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Ⅲ 태양계

08 달

[01~02] 그림은 구멍을 뚫은 종이를 이용하여 달의 [03~05] 그림은 달 모형과 관측자 사이에 동전을 놓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고 달 모형의 크기를 측정하는 실험을 나타낸 것이다.

01. 눈에서 종이까지의 거리를 , 구멍의 지름을 , 달


03. 이 방법으로 달 모형의 크기를 구할 때 관측자가
까지의 거리를 이라 할 때, 달의 지름  를 구하는
직접 측정해야 하는 값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
비례식으로 옳은 것은?
두 고른 것은?
①  ② 
③  ④    <보기>
 ㄱ. 동전의 지름
⑤ 
 ㄴ. 달 모형의 질량
ㄷ. 동전까지의 거리
ㄹ. 달 모형의 반지름

① ㄱ, ㄷ ② ㄴ, ㄹ ③ ㄱ, ㄴ, ㄷ
④ ㄱ, ㄷ, ㄹ ⑤ ㄱ, ㄴ, ㄷ, ㄹ

02.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04. 달 모형의 반지름  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고른 것은? × ×
①  ② 
<보기>  
ㄱ. 삼각형의 닮음비를 이용하여 달의 크기를 측정할 × ×
③  ④  
× ×
수 있다.

ㄴ. 구멍의 지름이 클수록 눈에서 종이까지의 거리는 ⑤ 
××
멀어진다.
ㄷ. 달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달까지의 거리를
알고 있어야 한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05. 동전의 반지름은 12 mm, 눈에서 동전까지의 거리
④ ㄱ, ㄷ ⑤ ㄱ, ㄴ, ㄷ
는 15 cm, 달 모형까지의 거리는 5 m일 때 달 모형의
지름으로 옳은 것은?
① 24 cm ② 40 cm ③ 60 cm
④ 75 cm ⑤ 80 cm

(주)천재교육
1
[06~07] 그림은 달이 공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09. A~H 중 음력 7~8일경에 관측되는 달의 위치로
옳은 것은?
① B ② C ③ D
④ F ⑤ G

10. A~ H 중 달의 위상이 삭, 망이 되는 위치를 각각


옳게 짝 지은 것은?
06. 달이 C 위치에 있을 때 관측 날짜로 옳은 것은?
삭 망
① 음력 2~3일경
① A E
② 음력 7~8일경
② B F
③ 음력 15일경
③ C G
④ 음력 22~23일경
④ E A
⑤ 음력 27~28일경
⑤ H D

07. A~D에 있을 때 달의 이름을 옳게 짝 지은 것은?


① A – 그믐달 ② B - 초승달
③ C – 하현달 ④ D - 보름달 [11~12]그림은 매일 초저녁 같은 시각에 보이는 달의
⑤ D - 상현달 모양과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08~10] 그림은 지구 둘레를 공전하는 달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11.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달은 매일 조금씩 동쪽으로 이동한다.
② 상현달은 초저녁 남쪽 하늘에서 보인다.
③ 음력 2~3일경에는 초승달을 볼 수 있다.
08. 달의 위치와 모양을 옳게 짝 지은 것은?
④ A → B → C → D → E 순으로 관측하였다.
⑤ 달의 모양과 위치가 매일 달라지는 까닭은 달이 지
구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이다.
① A - ② C -

③ E - ④ G -
12. A~E 중 음력 15일경에 관측할 수 있는 달은?
① A ② B ③ C
⑤ H - ④ D ⑤ E

(주)천재교육
2
[13~14] 그림은 어느 날 태양, 지구, 달의 상대적 위 16. 그림은 어느 날 북반구에서 관측한 일식의 모습을
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관측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3. 낮에 태양이 달에 완전히 가려져 보이지 않는다면 ① (가) → (나) → (다) ② (가) → (다) → (나)
지구 관측자의 위치로 옳은 것은? ③ (나) → (가) → (다) ④ (다) → (가) → (나)
① A ② B ③ C ⑤ (다) → (나) → (가)
④ D ⑤ E

14.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ㄱ. 달의 위상은 삭이다.
ㄴ. A에서는 코로나를 잘 관측할 수 있다.
ㄷ. D에서는 부분 일식을 관측할 수 있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17. 그림은 월식이 일어날 때 태양, 지구, 달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15. 그림 (가)는 달의 공전 궤도를, (나)는 어느 날 관
측한 태양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월식은 달의 위상이 망일 때 일어난다.
② 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지는 현상이다.

A~E 중 태양이 그림 (나) 의 모습과 같을 때 달의 위 ③ 달이 A 위치에 있을 때 부분 월식이 일어난다.

치로 옳은 것은? ④ 달이 B 위치에 있을 때 개기 월식이 일어난다.

① A ② B ③ C ⑤ 달이 C 위치에 있을 때 달은 평소보다 조금 밝아진다.


④ D ⑤ E

(주)천재교육
3
18. 그림은 월식이 일어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20. 지희는 그림과 같이 전등, 스타이로폼 공을 일직선
상에 놓은 상태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공을 회전하면
서 일식과 월식의 원리를 알아보는 실험을 하였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① 전등은 태양, 스타이로폼 공은 달, 지희는 지구에
것은? (단, A는 붉게 보인다.)
비유할 수 있다.
<보기> ② (가)를 통해 일식이 발생하면 태양의 오른쪽부터 가
ㄱ. 달의 왼쪽부터 가려지기 시작한다. 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ㄴ. A는 달 전체가 지구의 본그림자 속에 들어갈 때 ③ (나)를 통해 월식이 발생하면 달의 왼쪽부터 가려진
나타난다.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ㄷ. A는 태양 - 달 - 지구 순으로 일직선상에 위치 ④ (가)에서 스타이로폼 공이 전등을 완전히 가리는 것
할 때 나타난다. 은 개기 일식이 일어나는 원리와 같다.
⑤ (나)에서 스타이로폼 공이 머리 그림자 속에 일부
① ㄱ ② ㄷ ③ ㄱ, ㄴ
들어오는 것은 부분 일식이 일어나는 원리와 같다.
④ ㄱ, ㄷ ⑤ ㄱ, ㄴ, ㄷ

19. 그림은 태양, 지구, 달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나타


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A에서 태양 전체가 가려지는 현상을 관측하였다면
관측한 날짜는 음력 1일경이다.
② A에서는 개기 일식, B에서는 부분 일식을 관측할
수 있다.
③ 달이 C 위치에 있을 때 지구 그림자에 달 표면의
일부가 가려진다.
④ 달이 D 위치에 있을 때 지구 그림자에 달 표면이
가려져 붉게 보인다.
⑤ 달이 E 위치에 있을 때 부분 월식을 관측할 수 있
다.

(주)천재교육
4
정답

1. ② 2. ⑤ 3. ① 4. ④ 5. ⑤
6. ④ 7. ③ 8. ⑤ 9. ② 10. ①
11. ④ 12. ① 13. ① 14. ③ 15. ②
16. ① 17. ⑤ 18. ③ 19. ⑤ 20. ⑤

(주)천재교육
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