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2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석사학위논문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한 예비수학교사의 SMK 분석

An Analysis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SMK on


Correlation and Scatter plot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수 학 교 육 전 공

문 지 은

2018년 2월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한 예비수학교사의 SMK 분석

지도교수 김 원 경

이 논문을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수 학 교 육 전 공

문 지 은

2018년 2월
문지은의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이 재 학 인

심사위원 이 수 진 인

심사위원 김 원 경 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년 2월
목 차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C. 용어의 정의 ··········································································································· 3
D.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상관관계 ················································································································· 5

B. 산점도 ······················································································································ 8

C. 회귀분석 ················································································································ 10

D. 교사의 전문성 ····································································································· 11

E.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상관관계와 산점도 관련 변화 ···························· 13

F. 선행연구 고찰 ····································································································· 16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0

A. 연구 대상 ············································································································· 20

B. 연구 방법 ············································································································· 20

C. 연구 절차 ············································································································· 21

D. 문항 구성 ············································································································· 21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 25

A. 상관관계 ··············································································································· 25

B. 산점도 ···················································································································· 30

- i -
Ⅴ. 결론 및 제언 ·········································································································· 37

A. 요약 및 결론 ······································································································· 37

B. 제언 ························································································································ 42

참 고 문 헌 ······································································································· 44

ABSTRACT ·················································································································· 46

부록
<부록 1> SMK 검사지 ······························································································· 49

- ii -
표 목 차

<표 Ⅱ-1> 상관계수에 따른 상관관계의 언어적 표현(성태제,2010) ··············· 8

<표 Ⅱ-2> 중학교 내용체계 ····················································································· 15

<표 Ⅲ-1> 연구절차 ··································································································· 21

<표 Ⅲ-2> 문항 구성 ································································································· 23

<표 Ⅲ-3> 최종 검사지의 참고문헌 ······································································ 24


<표 Ⅳ-1> 서술형 2번 문항의 응답 결과 ···························································· 27

<표 Ⅳ-2> 서술형 5번 문항의 응답 결과 ···························································· 28

<표 Ⅳ-3> 세부 문항별 정답률 ·············································································· 29

<표 Ⅳ-4> 서술형 9번 문항의 응답 결과 ···························································· 31

<표 Ⅳ-5> 서술형 11번 문항의 응답 결과 ·························································· 33

<표 Ⅳ-6> 세부 문항별 정답률 ·············································································· 34


<표 Ⅳ-7> 서술형 15번 문항의 응답 결과 ·························································· 36

- iii -
그 림 목 차

[그림 Ⅱ-1] 산점도 ········································································································ 9

[그림 Ⅱ-2] MKT 하위 범주 ····················································································· 12

[그림 Ⅳ-1] 1-2번 문항에 대한 예비교사의 답변 1 ············································ 26

[그림 Ⅳ-2] 1-2번 문항에 대한 예비교사의 답변 2 ············································ 26

[그림 Ⅳ-3] 5번 문항에 대한 예비교사의 답변 ····················································· 28


[그림 Ⅳ-4] 8-9번 문항에 대한 예비교사의 답변 ················································ 30

[그림 Ⅳ-5] 11번 문항에 대한 예비교사의 답변 1 ··············································· 32

[그림 Ⅳ-6] 11번 문항에 대한 예비교사의 답변 2 ··············································· 32

[그림 Ⅳ-7] 12-13번 문항에 대한 예비교사의 답변 ············································ 34

[그림 Ⅳ-8] 15번 문항에 대한 예비교사의 답변 1 ··············································· 35

- iv -
논 문 요 약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한 예비수학교사의


SMK 분석

문 지 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수학교육전공


(지도교수 김 원 경)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실생활 중심의 통계교육 재구성에 주안점을 두었

다. 이는 기존 교육과정에서 통계 내용이 주어진 자료의 수동적 처리에 머무

르는 경향이 있음에 대한 비판을 수용하여 실생활 맥락의 통계 교육으로 전환


하고자 하는 의도를 반영한 것이다. 따라서 실생활에서도 흔히 사용되는 상관

관계와 산점도 개념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러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변

화에 맞게 예비수학교사들의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한 수학 내용 지식 분석

은 의미 있는 연구라 사료되어 예비 중등 교사들의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대한

수학 내용 지식에 대한 SMK를 분석하여 알아보고 이를 통해 상관관계와 관

련된 개념들에 대해 조명하여 예비 수학교사 교육을 구성하는데 시사점을 주

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상관관계를 가르치기 위한 예비교사의 SMK는 어떠한가?

2. 산점도를 가르치기 위한 예비교사의 SMK는 어떠한가?

이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한 검사지의 문항은 확률과 통계 교과

- v -
서와 선행 연구를 통해 총 15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이는 예비검사와 전

문가 의견 수렴의 과정을 통해 완성하였으며 예비교사 44명을 대상으로 한 검

사지를 응답유형에 따른 응답률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본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한 교사들의 CCK는 대체로


낮았고 그 중 상관계수의 값을 해석하는데 필요한 CCK가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통해 본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한 교사들의 SMK는 전반적으

로 낮았고 특히 산점도의 좌표축의 눈금 변화와 상관관계의 강도가 관련이 없

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문항에서 SCK가 매우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한 SMK는 이와 관련된 성질에 대한 지

식은 갖추고 있었으나, 상관관계의 값을 해석하거나 제시문에 드러난 상관관

계의 실제적인 상황을 해석하는데 필요한 지식은 갖추고 있지 않았다. 또한

산점도를 보고 상관관계의 강도를 판단할 수 있는가를 묻고자한 문항에서 낮

은 정답률은 보인 것을 보아 많은 예비교사들이 산점도와 관련된 문제를 확률

적 지식이 아닌 직관에 의해 판단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사범대학에서는 학교수학에서 다뤄지는 상관관계와 산점도와 관

련된 CCK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오개념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수학적으로 지

도할 수 있는 SCK를 강화하기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대한 예비교사의 지식뿐만 아니라 결합 확률 분포에 대

한 예비교사의 지식도 늘려야 할 것이다. 또한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한 풍

부한 배경 지식을 통해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 실생활과 관련된 통계교육을

하기위해 상관관계의 의미와 역할을 되살린 교육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 이 논문은 2018년 2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vi -
Ⅰ. 서 론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외국 수학교육의 동향은 교수 학습을 통한 학생의 수학능력향상에서 교사의

질적 능력 향상을 중점으로 흐름이 변화하고 있다. 미국수학교사 협의회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NCTM], 1991)는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atics"를 발간하여 교사는 학교


수학에서 중요함을 명시하고 교사교육의 중요성을 환기시켰으며,

NCTM(2000)에서도 수학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해서 교사는 수학 내용,


학습자로서의 학생들 및 교수전략을 알고 이해해야 한다고 제시하며 교사의

역할과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수학교육 동향

또한 교사의 전문성을 점점 강조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2009)는 ‘학교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사의 수업전문성 재고 방안’을 제시하여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교사의 전문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수학교사의 지식이 수업의 실제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 신현용, 이종욱(2001)에 의하면 “수학에 관한 확고한 전

문지식은 교수학습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나, 학생들의 질문에

적절하게 반응할 수 있고 다양한 수학적 표현을 포함하는 학습활동을 계획할

수 있으며, 교실에서 일어나는 수학적 담화를 수학적 활동이 일어나도록 적절

하게 조절할 수 있는 요소로서 중요하다.”라는 의견을 주장하였다. 이렇듯 교

사 지식은 학문적 내용과 학생, 교사를 유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개념이므로 국

내에서도 여러 분야에 걸쳐서 교사의 지식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2015개정 교육과정은 개정의 방향 중 하나로 실생활 중심의 통계 내용 재

구성에 주안점을 두었다. 이는 기존 교육과정에서의 통계 내용이 주어진 자

료의 수동적 처리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음에 대한 비판을 수용하여 실생활

- 1 -
맥락의 통계 교육으로 전환 시키고자 하는 의도를 반영한 것이다. 따라서 확

률과 통계 영역에서는 실생활에서도 흔히 사용되고 있는 상관관계와 산점도

개념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에 따라 제 7차 교육과정까지는 중학교에서

다루었으나, 학습 부담 경감을 위해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삭제되었던 상


관관계와 산점도의 개념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다시 도입되었다. 상관관계

와 산점도를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는 다루지만 본 연구자가 몇몇 예비수학

교사들과 면담해본 결과 예비수학교사들은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한 정확한

개념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답변하였다.

특정 수학개념에 대하여 교사들의 지식이 부족하거나 정확하지 않다면 수

준 높은 수업 진행은 어려울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신현용(2000)에 의하면 “

예비교사가 대학과정에서 학습한 내용은 현장에서 수업하는 교사가 되기 위

한 준비 단계이므로 예비교사가 현직교사가 되었을 때 실질적으로 적용가능

한 지식의 학습이 중요하므로 단순히 수학을 전공하는 대학생과는 달리 어떻

게 교과 내용을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해 초점을 두어야 한다.”라는 의견을

주장 하였다. 따라서 예비 수학교사들의 수학 내용 지식 분석은 의미 있는

연구라 사료되어 예비 중등 교사들의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대한 수학 내용

지식에 대한 SMK를 분석하고 알아보고자 한다.

- 2 -
B. 연구 문제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수학교사들의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대한 교과 내용

지식(Subject Matter Knowledge; SMK)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상관관계를 가르치기 위한 예비교사의 SMK는 어떠한가?

2. 산점도를 가르치기 위한 예비교사의 SMK는 어떠한가?

C. 용어의 정의

1. 교과 내용 지식(Subject Matter Knowledge; SMK)

교과 내용 지식(SMK)는 공통 내용 지식 (Common Content Knowledge:이

하CCK), 특수 내용 지식(Specialized Content Knowledge:이하 SCK) 그리고

수학적 지식(Knowledge at the mathematical horizon)으로 세분화 된


다.(Ballet.al., 2008)

1) 공통 내용 지식 (Common Content Knowledge)


공통 내용 지식(CCK)는 일반적으로 가르쳐야하는 내용에 대해 교사가 알고

있어야 하는 최소한의 지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관관계에 대한 개념을


알고 있는 교사라면 누구든지 상관관계와 관련된 문제를 풀이할 수 있는 지식

이다.

- 3 -
2) 특수 내용 지식(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특수 내용 지식(SCK)는 가르칠 내용에 관한 지식이 아닌, 수학에 관한 본

질적 지식을 말하며, 학생들에게 수학적으로 생기는 인지적 장애를 인식하고,

본질적으로 수학을 설명할 수 있는 지식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교사가 산점


도를 가르칠 때에 학생이 왜 그러한 문제를 틀렸는지, 어려워하는 것은 무엇

인지 또는 학생이 오개념을 갖는 이유는 무엇인가 등을 알고 있는 것을 포함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지식(Knowledge at the mathematical horizon)은 전

문가에 의해서 아직 검증단계에 있기 때문에(Ball 외, 2008) 교사의 공통 내용

지식(CCK)와 특수 내용 지식(SCK)에 대해서 연구를 하도록 하겠다.

2. 예비 교사

본 연구의 예비교사는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4학년 이상을 예비교사라고 한

다.

D. 연구의 제한점

첫째, 본 연구 대상자는 연구자가 임의대로 선정 하였으나 지역이 편중되어

있고 (청주시 소재 K대학) 배경요인 (출신학교, 학력 등)에 따라 교사들의 수

학적 지식에 나타난 연구의 결과가 다소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 대해

제한점을 갖는다.

둘째, 보다 면밀한 연구를 위해서는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대한 오개념 발생

원인과 특정한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는 현상에 대해서도 세부적인 논의 또한


이루어져야 한다.

- 4 -
Ⅱ. 이론적 배경

A. 상관관계

자료 분석에서 두 변수 간의 특성과 특성, 요인과 특성, 그리고 요인과 요인

간 관계의 정도가 얼마나 있는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와같은 두 변수의

관계를 상관관계(correlation)라 한다. 즉, 두 개의 변량  와  사이에 한 쪽이

변화함이 다른 쪽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줄 때,  와 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

고 한다. 통계학적 의미의 상관은 이변량 결합(확률)분포와 관련된 것으로, 표

준화된 변수들의 동일성(identity)에 대한 근접성의 하나의 척도로 해석될 수


도 있다(Falk & Well, 1997). 또한, 상관관계 유무나 상관관계의 강도에 대한

통계적 분석 방법을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이라 한다.

노아라(2012)는 “두 변수가 함께 변하는 정도인 상관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두 변수의 관계를 산점도로 나타낼 뿐만 아니라 한 변수가 변할 때

다른 변수가 얼마만큼 의존하여 변하는지 하는 양을 계산해야할 필요가 생기

게 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두 변수가 동시에 변하는 정도를 공분산

(covariance)이라 하고, 이는 두 개의 확률변수  와  사이의 상호관계를 나

타내는 측정치 중의 하나이다. 공분산의 값은 두 변수들의 평균점인 


와 

값을 기준으로 각각의 두 변수의 증감 정도인   


   
  의 평균으로
나타낸다. 성태제(2005)는 “공분산은 변수  의 편차와 변수  의 편차를 곱

한 후 총 사례 수만큼 더한 후에 모든 사례 수로 나눈 값을 말하며, 모수치

에 의한 기호는  (혹은    )로, 표본 통계치(혹은 추정치)에 의한

기호는   (혹은  )로 표기한다.” 고 하였다. 또한 모공분산을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 5 -
1) 모 공분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산형
 
   

= ∞ ∞
         연속형
∞ ∞
 

2) 표본 공분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모공분산  에 대한 비편향 추정량(unbiased estimator)은 위 식에서 분

모  을    로 바꾼 식을 이용하며 이를 이용하여 구한 추정치는   로 나

타낸다. 공분산은 이변량 자료에서 두 확률변수의 관계의 정도 및 방향을 측

정하는 연관성의 척도로, 그 값이 양수이면 두 변수가 같은 방향으로, 음수이

면 반대 방향으로 변화함을 의미한다(노아라, 2012).

1) 모 상관계수 : 

측정단위나 대상에 관계없이 두 변수간의 선형관계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

- 6 -
는 두 변수의 공분산을 표준화하면 된다. 모집단의 상관계수를 모상관계수

(population correlation coefficient)라 하며, 로 나타낸다.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또한, 모상관계수 는 다음의 식으로부터 항상   ≤  ≤  이다.

2) 표본상관계수 : 

모집단의 모수와 같이 모상관계수 도 확률표본을 사용하여 추정한다. 이

때, 의 추정치로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은 피어슨의 표본상관계수(sample


correlation coefficient)  이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  는 각각 모평균   , 의 추정치를 말하고,   ,  는 각각 모표준편차
 , 의 추정치이며 다음과 같이 추측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7 -
앞에서 상관계수의 범위는   이상   이하라고 하였는데, 두 변수간의 관

계를 상관계수에 의하여 정확하게 표현하는 방법 이외에 언어적 방법을 사용

하여 표현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상관계수에 따른 상관의 언어적 표현의 절


대적 기준은 따로 없으나 일반적으로 <표Ⅱ-1>과 같은 기준에 의해 언어적

으로 상관관계를 표현한다.

<표Ⅱ-1> 상관계수에 따른 상관관계의 언어적 표현(성태제, 2010)

상관계수 범위 상관관계의 언어적 표현


 ∼  상관이 거의 없다.
 ∼  상관이 낮다.
 ∼  상관이 있다.
 ∼  상관이 높다.
 ∼  상관이 매우 높다.

상관관계의 언어적 표현에서 두 변수의 관계가 양의 관계이면 ‘상관이 있다’

로 서술하나 두 변수의 상관관계가 음일 경우 <표Ⅱ-1>의 상관관계의 언어

적 표현 앞에 ‘음의 상관이 있다’로 표현한다.

B. 산점도

노아라(2012)는 “두 변량 사이의 상관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상관관계를 규


명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먼저 도표 상에 관찰점들을 표시해 보아 대략적인

관계를 알아보아야 한다. 이렇듯 두 변수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변

수 값을 나타내는 점들을 도표 위에 나타낸 것을 산점도(scatter plot 혹은

scatter diagram)라 한다.”고 하였다. 즉, 산점도란 두 특성의 값이 연속적인

수의 경우, 표본자료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방법 중 하나로, 각 이차원 자료

- 8 -
값에 대하여 자료가 (특성1의 값, 특성 2의 값)인 점을 좌표평면 위에 찍어 나

타낸 것이다(김우철 외 8인, 2010).

두 변량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산점도의 점들이 어떤 직선 주위에 밀집

되어 있고  값이 증가함에 따라  값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을 때, 두 변량 


와  사이에는 양의 상관(positive correlation) 또는 양의 관계(positive

association)가 있다([그림Ⅱ-1(a)])고 하고 반대로  값이 증가함에 따라  값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을 때, 두 변량  와  사이에는 음의 상관(negative

correlation) 또는 음의 관계(negative association)가 있다([그림Ⅱ-1(b)])고 한

다. 또한, [그림Ⅱ-1(c)]처럼 산점도의 점들이 뚜렷하게 특정한 경향을 나타내


지 않고 고르게 흩어져 있어 한 변수에 의해 다른 변수 값을 예측할 수 없는

경우에는 두 변량  와  사이에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 한다. 이와 같이 산점


도에 찍힌 점들이 어떤 직선을 중심으로 흩어진 정도, 즉, 선형성(linearity)에

따라 상관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노아라, 2012).

 

  

(a) 양의 상관 (b) 음의 상관 (c) 상관없음


[그림 Ⅱ-1] 산점도

- 9 -
C. 회귀분석

상관관계를 분석할 때에는 공분산, 상관계수 등을 이용한다.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파악할 때, 두 변수 사이의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넘어서 한 변

수의 값으로 다른 변수의 값을 예측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표현하는 수학적인 모델이 필요하다. 이처럼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수학적 함수 모델로 지정하고 그 모델로부터 변수들 간

의 관계를 파악하거나 또는 한 변수로부터 다른 변수에 대한 예측을 하기 위

해 사용하는 방법을 회귀분석이라 한다. 이 때, 회귀직선은 직선과 똑같은 속

성을 지니므로 기울기와 절편으로 표시하며 다음과 같은 수학적 함수 모델을

회귀방정식(regression equation)이라고 한다.

   

노아라(2012)는 “산점도에 나타난 점들을 대표하는 회귀직선을 그리는 원리

는  에 따라  값이 흩어져 있을 때,  값을 회귀방정식에 대입하여 나타난

기대되는 값 과  값과의 차이을 가장 작게 하는 것이다. 즉, 기대 되는 값

을 라 할 때, 자료상의 모든  값에 대하여 잔차(residual)  - 의 값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회귀분석에는 종속변수가 있으며, 회귀식의 형태와 독립변수의 개수에 따라

각각 선형회귀모델과 비선형회귀모델, 단순 회귀분석과 다중 회귀분석로 구분

한다. 특히 변수가 두 개일 때, 자료가 쌍으로 나타나지는 경우는 단순회귀분

석(simple regression equation)을 통해 두 변수사이의 관계를 분석한다. 단순

회귀분석은 상관관계 분석의 확장된 개념을 말한다.

- 10 -
D. 교사의 전문성

1) 교사의 전문성

수학교사는 학생을 복잡하고 전문화 되어가는 미래 사회에서 사회구성원에

게 필요한 핵심 역량으로 생각하여 창의적 사고 능력, 문제해결 능력, 정보처

리능력, 의사소통능력 등으로 이는 주로 수학적 추론, 수학적 문제해결, 수학


적 의사소통과 같은 수학적 과정의 교수 학습을 통하여 증진 된다고 볼 수 있

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또한 수학교사는 수학의 유용성과 효율성을 이해하

고 어렵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한 후의 즐거움을 통하여 수학에 대한 흥미,

자신감, 호기심 등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결국 수학교육 경쟁력 강화의

열쇠는 수학교사가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이정희, 2013).

2) 가르치기 위한 수학적 지식 (MKT)

가르치기 위한 수학적 지식(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은 Ball과 그의 동료들의 연구에서 지속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개념으

로 내용 지식과는 별개로 수학을 가르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의미한다.

가르치기 위한 수학적 지식(MKT)은 크게 ‘교과 내용 지식(Subject Matter

Knowledge; SMK)'과 ’내용 교수 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으로 구분되어있으며, 각각은 세 개의 하위영역으로 나누어진다.

- 11 -
교과내용 지식 내용교수지식
Subject Matter Knowledg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내용과 학생에
관한 지식
일반내용지식
Knowledge of
Common Content 교수과정에
전문화된 Content and
Knowledge(CCK) 관한 지식
내용지식 Students(KCT)
Knowledge of
Specialized Content
수학적 지식 Curriculum
Knowledge(SCK)
Knowledge at 내용과 교수에
the mathematical 관한 지식
horizon IKnowledge of
Content and
Teaching(KCT)

[그림Ⅱ-2] MKT 하위 범주

가. 교과 내용 지식(SMK)

교과 내용 지식(SMK)는 ‘일반내용지식(Common Content Knowledge;


CCK)', 수학적 지식(Knowledge at the mathematical horizon), 특수 내용 지

식(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SCK)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내용지식

(CCK)은 일반적으로 가르쳐야하는 내용에 대해 교사가 알고 있어야 하는 최

소한의 지식을 의미한다. 특수 내용 지식(SCK)은 가르칠 내용에 관한 지식이

아닌, 수학에 관한 본질적인 지식을 말한다. 또한 학생이 수학적으로 생기는


인지적 장애를 파악하고 본질적으로 수학을 설명할 수 있는 지식도 포함된다.

수학적 지식은 수학과 다른 학문 간의 연결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하여 학교


수학에 대한 깊이 있고 광범위한 교사의 지식을 의미한다.

- 12 -
나. 교수 내용 지식(PCK)

내용 교수 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PCK)은 ‘내용과 학생

에 관한 지식(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 KCS)',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Knowledge of curriculum; KCC)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과 학생에


관한 지식(KCS)은 교사가 가르치는 지식이 어떻게 학생에게 구성되는지, 오

류를 가지는지 등을 이해하는 지식이다. 내용과 교수에 관한 지식(KCT)은

교사가 가르치는 지식에 대한 교수 방법을 말하며, 학생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교사의 교수방법에 관한 지식을 말한다.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KCC)

은 교사가 가르치는 지식에 대한 교수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학생들의 이해

를 높이기 위한 교사의 교수방법에 관한 지식을 말한다.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KCS)은 수학적 학문의 위계 및 일관성 등에 관한 지식이다.

본 연구 SMK에대한 내용은 Ballet.al.,(2008)의 하위영역 분류를 따른다.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대하여 K 대학교 학부 4학년 , 대학원에 진학 중인 예

비교사를 대상으로 하기에 교수학습 상황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교과내용

지식(SMK)에 대한 연구를 하려고 한다.

E.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상관관계와 산점도 관련 변화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실생활 중심으로 통계 내용을 재구성한 교육과정이

다. 즉 기존의 통계교육이 알고리즘을 익히며 기계적으로 계산을 수행하는데


편중되어 있다는 문제의식 하에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실생활 맥락을 강조하

는 탐색적 자료 분석으로 방향성을 설정하였다(교육부,2015B). 또한 이변량 자

료를 지도할 필요성은 NCTM에서도 지속적으로 강조해오고 있는 부분으로

(NCTM,2000), 산점도와 상관관계는 학생들이 학교에서 배우 통계를 실생활

과 관련짓고 적용하는데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2015 개

- 13 -
정 교육과정의 중학교에서는 산점도와 상관관계를 추가하였다(박경미,2015).

교육과정의 비교 연구를 살펴보면 미국, 영국, 핀란드, 호주, 일본, 중국, 대

만 등 상당한 수의 국가들이 상관관계를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다. 우리나라

의 경우도 제 7차 교육과정까지는 상관관계 개념을 중학교에서 다루었으나 학


습 부담 경감을 위하여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삭제되었다. 그러나 실생활에

서도 흔하게 사용되고 있는 상관관계의 용어와 의미를 학교수학을 통하여 학

생들이 배울 기회가 없는 것은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상관관계의

중요성과 세계적인 추세를 감안하여 간단하게 상관관계를 중학교 3학년에 다

루도록 하였다(교육부,2015B). 이에 ‘[9수05-08] 자료를 산점도로 나타내고, 이

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말할 수 있다’는 성취기준을 추가하였다(박경미,2015).

- 14 -
<표Ⅱ-2>중학교 내용 체계

내용요소
핵심
영역 일반화된 지식 중학교 기능
개념
1~3학년
사건이 일어날 가 표현하기
능성을 수치화한 ∙확률 수집하기
확률은 정보화 사 과그 정리하기
확률
회의 불확실성을 기본 해석하기
이해하는 중요한 성질 설명하기
도구이다. 이해하기
활용하기
비교하기
자료를 수집, 분
∙대푯 문제
류, 정리, 해석하 ∙자료
값 과 해결하기
는 통계는 합리적 의 정
통계 산포도 경우의 수
인 의사 결정을 리 와
∙ 상관 세기
위한 기초 자료를 해석
관계 계산하기
제공한다.
판단하기

- 15 -
F. 선행 연구 고찰
선행연구 고찰은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한 선행연구, 교사지식에 관한 선

행연구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1.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한 선행연구

노아라(2012)는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상관관계 개념의 이해도 정도에 관

한 연구하였으며, 고등학생 총 240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이 산점도 상에 드러난 상관관계의 강도를 판단하는 올바른 근거를 갖


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산점도의 시각적인 요소에 의해 발생

되는 오개념과 상관관계에 관련된 제시문에 대한 명확한 해석능력이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이러한 오개념을 없애고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대한 이

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시사하고 있다.

조동민(2007)은 우리나라 교과서와 RME이론에 근거하여 개발된 교과서의

상관관계 개념 지도 관점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RME 이론에 근거한 상관관계 개념지도 방식을 직접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과

정에서 학생들이 보이는 반응과 특징을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상관관계 개념

지도와 관련하여 현재 우리나라 교과서에서 다루는 상관관계, 산점도, 상관표

의 내용 요소는 복잡한 현실 상황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기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다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상관관계 단원에서 학생들이 실제적인 자

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그 분석된 자료로부터 추론하는 통계의 전반적인 과

정을 경험할 수 있는 내용요소를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김미경(2003)은 현행 상관관계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

한 방법으로 상관표를 이용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과 상관논리에 관한 형식적

조작 수준의 발달을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자료 중심적인 수업 전개와

활동적인 수업 방법을 통하여 실생활과 상관관계가 긴밀한 연결을 가지도록

- 16 -
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효선(2012)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상관관계와 산점도 단원이 삭제된 이

유와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사용되는 이론적인 방법들을 살펴보

고 두 변수 간의 관계를 다루고 있는 외국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가르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상관관계에 대한 고등학생

의 이해도 조사, 현행 우리나라 교육과정을 분석하거나 우리나라와 외국의 상

관관계에 대한 교육과정을 비교하였다. 따라서 상관관계에 관한 예비 수학교

사의 교과 내용 지식을 분석한 선행연구는 없기 때문에 예비교사의 상관관계

와 산점도에 관한 SMK 분석은 의미 있는 연구라 사료된다.

3. 교과 내용 지식(SMK)에 관한 선행연구

NCTM(1991)은 “교과내용지식(SMK)는 수학교사의 전문성 신장 기준에는

좋은 수학 교수법 경험하기, 수학과 학교 수학 알기, 수학 학습자로서 학생 이

해하기, 수학교사 방법 알기, 수학교사로서 성장하기,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

사 역할 알기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수학과 학교수학을 아는 것에 관

한 항목이 교과 내용 지식 (SMK)에 포함 된다.”고 하였다. 또한 교과 내용지


식(SMK)의 종류로는 수학적 개념 절차, 개념과 절차 사이의 연결성, 개념과

절차의 다양한 표현, 수학적으로 추론하는 방법,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효율


적으로 수학을 의사소통하는 방법이 포함된다(권태정, 2015).

Fennema& Franke(1992)는 “교과 내용 지식 (SMK)는 교사 지식의 구성 요


소를 수학 내용 교수법, 학습자의 인지로 제시하였고 수학 내용 지식은 교사

가 가르치는 내용에 대한 개념과 절차, 상호 관련성 그리고 이의 활용 문제해


결 과정에 대한 지식 등을 포함한다.”고 하였다.

박계희(2009)는 무리수 단원에서 현직교사의 교수를 위한 수학적지식(MKT)

- 17 -
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사들의 지식은 수업의 진행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므로 교사들의 지식은 수업의 결과물인 학생들의 이해와 관계가 있다고 하였

다.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응답을 분석하여, 무리수 단원에서 현

직 교사들의 교수를 위한 수학적 지식(MKT)를 충분히 갖추지 못하였고, 대체


로 남교사의 지식보다 여교사의 지식이 높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조완영(2010)은 예비교사의 SMK에 대한 연구에서 수학 내용 지식을 학교

수학의 과정 지식, 학교 수학의 내용 지식, 학교 수학의 연결된 학문수학으로

구분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예비 수학교사의 SMK을 조사하였다. 수학 내용

지식의 수준은 그리 높지 않았고, 수학 외적인 문제해결력을 묻는 문항에 대

해서 정확히 답변한 예비수학교사는 한 명도 없었다. 그리고 학교 수학의 정

당화에 관한 문제에서 증명한 비율은 높았지만 왜 증명을 해야 하는지 근거를

타당하게 설명한 교사는(14%)정도에 불과했다. 또한 학교 수학과 학문적 수학

간의 연결에서는 학교 내용 지식을 기준으로 할 때 오답률은 73%로 나타났고

대학 수학의 수학적 내용을 통하여 이유를 설명한 학생은 단지 4명에 불과하

였다.

이영은(2010)은 Shulman의 분류 중 교과 내용 지식(SMK)에 초점을 두어

H대학교 학생 57명을 대상으로 지필검사를 실시하여 ‘예비 수학 교사의 학교

수학 내용 지식에 관한 이해 정도’를 측정⦁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낮


은’ 수준의 이해정도를 보이는 예비교사들의 특징을 정리하였고, 본 연구를 통

해 예비교사 교육에서 학교 수학 지식에 대한 강조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


출하였다.

강민지(2013)은 미분에 대한 예비교사의 SMK 연구를 위하여 E 대학교에서


해석학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 중 28명을 대상으로 11개의 문항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미분에 관한 CCK보다 SCK가 낮음을

확인하였고 예비교사의 미분개념 뿐만 아니라 수학교과의 다른 영역에서의

SMK 분석과 교과내용 지식이 잘 형성될 수 있도록 장기적인 연구가 더 필요

- 18 -
할 것이라고 하였다.

고희정(2013)은 MKT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이

루어졌으므로 고등학교 초임교사들의 MKT를 조사해보고 우수한 교사를 양성

하는데 시사점을 얻기 위해 초임교사의 MKT가 교수 실제에서 어떻게 나타나


는지를 분석하고, MKT에 영향을 주는 초임교사의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지예(2016)은 정규분포에 관한 현직교사의 SMK를 분석하여 정규분포에

관한 교사의 지식이 어떠한지를 분류, 분석하여 보고 이를 통하여 교사들이

간과하기 쉬운 정규분포의 개념들에 대해 조명하여 교사 재교육과정과 예비교

사교육을 구성하는데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교과 내용 지식(SMK)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무리수 단원, 미분

개념, 정규분포 등을 주제로 예비수학교사의 SMK를 분석하였으나, 상관관계

나 산점도에 관한 예비수학교사의 SMK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없기 때문에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한 예비교사의 SMK분석은 의미 있는 연구라 사료된

다.

- 19 -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A.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중학교 확률 단원에서의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련한 예비교사

의 SMK를 분석하는 것으로 충청북도 청주시 소재의 K대학 수학교육과 학

생 21명과 수학교육 대학원생 1년차 2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단, K대


학은 전국 사범대학 중 상위수준의 학교이다.) 이들 44명의 예비교사들은

모두 통계학을 이수한 학생들로 산점도, 상관관계 개념을 배운 학생들이다.

B. 연구 방법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한 예비교사의 교과내용지식(SMK)를 조사하여 분

석하기위해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련된 선행연구와 중학교 3학년 수학교과서


그리고 사범대학에서 사용하는 확률과 통계 책을 참고하여 검사지를 제작하였

다. 또한 Ball et al.(2008)의 SMK의 하위 영역 분류를 사용하여 검사지의 문

항을 CCK와 SCK로 분류하였다. 검사지의 문항은 총 12 문항이며 선다형 문

항 7개와 진위형 문항 3개의 경우 각 보기의 응답률 및 정답률을 분석하였고,

서술형 문항 5개는 먼저 해당 서술형 문항과 연결된 앞에 제시한 선다형 문항


의 선택한 문항 결과에 따라 응답 결과를 분류한 후, 응답유형과 응답률을 분

석하였다.

- 20 -
C. 연구 절차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수학교사들의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한 SMK를 분

석하고 알아보는데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 절차를 거쳤다.

<표Ⅲ-1> 연구절차

문항개발 -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한 SMK를 조사 하기위한 문항개발

- 2017년 4월 말
예비검사
- 청주시 소재 K대학 대학원생 22명

- 2017년 6월 초
본 검사 - 청주시 소재 K대학 수학교육과 학생 21명
- 청주시 소재 K대학 수학교육과 대학원생 1년차 23명

최종 결과 - 2017년 9월
분석 - 44명의 응답 결과를 대상으로 문항이 정답률 분석

D. 문항 구성

본 연구에서는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한 예비교사의 교과내용지식(SMK)

를 조사하여 분석하고자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여 문항검사를 실

시하였다. 각 문항은 1) 상관관계와 관련된 문항, 2) 산점도와 관련된 문항으

로 나뉜다. 또한 상관관계와 관련된 문항은 SMK의 하위영역인 CCK를 분석

- 21 -
하기위한 문항 2개, SCK를 분석하기위한 문항 5개로 구성되어있으며, 산점도

와 관련된 문항은 CCK를 분석하기 위한 문항4개와 SCK를 분석하기 위한 문

항 4개로 구성되어있다. 총 검사지의 문항은 15개이며 이는 에비교사 1인당

20분 내에 충분히 응답 가능한 수준의 문항들이다.

1. 예비검사 및 문항 삭제

예비검사 실시 전에 처음 개발된 문항지에 포함된 문항의 개수는 총 12개로

선다형 문항 7개와 서술형 문항 4개 그리고 진위형 문항 1개로 이루어져 있었

다. 문항의 정제와 신뢰도 및 타당도의 확인을 위하여 먼저 현직 중⦁고등학


교 수학교사, 수학교육과 대학원생 22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시행하였다.
예비검사 및 전문가의 의견 수렴 과정을 통하여 최초 개발된 문항 중 6개 문

항은 최종 문항지에서 삭제되었다. 삭제된 문항은 분할표와 관련된 문항이다.

분할표와 관련된 문항의 출제 의도는 서로 다른 두 그룹의 2×2 분할표를 보

고 상관관계의 강도를 비교하고 판단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보는 것이었으나

주어진 분할표의 단순 데이터를 비교하는 것은 상관관계에 관한 SMK를 분석


하는 연구의 목적과는 부합하지 않다고 판단해 문항의 삭제의 이유가 되었다.
따라서 2×2 분할표와 관련된 6개의 문항은 최종문항지에서 삭제되었다.

2. 문항 검사지 및 내용

본 검사용 문항은 <표Ⅲ-2>에 제시한 바와 같이 상관관계(7개), 산점도(8

개)로 구성되어있고 각각의 범주마다 다시 하위범주로 나뉘어있다. 전체 15문

항인 본 검사용 문항지는 선다형 문항 7개, 서술형 문항 5개, 진위형 문항 3개

로 구성되어있으며 이 중 5개의 서술형 문항은 모두 바로 앞 번호의 문항의

응답 선택이유를 묻는 문항이다. 예비 검사 실시 후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

- 22 -
한 도구인 상관계수에 관한 문항이 없다는 것을 인지하고 두 변수의 상관계수

의 값을 명확히 해석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최종검사지에 상관계수에

관한 문항을 추가하였다.

<표Ⅲ-2> 문항 구성

문항
개념 내용 SMK
번호
가. 제시문에 드러난 상관관계 관련 상
1,2 SCK
황을 바르게 해석할 수 있는가?

1.상관관계 나. 상관계수의 값을 해석할 수 있는가? 3-5 CCK

다.      과 변수   의 독립과 관
6,7 CCK
련된 명제의 참, 거짓을 판단할 수 있는가?
가. 회귀직선의 기울기와 상관관계의 강도는
8,9 SCK
관련이 없음을 알고 있는가?
나. 산점도의 좌표축의 눈금 변화와 상관관계
10,11 SCK
의 강도는 관련이 없음을 알고 있는가?
2.산점도
다. 산점도에서 특이점이 상관관계에 미치는
12,13 CCK
영향을 알고 있는가?
라. 서로 다른 산점도를 보고 상관관계의 강도
14,15 CCK
를 비교할 수 있는가?

이러한 과정을 거쳐 확정된 최종 검사지 제작에 참고한 문헌은 다음 <표Ⅲ

-3>와 같다.

- 23 -
<표Ⅲ-3> 최종 검사지의 참고문헌

문항번호 참고문헌

1-2, 8-9 노아라(2012)의 “고등학생들의 상관관계 개념의 이해도 조사”

3-7 장세경(2012)의 “사범대생을 위한 확률과 통계”

노아라(2012)의 “고등학생들의 상관관계 개념의 이해도 조사”


10-11 Cleveland, W. S., Diaconis, P. & McGill, R.(1982)의

“Variables on Scatterplots Look More Highly Correlated”

노아라(2012)의 “고등학생들의 상관관계 개념의 이해도 조사”

Zieffler, Andrew S. & Garfield, Joan B. (2009)의 “Modeling


12-15
the Growth of Students' Covariational Reasoning During an

Introductory Statistics Course”

- 24 -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상관관계와 산점도 개념에 관한 15개 문항에 대한 검사 결과를 <표 Ⅲ-2>

의 문항 범주표의 내용 범주별로 분석하였다. 진위형과 선다형 문항의 경우

정답률과 각 보기별 응답률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서술형 문항의 경우에는

먼저 해당 서술형 문항과 내용적으로 연결되어있는 바로 앞 번호의 선다형 문


항의 선택 결과에 따라 응답 결과를 분류한 후 응답 유형과 응답률을 분석하

였다.

A.상관관계

가. 제시문에 드러난 상관관계와 관련 상황을 올바르게 해석할 수 있는가?

실세계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상관관계의 강도와 관련된 제시문을 읽고 상

관관계의 강도와 자료의 분포 사이의 관계 해석에 대한 내용을 진위형으로 구


성한 1번 문항의 정답률은 43.18%이다. 1번 문항의 정답률이 50%도 미치지
못한 점을 통하여 예비교사들이 자료의 국소적인 분포 와 상관관계의 강도 사

이의 관계 파악에 힘들어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1번 문항지의 선택

이유를 묻는 문항인 2번 문항의 응답결과(<표 Ⅳ-1>)를 살펴보면 정확한 이

유를 답변한 예비교사의 비율은 29.55%로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상관관계의

강도를 보고 점수 간 차이를 예측할 수 있다고 오개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

다. ([그림Ⅳ-1]) 따라서 예비교사들은 상관관계와 관련된 상황을 바르게 해석

하는데 필요한 SCK가 부족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25 -
[그림 Ⅳ-1] 1-2번 문항에 대한 예비교사의 답변 1

[그림 Ⅳ-2] 1-2번 문항에 대한 예비교사의 답변 2

- 26 -
<표 Ⅳ-1> 서술형 2번 문항의 응답 결과

1번 응답 응답
응답 2번 응답 결과 자수 비율
결과 (명) (%)
일학년이 상관관계가 약하므로 일학년이 점
19 43.18
O 수간 차가 클 것이다.
무응답 1 2.27
계 20 45.45
X 3학년 점수차가 더 크다 1 2.27
삼학년에서 상관관계가 더 강하다. 10 22.73
(정답) 상관관계로 알 수 없다. 13 29.55
계 24 54.55
총계 44 100

나. 상관계수의 값을 해석할 수 있는가?

  는 두 변수   사이의 직선적인 관련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통


계량을 말한다.   의 정의를 명확하게 알고 있고 해석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인 3번과 4번의 정답률은 각각 54.55%와 20.45%이다. 3번 문항의 정

답률이 50%을 조금 넘는 것으로 보아   의 값이 직선적인 관련정도


를 나타낸다는 것을 바르게 해석 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또한 4번 문항의

정답률은 약 20%로 현저히 낮은 정답률을 보이고 있다. 게다가 4번 문항의

선택 이유를 묻는 문항인 5번 문항의 응답결과(<표 Ⅳ-2>)를 살펴보면

  의 값이 0에 가까우면 두 변수사이의 상관은 없다고 명확하게 답변


한 사람은 전체의 9.0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다수의 예비교사들

이   값이 양수이면 두 변수 사이의 상관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

으로 조사되었다. ([그림Ⅳ-3])따라서 예비교사들은 상관계수의 값을 해석하는

데 필요한 특수 내용 지식(SCK)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 27 -
[그림Ⅳ-3] 5번 문항에 대한 예비교사의 답변

<표 Ⅳ-2> 서술형 5번 문항의 응답 결과

4번 응답 응답
응답 5번 응답 결과 자수 비율
결과 (명) (%)
상관관계수는 0,-1,1 뿐이므로 1 2.27

상관계수가 0에 가깝기 때문 4 9.09
(정답)
무응답 3 6.82
계 8 18.18
0이 아니므로 25 56.83
상관이 있을 것 같다 1 2.27

무응답 8 18.18
상관정도에서 벗어났기 때문 1 2.27
계 35 79.55
무응답 무응답 1 2.27
총계 44 100

- 28 -
다.      과 변수   의 독립과 관련된 명제의 참, 거짓을 판단할

수 있는가?

     과 변수   의 독립과 관련된 명제의 참과 거짓을 판단할


수 있는가를 묻는 문항인 6번과 7번의 정답률은 각각 47.72%와 68.18%이다. 7

번의 ‘변수    가 독립이면,        이다.’는 참인 명제이며 7번의 정

답률이 약 70%이지만 7번의 역 명제인 6번의 정답률이 50%가 미처 되지 않

는 것을 보아      과 변수   의 독립은 필요충분조건이라고 생


각하는 예비교사가 많다고 조사되었다. 따라서 학부 확률과 통계 과정에서

     과 변수   의 독립간의 관계를 강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예비교사들은      과 변수   의 독립과 관련된 CCK가 부족함

을 알 수 있었다.

<표 Ⅳ-3> 세부 문항별 정답률

상관관계 관련 문항
문항번호 1 3 4 6 7
정답률(%) 45.45 54.55 20.45 47.72 68.18

* N = 44

- 29 -
B. 산점도

가. 회귀직선의 기울기와 상관관계의 강도는 관련이 없음을 알고 있는가?

상관관계의 강도는 회귀직선의 기울기와 관련이 없음을 알고 있는지를 확인


하려 했던 8번 문항의 정답률은 65.90%로 다소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하지

만 이 8번 문항의 선택 이유를 묻는 9번 문항의 응답결과(<표 Ⅳ-4>)를 살펴

보면 회귀직선의 기울기와 상관관계가 별개라고 답변한 비율은 불과 47.74%

이므로 상당수의 예비교사들이 오개념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그림

Ⅳ-4]) 즉 상관관계의 강도를 묻는 질문인 8번 문제의 정답률을 보았을 때, 상

관관계의 강도와 회귀직선의 기울기사이의 관련이 없음을 대부분의 예비교사

가 알고있다고 생각하였으나, 이유를 명확히 답한 예비교사는 47.74%이므로

예비교사들은 상관관계의 강도와 회귀직선이 관련이 없다는 특수 내용 지식

(SCK)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림Ⅳ-4] 8-9번 문항에 대한 예비교사의 답변

- 30 -
<표 Ⅳ-4> 서술형 9번 문항의 응답 결과

8번 응답 응답
응답 9번 응답 결과 자수 비율
결과 (명) (%)
그래프가 더 고르게 분포되어있다. 1 2.27
점들이 직선에 더 밀집되어 있어서 4 9.09

기울기의 절댓값이 더 작다. 1 2.27
무응답 1 2.27
계 7 15.90
② 기울기가 (나)가 더 커서 8 18.18
계 8 18.18
그래프의 기울기와 상관계수는 별개이다. 3 6.81
③ 둘다 직선형 5 11.37
(정답) 점들이 직선에 모여있는 정도가 비슷 18 40.93
무응답 3 6.81
계 29 65.92
총계 44 100

나. 산점도의 좌표축의 눈금 변화와 상관관계의 강도는 관련이 없음을 알고


있는가?

10번 문항은 산점도의 좌표축의 눈금 변화와 상관관계의 강도는 관련이 없

음을 알고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문항이다 . 예비교사의 45.45%는 산점도


(가)가 더 상관관계가 크다(①)고 하였고, 25%는 산점도 (나)가 더 상관관계가

크다(②), 그리고 29.55%만이 두 산점도의 상관관계의 크기는 동일하다(③)고


답하여 29.55%의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10번의 응답이유를 물은 11번의 응답

결과(<표 Ⅳ-5>)을 살펴보면, 근거까지 정확히 맞춘 예비교사의 비율은

- 31 -
11.37%에 그쳤고, 10번에서 ①을 선택한 예비교사 전원은 ‘(가)의 점들이 (나)

의 점들보다 더 밀집되어 있다’를 그 이유로 들었다.([그림Ⅳ-5])이는 많은 예

비교사들이 ‘동일한 데이터로 산점도가 그려졌을지라도 산점도의 점들이 가까

이 분포할수록 그에 따라 상관관계는 더 강하다’라는 오개념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따라서 많은 예비교사들은 산점도의 좌표축의 눈금

변화와 상관관계의 강도는 관련이 없음을 파악하는 공통 내용 지식(SCK)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림Ⅳ-5] 11번 문항에 대한 예비교사의 답변 1

[그림Ⅳ-6] 11번 문항에 대한 예비교사의 답변 2

- 32 -
<표 Ⅳ-5> 서술형 11번 문항의 응답 결과

10번 응답 응답
응답 11번 응답 결과 자수 비율
결과 (명) (%)
① (가)가 더 밀집되어있어서 20 45.45

계 20 45.45

가 변화할 때 가 더 크게 변화하므로 1 2.27

② (나)가 (가)를 세분화했으므로 9 20.46

(나)의 범위가 더 세분화 1 2.27

계 11 25

직선이므로 1 2.27

두 직선의 기울기가 동일 2 4.55



직선 상관관계로서 비슷 2 4.55
(정답)
단순 확대한 것이므로 5 11.37

무응답 3 6.81

계 13 29.55

총계 44 100

다. 산점도에서 특이점이 상관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 있는가?

예비교사들이 특이점이 상관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문항인 12번과 13번의 정답률(<표 Ⅳ-6>)은 각각 40.90%, 68.18%이다.

특이점을 추가 혹은 제거함에 따라 상관관계의 변화는 새기지 않는다고 대답

- 33 -
한 예비교사도 각각 22.73%, 31.82%이나 되었다. 이들 오답자들은 아마도 ‘하

나의 점이 전체 자료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해도 될 만큼 작다’고 생각한 것으

로 보인다. 즉 예비교사들이 특이점의 성질과 특이점 조작방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짐작 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예비교사들은 특이점과 관련된 특


수내용지식(CCK)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림Ⅳ-7] 12-13번 문항에 대한 예비교사의 답변

<표 Ⅳ-6> 세부문항별 정답률

산점도 관련 문항
문항번호 8 10 12 13 14
정답률(%) 65.90 47.72 40.90 68.18 47.72

*N=44

- 34 -
라. 서로 다른 산점도를 보고 상관관계의 강도를 비교할 수 있는가?

서로 다른 산점도를 보고 상관관계의 강도를 비교, 판단할 수 있는 능력과

관련된 문항인 14번의 정답률은 47.72%로 나타났다. 또한 14번의 문항지의 선

택이유를 묻는 문항인 15번 문항의 응답결과(<표 Ⅳ-7>)를 살펴보면 14번의

정답을 맞춘 응답자 중 상관관계의 강도를 선형성과 관련지어 생각한 경우는


전체의 43.19%으로 14번의 정답을 맞춘 응답자의 대부분은 상관관계와 선형

성사이의 관계를 잘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오답을 한

56.81%의 예비교사들은 상관관계의 강도를 판단하는 명확한 기준을 알지 못

한 채 직관에만 의존하여 상관관계의 강도를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그림Ⅳ-8])즉 많은 예비교사들은 산점도를 보고 상관관계의 강도를 비교

하는 공통 내용 지식(CCK)가 부족함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그림Ⅳ-8] 15번 문항에 대한 예비교사의 답변

- 35 -
<표 Ⅳ-7> 서술형 15번 문항의 응답 결과

14번 응답 응답
응답 15번 응답 결과 자수 비율

결과 (명) (%)
(가)가 더 직선형 19 43.19

(가)의 인과관계가 더 분명해서 1 2.27
(정답)
무응답 1 2.27

계 21 47.73

(나)가 더 넓게 있기 때문 2 4.55

(나)에 더 몰려있다. 3 6.81

② 표본이 더 많음에도 일정한 관계를 유지 1 2.27

산점도가 더 크다 1 2.27

무응답 2 4.55

계 9 20.45

둘다 직선의 형태 2 4.55

기울기의 절댓값이 비슷 5 11.37

둘다 직선 상관관계를 띔 1 2.27

직선상관관계에 대해 (가),(나)의 밀집도가 유사 4 9.09

에따른 의 변화값이 비슷하므로 1 2.27

무응답 1 2.27

계 14 31.82

총계 44 100

- 36 -
Ⅴ. 결론 및 제언

A. 요약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대한 예비교사의 SMK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한 총 15개의 문항을 통하여 예비교사의 상관

관계와 산점도에 관한 교과내용지식(SMK)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를 시도하였

다. 상관관계와 관련된 문항은 SMK의 하위영역인 CCK와 관련된 문항 2개와


SCK와 관련된 문항 5개로 구성되었으며, 산점도와 관련된 문항은 CCK와 관

련된 문항 4개와 SCK와 관련된 문항 4개로 이루어져 있다. 상관관계와 산점

도는 7차 교육과정 이후로 수학과교육과정에서 삭제되었다가 2015 개정 교육

과정에서 다시 도입되어 예비교사가 교수학습현장에 나가게 되면 가르쳐야할

내용이므로 상관관계와 산점도와 관련된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또한

무엇을 근거로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지 등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하

여 수학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무엇이 필요한지 교사 양성 대학에서

수업지도의 효율성과 예비교사의 교과내용지식(SMK)가 올바르게 형성될 수


있는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한다.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을 설정하였다.

1. 상관관계를 가르치기 위한 예비교사의 SMK는 어떠한가?

2. 산점도를 가르치기 위한 예비교사의 SMK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Ball과 그 동료들이 제시한 MKT의 하위 영역

- 37 -
인 SMK에 초점을 두어 문헌 연구를 통해 검사지를 구성하였다. 본 검사지는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한 것이다. 검사지 배포는 방문을 통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시기는5월 19일, 5월30일에 이루어졌다. 회수된 24부의 검사지를

통해서 각 문항별로 교사들의 응답을 범주화하여 분류, 분석하였고 구체적으


로 응답사례를 살펴보았다. 이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관관계를 가르치기 위한 예비교사의 SMK는 어떠한가?

본 검사지의 1~7번은 상관관계와 관련된 문항이며, 문항별 분석을 하였고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시문으로 상관관계의 강도와 관련된 자료가 주어질 경우 예비교사


들이 그 자료의 분포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능력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

났다. 1번 문항의 정답률(43.18%)은 예비교사들이 상관관계에 관한 통계학적

지식 없이, 단지 ‘상관관계가 더 강하다’라는 표현만으로는 추측할 수 없는 자


료의 국소적인 분포의 특징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을 보여준다. 즉 많은

예비교사들은 상관관계 관련 상황을 바르게 해석하는데 필요한 특수내용지식

(SCK)가 부족함을 알 수 있다. 상관관계 개념에 관한 명확한 이해가 없다면

실세계의 상황을 상관관계를 통해 묘사한 제시문을 바르게 해석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관관계와 관련된 제시문들은 흔히 접할 수 있으며

많은 의사결정의 근거가 되는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이와

같은 오개념을 갖지 않도록 예비교사들이 실생활과 관련된 자료에 보다 더 익

숙해지고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상관관계 관련된 제시문을 해석하는데

필요한 SCK를 중점으로 전문성 향상을 해야 함을 시사한다.

- 38 -
둘째,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  의 값을 해석하는 능력이 매우 부

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3번 문항의 정답률(54.55%)은 예비교사들이   

의 값이 직선적인 관련정도를 나타낸다는 것을 명확하게 알지 못함을 보여준

다. 또한 4번 문항의 정답률(20.45%)은 검사지의 문항 중 가장 낮은 정답률로,

예비교사들이   값이 양수이면 두 변수 사이의 상관이 있다고 오류를

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예비교사들이   의 절대적인 수치를

그대로 받아들여 나타난 결과라고 해석 할 수 있다. 즉 대부분의 예비교사들

이   의 값을 해석하는 것과 관련된 특수내용지식(SCK)가 현저히 부

족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     과 변수   의 독립과 관련된 명제에 대해 예비교사

들이 바르게 해석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6번 문항의 정답률(47.72%)은

예비교사들이 ‘       이면 변수   의 독립성이 보장된다’는 오개념

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예비교사들이 ‘변수    가 독립이면,

       이다.’의 역이 성립한다고 오류를 범하고 있어 나타난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     과 변수   의 독립간의 관련성은 학부 확

률과 통계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에비교사들이 이


와 관련된 공통내용지식(CCK)가 부족함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상관관계를 가르치기 위한 예비교사의 SMK를 알아보기 위해 SMK의 하위

영역인 CCK와 관련된 문항 2개와 SCK와 관련된 문항 5개를 통해 분석하였


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문항 중 상관계수의 값을 해석하는 것과 관련된 문

항의 정답률이 매우 낮은 것으로 보아 상관관계 값 해석과 관련된 공통내용지

식(CCK)이 현저히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생활과 관련된 제시문에

드러난 상관관계의 상황을 해석하는데 필요한 특수 내용 지식(SCK)이 다소

부족함을 시사한다.

- 39 -
연구문제 2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점도를 가르치기 위한 예비교사의 SMK는 어떠한가?

첫째, 예비교사들이 산점도 상에 드러난 상관관계의 강도를 파악할 때 회귀

선의 기울기를 가지고 판단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8번 문

항의 정답률(65.90%)은 다소 높았으나 8번 문항의 선택 이유를 묻는 9번 문항

의 응답결과 회귀직선의 기울기와 상관관계가 별개라고 답변한 비율은 불과

47.74%이므로 상당수의 예비교사들이 ‘회귀선의 기울기가 더 가파를수록 상관

관계는 더 강하다’는 오개념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회귀직선의 기울기와 상관관계의 강도가 관련이 없음과 관련된

특수내용지식(SCK)가 다소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산점도의 좌표축의 눈금이 변화하면 상관관계의 강도는


변한다는 오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번 문항의 정답률

(29.55%)은 많은 예비교사들이 ‘동일한 데이터로 산점도가 그려졌을지라도 산

점도 상의 점들이 가까이 분포할수록 상관관계는 더 강하다’라는 오개념을 갖


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즉 많은 예비교사들은 산점도를 보고 상

관관계를 해석하는데 필요한 공통내용지식(SCK)가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

다.

셋째, 예비교사들이 특이점이 상관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잘 알지 못함이 드

러났다. 12번의 정답률(40.90%)과 13번의 정답률(68.18%)은 예비교사들이 ‘하


나의 점이 전체 자료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해도 될 만큼 작다’고 생각한 것으

로 보인다. 즉 예비교사들이 특이점의 성질과 특이점 조작방법에 대한이해가


부족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비교사들은 특이점의 성질과 관련된 특

- 40 -
수 내용 지식(CCK)가 낮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넷째, 예비교사들이 산점도 상에 드러난 상관관계의 강도를 판단하는 데 필

요한 올바른 근거를 갖고 있지 않다는 점을 알 수 있다. 14번의 정답률

(47.72%)은 예비교사들이 상관관계와 선형성사이의 관계를 잘 파악하지 못하

고, 상관관계의 강도를 판단하는 명확한 기준을 바르게 인지하고 있지 못한


채 직관에 의존하여 상관관계의 강도를 판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많은

예비교사들이 서로 다른 산점도를 보고 상관관계의 강도를 비교하는데 필요한

공통 내용 지식(CCK)가 부족함을 알 수 있다.

산점도를 가르치기 위한 예비교사의 SMK를 알아보기 위해 SMK의 하위영


역인 CCK와 관련된 문항 4개와 SCK와 관련된 문항 4개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문항 중 산점도의 좌표축의 눈금 변화와 상관관계의 강

도는 관련성을 묻는 문항의 정답률이 29.55%로 현저히 낮은 것으로 보아 산

점도의 눈금변화와 관련한 공통 내용 지식(SCK)가 많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

다. 또한, 산점도를 보고 상관관계의 강도를 판단할 수 있는가를 묻고자 한 문

항에서 낮은 정답률을 보인 것을 보아 많은 예비교사들이 산점도와 관련된 문

제를 확률적 지식이 아닌 직관에 의해 판단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실생활 중심의 통계내용 재구성에 중점을 두어

확률과 통계의 내용 영역을 수정하였다. 그에 따른 변화로 제 7차 교육과정

까지는 중학교에서 다루었으나 학습부담경감을 위하여 2007 개정 교육과정

부터 삭제된 상관관계와 산점도 개념은 중학교 3학년 통계영역에 추가되었

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예비교사의 상관관계와 산점도를 가르치기 위해 필

요한 지식인 SMK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SMK가 많이 부족한 것으

로 나타났고 그 중 SCK가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상관관계와 산

- 41 -
점도에 대한 개념은 이변량 자료를 분석하는 개념으로서 다소 난이도가 높

으며,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한 실제적인 상황과 관련된 지식을 가지고 있

어야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대한 이해가 높으나, 예비교사들은 사실적 지식

에 대한 이해가 낮기 때문이다. 또한 확률과 통계 수업에서는 주어진 자료를


직접 분석해보고 상관관계를 직접 파악해보는 것이 아닌 상관계수의 값을

계산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관관계와 산점도와 관

련된 예비교사의 SMK를 분석한 결과 CCK와 SCK 모두 현저히 낮다고 파

악된 만큼 사범대학 확률과 통계 수업에서는 상관관계와 산점도 개념을 지

도할 때, 상관계수의 값을 계산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변량 자료를 보고 직접

상관관계를 구해보고 상관관계를 파악하며 산점도를 올바르게 해석하는 것

을 가르쳐야하며, 예비교사의 정확한 통계적 지식을 위해 사범대학에서는 확

률과 통계와 관련된 수업을 보다 더 늘려야 할 것이다. 또한 상관관계와 산

점도에 대한 예비교사의 지식뿐만 아니라 결합 확률 분포에 대한 예비교사

의 지식도 늘려야 할 것이다.

B. 제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개정의 방향 중 하나로 ‘실생활 중심의 통계 내용 재

구성’을 강조한 만큼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한 개념은 현행 수학과 교육과정

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예비교사의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한 SMK를 분석한

결과 예비수학교사들의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한 교과내용지식수준은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알 수 있다. 특히 상관관계와 관련해서   의 값을

해석하는 능력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산점도의 시각적인 요

소로부터 발생되는 오개념과 산점도의 해석능력의 부재를 확인하였다. 본 연

구에서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대한 SMK 낮음을 알았으나, 상관관계와 산점도

와 관련하여 문항수를 더 추가하여 예비교사의 SMK를 더 깊게 분석 할 필요

- 42 -
가 있음을 밝힌다. 또한 이러한 양적인 연구에서 더 나아가 상관관계와 산점

도를 가르치기 위한 예비교사의 지식이 어떻게 부족한지, 지식을 어떻게 형성

해 나가고 있어야 하는지에 관해 질적 연구가 장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

다.

- 43 -
참 고 문 헌

교육부(2015B). 수학과 교육과정, 고시 제 2015-74호 [별책8].

김미경(2003). 중학교 3학년 상관관계 지도 내용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

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노아라(2012). 고등학생들의 상관관계 개념의 이해도 조사. 서울대학교 석사학

위 논문.

조동민(2007). RME 이론에 근거한 상관관계 개념 지도 관점 분석 및 적용. 한


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이제안(2015). 기하학적 확률에 대한 수학교사의 수학적 지식(MKT)분석. 한국

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최민정(2015). 통계적 추정을 가르치기 위한 수학 교사의 수학적 지식(MKT)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고희정(2013). 고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임교사의 수학 교수에 대한

지식(MKT)의 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주예경(2017). 교육과정에 새롭게 추가되는 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교수


를 위한 수학적 지식(MKT)에 대한 연구: 고등학교 확률단원 분할을 중심으
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권태정(2015). 분할에 관한 예비교사의 교과내용지식(SMK) 분석. 한국교원대학

교 석사학위 논문.

이영은(2010). 예비 수학 교사의 학교수학 내용지식(SMK)에 대한 조사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지예(2016). 정규분포에 관한 현직교사의 SMK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효선(2012). 상관관계와 회귀분석에 관한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성균관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44 -
이경화(2004). 상관관계의 교수학적 변환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6(3), 251-266.

성태제(2010). 현대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류근관(2010). 통계학. 제 2판. 경기: 법문사

박광배(2007). 변량분석과 회귀분석. 제 3판. 서울: 학지사.

남주현, 이영하(2005). 상관개념의 발달과 교수학적 중재에 관한 소고. 수학교

육학연구, 15(3), 315-334.

Cleveland, W. S., Diaconis, P., & McGill, R. (1982). Variables on

Scatterplots Look More Highly Correlated. Science, 216(4), 1138-1141.


Zieffler, Andrew S., & Garfield, Joan B. (2009). Modeling the Growth of

Students' Covariatyonal Reasoning During an Introductory Statistics Course.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8(1), 7-31.

- 45 -
A B S T R A C T

An Analysis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SMK


on Correlation and Scatter plot

Moon, Ji Eun

Major in Mathemat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im, Won Kyung, Ph. D.

The 2015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focus on restructure of


statistics education based on real life. This reflections intend to be
changed statistics education based on real life in accepting criticism about
the existing statistics educational curriculum that tend to stay at
passive handling of given data. Therefore, the importance of concept
about correlation and scatter plots is being magnified. In accordance
with changing of the 2015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I make an

analysis of SMK about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about correlation and scatter plots with considering. Through
this, I focused on constitution of education of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with illuminating about concepts related with correlation.

For focusing on constitution of education of prospective mathematics

- 46 -
teachers as I mentioned above, I set up research problems:
1. What is SMK of the pre-service teacher for teaching about
correlation like?
2. What is SMK of the pre-service teacher for teaching about scatter
plots like?

For solving this research problems, I used questionnaire which is

made up total 15 questions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d "Probability


and Statistics" textbooks. The questions are completed by a
preliminary inspection and expert opinions. Question response rate is
studied with forty-four pre-service teacher.
According to analysis result, CCK of pre-service teacher about
correlation and scatter plots is generally low. Of that, CCK which is
needed for interpretation of the value of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is
markedly low.
And, SMK of pre-service teacher about correlation and scatter plots
is also low. Especially, SCK is very low in the question which is asked
about catching whether the scatter plot of the scale changes in the
coordinate axis and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are related or not.

As a result, SMK about correlation and scatter plots has knowledges


about character of correlation and scatter plots, but does not have
knowledges about analysis for real situation of correlation in the given
text and interpretation of value of correlation.
As you can see that there is low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question which is asking about whether you can make conclusion about
the strength of correlation or not after seeing the scatter plots, we can

- 47 -
make conclusion that many pre-service teachers make decision by
intuition, not knowledge of probability about scatter plots' questions.
As the based of the result of my study, I can say that College of
Education need to concentrate effort for not only CCK which is related
to correlations and scatter plots which are dealt with in school
mathematics, but also making more strength about SCK who is
coachable mathematically after catching misconception of students

correctly.
In addition, pre-service teachers need to get more knowledge about
not only correlations and scatter plots, but also joint probability
distribution. Moreover, I expect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help the
students' understanding through plenty of knowledge about correlations
and scatter plots and teaching statistics becomes more focusing on
learning correlation's meaning and role in real life.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February, 2018.

- 48 -
<부록> SMK 검사지

안녕하십니까?
먼저 바쁘신 와중에도 귀중한 시간을 내시어 본 검사에 참여해 주심에 진심으
로 감사드립니다. 본 검사는 한국교원대학교 석사 논문을 위한 검사로써, 중학교
3학년 통계 단원의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한 예비교사의 SMK연구를 위한 검사
입니다. 귀하의 정성 어린 응답이 연구자의 논문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오니
다소 시간이 걸리시더라도 귀하의 생각을 성심껏 응답해 주시면 대단히 감사하
겠습니다. 귀하의 검사내용은 공개되지 않고 비밀로 처리됨을 약속드립니다.

한국교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수학교육학과 석사과정 문 지 은 올림

1~7) 상관관계와 관련된 문항입니다.

[1-4] 다음 제시문을 읽고 주어진 문제에 ○, X 로 답하여라.

A중학교 1학년과 3학년 학생 각각 50명을 대상으로 2017학년도 1학기 2회고사


의 수학점수와 영어점수를 조사한 결과, 학년과 관계없이 수학점수가 높으면 영
어점수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1학년보다 3학년에서 수학점수와 영어점수 간의
상관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1. 수학점수가 10점 차이가 나는 1학년 두 학생의 영어점수의 차이는 수학점수가


10점 차이가 나는 3학년 두 학생의 영어점수의 차이보다 크다.( )

2. 위 1번에서 그렇게 답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유 : ( )

[3-7] 다음 물음에 대하여 답하여라.

3.      이면 . ( )
① 상관이 없다. ② 직선 상관이 없다. ③ 곡선 상관이 없다.
④ 직선, 곡선 상관이 없다.

- 49 -
4.       이면, . ( )
① 직선 상관이 거의 없다. ② 상관이 있다.

5. 위 4번에서 그렇게 답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유 : ( )

6.       이면, 변수    는 독립이다. ( O , X )

7. 변수    는 독립이면,       이다. ( O , X )

8~15) 산점도와 관련된 문항입니다.

[8-9] 다음은 두 변수    사이의 산점도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가) (나)
 

 

8. (가)와 (나)의 두 변수  ,  중 더 강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은 무엇인가?


( )
① (가) ② (나) ③ (가), (나) 서로 비슷하다.

9. 위 8번에서 그렇게 답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유 : ( )

[10-11] 아래 산점도 (가)와 (나)는 동일한 두 변수  와 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


타낸 것으로, (나)는 (가)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 50 -
 

 

10. 위의 산점도 (가)와 (나) 중 상관관계가 더 큰 것은? ( )


① (가) ② (나) ③ (가)와 (나)의 상관관계의 크기는 동일하다.

11. 위 10번에서 그렇게 답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유 : ( )

[12-13] 다음 상관도를 보고 밑줄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합한 것을 골라라.

12. 만약 위 산점도에서 (가)의 점을 지운다면,  와  사이의 상관관계는


.
① 강해진다. ② 약해진다. ③ 변하지 않는다.

13. 만약 위 산점도에서 (나)의 위치에 점을 추가한다면,  와  사이의 상관관계

- 51 -
는 .
① 강해진다. ② 약해진다. ③변하지 않는다.

[14-15] 다음 산점도 (가)와 (나)를 보고 밑줄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합한 것을 골


라라.

(가) (나)
 

 

14. 산점도 (가)와 (나) 중에서 두 변수  와  사이의 상관관계는 .


① (가)가 더 강하다. ② (나)가 더 강하다. ③ (가)와 (나) 가 거의 동일하
다.

15. 위 14번에서 그렇게 답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유 : ( )

- 52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