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www.ebsi.co.

kr

05 21068-0006 07 21068-0008

그림은 연역적 탐구 방법의 과정 중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2가지 생명 과학 탐구의 사례이다.
(가)~(다)는 결과 정리 및 분석, 가설 설정, 탐구 설계 및 수행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가) 구달은 오랜 시간 동안 침팬지의 행동 특성을 관찰하였다.
관찰된 여러 특성을 종합한 결과 침팬지는 도구를 사용한
관찰 및 가설과 일치 결론
(가) (나) (다) 다는 결론을 내렸다.
㉠`문제 인식 도출
(나) 플레밍은 푸른곰팡이가 세균 증식 억제 물질을 만들 것이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라고 생각하였다. ㉠ 동일한 조건의 배지에서 배양한 세균
보기 을 두 집단으로 나누고 집단별로 푸른곰팡이 배양액 첨가
여부를 달리하여 각 집단의 세균 증식량을 조사하였다.
ㄱ. (가)에서 변인 통제가 이루어진다.
ㄴ. (나)에서 ㉠을 해결하기 위한 잠정적인 답을 설정한다.
ㄷ. (다)의 결과가 가설과 일치하지 않으면 (가)에서부터 다시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시작한다. 보기

ㄱ. (가)에서 귀납적 탐구 방법이 이용되었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ㄴ. ㉠은 독립변인에 해당한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ㄷ. (나)에는 가설 설정 단계가 포함되어 있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6 21068-0007

다음은 탄저병 백신을 개발하는 과정의 일부를 순서 없이 나열한


것이다.

08
(가) ㉠ 독성을 약화시킨 탄저균으로 만든 백신을 접종받은 양
21068-0009
들만 살아남았다.
(나) 닭콜레라처럼 ㉠을 양에게 주사하면 탄저병 예방 효과가 표는 A~C에서 3가지 특징의 유무를 나타낸 것이다. A~C는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개구리, 짚신벌레, 박테리오파지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다) 오래 방치된 콜레라균을 주사 맞은 닭이 왜 콜레라를 가볍
특징 구분 A B C
게 앓고 곧 회복되는지 궁금하였다.
핵산을 갖는다. ◯ ◯ ?
(라) 양을 집단 A와 B로 나누어 집단 A는 ㉠을 주사한 뒤 일
세포 분열을 한다. × ? ⓑ
정 시간이 지난 후 탄저균을 주사하였고, 집단 B는 ㉠을
수정란이 발생 과정을 거친다. ? ⓐ ×
주사하지 않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탄저균을 주사하였다.
(◯: 있음, ×: 없음)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보기

ㄱ. A는 실험군에 해당한다. ㄱ. ⓐ와 ⓑ는 모두 ‘◯’이다.


ㄴ. 양의 생존 여부는 종속변인이다. ㄴ. A에서는 스스로 핵산이 합성된다.
ㄷ. 탐구 과정은 (나)`→`(다)`→`(라)`→`(가)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ㄷ. B는 다세포 생물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1 생명 과학의 이해 00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