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4회

기출문제

1)다음을 만족시키는 두 다항식  ,  를 바르게 구한 것은? 3)  에  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      이
[4.2점]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도록 하는 자연수  의 개수는?
| 조 건 | [4.4점]
① 
        
② 
           
③ 
④ 
  ⑤ 
①               
②             
 
③              
④             
⑤              

   4)  에 대한 다항식    의 전개식에서 모든 항의


2)등식           를 만족시키는
  계수의 합이  일 때, 실수  의 값은? [4.4점]
두 실수  ,  에 대하여    의 값은? [4.4점] ① 
①  ② 
②  ③ 
③  ④ 
④  ⑤ 
⑤ 

- 1 -
5)  의 값에 관계없이 등식 7)등식             를 만족시키는
  
                   가 항상 

복소수      에 대하여        의
성립할 때, 상수  ,  ,  ,  에 대하여        의 

값은? [4.6점] 값은?
①  (단,  ,  는 실수,  는  의 켤레복소수) [4.6점]
②  ① 
③  ② 
④  ③ 
⑤  ④ 
⑤ 

6)이차함수           의 그래프가 직선 8)다항식      가    으로 나누어떨어질 때,


      보다 항상 아래쪽에 있도록 하는 정수  의 실수  ,  에 대하여,    의 값은? [4.6점]
최댓값은? [4.6점] ① 
①  ② 
②  ③ 
③  ④ 
④  ⑤ 
⑤ 

- 2 -
9)      ,      를 만족하는 두 실수  ,  에 11)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을  ,  라 할 때,

 
 
대하여    의 값은? [4.8점]  
   의 값은?
①   

②  (단, 
, 
 는 각각  ,  의 켤레복소수) [4.8점]
③  ① 
④  ② 
⑤  ③ 
④ 
⑤ 

 12)  의
10)  ≤  ≤  에서 이차함수         의 최솟값이 계수가  인 삼차식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일 때,   를    로 나눈

  , 최댓값이  일 때,  의 값은? (단,  는 상수) [4.8점] 나머지는? [4.8점]

① 
① 
② 
② 
③ 
③ 
④ 
④ 
⑤ 
⑤ 

- 3 -
13)식            가 15)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로 인수분해될 때,   

       의 값은? (단,  ,  ,  ,  는 정수,    )


           의 값은?
[5.0점] (단,  ,  ,  는 실수        ) [5.0점]
①  ① 
②  ② 
③  ③ 
④  ④ 
⑤  ⑤ 

14)다항식        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킬 16)이차방정식       에서  의 계수를 잘못 보고


때, 두 실수  ,  에 대하여  의 값은? [5.0점] 풀었더니 두 근이  ,   이 되었고, 상수항을 잘못 보고
 
풀었더니 두 근이     ,     가 되었다. 처음
| 조 건 |  
이차방정식의 두 근의 곱은? (단,  ,  ,  는 실수) [5.0점]
(가) 다항식   를    로 나눈 나머지는  이다.

(나) 이차방정식     의 한 근이    이다. ① 

(단,  는 실수)

② 

①  ③ 
②  
④ 
③  
④  
⑤ 
⑤  

- 4 -
17)세 다항식  ,  ,  가 다음과 같다. 19)                     라 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를   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 일 때,
두 다항식  ,  를    로 나눈 나머지가 서로 같고,   를   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구하시오.
두 다항식  ,  를    로 나눈 나머지가 서로 같을 때, (단,  ,  ,  ,  는 모두 한 자리의 자연수) [4.0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  는 실수) [7.0점]

18)그림과 같이 양수  에 ≤  ≤  일 때, 함수          의


20) 


대하여         의 최댓값을    이라고 하자.

그래프와 직선      가       ⋯      을 만족하는 자연수 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5.0점]
만나는 서로 다른 두 점 A ,
B 에서 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A ′ , B ′ 이라 하고,
직선      와  축과의
교점을 P 라 하자.
두 삼각형 PAA ′ , PBB ′ 의 넓이의 합이  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점 A 의  좌표가 점 B 의  좌표보다 작고,
O 는 원점) [9.0점]

- 5 -
4회
             
1) [정답] ⑤      
<해설>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이므로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이어야 하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정답] ②
2) [정답] ④ <해설>
<해설>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3) [정답] ⑤
<해설> ∴               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  ×     
               10) [정답] ④
 <해설>
 을 만족하는 자연수의 개수는      로  개이다.
 
           이므로
4) [정답] ③

<해설>    일 때, 최솟값   를 갖는다.
어떤 다항식    의 모든 계수의 합은    과 같다. 라서 따라서     이다.

         에서      이므로    이다.
   이 축이므로
5) [정답] ②
   에서 최댓값을 갖는다.
<해설>
따라서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다.     이다.
이를    으로 연속해서 나누어 나오는 나머지가 각각
    이다. 
∴  
    
    
11) [정답] ①
     <해설>
  
       은    이므로 허근을 갖고 이차방정식의 모든
   계수가 실수이므로 켤레근을 갖는다.
 
따라서   이고,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6) [정답] ③
<해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12) [정답] ⑤
<해설>
         이므로
      의 해가      이다. 이때   의 최고차항의
         이어야 한다.
계수가  이므로,                이다.

따라서    이므로  의 최댓값은  이다. 따라서,   를    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기 위해    을

대입하면,       ∙  ∙  이므로,       이다.
7) [정답] ④
<해설> 13) [정답] ①
<해설>
     를 등식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이고 식을       
정리하면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8) [정답] ②      
<해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이므로

- 6 -
따라서              이므로 A B 의 교점의  좌표를 각각   라 하면, 이는 두 이차방정식의
         연립한 식의 해이다. 두 식을 연립한 교점의 방정식은
  
14) [정답] ④          이므로        

<해설>
이때, PAA ′ PBB ′ 의 넓이의 합은  이므로
(가)에서   를    로 나눈 나머지는  이므로    이다.
(나)에서
계수가
    의 한 근이    인데, 이차 다항식   의 모든
실수이므로 다른 근은 켤레근으로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식을 정리하면           
 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근의 합    이고, 두 근의
             이므로   
곱      이다.
따라서   

또           에서    이므로 19) [정답] 


      에서    이다. <해설>
따라서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를    로 나눈
나머지는 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15) [정답] ③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를    로 나눈
<해설> 나머지는 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정답]
<해설>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정답] ①
<해설>

잘못 본  의 계수를  라 하면,
 
두 근의 곱     이고, 두 근의 합  두식을 나누면
 
 
  이고, 상수항을 잘 못 보고 푼 이차방정식은  의 계수와 의      의 그래프는 위와 같다.
 
따라서

계수는 잘 봤기 때문에 두 근의 합     이다. 따라서  ≤  이면             이고

   ≤  이면        이다.

          이므로 이차방정식에 대입하면    이면             이다.


        이므로 처음 이차방정식의 두 근의 곱은
이때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이다.
    일 때,             이므로
17) [정답]          이다.
<해설> 이때,            이므로

  를   로 나눈 나머지는    을 대입한 후 둘의 나머지가       ⋯      을 만족하는 자연수  의


같으므로          ,      ⋯ ㉠ 마찬가지로    를 최댓값은  이다.

   로 나눈 나머지가 같으므로     을 대입하여 두 값이 같다고


하면            이므로      ⋯ ㉡ 이다.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정답] 
<해설>

- 7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