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119수학(up119.co.

kr) 2022년 세화고 1학기 중간고사


01 04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와 직선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가 직선

     가 접할 때, 두 상수   에 대하여      과 적어도 한 점에서 만나고, 직선

   의 값은?      와 만나지 않도록 하는 정수  의 개수는?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02
두 등식      
         , 05
    가 정수이고,  이  이하인 자연수일 때, 다항식

  

  
 
 

를 모두 만족하는 정수  의
       중에서        의
개수는? 꼴로 인수분해되는 다항식의 개수는?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03
일차 이상의 두 다항식   ,   에 대하여   를 06
 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  , 나머지가   
  에 대한 이차식            

이고,   를  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도
이  의 계수가  가 아닌 두 일차식의 곱으로
  이다.      를   로 나누었을 때의
인수분해될 때, 실수  의 값은?
나머지는?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 1 -
07 10
 에 대한 이차함수            의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두 이차방정식    

그래프가  축과 만나는 두 교점의  좌표가 정수가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되도록 하는 모든 정수  의 값의 합은?
(가) 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나)          

  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음수일 때,

     의 값은?

08 ①  ②  ③  ④  ⑤ 
다음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 인 정사각형 모양

의 종이  를 점  가 변  위에 오도록
접을 때, 점  와 점  가 옮겨진 점을 각각  와

 , 접히는 선을 선분  라 하자. 이때, 사다리꼴


 의 넓이의 최솟값은?

11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인 이차함수     의 그래프

가  축과 두 점   ,   에서 만나고 직선

    와 두 점   ,   에서 만난다.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    이고    일 때,       의 값은?

①  ②  ③ 

④  ⑤ 

09
다항식            에 대하여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 는 실수이다.)

ㄱ.     을 만족하는  가 존재한다.


12
ㄴ. 이차방정식     의 두 실근이 모두 음이
 이하의 세 자연수    가 등식
되도록 하는 정수  의 최댓값은   이다
              를 만족시킬 때,
ㄷ 이차방정식     의 한 근이  일 때,  이
 순서쌍     의 개수는?
실수가 되도록 하는  의 최댓값은  이다.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 2 -
13 15
이차방정식        이 다음 조건을 만족 다항식   와 최고차항의 계수가   인

할 때,      의 값은? 삼차방정식   가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를 만족시킨다.


(가)     는 한 자리 자연수이다.   를   로 나눈 몫을    , 나머지를  
(나) 한 근은  과  사이에 있고, 또 다른 한 근은 라 할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 와  사이에 있다. 것은? (단, 다항식   의 계수와 상수항은 실수)

①  ②  ③  ④  ⑤ 
ㄱ.    
ㄴ.  를    로 나눈 몫을   라 할 때,

     이다

ㄷ.    ×     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14
이차함수     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방정식     의 모든 실근의 곱은? 16


두 다항식           와  가
(가)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실수     에 대하여
(나)  의 값의 범위가   ≤  ≤  일 때, 함수
      의 값은?
    의 최댓값은  , 최솟값은   이다.
(단,   
  ,  는 자연수이고 다항식   의
(다) 이차함수     의 그래프와 직선
계수와 상수항은 모두 정수이다.)
     는 접한다

(가)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나) 다항식   를    로 나눈 나머지는

  이다.

(다) 방정식          의 한 근은

 이다.

①  ②  ③  ④  ⑤ 

- 3 -
17 20
[서술형1] [서술형4]

상수    ⋯ 에 대하여      을    로   


복소수    와 자연수  에 대하여

나누었을 때의 몫이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        ⋯ 
  
 

이라 하자.


  ×       이 성립하도록 하는 모든


자연수  의 값의 합을 구하여라. (단,   
 )

21
18 [서술형5]
[서술형2]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   에 대하여

두 함수         ,      의 그래프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인 이차함수   가

가 서로 다른 두 점    에서 만날 때, 두점  , 
   

              와
    
 의  좌표를 각각   라 하자.     
일
                를 만족시킬

     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     
때,      의 두 근의 합을 구하시오

22
[서술형6]
19 자연수    에 대하여
[서술형3]                       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에서 이차함수 을    에 대한 세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하고

     의 최댓값을  , 최솟값을  라 그 풀이과정을 서술하시오

(단,  ±     ±     ±   을 이용할 것)


하자. 함수     ,    에 대하여 구간

 ≤  ≤  에서     의 최댓값을  ,   

의 최솟값을  라 할 때,  와  의 곱  의 값을 구

하시오. 23
[서술형7]

                     

이 되도록 하는 서로 다른 한 자리의 세 자연수


   에 대하여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 4 -
정답지 문제해설

정 답 지

정답지및 더 많은 기출문제는

회원가입없이 119수학(up119.co.kr)에서

무료로 <고1기출문제게시판>에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 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