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2019년 1학년 1학기 중간고사

학교명 경기 GG외고 이름

1. 3.

 

   일 때,    의 값은? [ 점]
  
  
 ×  
의 값은? [ 점]

➀  ➁  ➂  ➀  ➁  ➂ 


➃  ➄  ➃  ➄ 

2. 4.
 
다항식     가   로 나누어떨어지도록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을   라 할
하는 상수 의 값은? [ 점]  
때,    의 값은? [ 점]
➀  ➁  ➂   
➃  ➄  ➀  ➁  ➂ 
➃  ➄ 

- 1 -
5. 7.
두 실수   에 대하여 
 
  
 가 성립할 에 대한 이차식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때, <보기>에서 항상 실근을 갖는 이차방정식을 모

두 고른 것은?(단,  ≠ ) [  점] (가)  에서  의 계수는 이다.
(나) 방정식   의 두 근의 합은 
[보 기]

이다.
ㄱ.       
(다) 방정식     의 두 근의 곱이

ㄴ.         이다.

ㄷ.       

ㄹ.         의 값은? [ 점]
➀  ➁  ➂ 
➀ ㄱ, ㄴ, ➁ ㄱ, ㄹ ➂ ㄱ, ㄷ ➃  ➄ 
➃ ㄴ, ㄷ ➄ ㄴ, ㄹ

6.

연립방정식   


  의 한 해를      

라 할 때,  의 최솟값은? [ 점]
➀  ➁  ➂ 
➃  ➄ 

- 2 -
8. 9.
복소수              에 대하여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    사이에
 이 음의 실수가 되도록 하는 실수 의 값은?       인 관계가 성립할 때,
(단,   
  ) [ 점]       을 만족하는 에 대하여  의
➀  ➁  ➂  값은? [ 점]
➃  ➄  ➀  ➁  ➂ 
➃  ➄ 

10.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가
직선     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고, 이


두 점 사이의 거리가  일 때, 실수 의 값은?

[ 점]
➀  ➁  ➂ 
➃  ➄ 

- 3 -
11. 13.
   
등식        ⋯     를 만족 그림과 같이 직육면제 모양의 상자가 있다. 이 상자
시키는 두 실수   에 대하여   의 값은? (단, 의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은 
 이고 대각선
  
  ) [ 점] 
AG 의 길이는  이다. 이 상자의 부피가   일
➀  ➁  ➂ 

➃  ➄  때,  의 값은? (단,  은 서로소인 자연수)
[ 점]

➀  ➁  ➂ 
➃  ➄ 

12.
에 대한 다항식  를    으로 나누었을 때
의 나머지가    이고,    로 나누었을 때의 나

머지가  이다. 이 다항식  를     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라 할 때, 의 값
은? [ 점]
➀  ➁  ➂ 
➃  ➄ 

- 4 -
14. 15.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을  라 하 에 대한 사차방정식        의 모든
자. 상수항이 인 이차식  가     , 근이 실수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의 범위가
    을 만족시킬 때,  의 값은? [ 점] ≤ ≤  일 때,  의 값은? [ 점]
   ➀  ➁  ➂ 
➀  ➁  ➂ 
   ➃  ➄ 
 
➃  ➄ 
 

- 5 -
16. [서술형 ] 17. [서술형  ]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총  점] 에 대한 다항식


(1) 실수   에 대하여 이차방정식             에 대하여
       ≠의 두 근이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  ±    (1)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 이


   임을 증명하시오. (풀이과정을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의 값을

반드시 쓸 것.) [  점] 구하시오.(풀이과정 필요 없음) [  점]
(2) 실수   에 대하여 이차방정식
(2) 방정식  의 모든 근이 음수가 되도록
       ≠의 두 근을  라 할 때,
하는 자연수 의 최솟값을 구하되 풀이과정을
 
(1)을 이용하여      ,    임을 서술하시오. [  점]
 
보이시오. (풀이과정을 반드시 쓸 것.)

- 6 -
정답 7. [정답] ➄
  의 두 근을   라 하면
(가)에서      
1. [정답] ➄ (나)에서     
    (다)에서              의
  
        
    
두 근은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두 근의 곱은     
 
2. [정답] ➀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3. [정답] ➂
8. [정답] ➃
   로 두면
 이 음의 실수이면  는 순허수이다.
         
준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실수부분인         이므로
4. [정답] ➃
  또는   
         
또한 허수부분인      ≠ 이므로
  
      ≠이고  ≠ 
   
∴  
5. [정답] ➂
9. [정답] ➁

 
  
 이고  ≠ 이면      
각 보기의 판별식을 써보면
        

ㄱ.     
              
 
ㄴ.                  


ㄷ.     
  는 삼각형의 세 변이므로     ≠

ㄹ.    따라서     
따라서 항상 실근을 갖는 이차방정식은 ㄱ, ㄷ이다.
      은       이고

6. [정답] ➁ 양변에   을 곱하면      이므로
     ⋯①    이다.
 
    ⋯ ② ∴  

 
①을 정리하면     
10. [정답] ➄
②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두 근을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①
 
   또는   
두 식의 교점은           이다.
또 이 때, ①에 대입하여  를 구하면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면
      또는      
따라서  의 최솟값은  

          

- 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①에 의해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직육면체의 부피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정답] ➀    
                  
14. [정답] 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은   를 두 근으로 갖는 이차식
따라서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상수항이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12. [정답] ➃

       라 하면 ∴         

는 이차식이고  를    으로 나누면 
  이 남으므로,  

        이고
 를   로 나누면 나머지는  이므로
15. [정답] ➁
    
   라 하면 주어진 식은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주어진 식의 모든 근이 실수이려면  ≥  이고 이
∴  
이차방정식의 두 근이 모두 음수가 아니어야 한다.
13. [정답] ➂ 두 근의 합이  이므로 두 근은 모두 양수이거나 한
직육면체의 가로, 세로, 높이를 각각   라 하 근은 양수, 다른 한 근은 인 경우가 있다.
면 두 근을  라 하면
모서리의 길이의 합은       ≥  ≤ 
    
 ,      
 ⋯①     ≥ 
대각선의 길이는 ∴≤ ≤ 

      ,       
16. [정답] 풀이참조
                
(1)        ≠
①에 의해       

- 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정답] (1)   (2) 


  
(1)                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성립하여야 하므로 에
관해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이어야 하므

  
(2) (1)에 의해
       
의 모든 근이 음수이려면
       이 음수근을 가져야 한다.
     ≥ ⇒ ≥  또는 ≤  
⋯①
⋯②
두 근의 합     ⇒   
① ②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의 범위는 ≥ 
이므로 이를 만족시키는 최소의 자연수   

- 9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