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1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Ⅰ(고2) 내신대비 1.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거듭제곱과 거듭제곱근 6. 6)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 
   
 
⑴  ×  ⑵ 
1. 1)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단, ≠  ,  ≠  )  

 
⑴  ×  ⑵  ÷    
⑶    ⑷  


⑶    × 
   ⑷   ÷

7. 7) 다음을 간단히 하시오.


 
   
 
2. 다음 거듭제곱근 중 실수인 것을 구하시오. ⑴  ×  ⑵   
2)

 
⑴   의 세제곱근 ⑵  의 세제곱근   
⑶   ⑷ 
 
 

3. 3) 다음 거듭제곱근 중 실수인 것을 구하시오. 8. 8)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⑴   의 세제곱근 ⑵  의 네제곱근    
⑴     
 
⑵  ×   
   
 

4. 4) 다음을 간단히 하시오.


   
⑴  ⑵   9. 9)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   
⑶   ⑷        
⑴     × 

 
  
  
⑵  ×  

5. 5) 다음을 간단히 하시오.


  

⑴ 

 
 
  

⑵ 
  
  

|1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Ⅰ(고2) 내신대비 1.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14. 다음 값을 구하시오.
지수의 확장과 지수법칙
14)

 
 
⑴  ⑵ 
⑶  ⑷  
10. 10) 다음 값을 구하시오.

⑴ 
  ⑵  

⑶   

⑷ 
 
15. 15)    ,    이고 ,  가 유리수일 때, 다음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⑴  ÷     

11. 11) ≠  ,  ≠  이고 , 이 음의 정수일 때, 다음이 ⑵    

성립함을 보이시오.
⑴  ÷     
⑵   

16. 16)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   
   

⑴ ×  ⑵   ÷ 
   
   
12. 12)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단, ≠  ,  ≠  ) ⑶     ⑷   ×  

⑴  × 

⑵    
⑶    ⑷  ÷   

17. 17)    ,    일 때, 다음 식을 간단히 하고 지수를


사용하여 나타내시오.

13. 13) 다음에서 근호를 사용하여 나타낸 것은 지수를 사용하여 ⑴   
⑵  ×  ÷  
  
나타내고, 지수를 사용하여 나타낸 것은 근호를 사용하여
나타내시오. (단,    )
⑴  
 
 



⑶  ⑷  

|2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Ⅰ(고2) 내신대비 1.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18.    ,    일 때, 다음 식을 간단히 하고 지수를


로그의 뜻과 성질
18)

사용하여 나타내시오.
⑴ 


⑵ 
 × 
 ÷ 


 20. 20) 다음 등식을 로그를 사용하여 나타내시오.

⑴   


⑵ 
    

19. 19)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   
⑴  × ⑵    ÷   

  

⑶  
 
⑷ 
 
×  

21. 21) 다음 등식을    꼴로 나타내시오.
⑴ log   
⑵ log    

22. 22) 다음 값을 구하시오.


⑴ log 

⑵ log 


23. 23) 다음 값을 구하시오.


⑴ log 
⑵ log  

|3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Ⅰ(고2) 내신대비 1.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24. 24)    ,  ≠  ,    ,    일 때, 다음이 성립함을 28. 28) log   , log    라고 할 때, 다음을 ,  를 사용하여
보이시오. 나타내시오.
 ⑴ log 
⑴ log   log   log 


⑵ log 
⑵ log     log  (단, 는 실수) 

25. 25) 다음 값을 구하시오. 29. 29) log   , log    라고 할 때, 다음을 ,  를 사용하여

⑴ log 
 나타내시오.
⑴ log 
⑵ log 

⑵ log 

26. 26)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30.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⑴ log    log 
30)


⑴ log  ×log 

⑵  log 
   log   log  ⑵ log  ×log  × log 

27. 27)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 
⑴ log   log 
 
 
⑵ log   log 
 
⑶ log   log   log 
⑷  log 
  log    log 

|4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Ⅰ(고2) 내신대비 1.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35. 소리의 크기는 dB (데시벨)로 나타내는데, 소리의 세기가


1-1-4. 싱용로그
35)

 Wm 인 소리의 크기를



 log  dB
31. 31) 다음 값을 구하시오.  

⑴ log  이라고 하자.  dB 인 소리의 세기는  dB 인 소리의 세기의 몇

⑵ log  배인지 구하시오.


⑶ log 

⑷ log 


32. 32) 상용로그표를 이용하여 다음 값을 구하시오.


⑴ log 
⑵ log 

33. 33) 상용로그표를 이용하여 다음 값을 구하시오.


⑴ log 
⑵ log 

34. 34) 어느 산유국에서 산유량을 매년  % 씩 증가시킬 때,


산유량이 올해 산유량의  배가 되는 것은 약 몇 년 후인지
구하시오. (단, log    , log    으로 계산한다.)

|5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Ⅰ(고2) 내신대비 1.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40. 다음 거듭제곱근 중 실수인 것을 구하시오.


확인 문제
40)

⑴   의 세제곱근
⑵  의 네제곱근
36. 36) 다음 식에서 근호를 사용한 것은 지수를 사용하여
나타내고, 지수를 사용한 것은 근호를 사용하여 나타내시오.
⑴  ⑵  
 

 


   

⑶  ⑷

41. 41)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⑴ 

   
  × 





  
⑵  ×  

37. 37)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⑴   × 





   
⑵    ÷ 

 
 

42. 42)



이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정수 의 값을 모두

구하시오.

38. 38) 다음 값을 구하시오.


⑴ log  ⑵ log  


   
⑶ log 
 
⑷ log  43.    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이고,
   
43)

 는 실수이다.)

39. 39)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⑴ log   log  44. 44) log   가 정의되도록 하는 정수  의 개수를 구하시오.
⑵ log   log 

|6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Ⅰ(고2) 내신대비 1.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45. 45)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49.  


   ,    일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 
49)

 
⑴  log   log   log   


⑵ log   log   
log 
⑶ log  ×log 
⑷ log  ×  × × ×  
50. 50) 오른쪽 그림과 같은 정육면체
ABCD  EFGH 의 부피가 
 일 때,
정삼각형 BEG 의 한 변의 길이를
구하시오.

46. 46)    ,    일 때, log  을 ,  를 사용하여


나타내시오.

51. 51) 어느 회사의 매출액이 매년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여  년


만에 첫해 매출액의  배가 되었다.  년 동안 이 회사의
매출액이 매년 몇 %씩 증가하였는지 구하시오. (단,
47. 47) 다음은 상용로그표를 이용하여 log    , log    으로 계산한다.)

log   log  의 값을 구하는 과정이다. 안에


알맞은 수를 써넣으시오.

log   log 


 log  ×  log  × 
  log     log  52. 52) 유엔 기준에 따르면 초고령화 사회는 전체 인구 중  세
   log  이상 고령 인구의 비율이  % 이상인 사회를 일컫는다.  년
 우리나라의 총인구는  만 명이고,  세 이상 고령 인구는
 만 명이었다. 다음 조건과 같이 인구가 증가할 때, 물음에
답하여 보자. (단, log    , log    ,
log    , log    으로 계산한다.)

총인구수는 매년 전년도보다  씩 증가하고,  .세 이상


고령 인구수는 매년 전 년도보다  씩 증가한다.
48. 48)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이 ,  일 때,
log   log  의 값을 구하시오. ⑴  세인 민영이는 자신이 초고령화 사회에 살게 될 것을
걱정하고 있다. 민영이가 초고령화 사회에 대비할 필요가 있는지
없는지 판단하고, 그 까닭을 설명해 보자.

⑵ 위의 조건에서 총인구수의 증가율을 바꾸어 문제를 만들어 보고,


친구들과 바꾸어 풀어 보자.

|7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Ⅰ(고2) 내신대비 1.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대단원 마무리
57. 57)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을 ,  라고 할 때,
log   log   의 값은?
53. 53)
  
  ,   
   일 때,    을 만족시키는 유리수  , ①  ②  ③
가 존재한다. 이때   의 값은? ④ ⑤

① ②  ③

④ ⑤

58. 58)
 
세수  
,   
,   를 작은 것부터 차례로 나열하시오.

54. 54) 다음 중 옳은 것은?

①   
 ×  
 ②  

   
 

③   
  
  
 ④   

  59. 59) 세 수 log
 , log  , log  을 작은 것부터 차례로
⑤ 
 × 

   
 나열하시오.

55. 55)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log    60. 60) 함수  가    일 때, 다음 중 항상 참인 것을 모두
 고르면? (  개)
② log
 
 ①   
③ log    ②      × 
④ log     log  ③     
 
⑤ log
    log  ④    
 
⑤     (단, 은 자연수)

56. 56) log    , log    일 때, log  의 값은?


(단,    ,    , ≠  ,  ≠  )
① ② ③ 
④  ⑤ 

|8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 Ⅰ(고2) 내신대비 1.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61. 61) 뜨거운 차를 실내에 놓아두면 차의 온도는 처음에는


빠르게 식다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주위의 온도에
가까워진다. 온도가  °C 인 어떤 물체를 주위의 온도가  °C 인
곳에 놓고  분 후의 이 물체의 온도를  °C 라고 하면
  
   log   ≠  
  
가 성립한다고 하자. 온도가  °C 인 차를 온도가  °C 로
일정한 실내에 놓을 때,  분 후의 이 차의 온도를 구하시오.

 
 
62. 62) 양수 가     
 
 를 만족시킬 때,

    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과정을 자세히 쓰시오.)

|9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2. 삼각함수


일반각과 호도법 68. 68) 반지름의 길이가  cm , 중심각의 크기가   인 부채꼴의

호의 길이와 넓이를 각각 구하시오.

63. 63) 크기가 다음과 같은 각은 제몇 사분면의 각인지 구하시오.


⑴ ° ⑵  °

69. 69) 다음을 구하시오.



⑴ 반지름의 길이가  cm , 중심각의 크기가  인 부채꼴의

64. 64) 크기가 다음과 같은 각을 나타내는 시초선과 동경의 호의 길이와 넓이
위치를 그림으로 나타내시오. ⑵ 호의 길이가  cm , 넓이가  cm 인 부채꼴의 반지름의
⑴ ° ⑵  ° 길이와 중심각의 크기

65. 65) 크기가 다음과 같은 각의 동경이 나타내는 일반각을


° × ° 꼴로 나타내시오. (단, 은 정수, ° ≤ °  °)
⑴ ° ⑵  °
⑶ ° ⑷  °

66. 66) 크기가 다음과 같은 각은 제몇 사분면의 각인지 구하시오.


⑴ ° ⑵ °
⑶  ° ⑷  °

67. 67) 오른쪽 그림에서 �


안에 알맞은 각의 크기를
호도법 또는 육십분법으로
나타내시오.

| 10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2. 삼각함수

 
삼각함수의 뜻 75. 75)       이고 sin    일 때, cos  , tan  의 값을
 
각각 구하시오.

70. 70) 원점 O 와 점 P   ,  
 을 지나는 동경 OP 가
나타내는 각의 크기를  라고 할 때, sin  , cos  , tan  의 값을
각각 구하시오.


76. 76) sin   cos    일 때, sin  cos  의 값을 구하시오.


71. 71)     일 때, sin  , cos  , tan  의 값을 각각 구하시오.


77. 77) sin   cos    일 때, 다음 식의 값을 구하시오.

⑴ sin  cos 
72. 72)
 의 값이 다음과 같을 때, sin  , cos  , tan  의 값을 각각 ⑵ sin   cos 
구하시오.
 
⑴  ⑵  
 

73. 73)
 의 값이 다음과 같을 때, sin  , cos  , tan  의 값의
부호를 각각 구하시오.
 
⑴  ⑵  
 
 
⑶  ⑷  
 


74. 74) 크기가  인 각이 제 사분면의 각이고 cos    일 때,

sin  , tan  의 값을 각각 구하시오.

| 11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2. 삼각함수

확인 문제
82. 82) 오른쪽 그림과 같은 원뿔의

전개도에서 
OA  , 
AB 
 일 때,
78. 78) 다음 표를 완성하시오. 원 O′ 의 반지름의 길이를 구하시오.

육십분법 ° ° °


호도법   


83. 83) cos    일 때,  sin  tan  의 값을 구하시오.

79. 79) 원점 O 와 점 P   , 을 지나는 동경 OP 가 나타내는


각의 크기를  라고 할 때, sin  , cos  , tan  의 값을 각각
구하시오.

80. 80) 부등식 sin    , tan    을 모두 만족시키는 크기가  인


각은 제 몇 사분면의 각인지 구하시오.

81. 81) 다음 삼각함수의 값을 구하시오.



⑴ sin  


⑵ cos  
  

⑶ tan  

| 12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2. 삼각함수

대단원 마무리

84. 84) 다음 각이 나타내는 동경의 위치가 다른 것은?


①  ° ② ° ③ °
④ ° ⑤ °

85. 85) 반지름의 길이가  인 부채꼴의 둘레의 길이가  일 때, 이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를 구하시오.

86. 86) 삼각함수표를 이용하여   °일 때,



  cos 
 의 값을 구하시오.
  sin 
각    
tan    

87. 87)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이 sin  ,
cos  일 때, 실수  의 값을 구하시오.

| 13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2. 삼각함수

 
88. 88)



    이고 cos    일 때, sin  , tan  의 값을

각각 구하시오. (풀이 과정을 자세히 쓰시오.)

89. 89) 삼각형 ABC 에서    ,    ,    일 때, 다음을


구하시오. (풀이 과정을 자세히 쓰시오.)
⑴ 삼각형 ABC 의 넓이
⑵ 삼각형 ABC 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

90. 90) 다음 그림은 함수    cos    의 그래프의 일부이다.



 
이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    )

⑴ 구하려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
⑵ ,  ,  의 값을 각각 구하시오.

 
⑶   의 값을 구하시오.

⑷ 공학 도구를 사용하여 ⑶에서 구한 값이 맞는지 확인하시오.

| 14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수열의 뜻

91. 91) 수열   ,  ,   ,  ,   , ⋯에서 제 항과 제 항을 각각


구하시오.

92. 92) 다음 수열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 나열하시오.


⑴  
⑵   

93. 93) 다음 수열 의 일반항  을 추측하시오.


  
,  ,  ,  , ⋯
  

94. 94) 다음 수열 의 일반항  을 추측하시오.


⑴ , , , , ⋯
⑵   ,  ,  , , ⋯

| 15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100. 제 항이   , 제 항이  인 등차수열에서 처음으로


등차수열
100)

양수가 되는 항은 제 몇 항인지 구하시오.

95. 95) 다음 수열이 등차수열일 때, 그 공차를 구하시오.


⑴  ,  ,  ,  , ⋯
⑵ , ,   ,  , ⋯

101. 101) 어느 지역에서는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이 한국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다문화 도서관을 설립하여
운영한다. 이 다문화 도서관은 그 지역의 다른 공공 도서관과
협력하여 대출 가능한 도서 수를 매월  권씩 늘려 가고 있다.
96. 96) 다음 등차수열 의 일반항을 구하시오. 이 다문화 도서관이 설립되고  개월이 지난 후 대출 가능한

⑴ 첫째항이  , 공차가  도서 수가  권일 때, 이 다문화 도서관을 설립할 당시

⑵   ,   ,   ,   ,   , ⋯ 소장하고 있던 도서는 모두 몇 권이었는지 구하시오.

97. 97) 첫째항이  , 제 항이  인 등차수열 의 일반항을 102. 102) 다음 수열이 등차수열일 때, □ 안에 알맞은 수를

구하시오. 써넣으시오.

⑴ , ,  , , ⋯

⑵ , ,  , ,  , ⋯

98. 98) 다음 등차수열 의 일반항을 구하시오.


⑴ 공차가   , 제 항이 
⑵ 제 항이  , 제 항이  103. 103) 다섯 개의 수  ,  ,  ,  ,  이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도록  ,  ,  의 값을 각각 정하시오.

99. 99) 첫째항이  , 공차가   인 등차수열에서 처음으로 음수가


되는 항은 제 몇 항인지 구하시오. 104. 104) 등차수열  ,  ,  ,  , ⋯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
 을 구하시오.

| 16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105. 105) 등차수열을 이루는  ,  ,  , ⋯,  의 합을 구하시오. 111. 111) 수열 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  이 다음과
같이 주어진 수열 의 일반항을 구하시오.
⑴     
⑵      

106. 106) 등차수열을 이루는  ,  ,  , ⋯,  의 합을 구하시오.

107. 107) 제 항이   이고, 제 항이  인 등차수열  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이  일 때, 의 값을 구하시오.

108. 108)  이하의 자연수 중  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 인


수의 합을 구하시오.

109. 109) 두 자리 자연수 중  의 배수의 합을 구하시오.

110. 110) 수열  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을  이라고


하자.     일 때, 수열 의 일반항을 구하시오.

| 17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117. 제 항이  , 제 항이  인 등비수열에서 처음으로 


등비수열
117)

이상이 되는 항은 제 몇 항인지 구하시오.

112. 112) 다음 수열이 등비수열일 때, 그 공비를 구하시오.


⑴   ,  ,   ,  , ⋯
⑵  ,  ,  ,  , ⋯

118. 118)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해안 지역을 따라 걸을 수 있는


다양한 제주 올레 코스를 개발하였다. 올레길 주변의 어떤
숙소에서는 저렴한 숙박료와 단체 여행객의 증가로  년에
 명이었던 이용객 수가 매년  씩 증가하였다. 이때
113. 113) 다음 등비수열 의 일반항을 구하시오.  년의 이용객 수가 몇 명이었는지 구하시오. (단,
   로 계산한다.)
⑴ 첫째항이  , 공비가 

  
⑵  ,  ,  ,  , ⋯
  

119. 119) 다음 수열이 등비수열일 때, □ 안에 알맞은 양수를


써넣으시오.
114. 114) 제 항이   , 제 항이  인 등비수열 의 일반항을 ⑴  , , , , ⋯
구하시오
⑵  , ,   , , ⋯

115. 제 항이   , 제 항이  인 등비수열 의 일반항을 


120.
115)

다섯 개의 양수  , ,  ,  ,  이 이 순서대로

120)

구하시오.
등비수열을 이루도록 ,  ,  의 값을 각각 정하시오.

116. 116) 첫째항이  , 공비가  인 등비수열에서 처음으로 


이상이 되는 항은 제 몇 항인지 구하시오. 121. 121)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  
⑴ 등비수열  ,  ,  ,  , ⋯ 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   
합  을 구하시오.
⑵ 등비수열을 이루는  × ,  × ,  ×  , ⋯,  × 의 합을
구하시오.

| 18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122. 122)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이  ,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이  인 등비수열의 첫째항과 공비를 각각
구하시오.

123. 123)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이  ,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이  인 등비수열에서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을 구하시오.

124. 124) 어떤 공연장에서는


좌석이 무대에서 가까운
정도에 따라 입장권을
 등급 (S석, R 석, A 석,
B 석, C 석)으로 판매한다.
무대에서 가장 가까운
S석은  개의 구역으로, 그
다음으로 가까운 R 석은  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와
같이 입장권 등급 순서에 따라 각 등급의 구역의 개수는  배씩
늘어난다. 이 공연장의 좌석 등급과 구역에 따라 입장권의
색깔이 모두 다를 때, 입장권 색깔의 전체 개수를 구하시오.

| 19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130. 세 수 ,  ,  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고, 세 수


확인 문제
130)

,  ,  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룰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125. 125) 다음 수열 의 일반항  을 추측하시오.
⑴ , , , , , ⋯
    
⑵ , , , , , ⋯
    

131. 131) 두 수  와  사이에 세 양수를 넣어 다섯 개의 수가


등비수열을 이루도록 할 때, 이 세 양수를 구하여 차례로
나열하시오.

126. 126) 다음 수열의 제 항을 구하시오.


⑴ 첫째항이  이고 공차가   인 등차수열
⑵ 첫째항이  이고 공비가   인 등비수열

132. 132) 등차수열 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을


 이라고 하자.     일 때, 수열 의 일반항을
구하시오.

127. 127) 세 수   ,   ,   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룰 때, 실수 의 값을 구하시오.

        
133. 133) 공비가  인 등비수열 에서  의
        

값을 구하시오.
128. 128) 다음 수열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  을
구하시오.
⑴ 등차수열  ,  ,  ,  ,  , …
⑵ 첫째항이  이고 공비가  인 등비수열

134. 134) 첫째항이 , 공비가 인 등비수열 에서    이고


       일 때, 의 값을 구하시오.

129. 129) 제 항이  , 제 항이  인 등차수열에서  은 제몇


항인지 구하시오.

| 20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135.

떨어뜨린 높이의  을 다시 튀어 오르는 공이 있다고 138. 138) 다항식        을 일차식    ,    ,    로

135)

각각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룰 때,


하자. 이 공을  m 높이에서 떨어뜨렸을 때,  번째 튀어 오른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공의 높이를 구하시오.

139. 139) 첫째항이  인 등비수열 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  에서    ,    일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는 자연수이다.)

136. 136) 다음은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이  ,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이  인 등차수열에서 제 항을 구하는 140. 140) 다음 다섯 개의 수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룰 때,
과정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을 써넣으시오. 물음에 답하여 보자.
 , ,  ,  , 
첫째항을 , 공차를 ,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을
 이라고 하면 ⑴ 등차수열을 이루는 다섯 개의 수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를
  찾아 모둠별로 의견을 나누어 보자.
    에서

  ⋯⋯ ㉠
 
    에서

⑵ 위의 ⑴에서 찾아낸 정보를 이용하여 다섯 개의 수를 구하고,
  ⋯⋯ ㉡
이를 친구들에게 설명해 보자.
㉠, ㉡을 연립하여 풀면
 , 
따라서 일반항은
     ×  이므로
제 항은  

137. 137) 등차수열 , 에서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 21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의 뜻과 성질

141. 141) 다음을 합의 기호  를 사용하지 않은 합의 꼴로


나타내시오.

⑴ 



⑵ 



142. 142) 다음을 합의 기호 ∑를 사용하여 나타내시오.


⑴       ⋯  

⑵       ⋯  


 
143. 143)

  ,  
    일 때, 다음 식의 값을 구하시오.
  


⑴    
 
 


⑵      

 

| 22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148. 다음 식의 값을 구하시오.
여러 가지 수열의 합
148)

   
    ⋯ 
×  ×  ×   

144. 144) 항등식              을 이용하여 다음


등식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 

 
 
   
       ⋯    
 
149. 149) 다음 식의 값을 구하시오.
   
⑴    ⋯  
 ×  ×  ×     
   
⑵     ⋯ 
 
     
   
  
   
145. 145) 다음 식의 값을 구하시오.

⑴ 


⑵       ⋯  

146. 146) 다음 식의 값을 구하시오.


 ×   ×   ×  ⋯   

147. 147) 다음 식의 값을 구하시오.


⑴  ×    ×    ×   ⋯    

⑵    


| 23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  

확인 문제 154. 154)

   ,  

  일 때,     의 값을


   

구하시오.

150. 150) 다음 합의 기호 ∑를 사용하여 나타내시오.


⑴       ⋯  
⑵       ⋯  
   
⑶    ⋯  
 ×  ×  ×  × 

155. 155)

 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 

 
151. 151)

   ,     일 때, 다음 식의 값을 구하시오.
 

 156. 156) 수열 의 일반항이     일 때, 다음 식의 값을


⑴     

 
구하시오.
 
⑵       

  ⑴ 



⑵ 



152. 152) 다음 식의 값을 구하시오.



⑴     157.
 


157)


 
 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 

⑵    


 
158. 158)

           일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   
153. 153)

 
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

| 24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159. 159) 다음 식의 값을 구하시오. 162. 16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이 자연수일 때,


함수    의 그래프 위의 한 점   과 두
    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세 꼭짓점으로 하는

삼각형의 넓이를  이라고 하자.   의 값을


구하시오.

160. 160) 다음 수열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을 구하시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3. 163) 다음 등식이 성립할 때, 자연수  의 값을 구하 시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1. 161) 다음은 수열 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  이




   일 때, 


의 값을 구하는 과정이다. □ 안에
  

알맞은 것을 써넣으시오
164. 164) 다음은  년  월 달력이다. 날짜에 해당하는 식이
 
  , , , ⋯일 때 달력에 쓰여 있다. 예를 들어 


  이므로  일에  의


       
식이 쓰여 있다. 달력의 빈 날짜에 합의 기호 ∑ 를 포함한 식을
  일 때
써 보고, 짝과 함께 바꾸어 맞는 식인지 확인해 보자.
   
즉, 일반항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168. 국제 조류보호 단체에서는  년 멸종이 예상되는


수열의 귀납적 정의
168)

넓적부리도요와 같이 세계적 희귀종으로 분류되는 새들에 대해


인공 증식 사업을 벌이고 있다. 개체 수가  마리인 어떤 새의
165. 165) 다음과 같이 정의한 수열 의 처음  개 항을 인공 증식 사업이 성공하여 매년  씩 개체 수를 늘릴 수

구하시오. (단,    ,  ,  , ⋯) 있게 되었다. 인공 증식 사업을 시작한 지 년 후 이 새의 개체


수를  이라고 할 때,    과  사이의 관계식을 구하고, 이를
⑴    
       이용하여  을 구하시오.

⑵    
      

166. 166) 어느 모임에 참석한 회원들 모두 서로 한 번씩 악수를


한다고 한다. 이 모임에 참석한  ≥ 명의 회원이 악수하는
총횟수를  이라고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⑴  를 구하시오.
⑵    과  사이의 관계식을 구하시오.

167. 167) 평면 위에 개의 직선이 있다. 이 개의 직선이 서로


만나 생길 수 있는 교점의 최대 개수를
 이라고 하면    ,    ,    이다.
   과  사이의 관계식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 을 구하시오.

| 26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수학적 귀납법

169. 169) 모든 자연수 에서 등식



 ×   ×    ×   ⋯         …… ㉠

가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하시오.

170. 170) 모든 자연수 에서 다음 등식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하시오.

   
      ⋯    
 

171. 171)    일 때,  ≥  인 모든 자연수 에서 부등식

       …… ㉠
가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하시오.

172. 172)  ≥  인 모든 자연수 에서  ×  × × ⋯ ×   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하시오.

| 27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176. 자연수 에 대한 명제 이 모든 짝수에서 성립함을


확인 문제
176)

증명하려면 다음 두 가지가 성립함을 보이면 된다.

173. 173) 다음과 같이 정의한 수열 에서  을 구하시오. (단, (ⅰ) 가 참이다.

  , , , ⋯) (ⅱ) 가 참이면   도 참이다.

⑴ 
  
       이때 자연수 ,  의 값을 각각 구하시오.


  

    

⑶ 
  
      

177. 177) 다음 그림과 같이 점을 찍을 때, 단계의 점의 개수를


 이라고 하자. 이때  과    사이의 관계식을 구하시오.

174. 174)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을 써넣으시오.

자연수 에 대한 등식이 모든 자연수에서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하려면 다음 두 가지를 보이면 된다.
(ⅰ)   일 때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ⅱ)   일 때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일 때에도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178. 178) 어느 수족관에 물 L 가 들어 있다. 매일 수족관에



들어 있는 전날의 물의  을 버리고  L 의 물을 새로

넣는다고 하자. 일째 되는 날 수족관에 남아 있는 물의 양을
 L 라고 할 때,  과    사이의 관계식을 구하시오.

175. 175) 다음과 같이 정의한 수열 에서  를 구하시오. (단,


  , , , ⋯)

⑴ 
     
        

⑵ 
  
      

| 28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179. 179) 다음은 모든 자연수 에서 등식 181. 181) 수열 을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한 것이다. 으로 정의할 때,    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의 값을
㈎, ㈏에 알맞은 것을 써넣으시오. 구하시오.

(ⅰ)    일 때
(좌변)  , (우변) 
이므로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ⅱ)   일 때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182. 182) 모든 자연수 에서 등식

위 식의 양변에 ㈎ 을 더하면   


      ⋯    

 ⋯  ㈎
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하시오
  
  ㈎

 ㈏
따라서      일 때에도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그러므로 (ⅰ), (ⅱ)에 따라 주어진 등식은 모든 자연수
에 대해 성립한다.
183. 183) 수열 의 첫째항이  이고, 이 자연수일 때, 부등식
  
   
  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의 개수를    이라고 하자. 다음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 를 구해 보자.
[가인이의 방법]
180. 180) 다음은 모든 자연수 에서 명제 ‘   은  의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이므로
배수이다.’를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하는 과정 이다. □ 안에   
주어진 조건      로부터
알맞은 것을 써넣으시오.    

     

(ⅰ)   일 때   이고, 은  의 배수이므로
즉,       이고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는 자연수이므로
(ⅱ)   일 때      ( 은 자연수)이라고 가정하고,
    ⋯
     일 때에도
주어진 명제가 참인지 알아보자. [찬열이의 방법]
   이므로
              
즉,   일 때에도 주어진 명제는   
  일 때     
  
참이다.
     에서         
그러므로 (ⅰ), (ⅱ)에 따라 모든 자연수 에서    은
  
 의 배수이다.   일 때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29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188. 다음 수열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은?


대단원 마무리
188)

   ,       , ⋯ ,   
184. 184) 제 항이  이고, 제 항이  인 등차수열의 제  항은?
①  ②  ③  ①  ②  ③ 
④  ⑤  ④  ⑤ 

185. 185) 등차수열 에서    ,      일 때,  은? 189. 189) 이차함수        일 때,


①  ②  ③   

④  ⑤        의 값은?


 

①  ②  ③ 
④  ⑤ 

186. 186) 두 수 ,  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
190. 190) 모든 자연수 에서 명제 이 다음 조건을 모두
㈎ 세 수 ,  ,  이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룬다. 만족시킬 때, 다음 중 반드시 참이라고 할 수 없는 명제는?
㈏ 세 수  , ,  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룬다.
㈎ 이 참이다.
㈏ 이 참이면  과  도 참이다.

①  ②  ③ 


④  ⑤ 

187. 187) 수열 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을  이라고


하자.     일 때,   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의
개수를 구하시오.

191. 191) 첫째항이  인 수열 이


       ×      ,  ,  , ⋯
을 만족시킬 때,  를 구하시오.

| 30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192. 192) 다음 식의 값을 구하시오. 194. 194) 다음은 모든 자연수 에서 등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한 것이다. ㈎, ㈏에 알맞은
것을 순서대로 적은 것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193. 193) 어떤 용기 안에 세균을 넣으면  시간 동안  마리는 죽고 (ⅰ)    일 때 (좌변) (우변) ㈎


따라서    일 때 등식 ㉠이 성립한다.
나머지는 각각  마리로 분열한다고 하자. 이 용기에  마리의
(ⅱ)   일 때 등식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세균을 넣고 시간이 지난 후 용기 안에 들어 있는 세균의 개체
    
수를  이라고 할 때,    과  사이의 관계식을 구하고 이를    




     ⋯  
    
이용하여  을 구하시오. 
    

…… ㉡

㉡의 양변에 ㈏ 를 더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 등식은 ㉠에      을 대입한 것과 같다.
따라서      일 때에도 ㉠이 성립한다.
그러므로 (ⅰ), (ⅱ)에 따라 모든 자연수 에서 ㉠이
성립한다.

  

① , 
   

② , 

  
③  ,   ④  ,  
   
   
 
⑤  ,  
 
 

| 31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195. 195) 첫째항이  인 등차수열 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을  이라고 하자.    일 때,  을 구하시오. (풀이
과정을 자세히 쓰시오.)

196. 196) 다음 식의 값을 구하시오.(풀이 과정을 자세히 쓰시오.)




 


197. 197) 다음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에 두 곡선   log ,


  log  이 있다.  축에 평행한 직선      ,  ,  ,
⋯를 그어 두 곡선과 만나는 점을 각각 P  , Q  라고 하자. 이때
   
P Q   P Q   P Q   ⋯  P Q  의 값을 구하시오.

⑴ 구하려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
⑵ 
P Q 를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시오.
 

⑶ 
P Q   
P Q   
P Q   ⋯  
P Q  의 값을 구하시오.
⑷ 구한 답이 문제의 뜻에 맞는지 확인하시오.

| 32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정답 및 해설]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 (2)  (3)   (4) 
 
 
  
   
     
 
 ×  

⑵  × 
     
     
2) ⑴   ⑵ ±
⑴   의 세제곱근을  라고 하면    이므로
     ,          9) (1)  (2) 

   또는    ± 

따라서   의 세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  이다.  
10) (1)  (2)  (3)  (4)  
⑵  의 네제곱근을  라고 하면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11) 풀이 참조
따라서  의 네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  이다.       ( 는 양의 정수)로 놓자.
  
(1) ÷    ÷    ÷    ×
  
3) (1)   (2) ±

              

4) (1)  (2)   (3)   (4)     
(2)           ×       
   

5) 풀이 참조
     

 

(1)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에서 12) (1)  (2)  (3) 

(4) 

   
    

 
 이므로 
 
는  의 양의 제곱급이다.
     
 
   13) (1)  

(2)  
(3) 

 (4) 

따라서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2)     
   이고,
   


 
   
  14) (1)  (2)  (3)  (4) 
  이므로  는 의 양의 제곱근이다. 따라서 

 
   
 이다.

15) 풀이 참조
6) ⑴  ⑵ ⑶⑷  
       (   는 정수  ≥   ≥ )로 놓자.
 
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⑵ 
 
 
      
          
 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⑶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⑷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7) (1)  (2)  (3)  (4)   
       

   
8) ⑴   ⑵  
 
16) (1)  (2)  (3)  (4) 
⑴      ×   
     
 

| 33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 
  log     log
17) ⑴   ⑵ 


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1)  (2) 
 
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⑴  ⑵
     
     


     
 ⑴ log    log 
  log   log 
   log   log 
 
  
  log   log 


 
 

⑵  log 
   log   log 

  

18) (1) 


(2) 

  log 
   log    log 
 log   log   log 
×
    log   log 
19) (1)  (2)  (3)  (4)  
 



20) (1)   log (2)   log   27) (1)   (2)  (3)  (4)  



28) ⑴   ⑵    
21) (1)     

(2) 

  ⑴ log  log  ×   log   log 
  log   log    

22) ⑴  ⑵   ⑵ log   log   log  ×  log   log   log 

⑴ log    로 놓으면
 log   log        
   이므로    에서   

따라서 log    이다.


29) (1)   (2)     

⑵ log    로 놓으면

 30) (1)  (2) 
   이므로     에서   


따라서 log    이다.
 
31) (1)  (2)   (3)   (4) 

23) (1)  (2)  


32) (1)  (2) 

24) 풀이 참조
(1) log   log   라고 하면      이므로 33) (1)  (2)  

  
       따라서 log       log  log
   
34) 약  년 후

(2) log  라고 하면    이므로       따라서 올해 산유량을 라고 하면

| 34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 년 후 산유량은   ,  년 후 산유량은    , 40) (1)   (2) ±


 년 후 산유량은    , … (1)   의 세제곱근을  라고 하면

이므로 년 후의 산유량은     ×     , 즉     

년 후의 산유량이 올해 산유량의  배가 된다면        

×   , 즉    따라서    또는    ± 


  이므로
이 식의 양변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  의 세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  이다.
 log   log  (2)  의 네제곱근을 라고 하면
log      , 즉     
      
log  
       
따라서 산유량이 올해 산유량의  배가 되는 것은 약  년
따라서  ± 또는  ±  이므로
후이다.
 의 네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 이다.

35) 배
41) (1)  (2) 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1)   (2)  
(3) 
 (4) 
 

     × 
(1)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  
 
   

  



   42)      

(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1)  (2)   
이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 의 값은  의 약수이다.
    
 따라서 의 값은       이다.
(1)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43) 

    이므로 주어진 식의 분모, 분자에 각각  을 곱하면


38) (1)  (2)   (3)  (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log           ×         

(2) log    log   




44)  개
 
(3) log 
  log   
로그가 정의되려면 (진수) 이어야하므로

    에서    ⋯⋯㉠
(4) log  log   
또한, (밑) , (밑)≠ 이어야 하므로
    ≠  ⋯⋯㉡
39) (1)  (2)  ㉠, ㉡에서      또는     이므로 구하는 정수 는
(1) log  log  log × log     의 개다.

(2) log  log  log   log  

45) (1) (2)  (3)  (4) 

| 35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 
log  log  log    49) 

 

 
  에서    , 즉,     ⋯⋯ ㉠
 log × log   


 
  에서    , 즉     ⋯⋯ ㉡
 log  log    
 

 ㉠ ÷㉡을 하면  ÷        

  



 log  log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log  log    log  log  log 50)  
log
정육면체 ABCD  EFGH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   라고
 × 
 log  하면 부피는  이므로   

 , 즉  

정삼각형 의 한 변의 길이는   이므로
 log  
    
    
log log
 log × log   × 

   
 ×     
  
log log

log log
  ×  51) 
log log
첫해 회사의 매출액을 원, 매출액의 매년 증가하는 비율을
log log 라고 하면
 × 
log log 


  

  

   
 
즉,      에서

           
(4)  ×  × ×  ×     이므로

log ×  ×  × ×  log  
log     log



log    log

 
46) 

log      
 log
log   
  에서   log ,  에서   log이므로 log    
log  
이때     이므로   

따라서 년 동안 매출액이 매년 씩 증가하였다.
47) 
log  log
52) (1) 년 후 민영이의 나이는 세이므로 초고령화 사회에
 log ×  log  ×
대비해야 한다. (2) 년 후
   log    log (1) 총인구수는 매년 전년도보다 씩 증가하므로 년부터
   log 년 후의 총인구수는  ×  ×    , 즉,  ×  × 
세 이상 고령 인구수는 매년 전년도보다 씩 증가하므로
    ×   
년부터 년 후의 세 이상 고령 인구수는
 × ×    , 즉  × ×
48)  년 후 전체 인구 중 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이 이상이
      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따라    따라서 된다고 하면
log  log  log  log  log    × × ≥  ×  × × 
 × ≥  × 

| 36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이 식의 양변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log  log  log


log  log ≥ log  log
 log  log
log  log≥ log    log  
 ≥           log  log

 ≥      ×     

따라서 우리나라가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는 것은 앞으로 년
후이다. 즉, 년 후 민영이의 나이는 세이므로 초고령화 사회에 57) ⑤
대비해야 한다.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이   이므로 근과 계수의
(2) ◯
예 총인구수가 매년 전년도보다 씩 증가한다고 하면
관계에 따라        
우리나라가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는 것은 앞으로 년 후이다. 따라서
log   log   log    

53) ③  log     


   에서   
 
 log   ×  
    에서   










 log
 
    ×     ×      × 
     log  
따라서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58)      
54) ②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①  ×  
  

 
이므로  

 
②    
 

 
      
   

③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④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⑤   × 
      × 
    ×   
59) log log log

세 수를 밑이  인 로그로 나타내면
55) ③
① log   log 


 
  log  log    log   log  log 
② log
  log    



③ log   log     log  log   log  log

  
④ log  log × log  log    log 
따라서      
 이므로 작은 것부터 차례로 나열하면


⑤ log
  log × 
  log  log
    log log  log  log 

   

56) ⑤ 60) ②, ④
log ①    
log   을 를 밑으로 하는 로그로 바꾸면   
log ②         ×  × 

log  log  log  log   ×    ③   ,      이므로 ≠  
즉, log   에서 log    
④       
따라서  

| 37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 
⑤   ,       이므로 ≠ 

61) ℃
  
  log 
  
  
log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분 후의 차의 온도는 ℃이다.

68) 호의 길이 :  cm , 넓이 :  cm


62) 
부채꼴의 호의 길이 은
 
   
  
 


  
 
 의 양변을 제곱하면   

   
   ×    cm

      
부채꼴의 넓이  는
    

따라서    ×  ×  cm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1) 호의 길이 :  cm , 넓이  cm



(2) 반지름의 길이 : cm , 중심각의 크기 :  

63) ⑴ 제 사분면의 각 ⑵ 제 사분면의 각
⑴ °  ° ×  ° 이므로 크기가 °인 각은 제 사분면의
각이다.  
70) sin    cos    tan  

⑵  °  ° ×    °이므로 크기가  ° 인 각은  

제 사분면의 각이다.

 
71) sin    , cos    , tan   
 
64) 풀이참조

(1) (2) 오른쪽 그림과 같이     를 나타내는

동경과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 O 의 교점을
P 라 하고, 점 P 에서 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P′ 이라고 하자.
 
65) (1)  ×  (2)  × 
  

OP   , ∠POP′   이므로 점 P 의 좌표는   ,  
  


(3)  ×   (4)  ×    
따라서 sin    , cos    , tan   
 

66) (1) 제 사분면의 각(2) 제 사분면의 각


(3) 제 사분면의 각 (4) 제 사분면의 각   
72) (1) sin    cos    tan  
 
 
(2) sin    cos    tan  

67) 풀이참조  

73) (1) sin   cos   tan  

| 38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2) sin   cos   tan   80) 제 사분면의 각


(3) sin   cos   tan   sin   이므로 각  는 제 사분면 또는 제 사분면의 각이고,
(4) sin   cos   tan   tan   이므로 각  는 제 사분면 또는 제 사분면의 각이다.
따라서 부등식 sin   tan   을 모두 만족시키는 각  는
제 사분면의 각이다.
 
74) sin    , tan   
 
sin   cos    이므로  
 81) (1)   (2)  (3) 

 
  
sin     cos     
   

 
크기가  인 각이 제 사분면의 각이면

 
    
(1) sin    sin     sin    sin   
    

sin    이므로  

 
(2) cos    cos   
  

sin   

sin  

  
 
(3) tan    tan     tan   


또, tan    에서 tan   
cos  

82) 
  
75) cos    tan   부채꼴 OAB 에서 중심각의 크기는   이다.
  
원  ′ 의 반지름의 길이를 라고 하면
(원  ′ 의 둘레의 길이)(부채꼴 OAB 의 호의 길이) 이므로

76)   
    ×  


sin   cos    의 양변을 제곱하면 따라서   


sin    sin  cos   cos   

83)  
이때 sin   cos    이므로 


   sin  cos   
   

sin  cos   에서 sin    cos     


따라서

sin  cos    sin
 sin tan  sin × 
cos

sin

77) (1) 

(2)  cos



  
    ×  ÷    
 

84) ③
78) 풀이참조
①     ×   

육십분법 °  °  °  ②    ×  
③    ×  
   
호도법        ④    ×  
   
⑤    ×  

  
79) sin    cos    tan   85) 
  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를  라고 하면  ×    
   이므로 sin    cos    tan  
OP 
 
 
 따라서   

| 39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86)  90) 풀이참조


각  는 제 사분면의 각이므로 sin   cos  
  cos sin

 
(1)   의 값

    tan  tan   (2) 그래프에서 최댓값이  , 최솟값이  이므로



  sin  cos

    ⋯⋯ ㉠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87) 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따라 또한, 그래프에서 주기는  이므로   

 
sin  cos   ⋯⋯ ㉠ 이때    이므로   
 
 
sin cos   ⋯⋯ ㉡ (3)  cos     이므로
 
 
㉠의 양변을 제곱하면   sin cos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위의 등식이 ㉡을 대입하면       (4)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함수  cos     의
  
 그래프를 그려 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  


88) sin    tan  


sin  cos   이므로
sin    cos


   
        
따라서 주어진 그래프와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고,    일 때

각  가 제 사분면의 각이므로 sin   함숫값이   
 이므로 구한 답이 맞다.
 

따라서 sin    
  

91) 제 항은   이고, 제 항은  이다.


sin 
cos 
 
  
tan     ÷    

92) (1)         (2)     


89) (1) 
 (2) 


93)   
      
(1) 코사인법칙에 따르면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cos   이고 sin   이므로       

sin  
  cos   
  
   
 
 
따라서 일반항은    로 추측할 수 있다.

 
따라서 삼각형 ABC 의 넓이는  ×  × ×   

 
94) (1) ◯
예   예     × 
(2) ◯
 
(2) 삼각형 ABC 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라고 할 때,
사인법칙에 따르면
 95) (1)  (2)  
  이므로
sin
  
   
sin   96) (1)     (2)    

| 40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97)     107) 


공차를 라고 하면          이므로
     에서    108) 
즉, 공차는  이다.  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 인 자연수를 작은 것부터 순서대로
따라서 일반항  은       ×     나열하면
 ,  ,  ,  ,  ,  , ⋯  ⋯⋯ ㉠
㉠은 첫째항이  , 공차가  인 등차수열이므로 이 수열의 일반항
98) (1)     (2)    
 은
      ×    
99) 제 항  ≤  인 의 값을 구하면
첫째항이  , 공차가   인 등차수열의 일반항  은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을 만족시키는 의 값을 구하면 
      이때 구하는 합은 ㉠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이고,
    이다.
    

따라서 구하는 합을  라고 하면
이때 은 자연수이므로    ,  ,  , ⋯
 ×  
따라서 이 등차수열에서 처음으로 음수가 되는 항은 제 항이다.     

100) 제 항 109) 

101)  권 110)    


   ,  , , ⋯일 때
102) (1)   (2)         
          
   ⋯⋯ ㉠
103)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한편, ㉠에    을 대입하면    ×      이 되어 ㉡과
104)    일치한다.
따라서 수열  의 일반항은     

105) 
첫째항이  , 공차가   인 등차수열이므로 111) (1)    
이 수열의 일반항  은
(2)        (단,      ⋯)
       ×    
이때      에서    이므로 주어진 등차수열의 항의
개수는  이다. 
112) (1)   (2) 

따라서 구하는 합을  이라고 하면
 ×   
    
  
113) (1)    × 


 

(2)    × 

106) 
114)    ×    
첫째항을 , 공비를   ≠ 라고 하면

| 41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을 위의 식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을 하면   
이때 는 실수이므로    ⋯⋯ ㉢
이때 는 실수이므로    ⋯⋯ ㉢
㉢을 ㉠에 대입하면    ,   
㉢을 ㉠에 대입하면   
따라서 일반항  은    ×   
123) 

115)    ×    
124) 

116) 제 항

첫째항이  , 공비가  인 등비수열의 일반항  은 125) (1) ◯
예  
 (2) ◯
예  
 
 
   ×   (1) ◯
예  

 ≥  을 만족시키는 의 값을 구하면      


(2) ◯
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이때 은 자연수이고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따라서 이 등비수열에서 처음으로  이상이 되는 항은
제 항이다.
126) (1)   (2) 
(1)      ×     
117) 제 항 따라서    ×     
(2) 첫째항이  이고 공비가   인 등비수열이므로
118)  명 일반항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119) (1)   (2) 
  


127) 
  은   과   의 등차중항이므로
     
120)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121) (1)     
   (2)  


128) (1)  (2)   


122) 첫째항:  , 공비:  (1) 첫째항이  이고 공차가  인 등차수열이므로 구하는 합은
첫째항을 , 공비를   ≠ 라 하고,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 ×  ×     × 
    
합을  이라고 하면 

   (2) 첫째항이  이고 공비가  인 등비수열이므로 구하는 합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9) 제 항

| 42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첫째항을 , 공차를 라고 하면  


㉠에서    이면    이고,    이면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  

   

135)  × 
  m
     에서    
첫 번째 튀어 오른 공의 높이는  ×  m
따라서  은 제 항이다. 
 
즉, 첫째항이  ×  이고 공비가  인 등비수열이므로 일반항
 
130)    

   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 
 은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번째 튀어 오른 공의 높이는
      
 따라서 

   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m이다.

131) 
   
 136) 풀이 참조

공비를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첫째항을 , 공차를 ,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을  이라고
이때 는 양수이므로    
 
따라서 구하는 세 양수는 
   
 하면      에서

    ⋯⋯ ㉠
132)      
     에서

     ⋯ 일 때
   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  
 
따라서 일반항은      ×     이므로
   제 항은   
   일 때,     
따라서 수열 의 일반항은  
13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3)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이므로     

134)  
일반항       ≠ 이므로 138)  

     ⋯⋯ ㉠ 다항식       을 일차식          로 각각
       에서    이므로   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  이므로
        
≠  이므로    , 즉  ± 
          
        

| 43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       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이 개의
따라서    등식을 같은 변끼리 더하면
   
          




 

139) 
 
  
등비수열 의 공비를 라고 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이다.
 

145) (1)  (2) 


140) 풀이참조
(1) 등차수열의 성질을 이용하면 주어진 다섯 개 수의 일의
자리 수는  또는  이다.    
146) 

공차는 양수이다.
  
공차는 두 자리의 양의 정수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공차는  의 배수이다.
        
(2) (ⅰ) 공차가  이면        
  
(ⅱ) 공차가  이면     
(ⅲ) 공차가  이면     
(ⅳ) 공차가  이면     
(ⅴ) 공차가  이면     
(ⅵ) 공차가  이면     

141) (1)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
142) (1) 
 
   (2) 

 

 × 

     
147) (1) 

143) (1)  (2)      
(2) 

144) 풀이 참조
   일 때      ×    ×   ×   
148)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44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  
일반항이      이므로 구하는 합은 15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4) 
149) (1)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0) (1)    
 
(2) 


(3) 
  

  



     
 



  

151) (1)  (2) 


 
 


    




  
  ×   ×   × 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6) (1)  (2) 
 
   

152) (1)  (2)  (1)            









   
    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45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0) 

             
 



 

 
주어진 수열의 일반항을  이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합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른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8)  


161)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따라서 수열 의 일반항은     이므로

   

따라서

    ×    ×  

159) 

| 46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
 따라서  명의 회원이 악수하는 총 횟수는       


    (단,    ,  ,  , ⋯)


 
    
 
167)        (단,      ⋯),   
 
 
 
 
  
     
168)      ×  (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9) 풀이참조
 

     
    
(ⅰ)    일 때 (좌변)  ×    , (우변)  × ×  ×   

이므로    일 때 등식 ㉠이 성립한다.
162)  (ⅱ)   일 때 등식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등식 ㉡의 양변에     를 더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3) 
따라서      일 때에도 등식 ㉠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ⅰ), (ⅱ)에 따라 등식 ㉠은 모든 자연수 에서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0) 풀이참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    일 때 (좌변)    , (우변)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일 때 등식 ㉠이 성립한다.
(ⅱ)   일 때 등식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164) 풀이참조 등식 ㉡의 양변에    을 더하면


 
      ⋯      

예 일 :
  , 일 :  




  
  
      

165) (1)      (2)      


  
    
 
166) ⑴    따라서      일 때에도 등식 ㉠이 성립한다.
그러므로 (ⅰ), (ⅱ)에 따라 등식 ㉠은 모든 자연수 에서
⑵        (단,    ,  ,  , ⋯)
성립한다.
⑴  는  명의 회원이 악수하는 횟수이므로   
⑵ 명의 회원이 악수하는 총횟수는  이다.
명이 모두 악수한 뒤 한 명의 회원이 더 온다면 이 회원은 171) 풀이참조
이미 와 있는 명의 회원과 모두 악수해야 한다. (ⅰ)    일 때 (좌변)               (우변)
이므로    일 때 부등식 ㉠이 성립한다.

| 47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ⅱ)    ≥ 일 때 부등식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부등식 ㉡의 양변에   를 곱하면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2)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일 때에도 부등식 ㉠이 성립한다.           


그러므로 (ⅰ), (ⅱ)에 따라 부등식 ㉠은  ≥  인 모든 자연수
          
에서 성립한다.
          

172) 풀이참조
 × × × ⋯ ×    ⋯⋯ ㉠ 176)      
(ⅰ)    일 때 명제 은 이 짝수, 즉     ⋯일 때 성립해야 하므로
(좌변)  ×  ×  ×        (우변) ‘가 참이다.’와 ‘가 참이면   도 참이다.’가 성립함을
이므로    일 때 부등식 ㉠이 성립한다. 보이면 된다. 따라서      
(ⅱ)     ≥ 일 때 부등식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 ⋯⋯ ㉡
177)         (단,      ⋯)
부등식 ㉡의 양변에   을 곱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      ⋯)
이므로 (ⅰ), (ⅱ)에 따라 부등식 ㉠은  ≥  인 모든 자연수
에서 성립한다.

178)         (단,      ⋯)

173) (1)  (2)  (3)    일 째 되는 날 수족관에 남아 있는 물의 양은 일 째
(1)           이므로        
되는 날 수족관에 남아 있는 물의 양의  배에 L 을 더한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이므로 것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단,      ⋯)

(3)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179) (가) :    , (나) : 
       ×      
(ⅰ)    일 때
 ×
174)     (좌변)  , (우변)   

이므로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ⅱ)   일 때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175) (1)  (2) 
  
(1)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위 식의 양변에    을 더하면

| 48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일 때에도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

그러므로 (ⅰ), (ⅱ)에 따라 주어진 등식은 모든 자연수 에서
성립한다.       


      
180)           

(ⅰ)    일 때      이고,  은  의 배수이므로 주어진
        
명제는 참이다. 

(ⅱ)   일 때      ( 은 자연수)이라고 가정하고, 따라서      일 때에도 주어진 등식은 성립한다.
     일 때에도 주어진 명제가 참인지 알아보자. 그러므로 (ⅰ), (ⅱ)에 따라 주어진 등식은 모든 자연수 에서
            성립한다.
  ×  

    183) 풀이참조


즉,      일 때에도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가인이의 방법]
그러므로 (ⅰ), (ⅱ)에 따라 모든 자연수 에서    은  의  모든 자연수 에서    이므로
배수이다.   
    로부터
   

181)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즉,       이고 는 자연수이므로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수열 은     ⋯이므로 첫째항이  , 공차가
  인 등차수열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찬열이의 방법]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182) 풀이참조
  
(ⅰ)    일 때   일 때     
  
 × × 
(좌변)    , (우변)    이므로 주어진 등식이      에서         

  
성립한다.   일 때     
  
(ⅱ)   일 때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위 식의 양변에    을 더하면
     에서         

| 49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184) ②       ⋯    


등차수열의 첫째항을 , 공차를 , 제항을  이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189) ⑤
185) ③  

등차수열 의 첫째항을 , 공차를 라고 하면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190) ③
186)  이 참이므로 와 도 참이다.
   이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가 참이므로 과 도 참이다.
    ⋯⋯ ㉠ 가 참이므로 과 도 참이다.
   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따라서 반드시 참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이다.

   ⋯⋯ ㉡
㉠을 ㉡에 대입하면     191)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이때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을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7) 
     ⋯ 일 때
       
192)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따라서 수열 의 일반항은    

      에서    이므로

  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의 개수는  이다.

188) ⑤

| 50 |
두산동아 교과서 편집본
수학1 Ⅰ(고2) 내신대비 3. 수열

   
   ⋯   19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7) 풀이참조
193)        (단,      ⋯),    
(1) P   
Q   P  Q   P Q   ⋯  P Q  의 값

용기에  마리의 세균을 넣고  시간이 지난 후 용기 안에 들어 (2) 


P Q   log   log
있는 세균의 개체 수  은  마리에서  마리가 죽고 나머지는
(3) 
P Q   
P Q   
P Q   ⋯  
P Q 
각각  마리로 분열하므로 
    ×     log   log

 시간 후 용기 안에 들어 있는 세균의 개체 수    은
 log  log log  log ⋯  log  log
 에서  마리가 죽고 나머지가 각각  마리로 분열하므로
      ×  log  log

즉,        (     ⋯) 
따라서 (4) 
P Q   log  log  log
       ×       
P Q   log  log  log 
       ×      

 
P Q   log  log  log 

194) ⑤
  ⋮



(가) :  , (나) : 
    
P Q   log  log  log 

이므로
195)   
P Q   
P Q    
P Q   ⋯  P Q 
주어진 등차수열 의 공차를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log  log   log   ⋯  log 
   

 ×  ×     
      
 
  
 log  ×  ×  × ⋯ × 
   
이때    이므로        에서     log
첫째항이  , 공차가   인 등차수열이므로 일반항은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51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