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2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동일조건변경허락. 귀하가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했을 경우


에는, 이 저작물과 동일한 이용허락조건하에서만 배포할 수 있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공학석사 학위논문

전력생산량 증대를 위한 태양광 모듈의


효율적 설치 방안에 관한 연구

건축공학과
이 원 학
지도교수 함 진 식

2013년 12월
대구대학교 대학원
전력생산량 증대를 위한 태양광 모듈의
효율적 설치 방안에 관한연구
이 논문을 공학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건축공학과
이 원 학
지도교수 함 진 식

이원학의 공학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2013년 12월

심사위원장 (인)
심 사 위 원 (인)
심 사 위 원 (인)

대구대학교 대학원
목차
Ⅰ ······················································································································1
. 서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연구범위 및 방법 ·································································································3
3. 논문의 구성 ············································································································4
Ⅱ .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발전원리 및 구성 ·······································5
1.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발전원리 및 구성 ·····················································5
1)태양전지의 발전원리 ···························································································5
2)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구성 ·················································································6
3)태양광 전지판 모듈 설치 계산 ·······································································11
2. 선행연구 및 본 연구의 의의 ··········································································13
Ⅲ . 수목에 의한 그림자가 전력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14
1. 측정을 위해 사용한 장비 ················································································14
1)태양광 전지판 모듈 ···························································································15
2)전력분석계 ···········································································································15
3)조도계 ···················································································································15
4)적외선 열화상카메라 ·························································································16
2. 실험조건 ················································································································16
1)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설치위치 ·····································································17
2)태양의 고도 ·········································································································17
3)태양광 전지판 모듈 설치 각도 계산 ·····························································17
4)태양의 남중고도 ·································································································18
3.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측정조건 ·············································18
4. 전력생산량의 변화 특성 ··················································································19
1)조도레벨 90,600(lx)에서의 전력생산량 ························································19

- i -
2)조도레벨 123,000(lx)에서의 전력생산량 ······················································29
5. 소결 ························································································································39

Ⅳ . 모듈의 표면 온도가 전력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40


1. 측정을 위해 사용한 장비 ················································································41
1)태양광 전지판 모듈 ···························································································41
2)전력분석계 ···········································································································41
3)조도계 ···················································································································41
4)적외선 열화상카메라 ·························································································41
5)온도 측정기 ·········································································································42
2. 실험조건 ················································································································43
3. 측정순서 ················································································································43
4. 측정결과 ················································································································45
1)1분간 2ℓ물 살수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 ·················45
2)연속 살수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 ·······························54
5. 소결 ························································································································67

Ⅴ . 계절별 모듈의 설치각도가 전력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68


1. 측정을 위해 사용한 장비 ················································································68
1)태양광 전지판 모듈 ···························································································69
2)전력측정계 ···········································································································69
3)조도계 ···················································································································69
4)일사계 ···················································································································69
2. 실험조건 ················································································································69
1)설치지역 선정 ·····································································································69
2)태양의 고도 ·········································································································70
3)태양광 전지판 모듈 설치 각도 계산 ·····························································70
3. 실험계획 ················································································································70

- ii -
4. 측정결과 ················································································································71
1)측정조건-1 ···········································································································71
2)측정조건-2 ···········································································································75
3)측정조건-3 ···········································································································77
4)측정조건-4 ···········································································································79
5. 소결 ························································································································83
Ⅵ . 결 론 ····················································································································84
참고 문헌 ···················································································································87
Abstract ····················································································································89

- iii -
표목차
<표 3-1> 측정기기 ······································································································14
<표 3-2> 태양광 전지판 모듈 규격 및 사양 ························································15
<표 3-3> 측정장비의 성능 ························································································16
<표 3-4> 실험 계획 ····································································································16
<표 3-5> 수목에 의한 그림자 면적에 따른 전력생산량 특성과 효율 ············28
<표 3-6> 수목에 의한 그림자 면적에 따른 전력생산량 특성과 효율 ············37
<표 3-7> 조도별 그림자 면적에 따른 전력생산량 특성과 효율 ······················38
<표 4-1> 측정기기 ······································································································40
<표 4-2>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측정순서 ······································44
<표 4-3> 8.2℃ 물 살수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47
<표 4-4> 13.4℃ 물 살수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48
<표 4-5> 17.1℃ 물 살수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49
<표 4-6> 22.3℃ 물 살수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50
<표 4-7> 27.2℃ 물 살수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51
<표 4-8> 살수 온도 조건별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52
<표 4-9>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1회차 실험) ···························58
<표 4-10>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2회차 실험) ·························59
<표 4-11>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3회차 실험) ·························60
<표 4-12>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4회차 실험) ·························61
<표 4-13>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5회차 실험) ·························62
<표 4-14>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6회차 실험) ·························63
<표 4-15>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7회차 실험) ·························64
<표 4-16>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8회차 실험) ·························65
<표 4-17>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9회차 실험) ·························66
<표 5-1> 측정기기 ······································································································68
<표 5-2> 측정 장비의 제원 ······················································································69
<표 5-3> 측정방법 ······································································································70
- iv -
<표 5-4> 측정 날짜별 외기조건 ··············································································72
<표 5-5> 1월 15일 10시 고정식과 추적식 설치에 따른 전력생산량 ··············73
<표 5-6> 1월 15일 12시 고정식과 추적식 설치에 따른 전력생산량 ··············73
<표 5-7> 1월 15일 15시 고정식과 추적식 설치에 따른 전력생산량 ··············74
<표 5-8> 모듈설치 각도에 따른 측정 시간대 별 전력생산량(1월 15일) ·······74
<표 5-9> 모듈설치 각도에 따른 측정 시간대 별 전력생산량(2월 19일) ·······76
<표 5-10> 모듈설치 각도에 따른 측정 시간대 별 전력생산량(3월 29일) ·····78
<표 5-11> 모듈설치 각도에 따른 측정 시간대 별 전력생산량(5월 24일) ·····80
<표 5-12> 모듈 설치 각도에 따른 전력생산량(W)(12시 측정) ·······················82

- v -
그림 목차
<그림 2-1> 태양전지의 발전원리 ··············································································5
<그림 2-2> 태양전지 시장 현황과 전망 ··································································6
<그림 2-3> 태양광 수요 공급 현황 및 전망 ··························································7
<그림 2-4> 태양광 설치량과 모듈 가격 전망 ························································8
<그림 2-5> 태양광 전지판 모듈 설치 각도 ··························································12
<그림 3-1> 태양의 남중고도 ····················································································18
<그림 3-2> 그림자 면적 0%일 때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한 표면온도 ··········19
<그림 3-3> 그림자 면적 0%일 때 I-V커브 ·························································20
<그림 3-4> 그림자 면적 20%일 때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한 표면온도 ········23
<그림 3-5> 그림자 면적 20%일 때 I-V커브 ·······················································23
<그림 3-6> 그림자 면적 40%일 때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한 표면온도 ········24
<그림 3-7> 그림자 면적 40%일 때 I-V커브 ·······················································24
<그림 3-8> 그림자 면적 60%일 때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한 표면온도 ········25
<그림 3-9> 그림자 면적 60%일 때 I-V커브 ·······················································25
<그림 3-10> 그림자 면적 80%일 때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한 표면온도 ······26
<그림 3-11> 그림자 면적 80%일 때 I-V커브 ·····················································26
<그림 3-12> 그림자 면적 100%일 때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한 표면온도 ····27
<그림 3-13> 그림자 면적 100%일 때 I-V커브 ·················································27
<그림 3-14> 모듈의 그림자 면적에 따른 전력생산량 ········································28
<그림 3-15> 그림자 면적 0%일 때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한 표면온도 ········31
<그림 3-16> 그림자 면적 0%일 때 I-V커브 ·······················································31
<그림 3-17> 그림자 면적 20%일 때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한 표면온도 ······32
<그림 3-18> 그림자 면적 20%일 때 I-V커브 ·····················································32
<그림 3-19> 그림자 면적 40%일 때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한 표면온도 ······33
<그림 3-20> 그림자 면적 40%일 때 I-V커브 ·····················································33
<그림 3-21> 그림자 면적 60%일 때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한 표면온도 ······34
<그림 3-22> 그림자 면적 60%일 때 I-V커브 ·····················································34
- vi -
<그림 3-23> 그림자 면적 80%일 때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한 표면온도 ······35
<그림 3-24> 그림자 면적 80%일 때 I-V커브 ·····················································35
<그림 3-25> 그림자 면적 100%일 때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한 표면온도 ····36
<그림 3-26> 그림자 면적 100%일 때 I-V커브 ·················································36
<그림 3-27> 모듈의 그림자 면적에 따른 전력생산량 ········································37
<그림 4-1> 전력분석기에 의한 I-V커브 ·······························································41
<그림 4-2> 적외선 열화상카메라에 의한 표면 온도 측정 ································42
<그림 4-3> 8.2℃ 물 살수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47
<그림 4-4> 13.4℃ 물 살수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48
<그림 4-5> 17.1℃ 물 살수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49
<그림 4-6> 22.3℃ 물 살수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50
<그림 4-7> 27.2℃ 물 살수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51
<그림 4-8> 살수 온도별 전력생산량 증가율 ························································53
<그림 4-9>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1회차 실험) ·······················58
<그림 4-10>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2회차 실험) ·····················59
<그림 4-11>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3회차 실험) ·····················60
<그림 4-12>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4회차 실험) ·····················61
<그림 4-13>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5회차 실험) ·····················62
<그림 4-14>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6회차 실험) ·····················63
<그림 4-15>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7회차 실험) ·····················64
<그림 4-16>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8회차 실험) ·····················65
<그림 4-17>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9회차 실험) ·····················66
<그림 5-1> 1월 15일 12시 기준각도로 설치한 경우의 IV곡선 ·······················72
<그림 5-2> 고정식과 추적식의 측정 시간대별 전력생산량 ······························75
<그림 5-3> 2월 19일 12시 기준각도로 설치한 경우의 IV곡선 ·······················76
<그림 5-4> 고정식과 추적식의 측정 시간대별 전력생산량 ······························77
<그림 5-5> 3월 29일 12시 기준각도로 설치한 경우의 IV곡선 ·······················78
<그림 5-6> 고정식과 추적식의 측정 시간대별 전력생산량 ······························79
<그림 5-7> 5월 24일 12시 기준각도로 설치한 경우의 IV곡선 ·······················80
- vii -
<그림 5-8> 고정식과 추적식의 측정 시간대별 전력생산량 ······························81

- viii -
전력 생산량 증대를 위한 태양광 모듈의
효율적 설치 방안에 관한 연구
(요 약)
최근, 세계 각국은 급격한 산업화로 자동차나 건축물 공기조화용 및 전력
생산을 위한 발전용 연료 등에 다량의 화석연료를 사용있어, 그로 인한 이산
화탄소의 증가로 지구온난화가 가속화 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로 분류되고 있는 태양에너지는 이러한 온실가스 증가에 따른
지구온난화를 방지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태양광에 의한 발전은 수 많은 민간 사업자에 의해서 설치 운영되고 있으
나, 수익성 논리에 따라 대부분의 발전소가 부지 구입비용이 저렴한 임야를
발전소 부지로 선정하여 수령이 오래 된 다수의 수목을 벌채하고 태양광 발전
시설을 설치하기 때문에 오히려 환경을 파괴한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또한, 태양광 발전의 정부 지원 정책이 변화함에 따라, 시장 경쟁의 제도가
도입되고, 최소한의 부지에 최대한의 전력생산량을 얻기 위한 다각적인 방면
에서의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효율적인 태양광 부지 설계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인접한 어레이나 건축물 및 수목 등에
의해서 발생한 그림자가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에 드리워졌을 때, 이들 그
림자가 전력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표면온도가 전력생산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여름철 외기 온도가 높을 때, 표면 온도를 떨어뜨
릴 목적으로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에 차가운 물을 살수하는 것이 전력생산
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설치요소가 전력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하기 위해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을 계절별로 각도가 조절 가능한 단축 가변형
으로 설치하는 것과 시간 추적 및 계절 추적이 동시에 가능한 양축 가변형 시
스템의 전력생산량 차이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 ix -
Ⅰ. 서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세계 각국은 급격한 산업화로 자동차나 건축물 공기조화용 및 전력
생산을 위한 발전용 연료 등에 다량의 화석연료를 사용하어, 그로 인한 이산
화탄소의 증가로 지구온난화가 가속화 되고 있다.
화석연료의 연소과정에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지구로부터 방사되는 열을
차단하여 지구로 재 방사시켜 지구온도를 상승시키는 온실가스로 분류되어 있
으며, 이러한 지구온난화현상이 세계 각지에서 발생하고 있어 선진국을 중심
으로 교토의정서에 의한 온실가스 의무 감축량을 할당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OECD국가 중, 온실가스 증가율이 상당히 큰 나라임에도 불구하
고, 2011년 까지는 의무 감축 대상국이 아니었으나, 2012년 이후 부터 온실가
스 감축 의무 부과 대상국으로 분류되어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로 분류되고 있는 태양에너지는 이러한 온실가스 증가에 따른
지구온난화를 방지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태양광에 의한 발전은 수 많은 민간 사업자에 의해서 설치 운영되고 있으
나, 수익성 논리에 따라 대부분의 발전소가 부지 구입비용이 저렴한 임야를
발전소 부지로 선정하여 수령이 오래 된 다수의 수목을 벌채하고 태양광 발전
시설을 설치하기 때문에 오히려 환경을 파괴한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이와 같이 값이 싼 임야를 태양광 부지로 선정하는 이유는 태양광 발전소의
경우, 민간 사업자에 의해서 태양광 발전소가 건립되는 경우가 많은 것과, 한
전에 매전하여 얻은 수익만으로 발전소 설치비용을 감당할 수 없는 것이 가장
큰 이유라고 생각되어 진다.
그 동안 정부에서도 여러 지원책을 시도하였으며, 2004~2010년에 걸쳐 발
전차액제도(FIT, Feed In Tariff)를 통하여 500㎿의 발전소가 건설되어 한전을
통한 매전과 그 부족분을 지원하는 제도를 운영하였으나, 한정된 재원으로 많
은 발전소를 지원하기에는 상당한 재정 부담으로 작용하였다.

- 1 -
그 뒤, 태양광발전소 지원으로 인한 재정 악화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발전
차액제도를 보완하여 2009~2011년에 걸쳐 RPS 시범사업(RPA, Renewable
Portfolio Agreement)을 통하여 110㎿의 발전 시설을 설치 완료하였다.
또한, 2012~2016년에 걸쳐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P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를 시행하여 5년간 2.1GW의 태양광발전소 설치를 지원할
계획으로 있다.
이 RPS제도는 한전 매전료 이외, 정부에서 지원하는 금액을 발전소 건립
부지의 지목에 따라 차등 지원하며, 건축물의 벽과 지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실제 전력생산량의 1.5배를 생산한 것으로 지원하는 등 더 많은 혜택을 주어
무분별한 산림훼손을 억제하자는 취지에서 시행되고 있다.
또한, RPS는 일정 규모 이상의 발전사업자가 전체 전력생산량 중 일부를
의무적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생산하도록 하는 제도로서 발전차액 지원
제도가 정부가 주도하는 신재생에너지 육성정책이라면 RPS는 이를 시장경쟁
에 맡기는 방식이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의 정부 지원 정책이 변화함에 따라, 시장 경쟁의 제도
가 도입되고, 최소한의 부지에 최대한의 전력생산량을 얻기 위한 다각적인 방
면에서의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 2 -
2. 연구범위 및 방법
일반적으로 태양광 전지판 모듈에 직사광선이 직각으로 잘 비추어지고, 모듈
표면의 온도가 25℃ 전후일 때, 전력생산량이 최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로 건설된 태양광 발전소 내에서는 여러 장의 모듈이 하나의 틀
에 고정되어 있는 어레이의 크기가 크고, 이로 인해 인접한 어레이에 그림자가
발생하여 전력생산량 저하를 가져 오게 된다.
따라서,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이 수목에 의한 그림자나 인접한 어레이에
의한 그림자에 의해 발생하는 전력생산량 저하를 파악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여름철 한낮에는 40℃에 육박하는 외기 온도로 인해 모듈 표면의 온도
가 상당 수준까지 상승하여 전력생산량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그 대안으로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에 물을 살수하여 표면 온도를
떨어 뜨려서 전력생산량 변화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또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은 태양의 고도와 직각이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일
사량 확보에 유리하기 때문에 전력생산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태양광 전지판 모듈을 태양의 고도에 직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태
양의 고도가 낮은 겨울철에 각도 유지를 위해 과도하게 세운 것으로 인해 뒤편
모듈에 그림자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그림자는 전력생산량 저하로 이어지므
로 뒤편 모듈에 그림자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가장 효율 높은 전력생산량을 얻
기 위한 적절한 설치 각도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어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계
절별 설치각도가 전력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3 -
3. 논문의 구성
본 연구에서는 전체 6개의 장으로 구성하여 제1장에는 서론으로 연구배경과
목적, 연구범위와 방법 및 논문의 구성을 서술하였으며, 제2장에는 태양광 전
지판 모듈의 발전 원리 및 구성과 선행 연구 및 본 연구의 의의에 대하여 고
찰하였다.
제3장에는 인접한 어레이나 건축물 및 수목 등에 의한 그림자가 태양광 전
지판 모듈 표면에 드리워졌을 때, 이들 그림자가 전력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제4장에서는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표면온도가 전력생산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여름철 외기 온도가 높을 때, 태양광 전지
판 모듈 표면 온도를 떨어뜨릴 목적으로 모듈 표면에 살수한 것이 전력생산량
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제5장에서는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설치요소가 전력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을 계절별로 각도가 조절 가능한
단축 가변형으로 설치하는 것과 시간 추적 및 계절 추적이 동시에 가능한 양
축 가변형 시스템의 전력생산량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제6장에서는 종합적인 결론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 4 -
Ⅱ.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발전원리 및 구성
1.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발전원리 및 구성
1)태양전지의 발전원리
태양으로부터 빛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발전형식으로, 대표적
인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는 실리콘에 보론(boron:붕소)을 첨가한 p형 실리
콘반도체를 기본으로 하여 그 표면에 인(phosphorous)을 확신시켜 n형 실리콘
반도체층을 형성함으로써 만들어 진다. 이 pn접합 구조를 가진 태양전지(solar
cell)는 태양으로부터 빛을 받으면 외부로부터 광자(photon)가 태양전지의 내
부로 흡수되면 광자가 지닌 에너지에 의해 태양전지 내부에서 전자(electron)
와 정공(hole)의 쌍(e-h pair)이 생성된다. 생성된 전자-정공 쌍은 pn접합에서
발생한 전기장에 의해 전자는 n형 반도체로 이동하고 정공은 p형 반도체로 이
동해서 각각의 표면에 있는 전극에서 수집된다. 각각의 전극에서 수집된 전하
(charge)는 외부 회로에 부하가 연결된 경우, 부하의 흐르는 전류로서 부하를
동작시키는 에너지의 원천이 된다. 이를 광전효과(Photovoltaic Effect)라 한다.

반사방지막 전
N형 반도체 류

P형 반도체 향

·직렬로 연결시키면 전압이 증가


·병렬로 연결시키면 절류가 증가
<그림 2-1> 태양전지의 발전원리

- 5 -
2)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구성
(1)태양전지
태양광 시장은 최근 폭발적인 연간 성장률(85% 이상)을 나타내며 급성장하
여 2011년 23.2GW의 시장규모에 이르렀다. <그림 2-2>은 세계 태양광발전산
업에서 태양전지 생산량 추이 및 전망을 나타낸 것으로, 대표적인 태양광산업
관련 정보조사 기관인 SNE Research에서 발표한 자료이다.
2011년 이후 태양광 시장의 연간 성장률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며, 기존의
발전용 시장뿐만 아니라 BIPV, 개인용 휴대기기 시장 등의 점진적 확대를 통
하여 18% 이상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측되고 있다.
2011년을 기점으로 한 시장 성장률 감소의 원인은 태양광 시장의 수요-공급
불일치에 따른 구조조정과 최근 발생한 유럽발 경제 위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
된다.

<그림 2-2> 태양전지 시장 현황과 전망


(출처 : 노상양. 2012. 2012 신재생에너지 백서)
- 6 -
<그림 2-2>는 2007년부터의 태양전지 모듈의 수요 공급 현황과 전망을 나
타내고 있는데, 공급량이 점진적으로 증가 하는 가운데 2011년부터 수요량이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유럽 발 재정위기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
된다.
따라서,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가 심화되면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가격이
급격히 하락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수요 공급 불일치 현상은 2014년 이후
부터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모듈 가격 하락에 따른 Grid parity 조기
달성에 의한 보급량 증대와 원전사고 이후 조성된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정책
에 기인한다고 예측된다.
현재,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가 전체 태양전지를 주도하고 있는데, 2007년
까지는 9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나타내었으나, 그 후 폴리실리콘 가격 상
승에 의한 박막 태양전지 보급 확대로 인하여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점유
율을 80%대로 감소하였다.

<그림 2-3> 태양광 수요 공급 현황 및 전망


(출처 : 노상양. 2012. 2012 신재생에너지 백서)

- 7 -
<그림 2-4> 태양광 설치량과 모듈 가격 전망
(출처 : 노상양. 2012. 2012 신재생에너지 백서)
First solar의 CdTe 모듈을 비롯하여 비정질 실리콘 박막의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였지만, 박막 태양전지의 점유율을 당초 예상과는 달리 2014년 이후까
지도 20%에 못 미치는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는 결정질 실리콘 모듈의 가격이
급격히 하락하면서 박막 태양전지의 시장 경쟁력이 떨어지는 데서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박막 태양전지는 저가 및 고기능성의 장점이 있
기 때문에 2014년 이후 시장 회복기에는 다시 시장 점유율을 높여 갈 것으로
예측된다. 박막 태양전지는 비정질 실리콘계, CIGS계, CdTe, DSSC, OPV 등
으로 구분되는데 2014년 이후 CIGS 박막 태양전지를 중심으로 박막의 점유율
이 높아질 것으로 보이며,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경우 초기 박막 태양전
지 시장을 주도했으나 효율이 낮고 가격 경쟁력이 타 박막 태양전지에 비해
떨어지는 문제로 인하여 시장 성장의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CdTe 박막 태양전지는 원소재 문제와 함께 Cd의 독성 문제로 인하여
시장 확대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고, CIGS 박막태양전지의 경우 효율
이 높고 저가 생산이 가능하여 앞으로 박막 태양전지를 주도할 것으로 판단되
지만 대량생산 체계 구축에서의 문제점을 기술적으로 극복해야 할 것으로 사
료된다.
- 8 -
DSSC와 OPV등은 제조 단가와 응용성에 있어서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낮은
효율과 안정성 문제를 극복해야 시장 점유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
다.7)
①결정질 실리콘 전지
결정질 실리콘은 물리적 특성 면에서 태양전지를 위한 가장 이상적인 물질
은 아니지만 전자산업에서 이미 개발된 기술 및 장비를 동일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실험실 수준의 효율은 20%이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양산용 셀의 효율은 평
균적으로 15~17%를 보이고 있다. 실리콘 태양전지의 이론적 최대 효율은 약
29%정도이며, 이미 실험실 수준에서는 이 한계치에 가까운 효율이 보고된 바
있다.
②박막 태양전지
박막 태양전지는 유리, 스테인레스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저가의 기판에 감
광성 물질의 얇은 막을 수 마이크론 두께로 씌워 만들어지며, 재료에 의존적
인 결정질 실리콘 전지에 비해 생산단가가 낮고, 자동화를 통해 모듈 공정까
지 일관화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대체로 낮은 효율과 모듈의
수명에 관한 실증 연구가 부족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세계 수준의 셀 효율은 현재 18.4%(CIGS의 경우)에 도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상업화된 모듈은 약 10%수준의 안정화 효율을 나타내며
이러한 효율 수준은 2015년에는 12%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③유기 태양전지
유기 태양전지는 크게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와 유기분자형 태양전지로 나뉘
며 이중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염료를 최대한 흡착할 수 있는 나노구조 TiO2
필름, 광전자의 재생을 도와주는 산화-환원 요오드계 산화-환원 전해질, 그
리고 요오드 환원의 촉매 역할을 하는 백금 또는 탄소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
다.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소면적(1cm2이하)단위 셀에서 11%의 효율이 가능

- 9 -
하며, 유기 태양전지와 마찬가지로 소재와 제조공정에서 기존 무기물 태양전
지 (실리콘 및 화합물반도체)에 비해 값싼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다양한 색상의 염료가 가능하여 컬러 태양전지 구현이 가능하고, 나노
입자의 장파장 투과 특성에 의한 투명 태양전지 구현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대면적화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대체로 낮은 효율과 수명에 대
한 실증연구가 부족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유기분자형 태양전지는 전자를 받을 수 있는 유기물질(예로써 PCBM)과 정
공(홀)을 받을 수 있는 유기물질(예로써 P3HT)이 적층 또는 블렌딩 형태로
구성된 태양전지로서 약 3%에서 많게는 6%수준까지 변환효율이 가능한 기술
이며, 최근 유기 태양전지를 적층하여 셀 단위에서 6.5%의 효율이 보고되며
유기분자 태양전지는 광전자를 발생하는 활성층이 매우 얇기 때문에 플라스틱
기판 등에 적용하여 플렉시블 형태가 용이한 기술이다.

④집광형 태양전지(ConcentratorCell)
집광형 태양전지는 프렌넬(Fresnel)렌즈 또는 Mirror등과 같은 집광기를 사
용하여 넓은 면적의 빛을 수㎟~수㎠크기의 태양전지에 집중시켜 태양전지 시
스템 가격을 낮추는 방식이다. 대개 400~1,250배 정도로 집광하는 시스템이
사용되며 집광형 시스템에 장착되는 태양전지는 기존 인공위성용 태양전지로
사용되고 있는 III-V 화합물 반도체 다중접합을 이용한 초고효율(30~40%)태
양전지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III-V 화합물 반도체 다중접합 태양전지는 모
든 태양전지 가운데 가장 높은 효율을 기록하고 있다.

(2)태양광 전지판 모듈
적절한 크기의 전압과 전류를 생성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태양전지를 서로
직․병렬로 연결 하고 외부환경으로부터 태양전지를 보호하기 위하여 충진재,
표면재 등으로 진공상태에서 압축하여 내구성 있고 설치하기 용이하게 제작된
것이 태양전지 모듈이다.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모듈은 여러 개의 태양전지
를 얇은 도체 선으로 연결하여 충진재와 유리기판, Back sheet등과 함께 진공
상태로 압축시켜 제조하며, 박막 태양전지 모듈은 태양전지 자체가 수십V의
- 10 -
대 면적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보호 구조 층 형성과 단자박스 접속 등의 공정
으로 진행된다.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모듈은 크게 일반 태양전지 모듈과 건자재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BIPV;BuildingIntegratedPhotovoltaics)로 구분되며, 최근에는
반투명 태양전지 모듈, 컬러 태양전지 모듈 등 소비자의 요구에 맞춘 다양한
형태의 모듈이 소개되고 있다. 박막태양전지 모듈의 경우 반사방지막이 없기
때문에 다양한 컬러의 모듈을 제작할 수는 없지만 기판의 형태에 따라서 휘어
지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작이 가능하다.

(3)태양전지 어레이
필요한 만큼의 전력을 얻기 위하여 1장 또는 여라 장의 태양전지 모듈을 최
상의 조건(경사각, 방위각)을 고려하여 거치대를 설치하여 사용여건에 맞게 연
결시켜 놓은 장치를 말한다.
3)태양광 전지판 모듈 설치 계산
태양의 고도(수평선과 태양의 각도)는 위도, 경도에 따라 다르며, 여름철은
태양의 고도가 높아 어레이에 의한 그림자 영향권이 작고, 겨울철에는 테앵의
고도가 낮아 어에리에 의한 그림자 영향권이 길어진다.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최적효율을 내기 위해서는 계절에 따라 태양광모듈의 각도를 변화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한 한 것으로 사료된다.

- 11 -
<그림 2-5> 태양광 전지판 모듈 설치 각도
(1)태양의 고도 계산
춘·추분 : h = 90˚ - è˚
하 지 : h = 90˚ - (è˚- 23.5˚)
동 지 : h = 90˚ - (è˚+ 23.5˚)
* è˚ 는 관측 지점의 위도
(2)태양광 전지판 모듈 설치 각도 계산
춘·추분 : 90˚- 태양고도(h) = ˚
하 지 : 90˚- 77.5962˚ = 12.4038˚
동 지 : 90˚- 30.5962˚ = 59.4038˚

- 12 -
2. 선행연구 및 본 연구의 의의
모상철은 ‘시뮬레이션에 의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최적 설계8)’ 라는 연구주
제로 국내에 해마다 증가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적용에 대한 실정을 고려
하여 태양광 도입 선진국인 독일에서 사용하는 PV SYST 시뮬레이션을 통해
고정식 태양광 시스템 및 단축식 태양광 시스템 설계 시 중요시 되는 설계요
소 인자는 무엇이며, 이를 토대로 MW급 고정식 및 단축식 태양광 발전시스
템을 시뮬레이션하여 산출된 전력생산량 및 시스템 효율 값과 실제로 그 설계
시뮬레이션대로 시설 된 태양광 발전소의 에너지 산출량을 제시하였다
안종현은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외기온도에 따른 전력패턴 분석 연구13)’ 에
서실제 운용중인 계통 연계형 모델을 1년간 모니터링 한 데이터를 수집 및 분
석하여 외기온도와 출력 전력패턴의 상하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철호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그림자 영향을 고려한 능동형 모듈 및
VSSIC MPPT 제어17)’라는 연구주제로 태양광 발전에 미치는 그림자의 영향
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능동적 PV 모듈의 구성 방법을 제시하였
다.
김윤식은 ‘태양전지 냉각에 따른 태양광발전 효율 개선에 관한 연구2)’ 에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온도 의존 특성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설치된
태양관 전지판 모듈의 온도를 변화시켜가며 발생전력을 실측하여 결과를 비교
하였다.
허상익은 ‘단축 추적식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경사각 가변에 의한 발전 효율
개선18)’ 이란 연구논문에서 지형적, 기후적인 영향을 우리나라 특성에 맞게 사
계절 변화에 따른 태양 고도각 변화를 계산하여 보고 기존 수평추적방식(단축
식)에 고도각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계절별로 측정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계절별 단축 가변형 및 양축 가변형 시스템이 태양
광 전력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또한, 실제로 많이 일어나는 여름철 수목에 의한 그림자나 남측 모듈에 의
한 북측 모듈의 그림자가 태양광 전력생산량에 미치는 영향과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표면 온도가 전력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 13 -
Ⅲ. 수목에 의한 그림자가 전력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발전 원리는 태양으로부터 빛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
지로 바꾸는 발전 형식이므로 모듈 표면에 내려 쬐이는 광량에 따라 모듈의
전력생산량이 상당히 달라지게 된다.
넓은 부지에 실제로 건설된 태양광 발전소에는 한 장의 모듈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장의 모듈을 하나의 틀에 묶어놓은 어레이 형태로 제작 설치되
며, 이 에레이는 태양고도에 따라 전면에 배치된 어레이에 의하여 뒷편에 설
치된 어레이 표면에 필연적으로 그림자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오전 이른 시간과 오후 늦은 시간대에는 태양의 고도가 낮기 때문에
발전소 부지 경계에 설치된 키 높은 수목이나 구조물 또는 건축물 등에 의해
서도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에 그림자가 발생하게 되어 전력생산량 저하를
초래하게 되므로 이들 그림자에 의하여 모듈의 전력생산량이 어느 정도 저하
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1. 측정을 위해 사용한 장비
수목에 의한 그림자가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구대학교 건축공학과 1호관 앞 잔디밭을 실험 장소로 선정
하였으며, 측정 날짜에 해당하는 태양의 고도를 계산하여, 모듈의 설치각도를
조정하였다.
<표 3-1> 측정기기

태양광 전지판 모듈 전력분석계 조도계 열화상카메라

- 14 -
<표 3-1>~<표 3-3>에서 제시한 측정장비에 의하여 각 조건에 따른 전력
생산량 변화 특성을 측정하였다.

1)태양광 전지판 모듈
태양광 전지판 모듈은 BM-250(2BUS-BAR)을 사용
2)전력분석계(PROVA-210)
태양전지, 태양광 전지판 모듈 효율 및 I-V Curve 측정기

3)조도계(Topcon IM-3)
조도의 측정에 편리하도록 만들어진 광도계의 일종
<표 3-2> 태양광 전지판 모듈 규격 및 사양

matrix 10 X 6 (2 Bus Bar)


peak power(WP) 250 156 X 156
cell size 37.42
open circuit voltage(V) 8.80
Short Circuit current(A) 30.56
voltage at pmax(v) 8.21
efficiency(%) 15.64
dimension(mm) 1628 X 982 X 40
weight(Kg) 18

- 15 -
4)적외선 열화상카메라(F30)
피사체의 실물을 찍어 표면으로부터 복사되는 열에너지를 시각적으로 보여
주는 장비이다. 열에너지를 전자파의 일종인 적외선 파장 형태로 검출함으로
써 표면의 복사열의 강도에 따가 각각 다른 색상으로 표현해 주는 장비이다.
<표 3-3> 측정장비의 성능
구분 성능
태양광 전지판 모듈 최대출력 (250W), 효율 (15.64%)
전력 분석계 직류전압(0~60V), 직류전류(0.01~12A)
조도계 0Lux∼199,900 Lux
열화상 카메라 - 20~350 ℃ / -20~100 ℃

2. 실험조건
태양광 전지판 모듈은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서 수목에 의한
그림자가 전기 변환을 방해하여 전력생산량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에 <표 3-4>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0, 20, 40, 60,
80, 100%에 해당 하는 면적에 그림자가 발생하였을 경우의 전력생산량을 변
화조도레벨 90,000~91,600과 120,200~128,300에 대하여 측정하고, I-V커브 그
래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표 3-4> 실험 계획
실험조건 조도레벨 모듈 면적면적대비(%)
(lx) 그림자의
1 90,000~91,600 0, 20, 40, 60, 80, 100
2 120,200~128,300 0, 20, 40, 60, 80, 100

- 16 -
1)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설치위치
위치 : 경산시 진량읍 내리리 15번지 대구대학교 공과대학 1호관 앞 잔디밭
위도 : 35° 53′55.82″N
경도 : 128° 51′20.83″E

2)태양의 고도
춘·추분 : H=90-35=55°
하 지 : H=90-(35-23.5)=78.5°
동 지 : H=90-(35+23.5)=31.5°

3)태양광 전지판 모듈 설치 각도 계산
춘·추분 : H=90-54.1=35°
하 지 : H=90-78.5=11.5°
동 지 : H=90-31.5=58.5°

- 17 -
4)태양의 남중고도
지구의 자전축은 공전 축에 대하여 <그림 3-1>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23.5° 기울어져 있는 상태로 공전하기 때문에 태양의 남중고도에 변화가 생기
며, 계절 변화의 원인이 된다.
하지 때, 태양의 남중고도는 북반구에서 최대가 되고, 남반구에서는 최소가
되는 반면, 동지 때에는 북반구에서 최소가 되고, 남반구에서는 최대가 되며,
춘분과 추분일 때는 적도에서 최대가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3-1> 태양의 남중고도


3.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측정조건
하나의 전력측정기로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의 그림자 면적이 0, 20, 40,
60, 80, 100%로 변화 되었을 때의 전력생산량을 순차적으로 측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측정기간 동안 동일한 조도를 확보하고 있는지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에 그림자가 전혀 없는 상태에
서 전력생산량을 측정할 필요가 있었으며, 전력량 측정과 동시에 모듈 표면에
내려 쪼이는 광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조도계를 이용하여 조도레벨을 측정하였
고, 외기 온도와 모듈 표면의 온도를 열화상카메라로 측정하였다.
- 18 -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에 발생하는 그림자에 의한 전력생산량 저하 특성
을 파악하기 위하여 나뭇잎 등에 의하여 모듈 표면 면적의 0, 20, 40, 60, 80,
100%에 해당하는 면적에 그림자가 발생하도록 하였다.
전력생산량 측정 순서는 태양광 전지판 모듈에 그림자 면적이 0%일 때, 최
대 전력생산량과 모듈 표면의 조도레벨 및 온도를 측정하고, 그람자 면적을
20%가 되도록 한 다음, 동일한 조도레벨일 때, 전력생산량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모듈 표면의 그림자가 40%일 때와 60%, 80% 및 100%에
해당하는 면적에 그림자가 발생하였을 경우의 전력생산량을 측정하였는데, 매
측정시 마다 반드시 동일한 조도가 확보되었을 때, 전력생산량을 측정하였다.
4. 전력생산량의 변화 특성
1)조도레벨 90,600(lx)에서의 전력생산량
태양광에 의한 조도레벨이 90,100~91,600(lx) 정도일 때, 태양광 전지판 모
듈 표면에 나뭇가지 등에 의하여 발생한 그림자 면적이 0, 20, 40, 60, 80,
100%로 변화시켰을 경우의 전력생산량을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림 3-2> 그림자 면적 0%일 때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한 표면온도

- 19 -
<그림 3-3> 그림자 면적 0%일 때 I-V커브

<그림 3-2>에 수목에 의해 발생한 그림자가 0%일 때,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의 모습과 적외선 열화상장치에 의한 온도 측정 결과를 제시하였고, <그
림 3-3>에 I-V커브를 제시하였는데, 최대전압(Vmaxp)는 26.53V, 최대전류
(Imaxp)는 8.04A로 최대전력량(Pmax)은 213.40W로 측정되었다. 이와 같은 전
력량은 측정에 이용한 모듈의 최대출력인 250W의 85% 수준의 효율을 나타내
었다.
<그림 3-4>에 수목에 의해 발생한 그림자 면적이 20%일 때의 태양광 전지
판 모듈 표면에 그림자 진 모습과 적외선 열화상장치에 의한 온도 측정 결과
를 제시하였고, <그림 3-5>에 I-V커브를 제시하였는데, 톱날과 같은 형상으
로 나타났고, 최대전압(Vmaxp)은 20.83V, 최대전류(Imaxp)는 4.55A로 측정되
어 전력생산량(Pmax)은 94.86W로 모듈의 최대출력인 250W의 38% 수준의
효율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태양광 전지판 모듈에 수목에 의한 그림자가 발생하면 I-V커브
의 형상이 톱날 형상으로 타나났는데, 이는 태양전지가 빛을 받을 때 태양전
지가 생성시키는 전류가 한쪽 방향으로 만 흐르기 때문에 빛을 받지 않는 부
- 20 -
분이 생기면 그 부분은 전기 에너지가 생기지 않아, 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르
지 못해서 나타나는 현상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적외선 열화상카메라로 촬영한 온도분포에 의하면, 25.1℃가 가장 낮
은 온도이며, 39.8℃가 가장 높은 온도인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햇볕이 잘 비
추어지는 표면의 온도가 높았으며, 그림자 진 부분의 온도가 낮은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림 3-6>에 수목에 의해 발생한 그림자 면적이 40%일 때의 태양광 전지
판 모듈 표면에 그림자 진 모습과 적외선 열화상장치에 의한 온도 측정 결과
를 제시하였고, <그림 3-7>에 I-V커브를 제시하였는데, 최대전압(Vmaxp)은
32.40V, 최대전류(Imaxp)는 1.97A로 최대전력량(Pmax)은 64.02W로 모듈의 최
대출력인 250W의 26% 수준의 효율을 나타내었다.
<그림 3-8>에 수목에 의해 발생한 그림자 면적이 60%일 때의 태양광 전지
판 모듈 표면에 그림자 진 모습과 적외선 열화상장치에 의한 온도 측정 결과
를 제시하였고, <그림 3-9>에 I-V커브를 제시하였는데, 최대전압(Vmaxp)은
9.26V, 최대전류(Imaxp)는 4.91A로 최대전력량(Pmax)은 45.53W로 모듈의 최
대출력인 250W의 18% 수준의 효율을 나타내었다.
<그림 3-10>에 수목에 의해 발생한 그림자 면적이 80%일 때의 태양광 전
지판 모듈 표면에 그림자 진 모습과 적외선 열화상장치에 의한 온도 측정 결
과를 제시하였고, <그림 3-11>에 I-V커브를 제시하였는데, 최대전압(Vmaxp)
는 29.21V, 최대전류(Imaxp)는 1.51A로 최대전력량(Pmax)은 44.14W로 모듈의
최대출력인 250W의 17% 수준의 효율을 나타내었다.
<그림 3-12>에 수목에 의해 발생한 그림자 면적이 100%일 때의 태양광 전
지판 모듈 표면에 그림자 진 모습과 적외선 열화상장치에 의한 온도 측정 결
과를 제시하였고, <그림 3-13>에 I-V커브를 제시하였는데, 최대전압(Vmaxp)
은 29.40V, 최대전류(Imaxp)는 1.04A로 최대전력량(Pmax)은 30.84W로 모듈의
최대출력인 250W의 12% 수준의 효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여 <표 3-5>에 제시하였는데,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
면에 그림자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전력생산량이 가장 많으며, 20%에 해당하
는 면적에 그림자가 생겼을 때, 가장 많은 전력 생산량 저하가 발생하며, 이
- 21 -
후 그림자의 면적이 넓어질수록 전력생산량도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되어 태양
광 부지 설계시 이러한 그림자가 모듈 표면에 생기지 않도록 일조시뮬레이션
등을 통한 단차계획이나 인동 거리조정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부지 인근에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에 그림자 영향을 줄 수 있는
키 높은 수목 등의 관리에 주의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22 -
<그림 3-4> 그림자 면적 20%일 때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한 표면온도

<그림 3-5> 그림자 면적 20%일 때 I-V커브

- 23 -
<그림 3-6> 그림자 면적 40%일 때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한 표면온도

<그림 3-7> 그림자 면적 40%일 때 I-V커브

- 24 -
<그림 3-8> 그림자 면적 60%일 때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한 표면온도

<그림 3-9> 그림자 면적 60%일 때 I-V커브

- 25 -
<그림 3-10> 그림자 면적 80%일 때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한 표면온도

<그림 3-11> 그림자 면적 80%일 때 I-V커브

- 26 -
<그림 3-12> 그림자 면적 80%일 때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한 표면온도

<그림 3-13> 그림자 면적 100%일 때 I-V커브

- 27 -
<표 3-5> 수목에 의한 그림자 면적에 따른 전력생산량 특성과 효율
그림자 면적 조도 전력생산량 250W
(%) (Lux) (W) 대비 효율(%)
0 90,600 213.40 85
20 91,600 94.86 38
40 90,200 64.02 26
60 90,000 45.53 18
80 90,800 44.14 17
100 90,100 30.84 12
조도레벨 : 90,000~91,600

조도레벨 : 90,000~91,600(lx)

그림자 면적(%)
<그림 3-14> 모듈의 그림자 면적에 따른 전력생산량
- 28 -
2)조도레벨 123,000(lx)에서의 전력생산량
태양광에 의한 조도레벨이 120,200~128,300(lx) 정도일 때, 태양광 전지판 모
듈 표면에 나뭇가지 등에 의하여 발생한 그림자 면적이 0, 20, 40, 60, 80,
100%로 변화시켰을 경우의 전력생산량을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림 3-15>에 수목에 의해 발생한 그림자가 없을 때,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의 모습과 적외선 열화상장치에 의한 온도 측정 결과를 제시하였고, <그
림 3-16>에 I-V커브를 제시하였는데, 최대전압(Vmaxp)는 26.94V, 최대전류
(Imaxp)는 7.95A로 최대전력량(Pmax)은 214.40W로 측정되었다. 이와 같은 전
력량은 측정에 이용한 모듈의 최대출력인 250W의 86% 수준의 효율을 나타내
었다.
<그림 3-17>에 수목에 의해 발생한 그림자 면적이 20%일 때의 태양광 전
지판 모듈 표면에 그림자 진 모습과 적외선 열화상장치에 의한 온도 측정 결
과를 제시하였고, <그림 3-18>에 I-V커브를 제시하였는데, 최대전압(Vmaxp)
는 16.51V, 최대전류(Imaxp)는 8.20A로 최대전력량(Pmax)은 135.50W로 측정
되었다. 이와 같은 전력량은 측정에 이용한 모듈의 최대출력인 250W의 54%
수준의 효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적외선 열화상카메라로 촬영한 온도분포에 의하면, 25.9℃가 가장 낮
은 온도이며, 45.7℃가 가장 높은 온도인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햇볕이 잘 비
추어지는 표면의 온도가 높았으며, 그림자 진 부분의 온도가 낮은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림 3-19>에 수목에 의해 발생한 그림자 면적이 40%일 때의 태양광 전
지판 모듈 표면에 그림자 진 모습과 적외선 열화상장치에 의한 온도 측정 결
과를 제시하였고, <그림 3-20>에 I-V커브를 제시하였는데, 최대전압(Vmaxp)
은 19.58V, 최대전류(Imaxp)는 5.26A로 최대전력량(Pmax)은 103.00W로 모듈
의 최대출력인 250W의 41% 수준의 효율을 나타내었다.
<그림 3-21>에 수목에 의해 발생한 그림자 면적이 60%일 때의 태양광 전
지판 모듈 표면에 그림자 진 모습과 적외선 열화상장치에 의한 온도 측정 결
과를 제시하였고, <그림 3-22>에 I-V커브를 제시하였는데, 최대전압(Vmaxp)
은 7.57V, 최대전류(Imaxp)는 7.91A로 최대전력량(Pmax)은 59.98W로 모듈의
- 29 -
최대출력인 250W의 24% 수준의 효율을 나타내었다.
<그림 3-23>에 수목에 의해 발생한 그림자 면적이 80%일 때의 태양광 전
지판 모듈 표면에 그림자 진 모습과 적외선 열화상장치에 의한 온도 측정 결
과를 제시하였고, <그림 3-24>에 I-V커브를 제시하였는데, 최대전압(Vmaxp)
는 30.01V, 최대전류(Imaxp)는 1.03A로 최대전력량(Pmax)은 31.09W로 모듈의
최대출력인 250W의 12% 수준의 효율을 나타내었다.
<그림 3-25>에 수목에 의해 발생한 그림자 면적이 100%일 때의 태양광 전
지판 모듈 표면에 그림자 진 모습과 적외선 열화상장치에 의한 온도 측정 결
과를 제시하였고, <그림 3-26>에 I-V커브를 제시하였는데, 최대전압(Vmaxp)
은 27.01V, 최대전류(Imaxp)는 0.78A로 최대전력량(Pmax)은 21.25W로 모듈의
최대출력인 250W의 9% 수준의 효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여 <표 3-6>에 제시하였는데,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
면에 그림자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전력생산량이 가장 많으며, 20%에 해당하
는 면적에 그림자가 생겼을 때, 가장 많은 전력 생산량 저하가 발생하며, 이
후 그림자의 면적이 넓어질수록 전력생산량도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되어 태양
광 부지 설계시 이러한 그림자가 모듈 표면에 생기지 않도록 일조시뮬레이션
등을 통한 단차계획이나 인동 거리조정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부지 인근에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에 그림자 영향을 줄 수 있는
키 높은 수목 등의 관리에 주의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30 -
<그림 3-15> 그림자 면적 0%일 때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한 표면온도

<그림 3-16> 그림자 면적 0% 일 때 I-V커브

- 31 -
<그림 3-17> 그림자 면적 20%일 때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한 표면온도

<그림 3-18> 그림자 면적 20% 일 때 I-V커브

- 32 -
<그림 3-19> 그림자 면적 40%일 때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한 표면온도

<그림 3-20> 그림자 면적 40% 일 때 I-V커브

- 33 -
<그림 3-21> 그림자 면적 60%일 때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한 표면온도

<그림 3-22> 그림자 면적 60% 일 때 I-V커브

- 34 -
<그림 3-23> 그림자 면적 80%일 때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한 표면온도

<그림 3-24> 그림자 면적 80% 일 때 I-V커브

- 35 -
<그림 3-25> 그림자 면적 100%일 때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한 표면온도

<그림 3-26> 그림자 면적 100% 일 때 I-V커브

- 36 -
<표 3-6> 수목에 의한 그림자 면적에 따른 전력생산량 특성과 효율
그림자 면적 조도 전력생산량 250W
(%) (Lux) (W) 대비 효율(%)
0 125,800 214.4 86
20 125,000 153.5 54
40 128,300 103.00 41
60 120,800 59.98 24
80 123,500 31.09 12
100 120,200 21.25 9
조도레벨 : 120,200~128,300

조도레벨:120,200~128,300(lx)

그림자 면적(%)
<그림 3-27> 모듈의 그림자 면적에 따른 전력생산량
- 37 -
<표 3-7>에 조도레벨 90,000~91,600(lx)와 120,200~128,300(lx) 상태의 2조
건에서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에 나뭇잎 등에 의하여 그림자 진 면적이 0,
20, 40, 60, 80, 100%로 변화시켰을 경우의 전력생산량 변화 특성을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이 표에 제시한 결과에 의하면, 조도레벨이 높을수록 전력 생산량이 높고,
나뭇잎에 의한 그림자의 면적이 커질수록 전력생산량이 작아지는 것으로 조사
되어 모듈 표면에 발생한 그림자가 전력생산량 저하에 크게 영향 미치는 것으
로 사료된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소 부지 조성시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에 나뭇잎이나
인접한 어레이 등에 의하여 그림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표 3-7> 조도별 그림자 면적에 따른 전력생산량 특성과 효율


그림자 실험조건 1의 조도 (Lux) 실험조건 2의 조도 (Lux)
면적
(%) 전력생산량(W), 250W 대비 효율 전력생산량(W), 250W 대비 효율
90,600 125,800
0
213.40W (85%) 214.4W (86%)
91,600 125,000
20 94.86W (38%) 153.5W (54%)
90,200 128,300
40 64.02W (26%) 103.00W (41%)
90,000 120,800
60 45.53W (18%) 59.98W (24%)
90,800 123,500
80 44.14W (17%) 31.09W (12%)
90,100 120,200
100 30.84W (12%) 21.25W (9%)

- 38 -
5. 소결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표면에 수목이나 인접 건물 및 인근 어레이 등에 의
하여 그림자가 발생하였을 경우의 전력생산량 저하 특성에 대하여 측정한 결
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①태양광 전지판 모듈에 수목 그림자가 전혀 생기지 않았을 경우의 전력생
산량이 가장 높았고, 수목에 의하여 20% 그림자가 드리워졌을 때가 전력
생산량의 감소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후 그림자 면적이 40% 이상으로 늘
어남에 따라 전력감소율이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②태양광 전지판 모듈에 수목에 의한 그림자가 발생하면 I-V커브의 형상이
톱날 형상으로 타나났는데, 이는 태양전지가 빛을 받을 때 태양전지가 생
성시키는 전류가 한쪽 방향으로 만 흐르기 때문에 빛을 받지 않는 부분이
생기면 그 부분은 전기 에너지가 생기지 않아, 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르지
못해서 나타나는 현상인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③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표면에 그림자가 없을 경우, 모듈의 설치각도와 구
름으로 인하여 모듈의 온도가 일정하지 않았고, 모듈에 비치는 수목의 그
림자 면적이 넓어질수록 표면온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수목 등에 의한 그림자가 모듈 표면의 온도에 영향을 주며, 전력생산량에
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39 -
Ⅳ. 모듈의 표면 온도가 전력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여름철 외기 온도가 40℃에 가깝게 상승하면,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표면온
도가 60℃이상으로 상승하고, 이로 인한 전력생산량도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의 온도가 25℃일 때, 전력생산량이 가장 많은 것
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리콘 태양전지는 온도가 이보다 오를 때 마다 전력생
산량이 줄어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표면온도가 일시적으로 70℃이상 과열되는 일
이 반복되면, 모듈의 성능이 매년 1~3%씩 영구적으로 감소하고, 그에 따라
모듈 수명도 단축되는 열화현상으로 인한 전력생산량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여름철 모듈 표면의 온도가 상승하였을 때, 태양광 전
지판 모듈 표면에 온도가 다른 여러 조건의 물을 살수하여 온도를 떨어 뜨리
는 것에 의한 전력생산량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대기온도 의하여 뜨거워진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표면 온도를 떨어 뜨리기
위해 외기온도나 모듈 온도에 비해 낮은 온도의 물인 8, 13, 17, 22, 27℃의 5
개 조건의 물로 살수하였다.
또한, 이들 5개의 살수 조건에서의 전력생산량을 서로 비교하기 위하여 동
일한 조도레벨의 조건하에서 실험 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표 4-1> 측정기기

태양광 전지판 전력분석계 조도계 열화상카메라 온도 측정기


모듈

- 40 -
1. 측정을 위해 사용한 장비
1)태양광 전지판 모듈
태양광 전지판 모듈은 국내 S사의 BM-250(2BUS-BAR)을 사용하였다.
2)전력분석계(PROVA-210)
태양전지, 태양광모듈 효율 및 I-V Curve 측정기

<그림 4-1> 전력분석기에 의한 I-V커브

3)조도계(Topcon IM-3)
조도의 측정에 편리하도록 만들어진 광도계의 일종
4)적외선 열화상카메라(F30)

- 41 -
<그림 4-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피사체의 실물을 찍어 피사체의 표면으
로부터 복사되는 열에너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장비이다. 열에너지를 전자
파의 일종인 적외선 파장의 형태로 검출함으로써 피사체 표면의 복사열의 강
도에 따가 각각 다른 색상으로 표현해 주는 장비이다.

<그림 4-2> 적외선 열화상카메라에 의한 표면 온도측정

5)온도 측정기(MV2000)
C-C열전대에 의한 온도 측정 및 기록장치

- 42 -
2. 실험조건
각 측정의 비교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측정을 진행하였다.
①30분 이상 모듈을 외부에 설치 후 측정 - 모듈의 표면 온도가 전력생산
에 영향을 미치므로 측정 장소의 온도에 적응하도록 한 후, 측정한다.
②조도레벨이 동일한 조건이 되었을 때 측정 - 모듈에 내려 쬐이는 빛의
량에 따라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이 달라지므로 타 조건 실
험과 비교하기 위하여 동일한 조도레벨이 되었을 때, 측정한다.
③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방향과 설치각도 - 태양광 전지판이 태양 광선과
일직선이 되도록 하며, 측정 시각의 태양의 고도를 계산하여 태양광선
과 직각이 되도록 모듈판을 설치한다.
④살수시 사용된 물의 양 -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상부에서 살수하여 하
부로 흘러 내리도록 하며, 좌측에서 우측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옮겨
가며, 1분간 5회씩 반복하여 살수하며, 1회 측정시 2()를 살수하여 모듈
표면의 온도를 떨어 뜨린다.
3. 측정순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측정순서는 <표 4-2>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측정 당일의 태양의 고도를 계산하여 태양광에 직각이 되도록 태양광 전
지판 모듈을 설치하고, 태양광선과 일직선이 되도록 설치한 다음 전력측정기
에 연결한다.
그 뒤, 태양광 전지판 모듈에 물을 살수하여 모듈 표면의 온도를 떨어 뜨려
가면서 전력생산량 변화 정도를 측정한다.

- 43 -
<표 4-2>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측정순서
단계 사진 설명
측정일의 태양의 고도를 계산하
여 태양광 전지판 모듈을 태양광
에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하고, 막
1단계 대 그림자와 일직선상에 모듈중
심을 일치시킨다.
태양광 전지판 모듈에 전력측정
기를 연결한다.

2단계 태양광 전지판 모듈에 살수하여


모듈의 온도를 변화 시킨다.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온도를


3단계 저하시키면서 일정 간격으로 태
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을 측정한다.

- 44 -
4. 측정결과
1)1분간 2ℓ 물 살수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
본 측정에서는 8.2, 13.4, 17.1, 22.3, 27.2℃의 냉각수를 사용하여 태양광 전지
판 모듈 표면에 1분간 2ℓ의 물을 살수하여 전력생산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표 4-3>과 <그림 4-3>에 8.2℃의 냉수로 모듈 표면에 살수 전과 살수 후
의 전력생산량의 비교치를 제시하였다.
8.2℃의 냉각수로 살수하기 전에는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의 온도 49.7℃
이며, 전력생산량은 184.9W이던 것이 8.2℃의 냉각수로 모듈 표면에 살수하였
을 경우에는 모듈 표면의 온도가 44.0℃로 약 5.7℃가량 모듈 표면의 온도가
낮아 졌으며, 전력생산량은 195.5W로 살수 전에 비해 5.7% 정도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표 4-4>와 <그림 4-4>에 13.4℃의 냉수로 모듈 표면에 살수 전과 살수
후의 전력생산량의 비교치를 제시하였다.
13.4℃의 냉각수로 살수하기 전에는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의 온도 50.7℃
이며, 전력생산량은 147.9W이던 것이13.4℃의 냉각수로 모듈 표면에 살수하였
을 경우에는 모듈 표면의 온도가 42.9℃로 낮아 졌으며, 전력생산량은 155.0W
로 살수 전에 비해 5.2% 정도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표 4-5>와 <그림 4-5>에 17.1℃의 냉수로 모듈 표면에 살수 전과 살수
후의 전력생산량의 비교치를 제시하였다.
17.1℃의 냉각수로 살수하기 전에는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의 온도 47.8℃
이며, 전력생산량은 127.5W이던 것이 17.1℃의 냉각수로 모듈 표면에 살수하
였을 경우에는 모듈 표면의 온도가 36.4℃로 낮아 졌으며, 전력생산량은
132.4W로 살수 전에 비해 3.8% 정도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표 4-6>과 <그림 4-6>에 22.3℃의 냉수로 모듈 표면에 살수 전과 살수
후의 전력생산량의 비교치를 제시하였다.
22.3℃의 냉각수로 살수하기 전에는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의 온도 49.3℃
이며, 전력생산량은 169.0W이던 것이 22.3℃의 냉각수로 모듈 표면에 살수하
였을 경우에는 모듈 표면의 온도가 41.0℃로 낮아 졌으며, 전력생산량은

- 45 -
174.6W로 살수 전에 비해 3.3% 정도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표 4-7>과 <그림 4-7>에 27.2℃의 냉수로 모듈 표면에 살수 전과 살수
후의 전력생산량의 비교치를 제시하였다.
27.2℃의 냉각수로 살수하기 전에는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의 온도 42.5℃
이며, 전력생산량은 116.8W이던 것이 27.2℃의 냉각수로 모듈 표면에 살수하
였을 경우에는 모듈 표면의 온도가 35.8℃로 낮아 졌으며, 전력생산량은
118.9W로 살수 전에 비해 1.8% 정도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 46 -
<표 4-3> 8.2℃ 물 살수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살수유무 조도(lx) 모듈온도(℃) 전력생산량(W) 발전 증가율(%)
살수 전 103,500 49.7 184.9 -
살수 후 103,300 44.0 195.5 5.7

□전력생산량(W) ■모듈온도(℃)

살수전 살수유무 살수후


<그림 4-3> 8.2℃ 물 살수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 47 -
<표 4-4> 13.4℃ 물 살수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살수유무 조도(lx) 모듈온도(℃) 전력생산량(W) 발전 증가율(%)
살수 전 78,300 50.7 147.9 -
살수 후 77,600 42.9 155.0 5.2

□전력생산량(W) ■모듈온도(℃)

살수전 살수유무 살수후


<그림 4-4> 13.4℃ 물 살수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 48 -
<표 4-5> 17.1℃ 물 살수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살수유무 조도(lx) 모듈온도(℃) 전력생산량(W) 발전 증가율(%)
살수 전 65,500 47.8 127.5 -
살수 후 63,400 36.4 132.4 3.8

□전력생산량(W) ■모듈온도(℃)

살수전 살수유무 살수후


<그림 4-5> 17.1℃ 물 살수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 49 -
<표 4-6> 22.3℃ 물 살수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살수유무 조도(lx) 모듈온도(℃) 전력생산량(W) 발전 증가율(%)
살수 전 88,300 49.3 169.0 -
살수 후 88,200 41.0 174.6 3.3

□전력생산량(W) ■모듈온도(℃)

살수전 살수유무 살수후


<그림 4-6> 22.3℃ 물 살수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 50 -
<표 4-7> 27.2℃ 물 살수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살수유무 조도(lx) 모듈온도(℃) 전력생산량(W) 발전 증가율(%)
살수 전 55,400 42.5 116.8 -
살수 후 52,700 35.8 118.9 1.8

□전력생산량(W) ■모듈온도(℃)

살수전 살수유무 살수후


<그림 4-7> 27.2℃ 물 살수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 51 -
<표 4-8> 살수 온도 조건별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살수온도 살수유무 조도 모듈 온도 전력생산량 발전 증가율
℃ (lx) (℃) (W) (%)
살수 전 103,500 49.7 184.9 -
8.2
살수 후 103,300 44.0 195.5 5.7
살수 전 78,300 50.7 147.9 -
13.4
살수 후 77,600 42.9 155.0 5.2
살수 전 65,500 47.8 127.5 -
17.1
살수 후 63,400 36.4 132.4 3.8
살수 전 88,300 49.3 169.0 -
22.3
살수 후 88,200 41.0 174.6 3.3
살수 전 55,400 42.5 116.8 -
27.2
살수 후 52,700 35.8 118.9 1.8

<표 4-8>에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의 온도를 저하시킬 목적으로 살


수하는 물의 온도를 8.2, 13.4, 17.1, 22.3, 27.2℃로 변경하여 살수한 경우
의 측정 조도레벨과 모듈의 살수 전과 후의 온도변화 및 전력생산량과 발
전 증가율을 제시하였는데, 조도레벨이 높을수록 전력생산량이 많은 것으
로 조사되었다.
또한, 적외선 열화상장치에 의하여 측정한 모듈 표면의 온도는 살수 전
에 비하여 살수 후의 온도가 전체적으로 낮았으며, 살수 전에 비하여 살
수 후의 전력생산량이 많았고, 살수 온도가 낮을수록 전력생산량 증가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52 -
이상의 결과에서 모듈판 표면 온도가 전력생산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
을 알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태양광선의 량을 나타내는 지표인 조도레벨
이 높을수록 전력생산량도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수온도(℃)
<그림 4-8> 살수 온도별 전력생산량 증가율

- 53 -
2)연속 살수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
<표 4-9>와 <그림 4-9>에 조도레벨 141,000~144,500룩스, 외기 온도 27.
8℃ 전후의 기상 상황하에서 분당 2ℓ씩 6차에 걸쳐서 살수한 경우의 태양전
지판 모듈의 온도와 전력생산량 변화를 제시하였다.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표면에 물을 살수하기 전에는 모듈 표면의 온도가
49.6℃였으며, 전력생산량은 212.3W를 나타내었으나, 2ℓ의 물을 1차로 살수한
때에는 214.5W로 약 2.2W 증가하였고, 2차 살수시에는 모듈온도는 38.0℃로
떨어졌으나, 전력생산량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이후, 3차~6차에 걸쳐 2ℓ씩의 물을 살수하여, 모듈 표면의 온도는 33.9,
34.3, 34.3, 33.5℃로 변화하였으나, 전력생산량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이는,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효율이 250W의 85% 수준인 212W가 전력생산
량의 피크치이기 때문에 214W가 피크치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모듈 표면의
온도가 내려가도 더 이상 전력량 증가로 이어지지는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표 4-10>과 <그림 4-10>에 조도레벨 91,900~93,800룩스, 외기 온도 25.
4℃ 전후의 기상 상황하에서 분당 2ℓ씩 3차에 걸쳐서 태양광 전지판 모듈에
살수한 경우의 태양전지판 모듈의 온도와 전력생산량 변화를 제시하였다.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표면에 물을 살수하기 전에는 모듈 표면의 온도가
46.4℃일 때 전력생산량은 151.3W를 나타내었으나, 2ℓ의 물을 1차로 살수한
때에는 모듈 표면의 온도가 40.1℃로 낮아졌고, 전력생산량은 154.3W로 약
3.0W 증가하였으며, 2차 살수시에는 모듈온도는 35.8℃로 떨어졌으나, 전력생
산량은 오히려 줄어들었는데, 이는 조도레벨의 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
된다.
그러나, 3차에 2ℓ씩의 물을 살수하여, 모듈 표면의 온도가 36.0℃로 떨어졌
을 때는 전력생산량은 157.1W로 전력생산량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도레벨이 동일한 1차와 3차 살수시의 전력생산량을 비교하여 보면, 살수
에 의해 모듈 온도는 40.1℃에서 36.0℃로 낮아졌으며, 전력생산량은 154.3W에
서 157.1W로 2.8W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모듈판의 온도가 살수에 의하여 낮
아진 것으로 인해 전력생산량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4-11>과 <그림 4-11>에 조도레벨 93,200~98,900룩스, 외기 온도 25.
- 54 -
5℃ 전후의 기상 상황하에서 분당 2ℓ씩 3차에 걸쳐서 태양광 전지판 모듈에
살수한 경우의 태양전지판 모듈의 온도와 전력생산량 변화를 제시하였다.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표면에 물을 살수하기 전에는 모듈 표면의 온도가
45.5℃일 때 전력생산량은 206.8W를 나타내었으나, 2ℓ의 물을 1차로 살수한
때에는 모듈 표면의 온도가 40.7℃로 낮아졌고, 전력생산량은 213.8W로 약
7.0W 증가하였으며, 2차 살수시에는 모듈온도는 36.7℃로 떨어지고, 전력생산
량은 214.5W로 0.7W 증가하였다.
<표 4-12>와 <그림 4-12>에 조도레벨 131,800~136,000룩스, 외기 온도
27.7℃ 전후의 기상 상황하에서 분당 2ℓ씩 6차에 걸쳐서 태양광 전지판 모듈
에 살수한 경우의 태양전지판 모듈의 온도와 전력생산량 변화를 제시하였다.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표면에 물을 살수하기 전에는 모듈 표면의 온도가
51.8℃일 때 전력생산량은 199.9W를 나타내었으나, 2ℓ의 물을 1차로 살수한
때에는 모듈 표면의 온도가 43.4℃로 낮아지면서 전력생산량은 212.4W로 약
12.5W 증가하였으며, 2차 살수시에는 모듈온도는 38.6℃로 떨어지고, 전력생산
량은 214.1W로 1.7W 증가하였다.
<표 4-13>과 <그림 4-13>에 조도레벨 52,600~53,400룩스, 외기 온도 25.
7℃ 전후의 기상 상황하에서 분당 2ℓ씩 3차에 걸쳐서 태양광 전지판 모듈에
살수한 경우의 태양전지판 모듈의 온도와 전력생산량 변화를 제시하였다.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표면에 물을 살수하기 전에는 모듈 표면의 온도가
42.0℃일 때 전력생산량은 88.8W를 나타내었으나, 2ℓ의 물을 1차로 살수한
때에는 모듈 표면의 온도가 30.3℃로 낮아지면서 전력생산량은 92.0W로 약
3.2W 증가하였으며, 2차 살수시에는 모듈온도는 27.4℃로 떨어지고, 전력생산
량은 102.2W로 8.2W 증가하였다.
또한, 3차로 2ℓ의 물을 살수한 때에는 모듈 표면의 온도가 25.9℃로 낮아지
면서 전력생산량은 128.5W로 약 26.3W 증가하여 가장 높은 전력생산량 증가
율을 나타내었다.
<표 4-14>와 <그림 4-14>에 조도레벨 41,400~43,300룩스, 외기 온도 25.
7℃ 전후의 기상 상황하에서 분당 2ℓ씩 4차에 걸쳐서 태양광 전지판 모듈에
살수한 경우의 태양전지판 모듈의 온도와 전력생산량 변화를 제시하였다.
- 55 -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표면에 물을 살수하기 전에는 모듈 표면의 온도가
35.2℃일 때 전력생산량은 71.9W를 나타내었으나, 2ℓ의 물을 1차로 살수한
때에는 모듈 표면의 온도가 32.9℃로 낮아지면서 전력생산량은 77.0W로 약
5.1W 증가하였으며, 2차 살수시에는 모듈온도는 29.8℃로 떨어지고, 전력생산
량은 102.5W로 25.5W 증가하였다.
<표 4-15>와 <그림 4-15>에 조도레벨 114,800~121,700룩스, 외기 온도
28.4℃ 전후의 기상 상황하에서 분당 2ℓ씩 8차에 걸쳐서 태양광 전지판 모듈
에 살수한 경우 모듈의 온도와 전력생산량 변화를 제시하였다.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표면에 물을 살수하기 전에는 모듈 표면의 온도가
50.3℃일 때 전력생산량은 207.1W를 나타내었으나, 2ℓ의 물을 1차로 살수한
때에는 모듈 표면의 온도가 47.4℃로 낮아지면서 전력생산량은 214.4W로 약
7.3W 증가하였고, 2~8차 살수시에는 모듈온도는 39.9~25.6℃로 떨어졌으나,
전력생산량의 변화는 그다지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조도레벨이 높아 전력생산량의 250W의 85% 수준에
도달하였을 경우에는 살수에 의하여 모듈 표면의 온도가 낮아져도 전력생산량
의 증가는 그다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표 4-16>과 <그림 4-16>에 조도레벨 121,00~122,600룩스, 외기 온도 28.
5℃ 전후의 기상 상황하에서 분당 2ℓ씩 3차에 걸쳐서 태양광 전지판 모듈에
살수한 경우 모듈의 온도와 전력생산량 변화를 제시하였다.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표면에 물을 살수하기 전에는 모듈 표면의 온도가
54.1℃일 때 전력생산량은 200.2W를 나타내었으나, 2ℓ의 물을 1차로 살수한
때에는 모듈 표면의 온도가 45.5℃로 낮아지면서 전력생산량은 212.8W로 약
12.6W 증가하였고, 2~3차 살수시에는 모듈온도는 39.8~34.4℃로 떨어졌으나,
전력생산량의 변화는 그다지 없었다.
이러한 결과 역시 조도레벨이 높을 경우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살수에 의하
여 모듈 표면의 온도는 저하되지만, 전력생산량 증가로는 이어지지 않았는데,
250W의 85%에 가까운 전력생산량이기 때문에 더 이상 낮아지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표 4-17>과 <그림 4-17>에 조도레벨 24,800~25,600룩스, 외기 온도 23.
- 56 -
5℃ 전후의 기상 상황하에서 분당 2ℓ씩 5차에 걸쳐서 태양광 전지판 모듈에
살수한 경우의 태양전지판 모듈의 온도와 전력생산량 변화를 제시하였다.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표면에 물을 살수하기 전에는 모듈 표면의 온도가
26.6℃일 때 전력생산량은 64W를 나타내었으나, 2ℓ의 물을 1차로 살수한 때
에는 모듈 표면의 온도가 26.0℃로 낮아지면서 전력생산량은 62.0W로 오히려
2.0W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차 살수시에는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의 온도가 23.6℃로 낮아지면서 전
력생산량은 58.1W로 오히려 3.9W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5차 살수
시 모듈 표면의 온도가 21.0~20.1℃ 낮아지면서 전력생산량도 55.4~53.9W로
약간씩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의 온도가 25℃보다도 더 낮아질 경우
에는 오히려 온도가 낮아질수록 전력생산량도 줄어드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모듈 표면의 온도가 전력생산량의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사료된다.

- 57 -
<표 4-9>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 (1회차 실험)
횟수 조도(lx) 모듈온도(℃) 외기온도(℃) 전력생산량(W)
살수 전 144,500 49.6 27.9 212.3
1차 142,000 40.6 27.8 214.5
2차 142,700 38.0 27.9 214.4
3차 142,800 33.9 27.8 213.7
4차 141,000 34.3 27.7 214.3
5차 142,200 34.3 27.8 213.8
6차 141,500 33.5 27.8 214.5

□전력생산량(W) ■모듈온도(℃)

살수전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살수유무
<그림 4-9>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 (1회차 실험)

- 58 -
<표 4-10>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 (2회차 실험)
횟수 조도(lx) 모듈온도(℃) 외기온도(℃) 전력생산량(W)
살수 전 93,400 46.4 25.4 151.3
1차 93,800 40.1 25.6 154.3
2차 91,900 35.8 25.3 153.8
3차 93,800 36.0 25.5 157.1

□전력생산량(W) ■모듈온도(℃)

살수전 1차 2차 3차
살수유무
<그림 4-10>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 (2회차 실험)

- 59 -
<표 4-11>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 (3회차 실험)
횟수 조도(lx) 모듈온도(℃) 외기온도(℃) 전력생산량(W)
살수전 93,200 45.5 25.4 206.8
1차 93,200 40.7 25.3 213.8
2차 98,200 36.7 25.5 214.5
3차 98,900 38.4 25.7 214.1

□전력생산량(W) ■모듈온도(℃)

살수전 1차 2차 3차
살수유무
<그림 4-11>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 (3회차 실험)

- 60 -
<표 4-12>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 (4회차 실험)
횟수 조도(lx) 모듈온도(℃) 외기온도(℃) 전력생산량(W)
살수전 132,400 51.8 27.7 199.9
1차 132,400 43.4 27.8 212.4
2차 132,100 38.6 27.8 214.1
3차 132,900 36.0 27.7 213.7
4차 131,800 35.5 27.8 214.6
5차 134,500 32.0 27.7 213.9
6차 136,000 34.6 27.7 214.6

□전력생산량(W) ■모듈온도(℃)

살수전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살수유무
<그림 4-12>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 (4회차 실험)

- 61 -
<표 4-13>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 (5회차 실험)
횟수 조도(lx) 모듈온도(℃) 외기온도(℃) 전력생산량(W)
살수전 52,600 42.0 25.7 88.8
1차 52,700 30.3 25.7 92.0
2차 52,900 27.4 25.7 100.2
3차 53,400 25.9 25.7 128.5

□전력생산량(W) ■모듈온도(℃)

살수전 1차 2차 3차
살수유무
<그림 4-13>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 (5회차 실험)

- 62 -
<표 4-14>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 (6회차 실험)
횟수 조도(lx) 모듈온도(℃) 외기온도(℃) 전력생산량(W)
살수전 43,300 35.2 25.8 71.9
1차 42,900 32.9 25.8 77.0
2차 41,900 29.8 25.7 102.5
3차 42,300 27.0 25.7 101.3
4차 41,400 26.7 25.7 112.6

□전력생산량(W) ■모듈온도(℃)

살수전 1차 2차 3차 4차
살수유무
<그림 4-14>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 (6회차 실험)

- 63 -
<표 4-15>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 (7회차 실험)
횟수 조도(lx) 모듈온도(℃) 외기온도(℃) 전력생산량(W)
살수전 121,700 50.3 28.4 207.1
1차 120,100 47.4 28.5 214.4
2차 121,200 39.9 28.5 214.5
3차 120,100 37.1 28.5 213.6
4차 121,400 32.4 28.5 214.2
5차 121,000 29.7 28.4 214.6
6차 120,700 29.4 28.4 214.1
7차 121,500 26.6 28.4 214.6
8차 114,800 25.6 28.3 214.4

□전력생산량(W) ■모듈온도(℃)

살수전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7차 8차
살수유무
<그림 4-15>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 (7회차 실험)

- 64 -
<표 4-16>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 (8회차 실험)
횟수 조도(lx) 모듈온도(℃) 외기온도(℃) 전력생산량(W)
살수전 122,400 54.1 28.4 200.2
1차 122,600 45.5 28.5 212.8
2차 122,100 39.8 28.5 214.6
3차 121,000 34.4 28.5 214.3

□전력생산량(W) ■모듈온도(℃)

살수전 1차 2차 3차
살수유무
<그림 4-16>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 (8회차 실험)

- 65 -
<표 4-17>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 (9회차 실험)
횟수 조도(lx) 모듈온도(℃) 외기온도(℃) 전력생산량(W
)
살수전 24,800 26.6 23.6 64.0
1차 25,400 26.0 23.6 62.0
2차 25,000 23.6 23.6 58.1
3차 24,900 21.0 23.5 55.4
4차 25,300 20.3 23.5 53.7
5차 25,600 20.1 23.5 53.9

□전력생산량(W) ■모듈온도(℃)

살수전 1차 2차 3차 4차 5차
살수유무
<그림 4-17> 연속 살수시 모듈의 전력생산량 변화 (9회차 실험)

- 66 -
5. 소결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의 온도를 떨어뜨릴 목적으로 1분에 2ℓ의 물을 1
회 살수한 경우와, 수차례 연속적으로 살수한 결과에 따른 전력생산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①조도레벨이 낮을 경우, 전력생산량도 낮았으나, 살수에 의하여 모듈 표면
의 온도가 저하되면, 전력생산량 증가율은 조도레벨이 높은 경우에 비하
여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②조도레벨이 높아 250W의 85%인 212W의 전력생산이 가능할 때는, 모듈
표면의 온도가 살수에 의하여 낮아지더라도 전력생산량의 증가로 이어지
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③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의 온도가 25℃보다도 더 낮아질 경우에는 오히
려 온도가 낮아질수록 전력생산량도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모듈
표면의 온도가 전력생산량의 중요한 요소인 것이 파악되었다.

- 67 -
Ⅴ. 계절별 모듈의 설치각도가 전력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본 장에서는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설치방법에 따라 계절별로 태양의 고도
를 계산하고, 태양광선에 직각이 되도록 정남향으로 고정 설치하는 단축 가변
형과 계절별로 태양의 고도에 따른 태양 광선에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하면서,
아울러 시간에 따른 태양광선에 직각이 되도록 조정이 가능한 양축 가변형 시
스템의 전력생산량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1. 측정을 위해 사용한 장비
측정 당일, 전력생산량 측정과 함께 조도레벨과 일사량을 동시에 측정하였
으며, 타 측정조건과의 비교를 위하여 조도레벨 및 일사량 오차를 줄이기 위
해 최대한 신속하게 측정하였다.
측정일의 태양의 고도를 계산하여 태양 광선에 직각이 되도록 정남향 방향
으로 고정 설치하여 경사각과 방위각을 변화시킬 수 없는 형식인 단축 가변형
과 태양광 전지판 모듈을 움직일 수 있는 회전축을 2개 설치하여 한 축을 태
양의 방향각을 추적하고, 또 다른 한 축은 태양의 고도각이 추적 가능한 양축
가변형의 전력생산량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전력량 측정이 이용한 태양광 전지판 모듈 및 전력량 측정기기와 조도레벨
및 일사량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를 <표 5-1>에 제시하였다.
<표 5-1> 측정기기

태양광 전지판 모듈 전력측정계 조도계 일사계

- 68 -
1)태양광 전지판 모듈
태양광 전지판 모듈은 국내 S사의 BM-250(2BUS-BAR)
2)전력측정계(TSC-PD02)
태양전지, 태양광 전지판 모듈 효율 및 I-V Curve 측정기
3)조도계(Topcon IM-3)
조도의 측정에 편리하도록 만들어진 광도계의 일종
4)일사계(com3)
태양복사선 즉 일사량은 측정하는 기구
<표 5-2> 측정 장비의 제원
명칭 모델 규격
태양광 전지판 모듈 BM-250(2BUS-BAR) 250W
전력측정계 TSC-PD02 1,200W, DC 120V, 10A
조도계 Topcon IM-3 0.01~199,900Lx
일사계 com3 0~2,000W/㎡

2. 실험조건
1)설치지역 선정
위치 : 경북 경산시 진량읍 내리리 15번지 대구대학교 공과대학1호관
위도 : 35° 53′55.82″N
경도 : 128° 51′20.83″E

- 69 -
2)태양의 고도
춘·추 H=90-35=55°
하지 H=90-(35-23.5)=78.5°
동지 H=90-(35+23.5)=31.5°
3)태양광 전지판 모듈 설치 각도 계산
춘·추 H=90-54.1=35°
하지 H=90-78.5=11.5°
동지 H=90-31.5=58.5°
3. 실험계획
실험 조건에서 나타낸 태양의 남중고도를 고려하여 <표 5-3>에 나타낸 바
와 같이 태양광선에 수직인 경사각(0°)을 기준으로 각각 3°씩 변경시켜 가면서
동일 시간대에 고정식과 추적식으로 각각 -15°, -12°, -9°, -6°, -3°, 0°, +3°,
+6°, +9°, +12°, +15°의 총 11조건에 대하여 각 조건의 측정결과를 서로 비교
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조도레벨과 일사량이 지켜져야 하므로 이들 값이 변하
기 전에 최대한 신속하게 측정을 실시하였다.
<표 5-3> 측정방법
모듈 설치조건 -15°,측정-12°,당일-9°,모듈-6°,설치각도를 기준으로 (총 11회)
-3°, 0°, +3°, +6°, +9°, +12°, +15°
조 도 오차범위 ±5%
측정시간 10시, 12시, 15시
측정방법 고정식(정남향)과 추적식
날 씨 맑은 날, 흐린 날(운량%)

- 70 -
4. 측정결과
1)측정조건-1 (1월 15일- 운량 31%)
본 측정은 <표 5-4>에 나타난 바와 같이 4개의 기상 조건하에서 실시하였
으며, 운량은 하늘에 떠있는 구름의 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늘에 구름이 없
을 때를 0%로 하였으며, 구름만 있고 햇볕이 없는 날 운량 100%를 표기하였
다. 운량 31%란 가시되는 하늘에 31% 정도에 해당하는 면적에 구름이 끼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측정조건Ⅰ의 외기상태는 운량 31%, 외기온도 0.9℃, 모듈온도는 13℃이며,
태양광 전지판 모듈 설치각도는 당일 태양의 고도 48°이므로 이에 수직인 52°
로 모듈을 설치하였다.
<그림 5-1>에 TSC-PD02으로 측정한 최대전압, 최대전류, 전력량의 IV곡
선을 나타내었다.
<표 5-5>에 1월 15일 10시의 측정 당일의 모듈 설치각도인 52°를 기점으로
3°씩 -15°까지 감소시킨 경우와 3°씩 +15°까지 증가시킨 경우에 측정한 고정
식과 추적식의 전력생산량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측정당일의 설치각도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을 설치하였을 경우의
전력생산량이 177W로 가장 높았으며, -3°씩 -15°까지 설치각도를 줄일 경우
에는 128W까지 감소하였으며, +3°씩 +15°까지 설치각도를 증가시킬 경우에는
148W로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살펴보면, 측정 당일의 각도로 설치할 경우의 전력생산량
이 가장 높고, 이 보다도 모듈의 설치각도가 커지거나 작아질 경우 전력생산
량이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설치 각도가 측정일의 각도 보다도 줄어
드는 것 보다는 설치각도가 커지는 경우의 전력생산량 감소율이 더 작은 것으
로 조사되었다.
<표 5-6>과 <표 5-7>에 12시와 15시의 태양광 전지판 모듈 설치각도별 전
력생산량을 제시하였다.

- 71 -
<표 5-4> 측정 날짜별 외기조건
구분 측정조건1 측정조건2 측정조건3 측정조건4
1월 15일 2월 19일 3월 29일 5월 24일
운량(%) 31 43 43 10
평균조도(Lx) 72,000 80,000 74,000 95,000
외기온도(℃) 0.9 1.8 10.6 26.3
모듈 표면온도(℃) 13 19 27 43
모듈 설치각도(°) 52 43 33 19

<그림 5-1> 1월 15일 12시 기준각도로 설치한 경우의 IV곡선

- 72 -
<표 5-5> 1월 15일 10시 고정식과 추적식 설치에 따른 전력생산량
구분 조도 전력(W) 전압(V) 전류(A)
모듈각도(°) (lx) 고정 추적 고정 추적 고정 추적
-15 76,400 128 140 32.3 29.4 4.0 4.5
-12 129 148 31.9 29.1 4.0 5.1
-9 134 155 32.2 30.0 4.2 5.2
-6 153 159 31.4 29.3 4.9 5.4
-3 177 166 29.2 29.9 6.1 5.5
0(52) 76,200 177 168 28.8 29.7 6.1 5.7
+3 175 157 29.2 29.7 6.0 5.3
+6 174 152 29.2 29.7 6.0 5.1
+9 168 142 30.2 29.6 5.6 4.8
+12 160 147 30.9 29.7 5.2 5.0
+15 76,400 148 138 31.5 30.1 4.7 4.6

<표 5-6> 1월 15일 12시 고정식과 추적식 설치에 따른 전력생산량


구분 조도 전력(W) 전압(V) 전류(A)
모듈각도(°) (lx) 고정 추적 고정 추적 고정 추적
-15 76,400 172 172 28.4 28.4 6.0 6.0
-12 171 171 28.5 28.5 6.0 6.0
-9 175 175 28.8 28.8 6.1 6.1
-6 176 176 28.6 28.6 6.2 6.2
-3 177 177 29.2 29.2 6.1 6.1
0(52) 76,200 181 181 28.2 28.2 6.5 6.5
+3 175 175 29.2 29.2 6.0 6.0
+6 170 170 29.1 29.1 5.8 5.8
+9 178 178 28.5 28.5 6.2 6.2
+12 178 178 28.3 28.3 6.3 6.3
+15 76,400 172 172 28.4 28.4 6.0 6.0

- 73 -
<표 5-7> 1월 15일 15시 고정식과 추적식 설치에 따른 전력생산량
구분 조도 전력(W) 전압(V) 전류(A)
모듈각도(°) (lx) 고정 추적 고정 추적 고정 추적
-15 73,100 120 122 29.9 29.1 4.0 4.4
-12 127 129 29.7 29.4 4.3 4.2
-9 142 145 29.3 29.4 4.8 4.6
-6 144 141 29.1 29.0 5.0 4.3
-3 147 147 28.4 27.9 5.2 5.5
0(52) 72,500 150 150 28.7 28.7 5.2 5.2
+3 150 148 28.8 28.7 5.2 5.3
+6 149 148 29.1 29.1 5.1 5.1
+9 145 145 29.1 29.1 4.8 4.8
+12 144 147 30.8 30.8 4.5 4.5
+15 73,000 142 148 31.8 28.9 4.4 4.6

<표 5-8> 모듈설치 각도에 따른 측정 시간대 별 전력생산량(1월 15일)


구분 10시 12시 15시
모듈각도(°) 고정 추적 고정 고정 추적
-15 128 140 172 120 122
-12 129 148 171 127 129
-9 134 155 175 142 145
-6 153 159 176 144 141
-3 177 166 177 147 147
0(43) 177 168 181 150 150
+3 175 157 175 150 148
+6 174 152 170 149 148
+9 168 142 178 145 145
+12 160 148 178 144 147
+15 148 138 172 142 148
(단위:W)

- 74 -
1월 15일

<그림 5-2> 고정식과 추적식의 측정 시간대별 전력생산량

2)측정조건-2 (2월 19일- 운량 43%)


<표 5-9>에 2월 19일 10시, 12시, 15시에 각각 측정한 고정식과 추적식의 설
치각도에 따른 전력생산량의 변화를 제시하였다.
측정조건은 운량 43%, 평균조도 80,000, 외기온도 1.8℃이며,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온도는 19℃, 측정 당일 태양의 고도에 직각인 모듈의 설치각도는 43°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5-4>에서 보는바와 같이 어느 측정시간에 관계없이 측정 당일의 태양
의 고도에 의한 각도로 태양 전지판 모듈을 설치하였을 경우의 전력생산량이 가
장 높았고, 이 보다도 설치 각도가 작아지거나 커져도 전력생산량은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75 -
<그림 5-3> 2월 19일 12시 기준각도로 설치한 경우의 IV곡선

<표 5-9> 모듈설치 각도에 따른 측정 시간대 별 전력생산량(2월 19일)


구분 10시 12시 15시
모듈각도(°) 고정 추적 고정 고정 추적
-15 156 172 173 121 143
-12 151 172 174 124 152
-9 149 174 175 127 148
-6 147 175 176 128 144
-3 146 180 177 129 146
0(43) 156 178 180 131 151
+3 154 177 176 129 148
+6 156 176 176 121 147
+9 158 175 175 118 152
+12 158 175 174 114 152
+15 156 174 174 108 146
(단위:W)

- 76 -
2월 19일

<그림 5-4> 고정식과 추적식의 측정 시간대별 전력생산량

3)측정조건-3 (3월 19일- 운량 43%)


<표 5-10>에 3월 29일 10시, 12시, 15시에 각각 측정한 고정식과 추적식의 설
치각도에 따른 전력생산량의 변화를 제시하였다.
측정조건은 운량 43%, 평균조도 74,000, 외기온도 10.6℃이며,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온도는 27℃, 측정 당일 태양의 고도에 직각인 모듈의 설치각도는 33°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력생산량은 측정 당일의 태양의 고도에 직각인 43°로
모듈을 설치한 경우가 220W로 가장 높았으며, 설치각도가 작아지거나 커져도
전력생산량은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5-6>에서 보는바와 같이 추적식의 경우에 비하여 고정식이 설치각도
에 따른 전력생산량의 편차가 컸으며, 12시의 설치각도에 따른 전력생산량 편차
보다도 15시나 10시의 경우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 77 -
<표 5-10> 모듈설치 각도에 따른 측정 시간대 별 전력생산량(3월 29일)
구분 10시 12시 15시
모듈각도(°) 고정 추적 고정 고정 추적
-15 180 183 207 138 137
-12 192 193 211 145 159
-9 193 194 218 152 162
-6 197 193 218 149 164
-3 196 188 217 154 164
0(43) 194 204 220 155 171
+3 198 198 215 138 162
+6 198 200 214 135 157
+9 197 199 219 129 141
+12 184 198 221 127 146
+15 186 192 216 117 140
(단위:W)

<그림 5-5> 3월 29일 12시 기준각도로 설치한 경우의 IV곡선

- 78 -
3월 29일

<그림 5-6> 고정식과 추적식의 측정 시간대별 전력생산량

4)측정조건-4 (5월 24일- 운량 10%)


<표 5-11>에 5월 24일 10시, 12시, 15시에 각각 측정한 고정식과 추적식의 설
치각도에 따른 전력생산량의 변화를 제시하였다.
측정조건은 운량 10%, 평균조도 95,000, 외기온도 26.3℃이며,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온도는 43℃, 측정 당일 태양의 고도에 직각인 모듈의 설치각도는 19°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5-8>에서 보는바와 같이 전력생산량은 측정 당일의 태양의 고도에 직
각인 19°로 모듈을 설치한 경우가 185W로 가장 높았으며, 설치각도가 작아지거
나 커져도 전력생산량은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79 -
<표 5-11> 모듈설치 각도에 따른 측정 시간대 별 전력생산량(5월 24일)
구분 10시 12시 15시
모듈각도(°) 고정 추적 고정 고정 추적
-15 153 170 180 119 124
-12 155 171 182 118 129
-9 161 174 184 118 134
-6 164 176 183 117 133
-3 161 177 183 118 137
0(19) 165 177 185 120 147
+3 163 170 182 117 145
+6 161 165 182 116 145
+9 163 166 182 117 145
+12 158 167 180 116 141
+15 160 162 178 113 143
(단위:W)

<그림 5-7> 5월 24일 12시 기준각도로 설치한 경우의 IV곡선

- 80 -
5월 24일

<그림 5-8> 고정식과 추적식의 측정 시간대별 전력생산량

<표 5-12>에 12시에 측정한 모듈 설치각도별 전력생산량을 제시하였는데,


모든 측정일에서 측정 당일의 태양의 고도에 직각으로 모듈 판을 설치하였을
경우의 전력생산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났다.
또한, 측정 일자별로 볼 때, 3월 29일에 측정한 경우의 전력생산량이 가장
많았는데, 이는 모듈표면의 27℃로서 최적의 환경이 원인 것으로 사료된다.

- 81 -
<표 5-12> 모듈 설치 각도에 따른 전력생산량(W)(12시 측정)
구분 1월25일 2월19일 3월29일 5월24일
모듈각도(°)
운량 (%) 31 43 43 10
조도 (lx) 72,000 80,000 74,000 95,000
외기온도 (℃) 0.9 1.8 10.6 26.3
모듈표면온도 (℃) 13 19 27 43
-15 172 173 207 180
-12 171 174 211 182
-9 175 175 218 184
-6 176 176 218 183
-3 177 177 217 183
0(43) 181 180 221 185
+3 175 176 215 182
+6 170 176 214 182
+9 178 175 219 182
+12 178 174 220 180
+15 172 174 216 178

- 82 -
5. 소결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설치각도 및 외기조건에 의해 나타내는 전력생산량에
관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①측정 당일의 각도로 설치할 경우의 전력생산량이 가장 높고, 이 보다도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설치각도가 커지거나 작아질 경우 전력생산량이 줄
어드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설치 각도가 측정일의 각도 보다도 줄어드
는 것 보다는 설치각도가 커지는 경우의 전력생산량 감소율이 더 작은 것
으로 조사되었다.

②측정 일자별로 볼 때, 3월 29일에 측정한 경우의 전력생산량이 가장 많았


는데, 이는 모듈표면의 27℃로서 최적의 환경이 원인 것으로 사료된다.
③추적식의 경우에 비하여 고정식이 설치각도에 따른 전력생산량의 편차가
컸으며, 12시의 설치각도에 따른 전력생산량 편차보다도 15시나 10시의
경우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④추적식 양축 가변형이 고정식 단축 가변형 보다 대체적으로 전력생산량이
높게 측정되었으며, 이는 고정식 단축 가변형은 정남향으로 설치하여 태
양광 전지판 모듈이 받는 태양광이 한정되어 있지만, 추적식 양축 가변형
은 태양을 추적하여 더 많은 태양광을 받을 수 있는 것이 원인이라고 사
료된다.

- 83 -
Ⅵ. 결론
본 연구에서는 인접한 어레이나 건축물 및 수목 등에 의한 그림자가 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에 드리워졌을 때, 이들 그림자가 전력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과 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표면온도가 전력생산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여름철 외기 온도가 높을 때, 모듈 표면 온도를 떨어뜨
릴 목적으로 살수한 것이 전력생산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고찰
하였다.
또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을 계절별로 각도가 조절 가능한 단축 가변형으로
설치하는 것과 시간 추적 및 계절 추적이 동시에 가능한 양축 가변형 시스템
으로 설치한 경우의 전력생산량에 대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
을 얻었다.
①태양광 전지판 모듈에 수목 그림자가 전혀 생기지 않았을 경우의 전력생
산량이 가장 높았고, 수목에 의하여 20% 그림자가 드리워졌을 때가 전력
생산량의 감소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후 그림자 면적이 40% 이상으로 늘
어남에 따라 전력감소율이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②태양광 전지판 모듈에 수목에 의한 그림자가 발생하면 I-V커브의 형상이
톱날 형상으로 타나났는데, 이는 태양전지가 빛을 받을 때 태양전지가 생
성시키는 전류가 한쪽 방향으로 만 흐르기 때문에 빛을 받지 않는 부분이
생기면 그 부분은 전기 에너지가 생기지 않아, 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르지
못해서 나타나는 현상인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③태양광 전지판 모듈의 표면에 그림자가 없을 경우, 모듈의 설치각도와 구
름으로 인하여 모듈의 온도가 일정하지 않았고, 모듈에 비치는 수목의 그
림자 면적이 넓어질수록 표면온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수목 등에 의한 그림자가 모듈 표면의 온도에 영향을 주며, 전력생산량에
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84 -
④조도레벨이 낮을 경우, 전력생산량도 낮았으나, 살수에 의하여 모듈 표면
의 온도가 저하되면, 전력생산량 증가율은 조도레벨이 높은 경우에 비하
여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⑤조도레벨이 높아 250W의 85%인 212W의 전력생산이 가능할 때는, 모듈
표면의 온도가 살수에 의하여 낮아지더라도 전력생산량의 증가로 이어지
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⑥태양광 전지판 모듈 표면의 온도가 25℃보다도 더 낮아질 경우에는 오히
려 온도가 낮아질수록 전력생산량도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모듈
표면의 온도가 전력생산량의 중요한 요소인 것이 파악되었다.
⑦측정 당일의 각도로 설치할 경우의 전력생산량이 가장 높고, 이 보다도
모듈의 설치각도가 커지거나 작아질 경우 전력생산량이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설치 각도가 측정일의 각도 보다도 줄어드는 것 보다는 설
치각도가 커지는 경우의 전력생산량 감소율이 더 작은 것으로 조사되었
다.

⑧측정 일자별로 볼 때, 3월 29일에 측정한 경우의 전력생산량이 가장 많았


는데, 이는 모듈표면의 27℃로서 최적의 환경이 원인 것으로 사료된다.
⑨추적식의 경우에 비하여 고정식이 설치각도에 따른 전력생산량의 편차가
컸으며, 12시의 설치각도에 따른 전력생산량 편차보다도 15시나 10시의
경우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⑩추적식 양축 가변형이 고정식 단축 가변형 보다 대체적으로 전력생산량이
높게 측정되었으며, 이는 고정식 단축 가변형은 정남향으로 설치하여 태
양광 전지판 모듈이 받는 태양광이 한정되어 있지만, 추적식 양축 가변형

- 85 -
은 태양을 추적하여 더 많은 태양광을 받을 수 있는 것이 원인이라고 사
료된다.
한편, 도심에 짜투리로 남은 좁은 면적의 토지나 건축물의 옥상 등에 3㎾
규모의 발전이 가능한 태양광 전지판 모듈을 설치하는 것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시책에 의하여 다수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태양광 발전의 경우, 좁은 면적에 설치되기 때문에 태양광 전
지판 모듈의 후면부에도 모듈을 설치하여 전면 부 뿐만 아니라 후면 부까지도
반사광을 이용하여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
된다. 이는 태양광에 직접적으로 면하고 있는 모듈의 전면 부 뿐만 아니라 그
후면부에도 모듈을 설치하는 양면 모듈의 개발을 유도하기 위한 향후의 필수
연구 과제로 사료된다.

- 86 -
참고 문헌
1)김용진 (2012). 최적 발전성능 도출을 위한 태양광모듈 추적방법에 관한 연
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김윤식 (2011). 태양전지 냉각에 따른 태양광발전 효율 개선에 관한 연구.
순청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김준태, 김진희 (2004). “PV모듈 온도를 고려한 BIPV시스템의 성능평가”,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 6, No. 29, pp. 53~58.
4)김태홍, 이상경 (2005). 주요 선진국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의무비율 할당제
(RPS) 운영 실패와 정책적 시사점. 국회신재생에너지 연구회.
5)김현제 (2009). 신재생에너지보급 지원정책으로서의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
제와 발전차액지원제도의 비교연구. 한국지구시스템공학지, No. 46, pp.
625-634.
6)김효중, 이준기, 최병덕 (2012). 야외 노출에 따른 태양전지 특성 변화. 한국
진흥공학회 2012년도 제42회 동계 전기 학술대회 초록집, Feb. Vol. 36, pp.
596.
7)노상양 (2012). 2012 신재생에너지 백서. 에너지관리공단. pp. 226~230.
8)모상철 (2009). 시뮬레이션에 의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최적 설계. 서울과
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9)박용환 (2010). 태양광발전 효율향상을 위한 자동세척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
구. 금오공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0)박재균, 유지연, 이용호, 홍진현 (2012). 태양광발전시스템 전력생산량 보증
에 관한 연구.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 2012, No. 7, pp.
972~973.
11)신성룡 (2011). 신·재생에너지 공급으무화제도(RPS)의 발전방안에 대한 연
구-태양광산업을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2)신혜영 (2010). 태양전지 모듈의 전·후면 온도변화에 의한 출력에 관한 연
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87 -
13)안종현 (2009).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외기온도에 따른 전력패턴 분석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4)우성철 (2012). 온도변화에 따른 PV모듈의 전기적 출력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5)윤주호 (2009).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모듈온도에 따른 전력패턴 분석. 동
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6)이현화 (2008). 태양전지 어레이의 음영 영향과 역저지 다이오드의 구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7)정철호 (2012).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그림자 영향을 고려한 능동형 모듈 및
VSSIC MPPT 제어. 순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8)허상익 (2012). 단축 추적식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경사각 가변에 의한 발전
효율 개선.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88 -
A Study on Efficient Installation Method for the Solar
Module to Improved Electricity Generation
Lee, Won-Hak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Daegu University
Gyeongbuk Korea

Supervised by prof. Ham, Jin-Sik


(Abstract)
Recently with rapid industrialization,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have
been using large amounts of fossil fuels for generation fuels in
automobiles, air conditioning and electricity generation. And as a result
global warming is being accelerated due to increase in carbon dioxide.
Solar energy, which is classified as a new renewable energy, is rising up
as an alternative that can prevent global warming from increased
greenhouse gases.
Solar energy generators have been installed and operated by countless
private businesses, but because most generators – according to the logic
of profit – selected cheap forest land as the plant site and cut down
many old trees, they have been criticized of harming the environment in
this way.
Furthermore, as government support policies change, the system of
market competition has been introduced and research and efforts in
multilateral areas has become compulsory for maximum electricity
generation in minimum plant area.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nd provide baseline data for
- 89 -
a more effective design of solar energy plant sites, this paper considered
the influence that shadows from surrounding array, constructions, trees,
etc., have on electricity generation when they overshadow the surface of
the solar panel.
Also in order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the solar module’s surface
temperature on electric generation, the solar panel’s temperature was
measured with the infrared thermal heat imaging system in high
temperatures in the summer, and also the effect of cold water sprinkled on
the surface of the solar panel for a drop in temperature was measured.
Also, in order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installation components of
the solar module to electricity genera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unilateral variable form in which the solar module ang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limate and the bilateral variable form in which time and
climate can be tracked simultaneously were compared in their energy
generation.

- 90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