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중1 1-2-1.

최대공약수

공약수와 최대공약수, 서로소

1. 공약수: 두 개 이상의 자연수의 공통인 약수  의 약수 :    


 의 약수
2. 최대공약수: 공약수 중에서 가장 큰 수 :      
⇨   의 공약수 :   

3. 최대공약수의 성질   의 최대공약수: 

(1) 두 개 이상의 자연수의 공약수는 최대공약수의 약수이다.


◉  은 모든 자연수와 서로소
이다.
4. 서로소: 최대공약수가  인 두 자연수 ◉ 서로 다른 두 소수는 항상
(1) 두 자연수가 서로소이면 두 수의 공약수는  뿐이다. 서로소이다.

▣ 다음 두 수가 서로소이면 ‘O’, 서로소가 아니면 ‘X’를 써라.

(1)   ( )

(2)   ( )

(3)   ( )

(4)   ( )

(5)   ( ) (1) ◯ (2) ×


(3) × (4) ◯
(6)   ( )
(5) ◯ (6) ×

4. z b4) 두 자연수의 최대공약수가  일 때, 이 두 수의 공


약수의 개수는?
1. zb1 ) 두 자연수 와  의 최대공약수가  일 때, 와  ① 개 ② 개 ③ 개
의 공약수가 아닌 것은?
④ 개 ⑤ 개
①  ②  ③ 
④  ⑤ 

5. z b5) 다음 중  과 서로소인 수의 개수는?

     
2. zb2 ) 두 자연수  ,  의 최대공약수가  일 때, 다음 중
① 개 ② 개 ③ 개
 ,  의 공약수가 아닌 것은?
④ 개 ⑤ 개
① × ②  ×

③ × 

④  ×  
⑤  ×
 

6. z b6)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두 수는?

• 두 수는 서로소이다.
3. zb3 ) 다음 두 수의 공약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두 수중 하나는 합성수이고, 다른 하나는 소수이다.
 ×  × ,
 
 ×× ①   ②   ③  
①  ②  ③  ④   ⑤  
④  
⑤  ×

I410-ECN-0199-2017-001-000057213
- 1 -
1-2-1.최대공약수

최대공약수 구하기

1. 나눗셈을 이용하는 방법
① 몫이 서로소가 될 때까지  이 아닌 공약수로 ◉ 나눗셈을 이용하여
최대공약수를 구할 때
계속 나눈다. (1) 반드시 소수로만 나눠야
② 나누어 준 공약수를 모두 곱한다. 하는 것은 아니며 소수가 아닌
공약수로 나누어도 된다.
2. 소인수분해를 이용한 방법 (2) 세 수의 최대공약수를
구할 때,
① 주어진 수를 각각 소인수분해 한다. 세 수의 공약수가 있을
② 공통인 소인수를 모두 곱한다. 때까지만 공약수로 나눈다.

이때, 소인수의 지수가 같으면 그대로


지수가 다르면 지수가 작은 것을
택하여 곱한다.

▣ 다음은 두 가지 방법으로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과정이다. 빈 칸에 알맞은 수를 써 넣어라.

[방법1] [방법2]
   
    ×
 

     × 
   [방법1]
(최대공약수)   ×      
(최대공약수)   × × 
[방법2]
     

9. z b9) 세 수    의 최대공약수는?

①  ②  ③ 
④  ⑤ 
7. zb7 )
 
두 수    가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가장 큰
 
자연수  을 구하는 과정이다. ㉠,㉡,㉢을 차례로 써라.

 과  의 ㉠ 를 구하면 되므로
 
10. z b10 )  × □와  × □ 의 최대공약수가  일 때, □ 안에

㉡   공통으로 들어갈 자연수는?
   ①  ②  ③ 
에서  × ㉡  ㉢ 이므로  의 값 중에서 가장 큰 ④  ⑤ 
자연수는 ㉢ 이다.

8. zb8 ) 세 수  ×  ×  ,  ×  ×  ,  ×  의 최대공약수 11. z b11 )  ×  ×  와  ×  × 의 최대공약수가  일 때,


는?     의 값은?
①  ② × ①  ②  ③ 
③  ×  ④  ×  ×  ×  ④  ⑤ 

⑤  ×× ×  

I410-ECN-0199-2017-001-000057213
- 2 -
1-2-1.최대공약수

최대공약수의 활용
1. 최대공약수의 활용
: 주어진 문제에 ‘가능한 한 많은’, ‘가장 큰’, ‘최대한’, ‘되도록 많은’ 등의
◉ 일정한 양을 똑같이 나누어
표현이 있는 경우 대부분 최대공약수를 이용하여 문제를 푼다. 준다. ⇨ 공약수
<최대공약수 활용 문제의 예> ◉ 가능한 많은 양을 똑같이
나누어 준다. ⇨ 최대공약수
(1) 일정한 양을 가능한 한 많은 사람에게 나누어 주는 문제
(2) 직사각형 모양을 가능한 한 큰 정사각형 모양으로 빈틈없이 채우는 문제
(3) 직사각형 모양의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나무를 심을 때, ◉ 직사각형을 정사각형으로

나무 사이의 간격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문제 빈틈없이 채운다. ⇨ 공약수


◉ 직사각형을 최대한 큰 정사
(4) 두 개 이상의 자연수를 동시에 나누어떨어지게 하는 가장 큰 자연수를 각형으로 빈틈없이 채운다.
구하는 문제 ⇨ 최대공약수

▣ 사탕  개와 초콜릿  개를 가능한 많은 학생들에게 똑같이 나누어 줄 때,


몇 명의 학생에게 나누어 줄 수 있는지 구하려고 한다. 빈칸에 알맞은 수를 써 넣어라.

(1) 사탕  개를 나누어 줄 수 있는 학생 수
⇨  명, 명, 명, 명, 명,  명

(2) 초콜릿  개를 나누어 줄 수 있는 학생 수


⇨  명, 명, 명, 명, 명, 명, 명,  명

(3) 사탕과 초콜릿을 나누어 줄 수 있는 최대 학생 수는  과  을 동시에 나눌 수 (1)    


있는 수 중에서 가장 큰 수이므로   의 최대공약수인 이다. (2)      
(3) 

14.z b14 ) 어느 중학교 봉사 동아리에서는 매년 생활필수품을


담은 사랑의 꾸러미를 만들어 생활이 어려운 이웃에
12.
zb1 2 ) B 중학교의 여학생  명과 남학생  명의 모든 게 전달한다. 올해는 비누  개, 수건  개, 치약
학생이 조를 편성하여 체험활동을 떠나려고 한다. 각  개를 각 꾸러미에 나누어 담으려고 한다. 각 꾸러
조에 속하는 여학생 수와 남학생 수를 각각 같게 하 미마다 들어가는 비누, 수건, 치약의 개수가 각각 같
여 가능한 한 많은 조를 편성할 때, 한 조에 속하는 고, 남는 생활필수품이 없도록 담으려고 할 때, 사랑
남학생 수는? 의 꾸러미를 최대 몇 개까지 만들 수 있는가?

① 명 ② 명 ③  명 ① 개 ②  개 ③  개

④  명 ⑤  명 ④  개 ⑤  개

15.z b15 ) 가로, 세로의 길이가 각각  m ,  m 인 직사각형

13. 초콜릿  개, 사탕  개, 과자  개를 가능한 한


모양의 땅이 있다. 한 변의 길이를 최대한 크게 하여
정사각형 모양으로 땅을 나눈 후 주말 가족 농장으로
zb1 3 )

많은 학생들에게 남김없이 똑같이 나누어 선물해 주


분양하려고 한다. 한 가구에게 정사각형 모양의 땅을
었다. 이때 선물을 받은 학생 수는?
 개씩 분양할 때, 모두 몇 가구에게 분양할 수 있는
① 명 ②  명 ③  명 지 구하면?
④  명 ⑤  명 ①  ②  ③ 
④  ⑤ 

I410-ECN-0199-2017-001-000057213
- 3 -
1-2-1.최대공약수

두 개 이상의 자연수의 공통인 약수


공약수 중에서 가장 큰 수
서로소 최대공약수가 인 두 자연수

▩ 두 개 이상의 자연수의 공약수는 최대공약수의 이다.

두 자연수   의 최대공약수가  이면,   의 공약수는 이다.

▩ 은 모든 자연수와 서로소이다.

▩ 공약수가  뿐인 두 자연수는 이다.

 이하의 자연수 중에서  와 서로소인 자연수는      이다.

▩ 나눗셈을 이용하여 최대공약수를 구할 때, 몫이 가 될 때까지  이 아닌 로 계속 나눈다.

 

 

  

 

⇨ 최대공약수  × × 

세 수의 최대공약수를 구할 때, 세 수의 공약수가 있을때까지만 로 나눈다.

▩ 소인수분해를 이용하여 최대공약수를 구할 때 지수가 쪽을 택하고 지수가 같으면 그대로 곱해준다.

 ×   ×  의 최대공약수를 소인수의 곱으로 나타내면 이다.

▩ 주어진 문장에 ‘가능한 한 많은’, ‘가장 큰’, ‘최대한’, ‘되도록 많은’ 등의 표현이 있는 경우 대부분

를 이용하여 문제를 푼다.


가로의 길이가 cm , 세로의 길이가 cm 인 직사각형 모양의 벽이 있다.
이 벽을 가능한 한 큰 정사각형 모양의 타일로 빈틈없이 채울 때, 필요한 타일의 개수를 구하려고 한다.

(1) 벽을 채울 수 있는 가능한 한 큰 타일의 한 변의 길이는 , 의 최대공약수인 cm 이다.


(2) 필요한 타일의 개수는

가로 :  ÷  (개), 세로:  ÷  (개)이므로 모두 개이다.

▩ 어떤 수  로  를 나누면 나머지가  일 때,  로 을 나누면 나누어떨어진다.

어떤 수  로  를 나누면 가 부족할 때,  로 을 나누면 나누어떨어진다.


가로의 어떤 수로  을 나누면  가 남고,  을 나누면  이 부족하다.
이러한 자연수 중에서 가장 큰 수를 구하여라.
(1) 어떤 자연수  을 나누면  가 남는다.

⇨ 어떤 자연수로 (  ) 을 나누면 나누어 떨어진다.


(2) 어떤 자연수  을 나누면  이 부족하다.

⇨ 어떤 자연수로 (  ) 을 나누면 나누어 떨어진다.

(3) 따라서 이러한 자연수는 와 를 나눌 수 있는 수이므로, 와 의 공약수이고

그러한 수 중 가장 큰 수는 와 의 최대공약수인 이다.

I410-ECN-0199-2017-001-000057213
- 4 -
1-2-1.최대공약수

공약수 두 개 이상의 자연수의 공통인 약수


최대공약수 공약수 중에서 가장 큰 수
서로소 최대공약수가  인 두 자연수

▩ 두 개 이상의 자연수의 공약수는 최대공약수의 약수 이다.

두 자연수   의 최대공약수가  이면,   의 공약수는     이다.

▩  은 모든 자연수와 서로소이다.

▩ 공약수가  뿐인 두 자연수는 서로소 이다.

 이하의 자연수 중에서  와 서로소인 자연수는      이다.

▩ 나눗셈을 이용하여 최대공약수를 구할 때, 몫이 서로소 가 될 때까지  이 아닌 공약수 로 계속 나눈다.

  

 


  
   

⇨ 최대공약수   ×  ×   

세 수의 최대공약수를 구할 때, 세 수의 공약수가 있을때까지만 공약수 로 나눈다.

▩ 소인수분해를 이용하여 최대공약수를 구할 때 지수가 작은 쪽을 택하고 지수가 같으면 그대로 곱해준다.

 ×   ×  의 최대공약수를 소인수의 곱으로 나타내면  ×  이다.

▩ 주어진 문장에 ‘가능한 한 많은’, ‘가장 큰’, ‘최대한’, ‘되도록 많은’ 등의 표현이 있는 경우 대부분
최대공약수 를 이용하여 문제를 푼다.
가로의 길이가 cm , 세로의 길이가 cm 인 직사각형 모양의 벽이 있다.
이 벽을 가능한 한 큰 정사각형 모양의 타일로 빈틈없이 채울 때, 필요한 타일의 개수를 구하려고 한다.

(1) 벽을 채울 수 있는 가능한 한 큰 타일의 한 변의 길이는  ,  의 최대공약수인  cm 이다.


(2) 필요한 타일의 개수는

가로 :  ÷    (개), 세로:  ÷    (개)이므로 모두  개이다.

▩ 어떤 수  로  를 나누면 나머지가  일 때,  로  을 나누면 나누어떨어진다.

어떤 수  로  를 나누면 가 부족할 때,  로  을 나누면 나누어떨어진다.


가로의 어떤 수로  을 나누면  가 남고,  을 나누면  이 부족하다.
이러한 자연수 중에서 가장 큰 수를 구하여라.
(1) 어떤 자연수  을 나누면  가 남는다.

⇨ 어떤 자연수로 (   )  을 나누면 나누어 떨어진다.


(2) 어떤 자연수  을 나누면  이 부족하다.

⇨ 어떤 자연수로 (   )  을 나누면 나누어 떨어진다.

(3) 따라서 이러한 자연수는  와  를 나눌 수 있는 수이므로,  와  의 공약수이고

그러한 수 중 가장 큰 수는  와  의 최대공약수인  이다.

I410-ECN-0199-2017-001-000057213
- 5 -
1-2-1.최대공약수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
1) 제작연월일 : 2018년 1월 12일
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
2) 제작자 : 교육지대㈜
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제작일부
저작권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터 5년간 보호됩니다.

10) [정답] ④
[해설]  × □   ×  × □  × □   × □ 의 공약수는
1) [정답] ④
 × □   ∴ □
[해설] 두 자연수   의 공약수는 최대공약수  의
약수이다. 11) [정답] ①
따라서 공약수는     이다.
[해설] 두 수의 최대공약수가    ×  ×  이므로
2) [정답] ⑤          에서            

[해설]   의 공약수는    ×  의 약수가 되어야 12) [정답] ②


한다. ⑤  ×  는    ×  의 배수이다. [해설] 조의 개수는   의 공약수이면서 가장 큰
수가 되어야 하므로       ×  의
3) [정답] ④
최대공약수인    (개)이다.
[해설] 두 수의 최대공약수가  ×  이므로
이때 한 조에 속하는 남학생 수는  ÷   
두 수의 공약수는  ×  의 약수이다.
(명)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 ×  의 약수가 아닌 것은
④ 이다. 13) [정답] ②
[해설] 학생 수는    ×  ×     × 
4) [정답] ④
   ×  ×  의 공약수이면서 가장 큰 수가 되
[해설] 두 수의 공약수는    ×  의 약수이므로
어야 하므로 세 수의 최대공약수인  ×    (명)
공약수의 개수는  의 약수의 개수인
이다.
   ×      ×    (개)이다.
14) [정답] ③
5) [정답] ②
[해설] 꾸러미의 개수는    의 공약수이면
[해설]    ×  와 서로소인 수는   를 소인수로
서 가장 큰 수가 되어야 하므로
갖지 않는 수이다.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으로  개이다.

6) [정답] ④ 최대공약수인  ×    개다.
[해설] ① 최대공약수가  이므로 서로소가 아니다.
15) [정답] ④
② 두 수 모두 합성수이다.
[해설] 정사각형 모양의 땅의 한 변의 길이는  
③ 두 수 모두 소수이다.
의 공약수이면서 가장 큰 수가 되어야 하므로
④  은 합성수,  은 소수이고 두 수는 서로소
   ×     ×  ×  의 최대공약수인
이다.
⑤ 최대공약수가  이므로 서로소가 아니다.  ×    ( m )이다.
따라서 분양할 수 있는 땅의 개수는
7) [정답] ㉠ 최대공약수 ㉡  ㉢   ÷  ×  ÷    ×    (개)이다.
[해설]   를 나눌 수 있는 수중 가장 큰 수를 구
해야 하므로 ㉠ 최대공약수 ㉡  ㉢  ×   

8) [정답] ①
[해설] 공통인 소인수의 곱이므로 최대공약수는  이
다.

9) [정답] ②
[해설]    ×  ×     ×  ×     ×  × 
의 최대공약수는  ×    이다.

I410-ECN-0199-2017-001-000057213
- 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