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2

제 89 회 박사학위논문

지도교수 이 견 실

보도사진에 나타난 비주얼 텍스트 유형 추출


-‘위험’주제를 중심으로-
Survey of Types of Visual Texts in Newspaper Photographs
- Focusing on the Theme of ‘Danger’ -

중앙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전공
김 은 정
2011년 8월
보도사진에 나타난 비주얼 텍스트 유형 추출
-‘위험’주제를 중심으로-
Survey of Types of Visual Texts in Newspaper Photographs
- Focusing on the Theme of ‘Danger’ -

이 논문을 박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11년 8월

중앙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전공
김 은 정
김은정의 박사학위 논문으로 인정함

심사 위 원 장 인

심 사 위 원 인

심 사 위 원 인

심 사 위 원 인

심 사 위 원 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년 8월
목 차

제 1장 서론 ········································································································· 1

제 2장 이론적 배경 ························································································ 4
제 1절 텍스트의 이해 ······················································································· 4
1. 매체와 텍스트 ···························································································· 4
2. 보도내용으로써의 텍스트 ········································································ 7

3. 언어적 텍스트와 비주얼 텍스트의 독법 ············································ 11


제 2절 조형과 지각 ························································································· 21
1. 지각과 이미지 ·························································································· 21
2. 기호로써의 조형 ······················································································ 28
3. 플로슈의 조형 범주화 ·········································································· 30

제3장 유형 추출을 위한 분석틀 설계 및 검증 ····························· 37


제 1절 비주얼 텍스트 유형화를 위한 고찰 ··············································· 37

1. ‘위험’주제 보도사진의 이해 ································································· 37


2. 유형화의 발전사 고찰 ············································································ 43
3. 비주얼 텍스트의 유형화 탐색 ······························································ 47

제 2절 유형 분석을 위한 분석틀 설계 ······················································· 52


1. 가설적 분석틀 ·························································································· 52
2. 연구대상 및 범위 ···················································································· 56
3. 분석틀의 적용 ·························································································· 61

- i -
제4장 비주얼 텍스트의 유형 추출을 위한 분석 ··························· 64
제 1절 분석결과에 따른 유형추출 ······························································· 64
1. 위상범주 ···································································································· 64
2. 색채범주 ···································································································· 76

3. 형태범주 ···································································································· 82
4. 추출된 기본유형의 요약 ········································································ 87
제 2절 범주별 분석 결과 및 검증 ······························································· 91

1. 범주의 관계성에 따른 ‘관계유형’추출 ··············································· 91


2. 추출된 관계유형의 요약 ····································································· 110
3. 분석결과에 따른 유형 검증 ····························································· 114

제5장 결론 ···································································································· 126

참고문헌 ··········································································································· 129

부 록 ··········································································································· 134

국문초록 ··········································································································· 170

ABSTRACT ··································································································· 172

- ii -
표목차

<표 1> 유형분석을 위한 ‘가설적 분석틀’의 세부항목 ······························· 55


<표 2> 보도사건 주제별 수집자료 ································································· 59
<표 3> 가설적 분석틀에 의한 유형 구분 ····················································· 62
<표 4> 비주얼 텍스트 유형추출을 위한 분석틀 ········································· 63
<표 5> 중심성 텍스트의 평면적 조형구도 분석 ········································· 68
<표 6> 주변성 텍스트의 평면적 조형구도 분석 ········································· 72
<표 7> 복합성 텍스트의 평면적 조형구도 분석 ········································· 75
<표 8> 평면적 조형구도 분포 비율 ······························································· 75
<표 9> 색채범주의 비주얼 텍스트 분석 ······················································· 81
<표 10> 사건 주제별 형태범주 분석 ····························································· 83
<표 11> 비주얼 텍스트 유형 분류-범주별 ·················································· 91
<표 12>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행위 텍스트 비율 ································· 92
<표 13>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상태 텍스트 비율 ································· 94
<표 14>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 행위 텍스트 비율 ································· 95
<표 15>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 상태 텍스트 비율 ································· 96
<표 16>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 행위 텍스트 비율 ································· 98
<표 17>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 상태 텍스트 비율 ································· 99
<표 18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 행위 텍스트 비율 ······························· 101
<표 19>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 상태 텍스트 비율 ······························· 102
<표 20> 복합성의 고명도 행위 텍스트 비율 ············································· 104
<표 21> 복합성의 고명도 상태 텍스트 비율 ············································· 106
<표 22> 복합성의 저명도 행위 텍스트 비율 ············································· 107
<표 23> 복합성의 저명도 상태 텍스트의 비율 ········································· 109
<표 24> ‘관계유형’의 분석 ············································································ 113

- iii -
그림 목차

<그림 1> 플로슈, 기복/평평함의 대조 ··························································· 32


<그림 2> 플로슈, 면들의 위상적 관계 ·························································· 33
<그림 3> 플로슈, 위상적 관계 ········································································ 34
<그림 4> 유형추출을 위한 분석틀 구성도 ··················································· 53
<그림 5> 신문·잡지 구매결정 수요 경향분석 ·············································· 56
<그림 6> 위상범주 연구를 위한 주제기호 집중도 분석틀 ······················· 65
<그림 7> 동아일보-‘칠레 광산매몰’사건 ······················································· 66
<그림 8> 칠레, ‘칠레 광산매몰’사건-위상범주 분석 ································· 66
<그림 9> 미국, Statesman Journal-‘9·11 테러’사건, 위상범주분석 ···· 67
<그림 10> 루마니아, Informatia Zilei-‘동일본 대지진’사건 ··················· 69
<그림 11> ‘동일본 대지진’사건-위상범주 분석 ·········································· 69
<그림 12> 레바논, An Nahar-‘이라크 전쟁’사건 ······································ 71
<그림 13> ‘이라크 전쟁’사건-위상범주 분석 ·············································· 71
<그림 14> 오스트레일리아, Morning Herald-‘이라크 전쟁’사건 ··········· 73
<그림 15> ‘이라크 전쟁’사건-위상범주 분석 ·············································· 73
<그림 16> 미국, Seatle Times-‘이라크 전쟁’사건 ··································· 74
<그림 17> ‘이라크 전쟁’사건-위상범주 분석 ·············································· 74
<그림 18> 위상범주 내의 평면적 조형구도 분포 비율 ··························· 76
<그림 19> 색채범주 연구를 위한 저명도 점유도 분석틀 ························· 78
<그림 20> 저명도 점유도 분석을 위한 이미지프로세싱 전,후 ················ 79
<그림 21> 고명도 텍스트의 이미지프로세싱 과정 ····································· 80
<그림 22> 저명도 텍스트의 이미지프로세싱 과정 ····································· 80
<그림 23> 위상범주내의 색채범주의 분석 ··················································· 82
<그림 24> 상태성 텍스트-‘동일본 대지진’사건 ·········································· 85
<그림 25> 상태성 텍스트-‘이라크 전쟁’사건 ·············································· 86

- iv -
<그림 26> 행위성 텍스트-‘칠레 광산매몰’사건 ·········································· 87
<그림 27> 위상범주 분석-사건별 ·································································· 88
<그림 28> 색채범주 분석-사건별 ·································································· 89
<그림 29> 형태범주 분석-사건별 ·································································· 90
<그림 30>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행위 텍스트 분석과정 ····················· 93
<그림 31>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상태 텍스트 분석과정 ····················· 94
<그림 32>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 행위 텍스트 분석과정 ····················· 96
<그림 33>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 상태 텍스트 분석과정 ····················· 97
<그림 34>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 행위 텍스트 분석과정 ····················· 99
<그림 35>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 상태 텍스트 분석과정 ··················· 100
<그림 36>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 행위 텍스트 분석과정 ··················· 102
<그림 37>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 상태텍스트 분석과정 ····················· 103
<그림 38> 복합성의 고명도 행위 텍스트 분석과정 ································· 105
<그림 39> 복합성의 고명도 상태 텍스트 분석과정 ································· 107
<그림 40> 복합성의 저명도 행위 텍스트 분석과정 ································· 108
<그림 41> 복합성의 저명도 상태 텍스트 분석과정 ································· 109
<그림 42> 관계유형의 점유율 분석 ····························································· 111
<그림 43> 기본유형의 확장 구조 ································································· 114
<그림 44> 위상범주가 색채범주를 포함하는 유형 ··································· 120
<그림 45> 색채범주가 위상범주를 포함하는 유형 ··································· 121
<그림 46> 색채범주와 위상범주가 일치, 불일치하는 유형 ··················· 122

- v -
제 1장 서론

다양한 미디어의 발달로 오랫동안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의 중심적인 역할을


해왔던 신문 산업은 급격히 위축되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자구책으로서
독자의 눈길을 끄는 지면 이미지는 신문의 경쟁력을 높여주는 중요한 요소로
부각 되었다. 이후, 인터넷의 대중화와 함께 신문 산업은 다시 위기를 맞게
되었고, 최근에는 시간적 공간적으로 더욱 자유로워진 개인 미디어의 발달로
또 다른 국면을 맞게 되었다.
세계적인 유력지가 새로운 개인 미디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등 신문은 전통적인 인쇄 미디어에서 디지털 미디어로써의 부활이 예견되고
있다. 그동안 '종이'라는 한계에 갇혀 있던 인쇄 미디어가 7~10인치의 넓은
화면을 가진 휴대용 전자기기를 통해 풍부한 이미지와 동영상이 함께 제공되
는 새로운 방법으로 독자들과 만나고 있다. 이렇듯 우리는 정보 이미지의 시
대에 살고 있다. 어느 곳을 가나 이미지가 범람하며, 대중들은 문자보다는 눈
으로 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영상매체에 이미 익숙해져 있다.1) 그렇기 때
문에 이미지에 대한 독법 연구는 이를 생성하는 생산자나 수용자하는 독자에
게 큰 과제를 부여한다. 특히 사회적인 영향력이 큰 보도사진의 경우에는 더
욱 큰 연구 가치와 책임을 갖게 한다고 볼 수 있다.
우리가 일상에서 접하는 보도사진이 중요한 것은 사진이 사회적 이미지를
형성하고, 특정한 현상이나 사건에 대한 구체적 이미지를 형상화하여 독자에
게 사회에 대한 생각의 틀을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사진이 저널리즘과 접목
되어 보도사진으로서 사회적 역할을 하면서2), 사진의 현실 반영적 인식은 저

1)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실시한 2008년 언론수용자 의식조사조사(전체 사례 수: 2,984건)에 의하


면 신문평균 열독시간은 15분 이하 11.9%, 16분~30분 47.7%, 31~45분 21.3%, 61분 이상
6.1%였으며, 신문평균 열독분량은 전체의 4분의1이하 22.4%, 전체의 2분의1정도 30.0%, 전체
의 4분의3정도 23.4%, 거의 전 지면을 읽는다가 0.6%였다. 독자가 신문을 보는 습관 및 시간
등을 고려해 볼 때 누구나 이해하기 쉽고 접근 가능한 이미지의 기능과 역할이 강조되고 그 영
역이 확대되고 있는 시점이다.
2) 사진 한 장이 독일의 ‘68혁명’, 대한민국의 ‘4.19혁명’, ‘6월민주항쟁’의 단초가 되었다. 이 사진들
은 우리에게 무엇을 보여 주였고, 그리고 왜 행동하게 했을까? 20년이라는 시간적 차이와 독일과

- 1 -
널리즘의 기준인 객관성 원리와 결합되어 보도사진은 객관성 원리를 따르는
전형적인 매체라는 인식이 생겨난 것이다. 우리가 사진에 나타난 사물의 모
습을 사실 그대로의 재현이라고 믿는 것은 사진이 갖는 기계적 복사의 이미
지나 기술적인 조작으로 생성된 것에 대한 무조건적인 인식이 만들어 낸 결
과이다. 하지만 언론의 사회적 영향력이 증가됨에 따라 보도사진은 가치중립
적이고, 객관적이며 사실을 있는 그대로 반영한다는 믿음에 대해 의구심을
갖게 된다. 아울러 대중매체의 상업화 경향은 다양한 이해관계에 따라 객관
적 사실을 축소, 확대, 왜곡하기도 한다. 여기에서 사진은 그것이 나타내고자
하는 대상(피사체)의 시각적 유사성 때문에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사진이 보
도 되는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왜곡과 편향을 간과하도록 만들기도 한다.
이러한 의도된 영향은 사진이 현실을 그대로 반영한다는 믿음으로 인해 독
자에게 그대로 믿음을 주고, 만일 그것이 감정에 직접 호소하는 자극적인 내
용이라면 더욱 강한 신뢰를 주게 된다.3) 그렇다면 현실 반영이라는 객관성을
유보하고, 작가의 의도 혹은 편집자(언론사)의 의도─상업화된 대중매체의 이
해관계에 의한─에 따라 보도사진은 조작과 과장 그리고 왜곡될 가능성이 잠
재된 매체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일상 사진 촬영에서도 이러한 예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공식행사를 마친
정치인들이 2열, 3열 횡대의 배열로 촬영에 임하면서 중앙에 서기 위해 자리
다툼을 한다거나, 청와대의 포토데이를 따로 두고 연출된 대통령 동정을 촬
영하는 것은 찍힌다는 의식 하에 의도된 행위이다. 또한 졸업식 등 개인의
행사에서도 셔터를 누르는 자가 다른 사람들의 자리를 이동시키거나, 앵글을
바꿔가며 셔터를 누르는 행위는 이미 카메라의 뷰파인더를 통해 보는 세상에
대한 의도이다. 또한 신문은 보도, 지도, 오락, 광고기능을 가진 커뮤니케이션

한국이라는 공간적, 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장의 보도사진이 유사한 느낌으로 다가오는 이


유는 무엇일까? 라는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독일의 ‘68혁명’은 1968년 학생운동을
계기로 독일 사회가 성장하는 계기가 된 독일 학생문화혁명이다.
3) 민주화항쟁의 도화선이 되었던 ‘이한열사건’ 보도사진의 경우, 사진의 의도와 가치는 당시 (1987
년)의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이 발생한지 얼마 되지 않은 시기였으며, 이미 민주화에 대한 열망과
거리 시위라는 의미가 공유되어 있었기 때문에 보도사진이 한 시대의 시민들을 행동하게 만든 기
폭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었던 것이다.

- 2 -
의 형태 중 하나이며, 타 매체 커뮤니케이션의 기능과 크게 다르지 않다. 객
관성, 중립성 등의 사회적인 책임이 강조되고 있기는 하지만, 사회적 현실이
반영된 보도성향을 나타낸다는 많은 뉴스 연구 결과 및 사회적인 인식을 감
안해 보면 신문에서 전달되는 메시지는 생산자의 의도를 배제할 수 없는 매
체임에 틀림없다.
보도기사는 언어적인 표현 방식을 통해 독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고, 보도
사진은 시감각적인 방식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한다는 표현방식에 따른 차이
가 있을 뿐 보도의 도덕성이나 책임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가치가 부여된다.
보도사진은 시각적인 언어이며, 의도를 가진 언어이다. 이러한 이유로 보도사
진의 비주얼 텍스트 구성은 의도를 가진 시각적 표현 형식의 구조라고 이해
할 수 있다.
최근의 보도사진 연구들은 언어적인 측면과 시각적인 측면의 상관성을 논
하면서 시각적인 측면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여전히 카메라를 통한
기계적 약호(카메라 앵글, 거리, 위치, 조명 등) 분석이나 사진에 나타난 의미
구조, 의미 해석에 중심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진 표현면의 구
조적 분석을 시도해 보려 하였으며, 이것은 언어적 텍스트 주제가 선명하게
드러나는 것처럼 비주얼 텍스트의 시각적 주제가 독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
달되도록 하고, 비주얼 텍스트 생산자의 텍스트 기반 생성에 중요한 구실을
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에 기인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주얼 텍스트 연구의 이론적 기틀 마련을 위한, 보도사
진의 시각적 유형추출을 하는데 있다. 이는 보도사진을 문법차원에서 연구하
는 것이며, 문법은 “문장의 결합과 단어 형식의 변화를 위한 언어의 규칙”4)
으로 언어의 구성 및 운용에 일정한 규칙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도
사진 또한 내용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까닭에 언어범주에 포함되며, 시각적
유형 또한 언어의 규칙 속에 잠재되어 있을 것으로 가정된다.

4) A. S. Hornby,『Oxford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of Current English』, English ed.,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p.675.

- 3 -
제 2장 이론적 배경

제 1절 텍스트의 이해

1. 매체와 텍스트

매체(媒體)란, “많은 사람들이 텔레비전, 라디오, 신문 그리고 인터넷을 이


용하여 정보나 오락을 수신하는 주된 방법”5)으로, “기호를 담아서 전달하는
역할을 부여받은 모든 것”6)을 포함한다. 즉, 어떤 의사나 사실을 전달하는 도
구로써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 정보와 지식을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수단이다.
우리는 일상에서 의식 또는 무의식적으로 수많은 매체와 접하고 있음에도 불
구하고 매체가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서는 간과할 때가 많으며, 그것은 이미
매체가 우리 생활에 깊숙이 자리하고 있어 우리들이 자각하고 있지 않기 때문
이다. 현 시대의 매체는 의도하지 않아도 우리의 감각을 통해 의식과 소통하
고 있고, 출근길 버스에서 듣는 라디오, 아침마다 보는 신문, 무심코 켜놓는
TV, 그리고 인터넷 매체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렇듯 매체의 발달은 기존
의 매체에 발전된 형태의 새로운 매체가 추가되는 정도를 넘어 삶의 방식을
바꿀 정도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매체 표현방식도 달라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매체의 발달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미지와 관련된 ‘영상매
체’의 고찰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근대적 의미의 미디어 발달 이론에 따라 미디어의 1세대는 사진과 영화이
며 벤야민(W. Benjamin)이 대표적인 이론가이다. 벤야민은 현대성을 규정하
는 기준은 미디어의 속성이 중요하다고 주장하면서 미디어 이론의 기틀을 마
련했고 오늘날까지도 많은 토론거리를 제공하고 있다.『기술복제시대의 예술
작품』에서 매체 기술의 발달과 함께 신문·광고 등의 문화가 확산되어 가면서

5) A. S. Hornby, 앞의 사전 p.955.
6) 坂本百大, 記號學大事典, 栢書房株式會社, 2002, p.406.

- 4 -
인간의 읽기 행위가 이미지적, 단속적, 충격적, 촉각적 성격을 띠게 될 것이라
고 하였는데 그것은 매체기술이 가지고 오게 될 파장에 대한 예견이었다.7)
2세대 매체로 TV와 라디오를 들 수 있으며, 귄터 안더스(G. Anders)와 마
샬 맥루한(H. M. Mcluhan)등이 대표적 이론가이다. 안더스는 텔레비전과 같
은 영상매체를 통한 지각은 오히려 실제의 감각을 퇴화시켜 수용자로 하여금
텔레비전이 보여주는 이미지만 수용하는 수준으로 퇴화 시킬 것이라고 예견
했으며, 맥루한은 텔레비전이 인간의 감각을 발달시키리라는 긍정적인 측면
을 강조했다.
3세대는 매체는 인터넷과 컴퓨터이며, 빌렘 플루서(V. Flüsser)가 대표적
이론가로서 즉각적 감각과 매개된 감각 사이의 존재론적 차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플루서에 따르면 진짜와 가상의 차이는 질적 차이가 아니라, 픽셀
의 조밀함에 따른 양적 차이에 불과하기 때문에 육안으로 본 세계와 매체를
통해 본 세계 사이의 차이가 사라지는 시대가 이미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플
루서는 매체를 담론적 매체들과 대화적 매체들로 구분했으며, 전자는 코드화
된 메시지를 송신자의 기억에서 수용자의 기억으로 일방적으로 흐르게 하는
매체들이고, 후자는 코드화된 메시지가 다양한 기억들 간에 교환되도록 하는
매체들이라 포괄적으로 규정했다. 또한 대화의 목적은 새로운 정보를 창조하
는 데 있으며, 담론의 목적은 기존의 정보를 배분하는 것이라 정의한 반면,
담론들은 정보를 분명하게 흐르도록 하기 때문에 기능적으로 진보적이며 때
로는 폭력적으로 진보적인 특징을 가질 수 있다고 보았다.8) 인터넷과 컴퓨터
의 발달과 함께 전자매체의 혁명으로 일컫는 전자신문이 개발되기 시작했으
며, 1999년 IBM이 3세대 매체에 관련된 디자인 개발을 완료하기도 하였
다.9)
현시대에는 새롭고 놀라운 매체가 속속 등장하고 있지만 인류 최초의 매체
는 인간의 느낌이나 생각을 나타내는 기호이면서 또한 그것을 전달하기 위해

7) Walter Benjamin, 최성만역,『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길(박우정), 2007, p.7.


8) Vilem Flüsser, 김성재역,『코무니콜로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pp.290-292.
9) Beate Sieweke,『Bibliothecae Quo Vadis?-Herausforderungen an die Bibliothek von
morgen』, B.I.T. Innovationsforum 2005 Verlag Dinges & Frick GmbH, p.116.

- 5 -
만들어진 매체의 기본 단위인 언어이다. 이런 점에서 기호와 매체는 다르지
않으며 매체의 내용은 ‘기호내용(Signified)’이며 매체 자체는 ‘기호표현
(Signifier)’으로 볼 수도 있다.10)
매체의 발달에 있어 인터넷의 등장은 전통적인 매체의 전송수단과 표현수
단의 간극과 관계의 질(質)을 좁히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특히 초고속 광
케이블에 기초한 통신망을 통해서 신문, 잡지, 라디오, 텔레비전이라는 다양
한 표현 수단이 하나로 집약되었고, 그러한 매체는 장소의 제약 없이 접근가
능해졌다. 출판과 방송으로 구분되었던 전송수단이 인터넷이라는 하나의 전
송수단으로서 통합되었고, 이렇게 통합된 전송수단은 대부분의 표현수단과
연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른바 매체의 융합현상이다. 디지털화된 매체는
통합된 전자기기를 통해 매체간의 경계가 사라지는 현상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러한 통합적 매체는 우리의 삶을 가히 혁명적으로 변화시켰지만, 매체를
통해 얻은 정보와 지식의 ‘양적’부분이 ‘질적’부분을 앞서는 부정적인 측면도
지적되고 있고, 이러한 지적은 곧 지식의 ‘분절화’가 통합매체를 통해 속속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오늘날 디지털 매체가 중심이 되는 뉴미디어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들의 감각
과 성향도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인간이 전적으로 자연에 의존해 생활할 때
는 에스키모족이나 인디언들이 그러했듯이 지금보다 다양한 능력과 예민한
감각으로 미세한 변화도 감지 가능했지만 문명사회로 접어들기 시작하면서
이러한 인간의 능력이 퇴화되기 시작했는데 이것은 매체의 발달로 인해 감각
이 변화했기 때문이다. 이렇듯 매체는 우리의 표면적인 삶의 방식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나아가 우리의 가치 판단과 사유에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시
청자는 그 중 어느 것도 흘려버리거나 잊지 않는다. 그런 것들은 마음속에
깊이 간직되어 한 개인의 세계에 관한 지식을 쌓아두는 종합은행을 형성하게
된다.”11)는 토플러(A. Toffler)의 말은 뉴미디어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매체의 영향력과 책임에 대한 진지한 논의를 요구한다.

10) 박정순,『대중매체의 기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머리말.


11) Alvin Toffler, 이규형역,『권력이동』, 한국경제신문사, 1990, p.474.

- 6 -
매체이론가로서의 맥루언의 사상은 매체연구의 구심점이 된다. 그에 따르
면 매체는 단순한 대중매체가 아니라 인간이 고안한 도구나 기술까지 포함하
는 개념이고, 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메시지는 단순히 소리와 이미지의 내용
적인 것이 아니라, 세계관의 변형이다. 즉 인간의 인식 패턴과 의사소통의 구
조, 나아가 사회 구조 전반의 성격을 결정짓는 것으로 주장했다. 맥루언의 이
런 통찰은 매체가 단순한 정보 전달 장치가 아닌 복잡한 인식론적, 존재론적
개념으로서 철학적인 검토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12). 요약하면, 매체
는 우리 삶의 환경을 규정하고 있고, 결국 인간, 매체, 세계는 한 맥락으로
연결되며, 매체를 통한 감각기관의 확장이 우리의 지각구조를 변형시켜, 궁극
적으로 경험의 총체적 변화를 야기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매체는 항상 우리에게 무엇이가를 전달하는데, 그것이 메시지이며
텍스트이다. “전달적 시각에서 메시지는 송신자가 전달하는 정보내용을 말하
는 것이지만, 기호학적 접근 시각으로 보자면 메시지는 수신자와 상호작용을
통하여 의미를 생산하는 기호의 구조물이다.”13) 즉 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메
시지는 무의미하지 않고 지향성(志向性)과 상관성이 포함된 텍스트이기 때문
에 반드시 드러나는 의미가 있고 텍스트를 어떤 구조로 구성하는지에 따라
그 의미는 전혀 다른 모습일 수 있다. 하지만 텍스트가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든지 이는 텍스트생산자와 텍스트수용자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매
체적 기능을 하고 있는 것이다.

2. 보도내용으로서의 텍스트

텍스트를 대상으로 하는 논의의 출발점은 당연히 ‘텍스트(Text)’14)라는 용


어 자체일 것이다. 모든 연구에서 그러하듯이 연구 대상의 개념이 분명해야
만 그 연구 대상에 대한 공동 인식의 기반 위에서 다양한 연구 방법을 적용
하여 대상의 실체에 좀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학문 분야의 텍스

12) 박영욱,『매체, 매체예술 그리고 철학』, 향연, 2008, p.19.


13) 박정순, 앞의 책, p.15.
14) 라틴어 ‘Textere'의 파생어로로 , 어떤 것들이 상관성을 가지고 짜여져 있음을 가리킨다.

- 7 -
트 개념을 고찰하여 이해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인 비주얼 텍
스트 유형의 이론적 체계 확립에 매우 중요한 단초가 될 것이다.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텍스트라는 말은 흔히 어떤 책의 ‘본문’, 연극의 ‘대
본’, 외국어 학습을 위한 ‘교과서’ 등을 ‘텍스트’라고 한다. 텍스트의 의미를
국어대사전15)에는 다음의 여섯 가지 뜻으로 풀이하고 있다. 1) “삽화, 도해
등에 대한 인쇄 자구(字句)”로서 삽화나 그림 등에 붙인 보충설명을 가르키
며, 2) “주석, 번역, 서문 및 부록 등에 대한 본문(本文) 또는 원문(原文), 원
전(原典)” 등으로 앞부분과 뒷부분 또는 주(註)까지를 제외한 서적의 주요 부
분을 말하며, 일상적 텍스트는 대체로 이런 뜻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3)
“토론, 연설 등에 있어서의 제목 또는 주제, 논제(論題)” 등을 의미하며, 4)
“라디오 등의 강의, 강연 등의 개략, 골자를 기록한 인쇄물”과, 5) 연극용어
로서 “각본, 상연 대본” 등을 가리키며, 6) “텍스트북의 준말”로서 교과서를
뜻한다. 일상적인 용법에서는 위와 같이 여러 뜻으로 사용되지만 일반적으로
‘본문’의 뜻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텍스트에 대한 컨셉이나 표현에 대한 연구는 문화적으로 혹은 학문적 전
통에 따라 그 생성기준이 달라질 수는 있겠으나 보편적으로 20세기 중후반
텍스트 이론에 대한 학문적 관심에 의해 형성됐다고 본다.”16) 텍스트는 보는
관점에 따라 규정하는 방식이 학자들 간에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먼저
학문적 영역을 구분해 텍스트의 개념을 고찰한 바, 기호학자들은 다른 학문
영역에 비해 텍스트 개념을 폭넓게 적용하고 있으며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매
우 광범위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들은 텍스트를 세상의 모든 것을 가리키
는 개념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문예물을 비롯하여 대중문화, 광고, 유행,
실내장식이나 도시계획에 이르기까지 텍스트의 범주로 포함하였으며, 그것은
텍스트 생산자에 의해 이미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산물이기 때문에 텍스트로
간주할 수 있다는 이유를 들고 있다. 따라서 저널리즘, 추상적인 현상 및 뉴

15) 이희승편,『국어대사전』, 민중서림, 1994, p.4004.


16) Ludwig Morenz, Stefan Schorch,『Was ist ein Text? Alttestamentliche, ägyptologische
und altorientalistische Perspektiven』,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07,
Einleitung p.5

- 8 -
스의 사건 등도 기호학적 관점으로는 텍스트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이다.
기호학적 시각으로 “텍스트는 기호가 어떠한 지향성을 가진 채 서로 관계
지어진 장(Field)이다. 관계라고 하는 것은 기호들이 서로 기능하는 최소한의
통사를 일컫는다. 처음과 끝이 어디인지 잘 보이지 않는 텍스트라 해도 잘
보이지 않을 뿐 텍스트는 그 자체로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러한 텍스트 속에
서는 기호의 관계 또한 느슨한 채로 남아 있겠지만 기호는 어떠한 지향성을
지닌 채 관계화하고 있다.”17) 이러한 시각으로 개념화된 텍스트의 의미는 기
호 개념과의 구분을 ‘지향성’에 둘 수 있다.
언어학자들은 텍스트를 언어 정보의 범주로 제한하고 언어체계 지향적인
방향, 통보지향적인 방향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전자는 언어의 일반적인
원칙을 찾아내어 체계화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고, 후자는 화용론을 기반
으로 발전되어 텍스트의 통보(通報)18)기능을 연구한다. 언어학적인 시각에서
다루어진 텍스트 개념의 공통점은 ‘문장 상위 단위’로써 한 문장 이상으로 구
성된 문장들의 연속체이고, 이 연속체는 서로 ‘유기적인 관련성을 가진 문장
들의 연속체’이다. 또한 텍스트는 구어일 수도 있고 문어일 수도 있지만 그
길이는 텍스트 구성에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는다.19) 이러한 세 가지 기본
공통점을 기반으로 일정한 기준에 따라 여러 텍스트 유형으로 구분되어진다.
언어적 단위로서의 ‘텍스트’는 언어기호의 연쇄적 사슬이며, 이는 곧 소쉬
르 언어기호의 이원개념인 ‘기표’와 ‘기의’의 결합이기 때문에 언어기호의 무
의미한 나열은 텍스트적이지 않다. ‘텍스트적’이라 함은 ‘응집적인’ 기호 연쇄
나 문장연쇄의 특징을 가져야 한다.20) 언어체계 지향적 텍스트학과 통보지향
적 텍스트학의 연구방향 그리고 통합적 텍스트학의 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특성을 지닌다. 텍스트 유형에 관한 논의는 제3장에서 다루어진다.
다음으로 문예학자들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미학자들은 텍스트 생산자와 수

17) 신항식,『시각영상기호학』, 나남출판, 2005, p.60.


18) 원어 'Komunikation'을 통화(通話), 의사소통(意思疏通), 소통(疏通)으로 번역하는 경우와 커뮤
니케이션이란 원어를 그대로 사용하기도 한다.
19) 고영근,『텍스트이론-언어문학통합론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아르케, 1999, p.19.
20) 김영순, 기호학으로 영상텍스트의 코드 읽기, In: 철학아카데미,『기호학과 철학 그리고 예술』,
소명출판, 2002, p.219.

- 9 -
용자 입장에서 구분 지어 생산자의 입장에서 창작해 놓은 인쇄물은 ‘텍스트’
라고 하고, 독자가 읽고 재생해 낸 문학 텍스트를 ‘작품'이라고 구분 짓는다.
독자의 입장에서 보면 작품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수많은 독자의 반응에 따
라 얼마든지 변할 수 있는데, 이것은 작품 자체가 변한다는 것이 아니라 수
용자에 의해 작품의 의미, 주제, 상징 등이 달라질 수 있다는 의미이며 생산
자 중심의 텍스트가 수용자를 통해서 그 가치가 형성되고 구체화된다. 텍스
트를 읽고,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해석하면서 텍스트가 구체화되므로 전통적
으로 생산자 중심이었던 문예학 분야에서도 수용자 중심으로 그 개념을 확대
하여 자유로운 관점을 취한다.
살펴본 바, 텍스트의 본질은 각 학문 영역별로 엄연한 차이가 존재하기 때
문에 한마디로 정의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반다이크에 따르면 텍스트학
에서 텍스트에 관한 공인된 정의는 아직까지는 찾아볼 수 없다.”21) 본 연구
자는 기호학자들의 견해에서는 ‘의도에 의해 얻어진 산물’, 언어학자들의 견
해에서는 ‘통보적 의미’ 그리고 문예학자들의 견해에서는 ‘수용자에 의해 변
할 수 있는 것’이라는 특성들을 통합하여 텍스트 개념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신문텍스트를 언어학적 관점에서 구분해보고자 한 흔적을 뤼거(H.H Lüger)
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그는 신문텍스트를 분류하기 위한 중요한 기준으로
텍스트 의도를 들어 ‘저자의 의도’와 ‘표명된 텍스트 의도’를 구분하고자 하였
다. 화자의 의도는 언제나 적절하게 언어적인 발화로 현실화되어질 필요는 없
지만, 표명된 텍스트 의도는 이에 반해 언어학적으로 언제나 추론되어질 수
있는 현실체라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그는 정보위주의 신문텍스트를 ‘사건보
도’, ‘사태보도’, ‘간략보도’, ‘르포타쥬’, ‘저널리즘적 문제제기’, ‘날씨보도’, ‘방
송프로그램 안내’와 같은 텍스트 종류로 하위분류 시켰으며, 의견위주의 설득
적 텍스트는 ‘비평’, ‘논평’, ‘주석’등의 텍스트 종류로, 교훈적-지시적 텍스트
는 ‘행위지침 기사’, ‘조언적 기사’ 종류로, 관계형성 텍스트는 ‘신문의 일면기
사’와 ‘광고기사’등의 텍스트 종류로 분류시켰다.22)

21) 김영순, 위의 책, p.219.


22) 오장근, ⌜사건보도, 사태보도, 르포르타주⌟, 텍스트언어학 10, 2001, p.191.

- 10 -
언어적 텍스트의 보도는 대중매체를 통해 사회 안에서 발생하는 사건·사안
들 가운데 비교적 중요하고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 것을 추출하여 언어적으로
정보를 제시하는 것이며, 이와 더불어 비언어적인 수단으로도 독자에게 사건·
사안들을 이미지로 제시하기도 하는데 오늘날과 같은 영상정보시대의 이미지
정보는 그 역할이 더욱 커지고 있다.

3. 언어적 텍스트와 비주얼 텍스트의 독법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텍스트’라는 용어는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고 있


다. 텍스트는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단위이며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은 텍스트
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텍스트는 ‘발신자와 수신자간에 이루어지는 커뮤니케
이션 과정의 의도된 매개체’이며 내포된 의미를 가지고 있다.
텍스트학은 “가까이는 인문과학과 사회과학을 통합할 수 있고, 시야를 넓
히면 자연과학까지도 그 영역 안에 아우를 수 있다. 텍스트이론은 위로는 기
호학을 떠받치고 있고 아래로는 언어학을 바닥에 깔고 있으면서 인지과학,
인문과학, 사회과학 등의 이웃학문과 넘나드는 강한 학제성을 띠는 일종의
통합학문”23)으로 의사 전달 및 수신과 관련된 양상과 효과 그리고 효율과도
깊게 관련되어 있다.
커뮤니케이션을 정보 혹은 메시지의 전달로 이해한다면 발신자가 의도한
‘쓰기’가 수신자의 ‘읽기’에 부합이 될 때 커뮤니케이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졌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며, 다른 표현으로 설명하자면 생산자가 생성한
의미가 수용자에게 그대로 해석 되었을 때 의미교환이 이루어졌다고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전자가 약호를 ‘쓰기와 읽기’의 수단으로 보는 커뮤니케이션
의 전달적 시각이고, 후자가 의미의 체계 및 작용으로 보는 기호학적 시각이
다. 전달적 시각에서 메시지는 송신자가 전달하는 정보 내용을 말하는 것이
지만 기호학적 시각으로 본다면 메시지는 수신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의
미를 생산하는 기호와 약호의 구조물이다. 기호학적 접근에서는 이점을 강조

23) 고영근, 앞의 책, 머리말.

- 11 -
하기 위하여 메시지라는 용어 대신에 텍스트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한다. 텍
스트란 송신자와 수신자가 함께 공유하는 또는 최소한 공유한다고 생각하는
기호들과 약호들의 체계인 것이다”.24)
텍스트 ‘읽기’는 수용자와 생산자가 상호작용을 하면서 이루어진다. 상호작
용을 이루기 위해서는 양자 간 공유할 수 있는 텍스트를 구성해서 적용할 때
가능해 지는 것이다. 적절한 예를 신문매체에서도 찾을 수 있다. 신문들이 같
은 사건을 보도하는 것은 제각기 확보하고 있는 독자의 세상에 대한 이해와
시각을 공유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서로 다른 사회적 환경이나 문화를 갖는
독자들은 같은 텍스트 속에서 서로 상이한 의미를 발견할 수도 있는 것이다.
중동에서 전쟁이 일어났을 때 유엔(UN)에서 각국 대표들이 갑론을박(甲論乙
駁)한 상황을 보도한 예를 들 수 있다.
신문들이 이 사건을 보도한 것은 중동이란 지역은 국제정치의 패러다임과
지역질서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이 집중되는 사건임과 함께 국제 유가 문
제 변동으로 인한 국가경제와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독자와 시각을 공유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같은 사건의 텍스트 안에서 상이한 의미를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중동국가와의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 종교적 관계 속에서 텍
스트를 구성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보도사진의 경우에 사진의 이미지와 표
현된 ‘사실’이 사안에 분명히 일치하는지는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사실 자체
가 아니라 사진에 대한 촬영당시의 사안이 본질적인 사실과 일치하는지가 무
엇보다도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25)
따라서 보도사진은 생산자의 주장에 맞추려 하는 텍스트, 세부적 구체적인
증거로 논리를 증명하려는 텍스트, 당면문제와 관계없이 감정에 호소하려는
텍스트 등의 구조가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독자와의 상호작용을 이루기 위
해서 공유할 수 있는 기호와 약호의 구조물인 텍스트를 구성할 것이다. 생산
자가 설치한 구조물들은 의미를 생성하고, 이러한 의미들은 서로 그물처럼

24) David Sless, 『In Search of Semiotics』, N. j.:Barnes & Nobel Books, 1986, pp.17-19.;
박정순, 앞의 책, p.15.재인용
25) Cornelia Brink,『Ikonen der Vernichtung-Öffentlicher Gebrauch von Fotografien aus
nationalsozialistischen Konzentrationslagern nach 1945』, Akademie Verlag, 1998, p.11.

- 12 -
짜여져 관계망을 형성하여 의미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렇듯 텍스트는 그 나
름의 독립된 의미적 구조이며 전체적인 유기적 관계망을 통해 의미 작용을
하는 것이다. 사실 기존 연구의 결과물에서 비주얼 텍스트는 독자적 서사구
조를 갖지 못하며, 언어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의미가 완성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비주얼 텍스트가 뉴스의 의미생산에 끼치는 영향력에 큰 비중을 두지
않았다. 그러나 국내의 연구에서도 점차 비주얼적 요소가 뉴스의 의미구성에
중요한 요소임을 인식한 연구를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김창숙은 노사갈등에 대한 미디어의 언어적 및 비주얼 텍스트의 프레임 특
성연구를 통해 언론이 관행화된 프레임을 반복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사회가
갈등을 통해 현재의 문제점을 조명하고 더 나은 개선방향을 모색해 볼 수 있
는 기회를 제대로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제시하고 있다고 했다.26)
주영호와 오세인은 수용자의 인지차원에서 영상미가 문자나 음향미보다 더
큰 영향력을 형성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여 비언어적 텍스트가 언어적 텍스트
의 의미에만 종속되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었다.27) 백선기는 9·11참사에 대한
TV뉴스 영상의 서사구조와 의미구조 분석을 통해 비주얼 텍스트가 얼마나
많은 정보와 가치를 전달하고 있는지를 보여주었고 이전에는 TV뉴스 영상
이 언어의 부가적 요소로써 제 2차 자료로 인식되었으나, 현재는 영상이 제
1차 자료가 되어 정보량의 양도 언어보다 많으며 오히려 언어가 제 2차 자료
가 되어가고 있다고 밝혔다.28)
신문의 비주얼 텍스트와 언어적 텍스트간의 관계를 연구한 김성민은 미국,
프랑스, 한국의 시사주간지들에 실린 이라크전쟁 보도사진과 캡션과의 관계
를 비교·분석하였다. 사진과 캡션의 관계를 사진의 내용을 정확하게 설명하는
‘앵커리지(Anchorage)', 사진속 내용과 다소의 관계는 있지만 직접적인 관련
성보다 전체 뉴스의 맥락을 설명하는 ‘릴레이(Relay)', 두 가지가 결합된 ‘혼

26) 김창숙,「노사갈등에 대한 미디어의 언어적 및 비주얼 텍스트의 프레임 특성 연구」, 경희대학


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pp.153-154.
27) 주영호, 오세인,「TV광고에 나타난 영상미학적 구성요소의 수용성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9
권 5호, 2005. pp. 66-94.
28) 백선기,「TV 보도 영상의 서사구조과 의미구조: '9.11 참사' 보도의 영상에 대한 기호학적 분
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20, 2003, pp.58-59.

- 13 -
합’, ‘캡션없음’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29) 최현주는 캡션과 사진을 둘러싼
내부적 맥락요소들을 포함시켜 연구를 진행했으며, 도로시아 랭(D. Lange)의
‘이주 노동자의 어머니’를 분석하여 사진작품의 의미가 내부적 맥락으로써 사
진을 둘러싼 캡션, 본문, 글, 그리고 함께 제시된 다른 사진들에 의해 영향을
받았는지 살펴봤다. 그 결과, 사진이미지의 의미는 사진과 함께 제시되는 글
과 다른 사진들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사진에 의
해 제시되는 맥락이 수용자의 사진 해석에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 것이다
다.30)
이종수는 TV뉴스에서 시각적 텍스트와 언어적 텍스트와의 연관성을 분석
하여 ‘직접적 연관’, ‘축어적 연관’, ‘간접적 연관’, ‘무관’이라는 4가지 유형을
도출하였다. 그의 연구는 언어적 텍스트가 읽힐 때 화면에 나타나는 비주얼
텍스트와의 관계를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 언어적 텍스트는 비주얼 텍스트가
제공하지 않은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기 보다는 중복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1) 이러한 연구로 볼 때 뉴스의 정보, 객관성, 신뢰성 등이
언어적 텍스트와 비주얼 텍스트간의 밀접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언어적 텍스트와 비주얼 텍스트 관계에 대한 연구가 뉴스의
구성과 의미에 대한 우리의 통찰력을 넓혀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텍스트는 그 나름의 독립적 의미구조이며 전체적인 유기적 관계망을 통해
의미작용을 하므로 텍스트간의 관계망구조를 통해 의미생산을 하지 않으면
텍스트의 주제 해석은 항상 난해하고 설득력을 상실하기 쉽다. 텍스트의 올
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텍스트의 구조와 모순되지 않는 해석을 해
야 한다. 저자가 말하려는 의도가 숨겨져 있다 하더라도 텍스트가 말하는 것
을 독자는 읽어내야 하는 것이다. 물론 여기에는 독자의 텍스트 읽기에 대한

29) 김성민,「이라크 전쟁 보도사진의 주제를 통해 본 사건의 사회적 현실 구성에 관한 연구」, 한


국사진학회지 AURA No.14, 2006, p.73.
30) 최현주,「사진 이미지의 다의성(polysemy)에 관한 맥락결정적 접근연구 :도로시아 랭의 '이주
노동자의 어머니(Migrant Mother)' 사진에 대한 역사적 사례분석」, 한국방송학보 통권 제16-4
호, 2002, pp.368-400.
31) 이종수,「텔레비전 뉴스영상 구성 : 한국 텔레비전 뉴스의 시각적 이미지와 언어적 텍스트의
연관성 분석」, 한국방송학보 12, 1999, pp.219-252.

- 14 -
역량이 작용한다. 이러한 조건과 함께 독자는 해석을 확장해 나갈 수도 있고,
또한 독자 나름의 상상력을 발휘해 창조적 읽기를 할 수도 있으며 비판이나
평가를 내리는 것이다.
“텍스트를 읽으면서 상상하는 능력은 주관적인 부분이며 그것은 수용자의
전문성 및 교육적 수준에도 기인할 수 있다.”32) 약호의 원리에 따라 짜여져
있는 텍스트는 의미를 캐낼 수 있는 체계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것을 풀
어내기 위해서는 저자의 의도, 텍스트가 말하는 것, 독자의 이해에 의한 창조
적 읽기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또한 텍스트는 메시지를 담고 있기에 이를
분석해서 풀어내는 과정에서 의미가 드러나기도 한다. 이렇듯 텍스트에 드러
난 의미들을 찾고 해석하는 것을 텍스트 독법이라고 한다. 어떻게 풀어내느
냐에 따라 다양한 모양을 갖듯 텍스트 또한 분석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드러
낸다. 이 과정에서는 독자의 상황이 중요하며, 독자의 경험, 이데올로기, 해석
의 지평, 미적 지향성 등에 따라 텍스트는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이며 해석되
어진다. 따라서 텍스트를 읽는다는 것은 이 모든 과정을 되풀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때 생산자와 수용자(독자)가 서로 유사한 의미를 갖도록 조정
하는 것이 바로 ‘설득’이다. 이러한 형식에서 바로 텍스트가 언어 구성을 통
해 작용하면 언어적 텍스트이고, 시각적 요소의 구성을 통해 작용하면 비주
얼 텍스트라 하는 것이다.
인간은 상상력을 가지고 있고 상상력을 통해 각 대상을 언어로 규정하여
커뮤니케이션을 유지하며 문명을 발전시켜 왔다. 이러한 과정에서 인간의 상
상력은 그림을, 즉 비주얼 텍스트를 통해서 다양하게 표현됐다. 원시시대의
알타미라 동굴의 그림처럼 인간은 태생적으로 그림을 그릴 수 있고 해독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비주얼 텍스트는 언어와 달
리 학습 없이도 원초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특징을 가졌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사회가 점점 복잡해지고 본격적인 영상시대로 접어들면서 비
주얼텍스트도 세밀한 구조의 망으로 변화되고 있기 때문에 올바른 이해를 위

32)Elmar Drieschner,『Bildungsstandards praktisch: Perspektiven kompetenzorientierten


Lehrens und Lernens』, VS Verlag Für Sozialwissenschaften, 2009, p.60.

- 15 -
한 여과장치와 해석장치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가 필요한 것이다. 텍스트 수
용의 차원에서도, 텍스트 생산자적 측면에서는 기호의 코드 조작 능력을 필
요로 하기 때문에 오늘날 비주얼 텍스트 읽기가 더욱 중요해진 것이다.
비주얼 텍스트가 언어와 구별되는 세 가지 특성은 ‘유사성’, ‘지표성’, 그리
고 명백하게 정해진 ‘구문론의 부재’33)이다. 유사성은 현실을 닮은 이미지들
이 구성된 인공물이라는 점을 간과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고, 언어적 텍스트
보다 더 자연스럽고 쉽게 현실과 연결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사진
의 이미지는 유사성이 가장 뛰어난 기술적 텍스트이므로 그 현상이 더욱 두
드러진다. “닮음꼴로써 지시대상의 내용을 모사하는 이미지의 도상적 특
징”34)은 지시대상에 대한 믿음을 가지게 하는 것이다.
지표적 특성은 유사성과 연관되어 ‘있는 그대로 보여 준다’는 것이 항상 전
제된다. 통상 언어적 텍스트로 전달할 경우, 수용자로 하여금 논쟁의 여지가
될 수 있는 의미라 할지라도 비주얼 텍스트를 통해 전달하면 큰 저항 없이
전달되는 사례를 볼 수 있다. 이는 비주얼 텍스트가 갖고 있는 유사성과 지
표성이 수용자들에게 이미 현실로 일어난 증거라는 믿음으로, 3자의 주관적
인 개입 가능성을 간과시켜 ‘사실 자체를 전달받고 있다’는 믿음을 주기 때문
이다. 구문론의 모호성은 ‘말하지 않고 보임으로써’ 설득 할 수 있는 이미지
의 논증능력을 드러내는 대목임과 동시에 이미지와 언어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35)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주얼 텍스트의 구문론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이 없다는 것은 언어로 표현되지 못하는 부분을 시각적으로만
표현해주는 비주얼커뮤니케이션 기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비주얼
텍스트로써의 보도사진은 시각형식에 따른 구조분석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
는 것이다.
롤랑바르트는 ‘이미지와 글쓰기’에서 회화, 사진, 영화텍스트를 대상으로 언
어와 이미지의 관계를 소상히 밝히고 있다. 또한 그는 “비주얼텍스트나 문자

33) P. Messaris, 강태완역, 『설득이미지』, 2001, 옮긴이의 글-저자는 ‘시각적 이미지’로 서술했
으나,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비주얼 텍스트로 기술하였다.
34) P. Messaris, 강태완역, 앞의 책, 옮긴이의 글.
35) P. Messaris, 강태완역, 앞의 책, 옮긴이의 글.

- 16 -
텍스트로 표현되는 현상들은 이미 세상에 존재하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따라
서 세상에 인지되는 모든 것들은 새로운 것일 수 없다”36)고 했다. 특히 ‘사
진’주제는 보도사진의 예를 들어 설명하며 본 연구의 방법론에 대한 핵심적
인 단서들을 제공해줬다. “보도사진은 하나의 메시지이다. 이 메시지의 총체
는 송신원, 전달경로, 수신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달경로는 신문 그 자체로,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사진이 중심이기는 하지만 그 주변은 원고, 제목, 설
명문, 조판형태로 구성되는 경쟁 메시지들의 복합체이다”37) 라며 매우 구체
적인 언급을 하고 있다. 또한 메세지의 송신과 수신은 모두 사회학의 영역에
속하고 메시지의 출처와 용도가 어떤 것이든 사진은 단순히 하나의 산물이거
나 수단일 뿐만 아니라 하나의 대상으로써 구조적인 자율성을 부여받고 있
다.”38)고 하였다.
그는 디노테이션(Denotation)과 코노테이션(Connotation)을 통해 객관적
과학적 그리고 논리적으로 이미지를 분석하였으며, 코노테이션의 방식들 즉,
사진의 2차적 의미 부가는 신문 제작의 다른 층위들(선택, 기술적 처리, 지면
배치, 페이지 조판)에서 완성되며, 그것은 곧 사진과 관련된 유사물의 코드화
라고 하였다. 코드는 개인이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사회, 문화적 조건이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이것은 곧 의미작용이 일어나며 따라서 내시적 의미를
끌어내는 것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그는 코노테이션의 방식들인 ‘트릭’, ‘포
즈’, ‘피사체’를 ‘포토제니’, ‘미학주의’, ‘통사론’과 분리시켜서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언어와 이미지의 차이점에 대해 언급하고 언어는 개체수가 모음과 자
음으로 한정되어 있지만 이미지는 개체 수(색채+도형 등)가 확정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꼽고 있으며, 텍스트는 음소로, 이미지는 점, 선, 면, 색채로 이
루어진 물리적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시니피에’라 하였다. 또한 텍스트와 이
미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텍스트는 이미지를 확대하고, 디노테이
션 영역을 능가하는 것처럼 보이며, 텍스트가 이미지를 왜곡시킬 가능성이

36) Mary Warner Marien,『Photography: A Cultural History』, Laurence King Publishing


2002, p.433.
37) 롤랑바르트, 김인식편역,『이미지와 글쓰기』, 세계사, 1993, pp.65-66.
38) 롤랑바르트, 김인식편역, 위의 책, p.66.

- 17 -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보도사진과 텍스트의 역할 및 가능성 그리고 조작의
가능성까지 포함하고 있는 부분이다.
정지된 영상인 보도사진을 대상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에서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은 바로 관계성이다. 인간과 인간, 인간과 배경, 인간과 자연, 인간과
사물 등의 관계를 인간중심으로 읽어야 한다. 그 이후, 행동성을 지닌 어떤
기호를 발견해서 네러티브를 찾아내야 한다. 이는 텍스트들이 단순한 어휘적
집합들이 아니라 단위들 간의 관계라서 이러한 관계가 의미를 발생시키는 것
이기 때문이다. 기호 하나하나는 텍스트적 의미는 없으며, 네러티브를 구성하
는 어휘의 관계가 텍스트적 의미가 있는 것이다.
해석학자인 폴 리쾨르(P. Ricoeur)는 상징을 읽어내듯 인간은 텍스트를 보
고 읽는다고 했으며, 텍스트는 삶에서 시작되고, 우리는 텍스트에 몰입하게 되
는데 그 속에서 산발적이고 혼란스러운 일상과 흐트러진 생활의 조각에 전혀
다른 모습을 부여함으로써 이를 재조직화 하고 비일상성과 유의미성을 일구어
낸다고 주장했다. 그러므로 삶을 텍스트와 무관한 것으로 텍스트에 외재하는
것으로 보아서는 안된다39)라고 텍스트의 의미와 기능을 해석하고 있다.
텍스트에 드러나는 대로 문법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만을 파악하여 축어적으
로 읽을 경우 비로서 텍스트의 약호(코드)들은 수용자에게 지시적 의미대로
읽혀지며, 언어·문법적 지식을 통해 맥락을 파악할 때의 텍스트는 지시적 의
미 외에 문맥적 의미가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용자가 약호를 해독
하는 원리를 적용하여 텍스트를 정밀하게 읽었을 때, 즉 텍스트에 제시된 약
호들을 시적으로 해독하려 할 경우 텍스트는 표현적 의미를 드러내게 된다.
또한 수용자가 텍스트를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라 사회적으로 해석하려 할
경우 텍스트는 사회적 의미를 드러낸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인 보도사진은
바로 사회적 의미를 찾는 비주얼 텍스트에 해당되는 것이다.
보도사진은 ‘시간’과 ‘공간’을 재현해 나가면서 사회적 의미를 만들어 나가
는 특수성을 가진 비주얼 텍스트이다. 사진 자체에서 읽혀지는 의미와 사진
자체의 다양한 시각적 단서들과의 조합과 상관관계가 의미를 만들어 나가는

39) Paul Ricoeur, 윤성우역,『해석의 갈등』, 살림, 2005, p.183.

- 18 -
것이다. 비주얼 텍스로써의 사진의 특성은 ‘시간성’이라 볼 수 있는데 사진에
나타난 시간은 과거의 고정된 한 순간임에도 수용자는 사진을 대한 그 시점
의 시간을 현재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일본대지진으로 인한 보
도사진을 보여주고 설명을 하라고 할 때, ‘이것은 일본 지진의 피해 사진이
다. 피해를 당한 사람들이 망연자실해서 파괴된 건물 앞에서 울고 있다’라든
가 ‘이 사람은 지진 피해 상황에 대해 황당해 하면서 공포스러워한다’ 등 대
개 현재의 시점으로 평가 한다는 것이다.40) 이러한 현상은 독자인 수용자가
등장인물이나 사건의 상황이 현실에 있는 것처럼 느끼는 것에 대한 반증이라
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사진의 의미작용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사진의 순간이 과
거에 기록된 것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과 사진의 대상을 현재형으로 이해하
는 것 사이의 간격이 클수록 사진이 주는 정서적 충격도 커진다. 그런데 이
정서적 충격이 크려면 사진이 포착한 순간이 온전한 이야기를 갖춘 시간으로
이해되어야 한다”.41) 지진으로 인해 파괴된 처참한 모습은 파괴되기 전의 평
화롭고 아름다운 모습을 수용자가 기억하고 있을 때 정서적 충격이 크게 발
생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진에 등장하는 인물의 시선은 매우 중요한
데, 인물이 카메라를 정면으로 응시하고 있을 때 수용자는 마치 사진 속의
인물이 나를 보고 있다는 느낌을 가지면서 감정적인 자극을 경험하는 것이
다. 결국 수용자 자신들의 체험과 기억 그리고 지식 등이 개입되어서 사진을
읽는 것이다.
또 하나의 중요한 특성은 ‘공간’이다. 사진은 카메라 프레임을 통해 무한한
공간 속에서의 한 부분만이 선택되어 사진의 ‘장’을 형성한다. 실제의 전체적
상황에서 프레임 안에 들어와 있는 장과 그 밖에 있는 장외공간을 전제해야
한다. 이 부분은 제 2절 ‘시지각과 이미지’에서 논의한다. 장외의 공간이 텍

40) 연구자가 무작위로 10명의 사람들에게 같은 보도사진을 보여주며 아무런 제시어도 없이 사진


에 대해 설명해달라고 하는 실험을 했을 때, 10면 전원이 위와 같이 현재형으로 설명한 결과를
가지고 기술했다.
41) 주형일,「보도사진의 해석에 관여하는 여러 문제에 대한 고찰」, 인문연구 제50호, 2006,
p.239.

- 19 -
스트 읽기에 중요한 것은 바로 이 장외의 공간을 사진텍스트 수용자의 상상
과 기억에 의존해서 의미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사진 자체에서는 장외공간에
대한 설명을 하지 않지만 암시할 때가 많다. 암시된 사진 내의 단서들을 통
해 사진텍스트의 의미를 읽어낼 수는 있다.
비주얼텍스트에서는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움직임, 이동의 기호, 인물의 시
선, 장식, 연속의 기호에 의해 공간과 연결된다. 이 가운데 시선은 장과 장외
의 공간을 연결해 주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 된다. (중략) 그런데 사진에는 인
물의 시선 외에 또 다른 시선이 있다. 카메라의 시선이 그것이다.”42) 카메라
의 시선은 수용자의 시선과 같기 때문에 카메라의 시선을 통해 수용자는 보
여주는 대로 보게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텍스트 생산자가 보
여주고 싶은 것을 의도한대로 보여주기 위해 카메라의 기술적인 측면이 일정
부분 영향을 줄 수 있다. 수용자는 카메라의 시선을 통해서만 사실을 볼 수
밖에 없다. 이를 간과하면 사진텍스트 읽기에 실패할 확률이 매우 높다.
사진텍스트를 구성하는 사람들이 카메라를 통해 세상의 한 부분을 담는 작
업을 하면서 시지각 원리를 적용하는 것, 즉 게슈탈트 조형 원리를 적용하는
것은 수용자가 지각과정에서 보여주는 것을 그대로 보게 하려는 일종의 의도
성 있는 행위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진자체의 네러티브로 추출되는 어휘적인
의미와 함께 이러한 카메라 워킹을 의식하는 것은 보다 정확한 텍스트 해석
을 위해 꼭 필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비주얼 텍스트는 인간의 의도적인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있어 비주얼적으로
접근되는 매개체이다. 보통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는 텍스트 생산자와 수용
자가 있는데 비주얼 텍스트의 생산은 생산자의 창의성으로 이루어질 때도 있
지만, 대부분 다른 텍스트와 연관성을 가지고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호관계의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상호작용은 수용자가 가지고 있는 문
화적, 관습적, 환경적으로 얻은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이루어진다. 비주얼 텍
스트 수용자의 입장도 크게 다르지 않다. 텍스트를 그대로 받아들이기도 하
고 수용자 나름대로의 해석과정을 거치게 되기도 한다. 이렇듯 다양하게 표

42) 주형일, 앞의 논문, p.242.

- 20 -
현되는 비주얼텍스트들은 우리의 일상생활에 존재해서 인식되는 것보다 훨씬
본질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43)
즉 텍스트 생산자는 자신이 의도하고 있는 메시지를 코드화한 텍스트를 통
해 다양한 표현을 하게 되고, 수신자는 텍스트의 기호를 해석하여 발신자가
의도한 의미를 파악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커뮤니케이션은 수용자가 텍스트
의 의도를 읽어 생산자의 의도나 계획을 알아차리는 것으로 축약된다. 언어
적 텍스트는 언어를 통한 텍스트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고, 비주얼 텍스트
는 비주얼을 통한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제 2절 조형과 지각

1. 지각과 이미지

인간의 행동은 각 개인이 지니고 있는 성격과 세상을 보는 지각에 따라 개


인간의 다양한 차이를 보인다. 인간이 지각하는 세계와 실제하는 세계는 분
명히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우리가 비주얼 텍스트(보도사진)를 바르
게 이해하는 첫 단계이다. 다시 말하면 인간은 이 세상에 존재하는 사물, 사
람, 사상들을 있는 그대로 지각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마다 각자의 입장에 따
라 다르게 지각한다는 사실을 이해함으로써 인간의 복잡한 행동을 보다 정확
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의 지각은 외부적 환경요인과 내부적 요인, 그리고 여러가지 상황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또한 지각대상은 지각 메카니즘에 의해 처리되
어 지각자에게 의미 있고 유용한 정보로 제공되는 것이다. 인간의 지각은 사
실을 그대로 객관적으로 인지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내부의 독특한 과정을
통한 주관적인 인지이므로 지각에 대해 탄력적으로 이해하는 자세가 필요하

43) Susanne Blazejewski,『Bild und Text-Photograhie in autobiographischer Literatur』,


Verlag Königshausen & Neumann GmbH, 2002, p.39.

- 21 -
다. 이러한 개괄적인 이해를 가지고 우선 지각의 개념과 지각의 매커니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 후에 인간의 지각이 보도내용의 본질을 왜곡하거
나 축소, 확대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지각이 보도사진에 미치는 영
향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지각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그 이해가 용이하다. 지각은 ‘알아서 깨달
음 또는 그런 능력’, ‘사물의 이치나 도리를 분별하는 능력’을 뜻하기도 한다.
심리학 분야에서는 ‘각 기관을 통하여 대상을 인식함. 또는 그런 작용. 그 작
용의 결과로 지각체가 형성된다’고44) 설명되어 있다. 인간의 지각이론이 학
문적으로 융성한 독일의 ‘지각’에 대한 사전적 의미는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독일어 단어의 ‘지각’은 ‘Wahrnehmung’45)으로 표현하는데 이는 사실
이라는 의미의 독일어 ‘Wahr’와 받아들이다라는 의미의 동명사 ‘Nehmung’의
두 단어가 합쳐 만든 말이다. ‘사실’+‘받아들이다’ 즉 ‘사실을 받아들이다’라
는 설명으로 지각의 의미를 규정하고 있다. “지각(Perception)은 라틴어의
Perceptio, Percipio에서 유래되어 우리가 외부로부터 받은 자극을 우리 신
체의 감각기관을 통해 그 외부 환경을 인지하는 하나의 과정을 말한다”.46)
지각은 ‘생생한 감각 자료들을 선택, 조직 및 해석을 하여 외부 세계에 관한
유익한 정신적 표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지각은 발신자, 혹은 주변 환경을 통해서 수신자가 그 사실을 받아들여 학
습되는 과정이라고 설명되기도 하는데, 골드슈타인(E. B. Goldstein)은 그의
저서에서 지각이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설명하고 있다.47) 자극
은 ‘주변자극(Environmental Stimuli)’과 ‘주의자극(Attended Stimuli)’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주변의 자극’이란 보편적으로 누구나 쉽게 지각할 수 있는
감각을 통해 느껴질 수 있는 것들을 말한다. 이를테면 사람이 숲을 산책을
할 때 드러나는 숲의 일반적인 모습을 말한다. 숲을 산책하면서 지각자는 숲

44) 이희승편, 앞의 사전, p. 3577-3580.


45) Gerhard Wahrig,『Wahrig Deutsches Wörterbuch』, Bartelsmann Lexicon-Verlag, 1975,
p.4063.
46) Pomerantz, James R.,『Perception: Overview』,2003, In: Lynn Nadel (Ed.), Encyclopedia
of Cognitive Science Vol.3, Nature Publishing Group, pp.527–537.
47) E. Bruce Goldstein,『Sensation and Perception』, Wadsworth, 2007, p.5.

- 22 -
에 대한 경험을 통해 숲의 모습을 알고 있으며, 수많은 자극 요소들이 주변
에 있다. 나무, 오솔길 혹은 작은 동물이 나뭇잎을 통해서 내는 소리 등이 그
것이다. 그러나 그 모든 것은 지각자에게는 보편적인 것이고 너무 많은 정보
들이 한꺼번에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주목을 끌지 못한다. 이것을 골드슈타
인은 ‘주변지각’이라고 했다.
그리고 지각자가 한쪽에 있는 나무에 시선을 돌렸을 때, 나무 표면의 패턴
에 관심을 보이지 않다가 우연히 나무의 한 부분의 패턴이 다소 차이가 있는
것을 지각하게 되며, 그것이 나무에 붙어 있는 나방이라는 것을 인지
(cognition)하게 된다고 가정했다. 지각자가 나방에 집중하고 있는 동안 그
나방은 주의자극이 된다. 지각자가 나방에 주의를 기울이게 되면서 그의 시
각은 나방을 집중 되고, 이것은 나방의 이미지를 생성시키면서 지각자의 망
막에 그 형상이 투영되고 뉴런을 통해 ‘나방’이라는 이미지로 인식48)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나방’의 실제적인 모습과는 다르게 지각자의 과
거 학습을 통한 ‘나방’의 이미지로 변환되면서 그것이 ‘지각자의 나방’이라고
인지49)되는 것이다.
또한 그는 지각의 과정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발신자의 메시지는 단순히 발
생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복잡한 프로세스를 거친 다양한 ‘장면의 이면
(Behind-the-scenes)’50)을 통해서 얻어지는 결과라고 말했다. 공연의 경우,
‘장면의 이면’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연극
공연을 보게 될 때 관객은 공연 자체에 몰입해 있는 동안 무대 뒤에서는 또
다른 드라마가 진행되고 있다. 여배우는 공연복을 갈아입느라 분주하고 남자
주인공은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있으며, 무대감독은 다음 장면으로의 전환
이 완벽하게 준비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있을 것이다. 조명감독은 다음 장면
을 위해 조명을 교체하고 있을 것이다. 이렇듯 관객이 보는 것은 공연이 진

48) 인식은 (recognition)사물을 인지(認知)·식별(識別)하고, 기억·사고(思考)하는 작용 및 그 결과를


뜻한다.
49) E. Bruce Goldstein, 앞의 책, pp.5-6.
50) 연구자는 ‘장면의 이면’이라고 했지만, 주[39]에서 주형일이 언급한「보도사진의 해석에 관여하
는 여러 문제에 대한 고찰」에서 언급한 ‘장외공간’과 같은 의미이다.

- 23 -
행되는 동안 생겨나는 작은 일부분만을 보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우리 주변
의 것들에 대해서 지각하고 있다는 것은 우리 주변에서 발생되고 있는 것들
에 대한 극히 일부분에 불과한 것이다.”51)
골드슈타인은 이를 통해서 정보나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이 단순한 정보
전달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그 이면의 모습이 있다는 것을 강조한 셈
이다. 이러한 골드슈타인의 연구는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보도사진을 해석
하는데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 보도사진을 통한 발신자의 메시지는 단순히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복잡하고 미묘한 상관관계에 의한 다양한 ‘장면의 이
면’을 이해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보도 내용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지각의 메커니즘을 살펴보고자 한다. 지각대상은 앞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사물이 될 수도 있고, 사상이나 사람이 될 수도 있다. 그 대상은
지각 메카니즘으로 처리되어 지각자에게 의미있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준
다. 우리는 사물에 대해 있는 그대로의 실체를 보는 것이 아니다. 다만 우리
가 지각하는 사물만 선택하고 조작하며 해석해서 우리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
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다. 지각 메카니즘은 ‘지각선택’, ‘지각형성’
및 ‘지각해석’의 과정이다. 수백 명의 어린아이들 가운데서 부모가 자신의 아
이를 금방 찾아낼 수 있는 것은 지각이 선택적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경
향을 ‘선택적 지각’이라고 하는데 대표적인 예가 ‘배경-그림(figure-ground)’
이다. 지각과정에서 우리가 어떤 사물을 볼 때 모두 똑같아 보이는 것이 아
니듯이 그림에서도 눈에 띄는 요인만 드러나고 나머지는 배경으로서 여겨진
다. 이렇게 선택된 지각대상은 지각자에게 의미있는 그림을 제공하기 위하여
조직화된다. 이는 본 연구의 보도사진 유형을 분류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아울러 지각대상은 분절된 자극이나 정보로는 존재하지 못하며 완전한 사물
또는 마음속의 그림으로만 조직화된다.
사람들은 자기들의 목적에 부합되게 하기 위하여 지각된 세계의 의미를 해
석하는 경향이 있다. 물론 지각적 과정은 주관적이며, 특히 지각된 세계가 지

51) E. Bruce Goldstein, 앞의 책, pp.5-7.

- 24 -
각자에게 중요한 내용일수록 지각자는 해석과정에 있어서 주관적인 요소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 지각해석 과정은 판단과정이며, 지각된 세계는
통상 옳다거나 그르다거나 또는 좋다, 나쁘다는 판단적인 용어로써 표현되어
진다. 이러한 지각 해석과정은 쉽게 왜곡될 수 있다. 지각된 세계와 실제세계
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지각자는 실제 세계를 자기의 요구에 적합하도록 변
형시킬 가능성이 적지 않다.
선택된 지각대상은 의미 있는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완전한 사물 또는
마음속의 이미지로 조직화된다. 지각의 기초를 이루는 이와 같은 과정을 게
슈탈트과정(Gestalt process)이라고 한다. 그리고 인간이 지각대상을 조직화
하는 데는 몇 가지 방법이 있다. 이것을 지각의 법칙(Law of Perception) 또
는 체제화의 법칙(Law of Pragnanz)이라 부른다. 게슈탈트(Gestalt)란 ‘외형,
표면’을52) 말하며 영어로는 Form, Shape, Contour; (of physique) figure,
build, frame, stature 등으로 표현되고 있으나, 심리학의 문맥(Context)상에
서는 번역되지 않고 독일어 자체인 게슈탈트(Gestalt) 그대로 사용된다고 표
기되어 있다.53) 게슈탈트 이론의54) 성립과정을 살펴보자면, 그 시초는 브렌
타노학파 에렌펠트(C. Ehrenfeld)가 처음 주창한 게슈탈트 심리학을 들 수
있다. 게슈탈트 이론은 에렌펠트 이후 베르트하이머(M. Wertheimer), 코프카
(K. Koffka)와 쾰러(W. Köhler) 3인에 의해 정립됐는데, 베르트하이머는 게
슈탈트를 지각의 가장 초기 단계로 간주했다. “1922년 미국의 심리학자 오전
(R. M. Ogden)의 ‘지각’대한 영문 학술 제의를 받은 코프카는 게슈탈트에 기
반을 둔 지각에 대한 내용을 학술지에 게재해, 게슈탈트 이론이 지각의 기초
를 이루고 있다”55)는 것을 강조했다.

52) Gerhard Wahrig, 앞의 사전, p.1536. 독일에서 시작된 학문적 이론이기 때문에 좀 더 정확한
의미를 찾고자 독일어 사전을 인용하였다.
53) Harold T. Betteridge, M. A(Birm),Ph. D(Lond.),『Cassell’s German-English, English-
German Dictionary』, Macmillan Publishing Co., Inc., 1980 p.263.
54) 게슈탈트 이론은 게슈탈트법칙(Gestalt Law) 혹은 그루핑 이론(Grouping)이라고도 불리는 심
리학 지각방식이라 할 수 있다. 시각, 시각이론에서 시작하여 형태주의 심리학으로 발전되었다.
55) D. Bredking/Michael Wertheimer.『Max Wertheimer and Gestalt Theory』, Transaction
Publishers, 2009, pp.153-154.「Perception: An Introduction to the Gestalt-Theorie」이라
는 타이틀로 Psychological-Theorie 1922년 10월 발행지에 게재.

- 25 -
게슈탈트 이론은 이후 20세기 초 베를린 학파를 중심으로 여러 학파로 나
뉘어져 각각 조금씩 상이한 이론으로 발표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형태심리
학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베를린학파인 베르트하이머의 게슈탈트 이론을 받
아들인다.56) 게슈탈트 심리학은 현재 독자적인 학문으로 연구되고 있지는 않
으나 여러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친 중요한 발견이었고 독창적인 연구 분야였
다. 게슈탈트 심리학의 가장 기초적인 단계의 논의 중 이른바 ‘착시’라고 불
리는 현상들이 있다. 검정 바탕의 회색은 흰색 바탕의 회색보다 밝아 보이고,
루빈의 잔은 마주보는 사람의 얼굴 모습으로 보이는 현상들이 대표적인 예이
다. 대부분의 인쇄물이 미세한 망으로 이루어졌듯,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웹
사이트의 모습도 확대해 보면 형상을 알 수 없는 수많은 픽셀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졌으며 그리고 우리가 보는 영화도 착시효과에 기인한 수많은 정지 장
면의 연속들이다. ‘루빈의 잔’을 각자 다르게 지각하는 것처럼 지각을 결정하
는 요인은 각자의 지각적 습관에서 연유되는 것이며, 일상생활에서 흔히 착
시를 경험하게 되는 이유는 게슈탈트학파가 주장하는 것처럼 인간의 의식이
기본적으로 통일성, 연속성, 유사성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신문을 볼 때도 우
리의 의식은 페이지 구성의 통일성, 연속성, 유사성이 요구된다. 대부분의 편
집디자인 과정에는 이를 기본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사물은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형태 속에는 반드시 개념이 있다. 형태 속의
개념을 안다는 의미는 곧 형태 속의 감각을 알아차리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컨셉을 깨닫는 것이다. 게슈탈트 심리학은 사물을 그 자체로 보는 것이 아니
라 구조적으로 보도록 하는 능력을 길러준다는 점에서 비주얼을 다루는 학문
적 영역에서는 반드시 이해하고 적용해야 하는 중요한 원리이다. 즉, 마음속
의 여러 정보를 정리하여 어떤 정보나 또 다른 정보를 조화시키는 통합원리
인 것이다. 여기에서 특히 강조하는 점은 관계적 원리인데 부분의 속성이 전

56) 베르트하이머는 1910년 기차 여행 중 기차의 불투명한 벽과 창문 프레임이 자신의 시야를 가리


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바깥 경치를 볼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는 눈이 단순하게 모든 영상
자극을 받아들이고 뇌는 이러한 감각을 일관된 이미지로 정리한 것으로 결론 내렸다. 신문을 읽는
독자가 사건에 대해 본래 가지고 있는 생각이 보도사진이나 보도내용을 인지하는 과정에도 작용되
어 독자가 본래 가지고 있는 일관된 생각에 의해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결국 사고와 지각의 관계
를 설명하는 것이다.

- 26 -
체적 연관성에 종속된다는 점이다. 형태의 지각은 눈으로 보고 느끼는 시각
형태와 손을 비롯해 다른 신체 부위를 접촉해서 촉각으로 전체를 파악하는
형태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지만 게슈탈트는 시지각에 대한 지식 기반으로
조형의 이론과 실제를 다루는 이론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의 시각과정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을 정도로 복잡하다. 캘
리포니아 공과대학 미드(C. Mead)교수는 “인간의 시각체계는 전 세계의 슈
퍼컴퓨터보다 더 많은 이미지를 처리하고 있다”57)라고 언급했는데 이것은 시
지각에 대한 무궁무진한 연구영역을 시사하고 있는 말이다. 게슈탈트 법칙은
이렇게 복잡 미묘한 시지각에 있어서의 공통분모가 되는 것을 추출하는 법칙
에서 공통된 원리를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논리화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
다. 다수의 자극이 주어졌을 경우에 우리가 경험하는 것은 그 자극의 수에
상응하는 개개의 지각내용이 아니라, 더 큰 범주 차원에서 상호 관련하여 외
부에서 분리된 몇 가지가 통합돼 지각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며, 여기에는 법
칙이 존재하고 있다. 이 같은 지각경험으로서의 합쳐짐, 분리됨, 분절, 그룹화
등은 주체의 임의적인 경험이나 주의에 따라서도 영향 받지만 기본적으로는
지각적인 상호 내용적 관계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게슈탈트 이
론은 디자인은 물론, 의학 공학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돼 예술심리학의
근간을 마련했다. 특히 사진을 다루는 비주얼텍스트에서의 게슈탈트 이론은
사진을 해석하고 이해하는데 중요한 분석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어떤 대상에 대한 지각은 그 대상에 대한 감각을 초월하기 때문에 우리는
몇 가지 흥미로운 현상들을 찾아 볼 수 있다. ‘맥락효과(Context Effect)’지
각은 물리적 자극 그 자체가 갖지 않는 속성까지 얻을 수 있다. 실제로 삼각
형이 그려진 것이 아니라 그 모서리 부분이 우연적으로 맞아 들어간 그림에
서 우리는 가운데에 있는 흰 삼각형을 지각한다. 삼각형의 세 변이 있는 것
같이 보이고 삼각형의 내부가 더 밝게 보인다. 이와 같이 실제로 없는 윤곽
을 지각하는데 이를 ‘주관적 윤곽(Subjective Contour)’이라 한다. 이러한 주
관적 윤곽을 이용해 착시 현상을 이용해 예술작품으로 승화시킨 경우도 많은

57) Richard D. Zakia, 박성완․박승조 옮김,『지각과 이미지』, 안그라픽스, 2007, 서문.

- 27 -
데 네덜란드의 예술가인 마우리츠 코르넬리스 에셔 (M. C. Escher)가 그 대
표적인 경우에 속한다.58)
지각의 해석과정이 주관적인 것처럼, 보도사진 이미지 지각과정도 각자의
목적에 부합되게 하기 위하여 지각된 세계의 의미를 주관적으로 해석하는 판
단과정이다. 즉 보도사진의 지각도 이러한 지각 해석과정을 분명하게 보여주
는 지각의 대상이라 할 수 있다. 지각 방식은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보도사
진을 해석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는데 특히 지각된 사건·사안이 지각자에게
중요한 내용일수록 지각자는 해석과정에 있어서 주관적인 요소에 의해 더 많
은 영향을 받는다. 지각된 세계는 일반적으로 옳다, 그르다거나 또는 좋다,
나쁘다는 판단적인 용어로써 표현되어진다. 이와 같이 지각해석과정은 쉽게
왜곡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지각된 세계와 실제세계는 서로 다르기 때문
에 지각자는 적극적으로 실제 세계를 자신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변형시킬 수
도 있다. 이러한 해석·판단과정에서 보도사진은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
미지의 지각에 대한 문제는 오늘날과 같은 영상정보사회에서 끊임없이 논의
되어져야 할 과제이다.

2. 기호로써의 조형

우리는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수많은 사진 이미지를 접하면서 생활


하고 있다. 이러한 사진들은 관련된 사전 정보 없이 우리들 앞에 던져지는
기호인데 사진은 형상, 즉 기호표현 단위로 파악될 수 있는 또하나의 기호라
고 할 수 있다. 또한 사진은 시각텍스트의 영역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
으며, 이미 기호의 일종으로 간주되어 기호학의 분석 대상이 되어왔다.
회화가 현실세계를 보고 얻어진 느낌을 작가가 주관적으로 표현한 창작 활
동이라면, 사진은 현실세계를 카메라를 통해 보고 옮긴 발견활동이다. 사진이
기호학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이유는 사진 의미의 구조와 원리를 밝힐 수 있
고, 어떻게 의미가 생산되고 수용되며 해석되는가를 연구할 수 있기 때문이

58) Birgit Kaltenmorgen,『Der mathematische Patschworker』, Wagner Verlag, 2008, p.33.

- 28 -
다. 따라서 현실에 드러나지 않는 가치를 발견하는 사진과 텍스트의 이면에
숨겨진 의미를 읽어내는 기호학의 관계는 매우 긴밀할 수 밖에 없다.
인간은 오래 전부터 여러 가지 재료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형태나 형상을
만들어 왔으며, 이러한 조형 활동에서 나타나는 산물들은 기호학적 시각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진이미지도 그 중 하나이다. 사진텍스트의 의미는 개개
인들에게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 예컨대 사진 한 장을 보고 우리는 시각
적 차원의 형상기호을 그대로 해석하는 경우도 있고, 개인의 심리적 차원에
서 형상 이면의 기억을 연결해 그 의미를 해석하기도 한다. 또는 사회·정치적
인 차원에서 해석되어 형상이 은유하고 있는 사회적인 기호로써 해석하고 판
단하기도 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기호를 지배하는 법칙과 기호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학
문인 기호학이 독립된 학문의 한 분야로 등장한 이후, 시각기호학(조형기호학)
은 오늘날 등장한 다양한 기호학 분야59) 중 하나로 발전해 왔다. 사진기호는
그 의미가 다의적이고 각 문화가 취하는 관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기존의
연구가 주로 수사학적인 차원이나 언어적인 차원만으로 기술되는 경향을 보이
며, 조형기호학은 조형에 관련된 연구가 정작 조형 이미지 요소인 형태, 색,
구성요소를 사실상 도외시하는 문제를 비판하면서 발전하게 되었다.
그레마스(A.J. Greimas)의 전통을 이어 받은 시각 기호학자인 장 마리 플
로슈(J. M. Floch)는 조형을 기호의 차원에서 연구하여 조형기호학을 성립시
키며 문제해석의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그의 저서60)를 통해 조형기호
학의 흐름을 시기별로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조형기호학을 적용하는데 있
어 방법적 틀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과 대안을 제시했다.
플로슈의 조형기호학은 일반 언어학 이론과는 달리 자연언어 뿐만 아니라
인공언어 등 모든 유형의 언어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언어적 기호체계로 이
루어진 시각언어인 사진이미지 분석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조형기호학적 시각

59) 삶을 포함하여 인간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기호로 보는 기호학은, 언어기호학, 시각기호학, 건축기


호학, 음악기호학, 연극기호학, 문학기호학, 텍스트기호학 등으로 확장되고 있다.
60)『눈과 정신의 작은 문화(1985)』,『기호학, 마케팅, 커뮤니케이션(1900)』,『시각정체성(1995)』
을 말함.

- 29 -
으로 이미지는 다양하고 복잡한 의미의 생성과정에서 실현된 하나의 개별 텍
스트로 간주된다. 언어에 집중되어 있던 연구의 관점을 조형으로 확장시켰다
는 점과 조형예술 작품에서 ‘가시적인 것’과 ‘관념적인 것’ 사이의 관계를 이
론적으로 엄밀하게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사진 이미지 의미해석에 유용하게 적
용할 수 있는 분석의 기틀을 마련한 것이다. 특히 사진 이미지에서 표층구조
를 이루고 있는 요소와 내용구조를 이루고 있는 요소의 관계를 밝혀내는 방법
을 제안함으로써 사진이미지를 분석적으로 읽을 수 있는 토대를 마련 했다.
조형기호학에 대한 논의의 핵심은 의미생성의 조건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기호표현’과 ‘기호내용’ 사이에 존재하는 어떤 유형의 의도성을 이해하는데
있다. 즉 형태, 색채, 위상적 배치를 통해 나타난 의미대상들 속에서 단지 이
들의 구상적인 차원만을 곧바로 어휘로 환원시키려는 행위에 대한 거부를 담
고 있다. 따라서 조형기호학의 특징은 한편으로는 기표와 기의 사이의 관계
그 자체를 지배하는 것이 기호-상징적인 체계라는 점과, 다른 한편으로는 그
‘표현실질’이 시각적이라는 점에 있다.61) 플로슈에 따르면, 조형기호학은 기
호표현의 범주를 이루는 두 사항이 기호내용의 범주를 이루는 다른 두 사항
과 상동관계를 갖는 기호-상징적인 유형의 체계에 대한 연구이다.62) 이와 같
이 “시각적 표현의 실질에 대한 관심은 ‘도상’에 대한 ‘조형의 복권(復權)’을
이끌어 냈다.”63)

3. 플로슈의 조형 범주화

플로슈가 구상한 조형기호학은 두 가지 이념을 갖는데 먼저 조형기호학은


담화의 구상적인 계층과 추상적인 계층 사이의 관계를 기호의 기표와 기의
사이의 준상징으로써 소약호가 내용계층의 구상적인 차원에서 다시 나타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플로슈는 기표와 기의 사이의 관계를 지배하는 것

61) Jean-Marie Floch, 박인철역,『조형기호학』, 한길사, 1994, p.23.


62) Jean-Marie Floch, 박인철역, 위의 책, p.23.
63) 박일우, 조형기호학의 발전과 그 가능성, In: 철학아카데미,『기호학과 철학 그리고 예술』, 소
명출판, 2002, p.100.

- 30 -
이 ‘준상징체계’로 이해했다. 이는 표현면과 내용면에서 나오는 범주들의 상
관관계로 규정되는 의미작용의 체계를 말하는데 이러한 체계를 전제함으로써
조형기호학은 소쉬르의 인식론적인 유산을 받아들이면서도 표현형식과 내용
형식 사이에 존재하는 유연성의 조건에 대한 성찰에 이르게 된 이유를 해명
하게 된다. 두 번째로 조형기호학은 표현의 실질이 시각적이라는 점을 분명
히 인식하고 시각적인 기표의 감각적인 자질에 대한 성찰을 두 번째의 관심
사로 여긴다.64)
조형기호학의 범주는 내용면과 표현면으로 나눌 수 있는데 내용면을 구성
하는 범주는 신화적 체계의 범주이며, 표현면의 범주는 위상, 색채, 형태, 질
감 등의 범주로 나눌 수 있다. 즉 내용면을 구성하는 범주는 삶/죽음, 자연/
문화, 신성(神性)/인성(人性), 동일성/이타성 등과 같이 조형예술에서나 문학
작품의 내용면을 구성하는 범주로 구성되고,65) 표현은 위상, 색채, 형태 범주
로 이루어져 있다.
조형기호학이 다루는 표현면의 기본범주는 위상의 범주-높은/낮은. 오른쪽/
왼쪽, 중심적/주변적, 포위하는/포위되는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색채 범주로는
포화된/포화되지 않은, 빛나는/빛나지 않는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형태 범
주에는 긴/짧은, 연속적/비연속적 등이다.66) 이러한 범주들이 결합해서 하나
의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표현면에서 분석대상으로 삼는 단위들은 실제로 우리의 눈앞에 보이는 실
체가 아니라, 실체의 하위단위로 구성되어 있는 단위들 관계의 형식에 대한
분석이다. 조형기호의 표현면이 내용면과 결합됨으로써 가시적인 대상은 관
념적인 대상으로 변형된다.
플로슈는 사진의 조형적인 자질과 모티브를 어휘화하고, 어휘로 환원된 모
티브들을 나열하는 것이 작품의 의미를 파악하는 유일한 방식이라고 생각하는
태도를 벗어나서 조형예술의 담화 단위인 대조에 대해 구상화는 물론 추상적
인 예술작품을 포함해 연구대상으로 받아들였다. 그는 이미지가 갖는 기호학

64) 박일우, 앞의 책, p.101.


65) Jean-Marie Floch, 박인철역, 앞의 책, p.5.
66) Jean-Marie Floch, 박인철역, 앞의 책, p.5.

- 31 -
적 형식내에서 조형적인 대조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보여주기 위하여 부바
(E. Boubat)의 <나체>’67) 사진작품의 대조를 조형예술의 단위로 설정한 논리
를 펼쳤다. 본 연구에서는 대조의 표현면의 구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
다.

<그림 1> 기복/평평함의 대조


출처: Jean-Marie Floch, 박인철역, 앞의 책, p.61.

<나체>에서 기복/평평함의 기법상의 대조를 조형적으로 활용한 것이며, 조


형적 대조를 구성하는 복잡한 요소들에 대해 부바의 사진을 ‘바탕’으로써의
면과 ‘형상’으로써의 면으로 나누었다. 형상으로써의 면은 여자모델의 짙은
검은색 머리칼, 밝은 상반신, 질감 있는 옷감의 면으로 나누어 전체 네 개의
단위로 나누었다. 언급한 네 개 면의 조형적 본성과 각각의 면들 간의 위상
적인 관계 속에서 조형적인 본성들을 ‘기복/평평함’의 범주로부터 파생된 네
개의 사항들이 작용된 것으로 파악했다. ‘기복/평평함’의 분절을 [그림1]과
같이 네 개 항의 기호사각형으로 나타냈다. 이와 같이 플로슈는 모든 시각적
기호들을 범주에 따라 기호사각형에 적용하였다.68) 기호사각형은 하나의 동
일한 의미범주, 하나의 동일한 구조를 구성하는 변별적인 본성들의 관계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기호사각형을 구축하기 위해 기호학은 언어의 두

67) 사물의 뒷모습을 주제로 한 부바(Edouard Boubat)의 대표작이다.


68) 이러한 인식론적 모델은 레비스트로스의 신화분석이었다.-박일우, 앞의 책, p.129.

- 32 -
가지 유형의 대립관계를 인식한 구조언어학의 지식을 이용한다.69)

<그림 2> 면들의 위상적 관계


출처: Jean-Marie Floch, 박인철역, 앞의 책, p.62.

플로슈는 [그림2]와 같이 서로 분절된 두 가지 위상적인 관계, 즉 ‘둘러 싸


인 것-둘러싸인 것(cerné-cernant)의 관계와 삽입된 것-삽입하는 것
(intercalé-intercalant)의 관계가 <나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그리
고 위상적인 관계의 분절을 도식화했다. 그리고 [그림3]에서 볼 수 있듯이
‘둘러싸인 것-둘러싸는 것’의 관계는 보다 일반적인 위상적 관계라 할 수 있
는 ‘포위된 것-포위하는 것(entouré-entourant)에 종속될 수 있을 것이다.
후자의 관계는 평면적이고 2차원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선적인 ‘삽
입된 것-삽입하는 것’의 관계와 대립한다.70)

69) 그레마스가 그의 저서『구조적 의미론(Semantique structurale)』에서 기호학적 사각형을 제시


했으며, 이분법적 대립관계에서 출발한 모델로써 모든 의미범주의 논리적 분절을 시각적으로 재
현한 것이다.
70) Jean-Marie Floch, 박인철역, 앞의 책, pp.61-62.

- 33 -
<그림 3> 위상적 관계
출처: Jean-Marie Floch, 박인철역, p.62.

플로슈가 부바의 사진 분석을 통해 보여주고자 했던 것은 하나의 이미지가


취하는 기호학적 형식내에서 조형적인 대조가 어느 정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 보여주려는데 있다. 어렴풋한 공간속에 하나의 인물로 표현된 여자모델은
극히 단순한 텍스트 구성을 보여준다. 작가의 주석이나 혹 사진의 독해를 가
능하게 하는 어떤 종류의 설명도 없는 사진을 대상으로 조형적인 자질을 이
끌어 내서 기호학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시각적인 작품의 조형적인 자질들
을 고찰하고 싶은 욕망, 그리고 모티브를 어휘화하고, 어휘로 환원된 모티브
를 열거하는 것이 작품을 파악하는 유일한 방식이라고 생각하는 기존의 태도
를 거부함으로써”71) 조형예술의 담화 단위인 대조에 대한 연구를 한 것이다.
부바의 작품과 같은 구상적인 사진작품 외에, 구성이라는 것은 감각들 사
이의 긴장감에 대한 형태 속에서 살아 꿈틀거리는 힘의 정확한 유기적 형식
이라 했던72) 칸딘스키(W. Kandinsky)의 <구성 4>를 해석하면서 추상적 단
위들의 분절을 위해 구상적인 조형의 근거를 찾아냈다. 칸딘스키의 구성작품
이 제작된 시기와 동시기의 ‘뮌헨 신예술가 연맹’과 ‘청기사시대’에 칸딘스키

71) Jean-Marie Floch, 박인철역, 앞의 책, p.53.


72) Kandinsky. W.,『Punkt und Linie zur Fläche. Beitrag zur Analyse der malerischen
Elemente』, Benteli, 1965, p.100.

- 34 -
가 제작한 다른 작품과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플로슈는 ‘선의 수’, ‘조밀정도’,
‘채색면’ 등의 위상적 배치를 고려하여 화면을 오른쪽, 왼쪽, 가운데 부분으로
분할하였다. 각 면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불연속 단위들을 다른 구상작품
들과 비교하여 잠정적으로 표현체로 분리하였다. 이 표현체들은 선의 하위단
계를 구성하는 계열체적 조직, 곧은/굽은, 긴/짧은, 연속/불연속 등 뿐 아니라
색채의 계열체, 밝은/어두운, 포화된/포화되지 않은, 빛나는/빛나지 않는 등
을 포함해 구상작품에서와의 다른 방법으로 조합하였다.73)
구상작품인<나체>에서는 평면적인 시각 대상에 대한 기호학적인 접근의
단계를 보여주는 것이고, 비구상작품인<구성 4>의 분석을 통해 구상과 비구
상의 표현면과 내용면의 상동성을 밝혔으며, 이것은 표현의 범주와 내용의
범주 사이의 일치에 바탕을 둔 조형기호학의 존재를 규명한 것이다. 또한 만
화작품인 라비에르(B. Rabier)의 <안락한 둥지>를 대상으로 구상적인 것의
기호-상징적 약호화의 한 예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플로슈는 도상에 대한 조형의 복권을 이끌어 냈지만 한계가 있었다. 도상
과 대립하는 조형의 본질은 제기되었지만 더 이상의 전개는 생략되었으며,
서구 인식론의 역사에서 전통적인 도상성 논의에 비해 플로슈의 조형이론은
상대적으로 빈약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조형기호학의 이념은 제시했으나
그 내용이 치밀하지 못했다. 그룹 뮈74)의 연구가 형태, 색채, 짜임새의 내적
변별력을 규명한 것에 비해 플로슈는 다양한 조형요소들 중 색채, 대조 등
단지 몇몇 개를 선택하여 이를 파편적으로 논의하는데 그친 것은 약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그룹 뮈의 수사학은 좀 더 정교한 도상/조형의 대립 모델에
입각하여 발전되었다. 이들에 의하면 도상언어와 조형언어는 다양한 층을 이
루는데, 수사적 문채는 순수하게 도상적이나 조형적인 것뿐 아니라 도상-조

73) 박일우, 앞의 책, pp.102-103.


74) 그룹 뮈(Group μ)의 전략이 텍스트 분류라면 플로슈의 연구는 텍스트분석이다.-박일우, 앞의
책, p.129.
시·지각 현상을 대했을 때 어떻게 언어적 구조를 찾아내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 1990년대 뮈 그룹
은 “시각 현상은 연속적이고 비균질적인 성질을 가지는데 비해, 기호학은 이산적이고 균질적이어
서 양화(量化) 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면 좀처럼 적용되지 못한다”는 고백을 했다.-김기국, <미술
기호학으로 본 ‘세한도’>, CAUON(http://www.cauon.net)

- 35 -
형적일 수도 있다. 조형적 문채와 도상적 문채(文彩) 요소들은 작품의 다차원
성에서 나오며 동시에 두 개의 실재가 나타날 수도 있는데 이것이 조형기호
학을 구두언어와 구별하는 기본이 된다.75)
또한 플로슈의 조형기호학은 조형 요소들의 내재적 속성 보다는 그들의 관
계에 치중함으로써 빈약한 결과를 만들어 낸 것이다.76) 플로슈가 표현체77)를
기호사각형에 적용하기 위하여 플로슈가 제안한 범주가 매우 자의적이라는
점을 지적하는 것이다. “그레마스의 기호 사각형이 아무리 일반성을 가진 보
편적 분석이라 할지라도 만들어진 분석결과는 모든 것을 의도적으로 ‘4’라는
숫자에 맞추는 것으로 보인다”78)라는 지적을 받는다. 하지만 순수하게 도상
기호만으로 구성된 텍스트에 관한 기호학적 연구라는 점은 오늘날 영상문화
를 둘러싼 담론에서 새로운 분석방법적 틀로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과 대안
이 될 수 있다.
플로슈의 조형범주 이론은 구상적 사진작품에 대한 분석방법이다. 그의 학
문적 업적이 그룹뮈의 분석이나 비교에 치밀하지 못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
지만, 색채와 대조 등으로 텍스트를 분석하는 그의 업적은 본 연구의 분석틀
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형 범주별 조형요소의 속성과 요소의 관계를 모두 비중있
게 다루는 방향으로 접근하고자 했으며, 기호사각형에 적용하기 위해 플로슈
가 제안했던 범주가 매우 자의적이라는 점을 고려해 보편적인 조형요소의 대
조적 분석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75) 박일우, 앞의 책, p.127.


76) 박일우, 앞의 책, pp.128-129.
77) 형상이나 구상체를 기호학에서는 ‘표현체’라고 한다. ‘표현체’는 구상적 표현체와 조형적 표현체
로 나뉜다. 구상적 표현체란 교육,경험을 통해 습득하는 것이고, 추상적인 것을 의미하기 위한
목적으로 적용될 경우 조형적 표현체라 한다.
78) 박일우, 앞의 책, p.130.

- 36 -
제3장 유형 추출을 위한 분석틀 설계 및 검증

제1절 비주얼 텍스트 유형화를 위한 고찰

1. ‘위험’주제 보도사진의 이해

보도사진이란 자연현상이나 사회현상을 보도라는 목적으로 촬영한 사진이


다. 신속한 보도를 목적으로 하지만 사진기자의 독자적인 문제의식이나 주장
이 포함되기도 한다. 유럽의 ‘르포르타즈 포토그래피’, 미국의 ‘다큐멘터리 포
토그래피’, 한국과 일본의 ‘보도사진’은 용어가 주는 뉘앙스는 다소 다르지만
포토저널리즘이라는 체계 속에 함축되어 있는 사진 전문용어라고 이해할 수
있다.79)
보도사진은 촬영 목적에 따라 분류하면 응용사진과 순수사진으로 구분되
며, 실용적 목적을 지닌 응용사진에는 자료사진ㆍ광고사진 등이 포함되고 순
수사진은 자기표현을 위한 창작적 목적을 지니는데 심상사진, 다큐멘터리 사
진, 회화적 사진등이다. 또한 보도사진가가 찍은 사진을 총칭하기도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보도사진을 규정함에 있어 보도를 목적으로 하는 사진은 모
두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과 신문사진이라고 해서 보도사진의 영역에 포함할
수 없다는 의견이 대립되고 있다.80)
보도사진은 신문ㆍ잡지 등의 시각적 기사로서 사진이기 이전에 기사라는
사실에 더욱 무게가 실리며 이를 위해 몇 가지 특성을 갖추게 된다. 촬영자
의 주관적 개입보다는 사건의 보도 가치에 중점을 두고 독자에게 전달되는
상식적인 차원의 특성을 의미하는 객관성, 한 장의 사진으로 사건의 핵심과
전말을 전달하는 특성을 말하는 서술성 그리고 사건을 찾아내어 전달함에 있
어서 부지런함과 사회적 사감에 연관된 특성인 성실성을 가리킨다.81)

79) 김성배,『보도사진의 실제』, 동아방송대학출판부, 2004, p.46.


80) 김성배, 앞의 책, p.47.
81) 성광수,『몸과 몸짓 문화의 리얼리티』, 소명출판, 2003, pp.332-333.

- 37 -
보도사진의 분류는 선정기준에 따라 다르지만, 미국 전국사진기자협회와
캐논(Cannon)社, 미주리 대학이 후원하는 '올해의 사진' 선정 시 적용되는 보
도사진 분류방식은 현장뉴스 사진, 일반뉴스 사진, 특집사진(피처사진), 동물
사진, 스포츠사진, 인물사진82), 화보사진, 스토리사진, 요리사진, 패션사진,
사설사진, 다큐멘타리사진, 연속사진 등으로 구분 하고는 있지만 이러한 분류
방식은 단지 촬영주제에 대한 분류일 뿐, 사진의 표현적 원리 및 기술은 공
통적으로 적용된다. 기존연구의 보도사진 유형은 대부분 위에 언급한 분류방
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 “물론 말을 통한 언어(Wort)와 사진(Bild)을 통한 보
도의 방식이 각각 나름의 기능에 대한 특수성을 포함하고는 있지만 큰 부분
은 기술적이며 수사학적인 공통적인 분모를 가지고 있다.”83)
또한 보도사진은 카메라 앵글과 포지션, 카메라 워킹, 조명의 명암등의 영
상 기법에 따른 기계적 선택을 통해서도 다양한 의미를 생산할 수 있고, 특
정한 배경의 적용에 따라서도 얼마든지 부가적인 의미가 생산될 수도 있다.
이렇듯 보도사진은 문자 언어와는 별도로 사건·사안에 대한 기술과 묘사, 말
하기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 보도사진이 오래전부터 주목을 받아 온 것은 시
각적 요소와 함께 보도기능의 성격까지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진 배치
방법과 처리 규격에 따라 지면의 인상이 크게 달라지며 정보 전달의 효과에
도 차이가 발생한다. 신문 논조에 따른 신문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있어 보
도사진은 강력한 역할을 한다. 신문 편집 시, 사진 처리는 크게 트리밍
(Trimming), 크기결정(Sizing), 설명 붙이기(Caption)등 3단계의 작업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기호 발신자 즉 보도지침 방향 결정권자의 개
입으로 왜곡 및 편향성이 발생하기도 한다.
사진을 통해 ‘본다’라는 관점을 취한 1900년대-1920년대까지의 1단계, 전
달매체로서 사진이 무엇인가를 ‘알린다’는 관점을 취한 1930-40년대까지의

82) 인물사진은 초상사진(mug shot portrait)과 주변 환경을 포함하는 인물사진(environment


portrait)으로 분류된다. 기술적 표현방식으로 클로즈업 샷, 미디엄 샷, 풀 샷의 적절한 채택이 큰
역할을 하며 시선 방향과 배경처리가 중요하다. 포즈, 조명상태, 카메라 앵글, 복수 배열이 중요하
지만 이는 인물사진 외에 모든 영역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부분이다.
83) Frank Miener,『Bilder, die lügen』, Books on Demand GmbH, 2003, p.46.

- 38 -
2단계, 그리고 사진의 ‘영상적 자아의식’의 정립기로서 1950-1960년대까지
의 3단계의 발전과정을 거쳤다.84) 이처럼 사진이 현실의 대상을 단순하게 전
달하는 기능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시대의식을 반영함으로써 세계를 바라보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기까지, 사진에 대한 인식과 사진 자체의 성격은 다양
한 변화를 거쳐 왔다. 19세기 중엽 사진술의 발견에서부터 디지털 카메라의
시대에 이르는 동안, 사진은 문화 전반에 걸쳐 동시대적인 변화에 발맞추어
현재에 이르게 된 것으로 파악된다.85)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진텍스트는 시대를 반영한 의식과 조형언어가 결합
됨으로써 삶과 밀접한 생활양식으로 등장하게 되었고, 사진을 ‘현실을 반영하
는 거울’로 보는 시각에서 ‘사실을 변형’시킬 수 있다는 관점, 즉 사실을 전환
시키고 분석하고 해석하며 변형시키는 도구로 인식하여 사진 텍스트에서 문
화적인 코드 읽기를 시도했다. 이렇게 예술적 특성을 소유한 시각언어로서의
사진은 자연언어로 이루어진 텍스트처럼 기호로 분절될 수 있는 대상으로 등
장하게 된 것이다.86) 보도사진에 관한 연구는 195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며,
국내의 연구는 1970년부터 시작되었지만 대부분의 연구 사례는 보도사진의
발달사나 사진작가의 일대기 등의 역사적 연구, 특정사건의 보도량과 빈도를
조사한 내용 분석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밀러(S.H. Miller)는 보도사진에서 게재빈도나 구성요소의 변화를 통해 남
성과 여성 각각의 역할 구분을 분석하였으며, 대부분은 남성 중심적이고, 현
대사회의 변화된 여성관이 반영되지 않은 채 표현되었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그 원인을 당시에는 남성들이 사진 기자직을 독점했던 사회현상의 반영이라
는 결론을 도출했다.87) 이와 관련해서 독일 여성미디어 연구소는 여성의 소
수만이 언론계에 종사하거나 주요 위치는 남성이 주로 차지하고 있다고 발표
함으로 남성중심의 언론사회 구조를 지적했다.88)

84) 김기국,“사진의 기호학적 분석”, In:기호학연대,『기호학으로 세상읽기』,소명출판, 2002, p.58.


85) 육명심,『세계사진가론』, 열화당, 1987, pp.11-12.
86) 김기국, 앞의 책, p.58.
87) Susan. H. Miller,「The contents of news photos: Women's role and Man's role」,
Journalism Quarterly, vol.52, No.1., 1975, pp.69-75.
88) Elisabeth Klaus『Kommunikationswissenschaftlische Geschlechterforschung, Zur

- 39 -
이종수는 1980년대-2000년까지의 3개 중앙일간지의 1면 사진에 나타난
한국 포토저널리즘의 변화와 관련하여 사진의 크기가 급격히 증대하였고, 사
진 소재가 다양화·국제화되었으며, 인간적 소구와 현대적 미학에 기초한 표현
적 관습의 사용이 증대하였고, 출처 표시와 자사 기자의 사진 게재율이 증대
하는 변화를 보인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신문매체를 둘러싼 기술,
조직, 문화적 환경 요인들이 중첩돼 작용된 것으로 설명하였다.89)
임영호는 신문사진에 나타나는 신화의 유형과 특징을 ‘맥락결정적’ 방식으
로 접근해 사진속의 스토리 구성의 내용을 밝히고 신화를 추출해냈으며90),
주형일은 보도사진의 해석에 관여하는 여러 가지 문제를 사진의 특성을 중심
으로 보도사진이 어떻게 사회적 의미를 만들어 나가는지에 대한 연구를 통해
보도사진의 경우에도 단순한 사실 전달이라는 기능에서 벗어나 관객에게 정
서적인 충격을 제공하고 사회적 의미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함을 강조하였다.91)
박정순·정경희는 보도사진 이미지의 정치적 편향성을 선거보도 사진의 양
적분석을 통해 밝혔다. 신문별 논조에 따른 정치적 편향성이 나타나지는 않
았지만 이미지 측면의 분석결과는 전체적으로 신문의 논조에 따라 특정 후보
의 긍정적인 이미지 사진을 게재해 주고 있음을 밝히고, 언론보도의 정치적
편향성은 가시적으로 드러나는 양적 측면 보다는 비가시적인 보도사진의 이
미지 속에 감추어져 있음을 결론으로 도출하였다.92)
보도사진에 관한 연구는 보도사진에 대한 독자의 반응 및 태도변용에 관한
연구, 일반적인 사진보도에 관한 연구, 보도사진의 왜곡이나 이데올로기에 관
한 연구, 선거나 정치인 등 정치관련 선거보도에 관한 연구, 보도윤리나 법적
인 면의 사회적인 책임에 관한 연구, 신문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 등으
로 행해져 왔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 ‘위험’주제로 한 보도사진으로 범위를

Bedeutung der Frauen in den Massenmedien und im Journalismus』, LIT Verlag, 2005,
p.171.
89) 이종수「신문1면에 나타난 한국 포토저널리즘의 변화 경향」, 한국언론학회, 2003, p.30.
90) 임영호.김보영.최수정,「신문사진에 나타난 신화의 유형」, 언론과학연구, pp.388-430.
91) 주형일,「보도사진 해석에 관여하는 여러 문제에 대한 고찰”, 인문연구 제50호, 2006, p.267.
92) 박정순.정경희,「보도사진 이미지의 정치적 편향성」, 미디어,젠더&문화 제3호, 2005, p.97.

- 40 -
한정해 놓은 것은 서론에도 밝히고 있듯이 보도사진은 대부분 갈등적 관계를
사건화해서 보도하기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갈등이라는 테두리에서 벗어날 수
없으며, 갈등을 잘 보여주기 위해서는 ‘위험’을 강조한 비주얼 텍스트가 나타
날 수밖에 없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위험’주제는 주로 재난과 전쟁 테러가
대표적이며 세계적인 관심이 모아지는 사건의 주제가 되기 때문이다.
'위험' 개념은 사회와 과학, 사회와 기술의 관계를 설명하는 중요한 논쟁의
상징이 되어왔다. 위험과 관련한 초기의 논쟁은 건강, 생태환경 그리고 기술
적 위험에 초점을 두어왔지만, 최근에는 정보통신 기술의 위험까지 포함하고
있다. 원자력 발전소, 화학공장, 뉴미디어, 데이터 보호 그리고 유전자 기술에
관한 위험 논쟁이 가장 상징적이다. 이것은 벡(U. Beck)이 설명했듯이 산업
사회에서 정보화 사회로 이행되면서 심화되는 ‘실질적인 위험’의 증가에 대한
사회정치적 반응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 사회가 어떠한 위험을 공포로 여기
느냐는 어떠한 가치에 근원하느냐 하는 사회적 관심에 따라 달라진다.93) 위
험의 사회적 가치에 따라 재해, 환경, 전쟁, 건강 등의 사회적 관심에 초점을
맞추어 위험을 강조하기도 하기도 하고 축소하기도 한다.
미디어 보도에 대한 독자의 반응은 그 보도의 상세한 내용과 반드시 긴밀
한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독자들은 기사의 헤드라인이나 보도
사진을 살펴보고 자신이 관심 있는 특별한 기사만 선택적으로 읽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우리는 꼼꼼한 독자만이 이해할 수 있는 기사와 대부분의 독
자들이 기사로부터 받아들이는 단순한 이미지를 구별해야 한다. 텔레비전 뉴
스는 영상 이미지와 연결된 전형적으로 단순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원자력
같은 기술적 재난 또는 논쟁의 여지가 많은 기술과 위험에 대한 뉴스 보도는
위험성을 경고하거나 그 여파가 크지 않다는 양쪽의 의견을 저널리즘의 형평
성 규정에 맞추어 기사를 쓰려고 하지만, 실제로 위험이라는 단순한 이미지
만 전달된다. 아모스 트버스키(A. Tversky)와 다니엘 카네만(D. Kahneman)
이 제시하여 선풍적인 인기를 끈 인지심리학의 관점에서 보면, 이러한 간단
한 이미지가 계속하여 반복되면 시청자의 마음속에 엄청난 결과를 불러일으

93) Hans Peter Peters·송혜룡,『위험보도와 메스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p.2.

- 41 -
키는 잠재적인 위험의 ‘자기계발적인 이용가치(Availabillity Heuristic)’로 변
화된다는 것이다.”94)
미디어를 통해 특정 위험 기사의 노출이 많아지면 특정한 위험에 대한 독
자의 관심이 많아질 수밖에 없으며, 위험의 크기를 어떻게 보도하느냐에 따
라 위험의 정도를 받아들이는 입장도 달라진다. 주요 언론사가 재난에 대해
어떠한 방식으로, 얼마나 자주 보도하느냐에 따라 위험의 크기가 확대 혹은
축소되는 것이다. 예컨대 ‘동일본 대지진’보도의 경우, 불타는 해안 마을을 집
중 보도하는 것, 희뿌연 연기가 피어오르는 원전을 보도하는 것, 망연자실한
피해주민들을 피사체로 한 보도사진을 통해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여타 위
험에 대한 독자의 관심과 걱정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더불어
정보원에 따라 독자에게는 그 위험의 종류와 크기가 각각 다른 위험정보로
수용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보도가 “정보원과 저널리스트 사이의 사려깊은 협력의 결과인가 아니면
행위자(정보원과 기자) 및 언론기관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적 요인에 의해 결
정되는 것인지는 재난 보도를 이해하는데 매우 주요한 사안이다. 미디어와
위험 주제를 의제로 설정하는 데 따른 많은 문제점들은 제한적으로 논의되고
있다.”95) 일부 의제는 실제보다 크게 확대되어 설정되기도 하는 반면96) 실제
사건·사안과 별다른 관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미디어의 소유자의 관심, 독
자의 관심, 저널리스트 자신의 관심 그리고 정보원의 관심으로 인하여”97) 언
론사의 의도와 함께 사회적으로 이슈화 되기도 한다.
최근 들어 자주 ‘재앙’, ‘위기’ 그리고 ‘위험’ 관련 사건·사고들이 거의 매년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 되는 9.11사건과 같은 글로벌 테러리
즘, 후쿠시마 쓰나미와 같은 자연의 재앙과 원전 폭파의 위협 같은 기술적
재앙 등은 단지 몇 개의 사례에 불과하지만, 보도사진의 비주얼 텍스트를 통

94) Hans Peter Peters·송혜룡, 앞의 책, pp.9-10.


95) Hans Peter Peters·송혜룡, 앞의 책, p.10.
96) 광우병과 같은 식료품 사고, 사스· 조류독감과 같은 감염 사고에 대한 보도는 우리에게 큰 위
험으로 다가왔으며, 이러한 사건의 보도 논쟁은 미디어가 전달하는 위험 이슈에 대한 의제 설정
의 신뢰성에 대한 강한 의구심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97) Hans Peter Peters·송혜룡, 앞의 책, p.10.

- 42 -
해서 공중에게 위험을 전달하는 수단으로써 진지하게 논의될 필요성이 제기
된다.
사실 위험주제 보도 중 재난 보도는 일반적인 뉴스가치 기준과 다른 기준
으로 뉴스의 가치를 결정해야 하며 사건·사안의 정확한 조명을 중시하여야
한다. 위험 보도를 통해 정보 수용자를 감정적으로 흥분시키거나 자극하기
보다는 냉정하게 공동체 의식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해야 하므로 사실(Fact)
과 의견(Opinion)을 혼동하게 하는 보도사진의 게재는 보도의 부정적인 측면
이다. 오늘날과 같은 위험사회에서 위험주제 보도사진에 대한 핵심적인 인식
은 위험사건의 실체를 전제하지만 결정적으로 인간의 의도와 행위에 의해 위
험의 형태와 크기가 만들어진다는 것이고, 보도사진의 강력한 설득력으로 인
해 우리는 보도사진의 해석에 각자 내맡겨진다는 것이다.

2. 유형화의 발전사 고찰

한국텍스트학회에 따르면 텍스트유형 연구는 이미 텍스트학 연구가 태동하


는 초기부터 이루어져왔다. 언어적 텍스트 정의들의 공통점을 요약해보면 텍
스트는 문장의 상위 단위로써 연속성을 가진 연속체이며, 텍스트를 구성하는
문장들은 단순한 집합이 아닌 그 이상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언어기호의
무분별한 나열은 텍스트답지 않다. 텍스트에 대한 대부분의 논의는 앞에서
언급한 공통점을 기반으로 이루어져왔고 일정한 기준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먼저 언어적인 텍스트 유형에 대한 고찰은 우선 텍스트 종류에 대한 이해
에서 부터 출발해야한다. 그 이유는 텍스트 종류의 지식은 텍스트 이해의 선
신호로서 해당 텍스트에 대한 기능과 내용에 대해 기초가 되는 정보를 제공
해 주기 때문이다. 텍스트는 화자의 의도에 따라 기본의도와 확장의도로도
구분된다. “텍스트는 구체적인 통보상황(상황성)에서 정보책략적으로(정보성)
수용자의 기대지평선을 전제한(용인성) 화자의도(의도성)을 통해 일정한 텍스
트 유형으로 실현된다.”98) 구체적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의 텍스트 사용방식

- 43 -
즉, 브링커는 텍스트의 기본기능을 ‘제보기능’, ‘호소기능’, ‘책무기능’, ‘접촉
기능’, ‘선언기능’으로 밝혔다. 인간적 관계의 통보·기능적 측면을 고려한 브
링커의 주장에 고영근은 ‘감동기능 텍스트’99) 를 추가해 여섯 가지 기능을
제시하였다.
브루어(Brewer)는 문어 텍스트를 크게 언어사용자의 인지구조와 텍스트사
용자의 목적 차원에서 분류하고, 그 결과를 상호 교차적으로 대응시켜 텍스
트 유형을 설명했다. 언어 사용자의 인지 구조에 따른 텍스트 유형을 ‘묘사적
텍스트’, ‘이야기 텍스트’ 그리고 ‘설명적 텍스트’로 분류했다.100) 텍스트 기능
도 일정한 행위관계에서 사용국면에 따라 독특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
에 근거해 뤼거(H.H. Lüger), 딤터(M. Dimter), 이성만은 행위논리에 준거한
언어적 행위목표, 즉 텍스트분류의 기술모델을 일상언어적-경험적 텍스트유
형 개념에서 찾고 있다.101)
일상생활에 등장하는 텍스트유형은 텍스트의 특정한 자질이나 속성에 따라
드러난다. 유사한 특성을 가진 텍스트집단이 갖는 특징적 자질에 따라 구분
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미디어유형에 따라 TV광고와 인쇄광고로 분류되며,
텍스트의 지배기능에 따라 신문사설과 신문보도, 대화의 공간적 조건에 따라
직면대화와 전화대화, 드라마의 시대적 조건에 따라 고전드라마와 현대드라
마, 보고의 주제에 따라 업무보고서와 여행보고서로 분류될 수 있다. 텍스트
유형론은 체계적으로 개별텍스트의 ‘텍스트다움’ 즉 텍스트 구성요건과 의미
작용을 기술하는 작업이 아니다. 예컨대, ‘신문텍스트’라는 미디어유형은 신문
에 등장하는 미디어텍스트의 종류에 대한 총체적 개념으로, 신문에 등장하는
신문보도, 사설, 일기예보, 독자투고, 광고문 등 다양한 텍스트현상을 포괄하
는 개념이다.102)

98) 고영근, 앞의 책, p.268.


99) 브링커(Brinker)의 분류는 간(間)인간적 관계(Interpersonale Beziehung)의 통보.기능적 측면을
고려하여 설(J. R Searle)의 미비점을 극복하였다는 점에서 긍정적 측면이 없지 않다. -고영근,
앞의 책, p.254.
100) 묘사적 텍스트는 정적인 지각 장면을 구체화하려고 하는 언어적 형태이고, 이야기 텍스트는 시
간의 흐름에 따라 일어나는 일련의 행위와 사상을 구체화하려고 하는 형태이다. 설명적 텍스트는
추상적이고 논리적인 과정들을 표상하려고 하는 언어적 형태이다.
101) 이성만,「통보기능적 텍스트유형론의 가능성과 문제점」, 독어교육 제10권, pp.83-84.

- 44 -
영상텍스트 분류는 확대된 개념으로 보게 되면 ‘그림텍스트’, ‘언어텍스트’,
‘청각텍스트’까지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채널방식에 의해 ‘시각텍스트’와
‘청각텍스트’로 구분되는데 언어텍스트의 경우, 시각텍스트와 청각텍스트의
경계를 넘나들고 있다. 모든 텍스트들이 기술과 만나 기술적 형상으로 등장
하는 모든 텍스트를 일컫기도 하며, 이러한 영상텍스트는 정보들이 결합하는
양식에 따라 ‘단순텍스트’, ‘통합텍스트’, ‘부가텍스트’, ‘하이퍼텍스트’103)로
구분 된다. 또한 통보적 기능 유형에 따라 텍스트 유형을 ‘용례텍스트’, ‘보도
텍스트’, ‘허구텍스트’, ‘유희텍스트’, ‘의도텍스트’로 구분 지을 수 있다.104)
이성만은 통보기능적 텍스트유형론의 가능성의 문제점을 고찰하는 연구를
하여 텍스트의 유형을 기술하기 위해서는 텍스트유형의 구조, 발화형태, 텍스
트 내용, 제시형태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05) 오장근은 신문기사
로 일컫는 다양한 텍스트 종류 중 일간신문에 나타나는 정보위주의 텍스트들
을 언어학적으로 분석하고, 정보전달형식을 토대로 어떠한 기준으로 정보위
주의 텍스트들이 구분되어질 수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분류가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연구를 하였다.106)
유지수, 조삼섭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뉴스보도 유형이 기업 이미지에 미
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기업의 규모와 뉴스유형(텍스트유형, 텍스트-비주얼
결합유형)간에 상호작용과 비주얼 결합유형이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기업의 규모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본 결과, 기업의 규모와 텍
스트-비주얼결합유형 간에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각

102) 오장근, 미디어텍스트로 세상보기, In: 미디어문화교육학회,『문화콘텐트학의 탄생』, 다할미디


어, 2005, p.74.
103) 여기서 말하는 하이퍼텍스트란 기술적 링크텍스트가 아닌 일종의 사회구조의 세세한 부분으로
들어갈 수 있는 키워드로 만들어진 지형도로 이해할 수 있다.-Edward Barrett,『The Society of
Text』, The MIT Press, 1995, p.16.
104) ‘단순텍스트’는 그림, 언어, 소리 등의 기호 중에서 단 한가지로 구성되는 텍스트의 분류이다.
‘통합텍스트’는 언어적 텍스트와 통보적 성격의 텍스트 결합으로 구성된다. ‘부가텍스트’는 섹션신
문과 같이 신문의 한면이 전혀 다른 주제의 정보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하이퍼텍스
트’는 몽타주 부분들이 순서적으로 결정되어 등장하는 선형적이 아닌 단순텍스트 혹은 통합텍스트
를 의미한다.-김영순, 앞의 책 pp.220-221.
105) 이성만,「통보기능적 텍스트유형론의 가능성과 문제점」, 독어교육 제10권, 1992, p.105.
106) 오장근,「사태, 사태보도, 르포르타주:정보위주 신문텍스트의 텍스트유형 분류를 위한 연구」,
텍스트언어학 10, 2001, p.190, 208.

- 45 -
각의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난 것으로 결론을 도출하였다.107)
텍스트-비주얼 결합유형이 포함되기는 하였지만 언어학적 기능을 위주로 한
텍스트 유형 연구이다.
앞에서 언급한 학자들의 텍스트 유형 분류는 언어적 텍스트 유형화에 대한
고찰이다. 이러한 고찰은 비주얼 텍스트 유형화에 적용하기 위한 목적 하에
언어 텍스트의 다양한 유형화 기준 및 방법론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텍스트
유형 분류에 대한 다양한 영역의 유형 논의를 고찰한 결과, 텍스트의 유형연
구는 텍스트 내적 요소 또는 텍스트 자체의 구조를 중심으로 분류하는 연구
와 텍스트의 외적 기준인 기능을 중심으로 분류하는 유형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또한 각 텍스트 유형은 엄밀한 조건의 범주화를 전제로 하기보
다는 텍스트의 전형적인 특성 및 기능을 바탕으로 하였다. 해당되는 텍스트
유형의 지배적 성향을 밝혀내는 작업은 유형화 작업의 핵심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현실적으로 언어활동에 사용되는 텍스트의 경우, 텍스트의 기능은 매체에
따라 지배적인 기능이 각각 적용될 수 있다. 하나의 특정한 기능만이 아닌
동시에 여러 개의 기능이 중복되어 나타날 수 있으며, 중복된 기능 중 지배
적인 기능을 앞세워 텍스트 기능에 따라 유형 분류하는 방법이 통보지향적
언어텍스트의 유형 분류의 방법론이다. 비주얼 텍스트 유형 분류에서도 마찬
가지로 텍스트의 전형적인 특성 및 기능을 밝혀내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
다. 텍스트 유형 분류의 가장 중요한 점은 분류기준의 타당성이다. 해당되는
기준을 어느 단계로 세밀하게 분류하는가에 따라 텍스트다움의 구체성이 드
러날 수 있기 때문이다.

107) 유지수․조삼섭,「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뉴스보도 유형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


구 제19권 제2호, p.71.

- 46 -
3. 비주얼 텍스트의 유형화 탐색

내용적 측면에서의 텍스트의 탐색은 보도의 실체적 대상이 무엇인지 텍스


트 내의 의미는 어떻게 읽히는지에 대한 물음이다. 조형적 측면에서의 탐색
관점은 텍스트의 의미가 어떤 표현구조로 나타나는가에 대한 물음이다.
언어텍스트가 인간에 의해 말이나 글로 구성되어 발화되는 것처럼 사진텍
스트는 카메라를 통해 기술적 형상으로 실현된다. 텍스트 생산과정에 있어
관여하는 문제들은 다양하다. 우선 사진을 찍는 사람의 의도 혹은 찍힌 사진
을 선택하고 실체적 활용을 하는 편집자의 의도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결국
언론사의 의도를 주목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이들의 개입은 독자의 입장에서
보면 정보에 대한 해석의 차원을 달리하는 문제로도 직결될 수 있는 것이다.
사진의 시간과 공간적 특성 또한 비주얼 텍스트 생산에 관여한다. 사진은
카메라의 기술적인 작동을 통해 얻어진 영상이며 공간과 시간을 재현한다.
곧 카메라 셔터의 작동에 의해 얻어진 순간의 포착이며, 순간의 한 단면을
포착해 보여주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움직이는 대상을 포착해도 그것은
정지영상에 불과하다. 사진 속에 포착된 시간은 정지된 시간이며, 공간화된
시간이다.108) 사진은 실제로 시간을 포함하지 않지만 사진을 보는 독자 자신
의 기억을 사진에 투사함으로써 시간을 가지게 된다. “보도사진은 작가와 관
객이 자신들의 지식들과 체험을 통해 그것들을 본다는 점에서 하나의 이야기
를 담고 있다.”109)
사진이라는 것은 매순간 우리가 마치 사건과 연관된 생활을 하고 있는 가
운데 그 모습과 현상을 나타내 주는 느낌을 준다. 오늘날 범람하는 사진들은
이러한 느낌을 더욱 강하게 만들고 있다. 신문을 펼쳐들 때마다 우리는 그
속으로 빠져 들어가는 것을 느끼는 것이다.110) 또한 그러한 순간을 공간화
하는 과정에서도 독자의 기억이 관여하게 된다. 사진의 장외공간은 사진 메

108) 주형일, 앞의 논문, p.238.


109) 주형일, 앞의 논문, p.240.
110) Daniela Ingruber,『Bilder ohne wirklichkeit: Die kommende Demokratie』Bd.4, LIT
Verlag, 2011, p.77.

- 47 -
시지가 갖는 영향력을 강화한다. 이 중 특히 시선은 사진의 장과 장외를 연
결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독자가 사진의 대상과 커뮤니케이션을 하게 하는 역
할을 한다. 이러한 예는 퓰리쳐 수상작 대부분의 시선처리가 텍스트 수용자
의 시선과 맞닿아 있는 것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사진의 시간성과 공간성은 전달하는 의미의 정서적 강도를 강하게 하는 역
할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특정한 시공간을 이용해 사진이 줄 수 있는 정서
적 충격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방식으로 사진이 제작되고 있는 것이다. 보
도사진의 경우에도 단순한 사실 전달이라는 기능에서 벗어나 독자에게 정서
적 충격을 제공하여 사건의 사회적 의미를 전달한다. 의미를 시각적인 기호
로 전달하기 위한 비주얼 텍스트의 표현적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단서를 찾
기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
‘전경’과 ‘배경’은 형태와 배경에 관계된 것인데 전경은 앞에 떠오르는 형태
이고 배경은 전경 이외의 배경이 되는 부분이다. 게슈탈트 심리학 이론에 따
르면 인간은 전경과 배경을 조직화하여 지각의 장(場)을 마련하고 의식 속에
받아들인다. 각자의 관심영역은 전경이 되고, 그 이외의 것은 모두 배경이 되
면서 개인은 자신의 요구를 기초로 게슈탈트를 형성하여 지각한다. 이러한
개인의 요구와 매체의 영상이 조화를 이루지 못할 때 텍스트 생산자와 수용
자 사이에 교감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인터넷 웹사이트를 방문 했
을 때 나타나는 많은 팝업창이나 플래시 배너광고에 거부감을 갖게 되는 경
우가 그렇다. 웹페이지의 콘텐츠를 전경으로 인식하려고 하는데 각자의 의도
와는 관계없이 광고나 팝업창이 강제적으로 ‘전경’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많은 윈도우를 띄우고 멀티태스킹을 하면서도 우리는 전경과 배경을 수시로
바꾸게 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그렇지만 수많은 창이 떠 있어도 전경은 항
상 하나일 뿐이다. 전경은 유동적이지만 동시에 여러개가 전경이 될 수는 없
다. 또한 전경과 배경에 대한 구분은 시각적으로 드러나는 것에 국한되지 않
는다. 이를테면 서술적인 텍스트에서도 행위와 묘사되는 세트들이 구분되어
지기도 한다. 이 경우에도 전자는 전경 후자는 배경, 혹은 게슈탈트(Gestalt)
로 구분할 수도 있다.111)

- 48 -
보도사진은 전경과 배경의 개념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는 매체이며, 전경
과 배경의 개념을 확장해 보면 게슈탈트 심리학의 대표적인 주장인, ‘전체는
부분의 합 이상이다’에 도달하게 된다. 만일 텍스트 수용자가 어떤 장면을 지
각할 경우 그것은 개별 이미지의 단순한 합이 아니라 총체적인 장면으로 지
각한다는 의미이다. “지각 대상들은 ‘큰 단위’ 또는 ‘전체성’(Ganzheit)이며
,”112) 보도사진 전체는 사진부분의 합 이상이다. 브렌타노(F. Brentano)는
게슈탈트를 전체적으로 지각하는 요인 중 ‘지향성’에 관심을 가졌다. 각각의
게슈탈트는 서로 지향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이 서로 관계를 맺으며 총체
적으로 인식돼야 올바른 지각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이해하
는 것은 지각되는 각 대상들과의 관계에 주목한다는 말이다. 게슈탈트 심리
학이 구조주의 이론과 자주 관련되는 것은 바로 이러한 관계 때문이다.113)
보도사진 분석에서 마주치게 될 게슈탈트가 과연 어떤 관계 속에서 우리에게
‘전경’으로 떠오르는지 혹은 배경에서 언제 전경으로 변환되는지의 문제에 대
해 파악하는 것은 비주얼 텍스트 유형연구를 하는데 있어 게슈탈트 지각원리
중 가장 중요하게 적용될 부분이다.
비주얼 텍스트의 전경과 배경의 관계는 시지각적으로 연관되지만, 보도사
진을 통해 전달하려는 의미의 시각적 주제와 시각적 부제로도 관련지어 설명
될 수 있다. 사진의 구성과 구도를 결정하는 요소들을 총칭하여 피사체라고
하는데 피사체는 주제와 부제로 구분하여 표현된다. 프로작가들의 사진 대부
분이 단순성이 강조되어 있는 것은 주제가 선명하게 부각되어지고, 부제가
그 주제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보도사진에서 보여주고자 하는,
즉 주제적 의미작용이 일어나는 부분이 시각적 주제가 되고, 주제의 깊이를
좀 더 보완해주며 사유의 폭을 넓혀주는 부분이 부제가 되는 것이다. 주제만
드러난 보도사진은 시각적으로 단순하지만 주제에 따른 부제가 적절하게 조
화를 이루면 사유의 반전이 일어나게 되고, 철학적인 주제가 표현되어질 가

111) Oswald Panagl, Ruth Wodak,『Text und Kontext』, Verlag Königshausen & Neumann
GmbH, 2004, p.291.
112) 김경희,『게슈탈트심리학』, 학지사, 2000, p21.
113) 김경희, 위의 책, p14.

- 49 -
능성이 커지는 것이다.
비주얼 텍스트의 생산에는 공간설정의 관계, 구도의 관계, 색채 관계 등이
관여하여 구조화되고, 이 요소들의 관계는 사진 텍스트의 주제에 영향을 미
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영향은 그것이 의도적이든 의도적이지 않든 독자에
게 전달되어지고 해석되어진다. 그러므로 사진텍스트는 특정한 규칙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특히 사회적 의미작용이 강한 보도사진의 경우에는 더 정확
히 해석되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비주얼 텍스트의 유형화에 대한 탐색은 조형기호학의 영역에서 유형화의
단서를 찾을 수 있다. 기호학이 의미의 대립을 설명하는 관계의 망을 연구하
는 학문이라면, 조형기호학은 조형 이미지를 분절해 시각적인 표현의 실질적
인 요소의 관계의 망을 연결하는 학문이라 할 수 있다. “기호학은 의미효과
가 어떠한 방식으로 가능해지는지 규명하려 하는데, 조형기호학이 분석대상
으로 삼는 것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만나는 인식 가능한 세계, 즉 실질
(Substance)이 아니라”114) 실질 아래 위계적으로 조직화 되어 있는 단위들
사이에 형식을 대상으로 한다. 조형기호학은 비주얼 텍스트만의 전형적인 특
성을 밝히고 유형화 하는데 있어 비주얼 텍스트를 어떻게 분절해서 분석틀에
적용하는지에 대한 이론적 근거가 될 수 있다.
플로슈의 조형범주 연구는 김기국의 연구를 보면 이해가 용이하다. 김기국
은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로베르 드와노(R. Doisneau)의 ‘시청 앞의 입맞
춤’ 사진을 조형기호학적인 시각으로 분석하면서 ‘파리학파(Ecole de Paris)’
의 조형기호학 연구의 독보적 존재인 플로슈의 범주개념을 적용하였다. 사진
텍스트를 구성하는 시각적 기호들에 대한 분절작업을 텍스트의 표현 층위에
‘계층적으로 조직화 되어 있는 단위들 사이의 관계’를 설정한 후, 텍스트의
내용층위에서 ‘범주를 이루며 서로 대립되는 자질들로 이루어진 형식’의 분석
으로 진행하였다. 텍스트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 중 등장인물과 배경, 구도,
시점, 초점 등을 분석하고 텍스트에 존재하는 표현과 내용의 형식을 명시한

114) 이견실,「피에르 멘델 작품의 의미생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5권 4호,


2009, p.373.

- 50 -
후, 이를 통해 동위소를 구성함으로써 텍스트에 내재하는 내적 구조를 구체
적으로 설명하였다.115)
그는 화면의 구성 요소들을 정리하여 근경·중경·원경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접근하였으며, 화면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깊이에 따른 분석을 통해 텍스트의
표현 층위에 발견되는 단위들이 보여주는 조형적 대조에 의해 분석하였다.
사진을 불연속적인 텍스트로 환원하여 시각기호의 표현과 내용의 형식을 몇
가지 대립된 단위, 즉 /폐쇄성/ · /개방성/ · /경직성/ · /유연성/ · /무거움/ ·
/가벼움/ 등과 /주변성/ · /중심성/ · /하강성/ · /상승성/ · /평행성/ · /집중성
/ 등으로 구별하여 그들의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텍스트의 구체적인
분석을 토대로 비언어기호로 이루어진 텍스트의 내적구조와 의미작용을 포괄
하는 의미 생성의 발현과정을 활기, 무기력, 고전성과 현대성의 대립구조로
제시하였다.116)
보도사진은 사건 보도와 정보 전달이라는 견해에서 보면 ‘보도텍스트’에 속
하지만, 언론사의 정치적 편향성이 담긴 텍스트라는 견해에서 보면 ‘의도텍스
트’로 분류될 수도 있다. 또한 시각적 채널을 이용한 ‘시각텍스트’로 구분될
수 있다. 비주얼 텍스트도 언어와 마찬가지로 특정 텍스트가 다기능적 텍스
트 유형으로 중복해서 구분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보도사진이 ‘시각텍스트’로써 사진 자체에서 조형적인 표현의 유
형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정 텍스트가 또 다른 텍스트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언어의 구문론적 견해에 해당되는 비주얼 텍스트
의 구조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그동안 명백한 구문론의 부재가 언어 텍
스트와 구별되는 비주얼 텍스트의 특성으로 언급되곤 하지만 비주얼 텍스트
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면밀히 검토하여 구문론적 시각으로 비주얼 텍스트
를 유형화 하고자 했다.
보도사진의 발화 과정은 시간적 관계성이나 지속성 없이 총체적으로 드러
난다. 총체적으로 제시된 보도사진 텍스트의 의미를 읽기 위해서는 일정한

115) 김기국, 앞의 책, pp.62-65.


116) 김기국, 앞의 책, p.77.

- 51 -
형식을 가진 언어기호로 환원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즉 보도사진 텍스트
를 구성하는 모든 시각적 요소들을 언어기호로 환원시켜야 해석될 수 있다.
불연속체로 환원시켜 조형적으로 분절할 때 보도사진은 하나의 조형적 기호
로 분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시각적 요소들의 분절이 보편적이고 타당한 기
준으로 이루어졌을 때 본 연구의 목적으로 밝혔던 비주얼 텍스트의 보편적
문법이 될 수 있는 유형을 추출할 수 있다.

제 2절 유형 분석을 위한 분석틀 설계

1. 가설적 분석틀

비주얼 텍스트를 분석하기 위한 시각적 분석요소들의 분절은 플로슈의 조


형기호학 범주의 표현면을 중심으로 하였다. 플로슈는 칸딘스키의 <구성4>의
분석과 다양한 조형예술 작품 및 부바의 사진을 통해서 조형기호학의 중요한
업적을 남긴 바 있다.117) 이에 본 연구는 부바의 사진에 대한 연구에서 표현
면을 구축했던 조형적 범주에 기대어 가설적 분석틀을 설계하고 분석을 실시
하였다. 가설적 분석틀에 의한 연구는 유형추출을 위한 분석틀 설계에 요구
되는 필요한 가이드라인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그림 4]

117) Roland Posner, Klaus Robering, Thomas Albert Sebeok,『Semiotik: Ein Handbuch zu
den zeichentheoretischen Grundlagen von Natur』,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04. p.3226.

- 52 -
유형추출을 위한 가이드라인

위상범주 색채범주 형태범주

비주얼 텍스트 유형추출을


위한 분석틀

<그림 4> 유형추출을 위한 분석틀 구성도

조형의 구성 요소는 ‘개념적 요소’와 ‘시각적 요소’로 나눌 수 있다. 개념적


요소는 반드시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실체는 아니지만 인간의 지각에 의해 해
석되어지는 개념을 의미한다. 이러한 개념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
다. 시각적 요소는 형태, 크기, 색채, 질감 등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실체
적 요소이다.
‘상관관계 요소’란 디자인 요소들 간의 결합으로 나타나게 되는 연관된 속
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위치와 방향, 공간감과 중량감 등을 들 수 있다. 이는
디자인 요소 가운데 일관성, 통일성(Unity)으로 이해되는 것으로 시각적 유사
성(Visual Similarity)으로나 혹은 개념적 유사성(Conceptual Similarity)을
통해 드러나기도 한다.118) 그 가운데 위치와 방향은 특정 공간 안에서 형태,
다양한 요소들 그리고 지각자 등이 상호 관련된 요소이다. 방향은 공간에서
나타나는 시각적인 동세감을 의미하며, 공간감은 근경, 중경, 원경 등의 원근
감이다.
중량감은 크기, 명암과 색채 등에 따른 무게의 경중에 관련된 요소이다. 조
형 구성의 ‘실제요소’는 특정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요소로 형태가 가
진 내면의 의미를 말한다. 표현하려는 주제에 맞는 시각적 주제와 목적에 맞

118) Alex W. White,『The elements of graphic design: space, unity, page architecture, and
type』, Allworth Press, 2003, p.57.

- 53 -
는 형태의 기능 그리고 형태의 의미작용 등에 관계된 것이 실제 적용 요소에
속하는 것이다. 기존의 조형 연구가 대부분 개념적 요소와 시각적 원리의 각
각의 요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면 본 연구에서는 상관관계 요소와 실제적
인 요소를 추가해 통합적인 관점으로 접근하고자 했다.
텍스트 분석의 시작은 텍스트를 분절하는 과정에서 시작된다. 사진의 조형적
기호들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사진에 등장하는 인물과 배경, 사진의 구도, 사진
의 시점 및 초점 등을 단위로 구성한다. 분석틀의 구성은 플로슈의 조형범주
이론에 기대어 위상범주, 색채범주, 형태범주로 구분하여 세부항목을 설정하였
으며 이는 사진의 조형적 표현 단위들의 분절을 통해 비주얼 텍스트에 존재하
는 표현의 형식 및 구조를 밝히기 위함이다. 비주얼 텍스트 유형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사진의 조형적 구성요소 중 가장 일반적이고 객관적 정량화가 가능
한 요소가 반영되어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하는 요소로 설정하고자 하였다.
먼저 플로슈의 범주이론에 근거해 보도사진 분석에 적합한 표현요소들을
반대위치, 반대색채, 반대형태 등의 대립적 항목으로 구성하여 유형 추출을
위한 가설적 분석틀을 설계하였다.[표 1] 위상범주, 색채범주, 형태범주로 영
역을 분할하고 위상범주에는 일반적인 구도의 항목인 /수평구도/ · /수직구도
/ · /대각선구도/ · /수직·수평구도/로 구성하였으며, 시각적 주제기호의 공간
적 분절은 /중심성/ · /주변성/ · /복합성/으로 분류하였다. 피사체(형태)가 화
면의 중심에 위치하는지, 주변에 위치하는지 또는 중심과 주변에 흩어져 있
는지에 대한 항목인데, 이것은 피사체의 공간적 위상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
을 가진다. “오른쪽, 왼쪽이라는 위치는 누구나 보기에 당연하게 결정되는 것
은 아니다. 이 위치 결정은 고찰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공간 분절을 전제하
는데, 이 분절은 발화 기원에 좌우된다.”119) 라는 플로슈의 주장은 공간 분
절에 대한 중요성을 일깨우는 대목이다.
색채범주는 /밝은/ · /어두운/ · /뚜렷한/ · /희미한/ · /무거운/ · /가벼운/ ·
/유표적/ · /무표적/120)의 항목으로 분류하여 좀 더 세분화 된 색채의 범주를

119) Jean-Marie Floch, 박인철역, 앞의 책, p.59.


120) 색채의 연상이 공유되는 경우를 무표적 색채(unmarked color)라 구분했고, 반면에 색채의 연
상이 공유되기 힘든 경우는 유표적 칼라(marked color)로 구분했다.

- 54 -
분석하고자 하였다. 형태범주는 /인간/ · /비인간/ · /정적/ · /동적/ · /상태적
/ · /행위적/ · /개별적/ · /집합적/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보도사진에 나타
나는 주제가 인간인지 사물인지 구분하고, 그것이 단독적인 구성인지 집단적
인 구성인지를 구분하였다. 또한 동세감이 포함되는지의 여부와 사건의 상태
를 전달하는 것인지 사건에 관련된 등장인물의 몸짓이 포함된 행위를 보도하
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분류하였다. 형태범주는 조형요소를 언어로 환원했을
때 가급적 보도의 특성이 드러날 수 있도록 보도사진의 특성을 반영하여 설
정하였으며, 각 범주별로 선정된 세부 항목은 아래와 같이 구성하였다.

<표 1> 유형분석을 위한 ‘가설적 분석틀’의 세부항목

범주구분 약어 세부항목
h 수평구도/ horizontal
v 수직구도/ vertical
위상범주 d 대각구도/ diagonal
hv 수평수직구도/ horizontal, vertical
S ctr 중심성/ center
amb 주변성/ ambiance
cpx 복합성/ complex
br 밝은 / bright
dk 어두운/ dark
cl 뚜렷한/ clear
색채범주 야 희미한/ dim

C hv 무거운/ heavy
lg 가벼운/ light
mc 유표색/ marked color
uc 무표색/ unmarked color
h 인간/ human
m 비인간/ non-human
st 정적/ still
형태범주 mo 동적/ movement

F si 상태적/ situation
ac 행위적/ action
col 집합적/ collective
idv 개별적/ indivisual

- 55 -
2. 연구대상 및 범위

본 연구의 목적이 ‘위험’주제 보도사진에 나타난 비주얼 텍스트의 유형을


추출해 내는데 있기 때문에 보도사진의 비주얼 텍스트 유형을 찾아 각 유형
을 규정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타당성 있는 기준으로 분석대상을 규정해
야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일간지의 1면에 개재되는 보도사진이며, 신문 1
면의 머리기사가 무엇을 다루는가는 한 사회가 전개되어 나가는 과정을 보여
준다. 구성원의 여론에 따라 1면 머리기사가 정해지기도 하고 신문의 머리기
사에 따라 여론이 흘러가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신문의 1면은 신문
의 정체성을 가장 명확히 보여주는 지면이자 해당 날짜의 국내외적 이슈를
가장 명료하게 파악할 수 있는 지면이기도 하다.
[그림 5]와 같이 신문 구매 결정의 유형은 브랜드를 기반으로 한 습관적
구매와 주제를 기반으로 한 충동적 구매로 분류할 수 있다. 주제를 기반으로
한 요소들은 수용자의 구매 충동을 상대적으로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
한 조사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신문 1면은 수용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신문을 읽게 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121)

<그림 5> 신문,잡지 구매결정 수요 경향분석


출처: Bettina Kaltenhaeuser, "Abstimmung am Kiosk", Der Deutsche
Universitaets-Verlag, 2005, p.35.

121) Bettina Kaltenhäuser,『Abstimmung am Kiosk: Der Enfluss der Titelseitengestaltung politischer


Publikumszeitschriften auf die Einzelverkaufsauflage』, Der Deutsche Universitäts-Verlag, 2005, p.35.

- 56 -
일간신문의 제1면이란 신문의 면 전체를 두고 생각해 볼 때 가장 중요하다
고 판단되는 뉴스들과 정보 그리고 주목할 만한 치정적인 사건들이 많이 실
려 있는 면이다. 뉴스들의 배치를 어떻게 하든 사건에 부여하는 중요성에 따
라 변하는 표제의 크기가 어떻든, 표제와 제호는 신문의 항구성을 볼 수 있
는 장소이다. 따라서 제 1면은 신문 담화의 근본 성격들 가운데 하나, 즉 세
계에서 일어나는 잡다한 사건들인 ‘타인들의 담화’로 이루어진 독특한(경우에
따라서는 집단적인) 창조라는 성격이 드러나는 면이다.122)
2011년 3월 12일 진도 8.9의 ‘동일본 대지진 사건’을 당일 세계의 주요
신문들은 일제히 1면의 머리기사로 구성하고 있었으며, 제목을 선택하는 방
식이나 보도사진 선택 등에서는 다양한 형태가 등장했다. 중앙일보와 동아일
보는 ‘거대한 쓰나미에 의해 잠기는 해변가 도시를 담은 사진’을 게재했고,
뉴욕타임스(Newyork Times)와 워싱턴포스트(Washington Post)는 ‘쓰나미
에 초토화된 해안가 마을의 사진’을, LA타임스(LA Times)나 월스트리트저널
(Wall Street Journal)은 ‘쓰나미가 덮치는 사진’을 게재하였다. 디 벨트지
(Die Welt)는 ‘재난 현장의 일부분을 보여주는 사진’을 게재하였으며, 프랑크
푸르터 알게마이네 자이퉁(Frankfruter Allgemeiner Zeitung)의 경우 직접적
인 재해 관련 사진 대신 ‘지진 강도 그래프 이미지’123) 만을 게재하였다.
국내외 주요 일간지 일부를 살펴 본 경우이지만 보도사진은 비주얼 텍스트
로서 독자에게 서로 다른 위험의 방향과 크기를 전달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은 범세계적인 범주로 확대하였다. 이것은 국내자료만으로는 한
계가 있으며 정치적 편향성에 대한 선입견이 덜 작용하는 해외 일간지를 분
석대상으로 하는 것이 보편적인 유형 추출 이라는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기
때문이다. 지역적으로는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오
세아니아, 중동124)으로 나누어 고른 분포도를 보이도록 분석자료를 수집하였

122) Jean-Marie Floch, 앞의 책, p.206.


123) 지진의 강도가 컸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의도이며 세계적인 권위지로서 차분한
지면을 만들기 위한 선택이었으라는 추측을 할 수 있다. 만일 이러한 의도에 의한 것이었다고
하면 무채색 계열의 색채 활용은 신문의 의도를 배가하는 역할을 한다.-<부록>‘동일본 대지진’
412번을 참조.
124) 북아메리카 지역에는 미국이 포함된다. 발행부수가 세계적으로 가장 많으며 또한 세계 뉴스 보

- 57 -
으며, 동일한 보도사진이 중복 사용된 경우에는 제외하였고, 동일한 사진이라
도 사진의 편집적 처리125)가 다른 경우는 포함하였다.
보도주제는 ‘위험’주제로 한정하였다. 신문은 대부분 갈등이슈를 다루는 기
사로 채워져 있다. 우리의 삶이 상호관계에 의해 형성되는 것만므로 상호간
의 갈등관계는 늘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보도사진은 ‘위험’을 주
제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할 수 밖에 없다. 미국의 대표적인 시사 주
간지인 타임지가 선정한126) 세계의 10대 뉴스의 주제는 ①아이티의 대지진
②위키리크스 ③칠레의 광산사고 ④파키스탄의 홍수피해 ⑤한국의 천안함 사
건 ⑥남아공 월드컵 ⑦예맨의 테러와의 전쟁 ⑧유럽 가두시위 제한조치 ⑨멕
시코 마약과의 전쟁 ⑩태국의 붉은셔츠 혁명의 순이었다. 이와 같은 보도 주
제를 보더라도 범세계적으로 이슈화 되는 보도주제는 주로 ‘위험’보도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의 삶 자체는 항상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그것이 사건·사고로 보도 되
었을 경우에는 이미 상당한 위험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는 것이다. 단지 위험
의 주제가 달라지고 크기가 달라질 뿐이다. 연구자가 ‘위험’이라는 주제를 강
조하는 것은 보도사진이 비주얼 텍스트로써의 기능과 역할을 더 명확히 파악
하기 위함이며, 범세계적인 이슈가 되는 위험 주제인 경우 유수의 일간지에
서부터 지역일간지까지 대부분 1면에 톱기사로 다루어지고 다양한 보도사진
이 게재되기 때문이다.

도의 영향력을 감안할 때 자료수집에 있어서 국가별보다는 대륙별 분류로 접근하는 것이 형평성


있는 분류라 판단하였다. 중동지역은 아시아 지역에 속해 있지만 종교․문화적 특성을 감안할 때 중
동지역 국가(13개국)은 따로 구분하는 것이 적절하다.
125) 사진 트리밍(Trimming)에 의해 비례가 다르거나, 밝기의 처리가 확연히 다른 경우는 별도의
자료로 구분하였다.
126) 2010년 각 분야별로 500건의 뉴스를 설문을 통해 조사한 결과이다.

- 58 -
<표 2> 보도 사건 주제별 수집자료

보도주제 9.11 테러사건 이라크 전쟁 칠레 광산매몰 동일본 대지진 합계


2001년 9월 2003년 3월 2010년 10월 2011년 3월
보도날짜
12일자 20일자 14일자 12일자
자료(건수) 199 148 497 349 1,193

‘위험’주제 보도사건은 전 세계 일간지 1면에 공통적으로 게재되었던 사건


들로 선정하고자 극한의 위험이 시각적으로 뚜렷하게 드러난 주제인 테러,
전쟁, 재난사건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주제별 분석대상의 수는 9.11테러 관
련 199건, 이라크전쟁 관련 148건, 칠레광산사건 관련 497건, 동일본대지진
관련 349건으로 주제마다 수집량에 차이가 있다.[표 2] 그러나 비주얼 텍스
트의 보편적인 유형을 찾는 연구목적에는 분석대상의 주제에 대한 별도의 통
계는 무의미하다. 단 유형추출 연구이므로 누락되는 유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가급적 많은 양의 분석대상을 수집하고자 하였다.
TV, 잡지, 신문 중에 일간지의 보도사진을 대상으로 한 이유는 신문은 여
전히 가장 영향력 있는 매체이기 때문이다. 인터넷에 나타나는 수많은 주장
과 해석들이 나름대로의 정당성을 입증하기 위해서 신문을 인용하고 있는 것
은 사회 대부분의 정보가 신문으로부터 파생되는 경향이 높기 때문이다. TV
동영상 비주얼 텍스트인 경우 서사구조가 직접적이고 설명적이어서 제외하였
고, 잡지 보도사진의 경우에는 예술성이 추가된 특성이 있으므로 제외하였다.
귀납적 분석방법은 가능한 모든 유형을 전체 고려해 볼 수 있는 방법이지만
많은 양의 분석을 하기는 적합하지 않으므로, 분석에 필요한 유형을 미리 정
의하고 접근하는 연역적 방법을 적용하였다. 물론 이러한 연역적 분석은 사전
에 정의되지 않은 유형을 누락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하지만 신뢰할
만한 유형을 이론적으로 충분히 검토한 후에 적용한다면 방대한 양의 자료를
분석하기에 타당성 있는 방법이며 반복적인 검토를 하는데 유리하다. 이러한
이유로 이미 학문적으로 검증이 되어 많은 연구자들의 후속연구가 뒤따르는
플로슈 범주이론의 대조적 조형요소를 가설적 분석틀로서 적용하였다.

- 59 -
먼저 수집된 보도사진의 대조적 분석항목을 위상범주, 색채범주, 형태범주
로 정의해 코딩하였다. 분석은 언어학 박사 1인, 사진이미지 분석에 경험이
있는 디자인학 박사과정 3인(시각디자인 전공자 2인, 제품디자인전공자 1인)
과 석사 1인(디자인교육 전공자)이 교차하여 공동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
행하였다.127) 분석에 앞서 사전 코딩작업을 실시하였으며, 가정적 분석틀을
적용해 무작위로 선별된 100개의 보도사진을 분석하였다. 코더간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보도사진 100개를 출력해 보드에 부착한 상태로 분석항목 별
로 분류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코더간의 신뢰도는 94% 이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기에 적합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사진은 다의적이고 시각코드가 느슨한 특징을 갖지만 보도사진의 경우는
사실에 근거를 둔 비주얼 텍스트이고, 일회성 사건임과 동시에 일정한 기간
에 수집한 자료라는 면에서 객관적인 시각코드 발견의 가능성을 찾고자 한것
이다. 분석자료의 양적인 측면으로 인해 분석시간이 길어지면 분석자의 집중
도가 떨어질 수 있지만, 분류작업 기준의 미묘한 차이에 대한 측면을 반영한
다면 다수의 분석요원을 투입하는 방법은 적합하지 않으므로 연구자와 연구
보조원 5인만이 반복적인 분석 작업에 참여하였다.
또한 컴퓨터 모니터를 통해 분석하지 않고 50건 단위로 종이에 출력해 보
드에 부착한 상태로 상호간의 비교를 통해 분류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모니
터를 사용해 자료 분석을 할 시 전체적인 비교분석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점
이 지적되었고, 일간지 종이신문을 분석대상으로 하는 연구이므로 종이에 출
력된 상태가 적합하기 때문이다. 단, 사진이미지에 겹쳐있는 문자와 그패픽
효과는 그대로 포함하였으며, 이러한 부분은 시각적 텍스트로 작용하여 수신
자에게 영향을 주므로 포함해야 하고, 연구의 또 다른 독립된 유형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진행하였다.

127) 디자인과 연관된 다양한 영역의 전공자로 분석요원을 구성한 것은 보편적 문법이 될 수 있는
유형 추출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편집디자인 혹은 이미지분석 실무자가 아니라도 텍스트 유형
을 분류가 가능한지 판단하기 위함이다. 기본적인 조형 이론을 분석의 틀로 적용하였기 때문에
연구보조원의 교차분석은 대부분 일치했다.

- 60 -
3. 분석틀의 적용

분석자료 전체 1,193개를 가설적 분석틀을 적용해 위상범주, 색채범주, 형


태범주의 분석항목에 적용해 기초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수 분석항목에 대
한 혼란을 우려하여 각 항목의 알파벳 약자로 구성하였다. 이는 범주별 세부
항목의 약자이므로 해당 항목 나열 시, 바로 의미를 파악하기 용이하다는 장
점이 있기 때문이다. 범주별 항목을 하나의 유형적 특성으로 전제하고, 대조
적 특성을 분류해 아래와 같이 나열하면 보도사진의 조형적 특성이 드러난
다. 예를 들면 사진의 피사체가 <v-ctr-br-cl-lg-uc-h-mv-ac-inv>의 코드
로 분석된 텍스트의 경우, ‘수평수직구도-중심성-선명한-밝은-가벼운-무표
적인-인간의-동적인-행위-개별적’ 특성을 가진 텍스트로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구체화 시키면 ‘해당 보도사진은 ‘수평수직구도를 가지고 있으며(hv),
주제가 되는 피사체는 화면의 중심에 위치하며(ctr), 선명하고(cl), 밝고(br),
가벼운(lg) 특성을 가지며, 여기에서 밝은색의 사사용은 무의미(uc)하다. 그리
고 등장인물(h) 개인(inv)의 동적(mv)인 행위를 중심적으로 구성되었다’는 조
형적 특성을 통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이것은 가설적 분석틀로 분류했을 때 명확한 분류가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조사이며 분석결과, 나타난 유형은 총 374개였다. 가장 빈도가 높았던 유형
은 <hv-ctr-br-cl-lg-uc-h-mv-ac-inv>으로 /수평·수직구도/ · /중심성/ · /
고명도/ · /선명한/ · /가벼운/ · /무표색채/ · /인물주제/ · /동적/ · /행위적/ ·
/개별적/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분석자료 1,193개 중 59개로 나타났으
며 이는 전체에서 약 4.9.%에 해당되는 점유율이므로 큰 의미를 부여하지는
않았다. 분석결과, 비주얼텍스트 대부분이 독자적인 유형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가운데 열 개 이상의 빈도수를 나타낸 유형은 아래의 표와 같이 총 22유
형으로 나타났다.[표 3]128)

128) [표 3]의 유형의 특성은 가설적 분석틀의 범주별 항목 중 중심이 되는 부분만을 기술하였다.
가설적 분석틀에 의해 추출된 가설적 유형의 목록은 <부록 1>에 첨부하였다. 전체 분석 대상
중 5개 이상의 빈도수로 나타난 유형만을 목록화 하였으며, 5회 이하는 비주얼 텍스트의 유형으
로 논의 되기에는 빈도면에서도 무의미하므로 포함하지 않았다.

- 61 -
<표 3> 가설적 분석틀에 의한 유형 구분

빈도
순번 가설적분석틀에 의한 종합유형 유형의 특성
(건수)
1 hv-ctr-br-cl-lg-uc-h-mv-ac-inv 수직·수평적 중심성의 밝고 뚜렷한 인물중심의 동적텍스트 59
2 h-ctr-dk-cl-hv-mc-m-mv-si-col 수평적 중심성의 어둡고 뚜렷한 사물들의 정적상태 텍스트 54
3 h-amb-br-dm-lg-mc-m-mv-si-col 수평적 주변성의 밝고 희미한 사물들의 정적상태 텍스트 35
4 hv-cpx-br-cl-lg-uc-h-mv-ac-col 수직·수평적 복합성의 밝고 선명한 인물중심의 동적텍스트 34
5 h-ctr-br-cl-lg-uc-h-mv-ac-inv 수평적 중심성의 밝고 선명한 인물중심의 동적텍스트 31
6 hv-cpx-dk-cl-hv-mc-h-mv-ac-col 수직·수평적 복합성의 어둡고 뚜렷한 인물중심 동적텍스트 31
7 h-cpx-br-cl-lg-uc-h-mv-ac-col 수평적 복합성의 밝고 뚜렷한 인물중심의 동적텍스트 26
8 hv-ctr-dk-cl-hv-mc-h-mv-ac-inv 수직·수평적 중심성의 어둡고 뚜렷한 인물중심 동적텍스트 26
9 h-cpx-dk-cl-hv-uc-h-mv-ac-inv 수평적 복합성의 어둡고 뚜렷한 인물중심의 동적텍스트 18
10 hv-amb-br-dm-lg-uc-m-mv-si-col 수직·수평적 주변성의 밝고 희미한 사물의 정적텍스트 18
11 v-ctr-br-cl-lg-uc-h-mv-ac-inv 수직적 중심성의 밝고 뚜렷한 인물중심의 동적텍스트 16
12 hv-cpx-dk-cl-hv-uc-h-mv-ac-col 수직·수평적 복합성의 어둡고 뚜렷한 인물중심 동적텍스트 15
13 hv-cpx-br-dm-lg-mc-m-mv-si-col 수직·수평적 복합성의 밝고 희미한 사물의 정적텍스트 14
14 hv-cpx-dk-cl-hv-uc-h-mv-ac-inv 수직·수평적 복합성의 어둡고 뚜렷한 인물중심 동적텍스트 14
15 h-ctr-br-cl-lg-uc-m-st-si-inv 수평적 중심성의 밝고 뚜렷한 사물의 정적텍스트 13
16 hv-amb-dk-dm-lg-mc-m-mv-si-col 수직·수평적 주변성의 어둡고 희미한 사물의 정적텍스트 13
17 hv-cpx-br-cl-lg-uc-h-mv-ac-inv 수직·수평적 복합성의 밝고 뚜렷한 인물중심의 동적텍스트 11
18 hv-ctr-dk-cl-hv-mc-h-mv-ac-col 수직·수평적 중심성의 어둡고 뚜렷한 인물중심 동적텍스트 11
19 v-ctr-dk-cl-hv-mc-h-mv-ac-inv 수직적 중심성의 어둡고 뚜렷한 인물중심의 동적텍스트 11
20 v-ctr-dk-cl-hv-mc-m-mv-si-col 수직적 중심성의 어둡고 뚜렷한 인물중심의 정적텍스트 11
21 h-amb-br-cl-lg-uc-h-mv-ac-inv 수평적 주변성의 밝고 뚜렷한 인물중심의 동적텍스트 10
22 h-cpx-dk-cl-hv-uc-h-mv-ac-col 수평적 복합성의 어둡고 뚜렷한 인물중심의 동적텍스트 10
합계 22유형 481

가설적 분석틀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위상


범주에서는 각 항목이 명확히 구분되는 유형화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하지만
일반적인 구도의 분류인 /수평구도/ · /수직구도/ · /대각구도/ · /수평·수직구
도/에 대한 항목과 피사체의 공간적 위상을 파악하는 항목인 /중심성/ · /주변
성/ · /복합성/을 포함해 분류할 수 있는 기준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둘째, 색채범주의 항목 /밝음/ · /어두움/ · /무거움/ · /가벼움/ 항목은 일
반적으로 색의 명도가 색의 경중(輕重)으로 중복되는 경향을 보이므로 /밝음/
· /어두움/ 항목으로 포함하였다. /뚜렷함/ · /희미함/은 ‘위험’주제 보도사진
에 있어 주로 연기와 불 등에 한정되어 희미함으로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므
로 보편적인 유형 추출의 분류기준으로는 적합하지 않았다. /유표적(Marked

- 62 -
color)/ · /무표적(Unmarked color)/에 대한 분류는 유표적인 색채 사용의
경우 국기와 피, 불, 연기로 한정되어 있어 이 또한 보편적인 유형의 기준이
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단 색의 밝기와 관련되어 전경이 강조되면서 배
경이 어둡게 혹은 밝게 구성되는 경우는 흔히 발견되었다. 결국 강한 명도의
대비가 주제기호를 강조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색채범주에서는 /밝은/ · /어두운/ 의 항목이 색채범주의 모든 항목을 포함하
는 보편적 분류의 기준이 되는 것이 타당하다.
셋째, 형태범주는 위상범주와 색채범주와 달리 직접적으로 메시지를 전달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비주얼텍스트의 프레임 안의 주제기호가 /인간/ ·
/사물/ 이라는 분류는 전달하는 시각적 모티브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비주얼
텍스트의 전달방식에 대한 시각적 분류인, /상태/ · /행위/ 항목은 메시지 전
달 방식이라는 보편적 분류의 기준이 될 수 있다. 보도사진은 행위를 통한
사건보도와 상태를 보도하는 상황보도로 나타나며, 행위와 상태 안에 다양한
조형언어가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표 4> 비주얼 텍스트 유형추출을 위한 분석틀

범주 약어 세부항목 범주 약어 세부항목 범주 약어 세부항목


ctr 중심성/center ac 행위적/action
위상 색채 br 밝은/bright 형태
범주 amb 주변성/circumbiency 범주 범주
S C dk 어두운/dark F si 상태적/situation
cpx 복합성/complex

가설적 분석틀의 연구결과를 비주얼 텍스트의 유형 추출을 위한 분석틀의


가이드라인으로 [표4]와 같이 설계하였다. 설계된 분석틀은 가설적 분석틀을
통해 분석작업을 하면서 도출된 결과를 반영하고 있으며, 분석 항목은 가설
적 분석틀의 항목에서 7개의 개별적 유형으로 축약하여 선별하였다. 각 요소
별 상관관계를 감안하여 중복되거나 유형화에 불필요한 항목은 삭제하고 가
설적 분석틀의 결과를 가이드라인으로 비주얼 텍스트 유형추출을 위한 최종
분석틀을 설계하였다. 기초 분석의 결과에서 추출된 종합유형129)을 최종 분
석틀에 적용해 ‘기본유형’, ‘관계유형’, ‘기타유형’으로 분류하여 추출하였다.

- 63 -
제4장 비주얼 텍스트의 유형 추출을 위한 분석

제1절 분석결과에 따른 유형추출

1. 위상범주

플로슈의 조형기호학이 다루는 표현면의 기본범주인 위상의 범주는 높은/


낮은. 오른쪽/왼쪽, 중심적/주변적, 포위하는/포위되는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위상범주의 한 범주가 색채범주, 형태범주와 결합해서 하나의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우리는 이를 흔히 구도의 범위에서 이해하기도 한다. 보도사
진에 나타난 비주얼 텍스트의 다양한 위상범주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에 타당
하도록 공간 분할을 분석하는 프레임을 제작했다.
시지각적으로 인지되는 비주얼텍스트의 공간 분할을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보도사진이라는 프레임 안에 존재하는 주제기호(시각적인 모티브)를 선별하
고, 그것들이 위치한 곳에 대한 집중도를 정량화 할 필요성이 있다. [그림 6]
과 같이 하나의 보도사진을 중심과 주변으로 구분하고, 동일한 크기로 수평
과 수직으로 각각 세부분으로 분할하였으며, 이를 아홉 개의 영역 가운데 중
앙부를 중심영역, 그리고 중앙부 주변의 상하좌우 모든 영역을 주변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아홉 개의 영역은 다시 각각 동일한 크기의 열
개의 패널로 분할해 집중도 분석의 정확도를 높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총 아홉 개의 영역, 90개의 패널들은 각 패널 마다 1포인
트씩, 그리고 수평 수직이 각 1포인트씩 중복되는 중앙 영역은 초중심(超中
心)영역으로 2포인트를 부여했다. 이는 무엇보다도 전체 패널영역의 기준을
100포인트로 볼 때, 초중심영역은 X축과 Y축 모두 동일한 위치에서 중복됨
으로 산술적으로도 각 패널에 2포인트를 부여했다. 시각적으로도 중심적 위
치라는 프리미엄을 부여할 가치가 있다. 총 100포인트로 제작된 ‘위상범주

129) 종합유형이란 가설적 분석틀을 적용해 추출된 영문 약자로 구성된 가설적 유형을 말한다.

- 64 -
분석틀’ 패널 위에 분석 대상을 대입했다. 보도 주제와 직접 관련 있는 주제
기호가 위치한 곳의 포인트를 각각 수평적, 수직적 방향에 따라 합계를 내면
해당 패널과 영역에서 시각적 모티브의 공간적 집중도를 정확한 수치로 얻어
낼 수 있었다.

<그림 6> 위상범주 연구를 위한 주제기호 집중도 분석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위상범주는 ‘중심성 텍스트’, ‘주변성 텍스트’ 그리고


‘복합성 텍스트’로 구분하였으며, 중심성 텍스트는 45.8%(547개)의 높은 비
율로 나타났고 복합성 텍스트는 35.5%(424개), 주변성 텍스트는 18.6%(222
개)로 나타났다. 사건을 빠르고 명확하게 전달해야 하는 보도사진에서는 화면
의중심에 시각적 주제를 배치하는 공간적 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위상범주의 영역에 해당되는 각각의 텍스트는 가설적 분석틀에 적용했던 기
본구도와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분석자료가 주제
별로 군집수가 다르므로 모든 결과는 백분율 통계를 포함하여 표기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른 텍스트의 ‘기본유형’은 다음과 같다.

- 65 -
1. 1 중심성 텍스트 (Centered Text)

‘중심성 텍스트’란 보편적으로 주제기호가 중앙에 집중되어 있는 텍스트를


말한다. 공간유형분석틀에 대입했을 때 X축이 좌, 우에 비해 중앙이 현저히
높은 경우, 또한 Y축에서 역시 상, 하에 비해 중앙 부분이 돌출돼 있는 형태
의 유형을 위상범주 내에서 ‘중심성 텍스트’라고 규정했다. 2010년 10월 14
일 동아일보 1면에 게재된 ‘칠레 광산매몰’사건의 보도사진은 중심으로 집중
된 인물이 비주얼 텍스트로써 강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그림 7]

<그림 7> 동아일보-칠레, ‘산호세 광산 매몰’사건


2010년 10월 14일자

<그림 8> 칠레, ‘산호세 광산 매몰’-위상범주 분석

- 66 -
[그림 7]같이 수평과 수직구도가 교차한 이 비주얼텍스트는 좌측 편향의
구도이긴 하지만 [그림 8]과 같이 위상범주 분석틀에 대입하면 확연하게 중
심성 위주의 공간배열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8]에서 보여지는 바, X축이 ‘A자’ 형태로 나타난 경우를 전형적인
중심성 텍스트라고 규정하였다. 이러한 비주얼 텍스트 분석에서 중점을 두어
야 하는 부분은 직접적으로 메시지가 전달되는 주제기호의 이미지 점유율이
다. 주변요소들이 존재하지만 의미작용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요소가 어디에
위치하는지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 텍스트에서 동료들의 역할은 구조
된 광부의 기쁨과 환희를 보완해 주는 주변의 감정요소라고 볼 수 있으므로,
구조된 자의 환호하는 모습이 전체적인 보도주제에 비춰 볼 때 지배적이라고
볼 수 있다.
또 하나의 중심성 텍스트의 예로 2001년 9월 12일 미국의 스테이츠먼 저
널(Statesman Journal)을 들 수 있다. [그림 9]는 공간적 구도를 전경과 배
경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파괴된 건물과 성조기로 인해 수직적 구도가 지배
적이지만 전경의 수평성이 함께 나타나는 비주얼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그림 9> (좌)미국, Statesman Journal - ‘9·11 테러’사건, (우)위상범주분석


2001년 9월 12일자

- 67 -
따라서 텍스트의 초중심(超中心)에 있는 성조기가 전하는 상징성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관점에 따라 위 텍스트의 경우는 배경에 보이는 건물 잔
해의 모습을 통해 다음 장에서 설명할 복합적으로 공간을 분할한 유형으로
볼 수 있지만 근경에 위치한 성조기라는 직접적 의미기호의 상징적 의미를
봤을 때 중심성 위주의 텍스트로 분류했다. 따라서 이 텍스트는 성조기가 시
각적 주제이며 세 명의 구조대가 성조기를 세우는 행위의 상징성을 통해 재
건의 의지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중심성 텍스트는 앞서 말한 것처
럼 평면적 조형구도로 분석해 볼 때, 다양한 구도의 형태를 갖게 된다.
중심성 텍스트로 분석된 547개의 분석대상 중 수직·수평구도의 조형구도를
보인 것이 212개(38.7%), 수평구도로 분석된 것이 179개(32.7%)로 이 두
가지 유형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뒤를 이어 수직구도 123개(22.4%),
대각구도 33개(6.0%)로 조사되었다. 중심성 텍스트의 경우, 등장하는 인물이
나 사물이 근경으로 강조되어 전달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로 원경으로
처리되는 대각구도는 가장 적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되었다.[표 5]

<표 5> 중심성 텍스트의 평면적 조형구도 분석

구분 중심성 텍스트 단위: 수(%)


비율(%)
집계 수평구도 수직구도 수직수평구도 대각구도 total
빈도비율 179 123 212 33 547
비율 32.7%) 22.4 38.0 6.0 (45.8%)

1.2. 주변성 텍스트 (Circumambiency Text)

‘주변성 텍스트’는 주제기호가 화면의 중심에서 벗어나 화면의 좌, 우 그리


고 상, 하에 주로 분산된 유형을 말한다. 이는 중앙에 집중되기 쉬운 시선을
주변 영역으로 분산시켜 배치함으로써 수용자가 텍스트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긴장감을 가지게 하는 효과를 주기도 한다. 무엇이 주제인지 한눈에 파악되
는 중심성 텍스트에 비해 시각적 주제를 파악하는데 텍스트 수용자가 주의를
기울이게 되고 텍스트 해석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게 된다. 재난의 현장을 중

- 68 -
경이나 원경에서 보여주는 경우에 주변성 텍스트가 많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
였다. 보편적으로 이러한 유형들은 X축에서 ‘M자’형의 분포를 그리거나 한쪽
으로 주제요소가 집중된 좌측 혹은 우측 편향적 공간 유형이 주를 이룬다.
[그림11]

<그림 10> 루마니아, Informatia Zilei - ‘동일본 대지진’사건


2011년 3월12일자

<그림 11> ‘동일본 대지진’사건-위상범주 분석

- 69 -
2011년 3월 11일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을 루마니아의 인포마티아 찔레이
(Informatia Zilei)는 [그림 10]과 같이 주변성의 비주얼텍스트를 통해 사건
을 전달했다. 화면의 좌측의 중경에서 이재민으로 보이는 인물이 쓰나미로
인해 폐허 상태가 된 마을을 바라보고 있고, 담요를 두른 채 손으로 얼굴을
가리며 걷고 있는 인물은 근경에 위치해 있다.
무참하게 휩쓸려간 마을의 상태를 서술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변성 텍스트는 의미를 전달하는 시각적 주제기호들이 주변에 위치하고 있
는 유형을 말하는데 위의 텍스트의 경우에는 좌측 1/3은 피해자의 모습이,
우측 1/3에는 폐허의 잔해들이 물에 떠 있는 것으로 피해의 상황을 총체적으
로 서술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텍스트는 ‘M자형’을 이루는 주변성 텍
스트로 분류하였다.[그림 11]
[그림 12]도 주변 공간이 강조된 또 다른 형태의 주변성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이라크 전쟁의 시작을 다루고 있는 레바논의 안-나하츠(An-Nahar)지
는 2003년 3월 20일자 신문에서 사막을 질주하는 평화유지군의 탱크 행렬을
비주얼텍스트로 다루고 있다. 이 텍스트를 ‘공간유형 분석틀’에 맞춰 대입해
보면 수평적 집중도가 좌로부터 중간까지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수평적 원근법을 이용해 좌측 화면에 비중을 둔 공간 분할이다. 탱크를 비
롯해 사막에 일어나는 먼지는 탱크의 강한 움직임을 표현함으로써 의미작용
을 일으키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X축과 Y축에서 모두 각각 패
널에 부여된 포인트를 그대로 유지시켰다. 9개의 영역 가운데 왼쪽에 치우친
영역의 패널들이 주제기호를 보다 많이 담고 있으므로 주변성이 강조된 유형
으로 볼 수 있다.[그림 13]
전경의 탱크는 긴장감을 조성하는 수직구도로 볼 수 있지만 배경의 탱크행
렬과 지평선은 수평적 구도를 포함하기 때문에 수직·수평 구도로 분석되었다.
이렇듯 보도사진의 평면적 구도의 분석은 어떤 구도가 지배적인지에 관한 분
류는 할 수 있지만 대부분 특정 구도 외에도 또 다른 구도가 나타나고 있었다.

- 70 -
<그림 12> 레바논, An Nahar 1면- ‘이라크전쟁’ 사건
2003년 3월 20일자

<그림 13> ‘이라크전쟁’ 사건-위상범주 분석

1,193개 중 주변성 텍스트들은 222개로 전체 18.6%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보도사진의 경우에는 사건을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해야 하는 특성으로 인해
주변성이 강조된 텍스트가 잡지사진이나 광고사진에 비해 적게 나타나는 경
향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가운데 수평구도는 45.0%(100개), 수직구

- 71 -
도는 2.3%(5개), 수직수평구도는 43.7%(97개) 그리고 대각구도가 9.0%(20
개)로 나타났다. 중심성텍스트에서 수평구도와 수평·수직구도 그리고 수직구
도가 고르게 나타나고 대각구도가 매우 적게 나타난 것에 비해 주변성 텍스
트에서는 대각구도가 수직구도보다 많이 나타났다. 이것은 근경위주의 구성
이 많이 나타나는 중심성 텍스트에 비해 중경, 원경이 주로 나타나는 주변성
텍스트의 특성상 드러난 구도라고 해석된다.[표 6]

<표 6> 주변성 텍스트의 평면적 조형구도 분석

구분 주변성 텍스트 단위(빈도)


집계 비율(%)
수평구도 수직구도 수직·수평구도 대각구도 total
빈도 100 5 97 20 222
비율 45 2.26 43.7 9.0 18.6

1. 3. 복합성 텍스트 (Combined Text)

‘복합성 텍스트’는 앞서 언급한 중심성 텍스트와 주변성 텍스트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하는 형태의 비주얼 텍스트이다. 주제요소가 분산되어 흩어져 있는
유형을 말한다. 복합성 텍스트는 424개로 전체 1,193개의 보도사진 중
35.5%를 차지하고 있었다. 복합성 텍스트의 예시로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의 모닝 헤럴드(Morning Herald)의 1면 보도사진을 들 수 있다.[그림 14]
이라크 전쟁이 발발한 2003년 3월 20일자에 톱기사로 사막의 모래먼지 속에
정비중인 전투용 헬리콥터를 배경으로 움직이는 군인들의 모습을 담은 보도
사진을 게재했다. [그림 14]에 대한 위상범주 분석은 [그림 15]에 나타난
바, 수평·수직적 구도로 분석되었으며 좌측 공간에서 우측 공간까지 전반적으
로 패널의 포인트가 고르게 나타났다.
물론 X축의 수평적 주제기호 집중도를 볼 때 중앙에 위치한 패널이 전체
30 패널포인트로 전체 71 패널포인트의 42%를 점유해 중심성 유형으로 이
해될 수도 있으나,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에 각각 20, 21 패널포인트로 분배

- 72 -
돼 전반적으로 주제기호의 고른 분포도를 보이므로 복합성 텍스트로 분류하
였다. 이러한 텍스트의 유형은 공간적 배치로 볼 때 한쪽으로 집중되지 않고,
주변 영역의 점유율이 중심 영역과 비교해 큰 차이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보도사진의 조형요소 전체가 비주얼 텍스트로써 동일한 비중을 가지고 전달
되는 텍스트이다.

<그림 14> 오스트레일리아, Morning Herald -‘이라크전쟁’사건


2003년 3월 20일자

<그림 15> ‘이라크전쟁’ 사건-위상범주 분석

- 73 -
[그림 16]의 경우 또 다른 복합성텍스트의 예시로 2003년 3월 20일자 미
국의 시애틀타임즈(Seatle Times) 1면에 게재된 보도사진을 들 수 있다. [그
림 16]는 참전 군인들이 한쪽 무릎을 꿇고 같은 방향으로 앉아 있는 기도를
하고 있는 모습을 담고 있고, [그림 17]에서 나타난 바, 주제기호가 되는 군
인들이 전반적으로 고른 공간에 분포되어 있으며 X축의 값이 89 패널포인트
로 집계되었다. 총 100 패널포인트 가운데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이렇듯 패널의 점유율이 높을수록 복합성 유형에 가까워진다고 할 수 있다.

<그림 16> 미국, Seatle Times 1면-‘이라크전쟁’사건


2003년 3월 20일자

<그림 17> ‘이라크전쟁’사건-위상범주 분석

- 74 -
복합성 텍스트에서 평면적 구도를 살펴보면 수평·수직구도는 56.1%(238
개), 수평구도는 30.4%(129개), 수직구도는 6.8%(29개), 대각구도는
6.6%(28개)로 집계되었다. 복합성 텍스트에서는 수평구도, 수직수평구도가
사용 빈도면에서 86.5%라는 지배적 우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근경으로 처리
된 경우에는 장외공간까지 연결되는 형태가 많은 경향을 보였으며, 중경이나
원경으로 처리되었을 때는 형태와 배경의 면적에 대한 차이가 크지 않을 때
복합성으로 나타났다.[표 7]

<표 7> 복합성 텍스트의 평면적 조형구도 분석

구븐 복합성 텍스트 단위:수(%)


집계 수평구도 수직구도 수직·수평구도 대각구도 total
빈도(개) 129 29 238 28 424
비율(%) 30.4% 6.8% 56.1% 6.6% 35.5%

평면적인 구도의 분석에서는 수직·수평구도와 수평구도의 합계가 79.8%를


차지해 조형적으로 수평성을 강조함으로써 안정감 있는 구도가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위험 주제 보도사진의 경우, 긴장감
을 조성하는 수직구도가 많이 나타날 것이라는 구도에 대한 일반적인 통념과
다른 분석결과였다.130)

<표 8> 평면적 조형구도 분포 비율

구분 평면적 조형구도 단위(빈도)


수평구도 수직구도 수직·수평구도 대각구도 비율(%)
빈도(개) 408 157 547 81 1193
비율(%) 34.0 13.1 45.8 6.7 100%

130) 9.11테러 보도사진의 경우에는 수직구도가 65개(전체비율 5.5%)나타났으나, 이는 세계무역센


터 건물의 붕괴가 보도되면서 높은 건물의 형태가 반영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

- 75 -
분석 결과를 위상범주를 기준으로 종합해 보면 [그림18]과 같다. 위상범주
내의 기본유형은 ‘중심성 텍스트’, ‘주변성 텍스트’, ‘복합성 텍스트’로 추출되
었으며, 중심성 텍스트가 45.8%, 복합성 텍스트가 35.5%, 주변성 텍스트가
18.6%로 조사되어 위험주제 보도사진에서의 위상적 범주는 ‘중심성 텍스트’
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조형적 평면구도와 위상범주의 관계를 분석해
보면 중심성 텍스트의 경우 수직·수평구도가, 주변성 텍스트인 경우 수평구도
와 수직·수평구도가 비슷한 비율을 보였고, 복합성 텍스트의 경우 수직·수평
구도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따라서 복합성 텍스트는 중심성 텍스
트의 성격을 포함하는 텍스트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림 18> 위상범주 내의 평면적 조형구도 분포 비율

2. 색채범주

2. 1. 고명도 텍스트와 저명도 텍스트

위상범주에서는 비주얼텍스트의 위상적 지위, 즉 구조적 측면에서 주제기


호가 어디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주제기호에 따라 조형적 구도는 어떠한 형
식이 선호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색채범주 영역에서는 보도사

- 76 -
진에서 색채기호가 갖는 특성을 구분 짓기 위해 색채분석을 시도하였으나,
보도사진의 특성상 각 색채가 갖는 무수한 경우의 수와 다양한 색채로 유형
화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각 색채가 갖는 명도에 따른 색채의 무게감이
나 두드러짐(contrast)은 텍스트 수용자의 주목도에 관련되므로 명도의 대조
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였다.131)
한편 분석과정 중에 색채의 대조적인 밝기를 객관화 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론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분석요원들의 주관적 판단은 가능
하지만 연구의 목적인 비주얼 텍스트의 보편적인 문법 구조가 되는 유형 추
출의 방법론으로는 타당하지 않다는 판단 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포토샵
프로그램을 활용한 분류 방법을 제안하였다.
명암의 구분은 통상, 모니터 화면과 지면에 표현되는 수많은 컬러를 통해
이루어진다. 실제로 구현되는 256가지 컬러 명도에 대해 /밝은/ · /어두운/의
이항대립적인 기준으로 명도를 구분하는 것은 개인의 성향과 실험조건에 따
라 편차가 큰 결과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시료가 되는 모든 사진을
먼저 최소 300픽셀이상 400픽셀의 크기를 넘지 않도록 하고,132) 사진에 20
픽셀 제곱미터(square pixel)의 모자이크 필터를 적용하였다. 공통적으로 모
든 사진에 20픽셀 제곱미터 모자이크 필터를 적용하면 사진의 주요 형태의
실루엣은 유지되지만 텍스트 전체는 동일한 크기의 일정한 컬러패턴 패널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미지프로세싱을 통해 색의 분계작업 즉, 한계점
(Threshold)의 값을 256컬러 명도의 절반에 해당되는 값 128을 기준으로
색의 경계를 구분했다.
이 경우 텍스트 전반에 걸쳐져 있는 다양한 색채는 각 색채의 256 명도 패
턴에 따라 중간 톤을 모두 생략하고 0부터 127은 검은색으로, 128부터 256

131) 가설적 분석틀의 분석결과, 뚜렷한/ 희미한, 무거운/ 가벼운 등은 명도와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
를 가지고 있었다. 전체 보도사진 가운데 명도가 높은 861개의 사진(59.1%)으로 분류된 사진은
95.1%가 가벼운 색채로 분류되었고, 명도가 낮은 594개의 사진(49.8%)으로 분류된 사진의
87.2%가 무거운 색채로 분류되었다.
132) 가로축 크기, 세로축 크기 중 짧은 축을 사진의 비율에 따라 250에서 300픽셀을 유지하되 사
진 전체는 12만 픽셀을 넘지 않도록 조정하여야 한다. 이것은 연구자가 반복된 시도에 의해 명암
의 경계가 사진 분석에 적합하게 분계 되는 시점을 발견한 것이다.

- 77 -
은 흰색으로, 흑백의 대비를 명확히 이루게 된다. 색채범주 내의 명암의 대조
를 밝음과 어두움으로 구분했다.133) 이미지프로세싱을 거쳐 만들어진 고대비
(高對比) 이미지는 위상범주 분석과 같이 다시 9개의 영역과 90개의 패널로
분할된 명도 분석틀을 이용해 수직적 수평적 명도 분포도를 파악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결국 명도 분포도 분석틀에서 포인트의 부여는 명도단계 0부터
127에 해당되어 검은색으로 나타난 면적에 대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색채범주 내의 명암의 대조를 /밝음/ · /어두움/으로 구분하였다. 이미지프
로세싱을 거쳐 만들어진 고대비(高對比) 이미지는 위상범주 분석방법과 같이
다시 9개의 영역과 90개의 패널로 분할된 색채범주 분석틀을 이용해 수직적
수평적 저명도 분포도를 파악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그림19]

<그림 19> 색채범주 연구를 위한 저명도 점유도 분석틀

133) 물론 중명도 텍스트도 유형화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실용적인 측면에서 활용도가 떨어질 것이


라는 판단 하에 제외하였다. 또한 위상범주, 형태범주에서도 이항대립적 조형요소를 유형화에 적
용했으므로 색채범주만 예외적으로 항목을 추가하는 것은 불필요하다고 판단했다.

- 78 -
[그림 20]의 저명도 점유도 분석에서 수평적 점유도를 나타내는 X축과 수
직적 점유도에 해당되는 Y축 패널에 부여된 포인트를 기준으로 색채범주의
텍스트를 분류할 수 있다. 각 영역과 패널에 저명도의 텍스트가 배치되었을
때 포인트가 부여되기 때문에 저명도 점유도의 값이 높을수록 저명도 텍스트
에 가깝다. 본 연구에서 명도의 구분은 단지 밝고 어두움만을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밝고 어두움이 비주얼 텍스트로써 주제기호를 두드러지게 하는 기능
을 하는지 혹은 그 반대의 기능을 하는지에 대한 분류를 포함한다. 우리에게
지각되는 이미지는 형태를 강조하기 위해 배경을 의도적으로 어둡게 혹은 밝
게 처리하는 경우가 흔히 발견되기 때문이다.

<그림 20> 저명도 점유도 분석을 위한 이미지프로세싱 전,후


‘이라크 전쟁’사건-오스트레일리아, Morning Herrald, 2003년 3월 20일자

이러한 과정으로 분석된 저명도 점유도는 [그림 20]와 같이 위상범주 분석


에서 적용했던 분석틀에 대입해 저명도 텍스트의 위상적 범주를 분석할 수
있었다. 이것은 보도사진의 저명도 텍스트의 위상적 범주를 색채범주와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데 유용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명도분석틀의 결과 값이 0에
서 50 패널포인트까지의 텍스트는 ‘고명도 텍스트’, 50에서 100 패널포인트
까지의 텍스트는 ‘저명도 텍스트’로 규정하였다.

- 79 -
<그림 21> 고명도 텍스트의 이미지프로세싱 과정
‘9.11테러 사건’-미국,The Las Vegas Review-Journal, 2008년 9월 11일자

<그림 22> 저명도 텍스트의 이미지프로세싱 과정


‘칠레 광산매몰’사건-세계일보, 2008년 9월 11일자

- 80 -
색채범주의 조형적 대조 분석을 통해 주제기호를 두드러지게 하거나 혹은
그 반대의 경우에 색채범주의 한 요소로써 명암의 역할을 명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예외적인 경우가 발견될 수도 있다.134) 색채범주의 특
성상 위상범주와 달리 시간적 공간적 상황의 맥락에 따라 변수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변수는 텍스트 분석에 어떤 의미를 주는지 검토가 선행된 후
별도의 유형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이미지프로세싱 과정을 거쳐 명도분석틀
에 의한 집계된 패널포인트 값을 기준으로 텍스트를 분류하였으며, 색채범주
영역의 단일 텍스트로써 ‘고명도 텍스트’와 ‘저명도 텍스트’가 추출되었다.[그
림 21], [그림 22]
[표 9]과 같이 전체 분석대상 1,193건에서 고명도 텍스트는 689개
(57.8%), 저명도 텍스트는 504개(42.2%)로 조사되었으며, ‘위험’주제로 한정
하여 연구하였지만 고명도 텍스트가 15.5%가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이
와 함께 뚜렷하고 가벼운 느낌의 텍스트가 우위의 점유율을 나타냈다.[표 9]

<표 9> 색채범주의 비주얼 텍스트 분석

텍스트
밝은 어두운 뚜렷한 희미한 무거운 가벼운 유표적 무표적
구분
빈도(개) 689 504 806 387 475 718개 525 668

비율(%) 57.8 42.2 67.6 32.4 39.8 60.2% 44 56

위상범주 내에서 추출된 ‘중심성 텍스트’, ‘주변성 텍스트’, ‘복합성 텍스트’


내의 색채범주의 분석결과는 중심성, 복합성 텍스트의 경우, ‘고명도 테스트’
와 ‘저명도’ 텍스트가 비교적 비슷한 빈도로 나타났으나, 주변성 텍스트 내에
서는 고명도 텍스트가 165개(13.8%), 저명도 텍스트가 57(4.8%)개로 나타나
빈도차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주변성 텍스트는 중심영역에서 벗어난 주변구
역에 주제기호가 위치하므로 중심성, 복합성 텍스트에 비해 배경의 면적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그림 23]

134) 현장사진의 경우 시간성이 관여된 해석이 가능한 어두운 밤이거나 혹은 공간성이 관여된 해석이
가능한 건물 자체가 어두운 색채를 띠고 있을 경우는 높은 수치의 저명도 텍스트로 분류될 수 있
다. 이러한 예는 예외적인 경우로 취급하여 시간성과 공간성의 맥락에 따라 달리 분석되어야 한다.

- 81 -
<그림 23> 위상범주내의 색채범주의 분석

사건 현장이 어두운 밤이거나, 어두운 건물이 배경으로 나타나는 등의 경


우가 아니라면 보도사진에서는 배경이 어둡게 처리 되는 것은 드물기 때문이
다. 시각적 주제의 형태를 강조하기에 어두운 배경은 효과적이지 않기 때문
이라고 분석하였다.135)

3. 형태범주

형태범주의 유형은 보도사진 텍스트 유형으로써의 특성을 반영한 세부항목


이 유형화 되는 방향으로 접근하였다. 텍스트의 형태범주 내의 표현적 측면
과 텍스트의 내용적 구조의 상관관계를 찾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시각적 주
제 차원에서 접근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보도사진에 내재한 스토리의 서술
은 형태범주 영역에서 담당하고 있다. 예컨대, 비주얼텍스트로써의 보도사진
을 하나의 스토리를 갖고 있는 공연으로 본다면, 위상범주는 무대설비이며,
색채범주는 무대 소품이고, 형태범주는 등장인물의 공연활동으로 비교될 수
있다. 따라서 형태범주를 각각 /인간/ · /사물/ · /정적/· /동적/ · /행위적/ · /

135) 주제 기호의 형태가 구름, 연기, 화염등 매우 밝은 피사체로 구성될 경우는 배경을 의도적으로
더욱 어둡게 처리하여 주제를 두드러지게 하기 위해 저명도 텍스트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 82 -
상태적/ · /개별적/ · /집단적/으로 설정해 가정적 분석틀에 통해 [표 10]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먼저 인물중심의 텍스트는 전체 분석대상 중 675개(56.6%), 사물(자연 포
함) 텍스트는 518개(43.4%)였다. 정적 텍스트는 309개(25.9%), 반대로 동적
텍스트는 884개(74.0%)로 현저히 많은 빈도수로 집계되었다. 상태를 나타내
는 요소가 많은 텍스트는 569개(47.7%), 행위를 나타내는 텍스트는 624개
(52.3%)로 조사되었다. 전체 텍스트 가운데 군집성이 강한 집합적 텍스트는
665개(55.7%)였고 개별성이 강한 텍스트는 528개(44.3%)로 나타났지만, 이
러한 분석대상 전체의 빈도수나 점유율은 형태범주 분석에서는 무의미하
다.136) 형태범주는 구체적인 시각적 주제가 드러나는 범주이기 때문에 사건
의 위상범주, 색채범주의 분석과는 다르게 각각의 주제 내에서 형태범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표 10]

<표 10> 사건 주제별 형태범주 분석

사건 9.11 동일본지진 이라크전쟁 칠레광산매몰 합계


형태범주 (199개) (349개) (148개) (497개)
인간 78 (39.2%) 54 (15.5%) 53 (35.8%) 490 (98.6%) 675 (56.6%)
사물 121 (60.8%) 295 (84.5%) 95 (64.2%) 7 (1.4%) 518 (43.4%)
정적 62 (31.2%) 102 (29.2%) 81 (54.7%) 64 (12.9%) 309 (25.9%)
동적 137 (68.8%) 247 (70.8%) 67 (45.3%) 433 (87.1%) 884 (74.1%)
행위 63 (31.7%) 74 (21.2%) 48 (32.4%) 439 (88.3%) 624 (52.3%)
상태 136 (68.3%) 275 (78.8%) 100 (67.6%) 58 (11.7%) 569 (47.7%)
집합 110 (55.3%) 305 (87.4%) 43 (29.1%) 207 (41.6%) 665 (55.7%)
개별 89 (44.7%) 44 (12.6%) 105 (70.9%) 290 (58.4%) 528 (44.3%)

본 연구의 대상인 위험보도 주제는 각각 ‘9.11 테러’, ‘이라크 전쟁’, ‘칠레


광산매몰’, ‘동일본 대지진’의 4개의 주제로, 전쟁에 관련된 위험보도가 2건,
자연재해 및 재난보도가 2건으로 구성되었다. ‘9.11테러’사건의 경우 /사물/ ·

136) 형태범주 분석의 경우 구체적인 시각적 주제에 따라 편차가 큰 결과를 보이는 범주이고, 주제
별 자료 수집량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전체 분석자료의 총합계에 의한 분석은 의미가 없다. 이러
한 이유로 ‘위험’주제로 선정한 4가지 세부적 주제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형태범주 내의 분석
은 동일 주제내의 분석 결과만을 가지고 접근해야 한다.

- 83 -
/동적/ · /상태/ · /집합/ 항목이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으며, ‘이라크 전쟁’사
건은 /사물/ · /정적/ · /상태/ · /개별/, ‘칠레 매몰’사건은 /인간/ · /동적/ · /
행위/ · /개별/, ‘동일본 대지진’사건은 /사물/ · /동적/ · /상태/ · /개별/ 항
목이 각각 높은 빈도수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사건·사안을 독자에게 전달하
기 위한 보도사진의 비주얼 텍스트는 사건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어
있었다. ‘칠레 광산매몰’사건을 제외하고 나머지 3개의 ‘위험’주제의 비주얼
텍스트는 공통적으로 /사물/ · /상태/ 항목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것은
‘위험’주제인 경우 ‘재난’보도의 성격을 포함하므로 재난의 현장이나 상태를
전달하는 형식을 주로 취하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표 10]
반면, ‘칠레 광산매몰’사건의 경우 행위적 텍스트가 88.3%의 높은 점유율
로 나타났다. 이 사건의 경우는 ‘위험’이 극복된 사건으로 다른 세 가지 보도
주제와는 다른 측면의 사건이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도출된 것으로 분석하
였다. 즉 사건현장의 감동을 인물의 몸짓과 표정을 통한 행위로써 전달하려
는 비주얼 텍스트 구성이 대부분을 차지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텍스트 생산자와 수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의미를 생산하는 시각적
기호와 약호의 구조물인 비주얼 텍스트의 형태범주에서 추출될 수 있는 유형
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인간/ · /사물/ · /정적/· /동적/ · /위행적/ · /상
태적/ · /개별적/ · /집단적/항목에서 모든 항목을 포함하고 형태적 특성을 넓
은 범위에서 해석할 수 있는 /행위적/ · /상태적/ 항목을 유형화 하였다. 형태
범주에서는 주제기호가 상태를 통해 비주얼 텍스트를 생산하는지 혹은 행위
를 통해 비주얼 텍스트를 생산하는지의 구분을 유형화에 포함하여 형태범주
의 비주얼 텍스트로 추출하였다.

- 84 -
3.1. 상태성 텍스트

상태적 유형은 사람이나 사물 혹은 자연현상들이 특정한 현장이나 현상을


보여주고 있는 유형이다. [그림 24]는 2011년 3월 12일에 스위스의 타게스
안짜이거(Tagesanzeiger)의 1면에 게재된 보도사진이다. 동일본 대지진에 대
한 보도를 1면 표제기사로 다루면서 지진피해 지역의 피해 상황을 직접적으
로 보여주고 있었다. 이와 같이 특정 상황에 대한 상황적인 묘사가 드러나는
비주얼 텍스트를 본 연구에서는 ‘상태성 텍스트’로 규정하였다. 화면의 좌측
에 인물이 구성되었지만 시각적 주제는 처참하게 파괴된 사건의 현장이고,
전경에 나타난 파괴된 건물의 잔해의 형태는 배경에 나타난 불타고 있는 건
물의 형태와 함께 ‘위험’의 상태를 배가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그림 24> 상태텍스트- ‘동일본 대지진’사건


스위스, Tagesanzeiger, 2011년 3월 12일자

[그림 25]는 또 다른 ‘상태성 텍스트’의 예시로 2003년 3월 20일에 게재


된 스위스 바슬러 짜이퉁(Basler Zeitung)의 1면 보도사진이다. 이라크 전쟁
개전을 알리는 기사로 UN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 상황을 상징적으로 나타내
고 있고, 회의장의장이 비어 있는 상태를 통해 안전보장회의가 열리지 않는,
즉 이미 전쟁이 시작되었음을 전달하는 비주얼 텍스트로 분석하였다.

- 85 -
<그림 25> 상태성 텍스트- ‘이라크전쟁’사건
스위스, Basler Zeitung, 2003년 3월 20일자

3.2. 행위성 텍스트

행위란 인간을 비롯한 생명체가 일정한 목적과 의도를 가지고 한 활동을


뜻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건·사안을 전달할 때 인간의 의지적인 행동이 시각
적 주제가 되는 경우 ‘행위성 텍스트’로 규정했다. [그림 26]은 2010년 10월
14일에 독일 디 벨트(Die Welt)지가 1면의 게재된 보도사진이다. 칠레 산호
세 광산의 붕괴 사고로 33명이 고립된 채 69일 만에 기적적으로 모두 구조
된 사건으로, 현장의 상세한 상태보다는 구조의 기쁨을 만끽하는 광부와 그
의 가족의 행동이 시각적 주제가 된 비주얼 텍스트이다.
디 벨트지 뿐만 아니라 전 세계 대부분의 일간지가 [그림 26]의 비주얼 텍
스트와 유사한 텍스트를 구성했으며, 이것은 사건·사안의 상황 및 상태를 보
도하는 것 보다는 그들의 무사귀환을 알리는 승리적 행위를 전달하기 위한
목적에 부합되는 비주얼 텍스트라고 분석되었다. 행위성 텍스트는 인간의 행
위가 중심이 되는 비주얼 텍스트를 구성해 독자에게 사건·사안의 의미를 해
석하게 하는 유형이다. 칠레 광산매몰사건 내에서 행위 텍스트가 88.3%로
나타난 것은 재난사건의 극복으로 인한 감동을 이끌어 내기 위해 인간의 행
위와 표정 등이 설득적 비주얼 텍스트로써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결
과라고 분석하였다. 이렇게 사건의 주제에 따라 특정 비주얼 텍스트의 유형

- 86 -
이 나타나는 것은 텍스트의 내용적인 측면과 형식적인 측면의 긴밀한 관계를
보여주는 증거라 볼 수 있다.

<그림 26> 행위성 텍스트- ‘칠레 광산 매몰’ 사건


독일, Die Welt, 2010년 10월 14일자

4. 추출된 유형의 요약 -‘기본유형’

이상에서 살펴본 바, 보도사진의 비주얼 텍스트를 위상, 색채, 형태 세 개


의 범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위상, 색채, 형태범주에서 추출된 유형 중 점
유율이 두드러지는 비주얼 텍스트는 위상범주에서 추출된 ‘중심성 텍스트’로
나타났으며, 세 범주 영역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기본 유형을 추출할 때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텍스트로 설정하였다.
먼저 위상범주의 경우, 비주얼 텍스트의 범주별 유형으로 ‘중심성 텍스트’,
‘주변성 텍스트’, ‘복합성 텍스트’가 추출되었다. 위상범주에서 추출된 ‘중심성
텍스트’는 전체 분석대상 중 45%를 차지했으며, ‘복합성 텍스트’는 35.5%,
‘주변성 텍스트’는 18.6%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었다. 보도사진의 위상범주에
서는 주제기호가 중심에 집중되는 공간적 특성을 가지는 ‘중심성 텍스트’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주변성 텍스트’는 현저히 낮은 점유율을 나타냈다. 사
건·사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해야 하는 보도사진의 특성상 시각적 주제
를 직접 드러내는 경향이 있고, 독자가 지각하기에 용이한 ‘중심성 텍스트’가
가장 많은 점유율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87 -
<그림 27> 위상범주 분석-사건별

사건별로 살펴보면 [그림 27]과 같이 ‘9.11 테러’사건은 62.3%, ‘이라크 전


쟁’사건은 50.7%, ‘칠레 광산매몰’사건은 49.5%로 ‘중심성 텍스트’가 가장 많
은 비율을 보였으며, ‘동일본 대지진’사건에서는 ‘주변성 텍스트’가 49.0%의
점유율로 나타났다. ‘동일본 대지진’사건은 다른 사건에 비해 넓은 범위였고,
실제 위험의 크기를 짐작할 수 없는 시점137)의 보도였으므로 대부분의 일간
지에서 피해가 직접적으로 드러난 사건의 현장을 주제로 항공 촬영한 보도사
진을 게재했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보도사진은 사건의 발생시점과 피해지역의
크기에 따라서도 특정한 비주얼 텍스트가 구성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색채범주에서 추출된 비주얼 텍스트는 ‘고명도 텍스트’와 ‘저명도
텍스트’로 각각 57.8%와 42.2%로 집계되었으며, 고명도 텍스트가 저명도 텍
스트보다 15.6% 많은 점유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험’주제 보
도사진의 경우에 주로 전쟁, 테러, 재난 등이 주제가 되지만 어두운 사진보다
는 밝은 사진이 많이 게재되고 있는 것은 보도사진은 정확한 사실을 전달하
는 매체이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또한 신문은 언어적 텍스트와 비주얼 텍스

137) 2011년 3월 11일에 발생한 사건이었고, 3월 12일자 일간지로 수집되었기 때문에 사건에 대
한 ‘위험’의 상태를 불타는 해안마을, 밀려오는 쓰나미 등을 항공촬영을 한 사진들이 대부분의
일간지에 게재되었다.

- 88 -
트의 상호작용을 통해 독자에게 메세지를 전달하는 매체이므로 비주얼 텍스
트에 의도적으로 ‘위험’주제가 드러나는 색채를 강조해서 구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림 28> 색채범주 분석-사건별

[그림 28]과 같이 색채범주에서 추출된 ‘고명도 텍스트’와 ‘저명도 텍스트’


를 사건별로 분석하면 ‘9.11테러’사건과 ‘이라크전쟁’사건에 비해 ‘칠레 광산
매몰’사건과 ‘동일본 대지진’사건이 ‘고명도 텍스트’가 다소 많은 빈도를 보였
을 뿐 4개 사건 모두 ‘고명도 텍스트’가 ‘저명도 텍스트’보다 많은 빈도를 나
타냈다.
형태범주에서 추출된 비주얼 텍스트는 ‘행위 텍스트’와 ‘상태 텍스트’로 나
누어 분석하였는데, 각각 52.3%와 47.7%의 점유율로 나타났다. 즉 보도사진
을 통해 ‘위험’에 관련된 사건이 전달되면서 사용되는 시각적 주제는 일반적
인 보도주제와 큰 차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그림 29]
형태범주 분석의 경우 시각적 주제에 따라 편차가 큰 결과를 보이는 범주
이기 때문에 전체 분석자료의 총합계에 대한 분석은 의미가 없으므로 ‘위험’
주제로 선정된 4개의 사건을 각각 동일한 사건 내에서 분석을 시도하였다.
추출된 ‘행위성 텍스트’와 ‘상태성 텍스트’에 대한 점유율은 ‘9.11 테러’, ‘이

- 89 -
라크 전쟁’, ‘동일본 대지진’의 사건에서는 ‘상태성 텍스트’가 우위적 점유율
을 보였으며, ‘칠레 광산붕괴’사건의 경우 ‘행위성 텍스트’가 88.3%의 점유율
로 나타났다. ‘칠레 광산붕괴’사건은 다른 사건과 다르게 ‘위험’을 극복한 인
물의 행위가 시각적 주제로 구성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

<그림 29> 형태범주 분석-사건별

이와 같이 사건·사안을 독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보도사진의 비주얼 텍스트


는 사건의 특성에 따라 특정한 유형으로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각
범주 내에서 추출된 범주별 텍스트 유형을 요약해서 도표화 하면 다음과 같
다.[표 11]
보도사진의 비주얼 텍스트를 위상, 색채, 형태범주로 살펴본 바, 위상범주
에서는 ‘중심성 텍스트’가 지배적으로 많은 점유율을 보였고, 색채범주에서는
주제를 드러내기 위한 색채를 강조한 비주얼 텍스트를 구성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형태범주에서는 일반적인 보도주제와의 차이점을 발견
하지 못했다.

- 90 -
<표 11> 비주얼 텍스트 유형 분류-범주별

비주얼 텍스트 빈도 점유율


비주얼 텍스트 유형 분류 기준 (범주별)
단일유형 (개) (%)
주제기호 집중도의 x축이 'A' 형태로 나타나는 비주얼
중심성 텍스트 547 45.8
텍스트
위상
주제기호 집중도의 x축이 'M' 형태이거나 중심을 제외한
범주 주변성 텍스트 222 18.6
좌측 혹은 우측 편향적인 비주얼 텍스트
주제기호 집중도의 x축이 수평적 형태이거나 중심을 포
복합성 텍스트 424 35.5
함한 좌측 혹은 우측 편향적인 비주얼 텍스트
색채범 고명도 텍스트 689 57.8 저명도 점유도가 50패널포인트 이하인 비주얼 텍스트
주 저명도 텍스트 504 42.2 저명도 점유도가 50패널포인트 이상인 비주얼 텍스트
사건·사안에 관계된 인물의 행위가 시각적 주제로 나타
행위 텍스트 624 52.3
형태 나는 비주얼 텍스트
범주 사건·사안의 현장이나 현상이 시각적 주제로 나타나는
상태 텍스트 569 47.7
비주얼 텍스트

제2절 범주별 분석 결과 및 검증

1. 범주의 관계성에 따른 ‘관계유형’ 추출

위상범주의 세부 항목으로 설정되었던 구도에 대한 문제는 복합적인 공간


정보 항목인 /중심성/ · /주변성/ · /복합성/으로 포함해서 유형화했다. 또한
색채범주의 세부항목으로 설정되었던 /뚜렷한/ · /희미한/은 사건의 주제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 항목이었고, /무거운/ · /가벼운/의 항목은 /밝은/ · /어
두운/과 유사하게 분류될 수 있는 항목이었다. /유표적/ · /무표적/은 보도사
진 색채분석에 있어서는 다양하게 나타나지 않아 비주얼 텍스트의 보편적 유
형 추출의 세부항목으로는 적합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분석틀에는 위상
범주에서는 /중심성/ · /주변성/ · /복합성/과 색채범주에서는 /밝은/ · /어두
운/의 항목만을 유형화 항목에 포함한 것이다.
그러나 형태범주의 항목인 /인간/ · /비인간/ · /정적/ · /동적/ · /개별적/ ·
/집합적/ · /행위/ · /상태/ 항목은 위상범주와 색채범주의 항목과 같이 각 항
목을 포함하여 유형화 할 수 있었지만, 형태범주는 보도사건ㆍ사안들을 서술

- 91 -
적으로 전달하는 시각적 주제요소가 되기 때문에 주제를 전달하는 형식이 될
수 있는 항목이라 분석된 /행위/ · /상태/항목을 유형화 하여 비주얼 텍스트
의 ‘기본유형’으로 추출하였다.
위상범주, 색채범주, 형태범주에서 각각 추출된 비주얼 텍스트의 ‘기본유형’
을 범주의 관계성에 따라 비주얼 텍스트의 ‘관계유형’으로 추출할 수 있었
다.138) 위상범주의 경우, ‘중심성 텍스트’, ‘주변성 텍스트’, ‘복합성 텍스트’의
3개의 유형으로 나누어졌으며, 색채범주는 ‘고명도 텍스트’, ‘저명도 텍스트’
의 2개의 유형으로, 형태범주는 ‘행위성 텍스트’, ‘상태성 텍스트’의 2개의 유
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각 범주에서 추출된 단
일유형의 경우의 수를 적용하여 12개의 기본유형을 추출하였다.

1.1.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행위 텍스트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행위텍스트‘ 유형은 본 연구에서 전체 187개로


전체의 15.67%, 중심성이 강조된 전체 424개 텍스트 가운데 34.1%를 차지
하고 있었다.[표 12]

<표 12>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행위 텍스트 비율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행위 전체비율 (1193개 중) 중심성 위주 비율(547개 중)


텍스트(187개) 15.67% 34.1%

[그림30]은 2003년 3월 20일 미국의 칼라마주 가제트(Kalamazoo


Gazette)지 1면에 실렸던 보도사진으로 대량 살상무기를 확보하기 위한 미국
대 이라크의 전투현장의 행위를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행위 텍스트’유형으로
분류하였다.

138) 위상범주, 색채범주, 형태범주에서 각각 추출된 비주얼 텍스트의 유형을 ‘기본유형’이라고 규


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구성의 기초가 되는 ‘기본유형’, 이를 범주별 관계에 따라 추출
한 ‘관계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추출된 관계유형에 구체성을 부여하여 확장한 ‘확장유형’과
분석결과의 검증단계에서 추출한 ‘기타유형’으로 규정하여 분류하였다.

- 92 -
[그림30](좌)와 같이 위상범주 분석틀에 대입하면, 방독면을 착용한 군인
이 초중심 영역에 위치해 독자의 시선을 잡고 있는 전형적인 ‘중심성 텍스트’
로 분류, 분석되었다. 틀의 X축은 주제기호가 중심영역에 집중되어 ‘A'형태로
드러나는 중심성 텍스트 유형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 30>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행위 텍스트 분석 과정


(좌) 위상범주 분석, (우) 색채범주 분석
미국, Kalamazoo Gazette- 2003년 3월 20일자

이미지 프로세싱을 거쳐 [그림 30](우)와 같이 색채범주 분석틀에 대입한


결과, 저명도 패널의 점유가 44 포인트 패널로 집계되어 ‘고명도 텍스트’로 분
류할 수 있다. 위상, 색채, 형태의 범주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대조의 특성을
조합하여 이러한 비주얼 텍스트를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행위텍스트〉로
규정하였다.

1.2.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상태 텍스트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상태 텍스트’는 전체 1,193개의 보도사진 가운데


99개로 전체 8.3%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동일한 조건의 행위 텍스트보다

- 93 -
는 현저히 낮은 수치로 나타났으며, 547개의 중심성 위주의 텍스트 내에서는
18%만이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상태 텍스트’유형으로 분류되었다.[표13]

<표 13>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상태텍스트 비율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전체비율 (1193개 중) 중심성 위주 비율(547개 중)


상태텍스트(99개) 8.3% 18.0%

2011년 3월 12일자 미국의 더 보몬트(The Beaumont)지는 [그림 31]과


같이 소용돌이에 휩싸인 일본 북동부의 쓰나미 현장을 보도하고 있다. 위험
상황의 주제가 되는 소용돌이가 그대로 보여지는 이 사진은 사건의 상태를
전달하는 ‘상태 텍스트’라고 분석하였다. [그림 31](좌)와 같이 위상범주 분
석틀에 대입하면, 보도사진의 시각적 주제기호인 소용돌이가 중심영역에 위
치하는 ‘중심성 텍스트’이다. 주제기호 집중도의 X축, Y축 모두 중심영역에
높은 패널포인트가 분포된 것으로 보아 상, 하, 좌, 우측 모두 중심영역에 집
중된 전형적인 중심성 유형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림 31>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상태 텍스트 분석과정


(좌) 위상범주 분석, (우) 색채범주 분석
미국, The Beaumont- ‘동일본 대지진’사건, 2011년 3월 12일자

- 94 -
해당 보도사진 이미지 프로세싱 후, [그림 31](우)와 같이 색채범주 분석
틀에 대입하면, 저명도 패널의 점유도가 14 패널포인트로 집계되어 명도 텍
스트’로 분류되었으며, 위상, 색채, 형태의 범주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대조의
특성을 조합하여 이러한 비주얼 텍스트를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상태텍
스트〉로 규정하였다.

1.3.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 행위 텍스트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 행위텍스트’ 유형은 분석대상 전체 1,193개에서


99개로 나타나 8.3%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중심성이 강조된 547개의
비주얼텍스트 가운데에서는 18.0%를 차지하고 있었다.[표 13]

<표 14>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 행위 텍스트 비율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 전체비율 (1193개 중) 중심성 위주 비율(547개 중)


행위텍스트(99개) 8.3% 18.0%

미국의 엘버커키 저널(Albuqerque Journal)은 2008년 9월 11일자로 [그


림 32]와 같이 9·11테러 희생자의 가족으로 보이는 인물 중심 보도사진을
게재하였다. 9.11테러 이후 7년이 지난 상황에서 사건의 희생자 사진을 가슴
에 안고 있는 장면으로 사진과 이것을 들고 있는 여인이 시각적 주제로 나타
났다. 사진을 보여 주는 행위를 통해 인간의 정서적 감정을 수용자에게 전달
하고 있으므로 ‘행위 텍스트’로 분류하였다.
이를 [그림 32](좌)와 같이 위상범주 분석틀에 대입하면, X축의 중심이 강
하게 강조된 ‘중심성 텍스트’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이미지 프로세싱을 거쳐
[그림 32](우)와 같이 색채범주 분석틀에 대입한 결과, 저명도 점유도가 71
패널포인트로 나타나는 ‘저명도 텍스트’로 분석하였다. 위상, 색채, 형태의 범
주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대조의 특성을 조합하여 이러한 비주얼 텍스트를 〈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 행위 텍스트〉로 규정하였다.

- 95 -
<그림 32>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 행위 텍스트 분석과정
(좌) 위상범주 분석, (우) 색채범주 분석
미국, Albuqerque Journal- “9.11테러‘사건, 2008년 9월 11일자

1.4.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 상태 텍스트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 상태 텍스트’는 전체 162개의 빈도수로 집계되었다.


이 유형은 모든 분자자료 중 13.6%의 점유율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중
심성 텍스트 가운데에는 29.6%로 비교적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었다.[표 15]

<표 15>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 상태 텍스트 비율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 전체비율 (1193개 중) 중심성 위주 비율(547개 중)


상태텍스트(162개) 13.6% 29.6%

2011년 3월 12일자 미국의 스테이트 저널(State Journal)과 멕시코의 엘


멕시카노(El Mexicano)는 2011년 3월 12일에 같은 사진을 각각 1면의 보도
사진으로 게재하였다. [그림 33]과 같이 일본 북동부 지진의 여파로 쓰나미
가 휩쓴 마을을 보도하는 ‘상태 텍스트’로 분석되었다. 패널의 초중심 영역에
거대한 화염을 시각적 주제로 구성하였으며, 어두운 배경이 화염을 더욱 위

- 96 -
험한 상태의 비주얼 텍스트로 구성해 독자의 시선을 집중시키고 있다.
[그림 33](좌)와 같이 위상범주 분석틀에 대입한 결과, X축은 ‘A'형태의
‘중심성 텍스트’적 특성을 나타냈으며, Y축은 중심을 비롯해 상, 하 구역에
시각적 주제요소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X, Y축을 기준
으로 텍스트를 분석하면 세로축 중심으로 주제요소가 분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림 33>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 상태 텍스트 분석과정


(좌) 위상범주 분석, (우) 색채범주 분석
미국, State Journal·멕시코,El Mexicano-‘’동일본 대지진‘사건, 2011년 3월12일자

이미지 프로세싱 후, [그림 33](우)와 같이 색채범주 분석틀을 대입한 결


과, 저명도 점유도는 80 패널포인트로 집계되어 높은 수치를 보이는 ‘저명도
텍스트’로 분류되었다. 어두운 배경이 시각적 주제를 상대적으로 더 밝게 보
이게 하는, 즉 배경의 명도가 형태를 더욱 두드러지게 하는 효과를 발견할
수 있는 비주얼 텍스트이다. 위상, 색채, 형태의 범주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대조의 특성을 조합하여 이러한 비주얼 텍스트를〈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
상태 텍스트〉로 규정하였다.

- 97 -
1.5.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 행위 텍스트

위상범주 분석에서 중심성이 강조된 유형과는 차별적으로 중심보다는 주변


에 시각적 주제요소들이 집중돼 있는 유형을 ‘주변성 텍스트’라고 정하였다.
중심성 텍스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 하측 그리고 좌, 우측에 주제요소들이
산발적으로 분산되어 위치하는 조형적 특성을 보이는 텍스트이다.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 행위 텍스트’는 전체 1,193개의 비주얼 텍스트
가운데 50개만이 동일한 위상, 색채, 형태범주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전체
의 4.2%, 그리고 222개의 주변성이 강조된 유형 내에서는 22.5%를 차지하
고 있었다.[표 15]

<표 16>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 행위텍스트 비율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 행위 전체비율 (1193개 중) 주변성 위주 비율(222개 중)


텍스트(50개) 4.2% 22.5%

2010년 10월 14일 미국의 더 클라리얼-레저(The Clarion-Ledger)는 1면


에 [그림 34]와 같은 보도사진을 게재하였다. 2010년 8월 5일 칠레 산호세
광산의 매몰로 인해 광부 33명이 갇혀 있다가 69일 만에 전원 구조된 이 사
건은 등장인물의 감정을 표현하는 비주얼 텍스트로 구성되었다. 이는 기도하
는 행위를 시각적 주제로 하는 ‘행위 텍스트’로 분류할 수 있고, [그림 34]
(좌)와 같이 위상범주 분석틀을 대입하면, 기도하는 여인과 구조를 지켜보는
관련자가 패널 공간의 전반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 반면 중심영역
에는 특별한 주제요소가 구성되지 않은 ‘주변성 텍스트’로 분석되었다. 주변
성이 강조된 비주얼 텍스트는 X축 주제기호 집중도가 ‘M'자 형태로 나타나거
나 좌, 우측에 편향된 분포도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미지 프로세싱을 거친 후, [그림 34](우)와 같이 색채범주 분석틀을 적용
하면 저명도 패널 점유도는 28 패널포인트로 집계되는 ‘고명도 텍스트’로 분류
할 수 있었다. 고명도로 구성된 배경과 저명도로 구성된 여인의 대조적인 명도
차를 보였는데, 이는 시각적 주제를 더욱 두드러지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

- 98 -
다. 위상, 색채, 형태의 범주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대조의 특성을 조합하여 이
러한 비주얼 텍스트를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 행위 텍스트〉로 규정하였다.

<그림 34>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 행위 텍스트 분석 과정


(좌) 위상범주 분석, (우) 색채범주 분석
미국, The Clarion Ledger-'칠레 광산붕괴‘사건, 2010년 10월 14일자

1.6.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 상태 텍스트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 상태 텍스트’는 115개의 빈도수로 집계 되었으며,


전체 분석자료 중 9.6%를 차지하고 있었다. 주변성이 강조된 222개의 유형
가운데 절반이 넘는 51.8%의 압도적 점유 우위를 보인 점이 주목할 만하
다.[표 17]은 화면의 주변에 시각적 주제가 구성되면서 중심영역이 배경으로
포함되어 포인트가 부여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 텍
스트’는 중심성이 강조된 텍스트에 비해 화면의 여백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비주얼 텍스트라 할 수 있다.

<표 17>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 상태 텍스트 비율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 전체비율 (1193개 중) 주변성 위주 비율(222개 중)


상태텍스트(115개) 9.6% 51.8%

- 99 -
[그림 35]는 2003년 3월 20일에 미국의 데일리 뉴스(Daily News)가 게
재한 1면의 보도사진을 분석한 과정이다. 이는 이라크 전쟁 관련 보도로 이
륙하는 비행기를 통해 전쟁이 시작된 상태를 전달하는 ‘상태 텍스트’로 분석
되었다. [그림 35](좌)와 같이 위상범주 분석틀에 대입하면 X축이 'M자 형태
인 ‘주변성 텍스트’로 나타났으며, 패널의 좌, 우측에 시각적 주제요소가 비대
칭적으로 구성된 비주얼 텍스트이다.
이륙하는 전투기의 모습은 좌측에서 우상(右上) 영역으로 배치되어 초중심
영역을 벗어났고, 우측 하단에 군관계자가 위치해 동적텍스트가 함께 나타나
는 비주얼 텍스트이다. 비주얼텍스트의 주제기호 집중도가 전체 39 패널포인
트로 집계되어 비교적 낮은 수치로 나타나 배경의 면적이 형태에 비해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래의 보도사진을 이미지 프로세싱
후, [그림 35](우)와 같이 색채범주 분석틀에 대입한 결과, 저명도 점유도
29 패널포인트로 ‘고명도 텍스트’로 분류되었다. 위상, 색채, 형태의 범주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대조의 특성을 조합하여 이러한 비주얼 텍스트를 〈주변성
이 강조된 고명도 상태 텍스트〉로 규정하였다.

<그림 35>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 상태 텍스트 분석과정


(좌) 위상범주 분석, (우) 색채범주 분석
미국, Daily News 1면/ 2003년 3월 20일자

- 100 -
1.7.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 행위 텍스트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 행위 텍스트’는 전체 10개로 전체 분석대상 중


0.8%의 매우 낮은 점유율을 보였다. 이는 보도사진에서 거의 나타나지 않는
유형이라 할 수 있다. 이 유형은 주변 구역에서 주제의 형태가 구성되기 때
문에 화면의 배경이 어둡게 구성되면 주제요소가 두드러지기 어렵기 때문이
다. 즉 형태와 바탕의 게슈탈트적 상관관계 때문이라고 분석되었다. 주변성이
강조된 222개의 유형 내에서도 4.5%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사용빈도가 매
우 적은 유형이라 할 수 있다.[표 18]

<표 18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 행위 텍스트 비율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 전체비율 (1193개 중) 주변성 위주 비율(222개 중)


행위 텍스트(10개) 0.8% 4.5%

[그림 36]은 2010년 10월 14일에 칠레의 산호세 광산을 주제로 세계일보
1면에 게재된 보도사진을 분석한 과정이다. 구조된 광부와 관련인물이 손을
잡는 행위로 사건이 해결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독자에게 전달하는 ‘행위 텍
스트’로 분류하였다.
패널의 좌측과 우측영역에서 대칭적으로 시각적 주제기호가 나타난 경우이
며, 두 인물의 얼굴과 몸, 그리고 그들의 행위가 시각적 주제로 파악되었다.
시각적 부제인 주변 인물들은 얼굴 표정으로써 주제를 더욱 강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특징적인 비주얼 텍스트이다. [그림 36](좌)와 같이 위상범주 분
석틀에 대입해서 사진텍스트를 분석하면, X축이 ‘M자’형태로 나타나는 ‘주변
성 텍스트’ 유형임을 파악할 수 있으며, 중심영역을 제외한 우측과 좌측에 고
르게 주제 요소가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이미지 프로세싱 후 [그림 36](우)와 같이 색채범주 분석틀에 대입한
결과, 저명도 점유도가 69 패널포인트로 나타나는 어두운 느낌의 ‘저명도 텍
스트’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위상, 색채, 형태의 범주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대

- 101 -
조의 특성을 조합하여 이러한 비주얼 텍스트를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 행
위 텍스트〉로 규정하였다.

<그림 36>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 행위 텍스트 분석 과정


(좌) 위상범주 분석, (우) 색채범주 분석
세계일보-‘칠레 광산붕괴’사건, 2010년 10월 14일자

1.8.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 상태 텍스트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 상태 텍스트’는 전체 분석대상에서 47개가 나타


났으며 3.9%의 점유율을 나타냈다. 그리고 222개의 주변성 유형 내에서는
21%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표 19]

<표 19>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 상태 텍스트 비율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 전체비율 (1193개) 주변성 위주 비율(222개)


상태텍스트(47개) 3.9% 21.0%

[그림 37]은 2011년 3월 12일에 미국의 프레스 텔레그램(Press Tele-


gram)이 1면에 게재한 보도사진을 분석한 과정이다. 조형범주의 영역 중 형
태범주 측면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일본 동북부를 강타한 쓰나미가 밀려오

- 102 -
는 자연물 형태로 구성된 텍스트로, 쓰나미로 인한 ‘위험’상태를 독자에게 전
달하는 ‘상태 텍스트’로 분석되었다.

<그림 37>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 상태텍스트 분석과정


(상) 위상범주 분석, (하) 색채범주 분석
미국, Press Telegram - ‘동일본 대지진’사건, 2011년 3월 12일자

위상범주 측면에서는 그림[37](상)은 주변성 텍스트의 특징인 ‘M자’형태와


는 다르게 한 영역에 주제기호가 집중된 ‘주변성 텍스트’라고 분석할 수 있었
다. 주변성 텍스트는 초중심성 구역의 포함 여부에 따라 분류 되며, 우측 혹
은 좌측의 특정한 구역에 주제기호가 집중 배치되는 경우에도 해당된다.
이미지 프로세싱을 거친 후 [그림 37](하)와 같이 색채범주 분석틀에 대입

- 103 -
한 결과, 저명도 점유도가 70 패널포인트로 집계되는 ‘저명도 텍스트’로 분석
되었다. 위상, 색채, 형태의 범주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대조의 특성을 조합하
여 이러한 비주얼 텍스트를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 상태 텍스트〉로 규정
하였다.

1.9. 복합성의 고명도 행위 텍스트

‘복합성의 고명도 행위 텍스트’는 총 1,193개 가운데 114개로 전체의


11.7%, 424개의 복합성 유형 내에서는 33%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표 20]

<표 20> 복합성의 고명도 행위텍스트 비율

복합성의 고명도 행위 텍스트 전체비율 (1193개) 복합성유형 비율(424개)


(114개) 11.3% 33%

복합적 유형은 위상범주에서 중심성과 주변성을 모두 포함할 때 나타나는


비주얼 텍스트의 공간적 유형이다. 2008년 9월 11일에 미국 라스베가스 리
뷰저널(The Las Vegas Review-Journal)은 세계무역센터 자리였던 그라운
드제로(Ground Zero)139)의 사진을 1면에 게재하였다. [그림 38]은 7년 전
무참히 파괴되었던 현장을 일상적인 모습으로 걸어가는 뉴욕 시민들의 행동
이 당시의 테러사건의 기억을 상기하게 하는 ‘행위 텍스트’이라고 분석하였
다. 7년 전 독자의 기억에 남아 있는 현장 이미지와 현재의 이미지의 대조를
통해 독자는 기억과 경험에 의지해 사진텍스트의 의미를 해석하게 된다.
이를 위상범주의 분석틀에 대입하였는데, [그림 38](좌)와 같이 중심성 텍

139) Ground Zero의 사전적 의미는 폭탄의 낙하점이나 핵폭발 지점을 뜻한다. 1946년 7월 뉴욕타
임스가 일본에 떨어진 원자폭탄의 피폭지점을 지칭해서 사용된 이후 '대재앙의 현장'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9·11 세계무역센터 테러 사태로 널리 알려졌다.

- 104 -
스트의 ‘A자’ 형태와, 주변성 텍스트의 ‘M자’형태가 합쳐진 불규칙한 형태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특징과 함께 복합성 텍스트는 주제기호 집중도의 X축이
수평적 형태이거나 중심을 포함한 좌측 혹은 우측 편향적인 형태로 나타나기
도 했다. [그림 38](우)와 같이 이미지 프로세싱 후 색채범주의 분석틀에 대
입한 결과, 저명도 점유도가 8 패널포인트로 집계되어 ‘고명도 텍스트’로 분
류되었다. 보도사진에 드물게 나타나는 매우 밝은 비주얼 텍스트이며, 일반적
인 보도사진이 ‘선명한’ 비주얼 텍스트를 구성하는 것과는 다르게 ‘희미함’으
로 오래된 독자의 기억을 떠올리는 효과적인 텍스트를 구성하였다. 위상, 색
채, 형태의 범주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대조의 특성을 조합하여 이러한 비주
얼 텍스트를 〈복합성의 고명도 행위텍스트〉로 규정하였다.

<그림 38> 복합성의 고명도 행위 텍스트 분석과정


(좌) 위상범주 분석, (우) 색채범주 분석
미국,The Las Vegas Review-Journal- ‘9.11테러사건’, 2008년 9월 11일자

- 105 -
1.10. 복합성의 고명도 상태 텍스트

‘복합성의 고명도 상태 텍스트’는 전체 분석대상에서 98개로 집계되었고


8.2%의 점유율을 차지했으며, 복합성 유형의 텍스트 내에서는 23.0%를 차지
하고 있었다.[표 21]

<표 21> 복합성의 고명도 상태텍스트 비율

복합성의 고명도 상태텍스트 전체비율 (1193개) 복합성유형 비율(424개)


(98개) 8.2% 23.0%

2003년 3월 20일, 미국의 애빌린(Abilene)지는 [그림 39]과 같이 이라크


전쟁에 관련된 1면의 보도사진으로 출격 준비 중인 전투기를 시각적 주제로
한 보도사진을 게재하였다. [그림 39]는 항공모함에 정렬되어 있는 전투기의
대열과 부산하게 움직이는 인물들로 실제로 전쟁이 시작된 상태를 전달하고
있는 ‘상태성 텍스트’로 분석하였다.
[그림 39](좌)와 같이 위상범주 분석틀에 대입한 결과, 주제기호가 전체
78 패널포인트로 집계되었고, 시각적 주제가 중심과 주변에 걸쳐 고르게 분
포된 ‘복합성 텍스트’로 분석되었다. 주제기호가 좌측 하단에서 우측 상단까
지 배치되어 있고, 중심구역의 상단 좌측에 위치한 이륙중인 전투기는 사건
의 긴장감을 더해 주는 비주얼 텍스트로써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미지 프로세싱 후 [그림 39](우)와 같이 색채분석틀에 대입한 결과, 저
명도 점유도가 10 패널포인트로 집계되는 ‘고명도 텍스트 유형’으로 분석되
었으며, 위상, 색채, 형태의 범주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대조의 특성을 조합하
여 이러한 유형의 비주얼 텍스트를 〈복합성의 고명도 상태 텍스트〉로 규정
하였다.

- 106 -
<그림 39> 복합성의 고명도 상태 텍스트 분석과정
(좌) 위상범주 분석, (우) 색채범주 분석
미국, Abilene-‘이라크전쟁’사건 2003년 3월 20일자

1. 11. 복합성의 저명도 행위 텍스트

전체 분석대상 중 11.6%(138개)를 차지하고 있는 ‘복합성의 저명도 행위


텍스트’는 복합성 텍스트 내에서는 32.5%를 차지하였다.[표 22]

<표 22> 복합성의 저명도 행위텍스트 비율

전체비율 (1193개) 복합성유형 비율(424개)


복합성의 저명도 행위텍스트
11.6% 32.5%

2008년 9월 11일, 미국의 블러프턴 투데이(Blufton Today) 1면에는 성조


기를 사이에 둔 두명의 구조요원이 묵념하는 보도사진을 게재하였다. [그림
40](좌)는 묵념 행위를 통해 9.11 테러 사건의 희생자를 추모하는 ‘행위 텍
스트’의 분석과정이다.
국기라는 대표적 상징기호가 비주얼 텍스트로써 초중심성 구역에 위치하
고, 묵념을 하는 두 구조요원의 실루엣은 국기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
다. 위상범주 분석틀의 X축이 비교적 완만한 수평선으로 나타나는 아래의 보

- 107 -
도사진은 중심성과 주변성을 포함한 ‘복합성 텍스트’ 유형의 전형적인 예시라
고 할 수 있다.

<그림 40> 복합성의 저명도 행위 텍스트 분석과정


(좌) 위상범주 분석, (우) 색채범주 분석
미국, Blufton Today-‘9.11테러’사건, 2008년 9월 11일자

이미지 프로세싱 후 [그림 40](우)와 같이 색채범주 분석틀에 대입한 결


과, 저명도 점유도가 71 패널포인트로 집계되어 ‘저명도 텍스트’로 분류되었
다. 위상, 색채, 형태의 범주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대조의 특징을 조합하여
이러한 유형의 비주얼 텍스트를 〈복합성의 저명도 행위 텍스트〉로 규정하
였다.

1.12. 복합성의 저명도 상태 텍스트

‘복합성의 저명도 상태 텍스트’는 전체 1,193개의 분석자료 가운데 48개가


집계되어 전체 4.0%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었다.[표 23] 복합성 유형 내에서
는 11.3%를 차지하고 있어 앞선 복합성의 3가지 유형에 비해 활용도가 높지
않은 비주얼 텍스트 유형이라 할 수 있다.

- 108 -
<표 23> 복합성의 저명도 상태 텍스트의 비율

복합성의 저명도 전체비율 (1193개) 복합성유형 비율(424개)


상태 텍스트(48개) 4.0% 11.3%

2003년 3월 20일, 브라질의 제로 호라(Zero Hora)지는 1면에 [그림 41]


과 같이 야간 전투함에서 로케트를 발사하는 장면을 게재하였다. 이라크전쟁
의 발발을 알리는 비주얼 텍스트로써 전쟁의 진행 상태를 알리는 ‘상태 텍스
트’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림 41](좌)와 같이 위상범주 분석틀에 대입한 결
과, X축의 주제기호 집중도가 전체 60 패널포인트로 나타났으며, 그 중 중심
영역이 26 패널포인트, 나머지는 34 패널포인트는 화면의 좌측에 집중되어
있는 ‘복합성 텍스트’유형으로 분석되었다.
보도사진 이미지 프로세싱 후, [그림 41](우)와 같이 색채범주 분석틀에
대입한 결과, 저명도 점유도가 75 패널포인트로 집계되는 ‘저명도 텍스트’로
분석되었으며, 로케트 발사 시 나타나는 화염의 형태가 저명도의 배경으로
인해 더욱 두드러지는 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위상, 색채, 형태의 범주에
서 나타나는 조형적 대조의 특징을 조합하여 이러한 유형의 비주얼 텍스트를
〈복합성의 저명도 상태 텍스트〉로 규정하였다.

<그림 41> 복합성의 저명도 상태 텍스트 분석과정


(좌) 위상범주 분석, (우) 색채범주 분석
브라질, Zero Hora- ‘이라크전쟁’사건, 2003년 3월 20일자

- 109 -
2. 추출된 유형의 요약 -‘관계유형’

위상범주, 색채범주, 형태범주의 관계를 중심으로 추출한 12개 ‘관계유형’


의 비주얼 텍스트는 [그림 42]에서 볼 수 있듯이 유형별 빈도수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행위 텍스트〉가 전체 분석대상 내에서
187개(15.6%),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 행위 텍스트〉가 (162개)13.6%의
빈도수로 집계되었다. 또한 ‘중심성 텍스트’ 내의 타 유형도 각각 99개(8.3%)
의 빈도수로 집계되어 ‘중심성 텍스트’가 위상범주 내에서 가장 많이 구성되
는 비주얼 텍스트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주변성 텍스트’ 내에서는 100개 이상의 빈도수를 보이는 유형으로 〈주변
성이 강조된 고명도 상태 텍스트〉가 115개(9.6%)로 집계되었으며, 주변성
텍스트 내의 타 유형은 5% 미만의 낮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었다. 특히 〈주
변성이 강조된 저명도 행위텍스트〉유형은 10개(0.8%)로 조사되어 12개의
‘관계유형’ 중 현저하게 낮은 빈도를 보이고 있었다. ‘주변성 텍스트’가 포함
된 비주얼 텍스트 유형의 점유율이 낮은 것은 보도사진의 시각적 주제가 주
변 구역에 분포되어 텍스트 수용자가 주제를 지각하고 해석하는데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색채범주에서는 정확한 사실을 전달해야 하는 보도사진의 특성상 ‘저명
도 텍스트’ 구성은 독자가 텍스트를 지각하고 해석할 때, 전경과 배경의 구분
이 용이하지 않아 나타나는 결과라고 분석된다. 보도사진은 전경과 배경의
개념이 매우 크게 작용하는 매체이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140)

140) 전경과 배경에 대한 구분은 비주얼 텍스트뿐만 아니라 내용적 텍스트에도 적용된다. 광고, 예
술 사진에 비해 사실을 전달하는 기능이 강한 보도사진은 전경과 배경의 구분이 명확한 경향을
보인다.

- 110 -
<그림 42> 관계유형의 점유율 분석
유형1: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행위 텍스트, 유형2: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상태 텍스트,
유형3: 중심성 강조된 저명도 행위 텍스트, 유형4: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 상태 텍스트,
유형5: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 행위 텍스트, 유형6: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 상태 텍스트,
유형7: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 행위 텍스트, 유형8: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 상태 텍스트,
유형9: 복합성의 고명도 행위 텍스트, 유형10: 복합성의 고명도 상태 텍스트,
유형11: 복합성의 저명도 행위 텍스트, 유형12: 복합성의 저명도 상태 텍스트

‘복합성 텍스트’ 내에서는 〈복합성의 고명도 행위 텍스트〉와 〈복합성의


저명도 행위 텍스트〉가 각각 140개(11.7%), 138개(11.6%)의 빈도수로 집
계되었다. 그 밖의 ‘복합성 텍스트’가 포함된 타 유형도 ‘주변성 텍스트’가 포
함된 유형보다는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복합성의 저명도 상태 텍스트〉는
48개(4.0%)로 집계되어 복합성이 포함된 유형 내에서는 가장 낮은 빈도를
보이는 것은 ‘저명도 텍스트’가 함께 구성되면서 시각적 주제의 두드러짐을
강조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
[표 24]의 각 유형의 점유율을 분석한 바, 10%이상의 점유율을 보인 비주
얼 텍스트는 위상범주인 중심성과 관련이 있었다. ‘복합성 텍스트’는 주제기
호가 보도사진의 중심과 주변에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유형이지만 중심성을
포함한 텍스트이기 때문에 ‘주변성 텍스트’가 포함된 유형보다 높은 점유율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것은 신속하고 명확하게 사건·사안을 전달하는

- 111 -
보도사진의 역할이 중심성이 강조된 비주얼 텍스트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나
타나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보도사진의 비주얼 텍스트 유형의 빈도는 각 유형별로 다양하게 나타
나기는 하지만 전체 분석대상 내의 점유율을 분석해 보았을 때, 지배적으로
우위를 차지하는 비주얼 텍스트 유형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것은 사건의 정
보를 하나의 사진에 담아 전달하는 경향이 강한 보도사진의 시각적 특성이
예술사진 혹은 광고사진과 비교해서 보편적이므로 이와 같은 결과가 도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비주얼 텍스트는 조형적 위상, 색채, 형태범주의 관계에 의해 구조화되며
이러한 요소들의 관계는 사진 텍스트의 지각에 영향을 미친 상태에서 독자에
게 전달되어지고 해석되어진다. 비주얼 텍스트의 12개의 기본유형과 각 유형
별 분류 기준을 요약해서 도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표 24]

- 112 -
<표 24> 관계유형의 분석

비주얼텍스트 빈도 점유율
비주얼 텍스트 유형 분류 기준 (범주별)
기본유형 (개) (%)
유형 1 주제기호 집중도의 x축이 'A' 형태이고, 저명도 점유
중심성이 강조된 187 15.6 도가 50패널포인트 이하이며, 사건에 관계된 인물의
고명도 행위 텍스트 행위가 시각적 주제로 나타나는 비주얼 텍스트

중 유형 2 주제기호 집중도의 x축이 'A' 형태이고, 저명도 점유


심 중심성이 강조된 99 8.3 도가 50패널포인트 이하이며, 사건의 현장이나 현상
성 고명도 상태 텍스트 이 시각적 주제로 나타나는 비주얼 텍스트
텍 유형 3 주제기호 집중도의 x축이 'A' 형태이고, 저명도 점유
스 중심성이 강조된 99 8.3 도가 50패널포인트 이상이며, 사건에 관계된 인물의
트 저명도 행위 텍스트 행위가 시각적 주제로 나타나는 비주얼 텍스트
유형 4 주제기호 집중도의 x축이 'A' 형태이고, 저명도 점유
중심성이 강조된 162 13.6 도가 50패널포인트 이상이며, 사건의 현장이나 현상
저명도 상태 텍스트 이 시각적 주제로 나타나는 비주얼 텍스트
주제기호 집중도의 x축이 'M' 형태이거나 좌,우 편향
유형 5
적 형태이고, 저명도 점유도가 50패널포인트 이하이
주변성이 강조된 50 4.2
며, 사건에 관계된 인물의 행위가 시각적 주제로 나타
고명도 행위 텍스트
나는 비주얼 텍스트
주제기호 집중도의 x축이 'M' 형태이거나 좌,우 편향
유형 6
주 적 형태이고, 저명도 점유도가 50패널포인트 이하이
주변성이 강조된 115 9.6
변 며, 사건의 현장이나 현상이 시각적 주제로 나타나는
고명도 상태텍스트
성 비주얼 텍스트
텍 주제기호 집중도의 x축이 'M' 형태이거나 좌,우 편향
스 유형 7
적 형태이고, 저명도 점유도가 50패널포인트 이상이
트 주변성이 강조된 10 0.8
며, 사건에 관계된 인물의 행위가 시각적 주제로 나타
저명도 행위 텍스트
나는 비주얼 텍스트
주제기호 집중도의 x축이 'M' 형태이거나 좌,우 편향
유형 8
적 형태이고, 저명도 점유도가 50패널포인트 이상이
주변성이 강조된 47건 3.9%
며, 사건의 현장이나 현상이 시각적 주제로 나타나는
저명도 상태 텍스트
비주얼 텍스트
주제기호 집중도의 x축이 수평적이거나 중심을 포함
유형 9
해 좌·우 한곳에 집중된 형태이고, 저명도 점유도가
복합성의 고명도 140 11.7
50패널포인트 이하이며, 사건에 관계된 인물의 행위
행위 텍스트
가 시각적 주제로 나타나는 비주얼 텍스트
주제기호 집중도의 x축이 수평적이거나 중심을 포함
유형 10
복 해 좌·우 한곳에 집중된 형태이고, 저명도 점유도가
복합성의 고명도 98 8.2
합 50패널포인트 이하이며, 사건의 현장이나 현상이 시
상태텍스트
성 각적 주제로 나타나는 비주얼 텍스트
텍 주제기호 집중도의 x축이 수평적이거나 중심을 포함
스 유형 11
해 좌·우 한곳에 집중된 형태이고, 저명도 점유도가
트 복합성의 저명도 138 11.6
50패널포인트 이상이며, 사건에 관계된 인물의 행위
행위 텍스트
가 시각적 주제로 나타나는 비주얼 텍스트
주제기호 집중도의 x축이 수평적이거나 중심을 포함
유형 12
해 좌·우 한곳에 집중된 형태이고, 저명도 점유도가
복합성의 저명도 48건 4.0%
50패널포인트 이상이며, 사건의 현장이나 현상이 시
상태 텍스트
각적 주제로 나타나는 비주얼 텍스트

- 113 -
3. 분석결과에 따른 유형 검증

3.1. ‘관계유형’의 확장

위상, 색채, 형태의 범주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대조의 특성을 조합하여 비


주얼 텍스트의 ‘관계유형’을 12개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형의 검증 과정에
서 형태범주는 위상범주와 색채범주의 구성과는 달리 좀 더 세부적인 항목이
유형화 되어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즉 ‘확장유형’을 추출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형태범주의 항목인 /인간/ · /비인간/ · /정적/ · /동적/ · /개별적/ · /집합
적/ 항목은 /행위/ · /상태/ 항목과 함께 사건·사안들을 서술적으로 전달하는
요소가 되기 때문에 세분화된 항목을 유형화에 포함시킬 필요성이 제기되었
다.141) 즉 각 항목이 시각적 주제가 되어 수용자에게 전달된다는 점을 반영
한 것이다. 형태범주의 항목별 요소를 추가하여 추출할 수 있는 유형은 도표
와 같은 구조로 기본유형을 확장하였다.[그림 43]

(형태범주)
┏ 개별적/ 집합적 ┓
중심성
주변성
복합성
━ 고명도
저명도 ━ 인간/ 사물 ━ 행위
상태 = 확장유형142)
┗ 정적/ 동적

<그림 43> 기본유형의 확장 구조

141) /행위/ · /상태/ 항목을 ‘기본유형’으로 유형화 하였지만, 이것은 형태범주의 /인간/ · /비인간/ ·
/정적/ · /동적/ · /개별적/ · /집합적/ 항목을 포함하는 항목이기 때문에 유형화 한 것이 아니라 비
주얼 텍스트의 보편적 전달형식이라는 분석을 했기 때문이다.
142) 유형을 명명하기 위해 언어적인 연결성을 고려하여 형태범주의 항목 순서를 바꾸어 배치하였
고 /인간/ · /비인간/의 항목은 /인간/ · /사물/로 변경하였다.

- 114 -
형태범주의 세부항목을 유형화하면 다음과 같다. ①개별적 인간의 정적텍
스트, ②집합적 인간의 정적텍스트, ③개별적 인간의 동적텍스트, ④집합적
인간의 동적텍스트, ⑤개별적 사물의 정적텍스트, ⑥집합적 사물의 정적텍스
트, ⑦개별적 사물의 동적텍스트, ⑧집합적 사물의 동적텍스트이며, 이와 같
은 형태범주 유형을 앞에서 추출한 12개의 기본유형에 포함하여 확장된 비주
얼 텍스트 유형으로써 다음과 같이 확장유형으로써 추출할 수 있었으며 확장
된 유형은 다음과 같다.

1.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행위텍스트>는 1-①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의 개별적 인간의 정적 행위텍스트, 1-②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집합적
인간의 정적 행위텍스트, 1-③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개별적 인간의 동
적 행위텍스트, 1-④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집합적 인간의 동적 행위텍
스트, 1-⑤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개별적 사물의 정적 행위텍스트, 1-⑥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집합적 사물의 정적 행위텍스트, 1-⑦ 중심성이
강조된 개별적 사물의 동적 행위텍스트, 1-⑧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집
합적 사물의 동적 행위텍스트로 확장할 수 있다.

2.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상태텍스트>는 1-①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의 개별적 인간의 정적 상태텍스트, 1-②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집합적
인간의 정적 상태텍스트, 1-③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개별적 인간의 동
적 상태텍스트, 1-④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집합적 인간의 동적 상태텍
스트, 1-⑤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개별적 사물의 정적 상태텍스트, 1-⑥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집합적 사물의 정적 상태텍스트, 1-⑦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개별적 사물의 동적 상태텍스트, 1-⑧ 중심성이 강조된 고
명도의 집합적 사물의 동적 상태텍스트로 확장할 수 있다.

3.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 행위텍스트>는 1-①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


의 개별적 인간의 정적 행위텍스트, 1-②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집합적

- 115 -
인간의 정적 행위텍스트, 1-③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개별적 인간의 동
적 행위텍스트, 1-④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집합적 인간의 동적 행위텍
스트, 1-⑤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개별적 사물의 정적 행위텍스트, 1-⑥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집합적 사물의 정적 행위텍스트, 1-⑦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개별적 사물의 동적 행위텍스트, 1-⑧ 중심성이 강조된 저
명도의 집합적 사물의 동적 행위텍스트로 확장할 수 있다.

4.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 상태텍스트>는 1-①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


의 개별적 인간의 정적 상태텍스트, 1-②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집합적
인간의 정적 상태텍스트, 1-③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개별적 인간의 동
적 상태텍스트, 1-④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집합적 인간의 동적 상태텍
스트, 1-⑤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개별적 사물의 정적 상태텍스트, 1-⑥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집합적 사물의 정적 상태텍스트, 1-⑦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개별적 사물의 동적 상태텍스트, 1-⑧ 중심성이 강조된 저
명도의 집합적 사물의 동적 상태텍스트로 확장할 수 있다.

5.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 행위텍스트>는 1-①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


의 개별적 인간의 정적 행위텍스트, 1-②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집합적
인간의 정적 행위텍스트, 1-③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개별적 인간의 동
적 행위텍스트, 1-④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집합적 인간의 동적 행위텍
스트, 1-⑤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개별적 사물의 정적 행위텍스트, 1-⑥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집합적 사물의 정적 행위텍스트, 1-⑦ 주변성이
강조된 개별적 사물의 동적 행위텍스트, 1-⑧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집
합적 사물의 동적 행위텍스트로 확장할 수 있다.

6.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 상태텍스트>는 1-①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


의 개별적 인간의 정적 상태텍스트, 1-②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집합적
인간의 정적 상태텍스트, 1-③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개별적 인간의 동

- 116 -
적 상태텍스트, 1-④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집합적 인간의 동적 상태텍
스트, 1-⑤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개별적 사물의 정적 상태텍스트, 1-⑥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집합적 사물의 정적 상태텍스트, 1-⑦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개별적 사물의 동적 상태텍스트, 1-⑧ 주변성이 강조된 고
명도의 집합적 사물의 동적 상태텍스트로 확장할 수 있다.

7. <주변성이 강조돤 저명도 행위텍스트>는 1-①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


의 개별적 인간의 정적 행위텍스트, 1-②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집합적
인간의 정적 행위텍스트, 1-③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개별적 인간의 동
적 행위텍스트, 1-④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집합적 인간의 동적 행위텍
스트, 1-⑤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개별적 사물의 정적 행위텍스트, 1-⑥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집합적 사물의 정적 행위텍스트, 1-⑦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개별적 사물의 동적 행위텍스트, 1-⑧ 주변성이 강조된 저
명도의 집합적 사물의 동적 행위텍스트로 확장할 수 있다.

8.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 상태텍스트>는 1-①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


의 개별적 인간의 정적 상태텍스트, 1-②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집합적
인간의 정적 상태텍스트, 1-③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개별적 인간의 동
적 상태텍스트, 1-④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집합적 인간의 동적 상태텍
스트, 1-⑤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개별적 사물의 정적 상태텍스트, 1-⑥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집합적 사물의 정적 상태텍스트, 1-⑦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개별적 사물의 동적 상태텍스트, 1-⑧ 주변성이 강조된 저
명도의 집합적 사물의 동적 상태텍스트로 확장할 수 있다.

9. <복합성의 고명도 행위텍스트>는 1-① 복합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개별


적 인간의 정적 행위텍스트, 1-② 복합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집합적 인간의
정적 행위텍스트, 1-③ 복합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개별적 인간의 동적 행위
텍스트, 1-④ 복합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집합적 인간의 동적 행위텍스트, 1-

- 117 -
⑤ 복합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개별적 사물의 정적 행위텍스트, 1-⑥ 복합성
이 강조된 고명도의 집합적 사물의 정적 행위텍스트, 1-⑦ 복합성이 강조된
개별적 사물의 동적 행위텍스트, 1-⑧ 복합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집합적 사
물의 동적 행위텍스트로 확장할 수 있다.

10. <복합성의 고명도 상태텍스트>는 1-① 복합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개


별적 인간의 정적 상태텍스트, 1-② 복합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집합적 인간
의 정적 상태텍스트, 1-③ 복합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개별적 인간의 동적 상
태텍스트, 1-④ 복합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집합적 인간의 동적 상태텍스트,
1-⑤ 복합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개별적 사물의 정적 상태텍스트, 1-⑥ 복합
성이 강조된 고명도의 집합적 사물의 정적 상태텍스트, 1-⑦ 복합성이 강조
된 고명도의 개별적 사물의 동적 상태텍스트, 1-⑧ 복합성이 강조된 고명도
의 집합적 사물의 동적 상태텍스트로 확장할 수 있다.

11. <복합성의 저명도 행위텍스트>는 1-① 복합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개


별적 인간의 정적 행위텍스트, 1-② 복합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집합적 인간
의 정적 행위텍스트, 1-③ 복합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개별적 인간의 동적 행
위텍스트, 1-④ 복합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집합적 인간의 동적 행위텍스트,
1-⑤ 복합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개별적 사물의 정적 행위텍스트, 1-⑥ 복합
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집합적 사물의 정적 행위텍스트, 1-⑦ 복합성이 강조
된 저명도의 개별적 사물의 동적 행위텍스트, 1-⑧ 복합성이 강조된 저명도
의 집합적 사물의 동적 행위텍스트로 확장할 수 있다.

12. <복합성의 저명도 상태텍스트>는 1-① 복합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개


별적 인간의 정적 상태텍스트, 1-② 복합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집합적 인간
의 정적 상태텍스트, 1-③ 복합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개별적 인간의 동적 상
태텍스트, 1-④ 복합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집합적 인간의 동적 상태텍스트,
1-⑤ 복합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개별적 사물의 정적 상태텍스트, 1-⑥ 복합

- 118 -
성이 강조된 저명도의 집합적 사물의 정적 상태텍스트, 1-⑦ 복합성이 강조
된 저명도의 개별적 사물의 동적 상태텍스트, 1-⑧ 복합성이 강조된 저명도
의 집합적 사물의 동적 상태텍스트로 확장할 수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명확한 구문론의 부재가 비주얼 텍스트의 특성이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비주얼 텍스트의 조형적 기본 구조를 규명하고 문법화 시
켰다는 점에서 텍스트 확장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3.2. 위상범주와 색채범주의 관계적 유형

추출된 12개의 관계유형은 위상범주 분석틀을 설계하여 시각적 주제의 공


간 분포도를 파악한 기준으로 /중심성/ · /주변성/ · / 복합성/으로 분류한 것
이었고, 색채범주 분석틀에 의해 저명도 점유도를 패널포인트로 집계해서 /
밝음/ · /어두음/을 정량적으로 분류한 것이었다.
하지만 두 영역의 범주는 서로 밀접한 상관성을 가진다. 저명도 점유도의
분석도 패널상으로 보면 결국 색채의 위상 분석이 포함되어 나타나기 때문이
다. 먼저 주제기호와 명도의 위상적 관계를 각각 분리해 분석하고, 두 범주에
서 공통적으로 점유하고 있는 패널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서
위상범주와 색채범주의 관계적 유형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각각의 시각적 주제기호에 따른 위상범주의 패널 포인트와 색채범주에 해
당되는 저명도 점유도에 따른 패널포인트를 각각 선그래프로 나타내고, 두
범주의 분석 그래프가 중복되는 패널의 수를 파악해서 두 범주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며, 그 가운데 시각적으로 ‘두드러지는(Marked)’ 역할을
기준으로 유형을 추출했다. 즉 형태와 바탕의 게슈탈트적 지각에 연관된 유
형으로 접근하고자 하는 시도였으며, 앞의 분석결과에서도 이미 보도사진의
형태와 바탕, 전경과 배경의 관계가 드러남으로써 논의의 가치를 갖는다.
색채범주가 위상범주를 절대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관계인 경우, 저명도 배
경에 저명도 주제기호를 구성해 시각적인 두드러짐이 없는 비주얼 텍스트는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하는 보도사진의 특성상 빈도수가 매우 적어 유형

- 119 -
화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생략했다. 추출 가능한 유형들 가운데 시각적으로
두드러지는 유형은 위상범주가 색채범주를 포함하고 있는 형식으로 나타났으
며, 이러한 포함 정도에 따라 다시 소분류를 할 수 있으나 그 기준이 이론적
인 개념으로만 그칠 가능성이 크므로 본 연구에서는 /포함하는/ · /포함하지
않는/으로 구분해서 유형화 하였다.

3.2.1 위상범주가 색채범주를 포함하는 유형

<그림 44> 위상범주가 색채범주를 포함하는 유형


미국, Daily News-‘이라크전쟁’사건, 2003년 3월 20일자

위상범주의 ‘주제기호 집중도 분석 패널’과 색채범주의 ‘저명도 점유도 패


널’의 포함 관계를 기준으로 보도사진에 나타난 비주얼 텍스트를 유형화 할
수 있었다. [그림 44](하)의 다이어그램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그림 44]

- 120 -
(상)의 보도사진은 저명도 점유도 29 패널포인트 중 23 패널포인트가 주제기
호 패널에 포함되는 경우이다.
주제기호 집중도와 저명도 점유도가 79.0%의 포함률을 보이므로 색채범주
에서 저명도를 통한 시각적 두드러짐과 위상범주에서 주제기호를 통한 시선
의 집중이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을 〈위
상범주가 색채범주를 포함하는 유형〉으로 규정했다. 저명도의 점유도가 주
제기호 집중도에 포함되는 포인트가 높아지거나 혹은 완전히 분리됐을 때 주
제기호에 대한 시각적 두드러짐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2.2 색채범주가 위상범주를 포함하는 유형

<그림 45> 색채범주가 위상범주를 포함하는 유형


세계일보,- ‘칠레 광산매몰’사건, 2010년 10월 14일자

- 121 -
[그림 45]의 보도사진은 색채범주의 저명도 패널이 위상범주의 주제기호
집중도 패널의 일부만 포함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이는 대체적으로 저명도 배
경에 고명도 주제기호가 조합되어 표현되고 있을 때 나타나는 유형이다. 이러
한 유형을 〈색채범주가 위상범주를 포함하는 유형〉이라 규정하였다. 이 경
우 앞에서 언급한 ‘위상범주가 색채범주를 포함하고 있는 유형’과 마찬가지로
주제기호 집중도가 저명도 점유도와의 관계에서 완전히 분리되거나 혹은 다이
어그램의 포함비율이 높아질수록 주제기호의 두드러짐이 명확해진다.

3.3.3 색채범주와 위상범주가 일치하거나, 불일치하는 유형

<그림 46> 색채범주와 위상범주가 일치하거나 전혀 불일치하는 유형


미국, Blufton Today- ‘9.11테러’사건, 2008년 9월 11일자

- 122 -
[그림 46]의 유형은 위상범주와 색채범주가 일치, 혹은 불일치하는 유형으
로 가장 두드러지게 주제기호를 표현하는 방식의 유형이라 볼 수 있다. 이
유형의 경우, 저명도 집중도 71 패널포인트 중 61 패널포인트(포함비율
85.0%)가 주제기호 집중도에 포함되고, 주제기호 집중도 73 패널포인트 중
61 패널포인트(포함비율 83%)가 저명도 점유도에 포함되는 비주얼 텍스트이
다. 포함비율이 80.0% 이상일때 일치형으로 분류하였다. 즉 시각적 주제(형
태)가 저명도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 시각적으로 두드러지게 지각된다는 것
이다. 또한 ‘불일치하는’ 비주얼 텍스트도 ‘일치하는’ 텍스트와 같이 시각적으
로 두드러지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시각적 주제와 배경과의 명도 차이가
극대화 된 경우에 해당된다.143)
이러한 유형 분석은 플로슈가 부바의 <나체> 사진 분석에 적용한 조형적
표면을 다룬 방식 중 하나인 ‘밝음/어두움’의 대조에 대한 분석과 유사한 맥
락으로 접근을 시도해 본 결과이다. 조형적 대조는 명암 대조와 더불어 의미
적으로 빛과 그림자의 대립에 근거를 두고 표현된 공간 조직이 결합하고 있
는 것이다.144)
본 연구에서 다루는 보도사진의 비주얼텍스트도 배경과 이를 통해 드러나
는 주제기호(형태)들의 조합으로써 구성되며, 구성된 비주얼 텍스트는 독자에
의해 해석되는 것이다. 주제기호의 집중도와 저명도의 점유도가 일치/ 불일치
를 이루는 경우, 각각의 주제기호의 명도와 그와 상반되는 배경의 명도의 대
조에 따라 시각적 두드러짐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이다.
위상범주와 색채범주가 일치, 혹은 불일치하는 유형은 다이어그램 상으로는
정 반대로 나타나지만, 보도사진에서 나타나는 시각적 효과는 동일하므로 이
러한 유형을 통틀어〈위상범주와 색채범주가 일치, 혹은 불일치하는 유형〉으
로 규정하였다.

143) 4원색으로 표현된 사진인 경우에는 ‘색채대비’와 연관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명도대비’로 한


정하여 분석하였다.
144) Jean-Marie, Floche,박인철역, 앞의 책, p.55.

- 123 -
3.4. ‘문자정보’가 포함된 유형

분석틀을 통해 1,193개의 분석자료를 모두 분류할 수 있었지만, 사진 자체


에 포함되어 나타나는 문자적 요소와 인포그래픽적 요소 또한 보도사진의 특
성상 비주얼 텍스트로써의 역할을 간과할 수 없었다. 물론 이와 같은 경우 보
도사진에서 문자·인포그래픽적 요소는 제외하고 분석하였지만 검증단계에서
별도의 비주얼 텍스트 유형으로 구분해 유형화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림 47 문자적 조형요소가 강조된 비주얼 텍스트


(좌)미국, Red Streak - ‘이라크전쟁’사건, 2003년 3월20일자
(우)미국, The Miami Herald International- ‘이라크전쟁’사건, 2003년 3월20일자

[그림 47]과 같이 문자적 요소가 강조된 유형을 〈타이포그래픽이 강조된


비주얼 텍스트〉라 규정하였다. 타이포그래픽(Typograhics)적인 유형은 가로
형, 세로형, 대각형, 복합형의 위상범주와 강조색에 따라 색채범주를 세분화
할 수 있고, 형태범주 또한 고딕과 명조(Serif/without Serief)형으로 분류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기타 유형으로 분류해 제시하는 것으로 제한하였다.
보도사진의 경우 [그림 48]과 같이 인포그래픽(Infographics)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사건의 주제에 따라 인포그래픽이 설득적 효과를 가지
기 때문이다. 사건의 정황이 복잡하거나 정확한 정보나 자료를 전달할 때 흔
히 나타나며, 언어적 텍스트와 비주얼 텍스트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물론 인포
그래픽도 표현의 범주에 따라 세분화 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타 유형

- 124 -
으로 분류해 〈인포그래픽이 강조된 비주얼 텍스트〉라 규정하여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보도사진과 함께 타이포그래피나 인포그래픽이 포함
된 비주얼 텍스트는 개념적으로만 다루었을 뿐 해당 유형의 목록은 작성하지
않았다. 이는 광의적, 보편적 개념의 비주얼 텍스트를 중심으로 하고, 언어에
의해 크게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요소들은 가급적 배제하였기 때문이다.

그림 48 인포그래픽이 강조된 비주얼 텍스트


(좌)오스트렐리아, The Courier-Mail l- ‘이라크 전쟁’사건, 2003년 3월20일자
(우)미국, Reno Gazette Journal - ‘이라크 전쟁’사건, 2003년 3월20일자

언어적 이해가 가능해도 해당 문자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의 언어감


정에 비추어 봤을 때, 확연한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유형을 제
한적 유형 범주에 두기로 한 것이다. 하지만 타이포그래픽, 인포그래픽이 포
함된 보도사진 비주얼 텍스트는 별도로 연구되어야 하는 영역임에 틀림없다.

- 125 -
제5장 결론

본 연구는 보도사진 ‘위험’주제에 나타난 비주얼 텍스트의 유형을 추출하여


비주얼 텍스트의 보편적인 문법이 되는 이론적 틀을 세우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쟁, 테러, 재난 등 ‘위험’주제로 분류되는 보도사진 1,193개를
수집하여 조형기호학에서 큰 업적을 남겼던 플로슈의 ‘범주이론’에 기대어 조
형적 대조를 통해 분석틀을 설계하고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위상, 색채, 형태의 각 범주에서 7개의 ‘기본유형’과 각 범주의 상관관계에


따라 12개의 ‘관계유형’ 그리고 5개의 ‘기타유형’이 추출되었다.

- 첫째, 위상, 색채, 형태범주에서 추출된 ‘기본유형’은 다음과 같다.


위상범주에서는 시각적 주제기호의 집중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해 <중심성
텍스트>, <주변성 텍스트>, <복합성 텍스트>가 추출되었고, 색채범주에서는
저명도 점유도를 분석해 <고명도 텍스트>, <저명도 텍스트>가 추출되었다.
형태범주는 시각적 주제기호가 상태를 통해 비주얼 텍스트를 구성하는지 혹
은 행위를 통해 구성하는지의 구분을 통해 <행위 텍스트>, <상태 텍스트>로
분류해 유형을 추출하였다. 위상범주에서는 ‘중심성 텍스트’가 45.8%의 점유
율을 나타냈으며, ‘주변성 텍스트’는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사건·사안을 신속
하고 정확하게 전달해야 하는 보도사진의 특성이 반영되어 독자가 시각적 주
제를 지각하기 용이하고 주목효과가 높은 ‘중심성 텍스트’가 가장 많은 점유
율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색채범주에서는 ‘고명도 텍스트’가 ‘저명도 텍스트’보다 15.6% 많은 점유율
을 보였으며, ‘위험’주제가 드러나는 의도적인 비주얼 텍스트의 구성은 발견
할 수 없었다. 또한 형태범주에서는 ‘위험’주제로 선정한 4개의 사건별로 분
석한 바, ‘상태성 텍스트’가 우위의 점유율을 보였으나, ‘칠레 광산매몰’사건

- 126 -
에서는 88.3%가 ‘행위성 텍스트’로 조사되었다. 이것은 ‘칠레 광산매몰’사건
은 ‘위험’상황이 종료된 시점에서 기쁜 감정을 포함한 인물의 행위가 시각적
주제로서 구성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위험’주제
내에서도 사건의 성격에 따라 특정 비주얼 텍스트가 구성된다는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었다.

- 둘째, 추출된 ‘기본유형’의 경우의 수를 적용하여 각 범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관계유형’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추출된 유형은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행위 텍스트>,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상태 텍스트>, <중심성 강조
된 저명도 행위 텍스트>,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 상태 텍스트>,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 행위 텍스트>,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 상태 텍스트>, <주변
성이 강조된 저명도 행위 텍스트>,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 상태 텍스트>,
<복합성의 고명도 행위 텍스트>, <복합성의 고명도 상태 텍스트>, <복합성
의 저명도 행위 텍스트>, <복합성의 저명도 상태 텍스트>로 분류되었고, 추
출된 ‘관계유형’ 내에서는 각 유형별로 8개의 ‘확장유형’으로 추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관계유형’ 중 점유율 10%이상의 비주얼 텍스트는 위상범주인 ‘중심성’과
관련이 있었으며, 이는 ‘중심성’이 강조된 비주얼 텍스트의 구성이 색채, 형태
범주와의 조합으로 보도사진에서 효과적으로 지각되기 때문이라고 분석되었
다. 또한 추출된 12개의 유형들의 점유율 차가 크지 않고 타 보도 주제와의
조형적 차별성을 발견하기 어려운 것은 독자에게 사실을 객관적으로 전달해
야 하는 보도사진의 시각적 특성이 드러났기 때문이라고 분석되었다. 가장
낮은 0.8%의 점유율로 나타난 유형인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 행위텍스트’
는 독자가 비주얼 텍스트를 지각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전경과 배경의 구분
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며 이것은 결국 형태와 바탕의 게슐타트적 특성이
비주얼 텍스트로 구성되어 보도사진의 시각적 설득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사
료된다.

- 127 -
- 셋째, 분석결과에 따른 유형의 검증 결과, 수집된 보도사진은 모두 12개
의 ‘관계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위상범주와 색채범주의 공간적 포함
관계에 따라 <위상범주가 색채범주를 포함하는 텍스트>, <색채범주가 위상범
주를 포함하는 텍스트>, <색채범주와 위상범주가 일치 또는 불일치하는 텍스
트> 3개 유형으로 추출할 수 있었으며, 보도사진에 문자정보가 포함되어 있
는 경우는 <타이포그래픽이 강조된 텍스트>, <인포그래픽이 강조된 텍스트>
2개 유형으로 추출되었다. 분석결과의 검증단계에서 추출된 이러한 유형을
‘기타유형’으로 규정하였다.
본 연구는 비주얼텍스트의 조형적 구조를 중심으로 도출한 결과이다. 언어
학적 차원에서는 문법체계의 분석, 즉 구문론적 고찰로 이해할 수 있으며, 추
출된 유형들은 비언어 기호체계에 해당되는 비주얼텍스트가 문법적으로 어떻
게 구성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조형언어의 텍스트 유형추출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추출된 유형은 비주얼 텍스트의 후속
연구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위험’주제 보도사진에 나타난 비주얼 텍스트를 조형적 구조를
중심으로 분석한 것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다른 주제의 보도사진이나, 광고
사진, 예술사진 등의 비주얼 텍스트 분석에 적용하는 데는 주의를 요하여야
한다.

- 128 -
참고문헌

<국내논저>

고영근,『텍스트이론』, 아르케, 1999.


김경희,『게슈탈트심리학』, 학지사, 2000.
기호학연대,『기호학으로 세상읽기』,소명출판, 2002.
김성배,『보도사진의 실제』, 동아방송대학출판부, 2004.
박영욱,『매체, 매체예술 그리고 철학』, 향연, 2008.
박정순,『대중매체의 기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철학아카데미,『기호학과 철학 그리고 예술』, 소명출판, 2002.
육명심,『세계사진가론』, 열화당, 1987.
이희승편,『국어대사전』, 민중서림, 1994.
성광수,『몸과 몸짓 문화의 리얼리티』,소명출판, 2003.
신항식,『시각영상기호학』, 나남출판, 2005.

김성민, ⌜이라크 전쟁 보도사진의 주제를 통해 본 사건의 사회적 현실 구성


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학회지 AURA No.14, 2006.
김창숙, ⌜노사갈등에 대한 미디어의 언어적 및 비주얼 텍스트의 프레임 특
성 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박정순.정경희, ⌜보도사진 이미지의 정치적 편향성⌟, 미디어, 젠더&문화 제
3호, 2005.
백선기, ⌜TV 보도 영상의 서사구조과 의미구조: '9.11 참사' 보도의 영상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20, 2003.
양종훈, 김금녀, ⌜한국사진의 제 양상에 관한 비평적 연구⌟, 한국사진학회
지 AURA No.12, 2005.

- 129 -
오장근, ⌜사태, 사태보도, 르포르타주: 정보위주 신문텍스트의 텍스트유형
분류를 위한 연구⌟, 텍스트언어학 10, 2001.
유지수․조삼섭,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뉴스보도 유형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광고학연구, 제19권 제2호, 2008.
이견실, ⌜피에르 멘델 작품의 의미생성에 관한 연구-플로슈의 조형기호학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5권 4호. 2009.
이성만, ⌜통보기능적 텍스트유형론의 가능성과 문제점⌟, 독어교육 제10권,
1992.
이종수, ⌜신문1면에 나타난 한국 포토저널리즘의 변화 경향⌟, 한국언론학
회, 2003.
이종수, ⌜텔레비전 뉴스영상 구성 : 한국 텔레비전 뉴스의 시각적 이미지와
언어적 텍스트의 연관성 분석⌟, 한국방송학보 12, 1999.
임영호.김보영.최수정, ⌜신문사진에 나타난 신화의 유형⌟, 언론과학연구,
2008.
주영호, 오세인, ⌜TV광고에 나타난 영상미학적 구성요소의 수용성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9권 5호, 2005.
주형일, ⌜보도사진의 해석에 관여하는 여러 문제에 대한 고찰⌟, 인문연구
제50호, 2006.
최현주, ⌜사진 이미지의 다의성(polysemy)에 관한 맥락결정적 접근연구⌟,
한국방송학보 통권 제16-4호, 2002.

- 130 -
<외국 논저 및 번역서 포함>

Alvin Toffler, 이규형역, 『권력이동』, 한국경제신문사, 1990.


Hans Peter Peters·송혜룡, 『위험보도와 메스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북스,2005.
Jean-Marie Floch, 박인철역, 『조형기호학』,한길사, 1994.
Paul Ricoeur, 윤성우역, 『해석의 갈등』, 살림, 2005.
P.Messaris, 강태완역, 『설득이미지』,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Richard D. Zakia, 박성완․박승조역,『안그라픽스』, 서문, 2007.
Roland Barthes, 김인식편역, 『이미지와 글쓰기』, 세계사, 1993.
Vilem Flüsser, 김성재역, 『코무니콜로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Walter Benjamin, 최성만역,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 길(박우정), 2007.
Wolfgang Welsch, 심혜련역, 『미학의 경계를 넘어』, 향연, 2005.
A S Hornby,『Oxford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of Current
English』, English ed.,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Alex W. White, 『The elements of graphic design: space, unity, page
architecture, and type』, Allworth Press, 2003.
Beate Sieweke,『Bibliothecae Quo Vadis』 Herausforderungen an die
Bibliothek von morgen』, B.I.T. Innovationsforum Verlag Dinges
& Frick GmbH, 2005.
Bettina Kaltenhaeuser,『Abstimmung am Kiosk: Der Enfluss der
Titelseitengestaltung politischer Publikumszeitschriften auf die
Einzelverkaufsauflage』,Der Deutsche Universitäts-Verlag,
2005.
Birgit Kaltenmorgen, 『Der mathematische Patschworker』, Wagner
Verlag, 2008.
Cornelia Brink, 『Ikonen der Vernichtung』 Öffentlicher Gebrauch von
Fotografien aus nationalsozialistischen Konzentrationslagern nach

- 131 -
1945, Akademie Verlag, 1998.
Daniela Ingruber, 『Bilder ohne wirklichkeit』, Die kommende
Demokratie Bd.4, LIT Verlag, 2011.
D. Bredking/ Michael Wertheimer, 『Max Wertheimer and Gestalt
Theory』, Transaction Publishers, 2009.
E. Bruce Goldstein, 『Sensation and Perception』, Wadsworth, 2007.
Elisabeth Klaus, 『Kommunikationswissenschaftlische
Geschlechterforschun g』, Zur Bedeutung der Frauen in den
Massenmedien und im Journalismus, LIT Verlag, 2005.
Elmar Drieschner, 『Bildungsstandards praktisch』 Perspektiven
kompetenzorientierten Lehrens und Lernens, VS Verlag Für
Sozialwissenschaften, 2009.
Gehard Wahrig, 『Wahrig Deutsches Wörterbuch』, Bartelsmann
Lexicon-Verlag, 1975.
Harold T. Betteridge, M. A(Birm),Ph. D(Lond.), 『Cassell’s
German-English, English-German Dictionary』, Macmillan
Publishing Co., Inc. 1980.
Kandinsky. W., 『Punkt und Linie zur Fläche. Beitrag zur Analyse der
malerischen Elemente』, Benteli, 1965.
Frank Miener, 『Bilder, die lügen』, Books on Demand GmbH, 2003.
Ludwig Morenz, Stefan Schorch,『"Was ist ein Text?』
Alttestamentliche, ägyptologische und altorientalistische
Perspektiven ,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07.
Mary Warner Marien, 『Photography: A Cultural History』, Laurence
King Publishing 2002.
Oswald Panagl, Ruth Wodak, 『Text und Kontext』, Verlag
Königshausen & Neumann GmbH, 2004.
Pomerantz, James R., 『Perception: Overview』, In: Lynn Nadel (Ed.),

- 132 -
Encyclopedia of Cognitive Science Vol.3, Nature Publishing
Group, 2003.
Roland Posner, Klaus Robering, Thomas Albert Sebeok, 『Semiotik:
Ein Handbuch zu den zeichentheoretischen Grundlagen von
Natur』,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04.
Susanne Blazejewski, 『Bild und Text-Photograhie in autobiographischer
Literatur』, Verlag Königshausen & Neumann GmbH, 2002.
Susan. H. Miller, ⌜The contents of news photos: Women's role and
Man's role⌟, Journalism Quarterly, vol.52, No.1., 1975.
坂本百大, 記號學大事典, 栢書房株式會社, 2002.

- 133 -
부 록

[부록 1] 본문 내의 사진 및 작품 설명

[부록 2] ‘가설적 분석틀’에 의한 비주얼 텍스트의 유형

[부록 3] ‘분석틀’에 의한 비주얼 텍스트의 ‘기본 유형’

[부록 4] ‘분석틀’에 의한 비주얼 텍스트의 ‘관계 유형’

[부록 5] 보도사진 목록(사건별)

- 134 -
<부록 1> 본문 그림 목록

[그림 1] 에드거 루빈, <루빈의 잔>


출처: 시라스이 가즈야, 김수성역, 착시조형, 지구문화사, 1998, p.13.

[그림 2] (좌) 부바 <나체>, (우) 라비에르 <안락한 둥지>


출처: J. M. Floch, 박인철역, 앞의 책, p.101,106.

[그림 3] 칸딘스키 <구성 4>


출처: J. M. Floch, 박인철역, 앞의 책, p.103.

- 135 -
<부록 2> ‘가정적 분석틀’에 의한 추출 유형 목록
(빈도: 5회 이상)
S 위상범주 C 색상범주 F 형태범주 종합유형 빈도(개)
hv- ctr- br- cl- lg- uc- h- mv- ac- inv hv-ctr-br-cl-lg-uc-h-mv-ac-inv 59
h- ctr- dk- cl- hv- mc- m- mv- si- col h-ctr-dk-cl-hv-mc-m-mv-si-col 54
h- amb- br- dm- lg- mc- m- mv- si- col h-amb-br-dm-lg-mc-m-mv-si-col 35
hv- cpx- br- cl- lg- uc- h- mv- ac- col hv-cpx-br-cl-lg-uc-h-mv-ac-col 34
h- ctr- br- cl- lg- uc- h- mv- ac- inv h-ctr-br-cl-lg-uc-h-mv-ac-inv 31
hv- cpx- dk- cl- hv- mc- h- mv- ac- col hv-cpx-dk-cl-hv-mc-h-mv-ac-col 31
h- cpx- br- cl- lg- uc- h- mv- ac- col h-cpx-br-cl-lg-uc-h-mv-ac-col 26
hv- ctr- dk- cl- hv- mc- h- mv- ac- inv hv-ctr-dk-cl-hv-mc-h-mv-ac-inv 26
h- cpx- dk- cl- hv- uc- h- mv- ac- inv h-cpx-dk-cl-hv-uc-h-mv-ac-inv 18
hv- amb- br- dm- lg- uc- m- mv- si- col hv-amb-br-dm-lg-uc-m-mv-si-col 18
v- ctr- br- cl- lg- uc- h- mv- ac- inv v-ctr-br-cl-lg-uc-h-mv-ac-inv 16
hv- cpx- dk- cl- hv- uc- h- mv- ac- col hv-cpx-dk-cl-hv-uc-h-mv-ac-col 15
hv- cpx- br- dm- lg- mc- m- mv- si- col hv-cpx-br-dm-lg-mc-m-mv-si-col 14
hv- cpx- dk- cl- hv- uc- h- mv- ac- inv hv-cpx-dk-cl-hv-uc-h-mv-ac-inv 14
h- ctr- br- cl- lg- uc- m- st- si- inv h-ctr-br-cl-lg-uc-m-st-si-inv 13
hv- amb- dk- dm- lg- mc- m- mv- si- col hv-amb-dk-dm-lg-mc-m-mv-si-col 13
hv- cpx- br- cl- lg- uc- h- mv- ac- inv hv-cpx-br-cl-lg-uc-h-mv-ac-inv 11
hv- ctr- dk- cl- hv- mc- h- mv- ac- col hv-ctr-dk-cl-hv-mc-h-mv-ac-col 11
v- ctr- dk- cl- hv- mc- h- mv- ac- inv v-ctr-dk-cl-hv-mc-h-mv-ac-inv 11
v- ctr- dk- cl- hv- mc- m- mv- si- col v-ctr-dk-cl-hv-mc-m-mv-si-col 11
h- amb- br- cl- lg- uc- h- mv- ac- inv h-amb-br-cl-lg-uc-h-mv-ac-inv 10
h- cpx- dk- cl- hv- uc- h- mv- ac- col h-cpx-dk-cl-hv-uc-h-mv-ac-col 10
h- amb- br- dm- lg- mc- m- mv- ac- col h-amb-br-dm-lg-mc-m-mv-ac-col 8
h- ctr- br- cl- lg- uc- h- mv- ac- col h-ctr-br-cl-lg-uc-h-mv-ac-col 8
h- ctr- br- dm- lg- uc- h- mv- ac- inv h-ctr-br-dm-lg-uc-h-mv-ac-inv 8
hv- cpx- br- cl- lg- uc- m- st- si- inv hv-cpx-br-cl-lg-uc-m-st-si-inv 8
hv- ctr- dk- dm- hv- mc- m- st- si- inv hv-ctr-dk-dm-hv-mc-m-st-si-inv 8
v- ctr- dk- cl- hv- mc- m- mv- si- inv v-ctr-dk-cl-hv-mc-m-mv-si-inv 8
h- amb- br- cl- lg- uc- m- st- si- col h-amb-br-cl-lg-uc-m-st-si-col 7
hv- amb- br- dm- lg- uc- m- st- si- col hv-amb-br-dm-lg-uc-m-st-si-col 7
hv- cpx- br- cl- lg- mc- h- mv- ac- col hv-cpx-br-cl-lg-mc-h-mv-ac-col 7
hv- cpx- br- cl- lg- uc- h- st- si- col hv-cpx-br-cl-lg-uc-h-st-si-col 7
hv- ctr- br- cl- lg- uc- h- mv- ac- col hv-ctr-br-cl-lg-uc-h-mv-ac-col 7
hv- ctr- dk- cl- hv- uc- h- mv- ac- inv hv-ctr-dk-cl-hv-uc-h-mv-ac-inv 7
d- amb- br- dm- lg- mc- m- mv- ac- col d-amb-br-dm-lg-mc-m-mv-ac-col 6
d- ctr- dk- cl- lg- uc- h- mv- ac- inv d-ctr-dk-cl-lg-uc-h-mv-ac-inv 6
h- amb- br- dm- lg- uc- m- st- si- col h-amb-br-dm-lg-uc-m-st-si-col 6
hv- amb- br- cl- lg- uc- m- st- si- col hv-amb-br-cl-lg-uc-m-st-si-col 6
hv- amb- br- dm- lg- uc- m- mv- ac- col hv-amb-br-dm-lg-uc-m-mv-ac-col 6
hv- amb- dk- dm- hv- uc- m- st- si- col hv-amb-dk-dm-hv-uc-m-st-si-col 6
hv- amb- dk- dm- lg- mc- m- mv- ac- col hv-amb-dk-dm-lg-mc-m-mv-ac-col 6
hv- cpx- br- dm- lg- uc- h- st- si- col hv-cpx-br-dm-lg-uc-h-st-si-col 6
v- ctr- br- cl- lg- uc- m- st- si- inv v-ctr-br-cl-lg-uc-m-st-si-inv 6
d- amb- br- cl- lg- uc- m- st- si- col d-amb-br-cl-lg-uc-m-st-si-col 5
h- cpx- dk- cl- hv- mc- h- mv- ac- col h-cpx-dk-cl-hv-mc-h-mv-ac-col 5
h- ctr- br- cl- lg- mc- h- mv- ac- inv h-ctr-br-cl-lg-mc-h-mv-ac-inv 5
hv- cpx- br- dm- lg- mc- m- mv- ac- col hv-cpx-br-dm-lg-mc-m-mv-ac-col 5
hv- ctr- br- cl- lg- mc- h- mv- ac- inv hv-ctr-br-cl-lg-mc-h-mv-ac-inv 5
hv- ctr- dk- cl- hv- mc- m- mv- si- col hv-ctr-dk-cl-hv-mc-m-mv-si-col 5
hv- ctr- dk- cl- hv- mc- m- st- si- inv hv-ctr-dk-cl-hv-mc-m-st-si-inv 5
v- ctr- br- cl- lg- mc- h- mv- ac- inv v-ctr-br-cl-lg-mc-h-mv-ac-inv 5
v- ctr- br- cl- lg- uc- h- st- si- inv v-ctr-br-cl-lg-uc-h-st-si-inv 5

v- ctr- dk- dm- hv- mc- m- mv- si- col v-ctr-dk-dm-hv-mc-m-mv-si-col 5

- 136 -
<부록 3> 분석틀에 의한 결과-‘기본유형’

1. 위상범주

1.1 중심성 텍스트 (547개)


2,3,4,5,6,7,8,9,10,11,18,20,22,23,24,25,27,28,29,31,32,33,35,36,37,38,39,40,41,43,44
,47,48,49,51,52,53,54,64,67,68,70,72,75,76,77,80,82,83,85,87,88,92,93,94,95,96,97,9
8
9.11테러
1,2,3,4,6,8,9,10,11,12,13,15,16,17,18,19,20,21,23,24,25,26,29,30,31,32,33,34,36,37,3
8,39,40,41,42,43,44,45,47,48,49,52,54,57,60,62,66,68,69,70,71,72,73,77,79,83,84,85,
86,89,93,95,97,98,99
4,5,6,9,11,12,13,17,20,21,26,27,29,30,31,32,33,35,37,38,40,41,42,43,50,51,53,55,57,
이라크전쟁 58,68,70,71,72,73,74,76,78,79,81,83,84,85,87,88,89,90,91,92,95,97,98,99,100,103,10
4,106,107,109,110,112,113,114,121,122,125,127,130,136,138,142,144,145,146,147
1,2,3,5,7,8,10,11,15,19,20,21,23,24,27,28,29,35,39,40,41,43,44,45,46,47,48,49,50,51,
52,53,54,56,59,64,66,67,68,69,70,72,73,74,76,77,80,81,82,84,87,88,89,90,92,94,95,1
00,101,103,104,105,106,107,111,113,116,117,118,121,122,123,124,125,131,132,134,
135,138,139,140,141,143,145,146,148,149,152,153,156,158,159,165,166,167,168,16
ctr
9,170,173,174,182,187,190,191,193,195,197,198,201,204,205,207,208,209,211,212,2
19,222,223,224,226,228,229,230,232,233,234,236,241,242,245,248,250,251,253,263,
칠레광산
265,266,269,271,272,274,276,277,282,285,286,289,292,293,294,295,298,301,304,30
8,309,311,312,315,316,317,319,320,321,322,323,324,325,332,338,339,340,342,344,3
48,350,352,353,354,356,357,358,359,360,362,366,371,372,375,376,377,380,384,385,
390,391,394,397,398,399,401,404,405,406,407,414,415,418,419,423,424,425,426,42
9,431,432,434,438,440,444,445,449,450,453,455,460,461,463,464,465,466,469,471,4
72,473,477,478,479,480,481,483,484,489,493,495
3,8,10,15,22,27,44,54,56,80,81,86,88,93,101,103,104,105,107,112,113,117,118,120,1
21,122,126,127,128,132,141,142,148,152,156,160,163,164,167,168,172,174,176,180,
일본대지진 185,195,196,199,206,210,211,215,216,218,230,233,247,248,249,255,257,260,264,26
5,269,270,271,273,277,278,280,282,284,289,292,296,297,300,305,307,308,310,314,3
15,318,320,323,324,326,328,329,331,336,337,338,342,343,344,345,347,349,350

1.2 주변성 텍스트 (222개)


12,16
9.11테러
51,75,80,81,94
이라크전쟁 8,19,34,45,46,56,82,101,102,108,116,120,132,133,134,135,139
9,17,61,96,108,115,126,130,144,150,164,256,262,314,349,351,355,367,369,370,387,
칠레광산
392,396,408,412,448,451
2,4,6,7,9,11,12,13,14,16,18,20,23,24,25,28,31,32,33,35,36,37,38,39,40,43,47,48,49,5
sur 0,51,52,53,55,61,62,65,67,69,70,71,72,73,74,75,76,82,83,84,90,92,94,96,98,99,100,1
02,106,109,111,114,115,116,119,123,125,130,131,133,134,135,136,139,140,143,145
,149,150,153,155,157,158,159,161,166,170,171,173,175,177,178,179,181,186,187,1
일본대지진
89,190,193,197,200,201,202,203,204,205,207,208,213,214,217,219,220,221,223,224
,225,226,227,228,232,234,235,236,237,238,239,240,242,245,246,252,253,259,261,2
62,263,266,268,272,279,281,283,287,288,290,291,294,295,298,301,302,304,306,309
,311,312,313,316,317,321,322,325,327,330,332,334,339,340,341,346,348

- 137 -
1.3 복합성 텍스트 (424개)
13,14,15,17,19,21,26,30,34,42,45,46,50,55,56,57,58,59,60,61,62,63,65,66,69,71,73,7
8,79,81,84,86,89,90,91,99,100,101
9.11테러
5,7,14,22,27,28,35,46,50,53,55,56,58,59,61,63,64,65,67,74,76,78,82,87,88,90,91,92,9
6,100
1,2,3,7,10,14,15,16,18,22,23,24,25,28,36,39,44,47,48,49,52,54,59,60,61,62,63,64,65,
이라크전쟁 66,67,69,75,77,80,86,93,94,96,105,111,115,117,118,119,123,124,126,128,129,131,13
7,140,141,143,148
4,6,12,13,14,16,18,22,25,26,30,31,32,33,34,36,37,38,42,55,57,58,60,62,63,65,71,75,7
8,79,83,85,86,91,93,97,98,99,102,109,110,112,114,119,120,127,128,129,133,136,137
,142,147,151,154,155,157,160,161,162,163,171,172,175,176,177,178,179,180,181,18
cpx 3,184,185,186,188,189,192,194,196,199,200,202,203,206,210,213,214,215,216,
217,218,220,221,225,227,231,235,237,238,239,240,243,244,246,247,249,252,254,25
칠레광산 5,257,258,259,260,261,264,267,268,270,273,275,278,279,280,281,283,284,287,288,2
90,291,296,297,299,300,302,303,305,306,307,310,313,318,326,327,328,329,330,331,
333,334,335,336,337,341,343,345,346,347,361,363,364,365,368,373,374,378,379,
381,382,383,386,388,389,393,395,400,402,403,409,410,411,413,416,417,420,421,42
2,427,428,430,433,435,436,437,439,441,442,443,446,447,452,454,456,457,458,459,4
62,467,468,470,474,475,476,482,485,486,487,488,490,491,492,494,496,497
5,17,19,21,26,29,30,34,41,42,45,46,57,58,59,60,63,64,66,68,77,78,79,85,87,89,91,95,
97,108,110,124,129,137,138,144,146,147,151,154,162,165,169,182,183,184,188,191,
일본대지진
192,194,198,209,212,222,229,231,241,243,244,250,251,254,256,258,267,274,275,27
6,285,286,293,299,303,319,333,335

2. 색채범주
2.1 고명도 텍스트 (689개)
2,6,8,9,10,14,15,17,18,21,24,26,30,31,33,34,46,51,52,53,54,55,56,57,59,60,61,63,64
,65,66,69,70,72,75,76,82,85,86,89,90,95,97,98,99
9.11테러 1,3,4,5,6,7,11,12,13,14,16,19,20,22,25,26,27,29,30,31,32,34,36,39,40,42,43,46,47,4
8,51,52,55,57,58,59,60,61,62,65,66,67,69,73,77,79,81,83,84,85,86,88,89,90,91,96,9
7,99,100
1,2,7,8,14,15,16,17,19,21,24,25,28,30,31,34,36,40,42,44,45,46,47,49,51,53,57,58,60
,63,66,68,72,74,75,76,77,79,80,81,82,85,86,88,89,91,93,94,96,99,103,104,105,107,1
이라크전쟁
08,111,115,116,118,119,121,123,125,127,129,131,132,133,134,135,137,138,139,14
0,141,142,144,147
1,2,3,4,6,9,10,11,13,16,17,18,19,20,21,22,23,25,26,27,28,29,30,31,32,33,34,35,36,3
8,41,42,44,45,46,48,50,51,54,56,57,58,59,61,62,63,64,66,67,68,69,70,72,74,77,78,7
9,81,82,86,89,90,91,93,94,95,96,97,98,99,100,102,103,104,105,106,107,108,112,11
5,116,119,120,121,122,123,124,125,126,128,129,131,133,134,135,136,137,138,139,
140,141,142,143,144,149,150,151,152,155,156,159,160,162,163,164,165,167,169,1
70,171,172,174,175,176,177,179,180,181,182,184,186,187,188,190,191,193,194,19
5,197,199,200,205,206,207,208,210,212,213,219,225,226,228,233,234,235,247,253,
br 칠레광산 254,255,257,258,259,262,263,265,268,269,271,272,280,285,286,288,289,291,292,2
93,294,296,300,301,303,304,305,306,307,310,311,312,313,314,316,318,320,322,32
4,326,327,328,329,331,32,334,335,336,337,340,341,349,351,354,355,357,358,359,3
61,362,363,366,367,368,370,372,374,375,377,378,379,380,384,385,386,387,388,38
9,391,396,397,399,400,401,403,406,407,408,411,412,413,414,415,416,417,418,419,
420,424,425,426,427,429,430,431,432,434,436,438,443,444,445,448,449,450,451,4
53,455,456,458,459,460,461,463,464,465,466,469,471,473,477,478,479,480,481,48
3,486,487,489,493,495
2,3,5,6,7,9,11,12,13,14,16,17,18,19,20,21,22,24,25,26,28,29,31,32,33,34,35,36,37,3
8,39,40,41,42,43,44,45,46,47,48,50,51,52,53,54,55,56,57,58,59,60,61,63,64,65,66,6
7,68,69,70,71,72,73,74,75,76,78,79,80,86,87,88,89,90,92,95,96,97,98,100,102,105,1
06,108,111,112,114,115,116,117,119,125,126,127,128,130,135,136,137,139,141,14
5,146,148,150,153,158,159,160,161,164,165,169,170,172,173,175,177,179,180,181,
일본대지진
184,188,190,191,192,193,195,197,198,204,205,207,208,213,214,217,219,220,221,2
22,223,225,226,227,228,229,230,231,232,234,235,236,237,238,239,240,241,242,24
3,246,251,253,255,261,262,263,265,267,268,272,274,276,279,281,286,287,289,290,
291,294,298,299,301,302,303,304,305,310,313,316,317,319,321,322,323,327,329,3
32,334,335,336,337,339,340,341,343,345,346

- 138 -
2.2 저명도 텍스트 (504개)
3,4,5,7,11,12,13,16,19,20,22,23,25,27,28,29,32,35,36,37,38,39,40,41,42,43,44,45,47,
48,49,50,58,62,67,68,71,73,77,78,79,80,81,83,84,87,88,91,92,93,94,96,100,101
9.11테러
2,8,9,10,15,17,18,21,23,24,28,33,35,37,38,41,44,45,49,50,53,54,56,63,64,68,70,71,72
,74,75,76,78,80,82,87,92,93,94,95,98
3,4,5,6,9,10,11,12,13,18,20,22,23,26,27,29,32,33,35,37,38,39,41,43,48,50,52,54,55,5
이라크전쟁 6,59,61,62,64,65,67,69,70,71,73,78,83,84,87,90,92,95,97,98,100,101,102,106,109,11
0,112,113,114,117,120,122,124,126,128,130,136,143,145,146,148
5,7,8,12,14,15,24,37,39,40,43,47,49,52,53,55,60,65,71,73,75,76,80,83,84,85,87,88,92
,101,109,110,111,113,114,117,118,127,130,132,145,146,147,148,153,154,157,158,16
1,166,168,173,178,183,185,189,192,196,198,201,202,203,204,209,211,214,215,216,2
17,218,220,221,222,223,224,227,229,230,231,232,236,237,238,239,240,241,242,
243,244,245,246,248,249,250,251,252,256,260,261,264,266,267,270,273,274,275,27
dk 칠레광산
6,277,278,279,281,282,283,284,287,290,295,297,298,299,302,308,309,315,317,319,3
21,323,325,330,333,338,339,342,343,344,345,346,347,348,350,352,353,356,360,364,
365,369,371,373,376,381,382,383,390,392,393,394,395,398,402,404,405,409,410,
421,422,423,428,433,435,437,439,440,441,442,446,447,452,454,457,462,467,468,47
0,472,474,475,476,482,484,485,488,490,491,492,494,496,497
4,8,10,15,23,27,30,49,62,77,81,82,83,84,85,91,93,94,99,101,103,104,107,109,110,11
3,118,120,121,122,123,124,129,131,132,133,134,138,140,142,143,144,147,149,151,1
52,154,155,156,157,162,163,166,167,168,171,174,176,178,182,183,185,186,187,189,
일본대지진 194,196,199,200,201,202,203,206,209,210,211,212,215,216,218,224,233,244,245,
247,248,249,250,252,254,256,257,258,259,260,264,266,269,270,271,273,275,277,27
8,280,282,283,284,285,288,292,293,295,296,297,300,306,307,308,309,311,312,314,3
15,318,320,324,325,326,328,330,331,333,338,342,344,347,348,349,350

3. 형태범주 분석
3.1 행위 텍스트 (569개)
2,3,4,5,6,7,8,9,11,12,13,14,15,16,17,18,20,21,22,25,26,27,28,29,30,31,32,34,35,36,37
,38,39,41,42,43,44,45,46,47,48,49,50,51,52,53,55,56,58,64,67,68,70,73,75,76,77,80,8
3,84,85,86,87,88,90,91,92,93,94,95,96,97,98,100,101
9.11테러
3,6,8,10,11,12,14,15,18,20,21,23,25,30,32,33,34,36,38,41,43,46,47,48,50,52,53,56,57
,59,60,61,62,63,64,66,67,68,69,70,71,75,77,79,80,81,83,84,85,86,87,88,89,90,91,93,9
4,95,96,98,100
1,3,4,5,6,7,8,9,12,13,16,18,19,20,21,22,25,26,27,28,31,32,33,34,35,37,38,39,40,41,43
,48,50,51,52,53,54,55,56,57,59,61,62,63,64,65,66,67,69,71,72,73,74,75,77,78,79,83,8
이라크전쟁
4,85,86,87,88,89,90,94,95,97,98,99,100,101,102,103,104,105,106,107,109,110,112,1
13,114,116,118,119,120,123,124,125,131,132,133,135,136,137,138,139,141,144
2.4.5.6.8.9.10.12.13.15.27.31.42.48.50.51.59.60.61.62.76.80.93.110.115.149.150.163.
칠레광산 164.165.181.191.199.212.229.233.248.268.270.277.290.297.300.305.306.313.345.36
5.368.371.376.380.386.398.399.457.473.495
si 2,4,5,6,7,8,9,10,13,14,17,18,19,20,21,23,24,25,26,27,28,29,31,32,36,41,42,49,55,57,5
8,60,62,63,64,66,67,68,69,70,71,72,73,74,75,79,81,82,83,84,86,87,89,90,91,94,95,96,
97,99,100,101,102,103,104,105,106,107,108,109,111,113,115,118,119,120,121,122,1
23,124,125,126,127,128,130,131,132,133,134,135,137,139,140,142,143,146,147,149,
150,152,153,154,155,156,157,158,159,160,161,162,163,164,165,166,167,168,169,17
0,171,172,173,174,175,176,177,178,179,181,182,184,185,186,187,188,189,190,191,1
92,193,195,196,197,199,200,201,202,203,204,205,206,207,208,210,211,213,214,215,
일본대지진
216,217,218,219,220,221,222,223,224,225,226,227,228,230,232
233,235,236,237,238,239,240,241,242,243,245,246,247,248,249,251,252,253,255,25
7,260,261,262,263,264,265,267,268,269,270,271,272,273,274,275,276,277,278,279,2
80,281,282,283,284,286,287,288,289,290,291,292,294,297,298,299,300,301,302,303,
304,305,307,308,310,312,313,314,315,316,317,318,319,320,321,322,323,324,325,32
6,327,328,329,330,331,332,333,334,335,336,337,338,339,340,341,342,344,345,346,3
47,348,349,350

- 139 -
3.2 상태 텍스트 (569개)
10,19,23,24,33,40,54,57,59,60,61,62,63,65,66,69,71,72,78,79,81,82,89,99
9.11테러 1,2,4,5,7,9,13,16,17,19,22,24,26,27,28,29,31,35,37,39,40,42,44,45,49,51,54,55,58,65
,72,73,74,76,78,82,92,97,99
2,10,11,14,15,17,23,24,29,30,36,42,44,45,46,47,49,58,60,68,70,76,80,81,82,91,92,93,
이라크전쟁
96,108,111,115,117,121,122,126,127,128,129,130,134,140,142,143,145,146,147,148
1,3,7,11,14,16,17,18,19,20,21,22,23,24,25,26,28,29,30,32,33,34,35,36,37,38,39,40,4
1,43,44,45,46,47,49,52,53,54,55,56,57,58,63,64,65,66,67,68,69,70,71,72,73,74,75,77
,78,79,81,82,83,84,85,86,87,88,89,90,91,92,94,95,96,97,98,99,100,101,102,103,104,
105,106,107,108,109,111,112,113,114,116,117,118,119,120,121,122,123,124,125,12
6,127,128,129,130,131,132,133,134,135,136,137,138,139,140,141,142,143,144,145,
146,147,148,151,152,153,154,155,156,157,158,159,160,161,162,166,167,168,169,17
0,171,172,173,174,175,176,177,178,179,180,182,183,184,185,186,187,188,189,190,
192,193,194,195,196,197,198,200,201,202,203,204,205,206,207,208,209,210,211,21
3,214,215,216,217,218,219,220,221,222,223,224,225,226,227,228,230,231,232,234,
235,236,237,238,239,240,241,242,243,244,245,246,247,249,250,251,252,253,254,25
ac 5,256,257,258,259,260,261,262,263,264,265,266,267,269,271,272,273,274,275,276,
칠레광산
278,279,280,281,282,283,284,285,286,287,288,289,291,292,293,294,295,296,298,29
9,301,302,303,304,307,308,309,310,311,312,314,315,316,317,318,319,320,321,322,
323,324,325,326,327,328,329,330,331,332,333,334,335,336,337,338,339,340,341,34
2,343,344,346,347,348,349,350,351,352,353,354,355,356,357,358,359,360,361,362,
363,364,366,367,369,370,372,373,374,375,377,378,379,381,382,383,384,385,387,38
8,389,390,391,392,393,394,395,396,397,400,401,402,403,404,405,406,407,408,409,
410,411,412,413,414,415,416,417,418,419,420,421,422,423,424,425,426,427,428,42
9,430,431,432,433,434,435,436,437,438,439,440,441,442,443,444,445,446,447,448,
449,450,451,452,453,454,455,456,458,459,460,461,462,463,464,465,466,467,468,46
9,470,471,472,474,475,476,477,478,479,480,481,482,483,484,485,486,487,488,489,
490,491,492,493,494,496,497
3,11,12,15,16,22,30,33,34,35,37,38,39,40,43,44,45,46,47,48,50,51,52,53,54,56,59,61
,65,76,77,78,80,85,88,92,93,98,110,112,114,116,117,129,136,138,141,144,145,148,1
일본대지진
51,180,183,194,198,209,212,229,231,234,244,250,254,256,258,259,266,285,293,295
,296,306,309,311

- 140 -
<부록 4> 분석틀을 의한 결과-‘관계유형’

1.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행위텍스트 (187개)


사건 빈도(개) 보도사진
10,24,33,54,72,82
9.11테러 20
1,4,13,16,19,26,29,31,39,40,42,73,97,99
이라크전쟁 12 17,30,42,58,68,76,81,91,121,127,142,147
1,3,11,19,20,21,23,28,29,35,41,44,45,46,54,56,64,66,67,68,69,70,72,74,77,81,82,89,9
0,94,95,100,103,104,105,106,107,116,121,122,123,124,125,131,134,135,138,139,140
,141,143,152,156,159,167,169,170,174,182,187,190,193,195,197,205,207,208,219,22
칠레광산 143 6,228,234,253,263,265,269,271,272,285,286,289,292,293,294,301,304,311,312,316,3
20,322,324,332,340,354,357,358,359,362,366,372,375,377,384,385,391,397,401,406,
407,414,415,418,419,424,425,426,429,431,432,434,438,444,445,449,450,453,455,46
0,461,463,464,465,466,469,471,477,478,479480,481,483,489,493
일본대지진 12 3,22,44,54,56,80,88,112,117,141,148,180

2.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상태텍스트 (99개)


사건 빈도(개) 보도사진
2,6,8,9,18,31,51,52,53,64,70,75,76,85,95,97,98,3
9.11테러 43
6,11,12,20,25,30,32,34,36,43,47,48,52,57,60,62,66,69,77,79,83,84,85,86,89
이라크전쟁 19 21,31,40,51,53,57,72,74,79,85,88,89,99,103,104,107,125,138,144
칠레광산 16 2,10,27,48,50,51,59,149,165,191,212,233,380,399,473,495
86,105,126,127,128,160,164,172,195,230,255,265,289,305,310,323,329,336,337,343,
일본대지진 21
345

3.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 행위텍스트 (99개)


사건 빈도(개) 보도사진
23,40
9.11테러 12
2,9,17,24,37,44,45,49,54,72
이라크전쟁 8 11,29,70,92,122,130,145,146
7,24,39,40,43,47,49,52,53,73,84,87,88,92,101,111,113,117,118,132,145,146,148,153
,158,166,168,173,198,201,204,209,211,222,223,224,230,232,236,241,242,245,250,2
칠레광산 76
51,266,274,276,282,295,298,308,309,315,317,319,321,323,325,338,339,342,344,348
,350,352,353,356,360,390,394,404,405,423,440,472,484
일본대지진 3 15,93,296

- 141 -
4.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도 상태텍스트 (162개)
사건 빈도(개) 보도사진
3,4,5,7,11,20,22,25,27,28,29,32,35,36,37,38,39,41,43,44,47,48,49,67,68,77,80,83,87,8
9.11테러 49
8,92,93,94,96
8,10,15,18,21,23,33,38,41,68,70,71,93,95,98
이라크전쟁 36 4,5,6,9,12,13,20,26,27,32,33,35,37,38,41,43,50,55,71,73,78,83,84,87,90,95,97,98,100,
106,109,110,112,113,114,136
칠레광산 11 5,8,15,76,80,229,248,277,371,376,398
8,10,27,81,101,103,104,107,113,118,120,121,122,132,142,152,156,163,167,168,174,1
76,185,196,199,206,210,211,215,216,218,233,247,248,249,257,260,264,269,270,271,2
일본대지진 66
73,277,278,280,282,284,292,297,300,307,308,314,315,318,320,324,326,328,331,338,3
42,344,347,349,350

5.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 행위텍스트 (50개)


사건 빈도(개) 보도사진

9.11테러 1
51
이라크전쟁 5 45,46,82,108,134
칠레광산 18 17,96,108,126,144,262,314,349,351,355,367,370,387,396,408,412,448,451
일본대지진 26 11,12,16,33,35,37,38,39,40,43,47,48,50,51,52,53,61,65,76,92,98,114,116,136,145,234

6.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 상태텍스트 (115개)


사건 빈도(개) 보도사진

9.11테러 1
81
이라크전쟁 8 8,19,34,116,132,133,135,139
칠레광산 5 9,61,115,150,164
2,6,7,9,13,14,18,20,24,25,28,31,32,36,55,67,69,70,71,72,73,74,75,90,96,100,102,106,
111,115,119,125,130,135,139,150,153,158,159,161,170,173,175,177,179,181,190,193
일본대지진 101 ,197,204,205,207,208,213,214,217,219,220,221,223,225,226,227,228,232,235,236,23
7,238,239,240,242,246,253,261,262,263,268,272,279,281,287,290,291,294,298,301,3
02,304,313,316,317,321,322,327,332,334,339,340,341,346

7.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 행위텍스트 (10개)


사건 빈도(개) 보도사진

9.11테러 0

이라크전쟁 0
칠레광산 4 130,256,369,392
일본대지진 6 259,266,295,306,309,311

- 142 -
8.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 상태텍스트 (47개)
사건 빈도(개) 보도사진

9.11테러 5
12,16,75,80,94
이라크전쟁 4 56,101,102,120
칠레광산 0
4,23,49,62,82,83,84,94,99,109,123,131,133,134,140,143,149,155,157,166,171,178,1
일본대지진 38
86,187,189,200,201,202,203,224,245,252,283,288,312,325,330,348

9. 복합성의 고명도 행위텍스트 (140개)


사건 빈도(개) 보도사진
57,59,60,61,63,65,66,69,89,99
9.11테러 17
5,7,22,27,55,58,65
이라크전쟁 16 2,14,15,24,36,44,47,49,60,80,93,96,111,115,129,140
16,18,22,25,26,30,32,33,34,36,38,57,58,63,78,79,86,91,97,98,99,102,112,119,120,1
28,129,133,136,137,142,151,155,160,162,171,172,175,176,177,179,180,184,186,18
칠레광산 99 8,194,200,206,210,213,225,235,247,254,255,257,258,259,280,288,291,296,303,307,
310,318,326,327,328,329,331,334,335,336,337,341,361,363,374,378,379,388,389,4
00,403,411,413,416,417,420,427,430,436,443,456,458,459,486,487
일본대지진 8 34,45,46,59,78,198,229,231

10. 복합성의 고명도 상태텍스트 (98개)


사건 빈도(개) 보도사진
14,15,17,21,26,30,34,46,55,56,86,90
9.11테러 22
14,46,59,61,67,88,90,91,96,100
이라크전쟁 18 1,7,16,25,28,63,66,75,77,86,94,105,118,119,123,131,137,141
칠레광산 17 4,6,13,31,42,62,93,163,181,199,268,300,305,306,313,368,386
5,17,19,21,26,29,41,42,57,58,60,63,64,66,68,79,87,89,95,97,108,137,146,165,169,1
일본대지진 41
84,188,191,192,222,241,243,251,267,274,276,286,299,303,319,335

11. 복합성의 저명도 행위텍스트 (138개)


사건 빈도(개) 보도사진
19,62,71,78,79,81
9.11테러 13
28,35,74,76,78,82,92
이라크전쟁 7 10,23,117,126,128,143,148
14,37,55,65,71,75,83,85,109,114,127,147,154,157,161,178,183,185,189,192,196,202
,203,214,215,216,217,218,220,221,227,231,237,238,239,240,243,244,246,249,252,2
칠레광산 99 60,261,264,267,273,275,278,279,281,283,284,287,299,302,330,333,343,346,347,364
,373,381,382,383,393,395,402,409,410,421,422,428,433,435,437,439,441,442,446,4
47,452,454,462,467,468,470,474,475,476,482,485,488,490,491,492,494,496,497
일본대지진 19 30,77,85,110,129,138,144,151,183,194,209,212,244,250,254,256,258,285,293

- 143 -
12. 복합성의 저명도 상태텍스트 (48개)
사건 빈도(개) 보도사진
13,42,45,50,58,73,84,91,100,101,151,154,157,164,165,188
9.11테러 16

이라크전쟁 15 3,18,22,39,48,52,54,59,61,62,64,65,67,69,124
칠레광산 9 12,60,110,270,290,297,345,365,457
일본대지진 8 91,124,147,154,162,182,275,333

- 144 -
<부록 5> 보도사진 목록

[사건 1] ‘9.11테러’ ······························································································· 146


[사건 2] ‘이라크 전쟁’ ·························································································· 150

[사건 3] ‘칠레 광산매몰’ ······················································································ 153


[사건 4] ‘동일본 대지진’ ······················································································ 163

- 145 -
- 146 -
- 147 -
- 148 -
- 149 -
- 150 -
- 151 -
- 152 -
- 153 -
- 154 -
- 155 -
- 156 -
- 157 -
- 158 -
- 159 -
- 160 -
- 161 -
- 162 -
- 163 -
- 164 -
- 165 -
- 166 -
- 167 -
- 168 -
- 169 -
국문초록

보도사진에 나타난 비주얼 텍스트 유형 추출


-‘위험’주제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 전공
김 은 정

최근 인터넷의 대중화와 함께 시공간적으로 자유로워진 개인 미디어의 발


달로 신문 산업은 위기의 국면을 맞게 되었다. 이에 대한 자구책으로 전통적
인 인쇄 미디어에서 디지털 미디어로서의 부활을 준비하고 있으며, 이것은
그동안 종이라는 한계에 묶여 있던 인쇄 미디어가 새로운 방법으로 영상정보
가 더해진 미디어로써 독자에게 다가가려는 것이다. 보도사진은 의도를 가진
시각적 언어이다. 신문기사는 언어적 텍스트, 보도사진은 비주얼 텍스트의 구
성을 통해 사건·사안의 의미를 생산하고 교환한다. 기존의 연구는 시각적 중
요성은 강조하지만 언어적 텍스트와 비주얼 텍스트의 상관성에 집중해왔으
며, 비주얼 텍스트 측면에서는 주로 카메라에 의한 기계적 약호 분석에 한정
된 경향을 보인다.
본 연구는 ‘위험’주제 보도사진을 중심으로 비주얼 텍스트의 조형적 구조
분석을 시도하여 유형을 추출하고자 한 것이다. 전쟁, 테러, 재난 등 ‘위험’주
제로 분류되는 보도사진 1,193개를 분석하여 유형화하기 위해 조형기호학에
서 큰 업적을 남겼던 플로슈의 조형적 ‘범주이론’에 기대어 위상범주, 색채범
주, 형태범주의 조형적 대조를 통해 분석틀을 설계하고 분석을 시도하였다.
유형 추출을 연구한 결과, 각 범주에서 7개의 ‘기본유형’, 범주의 관계성에
따른 12개의 ‘관계유형’, 5개의 ‘기타유형’이 추출되었다. 비주얼 텍스트의 구
조적인 측면에서 조형범주의 대조를 통해 유형을 추출한 것이며, 다음과 같

- 170 -
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첫째, 비주얼 텍스트의 위상범주에서는 <중심성 텍스트>, <주변성 텍스
트>, <복합성 텍스트>, 색채범주에서는 <고명도 텍스트>, <저명도 텍스트>,
형태범주에서는<행위 텍스트>와 <상태 텍스트>로 분류하여 ‘기본유형’을 추
출하였다.
- 둘째, 각 범주의 조합으로 ‘관계유형’이 추출되었으며, 이들을 세분화하
여 유형별로 각각 8개의 ‘확대 유형’으로 발전시킬 수 있었다. 추출된 ‘관계
유형’은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행위 텍스트>, <중심성이 강조된 고명도
상태 텍스트>, <중심이 강조된 저명도 행위 텍스트>, <중심성이 강조된 저명
도 상태 텍스트>,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 행위 텍스트>, <주변성이 강조된
고명도 상태 텍스트>, <주변성이 강조된 저명도 행위 텍스트>, <주변성이 강
조된 저명도 상태 텍스트>, <복합성의 고명도 행위 텍스트>, <복합성의 고명
도 상태 텍스트>, <복합성의 저명도 행위 텍스트>, <복합성의 저명도 상태
텍스트>로 분류되었다.
- 셋째, 유형분석 검증 결과, 모든 분석대상은 12개의 ‘관계유형’에 포함되
었지만, 위상·색채범주의 공간적 포함에 따라 <위상범주가 색채범주를 포함
하는 텍스트>, <색채범주가 위상범주를 포함하는 텍스트>, <색채범주와 위상
범주가 일치, 불일치하는 텍스트> 유형과 문자정보 포함에 따라 <타이포그래
픽이 강조된 텍스트>, <인포그래픽이 강조된 텍스트>유형이 추출되어 ‘기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비주얼텍스트의 표현면의 구조적 관점으로 도출한 결과이며, 언
어학적 차원에서는 문법체계의 분석, 즉 구문론적 고찰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추출된 유형들은 비언어 기호체계에 해당되는 비주얼 텍스트가 문
법적으로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보여주고 있으며, 조형언어의 텍스트 유형추
출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고, 추출된 유형의 규정은 비주얼
텍스트 후속연구의 기반이 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비주얼 텍스트, 보도사진, 유형

- 171 -
ABSTRACT

Survey of Types of Visual Texts in Newspaper Photographs


- Focusing on the Theme of ‘Danger’ -

Kim, Unchong
Major in Visual Design
Department of Design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Recently with the advance of the individual media free space and
time-wise along with the popularization of the Internet, the newspaper
industry is facing a crisis. As a solution for this, the industry is
preparing for the revival as the digital media, away from the
traditional print media.
It is an attempt on the part of the print media which were confined
by the limitation that they were in the form of papers, to approach
the readers as the media with the imagery information in new ways.
Newspaper photos are visual language with intents. They produce
and exchange the significance of the incidence or the views through
the structure of visual text. The previous studies have stressed the
visual importance but focused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verbal texts and visual text. As for the aspect of visual text, the
studies were mainly limited to the analysis of mechanical abbreviation
with the cameras.

This study was set out to investigate the types of visual texts by

- 172 -
attempting the plastic structural analysis of the visual text, centered
on the newspaper photos with the theme of ‘danger.’
1,193 newspaper photographs classified as the ‘danger’-themed such
as those on the wars, terrors and natural disasters were analyzed. In
order to categorize them, based on the ‘theories on the category’ by
Jean Marie Floch who has left a considerable achievement in the
plastic semiotics, the framework was designed through the plastic
contrasts of the phase category, color category and the plastic
category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from the study on the types revealed that 7 categories
in the ‘basic type,’ 12 categories in ‘relative typ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tegories and 5 categories in ‘other types’
were found. The types were derived through the contrast of the
plastic categories in terms of structure of the visual texts. The
findings foun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in the phase category of the visual texts, [centricity text],


[marginality text] and [complexity text], in the color category, [high
brightness text] and [low brightness text] and in the morphological
category, [behavior text] and [state text] were found and the ‘basic
types’ were found.
- Second, with the combination of each category, the ‘relative types’
were found and by segmenting them, they could be divided into 8
‘expansive types’ respectively by types. The ‘relative types’ derived
were [High-brightness behavior texts with stressed centricity], [texts
with high brightness with the stressed centricity], [low-brightness
behavior texts with stressed centricity], [low-brightness state texts
with stressed centricity], [behavior texts with high brightness with

- 173 -
stressed marginality], [high brightness state texts with stressed
marginality], [Low-brightness behavior texts with the stressed
marginality], [low-brightness state texts with the stressed
marginality], [High-brightness behavior texts with complexity],
[high-brightness state texts with complexity], [low-brightness
behavior texts with complexity] and [low-brightness state texts with
complexity].
- Third, the results from the type analysis showed that all subjects
for analysis included 12 ‘relative types’ but according to the spatial
inclusion of the phase and color categories, [texts where the phase
category includes the color category], [Texts where the color
category includes the phase category] and [texts where the color
category and phase category match, or mismatch] were derived.
Based on the inclusion of the texts information, [texts with stressed
typography] and [texts with stressed info graphics] types were found
to be classified into ‘other types.’
This study is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structural perspective on
the surface of the visual texts. It can also be considered as the
analysis of the grammar structure, or syntactical insight in the
linguistic perspective.
This study reveals that the types found in this paper show how the
visual text, which pertains to the non-verbal sign system, is
structured in terms of grammar.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ed to derive he texts types of the plastic language and the
criteria for types are expected to be the basis for the future studies
on the visual text.

Key Words: Visual Text, Newspaper Photographs, Types

- 17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