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6

KSKSKSKS

KS B 0816

SKSKSKS
KSKSKS
SKSKS
KSKS
SKS
KS
침투 탐상 시험 방법 및
침투 지시 모양의 분류
KS B 0816:2005

산업표준심의회 심의
2005년 5월 20일 개정
한국표준협회 발 행

2014-09-26, 황성식에 라이센스를 부여하며 불법 복사 및 무단 배포를 금합니다.


B 0816:2005

기계기본요소1부회 심의위원 명단
성 명 근 무 처 직 위

(회 장) 이 종 원 중앙대학교 교 수

(위 원) 김 윤 철 서광공작 전 무

박 익 근 서울산업대학교 교 수
소 의 열 충청대학교 교 수

유 은 이 (주)정우이엔지 연 구 원

이 용 복 홍익대학교 교 수
박 상 흡 공주대학교 교 수

한 일 우 지오엠티 전무이사

(당연직) 김 동 식 한국기기유화시험연구원 본 부 장
(간 사) 이 원 식 기술표준원 기술표준기획부 기술정보신뢰성과

제정자:기술표준원장 제 정:1971년 10월 20일


개 정:2005년 5월 20일 기술표준원 고시 제2005-0260호
원안작성협력자:산업표준심의회 기계기본요소1부회
심 의 부 회:산업표준심의회 기계기본요소1부회(회장 이 종 원)

이 규격에 대한 의견 또는 질문은 기술표준원 기술표준기획부 기술정보신


뢰성과(☎ 02-509-7233∼4)로 연락하여 주십시오. 또한 한국산업규격은 산
업표준화법 제7조의 규정에 따라 5년마다 산업표준심의회에서 심의되어 확
인, 개정 또는 폐지됩니다.

2014-09-26, 황성식에 라이센스를 부여하며 불법 복사 및 무단 배포를 금합니다.


ICS 19.040

한 국 산 업 규 격 KS

침투 탐상 시험 방법 및 B 0816:2005
침투 지시 모양의 분류

Method for liquid penetrant testing and classification of


the penetrant indication

1. 적용 범위 이 규격은 재료 및 제품(이하 시험체라 한다.)의 표면에 갈라져 있는 결함을 검출하는 침투


탐상 시험(이하 시험이라 한다.)의 방법 및 결함에 따르는 침투 지시 모양의 분류 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인용 규격 다음에 나타내는 규격은 이 규격에 인용됨으로써 이 규격의 규정 일부를 구성한다. 이러한


인용 규격은 그 최신판을 적용한다.
KS B 0052 용접 기호
KS B 0161 표면 거칠기 정의 및 표시
KS D 5201 동 및 동합금의 판 및 띠
KS D 6701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합금의 판 및 조

3. 정 의 이 규격에서 사용하는 주된 용어의 정의는 비파괴 시험 용어에 따른다.

4. 일반 사항
4.1 시험 방법의 선정 시험을 실시하는 데 대해서는 미리 시험체에 예상되는 결함의 종류, 크기, 시험체
의 용도, 표면 거칠기, 치수, 수량, 탐상제의 성질 등을 고려하여 5.1의 분류 중에서 적용할 시험 방법을
선정하고, 동시에 5.3의 규정을 기본으로 하여 조작의 세부 항목을 정해 둔다.
4.2 시험 기술자 시험을 하는 사람은 필요한 자격 또는 그에 상당하는 충분한 지식, 기능 및 경험을 가진
사람이어야 한다.

5. 시험 방법
5.1 시험 방법의 분류 시험 방법은 사용하는 침투액의 종류, 잉여 침투액의 제거 방법 및 현상 방법에 따
라 표 1, 표 2 및 표 3과 같이 분류한다. 시험 방법은 표 1의 기호, 표 2의 기호 및 표 3의 기호의 조합에
의해 표시하고, 표 2의 기호와 표 3의 기호 사이에는 -(하이픈)을 붙인다.
보 기 1. V C - S

염색 침투액(표 1) 용제 제거성(표 2) 속건식 현상제(표 3)


보 기 2. DF A - W

이원성 형광 침투액(표 1) 수세성(표 2) 수현탁성 현상제(표 3)

2014-09-26, 황성식에 라이센스를 부여하며 불법 복사 및 무단 배포를 금합니다.


B 0816:2005

표 1 사용하는 침투액에 따른 분류

명 칭 방 법 기 호
V 방법 염색 침투액을 사용하는 방법 V
F 방법 형광 침투액을 사용하는 방법 F
D 방법 이원성 염색 침투액을 사용하는 방법 DV
이원성 형광 침투액을 사용하는 방법 DF

표 2 잉여 침투액의 제거 방법에 따른 분류

명 칭 방 법 기 호
방법 A 수세에 의한 방법 A
방법 B 기름베이스 유화제를 사용하는 후유화에 의한 방법 B
방법 C 용제 제거에 의한 방법 C
방법 D 물베이스 유화제를 사용하는 후유화에 의한 방법 D

표 3 현상 방법에 따른 분류

명 칭 방 법 기 호
건식 현상법 건식 현상제를 사용하는 방법 D
습식 현상법 수용성 현상제를 사용하는 방법 A
수현탁성 현상제를 사용하는 방법 W
속건식 현상법 속건식 현상제를 사용하는 방법 S
특수 현상법 특수한 현상제를 사용하는 방법 E
무현상법 현상제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 N
비 고 건식 현상법, 수용성 현상제를 사용하는 습식 현상법 및 무현상법은
V방법의 시험을 적용해서는 안 된다.

5.2 시험의 순서 시험의 순서는 시험 방법에 따라 표 4의 순서로 한다.

표 4 시험의 순서

시험 사용하는 침투액과 시험의 순서


방법의 현상법의 종류 전 침투 예비 유화 세척 제거 건조 현상 건조 관찰 후
기호 처리 처리 세척 처리 처리 처리 처리 처리 처리 처리
처리
FA-D 수세성 형광 침투액-건
식 현상법
DFA-D 수세성 이원성 형광 침투
액-건식 현상법
FA-W 수세성 형광 침투액-습식
현상법(수현탁성)
DFA-W 수세성 이원성 형광 침투
액-습식 현상법(수현탁성)
VA-W 수세성 염색 침투액-습식
현상법(수현탁성)
DVA-W 수세성 이원성 염색 침투
액-습식 현상법(수현탁성)

2014-09-26, 황성식에 라이센스를 부여하며 불법 복사 및 무단 배포를 금합니다.


B 0816:2005

표 4 시험의 순서(계 속)

시험 사용하는 침투액과 시험의 순서


방법의 현상법의 종류 전 침투 예비 유화 세척 제거 건조 현상 건조 관찰 후
기호 처리 처리 세척 처리 처리 처리 처리 처리 처리 처리
처리
FA-S 수세성 형광 침투액-속
건식 현상법
DFA-S 수세성 이원성 형광 침투
액-속건식 현상법
VA-S 수세성 염색 침투액-속
건식 현상법
DVA-S 수세성 이원성 염색 침투
액-속건식 현상법
FA-N 수세성 형광 침투액-무
현상법
DFA-N 수세성 이원성 형광 침투
액-무현상법
FB-D 후유화성 형광 침투액(기
름베이스 유화제)-건식
현상법
DFB-D 후유화성 이원성 형광 침
투액(기름베이스 유화제)
-건식 현상법
FB-A 후유화성 형광 침투액(기
름베이스 유화제)-습식
현상법(수용성)
DFB-A 후유화성 이원성 형광 침투
액(기름베이스 유화제)-습
식 현상법(수용성)
FB-W 후유화성 형광 침투액(기름
베이스 유화제)-습식 현상
법(수현탁성)
DFB-W 후유화성 이원성 형광 침
투액(기름베이스 유화제)
-습식 현상법(수현탁성)
VB-W 후유화성 염색 침투액(기름
베이스 유화제)-습식 현상
법(수현탁성)

2014-09-26, 황성식에 라이센스를 부여하며 불법 복사 및 무단 배포를 금합니다.


B 0816:2005

표 4 시험의 순서(계 속)

시험 사용하는 침투액과 현상 시험의 순서


방법의 법의 종류 전 침투 예비 유화 세척 제거 건조 현상 건조 관찰 후
기호 처리 처리 세척 처리 처리 처리 처리 처리 처리 처리
처리
FB-S 후유화성 형광 침투액(기
름베이스 유화제)-속건
식 현상법
DFB-S 후유화성 이원성 형광 침
투액(기름베이스 유화제)
-속건식 현상법
VB-S 후유화성 염색 침투액(기
름베이스 유화제)-속건
식 현상법
FB-N 후유화성 형광 침투액(기름
베이스 유화제)-무현상법
DFB-N 후유화성 이원성 형광 침
투액(기름베이스 유화제)
-무현상법
FC-D 용제 제거성 형광 침투액
-건식 현상법
DFC-D 용제 제거성 이원성 형광
침투액-건식 현상법
FC-A 용제 제거성 형광 침투액-
습식 현상법(수용성)
DFC-A 용제 제거성 이원성 형광 침
투액-습식 현상법(수용성)
FC-W 용제 제거성 형광 침투액-습
식 현상법(수현탁성)
DFC-W 용제 제거성 이원성 형광
침투액-습식 현상법(수
현탁성)
VC-W 용제 제거성 염색 침투액-습
식 현상법(수현탁성)
DVC-W 용제 제거성 이원성 염색
침투액-습식 현상법(수
현탁성)
FC-S 용제 제거성 형광 침투액
-속건식 현상법
DFC-S 용제 제거성 이원성 형광 침
투액-속건식 현상법
VC-S 용제 제거성 염색 침투액
-속건식 현상법
DVC-S 용제 제거성 이원성 염색 침
투액-속건식 현상법

2014-09-26, 황성식에 라이센스를 부여하며 불법 복사 및 무단 배포를 금합니다.


B 0816:2005

표 4 시험의 순서(계 속)

시험 사용하는 침투액과 현상 시험의 순서


방법의 법의 종류 전 침투 예비 유화 세척 제거 건조 현상 건조 관찰 후
기호 처리 처리 세척 처리 처리 처리 처리 처리 처리 처리
처리
FC-N 용제 제거성 형광 침투액
-무현상법
DFC-N 용제 제거성 이원성 형광
침투액-무현상법
FD-D 후유화성 형광 침투액(물
베이스 유화제)-건식 현
상법
FD-A 후유화성 형광 침투액(물
베이스 유화제)-습식 현
상법(수용성)
FD-W 후유화성 형광 침투액(물
베이스 유화제)-습식 현
상법(수현탁성)
VD-W 후유화성 염색 침투액(물
베이스 유화제)-습식 현
상법(수현탁성)
FD-S 후유화성 형광 침투액(물
베이스 유화제)-속건식
현상법
VD-S 후유화성 염색 침투액(물
베이스 유화제)-속건식
현상법
FD-N 후유화성 형광 침투액(물베
이스 유화제)-무현상법

5.3 시험의 조작
5.3.1 전 처 리 전처리는 다음에 따른다.
a) 시험체에 침투액을 적용하기 전에 침투액이 흠 내부에 침투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유지류, 도료,
녹, 스케일, 오염 등 표면의 부착물 및 흠 속에 잔류해 있는 유지류, 수분 등을 충분히 제거하여야 한다.
b) 처리 방법은 부착물의 종류와 정도 및 시험체의 재질을 고려하여 용제에 의한 세척, 증기 세척, 도막
박리제, 알칼리 세제, 산세척 등의 방법으로 한다.
c) 시험체의 일부분을 시험하는 경우, 시험하는 부분에서 바깥쪽으로 25 mm 넓은 범위를 깨끗하게 한다.
d) 처리 후에는 용제, 세척액, 수분 등을 충분히 건조시켜야 한다.
5.3.2 침투 처리 침투 처리는 다음에 따른다.
a) 침투액은 시험체의 모양, 치수, 수량 및 침투액의 종류에 따라 침지, 분무, 붓칠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침투에 필요한 시간, 시험하는 부분의 표면을 침투액으로 적셔 두어야 한다.
b) 침투 시간은 침투액의 종류, 시험체의 재질, 예측되는 결함의 종류와 크기 및 시험체와 침투액의 온도
를 고려하여 정한다. 일반적으로는 온도 15∼50℃의 범위에서는 표 5에 나타내는 시간을 표준으로 한
다. 3∼15℃ 범위에서는 온도를 고려하여 침투 시간을 늘리고, 50℃를 넘는 경우 또는 3℃ 이하인 경우

2014-09-26, 황성식에 라이센스를 부여하며 불법 복사 및 무단 배포를 금합니다.


B 0816:2005

는 침투액의 종류, 시험체의 온도 등을 고려하여 정한다.

표 5 침투 시간과 현상 시간

재 질 형 태 결함의 종류 모든 종류의 침투액


침투 시간(분) 현상 시간(분)
알루미늄, 마그네슘, 통, 주조품, 용접부 쇳물 경계, 융합 불량, 빈 틈새, 5 7
티타늄, 강 갈라짐
압출품, 단조품, 압연품 랩(lap), 갈라짐 10 7
카바이드 팁붙이 공구 융합 불량, 갈라짐, 빈 틈새 5 7
플라스틱, 유리, 세라믹스 모든 형태 갈라짐 5 7

c) 시험체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잉여 침투액은 다음 유화 처리 또는 세척 처리 전에 배액을 한다.


5.3.3 유화 처리 유화 처리는 다음에 따른다.
a) 유화제는 침지, 붓기, 분무 등에 따라 적용하고, 균일한 유화 처리를 한다.
b) 유화 시간은 다음의 세척 처리를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시간으로 하고, 유화제 및 침투액의 종류, 온도,
시험체의 표면 거칠기 등을 고려하여 정한다. 유화 시간은 원칙적으로 기름베이스 유화제를 사용하는
시험에서 형광 침투액을 사용할 때는 3분 이내, 염색 침투액을 사용할 때는 30초 이내, 물베이스 유화
제를 사용하는 시험에서 침투액이 형광 침투액 및 염색 침투액인 경우는 2분 이내로 한다.
c) 물베이스 유화제를 사용할 때는 유화 처리에 앞서 물 스프레이로 배액을 목적으로 한 예비 세척을 한
다. 그때의 수온 및 수압은 5.3.4의 조건에 따른다.
d) 유화 시간 경과 후 필요에 따라 물 스프레이 또는 물 속에 침지하여 유화 정지를 한다.
5.3.4 세척 처리와 제거 처리 세척 처리와 제거 처리는 다음에 따른다.
a) 세척 처리 및 제거 처리에서는 시험체에 부착되어 있는 잉여 침투액을 제거한다. 흠 속에 침투되어 있
는 침투액을 유출시키는 과도한 처리를 해서는 안 된다. 형광 침투액을 사용하는 시험에서는 자외선을
비추어 처리의 정도를 확인하면서 한다.
b) 수세성 및 후유화성 침투액은 물로 세척한다.
c) 스프레이 노즐을 사용할 때의 수압은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275 kPa 이하로 한다. 형광 침투액을 사용
할 경우 수온은 특별한 규정이 없을 때는 10∼40℃로 한다.
d) 용제 제거성 침투액은 헝겊 또는 종이 수건 및 세척액으로 제거한다. 특히 제거 처리가 곤란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세척액이 스며든 헝겊 또는 종이 수건을 사용하여 닦아내고, 시험체를 세척액
에 침지하거나 세척액을 다량으로 적용해서는 안 된다.
5.3.5 건조 처리 건조 처리는 다음에 따른다.
a) 습식 현상제를 사용할 때는 5.3.6 b)의 처리를 한 후, 시험체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현상제를 재빨리
건조시킨다. 건식 또는 속건식 현상제를 사용할 때는 현상 처리 전에 건조 처리를 한다. 그때 건조 처
리는 시험체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수분을 건조시키는 정도로 한다.
b) 세척액으로 제거한 경우는 자연 건조하거나 또는 마른 헝겊 혹은 종이 수건으로 닦아내고, 가열 건조
해서는 안 된다.
5.3.6 현상 처리 현상 처리는 다음에 따른다.
a) 건식 현상법에서는 5.3.5 a)의 처리를 한 후, 건식 현상제를 적당한 방법으로 시험체 전체를 똑같이 덮
도록 하고 소정의 시간을 유지한다.
b) 습식 현상제인 경우는 시험체를 세척 처리 후, 그대로 습식 현상제 속에 침지하거나 분무, 붓기 또는

2014-09-26, 황성식에 라이센스를 부여하며 불법 복사 및 무단 배포를 금합니다.


B 0816:2005

붓칠 중 어느 것의 방법으로 적용하고, 잉여 현상제를 재빨리 배액하여 5.3.5 a)의 건조 처리를 한다.


c) 속건식 현상제를 적용하는 경우는 5.3.5 a)의 건조 처리를 한 후, 현상제를 분무, 붓기 또는 붓칠로 적
용하는 것으로 하고, 현상제 속에 시험체를 침지해서는 안 된다. 현상제 적용 후에는 시험면을 자연 건
조시킨다.
d) 습식 및 속건식 현상제를 적용하는 경우는 시험체의 표면이 현상제에 의해 적절한 백그라운드로 덮이
는 정도로 한다.
e) 현상 시간은 현상제의 종류, 예측되는 결함의 종류와 크기 및 시험체의 온도를 고려하여 정한다. 일반
적으로 15∼50℃의 범위에서는 표 5에 나타내는 시간을 표준으로 한다.
5.3.7 관 찰 관찰은 다음에 따른다.
a) 침투 지시 모양의 관찰은 현상제 적용 후 7∼60분 사이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형광 침투액을 사용하는 시험에서는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관찰하기 전에 1분 이상 어두운 곳에서
눈을 적응시켜 시험체 표면에 800µW/cm2 이상의 자외선을 비추면서 관찰한다. 염색 침투액을 사용하는
시험에는 시험면의 밝기(조도)가 500 lx 이상인 자연광 또는 백색광 아래에서 관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침투 지시 모양이 나타났을 때 결함 침투 지시 모양인지 의사 지시인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불명확한
때는 재시험하거나 침투 지시 모양을 제거한 후, 그 부분의 확대 관찰 또는 다른 방법으로 조사한다.
5.3.8 재 시 험 시험의 중간 또는 종료 후 다음 사항에 해당하는 것이 판명되었을 때는 시험을 처음부터
다시 하여야 한다.
a) 조작 방법에 잘못이 있었을 때
b) 침투 지시 모양이 흠에 기인한 것인지 의사 지시인지의 판단이 곤란할 때
c) 기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5.3.9 후 처 리 시험 종료 후, 시험체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현상제가 시험체를 부식시킬 우려가 있을
때 또는 시험체의 마모를 증가시킬 우려가 있을 때 등 필요한 경우는 현상제를 제거한다. 제거는 브러싱,
공기의 분무, 물 스프레이, 헝겊 또는 종이 수건으로 닦는 등의 방법으로 한다.

6. 시험 장치 및 탐상제
6.1 시험 장치
6.1.1 시험에 사용하는 장치(이하 장치라 한다.)는 침투 장치, 예비 세척 장치, 유화 장치, 유화 정지 장치,
세척 장치, 현상 장치, 건조 장치, 자외선 조사 장치 및 암실로 분류할 수 있다. 각 시험 방법에서 사용하
는 장치는 표 4에 나타낸 조작에 필요한 것으로 한다. 형광 침투액을 사용하는 시험에서는 시험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자외선 조사 장치 이외의 장치를 생략해도 좋다.
또한 VC-S의 시험 방법에서는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좋다.
6.1.2 각 구성 장치는 5.3의 각 조작을 일정한 조건에서 안정시켜 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6.1.3 침투 장치 및 유화 장치는 액조 또는 탐상제를 도포하는 기구로 구성되고, 시험체 표면의 잉여 침투
액 및 유화제를 배액하기 위한 대 또는 시험체를 매다는 기구를 갖춘 것으로 한다. 물베이스 유화제를 사
용할 때는 액을 섞는 장치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6.1.4 수세성 및 후유화성 침투액을 사용할 때의 세척 장치 및 물베이스 유화제를 사용할 때의 예비 세척
장치는 스프레이 노즐 등 흐르는 물로 세척하는 기구를 가지고 수압 및 유량을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수조 및 일정 온도의 온수로 할 수 있는 가열 장치를 갖춘다. 형광 침투액을 사용할
때의 세척 장치는 자외선 조사 장치를 갖춘 것으로 한다.
6.1.5 건조 장치는 원칙적으로 소정의 온도에서 열풍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하고, 휴대형을 제외하

2014-09-26, 황성식에 라이센스를 부여하며 불법 복사 및 무단 배포를 금합니다.


B 0816:2005

고 온도 조절 장치를 갖춘 것으로 한다.


6.1.6 습식 및 속건식 현상 장치는 교반 등에 따라 현상제를 소정의 분산 상태로 유지하는 구조로 한다.
또한 건식 현상 장치는 현상제가 외부에 비산하지 않는 구조로 한다.
6.1.7 암실은 침투 지시 모양을 명료하게 식별할 수 있는 어둡기로 하고, 20 lx 이하이어야 한다.
또한 자외선 조사 장치를 갖춘 것으로 한다.
6.1.8 자외선 조사 장치는 파장이 320∼400 nm인 자외선을 비추어 5.3.7 b)의 규정을 만족하는 자외선 강
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6.2 탐 상 제 탐상제는 다음에 따른다.
a) 탐상제는 침투액, 유화제(방법 B, D에만 필요), 세척액(방법 C에만 필요) 및 현상제로 구성된다.
b) 탐상제는 시험 방법에 대응하여 결함을 검출하는 데 충분한 성능을 가지며, 시험체를 부식시키지 않고,
인체에 해가 없는 것이어야 한다.

7. 대비 시험편
7.1 A형 대비 시험편 A형 대비 시험편은 그림 1과 같이 하고, 재료는 KS D 6701에 규정한 A2024P로 한다.
단위:mm

판두께 8∼10

깊이 1.5의 흠

그림 1 A형 대비 시험편

A형 대비 시험편의 제작 방법은 판의 한 면 중앙부를 분젠 버너로 520∼530℃로 가열하여, 가열한 면에


흐르는 물을 뿌려 급랭시켜 갈라지게 한다. 마찬가지로 반대면도 갈라지게 한 후 중앙부에 흠을 기계 가
공한다.
또한 A형 대비 시험편은 PT-A의 기호로 표시한다.
7.2 B형 대비 시험편 B형 대비 시험편은 그림 2와 같이 하고, 재료는 KS D 5201에 규정한 C2600P,
C2720P 또는 C2801P 중 어느 것으로 한다.
단위:mm

도금 갈라짐 나비 크롬 도금
갈라짐 도금 두께

절단선

니켈 도금

그림 2 B형 대비 시험편

2014-09-26, 황성식에 라이센스를 부여하며 불법 복사 및 무단 배포를 금합니다.


B 0816:2005

B형 대비 시험편은 길이 100 mm, 나비 70 mm의 판에 니켈 도금과 크롬 도금을 그림 2와 같이 하고, 도


금면을 바깥쪽으로 하여 굽혀서 도금층이 갈라지게 한 후 굽힌면을 평평하게 하고, 그림 2와 같이 길이방
향으로 절단하여 2등분한다.
또한 B형 대비 시험편은 표 6과 같이 4종류로 하며, 각각의 기호, 도금 두께 및 도금 갈라짐 나비는 표
6과 같다.

표 6 B형 대비 시험편의 종류
단위:µm
기 호 도금 두께 도금 갈라짐 나비(목표값)
PT-B50 50±5 2.5
PT-B30 30±3 1.5
PT-B20 20±2 1.0
PT-B10 10±1 0.5
비 고 크롬 도금 두께는 0.5µm를 목표값으로 한다.

7.3 대비 시험편의 사용 방법 대비 시험편의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a) 대비 시험편은 탐상제의 성능 및 조작 방법의 적합 여부를 조사하는 데 사용한다.
b) A형 시험편은 원칙적으로 흠을 사이에 둔 양쪽면을 1조로 하여 사용하는데, 흠 부분에서 절단한 2편의
같은 쪽 면을 1조로 해도 좋다.
1
c) B형 대비 시험편은 원칙적으로 갈라짐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로 절단한 2편을 1조로 하여 사용한
2
다. 절단하지 않고 절단선에 상당하는 위치에 적당한 칸막이를 하여 그 양쪽면을 1조로 해도 좋다.
d) 탐상제의 성능 시험은 1조의 대비 시험편 각각의 면에 비교할 탐상제를 각각 적용하여, 동일 조건의
시험을 하여 얻어진 침투 지시 모양을 비교한다.
e) 조작의 적합 여부를 조사하기 위한 시험은 1조의 대비 시험편에 동일 탐상제를 다른 조건을 적용하여
시험을 하여 침투 지시 모양을 비교한다.

8. 탐상제 및 장치의 점검, 보수


8.1 탐상제의 점검 사용 중인 탐상제의 점검은 원칙적으로 기준 탐상제와 대비하여 정기적으로 한다.
기준 탐상제란, 탐상제 구입시 그 일부를 청결한 용기에 채취하여 보존한 것을 말한다.
8.2 점검의 방법 사용 중인 탐상제는 다음 방법으로 성능 시험 및 겉모양 시험을 하고, 성능이 저하된 경
우는 폐기시켜야 한다.
8.2.1 침투액의 점검 방법 사용 중인 침투액의 점검 방법은 다음과 같다.
a) 사용 중인 침투액의 성능 시험을 7.3 d)에 따라 하여, 결함 검출 능력 및 침투 지시 모양의 휘도 저하
또는 색상이 변화했다고 인정된 때는 폐기한다.
b) 사용 중인 침투액의 겉모양 검사를 하여, 현저한 흐림이나 침전물이 생겼을 때 및 형광 휘도의 저하,
색상의 변화, 세척성의 저하 등이 인정되었을 때는 폐기한다.
8.2.2 유화제의 점검 방법 유화제의 점검 방법은 다음과 같다.
a) 사용 중인 유화제의 성능 시험을 7.3 d)에 따라 하고, 유화 성능의 저하가 인정되었을 때는 폐기한다.
b) 사용 중인 유화제의 겉모양 검사를 하여, 현저한 흐림이나 침전물이 생겼을 때 및 점도의 상승에 의해
유화 성능의 저하가 인정되었을 때는 폐기한다.
c) 사용 중인 물베이스 유화제의 농도를 굴추계 등으로 측정하여 규정 농도에서의 차이가 3 % 이상일 때

2014-09-26, 황성식에 라이센스를 부여하며 불법 복사 및 무단 배포를 금합니다.


B 0816:2005

는 폐기하거나 농도를 다시 조정한다.


8.2.3 현상제의 점검 방법 현상제의 점검 방법은 다음과 같다.
a) 사용 중인 현상제의 성능 시험을 7.3 d)에 따라 하여, 부착 상태가 균일하지 않게 되었을 때 및 침투
지시 모양의 식별성이 저하되고 현상 성능의 열화가 인정되었을 때는 폐기한다.
b) 사용 중인 건식 현상제의 겉모양 검사를 하여, 현저한 형광의 잔류가 생겼을 때 및 응집 입자가 생기
고 현상 성능의 저하가 인정되었을 때는 폐기한다.
c) 사용 중인 습식 현상제의 겉모양 검사를 하여, 현저한 형광의 잔류가 생겼을 때 및 적정 농도를 유지
할 수 없게 되고 현상 성능의 저하가 인정되었을 때는 폐기한다.
8.3 장치의 점검
8.3.1 자외선 조사 장치의 점검 방법 자외선 조사 장치의 자외선 강도는 자외선 강도계를 사용하여 측정
하고, 38 cm 떨어져서 800µW/cm 이하일 때 또는 수은등광의 누출이 있을 때는 부품을 교환 또는 폐기한다.
2

8.3.2 암실의 점검 방법 암실의 밝기를 조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침투 지시 모양을 관찰하는 장소에
서 20 lx 이하이어야 한다.
8.4 탐상제의 관리 탐상제의 관리는 다음과 같다.
a) 기준 탐상제 및 사용하지 않는 탐상제는 용기에 밀폐하여 냉암소에 보관하여야 한다.
b) 용제 제거성 침투액, 세척액 및 속건식 현상제는 밀폐한 용기에 보관하여야 한다.
c) 탐상제를 개방형의 장치에서 사용할 때는 먼지, 불순물의 혼입, 탐상제의 비산을 방지하도록 처리하여
야 한다.
d) 습식 및 속건식 현상제는 소정의 농도로 유지하여야 한다.

9. 침투 지시 모양 및 결함의 분류
9.1 침투 지시 모양의 분류
9.1.1 침투 지시 모양의 분류는 다음 순서로 한다.
a) 침투 지시 모양의 분류는 5.1∼5.3에 표시한 방법으로 침투 지시 모양을 검출하고, 지시 모양이 의사
지시가 아닌 것을 확인하고 나서 한다.
b) 침투 지시 모양의 분류는 보수 또는 수리를 필요로 하는 것에 대해서는 보수 또는 수리 후에 한다.
9.1.2 침투 지시 모양의 분류 침투 지시 모양은 모양 및 존재 상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a) 독립 침투 지시 모양 독립하여 존재하는 개개의 침투 지시 모양은 다음 3종류로 분류한다.
1) 갈라짐에 의한 침투 지시 모양 5.3.7 c)에 따라 갈라져 있는 것이 확인된 결함 지시 모양
2) 선상 침투 지시 모양 갈라짐 이외의 침투 지시 모양 가운데 그 길이가 나비의 3배 이상인 것.
3) 원형상 침투 지시 모양 갈라짐에 의하지 않는 침투 지시 모양 가운데 선상 침투 지시 모양 이외의 것.
b) 연속 침투 지시 모양 여러 개의 지시 모양이 거의 동일 직선상에 나란히 존재하고, 그 상호 거리가
2 mm 이하인 침투 지시 모양. 침투 지시 모양의 지시 길이는 특별한 지정이 없는 경우 침투 지시 모양
의 개개의 길이 및 상호 거리를 합친 값으로 한다.
c) 분산 침투 지시 모양 일정한 면적 내에 여러 개의 침투 지시 모양이 분산하여 존재하는 침투 지시 모양
9.2 결함의 분류
9.2.1 결함 분류의 순서 결함의 분류는 다음 순서에 따른다.
a) 결함의 분류는 침투 지시 모양을 9.1에 따라 분류한 후에 한다.
b) 결함은 지시 모양을 제거하고 시험체 표면에 나타난 흠을 관찰하여 치수를 측정하고 기록한다. 이때
흠을 인정하기 어려울 때는 확대경, 에칭 등 적당한 방법을 사용한다.

10

2014-09-26, 황성식에 라이센스를 부여하며 불법 복사 및 무단 배포를 금합니다.


B 0816:2005

9.2.2 결함의 분류 결함의 모양 및 존재 상태에서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a) 독립 결함 독립하여 존재하는 결함은 다음 3종류로 분류한다.
1) 갈 라 짐 갈라졌다고 인정되는 것.
2) 선상 결함 갈라짐 이외의 결함으로, 그 길이가 나비의 3배 이상인 것.
3) 원형상 결함 갈라짐 이외의 결함으로, 선상 결함이 아닌 것.
b) 연속 결함 갈라짐, 선상 결함 및 원형상 결함이 거의 동시 직선상에 존재하고, 그 상호 거리와 개개의
길이의 관계에서 1개의 연속한 결함이라고 인정되는 것. 결함 길이는 특별한 지정이 없을 때는 결함의
개개의 길이 및 상호 거리를 합친 값으로 한다.
c) 분산 결함 정해진 면적 안에 존재하는 1개 이상의 결함. 분산 결함은 결함의 종류, 개수 또는 개개의
길이의 합계값에 따라 평가한다.

10. 기 록
10.1 침투 지시 모양 및 결함의 기록
10.1.1 침투 지시 모양의 기록 침투 지시 모양은 9.1에 따라 침투 지시 모양의 종류, 지시의 길이, 개수,
위치 등을 기록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도면, 사진, 스케치, 전사 등으로 기록한다.
10.1.2 결함의 기록 결함은 9.2에 따라 결함의 종류, 결함 길이, 개수, 위치 등을 기록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도면, 사진 스케치 등으로 기록한다.
10.2 시험 기록 시험 기록을 작성할 때에는 다음 사항을 기재한다.
a) 시험 연월일
b) 시 험 체
1) 품 명
2) 모양ㆍ치수
3) 재 질
4) 표면 사항 KS B 0161의 표시 방법에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접부에 대해서는 KS B 0052에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c) 시험 방법의 종류 5.1의 분류에 따른다.
d) 탐 상 제 침투액, 유화제, 세척액 및 현상제의 명칭(품명), 점검을 했을 때는 그 방법과 결과를 8.1 및
8.2에 따라 기재한다.
e) 조작 방법 조작 방법의 기록은 5.3에 따른다.
1) 전처리의 방법 5.3.1 b)에 따른다.
2) 침투액의 적용 방법 5.3.2 a)에 따른다.
3) 유화제의 적용 방법 5.3.3 a)에 따른다. 후유화성 침투액을 사용하는 경우에 기재한다.
4) 세척 방법 또는 제거 방법 스프레이 또는 닦아내기 등
5) 건조 방법 열풍, 자연 건조, 닦아내기 등
6) 현상제의 적용 방법 5.3.6에 따른다.
f) 조작 조건
1) 시험시의 온도 시험 장소에서의 기온 및 침투액의 온도, 기온 및 액온이 15℃ 이하 또는 50℃ 이상
일 때는 반드시 기재한다.
2) 침투 시간 5.3.2 b)에 따른다.

11

2014-09-26, 황성식에 라이센스를 부여하며 불법 복사 및 무단 배포를 금합니다.


B 0816:2005

3) 유화 시간 5.3.3 b)에 따른다.


4) 세척수의 온도와 수압 5.3.4 c)에 따른다.
5) 건조 온도 및 시간 5.3.5 a)에 따른다.
6) 현상 시간 및 관찰 시간 5.3.6 e) 및 5.3.7 a)에 따른다.
g) 시험 결과
1) 갈라짐의 유무
2) 침투 지시 모양 또는 결함의 기록 시험 결과의 기록은 침투 지시 모양 또는 결함의 기록 중 어느
것으로 하고, 침투 지시 모양의 기록은 10.1.1에 따르며 결함의 기록은 10.1.2에 따른다.
h) 시험 기술자 성명 및 취득한 침투 탐상 시험에 관련된 자격

11. 표 시
11.1 시험을 하여 합격한 시험체로 표시를 필요로 하는 것에 대해서는 다음에 따라 표시를 한다. 표시는
그 후의 취급에 의하여 소실 또는 변색의 우려가 없는 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11.1.1 전수 검사인 경우
a) 각인, 부식 또는 착색(적갈색)으로 시험체에 P의 기호를 표시한다.
b) 시험체에 P의 표시를 하기가 곤란한 경우에는 적갈색으로 착색하여 표시한다.
c) 상기의 표시를 할 수 없는 경우는 시험 기록에 기재한 방법에 따른다.
11.1.2 샘플링 검사인 경우 합격한 로트의 모든 시험체에 11.1.1에 준하여 P 의 기호 또는 착색(황색에
한한다.)으로 표시한다.

12 -본-

2014-09-26, 황성식에 라이센스를 부여하며 불법 복사 및 무단 배포를 금합니다.


침투 탐상 시험 방법 및 침투 지시 모양의
한국산업규격
분류

2005년 6월 14일 발행

편 집 겸
한 국 표 준 협 회 장
발 행 인

발 행 한 국 표 준 협 회
135-513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1-7
☎ (02)6009-4567
☎ (02)6009-4887∼8
http://www.kssn.net

한 국 표 준 협 회
부산지부
607-822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 1-11(대신증권빌딩 10층)
☎ (051)557-1239 Fax. (051)557-0430
대구ㆍ경북지부
702-012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 2동 1741(시멘트가공조합 3층)
☎ (053)384-1562∼4 Fax. (053)384-1565
포항사무소 790-380 경북 포항시 남구 호동 627(포항철강산단 관리공단)
☎ (054)278-9611 Fax. (054)278-9662
인천지부
406-130 인천광역시 연수구 동춘동 994(송도테크노파크 갯벌타워 16층)
☎ (032)260-0260∼7 Fax. (032)260-0268
경기지부
443-766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산 906-5(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9층)
☎ (031)259-7000∼9 Fax. (031)259-7010
강원지부
200-041 강원도 춘천시 중앙로 1가 9(강원도개발공사빌딩 304호)
☎ (033)252-9423, 254-9423 Fax. (033)256-9423
충북지부
361-802 충북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 1508-1(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6층)
☎ (043)236-2451∼3 Fax. (043)236-2454
대전ㆍ충남지부
305-343 대전광역시 유성구 장동 23-14(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5층)
☎ (042)864-2301∼3 Fax. (042)864-2304
전북지부
561-841 전북 전주시 덕진구 팔복동 1가 337-2(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7층)
☎ (063)214-2234∼7 Fax. (063)214-2238
광주ㆍ전남지부
506-301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천동 621-15(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4층)
☎ (062)953-1435∼7 Fax. (062)953-1438
경남지부
641-740 경남 창원시 용호동 7-4(경남무역회관 501호)
☎ (055)266-4744∼6 Fax. (055)266-4747
울산지부
683-804 울산광역시 북구 연암동 758-2(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2층)
☎ (052)289-6601∼3 Fax. (052)289-6604
안산지부
425-020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541-3(기아자동차 안산사옥 4층)
☎ (031)487-6191∼4 Fax. (031)487-6195
구미지부
730-350 경북 구미시 임수동 92-30(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8층)
☎ (054)473-6954 Fax. (054)473-6955
경기북부지부
480-848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 2동 487-6(신용보증기금빌딩 3층)
☎ (031)829-8182∼4 Fax. (031)829-8185

2014-09-26, 황성식에 라이센스를 부여하며 불법 복사 및 무단 배포를 금합니다.


KS B 0816:2005
KSKSKS
SKSKS
KSKS
SKS
KSKS
SKSKS
KSKSKS
Method for liquid penetrant testing and
classification of the penetrant indication
ICS 19.040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14-09-26, 황성식에 라이센스를 부여하며 불법 복사 및 무단 배포를 금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