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출제자

중 1-1_교학사_수와 연산_소인수분해(14p~26p)
메타교육


쌍둥이 문제(1배수)
월 일

(중1-1)교과서_교학사 14쪽 2

2
5. 다음 보기에서 두 수가 서로소인 것을 모두
1. 다음 수를 거듭제곱으로 나타내어라.
고른 것은?
⑴  ×  × 
보 기
 
⑵  ×
   ㄱ. ,  ㄴ. ,  ㄷ. , 
ㄹ. ,  ㅁ. ,  ㅂ. , 

① ㄱ, ㄹ ② ㄴ, ㅂ

(중1-1)교과서_교학사 15쪽
③ ㄷ, ㅁ ④ ㄹ, ㅁ

⑤ ㅁ, ㅂ
3

2. 다음에서 밑과 지수를 각각 말하여라.

⑴ 
⑵  (중1-1)교과서_교학사 20쪽

6. 세 자연수  , ,  의 최대공약수를 구하고,

이 세 수의 공약수를 모두 써라.
(중1-1)교과서_교학사 16쪽

3.  을 소인수분해하면?

4
①  ② ×
③ × ④ ×
7. 가로의 길이가  cm , 세로의 길이가  cm

⑤  ×
인 직사각형 모양의 판에 빈틈없이 정사각형 모양의

자석을 붙이려고 한다. 가능한 한 적은 수의 자석을

붙이려고 할 때, 몇 개의 자석이 필요한지 구하여라.

(중1-1)교과서_교학사 19쪽

4.  와  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쓰시오.

- 1 - 김과외 앱에서 다운로드 가능


(중1-1)교과서_교학사 21쪽 (중1-1)교과서_교학사 25쪽

5 1

8. 다음 수들의 최소공배수를 구하여라. 11.   ×   ×   의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를 차례대로 구하면?
⑴  ,  
①  ×    ×  ×  × 
⑵  ,  ×  ②  ×    ×  ×  × 
③   ×   ×    ×   × 
⑶  ×  ,  × 
④  ×   ×  ×  × 
⑤  ×    ×  ×  × 

6
2

9. 세 수
 
 ×  ,  ×  ,  의 최소공배수를 구
12. 다음 중 소수인 것은?
하여라.
①  ② 
③  ④ 
⑤ 

(중1-1)교과서_교학사 22쪽

7 3

10. 어느 대형 마트에서는 월 일 일요일에 처 13. 다음 수를 소인수분해하여라.

음으로 음료수와 과자를 함께 납품받고, 이후 음료 ⑴  ⑵ 


수는  일마다, 과자는  일마다 납품받기로 하였다. ⑶ 
이 마트에서 처음으로 다시 일요일에 음료수와 과자

를 동시에 납품받는 날짜가  월  일일 때,   의


값을 구하여라.

14. 다음 중  과 서로소인 수는?

①  ② 
③  ④ 
⑤ 

- 2 - 김과외 앱에서 다운로드 가능


(중1-1)교과서_교학사 26쪽 7

5
17. 우리나라에서는 하늘을 뜻하는  개의 천간

15. 두 자리의 자연수 ,  의 최대공약수가 ,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과 땅을 뜻

하는  개의 지지(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최소공배수가  일 때, 두 자연수 ,  를 각각
신, 유, 술, 해)를 차례대로 사용해서 갑자년, 을축
구하는 풀이 과정을 쓰고 답을 구하시오. (단,
년, 병인년 등으로 한 해의 이름을 붙인다. 서울
)
올림픽이 개최되었던  년이 무진년일 때 다음

중 기사년이 되는 해는?

십간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십이지 자 축 인 묘 진 사 오
6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6. 그림과 같이 가로의 길이가  cm , 세로의
신 임 계 갑 을 병 정 ⋯
길이가  cm 인 직사각형 모양의 종이에 남는 부분

없이 가능한 한 큰 정사각형 모양의 색종이를 붙이 미 신 유 술 해 자 축 ⋯


려고 할 때, 필요한 색종이의 수를 구하여라. 신미 임신 계유 갑술 을해 병자 정축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① 년 ② 년
③ 년 ④ 년
⑤ 년

- 3 - 김과외 앱에서 다운로드 가능


정답 및 해설


1. (정답) ⑴   ⑵  



    
    
(해설)
  

최대공약수는  ×   이다.
2. (정답) ⑴ 밑 : , 지수 :  ⑵ 밑 : , 지수 : 
따라서 공약수는 최대공약수 의 약수인  , ,  , 
(해설) 이다.

3. (정답) ⑤

(해설) 7. (정답)  개

 을 소인수분해하면    ×    ×  (해설)
자석을 가능한 한 적게 붙이려면 자석의 한 변의

길이는 가능한 한 크게 해야 한다. 따라서 정사

4. (정답)  각형 모양의 자석의 한 변의 길이는  과  의


최대공약수인  cm 로 해야 한다.
(해설)
이때 필요한 자석의 수는
    ×  … ①
(가로)  ÷    (개)
   ×   … ②
(세로)  ÷    (개)
최대공약수는 공통인 소인수의 지수의 최솟값을 쓰
이므로 모두  ×    (개)이다.
면 되므로
)  
×   … ③
 
단계 채점 기준 배점
① 를 소인수분해하기 %
② 을 소인수분해하기 %
두 수의 최대공약수 구하
③ %

8. (정답) ⑴  ⑵  ⑶ 
(해설)


5. (정답) ⑤

(해설)
(최소공배수)     
주어진 수들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
 (최소공배수)    ×   
따라서 두 수가 서로소인 것은 ㅁ, ㅂ이다.

 × 
 ×
(최소공배수)   ×   ×   
6. (정답) 최대공약수:, 공약수: , , , 
(해설)

9. (정답) 

- 4 - 김과외 앱에서 다운로드 가능


정답 및 해설

(해설) (해설)

   ×  ×  이므로 ⑴  ) 
  ) 
 ×
) 
 ×

 ×  ×  ⑵  ) 
(최소공배수)    ×  ×     ) 
 ) 

⑶  ) 
 ) 
10. (정답) 
 ) 
(해설) 
요일은  일마다 반복되고 음료수와 과자의 납품

일은  일,  일마다 반복되므로 처음으로 다시

일요일에 음료수와 과자를 동시에 납품받는 것은


14. (정답) ⑤
월 일 일요일로부터 (  , , 의 최소공배수)
(해설)
일 후이다.
 과 주어진 수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면 다음
이때  ,    ×  ,    의 최소공배수는
과 같다.
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따라서 처음부터 다시 일요일에 음료수와 과자를
따라서  과 서로소인 수는 ⑤  이다.
동시에 납품받는 날짜는  월  일로부터  일 후

인  월  일이므로
   ,    ∴     
15. (정답)    ,   
(해설)
   × ,    ×  (,  는 서로소)라 하면 두 수

 이므로
11. (정답) ⑤
의 최소공배수가

 ×  ×    ∴  ×    ⋯①
(해설)
곱이  인 서로소인 두 자연수  ,     는
  ×   ×       ×  × 이므로 최대공약수
   ,    또는    ,    이다. ⋯②
   
는  × 이고, 최소공배수는  ×  ×  ×  이다.   l,    이면    ,    이므로 두 자리의

자연수라는 조건에 맞지 않는다.

   ,    이면    ,    이므로 조건을 만

12. (정답) ③ 족한다.

∴    ,    ⋯③
(해설)
①  ②  ④  ⑤  는 모두 과 자기 자신 단계 채점 기준 배점

이외의 약수를 가지므로 소수가 아니다. ,  의 서로소인 두 인수의 곱


①  %
구하기
② 서로소인 두 인수 구하기  %
조건을 만족하는 두 자연수 , 
13. (정답) ⑴  ×  ⑵  ×  ×  ⑶  ×  ×  ③
구하기
 %

- 5 - 김과외 앱에서 다운로드 가능


정답 및 해설

16. (정답)  장
(해설)
남는 부분 없이 가능한 한 큰 정사각형 모양의

색종이를 붙여야 하므로 색종이의 한 변의 길이

는  ,  의 최대공약수인  cm 이다.
따라서 필요한 색종이의 수는

가로 :  ÷    (장)
세로 :  ÷    (장)
이므로 모두  ×    (장)이다.

17. (정답) ③

(해설)
 과  의 최소공배수는  이므로  년 마다 같은

이름을 가진 해가 돌아온다. 기사년은 무진년의 


년 후이므로        가 기사년이 된

다.

- 6 - 김과외 앱에서 다운로드 가능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