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8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工學碩士 學位論文

老人療養施設의 空间構成에 關한 硏究
-韓國 慶南과 中國 山東을 中心으로-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in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Focused on Gyeongnam in Korea and Shandong in China-

慶南科學技術大學校 大學院

建築學科

侯 嘉 泰

指導敎授 梁 金 石

2015年 8月
老人療養施設의 空间構成에 關한 硏究
-韓國 慶南과 中國 山東을 中心으로-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in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Focused on Gyeongnam in Korea and Shandong in China-

指導敎授 梁 金 石

이 論文을 工學碩士 學位
論文으로 提出함

2015年 8月

慶南科學技術大學校 大學院
建 築 學 科

侯 嘉 泰
侯嘉泰의 工學碩士學位
論文을 認准함

2015年 6月

學位論文審査委員會

審査委員長 金 華 峰 印

審 査 委 員 安 銀 姬 印

審 査 委 員 梁 金 石 印

慶南科學技術大學校 大學院
목 차
국문초록 ············································································································ vii
ABSTRACT ······································································································ x
표 목차 ··············································································································· iv
그림목차 ············································································································· vi
Ⅰ. 서론 ················································································································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 2
3. 기존연구의 동향 ····················································································· 5
Ⅱ. 인구의 고령화 및 복지정책에 관한 이론적 고찰 ···························· 7
1. 고령사회와 노인문제 ·········································································· 7
1) 노인의 개념 정의 ·············································································· 7
2) 노인문제의 이해 ················································································ 9
3) 고령사회의 문제 ················································································ 9
2. 한국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 13
1)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목적 ························································ 13
2)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주요 특징 ·············································· 14
3) 노인장기요양보험 적용 ···································································· 15
4) 노인장기요양보험 재원 ···································································· 16
3. 중국의 노인요양시설 입소 정책 ······················································ 17
4. 노인복지정책과 시설현황 ··································································· 19
1) 노인복지의 개념 ················································································ 19
2) 노인복지의 목적 ················································································ 19
3) 노인복지 정책의 이해 ······································································ 19
4) 노인복지시설 현황 ············································································ 21

- i -
5. 노인복지와 지역사회 ········································································ 32
1) 노인복지의 개념 변화 ······································································ 32
2) 지역사회의 노인 문제 ······································································ 33
3) 노인복지와 지역의 역할 ·································································· 33
6. 소결 ········································································································ 34

Ⅲ. 경남지역 노인복지정책 및 노인복지시설 현황 ···························· 35


1. 경상남도의 지역적 특성 ···································································· 35
1) 일반현황 ································································································ 35
2) 인문·사회적 환경 ················································································ 35
2. 경남지역 노인인구와 정책 및 시설 ················································· 37
1) 노인인구 현황 ······················································································ 37
2) 노인복지정책 및 주요내용 ································································ 39
3) 경상남도의 노인복지시설 관련 주요사업 현황 ···························· 43
3. 소결 ············································································································ 48
Ⅳ. 조사대상 노인요양시설의 평면구성 비교 고찰 ······························ 49
1. 조사대상시설의 개요 ·········································································· 49
1)조사대상시설의 개요 ············································································ 49
2)건축규모(건축면적, 연면적) ································································ 49
2. 시설배치 및 평면 구성의 특성 ························································ 50
1) 시설배치의 특성 ·················································································· 50
2) 시설별 평면구성의 특징 ···································································· 57
3) 공간영역별 구성의 특성 ·································································· 68
4) 기능공간별 구성의 특성 ·································································· 69
5) 조사대상시설 내의 사적공간과 공공교류공간 비교 ·················· 80
3. 소결 ·········································································································· 82

- ii -
Ⅴ. 결론 ············································································································ 84

참고문헌 ··········································································································· 87
부록 ··················································································································· 89
중문초록(中文初录) ······················································································ 90
감사의 글 ········································································································· 92

- iii -
표목차
표1. 조사대상시설의 개요 ··················································································· 3
표2. 조작적 설정에 의한 노인의 정의 ····························································· 8
표3. 한국의 노인인구 비율 추이 ····································································· 10
표4. 주요국의 고령화 속도 비교 ····································································· 11
표5. 한국인의 기대수명 ····················································································· 11
표6. 중국의 주요지구와 전체의 인구와 65세 이상 인구 ··························· 12
표7. 중국의 60세 이상 고령자의 건강정도에 따른 구분 ··························· 13
표8. 중국의 65세 이상 인구의 혼인, 수입원에 따른 구분 ························ 18
표9. 한국의 노인복지정책의 배경과 내용 ··················································· 20
표10. 한국 노인복지시설의 분류 ····································································· 22
표11. 중국의 노인복지시설 구분 및 정의 ··················································· 23
표12. 중국 노인시설 건축의 규모‧요구‧지표 ··············································· 28
표13. 중국의 노인이 주로 사용하는 방의 창문 및 바닥면적 비율 ········· 29
표14. 중국 노인요양시설 침실부분 기준 ······················································· 29
표15. 한국 노인요양시설의 단위공간 ····························································· 30
표16. 중국의 양로시설 등급 구분 ··································································· 30
표17. 중국의 양호원 건축 시설 설치 조건 ··················································· 31
표18. 한국 노인시설 단위공간 ········································································· 32
표19. 경상남도 시군별 인구현황 ····································································· 37
표20. 경상남도 전체인구와 고령자 인구 비율 증가 추이 ························· 38
표21. 경상남도의 장래 노인인구 추이 ··························································· 38
표22. 노인건강진단사업의 진단 항목 ····························································· 41
표23. 의료급여 연차별 투자계획 ····································································· 44
표24. 노인복지시설 종사자 지원 연차별 투자계획 ····································· 44
표25. 노인복지시설기능 보강사업 연차별 투자계획 ································· 45
표26. 노인주거 및 의료복지시설 운영 연차별 투자계획 ························· 45

- iv -
표27. 한국의 노인복지 생활시설의 현황 ······················································· 47
표28. 경상남도 노인복지시설 현황 ································································· 48
표29. 조사대상시설의 건축규모 ·········································································· 49
표30. 태안시 사회복지센터 노인요양시설 부분 기능실 설명 ························ 67
표31. 노인요양시설 생활영역의 구분 ································································ 68
표32. 하동 적량노인요양시설 기능별 공간 구성 ············································· 71
표33. 산청 노인전문요양시설 기능별 공간 구성 ············································· 73
표34. 진주 대곡 실버센터 기능별 공간 구성 ··················································· 74
표35. 합천 노인전문요양시설 시설 기능별 공간영역 구성 ···························· 76
표36. 중국 린이시 종합서비스센터 노인요양시설 부분 기능별 공간 구성 ·· 78
표37. 중국 태안시 사회복지센터 노인요양시설 부분 기능별 공간 구성 ····· 79
표38. 조사대상 시설별 침실(거실)의 1bed당 바닥면적 ····························· 80
표39. 시설별 공공교류공간의 1bed당 바닥면적 비교 ································ 81

- v -
그림목차
그림1. 본 연구의 진행과정 ··············································································· 4
그림2. 한국 노인요양시설 입소 절차 ····························································· 29
그림3. 경상남도 행정구역 ················································································· 35
그림4. 하동 적량노인요양시설 배치도 ································································ 50
그림5. 산청 노인전문요양시설 배치도 ································································ 51
그림6. 진주 대곡 실버센터 배치도 ····································································· 52
그림7. 합천 노인전문요양시설 배치도 ································································ 53
그림8. 중국 린이시 노인종합서비스센터 배치도 ··············································· 54
그림9. 중국 태안시 사회복지센터 배치도 ·························································· 56
그림10. 하동 적량노인요양시설 1층 평면도 ······················································ 57
그림11. 하동 적량노인요양시설 2층 평면도 ······················································ 57
그림12. 산청 노인전문요양시설 1층 평면도 ······················································ 59
그림13. 산청 노인전문요양시설 2층 평면도 ······················································ 59
그림14. 산청 노인전문요양시설 3층 평면도 ······················································ 59
그림15. 진주 대곡 실버센터 1층 평면도 ··························································· 60
그림16. 진주 대곡 실버센터 2층 평면도 ··························································· 60
그림17. 합천 노인전문요양시설 1층 평면도 ······················································ 62
그림18. 합천 노인전문요양시설 2층 평면도 ······················································ 62
그림19. 중국 린이시 노인 종합서비스센터 요양시설 부분(2~6층) 평면도 ····· 63
그림20. 중국 태안시 사회복지센터 3·4동(일반장애노인) 1층 평면도 ············· 64
그림21. 중국 태안시 사회복지센터 5·6동(중증장애노인) 1층 평면도 ············· 65
그림22. 중국 태안시 사회복지센터 7·8동(중증장애노인) 1층 평면도 ············· 66
그림23. 조사대상시설별 각 공간영역별 구성비 ················································· 69
그림24. 조사시설의 각 영역별 실종류 수 대비 ················································· 70
그림25. 조사대상시설의 사적공간과 공공교류공간의 1bed당 면적 비교 ········ 82
부록 그림1. 중국 산동지역 행정구역도 ······························································ 89

- vi -
老人療養施 의 設 空间構成에 關한 硏究
-韓國 慶南과 中國 山東을 中心으로-

侯 嘉 泰

慶南科學技術大學校 大學院 建築學科

指導敎授 梁 金 石

본 논문은 한국 경남지역과 중국 산동지역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평


면구성상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그 특징을 밝히고,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성에서의 새로운 계획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내용과 범위는 노인복지정책 및 시설기준에 대한 문헌고찰
을 통하여 노인복지시설의 정책적 특성과 노인문제의 기본적인 특성
을 파악하고, 한국의 경상남도지역의 지역적 특성 및 노인복지정책에
관한 고찰한 다음에, 한국 경남지역과 중국산동지역의 노인요양시설 6
개 시설을 대상으로 하여 기본적인 현황과 공간구성의 특징을 파악하
였다.
본 연구 를 통하여 얻어진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를 통하여, 농촌지역에서는
중국과 한국의 인구 조사 인구의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 vii -
또한, 인구의 고령화가 급속하게 전개되고 있는 중국과 한국의 고령
노인복지시설 정책에 있어서는 노인 개개인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
하기 위해서 노인복지서비스 시설의 다양성을 확보하여야 하며, 무엇
보다도 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의료복지시설은 다양한 개성을 지
닌 고령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생활공간을 갖추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중국은 인구가 매우 많고 급속한 고령화와 더불어 노인요양시설의 수
요도 날로 증가할 것이며, 시설 기준은 시설의 규모가 매우 크고, 입
소정원의 규모도 매우 크게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국 경상남도지역의 노인복지시설 정책 조사를 통하여, 경상


남도에서는 2014년 고령화 비율이 11.40%를 넘어섰으며, 전체 고령자
의 1.69%가 의료복지시설에 입소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노인요양시설의 이용이 불가피한 고령자들의 다양한 요구
를 수용하기에는 시설이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며, 정책적으로도 복지
시설의 증·개축, 개보수, 장비보강 등에 집중되고 있는 것은 개선되어
야 할 사항이다. 한국의 노인 복지 정책 내용과 투자는 노인에게 제
공하는 서비스의 질을 중심으로 발전되고 있지만, 중국의 노인복지시
설 정책의 주요내용은 양로보험이 다양한 고령자들에게 어떻게 적용
되어야 하는 과제가 있다.
셋째, 한국과 중국 노인요양시설의 시설별 영역 구성 분석을 통해서
한국과 중국의 노인요양시설의 특징을 알 수 있었다. 중국노인요양시
설은 주로 침실을 중심으로 생활환경을 충실히 하고 있으며, 한국의
노인요양시설은 침실과 준 공공영역 및 공공영역을 적절하게 배려하
여 생활환경을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viii -
균 연면적은 32.82㎡인 것으로 나
한국의 노인요양시설의 1bed당 평
타났으며, 중국의 시설의 경우는 평균 36.39㎡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
국의 사례 시설이 공립시설임에도 불구하고 1bed당 3.67㎡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중국과 한국의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사례조사를 통하
여 시설의 건축 규모 및 입소정원 수는 두 국가의 인구 상황에 따른
차이로 인하여 시설내의 평면구성에도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한국의 노인요양시설 침실면적은 사례적으로 1bed당 6〜9㎡


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공공교류공간의 면적은 1bed당 5〜7㎡인 것으
로 나타났다. 시설 내 커뮤니티 유지에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는 기초
적 환경이라 할 수 있다. 중국의 노인요양시설은 사적영역 위주로 구
성된 형태를 취하고 있어서 1bed당 침실 바닥면적은 12〜17㎡인 것으
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공영역의 공간구성이 단조롭고 부족하여 입소
자들 간의 교류를 촉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공공영역에서 교류공
간을 적절히 설치하면 시설 내의 입소자들 간에 호의적인 관계를 유
지하기에 더욱 유리할 것이다.

이와 같이 한국과 중국의 노인요양시설의 평면구성이 갖는 특성을


분석하였지만, 보다 다양한 고령자의 요구에 부응한 요양생활공간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입소노인들의 생활상의 요구를 충실하게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 ix -
A SB TRACT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in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Focused on Gyeongnam in Korea and Shandong in China-
JT
Hu ia ai

Department of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Gyeongnam National niversity U
T
of Science and echnology

Jinju, Korea

P
(Supervised by rofessor Yang Kum-Suek)
The study has proposed a new planning direction on the
spatial composition in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as it’s
subject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in floor plan composition of the elderly care
facilities in Gyeongnam province of Korea and Shandong
province of China.
This study has figured out the current condition in overall
and the characteristics in floor plan composition of six
facilities from Gyeongnam province of Korea and Shandong
province of China with wide and deep studies on the

- x -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and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problems of the aged
through researches on the literatures related to the elderly
welfare policies and the standard of the facilities. And also
after observing the local characteristics and the policies of
elderly welfare of Gyeongsangnam-do of Korea.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 population of the aged is


increasing rapidly in the rural area through the population
census in China and Korea.
Moreover, in terms of the policies of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China and Korea where the aging phenomenon is
rapidly progressing, the diversity of elderly welfare service
facilities should be ensured in order to satisfy various
demands from the Aged. And also, the various living spaces
in the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should be designed
and provided to reply on demands from the Aged.

Second, it is showed that the aging rate in 2014 exceeded


11.4%, while 1.7% of the aged were enrolled in the facilities
through investigation on the policy of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Gyeongsangnam-do. The current facilities are
insufficient to satisfy the various demands of the aged who
the services in elderly care facilities are necessary. In
political aspect, the welfare facilities mostly are focusing on
expansion, renovation and improvement of the equipment.
These are matters should be improved. The policy of

- xi -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Korea is developing on focusing
on quality of service. Although China is focusing on how
endowment insurance could be applied to the various
demands of the aged.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care facilities in


China and Korea were figured out through the analysis of
spatial composition in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The
elderly care facilities in China mainly focus on the living
environment orientated toward the bedroom which is
considered as private space, while the elderly care
facilities in Korea provide the living environment with
proper composition of the bedroom, semi-public spaces and
public spaces.

Fourth, the elderly care facilities in Korea have basic


spatial environment for communication between nursing
home patients in the facilities. However, the elderly care
facilities in China have difficulty to encourag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nursing home patients because
the facilities are composed of large private spaces but small
public spaces.

Although the study has analyzed and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or plan composition of the elderly
care facilities in China and Korea, the further study could
be developed to provide the living space in the elderly care
facilities that can satisfy the various demands of the aged.

- xii -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은 개발도상국에서 급격한 경제성장을 거쳐 1995년에는 국민소득
한국
1만 달러 돌파하고, 1996년 OECD에 가입하여 선진국형 사회로 변화
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인구의 고령화로 인하여 한국은 이미 2000년도에 고령화 사회
로 진입하였다. 2017년에는 노인인구의 비율이 14% 이상으로 고령사회
에 진입할 것으로 추계하고 있고, 2026년에는 노인인구의 비율이 20%를
초과하는 경우를 초고령사회(Super Aged Society)에 접어들 것으로 예
상하고 있어서 노인인구의 급증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일본이나 미국과 같은 선진국의 노인이나 대도시 노인의 경우
경제적 기반을 바탕으로 새로운 소비주도 계층이 되고 있으며, 특히, 오
팔족1)(OPAL,Old People with Active Life)은 노인이 인생의 황혼기로
죽음을 기다리는 소극적인 세대가 아니라 남은 인생을 적극적으로 즐기
는 주체자로서의 노인을 잘 반영하는 사례이다. 이들은 젊어서의 생활방
식을 그대로 유지하며 소비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이들을 대상으
로 한 마케팅의 주요 고객으로 인식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지방의 경우는 도시 인프라가 부족한 상태에서 노인들의 경제
적 기반도 취약하고, 자녀로부터 보살핌을 받지 못하는 노인도 많아 이
들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복지시책의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 농촌지역의 경우도 이미 많은 지역이 초고령사회2)에 도달한 것

1) Old People with Active Life의 의미로 활동적인 삶을 살고 있는 노인들이라는 뜻의 신조어. 초


고령사회로 접어든 일본사회에서 소비의 주역으로 떠오른 노인을 지칭하는 말. 김민석, 차안나,
전진숙, 김수인, 지역노인복지시설의 입지분포와 인구추이에 관한 고찰,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
발표대회 논문집, 제 24권 1호, 2004.4, pp.83∼86
2) 전체인구 중 65세 이상의 고령인구 비율이 7% 이상을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라 하고

- 1 -
으로 나타나고 있다. 경제력을 상실하고, 자녀로부터 소외된 농촌 노인의
자살률3)이 최근 증가하는 것은 그 심각성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복지에 대한 개념은 노인복지에 대한 주요한 정책 방향
이라 할 수 있겠다. 지역복지의 구현이 요구되는 현재의 상황을 고려하
여 노인복지시설이 단순한 수용시설이 아닌 주거의 연장선에서 시설서비
스가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한 모습으로 판단된다. 건강 등의 이유로 노
인복지시설에 입소할 수밖에 없는 노인이 삶의 터전을 떠나 전혀 새로운
곳에서 입소함으로써 오는 정신적 충격을 완화4)하는 지역보호의 개념은
노인이 보호를 받아야 하는 상태에 이르렀을 때 가능한 가정이나 인근
지역사회내의 환경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지시설의 확립이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한국 경남지역과 중국 산동지역 노인요양시
설에 대한 평면구성상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그 특징을 밝히고, 노인
요양시설의 평면구성에서의 새로운 계획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본 연구는 노인복지정책 및 시설기준에 대한 문 고 을 헌 찰 통하여 노인
복지시설의 정책적 특성을 파악하고, 통계조사를 통하여 노인문제의 기
본적인 특성을 파악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인구고령화가 두드러진 특성을 보이고 있는 한국의
경남지역에서 고령화가 진전된 진주, 산청, 합천, 하동을 중심으로 하는

14%를 넘어서면 고령사회(Aged Society)라 하고, 20%를 넘을 경우 초고령사회라 한다. 한국


의 경우 2000년대에 들어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7.2%를 넘어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2020년경에는 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데, 년도별 고령인구 비율이 예상보다 조금
씩 더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3) 10년 사이 2.5배 증가, 보건복지가족부 보도자료, 2008.5.17
4) 노인의 경우 신체적 정신적 노화로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능력이 감퇴한 상태에서 새로운 환
경에 적응해야하는 경우 심리적 부담을 느끼게 된다.

- 2 -
경남서부지역의 노인복지시설 중 노인요양시설 4개 시설을 대상으로 하
고, 된 산동(山東)지역의 노인요양시설 2개 시설,
중국의 고령화가 진전
합계 6개 시설에 대한 기본적인 현황과 평면구성상의 특성을 파악하여
노인요양시설의 건축계획의 기초자료를 제시한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노인 정책과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문헌 자
료를 통하여 관련정책의 흐름과 노인복지시설의 규정내용을 파악하고,
둘째 경남지역의 노인인구, 노인복지시설의 기본적인 현황을 조사하여
기본적인 실태를 파악함은 물론,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경남지역의 노
인요양시설을 배치 및 평면구성상의 건축적 특성을 파악하고 시설별 차
이를 밝힌다. 또한 중국에서도 고령화가 진전된 산동(山東)지역의 사례
를 대상으로 하여 중국의 공립 노인요양시설의 평면구성의 특성을 비교·
분석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건축계획의 기초자료를 제
시하고자 한다.

표 1. 조사대상시설의 개요
한국 중국
시설 린이
내용 하동 산청 진주 합천 (临沂)시 태안
(泰安)시
적량노인 노인전문 대곡 노인전문 노인 종합 사회복지
요양시설 요양시설 실버센터 요양시설 서비스 센터
센터

대지면적( ) 1,874 9,118 7,559 9,970 74,569 163,300
건축면적(㎡) 535 907 1,324 1231 15,326 103,691
연면적(㎡) 874 2616 2,653 2505 55,462 109,617
입소정원(명) 28 64 95 80 144 827
1인실 1 1
침실 2인실 2 3 283
구성 3인실 1 2 48 87
4인실 5 16 20 10
주) 해당시설의 각 면적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산정함. 입소정원은 도면기준으로 산정한 정원수

- 3 -
논문의 구성과 연구의 진행과정은 그림1과 같다.

Ⅰ장 서론 ․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인구의 고령화 및 복지정책에


Ⅱ장 이론적 고찰 론
관한 이 적 고 찰

경남지역 ․ 경남지역의 특성
Ⅲ장 노인복지정책 ․ 경남지역의 인구와 정책 및
및 시설의 현황 시설

조사대상 ․ 조사대상 시설의 개요


Ⅳ장 평면구성 ․ 평면구성의 특성
비교 고찰

Ⅴ장 결론 노인요양시설 공간구성에 관한
방 제시 향

그림 1. 본 연구의 진행과정

- 4 -
3. 기존의 연구 동향
본 연구와 관련한 기 존의 를 살펴 보면, 간호 ‧보건 ‧의료 ‧사회
연구
복지 학 의 분 야 에서 고령사회로 변화하고 있 는 현실의 심각 성을 인
식 하여 독 거노인이 나 혹은 노인 질 환을 앓 고 있 는 노인과 그 가 족들
에 대한 서비스 및 노인 들 에 대한 정책과 보건관 리 측 면에서의 연
구가 활 발 하 게 진행 되어 왔다 . 건축분 야 역시 최근 들어 꾸 준한 연
구가 진행 되 고 있다 .
그 연구의 사 례 로서 류 승 수 등의 치 매 노인을 위한 치 매 요양시설
에서의 치료적 환경구축을 위한 기 초 연구 5)는 요양시설의 공용공간
특성과 치 매 노인의 행태간의 관계 를 분 석 하여 공용공간특성이 치 매
노인의 행태에 미 치는 영 향 을 파악 , 치료적 환경의 디 자인에 필 요
한 기 초 자료 를 제시하고 있 지 만 , 공용공간을 주요대상으로 한 것
에 그 특징이 있다 . 또 한 소준영 등의 지역 노인복지시설의 유형 분
류와 기능분 석 에 관한 연구 6)는 국내의 제도에 의하여 만들어 진 노
인복지시설의 체계상의 문제 점 을 지적하고 있 지 만 , 문 헌 조사에 의
한 방 법 을 취 하고 있어 실재 입소노인 들 의 입소생활 은 고 려 하지 못
한 제한적인 내용으로 구성 되어 있다 고 할 수 있다 .
몇몇 연구자 들 에 의해 입소노인 들 의 생활 행위 를 조사하기 위한
여 러 가지 방 법들 이 제안 되 고 있 고, 그 방 법 중에는 실제 입소노인
들 을 대상으로 하여 그 행위 를 관 찰 조사함으로 써 대상에 좀 더 접
근 한 형 태의 연구 방 법 7) 등이 이 루어 지고 있다 . 그 방 법 에 있어 서
다 소간의 차이가 있 지 만 , 입소노인의 요양생활을 여과 없 이 관 찰 하
5) 류승수, 김광배, 이경훈, 치매요양시설에서의 치료적 환경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8권 5호, 2002. 05, pp.3~10
6) 소준영, 전명현, 지역 노인복지시설의 유형분류와 기능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4권 5호, 1998. 05, pp.193~204
7) 양금석, 치매노인의 공간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권 1호, 2002. 01,
pp.51~58

- 5 -
고 기 록 한 다 는 것 에 그 의 미 가 있다 고 하 겠다 .
또 한 권순 정 은 노인요양시설의 거실면적기준에 관한 연구 8)를 통 하
여 주요국 노인요양시설 거실면적의 법 적기준을 비교하여 그 특징
을 밝혔다 . 이연 숙은 국내 노인요양시설 디 자인에 대한 요양보호사
의 평가 및 요구 9)를 반영한 노인요양시설의 디 자인에 대한 평가와
개 선 할 사항을 정 리 , 제시하고 있다 .
이 러 한 연구에서도 구체적인 시설을 대상으로 노인요양시설의 공
간구성이 갖 는 특성을 평명에 초점 을 맞 추 어 고 찰 한 사 례 는 그 리
많 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입소 요양노인 들 의 생활전개의 기반이 되
는 노인요양시설의 평면을 대상으로 하여 공간구성의 특징을 고 찰 ,
분 석 하여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계획 방 향 을 게 시하고자 한 다 .

8) 권순정, 노인요양시설의 거실면적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16


권 제6호, 2000.06, pp.31∼40
9) 이연숙외 4명, 국내 노인요양시설 디자인에 대한 요양보호사의 평가 및 요구, 대한건
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7권 제12호, 2011.12, pp.91∼98

- 6 -
Ⅱ. 노인복지 및 노인복지시설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고령사회와 노인의 문제
1) 노인의 개념 정의
노인이 란 나이가 들어 늙은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그러나 늙은 사람
이라는 것은 시대와 개개인의 건강정도에 따라 기준은 다양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사회학적으로 노인을 정의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
나 사회가 고령화되는 시점에서는 노인에 대한 정의가 절실히 요구10)되
며, 이에 따라 관련 정책의 방향도 달라진다.
연령에 따라 구분할 때는 대부분 국가에서 65세11)를 노년기로 보고
있다. 그러나 특정 연령대의 사람을 일률적으로 노인, 혹은 노년기라는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12)
1951년 개최된 제2회 국제노년학회의에서 노인에 대한 일반적 정의를
“인간의 노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생리적․심리적․환경적 변화 및 행동의
변화가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과정에 있는 사람”이라고 하였으며, 아
울러 노인에 대한 개념을 여러 측면에서 정의하였는데, 첫째, 환경변화에
적절히 적응할 수 있는 조직기능이 감퇴하거나 둘째, 생체의 자체 통합
능력이 감퇴되어 가는 시기에 있거나 셋째, 인체의 기관․조직․기능에

10) 노인에 대한 정의에 따라서 연금, 복지 등 노인정책의 기준이 달라지며, 복지정책의


질적 수준이 달라진다.
11) 1889년 독일 비스마르크에 의해 제정된 연금보험의 수혜자격 연령을 65세로 규정
한 데서 시작되었다.
12) 윤선오, 새로운 노인복지론, 양서원, 2006, p.19
특정 연령적 집단을 동일한 특성의 집단으로 분류함에서 오는 무리를 피하기 위해
Neugarten(1974)은 55~75세의 노인을 연소노인(young-old)으로, 75세이상의 노인
을 고령노인(old-old)으로 분류하였고, Brody(1977)는 60~64세의 노인을 연소노인
(young-old), 65~74세의 노인을 중고령노인(middle-old), 75세 이상의 노인을 고령
노인(old-old)으로 각각 구분하였다.

- 7 -
쇠퇴현상이 일어나는 시기에 있거나 넷째, 생활상의 적응능력이 점차로
감퇴되어 가거나 다섯째, 체내 조직의 예비능력이 감퇴하여 적응이 제대
로 되지 않는 사람을 지칭하였다.13)
신체 기능에 따라 노화현상과 관련하여 환경의 변화에 적절히 반응할
수 없거나, 신체의 기관, 조직, 기능이 감퇴하거나, 적응력이 떨어지는 경
우 노인으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기준은 특정 시점에 대한 획일적 기준이며 그 정
도에 대해 모호한 측면과 주관적인 측면이 있어 노인을 분류함에 있어
객관적인 분류기준을 설정하기란 쉽지 않다. 특히, 사회적 기능으로 볼
때 60대 이후의 연령이 20~30대 연령에 비해 신체적 활동력은 약하지
만, 경험에 의한 사고능력은 가장 높아질 수 있는 연령으로 노인이라고
해서 모든 기능이 쇠퇴하여 보호의 대상이라고만 할 수 없다.
노인을 어떤 목적이나 편의를 위해 인위적 혹은 조작적 설정14)에 의
해 노인의 개념을 정의하는 경우는 개인의 자각, 역할 감소나 상실, 역연
령(曆年齡), 기능상 연령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 내용은 아래의 표2와
같다.
표 2. 조작적 설정에 의한 노인의 정의

구 분 내 용
개인의 자각
개인의 주관에 의해 규정
리 신
생 적, 체적 사회 심리
적 노화의 상태
역할감소나
생산활동으로부터 은퇴
상실
역할과 지위의 이양으로 인한 역할과 지위의 감소 혹은 상

역연령( 曆年齡) 특정연령에 이른 사람
기능상 연령 특정 기능의 특성과 정도 를 고려
13) 임춘식 외 18인, 노인복지학 개론, 학현사, 2007, p.9
14) 윤선오, 새로운 노인복지론, 2006, pp.17∼19

- 8 -
2) 노인문제의 이해
(1) 노년기의 변화
노년기는 노화에 따라 신체적 기능이 저하되면서 사회활동이 제한되거
나 제약을 받게 되며 역할이 축소된다.
(2) 노년기에 느끼는 문제
전통적인 사회에서는 대가족제도를 중심으로 노인이 가족단위에서 가
장 높은 지위를 가지고, 자녀가 성장하여 어른을 부양하도록 되어 있었
지만, 산업화로 인한 대가족제도 해체로 인하여 더 이상 노인이 자녀로
부터 무조건 보호받을 수는 없는 상태가 되면서 노인이 되었을 경우 경
제적 문제, 건강의 문제, 역할상실의 문제, 소외․고독의 문제에 직면하
게 되었다.15)
경제적 문제는 현대 산업사회에서는 노동력이 상품화 되어 기술과 능
력이 부족한 노인은 젊은 세대에 의해 대체되면서 일자리를 잃게 되고
소득의 감소로 노인을 빈곤상태에 이르게 하였다.
건강의 문제는 노화로 인해 신체적 면역기능이 저하되고 회복기능이
약화되면서 여러 질병에 대해 발병률이 높아지고 만성화 되거나 합병증
등으로 발전하여 과다한 의료비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역할상실의 문제는 직장에서의 은퇴로 사회적 지위와 역할이 상실되거
나 감소하면서 자아상실감, 무력감 등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역할 상실의 문제는 노인으로 하여금 사회에서 불필요한 존재
로 여기게 하여 소외와 고독의 문제로 이어지게 된다.

3) 고령사회의 문제
한국 은 지난 2,000년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율이 이미 7.2%를 넘어
15) 임춘식 외 18인, 노인복지학 개론, 학현사, 2007, pp.15∼17

- 9 -
였 년
고령화사회(Aging Society)로 진입하 고, 당시 2,020 경에는 고령사회
(Aged Society)가 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2,030년에는 고령인구의 비율
이 20%를 넘어 초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예측16) 한 바 있다.
한국은 근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급격한 경제성장과 소득수준의 향상,
인구증가 등 많은 변화를 겪었다. 1950년대 이후 출산율 증가로 인구증

표 3. 한국의 노인인구 비율 추이17) (단위:천명)

구분 1960 1970 1980 1990 2000 2010 2020 2030

전체인구 25,012 32,241 38,124 42,869 42,275 50,618 52,358 52,744


65세 이상
726 991 1,456 2,195 3,371 5,032 6,899 10,165
인구
65세 이상
인구비( )% 2.9 3.1 3.8 5.1 7.1 9.9 13.2 19.3

가 를 초래하였고, 60년이 지난 2010년대에는 한국 전체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고, 일부 농촌지역은 이미 초고령사회를 맞이하게 되었다. 한국
의 고령화 속도 추이는 세계적으로 유례없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주
요국의 고령화 속도를 비교하여 보아도 노인인구의 비율이 7%인 고령화
사회에서 14%를 넘어서는 고령사회에 이르기까지의 소요기간이 프랑스
는 115년, 독일 40년이 걸렸다. 한국과 인접하여 있는 일본과 중국이 24
년이 소요되는데 비하여 한국은 약 19년 이내에 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18) 더욱이 2050년경에는 세계에서도 고령화율이 높은
37.6%를 나타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년 년
16) 2000 당시 고령화추세에 의하면 2020 경 고령사회가 될것 년 초
이고, 2030 경에는 고령
사회가 될 것 예측 였 나
으로 하 으 , 고령화 속도가 훨씬 빠르게 되어
진행 년
고령사회는 2018 경
초 년
으로, 고령사회는 2026 경으로 예측되 있 며 러 발
고 으 , 이 한 추세는 사회 전과 함 께 더욱 가
속 될것 으로 전 망된다
.
17) 1996년 한국 통계청자료를 참고함
18) 윤선오, 새로운 노인복지론, 양서원, 2006. p.243

- 10 -
더욱이 향후 한국인의 기대수명 또한 증가하여 2030년에는 남자 81.4세,
여자 87.세로 기대되며 장수명화 시대는 지속될 것이다. 한국 노인의 경
우, 89.2%가 만성질환을 갖고 있고, 평균 2.6개의 만성질환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성질환 종류별 유병율은 혈압(56.7%)·관절염(33.4%)·당뇨병
(22.6%) 순으로 나타났다.19) 고령자들의 건강증진 대책을 포함한 종합적인
대책이 요구된다.

표 4. 주요국의 고령화 속도 비교20)


구분
7%
노인인구비율
14% 소요기간( ) 년
프랑스 1864 1979 115
독일 1932 1972 40
미국 1942 2014 72
일본 1970 1994 24
중국 2001 2025 24
한국 2000 2019 19

표 5. 한국인의 기대수명21)
년 도   2010 2020 2030 2040
남자 전국 77.2 79.3 81.4 83.4
  서울 78.7 81.4 83.5 85.2
  경남 75.6 78.6 80.9 82.9
여자 전국 84.1 85.7 87.0 88.2
  서울 85.3 87.1 88.6 89.8
  경남 83.8 85.9 87.5 88.9

우 만 년 데 65세 이상 인구
중국의 경 도 2011 도 전체인구 1,332,81 명 가운
수의 비율은 8.9%를 차지하여 고령화사회에 접어들었으며, 지역에 따라서
는 65세 이상 인구수의 비율이 10%를 초과한 지역이 나타나고 있었다.
19) 2015년 3월 31일 한국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14 노인실태조사 결과 발표, p.4
20) 일본 국립사회보장 인구문제연구소, 인구통계자료집, 2003
21)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2List.jsp?vwcd=MT_ATITLE01&parmTabId=M_02_01_01
의 시도 기대수명을 참조하여 재정리함

- 11 -
표 6. 중국의 주요지구와 전체의 인구와 65세 이상 인구22) (2010년도 기준)
지역구분 전체인구(명) 65세이상 인구수(명) %
비율( )
전국 1,332,810,869 118,927,158 8.9
베이징 19,612,368 1,708,852 8.7
텐진 12,938,693 1,102,388 8.5
허베이 71,854,210 5,919,738 8.2

산시( ) 35,712,101 2,705,259 7.6
네 멍
이 구 24,706,291 1,868,177 7.6
랴오닝 43,746,323 4,509,441 10.3
지린 27,452,815 2,301,838 8.4
헤이룽장 38,313,991 3,173,314 8.3
상해 23,019,196 2,331,313 10.1
장쑤 78,660,941 8,558,646 10.9
저장 54,426,891 5,081,675 9.3
안후이 59,500,468 6,084,548 10.2
복건 36,894,217 2,912,130 7.9
장시 44,567,797 3,388,301 7.6
산동 95,792,719 9,429,686 9.8
허 남 94,029,939 7,859,344 8.4
후베 이 57,237,727 5,201,894 9.1
후난 65,700,762 6,419,361 9.8
광동 104,320,459 7,086,150 6.8
광시 46,023,761 4,252,921 9.2
해남 8,671,485 699,682 8.1
충칭(시) 28,846,170 3,381,468 11.7
쓰촨 80,417,528 8,805,507 10.9
귀주 34,748,556 3,026,181 8.7
운남 45,966,766 3,505,474 7.6
서장(티베트) 3,002,165 152,908 5.1
산시(陕) 37,327,379 3,183,837 8.5
간쑤 25,575,263 2,105,575 8.2
청해 5,626,723 354,684 6.3
닝샤 6,301,350 402,787 6.4
신장 21,815,815 1,414,079 6.5

라 우
따 서 중국의 경 도 고령화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할 수 있다.
더욱이 60세 이상 고령자의 경우 만성병을 지닌 고령자는 전체노인의
39.3%를 차지하여 홀로 생활처리가 불가능한 노인도 2.9%나 되는 것으
로 나타났다.

22) http://www.stats.gov.cn/tjsj/pcsj/rkpc/6rp/indexch.htm 第一部分,第三章3-3의 중국의 지


역별 연령、성별에 따라 구분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재정리함

- 12 -
표 7. 중국의 60세 이상 고령자의 건강정도에 따른 구분23)
만성병 있음 홀로 홀로 생활처리
60세 이상 건강
생활처리가능 불가능
연령 전체
인구수 인구수 % 인구수 % 인구수 % 인구수 %
합계 17,658,702 7,738,173 43.8 6,945,041 39.3 2,455,267 13.9 520,221 2.9

60-64 5,832,034 3,544,309 60.8 1,886,697 32.4 349,849 6.0 51,179 0.9

65-69 4,102,100 1,983,773 48.4 1,631,110 39.8 425,190 10.4 62,027 1.5

70-74 3,285,665 1,157,974 35.2 1,486,618 45.2 553,276 16.8 87,797 2.7

75-79 2,376,437 661,836 27.8 1,088,881 45.8 522,731 22.0 102,989 4.3

80-84 1,326,258 271,333 20.5 571,783 43.1 377,457 28.5 105,685 8.0

85-89 551,616 93,290 16.9 217,857 39.5 170,520 30.9 69,949 12.7

90-94 149,441 20,740 13.9 51,084 34.2 46,290 31.0 31,327 21.0

95-99 31,564 4,463 14.1 9,907 31.4 8,973 28.4 8,221 26.0
100
3587 455 12.7 1104 30.8 981 27.3 1047 29.2
이상

2. 한국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24)

1)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목적
고령이나 노인성 질병 등의 사유로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 어려
운 노인 등에게 신체활동 또는 가사활동 지원 등의 장기요양급여를 제공
하여 노후의 건강증진 및 생활안정을 도모하고 그 가족의 부담을 덜어줌

23)http://www.stats.gov.cn/tjsj/pcsj/rkpc/6rp/indexch.htm 第二部分,第八卷8-1의 1-B0802전국 성


별、건강상황에 따라 구분 60세 및 이상 노인 인구 참조 재정리함
24) http://www.longtermcare.or.kr/portal/site/nydev/MENUITEM_CAREINFO/

- 13 -
으로 써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시행하는 사회보험
제도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은 2013년 8월13일 공포하여 시행되고 있
다.
2)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주요 특징
한국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건강보험제도와는 별개의 제도로 도입
ㆍ운영되고 있는 한편으로, 제도운영의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보험
자 및 관리운영기관을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 일원화하고 있다. 또한 국
고지원이 가미된 사회보험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수급대상자에는 65세 미
만의 장애인이 제외되어 노인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1) 건강보험제도와 별도 운영
장기요양보험제도를 건강보험제도와 분리 운영하는 경우 노인 등에 대
한 요양필요성 부각이 비교적 용이하여 새로운 제도 도입에 용이하며,
건강보험 재정에 구속되지 않아 장기요양급여 운영, 장기요양제도의 특
성을 살릴 수 있도록 기존의 국민건강보험법과는 별도로 노인장기요양보
험법을 제정하였다.

(2) 사회보험방식을 기본으로 한 국고지원 부가방식


한국의 장기요양보장제도는 사회보험방식을 근간으로 일부는 공적부조
방식을 가미한 형태로 설계·운영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법의 적용을 받는 건강보험가입자의 장기요양보험료 [건강
보험료액 × 6.55%(2015년도 보험료 기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부담
(장기요양보험료 예상수입액의 20% + 공적부조의 적용을 받는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장기요양급여비용)

(3) 보험자 및 관리운영기관의 일원화


한국의 장기요양보험제도는 이를 관리ㆍ운영할 기관을 별도로 설치하

- 14 -
지 않고 국민건강보험법에 의하여 설립된 기존의 국민건강보험공단을 관
리운영기관으로 하고 있다.
이는 도입과 정착을 원활하기 위하여 건강보험과 독립적인 형태로 설
계하되, 그 운영에 있어서는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별도로 관리운영기관
을 설치하지 않고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이를 함께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4) 노인중심의 급여
한국의 장기요양보험제도는 65세 이상의 노인 또는 65세 미만의 자로
서 치매ㆍ뇌혈관성 질환 등 노인성질병을 가진 자 중 6개월 이상 동안
혼자서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렵다고 인정되는 자를 그 수급대상자로
하고 있다. 여기에는 65세 미만자의 노인성질병이 없는 일반적인 장애인
은 제외되고 있다.
3) 노인장기요양보험 적용
(1) 적용대상
건강보험 가입자는 장기요양보험의 가입자가 된다(법 제7조제3항). 이
는 건강보험의 적용에서와 같이 법률상 가입이 강제되어 있다. 또한 공
공부조의 영역에 속하는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경우 건강보험과 장기요양
보험의 가입자에서는 제외되지만,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부담으로 장
기요양보험의 적용대상으로 하고 있다.

(2) 장기요양인정
장기요양보험 가입자 및 그 피부양자나 의료급여수급권자 누구나 장기
요양급여를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일정한 절차에 따라 장기요양급
여를 받을 수 있는 권리(수급권)가 부여되는데 이를 장기요양인정이라고
한다. 장기요양인정절차는 먼저 공단에 장기요양인정신청으로부터 출발

- 15 -
직 판
하여 공단 원의 방문에 의한 인정조사와 등급 정위원회의 등급 정 그 판
리고 장기요양인정서와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의 작성 및 송부로 이루
어지고 있다.
장기요양인정 신청자격 : 장기요양보험 가입자 및 그 피부양자 또는
의료급여수급권자 중 65세 이상의 노인 또는 65세 미만자로서 치매, 뇌
혈관성 질환 등 노인성 질병을 가진 자
4) 노인장기요양보험 재원

노인장기요양보험에 소요 는 재원 은 장기요양보험료와 국가 및 지방
자치단체 부담 그리고 장기요양급여 이용자가 부담하는 본인일부부담금
으로 운영된다.

(1) 장기요양보험료 징수
장기요양보험 가입자는 건강보험 가입자와 동일하 , 장기요양보험료 며

는 건강보험료 에 장기요양보험료율을 곱하여(2015년도 보험료율 :
% 다 은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를 통합 징
6.55 ) 부과 징수한 . 공단
수하되 이를 구분하여 고지한다.
장기요양보험 가입가가 지역가입자인 경우 100% 본인이 부담하지만, 직
장가입자인 경우 그 사용자와 국가ㆍ 지방자치단체ㆍ사립학교가 아래와
같이 부담한다.
• 근로자인 직장가입자와 그 사용자 : 각각 50% 분담
• 공무원ㆍ교직원인 직장가입자와 소속 국가ㆍ지방자치단체ㆍ사
립학교 : 각각 50%분담(사립학교의 경우 당해 학교가 30%, 국
가가 20% 분담)

(2) 국가의 부담)


• 국고 지원금 : 국가는 매년 예산의 범위 안에서 당해 연도 장기

- 16 -
요양보험료 예상 수입액의 100분의 20에 상당하는 금액을 공단
에 지원한 . 다
•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부담 :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의료급여
수급권자에 대한 장기요양급여비용, 의사소견서 발급비용, 방문
간호지시서 발급비용 중 공단이 부담해야 할 비용 및 관리운영
비의 전액을 부담한다.

(3) 본인일부부담금
수급대상자가 실제 요양서비스 를 받은 시점에서 장기요양기관에 본인
일부부 담금을 납부한다.
• 재가급여 : 당해 장기요양급여비용의 100분의 15
• 시설급여 : 당해 장기요양급여비용의 100분의 20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수급자는 전액 면제
• 의료급여수급권자, 소득. 재산 등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
시하는 일정금액 이하인 자는 본인일부부담금을 50% 경감

3. 중국의 노인요양시설 입소 정책25)



중국에서는 일반 경 에는 노인 이 노인요양시설에 입주할 때 특별한 조들
건이 필요 없으며, 돈이 있으면 자비로 노인요양시설에 입소 가능하다. 오보
호(五保户)26)나 스스로 꾸려가기 힘든 노인은 공립 노인요양시설에 입주 가
능하다. 관련 대상자(농촌호적, 법정 부양자가 없는 자, 수입원이 없는 자)가
노인요양시설에 입주하려면 순차적으로 신청, 감사, 심사 비준을 통해 ≪농
25) http://www.hbyanglao.com/Info/View.Asp?id=479
26) 중국《농촌오보부양직업조례》에서 규정된 부양 대상이다. 주로 법정 의무부양자가 없는 자,
노동력이 없는 자, 수입이 없는 자, 노년, 장애, 16세 미만의 촌민으로 종류가 4개 구성되어
있고, 오보는 주로 의식주, 의료, 장례로 구성되어 있다.http://pan.baidu.com/s/1o6A8l8Q 第二章
참조함

- 17 -
촌오보부양≫에 가입한 후, 노인요양시설에 입주를 신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국의 경우, 65세 이상 고령자 가운데 퇴직 후 요양보험의 적용받는
자는 24.5%에 불과하며, 최저생계비의 보장을 받는 자도 4.7%에 불과하
여 질병을 지닌 고령자가 안정적인 요양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공적제도에 의한 요양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수급자의 범위
를 확대하여 나가야 할 것이다.
표 8. 중국의 65세 이상 인구의 혼인, 수입원에 따른 구분27)
혼인 65세 이상 노동수입 퇴직 후 요양보험 최저생계비의
보장
상황
인구수 % 인구수 % 인구수 % 인구수 %
합계 11,826,668 100 2,327,946 100 2,899,688 100 554,584 100

미혼 202,222 1.7 53,990 2.3 10,495 0.4 77,404 14.0

유배우 7,470,399 63.2 1,840,651 79.1 2,185,070 75.4 235,678 42.5

이혼 78,803 0.7 15,609 0.7 24,713 0.9 7,661 1.4

사별 4,075,244 34.5 417,696 17.9 679,410 23.4 233,841 42.2

총합계 11,826,668 100 2,327,946 19.7 2,899,688 24.5 554,584 4.7

혼인 65세 이상 재산적인수입 족
가 구성원지원 기 타
상황 인구수 % 인구수 % 인구수 % 인구수 %
합계 11,826,668 100 7,836 100 5,773,929 100 232,685 100

미혼 202,222 1.7 600 1.6 43,927 0.8 15,806 6.8

유배우 7,470,399 63.2 27,194 71.9 3,051,536 52.9 130,270 56.0

이혼 78,803 0.7 332 0.9 28,322 0.5 2,166 0.9

사별 4,075,244 34.5 9,710 25.7 2,650,144 45.9 84,443 36.3

총합계 11,826,668 100 37,836 0.3 5,773,929 48.8 232,685 2.0

27) http://www.stats.gov.cn/tjsj/pcsj/rkpc/6rp/indexch.htm 第二部分,第八章8-9의 중국의 8-9 전


국 성별、혼인상황、주요 수입원에 따라 구분 65세 및 이상 노인 인구 데이터를 참조하여 재
정리함.

- 18 -
4. 노인복지정책과 시설현황
1) 노인복지의 개념
고령자에게 일어나는 생활상의 곤란에 대하여 사회복지 차원에서 기본
적 욕구를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노인의 생활보장과 관련된다.
노인복지란, 노인이 복리적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사회적 활동으로
사회복지실천의 한 분야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의하면, 노인복지는 “노
인이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면서 자기가 속한 가족과 사회에 적응하고
통합 될 수 있도록 필요한 자원과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관련된 공적 및
사적 차원에서의 조직적 제반 활동” 이라고 할 수 있다.

2) 노인복지의 목적
‘인간은 빵만으로는 살 수 없다’라는 말이 있듯이 단순하게 육체적 생
존만이 생활의 전부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노인들이 사회적 활동과 욕
구충족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가정이나 지역사회에서 정상적인 유대관계
를 유지하게 하여야 한다. 노인들도 일정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만족감과 인생영위의 의의를 가질 수 있으며, 사회일원으로서 가정에서
나 사회에서 떳떳한 역할을 담당하여야 할 권리와 의무를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노인생활은 경제적, 육체적, 정신적·사회적 측면 등
의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전생활적 측면에
서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노인복지 서비스와 그 시책이 계획되고
종합적으로 파악 ·이해되어야 한다.

3) 노인복지 정책의 이해
민 최저수준의 생활유지원칙, 사회적 통합
노인복지정책의 목표는 국 적
의 원칙, 개인의 성장욕구충족의 원칙이라는 세 가지로 대별되며, 노인도
국민으로서 인간다운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저수준의 경제적 보장을

- 19 -
받아야 하며, 노인의 특성상 은퇴로 인한 자기상실과 고독감, 소외감으로
인한 가족, 이웃, 지역사회주민들로부터 유대관계가 지속되어야 하며, 노
인도 인생주의의 한 시기로써 자기완성을 위한 최종단계로 보고 이 시기
에 맞는 성장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28)
한국의 노인복지정책의 분야는 노인소득보장정책, 노인의료정책, 노인
주거정책, 노인장기요양정책, 노인고용정책, 노인인권보장정책 등이 있으
며, 정책의 배경과 내용은 다음과 표 9와 같다.
표 9. 한국의 노인복지정책의 배경과 내용
구 분 배 경 내 용

득 노인빈곤의 증가, 공적 사회보장제도의 연금제도 및 공공부조


노인소 보장정책
미비 고령자수당제도

국민의료비의 증가, 가족간호의 한계 노인병원, 노인치매센터 등


의료보장제도에 있어 공공부분의 미약, 의료서비스 공급의 확보
노인의료정책

주택개조 재정지원,
고령자주택의 개발,
요양이 가능한 주거, 안전한 주거
노인복지시설의 부족
노인주거정책
다양한 노인주거 시설의 확보
가족수발의 한계, 여성의 사회참여 증 고령자 부양가족에 대한 지원,
가족에 대한 교육 및 지원
노인장기요양정책

상시고용취업자의 증가, 정년제도 고령자고용촉진제도,


가족주기의 변화 정년의 연장
노인고용정책

고령자에 대한 편견과 차별, 노인학대



노인인 보장정책
노인을 이용하는 범죄
노인보호, 노인학대 방지 등

노인복지정책의 실현 방 법은접근, 사회복지 서비스적 접


사회보장적
근, 사회문화적 접근 등29) 세 가지로 대표된다. 사회보장적 접근은 사회
보험과 공공부조라고 하는 제도로써, 국민연금보험이나, 국민기초생활보

28) 윤선오, 새로운 노인복지론, 양서원, 2006. pp.116∼117


29) 박광준, 고령사회의 노인복지정책, 현학사, 2004, pp.127∼129

- 20 -

장제도 등이 이에 속한 . 사회복지 서비스적 접근은 노인시설을 통한
복지와 재가복지서비스가 대표적인 예로써, 노인에 대한 시회서비스와
노인을 부양하는 가족에 대한 사회서비스를 포함한다. 사회문화적 접근
은 삶의 질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노인들이 대부분의 생활을 보내는 지역
사회에서 노인복지에 대한 관심을 유지함으로써 지역 내 복지커뮤니티
형성을 목적으로 한다.
4) 노인복지시설 현황
한국의 노인복지시설은 65세 이상의 고령자가 신체적, 사회·경제적 등
의 이유로 가족과 생활하기가 어려울 때, 그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국가,
지방자치단체 또는 민간단체가 경영하는 시설을 말한다.
노인복지법 제 31조에 규정된 노인복지시설에는 노인주거복지시설,
노인의료복지시설, 노인여가복지시설, 재가노인복지시설, 노인보호전문기
관 등이 있다.
이들 시설 가운데, 「노인복지법」상 노인요양시설 및 노인요양공동생
활가정으로 시ㆍ군ㆍ구청장의 지정을 받은 장기요양기관은 노인장기요양
보험의 시설급여제공기관에 해당하며, 「노인복지법」상 재가노인복지시
설이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의한 재가장기요양기관의 시설ㆍ인력기
준을 갖추어 시ㆍ군ㆍ구청장의 지정을 받은 장기요양기관은 재가급여제
공기관에 해당한다. 30)
이미 2006년도 기준 시설보호를 받고 있는 노인의 비율을 살펴보더라
도 호주 6.8%, 일본 6.0%, 스웨덴 8.7%, 프랑스 6.5%, 미국 5.7%31)인 것
에 비교하면. 현재의 한국과 중국의 비율은 상당히 낮은 수준이라 할 수
있다.

30)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31조 내지 32조


31) 윤선오, 새로운 노인복지론, 양서원, 2006. p.235

- 21 -
(1) 노인복지시설의 종류
한국의 노인복지시설의 종류는 크게 노인주거복지시설과 노인의료복지
시설, 노인여가복지시설, 재가노인복지시설, 노인보호전문기관으로 분류
된다.
노인주거복지시설 은 양로원과 노인공동생활가정, 노인복지주택이 있다.
노인의료복지시설은 노인요양시설과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등이 있다.
노인여가복지시설은 노인 이용시설로서 노인복지관과 경로당, 노인교실
등이 있다. 재가노인복지시설은 어느 정도 자활이 가능한 노인이나, 가족
의 보호를 받는 노인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로서 가정봉사원 파
견시설과 야간보호시설, 단기보호시설 등이 있다.
표 10. 한국의 노인복지지설의 분류

구 분 종 류
노인주거복지시설 양로시설, 노인공동생활가정, 노인복지주 택
노인의료복지시설 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노인여가복지시설 노인복지관, 경로당, 노인교실

재가노인복지시설

방문요양서비스, 간보호서비스, 단기보호서비스, 방문목 욕
서비스
학 예 타
노인보호전문기관 노인 대 방센

최근, 노인에 대한 학대가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고, 노인이 범죄의 대상


이 되는 등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전문으로 하는 노인
보호전문기관으로 노인학대예방센타 등이 있다.
한편, 중국의 경우는 중화인민공화국 민정부 및 학술계의 지침에 따
르면 60세 이상을 노인으로 구분하기도 하며, 이들을 위한 복지시설
은 한국의 사례와 유사하게 생활상 개호를 필요로 하는 노인들을 위
한 양호원에서부터 노인을 위한 종합 문화 오락 활동의 장으로 기능

- 22 -
하는 노인활동센터에 이 기 지 르 까 다양하다.

표 11. 중국의 노인복지시설 구분 및 정의32)


구분
정의
중문 글
한 (영문)
년 편 게
노인에 대한 노 을 안하 보내는 사회양노서비
养老院 양노원

스기관. 사회복지원의 노인부,호노원,호양원을 함하
(Home for the aged)
다.

护理院/养护院
양호원
介助、介护노인에 대한 생활돌봄 건강간호 사회적서
비스를 제공하는 종합시설
(Nursing home for the
aged)
托老所 탁
주간 노소 단기적 노인에 대한 호스팅 서비스, 지역 사회 양로
(Nursery for the aged) 서비스기관 및 장소
노인 아파트 려 독립 반 독립적 집에서 여생을 안
老年公寓 (Apartment for the
노인을 배 하여
락 게
하 지내도 록 아파트 건축
aged)
老年人住宅 노인용 주 택 노인을 핵심으로 하는 가정에 사용하는 전문적 주거
(House for the aged)
老年学校 노인 교학 노인의 공부와 교류를 위한 전문적 서비스기관 및
(School for the aged) 장소
노인 활동센터
老年活动中心 (Center of recreation
activities for the
노인을 위한 종합 문화 오락 활동의 장소
aged)
노인서비스센터
老年服务中心 (Station of service for
노인을 위한 종합 서비스의 지역 사회 서비스기관
및 장소
the aged)

(2) 한국 노인요양시설의 시설기준


① 시설기준
A. 시설의 규모
" " 라 한다)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노인의료복지시설(이하, 시설 이
따른 인원이 입소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a. 노인요양시설 : 입소정원 10명 이상(입소정원 1명당 연면적
23.6㎡ 이상의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32)중화인민공화국-국가건설부:노인주거건축설계표준GBT50340-2003;성진(城镇)노인시설계획표
준:GB50437-2007; 중화인민공화국-주택 및 도농 건설부: 양로시설설계규법:GB50867-2013

- 23 -
b.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 입소정원 5명 이상 9명 이하(입소정원
1명당 연면적 20.5㎡ 이상의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B. 시설의 구조 및 설비
a. 시설의 구조 및 설비는 일조· 채광·환기 등 입소자의 보건위생과
재해방지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b. 복도·화장실·침실 등 입소자가 통상 이용하는 설비는 휠체어
등이 이동 가능한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며 문턱제거, 손잡이시
설 부착, 바닥 미끄럼 방지 등 노인의 활동에 편리한 구조를 갖
추어야 한다.
c.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소화용 기구를 비치하고 비상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입소자
10명 미만인 시설의 경우에는 소화용 기구를 갖추는 등 시설의
실정에 맞게 비상재해에 대비하여야 한다.
d. 입소자가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는데 도움이 되는 도서관, 스포
츠·레크리에이션 시설 등 적정한 문화·체육부대시설을 설치하
되, 지역사회와 시설간의 상호교류 촉진을 통한 사회와의 유대
감 증진을 위하여 입소자가 이용하는데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외부에 개방하여 운영할 수 있다.
C. 재가노인복지시설의 병설·운영
시설의 장은 시설의 개방성을 높여 지역사회와의 교류를 증진
하고 입소자가 외부사회와의 단절감을 느끼지 아니하도록 재가
노인복지시설을 병설·운영할 수 있다.

② 시설 설치에 관한 특례
A. 시설 설치자는 시설을 설치할 토지 및 건물의 소유권을 확보하
여야 하며, 시설 설치목적 외의 목적에 의한 저당권, 그밖에 시설
로서의 이용을 제한할 우려가 있는 권리는 해당 토지 및 건물에

- 24 -
설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시설의 설치목적에 의한 저당권을
설정하는 경우에도 저당권의 피담보채권액과 입소보증금의 합이
건설원가의 80% 이하이어야 한다.

B.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입소자로부터 입소비용의 전부를 수납하여


운영하는 노인요양시설 및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하여 고시하는 지
역에 입소자 30명 미만의 노인요양시설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음 a.
부터 d.까지의 규정에 따른 요건을 갖춘 경우에 한하여 타인 소유의
토지 및 건물을 사용하여 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
a. 사용하려는 토지 및 건물에 선순위 권리자 및 그밖에 시설로서
의 이용을 제한할 우려가 있는 권리가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것
b. 입소자로부터 입소비용의 전부를 수납하여 운영하는 시설의 경우
에는 임대차계약·지상권설정계약 등 사용계약의 양 당사자가 법인
일 것(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을 설치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c. 토지 또는 건물에 대한 등기 등 법적 대항요건을 갖출 것
d. 사용계약서에 다음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것
(가) 토지 또는 건물의 사용목적이 시설의 설치·운영을 위한 것이라
는 취지의 내용
(나) 계약기간의 연장을 위한 자동갱신조항
(다) 무단 양도(매매·증여 그밖에 권리의 변동을 수반하는 일체의 행
위를 포함한다) 및 전대의 금지조항
(라) 장기간에 걸친 임차료 등의 인상방법(무상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마) 토지 또는 건물에 대한 사용권자의 우선 취득권에 관한 내용

C. 시설을 설치하려는 자는 입소자에 대한 보증금 반환채무의 이행


을 보장하기 위하여 입소계약 체결 후 보증금 수납일로부터 10일
이내에 다음 각 호의 요건에 적합한 인·허가보증보험에 가입하여
야 한다. 다만, 시설 개원이후 입소자별로 전세권 또는 근저당권

- 25 -
설정 등의 조치를 한 경우에는 각각 인·허가보증보험에 가입하지
아니할 수 있다.
a. 보증내용 : 입소자의 입소보증금 반환채무 이행보증
b. 보증가입금액 : 입소보증금 합계의 100분의 50 이상
c. 보증가입기간 : 보증금 납부일로부터 퇴소 시까지
d. 보증가입관계 : 시장·군수·구청장을 피보험자로 함
e. 보험금 수령방법 : 시장·군수·구청장의 확인 하에 입소자가 보
험금을 직접 수령함

③ 설비기준
A. 침실
a.독신용·합숙용·동거용 침실을 둘 수 있다.
b. 남녀공용인 시설의 경우에는 합숙용 침실을 남실 및 여실로
각각 구분하여야 한다.
c. 입소자 1명당 침실면적은 6.6㎡ 이상이어야 한다.
d. 합숙용 침실 1실의 정원은 4명 이하이어야 한다.
e. 합숙용 침실에는 입소자의 생활용품을 각자 별도로 보관할 수
있는 보관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f. 적당한 난방 및 통풍장치를 갖추어야 한다.
g. 채광·조명 및 방습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h. 노인질환의 종류 및 정도에 따른 특별침실을 입소정원의 5%
이내의 범위에서 두어야 한다.
i. 침실바닥면적의 7분의 1 이상의 면적을 창으로 하여 직접 바깥
공기에 접하도록 하며, 개폐가 가능하여야 한다.
j. 침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노인들이 자유롭게 오르내릴 수 있
어야 한다.
k. 안전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 26 -
택 되
l. 공동주 에 설치 는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의 침실 은 1층에 두
어야 한다.
B. 식당 및 조리실 : 조리실바닥은 내수재료로서 세정 및 배수에
편리한 구조로 하여야 한다.
C. 세면장 및 목욕실
a. 바닥은 매끄럽지 아니하여야 한다.
b. 욕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욕조에 노인의 전신이 잠기지 아니
하는 깊이로 하고 욕조 출입이 자유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
소한 1개 이상의 보조봉과 수직 손잡이 기둥을 설치하여야 한다.
c. 급탕을 자동온도조절장치로 하는 경우에는 물의 최고온도는
섭씨 40도 이상이 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D. 프로그램 실 :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는 적당한 문화시설과 오락 기구
를 갖추어 두어야 한다.
E. 물리(작업)치료실 : 기능회복 또는 기능감퇴를 방지하기 위한 훈
련 등에 지장이 없는 면적과 필요한 시설 및 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F. 의료 및 간호사실 : 진료 및 간호에 필요한 상용의약품·위생재료
또는 의료 기구를 갖추어야 한다.
G. 그 밖의 시설
a. 복도, 화장실, 그 밖의 필요한 곳에 야간 상용 등을 설치하여
야 한다.
b. 계단의 경사는 완만하여야 하며, 치매노인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계단에 출입문을 설치하고 잠금장치를 하여야 한다.
c. 바닥은 부드럽고 매끄럽지 아니한 바닥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d. 주방 등 화재위험이 있는 곳에는 치매노인이 임의로 출입할
수 없도록 잠금장치를 설치하고, 배회환자의 실종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외부출입구에 적정한 잠금장치를 하여야 한다.

- 27 -
:
H. 경사로 침실이 2 층 이상인 경우 경사로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승
강기시설 안전관리법에 따른 승객용 엘리베이터를 설치한 경우에
는 경사로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3) 중국 노인요양시설의 시설기준


중국의 노인요양시설의 시설기준을 양호원을 대상으로 살펴보면, 표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축면적의 기준은 35㎡/bed이상을 규정하고 있
다. 또한 규모면에서는 100bed 이상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노인요양시
설 침실은 4인실 이하로 구성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표 12. 중국의 노인 시설 건축의 규모·요구·지표33)


건설 지표
시설명 기본적 내용 규모 및 요구
건축면적 건축면적
(bed) (㎡/
bed) (㎡/
bed)
노인 아파트 식 케 링
가정 생활, 이터 , 문화 오락

≥80 ≥40 50-70
보건
양노원 케 링
일상생활 、 이터 、문화 오락
、의
( )
시 지역 급 헬 외
료보건、 스장 및 실 활동장소 ≥150 ≥35 45-60
양노원 케 링
일상생활 、 이터 、문화 오락
、의
( )
주거구 진 급 헬 외
료보건、 스장 및 실 활동장소 ≥30 ≥30 40-50
생활간호 、케 이터링 、의료보건 、건
양호원 강회복 ≥100 ≥35 45-60

학 다 1:학급 5개 이상
노인 교
( )
시 지역 급
일반교실 、 용도교실 、전공교실 、
열람 외
실 및 실 활동 장소 2:시급 독립적인 ≥1500 ≥3000
대지와 교사

열람실、다용도교실、영사실、댄스 독립적인 대지와


노인 활동센터
( ) 홀、기판류(棋牌)활동실、휴게실 및 건물;노인에 맞는 1000-4000 2000-8000
시 지역 급 실외장소 실외 할동 장소
노인 활동센터 활동실、교실、열람실、보건실 및 실 외 활동장소면적
( )
주거구 진 급 실외장소 ≥300㎡
≥300 ≥600
노인서비스센터
( )
주거구 진 급 활동실、보건실、응급、법률 원조 시설 침대수≥50개 ≥200 ≥400
노인서비스센터 활동실、열람실、보건실 실 외 활동장소면적
지역 사회 급 및 실외장소 ≥150㎡
≥150 ≥300
노인서비스 활동실、보건실、가사 관리 서비스 복무 반경≤500m
지역 사회 급 이용실 ≥150
1:시설 침대수≥
주간 노소탁 휴게실、활동실、보건실、케이터링 10개,건설면적≥ ≥300
20㎡/침대
주)지표의 70 이하는% 되지 않는다.

33) 중화인민공화국-국가건설부:성진(城镇)노인시설계획표준:GB50437-2007,표3.2.2-1,3.2.2-2

- 28 -
표 13. 중국의 노인이 주로 사용하는 방의 창문 및 바닥면적 비율
실명
창면적 바닥면적 /
비율
활동실 :
14

거실, 침실, 공용 당, 의료실, 보건실 1:6
공용 부 엌 1:7

공용화장실, 공용 실, 노인전문 실 욕 1:10

표 14. 중국 노인요양시설 침실부분 기준34)


시설구분 실명 기준 설명
양노원 침실 6인실이하  
양호원 침실 4인실이하  
양노원‧양호원 매
치 노인 침실 4인실이하 칸막이 가능함
(4) 한국 노인요양시설의 입소 자격
노인요양시설은 치매·중풍 등 노인성질환 등으로 심신에 상당한 장애가
발생하여 도움을 필요로 하는 노인을 입소시켜 급식·요양과 그밖에 일상생
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로서 입소자의 기본자격은
“노인성질환 등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법제 15조에 따른 수급자로서 요양을
필요로 하는 자”로 정하고 있다.

그림 2. 한국의 노인요양시설 입소절차

민 범B
34)중화인 공화국건설부-양노시설건축설계규 G 50867-2013, 5.2.3

- 29 -
입소절차는 신청인이 작성하여 음면동사무소에 신청하고, 시·군에서는 평
가를 통하여 입소여부 및 입소시설을 결정하여 신청자에게 통지한다.

(5) 노인요양시설의 단위공간 설치 기준


한국 노인요양시설의 단위공간은 입소자 10명 이상 30명 미만과 30명 이
상규모로 구분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표 15와 같다.35)

표 15. 한국 노인요양시설의 단위공간

무 요양보호 자원 의료 및 물리
구분 시설별 침실 사 실 사실 봉사자실 간호사실 (작업)
치료실
입소자 ○ ○ ○ ○ ○ ○
30명 이상
노인
입소자
요양시설
30명 미만 ○ ○ ○ ○
10명 이상
프로그램 식조당리실및 비상 재해 세면장 탁탁물
세 장
구분 시설별 실 대비시설 화장실 욕
및목 실 및세
건조장
입소자 ○ ○ ○ ○ ○ ○
30명 이상
노인
입소자
요양시설
30명 미만
10명 이상
○ ○ ○ ○ ○

중국의 양로시설 은 bed 수에 따라 소형, 중형, 대형 및 초대형으로 구분하


고 있으며, 이 가운데 한국의 노인요양시설과 유사한 성격을 지닌 양호원은
건축 시 표 16, 표 17과 같은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표 16. 중국의 양로시설 등급 구분36)

/ /
등급 규모 시설 양호원 (bed수) (
양노원 bed수 ) 탁 (
주간 노소 bed수)
소형 ≤100 ≤150 ≤40
중형 101-250 151-300 41-100
대형 251-350 301-500
초대형 >350 >500
35) 노인복지법시행규칙 별표4 참조함
36) 중화인민공화국건설부-노인주거건축설계표준GBT 50340-2003,표3.1.1

- 30 -
표 17. 중국의 양호원 건축 시설 설치 조건37)
구분 양호원 비고
침실 □
거실
주거용 휴게 실
방문자용실 △ 전용 욕실 화장실
개인화장실 △
공용화장실 □

공용 실 □ 화장실
생 엌
공용부

공용 당 □ 프로그램실 겸
활 생활보조 탁
자조세 실 △
용 탕 비실 □
너 테 션스스 이 □ 경비실, 독립 화장실
오물 실 □
교류실 □

노인 전용 실 화장실을 부설함
생활 미 용실 □
노 서비스 편리점 /
△○ 형
중 이상
인 은행 우체국 보험대리 /
△○ 초 형
대、 대
의무실 □
용 관찰실 △ 중、대、초대형
치료실 △ 대、초대형
의료용 검열실 △ 대、초대형
약 기계실 □


처리실 □
호스피스실 △ 대、 대 초 형
료 보건실 □

보 보건 회복실 □
심리 통 소 실 △
건 열람 실 ○
P C방 ○

활동실
카드 드 보 실 □
서화실 ○
헬 스장
교실 ○
다기능 홀 △
햇빛실/회랑 △
총경비실 □
체그인 용실 □
사무실 □


응접실 □
회의실


서류실 □


부엌 □

세 실 □
직 원실 □ 휴게실,욕실,화장실 포함

비 장고 □
설비실 □
주) □ 설치해 : 야 됨 △: 설치 권장 ○: 설치하지 않아도 됨

37) 중화인민공화국건설부-양노시설건축설계규범GB 50867-2013

- 31 -
노인요양시설이 갖추어야 할 단위공간에 대해 법적으로 규정된 것은
상기 표와 같고, 1995년 박태환38)은 반의존 노인시설과 완전의존노인시
설의 단위공간에 대해 외국의 사례를 토대로 정리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표 18과 같다.

표 18. 한국 노인시설 단위공간

구 분 실 명

개인거실 거실(침실), 욕실, 부엌


사회적 공간(Social Area), 옥외
공간, 식당
반 공 용 실 독 취미 봉 흡
서실, 실, 재 실, 연실,
의 존 일광욕 홀
실, 대규모
시설

간호 의료부문 진료실, 간호실

부속시설 리
관 실, 보조실, 숙직실, 창고
개인공간 거실, 욕실,
완전 사회적 공간 라운지, 식당, 물리치료실, 취미오락실
의존
시설
관 리공간 사무실, 안내실, 간호실, 약품실
창고, 영안실, 직원실
(화장실, 갱의실, 샤워실, 보관실)
부속공간

5. 노인복지와 지역사회
1) 노인복지의 개념 변화
도시지역은 경제력을 바탕으로 한 노인은 새로운 소비계층으로 부상되어
도시노인은 장수시대를 열어가는 주역이 된다. 노인복지의 개념도 저소득,
무의탁 노인을 수용단계에서 벗어나 지역노인들의 남은 삶을 건강하고 아름
38) 박태환, 노년건축학, 보성각, 1995, pp.98~162

- 32 -
답게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집단적으로 수용하는 단계를 지나 자립 가능한
노인은 최대한 기존의 커뮤니티영역 내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단
계로 노인복지도 변화할 것이다.

2) 지역사회의 노인문제
지역의 노인은 그 지역에서 오랫동안 경제적 사회적 활동을 이어오면서
사회적 주체를 이루고, 지역 노인복지는 중앙정부만의 문제가 아니라, 그 지
역사회의 구성원에 대한 지역 차원의 보장으로 개념이 전환되어야 한다. 이
는 지방자치단체의 노인복지 예산이 증가되어야 하고, 나아가 해당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노인복지시설 인프라의 구축이 절실하다.

3) 노인복지와 지역의 역할
노인복지시설이 수용시설이 아닌 주거의 연장선에서 이해하고, 노인시설에
입주하는 노인이 삶의 터전을 떠나 전혀 새로운 곳에서 입소생활을 영위함
으로써 발생하는 정신적 충격을 완화하는 것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 지역복
지의 개념이다.
지역보호의 개념은 노인이 보호를 받아야 하는 상태에 이르렀을 때 가능
한 가정이나 인근 지역사회 내의 환경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서비
스를 제공하는 사회적 보호이다.39)
따라서 생활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고령자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일상
생활권역 내에서 복지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소규모의 권역별로 나누
어 지역밀착형 케어를 실시하고 시설규모도 가급적 인간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작은 규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9) 최은영, 노인보호서비스개발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996, p.6

- 33 -
6. 소결
노인인구의 급증과 고령사회에 능동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노

인복지 산의 책정과 다양한 서비스요구에 대한 대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또한 인구의 고령화가 급속하게 전개되고 있는 중국과 한국의 고령노인복
지시설 정책에 있어서는 노인 개개인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서
노인복지서비스 시설의 다양성을 확보하여야 하며, 무엇보다도 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의료복지시설은 다양한 개성을 지닌 고령자들의 특성을 고려
한 생활공간을 갖추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나아가 지역사회 내에서의 노인복지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노인들의
생활권역을 가급적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노인요양시설의 확충이 요구
된다.

- 34 -
Ⅲ. 경상남도의 지역적 특성 및 노인복지정책
1. 경상남도의 지역적 특성
1) 일반현황
년 월 기준으로 1,343,984세대, 3,428,035명이 거주
경상남도는 2013 도 12
하고 있다. 면적은 10,537㎢(전국의 10.6%) 이며, 행정구역은 8개 시, 10
개 군, 315개 읍·면·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3. 경상남도 행정구역

2) 인문‧사회적 환경
(1)위치
쪽울 광
경상남도는 한반도의 동남단에 위치하여 동 으로는 부산· 산 역시와
남쪽으로는 남해와 접해 있으며, 북쪽으로는 대구광역시의 달성, 경북의 청

- 35 -
도, 고령, 성주, 김천과 접해 있고, 서쪽으로는 소백산맥을 경계로 전라북도
의 무주, 장수, 남원, 전라남도의 구례, 광양과 접해 있다.
경상남도의 지리적 좌표는 북위 34도 29분에서 35도 54분, 동경 127도 34분
에서 129도 13분에 걸쳐 있다. 위도 상 비슷한 지역은 일본의 교토(京都)와
나고야(名古屋), 지중해상 키프로스(Kypros), 미국의 오클라호마(Oklahoma)
등 이다.
(2)면적
경상남도의 현재 면적은 10,537㎢이다. 이는 남한 전체 면적 100,033㎢의
약 10.5%를 차지하며 16개 시·도 가운데 경북·강원·전남에 이어 4번째이다.
경남은 또 섬이 많은 도로서 거제와 남해를 비롯한 400여 개의 섬이 전체
면적의 약 8.5%를 차지한다.
(3)기후
경상남도의 기후는 경상남도가 한반도의 동남단(저위도)에 위치하고, 남쪽
에는 바다에 접하여 바다의 영향이 크며 북서쪽에는 높은 산맥이 가로 놓여
있어 겨울의 찬 서북풍을 막음으로써 기후는 우리나라 전체를 통하여 온화
한 편이다. 경남내륙지방의 연평균기온은 12~13℃, 강수량은 1,200~1,500mm
이며 1월과 8월의 평균기온은 각각 -0.5, 25.1℃이다. 경남해안지방의 연평균
기온은 14~15℃, 강수량은 1,400~1,800mm이며 평균기온은 각각 2.3, 25.9℃이
다.
(4)지형
경상남도의 동쪽에는 태백산맥의 여맥(餘脈)이 뻗어 있고, 중앙부에는 낙
동강이 흐르며, 서쪽에는 비교적 험준한 소백산맥이 호남지방과 경계를 이루
고 있다. 지대는 표고(標高) 100m 이하의 저지대가 37%, 100~500m 지대가
49%, 500∼1,000m의 지대가 12%, 1,000m 이상의 고지대는 2%에 불과하다.
동부 산악 지대는 태백산맥의 여맥(餘脈)인 천황산(1,189m), 신불산(1,209m)
등 산악들이 발달해 있다. 중앙 저지대는 낙동강 강변 지대로 낙동강은 본도
에 들어와서 각 지류를 합하여 남해로 유입하는데 하류의 김해 지방에서 삼

- 36 -
각주 평야를 이루었다. 서부 산간 지대는 우리 도에서 가장 험준한 지역으로
소백산맥의 지리산(1,915m), 덕유산(1,614m), 백운산(1,279m) 등 고봉(高峯)
이 이어 있으며, 특히 지리산 주변이 가장 험준하다.

2. 경남지역 노인인구와 정책 및 시설
1) 노인인구 현황
년 만 여명 정도이지만, 이 가운데
경상남도의 인구는 2013 도 기준으로 340
고령자인구는 43만여 명으로 전체인구의 12.6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특히 시 지역 가운데 산업단지가 많이 분포하고 있는 창원시, 김해시,
표 19. 경상남도 시군별 인구현황 년
(2013 도 기준)
행정구역 합계 남 여 65세이상 65세 이상 비율
경남 3,402,946 1,728,359 1,674,587 431,645   12.68

창원시( 합) 1,098,752 561,144 537,608 101,571   9.24
진주시 341,201 169,453 171,748 44,016 12.90
통 영시 143,194 73,475 69,719 18,685 13.05
사천시 119,722 60,886 58,836 19,738 16.49
김 해시 538,181 276,322 261,859 41,790 7.77
밀 양시 109,749 53,909 55,840 23,527 21.44
거제시 253,349 135,478 117,871 18,470 7.29
양산시 284,152 143,905 140,247 27,927 9.83
의령군 30,136 14,646 15,490 9,273 30.77
함안군 70,868 36,810 34,058 13,013 18.36
창 군 녕 65,059 32,526 32,533 16,205 24.91
고성군 57,997 29,490 28,507 13,793 23.78
남해군 47,977 23,092 24,885 15,354 32.00
하동군 50,637 24,878 25,759 13,997 27.64
산청군 36,389 17,807 18,582 11,055 30.38
함양군 41,146 19,618 21,528 11,790 28.65
거창군 63,647 30,864 32,783 14,916 23.44
합천군 50,790 24,056 26,734 16,525 32.54

거제시, 양산시 등 시 지역 은 평균 노인인구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를
10.85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 지역은 노인인구비율이 26.41%를

- 37 -
차지하여 이 미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것으로 알 수 있다.
표 20. 경상남도 전체인구와 고령자 인구 비율 증가 추이40)
년도 1998 2000 2004 2008 2012 2013 2014
전체
인구수(명) 3,092,193 3,108,674 3,168,734 3,276,957 3,383,685 3,402,946 3,350,257

65세이상
비율( )% 7.78 8.41 9.81 11.18 12.26 12.68 13.40

표 21. 경상남도의 장래 노인인구 추이41) (단위 천명):


년도 2010 2020 2030
전국인구 48,875 49,326 48,635
노인인구 5,357 7,701 11,811
비율( )% 11.0 15.6 24.3
경남인구 3,141 3,124 3,076
노인인구 384 520 792
비율( )% 12.2 16.6 25.7

경상남도의 고령자 인구 비율 증가 추이 를 살펴보면, 1998년도 7.78%,


2000년도 8.41%, 2004년도 9.81%, 2008년도 11.18%, 2012년도 12.26%,
2013년 12.68%, 2014년 13.40%로 매년 고령자 인구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경제발전과 더불어 청년층 인구의 도
시로의 이동에 따라 농촌지역에는 상대적으로 노인들이 많아진 것에 기
인하는 점도 있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2006)을 바탕으로 경상남도의 장래 노인인구의
추이를 살펴보면, 2020년에는 52만명으로 16.6%를 차지하게 되고, 2030
년에는 79만 여명으로 25.7%를 차지하여 전국평균보다 빠른 속도로 초
고령사회로의 변화가 예측된다.

40) 2014년 데이터는 http://stat.gsnd.net/jsp/sub02/02_03.jsp 를 참고함.


41) http://www.gsnd.net/data/sub03/total_plan/2012_3_5.pdf의 데이터를 참고 재정리함.

- 38 -
2) 노인복지정책 및 주요내용
(1) 경상남도의 고령자 복지정책42)
① 기초연금제도
기초연금의 지급대상은 65세 이상 전체노인 중 소득과 재산이 적은
70%의 어르신이 그 대상이 되며, 지급액은 노인단독인 경우 월 최저
20,000원 ~ 최고 200,000원까지(부부 감액, 소득 역전 방지를 위해 20만
원 이하 지급액 발생)이다. 2014년 7월 시행하고 있다. 또한, 선정 기준
액은 노인 단독 월 87만 원 이하, 노인부부 월 139.2만 원 이하이다.
② 경로우대제도
노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경로의식을 높여 약화되고 있는 도덕성
회복 및 윤리 가치관 확립과 아울러 우리고유의 전통 미풍양속인 경로효
친의식을 높이고자 함을 목적으로 노인의 날(10.2) 및 경로의 달(10.1 ~
10.31) 행사를 실시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어버이 은혜에 감사하고 웃어
른을 공경하는 기풍을 조성하여 우리의 전통적 미풍양속인 효사상을 계
승 발전시키고자 어버일날(5월8일) 행사를 실시한다.
③ 요양보호사 양성
요양보호사란 치매·중풍 등 노인성 질환으로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수
행하기 어려운 노인들을 위해 노인요양 및 재가시설에서 신체 및 가사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실시하며, 대한민국인
과 외국인(정해진 요건을 갖추고 체류조건, 체류기한 등 출입국관리법
령 등에 위반되지 않는 자) 교육대상으로 한다.
④ 노인돌봄서비스
노인돌봄종합서비스사업은 혼자 힘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노인에게 돌보미를 통한 가사지원 및 활동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여 안정
된 노후생활 보장 및 가족의 사회·경제적 활동기반 조성을 목표로 한
42) http://welfare.gsnd.net/jsp/sub05/05_01.jsp 참조 재정리함.

- 39 -
다. 본 사업의 대상은 만65세 이상의 노인 중 가구 소득, 건강상태 등을
고려한 돌봄서비스가 필요한 노인으로 소득기준 가구 소득이 전국가구
평균소득의 150% 이하이며, 건강상태는 장기요양보험판정결과 등급
외 A, B 받은 자이어야 한다. 제공되는 서비스 종류는 활동보조서비스
(식사도움, 세면도움, 체위변경, 옷 갈아입히기, 구강관리, 신체기능 유
지·증진,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 일상생활지원서비스(취사, 생필품 구
매, 청소 및 세탁 등)가 있다.
노인돌봄기본서비스 사업은 독거노인의 고립생활 해소를 위한 여가 및
정서지원 프로그램 제공과 독거노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적
정 서비스 연계, 서비스 제공 사후관리 등을 통한 독거노인에 대한 실
질적 사회안전망 구축을 목표로 실시하고 있다.
사업대상은 실제 혼자 살고 있는 노인으로 소득수준은 부양의무자 유
무, 주민등록상 동거자 유무에 상관없다. 제공되는 서비스 종류는 활동
보조서비스(식사도움, 세면도움, 체위변경, 옷 갈아입히기, 구강관리, 신
체기능 유지·증진, 외출동행, 목욕보조 등), 일상생활지원서비스(취사,
생필품 구매, 청소 및 세탁 등)가 있다
⑤ 노인건강진단사업
시군구 관할구역내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 및
차상위노인중 노인 건강진단 희망자 (전년도 진단자 중 건강한 자는 제
외)가 대상이 되며 아래와 같이 1,2차로 구분하여 진단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 40 -
표 22. 노인건강진단사업의 진단 항목
구 분 항 목
진찰, 체위검사, 치과검사, 흉부X선 간접촬영, 혈액검사(혈색소, 콜레
1차진단 스트롤, 혈청지오티. 혈청지피티, 혈당), 요검사, 안검사, 간이 정신상
태 검사 (치매 검사 항목)

① 흉부질환(흉부X선 직접촬영, 결핵균 진균도말 검사)


② 고혈압성질환(혈압측정, 정밀안저검사, 심전도검사)
③ 고지혈증(혈압측정, 트리그리세라이드, HDL콜레스트롤)
④ 간질환(총단백, 알부민, 알카라인포스타제, 총빌라루빈, 감마지피
티, 유산 탈수효소, 알파휘토단백)
⑤ 신질환(요침사현미경검사, 요산, 크레아티닌, 요소질소)
2차진단
⑥ 빈혈증(헤마토크리트, 백혈구수, 적혈구수
⑦ 당뇨질환(식전혈당, 식후혈당, 정밀안저검사)
⑧ 안질환(안압검사, 각막공률검사, 굴절 및 조절검사)
⑨ 치매 (치매적도 검사 GDS 또는 CDR)
⑩ 골다공증 검사 (양방사선 골 밀도 검사)
※ 노인성질환 및 암 등을 중심으로 검진 가능

⑥ 어르신틀니보급사업
치아의 결손으로 음식물 섭취가 자유롭지 못한 노인 비율이 증가함에 따
라 노인의 건강권 확보 차원에서 전국 최초로 추진하고 있으며, 고령자들
의 틀니(전부, 부분) 시술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사업대상은 만 65세 이상
틀니가 필요한 저소득층 고령자가 대상이 되며, 2014년도 기준 1900명, 사
업 비 4,200백만원 규모로 시행하였다.
⑦ 노인장기요양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소득수준과 상관없이 노인장기요양보험법 가입자(국
민건강 보험 가입자와 동일)와 그 피부양자, 의료급여수급권자로서 65세 이
상 노인과 64세 이하 노인성 질병이 있는 자가 대상이 되며, 급여대상은 65
세 이상 노인 또는 치매, 중풍, 파킨슨병 등 노인성 질병으로 6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혼자서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고령자이다. 장기요양등급은
1등급(최중증), 2등급(중증), 3등급(중등증)으로 구분한다.

- 41 -
급여내용으로는 시설급여(요양시설에 장기간 입소하여 신체활동 지원 등
제공), 재가급여(가정을 방문하여 신체활동, 가사활동, 목욕, 간호 등 제공,
주간보호센터이용, 복지용구 구입 또는 대여), 특별현금급여(도서벽지지역에
가족요양비 지급)가 있다.
⑧노인보호전문기관
노인학대예방사업은 학대받는 노인을 위한 전문적인 상담과 서비스 제공
을 통한 노인의 권익 증진과 학대행위자등에 대한 교육·홍보를 통하여 노
인 학대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며, 노인학대예방사업을 통해 학대 없는 가정
과 사회를 조성하는데 의의가 있다.
노인학대예방사업은 노인학대 신고접수 및 현장방문, 노인학대 문제해결을
위한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 노인학대 관련 기관 협력체계 구축, 노인학대
예방 교육 사업, 노인학대 예방을 위한 홍보 및 노인학대 인적자원 개발 및
육성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기대효과로는 학대받는 노인에 대한 신속한 조치와 대응, 노인학대 사례에
따른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 학대가해자를 줄이고 지속적인 지원으로 예방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학대가족을 지원하여 부양가족의 순기능 효율성
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2) 노인복지관련 주요업무계획


경상남도는 수익자 체감형 복지 구현을 목표로 하고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생활을 보장43)을 노인복지관련 주요 과제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경륜과 재능에 맞는 일자리 창출
노인일자리 사업으로 1일 평균 17,702명, 시니어클럽 6개소(창원 ·
진해, 진주, 김해, 양산, 거창) 운영 지원을 하였으며, 노인 일자리 알선
및 교육 지원으로 18,530명에 혜택으로 부여하였다.

43) http://open.gsnd.net/multipleboard/BoardList.jsp?groupNo=11091의
경상남도의 2014년도 주요업무계획 참조 재정리함.

- 42 -
② 건강하고 안정적인 노후생활 보장
기초연금 지급사업으로 330천 명에게 기초연금(542,577백만 원)을 지
급하였으며, 노인돌봄서비스 사업을 통하여 23,000명, 홀로 사는 어르신
안전지킴이 사업을 통하여 7,500명, 저소득 노인가장세대 지원으로
14,383세대에 건강하고 안정적인 노후생활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다.
③ 활력 넘치는 노인 여가활동 지원
실버체육대회(게이트볼, 그라운드골프 등) 지원 5개 사업, 경로당 광
역지원센터 운영(대한노인회 도연합회 내) 1개소 및 7,105개소의 노인
여가시설(경로당) 운영 지원을 함으로 써 노인여가 활동을 활기차 게 하
였다.
④ 노인복지시설 기능 보강 및 운영 강화
노인복지시설 20개소의 기능보강 추진, 노인복지시설 운영비(70,793 백
만 원)지원, 2개시군의 장사시설 건립 및 화장로 기능보강을 통한 노인
복지시설의 기능을 강화하였다.
⑤ 홀로사는 어르신 공동생활가정 확대 운영
시·군별 1개소 및 창원시 3개소 합계 20개소의 공동생활가정을 확대
하고, 시설 개 · 보수비(개소별 10백만 원)를 지원하여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생활의 환경을 조성하였다.

3) 경상남도의 노인복지시설 관련 주요사업 현황


경상남도에서 시행하고 있는 노인복지시설 관련 주요사업 현황44)을 2014
년도 기준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주요사업 현황
① 의료급여사업
저소득층 주민에 대한 의료급여비 등을 지원하여 경제적 어려움 경감하
44) http://open.gsnd.net/multipleboard/BoardList.jsp?groupNo=11112의 경상남도 주요사업현
황을 재정리함.

- 43 -

고, 도 의 보건향상과 사회복지 증진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 시·군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시·군과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
평가원이 실시한다.

표 23. 의료급여 연차별 투자계획 (단위 :백만원)


구분 계 2012 년까지 2013 년 2014 년 2015 이년 후
계 1,802,525 410,107 450,446 455,976 485,996
국비 1,454,183 326,208 360,355 376,203 388,417
도비 351,342 83,899 90,091 79,773 97,579

② 노인복지시설 종사자 지원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처우개선 및 사기진작을 통해 시설 입소자에게 수
준 높은 서비스 제공한다.  전 시·군의 3,730명의 가계보조수당, 격려수당을
지원한다.

표 24. 노인복지시설 종사자 지원 연차별 투자계획 :백만원)


(단위
구분 계 년까지
2012 년
2013 년
2014 2015 이년 후
계 57,318 28,238 9,500 9,700 9,880
도비 28,660 14,120 4,750 4,850 4,940
시군비 28,658 14,118 4,750 4,850 4,940

③ 노인복지시설기능 보강사업
전 시·군의 65세 이상 노인 및 65세 미만의 노인성질환을 가진 자로
서 입소보호가 필요한 노인들을 위한 시설 기능 보강한다. 2014년에는
20개소(신축 3, 증개축 3, 개보수 6, 장비보강 8) 의 시설을 보강하였다.
 

- 44 -
표 25. 노인복지시설기능 보강사업 연차별 투자계획 :백만원)
(단위

구분 계 년까지
2012 2013 년 2014 년 2015 이년 후
계 64,516 43,312 8,740 6,232 6,232
국비 30,506 20,356 4,178 2,986 2,986
도비 17,203 12,128 2,089 1,493 1,493
시군비 15,903 10,828 2,089 1,493 1,493
기 타 904   384 260 260

④ 노인주거 및 의료복지시설 운영45)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및 의료급여수급자, 노인성 질환 등으로 일상생
활이 어려운 노인을 시설에 입소시켜 보호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는 본
사업은 시설입소를 통해 일상생활 서비스 제공으로 안락한 노후건강 보장
하고 학대받는 노인 조기발견과 상담, 보호와 노인학대 예방을 기대할 수
있다.
 2014년도 전 시·군의 235개소의 시설을 대상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시행에 따른 지자체 부담금(시설급여) 과 노인주거복지시설(양로) 운영비
및 노인의료복지시설 등급외자 지원 비용을 지원하였다.

표 26. 노인주거 및 의료복지시설 운영 연차별 투자계획 (단위 :백만원)


구분 계 2012 년까지 년
2013 년
2014 2015 이년 후
계 247,133 144,143 32,597 33,393 37,000
국비 142,270 79,074 20,116 21,540 21,540
도비 42,994 30,135 4,041 2,618 6,200
시군비 61,869 34,934 8,440 9,235 9,260

45) http://open.gsnd.net/multipleboard/BoardList.jsp?groupNo=11112의 경상남도의 2014년도


노인주거 및 의료복지시설 운영현황을 재정리함

- 45 -
(2) 노인복지시설의 현황
① 보건의료서비스 요구의 증대46)
노인인구의 증대와 농어촌 인구고령화에 따른 의료수요 증가 및 의료서
비스 요구가 증대하고 있으며, 특히 치매·중풍 등 노인성질환자와 당뇨․고
혈압 등 만성질환자의 증가로 인해 보건·의료 수요가 늘어나고, 이들에 대
한 전문적 요양, 치료, 재활 등 사회·경제적 부담 또한 증가할 것이 예상되
고 있다. 무엇보다도 대부분의 군 지역은 노인인구 비율이 30%를 넘을 것
으로 예상되며, 농어촌 인구감소로 인하여 민간 의료기관의 유치는 지금보
다 더 어려워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소득 및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의료·보건 서비스 욕구의 다
양화, 고급화를 경험한 고령자 들은 고령인구의 증가에 따른 노인전문병원,
특정질환 전문병원 다양한 의료서비스는 물론이고 이에 준하는 안정적인
요양생활을 보장받을 수 있는 요양시설의 요구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이
다. 이에 대한 대비가 시급하다 할 것이다.
② 노인복지시설 수
한국의 노인복지시설은 2013년 기준 노인주거복지시설 435시설, 노인의료
복지시설 4,585시설 노인여가복지설 64,983시설, 재가노인복지시설 2,832시
설 등이 운영 되고 있다. 노인주거복지시설은 시설 수 435개소, 정원 18,592
명, 노인의료복지시설은 시설 수 4,585개소, 정원 139,939명이다.
이 가운데 본 연구과 직접 연관되는 노인의료복지시설의 노인요양시설은
2,497시설로 입소정원은 121,774명이다. 2013년도 말 기준 전국노인
6,210,536명의 1.96%가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
나 노인병원을 제외한 요양시설은 전체 시설서비스의 87.0%를 차지하고 있
어서 그 역할을 중요하게 감당하고 있다. 또한 노인요양시설 1시설당 평균
입소정원의 규모는 48.77명으로 나타났다.

46) 경상남도 종합계획의 복지 및 생활환경부분 내용 참조 재정리함.

- 46 -
표 27. 한국의 노인복지 생활시설의 현황47) (2013년 기준)
시설 수 및 입소정원
시설별(1)  시설별(2)
 시설 수 (개소)  입소정원 (명)

  계 소계  72,860  174,592
소계  435  18,592
양로시설  285  12,782
 노인주거복지시설 
노인공동생활가정  125  1,049
노인복지주 택  25  4,761
소계  4,585  139,939
 노인의료복지시설 노인요양시설  2,497  121,774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2,088  18,165
소계  64,983  -
 노인복지관  319  -
 노인여가복지시설
 경로당  63,251  -
 노인교실  1,413  -
 소계  2,832  16,061
 방문요양서비스  1,042  -

 재가노인복지시설

 주 간보호서비스  848  14,996
 단기보호서비스  110  1,065
 방문목 서비스 욕  603  -
 재가지원서비스  229  -
 노인보호전문기관  소계  25  -

③ 노인복지시설 입소정원 및 입소인원


경상남도의 노인인구는 2014년도 기준 448,998명이고, 노인주거복지시설인
양로시설과 노인의료복지시설인 요양시설을 합하여도 입소정원은 10,377명으
로 경남지방 전체 노인인구의 2.3%를 입소시킬 수 있는 수준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8,316명이 입소하여 정원보다도 적은 수의 고령자가 입소하여 있음
을 알 수 있다. 이 가운데 요양시설은 9,180명 정원에 7,612명이 입소하여
47)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entId=A#SubCont의 데
이터를 참조하여 재정리함.

- 47 -
있어서 전체 고령자의 1.69%에 불과한 고령자가 노인요양시설서비스를 제공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노인요양시설 1시설당 평균 입소정원은 41.04명으
로 나타나 비교적 규모가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표 28. 경상남도 노인복지시설 현황48) 년


(2014 도 기준)

시설종류  시설수  입소 정원  입소 인원

 노인양로시설  18  1,194 704

 노인요양시설  234 9,180 7,612

 재가노인복지시설  204  4,570 6,908

 노인여가복지시설  7,321  0  0

 노인보호전문기관
학 예방센터
노인 대
 3 4 37

3. 소결
경상남도 지역에서는 고령화가 진전 되어 년
2014 에 이 미 고령자비율이
%를 넘어섰으며, 특히 군지역의 지자체는 그 경향이 더욱 심화되어
11.40
이미 초고령사회에 접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경상남도의 노인복지정책도 경제보장, 생활 돌봄, 건강보장
및 질병 예방 등 구체적인 분야에 걸쳐 시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으로는 한국 경상남도의 경우 전체 고령자의 1.69%가 의료복지시설에
입소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어서, 노인요양시설의 이용이 불가피한 고령
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기에는 시설이 부족한 실정이며, 정책적으로도
복지시설의 증·개축, 개보수, 장비보강 등에 집중되고 있는 것은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다.

48) 노인복지시설현황은 http://stat.gsnd.net/jsp/sub03/03_03.jsp 데이터를 참고함.

- 48 -
Ⅳ. 조사대상 노인요양시설의 평면구성 비교 고찰
1. 조사대상시설의 개요
1) 조사대상시설의 개요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한국과 중국의 노인요양시설 6개 시설을 사례
시설로 선정하였다. 선정기준은 인구의 고령화가 진전된 한국의 경남지역과
중국의 산동지역49) 소재 노인요양시설을 대상하였다. 특히 한국의 경우는
시설의 소규모화가 진행되어 중소규모의 사립 노인요양시설 4시설을 대상으
로 선정하였고, 중국의 사례로서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설립한 중형과 초대형
규모에 속하는 노인요양시설을 각 1시설씩 연구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2) 건축규모(건축면적, 연면적)
표 29. 조사대상시설의 건축규모
한국 중국
내용 시설
하동 산청 진주 합천 临沂
린이( )시 태안(泰安)시
적량 노인전문 대곡 노인전문 노인 종합 사회
요양시설 요양시설 실버센터 요양시설 서비스센터 복지센터

대지면적( ) 1,874 9,118 7,559 9,970 74,569 163,300
건축면적(㎡) 535 907 1,324 1,231 15,326 103,691
연면적(㎡) 874 2,616 2,653 2,505 55,462 109,617
주2,3동 제 외 지하, 옥탑제외 복지센터 제 외 개호노인요양부분 3∼8동 및
(요양동부분) 결
연 부분

연면적( ) 736 2,616 2,317 2,079 5,423 29,203
층수 2 3 3 3 6 45 ~
입소정원(명) 28 64 95 80 144 827
용적율( ) % 47 19 32 33 74 63
요양동부분
1bed당 31.21 40.87 27.93 25.99 37.66 35.31

연면적( )
주) 입소정원 은 평면도를 기준으로 함. 또한 본 표의 연면적은 영역별 면적의 합계임.

49) 중국 산동지역 행정구역은 부록 지도에 수록함.

- 49 -
조사대상시설 중 중국의 노인요양시설 은 한국의 시설보다 대지 규모와
건축 연면적이 상대적으로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대지이용
측면에서 한국 노인요양시설 용적율은 평균 32.8%이지만, 중국의 노인요
양시설은 평균 68.5%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노인요양시설은 층수별 2
∼3층 정도로 저층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사례의 중국 노인요양시설은 4
∼6층의 중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시설배치 및 평면 구성의 특성
1) 시설배치의 특성
(1) 하동 적량노인요양시설

그림 4. 하동 적량노인요양시설 배치도

- 50 -
「 ㄴ 형」이다.
하동 적량노인요양시설의 배치는 역 자 북측면에
시설의
주출입구가 위치하고 있으며 대지로의 진입로가 대지 북측에 있어서 접
근도 북측에 이루어지고 있다. 주변 환경에 대한 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서 오수 정화설비도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설비는 중국 공공시설에서는
흔하지 않은 것이다.
(2) 산청 노인전문요양시설
산청 노인전문요양시설은 대지주변 레벨차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건
축물은 충분히 일조를 받도록 건축물의 방향은 동남향으로 배치하였다.
대지 내에 운동시설과 공원을 배치하고, 출입구 도로변에는 인공연못
을 조성하여 요양생활에 변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무엇보다도
대지 내에 녹화를 많이 하여 각 시설 간 환경이 간섭되지 않도록 환경을
조성하였다.

그림 5. 산청 노인전문요양시설 배치도

- 51 -
(3) 진주 대곡 실버센터
진주 대곡 실버센터의 대지는 지 형은 길고 좁다란 형상을 취하고 있으
며, 대지 내의 레벨차도 큰 것을 알 수 있다. 대지 출입구 밖으로 보면
은폐된 편이다. 주 건축물 주변은 옹벽이 조성되어 있으며, 게다가 주변
은 임야로 둘러싸여 있다. 특히 주출입구는 진입도로 여건상 북측으로
주 정면이 설정되어 있다. 건축물 서측에 오수정화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그림 6. 진주 대곡 실버센터 배치도

(4) 합천 노인전문요양시설
본 시설은 주변은 대지의 레벨차이가 다소 있지만, 건축물이 위치한
부분은 상대적 평탄한 정도임을 알 수 있다. 시설들은 남쪽에서 북쪽까
지 순서에 따라 배열되어 있고, 증축되어 「ㄷ자형」으로 완성되었다. 대
지가 북측으로 경사져 있으며 북측에 위치한 진입도로의 관계로 인하여
건축물의 북쪽으로 주출입구를 설치하였다.

- 52 -
그림 7. 합천 노인전문요양시설 배치도

- 53 -
(5)린이시 노인종합서비스센터

그림 8. 중국 린이시 노인종합서비스센터 배치도

중국 린이시 노인종합서비스센터는 계획도로로 인하여 상하의 두 부분


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지형은 평탄하고, 대지의 동쪽에 도시주
간선이 연하여 있다. 기능은 주로 의료보건센터, 아파트식 노인양호센

- 54 -
터, 사회복지원을 포함한다. 대지 입구는 개방적으로 구성하였으며 동남
쪽에는 50미터의 넓은 녹화 지대도 조성되어 있다.
건축물들은 서비스 대상에 따라서 북측의 사회복지시설, 종업원 시설
및 남쪽의 노인복지시설을 구분하였다. 특히, 장애노인 요양구역은 의료
보건센터에 접근해 있다. 행정시설들이 입구위치에 독립적으로 설치되었
다. 장애노인요양 구역 주변 환경조건이 우수하고, 앞에 시야가 넓게 트
였다. 건축물들은 회랑, 정원 및 녹화 지대로 연결되고 전체적으로 배치
는 가지런하게 보이도록 하였다.

(6) 태안시 사회복지센터



태안시 사회복지센터는 주로 중간 정도의 장 노인을 위한 요양센터,
북측의 요양시설직원 훈련시설, 동측의 생활보급 구역과 남쪽의 공공
서비스 구역을 포함한다.
각 시설들은 회랑, 복도, 정원, 녹지, 인공연못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되
도록 구성하였다. 특히 행정 운영 시설들은 주출입구에 배치하였으며, 종
합서비스센터는 별도의 동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의료보건시설은 독
립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중증장애 노인요양구역에 인접 설치되어 있다.
센터내의 모든 건축물은 평면형태도 다양하고, 대지 내 조경면적도 충실
하게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55 -
그림 9. 중국 태안시 사회복지센터 배치도

- 56 -
2) 시설별 평면구성의 특징
(1) 하동 적량노인요양시설

그림 10. 하동 적량노인요양시설 1층 평면도

그림 11. 하동 적량노인요양시설 2층 평면도

- 57 -
하동 적량노인요양시설 은 1층에는 주로 공용시설 설치되어 있고, 입소
노인 침실은 전부 2층에 배치되어 있다. 1층에 입소노인들의 공동교류공간
으로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실은 출입구와 코어에서 가깝게 배치하고 있다.
2층에는 홀을 중심부분에 위치시키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 사용기능
을 변경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또한, 침실은 다른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
시키기 위하여 1인실, 2인실, 3인실, 4인실로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부분
적으로는 두 침실이 하나의 화장실을 공동으로 사용하도록 설정한 실들이
있어서 화장실 사용자의 상대방에 대한 프라이버시 확보가 과제라 할 것
이다.

(2) 산청 노인전문요양시설
본 시설은 1층에 사용 인원이 가장 많은 식당과 행정 시설을 설치하
였다. 세탁실과 공용화장실은 북측부분에 위치시켰다. 물리치료실과 기타
행정 시설은 서로 분리하고 있으며, 이용자들의 유동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발전기 실 맞은편에 배치된 침실의 경우도 있어
서 설비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침실안의 사람에게 영향을 줄 수도 있다.
각 층의 평면 중앙부에 위치한 휴게실과 일광욕실은 하나의 큰 공간
으로 이어져 있어 다양한 기능으로의 전환에 따른 사용요구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공용공간인 식당이 1층의 회의실과 사무실 안측에 위
치하여 입소고령자들이 자율적으로 이용하기에는 사고 불편함이 초래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침실에는 개인적인 생활전개 등이 가능한 독립발코니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 모든 침실과 화장실의 문은 모두 안쪽으로 열게
되어 있어서, 노인들의 특수한 신체 상황 때문에 일단 혼절하는 사고가
발생하며 노인의 몸이 문에 받혀 외부인이 안으로 들어가 구조할 수 없
게 될 위험이 크다.

- 58 -
그림 12. 산청 노인전문요양시설 1층 평면도

그림 13. 산청 노인전문요양시설 2층 평면도

그림 14. 산청 노인전문요양시설 3층 평면도

- 59 -
(3) 진주 대곡 실버센터

그림 15. 진주 대곡 실버센터 1층 평면도

그림 16. 진주 대곡 실버센터 2층 평면도


이 시설의 1 에는 중간에식당을 위치시키고 있지만 홀로부터 사무실을
지나가야 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우측의 침실 3실과 맞은편에 물리치료실과
욕실을 배치시켜 전체적으로는 1층 부분의 공용성을 강화시키고 있다. 좌측

- 60 -
증축부분 은 주로 거실을 설치하였으며, 주요 기능실들이 우측 기존부분에 설
치되어 있다. 2층 부분은 침실구성이 주를 이루는 요양공간으로 4인실 침실
을 중복도를 매개로하여 남북으로 배치하고 있다. 특히, 좌측 증축부분 1층
에는 공용화장실을 설치하고 있지만 의무실은 침실의 근접에 설치되어, 입소
고령자의 신체적 상황을 고려한 것 같다.
그러나, 2층 좌측부에 설치된 휴게실 및 옥상 휴게 공간은 인접한 침실의
요양노인들이 이용하기 편리하나 다른 부분 요양노인들이 접근, 이용하기는
불편한 구조이다. 또한, 모든 거실의 정원 인수는 모두 4명이며, 중축부분에
는 입주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1인실, 2인실, 3인실, 4인실로 다양하
게 구성하고 있다.
(4) 합천 노인전문요양시설
본 시설은 증축을 통하여 현재의 평면 형태를 갖게 되었으며, 전체 평
면 유형이 「ㄷ자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복도가 매우 큰 부분의 공
간을 차지하고 있다. 신축 부분의 침실과 기존 건물의 침실은 다소 다른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 결과 입주하는 노인들이 더욱 융통성 있게 거주
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1층에는 독립된 휴게 및 프로그램실을 배치하여 교류의
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무실과 상담실은 침실군으로부터 일
정거리를 두어 배치하고 있다. 1층과 2층의 공용화장실은 서로 다른 위
치에 있다. 의무실은 2충에 있고, 1층에는 너스스테이션만 있다. 다만 2
층 남측단부에는 1층위의 테라스부분이 이용 가능한 옥외공간으로 조성
되어 다양한 요양생활의 부속공간으로 기능하고 있다.
본 시설의 가장 특징적인 사항은 주출입구 현관이 북측으로 면하고 있
으며, 외부와의 경계에는 지역간선도로가 고가로 형태로 경관을 차단하
고 있어서 다소 폐쇄적인 외부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
다.

- 61 -
그림 17. 합천 노인전문요양시설 1층 평면도

그림 18. 합천 노인전문요양시설 2층 평면도

- 62 -
(5) 린이시 노인종합서비스센터 요양시설
본 시설은 모든 침실이 복도를 중심으로 남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모든
공공시설과 서비스 시설들은 전부 북측에 위치시켰으며, 1층 주현관 부
분은 방풍실을 설치하지 않고 있다. 엘리베이터는 큰 것과 작은 것 각각
한대씩 설치하였다. 서비스 시설은 북쪽 중간에 집중되어 있으며, 너스스
테이션이 중간에 위치하고 있어서 모든 침실을 관찰하고 서비스를 제공
하는데 편리한 조건이다. 공공 교류 공간은 21.8㎡ 크기의 공공활동실이
한 개 있다. 침실마다 독립된 발코니가 설치되어 있어서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면서 개인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입소노인들이
더 많은 교류 및 오락 활동을 할수 있도록 하고, 노인들로 하여금 가정
적인 분위기를 더 많이 느낄 수 있도록 하려면 단조로운 생활 내용과 단
일화 생활 범위에 변화를 부여하여야 할 것이다.
요양동부분의 침실은 3인실로 구성되어 있지만, 2인 영역과 1인 영역
으로 구분되어 있다. 모든 침실은 주방과 거실이 배치되어 있다. 침실
내에 3개 침대의 편안함 정도는 그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르다. 독립된 1
인 영역의 침대공간은 2인 영역의 침대보다 훨씬 더 편안할 것이다.

그림 19. 중국 린이시 노인종합서비스센터 요양시설 부분 (2∼6)층 평면도

- 63 -
(6) 태안시 사회복지센터 노인요양시설 부분

그림 20. 중국 태안시 사회복지센터 3·4동(일반장애노인) 1층 평면도

- 64 -
그림 21. 중국 태안시 사회복지센터 5·6동(중증장애노인) 1층 평면도

- 65 -
그림 22. 중국 태안시 사회복지센터 7·8동(중증장애노인) 1층 평면도

- 66 -
표 30. 태안시 사회복지센터 노인요양시설 부분 기능실 설명
A 너스 스테이션 G 오물 세탁 M 오물 엘리베이터

B 간병인 당직 H 빨래 건조 N 배전실

C 방문자용실 I 목욕 도움 O 간전/약전

D day room•음식 준비 J 당직 의사 P 약품 창고

E D.A. K 치료실 Q 공용화장실․우물

F 세탁 L 교류실 R 창고

우 초대형 노인요양시설로서 전체 여섯 동의 건물로 구성


본 시설의 경 는
되어있다. 특히 모두 회랑식 건물이고 그 기능 배치는 기본적으로는 신체적
조건에 따라 구분하고 있으나 평면의 형태는 유사하다. 노인들의 장애 정도
가 다르기 때문에 센터 내 건물별 평면도도 조금씩 다름을 알 수 있다.
각 건물의 북쪽은 교통시설과 서비스 시설이다. 대지 규모가 아주 크기 때
문에 각 건물의 층마다 모두 약품 창고를 배치하였다. 그 중에는 친척 거실
과 세탁 및 빨래 건조 공간도 포함된다. 노인들의 몸이 불편하기 때문에 모
든 건물 북쪽에는 개호욕실을 설치하였다. 간호사실은 모두 복도 중간에 설
치하여 모든 침실을 관찰하기 유리하도록 하였으며, 동시에 그 옆에 의사 당
직실과 치료실을 설치하여 노인들 일상생활 중 흔히 나타나는 질병을 처리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중간부분의 개방식 공간은 각 해당 층의 입소노인
들이 기본 식사와 단체 활동을 하는데 쓰이다. 모든 침실에 발코니는 설치되
어 있지만, 건물 입면의 미관성을 고려하여 부분적으로 조정되어 있다.
5동과 6동 시설은 주로 중증장애를 가진 노인들이 입소하여 있기 때문에
매 2∼3개 침실 입구 사이에 간병인이 당직을 설치할 수 있도록 공간을 배
치하고 있으며, 또 오물 운송 전용 엘리베이터도 설치하였다.
7동과 8동 시설은 서비스 대상도 중증장애 노인들이지만 입구에 간병인
당직을 서는 곳을 설치하지 않고, 인접되어 있는 두개 침실을 연결해주는 거
실을 설치하였다. 보통정도의 장애를 가진 노인들은 고독과 실의 등 소극적
인 감정을 더 쉽게 느끼는 동시에 노인들의 신체 상황의 특수성 때문에 활

- 67 -
동 범위가 극히 제한되므로 이렇게 하면 인접된 두개 침실을 하나의 작은
생활권으로 만들어 줌으로써 노인들의 요양생활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각 건물은 1층 출입구의 주현관 부분에 방풍실
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특징을 보이고 있다.

3) 공간영역별 구성의 특성
노인요양시설 생활영역(사적, 준 공공영역, 공공영역)별 공간구성의 특징 은
살펴보면, 린이시 종합노인센터에서 사적 영역의 면적비율이 공공영역보다
7.1배나 된다. 태안시 사회복지센터 노인요양시설 부분에서는 사적영역이
44.78%로 공공영역보다 3.4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태안시 노인요양시설은 다
양한 상황의 장애 노인을 위한 시설이지만, 준 공공영역이 41.9% 에 달한다.
하동 적량노인요양시설에서 공공영역은 사적영역보다 25.33%나 높다. 또한,
산청 노인전문요양시설은 23.57%, 진주 대곡 실버센터는 24.04%, 합천 노인
전문요양시설은 19.89%나 각각 사적영역보다 공공영역의 면적비율이 높다.

.
표 31 노인요양시설 생활영역의 구분

를 심
침대 중 으로 한 침대에 위와 침대 를 벗어난 침실 내 영역을
사적영역 라 다
사적영역이 고 한 .
(침실 내의 부속화장실, 부속 발코니
도 여기에 포함된다)

입소노인 개개인의 침실에 속하는 소규모 생활 클러


스터가 전용
성있게 사용하는 생활영역을 준공공영역이 고 한 . 라 다
준 공공영역 -24시간 개방적으로 개개인이 접근
, 이용 가능한 부분-A
직 탭 나
- 원(스 )이 상주하거 부분적으로 개방시 접근
, 이용 가능
한 부분- B


복수의 준공공영역으로 구성 는 시설 전체의 공동 이용영역을
공공영역
라 다
공공영역이 고 한 .

- 68 -
그림 23. 조사대상시설별 각 공간영역별 구성비(단위:%)

4) 기능공간별 구성의 특성
한국과 중국 노인요양시설에서 사적영역에 속하는 실 종류는 제한 고 되
있다. 중국의 시설에는 사적영역에 발코니는 포함된다. 한국의 시설에는
노인 침실에는 일반적으로 침실별로 전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발코니
는 없고, 여러 기능실들은 공공영역에 주로 배치되어 잇다.
린이시 종합노인서비스센터 내에는 여러 종류의 시설이 있는데, 건축
의 기능은 비교적 단순하다. 태안시 사회복지센터 노인요양시설 부분에
는 준 공공영역(B)에 10개의 기능실이 있다. 대부분 중증장애 노인을 위
한 시설이라서 준 공공영역(B)에 속하는 종류의 시설공간이 많이 배치되
어 있다.

- 69 -
그림 24. 조사시설의 각 영역별 실종류 수 대비

(1) 하동 적량노인요양시설
본 시설에서는 사적영역에 침실 은 9실이 설치되어 있으며, 개인 화장실은
오직 6실이고 발코니가 없다. 평균 1bed당 7.10㎡이며, 침실 기준 6.6㎡를 겨
우 만족하는 수준이다. 모든 침실에 화장실이 부속되어 있지 않아 침실 이용
의 편의정도가 다를 것으로 여측된다.
모든 침실은 전부 2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준 공공영역(A)에는 하나의 홀
이 있다. 또한 침실 앞의 복도가 준 공공영역(A)이 된다. 준 공공영역(B)에
는 주로 간호사실, 요양 보호실, 배전실 및 린넨실이 포함되며, 면적은 총면
적의 5.13%에 달한다.
공공영역 중에는 사용의 용도에 따라 의료보건, 생활돌봄, 행정운영, 공공
교류, 공공교통 등 이하 부분으로 구분된다. 의료보건 17.55㎡(물리치료실)
생활돌봄 38.76㎡(공용화장실, 욕실, 세탁실) 행정운영 151.74㎡(원장실, 사무
실, 전실, 생활관) 공공교류 75.24㎡(프로그램실, 홀) 공공교통 122.19㎡(방풍
실, 복도, E.V, 계단)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70 -
표 32. 하동 적량노인요양시설 기능별 공간 구성
시설영역 실명 실수 ㎡
면적( ) 영역 내 비율 영역 비율
/
침실 거실 9 175.54 %
88.46
사적영역 화장실 6 22.9 %
11.54 26.94 %
합계 198.44 %
100.00
복도 59.76 %
63.00
준공공영
홀 1 35.1 %
37.00 12.88 %
역(A) 합계 94.86 %
100.00
창고 1 3.5 %
9.25
AV/PD 2 4.62 %
12.22
준공공영 간호사실 1 13.5 %
35.70
%
B
역( ) 넨
린 실 1 6.75 %
17.85
5.13
요양보호실 1 9.45 %
24.99
합계 37.82 %
100.00
공용화장실 1 20.4 %
5.03
생활관 2 94.5 %
23.31
물리 치료실 1 17.55 %
4.33
원장실 1 21.6 %
5.33

사 실 1 32.4 %
7.99
프 램
로그 실 1 37.8 %
9.32

방 실 1 7.92 %
1.95
공공
홀 1 37.44 %
9.24 55.04 %
영역 전실 1 3.24 %
0.80
세탁 1 4.86 %
1.20
욕실 1 13.5 %
3.33
계단 2 32.67 %
8.06
E.V. 2 14.4 %
3.55
복도   67.12 %
16.56
합계 405.4 %
100.00
합계 736.52 100.00 %
공공영역 중 의료 보건 부분 은 물리치료실 1실만 있음을 알 수 있다. 행정
운영실 부분에는 원장실이 있으며, 면적은 21.6%에 달한다. 생활 돌봄 부분
에는 식당이 없고, 공공영역은 전체면적의 9.53%에 달한다. 공공교류 및 오
락공간은 16.57%이며 평균 1bed당 2.69㎡이다. 공공 교통 부분은 30.1%이며,
총 면적의 16.6%에 달한다.
본 시설은 평면구성이 비교적 간단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공공 교
류 공간은 이용자들의 요구를 충분히 고려하여 문화 오락 등 여러 가지 단
체 활동을 진행하기 편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 71 -
(2) 산청 노인전문요양시설
이 시설 사적영역의 침실부분에는 발코니를 설치하지 않았으며 방마다 4
명이 거주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으며, 1bed당 평균 9.31㎡의 면적으로 구성
되어 있다.
준 공공영역(A)에 휴게실, 홀 및 일광욕실 배치되어 있으며, 그 면적은
217.3㎡이고 공공교류의 역할도 갖춰 평균 1bed당 3.40㎡이다. 준 공공영역
(B) 중 관리실이 각 층에 설치되어 있다.
공공영역 중 용도에 따라 의료보건, 생활돌봄, 행정운영, 오락여가, 공공교
통 아래와 같이 5개 부분으로 나눈다. 의료보건 41.58 ㎡(물리치료실) 생활돌
봄 287.83㎡(식당, 주방, 영양사실, 영양사화장실, 욕실, 침대 욕실, 세탁실,
탈의실) 행정운영 225.02㎡(창고, 상담실, 면회실, 사무실, 회의실, 발전기실,
기계실) 공공교류 433.81㎡(식당, 휴게‧홀, 유희실) 공공교통 400.96㎡ (방풍
실, 코어, 계단, 복도)로 구성된 것을 파악하였다.
의료보건 시설은 물리치료실만 포함한다. 생활돌봄의 면적은 287.83㎡이고
총면적의 11%를 차지하고 있다. 공공교류의 부분은 유희실을 포함하지만 전
체의 입소고령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 부분의 면적은
1bed당 4.01㎡에 달한다. 교통공간의 면적은 400.96㎡이고 총면적의 15.3%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준 공공영역(A) 및 공공영역에 공공교류 부분에 해당하는 공간은 1bed당
면적이 10.18㎡에 달한다. 건축물 내에서 입소노인들은 자유스럽게 생활할
수 있도록 배치하고 있으며, 노인들의 기본적인 요구를 만족할 뿐만 아니라
서로 더 긴밀한 관계를 맺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3) 진주 대곡 실버센터
본 시설의 사적영역의 침실(부속 화장실 포함)의 면적은 전체 783.50㎡에
달하며 1bed당 8.25㎡이고, 6.6㎡인 기준을 적용하면 95명을 수용할 수 있다.
그러나 화장실 면적을 제외하면, 순수한 침실 면적은 1bed당 7.38㎡에 달한

- 72 -
다.
표 33. 산청 노인전문요양시설 기능별 공간 구성
영역 실명 실수 ㎡
면적( ) 영역 내 비율 영역 비율
/
침실 거실 16 596.16 %
89.61
사적영역 화장실 16 69.12 %
10.39 25.43 %
합계 665.28 %
100.00
일광욕 실 1 47.25 %
8.52
공용화장 3 73.71 %
13.29
준 휴게 2 17.8 %
3.21
공공영역 휴게·홀 2 152.28 %
27.45 21.20 %
(A) 발코 2 106.51 %
19.20
복도   157.19 %
28.34
합계 554.74 %
100.00
린 실 넨 1 20.79 %
18.20

관 실 리 2 59.4 %
52.01
%
공공영역
B 간호사 2 34.02 %
29.79
4.37
( )
합계 114.21 %
100.00
코어 3 124.74 %
9.73
계단 3 49.56 %
3.87
복도   183.48 %
14.31

방 실 3 43.18 %
3.37
식 당 1 107.14 %
8.36
창고 4 62.48 %
4.87
주방 1 62.37 %
4.86
영양사실 1 7.59 %
0.59
영양사화장실 1 6.6 %
0.51
상 실담 20.79 %
1.62
면회실 1 17.01 %
1.33
공공
발 전기실 1 28.35 %
2.21 49.00 %
영역
기계실 1 34.02 %
2.65

세 실 1 20.79 %
1.62
회의실 1 20.79 %
1.62

사 실 1 41.58 %
3.24
물리 치료실 1 41.58 %
3.24
휴게 /홀
실 1 69.75 %
5.44

침대 실 1 20.79 %
1.62
유희 실 1 256.92 %
20.04
탈 의실 1 20.97 %
1.64
욕 실 1 41.58 %
3.24
합계 1,282.06 %
100.00
합계 2,616.29 100.00 %

- 73 -
표 34. 진주 대곡 실버센터 기능별 공간 구성

시설영역 실명 실수 ㎡
면적( ) 영역 내 비율 영역 비율
거실‧침실 24 700.58 89.42%
사적영역 화장실 24 82.92 10.58% 33.82 %
합계 783.5 100.00%
발코니 2 55.59 37.12%
62.88% %
준공공영역
공용화장실 3 94.16 6.46
(A)
합계 149.75 100.00%
간호사실 1 17.11 39.87%

의 실 1 20.4 47.54%
준공공영역
B %
1.85
( ) 너스스테이션 1 5.4 12.58%
합계 42.91 100.00%

사 실 1 35.34 2.64%
특별실 1 27.28 2.04%
경비실 1 6.96 0.52%
물리
치료실 1 42.8 3.19%
생활지도원실 1 21.46 1.60%

의실 2 42.75 3.19%

실 2 47.31 3.53%
찜질
방 1 9.28 0.69%

용실 1 8.96 0.67%

당 1 79.1 5.90%
주방 1 84.36 6.29%
공공영역
욕탕 1 18.24 1.36%
57.86 %
다용도실 1 14.58 1.09%
지원봉사자실 1 21.46 1.60%
홀 2 108.22 8.07%
휴게실 2 90.18 6.73%
오락실 일광욕실 1 101.46 7.57%
휴게 및 프로그램실 1 110.88 8.27%
코어 4 139.36 10.40%
방풍실 2 28.26 2.11%
복도   301.99 22.53%
합계 1,340.23 100.00%
합계 2,316.39 100 %

- 74 -
준 공공영역은 시설 전체 면적의 8.3%에 불과하며, 이 가운데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는 것은 공용화장실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영역의
용도에 따라 의료보건 42.8㎡(물리치료실) 생활돌봄 332.92㎡(생활지도
원실, 탈의실, 욕실, 찜질방, 미용실, 주방, 욕탕, 지원봉사지실, 식당.) 행
정운영 84.16㎡(사무실, 다용도실, 특별실, 경비실) 공공교류 489.84㎡
(식당, 휴게실, 홀, 휴게·프로그램실, 오락·일광욕실) 공공교통 469.61㎡
(방풍실, 코어, 복도)로 각각 나타났다.
의료보건 및 생활돌봄 부분은 16.2%에 달하며, 그중 식당도 일정한 공공
교류 기능이 있으며 공공교류공간에도 포함된다. 공공교통 부분은 공공영역
의 35.0%에 달하며, 총면적의 20.3%에 달한다. 또한, 공공 교류공간은 평균
1bed당 5.16㎡로 나타났다.

(4) 합천 노인전문요양시설
본 시설의 사적영역에는 침실 및 개인 화장실 만 설치되어 있다. 전체적으
로 증축 및 기존 두개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증축 부분에는 10개 침실이 있
으며 각 실마다 4명을 수용할 수 있다. 기존 부분에도 침실 10개가 있으며,
평균 각 침실마다 4명이 요양 생활할 수 있다. 평균 1bed당 면적은 9.07㎡에
달한다. 부속화장실 면적을 제외하더라도 1bed당 8.15㎡에 달한다. 또한 침
실은 전부 발코니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침실내 생활이 단순해지기 쉽다.
준 공공영역(A)중에는 복도, 휴게‧프로그램실 및 공용화장실이 포함되며,
면적은 214.41㎡이다. 건축물 전체가 「ㄷ자형」으로 많은 면적을 차지하는
복도는 공공영역으로 구분 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실·홀의 면적은 교통 시설
과 멀리 있고 생활 구역과 인접 하고 있으며, 단일 활동실의 면적은 100명
정도가 동시에 사용하기는 어려운 여건이다.
이 시설의 가장 큰 특징은 준 공공영역(B)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지 않다. 1
층과 지하층에 설치된 다양한 공간은 1층의 입소노인만을 위한 시설이 아니
라 시설 전체 입소노인의 요양생활에 이용되는 공공영역으로 전체 면적의

- 75 -
%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4.79

표 35. 합천 노인전문요양시설 시설 기능별 공간영역 구성


시설영역 실명 실수 면적( )㎡ 영역 내 비율 영역 비율
/
침실 거실 20 651.96 %
89.83
사적영역 화장실 20 73.8 %
10.17 34.90%
합계 725.76 %
100.00
복도   56.32 %
26.27
준 공용화장실 2 37.31 %
17.40
%
공공영역(A) 휴게 프 램
‧ 로그 실 2 120.78 %
56.33
10.31
합계 214.41 %
100.00
복도   247.7 %
21.74
코어 3 154.44 %
13.56
계단(입구) 2 49.17 %
4.32
방붕실 3 20.24 %
1.78
탈의실 2 44.75 %
3.93
입구 2 48.35 %
4.24
예비실 1 20.79 %
1.82
사무실 1 34.65 %
3.04
지원봉사자실 1 19.47 %
1.71
프로그램실 1 19.47 %
1.71
생활지도원실 1 20.06 %
1.76
상담실 1 14.16 %
1.24
샤워실 1 20.65 %
1.81
의무실 1 17.7 %
1.55
공공영역 체력단련실 1 32.13 %
2.82 54.79%
세탁실 1 20.79 %
1.82
목욕탕 1 35.91 %
3.15
물리치료실 1 41.58 %
3.65
공용화장실 1 20.79 %
1.82
식당 1 83.16 %
7.30
창고 1 15.18 %
1.33
발전기실 1 26.4 %
2.32
전기실 1 20.79 %
1.82
기계실 1 41.58 %
3.65
부식냉동 1 9.36 %
0.82
영양사실 1 5.76 %
0.51

조 장 1 47.25 %
4.15
영양사샤워 실 1 6.93 %
0.61
합계 1,139.21 %
100.00
합계 2,079.38 100.00 %

- 76 -
공공 영역에 구성 되어 있는 공간은 시설 용도에 따라 의료보건 59.28㎡(물
리치료실, 의무실), 생활돌봄 346.95㎡(탈의실, 지원봉사자실, 샤워실, 체력단
련실, 세탁실, 목욕실, 공용화장실, 부식냉동, 영양사실, 조리장, 영양사샤워
실), 행정운영 193.61㎡(예비실, 사무실, 생활지도원실, 상담실, 창고, 발전기
실, 전기실, 기계실), 공공교류 102.63㎡(식당, 프로그램실), 공공교통 519.9㎡
(방풍실, 코어, 계단, 입구, 복도)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공영역을 구성하고 있는 의료 보건 부분에는 물리치료실과 의무실, 생활
돌봄 부분에는 지원봉사자실 등 13 개의 기능실이 포함되어 있다. 공공 교류
부분은 102.63㎡이며, 공공 교통 부분은 519.9㎡에 달하며, 총 면적의 25%에
해당한다.
본 시설은 노인의 기본적인 일상생활 및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
인요양 시설이다. 전체적으로 건축은 공용 식당 외에 전체 입소노인을 수용
할 수 있는 공간이 없다.

(5) 린이시 노인종합서비스센터 노인요양시설


본 시설의 사적영역 중 침실의 면적은 1bed당 17.52㎡이고, 발코니의 면적
을 합치하면 19.68㎡나 되어 조사대상시설 중 침실부분의 1bed당 면적인 가
장 넓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준 공공영역(A)은 용도에 따라 생활돌봄 220.32㎡(공용화장실, 탕비실, 오
물저장), 공공교류 126.48㎡(Day room‧휴게실), 공공교통 1227.36㎡(복도)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각 층에 Day room 1실이 설치되어
있으며, 면적 규모는 21.08㎡이고 1bed당 0.88㎡이다. 복도는 총면적의 22.6%
를 차지하고 있다. 노인들의 건강상태를 고려하여 각 층에 오물 저장실과 탕
비실을 설치하고 있다. 준 공공영역(B)에 설치된 간호사실은 유일한 의료서
비스공간이다
공공영역에는 공공교통의 부분을 포함하며, 총면적의 8.3%를 차지하고 있
다. 전체적으로 사적영역은 다소 여유 있는 면적규모를 가짐으로써 실내에

- 77 -
표 36. 중국 린이시 노인종합서비스센터 노인요양시설 부분 기능별 공간 구성

시설영역 실명 실수 총면적(㎡) 영역 내 비율 영역 비율

침실 거실/ 48 2522.88 79.35%


화장실 48 345.6 10.87%
사적 영역
발코니 48 311.04 9.78%
58.63 %
합계 3179.52 100.00%
공용화장실 6 73.44 4.67%
탕 비실 6 73.44 4.67%
준 공공
D R
ay oom 6 126.48 8.03%
%
영역
(A)
오물 6 73.44 4.67%
29.03

복도 1227.36 77.97%
합계 1574.16 100.00%
설비실 6 73.44 33.33%
준 공공 넨
린 실 6 73.44 33.33%
%
B
영역 ( ) 너 테 션
스스 이 6 73.44 33.33%
4.06

합계 220.32 100.00%
계단실 12 269.28 59.94%
V
E. . 12 118.32 26.34%
%
공공 영역
출 입구 2 61.68 13.73%
8.28

합계 449.28 100.00%
합계 5,423.28 100.00 %
더 많은 가구 및 개인물품을 놓아 둘 수 있다. 준 공공영역과 공공영역의 면
적 비율은 전체의 41.4%를 차지하지만, 이 가운데 복도부분의 면적비율이
22.6%%나 되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공
간구성의 영향으로 개인별 거주의 기능은 강조되고 공용서비스의 기능은 비
교적 약화될 수 있을 것이다.

(6) 태안(泰安)시 사회복지센터 노인요양시설


본 시설의 사적영역 침실의 1bed당 면적은 11.94㎡이고 발코니의 면적을
고려하면 13.92㎡나 된다. 또한 침실 면적은 총면적의 34.56%를 차지한다.

- 78 -
표 37. 중국 태안시 사회복지센터 노인요양시설 부분 기능별 공간 구성

시설영역 실명 실수 면적( ) ㎡ 영역 내 비율 영역 비율
/
침실 거실 369 9,871.73 %
77.18
화장실 264 1,281.6 %
10.02
%
개인 영역
발코니 223 1,636.65 %
12.80
44.78
합계 12,789.98 %
100.00
Day Room/음식준비 26 1,752.3 %
20.99
준 빨래,오물,건조 26 607.68 %
7.28
공용화장실 26 395.46 %
4.74
%
공공영역
복도 0 5,518.82 %
66.10
29.23
(A) 교류실 8 74.88 %
0.90
합계 8,349.14 %
100.00
너스스 이 테 션 26 395.46 %
10.92
병 직
간 인당 40 270.72 %
7.48
방문자용실 28 691.08 %
19.08
목 도욕 움 26 790.92 %
21.84
준 직
당 의사실 26 278.98 %
7.70
공공영역 치료실 26 278.98 %
7.70 %
12.68
B
( ) 배전실 17 81.6 %
2.25
간전 전 /약 26 180.5 %
4.98
약품 창고 45 562.37 %
15.53
창고 3 91.05 %
2.51
합계 3,621.66 %
100.00
V
E. .1 26 179.4 %
4.72
V
E. .2 10 45.6 %
1.20
복도 595.77 %
15.67
공공 영역 오물처리 V 용 E. . 16 51.68 %
1.36 %
13.31
계단실 52 1,581.84 %
41.61
결통
연 로 26 1,347.69 %
35.45
합계 3,801.98 %
100.00
합계 28,562.76 100.00 %
준 공공영역(A) 은 용도에 따라 생활돌봄 1,003.14㎡(공용화장실, 빨래, 오
물, 빨래건조) 공공교류 1,827.18㎡(Day room/음식 준비, 교류실) 공공교통
5518.82㎡(복도)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공공교통은 아주 큰 부분을 차지한다. 복도의 너비는 2.9m이
고, 모든 시설 중 가장 넓은 시설이다. 긴급한 상황 발생 시 침대가 교행가
능 하다. 공공교류 부분의 1bed당 면적은 2.21㎡이다. 준 공공영역(B)에는 용
도에 따라 의료보건 1,224.14㎡(너스 스테이션, 간병인 당직, 당직의사실, 치

- 79 -
료실), 생활 돌봄 1,444.34㎡(친척 거실, 목욕 도움, 약품 창고), 행정운영 262.1
㎡(간전/약전 ,창고)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의료서비스 공간의 면적은 4.29%에 달한다. 건축의 면적이 아주 크
기 때문에 일정한 수의 약품창고가 설치되어 있으며, 1bed당 평균 1.04㎡이
다.
방문자용실은 다소 특별한 공간이며, 방문자에게 전문적으로 거주를 제공
하는 부분이다. 입소노인의 친척들이 올 때 거주할 수 있고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다. 공공영역에는 공공교통 부분만 포함하며, 총면적
에서 13.3%를 차지한다. 이 요양시설은 전문적으로 장애노인에게 주거 및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시설이며, 그리고 건축규모가 아주 크다. 준 공
공영역 및 공공영역은 전체 55.2%를 차지한다. 또한, 공공영역에 인접요양동
과 연결시켜 설치하고 있는 연결회랑은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며, 단조롭게
되기 쉬운 요양생활에 변화는 도모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5) 조사대상 시설 내의 사적공간과 공공교류공간 비교
표 38. 조사대상 시설별 침실(거실)의 1bed당 바닥면적
1bed당면적
시설 구분
1bed당
㎡ ( 발코니포함) 침실 정원 수
면적( )

( )
하동 적량노인요양시설 6.27   1인실,2인실,3인실,4인실

한 산청 노인전문요양원시설 9.32   4인실

국 진주 대곡 실버센터 7.37   1인실,2인실,3인실,4인실

합천 노인전문요양시설 7.24   4인실


린이(临沂)시 노인종합서비스센터 17.52 19.68 3인실

국 태안(泰安)시 사회복지센터 11.94 13.92 2인실,3인실

주) 각 시설별 부속화장실 면적 제외

- 80 -
한국의 노인요양시설 은 중국의 요양시설보다 사적영역의 1bed당 면적 규
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1bed당 면적이 6~10㎡사이로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의 노인요양시설은 1bed당 면적은 10㎡ 이상 설치되어
있어서, 한국의 노인요양시설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린이시의 노인
요양시설은 1bed당 면적이 17.5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39. 시설별 공공교류공간의 1bed당 바닥면적 비교


24시간
1bed당 사용가능한 공간의 영역
시설 구분

면적( ) 연면적에 대한
실 종류
분류
비율( ) %
하동 생활관,
적량 노인요양시설 2.69 10.22 프 램 홀
로그 실,
산청 식 휴게 홀
당, 실‧ ,
한 노인전문요양시설 6.78 16.58 유희 실
식 홀 휴게 오락
당, , 실, ‧
공공
국 진주
5.16 21.15 일광욕 휴게 프
실, ‧ 로그
영역
대곡실버센터 램실
합천
노인전문요양시설 1.14 494 식당, 프로그램실
临沂
린이( )시 노인
0.88 2.33 Day room 준
중 종합 서비스센터 공공
영역
국 태안(泰安)시
사회복지 센터 2.21 6.40 Day room, 교류실 (A)
주) 공공교류공간이라 함은 프로그램실, 식당, 휴게실 등 비교적 자유롭게 접근 ‧이용
이 가능한 공공영역의 실을 나타냄.

한국과 중국의 노인요양시설 중에 24시간 사용가능한 공공교류 를 제공하


는 공간 1bed당 면적을 알 수 있었다. 한국 노인요양시설 중에서 하동, 산
청, 진주의 노인요양시설은 1bed당 면적이 5㎡ 이상이다. 또한, 연면적에 대
한 비율은 16%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동, 합천 노인요양시설의 경우는
각각 2.69㎡, 1.14㎡로 나타났다.
한편, 중국 노인요양시설은 공공교류를 제공하는 공적공간이 2.5㎡ 미만으
로 나타나 매우 작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81 -
그림 25. 조사대상시설의 사적공간과 공공교류공간의 1bed당 면적 비교(㎡/bed)

3. 소결

본 장에서는 한국과 중국 노인요양시설 사 에 대한 배치, 평면 및 시설별
공간영역에 대한 실태 를 분석하여, 그 한국과 중국 노인요양시설의 구성 특
징을 파악하였다.
중국과 한국의 노인요양시설 규모와 배치는 차이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
났으며, 중국 요양시설들은 종합시설이어서, 서비스내용별 계획 인구수가 너
무 많고, 사용 기능에 따라서 노인 생활 구역, 오락휴게구역, 행정서비스구
역, 의료보건구역을 독립적으로 설치하였다. 노인의 신체상황에 따라 다르게
계획을 하여 행정운영, 생활서비스, 의료시설의 운영을 효율적으로 집중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의료 인력자원의 투입을 절약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국의 노인요양시설의 1bed당 연면적은 평균 32.82㎡(27.93㎡〜40.87㎡)인

- 82 -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의 노인요양시설은 1bed당 연면적 평균이 36.49㎡
(35.31㎡〜37.66㎡)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노인요양시설에 비하여, 공립
시설인 중국의 시설이 3.69㎡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노인 요양시설은 건물 내에 노인들의 요양생활에 기본적으로 필요
한 모든 시설이 포함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사적영역과 공공영역으로 구분되
어 있으며, 건축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아서 공공영역과 사적영역을 더욱 긴
밀하게 연결시키고 있다.
다만, 중국의 노인요양시설은 사적영역에 거주공간을 만족시키는 한편 공
동소통에 사용되는 공공영역과 준 공공영역의 스페이스가 충분하지 않다. 따
라서 과도 하게 폐쇄된 공간에서 생활은 노인들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한국의 노인요양시설은 동일 건축 내에서 노인요양에 필요한 시설인프라
는 골고루 갖추어 져 있다. 기본적인 개인 영역외의 기타 시설은 실제수요에
따라 시설에 전체 영역 내에서 절적하게 분산하여 배치되어 있다.
한국의 노인 요양시설은 지형의 구속을 많이 받으며 대다수가 기능이 비
교적 전면적인 소형 종합건물에 속한다. 그중 산청과 진주 대곡 실버센터에
설치된 전통적인 거실은 강렬한 한국적 특징을 보인다.
한국의 노인요양시설의 침실은 관련법규에서 제한하고 있는 4인실을 준수
하고 있으나 구성된 대부분의 침실이 4인실 구성을 이루고 있다. 중국의 노
인요양시설도 침실 당 4인실까지 가능하지만 사례시설에서 구성된 침실은
주로 2인실과 3인실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나 한국 시설보다 개별성을 더욱
강하게 반영한 특성을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노인요양시설의 침실 바닥면적은 1bed당 6〜9㎡인 것
으로 나타났지만, 중국의 사례에서는 1bed당 12〜17㎡ 규모인 것으로 나타
났다.

- 83 -
Ⅴ. 결 론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료기술의 발단 등으로 향후에도 노인인구는 지속
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의 노인인구는 예전과 달리 보다
더 활동적이고 자신의 삶에 대한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길어진 노년기의
삶을 보다 더 효율적이고 안락하게 보내길 희망하고 있다.
그러나 질병이나 사회적 요인 등으로 인하여 가족과 함께 주택에서 생
활을 지속하지 못하고 의료복지서비스가 제공되는 노인복지시설에서의
생활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평균수명의 연장과
고령자수의 급증에 따라 노인복지시설의 수요는 앞으로 더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이고, 이러한 가운데도 치매, 노인성질환 등으로 노인요양시설
의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계획지침이 정
책적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무엇보다도 시급한 실정이라고 할 수 있겠
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경남지역과 중국 산동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노인
요양시설을 중심으로 그 배치 및 평면구성의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향후 노인요양시설 평면계획에 지침으로 할 수 있는 내용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과 한국의 인구 조사를 통하여, 농촌지역에서는 인구의 고령화
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인구의 고령화가 급속하게 전개되고 있는 중국과 한국의 고령노인복
지시설 정책에 있어서는 노인 개개인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서
노인복지서비스 시설의 다양성을 확보하여야 하며, 무엇보다도 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의료복지시설은 다양한 개성을 지닌 고령자들의 특성을 고려

- 84 -
한 생활공간을 갖추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중국은 인구가 매우 많아서 급속한 고령화와 더불어, 노인요양시설의 수요
도 날로 증가할 것이며, 시설 기준은 시설의 규모가 매우 크고, 입소정원의
규모도 매우 크게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국 경상남도지역의 노인복지시설 정책 조사 를 통하여, 경상남도


년 고령화율이 11.40%를 넘어섰으며, 전체 고령자의 1.69%
지역에서는 2014
가 의료복지시설에 입소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노인
요양시설의 이용이 불가피한 고령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기에는 시설
이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며, 정책적으로도 복지시설의 증·개축, 개보수, 장비
보강 등에 집중되고 있는 것은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다.
한국의 노인 복지 정책 내용과 투자는 노인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을
중심으로 발전되고 있지만, 중국의 노인복지시설 정책의 주요내용은 양로보
험이 다양한 고령자들에게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 과제가 있다.

셋째, 한국과 중국 노인요양시설의 시설별 영역 구성 분석을 통해서 한국


과 중국의 노인요양시설의 특징을 알 수 있었다. 중국노인요양시설은 주로
침실을 중심으로 생활환경을 충실히 하고 있으며, 한국의 노인요양시설은 침
실과 준 사적영역 및 공공영역을 적절하게 배려하여 생활환경을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노인요양시설의 1bed당 연면적은 평균 32.82㎡인 것으로 나타났으
며, 중국의 시설의 경우는 평균 36.39㎡인 것으로 나타나 중국의 사례 시설
이 1bed당 3.67㎡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중국과 한국의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사례조사를 통하여 시설의 건축 규모
및 입소정원 수는 두 국가의 인구 상황에도 부합하였다. 인구 규모 차이로
인하여 시설내의 평면구성에도 요양동 내의 입소인원 규모가 두드러진 차이
를 나타냈다.

- 85 -
넷째, 한국의 노인요양시설 순 침실면적은 사례적으로 1bed당 6〜9㎡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공공교류공간의 면적은 1bed당 5〜7㎡인 것으로 나타났
다. 시설 내 커뮤니티 유지에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는 기초적 환경이라 할
수 있다.
중국의 노인요양시설은 사적영역 위주로 구성된 형태를 취하고 있어서
1bed당 침실 바닥면적은 12〜17㎡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공영역의
공간구성이 단조롭고 부족하여 입소자들 간의 교류를 촉진하기에는 어려움
이 있다. 공공영역에서 교류공간을 적절히 설치하면 시설 내의 입소자들 간
에 호의적인 관계를 유지하기에 더욱 유리할 것이다.
이와 같이 한국과 중국의 노인요양시설의 평면구성이 갖는 특성을 분석하
였지만, 보다 다양한 고령자의 요구에 부응한 요양생활공간을 구성하기 위해
서는 생활영역 전반에 겉쳐 보다 충실한 공간구성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 86 -
參考文獻
<단행본>
- 박광준, 고령사회의 노인복지정책, 현학사, 2004
- 박태환, 노년건축학, 보성각, 1995
- 윤선오, 새로운 노인복지론, 양서원, 2006
- 임춘식 외 18인, 노인복지학 개론, 학현사, 2007

<논문>
- 김민석, 차안나, 전진숙, 김수인, 지역노인복지시설의 입지분포와 인구추이
에 관한 고찰,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4권 1호,
2004.04
- 승 김광
류 수, 훈 매 초
배, 이경 , 치 요양시설에서의 치료적 환경구축을 위한 기
학 논 집 권
연구, 대한건축 회 문 , 18 5호, 2002.05
- 소준영, 전명현, 지역 노인복지시설의 유형 석
분류와 기능분 에 관한 연구,
학 논 집 권
대한건축 회 문 , 14 5호, 1998.05
- 양금석 매 학 논 집 권
, 치 노인의 공간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 회 문 , 18
1호, 2002.01
- 권순 정, 노인요양시설의 거실면적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 회 문학 논 집

계획계 제16 제6호, 2000.06
- 이연숙외 4명, 국내 노인요양시설 디자인에 대한 요양보호사의 평가
및 요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7권 제12호, 2011.12

<보고서>

- 한국의 노인복지 시행규 별표4 칙
- 최은 발
영, 노인보호서비스개 연구, 한국여성개 원, 1996 발
<기타>

- 보건복지가 부 보도자료, 2008.5.17
- 노인장기요양보험 법

- 87 -
- 보건복지부, 2014 노인실태조사 결과 발표, 2015년 3월 31일
- http://w /j / / _ j
elfare.gsnd.net sp sub05 05 01. sp
:// / /B L j ? =
- http open.gsnd.net multipleboard oard ist. sp groupNo 11091
:// / /B L j ? =
- http open.gsnd.net multipleboard oard ist. sp groupNo 11112
- http://stat.gsnd.net/jsp/sub02/02_02.jsp
- http://stat.gsnd.net/jsp/sub02/02_03.jsp
- http://www.gsnd.net/data/sub03/total_plan/2012_3_5.pdf
- http://www.khidi.or.kr/news/201412/news/02.pdf
://k k / L / L _ L j ? w =MT_ZTITL & I = #
- http osis. r statistics ist statistics ist 01 ist. sp v cd E parent d A SubCont
://k k / L / L _ L j ? w =MT_ TITL & T I =M_ _ _
- http osis. r statistics ist statistics ist 02 ist. sp v cd A E01 parm ab d 02 01 01
- http://www k / / / /M UIT M_ R I O/
.longtermcare.or. r portal site nydev EN E CA E NF
- http://www.hbyanglao.com/Info/View.Asp?id=479
- http://www.stats.gov.cn/tjsj/pcsj/rkpc/6rp/indexch.htm 중국 국가통계국
제6회 인구조사 데이터 第一部分,第三卷 3-3, 第二部分,第八卷 8-1, 第
二部分,第八卷 8-9
://
- http pan.baidu.com s 1/ / qWNvgKk

중화인 공화국-국가건설부 노인주거건축설계표준 G : : BT50340-2003
:// //j
- http pan.baidu.com s 1 Gmt9r w

중화인 공화국-국가건설부 성진( : 城镇)노인시설계획표준:GB50437-2007
:// / / j kRrn
- http pan.baidu.com s 1s s
중화인 공화국-주민 택 및 도농 건설부:양로시설설계규법:GB50867-2013
- http://pan.baidu.com/s/1o6A8l8Q 《农村五保供养工作条例》第二章
- http://www.hbyanglao.com/Info/View.Asp?id=479

- 88 -
附錄

록 그림1. 중국 산동지역 행정구역도


- 89 -
关于老人疗养设施老人空间构成的研究
-韩国庆南和中国山东为对象-

侯嘉泰

庆南科學技術大學校 大学院 建筑学科

指导教授 梁金石

本论文通过比较和分析,韩国庆尚南道地区以及中国山东省介护养老设施平
面构成的特征,目的在提出有关介护养老设施平面构成上新的规划方向。
研究范围
通过研究两国的养老政策以及养老设施规范标准文献的考察,来了解养老设
施政策、人口老龄化特征以及韩国庆尚难道地区的特征和养老政策;然后以四个
韩国青山难道地区的以及两个中国山东的介护养老设施的为对象,来了解其平面
构成的特征以及提出建筑规划的基础资料。
通过本论文的研究,整理后得到如下结果:

首先,通过对中韩两国人口现状的调查,农村地区人口的老龄化正在加剧。
并且在这样的情况下,通过对中韩老人福利设施政策、建筑法规、建筑规范的考
察,针对各种情况的老人而设立的老人福利设施,都尽可能确保能够满足不同情
况老人的需要。且任何养老设施中,都尽可能针对不同情况的老人而提供相应的
生活空间。
中国人口由于基数庞大,对于养老设施的需求也日益增大,同时养老设施的
规模比起韩国来,也十分的巨大,设施的定员人数也十分的庞大。

- 90 -
其次,通过对韩国庆尚南道地区老人福利设施政策的考察,庆尚南道地区
2014年高龄化(65岁以上)的比率达到了11.40%,全部的高龄化人口中的
1.69%入驻了相应的养老设施。养老设施不可避免地的要接纳不同情况老人的同
时,而养老设施的数量仍然存在不充足的情况。政策上,养老设施的增建、改
建、维修以及设备改善等方面也进行了集中地改进。韩国老人福利政策内容以及
财政投入,主要针对老年人服务的质量;中国老人福利中政策内容以养老保险为
主,且养老保险的内容多样,来针对不同情况的高龄者提供适用的养老金政策。

再次,通过对中韩两国介护型养老设施,以设施为单位的领域的划分和分
析,得到两国介护型养老设施的特征。中国介护型养老设施主要以居住为目的而
构成的生活空间;韩国介护型养老设施主要以适当的半公共领域(半私人空间与
半公共空间)和公共领域(公共空间)构成。
韩国介护型养老设施平均每床的总建筑面积为32.82㎡,中国的情况是36.39
㎡。中国介护型养老设施的实例均属于公立设施,所以比起韩国的设施来,平均
每床的面积多3.67平米。通过对中韩两国的介护型养老设施实例的研究,两国介
护型养老设施的建筑规模以及定员数量均是由于两国人口情况的不同,所以设施
内的平面构成也受到不同的影响。

然后,韩国的介护型养老设施卧室平均每床的独立面积(厕所及阳台不包
含)以论文中实例为主,虽只有平均每床6〜9㎡,但是公共交流空间的面积平均
每床为5〜7㎡。设施内可以有效的建立起良好的社群环境。中国的介护型养老设
施主要采取以私人领域为主的形态,所以平均每床的独立面积为12〜17㎡。但
是公共领域的构成相较之下功能比较单一和不足,对于入住者相互之间交流的促
进会造成一定的困难。公共领域中可供交流的空间可以适当的设置的话,对设施
内的入住者之间可以更快的建立和维持友好的邻里关系是有利的。

这样,通过对中韩两国介护型养老设施的平面构成特征的分析,能够
更加如实的反映出不同老年人的养老生活空间构成以及日益比变化的老年人的需
求。

- 91 -
感謝의 글
중국의 부모 님 곁을 떠나 21살 때 홀로 한국으로 유학을 와 공부하
기 시작하였던 것이 어느덧 7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습니다. 돌이켜 보
면, 일생동안 가장 아름다운 젊은 시절을 한국에서 보냈다고 생각합니
다.
학부과정부터 대학원까지의 7년 동안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과
에 계신 모든 교수님들이 저에게 베풀어 주신 세심한 지도와 교육에
감사드립니다.
무엇보다도 지도교수님이신 양금석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또한 석
사학위 논문의 마지막까지 세심한 배려로 지도하여 주신 김화봉 교수
님, 안은희 교수님께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7년 동안 건축학과에서 직‧간접으로 많은 지도를 하여 주신
김근성 교수님, 강재중 교수님께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학부과정 동창들로부터 학습활동, 일상생활에 더 없이
큰 도움을 받았었지만, 특히 김동현, 박지민에게 고마움을 전합니
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을 마무리 지을 때까지 물심양면으로 지원을 하
여 주신 아버님과 어머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 92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