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0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박 사 학 위 논 문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의류학전공

강 평 미

지도교수 박 길 순

2017년 2월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도교수 박 길 순

이 논문을 이학박사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함

2016년 10월

충남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의류학전공

강 평 미
강평미의 이학박사학위
청구논문을 인준함

2016년 12월

논문심사위원회

충남대학교 대학원
목 차

제 1 장 서론 ·········································································································· 1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 1
제 2 절 연구의 목적 ·························································································· 5

제 2 장 이론적 배경 ···························································································· 6
제 1 절 외모관리행동 유형과 관련요인 연구 ·············································· 6
1. 외모관리행동의 개념 ··············································································· 6
2. 외모관리행동 유형 ··················································································· 7
3. 외모관리행동 관련 선행연구 ······························································· 10
제 2 절 사회성 ·································································································· 18
1. 사회성의 개념 ························································································· 18
2. 사회성 유형 분류 ··················································································· 21
3. 사회성과 외모관리행동 관련 연구 ····················································· 23
4. 사회성과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 관련 연구 ·································· 26
제 3 절 신체이미지 ························································································ 27
1. 신체이미지의 개념 ················································································· 27
2. 신체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 관련 연구 ············································· 30
3.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감 관련 연구 ················································· 33
제 4 절 자아존중감 ·························································································· 35
1. 자아존중감의 개념 ················································································· 35
2.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 관련 연구 ············································· 38

제 3 장 연구 방법 ······························································································ 41
제 1 절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 41
1. 연구 문제의 설정 ··················································································· 41
2. 연구모형 ··································································································· 42

- i -
3. 용어의 정의 ····························································································· 42
제 2 절 측정도구 ······························································································ 44
1. 측정도구 ··································································································· 44
제 3 절 자료수집 및 분석 ·············································································· 46
1. 자료수집 ··································································································· 46
2. 분석방법 ··································································································· 47
제 4 절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적특성 ························································ 47

제 4 장 연구결과 ································································································ 50
제 1 절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 50
1. 사회성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 50
2. 신체이미지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 52
3. 자아존중감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 53
4. 외모관리행동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 54
제 2 절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56
1. 사회성이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56
2. 신체이미지가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64
3.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68
제 3 절 인구통계적특성에 따른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의 차이·· 71
1. 성별에 따른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의 차이 분석······· 71
2. 연령에 따른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의 차이 분석········ 73
3. 결혼여부에 따른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의 차이 분석· 79
4. 직업에 따른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의 차이 분석········ 82

제 5 장 결론 및 제언 ························································································ 88
제 1 절 요 약 ···································································································· 88
제 2 절 결 론 ···································································································· 91
제 3 절 제한점 및 제언 ·················································································· 95

- ii -
참고문헌 ················································································································ 96

Abstract* ··········································································································· 107

부록 ····················································································································· 111

- iii -
List of Table

<Table 1> Classification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ypes by


researcher ·························································································· 9
<Table 2> Factors related to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 16
<Table 3> Composition of the questionnaire ·············································· 46
<Table 4>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 49
<Table 5>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on
sociability ························································································· 51
<Table 6>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on
body image ······················································································ 52
<Table 7>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on
self-esteem ···················································································· 53
<Table 8>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 55
<Table 9> The effects of sociability on body image ···························· 57
<Table 10> The effects of sociability on self-esteem ····························· 59
<Table 11> The effects of sociability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 63
<Table 12> The effects of body image on self-esteem ························· 65
<Table 13> The effects of body image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 68
<Table 14> The effects of self-esteem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 70
<Table 15> The difference between sociability, body image, self-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o gender ················ 73
<Table 16> The difference of sociability by age ······································ 75
<Table 17> The difference of body image by age ·································· 76

- iv -
<Table 18> The difference of self-esteem by age ··································· 77
<Table 19> The difference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by age 79
<Table 20> The difference between sociability, body image, self-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o marital status ··· 82
<Table 21> The difference of sociability by job ······································· 83
<Table 22> The difference of body image by job ··································· 84
<Table 23> The difference of self-esteem by job ···································· 85
<Table 24> The difference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by job ·· 86

- v -
List of Figures

<Figure 1> Research model ············································································· 42


<Figure 2> The effects of sociability on body image ····························· 58
<Figure 3> The effects of sociability on self-esteem ····························· 59
<Figure 4> The effects of sociability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 64
<Figure 5> The effects of body image on self-esteem ························ 65
<Figure 6> The effects of body image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 68
<Figure 7> The effects of self-esteem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 70

- vi -
국 문 초 록

최근 사람들이 외모에 대한 사회적 가치를 인식하여 외모에 대한 관심


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으며, 자신의 외모를 사회 이상적 미로 변화시키
기 위하여 다양한 외모관리행동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한다. 이는 현
대인들이 다양한 사회활동을 통해 사회에서 요구하는 사회적 역할을 효율
적이고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자신이 어떠한 사회적 존재인지를 표현
하는 것이다. 또한 그 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내적인 능력도 중
요하지만 단시간에 자신과 타인을 인식하고 평가하는 중요한 외적 단서인
외모의 가치를 더 높게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성인남녀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성향을 세분화하여 신체이미
지와 자아존중감 및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사회적
성향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유형을 통해 개인의 다양한 사회적 역할에 적
합한 외모를 가꾸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울, 대전, 대구, 부산, 전라남도, 경상남도에 거주하는 20
∼50대 남녀 직장인을 대상으로 2016년 3월25일부터 4월4일까지 설문지법
을 실시하였으며, 총 556개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탐색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검정, ANOVA,
Dunnet의 T검정, Tukey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수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사회성은 성취지배성, 사교성,
자율성, 활동성의 4개 요인으로, 신체이미지는 외모지향과 외모만족의 2개
요인으로, 자아존중감은 1개 요인으로, 외모관리행동은 피부관리행동, 의
복행동, 헤어관리행동, 체형관리행동의 4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성이 신체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교성과 활
동성은 외모지향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자율성은 부(-)적 영향을 미치
며, 성취지배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지배성과 활
동성은 외모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사교성과 자율성은 외모만족

- vii -
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교성, 자율
성과 활동성은 자아존중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성취지배성은 영향
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성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성취지배성
은 의복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피부관리행동, 헤어관리행동, 체형
관리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성은 헤어관리행
동, 의복행동, 체형관리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피부관리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성은 모든 외모관리행동에 부
(-)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성은 피부관리행동, 헤어관리
행동, 의복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체형관리행동에는 영향을 미치
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신체이미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외모만
족은 자아존중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외모지향은 자아존중감에 영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신체이미지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외모
지향은 모든 외모관리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외모만족은 의복행
동과 헤어관리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체형관리행동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아
존중감은 피부관리행동과 의복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체형관리행
동에는 부(-)적 영향을 미치며, 헤어관리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변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성이 남
성보다 피부관리행동과 체형관리행동의 평균이 높았다. 연령이 낮을수록
자율성, 피부관리행동, 의복행동, 체형관리행동, 신체이미지의 평균이 높았
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활동성의 평균이 더 높았다. 미혼은 사교성, 피부
관리행동, 의복행동, 신체이미지의 평균이 높았고, 기혼은 활동성의 평균

- viii -
이 높았다. 사무·관리직과 전문직은 자아존중감의 평균이, 피부관리행동은
판매·서비스직과 전문직의 평균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사회성은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감에 부분적으로, 의복
행동에는 사회성의 모든 요인이 영향을 미쳤다. 사회성 중 자율성은 모든
외모관리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장인들
이 자신의 가치를 높이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의
복행동과 헤어관리행동을 가장 일반적이고 효율적인 외모관리행동으로 인
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성향을 세분화
하여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
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외모를 중요시하는 현대사회에서 다양한 사회생활
에 효과적으로 적응하고 원만한 대인관계를 통하여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
고자 노력하는 사회초년생들과 직장인들의 사회적 상호관계 형성에 도움
을 줄 수 있을 것이다.

Key Words : 사회성(성취지배성, 사교성, 자율성, 활동성), 자아존중감,


신체이미지(외모지향, 외모만족),
외모관리행동(헤어관리행동/의복행동/피부관리행동/체형관리행동)

- ix -
제 1 장 서론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최근 우리사회는 외모지상주의라는 용어가 일상화 될 정도로 외모에 대


한 사회적 가치를 크게 인식하면서 외모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고조되
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에 따라 외모를 관장하는 미용업은 21세기, 최고의
고부가 가치 사업 중의 하나로 전망되기도 한다. 실질적인1) 뷰티산업의
발전 현황을 살펴보면 2011년에는 전년대비 4.4%, 2012년에는 19.5%,
2013년에는 24.2%, 2014년에는 50.2%, 2015년에는 82.7% 증가하였으며2)
2011년에서 2015년까지 최근 5년 동안의 수출은 연평균 37.5%로3) 고속성
장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외모관련 산업의 꾸준한 성장은 우리나라를 포
함한 전 세계가 외모에 대한 관심과 가치를 높게 인식하여 개개인을 매력
적인 외모로 만들기 위한 다양한 외모관련행동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
음을 의미한다.
외모는 개인과 타인을 구분해주는 분명한 특징이 된다. 즉, 육안으로 쉽
게 구분되고 짧은 시간에 개인이 자신과 타인을 비교평가하고 인식하는
단서로 작용하는 중요한 외적 정보이다.4) 매력적인 외모는 사람의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쳐 대인지각의 후광효과로 작용하면서 개인의 재능과 능
력, 노력, 사회적 지위와 같은 특성까지 긍정적으로 평가하게 되므로 개인
의 외모는 사회적 성공과 행복으로 귀결된다는 보편적 사고체계로 이어진
다. 이로 인해 외모는 원만한 대인관계 형성과 취업, 승진, 연애, 결혼 등

1) 창업경영신문, 외모관심 증가, 헤어·미용사업 주목, 2012.12.17


2) 뷰티산업 현황-K뷰티 연간 수출액 규모.
http;//bolg.naver.com/PostiView.nhn?blogld=m_kcm&logNo, 2016.02.04.
3) 뷰티누리, 정부 ‘K-뷰티 세계화 발전전략’ 수립, 2016.10.24.
4) Willis, J. & Todarov, A., First impressions making up your mind after a 100-ms
exposure to a face, Psychological science, 17(7), 2006, pp.592-598.

- 1 -
의 다양한 사회생활에서 개인과 타인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한 요인으로 간주되는 것이다.5) 그러므로 남녀불문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
들은 매력적인 외모를 갖추는 것이 다른 사람과 차별화할 수 있는 경쟁수
단이라 생각하고6)7) 직장인들은 패션에 대한 자신감은 성공적인 직장생활
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다.8) 이와 같이 현대인들은 외모의 가치를
중요시 여기면서 외모를 외적 특성뿐만 아니라 개인과 타인의 능력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자연스럽게 수용하고 있다.
다양한 사회적 환경 속에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그 어느 시대보다도 지
속적으로 타인들과의 상호관계를 형성하고 그 사회의 문화와 가치를 습득
하며 사회 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응하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 사회
에 원만히 적응하기 위해 내적 특성인 재능과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
력은 물론 외적 특성인 외모를 이상적인 외모로 연출하기 위한 노력 또한
지속한다.9) 이러한 이유는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일반화되어
이상적인 외모를 가진 사람의 능력을 더 긍정적으로 인정하는 것은 물론
대인관계와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외모가 더욱 유용하게 활용되기 때문이
다.10) 또한 사회적 비교를 통하여 이상적 외모의 기준을 관찰하고 자신의
신체와 비교한 외모관리행동을 통하여 자기신체의 매력성을 증가시키며
그로 인한 자아존중감 향상과 사회적 혜택을 얻고11) 자신이 어떤 사회적
존재인지를 표현12)한다. 그리하여 사회생활 속에서 자신을 알리는 수단으

5) 장미숙, 여성의 외모관리와 체형관리가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


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pp.50-53.
6) 매일경제, 취업도, 연애도, 외모 업그레이드가 관건인 이유는?, 2013.8.22.
7) 메디컬투데이, 대학생 98% “외모도 경쟁력‘, 2011.11.16.
8) 류은숙, 직장남성의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이미지관리행동,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4, pp.159-160.
9) Myerson, L., Somatopsychology of Physical Disability In W.M, Cruickshank(Eds)
Psychology of exceptional children and youth, 1-74,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71.
10) 강영숙, 대학생들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이 직업 선택 시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pp.40-45.
11) Bloch, P. H. & Richins. M. L., You Look "Marvelous" The pursuit of beauty and
the marketing concept, Psychology and Marketing, 9, 1992, pp.3-15.
12) 박수진, 남성의 패션, 헤어스타일, 피부, 신체이미지에 관한 유형 분석: 내용분석, 설문
지법, Q방법을 통하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pp.6-25.

- 2 -
로 신체를 매력적이고 아름다운 외모로 변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병행한다. 이를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 의복과 헤어스타일 연출, 피부관
리, 메이크업, 네일관리, 운동, 다이어트 제품 복용, 체형관리, 미용성형 수
술과 같은 다양한 외모관리행동을 실시함으로써 외모의 사회적 압력에 따
른 이상적인 미에 동조화 되고 있는 것이다.13)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현대인들은 입사, 승진과 같은 직업생활과
연애, 결혼, 대인관계 등 사회생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적응하고 능력
을 인정받기 위한 수단으로 외모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다. 즉, 사
회문화적으로 요구되는 이상적 미에 근접하기 위해 아름다고 매력적인 신
체이미지를 유지하려는 욕구가 증가되면서, 스스로 자신의 외모에 따른
자신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거나 낮게 평가하기도 한다. 그리고 개인과 타
인의 능력을 평가하는데 외모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을 수용함으
로써 매력적이고 건강한 신체이미지를 갖추기 위해 외모관리행동에 시간,
노력, 비용 등을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외모관련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외모관리행동 유형의 선호도에 대한
연구14)15)16), 외모관리행동을 하는 이유에 대한 연구17)18)19), 외모관리행동
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20)21)22)23)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외

13) 전현진,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객체화된 신체의식 및 신체존중감이 외모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pp.2-3.
14) 김효정, 20·30대 여성들의 가치관에 따른 뷰티 라이프스타일 행동과 뷰티 관리행동 실
태 연구, 서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pp.36-72.
15) 전현진·정명선, 중년여성의 신체관련 스트레스와 외모관심이 외모관리행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16(2), 2010, pp.466-474.
16) 조선영, 성인여성의 생활연령과 지각연령의 차이가 외모관리행동 및 자아존중감에 미
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pp.69-82.
17) 최은영, 남성의 외모관심도 집단별 뷰티편익이 미용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pp.26-27, 34-40,
18) 박미리, 20-30대 남성 패션 커뮤니티 회원들의 외모관리 및 구매행동 특성,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pp.27-32, 35-41 75-76.
19) 김혜균, 20·30대 직장인 남성들의 외모관리행동과 정보탐색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pp.79-122, 132-134.
20) 박혜원, 자기표현, 외모관리행동 및 외모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pp.35-48
21) 전정혜, 여성의 이미지관리행동 관련 변인에 대한 구조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pp.74-81.

- 3 -
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요인과 태
도, 공적 자기의식과 사적 자기의식, 사회성, 사교성, 신체만족, 신체매력
인지, 자기표현,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정감, 연령 등이 많이
다뤄지고 있다. 또한 사회성 특성요소에 따라 세분화된 연구보다 다양한
사회적 특성을 하나의 변수로 모은 포괄적인 연구24)가 부분적으로 이루
어지고 있다. 그러나 외모가 곧 능력으로 평가되어지는 현대사회에서 자
신의 다양한 사회적 성향과 주어진 사회적 역할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적응하는 능력을 인정받기 위한 수단인 외모관리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
구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와 높은 경제적 생활수준으로 인한 웰니스
(wellness) 문화가 형성되면서 현대인들은 외모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을
더욱 깊이 인식하고 외모관리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이런 외모관리행
동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사회성에는 성취지배성, 사교성, 활동성,
자율성이 있다. 이에 대한 각각의 요인이 외모관리행동에 어떻게 작용하
고, 반응하는가를 세부적으로 알아보는 것은 개인 특성에 맞는 사회성 세
부 요인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돕는다. 따라서 개인의 사회성 세부 요
인 중 장점을 최대한 부각시켜 성공적인 사회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방
법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할 것이다. 그 동안의 연
구는 사회성의 세부요인에 대한 고려보다는, 사회성 요인을 포괄하여 외
모관리행동과의 관계를 연구하여 왔으므로 개인의 외모관리행동을 구체적
으로 적용하는데 실질적인 어려움이 많았다. 그러므로 사회성의 세부요인
을 바탕으로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에서 사회진출을 앞둔 사람들, 직장생
활에 종사하는 사람들 그리고 원만한 대인관계와 사회성을 형성하고자 하
는 사람들에게 외모관리를 통한 자신의 신체에 대한 올바른 평가는 물론
건강하고 매력적인 신체를 표현하고 더 나아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사

22) 고희자,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및 외모만족도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pp.69-73.
23) 황윤정,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자아존중감, 신체매력 지각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pp.37-56.
24) 신연욱, 남성 외모관리행동의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pp.34-74.

- 4 -
회성을 키울 수 있게 하는 통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인남녀들을 대상으로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중
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사회적 성향에 따른 외
모관리행동 유형을 통해 개인의 다양한 사회적 역할에 적합한 외모를 가
꾸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원만한 대인관계, 직장생
활과 사회생활의 적응에 도움을 주고자 하며, 현대인들을 위한 뷰티산업
마케팅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 2 절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문화적 환경 속에서 외모가 자신의 사


회적 상호작용과 능력 그리고 가치를 대변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20∼50대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사회성과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 외모관리행동 사
이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성별, 연령,
결혼여부, 직업에 따른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성의 하위 요인을 분류하고 이들 요인이 신체이미지, 자아존


중감과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신체이미지가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한다.
셋째,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넷째, 성별, 연령, 결혼여부, 직업에 따른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
중감,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 5 -
제 2 장 이론적 배경

제 1 절 외모관리행동 유형과 관련요인 연구

1. 외모관리행동의 개념

외모는 개인의 타고난 신체에 일시적 혹은 영구적인 장식을 가하여 형


성되는 총체적인 형상25)이며, 우리가 타인을 볼 때 가장 먼저 눈에 들어
오는 외적 특성으로 타인과 개인을 구분해주는 특징이다.26) 사람이 말하
고 행동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개인의 외모도 하나의 사회적 행동으로서
자신을 타인에게 보여주고 표현하는 자아에 관한 정보로 작용하며27) 사
회적 상호작용에서 개인의 인상형성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신의
가치를 스스로 평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외모관리행동이란 인간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적 미의 기준 속에서 자신의 신체와 외모를 지각
하고 신체적 결점과 외모에 대한 정신적인 콤플렉스에서 탈피하기 위한
행동이다.28) 자신의 외모를 돋보이게 할 수 있는 능력은 오직 인간만이
가진 재능29)이며 이상적인 외모를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
여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모습을 나타내 보일 때 자신이 기대하는 대로
보이도록 표현30)함으로써 자신의 이미지를 만들고 내면화시켜 나가는 행
동이다.31) Kaiser32)는 외적인 모습을 보다 아름답게 표현하고자 하는데서

25) 박혜원, op. cit., 2013, p.31.


26) 박은아, 외모 중심의 대인지각 성향 및 외모관리행동과 문화적 가치관의 관계 연구,
한국연구재단, H00036, 2009, pp.1-45.
27) 박은아, 화장의 심리사회적 의미: ‘보여주기’의 미학,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4(2), 2003, pp.105-127.
28) 김선희, 외모에 대한 사회, 문화적 태도와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연구 -20대 여성을 중
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1(5), 2003, pp.99-108.
29) 노선옥, 대인관계성향, 생활만족도와 헤어스타일행동 및 화장동기의 관계연구:
20,30,40대 여성을 대상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pp.15-20.
30) Coffman, E, "Identity kits" In M. E. Roach & J. B. Eicher(Eds), "Dress, adornment,
and the social order", New York: John Wiley & Sons, 1961, p.246.
31) 황윤정, op. cit., 2007, p.24.

- 6 -
비롯된 외모관리행동을 개인 각자가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관계를 통해 자
신의 역할을 연기하면서 자기표현을 해나가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외
모관리행동은 사회생활에서 타인에게 자신을 알리고 표현하는 하나의 방
법33)이며 외모를 호감 가는 이미지로 변화시키고 아름다움을 유지 관리
하기 위하여 실천하는 주·객관적인 행동이다.34)
이상과 같이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 외모관리행동은 자신에 대한 긍정
적인 인식과 타인으로부터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 위하여 외모관리행동
을 통해 자신의 신체와 외모를 사회에서 요구되어지는 이상적 미의 기준
으로 변화시키고 건강하고 아름다운 외모향상을 위하여 노력하는 행동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 외모관리행동 유형

외모관리행동은 연구자에 따라 체형관리, 피부관리, 헤어관리, 의복행동,


메이크업, 미용수술, 네일관리 등 여러 유형으로 분류되어 연구되고 있다.
체형관리행동으로는 운동, 식이요법, 단식, 다이어트, 체중감량을 위한
제품 사용 및 약물 복용, 전문가의 도움 등으로 자신의 체중을 줄여 표준
체형보다 마른 체형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관리하는 행동을 말한다.35)36)37)
38) 피부관리행동으로는 자기 스스로 자신의 피부타입에 맞는 세안, 자외
선차단제, 기능성 화장품, 마사지 제품 등을 사용하여 건강하고 윤기 있는
피부로 관리 유지하는 방법과 전문피부관리실에서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

32) Kaiser, S. B.,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2nd ed), Fairchild Publications,
New York; Macmillan Co, 1990, pp.174-175.
33) 박수진, op. cit., 2006, pp.6-25.
34) 이유종, 노인들의 자아존중감과 신체 매력인지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대
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pp.14-20.
35) 조은정,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미용관리행동, 선호도 및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한성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pp.67-70.
36) 조선영, op. cit., 2013, pp.55-56, 69-82,
37) 박미리, op. cit., 2013, pp.27-32, 35-41 75-76.
38) 이영분, 중년 여성의 외모관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1, pp.22-24,

- 7 -
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행해지는 각질제거, 앰플 사용, 팩, 마사지, 경락,
미용기기 사용 등 과, 피부과에서 이루어지는 레이저 시술, 보톡스, 여드
름 관리, 점 제거 등을 말한다.39)40)41)42) 헤어관리행동에서는 건강한 두피
와 모발을 관리 유지하고 아름답고 자신의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하여 샴
푸, 드라이, 아이롱, 유행하는 헤어스타일로 연출하기, 헤어시술(커트, 퍼
머넌트, 염색), 두피 및 모발관리, 가발의 사용, 헤어스타일 연출에 투자하
는 시간, 고급 헤어제품 사용 등을 말한다.43)44)45) 의복행동에서는 유행하
는 옷 구매, 연예인 스타일 따라 하기, 유행하는 옷, 액세서리, 신발, 가방
구매, 전체적인 코디를 위해 노력 등을 말한다.46)47)48) 메이크업행동에서
는 파운데이션, 눈썹, 아이섀도, 마스카라, 립스틱 사용을 말한다.49)50) 네
일관리행동에서는 손발톱 다듬기, 네일 제품 구매, 매니큐어, 페디큐어
관리를 말한다.51) 미용성형행동에서는 퍼머넌트 메이크업, 성형수술에 대
한 의향, 지방흡입 수술 등을 말한다.52)53)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외모
관리행동은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가정에서 자기 스스로 자
신의 외모를 관리하는 행동 즉, 일반적 외모관리행동과 전문적인 장소를
방문하여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외모를 관리하는 행동 즉, 전문적 외모관

39) 이하나, 미용계열 여고생의 가치관에 따른 외모추구혜택에 뷰티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pp.36-37, 58-60.
40) 김혜균, op. cit., 2013, pp.79-122, 132-134.
41) 안채리, op. cit., 2011, pp.38-40, 49-52.
42) 이현주, 대학생의 이미지 평가 및 이미지 형성이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pp.63-65, 116-118.
43) 최은영, op. cit., 2014, pp.26-27, 34-40.
44) 박혜원, op. cit., 2013, pp.70-72, 75-77, 81.
45) 전현진·정명선, op. cit., 2010, pp.466-474.
46) 나혜주, 성인남성의 외모관리해동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pp.49-51, 64-82.
47) 문희정, 대상화 경험이 감정을 매개하여 의복, 체중조절, 피부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pp.54-55, 101-103.
48) 전정혜, op. cit., 2011, pp.34-35, 53-58.
49) 박혜원, op. cit., 2013, pp.70-72, 75-77, 81.
50) 전정혜, op. cit., 2011, pp.34-35, 53-58.
51) 김혜균, op. cit., 2013, pp.79-122, 132-134.
52) 전정혜, op. cit., 2011, pp.34-35, 53-58.
53) 최은영, op. cit., 2014, pp.26-27, 34-40.

- 8 -
리행동과 일반적 관리행동과 전문적 관리행동을 병행하여 외모를 관리하
는 행동 즉 일반·전문적 외모관리행동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 외모
관리행동은 의복행동과 메이크업행동이, 전문적 외모관리행동은 성형수술,
일반·전문적 외모관리행동은 체형관리행동, 피부관리행동, 헤어관리행동,
네일관리행동으로 분류할 수 있다. <Table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구
자 별로 분류한 외모관리행동 유형을 살펴본 결과, 외모관리행동 중 체형
관리행동, 피부관리행동, 헤어관리행동, 의복행동이 가장 일반적이며 보편
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able 1> Classification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ypes by researcher
연구자 외모관리행동 유형
최은영 체형관리행동, 피부관리행동, 헤어관리행동, 미용성형행동,
(2014) 메이크업행동
이하나
체형관리, 피부관리, 헤어관리, 화장행동
(2014)
조은정 체형몸매관리행동, 피부관리행동, 헤어관리행동,
(2014) 미용성형관리행동,
나혜주 체형관리행동, 피부관리행동, 패션관리행동,
(2014) 헤어관리행동, 미용성형관리행동
조선영
의복관리, 체형관리, 피부관리, 화장관리, 헤어관리
(2013)
김혜균 피부관리행동, 헤어관리행동, 메이크업관리행동,
(2013) 성형수술행동, 손발관리행동
문희정
의복행동, 체중조절행동, 피부관리행동
(2013)
박미리
의복관리, 체형관리, 피부관리,
(2013)
박혜원
의복선택, 체중관리, 피부관리/화장, 헤어관리
(2013)
전정혜 의복관리, 체형관리, 피부관리, 모발관리, 화장관리,
(2011) 미용성형
이영분 의복관리, 체중 및 체형관리, 피부관리 및 메이크업,
(2011) 헤어관리, 성형
안채리 체형관리행동, 피부관리행동, 패션관리행동, 헤어관리행동,
(2011) 미용성형관리행동,
전현진·정명선 피부관리, 패션제품, 헤어관리, 헬스/요가, 기능성화장품,
(2010) 미용성형수술
이현주
체형 및 의복관리, 피부 및 미용관리
(2008)

- 9 -
3. 외모관리행동 관련 선행연구

고희자54)는 10∼6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연령과 외모장식요


인, 피부관리요인, 체형관리요인, 성형수술요인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연령은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하였
고, 연령이 낮을수록 여성의 성적 매력 상승에 관심을 가지며 이러한 매
력 상승을 위하여 외모관리행동을 더 많이 한다고 하였다. 김효정55)은 20
∼30대 여성의 뷰티관리 실태를 분석한 결과, 선호하는 헤어관리 행동은
염색, 선호하는 피부관리 행동은 전신 마사지, 선호하는 메이크업 연출은
피부톤 정리, 선호하는 성형수술 부위는 양악, 치아교정 유·무는 24.4%가
교정 경험이 있으며 선호하는 체형관리 행동은 P·T, 뷰티 정보원은 인터
넷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성공지향 가치관이 높을수록 모든 뷰티 라이프
스타일 행동이 높아지고 관계지향 가치관이 높을수록 피부관리행동과 몸
매관리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최은영56)은 20∼50대 남성의 미용관리행동을 외모관심도 고집단의 뷰
티편익의 사회성은 메이크업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개성은 체형관
리행동에는 정(+)적 영향을 헤어관리행동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외모관심도 저집단의 뷰티편익의 사회성은 피부관리에 정
(+)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났는데, 이는 사회적 성공과 위치를 중요하
게 생각하는 남성 소비자들은 메이크업과행동과 피부관리행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관리를 하는 이유는 두 집단 모두가 사회적 자신감
을 위해서 라고 하였다. 이는 외모가 경쟁력이 된 사회에서 남성들은 외
적 자신감뿐만 아니라 더 좋은 기회를 얻거나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높기 때문에 외모관리를 한다고 하였다. 조은정57)은 고등학생의
미용관리행동을 피부관리행동, 헤어관리행동, 체형몸매관리행동, 미용성형

54) 고희자, op. cit., 2016, p.59


55) 김효정, op. cit., 2016, pp.36-72.
56) 최은영, op. cit., 2014, pp.26-27, 34-40.
57) 조은정, op. cit., 2014, pp.67-70.

- 10 -
관리행동으로 분류하였다. 조은정58)은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미용관리행
동선호도 및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결과, 미용관리행동, 피부관리행동과
미용성형관리행동은 성별과 학년에서, 피부관리행동과 체형몸매관리행동
은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에, 헤어관리행동은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1학년이 2학년보다 미용관리행
동에 적극적이며,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미용관리는 일반 고등학교에서
는 피부관리를, 특성화 고등학교에서는 체형몸매관리를 중요시하였다. 자
아존중감은 피부관리행동에서만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나59)는 미용계열 여고생의 뷰티행동에 대한 연구에서 사회성취 집
단에서는 외모추구혜택 중 사회성과 자기과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는 사회적 성공을 중요시하는 집단들은 자신을 알리려고 하는 성향이 높
으며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원만한 대인관계와 생활을 하고자 하는 성향이
강한 여고생일수록 헤어관리에 많은 신경을 쓴다고 하였다. 나혜주60)는
20∼50대 성인남성의 외모관리행동을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감이 외모관
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외모
관리행동의 차이는 연령이 낮을수록, 미혼자보다는 기혼자가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외모관리행동을 살펴보면, 20대는 유행선도를
하며 변화를 좋아하며 자유롭게 패션을 도입해 다양한 스타일을 형성해
나가는 세대로 외적인 변화가 많은 헤어관리행동과 패션관리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30대는 성숙한 어른이라는 의미를 담은 세대로
패션 감각을 중시하고 옷을 세련되게 입으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어 체형
관리행동이나 패션관리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40대에는 헤
어관리행동, 피부관리행동, 체형관리행동에 관심이 많았고, 50대는 피부관
리행동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40∼50대는 중간층 중류계
급이라는 의미를 가진 세대로 사회의 중간 관리직에 해당하며 소득도 늘

58) 조은정, op. cit., 2014, pp.67-70.


59) 이하나, 미용계열 여고생의 가치관에 따른 외모추구혜택에 뷰티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pp.36-37, 58-60.
60) 나혜주, 성인남성의 외모관리해동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pp.49-51, 64-82.

- 11 -
게 되고, 육체적 변화도 함께 일어나면서 패션의 취향과 급격한 외적변화
에 보수적인 경향을 지니게 되는 데서 오는 결과라 해석하였다.
박미리61)는 20∼30대 패션 커뮤니티 활동을 하는 남성의 외모관리행동
에 대한 연구에서 20∼30대 초반의 남성들은 그들의 외모를 한층 돋보이
게 하기 위해 식이요법과 운동으로 체형을 가꾸고 유지하고 있었으며 일
부 피험자들은 기초화장과 피부관리실을 이용하여 적극적으로 외모를 관
리하고 있다. 또한 피험자 전원은 주로 의복의 착장을 통한 외모관리에
가장 많은 비용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것은 패션을 통한 외모관리행동이
상대적으로 시간과 노력이 덜 들어가며 행동의 결과가 곧바로 겉으로 표
현되기 때문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
다. 특히 30대 이상의 직장인이나 고정된 수입이 있는 남성일수록 경제적
으로는 풍요롭지만 시간과 여유가 부족한 만큼 의복을 통한 외모관리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외모관리행동을 하는 동기에는 이성에
대한 어필과 사회적 인정, 자기만족, 개성의 추구로 나타났다. 외모는 타
인에 대해 가장 쉽게 얻을 수 있는 정보이며 사회발달과정에서 대인관계
에 영향을 미치고 의복의 착장이 첫인상에 많은 영향을 끼치며 상대방에
게 신뢰감과 자신의 능력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의복은 사회적 지위와
성공을 나타내는 수단이며 나이가 많아질수록 신분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다고 하였다. 의복 착장을 통해 다른 사람과 차별화된 자신만의 개성을
타인에게 표현하고자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었으며 의복의 착장과 스타일
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성향을 반영한다고 하였다.
박혜원62)은 20∼30대 성인여성의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연구에서 자기
표현이 외모관리행동과 외모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표현이 적극적일수록 전반적인 외모관리
행동에도 적극성을 보이며 자신의 외모에 대한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영63)은 20∼60대 성인여성의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연구에서 연

61) 박미리, op. cit., 2013, pp.27-32, 35-41 75-76.


62) 박혜원, op. cit., 2013, pp.70-72, 75-77, 81.
63) 조선영, op. cit., 2013, pp.55-56, 69-82.

- 12 -
령에 따른 헤어관리는 40대가 가장 높고 30대가 가장 낮으며, 화장관리는
40대가 가장 높고 60대가 가장 낮으며, 피부관리는 30대가 가장 높고 60
대가 가장 낮으며, 체형관리는 50대가 가장 높고 20대가 가장 낮으며, 의
복관리는 30대가 가장 높고 60대가 가장 낮았다. 결혼여부에 따른 체형관
리는 기혼이 높고, 의복관리는 미혼이 높게 나타났다. 직업에 따른 헤어관
리과 의복관리는 전문직이 가장 높고 무직이 가장 낮으며, 피부관리는 자
영업이 가장 높고 무직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관리행동의 하
부요인들은 모든 영역에서 자아존중감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혜균64)은 20∼30대 직장인 남성들의 외모관리행동에서 남성들이 외
모관리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인간관계 형성과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사회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인식하기 때문이며 외모관리에
적극적인 행동을 나타냈 또한 외모관리는 비즈니스에서 경쟁력이 있다고
대다수가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모는 취업 시 중요하며 향
후에도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 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헤어관리행동과
피부관리행동은 비즈니스 경쟁력에서 자신감을 얻기 위함으로 사회문화적
의식에서 작용한다고 설명할 수 있으며, 메이크업행동, 손발관리행동 및
성형수술은 자기만족 즉 나르시스즘적 의식에서부터 강하게 작용된 것으
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외모관리행동 중 헤어관리가 적극적으로 수용되
며, 경제활동을 하는 남성들에게 가장 폭넓게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그 다
음으로 피부관리행동이 보편적으로 수용되고 있고, 손발관리행동, 메이크
업행동과 성형수술행동은 일반적으로 수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희정65)은 여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을 외모가 중시되는 현대사회에서
외모로 인해 경험 할 일들을 의복행동을 통해 효율적으로 극복할 수 있으
며 여성들에게 강조되는 여성성에 대한 어필을 의복을 통해 가장 많이 실
시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상적 신체상에 대한 가치관은 의복행동과 피부
관리행동은 감소시키고 체중조절행동만 증가시키며, 피부관리행동이 다른

64) 김혜균, op. cit., 2013, pp.79-122, 132-134.


65) 문희정, 대상화 경험이 감정을 매개하여 의복, 체중조절, 피부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pp.54-55, 101-103.

- 13 -
외모관리행동에 비해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정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
타났다. 문희정·박길순66)은 중년여성의 외모관리행동을 사회적 콤플렉스
가 높을수록 체중조절행동과 헤어관리행동을 많이 하였으나 의복행동은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지향적 콤플렉스가 높을수록 체중조절행
동과 의복행동, 피부관리행동, 메이크업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지영67)은 20∼49세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피부관리행동에 대한 연구
에서 연령에 따른 조절효과 결과, 저연령의 경우에는 주변의 시선과 자신
의 의지가 피부관리행동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며 고연령의 경우에는 현
실과 직결되는 요인인 시간과 돈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
다. 결혼여부에 따른 조절효과에서 기혼은 시간과 돈에 영향을 많이 받는
반면에 미혼은 주변 사람들의 긍정적인 평가가 좋을수록 자신의 의지가
강할수록 피부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정혜68)는 20
∼59세 성인여성의 이미지관리행동에 대한 연구에서 외모가 경쟁력인 현
대사회에 살고 있는 여성들은 타인의 시선에서 자유로울 수 없으므로 공
적자기의식이 높을수록 이미지관리행동이 높다고 하였다. 연령에 따른 이
미지관리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의복관리, 화장관리,
피부관리, 미용성형은 연령이 감소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피부관리
와 미용성형은 2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모발관리와 체형관리는 연령
이 증가할수록 40∼50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영분69)은 40∼59세 중년여성은 외모관리행동 중 의복관리를 가장 많
이 하고 다음으로 몸매관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후반의 여성은
월 소득이 높을수록 헤어관리에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현진·
정명선70)은 40∼64세 중년여성들이 가장 많이 하는 외모관리행동은 헤어

66) 문희정·박길순, 중년여성의 자기표현과 외모콤플렉스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19(3), 2013, pp.532-544.
67) 이지영, 피부관리에 대한 태도, 규범, 행동통제가 피부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식,
경험, 연령 및 결혼여부의 조절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pp.79-90.
68) 전정혜, op. cit., 2011, pp.34-35, 53-58.
69) 이영분, op. cit., 2011, pp.22-24,
70) 전현진·정명선, op. cit., 2010, pp.466-474.

- 14 -
관리 나타났고 패션제품, 피부관리, 기능성화장품, 헬스/요가, 미용성형수
술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들이 나이 들어감에 머리카락이 빠지고 윤
기가 없어지며 흰머리가 증가하여 외형적으로 가장 쉽게 인지하기 때문이
며, 헬스/요가와 미용성형수술은 부담스러운 비용 때문이라고 하였다.
정수진·추미선71)은 의복은 단순히 체형보완이나 외모향상을 위한 도구
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심리적 만족감을 통해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이며, 한 시대에 유행하는 의복은 그 시대의 대다수 사람들이 이상적
으로 생각하는 체형을 강조하거나 보완할 수 있는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
에 체형인식과 신체이미지는 의복유행과도 직접적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
안채리72)는 4년제 재학 중인 남자대학생의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 외모지향 수준이 높아지
면 헤어/피부/체형/패션/미용성형관리행동이 향상되었고, 외모평가의 수준
이 높아지면 피부/미용성형관리행동은 낮아졌으며, 신체만족 수준이 높아
지면 패션관리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월적 자아일수록 헤어/피
부/체형/패션관리행동이 높아졌고, 열등적 자아일수록 피부/체형/미용성형
관리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관리행동 중 패션관리행동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헤어관리행동, 체형관리행동, 미용성
형관리행동, 피부관리행동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차이는 20∼24세
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현주73)는 인천지역 4년제 대학 재학 중
인 남·여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자아존중감과 신체이미지가 외모
관리행동(체형·의복과 피부·미용)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성별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
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관리행동에 적극적이고 긍정적임을 알 수 있
다고 하였다. 학년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은 4학년이 1학년보다 외모관리행

71) 정수진·추미선, 체형과 신체이미지가 의복유행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


지, 12(6), 2010, pp.764-773.
72) 안채리, op. cit., 2011, pp.38-40, 49-52.
73) 이현주, 대학생의 이미지 평가 및 이미지 형성이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pp.63-65, 116-118.

- 15 -
동에 적극적으로 나타나 이러한 결과는 고학년으로 갈수록 진로를 결정하
고 더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갖고 외모관리행동에 보다 적극적인 것으로
해석하였다.
황윤정74)은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연구에서 자아존중감이 높
을수록 부정적 체중관리행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얼굴관리행동,
헤어관리행동, 의복행동, 긍정적 체중관리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났다.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남녀 대학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헤어관리행동은 남자 대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
타났고 나머지 외모관리행동에서는 여자 대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남성들의 경우 얼굴관리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지
만 헤어스타일은 변화가 빠르며 단시간 내에 이미지 연출이 가능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 이었다. 반면에 여성들은 외모에 대한 관심이 변화가 가능
한 얼굴이나 피부에 보다 집중됨에 따라 매력적인 얼굴을 연출하는데 관
심이 높으며 이상적인 미를 추구하기 위해 얼굴 부분을 가꾸기 위한 행동
으로 화장과 피부관리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모관리행동에 관련된 요인은 외모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가치관, 외모관심, 사회적 편익, 신체이미지, 자아존중
감, 연령 등이 공통적으로 연구되고 있음 알 수 있었다.

<Table 2> Factors related to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연구자 대 상 외모관리행동 관련요인
고희자 10∼60대
연령, 외모만족도, 외모관심 시기
(2016) 여성
김효정 20∼30대
가치관, 뷰티관심도
(2016) 여성
최은영 20∼50대
외모관심도, 뷰티편익
(2014) 남성
조은정
고등학생 자아존중감, 성별
(2014)
이하나 미용계열
가치관, 외모추구혜택
(2014) 여고생

74) 황윤정, op. cit., 2007, pp.35, 53-56.

- 16 -
나혜주 20∼50대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 연령
(2014) 성인남성

박미리 20∼30대 이성에게로의 어필, 사회적 인정,


(2013) 남성 자기표현의 동기/자기만족
박혜원 20∼30대
자기표현, 외모만족, 심리적 안녕감
(2013) 여성
조선영 20∼30대
연령, 자아존중감
(2013) 여성
문희정 성적대상화 경험이 외모에 대한 태도, 신체감시,
여대생
(2013) 긍정·부정적 감정
이지영 20∼49세 피부관리지식, 피부관리경험, 연령,
(2012) 여성 결혼여부
전정혜 20∼59세 공적 자기의식, 외모에 대한 사회적 태도,
(2011) 여성 객체환된 신체의식
연령, 결혼상태, 학력, 자녀수, 직업, 종교, 평균소득,
이영분 40∼59세 외모관리비, 체형관리, 외적표현, 타인지각, 신체자신감,
(2011) 중년여성 신체만족도, 외모의 영향, 부정적 자아존중감,
긍정적 자아존중감.
안채리 4년제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
(2011) 남자대학생
전현진·정명선 40∼64세
신체관련 스트레스, 외모관심
(2010) 중년여성
이현주 4년제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
(2008) 남·여대학생
황윤정 자아존중감,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남녀대학생
(2007) 신체매력 지각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청소년부터 성인까지 남


녀 상관없이 외모를 사회적 상호작용과 사회적 능력을 상징적으로 표현하
는 수단으로 중요하게 인식하며 외모를 이상적으로 변화시키고 자아존중
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외모관리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관리행동 중 의복행동과 헤어관리행동은 가장 쉽고 단시간에 적은 노
력으로 외모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자신과 타인이 이러한 변화를 빠
르게 인식할 수 있다. 반면에 피부관리행동과 체형관리행동은 상대적으로
변화가 쉽지 않고 많은 시간과 노력, 경제력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상
적 미를 추구하기 위해서 피부관리행동과 체형관리행동을 선호하는 것으

- 17 -
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성향,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이 피부관
리행동, 의복행동, 헤어관리행동, 체형관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를 알아보고자 한다.

제 2 절 사회성

1. 사회성의 개념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사회 속에서 끊임없이 사람들과의 관계를 맺고


그 속에서 자신과 타인의 상호작용 속에서 자아를 완성해가며 대인관계를
원만하게 형성해나가는 존재이다. 사람은 이러한 사회 속에서 여러 형태
의 사회화 과정을 거치며, 이러한 과정에서 형성되는 인간성을 일반적으
로 사회성이라고 한다.75) Mcpherson76)은 사회화를 개인이 사회적 참여를
위한 요건이나 사회 속의 특정집단 속에서 요구되는 각 사회적 역할의 수
행을 위해 준비시키는 복잡한 사회적 과정이라고 하였다.
권지영77)은 사회화를 한 개인이 속해 있는 사회 속에서 심리적으로 성
장하는 과정으로 그 사회에서 기대하는 가치관, 태도, 행동양식을 습득하
게 되는 것이다. 즉, 한 개인이 속해 있는 가정, 사회, 문화권에서 인정하
는 행동, 기술, 지식, 신념, 동기 등을 습득하는 과정이라고 하였다.
Guralnik78)은 사회성을 자신들의 대인관계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목표달성에 필요한 방법을 적절하게 선택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
력이라고 하였다. Walker외 등79)은 사회성을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주도

75) 이경희·이규미, 고등학생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상담학연구,


13(3), 2012, pp.1537-1561.
76) Mcpherson, B. D., Socialization into the role of sport consumer, A theory and
casual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 1981.
77) 권지영, 소설교육과 사회성 발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p.19.
78) Guralnik, M. J., Programmatic factors affecting child-child social interactions in
main streamed preschool programs, Exceptional Children Quarterly, 1(4), 1981,
pp.71-92.

- 18 -
하고 긍정적 관계를 유지하며 적절한 방법으로 지시에 따르거나 요구하는
행동으로 사회적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체하고 적응하는 능력이라고 하였
다. 배창일80)은 사회성을 인간이 성장하고 사회에서 살아가면서 타인과의
긍정적이고 원만한 상호작용을 하며 상호 협력하는 성향이라고 정의하였
다. 정명숙81)은 사회성은 사회화 과정을 통해서 발달하게 되며, 타인과의
지식이나 자료 등을 상호교환해서 상황을 적절하게 다룰 수 있는 능력이
다. 또한 사회화 정도, 사회집단에 참여하는 정도를 포함해서 환경에 적응
하고 상호작용하며 타인과의 관계에서 목적을 달성하려는 포괄적인 적응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정범모82)는 사회성을 사회활동, 집단 활동을 즐기며
친구가 많고 협동적이며 인정이 많고 남과 의견이 잘 맞으며 충돌이 적은
특성으로 정의하였다.
권금영83)은 사회성을 사회적 적응의 정도를 뜻하며 타인과 공동으로 사
회생활을 해나갈 수 있는 경향이라고 하였다. 사회화는 부모, 또래집단,
여러 집단의 사람들 등의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이들과
적절한 관계를 맺으면서 사회의 행동양식을 체득하며 인격을 형성해 나가
게 된다고 하였다. 김호영84)은 사회성이란 사회적 행동이 내면화된 것이
며, 후천적으로 교육에 의한 경험으로 습득한 사회적 습관이며, 사회적 행
동의 근본적 기능이라고 하였다. 이상우85)와 황성하86)는 사회성을 사회에

79) Walker, H. M., Severson, H., Stiller, B., William, G., Haring, N., Shina, H., &
Todis, B., Systematic screening of pupils in the elementary age range at risk for
behavior disorders: Development and trial testing of a multiple gaiting model,
Remedial & Special Ejucation, 9(3), 1988, pp.8-14.
80) 배창일, 가족유형에 따른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pp.19-22.
81) 정명숙, 가족구조가 아동의 인성발달과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백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pp.27-28.
82) 정범모, 생활체육 참가와 여가만족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71.
pp.13-18.
83) 권금영, 사회성 함양을 위한 철학교육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p.84.
84) 김호영, 대학생의 스포츠 참여형태가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pp.12-14.
85) 이상우, 대학생의 스포츠동아리 참가와 사회성발달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13, pp.19-21.

- 19 -
적응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 사회성은 청소년기는 물론
성인기에서도 발달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박은승87)은 사회성을 다른 사람
과의 관계를 원활히 맺어 나가며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요소
라고 정의하였다. 사회화란 사회구성원들이 자신이 속한 사회에서 생활하
는 방법을 배우고, 문화를 내면화하는 과정이며88) 개인이 주변 환경에 적
응해가며 타인과 어울리는 정도와 그 능력이다.89) 임번장은 사회화를 사
회학에서 집단 규범을 내재화하는 것이고, 심리학에서는 자아를 형성하며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길들이는 과정이며, 인류학에서는 문화를 전달하
고 특정 생활 방식에 적응하게 하는 과정이라 하였다.90) 사회성은 선천적
인 것이 아닌 개발 가능성을 가지고 태어나 그 가능성을 키워주는 환경
속에서 발달된다.91)
Hurlock92)은 사회성발달 과정을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사회적으
로 승인된 방식으로 행동하기를 배우는 과정이다. 둘째, 개인이 소속된 집
단에서 기대되어지는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이다. 셋째, 자신이 속
한 사회에 소속된 사람과 사회적인 행동을 좋아하는 사회적 태도를 발달
시키는 과정이라고 하였다.93) 이를 바탕으로 최형규94)는 사회성을 세 가
지 관점으로 구분하였는데, 첫째로 사회적 행동, 즉 개인의 행동이 사회의
기준과 비교해서 그것이 승인되거나 비판받는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서 개

86) 황성하, 사회성발달을 위한 팀빌딩체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 충남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3, pp.14-15.
87) 박은승, 학생 오케스트라 활동과 초등학생의 사회성에 관한 질적·양적 통합 연구, 경
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p.39.
88) 김선웅, 개념 중심의 사회화,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6, p.93.
89) Leonard W. M, A sociological perspective of sport, Minneapolis, MN: Burgess
Publishing Company, 1980. 황성하, 2013, pp.16-14, 재인용.
90) 임번장, 스포츠 사회학 개론, 서울: 동화문화사, 1996. 이상우, 2013, pp.20-21, 재인용.
91) 문형필, 보디빌딩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 개념과 사회성 발달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3, p.20.
92) Hurlock, E. B., Child development. McGraw-Hill Education (India) Pvt Limited,
1978.
93) 이상희, 형제간 또래간 사회성에 영향을 주는 가족 인구학적 변인, 이화여자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1990, 재인용.
94) 최형규, 태권도 수련만족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pp.22-24.

- 20 -
인의 많은 행동이 사회적으로 승인되었을 경우에 사회성이 발달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둘째로 사회집단의 참여 정도, 즉 방안에서 혼자 놀거나 모
임에서 다른 사람들의 놀이를 구경만하고 있는 사람들은 사회집단의 참여
정도가 낮은 사람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사회적 발달이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다른 사람들과의 모임에 있어서 중심인물이 되거
나 주변 사람들과의 만남에 흥미를 보이며 관심을 보이는 사람들은 사회
성 발달이 잘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셋째로 사회성은 인성의 한 특성으로
서 타인과 공동으로 사회생활을 훌륭하게 적응할 수 있는 심리적 경향이
다. 즉, 환경에서 다른 사람과 상호접촉 할 때 그 환경에 적응시킬 수 있
도록 하는 능력이며 이것은 환경에 의한 경험으로 얻어지는 것이라고 하
였다. 사회성이 중요한 이유는 사회성은 대인관계 능력과 관련된 행동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높은 학업성취와 원만한 대인관계를 유지하고
개인을 총체적·통합적으로 이해하고 표현하는데 적절한 개념이 될 수 있
다고 하였다.95)
이상을 종합해보면 사회성은 개인이 사회적 환경과 타인과의 상호작용
을 통해 사회적 행동 양식을 체득하여 사회적 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응하
고 타인과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유지하며 목표달성에 필요한 행동을 적절
하게 선택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2. 사회성 유형 분류

김규원·조미아96)은 사회성을 한 개인이 다른 사람이나 주변 환경과 관


계를 맺어 나가면서 발달하는 능력인 근면성, 협동성, 책임감, 준법성, 자
주성으로 분류 하였다. 이경희·이규미97)은 사회성을 사람들과 잘 협력하
는 협동성, 원만하게 지내는 사교성, 자신을 주장할 수 있는 주장성, 설득

95) 박은승, op. cit., 2015, pp.37-39.


96) 김규원·조미아, 토론 중심의 독서교육이 인문계 고등학생의 인성과 사회성 발달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2), 2014, pp.207-228.
97) 이경희·이규미, op. cit., 2012, pp.1537-1561.

- 21 -
력을 갖고 이끌 수 있는 지도성, 자신과 타인에 대한 신뢰성으로 분류하
였다. 황성하98)은 사회성 발달을 위한 팀빌딩체육프로그램의 개발연구에
서 사회성을 활동성, 성취성, 지배성, 사교성, 자율성으로 분류하였다. 이
도연99)은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베이비붐세대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사회성을 활동성, 사교성, 자율성, 안정성으로 분류하였다. 이상우100)은 대
학생 스포츠동아리 참가와 사회성발달의 관계 연구에서 사회성을 활동성,
성취성, 지배성, 사교성, 자율성으로 분류하였다. 송병건101)은 대학생의 동
아리 체육활동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 사회성을 지배
성, 사교성, 활동성, 안정성, 자율성으로 분류하였다. 이승훈102)은 사회성
을 사교성, 활동성, 자율성으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신연욱103)은 남성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연구에서 성격 특질을 성취욕구와 사회성의 2개의
범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Coakley104)는 사회성을 발달시키는 요인을 다섯 가지로 설명하였다. 첫
째, 활동성은 일상생활에서 생산적이고, 부지런하며, 정력적으로 일을 해
내는 능력을 말하며 둘째, 자율성은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제어하며, 독특
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셋째, 지배성은 집단생활에서 지
휘와 감독하는 지도적 위치와 자기주장을 내세우는 정도를 의미하며 넷
째, 성취성은 높은 목표를 설정하고 과업지향, 미래지향, 창조, 도전 등의
실천적인 정도를 의미하며 다섯째, 사교성은 친절하고, 원만한 인간관계를
위해 노력하는 정도라고 설명하였다.

98) 황성하, op. cit., 2013, pp.33, 89-90, 119-120.


99) 이도연, 색소폰연주가 베이비품세대의 삶의 만족도, 자아존중감, 사회성,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pp.36-37.
100) 이상우, op. cit., 2013, pp.43-35, 69-70.
101) 송병건, 대학생들의 동아리 체육활동이 학교생활 만족도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p.32.
102) 이승훈, 대학생의 체육동아리 활동이 대학생활만족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pp.9-10, 45-47, 79.
103) 신연욱, op. cit., 2006, pp.29, 38.
104) Coakley, J, Using sports to control deviance and violence among youths: Let's be
critical and cautious, In M. Gatz, M. A. Messener, & S. J. Ball-Rokeach(Eds),
Paradoxes of Youth and Sport, 2002, pp.13-40.

- 22 -
이상과 같이 사회성의 유형 분류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비교
적 많은 연구자들이 공통적으로 제시한 사회성 유형은 활동성, 사교성, 지
배성, 성취성, 자율성으로 나타났다.

3. 사회성과 외모관리행동 관련 연구

강평미·박길순105)은 대학생의 사회성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사회성은 외모관리행동의 헤어관리와 메이크업관리에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생활에서 원만한 대인관계와
일에 대한 성취감을 경험한 사람들은 더욱 더 다양한 사회활동을 하면서
자기 자신에 대한 가치를 높게 인식하고, 외모를 중요시하는 사회에서 타
인으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 위한 수단으로 외모관리행동을 활용하
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시원106)에 의하면 타인의 평가를 중시하는 공적
자기의식 집단이 자신의 느낌이나 감정을 중시하는 사적 자기의식 집단보
다 외모관리행동에 더 적극적이고 외모의 중요성을 더 높게 인지한다고
하였다. 신연욱107)은 20∼30대 남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사회성과 성
취욕구는 외모관리행동에 직간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사회성 즉, 사람들과 어울림을 좋아하고 친구를 쉽게 사귀는 사람
들은 자신의 신체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외모지향적인 태도를 가지
며, 외모적 신체에 대하여 높게 인식하는 남성은 의복을 통해 자신의 체
형을 보완하고 성적매력과 관심을 유도하며, 사회적 신분과 지위를 표현
하기 위한 방법으로 의복을 선택하려는 행동을 한다고 하였다. 또한 사회
에서 자신의 지위를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가 강한 남성일수록 즉, 성취욕
구가 높을수록 신체에 외모지향적인 태도를 가지며 의복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5) 강평미·박길순,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22(1), 2016, pp.189-196.
106) 이시원, 공적·사적 자기의식에 따른 바디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성신연
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p.55.
107) 신연욱, op. cit., 2006, pp.45, 51-52.

- 23 -
Rudd와 Lennon108)은 사람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현대 사회에서는 외모
를 중요시 생각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으며, 자신을 표현하는 중요한 요
소이자 경쟁력으로 받아들여 현대인에게 외모관리는 그들의 사회생활 속
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할 만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최은영109)은 남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외모관리행동을 하는 이유에
서 외모관심도 고집단과 저집단 모두 사회적 자신감을 위해서라는 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이유는 외모가 경쟁력이 된 사회에서 남성들은
외적 자신감뿐만 아니라 더 좋은 기회를 얻거나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싶
은 욕구가 높기 때문에 외모관리행동을 한다고 하였다. 노선옥110)은 외모
가 원만한 대인관계 형성과 사회적 성취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여성
들이 자기 자신의 개성표현을 위해 그리고 타인의 평가를 의식하여 적극
적으로 외모관리행동을 한다고 하였다.
이서영111)은 20∼50대 여성의 알파걸 성향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
향을 연구한 결과, 알파걸 성향 요인 중 사회적 성공요인이 헤어관리행동
의 심미성요인과 개성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어스타일
을 통해 자신만의 독특한 스타일로 타인에게 아름다워 보이길 원하며 강
한 리더쉽과 함께 여성성의 매력을 더해 부드러운 카리스마를 표현하고자
한다고 하였다. 이유종112)은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사회생활의
관계형성을 위해 자기 자신은 물론 다른 사람에게도 긍정적인 이미지로
평가 받기 위해서 외모관리행동을 한다고 하였다. 이경희113)의 연구에서
만족하는 외형을 가진 대학생은 자기 스스로도 만족을 느끼며 능동적으로
살아가게 되고, 사회생활에서도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자신감을 가지게

108) Rudd, N. A. and Lennon, S. J., Body imag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in college women,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8(3), 2000,
pp.152-162.
109) 최은영, op. cit., 2014, p.59.
110) 노선옥, op. cit., 2011. pp.89-96.
111) 이서영, 알파걸 성향의 소비자 집단에 따른 외모관리 행동과 헤어스타일 및 이미지
선호도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pp.37-51.
112) 이유종, op. cit., 2010. pp.43-56.
113) 이경희, 대학생의 우울,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성향에 미치는 영향 -외모만족도의 매
개효과 분석-,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pp.74-77.

- 24 -
된다고 하였다. 반면에, 자신의 체형과 외형에 만족하지 못한 대학생은 사
회적으로 위축되고 사회생활에서 타인들에게 좋은 대우를 받지 못한다고
느끼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다.
김효정114)의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성공지향과 관계적
지향의 가치관이 높을수록 전반적인 뷰티 관심도와 하위요인별 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관계 지향적 가치관은 전체적 뷰티쇼핑 행동에 성공적 지
향형은 성형행동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 지
향은 헤어관리행동을 더 선호하며 관계지향형은 피부관리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류은숙115)은 30∼50대 직장남성의 패션행동이 경력성공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패션행동이 경
제성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장남성들의 계획적이고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패션행동이 경력성공에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하였다. 반면에
타인에게 보여주기 위해 외모를 가꾸거나 고급제품으로 과시적인 패션행
동은 자신의 경력성공에 도움을 줄 수 없다고 하였다. 패션행동이 직무성
취에 영향을 미칠 때 패션자신감으로 인한 직무성취가 더 높아지며, 이렇
게 생긴 자신감은 패션자신감 뿐만 아니라 자신의 가치를 높게 생각하는
자존감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며 이는 일에 대한 자신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하였다. 이미숙116)의 청소년의 외모의 사회적 유
용성 유형별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앞으로의 수행의도를 조사 한 결과, 외
모의 사회적 유용성 하위요인 대인관계유용성, 연인관계유용성, 사회적성
취유용성을 수용하는 집단은 수용하지 않는 집단보다 의복관리, 체중관리,
피부관리, 헤어관리, 외모변형에 대한 수행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외모의
사회적 유용성을 중시하는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외모가 가지
는 이점을 얻기 위해서 외모를 중시하고, 다양한 외모관리를 하고 향상시
키려는 행동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14) 김효정, op. cit., 2016, pp.73-77.


115) 류은숙, op. cit.,, 2014, pp.98-100. 113-116.
116) 이미숙, 외모의 사회적 유용성이 여자 청소년의 신체만족도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
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4(4), 2012, pp.163-177.

- 25 -
김완석 외117)는 남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외모의 사회적 유용성을 조
사한 결과 한국대학생들은 대체적으로 외모의 사회적 유용성을 높게 지각
하고 있으며, 외모의 사회적 유용성을 중시하는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
에 비해 외모가 가지는 이점을 얻기 위해서 외모를 중시하고, 이상적인
외모와 비교를 통해 자신의 신체에 불만족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를 극복
하기 위하여 다양한 외모관리행동을 한다고 하였다. 이미숙118)은 청소년
의 사회적 성취유용성을 성별에 따른 차이를 연구한 결과, 여자 청소년은
외모를 직장생활이나 사회적 성공에서 비교적 유용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는 반면, 남자 청소년은 외모를 사회적 성취 측면에서 유용한 수단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사회성과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 관련 연구

O'brien에 의하면 신체이미지의 형성은 개인의 신체 인식뿐만 아니라


미적인 것과 문화의 영향을 받으면서 형성 발달되고 신체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전적인 것, 사회화, 유행, 대중매체, 동료집단, 문화 등이
라고 하였다.119) 신연욱120)은 20∼30대 남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사
교적인 성격일수록 신체이미지(감정적차원과, 인지·행동적 차원)에 정(+)
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성취욕구가 높은 성격일수록 신체이미지의 인지·행
동적 차원에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이시원121)의 연구에서는 공적자
기의식이 높을수록 외모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신체이미지 중 외모지
향성이 높게 나타났다. 최미영122)의 연구에서 대학생들의 외모와 관련해
서는 외모를 인간 평가의 기준으로 삼는 외모중요도보다는 외모의 변화를

117) 김완석·권지현·유연제, 외모의 사회적 유용성: 외모도구성 척도(BVI-SI-A)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3), 2010, pp.549-568.
118) 이미숙, op. cit., 2013, pp.75-88.
119) 나혜주, op. cit., 2014. pp.23-25. 재인용
120) 신연욱, op. cit., 2006, pp.45, 51-52.
121) 이시원, op. cit., 2004, p.55.
122) 최미영, 대학생들의 내외향성, 외모인식, 내외통제성이 대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pp.79-80.

- 26 -
위해 노력하는 외모관심도와 자신의 외모에 스스로 만족함으로써 대인관
계에서 더 많은 만족을 누린다고 하였다.
권금영123)은 청소년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의하면, 사회화가
원만하게 발달되지 않은 청소년들은 능동적으로 사회적 관계를 맺지 못하
고 자아형성 과정에서도 자신이 주체가 되지 못하는 문제를 가지게 된다
고 하였다. 송인섭124)은 대학생의 성취수준이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성취성이 낮아지면 자아존중감을 유지할 수 없다고 하였다.
강평미·박길순125)의 연구에서 사회성이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 간의 관계에서는 자아존
중감이 높을수록 메이크업관리를 선호하지 않았고, 헤어관리에는 자아존
중감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및 중요성 인식이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인간은 다양한 사회적 상호관계 속에서 개인
이 소속된 사회에 적응하고 성공적인 사회활동을 위한 욕구가 발생함으로
써 자신의 외모를 그 사회에서 요구하는 외모로 변화시키기 위한 방법으
로 외모관리행동을 할 것으로 예측 되며, 또한 사회성이 높을수록 신체이
미지와 자아존중감도 긍정적으로 인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본 연
구에서는 사회성의 하위요인을 분류해보고 이들 요인이 신체이미지와 자
아존중감 및 외모관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제 3 절 신체이미지

1. 신체이미지의 개념

123) 권금영, op. cit., 2005, pp.11-12.


124) 송인섭, 자아개념의 다원성과 학업성취간의 관계, 사회교육과학연구, 5(1), 2001,
pp.3-17.
125) 강평미·박길순, op. cit., pp.189-196.

- 27 -
신체이미지(Body image)는 자신의 신체외모나 신체기능, 상태에 대해
가지고 있는 느낌을 말하며 자신을 둘러싼 사회체계와 함께 자아 중심개
념의 인간행위이다.126) 우리 마음에 형성하는 우리 자신의 몸의 형상, 즉
신체가 우리 자신으로 나타나게 되는 방법을 의미하며 자신의 신체에 대
한 감정이나 태도의 총체적인 개념이다.127)
Cash와 Pruzinsky128)는 신체이미지란 자신의 신체에 대해 가지고 있는
정신적인 이미지로서 자신의 신체에 대한 느낌과 태도를 나타내며 자아개
념의 근본적인 핵심요소이며 자아 개념의 평가적 구성요소 중 하나라고
하였고, Robert129)는 신체이미지를 모든 다른 타인들과 구별되는 자신의
공간적인 신체에 대한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인 정보, 감정, 지각들의 변화
하는 집합체라고 하였다.
신체이미지는 자신의 신체적 경험을 통해 형성하게 되는 정신적인 상으
로 개인의 신체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포함한다.130) 정문주131)는 일반인
들에게 불리어지는 신체이미지의 정의는 자신의 체형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와 외부로부터 얻어지는 이미지를 자기화하며 실제 체형과는 다른
자신만의 이미지를 그려내는 것이라 하였다.
Kaiser에 의하면 신체이미지는 새로운 환경 및 자극을 통해 시대의 이
상적인 미의 기준과 유행, 동료집단, 매스미디어, 사회화 등의 사회 문화
적 영향을 받는다.132) 이러한 영향으로 문화권의 미적 이상형을 개인의
외모를 가꾸는데 미적 기준으로 내면화하여133) 자신의 신체와 이상적인

126) McCarthy, J. G.. Plastic Surgery Saunders Company, 1990, pp.1∼6.


127) Fisher, S, Development and structure of the body image, 2(2), Hillsdal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6.
128) Cash, T. F. & Pruzinsky, T., Body images: A handbook of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NY: Guilford Press, 2002.
129) Robert, S. L, Behavioral Concepts and Critically Ⅲ Patients J. New Jersey,
Pretice-Hall Inc, 1986, pp.77-78.
130) Rudd, N. A. and S. J. Lennon, In Body Image: linking aesthetics and social
psychology of appearance,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2001, 19:120-133.
131) 정문주, 청소년의 신체 지각차이와 신체 이미지가 신체 관리행동과 자아존중감에 미
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p.14.
132) Kaiser, S. B.,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ymbolic Appearance in
Context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New York, 1990, pp.157-424.

- 28 -
신체 모습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신체관리로 자신의 외모를
변화시키고자 노력한다.134) 자신의 신체에 대해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생
각하고 느끼고 있는지에 대한 가치관도 반영되어 끊임없이 변화하
며135)136) 신체는 현대인에게 있어 자신을 인식시킬 수 있는 가장 명확한
수단으로 사람들은 신체를 통해 자신이 어떤 종류의 사회적 존재인지를
표현하고137) 타인과의 상호작용에서 자신의 존재를 평가 받는다. 이러한
이유로 개인의 신체에 대한 지각과 평가는 중요하다.138)
Thompson은 신체이미지 형성과정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성하였
다. 첫째, 각 개인의 신체에 대한 인식의 정도인 인지적 측면, 둘째, 개인
의 신체 크기나 몸무게, 각 신체부위 또는 전체에 대한 만족 평가 혹은
태도인 정서적 측면, 셋째, 개인이 자신의 외모에 대해 얼마나 관심을 가
지고 있으며 얼마나 다양한 외모행동들을 보여주는가의 행동지향성 측면
이다.139)
Cash와 Pruzinsky140)는 신체이미지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첫째, 신체이미지는 단일 차원이 아닌 다차원(감정적 차원/ 인지·행동적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신체이미지는 사회적 매력성에 대한 기준
에 따라 사회적 영향력이 작용된다. 셋째, 신체이미지는 변화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외모관리(의복/화장/액세서리 등)에 따라 신체이미지에 대한
감정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넷째, 신체이미지는 행동에 영향을

133) Rudd N.A & Lennon S. J, "Aesthetics of body and social identity theory. In M.
Delong & A .M Fiore(Eds)", Aesthetics of textiles and clothing: Advancing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Monument, CO: International Textiles and Apparel
Association, 1994, pp.163-175.
134) Kaiser, S. B.,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ymbolic Appearance in
Context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New York, 1990, pp.157-424.
135) Cash, T. and Smolak, L., Body images: A handbook of science, practice and
prevention, NY: Guilford Press, 2011.
136) Tompson, J., Boy Image Disturbance, Assessment and Treatment, Pergamon
Press, 1990.
137) Harre, R, Physical Being: A Theory for a Corporeal Psychology, Oxford:
Blackwell, 1991.
138) 나혜주, op. cit., 2014, pp.23-25.
139) 임숙자 외, 현대 의상사회 심리학, 서울: 수학사, 2002 p.41-69. 재인용
140) Cash, T. F. & Pruzinsky, T., op. cit., 2002.

- 29 -
준다. 신체이미지에 따라 불만스러운 신체부위나 체형을 가리고 변화하려
는 행동을 하도록 영향을 미친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신체이미지는 자신의 신체에 대해 주관적으로 느끼
는 감정이나 태도이며 타인을 지각하는 가장 기초적인 정보 중의 하나이
다. 이는 사회의 이상적 신체상과 자신의 신체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줄
이기 위하여 외모관리행동으로 자신의 신체를 변화시키고자 노력하고 있
음을 알 수 있다.

2. 신체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 관련 연구

신체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미숙141)의 연구에서 청소년들은 매우 마른 체형을 이상적인 여성의
신체조건으로 지각하며, 자신의 신체에 불만족하는 경향이 높았으며, 체중
과 몸매에 대한 불만이 가장 높았다. 신연욱142)은 남성의 신체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 신체이미지는 감정적 차원(외모평가/
외모만족)과 인지·행동적 차원(외모지향/외모만족)으로 분류하였다. 신체
이미지는 외모관리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신의 신체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만족하는 사람일수록 의복을
통해 성적인 매력을 발산하고, 의복으로 사회적 지위 또는 신분을 나타내
며, 외모지향성을 높게 인식하고 신체적 외모에 대한 의식이 증가할수록
외모관리행동이 증가한다고 하였다. 신체이미지의 외모지향성은 남성 외
모관리행동의 모든 요인에 있어 동기부여의 의미를 가지며, 신체이미지의
감정적 차원보다 효과가 크게 작용한다고 하였다. Shim143)등은 성인 남성
의 체격에 따라 4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여 신체만족도와 의복태도에 따른
의복행동을 연구한 결과, 남성들이 신체불만을 의복으로 보완함으로써 신

141) 이미숙, op. cit., 14(4), 2012, pp.163-177.


142) 신연욱, op. cit., 2006, pp.46-47, 51.
143) Shim, S., Kotsiopulos, A. & Knoll, D. S., Short average-height, tall and big men
:Body-cathexis, clothing and retail satisfactions and clothing behavior, Perceptual
and Motor Skills, 70, 1990, pp.83-96.

- 30 -
체적 자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채리144)은 남자대학생의 신체이미지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신체이미지를 신체만족, 외모지향, 외모평가로 분류하였다.
외모지향 수준이 높아지면 헤어, 피부, 체형, 패션, 미용성형관리행동이 향
상되었고, 외모평가 수준이 높아지면 피부, 미용성형관리행동은 낮아졌으
며, 신체만족 수준이 높아지면 패션관리행동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문주145)는 신체이미지의 하위요인 중 감정이미지는 자신만의 외모평
가이기에 외부적인 평가를 의식하는 몸무게와 키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
지만 인지행동이미지는 사회적 평가를 의식하여 행동하는 척도로써 신체
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따라서 감정이미지가 낮고 인지행동
이미지가 높은 학생들이 신체관리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혜주146)는 성인남성의 신체이미지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연구한 결과, 외모지향 수준이 올라가면 체형관리행동과 패션관리행동이
향상되었고, 외모평가 수준이 올라가면 피부관리행동, 헤어관리행동, 체형
관리행동, 패션관리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이미지의 차이 결과, 외모지향에서는 연령, 결혼여부, 자녀수, 평균수
입, 직업에서, 외모평가에서는 연령, 학력, 평균수입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 이현주147)의 연구에서 남녀대학생의 신체이미지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결과, 신체이미지는 체형·의복행동과 피부·미용관리행동
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신체에 대해 보다 긍
정적 이미지를 지닌 대학생들이 그렇지 못한 대학생들에 비해 외모관리행
동에서 보다 적극적이며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영역 중 체형·의복관리행동
이 피부·미용관리행동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대학생의 신체이
미지에 대한 차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자신의 신체에 대해 보다 긍정
적인 이미지를 지니고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144) 안채리, op. cit., 2011, pp.41, 66-85.


145) 정문주, op. cit., 2013, p.51.
146) 나혜주, op. cit., 2015, pp.68-92.
147) 이현주, op. cit., 2008, pp.43-44.

- 31 -
고희자148)는 10∼6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외모만족감과 외모
관리행동은 정적 상관이 있으며, 외모만족도가 높을수록 외모장식이나 체
형관리를 더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형수술의 경우 외모만족도가 낮
을수록 성형수술을 더 한다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연령이 낮을수록 외모
관리행동을 더 많이 한다고 하였다. 이정하149)는 20∼40대 남녀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압력이 남녀의 신체불만족과 제품구매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 자신이 타인에게 주는 인상에 민감하고 이러한 인상을 통
해 타인들이 자신을 평가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 때문에 자신이 생
각하는 이상적인 몸매보다도 다른 사람에게 비치는 몸매에 더 집착하고
그러한 몸매와 비교하게 됨으로써 자신의 신체에 대한 불만족을 경험하게
된다고 하였다. 이는 마른 몸 규범화는 신체불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
는 반면에 사회문화적 압력으로 인한 신체 비교는 이루어지지만 신체불만
족까지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신체불만족을 경험하는
것은 다른 사람과의 비교를 통해서 자신의 신체에 불만족을 경험하는 것
보다는 사회적으로 마른 몸매를 이상적인 몸매로 평가하기 때문에 자신의
신체에 불만족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신체불만족을 하는 사람들은 옷을
가장 많이 구매하며 신체 불만족을 하면 할수록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는
헬스나 다이어트 제품보다는 구매하면 바로 사용 및 착용할 수 있는 제품
에 더욱 관심이 높았다. 남성이 여성보다 신체 만족감이 더 높았고 남녀
모두의 이상적인 체형은 자신의 체형보다 더 말라야 된다고 생각하며 남
녀가 바라는 이성의 체형은 마른 몸매보다 평균적인 몸매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숙150)의 연구에서 신체만족도가 청소년의 성별에
차이를 보여 여자가 남자보다 자신의 신체 각 부분에 대해 더 불만족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전체적인 몸매와 같이 날씬함에 대해 더 불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자보다 여자가 자신의 신체외모에 대

148) 고희자, op. cit., 2016, pp.69-71.


149) 이정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압력이 남녀의 신체불만족과 제품구매에 미치는 효
과,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pp.48-55.
150) 이미숙, op. cit., 2013, pp.75-88.

- 32 -
해 더 몰두하고 민감하게 반응하며 타인과의 비교를 더 많이 하게 되는
경향과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 이은옥151)은 30∼50대 유방암생존자와 일
반여성의 다차원적 신체이미지와 의복관리혜택에 관하여 연구한 결과, 다
차원적 신체이미지와 의복추구혜택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신체이미지 하위요인인 인지·행동적 차원인 외모관심도가 높은
사람들은 의복을 통해 자기를 표현하고 사회적인 인정을 받고자 하는 욕
구가 높으며, 감정적 차원인 외모 평가가 낮은 사람들은 의복으로 더 좋
은 이미지를 추구하고자 한다고 하였다. 이현서152)의 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이미지의 차이는 외모평가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직장인이면 연령, 학력, 경제상태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외모지향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으며 미혼, 연령과 학력이 높고 직
업인일수록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신의 신체이미지의 인식에 따라 불만족스러운 신체를 매력적
으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외모관리행동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감 관련 연구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감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Harter153)는 신체적 외모에 대한 지각이 다른 세부적 자기평가 영역보
다 자아존중감을 예언하는데 있어서 가장 강력한 결정적 요인이며, 청소
년들의 전반적인 자아존중감은 신체 외모와 가장 높은 상관성이 있다고

151) 이은옥, 유방암생존자의 다차원적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과 의복추구혜택에 관한 연


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pp.78-80, 82-87. 90-91.
152) 이현서, MBTI 성격유형별 외모관리와 신체만족도 및 신체이미지 관심도, 계명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p.42-43, 58-62.
153) Harter, S., Self and identity development, In S. Feldman & G. Ellott (Eds.), At
the threshold: The developing adolescent ,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pp.352-387.
Harter, S., The construction of the self: A developmental perspective, NY:,
Guildford, 1999.

- 33 -
하였다. Alfonso154)는 외적 매력에 대한 자신의 신체적 지각은 자아존중
감 형성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며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삶에 대한 만족
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라고 하였다. 홍금희155)는 외모의 사
회문화적 태도와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신체이미지에 선행하며, 신체이미지는 자아존중
감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경로를 분석하였다.
전정혜156)는 성인여성의 객체화된 신체의식과 이미지관리행동과의 관계
를 연구한 결과, 객체화된 신체의식이 높을수록 자신의 신체적 외모를 향
상시키고 사회가 요구하는 이상적인 미에 도달하고자 이미지관리행동을
하게 되며, 이러한 행동은 신체적 만족감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향상과 신
체적 매력으로 인한 사회적 혜택과 경쟁력을 추구하기 위한 것이라고 하
였다. Resenblum과 Lewis는 외모만족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는 성과 연
령에 따라 다르며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자신의 외모와 몸무게에 대해 더
비판적이고 자신의 신체외모를 불만족스러워하는 여학생들은 전반적인 자
아존중감도 낮게 타나났다고 하였다. Bloch와 Richins157)는 Festinger의
사회적 비교이론을 외모평가에 적용하여 사람들은 사회적 비교를 통하여
준거집단 내의 외모의 기준을 관찰하고 다이어트, 화장품 사용 등의 외모
관리행동을 통하여 외모의 매력성을 증가시키며 그로 인한 자아존중감 향
상과 사회적 이점을 얻게 된다고 하였다. 이은옥158)은 30∼50대 유방암생
존자와 일반여성의 다차원적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감은 밀접한 상관관계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현서159)는 15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신체이미지는 외

154) Alfonso, V, C., Allison, D. B., Rader, D. E., & Gorman, B. S., The extende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38(3), 1996, pp.275-301.
155) 홍금희, 자아존중감에 대한 외모의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비만도 및 신체이미지의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0(2), 2006, pp.348-357.
156) 전정혜, op. cit., 2011, pp.78-81.
157) Bloch, P. H. & Richins. M. L., op. cit., 1992, pp.3-15.
158) 이은옥, op. cit., 2014, pp.78-80, 82-87. 90-91.
159) 이현서, op. cit., 2011, p.42-43, 58-62.

- 34 -
모관리행동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며 신체에 대한 평가가 높을수록
자신에 대한 자아존중감도 높아지고 외모관리행동도 더 적극적으로 한다
고 하였다. 신체이미지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신체에 대한 평가를 높여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신체이미지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를 검토해보면 자신의 신체에 대하여
평가하고 타인과 비교하면서 자신의 단점을 보완하고, 이상적인 신체로
변화시키고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외모관리행동을 통하여 신체의 매력
성을 증가시키고 그로 인하여 자아존중감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
었다. 이를 통해 신체이미지는 시대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이상적인 미
를 의식하고 평균적인 외모를 가져야 한다는 신념으로 외모관리행동에 미
치는 영향력이 크다고 볼 수 있으며 또한 사람들이 가장 보편적으로 신체
이미지를 인식하고 느끼는 태도에 따라 외모관리행동으로 이어진다고 예
측할 수 있다. 따라서, 신체이미지의 하위요인인 외모만족과 외모지향이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제 4 절 자아존중감

1. 자아존중감의 개념

자아존중감(Self-Esteem)은 개인의 자아체계 성격 및 행동을 이해함에


있어서 중요한 심리적 개념으로 자신을 타인과 구별되는 자아라는 개념으
로 William Jame160)가 최초로 자아존중감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였다.
Rosenberg161)는 자아존중감을 자신이 유능하고 중요한 존재이며, 성공
할 수 있고 가치 있는 인간으로 인지하는 정도로 자신에 관한 부정적 혹
은 긍정적 평가와 관련된 것으로서 자기존경의 정도와 자신을 가치 있는
사람으로 생각하는 정도를 의미한다고 하였다. Baumeister는 자아존중감

160) Jame, William,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New Yok, 1890.


161) Rosenberg. M,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 35 -
을 하나의 특별한 객체인 스스로를 가치 있다고 생각하고 존중해주는 태
도로서 자신의 신체적 특성 같은 모든 종류의 영향력에 의해 형성되는 자
신에 대한 느낌으로서 자기평가의 긍정성과 능력에 대한 개인의 기대를
포함하는 자기가치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라고 하였다.162)
Bandura163)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신념을 자아존중감이라고 표현하며
목표가 있는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 선택이나 도전관제에
서 얼마나 오래 버티고 이겨낼 수 있는지 등에 자아존중감이 중요한 요소
로 작용한다고 하였다. Stanley Coopersmith164)는 자아존중감이란 자기
자신이 스스로를 얼마나 가치 있는 존재로 생각하고 있는지에 대한 개인
적인 평가로 자신에 대한 긍정과 부정에 대한 태도로 표현되며 자신의 능
력, 중요성, 성공, 가치 등에 대하여 스스로를 유능하고 가치가 있다고 여
기는 정도라고 하였다.
Baumeister & Tice165)는 자아존중감을 자신에 대한 전체적인 평가이
며,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은 자신을 유능하게 생각하는 반면 자아존중
감이 낮은 사람은 자신을 무능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높다고 하였다. 또한
자신을 유능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목표설정과 노력에 있어서 성공을 거두
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다. Wylie166)는 자아존중감을 자신의 특성에 대한
그 자신의 평가를 나타낸다고 하였다. Newman167)은 자아존중감을 자신
의 능력과 사회적 수용이라는 두 가지 경험에 대한 자기 평가의 결과로

162) Baumeister, R. F., Dori, A., & Hastings, S., Belongingness and temporal
bracketing in personal accounts of changes in self-esteem, Journal od research in
Persinality, 32, 1998, pp.222-235.
163) Bandura, A., Self-efficien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77. pp.191-215.
164) Stanley Cooersmith,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n: W. H.
Freeman. 1967, p.5.
165) Baumeister, R. F. & Tice, D. M., Self-esteem and response to success and
failure: Subsequent performance and intrinsic 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53, 1985, pp.450-467.
166) Wylie, R. C., The Self Concept: Theory and research on selected topics, 2.
Linco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79.
167) Newman, B. M., Newman, P. R., Development through life: Apsychological
approach(11th Ed), Belmont, CA: Wadsworth Cengage Learning, 2011.

- 36 -
개인이 스스로에 대해 판단하는 또는 스스로에 대해 의식적으로 유지하는
평가라고 정의하였다.
박미현168)은 자아존중감이란 개인이 자신을 존중하며 자신이 사랑받을
만한 가치가 있는 존재라고 여기는 동시에 자신감 있는 자기 자신을 만들
어나가는 것으로 긍정적과 부정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고 하였다. 성기
월169)은 자아존중감을 자기 자신을 중요하고 능력 있으며 가치 있다고 믿
는 정도이며, 자신의 존재를 수용하고 존중하며 본질에 대한 신뢰를 나타
내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화영170)은 자아존중감을 자기 자신을 가치 있는 인간으로 여기는 것
이며 자기의 결점이나 더 잘되기를 기대하는 소망이 있다 하더라도 자기
의 보다 좋은 점과 어떤 장점을 가지고 있다는데 대한 고마움을 느끼면서
근본적으로 자기에 대한 존중감을 갖는 것이라고 하였다. 임효정171)은 자
아존중감이란 사람들이 자신에 대해 관념적으로 가지는 것으로 자신의 약
점을 무시하거나 거부하지 않으면서 수용할 줄 알고 자신의 강점을 인정
하고 강조할 수 있는 것이다. 자신을 존중하고 인정하는 태도나 불신하는
태도를 의미하며 자신의 능력, 성공, 중요성, 가치 등에 대하여 스스로 어
느 정도 믿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하였다. 조선영172)은 자아존중
감을 자신의 가치에 대한 자기평가라고 할 수 있으며 비교적 지속적인 성
격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개인이 자아를 어떻게
평가하며 스스로 평가한 자아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그러한 자아를 얼마
나 가치 있게 여기고 수용하느냐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자아존중감에 대한 정의들을 종합하면, 자

168) 박미현, 중년여성의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p.23.
169) 성기월,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일상생활 활동정도와 생활만족 정도의 비교, 한국노
년학회, 19(1), 1999, pp.105-117.
170) 이화영, 공감, 자아존중감, 성격특성과 친사회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국제뇌교육
종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pp.26-27.
171) 임효정, 긍정적 자아형성을 위한 메이크업 테라피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중앙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pp.25-32.
172) 조선영, op. cit., 2013, p38.

- 37 -
아존중감이란 개인이 자기특성에 대한 가치를 스스로 긍정적 또는 부정적
평가와 자신을 가치 있는 존재라 믿음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자신의 결
점과 한계를 부정하지 않고 수용하며,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장점과 능력
에 대한 자신의 믿음과 자기존경의 정도를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2.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 관련 연구

이선재173)는 자아존중감이 높은 대학생들은 의복을 통해 자신을 보다


향상시키고 타인에게 좋은 인상을 줄 수 있다는 자기 확신과 긍정적인 태
도를 가짐으로써 의복에 큰 가치를 부여한다고 하였다. 김아날리아 등174)
은 남녀 프리틴 세대의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체중관리와 신장관리를 많이 하고 여학
생의 경우 일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외모관리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은옥175)은 30∼50대 유방암생존자와 일반여성의 자아존
중감과 의복관리혜택에 대한 연구결과, 자아존중감은 의복추구혜택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존중감에 따라 의복을 통해 추구
하고자 하는 욕구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주영176)은 20∼40대 일반적 여성의 자아존중과 외모관리행동과의 관
계를 연구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전반적인 외모관리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헤어관리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
중감이 높을수록 외모관리행동의 빈도가 높다고 하였다. 자아존중감에 따
른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는 자아존중감 고집단이 저집단에 비해 외모관리
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영177)은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173) 이선재, 한·미 대학생 및 교포 대학생간의 의복태도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의류학회


지, 15(2), 1991, pp.173-187.
174) 김아날리아·이수경·고애란, 남녀프린틴 세대의 외모관리행동 영향요인, 한국의류학회
지, 30(11), 2006, pp.1538-1549.
175) 이은옥, op. cit., 2014, pp.78-83, 90-91.
176) 이주영, 여성의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정보탐색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pp,41-44, 52-57.
177) 조선영, op. cit., 2013, pp.83-88.

- 38 -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의 상관관계 연구에서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
행동의 모든 하위요인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에 대해 자아존중감은 학력이 높을수록,
월 소득이 높을수록, 월평균 외모관리 지출비용이 30만원 이상의 경우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여부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러한 결과로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외모관리행동이 높은 것은
사람들이 자신을 유능하고 성공적이며 가치 있다고 여기게 되면 자신의
외모도 가치 있게 여기고 더욱 좋은 모습이 되기를 원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조은정178)은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따른 미용관리행동의 차이를 연
구한 결과, 자아존중감에서 피부관리행동이 높게 나타났으며 헤어관리행
동, 체형관리행동, 성형관리행동은 상대적으로 관심이 낮게 나타났다. 황
윤정179)은 남·녀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자아존중감이 부정적 체중관리행동에만 부적 영향을 미치며 얼
굴관리행동, 헤어관리행동, 의복관리행동, 긍정적 체중관리행동에는 영향
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에 대한 대학생의 성별의 차
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자아존중감은 자신에 대한 평가의 기준임으로 남
녀의 성별은 무의미하다고 하였다. 강영숙·박현경180)은 뷰티살롱 고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자아존중감은 헤어관리행동과 피부관리행동에 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유종181)은 노인들의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에서 자
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얼굴관리/헤어관리/의복관리/체중관리)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이 의복관리와 헤어관리에 정적
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에 대하여 교
육수준, 월 평균수입, 주 소득원, 가장 오랜 가졌던 직업 등이 유의한 차

178) 조은정, op. cit., 2014, pp.64-66, 70.


179) 황윤정, op. cit., 2007, pp.43-53, 54, 63.
180) 강영숙·박현경, op. cit., 2009, pp.369-373.
181) 이유종, op. cit., 2010, pp.44-57.

- 39 -
이를 보였다. 즉, 교육수준이 높은 집단이, 월평균 수입이 많은 집단이, 주
소득원이 본인(배우자) 집단이, 전문 직업을 가졌던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의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나혜주182)는 성인남
성의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연구한 결과, 열등
자아요인이 높을수록 헤어관리행동과 피부관리행동의 정도가 증가하고,
우월자아요인이 높을수록 체형관리행동의 정도는 감소하는 반면 패션관리
행동의 정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적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
에 대한 차이는 직업과 학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자영업과 고학력 집
단에서 자아존중감을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현주183)의 연구에서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
다 외모관리행동을 더 적극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 간의 차이
가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의 수준에 따라 자신에 대한 평가의 차이는 자신
에 대한 긍정적인 정서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
게 되고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구체적인 외모관리행동을 이끌어
내는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남학생의 자아존중감은 체형·의복관리행동과
피부·미용관리행동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여학생의 자아존중감은
체형·의복관리행동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피부·미용관리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대
한 성별의 차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자아존중감은 자신의 가
치에 대한 자기평가의 수준에 따라 외모관리행동 유형에 영향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이며 또한 자아존중감의 정도에 따라 외모관리행동의 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182) 나혜주, op. cit., 2015, pp.68-92.


183) 이현주, op. cit., 2008, pp.83-84, 102-114.

- 40 -
제 3 장 연구 방법

제 1 절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1. 연구 문제의 설정

본 연구는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이 피부관리행동, 의복행동,


헤어관리행동, 체형관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체적으로 분
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변인의 차이를 분석해 보
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사회성이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1-1. 사회성이 신체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1-2. 사회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1-3. 사회성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연구문제 2. 신체이미지가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고자 한다.
2-1. 신체이미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2-2. 신체이미지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연구문제 3.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4. 성별, 연령, 직업, 결혼여부에 따른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 41 -
2. 연구모형

본 연구는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


향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사회성이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신체
이미지는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자아존중감은 외모
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Fig. 1>과 같이 설정하였다.

<Figure 1 > Research model

3. 용어의 정의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들에 대한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활동성
활동성은 힘이 넘치고, 부지런하며, 어떤 활동이든 열심히 하고 일거리
를 찾아서 할 정도로 적극적이고 활발한 성향을 의미한다.

2) 성취·지배성
성취지배성은 높은 수준의 목표를 설정하고, 적절한 모험성과 난이도의

- 42 -
문제를 선호하며, 자기주장이 강하고, 대담하고, 권위주의적인 성향이며
구성원을 리드하기를 좋아하는 성향을 의미한다.

3) 사교성
사교성은 사람들과 함께 어울려 지내는 것을 좋아하고, 친절하고 사교
적이며 타인과 의사소통이나 원만한 대인관계를 위해 사람들과 적극적으
로 교류하기를 좋아하는 성향을 의미한다.

4) 자율성
자율성은 일상생활에서 강요와 속박에 의한 행동보다는 자유로운 의사
에 의해 결정하고 행동하는 성향을 의미한다.

5) 외모지향
자신의 외모를 매력적으로 변화시키기고 유지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정
도를 의미한다.

6) 외모만족
타인에게 보여 지는 자신의 외모에 대하여 만족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7) 자아존중감
자신의 가치와 능력에 대해 스스로 긍정·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의
미한다.

8) 외모관리행동
외모관리행동은 신체를 건강하고 아름답게 가꾸어 외모를 변화시키고
자신을 타인에게 매력적인 이미지로 표현하고 평가받기 위하여 행하는 모
든 행동을 의미한다. 즉, 의복행동, 헤어관리행동, 피부관리행동, 체형관리행
동을 통해 자신의 신체를 건강하고 매력적으로 연출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 43 -
제 2 절 측정도구

1. 측정도구

본 연구는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방법을 시행하였다. 설문지 문항은


선행 연구를 토대로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 외모관리행동과 연
구대상의 인구통계적 특성으로 구성하였다.

1) 외모관리행동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척도는 황윤정184), 조선영185), 박혜원186)의 연구에
서 타당성을 검증한 척도를 참고하여 강평미·박길순187)의 연구에서 검증
된 문항을 본 연구에 사용하다. 헤어관리행동, 의복행동, 피부관리행동 각
각 8문항과 체형관리행동 6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적극적으로 외모관리행동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2) 사회성
사회성에 대한 척도는 황성하188), 이상우189), 이도연190)의 연구에서 타
당성을 검증한 척도를 참고하여 강평미·박길순191)의 연구에서 검증된 문
항을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활동성, 성취성, 지배성, 사교성, 자율성을 각
각 5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여 점수
가 높을수록 사회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184) 황윤정, op. cit., 2007, pp.35, 85-86.


185) 조선영, op. cit., 2013, pp.55-56.
186) 박혜원, op. cit., 2013, pp.70-72.
187) 강평미·박길순, op. cit., 2016, pp.189-196.
188) 황성하, op. cit., 2013, pp.119-120.
189) 이상우, op. cit., 2013, pp.69-70.
190) 이도연, op. cit., 2015, pp.36-37.
191) 강평미·박길순, op, cit., 2016, pp.189-196.

- 44 -
3) 신체이미지
Cash(1990)192)의 MBSRQ(Multi-dimensional Body-self Relations Questionary)
도구를 지태옥193)이 번안한 것과 안채리194), 정문주195), 이은옥196)의 연구
에서 타당성을 검증한 척도를 참고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
였다. 신체이미지의 외모지향 6문항과 외모만족 5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외모지향과 외모
만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4)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에 대한 척도는 Rosenberg197), Harter198), 강병호199), 이도
연200)의 연구에서 타당성을 검증한 척도를 참고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였다. 자아존중감은 5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5)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적 특성은 성별, 연령, 결혼여부, 최종학력, 직업,
월평균 수입, 거주 지역으로 총 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지에 관한 구성개념과 문항 수, 출처, 측정 척도는

192) Cash, T. Hicks, K., Being fat versus thinking fat: Relations with body image,
eating behaviors and wellbeing,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5), 1990,
pp.323-341.
193) 지태옥, 사춘기 여대생들의 자기신체지각과 우울감,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pp.53-56.
194) 안채리, op. cit., 2011, pp.33-35.
195) 정문주, op. cit., 2013, pp.27-29.
196) 이은옥, op. cit., 2014, pp.45-47.
197) Rosenberg, M., Conceiving themself, New York : Basic Books, 1979.
198) Harter,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the self-esteem. In E. M. Hetherington(Ed),
PH. Mussen,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 Vol. 4.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New York :Wiley. 1983.
199) 강병호, 협동학습이 학습장애 학생의 학업 성취도, 자아존중감, 또래 수용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pp.48-50.
200) 이도연, op. cit., 2015, pp.40-41.

- 45 -
<Table 3>에서 보는 것과 같다.

<Table 3 > Composition of the questionnaire


변수 하위요인 문항수 출처 척도
외모지향 6 Cash(1990)MBSRQ
신체이미지 안채리(2010),
외모만족 5 정문주(2013)
헤어 8 황윤정(2007)
의복 8
외모관리행동 조선영(2013)
피부 8
체형 6 박혜원(2013)
활동성 5 5점
성취성 5 황성하(2013)
사회성 지배성 5 이상우(2013) Likert 척도
사교성 5 이도연(2015)
자율성 5

Rosenberg(1979)
Harter(1985)
자아존중감 10
강병호(2013)
이도연(2015)

인구통계적 특성 7 연구자 명명척도


합계 84

제 3 절 자료수집 및 분석

1. 자료수집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서울, 대전, 대구, 부산, 전라남도, 경상남도에


거주하는 20∼50대 남녀직장인 600명을 대상으로 2016년 3월 25일부터 4
월 4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미회수 및 불성실
한 응답을 한 44명을 제외하고, 556명을 본 연구대상으로 최종 선정하였
다.

- 46 -
2. 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유의수준 .05를 기


준으로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
인분석 및 신뢰계수를 통한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을 실시하였다.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
해 독립표본 t-검증 및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변수에
대한 사후검증은 Dunnett의 T3검증과 Tukey검증을 실시하였다. 변수 간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제 4 절 연구대상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

조사 대상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은 성별, 연령, 결혼여부, 최종학력, 직


업, 월수입, 거주지로 구성되었고,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Table 4>와 같이 조사 대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313명(56.3%), 남자가
243명(43.7%)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은 40대가 190명(34.2%), 30대가 131명
(23.6%), 20대가 124명(22.3%), 50대가 111명(20.0%)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의 결혼여부는 기혼은 344명(61.9%), 미혼이 203명(36.5%), 기타는 9
명(1.6%)으로 나타났으며, 조사대상자의 최종학력은 대학졸업은 192명
(34.5%), 전문대졸업은 102명(18.3%), 고졸이하가 94명(16.9%), 대학원이
상은 89명(16.0%), 대학생은 79명(14.2%)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직업은 전문직이 164명(29.5%), 판매/서비스직이 78명
(14.0%), 자영업/사업이 70명(12.6%), 공무원이 70명(12.6%), 전업주부는
69명(12.4%), 사무직/관리직이 60명(10.8%), 생산/기술직이 13명(2.3%), 기
타(학생)은 32명(5.8%)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월수입은 200만원이상
-300만원 미만은 156명(28.1%), 100만원이상-200만원 미만은 130명
(23.4%), 100만원 미만은 89명(16.0%), 300만원 이상-400만원 미만은 78명

- 47 -
(14.0%), 500만원 이상은 68명(12.2%), 40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은 35명
(6.3%)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거주지는 경상남도 186명(33.5%), 부
산 93명(16.7%), 서울 84명(15.1%), 대전 79명(14.2%), 대구 74명(13.3%),
전라남도 40명(7.2%)으로 나타났다.

- 48 -
<Table 4>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변수 구분 빈도(명) 퍼센트(%)
여자 313 56.3
성별
남자 243 43.7
20대 124 22.3
30대 131 23.6
연령
40대 190 34.2
50대 이상 111 20.0
미혼 203 36.5
결혼여부 기혼 344 61.9
기타 9 1.6
고졸이하 94 16.9
대학생 79 14.2
최종학력 전문대 졸업 102 18.3
대학졸업 192 34.5
대학원이상 89 16.0
판매/서비스직 78 14.0
사무직/관리직 60 10.8
전문직 164 29.5
자영업/사업 70 12.6
직업
생산/기술직 13 2.3
공무원 70 12.6
전업주부 69 12.4
기타(학생) 32 5.8
100만원 미만 89 16.0
100만원이상-200만원미만 130 23.4
200만원이상-300만원미만 156 28.1
월수입
300만원이상-400만원미만 78 14.0
400만원이상-500만원미만 35 6.3
500만원 이상 68 12.2
서울 84 15.1
대전 79 14.2
대구 74 13.3
거주지
부산 93 16.7
전라남도 40 7.2
경상남도 186 33.5
전체 556 100.0

- 49 -
제 4 장 연구결과

제 1 절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본 연구의 측정변수는 척도 순화과정을 통하여 일부항목을 제거하였다.


먼저,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측정변
수는 구성요인을 추출하기 위해서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을 사용하였으며, 요인 적재치의 단순화를 위하여 직교회전방식
(varimax)을 채택하였다. 데이터가 요인분석에 적합한지를 파악하기 위하
여 KMO(Kaiser-Meyer-Olkin)측도와 Bartlett의 구형성 검증을 실시하였
다. KMO값은 0.6이상이면 연구자가 수집한 표본데이터가 요인분석에 적
합하게 나타났으며, 또한 Bartlett의 구형성 검증결과 유의하였다. 조사된
측정항목들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값을 사용하였다.

1. 사회성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사회성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총


25문항 중 공통성 0.5이하, 요인적재량 0.5이하 등 기준값에 미달되는 문
항과 타당하지 않게 적재된 문항 등을 선별한 결과 총 6문항이 부적합 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삭제하고, 최종 19문항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들의 선정과 요인모형으로서 적합한지를 파악한
결과, KMO는 0.88, Bartlett의 구형성 검증 유의확률은 .000으로서 모두
요인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사회성의 하위요인은 4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성취/지배성의 고유값은 4.22이고 설명력은 22.2%로 사교성
의 고유값은 2.76이고 설명력은 14.53%로 자율성의 고유값은 2.23이고 설
명력은 11.74%로 활동성의 고유값은 2.04이고 설명력은 10.75%이다. 최종
적으로 4개의 요인은 59.27%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별
Cronbach's α값은 성취/지배성은 0.87, 사교성은 0.80, 자율성은 0.70, 활

- 50 -
동성은 0.72 으로 나타났다.

<Table 5>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on sociability
요인 분산
요인 문 항 고유값 신뢰도
부하량 설명(%)
11. 나는 나와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을 설
.75
득하여 내 편으로 만드는 성향이 있다.
12. 나는 친구들과 어울리면서 내 의견이 채
.75
택되도록 한다.
8. 모두들 망설이다가도 내가 하자고 하면 일
.74
을 할 때가 많다.
13. 나는 남을 리드 할 수 있는 지도자가
성취지 .69
될 자신이 있다. 4.22 22.24 .87
배성
9. 친구들과 어울릴 때 내가 주로 앞장선다. .69
7. 남들에게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가르쳐 주
.67
기를 좋아한다.
14. 나는 어느 곳에서든 거리낌 없이 내 의견
.58
을 발표한다.
6. 내가 주도하여 모임이나 클럽을 만든 적이
.53
있다.
17. 나는 처음 만나는 낯선 사람과도 잘 어울
.82
린다.
20. 처음 만나는 사람들과 대화를 자연스럽게
.80
사교성 나눌 수 있다. 2.76 14.53 .80
19. 주위사람들이 나를 사교적이라고 말한다. .74

18. 나는 되도록 많은 친구를 사귀려고 한다. .65

24. 나는 남에게 의존하려는 때가 있다. .75


25. 나는 지시하지 않으면, 자발적으로 하지
.72
못하는 성격이다.
자율성 2.23 11.74 .70
22. 무슨 일이든지 스스로 결정을 내릴 수 있다. .67
21. 주위 사람들이 나를 독립심이 강한 사람
.61
이라고 한다.
4. 나는 하던 일을 빨리하고, 새로운 일을 하
.78
는 편이다.
활동성 5. 나는 언제나 바쁘게 지내는 편이다. .77 2.04 10.75 .72
2. 나는 어떤 일이든 생각나면 곧 행동으로
.71
실천한다.
24, 25은 역 문항 임.

- 51 -
2. 신체이미지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신체이미지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총


11문항 중 공통성 0.5이하, 요인적재량 0.5이하 등 기준값에 미달되는 문
항과 타당하지 않게 적재된 문항 등을 선별한 결과 총 2문항이 부적합 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삭제하고, 최종 9문항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Table 6>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on body image
요인 분산
요인 문 항 고유값 신뢰도
부하량 설명(%)
2. 외출하기 전 화장과 옷 입는데
.79
많은 시간을 보낸다.
3. 나의 외모를 개선하기 위해 언제나
.77
노력한다.
4. 나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나의
외모지향 .76 3.03 33.66 .82
용모를 점검한다.
6. 그날의 차림새가 좋지 못하면 하루
.73
종일 신경이 쓰인다.
1. 남에게 항상 예쁘거나 멋있게 보인
.72
다는 것은 내게 중요하다.
7. 나는 신체적으로 매력이 있다. .83

11. 내 몸은 섹시한 매력이 있다. .79


외모만족 9. 대부분의 사람들은 나를 멋지다고 2.48 27.66 .78
.76
여길 것이다.

8. 나는 현재의 모습 그대로 좋아한다. .72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들의 선정과 요인모형으로서 적합한지를 파악한


결과, KMO는 0.83, Bartlett의 구형성 검증 유의확률은 .000으로서 모두
요인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이미지는 하위요인은 외모지향
과 외모만족으로 2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외모지향의 고유값은 3.03이
고 설명력은 33.66%, 외모만족의 고유값은 2.48이고 설명력은 27.66%이었
다. 최종적으로 2개의 요인은 61.32%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별 Cronbach‘s α값은 외모지향은 0.82, 외모만족은 0.78로 나타났다.

- 52 -
3. 자아존중감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자아존중감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결과는 <Table 7>과 같다. 총


10문항 중 공통성 0.5이하, 요인적재량 0.5이하 등 기준값에 미달되는 문
항과 타당하지 않게 적재된 문항 등을 선별한 결과 총 4문항이 부적합 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삭제하고, 최종 6문항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들의 선정과 요인모형으로서 적합한지를 파악한
결과, KMO는 0.85, Bartlett의 구형성 검증 유의확률은 .000으로서 변수들
이 요인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의 고유값은 3.28이고
설명력은 54.81%이며, Cronbach‘s α값은 0.83로 높은 신뢰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7>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on


self-esteem
요인 분산
요인 문 항 고유값 신뢰도
부하량 설명(%)
6. 나는 내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인
.77
태도를 가지고 있다.

7. 나는 내 자신에 대하여 대체로 만족한다. .76

3. 나는 대체적으로 실패한 사람이라는


자아 .74
느낌이 든다. 3.28 54.81 .83
존중감
1. 나는 내가 다른 사람들처럼 가치 있는
.72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5. 나는 자랑할 것이 별로 없다. .71
9. 나는 가끔 내 자신이 쓸모없는 사람이
.70
라고 생각한다.
3, 5, 9은 역 문항 임.

- 53 -
4. 외모관리행동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외모관리행동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결과는 <Table 8>과 같다.


총 30문항 중 공통성 0.5이하, 요인적재량 0.5이하 등 기준값에 미달되는
문항과 타당하지 않게 적재된 문항 등을 선별한 결과 총 10문항이 부적합
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삭제하고, 최종 20문항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들의 선정과 요인모형으로서 적합한지를 파악한
결과, KMO는 0.90, Bartlett의 구형성 검증 유의확률은 .000으로서 변수들
이 요인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은 피부
관리행동, 의복행동, 헤어관리행동, 체형관리행동의 4개 요인으로 분류되
었다. 피부관리행동의 고유값은 3.65이고 설명력은 18.28%, 의복행동의 고
유값은 3.47이고 설명력은 17.36%, 헤어관리행동의 고유값은 2.60이고 설
명력은 13.00%, 체형관리행동의 고유값은 2.55이고 설명력은 12.78%이었
다. 최종적으로 4개의 요인은 61.44%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별 Cronbach's α값은 피부관리행동은 0.85, 의복행동은 0.87, 헤어관
리행동은 0.75, 체형관리행동은 0.80으로 비교적 높은 신뢰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 54 -
<Table 8>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요인 분산
요인 문 항 고유값 신뢰도
부하량 설명(%)
17. 피부를 위해 화장품/세안제품 선택에
.81
신경을 쓴다.
19. 기능성 화장품(미백/모공/주름개선/썬크림
.76
/BB 등)을 즐겨 바른다.
18. 스스로 각질제거, 마사지, 팩을 자주하는
피부 .74
편이다.
관리 3.65 18.28 .85
행동 20. 피부 트러블이 나면 신경을 많이 쓴다. .72
21. 피부관리실(마사지, 모공, 미백관리)이나
피부병원(레이저시술)을 이용한 적이 있 .56
다.
22. 유명브랜드나 수입브랜드 화장품을
.56
주로 사용한다.
13. 옷을 잘 입는다는 애기를 듣기 위해
.80
노력하다.
14. 옷, 악세사리, 신발, 가방을 맞추려고
.74
신경을 쓴다.
의복
16. 유행하는 옷을 구입하는 편이다. .73 3.47 17.36 .87
행동
15. 연예인, TV, 잡지 등에서 본 스타일을
.68
따라 한 적이 있다.
9. 최신 유행하는 의복이나 액세서리를
.62
구입한다.
2. 미용실 및 모발전문병원에서 모발,
.69
두피관리를 받는다.
8. 멋을 내기 위해 전체 또는 부분가발을
헤어 .64
사용한다.
관리 2.60 13.005 .757
7. 비싸도 고급기능성 헤어제품을 사용한다. .57
행동
4. 커트, 퍼머넌트, 염색을 자주하는 편이다. .54
3. 외출 시 헤어스타일에 많은 시간을
.53
투자 한다.
28. 다이어트 제품을 구매한 적이 있다. .85
29. 평소에 비만에 대해 걱정한다. .79
체형
관리 30. 체형관리를 위해 약물(이뇨제, 설사제, 2.55 12.78 .80
.79
행동 살빼는 약)을 먹은 적이 있다.
25. 체형관리를 위해 음식을 적게 먹거나
.58
안 먹기도 한다.

- 55 -
제 2 절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1. 사회성이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1) 사회성이 신체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성취지배성, 사교성, 자율성, 활동성이 신체이미지


의 하위요인인 외모지향과 외모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9>와 같이 나타났다. 사회성의 하위요인과 외모지향의 회귀모형
은 F값이 14.39 (p=.000)로 회귀선은 회귀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
며, 회귀식에 대한 R2=.09로 9%의 다소 낮은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공
차한계값은 모두 0.1이상의 값으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성의 하위요인이 외모지향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보
면, 사교성(t=3.39 p=.001), 활동성(t=3.82, p=.000)이 외모지향에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자율성(t=-4.418, p=.000)은 외모지향
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성의 하위요인과 외모만족의 회귀모형은 F값이 17.93(p=.000)로 회
귀선은 회귀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식에 대한 R2=.11로
11%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공차한계값은 모두 0.1이상의 값으로 나타
나 다중공선성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성의 하위요인이
외모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보면, 성취지배성(t=4.42, p=.000), 활동성
(t=2.86, p=.004)이 외모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사교성과 활동성을 높게 지각하면 외모지향
은 높아지는 반면 자율성을 높게 지각하게 되면 외모지향은 낮아지고, 성
취지배성과 활동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외모만족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Fig. 2).

- 56 -
신연욱201)는 성인남성들의 사회성은 외모지향과 외모만족에 정적 영향
을 미치며 성취욕구 높을수록 외모지향적인 태도를 가진다고 하여 본 연
구와 부분적으로 일치하였다. 따라서 사교성과 활동성 즉, 사람들을 쉽게
사귀고 사람들과 어울리기를 좋아하고 모든 사회생활에 적극적으로 참여
하는 성향을 가진 사람일수록 외모가 사회적으로 유용한 평가 기준으로
활동되고 매력적인 외모의 이로운 점을 인지하고 있어 외모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많은 시간과 노력 그리고 재원을 아낌없이 투자하는 것으로 생각
된다. 반면에 자율성 즉, 개성이 강하고 독립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일수록
사회적으로 인정되어지는 이상적인 외모를 지향하기 보다는 타인들로 부
터 이해받기 쉽지 않은 자기 자신만이 선호하고 인정하는 외모를 지향하
는 것으로 생각된다. 성취지배성과 활동성 즉, 사회생활에서 타인으로부터
자신의 역할 수행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인정을 받고 자신의 소속된 집
단에서 리더의 성향을 가지고 열정적으로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사람일수록
자신의 외모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여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able 9> The effects of sociability on body image


비표준화계수 수정된
종속
독립변수 표준 β t값 R2 F
변수 B R2
오차
상수 2.67 .17 15.05
성취지배성 .08 .05 .08 1.54
외모
사교성 .14 .04 .16 3.39** .09 .08 4.39***
지향
자율성 -.19 .04 -.19 -4.41**
활동성 .16 .04 .17 3.82**
상수 1.71 .18 9.44
성취지배성 .23 .05 .22 4.42**
외모
사교성 .03 .04 .03 .71 .11 .10 17.93***
만족
자율성 .02 .04 .02 .48
활동성 .12 .04 .13 2.86**
**p<.01 ***p<.001

201) 신연욱, op. cit., 2006, pp.49-50.

- 57 -
<Figure 2> The effects of sociability on
body image

2) 사회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성취지배성, 사교성, 자율성, 활동성이 자아존중감


에 미치는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Table 10>과 같이 나타났다.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의 회귀모형은 F값이 46.85(p=.000)로 회귀선은 회귀모형에 적
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식에 대한 R2=.25로 25%의 설명력을 보이
고 있다. 공차한계값은 모두 0.1이상의 값으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에는 이
상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교성(t=4.22, p=.000), 자율성(t=7.15,
p=.000), 활동성(t=4.38, p=.000)이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성의 하위요인 중 사교성과
자율성, 활동성을 높게 지각하면 자아존중감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Fig. 3).
강평미·박길순202)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활동적이고 자율적
이고 사교적이고 성취성이 높고 지배성이 강할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
타나 본 연구와 부분적으로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성취지배성은
대학생과 직장인에 따라 다르게 인지되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어 설문

202) 강평미·박길순, op. cit., 2016, pp.189-196.

- 58 -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성취성과 지배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
각된다. 권금영203)은 청소년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사회성이
원만하게 발달되지 않은 청소년들은 자아형성 과정에서 자신이 주체가 되
지 못하는 문제를 발생한다고 하였다. 이는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사교성,
자율성, 활동성이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와 비슷
한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사교성과 자율성 그리고 활동성 즉,
많은 사람들과의 대인관계가 원만하고 다양한 사람들과 쉽게 친해지며 독
립적이고 모든 일에 열심히 참여하는 성향인 사람일수록 자기 자신에 대
하여 스스로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10> The effects of sociability on self-esteem


비표준화계수 수정된R
종속
독립변수 표준 β t값 R2 F
변수 B 2
오차
상수 1.73 .14 11.65
성취지배성 .02 .04 .02 .56
자아
사교성 .15 .03 .18 4.22** .25 .24 46.85***
존중감
자율성 .26 .03 .29 7.15**
활동성 .15 .03 .18 4.38**
**p<.01, ***p<.001

<Figure 3> The effects of sociability on


self-esteem

203) 권금영, op. cit., 2005, pp.11-12.

- 59 -
3) 사회성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성취지배성, 사교성, 자율성, 활동성이 외모관리행


동의 하위요인인 피부관리행동, 의복행동, 헤어관리행동, 체형관리행동에
미치는 다중회귀분석결과는 <Table 11>과 같이 나타났다. 먼저 사회성과
외모관리행동의 회귀모형은 F값이 6.63(p=.000)로 회귀선은 회귀모형에 적
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식에 대한 R2=.04로 4%의 다소 낮은 설명
력을 보이고 있다. 공차한계값은 모두 0.1이상의 값으로 나타나 다중공선
성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성의 하위요인이 피부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자율성
(t=-2.68, p=.008)은 피부관리행동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활동
성(t=3.11, p=.002)은 피부관리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사회성의 하위요인과 의복행동의 회귀모형은 F값이
10.88(p=.000)로 회귀선은 회귀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식
에 대한 R2=.07로 7%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공차한계값은 모두 0.1이
상의 값으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
성의 하위요인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성취지배성(t=2.07,
p=.038), 사교성(t=3.31, p=.001), 자율성(t=-2.60, p=.010), 활동성(t=2.30,
p=.021) 모든 하위요인은 의복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성취지배성, 사교성, 활동성은 의복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자율성은 의복행동에 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성의
하위요인과 헤어관리행동의 회귀모형은 F값이 8.56(p=.000)로 회귀선은 회
귀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식에 대한 R2=.05로 5%의 다소
낮은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공차한계값은 모두 0.1이상의 값으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성의 하위요인이 헤어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사교성(t=2.32, p=.020), 자율성
(t=-2.35, p=.019), 활동성(t=3.12, p=.002)이 헤어관리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성과 활동성은 헤어관리행동에 정(+)의 영

- 60 -
향을 미치고, 자율성은 헤어관리행동에 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성의 하위요인과 체형관리행동의 회귀모형은 F값
이 8.75(p=.000)로 회귀선은 회귀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
식에 대한 R2=.06로 6%의 다소 낮은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공차한계값
은 모두 0.1이상의 값으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밝
혀졌다. 사회성의 하위요인이 체형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
면, 사교성(t=2.46, p=.014), 자율성(t=-4.70, p=.000)이 체형관리행동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성은 체형관리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자율성은 체형관리행동에 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율성을 낮게 지각하고 활동성을 높게 지각하게 되면 피부관리행
동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성취지배성과 사교성 그리고 활동성이 높고 자
율성이 낮을수록 의복행동에 적극적이고, 사교성과 활동성이 높고 자율성
을 낮게 인지할수록 헤어관리행동을 많이 하고, 사교성이 높고 자율성이
낮을수록 체형관리행동을 적극적으로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Fig. 4).
박광희·김인숙204)은 10∼50대의 남녀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사회지
향성이 높을수록 외모관리행동(몸매, 헤어, 의복)도 높다고 하였고 이유
종205)은 노인들은 사회생활의 관계형성과 자신과 타인으로부터 긍정적인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헤어관리행동, 체중관리행동과 의복관리행동을
한다고 하여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연욱206)은 남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사회성과 성취욕구가 강할수록 의복을 통하여 자신
의 사회적 신분과 지위를 표현하며 이를 통하여 타인으로부터 자신을 사
회적으로 인정받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나 성취지배성이 높을수록 의복관
리행동 정도가 높은 결과를 보인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원만한 대인
관계 형성과 사회적 성취수단 그리고 자신만의 특성을 표현하기 위한 수

204) 박광희·김인숙, 라이프스타일 집단별 외모관리행동과 삶의 만족도의 차이분석, 한국


의류산업학회지, 15(4), 2013, pp.554-564.
205) 이유종, op. cit., 2010, pp.54-56.
206) 신연욱, op. cit., 2006, pp.51-52.

- 61 -
단으로 다양한 외모관리를 활용한다고 한 노선옥207), 이경희208), 이미
숙209), 최은영210)의 연구결과를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신이 맡은 모든 역할에 열정적이고 적극적으로 임하는 성향
즉, 활동적인 사람일수록 건강하고 윤기 있는 피부가 타인으로부터 긍정
적인 이미지와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이점이라고 인식하여 피부관리행동을
더 적극적으로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양한 사회활동에서 사람들과 쉽
게 사귀고 친분을 쌓고 또한 자신이 정한 목표를 달성하고 조직을 이끌어
가기 위해서 내적인 재능과 능력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필요
한 반면에 의복은 단시간에 자신의 능력을 타인의 평가와 인정을 받으며
매력적이고 친근감 있는 외모로 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활용하는 것으
로 생각된다. 다양한 사람과의 관계를 중요시하고 모든 일에 열정이 넘치
는 사람들 즉, 사교적이고 활동적인 성향은 단정하고 세련된 헤어관리행
동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사교적일수록 체형관리행동에
많은 관심을 보이며 건강하고 아름다운 체형을 관리 유지하기 위하여 노
력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에 자율적인 성향을 가지 사람일수록 모든
외모관리행동에 관심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율성이 강한 사람
들은 사회적으로 인정하는 외모를 따르기 보다는 자신만의 아름다움과 건
강의 기준을 정하여 그 기준으로 평가하고 행동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
러므로 자율성이 높은 성향일수록 외모관리행동에 소극적인 행동을 취하
는 반면에, 사회적으로 성공하기를 원하고 집단의 리더가 되고 싶으며 많
은 사람들과 친분을 쌓고 모든 일에 열성적인 사람일수록 적극적인 외모
관리행동을 통하여 자신의 외적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연출하고자 하는 것
으로 생각된다.

207) 노선옥, op. cit., 2011, pp.89-96.


208) 이경희, op. cit., 2011, pp.74-77.
209) 이미숙, op. cit., 2013, pp.163-177.
210) 최은영, op. cit., 2014, p.59.

- 62 -
<Table 11> The effects of sociability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비표준화계수
종속 수정된
독립변수 표준 β t값 R2 F
변수 B R2
오차
상수 2.40 .24 9.99
피부 성취지배성 .12 .07 .09 1.70
관리 사교성 .06 .05 .04 1.01 .04 .03 6.63***
행동 자율성 -.16 .06 -.12 -2.68**
활동성 .18 .05 .14 3.11**
상수 1.92 .22 8.40
성취지배성 .13 .06 .10 2.07*
의복
사교성 .18 .05 .15 3.31** .07 .06 10.88***
행동
자율성 -.14 .05 -.11 -2.60*
활동성 .12 .05 .10 2.30*
상수 1.61 .19 8.32

헤어 성취지배성 .08 .05 .07 1.45


관리 사교성 .11 .04 .11 2.32* .05 .05 8.56***
행동 자율성 -.11 .04 -.10 -2.35*
활동성 .14 .04 .14 3.12**
상수 2.32 .26 8.68

체형 성취지배성 .15 .07 .10 1.95


관리 사교성 .16 .06 .11 2.46** .06 .05 8.75***
행동 자율성 -.31 .06 -.21 -4.70**
활동성 .10 .06 .07 1.60
*p<.05, **p<.01, ***p<.001

- 63 -
<Figure 4> The effects of sociability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2. 신체이미지가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1) 신체이미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신체이미지의 하위요인인 외모지향과 외모만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Table 12>와 같이 나타났다. 외모만족과 자아존중
감의 회귀모형은 F값이 52.59(p=.000)로 회귀선은 회귀모형에 적합한 것으
로 나타났으며, 회귀식에 대한 R2=.16로 16%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공차한계값은 모두 0.1이상의 값으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외모만족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t=9.86, p=.000), 외모지향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모지향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외
모만족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역시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Fig 5).
이은옥211)은 30∼50대 성인 일반여성과 유방암생존자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신체이미지는 자아존중감에 정적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20∼40대 성인여성들은 신체이미지를 높게 인식할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게
타나났으며212) 15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자신의 신체에

211) 이은옥, op. cit., 2014, pp.78-80, 82-87. 90-91.

- 64 -
대하여 높게 평가할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나213) 부분적으로 지지하
였다. 따라서 사람들은 사회적 이상적 외모의 기준과 자신의 외모를 비교
하여 자기 자신의 외모를 이상적 외모로 평가하고 만족할수록 스스로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외모지향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현대인들은 매력적인 외모가 사
회적 이점을 더 많이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외모
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은 특별한 행동이 아니라 누구나 행하
는 일반적인 행동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12> The effects of body image on self-esteem


비표준화계수 수정된
종속
독립변수 표준 β t값 R2 F
변수 B R2
오차
상수 2.63 .14 18.50
자아
외모지향 .00 .03 .00 .21 .16 .15 52.59***
존중감
외모만족 .35 .03 .39 9.86**
**p<.01, ***p<.001

<Figure 5> The effects of body image on


self-esteem

2) 신체이미지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체이미지의 하위요인인 외모지향과 외모만족이 외모관리행동 하위요


인에 미치는 다중회귀분석결과는 <Table 13>과 같이 나타났다.

212) 홍금희, op. cit., 2006, pp.348-357.


213) 이현서, op. cit., 2011, p.42-43, 58-62.

- 65 -
먼저, 외모지향과 피부관리행동의 회귀모형은 F값이 101.85(p=.000)로
회귀선은 회귀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식에 대한 R2=.26로
26%의 다소 높은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공차한계값은 모두 0.1이상의 값
으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외모지향은
피부관리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t=13.83, p=.000).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의 회귀모형은 F값이 231.82(p=.000)로 회귀선은
회귀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식에 대한 R2=.45로 45%의
높은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공차한계값은 모두 0.1이상의 값으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외모지향(t=19.80, p=.000)
과 외모만족(t=3.11, p=.002)은 의복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이미지와 헤어관리행동의 회귀모형은 F값이 100.65(p=.000)로 회귀
선은 회귀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식에 대한 R2=.26로
26%의 다소 높은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공차한계값은 모두 0.1이상의 값
으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신체이미지가
헤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외모지향(t=12.94, p=.000)과
외모만족(t=2.31, p=.02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체이미지와 체형관리행동의 회귀모형은 F값이 46.50
(p=.000)로 회귀선은 회귀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식에 대
한 R2=.14로 14%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공차한계값은 모두 0.1이상의
값으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신체이미지
가 체형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외모지향(t=9.64, p=.000)
과 외모만족(t=-2.59, p=.010)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외모지향은 체형관리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외
모만족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체이미지의 하
위요인인 외모지향을 높게 인식할수록 외모관리행동 정도도 높아지고, 외

- 66 -
모만족도가 높을수록 의복행동과 헤어관리행동은 증가하고 체형관리행동
은 낮아지는 반면, 피부관리행동에는 외모만족도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고 해석할 수 있다(Fig. 6).
장혜선·이정민214)은 20∼30대 남성들은 외모지향과 외모평가가 헤어·패
션관리행동과 피부관리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고 여대생이
신체이미를 높게 인지할수록 헤어스타일행동 빈도가 높아진다고 하였
다.215) 박주현216)은 신체만족도가 높을수록 의복관리행동을 많이 하는 반
면에 신체만족도가 낮을수록 헤어관리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나 부
분적으로 유사하였다. 나혜주217)는 성인남성은 신체이미지의 외모지향 수
준이 올라갈수록 체형관리행동과 패션관리행동이 향상되었고 외모평가 수
준이 높을수록 피부관리행동과 헤어관리행동, 체형관리행동, 패션관리행동
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적으로 지지하였다. 따라서 외모
지향은 자신이나 타인을 인식하고 평가하는 특성으로 외모를 중요하게 생
각하고 외모에 대한 사회적 평가를 의식하여 자신의 외모를 매력적으로
변화시키고 매력적인 외모를 유지하기 위하여 외모관리행동에 더 많은 관
심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외모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신의 체형이 날
씬한 이상적인 체형으로 평가하여 무리한 다이어트를 통해 체형변화를 시
도 하지 않으나 꾸준한 운동을 통해 건강한 체형을 유지하는 것으로 생각
된다. 의복과 헤어스타일은 트렌드의 변화와 주기가 짧기 때문에 자신의
외모에 만족할지라도 시대의 트렌드를 따르기 위하여 의복행동과 헤어관
리행동을 꾸준히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214) 장혜선·이정민, 20∼30대 남성의 신체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이 심리적 의욕에 미치


는 영향, 대한피부미용학회, 12(6), 2014, pp.805-812.
215) 전현진·정명선, op. cit., 2010, pp.115-116.
216) 박주현, op. cit., 2010, pp.77-78.
217) 나혜주, op. cit., 2015, pp.68-92.

- 67 -
<Table 13> The effects of body image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비표준화계수
종속 수정된R
독립변수 표준 β t값 R2 2 F
변수 B
오차
피부 상수 .78 .19 4.14
관리 외모지향 .68 .05 .52 13.83** .26 .26 101.85***
행동 외모만족 -.00 .04 -.00 -.12
상수 -.19 .15 -1.21
의복
외모지향 .81 .04 .64 19.80** .45 .45 231.82***
행동 **
외모만족 .12 .04 .10 3.11
헤어 상수 .34 .15 2.19
관리 외모지향 .52 .04 .48 12.94** .26 .26 100.65***
*
행동 외모만족 .09 .03 .08 2.31
체형 상수 1.13 .23 4.91
관리 외모지향 .57 .06 .39 9.64** .14 .14 46.50***
*
행동 외모만족 -.15 .05 -.10 -2.59
*p<.05, **p<.01, ***p<.001

<Figure 6> The effects of body image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3.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단순회귀분석

- 68 -
결과는 <Table 14>와 같다. 먼저, 자아존중감과 피부관리행동의 회귀모
형은 F값이 6.295(p=.0121)로 회귀선은 회귀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
으며, 회귀식에 대한 R2=.011로 1.1%의 낮은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자아
존중감은 피부관리행동에 95% 유의수준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t=2.509, p=.012). 자아존중감과 의복관리행동의 회귀모형은 F
값이 5.560(p=.019)로 회귀선은 회귀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
귀식에 대한 R2=.010로 1.0%의 낮은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자아존중감
이 의복행동에도 95% 수준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t=2.358, p=.019). 자아존중감이 헤어관리행동에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t=.295, p=.768). 마지막으로 자아
존중감과 체형관리행동의 회귀모형은 F값이 6.242(p=.013)로 회귀선은 회
귀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식에 대한 R2=.011로 1.1%의
낮은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자아존중감이 체형관리행동에는 95% 신뢰수
준에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2.498, p=.013).
이는 자아존중감이 헤어관리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자아존중감
이 높을수록 피부관리행동과 의복행동의 정도가 증가하는 반면에 체형관
리행동의 정도는 감소한다고 할 수 있다(Fig 7). 황윤정218)은 남녀 대학생
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자아존중감은 부정적 체중관리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헤어관리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혜주219)는 성인남성들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체형관리행동이 낮아진
다고 하였고 이주영220)은 20∼40대 여성들의 자아존중감은 화장품·피부관
리행동, 의복행동, 체중관리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헤어관리행동에
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결과를 지지하였다. 따라서 자
기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 할수록 자신의 체형에 대하여 만족하여 이상
적인 체형변화를 위한 특별한 노력은 하지 않으나 사회생활을 하는 사람
들이라면 누구나 하는 일반적인 의복행동과 세안과 크림을 바르는 보편적

218) 황윤정, op. cit., 2007, pp.45-51.


219) 나혜주, op. cit., 2015, pp.68-92.
220) 이주영, op. cit., 2011, pp,52-57.

- 69 -
인 피부관리행동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자아존중감이 헤어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는 헤어관리행동을 외모 변화를 위한 특별한
관심과 행동으로 인식하지 않고 일상생활에서 당연히 하고 있으며 해야만
하는 행동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Table 14> The effects of self-esteem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비표준화계수
종속
독립변수 표준 β t값 R2 수정된R2 F
변수 B
오차
피부 (상수) 2.44 .22 10.68
관리 .01 .00 6.29*
행동 자아존중감 .15 .06 .10 2.50*

의복 (상수) 2.33 .22 10.58


.01 .00 5.56*
행동 자아존중감 .13 .05 .10 2.35*
헤어 (상수) 2.26 .18 12.11
관리 .00 -.00 .08
행동 자아존중감 .01 .04 .01 .29
체형 (상수) 3.19 .25 12.49
관리 .01 .00 6.24*
행동 자아존중감 -.16 .06 -.10 -2.49*
*p<.05

<Figure 7> The effects of self-esteem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 70 -
제 3 절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의 차이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변수들 간의 평균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구


체적으로 인구 통계적특성 변수인 성별, 연령, 결혼여부, 직업별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성취지배성, 사교성, 자율성, 활동성과 신체이미지의 하위요인
인 외모지향, 외모만족과 자아존중감, 마지막으로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
인인 피부관리행동, 의복행동, 헤어관리행동, 체형관리행동 변수 간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별에 따른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의 차이 분석

성별에 따른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성취지배성, 사교성, 자율성, 활동성


과 신체이미지의 하위요인인 외모지향, 외모만족과 자아존중감, 마지막으
로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인 피부관리행동, 의복행동, 헤어관리행동, 체
형관리행동 변수 간 평균차이 검증을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이용하였다. 독립표본 t-test 검증결과 확인하기 전에 등분산 가정 검증을
실시하였다. <Table 15>와 같이 Levene의 등분산 검증 결과, 피부관리행
동 변수를 제외하고 모든 변수들에서 집단 간 분산은 동질한 것으로 나타
났다. 반면 피부관리행동 변수는 집단 간 분산이 동질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분석결과는 Welch-Aspin검증221)결과로 해석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분석결과를 해석하면, 성별에 따라 외모관리행동의 피부
관리행동과 체형관리행동 변수 간 평균의 차이가 발생하였고, 나머지 모
든 변수들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
다. 구체적으로 피부관리행동(t=6.68, p=.000)과 체형관리행동(t=3.12,
p=.002)은 여성이 남성보다 평균값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221) 독립표본 t-test에서 두 집단의 분산이 같지 않아 등분산 가정을 충족시키기 못할 경


우에는 독립표본 t검정 대신 Welch-Aspin검정을 이용하는데. 이 결과는 SPSS에서
는 “등분산가정하지않음”으로 결과가 제시된다.

- 71 -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현주222)의 연구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이미
숙223)의 연구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외모관리행동을 더 많이 한다는 연구
결과를 지지하였다. 이는 남녀 모두가 자신과 타인을 평가 할 때 외모에
대한 사회적 가치를 중요하게 인식하여 윤기 있고 매끈하고 우유빛 나는
피부와 건강미가 넘치는 날씬한 체형을 이상적으로 생각하지만, 자신의
피부와 체형을 이상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 행동으로 이행하는 정도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은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222) 이현주, op. cit, 2008, pp.70-71.


223) 이미숙, op. cit, 2013, pp.75-88.

- 72 -
<Table 15> The difference between sociability, body image, self-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o gender

Levene의 평균 표준편차
구 분 t값 p값
등분산검증 여성 남성 여성 남성
F=.08
성취지배성 2.99 3.07 .63 .64 -1.48 .13
p=.768
F=.41
사 사교성 3.14 3.19 .70 .68 -.79 .42
p=.518

F=.00
성 자율성 3.40 3.46 .65 .63 -1.12 .26
p=.989
F=2.9
활동성 3.30 3.34 .71 .65 -.77 .43
p=.089
F=.03
신체 외모지향 3.30 3.21 .64 .62 1.73 .08
p=.854
이미
지 F=1.30
외모만족 3.01 3.04 .68 .63 -.51 .61
p=.254
F=.03
자아존중감 3.7 3.73 .59 .58 .04 .96
p=.850
F=11.0
피부관리행동 3.21 2.74 .74 .89 6.68 .00**
p=.001
F=.93
외모 의복행동 2.88 2.80 .79 .84 1.26 .20
p=.334
관리
F=.51
행동 헤어관리행동 2.33 2.29 .67 .70 .62 .53
p=.473
F=3.67
체형관리행동 2.67 2.42 .96 .90 3.12 .00**
p=.056
**
p<.01

2. 연령에 따른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의 차이 분석

연령에 따른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성취지배성, 사교성, 자율성, 활동성


변수들 간 One-way ANOVA 검증결과는 <Table 16>과 같다. 분석결과,
자율성(F=7.50, p=.000)과 활동성(F=3.15, p=.024)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생
한 것으로 나타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사후검증은 등

- 73 -
분산이 가정되었을 때는 Tukey검증을 하였고, 등분산이 가정되지 않았을
때는 Dunnett의 T3검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사후검증결과, 성취지배성과 사교성의 평균은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후검증결과는 도출되지 않았다.
자율성의 경우에는 30대, 40대, 50대 이상 집단이 20대 집단보다 더 높
은 평균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활동성의 경우에는 50대 이상 집
단이 20대 집단보다 더 높은 평균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낮은 연령 보다는 높은 연령 집단이 사회적 관계 속에서 주어지는 다양한
역할이 상대적으로 많이 부여되고, 그 부여된 역할에 따른 임무를 완성하
기 위하여 자율적인 판단과 열정적인 활동성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자율성
과 활동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 74 -
<Table 16> The difference of sociability by age
종속 F값/유의 등분산성 사후검증
구분 평 균 표준편차
변수 확률 검증결과 결과
20대 3.08(a) .69
30대 3.02(b) .62
성취
40대 3.00(c) .64 .44/.722 p=.754 -
지배성
50대이상 3.02(d) .59
합계 3.03 .64
20대 3.29(a) .68
30대 3.18(b) .74
사교성 40대 3.07(c) .64 2.43/.064 p=.462 -
50대이상 3.17(d) .72
합계 3.17 .69
20대 3.20(a) .63
30대 3.44(b) .63
자율성 40대 3.48(c) .62 7.50/.000** p=.993 a<b,c,d
50대이상 3.56(d) .64
합계 3.42 .64
20대 3.18(a) .70
30대 3.33(b) .76
활동성 40대 3.32(c) .63 3.15/.024* p=.179 a<d
50대이상 3.45(d) .64
합계 3.32 .68
* **
p<.05, p<.01

연령에 따른 신체이미지 하위요인인 외모지향과 외모만족 변수들 간


One-way ANOVA 검증결과는 <Table 17>과 같다. 분석결과, 외모지향
(F=4.08, p=.007)과 외모만족(F=3.72, p=.011) 등 모든 변수에서 유의하게
평균의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증은
등분산이 가정되었으므로 Tukey검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사후검증결과 외모지향의 경우에는 20대 집단이 40대집단보다
더 높은 평균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모만족의 경우에는 20대

- 75 -
집단과 30대 집단이 40대 집단보다 높은 평균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
졌다. 이는 연령이 낮을수록 외모는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노력에 의하여
변화될 수 있다는 인식으로 외모를 변화시키고자 노력하고 이러한 노력으
로 변화된 자신의 외모에 대하여 스스로 만족하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
다. 반면에 연령이 높을수록 외모에 대한 관심은 많으나 외모 변화를 위
하여 노력한 만큼의 변화된 외모를 인식하기 어렵고 또한 많은 시간과 노
력 그리고 경제적 문제를 고려하기 때문에 젊은 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
모지향과 외모만족의 평균이 낮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able 17> The difference of body image by age


종속 F값/유의 등분산성 사후검증
구분 평 균 표준편차
변수 확률 검증결과 결과
20대 3.38(a) .65
30대 3.33(b) .63
외모
40대 3.15(c) .64 4.0/.007** p=.931 a>c
지향
50대이상 3.23(d) .58
합계 3.26 .64
20대 3.11(a) .66
30대 3.12(b) .72
외모
40대 2.91(c) .61 3.72/.011* p=.209 a,b>c
만족
50대이상 3.02(d) .63
합계 3.03 .66
* **
p<.05, p<.01

연령에 따른 자아존중감 변수의 One-way ANOVA 검증결과는 <Table


18>과 같다.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F=1.910, p=.127).

- 76 -
<Table 18> The difference of self-esteem by age
종속 F값/유의 등분산성 사후검
구분 평 균 표준편차
변수 확률 검증결과 증결과
20대 3.76(a) .65
30대 3.81(b) .59
자아
40대 3.70(c) .53 1.91/.127 .008 -
존중감
50대이상 3.64(d) .59
합계 3.73 .58

연령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인 피부관리행동, 의복행동, 헤어


관리행동, 체형관리행동 변수들 간 One-way ANOVA 검증결과는
<Table 19>와 같다. 분석결과, 피부관리행동(F=10.91, p=.000)과 의복행동
(F=8.90, p=.000), 체형관리행동(F=3.16, p=.024)에서 유의하게 평균의 차이
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두 등분산이 가정되었으므로 사후검
증은 Tukey검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사후검증결과 피부관리행동의 경우에는 20대 집단이 40대 집
단과 50대이상 집단보다 더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고, 또한 30대 집단 역
시 40대 집단과 50대이상 집단보다 더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의복행동
의 경우에도 20대 집단이 40대 집단과 50대이상 집단보다 더 높은 평균점
수를 보였고, 또한 30대 집단 역시 40대 집단과 50대이상 집단보다 더 높
은 평균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체형관리행동의 경우
에는 30대 집단이 50대이상 집단보다 더 높은 평균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어관리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
았기 때문에 사후검증결과는 실시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10∼60
대 여성을 대상으로 한 고희자224)의 연구에서 연령이 낮을수록 외모관리
행동의 정도가 높게 나타난 결과와 20∼50대 성인남성을 대상으로 한 나
혜주225)의 연구결과를 지지하였다.
피부관리행동에 있어서는 20∼30대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매스

224) 고희자, op. cit., 2016, p.59.


225) 나혜주, op. cit., 2014, pp.49-51.

- 77 -
미디어와 인터넷, 지인들로부터 얻은 정보, 즉 어린 나이부터 피부관리를
꾸준히 하는 것이 나이가 들어서도 동안피부를 오래 유지할 수 있다는 정
보를 통해 피부관리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
기 위하여 자외선 차단 제품과 피부의 탄력과 주름 방지를 위한 기능성
제품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또한 의복행동에 대하
여 20∼30대의 평균도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고등학생의 신분 상징인 교복
에서 벗어나 성인의 신분으로써 자신의 정체성과 직업, 사회적 역할에 따
른 능력 및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외모관리행동 중 적은노력과
빠르고 편리하게 변화된 외모를 의복행동을 통해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
라고 생각된다. 체형관리행동에서는 30대가 평균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직장생활과 사회관계에서 과중한 업무와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이를 해소
하기 위하여 건강하지 않은 음식을 과다하게 섭취하는 반면에 운동 부족
으로 체중이 증가한다. 체중증가로 인한 체형변화는 자기관리가 부족한
사람으로 평가 받을 수 있고 또한 자신의 건강까지 해칠 수 있기 때문에
건강한 다이어트와 운동으로 체형을 가꾸고 유지하려는 것으로 생각된다.

- 78 -
<Table 19> The difference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by age
종속 F값/유의 등분산성 사후검증
구분 평 균 표준편차
변수 확률 검증결과 결과
20대 3.21(a) .81

피부 30대 3.23(b) .81


a>c,d
관리 40대 2.86(c) .84 10.91/.000** p=.701
b>c,d
행동
50대이상 2.76(d) .79
합계 3.01 .84
20대 3.03(a) .80
30대 3.04(b) .78
의복 a>c,d
40대 2.68(c) .81 8.90/.000** p=.766
행동 b>c,d
50대이상 2.70(d) .77
합계 2.85 .81
20대 2.29(a) .73
30대 2.32(b) .74
헤어
관리 40대 2.28(c) .64 .74/.523 p=.279 -
행동
50대이상 2.40(d) .63
합계 2.31 .68
20대 2.614(a) 1.02032
30대 2.721(b) .94240
체형
관리 40대 2.552(c) .96115 3.16/.024* p=.014 b>d
행동 50대이상 2.355(d) .79812
합계 2.567 .94589
* **
p<.05, p<.01

3. 결혼여부에 따른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의 차이


분석

결혼여부에 따라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성취지배성, 사교성, 자율성 및


활동성, 신체이미지의 하위요인인 외모지향과 외모만족, 자아존중감, 마지
막으로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인 피부관리행동, 의복행동, 헤어관리행
동, 체형관리행동 변수 간의 평균차이를 검증,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 79 -
t-test 분석한 결과는 <Table 20>과 같다.
분석결과, 결혼여부에 따라 사회성의 사교성(t=2.090, p=.037)과 활동성
(t=-2.376, p=.018), 신체이미지의 외모지향(t=3.991, p=.000)과 외모만족
(t=3.081, p=.002), 외모관리행동의 피부관리행동(t=5.775, p=.000)와 의복행
동(t=5.073, p=.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 차이가 나타났다. 이 중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활동성의 경우에는 집단 간 분산이 동질하지 않아
Welch-Aspin검증 결과로 해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성의 사교성은 미혼이 기혼보다 더 높은 평균점수를 보
였고, 반면 활동성은 기혼이 미혼보다 더 높은 평균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이미지의 외모지향과 외모만족은 모두 미혼이 기혼보다 더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외모관리행동의 피부관리행동과 의복행동은 미
혼이 기혼보다 더 높은 평균점수 수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서 사교성의 경우 결혼하지 않은 사람들은 직장 동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동호회 활동을 통하여 취미나 전문분야의 사람들과 만날
기회와 시간적 여유가 있는 반면에 상대적으로 결혼을 한 사람들은 결혼
을 통하여 새로운 가족 구성원과의 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개
인적인 취미를 위한 동호회 활동을 줄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활동성
은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점수가 높은 것은 행복하고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여유로운 가정을 만들기 위해서 다양한 일을 찾고 주어진 역할을 열심히
해야만 한다는 책임감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외모지향과 외모만족은 미혼이 기혼보다 평균이 높았다. 이는 미혼이
외모에 대한 관심과 외모변화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통해 발 빠르게 행동으로 옮김으로써 변화된 자
신의 외모에 대하여 만족하는 정도도 상대적으로 높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10∼50대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연구한 이현서226)의 외모평가
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는데 외모지향에서는 미혼이 기혼보다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는 결과와, 성인남성을 대상으로 한 나혜주227)의 연구에서도 마

226) 이현서, op. cit., 2011, pp.42-43.

- 80 -
찬가지로 외모평가의 차이는 없으나 외모지향에서는 기혼이 미혼보다 점
수가 더 높았다는 결과는 본 연구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상반된 결과에 대해서는 좀 더 체계적이고 세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피부관리행동과 의복행동은 미혼이 기혼보다 평균이 높았다. 이는 미혼
은 자신과 타인으로부터 자기만족과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위하여 자신에
게 투자를 아끼지 않는 반면에 기혼은 자신보다는 가족을 먼저 생각하고
또한 개인의 시간과 가정의 경제력을 고려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
와 같은 결과는 20∼60대 성인여성의 의복행동은 미혼이 가장 높다고 한
조선영228)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고, 20∼50대 성인남성을 대상으로 한
나혜주229)의 연구에서 헤어관리행동과 체형관리행동, 패션관리행동에서
미혼이 기혼보다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나 피부관리행동에서는 차이를 보
이지 않아 본 연구와 부분적으로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설문대상
자의 성별과 지역에 따른 차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다.

227) 나혜주, op. cit., 2014, pp.54-57.


228) 조선영, op. cit,. 2013, pp.85-87.
229) 나혜주, op. cit., 2014, pp.64-77.

- 81 -
<Table 20> The difference between sociability, body image,
self-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o
marital status

Levene의 평균 표준편차
구 분 t값 p값
등분산검증 미혼 기혼 미혼 기혼
F=.40
성취지배성 3.08 2.98 .65 .62 1.72 .085
p=.523
F=.24
사 사교성 3.24 3.11 .71 .68 2.09 .037*
p=.618

성 F=4.74
자율성 3.36 3.45 .68 .62 -1.65 .099
p=.030
F=5.75
활동성 3.22 3.37 .74 .64 -2.37 .018*
p=.017
F=.69
외모지향 3.40 3.18 .66 .61 3.99 .000**
신체 p=.407
이미지 F=.54
외모만족 3.13 2.95 .67 .64 3.08 .002**
p=.461
F=16.2
자아존중감 3.74 3.71 .65 .54 .55 .581
p=.000
F=.44
피부관리행동 3.28 2.86 .80 .82 5.77 .000**
p=.504
F=.86
외모 의복행동 3.07 2.71 .81 .78 5.07 .000**
p=.354
관리
행동 F=4.09
헤어관리행동 2.38 2.28 .75 .63 1.71 .102
p=.044
F=2.10
체형관리행동 2.63 2.53 .98 .91 1.17 .241
p=.147
* **
p<.05, p<.01

4. 직업에 따른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의 차이 분석

직업에 따른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성취지배성, 사교성, 자율성, 활동성


변수들 간 One-way ANOVA 검증결과 <Table 21>과 같다. 분석결과,
모든 변수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82 -
<Table 21> The difference of sociability by job
종속 F값/유의 등분산성 사후검
구분 평 균 표준편차
변수 확률 검증결과 증결과
판매·서비스 2.97(a) .73
사무·관리직 3.05(b) .60
전문직 3.10(c) .64

성취 자영업·사업 3.05(d) .61


1.47/.185 p=.602 -
지배성 공무원 3.03(e) .59
전업주부 2.84(f) .64
기타 3.07(g) .58
합계 3.03 .64
판매·서비스 3.13(a) .71
사무·관리직 3.20(b) .78
전문직 3.16(c) .71
자영업·사업 3.20(d) .64
사교성 .20/.974 p=.439 -
공무원 3.18(e) .61
전업주부 3.10(f) .70
기타 3.20(g) .68
합계 3.17 .69
판매·서비스 3.34(a) .67
사무·관리직 3.57(b) .67
전문직 3.45(c) .66
자영업·사업 3.49(d) .65
자율성 2.10/.051 p=.449 -
공무원 3.46(e) .60
전업주부 3.36(f) .56
기타 3.18(g) .59
합계 3.42 .64
판매·서비스 3.28(a) .73
사무·관리직 3.38(b) .76
전문직 3.34(c) .69
자영업·사업 3.46(d) .56
활동성 1.08/.373 p=.135 -
공무원 3.24(e) .60
전업주부 3.23(f) .74
기타 3.25(g) .64
합계 3.32 .68

- 83 -
직업에 따른 신체이미지의 외모지향과 외모만족 간 One-way ANOVA
검증결과는 <Table 22>와 같다. 분석결과, 모든 변수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able 22> The difference of body image by job

종속 F값/유의 등분산성 사후검증


구분 평 균 표준편차
변수 확률 검증결과 결과
판매·서비스 3.41(a) .63
사무·관리직 3.23(b) .69
전문직 3.29(c) .63

외모 자영업·사업 3.20(d) .61


1.10/.359 p=.857 -
지향 공무원 3.21(e) .66
전업주부 3.22(f) .64
기타 3.20(g) .57
합계 3.26 .64
판매·서비스 3.00(a) .74
사무·관리직 3.11(b) .71
전문직 3.08(c) .66

외모 자영업·사업 2.95(d) .65


.61/.721 p=.114 -
만족 공무원 3.00(e) .63
전업주부 2.99(f) .66
기타 2.99(g) .48
합계 3.03 .66

직업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Table 23>과 같다. 분석결과, 직업


에 따라 자아존중감의 차이가 나타났다(F=3.245, p=.004). 사후검증은
Tukey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사무·관리직집단과 전문직집단이
기타집단보다 더 높은 평균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무·관
리직과 전문직업에 대하여 사회적으로 유망한 직업으로 인식하고 그 직업
인은 성공한 삶으로 평가되며 또한 취업을 준비하는 많은 사람들이 선망

- 84 -
하는 직업군이다. 이와 같이 자신의 노력으로 사회적으로 성공한 삶으로
평가되어지고 많은 사람들이 부러워하는 직업을 소유함으로써 자기 자신
에 대하여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직업에 따라 자아존
중감의 차이를 보여 무직이 가장 낮았다는 조선영230)의 연구결과를 지지
하였다.

<Table 23> The difference of self-esteem by job

종속 F값/유의 등분산성 사후검


구분 평 균 표준편차
변수 확률 검증결과 증결과

판매·서비스 3.73(a) .64


사무·관리직 3.88(b) .50
전문직 3.81(c) .62

자아 자영업·사업 3.67(d) .52


3.24/.004** p=.145 b,c>g
존중감 공무원 3.71(e) .54
전업주부 3.64(f) .57
기타 3.46(g) .53
합계 3.73 .58

**
p<.01

직업에 따른 외모관리행동변수의 하위요인인 피부관리행동, 의복행동,


헤어관리행동, 체형관리행동 변수들 간의 평균차이검증 결과는 <Table
24>와 같다. 분석결과, 직업에 따라 외모관리행동 중 피부관리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4.793, p=.000). 사후검증은 Tukey 검증을 실
시하였으며, 그 결과 판매·서비스직 집단과 전문직 집단은 자영업·사업 집
단보다 더 높은 평균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전문직 집단은
기타집단보다 더 높은 평균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전문직
과 판매·서비스직은 타 직업에 비해 1:1로 고객과 가까운 거리에서 커뮤
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밝고 깨끗한 피부를 통해
상대에게 긍정적이고 신뢰감과 호감을 주는 이미지를 어필하기 위해서라

230) 조선영, op. cit., 2013, pp.83-85.

- 85 -
<Table 24> The difference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by job
종속 F값/유의 등분산성 사후검증
구분 평 균 표준편차
변수 확률 검증결과 결과
판매·서비스 3.07(a) .80
사무·관리직 2.98(b) .72
전문직 3.21(c) .90
피부 자영업·사업 2.64(d) .87 a,c>d
관리 4.79/.000** p=.175
공무원 2.95(e) .84 c>g
행동
전업주부 3.05(f) .78
기타 2.77(g) .65
합계 3.01 .84
판매·서비스 3.01(a) .80
사무·관리직 2.81(b) .88
전문직 2.92(c) .84

의복 자영업·사업 2.74(d) .90


1.43/.201 p=.020 -
행동 공무원 2.72(e) .79
전업주부 2.83(f) .74
기타 2.74(g) .56
합계 2.85 .81
판매·서비스 2.48(a) .69
사무·관리직 2.11(b) .67
전문직 2.33(c) .71
헤어 자영업·사업 2.27(d) .70
관리 1.76/.105 p=.690 -
행동 공무원 2.31(e) .65
전업주부 2.28(f) .59
기타 2.33(g) .69
합계 2.31 .68
판매·서비스 2.59(a) .95
사무·관리직 2.47(b) .92
전문직 2.63(c) 1.02
체형 자영업·사업 2.35(d) .90
관리 1.14/.336 p=.110 -
행동 공무원 2.50(e) .88
전업주부 2.71(f) .93
기타 2.60(g) .82
합계 2.56 .94
**
p<.01

- 86 -
고 생각된다. 조선영231)의 연구에서 헤어관리행동과 체형관리행동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화장관리행동과 의복행동에서는 전문직이 다른
직업에 비해 가장 높았고, 피부관리행동에서는 자영업과 전문직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본 연구와 부분적으로 일치하였다.

231) 조선영, op. cit., 2013, pp.72-83.

- 87 -
제 5 장 결론 및 제언

제 1 절 요 약

본 연구는 20∼50대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사회성과 신체이미지, 자아존


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자
기기입식 설문지법을 실시하였으며 분석에 사용한 설문지는 총 556부였
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빈도
분석, 탐색적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t-검증, ANOVA, 사후 검증(Tukey
검증, Dunnett의 T3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수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사회성은 성취지배성, 사교성,
자율성, 활동성의 4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이미지는 외모지향과 외
모만족의 2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1개 요인으로 나타났고,
외모관리행동은 피부관리행동, 의복행동, 헤어관리행동, 체형관리행동의 4
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사회성이 신체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교성, 자율
성과 활동성은 외모지향에 영향을 미쳤고, 성취지배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성취지배성과 활동성은 외모만족에 영향을 미쳤으며, 사교성과 자
율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사회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교성, 자율
성과 활동성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쳤고, 성취지배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사회성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율성과
활동성은 피부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쳤고, 성취지배성과 사교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성취지배성, 사교성, 자율성, 활동성은 의복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사교성, 자율성과 활동성은 헤어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성
취지배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사교성과 자율성은 체형관리행동에 영
향을 미쳤고, 성취지배성과 활동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88 -
다섯째, 신체이미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외모만
족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쳤고, 외모지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섯째, 신체이미지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외모
지향은 피부관리행동, 의복행동, 헤어관리행동, 체형관리행동에 영향을 미
쳤다. 외모만족은 의복행동, 헤어관리행동, 체형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쳤고,
피부관리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일곱째,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아
존중감은 피부관리행동, 의복행동, 체형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헤어
관리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덟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과 외
모관리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먼저 성별에 따른 변수들 간의 차이
검증결과는 피부관리행동과 체형관리행동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으나 나머지 변수에서는 차이가 나지 않았다. 연령에 따
른 사회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율성과 활동성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고, 신체이미지의 차이 분석결과는 연령이 낮을수록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
고, 피부관리행동, 의복행동과 체형관리행동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평균
값이 더 높게 나타났다. 결혼여부에 따른 사회성의 차이는 사교성에서는
미혼이, 활동성에서는 기혼의 평균값이 높았다. 신체이미지의 외모지향과
외모만족에서는 미혼이 기혼보다 평균값이 높았다. 자아존중감은 결혼여
부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피부관리행동과 의복행동에서는 미혼이
기혼보다 평균값이 더 높게 나타났다. 직업에 따라 사회성과 신체이미지
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자아존중감에서는 사무·관리직과 전문직이,
피부관리행동에서는 판매·서비스직과 전문직이 다른 직업보다 평균값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사회성의 성취지배성은 외모지향과 자아존중감, 피부관
리행동, 헤어관리행동, 체형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
는데, 이는 사회적 성공과 사람들을 리드하기 위해서는 외적인 단서인 외

- 89 -
모도 중요하지만 내적인 재능과 능력을 갖추는 것이 더 중요하게 인식하
는 것으로 생각된다. 자신의 외모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으며, 의복행동은
사회생활을 위해서는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행동으로 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양한 대인관계를 맺기를 좋아하는 사교적인 성향일수록 외모 지
향적이고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의복행동과 헤어관리행동 및 체형
관리행동을 많이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자율성이 높을수록 외모변화에
관심이 낮고 자신에 대하여 높게 평가하며 모든 외모관리행동이 낮은 것
을 알 수 있었다. 활동성이 높은 성향은 외모 지향적이며, 자신의 외모에
만족하고, 자아존중감도 높았다. 그리고, 피부관리행동, 의복행동, 헤어관
리행동에 적극적인 반면에 체형관리에는 활동성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많은 일과 다양한 사회적 활동을 함으로써 자신의
체형을 긍정적으로 보고, 또한 건강하다고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신체이미지의 하위요인인 외모지향은 외모변화를 위한 방법으로 모든
외모관리행동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자아존중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외모만족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과 의복행동과 헤
어관리행동에 적극적인 반면에, 피부관리행동에는 외모만족이 영향을 미
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피부관리행동과 의복관리행동을 많이 하는 반면
에, 헤어관리행동에는 자아존중감이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외모관리행동 중 헤어관리행동과 체형관리행동에 공통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외모지향과 자아존중감이며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
은 현대 사회를 반영한 외모지향임을 알 수 있었다.
여성이 남성보다 피부관리행동과 체형관리행동에 적극적이고, 연령이
높을수록 자율성과 활동성이 높았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외모 지향적이고
외모만족도가 높았고, 피부관리행동과 의복행동 및 체형관리행동을 더 많
이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혼은 기혼보다 사교적이고 외모 지향적이
며 외모만족도 높았으며, 또한 피부관리행동과 의복행동에 대하여 더 적
극적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기혼이 미혼보다 더 활동성적임을 알 수

- 90 -
있었다. 사무·관리직과 전문직의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았으며, 외모관리행
동에 있어서는 판매·서비스직과 전문직이 자영업·사업자 및 기타직업보다
더 적극적으로 피부관리행동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 2 절 결 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성이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사회성을 하나의 요인으로 분석한 연구가 대부분이었
다. 본 연구에서는 외모를 중시여기는 사회에서 다양한 사회생활에 효과
적으로 적응하고 원만한 대인관계를 통하여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노
력하는 현대인을 대상으로 사회적 성향을 세분화하여 신체이미지, 자아존
중감 그리고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
다. 이 결과는 사회초년생들과 직장인들의 사회적 상호관계 형성에 도움
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의 크기를 제시함으로써 외모관련 산업에서는 성인남녀들의 욕구를 파악
하고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차별화된 뷰티마케팅
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사교성과 자율성, 활동성이 외모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난 것은 신체를 이상적 외모로 변화시킴으로써 사회생활에서 사람을 사
귀고 일을 수행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외모의 유용성을 인식하고 사회활동
에 외모를 활용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자율성은 사회활동에 있어서 외모
의 가치를 비교적 낮게 인식하여 외모를 그다지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
타났다. 성취지배성과 활동성이 외모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자신의 외모만족을 통해 더 적극적으로 많은 사람들과 동료들을 자
신의 의견에 따르도록 설득하고 그 설득을 통해 동료들이 자신을 따르고

- 91 -
그 집단의 리더로서 많은 활동을 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사교성, 자율성, 활동성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통해 사회적 관계 속에서 사람을 사귀
거나, 개성을 표현하거나 활동적으로 다양한 일을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
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넷째, 성취지배성은 의복행동을 제외한 피부관리행동, 헤어관리행동, 체
형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상호관
계 속에서 외적인 매력도 중요하지만, 자신이 처한 환경에 효율적으로 적
응하고 많은 사람들을 리드하며 자신이 이루고자하는 목표를 성취하기 위
해서는 내적인 능력을 갖추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으로 보
인다. 따라서 이런 내적인 능력을 갖추지 못하면 그 성공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렵다고 인식하여 외적인 외모에 관심을 덜 가지기보다는 상대
적으로 내적인 능력을 더 중요하게 인식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반면에 성
취지배성이 의복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의복은 사회인이라면 누
구나 착용해야하며 자신을 타인에게 알릴 수 있는 가장 쉽고 일반적인 수
단이기 때문이다. 청결하고 신뢰성을 주는 의복행동을 통해 사회적 지위
와 역할을 표현함으로써 타인에게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더 높
게 평가 받기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사교성은 피부관리행동을 제외한 의복행동과 헤어관리행동, 체형관리행
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람들과 원만한 교
제를 맺기 위해서는 의복과 헤어 및 체형관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모임
의 특성에 맞는 의복과 헤어스타일을 이상적인 체형에 연출함으로써 타인
에게 자신을 보다 쉽게 알릴 수 있어 개인의 사교적 성향을 높이는데 도
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자율성은 모든 외모관리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독립적이고 개성이 강한 사람일수록 사회의 이상적인 미의 기준을 내면화
하기보다는 대중적이지 않은 독특한 외모관리행동을 통하여 자신만의 개
성을 표현함으로써 자신의 자율적인 성향을 타인에게 인식시키고자하는

- 92 -
행동이라고 생각된다. 활동성은 피부관리행동, 헤어관리행동, 의복행동에
영향을 미치지만 체형관리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많은 활동과 일을 한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게 되고 그 관계 속에서 개인은 다양한 역할을 부여 받으며
그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깨끗하고 윤기 있는 피부와 의
복, 헤어스타일을 통해 자신의 외모를 연출함으로써 활동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회성의 모든 요인이 의복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것은
의복행동을 통해 사회생활에 효율적으로 적응하고 자신을 타인에게 알리
고 또한 자신의 목표를 이루기 위한 탁월한 도구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의복행동을 통해 자신과 타인을 인식하고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활
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다섯째, 외모만족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자아를 대변하는 신체, 즉 자신의 외모만족은 곧 자기 자신에 대하여 만
족하는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자신의 외모를 왜곡되게 인식하고 평
가 절하하지 않도록 건강하고 매력적인 외모에 대한 올바른 인식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외모지향이 모든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난 것은 외모를 통한 사회적 혜택을 인식하고 이상적 외모를 추
구하기 위하여 다양한 외모관리행동으로 자신의 외모를 변화시킴으로서
사회적 혜택을 얻고자하는 의도 때문이다. 따라서 개인의 외모를 객관적
으로 비교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현실적이고 건강한 외모의 기준과 이를
수용하는 문화 형성이 요구된다. 외모만족은 의복행동, 헤어관리행동, 피
부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체형관리행동을 하
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곧 자신의 체형을 이상적으로 인식하여
특별한 다이어트나 운동을 하지 않지만 의복과 헤어스타일을 통해 자신을
타인에게 표현하고 타인으로부터 외모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음으로
써 자신의 외모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모를
이상적인 미와 비교하여 평가하기 보다는 개개인의 개성과 나름의 독특한

- 93 -
외형적 특성이 중요한 가치이자 개인의 아름다움으로 인식되고 평가되어
지는 가치관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여섯째, 자아존중감이 피부관리행동, 의복행동, 체형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자신의 체형에 만족하여
체형관리를 특별히 하지 않고 동안피부와 의복을 착용함으로써 자신의 존
재에 대하여 더 높게 인식하는 형태이다. 사회적 상호관계에서 자신과 타
인을 비교하게 되고 이러한 비교를 통해 자기 자신에 대한 평가를 하게
되고 또한 타인으로부터 평가를 받게 된다. 그러나 타인의 평가보다는 자
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사회활동에서 더 중요한 가치라고 생각
되며 피부관리행동, 의복행동, 체형관리행동을 통해 자기 자신의 가치를
더 높게 평가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일곱째, 성별, 연령, 결혼여부, 직업에 따른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
중감, 외모관리행동의 차이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
타났다. 여성이 남성보다 피부관리행동과 체형관리행동을 상대적으로 많
이 하고, 연령이 낮을수록 남에게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성
향이 높으며 자신의 외모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노력으로 변화된 외모에 만족하고 또한 매력적인 외모를 관리유지하기 위
하여 피부관리행동, 의복행동, 체형관리행동에 더 관심을 보였다. 사교성,
신체이미지, 피부관리행동, 의복행동에서 미혼이 기혼보다 상대적으로 반
응이 높게 나타난 것은 자신의 의도대로 타인으로부터 평가 받기위한 가
장 빠르고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외모이기 때문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는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외적인 아름다움을 위한 노력도 중요하
지만 외적인 아름다움을 더 배가 시킬 수 있는 내적 아름다움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외모에 대한 사회적 가치관의 변화가 무엇보다 필요하
다고 생각된다.
사무·관리직, 판매·서비스직, 전문직이 자아존중감과 피부관리행동에서
자영업·사업과 기타직보다 상대적으로 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직
업에 따른 자기에 대한 평가와 사회적인 시선을 의식함으로써 자기 스스

- 94 -
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게 하고, 피부관리행동을 통한 깨끗하고 건강한
피부를 보유하는 것은 직업의 특성을 타인에게 어필하기에 효과적인 방법
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제 3 절 제한점 및 제언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기에 사회성, 신체


이미지, 자아존중감, 외모관리행동 척도의 설문에 대한 응답자의 대답이
자신의 관점에만 편향되거나 사회가 요구하는 이상적인 기준의 영향을 받
았을 수 있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외모관리행동에 관련된 요인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
서 한정한 요인 외에 개인의 특성인 내적심리요인들 즉, 성격, 친사회행
동, 공적자기의식, 사적자기의식과 개인의 직업과 경제적 상황이나 외부적
인 환경문제를 고려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다양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변수들 간의 경
로와 매개, 조절 변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현대인들의 외모관리
행동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뷰티산업 분야에서 마케팅 전략 수
립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사람에 대한 판단기준으로 외모를 중요하게 여기고 외모의 변화
를 위해 노력하는 성인남녀들의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변수들 간의 경로
와 영향력을 질적인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연구가 수행된다면 현
대인들의 바람직한 신체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95 -
참고문헌

<국내 단행본>

김선웅(2006), 개념 중심의 사회화, 서울: 한울아카데미.


임번장(1996), 스포츠 사회학 개론, 서울: 동화문화사.
임숙자·황선진·이종남·이승희(2002), 현대 의상사회 심리학, 서울: 수학사.

<국내 학위논문>

강영숙(2007), 대학생들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이 직업 선택 시 미치


는 영향, 대구한의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강병호(2013), 협동학습이 학습장애 학생의 학업 성취도, 자아 존중감, 또
래 수용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고희자(2016),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및 외모만족도에 관
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권금영(2005), 사회성 함양을 위한 철학교육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권지영(2004), 소설교육과 사회성 발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주경(2012), 근거이론적 접근을 통해 본 똑똑한 패션소비자의 특성에 관
한 질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주희(2006), 남성소비자의 가치추구와 패션의식에 따른 의류쇼핑행동 연
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혜균(2013), 20·30대 직장인 남성들의 외모관리행동과 정보탐색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호영(2010), 대학생의 스포츠 참여형태가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국

- 96 -
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효정(2016), 20·30대 여성들의 가치관에 따른 뷰티 라이프스타일 행동과
뷰티 관리행동 실태 연구, 서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나혜주(2014), 성인남성의 외모관리해동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노선옥(2011), 대인관계성향, 생활만족도와 헤어스타일행동 및 화장동기의
관계연구: 20,30,40대 여성을 대상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류은숙(2014), 직장남성의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이미지관리행동, 중
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문형필(2013), 보디빌딩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 개념과 사회성 발달의 관
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문희정(2013), 대상화 경험이 감정을 매개하여 의복, 체중조절, 피부관리행
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미리(2013), 20-30대 남성 패션 커뮤니티 회원들의 외모관리 및 구매행
동 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미현(2007), 중년여성의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수진(2006), 남성의 패션, 헤어스타일, 피부, 신체이미지에 관한 유형 분
석: 내용분석, 설문지법, Q방법을 통하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박은승(2015), 학생 오케스트라 활동과 초등학생의 사회성에 관한 질적·양
적 통합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주현(2010), 여성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외모관리행동 연구. 경성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혜원(2013), 자기표현, 외모관리행동 및 외모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
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배창일(2012), 가족유형에 따른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

- 97 -
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병건(2009), 대학생들의 동아리 체육활동이 학교생활 만족도 및 사회성
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연욱(2006), 남성 외모관리행동의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안채리(2011), 남자대학생의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경희(2011), 대학생의 우울,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성향에 미치는 영향
-외모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상우(2013), 대학생의 스포츠동아리 참가와 사회성발달의 관계, 한국교
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상희(1990), 형제간 또래간 사회성에 영향을 주는 가족인구학적 변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서영(2013), 알파걸 성향의 소비자 집단에 따른 외모관리 행동과 헤어스
타일 및 이미지 선호도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승훈(2012), 대학생의 체육동아리 활동이 대학생활만족 및 사회성에 미
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시원(2004), 공적·사적 자기의식에 따른 바디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성신연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영분(2011), 중년 여성의 외모관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구한
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유종(2010), 노인들의 자아존중감과 신체 매력인지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은옥(2014), 유방암생존자의 다차원적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과 의복추
구혜택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정하(2016),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압력이 남녀의 신체불만족과 제품
구매에 미치는 효과,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주영(2011), 여성의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정보탐색에 관한

- 98 -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지영(2012), 피부관리에 대한 태도, 규범, 행동통제가 피부관리행동에 미
치는 영향-지식, 경험, 연령 및 결혼여부의 조절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하나(2014), 미용계열 여고생의 가치관에 따른 외모추구혜택에 뷰티행동
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현서(2011), MBTI 성격유형별 외모관리와 신체만족도 및 신체이미지
관심도,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현주(2008), 대학생의 이미지 평가 및 이미지 형성이 진로자기효능감 향
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화영(2011), 공감, 자아존중감, 성격특성과 친사회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임효정(2014), 긍정적 자아형성을 위한 메이크업 테라피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장미숙(2010), 여성의 외모관리와 체형관리가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전정혜(2011), 여성의 이미지관리행동 관련 변인에 대한 구조분석, 대구가
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전현진(2010),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객체화된 신체의식 및 신체
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정명숙(2009), 가족구조가 아동의 인성발달과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백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정문주(2013), 청소년의 신체 지각차이와 신체 이미지가 신체 관리행동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범모(1971), 생활체육 참가와 여가만족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조선영(2013), 성인여성의 생활연령과 지각연령의 차이가 외모관리행동 및

- 99 -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은정(2014),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미용관리행동, 선호도 및 자아존중감
에 대한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미영(2012), 대학생들의 내외향성, 외모인식, 내외통제성이 대인관계만족
도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은영(2014), 남성의 외모관심도 집단별 뷰티편익이 미용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형규(2009), 태권도 수련만족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성하(2013), 사회성발달을 위한 팀빌딩체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리더,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황윤정(2007),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자아존중감, 신체매력 지각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국내 학술지>

강영숙·박현경(2009), 뷰티살롱 고객의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감의 영향관계, 한국미용학회지, 15(1), pp.369-373.
강평미·박길순(2016),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
향, 한국미용학회지, 22(1), pp.189-196.
김규원·조미아(2014), 토론 중심의 독서교육이 인문계 고등학생의 인성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2), pp.207-228.
김선희(2003), 외모에 대한 사회, 문화적 태도와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연
구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1(5), pp.99-108.
김아날리아·이수경·고애란(2006), 남녀프린틴 세대의 외모관리행동 영향요
인, 한국의류학회지, 30(11), pp.1538-1549.

- 100 -
김완석·권지현·유연제(2010), 외모의 사회적 유용성: 외모도구성 척도
(BVI-SI-A)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3),
pp.549-568.
문희정·박길순(2013), 중년여성의 자기표현과 외모콤플렉스가 외모관리행
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19(3), pp.532-544.
박광희·김인숙(2013), 라이프스타일 집단별 외모관리행동과 삶의 만족도의
차이 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5(4), pp.554-564.
박은아(2003), 화장의 심리사회적 의미: ‘보여주기’의 미학, 한국심리학회
지; 소비자광고, 4(2), pp.105-127.
박은아(2009), 외모 중심의 대인지각 성향 및 외모관리행동과 문화적 가치
관의 관계 연구, 한국연구재단, H00036, pp.1-45.
성기월(1999),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일상생활 활동정도와 생활만족 정도
의 비교, 한국노년학회, 19(1), pp.105-117
손은정(2007), 공적 자기의식, 사회문화적 가치의 내면화 및 신체상에 대
한 태도가 성형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1),
pp.63-81.
송인섭(2001), 자아개념의 다원성과 학업성취간의 관계, 사회교육과학연구,
5(1), pp.3-17.
이경희·이규미(2012), 고등학생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상담학연구, 13(3), pp.1537-1561.
이미숙(2012), 외모의 사회적 유용성이 여자 청소년의 신체만족도와 외모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4(4),
pp.163-177.
이미숙(2013), 외모도구성이 청소년의 신체만족도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
는 영향-성별에 따른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22(1), pp.75-88.
이선재(1991), 한·미 대학생 및 교포 대학생간의 의복태도에 관한 비교연
구, 한국의류학회지, 15(2), pp.173-187.

- 101 -
장혜선·이정민(2014), 20∼30대 남성의 신체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이 심리
적 의욕에 미치는 영향, 대한피부미용학회, 12(6), pp.805-812.
전현진·정명선(2010), 중년여성의 신체관련 스트레스와 외모관심이 외모관
리행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16(2), pp.466-474.
정수진·추미선(2010), 체형과 신체이미지가 의복유행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2(6), pp.764-773.
홍금희(2006), 자아존중감에 대한 외모의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비만도
및 신체이미지의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0(2), pp.348-357.

<신문 및 인터넷사이트>

매일경제, 취업도, 연애도, 외모 업그레이드가 관건인 이유는?, 2013.8.22.


메디컬투데이, 대학생 98% “외모도 경쟁력‘, 2011.11.16.
뷰티누리, 정부 ‘K-뷰티 세계화 발전전략’ 수립, 2016.10.24.
뷰티산업 현황-K뷰티 연간 수출액 규모, 2016.02.04.
http;//bolg.naver.com/PostiView.nhn?blogld=m_kcm&logNo,
창업경영신문, 외모관심 증가, 헤어·미용사업 주목, 2012.12.17

<국외 단행본 및 논문>

Alfonso, V, C., Allison, D. B., Rader, D. E. & Gorman, B. S.(1996),


The extende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38(3),
pp.275-301.
Bandura, A.(1977), Self-efficien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pp.191-215.
Baumeister, R. F. & Tice, D. M.(1985), Self-esteem and response to
success and failure: Subsequent performance and intrinsic

- 102 -
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53, pp.450-467.
Baumeister, R. F., Dori, A. & Hastings, S.(1998), Belongingness and
temporal bracketing in personal accounts of changes in
self-esteem, Journal od research in Persinality, 32, pp.222-235.
Bloch, P. H. & Richins. M. L.(1992), You Look "Marvelous" The
pursuit of beauty and the marketing concept, Psychology and
Marketing, 9, pp.3-15.
Cash, T. Hicks, K.(1990), Being fat versus thinking fat: Relations with
body image, eating behaviors and wellbeing,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5), pp.323-341,
Cash, T. F. & Pruzinsky, T.(2002), Body images: A handbook of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NY: Guilford Press.
Cash, T. and Smolak, L.(2011), Body images: A handbook of science,
practice and prevention, NY: Guilford Press.
Coakley, J.(2002), Using sports to control deviance and violence among
youths: Let's be critical and cautious, In M. Gatz, M. A.
Messener, & S. J. Ball-Rokeach(Eds), Paradoxes of Youth and
Sport, pp.13-40.
Coffman, E.(1961), "Identity kits" In M. E. Roach & J. B. Eicher(Eds),
"Dress, adornment, and the social order", New York: John
Wiley & Sons, p.246.
Fisher, S.(1986), Development and structure of the body image, 2(2),
Hillsdal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Goldberg(2000), J. L., McCoy, S. K., Pyszczynski, T. & Greenberg, J.,
The body as a source of self-esteem: the effect of morality
salience on identification with one's body, interest in sex, and
appearance monitor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1), pp.118-130.

- 103 -
Guralnik, M. J.(1981), Programmatic factors affecting child-child social
interactions in main streamed preschool programs, Exceptional
Children Quarterly, 1(4), pp.71-92.
Harre, R.(1991), Physical Being: A Theory for a Corporeal Psychology,
Oxford: Blackwell.
Harter, S.(1990), Self and identity development, In S. Feldman & G.
Ellott (Eds.), At the threshold: The developing adolescent ,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p.352-387.
Harter, S.(1999), The construction of the self: A developmental
perspective, NY:, Guildford.
Hurlock, E. B.(1978), Child development. McGraw-Hill Education
(India) Pvt Limited.
Jame, William(1890),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New Yok.
Kaiser, S. B.(1990),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2nd ed),
Fairchild Publications, New York; Macmillan Co, pp.174-175.
Kaiser, S. B.(1990),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ymbolic
Appearance in Context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New
York, pp.157-424.
Kaiser, S. B.(1990),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ymbolic
Appearance in Context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New
York, pp.157-424.
Leonard W. M.(1980), A sociological perspective of sport, Minneapolis,
MN: Burgess Publishing Company.
McCarthy, J. G.(1990), Plastic Surgery. Saunders Company, pp.1∼6.
Mcpherson, B. D.(1981), Socialization into the role of sport consumer,
A theory and casual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
Newman, B. M., Newman, P. R.(2011), Development through life:

- 104 -
A psychological approach(11th Ed), Belmont, CA: Wadsworth
Cengage Learning.
Robert, S. L.(1986), Behavioral Concepts and Critically Ⅲ Patients J.
New Jersey, Pretice-Hall Inc, pp.77-78.
Rosenberg. M.(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Rosenberg, M.(1979), Conceiving themself, New York : Basic Books.
Rudd N. A & Lennon S. J.(1994), "Aesthetics of body and social
identity theory. In M. Delong & A .M Fiore(Eds)", Aesthetics
of textiles and clothing: Advancing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Monument, CO: International Textiles and Apparel
Association, pp.163-175.
Rudd, N. A. and Lennon, S. J.(2000), Body imag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in college women,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8(3), pp.152-162.
Rudd, N. A. and S. J. Lennon.(2001), In Body Image: linking
aesthetics and social psychology of appearance,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19, pp.120-133.
Shim, S., Kotsiopulos, A. & Knoll, D. S.(1990), Short average-height,
tall and big men :Body-cathexis, clothing and retail
satisfactions and clothing behavior, Perceptual and Motor Skills,
70, pp.83-96.
Stanley Cooersmith(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n: W. H. Freeman, p.5.
Tompson, J.(1990), Boy Image Disturbance, Assessment and
Treatment, Pergamon Press.
Walker, H. M, Severson, H., Stiller, B., William, G., Haring, N., Shina,
H. & Todis, B.(1988), Systematic screening of pupils in the

- 105 -
elementary age range at risk for behavior disorders:
Development and trial testing of a multiple gaiting model,
Remedial & Special Education, 9(3), pp.8-14.
Willis, J. & Todarov, A.(2006), First impressions making up your mind
after a 100-ms exposure to a face, Psychological science, 17(7),
pp.592-598.
Wylie, R. C.(1979), The Self Concept: Theory and research on selected
topics, 2. Linco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 106 -
Abstract *232)

The Effects of Sociability, Body Image, Self-Esteem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Pyeong-Mi Kang

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s,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ea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il-Soon Park)

Interests in appearance are rising more and more because people


recognize appearance as social value recently, and a lot of time and
efforts has been invested to variou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so as to change own appearance into social, ideal beauty. It is because
modern people express their social presence by successfully executing
social roles required from the society through various social activities,
and recognize the value of appearance that is important external clue
to recognize and evaluate oneself and others, even though internal
ability is necessary as methods of adapting to the society.
This study tried to look into influencing effects to body image,

232)* A dissertation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in Clothing & Textiles Conferred in February 2017.

- 107 -
self-esteem,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ogether with effects of
body image and self-esteem to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by
subdividing social inclination of modern people.
Regarding research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March 25 to April 4, 2016 by objecting white colors of 20s~50s
lived in Seoul, Daejeon, Daegu, Busan, Jellanam-do, Gyeongnam, and
also total 556 questionnaires were used. In relation with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Test, ANOVA,
Dunnet T-Test, Tukey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xecuted by using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sam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exploratory factors on variables, 4
factors like accomplishment dominance, sociality, autonomy, activity
were come out from sociability, and 2 factors like appearance
orientation and appearance from body image, 1 factor from self-esteem,
and 4 factors like skin care behavior, Clothing behavior, hair care
behavior, body shape management behavior from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Second, sociality and activity appeared to affect positive influences
to appearance orientation, and autonomy affected negative influences,
and accomplishment dominance did not affect influences as a result of
analyzing effects of sociability to body image.
Accomplishmentt dominance affected positive influences to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ociability, autonomy did not affect influenc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effects of sociality on self-esteem,
sociability and autonomy turned up to affect positive influences to
self-esteem, and achievement dominance did not affect influences.
Fourth, accomplishment dominance affected positive influences to

- 108 -
Clothing behavior, and did not affect influences to skin care behavior,
hair care behavior, and body shape management behavior as a result
of analyzing effects of sociability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ociality affected positive influences to hair care behavior, Clothing
behavior, body management behavior, and did not affect influences to
skin care behavior. Autonomy appeared to affect negative influences to
al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ctivity affected positive
influences to skin care behavior, hair care behavior, Clothing behavior,
and did not affect influences to body management behavior.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effects of body image on self-esteem,
appearance satisfaction affected positive influences to self-esteem, and
appearance orientation did not affect influences to self-esteem.
Sixth, appearance orientation affected positive influences to al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ffected
positive influences to hair care behavior and Clothing behavior, but it
affected negative influences to body management behavior as a result
of analyzing effects of body image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eventh, as a result of analyzing effects of self-esteem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elf-esteem turned out to affect
positive influences to skin care behavior and Clothing behavior, and
affected negative influences to body management behavior, but did not
influence to hair care behavior.
Eighth, females were higher than males in average of skin care
behavior and body management behavior as a result of analyzing
variable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much
as the age was low, average of skin care behavior, Clothing behavior,
body management behavior, body image were high, and average of

- 109 -
activity was high in case of high ages. Unmarried persons were high
in average of sociability, skin care behavior, Clothing behavior, body
image, and married persons were high in average of activity. Average
of self-esteem in white colors and professional field together with that
of skin care behavior in sales, service and professional field were high.
Through above finding, a fact that social inclination affected body
image and self-esteem partially, and all factors of sociability affected
influences to Clothing behavior, and also autonomy belonged to factors
of affecting negative influences to al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could be known. Besides, office workers recognized Clothing
behavior and hair care behavior like most ordinary, effectiv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s the way of enhancing own value
and expressing positive image. Therefore, outcomes from this research
seem to be helpful to form social interaction of office workers and
newcomers in the society by suggesting factors which affected
influences to body image, self-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fter subdividing social inclination and also objecting modern
people who endeavored to achieve their goals through smooth human
relationship while adapting to various social life effectively in the
society where appearance was considered importantly.

Key word: Sociability (Accomplishment dominance, Sociality, Autonomy,


Activity), Body image (Appearance orientation,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kin care, Hair care, Clothing, Body management)

- 110 -
부록
ASPT
설 문 지 NO:

안녕하십니까? 본 설문은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에서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20∼50세
남녀직장인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것입니다.
귀하가 바쁘신 가운데 작성해 주신 본 설문지는 외모관리행동 연구에
소중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설문지는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 외모관리행동 관련한 문항
으로 모두 객관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작성에 약 5∼10분의 시간이
소요될 것입니다.
개인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는 모두 통계처리가 되어 개인 식별이 불가하
며, 본 연구의 목적 외에는 사용하지 않을 것입니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자
개인의 별도 장소에 보관하여 연구자 외에 자료가 노출되지 않을 것이며,
연구의 목적이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3년 간 보관 후 파쇄할 것입니다.

2016년 3월 24일

연 구 자 : 강 평 미(kpm7311@hanmail.net )
지도교수 : 박 길 순

동 의 서

본인은 위의 연구에 대한 안내사항을 이해하고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


작성에 참여하는 것을 통의 합니다.

2016년 월 일
이름 : (서명)

- 111 -
Ⅰ. 귀하의 신체이미지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는지 알아보기 위한 질문입니다.
당신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번호에 한 개만 √ 표 해주십시오.
전 보 매
신체이미지 문항 혀 아 통 그 우
아 니 이 렇 그
니 다 다 다 렇
다 다
1 남에게 항상 예쁘거나 멋있게 보인다는 것은 ① ② ③ ④ ⑤
내게 중요하다.
2 외출하기 전 화장과 옷 입는데 많은 시간을 보낸다. ① ② ③ ④ ⑤

3 나의 외모를 개선하기 위해 언제나 노력한다. ① ② ③ ④ ⑤

4 나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나의 용모를 점검한다. ① ② ③ ④ ⑤

5 나는 신체적 건강에 어떤 작은 변화도 쉽게 의식 한다. ① ② ③ ④ ⑤

6 그날의 차림새가 좋지 못하면 하루 종일 신경이 ① ② ③ ④ ⑤


쓰인다.
7 나는 신체적으로 매력이 있다. ① ② ③ ④ ⑤

8 나는 현재의 모습 그대로 좋아한다. ① ② ③ ④ ⑤

9 대부분의 사람들은 나를 멋지다고 여길 것이다. ① ② ③ ④ ⑤

10 나는 신체적 건강에 자신이 있다. ① ② ③ ④ ⑤

11 내 몸은 섹시한 매력이 있다. ① ② ③ ④ ⑤

Ⅱ. 귀하의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입니다.


당신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번호에 한 개만 √ 표 해주십시오.
전 보 매
외모관리행동 문항 혀 아 통 그 우
아 니 이 렇 그
니 다 다 다 렇
다 다
1 유행하는 헤어스타일을 따르는 편이다. ① ② ③ ④ ⑤

2 미용실 및 모발전문병원에서 모발, 두피관리를 받는다. ① ② ③ ④ ⑤

3 외출 시 헤어스타일에 많은 시간을 투자 한다. ① ② ③ ④ ⑤

4 커트, 퍼머넌트, 염색을 자주하는 편이다. ① ② ③ ④ ⑤

5 드라이기, 매직기 등을 자주 사용한다. ① ② ③ ④ ⑤

6 연예인의 헤어스타일을 따라 해본 적이 있다. ① ② ③ ④ ⑤

7 비싸도 고급기능성 헤어제품을 사용한다. ① ② ③ ④ ⑤

- 112 -
8 멋을 내기 위해 전체 또는 부분가발을 사용한다. ① ② ③ ④ ⑤

9 최신 유행하는 의복이나 액세서리를 구입한다. ① ② ③ ④ ⑤

10 옷을 고를 때 신체적 장점이 돋보일 수 있는 ① ② ③ ④ ⑤


스타일을 구입한다.
11 좀 불편하더라도 날씬해 보이는 옷을 고른다. ① ② ③ ④ ⑤

12 체형 보정을 위한 기능성 속옷을 착용한다. ① ② ③ ④ ⑤

13 옷을 잘 입는다는 애기를 듣기 위해 노력하다. ① ② ③ ④ ⑤

14 옷, 악세사리, 신발, 가방을 맞추려고 신경을 쓴다. ① ② ③ ④ ⑤

15 연예인, TV, 잡지 등에서 본 스타일을 따라 한 적이 있다. ① ② ③ ④ ⑤

16 유행하는 옷을 구입하는 편이다. ① ② ③ ④ ⑤

17 피부를 위해 화장품/세안제품 선택에 신경을 ① ② ③ ④ ⑤


쓴다.
18 스스로 각질제거, 마사지, 팩을 자주하는 편이다. ① ② ③ ④ ⑤

19 기능성 화장품(미백/모공/주름개선/썬크림/BB 등)을 ① ② ③ ④ ⑤


즐겨 바른다.
20 피부 트러블이 나면 신경을 많이 쓴다. ① ② ③ ④ ⑤

21 피부관리실(마사지, 모공, 미백관리)이나 ① ② ③ ④ ⑤


피부병원(레이저 시술)을 이용한 적이 있다.
22 유명브랜드나 수입브랜드 화장품을 주로 사용한다. ① ② ③ ④ ⑤

23 피부 관리기를 구매하여 직접 사용하는 편이다. ① ② ③ ④ ⑤

24 점, 잡티 제거를 한 적이 있다. ① ② ③ ④ ⑤

25 체형관리를 위해 음식을 적게 먹거나 안 먹기도 ① ② ③ ④ ⑤


한다.
26 체형관리를 위해 꾸준히 운동을 한다. ① ② ③ ④ ⑤

27 몸무계를 자주 재어본다. ① ② ③ ④ ⑤

28 다이어트 제품을 구매한 적이 있다. ① ② ③ ④ ⑤

29 평소에 비만에 대해 걱정한다. ① ② ③ ④ ⑤

30 체형관리를 위해 약물(이뇨제, 설사제, 살빼는 약)을 ① ② ③ ④ ⑤


먹은 적이 있다.

- 113 -
Ⅲ. 귀하의 사회성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입니다.
당신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번호에 한 개만 √ 표 해주십시오.

혀 그 매
그 렇 보 그 우
사회성 문항 렇 지 통 렇 그
지 않 이 다 렇
않 다 다 다

1 주위 사람들이 나를 활동적이라고 말한다. ① ② ③ ④ ⑤

2 나는 어떤 일이든 생각나면 곧 행동으로 실천한다. ① ② ③ ④ ⑤

3 주위 사람들은 나를 보고 놀 줄도 모르는 사람이라고 한다. ① ② ③ ④ ⑤

4 나는 하던 일을 빨리하고, 새로운 일을 하는 편이다. ① ② ③ ④ ⑤


5 나는 언제나 바쁘게 지내는 편이다. ① ② ③ ④ ⑤
6 내가 주도하여 모임이나 클럽을 만든 적이 있다. ① ② ③ ④ ⑤
남들에게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가르쳐 주기를
7 좋아한다. ① ② ③ ④ ⑤

8 모두들 망설이다가도 내가 하자고 하면 일을 할 때가 ① ② ③ ④ ⑤


많다.
9 친구들과 어울릴 때 내가 주로 앞장선다. ① ② ③ ④ ⑤

10 내 친구들은 내 생각을 귀 담아 들어준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나와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을 설득하여
11 ① ② ③ ④ ⑤
내 편으로 만드는 성향이 있다.
12 나는 친구들과 어울리면서 내 의견이 채택되도록 한다. ① ② ③ ④ ⑤

13 나는 남을 리드할 수 있는 지도자가 될 자신이 있다. ① ② ③ ④ ⑤

14 나는 어느 곳에서든 거리낌 없이 내 의견을 발표한다. ① ② ③ ④ ⑤

15 대기업의 평사원보다는 작은 회사의 간부가 되고 싶다. ① ② ③ ④ ⑤

16 나는 수줍음이 많아서 걱정이다. ① ② ③ ④ ⑤

17 나는 처음 만나는 낯선 사람과도 잘 어울린다. ① ② ③ ④ ⑤

18 나는 되도록 많은 친구를 사귀려고 한다. ① ② ③ ④ ⑤

19 주위사람들이 나를 사교적이라고 말한다. ① ② ③ ④ ⑤

20 처음 만나는 사람들과 대화를 자연스럽게 나눌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21 주위 사람들이 나를 독립심이 강한 사람이라고 한다. ① ② ③ ④ ⑤

22 무슨 일이든지 스스로 결정을 내릴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23 나는 규칙을 스스로 잘 지키면서 행동하는 편이다. ① ② ③ ④ ⑤

- 114 -
24 나는 남에게 의존하려는 때가 있다. ① ② ③ ④ ⑤
나는 지시하지 않으면,
25 ① ② ③ ④ ⑤
자발적으로 하지 못하는 성격이다.
3, 16, 24, 25은 역 문항 힘.

Ⅳ. 귀하의 자기자신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입니다.


당신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번호에 한 개만 √ 표 해주십시오.
전 매
혀 아 보 그 우

자아존중감 문항 아 니 렇 그

니 다 다 다 렇
다 다
나는 내가 다른 사람들처럼 가치 있는
1 ① ② ③ ④ ⑤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2 나는 좋은 성품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① ② ③ ④ ⑤
3 나는 대체적으로 실패한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 ① ② ③ ④ ⑤
4 나는 다른 사람들만큼 일을 잘 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5 나는 자랑할 것이 별로 없다. ① ② ③ ④ ⑤
6 나는 내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 ① ② ③ ④ ⑤
7 나는 내 자신에 대하여 대체로 만족한다. ① ② ③ ④ ⑤
8 나는 내 자신을 좀 더 존중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① ② ③ ④ ⑤
9 나는 가끔 내 자신이 쓸모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① ② ③ ④ ⑤

10 나는 때때로 내가 좋지 않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① ② ③ ④ ⑤

3, 5, 8, 9, 10은 역 문항 임.

Ⅴ. 귀하의 일반적 사항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와 관련된 항목에 √ 표시 해


주십시오.

1. 귀하의 성별은?
① 여자 ② 남자
2. 귀하의 연령대는?
①20대 ② 30대 ③ 40대 ④ 50대 이상

3. 귀하의 결혼여부는?
① 미혼 ② 기혼 ③ 기타

4. 귀하의 최종학력은?
① 고졸이하 ② 대학생 ③ 전문대 졸업 ④ 대학졸업 ⑤ 대학원이상

- 115 -
5. 귀하의 직업은 무엇입니까?

① 판매/서비스직 ② 사무직/관리직 ③ 전문직 ④자영업/사업

⑤ 생산/기술직 ⑥ 공무원 ⑦ 전업주부 ⑧ 기타

6. 귀하의 월 평균수입(용돈 및 아르바이트비 포함)은?

① 100만원 미만 ② 100만원 이상~200만원 미만


③ 20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 ④ 300만원 이상~400만원 미만
⑤ 40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 ⑥ 500만원 이상
7. 귀하의 거주지는?

① 서울 ② 대전 ③ 대구 ④ 부산 ⑤ 전라도 ⑥ 경남

설문에 응답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116 -
감사의 글

마무리할 수 없을 것 같았지만 졸업이라는 끝맺음을 할 수 있게 되어서


너무나 죄송스럽지만 행복합니다. 졸업할 수 있게 도와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먼저 부족한 저를 끝까지 세심하게 지도해주시고 이끌어 주시면서 학자
와 교육자로써의 자세를 몸소 보여주신 박길순 교수님께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드립니다.
저의 논문이 더욱 견고해지도록 꼼꼼히 지도해주시고, 심사해주신 이영
선 교수님, 김한나 교수님, 이주연 교수님, 손향미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
사드립니다. 대학원 생활동안 많은 가르침을 주신 김재숙 교수님, 박춘순
교수님, 홍경희 교수님, 이정순 교수님, 최윤미 교수님께도 감사드립니다.
아울러 저의 논문이 나오기까지 격려해주신 이연희 교수님께도 감사드립니다.
본 논문을 진행할 수 있도록 많은 도움을 주신 유은성 선생님과 항상
큰 언니처럼 따뜻하게 대해주시고, 격려해주신 김선미 선생님께도 감사드
립니다. 전적으로 언제나 나를 지지해주고, 보살펴주고, 꾸짖어 준 정현주,
윤영애, 전귀희, 전희선 언니께도 감사드립니다. 막연히 미용을 시작하게
되었는데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미용을 사랑하는 마음을 갖도록 해주신
신성득 원장님, 사이리 원장님, 송부자 교수님, 하준호 사장님께도 감사드
립니다.
논문을 준비하면서 여러 차례 좌절의 위기가 있었지만 항상 격려해주
고, 위로해주고, 용기를 준 절친 이은영 선생님, 류광록 선생님께도 감사
드립니다. 힘들때마다 두 분이 늘 제게 힘을 주었기 때문에 끝까지 최선
을 다할 수 있었던 같아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저에게 늘 힘이 되어준 부모님, 형제, 조카들에게도 감사하며, 가정에
조금은 소홀함이 있었지만 늘 옆에서 격려해주고, 많은 도움을 준 남편
이원규씨와 나의 첫사랑이자 보배인 아들 성현, 애교가 철철 넘치는 귀염
둥이 딸 민교에게도 고마움을 전합니다.
마지막으로 끝없는 헌신과 아낌없는 사랑으로 저희 가정을 보살펴주신
엄마 문덕순 여사께 진심으로 감사하고, 존경하며, 사랑합니다.

2016년 12월 강평미 드림

- 117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