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4

작업(Job) 안전(Safety)분석(Analysis)

2014. 7. 22

(주)바커케미칼코리아 EH&S Manager 성태환


오늘 진행 순서 – 안전작업허가서 발행시 JSA 실습

1 JSA 개요

2 JSA 작성 방법

CONTENTS 3 적용 사례 소개 – 바커 사례

4 실습 – 1인당 1개의 JSA 작성 실습

5 발표 – 각 개인

6 재 검토 및 질의 응답 - ALL
JSA는 어떤 작업에 적용할 수 있나요?

 정비 & 공사 작업에 적용
안전 작업 허가서 발행 작업에 활용

 일상적인 작업에 적용
생산, 포장, 제품 출하, 일상적인 정비작업등에 활용
JSA 양식
 3칸으로 구성
 적절한 개인보호장구(PPE)에 대해 언급
 왼쪽 칸 : 작업을 단계별로 분할
 중간 칸 : 업무의 단계에 대해 식별된 위험성을 나열
 오른쪽 칸 : 위험에 대해서 보호하고 잠재적인 사고를
방지하는 조치와 절차를 나열

작업단계 잠재 위험성 안전작업방법


Step 1 : 작업을 단계별로 분할

 작업 단계의 수는 작업의 복잡성에


따라서 다르다
 관찰 가능해야 한다
 작업 단계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분할 사례
당신이 뜰에 심을 나무를 가지고 와서 심는 작업을 분할

 구덩이를 판다  삽을 든다.
 나무를 심는다  삽 끝 부분을 흙에 갖다 놓고 세운다.
 발을 삽에 댄다.
 삽을 발로 밀어 넣는다.

너무 광범위한 분할 사례 너무세밀한 분할사례


분할 사례
당신이 뜰에 심을 나무를 가지고 와서 심는 작업을 분할

 구덩이를 판다.
 나무에 맞는 구덩이를 준비한다.
 나무를 구덩이에 갖다 놓는다.
 구덩이를 메우고 발로 밟으며 물을 준다.
 나무를 받쳐 준다
 연장을 제자리에 갖다 놓는다.

적절한 분할 사례
Step 2 : 잠재 위험성 식별

 진행되고 있는 작업을 관찰한다.


 경험 있는 직원과 함께 분석한다.
 모든 위험 요소를 고려한다– 대부분의 경우 한 단계에는
여러가지 위험 요소가 있을 것이다.
 사소한 세부 사항도 검토한다.
 질문 한다. – 이 단계에서 문제가 발생한 적이 있는가?

- 기억할 것 -
위험 가능성이 있는 요소가 항상 명확한 것은 아니다
Step 2 : 잠재 위험성 식별

 위험 요소의 종류
- 물리적인 요소에 따른 위험
- 인간에 의한 위험
- 환경 요소에 의한 위험

 사소한 사고 가능성도 배제하지 말 것


- 작업자가 어떤 것에 의해서 부딪히거나 접촉될 가능성이 있는가?
- 작업자가 어떤 것에 의해서 갇히거나 그 사이에 낄 수 있는가?
- 작업자가 추락할 수 있는가?
- 그 사람이 긴장하거나 무리할 수 있는가?
- 작업자가 가스, 연기, 방사능, 화학 약품, 유해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은?
고려해야할 잠재 위험성 타입
화학적 – 물리적 – 인간적 요소

• 눌림 위험 •• 토양 오염
눌림 위험

• 화상 위험 •• 하천오염
화상 위험
• 튈 위험
• 튈 위험 • 대기 오염
• 화재 위험
• 화재 위험 •• 법규 위반
찔릴 위험
• 찔릴 위험 •• 무리한 행동
넘어질 위험

• 넘어질 위험 •• 끼일 위험
추락 위험
• 전기 위험
• 추락 위험 • 빠질 위험
• 상해 위험
• 전기 위험 •• 전도 위험
방사능 위험
• 상해 위험 • 질식 위험
• 방사능 위험 • 갇힐 위험
Step 3 : 안전작업방법

 사고를 제어하기 위해 작업에서 이용 되어야 할 안전한 방법을 제공


 작업자가 가장 안전하고 정확하게 작업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
 취해야 할 행동을 나열한다. 그 작업을 처음 하는 직원에게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당신은 무엇을 하여야 하고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하는가? 다음과 같은 확실한 용어를 사용할 것
 이렇게 하시오 & 이렇게 하지 마시오
 가능한 다음과 같은 소극적인 문구는 사용(사용을 자제)하지 말 것
- 적극적으로 시행할 것
- 재 검토할 것
- 적절한 방법을 채택할 것
- 주의할 것 & 조심할 것
기억할 것

 특정한 도구
 특정한 작업 방법 Examples
 개인 보호 장비(PPE) • 가죽 장갑을 착용한다.
• 창문을 열어 환기시킨다.
 에너지 차단 및 조정
• #3 … V/V Open.
 환기 장치 • 사다리를 이용한다.
• 안전그네를 착용한다
 기술적인 장착물 (예: 장비 보호물) • 소화기를 비치한다.
 덜 위험하고 독성이 덜한 재료 사용하기 • 흡착포로 닦아낸다.
• ??? 마스크를 착용한다.
 작업 단계 … 또는 전체 작업 제거하기
JSA 양식 사례
작업 : 페이지 :
제정 일자 : JSA # : 개정 일자 : 개정 횟수:
부서 :
개인보호장구

기타 안전 필수 장비 :

비고 :

작업 단계 잠재 위험성 안전작업방법
JSA 사례

승용차 바퀴 교체작업

 작업을 분할한다
 잠재 위험성을 파악한다
 안전한 방법을 파악하여 기록한다.
Step 1

작업 단계 잠재 위험성 안전작업방법

(도로가 아닌 곳에 세울 시)
조명 장치 또는 공사중임을 알리는 표지판을 인근에 설치할 것.
(도로에 세울 시)
다른 자동차에 부딪친다 100m 후방에 조명장치 또는 삼각형 위험 표지판을 세울 것
자동차를 비상 램프 또는 방향 지시등을 켜라.
적절한 곳에 표지판이 없을 경우에는 100m 후방에 안내자를 세워두라
세운다 고속도로 갓길 주, 정차 금지

지면이 평평하지 않아서 평평하고/단단한 지면을 선택할 것.


차가 흔들리거나 주차 브레이크를 당긴다
미끄러진다. 바퀴 아래에 스토퍼를 설치한다
Step 2

작업 단계 잠재 위험성 안전작업방법
 정품 또는 제조사를 확인하고 잭을 사용하라.
자동차가 내려앉아
 단단한 지면에 설치하라.
부딪친다
 적절한 지지대 밑에 두라 (자동차에 잭 설치 위치 표시가 있다)
잭을 적절한
위치에 놓는다 무리하게 힘을 주어 허리가
 무릎을 굽히고 등을 곧게 하라
결린다

잭과 차체 사이에 손이
 낄 수 있는 곳에 손을 두지 말라
낀다
Step 3

작업 단계 잠재 위험성 안전작업방법

 무릎을 굽히고 등을 곧게 하라
무리하게 힘을 주어 결린다
 비틀어 힘주어서 빼지 않도록 하라

휠 캡을
제거한다  자신에게서 먼 쪽으로 밀어라
도구에 부딪친다
 도구를 떨어뜨릴 경우를 대비하여 멀리 있도록 하라

펜더(자동차 흙받기)와 적절한힘으로 휠 캡을 대각 방향으로 조금씩 열면서 완전히


부딪친다 제거하라
Step 4

작업 단계 잠재 위험성 안전작업방법

 무릎을 굽히고 허리는 항시 곧게 할 것


 바퀴에 가까이 접근하여 작업할 것
무리하게 힘을 주어 결린다
 나사가 느슨해지지 않으면 보조 도구를 사용할 것
너트를 느슨하게  대각선으로 볼트를 풀 것
한다

 면, 가죽 장갑등 손 보호 장갑을 착용할 것


 정품 공구를 사용할 것
무리하게 힘을 주어 결린다
 적절한 힘으로 자신에게서 먼 방향으로 밀어라
 손이 낄 수 있는 곳에 손을 두지 말라
Step 5

작업 단계 잠재 위험성 안전작업방법

무리하게 힘을 주어 등이  무릎을 굽히고 잭에 가까이 가라.


결린다  중립 자세로 잭을 작동한다

잭으로 자동차를
들어 올린다

 자동차 밑에 몸을 두지 마라
자동차가 떨어져 부딪친다  자동차를 천천히 들어 올려라
 바퀴를 뺄 수 있을 정도로만 자동차를 들어 올려라
Step 6

작업 단계 잠재 위험성 안전작업방법

뜨거운 표면(바퀴) 또는  바퀴가 식도록 기다려라


파편에 닿아 화상 위험  면 장갑 또는 가죽 장갑을 껴라

바퀴를 빼 낸다  무릎을 굽히고 바퀴 앞쪽에 몸을 두어라


 8시 방향과 4시 방향 지점으로 바퀴를 잡아라
힘을 너무 주어 결린다
 바퀴를 두드려서 스터드를 느슨하게 하라
 바퀴가 땅에 떨어지면 바퀴를 들려고 하지 말고 굴려라

바퀴에 부딪친다  바퀴에서 손이 낄 곳에 손을 두지 마라


Step 7

작업 단계 잠재 위험성 안전작업방법
스페어 타이어를 들어올려 허브에 끼울 때, 무릎을 굽히고
무리하게 힘을 주어 등이 스페어 타이어를 가까이 잡아라
결린다
중립 자세를 취하라

스페어 타이어를 바퀴의 움푹 패인 곳에


바퀴의 움푹 패인 곳 등 손이 낄 만한 곳을 피하라
설치한다 부딪친다

 바퀴가 허브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손으로 맨 위의 너트를


스페어 타이어가 떨어져 장착하라
부딪친다
나머지 너트도 손으로 끼워라
Step 8

작업 단계 잠재 위험성 안전작업방법
무리하게 힘을 주어 등이  무릎을 굽히고 가까이 가서 작업하라
결린다  몸을 뒤로 비틀지 마라

도구에 부딪친다  정품 도구를 이용하여 너트를 천천히 조여라


너트를 죈다
자동차 밑에 몸을 두지 않도록 하라
대각으로 너트를 일정하게 조여라.
자동차가 떨어져 부딪친다
볼트는 지나치게 조이지 말고 바퀴가 고정될 정도로 조여라.
잭을 내린 다음 완전히 죄도록 하라
Step 9

작업 단계 잠재 위험성 안전작업방법
 자동차 밑에 몸을 두지 마라
자동차가 떨어져 부딪친다
 자동차를 천천히 내려라

자동차를
잭에서 손이 낄 만한 곳에 손을 두지 마라
내린다

 손이 끼지 않도록 하면서 잭을 제거하라


잭 사이에 낀다  볼트를 다시 한번 조인다…등 및 허리는 중립 자세로 하라
 잭을 제거한다
 바퀴 스토퍼 및 모든 도구를 원 위치한다
실습 – 말통들기 및 운반

작업 단계 잠재 위험성 안전작업방법

1
말통 들기
2

1
말통 이동
2
KOSHA 권고 가이드 ▶
안전작업허가서 발행시 JSA를 해야하는 작업의 범위

작업허가종류 JSA 대상 작업 비고

밀폐공간출입작업 모든 작업

화기작업 위험지역에서의 화기작업 허가서로 충분히 위험을 제거할 수 있는 경우 제외

고소작업 안전대 사용 작업 비계 등이 적절히 설치된 경우는 제외

고소작업용 차량 등 이용 작업

굴착작업 깊이 1 m 이상 굴착 굴착작업허가대상은 30 cm 이상 굴착임

중량물취급작업 중장비 사용 작업

체인블럭 등 사용 작업

상온(일반)작업 용기내 청소작업 독성 및 인화성물질 취급용기

맨홀 개방작업

블라인드 설치 및 제거작업

전기차단작업 활선 및 활선근접작업

전기차단작업 허가서로 충분히 위험을 제거할 수 있는 경우 제외

방사선 작업 모든 작업
바커의 사례
안전작업허가서 발행시의 기본 요건

 안전작업허가서 승인권자 + 작업팀 ▶ 전부 모인 상태에서 작업 대상


현장에서 작성할 것
 상호간의 토론을 통해 잠재 위험성 파악 및 대책을 토론
 작업중 가장 위험한 최소한 3 ~ 5개 항목의 잠재 위험성을 결정한 후 대책을
함께 토론 및 수립
 볼펜으로 현장에서 양식에 기록
 기록한 JSA를 이용하여 재 교육 실시하고 인지 여부 구두 확인
 안전작업허가서 발행 후 승인
 JSA + 안전작업허가서에 따라 작업 실시
 작업허가서와 함께 보관
안전작업허가서 발행시 활용

안전 장비 / 일반 주의사항 (SAFETY EQUIPMENT / GENERAL PRECAUTIONS)


적절한 환기(Area adequate ventilated) 원격 가동이 가능한 장비가 있는가? 보안 문제
개구부/추락 위험지역에 안전가아드 미끄러짐/걸려 넘어질 위험성 점검 – 코드와 호스의 환경 & 인허가 실시 또는 변경
설치 관리상태 등 필요성
밀폐공간 또는 갇힌 공간이 적합한 압축공기가 공압식 장비/도구에 공급되는가? 작업 안전 분석(JSA)이 필요한가?
조성되는가? 경고 표지 부착 예)작업지역 상부 전선줄에 걸릴 에너지 차단 및 Lockout, Tagout이
적합한 조명 설치 위험 필요한가? 관련 규정 참조할 것
리프트 장비 확인 방문자/외부작업자에 대한 공장안전(induction)교육 기타(특별한 도구 등)
적합한 유틸리티를 사용 가능한가? 실시
승인자와 수령자가 함께 작업 지역 가스 배출(방출)로 인한 유해성 조사가 필요한가?
방문 유해물질 평가: 작업자 노출/폐기물/대기배출 등
도면 및 P&ID 체크(Print/P&IDs check)

위험한 작업은 허가서 발행전에 JSA 실시하여 위험성을 분석한 후 안전조치에


활용한다.
안전작업허가서 발행 작업

작업허가서 승인권자는 작업 현장에서 모든 작업자와 함께 JSA를 작성하고


결과에 대하여 논의하고 안전 조치 및 인지 여부를 확인할 책임이 있다.

화기작업, 밀폐공간출입 작업, 고압 전기 작업,


다음 작업을 굴착작업, 방사선 작업, 비계 작업, 크레인를 포함한
수행할 경우 중장비 작업, 맨바스켓 작업, 고압세척기 작업, By
JSA를 실시할 것 pass 작업, 1.5M 이상 고소 작업, 유해 케미칼 취급
작업

다음 장비를 사다리, 용접기, 산소 절단기, 카팅기, 그라인더,


사용할 경우 발전기, 고압용기, 중장비, 고압세척기,
JSA를 실시할 것 기타 허가권자가 판단한 유해위험 기구 또는 장비
안전작업허가서 발행 구체적 작업 내용
• 방폭지역 및 제품 포장지역등 건물 실내에서의 화기작업
• 모든 밀폐공간출입 작업
• 600V 이상의 고압 전기 작업
• 1M 이상의 굴착작업
• 모든 방사선 작업
• 2단 이상(또는 3M 이상)의 비계 작업
• 모든 크레인를 포함한 중장비 작업
• 모든 맨바스켓 작업
• 모든 고압세척기 작업
• 모든 By pass 작업
• 1.5M 이상 고소 작업
• 위험물, 유독물등 유해 케미칼 취급 작업
• 공장내 모든 지역에서3M 이상의 사다리
• 방폭 지역 및 제품 포장 지역등 건물 실내에서의 용접기, 산소 절단기,
카팅기, 그라인더
• 공장내 모든 지역에서 발전기, 고압용기, 중장비, 고압세척기
• 기타 허가권자가 판단한 유해위험 기구 또는 장비
안전작업허가서 발행시 활용

잠재 위험 요소(해당 항목에 Check하고 안전조치를 취할 것)

• 화재 위험 • 협착 위험 • 베일/자상 위험 • 추돌 위험 • 설비파손 위험 • 동파 위험
• 폭발 위험 • 미끄럼 위험 • 근골격계 위험 • 고압 위험 • 라인막힘 위험 • 고온 위험
• 추락, 낙하 위험 • 걸려 넘어질 위험 • 무리한 힘 • 방사선 위험 • 협소공간 위험 • 정전기 위험
• 질식 위험 • 타격, 분출 위험 • 휴먼 에러 위험 • 회전체 위험 • 날씨 위험 • 정전 위험
• 화상 위험 • 중량물 위험 • 화학물질 노출위험 • 공구,장비 위험 • 환경 오염 • 감전 위험

작업 내용
개인보호장구(PPE)
서명 승인권자 서명: 작업자 대표 서명:

J S A 양식
안전조치 완료 및
작업 단계 잠재 위험 요소 안전 조치 사항
작업자 인지 여부
Yes□ No□
Yes□ No□
Yes□ No□
Yes□ No□
Yes□ No□
Yes□ No□
안전작업허가서 발행시 적용 사례
실습
마무리

JSA는 유해, 위험한 정비 작업시 잠재 위


험성을 분석하여 안전하게 작업하도록
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장 효과적인 위험
성 평가 방법입니다.

안전작업허가서만으로 모든 작업을 안전
하게 관리하기는 한계가 있다. 반드시
JSA를 활용하라.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