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67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博士學位論文

明代 公案小說의 敍事전략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中日語文學科
吳 曉 麗
2017年 12月 日
崔 溶 澈 敎授指導
博士學位論文

明代 公案小說의 敍事전략 연구

이 論文을 文學博士 學位論文으로 提出함.

2017年 12月 日

高麗大學校 大學院
中日語文學科
吳 曉 麗
目次
Ⅰ. 서 론 ····················································································································1
1. 研究 동기 및 목적·····························································································1
2. 先行 研究 검토···································································································4
3. 研究 범위 및 방법···························································································15
Ⅱ. 公案小说의 형성 및 발전 ·············································································19
1. 公案小說의 연원과 형성··················································································19
2. 明代公案小说의 발전과 유형··········································································39
1) 明代公案小说의 興盛·····················································································39
2) 明代公案小说의 유형·····················································································51
Ⅲ. 明代公案小说의 敍事구조 및 전개양상 ····················································61
1. 公案小说의 敍事시점·······················································································62
1) 전지적 敍事시점····························································································63
2) 제한적 敍事시점····························································································69
2. 公案小说의 敍事구조·······················································································72
1) 公案기능에 의한 敍事···················································································74
2) 淸官의식에 의한 敍事···················································································78
3) 勸誡목적을 위한 敍事···················································································86
4) 法律보급을 위한 敍事···················································································91
3. 公案小说의 사건전개 양상··············································································97
1)사건발생의 양상····························································································97
2)사건해결의 양상··························································································101
3)결말의 양상··································································································111

- i -
Ⅳ. 明代公案小说의 갈등양상 및 해결방식 ··················································120
1. 性慾에 의한 남녀갈등 및 해결····································································121
1) 연애사건········································································································122
2) 간통사건········································································································126
3) 강간사건········································································································130
2. 物慾에 의한 사회갈등 및 해결····································································133
1) 서민들의 재물분쟁·······················································································133
2) 惡漢들의 재물강탈·······················································································136
3) 장사판의 금품사취·······················································································138
3. 윤리적 身分에 의한 가족갈등 및 해결·······················································140
1) 부부와 처첩··································································································142
2) 부모와 자녀··································································································144
3) 형제와 嫡庶··································································································147
Ⅴ. 明代公案小说의 등장인물 유형분석 ························································151
1. 핵심인물 判官·································································································152
1) 神判과 人判··································································································153
2) 法理와 情理··································································································163
2. 부차적인 인물유형·························································································168
1) 생계형 피해자······························································································169
2) 직업적 가해자······························································································177
3) 다양한 조력자······························································································186
Ⅵ. 明代公案小说의 傳播와 影響 ·····································································197
1. 中國에서의 傳播·····························································································197
1)明清시기의 영향··························································································197
2)推理小說의 등장··························································································202

- ii -
2. 韓國으로의 전파·····························································································207
1)수용과 전파··································································································208
2)訟事小說과의 비교······················································································220
Ⅶ. 결 론 ················································································································240
【參考文獻】············································································································244
【中文摘要】············································································································254
【ABSTRACT】········································································································256

- iii -
<표 차례>
<표2-1> 宋代 公案小說 작품 ·············································································29
<표2-2>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41
<표2-3>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 抄錄 상황······················································43
<표2-4>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 사건 유형······················································44
<표2-5> 萬卷樓刊本 ≪百家公案≫ 回目····························································47
<표2-6> 明代 擬話本公案小說 작품···································································49
<표2-7> ≪龍圖公案≫의 繁簡本 篇目·······························································55
<표3-1> ≪海公案≫의 소장, 답변서, 판결문 상황···········································92
<표3-2> 判詞를 끌어내는 방식·········································································112
<표4-1>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 중 간통사건················································127
<표5-1>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 중 神判사건················································155
<표5-2>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 중 상인 관련 사건·····································170
<표5-3>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 중 승려 범죄 사건·····································178
<표6-1> ≪百家公案≫이 明淸傳奇에 미친 영향············································197
<표6-2> 包公戲의 개작 상황·············································································199
<표6-3> ≪寃獄緣≫의 回目···············································································201
<표6-4> ≪時務報≫에 연재된 셜록 홈즈 이야기··········································203
<표6-5> ≪三俠五義≫와 ≪包閻羅演義≫의 回目 대조·································210
<표6-6> ≪包閻羅演義≫와 ≪閻羅王傳≫의 回目 변화·································212
<표6-7> ≪神斷公案≫의 回目 및 연원····························································213
<표6-8> 奎章閣에 소장된 ≪型世言≫·····························································219
<표6-9> 鼠類 訟事小說······················································································236
<표6-10> 鳥類 訟事小說······················································································237

- iv -
<그림 차례>
<그림3-1> 綴段式 敍事구조················································································75
<그림3-2> 單線式 敍事구조················································································88
<그림6-1> 推理小说을 등재한 간행물·····························································205

- v -
Ⅰ. 서 론
1. 研究 동기 및 목적
“법이란 무엇인가?”하는 의문은 살면서 누구나 한번쯤은 가져보았을 것이다.
이 주제를 문학논문에서 다룬다는 것은 어불성설일 수 있다. 그러나 논문을 전
개하기 전에 이 문제를 짚어보지 않을 수 없다. 법에 대한 개념은 연구 대상과
연구 목적에 따라 좌우되며, 그리고 법학을 전공하거나 법 관련된 업무에 종사
하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법에 대한 개념과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법의 개념은
또 다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법전에 실은 것만을 법으로 여기면 안 되고,
“사회 있는 곳에 법이 있다”라는 로마 격언에서 말 한 바와 같이 사회가 있다
면 반드시 규범이 존재한다는 것이며, 우리는 이미 사회 속에 나름대로의 법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이다. 문학은 사회 속에 존재하
고, 그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문학과 사회는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때문에 문학 속에 법에 대한 인식과 의식이 존재함은 의심할 여지가 없을 것
이다.
구체적으로 법과 문학은 언제부터 결합되기 시작했는지는 알 수 가 없다. 확
실한 것은 중국의 ‘公案小說’은 범죄와 법률이라는 제재를 주도적인 모티프로
한 소설이라는 것이다. 각종 민사·형사 사건의 발생과 해결 과정을 중심으로
다루는 소설로 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또한 이 사건들의 해결을 주도하는
판관에 대한 서술을 통해 법을 집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면서 법률을 선전하는
역할도 한다. 그리고 公案小說은 사회변화나 제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출
현된 소설로 수많은 사건을 서술하면서 당시 사회의 복잡한 모습들을 구현하
며, 세상 사람들에게 勸誡를 하는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公案小說
은 오락성, 실용성, 그리고 교화적 기능까지 겸비한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公案小說史를 조명해보면, 公案小說은 오래전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公
案이야기부터 魏晉南北朝시대의 맹아시기를 지나, 唐代에 초보적인 형태를 갖

- 1 -
추게 되고, 宋元代에 와서는 說公案 및 包公戲 등의 형태로 유행하게 되었으
며, 明代에 이르러서는 전문적인 公案小說集의 형태로 등장하기 시작하여 萬曆
년간에는 대대적으로 公案 열풍이 일어난다. 이러한 현상은 清代에까지 지속되
어 俠義公案小說의 출현까지 이어진다.
그러나 중국소설의 전통적인 변천 과정 중 ‘四大奇書’는 꾸준히 관심을 받아
왔으나, 公案小说은 언제나 냉대를 겪었다. 또한 사회의 암흑만을 폭로하였기
때문에 많은 비판과 금지를 당하기도 하였다. 또한 당시 명리에 급급하여 편찬
한 작품들이 많았으므로 작품들의 문학·예술적 가치가 저열하다는 지적이 적
지 않아 점차 역사 무대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심지어 公案小说이 도대체 소설
이라고 할 수 있는지, 소설의 기본적인 요소들을 갖췄는지에 대해서도 줄곧 논
쟁해왔다. 이는 公案小說이 사건발생[作案]과 사건해결[斷案]이라는 순차적이고
정형화된 敍事구조를 갖는 것으로 간주되기 쉽기 때문이었다.
사실 公案小說은 敍事구조에 있어서 다양한 단계를 갖는 소설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개 양상 또한 단일하지 않다. 특히 ‘書判體’라는 체재는 公案小說만의
특유한 문체로서 주목받을 만하다. 書判體 公案小說은 明萬曆년간에 출현한 短
篇公案小說專集에 많이 나오고, 제재적 근원1)이나 사건 분류방식 측면에서 볼
때 법률적 색채가 아주 농후하다. 특히 실제 판례의 인용이 書判體 公案小說로
하여금 강한 실사적 성격을 가지게 하였다. 그리고 사건의 유형에 따라 ‘살인
[人命]’, ‘간통[奸情]’, ‘절도[盜賊]’ 등으로 분류하는 것은 일반 고전소설 중에는
찾을 수 없는 분류방식으로, 明代 中葉 이후 상업발전의 충격으로 사회질서의
혼란과 도덕이 몰락해가는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문학 현상은 충분
한 연구 가치가 있다고 본다. 종합해보면 書判體 公案小說은 겉으로는 판관들
의 재능, 청렴함과 공정함을 칭송하는 것 같지만, 사실은 특별한 敍事 방식으
로 당시의 추악한 사회 현실을 폭로하고 있고, 독자는 이것을 통해 당시 사회
실정을 파악할 수 있으며 공정한 법률과 관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書判體 이외에도 傳記體, 話本體, 章回體 등 여러 유형이 있는데, 敍
事구조 및 이야기를 전개하는데 있어 다소 차이가 있어 보인다. 전통적 소설연
1) 法律文書, 法醫專書, 史著 및 民間傳說이 書判體 公案小說의 제재적 근원이라고 볼 수 있다.
- 2 -
구 이론은 작품의 내용을 중시하는, 즉 소설의 기본 구성 요소인 인물, 배경,
사건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것으로, 소설 자체의 구조에 대해서는 소홀히 하고
있다. 반면 敍事學(Narratology) 비평이론은 敍事 작품 내부로부터 작품 자체의
법칙을 발굴하는 것으로, 즉 작품의 심층 구조를 연구하는 것이다. 이에 본 논
문은 敍事學 이론으로 公案 열풍이 일어났던 明代의 公案小說들의 전체적인
敍事구조 및 전개양상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의 公案小说은 또한 주변 나라인 한국과 일본, 심지어 서양에까지 전파
되어 많은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皇明諸司廉明奇判公案≫(일명
≪廉明公案≫) 등을 비롯하여 많은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이 일찍이 일본으로
건너가 소장되어 있으며, 또한 일본 추리문학 창작에 영향을 끼쳤다는 것도 확
인할 수 있다. 公案을 제재로 한 소설과 극본 등은 유럽까지도 전파되어 개작
및 공연을 통해 센세이션을 불러일으키기도 하였다. 이러한 과정 중 가장 유명
한 인사는 바로 네덜란드 漢學家인 로베르트 한스 반 훌릭(Robert Hans van
Gulik, 1910-1967)2)이다. 그는 중국의 公案小说을 깊이 연구하여 특히 ≪狄公
案≫을 제재로 삼아 유럽 독자들의 심미경향을 고려한 많은 公案小说을 창작
해냈다. 그 중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작품은 탐정소설인 ≪大唐狄公案≫
(Celebrated Cases of Judge Dee)이다.3)
서양에서 ‘狄仁傑’의 명성이 높듯이 한국에서 이름을 떨친 청렴한 중국 판관
은 包公이다. 이것은 중국의 公案小说이 다른 통속 소설들과 함께 한국으로 유
2) 중문명 高羅佩, 자는 芝臺, 네덜란드 라이든대학교(Leiden University)에서 漢學을 전공하였
다. 졸업한 후에 외교관으로 활동하면서도 꾸준히 중국 학술연구를 하여 큰 성과를 거두었
다.
3) 清代 무명씨의 소설인 ≪武则天四大奇案≫을 번역· 창작한 것이다. 일찍이 狄仁傑을 주인공
으로 창작한 영문소설 ≪铜钟案≫이 출판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고, 1950-60년대에 잇따라 ≪
迷宫案≫, ≪黄金案≫, ≪铁钉案≫, ≪四漆屏≫등 10여 부의 중단편소설을 출간하여 최종적으
로 ≪大唐狄仁傑斷案傳奇≫(일명 ≪大唐狄公案≫)를 완성하였다. 15편의 중·장편과 8편의 단
편소설로 구성되어 있는데, 宋元话本 체재를 모방하여 狄仁傑이 임직 시기에 여러 가지 큰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을 서술하였다. 敍事기교와 전개방식 면에서는 동서양의 특징을 결합하
여 중국의 전통 풍습과 사회모습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서양의 심리학과 수사학의 흔적도
엿볼 수 있다. ≪大唐狄公案≫은 또한 여러 언어로 번역·출간되어 ‘狄仁傑’이라는 인물은 서
양까지 잘 알려져 전설적인 인물이 되었다.
- 3 -
입되어 널리 펼쳤기 때문이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百家公案≫, ≪龍圖公
案≫, ‘三言二拍’ 등의 明代 公案小說들이 조선으로 유입되어 필사, 간행, 심지
어 한글로 번역·번안되어 많은 독자들에게 읽혀졌다. 이에 한국에서는 包公을
주체로 한 公案小說들이 여타 公案小說들과 변별성을 지니고 있다는 이유로
다수 학자들의 관심 대상이 되어왔다. 본 논문은 ≪百家公案≫, ≪龍圖公案≫
과 같은 包公을 중심인물로 한 작품뿐만 아니라 明代 公案小說의 특징과 가치
를 전반적으로 조명해 보고자 한다.
公案小说은 사건의 발생과 사건의 해결이라는 두 가지 요소로 되어 있는데,
이 두 가지 요소를 설정하여 서술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다른 제재의 소설과
분명히 다른 敍事전략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주로 公案小说의 특성
을 바탕으로 敍事구조 및 전개양상에 중점을 두고 公案小说의 敍事전략을 살
펴보고자 한다. 특히 사건의 발생과 해결 과정에서 드러나는 갈등양상과 해결
방식, 그리고 등장인물의 유형과 敍事的 기능에 대해 중점적으로 파악하기로
한다. 이를 통해 公案小說이라는 장르의 독특한 문화적 함의와 문학적 특징을
고찰하고, 당시의 사법문화와 백성들의 생활 실태도 함께 조명해보고, 나아가
조선 후기에 유행하였던 범죄와 법률을 제재로 한 訟事小說과 중국 公案小说
을 비교하여 어떤 이질성을 지니고 있는지도 본고에서 분석의 대상으로 삼고
자 한다.
2. 先行 研究 검토
중국 公案小說에 관한 학술연구는 먼저 중국대륙과 대만의 상황을 살펴봐야
한다. 5.4신문화운동 이후를 거슬러 올라가면 당시에는 중국 고전소설에 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벌어져, 公案小說도 연구 범위에 포함되었는데, 魯迅, 胡適
등이 비교적 객관적이고 영향력 있는 公案小說에 대한 평론을 내린 바 있다.
그 당시의 연구는 저자 고증, 고사 연원, 판본 문제 등 여러 가지가 언급되긴
했지만, 문헌 자료의 고증에 치중되어 있었다. 건국 이후는 公案小說에 대한
연구가 일시적으로 침체 상태가 되어, 비(非)학술적인 논쟁들이 그치지 않았다.
- 4 -
특히 清官에 대한 평가와 清代 俠義公案小說에 대한 논쟁이 비교적 치열하였
으나 이데올로기에 스며들어 그 영향에서 벗어나기는 힘들었다.4) 1980년대 이
후가 되어서야 정상적인 연구가 회복되기 시작하였다. 당시 통속문학의 읽기
열풍이 公案小說의 출판과 흥성을 이끌어 나갔다.5) 1990년대 이래 학술적 교
류가 빈번해지면서 이 소장본들의 영인이나 출판을 시작하게 되었다. 해외에
소장된 公案小說專集들이 영인본으로 대중에게 알려지게 되면서 대륙의 연구
자들에게도 유용한 연구 자료가 되었다. 이로서 公案小說에 대한 연구가 한층
더 깊어지고,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진행되어 많은 연구 성과가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1980년대 이전의 연구 성과는 대표적인 것만 소개하고, 주로 80
년대 이후 것을 살펴보겠다.
첫째, 거시적으로 봐서는 公案小說史에 대한 연구가 가장 기본적이고 보편적
이다. 中國小說史에 관련된 저서 중에는 公案小說에 관한 언급도 있다. 대표적
인 魯迅의 ≪中國小說史略≫에서는 중국 고대소설의 변천과정과 결합하여 公
案小說을 평가하였는데, 종합적으로 중국 公案小說에 대한 평가는 그다지 높지
않다. 그러나 清代 公案俠義小說에 대해서는 한 장(第27篇‘清之俠義小說及公
案’)을 설정하여 논술을 전개하고 있다. 같은 맥락으로 胡士瑩의 ≪話本小說概
論≫도 있는데, ‘明清說公案’이라는 장에서 중국 明清公案小說의 변천과정을 간
단하게 정리하여 논술하였다.6) 아쉬운 것은 胡士瑩은 ≪百家公案≫과 ≪龍圖
公案≫ 두 작품을 한 작품으로 혼동하여 논술하였다는 점이다. 이것은 또한 많
은 다른 연구자들에게도 그릇된 영향을 미친 부분이다. 다음은 孙楷第의 ≪中
国通俗小说书目≫이 있는데, 卷6 <明清小说部乙·说公案第三>에서는 公案小說
書目을 배열하였지만 清代의 작품 위주였다. 이상 언급한 저서들은 公案小說을
총괄하는 저서에 불과하여 상세하지 못하고 그릇된 부분이 있는 듯하다.
중국에서 公案小說史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는 1990년대부터였다. 가장 대표
적인 저서는 黄巖柏의 ≪中国公案小说史≫(辽寧人民出版社, 1991)이다. 이 저
4) 苗懷明, ≪中国古代公案小说史论≫, 南京大學出版社, 2005, 11-14쪽 참조.
5) “短篇公案小說專集들은 중국 대륙에 현존하는 작품은 비교적 적고, 일본, 한국 혹은 대만의
공립, 사립기관에 소장된 작품들이 많았다.” 苗懷明, 위의 책, 60쪽 참조.
6) 胡士瑩 著, ≪話本小說槪論≫, 臺北: 丹靑圖書, 民國72[1983], 650-655쪽.
- 5 -
서는 고증에 능하고, 객관적으로 중국 公案小说을 고찰하여 많은 독창적인 견
해도 제시하였다. 아직까지도 그와 어깨를 겨눌 만한 公案小說史는 없다고 본
다. 黄巖柏은 公案小說의 개념을 정리하는데 많은 공을 기울였는데, 公案小說
의 기원을 고찰하고, ‘偵探小說’, ‘斷案小說’, ‘法制小說’등의 개념과 비교하여 ‘公
案小說’의 정의 및 한계를 정하였다. 그리고 “六朝 이전 無公案小說”이라는 설
도 뒤집어엎어 公案小說의 연원에 대해 생산적인 의견을 제기하면서 각 시대
별로 公案小說의 특징을 개괄하였다. 더불어 다른 명작인 ≪水滸傳≫, ≪金瓶
梅≫, ≪紅樓夢≫등 작품 중 公案 줄거리를 고찰하여 公案小說과의 연관성을
찾아내려고 하였다.
그리고 孟犁野의 ≪中国公案小说艺术发展史≫(警官教育出版社, 1996)는 주로
예술적 발전 각도에서 公案小說을 연구하였고, 曹亦冰의 ≪侠义公案小说史≫
(浙江古籍出版社, 1998)는 清代의 俠義公案小說에 한정되어 논술하였다. 최근
십여 년간에는 苗懷明이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으며, 그의 ≪中国古代公案小说
史论≫(南京大學出版社, 2005)은 公案小說史 방면 가장 뛰어난 연구 성과로, 黄
巖柏의 ≪中国公案小说史≫와 비견될 만하다. 黄巖柏이 ≪中国公案小说史≫를
저술할 당시는 아마도 자료면에서 많이 부족한 반면 苗懷明때는 많은 난제들
이 이미 풀어진 상태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특히 해외에 소장되어 있는 작품
들을 영인본으로 많이 접하게 되어 연구의 폭이 넓어졌다. 苗懷明의 ≪中国古
代公案小说史论≫은 본 연구에 있어서도 많은 깨우침을 줬다고 밝힌다.
둘째, 연원과 판본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였다. 주로 包公 이야기의 연원과
公案小说集의 판본 및 각 판본의 계승 문제이다. 胡適의 <≪三俠五義≫序>7)
에서는 처음으로 ‘과녁식[箭垛式] 인물’설을 제기하면서, ‘包龍圖’와 ‘黃帝’, ‘周
公’을 합쳐 “복이 있는 인물.[有福氣的人物]”이라고 덧붙였다. 왜냐하면 민간에
서 전해 내려오는 주인공이 없는 이야기들의 경우에는 항상 어떤 특정 인물을
정해 밀어 붙이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민간 전설들이 宋代의 包拯을 선출
해 하나의 화살 과녁으로 만들어 활을 쏘듯 그 많은 折獄 사건을 모두 그에게
맡게 하였다.8) ‘과녁식 인물’이라는 설은 아직까지도 광범위하게 인용되고 있

7) ≪胡適古典文學研究论集≫, 上海古籍出版社, 1988.


- 6 -
다. 苗懷明의 ≪<龍圖耳錄>版本考述≫9)에서는 ≪龍圖耳錄≫의 판본을 자세히
고찰하였고, 杨绪容의 저서인 ≪<百家公案>研究≫10)에서는 ≪百家公案≫의 판
본, 저자 및 성서시기에 대해서 자세히 고증하였으며, ≪百家公案≫의 이야기
원류, 사회적 의미 및 예술적 특징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논술을 하였다. 高
敏의 ≪明代<百家公案>研究≫11)에서도 저자와 판본을 고찰한 다음에 包公 이
야기의 연원 및 ≪百家公案≫의 예술적 특정을 살펴보았다.
셋째는 소설의 기본적인 구성요소에서 출발하여 연구한 것이었다. 즉 公案小
說의 사건, 작중 인물, 배경에 대한 연구이다. 그 중에 包公을 비롯한 판관들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왜냐하면 公案小說은 사건발생과 사건해결이라는 두
가지 요소로 되어 있어 사건들의 해결을 주도하는 판관들이 당연히 주인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 판관들이 사건을 해결하는 방식을 통해 당시
의 사법문화를 들여다볼 수 있다. 이 판관들 중 가장 영향력이 있는 인물은 바
로 包公으로, 그에 관한 연구가 제일 많았다. 李建明의 ≪包公文學研究≫12)에
서는 시대별로 包公文學의 특징 및 주요 작품들을 살펴보았고, 包鵬의 ≪古代
小說中包公形象的演變≫13)에서도 시대별로 包公이미지 및 그의 변천과정을 재
조명하였다. 張競文의 ≪從“神判”到“人判”-包公文學的轉折≫14)에서는 包公의
이미지 및 사건을 해결하는 양상을 살펴보았고, 曹一凡의 ≪明清公案小说中的
包公形象研究≫15)에서도 包公의 이미지에만 집중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최근 몇 년간은 敍事學 시점에서 小說을 연구하는 열풍이 일어나고 있
다. 公案小說도 그 예외는 아니다. 그러나 이 방면에서는 아직 빈약하고 성과가
많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서양의 敍事學 이론이 중국에 유입된 지 오래되지 않
8) ≪胡適古典文學研究论集≫, 앞의 책, 1174-1175쪽.
9) 苗懷明, <≪龍圖耳錄≫版本考述>, ≪文教資料≫, 1995年第6期.
10) 杨绪容, ≪<百家公案>研究≫, 上海古籍出版社, 2005.
11) 高敏, ≪明代<百家公案>研究≫, 陝西師範大學 碩士學位論文, 2014.
12) 李建明, ≪包公文學研究≫, 揚州大學 博士學位論文, 2010.
13) 包鵬, ≪古代小說中包公形象的演變≫, 山西師範大學 碩士學位論文, 2010.
14) 張競文, ≪從“神判”到“人判”-包公文學的轉折≫, 遼寧大學 碩士學位論文, 2011.
15) 曹一凡, ≪明清公案小说中的包公形象研究≫, 青岛大學 碩士學位論文, 2016.
- 7 -
았기 때문에 대부분 19세기 이후의 작품 연구에 사용되어 왔다. 설령 公案小說 연
구에 적용하더라도 敍事구조에만 치중되어 있고, 敍事시점이나 敍事담론 부분에
는 고전명저의 연구에만 집중되었다. 公案小說의 敍事學 연구는 주로 아래와 같은
성과가 있다. 邓百意의 <晚明的公案小说创作—小说观念的变迁與叙事模式的曲折
演进>16), 龙希贤의 <明清公案小说结構模式的变化>17), 张晨의 ≪中国古代白话短
篇公案小说的叙事特徵≫18), 闫博의 ≪清代侠义公案小说的叙事模式研究≫19), 傅
芳周의 ≪唐五代公案题材小说的类型及其叙事特徵分析≫20) 등이 대표적인 연구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사법과 법률의 각도에서 公案小说에 접근하는 연구21)는 1990년대에 간
혹 있었지만 2000년대 들어와서는 더 많은 성과를 보였다. 예를 들면 李爱然의
≪鬼神报应與明清法律文化≫22), 莊颖健의 ≪从“三言二拍”看明末社会民众的法律
意识≫23), 罗先红의 ≪宋元公案话本中法官形象的法文化史考察≫24), 宋丽君의
≪明代地方司法实践探究≫25), 张繼科의 ≪明清时期民间法律观念新探≫26), 陳雅
丹의 ≪“三言二拍”公案题材小说的法律文化研究≫27)등이 있는데 주로 법률문화
와 법률의식 측면에서 당시의 사회상을 재조명한 것이다.
清代 中葉에서 末期까지 발전한 ‘侠义公案小说’은 문학사에서 누차 언급된
16) 邓百意, <晚明的公案小说创作-小说观念的变迁與叙事模式的曲折演进>, ≪明清小说研究≫,
2005年第4期.
17) 龙希贤, <明清公案小说结構模式的变化>, ≪文學前沿≫, 2009年第1期.
18) 张晨, ≪中国古代白话短篇公案小说的叙事特徵≫, 天津师範大學 碩士學位論文, 2011.
19) 闫博, ≪清代侠义公案小说的叙事模式研究≫, 陝西理工学院 碩士學位論文, 2012.
20) 傅芳周, ≪唐五代公案题材小说的类型及其叙事特徵分析≫,北京外国语大学 碩士學位論文, 2014.
21) 卜安淳, <公案小說與古代司法>, ≪古典文學知識≫, 1992年第5期; 竺洪波, <公案小說與法律意
識—對公案小說的文化思考>, ≪明清小說研究≫, 1996年第3期.
22) 李爱然, ≪鬼神报应與明清法律文化≫, 华东政法大学 碩士學位論文, 2009.
23) 莊颖健, ≪从“三言二拍”看明末社会民众的法律意识≫, 復旦大学 碩士學位論文, 2012.
24) 罗先红, ≪宋元公案话本中法官形象的法文化史考察≫, 河北大学 碩士學位論文, 2013.
25) 宋丽君, ≪明代地方司法实践探究≫, 湘潭大学 碩士學位論文, 2015.
26) 张繼科, ≪明清时期民间法律观念新探≫, 兰州大学 碩士學位論文, 2016.
27) 陳雅丹, ≪“三言二拍”公案题材小说的法律文化研究≫, 陝西理工学院 碩士學位論文, 2016.
- 8 -
내용이고 연구 성과도 상당한 편이지만, 아직까지도 철저하고 세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으로 파악된다. 심지어 현재까지도 侠义公案小说의 개념
문제, 편목 등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나 기준이 없다. 그래서 敍事구조 등에 대
한 연구는 더욱 부족하다. 대표적인 연구는 아래와 같다.
박사논문으로는 范正群의 ≪清代侠义公案小说研究≫28)가 있고, 석사논문은
주로 대표적인 작품에 대한 연구로 예를 들면 马丽敏의 ≪<三侠五义>及其续
书研究≫29), 程廣萍의 ≪<三侠五义>中“五义”形象研究≫30), 张娜의 ≪<施公
案>與<三侠五义>比较研究≫31), 武禹含의 ≪<彭公案>研究≫32) 등이 있다. 그
리고 俠義정신과 清官문화를 연구한 논문으로는 朱乾의 ≪侠之演变與晚清公案
侠义小说≫33), 耿寶福의 ≪“侠义公案”模式下的清官與侠客≫34), 张燕의 ≪清代
白话公案小说研究≫35)등이 있다. 敍事學 각도에서 착안하여 연구한 논문은 闫
博의 ≪清代侠义公案小说的叙事模式研究≫36)로 敍事學 방법론을 활용하여 清
代 俠義公案小說을 전반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밖에 語學 측면에서도 清代 俠義公案小說에 대한 연구가 여러 성과를 보
였다. 冉君의 ≪清末公案小说中的比喻词语研究≫37), 焦方方의 ≪清末侠义公案
小说量词研究≫38), 王红玉의 ≪清末白话公案小说社会稱谓词研究≫39), 张文娴의
28) 范正群, ≪清代侠义公案小说研究≫, 扬州大学 博士學位論文, 2008, 이 박사논문은 주로 俠義
와 公案의 구분 및 합류, 그리고 俠義公案小說에 드러난 忠義사상과 문화적 연원을 검토하
였으나, 텍스트 내재의 敍事기교 등은 다루지 못하였다.
29) 马丽敏, ≪<三侠五义>及其续书研究≫, 黑龍江大学 碩士學位論文, 2005.
30) 程廣萍, ≪<三侠五义>中“五义”形象研究≫, 曲阜师範大学 碩士學位論文, 2015.
31) 张娜, ≪<施公案>與<三侠五义>比较研究≫, 北京外国语大学 碩士學位論文, 2015.
32) 武禹含, ≪<彭公案>研究≫, 吉林大学 碩士學位論文, 2016.
33) 朱乾, ≪侠之演变與晚清公案侠义小说≫, 苏州大学 碩士學位論文, 2008.
34) 耿寶福, ≪“侠义公案”模式下的清官與侠客≫, 山东大学 碩士學位論文, 2008.
35) 张燕, ≪清代白话公案小说研究≫, 陝西理工学院 碩士學位論文, 2011.
36) 闫博, ≪清代侠义公案小说的叙事模式研究≫, 陝西理工学院 碩士學位論文, 2012.
37) 冉君, ≪清末公案小说中的比喻词语研究≫, 山东大学 碩士學位論文, 2008. 이 논문은 清末 公
案小说인 ≪三侠五义≫, ≪彭公案≫, ≪施公案≫, ≪小五义≫중의 比喻词 및 比喻구조의 熟
语 특징을 살펴보며 比喻词의 유형 및 특색을 보여주었다.
- 9 -
≪清代侠义小说隐语研究≫40) 등을 들 수 있다.
臺灣에서 公案小說에 대한 연구는 1980-90년대에 상대적으로 활발하였다. 대
표적인 연구는 翁文靜의 ≪包拯故事研究≫41), 鄭春子의 ≪明代公案小說研究
≫42), 丁肈琴의 ≪俗文學中包公形象之探討≫43), 王琰玲의 ≪明清公案小說≫44)
등이 있다. 주로 明代의 公案小說, 특히 包公의 이미지와 소송문화에 집중되어
있다.
해외에서도 公案小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包公에 대한 해외 연구자 중
빠질 수 없는 선구자는 바로 马幼垣이다. 그는 水滸傳 전문가로서 包公文学에
도 많은 성과를 이루었다. 예일대학교(Yale University)에서 ≪中国通俗文学中
的包公传说≫(1971年)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明代公案小说的版
本传统-龙图公案考>, <三现身故事與“清风闸”>, ≪史实與構想的邂逅-包公與文
彦博≫, ≪天涯海角访包公≫등 많은 논문을 발표하여 미국에서 包公文化의 새
로운 기풍을 전파시켰다고 볼 수 있다. 그 중에 특히 <明代公案小说的版本传
统-龙图公案考>45)는 학술적 가치가 가장 높은 성과로 뽑혀 해외 학술계에서
38) 焦方方, ≪清末侠义公案小说量词研究≫, 山东大学 碩士學位論文, 2008. 이 논문은 清末 公案
小说인 ≪三侠五义≫, ≪彭公案≫, ≪施公案≫, ≪小五义≫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清末 侠义
公案小说 중의 名量词·动量词 및 상당수의 借用名量词·借用动量词의 사용 상황을 고찰하여
现代汉语 量词와 비교 연구하였다.
39) 王红玉, ≪清末白话公案小说社会稱谓词研究≫, 华中师範大学 碩士學位論文, 2014. 이 논문은
清末 白话公案小说인 ≪施公案≫, ≪于公案≫, ≪林公案≫중의 社会稱谓词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现代 语言学의 이론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더불어 세 작품 중의 社会稱谓词를 비교·
분석하여 변천과정을 보여주었으며, 또한 民俗语言学의 이론으로 당시 稱谓词의 禮俗 특징
도 함께 연구하였다.
40) 张文娴, ≪清代侠义小说隐语研究≫, 华中师範大学 碩士學位論文, 2016. 이 논문은 清代 전형
적인 侠义小说인 ≪施公案≫, ≪三侠五义≫, ≪小五义≫, ≪永庆升平≫, ≪兒女英雄传≫을
선정하여 그 중의 隐语를 전면적으로 통계 분석하고, 古今对比의 방법으로 隐语의 구사 규
칙 및 방법을 살펴보며, 隐语词의 특징을 총괄하였다.
41) 翁文靜, ≪包拯故事研究≫, 臺灣輔仁大學 碩士學位論文, 1988.
42) 鄭春子, ≪明代公案小說研究≫, 臺灣文化大學 碩士學位論文, 1996.
43) 丁肈琴, ≪俗文學中包公形象之探討≫, 臺灣輔仁大學 博士學位論文, 1997.
44) 王琰玲, ≪明清公案小說≫, 臺灣文化大學 博士學位論文, 2002.
45) 马幼垣, <明代公案小说的版本传统-龙图公案考>, 영문본은 ≪哈佛亞洲研究≫(卷35, 1975年)
- 10 -
도 영향력이 상당하다. 이 논문은 ≪龍圖公案≫에서 나온 고사들을 정리·분석
하여 독자로 하여금 明代의 단편 公案小說集들의 계승관계를 전반적으로 이해
하게 하였다. 그리고 그의 <≪全像包公演義≫補釋>46)은 일본에 소장되고 있는
≪百家公案≫(與耕堂刊本)과 한국에 소장되고 있는 萬卷樓刊本에 대해 비교연
구하여 비교문학의 선봉적 역할이 되었다.
그리고 1970년대 남가주대학교(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중국문학
과 교수인 조지 하이든(George Haydn)은 元明 시대의 杂剧을 연구하여 박사
학위를 받은 뒤 처음으로 包公戏인 <陈州放粮>, <乌盆记>, <後庭花> 등을
영문으로 번역해 ≪包公案≫(Harvard University Press)으로 출판하였다. 이
시기에는 또한 수산 브라드(Susan Brad)의 ≪<三俠五義>探研及其與<龍圖公
案>唱本的關係≫47)라는 논문도 있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많은 公案小說集은 일본에 소장되어 있어 일본에
서는 상당한 연구 성과가 나타났다. 그 중에 阿部泰記의 <明代公案小說的編
纂>48)이 가장 영향력이 있었다. 그의 연구는 马幼垣연구에 있는 오류들을 바
로잡고, 明代 公案小說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일본학자인 小野四平도
公案小說에서 특히 ‘三言’ 작품에 대해 많이 연구하였는데, <短篇白話小說中的
判案>49)이라는 논문에서 宋代와 明代의 公案 작품들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한국에서는 범죄와 법률이라는 제재를 주도적인 모티프로 한 소설을 ‘訟事小
說’이라는 용어로 규정된 바가 있다.50) 이에 선행연구에 대해 한국에서는 주로
두 가지 갈래로 되어 있는데, 하나는 중국 公案小說에 대한 연구, 또 하나는

에 실려 있고, 中譯본은 ≪中國古典小說研究專集≫2 (臺灣聯經出版事業公司, 1980年)에 실려


있다.
46) 马幼垣, <≪全像包公演義≫釋>, ≪中國古典小說研究專集≫5 (臺灣聯經出版事業公司, 1982年)
에 실려 있다.
47) 수산 브라드(Susan Brad), ≪<三俠五義>探研及其與<龍圖公案>唱本的關係≫, 펜실베이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Pennsylvania) 博士學位論文, 1977.
48) 阿部泰記, <明代公案小說的編纂>, 원고는 ≪日本中国学会报≫(1987年第39輯)에 실려 있고,
中譯본은 ≪綏化師專學報≫(1989年第4期, 1991年第1期)에 발표되었다.
49) 小野四平 著, 施小煒 譯, ≪中國近代白話短篇小說研究≫第2章, 上海古籍出版社, 1997.
50) 李宪洪, ≪朝鲜朝 讼事小说 硏究≫, 釜山大学校 博士学位论文, 1987年, 5-20쪽 참조.
- 11 -
한국 訟事小說에 대한 연구이다. 중국 公案小說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늦게 시
작되었다. 1990년대는 정동보의 ≪淸代俠義小說硏究≫51)가 있는데, 이 논문은
清代俠義小說에 대한 연구 중 俠義公案小說도 같이 언급하였다. 公案小說에 대
한 진정한 연구는 2000년대부터로, 고숙희, 박명진, 박소현52) 등 연구자들이 중
국 明代에 나온 公案小说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본격적인 연구에 전념하였다.
그러나 그들의 연구가 일정한 작품(≪百家公案≫, ≪龍圖公案≫)에만 집중되어
있다는 아쉬움을 남겼다.
박명진은 ≪明代白話公案小說硏究≫53)라는 논문으로 북경대학교에서 박사학
위를 받은 뒤 한국에서 꾸준히 관련 분야를 연구해왔다. 위 논문에서는 明代
白話公案小說의 창작과 간행, 清官현상과 이미지를 분석하고, 사법문화의 각도
에서 작품 속 사건을 고찰하며, 敍事구조와 예술적 특징까지 살펴보았다. 고숙
희는 ≪包公 公案小說 硏究: <百家公案>과 <龍圖公案>을 中心으로≫54)에서
가장 먼저 포증(包拯)을 중심인물로 등장시킨 첫 번째 短篇公案小說專集인 ≪
百家公案≫과 가장 나중에 등장하여 집대성적 성격을 지닌 短篇公案小說集인
≪龍圖公案≫이 두 작품을 중점적 분석대상으로 삼아, 두 작품집에서 보여지는
범죄스토리와 추리스토리, 그리고 그 안의 포증 형상을 살펴보았다. 강주완은
≪<百家公案> 硏究≫55)에서 ≪百家公案≫의 고사연원, 판본과 체재를 고찰한
뒤 수록된 公案小說들이 지니고 있는 敍事구조상의 구성요소들과 등장인물을
연구하였다. 錢錦은 ≪包公案小說所展現的晩明市井社會硏究≫56)에서 ≪百家公
51) 鄭東補, ≪淸代俠義小說硏究≫, 전남대학교 博士学位论文, 1995.
52) 朴昭賢, Law, I deology, And Popular Culture: A Study Of Tranditional Crime Fiction In
Late Imperial China And Choson Korea, Doctoral, University of Michigan, 2004.
53) 朴明真, ≪明代白話公案小說硏究≫, 北京大學 博士學位論文, 2002.
54) 高淑姬, ≪包公 公案小說 硏究:<百家公案>과 <龍圖公案>을 中心으로≫, 성균관대학교 博士
学位论文, 2002. 高淑姬는 ≪百家公案≫과 ≪龍圖公案≫두 작품을 한글로 번역하여 출판하
였다. 全譯은 아니고 ≪百家公案≫전체 100회 중 20회를 번역하였고, 1999년 群眾출판사에
서 출판한 ≪龍圖公案≫과 1996년 베이징옌산출판사에서 출판한 ≪包公案≫을 저본으로 하
여 ≪龍圖公案≫전체 100편의 이야기 중 15편을 선별해 번역하였다. 본고에서 ≪百家公案≫
과 ≪龍圖公案≫에 관련된 번역은 이 번역본을 참고하였음을 밝힌다.
55) 강주완, ≪<百家公案> 硏究≫, 연세대학교 博士学位论文, 2003.
- 12 -
案≫과 ≪龍圖公案≫을 중심으로 明末의 시정(市井) 실태를 살펴보았다. 이화
는 ≪<蘇知縣蘿衫再合>과 <蘇知縣蘿衫再合>계 ‘飜案類’小說의 比較硏究≫57)
에서 ≪警世通言≫에 수록된 화본소설인 <蘇知縣蘿衫再合>과 한국의 <蘇知縣
蘿衫再合>계 ‘飜案類’ 소설 작품군을 비교연구 하여 그들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규명하고 그에 따르는 민족의식과 정서적 특징을 밝혔다.
한국 訟事小說에 대한 연구는 주로 국문학계에서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
까지 많은 연구 성과가 이루어졌다. 대표적 연구는 李宪洪의 ≪朝鲜朝 讼事小
说 硏究≫58), 金忠实의 ≪讼事型 古典小说 硏究≫59), 신영주의 ≪朝鲜後期 讼
事小说 硏究≫60) 등이 있는데, 그 중에 李宪洪은 한국 訟事小說에 대한 본격적
인 연구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다. 그는 ‘訟事小說’이라는 명칭으로 개념 정리
하였고, 유형적 독자성을 강조하여 古小說의 한 갈래로 첨가시켰다. 그의 연구
는 한국 訟事小說의 敍事구조에 대한 부분은 내용면만 집중함으로써 敍事學의
이론을 이용한 작품 내적 특징들의 분석에는 한계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金
忠实은 訟事話素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訟事型 고전소설의 구성과 문제해결
방식과 유형을 분석하였다. 신영주는 조선 후기 讼事小说의 형성 및 敍事 유형
과 가족 윤리의식, 사회 구조적 문제의식을 살펴보았다. 2000년대 이래 訟事小
說의 유형과 전개 양상에 대한 연구도 다시 활발하였다. 관련된 연구로는 박여
범의 ≪訟事小說의 전개 유형과 현실인식≫61)과 박성태의 ≪朝鮮後期 訟事小
說의 類型과 展開樣相 硏究≫62)등이 있다.
이상의 한국 연구자들의 연구에서는 중국 公案小說에 대한 언급도 있지만
오류도 간혹 있어 보인다. 李宪洪의 저서인 ≪朝鲜朝 讼事小说 硏究≫63)에서는
56) 錢錦, ≪包公案小說所展現的晩明市井社會硏究≫, 부산대학교 博士学位论文, 2007.
57) 이화, ≪<蘇知縣蘿衫再合>과 <蘇知縣蘿衫再合>계 ‘飜案類’小說의 比較硏究≫, 충북대학교
博士学位论文, 2010.
58) 李宪洪, ≪朝鲜朝 讼事小说 硏究≫, 釜山大学校 博士学位论文, 1987.
59) 金忠实, ≪讼事型 古典小说 硏究≫, 梨花女子大学校 博士学位论文, 1991.
60) 신영주, ≪朝鲜後期 讼事小说 硏究≫, 祥明大学校 博士学位论文, 1996.
61) 박여범, ≪訟事小說의 전개 유형과 현실인식≫, 全北大學校 博士学位论文, 2001.
62) 박성태, ≪朝鮮後期 訟事小說의 類型과 展開樣相 硏究≫, 성균관대학교 博士学位论文, 2004.
- 13 -
≪百家公案≫과 ≪龍圖公案≫의 내용을 다소 혼동하는 면이 있고, 신영주의 저
서인 ≪조선시대 訟事小說 연구≫중 ‘중국 공안류의 영향’ 부분에서는 明代에
나온 公案小說 명작들을 訟事사건을 기록한 公案物이라고 하고, 清代가 되어서
야 公案小說이 나오게 되었다고 언급하는 오류64) 등의 예를 들 수 있다. 이것
은 중국 公案小說의 발전과정을 잘못 파악하고, 明代의 公案小說과 清代의 俠
義公案小說의 차이점을 인지하지 못하며, 또한 작품 간의 연원을 이해하지 못
해 야기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최근 몇 년 간은 公案小说에 관련된 비교연구도 활발해지고 있다. 公案小说
과 유사한 제재인 탐정소설, 추리소설과의 비교연구뿐만 아니라 訟事小說과의
비교연구도 시작되고 있다. 중국 公案小說과 한국 訟事小說을 비교연구하는 논
문은 장연호의 ≪韓·中 訟事文學의 比較硏究≫65)가 있는데, 이 논문은 영향연
구의 틀에서 벗어나 유형대비를 시도하였다. 또한 두 나라의 訟事문학의 토대
에 관심을 기울였고, 등장인물의 성격과 사건전개, 주제형성 등을 통해 한중
송사문학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그러나 장연호의 연구는 그의 스승인 이헌
홍의 訟事小說에 관련된 논점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는 아쉬움이 있다. 한편
중국·한국의 법률문화의 관계를 탐구하는 연구도 있는데 대표적인 연구로는
朴明真의 <明代 公案小说과 朝鲜时代讼事小说에 나타난 法文化>66), 朴昭贤의
<중국과 조선의 법률문화와 범죄소설의 계보학>67)과 <동아시아 범죄소설의
사회사-명청시기 公案小說과 조선후기 訟事小說의 비교를 중심으로>68) 등이
63) 李憲洪, ≪朝鲜朝 讼事小说 硏究≫, 三知院, 1997.
64) “明代에는 ≪백가공안≫, ≪상형공안≫, ≪율조공안≫, ≪황명제사공안≫, ≪명경공안≫, ≪
용도공안≫(포공안), ≪상정공안≫등 송사사건을 기록한 공안물이 대거 등장하는데 이러한
움직임은 清代에까지 이어져 ≪시공안≫, ≪팽공안≫ 등의 公案小說이 나오게 되고 (후
략)......” 신영주, ≪조선시대 訟事小說 연구≫, 신구문화사, 2002, 84쪽.
65) 장연호, ≪韓·中 訟事文學의 比較硏究≫, 부산대학교 博士学位论文, 2006.
66) 朴明真, <明代 公案小说과 朝鲜时代讼事小说에 나타난 法文化>, ≪中国语文学≫제47집,
2006.
67) 朴昭贤, <중국과 조선의 법률문화와 범죄소설의 계보학>, ≪비교문학≫제53집, 2011.
68) 朴昭贤, <동아시아 범죄소설의 사회사―명청시기 公案小說과 조선후기 訟事小說의 비교를
중심으로>, ≪명청사연구≫제46집, 2016.
- 14 -
있다. 대부분 소설의 형성배경에 맞춰 양국의 법률문화를 비교연구하였지만 작
품의 내재적 요소들의 비교는 상대적으로 적다.
苗懷明의 ≪中國古代公案小說史論≫의 부록 부분에는 <中國古代公案小說研
究論著·論文目錄>이 수록되어 있는데69), 이것은 여러 해를 거쳐 1900년대 초
부터 2004년까지의 연구 저술들을 수집하고 정리한 결과물이다. 그 중에는 전
문저서, 학위논문, 정기 간행물 논문과 신문·잡지 등의 간행물부터, 심지어 해
외 저술까지 포함되어 있다. 본고는 이를 바탕으로 2004년부터 2016년까지의
연구 성과들을 정리하여 종합적으로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제기한다.
첫째, 특정 작품에만 집중되고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국학계와
한국학계 관계없이 公案小說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특정 작품에만 집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包公을 중심축으로 한 ≪百家公案≫과 ≪龍圖公案≫, 清
代의 ≪三俠五義≫ 등의 작품이 가장 많이 다루어지는 작품이다. 이에 따라 위
작품의 주인공인 包公에 대한 이미지 연구도 자연적으로 가장 많았는데, 公案
小說은 ‘包公案’ 뿐만 아니라 다른 판관들과 그들이 해결하는 사건들도 충분히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본다.
둘째, 학제적 연구가 부족하다. 公案小說의 특수성은 다른 학문 분야와의 관
계를 가를 수 없게 한다. 특히 법학이나 법의학, 심리학적으로 많은 연구과제
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성과가 별로 없었다. 최근 몇 년간 중국에서
고전소설에 관한 학제적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아직까지 公案小說
분야에서는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인 것으로 파악된다. 앞에서 이미 보았듯이
법학적으로 연구하는 논문이 몇 편이 있기는 하지만 그것도 상호 기본 지식이
부족함으로 인하여 깊이 분석하지는 못하였다. 公案小說 속의 경제현상, 의학
문화 등은 상당히 흥미있는 연구과제이다.
3. 研究 범위 및 방법
公案에 관련된 역사는 아주 오래전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본고는 모든
69) 苗懷明, ≪中國古代公案小說史論≫, 南京大学出版社, 2005年, 附錄 348-363쪽.
- 15 -
시기의 모든 작품을 다 망라할 수 없어 宋, 元, 清代의 公案小說은 대표적인
작품만 선정하여 논술하고, 公案小說이 가장 성행했던 明代의 작품을 주요 연
구대상으로 삼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자료가 되는 구체적인 작품들은 明代 公案小說에 해당되는 12종의
短篇公案小說專集인 ≪百家公案≫, ≪廉明公案≫, ≪诸司公案≫, ≪新民公案≫,
≪海公案≫, ≪详刑公案≫, ≪律条公案≫, ≪法林灼见≫, ≪明镜公案≫, ≪详情
公案≫, ≪神明公案≫, ≪龙图公案≫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주요 논지를 전개해
나갈 것이다. 그리고 ‘三言二拍’과 ≪型世言≫중의 拟话本公案小说 작품도 함께
논의를 전개할 것이다. ‘三言’의 총 120편 작품 중 宋元시기의 40편 작품을 제
외한 나머지 80편 중 明代公案小说에 해당되는 작품은 18편이고, ‘二拍’의 총
80편 작품 중 明代公案小说에 해당되는 작품은 25편인 것으로 확인된다. 이에
본고는 明代에 해당되는 작품들을 중점적 분석대상으로 삼아 이 작품들에서
보여지는 敍事전략을 조명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제2장에서는 중국 公案小說의 연원과 형성에 주목하고 이 장르의 발전자취
를 정리하고자 한다. 公案小說의 기원에 대해서는 아직 정설은 없지만, 중국에
서 소송사건에 관련된 기록은 옛 정법 典籍에서 찾을 수 있고, 史書에서도 折
狱에 대한 기록이 제법 있는데 이러한 사건기록은 小說이라기 보다는 제재적
근원이라 할 수 있겠다. 진정한 ‘公案小說’은 宋元시기의 公案话本과 文言公案
小说로부터 明代의 短篇公案小说專集과 拟话本公案小说을 거쳐 清代의 侠义公
案小说까지를 말한다. 좁은 의미에서의 公案小說은 明代公案小说을 가리키기도
한다. 본 장에서는 특히 明代 公案小说의 발전, 유형 및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자 한다.
제3장에서는 明代 公案小說의 敍事시점과 敍事구조, 그리고 사건전개 양상을
살펴볼 것이다. 전지적 敍事시점은 고전소설에서 상용된 敍事시점으로 公案小
說에도 적용된다. 서술자가 절대적인 우월한 위치에 처하여 모든 정보를 장악
하고, 시간 순서대로 사건의 발생, 사건의 해결 과정을 서술하는 것이다. 대부
분 公案小說 작품은 전지적 敍事시점을 사용하고 있지만 제한적 敍事시점도

- 16 -
활용한 것으로 파악된다. 敍事구조는 ①公案기능에 의한 敍事, ②清官의식에
의한 敍事, ③勸誡목적을 위한 敍事, ④法律보급을 위한 敍事 등의 4가지로 나
누어 살펴보고, 사건전개 양상은 ①사건발생의 양상, ②사건해결의 양상, ③결
말의 양상 3가지로 주목하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明代 公案小說의 갈등양상 및 해결방식을 검토하고자 한다. 대
부분 短篇公案小說은 법학서의 편찬 체제를 사용하여 범죄 유형에 따라 분류
되고 있는데, 이에 작중 인물 사이의 극단적 대립관계와 갈등양상이 복합적으
로 드러나며, 사건을 해결하는 판관까지도 얽혀져 있어 더욱 복잡해진다. 이에
본 장에서는 明代 公案小說의 대표적 갈등양상을 포괄해서 ①性慾에 의한 남
녀갈등 및 해결, ②物慾에 의한 사회갈등 및 해결, ③윤리적 身分에 의한 가족
갈등 및 해결 등의 3가지로 나누어 살피고자 한다. 그리고 작중 인물 사이에
갈등이 벌어지는 동시에 그들의 이미지에서 드러나는 도덕관도 함께 검토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갈등을 야기한 원인과 해결하는 방식을 통해서 당시 사회
의 현실적 문제들을 엿 볼 수 있을 것이다.
제5장에서는 明代 公案小說의 등장인물의 유형에 주목하고자 한다. 본 장에
서는 기존에 清官의 이미지를 위주로 한 연구의 틀에서 벗어나 핵심인물 判官
의 심판 유형 및 심판 과정 중 부딪치는 법리와 정리의 문제를 살펴볼 것이고,
또한 부차적인 인물 유형은 생계형 피해자, 직업적 가해자와 다양한 조력자로
나누어 분석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장에서는 明代 公案小說에서 등장하는 동물
들의 敍事的 기능을 찾아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제6장에서는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明代 公案小說의 국내외 傳播와 影
響을 정리하고자 한다. 中國에서의 傳播는 주로 明清시기의 다른 장르에 끼친
영향에 주목하고, 서구 推理小說의 유입 및 발전도 함께 논의를 전개할 것이
다. 公案小說은 임진왜란 전후 다른 통속소설과 함께 조선에 전입된 후 수 많
은 독자들에게 읽혀졌다. 특히 包公을 주축으로 삼고 있는 公案小說들이 유입
된 후에 수용과 변이의 과정을 거쳐 널리 전파되었는데 본 장에서는 전파된
과정을 검토해 보고, 더불어 유사한 장르인 한국 訟事小說의 형성배경, 유형
및 구체적인 작품을 살펴보면서 중국의 公案小說과의 비교도 함께 해볼 것이

- 17 -
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각 장의 연구결과를 총괄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18 -
Ⅱ. 公案小说의 형성 및 발전
1. 公案小说의 연원과 형성
公案小說의 기원에 대해서는 아직 정설은 없다. 문자로 折獄 및 소송 사건을
기록하는 서적은 일찍이 출현하였으나 公案小說에 대한 기록은 찾을 수 없다.
일찍이 ≪尚書≫에는 사법관리가 공정하게 법률을 집행하는 것이 서술되어 있
고, 그 후에 ≪荀子≫, ≪韓非子≫등과 같은 諸子書에도 적지 않은 사법에 대
한 우화고사가 있으며, 兩漢의 법률문헌에도 사건에 대한 기록은 있다. 司馬遷
이 저술한 역사서인 ≪史記≫에는 ‘循吏列傳’70)으로 공명정대하게 법을 집행하
는 관리에 대한 기록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기록과 기술들은 엄격히 公案小說
이라고는 할 수 없고 公案小說을 형성하는 하나의 근원이라 하겠다. 魏晉南北
朝시기에 이르러서는 소설의 맹아인 志怪·志人 필기가 성행하였는데, 그 중에
도 折獄에 관한 줄거리가 많았다. 실사를 위주로 한 역사기록과 전기를 바탕으
로 저자의 상상과 허구를 첨가한 公案小說의 틀이 잡히기 시작하였다. 이어 唐
代에 본격적이고도 의도적인 소설이 창작되기 시작하여 公案小說 또한 모양을
갖추게 되었다.
이 밖에도 折獄사건을 집성한 자료들인 (五代)和凝, 和㠓 부자가 편찬한 ≪
疑狱集≫, (宋)郑克의 ≪折狱龟鉴≫, (宋)桂萬荣의 ≪棠阴比事≫와 (明)金陵竹林
子의 ≪萧曹随笔≫등이 잇따라 출시되었는데, 모두 관리들을 위한 것으로 折獄
할때 참고하는 법률 지침서들로 예술적이거나 문학적으로 가공하지 않았으므
로 小说이라 할 수는 없다. 胡士瑩에 따르면 “민간으로부터 하나의 技藝로서
公案에 문학을 부여하여, 그것으로 시민들이 苛政, 탐관, 절도, 강간과 살인 등
을 반대하는 소망을 표현하는 것은 아마도 南宋의 ‘說公案’부터 시작한 것이
다.”71)라고 하였다. 이것은 학계에서 가장 전통적이고 일반적인 견해이다.
70) ≪史記≫ ‘循吏列傳’에는 孫叔敖, 子產, 公儀休, 石奢, 李離 등의 인물이 사심 없이 공정하게
법을 집행하는 사적이 있다.
71) 胡士瑩, ≪話本小說槪論≫, 臺北: 丹靑圖書, 民國72[1983], 651쪽.
- 19 -
公案小說이란 명칭이 언제 시작되었는지는 명확치 않지만 宋代 ‘說話’의 분
류 중 ‘說公案’이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宋)耐得翁의 ≪都城记勝≫에서 ‘說話’
의 분류 항목 중 ‘說公案’이 포함된 것을 볼 수 있다.
“说话有四家一者小说谓之银字兒如烟粉靈怪传奇说公案皆是搏刀趕棒发迹变泰
之事”72)
ⓐ 说话有四家, 一者小说, 谓之银字兒, 如烟粉靈怪传奇说公案, 皆是搏刀趕棒发
迹变泰之事.
ⓑ 说话有四家, 一者小说, 谓之银字兒, 如烟粉靈怪传奇, 说公案皆是搏刀趕棒发
迹变泰之事.
위 문장은 방점 여하에 따라 여러 가지로 해석되었는데, 대체로 ‘说公案’과
‘皆是’의 관계에 기인하는 문제들이다. ⓐ ‘说公案’을 上讀하면 ‘烟粉’, ‘靈怪’, ‘傳
奇’와 ‘说公案’이 병렬관계로 ‘皆是搏刀趕棒及發迹變泰之事’에서 모든 항목을 포
함하는 내용으로 간주하고, ⓑ ‘说公案’을 下讀하면 ‘搏刀趕棒及發迹變泰之事’가
‘說公案’만 독자적으로 갖추고 있는 내용으로 간주한다.73) 이를 해석하기 위해
서는 당시의 작품들 및 다른 자료들도 함께 살펴보아야 한다.
≪都城记勝≫후에 나온 (宋)羅燁의 ≪醉翁談錄·小說開闢≫에서는 소설의 종류
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서술하였다.
“有靈怪烟粉傳奇公案兼樸刀桿棒妖術神仙”74)
羅燁은 소설의 종류를 靈怪, 烟粉, 傳奇, 公案, 樸刀, 桿棒, 妖術, 神仙 등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이 분류에는 ‘公案’, ‘樸刀’, ‘捍棒’ 등을 모두 소설의 하위 갈래
72) 商務印書館四庫全書出版工作委員會 編, (文津閣)≪四庫全書≫195(史部·地理類) ≪都城紀勝≫
(耐得翁), 商務印書館, 2005, 747쪽.
73) 鲁迅, 胡適을 비롯한 대부분 학자들은 下讀을 주장하고 있으며, 黄巖柏, 胡士瑩 등 일부 학
자는 上讀을 주장하고 있다. 上讀이든 下讀이든 문맥 상 모두 이해하기 어렵다.
74) (宋)羅燁 撰, ≪醉翁談錄≫, 世界書局, 民國47[1958], 3쪽.
- 20 -
로 간주한 것을 볼 수 있다. ‘樸刀’, ‘捍棒’은 ‘公案’에만 국한된 내용도 아니고,
‘靈怪’, ‘烟粉’, ‘传奇’, ‘公案’에 모두 포함된 내용도 아닌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
불어 羅燁은 ‘公案’의 세목으로 ≪石头孙立≫, ≪美女尋夫≫, ≪三現身≫, ≪独行
虎≫, ≪聖手二郎≫등의 16편75)의 公案작품을 나열하였다. 이 16편의 작품은
대부분 고증하기 어렵고, 이야기 내용을 알 수 있는 작품 중에도 ≪三現身≫만
折獄사건을 다루는 것 같다. 羅燁이 말하는 ‘公案’의 범주는 折獄 및 소송 사건
만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이보다 더 넓은 의미인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公案’은 宋代 羅燁에 와서야 비로소 하나의 소설 장르로 자리를 갖게 되었다
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公案小說에 대한 사전적 정의에서도 같은 견해를 볼 수 있다. ≪辭海≫에
“公案小說”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중국 舊小說의 한 갈래로 봉건사회의 寃獄과 소송사건을 위주로 다루는
것이다. 宋代 설화 중에는 이미 ‘說公案’과 같은 고사가 존재하고, 宋元 화본
중의 일부 公案小說은 주로 봉건 통치계층이 하층 백성을 박해하는 죄악을
비난하는 것이다. 明代 후기와 清代의 公案小說은 주로 清官의 청렴함과 공정
함을 찬양하지만 사회의 암흑을 폭로하는 의미는 비교적 적다.” 76)
위에서도 公案小說이 宋代의 ‘說公案’에서 기원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黃巖
柏은 이 설에 동의하지 않고, “說公案” 이전의 唐傳奇에서도 公案小說이 등장
하였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寃獄과 소송사건’이라는 것은 부분으로 전체를
개괄하는 것으로 宋元과 明清 시기의 公案小說에 대한 언급이 정확하지 않다
고 덧붙였다.77)
75) “言≪石头孙立≫, ≪姜女寻夫≫, ≪忧小十≫, ≪驴垛兒≫, ≪大烧燈≫, ≪商氏兒≫, ≪三现身
≫, ≪火杴笼≫, ≪八角井≫, ≪药巴子≫, ≪独行虎≫, ≪铁秤槌≫, ≪河沙院≫, ≪戴嗣宗≫,
≪大朝国寺≫, ≪聖手二郎≫, 此乃謂之公案.” (宋)羅燁 撰, 앞의 책, 4쪽.
76) “中國舊小說的一種. 以寫封建社會中的寃獄訟案故事為主. 宋代‘說話’中已有‘說公案’一類故事.
宋元話本中的一些公案小說, 對封建統治階級迫害下層人民的罪惡多有譴責. 明代後期和清代公
案小說多頌揚清官的明察與廉正, 較少具有對社會黑暗的暴露意義.” ≪辭海≫(縮印本), 上海辭
書出版社, 1989, 318쪽.
- 21 -
羅樹華가 편찬한 ≪小說辭典≫의 “公案小說”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관청에서 사건을 해결하는 것을 중심축으로 하여 전개되는 고사로 어느
정도 하층 인민들이 당한 억압을 반영하고, 통치계층의 어리석고 잔인함을 질
책하며, 清官 이미지를 형상화한다.”78)

위에서 언급한 관청에서 사건을 해결하는 것을 중심축으로 한다는 말은 다


소 단편적이다. 왜냐하면 사건발생 묘사에 치중하여 판결은 결말 부분에서만
몇 마디로 언급하는 公案小說도 부지기수이기 때문이다.
더 정확하게 알기 위해서는 公案小說에 관한 전문 저서에서 公案小说에 대
한 정의도 살펴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우선 黄巖柏은 ≪中国公案小说史≫에서 公案小说에 대한 정의를 내린 바가
있다.
“公案小說은 중국고대소설 제재상의 분류로, 사건의 발생과 해결의 과정을
병렬하여 묘사하거나, 혹은 한쪽에 치중하여 묘사하는 소설이다.”79)
범죄를 저지르는 것과 판관이 사건을 해결하는 것은 公案小說의 중요한 구
성부분으로 어느 것도 빠져서는 公案小說이라고 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黃巖柏은 사건발생과 사건해결을 병렬하는 경우 외에 한 쪽 묘사에 치중하
는 유형을 모두 公案小說의 범주에 귀속시켰다. 뿐만 아니라 黄巖柏은 사건발
생을 ‘犯罪’와 ‘正義作案’ 2가지로 나누고, 사건해결을 ‘해결[破案]’과 ‘판결[判
案]’ 2가지로 나누었다. 黄巖柏이 내린 정의는 비교적으로 객관적이고, ≪辭海
≫와 ≪小說辭典≫처럼 이데올로기에 빠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77) 黄巖柏, ≪中国公案小说史≫, 辽寧人民出版社, 1991, 13-14쪽.
78) “側重寫官府偵查破案的故事, 在一定程度上反映了下層人民所受的欺凌, 譴責的統治者的昏庸殘
暴, 塑造了一些清官形象.” 羅樹華, ≪小說辭典≫, 中國矿業大學出版社, 1989, 51쪽.
79) “公案小說是中國古代小說的一種題材分類; 它是幷列描寫或側重描寫作案, 斷案的小說.” 黄巖柏,
≪中国公案小说史≫, 辽寧人民出版社, 1991, 1쪽.
- 22 -
孟犁野 의 ≪中國公案小說藝術發展史≫에서는 公案小说의 내포적 의미를 더
욱 확장시켰다.
“宋元시기의 公案話本은 公案小說의 하위 체재나 갈래에 불과하다. 公案小
说의 외연은 마땅히 광범해져야 된다. ......(중략)......무릇 넓은 의미에서 散文
형식으로 정치, 형사·민사 사건과 판관들이 折獄에 관한 이야기들을 생동감
있게 묘사하는 것으로 인물과 줄거리가 있고, 구조가 비교적 완전한 작품은
모두 公案小说의 열에 들게 되어야 한다.”80)
孟犁野 는 公案小說의 내포와 외연을 모두 확대시킨 것으로 보인다. 公案話本
이 公案小說의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더 넓은 안
목으로 公案小說이라는 문학현상을 보고 있는 것 같다.
그리고 曹亦冰의 ≪俠義公案小說史≫도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曹亦冰은 宋
代의 說公案을 公案小说의 추형(雛形)으로 보고 있으며, 公案小说에 대한 설명
은 아래와 같다.
“公案小說은 公案사건을 제재로 한 소설로 응당 사건의 발생, 신고, 심리
(수사), 판결 등의 부분이 포함되어야 하는데, 公案小說이 형성된 초기에는 완
비되지 못하였다. 公案小說은 公案고사로부터 발전해 나왔기 때문에 맹아와
성장시기에는 때때로 완전하지 않아 사건의 발생과 심리 과정만 서술하거나,
사건의 발생과 신고 과정만 서술하거나, 사건의 신고와 심리 및 해결내용만
서술하는 경우가 있다.”81)
80) “宋元公案話本只能算是公案小說中的一種體裁, 一個品種......‘公案小說’這個概念的外延應該更寬
泛一些. ......凡是以廣義性的散文形式, 形象地敍寫政治, 刑民事案件和官吏折獄斷案的故事, 其中
有人物, 有情節, 結構較為完整的作品, 均應劃入‘公案小說’之列.” 孟犁野, ≪中國公案小說藝術
發展史≫, 警官教育出版社, 1996, 4쪽.
81) “公案小說是以公案事件為題材的, 公案小說理應包括作案, 報案, 審案(偵破), 判案等幾個環節.
然而公案小說在產生初期就不那麼完備, 因為公案小說是從公案故事發展起來的, 所以公案小說
在萌芽和成長時期往往是不完整的, 有的只寫了作案和破案的經過, 有的只有作案, 報案的過程,
還有的則只有報案, 審案和斷案的內容.” 曹亦冰, ≪俠義公案小說史≫, 浙江古籍出版社, 1998, 4
쪽.

- 23 -
曹亦冰 은 公案小說의 구성부분에 대해서 黄巖柏보다 더 많이 지목하였다. 실
제 公案小說 작품들을 보면 형성 초기뿐만 아니라 전성기인 明代의 작품에도
사건의 발생, 신고, 심리(수사), 판결 등의 부분이 모두 포함되는 작품은 흔하
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이런 점들로 미루어 볼 때 公案小說에 관한 전문 저서에서 公案小說에 대한
정의는 다소 차이가 있어 보이지만 折獄 사건이라는 큰 틀은 벗어나지 않았고,
다만 범주를 정하는데 있어는 각각 견해가 다르다고 볼 수 있다.
公案小說이 宋代의 ‘說公案’에서 기원되었다고 단정할 수 있을까? ‘說公案’이
전에 公案관련 고사들이 분명히 존재하였으므로 그 작품들의 규정도 필요하다.
우선 魏晉南北朝시기의 志怪·志人소설 중에서 상당한 公案고사를 찾을 수 있
다. 특히 志怪소설집인 ≪搜神记≫, ≪寃魂志≫, ≪冥祥记≫, ≪齐谐记≫, ≪宣
验记≫, ≪述異记≫, ≪旌異记≫등에 다양한 公案고사들이 들어 있는데, 이러한
작품들은 公案小說의 맹아라고 할 수 있다. ≪搜神记≫卷11의 ≪東海孝婦≫는
가장 대표적인 작품이다.
한(漢)나라 때, 동해군(東海郡)에 어떤 효부가 있어, 시어머니를 극진히 봉
양하였다. 시어머니가 이를 딱히 여겨 이렇게 탄식하였다. “며느리가 나를 봉
양하느라 이토록 고생하는구나. 나는 이미 늙었으니 어찌 나의 여생을 위해
며느리의 그 아까운 젊음에 누를 끼칠 수 있으리오!” 그리고 스스로 목을 매
어 죽어 버렸다. 그런데 그 시누이가 이 일을 관가에 고발하였다. “저의 올케
가 우리 어머니를 죽였습니다.” 관에서는 그를 붙들어 매어 놓고, 고문과 초
달로 독하게 다스렸다. 그 효부는 고초를 이겨내지 못하고 스스로 거짓 자백
으로 굴복하고 말았다. 당시 우정국(于定國)이 옥리(獄吏)였다. 그는 이렇게
의심을 품었다. “이 여자는 10여 년이나 시어머니를 봉양하여 그 효성이 널리
알려져 있다. 절대로 죽였을 리가 없다.” 그러나 태수는 우정국의 의심을 묵
살하고 말았다. 우정국은 사실일 리 없다고 다투다가 그 재판 기록을 껴안은
채 관부(官府)에서 울고는 떠나버렸다. 그 일이 있은 뒤부터 그 군에 큰 가뭄
이 들어, 3년을 두고 비가 오지 않은 것이었다. 그 다음 후임으로 태수가 오

- 24 -
자 우정국이 다시 나섰다. “그 효부가 사람을 죽였을 리가 없는데도, 지난번
태수가 이를 묵살하고 사형을 내렸습니다. 가뭄의 빌미는 틀림없이 그 사건
때문입니다.” 태수는 즉시 스스로 나서서 그 효부의 무덤에 제사를 지내고 그
묘를 표창하였다. 그러자 하늘에서 비가 내렸고, 그 해에는 풍년이 들었다. 장
로(長老)들은 이런 사실을 전해 주고 있다. “그 효부의 이름은 주청(周青)이
다. 주청이 사형당할 때 수레에 10장의 죽간(竹竿)을 싣고, 그 끝에 오색의
깃발을 매달았다. 그때 그 여자는 여러 사람들에게 이렇게 서약하였다. ‘나 주
청에게 만약 죄가 있다면, 사형을 달게 받기를 원한다. 그렇게 되면 내 죽어
흘리는 피가 당연히 이 죽간을 타고 밑으로 흘러내릴 것이다. 그러나 내가 억
울하게 죽는다면 피가 거꾸로 흘러 올라갈 것이다.’ 드디어 그의 사형 집행이
끝나자, 그 피가 청황색(青黃色)으로, 그 깃발을 단 깃대 대나무를 타고 위 끝
까지 올라갔다가, 그 깃발을 따라 다시 흘러내렸다고 한다.”82)
200여 자로 된 짧은 이야기지만 문장이 간결하면서도 생동감 있게 사건을
서술하였고, 敍事구조는 唐이전의 고소설 중 보기 드문 회상 장면을 사용하였
다. 등장인물로 태수는 사람의 목숨을 들풀같이 취급하는 반면 于公이라는 옥
리는 孝婦의 효도를 알고 그녀의 억울함을 풀어준다. 작중 인물 于公은 비록
지위는 낮지만 중국 公案小說에서 최초로 백성을 위해서 청원하는 청렴한 관
리 이미지로 볼 수 있다.83) 魏晉南北朝시기의 公案고사들은 사건을 중심으로
판관이 등장하여 그 사건을 해결하며, 각 작품 속 기본 틀과 公案적 요소들은
후세 公案小說들에 그대로 적용된다. 이 작품들은 公案小說의 문학적 기원으로
볼 수 있다.84)
82) 汉时, 东海孝妇, 养姑甚谨. 姑曰: “妇养我勤苦. 我已老, 何惜餘年, 久累年少.” 遂自缢死. 其女
告官云: “妇杀我母.” 官收擊之, 拷掠毒治. 孝妇不堪苦楚, 自诬服之. 时于公为狱吏, 曰: “此妇养
姑十餘年, 以孝闻彻, 必不杀也.” 太守不聽. 于公争不得理, 抱其狱词, 哭于府而去. 自後郡中枯
旱, 三年不雨. 後太守至, 于公曰: “孝妇不當死, 前太守枉杀之, 咎當在此.” 太守即时身祭孝妇冢,
因表其墓. 天立雨, 岁大熟. 长老传曰: “孝妇名周青. 青将死, 车载十丈竹竿, 以悬五旙. 立誓於众
曰: ‘青若有罪, 願杀, 血當顺下; 青若枉死, 血當逆流.’ 既行刑已, 其血青黄, 缘旙竹而上标, 又缘
旙而下云.” 干寶 撰; 林東錫 譯註, ≪수신기·東海孝婦≫, 동서문화사, 2011, 841-842쪽.
83) 孟犁野, ≪中國公案小說藝術發展史≫, 警官教育出版社, 1996, 8쪽.
84) 고숙희, ≪包公 公案小說 硏究: <百家公案>과 <龍圖公案>을 中心으로≫, 성균관대학교 博
士学位论文, 2002, 31쪽.

- 25 -
이어 唐五代시기의 公案고사는 주로 传奇소설과 笔记소설에 보존되고 있고.
대표작품으로는 ≪谢小娥传≫, ≪冯燕传≫, ≪国史补≫, ≪记闻≫, ≪朝野佥载
≫, ≪大唐新语≫, ≪逸史≫, ≪唐阙史≫, ≪玉堂闲话≫등이 있다. 이 작품들은
인물을 중심으로 고사가 전개되는데, 스토리가 완전하여 다양한 당시의 사회생
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传’과 ‘史’로 되어 있고 传记적 성격을 지니고 있어
이상적 인물 이미지를 형상화하는데 치중되어 있다.
唐代에 빠질 수 없는 인물은 張鷟이다. 그의 笔记소설집인 ≪朝野佥载≫에
는 범죄사건과 판관들이 사건을 해결하는 내용을 다루는 작품들이 제법 있었
는데 원서가 일찍이 유실되어 정확한 작품 수는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太
平廣記≫卷171 精察類에 수록된 折獄관련 이야기 중 7편은 張鷟의 ≪朝野佥载
≫에서 나온 것이다.85) 7편의 이야기는 ①蒋恒 ②王璥 ③裴子雲 ④郭正一 
⑤张楚金 ⑥董行成 ⑦张松寿 등이 있다.
그 중의 <董行成>을 예로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회주(懷州) 하내(河内)현에 동행성(董行成)이라는 사람은 도적을 추적해 찾
아내는 능력이 뛰어났다. 어느 날 어떤 사람이 하영(河阳) 장점(长店)에서 길
손의 가죽안장이 달린 당나귀를 훔쳐 날이 밝아올 때 회주에 도착했다. 동행
성은 길에서 그 물건을 훔친 사람을 보고 소리쳤다.
“이 도적놈아, 당장 당나귀에서 내렸거라!”
도적은 바로 내려와 잡혔다. 사람들이 동행성에게 어떻게 도적인 줄 알았냐
고 묻자, 동행성이 말했다.
“이 당나귀는 급하게 달리느라 땀이 나는 걸 보아 장거리를 가지 않은 듯
하고, 또 그 사람이 고삐를 잡고 사람들을 피해 다니는 것을 보니 들킬까 두
려워 그런 것이라 생각하여 알아냈소.”
그런 후 도적을 관아로 끌고 갔다. 잠시 후에 당나귀 주인이 찾아와 모든
일을 이야기하니 동행성의 말과 일치하였다.86)
85) 孟犁野, ≪中國公案小說藝術發展史≫, 警官教育出版社, 1996, 14쪽.
86) “懷州河内县董行成能策贼. 有一人从河阳长店. 盗行人驴一头幷皮袋. 天欲晓. 至懷州. 行成至街
中见之. 叱曰. 箇贼住. 即下驴来. 遂承伏. 人问何以知之. 行成曰. 此驴行急而汗. 非长行也. 见
人则引韁远过. 怯也. 以此知之. 捉送县. 有顷. 驴主寻踨至. 皆如其言.” 李昉등 編, ≪太平廣記
- 26 -
위에서 본 바와 같이 문장이 줄거리 위주로 서술되고 있어 내용이 거칠다.
그러나 정직한 동행성과 같은 사건해결을 주도하는 인물을 그렸다는 것은 후
세 公案小說의 제재적 근원이 되었다.
張鷟의 또 하나의 업적은 判詞集 ≪龙筋凤髓判≫을 편찬한 것이다. 判詞, 즉
판결문은 사법공문으로 문학적 가치가 그다지 높지 않은데 唐代에 판결문 작
성을 관리 선발의 기준으로 삼아 독특한 문체가 되었다. 당시의 문인들은 骈文
體로 판결문을 작성하였는데 문학 풍조에 따라 典故를 많이 인용하여 화려한
문체를 유행시켰다. 박학다식한 張鷟은 풍부한 사법 경험을 바탕으로 80여 편
의 판결문을 수집하여 ≪龙筋凤髓判≫을 편찬하였는데 체계적인 唐代 법률제
도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87) 후세에 書判體 公案小說을 형성하
는데 있어서도 영향을 주었다.
중국소설사나 중국문학사의 발전과정을 봐서는 宋元시기는 아주 중요한 전
환기라고 할 수 있다.88) 전대에 비해 이 시기의 문학은 장르나 창작 측면에서
모두 새로운 면모를 보였다. 宋元에 이르러 說公案이 출현하여 公案話本의 성
숙이 이루어졌고, 후세의 公案小說 창본작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黃巖柏은 公
案小說의 출현 및 성숙 시기를 唐代로 보는데89), 苗懷明은 公案小說의 성숙시
≫卷171, 中華書局, 1994, 1257쪽.
87) 현존하는 가장 이른 판본은 明弘治17년(1504)의 沈津刻本(2卷 78篇)으로 내용이 결여되어
있다. 嘉靖년간 劉允鵬이 주석을 붙이고 4권으로 나누었다. 현존하는 清代 필사본(张德荣抄
本,陈揆校藏抄本, 彭元瑞校跋抄本)은 모두 沈津本에 의거하여 필사된 것이다. 洪邁는 ≪容齋
續筆≫卷12에서 ≪龙筋凤髓判≫과 白居易의 ≪甲乙判≫을 비교·분석하고 ≪龙筋凤髓判≫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며 읽을 만한 판결문이 한 편도 없다고 평한 바가 있다. 商務印
書館四庫全書出版工作委員會 編, (文津閣)≪四庫全書≫281(子部·雜家類)≪容齋續筆≫ (洪邁),
商務印書館, 2005. 그러나 明清시기에는 ≪龙筋凤髓判≫에 대한 평가가 엇갈린다. 근·현대에
이르러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였으나, 1996년 1월에 中国政法大学出版社가 田涛
· 郭成伟에 의해 교감하고 주석을 단 ≪<龙筋凤髓判>校註≫를 출판하고, 부록 부분에는 郭
成伟의 <≪龙筋凤髓判≫初步研究>라는 논문을 실어, ≪龙筋凤髓判≫의 법학적 가치를 긍정
적으로 평가하였다. 그 후에도 霍存福, 潘峰, 吳承學, 苗懷明 등의 학자들은 각자 논문에서
≪龙筋凤髓判≫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만 상세하지는 못하였다. 譚淑娟의 논문인 <隸事的變
體與範式的立則—張鷟≪龙筋凤髓判≫的性質及創作分析>은 다른 논문과 달리 ≪龙筋凤髓判
≫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이다. 이 논문은 ≪貴陽學院學報≫(2008年第3期)에 실려 있다.
88) 苗懷明, 앞의 책, 27쪽.
- 27 -
기에 대해서는 조금 더 논의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90) 하나의 소설 장르로서
그의 성숙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작품수와 예술적 수준을 보는 것뿐만 아니라
명확한 창작 의도와 독서 의식을 갖추느냐가 더욱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唐代는 중국 고소설의 성숙기라는 점이 오랫동안 논의돼 왔고 공감대도 형
성돼 있다. 그러나 公案小說도 같은 궤적을 밟고 있는 것은 아니다. 비록 唐代
에 뛰어난 公案작품들이 많았지만 그 수많은 唐代소설 중 公案작품이 차지하
고 있는 비율은 높지 않았고, 뿐만 아니라 그 작품들은 대부분 자발적인 창작
물이 아니므로 唐代는 그저 公案小說 형성의 준비기라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하
고, 宋元시기가 되어서야 公案小說이 성숙된 소설 유형으로 되었다고 본다.91)
宋代 話本 중 公案제재로 된 작품들은 기본적으로 소설 창작의 규칙에 따라
사건발생과 사건해결에 초점을 맞춰 완성된 것이다. 소설의 敍事 기교면에서도
기본적인 체계와 내용을 갖추게 되므로 明代 擬話本公案小說의 창작을 위해
기반을 닦았다고 볼 수 있다. 전형적 話本小說인 ≪錯斬崔寧≫과 ≪簡帖和尚
≫92)은 宋代 公案話本의 대표작으로 널리 알려졌다. 창작자는 법률 지식의 보
급에 치중하지 않고, 소설의 줄거리에 중점을 두고 창작하여, 갈등설계와 세부
묘사를 중시하였다. 그러나 판관이 사건을 해결하는 내용이 비교적 적어 형식
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한편 說話人은 주로 생동감 넘치는 줄거리로 청중들을
끌어들이는데 이러한 줄거리 패턴은 후세 公案小說의 창작과 편찬의 원형이
되었다.
黃巖柏은 宋代의 公案小說 작품이 모두 60편93)이라고 귀납하였다. 그는 ≪醉
翁談錄≫중의 17편의 公案小說을 ‘私情公案’94)과 ‘花判公案’95)으로 나누었는데
89) 黃巖柏, 앞의 책, 77쪽.
90) 苗懷明, 앞의 책, 28쪽.
91) 苗懷明, 앞의 책, 27-30쪽.
92) 胡士瑩의 ≪話本小說概論≫에서는 이 작품을 元代의 작품으로 보고 있다. 앞의 책, 289-290
쪽.
93) 黃巖柏, ≪中國公案小說史≫, 遼寧人民出版社, 1991, 3-11쪽 참조. 그러나 苗懷明은 ≪太平廣
記≫중의 公案小說들은 모두 宋元시기 이전의 작품으로 포함시킬 수 없고, 野史筆記 중의
公案고사들을 포함시켜 보자면 宋元시기의 公案小說 작품이 어느 정도 규모가 있다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苗懷明, 앞의 책, 48쪽.
- 28 -
이것은 처음으로 제재와 문체에 따라 公案小說을 분류한 것이다. 그리고 ≪綠
窗新話≫와 ≪太平廣記≫에도 公案小說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고 하였다. 60편
의 작품은 아래 도표로 정리하였다.
<표2-1> 宋代 公案小說 작품
<石頭孫立>
<小說開闢>중 3편 <姜女尋夫>
≪醉翁談錄≫ ‘私情公案’ 1편, <三現身>
‘花判公案’ 15편, <静女私 通陈彦臣>편은 ‘煙粉歡合’類에
분류됐으나 ‘私情公案’으로 간주.96)
기타 1편
<苏守判和尚犯奸>편은 ≪醉翁談錄≫
≪綠窗新話≫ 13편 (12편) 의 <子瞻判和尚游娼>편과 중복되므로
12편으로 간주.
卷171, 卷172
≪太平廣記≫ <精察>條 28편

宋代 公案문학의 또 하나의 중요한 특징은 법률 관련 저서의 편찬이다. 판례


집, 판결문집, 법의학 전문 저서의 편찬은 公案小說이 발전할 수 있는 사회문
화적 조건을 마련해 줬다고 볼 수 있다.
≪疑狱集≫97)은 중국에서 현존하는 가장 이른 판례집으로 五代後晉의 和凝,
和㠓 부자가 편찬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정식적인 成書 시기는 宋代이며,
94) 私情公案: 남녀 치정에 얽힌 사건을 둘러싸고 벌어진 일을 판관이 해결하는 이야기.
95) 花判公案: 宋代 洪邁는 “세상 사람들은 자질구레한 이야기를 담은 유사(遺事)를 한담하는
것을 좋아하고, 여기에 익살스러운 것을 첨가하여 화판(花判).(世俗喜道瑣細遺事, 參以滑稽,
目為花判)”이라고 하였다. ≪容齋隨筆≫卷10 ≪唐書判≫, 上海古籍出版社, 1978, 127쪽. 이에
익살스럽고 해학적인 판결을 중심으로 하는 이야기를 花判公案이라고 한다.
96) 苗懷明은 이 작품을 ‘花判公案’으로 간주함. 앞의 책, 2005年, 31쪽.
97) ≪疑狱集序≫에 의하면 ≪疑狱集≫은 上·中·下 3卷,총 67편으로, 上卷은 和凝이, 中·下 2卷
은 아들인 和㠓이 편찬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四庫全書總目提要≫에는 “今本四卷,
疑後人所分也”라고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현존하는 판본은 4卷으로 보인다. (明)张景은 ≪
补疑狱集≫(6卷)을 편찬하였는데, 총 182편의 사건을 다루었다.
- 29 -
총 67편의 사건이 수록되어 있다. ≪疑狱集≫에서는 역대 공정하게 법을 집행
하고 백성들의 억울함을 풀어주는 사법 관리를 추앙할 뿐만 아니라 사법 檢驗
學에 대해서도 다소 소개하였으므로 최초의 법의학 전문 저서라고도 불렸다.
≪疑狱集≫은 한국에도 전래되었으나, 전래된 시기는 분명치가 않다. 기록에
의하면 文宗 13년(1059)에 고려에서 간행된 적이 있으며, 조선 초인 太宗 18년
(1418)과 成宗 14년(1483)에도 재간된 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조선 초기의
위정자들은 ≪疑狱集≫의 간행을 통해 당시 조선의 疑獄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98)
宋代에 또 다른 판례집은 鄭克의 ≪折狱龟鉴≫99)과 桂萬榮의 ≪棠陰比事
≫100)가 있다. ≪折狱龟鉴≫(일명≪決獄龜鑑≫)은 鄭克이 ≪疑狱集≫을 바탕으
로 다시 분류하고 증보하여 편찬한 것이다. 全20卷 총 395편의 사건을 종류별
로 편집한 것으로, 대부분의 이야기는 正史 속의 실존 인물을 바탕으로 서술한
것이고, 일부분은 筆記小說 속의 사건기록이다. ≪棠陰比事≫는 桂萬荣이 앞에
서 언급한 ≪疑狱集≫과 ≪折狱龟鉴≫ 두 판례집을 참고하여 嘉定 4년(1211)에
간행한 판례집으로 全1卷 총 144편의 사건이 수록되어 있다. 사건마다 모두 四
98) 김호, <조선초기 ≪疑狱集≫ 간행과 ‘無冤’의 의지>, ≪한국학연구≫, 2016年제41집, 430쪽.
99) ≪折狱龟鉴≫의 판본은 주로 3가지가 있다. 宋代 원본은 ≪宋史·藝文志≫에 실려 全20卷 총
395편의 사건들이 종류별로 편집되어 있지만, 지금은 전해지지 않는다. 明代 隆慶 간행본과
萬曆 간행본은 모두 2卷本으로 전해지나, 일부가 누락되어 총 140여 편의 사건을 기록하고
있다. 淸代에도 여러 간행본이 있는데 ≪四庫全書≫에 수록된 8卷本은 宋代 원본과 유사하
며 총 392편의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光绪 4년(1878)에 胡文炳은 ≪折狱龟鉴补≫(719편)
를 편찬하여 간행하였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1988년 上海古籍出版社에서 劉俊文의 ≪折狱龟
鉴譯註≫를 발행하였고, 2006년 北京大學出版社에서는 陳重業의 ≪折狱龟鉴补譯註≫를 발생
하였으나 오류는 제법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100) 棠陰은 감당(甘棠)나무의 그늘을 말하는 것으로, 周나라의 召伯이 감당나무 그늘에서 백성
들의 억울함과 소원을 듣고 선정을 베풀었다는 전설에서 나온 것이며, 比事는 소송 사건을
배열한다는 뜻이다. (宋)桂萬荣이 1211년에 ≪棠陰比事≫(1卷, 144편)를 간행하였다. 明代
景泰년간에 吳訥은 유사한 사건들을 삭제하고 남은 80편에 24편을 증보하여 총104편의 사
건을 형벌의 경중에 따라 배열하고 편집한 후, ‘附錄’까지 첨부하여 다시 간행하였다. 清代
朱绪曾·桂嵩庆 등은 宋本을 다시 수집하여 道光 29년(1849)에 ≪重刊宋本棠陰比事≫를 간
행하고, 이어 同治 6년(1867)에 ≪聚珍本棠陰比事≫를 간행하였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1980
년 群眾出版社에서 (明)吳訥의 산개본(刪改本)을 底本으로 陈顺烈이 校註한 ≪棠陰比事選
≫을 발행하였다.
- 30 -
言의 제목이 붙여져 있다. 위 판례집들은 꾸밈없이 직설적으로 서술한 것이 아
니라 어느 정도 문학적 색채도 지니고 있어 한때 대중들이 즐겨 읽던 심심풀
이 서적이 되기도 하였다. 후세 公案小說의 제재적 근원이기도 하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唐代부터 이미 판결문 작성이 관리를 선발할 때 보는
요건이 되어 張鷟의 判詞集인 ≪龍筋鳳髓判≫이 나왔다. 宋代에 이르러 判詞集
≪名公書判清明集≫이 나왔는데, 判詞와 관청 공문 등 470여 편이 수록되어 있
으며 종류별로 편집되었다. 苗懷明에 따르면, “이런 분류 방식은 明代의 短篇
公案小說集을 편찬하는데도 어느 정도 영감과 영향을 주었다. 판결문이 원래는
관청에서 쓰이는 문체이나 점차 민간으로 다가가 널리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특히 話素가 들어 있어 문학적 색채를 지니고 있는 判詞는 公案小說의 좋은
소재가 되었고, 편집 방식과 문체 또한 公案小說의 텍스트 형태에 영향을 끼쳤
다.”101)라고 하였다.
宋代에는 법의학 전문 저서도 성행하였다. 으뜸으로 치는 저서는 南宋 법의
학자 宋慈가 ≪疑狱集≫, ≪内恕錄≫등을 참고하고, 개인 실제 檢驗 경험을 결
합하여 편찬한 ≪洗寃集錄≫(1247년)이 있다.102) 중국 고대 법의학의 첫 번째
저서로서 시체 해부, 검사, 현장조사, 사인 감정 등 다양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
어 중국 법의학 발전의 지반을 닦았다. 明代 公案小說 속에 가끔 나오는 검시
장면들은 대부분 ≪洗寃集錄≫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明)余象斗가 편찬한
短篇公案小說集인 ≪諸司公案≫卷2 奸情类의 <黃令判凿死佣工>에서 黃縣令이
≪洗寃集錄≫을 인용하여 사건을 해결하려고 하는데, 잘못 인용해서 오판을 일
으켰다는 장면이 나온다.
黄 太尹은 连宇, 支秩, 俞厥과 함께 ≪洗寃錄≫을 보면서 “살아있을 때 입은
도상은 혈흔이 있고, 상처부위에 피멍이 있으며, 튀겨진 피 색깔도 선명해야
101) 苗懷明, 앞의 책, 36-37쪽 참조.
102) 현존하는 가장 이른 판본은 元刻本 ≪宋提刑洗寃集錄≫으로, 총 5卷 53項(檢驗總說, 驗傷,
驗尸, 辨傷, 檢骨 등)으로 되어 있다. 현재 北京大學圖書館善本室에 소장되어 있다. 通行本
으로는 (清)孙星衍元椠重刊本(≪岱南阁丛书≫)에 의거하여 復校한 ≪洗寃集錄點校本≫(法律
出版社, 1958年); 杨奉琨校译本 ≪洗寃錄校译≫(群众出版社, 1980年); 贾静涛點校本 ≪洗寃
集錄≫(上海科学技术出版社, 1981年) 등이 있다.
- 31 -
하고, 죽은 후에 입은 도상은 피부색이 창백하고 튀겨진 피도 없어야 한다.
피부색이 창백한 것은 죽은 후에는 혈맥이 통하지 않기 때문이다”라고 말하
였다.103)
이 사건은 결국 오판 사건이었지만 ≪洗寃集錄≫이 당시 사회에 성행되었다
는 것이 방증이 될 수 있다. 이어 ≪平寃錄≫(無名氏)과 ≪無寃錄≫(王與, 1308
년)104)은 모두 ≪洗寃集錄≫을 참작하여 편찬한 것이다. 특히 ≪無寃錄≫은 한
국과 일본까지 전해져 이 두 나라의 검험 지침서가 되면서 법의학 발전에 큰
공헌을 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한국의 전파 상황을 간략히 살
펴보기로 한다.
≪無寃錄≫은 조선 世宗 시기에 明나라로부터 수입된 후 글자가 심오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 많으므로 世宗 20년(1438)에 崔治雲·李世衡·卞孝文·金滉
등에게 명하여 ≪無寃錄≫에 주석을 더하고 音训을 붙이고, 柳義孫에게 서문을
명하여 ≪新註無寃錄≫이라는 이름으로 간행하고 반포하였다.105) 이는 중국 고
대 법의학 전문 저서 최초로 국외에서 주석본으로 편찬되었다는 것을 보여주
고 있다. ≪新註無寃錄≫을 간행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일본으로 수입되어 ≪
無寃錄述≫로 중판되었다. 본서는 또 몇 차례 재판을 거쳐 일본 법의학의 중요
한 서적이 되어 일본의학계에 널리 알려졌다.
≪新註無寃錄≫은 조선시대에 약 300년간 실용되었으나, 애매하고 잘못된 것
이 많다고 하여 英祖 21년(1745)에 ≪续大典≫을 편찬할 때 具宅奎에게 명하여
≪新註無寃錄≫을 증보하고 용어를 교정·해석하게 하여 1748년에 ≪增修無寃
103) “黄太尹把≪洗寃錄≫指與连宇, 支秩, 俞厥成三人同看, 曰: ‘凡生前刃伤, 即有血汁, 其所伤处
血荫, 四畔创口多血花鲜色. 若死後用刃割伤处, 肉色即乾白, 更無血花. 蓋以死後血脉不行, 是
以肉色白也.’” ≪古本小說集成≫117 <皇明諸司公案>, 上海古籍出版社, 1990, 137-138쪽.
104) 元代 王與(1261-1346)의 ≪無寃錄≫은 宋代의 ≪洗寃集錄≫, ≪平寃錄≫ 및 ≪结案程式≫
을 참작하여 元代의 검험제도 및 저자 개인의 경험과 결합해 편찬한 检验의 전문서적이다.
본서는 上·下篇으로 나누어져 있고, 대부분 ≪洗寃集錄≫, ≪平寃錄≫의 내용을 인용하였지
만 银钗试毒, 自缢과 勒死의 구분법에 대한 논술은 저자 王與의 창신적인 의견들이었다.
이에 ≪無寃錄≫은 ≪洗寃集錄≫, ≪平寃錄≫과 함께 ‘法家检验三錄’으로 불리웠다.
105) 王與 撰; 최지운 외 주석; 김호 옮김, ≪신주무원록≫, 사계절, 2003, 16쪽 참조.
- 32 -
錄≫으로 간행하고 반포하였다. 그러나 이도 내용이 너무 어렵다고 하여 具宅
奎의 아들인 具允明과 율학교수 金就夏가 다시 증수하였다. 그 동안 조선에서
누적된 다양한 검험 지식과 수사 기법 가운데 기록할만한 것은 모두 첨가하여
≪增修無寃錄大全≫을 편찬하여 1796년에 校書館에서 간행하였다.
≪新註無寃錄≫과 ≪增修無寃錄≫은 모두 汉字로 간행되어 조선 검험 중 광
범위하게 사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하여 正祖 16년(1792) 徐有隣
이 주관하여 金就夏·兪漢敦·韓宗鎬·朴在新 등과 함께 한글로 토를 달고 필요한
주석을 더하여 ≪增修無寃錄谚解≫를 간행하였다.106)
≪無寃錄≫이라는 법의학 전문 서적은 중국에서는 단지 관리가 검험할 때
사용한 참고 서적이지만 조선에 수입된 후에는 참고 서적일 뿐만 아니라 사법
관리를 임용하는데 있어 한 가지의 시험 과목이 되었다. ≪無寃錄≫은 사법 관
리들의 필수 서적으로, 조선 법의학 발전에 높은 가치가 있다. 더불어 조선후
기 訟事小說 창작에도 큰 영향을 주었으리라 짐작된다. 이는 중한 문화·문학
교류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元代에 이르러 희곡이 발전하여 무대에 公案戏가 출현하게 되는데 宋代 公
案 고사의 특징을 계승하였다. 元나라는 몽골족이 세운 나라로 민족 간의 억압
이 심했는데 公案戏의 큰 역할은 바로 包公 이미지를 사용하여 당시 통치에
대한 불만을 폭로하는 것이었다. 이후 公案戏의 제재가 광범위해져 家產 문제
등뿐만 아니라 황제의 친인척과의 투쟁 내용도 추가시켰다. 이로부터 包公 고
사나 包公 이미지가 민간에서 널리 퍼졌다. 胡士瑩에 따르면 “극작가들로 인하
여 만들어진 包公 이미지는 억울한 누명을 벗겨 주고, 폭도들을 제거하고 백성
을 평안하게 하는 청렴하고 공정한 관리뿐만 아니라 당시 백성들의 정권을 누
리고 있는 몽골 점령자를 향한 항쟁의 무기이기도 하였다. 包公의 지위는 압도
적이면서도 신화적 색채에 물들었다.”107)라고 하였는데, 이러한 전통은 明代까
106) ≪增修無寃錄谚解≫의 간행년도에 대해 학계에서는 아직 쟁론이 상존한다. 卷尾에 수록된
구윤명의 발문 내용에 의거하면 ≪增修無寃錄大全≫(1796)보다 일찍인 正祖 16년(1792)에
간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鄭在永은 ≪日省錄≫의 내용에 의거해서 위 관점을
뒤집어엎었다. 그는 1792년에 간행되었던 ≪增修無寃錄谚解≫를 그저 초고로 보고, 완성본
은 正祖 20년(1796)에 간행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재영, <법의학서, 증수무원록대전과
증수무원록언해>, ≪정조대의 한글 문헌≫, 문헌과해석사, 2000年, 185-204쪽 참조.

- 33 -
지 이어졌다.
통계에 근거하면 元代 雜劇 名目은 약 500여 종에 달했는데, 현존하는 162종
에서 公案戏가 19종을 차지하고 이 가운데 包公에 관한 이야기는 11종이다. 목
록은 아래와 같다.108)
① ≪包待制陈州粜米≫(無名氏)
② ≪包待制智斩鲁斋郎≫(关汉卿)
③ ≪包待制智賺灰阑记≫(李潜夫)
④ ≪王月英元夜留鞋记≫(曾瑞)
⑤ ≪包待制智赚生金阁≫(武汉臣)
⑥ ≪玎玎珰珰盆兒鬼≫(無名氏)
⑦ ≪包龙图智勘後庭花≫(郑廷玉)
⑧ ≪包待制三勘蝴蝶梦≫(关汉卿)
⑨ ≪包待制智赚合同文字≫(無名氏)
⑩ ≪神奴兒大闹开封府≫(無名氏)
⑪ ≪鲠直张千替杀妻≫(無名氏)
이 가운데 包公戏 작품인 ≪包待制智賺灰阑记≫(일명 ≪包待制智勘灰栏记≫,
약칭 ≪灰阑记≫, ≪灰栏记≫, ≪灰兰记≫)는 일찍이 유럽까지 전파되어 독일
연극계의 거장인 베르톨트 브레히트(Bertolt Brecht, 1898-1956)에 의해 1945년
에 연극 ≪高加索灰栏记(The Caucasian Chalk Circle)≫109)로 개작되었다. 이
작품은 유럽뿐만 아니라 러시아, 일본까지 널리 전해졌다. 이외에 또 산일된
107) 胡士瑩 著, 앞의 책, 656쪽.
108) 陳濤, ≪包公戲研究≫, 曲阜師範大學 博士學位論文, 2009, 38-41쪽 참조.
109) <The Caucasian Chalk Circle(코카사스의 백묵원)>에서는 아이를 버린 생모와 그 아이를
키워준 하녀 그루샤(Grusha)가 서로 자신의 아이라 주장하며 그 아이를 차지하려고 싸우
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재판관이 백묵으로 그은 원(백묵원) 안에 아이를 넣어두고 아이
의 팔을 붙잡고 당기는 쪽이 친모라고 말하자, 그루샤는 아이가 다칠까 잡아당기지 못한
다. 이에 재판관은 그루샤가 진정한 모성애를 보여주었기 때문에 그녀가 진짜 어머니임을
선언한다. 이 이야기는 구약의 솔로몬의 판결과 유사하다. 연극 작품으로는 1948년 영어로
초연(初演)됐고, 1949년 독일어로 된 극본 <Der kaukasische Kreidekreis>가 나왔다.
- 34 -
包公戲 11종이 있다.
公案小說은 위와 같은 발전 과정을 거쳐 明代에 이르러서 가장 번성한 시기
를 마주하게 된다. 明代 초기에는 각종 传奇體와 笔记體로 된 文言小说集에 많
은 文言短篇公案小说이 흩어져 있었다. 예를 들면 ≪剪燈餘话≫(李昌祺) 중의
<瓊奴传>과 <芙蓉屏记>, ≪野记≫(祝允明)중의 <金瓶失竊>, ≪觅燈因话≫
(邵景詹) 중의 <贞烈墓记> 등이 있다. 이 작품들은 明末의 擬話本公案小說에
서 많이 개작되었다. 예를 들면 <芙蓉屏记>는 凌濛初에 의해 ≪拍案驚奇≫卷
27 <顾阿秀喜舍檀那物 崔俊臣巧会芙蓉屏>으로 개작되었고, 郎瑛의 ≪七修類
稿≫중의 <沈鳥兒一鳥五命>은 馮夢龍에 의해 ≪喻世明言≫卷26 <沈小官一鸟
害七命>으로 개작되었다.
明代 중·후기에는 경제가 급속히 발전하여 서민들의 생활이 풍요롭게 되면
서 개개인의 의식도 각성되는 동시에 사회 풍조가 나날이 거칠어져 물욕이 흘
러넘쳤다. 당시 통속문학이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어 출판업계도 신속하게
팽창하고 있었다. 이러한 사회문화 환경 속에서 公案小说은 전성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萬曆년간에는 ‘公案’이란 단어로 명명한 短篇公案小说专集과 문인들이
정리·창착한 拟话本短篇公案小说이 출현하고, 끊임없이 간행되어 한 시대를 풍
미하였다.
短篇公案小说专集이 수량이 가장 많아 12종에 달하였는데, 대표작으로는 ≪
百家公案≫, ≪廉明公案≫, ≪新民公案≫, ≪龙图公案≫등이 있고, 拟话本短篇
公案小说들은 주로 ‘三言二拍’에 수록되어 있는데, 수량상 专集만큼은 아니지
만, 텍스트의 질은 한 층 높아졌다. 위에서 언급한 文言短篇公案小说과 함께
公案小说에 대해 黄巖柏은 明代 公案小说의 “三足鼎立”110)이라고 일컬었다. 이
러한 公案小说들은 明代 公案小说의 전례 없는 성황을 조성하였다. 구체적인
발전 과정은 2절에서 상세히 서술하겠다.
公案小說이 明代에 전례 없던 성황을 겪고 나서 清代에 이르러서는 쇠퇴 추
세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文言短篇公案小說은 다른 양상이 나타나 또
하나의 고조를 일으켰다. 그 중의 가장 뛰어난 文言短篇小說集은 蒲松齡의 ≪
110) 黄巖柏, 앞의 책, 136쪽.
- 35 -
聊齋志異≫로 뽑힌다. 黃巖柏은 ≪聊齋志異≫에 들어있는 公案小說들은 중국
文言短篇公案小說 창작의 최고봉이자 심지어 公案小說 중에도 제일봉으로 극
찬하였다.111) ≪聊齋志異≫의 494편112)의 短篇小說 중 公案小說에 해당된 작품
은 45편으로 약 9%정도 차지하고 있고, 그 외에 公案小說이라고 할 정도는 아
니지만 公案 줄거리나 요소들이 들어있는 작품은 약 49편에 이르는 것으로 파
악된다. 黃巖柏의 ≪中國公案小說史≫에서는 도표로 상세히 소개하고 있어 본
논문에서는 중복하지 않겠다. 公案小說의 기준을 완화한다면 公案요소만 들어
있는 작품들 중에도 약 20여 편 정도는 公案小說에 귀속시킬 수 있어 총 60여
편의 公案小說이 있다고 해도 무방하다. 이에 公案小說이 ≪聊齋志異≫의 전체
작품의 13%를 차지하고 있어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 黃巖柏은 또한 각 작
품에 대해 1,2,3 등급을 매겼고 그 중 1급에 해당된 작품은 50%나 된다고 하
였다.113)
수량상의 우세일 뿐만 아니라 작품의 문학성으로도 뛰어나다는 것으로 파악
된다. ≪聊齋志異≫중의 公案小說은 주로 筆記體와 傳奇體의 비중이 많고, 길
이가 일정하지 않고 이야기 유형도 다양하다. 전통적 公案小說 창작법을 돌파
하여 세밀한 구조와 안배를 하고, 인물에 대한 묘사 또한 적절하여 단순히 清
官만 찬양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성이 있는 판관들의 모습을 볼 수 있으며,
관료사회에 대한 풍자와 비평도 담겨져 있다. 가장 뚜렷한 특징은 함부로 다른
작품을 답습하지 않는 것이라 생각한다. 佳作으로 뽑을 만한 작품은 <席方
平>, <臙脂>, <折獄> 등을 들 수 있다. 저자는 더욱 현실적인 안목을 가지고
창작하여 거짓되고 악하고 추한 것은 폭로하고, 진실하고 선량하고 아름다운
것은 칭송하고 있다는 것이 충분히 구현된다. 이에 黃巖柏은 ≪聊齋志異≫를
높이 평가하여 ‘公案小說의 고급 예술품’114), ‘龍頭’115)라고 하였다.

111) 黃巖柏, 앞의 책, 223쪽.


112) 朱其铠의 ≪全本新註聊斋志異≫는 494편이고, 张友鹤의 ≪聊斋志異会校会註会评本≫은 491
편으로 되어 있다.
113) 黃巖柏, 앞의 책, 190-199쪽.
114) 黃巖柏, 앞의 책, 208쪽.
115) 黃巖柏, 앞의 책, 222쪽.
- 36 -
이외에 清代의 文言公案小說集에서 언급하지 않을 수가 없는 작품은 蓝鼎元
의 ≪鹿洲公案≫이라고 생각한다. 蓝鼎元은 청나라의 정직하고 유능한 관리로
정치 공적이 뛰어났다. 그런데 간신들의 모함으로 면직 후 투옥되는데, 바로
그 옥중에서 자신이 재직 때 처리했던 사건들을 정리하여 ≪鹿洲公案≫116)(2
卷 24편)을 완성하게 되었다. ≪鹿洲公案≫은 주로 저자가 재직 기간에 심리하
고 해결했던 사건들을 바탕으로 저술한 것이므로 寫實소설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살인, 절도, 강도 등 사회의 여러 범죄 사건들이 담겨져 있고 관료 사
회의 추잡한 행위들이 확연히 드러난다. 明代의 短篇公案小說專集에 비해 가장
큰 차이는 다른 작품을 답습한 흔적이 없고, 저자 본인이 실제 체험한 사건이
므로 해결과정 중 미신적 수단이나 신적 요소들을 찾아볼 수가 없고, 모두 판
관 본인의 지혜와 능력으로 해결되었다는 점이다. 이외에 清代의 筆記小說 중
에도 文言公案小說들이 수록되어 있다.117)
話本小說이 清代에 이르러서는 短篇話本은 점차 쇠약해지고 長篇話本이 公
案俠義小說 형식으로 발전하였다.118) 장편 章回體 公案小說은 嘉庆 후에 붐을
일으켜 清末까지 지속되었다. 이때 公案小说과 侠义小说이 합류되어 侠义公案
小说이 형성되었다.119) ≪施公案≫(嘉慶25년, 1820)이 최초로 출현한 侠义公案
小说 작품으로 ‘以武犯禁’의 협객과 청렴하고 정직한 관리가 서로 대립된 관계
에서 연합하게 되어 함께 사건을 해결하며, 폭도들을 제거하고 백성을 평안하
게 한다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그 후에도 公案小说의 새로운 길이 개척되어
章回體 俠義公案小說은 끊임없이 등장하였다.
侠义小说과 公案小说의 합류를 이루어지게 한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사
회 환경면에서는 ‘康乾盛世’ 이후 내우외환이 겹치게 되어 각종 사회적 갈등이
116) 일면 ≪藍公案≫, ≪公案偶記≫, 간행할 때는 사람들의 주목을 끌기 위해 ≪繪圖藍公奇案
≫으로 바꾸었다.
117) 袁枚의 ≪子不語≫, 紀昀의 ≪閱微草堂筆記≫, 顾公燮의 ≪消夏闲记≫, 青城子의 ≪志異续
编≫등 筆記小說 중 公案小說 작품을 찾을 수 있다.
118) 胡士瑩 著, 앞의 책, 650쪽.
119) 曹亦冰은 侠义小说의 기원을 先秦兩漢 시기로 보고 있으며, 당시 요동치는 정세에서 제후
국들이 세력을 넓히기 위하여 서로 다투어 협객과 의사를 많이 양성하였다. 曹亦冰, ≪侠
义公案小说史≫, 浙江古籍出版社, 1998, 2쪽.

- 37 -
첨예화되었으므로 정권을 공고히 하고, 민심을 안정시키기 위해 관리들이 협객
들의 의탁을 받아들이게 되면서, 협객을 이용해 사회적 갈등을 완화하고 치국
안민의 정책을 실시하기 위함이었다. 또 한편으로는 협객들도 관리에 빌붙는
것으로 자신의 명분을 바로잡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때 公案小说은
진부한 패턴으로 반복하고 있어 많은 독자들이 이탈하게 되어 새로운 유형의
소설을 찾게 되었다. 侠义와 公案의 합류는 마침 독자들의 심리적 요구를 만족
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俠義公案小說의 대표작으로는 ≪于公案≫, ≪三侠五义≫, ≪七俠五義≫, ≪彭
公案≫등과 그것들의 속편들이 있다. 편폭이 길고 대체로 100회 이상의 章回體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심지어 500회가 넘는 작품도 있다.120) 줄거리는 대체로
관리가 협객과 함께 사납고 횡포한 무리를 제거하고 선량한 백성을 평안하게
해주는 이야기이다. 민간 광대들의 说唱 내용을 바탕으로 개작하고 정리한 작
품도 있는데 ≪彭公案≫, ≪三侠五义≫가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특히 ≪三
侠五义≫는 道光·咸豊년간 유명한 說書人인 石玉昆의 ≪龙图公案≫ 강창필기
를 바탕으로 개작된 것으로 내용이 잘 짜여져 있어 독자들을 황홀경에 빠지게
한다. ≪三侠五义≫는 包公戲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재가 되었으며, 清代
희극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侠义와 公案이 결합한 후
에는 公案의 요소가 점차 약화되어져 협객들이 사건해결의 주도적 역할을 하
고 있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한다. 公案에 속한 부분은 여전히 明代 公案小說의
이야기를 답습한 형태이며, 줄거리와 구조상은 현저한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
으로 보인다.
한편, 清代에는 정치화된 公案小說도 출현하였다. 대표작은 ≪武则天四大奇
案≫(光緒16년, 1890)121)으로 狄仁傑이 주도하여 해결하는 5개의 사건을 다루
고 있는데 그중의 3개는 정치적 성격을 띠고 있다. 서론 부분에 언급하였던 로
베르트 한스 반 훌릭(Robert Hans van Gulik)은 이 작품의 앞 30회를 영문으
120) ≪施公案≫(光绪 29년)正集은 8卷 97回로 되어 있으나 속편들이 끊임없이 이어져 528回까
지 되었다. 正集은 公案을 위주로 하고, 續集은 俠義를 위주로 서술하고 있다.
121) 일명 ≪狄公案≫(64회), ≪古本小說集成≫550 ≪武則天四大奇案≫, 上海古籍出版社, 1990.
- 38 -
로 번역하고, 본인도 대형의 狄公小說 ≪大唐狄公案≫을 창작하여 한 시대를
풍미하였다.
그리고 清代의 擬話本小說集에서도 약 60편의 短篇公案小說이 수록되어 있
는데 내용은 대체로 ‘三言二拍’ 중의 이야기를 답습하는 것이 많고, 치정과 재
산 분쟁 사건들을 많이 다루고 있다.
전반적으로 清代의 公案小說은 문학성뿐만 아니라 오락성과 대중성을 함께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俠義와 公案의 합류는 公案小說史上 새로운 한발
을 내딛었으나 실질적인 발전은 실현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公案小說이 다양한
형식으로, 특히 경극의 주요 제재가 되어 대중 앞에 나타나게 된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본다.
2. 明代公案小说의 발전과 유형
公案小說은 좁은 의미로는 明代公案小说을 가리키기도 한다. 그 만큼 明代는
公案小说 발전사에서 아주 중요한 시기인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당시의 문
학적인 환경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으며, 또한 明代의 통치계층이 법률의 보급
을 중요시한 결과이기도 하다. 본 절에서는 明代公案小说의 형성 및 유형에 대
해 살펴보기로 한다.
1) 明代公案小说의 興盛
1368년 朱元璋은 明나라를 건립한 후 바로 북벌을 단행하여 중국을 통일시
켰다. 이에 98년 동안 몽골의 지배를 받아 온 中原 지역은 朱元璋에 의해 다시
漢의 정치·문화 제도로 회복되었다. 평민 출신이었던 朱元璋은 사회적 병폐의
척결을 중시하여, 민생, 경제 재건에 힘을 기울였으며, 적극적으로 文敎정책을
실시하였다. 정권초기에는 몽골이 남긴 제도와 그들에 의해 동화된 문화를 제
거하기 위해 전력을 다 하였으며, 법치를 강조하여 ≪大明律≫이라는 법전도
만들었다. 엄격한 법을 제정한 후 明은 빠른 시일 내에 사회가 안정되고 경제
- 39 -
도 발전하였다. 그러나 明代는 전제정치가 절정에 달해 권력이 법보다 높은 사
회였다. 당시의 사법체계는 권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사법의 실천에
서도 권력이 법률을 장악하였다. 권세가들은 황권에 의지하여 재물을 탐하고
법을 주물렀으며 패도를 일삼았다.122) 이러한 현실에서 백성들은 仁政을 실천
하는 청렴한 관리를 기대하였지만 현실에서는 실현되기 힘든 것이었다.
더불어 明中葉 이후에는 권력 투쟁 등으로 인해 국가가 점차 위기에 처하게
되었고, 상업 경제의 발전으로 인한 빈부의 격차가 더욱 심해지고 있었으며,
토지겸병 등으로 유민들이 곳곳을 누비게 되면서 범죄와 폭동이 많이 일어났
다. 정세가 날로 곤란하고 위태로워져 소송사건도 급증하였다. 이러한 배경에
서 문인들과 書坊主들이 기존에 있던 清官에 관한 이야기와 민간 전설, 실제
판례들을 결합시켜 예술적 가공을 통해 公案小说을 형성하였다. 한마디로 말하
면, 明代 公案小说은 정치현실 및 사회현황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한편, 明代 公案小说의 형성은 통속문학의 번영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 明
代에는 詩詞 등 옛 문학 체제 대신에 小說, 戲曲 등의 통속문학이 발전하여 明
代 문학사상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이것은 도시의 확대, 상업 경제의 발
전, 시민 계층의 성장과 함께 문화적인 욕구도 늘어나 새로운 형식의 문학을
추구하는데서 비롯된 것이다. 그 중에도 특히 明中葉 이후에는 小說 창작이 크
게 진전되어 새로운 문학의 기풍이 형성되었다. 계속 경시당해 왔던 小說에 대
한 사회적인 인식이 크게 변화하였고, 많은 지식문인들이 小說 창작에 주력하
여 뛰어난 작품을 만들어내어 小說의 문학적인 지위와 사회적인 역할을 확대
시켰다. 게다가 明代에 小說 창작이 활발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인쇄술의 발
달로 상업 출판업이 활성화되어 小說을 간행하는 일이 매우 쉬워졌기 때문이
다. 그러므로 다양한 독자들을 광범위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明代小說의 진정한 가치는 白話小說에 있다고 할 수 있다. 宋元의 오랜 기간
을 거쳐 明代에 이르러, 대량의 문인 작가들이 출현하여 화본을 근거로 장편
章回小說을 창작하였다. ≪水滸傳≫, ≪三國志演義≫, ≪西遊記≫, ≪金甁梅≫
122) 朴明眞, <明代 白話 公案小說에 나타난 淸官現象의 문화적 특징>, ≪中國小說論叢≫第19
輯, 2004, 169쪽 참조.
- 40 -
등은 모두 이 시대의 산물이다. 그밖에 明代의 문인들은 많은 白話 短篇小說도
창작하였다. 公案 장르의 小說은 바로 이때 전에 없었던 번영을 누리게 되었
다. 公案小說은 범죄와 법률이라는 제재를 주도적인 모티프로 한 소설로, 법의
집행을 통해 백성들의 대립과 갈등, 그리고 일상에서 겪는 고통을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明代에는 短篇公案小说专集의 수량이 가장 많다. 12종123)으로 알려져 있는
短篇公案小说专集에 해당 작품으로는 ≪百家公案≫, ≪廉明公案≫, ≪诸司公案
≫, ≪新民公案≫, ≪海公案≫, ≪详刑公案≫, ≪律条公案≫, ≪法林灼见≫, ≪
明镜公案≫, ≪详情公案≫, ≪神明公案≫, ≪龙图公案≫등이 있다. 黄巖柏의 ≪
中国公案小说史≫에서는 이 12종 短篇公案小说专集을 연도별로 간략히 소개한
바가 있다.124) 도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표2-2> 明代 短篇公案小说专集
서명 표제 권수 저가/ 성서 版本 상황
편/횟수 편자 시기
新刊京本通俗 10권 錢塘散人 萬曆22 萬曆22 年 與耕堂
百家公案 演義全像百家 100회 安遇時 (1594) 刊本, 萬曆25年萬
公案全傳 卷樓刊本

廉明公案 新刻皇明諸司 4권 余象斗 萬曆26 萬曆26 年 建 泉堂

廉明奇判公案 105편 (1598) 刻本, 郑氏萃英堂


刊本, 文臺堂刊本

123) 黄巖柏의 ≪中国公案小说史≫와 陳大康의 ≪明代小說史≫에서는 모두 12종으로 서술한 바


가 있다.
124) 黄巖柏, 앞의 책, 139-147쪽 참조. 苗懷明의 ≪中国古代公案小说史论≫에서도 短篇公案小说
专集의 기본 서지 사항을 정리하고, 서로 抄錄 상황을 소개하였다. 그러나 苗懷明은 ≪法
林灼见≫을 다만 법률 类书로 보았다. 총 40편으로 된 ≪法林灼见≫은 ≪廉明公案≫과 ≪
諸司公案≫의 각 20편을 답습한 것으로 보이나 公案小说에 귀속시키지는 않았다. 그리하여
短篇公案小说专集을 모두 11종이라고 규정하였다. 苗懷明, 앞의 책, 61쪽 참조. 필자가 고
증한 바로는 ≪法林灼见≫은 ≪廉明公案≫과 ≪詳刑公案≫의 각 20편을 답습한 것으로 확
인된다.
- 41 -
诸司公案 新刻皇明諸司
公案傳
6권 余象斗 萬曆26 三臺館余氏刊本
59편 (1598)후
郭 青螺六省聽 4권 萬曆33
新民公案 讼錄新民公案 43편 吳遷 (1605) 仙源金成章刊本
전후
海公案 海刚峰先生居
官公案
4권 虛舟生 萬曆34 金陵萬卷樓刊本
71회 125) (1606)
详刑公案 新鐫國朝名公 8권 京南歸正 萬曆間 劉太華明德堂刊
神斷詳刑公案 40편 寧靜子 本
新刻湯海若先 7권
律条公案 生汇集古今律 첫1권 陳玉秀 萬曆間 萧少衢师俭堂刊 本
条公案 現46편
法林灼见 合刻名公案斷
法林灼見 40편 湖海散人 天啟元年 閩 建 書林 高 陽生
清虛子 (1621) 刊本
明镜公案 新刻名公神斷
明鏡公案
4권 葛天民 泰昌, 三槐堂王昆源刊
25편 吳沛泉 天啟間 本
新鐫國朝名公 8권 天啟,
详情公案 神斷詳情公案 첫1권 미상 崇禎間 懷軒陳君敬刊本
現47편
神明公案 國朝憲 臺折獄
蘇寃神明公案 現12편 미상 萬曆間 金 陵刊本

龙图公案 新鐫綉像善本
龍圖公案
10권
100편 미상 明末 20여 종의
清代刊本

이들 작품의 성서시기를 보면 대체로 萬曆년간에서 崇禎년간에 집중되어 있


125) 書題에 “晉人义斋李春芳编次, 金陵萬卷樓雪舟生銹”로 ‘李春芳’이 편찬한 것으로 나타나지
만, 실제로는 ‘虛舟生’이 편찬했다는 의견이 많다. 孟犁野, 앞의 책, 64쪽 참조. 서문 부분에
“余偶过金陵, 虚舟生为予道其事若此, 欲付诸梓, 而乞言於予. 余亦建言得罪者, 忽有感于中,
因喜为之序.”로 봐서도 ‘虛舟生’이 편찬한 가능성이 더 높다고 판단된다.
- 42 -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萬曆20-30년 사이에 위 표에서 나열된 현존 작품
뿐만 아니라 훨씬 더 많은 短篇公案小说专集들이 출현하였을 것으로 짐작되는
데 현재로서는 고증하기가 어렵다. 알 수 있는 것은 崇禎 이후 ≪龙图公案≫
이외에 대부분의 短篇公案小说专集들은 묻혀졌다는 것이다. 출간 지역으로 봐
서는 金陵이나 建陽 지역에 가장 집중되어 있는데, 지리적으로나 문화적으로
明代 통속문학의 유행에 큰 공헌을 한 지역임은 이미 학계에서 주지하는 바이
다.126) 여기서 언급할 만한 것은 당시에 전문 문인들뿐만 아니라 書坊主가 公
案小說專集의 창작과 편찬에 참여했다는 것도 하나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
다.
한편, 당시에는 書坊主들이 명리에 급급하여 편찬한 작품들이 많았으므로 서
로 중복되는 부분이 많아 문학성과 예술성이 결여된 단점을 피할 수 없었다.
작품 간의 답습 상황은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다.
<표2-3> 明代 短篇公案小说专集 抄錄 상황
서명 현존 抄錄 상황
편/횟수
新民公案 43편 诸司公案(7편), 廉明公案(3편)
海公案 71회 百家公案(18편), 廉明公案(9편), 诸司公案(2편)
详刑公案 40편 百家公案(5편), 廉明公案(9편), 明镜公案(1편)
律条公案 46편 详刑公案(32편), 廉明公案(2편), 诸司公案(4편)
法林灼见 40편 廉明公案(20편), 详刑公案(20편)
明镜公案 25편 廉明公案(5편), 详刑公案(1편), 诸司公案(1편)
详情公案 47편 详刑公案(31편), 诸司公案(10편), 明镜公案(6편)
龙图公案 100편 百家公案(48편), 廉明公案(22편),
详刑公案(12편), 律条公案(3편), 新民公案(1편)
126) ≪廉明公案≫, ≪诸司公案≫을 간행했던 余氏雙峰堂, 三臺館과 ≪百家公案≫, ≪海公案≫을
간행했던 金陵萬卷樓 등은 모두 당시의 명성이 높은 書坊으로 많은 통속소설을 출간하였다.
苗懷明, 앞의 책, 63쪽.

- 43 -
위 표에서 보듯이 초기에 나온 短篇公案小说专集인 ≪百家公案≫, ≪廉明公
案≫, ≪诸司公案≫은 해당되는 사항이 없으므로, 서로 답습했다는 누명을 벗
어야 된다고 본다. 이 작품들은 후세의 短篇公案小说专集들이 답습하는 대상으
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또 이들 작품이 모두 저자가 창작한 것이라고
는 말할 수 없는 상황이다. ≪百家公案≫은 전대의 筆記小說이나 판례집에서
취한 이야기가 많고, ≪廉明公案≫은 전대의 法律文書를 답습한 흔적이 뚜렷하
며, ≪诸司公案≫도 ≪疑獄集≫ 등 판례선집의 이야기들을 많이 취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에 무조건 일률적으로 明代의 短篇公案小说专集이 모두 작품간에
서로 답습하고 중복된다는 주장은 다소 편파적인 면이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이
短篇公案小说专集들이 사용한 敍事모드는 대동소이하다. 먼저 사건이 발생하
여, 피해자나 가족이 관청에 가서 상소하면 판관이 한 번에 가해자를 알아보고
해결하거나, 아니면 판관이 무능하여 오판이나 모함으로 억울한 사건으로 만들
어 몇 년 후에 다시 상소할 때 청렴하고 공정한 관리에 의해 억울한 누명을
벗고 사건이 최종적으로 해결된다는 것이다.
또한, 저자가 소설을 통해 법률을 선전하는 의도가 분명하다. ≪百家公案≫,
≪海公案≫127), ≪神明公案≫, ≪龙图公案≫ 외에 대부분의 短篇公案小说專集
은 법률서적의 편찬 체제를 사용하여 범죄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있다. 12종
短篇公案小说專集의 사건 분류 방식은 아래와 같다.
<표2-4> 明代 短篇公案小说專集의 사건 유형
서명 사건 분류
百家公案 100회 ×
살인[人命], 간통[奸情], 절도[盜賊], 쟁탈[爭占],
廉明公案 105편 16類 사기[騙害], 협박[威逼], 유괴[拐帶], 산소[墳山],
혼인[婚姻], 부채[債負], 호역[戶役], 구타[鬥毆],
상속[繼立], 면죄[脫罪], 허가[執照], 표창[旌表].
127) ≪海公案≫은 공문서 형식으로 ‘告’, ‘诉’, ‘判’ 차례대로 서술하고 있다.
- 44 -
諸司公案 59편 6類 살인[人命], 간통[奸情], 절도[盜賊],
사기[詐偽], 쟁탈[爭占], 원통[雪寃].
新民公案 43편 8類 사기[欺昧], 살인[人命], 모해[謀害], 절도[劫盜],
편취[賴騙], 신원[伸寃], 강간[奸淫], 강탈[霸占].
海公案 71회 ×
모해[謀害], 간통[奸情], 혼인[婚姻], 강간·유괴[奸拐],
详刑公案 40편 15類 협박[威逼], 요괴[除精], 맹수[除害], 절도[盜竊],
약탈[搶劫], 강도[強盜], 질투·살인[妒殺], 절부[節婦],
열녀[烈女], 효자·효부[雙孝], 효자[孝子].
모해[謀害], 강간[強奸], 간통[奸情], 강도[強盜],
절도[盜竊], 음란 승려[淫僧], 요괴[除精],
律条公案 46편 14類 맹수[除害], 혼인[婚姻], 간통·살인[奸殺],
상속계획[謀產], 쟁탈[混爭], 유괴[拐帶],
절부·효자[節孝].
간통[奸情], 절도[盜竊], 살인[人命], 혼인[婚姻],
法林灼见 40편 10類 쟁탈[爭占], 협박[威逼], 유괴[拐帶], 사기[脫騙],
효자[孝子], 절부[節婦].
살인[人命], 사기[索騙], 간통[奸情], 절도[盜賊],
明镜公案 25편 9類128) 원통[雪寃], 혼인[婚姻], 모함[圖賴], 신원[理寃],
현안[古案].
원통[雪寃], 간통[奸情], 강도[強盜], 약탈[搶劫],
절도[盜竊], 강간·유괴[奸拐], 협박[威逼], 살인[人命],
详情公案 47편 17門 사기[索騙], 질투·살인[妒殺], 쟁탈[謀占], 절부[節婦],
열녀[烈女], 효자·효부[雙孝], 효자[孝子], 모해[謀害],
혼인[婚姻].
神明公案 12편129) ×
龙图公案 100편 ×
128) ≪明镜公案≫ 9類 가운데 ‘圖賴’, ‘理寃’, ‘古案’類는 모두 有目無文이다.
129) ≪神明公案≫은 원서가 산일되어 고증하기 어렵고, 현존하는 2권에는 12편의 이야기만 들
어있는데, 그중 권1에 3편, 권2에 4편은 온전한 이야기이고, 나머지 권2에 5편은 완전하지
않다. 12편의 이야기의 사건 유형은 모두 살인사건[人命案]으로 추정된다.
- 45 -
위 표에서 보듯이 이러한 분류 방식은 번잡한 면이 없지 않다. ‘人命’·‘謀害’
類는 내용이 겹치고, ‘盜賊’·‘劫盜’·‘盜竊’·‘強盜’類, ‘爭占’·‘霸占’·‘謀占’類는 경계가
모호하다.
이 밖에도 작품들의 敍事구조도 격식화되고 있는데 ‘三詞’130)가 중요한 구성
부분이 되고, 글 뒤에 按語가 첨부되어 사건 판결에 대해 의문점을 제기하거나
오판을 시정하기도 한다.131) 이 短篇公案小说專集들의 속서들도 대부분 같은
형식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점들로 미루어 보더라도 短
篇公案小说專集들은 법률 선전이나 보급을 목적으로 출간되었고, 또한 고정화
된 구조 방식이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百家公案≫(安遇时)은 현재까지 알려진 최초의 短篇公案小说專集으로 公案
小说史 중간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작품은 宋元 ‘说公案’132)과 雜劇의 특징
을 계승할 뿐만 아니라 短篇公案小说集의 선봉적 역할을 하여 뒤에 대량의 短
篇公案小说專集이 등장하였다. ≪百家公案≫의 판본은 萬历 22년(1594) 與耕堂
刊本 ≪新刊京本通俗增像包龍圖判百家公案≫으로 현재 일본 나고야(名古屋)
‘蓬左文库’에 完帙本 10卷이 소장되어 있는데, 중국 江西省 도서관과 중국사회
과학원 문학연구소에 각각의 残本이 소장되어 있다. 또 하나의 판본은 한국 규
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萬曆 25년(1597) 金陵 萬卷樓刊本 ≪新鐫全像包孝肅公神
斷百家公案演義≫(完熙生 校編)이다. 이 판본은 희귀본으로 세계 유일본이지만
총 6卷 중 제3卷이 빠진 落帙本이다. 두 판본은 내용에 있어서는 비슷하지만
체제상에서는 차이가 다소 있다. 모두 각 卷마다 분량이 고르지 않고, 특히 삽
화의 형식에 있어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與耕堂刊本은 上圖下文 형식으로 511
폭의 삽화가 들어 있고, 삽화의 좌우에 標題가 있다. 반면 萬卷樓刊本은 33
폭133)의 全圖 삽화에 불과하고, 삽화 양쪽은 각자 11자로 된 제목 같은 것이
130) 三詞: 즉 狀詞(소장, 형사소송에서는 고소장), 訴詞(답변서), 判詞(판결문)를 일컫는다.
131) ≪诸司公案≫(59편)은 거의 편마다 按語가 붙어 있다.
132) ≪百家公案≫서두에 <包待制出身源流>: “话说, 包待制判断百家公案事跡, 须先提起一個头脑,
後去逐一编成话文......” 완전히 說書人의 말투로 话头를 제기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33) 제3卷은 몇 폭이 들어 있는지 확인 할 수 없음.
- 46 -
붙어 있다. 삽화의 형식은 萬卷樓刊本이 훨씬 정밀해 보인다.134)
<표2-5> 萬卷樓刊本 ≪百家公案≫ 回目
표제 소장/판사항 회목
1卷 1-12回
서울대 2卷 13-29回
包孝肅公神斷 규장각 3卷 결질(30-47回)
百家公案演義 (木板本) 4卷 48-58回
5卷 59-71回
6卷 72-100回

≪百家公案≫은 전대의 公案문학을 집대성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宋


元话本 중 명편으로 뽑힌 ≪合同文字记≫, ≪简贴和尚≫135)이 모두 수록되어
있고, 이외에 ≪疑獄集≫136), ≪折獄龜鑒≫137), ≪花影集≫138)중의 公案 이야기
들도 초록되어 있다. 개작하는 과정 중 원작의 장면 세부 묘사들이 대부분 삭
제되어 대략적인 내용만 남아 작가의 창작 품격에 대해 줄곧 비판을 받아왔다.
작품 전체에 宋代 ‘说公案’의 흔적도 많이 드러나 있다. 거의 回마다 ‘断’과
‘云’139), 그리고 칠언절구로 된 开场诗가 있으며, 법률지식을 보급하기 위해 ‘三
詞’도 빠지지 않았다. 작품 전체는 하나의 주인공 ‘包公’만 그려졌고, 체재상은
134) 闵宽东·张守连·金明信 共著, ≪韩国 所藏 中国通俗小说의 版本目錄과 解题≫, 学古房, 2013
年, 292-294쪽 참조.
135) 5000여 글자로 된 원작이 1000여 글자로 축소되어 ≪百家公案≫제20回 <伸阑孆寃捉和尚>
이 되었다. 굴곡이 많고 생동감 있는 줄거리는 모두 삭제되었다.
136) ≪百家公案≫76回 <阿吳夫死不分明>은 ≪疑獄集≫ 중 韓滉의 사건을 해결하는 이야기를
취한 것이다.
137) ≪百家公案≫77回 <判阿楊謀殺前夫>은 ≪折獄龜鑒≫ 중 张咏의 이야기를 취한 것이다.
138) ≪百家公案≫5回 <辨心如金石之寃>은 ≪花影集≫ 중 <心堅金石傳>을 취한 것인데, 원작
에는 사건을 해결하는 줄거리가 없는데 개작할 때는 李彥直과 張麗容의 애정 비극에 包公
이 사건을 판결하는 장면을 추가하였다.
139) ‘断’은 이야기의 주제를 제시하고, 사건의 기인과 결말을 개괄하는 역할이고, ‘云’은 说话人
의 평론 및 판단을 표현하는 역할이다.
- 47 -
‘回’를 사용하여 장편소설의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내용상 각 回는 단편의 양
상을 띠고 있다. 각 回目의 글자 수는 일치하지 않은데, 그 중에 ‘八字回目’은
다른 후속 短篇公案小說專集에서 볼 수 없는 현상으로, 이것은 장편소설이 상
용하는 방식으로 清代 후기의 侠义公案小说에서 많이 취하고 있다. 石昌渝에
따르면 ≪百家公案≫은 일파(一派)의 창시자로서 체제상 당시 이미 유행하고
있는 卷回小說의 면모를 보여주었으나, 사건을 해결하고 판결하는 주제가 아직
뚜렷하지 않고, 게다가 허망한 귀신이야기가 많이 들어있어 후속 작품인 ≪廉
明公案≫과 ≪诸司公案≫등의 반발과 맞닥뜨리게 되었다. 뒤의 두 작품은 公案
小說의 주제 및 ‘三詞’로 된 기본 敍事 방식을 확립시켰다고 하였다.140) 이어서
다른 短篇公案小說專集이 잇따라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외에도 萬曆년간에 출간된 특수한 公案小说集들이 있는데, ≪杜騙新書≫와
≪僧尼孽海≫등을 들 수 있다. ≪杜騙新書≫(4卷 83편, 작가 미상)는 오로지 사
기사건141)만을 다루는 小说集이므로 학계에서 그의 정체와 범주에 대해서는
아직 의견이 분분하다.142) 문어체와 백화체가 뒤섞여 있고, 세상 사람들을 훈
계하는 의도가 매우 짙다. 같은 취지로 ≪僧尼孽海≫에는 오로지 승려와 비구
니의 추악한 행위를 다루는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이 두 작품은 모두 세인
을 권계하는 의미가 강하고, 범죄를 저지르는 과정 묘사에 치중되어 있고, 판
관이 사건을 해결하는 것에 대해서는 짤막하게 서술하고 있다. 소장과 판결문
이 없고, 내용이 상세하며, 인물의 성격이 뚜렷하여 소설의 색채가 짙다.
天启년간 短篇公案小说集이 점차 쇠퇴되기 시작하고 擬話本公案小說이 성행
하였다. ‘三言二拍’과 ≪型世言≫등의 拟话本小说 가운데 公案小说 작품이 상당
히 들어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학계의 일반적 견해를 봐서는 ‘三言’의 총 120편
작품 중 宋元시기의 40편 작품을 제외한 나머지 80편 중 公案小说에 해당된
140) 石昌渝, <明代公案小说: 类型與源流>, ≪文学遗产≫, 2006年第3期, 117쪽.
141) 脱剥骗, 丢包骗, 换银骗, 诈哄骗, 伪交骗, 牙行骗, 引赌骗, 露财骗, 谋财骗, 盗劫骗, 强抢骗,
在船骗, 诗词骗, 假银骗, 衙役骗, 婚娶骗, 奸情骗, 妇人骗, 拐带骗, 买学骗, 僧道骗, 炼丹骗,
法术骗, 引嫖骗 총 24종의 사기극이 포함되어 있다.
142) 公案小說, 筆記小說, 世情小說 등 여러 가지로 분류되어 있다. 程毅中은 ≪杜騙新書≫를 公
案小說의 變體라고 주장하고 있다. 程毅中, <≪包龍圖判百家公案≫與明代公案小說>, ≪文
學遗产≫, 2001年第1期, 89쪽.
- 48 -
明代 작품은 18편이고, ‘二拍’의 총 80편 작품 중 公案小说에 해당된 明代 작
품은 25편인 것으로 확인된다.143) 拟话本小说 ≪型世言≫전서 40편 작품 중 公
案小说에 해당된 작품은 13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44) 拟话本小说의 창작 과
정 중 公案小说이 주도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은 미루어 알 수 있다. 56
편 작품 상황은 아래 도표와 같다.145)
<표2-6> 明代 擬話本公案小說 작품
사건 유형 작품 수 분포 상황
三言 喻2 24 警34 警35
9편 警醒7 醒8 醒15 醒16 醒39
치정 사건 23편 二拍 初2 初6 初10 初17 初26 初29
11편 二18 二25 二28 二35 二38
型世言 型5 型6 型21
3편
三言 喻10
2편 醒27
가정 분란 7편 二拍 初13
4편 二4 二10 二13
型世言 型29
1편
재물 분쟁 20편 三言 喻26
5편 警11 警15
143) 이 숫자는 侠义·公案이 뒤섞인 작품을 제외한 것으로 ≪喻世明言≫卷36, ≪二刻拍案驚奇≫
卷39 등 협객에 관련된 작품은 모두 포함되지는 않았다.
144) 黃巖柏, 앞의 책, 160-165쪽; 苗懷明, 앞의 책, 78쪽; 皋于厚, <明代公案小說的發展演進>,
≪江蘇公安專科學校學報≫, 1999年第6期, 152쪽; 모두 같은 견해를 제시하고 있는데, 邓百
意는 ‘三言二拍’ 중 전형적인 公案小说 작품은 각각 18편과 9편이고, ≪型世言≫에는 4편이
라고 주장한다. 邓百意, <晚明的公案小说创作—小说观念的变迁與叙事模式的曲折演进>, ≪
明清小说研究≫, 2005年第4期, 45쪽.
145) 苗懷明, 앞의 책, 80쪽 참고하여 정리함.
- 49 -
醒22 醒36
二拍 初11 初14 初19 初27 初36
7편 二16 二21
型世言 型2 型22 型23 型25
8편 型27 型28 型33 型36
三言 醒29 醒34
2편
기타 6편 3편 二5 二12 二31
二拍

型世言 型13
1편
(*여기서 喻는 ≪喻世名言≫, 警은 ≪警世通言≫, 醒은 ≪醒世恒言≫,
初는 ≪初刻拍案驚奇≫, 二는 ≪二刻拍案驚奇≫, 型은 ≪型世言≫을
의미함.)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擬話本公案小說은 宋元 話本小說을 계승하여 남
녀 사이의 치정 사건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가정 분란 사건과 재물 분쟁 사건이 비교적 많은데, 이것은 宋元 話本小說과는
다른 양상이다. 연애와 결혼, 가정, 재물은 사람들의 일상생활 속에 가장 관심
을 기울이는 핵심문제로 擬話本公案小說은 극단적인 형식을 사용하여 이러한
사회 문제들을 충분히 반영하였다.146)
이 밖에도 宋元 話本公案小說에 비해 사건발생과 사건해결에 대한 묘사도
擬話本公案小說이 훨씬 상세하고 생동감이 있다. 특히 사건해결 부분에 宋元
話本公案小說은 몇 마디 말로 끝을 보지만, 明代 擬話本公案小說은 판관을 하
나의 중요한 등장인물로 지정하는데 그에 대한 묘사 또한 구체적이면서도 현
실감이 있다. 판관은 더 이상 신화적 인물이 아니라 그들도 감정과 사욕이 있
는 일반인으로 보는 것이다.
그리고 明代 擬話本公案小說과 短篇公案小說專集을 비교해보면 가장 뚜렷한
146) 苗懷明, 앞의 책, 80-81쪽 참조.
- 50 -
특징은 바로 작품 간의 답습 현상이 많이 줄였다는 것이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短篇公案小說專集들은 초기 작품인 ≪百家公案≫, ≪廉明公案≫, ≪诸司公案≫
만 제외하고는 서로 답습하는 상황이 매우 심각하고, 일반 문인이나 書坊主까
지 나와서 公案小說의 창작과 편집에 참여하여, 작품들이 조잡하고 중복된 부
분이 많아 예술적 가치가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게 되었다. 이와 달리 擬話本公
案小說들은 전문 지식인들이 글을 쓰기 때문에 창작의도가 명확하게 드러나
있다. 전대의 작품들147)을 완전 제거하는 것은 아니고 정리와 재창작을 통해
더욱 곡절이 있는 이야기를 만들어냈다. 같은 제재인데도 서스펜스를 설정하여
긴장감을 주어 독자들의 흥미를 증가시켰다. 더불어 短篇公案小說專集에서 많
이 사용되었던 按语는 擬話本公案小說에서는 더 길어진 양상을 보였다. 勸誡나
说教하는 내용이 다른 작품보다 더욱 풍부하면서도 작가의 사명감까지 느껴진
다. 擬話本公案小說들은 “以案說法”의 성격을 지니고 있어 당시 사대부 문인들
고유의 우월의식을 풍기고 있다.148) 이 점에 대해서는 제3장에서 다시 서술하
겠다.

2) 明代公案小说의 유형
(1) 书判體
書判體公案小說은 公案小說의 특유한 체재로 주로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에
나타나며, 萬曆년간에 성행하였다. 서명에는 ≪**公案≫라고 되어 있고, ‘國朝’
‘皇明’이라는 글자가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皇明诸司廉明奇判公案
≫(일명 ≪廉明公案≫), ≪皇明诸司公案≫(일명 ≪诸司公案≫), ≪國朝名公神断
详刑公案≫(일명 ≪详刑公案≫), ≪国朝名公神断李卓吾详情公案≫(일명 ≪详情
公案≫)과 ≪新刻名公汇集神断明镜公案≫(일명 ≪明镜公案≫)등이 있다. 법문
147) ≪喻世明言≫10卷 <滕大尹鬼斷家私>는 ≪廉明公案≫爭占類 <滕同知断庶子金>을 취한 것
이고, ≪警世通言≫35卷 <況太守斷死孩兒>는 ≪諸司公案≫卷2 奸情类 <颜尹判谋陷寡妇>
와 ≪海公案≫71回 <判谋陷寡妇>을 취한 것 등의 예를 들 수 있다.
148) 苗懷明, 앞의 책, 83쪽.
- 51 -
서에 있는 사건들을 선별하여, 사건발생의 시간 순서대로 서술하고 있어 딱딱
하고 무미건조한 면이 없지 않다. 게다가 문어체와 구어체가 뒤섞여 있고, 수
식이 부족하여 문학적 가치가 떨어진다는 지적을 많이 받고 있다. 당시의 書坊
主들은 명리에 급급하였기에 글이 조잡하고 작품 간의 답습하는 현상도 심각
했다. 한때 크게 성행하였으나 오래 지속되지는 못하였다.
書判體公案小說의 구조적 특징은 4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우선 사건발생을
서술하고, 그 다음 원고의 소장을 제시하며, 이어서 피고의 답변서가 나오고,
마지막으로 판관의 판결문으로 마무리한다. 4부분 중 사건발생을 서술하는 부
분이 소장, 답변서 및 판결문 내용과 중복된 것이 많아 피고의 답변서가 생략
된 경우도 있다. 법문서에 있는 사건들을 많이 답습하고149), 소장·판결문까지
있으므로 書判體公案小說은 法家書의 성격이 뚜렷하다. 예를 들어 ≪廉明公案
≫은 전 105편 이야기 중 64편이 소장, 답변서, 판결문만 들어있고, 사건에 대
한 설명은 아무것도 없다. 이 작품의 속편인 ≪诸司公案≫은 이러한 현상이 조
금 개선되어 사건에 대한 서술부분이 추가되었다. 書判體公案小說의 사건유형
또한 法家書를 따르는 것으로 ‘人命’, ‘奸情’, ‘强盗’ 등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소설이라고 하느니 차라리 법률을 보급하는 法律書라고 하는 것이 더 적
합하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그러나 書判體公案小說은 明代의 公案 돌풍을 일으키는 주역이기도 하다. 市
井平民을 대상으로 편집된 이 작품집들은 예술적 성취는 높지 않지만, 법률을
홍보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신기한 것을 추구하는 일반 독자들의 소일거
리로 삼을 만 하였다. 독자들의 선호와 書坊主들의 이익 추구로 인해 公案이라
는 요소가 대대적으로 통속소설에 개입하게 되었다.
(2) 傳記體
傳記體와 書判體의 경계는 비교적 모호하고 애매하다. 安遇时의 ≪百家公案
149) 예를 들면 ≪廉明公案≫ 全105편 이야기 중 64편이 金陵竹林子의 ≪萧曹随笔≫을 답습한
것이다.
- 52 -
≫, 吳遷의 ≪新民公案≫, 虛舟生의 ≪海公案≫, 무명씨의 ≪龙图公案≫(일명
≪包公案≫) 등이 모두 傳記體公案小說에 속한다. 傳記體公案小說도 法律書의
흔적을 완전히 버리지 못한 것으로 소장과 판결문을 많이 등장시켰다.150) 소위
傳記體는 일반적으로 실존 인물의 사적을 묘사하는 것으로, 傳記體公案小說에
서는 한 명의 실존 인물 판관을 중심으로 허구의 이야기가 전개되는 敍事구조
를 갖고 있다. 예를 들면 ≪百家公案≫과 ≪新民公案≫의 서두에는 주인공 包
公과 郭公의 출생에 대한 ‘全傳’이나 ‘小傳’이 덧붙여 있다.
≪百家公案≫(安遇時, 萬曆22)은 비교적 일찍 출현한 작품으로 역사 인물 包
拯을 중심으로 이야기 하고 있다. 10卷 100回로 되어 있는데 거의 회마다 단독
으로 包公이 해결하는 사건들151)을 서술하고 말미에는 간단한 논평도 덧붙여
있다. 宋元 說公案의 양상을 띠고 있을 뿐만 아니라 판례집에 있는 사건들도
많이 인용한 것으로 파악된다.152) ≪百家公案≫이 출현하기 전의 작품153)중에
도 包公에 관련된 이야기가 많이 채택된 것으로 나타난다. ≪百家公案≫은 萬
曆전에 나온 折獄사건 가운데서도 특히 包公 이야기를 한데 모은 것으로 1명
의 판관이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되게 나오는 새로운 방식을 개창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는 후세의 다른 傳記體公案小說에 하나의 본보기가 되었다.
이어 ≪新民公案≫은 총 4卷 43편의 이야기로 되어 있는데, 모두 판관 郭子
章154)을 둘러싸고 전개된다. 卷1 시작 부분은 <郭公出身小传>155)으로 주인공
150) ≪新民公案≫은 거의 이야기마다 判詞가 실려 있고, ≪龍圖公案≫도 거의 30% 이야기 말
미에 判詞가 덧붙여 있다.
151) 모두 94편의 이야기가 있고 그 중 5편의 이야기는 12회를 차지한다. 5편을 구체적으로 제
시하면 74-75회, 76-77회, 79-81회, 88-90회, 93-94회로 연결되어 있는 이야기들이다.
152) 36回 ≪孙宽谋杀董顺妇≫는 司马光의 ≪谏水纪闻·向敏中≫, 46回 ≪断谋劫布商之寃≫은 元
好问의 ≪续夷坚志·王子明获盗≫를 취한 것이고, 56回 ≪杖奸僧决配远方≫은 宋元话本 ≪简
帖和尚≫을 개작한 것이며, 93回 ≪潘秀误了花羞女≫와 94回 ≪花羞还魂累李卒≫은 宋元话
本 ≪闹樊楼多情周勝仙≫의 내용과 유사하다. 皋于厚<明代公案小說的發展演進>, ≪江蘇公
安專科學校學報≫, 1999年第6期, 151쪽.
153) 宋話本小說 ≪三现身包龙图断寃≫, ≪合同文字记≫, 关汉卿의 元杂剧 ≪鲁斋郎≫, ≪蝴蝶梦
≫, 무명씨의 ≪陈州集米≫, ≪盆兒鬼≫, ≪神奴兒≫, 李行道의 ≪灰阑记≫, 武汉臣의 ≪生
金阁≫등의 公案戏, ≪明成化刊本说唱词话≫중의 ≪包龙图公案词话≫등을 들 수 있다. 皋
于厚, 위의 논문, 150-151쪽.
- 53 -
의 출생을 소개하고 있다. 전체 8類으로 사건의 유형이 나누어져 있는데, 사건
을 해결하는 과정 중 미신적 수단이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난다.
≪海公案≫도 역사 실존인물 海瑞(1514-1587)156)가 해결한 사건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소재는 주로 민간이야기, 다른 역사인물에 관한 이야기,
전대의 작품157)들을 취하였다. 金陵萬卷樓刊本 권수(卷首)에는 <海公遺像>까
지 실려 있고, 卷1 서두에 있는 ≪皇明都御史忠介公海剛峰傳≫에서는 海瑞의
생애를 소개하고 있다. ≪海公案≫은 총 4卷 71回로 되어 있고 각 회는 단독적
으로 이야기를 하고 있으며, 길이는 일정치 않다. 이야기들은 ≪海瑞傳≫, ≪海
瑞集≫과 비교해보면 사실과 거리가 멀고, ‘사건 발생→三詞’의 형식을 지키고
있으므로 書判體公案小說의 성격도 띠고 있다. 海瑞는 “南包公”이라는 미칭이
있어 ≪海公案≫에서도 包公을 다루는 ≪百家公案≫의 이야기를 많이 답습한
것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것은 傳記體公案小說 중 ≪百家公案≫과
≪海公案≫만 回目 형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長篇章回小說로 바꾸려고 시
도하는 의도는 있어 보이나 성공하지는 못한 것으로 파악된다. ≪海公案≫은
또한 후세의 다른 公案小說에도 영향을 주었는데, 특히 ‘三言二拍’158)과 清代
154) 郭子章(1542-1618): 자는 相奎, 吉安泰和(현 江西省에 속함)사람으로 建寧府推官, 潮州知
府, 四川提學使, 山西按察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聽訟에 능한 판관으로 명성을 날렸다.
155) “按: 公吉之泰和南乡人. 公之先, 累世积德, 好善乐施, 雅重文学. 传至公之封君孺人, 身虽以编
户殖赀为家计, 而乐善之心尤笃. 公生于世庙壬寅之岁, 年甫食食, 即能默诵 ≪孝经≫, ≪曲禮
≫, 九龄出就外傅, 颖悟迥越类萃. 博猎经书子史, 日记数萬言, 饶为之. 迨成童, 业举子业, 锋刃
便自逼人. 督学使阅其文, 即知公天下士也, 庠於府, 群儒辈莫不宗师之. ......公有五省新民之治,
风闻难以枚举, 姑取其折狱明刑数百条, 开列于左, 庶薄海內外, 亦知我公新民之所自云.” ≪古
本小說集成≫393 ≪郭靑螺六省聽訟錄新民公案≫ <郭公出身小传>, 1-9쪽. <小传>에서는
“公有五省新民之治”라고 소개하였으나, 실제 표제에는 ≪郭青螺六省聽讼錄新民公案≫이라
고 표기되어 있어 앞뒤가 일치하지 않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小传>에서는 “取
其折狱明刑数百条”라고 하였으나 실제 편목은 43편에 불과하다.
156) 海瑞(1514-1587): 자는 汝贤, 호는 刚峰, 시호는 忠介이고, 明나라의 유명한 清官으로 알려
져 있다.
157) 예를 들면 제39回 <捉圆通伸兰姬之寃>과 제42回 <判明合同文约>은 각각 宋代話本인 ≪
簡帖和尚≫과 ≪合同文字記≫를 취한 것이다.
158) ≪海公案≫59回 <判給家財分庶子>는 ≪喻世明言≫卷10 <騰大尹鬼斷家私>와 같은 제재이
고, 71回 <判謀陷寡婦>는 ≪警世通言≫卷35 <況太守斷死孩兒>의 줄거리와 등장인물이 유
사하여 판관만 海瑞에서 況鐘으로 바뀌었다.
- 54 -
公案小說 ≪施公案≫에 대한 영향이 크다.
明代 傳記體公案小說의 집대성은 단연 明末에 출간된 ≪龍圖公案≫으로 다
른 公案小說專集보다는 늦게 출시되었다. ≪龍圖公案≫은 ≪百家公案≫을 토대
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반 이상은 ≪百家公案≫의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고, 나
머지 이야기는 다른 公案小說에서 취한 것으로 나타난다. 繁·简本 두 가지가
있는데, 繁本은 10권 100편으로 清初간행본, 乾隆丙申(1716)중간본, 嘉慶간행본,
四美堂간행본 등이 있고, 简本은 62편·63편·66편으로 일치하지 않으며, 乾隆书
业堂간행본, 嘉慶간행본, 道光藜照樓중간본, 道光三社堂간행본 등이 있다. 繁本
과 简本은 문장에는 차이가 없는데, 简本은 繁本에서 몇 개의 이야기가 생략된
것이고, 그 생략된 이야기는 대부분 권마다 뒷부분의 몇 편에 해당된다.
<표2-7> ≪龍圖公案≫의 繁簡本 篇目
卷目 篇目 繁本
簡本
第1則 阿彌陀佛讲和 第2則 观音菩萨托梦 繁簡
第3則 嚼舌吐血 第4則 咬舌扣喉 繁簡
卷1 第5則 锁匙 第6則 包袱 繁簡
第7則 葛葉飘来 第8則 招帖收去 繁
第9則 夹底船 第10則 接迹渡 繁
第11則 黄菜葉 第12則 石狮子 繁簡
第13則 偷鞋 第14則 烘衣 繁簡
卷2 第15則 龟入废井 第16則 鸟唤孤客 繁簡
第17則 临江亭 第18則 白塔巷 繁簡
第19則 血衫叫街 第20則 青靛记谷 繁簡

第21則 裁缝选官 第22則 厨子做酒 繁簡

卷3 第 23則 杀假僧 第24則 卖皂靴 繁簡


第25則 忠节隐匿 第26則 巧拙颠倒 繁簡
第27則 试假反试真 第28則 死酒实死色 繁

- 55 -
第29則 氈套客 第30則 阴沟贼 繁

第31則 三寶殿 第32則 二阴筶 繁簡


第33則 乳臭不琱 第34則 妓饰無異 繁簡
卷4 第35則 辽东军 第36則 岳州屠 繁
第37則 久鳏 第38則 绝嗣 繁
第39則 耳畔有声 第40則 手牵二子 繁

第41則 窗外黑猿 第42則 港口渔翁 繁簡


第43則 红衣妇 第44則 烏盆子 繁簡
卷5 第45則 牙簪插地 第46則 绣履埋泥 繁簡
第47則 虫蛀葉 第48則 哑子棒 繁
第49則 割牛舌 第50則 骗 马 繁

第51則 金 鲤  第52則 玉面猫 繁簡


第53則 移椅倚桐同玩月 第54則 龙骑龙背试梅花 繁簡
卷6 第55則 夺伞破伞 第56則 瞒刀还刀 繁
第57則 红牙球 第58則 废花园 繁
第59則 恶师误徒 第60則 兽公私媳 繁

第61則 狮兒巷 第62則 桑林镇 繁簡


第63則 斗粟三升米 第64則 聿姓走东边 繁簡
卷7 第65則 地窨 第66則 龙窟 繁簡
第67則 善恶罔报 第68則 寿夭不均 繁
第69則 三娘子 第70則 贼总甲 繁

第71則 江岸黑龙 第72則 牌下土地 繁簡


第73則 木印 第74則 石碑 繁簡
卷8 第75則 屈杀英才 第76則 侵冒大功 繁簡
第77則 扯画轴 第86則 审遗嘱 繁簡
第79則 箕帚带入 第80則 房门谁开 繁

第81則 兔戴帽 第82則 鹿随獐 繁簡


卷9 第83則 遗帕 第84則 借衣 繁簡
第85則 壁隙窥光 第86則 桷上得穴 繁簡

- 56 -
87則 黑痣
第 第88則 青粪 繁
第89則 和尚皱眉 第90則 西瓜开花 繁

第91則 铜钱插壁 第92則 蜘蛛食卷 繁簡


第93則 尸数椽 第94則 鬼推磨 繁簡
卷10 第95則 栽赃 第96則 扮戏 繁簡
第97則 瓦器燈盏 第98則 床被什物 繁
第99則 玉枢经 第100則 三官经 繁

이상에서 ≪龙图公案≫의 篇目 설정은 독자적인 경지에 이르고 있다. 사건의


경위가 유사한 이야기를 한 쌍으로 묶어 제시하고 있으며, 篇目 또한 서로 대
칭 구조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阿彌陀佛讲和>(1則)와 <观音菩萨托梦>(2
則), <嚼舌吐血>(3則)과 <咬舌扣喉>(4則), <锁匙>(5則)와 <包袱>(6則) 이처럼
전부 대칭을 이루고 있다.
≪龙图公案≫의 후세에 대한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清代의 说书人인 石玉
昆은 ≪龙图公案≫의 이야기를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후인들은 그의 공연을
기록하여 ≪龙图耳錄≫을 만들었고, 이것은 저명한 清代 俠義公案小說 ≪三俠
五義≫의 저본이기도 하다.
(3) 话本體
明代 話本體公案小說은 주로 宋元話本을 계승한 것으로 소설적 요소를 더
추가하여 생동감 있는 어휘로 창작한 것이다. 宋元의 話本을 모방하여 창작한
작품을 ‘擬話本’이라고 불렀다. 擬話本은 說書人의 대본인 ‘話本’을 책상 위의
읽을거리[案頭文學]로 제공하기 위해 손질을 한 작품이다. ‘三言二拍’은 明代
중·후기 擬話本小說의 전성기에 나온 작품으로 예술적 가치가 가장 뛰어나다.
‘三言二拍’ 중의 公案小說 작품들을 보면 법문서의 규칙을 지키는 書判體보다
는 소장과 판결문이 이야기와 자연스럽게 융합되는 느낌이고, 저자는 이미 소
설 창작은 법률을 보급하는 것보다는 줄거리를 위주로 해야 된다는 의식을 갖
- 57 -
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擬話本公案小說의 출현은 당시 公案小說의 혼란 상태
를 수습하고 바로잡는 역할159)을 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話本小說의 고정된 구조인 ‘入话 → 正话 → 尾子’는 拟话本公案小说에서도
그대로 계승된다. 入話 부분을 살펴보면 拟话本公案小说의 入话에는 正話부분
과 관련된 이야기를 서술하고 있거나 장편의 논평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논평에는 저자의 개인적 감정이나 사회제도, 날로 나빠진 사회의 기풍에 대한
비판 등이 들어있다. 이러한 현상은 ‘二拍’에서 확연히 드러난다. 入話는 소설
을 구성하는 하나의 부분일 뿐만 아니라 저자의 창작동기 및 감정, 욕망을 분
출하는 출구로 볼 수도 있겠다.160)
拟话本公案小说에서 正話 부분의 가장 뚜렷한 특징은 소설의 각도에서 줄거
리를 안배하고, 인물을 설정하여 독자를 더욱 매료시킨다는 것이다. 판관 이미
지도 短篇公案小說專集에 나타난 청렴하고 정직한 清官에서 인간적인 판관으
로 바뀌어 더욱 현실화 되었다. 그들에게도 오판이 있고, 사리사욕을 취하고
뇌물을 받는 면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 중 법
리를 의거하는 것 외에 인정과 사리(事理)도 함께 고려해서 판결을 내리는 경
우도 많다. 書判體와 傳記體 公案小說 중의 법률적 색채가 짙은 ‘三詞’가 拟话
本公案小说에서 완전히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문학과 어우러져 소설의 특징을
부각시키고 있다. ‘三詞’의 형식은 딱딱한 법률문구보다는 문학적 색채가 화사
하고 내용 또한 다양하다.161) 예를 들어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포 공은 이렇게 판결을 내렸다.
다른 사람의 목숨을 빼앗고 그 아내를 탐했으니, 마땅히 극형에 처해야 한
다. 저잣거리로 압송해 참수에 처한다.162) ( ≪百家公案≫53回<义妇为前夫报
159) 邓百意, 앞의 논문, 45쪽 참조.
160) 龙希贤, <明清公案小说结構模式的变化>, ≪文学前沿≫, 2009年01期, 297쪽.
161) ≪醒世恒言≫卷8 <乔太守乱點鸳鸯谱>에는 긴 판결문이 실려 있는데, 내용에는 사건의 사
유뿐만 아니라 판관 자신의 판결에 대한 변론도 들어있다. ≪醒世恒言≫卷15 <郝大卿遗恨
鸳鸯绦> 중의 판결문은 종교인에 대한 신랄한 풍자의 글로 본다.
162) “拯乃判下: ‘谋其命而图人之妻, 當处極刑.’ 押赴市曹斬首訖.”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
判百家公案>, 上海古籍出版社, 1990, 293쪽.
- 58 -
讎>)
교태수는 붓을 들어 판결문을 다음과 같이 적었다.
동생이 누나를 대신하여 시집가고, 시누이가 올케와 같이 자리에 들었구나.
아들딸을 사랑하는 부모의 마음 모두 일리가 있네. 한 쌍의 남녀가 짝을 이루
는 일이 변통하다 의외의 일들이 일어나게 되었다. 마른 장작을 타오르는 불
속에 가까이 넣어주니, 그것이 타지 않을 수가 없구나. 아름다운 옥을 밝은
구슬과 맺어주니, 더없이 알맞은 짝이 되더라. 손과부의 아들은 누나로 인해
아내를 얻고, 처녀를 안기 위해 담장을 넘지 않아도 되었구나. 유공의 딸은
올케로 인해 남편을 얻었으니, 사내를 생각하며 춘정을 발하지 않아도 되었구
나. 서로 사랑하여 혼인을 하고, 혼례는 정과 의리로 맺어졌구나. 후한 것이
박해지니, 일은 언제나 변통된다. 서아에게 배구의 아들은 사위로 삼게 하고,
배정에게 손윤의 배필을 다시 맞아들이게 했네. 남의 부인을 강탈하고 또 그
부인을 뺏어가니 두 집의 은혜와 원한이 결국 잠잠해졌구나. 혼자 즐거워함은
남과 같이 즐김과 못하며, 부부 세 쌍이 각각 금슬의 기쁨을 맛보는구나. 사
람은 비록 바뀌었지만 열여섯 냥은 본래 한 근일 따름이다. 혼인은 가문 간의
교류인데, 오백 년간 결코 잘못 맺은 적이 없네. 사랑으로써 사랑을 하면 그
부모도 스스로 중매쟁이가 되고, 친지인 듯 아닌 듯 하지만 이 관아가 중매노
릇을 했구나. 이미 명쾌한 판결을 내렸으니, 제각기 길일에 도달할 것이라
네.163) (≪醒世恒言≫卷8 <乔太守乱點鸳鸯谱>)
위 판결문의 예를 보면 알 수 있듯이 書判體나 傳記體公案小說의 판결문은
간단명료하게 사건에 대한 법적 처벌만 명시하는 반면, 拟话本公案小说의 판결
문은 훨씬 편폭이 길고 구성의 짜임새가 높다. <乔太守乱點鸳鸯谱>와 같은 경
163) 풍몽룡 지음; 최병규 편역, ≪三言≫, 창해, 2002, 165-166쪽 참조. 원문: “乔太守援笔判道:
弟代姊嫁, 姑伴嫂眠. 爱女爱子, 情在理中. 一雌一雄, 变出意外. 移乾柴近烈火, 無怪其燃; 以
美玉配明珠, 適获其偶. 孙氏子因姊而得妇, 搂处子不用逾墙; 刘氏女因嫂而得夫, 懷吉士初非炫
玉. 相悦为婚, 禮以义起. 所厚者薄, 事可权宜. 使徐雅别婿裴九之兒, 许裴改娶孙郎之配. 夺人
妇人亦夺其妇, 两家恩怨, 总息风波. 独乐之不若与人乐, 三对夫妻, 各谐鱼水. 人虽兑换, 十六
两原只一斤; 亲是交门, 五百年决非错配. 以爱及爱, 伊父母自作冰人; 非亲是亲, 我官府权为月
老. 已经明断, 各赴良期.”≪古本小說集成≫537 ≪醒世恒言≫, 上海古籍出版社, 1990, 466-467
쪽.

- 59 -
우에는 사건 始末에 대한 설명뿐만 아니라 판관 자신의 판결에 대한 변론도
들어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拟话本公案小说의 尾子 부분도 변화를 보인다. 모두 詩나 詞로 끝나는 형식
으로 유사하지만 宋元话本은 평이하고 온화한 말투로 설교하고 있는 반면 拟
话本公案小說은 높은 곳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듯이 설교조로 이야기를 늘어놓
는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3장에서 다시 서술하도록 하겠다. 清代에 이르러서
는 話本體公案小說은 점차 쇠퇴하여 문학의 무대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 60 -
Ⅲ. 明代公案小说의 敍事구조 및 전개양상
전통적 소설연구 이론은 작품의 내용을 중시하는, 즉 소설의 기본 구성 요소
인 인물, 배경, 사건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것으로, 소설 자체의 구조에 대해서
는 소홀히 하고 있다. 한편 敍事學(Narratology)이 비평이론으로 소설연구에
도입된 후 소설에 대해 재인식하고 판단하게 되었다.
敍事學은 서양의 중요한 문학이론으로 프랑스 문예이론가인 츠베탕 토도로
프(Tzvetan Todorov, 1939—2017)가 1960년대 최초로 제기한 후 다른 학자들
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연구되며, 확장 및 수정되었다. 1980년대에 해외 漢學家
들을 통해 중국으로 전해졌으며 중국소설 연구에 활용되었다. 敍事學의 주요
이론 주장은 敍事 작품 내부로부터 작품 자체의 법칙을 발굴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의 추상성을 강조하므로 敍事 작품의 심층 구조를 연구하는 것이며, 공시
성(共时性)을 중시하는 반면 역사 발정 과정을 소홀히 하는 면이 있다.164) 敍
事學은 소설의 본질을 출발점으로 삼아, 이전의 구식화된 문학 비평방식을 돌
파하여 소설에 대해 심층적 연구를 진행하는 방식이다. 본장에서는 敍事學 비
평이론을 이용해 公案小說의 敍事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 동안 계속 公案小說에 대해서 소재에 중점을 두는 장르로 보고 敍事전략
은 중요하지 않다고 인식해 왔다. 문학작품의 길이가 어느 정도는 敍事의 방식
을 결정하기도 하는데, 대부분 公案小說들은 단편소설 형식으로 되어 있어 길
이가 짧고 구조가 단순함으로 예술적 가치가 떨어져 학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
하였다. 시간 순서대로 敍事 절차를 정하는데 먼저 사건 발생 과정을 서술하
고, 그 다음 관리가 사건을 해결하고 최종 판결을 내리는 식으로 公案小說의
가장 흔한 敍事방식이다. 이러한 敍事방식은 작품자체의 제재상의 한계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사술자의 敍事전략이 내포되어 있다고 본다. 서술자는 법
의 공정성과 엄격성을 선전하는 동시에 소설적 역할도 수행하려는 의도가 충
분히 보인다. 이에 본장에서는 敍事學에 입각하여 明代 公案小說의 敍事시점
및 敍事구조, 그리고 사건의 전개양상을 살피고자 한다.
164) 王平, ≪中國古代小說敍事研究≫, 河北人民出版社, 2001, 2-3쪽 참조.
- 61 -
1. 公案小說의 敍事시점
敍事시점(Point of view)이란, 글자 그대로 소설을 쓰는 작가 혹은 화자가
어디에 서술의 초점(Focus of narration)을 두느냐 하는 문제이다. 즉, 소설 속
에서 누가 이야기를 하는 식으로 쓰느냐 하는 데 따라서 소설의 방향이 달라
질 것이고, 누구의 입장에서 사건을 보느냐에 따라서 그 소설의 결말도 달라질
것이다.165) 20세기 이래 많은 敍事학자들이 敍事시점에 대한 논쟁을 벌이고 자
신의 관점에 근거하여 분류하기도 하였다. 프리드먼(N.Friedman)은 敍事시점을
7가지로 구분하였고,166) 신비평학파는 4가지로 구분하였으며,167) 제라르 주네
트(Gérard Genette)는 ‘초점화(focalization)’라는 용어로 대신하면서 3가지로 나
누었다.168) 그리고 중국학자인 申丹은 제라르 주네트의 초점화 분류법에 근거
하여 敍事시점을 다시 4가지로 세분화하였다.169)
165) 이규정, ≪현대소설의 이론과 기법≫, 박이정, 1998, 265쪽.
166) 프리드먼이 주장한 7가지 敍事시점은 아래와 같다. ①편집적 전지(Editorial Omniscience),
②중립적 전지(Neutral Omniscience), ③1인칭 증인 서술(“I” As Witness), ④1인칭 주인공
서술(“I” As Protagonist), ⑤다중 선택적 전지(Multiple Selective Omniscience), ⑥선택적
전지(Selective Omniscience), ⑦연극 방식(The Dramatic Mode). Norman.Friedman, Form
and meaning in fiction, University of Georgia Press, 1975, 134-166쪽.
167) 신비평학파(New Criticism)는 1930-50년대 영·미의 비평계를 휩쓸었던 문학사상이다. 핵심
구성원은 존 크로 랜섬(John Crowe Ransom, 1888-1974), 존 올리 앨런 테이트(John Orley
Allen Tate, 1899-1979), 클린스 브룩스(Cleanth Brooks, 1906- ), 로버트 펜 워런(Robert
Penn Warren,1905-1989) 등이 있다. 신비평의 핵심은 작품의 내재적 가치를 강조하고, 문
학을 사회적 배경과 작가의 개인적 의도 등에서 절연시켜 ‘작품 자체’를 비평한다는 것이
다. 즉 대부분 종이 위에 씌어진 단어에만 관심을 기울인 것이다. 한때 영·미 비평계의 주
류를 형성하였다. 敍事시점을 4가지로 구분한다. ①1인칭 주인공적 서술(Main character
tells his story), ②1인칭 방관적 서술(Minor character tells main character's story), ③전
지적 서술(Analytic or omniscient author tells story), ④저자 방관적 서술(Author tells
story as observer)이다.
168) 제라르 주네트는 프랑스의 문학이론자, 구조주의 문학 이론의 수립자이다. 그는 ≪敍事담
론(Narrative Discorse)≫(1972)에서 ‘시점’이란 용어가 눈으로 본다는 의미가 너무 강하다
고 지적하며, ‘초점화(focalization)’라는 용어로 대신하였다. 또 서술화자와 등장인물을 기준
으로 ①내적 초점화(internal focalization), ②외적 초점화(external focalization), ③초점이
맞춰지지 않는 ‘제로 초점화’(zero focalisation, 무초점화/비(非)초점화)로 나뉜다.
169) ①제로 시점(즉 전통적 전지적 서술), ②내적 시점(제라르 주네트가 언급한 ‘고정 내적 초
- 62 -
시점의 세분화는 독자로 하여금 소설을 열독하는 과정 중 ‘서술자’와 ‘감지
자’의 차이점을 느끼게 한다. 소설에서 서술자가 어떠한 위치 혹은 상태에서
관찰하고 서술하느냐에 따라 독자에게 주는 효과는 달라진다. 본 절에서는 전
지적 敍事시점과 제한적 敍事시점 2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明代 公案小說의 敍
事시점을 살펴보고, 또한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 敍事시점의 특징과 기능을 규
명하고자 한다.
1)전지적 敍事시점
중국 고전소설은 대부분 전지전능한 敍事시점을 통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즉, 저자가 전지전능한 서술자의 신분으로 이야기를 하고, ‘하느님’처럼
시점과 시공을 따지지 않고 임의대로 서술하고 있다.170) 전지전능한 서술자는
인물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으며 모든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과거, 현재,
미래의 사건들을 모두 알고 있는 것처럼 보이며, 사건 전개뿐만 아니라 등장인
물의 외모, 동작과 심리까지를 모두 알고 독자에게 전달한다. 公案小說도 대체
로 서술자의 전지전능한 시점에서 이루어진다. 사건은 시간순서에 따라 연속적
으로 발전하고, 서술자는 그 발전 과정을 처음부터 끝까지 독자들한테 전개한
다. 물론 범죄를 저지른 과정과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도 모두 포함된다. 敍事
시점은 이야기보다 더 높고 우월한 위치에 처하여 사건의 모든 정보를 알 수
있어 남김없이 서술할 수 있는 것이다.171) 이것은 또한 公案小說의 서스펜스가
부족하고 예술적 효과가 떨어진다는 원인 중 하나이다.
公案小說의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百家公案≫38回 <王萬谋併客人
财>172) 줄거리를 단락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점화’, ‘가변 내적 초점화’, ‘복합 내적 초점화’ 3가지가 모두 포함된다), ③1인칭 외적 시점,
④3인칭 외적 시점(즉 외적 초점화, 카메라 혹 외적 旁观 경우에 해당). 申丹, ≪叙述学和
小说文体学研究≫, 北京大學出版社, 1998年, 203쪽.
170) 佘向军, <论中国古典小说对叙事视角的调度>, ≪船山学刊≫, 2001年第4期, 107쪽.
171) 丁灿·胡和平, <我国公案小说叙述模式探析>, ≪湖南公安高等专科学校学报≫, 2007年第6期,
92쪽.
- 63 -
① 상인 王萬은 成都에 가는 도중 같은 객점에 투숙하고 있는 손님인 沈明
을 만나 의형제를 맺는다.
② 두 사람은 같이 여정에 오르지만 王萬은 沈明의 재물을 보고 욕심이 생
겨 범행을 계획한다.
③ 王萬은 갑자기 복통을 호소하고 다가오는 沈明을 우물에 빠뜨려 그의 재
물을 빼앗는다.
④ 沈明이 지나가는 상인들로 인해 구조된 후 당한 사연을 설명한다.
⑤ 沈明이 고소하러 가는 도중 王萬을 만나 그를 끌고 관청에 들어가 包公
에 의해 사건을 해결하고 王萬은 변방의 군대로 끌려가게[充軍] 된다.
이 이야기는 상인 사이에 재물을 탐내어 목숨을 해치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서술자가 王萬의 심리활동과 행동을 모두 통찰하는 것으로 나타나 독자들은
처음부터 王萬의 계획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피해자 沈明은 아무것도 모르고
王萬을 위해 배를 문질러 주다가 조난을 당하고 만다. 여기서 서술자와 독자는
모두 알고 있지만 피해자 沈明만 모르고 있는 것이다.
“왕만은 배가 아픈 척하며, 심명의 옆으로 다가가 배를 문질러달라고 했다.
심명은 그가 나쁜 마음을 먹고 있다는 것을 전혀 눈치 채지 못하고 진심으로
그의 배를 문질러주었다. 왕만은 틈을 엿보아 힘껏 심명을 밀었다. 심명은 우
물 속으로 떨어졌다.”173)
전지적 敍事시점은 전지전능한 서술자가 작중 인물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으며, 심지어 인물들의 동작과 심리까지도 자유자재로 독자한테 전달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沈明이 관청 가기 전 이미 王萬의 범죄 동기와 행위를 알
172)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197-198쪽.
173) 안우시 엮음; 고숙희 옮김, ≪백가공안≫, 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65쪽. 원문: “王萬诈稱腹
疼, 着沈客近前为之抚摩. 沈客不知他起谋心, 只管尽心为之抚摩, 被王萬乘力一推, 沈客倒跌落
于井中去了.”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198쪽.
- 64 -
고 있는 것이다.
또 하나의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律條公案≫強盜總類의 <徐代巡断
抢劫缎客>174)의 줄거리를 단락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순무 徐侨는 巡察御史로 임명되자 명을 받들어 부임한다.
② 부임 도중 사체와 목각 인장을 발견하고, 베 상인들이 찍는 號记로 판단
한다.
③ 입성한 후 순무 徐侨는 즉각 재판정으로 나가 베를 구매하는 척 하여 중
개 판매인[經紀]에게 각 베 점포의 베 견본을 구해오라 위탁한다.
④ 구해 온 베 견본을 일일이 호기에 대조하여 부합한 자를 지정한다.
⑤ 베 상인 葉禄 및 일당 4명을 심문하여 범죄사실을 자백하게 한 후 변방
의 군대로 끌려가도록[充軍] 하였다.
이 이야기는 巡察御史 徐侨가 베 호기에 근거하여 강도 일당을 감별하는 내
용을 다루고 있다. 위 예문에서 보듯이 전지전능한 서술자는 텍스트 안에 순무
徐侨의 동기, 목적을 독자한데 남김없이 전달하였다. 徐侨가 시체가 발견된 곳
이 멀지 않고, 근일 살해당한 것으로 보이니 도적이 아직 멀리 벗어나지 못했
다고 추리하는 것과 중개 판매인 江明한테 베 점포에 가서 견본을 구해오라는
의도도 서술자와 독자만 알고 있어 범인 葉禄은 눈치 채지 못하고 베 20필 을
골라 제 팔로 관청에 들어갈 수 있었던 것이다.
앞에서 말했듯이 전지적 서술자는 하나님처럼 모르는 것이 없고 권위적 위
치에서 사건과 인물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서술자는 모든 작중 인물의
내부세계까지 독자에게 설명, 폭로하지는 않는다. 申丹에 따르면 “주요 인물
혹은 긍정적 인물의 내면세계만 집중적으로 밝힌다.”175)라고 하였다. 그 이유
는 주로 敍事의 번잡함을 피하고, 敍事的 거리(narrative distance)176)를 조절하
174) ≪古本小說集成≫549 ≪古今律條公案≫, 147-152쪽.
175) 申丹, 앞의 책, 213-215쪽 참조.
176) 敍事的 거리는 미국 시카고 수사학파 비평가인 웨인 부스(Wayne Clayson Booth)가 The
Rhetoric of Fiction(≪小说의 修辞学≫(1961)에서 최초로 제시한 이론으로 소설의 敍事주
- 65 -
기 때문이다. 한 인물의 내면의 심리활동을 집중적으로 밝히는 것은 독자와 작
중 인물의 거리를 단축하고,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다.
公案小說에서 주요 인물은 분명히 판관이고, 특히 한 명의 판관을 중심으로
한 傳記體公案小說에서는 모든 사건이 그 판관에 집중되어 있어 그에 대한 내
면의 심리활동 묘사가 당연히 가장 세밀하고, 다른 인물에 대한 묘사는 소홀히
하거나 간소화된다. 이러한 설정은 주인공과 독자의 거리를 단축하고, 공감을
일으켜 청렴하고 공정한 판관에 대한 숭배심리가 더욱 깊게 남아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살펴본다. ≪新民公案≫3卷 賴騙類 <爭子辨其真偽>177) 줄거리를
단락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張은 마흔 살에 아들을 얻었는데, 그 아들이 세 살 때 유괴되어 楊廣 집
안으로 팔려간다.
② 4년 후에 張桌은 길을 지나가다 아들을 발견하지만 楊廣은 자기가 낳은
자식이라고 우기며 張桌을 때린다.
③ 張桌이 郭公에게 고하자 郭公은 바로 옥졸을 파견하여, 아들이 죽었다는
소문을 퍼트린다.
④ 張桌은 아들이 죽은 소식을 듣고 눈물이 그렁그렁한 반면 楊廣은 단지
탄식뿐이다.
⑤ 郭公은 두 사람의 반응을 보고 張桌이 친부라고 판단하여, 아들을 데려
가도록 한다.
이 이야기는 두 富豪가 아들 문제로 다투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사건을 해
결하는데 모두 판관인 郭公의 전략대로 돌아가고 있고, 그 외는 아무도 그의
체 간의 거리를 가리킨다. 敍事주체는 내포저자(Implied Author), 서술자와 작중 인물을 일
컫는다. 웨인 부스는 저자는 내포저자를 통해 敍事를 진행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저자는
작품마다 자기 생각과 다른 인물을 만들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제라르 주네트(Gérard
Genette)는 Narrative Discorse(≪서사담론≫, 1972)에서 초점화(focalization)를 제안하면서
내포저자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였다.
177) ≪古本小說集成≫393 ≪郭靑螺六省聽訟錄新民公案≫, 297-306쪽.
- 66 -
계획을 모르고 있다. 그리하여 張桌과 楊廣이 아들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게 하
여 그들의 본색이 드러나게 한 것이다. 이야기 중 직접적인 郭公의 심리묘사는
그다지 많지 않지만 독자는 모두 그의 심리와 전략을 짐작할 수 있다. 郭公은
처음 이 사건을 사소한 일이라 여겨 소장을 받지 않으려다 張桌의 고충을 듣
고 소장을 접수하긴 하지만 진위를 가릴 수 있는 방법을 한참 고민한다. 張桌
과 楊廣이 해명하는 장면은 계속 이어지지만 그들 내면의 심리활동에 대한 敍
事는 찾을 수 없다. 독자는 처음부터 張桌의 아들인 것을 알고 있지만 郭公이
어떤 방법을 써서 친자를 감별할지가 더 궁금하다. 郭公이 직접 부고를 전하지
않고 옥졸을 시켜 소식을 퍼트리게 한 것도 분명히 전략 중의 일부로 독자로
하여금 탄복하게 한다. 역시 청렴하고 공정한 관리는 작은 사건도 소홀히 하지
않고 지혜롭게 해결한다. 서술자는 이런 敍事시점으로 주인공과 독자와의 거리
를 한층 더 가깝게 만든다.
이 밖에도 저자는 항상 전지적 敍事시점에서 작중 사건이나 인물에 대한 논
평을 발표한다. 이것은 고전소설 중 흔한 현상으로 擬話本公案小說에서도 예외
는 아니다. 현대소설이론은 이러한 논평방식을 반대하는데, 저자의 논평이 텍
스트 안에서는 불필요해 보이고, 또한 설교의 성격이 너무 진하기 때문이다.
이른바 권위적 말투로 도덕 기준을 세우고 있는 방식은 ‘三言二拍’에서 많이
쓰이고 있다. 작품 앞이나 뒤에는 항상 詩詞 혹은 논평의 글이 추가되었다.
話本小說의 중요한 구성 부분은 바로 ‘入話’이다. 入話는 관중을 끌어들이는
효과도 있지만 늦게 오는 관중을 기다리는 의도도 담겨져 있다. 일반적으로 詩
나 詞로 시작한 다음 짧은 고사 한 편을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중간에 평
론까지 붙이는 경우도 종종 있다.
예를 들면 ≪警世通言≫35卷 <况太守断死孩兒>178)의 서두는 칠언시로 시작
해 才子佳人의 감정을 표현하였다.
봄꽃과 가을 달은 풍류가 가득한데,
뜻밖에도 홍안(紅顔)은 쉽게 백발이 되어버리네.
178) ≪古本小說集成≫535 ≪警世通言≫, 上海古籍出版社, 1990, 1435-1470쪽.
- 67 -
사람의 마음을 송백(松柏)에 견주어 본다면,
몇 명이나 세밑의 추위에 남아있을 수 있을까?179)

그 다음에 장편의 평론 뒤 宋代 玉通禅师의 破戒 이야기를 하면서 正話로


들어간다.
“다음은 절개를 잃은 과부의 이야기로 玉通禅师의 이야기와 쌍을 이루도록
하겠다.”180)
끝부분 “况爷는 붓을 들어 바로 판결문을 작성하였다.[况爷提笔, 竟判审单]”
뒤에는 판결문이 붙여 있는데, 마지막으로 또 “시에서 아래와 같이 말하네.[有
诗为证]”로 마무리한다.
실제 작품 전체의 스토리와 말미의 판결문만 봐도 이미 사건 상황을 완전히
이해할 수 있는데 저자는 글 앞이나 뒤에 평론까지 추가하여 사족을 붙이는
느낌을 받게 한다. 明代의 短篇公案小說專集 중의 평론은 보통 按語 형식으로
사건의 서술이 끝난 후에 몇 마디 설교나 판관을 찬양하는 말로 덧붙이는데,
擬話本公案小說의 경우는 장편의 글로 평론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평론이
무조건 무용지물은 아니다. 어떤 평론은 주제를 심화시키는 역할도 한다. 판결
문은 법률적 성격이 매우 짙어 자유롭게 서술자의 의견이나 생각을 표현할 수
없는데 평론은 이와 달리 전지적 시점에서 서술자에게 더욱 넓은 공간과 자유
를 제공하여 서술자의 생각을 자연스럽게 드러낼 수 있게 한다.
擬話本公案小說에 나타난 평론들을 대부분 직설적이고, 숨기거나 가리지 않
으며, 평론의 대상은 인물보다 사건 자체에 대한 내용이 더 많다. 이것은 당시
의 저자인 사대부 문인들이 서술자를 통해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학식이나 우
월감을 드러내려고 하는 의도가 분명하다.
179) “春花秋月足风流, 不分红颜易白头. 试把人心比松柏, 幾人能为岁寒留?” ≪古本小說集成≫535
≪警世通言≫, 1435쪽.
180) “如今再说個诱引寡妇失节的, 却好與玉通禅师的故事做一对兒.” ≪古本小說集成≫535 ≪警世
通言≫, 1440쪽.

- 68 -
이런 점들로 미루어 보면 公案小说이 전지적 敍事시점을 사용하는 것은 중
국 민간의 ‘說話’ 예술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본다. 서술자는 사건과 인물에
대해 환히 알고 있고, 표면적인 관계뿐만 아니라 내재적 관계까지도 모두 투시
하고 있다. 이렇게 되어야만 서술자는 더 자유롭게 많은 사건을 서술할 수 있
고, 서술과정 중 또한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어떤
때는 권위 있는 목소리로 텍스트의 서두나 말미 부분에 사건에 대한 논평을
덧붙이기도 한다.181) 이에 독자는 說話의 청중처럼 부담 없이 들을 수 있다.
왜냐하면 說書人은 아낌없이 모든 것을 청중에게 알려주어, 청중은 깊이 생각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한편, 전지전능한 서술자의 입장에서 사건 서술이 이루어져 독자에게 전달되
므로 이에 독자들은 피동적인 각도에서 모든 정보를 알게 되어 점차 자신의
판단을 잃게 되면서 작품이 지루하게 느껴진다. 능동성을 지니고 있는 독자들
은 점차 서스펜스가 있고 생동감이 넘치는 작품들을 찾게 된다. 그들은 권위를
믿지 않고, 자아가 작품 속으로 들어가려고 하여 작중 인물과 공명이 생기게
된다. 이것은 아마도 明代 公案小說이 침체에 빠지게 되어, 清代의 俠義公案小
說이 출현하게 되는 원인 중 하나라고 생각된다.
2) 제한적 敍事시점
明代 公案小說들은 기본적으로 전지적 敍事시점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다.
서술자가 사건과 인물에 대해 모든 것을 알려주면서 텍스트를 제어하고 지배
하고 있다. 그러나 분위기를 띄워 사람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서는
서술자는 또한 제한적 敍事시점을 활용하기도 한다.
전지전능한 서술자가 서술하는 것 외에 어느 특정인물의 시점에 맞추어 敍
事되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독자들에게 제공되는 정보들은 이 특정 인물이
보고 듣고 생각하는 것만으로 제한된다. 서술자도 이 특정인물에 맞춰야 되고,
더 초과해서 서술하면 안 되는 것이다. 公案小說들은 대체로 전지적 敍事시점

181) 丁灿·胡和平, 앞의 논문, 92쪽.


- 69 -
으로 서술하고 있지만 특정인물인 판관의 시점에 맞춘 제한적 敍事시점도 드
러난다. 특히 清官을 따라 시간적, 공간적 敍事가 펼쳐진다. 예를 들면 ≪龍圖
公案≫卷8 <牌下土地>182)에서 包公이 王씨 형제가 은냥(银两)을 절도당한 사
건을 해결할 때는 아무런 조사나 심리를 하지 않고 그저 陳青을 파견하여 ‘五
里牌’를 쫓아 체포해오라고 명한다. 이는 陳青으로 하여금 갈피를 잡을 수 없
게 하고, 독자들에게도 도무지 영문을 모르게 하는 것이다. ‘五里牌’는 하나의
장소일 뿐, 걸어 다니는 것도 아니고 말을 할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결국 마지못해 陳青은 ‘五里牌’에 분향하고 토지신에게 도움을 청해 사건의 경
위를 알게 되었다. 서술자는 판관인 包公의 동기와 심리를 독자들에게 전달하
지 않고, 그저 包公을 따라 시간적, 공간적 敍事를 하고 있어 작중 인물조차도
모든 정보를 얻지 못한 상황에서 행동을 취하고 있는 것이 드러난다. 특정인물
의 시점에 맞춘 제한적 敍事시점은 독자들에게 서스펜스적인 느낌을 줄 수도
있으나 허무맹랑한 면도 있을 수 있다.
제한적 敍事시점은 拟话本公案小說에서 많이 볼 수 있는데, 전형적인 작품으
로는 ≪警世通言≫卷13 <三现身包龙图断寃>183)이 있다. 이 이야기는 奉符县
孙押司가 押司娘과 小孙押司에게 살해당한 후 包公에 의해 억울함이 밝혀지는
사건을 다루고 있다. 대체로 3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孙押司의 사망
으로 사건발생이 시작되고, 둘째는 押司娘이 小孙押司에게 재가하는 것이고,
셋째는 孙押司의 망령이 3번이나 나타나 사건이 해결되는 것이다. 이 작품에서
서술자는 전지전능한 시점에서 작중 인물의 행동이나 심리를 독자에게 전달하
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押司娘과 小孙押司는 일찌감치 흉계를 꾸며 孙押
司를 살해하려고 했는데도 불구하고 서술자는 독자에게 인물들의 계략과 심리
를 하나도 드러내지 않는다. 제한적 敍事시점을 사용하여 적은 정보만을 누설
하여 독자는 작중 인물의 행동과 심리로는 상황을 파악하지 못한다. 孙押司의
망령이 나타날 때도 직접 살인자에게 찾아가지 않고 하인 迎兒를 통해 보이게
하고, 혼도 그녀에게 깃들게 하지만 여전히 진상은 밝혀지지 않는다. 敍事과정
182) ≪包公案≫, 中國戱劇出版社, 2000, 217-218쪽.
183) ≪古本小說集成≫534 ≪警世通言≫, 449-483쪽.
- 70 -
중에는 간혹 논평도 들어 있지만, 비교적 객관적인 어투를 유지하고 있으며 사
건 진전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도 없다. 결국 판관 包公에 의해 孙押司의 억
울함을 씻을 수 있게 됨으로 包公의 이름이 천하에 퍼져 사람들에게 전해지게
되어 낮에는 사람을 판결하고 밤에는 귀신을 판결[日间断人, 夜间断鬼]하는 명
판관이 된다. 이야기 말미의 시가 이를 증명하고 있다.
시에 숨어 있는 수수께끼를 누가 풀 수 있을까,
포공이 한 번에 판결하여 귀신도 놀라네.
암실(暗室)의 어그러진 마음을 가진 자들에게 말하노니,
천공(天公)의 감정이 맑지 않다고 말하지 마라.184)
서술자는 독자의 호기심 유발을 위해 일부러 제한적 敍事시점을 택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함축적인 敍事시점은 독자들의 심금을 울리고 결말에 문득
크게 깨달음을 주는 효과를 보게 된다.
전지적 敍事시점과 제한적 敍事시점을 혼용하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 公案小
說 작품은 서두에서는 전지적 敍事시점으로 사건의 배경이나 상황을 독자들에
게 대략적으로 소개하여 독자로 하여금 빠르게 사건에 스며들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敍事시점을 끝까지 고수하면 이야기에 대한 신비감이 점차 떨어져 독
자들의 흥미가 사라지게 된다. 결국은 범죄자는 아무런 서스펜스 없이 밝혀지
게 되고 심판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패턴이 중복되면 독자들은 쉽게 지루함을
느낀다. 그리하여 전지적 敍事시점과 다른 敍事시점을 혼용해야 작품의 완성도
가 높아진다.
明代 公案小說에서는 이러한 작품이 많지는 않지만 없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살펴본다. ≪新民公案≫卷2 劫盜類 <雙頭魚殺命>185)의 줄거리를 단락으
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84) “诗句藏谜谁解明, 包公一断鬼神驚. 寄声暗室虧心者, 莫道天公鉴不清.” ≪古本小說集成≫534


≪警世通言≫, 483쪽.
185) ≪古本小說集成≫393 ≪郭靑螺六省聽訟錄新民公案≫, 248-263쪽.
- 71 -
① 뱃사공인 高壽는 승객 武元名의 재물을 탐내어 운송 도중 雙頭魚가 있다
고 유인하여 武元名을 강에 빠뜨려 살해하고 재물을 강탈한다.
② 高壽는 빼앗은 재물로 토지를 사고 장가를 가며 부유한 생활을 누리게
되지만, 항상 제 발이 저려 집으로 법사를 청하여 불사를 하면서 망령을
濟度한다.
③ 高壽의 아들인 高達은 성격이 온순했지만 갑자기 포악해지고 불시에 칼
을 들고 아버지를 찌르려고 한다.
④ 견디지 못한 高壽는 판관 郭爺에게 불효자를 고하지만, 高達은 곤장 열
대를 맞아도 여전히 아버지를 죽이려고 한다.
⑤ 판관 郭爺는 이상히 여겨 다음날 바로 城隍廟에 가서 行香하는 중 雙頭
魚 살인사건을 알게 되어 高壽를 처벌한다.
이 이야기는 뱃사공이 승객을 살해하여 처벌을 받는 사건을 다루고 있다. 서
두에는 전지적 敍事시점에서 살인사건의 전체적인 배경과 과정을 진술하였지
만, 아들 高達의 이상한 행동에 대해서는 독자들에게 자세히 공개하지 않은 것
을 볼 수 있다. 말미에 들어가서야 高壽가 예전에 저질렀던 범행을 다시 수면
위로 드러나게 하여 독자로 하여금 문득 모든 것을 깨닫게 한다. 결국은 武元
名의 원혼이 아들 高達의 몸에 붙어 있어 아버지를 죽이려고 한 것이었다. 독
자들이 이러한 제한적 敍事시점을 통해 알 수 있는 정보는 절대로 작중 인물
이 알고 있는 것보다 많지 않다. 이러한 전지적 敍事시점과 제한적 敍事시점을
함께 사용하는 방식은 사건을 더욱 흡인력 있게 하여 독자들의 호기심과 상상
력을 불러일으킨다. 이로 인해 이야기와 독자 간의 거리 또한 좁혀지게 되어
독자는 끝까지 작품을 읽게 된다.
2. 公案小說의 敍事구조
위에서는 公案小說의 전지적 敍事시점의 특징, 원인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
다. 이절에서는 公案小說의 敍事구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 72 -
敍事구조란 무엇인가? 미국학자인 앤드류 플랙스(Andrew Henry Plaks,
1945- , 浦安迪)는 그의 저서인 ≪中国叙事学≫에서 아래와 같이 서술하였다.
“간단히 말하면 소설가들은 글을 지을 때 반드시 인류의 경험에 따라 하나
의 외형(shape)을 쓰게 되는데 이 ‘외형’이 이른바 소위 광의적 구조이다.
......(중략)......외형은 어떤 이야기나 말이나 줄거리나, 단원(單元)의 크기를 막
론하고 모두 서두와 말미가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서두와 말미 사이에는 표
현하는 사람의 인생 경험과 서술 방식에 따라 임의적이지 않은 ‘외형’이 구성
된다. 바꾸어 말하면 어느 특정한 敍事文의 첫 문장과 마지막 문장 사이에 내
재적 형식 규칙과 미학적 특징이 존재하는데 이것이 바로 그것의 특정된 ‘외
형’이다.”186)
公案小說은 대부분 전지적 敍事시점으로 사건이 발생하는 순서대로 이야기
를 하고 있는데, 그 이야기들은 분명히 어떤 외형으로 구성된다. 이 외형들의
규칙과 특징에 대한 검토 또한 의미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公案小说에서 통상 사용하는 敍事외형은 먼저 사건이 발생하는 모든 과정을
서술하고, 그 다음 관리가 사건을 심리하고 해결하여 판결을 내리는 것이다.
대체로 “사건개요 → 소장제출 → 사건심리 → 사건판결”이라는 구조이다. ≪
廉明公案≫의 서문에서 편집자 余象斗는 “우선 사유를 서술하고, 다음 소장을
제시하며, 말미는 판결을 서술한다.”187)라고 한 바가 있다. ≪廉明公案≫은 초
기 短篇公案小說專集으로, 우선 외형의 틀을 정해놓고 그 후에 다른 작품들이
대부분 이런 구조를 따랐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擬話本公案小說이 나온 후
에는 구조상 약간 차이가 보였지만 대체로는 여전한 구조였다. 범죄를 일으키
186) “简而言之, 小说家们在写作的时候, 一定要在人类经验的大流上套上一個外形(shape), 这個‘外
形’就是我们所谓的最廣义的结構.......所谓‘外形’, 指的是任何一個故事, 一段话或者一個情节, 無
论‘单元’大小, 都有一個开始和结尾. 在开始與结尾之间, 由于所表达的人生经验和作者的讲述特
徵的不同, 構成了一個并非任意的‘外形’. 换句话说, 在某一段特定的叙事文的第一句话和最後一
句话之间, 存在著一种内在的形式规则和美学特徵, 也就是它的特定的‘外形’.” 浦安迪,≪中国叙
事学≫, 北京大学出版社, 1996年, 55쪽.
187) “先敍事情之由, 次及讦告之詞, 末述判斷之公.” ≪古本小說集成≫118 ≪廉明奇判公案傳≫, 上
海古籍出版社, 1990.
- 73 -
는 원인부터 서술하는, 즉 반영을 하고자 하는 사건의 최초 평형 상태로 시작
하여, 연후에 사건 자체의 발전에 따라 불평형 상태로 방향을 바꾸어 서술하
고, 어떤 연속 과정을 거쳐 마지막으로 관련 인물의 운명을 알려주어, 피해자
는 보상을 받고, 가해자는 처벌을 받는 또 하나의 평형 상태에 이르는, 首尾가
관통하는 완전한 公案小说의 구조유형이다. 이러한 구조유형은 아래와 같이 또
여러 형태를 띠고 있다.
1) 公案기능에 의한 敍事
杨义 의 ≪中国叙事学≫에서는 한 편의 敍事작품의 구조는 다양한 형식으로
작품의 많은 단원을 조직하고 있으므로 왕왕 작품 중에 가장 큰 隐义가 함축
되어 있다고 지적한 바가 있다.188) 이에 敍事구조를 이해하면 텍스트를 더욱
깊이 있게 해독할 수 있는 것이다.
‘缀段式’(episodic) 敍事구조는 중국 고전소설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 公
案小说 또한 이러한 敍事구조를 애용한다. 明代의 短篇公案小说專集이나 擬話
本公案小說, 清代의 侠义公案小说 등이 모두 ‘缀段式’ 敍事구조를 사용하고 있
다. 본고는 사건의 발생과 해결을 서술하는 것을 公案기능에 의한 敍事라고 규
정한다. 公案기능을 달성하기 위해서 ‘缀段式’ 구조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缀段式’ 敍事구조는 많은 서양학자들이 취하지 않는 수법으로 아직까지 평
가가 분분하다. 그들은 ‘缀段式’ 敍事구조를 사용한 소설들의 외형은 흩어진 모
래알처럼 일관성 있는 유기적 구조가 결여되어 있다고 여기는 것이다. 그러나
과연 敍事작품들을 ‘缀段式’ 敍事구조와 단절시킬 수 있을까? 만약에 敍事의
기원과 발전을 거슬러 올라간다면 어떤 의미에서는 모든 敍事文이 어느 정도
는 다 ‘缀段性’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敍事하는 자체가
인류의 경험 單元들을 처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 산발적인 경험 단원들은
어떻게 조직되든 일정한 통일성을 갖추는 것은 당연하다.189)
188) 杨义, ≪中國敍事學≫, 人民出版社, 1997, 39쪽.
189) 浦安迪, 앞의 책, 62쪽.
- 74 -
胡士 莹은 ‘缀段式’에 대해 “주요 이상적 인물의 이야기를 주선으로 삼고, 일
련의 독립적인 이야기들을 구슬을 꿰듯이 연결하는 유기적 통일체이다.”190)라
고 정의를 내린 바가 있다. 이 이야기들은 하나 혹은 여러 개의 행동하는 역할
로 인해 연계되거나 어떤 주제로 통괄된다. 이 이야기 사이에는 아무런 인과관
계도 없어 그들의 시간적, 공간적 위치를 변경하는 것은 전체에는 지장이 없
다.191) 총체적으로 말하면, ‘缀段式’ 敍事구조의 특징은 2가지로 귀납할 수 있
다.
① 사건들이 병렬관계에 있어 서로 독립적이다.
② 시간적 맥락은 에피소드식(episodic)이다.
<그림3-1> 缀段式 敍事구조

‘缀段式’ 구조의 기원은 宋代의 話本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話本의 敍


事구조는 대부분 여러 개의 상대적이고 독립적인 작은 이야기들로 연결된 것
이다. 이러한 작은 이야기들을 ‘小套’라고 하였다. 說話人은 이 ‘小套’들을 서로
결합하여, 한 고리 한 고리 서로 채워져 있는 듯한 ‘缀段式’ 구조를 만들었다.
公案小说의 하나의 중요한 연원은 바로 宋代의 ‘说公案’이다. 그리하여 話本의
‘缀段式’ 구조는 당연히 公案小说을 창작하는데 채택된다. 傳記體 公案小說
의 경우는 실존 인물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다. 史書에 기재된 인물은 일반적
으로 연도별로 그의 사적을 안배해서 완전성을 드러내려고 한다. 그러나 公案
小说의 구조의 완전성은 시간 순서대로 그 인물의 일생을 기록하는 것에 치중
하지 않고, 그 인물에 관한 핵심 사건들만 연계시켜 상세히 묘사하여 인물의
성격과 특징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것이다. 막상 따지고 보면 이 핵심 사건들
190) 胡士莹, 앞의 책, 689쪽.
191) 石昌渝, ≪中国小说源流论≫, 三联书店, 1994年, 31쪽.
- 75 -
은 실제 사건이 아닌 것으로 나타난다. 저자는 그저 公案小说集을 창작과 편찬
하기 위해 실존인물의 이름을 빌려 쓰는 것에 불과하다. 진정한 의도는 折獄
사건을 서술하는 데 있다.
短篇公案小說專集 ≪百家公案≫(100回)과 ≪海公案≫(71回)은 모두 ‘回’로 연
결되어 있지만 회마다 아무런 관련도 없고 서로 독립적인 것을 쉽게 볼 수 있
다. ≪百家公案≫의 주인공은 包拯이고, ≪海公案≫의 주인공은 海瑞로 설정되
어 있고, 그들을 둘러싼 많은 사건이 발생하고, 또 그들로 인해 사건들이 해결
된다.
≪新民公案≫을 살펴보기로 한다. 전체 4卷 43편의 이야기가 8類(欺昧, 人命,
謀害, 劫盜, 賴騙, 伸寃, 奸淫, 霸占)로 나누어져 있는데, 같은 분류 안에 있는
이야기들도 인과관계가 없어 그들의 위치를 변경해도 무방하다. 1卷 <郭公出
身小傳>에서 郭子章의 출신과 업적을 소개하는 것 외에는 다른 이야기들은 모
두 비슷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縣......鄉(街)......人......”으로 시작하여 사건배
경을 서술한 다음에 억울한 사건을 발생하자 당사자가 관청에 가서 고소하고,
이때 지방관리가 무능하면 사건을 해결하지 못하고 다시 郭公한테 고소하여,
사건이 원만하게 해결된다. 물론 다른 관리를 거치지 않고 바로 郭公이 해결하
는 사건도 있지만 ≪新民公案≫에서는 郭公의 정직함과 유능함을 과시하기 위
해서 우선 지방 관리를 묘사하여 그들의 무능함과 선명한 대조를 이룬 다음에
郭公이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을 전개한다. 43편의 이야기 중 1/3이 이러한 구
조이다.
欺昧類의 <富戶重騙私債>192)편을 살펴본다. 줄거리를 단락으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浦城縣 北乡 九日街 향민 劉知己는 여비가 부족하여 부자 曾節한테 백냥
을 빌린다.
② 일 년 후에 劉씨가 부채를 상환하고 나오나 급히 나온 바람에 차용증을
챙기지 못한다. 수년 후에 曾씨가 차용증을 들고 다시 부채를 요구해 劉
씨한테 거절을 당하자 소장을 제출한다.

192) ≪古本小說集成≫393 ≪郭靑螺六省聽訟錄新民公案≫, 9-22쪽.


- 76 -
③ 판관 朱大尹은 소장을 접수받고, 劉씨는 바로 답변서를 제출한다. 朱大尹
이 무능하여 劉씨보고 부채를 상환하라 한다. 劉씨는 다시 郭公한테 고소
한다.
④ 郭公의 지략으로 曾씨가 스스로 장부를 제출하여 범행이 드러난다.
⑤ 曾節이 범죄 사실을 자백하자 郭公은 판결을 내린다.
이 이야기는 富豪가 부채를 사취하는 사건을 다루고 있다. 朱大尹이 해결하
지 못한 사건을 郭公한테 전이하자 바로 범행을 자백하게 만들었다. 欺昧類의
다른 이야기들<斷客人失銀>, <女婿欺騙妻舅家財>, <羅端欺死霸占>, <斷妻給
還原夫>, <涉及斷還二婦> 등도 금전이나 재산문제로 다투는 내용이지만 이
이야기들 사이에는 아무런 관계도 찾을 수 없다. 유일한 공통점은 아마도 郭公
이 쓴 판결문일 것이다. 이 사건들이 郭公이 직접 해결하든, 다른 관리가 해결
하지 못해 다시 郭公 손에 들어오든, 마지막으로는 모두 郭公이 해결하여 판결
을 내리는 것으로 나타난다.
독자는 ‘缀段式’ 구조로 된 여러 독립적인 이야기들 통해 郭公의 정직함과
유능함을 알게 되어 그의 대한 숭배는 더욱 커지게 된다. 또한 이 산발적인 이
야기들을 통해 기본적인 법률지식을 얻게 되어 실제 소송사건이 생길 때 참고
하게 된다. 이런 公案기능에 의한 敍事를 통해 소설은 사회적 작용을 한다.
傳記體公案小说뿐만 아니라 다른 短篇公案小說들도 ‘缀段式’ 敍事구조를 사
용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短篇公案小說들은 범죄 유형에 따라
분류되어 있지만 같은 유형에 속해 있는 사건들이어도 서로 아무런 관계가 없
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사건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른 범죄유형으로 나타
나는 경우도 있다.
앤드류 플랙스는 ≪中国叙事学≫에서 “우리가 서양의 전통 敍事이론을 중국
明清소설에 그대로 쓰다보면, 여러 가지로 터무니없는 점이 많을 것이다.”193)
라고 지적한 바가 있다. 모든 이론은 사실의 기반 위에서만 존립한다는 것은
틀림없다. 소설은 허구적인 이야기를 서술하는 것이지만 현실을 토대로 창작된
193) 浦安迪, 앞의 책, 13쪽.
- 77 -
것이다. 그리하여 구조이론을 탐구할 때는 반드시 그 민족의 문화나 예술의 차
이성을 고려해야 하고, 창작배경의 각도에서 소설의 敍事구조를 해석해야 된다
고 생각된다.
결국 ‘说话’에서 비롯된 公案小说의 敍事구조는 說書人의 说话방식에 달려
있다. 說書人들이 복잡한 표현수법을 사용하지 않은 이상 산발전인 公案사건들
은 그저 구슬을 꿰듯이 연결되는 방식으로 독자한테 알려준다. ‘缀段式’ 敍事구
조는 짜임새가 느슨하다는 반면 자유로운 형식으로 여러 이야기들을 독자들에
게 다각적으로 다가갈 수 있다. 그리고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을 대국적으로
본다면, 그 산발적인 公案사건들이 어떤 상부지휘구조로 통괄되어 있다는 느낌
도 든다. 독립적인 이야기 사이에는 그럴만한 개연성도 충분히 있어 보이고,
드러나지 않는 引張力으로 법률을 선전하면서 선악을 가리고 있다. 또한 더 많
은 사례를 보여 주어 독자들이 실제 소송을 할 때 참고할 만한 자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缀段式’구조를 선택한 이유 중 하나라 짐작된다.
2) 淸官의식에 의한 敍事
公案小說은 사건의 발생과 해결을 묘사하는 소설이라 범죄를 저지르는 것과
판관이 사건을 해결하는 것은 公案小說의 중요한 구성부분으로 어느 것이 빠
져도 公案小說이라고 할 수 없다. 이에 판관은 公案小說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
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판관 중 청렴하고 공정한 관리를 清官이라고
한다. 清官을 핵심인물로 하는 公案小說에서는 清官의식에 의한 敍事도 주목할
만하다.
清官의식은 봉건적 전제군주 통치체제의 산물이라고 볼 수 있다. 봉건 시대
에는 일반 민중들이 정치적 법률적 권리가 없기 때문에 자신의 운명조차 지배
할 수 없었다. 억압과 억울함을 당할 때 현명한 통치자나 공정한 지방 관리를
기대하고 갈망할 수밖에 없었고, 그 중에도 특히 사건을 직접 주관하여 해결해
주는 판관에 대한 요구는 더욱 간절하였다. 한편, 통치자도 民本 사상과 爲民
정신을 반영하기 위해 백성을 대표하여 청원하는 어진 관리들을 극도로 추앙

- 78 -
하여 민심을 얻으려고 하였다. 이것은 清官의식을 추동하는 근원이기도 하다.
李保均의 ≪明清小说比较研究≫194)에서는 清官의식에 대해서 ‘公正觀’, ‘忠孝
觀’, ‘順民觀’, ‘人治觀’ 등의 4가지 관념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강주완에 따르
면 ‘公正觀’, ‘人治觀’이 일반 민중들의 심리의식을 반영한 것이라면, ‘忠孝觀’,
‘順民觀’은 봉건통치자의 이해를 대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인데, 清官의
식이 지니는 이러한 여러 가지 層次들은 결국 公案小說의 역사 속에서 다양한
성격의 清官 형상을 창조해 내었다고 하였다.195)
宋元 公案話本 중 清官에 대한 敍事는 많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다. 범죄를
저지르는 장면에 치중하고 있어 사건 해결에 대해서는 그저 몇 마디로 결말을
짓는다. 清官들의 이미지 또한 단순하여 천편일률적이다. 이런 현상은 明代의
短篇公案小說專集에서도 지속되어 敍事의 중점은 여전히 사건 발생에 있는 작
품이 많다. 明末 擬話本公案小說이 출현되어서야 清官이미지를 중요시하여 사
건해결에 대한 敍事도 많아진다. 清代에 이르러 俠義公案小說에서는 清官이 협
객들과 결합하여 사건을 해결하기도 하지만 중심은 협객들로 전이된다.
淸官은 敍事의 중심이 되든 안 되든 公案小說에서는 무조건 존재하는데, 그
로 인해 사건이 해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淸官은 사건의 종식을 선언하는 사
람으로서 敍事의 繁简을 좌우하기도 한다. 소장을 보자마자 호통을 치면서 범
인을 잡아오라고 하여 심판하는 관리가 있고, 소장을 접수하자 깊은 고뇌에 빠
진 관리도 있다. 사건이 빨리 해결되면 이야기 또한 짧게 끝나는 것이고, 여러
심리과정을 거치면 이야기도 길어진다는 것은 당연하다.
서민들의 淸官에 대한 의지는 당시에 잔혹한 사회 현실 때문이라고 생각된
다. 공정하지 못한 법률 체계에다가 사리사욕을 꾀하는 관리들로 인해 서민들
은 억울함을 하소연할 데가 없어 천명을 받아들이거나 인과응보를 믿게 되고,
이러한 심리상태에서 청렴하고 공정한 관리를 간절히 기대하여 자신들의 억울
함을 씻어내고 악인들을 징벌하라는 요구가 많아졌다. 그리하여 문학작품을 창
194) 李保均, ≪明清小说比较研究≫, 四川大學出版社, 1996.
195) 강주완은 4가지 관념에 대해 설명을 함으로써 公案小說에 내재된 清官意識의 실제적인 의
미들을 정리한바가 있다. ≪<百家公案> 硏究≫, 연세대학교 博士学位论文, 2003, 39-40쪽
참조.

- 79 -
작하는데 있어 이러한 심리를 반영하여 세심하게 민심을 살피고, 지략이 풍부
한 淸官 이미지를 만들어 내게 된 것이다.
明代 短篇公案小說集 중 특히 傳記體公案小說專集 ≪百家公案≫, ≪新民公案
≫, ≪海公案≫, ≪龍圖公案≫은 다른 短篇公案小說集보다 한 명의 清官이 사
건을 해결하는 것을 집중적으로 묘사하여 清官의 이미지가 더욱 확연히 드러
난다. 이러한 清官들은 현실을 넘어 신격화되어 사건을 해결하는데 활약을 하
고 있다.
≪百家公案≫은 包公을 주축으로 삼고 있는 公案小說集으로 작품 중 곳곳에
서 包公을 칭송하는 문구가 보인다. “모든 백성들이 길에서 노래하고 덩실덩실
춤을 추면서 ‘우리 永州 백성은 새로운 삶을 얻는 은혜를 입었으니 실로 포공
나리의 덕행 덕분이로다.’라고 말했다. 그리고 이 일은 지금에 이르기까지 끝없
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196), “포공의 신력에 감사할 따름이옵니다.”197), “포
공의 공덕은 신령도 따르지 못한다고 경탄한다.”198), “池州 백성들은 모두 포
공을 신이라고 칭한다.”199), 이런 점으로 보아 包公은 이미 일반적인 관리가
아니라 신으로 여기는 이상적인 清官이 되었다. 물론 包公이 점복, 현몽 등 수
법으로 사건을 해결하는 상황이 많아 신으로 여길 수도 있지만, 그러나 그가
자기 지혜로 사건을 해결하더라도 서술자는 여전히 찬탄을 멈추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百家公案≫15回 <出兴福罪捉黄洪>에서는 黄
洪이 말을 훔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피해자는 말을 훔치는 자에 대해 아
무것도 모른 상태에서 고소하였는데 包公은 말의 본능을 이용하여 진범을 찾
아낸다. 판관이 완전히 자신의 기지를 발휘하여 사건을 해결한 건데, 서술자는
196) 안우시 엮음; 고숙희 옮김, ≪백가공안≫, 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29쪽. 원문: “百姓無少长
皆歌舞于道曰: ‘吾一州百姓尽蒙更生之恩者, 实赖包公之德也.’ 至今颂之不衰.” ≪古本小說集
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1回 <判焚永州之野庙>, 26쪽.
197) “致谢包公之神明莫及.” (≪百家公案≫3回 <访察除妖狐之怪>), ≪古本小說集成≫357 ≪包龍
圖判百家公案≫, 35쪽.
198) “敬叹包公之德, 神明莫及也.” (≪百家公案≫7回 <行香请天诛妖妇>),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54쪽.
199) “池州皆谓拯作神官云.” (≪百家公案≫18回 <神判八旬通奸事>), ≪古本小說集成≫357 ≪包
龍圖判百家公案≫, 104쪽.
- 80 -
마지막에 “나쁜 사람을 잘 가려내는 포공의 모습은 마치 신이 강림한 듯 빛을
발하고 있다.”200)라고 찬탄까지 한다. ≪百家公案≫61回 <证盗而释谢翁寃>에
서는 사람을 살해하고 재물을 강탈하는 사건을 다루고 있다. 이 이야기도 包公
이 전적으로 자신의 지모에 의거하여 사건을 해결한 것인데 말미에 “公吏들이
모두 신을 본 듯 탄복한다.”201)라고 극찬하는 말까지 덧붙인다.
≪龙图公案≫은 상대적으로 늦게 출현한 公案小说集으로 여전히 包公을 주
축으로 삼고 있다. 초창기에 나온 ≪百家公案≫보다는 사건들이 비교적 의혹이
많아 어려운 면이 있다. 다른 短篇公案小說專集을 답습하는 효과도 있지만, 이
렇게 해야만 包公의 총명과 재지를 부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사건을
서술하는데 있어도 包公에 대한 묘사가 더욱 세밀하고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
게 된다. 신령을 통해 범인을 잡거나 진상을 밝히는 이야기는 여전히 있지만
≪百家公案≫보다는 비율이 낮다. ≪龙图公案≫에 나타난 清官 包公은 자신의
지혜나 경험, 범죄 심리 등을 근거하여 다른 관리가 해결하지 못한 사건들을
단번에 해결하고 공정하게 판결을 내리는 능력자이다.
예를 들어 설펴보기로 한다. ≪龙图公案≫卷9 <黑痣>202)의 줄거리를 단락으
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건달 洪昂은 대낮에 潘貴의 처인 月桂를 강제로 끌고 가려 한다. 潘貴가
가로막자 洪昂은 潘貴를 때린다. 둘은 싸움을 벌여 관청에 가게 된다.
② 洪昂은 나룻배에서 月桂가 아이 젖을 먹이는 것을 봤기 때문에 젖에 점이
있다고 하면서 자기의 처인 것을 주장한다.
③ 판관은 月桂의 점을 확인하고 洪昂에게 데려가도록 한다.
④ 순찰 나간 包公이 사건을 맡게 되어 바로 심문에 들어간다.
⑤ 月桂에게 신상 정보를 물어본 후 다시 潘貴와 洪昂을 따로 분리시켜 확인
한다. 결국 洪昂이 가짜 남편인 것이 드러난다.
200) “发奸日烛如神见.”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94쪽.
201) “公吏叹服, 皆以是为神见云.”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356쪽.
202) ≪包公案≫, 앞의 책, 260-262쪽.
- 81 -
이 이야기는 다른 이야기보다 包公의 심문하고 해결하는 과정이 비교적 상
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다른 판관들의 독단적인 판결에 비해 包公은 분리 심문
법을 사용하여 진범을 알아낸다. 이런 현상들은 한 명의 清官을 주축으로 삼은
傳記體公案小說에서 나타날 뿐 아니라 다른 短篇公案小說 중에서도 清官의식
에 의한 敍事가 많다. 물론 대부분 短篇公案小說集의 작품은 사건 발생에 집중
되어 있다는 점은 사실이지만 가끔 사건해결에 중점을 두는 작품도 찾아 볼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律條公案≫強盜總類 <徐代巡断抢劫缎客>203)은 巡察御史)
徐侨가 베 號记에 근거하여 강도 일당을 감별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이 이
야기는 清官이 시종일관으로 사건을 주도하고 있어 敍事하는 시발점이자 종착
점이다.
≪律条公案≫婚姻类 <苏县尹断指腹负盟>204)을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葉荣
은 가난한 서생인 黄世禄에게 딸을 주기로 했지만 재물을 탐내어 다시 生员인
唐国卿에게 혼인시키려고 한다. 이 사건을 맡은 苏縣令은 먼저 독단적으로 사
건을 판결하는 척하며 唐国卿에게는 50냥, 葉荣에게는 30냥을 내도록 한다. 돈
을 거두어들인 후에는 결혼 자금이란 면목으로 서생인 黄世禄에게 주면서 결
혼을 명한다. 이 사건에서는 정의를 주재하는 판관의 이미지를 형상화하기 위
해서 동일한 판관의 전후 대조된 판결을 서술하여 그의 인자함과 다지함을 부
각시켰다.
보다시피 이 작품들은 제목만 봐도 清官의식에 의한 敍事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건발생을 위주로 한 작품의 제목에는 당사자 이름이나 사건요약 내용
이 들어 있는데, ‘徐代巡’, ‘苏县尹’과 같은 관직명이 들어 있는 제목의 작품은
판관이 사건을 해결하는 주도 인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제목에 관
직명이 들어 있다고 해서 무조건 清官의식에 의한 敍事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
≪諸司公案≫6卷 59편이 모두 제목에 관직명이 들어 있지만 실제 敍事 과정에
203) ≪古本小說集成≫549 ≪古今律條公案≫, 147-152쪽.
204) ≪古本小說集成≫549 ≪古今律條公案≫, 236-244쪽.
- 82 -
은 사건발생에 치중되어 있다. 59편의 작품은 아래와 같다.
◎ 卷1 人命类 曾大巡判雪二寃
刘刑部判杀繼母
朱知府察非火死
胡宪司宽宥义卜
左按院肆赦误杀
孙知州判兄杀弟
许大巡问得真尸
张县令辨烧故夫
韩廉使聽妇哀惧
◎ 卷2 奸情类 胡县令判释强奸
齐太尹判僧犯奸
韩大巡判白纸状
陈巡按准杀奸夫
王尹辨猴淫寡妇
颜尹判谋陷寡妇
黄令判凿死佣工
彭理刑判刺二形
孟院判因奸杀命
◎ 卷3 盗贼类 熊主簿捉谋人贼
舒佥事计捉鼠贼
顾县令判盗牛贼
柳太尹设榜捕盗
许太府计获全盗
吕分守知贼诈丧
韩主簿计吐樱桃
路县尹判盗瓜
唐尹判盗臺盘盏

- 83 -
夏太尹判盗鸡妇
周县尹捕诛群奸
◎ 卷4 诈伪类 王县尹判诬谋逆
武太府判僧藏盐
闻县尹妓屈盗辩
商太府辨诈父丧
杜太府察诬母毒
裴县尹察盗猎犬
张主簿察石佛语
唐县令判妇盗瓜
梁县尹判道认妇
李太尹辨假伤痕
王尚书判斩妖人
◎ 卷5 争占类 李太守判争兒子
袁大尹判争子牛
于县丞判争耕牛
齐大巡判易财产
江县令辨故契纸
彭知府判还兄产
邴廷尉辨老翁子
赵县令籍田舍产
彭御史判还民田
曾御史判人占妻
◎ 卷6 雪寃类 邹推府藏吏聽言
冯大巡判路傍坟
杨驿宰禀释贫儒
赵知府梦猿洗寃
王司理细叩狂妪
边郎中判获逃妇

- 84 -
袁主事辨非易金
杨御史判释寃诬
崔知府判商遗金
위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59편의 이야기는 각각 다른 판관들이 등장하는데
제목에는 그들의 관직명 ‘縣令’, ‘大巡’, ‘太尹’, ‘御史’ 등이 들어있다. 그러나 실
제 敍事 내용을 살펴보면 사건의 발생에 중점을 두는 작품이 대부분이다. 관리
들은 그저 결말에 나와 사건해결을 주도하는 역할만 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현상은 拟话本公案小說에서도 나타난다. 그러나 拟话本公案小說 중의
판관은 자각적으로 만들어낸 인물로 그에 대한 이미지 묘사는 短篇公案小说專
集보다 훨씬 정교하고 생동감 있다. 그들은 더 이상 추상적이거나 신격화된 인
물이 아니라 구체적이고 생생한 사람이다. 작품마다 사건을 해결하는 방식도
다양하고 각자의 존재가 독특하며 다른 인물과 맞바꿀 수 없다. 작품 제목에서
판관들의 역할의 중요성도 알 수 있다.
‘三言’ 작품 <陈御史巧勘金钗钿>(≪喻世明言≫卷2), <乔太守乱點鸳鸯谱>(≪
醒世恆言≫卷8), <汪大尹火焚寶莲寺>(≪醒世恒言≫卷39) 등의 제목 중 ‘陈御
史’, ‘乔太守’, ‘汪大尹’; ‘二拍’ 작품 <赵六老舐犊丧残生 张知县诛枭成铁案>(≪初
刻拍案驚奇≫卷13), <程朝奉单遇無头妇, 王通判雙雪不明寃>(≪二刻拍案驚奇≫
卷28) 등의 제목 중 ‘张知县’, ‘王通判’ 등은 모두 법을 집행하는 관리로서 사건
을 이끌어 가는 주요인물이다. 그들에 의한 敍事는 短篇公案小说專集의 작품보
다 편폭이 길고 더욱 발전된 모습이다. 그리고 제목에는 관직명 뒤에 구체적인
수식어가 붙어 있는 것이 하나의 특징이다. 短篇公案小說專集에서는 ‘判’, ‘辨’,
‘察’을 많이 사용하고, 拟话本公案小說에서는 ‘巧勘’, ‘乱點’, ‘火焚’, ‘诛枭’, ‘雙雪’
등을 사용해 판관의 성격이나 서술자의 감정을 드러내고 있다.
이야기에서 清官 陈御史는 어린 나이에 뜻을 이루어 지모가 풍부하고, 사건
을 해결할 때는 실증을 중시하는 명판관으로 유명하고, 乔太守는 임기응변에
능하고, 법리에 얽매이지 않아 사리에 밝으며, 모든 당사자가 만족스러운 판결
을 내린 바가 있다. 이야기도 이 清官들을 둘러싸고 전개되고 있다. 그들에 대

- 85 -
한 찬양도 맹목적인 것보다는 합리적이고 사건을 토대로 평가하고 있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이밖에도 清官의식에 의한 敍事는 무조건 긍정적이지 않고 清官들의 본연의
모습도 敍事의 일부가 된다. ≪初刻拍案驚奇≫卷26 ≪夺风情村妇捐躯 假天语幕
僚断案≫205)중 林断事는 사건해결 능력은 손색이 없지만 남자를 좋아하는 성
품상 결함이 있어 불법분자인 남자를 감싸는 장면이 나온다. ≪二刻拍案驚奇≫
卷4 ≪青楼市探人踪 红花场假鬼闹≫206)중 杨巡道는 재물을 탐내 횡령 수뢰의
범죄 행위까지 저질러 파면을 당한 관리이다. 이에 清官의식에 의한 敍事는 무
조건 청렴하고 정직한 관리만 서술하는 것이 아니라 우매하고 무능한 관리의
사건해결 장면도 포함되어 있다.
이처럼 明代의 公案小说에서 청렴하고 공정한 清官은 사건을 해결하는 주요
인물로 서민들이 극히 칭송하는 대상이고, 敍事를 전개하는데도 작품 전체에
일관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清代에 俠義公案小說이 출현하고 나서는 협객이 주요인물이 되어 판관이 점
차 부차적인 위치에 처하게 된다. 협객들이 폭도들을 제거하고 백성을 평안하
게 하는데 더욱 환영을 받고 敍事의 중심이 되었다. 이에 판관들의 역할은 궁
색해질 수밖에 없었고, 清官의식도 희미해져 그들에 의한 敍事 또한 약화되기
마련이었다.
3) 勸誡목적을 위한 敍事
宋元话本公案은 說書人의 底本에서 기원하기 때문에 명확한 창작 목적은 없
어 보인다. 說書人들이 이야기를 하는 목적은 생동감이 있는 이야기로 청중들
을 즐겁게 하는데 있지, 교화시키려는 의도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明代의
公案小說 창작은 명확한 목적이 보이기 시작해, 법률을 선전하고, 孝忠을 권하
며, 권선징악을 선양하고 있다.
205) ≪古本小說集成≫20 ≪拍案驚奇≫, 1069-1115쪽.
206) ≪古本小說集成≫12 ≪二刻拍案驚奇≫, 167-235쪽.
- 86 -
≪百家公案≫은 100回로 된 短篇小說專集으로 각 이야기들은 서로 관련은
없지만 비교적 통일된 것은 서두에 있는 ‘斷云’, ‘判云’ 형식과 말미에 있는 교
의(敎義)를 전하는 말이다. 예를 들면 2回 <判革猴节妇坊牌> 말미에 “이는 정
조를 끝까지 지키지 못하는 자들이 경계 삼을 만하다.”207)라는 말이 있고, 3回
<访察除妖狐之怪>에는 “이는 마음이 사악하고, 여색을 밝히는 자들이 경계 삼
을 만하다.”208)라는 말로 종결한다. 이것은 모두 서술자가 세인을 교화시키고
경고하는 의도로 보인다. 陳大康은 ≪百家公案≫의 저자인 安遇時는 창작 능력
은 비록 부족하지만, 그의 머릿속에는 소설 창작은 ‘教化為先’의 원칙을 따라야
된다는 고정관념이 뿌리 깊게 박혀 있다고 지적한 바가 있다.209) 예를 들어 살
펴보기로 한다.

“최씨 부부는 좋은 일을 많이 해 결국 선한 보답을 받은 것이니, 대체로 넓


고도 깊은 하늘의 기호가 있었던 것이다. 유영은 도살업자의 자식으로 약한
본성이 다 사라지지 않아 남의 은혜를 저버렸으며 자신이 부귀하게 된 이유
를 전혀 생각지 않아서 형벌로 응징됐으니 그 죽음은 마땅하다.”210)(59回 ≪
东京决判刘驸马≫)
“이는 지나치게 음란해 남편을 모살한 여인들이 경계 삼을 만하다.”211) (第
76回 ≪阿吴夫死不分明≫)
“쓸데없이 계책을 쓰다가는 결국 자신이 몸을 망치는 응보를 받으리라.”212)
207) “此亦可以為守節不終者之戒.”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32쪽.
208) “此可以为心邪好色者之戒矣.”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35쪽.
209) 陳大康, ≪明代小說史≫, 上海文藝出版社, 2000, 396쪽.
210) 안우시 엮음; 고숙희 옮김, ≪백가공안≫, 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114-115쪽. 원문: “皆稱
崔长者夫妇好善, 终得善报. 刘英屠户之子, 恶心不除, 终受恶报.” ≪古本小說集成≫357 ≪包
龍圖判百家公案≫, 345쪽.
211) 안우시 엮음; 고숙희 옮김, 위의 책, 151쪽. 원문: “此可以为贪淫谋杀亲夫者之戒.” ≪古本小
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442쪽.
212) 안우시 엮음; 고숙희 옮김, 위의 책, 155쪽. 원문: “诚可以惩戒後人, 徒生谋计, 终及丧身之报
- 87 -
(第77回 ≪判阿杨谋杀前夫≫)
이상의 예로 미루어 보면 서술자는 작품을 통해 권계나 교화의 목적이 있음
이 분명하다. 이러한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서 작가는 單線順敍를 많이 사용하
고 있다. 單線敍事는 소설의 가장 기본적인 敍事구조로, 즉 敍事에서 하나의
主線만 있고, 이 주선을 시간적 공간적 경과에 따라 이야기를 발전시키는 구조
이다. 소위 ‘한 길로 끝까지 간다.[一條道走到黑]’는 방식이다. 한 주인공을 둘
러싸는 줄거리가 단일하고, 敍事 과정 중 확연히 주제를 드러낸다. 이러한 敍
事구조는 단편소설에 적합하고, 독자 또한 쉽게 이야기나 주제를 이해할 수 있
다. 단점은 줄거리가 무미건조하고 표현력도 부족하여, 독자로 하여금 심미적
피로감을 쉽게 일으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勸誡목적에 의한 敍事구조는 아래
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그림3-2> 單線式 敍事구조
‘斷云’/‘判云’ 사건발생 사건해결 ‘勸誡’

이러한 敍事구조는 가장 직설적이다. 작품의 전체적인 내용을 통해 형상화되


는 중심 주제를 향해 전개되어 나가는 하나의 과정으로써 존재한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213) 서두에 있는 ‘斷云’ , ‘判云’은 말미에 있는 권계의 복선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권계를 하기 위해서 사건의 발생과 해결을 통해 서술자의
목적이나 의도를 표현한다. 이런 방식으로 短篇公案小說集의 작품 수에 따라
몇 번 심지어 몇 십번이나 반복되어 권계 내용이 강화된다.
明代의 擬話本公案小說도 권계 목적에 의한 敍事 경향이 확연히 드러난다.
冯梦龙의 ‘三言’의 명명도 중생을 가르쳐 인도하는 의도가 보인다. “(喻世明言
也.”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445쪽.
213) 박현정, ≪宋代 公案小說 研究≫,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4쪽.
- 88 -
의) ‘明’이라 함은 어리석은 사람들을 깨우쳐 인도할 수 있다는 의미이며, (警
世通言의) ‘通’이라는 것은 속된 무리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적당하게 풀어썼다
는 뜻이다. 그리고 (醒世恒言의) ‘恒’은 그것을 익혀도 싫증이 나지 않고 오래
도록 전해질 수 있게 한다는 뜻이다. 이 세 가지 책의 명칭은 다르지만 그 뜻
은 한가지이다.”214) “二拍”의 저자인 凌濛初도 ≪拍案驚奇·自序≫에서도 소설
의 창작 목적에 대해 “결국 말하는 사람도 죄가 없고 듣는 사람도 경계로 삼
기에 충분하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215)라고 밝힌 바가 있다. 그리하여 擬
話本公案小說의 작품에서는 권계 의도가 담긴 논평들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예를 들면 ≪醒世恒言≫卷8 <乔太守乱點鸳鸯谱>는 말미에 논평의 글과 詩
로 세인에게 권계하고 있다.
야비한 소인에게 어찌 득이 돌아가겠는가! 후대의 사람들은 시를 지어 이
영의 교활함을 이야기하면서 뒷사람의 교감으로 삼게 했다.
“정직하고 후덕한 것은 사람됨의 근본이거늘,
어찌 교활하여 남을 해치려고 하는가!
옛사람들이 집을 선택하는 기준을 보지 못했던가!
천금을 들여 이웃을 산다고 하지 않던가!”216)
擬話本公案小說의 또 하나의 특징은 短篇公案小說專集처럼 권계가 말미에만
덧붙여져 있지 않고 入話부분이나 正話부분에도 때때로 권계의 글이 덧붙여져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醒世恒言≫卷15 <赫大卿遗恨鸳鸯绦>217)에는 여색
214) 崔奉源 外, ≪中國歷代小說序跋譯註≫, 을유문화사, 1998, 141쪽. 원문: “明者, 取其可以导愚
也. 通者, 取其可以適俗也. 恒则习之而不厌, 传之而可久. 三刻殊名, 其义一耳.” ≪古本小說集
成≫537 ≪醒世恒言≫ ‘序文’ 2쪽.
215) 崔奉源 外, 위의 책, 151쪽. 원문: “總以言之者無罪, 闻之者足以为戒.” ≪古本小說集成≫18
≪初刻拍案驚奇≫ ‘自序’ 9쪽.
216) 풍몽룡 지음; 최병규 편역, ≪三言≫, 창해, 2002, 167쪽. 원문: “刁鑽小人, 亦何益哉! 後人有
诗, 单道李都管为人不善, 以为後戒. 诗云: 为人忠厚为根本, 何苦刁钻慾害人! 不见古人卜居者,
千金只为买乡邻.” ≪古本小說集成≫537 ≪醒世恒言≫, 上海古籍出版社, 1990, 467쪽.
217) ≪古本小說集成≫538 ≪醒世恒言≫, 739-813쪽.
- 89 -
에 빠진 젊은 남자 赫大卿이 탐욕스러운 비구니들과 간통을 저지르다 가정을
팽개쳐버리고 결국 암자에서 병들어 절명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 작품
은 性慾에 빠진 赫大卿과 性慾을 버리지 못한 비구니들의 비행을 통해 세인들
에게 욕정에 대한 경각심을 일으키고 있다. 서두의 入話詩에 이어 正話부분에
도 몇 편의 詩詞를 통해 욕정의 해악을 보여주고 있다.
入話詩는 아래와 같다.
“피부는 피와 살을 감싸고 몸을 싸고 있으니, 예쁜 여자의 아름다움에 넘어
가지 않을 자가 몇이나 되리! 천고의 영웅들도 모두 그러하였거늘 백년이 지
나면 모두 한 구덩이의 흙인 것을.” 이 시는 옛날 성여자(性如子)가 지은 것
으로 색으로 탐하면 스스로를 죽이게 된다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중
략)...... 세상 사람들에게 삼가 권고하나니 반드시 신중히 처신할지어다. 그야
말로 “스님의 얼굴을 보지 말고 부처의 얼굴을 보며, 음심(淫心)을 도심(道心)
에 합쳐선 아니 되네.”218)
赫大卿은 비구니와 엮인 후에 석 달 남짓 되어 목숨을 끊게 된 것이다. 正話
부분에 詞 하나가 그것을 말해주고 있다.
“여색을 탐한 자여, 이번에 당신은 길을 잘못 들었구려. 천부당만부당 그
어린 비구니와 얽히지 말았어야 할 것을. 젊은 비구니는 정말 색귀(色鬼)이거
늘 그를 놓아주지 않는 것도 모자라 머리까지 밀어버렸네. 슬프도다! 목숨까
지 외딴 황야에다 묻어버리니 이것이 바로 여자를 밝힌 결과로구나.” ......(중
략)...... 이 끈 때문에 “탐욕스러운 사내의 이름이 다시 퍼지니, 색을 탐한 비
구니의 화가 갑자기 임박하였네.”219)
218) 풍몽룡 편저, 최병규 편역, ≪삼언애욕소설전≫, 學古房, 2016, 398쪽. 원문:“ ‘皮包血肉骨包
身, 强作娇妍诳惑人. 千古英雄皆坐此, 百年同是一坑尘.’ 这首诗乃昔日性如子所作, 单戒那淫
色自戕的.....奉劝世人, 切须谨慎! 正是: 不看僧面看佛面, 休把淫心杂道心.” ≪古本小說集成≫
538 ≪醒世恒言≫, 739-741쪽.
219) 풍몽룡 편저, 최병규 편역, ≪삼언애욕소설전≫, 學古房, 2016, 417쪽. 원문: “‘贪花的, 这一
番你走错了路. 千不合, 萬不合, 不该缠那小尼姑. 小尼姑是真色鬼, 怕你缠他不过. 头皮儿都擂
光了, 连性命也呜呼! 埋在寂寞的荒园, 这也是贪花的结果.’ ......只因这条绦儿, 有分教: ‘贪淫浪
- 90 -
그리고 말미 부분에는 다시 욕정에 대한 경종을 울리고 있다.
시가 그것을 잘 보여준다.
“들의 풀과 남의 꽃을 마음대로 탐하고, 벌나비로 변하면(꽃과 서로 놀 수
있기에) 죽어도 여한이 없다네. 유명한 암자가 남녀 환락의 꿈이 되니, 색(色)
은 공(空)이 아닌 것을 가지고 웃음거리로 삼네.”220)
그러나 일부 詩에는 인간이 지니고 있는 욕정을 인간의 본능이나 숙명으로
보는 시각도 드러나 있다. 이것은 권계하는 취지에는 어긋난 것으로 擬話本公
案小說에서의 특출함을 더한 것이다.
4) 法律보급을 위한 敍事
公案小說은 당시의 사회상과 소송제도를 반영하고 있다. 短篇公案小說專集의
편찬부터도 법학서의 체계를 사용하여 범죄를 유형에 따라 분류하는 방식으로
법률을 보급하는데 의도가 없지 않다. 일본학자 阿部泰记의 지적대로 당시 편
찬자들의 의도는 결코 단순히 소설을 편찬하는데 있지 않고, 현실에서 응용할
수 있는 재판 입문서를 편찬함에 있다.221)
일반적으로 피해자가 사건에 부닥치면 소장을 작성해서 관청에 가서 고소하
고, 피고인은 이에 대한 답변서를 관청에 제출하면 소송이 시작된다. 판관이
사건을 심리하고 판결을 내리면서 판결문까지 이어간다. 이에 明代의 公案小说
에는 ‘三詞’라는 말이 있는데, 즉 원고의 소장[狀詞], 피고의 답변서[訴词], 판관
의 판결문[判詞] 3가지이다. 書判體公案小說에서는 소장, 답변서, 판결문이 상
子名重播, 稔色尼姑祸忽临.’” ≪古本小說集成≫538 ≪醒世恒言≫, 769-771쪽.
220) 풍몽룡 편저, 최병규 편역, ≪삼언애욕소설전≫, 學古房, 2016, 445쪽. 원문: “有诗为证: ‘野
草闲花恣意贪, 化为蜂蝶死猶甘. 名庵幷入游仙梦, 是色非空作笑谈.’” ≪古本小說集成≫538 ≪
醒世恒言≫, 813쪽.
221) 阿部泰记著; 陈铁鑌译, <明代公案小說的编纂>, ≪绥化师专学报≫, 1991年第1期, 48쪽. 이
논문의 원고는 ≪日本中国学会报≫(1987年第39輯)에 실려 있다.
- 91 -
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敍事하는데 있어서도 실용적인 기능을 적용하고
있다. 특히 書判體公案小說專集인 ≪廉明公案≫은 총105편 중 64편(약 61%)의
이야기에는 줄거리에 대한 敍事가 없이 소장, 답변서, 판결문만 들어 있다. 이
뿐만 아니라 판결문의 내용 또한 法律類書 ≪蕭曹遺筆≫로부터 직접 초록한
것으로 보인다. ≪律條公案≫도 하나의 전형적인 예로 볼 수 있다. 이야기를
서술하기 전 서두에 <六律總括>, <五刑定律>, <擬罪問答>, <金科一诚赋>와
執照類222), 保狀類223) 등 법문서가 수록되어 있는 것은 매우 독특한 구조이다.
≪海公案≫은 4卷 총 71回로 제11回만 제외하고 거의 회마다 소장, 답변서,
판결문식으로 이야기가 구성되어 있어 書判體의 색채가 가장 짙고 마치 판례
집을 보는 것 같다. 그러나 卷에 따라 소장, 답변서, 판결문의 양상은 다르게
나타난다.
<표3-1> ≪海公案≫의 소장, 답변서, 판결문 상황
卷目 回目 소장, 답변서, 판결문 백분율
1-10回, 12-17回, 소장, 답변서, 판결문 86%
20-24回, 26-29回
卷1 (1-29回
총29回) 11回 × 3%
18-19回, 25回 판결문 11%
30-31回, 34回,
36-38回, 40-41回, 소장, 판결문 63%
30-45回
卷2 (총16回) 44-45回
32-33回, 35回 소장, 답변서, 판결문 37%
39回, 42-43回
卷3 (46-55回
총10回)
46回 소장, 판결문 10%

222) 娼妓从良照, 寡妇改嫁照, 杜绝後打照, 告给引照身.


223) 保縣官, 妻保夫, 母脱子军.
- 92 -
47-53回 소장, 답변서, 판결문 70%
54-55回 판결문 20%
56-57回, 59回, 판결문 38%
61回, 63回, 65回
卷4 (56-71回
총16回)
58回, 60回, 62回, 소장, 판결문 50%
64回, 66-68回, 71回
69-70回 소장, 답변서, 판결문 12%

위의 표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卷마다 수록된 작품 수는 일치하지 않는다.


전체적 구조는 ‘사유 → 소장 ⟶ 답변서 ⟶ 판결문’이라는 형식을 취하고 있지
만 卷1, 卷3에는 소장, 답변서, 판결문의 구조를 모두 갖춘 작품들이 가장 많고
각각 86%,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卷2, 卷4에는 답변서를 뺀 소장, 판결문만
갖춘 작품들이 가장 많으며 각각 63%, 50%를 차지하고 있다. 전체 한 회(제11
回<谒城隍遇猪跪吼>)만 제외하고는 모든 작품에 판결문이 들어있는 것이 가장
두드러진 현상으로 나타난다. ≪海公案≫은 虛舟生이 편찬한 것으로 추정되지
만224), 執筆陣은 여러 명이 있는 것으로 짐작된다. 그래서 이야기 서두에 있는
사유, 즉 사건에 대한 소개글의 길이도 들쑥날쑥하다. 卷1의 작품들은 아주 짧
고 간단한 말로 사건의 발생과 결말을 소개하고 바로 소장, 답변서, 판결문을
덧붙이는 반면, 卷2부터는 답변서를 대거 생략한 반면 이야기의 사유를 소개하
는 글의 길이가 점차 길어지는 양상이 보이기 시작한다. 이에 ≪海公案≫은 실
용적 기능보다는 점차 문학 작품으로서의 敍事的 기능으로 이행하고 있는 추
세를 보인다.
그러나 판결문은 公案小說集에 많거나 적든 간에 들어 있는 것으로 파악된
다. 公案小说이 법률의 흔적을 지울 수 없는 소설이라는 낙인이 찍힌 것은 판
결문이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판결문은 중국 고대의 각종 문체 중 비교적 특
224) 注 125)을 참고할 것.
- 93 -
별한 문체로 실용성과 문학성을 겸비하고 있다. 이에 公案小說의 敍事구조를
검토하는데 있어서도 판결문을 주시하지 않을 수가 없다.
판결문이란 고대 사법 관리가 판결에 근거하여 작성한 文书이다. 판결문은
西周시기 이미 초기 형식으로 존재하였는데 唐代에 이르러 성숙해져 과거시험
에서도 포함되어 관리를 선발하는 하나의 기준이 되었다.225) 宋元시기부터 판
결문은 敍事문학으로 들어와 公案小說과 상호 작용하여 書判體公案小說을 출
현시켰다. 고대의 판결문은 오늘날의 사법기관에 쓰여진 판결문과는 조금 다른
면이 있다. 전자는 판관이 작성한 후 대외에 공개하지 않고 당사자한테도 전달
할 의무가 없어 자유로운 형식으로 쓸 수 있으며, 민사사건의 경우는 비교적
짧고, 형사사건에서는 비교적 길다. 후자는 전문기관이 일정한 형식으로 작성
한 법률 문서로서 사건 당사자들한테 전달해야 된다.
판결문은 기능에 따라 实判과 拟判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2장에서 언급한
≪龍筋鳳髓判≫, ≪名公書判清明集≫과 같은 판례집에서 수록된 판결문은 법적
효력이 있는 实判 판결문으로 간결하고 평이한 말로 되어 있고, 公案小說에 나
오는 판결문은 스토리 전개의 필요에 따라 작성된 허구적이고 아무런 법적 효
력이 없는 拟判 판결문으로 형식이 자유로운 문학성을 띠고 있다. 판결문의 내
용은 주로 사건 사실, 사유 및 재판결과 3가지로 되어 있어 실제 사건의 유형
과 성격에 따라 각 부분이 차지하는 분량은 다르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볼 때
판결문에서는 사건의 대략적인 과정만 담겨져 있고 전체의 이야기 내용은 편
폭의 한계 때문에 모두 알려주지 못한다. 그래도 公案小說에 있어서 판결문을
완전히 버리지 못하는 이유는 판결문 자체를 사건을 해결하는 하나의 일환으
로 볼 수 있고, 또 그것으로 쉽게 법률을 보급하는 효과에 도달할 수 있기 때
문이라고 본다.
한편, 公案小說에서는 敍事에 있어 소송하는 방식도 반영하고 있는데, 사건
에 부닥칠 때 기본적인 기소 방법을 제시해 주고 있다.
중국 고대의 소송제도에 의거하면 기소하는 방식은 주로 죄상을 들어 탄핵
[举劾], 고발[告发], 고소[告诉] 등이 있다. 고발은 제3자가 범죄가 있다고 생각
225) 苗懷明, 앞의 책, 304-308 참조.
- 94 -
될 때 범죄사실을 관청에 가서 신고하여 범죄용의자를 처벌해달라는 것을 말
한다. 明代 公案小說에서는 고발사건이 많지는 않지만 가끔 등장한다. ≪海公
案≫34回 <斷問猴精>에는 마을 주민들에게 큰 화를 입힌 猴精을 처벌해달라
고 단체로 고발한 소장이 실려 있다. 이 소장은 “长沙人民具呈”으로 시작되는
데 猴精이 마을 주민들에게 준 피해를 비교적 상세히 서술하고 있다. 이어 海
公의 판결문에는 猴精의 악행을 다시 한 번 강조하면서 참수하고 焚刑을 내리
는 처벌을 서술하고 있다. ≪海公案≫36回 <謀舉大事>에서도 마을 주민들이
대표로 반역을 꾀하는 악당들을 고발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위에서 제시
한 두 사건은 모두 정의로운 마을 사람들로 인해 사회 질서를 해치는 자를 처
벌하는 것이다. 서술자는 이러한 고발 사건을 통해 서민들의 정의감을 일깨우
려는 의도가 보인다. 그러나 敍事구조에 있어서 소장과 판결문의 내용이 사유
와 다소 중복된 느낌이 있다. 이것은 서술자가 억지로 형식을 맞추려고 하는데
서 비롯된 문제라고 생각된다.
明代 公案小說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기소방식은 고소이다. 고소란 범죄의
피해자가 범죄사실을 관청에 신고하여 범인의 처벌을 구하는 행위를 말한다.
고소는 또한 自訴와 代訴 등 여러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自訴는 피해자 본인
이 직접 관청에 가서 기소하고 처벌해달라는 것이고, 代訴는 지인이나 가족이
대신하여 기소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自訴를 많이 취하는데, 당사자 즉 피
해자가 곤경에 빠지거나 사망한 경우에는 관청에 갈 수 없으므로 지인이나 가
족이 나서서 고소하는 경우가 많다.
公案小說에서는 自訴의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데 가끔 代訴도 등장한다. 代訴
하는 주체는 피해자의 배우자, 가족, 지인 혹은 집안의 하인 등 일 수 있다. ≪
海公案≫37回 <奸夫誤殺婦>와 64回 <判风吹葉>에는 처가 각각 이웃 남자와
동네 건달에게 모해를 당하자 남편들이 죽은 아내를 대신해 海公에게 고소하
여 진범을 찾아달라는 장면이 묘사되고 있다. ≪龍圖公案≫卷10 <蜘蛛食卷>에
는 鄭一桂가 도살업자인 蕭升에게 살해를 당하자 아버지인 鄭鳴華가 관청에
가서 고소하는 장면이 나오며, ≪百家公案≫52回 <重义气代友伸寃>에는 吴十
二가 처와 간통을 저지른 하인으로 인해 살해를 당해 吴十二의 지인 韩满이

- 95 -
包公에게 고소하는 내용이 나온다. 또 ≪新民公案≫卷4 奸淫類 <净寺救秀才>
에서는 승려들이 徐俊을 감금하고 그의 처인 詹씨를 강간하려 하지만 다행히
하인 徐富가 郭公에게 소장을 올려 徐俊 부부를 구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러한
이야기를 전개하기 위해서 서술자는 항상 서두에 사건발생 부분을 시작하기
전에 가족관계나 친구관계를 밝힌다. 일종의 복선을 깔아두는 장치로 볼 수 있
다. 예를 들면 위에서 언급했던 작품 중 <蜘蛛食卷> 서두에는 “山东 兖州府
钜野縣에 살고 있는 가정형편이 넉넉한 郑鸣华는 아들 一桂를 낳았는데, 용모
가 준수하고 우아하다. 그러나 郑鸣华는 혼사를 중히 여겨 아들이 열여덟이 되
어서도 아직 장가가지 못한다.”226)라고 서술하고 있고, <重义气代友伸寃> 서
두에는 “吴十二에게는 韩满이라는 지기가 있는데 북문 쪽에 살고 있으며, 기세
가 당당한 사나이이다. 서로가 친밀하여 왕래하며 지낸다.”227)라고 묘사하고
있다.
代訴는 自訴보다는 객관성이나 진실성이 떨어질 수도 있지만 사건을 접한
판관의 심리와 검증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진범을 밝히는데 있어서는 문제가
없다. 公案小說에서 代訴 사건을 다루는 것은 억울함을 씻을 수 있는 여러 기
소 방법이 있다는 것은 알려주는 것이다.
종합해보면 明代 公案小說의 편찬은 주로 문화 수준이 비교적 낮은 서민 계
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228) 소장, 답변서, 판결문을 통해
사건을 서술하는 동시에 기본적인 소송 과정을 제시하는 역할도 겸하고 있다.
또한 고발, 고소 등의 기소 방식을 통해 날로 험악해지는 사회 기풍 속에 서민
들의 정의감을 되살리는 의도도 드러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26) “山东兖州府钜野县郑鸣华, 家道殷富, 生子名一桂, 姿容俊雅, 因父择配太严, 年长十八, 未為聘


娶.” ≪包公案≫, 앞의 책, 270쪽.
227) “吴十二有知己人韩满者, 在北门居住, 是個轩昂丈夫, 往来其家甚密.” ≪古本小說集成≫357 ≪
包龍圖判百家公案≫, 283쪽.
228) 박소현에 따르면 “公案小說이 ‘팔린’ 진정한 이유는 그것이 통쾌하고 흥미진진한 범죄소설
이었기 때문이 아니라 公案小說에 삽입된 고소장과 판결문, 그것이 전달하는 이해하기 쉬
운 법률상식 때문이었을 수도 있다.”라고 하였다. 박소현, <중국과 조선의 법률문화와 범
죄소설의 계보학>, ≪비교문학≫第53辑, 2011, 61쪽.
- 96 -
3. 公案小说의 사건전개 양상
앞에서는 公案小說의 敍事구조를 4가지로 나눠 살펴보았다. 이 절에서는 이
러한 구조를 지니고 있는 公案小說들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겠다. 公案小說은 사건발생과 사건해결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작품으로,
敍事하는데 있어서도 위 두 가지 방면이 가장 핵심이라 생각된다. 사건발생 부
분은 주로 범죄를 저지르는 기인, 수단 및 과정을 서술하는데 이 부분은 대체
로 공개식 범죄와 은닉식 범죄로 나눌 수 있다. 사건해결 부분은 주로 판관이
사건을 다루는 과정을 서술하는데 이 부분은 심리와 판결로 나눌 수 있다. 마
지막으로 결말을 짓는 양상은 판결문, 평론문, 후일담 등 주로 3가지 방식으로
나타난다.
1)사건발생의 양상
인간의 집착적 욕망이 사건을 발생시키고, 그러한 욕망의 분출은 다양한 범
죄의 형태로 나타난다.229) 소설에서 여러 사건 중에서도 특히 범죄에 관련된
사건은 대립과 갈등이 표면화되고 당사자들을 중심으로 한 음모·공격·방어·역
습 등을 통해 사건의 정황이 가속화되거나 역전, 해소되는 등 다양한 모습으로
전개된다.230) 宋元의 話本公案과 明代의 短篇公案小說專集은 사건의 해결보다
는 사건발생을 중심으로 범죄를 저지르는 인물들의 행위와 생활을 통해 당시
의 사회를 조명하고 있다. 公案小說속의 범죄 양상은 다양하다. 주로 ‘人命’,
‘強奸’, ‘偷盜’, ‘霸占’類 등으로 나타났는데 이 범죄들을 저지르는 수단은 공개
식, 은닉식 2분류로 나눌 수 있다.
(1) 공개식 범행
229) 고숙희, ≪包公 公案小說 硏究: <百家公案>과 <龍圖公案>을 中心으로≫, 성균관대학교 博
士学位论文, 2002, 186쪽.
230) 이헌홍, 앞의 책, 158쪽.
- 97 -
공개식 범행은 소설에서의 범행 현장이 직접 노출됨으로써 피해자나 주변인
물에 의해 제소되는 사건이다.231) 이와 같은 작품에서 가해자와 그의 범죄행
위, 피해자가 모두 노출되어 있어 범죄사건 자체에 초점을 두는 것보다는 범행
이 발각된 후의 상황이 주목을 받게 된다. 公案小說은 전지적 敍事시점에서 서
술하고 있음으로 공개식 범행을 다루는 사건이 상대적으로 많다. 사람들의 다
툼의 과정에서 순간적·우발적으로 빚어진 상해, 살인 등의 행위는 피해자와 그
의 가족이나 주변 인물들에게 공개되어 즉각 관청에 가서 고하면 바로 사건해
결 과정에 들어가게 된다.
公案小說에서 상당수가 차지하고 있는 남녀 사이의 치정 사건들은 대체로
공개식 범행으로 전개된다. 대부분 남자는 양갓집 부녀의 미색에 빠져 탐내다
가 거절을 당해 순간적으로 부녀를 죽이고 도망가고, 죽은 부녀는 찾아다니는
가족에 의해 발견되어 원한을 풀게 되는 전개이다.
≪海公案≫第64回 <判风吹葉>232)의 줄거리를 단락으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건달 丘木은 몰래 부녀자를 엿보는 것을 좋아한다.
② 어느 날 蔡垣의 처인 祝씨는 친정집에 다녀오는 도중 丘木과 마주치게
된다.
③ 丘木은 祝씨의 미모에 반해 희롱하려 하자 祝씨가 반항하여 죽이고 재물
까지 강탈한 후 그 시체는 숲속에 묻어 버린다.
④ 蔡垣은 처가 집에 돌아오지 않자 나가서 찾는 중 祝씨의 원혼을 만나 자
초지종을 듣게 되어 海公에게 고하게 된다.
⑤ 海公은 소장을 보면서 탁상위에 있는 나뭇잎을 보게 되는데, 丘木이 범인
이라고 추측하여 잡아와 심문하여 자백하게 한다.

231) 이헌홍, 앞의 책, 159쪽.


232) ≪古本小說集成≫392 ≪海剛峰先生居官公案≫, 319-322쪽.
- 98 -
이 이야기는 동네건달이 양가 집 여인한테 행패를 부리다가 사람을 살해하
는 사건을 다루고 있다. 丘木은 백주대낮에 친정에 다녀온 祝씨에게 집적거리
다 성사되지 못하자 살인까지 저지른다. 丘木은 길에서 직접 祝씨에게 다가가
“형수님 어디서 오시나요?[嫂从何来?]”, “형수님 친정에서 오시나요?[嫂从母家
回乎?]”, “형수님 가지 마시오, 제가 인도하겠소.[嫂莫行, 待我来引路.]”라며 유
혹하나 거절당하자 억지로 껴안기까지 한다. 이에 祝씨가 반항하자 우발적으로
그녀를 찔러 죽이고 장신구까지 챙겨 시신을 숲에 묻고 도망친다. 丘木의 범행
은 모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祝씨의 남편인 蔡垣은 부인의 원혼에
따라 시신을 발견하자 바로 投告하게 됨으로써 이야기는 사건해결 과정으로
넘어간다.
앞에서 말한 ≪龍圖公案≫卷9 <黑痣> 편에서도 건달이 백주대낮에 남의 처
를 강탈하려다 고소를 당하게 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같은 나룻배를 타는
건달 洪昂은 潘贵의 처인 月桂를 보고 음흉한 마음이 생겨 배에서 내리자마자
月桂를 억지로 끌고 가면서 자기 처라고 주장한다. 이에 洪昂과 潘贵가 싸움을
벌이다 관청에 가서 고해 사건은 해결되게 된다. 이 사건은 부녀의 남편이 있
는 앞에서 공개적으로 저지르는 범행으로 곧바로 고소하게 된 이야기이다.
이처럼 직업이 없는 건달들이 대낮에 부녀를 탐내거나 강제로 끌어가 간음
하려는 사건은 비교적 많다.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의 ‘奸淫’, ‘强奸’, ‘人命’類에
많이 수록되어 있다. 서두에 이런 공개 범행사건이 일어나게 되는 배경에 대해
어느 정도 서술하고 난 후 간략히 범행사건을 개입시켜 이야기를 전개해나간
다. 그러나 공개식 범행이라고 해서 반드시 올바르게 해결하는 것은 아니다.
<黑痣>에서는 판관이 건달 洪昂의 말만 듣고 月桂의 젖에 있는 검은 점을 확
인한 후 바로 洪昂의 처라고 판결을 내린다. 사실 洪昂은 이미 나룻배에서 月
桂가 아이를 안고 젖을 먹이는 것을 보고 범행을 계획한 것이다. 서술자는 독
자에게 범인의 범행뿐만 아니라 심리까지 공개한 것이다.
그리고 서민들 사이의 일반적인 재물분쟁, 농수산물이나 가금들을 빼앗는 분
쟁사건들도 공개식 범행으로 전개된다. 남의 재물을 보고 욕심을 내어 목숨까
지 해치는 것은 대부분 우발적으로 일어나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건은

- 99 -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의 ‘霸占’, ‘賴騙’類에 많이 수록되어 있다.
≪新民公案≫霸占類 <邻舍爭占小駒>233)에서는 葛, 沈 양가가 키우고 있는
망아지에 의해 다툼이 생기게 된다. 葛씨가 키우는 암말이 죽자 그의 망아지는
항상 沈씨 집에 있는 암말에게 가서 젖을 먹게 되면서 두 집의 망아지는 한데
섞어서 길러지게 된다. 그런데 어느 날 沈씨는 갑자기 흑심이 일어 두 망아지
가 모두 자신 것을 주장한다. 이에 관청에 가서 망아지의 진짜 주인을 가리게
된다. 이러한 일상생활에서 이웃 간에 벌여지는 다툼으로 인해 사건들은 公案
적 요소는 크게 부각되지 않고 아주 짤막하게 범행 동기와 과정을 서술한 다
음 바로 판관이 사건해결을 개입하게 된다.

(2) 은닉식 범행
은닉식 범행은 가행자의 의도적·계획적인 범행에 의해 피해자가 쓰라린 고
난 내지는 몰락을 당하거나 죽음에 이르게 되는 사건을 일컫는다.234) 이 유형
의 사건은 범인의 의도적·계획적인 범행과정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위에서 언급한 단순한 남녀 사이의 치정 사건들은 대체로 공개식 범행으로 전
개되지만, 간통 사건들은 일반적으로 발각되면 계획적으로 한쪽을 몰래 살해하
는 은닉식 범행으로 전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百家公案≫52回 <重义气代友伸寃>235)의 줄거리를 단락으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富豪 吴十二의 처 谢씨는 용모가 수려한데다가 교태까지 부린다.
② 谢씨는 남편의 벗인 韩满을 유혹하나, 韩满이 단연 거절하자 谢씨는 불만
을 품는다.
③ 韩满이 벗인 吴十二에게 충고하지만 吳씨는 수긍하지 않는다.
233) ≪古本小說集成≫393 ≪郭靑螺六省聽訟錄新民公案≫, 469-474쪽.
234) 이헌홍, 앞의 책, 160쪽.
235)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282-289쪽.
- 100 -
④ 谢씨는 하인 汪吉과 간통하여 흉계를 꾸며 吴十二에게 억지로 술을 먹여
취하게 한 후 강물에 빠뜨려 죽게 한다.
⑤ 吴씨의 망령이 사라지지 않고 벗인 韩满한테 찾아가 원한을 호소하여 韩
满이 包公에게 고소한다.
이 이야기는 음녀 谢씨가 간통을 저질러 계획적으로 남편을 죽이는 사건을
다루고 있다. 谢씨와 하인 汪吉이 음모를 꾸미는 동기는 알려져 있지만 그들의
구체적인 범행동기와 범행수법은 드러나 있지 않다. 汪吉이 배에서 주인 吴十
二에게 술을 권한 것은 사실이지만 뱃사공 앞에서 살인을 저지르는 행위는 서
술되지 않아 독자들의 궁금증을 유발한다. 결국은 吴十二의 원혼이 나타나서야
독자들은 吴十二가 이미 죽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에는 간통사건이 많이 차지하고 있는데 그 이야기 중
상인이 다년간 외지에서 장사를 하다 보니, 집에 있는 처가 외로움을 견디지
못해 간통을 저지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사건은 간통에만 그치지 않고 淫妇
들이 내연남과 함께 공모하여 남편의 재물까지 약탈하고 살해하는 범행까지
이른다. 이러한 사건들은 은닉식 범행에 속해 실질적인 범행자가 밝혀지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많아 해결과정 중 판관들의 노력과 기지 등을 중심으로 사건
이 전개되는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성욕을 버리지 못한 승려들이 사원에서 부녀자들을 납치하여 감금하
거나 강간하는 사건들도 대부분 은닉식 범행으로 전개된다. 예를 들면 ≪龍圖
公案≫卷2 <偷鞋>, <烘衣>는 모두 승려들의 계획적인 범행을 다루고 있는 이
야기이다. 이러한 사건은 擬話本公案小說에서 더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데, 예
를 들면 <簡帖僧巧骗皇甫妻>, <汪大尹火焚寶蓮寺>, <赫大卿遗恨鸳鸯绦> 등
에서는 모두 승려들의 비행을 묘사하고 있다.
2)사건해결의 양상
宋元公案小说에서는 관리의 사건 심리 및 판결 과정에 대한 묘사가 극히 간

- 101 -
단하다. 형식적인 몇 마디로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을 마무리 하는데 판관들의
개성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明代의 公案小說은 상대적으로 사건 심리 및 판
결 과정에 대한 묘사가 상세하고 생동감 있다. 특히 擬話本公案小說에서는 판
관이 심판하는 활동이 소설을 전개하는데 중요한 구성요소가 되어 줄거리가
더욱 복잡하고 기이하게 얽혀 독자들의 엽기심을 자극시킨다. 宋元話本公案에
서의 판관은 모두 비슷하여 개별적인 특색이 없는 清官 이미지이고, 그들은 정
직하고 청렴결백하여 백성들이 숭배하는 대상이다. 그러므로 그들의 사적인 감
정이나 물질적 향락을 추구하는 욕망은 소설에서 찾아볼 수 없다. 明代 公案小
說에서야 판관들의 개체 차이가 드러나기 시작한다. 公案小說의 판관 이미지에
대해서는 5장에서 상세히 서술하겠다. 여기서는 주로 이야기 전개 양상으로 판
관들의 사건 심리·판결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二刻拍案驚奇≫卷21 <许蔡院感梦擒僧 王氏子因风获盜>236)의 入話 부분에
는 판관이 사건을 해결하는 것에 대해 아주 날카롭게 지적한 바가 있다.
獄事에는 억울한 일이 많은데, 하물며 도적사건은 오죽하랴?
신령이 아니기에, 시비를 전도하는 것이 많지 않았겠는가.237)

그나저나 천지간의 일들 중 獄事가 가장 헤아리기 어렵다. 판관들이 자기


뜻대로 집행하고, 옳다고 확신하기만 하면 위에 앉아 두드리기만 하면 된다.
몽둥이로 어찌 얻지 못하는 것이 있으랴? 어떤 일도 자백하게 되어 있다.238)
이처럼 사건을 해결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인데 많은 판관들은 짧은 시간
안에 사건을 해결하려고 신중하지 못하고 경솔하게 심리하고 판결 내린 경우
가 많아 많은 오판을 일으킨다. 그래서 백성들은 청렴하고 공정한 판관을 간절
236) ≪古本小說集成≫14 ≪二刻拍案驚奇≫, 995-1055쪽.
237) “狱本易寃, 况于为盗? 若非神明, 鲜不颠倒!” ≪古本小說集成≫14 ≪二刻拍案驚奇≫, 995쪽.
238) “话说天地间事, 只有狱情最难测度. 问刑官憑著自己的意思, 认是这等了, 坐在上面, 只是敲打.
自古道棰楚之下, 何求不得? 任是什么事情, 只是招了.” ≪古本小說集成≫14 ≪二刻拍案驚奇
≫, 995-996쪽.
- 102 -
히 원한 것이다.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은 법률을 선전하는 목적 이외에 또 하
나의 주요 의도는 清官들을 찬양하는데 있다. 그리하여 작품들에는 清官이 온
갖 수법을 써서 사건을 해결하는 양상이 보인다.
(1) 法醫검사법
위에서 언급했듯이 宋元시기에는 이미 많은 법의학 전문서적이 나와 있었다.
검사를 담당하고 있는 관리들이 직접적인 검사 경험을 바탕으로 法醫專書를
집필하여 간행하였다. ≪洗寃集錄≫, ≪平寃錄≫, ≪無寃錄≫등의 法醫專書들은
판관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었다.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에서도 상처 원인 및 사
인 등을 밝히는데 법의검사법을 종종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면 ≪新民公案≫卷1 人命類 <爭水打傷父命>, <磊騙書客傷命> 이 두
편은 모두 담당 판관이 검시관을 불러 검사하고 사건 진위를 밝히는데 큰 역
할을 한 것으로 확인된다.
郭爷는 소장을 보자마자 바로 원고와 피고를 구류하고, 양쪽 증인을 불러
심리하기 시작한다. 다음날 친히 시체가 있는 현장에 가서 검시관과 함께 일
일이 검사하여 杨闵의 뇌가 파손되어 중상을 입은 것을 확인하였다. 239) <爭
水打傷父命>

판관 郭公은 증인들을 심문할 뿐만 아니라 친히 현장에 가서 검시관과 함께


검사하여 사인을 알아낸다. 그리고 나서는 재심까지 하여 판결을 내린다.
郭爷는 소장을 받자 바로 검시관을 불러 검증하게 하고, 다섯 번이나 공문
을 보내 滕宠을 불러내 심문한다. 240) <磊騙書客傷命>
239) “郭爷看了诉词, 遂拘原, 被二犯, 并两家干证人等, 到馆略审. 明日亲自去到尸场, 唤仵作一一检
验, 杨闵果有破脑重伤是的.” ≪古本小說集成≫393 ≪郭靑螺六省聽訟錄新民公案≫, 120쪽.
240) “郭爺準狀, 即遣醫生驗明, 连发五牌严提滕宠.” ≪古本小說集成≫393 ≪郭靑螺六省聽訟錄新
民公案≫, 127쪽.
- 103 -
이 사건에서도 판관 郭公은 소장을 보자마자 검시관을 불러 타박상을 검사
하게 하여 진상을 밝힌다. 뿐만 아니라 원고, 피고와 증인까지 일일이 심문하
여 증거를 얻은 후에 판결을 내리는 장면도 나오는데 그의 신중함이 충분히
드러낸다.
≪諸司公案≫卷2 奸情类의 <黃令判凿死佣工>에서는 黃縣令이 ≪洗寃集錄≫
을 인용하여 사건을 해결하는 장면도 있다. “黄太尹은 连宇, 支秩, 俞厥成과 함
께 ≪洗寃錄≫을 살펴보았다.”241) 그는 ≪洗寃錄≫에 기록된 검시법을 참고하
여 시체의 혈흔과 상처부위의 피부색으로 사인을 밝혔지만 결국은 오판이었다.
왜냐하면 ≪洗寃錄≫에는 구멍을 뚫어 죽인[凿死] 것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
이 없어 黃縣令이 스스로 잘 못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사건해결
하는 방식은 잘못된 것은 아니다. 그저 앉아서 고문하고 경솔하게 사건을 종결
을 짓는 판관들보다는 월등히 나았다.
시체에 대한 검사는 고대 관리들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사건 진위를 밝히는
데 매우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다. 증인을 심문할 때는 위증이 나올 수 있지만
시신은 거짓말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검시를 통해 사인을 밝힐 뿐만 아니라
범죄의 증거들도 알아낼 수 있다. 그러나 어떤 法醫專書를 참고하느냐에 따라
결과는 다를 수 있다. 특히 고대에는 아직 검시 기술의 한계가 있고, 法醫專書
의 저자들 또한 자기의 경험을 바탕으로 저술했기 때문에 모든 사인을 밝히는
것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판관들은 法醫專書에만 의존하지 않고 여러 방법
을 종합해서 사건을 해결해야 오판을 면할 수 있다.
(2) 현장조사법
현장 조사법은 즉 판관이 관청에서 해결하지 않고 현장에 가서 증거를 찾아
사건을 해결하는 방법이다. 대부분의 판관은 관청에서 사건을 심리하고 해결하
241) “黄太尹把 ≪洗寃錄≫指與连宇, 支秩, 俞厥成三人同看.” ≪古本小說集成≫117 ≪皇明諸司公
案≫, 137-138쪽.
- 104 -
지만, 물증과 인증이 부족할 때는 판관이 직접 나가서 증거를 수집할 수도 있
다. 현장에 갈 때는 직접적으로 관복차림으로 가는 경우도 있고, 소위 ‘微服私
访’으로 평복 차림으로 은밀히 나가 조사하는 방법도 있다.
≪龍圖公案≫卷3 <廚子做酒>에서는 包公이 관아의 심부름꾼으로 변장하여
비밀히 開元寺에 가서 조사하는 내용을 전개하고 있다.
다음날, 包公은 자신을 하급 관리로 꾸며 뒷문으로 나가 아무도 모르게 开
元寺 구경을 갔다.242)
卷3 <氈套客>에서는 包公이 일 년이 지나도 해결하지 못한 사건을 파악하
기 위해 친히 감옥에 가서 용의자를 만나 정황을 물어보고, 그의 억울함을 알
게 된 후에는 피해자를 다시 불러 심문하고, 또 객상으로 분장하여 피해자가
묶었던 객잔에 가서 재조사를 하게 되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한편, 현장 조사법은 판관이 일부러 소장을 받고 현장 나가서 해결하는 경우
도 있지만 판관이 순찰하는 도중 서민들이 억울함을 호소하여 판관이 나서거
나 서민들의 분쟁 장면을 보고 판관이 지나치지 않고 해결하는 경우도 많다.
≪新民公案≫卷3 賴騙類의 <判人爭盜茄子>243) 사건은 郭公이 순찰 도중 만
나는 사건으로 이야기 서두에 단도직입적으로 郭公이 순찰하는 일을 설명하며
전개를 시작한다. 대부분 短篇公案小說들은 서두에는 판관이 등장하지 않고 사
건 당사자를 소개하는 글로 시작한다. 현장 조사법이 담겨 있는 이야기에는 현
장에 나가는 이유를 먼저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 순찰도중 서민들이 맞붙어 싸
우는 장면을 보고 지나가면 父母官로서의 도리가 아니므로 적극적으로 상황을
물어보는 것은 정상이다.
<判人爭盜茄子>에서 두 명의 채소 농사꾼은 모두 가지가 자신의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郭公은 가지를 자세히 살펴본 후 바로 진범을 알아챈다. 그
242) “次日, 扮作一個公差模样, 後门出去, 密往开元寺游玩.” ≪包公案≫, 앞의 책, 85쪽.
243) ≪古本小說集成≫393 ≪郭靑螺六省聽訟錄新民公案≫, 294-296쪽.
- 105 -
이유는 “만약에 가지를 파는 사람이 있다면 분명히 크고 익은 것으로 고르고,
작고 겨우 꽃을 피운 것은 차마 팔지 못한 것이다. 가지를 훔친 사람은 행적을
들킬까봐 당황해서 크든 작든 모두 따온 것이다.”244)라고 설명한다. 그제서야
呂陳은 고개를 숙이고 죄를 인정한다. 郭公은 채소 농사꾼들의 심리를 꿰뚫고
가지의 크기에 근거하여 가지 주인을 선별한 것이다. 이 과정은 모두 거리에서
진행되었으며 판관이 사건 전개를 촉진하는 주축이 되었다.
이상의 사건과 비슷한 것으로 ≪新民公案≫卷3 賴騙類 <爭鵝判還鄉人>과
≪龍圖公案≫卷9 <青糞>편이 있는데, 모두 판관이 거위 주인을 견별하는 이야
기이다. 판관은 거위의 배설물 색깔을 살펴 시골에서 키운 거위는 풀을 먹기
때문에 분변 색깔이 청록색을 띈다고 판단하여 주인을 견별한다. 두 작품의 차
이점은 <青糞>편은 먼저 사건이 발생하는 연유를 서술하고 그 다음에 “마침
包公이 이곳을 지나가다 두 사람이 소란을 피우는 장면을 보고 어찌 된 일인
지 물었다.”245)라고 한 후 이어서 판관이 사건을 해결하는 내용을 본격적으로
서술한다. <爭鵝判還鄉人>편은 판관이 등장하자마자 사건과 마주치게 되고 해
결도 바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사건들에서 주목할 만 한 점은 판관들이 현장에서 사건을 해결하
자 바로 처형이 처해진다는 것이다. 범죄의 크기에 따라 곤장을 치는 형이 결
정되기도 한다. 순찰 도중에 해결하는 사건은 대부분 서민 사이의 물품으로 인
한 민사 사건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 도범에게는 보통 곤장 20
대라는 판결이 많고, 죄를 인정하지 않은 경우는 곤장 20대를 더 가할 수도 있
다.
(3) 안색관찰법
안색관찰법이란 한방에서 쓰이는 옛말로 진찰하기 위해 얼굴빛을 자세히 살
피는 방법이다. 사건을 해결하는데 있어서도 당사자의 마음을 떠보기 위해 얼
244) ≪古本小說集成≫393 ≪郭靑螺六省聽訟錄新民公案≫, 296쪽.
245) “偶值包公行經過此地, 見二人打鬧, 問是何事?” ≪包公案≫, 앞의 책, 263쪽.
- 106 -
굴빛을 자세히 살펴야 된다. 즉 오늘날의 범죄심리학과 유사하다. 고대에는 수
사 조건에 한계가 있어 수사 수단 또한 정해져 있었다. 판관들이 자신의 경험
으로 당사자의 심리를 떠보는 것은 가장 쉽고 또한 효과 있는 방법이다. 고명
한 판관은 안색을 살펴 당사자의 속마음을 읽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대
응한 대책까지 취하여 자백하게 만들 수 있는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初刻拍案驚奇≫卷17 <西山观设策度亡魂, 开封府备棺
追活命>246) 편을 들 수 있다. 판관 李傑은 어머니가 아들의 불효를 고한 사건
을 심리하는 과정 중 아들의 온순함과 어머니의 무정함을 관찰하게 되어 아들
을 무고한 것을 알게 되었다. 결국 사람을 보내 어머니의 뒤를 따르게 하여 그
녀가 도사와의 간통을 저지르는 것을 밝히게 된다. 이 사건을 해결할 수 있는
결정적인 원인은 아들이 고문을 당하고 있는데도 어머니의 얼굴빛 하나 변하
지 않은 것이었다. 이에 판관은 분명히 속사정이 있다는 것을 판단한다.
(4) 기획수사법
明代에는 범죄 사건이 많아질 뿐만 아니라 범죄를 저지르는 수단 또한 다양
하고 특출났다. 판관들이 간단한 민사 사건을 해결할 때는 경험이나 표상을 통
해 진범을 알아낼 수 있지만 복잡한 민사 사건이나 형사 사건에서는 이런 방
법들이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明代의 擬話本公案小說들은 판관에 대한 묘사
가 더욱 상세하고 정밀하여 사건해결의 서술 무게 또한 한 단계 더 올라갔다
고 볼 수 있다. 판관들이 사건을 심리하는 과정 중 계획을 짜내 살인범을 식별
하는 사건이 많았다.
≪警世通言≫卷24 <玉堂春落难逢夫>247)에서 玉堂春은 모함을 당해 누명을
쓰고 감옥에 들어가게 되고 당시 판관인 刘推官은 교묘한 방법을 사용해서 진
범을 찾아낸다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판관은 큰 상자를 만들어 법정에 세워
놓고 书吏를 상자 안으로 들어가게 한다. 그런 후 용의자들을 사람이 없는 법
246) ≪古本小說集成≫18 ≪拍案驚奇≫, 637-717쪽.
247) ≪古本小說集成≫535 ≪警世通言≫, 893-996쪽.
- 107 -
정에 가두어 그들의 대화가 서리에 의해 기록되게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범인
은 범죄사실을 실토하게 된다.
≪醒世恆言≫卷39 ≪汪大尹火烧寶莲寺≫248)중의 汪大尹도 묘책을 찾아 의문
이 풀리지 않는 사건을 해결한다. 汪大尹은 寶莲寺에 대한 이상한 소문을 듣고
조사하러 나갔지만 빈틈을 찾아내지 못한다. 그 후에 묘책이 떠올라 두 妓女를
양갓집 부녀자로 분장하여 사원에 들어가도록 한다. 기녀들은 밤에 강간하러
온 승려들의 머리에 먹물을 표시하여 음탕한 승려를 찾아낸다. 승려들의 범죄
수법은 치밀했지만 판관들의 전술이 한수 위였던 것이다. 하지만 이야기 중 여
자를 비천하게 보고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는 사회적 인식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이상으로는 公案小說의 판관들이 사건을 해결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들
의 사건 해결하는 수단과 방법은 다르지만 공통점은 있었다. 즉 소장을 받자
엄하게 호통을 치는 모습이다. 이에 敍事를 전개할 때는 아래와 같은 패턴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판관이 소장을 보거나 피의자가 잡혀 올 때 먼저
驚堂木으로 탁상을 쳐서 주위에 위엄을 환기시키고, 당사자를 전전긍긍하게 만
든다. 피의자가 범행을 인정하지 않은 경우는 형구로 형벌을 가해 자백하게 한
다. 이것은 公案小說에서 가장 흔한 전개방식이다. ≪新民公案≫중에는 “郭爺
大怒”, “郭爺喝”, “郭爺大罵” 등과 같은 표현들이 많고, ≪百家公案≫과 ≪龍圖
公案≫에서도 “包公高聲喝問”, “包公喝打”, “包公大喝”, “包公發怒道” 등의 표현
들이 거의 이야기 마다 있다.
刑具로 형벌을 가하는 것은 간단히 말하면 즉 고문하는 것이다. ≪大明律≫
에서는 사건을 판결할 때 반드시 피고의 ‘口辞[자백]’과 증거들에 근거하여 양
형을 한다고 명문으로 규정한 바가 있다. 이에 사법적 실천 과정 중 판관들이
항상 자백을 받기 위해서는 온갖 방법을 다 쓰게 된다. 특히 형사사건에서는
죄를 인정하고 자백하는 것은 판결을 내리는데 필수조건이다. 또한 고대는 사
법과 행정을 구분하지 않는 체계로 사건이 발생하면 한정된 시간249)안에 해결
248) ≪古本小說集成≫540 ≪醒世恆言≫, 2385-2424쪽.
249) ≪大明律·刑律·捕亡≫“盗贼捕限”条에서는 “一月不获强盗者, 笞二十; 两月, 笞三十; 三月, 笞
- 108 -
해야 되는데 관리들이 증거 수집하는 시간이 충분하지 않아 고문을 택한 경우
가 많았다. 고문 또한 합법적인 수단으로 일반 백성까지 시인하는 분위기여서
明代에는 고문에 의한 강제 자백이 많았다. 사법과 긴밀한 관계가 있는 公案小
說에서는 판관의 고문하는 장면은 敍事에 결여되면 안 되는 부분이다.
包公은 급히 薛霸에게 명하여 곤장 두 짝을 꺼내 周德과 罗氏에게 각각
200대를 내리치게 했다. 두 사람은 견디지 못하고 간통 사유를 사실대로 공초
하였다.250) (≪百家公案≫18回 <神判八旬通奸事>)
海公은 상황을 자세히 파악하고 支助의 안색을 살펴 그가 무뢰한 자인 것
을 알아내고, 어떤 변명도 듣지 않고 엄한 형벌로 고문을 하니, 支助는 자백
을 할 수밖에 없었다.251) (≪海公案≫71回<判谋陷寡妇>)
이와 같은 고문 장면은 비일비재하다. 소위 백성들이 우러러 섬기는 清官들
도 심문 과정 중 고문을 자주 사용하였는데 일반 관리들은 더할 나위가 없었
다.
吴公은 곤장을 내리치라고 명하였다. 张奴는 견디지 못하고 모든 사유와 三
娘과 함께 陈德을 살해하려던 공모를 일일이 공초하였다.252)( ≪廉明公案≫
奸情类 <吴县令辨因奸竊银>)
县主는 楊清을 세게 30대 치라고 큰 소리로 명하고, 죄를 인정하지 않자
또 주리를 틀라고 명하였다. 楊清은 고문을 견디지 못하고 아무렇게나 자백을
하였다. 县主가 물었다.
四十.” 주관자는 “罚俸钱两月”라고 규정하였다.
250) “包公急令薛霸, 拿拶棍二付, 把周德, 罗氏拶起各棒二百. 那二人當拷不过, 只得将通奸情由从
实供招.”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103-104쪽.
251) “海公详其情, 察其色, 知支助是個喇棍, 遂不容分说, 严刑拷打, 支助只得供出.” ≪古本小說集
成≫392 ≪海剛峰先生居官公案≫, 374쪽.
252) “吴公命取棍之. 张奴受苦不过, 只把前情及與三娘在暗房中私谋要害陈德性命, 一一供招.” ≪古
本小說集成≫118 ≪廉明奇判公案傳≫, 104-113쪽.
- 109 -
“자백을 한 이상, 시체는 어디에 있고, 은은 어디에 뒀느냐?”
楊清이 답했다.
“정말 그를 모해한 것이 아니라 나리의 고문을 견디지 못해 거짓 자백을
한 것이옵니다.”
县主는 크게 노하여 다시 주리를 틀라고 명하자, 楊清은 바로 기절을 하였
다가 한참 만에 깨어나 스스로 “자백을 하지 않아도 어차피 죽으니 우선 자
백을 하면 나중에 밝힐 날이 올지도 모른다.”라고 생각하고 바로 자백하였다.
“시체는 장강에 버리고 은은 벌써 다 써버렸습니다.”253)
(≪详刑公案≫ 谋害类 <魏恤刑因鸦兒鸣寃>)
진범이 고문을 이기지 못해 자백하는 경우가 많지만 고문 앞에서 억울하게
없는 죄를 인정하는 자도 많아 억울한 옥사가 생기게 된다. 앞에서 언급했던
≪龍圖公案≫卷3 <氈套客>에서 宋喬는 龔勝의 집에서 자신의 은을 강도에게
강탈당하자 龔勝이 강도와 사통했다고 주장하며 그를 고소한다. 包公은 龔勝을
검거하자마자 한바탕 고문을 가한 후 그를 하옥한다.
≪醒世恒言≫卷27 ≪李玉英狱中诉寃≫254)에서는 전형적인 사례를 볼 수 있
다. 무고한 李玉英은 계모의 학대를 받았을 뿐만 아니라 간음죄로 고소당하게
된다.
판관은 한쪽의 말만을 듣고 다짜고짜 刑具를 사용하였다. 玉英이 거듭 변명
을 해도 듣지 않았다. 가련한 玉英은 고문에 못 이겨 허위 자백을 하게 되고
剮罪로 하옥되었다.255)
이 이야기는 무능한 판관이 한쪽 말만 믿고 고문을 가하여 억울한 사람을
253) “县主喝令将清重责三十. 不认, 又令夹起. 受刑不过, 乃乱招承. 县主曰: ‘既招谋害, 尸在何处?
原银在否?’清曰: ‘实未谋他, 因爷爷苦刑, 受當不过, 只得屈招.’ 县主大怒, 又令夹起. 即刻昏晕,
久而纔醒. 自思: ‘不招亦是死的, 不若暂且招承, 他日或有明白之日.’ 遂招曰: ‘尸丢长江, 银已
用尽.’” ≪古本小說集成≫119 ≪國朝名公神斷詳刑公案≫, 1990, 6쪽.
254) ≪古本小說集成≫539 ≪醒世恒言≫, 1563-1652쪽.
255) “那问官聽了一面之词, 不论曲直, 便动刑具, 玉英再三折辩, 哪里肯聽. 可憐玉英受刑不过, 只得
曲招, 拟成剮罪, 发下狱中.” ≪古本小說集成≫539 ≪醒世恒言≫, 1642쪽.
- 110 -
만든 사건이다. 擬話本公案小說에서는 청렴하고 정직한 판관들만 묘사할 뿐만
아니라 무능하고 문란한 판관들이 사건을 심리하고 해결하는 묘사도 많았다.
이러한 전개 방식은 擬話本公案小說에서 시작한 것이 아니고 短篇公案小說專
集에서 清官들의 유능함을 부각시키기 위해서 그들이 사건을 접수하기 전에
다른 관리들이 먼저 고문하고 오판을 내린 경우가 종종 있었다. 앞에서 언급한
사건 ≪新民公案≫欺昧類의 <富戶重騙私債>에서 朱大尹은 시비여하를 따지지
않고 “마을에서 이처럼 간악한 놈이 있나![乡间有此刁民!]”라고 노하여 꾸짖으
면서 무조건 채무자였던 劉씨한데 형벌을 가하며, 또 劉씨에게 부채를 상환하
라는 판결을 내린다. 그리하여 억울한 劉씨가 다시 높은 명성을 가진 郭公한테
고소하게 된다.
3)결말의 양상
公案小說의 결말은 대체로 3가지로 귀납할 수 있다. 판결문식, 평론식과 후
일담식이다. 판결문식은 가장 많이 채용하는 방식으로 판관이 사건을 해결하고
판결을 내리는 순서대로 서술하는 양상이다. 明代의 短篇公案小說專集 중 상당
수는 판결문이 들어 있는 작품들이다. 이러한 작품들은 법률을 선전하려는 의
도가 명확하고 敍事구조 면에서는 획일화 현상이 드러난다. 평론식 결말은 서
술자가 말미에 다양한 형식으로 논평을 하는 양상이다. 書坊主 余象斗는 ≪廉
明公案≫을 편찬할 때 최초로 말미에 ‘按語’를 추가하여 다른 短篇公案小說專
集에서도 똑같이 따르거나 詩詞로 변모시킨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후일담식
은 판관이 사건을 해결하고 판결까지 내린 후 작중 인물들의 후속 이야기를
하는 방식으로 흔하지 않은 양상이지만 주로 擬話本公案小說集에서 나타난다.
(1) 판결문 제시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公案小說은 사건의 발생과 해결을 중심으로 서술하는
문학 작품으로 公案小说이 법률의 흔적을 지울 수 없는 소설이라는 낙인이 찍

- 111 -
힌 것은 판결문이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 중 빠질 수 없
는 단계가 마지막 판결을 내리는 부분으로 바로 판결문과 연관된 부분이다. 그
러나 모든 公案小說 작품 중 판결문이 들어 있는 것은 아니다. 서술자가 판결
문 내용을 생략하고 서술문 형식으로 판결 결과를 소개하는 방식이 있고, 또한
판결문 내용을 그대로 덧붙는 경우도 있다. 독자는 문미의 판결문만 읽어도 이
야기의 대체적인 내용과 판관의 의견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판결문에서는 사건
의 대략적인 과정만 담겨져 있고 전체 이야기 내용은 편폭의 한계 때문에 모
두 알려주지 못하는 것이다.
明代의 短篇公案小說專集 중 판관이 판결을 내린 후 판결문을 끌어내는 방
식은 아래와 같다.
<표3-2> 判詞를 끌어내는 방식
서명 判詞를 끌어내는 방식
廉明公案 批曰, 判曰
新民公案 判曰
海公案 海公判
詳刑公案 判曰, 批曰
律條公案 判曰
龍圖公案 申詳學道, 判道, 批道, 審語道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대부분 短篇公案小說專集에서 판결문을 끌어내는


방식은 ‘判曰’, ‘批曰’을 많이 사용하였지만, 短篇公案小說集專의 집대성인 ≪龍
圖公案≫의 판결문을 끌어내는 방식은 다양한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늦게 출
시된 작품들에는 판결문이 대부분 생략되고 敍事를 위주로 전개하고 있다는
것도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龍圖公案≫卷7 <斗粟三升米> 말미에는 판결문
없이 “包公은 진술서에 서명을 하고 康七이 목숨으로써 그의 죄를 갚도록 판
- 112 -
결을 내렸다. 康七은 곧 사형에 처해졌다”256)라고만 하였고, 卷8 <扯画轴> 말
미에도 판결문 없이 “包公은 허가서를 만들어 善述 모자에게 돈은 관리하도록
하였다. 包公은 참으로 청렴한 관리로다”257)라고만 하였다.
公案小說의 판결문은 서술자의 의견을 표현하는 방식이기도 하지만 저자들
의 문체를 드러내는 수단으로 여기기도 한다. 短篇公案小說專集의 판결문이 대
체로 간결한 반면 擬話本公案小說의 判詞는 문체가 뛰어나고 길이 또한 발전
하였다. ‘三言二拍’과 ≪型世言≫등 擬話本小說에는 56편의 公案小說 작품이 있
는데 그 중 判詞가 들어 있는 작품은 20편으로 전체 35% 차지하고 있다. 20편
判詞 중 14편은 骈體文이고, 1편은 詩歌體, 5편은 散文體로 확인된다.258) 擬話
本公案小說의 判詞는 이미 법률 문서의 성격을 뛰어넘어 상당한 문학적 가치
가 있는 문체로 인정된다.
≪醒世恒言≫卷39 <汪大尹火焚寶蓮寺>259) 의 판결문은 아래와 같다.
그가 적은 판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중 불현 등은 그 마음속 욕망이 바다와 같고 악함이 불덩이와도 같다. 꾀
를 사용해 함정을 설치하여 아이를 기원하는 양가집 여인들을 기편하여 담을
뚫고 바닥에 구멍을 내어 여신도들을 불러들여 강제로 정을 통하였다. 중들은
젊은 미인들을 품에 안고 자신들이 하늘에서 내려온 보살이라고 하였고, 중들
을 보내기 어려우니 나한이라고 하며 잠자는 여인들을 찾아왔다. 가련한 젊고
연약한 여성들이 미친 나비들에 의해 유린되고, 온유하고 향기로운 연한 옥이
폭풍에 던져졌도다. 아름다운 흰 비단이 오염이 되니 씻을 길이 없네. 어두운
밤에 욕을 당했으니, 그 사실을 감히 밝히지도 못하였네. 이에 본관은 이완아
를 시켜 그들의 정수리에 붉은 먹을 찍게 하고, 또 장미저를 보내어 이마에
검은 먹을 묻히게 했다. 농염한 여성을 보고 스님이 다짜고짜 달려드니, 검은
숯을 칠한 듯 어찌 스님의 목까지 검게 변했을까. 감옥으로 수송되니 중들은
자업자득이로다. 색에 빠져 입이 있어도 말을 못하네. 도검을 이불에 숨겨 가
256) “包公押了供状, 遂断其偿命, 即令典刑.” ≪包公案≫, 앞의 책, 193쪽.
257) “包公乃给一纸批照与善述母子执管. 包公真廉明者也.” ≪包公案≫, 앞의 책, 231쪽.
258) 苗懷明, 앞의 책, 345쪽.
259) ≪古本小說集成≫540 ≪醒世恒言≫, 2385-2426쪽.
- 113 -
져오니, 열반이 도리어 폭력으로 변했고; 감옥에서 무기를 사용할 생각을 하
니, 자비가 흉폭으로 변했네. 깊은 밤이 되는 법을 보호하는 신통함이 감옥을
열고, 종소리가 들리니 강한 병사들이 구속을 깨어버리네. 솥 안의 물고기는
망을 벗어나 또 날뛰고, 우리 속의 범이 들판을 달려 나와 먼저 사람을 무네.
요조숙녀들을 강간하고 선량한 사람들을 간음하였으니, 죽어도 용서치 못하
고; 옥졸을 죽이고 장정들을 해쳤으니 죄를 사할 길이 없네. 탈옥과 간음에
그 죄가 이미 무거우니, 시체를 도륙하고 머리를 효수함이 그 법에 온당하리.
중 불현은 악승 중의 악승이라 그 뼈를 갈기갈기 부수고, 보련사는 간음의 근
원이라 불을 질러 그 소굴을 태우나니, 바라건대 지장보살의 요구를 발하여
부처의 깨끗함을 펼치도다.”260)
이 판결문은 저자의 뛰어난 재치가 넘쳐흐르면서 독자들을 탄복하게 만든다.
화려한 문체로 사건의 경위를 서술하면서, 대구[對仗]도 잘 갖추어져 있어 나
오자마자 “널리 전파되어 백성들이 모두 손뼉을 치며 쾌재를 부른다.”261)의 효
과가 나타났다. ≪醒世恒言≫卷7 <钱秀才错占凤凰俦>, 卷8<乔太守乱點鸳鸯
谱>의 判詞는 모두 좋은 예라고 할 수 있겠다.
(2) 평론문 결말
평론문은 南宋 鄭克이 편찬한 판례집인 ≪折獄龜鑒≫을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그는 사건을 기록한 뒤에 ‘평론문[按語]’를 추가하여 사건에 대한 평론을
하고 있다. 公案小說의 평론문 결말 양상은 아마도 書坊主인 余象斗로부터 시
260) 풍몽룡 편저, 최병규 편역, ≪삼언애욕소설전≫, 學古房, 2016, 141-142쪽. 원문: “其审单云:
看得僧佛显等, 心沉欲海, 恶炽火坑. 用智设机, 计哄良家祈嗣: 穿墉穴地, 强邀信女通情. 紧抱
著娇娥, 兀的是菩萨从天降; 难推去和尚, 则索道罗汉梦中来. 可憐嫩蕊新花, 拍残狂蝶; 却恨温
香软玉, 抛掷终风. 白练受污, 不可洗也; 黑夜忍辱, 安敢言乎! 乃使李婉兒硃抹其顶, 又遣张媚
姐墨涅其颠. 红艳欲流, 想长老头横冲经水; 黑煤如染, 岂和尚颈倒浸墨池. 收送福堂, 波罗蜜自
做甘受; 陷入色界, 磨兜坚有口难言. 乃藏刀剑於皮囊, 寂灭翻成贼虐; 顾动干戈於圜棘, 慈悲变
作强梁. 夜色正昏, 护法神通开犴狴; 钟声甫定, 金刚勇力破拘挛. 釜中之鱼, 既漏网而又跋扈;
柙中之虎, 欲走圹而先噬人. 奸窈窕, 淫善良, 死且不宥; 杀禁子, 伤民壮, 罪欲何逃! 反狱奸淫,
其罪已重; 戮尸枭首, 其法允宜. 僧佛显众恶之魁, 粉碎其骨; 寶莲寺藏奸之薮, 火焚其巢. 庶发
地藏之奸, 用清無垢之佛.” ≪古本小說集成≫540 ≪醒世恒言≫, 2422-2423쪽.
261) “满城传诵, 百姓尽皆稱快.” ≪古本小說集成≫540 ≪醒世恒言≫, 2423쪽.
- 114 -
작한 것으로 파악된다.262) 그가 조기에 편찬한 短篇公案小說專集인 ≪廉明公案
≫의 총 105편 이야기 중 평론문 형식으로 결말을 짓는 작품은 5편에 불과하
지만, 그 후속 작품인 ≪诸司公案≫ 총 59편 이야기 중 56편263)은 평론문 형식
으로 마무리를 하고 있다. 書坊主들이 이익을 위해 맹목적으로 公案小說專集을
출간하는 것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독자의 입장에서 사건에 대해 재조명하는
의도가 보여 점차 성숙한 길로 걸어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평론
문들은 길이가 일정치 않아 짧은 것은 열 글자조차 안 되고, 긴 것은 몇 백자
가 되어 이야기의 본문 부분에 견주일 정도이다.
≪诸司公案≫말미의 짧은 평론문을 예로 들면 아래와 같다.
평론[按語]: 살해하고 시신까지 태우니 부녀의 계략이 몹시 간사하다. 张侯
가 살아 있는 돼지와 죽은 돼지를 구별하는 방법을 뭇사람들에게 보여주자
모두들 심복하고, 부녀 또한 할 말을 잃었다. 후인들이 시신이 생전에 태워
죽여졌는지 사후에 태워 죽여졌는지를 구별하는 본보기로 삼을 만하다.264)
(卷1 人命类 <张县令辨烧故夫>)
평론[按]: 이 ‘二形’이란 사람은 본래 怪異한데, 세상에 간혹 있기도 하다.
때문에 이를 기록하고 보여줌으로서 규방을 단단히 지키도록 해야 한다.265)
(卷2 奸情類 <彭理刑判刺二形>)
≪諸司公案≫卷2 奸情類 <王尹辨猴淫寡婦>266)의 이야기는 과부 柴씨가 원
262) 陳大康은 余象斗의 ≪百家公案≫말미에 있는 “此亦可以為守節不終者之戒”와 같은 권계하는
말에서 영감을 받아 按語 방식을 사용한 것으로 짐작하고 있다. 陳大康, ≪明代小說史≫,
上海文藝出版社, 2000, 399쪽.
263) 按語가 없는 작품은 卷4 诈伪类 <王尚書判斬妖人>, 卷5 爭占類 <于縣丞判爭耕牛>, 卷6 雪
寃類 <崔知府判商遺金>이다. ≪古本小說集成≫117 ≪皇明諸司公案≫, 上海古籍出版社, 1990.
264) “按:杀死而复烧尸, 此妇之计诚狡. 惟张侯以生死二猪辨與众看, 则人皆心服, 而此妇遂無词矣.
後人欲辨生前死後烧尸者, 此案可为世鉴.” ≪古本小說集成≫117 ≪皇明諸司公案≫, 64쪽.
265) “按:此二形之人, 本为怪異, 世亦时或有之, 故记之以示慎守闺门之防.” ≪古本小說集成≫117
≪皇明諸司公案≫, 145쪽.
266) ≪古本小說集成≫117 ≪皇明諸司公案≫, 104-117쪽.
- 115 -
숭이와 간통을 저지르는 사건을 다루고 있는데 결국은 柴씨는 추행이 발각되
어 정절문을 세우지 못하게 된다. 서술자는 판관 王尹의 판결문 뒤에 긴 평론
문을 늘어놓았는데 여기서 주목해야 되는 것은 평론문의 내용이다. 일반적으로
평론문에는 범죄자에 대한 비판이나 독자들에게 권계를 하는 말을 붙이는데,
<王尹辨猴淫寡婦>의 평론문은 다른 원숭이의 간통 사건을 제시하면서 집에서
원숭이를 길러서는 안 되고, 과부를 억지로 붙드는 것도 하지 말아야 한다고
권계하고 있다. 게다가 서술자는 “사람은 어찌하여 지킬 수 없는 정조를 지키
려 하고, 이룰 수 없는 명성을 이루려하는가!”267)라고 하면서 과부는 정절을
지킬 필요가 없고 재가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余象斗는 당시 사회
사조의 영양을 받아 평론문에 程朱理學이 사람 본연의 性을 파괴한다는 비평
적 의미를 담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百家公案≫에서는 볼 수 없는 양상이다. ≪百家公案≫말미에 있는
평론문을 예를 들어 본다. 59回 <东京决判刘驸马>에서 서술자는 包公의 판결
문 뒤에 평론문을 가하였다.
최씨 부부는 좋은 일을 많이 해 결국 선한 보답을 받은 것이니, 대체로 넓
고도 깊은 하늘의 가호가 있었던 것이다. 유영은 도살업자의 자식으로 악한
본성이 다 사라지지 않아 남의 은혜를 저버렸으며 자신이 부귀 하게 된 이유
를 전혀 생각지 않아서 형벌을 응진됐으니 그 죽음은 마땅하다. 효숙공(포공)
이 아니면 그 누가 그를 제거할 수 있었겠는가?268)
이처럼 ≪百家公案≫의 평론문은 판결문에 이어 서술자가 인과응보를 권계
하는 의도가 확연히 드러나지만 사회 사조에 대한 논평은 찾을 수 없다.
한편, 결말에 있는 평론문은 판결문에 대한 해석이 될 수도 있다. 치정사건
같은 경우에는 판관들이 법리에 의거해서 판결하는 것보다 인정과 사리를 고
267) “人亦何必守难守之节, 以成难成之名哉!” ≪古本小說集成≫117 ≪皇明諸司公案≫, 116쪽.
268) 안우시 엮음; 고숙희 옮김, ≪백가공안≫, 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49-50쪽. 원문:“都下传
此, 皆稱崔长者夫妇好善, 终得善报. 刘英屠户之子, 恶心不除, 终受恶报. 包公之判何其严明
哉!”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345쪽.
- 116 -
려해서 선처하거나 혼인을 성사시키는 경우가 많은데 예를 들면 ≪明镜公案≫
婚姻类 <王御史判奸成婚>269)에서 간통사건을 저지른 남녀는 “법에 의하면 각
각 곤장 80대를 맞아야 되는데”270), 그러나 당사자 徐守恂이 인정에 호소하자
판관 王御史는 두 사람의 진정한 사랑을 고려해서 성혼하도록 한다. 결말의 평
론문은 판관이 내린 판결문에 대한 해석과 해명이라 볼 수 있다.
평론[按]: 간통한 사람들을 혼인까지 시키는 것은 법에 부합하지 않은 일인
데, 文士와 才女가 모두 혼인하지 않으니 안타까워 성혼하도록 한다. 인정을
부정할 수 없는 것이다. 법 집행에 능한 자는 기존의 관례만을 고수하지 않고
변통도 잘한다. 이에 양형을 하는데 있어 교훈으로 삼을 만하다. 271)
擬話本公案小說의 결말에도 평론문을 붙이는 경우가 많다. 宋元話本 중 ‘詩
為證’ 형식을 그대로 계승하지만 擬話本小說에서는 설교조가 더욱 강해졌다.
사대부 문인들은 ‘寓教於樂’의 목적에 입각하여 창작하였는데 훌륭하면서도 대
중적이어야 누구나 감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272) 그리고 ‘詩為證’ 형식 이외에
세태에 대한 비평도 잊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3) 후일담 추가
후일담(Epilogue)은 어떤 사건과 관련하여, 그 후에 일어난 경과에 관하여
이야기의 말미에 덧붙이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엄밀하게 보아 후일담은 특
별한 결말의 단계를 지칭하는 용어로, 敍事文의 구조 밖에 덧붙여지는 이야기
이다. 고전소설에서는 갈등이 모두 해결된 후에도 인물과 사건에 대한 부연 설
269) ≪古本小說集成≫548 ≪明镜公案≫, 153-166쪽.
270) “据律则通奸者该各杖八十” ≪古本小说集成≫548 ≪明镜公案≫, 164쪽.
271) “按: 判奸成婚本不合律, 但以文士才女各未婚娶, 爱惜其才, 判之成婚. 一时人情不以为非, 可
见善持法者在变通从宜, 不必胶柱鼓瑟也. 故记之以为钦恤者训.” ≪古本小说集成≫548 ≪明镜
公案≫, 165-166쪽.
272) 龍希賢, <明清公案小說結構模式的變化>, ≪文學前言≫, 2009年第1期, 298쪽.
- 117 -
명을 덧붙이는 경우가 흔히 있는데 서술자의 전지적 시점이 은연중에 드러나
게 된다.
公案小說에서 작중 인물에 대한 끝장 묘사는 왕왕 판결문으로 끝내는 경우
가 많고, 후일담을 추가하는 작품은 短篇公案小說專集에서는 많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비교적 늦게 출현한 ≪龍圖公案≫에서는 몇 편의 후일담을 찾을 수
있다.
<阿彌陀佛講和>에는 말미에 許獻忠이 나중에 급제하여 包公에게 감사하러
온 장면과 包公이 許獻忠을 혼인까지 시키는 장면이 있다. <觀音菩薩托夢>에
서는 鄧씨가 구조되지만 包公은 판결을 내린 후에도 그녀의 순결 잃은 것에
대해 질책하고 반성하게 하고, 후에 鄧씨 남편 丁日中은 급제하어 벼슬살이 한
다고 마무리한다. 이것은 후일담이라고는 하지만 짤막한 말로 판결 후에 당사
자의 뒷이야기를 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나 ≪龍圖公案≫의 <手牽二子>273)에서는 비교적 긴 후일담을 덧붙였다.
이 이야기는 陳씨가 남편의 첩 衛씨와 자식 둘을 질투하여 독사한 것을 다루
고 있다. 결국 包公은 陳씨를 능지처참하도록 판결을 내린다. 그러나 이야기는
여기에서 끝나지 않는다. 2년 후에 陳씨가 다시 암퇘지가 되어 남편 집에 간다
는 이야기가 길게 서술되어 있다.
또 2년이 흘렀다. 마침내 풍수는 집으로 돌아왔다. 그는 커다란 암퇘지를
키웠는데, 한 해가 지난 후 여러 마리의 새끼를 낳아서 꽤 이익을 보았다.
어느 날, 풍수가 암퇘지를 도살업자에게 팔려고 했더니 갑자기 사람처럼 말
을 한다.
“전 당신의 처 진씨예요. 평소 질투가 심하여 첩과 두 아들을 죽였어요. 당
신의 은혜를 입고도 당신의 후사를 끊어버리고 말았지요. 포공 나리의 판결을
받아 능지처참을 당한 후에도 하늘이 용서하지 않아 다시 벌을 받아서 이렇
게 암퇘지가 되었어요. 지금 당신에게 진 빚은 거의 다 갚았으나, 천 개의 칼
에 베이는 고통은 면할 수 없습니다. 당신이 절 대신해 세상의 여인들에게 전
해주세요. 시부모 공양을 잘하고, 동서끼리 사이좋게 지내며, 집안일을 독단적
으로 처리하여 남편을 거스르지 말고, 독한 질투심을 품어 첩을 업신여기지
273) ≪包公案≫, 위의 책, 129-130쪽.
- 118 -
말라 하십시오. 그렇지 않으면 훗날 저와 같은 대가를 치를 것입니다.”
원근에서 이 말을 듣고 많은 사람들이 암퇘지를 보려고 몰려들어 문전성시
를 이루었다.274)
후일담 부분이 작품의 전체 흐름과 부합되지 않는다면 내적 연관성과 긴장
감을 떨어뜨리는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법률을 선전하는 公案小說에서 서
술자가 작중 인물들이 재판이 끝난 후에 어떻게 살고 있다는 것을 서술하는
것은 단지 선악에는 인과응보가 있다는 권계에 지나지 않는다. 편폭이 너무 길
면 별다른 의미를 지니지 못하고 오히려 군더더기처럼 덧붙이는 느낌을 줄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후일담이 전체 敍事文의 구조에서 중요한 구실을 하는 경우도
있다. 明代말기에 등장한 擬話本公案小說에서는 작중 인물에 대한 후일담 묘사
가 점차 길어지고 상세해지는 양상이 보이며, 전체 구조에서 중요한 마무리 역
할을 담당하고 있다.
≪喻世明言≫卷2 <陈御史巧勘金钗钿>275)이 전형적인 예라고 할 수 있겠다.
이 이야기에서는 서술자는 판관이 사건을 해결한 후 바로 결말을 짓지 않고
“화제를 바꾼다.[话分两头]”로 시작하여 후일담을 서술하고 있다. 열녀 田씨는
수세[休书]를 들고 顾佥事 집에 찾아갔는데 阿秀의 혼이 田씨 몸에 붙어 孟夫
人 앞에서 하소연하여 결국은 수양딸로 삼게 되고 鲁学曾과 혼인까지 하게 된
다. 鲁学曾은 분발하여 급제하고, 부부 사이는 화목하고 슬하에 아들 둘이 생
겼다. 이 후일담은 전체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短篇公案小說專集과
다른 양상이 드러난다. 서술자는 사건에만 집중하지 않고 작중 인물의 운명과
사회생활에도 관심을 기울이는 것을 알 수 있다.

274) 작가 미상; 고숙희 옮김, ≪용도공안≫, 지식을만드는지식, 2010, 69-70쪽. 원문: “後过二载,
冯叟回家, 畜一大母彘, 一岁生数子, 获利幾倍, 将欲售之于屠, 忽作人言道: ‘我即君之妻陈氏也.
平日妒忌, 杀妾母子, 绝君之嗣, 虽包公断後, 上天犹不肯释妾, 復行绝恶之罚, 作为母彘, 今偿
君债将满, 未免过千刀之苦. 为我传语世上妇人, 孝奉公姑, 和睦妯娌, 勿行妒忌; 欺妾婢, 否则
他日之报同我之报也.’ 远近闻之, 俱踵其门观看.” ≪包公案≫, 위의 책, 130쪽.
275) ≪古本小說集成≫531 ≪古今小說≫, 97-156쪽.
- 119 -
Ⅳ. 明代公案小说의 갈등양상 및 해결방식
公案小說은 범죄와 법률이라는 제재를 주도적인 모티프로 하여 전개되는 소
설이므로, 折獄사건에 관련된 인물들의 대립과 갈등을 중심으로 플롯이 전개된
다. 갈등은 사회내의 개인이나 집단 사이에 생각이나 처지, 태도, 이해관계 등
이 적대시하거나 충돌하는 것을 말한다. 소설에서의 갈등은 작품에서 각각의
인물들이나 집단들이 서로 화해를 이루지 못하고 대립적 관계에 놓이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갈등은 소설 속에서 사건 발생의 원인을 제시해 주고 사건이
진행되는 필연성을 부여해 줌으로써 소설의 흥미와 긴장감을 제공하는 요인이
된다.
일반적으로 소설에서의 갈등은 한 인물의 내면에 두 가지 상반된 심리가 대
립하는 심리적 내적 갈등과 작중 인물 간의 성격이나 생각이 대립하거나, 작중
인물과 외부 세계가 대립하여 일어나는 외적 갈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公案小
說의 경우에는 주로 사건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므로, 내적 갈등보다는 작중
인물 간의 대립되는 외부로 표출되는 외적 갈등이 작품의 중심을 이룬다. 그리
고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소송과정을 거쳐야 되므로 판관이라는 사회적 절대
권위자가 개입하게 됨으로써 단순한 개개인 간의 문제로 끝내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갈등으로 확대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公案小說 속의 외적 갈등은 사
회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봐야 된다. 이렇게 볼 때 公案小說은 사건의 발
생과 해결과정을 통해 다양한 사회적 갈등양상을 드러낼 수 있는 것이다. 본
장에서는 明代 公案小說에서 나타나는 인물들의 갈등양상 및 해결방식을 분석
하고자 한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대부분의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은 법률서적의 편찬 체
제를 사용하여 범죄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있다. ‘人命’, ‘爭占’, ‘奸情’, ‘盜竊’類
등의 유형으로 봐서는 작중 인물 간의 극단적 대립관계가 매우 다양하다. 이에
따른 갈등양상도 복합적으로 드러나 있고, 사건을 해결하는 판관까지 얽혀져
있어 갈등의 전개양상은 더욱 복잡해지는 것이다. 이에 그 많은 범죄 유형 전
반을 대상으로 모두를 거론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明代 公案小說의 대표
- 120 -
적 갈등양상을 포괄해서 ①性慾에 의한 남녀갈등, ②物慾에 의한 사회갈등 ③
윤리적 身分에 의한 가족갈등 등의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검토해 보고자 한
다.
1. 性慾에 의한 남녀갈등 및 해결
性慾에 의한 남녀갈등을 다루는 치정 사건은 公案小說에서 가장 많은 분량
을 차지하고 있는 유형이다. 才子佳人小說이나 世情小說에서 묘사하고 있는 치
정사건은 주인공이 자유로운 사랑을 추구하고 있는 반면 公案小說에서는 남녀
사이의 사랑으로 인한 갈등과 분쟁을 다루고 있다. 특히 사회적 윤리에 어긋나
는 남녀관계는 극단적인 법률적 방법으로 해결하는 양상을 띠고 있다. 치정제
재가 小說에서 많이 차지하고 있는 이유는 주로 2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치정
문제는 현실 생활에서도 윤리 綱常과 名敎에 관련된 문제이고, 가정의 안정과
도 연관이 있다. 둘째, 실제 판례 자료에 근거하여 살펴보면 치정사건이 首位
를 차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276) 물론 당시에 書坊主들이 公案小說을 편찬
하는 과정 중 많은 독자를 끌어 모으기 위해 의도적으로 과장되게 묘사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短篇公案小說專集은 대체로 사건을 유형대로 분류하고
편집한다. 性慾에 의한 남녀 사이의 갈등을 다루는 치정사건은 주로 ‘奸情’, ‘婚
姻’, ‘奸淫’類에 수록되어 있어 본 절에서는 연애사건, 간통사건과 강간사건 등
3가지로 나누어 살펴보겠다.

276) 통계에 따르면 清代 道光·光緒년간에 출간된 ≪刑案匯覽≫, ≪續增刑案匯覽≫, ≪新增刑案


匯覽≫에는 총 7600여 건의 실제 사건이 수록되어 있는데, 31가지의 범죄 유형 중 ’杀死奸
夫‘라는 죄목은 맨 윗자리에 올려져 있어 총 376건을 차지하고, 그리고 ‘强占良家婦女’라는
죄목은 152건으로 6위에 올려져 있으며, ‘犯奸’은 96건, ‘親屬相奸’은 75건으로 각각 17위와
22위에 올려져 있다. 이 4가지 죄목을 합하면 총 699건의 사건으로 전체 사건의 9% 이상
을 차지할 정도로 당시 사회에서 치정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실제 사료이다. 苗懷明,
앞의 책, 210쪽 참조.

- 121 -
1) 연애사건
연애사건이란 미혼 남녀가 연애하는 동안 생기는 갈등으로 빚어진 사건을
가리킨다. 봉건 사회에서는 미혼 남녀의 혼인에 대한 결정권과 선택권은 모두
부모에게 있어 혼인을 하기 전에 서로 만나는 것은 금지된 사항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을 위반할 경우에는 엄벌에 처하는 법률조항도 있다. 그러나 사랑이
라는 것은 완전히 금지한다고 해서 되는 것이 아니기에 公案小說에서 미혼남
녀가 사랑에 빠져 갈등을 빚은 사건은 비일비재하다.
연애사건에서 남녀들의 이미지에 대한 묘사는 많지 않지만 대체로 남자는
재능과 용모를 겸비하고, 여자는 어질고 정숙하다고 되어 있다. 그들이 저지른
연애사건에 대한 판결은 판관에 따라 조금 차이가 있지만 법률에 따라 처벌하
는 것은 적고, 인정과 事理를 고려해 선처하거나 방면하는 경우가 많다.
≪百家公案≫62回 <汴京判就臙脂记>277)에서는 미혼남녀가 부모 몰래 밀회
를 하다 관청까지 가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줄거리를 단락으로 정리하면 아
래와 같다.
① 준수한 郭名华는 길에서 연지를 파는 낭자 王月英을 만나게 되고 둘은 서
로 마음이 통한다.
② 둘은 밀회하기로 하였으나 月英은 어머니로 인해 가지 못한다.
③ 정월 보름날 밤 다시 약속하였으나 郭名华가 술에 취해 또 만나지 못한다.
④ 郭名华는 후회하고 한스러워 月英이 남겨둔 꽃신과 손수건을 입으로 삼킨
다.
⑤ 郭名华의 시신이 발견된 후 包公이 사건을 맡게 되자 月英은 마음을 통한
것을 사실대로 자백한다.
⑥ 包公은 郭名华를 살려 두 남녀의 인연을 고려해 혼인하라고 판결을 내린
다.

277)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356-363쪽.


- 122 -
이 이야기에서 王月英은 郭名华가 마음에 들었으나 예법을 생각해 함부로
郭名华의 청혼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어머니를 무서워하여 밀회도 가지 못하여
결국 어머니가 안 계신 날에 만나는 것을 택한다. 그 후 어머니는 王月英이 꽃
신을 잃어버린 이야기를 듣고 “이 계집애가 경박하고 방종하구나.[这妮子好轻
纵]”라고 꾸짖으며 격노한다. 이를 통해 봉건사회의 전통적인 예법과 도덕의식
을 엿볼 수 있다. 包公 또한 부모에게 거역하고 남녀가 몰래 사귀는 것은 纲常
을 망치는 것이라고도 평한 바가 있다. 그러나 상부에 올려 법적 처벌을 해야
되지만 包公은 두 남녀의 인연을 고려하여 둘을 혼인시키라고 판결한다. 연인
은 마침내 가정을 이루고 막은 내려진다.
미혼 남녀가 부모의 동의없이 몰래 만나 일으킨 사건은 ≪百家公案≫54回
<潘用中奇遇成姻>, 57回<续姻缘而盟旧约>에서도 예를 들 수 있다. 전자는 潘
用中이 우연히 丽娘을 만나 서로 눈이 맞아 몰래 도망치다 잡히는 사건이고,
후자는 张씨와 罗씨가 우연히 만나는 것이 아니라 어렸을 때부터 양가가 왕래
하는 사이였지만 罗씨 부모가 张씨 집안의 가난함을 꺼려 혼인에 응하지 않음
으로 남녀가 몰래 만나는 이야기이다. 결국 包公은 두 쌍의 남녀를 모두 혼인
하게 하는 판결을 내린다. 두 이야기는 모두 봉건 사회에서 본인의 의사는 무
시해 버리고 부모가 독단적으로 상대를 정해 주는 혼인 제도를 비판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부모에게 반항하고 자결하는 남녀도 가끔 등장한다.
<续姻缘而盟旧约>에서는 罗씨가 우물에 투신하여 죽은지가 한 달이 되는데도
包公의 신력으로 다시 살아나는 황당무계한 결말을 이어간다.
이처럼 빈부 격차 문제로 인한 파혼 이야기에도 남녀 사이의 치정사건을 다
루고 있다. 양쪽 집안 모두 ‘뱃속의 태아를 두고 혼인을 약속하는 일[指腹為
婚]’로 시작하지만 한 쪽 집안이 기울면 상대 집안은 혼사를 취소하려 한다. 이
때 당사자인 남녀는 정이 들어 헤어지지 못하여 도망을 공모하거나 관청에 가
서 고발하게 된다. ≪百家公案≫78回 <判两家指腹为婚>에서 부자 林百萬과 张
员外는 양가가 혼인을 약속한 사이였으나 林씨 집안 기울자 张씨는 파혼하려
한다. 그러나 张씨의 여식 千金娘子는 改嫁를 단호하게 거절한다.

- 123 -
충신은 두 군주를 섬기지 않고, 열녀는 두 남자에게 시집가지 않는다 했사
옵니다. 林씨 집안이 부유했을 때는 소녀를 시집보내기로 하였는데 오늘 날
그쪽 집안이 기운 것을 보고 식언하면 신령을 모함하는 것과 같사옵니다.278)
≪喻世明言≫卷2 <陈御史巧勘金钗钿>279)에서도 鲁廉宪과 顾佥事 양가가 이
런 일로 갈등이 생기는 사건을 다루고 있다. 미혼 남녀의 연애를 제재로 한 이
야기에서는 부모를 ‘빈부귀천을 따지는[嫌贫爱富]’ 탐욕스런 인물로 설정하는
반면 자식은 윤리를 지키려는 인물로 설정하여 치정사건으로 인한 부모와 자
식 사이의 갈등으로 전개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남자 쪽 집안이 쇠퇴하는 경
우가 많고 여자 쪽 부모는 약혼을 어김으로 여자는 전통 윤리를 옹호하는 이
미지로 드러난다. 부모가 여식을 개가를 시켜 갈등이 심해지자 여자는 강요에
못 이겨 어쩔 수 없이 자진하는 상황으로 이어가고 관청까지 가게 된다. 이러
한 사건을 해결하는 판관은 남녀 사이의 정과 양가 부모 사이의 약속을 고려
하여 혼인하라고 판결내리는 경우가 많다.
실제 明清사회에서는 뱃속의 태아를 두고 혼인을 약속하는 일은 위법한 행
위로 금지된 것이다.280) 그러나 명확한 징계 조치를 정하지 않음으로 민간에서
는 구속력이 떨어진다. 그리고 남녀가 태어나기 전에 양가부모가 약혼을 시키
지만 십여 년이 흐르는 사이에 가정에 변고가 생기게 마련이다. 결국은 현실
앞에서 부모는 약속을 어겨 더 부유한 집안과 혼인을 맺으려고 하는 상황으로
이어간다. 그러므로 미혼 남녀 사이의 연애사건이 겉으로는 性慾에 의한 남녀
갈등으로 드러나지만 실제로는 物慾에 의한 양가 부모 사이의 갈등으로 봐도
무방하다.
한편, 公案小說에서 미혼 남녀 사이의 연애사건은 한쪽의 변심에서 비롯된
278) “忠臣不事二君, 烈女不嫁二夫. 當初林家发迹之时, 已将女兒许嫁他人, 今见落剥, 遂失前言, 神
明不可诬矣.”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446쪽.
279) ≪古本小說集成≫531 ≪古今小說≫, 97-156쪽.
280) “男女婚姻, 各有其時, 或有指腹割衫襟为親者, 幷行禁止.” (清)薛允升 撰, 懷效鋒·李鳴 點校,
≪唐明律合編≫<明律>卷6<戶律>, 法律出版社, 1999, 328쪽. (清)沈之奇 撰, 懷效锋, 李俊
點校, ≪大清律辑註≫<大清律集解附例>卷6<戶律·婚姻>, 法律出版社, 2000, 255쪽.
- 124 -
다. 혼자 사사로이 혼인 대사를 정하고 맹약을 저버리는 바람에 사건을 극단적
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경우가 많다. 소설에서 이러한 갈등의 발단은 대체로 남
자가 재물을 탐하고 색을 밝히는 것을 둘러싸고 벌여진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警世通言≫卷34 <王娇鸾百年长恨>281)에서 周廷章과 王娇鸾은 부모의 반대
에도 불구하고 서로 사모하여 몰래 사사로이 혼인을 정하면서 어떠한 일이 있
어도 서로 배신하지 않겠다고 굳은 맹세를 한다. 그러나 周廷章의 아버지가 부
유한 魏씨 집안과 혼인을 맺자 周廷章은 미모와 재력을 겸비한 魏씨의 딸을
좋아하게 되고, 王娇鸾과의 맹약을 깨뜨린다. 사랑의 증표와 혼약서를 돌려받
은 王娇鸾은 비통하고 분하여 32수의 绝命詩와 ≪長恨歌≫를 남기고, 吴大尹에
게 고발한 후 자결한다. 薄情하고 의리가 없는 남자 周廷章은 결국 亂杖을 맞
고 생을 마감한다. 이로부터 公案小說에 미혼 남녀 사이의 연애사건에서의 여
자는 대체로 윤리와 약속을 지키려고 하는 혼인의 희생자 이미지로 출현한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公案小說에는 외모와 탐욕으로 인한 미혼 남녀 사이의 갈등을 다루는
사건도 있다. 擬話本公案小說 ≪醒世恒言≫卷7 <钱秀才错占凤凰俦>282)가 전형
적인 예로 볼 수 있다. 이 작품은 부잣집 아들인 颜俊과 가난한 秀才인 钱青이
한 여자를 둘러싸고 벌이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못생기고 탐욕스러운 颜俊
은 아름다운 처녀인 高秋芳을 연모하여 그녀와 결혼하기 위해 재능과 용모를
겸비한 사촌동생 钱青을 꾀어 그를 자신으로 사칭해 결혼까지 하게 만들었다.
결국 죄상이 드러나 颜俊은 미인에 대한 욕심으로 인해 돈과 명예를 모두 잃
게 되고, 钱青은 高秋芳의 정식 남편이 된다. 말미의 판결문과 칠언시를 통해
그들의 갈등 양상을 엿볼 수 있다.
붓을 들어 판결문을 다음과 같이 적었다.
“고찬이 자신의 딸이 남편을 얻게 도와주는 것은 상리이나, 안준이 사람을
빌려 자신으로 가장하는 일은 실로 기괴한 일이다. 사위가 이미 간택되었으나
281) ≪古本小說集成≫536 ≪警世通言≫, 1383-1432쪽.
282) ≪古本小說集成≫537 ≪醒世恒言≫, 上海古籍出版社, 1990, 339-398쪽.
- 125 -
양으로 소를 바꿔치기 했음을 어찌 알았겠으며, 비록 서쪽 친지들의 책망이
있다하여도 결국 사슴으로 말을 대신하지 않았네. 두 번이나 강을 건넜지만
유의에게 서신이 전달되지 않았고, 사흘 밤을 이불을 사이에 두고도 촛불을
들고 밤을 지센 관운장에게 부끄럽지 않았도다. 바람이 매파노릇을 하고, 하
늘이 인연을 맺어 주었네. 멋진 남자가 여자와 배필이 되니, 양쪽이 모두 이
롭게 되었고, 처를 얻으려던 자가 결국 얻지 못했으니, 자업자득이로세. 고씨
가에서 전청을 보내려하지 않으니 다신 화촉을 밝힐 필요가 없어졌네. 안준은
애초에 남을 기만할 궁리를 하지 말아야 했고, 나중에도 분에 못 이겨 사람을
때리지 말아야 했다. 일은 풀리지 않았지만 잠시 죄책은 면했도다. 자신이 소
비한 혼사비용으로 전청의 혼인을 도와줌으로써 그를 구타한 죄를 속죄하였
네. 우진은 두 곳을 오가며 상대를 선동해 유혹하였으니, 범행의 원인을 제공
하였기에 엄중한 징계로 경종을 울리리라.”283)
증 명할 시가 아래에 있네.
“추한 얼굴이 어찌 아름다운 처를 갈취할 수 있겠는가! 오히려 사촌동생만
이익을 보았구나. 가련한 오강의 달은 호수에서 나는 원앙을 차가이 비춰주
네.”284)

2) 간통사건
간통은 기혼 남녀와 다른 사람과의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비정상적인 관계를
뜻한다. 거의 모든 사회의 혼인법은 간통을 성문으로 금지하거나 관습에 의해
283) 풍몽룡 편저, 최병규 편역, ≪삼언애욕소설전≫, 學古房, 2016, 309-310쪽. 원문: “遂举笔判
云: 高赞相女配夫, 乃其常理; 颜俊借人饰己, 实出奇闻. 东床已招, 何惭秉烛雲长. 风伯为媒,
天公作合. 佳男配了佳妇, 两得其宜; 求妻到底無妻, 自作之孽. 高氏断归钱青, 不另作花烛. 颜
俊既不合设骗局于前, 又不合奋老拳于後. 事已不谐, 姑免罪责. 所费聘仪, 合助钱青, 以赎一击
之罪. 尤辰往来煽诱, 实启衅端, 重懲示儆.” ≪古本小說集成≫537 ≪醒世恒言≫, 396쪽.
284) 풍몽룡 편저, 최병규 편역, ≪삼언애욕소설전≫, 學古房, 2016, 311쪽. 원문: “有诗为证: 醜脸
如何骗美妻, 作成表弟得便宜. 可憐一片吴江月, 冷照鸳鸯湖上飞.” ≪古本小說集成≫537 ≪醒
世恒言≫, 398쪽.
- 126 -
금기시한다. 도덕과 풍교를 중요시하는 중국 고대사회에서도 간통을 중대한 범
죄로 규정하여, 특히 간통을 저지른 여성은 엄벌에 처하게 된다.285) 公案小說
에서도 간통죄를 저지른 여자에 대한 묘사는 비교적 상세하고, 부정적인데, 서
술자는 여러 간통사건을 통해 이런 여성들의 도덕적 결함을 부각시키고 있다.
부부간의 사이가 좋지 않아 갈등이 생기는 것 보다는 남편이 집에 없는 사이
에 외로움을 참지 못하는 여자가 하인이나 이웃 남자와 간통을 저지르고 또
남편을 살해까지 하는 사건 유형이 많다. 이러한 사건은 대체로 短篇公案小說
專集의 奸情類에 많이 수록되어 있다.
<표4-1>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의 간통사건
서명 작품명
汪县令烧毁淫寺
  陈按院卖布赚赃
邹给事辨诈稱奸
廉明公案 吴县令辨因奸竊银
上卷 奸情類   严县令诛误翁奸女
  许侯判强奸
  魏侯审强奸堕胎
  孔推府判匿服嫁娶
胡县令判释强奸
齐太尹判僧犯奸
諸司公案 韩大巡判白纸状
卷2 奸情類 陈巡按准杀奸夫
王尹辨猴淫寡妇
颜尹判谋陷寡妇
黄令判凿死佣工

285) “凡和奸, 杖八十. 有夫, 杖九十. 刁奸, 杖一百.” (清)薛允升 撰, 懷效鋒·李鳴 點校, ≪唐明律
合編≫<明律>卷26 <刑律>, 法律出版社, 1999, 701쪽.
- 127 -
彭理刑判刺二形
孟院判因奸杀命

陈代巡断强奸杀死
刘县尹访出谋杀夫
卷2 彭县尹断奸夫忿杀
详刑公案 吕县尹断诬奸赖骗
奸情类 曾县尹断四人强奸
吴代巡断母女争锋
卷3 赵代巡断奸杀贞妇
周县尹断翁奸媳死
蔡府尹断和尚奸妇
律条公案 傅大巡断问谋娶杀命
卷3 奸情类 吴代巡断问娘女争锋
周县尹断问翁奸媳死

吴代巡断娘女争锋
详情公案 赵代巡断奸杀贞妇
卷1 奸情类 周县尹断翁媳奸死
断和尚奸妇

분명한 것은 ‘奸情’類로 분류한다고 해서 무조건 간통사건만을 다룬 것은 아


니다. ‘奸情’類에서는 간통과 강간사건이 혼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외에도 ‘奸情’類로 따로 분류하지 않지만 간통사건을 다루고 있는 短篇公
案小說이 있다. 이를테면 ≪百家公案≫36回 <孫寬謀殺董順婦>에서는 상인 董
順이 농사를 포기하고 장사를 하러 나간 틈을 타서 그의 처 楊씨가 뱃사공인
孫寬과 간통하여 벌어지는 사건을 다루고 있다. 76回 <阿吴夫死不分明>에서는
刘十二의 처 阿吴가 张屠와 간통하여 남편을 살해하는 사건이고, 77回 <判阿
杨谋杀前夫>에서는 76회의 이야기에 이어 검시관의 처 阿杨이 전 남편을 죽이

- 128 -
는 사건을 다루고 있다. ≪龍圖公案≫卷2 <临江亭>에서는 吴十二의 처 谢씨는
남편의 벗인 韩满을 유혹하다가 거절을 당하자 하인 汪吉과 간통하여 남편을
죽인 사건을 다루고 있다.
간통사건에 출현한 여자에 대한 외모 묘사는 “绝有姿色”, “風情淫蕩”, “容貌
風情極侈”, “玉環豐膩”등 아름답고 요사한 성격을 띠고 있다. 그러나 그녀와 결
탁하는 남자에 대한 묘사는 얼렁뚱땅 서술하여 성과 직업, 사는 지역만 간단히
소개하는 수준이다. 사건 해결에 대해서도 남녀는 차별이 있어 보인다. 남녀
모두 간통과 살인까지 저질렀는데도 여자에게는 처형을 내리고, 남자는 변방으
로 유배 보내 군졸이 되도록 하거나 노역을 시키는 판결이 내려진다.
예를 들면 ≪百家公案≫76回 <阿吴夫死不分明>에서 阿吴는 张屠와 간통하
여 남편을 살해하였는데 그들에 대한 包公의 판결은 아래와 같다.
“포공은 사건 문서를 마무리한 후, 남편을 모살한 오씨는 저잣거리로 끌고
가서 참수하도록 하고, 그녀와 간통한 도살업자 장씨와 그의 처자식은 다른
사람을 죽음으로 몰아넣었으므로 척박한 지역으로 귀양 보내 충군에 처하도
록 했다. 판결을 마치고 관리에게 명대로 시행하도록 했다.”286)
현실 사회에서도 간통을 저지른 여자에게 가중 처벌하듯이 소설에서도 같은
양상을 띠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봉건사회의 남녀 사이의 불평등은 公案小
說 간통사건에서도 찾을 수 있다. 이런 까닭으로 작품 중 인물, 사건의 설정과
해결에 대한 敍事는 대부분 간략하고, 갈등과 충돌의 설정은 간통을 저지른 남
자와 여자, 그리고 사건을 해결하는 판관에 집중되어 있으며, 남편은 항상 갈
등 배치의 외각에 있다. 작중 인물에 대한 심리묘사 또한 적은 것으로 파악된
다. 결말에는 기존의 ‘인과응보’라는 이야기 구조를 그대로 쓰고 있다.

286) 안우시 엮음; 고숙희 옮김, ≪백가공안≫, 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151쪽. 원문: “拯遂判下:
‘阿吴谋害亲夫, 押赴市曹处斩; 张屠奸人妻小因致人死, 发配極恶军州當军.’ 判拟既定, 司吏依
令施行.”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442쪽.
- 129 -
3) 강간사건
강간은 정당하지 않은 성행위를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상대방이 원하지 않은
상태에서 폭행이나 협박에 의하여 상대방이 반항하지 못하게 하여 강제적으로
몸을 더럽히는 것을 일컫는다. 옛날부터 지금까지 강간은 중대한 범죄로 간주
하여 엄벌에 처하게 된다.287)
公案小說에서도 강간사건을 다루는 이야기가 적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短
篇公案小說專集인 ≪新民公案≫卷4 중에는 ‘奸淫’類로 따로 분류하여 5편288)의
강간 사건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여기에 나오는 강간사건을 저지른 주모
자는 주로 승려들이다. 그들은 특수한 신분을 이용하여 사원에 분향하러 온 여
자, 망령을 濟度하러 간 집안의 과부 등을 강제로 강간하거나 감금한다. 예를
들면 <净寺救秀才>289)에서는 세 명의 요승 方真性, 舒真明, 郑心正의 음란하
고 참혹한 범행을 다루고 있다. 줄거리를 단락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요승 方真性, 舒真明, 郑心正은 淨寺에서 수행하면서 無所不爲한다.
② 徐俊 부부가 求嗣하기 위해 淨寺에 머무르게 된다.
③ 요승들이 술책을 부려 徐俊은 감금하고 그의 처인 詹씨를 강간하려 한다.
④ 徐俊부부의 하인 徐富가 郭公에게 소장 올리자 郭公은 친히 淨寺에 가서
조사한 후 徐俊 부부를 구한다.
⑤ 요승 셋은 凌遲三日에 처해진다.
이 이야기에서는 요승 세 명이 사원을 이용해 온갖 나쁜 짓을 다 저지른다.
특히 여자를 강간하는 일을 상습적으로 하고 있다.
287) “强奸者, 绞; 未成者, 杖一百, 流三千里.” (清)薛允升 撰, 懷效鋒·李鳴 點校, ≪唐明律合編≫
<明律>卷26 <刑律>, 法律出版社, 1999, 701쪽.
288) ≪古本小說集成≫393 ≪郭靑螺六省聽訟錄新民公案≫: <判问妖僧诳俗>, <江头擒拿盗僧>,
<捉拿东风伸寃>, <净寺救秀才>, <和尚术奸烈妇>, 5편중 4편만 강간사건이고, <捉拿东风
伸寃>은 재물로 인한 살인사건으로 파악된다.
289) ≪古本小說集成≫393 ≪郭靑螺六省聽訟錄新民公案≫, 379-395쪽.
- 130 -
분향하러 온 부부가 있기만 하면 매번 남편은 살해하고 미색이 있는 아내
는 간음한다. 정조를 지키려는 부녀들은 몇 년간 감금되어 굽히지 않는 자가
없다.290)
明代에 이르러 불교가 발전함에 따라 승려도 대폭 증가한다. 그들 중에는 진
정한 수련자도 있지만 性慾과 物慾을 버리지 못하고 사원을 이용해 나쁜 짓을
저지르는 승려도 상당수이다. 明代 통속소설에서는 淫僧을 제재로 한 작품들이
많은데, 公案小說도 그 중의 하나이다. 당시 여자들은 승려에 대한 경계심이
부족하여 쉽게 사원이라는 淫池에 빠지게 된다. 公案小說에서는 淫僧들이 공개
적으로 여자를 강간하거나 유인하여 간음하는 범행을 저지르는 것을 서술하고,
그들에 대한 처벌은 실제 법률291)보다 한층 더 강력한 것으로 나타난다.
강간사건을 저지르는 또 하나의 유형은 지방 호족, 깡패나 악당들이 양가의
규수를 강탈하고 간음하는 것이다. 그들은 집안 권력에 의지하여 망나니짓을
다하는 자들로, 백주대낮에 양가의 규수를 강제로 끌고 가 강간할 때 반항하는
경우에는 살해까지 저지른다. ≪百家公案≫47回<笞孙仰雪张虚寃>, 48回<东京
判斩赵皇亲>, 49回<當场判放曹国舅>는 연이어 호족들이 민간 여성을 강탈하
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292) ≪龍圖公案≫卷9 <遺帕>에서는 하는 일 없이 빈
둥거리는 호족 趙嘉賓과 친구들이 공모하여 曾씨를 깊은 산 속까지 끌고 가서
윤간한다는 사건을 다루고 있다.
≪廉明公案≫奸情類 <邹给事辨诈稱奸>293)에는 张逸, 李陶 두 건달의 강간사
건을 다루고 있다. 张逸, 李陶 두 건달은 孙诲의 처를 대낮에 강간하려다 발각
되자 적반하장으로 孙诲가 처에게 간통을 하도록 교사하였다고 무고한다. 그러
290) “每见远方夫妇来烧香, 有美色少艾之妇, 辄毙其夫, 而淫宿其妇. 妇有贞节不从者, 遂幽闭净室
经年, 不怕她不从其奸.” ≪古本小說集成≫393 ≪郭靑螺六省聽訟錄新民公案≫, 380쪽.
291) “凡僧道军民人等, 於各寺观神庙刁奸妇女, 因而引誘逃走, 或誆騙財物者, 各杖一百.” (清)薛允
升 撰, 懷效鋒·李鳴 點校, ≪唐明律合編≫<明律>卷11 <禮律>, 法律出版社, 1999, 174쪽.
292) 苗懷明, 앞의 책, 264쪽.
293) ≪古本小說集成≫118 ≪廉明奇判公案傳≫, 98-104쪽.
- 131 -
나 무능한 柳知县은 张, 李가 주장한 대낮에 두 사람이 이웃들이 보는 앞에서
강간하지 못한다는 증언만 믿고 오히려 孙诲에게 곤장 30대를 처벌내리고, 그
의 처를 官賣되게 하였다. 억울한 孙诲의 처는 명성이 자자한 清官 邹公을 찾
아가 다시 고소를 제기한다. 현명한 邹公은 분리 심문법을 활용하여 张, 李 두
건달의 추악한 행위를 드러내게 하였다. 결국 张, 李는 강간죄를 물어 참수당
하고, 아둔한 柳知县은 두 달의 녹봉을 차압당하며, 변함없이 정조를 지킨 孙
诲의 처에게는 흰 비단 한 필을 하사하였다.
≪廉明公案≫奸情類에는 <汪县令烧毁淫寺>, <陈按院卖布赚赃>, <邹给事辨
诈稱奸>, <吴县令辨因奸竊银>, <严县令诛误翁奸女>, <许侯判强奸>, <魏侯审
强奸堕胎>, <孔推府判匿服嫁娶> 총 8편의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중의
7편(<吴县令辨因奸竊银> 간통사건 제외)은 모두 강간사건이다. 여기서 주목해
야 하는 것은 7편의 강간사건 중 <汪县令烧毁淫寺>와 <邹给事辨诈稱奸>만이
각각 승려와 건달이 양가의 부녀를 강간하는 사건을 다루고 있고, 나머지 5편
의 이야기는 모두 가족 혹은 친족 간의 강간사건을 다루고 있다는 것이다.
<陈按院卖布赚赃>294)에는 사촌의 약혼녀를 강간하고 재물까지 사취하는 사건
을, <严县令诛误翁奸女>에는 며느리와 딸을 강간하는 파렴치범을 그리고 있
다. 그리고 <许侯判强奸>, <魏侯审强奸堕胎>, <孔推府判匿服嫁娶> 3 작품은
구체적인 이야기 전개 없이 소장과 판결문만 수록되어 내용으로 미루어 볼 때
모두 친족 간의 강간사건임을 짐작된다. 우리는 이것으로 당시의 사회 풍조가
얼마나 문란하고 타락한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사건들은 강간을 당한 여자와 가해자 사이의 갈등을 중점적으로 서
술해야 되는데, 사건을 해결하는 판관이 끼어 있어서 가해자와 해결자의 갈등
충돌이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난다. 범인에 대한 판결은 현실 법률과 가깝
다.
≪龍圖公案≫卷9 <遺帕>에서 包公의 판결은 아래와 같다.

294) 이 이야기는 후세에 擬話本公案小說 ≪喻世明言≫卷2 <陈御史巧勘金钗钿>으로 개작되었


다.
- 132 -
기강을 더럽히고 강간한 자에게는 관용을 베풀면 안 되고, 따르지 못하게
음란한 것을 금해야 된다. 295)

앞 서 말한 내용을 종합해보면, 短篇公案小說專集은 사건을 유형별로 분류하


고 있어 쉽게 남녀 사이의 치정사건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분류하지 않은 작
품에서 치정사건이 없는 것은 아니다. 短篇公案小說專集인 ≪龍圖公案≫에서는
50% 이상의 사건이 性慾에 의한 남녀갈등에 관련된 것으로 파악된다. 敍事하
는데 있어 무조건 남녀 사이의 갈등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남녀와 부
모, 남녀와 판관 사이의 갈등도 균형있게 전개하고 있다. 독자들은 이러한 사
건들을 통해 당시 사회의 도덕이 타락하는 현실적인 문제들을 인식하게 된다.
2. 物慾에 의한 사회갈등 및 해결
明代 중·후기에 이르면 급속한 경제발전에 따라 재물의 소유권, 금품 사취
등을 둘러싸고 빚어지는 사회 구성원 사이의 극단적 대립·갈등이 심화되어 관
청에 의해 해결에 이르는 상황이 많아진다. 公案小說은 사회 변화와 제도 변화
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출현된 소설로 당시 사회의 여러 문제들을 다각적으로
담아내고 있다.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에서 物慾에 의한 사회갈등을 다루는 折
獄 사건은 주로 ‘爭占’, ‘盜賊’, ‘索騙’, ‘賴騙’, ‘霸占’類 등에 수록되어 있는데, 갈
등의 발단은 모두 재물을 둘러싸고 벌어진다는 것이다. 본 절에서는 明代 公案
小說이 담아내고 있는 物慾에 의한 사회갈등을 크게 다음 세 가지로 나눠 살
펴보겠다.

1)서민들의 재물분쟁
明代 중·후기 활발한 경제 발전은 심각한 사회 양극화 현상을 낳아 서민들
의 재물에 대한 욕망을 불러일으키고, 지나친 재물에 대한 욕망은 분쟁을 야기
295) “败坏纪纲, 强奸不容于宽宥; 毋勿首从, 大辟用戒乎刁淫.” ≪包公案≫, 앞의 책, 248쪽.
- 133 -
시켜 각종 범죄를 유도하고 있다.
서민들의 재물 분쟁은 주로 가축이나 곡식, 토지, 혹은 가치있는 물건을 소
유하지 못한 결핍상황에서 비롯된다. 대부분 일시적 충동으로 범행을 저지르는
서민이 많지만 계획적으로 상대방의 재물을 강탈하는 경우도 있다. 작품을 통
해 살펴보기로 한다.
≪百家公案≫15回 <出兴福罪捉黄洪>296)에서 노새를 타는 黃洪은 興福가 타
고 있는 말을 탐내어 시승해보겠다는 핑계로 말에 오르지만 내리지 않고 가버
려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다. ≪新民公案≫卷3 賴騙類<爭鵝判還乡人>297), <判
人爭盜茄子>298), <騙馬斷還原主>299)는 각각 거위, 가지, 말 등을 둘러싼 서민
사이의 다툼이고, ≪新民公案≫卷4 霸占類<佃戶爭占耕牛>300), <鄰舍爭占小
駒>301)는 이웃 사이의 가축 문제로 인한 분쟁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사건들은 대부분 물질에 대한 욕심에서 출발하여 물욕을 충족시키기
위해 범죄를 저지르는 이야기들이다. 당시 사회에서 재물에 대한 관심이 점점
커지는 것은, 급속한 상품경제의 발전에 따라 빈부격차가 심화되어, 물질적 가
난에서 벗어날 길이 보이지 않자 극단적 방법으로 물욕을 충족하려는 데서 야
기된 문제로 보인다. 위와 같은 범죄 사건은 사회에 큰 해를 끼칠 정도는 아님
으로 판관들이 쉽게 진범을 구별하여 사건을 해결한다. 물건은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고, 범죄를 저지른 자가 순순히 죄를 인정하는 경우에는 면죄하며, 강력
히 반박하는 자는 곤장을 내리는 판결로 마무리한다.
한편, 비교적 늦게 출현한 ≪龍圖公案≫은 다른 작품에서 보이는 것과 달리
계획적인 재물 분쟁 사건이 많아지는 양상을 띠고 있다. 그러므로 일시적 충동
으로 저지른 농축산물에 관련된 범행은 줄어들고 조금 더 가치있는 재물이 범
296)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91-94쪽.
297) ≪古本小說集成≫393 ≪郭靑螺六省聽訟錄新民公案≫, 291-294쪽.
298) ≪古本小說集成≫393 ≪郭靑螺六省聽訟錄新民公案≫, 294-296쪽.
299) ≪古本小說集成≫393 ≪郭靑螺六省聽訟錄新民公案≫, 306-314쪽.
300) ≪古本小說集成≫393 ≪郭靑螺六省聽訟錄新民公案≫, 463-469쪽.
301) ≪古本小說集成≫393 ≪郭靑螺六省聽訟錄新民公案≫, 469-474쪽.
- 134 -
행 대상이 되고 있으며 범행수법 또한 전문적이면서도 잔인하다. 범인은 뱃사
공이나 나무꾼으로 가장하여 일정한 장소에서 잠복해 있다가 자나가는 재물이
많은 상인과 관리들을 범행 대상으로 삼아 재물을 탈취하고 생명을 빼앗는다.
이는 明代末期의 변모된 세태의 포착으로 도덕관념이 타락했다는 현실을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龍圖公案≫卷1 <夾底船>302)에서 單貴와 葉新은 뱃사공으로 위
장해 배를 이용하는 상인들을 범행 대상으로 삼는다. 卷9 <兔戴帽>303)에서 吳
玉은 소를 키우는 방목공인 체하여 상습적으로 행인의 재물을 강탈한다[素慣
謀財, 以牧牛爲名]. 卷9<鹿隨獐>304)에서 張씨 형제는 나무꾼으로 위장해 홀로
길을 가는 상인에게 절도·살인을 저지른다. 그들의 살인 수법 또한 아주 세심
하고 잔인하다. <兔戴帽>의 범행 장면을 예를 들어 살펴보겠다.
吳玉은 馬泰에게 두 공기의 술을 큰 잔으로 더 권했다. 馬泰는 그 술에 약
을 탄지도 모르고 마신 후에 의식이 혼미해져 인사불성이 되었다. 吳玉은 馬
泰를 방으로 보내 재운 후 밤이 깊어 인기척이 없을 때를 기다렸다가 馬泰를
업고 집 왼쪽에 위치하는 저수지로 갔다. 馬泰의 몸에 커다란 돌을 매달아 물
에 던지고, 그의 금은보화는 모두 차지하였다. 그가 이렇게 해친 사람은 결코
한 명이 아니고, 범행 또한 한 번에 그치지 않았다. 305)
이와 같은 사건들은 모두 일시적 충동으로 저지른 범죄가 아니라서 치밀함
과 흉악함을 확연히 드러내고 있다. 物慾의 주체인 범인은 단순한 재물의 절도
범을 뛰어넘어 전문성을 띠는 살인범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범인들은 결
국 모두 판관에 의해 사형에 처해진다.

302) ≪包公案≫, 앞의 책, 47-51쪽.


303) ≪包公案≫, 앞의 책, 238-243쪽.
304) ≪包公案≫, 앞의 책, 243-244쪽.
305) “玉又以大杯强劝二瓯, 泰不知杯中下有蒙药在内, 饮後昏昏不知人事, 玉送入屋後後小房安歇.
候更深人静, 将泰背至左旁源口, 又将泰本身衣服裹一大石背起, 推入荫塘, 而泰之财寶尽得之
矣. 其所害者非止一人, 所为非止一次也.” ≪包公案≫, 앞의 책, 239쪽.
- 135 -
2)惡漢들의 재물강탈
公案小說에서 횡포한 惡漢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직업적
특성을 남용하여 약자의 재물을 강탈하여 범죄를 저지르는 惡漢들이고, 또 하
나는 무직 상태에서 남의 재물을 탈취하는 것을 일로 삼고 있는 惡漢들이다.
이 惡漢들의 공통점은 악덕한 행위를 행하여 사회질서를 파괴하고 남에게 손
해를 끼쳐 자신을 이롭게 한다는 것이다. 갈등의 발단은 당시 물욕이 흘러넘치
는 사회 환경 속에 부당하게 남의 재산을 강탈하려는 데서 비롯된다. 그들의
강탈하는 대상은 사회의 약자들로 반항하지 못할 것을 알고 더욱 두려워하지
않는다. 이러한 갈등은 판관이 개입되어서야 비로소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百家公案≫ 중 惡漢을 다루는 사건은 50%정도 차지하고 있는데, 그중에
惡漢들이 재물뿐만 아니라 부녀자를 강탈하는 사건도 포함되어 있다.
≪百家公案≫42回 <屠夫谋黄妇首饰>306)은 도살업자 세 명이 공공연히 부녀
자의 재물을 강탈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세 명의 도살업자는 길에서 우연
히 친정으로 가는 瓊娘과 마주치게 된다. 그들은 그녀가 지닌 장신구를 탐내어
억지로 빼앗으려고 한다. 瓊娘이 반항하자 한 명이 도살용 칼로 그녀의 왼손을
베어내 장신구를 챙겨 도망친다. 包公은 세 명의 도살업자를 찾아내기 위해 피
뭍은 옷으로 범인을 유인해내는 재치를 발휘하여 그들을 모두 참수형에 처한
다.
≪百家公案≫72回 <除黄二郎兄弟刁恶>은 형제 惡漢의 횡포한 재물 강탈 장
면을 묘사하고 있다. 그들은 대담하게도 변복 차림을 하고 있는 包公을 상대로
금전을 강탈한다.
包公이 차를 다 마시고 나서 唐公에게 200전을 주라고 하자, 大郎이 웃으며
말했다.
“秀才께서는 뭘 잘 모르시는군. 차를 두 잔 마셨으니 500전을 내셔야지, 어
째서 200전만 주시오?”

306)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210-214쪽.


- 136 -
唐公이 말했다.
“나도 전에 차를 마셔보았는데, 한 잔에 100전만 내면 되던 걸 어째서 여기
찻집만 이렇게 많은 돈을 받는 것이요?”
大郎이 화를 내며 말했다.
“분수를 모르시는군, 내가 500전을 달라고 하면 그뿐이지, 그리 하지 않는
다면 내 주먹 맛 좀 몇 대 볼테요.”
包公이 그가 폭행하려는 것을 보고 얼른 唐公에게 500전을 주라고 했다.
......(중략)......두 사람이 당나귀를 끌어 배에 태우자 사공이 뱃삯을 받으러 왔
다. 包公이 물었다.
“뱃삯이 얼마인가?”
뱃사공이 답했다.
“두 사람은 500전이고 당나귀는 200전으로, 모두 700전이요.”
唐公이 말했다.
“우리 두 사람과 당나귀 모두 합해 500전이면 되는데 어째서 200전이나 더
달라고 하오?”
뱃사공이 소리를 지르며 말했다.
“뱃삯은 내가 달라는 대로 주면 되는 것인데, 감히 내 말을 거스리겠다는
것이요, 물 속에 쳐박혀 죽고 싶은가 보오?” ......(중략)......
包公이 듣고 냉소를 띄며 唐公에게 700전을 주라고 했다. 307)
이 이야기는 각각 찻집과 나룻배를 운영하고 있는 黃一郎과 黃二郎 형제가
손님을 상대로 위협적으로 폭리를 취하는 惡漢으로 그려져 있는데, 생동감있는
대화를 통해 그들의 악행을 드러내고 있다. 그들의 전형적인 특징은 법을 무시
하는 것이다. 唐公이 탈취를 당하고 나서 뱃사공에게 “包公이 陈州로 부임하는
길에 당신이 뱃삯을 탈취하는 것을 알면 어찌하려고 하오?”308)라고 묻자 뱃사
307) “包公吃罢茶, 乃令唐公取过二百钱还他. 大郎笑道: ‘秀才好晓不事! 吃了两盏茶, 即是五百钱,
如何只给我二百钱?’ 唐公云: ‘茶我曾吃过, 只是一百钱一盏, 爾店如何过取钱?’ 大郎怒骂云:
‘不识高低, 人偏要你五百钱!不然吃得我几下拳头.’ 包公见其要行凶, 连忙著唐公取五百钱给
他.......二人牵驴上渡, 只见管渡来讨钱, 包公云: ‘该幾多渡钱?’ 管渡者云: ‘爾二人该五百, 驴子
该二百, 共是七百钱.’ 唐公道: ‘我二人带乘驴只该五百钱, 如何多要我二百钱?’ 管渡的喝云: ‘此
渡嘗是依我说讨, 你敢来逆我言语, 便推落水中, 看你们要命否?’......包公聽罢, 微微冷笑, 即令唐
公取过七百钱与他.”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425-426쪽.
- 137 -
공은 “包公이 안 오면 그만이고, 설령 알더라도 몇 대 맞으면 되는 일이고, 설
마 나를 시루[甑]에 쪄죽이겠소?”309)라고 말한다. 뱃사공은 눈앞에 있는 손님
이 바로 包公인 것을 모르고 자신의 행실을 돌아보지 않고 공공연히 법을 무
시하고 있다. 결국 자신이 말한 대로 대가를 치르게 된다.
惡漢들의 재물 강탈 사건의 또 하나의 특징은 집단으로 범죄를 저지르는 양
상이다. 그들은 무리를 지어 역할을 분배하고 남의 재물을 강탈하는 일에 전념
한다. 예를 들어 ≪龍圖公案≫卷7 <賊總甲>310)에서 羅欽, 林泰와 같은 범인
일당은 20여 명이 조직적이고 계획적으로 한패가 되어 남의 재물을 강탈한다.
이러한 惡漢조직의 규율은 엄격하여 설사 잡히더라도 서로 공초하지 않은 것
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사건을 접한 판관은 기획수사법을 사용하여야만 진범을
찾아낼 수 있다.
3)장사판의 금품사취
상품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이익을 추구하려는 욕망이 팽창하여 전통적인 ‘四
民’ 질서가 무너지면서, 士農工이 잇달아 상업 활동에 뛰어들기 시작한다. 상인
이라는 집단이 확대되면서 상인을 범행 대상으로 삼는 범죄가 조장되었다. 구
체적인 범행 형태는 주로 惡漢들이 상인들을 범행 대상으로 삼아 재물을 강탈
하고 목숨을 해치는 사건들이고, 또한 상인 사이에 서로 금품을 사취하는 사건
들도 있다. 그리고 상인들이 집을 비우는 사이에 그들의 처가 외도하여 타인과
공모하여 남편을 살해하는 사건들도 있다. 본 절에서는 주로 物慾에 의한 사회
갈등과 관련한 장사판의 금품 사취를 위주로 살펴보고, 나머지 부분은 5장 생
계형 피해자 부분에서 다시 서술하겠다.
상인들은 각지를 떠돌아다니면서 여러 위협과 고통을 겪게 된다. 公案小說에
308) “目今有個包文拯要赴陈州上任, 倘若从此渡经过, 知爾逼取渡钱若干, 还是如何?” ≪古本小說
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426쪽.
309) “包公不来便罢, 纵使知的, 亦不过打我幾大棒, 终不然有個蒸人甑耶?”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426쪽.
310) ≪包公案≫, 앞의 책, 210-213쪽.
- 138 -
서 묘사하고 있는 상인들은 대부분 소자본 장사를 하는 사람들로, 어려운 타지
생활을 하면서 행상 도중 강도나 뱃사공, 객잔주인 등에게 자본이나, 물건, 심
지어 목숨까지 빼앗기는 일들을 많이 겪는다. 이외에도 같은 상인으로 인해 위
기에 빠지는 사건도 비일비재하다. 이러한 사건들은 주로 短篇公案小說專集의
‘欺昧’, ‘謀害’, ‘人命’類에 많이 수록되어 있다.
≪百家公案≫ 32回 <失銀子論五里牌>311)와 38回 <王萬謀併客人財>312)는
모두 상인 사이에 재물을 탐내어 목숨을 해치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전자는
王씨 형제가 장사하고 들어오는 길에 湖南 상인 鄭才의 몸에 지니고 있는 금
품을 보고 유혹을 이기지 못해 그를 모살하고 금품을 강탈하는 내용이고, 후자
는 객상 王萬이 객잔에서 동료 상인 沈明의 재물을 보고 욕심이 생겨 범행을
계획해, 결국 沈明을 우물에 빠뜨려 그의 모든 재물을 빼앗는 이야기이다. ≪
海公案≫44回 <假給弟兄謀命奪財本>313)에도 후자와 유사한 사건을 다루고 있
는데 작중 인물만 范衡과 秦兆로 바뀌었다.
위 사건들은 서로 모르는 상인 간에 견물생심으로 인해 우발적으로 범죄를
저지른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상인이라는 가면을 쓴 채 의도적으로 상인을
모해하는 자도 있다. ≪新民公案≫卷2 謀害類 <井中究出兩命>314)은 관을 파는
葉乾은 이익을 챙기기 위해 비단 상인 方瀾에게 억지로 술을 먹여 취하게 한
후 목을 졸라 죽여 우물에 던진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百家公案≫55回 <断
江儈而释鲍仆>315)는 비교적 상세하게 장사판의 계획적인 금품 사취 및 살인
사건을 다루고 있다. 鲍顺과 江玉은 소금 장사하는 중간 상인들로 서로 친한
사이이다. 그러나 두 상인은 완전 상반된 성격을 갖고 있다. 江玉은 간사한 반
면 鲍顺은 온후하고 성실해[江多诈而鲍敦實] 빠른 시간에 부유해지나, 江玉은
크게 성공하지 못한다. 이에 江玉은 질투와 이익에 빠져 鲍顺의 재산을 탈취하
311)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173-177쪽.
312)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197-198쪽.
313) ≪古本小說集成≫392 ≪海剛峰先生居官公案≫, 177-180쪽.
314) ≪古本小說集成≫393 ≪郭靑螺六省聽訟錄新民公案≫, 194-211쪽.
315)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298-304쪽.
- 139 -
려고 계획한다. 결국 장사를 한다는 면목 하에 함께 배에 타게 되자 江玉은 鲍
顺을 살해하고 그의 자금을 모두 강탈한다. 마지막에는 包公으로 인해 사건이
해결되어 江玉은 목숨으로 대가를 치른다.
한편, 明代는 금리사채시장이 활발하여 고리대금에 종사하는 상인들이 관리
와 결탁하여 일반 상인을 모해하는 사건들도 많았다.
≪新民公案≫卷1 人命類의 <吴旺磊債打死人命>316)중 吳旺은 3대가 부유하
여 거대한 자본으로 사채를 놓는 일에 종사하고 있다. 이자가 높아 마을 사람
들의 불만이 커 부득이한 경우가 아니라면 그의 사채를 얻지 않으려고 한다.
쌀장수 罗子仁은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분을 참고 吳旺이 제시한 고리대금을
빌린다. 罗子仁은 뜻밖의 행운으로 시세를 잘 읽어 큰돈을 벌었는데 그때 吳旺
은 본리(本利)에만 만족하지 않고 더 많은 이자를 요구하여 둘은 다툼이 벌어
지게 된다. 싸움 끝에 쌀장수 罗子仁은 숨을 거두게 된다. 후에 판관 郭公은
吳旺을 참수에 처한다. 이와 유사한 작품들은 ≪新民公案≫卷1 欺昧類의 <富
户重骗私债>, 人命類의 <磊骗书客伤命>; ≪律條公案≫卷1 謀害類의 <苏侯断
問打死人命>; ≪详刑公案≫卷2 奸情類의 <吕县尹断诬奸赖骗>; ≪神明公案≫卷
1의 <高侯断打死弟命> 등이 있는데 내용은 대동소이하다. 고리대금 상인들이
더 많은 사리를 꾀하기 위해 사채를 쓴 상인들을 해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
는 것으로 파악된다.
요컨대, 사회구성원들의 물욕이 사회갈등을 초래하여 범죄사건의 발생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이것은 경제와 사회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한 도덕의식의 몰
락에서 비롯된 문제라고 생각한다. 인간들의 집착적인 물욕은 사취, 강탈 내지
살인이라는 사회 범죄를 유발하게 된다는 것을 公案小說을 통해 보여주고 있
다.
3. 윤리적 身分에 의한 가족갈등 및 해결
일반 민중들은 가족 단위로 모여 생활하고 있어 이 복잡한 공동체에서 갈등
316) ≪古本小說集成≫393 ≪郭靑螺六省聽訟錄新民公案≫, 98-115쪽.
- 140 -
과 마찰은 불가피하며, 이러한 갈등들이 악화되면 소송까지 이른다. 가족 사이
의 갈등으로 빚어진 사건은 公案小说의 중요한 제재가 되었다.
가정의 핵심은 가족이며, 가정의 기능은 역사적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르지
만 보편적으로 가족구성원들을 위한 가정내 기능과 사회적인 기능으로 구분된
다. 혈연과 혼인관계는 가정이 이루어지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고, 가족구성
원들이 이러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가정윤리의식이 필요하다. 중국 고대
봉건사회에서 전해내려 온 ‘三綱五倫’은 인륜의 기본 윤리로 서로 지켜야 할
의무를 규정한 것이다. 이것은 오랫동안 사회의 기본적 윤리로 존중되어 왔으
며, 지금도 일상생활에 깊이 뿌리박혀 있는 윤리 도덕이다.
明清 소설에서는 대부분 긍정적으로 가정윤리를 내세우고 ‘和为贵’를 강조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317) 그러나 公案小說에서는 대부분 ‘不和’로 빚어진
갈등과 문제들을 묘사하고 있어 일반 통속소설과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가
족구성원들이 극단적인 수단으로 갈등을 해결하려 관청까지 가고, 판관들은
‘和’에 어긋나는 사건들을 처리하면서 가족관계를 바로잡고 전통윤리와 도덕을
전승시키고 있다. 서술자 역시 많은 가정윤리에 어긋나는 사건들을 원만히 해
결하는 서술을 통해 전통적 윤리도덕을 제창하고 선양하고자 하는 의도가 분
명하다.
사람의 윤리관은 그의 신분에 의해 결정될 때가 많고, 대부분 윤리 문제의
발생은 윤리적 신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본다. 오륜에 따르면 ‘父子有親’은
사람이 태어나서 가장 먼저 맺는 가족관계로 부모의 자애와 자식의 효도를 말
하고, ‘夫婦有別’은 남편과 아내로서 서로 지켜야 하는 본분이 따로 있다는 것
을 말하며, ‘長幼有序’는 어른과 어린 아이 사이에는 차례와 질서가 있어야 한
다는 것을 말한다. 결국 가정이라는 복잡한 공동체 안에 신분에 따라 관계가
맺어지고, 그 관계에서 갈등이 생기는 것이다. 公案小說에서는 단순한 가족관
계보다는 뒤엉킨 관계를 이야기하고, 그 다양한 관계에서 핵심적인 갈등이 생
겨야 소송 사건으로 전개된다. 예를 들어 ≪龍圖公案≫중의 <三寶殿>과 <二
阴筶>에서는 부자관계, 형제관계, 부부관계가 복잡하게 뒤얽혀 있는데 핵심적
317) 秦川, <明清小说的伦理观與和谐文化>, ≪明清小說研究≫, 2012年第3期, 39쪽.
- 141 -
인 갈등은 부자관계에 있다. 본 절에서는 明代 公案小說에서의 윤리적 身分에
의한 가족 사이의 갈등양상 및 해결방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1)부부와 처첩
公案小說에서 부부 사이의 갈등이 생기는 주요 원인은 간통 문제를 벗어나
지 않는다. 그 중의 특히 아내가 간통을 저지르는 이야기가 가장 많이 차지하
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新民公案≫卷3 伸寃類 <前子代父报讎>318)에서 邵
씨는 姜씨 집안에 시집을 왔지만 옆집 청년과 간통하여 늙고 쇠약한 남편을
살해하고, 전처의 아들을 무고하여 ‘淫恶不良之妇’로 焚刑에 처하게 된다. 이러
한 이야기에서는 부모와 자식, 남편과 아내 사이의 갈등이 엇갈리고 있는데 갈
등의 핵심은 외도이다. 이에 작품에서 갈등을 부각시키기 위해서는 여자가 다
른 남자와의 간통 장면과 남편을 모해하는 묘사가 더욱 상세하고 구체적이다.
윤리를 위배한 여자를 처벌하는 것이 마땅하다는 서술자의 의도가 드러나고
있다.
부부 사이의 갈등이 생기는 또 하나의 원인은 의심 때문이다. 그 중의 특히
아내가 남편을 의심해서 저지르는 사건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
악된다. ≪龍圖公案≫卷8 <箕帚带入>319)에서는 불신으로 인한 갈등이 살인까
지 이어지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 집안에는 형제부부가 함께 사는 대가족
으로 아주 복잡한 부부, 동서, 형제 관계로 뒤섞이고 있지만, 그 중에 결정적인
갈등은 의심이 많은 李씨가 남편이 동서인 张씨와 간통한다는 의심에서 비롯
된 것이다. 李씨 부부 사이의 불신은 바로 형제 사이의 갈등으로 만연되고, 또
张씨 부부 사이의 갈등을 일으킨다. 결국 张씨는 오명을 씻지 못한 채 자살까
지 택하게 된다. 이 사건에 대해 包公은 李씨를 교수형에 처하라고 판결을 내
린다. 선처해달라는 요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妒妇는 반드시 처벌은 받아야
된다고 고수한다.
318) ≪古本小說集成≫393 ≪郭靑螺六省聽訟錄新民公案≫, 339-352쪽.
319) ≪包公案≫, 앞의 책, 233-235쪽.
- 142 -
부부 사이의 의심은 남편에게서 비롯된 사건도 있다. ≪海公案≫66回 <判狐
疑杀妻>에서는 蒋应이 아내를 다른 사람과 간통한다고 의심하여 분노 끝에 찔
러 죽여 도망쳐 이웃에 의해 고발하는 사건을 다루고 있다. 이 이야기의 서두
부터 蒋应은 평소에도 의심이 많은 사람으로 그려져 있다.320) 어느 날 아내가
친정 오빠와 동석하는 것을 보고 蒋应은 마음속으로 의심하여 얼마 있지 않아
결국 밤에 아내와 다툼 끝에 살인을 저지른다. 판관 海公이 보낸 심부름꾼이
도망간 蒋应을 수색하는 도중 아내 丘씨의 원혼이 나타나 蒋应의 피신처로 안
내하여 蒋应은 검거되어 처형에 처한다. 앞에서 언급한 간통사건에서 여자는
대체로 간통을 저지른 주체로 그려져 奸夫와 공모하여 남편을 살해하는데, 이
러한 부부 갈등 사건에서 여자는 외도 의심을 받은 대상, 즉 살해를 당한 피해
자로 그려진다.
이 밖에 公案小說에서 부부 사이의 갈등이 생기는 요인 중 하나는 처첩사이
의 질투 때문이다. 宋代부터는 서민이 첩을 두는 제한을 풀어지기 시작하고 明
代에 이르러서는 더욱 느슨해졌다. ≪明律≫에 의거하면 “평민이 마흔이 넘도
록 자식이 없으면 첩을 들이는 것을 허가한다.[庶人于年四十以上無子者, 许选
娶一妾]”라고 한다. 이에 明代 가정의 새로운 풍경을 보게 되는데 처첩 사이의
질투가 보편화되고, 갈등이 격화되어 서로 고소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 ‘부
부관계’가 점차 ‘처첩관계’로 바뀌어 가정윤리 관계의 새로운 변화가 생긴
다.321)
明代 公案小说 중 ‘처첩관계’를 다루는 가장 대표적인 이야기는 ≪龍圖公案
≫卷4 <手牵二子>322)이다. 줄거리를 단락으로 보면 아래와 같다.
① 馮叟 집은 풍유하고, 처 陳씨는 미모가 뛰어났으나 자식은 없고, 첩 衛씨
는 아들 둘을 낳는다.
② 陳씨는 남편의 사랑이 식을까 걱정하고, 衛씨와 그 자식들을 해치려 한다.
320) “其蒋应世为人平素多心, 狐疑妒忌, 往往每懷丘氏與人有奸.” ≪古本小說集成≫392 ≪海剛峰
先生居官公案≫, 330쪽.
321) 陳寶良, <正侧之别: 明代家庭生活伦理中之妻妾关系>, ≪中国史研究≫, 2008年第3期, 114쪽.
322) ≪包公案≫, 앞의 책, 129-130쪽.
- 143 -
③ 馮叟가 장사하러 나간 사이 陳씨는 衛씨와 그 자식들을 독살한다.
④ 죽은 衛씨는 두 아들을 데리고 包公에 찾아가 원한을 호소한다.
⑤ 包公은 사건을 조사하고 陳씨를 능지처참하도록 판결한다. 陳씨는 다시 벌
을 받기 위해 馮叟 집의 암퇘지가 된다.
이 이야기에서는 처첩 사이의 질투 문제로 일어난 갈등을 다루고 있다. 첩을
들이는 것은 대부분 부부 사이에 자식이 없거나 갈등이 이미 발생한 것으로
나타난다. 첩이나 첩이 자식을 낳는 것은 부부갈등을 유발하는 가장 큰 원인으
로 생각된다. 남편에 대한 원망은 결국 첩과 첩의 자식에게 폭발하게 된다.
가정이라는 공동체 안에 가족관계의 변화는 곧바로 신분변화로 이어지고, 그
리하여 사람의 심리와 행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聂珍钊의 ‘문학윤리학비
평’(Ethical Literary Criticism)323)에 따르면 문학작품 중 윤리적 신분의 변화
는 왕왕 직접적으로 윤리적 혼란을 야기한다고 하고, 윤리적 혼란은 理性결핍
과 금기에 대한 경시 및 파괴 등 여러 형태로 드러난다. 대부분 문학작품 증
伦理结은 윤리적 혼란에서 형성된 것이라고 주장한 바가 있다.324) ‘부부관계’가
‘처첩관계’로 바뀌는 것도 윤리적 혼란에서 형성된 伦理结로 볼 수 있다고 생
각한다. 첩을 두는 것이 당시의 법을 위반하는 행위는 아니지만 민중들이 그
정책을 남용하고 만연하는 풍조가 된다는 것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이어진다.
그러므로 처첩 사이의 갈등뿐만 아니라 적서 사이의 갈등도 무시할 수 없다.
2)부모와 자녀

323) ‘문학윤리학비평’(Ethical Literary Criticism)은 聂珍钊가 2004년에 최초로 제기한 문학비평


이론으로 문학의 윤리적 특성을 본질적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이 이론은 윤리적 시각에서
문학작품에 묘사된 각종 생활현상 및 이 현상들이 존재하는 도덕적 원인을 해석하고, 가치
판단을 하는 것을 가리킨다. 문학윤리학비평 이론체계에서 말하는 윤리는 일반 윤리학에서
의 윤리와 달리 주로 사회체계 층위에서 사람과 사회, 사람과 사람 사이에 존재하고 있는
윤리적 관계와 질서를 일컫는다. 聂珍钊, <文学伦理学批评: 基本理论與术语>, ≪外国文学
研究≫, 2010年第1期, 17쪽.
324) 聂珍钊, 위의 논문, 21쪽.
- 144 -
부모와 자녀 사이의 관계는 사람이 태어나서 가장 먼저 맺는 관계로 가족관
계의 핵심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오륜의 첫 번째인 父子有親은 부모의 자
애와 자식의 효도를 말하고 있다. 부모는 자식을 사랑하며 자식은 부모를 잘
섬김으로써 진정한 부모와 자녀 사이의 도리가 있다는 뜻이다. 특히 고대에서
는 효도는 도덕의 근본, 인간으로써 지켜야할 도리라고 강조해왔다. 公案小说
에서도 극력 자녀의 부모에 대한 효도를 선양하고 있는 것이 파악된다.
≪龍圖公案≫卷4 <三寶殿>325)에서는 章达德의 여식 玉姬는 억울하게 감옥
에 갇힌 아버지와 고생하는 어머니를 몹시 안쓰러워하여 자신의 머리를 베고
양친을 구한다는 효도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包公은 그녀를 위해 牌坊을 세우
기도 하였다. 그러나 사실 玉姬는 극단적인 방법으로 효도를 실천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녀가 아버지를 구하기 위해 자신의 머리를 베어 어머니 보고 판관에
게 바치라는 것은 한편으로는 아버지의 살인죄를 증명하는 꼴이 되는 것이다.
목숨까지 바치는 효도는 소중하지만 우매하고 뒤떨어진 선택이다. 현명한 판관
이 없었다면 玉姬의 죽음은 아무런 의미가 없고, 오히려 부작용을 일으킨다.
진상이 완전히 밝혀지지만 부모의 통곡을 그치지 않고, 玉姬는 도리어 부모의
가슴을 아프게 하는 ‘불효자’가 되어 버린다. 서술자가 이런 방법을 통해 효도
를 해석하는 것은 현실 세계에서는 실천할 수 없는 과장된 수법이라 할 수 있
겠다.
公案小说에서 부모와 자녀 사이의 갈등은 대부분 불효로 인한 소송 사건이
다. 예를 들어 擬話本公案小說 ≪初刻拍案驚奇≫卷13 <赵六老舐犊丧残生, 张知
县诛枭成铁案>326)의 入話와 正話 부분은 모두 불효자를 제재로 한 이야기이
다. 먼저 入話 부분의 이야기를 보자면 严씨 부부는 어렵게 아들을 얻었으나
지나치게 귀여워해 아들은 안하무인으로 제멋대로 날뛰며, 아버지까지 때리자
严씨는 분한 마음을 억제할 수 없어 관청에 가서 아들의 불효를 고발한다. 결
국 아들은 개과천선하여 부모를 지극 정성으로 모시게 된다. 그러나 正話 부분
의 이야기는 정반대의 비극적 결말을 짓는다. 赵씨 부부도 애지중지하게 아들
325) ≪包公案≫, 앞의 책, 105-109쪽.
326) ≪古本小說集成≫19 ≪拍案驚奇≫, 497-532쪽.
- 145 -
을 키우다보니 생활이 곤궁해졌는데, 결혼한 아들부부는 오히려 부모를 학대한
다. 어머니가 돌아가셔도 관을 짜주지 않고 경야[守靈]도 하지 않으며 몸 묻힐
곳조차 없게 된다. 결국 赵씨는 아들집에 들어가다가 도둑으로 오인되어 죽음
을 당하고 만다. 결국 불효한 며느리는 온역에 걸려 죽고, 아들은 옥에서 굶어
죽어 버려진다.
그러나 公案小说에서 반드시 자애한 부모만 있는 것은 아니고 자식을 사지
로 몰아넣는 부모도 있다. ≪初刻拍案驚奇≫卷17 <西山观设度亡魂, 开封府备棺
追活命>327)에서 과부 吳씨는 도사와 간통하고 아들이 방해되자 아들을 망치려
고 관청에 가서 불효죄로 고소한다. 다행히 현명한 판관이 사건을 맡게 되어
아들의 목숨은 부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명확하게 대비를 이룬 것은 심문
과정 중 효자 아들은 어머니의 추잡한 일을 폭로하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어머
니는 아들이 고문을 당하고 있는데도 태연자약할 뿐만 아니라 아래와 같이 판
관에게 요구한다.
나리, 한 번에 죽여주시옵소서!328)
나리, 속히 결단을 내려주시옵소서, 소인도 깨끗해지게...이런 아들과 같이
사느니 차라리 혼자 사는 것이 낫사옵니다. 329)
자애하지 않은 어머니가 온갖 계책이나 꾀를 다 생각해 내어 아들을 죽이려
고 하는 모습이 확연히 드러난다. 하지만 이런 잔인한 어머니는 아들의 간곡한
사정으로 죽음을 면하게 된다.
위에서 제시한 사건은 친모가 아들을 모해하는 이야기인데 公案小说 작품
가운데 계모가 자녀를 죽이는 사건이 더 많은 것으로 파악된다. ≪龍圖公案≫
의 <耳畔有声>에서는 柳씨가 친아들은 애지중지 키우는 반면 전처의 아들은
학대하고 심지어 남편이 외출한 사이에 밀실에서 때려죽이고는 병사라고 거짓
327) ≪古本小說集成≫19 ≪拍案驚奇≫, 637-717쪽.
328) “求老爷一气打死罢!” ≪古本小說集成≫19 ≪拍案驚奇≫, 704쪽.
329) “只求老爷早早决绝, 小妇人也得干净......小妇人情愿自过日子, 不情願有兒子了.” ≪古本小說集
成≫19 ≪拍案驚奇≫, 705쪽.
- 146 -
말한다. ≪新民公案≫卷3 伸寃類 <前子代父报讎>에서 후처 邵씨는 처음에는
남편과 전처의 아들에게 아첨하지만 나중에는 젊은 청년과 간통하여 늙은 남
편을 살해하고 아들도 무고한다. ≪醒世恒言≫卷27 ≪李玉英狱中讼寃≫중의 계
모는 마음씨가 악독하여 전처의 자식을 학대하고, 심지어 전처의 딸은 음란하
고 불효하다고 모함한다.
公案小说 중 전통 관념에서의 엄부자모는 재혼 가정에서는 실현하기 어려워
보인다. 자고이래 소설 속의 계모의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모두 악독하고 부정
적인 역할로, 그녀들은 남편에게는 아첨하나 전처의 자식은 학대하고 살해까지
모략한다. 특히 후처가 자식을 낳고 나서는 적서 사이의 재산 분쟁 또한 피하
기 어려운 문제이다.
3)형제와 嫡庶
앞 에서 언급했듯이 가정은 복잡한 공동체로 여러 가족관계를 뒤섞이고 있다.
부부 사이, 부모와 자녀 사이의 관계에는 왕왕 형제와 동서 사이의 갈등도 뒤
섞여 있다. 公案小说에서 형제 사이의 갈등은 재산으로 인한 분쟁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다. 특히 집안의 가장이 돌아가신 후에는 절대적인 권위가 사라지
면서 자녀들의 갈등이 더욱 쉽게 일어난다. 갈등이 심각해지면 법률을 이용하
여 해결하러 관청에 가게 된다. 재산의 상속문제를 제재로 하는 이야기는 公案
小说에서 많이 차지하고 있는데, 특히 短篇公案小說專集의 ‘争占’330), ‘霸占’331),
‘谋产’332)類 등에 수록되어 있다.
앞에서 말한 오륜 중의 ‘長幼有序’는 어른과 어린 아이 사이에 차례와 질서
가 있어야 한다는 것으로 형제간에도 적용된다. 그러나 아버지가 세상을 뜨자
형제 사이의 질서는 어지러워진다. 나이가 많은 형은 어린 동생을 무시하고 혼
330) ≪廉明公案≫下卷 ‘爭占’類에 16편의 이야기 중 8편, ≪諸司公案≫卷5 ‘爭占’類에 10편의 이
야기 중 5편이 형제 사이의 재산 분쟁을 다루고 있다.
331) ≪新民公案≫卷4 ‘霸占’類에 6편의 이야기 중 3편이 형제 사이의 재산 분쟁을 다루고 있다.
332) ≪律條公案≫ ‘谋产’类에 5편의 형제 사이의 재산 분쟁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 147 -
자 家産을 차지하고, 동행이 성인된 후에는 관청에 가서 자신의 권리를 되찾는
다. 이러한 제재로 한 소설에는 형이 대부분 물욕에 눈먼 사람으로 그려진다.
형은 남겨진 유서로 우세를 차지하는 반면, 동생은 착하고 약한 이미지로 나타
난다. 그러나 악독한 동생이 존재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그들도 사람으로서
사리사욕에 정신이 팔려 형을 모해하고 가산을 독차지하려고 한다. 예를 들어
≪新民公案≫卷4 霸占類의 <追究恶弟田产>333)에서는 형이 벼슬을 하는 동안
받은 녹봉을 동생에게 주면서 토지를 사들일 것을 부탁하지만, 뜻밖에도 동생
은 자신의 이름으로 밭과 집을 사고, 형이 죽은 후에는 형수를 무고한다. 그러
므로 公案小說에서는 착하고 공손한 동생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친형제 사이의 家産분쟁 이외에 적서 사이의 가산분쟁도 비일비재하다. ≪廉
明公案≫의 <腾同知断庶子金>, ≪海公案≫의 <判给家财分庶子>, ≪龍圖公案
≫의 <扯画轴>, ≪喻世明言≫의 <腾大尹鬼断家私>334)가 모두 비슷한 적서 사
이의 갈등을 서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335) 적자는 재물을 좋아하고 어린
서자를 미워하여 해치려고 한다. 가장인 아버지가 세상을 뜨자 적자는 바로 아
버지의 첩과 아들을 몰라라하고 가산을 독점한다. 서자가 성인이 된 후 家産을
요구하자 적자는 유서에 근거하여 나누어주는 것을 거절한다. 이에 서자는 관
청에 가서 해결을 요구하게 된다. 당시의 법률에 따르면 가산은 적서 구분 없
이 나누어야 된다고 명시되어 있어 서자가 정당하게 가산을 요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아버지의 유서에 명시하지 않은 이유는 적자가 어머니와 어린
동생을 부양하지 않을 거라 우려해서 유산을 모두 적자에게 물려주는 척 한
것이다. 족자 안에 들어 있던 진정한 유서는 판관으로 인해 밝혀진다. 이 이야
333) ≪古本小說集成≫393 ≪郭靑螺六省聽訟錄新民公案≫, 435-449쪽.
334) ≪古本小說集成≫531 ≪古今小說≫, 373-424쪽.
335) 4편의 작품은 모두 적서 사이의 간산분쟁을 다루고 있으나 차이점은 판관이 사례를 받느
냐에 있다는 것이다. ≪廉明公案≫의 <腾同府断庶子金> 중의 同知滕志道, ≪喻世明言≫의
<腾大尹鬼断家私> 중의 腾大尹은 계략을 써서 사리까지 챙기는 것으로 확인되고, ≪海公
案≫의 <判给家财分庶子> 중의 海公과 ≪龍圖公案≫의 <扯画轴> 중의 包公은 공정하게
판결하고 사리 앞에서 흔들리지 않는 모습으로 설정된다. 이것은 작품을 답습하는 과정 중
같은 이야기가 다르게 개작된 결과라 생각된다.
- 148 -
기는 擬話本公案小說 ≪喻世明言≫의 <腾大尹鬼断家私>에 가장 상세하게 서
술되어 있다. 사건의 전말 및 판관 腾大尹의 사리사욕을 챙기는 모습이 생생하
게 그려져 있다.
이밖에 ≪新民公案≫의 <兄弟争产讦告>336)에서도 적서 사이의 家産분쟁을
다루고 있는데, 이 이야기에서는 형제가 서로 비방하며 상대방의 유산을 자신
이 독점해야 한다고 주장을 하는데 판관 郭公이 둘의 가산을 서로 바꾸자고
판결을 내리자 형제는 모두 거절하며 마무리 하게 된다. 그리고 사위와 서자
사이의 家産분쟁도 가끔 등장하는데 ≪龍圖公案≫의 <审遗嘱>337)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翁씨에게는 독녀만 있어 사위 杨庆이 모든 가산을 독점하
려고 한다. 翁씨는 팔순에 첩을 들여 아들까지 낳자 사위 杨庆은 내심 성을 낸
다. 20년 후 서자가 성인이 되어 가산을 요구하자 사위와 서자 사이의 갈등이
격화되어 소송까지 가게 된다. 이러한 분쟁은 대체로 윤리적 신분변화에서 비
롯된 것으로 나타난다. 明代에는 첩을 들이는 것이 유행하여 서자 사이의 家産
분쟁이 끊임없이 발생한다. 서술자가 이러한 제재를 택한 의도는 첩을 두는 자
체를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형제 사이의 우애를 강조하려는 것에 있다고 판단
된다.
苗懷明에 따르면 “公案小说 중 형제 사이의 家産분쟁 이야기는 비슷한 제재
로 한 민간 전설과 다를 바가 없이 모두 하층 민중들의 관념과 소망을 드러내
고 있다.”338)라고 하였다. 판관들은 이러한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法理에
의거한다기보다는 형제 사이의 우애와 화목을 위해 情理를 더욱 고려해서 판
결을 내리는 것으로 파악된다. 문학윤리학비평339)은 역사적인 윤리 현장으로
돌아가 당시의 윤리적 입장에서 문학작품을 해석해야 된다고 강조한 바가 있
336) ≪古本小說集成≫393 ≪郭靑螺六省聽訟錄新民公案≫, 424-434쪽.
337) ≪包公案≫, 앞의 책, 231-233쪽.
338) 苗懷明, 앞의 책, 194쪽.
339) 문학윤리학비평은 전통적인 도덕비평과 달리 오늘날의 도덕적 입장에서 기왕의 문학작품
에 대해 도덕적 가치를 간단히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인 윤리 현장으로 돌아가 당
시의 윤리적 입장에서 문학작품을 상세히 해석하고, 작품 속에 사건의 발생 및 인물의 운
명에 끼친 윤리적 요소를 분석하며, 역사적으로 도덕적 평가를 내리는 것이다. 聂珍钊, 앞
의 논문, 14쪽.
- 149 -
듯이 판관들의 해결방식은 현재로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없지 않으나
당시의 윤리 의식으로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가장이 모든 家産을
한 자식에게 몰려준다는 유서를 남기는 이유는 한편으로는 첩과 어린 자식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고, 또 한편으로는 이러한 불공정한 재산 분배 방식이 위법
행위인 것을 알고 있어 서자가 성인이 된 후 관청에 가서 소송을 하면 판관이
재분배할 것이라 내심 기대하고 있었던 것이다.340)
소설 창작의 목적 중 한 가지는 윤리·도덕을 선양하는데 있음으로 중국 고
전 소설의 예술 형상을 구성하는데 있어 뚜렷한 특징 중 하나는 그 이미지들
이 농후한 윤리·도덕적 색채를 띠고 있는 것이다.341) 公案小說에서 가해자든
피해자든, 심지어 판관까지도 그들의 이미지 설정은 모두 윤리적 신분에 맞춰
져 있은 것으로 보인다. 갈등이 생기는 동시에 그들의 이미지에서 드러나는 윤
리관도 뚜렷이 대립된다. 孝와 逆, 贞과 淫, 义와 奸 등이 있다.

340) 苗懷明, 앞의 책, 197쪽.


341) 张稔穰, ≪中国古代小说艺术教程≫, 山东教育出版社, 1998年, 302쪽.
- 150 -
Ⅴ. 明代公案小说의 등장인물 유형분석
인물(Character)이란 용어는 본시 영어에서 인물과 성격의 두 가지 뜻으로
사용되었는데, 문학 작품 속에서 말하는 인물은 행동의 주체자로, 그 인물의
개성과 관계되는 그의 관심, 욕망, 정서, 도덕률 등을 포괄한 총화로서의 뜻으
로 쓰인다.342) 전통 구조주의에서는 작품 속의 사건을 중요시하고, 모든 인물
을 사건에 종속된 행위자로 간주하고 있었으나, 19세기 이래 소설비평가들은
작중 인물을 작품의 가장 중심적인 요소로 여기고 있다. 실제 소설에서 다루고
있는 사건은 모두 구체적인 인물들의 행동을 통해 존재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인물에 대한 분석은 인물이 수행하는 사건에 대한 평가 없이는 불가능하고, 작
품 속 등장인물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 인물들이 야기한 사건과 함께 검토해
야 된다고 생각한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대부분의 훌륭한 소설가들은 모두가 훌륭한 인물의 창조
자이다. 인물의 창조자들은 그것을 동일 유형으로 만들지는 않으므로, 독자들
은 여러 유형의 가공적인 인물들을 작품 속에서 만날 수 있다.343) 公案小說 같
은 경우에는 범죄와 법률이라는 제재를 주도적인 모티프로 한 소설이라 계속
사건에 중점을 두는 장르로 인식해 왔다. 그러나 많은 公案小說들이 사건 발생
을 위주로 서술하고 있지만 독자들의 머릿속에는 판관 이미지만 남게 된다. 이
것은 인물 창조의 성공이라기보다는 公案小說에 등장한 판관이 발생한 사건을
해결하는데 있어 절대적인 위치에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傳記體公案小說 같은
경우에는 한 명의 실존 인물을 중심에 놓고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어, 구성이나
주제 역시 인물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예컨대 公案小說 중 대
표인물인 包公은 널리 알려진 인물로 독특한 개성을 지니고 있고, 그가 가지고
있는 의미는 그 많은 사건들을 해결하는 행위자체를 초월한다.
본 장에서는 公案小說에 등장하는 인물의 유형을 분석하기로 한다. 사건의
핵심인물 判官의 심판 유형 및 심판 과정 중 부딪치는 법리와 정리의 문제를
342) 이규정, ≪현대소설의 이론과 기법≫, 박이정, 1998, 19쪽.
343) 이규정, 위의 책, 20쪽.
- 151 -
살펴볼 것이고, 또한 부차적인 인물들은 생계형 피해자, 직업적 가해자와 다양
한 조력자로 나누어 분석하고자 한다.
1. 핵심인물 判官
중국봉건사회에서는 사법과 행정을 가리지 않고 모두 행정장관이 직접 장악
하고 있었다. 公案小說에는 여러 종류의 사건으로 각양각색의 관리를 형상화하
고 있는데 그 중에는 청렴하고 정직한 清官도 있지만, 무능하고 탐욕스러운 관
리도 적지 않았다. 특히 包公344), 海公345)과 같은 판관은 하나의 신적인 존재
로 승화되어 대중들에게 큰 믿음의 대상이 되었다. 包公, 海公은 모두 역사상
실존 인물로 그들의 명성은 자자하였고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며 칭송되었기
때문에 저자들은 折獄 사건을 다루는 公案小說에서 그들을 중심인물로 삼아
수많은 사건을 그들에게 끌어다 붙였다.
宋元의 話本公案小說에서는 판관에 대한 묘사가 적고 편폭 또한 길지 않아
344) 包公은 중국에 있어서 清官의 대명사로 北宋 名臣인 包拯(999-1062)을 가리킨다. 자는 希仁
이며,庐州(지금의 安徽合肥)출신이다. 그는 天章閣待制,龍圖閣直學士,河北都轉運使 등
을 지냈기 때문에 ‘包待制’, ‘包龍圖’로 불려져 왔다. 사후 그에게 禮部尙書라는 직책을 추서
하였고, ‘孝肅’이라는 謚號를 내려 후세에는 ‘包孝肅’이라고도 하였다. 包拯의 사적은 ≪宋
史·包拯傳≫에 간략하게 기록되어 있는데, 주로 역사적 실존인물로서 包拯의 생애와 효행
을 서술하고 있으나, 사건 판결과 관련된 기록은 오직 <割牛舌> 하나이다. 짧은 서술이지
만 판관인 包拯의 통찰력과 영리함을 엿볼 수 있다. 이 사건은 公案小說인 ≪百家公案≫91
回 <卜安割牛舌之異>,≪龍圖公案≫卷5 <割牛舌>에 각각 수록되어 있다. 包拯은 실존 관
리로서 청렴함과 공정함을 지니고 있어 ‘包青天’,‘包公’이라는 미칭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
다. 특히 사후에 많은 민간전설이나 문학작품에 등장하여 세상에 전해지게 되어 그의 명
성은 유일무이하다.
345) 海公은 明代에 널리 알려진 清官인 海瑞(1514-1587)로 자는 汝贤,호는 刚峰이며, 海南瓊
山(지금의 海口) 출생이다. 그의 일생은 正德,嘉靖,隆慶,萬曆 년간을 거치면서 知縣,判
官,户部主事,兵部主事,右佥都御史 등을 지냈다. 재임 기간에 海瑞는 청렴결백하였으며
힘없는 백성을 위해 억울한 사건, 오심 사건 등을 바로잡아 주어 ‘海青天’으로 불려질 정
도로 모든 이들에게 경외의 대상이 되었다. 사후 그에게 太子太保라는 직책을 추서하였고,
‘忠介’라는 謚號가 내려졌으며 清官으로 추앙되었다. 海瑞는 소설이나 희곡과 같은 문학작
품에 많이 등장하였는데, 가장 유명한 작품은 그를 제재로 한 소설 ≪海剛峰先生居官公案
≫,≪海公大红袍全传≫,≪海公小红袍全传≫ 등이 있다.
- 152 -
충분한 서술을 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판관은 소설 후반부의 결말 부분에
잠깐 등장하여 사건을 종료시키는 역할만 한다.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에서는
판관에 대한 묘사가 비교적 많아졌지만 대부분 이야기가 사건발생에 치중되어
있다 보니 판관은 그저 사건해결 과정을 연결시키는 인물로 설정되어 있다. 제
목에 관직명이 들어 있는 작품들도 내용을 살펴보면 판관에 대한 敍事보다는
사건진행 과정에 대한 敍事가 더 집중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明代 擬話
本公案小說에서는 판관의 역할이 강화되어 중요한 묘사 대상이 되었고, 이미지
또한 제각기 다르다.
王德威가 “서양문학의 어휘로 해석한다면 清官의 행적은 모두 합리적이지 않
아도 되지만, 그러나 그들의 행위는 반드시 기계 장치의 신(deus ex machina)
적 기능을 갖고 있어야 하고, 그들로 하여금 그릇된 상황을 힘들여 바로잡고 만
회하게 하며, 잃어버린 도덕적 정치적 질서를 되찾게 한다.”346)라고 했듯이 판
관은 公案小說 속 기계적 존재인 것 같지만 없으면 안 되는 인물로 전체적 이
야기 전개에 핵심이자 필수 조건이다. 公案小說의 개념으로 봐서도 판관이 없는
작품은 사건 해결이 안 되어 公案小說이라고 할 수 없다.
明代 短篇公案小说專集 속 판관은 대부분 清官 이미지로 나타나는데, 그들의
공통점은 조그마한 조짐을 보고도 전체를 꿰뚫어 볼 수 있고, 예리하여 세세한
것도 놓치지 않으며, 백성을 아끼고, 청렴하면서도 정직함으로 고대의 이상적
인 관리 품격을 지니고 있다는 것으로 백성들의 숭배대상이 되었다.347) ≪百家
公案≫과 ≪龍圖公案≫중 包公, ≪新民公案≫중 郭公, ≪海公案≫중 海公이 모
두 전형적인 ‘清官’으로 알려져 있다. 이 清官들은 모두 작품 속에서 구체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고, 사건의 심리와 해결과정 중에도 개성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三言二拍’ 중 擬話本公案小說에서도 작품마다 개성이 뚜렷한 판관 형
상을 그리고 있다.
1)神判과 人判
346) 王德威, ≪想象中國的方法: 歷史·小說·敍事≫, 生活·讀書·新知三聯書店, 1998, 66쪽 참조.
347) 秦川, <明清小说的伦理观與和谐文化>, ≪明清小說研究≫, 2012年第3期, 46쪽 참조.
- 153 -
작중 인물의 행위는 인물의 성격과 이미지를 밝히고 형상화하는데 사용된다.
판관의 행위는 주로 그들의 사건을 심리하고 판결하는 과정을 가리킨다. 公案
小說 중 판관들의 심판은 神判과 人判 2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첫째, 神判은 판관이 신적인 요소나 미신적인 수단 등 비(非)인위적 비현실적
인 방법으로 진범을 찾고 사건을 해결하는 것을 일컫는다. 글자로 점을 치는
것, 서낭제[城隍祭], 동물들의 안내, 현몽하는 방식 등이 모두 포함된다.348)
宋元话本 중 판관은 대부분 신격화되었다. 이를테면 ≪三现身包龍圖斷案≫
중 包公은 꿈에서 사건에 관한 주련을 얻자, 그 내용에 근거하여 증인을 찾게
된다는 줄거리가 있다. 明代 公案短篇小說專集에서는 판관 이미지를 중시하게
되지만, 書判性의 성격이 비교적 강해 사건 발생에 치중되어 있다 보니 해결과
정에는 신적인 요소나 미신적인 수단들이 많이 들어 있어 보인다. 지금 알려진
첫 번째 短篇公案小說專集인 ≪百家公案≫에서는 神判 사건이 40편 정도나 된
다. 글자로 점을 치거나, 해몽하거나, 망령이 한밤중에 나타나거나, 모두 사람
으로서 할 수 없는 사건 심리법이다.
그 뒤에 연달아 나온 ≪廉明公案≫의 편집자인 余象斗는 이미 ≪百家公案≫
속 허황한 사건해결법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 있어 그의 작품의 서문에서는
“(≪廉明公案≫은) 귀신들이 나와 황당무계한 ≪包公案≫이야기와 같지는 않
다.”349)라고 하지만, 역시 余象斗도 神判의 흔적을 떨쳐버리지는 못하였다. ≪
廉明公案≫ 拐带类 <黃通府夢西瓜開花>350)에서는 黃通府가 밤에 수박 4개가
나오는 꿈을 꾼 후, 다음 날 진짜 4명의 승려를 만나게 되고, 그 중의 한명은
유괴된 부녀로 밝혀지는데, 이것은 전형적인 해몽법이다. 余象斗가 연이어 편
348) 강주완은 神判型이 妖怪에 의해 발생한 公案事件들에 대한 심판의 한 유형이라고 하여 ≪
百家公案≫에서 神判型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는 이야기는 모두 6회가 있다고 하였다. 강
주완, ≪<百家公案> 硏究≫, 연세대학교 博士学位论文, 2003, 192쪽. 이것은 본고에서 말하
는 神判과는 다른 의미이다. 본고에서는 妖怪에 의해 발생한 公案사건 뿐만 아니라 해결
과정 중 신적인 요소가 들어 있는 사건들도 神判型에 해당된다고 생각한다. 이에 ≪百家
公案≫에서 神判型에 해당되는 이야기는 6회보다 훨씬 많은 40회라고 통계된다.
349) “非如 ≪包公案≫之扑鬼瑣神, 幻妄不經之說.” ≪古本小說集成≫118 <廉明奇判公案傳> 序文
350) ≪古本小說集成≫118 <廉明奇判公案傳>, 241-245쪽.
- 154 -
찬한 ≪諸司公案≫에는 그나마 神判사건이 비교적 적었다. 그러나 비교적 늦게
출시한 短篇公案小說專集의 집대성인 ≪龍圖公案≫에서도 약 34편 정도의 神
判사건이 들어 있는데, 그 중에 중복된 수법이 많다. 短篇公案小說專集 중 神
判사건 상황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표5-1>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 중 神判사건
서명 현존 편/횟수 神判사건 백분율
百家公案 100회 40회 40%
廉明公案 105편 30편 29%
諸司公案 59편 2편 3%
新民公案 43편 11편 26%
海公案 71회 34편 48%
详刑公案 40편 10편 25%
律条公案 46편 22편 48%
龙图公案 100편 34편 34%
神判의 유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① 원혼의 현몽
중국 고전문학작품 중 꿈[夢]을 제재로 한 작품은 많은데 公案小說도 예외일
수는 없다. 公案小說에 나타나는 꿈은 계시의 기능을 지닌 현몽으로 사건전환
을 위한 극적 장치로 작용한다.351) 억울한 원혼들이 판관의 꿈에 나타나 자신
의 죽음을 알리거나, 사건을 해결할 수 있는 단서를 제시하여, 억울한 누명을
씻어달라는 것이다. 원혼들의 출현은 일반적으로 2가지 상황으로 나타나는데,
하나는 사건이 아직 접수되기 전에 원혼이 판관을 찾아와 억울함을 호소하며
351) 고숙희, ≪包公 公案小說 硏究: <百家公案>과 <龍圖公案>을 中心으로≫, 성균관대학교 博
士学位论文, 2002, 222쪽.

- 155 -
이야기를 전개하기 시작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사건이 발생하여 판관이 사건
해결의 문제로 고뇌에 빠져 있을 때 원혼이 꿈에 나타나 사건해결의 열쇄를
주는 것이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갑자기 한 줄기의 검은 연기가 하늘로 치솟자 순식간에 어두워졌다...포공은
분명히 원한이 있다고 의심하였다. 그날 밤 촛불을 켜자 포공은 피곤하고 졸
려 상에 엎드려 잠이 들었다. 한 밤중 머리를 풀어헤쳐 산발한 미모의 여자가
나타나, 양손에 두 아들을 끌고 하염없이 소리 내어 울면서 포공 앞에서 무릎
을 꿇었다.352) (≪百家公案≫6回 <判妒妇杀妾子之寃>)
다음날 밤, 사건 문서를 검열하다 어떤 강간살인 사건을 보게 되자, 어느새
정신이 혼미하고 몽롱한 상태로 빠져들며 잠이 들었다. 꿈에서 한 여자가 억
울함을 하소연하듯이 나타났다.353) ( ≪龍圖公案≫卷1 <咬舌扣喉>)

꿈에서 판관이 원혼들과 마주칠 때는 두려워하지 않고 대화까지 이어간다.


판관은 당당하게 원혼들에게 현몽한 원인을 물어보고 그들의 억울함을 알게
되자 바로 사건을 해결하는 모드에 들어간다. 원혼들 또한 일반적으로 무서운
귀신들의 모습과는 달리 연약하고 겁에 질려 있는 모습들이다. 이러한 줄거리
는 包公을 중심인물로 설정된 短篇公案小說專集에 가장 많이 등장한다.
② 동물 안내
公案小说 속에 가끔 동물들이 등장하는 경우가 있다. 이 동물들은 고민에 처
한 판관에게 실마리를 알려주거나, 사람의 도움을 받고 살아나 사후에 보답하
는 행동을 한다. 보답하는 방식은 주로 판관을 찾아가 억울함을 하소연하여 은
인의 시신을 찾게 하거나, 사건 심리 과정 중 나타남으로 인해 판관에게 깨우
352) “忽然阶前一道黑氣衝天, 须臾不见天日......包公心甚疑其必有寃枉. 是夜左右點起燈烛, 包公困倦,
伏几而卧. 夜至三更, 忽见一女子, 生得姿容美丽, 披头散发, 两手牵引二子, 哭哭啼啼, 跪至阶下.”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48쪽.
353) “次日, 夜阅各犯罪案, 至强奸杀命一案, 不觉精神疲倦, 朦朧睡去. 忽梦见一女子似有诉寃之状.”
≪包公案≫, 앞의 책, 22쪽.
- 156 -
침을 주는 것이다. 예를 들면 거미[蜘蛛]354)가 나타나 범인의 성이 朱씨인 것
을 일깨워주거나 원숭이나 날짐승이 판관이 있는 곳에 찾아가 고소하는 장명
등이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2절 ‘다양한 조력자’에서 상세히 서술하겠다.
③ 사원 기도
사건이 발생한 후 신에게 제사를 지내고 기도하는 방식이다. 가장 많이 등장
하는 장소는 사원이다. 판관이 직접 가는 경우도 있고, 아역을 파견해 가서 기
도하라는 경우도 종종 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포 공은 마음이 불안하여 바로 문서를 써서 곧장 城隍庙로 향하였다. 城隍庙
에서 문서를 읽고 태우면서 기도하였다. 사원에서 나와 관아에 돌아오자 포공
은 좌우에게 촛불을 켜고 탁자위에 향을 피워 동쪽에 두라고 명하였다. 포공
은 동쪽을 향해 단정하게 앉으며 기도하기 시작하였다.
“천신이시여, 감찰하여 신통력을 발휘해 백성을 위해 걱정을 함께 하시옵소
서.” (≪百家公案≫12回 <辨树葉判还银两>)355)
포공은 석 처사가 요괴가 분명하다고 생각했다. 다시 아역을 파견해 그 장
소에 가서 절을 하고 문서를 태우며 그곳 토지신에게 석 처사의 소재를 알려
달라고 기도를 올리게 했다. 아역은 포공의 말대로 다시 가서 문서를 태우고
기도를 올린 후 돌아왔다.356) (≪百家公案≫40回 <斩石鬼盗瓶之怪>)
明代 후기의 拟话本公案小说 중 판관은 실존인물이 아닌 허구적 창작인물로
354) ≪龍圖公案≫卷1<咬舌扣喉>, 卷10 <蜘蛛食卷>에 모두 거미[蜘蛛]가 등장하였다.
355) “心中自觉不安, 乃即具疏文一道, 敬诣城隍庙行香, 将疏文宣读, 焚于炉内祷祝. 出庙回衙, 令左右
點起灯烛, 将几案焚香, 放在东边, 包公向东端坐, 祷祝: ‘願天神鉴察, 显靈报应, 與百姓分忧.’” ≪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82쪽.
356) 안우시 엮음, 고숙희 옮김, ≪백가공안≫, 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73쪽. 원문: “拯思之必是
妖怪, 再差人叩其处, 令以文牒焚之, 祝之當境土地龙神, 必有下落. 公吏如其言再往, 将牒文焚祝
之讫而回.”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203쪽.

- 157 -
더욱 상세히 묘사되어 있으나 神判 요소가 완전히 제거된 것은 아니다. ‘三言
二拍’ 중에도 神判사건이 있으나 短篇公案小說專集에 나타난 것만큼 황당무계
하지는 않다. 예컨대 ≪警世通言≫卷35 <况太守断死孩兒>357)에서는 판관 况钟
은 죽은 아이의 울음소리를 듣고 시신을 발견하는 장면이 나온다.
선박이 仪真 수문구에 도착하려 할 때, 황공은 선실안에서 책을 보고 있었
다. 갑자기 강에서 영아의 울음소리가 들려왔고, 황공은 분명히 익사한 아이
라고 짐작하였다. 황공은 사람을 시켜 두 번이나 확인하였지만 결과는 아무도
없다는 보고를 해왔다. 황공에게만 계속 울음소리가 들리고 주변 사람들은 모
두 듣지 못했다고 하니, 황공이 이상하게 여겨 창문을 열고 친히 살펴보니,
하나의 작은 부들로 엮어 만든 꾸러미가 수면 위에 떠있어 선원을 불러 건져
오게 하였다. 선원이 건져와 열어보고 어린아이가 들어 있다고 고하자, 황공
이 물었다.
“살아 있느냐? 죽어 있느냐?”
선원이 답하였다.
“석회로 절인 것으로 보아 죽은 지 오래된 것 같사옵니다.”
황공은 생각했다.
“죽었는데 어찌 울 수 있단 말인가? 더군다나 아이가 죽으면 버리면 되는데
구태여 석회로 절일 필요까지 있었는가? 틀림없이 연고가 있구나!”358)
위와 같은 판관은 신통력을 가지고 있지만 터무니없이 추정하지는 않는다.
短篇公案小說專集에서 사건을 접하자마자 사원으로 달려가 기도하는 판관보다
는 ‘三言二拍’ 중 판관은 사건을 발각하는 과정에서만 신적인 요소를 설정하고,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에서는 人判의 양상을 띠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판관
357) ≪古本小說集成≫535 ≪警世通言≫, 1435-1470쪽. ≪古本小說集成≫에는 ≪警世通言≫卷34로
되어 있다.
358) “船至仪真闸口, 况爷在舱中看书, 忽闻小兒啼声出自江中, 想必溺死之兒. 差人看来, 回报: ‘没有.’
如此两度. 况爷又闻啼声, 问众人皆云不闻. 况爷口稱怪事, 推窗亲看, 只见一個小小蒲包皮, 浮于
水面. 况爷叫水手捞起, 打开看了, 回復: ‘是一個小孩子.’ 况爷问: ‘活的死的?’ 水手道: ‘石灰腌过
的, 像死得久了.’ 况爷想道: ‘死的如何会啼? 况且死孩子, 抛掉就罢了, 何必灰腌, 必有缘故!’” ≪
古本小說集成≫535 ≪警世通言≫, 461-1462쪽.

- 158 -
들의 동기는 행위의 발생 원인으로 간주해야 되고, 그들 개개인 모두는 독특한
개성을 지니고 있는 사람이다.
神判은 한편으로는 판관이 민중들의 미신적 심리를 이용해 진범을 찾아내는
하나의 전술로 보이기도 한다. 심리과정 중 실제적 효과가 있어 판관들이 더욱
즐겨 사용한다. 그러나 이것은 추천할 만한 사건 심리 수법은 아니다. 이러한
방식으로는 민중들의 미신 의식을 더 강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학
적 각도에서 볼 때는 법문서와 같이 소장, 답변서, 판결문만 들어 있는 형식화
된 작품보다는 神判 줄거리가 들어 있는 작품이 더욱 생동감 있고 독자들을
하여금 즐겁게 소일할 수 있게 한다. 고숙희에 따르면 “초월적 요소들은 비현
실성이 강하지만, 소설적 묘미가 농후하다.”359)라고 하였다.
둘째, 人判은 판관이 자신의 기지와 노력으로 사건의 범인을 탐색하고 심문
하여 저지른 죄에 따른 형벌을 부과하고 집행하는 것을 일컫는다. 강주완에 따
르면 “人判은 사건을 심리하고 해결하는 과정 중 범인에 대한 회유와 위협, 증
거의 제시, 증인과의 대질심문, 속임수 연극, 고문 등을 통한 자백의 확보를 포
함하게 된다”360)라고 규정한 바가 있다. 더불어 본고에서는 판관의 성격과 신
분상의 인격화 또한 人判에 속한 일부라고 생각한다.
범죄로 인한 사건이 발생하면, 판관들은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사건을 처
리하려고 한다. 기본적으로 사건관련 인물을 구속하여 심문하고, 그들의 자백
을 통해 상황을 파악하며, 단서를 얻기 위해 검시하고 현장검증을 나가는 등
추리자로서의 역할임무를 수행한다.361) 이 부분은 앞에 3장의 ‘사건해결의 양
상’에서 언급하여 여기서는 중복하지 않겠다.
주목해야 하는 것은 판관이 자신의 지혜와 능력을 이용해 사건을 해결하는
양상은 擬話本公案小說에서 가장 뚜렷하다. ≪喻世明言≫卷2 <陈御史巧勘金钗
钿>362)에서 판관 陈濂은 유독 증거를 중요시하고 독특한 방법으로 진범을 찾
359) 고숙희, 앞의 논문, 221쪽.
360) 강주완, 앞의 논문, 185쪽.
361) 고숙희, 앞의 논문, 221쪽.
362) ≪古本小說集成≫531 ≪喻世明言≫, 97-156쪽.
- 159 -
아낸다. 진상을 분명히 밝히기 위해 陈濂은 베를 파는 상인으로 가장하여 친히
현장에 가서 사건을 해결한다. 이것은 현몽이나 점치는 수법 등과 현저한 차이
가 있다.
하루는 문밖의 시끄러운 말을 듣고서 벽 틈으로 보니, 단지 어떤 베 파는
사람이 보였는데, 그는 머리에는 새 효두건을 두르고, 몸에는 옛 흰 도포를
입고, 입으로는 강서 방언을 말하며, 남창부 사람이라고 자칭하여, 거기에서
베 장사를 하고 있었다. 집안의 부친이 병으로 사망하였다는 말을 듣고, 밤새
되돌아가려고 하였으나, 손에는 팔지 않은 몇 백 필의 베가 남아 있어, 빠져
나갈 수가 없어, 급히 주인을 찾아서 손해를 보더라도 넘기려 하였다.363)
短篇公案小說專集에서의 판관은 사건의 심리나 판결에 관련된 것 외에는 개
인생활과 심리활동에 대해서는 거의 묘사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등장인
물들에 비해서 현실감이나 생동감이 떨어지는 것도 사실이다.364) 擬話本公案小
說의 두드러진 특징은 즉, 판관을 인격화하는 것에 있다. 明代 이전의 작품들
을 보면 판관의 이미지는 비교적 순수하다. 그들한테는 추호의 사욕도 없고,
인정사정없이 청렴하고 정직하며, 완벽한 품격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조금의
흠도 없는 완벽한 사람은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擬話本公案小說이 출현한
후에는 판관의 이미지가 현실성을 띠기 시작한다. 판관도 의욕이 있고, 인격적
결함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喻世明言≫卷10 <滕大尹鬼断家私>
중 滕大尹은 사건을 해결하는 수법은 출중하지만 당사자의 재물을 보고 욕심
이 생기게 되고, ≪初刻拍案驚奇≫卷26 <夺风情村妇捐躯 假天语幕僚断狱> 중
林断事는 영리하고 유능하지만, 용모가 준수한 남성을 좋아하여 무법자를 비호
한다.
滕大尹과 林断事는 전통적인 예리하고 청렴한 판관 이미지와는 달리 유능하
363) “一日, 聽得门前喧嚷, 在壁缝张看时, 只见一個卖布的客人, 头上带一顶新孝头巾, 身穿旧布自布
道袍, 口内打江西乡谈, 说是南昌府人, 在此贩布买卖, 闻得家中老子身故, 星夜要赶回, 存下幾百
匹布, 不曾发脱, 急切要投個主兒, 情愿让些价钱.” 馮夢龍 편; 장영 편역, ≪<삼언>20선 역주
≫, 송산, 2011, 354쪽.
364) 강주완, 앞의 논문, 201쪽.
- 160 -
고 시비를 분명하게 가리는 능력은 있으나, 간교한 면도 없지 않다. 그러나 그
들의 이미지 배치는 여전히 清官에 가깝다. 왜냐하면 그들의 사건을 해결하는
방법이나 수단은 독자들의 수긍을 얻을 수 있고, 탐재나 인격적 결함은 사건
판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미신적이고 비현
실적인 흔적이 드러나지 않아 신격화된 판관 이미지와는 일정한 거리가 있고,
오히려 현실 생활 속의 관리와 더 가까워 보인다.
≪醒世恒言≫卷8 <乔太守乱點鸳鸯谱> 중 乔太守도 임기응변에 능하고, 법문
에 얽매이지 않으며 제멋대로 남녀의 혼사를 맺어주어 모두가 만족스러워하는
결과를 만든다. 기왕의 公案小说 속 清官들의 딱딱하고 서민들의 경외심을 일
으키는 이미지는 乔太守에게는 찾아볼 수 없고, 유머러스하고 해학적인 면이
더욱 부각되는데, 그의 사건 해결법을 통해 구체적으로 드러낸다.

태수는 또 창고에서 결혼 면사포 여섯 자락을 꺼내오게 하여 부부 세 쌍에


게 덮어쓰게 했다. 그리고 악사 세 무리들과 가마 석 대를 불러 세 신부를 태
우게 했다. (후략)......365)
그리고 乔太守가 쓴 판결문도 충분히 독자들의 웃음을 자아내게 한다.
사람은 비록 바뀌었지만 열여섯 냥은 본래 한 근일 따름이다. 혼인은 가문
간의 교류인데, 오백 년간 결코 잘못 맺은 적이 없네.366)
그러나 乔太守도 清官의 미칭을 얻게 된다. 말미의 시를 보면 알 수 있다.
또 사람들은 시를 지어 교태수의 명쾌한 판결을 칭송했다.
부부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원래 전생의 인연이거늘, 모두가 풍류 넘치는
365) 풍몽룡 지음; 최병규 편역, ≪三言≫, 창해, 2002, 166쪽. 원문: “乔太守在库上支取喜红六缎,
叫三对夫妻披挂起来, 唤三起乐人, 三顶花轿兒, 擡了三位新人.......” ≪古本小說集成≫537 ≪醒世
恒言≫, 467쪽.
366) 풍몽룡 지음; 최병규 편역, ≪三言≫, 위의 책, 166쪽. 원문: “人虽兑换, 十六两原是一斤; 亲
是交门, 五百年决非错配.” ≪古本小說集成≫537 ≪醒世恒言≫, 467쪽.
- 161 -
태수의 현명함이라! 침상의 이부자리는 추함을 덮었으니, 태수가 교청천으로
불리는 이유를 알겠구나.367)
그러므로 낡은 敍事 방법을 철저히 바꿔 기본적인 清官의 속성을 지니고 있
으면서도 익살스러운 면이 있고, 독자로 하여금 더욱 친근감과 유머감을 느끼
게 한다. 강직하고 위엄있는 清官보다는 매력이 넘쳐 강렬한 예술적 감화력을
지니고 있다.368)
더불어 판관들의 신분상의 인격화 또한 드러내고 있다. 宋元 话本公案小说에
서 官民은 신분에 명확한 등급차이가 드러나 귀천이 분명하다. 높은데서 군림
하고 있는 관리들은 모든 것을 다스리고 대중과 동떨어져 있다. 明代의 拟话本
公案小说 중 판관들은 벼슬길이 순탄치 않아 더욱 현실적이다. 출신이 빈천한
자도 있고, 험난을 겪고 벼슬길에 오르는 자도 있으며, 심지어 사건 당사자와
관련있는 자도 있다. 이를테면 ≪警世通言≫卷24 <玉堂春落难逢夫>에서 王景
隆은 상서의 아들이었지만 여색에 깊이 빠져 기원에서 쫓겨나고, 강도짓을 당
해 거지로 전략하기도 한다. 다행히 玉堂春의 도움으로 집으로 되돌아가 분발
하고 진취하여 과거에 급제되어 어사(御史)로 올라선다. 玉堂春이 모함을 당해
투옥되었을 때 王景隆은 빈둥거리는 귀족집의 자식이 아니라 판관의 신분으로
나타난다. ≪警世通言≫卷11 <苏知县罗衫再合> 중 판관은 당사자와 친족관계
가 있어 판관으로서 모든 진상을 알고 난 후에는 사건해결에 대한 전개가 복
잡하고 우여곡절이 많다.
清代에 이르러서는 판관과 협객이 결합되어 사건을 공동 해결하게 된다. 협
객들의 이미지 설정으로 말미암아 판관들의 역할이 점차 약화되었다. ≪三侠五
义≫에서는 협객이 완전히 주인공이 되어 판관이 협객들에게 밀려 뒷전에 처
하게 된다. 明代의 ≪百家公案≫, ≪龙图公案≫중 包公보다 ≪三侠五义≫중 包
公이 연약하고 희미해지고 있다.369) 한편, 宋代 話本이나 明代 公案小說 작품
367) 풍몽룡 지음; 최병규 편역, ≪三言≫, 위의 책, 167쪽. 원문: “又有—诗, 单夸乔太守此事断得
甚好: ‘鸳鸯错配本前缘, 全赖风流太守贤. 锦被一床遮尽醜, 乔公不枉叫青天.’” ≪古本小说集成≫
537 ≪醒世恒言≫, 467쪽.
368) 曾玲, ≪白話公案小說中的判官形象≫, 湘潭大学 硕士学位论文, 2008, 11쪽.
- 162 -
에서는 정의감을 부각시키기 위해서 판관들의 이미지가 위대하고 장엄한 반면,
清代 俠義公案小說의 開山作 ≪施公案≫중 판관인 施世綸은 등이 굽고, 얼굴이
곰보딱지이며 입이 비뚤어져 있는데, 쇠약한 체구가 包公 이미지와 뚜렷한 대
조를 이룬다. 그러나 추한 외모는 사건을 해결하는 데는 영향을 끼치지 않고
오히려 독자들에게 많은 친근감과 유머감을 준다. 경외감보다는 동정심을 더욱
유발시켜 작중 인물과 독자 사이의 거리가 축소된다. 게다가 施世綸은 첫 번째
협객과 결합시킨 판관으로 그의 유약한 이미지가 협객을 유입시키는 필요성을
보여주기도 한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宋元의 說公案은 ‘說’ 위주로 하고 있어 청중들의 흥
미를 끌어당기는 것이 목적이므로, 인물 이미지를 형성화하는데 있어서는 상세
한 묘사가 부족하다. 또한 청중들이 요구하는 판관 이미지는 애증이 분명하고,
청렴하고 정직함에 불과하다. 明清의 公案小說은 문인들이 창작 단계에 이르러
줄거리를 구축하는데 있어 인물을 사용해 줄거리를 떠받치는 방식을 알게 되
어 인물 이미지를 더욱 중요시한다. 더불어 독자들의 심미의식 또한 높아져 천
편일률적인 清官 이미지에 권태를 느껴 다양한 인물 모습을 요구하게 된다. 판
관의 몸에서 정직함뿐만 아니라 인간의 약점과 결함 등도 보고 싶어 한다. 게
다가 사회적 환경도 일정한 영향이 있다. 宋元시기는 군권이 강화되어 사상 문
화 방면에 강압적인 정책이 엄격히 실시되어 문학 작품 중 관리에 대한 비판
적인 시각을 드러내지 못하였다. 반면, 明清시기에는 경제발전에 따라 새로운
이데올로기가 형성되어 통치계층에 대한 불만과 인간성에 대한 추구도 높아지
기 마련이었다.
2)法理와 情理
판관이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 중 항상 부딪치는 것은 법리와 정리의 판단
문제이다. 난점은 사건을 해결하는데 법리를 위배하지 않으면서도 정리에 부합
369) 曾玲, <白话公案小说中判官形象的发展和演变>, ≪温州大学学报·社会科学版≫, 2008年第1期,
97쪽.
- 163 -
해야 된다는 것으로, 즉 법리와 정리의 봉합점을 찾는 것에 있다. 公案小说 중
에는 비록 包公과 같은 神判이 많지만 그들의 판결 결과는 반드시 민중들이
생각하는 인정과 도리에 적합한 것은 아니다. 더구나 神判은 짙은 미신에 둘러
싸여 존중받기 어려운 방식으로 법리를 논할 수가 없다. 書坊主 余象斗가 편찬
한 ≪諸司公案≫의 <左按院肆赦誤殺> 말미에 “유배를 보내도 모든 죄를 용서
받지는 못하지만, 인정으로는 논의해 봐야 된다.”370)라고 평한 바가 있는데, 당
시 편집자도 이미 법리와 정리의 검토 문제를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은 알 수
있다. 본 절에서는 公案小说 중 판관이 사건을 해결하는데 있어 어떤 방식으로
법리와 정리를 판단하는지 고찰하기로 한다.
法理란 말 그대로 법률의 원리와 논리로 법률을 형성하는 學理이다. 情理는
인정과 도리를 아울러 이르는 말로 도덕윤리를 기본적으로 내포한다. 도덕윤리
는 또한 법률의 밑바탕이라고 할 수 있다. 판관이 사건을 해결할 때 무턱대고
정리를 고려하지 않고 엄격히 법을 집행만 하게 되면 합법적 문제는 없겠지만
실제 사회의 요구에는 어긋날 수 있어 민중들의 인정을 받지 못할뿐더러 대중
의 공분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 정리 또한 전혀 원칙없이 실현하게 되면 법
률의 범주에서 벗어나기 쉽다. 그리하여 사회적 효과와 법률적 효과를 같이 보
려면, 우선 법리와 정리의 통일 문제를 해결해야 된다. 371)
법은 사람을 위하여 만들어진 것이므로 사람 위에 군림하여 사람을 해쳐서
는 안 되지만 또 그것이 사람에 의하여 만들어진 것이라 하여 인정에만 매달
릴 수도 없는 것이다. 결국 법은 사람의 도리를 근본으로 공정하여야 하지만,
절대적으로 정리와 도리에 모두 적절한 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明代 초기 난세를 다스리기 위해서 明太祖 朱元璋은 ‘刑用重典’이라는 치국
정책을 취해 통치를 안정시키려 하였다. 그러나 오직 ‘重典’만으로는 사회 질서
의 장기간 안정을 실현하고 백성을 편안하게 할 수 없다는 것을 인지하여 ‘刑
用重典’을 실행하면서도 ‘禮法结合’, ‘德刑幷用’의 봉건 법제 전통을 계승하였다.
봉건 통치를 유지하려면 반드시 ‘禮’와 ‘法’이 상부상조하여야 한다. 372) 여기서
370) “故擬流罪, 不得全宥, 亦當情之議也.” ≪古本小說集成≫117 ≪皇明諸司公案≫, 41쪽.
371) 吳曉麗, <法理與情理的思辨-以中韩公案小说的结局为中心>, ≪中國學報≫제74집, 2015, 187쪽
참조.

- 164 -
말하는 ‘禮’는 정리의 범주에 속한다.
公案小說은 현실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는 소설로서 당시 사회의
법리와 정리 의식도 담겨져 있다. 소설 속 판관은 수많은 크고 작은 사건들을
해결하면서 분명히 각종 이념의 충돌에 직면하게 되고, 판결을 내릴 때도 영향
을 미치게 된다. 또한 어려운 형사사건 같은 경우는 현대적 과학기술로 심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판관의 개인 경험이나 기존의 법률문서, 판례, 당시 법전
을 참고하고 추리하여 판단하는 것이 대다수이다. 이에 판관 개인의 도덕수양
과 심판경험 등이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심판
과정 중 상용되는 고문 또한 불법적인 수단은 아니지만 판관의 주관적인 잣대
로 해석하기 때문에 무고한 사람에게 죄를 뒤집어씌우고 그 죄를 인정하도록
강요하는 사건이 많았다. 이로 인하여 公案小說 속 판관은 단순한 인물 설정이
아니라 작중 인물들의 운명까지 좌우하고 있는 힘의 일체이기도 하다.
公案小說 중 법리와 정리를 결합시킨 예는 ≪警世通言≫卷11 <苏知县罗衫再
合>373)을 들 수 있다. 줄거리를 단락으로 요약해 보고자 한다.
① 苏知县은 아내와 함께 취임을 하러 가는 도중 도적 徐能 등의 무리와 마
주치게 되어 강물에 빠뜨려진다. 안타깝게도 아내 郑씨만 구조되고, 그녀
는 후에 출가하게 된다.
② 유복자는 우연한 원인으로 도적 徐能에 의해 徐繼祖라는 이름으로 정성을
다해 키워져 급제하여 벼슬살이를 한다.
③ 19년 후에 郑씨는 남편을 살해한 자를 고소하는데 판관은 바로 아들인 徐
繼祖이다.
④ 피고인이 자신의 아버지인 것을 보고 판관은 놀란다.
⑤ 徐繼祖는 자신의 출생을 알게 되어 이름을 苏泰로 개명하고 양부와 일당
들을 처형시킨다.

372) 曾代伟 主编, ≪中国法制史≫, 法律出版社, 2001, 192-193쪽 참조.


373) ≪古本小说集成≫534 ≪警世通言≫, 341-418쪽.
- 165 -
이 이야기는 판관 徐繼祖의 특수한 신분으로 줄거리 전개가 우여곡절이 많
다. 그는 사건을 맡은 판관으로서 사건을 심리하고 해결해야 되고, 동시에 그
는 피해자와 가해자의 친족으로 양쪽 모두를 외면할 수 없는 입장을 가지고
있다. 양부가 도적인 것을 알고 나서 그는 사적인 감정을 배려하지 않고, 살인
사건의 전말을 모두 上奏하여 도적 무리를 사형에 처하고 집과 재산을 몰수하
라고 청한다. 도적인 양부가 살려달라고 고함칠 때 판관인 徐繼祖는 오히려
“이 도적놈아, 누가 너의 아들이냐[死强盗, 谁是你的孩兒]?”라고 꾸짖는다. 길러
준 은혜를 부정할 수는 없지만 모든 사람은 법 앞에 평등하므로 양부도 예외
는 아닌 것이다. 그러나 徐繼祖는 정을 끊고 의리를 저버리는 사람은 아니므로
도적의 공범인 姚大에게는 공정하게 법대로 집행하되, 姚大부인은 자신의 유모
였으므로 그 은혜를 잊지는 않았으며, 또 권솔은 벌하지 않는 원칙으로 처벌하
지 않고, 오히려 50냥의 양로금을 주었다. 이 이야기를 통해 徐繼祖는 은혜와
원한을 분명히 하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사건해결 과정 중 판관이 법리를
지키면서도 정리를 감안한 종결을 내리는 것도 볼 수 있다.
公案小說 중 판관이 내린 판결이 당시의 법률조항과 반드시 부합한 것은 아
니다. 소설에서는 서술자의 주관적 의견 및 도덕 기준이 들어 있으므로 법률
조항을 바꿀 힘은 없지만 문학의 방식으로 법리를 변통시킬 수는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창작 과정 중 정리의 요소들을 도입하여 당시 민중들의 감정 및 의
식을 반영하려고 하였다.
전체적으로 公案小說 중 묘사된 판결 결과가 법률조항과 부합된 사건은 대
체로 살인사건 등 중대한 형사사건들이다. 이러한 사건들은 주로 短篇公案小說
專集의 ‘人命’, ‘謀害’類에 수록되어 있다. 이러한 형사사건에 대한 명확한 법률
조항 및 엄격한 심리절차가 있으므로 판관들은 감정을 발휘할 여지가 많지 않
고 법리에 따라 판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公案小說에서 혼인, 토지
등에 관한 민사소송 사건, 특히 재산 분쟁 및 남녀 사이의 치정 사건 등의 판
결은 법률 조항과 부합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봉건 사회의 법률 및 처벌 제도
에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규정이 명확하지 않고 상세하지 않으므로 판관들
이 참고하거나 지키려고 할 의지가 없으면 정리에 따라 판결하는 경우가 많았

- 166 -
다. 또 법은 사람에 의하여 만들어진 것이라 인정과 사리에 어긋나는 부분도
있어 상황에 따라 변통시킬 필요도 있다고 본다. 소설에서의 판관은 허구적 인
물로 법리를 고수하는 것보다 임기응변하는 것이 이미지 형성화하는데 더욱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다.374)
≪明镜公案≫婚姻类 <王御史判奸成婚>375)은 남녀 사이의 간통사건을 다룬
이야기이다. 당시의 법률에 따라 “간통한 자는 각각 곤장 80대”376)라고 규정되
어 있지만, 당사자인 徐守恂이 선처해 달라고 부탁하자 판관 王御史는 응하였
다.
두 사람은 다시없는 천생연분으로 재능과 용모를 다 갖추었소. 예로부터
“군자는 남의 일이 잘 되도록 도와주는 것을 즐거움으로 여긴다.”라는 말이
있듯이 이번에는 편의를 봐주겠소. 법을 변통하여 어찌 남의 좋은 일을 성사
시켜 주지 않겠는가? 둘이 인연을 맺어 혼인하는 것은 나에게도 기쁜 일이
요.377)
옆에 있는 자가 이렇게 판결하면 간통을 금하지 못할 거라는 우려를 표하자
王御史는 또 그것에 대한 반론을 제기한다.
어찌 卓茂의 말씀을 들어보지 못했단 말인가? “법률을 제정할 때는 큰 준
칙에 맞아야 하지만, 예법은 인정에 부합해야 된다.” 그리고 程子도 말씀하였
다. “王道의 근본은 인정에 있다.” 이에 인정에만 부합하면 禮와 道에도 부합
하다. 간통을 어찌 법으로만 판단하겠는가?378)

374) 苗懷明, 앞의 책, 296쪽.


375) ≪古本小说集成≫548 ≪明镜公案≫, 153-166쪽.
376) “通奸者该各杖八十” ≪古本小说集成≫548 ≪明镜公案≫, 164쪽.
377) “姑念汝天生一对, 才貌两全. 古云‘君子乐成人之美’, 當权正好行方便. 吾何惜一屈法, 不以成人美
乎? 可令你结成姻缘, 宜室宜家, 是亦一大方便也.” ≪古本小说集成≫548 ≪明镜公案≫, 164쪽.
378) “岂不闻卓茂云: ‘律设大法, 禮顺人情.’ 又程子云: ‘王道之大本乎人情.’ 则苟顺于情即合禮合道,
何奸於律?” ≪古本小说集成≫548 ≪明镜公案≫, 165쪽.
- 167 -
판관 王御史는 인정을 王道의 근본으로, 즉 법리의 토대는 정리에 있다고 판
단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같은 예로 ≪醒世恒言≫卷8 <乔太守乱點鸳鸯谱>379)에도 세 쌍의 애인을 서
로 바꾸어 짝을 지어주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만약 판관이 법에 의거하여
판결하면 모두 이혼해야 되는데, 판관 乔太守는 부모로서 “자식을 사랑하는 것
은 인지상정.[爱女爱子, 情在理中]”380)이라며 세 쌍의 남녀가 모두 만족해하는
판결을 내려 비극적인 상황을 피한다. 乔太守가 잘못인 줄 알면서도 그대로 밀
고 나간 이유는 정리를 우선적으로 고려했기 때문이다.
간단히 말하면 소위 법리와 정리의 관계는 법리가 정리를 허용하지 않은 것
이 아니라 인정과 事理의 각도에서 착안하여 ‘以理入法’을 추구하는 것이다.381)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折狱을 다루는 중국 公案小说에서는 사건의 판결이
실제 법률조문과 일치하지 않은 부분이 상당하고, 특히 민사사건에서 판관들의
판결은 예상을 벗어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明代의 민사에 관한 법률 체제가
완전하지 않은 이유도 있으나, 사법과 행정을 모두 맡은 지방 관리들의 한계이
기도 하다. 전문적인 법률지식이 부족한데다가 사건을 해결하는데 있어서는 상
당한 자율성을 누리고 있기 때문이다. 법리와 정리는 모두 사람에 의해 만들어
지기 때문에 현실 사회에서는 억울한 사건이나 오심 사건을 피하기는 어려운
면이 있다. 그러나 문학적 시각으로 볼 때 서술자는 이러한 사건들을 통해 민
중들의 현행 법률에 대한 불만 및 내면적 욕구를 드러내고 있다.
2. 부차적인 인물유형
公案小說의 가장 기본적인 2가지 요소는 사건발생과 사건해결이다. 사건발생
은 즉 범죄를 저지르는 과정으로 이 과정에서 피해자와 가해자가 반드시 등장
해야 하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가해자는 그의 동기가 어떻게 되든 간에
379) ≪古本小说集成≫537 ≪醒世恒言≫, 401-467쪽.
380) ≪古本小说集成≫537 ≪醒世恒言≫, 466쪽.
381) 罗先红, ≪宋元公案话本中法官形象的法文化史考察≫, 河北大学 硕士学位论文, 2013年, 36쪽.
- 168 -
징벌 의 대상으로 그의 행위에 대가를 치러야 된다. 公案小說에서는 다양한 사
건을 다루고 있는데 등장하는 피해자와 가해자 또한 각양각색이다. 그들은 모
두 이야기의 전개를 추진시키는 존재로 필요하지만 뚜렷한 개성이 없어 부차
적인 인물로 등장한다. 작품에서 그들에 대한 묘사는 구체적이지 않고, 다만
사건에 종속된 ‘행위군’에 불과하다. 본 절에서는 생계형 피해자와 직업적 가해
자, 그리고 다양한 조력자 등 3가지 방면에서 부차적인 인물들이 公案小說을
전개하는데 있어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1) 생계형 피해자-상인
宋代이래 도시의 규모가 점점 커지고 明清에 이르러서는 도시 경제가 더욱
발전하면서 상업 활동이 나날이 활성화되었다. 이에 농업을 포기하고 상업에
종사하거나 문인에서 상인으로 전환하는 사람들이 많아짐으로 인해 충돌이 격
화되었다. 宋代부터 상인이 문학작품의 묘사 대상이 되기 시작하여 明代의 소
설에서는 상인에 관한 이야기가 흔히 보인다. 그러나 통속소설 속의 상인 이미
지는 대부분 기회를 틈타 사리사욕을 취하거나 음흉하며 교활한 사람으로 그
려진다. ≪金瓶梅≫중 西門慶이 가장 전형적인 상인 이미지이다. 明代 公案小
說 중 상인 이미지는 더 이상 부정적이거나 탐욕적이지 않고 성실하게 신용을
지키고 고통과 괴로움을 참고 견디는 인물로 바뀌었다.382) 그들은 대부분 살해
당하거나 손해를 보는 피해자로 나온다. 밖에 나가 장사하거나 집으로 돌아오
는 도중 지닌 재물을 강탈당하거나 목숨을 잃는 사건이 있고, 밖에 나가 있는
동안 집에 있는 처가 외로움을 견디지 못해 간통하는 사건이 일어나는 경우도
많았다. 이러한 상인과 관련된 사건들은 대체로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의 ‘搶
劫’, ‘謀害’, ‘強盜’, ‘人命’類 등으로 분류되어 있다.

382) 公案小說 중에는 부정적인 商人이미지도 있는데, ≪百家公案≫ 19回<还蒋钦谷捉王虚>, 63


回<判僧行明前世>, 72回<除黄郎兄弟刁恶> 등을 들 수 있다. 이 이야기들 중에는 상인이
동업자에게 행패하며 시장을 독점하고, 심지어 손님을 모해라는 사건도 있다. 錢錦, ≪包
公案小說所展現的晩明市井社會硏究≫, 釜山大學校 博士學位論文, 2007, 63쪽.
- 169 -
<표5-2>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 중 상인 관련 사건
서명 현존 편/횟수 사건상인 관련
편/횟수 백분율
百家公案 100회 23 23%
廉明公案 105편 3 3%
诸司公案 59편 4 7%
新民公案 43회 14 33%
海公案 71회 17 24%
详刑公案 40편 9 23%
律條公案 46편 11 24%
明镜公案 25편 4 16%
详情公案 47편 5 11%
神明公案 12편 2 17%
龙图公案 100편 16 16%
明代 擬話本小說의 대표작인 ‘三言二拍’ 중에도 상인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
여주는 상업문화 등을 적지 않게 서술하고 있다.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은 明
代 초기의 상업경제를 바탕으로 소상인을 다룬 경우가 많았지만, ‘三言二拍’은
주로 明代 중·후기에 번영했던 경제상황 속의 巨商들의 상업 활동이 잘 표현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383) 김민호에 따르면 ‘三言’에 등장하는 상인 형상은
대부분 필연적인 필요에 의해서 상인이란 신분을 부여한 것이 아니었고, 그들
의 신분을 士人이나 다른 신분으로 대체해도 별 상관이 없다고 하였다.384) 그
러나 ‘二拍’은 조금 차이가 보인다. ‘三言’에 비해 상인들의 전문적으로 상업 활
동하는 모습을 많이 그려내고 있어 凌濛初는 시민들의 상업 활동과 그들의 변
화된 경제의식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해당 작품과 편수는 학자마다 다소 차이가 있다. 邵毅平은 ‘二拍’ 중 상인생
383) ‘三言’은 ‘二拍’보다 먼저 출간되었고 주로 宋元代와 明代 초기의 상업 상황을 반영하였다.
王培紅, <≪三言≫≪二拍≫商人形象之比較>, ≪許昌師專學報≫, 2002年第3期, 66쪽.
384) 김민호, ≪中國 話本小說의 變遷 樣相 硏究≫,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242쪽.
- 170 -
활을 언급한 작품은 약 1/3 정도(25-26편)라고 언급하였다.385) 김민호는 ‘二拍’
중 상인이 주요인물인 작품 6편과 부차적 인물인 작품 10편으로 분류하였
다.386) 본 논문에서는 ‘二拍’ 중 상인 관련 公案小說 작품을 6편으로 보고 있다.
① ≪初刻拍案驚奇≫卷10 <韩秀才乘乱聘娇妻 吴太守憐才主姻簿>
② ≪初刻拍案驚奇≫卷19 <李公佐巧解梦中言 谢小娥智擒船上盗>
③ ≪二刻拍案驚奇≫卷10 <赵五虎合计挑家衅 莫大郎立地散神奸>
④ ≪二刻拍案驚奇≫卷21 <许蔡院感梦擒僧 王氏子因风获盜>
⑤ ≪二刻拍案驚奇≫卷25 <徐茶酒乘闹劫新人 郑蕊珠鸣冤完舊案>
⑥ ≪二刻拍案驚奇≫卷28 <程朝奉单遇無头妇 王通判雙雪不明寃>
公案小說 속 일반 사람들이 상업에 종사하게 되는 계기는 대체로 3가지로
볼 수 있다.
① 가족 권유
≪百家公案≫11回 <判石牌以追客布>에서는 부친이 아들을 설득하는 장면
이 있다.
오늘 너를 불러 타이르는 것은 내 말을 잘 따르고 조상이 근면하게 덕을
쌓았고 아비가 각고의 노력으로 집안을 일으켜 세웠음을 항상 기억하라는 것
이다. 부지런하게 일을 이루고 착실하게 뜻을 세워라. 제 집사람에게 연연하
면서 요행만을 바라서는 안 된다. 장사 밑천을 가지고 외지에 나가 장사를 하
면 집안에 재물이 가득 찰 것이다. 그러면 남이 저버리지도 않을 것이고 남에
게 부끄러울 일도 없을 것이니, 그 복을 오래도록 누릴 수 있을 것이다.387)

385) 邵毅平, ≪中國文學中的商人世界≫, 復旦大學出版社, 2016, 294-295쪽.


386) 김민호, 앞의 논문, 附錄 313-319쪽 참조.
387) 안우시 엮음, 고숙희 옮김, ≪백가공안≫, 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31쪽. 원문: “吾今唤汝训
诲, 汝能遵依吾言, 當思祖德之勤劳, 懷念父功之刻苦, 孜孜汲汲以成其事, 兢兢业业以立其志,
勿守株待兔以恋娇妻, 當收赀本往外经营, 则可以盈其赀财, 於身不弃, 於人無愧, 可以长守其富
矣.”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73쪽.
- 171 -
이처럼 부친이 아들에게 동경에 가서 베 장사를 하라고 권유하자 아들은 수
긍하고 장사 길에 오르기로 한다. 그러나 유생이었던 아들은 장사하는 일이 쉽
지 않았고, 심지어 도난까지 당하게 된다.
≪龍圖公案≫卷1 <接迹渡>에서 徐隆은 가정 형편이 빈곤한데도 불구하고,
하는 일 없이 빈둥거리며 게으름만 부린다. 이에 어머니가 꾸짖자 가책을 느껴
친구 馮仁과 함께 장사하러 雲南에 가게 된다.
② 농업의 고충에서 벗어나려는 의도
明代 중·후기에는 토지합병 문제가 심각해 많은 농민들이 농지를 잃게 되어
자급자족 하지 못한 상황에서 상업에 종사하게 되었다. ≪百家公案≫36回 <孫
寬謀殺董順婦>에서 董順은 부친의 권유로 상업에 종사하게 되는데, 직접적인
원인은 농사에 시달려 고생하였기 때문이다.
농사일은 고되니 상업에 종사하는 것은 어떠하냐? 이에 아들 董顺에게 본
전을 주면서 나가서 장사하라고 분부하였다. 董顺은 아버지의 말씀대로 본전
으로 물품을 들여와 河南에 가서 판매하였다.388)
이후 몇 년 사이에 부유해졌지만 董씨 부자는 거기에 그치지 않고 다시 객
잔을 운영하게 된다. 이로서 明代의 일반 백성들도 돈벌이 방식에 정통하기 시
작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 농민들은 생계문제로 상업에 종사하게
된다. ≪龙图公案≫卷3 <阴沟贼> 중 葉廣은 자리를 엮어 팔아 생계를 꾸려가
고, 아내가 부지런히 길쌈을 해도 겨우 생계를 유지할 수 있을 뿐이다.”389) 이
에 가계를 책임지기 위해서 西京에 가서 소규모 장사를 하기 시작한다.
③ 학문을 버리고 상업에 종사[棄儒從商]
유생들도 과거에 급제하지 못하여 상업을 종사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龙
388) “為農之苦, 何如為商之樂? 遂将钱本吩咐與顺出外经商. 董顺依父之言, 将钱典买货物, 前往河
南地方贩卖.”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188쪽.
389) “以织席为生, 妻勤纺绩, 仅可度活.” ≪包公案≫, 앞의 책, 102쪽.
- 172 -
图公案≫卷7 <斗粟三升米>390)에서 유생 梅敬은 거듭 낙제하여 四川 成都에
가서 장사하게 된다. 晚明 시기에는 경제 발전에 따라 상인들의 지위가 점차
높아짐으로 많은 士人들이 상인 대열에 들어서게 되었고, 반대로 일부 상인들
은 신분 상승을 위해 士人 대열에 적극 합류하기도 하였다. 당시 江蘇, 浙江
지역이 특히 ‘士商混杂’하는 현상이 보편적으로 나타났다. ‘士商混杂’ 현상은 이
두 계층의 문화교류를 촉진시켜, 선비들의 가치관이나 문화관이 상인 계층에
전이되었다. 상인은 예전처럼 무시만 당한 계층이 아니었다. 그러나 公案小說
속 대부분의 상인들은 여전히 피해자로 나타난다.
公案小說 속 각양각색의 상인들 중 주목할 만한 점이 하나가 있다. 베 상인
이 많다는 것이다. 短篇公案小說專集에 등장한 상인 중 50% 이상이 베 상인인
것으로 나타난다. ≪百家公案≫11回 <判石牌以追客布>에서 浙江 杭州府에 있
는 柴씨도 아들 보고 베 장사를 하라고 권유한 바가 있고, 46回<斷谋劫布商之
寃> 중 발견된 시체는 비단 상인인 것으로 확인되고, ≪详刑公案≫“谋害类”
<魏恤刑因鸦兒鸣寃>의 马泰는 江寧의 베 상인이고, ≪明镜公案≫ <陈风宪判
谋布客> 중 숲에서 살해를 당한 자는 면포상인이고, ≪龙图公案≫卷1 <夹底
船> 중 徽州商人 寧龙은 종을 데리고 베를 사러 蘇州 가는 도중 죽임을 당한
다. 이러한 상인들의 출생지와 장사하는 장소 또한 한정된 杭州, 蘇州, 江寧과
같은 방직업이 발달한 지역으로 유명하다. 公案小說에 출연한 베 상인은 대부
분 이 지역 출신으로 밝혀져 있다. 역시 현실과 밀착된 公案小說에서는 당시의
경제 분포 상황도 엿볼 수 있다. 같은 맥락으로 ≪新民公案≫卷2 劫盜類 <问
石拿取劫贼>에 나오는 지물상 龚一相도 역시 제지업이 발달한 江西와 관련이
있다.
상인들이 사고를 당하는 유형도 여러 가지가 있다. 상인들은 돈을 가지고 다
니기 때문에 재물을 빼앗기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보통 불운으로 여겨 고
소하지는 않는다. 公案小說에서 가장 흔한 상황은 상인들이 장사를 하러 가는
길에 술에 취해 재물을 약탈당하거나 목숨을 잃는 것이다. ≪百家公案≫ 11回
<判石牌以追客布>와 87回<瓦盆子叫屈之異>, ≪詳刑公案≫搶劫類 <邓县尹判
390) ≪包公案≫, 앞의 책, 191-193쪽.
- 173 -
路傍失布> 등의 이야기에 나타나는 상인은 모두 만취 상태에서 사고를 당한
것이다. 특히 후자는 아주 잔인한 수법으로 살해를 당한 사건이다. 도적인 丁
千, 丁萬은 술에 취해 길가에 자고 있는 李浩의 재물을 약탈할 뿐만 아니라 발
각되지 않기 위해 李浩를 살해하고 시체를 불에 태워 재를 질버치[瓦盆]로 만
든다.
또 하나의 상황은 가는 도중 재물이 드러나 동행자에게 살해를 당하는 유형
이다. ≪廉明公案≫人命类 <黄县主义鸦诉寃>391)에서 山东 행상 张恩은 베 장
사하러 북경에 가는 도중 마부 李立의 말을 대여해 동행하게 되는데 李立은
견물생심하여 张恩을 살해하고 그의 재물을 탈취한다. 비슷한 상황으로 상인들
과 같이 동행하는 하인이 악당과 결탁하여 주인을 살인한 사건도 있다.
그 외에 상인과 아쾌(牙儈)392) 사이의 갈등을 다룬 사건도 있다. 고대에는
교통수단이나 시장 조사 방법 등의 한계가 있어 상인들이 장사하는 과정에서
牙儈와 접촉하는 일이 많았다. 牙儈는 상인 사이에서 흥정을 붙이는 일을 하고
있지만 탐욕이 많아 중간에서 어부지리를 얻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하여 상인
들이 牙儈한데 사기를 당해 본전을 잃거나 손해 보는 경우 관청에 가서 해결
하는 사건들이 자주 발생하였다. ≪廉明公案≫骗害类 <汪侯判经纪>와 <任侯
判经纪>편은 모두 상인이 牙儈를 고발하는 예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야기
를 서술하는데 있어서 상인의 소장, 牙儈의 답변서, 판관의 판결문, 즉 ‘三詞’로
만 구성되어 있는 전형적인 書判體公案小說의 전개 양상으로 상인과 牙儈에
대한 상세한 묘사는 찾을 수 없다. 이야기 속 상인과 牙儈는 그저 하나의 행위
자로 설정되어 줄거리의 부산물로 이야기 전개를 조장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
나 우리는 牙儈의 존재로 당시의 경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계기가 생긴 것
391) ≪古本小說集成≫118 ≪廉明奇判公案傳≫, 70-75쪽.
392) 牙儈, 일명 市侩, 牙人. 물건을 팔고 사는 사람 사이에서 흥정을 붙이는 일을 직업으로 하
는 사람을 일컫는다. 오늘 날의 중개인 역할을 하는 것과 비슷하다. 明中葉 이후는 경제가
반영하여 牙行도 크게 발전한다. 明代 牙行은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정부가 관리하고 경
영하는 ‘官牙’와 개인이 정기 시장에서 여는 ‘私牙’가 있다. 牙行은 흥정을 붙이는 일을 할
뿐만 아니라 물건보관, 차마대여, 숙소제공 등의 항목도 같이 경영한다. 明代의 강소, 절강
지역은 방직업이 발전하여 비단 牙行이 천여 개에 도달하였다. 牙儈들이 경제발전에 중요
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중간에서 부당한 이익을 취하는 경우도 많았다.
- 174 -
이다.
상인들이 사고를 당한 이유에 대해서는 대체로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明代 중·후기에는 사회적 무질서가 심해 도적들이 들끓어 장사 환경이
좋지 않았다. 상인들은 대부분 홀로 장사 길을 떠나 위험한 요소에 노출되기
쉬웠다. 하인을 데리고 장사하는 상인도 있지만 그 하인들마저 악당들과 공모
하여 주인을 살해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둘째, 고대에는 교통수단의 한계로 단지 걷거나 수로를 이용할 수밖에 없었
다. 특히 남쪽 지방에는 수로가 발달하여 대부분 상인들이 배를 타고 밖으로
나가 물품을 해오는 경우가 많아 배에서 발생하는 사건이 제법 있었다. 뱃사공
들이 상인들이 지니고 있는 재물을 탐내 그들이 방비하지 않는 틈을 타 습격
을 감행했다. 이외에 육로도 안전하지 않아 도적들이 홀로 길을 가는 상인들의
재물을 탐내어 목숨을 해치는 사건이 많았다. 이러한 사건에는 상인들의 시신
확인이 어려워 진범을 밝히는데도 쉽지 않았다. 그리하여 피살된 상인들의 원
혼이 사라지지 않고 판관을 찾아 가거나 동물들에게 위탁하여 억울함을 호소
하는 경우가 생겨났다.
셋째, 여정이 아득히 멀고 길어 집에 있는 처가 외로움을 견디기 어려워 간
통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상인들은 한 번 나가면 짧으면 수개월 길면 수년간
돌아오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었다. ≪龙图公案≫卷1 <接迹渡>393)에서 徐隆은
가정 형편이 빈곤하여 雲南에 가서 장사하느라 십여 년간 돌아오지 않는다. 이
처럼 상인들이 장기간 집에 없는 경우 처가 혼자 남아 독수공방하다 자발적으
로 간통을 저지르거나 유혹에 넘어가는 상황이 많다. ≪龙图公案≫卷7 <斗粟
三升米>394)에서 梅敬은 밖에 나가 장사하느라 육년 동안 집에 오지 않았는데,
돌아오는 그날 밤에 처인 姜씨가 집에서 누구에 의해 찔려 죽어 관청에 가게
된다. 사건을 접수한 包公은 梅敬에게 “집에 육년 동안 돌아오지 않는데다가
처의 미모가 빼어나 틀림없이 奸夫가 있었을 것이고, 그가 너의 모살을 획책한
것 같다”395)라고 말한다. 이는 당시의 판관들도 상인들이 집을 비우는 사이에
393) ≪包公案≫, 앞의 책, 51-52쪽.
394) ≪包公案≫, 앞의 책, 191-193쪽.
- 175 -
처가 외도하는 것을 짐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결국은 직접적인 간통은 아
니지만 옆집 康七이 姜씨를 연모하였고, 그녀를 梅敬으로 오인하여 범행을 저
지른 것이 밝혀진다.
실제 公案小說에서 독수공방한 처가 간통에 멈추지 않고 타인과 공모하여
남편을 살해까지 하는 사건은 ‘奸情’, ‘奸淫’類에 많이 수록되어 있다. ≪廉明公
案≫奸情類 <吴县令辨因奸竊银>396)에서 陈德은 가정 형편이 어려워 생계를
도모하기 위해 장사하러 나간다. 陈德의 처인 林三娘은 외로움을 참지 못해 옆
집 张奴와 간통하게 된다. 어느 날 林三娘과 张奴가 정을 나누고 있을 때 陈德
이 갑자기 들어오자 张奴는 방 한쪽에 숨어 있게 된다. 그때 부부의 대화를 듣
고, 집안의 재물을 감춰둔 곳을 알게 되어, 张奴는 나중에 전부 다 훔쳐간다.
陈德이 모든 일들을 알고서 고발하려고 하자 林三娘과 张奴는 악행이 폭로될
까 두려워 흉계를 꾸며 그를 살해하기로 한다. 판관 吴公은 사건이 접수되자
“분명히 奸夫가 있다”397)라고 짐작한다. 간통사건을 자주 접한 판관으로서는
대충 상황만 봐도 누가 범행을 저질렀는지 알 수 있을 만큼 당시 사회 기풍이
악화된 것을 짐작할 수 있다.
擬話本公案小說 ≪喻世明言≫卷18 <杨八老越国奇逢>398)에서는 상인의 고충
에 대해 정곡을 찌르는 古风 한편이 실려 있다.
인생에 가장 힘든 것은 행상이고, 고향을 떠나 처자식과 뿔뿔이 흩어지네.
풍찬노숙(风餐露宿)하며 고생을 하고, 밤낮으로 분주히 지내네.
수로로는 풍파가 평온하지 않고, 육로 또한 편안하지 못하네.399)
이 시를 통해 우리는 당시 상인들의 고충을 뼈저리게 이해할 수 있다.
395) “你出六年不回, 汝妻美貌, 必有奸夫, 想是奸夫起情造意要謀殺汝.” ≪包公案≫, 앞의 책, 192쪽.
396) ≪古本小說集成≫118 ≪廉明奇判公案傳≫, 104-113쪽.
397) “林三娘定有奸夫.” ≪古本小說集成≫118 ≪廉明奇判公案傳≫, 110쪽.
398) ≪古本小說集成≫532 ≪古今小說≫, 661-697쪽.
399) “人生最苦为行商, 抛妻弃子离家乡. 餐风宿水多劳役, 披星戴月时奔忙. 水路风波殊未稳, 陆程鸡
犬驚安寝.” ≪古本小說集成≫532 ≪古今小說≫, 662쪽.
- 176 -
전반적으로 볼 때 상업이 明代 중·후기에 흥성하면서 상인이라는 직업도 함
께 활성화되었다. 상인들의 번화한 겉모습 뒤를 보면 그들이 또한 쓰라린 고통
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에 등장한 상인들은
개개인의 특징은 명확하지 않고, 비교적 모호한 면이 있어 부차적인 인물로 그
려진다. 그들은 다만 사회의 구성원으로 집단적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그들의 행위자체가 독자들의 흥미를 부르는 것이지 그들의 직업이 중요하지는
않은 것이다. 明代 擬話本小說인 ‘三言’에 와서도 작품 속에 등장하는 상인의
모습은 특별한 개성을 지니지 않아 다른 신분으로 대체해도 별 지장이 없는
경우가 많았다. ‘二拍’은 상인들의 전문적인 상업 활동을 묘사하는 작품이 비교
적 많았지만 그들의 이미지는 여전히 두드러지지 않았다. 그러나 주목해야 하
는 것은 公案小說 저자나 편집자들이 그 많은 사회 직업 중 상인이라는 직업
을 택한 것은 분명히 어떠한 의미를 담고 있던 것이 확실하다. 어려운 장사 환
경 속에서 생명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상인 대열에 합류하는 것을 보면 그들
또한 뜻이 있고 어려움을 이겨내려는 의지가 보인다. 그러니 公案小說 뿐만 아
니라 다른 소설에서도 상인 직업에 대한 묘사는 대체로 긍정적이지 않고 구체
적이지도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2) 직업적 가해자
(1)승려와 비구니
宋元시기 불교가 성행하여 승려수가 급증하였는데, 이런 현상은 明代 정권
초기까지 지속되었다. 통치계층의 대대적 제창 아래 불교 사원이 대폭 증가하
는데, 특히 ‘승려들에게 토지를 주는[给田赡僧]’ 정책에 의해 사원들에 승려를
양성하는데 경제적인 조건을 제공하여 사원의 규모가 더욱 확대되었다. 그러나
승려의 소양은 각양각색으로 진정한 수행자도 있지만 나쁜 짓을 하고 징벌을
도피하기 위해 佛門에 들어가는 자도 비일비재하였다. 明末清初에 이르러서는
승려들의 살인, 강간, 절도 사건이 많이 벌어져 심각한 사회문제를 일으켰다.

- 177 -
이런 환경에서 승려들이 자주 부정적인 인물로 통속소설에 출현하여 그들의
추태와 악행들이 민중에게 보여지게 되었다. 온갖 못된 짓만 일삼는 승려들이
公案小說에도 많이 등장하였는데 그들은 왕왕 음란하고 방탕한 이미지로 나타
난다.
明代의 短篇公案小說專集에서는 거의 專集마다 승려의 범죄 사건이 수록되
어 있다.400) 도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표5-3>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 중 승려 범죄 사건
서명 현존 편/횟수 승려편/횟수
범죄 백분율
百家公案 100회 5 5%
廉明公案 105편 12 11%
诸司公案 59편 6 10%
新民公案 43편 5 12%
海公案 71회 7 10%
详刑公案 40편 3 8%
律條公案 46편 4 9%
(淫僧總類)
明镜公案 25편 5 20%
详情公案 47편 7 15%
神明公案 12편 1 8%
龙图公案 100편 6 6%
위 표에서 보듯이 승려의 범죄 사건이 公案小說에서 대체로 많은 비중을 차
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律條公案≫에서는 승려 범죄 사건이 아예
‘淫僧總類’401)로 귀결되어 있다.
400) 尹薇, ≪明代白話短篇公案小說集研究≫, 長春師範學院 碩士學位論文, 2012, 14쪽.
401) ≪古本小說集成≫549 ≪古今律條公案≫淫僧總類: <蔡府尹断和尚奸妇>, <晏代巡梦黄龙盘柱>,
- 178 -
승려들의 범죄 수단은 주로 2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① 여색에 빠져 강간을 하려고 하였으나 성사하지 못해 살인을 저지르는
사건.
이러한 사건에서는 승려들이 강제로 양가 집 여인을 강탈하거나 강간하려다
여인이 반항하자 우발적으로 살인을 저지르는 경우가 많다.
≪廉明公案≫人命類 ≪張縣尹計嚇兇僧≫402)에서 秀才 许献忠은 건너편 집 여
인 萧淑玉과 사랑에 빠져 매일 밤 绣楼에서 밀회한다. 어느 날 许献忠은 술자
리로 인해 약속한 장소로 나가지 못하게 되고 길을 지나던 승려 明修가 우연
히 萧淑玉을 보고 미색에 빠져 음란한 생각을 하게 된다. 淑玉에게 정을 나누
자고 요구하나 거절을 당하자 淑玉을 살해하고 재물까지 강탈한다.
≪详情公案≫人命門 <判僧杀妇>403)에는 승려가 부녀를 강제로 사원에 끌고
가 강간하려다 부녀가 저항하자 승려는 살해하려는 마음을 품는다. ≪龙图公案
≫卷1 <观音菩萨托梦>404)에서도 승려 性慧는 丁日中의 처인 邓씨가 “용모가
빼어나고, 언사가 청아하여”405) 음란한 마음이 생겨 邓씨를 사원까지 속여 데
려와 강간한다. 뒷날 사원에 갇혀 있는 邓씨가 남편인 丁日中의 목소리를 듣고
뛰쳐나와 울면서 하소연하는데, 승려 性慧는 고소가 두려워 丁日中을 살해하려
고 한다. 이러한 사건들에서 승려는 음란의 대명사로 나타난다. 대낮에 강제로
부녀를 사원으로 끌고 가거나 계책을 꾸며 강탈하는 등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음란 행위를 저지른다. 상대 여인은 대부분 양가 집 여인으로 승려의 악
행에 저항하여 살해를 당한다.
② 求嗣하러 사원에 온 여인을 상습적으로 감금하고 강간하는 사건.
<张判府除游僧拐妇>, <曾主事断淫僧拐妇>.
402) ≪古本小說集成≫118 ≪廉明奇判公案傳≫, 7-16쪽.
403) ≪古本小說集成≫548 ≪详情公案≫, 252-262쪽.
404) ≪包公案≫, 앞의 책, 9-12쪽.
405) “容貌华丽, 言词清雅” ≪包公案≫, 위의 책, 9쪽.
- 179 -
사원은 성스러운 곳으로 승려들이 수행하는 장소였으나 불교의 세속화로 인
해 세속인들도 사원에 들어가 기원하거나 자손을 구하는 행위를 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세인과 승려들의 접촉이 빈번해져 사원은 한때 음욕이 범람한 장소
가 되었다. 비록 당시의 법률에 근거하면 부녀가 사원에 가서 분향하는 것은
금지된 사항406)이지만 실제로는 明代에 부녀들이 사원에 가서 분향하고 기원
하는 것은 민간 풍습이 되었다.407) 이에 公案小說에서도 승려들이 사원에서 求
嗣하러 온 여인에게 음란행위를 하는 사건을 많이 다루고 있다.
≪廉明公案≫奸情類 <汪县令烧毁淫寺>408)에서 寶莲寺는 ‘子孙堂’을 설립하
여 求嗣하러 온 세인들은 여기서 분향하고 기원한다. ‘子孙堂’ 안쪽에는 비밀통
로가 설치되어 있어 야간에 승려들은 이 통로를 통해 기원하러 온 부녀들을
상습적으로 강간한다. 이 이야기는 후세에 ≪醒世恒言≫卷39 <汪大尹火焚寶蓮
寺>로 개작되어 더욱 상세하게 서술되어 있다. ≪详情公案≫奸情類 <断和尚奸
妇>409)에서 水雲寺도 ‘求嗣坛会’를 가짜로 설치하고 ‘秃头仙子送子’라는 명목으
로 부녀들을 유인하여 강음한다.
≪龍圖公案≫卷9 <桷上得穴>410)에서 서생 居敬은 사원에 머무르는 동안 우
연히 밀실에 감금된 두 부녀를 만난다. 두 부녀는 모두 승려들로 인해 유괴된
것으로 파악된다.
어느 날 居敬은 발길 닿는 대로 걷다가 승려 悟空의 방에 걸어 들어가게
된다. 바둑을 두는 작고 낮은 소리가 위층에서 들려 곧장 올라가보니 두 여자
가 바둑을 두고 있어, 서로가 의아하였다.411)
406) “若有官及軍民之家, 縱令妻女於寺觀神廟燒香者, 苔四十, 罪坐夫男. 無夫男者, 罪坐本婦.” (清)
薛允升 撰, 懷效鋒·李鳴 點校, ≪唐明律合編≫<明律>卷11 <禮律>, 法律出版社, 1999, 173쪽.
407) 陈寶良, ≪明代社会生活史≫,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04, 507쪽.
408) ≪古本小說集成≫118 ≪廉明奇判公案傳≫, 80-89쪽.
409) ≪古本小說集成≫548 ≪详情公案≫, 95-105쪽.
410) ≪包公案≫, 앞의 책, 256-260쪽.
411) “一日, 信步行到僧悟空房去, 微闻棋声在上, 从暗处寻见有梯, 直上楼去, 见二妇人在楼上着棋, 两
- 180 -
승려들의 비밀이 발각되자 공공연하게 居敬을 살해하기로 하지만 무산되어
또 居敬을 모함한다.
이상의 사건들로 미루어 보면 사원은 이미 집단 음란 장소가 되는 추세인
것을 알 수 있다. 승려들은 한 번 방종한 것에 그치지 않고 집단적, 계획적으
로 부녀들을 유인해 감금이나 강간을 저지른다. 성결한 사원과 자비로운 승려
이미지는 公案小說에서 찾기 힘들고, 오히려 승려의 신분을 이용해 순진하고
경계심이 없는 부녀들을 속이고 살해하는 흉악한 이미지가 명확하게 드러난다.
위 사건들은 모두 남자 승려가 저지른 범죄사건이다. 그러나 公案小說에서
여자 승려, 즉 비구니가 저지른 사건도 적지 않았다. 그녀들은 금욕 생활을 견
디지 못해 직접 속세 남자와 간통을 일으키거나 속세 부녀들이 간통을 저지를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는 불법 비행을 한다. 특히 擬話本公案小說에서 예를
찾을 수 있다.
≪醒世恆言≫卷15 <赫大卿遗恨鸳鸯绦>에서 비구니는 속세 남자와 간통하고,
그 남자가 병으로 죽자 암암리 시신을 매장한다. ≪初刻拍案驚奇≫卷6 <酒下
酒赵尼媪迷花 机中机贾秀才报怨>에서는 비구니 慧澄과 赵尼姑는 남녀 간통의
조력자로 그려져 있다. 서두에 비구니에 대한 논평이 들어 있다.
그나저나 정당한 직업에 종사하지 않는 부녀자들과는 가능한 왕래하지 않
는 것이 좋다. 그들 중에 특히 비구니가 가장 악독하다. 그녀들은 부처님을
빌미삼아 암자에 모여 여자 권솔들을 유인해 와 분향하게 하고, 젊은 남자들
을 유혹해 와 암자에서 서로 놀게 한다.412)
이 논평은 비구니들이 수행에 몰두하지 않고 남녀치정에 힘을 쓰고 있다는
것을 집중적으로 폭로하고 있다.
相怪讶.” ≪包公案≫, 앞의 책, 257쪽.
412) “话说三姑六婆, 最是人家不可與他往来出入.......其间一种最狠的, 又是尼姑. 他借著佛天为由, 庵
院为囤, 可以引得内眷来烧香, 可以引得子弟来游耍.” ≪古本小說集成≫18 ≪拍案驚奇≫,
213-214쪽. 여기서 ‘三姑’는 ‘尼姑’, ‘道姑’, ‘卦姑’를, ‘六婆’는 ‘牙婆’, ‘媒婆’, ‘师婆’, ‘虔婆’, ‘药婆’,
‘稳婆’를 가리킨다. 전체적으로 정당한 직업에 종사하지 않는 부녀자를 말한다.
- 181 -
公案小說에 등장하는 승려 범죄에 관한 이야기는 오랜 제재적 전통을 지니
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를테면 宋元公案话本의 대표작인 ≪簡帖和
尙≫도 못된 승려의 제재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승려 洪씨는 皇甫松의
부인 杨氏의 미색에 빠져 계책을 꾸며 皇甫松으로 하여금 아내를 버리게 하고
뒤에서는 杨氏를 노리고 있다. 2장에서 언급했던 ≪僧尼孽海≫는 오로지 승려
와 비구니의 추악한 비행을 다루고 있는 小說集이다.
사원은 세속과 달리 욕망이 없는 淨土이고, 금욕은 불교에 몸담는 수행자가
행해야 할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이다. 그러나 公案小说에서 승려에 관한 이
야기는 대부분 불교 교의를 위배하거나 파괴하는 내용이다. 사원은 더 이상 사
람들의 마음속의 淨土가 아니고, 승려 또한 계율을 지키는 수행자가 아닌 것으
로 나타난다. 公案小说에서 가끔 부녀를 위해 머리를 기르고 환속하는 승려도
등장하지만 그것 또한 범죄를 저지른 후의 행동이다. 소설에서 승려들의 음란
함과 잔인함을 묘사하는 것은 明代 종교의 세속화 및 당시 문란한 사회 풍조
를 반영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2) 뱃사공과 선원
公案小说에서 또 하나의 직업적 가해자는 바로 당시의 교통 담당자인 뱃사
공과 선원이다.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생계형 피해자인 상인들은 장사하는
도중 살해당하는 사건이 많은데 그 중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가해자
는 뱃사공과 선원이다. 고대에는 수로가 발달하여 배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
되는 교통수단이었다. 특히 남쪽 지방에는 강이나 호수가 많아 대부분 상인들
은 배를 타고 밖으로 나가 물품을 해오기 때문에 배가 범죄의 온상이 되었다.
게다가 강남지역은 林業과 竹葉 자원이 풍부하여 선박업의 발전에 원자재를
제공하였다. 뱃사공과 선원들의 범행은 주로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① 계획적 살인[謀殺]

- 182 -
중국은 자고이래 ‘南船北馬’라는 설이 있는데, 강남지역의 수로망이 조밀하다
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明代의 강남지역의 선운은 경제 발전에 따라 크게 번
성하였고, 이에 따라 뱃사공이라는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도 많아졌다. 그 중에
상당 부분은 농업에 종사하는 농민으로 가혹하고 과중한 조세를 감당할 수 없
어 배에서 생활하고 생계를 유지하게 되었다. 뱃사공은 船夫, 船艄, 舟子, 舟人,
渡夫 등이라고 불리며, 일반적으로 화물형과 승객형 뱃사공으로 나누어진다.
특히 화물형은 화물이 많고 거액을 지닌 상인들이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뱃사
공들이 상인들의 재물을 탐내 그들이 방비하지 않는 틈을 타서 습격을 감행하
는 사건이 종종 발생한다. 승객형은 주로 일반 승객들이 사용하는데 그 중에
재물이 많은 관리들을 노리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사건들이 대부분 短篇公案
小說專集의 ‘劫盜’, ‘謀害’, ‘强盗’類 등에 수록되어 있다.
≪律条公案≫强盗总类 <丁太府断舟人劫财杀命>413)에서 뱃사공은 徐州知府
施廣德의 두터운 주머니를 보고 욕심이 생겨 施廣德을 강물에 빠뜨리고, 그의
하인까지 살해하지만, 施廣德의 처인 王씨는 며느리로 삼으려고 남겨둔다.
≪龍圖公案≫卷1 <葛葉飄來>414)에서 举人 鞠躬은 하인을 데리고 배에 올라
타는데 선원인 葛彩는 그 많은 짐을 보고 재물인 것으로 짐작하여 주인 艾虎
와 계략을 짜기 시작한다.
다음날 鞠躬이 배를 갈아탈 때, 선원 葛彩는 짐을 날라주면서 가죽 상자가
무거운 것을 보고 안에 금은보화가 들어있다고 의심하여 주인 뱃사공 艾虎에
게 고하였다.
“가죽 상자 몇 개가 몹시 무거운데 금은보화가 틀림없는 것 같사옵니다.”
두 사람은 바로 도모하기 시작하였다.
“다른 손님을 태우지 말고, 중도에 진행하도록 하자.”
계략을 짠 후 鞠躬에게 말하였다.
“상공이 조용한 것을 좋아하는 것 같아 잡인이 동승하면 폐를 끼칠까 다른
사람을 태우지 않았사옵니다. 몇 푼을 바랄 뿐이옵니다.”
413) ≪古本小說集成≫549 ≪古今律條公案≫, 112-124쪽.
414) ≪包公案≫, 앞의 책, 38-43쪽.
- 183 -
鞠躬이 대답하였다.
“좋소, 蕪湖에 도착하면 넉넉히 주겠소.”
두 사람은 이 말을 듣고 금은보화가 많다는 것을 더욱 확신하였다.
......(중략)......그날 밤, 葛彩는 배를 외진 구역에 세워놓고 자정 무렵까지 기
다렸다가 艾虎는 鞠躬의 머리를 내려치고, 葛彩는 그의 하인인 贵十八을 베어
죽였다. 두 사람은 모두 비명횡사하여 강물에 던져졌다. 415)
계략을 실천하기 위해여 다른 승객을 태우지 않고 부유해 보이는 승객만 타
게 하고, 배를 외진 곳으로 몰은 후 살인하고 재물을 강탈한다. 일반적으로 뱃
사공 옆에는 선원이 함께 하여 혼자 여정에 오르는 승객을 노린다. 강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는 살인을 저지르고 나서 시신을 강물에 유기하는 경우가 많
았는데 이러한 사건은 수사하기 어려워 판관들이 피해자의 행적과 재물들의
유출 흔적을 따라 진범을 알아내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였다.
② 사통과 간통
상인이나 관리들이 하인을 데리고 여정에 오르는 경우 하인들이 강도들과
사통하여 주인을 모해하는 사건이 종종 발생하는데, 배로 가는 도중 하인과 뱃
사공이 공모하여 주인의 재물을 탈취하고 살해하는 사건도 일어난다. 또한 뱃
사공이 타인의 처와 간통을 저지르는 사건도 간혹 있다. ≪百家公案≫36回
<孫寬謀殺董順婦>에서 뱃사공 孫寬은 상인 董順이 외출하는 틈을 타서 그의
처인 楊씨와 간통하면서 벌어지는 사건을 다루고 있다. 孫寬과 楊씨는 도망갈
약속을 했다가 楊씨가 이를 취소하자 孫寬은 그녀를 살해하여 廢井에 던져 넣
고 재물만 챙겨 달아난다.
415) “次日换船, 水手葛彩搬过行李上船, 见其皮箱甚重, 疑是金银, 乃报與家长艾虎道: ‘幾只皮箱重
得異常, 想是金银, 决非他物.’ 二人乃起谋心, 议道: ‘不可再搭别人, 以便中途行事.’ 计排已定,
乃佯谓躬道: ‘我想相公是读书人, 决然好静, 恐搭做客杂人同船, 打擾不便. 今不搭别人, 但求相
公重赏些船钱.’ 躬道: ‘如此更好, 到蕪湖时多與你些钱就是.’ 二人见说, 愈疑银多.......次晚, 水手
将船艄在僻处, 候至半夜时分, 艾虎执刀向躬头一砍, 葛彩执刀向贵十八头一砍, 主仆二人死于
非命, 丢入江中.” ≪包公案≫, 앞의 책, 38쪽.

- 184 -
③ 범죄자의 뱃사공 사칭[伪装]
뱃사공이 공개적으로 범죄를 저지르는 사건도 많지만 뱃사공으로 위장한 사
람이 재물을 쟁취하고 살인까지 저지르는 사건도 있다. ≪律条公案≫謀害總類
<吴推府断问船户谋客>; ≪詳刑公案≫謀害類 <吳推府斷船戶謀客>; ≪龍圖公案
≫卷1 <夾底船> 등은 같은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뱃사공 單貴와 선원 葉新은
겉으로만 선박 운수하는 척 하고 실제로는 뱃사공으로 위장하여 객상을 모해
하는 것을 생업으로 하고 있다.
苏州府 吴县에 있는 뱃사공인 单贵와 그의 매부인 선원 葉新은 객상을 모
해하는 일을 하고 있었다. 어느 날 徽州 상인 寧龙은 하인 季兴을 데리고 비
단을 구입하러 苏州에 왔다. 천여 량의 화물을 사서 单贵의 배를 대여하여 짐
을 실었다. 寧龙과 季兴 두 사람은 배를 타고 곧장 江西로 향하였다. 5일째
되던 날 章湾에 도착하여 잠깐 휴식을 취하게 되었다. 그날 밤, 单贵는 술과
고기를 사서 먹다가, 寧龙 과 季兴 두 사람에게 지극히 술을 권해 취하게 만
들었다. 二更무렵까지 기다려 인적이 끊어지자 单贵와 葉新은 배를 강 가운데
로 몰고 가서 寧龙과 季兴을 강물에 버려버렸다.416)
일반적으로 상인들은 중간상인 아쾌(牙儈)를 통해 배를 대여하게 되지만, 소
상인들은 비용문제로 스스로 배를 대여하고 올라타는 경우가 많다. 뱃사공으로
위장한 자는 이러한 소상인의 승객들만 노려 억지로 술을 먹이고 취하게 한
후 살해하고 재물을 쟁취한다.
이상의 사건들로 미루어 보면 뱃사공과 선원들은 대부분 승객들의 주머니와
짐이 노출되자 견물생심으로 범죄를 저지른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들의 외모와
심리에 대한 묘사는 구체적이지 않고 그저 한 종류의 가해자로 설정되어 있음
416) “苏州府吴县船户单贵, 水手葉新, 即贵之妹夫, 专谋商客, 至于起家. 適有徽州商人寧龙, 带仆季
兴, 来苏买缎绢, 千有余金, 雇单贵船只, 搬货上船. 主仆二人, 次日登一舟开江, 径往江西而去.
五日至章湾, 稍船. 是夜, 单贵买酒买肉, 四人盘桓而饮, 極情劝得寧龙主仆尽醉终止. 候至二更
人静, 单贵, 葉新将船抽绑, 潜出江心深处, 将主仆二人丢入水中.” ≪古本小說集成≫119 ≪國
朝名公神斷詳刑公案≫, 39쪽.
- 185 -
을 알 수 있다.
종합적으로 승려이든 뱃사공이든 모두 민중들의 일상생활과 직접적인 연관
이 있는 직업인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부차적인 인물 설정은 그들의 구체적
인 성격과 심리보다는 그 직업군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더욱 중요시한다. 작중
인물로 나타날 때 그들의 이름417)은 간단하고 심지어 姓만 있거나 ‘僧人’, ‘尼
姑’, ‘水手’라는 직업명만 제시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그들이 저지르는 범행
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지면을 많이 차지하고 있다.
3) 다양한 조력자
조력자란 한마디로 옆에서 힘을 써 도와주는 사람을 뜻한다. 小說에서는 주
인공에게 조언을 해주거나 필요한 때 힘을 써 도와주는 등장인물이 이에 포함
된다. 公案小說에서의 조력자는 어떤 사건에 있어서 결정적 도움을 주는 사람
을 가리킨다. 이러한 인물들은 핵심인물을 도와주는 존재로 출현하지만 이야기
를 전개하는데 있어서는 추진하는 역할을 확실히 하고 있다. 그들이 도운 상대
는 판관, 피해자, 가해자 모두 해당한다. 예를 들면 하인들은 상해를 입은 주
인, 즉 피해가의 조력자가 될 수 있지만 반대로 가해자에게 도움을 줄 수도 있
다. 사람이 베풀어 준 은혜를 알고 그 은혜를 갚는[知恩圖報] 동물들은 피해자
의 조력자이자 판관의 사건해결을 도운 조력자이기도 한다. 그리고 관아의 심
부름꾼들은 판관에게는 아주 유력한 조력자임을 알 수 있다. 본 절에서는 明代
公案小说에 등장하는 다양한 조력자들을 살피고자 한다.
(1) 하인
公案小說에서 하인은 조력자 역할로 자주 등장한다. 하인은 봉건사회에서 관
료집안이나 權門勢家에서 심부름이나 자질구레한 일을 맡아서 하는 사람을 총
칭한다. 봉건 계급사회의 불평등을 상징하던 것으로, 주인의 명령에 따라 일을
417) 丁千, 丁萬, 王九 등 숫자가 들어 있는 이름이 비교적 많다.
- 186 -
하기 때문에 아랫사람[下人]이라는 뜻에서 下人이라고 불렀다. 公案小說에서도
하인이 제법 등장하는데, 여자 하인은 대체로 侍女, 女仆로, 남자 하인은 仆,
仆人으로 등장한다. 그들은 대부분 책임과 의무를 다해 주인을 모시고, 주인이
곤경에 빠질 때는 구하기도 한다.
≪百家公案≫62回 <汴京判就臙脂記>에는 미혼 남녀 郭華와 月英의 밀회 이
야기를 다루고 있는데, 여기에서 梅香은 月英의 시녀로 郭華와 만나게 하는 매
개이다.
梅香이 月英에게 말하였다.
“아씨 걱정 마십시오! 제가 모처럼 郭秀才를 만나러 가겠사옵니다. 아씨의
마음을 전하고 서로의 의혹을 풀어드리겠사옵니다.”......(중략)......
이튿날 梅香은 또 郭華를 만나러 갔다. 郭華는 月英이 약속을 어긴 것을 원
망하였다. ......(중략)..... 郭華는 서신을 한 편 써서 梅香으로 하여금 月英에게
전하게 하였다. 梅香은 서신을 받고 돌아와서 月英에게 전하였다.......(중략)......
月英은 화답시를 한 수 써서 梅香보고 郭華에게 전해달라고 하였다. 그들은
대보름날 밤에 相國寺에서 만나기로 약속하였다.418)
梅香은 또한 月英과 郭華의 밀회를 숨겨주는 조력자이다. 두 남녀의 사랑의
증표인 꽃신이 발각되어 月英이 당황하자 모친이 딸의 행동을 수상하게 여겨
시녀 梅香을 추궁하는 장면이 나온다.
月英이 놀라서 감히 응답을 못하자 모친은 梅香을 문책하였다. 梅香은 어쩔
수 없이 답하였다.
“지난밤에 아씨랑 相國寺에 등불놀이 구경을 갔는데, 뜻하지 않게 꽃신을
잃어버렸사옵니다. 오늘 어느 행상이 주워가지고 팔러 와서 제가 그것을 알아
보았고, 다시 아씨가 그것을 물어보고 산 것이옵니다.”419)
418) “梅香云: ‘姐姐休忧, 吾特往见郭秀才, 通知姐姐之意, 彼疑便释.’......次日, 梅香又来见华, 华以
失约怪之......因写书一封, 付梅香回达月英. 梅香接书回见月英......複和诗一首, 與梅香送来见华,
约以正月十五夜相会于相国寺.”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358-360쪽.
419) “月英驚不敢應. 母責及梅香, 梅香只得說: “昨夜同姐姐往相國寺看上元玩燈, 不想姐姐失落一綉
- 187 -
임 기응변에 능한 시녀 梅香이 잘 둘러대어 月英은 그저 모친의 질책만 받았
다. 이에 하인들은 사건 진행에 따라 분위기에 생기를 불어넣는 역할을 하기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작품에서 梅香의 등장은 아무런 서막도 없이 나
타났다. 서술자는 모든 독자가 다 알고 있는 것처럼 梅香을 출현시켰다.
≪新民公案≫卷4 奸淫類 <净寺救秀才>에서도 徐富라는 하인이 등장하는데,
음란한 승려들이 주인 徐俊 부부를 감금하고 있을 때 徐富가 자신의 안위를
생각지 않고 郭公에게 소장을 올려 주인 부부를 구하는 장면이 나온다.
그러나 하인이 무조건 주인에게 도움만을 주는 조력자가 아닌 것을 알아야
된다. 앞에서 언급한 ≪百家公案≫52回 <重义气代友伸寃> 중의 하인 汪吉처럼
안방마님과 간통하여 흉계를 꾸며 주인을 살해하는 이야기도 비일비재하다. 그
리고 주인을 따라 외출하는 도중 타인과 공모해 주인을 모해하여 재물까지 강
탈해 가해자의 조력자가 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 하인들의 외모, 성격이나 심
리에 대한 묘사는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公案小說에 등장하는 하인들이
사건발생과 사건해결에 영향을 주는 것은 확실한데 이미지 묘사가 구체화되지
못한 이유는 신분적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 점에서 비롯된 것이 아닐까 싶다.

(2) 관아의 심부름꾼


판관들의 조력자는 주로 관아의 하급 관리 및 심부름꾼이다. 그들은 官
差420), 衙役, 差役, 門子, 皂隷라고 부르며, 관청의 공무를 수행하는 사람을 일
컫는다. 판관에게 사건이 접수되면 인증·물증을 수집하기 위해 관아의 심부름
꾼을 파견하는 경우가 많고, 특히 살인 사건 같은 형사사건에서는 도주하는 범
죄 용의자를 수소문하여 조사하거나 검거하는 임무, 고문과 형벌을 실행하는
일도 맡게 된다. 그러므로 그들은 사건을 해결하는데 있어 아주 중요한 역할을
鞋. 今被貨郞撿得來賣, 梅香認得, 故姐姐復問買之.”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
案≫, 362쪽.
420) ‘官差’란 주로 3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① 관청으로부터 의무적으로 할당된 일, ② 관청
의 하급 관리 및 심부름꾼, ② 관청에서 맡고 있는 직무 등이다.
- 188 -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短篇公案小說專集에는 사건발생에 중점을
두고 서술하는 작품이 많아 관아의 심부름꾼에 대한 묘사는 간단히 언급만 하
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다. 이름조차 없이 그저 ‘官差’, ‘差役’을 보냈다고만 되
어 있다. 예를 들면 ≪律條公案≫ <许典史断妇人偷鸡>에서 판관 許公은 욕설
을 듣고 ‘皂隷’에게 상황을 물어보는 장면이 나오며, 닭을 훔친 부녀를 감별하
기 위해서 ‘門子’로 하여금 볏짚을 가져오게 하고, 진범을 알아낸 후에는 ‘皂隷’
두 명을 보내 贓物을 수색하고 그녀의 남편까지 검거하게 한다. 이 이야기에는
관아의 심부름꾼이 세 번이나 나왔지만 이름조차 밝히지 않고 그들의 수행하
는 임무만 순차대로 서술하였다. 그러나 그들이 없었다면 許公은 진범을 감별
하는 좋은 방법이 있었더라도 그 방법을 실행하기가 어려워 반드시 조력자의
도움이 필요해 보인다. 이로써 우리는 관아의 심부름꾼들의 확실한 역할 분담
을 알 수 있다.
관아의 심부름꾼의 역할에 대한 비교적 긴 이야기도 있다. ≪海公案≫66回
<判狐疑杀妻>에서는 蒋应世가 아내를 의심하여 분노 끝에 찔러 죽인 사건을
다루고 있다. 이 사건은 이웃에 의해 고발된 살인사건이다. 蒋应世가 아내를
살해하고 도망치자 海公은 바로 관아의 심부름꾼을 보내 수색하여 검거하라고
한다. 다른 이야기에서 관아의 심부름꾼들은 그저 ‘公差’라고 개괄적으로 밝히
지만 이 이야기에는 韩福, 高迁이라는 이름까지 나와 그들의 수색활동에 대해
서도 상세히 묘사되어 있다.
海公은 관아의 심부름꾼 韩福, 高迁을 보내 관문 쪽에 가서 应世를 검거하
라고 명하였다. 두 사람은 명령을 받들고 나가 수일이 걸려 관문에 도착하지
만 应世의 행적을 찾지 못하고 날이 어두워져 谢三의 객잔에서 쉬게 되었다.
두 사람은 저녁을 먹고 객잔 앞에서 시원한 바람을 쏘이며 쉬다가 다른 객잔
에서 어떤 머리를 풀어헤쳐 산발한 부녀가 들락날락하고 있는 것을 보았다.
韩福, 高迁이 그쪽으로 가보니 应世가 그 객잔에 머물며 음주하고 있는 것을
목격하였다. 韩福이 가까이 가서 물었다.
“나리, 아내분이랑 어디를 가사옵니까?”
应世가 대답하였다.

- 189 -
“나 혼자 왔거늘, 아내가 어디 있다는 말인가?”
高迁이 말하였다.
“아내가 아니면 당신의 원혼인가 보옵니다!”
应世는 대답하였다.
“나한테 원혼이 어디 있다는 말인가? 헛소리 그만 해라!”
应世는 말은 이렇게 했지만 실제 마음은 놀라고 두려워하였다. 韩福이 밧줄
을 꺼내 그를 묶으면서 말했다.
“당신이 처를 죽이고 도망치자 지방에서 소장을 올려 왔소이다. 海公은 우
리 둘을 보내 당신을 추적 조사하게 하였소. 여기에서 당신의 처가 산발머리
를 하고 들락날락하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되어 당신이 여기에 있는 것을 알게
되었소. 감히 내가 헛소리를 한다는 말이오?”
진상 앞에서 应世는 더 이상 발뺌을 할 수가 없었고, 질겁하여 얼굴색이 핏
기가 없었다. 이튿날 韩福, 高迁 두 사람은 재빨리 应世를 海公에게 호송하였
다. 421)
이 이야기에서는 관아의 심부름꾼 韩福, 高迁의 임무수행 과정을 서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들과 범인의 대화까지 생동감있게 그려내고 있다.
앞에서 언급하였던 ≪龍圖公案≫卷8 <牌下土地>422)에서도 包公이 王씨 형
제가 银两을 절도당한 사건을 해결할 때 陳青이라는 심부름꾼을 파견하여 ‘五
里牌’를 쫓아 체포해 오라고 명하는 장면이 나온다. 그런데 ‘五里牌’는 사람이
아닌 하나의 장소일 뿐, 말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陳青으로 하여금
갈피를 잡을 수 없게 한다. 결국 어쩔 수 없이 陳青은 ‘五里牌’에 분향하고 토
지신에게 도움을 청해 사건의 경위를 알게 되고 包公에게 보고한다.
421) “海公即命公差韩福, 高迁二人, 往关处缉拿. 二人领命行了数日, 出了关外, 幷不见踪, 至晚歇宿
谢三店. 二人食了晚饭, 在店前行耍乘凉, 却见第三家店有一妇人, 散发走出, 複入. 韩福, 高迁
往来看之, 见应世在彼店歇, 正在饮酒. 韩福近前曰: “蒋二官, 你同小娘来, 要往那里?” 应世答
曰: “我止自来, 病(幷)無妻子矣.” 高迁曰: “不是你妻子, 是你的冤魂来矣.” 应世曰: “我無甚冤
魂, 你等休胡说.” 言虽如此, 心下实是驚恐. 韩福取出绳子, 将应世扣住, 曰: “你杀妻子逃走出
来, 地方具呈, 海爷差我二人来拿你跟究, 到此见伊妻子, 散发走出店门, 複入. 我等方知在此店
来拿你, 尚敢说我胡说.” 说出真情, 应世遂不能抵对, 驚吓得面如黄蜡. 次日, 韩福, 高迁二人,
速忙将应世带回府见海公.” ≪古本小說集成≫392 ≪海剛峰先生居官公案≫, 331-332쪽.
422) ≪包公案≫, 앞의 책, 217-218쪽.
- 190 -
이런 것으로 미루어 볼 때 관아의 심부름꾼은 사건을 해결하는데 있어 그들
의 필요성은 확실하다. 그러나 그들의 이미지보다는 행위 자체를 더욱 중요시
하고, 판관을 도와주는 존재로 드러내고 있다.
(3) 동물들
公案小說에서 또 자주 등장하는 조력자는 바로 다양한 동물들이다. 동물들은
주인공 역할은 아니지만 사건발생과 사건해결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소설에 나타나는 동물들의 사람에게 은혜를 갚는 행동이나 성격은 현실사회의
인간과 선명한 대비를 이룬다. 서술자는 이 동물들에게 적극적인 의미를 부여
하여 인간 세계의 복잡함과 인간의 선악을 부각시키고 있다.
앞에서 판관들이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을 서술할 때 동물들의 안내를 받고
단서를 찾는 방식에 대해 언급한 바가 있다. 明代 公案小说 속에는 동물들이
사람의 도움을 받고 살아나 사후에 보답하는 이야기를 많이 다루고 있다. 보답
하는 방식은 주로 판관을 찾아가 억울함을 하소연하여 은인의 시신을 찾게 하
는 것으로, 사건 심리 과정 중 그들을 나타냄으로 인해 판관에게 깨우침을 주
는 것이다.
판관들은 나타나는 동물의 字音과 字形에 근거하여 진범을 추리하고 판단한
다. 이를테면 ‘蜘蛛’에서 ‘朱’, ‘猿’에서 ‘袁’, ‘獐’에서 ‘张’, ‘烏鴉’에서 ‘烏’, ‘兔’에서
‘寃’을 유추해낸 것이다.423)
≪龍圖公案≫卷10 <蜘蛛食卷>에서는 包公이 밤에 거미[蜘蛛]에게 단서를 얻
어 사건을 해결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包公은 밤에 사건문서를 보다가 들
보 위에서 떨어진 거미를 보고 계시를 받아 진범의 姓과 직업까지 알아낸다.
包公은 거미[蜘蛛]가 문건을 먹는 것을 의식하고 분명히 朱씨가 살인을 하
였다고 짐작한다.......(중략)......그러나 朱씨란 성을 가진 사람은 없고 蕭升이라
는 사람만 있다. ‘거미[蜘蛛]’는 일명 蛸蛛로 불리는데 설마 萧升이 범인이란
423) 吳曉麗, <从寓意角度解读中·韩公案小说中的动物形象>, ≪中國語文論叢≫제66집, 321쪽.
- 191 -
말인가?
包公이 다시 물었다.
“萧升은 무슨 일을 하는가?”
鳴華가 대답하였다.
“돼지[豬] 도살하는 일을 하옵니다.”
包公은 내심 기뻐하며 말하였다.
“豬와 朱는 同音이므로 이 사람이 틀림없도다.”424)
包公은 “蜘蛛 → 蛸蛛 → 萧升 → 宰猪” 이러한 단서로 萧升이라는 백정을
지목하게 된다. 이것은 전형적인 神判방식으로 신적인 색채가 진하다.425) 유사
한 제재로 ≪龍圖公案≫卷5 <窗外黑猿>426)중 包公은 창밖에 있는 원숭이[猿
猴]를 보고 성이 袁씨인 하인이 범죄를 저지른 것을 추측하게 된다. 이런 유형
의 사건들은 모두 판관이 사건에 대한 해법을 찾지 못하는 상황에서 동물들이
나타나 단서를 알려주거나 계시를 준 것이다. 이외에 판관들이 길을 지나가다
울고 있는 새를 보고 억울한 자가 있다고 판단하여 거꾸로 사건을 추적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에 등장하는 새는 까마귀가 대부분이다. ≪海公案≫56
回 <乌鸦鸣寃>과 ≪新民公案≫卷2 謀害類 <断拿乌七偿命>은 유사한 이야기
를 다루고 있는데 판관만 바뀌었다. 날아다니는 7마리의 까마귀를 보고 판관은
불길한 조짐을 느껴 추적하기 시작한다. 중국에서 까마귀는 자고이래 불길한
동물로 죽음과 전쟁의 상징으로 본다. 판관들에게 시체를 은닉한 장소를 안내
해주는 것은 보응에 의한 행동일 수도 있지만 까마귀 자체가 시체를 찾아내는
특성에서 비롯된 것일 수도 있다.
위 동물들은 대체로 우연히 나타나는 경우이고, 결초보은하는 동물들이 살려
준 자가 죽고 나서는 자발적으로 판관에 찾아가 망자를 대신해 억울함을 호소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동물들은 피해자의 조력자로 등장한다.
424) “包公心疑蜘蛛食卷之事, 意必有姓朱者杀之, ......皆無姓朱者, 只內一人名蕭升. 包公心疑蜘蛛一
名蛸蛛, 莫非就是此人? 再问道: ‘萧升作何生理?’ 答言: ‘宰猪.’ 包公心喜道: 豬與朱音相同, 是
此人必矣.” ≪包公案≫, 앞의 책, 272-273쪽.
425) 吳曉麗, <从寓意角度解读中·韩公案小说中的动物形象>, 323쪽 참조.
426) ≪包公案≫, 앞의 책, 131-1333쪽.
- 192 -
≪海公案≫57回 <黃莺诉寃报恩>427)에서 선량한 童施恩은 장사하는 도중 사
냥꾼에게 잡혀 있는 꾀꼬리[黄莺]를 사서 방생한다. 이때 가마꾼이 童施恩의
주머니를 보고 욕심이 생겨 그를 살해하고 시신을 묻어버린다. 그러자 꾀꼬리
들이 海公을 찾아 하소연하듯이 울자 海公은 관아의 심부름꾼으로 하여금 꾀
꼬리를 따라 가게 하여 童施恩의 시신을 발견한다. ≪新民公案≫卷3 伸寃篇
<水蛙为人鸣寃>428)에서는 천성이 착한 涂隆이 개구리를 사서 방생하는데 이
때 개구리를 파는 사람들의 견물생심으로 인해 涂隆은 모해를 당해 산속으로
유기된다. 지나가는 郭公이 개구리들의 우는 소리를 듣고 이상히 여겨 사건을
접하게 된다. 이 개구리들은 郭公에게 하소연할 뿐만 아니라 흙을 파내어 은인
을 구하기까지 한다. 유사한 제재로 원숭이, 거북이 등의 동물들이 보은하는
이야기도 있다.
≪新民公案≫卷2 謀害類 <猿猴代主伸寃>에서는 원숭이가 주인의 살해당한
장면을 보고 郭公에게 찾아가 고소를 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동물들은 말을
할 수가 없어 동작이나 울음소리로 판관에게 사연을 알리는 방식을 취하는 경
우가 많다.
원숭이는 나무 위에서 郭公을 보자 바로 뛰어내려 가마를 잡고 울부짖었다.
郭公은 원숭이를 데리고 역참에 들어가 안정시켰다. 원숭이는 무릎을 꿇고 비
통하게 눈물을 흘리는 것이 마치 고소하는 듯하였다. 郭公이 물었다.
“억울한 것이 있느냐?”
원숭이가 머리를 끄덕이자 郭公이 또 말하였다.
“어떤 억울함이 있느냐? 아역을 보낼 테니 가서 찾아 오거라.”
원숭이는 즉각 앞장서 인도하였다.429)
동물들이 사람에게서 은혜를 입으면 반드시 보답한다는 ‘동물보은담’은 公案
427) ≪古本小說集成≫392 ≪海剛峰先生居官公案≫, 276-280쪽.
428) ≪古本小說集成≫393 ≪郭靑螺六省聽訟錄新民公案≫, 314-320쪽.
429) “大猴在树上见郭爷轿到, 即跳下树, 攀住轿杠叫號不已. 郭爷带猴入驿中坐定, 只见猴跪在案前,
悲號垂淚, 若似告状形像. 郭爷曰: ‘爾有寃来告乎?’ 猴即點头. ‘爾有寃在何处? 我差皂隸與你拿
来.’ 猴即踊跃前导.” ≪古本小說集成≫393 ≪郭靑螺六省聽訟錄新民公案≫, 162-163쪽.
- 193 -
小說에서도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잔혹한 현실세계에서 물욕
에 눈먼 사람은 동물보다도 못하다는 것을 풍자하려는 저자의 의도가 잘 드러
나 있다.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에서 자주 등장하는 동물들은 주로 두 가지의 敍事的
기능을 적용하고 있다. 하나는 이상적인 판관 이미지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서
이고, 또 하나는 이 동물들에게 寓意를 부여하여 인간사회의 선악과 세태를 폭
로하기 위해서이다.
또 어느 날 포증은 한가하게 앉아 있다 갑자기 까치가 떠들썩하게 날아다
니며 입에는 종이돈을 물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까치는 그 종이돈을 계
단 앞에 내려놓고 애절한 울음소리를 그치지 않았다. 포증은 이상하다고 느꼈
고 분명히 억울한 일이 있다고 생각했다.430) (≪百家公案≫35回 <鹊鸟亦知诉
其寃>)
이 이야기는 사람에 의해 묶여있는 새끼 까치 때문에 까치가 包公을 찾아가
호소하는 장면을 다루고 있다. 일반인들은 그냥 보고 지나갈 수 있는 상황이지
만 눈이 예리하여 세세한 것도 놓치지 않는 包公은 날짐승의 울음소리에 억울
함이 있음을 느낀다. 이에 말미에는 “包公의 음덕은 날짐승까지 미치는데 하물
며 사람은 오죽했으랴?”431)라고 칭송하였다.
陈炳熙에 따르면 “동물들을 빌려 사회상을 역으로 부각시켜야 강한 부정의
힘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소위 ‘금수보다 못하다’는 말은 자고이래 不義者를 폄
하하는 것으로, 예술적 수법을 통해 서술자는 겉으로는 인간성이 있는 동물을
칭찬하는 것 같지만 내심은 역으로 동물보다 못하는 인간을 악담을 하는 것이
다.”432)라고 하였다. 특히 ≪新民公案≫卷2 謀害類 <猿猴代主伸寃> 이야기 말
미에 나오는 판관의 판결문이 한 마디로 핵심을 찌른다.
430) “又一日, 拯闲坐, 忽见鹊鸟又喧呼飞来, 口衔钱纸, 放下阶前, 哀鸣不已. 拯甚怪之, 思之良久,
忖道: ‘此必有寃枉事.’”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186-187쪽.
431) “此见包公阴德及乎鸟鹊, 而况於人耶?”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188쪽.
432) 陈炳熙, <论古代文言小说中的动物形象>, ≪东岳论丛≫, 1989年第6期, 90쪽.
- 194 -
“말은 고삐를 떨어뜨려 주인을 구해주고, 개는 자기 몸에 물을 묻혀와 풀을
적셔 주인을 구조하여 은혜를 갚을 줄 알고, 새끼 양은 어미를 위해 무릎을
꿇고 젖을 빨고, 까마귀는 어미에게 返哺하며 길러 준 은혜에 보답할 줄 아는
데, 사람은 어찌 금수보다 못하단 말인가?”433)
이 판결문은 동물들은 은혜를 알고 보답하려 하나 사람은 재물을 탐하며 흉
포하고 잔인하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동물보은담’은 고전 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티프로 서술자는 동물들의 주인을 구해주거나 은인의 원수를 갚고
원한을 풀어주는 행위 묘사를 통해 사람들의 선행을 칭송하는 동시에 가해자
들의 不義한 행위에 대한 반항의식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한편, 明代 公案小说에서 자주 등장하는 동물들은 거미, 원숭이, 쥐, 개구리,
까치와 까마귀 등이 있는데, 서술자의 이러한 설정 또한 마구잡이로 하는 것은
아니다. 이 동물들은 사람의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것으로 거미는
야간에 출몰하는 동물로 包公이 밤에 사건 문서를 검열할 때 등장시켜 실마리
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고, 원숭이는 인류의 始祖로 사람과 비슷한 이미지
를 가지고 있고 감정표현 또한 유사하여, 그들은 직접 판관에게 찾아가 호소하
거나 순장하는 장면을 보여주기도 한다. 쥐는 사람에게 골칫거리로 식량을 훔
치고 질병을 전염시키는 주범으로 주목되어 소설에서도 항상 부정적 이미지로
등장하고 있다. ≪龍圖公案≫卷6 ≪玉面貓≫434)에서는 다섯 마리 쥐가 요괴 이
미지로 설정되어 온갖 못된 짓만 일삼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들은 심지어 仁
宗, 國母, 丞相, 包公으로 변신하여 사람을 고혹시킨다. 이러한 설정을 통해 통
치계층에 대한 풍자와 봉건제도에 대한 반항을 드러내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동물우화로 직접적인 억압을 피하려는 의도도 보인다.
禽類로는 까치나 까마귀가 자주 등장하는데 까치는 길한 징조인 반면 까마
귀는 흉조를 예감하는 역할로 설정된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금류들의 털색
433) “垂缰湿草, 犬马尚能恋主; 跪乳返哺, 鸦羊亦全孝恩. 谢能可以人而不如禽兽乎?” ≪古本小說集
成≫393 ≪郭靑螺六省聽訟錄新民公案≫, 168쪽.
434) 이 이야기는 ≪百家公案≫58回 <决戮五鼠闹东京>을 취한 것으로 파악된다.
- 195 -
이나 식성과 무관하지는 않다고 생각된다. 公案小说에서 까마귀만 등장하면 왕
왕 살인사건이나 상서롭지 않는 일이 일어난다. 판관들 또한 까마귀만 보면 불
길한 징조를 느껴 친히 따라가거나 아역을 보내 진상을 알아보게 한다. 그들이
직접 판관을 인도하지 않아도 등장 자체로 소설의 분위기를 다지는 역할을 하
고 있다.435)
그러나 敍事 과정 중 이러한 동물들에 대한 세부 묘사는 극히 간단하다. 그
들의 행위만을 중시하고 그 행위를 통해 독자들의 흥미를 부르고 있다. 그러
나 주목해야 하는 것은 이 동물들의 설정은 사건해결을 인도하고 독자들의 흥
미를 일으키기는 하였으나 판관들의 이미지를 손상시킬 수도 있다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판관이 자기의 기지나 능력으로도 사건을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구조상 억지로 동물을 첨가하여 사족을 붙이는 느낌을 주
기도 한다. 이러한 敍事는 오히려 판관들의 현명한 이미지를 해치는 것이 아닌
가 싶다.436)
종합해보면, 조력자들의 성격 및 심리 묘사는 충분히 세부적이지 못하고 단
편적인 경향을 보인다. 가끔 스토리 전개에 따라 이들은 公案이라는 주제에서
비롯되는 상황에 생동감을 주는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행위자의
색채가 진해 존재하는 의미 또한 행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公案小說에
서 등장하는 조력자들은 敍事的 측면에서는 줄거리를 추진하는 기구로, 거의
소외되어 있는 계층이라고 할 수 있다.

435) 吳曉麗, <从寓意角度解读中·韩公案小说中的动物形象>, 335쪽 참조.


436) 吳曉麗, 위의 논문, 339쪽 참조.
- 196 -
Ⅵ. 明代公案小说의 傳播와 影響
公案小說은 宋元의 성숙시기를 거쳐 明代에 이르러 최고의 융성기를 맞이하
게 되고 清代에 가서는 또 새로운 형태로 이어진다. 그 후 전환기에 들어서면
서 서양 문학이 중국에 유입되어 중국 고전문학의 작품 세계는 형식면에서나
내용면에서 커다란 변화를 겪게 되고, 公案小說도 그 폭풍을 피하지 못하였다.
본 장에서는 明代公案小说의 中國 국내에서의 傳播와 影響에 대해 고찰해보고,
한국으로의 전파 및 유사한 장르인 한국 訟事小說과의 比較도 함께 해보고자
한다.
1. 中國에서의 傳播
1) 明清시기의 영향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 가운데 특히 ≪百家公案≫은 包公을 중심인물로 삼
고 있는 가장 먼저 출현한 첫 번째 短篇公案小說集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
고 있다. ≪百家公案≫은 후세에 나타난 다른 短篇公案小說專集뿐만 아니라 明
清传奇에도 영향을 끼쳤는데,437) 도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표6-1> ≪百家公案≫이 明清传奇에 미친 영향
≪百家公案≫ 明·清传奇 비고
≪金鲤鱼迷人之異≫에서는
碧油潭에 있는 金鲤가 수재
44回≪金鲤鱼迷人之異≫⟶(明)≪鱼篮记≫ 刘真을 유혹하고, ≪鱼篮记
≫에서는 玉皇殿 앞 瑶池에
있는 金线鲤가 속세에 내려
437) 陳濤, ≪包公戲研究≫, 曲阜師範大學 博士學位論文, 2009, 136-138쪽 참조.
- 197 -
와 张真을 유혹한다.
49回≪當场判放曹国舅≫⟶(明)≪袁文正还魂记≫
↘ (清)≪香雪园≫
62回≪汴京判就臙脂记≫⟶(明)≪臙脂记≫ ≪臙脂记≫에서는 黄勇에
대한 단서가 추가된다.
≪正昭阳≫에서는 巩折天,
74回 ≪断斩王御史之髒≫⟶(清)≪正昭阳≫ 蒯飞雲 등의 협객과 吕端, 寇
75回 ≪仁宗黄帝认亲母≫↗ 准 등의 충신들을 추가로 등
장시켜 李后를 보호하는 역할
을 주도하게 한다.
≪百家公案≫에서는 피해자
76回 ≪阿吴夫死不分明≫⟶(清)≪雙钉案≫ 의 코에 못을 박는데 ≪雙钉
77回 ≪判阿杨谋杀前夫≫↗ 案≫에서는 정수리에 박는
다.

또 하나의 短篇公案小說專集인 ≪海公案≫은 실존인물 海瑞를 중심인물로


삼고 있는 傳記體公案小說이다. 소설에서 다루고 있는 사건들은 실제 재임기의
사건 기록과는 상당히 거리가 멀다. 그러나 ≪海公案≫은 후세의 다른 公案小
說에 많은 영향을 주었는데, 특히 清代 俠義公案小說인 ≪施公案≫에 대한 영
향이 크다. ≪施公案≫은 최초로 출현한 章回體 俠義公案小說로 清官과 협객이
연합하여 범죄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清官 施仕伦을 중심인물
로 삼고 있지만 기존의 전통적인 綴段式 敍事구조를 사용하지는 않고 있다. 回
目이 서로 연관되어 있고, 여러 이야기 또한 체인이 한 고리 한 고리 서로 채
워져 있듯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敍事구조는 이후의 속편들에서
더욱 확연히 드러난다.
갈등양상으로는 사회구성원 개개인 사이의 대립·갈등뿐만 아니라 황제의 명
을 받들어 처리하는 사건과 집단 범죄 사건들도 많아졌다는 양상을 띠고 있다.

- 198 -
明代 短篇公案小說은 대부분 市井사회에서의 개인 사이의 치정문제, 가정분란
및 재물분쟁 등을 다루고 있고, 간혹 권세있는 귀족이나 황제의 친인척[皇亲国
戚]에 관한 사건도 있지만 공개적으로 정부를 향한 무장세력에 관한 이야기는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나 ≪施公案≫에서의 施公은 서민계층의 일반적인 민사·
형사 사건들을 해결해야 할뿐만 아니라 정부를 상대로 공공연히 반항하며 등
장한 강도 집단과의 투쟁도 하나의 업무로 봐야 된다. 이에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 중 黄天霸를 수반으로 하는 협객들을 설정하여 집단범죄를 진압할 수 있
는 것이다.
≪龍圖公案≫은 또 하나의 包公을 중심인물로 삼고 있는 公案小說로 短篇公
案小說專集 중 가장 나중에 등장하여 집대성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道咸년간
유명한 說書人 石玉昆은 ≪龍圖公案≫의 이야기를 講唱하는 것으로 소문이 자
자하다. 후인들은 그가 講唱하는 ≪龍圖公案≫의 이야기를 글로 기록하여 ≪龍
圖耳錄≫을 편찬하였다. 光绪 5년(1879)石玉昆은 ≪龍圖耳錄≫을 다듬어서 ≪
忠烈侠义传≫(120回, 일명 ≪三侠五义≫)을 간행하였다. 光绪 15년 俞樾은 ≪三
侠五义≫를 ≪七侠五义≫로 개작하여 간행하였다. 明代의 ≪龍圖公案≫이 包公
이라는 명판관을 둘러싼 사건과 판결에 중점을 두었다면, 清代의 ≪三侠五义
≫와 ≪七侠五义≫는 俠義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侠义公案小说의 성행은 또한 희곡 작가들의 관심을 끌기 시작한다. 특히 ≪
三侠五义≫가 包公戲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재가 되었으며, 清代 희극 발
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위엄과 노련함을 표현하기 위해 包公의 무대 이미지
또한 元明의 ‘正末’에서 ‘净’으로 바뀌어 公平無私함이 돋보인다. 包公戲의 개작
상황을 도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438)
<표6-2> 包公戲의 개작 상황
京剧 三侠五义
狸猫换太子 1회 <设阴谋临产换太子奋侠义替死救皇粮>
438) 陳濤, 앞의 논문, 140-142쪽 참조.
- 199 -
15회 <斩庞星初试龙头铡遇国母晚宿天齐庙>
16회 <学士懷忠假言认母夫人尽孝祈露醫睛>
断皇后 17회 <开封府总管参包相南清宫太后认狄妃>
18회 <奏沉病仁宗认国母宣密诏良相审郭槐>
19회 <巧取供单郭槐受戮明颁诏旨李后还宫>
23회 <洪义赠金夫妻遭变白雄打虎甥舅相逢>
琼林宴 24회 <受乱模範状元疯颠贪多懷屈胡子丧命>
黑驴告状 25회 <白氏还魂阳差阴错屈申附體醉死梦生>
26회 <聆音察理贤愚立判鉴貌辨色男女不分>
27회 <仙枕示梦古镜还魂仲禹抡元雄飞祭祖>
花蝴蝶 65회 <北侠探奇毫無情趣花蝶隐迹别有心机>
66회 <盗珠燈花蝶遭擒获救恶贼张华竊负逃>
乌盆记 5회 <墨斗剖明皮熊犯案乌盆诉苦别古鸣冤>
33회 <真名士初交白玉堂美英雄三试颜查散>
34회 <定兰谱颜生识英雄看鱼书柳老嫌寒士>

探 山
35회 <柳老赖婚狼心难测冯生联句狗屁不通>
36회 <园内赠金丫环丧命厅前盗尸恶僕忘恩>
37회 <小姐还魂牛兒遭报幼童侍主侠士挥金>
38회 <替主鸣冤拦舆告状因朋涉险寄柬留刀>

그런데 明代 擬話本公案小說은 天启년간에 ‘三言二拍’의 출간으로 절정기에


오르고 나서는 계속 내리막길을 걷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清代에 이르러서
도 회복의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 그 이유는 ‘三言二拍’ 이후의 작품들은 전
대의 작품들보다는 더욱 노골적이면서도 대대적으로 봉건 윤리도덕을 표방·선
양한 반면 세태를 비판하는 역할은 제대로 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진부한 설교조와 권계도 시대에 역행하는 것으로, 설교조가 그만큼 많아
지게 되면 독자에게 지루함을 안겨주어 이탈하게 되었을 것이다.
- 200 -
清왕조의 몰락과 봉건체제가 무너지면서 문학에도 큰 충격을 던졌다. 때마침
서양의 자유주의 사상이 유입되는 것과 함께 서양의 문예사조도 돌입되었기
때문에 중국의 전통문학은 혼란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때 대량의 서양 探偵
小說과 推理小說이 유입되어 번역되면서 많은 인기를 얻은 반면 公案小說은
시대의 흐름에 적응하지 못하고, 20세기 초까지 겨우 버텨오다 그 후에는 점차
역사 무대에서 물러났다.
이러한 문화 전환기에 새롭게 출현한 작품은 知非子의 ≪寃獄緣≫, 惜紅居士
의 ≪李公案≫, 吳趼人의 ≪九命奇寃≫, ≪中国侦探案≫, 林一清의 ≪林公案≫
등이 있다. 제목으로 봐서는 여전히 ‘公案’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작품도 있지
만 ‘奇寃’, ‘侦探案’이라는 제목으로 독자들의 관심을 사로잡으려는 의도도 보인
다. 작품 가운데 知非子의 ≪寃獄緣≫(1885년, 8回)은 중국에서 출현한 첫 번째
探偵小說이라는 것에 대해 학계에서는 아직도 의견이 분분하다. 이 작품은 길
지 않은 편폭으로 전당포에서의 한 유량자의 독살 사건을 상세히 다루고 있는
데, 이 살인 사건을 해결하는 자는 관청에서 근무하는 판관이 아니라 현장 경
험이 풍부한 퇴직 탐정으로 주목을 받았다. 범인의 범행수단은 치밀하고 복잡
하며, 탐정의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 또한 전통적인 短篇公案小說專集에서 흔히
볼 수 없는 과학적 양상이 나타난다. ‘回目’만 봐도 探偵小說의 성격을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표6-3> ≪寃獄緣≫의 回目
서명 回目
1回 人命之關係
2回 被寃之原因
3回 中毒之奇異
寃獄緣
4回 偵探之影響
5回 祖屋之緣由
6回 相片之附卷

- 201 -
7回 破案之離奇
8回 設計之贅婿

그리고 전환기에 새롭게 출현한 작품들은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처럼 무조


건 清官을 중심인물로 삼고 칭송하며 이야기를 전개하는 것이 아니라 관청의
암흑과 관리들의 흉악함을 중점적으로 묘사하는 양상이 나타난다. 清官의식에
의한 敍事구조는 찾아보기 어렵다. 시대의 변천에 따라 백성들은 더 이상 맹목
적으로 판관을 청렴하고 공정한 清官으로 숭배하지 않은 것이 드러난다. 서술
자들은 이러한 서민들의 심리에 맞추어 주로 억울한 사건, 허위로 조작한 사
건, 오심 사건 등을 모아 창작하였다. 그러므로 독자와의 敍事거리를 단축시켜
공명을 불러일으킨다. 이것은 ≪寃獄緣≫, ≪九命奇寃≫, ≪東湖寃女案≫, ≪慈
溪寃女案≫ 등 작품 제목 중의 ‘寃’자로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明代 이후 公案小說의 발전은 ‘极盛而衰’의 추세를 보였다.
清代에 이르러서는 俠義와 公案이 합류되었지만 실질적인 발전은 실현하지 못
한 것으로 나타난다. 清代 말기에 서양 문학이 중국에 유입되면서 公案小說 또
한 형식면에서나 내용면에서 변화를 겪었다. 특히 서양 探偵小說과 推理小說의
영향 아래 公案小說은 다른 敍事방식으로 折獄사건을 다루기 시작하여 새로운
면모로 독자들 앞에서 등장하였다.
2) 推理小說의 등장
推理小說439)은 探偵이나 형사 등을 주인공으로 하여 범죄 사건을 해결하는
것을 주요 모티프로 하는 문학 장르로, 좁은 의미에서는 探偵小說440)과 동일하
439) 推理小說은 좁게는 探偵小說과 동의어로 쓰이지만, 좀 더 넓은 의미로는 ①신비스럽고 괴
기스러운 분위기를 지니고, ②의혹의 중층적인 구축이라는 기법을 플롯상에 주로 이용하
며, ③범죄를 중심으로 한 갈등구조를 지닌 소설들을 가리킨다. 探偵小說이 일정한 형식으
로 굳어져 오락 문학의 성격을 지니는 데 비해 推理小說은 본격 문학의 영역에 속하는 작
품들에서도 광범위하게 발견된다. 한용환, ≪소설학 사전≫, 고려원, 1992, 411쪽.
440) 探偵小說은 전형적인 오락 소설의 한 가지 유형이며 하나의 미스터리를 만들어 내고 기지
- 202 -
여 일반적으로 두 용어가 혼용되고 있다. 굳이 구별하자면 探偵小說은 사건을
해결하는 探偵에 중점을 둔 것이고, 推理小說은 사건의 범인과 범행과정을 推
理하는데 초점을 둔 것이다. 探偵小說에 등장하는 探偵 가운데 코난 도일(A.
Conan Doyle: 1859-1930)이 창조한 인물인 명탐정 셜록 홈즈(Sherlock
Holmes)의 명성이 가장 높다. 약간 우둔한 셜록 홈즈와 충실한 벗인 윗슨 박
사는 뛰어난 조사 능력과 독특한 성격을 지닌 것으로 묘사된다. 두 인물은 함
께 여러 어려운 범죄 사건을 풀어가면서 커다란 매력을 보여 그들의 이야기는
계속되었다.
중국 독자들이 최초로 접한 서구 探偵小說은 바로 셜록 홈즈 이야기이다.
1896년에 梁啓超는 ≪時務報≫에 张坤德에 의해 번역된 셜록 홈즈 이야기를
연재했는데, 이것이 최초로 중국 독자에게 소개된 探偵小說이다. 그 후에는 또
3편의 작품이 번역되어 연재되었는데 모두 큰 인기를 얻었다.
<표6-4> ≪時務報≫에 연재된 셜록 홈즈 이야기
작품명 ≪時務報≫ 원작 상황 今译(1981)
연재시기 The Strand Magazine441) 群眾出版社
The Adventure of the
英包探勘盗密约案 1896年9月27日-10
月27日(第6-9册) Naval Treaty 海军协定
(1893年10月-11月號)
1896年11月5日-25 The Adventure of the
记伛者復讎事 Crooked Man 驼背人
日(第10-12册) (1893年7月號)

와 용기를 갖춘 탐정으로 하여금 제기된 의혹을 풀어나가게 하는 데 서술의 초점이 맞춰


진다. 探偵小說에는 예외 없이 기벽이 있는 탐정, 우둔하면서도 비협조적인 경찰관, 문제의
해결을 돕는 탐정의 친구나 조수가 등장하고, 진범은 십중팔구 상황증거상 유죄인 것처럼
비춰지는 용의자에 의해 숨겨진다. 사건은 언제나 예상하지 못했던 방향으로 해결되며 의
혹이 해결되는 과정에서 탐정의 비범한 추리력과 정연한 논리가 광채를 발한다. 탐정소설
의 핵심적인 규범은 범죄의 추구에 있지 않고 범죄를 매개 삼아 모험을 추구한다는데 있
다. 한용환, 위의 책, 429-430쪽.
- 203 -
繼父诳女破案 1897年4月22日-5月 A Case of I dentity 身分案
12日(第24-26册) (1891年9月號)
The Adventure of the
呵尔唔斯缉案被戕 1897年5年22-6月20
日(第27-30册) Final Problem 最後一案
(1893年12月號)

박소현에 따르면 “梁啓超와 같은 개혁파 지식인들이 탐정소설에 주목한 이


유는 그들의 눈에 비친 탐정소설은 오락적인 독서물이라기보다는 서구의 과학
지식과 기술, 근대 문화를 체현한 대중적 전달 매체였던 것이다.”442)라고 하였
다. 이와 달리 전통적 公案小说은 판관에 착안하여 일련의 민사·형사 사건을
통해 청렴하고 공정한 판관 이미지를 부각시키면서 세인에게 경고 및 교화하
는 목적에 중점을 두고 있다.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에는 신적요소나 미신적 수
단도 대거 사용하여 과학적 진실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후에 推理小说의 번역 및 창작이 활발해지면서 많은 문인·학자들이 推理小
说에 몸을 담았다. 당시에는 번역된 작품이 推理小说 시장의 반 이상을 차지하
고 있었다. 林紓(1852-1924)와 같은 대가들도 서구의 推理小说을 번역하기 시
작하여 양적, 질적으로 상당한 수준에 달하여 일대 성황을 이루었다.443) 敍事
的 측면에서 역자들은 서구의 推理小说은 대부분 1인칭 내적 시점으로 서술하
441) 영국 The Strand Magazine는 George Newnes에 의해 창간된 단행본 형식의 월간지이다.
1891년부터 1950년까지 60년간 발간했다. 한때 열광을 받는 이유 중 하나는 20세기의 저명한
작가인 Graham Greene(1904-1991), Agatha Christie(1890-1976), Rudyard Kipling(1865-1936),
Leo Tolstoy(1828-1910), A. Conan Doyle(1859-1930) 등의 우수한 작품들을 연재하였기 때
문이다.
442) 박소현, <그들이 범죄소설을 읽은 까닭은?-공안소설과 명청시기 중국의 법률문화>, ≪中
國小說論叢≫제31집, 2010, 282쪽.
443) 1906-1909년은 서구 推理小說의 번역이 가장 왕성한 시기이다. 程小青 그리고 “鴛鴦蝴蝶
派”에 속한 周瘦鹃(1895-1968), 严独鹤(1889-1968), 陈蝶仙(1879-1940) 및 그의 아들인 陈小
蝶(1897-1989) 등의 작가들도 동참하였다. 처음에는 문어체로 번역하였지만 백화문이 통용
된 후에는 모두 백화문으로 바꾸었다. 李欧梵, <福爾摩斯在中國>, ≪當代作家評論≫, 2004
年第2期, 9쪽.

- 204 -
고 있는 방식이어서 중국 독자들에게는 다소 생소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
이 있다고 판단하여 번역 과정 중 전지적 3인칭 외적 시점으로 바꾸어 독자들
에게 다가가는 특이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
서구 推理小说의 번역이 성행함에 따라 중국의 소설가들도 서구의 것을 모
방하여 직접 推理小说을 창작하기 시작하였다. ‘5.4 运动’ 전에도 창작된 推理
小说들이 있긴 하지만 작품수가 적고, 주로 잡지나 신문에 분산되어 나타났다.
당시 推理小说을 많이 등재한 간행물로는 주로 ≪时务报≫, ≪新小说≫, ≪月
月小说≫, ≪礼拜六≫ 등이 있다. 작가로는 程小青, 孫了紅, 俞天憤, 赵菬狂 등
이 유명한데 그들은 많은 창작물을 양산하였다. 강주완의 지적대로 중국의 推
理小说은 근대라고 하는 역사의 전환기 속에서 더 이상 새로운 사회적 분위기
나 독서 심리에 적응하지 못하게 된 기존의 公案小說이나 俠義公案小說을 대
신하여 성행하게 된 것이다.444)

<그림 6-1> 推理小说을 등재한 간행물

중국의 推理小說 창작의 선두주자로는 바로 程小青(1893-1976)445)이 뽑힌다.


중국 推理小說의 권위자로서 셜록 홈즈 이야기의 영향 아래 많은 推理小說 작
444) 강주완, ≪<百家公案> 硏究≫, 연세대학교 博士学位论文, 2003, 15쪽.
445) 본명 程青心, ‘동방의 코난 도일’, ‘중국 推理小说之父’라는 미칭이 있다.
- 205 -
품을 창작하였다. 1911년 上海에 있는 ≪新闻报≫가 개최한 문학 작품 공모 대
회에서 程小青은 탐정 霍桑446)을 주인공으로 한 소설 ≪灯光人影≫으로 일거
에 성공하여 명성을 얻었다. 이어 程小青은 ≪江南燕≫, ≪珠项圈≫, ≪轮下血
≫, ≪白衣怪≫, ≪血手印≫ 등 30여 편의 推理小说을 창작하였다. 程小青은 초
기에 셜록 홈즈 이야기의 번역 작업에 참여함으로 인해 그의 推理小说은 서구
推理小说, 특히 코난 도일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야기 배경
은 중국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등장인물 배치 및 이미지 설정을 모두 셜록 홈
즈 이야기와 유사하다. 뛰어난 추리 능력을 가진 명탐정 霍桑이 약간 어리석은
조수 包朗과 협력하여 많은 범죄사건을 해결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程小青
이 창작한 推理小說과 당시의 번역된 서구 推理小說 작품과의 확연한 차이는
서사 시점에 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서구 推理小说의 1인칭 내적 시점은 대
부분 번역과정 중 전지적 3인칭 외적 시점으로 전환되지만, 程小青의 창작 작
품은 다시 1인칭 내적 시점을 취하고 있다. 서술자는 조수 包朗의 시점에 입각
하여 범행 과정을 거꾸로 서술하는 倒叙 수법을 사용하고 있다. 程小青은 또한
당시 성행하고 있는 鸳鸯蝴蝶小说, 谴责小说의 요소를 활용하여 혼잡한 사회현
실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推理小说의 성황은 끝없이 이어지는 전쟁
으로 인해 오래 지속되지 못하였다.
1970년대 말부터 推理小说은 중국에서 제2의 봄을 맞이하게 된다. 이때 대량
의 외국 推理小说이 유입되어 번역되는데, 그 중에 영국의 유명 작가인 아가사
크리스티(Agatha Christie, 1890-1976)의 ≪Death on the Nile(尼罗河上的惨案)
≫447)이 가장 대표적인 작품이다. 이어 1981년에 群众出版社가 ≪福尔摩斯探案
全集≫과 엘러리 퀸(Ellery Queen)448)의 ≪The Greek Coffin Mystery(希臘棺
材之谜)≫ 등을 잇따라 출판하였다. 1980년대부터 90년대까지는 일본의 推理小
446) 程小青의 원작에는 탐정의 이름이 ‘霍森’이라고 되어 있는데, 식자공의 실수로 ‘霍桑’으로
바뀌었다는 에피소드가 있다.
447) 이 작품은 1979년 ≪译林≫의 创刊本에 실려 있다.
448) Ellery Queen은 사촌지간이었던 두 미국 작가 Manfred Bennington Lee(1905~1971)와
Frederic Dannay(1905~1982)의 공동 필명이자 두 사람이 공동 창작한 推理小說의 주인공
이름이다.
- 206 -
說 작품도 잇달아 출간되었다. 이 시기는 창작보다는 번역 작품이 더 성행하여
영화, 연극으로도 많은 인기를 얻었다.
이상의 중국 推理小說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推理小說과 公案小說이 어떤
장르적 이질성을 갖고 있는지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推理小說은 주로 살인사건을 다루고 있고, 公案小說은 각종 민사·형사
사건에 중점을 두고 서술하면서 당시 사회상을 다각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또
한 推理小說에서는 탐정들이 과학적 수단으로 범인을 추리하고 색출하여, “理
智로 시작하여 과학을 전파하는 효과”449)를 지니고 있는데 반해, 公案小說은
판관에 의해 사건이 해결되고, 그 판관들은 절대적인 위치에 처하여 온갖 방법
을 사용할 수 있는데, 심지어 사건해결에 있어 신적인 요소나 미신적인 방법도
자주 사용한다.
둘째, 敍事구조 방면에서 推理小說은 사건에 입각하여 범인을 밝혀내는 것을
중심에 놓고 인물관계와 서스펜스를 설계하는데 비해, 公案小說은 사건의 발생
으로 시작하여 시간 순서대로 그 범인의 범행과 처벌을 서술하고 있다. 이에
推理小說은 범인과 탐정의 심리 묘사를 중시하고, 公案小說은 인물의 운명에
치중한다. 그리고 敍事시점에 있어서도 推理小說은 주로 1인칭 내적 시점을 사
용하고 倒敍 방법으로 전개하는데 반해, 公案小說은 전지적 3인칭 시점을 사용
하여 독자에게 모든 정보를 알려주고 있어 서스펜스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
고 있다.
2. 韓國으로의 전파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방대한 敍事문학이 유입되어 읽혀졌음을 알 수 있다.
유입 경로는 초기에는 국가 간의 외교적 교류 혹은 무역을 통해 이루어졌으나,
조선시대에는 주로 사절단이나 역관들을 통해 행해졌다. 公案小說도 이때 다른
통속소설과 함께 조선에 유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절에서는 중국 公案小
449) 劉炎, <公案小說與偵探小說比較研究>, ≪天中學刊≫, 2015年第5期, 8쪽.
- 207 -
说의 韓國으로의 전파에 대해 살펴보고, 유사한 장르인 한국 訟事小說과의 비
교도 함께 해보고자 한다.

1)수용과 전파
자료를 종합해보면 중국의 公案小说은 대략 壬辰倭乱 전후 조선에 전입된
것이다. 구체적인 시기는 고증하기 힘들다. 궁중에서 고소설 관련 문헌이 보이
는 宣祖 36년(1603)에 貞淑翁主에게 보낸 諺簡부터 보자면 “≪包公案≫한 질을
보내니 부마450)에게 주어라. ≪包公案≫은 괴망한 책이니 한가로움을 보내면서
한 번 웃을 뿐이다.”451)라고 되어 있다. 언간에서 언급한 ≪包公案≫은 ≪百家
公案≫아니면 ≪龍圖公案≫인데 확실히 알 수는 없다. 확실한 것은 최소한
1603년에는 公案小说이 이미 유입되었다는 사실이다. 비록 당시는 明代 후기라
서 국력은 부진하였지만, 통속문학과 출판 분야는 전성기에 이르렀다. 대량의
통속소설들이 출간되어 조선에 유입되었고, 필사되거나 한글로 번역·번안되어
수많은 독자들에게 읽혀졌다. 公案小说이 바로 이때쯤에 통속소설들과 함께 전
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많은 公案小說 중에 특히 包公관련 公案小說들이
널리 전파되었다. 필사와 간행에만 그치지 않고, 개작과 번역·번안도 거친 것
을 볼 수 있다.
비교적 늦게 출시된 ≪龍圖公案≫은 중국 公案小说의 선구적 위치를 차지하
고 있는 작품이다. 한국 유입 시기는 또한 정확히 알 수 없지만 현재 木版本이
경희대, 고려대, 한양대, 숙명여대, 성균관대에 소장되어 있고, 한문 筆寫本은
계명대에 소장되어 있다.452) 그 외 ≪龍圖公案≫의 한글 번역필사본 ≪包公演
義≫가 있는데,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본은 9卷9冊 81回이고, 충남대소장
본은 零1册(卷6)만 있다.453) 원전(10卷 100回)을 다 번역한 것이 아니라 축약
450) 신익성(申翊聖, 1588-1644).
451) “包公案一帙 보내노니 駙馬 주라 包公案乃恠妄之書 只資閑一哂而已” 金一根, ≪李朝親筆諺
簡總覽≫, ≪건국학술지≫제12집, 1971, 180쪽.
452)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https://www.nl.go.kr/korcis/ 참조.
- 208 -
번역한 것을 알 수 있다. 번역되지 않은 내용을 분석해 보면 주로 불륜을 저지
르고 남편이나 아내를 죽인 잔인한 이야기와 皇親의 횡포와 관계된 이야기들
임을 알 수 있다. 編者가 생각하기에 이런 종류의 내용이 너무 자극적이고 유
교사회의 윤리에 위배되는 것으로 여겨서 산거해버린 듯하다.454)
≪包閻羅演義≫는 清代 俠義公案小說인 ≪三俠五儀≫455)의 전반부 20회를
23회로 개작한 한문소설로, 大正4년(1915) 五車書廠에서 출판되었다. 저자는 鶩
溪叟로, 작품 서두에 있는 “支那五季之間”이라는 비칭과 작품 속에 방언이 많
이 출현하는 점에 근거하여 조선인으로 추측할 수 있다.456) 鉛活字本은 성균관
대, 경기대, 원광대, 국회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三俠五儀
≫(120回)중 包公이 사건을 심리하고 해결하는 이야기는 주로 전반부에 있는
데, ≪包閻羅演義≫의 저자가 이 부분만을 취하였다는 것은 包公을 중심인물로
설정하려는 의도가 있어 보이고, 더불어 원래 ≪三俠五儀≫중 수록되어 있지
않은 ‘割牛舌’ 사건도 ≪包閻羅演義≫10回에 수록되어 있고, ≪三俠五儀≫중
7-9回로 되어 있는 “陳應傑劉氏通奸殺人案”457)은 오히려 삭제한 것을 보면 이
야기가 包公에 맞춰지는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23回 말미에 “뒷일이 어찌 되
었는지 알 길이 없으니 다음 이야기를 보도록 하세.[未知後事如何, 且看下文分
解]”라는 여운을 남기고 있는 것으로 봐서 저자는 아직 다 완성하지 못한 것으
로 보인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뒷부분 내용이 발견되지 않고 있으니 아무래도
453) 闵宽东·金明信 共著, ≪朝鲜时代 中国 古典小说의 出版本과 翻译本 硏究≫, 学古房, 2013年,
202쪽.
454) 張守連·閔寬東, <小說 包公案 系列의 國內 流入과 受容>, ≪中國語文學誌≫제39집, 2012,
343쪽.
455) ≪龍圖公案≫의 개작본이라는 견해도 있지만, 이야기 내용과 언어 풍격을 봐서는 가능성이
낮다.
456) 朴在淵은 고려방언이 나온다는 점, 한국식 한자어 표기가 나온다는 점 등을 들어서 작가를
조선인라고 보고 있다. 또한 당시의 朝鮮 文人들은 古文에는 익숙했으나 오히려 당시 口語
體라 할 수 있는 白話文으로 씌여진 책을 읽는 것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白話文에 능
통한 계층이 白話文을 古文으로 번역하는 작업을 하였다고 보고 있다. 朴在淵, <包閻羅演
義와 염라왕젼에 대해서>, ≪염라왕전≫, 선문대 중한번역문헌연구소, 1999, 1쪽 참조.
457) 이 사건은 包公이 아니라 公孫策이 사건해결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나고, 그리고 사건 자체
가 잔인하고 유가의 윤리도덕을 위배한 이유로 삭제된 가능성도 제기된다.
- 209 -
후속 작업은 성공하지 못한 듯하다.
<표6-5> ≪三俠五儀≫와 ≪包閻羅演義≫의 回目 대조
서명 회목 서명 회목
1回 设阴谋临产换太子 1回 驚夢兆麒麟泣陷穽
奋侠义替死换皇娘 奏星象天狗犯震宮
2回 奎星兆梦忠良降生  2回 郭奸宦設謀換太子
雷部宣威狐狸避难 寇宮人假手救東宮
3回 金龙寺英雄初救难  3回 寇承御結舌受惡刑
隐逸村狐狸三报恩 余太監替身救皇娘
4回 除妖魁包文正联姻  4回 包家村奎星入夢中
受皇恩定远县赴任 錦屏山猛虎出林間
5回 墨斗剖明皮熊犯案  5回 古廟障雷狐狸避難
乌盆诉苦别古鸣寃 盲井尋釵婢子欺心
6回 罢官职逢义士高僧  6回 寧老先生入館授學
应龙图审寃魂怨鬼 包三公子赴舉得榜
7回 得古今盆完婚淑女  7回 赴京師包文正受訣
收公孙策密访奸人 會天罡展熊飛結交
三 8回 救义仆除凶铁仙观  包 8回 金龍寺英雄一放火
俠 访疑案得线七里村 閻 羅 逸隱村狐狸三報恩
五 9回 断奇寃奏参封学士  演 9回 夢玉蕭淑女留訂約
義 造御刑查赈赴陈州 登金榜進士還鄉里
10回 买猪首书生遭横祸  義 10回 到縣廳曹吉服奸狀
扮化子勇士获贼人 審刑獄沈清感恩德
11回 审葉阡兒包公断案  11回 奸夫婦伏誅珊瑚案
遇杨婆子侠客挥金 老古別替訴烏盆鬼
12回 展义士巧换藏春酒  12回 罷官職中路逢義俠
庞奸侯设计软红堂 得疾病蕭寺遇高僧
13回 安平镇五鼠单行义  13回 金華山主上夢良弼
苗家集雙侠对分金 玉宸宮女鬼訴寃情
14回 小包兴偷试游仙枕  14回 設醮筳淑女完昏姻
勇熊飞助擒安乐侯 開賢路智勇投名刺
15回 斩庞昱初试龙头铡  15回 救義樸眾壯士賈勇
遇国母晚宿天齐庙 製御刑公孫策弄智
16回 学士懷忠假言认母  16回 韓瑞龍枉犯豬頭獄
夫人尽孝祈露医睛 吳學究浪死游仙枕

- 210 -
17回 开封府总管参包相  17回 展義士竊換藏春酒
南清宫太后认狄妃 項刺客力斬牝牡獅
18回 奏沉疴仁宗认国母  18回 三星店義士投暗簡
宣密诏良相审郭槐 天昌鎭刺客就擒捕
19回 巧取供单郭槐受戮  19回 余彩嬪感泣龍他硯
明颁诏旨李后还宫 安樂候伏誅遇鍘刑
20回 齊天廟國母說寃枉
沆瀣盆孝婦祈星斗
21回 昭陽殿天子驚惡夢
20回 受魇魔忠良遭大难  南清宮聖上遇胞母
杀妖道豪傑立奇功 22回 閻羅府郭槐服奸狀
麟壽宮皇娘還正位
23回 入花園義俠斬妖道
幸錬廳皇上試武技
≪包閻羅演義≫의 回目은 여전히 ≪三俠五義≫의 八字雙回目을 사용하고 있
으며, 원전의 1回는 ≪包閻羅演義≫에서 1-3回로 나누어지고, 1回 말미에 있는
包公출생에 관련된 내용은 ≪包閻羅演義≫에서 4回로 되어 있고, 원전의 7-9回
는 삭제되고, 13-14回는 18回로 되어 있으며, 10回와 17回는 원전에 없는 내용
으로 저자가 새로 추가한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 다른 回目도 그대로 수용한
것이 아니라 다소 개작된 흔적을 보인다.
글 내용을 봐서는 ≪包閻羅演義≫의 문장이 더욱 우아하고 정련하며 문학적
색채도 단조롭지 않다. 세부묘사도 생동감이 있고 감화력을 지니고 있어 저자
의 문학적 재능이 뛰어나고 원전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包公에 관련된 이야기만 취한 것으로 보아 저자의 包公에 대한 숭배도 드러나
있다.
≪閻羅王傳≫은 ≪包閻羅演義≫의 번역본이다. 저자는 朴健會458)로 되어 있
다. 번역시기는 대체로 ≪包閻羅演義≫가 나온 1915년 이후부터 1930년 사이로
458) 박건회는 1920년대 출판계의 편집자이자 발행인으로 알려져 있다. 中國小說의 출판에도 많
이 관여 하였으므로 그 중에 公案 관련 소설이 포함된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된다. 다시 말
하면 영리를 목적으로 출판한 발행인의 입장에서 독자들의 흥미를 끄는 소설들을 주로 편
집 간행한 것으로 볼 수 있다. 張守連·閔寬東, <小說 包公案 系列의 國內 流入과 受容>,
≪中國語文學誌≫제39집, 2012, 352쪽.
- 211 -
추정한다.459) 원작은 23回인데 번역본은 21回로 줄였으며, 回目도 뒤바뀌었다.
제1回-제5回는 ≪包閻羅演義≫의 제4回-제8回, 제6回는 ≪包閻羅演義≫의 제9
回 앞부분과 제1回, 제7回는 ≪包閻羅演義≫의 제2回, 제8回는 ≪包閻羅演義≫
의 제3回, 제9回는 ≪包閻羅演義≫의 제9回 뒷부분과 제10回에 해당된다. 回目
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6-6> ≪包閻羅演義≫와 ≪閻羅王傳≫의 回目 변화
包閻羅演義 閻羅王傳
제4回-제8回 ⇨ 제1回-제5回
제9回 앞부분+제1回 ⇨ 제6回
제2回 ⇨ 제7回
제3回 ⇨ 제8回
제9回 뒷부분+제10回 ⇨ 제9回

번역본인 ≪閻羅王傳≫은 완전히 包公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는 敍事


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시대적 분위기와 수요층의 요구에
의해서 생긴 것이라 볼 수 있다.460)
번안본에는 ≪神斷公案≫이 있는데, 1906년 5월 19일부터 12월31일까지 8개
월에 걸쳐 한문 현토체로 총 190回가 ≪皇城新聞≫에 연재되었다.461) 모두 7화
의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459) 張守連·閔寬東, 앞의 논문, 352쪽.


460) 張守連·閔寬東, 위의 논문, 354쪽.
461) 중국에서는 公案小說과 譴責小說이 19세기 후반 신문의 등장과 함께 연재소설로 대중의
각광을 받게 되는데, 한국의 ≪神斷公案≫도 그러한 중국 쪽 움직임에 자극을 받아 출현했
을지 모른다. 한기형·정환국 역주, ≪(역주)신단공안≫, 창비, 2007, 9-10쪽 참조.
- 212 -
<표6-7> ≪神斷公案≫의 回目 및 연원
서명 回目 연원
제1화 美人竟拼一命 ≪龍圖公案≫(卷1)
貞男誓不再娶 (총6回) <阿彌陀佛講和>
제2화 老大郞君遊學 ≪龍圖公案≫(卷1)
慈悲觀音托夢 (총12回) <觀音菩薩托夢>
제3화 慈母泣斷孝女頭 ≪龍圖公案≫(卷4)
惡僧難逃明官手 (총16回) <三寶殿>
① ≪봉이 김선달≫(한국 전래)
제4화 仁鴻變端鳳 ② ≪太平廣記≫精察條
神 浪士勝明官 (총45回) <殺妻者>
斷 ③ ≪棠陰比事≫卷下
公 <從事函首 乖崖察額>
案 ① ≪棠陰比事≫卷上
제5화 妖經客設齋成奸 <李傑買棺 重榮咄箭>
能獄吏具棺招供 (총21回) ②<≪初刻 拍案驚奇≫卷17
西山观设辇度亡魂
开封府备棺迫活命>
제6화 踐私約頑童逞凶 ≪棠陰比事≫卷上
借神語明官捉奸 (총20回) <子産知姦 莊遵疑哭>
제7화 癡生員驅家葬龍官
孽奴兒倚樓驚惡夢(총70回) ≪꾀쟁이 하인≫(한국 전래)

제1,2,3화가 ≪龍圖公案≫중에 ≪阿彌陀佛講和≫, ≪觀音菩薩托夢≫, ≪三寶


殿≫을 번안한 것으로 보인다. 제4화는 한국 전래 이야기인 ≪봉이 김선달≫,
≪太平廣記≫精察條의 <殺妻者>, 그리고 (宋)桂萬榮의 판례집인 ≪棠陰比事≫
에 수록된 <從事函首 乖崖察額>462)와 그 모티프가 같다. 제5화는 ≪棠陰比事
462) 桂萬榮 著; 田澤 校, ≪棠陰比事≫, 國立中央圖書館本(日本木版本), 162-166쪽.
- 213 -
≫에 수록된 <李傑買棺 重榮咄箭>463)이야기 및 ≪初刻拍案驚奇≫卷17 <西山
观设辇度亡魂 开封府备棺迫活命>464)과 같은 모티프이고, 제6화는 ≪棠陰比事
≫의 <子産知姦 莊遵疑哭>465)이야기와 같은 모티프이다. 제7화는 한국 전래
이야기인 ≪꾀쟁이 하인≫과 유사한 것을 발견할 수 있다.466)
≪神斷公案≫의 저자는 알 수 없지만, 소설 중 ‘評者’가 들어 있어 결말이나
이야기 중 ‘桂巷稗史氏曰’, ‘聽泉子曰’, ‘評曰(評者曰)’이 수시로 등장하여 논평을
하고 있다. 논평을 보면 다음과 같다.
계항패사는 말한다. 김낭자가 비록 열녀이기는 하나 중을 불러들여 불경을
외우게 했으니 이는 이미 화근을 품은 것이요, 혜랑이 비록 효녀이기는 하나
목을 졸라 자결한 것은 차마 해서는 안되는 일이었다. 어리석구나, 이삼랑!
처음엔 죽은 친구의 우정을 생각해서 쉽사리 옥사를 일으키더니, 끝에 가서는
효녀의 죽음이 회한이 되어 병을 얻어 죽고 말았으니. 이삼랑의 어리석음이
그렇듯 심하다니. 그러나 마음을 속이지는 않은 사람이다.
청천자는 평한다. 어느 누가 혜랑더러 차마 해서는 안 될 일을 해버렸다고
하는가? 죽음이 혐오할 만한 일인 줄도, 효가 숭모할 만한 줄도 모르고 잠깐
사이에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은 진실로 천성의 본연에서 발로한 것이다. 저
부녀자 같은 행동은 하지도 못하면서 겉으로 드러나는 명분만을 좇아 손가락
을 절단하는 것으로 한때를 기울게 한 자도 시끌벅적하게 정려로 표창을 하
는데, 하물며 타고난 어진 마음으로 제 아버지를 위해서 자기 목을 스스로 자
463) 桂萬榮 著; 田澤 校, 앞의 책, 47-49쪽.
464) ≪古本小說集成≫19 ≪拍案驚奇≫, 上海古籍出版社, 1990, 637-717쪽.
465) 桂萬榮 著; 田澤 校, 앞의 책, 52-53쪽.
466) 한기형·정환국이 역주한 ≪신단공안≫에서는 “5, 6화는 역시 중국 공안류의 하나인 ≪棠陰
比事≫에 수록된 <子産知姦> <李傑買棺> 등과 그 모티프가 같다”고 하지만 작품 순서는
앞뒤가 바뀌었다. 한기형·정환국 역주, ≪(역주)신단공안≫, 창비, 2007, 11쪽. ≪神斷公案≫
과 중국 公案류의 관계에 대해서는 李憲洪의 논문<訟事說話와 訟事小說에 끼친 中國 公安
類의 영향에 대하여>(≪古小說硏究論叢 : 茶谷 李樹鳳先生 回甲紀念論叢≫, 景仁文化社,
1988)에 의해 처음 밝혔지만, 그는 ≪神斷公案≫이 ≪包公演義≫의 번역·반안본이라 잘 못
추정해서 중국 원본을 찾지 못하였다, 그 후에 심경호의 논문 <조선후기소설고증(1)>(≪한
국학보≫제56집, 1989)과 박재연의 논문 ≪朝鮮時代 中國 通俗小說 飜譯本의 硏究 : 樂善齋
本을 中心으로≫(한국외국어대학교 博士学位论文, 1993) 등에 의해 밝혀졌다.
- 214 -
르는 이런 어린 여자아이는 어떡해야 하는가?467)
明代 公案小說은 말미에 논평을 붙이는 경우가 많은데, ≪神斷公案≫도 이런
전통을 이어받은 것으로 보인다. ‘桂巷稗史氏’와 ‘聽泉子’라는 두 인물에 의해
이루어지는 논평은 말미뿐만 아니라 작품 중간에도 개입된다. 더불어 두 인물
의 논평은 상호 보완적인 시각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방된
의견을 개진하기도 한다.468)
계항패사는 말한다. 인홍은 과연 차마 하지 못할 짓을 했도다. 평소 장량
(張良)·진평(陳平)으로 자허했던 자가 결국 남을 속이는 협잡배가 되고 말았
으니, 이는 본래의 모습을 감추지 못한 까닭인가, 아니면 때를 만나지 못한
영웅이 부득이하여 이런 저급한 계책을 쓴 것인가? 읽다 보니 탄식이 절로
나온다.
청천자는 말한다. 이 세상이 어떤 세상인가? 제대로 눈뜨고 다니지 않으면
코 베어 가는 세상이 아닌가? 아, 군응이여! 누구를 탓하리오? 지금 이것으로
일반 세상 사람들에게 경고하노니 조심하고 또 조심할지어다!469)
위 예문과 같이 ‘桂巷稗史氏’와 ‘聽泉子’라는 두 논평자는 상반된 의견을 제
467) 한기형·정환국 역주, ≪(역주)신단공안≫, 창비, 2007, 101-102쪽.
원문: “桂巷稗史氏曰金娘이 雖烈이나 招僧诵經이 已伏禍根고 蕙娘이 雖孝나 扼頭自絕이
太近不忍이로다 愚哉라 李三郎이여 始則念死友之誼야 輕起其獄고 末則恨孝女之死야
竟至病卒니 甚矣라 李三郎之愚也여 其亦不欺其意者也로다”
“聽泉子曰孰謂蕙娘之太近不忍哉오 不知死可惡고 不知孝可慕고 一時自絕이 洵出於本然
之天性니 彼其無內行而慕外名야 斫斷手指於一時之頃者도 紛紛然以孝旌거던 況此幼
年天良으로 为其父而自斷其頭者哉아” (3화 16회, 1906.6.27)
한기형·정환국 역주, 위의 책, 450쪽.
468) 한기형·정환국 역주, 위의 책, 14쪽.
469) 한기형·정환국 역주, 위의 책, 135쪽.
원문: “桂巷稗史氏曰仁鴻이 果不忍哉라 平日之自許良平者ㅣ竟作一欺人挾雜之輩니 此其本
來之面目을 不可掩得欤아 抑亦不遇英雄이 不得已而出此下策欤아 讀之에 可歎이로다”
“聽泉子曰此世 何世오 無爾眼이면 斷爾鼻니 嗟乎君膺이여 又誰恕咎오 今以是로 警
告一般世人노니 戒之哉戒之哉어다 (4화 15회, 1906.7.14)
한기형·정환국 역주, 위의 책, 467쪽.
- 215 -
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桂巷稗史氏’는 김인홍을 비난하고 있지만, ‘聽泉
子’는 누구를 질책하는 것이 아니라 세상 사람들에게 경고하고 있다.
≪神斷公案≫이 이러한 논평 방식을 채택하는 이유는 독자층을 고려하기 때
문이다. 당시 한문에 익숙한 독자들은 근대적 가치를 수용하기도 하였지만 동
시에 배척하기도 하였다. 저자는 독자들의 보수적 심리를 무마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가치로의 적극적 유도를 추구했던 것으로 보인다.470)
話本小說集인 ‘三言二拍’의 한국 유입에 대해서는 조선 英祖 38년(1762) 完山
李氏의 ≪中國小說繪模本≫序文471)에 근거하면 1700년대 초·중기에 유입된 것
으로 추정된다. ≪醒世恒言≫의 경우는 한국에 유입된 판본으로 간행년도를 알
수 없는 明代 木版本으로 된 殘本이다. 현재 규장각과 부산대에 소장되어 있으
며, 鮮文大 朴在淵이 6冊을 소장하고 있다.472) ≪拍案驚奇≫의 경우는 完山李
氏의 ≪中國小說繪模本≫과 尹德熙의 ≪小說經覽者≫(1762) 등에 근거하면
1700년대 중기이전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473) ≪初刻拍案驚奇≫와 ≪二刻
拍案驚奇≫가 모두 한국에 유입되었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今古奇觀
≫(抱瓮老人)이 한국에 유입되면서 그 중에 수록되어 있는 ‘三言二拍’ 작품474)
470) 한기형·정환국 역주, 앞의 책, 14쪽.
471) 完山李氏 序; 金德成 外畵; 朴在淵 編, ≪中國小說繪模本≫, 江原大學校 出版部, 1993, 16쪽.
472) 闵宽东·张守连·金明信 共著, ≪韩国 所藏 中国通俗小说의 版本目錄과 解题≫, 学古房, 2013,
172쪽.
473) 閔寬東·金明信 共著, ≪中國古典小說批評資料叢考≫, 學古房, 2003, 230쪽.
474) ≪今古奇觀≫은 ‘三言二拍’의 작품 중에서 40편을 선발하여 엮은 白话短篇小说选集이다. 작
품 상황은 아래와 같다.
≪喻世明言≫8편: ≪滕大尹鬼断家私≫, ≪裴晉公义还原配≫, ≪吴保安弃家赎友≫, ≪羊角哀
舍命全交≫, ≪沈小霞相会出师表≫, ≪蒋兴哥重会珍珠衫≫, ≪陈御史巧勘金钗钿≫, ≪金玉
奴棒打薄情郎≫.
≪警世通言≫10편: ≪杜十娘怒沉百寶箱≫, ≪李谪仙醉草吓蛮书≫, ≪宋金郎团圆破毡笠≫,
≪俞伯牙摔琴谢知音≫, ≪莊子休鼓盆成大道≫, ≪老门生三世报恩≫, ≪钝秀才一朝交泰≫,
≪吕大郎还金完骨肉≫, ≪唐解元玩世出奇≫, ≪玉娇鸾百年长恨≫.
≪醒世恒言≫11편: ≪三孝廉让产立高名≫, ≪两县令竟义婚孤女≫, ≪卖油郎独占花魁≫, ≪
灌园叟晚逢仙女≫, ≪卢太学诗酒傲公侯≫, ≪李汧公穷邸遇侠客≫, ≪苏小妹三难新郎≫, ≪
徐老仆义愤成家≫, ≪蔡小姐忍辱报讎≫, ≪钱秀才错占凤凰俦≫, ≪乔太守乱點鸳鸯谱≫.
≪初刻拍案驚奇≫8편: ≪转运汉巧遇洞庭红≫, ≪看财奴刁买寃家主≫, ≪刘元普雙生贵子≫,
≪懷私怨狠仆告主≫, ≪念亲恩孝女藏兒≫, ≪崔俊臣巧会芙蓉屏≫, ≪夸妙术丹客提金≫, ≪
- 216 -
들도 같이 전파되었다는 것은 확실하다.
‘三言二拍’이 한국에 유입된 후 일부 작품들은 한국에서 번역이나 번안되어
널리 읽혀졌고, 관련된 연구475)도 많았다. ‘三言二拍’ 중에서 公案小說인 ≪醒
世恆言≫卷1<两县令竞义婚孤女>, 卷7<钱秀才错占凤凰俦>; ≪喻世明言≫卷2
<陈御史巧勘金钗钿>, 卷9<裴晉公义还原配>, 卷31<闹阴司司马貌断狱> 등은
번역· 번안되어 널리 알렸다.476)
여기서 말하지 않을 수가 없는 작품은 바로 ≪型世言≫(陸人龍, 10卷 40回)
이다. ≪型世言≫은 중국에서 산일된 지 오래되어 그 동안 이름만 알려졌을 뿐
원본을 찾을 수 없었다. 1987년에 陳慶浩와 王國良에 의해 서울대학교 奎章閣
에서 발굴되어 한 시기에 큰 파문을 일으켰다. 규장각에 서문과 삽화가 실려
있는 卷首 1冊을 제외한 11冊 원본이 거의 완전한 상태로 소장되어 있어 세계
적으로 단 1부 밖에 없는 유일본이라 가치가 상당하다.477) ≪型世言≫의 한글
逞多才白丁横带≫.
≪二刻拍案驚奇≫3편: ≪女秀才移花接木≫, ≪十三郎五岁朝天≫, ≪赵县君乔送黄柑子≫.
475) 李明九, <李朝小說의 比較文學的 研究>, ≪大東文化研究≫第5輯, 成均館大學校大東文化研
究院, 1968; 신동일, ≪韓國古典小說에 미친 明代短篇小說의 影響≫, 서울대학교 博士學位
論文, 1985; 李憲洪, ≪朝鮮朝 訟事小說 研究≫, 釜山大學校 博士學位論文, 1987; 孫秉國, ≪
韓國古典小說에 미친 明代話本小說의 影響-특히 ≪三言≫과 ≪二拍≫을 중심으로≫, 東國
大學校 博士學位論文, 1989; 朴在淵, ≪朝鮮時代 中國 通俗小說 翻譯本의 研究-樂善齋本을
中心으로≫, 韓國外國語大學校 博士學位論文, 1993.
476) <两县令竞义婚孤女>는 <朴文秀傳>제2화, <鴛鴦圖>로 번안되었다. <钱秀才错占凤凰俦>은
<錢秀才傳>으로 번역되고, <弄假成真雙新郎>으로 번안되었다. <陈御史巧勘金钗钿>은
<昭陽亭>, <金玉錄>으로 번안되었다. <裴晉公义还原配>는 <朴文秀傳> 제3화로 번안되었
다. <闹阴司司马貌断狱>은 <諸馬武傳>(夢決楚漢訟)으로 번안되었다. 李憲洪, 앞의 책,
148-151쪽 참조.
477) ≪型世言≫에 관련된 주요 연구는 아래와 같다. 陳慶浩, <一部佚失了四百多年的短篇小說集
≪型世言≫的發現和研究>, ≪型世言≫, 臺北: 中央研究院中國文哲研究所, 珍本古籍叢刊1(導
言), 1992. 崔溶澈, <型世言-4백년간 묻혔던 단편소설>(번역), ≪中國小說研究會報≫第13號,
1993. 朴在淵, <奎章閣本≪型世言≫>, ≪中國小說研究會報≫第10-12號, 1992. 朴在淵, ≪朝
鮮時代 中國 通俗小說 翻譯本의 研究-樂善齋本을 中心으로≫, 韓國外國語大學校 博士學位
論文, 1993. 權寧愛, ≪<型世言>研究≫, 東吳大學中文研究所 博士學位論文, 1993. 朴在淵,
<≪형셰언≫연구>, ≪中國學論叢≫第4輯, 1995. 劉美源, ≪明末白話短篇小說集《型世言》
硏究≫, 南京大學 博士學位論文, 2000. 崔溶澈, <≪型世言≫의 評者와 評點비평에 관한 연
구>, ≪中国學论丛≫第35輯, 2012. 김수연, <명말 상업적 규범소설의 형성과 조선 왕의 소
설 독서-규장각본 ≪型世言(형세언)≫을 중심으로>, ≪古典文學硏究≫第47輯, 2015.
- 217 -
번역본은 한국학 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데, 卷1,2는 낙질되고, 卷
3,4,5,6만 전해지고 있다.
≪型世言≫의 내용은 대개 역사적으로 실재하는 인물이나 사건을 취하여 내
용을 구성하였고, 민간전설에서 제재를 선택하여 내용을 윤색하였다.478) 남녀
사이의 치정이야기, 公案, 神仙, 俠客 등의 다양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데, 전
체적으로 ‘三言二拍’보다 설교조가 짙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奎章閣에 소장된 ≪型世言≫은 각 回마다 “钱塘陆人龙君翼甫演”(제1回), “钱
塘君翼陆人龙辑”(제2回), “钱塘陆人龙演义”(제3回)등과 같이 편찬자가 陆人龙
인 것을 밝히고 있다.479) 그리고 序文, 回末批評과 評點 부분에는 陆人龙의 형
인 陆雲龙의 것으로 보이는 다양한 필명이 드러나 있다.480) 이것은 매우 이례
적인 일로, 明末의 타락된 윤리도덕을 강조하는 평자의 文以載道 사상이 노골
적으로 드러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481)
≪型世言≫의 총 40回 이야기 중 公案小說에 해당되는 작품 수는 13回482)인
것으로 파악된다. 13回 작품 가운데 치정 사건은 3回(제5,6,21回), 가정 분란 사
건은 1回(제29回), 재물 분쟁 사건은 8回(제2,22,23,25,27,28,33,36回), 기타는 1回
(13回)인 것으로 통계된다. 公案小說에 해당되는 각 회별 상황을 序文, 印文,
作者, 評者와 回末批評 등을 차례로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483)

478) 闵宽东·张守连·金明信 共著, ≪韩国 所藏 中国通俗小说의 版本目錄과 解题≫, 学古房, 2013,


174쪽.
479) 작가가 각 회마다 자신의 籍貫, 姓名, 字를 공식적으로 명확하게 밝히는 것은 중국소설 편
찬사에서는 극히 드문 예에 속한다. 다만 陆人龙은 자신의 이름 아래 演, 輯, 演義, 撰, 編
등의 글자를 사용하여 그가 소설의 소재를 수집, 정리, 수정, 보완하여 묶어낸 사람임을 보
여주고 있다. 崔溶澈, <≪型世言≫의 評者와 評點비평에 관한 연구>, ≪中国學论丛≫제35
집, 2012, 133쪽.
480) 陈庆浩에 따르면 이 많은 评者들은 대부분이 陆雲龙의 化身이고, 일부분은 다른 评者일 가
능성도 있다고 하였다. 陳慶浩, <一部佚失了四百多年的短篇小說集≪型世言≫的發現和研
究>, ≪型世言≫, 臺北: 中央研究院中國文哲研究所, 珍本古籍叢刊1(導言), 1992年, 40쪽.
481) 崔溶澈, 앞의 논문, 124쪽.
482) 이 숫자에 대해서는 학자마다 의견차가 있다. 注144)을 참고할 것.
483) 崔溶澈, 앞의 논문, 135-137쪽 참조.

- 218 -
<표6-8> 奎章閣에 소장된 ≪型世言≫
回目 序文 印文 作者 評者 回末批評
張鳳翼曰
2回 <敍>翠娱阁主人 【從龍】 钱塘君翼陆 海昌草莽 雨侯曰
題(行書) 人龙辑 臣評 草莽臣曰
5回 <小敍>翠娱阁主 【殺風景樓】 钱塘陆君翼 燕市酒徒 雨侯曰
人(楷書) 演義 評
6回 <小引>翠娱阁主 【文壇□帥】 钱塘陆人龙 秦淮女中 李卓吾曰
人書(行書) 君翼甫辑 丈夫評 雨侯曰
雨侯曰
13回 <題(草書)
序>翠娱阁主人 【雲龍】 钱塘陆君翼 潁水赤憨
【尚□千古】 演 評 赤憨曰
淡軒評
21回 (人(行書)
無 題)翠娱阁主
【迷迷人士】 钱塘陆君翼

江右明眼
人評 雨侯曰
22回 <引>翠娱阁主人
題(楷書) 【泉石高旨】 钱塘陆君翼

濮阳仙史
評 雨侯曰
23回 <題辭>翠娱阁主
人書(楷書) 【誼薄雲天】 钱塘陆人龙
君翼甫編 評
吴淞仙吏 殷中尊曰
雨侯曰
25回 <題詞>翠娱阁主
人題(草書)
【雲龍】 钱塘陆人龙 海昌煙波
【一字矯如】 演 叟評 雨侯曰
27回 <識(草書)
序>翠娱阁主人
【雨侯】 钱塘陆人龙 兰亭拙居
君翼甫演 士評 雨侯曰
28回 <小引>翠娱阁主
人撰(楷書)
【雨侯】 钱塘陆人龙 吴兴逃名
【陸雲龍印】 演 客評 雨侯曰
29回 <題詞>翠娱阁主
人撰(行書) 【劍斬邪魔】 钱塘陆人龙

八桂说鬼
君評 雨侯曰
33回 <敍>翠娱阁主人
題(楷書) 【霹靂手】 钱塘陆人龙

吴淞浪跡
翁評 雨侯曰
36回 <題(序楷>翠娱阁主人
書)
【雨侯】 钱塘陆君翼 东瓯悠悠
【薄書狂】 演 者評 雨侯曰

- 219 -
위 표에서 보듯이 序文의 형식과 서체는 다르지만 序文의 저자는 모두 ‘翠娱
阁主人’으로 되어 있고, 回末批評에도 여러 명의 評者가 나타나지만 ‘雨侯’는
한결같이 나온다. ‘翠娱阁’은 陸雲龍의 재실명이라 ‘翠娱阁主人’은 즉 陸雲龍을
의미하고, ‘雨侯’ 또한 그의 자로 같은 사람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型世言
≫의 편찬자는 陆人龙이고, 간행자는 陸雲龍이다. 陸雲龍은 ≪型世言≫에서 다
양한 필명을 사용하여 序文, 回末批評을 통해 자신이 강조하고자 하는 전통적
인 생각·관념 등을 드러내고 있다. ≪型世言≫에 들어있는 公案小說 작품을 살
펴보면 재물 분쟁에 관한 소송사건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明末에 가혹하고 과중한 조세가 백성을 무겁게 짓눌러 재물을 탐하여 사취하
게 하고, 심지어 생명을 해치는 범죄가 발생하여 심각한 사회문제가 된 것을
증명한다. 그러나 저자와 간행자는 이러한 사회 갈등과 문제를 반영하고자 하
는 동시에 전통적 예교 사상을 초월한 충효사상과 정절관념을 강하게 요구하
고 있다.
2)訟事小說과의 비교
위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公案小說이라는 것은 범죄사건의 발생과 해
결과정을 중심 내용으로 하는 소설을 일컬으므로 서양의 探偵小說, 推理小說과
는 확연한 차이를 보이지만 한국 訟事小說에 대한 개념 및 범주와는 상당히
유사하다고 생각된다. 본 절에서는 한국 訟事小说의 형성에 있어 중국의 영향
및 양국의 折獄을 제재로 한 소설의 이질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 국문학계의 연구초기에는 公案을 제재로 한 소설들을 주로 ‘公案小說’
이란 용어로 불렸다.484) 대표적인 작품은 ≪薔花紅蓮傳≫, ≪陳大方傳≫, ≪蛙
蛇獄案≫, ≪玉娘子傳≫등이 있다. 그 명칭 외에 ‘探偵小說’, ‘公案小說’, ‘裁判說
話’ 등의 명명도 있었지만 일정 작품에만 한정시키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로 정
착되지는 못하였다. 이런 상황은 1980년대까지 계속되었고, 1987년에 이르러서
484) “公案類란 司法官廳의 法廷에서 자라난 소설” 김태준, ≪조선소설사≫, 학예사, 1939, 188
쪽.

- 220 -
야 李憲洪의 박사 논문인 ≪朝鲜朝 讼事小说 研究≫에서 ‘公案’과 ‘訟事’라는
용어의 어원적 함의와 용례 등을 상세히 살펴본 뒤, ‘公案小說’이란 용어보다는
‘訟事小說’이라는 용어가 한국 고전소설의 갈래 명칭으로 더 적합하고 용이하
다고 규정하였다.485) 그 후 한국 국문학계의 동의를 얻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의 논의를 요약해 보면 아래와 같다.
① 중국에서 ‘公案’이란 명칭은 ‘公府之案牘’의 준말로 ‘공공기관의 사건기록
문서’라는 뜻이 보다 강한데, 한국에서는 소송사건이라는 뜻으로 사용되었
던 문헌이나 용례가 없는 듯하다.
② ‘公案’이란 명칭은 규격화된 형식을 갖춘 사건기록이라는 의미가 강해 문
학 작품으로서 창작성이나 허구성의 의미를 감소시키는 뉘앙스를 풍긴다.
한국 고전소설에서 公案小說의 규범적 절차를 갖춘 작품을 찾기는 힘들다.
③ ‘訟事’는 재판사건 혹은 소송사건을 의미하는 말로서 民事적, 刑事적 사건
을 두루 지칭하는 개념으로 포괄성을 지닌 용어이다. 또한 일상생활에서도
많이 쓰이는 용어로서 혼동의 여지가 없다.
그 동안 訟事小说은 작품에 따라 家庭小说, 寓话小说 등으로 분류되는 경우
가 많았고, 李憲洪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이유로 “송사모티프가 소설작품
전반의 구성을 주도하는 소설, 즉 訟事사건의 발생과 해결이 소설작품의 발단
과 결말에 대응되는 구조를 지니고 전개되는 일련의 고전소설들이 ‘訟事小說’
이다”라는 개념을 정리하였다.
李憲洪이 지정한 訟事小說에 해당되는 작품으로는 ≪薔花紅蓮傳≫, ≪金氏烈
行錄≫, ≪金仁香傳≫, ≪陳大方傳≫, ≪銀愛傳≫, ≪玉娘子傳≫, ≪吉女≫, ≪
鄭壽景傳≫, ≪李雲仙傳≫, ≪申繼後傳≫, ≪三士橫入黃泉記≫, ≪鼠大州傳≫,
≪鼠同知傳≫, ≪황새결송≫, ≪鹿處士宴會≫, ≪鼠獄記≫, ≪蛙蛇獄案≫, ≪까
치전≫, ≪兩班傳≫, ≪茶母傳≫, ≪朴文秀傳≫, ≪柳淵傳≫, ≪洪烈婦傳≫, ≪
朴孝娘傳≫, ≪鄭孝子傳≫, ≪金淳夫傳≫, ≪金氏南徵記≫등을 들 수 있는데,
485) 李宪洪, ≪朝鲜朝 讼事小说 硏究≫, 釜山大学校 博士学位论文, 1987年, 15-20쪽 참조.
- 221 -
이 중에서 ≪李雲仙傳≫, ≪玉仙夢≫등의 작품은 訟事사건에 해당되는 부분이
작품의 일부분에만 수용되어 訟事小說이라고 하기는 어렵다고 본다. 그러나 앞
에서 언급했던 김충실, 신영주와 박여범 등의 연구자들은 이러한 작품들은 訟
事에 관련된 내용의 비중이 커서 따로 독립시켜 놓아도 한 편의 소설이 될 만
큼 독립적인 敍事구조와 갈등장치를 지닌 것으로 보아 논의의 대상에 포함시
켰다. 본 논문에서는 訟事사건의 始末로 되어 있는 작품만 訟事小說로 간주하
고, ≪李雲仙傳≫, ≪玉仙夢≫과 같은 부분적으로 訟事사건을 다루는 작품들은
논의의 대상으로 삼지 않는다.
게다가 기존 연구에서는 訟事小說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작품을 각자 자기
나름대로 분류하는 경향이 보인다. 그 작품군이 지니고 있는 제재, 구조, 의미
등을 단편적으로 분류해 訟事小說의 전체적인 양상과 의미를 규명하는데는 미
치지 못하였고, 개별 작품론 수준에만 머물러 있다.
여러 점들로 볼 때 ‘公案小說’이라는 용어 자체가 한국에 적절치 않다는 것
보다는 ‘訟事小說’이란 명칭을 사용해 더 많은 작품들을 귀속시켜 한국 문학의
한 갈래로 설정함으로써 해당 작품들의 범위를 확대시키려는 의도가 없지 않
다. 더불어 韓國의 訟事小說은 선학자들의 오랜 노력 끝에 고소설의 하나의 하
위 장르로 자리를 잡았으나, 개별 작품에 대한 견해는 계속 논쟁 중에 있다.
우선 訟事小说의 형성배경을 살펴보겠다. 訟事小说은 公案小說과 마찬가지로
현실과 매우 밀착되어 있는 작품이라 형성배경을 검토함에 있어서 사회적 배
경에 대한 고찰이 우선시되어야 할 것이다.
訟事小说 형성에 가장 좋은 토대를 보인 시기는 조선후기이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兩亂 이후 조선왕조의 시국은 점점 기울어지고 혼탁해졌으며, 정치
체제는 또한 당쟁이 격화되어 지방까지 확대됨으로써 국가적으로 혼란이 더욱
심해졌다. 새로운 개혁에도 불구하고 서민들의 부담은 가중되고 있었다. 또한
지속적인 자연재해로 이재민이 많이 발생하여 그로 인한 도적화 현상이 나타
났다. 복잡하게 변화해 가는 사회구조와 삶 속에서 범죄와 訟事는 날로 늘어간
것으로 보인다.486)
486) 박성태, ≪朝鮮後期 訟事小說의 類型과 展開樣相 研究≫, 성균관대학교 博士學位論文, 15
- 222 -
사회분야에서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특히 양반사회의 신분 질서에 변화가
생겼다. 조선 후기 농업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새로 생긴 평민지주가 空名
帖487)을 사서 신분상승을 꾀하기 시작하였고, 그때 마침 정권에서 소외된 양반
들이 소작농으로 전락하는 시기여서 양반과 상민의 관계가 현실적인 재부에
토대를 두고 크게 동요되어 가고 있었다. 더불어 양난을 겪은 과정에서 신분상
승의 기회를 제도적으로 마련해주는 바람에 신분질서의 혼란을 일으켰다. 이것
은 조선후기 사회의 여러 변화와 아울러 더욱 큰 파동을 촉진시켰다. 실제 17
세기 후반부터 신분질서로 인한 소송 사건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확인된다. 이
러한 사건들이 문인에 의해 소설화되어 당시의 사회질서를 집중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訟事小說인 ≪鄭孝子傳≫(李光庭, 1808)488)은 殺主奴婢 사건을 바탕
으로 한 작품으로 당시의 혼란해진 신분제에서 야기된 사회문제들을 반영하고
있다.
한국 訟事小說 형성에 있어서 법제적 토대에 대해 검토하지 않을 수가 없다.
古朝鮮 사회에서도 八條의 禁法이 있어 살인·상해·절도·간음에 관한 금지적 법
률이 통용되고 있었다.489) 八條禁法은 8개 조항으로 된 간단한 원초적인 법이
었다. “사람을 죽인 자는 즉시 사형에 처한다[相殺, 以當時償殺]”, “상해를 입혔
을 경우 곡식으로 갚는다[相傷, 以穀償]”, “도둑질한 자는 소유주의 집에 잡혀
들어가 노예가 되고, 자속(自贖)하려는 자는 50만 전을 내게 한다[相盜, 男沒入
爲其家奴, 女子爲婢, 欲自贖者人五十萬]”와 같은 죄와 각 죄에 대한 처벌들이었
다. 당시에 나라를 다스리는 기본적인 준칙으로 삼아왔다. 그 후에 삼국시대에
쪽 .
487) 空名帖: 조선시대 받는 자의 이름을 기입하지 않은 백지 임명장. 벼슬자리 임명장인 空名
告身帖, 良役의 면제를 인정하는 空名免役帖, 賤人에게 賤役을 면제하고 良人이 되는 것을
인정하는 空名免賤帖, 鄕吏에게 鄕吏의 役을 면제해주는 空名免鄕帖 등이 있다.
488) 신해진, ≪朝鮮朝 傳系小說≫, 월인, 2003, 173-186쪽. 조선 후기에 李光庭의 ≪訥隱文集≫
卷20에 수록되어 있다. 이 이야기는 鄭三省의 외거노비의 婢夫 怪金이 딸의 노비신분을 은
폐하기 위해 鄭三省을 살해하자 효자 鄭道昌이 살해당한 아버지의 원수를 갚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사연을 다룬 작품이다. <鄭孝子傳>은 조선 후기의 양반지배층과 예속된 노비
층 사이에 벌어지는 신분갈등과 향촌지배층간의 분열도 함께 그려냈다.
489) 구병삭, ≪한국고대법사≫, 고려대출판부, 1984, 7-8쪽 참조.
- 223 -
는 이보다 더 구체적인 법을 제정하여 시행하였다. 문헌 기록에 남아 있어 고
증할 수 있는 법률은 ≪高麗律≫이다. ≪高麗律≫은 중국의 ≪唐律≫에서 71條
를 뽑고 고려 실정에 맞게 제정한 법률이다.
1392년 太祖 李成桂가 조선왕조를 건립한 후에는 ≪大明律≫을 의지하고 시
행하였다.490) 실제 실행과정 중 어려움이 많아 太祖 4년(1395) 检校中枢院 高
士褧, 金祗 등이 ≪大明律≫을 吏讀로 풀이하고 ≪大明律直解≫(총 30권 4책)
를 편찬하였다. ≪大明律直解≫는 조선왕조에서 나라를 다스리고 치안을 유지
하는데 실질적으로 기여하였다고 볼 수 있고, 그 후에 다른 법률을 제정하는
과정 중에도 중요한 참고 법서가 되었으며, 목민관을 위한 지침서에서도 많이
인용되었다. 정약용의 ≪牧民心書≫491)와 ≪钦钦新书≫에서도 ≪大明律≫, ≪
太平廣記≫, ≪棠陰比事≫의 영향을 받은 흔적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책들에
수록된 사례들은 한국 訟事說話의 발달에 밑거름이 되기도 하였다.492)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정치적·사회적 혼란 속에서 범죄가 많아지면서 재
판사건으로 이어지게 되는데, 이들 중에 사건의 기이한 발단과 흥미있는 전개
과정, 판결 등이 허구적으로 이어지는 경우, 그것이 충분히 소설화될 수 있
다.493)
그러나 한국은 중국처럼 많은 訟事 이야기가 오래전부터 전해오고 있지 않
아 訟事사건 자체가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적어 訟事사례를 찾아보기 힘
들다. 다만 脫解王神話에 訟事 모티프가 나타나고, ≪朴通事諺解≫에 訟事사건
이 4편 보이며, ≪稼亭集≫에 2편, ≪高麗史≫列傳에 100여 편 및 ≪牧民心書
≫에 고려시대의 재판사건이 예화로 나타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사건의 판결
결과를 밝히고 있는 것이 30편 정도이다.494) 조선시대에 ≪王朝實錄≫, ≪秋官
490) “自今京外刑决官, 凡公私罪犯, 必该≪大明律≫, 追夺宣敕者, 乃收谢贴; 该资产没官者, 乃没
家产. 其附过还职, 收赎解任等事, 一依律文科断, 毋蹈前弊, 街衢革去.” ≪朝鲜王朝实錄·太祖
实錄≫卷1, 太祖元年(1392年7月28日), 国史编纂委员会, 1968, 22쪽.
491) 聽訟條와 除害條에 訟事 이야기가 들어 있다. 丁若鏞 著, 茶山硏究會 譯註, ≪牧民心書≫,
創作과 批評社, 1997.
492) 장연호, ≪韓·中 訟事文學의 比較研究≫, 부산대학교 博士學位論文, 2006, 16쪽 참조.
493) 장연호, 위의 논문, 29쪽.
- 224 -
志≫, ≪受敎定例≫495)등에 실사가 많이 수록되어 있지만 정치적 사건이 많고,
일반 백성들에 관한 訟事사건과는 거리가 멀다.
≪律例要覽≫496), ≪詞訟類聚≫497), ≪臨官政要≫498)와 ≪審理錄≫499)등은
牧民官의 공정한 판결을 위한 지침서로 관행된 判例集과 법문서이다. 이런 判
例集들에는 다양한 訟事사건의 실화들이 아주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고, 조선후
기 사회의 모습을 검토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특히
≪律例要覽≫의 訟事사건들은 백성들끼리의 다툼이나 아전들의 농간에 의한
백성의 고난, 官紀의 문란상 등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는데500), 이 같은 실
존 인물의 야담 등에 집필자의 허구성이 가미되고 윤색되어 있어서 訟事小說
발전에 법적 근거와 사례들을 제공해 주었다. 이에 ≪律例要覽≫과 ≪牧民心書
≫에 보이는 訟事 이야기들은 訟事설화의 중요한 實事적 근원으로서의 의미를
지니는 것이라 할 수 있다.501) 李憲洪은 한국 訟事小說들 중에서 설화적 원천
을 더듬어 볼 수 있는 작품으로 ≪鄭壽景傳≫, ≪황새결송≫, ≪鼠大州傳≫, ≪
陳大方傳≫, ≪薔花紅蓮傳≫, ≪玉娘子傳≫등을 들 수 있다고 하였다.502)
494) 李憲洪, ≪韓國訟事小說硏究≫, 三知院, 1997, 45-46쪽 참조.
495) 조선 후기 형률 시행의 판례적 근거를 담은 형사사건 처리 지첨서로서 조선 후기의 대표
적인 범죄 사건의 유형과 생활 실태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수교정례·율례요
람≫, 법제처, 1970.
496) 각종 범죄 별로 총 200여 편의 訟事사건 판례들을 모아 牧民官들의 참고 지침서로 쓰인다.
≪수교정례·율례요람≫, 법제처, 1970.
497) 조선시대 민사소송인 詞訟에 참고가 되도록 필요한 법령을 편집한 민사소송 지침서이다.
≪受敎輯錄: 詞訟類聚≫, 법제처, 1964.
498) 刑獄과 선인들의 政蹟을 모은 것으로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목민서로서 당시 향촌사회의
상황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안정복·원재린 역주, ≪임관정요≫, 혜안, 2012.
499) 조선 正祖 23년(1799)에 洪仁浩와 동생인 洪義浩가 편찬한 판례집으로, 正祖가 왕위에 있
었던 24년 동안의 刑獄 법안을 편집한 것이다. 크게 사건이 연도별로 배열된 것과 지역별
로 배열된 것 2가지가 전해지고 있는데, 연도별로 배열된 것이 더 상세하다. ≪審理錄≫,
법제처, 1968.
500) 李憲洪, ≪韓國訟事小說硏究≫, 47쪽.
501) 張延鎬, <中·韓訟事小說形成背景比較硏究>, ≪한민족문화연구≫제46집, 2014, 247쪽 참조.
502) 李憲洪, ≪韓國訟事小說硏究≫, 51쪽.
- 225 -
韓國 古小说의 형성과 中國 敍事문학의 유입은 깊은 관련이 있다. 중국의 傳
記는 신라 말부터 유입되어 읽혀졌다는 설이 있을 만큼 꽤 오래 전부터의 일
이다. 그 후에 ≪高僧傳≫, ≪太平廣記≫, ≪剪燈新話≫, ≪列女傳≫, ≪三國志
演義≫등이 차례로 유입되면서 많은 인기를 얻었다.503) 그 중의 ≪太平廣記≫
는 중국 고대 文言 설화를 집대성한 첫 번째 총집으로서 고려시대에 전입되었
다고 알려졌다.504) 전입된 뒤 ≪太平廣記詳節≫, ≪太平廣記諺解≫로 간행되어
널리 전파되었으며, 한국 한문소설 뿐만 아니라 다른 소설에도 많은 제재를 제
공하고 영향을 끼쳤다.
한국 訟事小说의 제재적 기원은 대체로 실사와 설화 문학에 두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실사와 설화를 바탕으로 허구성이 더해져 소설화하여 訟事
小說이 되었다는 것이다. ≪太平廣記≫는 한국 訟事설화의 실사적 근원으로 삼
을 수 있는 자료이다.505) 李憲洪은 ≪太平廣記≫ ‘精察條’에 수록되어 있는 여
러 이야기들을 골라 ≪舊唐書≫의 관련기록과 대비해 분석한 바가 있는데, ≪
太平廣記≫의 訟事이야기는 실사를 바탕으로 재편집· 수록된 것이라고 결론은
내린 바 있다.506) ≪太平廣記≫가 한국에 유입된 시기는 고증하기 어려우나,
거기서 나온 訟事이야기들이 조선시대의 문헌인 ≪牧民心書≫ ≪欽欽新書≫등
에 많이 수록되고 있다는 것은 확인할 수 있다.
또 하나의 한국 訟事설화의 실사적 근원으로 삼을 수 있는 자료는 ≪棠陰比事≫
이다. ≪棠陰比事≫(宋·桂萬荣, 1213년)는 五代의 ≪疑狱集≫과 宋代의 ≪折狱龟
鉴≫을 이어 나온 또 하나의 판례집이다. 역대 折獄 사건과 사법검험의 경험을 총
503) 李憲洪, ≪고전소설 학습과 연구≫, 신지서원, 2011, 41쪽 참조.
504) 고려 전기 아니면 후기인지는 아직 의견이 분분하다. 김현룡은 ≪太平廣记≫가 대략 숙종·
고종 연간(1100-1200)에 한국에 수입되었으리라 짐작했다. 김현룡, ≪韓中小說 說話比較 硏
究: 太平廣記의 影響을 中心으로≫, 一志社, 1976, 39-45쪽 참조.
505) ≪太平廣記≫卷171-172 ‘精察條’에 총 31편(卷171 18편, 卷172 13편)의 宋代 이전에 출현한
公案類 筆記 작품이 수록되고 있는데, 이 중에서 20편 가까이는 唐代 작품이다. 孟犁野, ≪
中国公案小说艺术发展史≫, 警官教育出版社, 1996, 12쪽. 李憲洪은 ≪太平廣記≫卷171-172
‘精察條’에 총 31편의 이야기 중 22편만 訟事이야기로 보고 있다. 李憲洪, ≪韓國訟事小說
研究≫, 125쪽.
506) 李憲洪, ≪韓國訟事小說硏究≫, 126-127쪽 참조.
- 226 -
괄 하여 억울한 옥사를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 판례집은 판관들이 사건을 판결
할 때 사용하는 중요한 참고서이기도 한다.507) ≪棠陰比事≫가 언제 한국에 유입
되었는지는 관련된 기록이 없어 구체적인 연도는 알 수 없다. 다만 1539년(中宗
34)에 再版되어 간행된 기록이 있다는 점으로 보아 이전부터 이미 유포되어 있었
던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 ≪棠陰比事≫의 訟事이야기는 ≪牧民心書≫와 ≪欽欽
新書≫에 각각 47편, 30편이 수록되고 있다.508)
여기까지 한국 訟事小说을 형성하는 사회적·법제적 토대와 문학적 배경을
검토하였는데, 외래적 요인이나 제재적 근원이나 모두 중국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는 구제적인 작품을 살피고자 한다.
訟事小說 작품들을 전체적으로 살펴볼 때 주로 크게 2가지로 구분된다. 실사
를 제재로 한 傳類訟事小說과 동물의 이미지를 빌려 쓴 寓話類訟事小說이다.
傳類訟事小說은 일종의 전기적 구조를 가지고 소송사건이나 범죄사건에 휘
말린 주인공에 초점을 맞춘 이야기들이다.509) 해당 작품으로는 설화적 전통에
의존하여 범죄사건에 휘말린 주인공이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을 일종의 영웅담
으로 재현한 작품들인 ≪玉娘子傳≫, ≪鄭壽景傳≫, ≪陳大方傳≫등과 訟事실
사나 실존인물의 이야기를 소설화한 작품들인 ≪柳淵傳≫, ≪洪烈婦傳≫, ≪銀
愛傳≫, ≪鄭孝子傳≫, ≪朴孝娘傳≫등이 있다.
寓話類訟事小說은 동물을 의인화한 우화소설로 동물세계의 소송사건을 다룬
이야기들이 여기에 속한다. 寓話類訟事小說은 풍부한 구전설화 전통에 기대어
해학과 풍자의 기능을 강화한 매우 독특한 작품 세계를 만들어내었다.510) 해당
작품으로는 ≪鼠大州傳≫, ≪鼠同知傳≫, ≪鼠獄記≫, ≪황새결송≫, ≪蛙蛇獄
案≫, ≪까치전≫등이 있다. 그 중에 ≪황새결송≫은 다른 양상을 띠고 있다.
507) 李憲洪은 ≪太平廣記≫의 22편 訟事 이야기 중 ≪棠陰比事≫의 것과 같은 내용은 15편이
있다고 하고, ≪棠陰比事≫는 ≪太平廣記≫에 비해 실사적 성격에 보다 가까운 모습을 보
인다고 주장하였다. 李憲洪, ≪韓國訟事小說硏究≫, 128쪽.
508) 李憲洪, ≪韓國訟事小說硏究≫, 129-134쪽 참조.
509) 박소현, <동아시아 범죄소설의 사회사-명청시기 公案小說과 조선후기 訟事小說의 비교를
중심으로>, ≪명청사연구≫제46집, 2016, 157쪽.
510) 박소현, 위의 논문, 157쪽.
- 227 -
다른 寓話類訟事小說들은 시종일관 동물만 등장시켰는데 이 작품은 전반부에
는 사람의 소송사건을 서술하고, 후반부에는 꾀꼬리·뻐꾸기·따오기가 서로 자
기의 우는 소리가 가장 예쁘다고 다투다가 황새를 찾아가 고소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그 동안 한국 訟事小说은 작품에 따라 家庭小说, 寓话小说 등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았다고 언급한 바가 있다. 그 만큼 한국 訟事小说은 가족갈등을 중요
한 모티프로 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문학윤리학비평
이 문학의 윤리적 환경을 중요시하여 역사적인 윤리 현장으로 돌아가야 된다
고 주장하고 있듯이 한국의 讼事小说 속의 가족 간의 갈등 및 해결을 살피기
전에 조선시기의 가정윤리의 배경을 먼저 볼 필요가 있다.
한국 전통사회에 있어서의 집[家]은 과거의 조상으로부터 시작되어 미래의
후손에게까지 연결되는 영속적인 집단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그러기에 한국
전통사회에 있어서의 집의 개념은 父系의 초시간적인 제도체로 인식되어 왔
다.511) 이에 한국의 가정 관념에는 지속성과 영속성을 중요시하고 있어 가정의
외연이 상대적으로 광범하며, 이러한 가정 체계 아래 가정윤리가 중요한 위치
를 차지하게 된다. 父系의 제도체로 인식되어 왔기 때문에 가장512)의 지위 또
한 절대적이고 대처할 수 없는 존재이다. 이에 가족구성원의 관계는 가장을 둘
러싸고 전개되고 있는 것으로 서열개념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조선후
기의 讼事小说 수량은 많지 않지만 그 중에서도 가족 간의 갈등을 제재로 한
작품이 몇 편이 있다. 중국의 公案小說과 같이 단순한 가족관계보다는 여러 관
계가 뒤섞이는 양상을 띠고 있다. 그 중에 핵심적인 갈등이 생겨 관청에 가서
해결되는 사건들만 예로 보이고자 한다.
≪蔷花红莲传≫513)은 訟事小说인 동시에 가정형 계모소설의 대표작으로 계
511) 김익수 외4人 共著, ≪韩国人의 家庭伦理≫, 学问社, 2000, 68쪽.
512) 가장이라는 용어는 고려시대까지는 법령이나 법전에서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았다. 조선
시대에 明나라 ≪大明律≫을 해석하여 1395년(태조 4) ≪大明律直解≫를 편찬할 때부터 家
長이라는 말을 사용했다. 그 뒤 1492년(세조 8) 편찬된 ≪經國大典≫에는 가장이라는 용어
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김익수, 위의 책, 69-70쪽.
513) 작가·연대 미상, 한글본, 한문본, 한글·한문본으로 나눌 수 있다. 내용은 유사하나, 한글본
에는 환생후의 이야기까지 덧붙였다. 金東旭 編, ≪古小說板刻本全集≫2 影印本, 延世大學校
- 228 -
모가 두 자매를 학대하는 비극적인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작품 스토리를 크게
5단락으로 나누어 보면 아래와 같다.
① 좌수 裴씨는 슬하에 장화와 홍련 두 딸이 있는데, 부인이 죽자 裴씨는 대
를 잇기 위하여 許씨와 재혼하여 삼형제를 낳는다.
② 악독한 許씨는 남편이 여전히 딸을 예뻐하는 모습을 보고 질투하여 장화
와 홍련을 학대하기 시작한다.
③ 許씨는 장화를 죽이기로 하고 흉계를 꾸며 장화를 모함하여 못에 빠뜨려
죽인다.
④ 죽은 장화가 동생 홍련의 꿈에 나타나 원한을 호소하자, 홍련은 장화가 죽
은 못을 찾아가 물에 뛰어들어 죽는다.
⑤ 두 자매의 원혼은 억울함을 호소하려고 부사에게 가게 되고 부사들은 놀라
서 죽게 된다. 마침 鄭東佑라는 사람이 부사로 부임하게 되고, 부사는 두
자매의 사건을 조사하여 자매의 원통을 풀어주고, 계모를 능지처참한다.
이 이야기는 악독한 계모와 전처 자식간에 빚어진 갈등을 다루고 있다. 사건
발생으로는 裴씨가 대를 잇기 위해 許씨와 재혼하여 장화와 홍련 자매에게 계
모가 생기고 그 계모의 질투심으로 인한 살인사건이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
다. 사건해결로는 억울하게 죽은 두 자매는 부사에게 찾아가 원통함을 호소하
고, 부사는 당사자들을 문초하고 검사하여 판결을 내리는 과정이다. 이 작품에
는 부녀관계, 계모와 전처 자식의 관계, 형재자매의 관계 등이 뒤섞이고 있다.
애초에 계모가 없었다면 이 가정은 전형적인 ‘父子有親’의 화목한 가정이었다.
계모의 개입으로 인한 갈등은 부부 갈등, 모녀 갈등, 남매 갈등으로 만연된다.
여기서 변하지 않은 관계는 장화와 홍련의 자매관계로 둘은 생전에도 사이가
좋아 늘 붙어 있어 정이 돈독하였다. 장화가 죽은 후에 동생 홍련도 따라 죽어
둘의 원혼은 함께 도처에 억울함을 호소한다.
부녀관계도 돈독하다는 것으로 그려지고, 재혼한 후에도 여전히 전처를 그리
出版部, 1973.
- 229 -
워하며 장화, 홍련만 아끼는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데, 이로 인해 許씨의 질투
심을 자극하여 두 자매를 학대하게 만든 것이다. 가장의 나약함과 편애는 가족
구성원 사이의 갈등을 일으키는 결정적인 원인이 된다.
“양 녀로 더브러 강부인을 각며 일시라도 냥녀를 못보면 삼추갓치
너겨 나갓다가 드러오면 몬져 냥의 방의 들어가 손을 잡고 눈물을 흘”514)
한편 윤리적 신분변화에 따라 제대로 대접을 받지 못하는 것도 갈등을 야기
하는 원인으로 보인다. 장화와 홍련은 죽은 어미만 그리워하고, 許씨를 어미로
대접하지 않았고, ‘계모’라는 호칭을 사용할 정도로 배타적이었으니, 가족 공동
체 의식은 전혀 찾아 볼 수 없다. 게다가 남편의 무시515)까지 가하여져 윤리적
신분에 따른 대접을 받지 못한 계모 許씨의 소외감은 마침내 살인이라는 극단
적인 사태로 치닫게 된다.516)
許씨의 살인 수법은 또한 잔인하고 치밀하다. 그녀는 큰 쥐를 잡아 털을 뽑
고 피를 내어 장화의 이불 밑에 넣었다가 꺼내어 좌수에게 보여주며 장화가
외간 남자와 부정을 저질러 낙태하였다고 속이자, 결국 무능한 좌수는 아들 장
쇠를 시켜 아꼈던 장화를 못에 빠뜨려 죽인다. 물론 제의한 사람은 계모 許씨
였지만 결정권을 쥐고 있는 자는 아버지 裴씨였으므로 장화의 죽음에 대한 책
임은 오히려 아버지에게 더 크게 있었던 것으로 보지 않을 수 없다.517) 결국
가장의 나약함과 무능함, 계모의 질투심으로 인한 가족구성원 사이의 갈등이
자식을 죽음에까지 몰아넣는 비극적 결말을 가져오게 한 것이다.
이 이야기에서 주목해야 하는 것은 원혼의 출현이 중국 公案小說에서 판관
들의 神判 방식 중 하나인 ‘원혼 현몽’과 유사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장화의 원
혼은 두 번이나 나타난다. 한 번은 죽은 장화가 동생 홍련의 꿈에 나타나 원한
514) 金東旭, 앞의 책, 579-580쪽.
515) “팔 긔구여 허씨갓튼 계모를 맛나 골슌함과 박 심니......후 다시 이런 연괴 이스
면 쳐지여 너희 을 편케 리라” 金東旭, 위의 책, 580쪽.
516) 李憲洪, ≪韓國訟事小說硏究≫, 249쪽 참조.
517) 李憲洪, 위의 책, 250쪽 참조.
- 230 -
을 호소하는 것이고, 또 한 번은 죽은 장화, 홍련 자매가 함께 부사에게 찾아
가 억울함을 토로하는 것이다. 그리고 박소현에 따르면 한국 訟事小說에서 나
오는 원혼 “이야기의 초점은 판관의 활약에 있다기보다는 회생자인 장화와 홍
련의 시련에 있다.”518)라고 하였다.
≪陈大方传≫519)은 중국 宋나라를 배경으로 어머니가 불효자를 고소하여 효
자로 개과천선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李憲洪에 따르면 ≪牧民心书≫에는 ≪
陈大方传≫의 제재적 근원으로 볼 수 있는 이야기가 7종 수록되고 있는데, 7종
의 이야기 중 어느 하나만의 영향을 입어 형성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520)라고
하였다. ≪陈大方传≫의 작품 스토리를 크게 5단락으로 나누어 보면 아래와 같
다.
① 진대방은 귀한 집안의 외동아들로 태어나 애지중지하게 키워져서 되어 나
이가 들수록 안하무인인데다가 방탕하여 늘 주색에 빠져 있다.
② 楊씨 집안 여식과 혼인을 하였으나 며느리마저 포악하여 끝내는 남편과
공모하여 시어머니와 시동생을 내쫓아 버린다.
③ 어머니는 밖에서 정처 없이 전전하다가 집으로 돌아와 더 이상은 참을 수
없어 관가에 가서 아들과 며느리의 불효를 고발한다.
④ 金太守는 대방 가족들을 불러 꾸짖고 훈계하며, 자신의 교화가 부족함을
자책한다.
⑤ 그 후로 대방은 개과천선하여 효자가 되어 지극한 효성으로 어머니를 모
신다.

이 이야기에는 4가지의 가족관계가 뒤섞이고 있는데 모자관계, 부부관계, 고


518) 박소현, <중국과 조선의 법률문화와 범죄소설의 계보학>, ≪비교문학≫제53집, 2011, 67
쪽.
519) 작가·연대 미상, 한글 필사본. 異本이 많지만 내용은 유사하다.
520) 한국 설화는 3편으로 ≪朴世樑≫, ≪金必振≫, ≪姜裕後≫이며, 중국 설화는 4편이다. 李憲
洪, ≪韓國訟事小說硏究≫, 70쪽.

- 231 -
부관계, 형제관계 등을 들 수 있다. 어머니는 어른으로서 자식교육을 제대로
시키지 못한 책임이 있고, 陈大方 부부는 아래 사람으로서 효도를 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어머니를 학대까지 하여 고소를 당해 법정에 서게 된다. 며느리마
저 악독하여 시어머니와 시동생을 구박하다가 내쫓아 버렸으니 죄질이 나쁘고,
형제 사이의 手足之爱 또한 찾아보기 어려워 동생도 태수의 훈계를 피하지 못
한다. 이에 金太守는 이 모든 갈등의 원인은 자신의 교화가 미치지 못한 것에
서 비롯된 것이라고 자책하게 된다.
효는 부모와 자식 사이의 관계 전반에 관한 것이라기보다는 자식의 부모에
관한 태도 및 행위교범이다. 한국 전통사회에서 부모를 섬긴다는 것은 단지 부
모를 모시고 산다거나 부모의 마음을 기쁘게 한다거나 편안하게 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자식의 모든 행위 일체가 이 효도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521) 특히 조선시대에는 불효를 큰 범죄로 여겨 관청에 가서 해결하는 사례
가 많았다. 서술자는 효를 선양하기 위하여 전반부에는 불효라는 복선을 깔아
두고, 후반부에는 효자로 개과천선 하게 하여 효행을 부각시키고 있다. 이런
작품은 교화하려는 목적이 아주 명확하다.
중국 公案小說에서 가해자든 피해자든, 심지어 판관까지도 그들의 이미지 설
정은 모두 윤리·도덕에 맞춰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한국 訟事小说에서
도 비슷한 양상을 볼 수 있다.
訟事小说은 사회변화나 제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출현된 소설이라 작
품 속의 판관들은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 중 당시 사회의 법률제도와 인정을
고려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한국 訟事小说 속 판관들은 사건을 처리하는데 어
떤 기준으로 법리와 정리를 판단했는지 고찰하기로 한다.
朴吕範에 따르면 “송사에 대한 해결 방식은 두 가지로 나타난다. 하나는 판
관의 과학적 수사와 지혜로 판결하는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사회적으로 통용
되어 온 윤리 도덕적 가치 기준에 의거하여 판결하는 형태이다. 전자와 후자는
비록 그 과정은 다르지만 두 가지 해결 방식은 종국적으로 판관에 의해 사건
이 해결된다.”522)라고 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과학적 수사와 지혜’는 법리에
521) 김익수, 앞의 책, 74쪽.
- 232 -
의한 판결로 이해할 수 있고, ‘윤리 도덕적 가치 기준’은 정리에 의거해 합리적
으로 해결하려는 경우를 말한다. 조선 訟事小说들 중 법리에 의한 판결에 해당
되는 작품으로는 <蛙蛇獄案>523), <薔花紅蓮傳> 등이 있고, 정리에 의한 판결
에 해당되는 작품으로는 <陈大方传>, <玉娘子传>524), <银爱传>525)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몇 편의 작품을 예로 하여 판관들의 법리와 정리의 검토문제
를 고찰해 보기로 한다.
<蛙蛇獄案>은 한국 고전소설 중 吏讀文으로 된 유일한 우화소설이다. 개구
리가 자기 아들인 올챙이를 살해한 대망(大蟒)을 관가에 고소하는 이야기를 다
루고 있다. 대망은 원수를 갚기 위해 개구리의 아들 올챙이를 살해한다. 당시
初檢官인 蟾津別將은 사건을 접하자 현장조사에 나가 관련자를 심문하다. 판관
은 사법적 절차(검시 → 심문 → 증거 → 대질 → 판결)대로 사건을 해결한다.
결국 판관은 대망을 진범으로 판단하여 상부에 보고한다. 이 모든 과정은 법리
의 범주 내에 진행되지만 진범인 대망은 죄를 인정하지 않는다. 朴吕範에 따르
면 “그 결과 이 작품의 마무리는 覆检 요청을 설정하여, 재수사를 통해 사건
해결을 보다 분명하게 처리하려는 작가의 의도를 형상화하고 있다. 이처럼 본
작품은 사실적인 판결 절차를 수용하여 송사의 합리적인 판결을 강조하고 있
으며, 작품 전반을 통해 이를 상기시키고 있음을 쉽게 확인 할 수 있다.”526)라
고 하였다. 이 작품은 조선시대에 있어서의 재판의 모순을 우화소설을 통해 풍
자하고 있다.
앞에서 언급했던 <陈大方传>의 사건을 해결하는 모습과는 확연히 다르다.
<陈大方传>은 어머니가 불효한 아들과 며느리를 처벌해 줄 것을 관청에 호소
하는 이야기이다. 이 사건을 맡은 金太守는 온 가족을 관가에 불러 심문한 후,
대방의 어머니에게는 가정교육을 제대로 시키지 못함을 꾸짖고 대방의 동생에
522) 朴吕範, ≪訟事小說의 전개 유형과 현실인식≫, 全北大学校 博士学位论文, 2001年, 63쪽.
523) 작가·연대 미상, 한문필사본, 吏讀文으로 된 우화소설이다.
524) 작가·연대 미상, 한글활자본이다.
525) 조선 후기에 李德懋의 문집 ≪雅亭遺稿≫에 실려 있다.
526) 朴吕範, 앞의 논문, 70쪽.
- 233 -
게는 형제 사이의 薄情을 나무란다. 그리고 대방의 처 양씨에게는 칠거지악과
어진 아내의 이야기를 하고, 대방에게는 자식으로서의 도리와 부모가 자식을
키우는 노고를 들려주고 훈계한다. 더불어 김태수는 자신이 목민관으로서의 직
책을 다하지 못함을 반성한다. 이에 집으로 돌아간 대방은 개과천선하여 지극
한 효성으로 어머니를 모신다.
≪大明律≫에 의거하면 ‘불효’는 ‘十恶’527)중 하나로 봉건 윤리관계를 파괴시
키는 중대한 범죄행위이다. 朴吕範에 따르면 “고을 태수가 대방의 패륜 행위를
현상적인 차원에서 처리한다면, 패륜 행위를 일삼은 대방만을 징계하고 다스려
야 한다. 그런데 판관은 대방의 범죄적 행위를 가족 구성원과 목민관인 자신의
책임으로 파악한다.”528)라고 하였다. 이러한 심리 방법은 더욱 효과적으로 대
방 내외의 효행이 소문나 천자의 귀에까지 들어가게 되고, 대방 또한 관직에
올라 효로써 선정을 베푼다.
<玉娘子传>은 玉娘의 열행을 다룬 이야기이다. 玉娘의 신랑 李時業은 신행
을 가는 도중 토호와 싸워 살인죄로 투옥된다. 신부 玉娘은 이 소식을 듣고 남
복을 차려 입은 뒤 감옥으로 찾아가 시업을 만나 자신이 대신 형벌을 받겠다
고 간청한다. 李時業이 단호히 거절하자 玉娘은 비수를 꺼내들고 자결을 감행
하겠다고 협박하자 결국 시업은 마지못해 비통해 하면서 玉娘과 옷을 바꿔 입
고 탈옥한다. 판관이 죄인이 바뀐 것을 알고 크게 노하자 玉娘은 사실대로 자
백한다. 법리에 의거하면 이것은 杀狱罪와 越狱罪에 해당되어 엄벌에 처해야
되는데 판관은 玉娘의 열행에 감동하여 그 사실을 상부에 보고하게 된다. 상감
은 玉娘의 절의를 칭찬하며 그의 죄를 사하여주고 ‘贞烈夫人’이라는 것을 제수
한다. 그 후 李時業은 과거에 급제하여 호조판서에까지 이르게 된다. “이러한
상황 설정은 작가가 법의 냉정함보다 인정을 우위에 두고 있는 민중 의식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529)
<银爱传>에서는 양반집의 딸 金银爱가 퇴물기생 노파의 연이은 모함에 견
527) ≪大明律≫의 十恶은 刑律에서 규정한 10가지의 대죄로 谋反, 谋大逆, 谋叛, 恶逆, 不道, 大
不敬, 不孝, 不睦, 不义, 内乱 등이다.
528) 朴吕範, 앞의 논문, 79-80쪽.
529) 朴吕範, 앞의 논문, 85쪽.
- 234 -
딜 수 없어 살인까지 저지르게 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당시의 판관은 문
초한 후 银爱의 행동을 동정하나 어쩔 수가 없어 상부에 보고를 한다. 그러자
正祖는 정조를 지닌 여자가 음란하다는 모함을 입음은 천하에 원통한 일이라
고 하면서 은애를 사하여 주라고 한다. 살인죄를 저지른 银爱가 방면된 것은
당시의 판관과 임금이 법리보다 정리를 더 고려했기 때문이다.
이상의 사건들로 미루어 보면 한국 訟事小说 속 판관들은 판결을 내릴 때
죄질을 고려하는 것보다는 가해자의 범죄 동기를 먼저 살피고, 또한 당시의 윤
리·도덕 및 인정을 기준으로 판단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윤리와 도덕을
위배한 사건에 대해서는 가중처벌하고, 정조·절의 등을 지키려다 범죄를 저지
른 사건에 대해서는 선처하거나 방면하고 표창까지 한다. 이러한 판결은 억울
한 누명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민중들의 눈높이에 맞춰 함께 나아가
는 노력으로 보인다.
한국 寓話類訟事小說은 다양한 동물 이미지를 빌려 송사사건을 다루는 독특
한 소설 유형으로 중국과 다른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訟事小說에서는
동물이 주인공이 되고 직접 소송을 행하는 형태를 보인다. 간단히 말하자면 동
물세계의 소송사건을 다루고 있는 소설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鼠類’ 寓話訟事小說인 ≪鼠大州传≫530), ≪鼠同知传≫531), ≪鼠狱
记≫532)와 ‘鳥類’ 寓話訟事小說인 ≪황새결송≫533), ≪까치전≫534) ≪鹊鸟相讼
≫535) 등이 있다. 줄거리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530) 작가·연대 미상, 한문필사본 ≪鼠大州传≫, 한글필사 4장본 ≪셔쥬젼≫(정문연 소장), 8장
본 ≪셔쥬젼≫(김동욱 소장), 13장본 ≪셔쥬젼≫(김동욱 소장), 15장본 ≪셔쥬전≫
(김동욱 소장), 25장본 ≪셔쥐전≫(김동욱소장)이 있고, ≪다람젼≫, ≪다람의소지≫, ≪
다람쥐젼≫등의 異本이 있으며, 한글활자본은 ≪서쥐전≫(汇东书馆本1918년)이 있다. 郑
出宪, ≪朝鲜後期 寓话小说의 社会的 性格≫, 高丽大学校 博士学位论文, 1992.
531) 작가·연대 미상, 일명 ≪鼠翁传≫, ≪鼠勇传≫, 한글활자본 ≪鼠同知传≫에는 1918년에 출
판된 永昌书馆本, 大昌书院本, 1925년 출판된 汇东书馆本, 그리고 광복 후 출판된 世昌书馆
本 등이 있다. 김재환, ≪한국敍事문학과 동물≫, 보고사, 2005年, 189쪽.
532) 작가·연대 미상, 일명 ≪鼠狱说≫, 한문필사본이 있다.
533) 작자·연대 미상, 한글본이다. 1848년에 간행된 목판본 ≪삼설기(三說記)≫(3책 9편본)에 수
록되어 있다. 이 작품은 사람의 訟事 이야기 속에 다른 寓話 이야기를 곁들인 단편이다.
534) 작자·연대 미상, 한글필사본이다.
- 235 -
<표6-9> 鼠類 訟事小說
작품명 寓話인물 줄거리
서대주 무리들이 타남주의 알밤
鼠大州传 서대주, 타남주 과 보물을 훔쳐, 타남주가 관가
에 고소하는 이야기.
다람쥐가 서대주에게 양식을 얻
鼠同知传 서대주, 다람쥐 지 못해 앙심을 품고 고발하는
이야기.
쥐, 80여 종의 쥐가 그의 무리들을 이끌고 쌀
鼠狱记 식물, 동물 창고에 들어가 홈쳐먹다가 창신
에게 발각되는 이야기.
세 작품은 모두 鼠類의 소송사건을 의인화하여 소설로 쓴 작품으로 소재가
같지만 주제, 내용과 구성면에서는 전혀 다르다. 그러나 주목할 만한 것은 ≪
鼠大州传≫과 ≪鼠同知传≫은 모두 중국을 배경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점이다.
전자는 중국 陇西小兔山과 南岳山 이고, 후자는 雍州九宮山과 河图山이다. 두
작품에서 서대주라는 쥐가 등장하지만 이미지가 완전 다르다.
≪鼠大州传≫중 서대주는 쥐들을 이끌고 타남주의 알밤과 보물을 훔친 범인
이다. 고발을 당한 후에도 서대주는 당황하지 않고, 형리와 옥리에게 뇌물을
주고 편한 옥살이하게 된다. 판관 또한 서대주에게 속아 그를 풀어주면서 타남
주를 유배시킨다. 여기의 서대주는 교활하고 관료사회에 능수능란한 조선말기
몰락한 양반들의 상징이다. 반대로 ≪鼠同知传≫ 중 서대주는 唐太宗이 金墉城
을 치려할 때 쥐 무리를 거느리고 金墉城의 곡식 창고를 바닥내는 큰 공을 세
운다. 그리고 어느 날 게으르고 간악한 다람쥐가 처음 곡식을 얻으러 왔을 때
서대주는 주었지만 다시 왔을 때는 거절한다. 이에 서대주는 고발을 당하지만
오히려 다람쥐를 불쌍히 여겨 판관인 白虎山君에게 용서를 청한다. 이러한 착
한 서대주 이미지는 ≪鼠同知传≫ 異本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인다. 그는 무턱
535) 작자·연대 미상, 한문단편소설이다.
- 236 -
대고 착한 것이 아니라 관료사회의 암묵적인 관행도 잘 알고 있어 뇌물을 주
면서 자신의 죄명을 깨끗이 씻는다. 시대 변화와 독자들의 요구에 따라 저자는
같은 인물이라도 다양한 성격으로 설정하는 경향을 보인다.
요컨대 저자는 쥐를 통해 부도덕한 인간과 혼란스러운 현실 세계를 풍자하
고 있고 지배계층의 무능함과 부정부패한 관료사회, 그리고 이런 현실에서 속
수무책으로 당하는 백성들의 실태를 폭로하고 있다.
<표6-10> 鳥類 訟事小說
작품명 寓話인물 줄거리
꾀꼬리, 뻐꾸기, 따오기가 서로
황새결송 꾀꼬리, 뻐꾸기, 자기의 우는 소리가 가장 예쁘
따오기, 황새 다고 다투다가 황새를 찾아가
訟事하는 이야기.
까치부부의 낙성연에 비둘기가
까치전 까치, 비둘기, 찾아와 싸우다가 까치를 죽이게
날짐승들, 두꺼비 되어 암까치가 비둘기를 고발하
는 이야기.
까마귀가 까치의 집을 약탈하여
鹊鸟相讼 까치, 까마귀 까치가 신에게 고소하는 이야
기.

鳥類 訟事小說은 鳥類寓話를 통해 뇌물을 주고받으며 사리사욕에 잠겨 그릇


된 판결을 내리는 것을 비꼬고, 당시의 문란한 관료사회를 풍자적으로 비판한
소설이다. 김재환에 따르면 “동물 세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이러한 장면을 통해
작가가 말하고자 한 것은 세상이란 힘 있는 자가 지배한다는 사실이다. 곧 작
가는 이 세상은 강한 자는 먹고 약한 자는 먹히는 약육강식의 원리가 지배하
는 사회이고, 인간 사회도 이와 다름이 없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있다.”536)라고
536) 김재환, ≪한국서사문학과 동물≫, 보고사, 2005, 472쪽.
- 237 -
하였다.
전체적으로 寓話類訟事小說은 동물세계의 다툼과 소송을 통해 인간사회를
폭로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寓話類訟事小說은 당시 조선사회의 부패 양상과
착취를 당한 백성들의 모습을 그린 사회소설적 성격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
다.
이상으로 한국 訟事小說의 형성배경, 유형 및 구체적인 작품을 살펴보았다.
한국 古小說 중 訟事小說에 해당되는 작품은 30여 편에 불과하여 중국 公案小
說에 비해 매우 적은 숫자지만 나름대로 당시 조선 후기의 사회상을 생생하게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국 訟事小說이 중국 公案小說과 어떤 면에서
이질성을 갖고 있는지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敍事的 측면에서 한국 訟事小說도 사건발생과 사건해결이라는 2가지
요소로 구성된다는 점에서는 중국 公案小說과 유사하다. 그러나 訟事小說은 소
송사건의 발생을 집중적으로 전개하고 사건해결에 대해서는 매우 간략하게 서
술하고 있다. 이에 등장인물들의 관계, 그리고 연결선의 처리가 비교적 복잡하
다. 사건해결을 위해 판관이라는 인물이 등장하기는 하지만 대부분 말미에 사
건을 종결시키는 역할만을 담당함으로 그에 대한 묘사는 구체적이지 않다. 이
에 판관은 사건에 종속된 행동자로 보는 것이 마땅하다. 그러므로 중국 書判體
公案小說에 자주 등장하는 소장과 판결문은 한국 訟事小說에서는 찾아보기 어
렵다.
둘째, 중국 公案小说 속 동물들은 대부분 판관의 조력자로 등장하여 사건해
결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데, 이와 달리 한국 寓話型訟事小說에 나타나
는 동물들은 범죄를 저지르고 소송도 직접 제기하는 사건의 주인공으로 묘사
되고 있다. 독특한 양상을 보여준 寓話型訟事小說들에는 동물의 세계를 통해
부정부패로 인해 왜곡된 사법제도를 풍자한 작품이 많다. 저자는 동물들에게
寓意를 부여하여 인물을 형상화하고 있으며, 내용은 통속적이고 평이하다.
셋째, 중국 公案小说에서는 사건의 판결이 실제 법률 조문과 일치하지 않은
부분이 상당하고, 특히 민사 사건에서는 판관들이 정리를 고려해 판결을 내리
는 경우가 많다. 한국 訟事小說에서는 민사 사건뿐만 아니라 형사사건마저도

- 238 -
법리보다 정리에 근거하여 판결하는 이야기를 많이 다루고 있다. 이에 박소현
은 순수한 민사 분쟁을 다루는 訟事小說의 경우에는 범죄소설이라기보다는 사
회적 화합을 강조하는 교훈담이라고 볼 수 있다고 하였다.537)

537) 박소현, <중국과 조선의 법률문화와 범죄소설의 계보학>, ≪비교문학≫제53집, 2011, 66


쪽.

- 239 -
Ⅶ. 결 론
“법이란 무엇인가?” 서두에 제기했던 의문을 다시 되묻는다. 몇 천년 역사를
거쳐 계속 인류를 고민케 했던 이 문제는 본 논문에서도 밝히지는 못한다. ‘법’
이라고 하는 범위가 넓기도 하거니와 다양한 이해와 관심과 욕망을 지닌 여러
인간이 모여 사는 사회에서 각종 갈등과 충돌은 필연적이고 이러한 갈등과 충
돌을 해결할 일정한 규칙의 존재도 또한 필연적인 것이다.538) 규칙인 법이 없
다면 사회생활이 불가능하고, 그 법이 공정하게 작용되지 않으면 불만이 쌓이
고, 억울한 자가 생길 수 있다. 그래서 고대부터 백성들은 청렴하고 공정한 清
官을 찾게 되고 숭배하게 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법은 인간사회의 일정한 규칙으로 일상생활의 중요한 일부분을
차지하므로 대중의 큰 관심사인 것이다. 이런 법과 관련된 사건을 다루는 소설
은 실용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호기심을 만족시키기도 한다.
박소현에 따르면 법을 제재로 한 公案小說은 “법률이야기의 윤리적, 교육적 기
능에 범죄이야기의 오락적 기능까지 갖춤으로써 읽는 재미를 더하였다.”539)라
고 하였다.
그러나 중국 소설사상 公案小说은 언제나 냉대를 겪었다. 이익에 급급하여
지속적으로 출판된 明代 公案小說은 제재가 번잡하고 문장이 조잡하며, 작품
간에 무작위로 답습하여 중복되는 부분이 많아 문학적 예술적 가치에 대해서
계속 지적을 받아왔다. 그런데 본 논문의 고찰에 의하면, 일률적으로 明代의
短篇公案小说专集들이 서로 답습하여 중복되는 부분이 많다는 주장은 다소 편
파적인 듯하다. 萬曆년간 출현한 短篇公案小说专集은 12종에 달하는데, 문학성
이 결여된 단점은 피할 수 없으나, 자세히 보면 초기에 나온 短篇公案小说专集
인 ≪百家公案≫, ≪廉明公案≫, ≪诸司公案≫이 오히려 후세의 短篇公案小说
专集들이 답습했었던 대상들이었기 때문에 무작위로 답습했다는 인식은 상당
한 무리가 있다고 생각된다.
538) 홍완식, ≪사회적 쟁점과 법적 접근≫, 건국대학교출판부, 2011, 29쪽.
539) 박소현, <중국과 조선의 법률문화와 범죄소설의 계보학>, 64쪽.
- 240 -
본 논문에서는 公案小說에 관련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明代에 성행했던
公案小說을 중점적 분석대상으로 삼아 기존의 소설 연구방식과는 다른 방식으
로, 公案小說에서 보여지는 敍事시점, 敍事구조, 갈등양상, 등장인물 등을 살피
면서 公案小說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주
로 敍事學에 입각하여 公案小說 작품 내부로부터 작품 자체의 법칙을 발굴하
고, 작품의 심층구조를 연구하였다.
公案小說은 범죄 사건의 발생과 해결을 敍事의 주요 모티프로 하는 독자성
을 지니고 있는 장르라고 할 수 있는데, 특히 12종의 短篇公案小說專集은 비록
明代에 출현한 다른 명작들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敍事的 취약성 및 제
한성이라는 한계를 지니고 있기는 하지만, 古典小說의 전통적인 敍事방식을 흡
수하여 書判體라는 公案小說의 특유한 유형을 만들어내기도 하였다. 그리고
‘三言二拍’ 중 擬話本公案小說은 公案小說을 새로운 단계로 발전시킨 작품으로
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公案小說이 다른 古典小說과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敍事的 측면에서는 또한 독특한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우선 公案小說은 허구성과 현실주의의 심오한 사회적 메시지를 혼합한 작품
으로 소설적 역할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여 중국 소설사상 간과할 수 없는 중
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公案小說의 제재적 특성에서 비롯된 것이
라고 생각된다. 현실을 살아가는 서민들 사이의 대립과 갈등을 서술자를 통해
그려나가, 법률지식을 보급하는 특수한 장르가 되면서 서민들의 위로가 되는
읽을거리가 되었다.
敍事시점의 측면에서 公案小說들은 전지적 敍事시점 위주로 사용되고 있다.
사건은 시간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발전하고, 서술자는 그 발전 과정을 처음
부터 끝까지 독자들한테 전개한다. 公案小說이 전지적 敍事시점을 즐겨 사용하
는 것은 독자들로 하여금 이야기에 직접적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하여 주인공과
의 거리를 단축함으로써 쉽게 공감을 불러일으키게 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이
는 범죄사건에 대한 이해와 그 사건을 해결하는 판관에 대한 숭배심리가 깊게
남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수법을 중복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은 독자들로 하

- 241 -
여금 작품의 지루함과 단순함을 느끼게 하여 서시펜스가 더 강한 작품을 찾게
한다. 그리고 敍事구조의 측면에서 公案小說은 중국 古典小說에서 많이 볼 수
있는 綴段式을 위주로 사용하고 있다. 다른 소설과 비교하면, 公案小說은 綴段
式을 사용하여 서술자가 더 다양한 유형과 수량의 사건들을 독자에게 전달할
수 있고, 죄지은 자에게 경고의 메시지를 주면서 清官들의 청렴함과 공정함을
부각시키고 있다. 더불어 법률을 보급하는 역할을 하면서 독자들이 실제로 소
송할 때 참고할 만한 자료가 되기도 한다.
公案小說은 문학적 수단으로 법률의 공정성과 엄격함을 보여주고 있는 소설
로 법을 집행하는 판관이 중점적 敍事대상이 된 것은 당연하다. 판관이 사건을
해결하는 방식에 대한 敍事도 중요하지만, 敍事과정 중 법리와 정리가 부딪치
는 문제에 대해서도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된다는 점을 볼 수 있었다. 公案小说
에서 판관들은 사건을 해결하는데 있어 법리를 위배하지 않으면서 정리에 부
합하려고 하지만 사건의 판결은 실제 법률조문과 일치하지 않은 부분이 상당
하다. 明代 短篇公案小說專集 속 간통사건 같은 경우는 남자보다는 여자에 대
한 처별 수위가 훨씬 더 높은 것을 볼 수 있으며, 擬話本公案小說 속 民事사건
에서의 판관들의 판결도 예상을 벗어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
다. 결국 법은 사람의 도리를 근본으로 공정하여야 하지만, 절대적으로 정리와
도리에 모두 적절한 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公案小說이라는 하위 장르는 중국 古典小說이라는 큰 카테고리 안에서 출현
하여, 독특한 장르로서 古典小說이 새로운 발전단계로 나아가는 하나의 이정표
가 될 수도 있었다. 하지만 明代 성행했던 公案小說들은 영리목적으로 맹목적
으로 표절하거나 답습하여 예술성이 떨어지게 되었다. 문학작품을 조잡하게 양
산하게 되면 문학 무대에서 물러나기 십상이라는 것을 증명해주는 하나의 예
이다. 한편, 公案小說이 한때 수많은 독자들의 환영을 받고 번영의 길에 들어
섰다는 것도 사실인데, 이는 당시 민중들의 법률지식에 대한 욕구가 강하고,
이를 통해 실제 생활 속의 법률문제들을 해결하려고 하였기 때문이다. 법률지
식을 참고하는 동시에 오락성도 잃지 않았다는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보여진
다.

- 242 -
아울러 公案小說 후에 나타난 探偵小說이나 推理小說은 아직까지도 많은 독
자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작품의 긴장감과 스릴 넘치는 특징과 긴밀
한 관계가 있다고 본다. 또한 推理小說에서 탐정들이 과학적 수단으로 범인을
추리하고 색출하는 방식이 새로운 사회적 분위기와 독서심리에 부합되는 측면
도 무시할 수 없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우리가 반드시 알아야 되는 것
은 그 전에 公案小說이 탐색의 길을 걷지 않았다면 그 후의 영광도 없었을 것
이라는 사실이다.
한국에서는 범죄와 법률을 제재로 한 소설을 訟事小說이라고 한다. 訟事小說
은 訟事사건의 발생과 해결이 소설작품의 발단과 결말에 대응되는 구조를 지
니고 전개되는 일련의 고전소설을 말한다. 한국 국문학계에서 訟事小說로 규정
하고 분석한 작품은 조선 후기를 통틀어 겨우 30여 편에 지나지 않는다. 이것
은 중국의 公案小說과 비교한다면 절대적으로 적은 숫자임이 분명하다. 물론
작품수가 적고 이야기 또한 길지 않지만, 그 짧은 이야기 속에 나름대로 조선
시대 백성들의 생활실상과 다양한 사회문제들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 드러난
다. 그리고 독특한 양상을 보여준 寓話型訟事小說들은 동물의 세계를 통해 향
촌사회의 갈등, 관료사회의 비리, 권력횡포 등 다양한 주제를 표출하고 인류사
회를 풍자하고 있어서 독자들에게 내용상 풍성한 느낌을 준다.
본 논문은 明代 公案小說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敍事전략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하느라, 좀 더 많은 조선 후기에 나온 訟事小說 작품을 들여다보지
못했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양국의 범죄와 법률이라는 제재를
주도적인 모티프로 한 소설의 연관성과 이질성을 분석하는 작업과 구체적인
작품들의 敍事구조 및 전개양상 등을 고찰하는 작업이 요망되는 바이다.
일반적으로 어떤 문학 장르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과 수용은 문학사와 문학
비평 측면에서 보는 시각과는 다르다. 公案小說이라는 장르는 아마도 小說의
유형 중 가장 종잡을 수 없는 개념일지도 모른다. 자체적인 단점들로 인해 고
상한 자리에 오르지 못했지만 한때는 집집마다 다 알 정도의 대중적인 영향력
을 가졌다는 것을 무시할 수는 없다. 이런 모순된 현상은 小說을 연구하는데
있어 아직까지도 끝을 맺을 수 없는 ‘公案’인 것이다.

- 243 -
【參考文獻】
1. 원전
(宋)羅燁, ≪醉翁談錄≫, 世界書局, 民國47[1958].
(東晉)干寶, ≪搜神記≫, 世界書局, 民國64[1975].
(宋)洪邁, ≪容齋隨筆≫, 上海古籍出版社, 1978.
(宋)桂萬榮 編, ≪棠陰比事≫, 商務印書館, 民國70[1981].
≪古本小說集成≫12-15 ≪二刻拍案驚奇≫, 上海古籍出版社, 1990.
≪古本小說集成≫18-21 ≪拍案驚奇≫, 上海古籍出版社, 1990.
≪古本小說集成≫33-35 ≪型世言≫, 上海古籍出版社, 1990.
≪古本小說集成≫46 ≪神明公案≫, 上海古籍出版社, 1990.
≪古本小說集成≫117 ≪皇明諸司公案≫, 上海古籍出版社, 1990.
≪古本小說集成≫118 ≪廉明奇判公案傳≫, 上海古籍出版社, 1990.
≪古本小說集成≫119 ≪國朝名公神斷詳刑公案≫, 上海古籍出版社, 1990.
≪古本小說集成≫231 ≪今古奇觀≫, 上海古籍出版社, 1990.
≪古本小說集成≫357 ≪包龍圖判百家公案≫, 上海古籍出版社, 1990.
≪古本小說集成≫392 ≪海剛峰先生居官公案≫, 上海古籍出版社, 1990.
≪古本小說集成≫393 ≪郭靑螺六省聽訟錄新民公案≫, 上海古籍出版社, 1990.
≪古本小說集成≫484 ≪于公案奇聞≫, 上海古籍出版社, 1990.
≪古本小說集成≫531-533 ≪古今小說≫, 上海古籍出版社, 1990.
≪古本小說集成≫534-536 ≪警世通言≫, 上海古籍出版社, 1990.
≪古本小說集成≫537-540 ≪醒世恒言≫, 上海古籍出版社, 1990.
≪古本小說集成≫548 ≪詳情公案·明鏡公案≫, 上海古籍出版社, 1990.
≪古本小說集成≫549 ≪古今律條公案≫, 上海古籍出版社, 1990.
≪古本小說集成≫550 ≪武則天四大奇案≫, 上海古籍出版社, 1990.
≪古本小說集成≫690 ≪聊齋志異≫(鑄雪齋抄本), 上海古籍出版社, 1990.
姚思仁 註解, ≪大明律附例註解≫, 北京大学出版社, 1993.
李昉 等編, ≪太平廣記≫, 中華書局, 1994.
≪續修四庫全書≫1266子部小說家類, ≪新编醉翁谈錄≫, 上海古籍出版社, 1995.
≪續修四庫全書≫1784集部小說類, ≪淸平山堂話本≫, 上海古籍出版社, 1995.
- 244 -
≪續修四庫全書≫972 子部法家類, ≪洗寃集錄 無寃錄 平寃錄≫, 上海古籍出版社, 1995.
田涛·郭成伟 校註, ≪<龙筋凤髓判>校註≫, 中国政法大学出版社, 1996.
(清)薛允升 撰; 懷效鋒·李鳴 點校, ≪唐明律合編≫<明律>, 法律出版社, 1999.
(清)沈之奇 撰; 懷效锋·李俊 點校, ≪大清律辑註≫<大清律集解附例>, 法律出版社, 2000.
(中國禁毁小說百部) ≪包公案≫, 中國戱劇出版社, 2000.
商務印書館四庫全書出版工作委員會 編, (文津閣) ≪四庫全書≫195 史部 地理類, ≪都城
紀勝≫, 商務印書館, 2005.
商務印書館四庫全書出版工作委員會 編, (文津閣) ≪四庫全書≫242 子部 法家類·農家類,
≪疑獄集·折獄龜鑑·棠陰比事≫, 商務印書館, 2005.
商務印書館四庫全書出版工作委員會 編, (文津閣)≪四庫全書≫281 子部 雜家類, ≪容齋
續筆≫, 商務印書館, 2005.
≪受敎輯錄: 詞訟類聚≫, 법제처, 1964.
≪審理錄≫, 법제처, 1968.
≪朝鲜王朝实錄·太祖实錄≫卷1, 国史编纂委员会, 1968.
≪수교정례·율례요람≫, 법제처, 1970.
金東旭 編, ≪古小說板刻本全集≫影印本, 延世大學校出版部, 1973.
≪大明律直解≫, 景仁文化社, 1974.
景仁文化社 编, ≪朝鲜王朝法典集≫, 民族文化, 1983.
丁若鏞, ≪欽欽新書≫, 법제처, 1987.
丁若鏞, 茶山硏究會 譯註, ≪(譯註)牧民心書≫, 創作과 批評社, 1988.
完山李氏 序; 金德成 外畵; 朴在淵 編, ≪中國小說繪模本≫, 江原大學校 出版部, 1993.
鶩溪叟 著, ≪包閻羅演義≫, 學古房, 1996.
林明德 主编, ≪韩国汉文小说全集≫, 国学资料院, 1999.
박재연 校註, ≪포공연의≫, 선문대학교 중한번역문헌연구소, 1999.
王與 撰; 최지운 외 주석; 김호 옮김, ≪신주무원록≫, 사계절, 2003.
신해진, ≪朝鮮朝 傳系小說≫, 월인, 2003.
한기형·정환국 역주, ≪(역주)신단공안≫, 창비, 2007.
干寶 撰; 林東錫 譯註, ≪수신기≫, 동서문화사, 2011.
안정복·원재린 역주, ≪임관정요≫, 혜안, 2012.
桂萬榮 著; 田澤 校, ≪棠陰比事≫, 國立中央圖書館本(日本木版本).

- 245 -
2. 단행본
魯 迅, ≪中國小說史略≫, 三聯書店, 1958.
孙楷第, ≪中国通俗小说书目≫, 人民文學出版社, 1982.
胡士瑩, ≪話本小說槪論≫, 丹靑圖書, 民國72[1983].
韦恩·布斯 著; 华明·胡苏晓·周宪 译, ≪小说修辞学≫, 北京大学出版社, 1987.
胡 適, ≪胡適古典文学研究论集≫, 上海古籍出版社, 1988.
黄巖柏, ≪中国公案小说史≫, 辽寧人民出版社, 1991.
石昌渝, ≪中国小说源流论≫, 三联书店, 1994.
张国风, ≪公案小说漫话≫, 江苏古籍出版社, 1995.
孟犁野, ≪中国公案小说艺术发展史≫, 警官教育出版社, 1996.
浦安迪(Andrew H. Plaks), ≪中国叙事学≫, 北京大學出版社, 1996.
李保均, ≪明清小说比较研究≫, 四川大學出版社, 1996.
楊 義, ≪中國敍事學≫, 人民出版社, 1997.
小野四平 著; 施小煒 譯, ≪中國近代白話短篇小說研究≫, 上海古籍出版社, 1997.
张稔穰, ≪中国古代小说艺术教程≫, 山东教育出版社, 1998.
申 丹, ≪叙述学與小说文体学研究≫, 北京大學出版社, 1998.
曹亦冰, ≪侠义公案小说史≫, 浙江古籍出版社, 1998.
王德威, ≪想象中國的方法: 歷史·小說·敍事≫,生活·讀書·新知三聯書店, 1998.
张晉藩, 懷效锋 主编, ≪中国法制通史≫第七卷(明), 法律出版社, 1999.
黄巖柏, ≪公案小说史话≫, 辽寧教育出版社, 2000.
陈美林·李忠明 著, ≪中国古代小说的主题與叙事结構≫, 安徽文艺出版社, 2000.
曾代伟 主编, ≪中国法制史≫, 法律出版社, 2001.
王 平, ≪中國古代小說敍事研究≫, 河北人民出版社, 2001.
J. 希利斯ㆍ米勒(Miller J. Hillis)著; 申丹 譯, ≪解讀敍事≫, 北京大學出版社, 2002.
陈寶良, ≪明代社会生活史≫,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04.
苗懷明, ≪中国古代公案小说史论≫, 南京大学出版社, 2005.
金 源, ≪中国十大公案小说≫, 兰州大学出版社, 2006.
陈大康, ≪明代小说史≫, 上海文藝出版社, 2000.
朱迪光, ≪信仰·母题·叙事: 中国古典小说新探索≫,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07.
劉洪仁, ≪古代公案文学≫, 四川人民出版社, 2009.
- 246 -
申 丹, ≪西方叙事学: 经典與後经典≫, 北京大学出版社, 2010.
邵毅平, ≪文學與商人-傳統中國商人的文學呈現≫, 上海古籍出版社, 2010.
邵毅平, ≪中國文學中的商人世界≫, 復旦大學出版社, 2016.
김태준, ≪조선소설사≫, 학예사, 1939.
김현룡, ≪韓中小說 說話比較 硏究: 太平廣記의 影響을 中心으로≫, 一志社, 1976.
구병삭, ≪한국고대법사≫, 고려대출판부, 1984.
웨인 C. 부우드 著; 崔翔圭 譯, ≪小說의 修辭學≫, 새문社, 1985.
≪古小說硏究論叢: 茶谷 李樹鳳先生 回甲紀念論叢≫, 景仁文化社, 1988.
F.K. Stanzel 지음; 김정신 옮김, ≪소설의 이론≫, 문학과 비평사, 1990.
全圭泰 编, ≪韩国古典文学大系≫(小说集), 明文堂, 1991.
Genette Gerard 지음; 권택영 옮김, ≪敍事 담론≫, 敎保文庫, 1992.
한용환, ≪소설학 사전≫, 고려원, 1992.
文國鎭, ≪古今無寃錄≫, 고려의학, 1996.
李憲洪, ≪韓國訟事小說硏究≫, 三知院, 1997.
Mieke Bal 지음; 성충훈·송병선 공역, ≪소설이란 무엇인가: 소설 敍事學≫, 울산대학
교출판부, 1997.
이규정, ≪현대소설의 이론과 기법≫, 박이정, 1998.
崔奉源 등譯, ≪中國歷代小說序跋譯註≫, 을유문화사, 1998.
정출헌, ≪조선 후기 우화소설 연구≫,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院, 1999.
윤승준, ≪動物寓言의 專統과 寓話小設≫, 月印, 1999.
김익수 [외]4人 共著, ≪韩国人의 家庭伦理≫, 学问社, 2000.
정재영 외 지음, ≪정조대의 한글 문헌≫, 문헌과해석사, 2000.
루샤오펑 지음; 조미원·박계화·손수영 옮김, ≪역사에서 허구로: 중국의 敍事學≫, 길,
2001.
鄭克 편, 김지수 역, ≪절옥귀감(折獄龜鑑): 고대 중국의 명판례≫, 소명출판, 2001.
신영주, ≪조선시대 訟事小說 연구≫, 신구문화사, 2002.
閔寬東·金明信 共著, ≪中國古典小說批評資料叢考≫, 學古房, 2003.
김재환, ≪한국서사문학과 동물≫, 보고사, 2005.
진재교·임형택, ≪동아시아 敍事學의 전통과 근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5.
閔寬東, ≪중국 고전소설의 전파와 수용: 한국편≫, 아세아문화사, 2007.

- 247 -
신해진 편역, ≪서류 송사형 우화소설≫, 보고사, 2008.
윤승준, ≪한국 우언의 실상≫, 월인, 2009.
안우시 엮음; 고숙희 옮김, ≪백가공안≫, 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작자 미상; 고숙희 옮김, ≪용도공안≫, 지식을만드는지식, 2010.
나엽 엮음; 이시찬 옮김, ≪취옹담록≫, 지식을만드는지식, 2011.
馮夢龍 편; 장영 편역, ≪<삼언>20선 역주≫, 송산, 2011.
이헌홍, ≪고전소설 학습과 연구≫, 신지서원, 2011.
홍완식, ≪사회적 쟁점과 법적 접근≫, 건국대학교출판부, 2011.
박재연, ≪중국 고소설과 문헌학≫, 역락, 2012.
민관동·정영호, ≪(中國古典小說의 國內 出版本) 整理 및 解題≫, 學古房, 2012.
闵宽东·金明信, ≪朝鲜时代 中国 古典小说의 出版本과 翻译本 硏究≫, 学古房, 2013.
闵宽东·张守连·金明信, ≪韩国 所藏 中国通俗小说의 版本目錄과 解题≫, 学古房, 2013.
閔寬東·張守連·劉僖俊, ≪韓國 所藏 中國古典小說의 版本目錄: 所藏處 別≫, 学古房,
2013.
김 영, ≪조선후기 명청소설 번역필사본 연구≫, 学古房, 2013.
풍몽룡 편저, 최병규 편역, ≪삼언애욕소설전≫, 學古房, 2016.
심재우 [외]지음, ≪조선후기 법률문화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7.
Wayne Clayson Booth, The Rhetoric of Fic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1.
Norman Friedman, Form and meaning in fiction, Athens: University of Georgia
Press, 1975.
Gerard Genette, Narrative discourse: an essay in method,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1980.
Gerard Genette, Narrative discourse revisited,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1988.
Hayden White, The content of the form: narrative discourse and historical
representation,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0.

- 248 -
3. 학위논문
闵宽东, ≪中国古典小说流传韩国之研究≫, 中國文化大學 博士學位論文, 1994.
夏啟發, ≪明代公案小說研究≫, 中國社會科學院 博士学位论文, 2001.
朴明真, ≪明代白話公案小說研究≫, 北京大學 博士学位论文, 2001.
吕小蓬, ≪古代小说中公案因素的文化探析≫, 首都师範大学 博士学位论文, 2002.
徐忠明, ≪包公故事: 一個考察中国法律文化的视角≫, 中国政法大学 博士学位论文, 2002.
李永平, ≪包公文学及其传播≫, 陝西师範大学 博士学位论文, 2006.
李世新, ≪中国侦探小说及其比较研究≫, 四川大学 博士学位论文, 2006.
张 萍, ≪高罗佩及其<狄公案>的文化研究≫, 北京語言大學 博士学位论文, 2007.
范正群, ≪清代侠义公案小说研究≫, 扬州大学 博士学位论文, 2008.
冯媛媛, ≪侠文化在中国古代小说中的嬗变≫, 陝西师範大学 博士学位论文, 2009.
陳 濤, ≪包公戲研究≫, 曲阜師範大學 博士學位論文, 2009.
李建明, ≪包公文学研究≫, 揚州大學 博士学位论文, 2010.
范渊凯, ≪明清侠义小说伦理精神研究≫, 南京师範大学 博士学位论文, 2016.
李憲洪, ≪朝鲜朝 讼事小说 研究≫,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7.
김충실, ≪讼事型 古典小说 研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정출헌, ≪朝鮮後期 寓話小說의 社會的 性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박재연, ≪朝鮮時代 中國 通俗小說 飜譯本의 硏究: 樂善齋本을 中心으로≫, 한국외국어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김경미, ≪朝鮮後記 小說論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정동보, ≪淸代俠義小說硏究≫,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신영주, ≪朝鲜後期 讼事小说 研究≫,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윤승준, ≪朝鮮時代 動物寓言의 傳統과 寓話小說≫,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김민호, ≪中國 話本小說의 變遷 樣相 硏究≫,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박여범, ≪訟事小說의 전개 유형과 현실인식≫,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고숙희, ≪包公 公案小說 硏究: <百家公案>과 <龍圖公案>을 中心으로≫, 성균관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02.
강주완, ≪<百家公案> 硏究≫,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박성태, ≪朝鮮後期 訟事小說의 類型과 展開樣相 硏究≫,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49 -
2004.
장연호, ≪韓·中 訟事文學의 比較硏究≫,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錢 錦, ≪包公案小說所展現的晩明市井社會硏究≫,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박소현, Law, I deology, And Popular Culture: A Study Of Tranditional Crime
Fiction In Late Imperial China And Choson Korea, Doctoral, University
of Michigan, 2004
蒋兴燕, ≪明代白话公案小说研究≫, 陜西师範大学 硕士学位论文, 2005.
何 佳, ≪三言二拍中的明代公案小说≫, 湘潭大学 硕士学位论文, 2007.
邵婷君, ≪明代短篇公案小说专集模式研究≫, 南京师範大学 硕士学位论文, 2007.
付红梅, ≪“二拍”中的诉讼故事及其分析≫, 西南政法大学 硕士学位论文, 2008.
耿寶福, ≪“侠义公案”模式下的清官與侠客≫, 山东大学 硕士学位论文, 2008.
曾 玲, ≪白话公案小说中的判官形象≫, 湘潭大学 硕士学位论文, 2008.
向 前, ≪明代公案小说的演变轨迹≫, 湖南師範大學 碩士學位論文, 2009.
包 鹏, ≪古代小说中包公形象的演变≫, 山西师範大学 硕士学位论文, 2010.
李 红, ≪“三言”“二拍”中的奸情公案小说研究≫, 新疆师範大学 硕士学位论文, 2010.
張 晨, ≪中国古代白话短篇公案小说的叙事特徵≫, 天津師範大學 碩士學位論文, 2011.
张竞文, ≪从“神判”到“人判”≫, 辽寧大学 碩士學位論文, 2011.
吕海洋, ≪“三言”中话本與拟话本小说的比较研究≫, 鲁东大学 碩士學位論文, 2012.
闫 博, ≪清代侠义公案小说的叙事模式研究≫, 陝西理工学院 碩士學位論文, 2012.
尹 薇, ≪明代白话短篇公案小说集研究≫, 长春师範学院 碩士學位論文, 2012.
方文烺, ≪明末清初公案话本研究≫, 暨南大学 硕士学位论文, 2013.
罗先红, ≪宋元公案话本中法官形象的法文化史考察≫, 河北大学 硕士学位论文, 2013.
郑慧英, ≪论“三言”公案小说≫, 渤海大学 硕士学位论文, 2013.
高 敏, ≪明代<百家公案>研究≫, 陝西师範大学 硕士学位论文, 2014.
梁振文, ≪明代公案小说中的“罪”與“罚”—以<三言二拍>为视角≫, 湘潭大学 硕士学位论
文, 2014.
曹一凡, ≪明清公案小说中的包公形象研究≫, 青岛大学 硕士学位论文, 2016.
陈雅丹, ≪“三言二拍”公案题材小说的法律文化研究≫, 陝西理工学院 碩士學位論文, 2016.
王权明, ≪明代公案小说的判词研究≫, 上海師範大学 碩士學位論文, 2016.

- 250 -
이상구, ≪寓話小說의 敍述構造와 社會意識:爭年 및 訟事型 万話小說을 중심으로≫, 고
려대하교 석사학위논문, 1984.
강현모, ≪공안설화의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이형화, ≪公案小說<錯斬崔寧>硏究≫,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박현정, ≪宋代 公案小說 硏究≫,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이섬숙, ≪包拯公案小設類 版本硏究≫,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최은영, ≪‘三言’ 公案小說의 敍事화과정 硏究≫, 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장미화, ≪訟事小說에 나타난 판결의 타당성에 대한 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오은경, ≪송사형 우화소설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고은정, ≪서류 송사형 우화소설의 인물 연구≫,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국우함, ≪韓國開化期新聞小說<神斷公案>에 미친 <龍圖公案>의 影響≫,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이유진, ≪우화형 訟事小說을 통한 언어적 갈등 해결 능력 신장 연구: <까치전>, <서
동지전>, <황새결송>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4. 일반논문
陈炳熙, <论古代文言小说中的动物形象>, ≪东岳论丛≫, 1989年第6期.
卞良君·于春海, <明清小说中的家庭伦理观>, ≪延边大学学报≫, 1998年第3期.
阿部泰记著; 陈铁鑌译, <明代公案小說的编纂>, ≪绥化师专学报≫, 1991年第1期.
皋于厚, <明代公案小說的發展演進>, ≪江蘇公安專科學校學報≫, 1999年第6期.
文亨镇, <≪大明律≫传入朝鲜考>, ≪中央民族大学学报≫, 2000年第5期.
程毅中, <≪包龙图判百家公案≫與明代公案小说>, ≪文学遗产≫, 2001年第1期.
佘向军, <论中国古典小说对叙事视角的调度>, ≪船山学刊≫, 2001年第4期.
王培紅, <≪三言≫≪二拍≫商人形象之比較>, ≪許昌師專學報≫, 2002年第3期.
李欧梵, <福爾摩斯在中國>, ≪當代作家評論≫, 2004年第2期.
聂珍钊, <文学伦理学批评: 文学批评方法新探索>, ≪外国文学研究≫, 2004年第5期.
邓百意, <晚明的公案小说创作—小说观念的变迁與叙事模式的曲折演进>, ≪明清小说研究
≫, 2005年第4期.

- 251 -
韓希明, <略论明清小说中的民间俗信與伦理精神>, ≪蘇州大學學報≫, 2005年第6期.
石昌渝, <明代公案小说: 类型與源流>, ≪文学遗产≫, 2006年第3期.
丁灿·胡和平, <我国公案小说叙述模式探析>, ≪湖南公安高等专科学校学报≫, 2007年第6
期.
陳寶良, <正侧之別: 明代家庭生活伦理中之妻妾关系>, ≪中国史研究≫, 2008年第3期.
曾 玲, <白话公案小说中判官形象的发展和演变>, ≪温州大学学报·社会科学版≫,
2008年第1期.
譚淑娟, <隸事的變體與範式的立則—張鷟≪龙筋凤髓判≫的性質及創作分析>, ≪貴陽學院
學報≫, 2008年第3期.
龙希贤, <明清公案小说结構模式的变化>, ≪文学前沿≫, 2009年第1期.
聂珍钊, <文学伦理学批评: 基本理论與术语>, ≪外国文学研究≫, 2010年第1期.
秦 川, <明清小说的伦理观與和谐文化>, ≪明清小說研究≫, 2012年第3期.
劉 炎, <公案小說與偵探小說比較研究>, ≪天中學刊≫, 2015年第5期.
薛英傑, <色界魔境:晚明淫僧故事中文人的空间想象和欲望表达>, ≪明清小說研究≫, 2016
年第2期.

金一根, <李朝親筆諺簡總覽>, ≪건국학술지≫제12집, 1971.


심경호, <조선후기소설고증(1)>, ≪한국학보≫제56집, 1989.
崔溶澈, <中國의 歷代 禁書小說 硏究>, ≪中國語文論叢≫제13집, 1997.
朴在淵, <包閻羅演義와 염라왕젼에 대해서>, ≪염라왕전≫, 선문대 중한번역문헌연구
소, 1999.
최 환, <明代 公案小說 연구—‘三言’·‘二拍’을 중심으로>, ≪인문연구≫제39호, 2000
박소현, <公案小說 다시 읽기—문화적 경계의 탐색>, ≪中國小說論叢≫제17집, 2003.
朴明真, <明代 白话 公案小说에 나타난 사법문화>, ≪中国语文学≫제44집, 2004.
朴明眞, <明代 白話 公案小說에 나타난 淸官現象의 문화적 특징>, ≪中國小說論叢≫제
19집, 2004.
朴明真, <明代 公案小说과 朝鲜时代讼事小说에 나타난 法文化>, ≪中国语文学≫제47
집, 2006.
錢 錦, <明代市井社會的理想法治追求小探-以明代包公案小說專集爲例>, ≪中國語文論
譯叢刊≫제20집, 2007.
정환국, <송사소설(訟事小說)의 전통과 ≪신단공안(神斷公案)≫>, ≪한문학보≫제23집,

- 252 -
2010.
박소현, <그들이 범죄소설을 읽은 까닭은? 공안소설과 명청시기 중국의 법률문화>, ≪
中國小說論叢≫제31집, 2010.
박소현, <진실의 수사학-≪欽欽新書≫와 公案小說의 관계를 중심으로>, ≪중국문학≫
제69집, 2011.
박소현, <중국과 조선의 법률문화와 범죄소설의 계보학>, ≪비교문학≫제53집, 2011.
高淑姬, <公案小說-法醫學과 通하다>, ≪中國小說論叢≫제35집, 2011.
崔溶澈, <≪型世言≫의 評者와 評點비평에 관한 연구>, ≪中国學论丛≫제35집, 2012.
張守連·閔寬東, <小說 包公案 系列의 國內 流入과 受容>, ≪中國語文學誌≫제39집,
2012.
張延鎬, <中ㆍ韓訟事小說形成背景比較硏究>, ≪한민족문화연구≫제46집, 2014.
吴晓丽, <≪龙图公案≫與朝鲜讼事小说中的人命案研究>, ≪中国语文论丛≫제64집, 2014.
吴晓丽, <从寓意角度解读中·韩公案小说中的动物形象>, ≪中国语文论丛≫제66집, 2014.
吳曉麗, <法理與情理的思辨—以中韩公案小说的结局为中心>, ≪中國學報≫제74집, 2015.
김 호, <조선초기 ≪疑狱集≫ 간행과 ‘無冤’의 의지>, ≪한국학연구≫제41집, 2016.
박소현, <동아시아 범죄소설의 사회사-명청시기 公案小說과 조선후기 訟事小說의 비
교를 중심으로>, ≪명청사연구≫제46집, 2016.

5. 공구서 & DB자료


辭海編輯委員會 編, ≪辭海≫(縮印本), 上海辭書出版社, 1989.
羅樹華, ≪小說辭典≫, 中國矿業大學出版社, 1989.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https://www.nl.go.kr/korcis/

- 253 -
明代公案小說的敍事策略研究
【中文摘要】
公案小說是法律和文學結合的產物,以折獄斷案為母題,對市井生活進行描
寫。但在中國小說傳統的流變中,公案小說一向受到冷落,這與其文本的品質有很
大的關係。
在中國小說史上,明代是一個重要的時期,商品經濟的繁榮和出版印刷業的發
達,伴隨著文化思想的活躍,通俗小說出現空前繁盛的態勢。正是在這個時期,公
案小說吸收前代的公案文學樣式,尤其是在承接宋元時期的“說公案”、“公案戲”的
前提下,結合歷代法家專書的案例而形成一種完整的小說類型。明萬曆年間,具有
開山之功的≪百家公案≫一炮而紅,而後集中湧現出一批短篇公案小說專集,以其
獨特的敍事方式風靡一時,也成為當時宣傳法律的媒介。但因為寫作文人和書坊主
們的追名逐利, 各公案小說專集之間相互抄引,導致題材冗雜,內容粗疏簡陋,作
品文學藝術價值低劣,所以一直沒有受到學界的關注。天啟年間專業文人整理創作
的擬話本公案小說繼承宋元話本的優良傳統,將折獄案件寫得文暢事詳,并且刻畫
了不少鮮明生動的判官形象。通過這些作品可以看出明中葉以後商品經濟衝擊下,
社會秩序的混亂和道德淪喪的嚴重。
目前為止對公案小說的研究主要關注具有代表性的作品及人物,針對敍事策略
進行綜合性的研究論文比較少。有鑒於此,本論文選取明代的公案小說為研究對
象,突破傳統的小說研究模式,借鑒敍事學的基本理論和方法,從小說的內在結構
出發,對明代公案小說的敍事策略進行綜合考察,以發現其敍事規律和特徵。
一直以來都認為公案小說注重的是素材而非敍事形式。大部分公案小說篇幅簡
短,按照時間的推進順序進行敍事,司法程序內化為小說的敍事線索,成為不可分
割的部分。本論文主要從公案小說的敍事視角和敍事結構,以及事件展開的樣相來
具體分析明代公案小說的敍事策略。公案小說大都採用全知的敍事視角,敍事者站
在權威的角度將事件的全部信息毫無保留地告訴讀者,這也是公案小說缺乏懸念,
藝術效果不佳的主要原因。在敍事結構上,公案小說雖然沒能擺脫古典小說常用的
- 254 -
綴段式敍事方式,但是跟其他小說相比,短篇公案小說專集使用綴段式的敍事方式
可以向讀者展示更多類型和數量的案件,以此警告犯罪者,達到普法目的,同時又
可以集中體現出清官的公正和廉明。
同時本論文還分別從男女的性慾,市民的物慾和家庭成員的倫理身分三個方面
來分析明代公案小說中的矛盾展開樣相和解決方式,以此來窺探明代中後期的社會
風情和法制狀況。另外本論文還從敍事學的角度對公案小說中的登場人物類型和特
徵進行評析。判官作為案件的核心人物,他的審案手段和斷案依據直接影響著情節
的進展和方向。圍繞案件的一批次要人物,他們的行動主要是為了推動故事情節的
發展,被看作是情節的從屬者,論文中主要分析了被害者和加害者,以及包括動物
在內的各種助力者的敍事功能。
最後,本論文還探討了明代公案小說對明清時期其他小說的影響以及推理小說
進入中國以後的翻譯和創作情況。而且梳理了公案小說傳入韓國以後的受容和傳播
情況,與朝鮮後期出現的折獄題材的訟事小說進行比較,力圖發現兩國小說的異質
性。
明代的公案小說作品蔚為大觀,充分揭示了當時物慾橫流、道德淪喪的社會現
象,憑藉其特有的敍事方式向讀者展示了小說的娛樂性和實用性。但因為公案小說
帶有濃重的法律文書氣息,從而降低了可讀性,而且在文學方面缺乏強烈的藝術感
染力,最終未能登上大雅之堂而淡出歷史的舞臺。文學作品的大眾性和藝術性的兼
備問題是小說研究過程中的一大難題,這一問題同樣出現在公案小說的研究中,成
為未解之‘公案’。
關鍵詞:公案小說,敍事策略,敍事視角,敍事結構,判官,推理小說,訟事小說

- 255 -
The Narrative Strategies of Ming Dynasty Crime-Case Fiction

WU XIAOLI
Department of Chinese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Korea University

【ABSTRACT】

Crime-case fiction, or gong’an fiction, brings together legal practices and


literature, focusing on the motif of lawsuits and providing vivid descriptions of
marketplace life, yet due to issues regarding the quality of these texts, the genre
has long been marginalized in histories of Chinese fiction.
The Ming dynasty was an important period in Chinese literary history. Popular
fiction particularly benefitted from the explosion in cultural thought that
accompanied the flourishing of a commodity economy and the development of the
publishing industry. It was during the Ming dynasty that crime-case fiction
incorporated the style of legal fiction(shuogong’an) and legal plays(gong’anxi) of
the Song and Yuan dynasties, becoming an entirely new genre of fiction with the
integration of the legalist historical traditions. In the Wanli period(1572-1620) of
the late-Ming dynasty, the novel One Hundred Legal Cases(Baijia Gong'an) burst
onto the scene, and was soon followed by a stream of crime-case fiction as the
narrative form found prominence and popularity as a medium for the promotion of
law. However, plagiarism became rampant as both writers and booksellers sought
greater profits. This led to increasing disorder in the genre’s titles and subject
matter, as well as a sharp drop in literary quality. Therefore, crime-case fiction has
received little academic attention until now. During the Tianqi reign(1621-1627),
professional writers continued the traditions of Song-Yuan huaben (vernacular tales)
through crime-case fiction, which provided vivid descriptions of court cases and
distinct portrayals of judges. Through these works we can see the severity of
social disorder and the destruction of morality that occurred under the impact of

- 256 -
the rising commodity economy beginning in the mid-Ming.
Previous research on crime-case fiction has focused upon representative works
and characters, while comprehensive research focusing on narrative strategy has
remained limited. Therefore, this dissertation goes beyond traditional research,
examining Ming dynasty crime-case fiction through the lens of narratology,
discovering its narrativ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its narrative strategy and fiction's intrinsic structure.
Previous studies have asserted that crime-case fiction focused upon content
rather than narrative style. The majority of crime-case fiction is short in length,
follows a chronological narrative, and is inevitably constructed upon legal
chronology. This dissertation examines Ming dynasty crime-case fiction based upon
its narrative perspective, narrative structure, and plot. Crime-case fiction is
generally told by an omniscient-author narrator, who relates events and information
to the reader from a position of authority, resulting in a lack of suspense and
limited artistic expression. The genre adopts its narrative form from the episodic
style of classical fiction, which allows for a great variety and number of cases to
be related to the reader, and to serve as warnings to criminals. This helps the
genre to achieve its goal of the popularization of law,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the impartial and incorruptible nature of the upright official.
This dissertation distinguishes three categories of conflict and resolution
through which to examine the social and legal conditions of the middle to late
Ming dynasty: the lust of both men and women; the materialism of urban people;
and the ethical identities of family members. Character types and distinctive
attributes are critiqued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ology. The judges serve as the
key characters for the case. Their trials and verdicts define the direction of the
plot. The actions of a sub-category of characters serve to develop the plot, yet
they are seen as subordinate. This includes the narrative function of victims,
perpetrators, and a variety of assistant characters, including some animals.
This dissertation also explores the influence of Ming dynasty crime-case
fiction upon other genres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including the translation
and writing of Western-style detective stories. Finally, providing comparison and
showing the heterogeneity between China and Korea,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 257 -
dissemination of the genre in Korea's Chosun Dynasty and the court case fiction
that concentrated upon lawsuits in the late-Chosun period.
A substantial collection of Ming dynasty fiction remains extant, indicating the
extent of the period's materialism and ethical degradation. These works used a
distinctive narrative style to offer the reader the entertainment and practical
elements of fiction, yet because legal terminology and information pervade in
crime-case fiction, it suffers from a restricted readability. Furthermore, it never
achieved a powerful artistic influence in the realm of literature, and inevitably
faded from the historical stage. The artistic and popular elements of literary works,
which remain crucial issues for literary studies, are still of prime concern in the
study of crime-case fiction.

Keywords: Crime-case fiction(gong’an xiaoshuo), narrative strategy, narrative perspective,


narrative structure, the judges, detective fiction, court case fiction

- 258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