, pp.185-192.
진정정(2015),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교육 연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제42권, pp.391-410.
최경봉(1995), 「국어사전에서의 관용적 표현의 처리문제 – 관용어, 속담, 연어에 대한 처리를
중심으로」, 『한남어문학』 한남대학교 한남어문학회 제20집, pp.265-286.
최예빈·정해권·홍혜란(2017), 「한국어 처소 표지와 이동 동사의 연어 관계 연구 - ‘에, 로, 를’
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접근」,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학술대회』 한국언어문화
교육학회. 11집.
최호철·강범모·홍종선(2000), 「한국어 연어 정보의 분석 응용에 관한 연구」, 『한국어학』 한
국어학회 11권, pp.73-158.
최형강(2006), 「‘명사+부리다’ 연어 구성에서의 의미 전이」, 『한국어학』 한국어학회 제30권,
pp.319-340.
(2012), 「연어의 논항과 의미역」, 『한국어학』 한국어학회 제57권, pp.357-382.
(2017), 「연어 구성에서의 ‘을/를’ 명사구 중출」, 『한국어 의미학』 한국어의미학회 제
56권, pp.111-133.
크라우머 와니다(2016), 「태국인 초중급 학습자가 한국어 연어 관계 습득 과정에서 보이는 유
추적 관점」, 『이중언어학』 이중언어학회 제63권, pp.239-267.

- 89 -
한송화, 강현화(2004), 「연어를 이용한 어휘 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 국제한국어교
육학회 제15권 제3호, pp.293-316.
한영균(2009), 「코퍼스에 기반한 한·일 기본어휘의 연어 구성 대조 분석 연구」, 『국어학』
국어학회 제55권.
한정한(2007), 「‘-는 바람에’ 유형의 사전기술과 전산처리 : [원인]의 문법적 연어를 중심으
로」, 『한국어학』 한국어학회 제35권, pp.391-418.
(2010), 「연어의 문법범주」, 『한국어의미학회, 한국사전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
집』 한국사전학회, pp.127-142.
(2010), 「용언형 연어의 문법범주」, 『한국어학』 한국어학회 제49권, pp.405-433.
홍영주(2015), 「일본어와 한국어의 명사 연어 구성에 대해서」, 『일본문화연구』 동아시아일
본학회 제54집, pp.313-330.
홍혜란(2007),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적 연어 오류 분석 – 학습자 말뭉치와 고급 한국
어 학습자의 작문 자료를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
소 제11권 1호, pp.23-52.
황려명·박덕유(2019),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중 ‘체언+용언’형 연어 대응 양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제19권 제4호, pp.885-905.
황정아(2005), 「한국어 관용어와 관용표현의 관계」, 『한국언어문화학』 국제한국언어문화학
회 3권 2호, pp.271-290.

- 90 -
The Research of Collocations history on Korean Language
Yeong-Kwan Yoo

Department of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Language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is paper reviewed the study of collocation in Korean with a focus on the research
history. Collocation in Korean was active around 2000. In the 1990s, the concept and
type of collocation were only reviewed in some Korean linguistics fields during the early
period, but since 2000, the study of collocations has increased explosively due to the
rise of Korean language pedagogy as a foreign language. Research on the ‘concept of
collocation’ and ‘types of collocation’ that are the most fundamental in collocations
research has been under study since the late 1990s. Though concepts and types are
inevitably presented in a variety of ways because each scholar has different perspectives,
the concept of collocation is generally defined as "the frequent appearance of two or
more words as a group that maintains a literal meaning while forming a close bond." The
focus is on "continuity of meaning," "closeness of unity" and "emergence of high
frequency."
For the type of collocation, the combination of lexemes and lexemes is generally
defined as “lexical collocations”, and the combination of lexemes and tagmene is defined
as "grammatical collocations." Through type classification, the detailed list was extracted
from corpus or Korean textbooks, with the majority of [Substantive + Predicate]
collocations. Since collocation forms a special co-occurrence relationship, many of the
[Adverb + Predicate] type collocations are also found.
We analyzed the Korean language study by type and looked at it by dividing it into
‘research on period, target learner, topic and method of education.’ By period, the

- 91 -
academic papers and dissertations were verified by dividing them into three parts per
decade from 1990 to the present. In the case of dissertation, doctoral dissertations were
primarily targeted. By target learners, they were grouped by language, with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conducted on Chinese learners. It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many of the learners in Korea are Chinese. The topics of each research paper were
largely identified by dividing them into ‘integrated research, study of collocation list and
type, study of comparative and contrast analysis, study of error analysis, study of
teaching and learning utilization methods, and others.’ Since the 2000s, as there is more
focu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research on ‘comparation with
foreign languages, coordination, and ways to utilize teaching and learning’ has been active.
In such research, collocation is regarded as a part of vocabulary, which leads to studies
on the use of a ‘Lexical Approach’. There are ‘words-based approaches, topic-based
training methods, and associative memory methods’, and the suggested methods point out
that practical and individual grammar and vocabulary should be guided by associating them
with contextual situations.

□ keywords

collocations, Korean collocations, The meaning of collocations, type of collocations, The study of

collocations, Research

- 92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