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 대비 문제지

고1
수학 영역
1

5지 선 다 형 3. z b3 ) 두 수  ×  ×  ,  ×  × 의 최대공약수가
 ×  ×  , 최소공배수가  ×  × 일 때,
   의 값은? [2점]
1. zb1 )      를 간단히 하면? [2점]
①  ② 
①   ②   
③  ④ 
③   ④   
⑤ 
⑤ 

2. zb2 )

  
 
 의 값은? [2점]
4. z b4 ) 이차방정식       과       의
해가    일 때, 상수  ,  에 대하여   의 값은?
① 
 ② 
 [2점]
③ 
 ④ 
 ①  ② 
⑤ 
 ③  ④ 
⑤ 

I410-ECN-0199-2021-001-001401574
2 고1

7. z b7 )    일 때,  에 대한 일차부등식      


5. zb5 ) 다음 그림에서 
AB  
BC  
CD cm 일 때, 어두운 를 풀면? [3점]
부분의 둘레의 길이를 구하면? [3점]
①  ② 
③  ④   
⑤   

① cm ② cm
③ cm ④ cm
⑤ cm

6. zb6 ) 연립방정식
  

    
의 해를       일 때,   의 값은? [3점]

①  ② 
③  ④ 
⑤ 

I410-ECN-0199-2021-001-001401574
고1 3
8. zb8 )  에서  까지의 숫자가 각각 하나씩 적힌  장의 10.
z b1 0) 반지름의 길이가  이고, 중심각의 크기가  인 부
카드가 있다. 이 중  장의 카드를 임의로 뽑을 때,  의 채꼴에 내접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3점]
배수 또는  의 배수가 적혀 있는 카드가 나오는 경우

의 수는? [3점] ①  ② 

①  가지 ②  가지 
③  ④ 
③  가지 ④  가지 

⑤  가지 
⑤ 

9. zb9 ) 다항식     가   을 인수로 가질 때, 상수


의 값은? [3점]
①  ② 
③  ④ 
⑤ 

I410-ECN-0199-2021-001-001401574
4 고1

11. zb1 1) 이차함수      의 그래프가 다음 세 조건 12.


z b1 2) 그림과 같이 바위섬의 위치를 A , 해안 도로 위의
을 모두 만족시킬 때,    의 값은? (단, ,  , 는 두 지점의 B , C 라 하면 
위치를 BC   m ,
상수) ∠ABC   , ∠ACB   이다. 점 A 에서 선분
(가) 꼭짓점의  좌표는  이다. BC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할 때, 선분 AH 의 길이
는? [3점]

(나) 이차함수       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한 것이

다.
(다) 점    을 지나고, 꼭짓점은 제 사분면 위에 있다.
 
①  ② 
 
 
③  ④ 
 

⑤  ①    
m ② 
   m

③    
m ④   
 m
⑤   
 m

I410-ECN-0199-2021-001-001401574
고1 5
13.
zb1 3)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 인 정오각형  14.그림과 같이 일차함수      의 그래프가 
z b1 4)

에서 두 대각선  ,  의 교점을  , 두 대각선 축과 만나는 점을 A 라 하자. 직선    이  축과


,  의 교점을  라 할 때, 선분 의 길이는? 만나는 점을 B , 일차함수     의 그래프와
만나는 점을 C 라 하자. 일차함수    의 그래프
가 일차함수      의 그래프와 만나는 점을 D
라 하자. 삼각형 OAD 와 사각형 OBCD 의 넓이의 비
가   일 때, 상수 의 값은? (단, O 는 원점이다.)
[4점]

①   
 ②   

③   
 ④   

⑤   

 
①  ② 
 
 
③  ④ 
 

⑤ 

I410-ECN-0199-2021-001-001401574
6 고1

15. 
   , 
zb1 5)   
 인 □에서 
 를 연장 16.
z b1 6) 그림과 같이 선분 AB 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 O 가
하여 그 길이가  이 되는 점을  라 하자.   와 
 있다. 점 E 에서 반원 O 에 그은 두 접선이 반원 O 와

의 교점을  라고 하면    이다. <보기>에서 옳은 만나는 점을 각각 A , D 라 하고 두 선분 AE , BD 의
것을 모두 골라 짝지은 것은? 연장선의 교점을 C 라 하자. 다음은 
CD  , 
DB  
일 때, 선분 EA 의 길이를 구하는 과정이다.

<보기>
ㄱ. ∆ ∆
ㄴ. 
  
ㄷ. 
  
  
  

ㄹ. ∠  ∠   이면 □ 는 정사각형이다.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ㄴ, ㄷ
선분 AD 를 그으면
⑤ ㄱ, ㄷ, ㄹ

AE 
ED …… ㉠
이므로 ∠EAD  ∠EDA  ∠ABD 이다.
또 ∠ECD ∠ABD   , ∠CDE ∠EDA  
이므로 ∠ECD  ∠CDE

EC  
ED …… ㉡

㉠, ㉡에 의해 
AE 
ED 
EC 이다.

EA  라 하면 ∆CAD ∆CBA 이므로
   가
  나
이때    이므로
 다

따라서 선분 EA 의 길이는 다 이다.


위의 (가), (나), (다)에 알맞은 수를 각각    라 할 때,

 의 값은? [4점]

①  ② 

③  ④ 

⑤ 

I410-ECN-0199-2021-001-001401574
고1 7
17.
zb1 7) 민기는 일정한 속력으로 직선 도로 위를 달리는 자 18.
z b1 8) 자연수로 이루어진  개의 변량이 다음 네 조건을
동차의 속력을 측정해 보기 위해 지상   높이의 빌 모두 만족한다고 한다.  개의 변량 중 가장 작은 변량
딩 옥상에서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을  라 할 때, 자연수  의 최솟값을 구하면? [4점]
이 때, 이 자동차의 속력은? [4점]
(ㄱ) 평균은  이다.
자동차가  지점에 있을 때, 옥상  에서 자동차를 내려
(ㄴ) 중앙값은  이다.
다 본 각의 크기는  이다.
(ㄷ) 최빈값은  이다.
자동차가  지점을 통과한 지  초 후에  지점에 있을
(ㄹ) 가장 큰 변량은  이다.
때, 자동차를 내려다 본 각의 크기는  이다.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    /초 ② 
   /초
③ 
  /초 ④ 
  /초
⑤ 
    /초

I410-ECN-0199-2021-001-001401574
8 고1

19. zb1 9) 그림은 좌표평면 위에 두 일차방정식      과 20.


z b2 0)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 위에 네 점

      의 그래프의 일부를 각각 나타낸 후, 세  ,  ,  ,  가 있다. 각 호의 길이의 비가



  
  
  
        일 때, □ 둘
점 A B C 를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ABC 와 세 점
A′ B′ C′ 를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A′B′C′ 를 그 레의 길이는?
린 것이다. 두 삼각형 ABC 와 A′B′C′ 를  축을 회전
축으로 하여  회전시킬 때 생기는 회전체의 부피의 합
은? [4점]

① 
  
 ② 
 

③   
  
 ④   
  

⑤   


①  ② 


③  ④ 


⑤ 

I410-ECN-0199-2021-001-001401574
고1 9

21.
zb2 1) 그림과 같이 정사각형 ABCD 에서 선분 BC 위에 단답형
점 P 를 잡고, ∠PAD 의 이등분선이 두 선분 DC ,
DP 와 만나는 점을 각각 Q , R 이라 하면

PR  
RD     이고, 
DQ   이다. 22.
z b2 2)

분수  을 소수로 나타내었을 때, 소수점 아래 

선분 CP 의 길이를 구하면? 번째 자리의 숫자를 구하시오. [3점]


①  ② 


③  ④ 

⑤ 


23.
z b2 3)  에 대한 일차방정식        의 해가 음

의 정수가 되게 하는 자연수 의 값 중 가장 큰 수를
구하시오. [3점]

I410-ECN-0199-2021-001-001401574
10 고1

24.
zb2 4) 서현이는 미술 시간에 깃발을 만들고 있다. 다음 그 26.
z b2 6) 세 수 
  
  
 이 모두 무리수가 되도록
림과 같은 모양으로 스케치를 하고 빨강, 주황, 노랑, 하는  이하의 자연수  의 개수를 구하시오. [4점]
초록, 파랑의  가지 색을 사용하여 색칠하려고 한다.
칠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하시오. (단, 이웃한
영역은 다른 색으로 칠해야 하고, 같은 색을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다.) [3점]


25.
zb2 5)

다음 그림과 같이 이차함수        의 그

래프와  축의 교점을 각각 A , B 라 하고,  축의 교점
을 C , 이 그래프의 꼭짓점을 D 라 하자. ∆ACB 와
∆ADB 의 넓이의 비가    일 때,   의 값을 구
하시오. (단, ,  는 상수) [3점]

I410-ECN-0199-2021-001-001401574
고1 11

27. 그림과 같은 이차함수



    의 그래프와 직선
28.
z b2 8) 다음 그림의 평행사변형ABCD 에서 AB , 
BC ,

zb2 7)

  
CD 의 중점을 각각 E , F , G 라 하고 AF 와 EC 의 교
   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내부에 있는 점 중에서 
점을 P , 
DF 와 
EC 의 교점을 Q , DF 와 
AG 의 교점
좌표와  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의 개수를 구하시오. [4
 
을 R 이라 하자. PQ  cm 일 때, AR 의 길이를 구하
점]
시오. [4점]

I410-ECN-0199-2021-001-001401574
12 고1

29.
zb2 9) 한 변의 길이가  인 정사각형 모양의 종이가 있다. 30.
z b3 0)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 ABCD 가 있다. 대변 AB 와
이 종이의 각 꼭짓점을 그림과 같이 A B C D 라 CD 의 연장선이 만나는 교점을 P 라 하고, 대변 AD 와
하고, 꼭짓점 C 가 변 AD 의 중점 M 과 만나도록 접었 BC 의 연장선이 만나는 교점을 Q 라 하자. 그리고
다. 접힌 선의 길이를  이라 할 때,  의 값을 구하시 ∆PBC 의 외접원과 ∆QAB 의 외접원이 만나는 점 B
오. [4점] 이외의 교점을 R 이라 할 때, ∠PRQ   이라고 한
다. 상수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

I410-ECN-0199-2021-001-001401574
고1 13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
1) 제작연월일 : 2021-10-13
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
2) 제작자 : 교육지대㈜
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외에도 저작권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제작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7) [정답] ⑤
[해설]       에서
       
1 ③ 2 ③ 3 ④ 4 ⑤ 5 ⑤ 이때    에서      이므로
  
6 ① 7 ⑤ 8 ② 9 ③ 10 ③
11 ② 12 ① 13 ⑤ 14 ⑤ 15 ② 8) [정답] ②
[해설]  장의 카드 중에서  의 배수가 적혀 있는 카드
16 ⑤ 17 ① 18 ④ 19 ① 20 ④
는    의  가지이다.
21 ④ 22  23  24  25  또  장의 카드 중에서  의 배수가 적혀 있는 카드
26  27  28  29  30  는   의  가지이다.
이 두 사건이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는 없으므로
 장의 카드를 임의로 뽑을 때,  의 배수 또는  의
1) [정답] ③
배수가 적혀 있는 카드가 나오는 경우의 수는
[해설]                 
    (가지)이다.
2) [정답] ③
9) [정답] ③
[해설] 
  
  
  
  
 
  

[해설]         이라 하면
3) [정답] ④          
[해설] 최대공약수에서    , 따라서     ,     이므로
최소공배수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정답] ⑤ 10) [정답] ③


[해설]      에 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에 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  [해설]
∴       
그림과 같이 부채꼴의 중심을 O , 부채꼴에 내접하
5) [정답] ⑤
는 원의 중심을 O′ 이라 하고 부채꼴과 내접원이 접
[해설] 둘레는 지름이 
AC 인 원의 둘레의 길이와 지름이
하는 점을 H , 
O′H  라 하면 삼각형 O′OH 에서

AB 인 원의 둘레의 길이의 합이다. 
∠O ′OH   ×    이므로
따라서 AC   cm 이고, 
AB   cm 일 때 
(어두운 부분의 둘레의 길이)     ( cm )이 
sin   

다. OO′
 
6) [정답] ①  
  
OO′
[해설]    ⋯⋯ ㉠

     ⋯⋯ ㉡ 
OO′  …… ㉠
 × ㉠  ㉡ 을 하면 또 
OO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를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부채꼴에 내접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따라서    ,    이므로 


   

I410-ECN-0199-2021-001-001401574
14 고1

근의 공식에 의하여
11) [정답] ②
   ± 
   ×     ± 


[해설] (가), (나)조건에 의하여         이라 그런데    이므로     

할 수 있다. 즉 ∆DGE ≡ ∆AFE ( ASA 합동)이므로
(다)조건에 의하여 
AF 
DG   

      
∴ FG      

        의 그래프가 점    을 지나

므로 14) [정답] ⑤
  [해설] 일차함수      의 그래프가  축과 만나는
      ,    
  점은 A  

   ∴  ±  직선    이  축과 만나는 점은 B   
그런데 꼭짓점이 제  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   직선    이 일차함수     의 그래프와 만
∴  나는 점은 C   
  사각형 OACB 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이므로
 삼각형 OAD 와 사각형 OBCD 의 넓이의 비가   
  이므로
         
  삼각형 OAD 의 넓이는

12) [정답] ①  ×   

[해설] 
AH  m 라 하면 삼각형 ABH 에서 이때 점 D 의 좌표를 D     이라 하면
∠BAH   이므로  
  tan   m     ×  ×    
BH  
삼각형 AHC 에서 ∠CAH   이므로

   
 
따라서 D    
HC   tan    m  점 D 는 일차함수    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BC   m 이므로   
   ,   
   
BH HC  
BC
 15) [정답] ②
     
 [해설] ㄱ. ∆AED 와 ∆FEC 에서
   ∠DAE  ∠CFE (엇각),
   
 ∠ADE  ∠FCE (엇각)이므로
 ∆AED ∆FEC ( AA 닮음)
    

   ㄴ. 
AD 
CF 
DE 
CE 에서
따라서 선분 AH 의 길이는    
  m 이다.     
DE 
CE ∴
CE 
 
∴AD DC  
13) [정답] ⑤
[해설] 정오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 이므로 ㄷ. ∆AED ∆FEC ( AA 닮음)이므로
∠BAE  ∠AED  ∠EDC   
EF AE CF 
  AD
∆AED 는 
AE 
ED 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ㄹ. ∠D  ∠ECF 이므로 ∠ECF  ∠B  
 즉 동위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 AB  
DC 이고
∠EAD  ∠EDA       
 사각형 ABCD 에서 
AD
BC , 
AB  
DC 이므로
∆BAE 와 ∆EDC 에서도 마찬가지로 사각형 ABCD 는 평행사변형
∠ABE  ∠AEB  ∠DEC  ∠DCE   
AD
BF 이므로 ∠DAB  ∠B   로
∆AGE 에서 ∠AGE      ,
네 각의 크기가 모두  이므로
∠AEG       이므로 
AG  AE  평행사변형 ABCD 는 직사각형
∆DGE 에서 ∠GDE  ∠GED 이므로  DC   로 이웃한 두 변의 길이가 같으
이때 AD
∆DGE 는 
GD 
GE 인 이등변삼각형 므로 직사각형 ABCD 는 정사각형이다.
이때 ∆AED 와 ∆DGE 는 서로 닮음이므로

AE  
DG 
AD  
DE 16) [정답] ⑤
 [해설] 선분 AD 를 그으면 원의 접선의 성질에 의해
DG  라 하면         

AE 
ED …… ㉠
     

I410-ECN-0199-2021-001-001401574
고1 15
이므로 ∠EAD  ∠EDA  ∠ABD 이다.      ∴   
또 삼각형 ABC 에서 ∠A   이므로
19) [정답] ①
∠ECD ∠ABD  
[해설] 두 삼각형 ABC , A′B′C′ 에서
지름 AB 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   이
∠ACB  ∠A′C′B′ , ∠  ∠′   이므로
므로
∆ABC ∆A′B′C′ 이고, 닮음비는    이다.
∠CDE ∠EDA  
즉, ∠ECD  ∠CDE 이므로 따라서 
AB  
 두 삼각형 ABC , A′B′C′ 를  축을 회전축으로 하
EC  
ED …… ㉡
여  회전시킬 때 생기는 회전체의 부피의 비는
㉠, ㉡에 의해 
AE 
ED 
EC 이다.
       
EA  라 하면 ∆CAD ∆CBA 이므로
한편, 삼각형 ABC 를 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 회

CA   CD  CB  
CA 전시킬 때 생기는 회전체의 부피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삼각형 A′B′C′ 를 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
이때    이므로 회전시킬 때 생기는 회전체의 부피는

  
    ×   
 
따라서 선분 EA 의 길이는 
 이다. 이므로 두 회전체의 부피의 합은  이다.
이상에서    ,    ,   
 이므로
20) [정답] ④
  
    
 [해설] 원의 중심을 O 라 하면
 

AB  
BC  
CD  
DA        이므로
17) [정답] ① 
[해설] ∆PHA 에서 ∠PAH   ( ∵ 엇각)이므로 ∠AOB   ×    ,

∠APH       
∠BOC   ×    ,
∴
HA tan   m  
∆PHB 에서 ∠PBH   ( ∵ 엇각)이므로 
∠COD   ×    ,
∠BPH       

∴
HB  tan   m  ∠DOA   ×   

즉 A 지점과 B 지점 사이의 거리는
∆BOC 와 ∆COD 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AB  
HB  
HA 
   m 
 CD 
BC      

따라서 이 자동차의 속력은
거리 
   ∆DOA 는 ∠DOA   이고, 
OD 
OA  이므로
속력          초 정삼각형이다.
시간 
∴
DA 
18) [정답] ④
이등변삼각형 AOB 의 꼭짓점 O 에서 
AB 에 내린
[해설] 변량이  개이고 중앙값이  이므로 가장 작은 값
수선의 발을 H 라 하면
부터 순서대로 나열하였을 때, 네 번째 오는 값은

 이다. ∆OAH 에서 ∠AOH   ×    ,

최빈값이  이므로  는 적어도  개 존재한다.
 
 개의 변량을 작은 값부터 순서대로 나열하였을 때, OA  이므로 
AH  × sin  

 ,  ,  ,  , ,  ,  라 하자.
∴AB  
AH 
평균이  이므로
따라서 □ABCD 의 둘레의 길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이때  , ,  의 합이 일정하므로  가 최솟값을 가
지려면 ,  가 최댓값을 가지면 된다.
그런데 자료의 최빈값이  이므로 ,  의 값은 서
로 다른 값이어야 하고,      ,     
이어야 한다.
따라서 ,  가 될 수 있는 가장 큰 값은    ,
   이므로  의 최솟값은

I410-ECN-0199-2021-001-001401574
16 고1

[중2] 삼각형의 내각의 이등분선   


   ×    이다.
tip [중2] 정사각형의 성질
 

[삼각형의 내각의 이등분선] 22) [정답] 


∆ABC 에서 ∠A 의 이등분선이  BC 와 만나는 점을 
[해설]    이므로 순환마디를 이루는 숫자의 개
D 라 하면 
AB    CD
AC  BD  
수는  개이다.
따라서      ×  이므로 소수점 아래  번째
자리의 숫자는 순환마디의  번째 숫자인  이다.

23) [정답] 

[정사각형의 성질] [해설]         의 양변에  을 곱하면

∙ 정사각형의 정의: 네 변의 길이가 모두 같고, 네 내각의
    
 
크기가 모두 같은 사각형
   
     
   
 
이 값이 음의 정수가 되려면 분자   의 값은
          ⋯ 이므로
의 값은  ,  ,  ,   ,   , ⋯
∙ 정사각형의 성질: 두 대각선의 길이가 같고, 서로 다른 따라서 자연수 값 중 가장 큰 값은  이다.
것을 수직이등분한다.
24) [정답] 
⇨ 
AC  
BD , 
AC ⊥
BD , 
OA 
OB  
OC  
OD

[정답] ④
[해설] ∆APD 에서 
AR 는 ∠A 의 각의 이등분선이므로

AD 
AP 
RD 
PR    
∆ABP 에서 AB  
 AD 이므로  AB  
AP    , [해설]
∆ABP 는 직각삼각형이므로

AP , 
AB  라 하면 위 그림에서 A 에 칠할 수 있는 색은  가지, B 에는
   A 에 칠한 색을 제외한  가지, C 에는 A B 에 칠한
AP  
AB         
BP 
색을 제외한  가지, D 에는 A C 에 칠한 색을 제외
∴BP  ∴ PC      
한  가지, E 에는 A D 에 칠한 색을 제외한  가지

AQ 의 연장선과 
BC 의 연장선이 만나는 점을 점 E 를 칠할 수 있다.
라 하면 따라서 색칠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는
 ×  ×  ×  ×    이다.

25) [정답] 

[해설] 점  는        의 그래프가  축과 만나

는 점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DAE  ∠AEP (엇각)이므로 ∆APE 는 
        

AP 
PE 인 이등변삼각형 
이므로 축의 방정식은   
∴
CE     

∆EAB 에서  QC  
AB 이고 즉    이므로   


EC  
EB         이므로

QC  
AB      
∴       
 

QC    
QC      ∆ 와 ∆ 의 밑변의 길이는   로 같으므로

QC    QC ,  
QC   ∴
QC   넓이의 비가    가 되려면 높이의 비가    이어야 한

따라서 사각형 ABCD 는 한 변의 길이가  인 정사 다.

각형이고 
BP 
CP    이므로  

      

I410-ECN-0199-2021-001-001401574
고1 17
     ,   
∴  따라서 
CF 라 하면 
IA 
AD 
CH 

 
∴     ×    ×    이제 

AD // 
AD  
FH 이므로
HF 
DR  
FR     …㉠
26) [정답]   
ID // FC 이므로
[해설] (ⅰ) 
 이 유리수인 경우 
FC  
DI 
FQ  
DQ    …㉡

   ( 는 자연수)의 꼴이어야 한다. ㉠, ㉡에서 FQ   QR  
RD     
따라서 가능한 자연수 는       ⋯   이므로 이제 
PQ // 
AR 이므로
구하는 자연수  은 
FQ   FR   PQ  
AR 에서
 ,  ,  , ⋯,  
      AR
의  개이다.
∴
AR  
(ⅱ)   이 유리수인 경우
   ( 는 자연수)의 꼴이어야 한다. 29)
따라서 가능한 자연수 는       ⋯   이므로
구하는 자연수  은
tip [중2] 닮은 도형의 성질

 ,  ,  ⋯,  [직각삼각형의 닮음]


의  개이다. 한 예각의 크기가 같은 두 직각삼각형은 닮은 도형이다.
[닮은 도형의 성질]
(ⅲ)   이 유리수인 경우
∙ 닮은 두 평면도형의 닮음비가   이면

  
 이므로 (ⅰ)과 동일하다.
두 도형의 넓이의 비는   
이상에서 세 수   , 
 , 
 이 모두 무리
수가 되게 하는 자연수  의 개수는 [정답] 
       (개)이다. [해설]

27) [정답] 

[해설] 이차함수     의 그래프가 지나는 점의 좌표

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CE 
ME  
DE    라 하자.
(ⅰ)    일 때 가능한  의 값은 삼각형 DEM 이 직각삼각형이므로
, , , , 의 개
     
(ⅱ)    또는    일 때 가능한  의 값은
       ,   
, , , , 의 개
  
(ⅲ)    또는    일 때 가능한  의 값은
△EDM △MAI ( AA 닮음)이므로
, , 의 개

ED EM MA MI

이상에서 이차함수 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      
MI

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내부에 있는 점 중에서  좌  
MI
표와  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의 개수는 
GI     
  ×   ×    (개)이다. 또 △EDM △HGI ( AA 닮음)이므로

DM 
ED  GI 
HG
28) [정답] 
[해설]     
GI 
HG       
HG

HG 

HG 
HB  
따라서 구하는 값은
        

30)

AG 와 
BC 의 연장선의 교점을 H 라 하면
∆ADG ≡ ∆HCG ASA합동

DA 와 
CE 의 연장선의 교점을 I라 하면
∆IAE ≡ ∆CBEASA합동

I410-ECN-0199-2021-001-001401574
18 고1

tip [중3] 원주각의 성질

[원주각의 성질]
원에서 한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모두 같다.

⇨ ∠APB  ∠AQB  ∠ARB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의 성질]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에서
(1) 마주보는 두 각의 크기의 합은  이다.

⇨ ∠A  ∠C   , ∠B  ∠D  

(2) 한 외각의 크기는 그 외각과 이웃한 내각에 대한


대각의 크기와 같다.

⇨ ∠DCE  ∠A

[정답] ⑤
[해설] 다음 그림과 같이 ∆PBC 의 외접원 O′ 과
∆QAB 의 외접원 O″ 을 그리면

원 O′ 에서 원주각의 성질에 의하여


∠RBC  ∠RPC  라 하고,
원 O″ 에서 원주각의 성질에 의하여
∠ABR  ∠AQR  라 하자.
이때 사각형 ABCD 는 원 O 에 내접하므로
∠ADC     
∆PDQ 에서 ∠PDQ  ∠ADC    
따라서 다각형 PDQ 에서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이
         이므로
세 점 P , R , Q 는 일직선 위에 있다.
∴ ∠PRQ  

I410-ECN-0199-2021-001-00140157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