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2

1. 배관 설계란?

1. Equipment와 Equipment를 Process에 서 규정한대로


적절한 배관부품을 이용하여 연결해 나가는
설계과정을 총칭하는 것이다.
2. Equipment들이 최상의 운전성능이 유지되고 Plant를
효 율 적 으 로 Operation 하 는 데 매 우 중 요 한 영 향 을
미치는 것이 배관설계라고 할 수 있다.

1 of 182
2. 배관설계자의 실무상 역할

1. 배관 설계자는 Plant와 관련되는 광범위한 연관관계를


이해하고 이론이나 실무를 습득하고 아울러 오랜
경험을 쌓아 나가야 한다.
2. 상호 유기적인 관련업무가 많기 때문에 공정, 설계,
토건 , 전기, 계장등과 밀접한 Coordination을 이루면서
전체적인 넓은 시각을 갖고 업무를 진행하여야 한다.
3. 배관설계의 최종 Product는 배관도를 비롯한 각종
도서이므로 풍부한 경험을 연마하여 철저하게
품질관리를 하여 Process 조건에 맞고 운전 조작상
편리하며 건설공사가 용이한 설계도서를
창출해나가야 한다.

2 of 182
3. 배관 설계의 특징

1. 설계결과에 대해서 정해진 유일한 정답이 없다.

2. 다시 말하면 정답이 결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최고의


결과를 지향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같은 Process를 갖는
Plant의 배관설계를 두 명의 유능한 배관설계자가 각각
별도로 진행한다고 하면 전체적인 관점에서 대략 비슷한
우수한 설계가 얻어지겠지만 꼭 같은 설계가 나오기는
어려운 것이다.

3. 설계결과에 따라 성능상, Plant 운전 조작상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배관설계자는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입장을 이해해야 한다.

3 of 182
4. Work Volume

Plant 전 체 설 계 의 Work Volume 중 에 서 배 관 설 계가


전체소요 Man-Hour의 30~50%를 차지하고 배관비용이
전체 플랜트 건설비용의 25~35%를 차지하고 있음

4 of 182
1. Basic Design
2. Planning Design
3. Detail Design

5 of 182
TABLE OF CONTENTS

1. Basic Design
1.1 PFD, P&ID, UFD
1.2 Line Schedule
1.3 Piping Material Specification
1.4 Plot Plan (Plant Layout)

6 of 182
TABLE OF CONTENTS

2. Planning Design
2.1 Routing Study
2.2 Equipment Nozzle Orientation
2.3 Civil & Structure Information
2.4 Piping Study Drawing

7 of 182
TABLE OF CONTENTS

3. Detail Design
3.1 Key Plan
3.2 Arrangement Drawing
3.3 Piping support
3.4 Steam Tracing

8 of 182
1. PFD, P&ID, UFD
2. Line Schedule (Index)
3. Piping Material Specification
4. Plot Plan (Plant Layout)

9 of 182
1. UFD,P&ID,UFD

1.1 Process Flow Diagram (PFD)

1) Process Engineer 는 기기의 형상, 크기를 결정하고, 어떤


온도, 압력으로 어떤 반응이 생기는가, 또는 어떤 상태로
되는가를 정확히 파악하여 Process Flow Diagram을 작성

2) 이때 각종 반응 조건 등의 사항이 Basic Design Data이며


각종 장치 결정사항을 Process Specification 이라 한다.

3) 즉 Process 의 개념을 설명하는 기본자료이며 다음사항을


포함 한다.

- 각종 Process Line의 Fluid의 성상 및 Flow 표시


- 기기 및 중요 제어방법 및 위치 의 기본적 사양
- 각종 Utility의 출입
10 of 182
1. UFD,P&ID,UFD
1.2 Heat & Material Balance Diagram

1) Process Flow Diagram 이 작성되면 그에 의하여 각 장치


의 정상운전 상태에서의 온도, 압력, 유량을 표시하는 즉
Material 의 출입과정을 표시하는 Diagram을 작성한다.

2) 또한 열의 발생, 제거 등의 출입도 함께 계산하여


반응상태를 일목요연하게 표현하게 되는데 이때
Material 의 출입 과정을 표시한 것을 Material Balance
Diagram 이라 하며 열의 출입과정을 표시한 것을
Heat(Utility) Balance Diagram 이라 한다.

3) Balance Diagram 에 의해 각 Line의 Size결정, 각종 기기의


결정, Rating 결정 등을 하게 되어 다음에 작성되는
P & ID에 반영하게 된다.
11 of 182
1. UFD,P&ID,UFD

1.3 Piping & Instrument Flow Diagram (P&ID)

1) ENG’G 업무에 필요한 아래 사항이 기입된 Flow Diagram를


P & ID라 한다.

- Line Size, Line No, Fluid, Material(Rating포함),Insulation


- Instrument Item & Control System
- Process상의 특기사항
- 각종 기기의 개략적 형상 및 사양
- Piping 상에 필요한 모든 Item

2) P & ID가 ENG’G 업무수행 중 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조그마한 수정이 필요해도 모든 부분의 설계업무에 영향을
미치므로 그 제작에 가장 신중하고, 실수가 없어야 한다.
12 of 182
1. UFD,P&ID,UFD

1.4 Utility Flow Diagram (UFD)

1) Process System에 필요한 물, 증기, 공기, 질소 등을 Utility 라


하는데 이것들은 Utility System 에서 공급된다.

2) Plant별 Main Header Size가 결정되면 필요한 곳으로 Branch


Line으로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기기의 위치에 따라 유량이
결정 되어지기 때문에 UFD는 각종 기기의 위치가 결정된 후
작성한다.

13 of 182
2. Line Schedule

2.1 Pipe line의 정의


모든 Process는 많은 Equipment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Equipment 간을 상호 연결하는 것을 Pipe line이라
하는데 각 Line내에 흐르는 유체도 여러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2.2 Line schedule(Line index & List)
각 종류의 유체별로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list화 하여
작성한 것을 말한다.
유체의 형태 온도 및 압력의 정상운전 조건 및
설계조건이 기입되어 있으며, 보온의 필요유무 등도
기입되어 있어 각 Line 에 대한 중요한 지침이 된다.

14 of 182
2. Line Schedule

2.3 Line schedule에 기재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음


1) Serial No. & Service Fluid
2) Size & Piping Material class
3) Operation & Design Pressure & Temperature
4) Fluid Medium & Phase
5) Insulation & Tracing Type
6) Pressure Test Type & Pressure
7) NDE & PWHT
8) Painting & Chemical Cleaning

15 of 182
2. Line Schedule

16 of 182
3. Piping Material Specification

3.1 General
1) Process Flow가 결정됨과 동시에 이 Process Plant를 가장
경제적으로 설계하기위한 각 Line의 재료를 선정하여,
P & ID 작성에 반영하게 된다.
이 배관 재료를 체계적으로 정의 한 것을 Piping Material
SPEC. 라 한다.
2) MAT’L은 특히 다음 사항을 유의하여 선정해야 한다.
- 경제적이고 안정성이 있을 것
- 유체의 특성에 대하여 내구성이 있을 것
- 가공성이 있고 시장성이 있을 것
17 of 182
3. Piping Material Specification

3.1 General
3) Material SPEC.에는 다음 사항이 규정되어 있다.
- Material에 대한 적용규격
- Rating
- 유체별 구분
- 각 Item에 대한 Material, 사용온도 및 압력
- 각 Item에 대한 Standard Dimension Sheet
- Corrosion Allowance

18 of 182
3. Piping Material Specification

3.1 General
4) Piping Material 선정 시 고려사항
- 계약 Specification Study
(Corrosion Allowance ,Client & Licenser Data etc)
- 적용 Code & Standard
(압력,온도,유체에 따라 기본 재질 및 Max. Size결정)
- Client & Licenser 사항을 반영한 Process Data

19 of 182
3. Piping Material Specification

3.1 General
5) Piping Material 작성
- Class Designation의 결정(Basic Mat,l & Flange Rating)
- Material의 결정
* Pipe & Fitting의 Material & Thickness
* Valve 의 Material & Type
* Flange 의 Material & Type
* Gasket 의 Material & Type

20 of 182
3. Piping Material Specification

3.1 General
6) Piping Material Class
Class기호는 Base Material 의 종류 및 Flange의 Rating
등의 분류에 따라 Group화 표기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3~4 자리로 표시되어 진다.

21 of 182
3. Piping Material Specification

22 of 182
3. Piping Material Specification
Index For piping Material Classification

23 of 182
4. Plot Plan

• Plot plan이란 어느 Process 장치에 대하여 그에 필요


한 모든 기기&기타 설비를 배치한 Drawing

• Plant 배치는 Process 요구사항은 물론 작업성 경제성


수익성이 좋으며 수명이긴 Plant가 되어야 하므로
Plant layout 에 의하여 최상의 Plot Plan을 작성한다.

• P&ID와 Specification이 정해진 후 공장 내에 필요한


시설물들을 어떻게 배치하는가에 따라 향후의 상세
설계, 건설, 운전 및 유지보수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
게 된다.

24 of 182
4. Plot Plan

• Plant의 Plot plan을 작성 되었다는 것은 Plant건설의


시작을 의미하며 양호한 Plant 배치야 말로 그 Plant의
우열을 결정하는 Key Point가 된다고 할 수 있다.

• 공장배치도의 구상 때부터 관련부서의 협조아래 충


분한 협의 및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 Plot plan에 의해 후속 ENG’G업무를 수행할 수가 있


다.

25 of 182
4. Plot Plan

4.1 Plant layout시 고려사항


1) 안전상 고려사항
Plant 내에서의 안전대책
- 도로, 조작용 통로의 확보 (폭 및 높이)
- Ladder, 계단, Platform의 확보 (구조 및 Size)
- 각 장치, 기기간의 적정 간격 (Min. 거리)
- 방폭벽 방유제의 설치 (구조 및 Size)
- 소방설비의 설치 (위치 및 종류)

26 of 182
4. Plot Plan

4.1 Plant layout시 고려사항


1) 안전상 고려사항
Plant외에 대한 안전 확보
- 주거지등에 대한 제한(폭발, 화제, 지진 Min. 거리)
- Plant면적의 규제 (면적율)
- 소음규제 (음량제한)
- 배출 Gas 규제 (성분 및 함량)
- 배출액의 규제 (성분 및 함량)

27 of 182
4. Plot Plan

4.1 Plant layout시 고려사항


2) 설계상 조건
- 기상조건
(온도, 우량, 적설, 풍속 및 방향, 지진 등)
- 입지조건 (고지대 또는 저지대, 사막, 해안 등)
- 적용법규의 조사 와 그 Requirement
- 손해보험의 적용확인과 그 Requirement
(설비거리 및 소방설비)

28 of 182
4. Plot Plan

4.1 Plant layout시 고려사항


2) 설계상 조건
- 원료수입 시, 제품반출 시,
-Utility의 공급 및 배수위치와 방향의 확인
- Battery Line주변의 조건
(창고, 사무소, 조명철탑 등)
- 향후 Extension의 유무확인

29 of 182
4. Plot Plan

4.1 Plant layout시 고려사항


3) Process상의 Requirement
- Gravity Flow에 대한 기기의 높이 관계
- 자연순환 Line에 대한 기기의 높이 관계
( Boiler, Reboiler 등)
- 유체상으로 최소거리를 유지하는 기기
(중합하는 것, 고체화 하는 것)
- Continuous Flow & Bach Operation
- Flow에 따라 일관성 있게 배치

30 of 182
4. Plot Plan

4.1 Plant layout시 고려사항


3) Process상의 Requirement
- PFD에 의하여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Process가
되도록 상호 인접하게 Equipment 배치
- 부식성 및 유해물질에 대하여 파악 방지책 대비
- 발화물질에 대한 대비책 마련
- 온도와 압력이 높은 곳을 파악하여 고려한다.

31 of 182
4. Plot Plan

4.1 Plant layout시 고려사항


4) 기계적인 사항
- Big Size & Package Unit facilities 파악
(Compressor, Boiler, Heater등)
- Major Equipment의 적절한 배열
- Stand By Equipment의 적절한 배치
- Motor가 있는 Equipment에 대한 배치
- Vibration이 큰 Equipment에 대한 배치
- Equipment Maintenance Space 확보

32 of 182
4. Plot Plan

4.1 Plant layout시 고려사항


5) 운전상의 조건
- Operator의 인원 및 방법
- 작업빈도
- 분석 필요개소의 조사
(분석실의 설치, Sampling Point등)
- 정상운전 시 뿐만 아니라 비상시에 대한 대책
(통로확보 및 , 기타 안전설비 설치 등)

33 of 182
4. Plot Plan

4.1 Plant layout시 고려사항


6) Construction상의 조건
- 대형기기의 운반 및 설치방법확인
(대형Truck, Crane 등)
- 지반의 내력확인 (기초 Pile의 유무, 지반개량 등)
- 현장 조립공사 용지의 확보
- 건설순서의 파악 (매설물과 기기운반의 관계)
- 인접 Plant에 대한 영향 고려

34 of 182
4. Plot Plan

4.1 Plant layout시 고려사항


7) 운반 및 보전상의 조건
- 원료의 반입 및 제품의 반출방법
(Truck, 철도, 선박 Pipe Line 등)
- 약품, 윤활유의 Handling
- 촉매의 Handling
- 분해, 수리 혹은 제거, 운전방법

35 of 182
4. Plot Plan

4.1 Plant layout시 고려사항


8) 경제상의 조건
- Process Flow의 이동을 적게 하고, 취급의 간소화
-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
- Running Cost의 절감
(Process Flow의 순서에 따라 이동하여 원료에서
제품에 이르는 과정에서 교차나 혼란을 방지)

36 of 182
4. Plot Plan

4.1 Plant layout시 고려사항


9) 법규 및 규격
- 산업안전 보건법
- 고압가스 제조 및 취급법
- Boiler 및 압력용기의 안전 규칙
- 위험물 저장
- 소방법
- 건축기준법

37 of 182
4. Plot Plan

4.1 Plant layout시 고려사항


9) 법규 및 규격
- 노동안전 위생규칙
- 공장전기설비 방폭 지침
- 소화전 설비규칙 (손해보험료 산정)
- 공장 입지 법
- 항공법 (항공장애등 설치기준)
10) Client Requirement

38 of 182
4. Plot Plan

4.2 Layout 결정방법


1) 집합의 조건
Layout의 결정은 종합적인 견지에서 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담당자 만으로 전반에 걸친 자료를 수집, 분석,
검토하는 것이 상당히 어려우므로 관계 있는 사람의
협력이 필요하게 된다.
- 같은 환경의 Plant경험자에게서 정보수집
- Process Engineer, Operator 에서 의 정보수집

39 of 182
4. Plot Plan

4.2 Layout 결정방법


2) Balance의 조건
안정성, 경제성, 조작성의 3가지 고려 지나칠 정도의
경제성 추구로 Operation 통로를 없앤다든지 기기의
Repair를 불가능하게 하든지 또는 소음이 심한 것에
Silencer를 설치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은 Balance가
맞지 않아 좋은 Layout이라고 말할 수 없다.

40 of 182
4. Plot Plan

4.2 Layout 결정방법


3) Level의 조건
계획하고 있는 Layout가 그 시점에서 Level이 높은 것
이어야 한다.
작은 것이라도 과거의 유사 Plant에 비해 어딘가
개선되어 있어야 한다.

41 of 182
4. Plot Plan

4.3 Layout의 기본 계획
1) Plant는 통상 Onsite(Process Unit) 와 Offsite로 구분
배치 계획하며 Offsite의 시설물은 다음과 같다.
- Storage Tank
- Utility Facilities (Cooling Tower & Boiler etc)
- Loading & Unloading Facilities
- Waste Disposal Facilities (Water & Gas)
- Flare Stack
- Electrical Transformer
- Building
42 of 182
4. Plot Plan

4.3 Layout의 기본 계획
2) Plant Block에 대한 세부적인 Break 계획 수립
- Process Unit와 요구되는 Area를 규정한다.
- Block를 Plotting시 Plant Road 배치와 함께 정한다.
- Plant 증설 여부를 파악 Expansion Area 를 정한다.
- Product Storage Area는 Process Unit 근처에 정한다.
- Utility System은 가능한 Process Unit 근처에 정한다.
- Cooling Tower & Flare Stack등의 설치는 풍향을
고려하여 Process Unit와 일정거리 유지한다.
- Process Unit와 각 Block은 Pipe Rack Route를 고려
43 of 182
4. Plot Plan

4.3 Layout의 기본 계획
3) Road 배치 계획
- 각 Block사이의 Main Road를 설치 한다.
- 각 Block사이의 Road는 Min. 5m로 한다.
- Road Corner부는 6m 이상의 반경으로 한다.
- Road 양측은 배수로 시설을 한다.
- Road 측면으로부터 5~6m의 간격을 두고 시설물을
설치 한다. (Cooling Water & Fire Water etc)
- 정비 및 운송을 위하여 Big Size의 장비가 필요로
할 경우에는 회전을 위한 Turning을 고려한다.
44 of 182
4. Plot Plan

4.3 Layout의 기본 계획
4) Area Classification적용 계획
- Hazardous Area와 Non Hazardous Area로 구분하여
기기를 배치한다.
- Building,Warehouse,Control Room,MCC등은 Non
Hazardous Area에 배치한다.
- Hazardous Area내에 위치한 모든 기기는 방폭기기
- 관련 팀과의 긴밀한 협조와 Coordination 이 필요

45 of 182
4. Plot Plan
< Minimum Spacing for Refinery and Petrochemical Plants, SI Metric Units>)
Note :
1. Horizontal distance are in meters
Administration Building 2. Minimum horizontal distances between buildings, process equipment and
Shops, Warehouse, Shipping Blds. etc property lines are shown and apply to edge-to edge dimensions
NA Main Substation
NM NM Fire Pumps - Fire Satation Legend :
NM NM NA Property Boundary NA = Not Applicable. No measureable distanee can be detemined
NM 15 30 1 Tank Truck & Tank Car Loading Racks Except LPG Racks NM = No minimum spacing requirement has been established.
NM NM NM NM NA Boilers & Power Generation Instrument Air Compressors Use engineering judgement for spacing.
60 60 60 45 30 NA Cooling Towers * = Equipment should not be located above heat exchangers
30 30 NM NM 30 60 NA Main Process Control House containing flammable liquids above 260 C (500F)
30 30 60 60 30 45 30 7.5 Process Unit Control House
NA NA 30 NA 30 60 30 30 NA Process Unit Battery Limits
NA NA 30 NA 30 60 30 15 NA NA Unit Isolation, Depressuring, Conrol & snuffing Steam Valves
60 60 60 60 60 45 30 30 NA NM 15 Hydrants & Fire Monitors
NA NA NA NA NA 9 NM NA NM NM NM NA Water Spray Control Valves & Emergency Shudown
15 15 15 NM NM 15 15 15 15 15 NM NA NA Process Unit Substation
NA NA NA NA NA 15 15 15 NM NM NM NA NA NA Explosion proof Electrical Switch Racks
NA NM NM NM NM 45 15 15 NM NM NM NA 15 NA NA Process Unit Fired Heaters
NA NA NA NA NA 15 NM NM NM NM NM NM NM NM NM NM Gas Compressors- Expanders
75 75 60 60 60 60 30 30 30 15 NA 15 15 15 15 15 7.5 Desalters
60 60 60 60 60 60 30 30 30 15 NA 9 15 15 15 15 15 3 Vessels
60 60 60 60 60 60 30 30 30 15 NA 9 15 15 15 NM 15 9 1 Exchangers *
60 60 60 60 60 60 30 30 30 15 NA 9 15 15 15 15 NM 9 15 3 Pumps
60 60 60 60 60 60 30 30 30 15 NA 15 15 15 15 6 NM 9 7.5 3 1.5 Process Area Pipeway
60 60 60 60 60 60 30 30 30 15 NA 15 15 15 15 6 15 7.5 7.5 3 3 1.5 Main PipeWay
60 45 45 60 60 45 15 15 7.5 6 NA NA 15 NA 7.5 NA 7.5 7.5 7.5 6 5 9 NM Air Coolers
30 15 15 9 9 15 15 9 9 9 NM NA 4.5 NA 4.5 NA 15 9 15 15 7.5 9 NM NM Equipment Handling Nonflammables
60 60 60 60 60 60 30 30 30 15 NA 9 15 NM 15 6 15 7.5 7.5 6 4.5 3 NM NM NM
NM NM NM NM NM 15 NM 15 NM NM NA NA 15 NA NA 4.5 7.5 7.5 NM 3 3 3 3 NM NM NM

UOP STANDARD SPECIFICATION 9-32-1

46 of 182
4. Plot Plan

4.4 Plot Plan Review


1) Purpose
Plot plan review to check the operability, maintainability
and accessibility for operation and Health, Safety and
Environment and Relevant Regulation and the special
client requirements.

47 of 182
4. Plot Plan

4.4 Plot Plan Review


2) Relevant Representatives
- Client Side : Resident Engineers / Client involvement for
final Client approval cycle
: 3rd Party Audit Team (if necessary)
- GSE&C Side : Engineering Manager
: Project Lead Engineer of each discipline
: HSE manager
: Construction manager and/or Engineer
: Pre commissioning and Initial Operation Engineer
48 of 182
4. Plot Plan

4.4 Plot Plan Review


3) Documents and Drawings for the Plot Plan Review
- Design Instruction and Design Guide book
- Piping & Instrument Diagrams
- Specific Project Requirements
- Regulation and Standard such as IRI
(Industrial Risk Insurers)etc
- Battery Limit Summary Table
- Process Data Sheet for Equipment

49 of 182
4. Plot Plan

4.4 Plot Plan Review


2) Documents and Drawings for the Plot Plan Review
- Engineering Drawing
- Hazardous Area Classification Drawing
- Fire Fighting P&ID
- Specification Requirement for Each Discipline
- Equipment Setting Elevation

50 of 182
4. Plot Plan
Work Flow Process
Basic Plot Plan Issue A . F . C

Review
HSE Incorporation
Operability Status of
Preliminary Final
Maintainability
Previous Client Review
Review Review
Constructability
Comments

Incorporation
Vendor’s Data`

Issue Preliminary Stage


Issue A . F . D

Review
Incorporation
Status of
Previous Intermediate
Comments Client Review
Review
Screen
Meeting

51 of 182
4. Plot Plan

52 of 182
1. Routing Study (Layout)
2. Equipment Nozzle Orientation
3. Civil & Structure Information
4. Piping Planning Drawing

53 of 182
1. Routing Study

1.1 Routing Study의 개념


1) Piping Arrangement Drawing 즉 공사용 배관설계도의
작성을 위한 기초작업으로 P&ID (Piping & Instrument
Flow Diagram) 및 UFD (Utility flow diagram)에 의하여
Plot Plan상에 각 기기에 대한 주요 배관의 Lay out을
하는 업무를 말한다.

54 of 182
1. Routing Study

1.1 Routing Study의 개념


2) Piping Layout은 Piping Design Manual에 따라 행하여
지지만 Piping Engineer의 Plant에 대한 감각과 많은 경험
이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며 Plant 특성에 맞는 Piping
Layout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3) Piping Layout Drawing은 Arrangement Drawing 을 확정
시키고 Plot Plan의 조정을 위한 기본 자료도 사용되며
타 부문 과의 업무 협의를 위한 Information 용으로 활용
되므로 합리적인 Routing Study를 하여야 한다.

55 of 182
1. Routing Study

1.1 Routing Study의 개념


4) 다음과 같은 항목에 대하여 중심적인 study를 행한다.
- Plot plan study
- Main pipe Rack Routing
- Major Structure study
- Under Ground Piping Study
- Electric & Instrument Duct의 Routing study
- Battery limit connection
- Fire Fighting Study

56 of 182
1. Routing Study

1.2 Routing Study시 고려사항


1) 경제적인 Routing을 한다.
2) Maintenance & Operation이 용이해야 한다.
3) Plant의 미관이 좋아야 한다.
4) Process Requirement에 맞게 하여야 한다.
- Min. piping
- Slop Piping
- Elevation
- 기타 Process Requirement

57 of 182
1. Routing Study

1.2 Routing Study시 고려사항


5) Pipe Line의 Support 방법을 결정한다.
6) 고온 Pipe Line의 경우 열팽창에 의한 Flexibility를
고려 한다.
7) 가능한 한 Group Piping이 되도록 한다.
8) Access Way를 고려 한다.
9) Loop 설치 Point를 결정한다.

58 of 182
1. Routing Study

1.3 Routing Study시 필요한 자료


1) Job Instruction
2) Process Flow Diagram
3) Equipment List
4) Sketch drawing
5) Plot Plan
6) Key Plan
7) Other Information

59 of 182
1. Routing Study

1.4 Routing Study 방법


1) Pipe way piping
- Line Spacing을 고려한다.
- Future (10%~20%) 를 고려한다.
- Pipe가 Turn을 할 때는 Elevation Change를 한다.
- High Tem. & Straight Piping의 경우에는 Loop를
설치 한다.
- Pipe Way상에 Block Valve나 Control Valve는 Group화
설치하며 Platform & Ladder를 고려 한다.

60 of 182
1. Routing Study

61 of 182
1. Routing Study

1.4 Routing Study 방법


2) Tower Piping
- Inlet & Outlet Nozzle Piping은 Pipe Rack측에 설치
- Pump와 연결되는 Bottom Line의 경우 Flexibility를
고려하고 가급적 Overhead Piping이 되도록 한다.
- Access Area와 Pipe Way을 구분하여 Davit 회전반경
내에는 배관을 피하여 Maintenance가 용이하도록 한다.
- Tower의 Internal 과의 관련성을 고려한다.
- Instrument Item의 조작 및 관측이 용이하게 한다.

62 of 182
1. Routing Study

63 of 182
1. Routing Study

1.4 Routing Study 방법


3) Horizontal Vessel & Drum Piping
- In Outlet Nozzle Piping은 대칭되도록 설치한다.
- Pump와 연결되는 Vessel 은 N.P.S.H. ( Net Positive
Suction Head)를 충분히 갖도록 Process Engineer와
협의 하여 설치 Elevation을 조정한다.
- Safety Valve & Pressure Gauge,Vent Valve등의 Operation
을 위하여 Platform을 설치한다.
- Fixed Point를 정하고 이에 따른 Stress를 고려한 배관이
되도록 한다.
64 of 182
1. Routing Study

1.4 Routing Study 방법


4) Exchanger Piping
- Exchanger 는 Process Requirement에 의하여 Elevation
이 결정되지만 Exchanger Bottom Nozzle에 연결되는
배관의 설치 Elevation을 고려하여야 한다.
- Working Space 확보를 위하여 Overhead Piping을 하며
Exchanger Body 중앙에는 가급적 Routing하지 않는다.
- Exchanger Tube Bundle Flange 주위에는 가능한 한
Piping (특히 Valve)을 설치하지 않는다.

65 of 182
1. Routing Study

66 of 182
1. Routing Study

1.4 Routing Study 방법


5) Reboiler Piping
- Reboiler의 설치 Elevation은 Process Requirement에 의해
결정되며 Vessel과 Rebiler의 Thermal Expansion량 이
같은 지점에 Reboiler Support를 설치한다.
- 배관은 Simple하고 ∆p가 적은 배관이 되도록 한다.
- Head Cover의 Removal를 위하여 Overhead Piping에
Break Flange를 설치한다.
- Bottom Cover의 Removal & Maintenance를 위하여
Valve & Flange를 Reboiler Outside에 설치한다.
67 of 182
1. Routing Study

△L1 = △L2 + △L3

68 of 182
1. Routing Study

69 of 182
1. Routing Study

1.4 Routing Study 방법


6) Pump Piping
- Routing 은 먼저 인접 Pump 의 Pipe Line과 Line up
시키고 동일한 배관이 되도록 한다.
- Pump Suction Piping 은 가급적 짧게 Pocket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 Discharge에 설치되는 Valve는 Operation 하기 좋은
위치에 두며 Lager Size의 Discharge 배관은 수평이
되도록 한다.
- Motor측에는 Maintenance를 고려 배관을 하지 않는다.
70 of 182
1. Routing Study

Piping around pump should be as shown below

71 of 182
1. Routing Study

(*) Effective Access Width 750mm (minimum) Pump body and pipe support should be mounted on the same foundation

72 of 182
1. Routing Study

73 of 182
1. Routing Study

74 of 182
1. Routing Study

1.4 Routing Study 방법


7) Tank Piping
- 배관 Route는 Tank의 Differential Settlement 에 대해
배관에 영향을 주지 않는 거리를 유지하고, Valve
Operation &Maintenance Area등을 고려해야 한다.
- Pump Suction Line은 Tank Nozzle보다 아래쪽에 두어
Air Pocket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 Pipe Way는 통상 Sleeper 배관으로 한다.
- Tank의 Block Valve는 Nozzle에 직접 설치한다.
- Instrument Item은 Stair & ladder 옆에 설치 한다.
75 of 182
1. Routing Study

Pump Suction Line

Flexibility of Piping and Flexible Tube

Dimensions of flexible tubes

76 of 182
1. Routing Study

77 of 182
1. Routing Study

78 of 182
1. Routing Study

79 of 182
1. Routing Study

80 of 182
2. Equipment Nozzle Orientation

2.1 Equipment Nozzle Orientation이란?


1) Tower, Vessel, Heat exchange, Reactor, Dryer등 기기의
Nozzle 및 Ladder등의 배치도를 말한다.
2) 배관설계 시 Piping Team 에서 Piping Routing에 맞도록
계획 작성하여 Mechanical Team에 Information Drawing
으로 송부한다.
3) 주의사항은 Nozzle의 배치에 따라 기기의 고유기능에
영향을 주어서는 안 된다.

81 of 182
2. Equipment Nozzle Orientation

2.1 Equipment Nozzle Orientation 이란?


4) 일반적으로 Nozzle의 Elevation은 임의로 조정 할 수
없으며 Nozzle의 각도 만은 배관설계에 맞도록 위치를
결정하며, 또 Tower, Reactor등 내부기기에 Tray등
내용물이 있는 경우는 각도의 조정에도 제한이 있음

82 of 182
2. Equipment Nozzle Orientation

2.2 Orientation 작성시 반영사항


1) Manhole & Cover Open
2) Instrumentation
3) Reflux Nozzle
4) Feed Nozzle
5) Accessory
- Platform & Ladder , Davit
- Pipe Support Clip
- Lifting Lug
- Access Hole & Vent Hole
83 of 182
2. Equipment Nozzle Orientation

2.3 항목별 Nozzle Orientation작성시 유의 사항


1) Manhole
- Manhole은 기기내부 보수를 위하여 접근이 용이한
통로쪽에 설치한다.
- 기기가 2개 이상 나란히 있는 경우에는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설치 한다.
- Down comer와 의 관계를 Check하여 Down Comer
Plate 닿지 않도록 한다.
- Tray가 용접 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Tray마다
Manhole이 필요하며 이때에는 Zig Zag 로 Manhole
Orientation을 한다.
- Manhole 개폐 방향은 인근의 ladder 혹은 통행에
지장이 없는 곳으로 한다.
84 of 182
2. Equipment Nozzle Orientation

Top manhole Side manhole

85 of 182
2. Equipment Nozzle Orientation

2.3 항목별 Nozzle Orientation작성시 유의 사항


2) Instrumentation
- 액면계는 Platform또는 Ladder에서 감시 및 점검이
용이한 곳에 설치하여 Bottom Pump나 Control Valve의
By-pass Valve를 조작 하면서 볼 수 있는 곳에 설치하고
유입액체에 의한 액면 동요를 받지 않는 장소에 둔다.
- 액면계는 Liquid zone 에 설치하고 압력계는Vapor zone
에 설치하므로 Process요구를 정확히 파악하여 요구
되는 위치에 설치한다.
- 액면계는 Manhole 옆에 두지 않는다.

86 of 182
2. Equipment Nozzle Orientation

2.3 항목별 Nozzle Orientation작성시 유의 사항


2) Instrumentation
- 액면계는 액면 파동 영향을 적게 하므로 유입 Nozzle
에서 가급적으로 60°범위를 벗어나 지점에 설치한다.
- 온도계는 내부 Tray Down Comer Plate와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설치한다 .
- 온도계를 빼낼 수 있는 Space(Min 600mm)가 필요 하 므
로 온도계 앞쪽에는 Pipe Route를 피하여 설치 한다.

87 of 182
2. Equipment Nozzle Orientation

Displacement Level Instrument

Operation from ladder

88 of 182
2. Equipment Nozzle Orientation

Gauge Glass

89 of 182
2. Equipment Nozzle Orientation

2.3 항목별 Nozzle Orientation작성시 유의 사항


3) Reflux Nozzle & Feed Nozzle
- Single Pass인 경우 Down Flow 반대쪽에 Nozzle을 설치
한다.
- Down comer 쪽에 Nozzle을 설치하는 경우 Internal Pipe
를 Down comer 반대쪽까지 연장시킨다.
- Double pass인 경우 Side down flow line의 중앙에 유입
시키며 Orientation에는 특별한 제약이 없다 .
- 중간 Reflux의 Return은 통상 Down comer에 유입하며
Orientation은 Down comer와 부딪치지 않게 한다.
- Stripping stream inlet은 bottom tray보다 300-450mm낮게
설치 한다.

90 of 182
2. Equipment Nozzle Orientation
In case of Top Feed

Locate feed nozzle to feed


inside of inlet weir

91 of 182
2. Equipment Nozzle Orientation

In case of Intermediate Stage Feed

Vapor feed

Liquid feed

92 of 182
2. Equipment Nozzle Orientation

Draw off nozzle

Bottom Feed Nozzle

93 of 182
2. Equipment Nozzle Orientation

2.4 Accessory 작성시 유의 사항


1) Platform
- All size의 Control Valve
- Tower Vessel의 4” 이상 Safety Valve
- Tower Vessel의 Manhole
- Tower Vessel의 Display형 Label Gauge
- Spacer & Blanks
- Sampling Point
- 운전상 빈번한 Cleaning 이 필요로 하는 배관

94 of 182
2. Equipment Nozzle Orientation

Platforms for ordinary Vertical Equipment

Width B of platform
1. min 600 Not to be used as far as possible
2. 800
3. 1000 To be used as a standard
4. 1100 ~With 100mm increment max. 1500
If required more, to be decided case by case.

Top Platform for Towers and Tanks

95 of 182
2. Equipment Nozzle Orientation

2.4 Accessory 작성시 유의 사항


2) Ladder
- Ladder 에서 각종 기기의 감시나 조작이 되도록 고려하
여 설치한다.
- Ladder의 최대길이는 10m로 하고 10m를 넘는 경우는
휴식용 platform을 설치한다.
- 각 Platform간의 Ladder는 Tower의 DIA에 따르지만 설치
각도를 최저 30 º ~ 45º 씩 하고 지상 또는 Platform 에서
높이 2.5m 이상에서만 Cage를 설치 한다.
3) Davit
- Tower 하부 주변 통로측에 Davit 이용에 장애물이
없도록 충분한 작업공간을 고려한다.

96 of 182
2. Equipment Nozzle Orientation

Drop Area

Consideration of Lift up

Consult Equipment Engineer if special sized platform is required


to obtain extended working area.
In this case, the arm length should be determined to provide side
clearance of min. 450 mm.

97 of 182
2. Equipment Nozzle Orientation

2.4 Accessory 작성시 유의 사항


4) Pipe Support Clip
- Tower 배관의 Support를 위하여 Pipe Support Clip를
설치 한다.
- 배관의 하중이 큰 경우는 Tower Wall 강도에 대해 기계
Engineer와 협의하여 보강판이나 Spring를 설치하여
하중을 분산하여 설치 한다.
- Support Point는 가능한 한 Nozzle 가까이에 수직으로
설치하도록 한다.

98 of 182
2. Equipment Nozzle Orientation

RV should be provided at a place near to the nozzle as far as possible.


This applies even when there is roundabout of the piping.
Supports should be provided in the vertical part of the piping.

99 of 182
2. Equipment Nozzle Orientation

100 of 182
2. Equipment Nozzle Orientation

101 of 182
2. Equipment Nozzle Orientation

102 of 182
2. Equipment Nozzle Orientation

103 of 182
3. Civil & Structure Information

3.1 Civil & Structure Information 작성 범위


Plot plan에 상세히 표기 되지 않은 사항에 대하여 각
항목별로 작성한다.
1) Major Structure에 대한 Inform, 구조, 치수, Loading
Data에 대한 결정, Platform, Stair,에 대한 Information
DWG. 을 작성한다.
2) Main Rack에 대한 Inform
Main pipe rack의 단수, 폭, Span, Loading Data에
대한 결정, Platform, Ladder에 대한 Information DWG.
을 작성한다.
104 of 182
3. Civil & Structure Information

3.1 Civil & Structure Information 작성 범위


3) Local Platform 에 대한 information
Valve의 조작을 위한 Platform 운전자의 보행을
위한 Over bridge 등을 고려한 Information DWG.
을 작성한다.
4) Pipe Support의 Local Foundation에 대한 Information
Pipe Support Detail에 의한 Local Foundation필요
개소별로 Elevation, 크기, 형상, Loading data를 결정하여
Location Information DWG.을 작성한다.

105 of 182
3. Civil & Structure Information

106 of 182
3. Civil & Structure Information

107 of 182
3. Civil & Structure Information

108 of 182
3. Civil & Structure Information

109 of 182
3. Civil & Structure Information

110 of 182
4. Piping Planning Drawing

4-1 Piping Planning Drawing의 정의


Planning Drawing이란 공사용 배관도,
즉 Piping Arrangement DWG.의 작성을 위한 사전 작업으로
각 부문 (Process, Equipment, Steel Structure)에 대하여
종합적인 계획으로 key plan에 의해 각 AREA별로
분할하여 일정한 Scale로 종합적 관점에 서 작성된다.
(장치의 조작성,경제성,안전성,공사 및 Maintenance)

111 of 182
4. Piping Planning Drawing

4-2 Planning Drawing 작성에 필요한 자료


1) Basic Piping Design Data
2) P&I Flow Diagram
3) Utility Flow Diagram
4) Plot Plan
5) Routing Study Drawing
6) 배관 설계기준
7) Piping Material Specification
8) Engineering Drawing

112 of 182
4. Piping Planning Drawing

4-2 Planning Drawing 작성에 필요한 자료


9) Civil & Structure information DWG
10) Equipment Nozzle Orientation Drawing
11) 회전기의 Outline Drawing
12) Instrument Outline Drawing

113 of 182
4. Piping Planning Drawing

4.3 Piping Planning Drawing 주요 업무 내용


1) Equipment Location & maintenance Area표기
2) Main & Sub Pipe Rack
- Pipe Rack의 배치 및 단수, 폭, Span, Loading data
- Pipe 배열의 결정
- Platform 및 Stair의 Inform작성
3) Major structure
- Equipment의 배치 등을 감안한 Major structure의
층 수, 층간 높이 Beam의 Span, Column의 배열 및
각 부재의 개략적인 Size 표기
114 of 182
4. Piping Planning Drawing

4.3 Piping Planning Drawing 주요 업무 내용


4) Electric cable duct 및 instrument Duct 폭, 높이의
검토와 Route결정
5) 각 Equipment에 대한 Nozzle Orientation &
Pipe Support용 Clip을 위한 Support 표기
6) Operator를 위한 Local Platform
7) Stress Analysis
- Equipment Nozzle에 대한 Check
- 배관에 대한 응력의 check
- 예상되는 배관의 진동에 대한 조치
115 of 182
4. Piping Planning Drawing

4.3 Piping Planning Drawing 주요 업무 내용


8) Support 및 Piping 보강 여부를 위하여 Safety
Valve의 반력 계산
9) Anchor & Guide point, Directional stop, Spring
Support등의 major support의 결정
10) Operation상의 검토
- 조작 Valve의 위치 check
- Vent, Drain의 유무 Check
- 운전할 때 필요한 AREA가 확보되었는지 여부
- GRAVITY Flow 등 Process상의 문제
116 of 182
4. Piping Planning Drawing

4.3 Piping Planning Drawing 주요 업무 내용


11) Vendor와 의 업무 Scope
12) Major Local Foundation의 Information 작성
13) Hose station & Safety shower 의 설치장소 결정
14) Fire fighting
15) Battery Limit Connection Information 작성

117 of 182
4. Piping Planning Drawing

118 of 182
4. Piping Planning Drawing

119 of 182
4. Piping Planning Drawing

120 of 182
1. Key Plan
2. Arrangement Drawing
3. Piping Isometric Drawing
4. Piping support
5. Steam Tracing

121 of 182
1. Key Plan

1.1 Key Plan의 정의


1) Plot Plan을 기초로 하여 작성되며 Planning Drawing
(Routing Study Drawing) 이나 Piping Arrangement
Drawing 을 평면적으로 구분 지어 준 것을 의미한다.
2) Plant를 한 장의 Drawing에 전 Plant를 나타내면 복잡하여
식별하기가 힘이 들며 공사를 위하여 Drawing의 내용을
판독하는데도 어려움이 있으며 Drawing Size가 매우
커서 불편하기 때문에 이를 분할하여 여러 장으로
나누어서 작업하는데 있다.
3) Piping Arrangement 의 Index 역할도 한다.
122 of 182
1. Key Plan

1.2 Key Plan 작성시 유의사항


1) Piping Arrangement Drawing을 어떤 Size로 작성 할 것
인지를 먼저 결정 한다.
2) Area가 허용 되는 한 동일 System 을 기준으로 작성 한다.
3) Equipment가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4) 여러 층의 Floor로 형성된 Plant의 경우 각 Floor별로
구분하여 작성한다.
5) Equipment의 높이가 큰 경우(Tower)에는 Elevation별로
구분하여 작성 하도록 한다.

123 of 182
1. Key Plan

1.2 Key Plan 작성시 유의사항


6) 동일 Floor에 설치되는 Equipment Area라 하더라도
복잡하여 도면의 판독이 어려울 경우는 Elevation으 로
구분하여 작성한다.
7) Package Item 같이 복잡한 Equipment (Compressor, Heater,
Cold Box, Boiler etc.)의 경우에는 세분화 시켜 작성 한다.
8) Pipe Rack 아래에 있는 Equipment의 경우는 Equipment
Area를 별도로 구분한다.

124 of 182
1. Key Plan
attached dwg

125 of 182
2. Arrangement Drawing

2.1 Arrangement Drawing의 개요


1) Piping Planning Drawing를 기준으로 최종 단계로
작성되는 공사용 도면을 말한다.
2) Key Plan에 의해 Break Down된 Area에 대하여 Scale에
맞추어 정해진 도면에 평면적인 사항과 정해진 높이의
공간에 대한 사항을 종합적으로 표현하여 작성하는
것으로 공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 이므로 매우
중요한 도면 이다.

126 of 182
2. Arrangement Drawing

2.2 Arrangement Drawing에 표기되는 사항


1) Drawing Title Block
- Project No, & Name
- Client 명
- Drawing No. & Name, Size
- Scale & Revision Column
2) Note
- Reference Drawing No. & Special Require
3) North Mark

127 of 182
2. Arrangement Drawing

2.2 Arrangement Drawing에 표기되는 사항


4) Nozzle Chart
설치되는 Equipment에 대하여 다음 항목들을 기재한다.
- Nozzle No.
- Nozzle Size & Rating
- Nozzle Orientation & Projection
- Nozzle Elevation
- Remark
5) Key Plan

128 of 182
2. Arrangement Drawing

2.2 Arrangement Drawing에 표기되는 사항


6) Piping Plan
다음 항목에 대하여 Dimension & Elevation을 표기 한다.
- Equipment & 구조물
- Section & Detail
- Pipe Line 및 Line No. 표기
(P&ID에 표기된 대로 Size, Serial No, Material,
Insulation Type)
- Instrument Item
- Batter Limit & Match Drawing No.
129 of 182
2. Arrangement Drawing

2.3 Arrangement Drawing 작성에 필요한 자료


1) P&I flow Diagram & Utility Flow Diagram
2) Plot Plan
3) Civil & Steel Structure Drawing
4) Equipment Vendor Drawing
5) Piping Planning Drawing
6) Instrument Vendor Drawing
7) Line Index
8) Piping Material 관련 Vendor Drawing
9) Piping Design & Insulation Specification
130 of 182
2. Arrangement Drawing
attached dwg

131 of 182
2. Arrangement Drawing
attached dwg

132 of 182
2. Arrangement Drawing
attached dwg

133 of 182
2. Arrangement Drawing
attached dwg

134 of 182
2. Arrangement Drawing
attached dwg

135 of 182
2. Arrangement Drawing
attached dwg

136 of 182
3. Isometric Drawing

3.1 Isometric Drawing의 개요


1) 배관의 제작 및 설치에 필요한 모든 Information과 함께
Line의 일부나 전부를 Isometric으 로 작성되는 Drawing
2) 통상 None Scale로 작성되지만 상대적 크기를 고려하여
전체적으로 Balance를 맞춘다.
3) 모든 항목에 대해서 상세 Dimension을 도면에 표기하며
그에 대한 자재 List도 함께 기재 한다.
4) 원칙적으로 1 Line 을 1 Sheet 에 작성한다.

137 of 182
3. Isometric Drawing

3.2 Isometric Drawing 의 분류


1) Material Take Off Sketch
배관자재의 집계를 위하여 Free Sketch에 의하여 작성
2) Piping ISO DWG
Piping Plan DWG 의 이해를 쉽도록 하기 위해 작성되는
도면으로 배관 자재의 집계 및 현장자재 관리,현장제작
및 설치를 위하여 작성
3) Fabrication ISO DWG
Shop Fabrication을 위하여 Piping ISO DWG에 Spool
Piece Mark & Field Welding Mark등을 추가하여 작성
138 of 182
3. Isometric Drawing

139 of 182
3. Isometric Drawing

140 of 182
3. Isometric Drawing

141 of 182
3. Isometric Drawing
All equipment nozzles on isometric drawings are drawn double line. The call-out for these
nozzles varies depending on whether the nozzle projects horizontally or vertically.

The following iso drawing indicates these two different types of nozzle call-outs

142 of 182
3. Isometric Drawing

143 of 182
Attached DWG.(Material Take Off Sheet)

3. Isometric Drawing
144 of 182
3. Isometric Drawing
Attached DWG.(Piping ISO DWG)

145 of 182
3. Isometric Drawing
Attached DWG.(Shop DWG)

146 of 182
3. Isometric Drawing

3.3 Piping Isometric Drawing의 기재 항목


1) Drawing Section
- Line No.
- Equipment & Nozzle No.
- Special item & Instrument No.
- Continued DWG & Sheet No.
- Flow Mark & North Mark
- Support Type & Location
- Equipment Nozzle & Pipe Line의 Elevation
- Material Specification Break & Dimension
147 of 182
3. Isometric Drawing

3.3 Piping Isometric Drawing의 기재 항목


2) Line Requirement Section
- Reference Piping Plan DWG
- Reference P&ID
- Operation & Design Temperature
- Operation & Design Press
- Test Method & Press
- NDE & PWHT
- Insulation Type & Thickness
- Painting Type
148 of 182
3. Isometric Drawing

3.3 Piping Isometric Drawing의 기재 항목


3) Bill Of Material Section
- Item No.
- Code No.
- Size
- Quantity
- Material Description

149 of 182
3. Isometric Drawing

3.3 Piping Isometric Drawing의 기재 항목


4) Title Block Section
- Project No. & Name
- Line No.
- DWG No.
- Sheet No.
- Revision No.
- Commodity(Fluid Name)
- Plant & Area No.
5) Revision Column
150 of 182
4. Piping Support

4.1 Piping Support 설치 목적


1) 설계하는 Plant의 Pipe Line이 안전하고 Smooth하게 제
기능을 민족 시키며 조업할 수 있도록 Pipe를 Hanging,
Supporting, Restraint 등을 하여 주는 것이 목적이다.
2) Pipe Support Design은 Pipe System이 정지상태 이거나
운전시의 제조건(압력, 온도, 유체의 진동 등)이나 외력
즉 지진, 풍력, 지반 침 하 등을 고려하여 제 조건을
만족시켜 주는 Support부재나 Type를 선정하여야 한다.

151 of 182
4. Piping Support

4.2 Piping Support 설계 시 주의점


1) Support 설계 시는 설치 될 공간의 크기, Support에 작용
하는 하중의 크기와 방향 열 하중에 의한 배관 및
장치류의 이동 예상, 운전 및 보수 시에 장애물이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Pump,Compressor, Turbine등 Rotating Equipment의
Nozzle에 연결되는 Piping의 첫번째 Support Foundation
은 Equipment Foundation과 일체형이 되도록 하며
반듯이 Adjustable Type Support를 설치 한다.

152 of 182
4. Piping Support

4.2 Piping Support 설계 시 주의점


3) Two Phase Flow Piping과 같이 진동 발생이 우려되는
배관에는 Support Span을 가급적 짧게 하며 Hold Down
Support Type을 설치한다.
4) 열처리를 하는 배관이나 현장에서 Welding이 불가능
경우 Piping에는 Clamp Type의 Support Type을 설치하며
Pipe로 Support (Dummy & Elbow Stanchion)하는
경우에는 Piping ISO DWG에 표기하여 Piping과 함께
열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153 of 182
4. Piping Support

4.2 Piping Support 설계 시 주의점


5) Expansion Joint를 설치되는 배관은 전후 지점에 Resting
& Guide Support 를 설치하여야 한다.
6) ∆P가 50% 이상 되는 Control Valve의 Downstream
Piping에 Anchor & Stopper를 설치 한다.
7) 고온 배관의 경우 Pipe의 온도가 Support용 Steel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Insulation을 위하여 그에
맞는 적절한 Shoe을 설치한다.
8) 저온 배관의 경우 Pipe와 Support용 Steel에 직접 닿지
않도록 Cradle을 설치 한다.
154 of 182
4. Piping Support

4.2 Piping Support 설계 시 주의점


9) Pipe Size가 크고 무게가 가벼운 Piping의 경우 에는
바람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여 Support를 설치한다.
10) Support Point의 하중이 커서 Piping Standard Support
Type으로 설치가 곤란 할 경우 그에 대한 Information 을
작성하여 토목 팀에서 반영토록 한다.

155 of 182
4. Piping Support

4.3 Piping Support의 설치 간격


1) 직선 배관의 경우 다음 공식에 의하여 최대 배관 지지
간격을 계산을 할 수 있다.

L = 배관 지지 간격 (mm)
W = 배관의 분포하중 (Kg/mm)
δ = 배관의 처짐 량 (mm)
E = 배관의 종 탄성 계수 (Kg/ mm2)
I = 배관의 단면 2차 Moment (mm4)
2) 배관 지지 간격은 첨부 Table 을 참조 한다.

156 of 182
4. Piping Support

4.3 Piping Support의 설치 간격


3) 계산 예제 (4” C/S Pipe Sch.40 Insulation 50mm 기준)
W : 30 Kg/m (0.03 Kg/mm)
E : 21000 Kgf/mm2
I : 301cm4 (3010000mm4)
δ : 16mm

157 of 182
4. Piping Support
4.4 Piping Support의 설치 간격 Allowable Pipe Span-C.S pipe

158 of 182
4. Piping Support
4.4 Piping Support의 설치 간격 Allowable Pipe Span-S.S pipe

159 of 182
4. Piping Support
4.4 Piping Support의 설치 간격 Allowable Pipe Span-PVC pipe

160 of 182
4. Piping Support
4.4 Piping Support의 설치 간격 Allowable Pipe Span

161 of 182
4. Piping Support
4.5 Piping Support의 재질
1) 배관에 직접 연결되는 Support의 재질은 배관의 설계
온도에 따라 통상 다음과 같이 선정한다.
- Below 350°C : Carbon Steel Plate (A36)
- Below 420 °C : Carbon Steel Plate (A285Gr C)
: Stainless Steel Plate (A240-304)
- Below 450 °C : Alloy Steel Plate (A387 Gr.22 Cal.1)
2) Dummy & Trunnions, Elbow Stanchion Support Type과
같이 Pipe에 직접 Welding 되는 경우에는 배관의 Piping
Class와 동일한 자재를 사용한다.

162 of 182
4. Piping Support
4.6 Piping Support Drawing의 종류
1) Standard Piping Support Drawing
- Support Type을 Standard화 하여 작성된 Drawing
- Piping Support Point에 Standard No.를 적용한다.
2) Fabrication & Installation Detail Drawing
- Piping Support를 제작 및 설치를 할 수 있도록 상세
하게 작성된 Drawing
3) Special Piping Support Drawing
- Standard Piping Support Drawing 만으로 적용이 곤란
할 경우에는 그에 맞도록 별도로 작성된 Drawing

163 of 182
4. Piping Support
4.6 Piping Support Drawing의 종류 (Standard DWG) "Attachment 1
Standard Piping Supports.pdf"

164 of 182
4. Piping Support
4.6 Piping Support Drawing의 종류 (Fabrication DWG)

Hot(appendix1).p
df

165 of 182
4. Piping Support
4.6 Piping Support Drawing의 종류
1) Standard Piping Support Drawing
- Support Type을 Standard화 하여 작성된 Drawing
- Piping Support Point에 Standard No.를 적용한다.
2) Fabrication & Installation Detail Drawing
- Piping Support를 제작 및 설치를 할 수 있도록 상세
하게 작성된 Drawing
3) Special Piping Support Drawing
- Standard Piping Support Drawing 만으로 적용이 곤란
할 경우에는 그에 맞도록 별도로 작성된 Drawing

166 of 182
4. Piping Support
4.6 Piping Support Drawing의 종류 (Special Support DWG)

167 of 182
5. Steam Tracing
5.1 Steam Tracing의 정의
Steam Tracing은 유체 또는 기체가 유동하는 Pipe Line
에서 동결되거나 점도 가 너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며
Fluid의 응축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168 of 182
5. Steam Tracing
5.2 Steam Tracing의 준비사항
Certified Drawing & Document
1) P&ID & Utility Flow Diagram
2) Line Index
3) Plot Plan
4) Piping Arrangement Drawing
5) Piping Isometric Drawing
6) Equipment Drawing(If Required)
7) Tracing 되는 Instrument List

169 of 182
5. Steam Tracing
5.3 Steam Tracing의 주요 업무
1) Steam Tracing Schedule
2) Steam Distribution Manifold & Condensate Collection
Manifold Schedule
3) Steam Distribution Manifold & Condensate Collection
Manifold Piping ISO Drawing
4) Steam Traced ISO Drawing
5) Steam Distribution Manifold & Condensate Collection
Manifold Location Plan Drawing (If Required)

170 of 182
5. Steam Tracing
5.4 Steam Tracing의 작성 방법
1) 배관도에 Steam Tracing 되어야 할 Line을 검토하여
Steam Distribution Manifold 및 Condensate Collection
Manifold Location을 결정한다.
2) Manifold Location은 원칙적으로 Piping Plan DWG에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별도의 요청이 있을 시 에는 Plot Plan에 작성)
3) Steam Tracing 되는 Line들의 적정거리,Operation &
Malignance 등을 고려하여 Group별로 Manifold Location
을 결정한다.

171 of 182
5. Steam Tracing
5.4 Steam Tracing의 작성 방법
4) Steam Circuit(Lead Line) Lay-out을 작성한다.
5) Steam Circuit Piping Route가 정해지면 각 Manifold
Branch Point의 Quantity(Tracer Nozzle)를 결정한다.
6) Steam Circuit Drawing을 참조하여 Steam Tracing
Schedule을 작성한다.
7) Steam Circuit Drawing을 참조하여 Steam Distribution
Manifold & Condensate Collection Schedule을 작성한다.
8) Piping ISO DWG을 제 2 원도 로 하여 Traced ISO DWG
을 작성 한다.

172 of 182
5. Steam Tracing

173 of 182
5. Steam Tracing

174 of 182
5. Steam Tracing

175 of 182
5. Steam Tracing

176 of 182
5. Steam Tracing

177 of 182
5. Steam Tracing

178 of 182
5. Steam Tracing

179 of 182
5. Steam Tracing

180 of 182
5. Steam Tracing

181 of 182
5. Steam Tracing

182 of 18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