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

3.

항상성과 몸의 조절

생명과학Ⅰ 3-3.방어 작용(01)

2. 다음은 병원체가 우리 몸에 침입하는 다양한 경


❚유형1. 질병과 병원체의 종류와 특성
zb2 )

로를 정리한 것이다. (가)는 사람에서 면역 결핍을


1. zb1 ) 표는 사람의 질병을 A 와 B 로 구분하여 나타낸 일으키며, (다)는 감염 시 급성 설사 증상을 나타낸
것이다. A 와 B 는 각각 감염성 질병과 비감염성 질 다.
병 중 하나이다.
병원체 감염 경로
구분 질병 (가) 수혈이나 오염된 주삿바늘에 의해 감염된다.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 ㉡소아마비, ㉢말
A 감기
라리아, ㉣칸디다증, ㉤결핵 (나)
바이러스
B 낫 모양 적혈구 빈혈증, ㉥당뇨병
(다) 병원체에 오염된 물을 섭취하여 감염된다.
<보기>에서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의 개수는?

<보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


혈우병은 B 의 예에 해당한다. 로 고른 것은?

㉠의 병원체는 보조 T 림프구를 파괴한다. <보기>


㉥은 혈액에서 간세포로 포도당의 이동을 촉진하는 약 ㄱ. (가)와 (다)는 같은 종류의 병원체이다.
물을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다. ㄴ. (나)에 들어갈 알맞은 말로 ‘환자의 기침 등을 통해
㉠~㉤ 중 병원체가 핵막을 가지는 것은  개다. 방출된 병원체가 호흡기를 통해 침입한다.’가 있다.
광우병을 일으키는 병원체와 ㉡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ㄷ. (다)는 물과 음식물을 끓이거나 익혀서 먹는 것으로
모두 핵산을 갖는다. 예방 가능하다.
페니실린은 ㉤의 병원체에 있는 펩티도글리칸의 형성을 ㄱ ㄴ ㄱ, ㄷ
억제한다. ㄴ, ㄷ ㄱ, ㄴ, ㄷ
개 개
개 개
개

I410-ECN-0199-2023-001-000255116 - 1 -
[발전] 3-3.방어 작용(01)

❚유형2. 특이적 방어 작용
4. 그림은 인체가 세균 X 에 처음 감염되고 일어나
3.
zb4 )

zb3 ) 다음은 생쥐에서 세균 A 에 감염 시 일어나는 면 는 반응을 나타낸 것이다.


역반응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과정이다.
[실험과정]
(가) 정상생쥐, 생쥐 A , 생쥐 B 를  마리씩 준비한다.
생쥐 A : 대식세포 결핍
생쥐 B : X 선에 의해 흉선이 파괴된 생쥐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나) 세균 A 를 생쥐에 감염시킨다.
(A )는  차 면역반응, (B )는  차 면역반응을 나타낸 것
(다) 감염 후  일까지 생쥐들의 생존율을 측정한다.
이다.
[실험결과]  가지 유형의 생존곡선X  Z 가 관찰되었다.
( B )는 세포성 면역을 나타낸 것이다.
X  Z는 정상 생쥐, 생쥐 A , 생쥐 B 를 순
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HIV 바이러스는 (가)에 감염되어 증식한다.
(나)는 기억세포이다.
(다)는 혈액을 통해 온몸으로 이동한다.

5. zb5 ) 표는 쥐에서 항암제 A B 의 투여에 따른 T 림프


구와 대식 세포의 활성을, 그림은 쥐에 암세포를 주
입하고 항암제 A B 의 투입 여부에 따른 쥐의 생
존율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항암제 A 항암제 B
T 림프구 활성 ++++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 대식세포 활성 + ++++
른 것은?(단, 정상생쥐, 생쥐 A , 생쥐 B 모두 세균 A
(+: 활성 정도를 나타냄)
에 처음 노출되었으며 이식거부반응은 발생하지 않는
다.)

<보기>
ㄱ. Y 는 생쥐 A 이다.
ㄴ. Z에 항원제시세포를 이식하면 생존률이 증가한다.
ㄷ.  일 이후 XY 에는 세균 A 에 대한 기억세포가 존재
한다.
ㄱ ㄴ ㄱ, ㄷ
ㄴ, ㄷ ㄱ, ㄴ, ㄷ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 와 B 의 투여 여부를 제외한 모든
조건은 동일하다.)

<보기>
ㄱ.  개월이 지난 이후 항암제 A 의 효과는 거의 없다.
ㄴ. 이 암세포에 대한 항암 효과는 T 림프구가 대식세포
보다 좋다.
ㄷ. 이 암세포 제거 효과는   차 방어 작용이 모두 활
성화될 때가 한 가지 방어 작용만 활성화될 때보다
좋다.
ㄱ ㄴ
ㄱ, ㄷ ㄴ, ㄷ
ㄱ, ㄴ, ㄷ

I410-ECN-0199-2023-001-000255116 - 2 -
[발전] 3-3.방어 작용(01)

6. zb6 ) 그림 (가)는 세균 P 가 인체에 침입했을 때 일어 8. zb8 ) 그림 (가)~(다)는 체내에 항원 X 가 침입했을 때


나는 방어 작용을, (나)는 세균 P 에 처음으로 감염 일어나는 방어 작용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된 사람 ⓐ~ⓒ에서 시간에 따른 체내 세균 P 의 수
를 나타낸 것이다. ⓐ~ⓒ는 각각 정상인, 세포 ㉠이
결핍된 사람, 세포 ㉡이 결핍된 사람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고른 것은?
<보기>
<보기> ㄱ. (가)에서 대식 세포는 분해된 항원 X 의 조각을 보조
ㄱ. ⓐ는 세포 ㉠이 결핍된 사람이다. T 림프구에게 제시한다.
ㄴ. 구간 Ⅰ에서 ⓑ는 세균 P 에 대한 비특이적 면역이 ㄴ. (나)는  차 면역 반응이며 체액성 면역이다.
일어난다. ㄷ. (나)와 (다)는 (가)과정 없이 항원 X 를 무력화 할 수
ㄷ. 구간 Ⅱ에서 생성된 항체는 ⓑ가 ⓒ보다 많다. 있다.
ㄱ ㄴ ㄱ ㄴ
ㄱ, ㄴ ㄴ, ㄷ ㄱ, ㄷ ㄴ, ㄷ
ㄱ, ㄴ, ㄷ ㄱ, ㄴ, ㄷ

7. zb7 ) 그림 우리 몸의 방어 작용 중 일부를 나타낸 것


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가) 과정은 비특이적 방어 작용이다.
ㄴ. ㉠은 골수에서 분화하고 성숙된다.
ㄷ. ㉡에서 만든 항체는 항원 X 에만 결합한다.
ㄹ. ㉠이 분화되어 ㉢이 되면 더 이상 세포 분열을 하지
않는다.
ㄱ, ㄴ, ㄷ ㄱ, ㄴ, ㄹ
ㄱ, ㄷ, ㄹ ㄴ, ㄷ, ㄹ
ㄱ, ㄴ, ㄷ, ㄹ

I410-ECN-0199-2023-001-000255116 - 3 -
[발전] 3-3.방어 작용(01)

❚유형3. 1차 면역 반응과 2차 면역 반응
10. 다음은 바이러스 X 에 대한 생쥐의 방어 작용 실
9.
zb1 0 )

zb9 ) 다음은 항원 ㉠과 ㉡에 대한 생쥐의 방어 작용 험이다.


실험이다.
[실험 과정]
[실험 과정 및 결과]
(가) 유전적으로 동일하고 X 에 노출된 적이 없는 생쥐
(가) 유전적으로 동일하고 항원 ㉠과 ㉡에 노출된 적이 A , B , C 를 준비한다.
없는 생쥐 Ⅰ~Ⅲ 을 준비한다.
(나) 생쥐 A 의 왼쪽 귀에 X 를 감염시킨다. 감염  일
(나) Ⅰ~Ⅲ 에 순서대로 주사액 ~ 을 주사한다. 주사
후 생쥐 A 에서 혈청과 보조 T 림프구를 각각 분
액 ~ 은 항원 A , 항원 A 와 B , 생리식염수가 담
리한다.
긴 주사액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며, 항원 A 와 B
는 ㉠과 ㉡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다) 생쥐B 에는 (나)에서 분리한 혈청을 주사한 후 X
(다) 일정 시간이 지난 후 각 생쥐에서 혈청을 얻어 ㉠, 를 감염시키고, 생쥐 C 에는 (나)에서 분리한 보
㉡, 생리식염수와 반응시켜 항원 항체 반응 여부를 조T 림프구를 주사한 후 X 를 감염시킨다.
조사하였다. (라) 감염  일 후, 생쥐 B 와 생쥐 C 의 왼쪽 귀에서
살아있는 X 의 수를 각각 측정한다.
항원
㉠ ㉡ ㉠과 ㉡ 생리식염수
혈청
Ⅰ + + ⓐ -
Ⅱ - - - -
Ⅲ + - + -
(+ : 일어남, - : 일어나지 않음)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항체는 항원과 반응할 수 있는 충분
한 양이 생산되었으며, 제시된 조건 이외는 고려하지
않는다.)

<보기>
ㄱ. ⓐ는 ‘+’이다.
ㄴ. 주사액  는 생리식염수이다.
ㄷ. 생쥐 Ⅲ 은 항원 A 에 대해  차 방어 작용이 일어났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
다. 로 고른 것은? (단, 제시된 조건 이외의 모든 실험 조
ㄱ ㄷ 건은 동일하다.)

ㄱ, ㄴ ㄴ, ㄷ <보기>

ㄱ, ㄴ, ㄷ ㄱ. (다)의 생쥐 B 에서는 X 에 대한  차 면역 반응이 일


어난다.
ㄴ. (라)의 생쥐 B 에서는 보조 T 림프구의 염증 반응이
일어난다.
ㄷ. (라)의 생쥐 C 에서는 생쥐 A 에게서 전달받은 보조
T 림프구에 의해 면역 작용이 감소했다.
ㄱ ㄷ ㄱ, ㄷ
ㄴ, ㄷ ㄱ, ㄴ, ㄷ

I410-ECN-0199-2023-001-000255116 - 4 -
[발전] 3-3.방어 작용(01)

11.
zb1 1 ) 그림은 세균 X 에 처음으로 감염된 생쥐 A~C 에 12.
zb1 2 ) 다음은 항원 A 와 B 의 면역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서 시간에 따른 세균 X 의 수를 나타낸 것이다. 위한 자료이다.
A~C 는 각각 정상 생쥐, 대식 세포가 결핍된 생쥐,
항원 A 를 실험 동물 X 에, 항원 B 를 실험 동물 Y 에
림프구가 결핍된 생쥐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
 차 주사하고 일정 시간 뒤 A 를 X 에, B 를 Y 에  차
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
주사하였다.
은?
그림은 X 에서 혈중 항체 a 의 농도의 변화와 Y 에서
혈중 항체 b의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항체 a
는 항원 A 에 대한 항체이고, 항체 b는 항원 B 에 대한
항체이다.

<보기>
ㄱ. A 는 림프구가 결핍된 생쥐이다.
ㄴ. 구간Ⅰ에서 X 에 대한 식균 작용은 A 에서보다 B 에
서 활발하다.
ㄷ. 구간Ⅱ에서 X 에 대한 항체 농도는 B 에서보다 C 에
서 높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ㄱ ㄴ ㄱ, ㄷ 고른 것은?
ㄴ, ㄷ ㄱ, ㄴ, ㄷ <보기>
ㄱ. 구간Ⅰ 에서 X 의 체내에서는 항원 A 에 대한 방어 작
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ㄴ. 구간 Ⅱ 에서 X 의 혈중 항체 a 농도가 감소하는 것
은 형질세포의 수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ㄷ. 구간 Ⅲ 에서 X 의 체내에서는 기억세포에서 항체 a
가 생성된다.
ㄱ ㄴ
ㄱ, ㄴ ㄱ, ㄷ
ㄱ, ㄴ, ㄷ

I410-ECN-0199-2023-001-000255116 - 5 -
[발전] 3-3.방어 작용(01)

13.
zb1 3 ) 그림 (가)는 병원체 P  과 P  를, (나)는 어떤 사람 14.
zb1 4 ) 다음은 항원 X 에 대한 생쥐의 방어 작용을 확인
의 체내에 병원체 ㉠과 ㉡이 침입했을 때 시간에 따 하는 실험이다.
른 혈중 항체 ⓐ와 ⓑ의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
[실험 과정]
과 ㉡은 각각 P 과 P  중 하나이고, ⓐ와 ⓑ는 각
(가) 유전적으로 동일하고 X 에 노출된 적이 없는 생쥐
각 항원 X 에 대한 항체와 항원 Y 에 대한 항체 중
㉠~㉢을 준비한다.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나) ㉠에게 X 를  주일 간격으로 총 두 번 주사한다.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다)  주 후, (나)의 ㉠에서 ⓐ와 ⓑ를 분리한다.
(라) ㉡에게 ⓐ를, ㉢에게 ⓑ를 각각 주사한다.
(마) 일정 시간이 지난 후, ㉡과 ㉢에게 X 를 주사한다.

[실험 결과]
㉡과 ㉢의 X 에 대한 혈중 항체 농도 변화는 다음과 같
다.

이때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단,


ⓐ와 ⓑ는 혈청과 X 에 대한 기억 세포 중 하나이다.)

(나)의 ㉠에게서  차 방어 작용이 발생하였다.


<보기>
구간 Ⅰ 에서 X 에 대한  차 면역 반응이 발생한다.
ㄱ. ㉡은 P 이다.
구간 Ⅱ에서 X 에 대한 비특이적 방어 작용이 발생한
ㄴ. 구간 Ⅰ에는 항원 Y 에 대한 기억 세포가 존재한다. 다.
ㄷ. 구간 Ⅱ 에서 항원 X 에 대한 비특이적 방어 작용과 ㉡에게 주사한 ⓐ에는 X 에 대한 항체가 포함되어 있다.
항원 X 에 대한  차 면역 반응이 모두 일어난다.
ⓑ와 X 를 건강한 쥐에게 동시에 주사하면  차 방어 작
ㄴ ㄷ 용이 발생한다.
ㄱ, ㄴ ㄱ, ㄷ
ㄱ, ㄴ, ㄷ

I410-ECN-0199-2023-001-000255116 - 6 -
[발전] 3-3.방어 작용(01)

15.
zb1 5 ) 그림 (가)는 생쥐 A 에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항 17.
zb1 7 ) 다음은 병원체 Ⅰ Ⅱ Ⅲ Ⅳ 에 대한 자료와 실
원 X 를 두 번 투여하였을 때 시간에 따른 항체의 험을 나타낸 것이다.
농도를, 그림 (나)는 생쥐 A 가 항원 X 에  차 감염되
다음은 병원체 Ⅰ~Ⅳ에 존재하는 모든 항원을 나타낸
었을 때 혈청을 분리 한 후 생쥐 B 에게 주사하고
것이다.
 개월 후에 항원 X 를 주사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실험]
그림 (가), (나), (다)는 실험 이전에 항원 A~D 에 노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 출된 적이 없는 유전적으로 동일한 세 생쥐에게 각각
로 고른 것은? 병원체 ㉠~㉣ 중  개의 병원체를 충분한 시간 간격으
로 주사하였을 때 항체 X~Z의 농도 변화 여부를 각
<보기> 각 나타낸 것이다.
ㄱ. B 는 A 의 혈청을 주사 받은 직후 항체의 농도가 증 ㉠~㉣은 각각 Ⅰ~Ⅳ 중 하나이고, X~Z 는 항원
가한다. A~D 중 하나와만 결합하는 항체이며, X~Z가 결합
ㄴ. 항원X 를 주사 받은 B 의 체내에서는  차 면역반응이 하는 항원의 종류는 모두 다르다.
일어난다.
ㄷ. 분리된 A 의 혈청은 B 에게 주사하기 위한 백신으로 [결과]
사용되었다.
ㄹ. A 에서는 기억세포가 형성되지만, 항원X 를 주사 받
은 B 에서는 기억세포가 형성되지 않는다.
ㄱ ㄷ ㄱ, ㄴ
ㄴ, ㄹ ㄴ, ㄷ, ㄹ

❚유형4. 백신의 작용 원리

16.
zb1 6 ) 표는  종류의 쥐 ㉠~㉣에서 면역 능력을 알아보
기 위해  가지의 병원균 백신 A ∼ C 를 주사한 후
항체 생성 여부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 ㉡ ㉢ ㉣
A + + + -
B + - + -
C + - - -
(+: 항체 생성됨, -: 항체 생성 안 됨)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
고른 것은?
로 고른 것은? (단, 실험 전 모든 쥐는 위  가지 병원
균에 감염된 적이 없다.) <보기>
ㄱ. Y 는 항원 D 와 결합하는 항체이다.
<보기>
ㄱ. 실험 후에 ㉢은 백신 C 에 대한 기억 세포가 있다. ㄴ. (다)에서 ㉡과 ㉠ 사이에 주사한 병원체는 Ⅳ 이다.
ㄷ. X~Z 중 ㉣과 응집하는 항체의 수는 ㉠과 응집하는
ㄴ. 면역 능력 획득 효과는 백신 B 보다 백신 A 가 높다.
항체의 수보다 많다.
ㄷ.  가지 병원균에 모두 감염되었을 때 병에 걸릴 가능
ㄱ ㄴ
성은 ㉠이 가장 높다.
ㄱ ㄴ ㄷ ㄱ, ㄷ ㄴ, ㄷ

ㄱ, ㄴ ㄱ, ㄷ ㄱ, ㄴ, ㄷ

I410-ECN-0199-2023-001-000255116 - 7 -
[발전] 3-3.방어 작용(01)

❚유형5. 면역 관련 질병 ❚유형6. 혈액의 응집 반응과 혈액형

18.
zb1 8 ) 그림은 HIV 에 감염된 어떤 사람에서 시간에 따 19.
zb1 9 ) 그림은 Rh 식 혈액형의 판정 과정을, 표는 사람
른 혈중 ㉠과 ㉡의 수를 나타낸 것이다. ㉠과 ㉡은 Ⅰ 과 Ⅱ Rh 식 혈액형 판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각각 HIV 보조 T 림프구 중 하나이다. Rh 응집원에 노출된 적이 없는 Rh  형인 사람의
혈액에는 Rh 응집소가 없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구분 항 Rh 혈청
사람 Ⅰ 응집 안 됨
ㄱ. ㉠은 보조 T 림프구이다.
사람 Ⅱ 응집됨
ㄴ. 구간 (가)에서 HIV 에 대한 체액성 면역이 일어났다.
ㄷ. HIV 에 감염되어  년 경과 후에는 비특이적 방어 능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력이 상실된다. 고른 것은? (단, Ⅰ 과 Ⅱ 는 ABO 식 혈액형이 서로 같
고, 다른 사람으로부터 수혈을 받은 적이 없다.)
ㄱ ㄴ
ㄷ ㄱ, ㄴ <보기>

ㄱ, ㄴ, ㄷ ㄱ. ㉠에 Rh 응집원이 있다.
ㄴ. ㉠과 ㉡을 섞으면 응집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ㄷ. Ⅰ 과 Ⅱ 의 혈액을 채혈하여 섞으면 응집 반응이 일
어난다.
ㄱ ㄷ
ㄱ, ㄷ ㄴ, ㄷ
ㄱ, ㄴ, ㄷ

I410-ECN-0199-2023-001-000255116 - 8 -
[발전] 3-3.방어 작용(01)

20.
zb2 0 ) 다음 그림은 A 형인 영희의 혈액을 철수의 혈액과 21.
zb2 1 ) 그림 (가)는 응집소  와 응집소  에 형광을 띠는
섞었을 때 응집 반응 결과를, 표는 영희의 혈액을 물질을 결합시킨 모습을, (나)는 철수와 동생의 혈액
혈구와 혈장으로 분리하여 학생  명의 혈액과 반 에 (가)의 물질을 소량 첨가한 후 원심분리 했을 때
응시킨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단, (가)-(라)의 혈액 각 층에서 방출되는 형광색을 나타낸 것이다. (단,
형의 종류는 다 다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적색 형광과 녹색 형광이 함께 나타나면 노란색 형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광으로 표현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


로 고른 것은?
영희의 혈액 <보기>
ABO 식 혈액형 인원(명)
혈구 혈장 ㄱ. 철수는 응집소  를 가지고 있다.
(가) + +  ㄴ. 동생은 철수에게 수혈이 가능하다.
(나) + - 
ㄷ. O 형인 사람의 혈액을 이용해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
(다) - +  면 동생과 같은 결과가 나타난다.
(라) - -  ㄱ ㄷ ㄱ, ㄴ
(+ : 응집함, - : 응집 안 함)
ㄱ, ㄷ ㄴ, ㄷ
<보기>
ㄱ. 철수의 혈액형은 (라)의 경우와 같다.
ㄴ. 응집소 ㉠은  , 응집소 ㉡은  이다.
ㄷ.  명의 학생 중 응집소 ㉠을 가진 학생은  명이다.
ㄱ ㄴ ㄱ, ㄴ 22.
zb2 2 ) 그림은 항 Rh 혈청을 만들고, 이 혈청을 이용하여

ㄴ, ㄷ ㄱ, ㄴ, ㄷ 철수와 영희의 Rh 식 혈액형을 판정하는 과정을 나


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a 는 응집소이다.
b는 붉은털원숭이의 체내에서 생성된 것이다.
철수는 Rh  이고 영희는 Rh 이다.
붉은털원숭이의 적혈구는 b와 응집 반응이 일어난다.
영희와 붉은털원숭이의 적혈구에는 동일한 응집원이 있
다.

I410-ECN-0199-2023-001-000255116 - 9 -
[발전] 3-3.방어 작용(01)

23.
zb2 3 ) 그림은 영수의 혈액 응집 반응 결과를 나타낸 것 25.
zb2 5 ) 표는 ABO 식 혈액형이 서로 다른 영희와 철수의
이고, 표는  명의 학생으로 구성된 집단 X 를 대 혈액을 혈구와 혈장으로 분리하여  명의 학생 집
상으로 ABO 식 혈액형에 대한 응집원 ㉠과 응집소 단 혈액과 반응시킨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학생 집
㉡의 유무를 조사한 것이다. 이 집단에는 영수가 포 단에는 A 형, B 형, AB 형, O 형이 모두 있으며,
함되지 않으며, A 형, B 형, AB 형, O 형이 모두 있 Ⅰ~Ⅳ 는 각각 A 형, B 형, AB 형, O 형 중 하나이
다. 다.

ABO 식 철수의 혈액 영희의 혈액


학생 수(명)
혈액형 혈구 혈장 혈구 혈장
Ⅰ + + + - 
Ⅱ ? - + ㉡ 
Ⅲ - + ㉠ - ?
구분 사람 수(명)
Ⅳ - - + - 
응집원 ㉠이 있는 사람 
(+ : 응집됨, - : 응집 안 됨)
응집소 ㉡이 있는 사람 
응집원 ㉠과 응집소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단, 

㉡이 모두 있는 사람 명의 학생 집단에 철수와 영희는 포함되지 않고,
X 에서 ‘영수에게 소량이라도 수혈이 가능한 사람의 수 ABO 식 혈액형만 고려한다.)
 영수가 소량이라도 수혈해 줄 수 있는 사람의 수’는 ㉠과 ㉡은 모두 ‘-’이다.
몇 명인가? Ⅳ 의 혈액 속에 있는 응집소는 Ⅲ 의 혈액에도 존재한
  다.
  영희의 혈액과 항 A 혈청을 섞으면 응집 반응이 일어
 난다.
Ⅰ 의 혈액형을 가진 학생은 Ⅱ 의 혈액형을 가진 학생
에게 소량 수혈할 수 있다.
24.
zb2 4 ) 다음은 학생 ㉠~㉣ ABO 식 혈액형에 대한 자료 이 학생 집단에서 항 A 혈청에 응집되는 혈액을 가진
이다. ㉠~㉣ 중  명씩 같은 ABO 식 혈액형을 나타 학생의 수가 응집되지 않는 혈액을 가진 학생의 수보다
낸다. 적다.

㉠의 혈액은 A 형 표준혈청과 응집반응이 일어난다.


㉡의 적혈구와 ㉢의 혈장을 섞으면 응집반응이 일어난
다.
㉢의 적혈구와 ㉣의 혈장을 섞으면 응집반응이 일어나
지 않는다.
㉠의 혈액에 응집소  와 응집소  가 모두 존재하지
않는다.
㉢의 혈액은 B 형 표준혈청과 응집반응이 일어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주어진 조건만 고려한다.)

<보기>
ㄱ. ㉠~㉣ 중 O 형이 있다.
ㄴ. ㉢의 혈액은 A 형 표준혈청과 응집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ㄷ. ㉣은 ㉡에게 소량이라도 수혈해줄 수 있다.
ㄱ ㄷ
ㄱ, ㄴ ㄴ, ㄷ
ㄱ, ㄴ, ㄷ

I410-ECN-0199-2023-001-000255116 - 10 -
[발전] 3-3.방어 작용(01)

8) [정답]
[해설] ㄴ) (가)는 항원 제시, (나)는 세포성 면역, (다)는 체
액성 면역이다. ㄷ) 대식 세포가 항원을 제시하여 보조
1) [정답] T림프구를 활성화하지 않으면 보조 T림프구의 도움이
[해설] A는 감염성 질병, B는 비감염성 질병이다. 필요한 세포독성 T림프구와 B림프구는 특이적 방어 작
혈우병은 비감염성 질병이다. 용을 할 수 없다.
㉠의 병원체는 바이러스로 보조 T 림프구를 파괴한
다. 9) [정답]
당뇨병은 혈중 포도당을 세포로 흡수 및 간에서 포도 [해설] ㉠은 항원 A, ㉡은 항원 B이다.
당을 글리코젠으로 합성하는 과정을 촉진하는 인슐린 ㄱ. Ⅰ에는 항원 A와 B를 모두 넣었으므로 항체가 생
분비를 증가시키거나, 인슐린 민감도를 증가시키는 약 긴다.
물 등으로 치료할 수 있다. ㄴ. Ⅱ는 어떠한 항체도 생기지 않았으므로 주사액 2는
㉠~㉤ 중 병원체가 핵막을 가지는 것은 원생생물인 생리식염수이다.
말라리아의 병원체와 곰팡이인 칸디다증의 병원체로 2 ㄷ. Ⅲ은 항원 A에 대해 항체를 생성했으므로 2차 방
개이다. 어 작용이 일어났다.
광우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프리온으로 핵산을 갖지
10) [정답]
않는다.
[해설] ㄴ)염증반응은 비특이적 방어 작용으로 비만세포에
페니실린은 펩티도글리칸의 형성을 억제한다.
의해 일어났다. ㄷ)주사한 보조 T림프구는 생쥐 C의 B
2) [정답] 림프구 분화를 촉진하고, 세포 독성 T림프구를 활성화
[해설] ㄱ.(가)는 사람 면역 결핍 바이러스(HIV)이고, (다)는 시켜 면역 작용을 증강시킨다. (라)의 생쥐 C 에서 살아
콜레라이다. HIV는 바이러스의 일종이고 콜레라는 세균 있는 X 의 수가 적으므로 면역작용이 활발했음을 알 수
이므로 서로 다른 종류의 병원체이다. 콜레라는 물과 있다.
음식물을 끓이거나 익혀 먹고, 음식물을 만지기 전이나
배변을 본 후 손을 잘 씻는 것으로 예방 가능하다. 11) [정답]
[해설] ㄱ)A는 대식세포가 결핍된 생쥐, B는 림프구가 결핍
3) [정답] 된 생쥐, C는 정상 생쥐이다. ㄴ)구간 Ⅰ에서 식균 작
[해설] ㄱ)Y는 흉선이 파괴된 생쥐 B이고 Z가 대식세포가 용은 대식세포가 결핍된 A보다 림프구만 결핍된 B에서
결핍된 생쥐 A이다. ㄷ)흉선이 파괴된 생쥐 Y의 경우 더 활발하다. ㄷ)구간 Ⅱ에서 X에 대한 항체 농도는 림
보조 T림프구의 도움이 없어 B림프구가 기억세포로 분 프구가 결핍된 B보다 C에서 높다.
화하지 않는다.
12) [정답]
4) [정답] , [해설] ㄱ) 구간 Ⅰ에서 X의 체내에서는 항원 A에 대한 비
[해설] 1)A는 비특이적 방어 작용, B는 특이적 방어 작용이 특이적 방어 작용이 일어나고 있다. ㄷ) 구간 Ⅲ에서 X
다. 2)B는 항체에 의한 체액성 면역을 나타낸 것이다. 의 체내에서는 기억 세포가 형질 세포로 분화된 후 항
4)(가)는 보조 T림프구, (나)는 형질세포, (다)는 항체이 체 a를 생산한다.
다.
13) [정답]
5) [정답] [해설] ㉠은 P  , ㉡은 P  이다. 항체 ⓐ는 항원 Y와 결합하
[해설] ㄴ) 대식 세포를 활성화하는 항암제 B를 투여했을 때 고, 항체 ⓑ는 항원X와 결합한다. 구간 Ⅰ에 항원 Y에
가 T림프구를 활성화하는 항암제 A를 투여했을 때보다 대한 기억세포가 존재하므로 구간 Ⅱ에서 항원 Y에 대
생존율이 높으므로 이 암세포에 대한 항암 효과는 T림 한 2차 면역 반응이 일어난 것이다.
프구보다 대식 세포에서 더 좋다.
14) [정답] ,
6) [정답] [해설] 3) 구간 Ⅱ에서 X는 없고 X에 대한 항체만 존재하므
[해설] ⓐ는 대식 세포가 결핍된 사람, ⓑ는 보조 T림프구가 로 X에 대한 방어 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4) ⓐ 는 X
결핍된 사람, ⓒ는 정상인이다. ㄷ) 구간 Ⅱ에서 생성된
에 대한 기억 세포, ⓑ 는 X에 대한 항체가 든 혈청이
항체는 보조 T림프구가 결핍된 사람보다 정상인이 더
다. 5) ⓑ 와 X를 건강한 쥐에게 주사하면 1차 방어 작
많다. 보조 T림프구의 도움이 없으면 B림프구가 항체를
용이 발생한다.
생산하는 형질 세포로 분화하지 못한다.
15) [정답]
7) [정답]
[해설] ㄴ)항원 X 를 주사 받은 B 의 체내에서는 X 에 대한
[해설] ㄱ. (가)의 과정은 대식세포가 관여하므로 비특이적
기억 세포가 없으므로 1차 면역반응이 일어난다. ㄷ)분
방어 작용에 해당한다.
리된 A 의 혈청은 B 에게 주사하기 위한 면역혈청으로
ㄴ. ㉠은 B세포이며 골수에서 분화하고 성숙한다.
이용된다. 백신은 병원성이 제거된 항원을 의미한다.
ㄷ. ㉡은 형질세포이며 항원 X에 의해 만들어진 항체는
항원 X에만 결합한다. ㄹ) B 에서도 기억세포가 형성된다.
ㄹ. ㉢은 기억세포이며 동일한 항원에 다시 감염되면
16) [정답]
형질세포로 분화하여 항체를 더 빠르고 많이 만들어낸
[해설] ㄱ.쥐 ㉢은 백신 C 에 대한 항체를 생성하지 않았으
다.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1) 제작연월일 : 2023-04-28 2) 제작자 : 교육지대㈜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 11 -
전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저작권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제작
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I410-ECN-0199-2023-001-000255116
[발전] 3-3.방어 작용(01)

므로 C 에 대한 기억세포가 만들어지지 않았다. ㄴ.백 200-27=173이다.


신 B 는 쥐 ㉠, ㉢에서 항체를 생성하도록 하였고, 백
24) [정답]
신 A 는 쥐 ㉠, ㉡, ㉢에서 항체를 생성하도록 하였으
[해설] ㉠와 ㉡은 AB형, ㉢과 ㉣은 A형이다.
므로 면역 능력 획득 효과는 더 많은 항체를 미리 만들
ㄱ. ㉠~㉣ 중 O형은 없다.
어 기억 세포를 만들도록 한 백신 A 가 더 높다. ㄷ.3
가지 병원균에 감염되었을 때 병에 걸릴 가능성은 어떤 25) [정답] , ,
항체도 만들지 못한 쥐 ㉣이 가장 높다. [해설] Ⅱ는 O형, Ⅲ는 AB형, Ⅰ과 Ⅳ는 각각 A형 또는 B형
이다. 철수는 Ⅳ과 같은 혈액형이고 영희는 AB형이다.
17) [정답]
2) AB형은 응집소를 갖지 않는다.
[해설] ㄱ. Y는 항원 B와 결합하는 항체이다. X는 C와, Z는
4) A형 또는 B형은 O형에게 소량 수혈을 할 수 없다.
D와 결합한다.
ㄴ. ㉠은 Ⅲ, ㉡은 Ⅱ, ㉢은 Ⅰ, ㉣은 Ⅳ이다. (다)에서
㉡과 ㉠ 사이에 주사한 병원체는 Ⅳ이다.
ㄷ. ㉣은 Ⅳ이며 X, Z와 결합하고, ㉠은 Ⅲ이며 의 Y,
Z와 결합한다.

18) [정답]
[해설] ㉠은 보조 T림프구, ㉡은 HIV이다. 구간 (가)에서
HIV에 대한 체액성 면역이 일어났기 때문에 HIV의 수
가 감소한 것이다. ㄷ) HIV는 보조 T림프구를 숙주로
삼아 특이적 방어 작용이 잘 일어나지 못하게 하지만
비특이적 방어 능력을 상실하지는 않는다.

19) [정답]
[해설] ㄴ) ㉠의 Rh 응집원과 ㉡의 Rh 응집소가 응집 반응

을 한다. ㄷ) Ⅰ은 Rh 이지만 Rh 응집원에 노출된 적
이 없으므로 Rh 응집소가 없어서 Ⅰ 과 Ⅱ 의 혈액은
응집하지 않는다.

20) [정답]
[해설] (가)는 B형이고 철수와 (나)는 O형이고, (다)는 AB형
이며, (라)는 영희와 같은 A형이다. ㄱ)철수는 O형이고
(나)의 경우와 같다. ㄷ)응집소㉠은 응집소  이므로 이
를 가진 학생은 B형과 O형이다. 따라서 9+7=16명이다.

21) [정답]
[해설] 혈액 원심 분리 시 가라앉는 것은 응집원이 존재하는
혈구 성분이다. 응집소는 혈장에 존재한다. 따라서 철
수는 적혈구 막에 응집원 B 를 갖는 B 형, 동생은 응집
원 A B 를 갖는 AB 형이다. ㄴ)동생은 AB형이므로 B
형인 철수에게 수혈이 불가능하다. ㄷ)O형의 경우 혈장
에서 노란색 형광이 나타난다.

22) [정답]
[해설] 1)적혈구 표면의 a는 Rh 응집원 D이다. 2)b는 토끼
의 체내에서 생성된 Rh 응집소 δ이다. 3)토끼의 혈청

속 δ와 응집반응을 한 철수가 Rh 이고, 응집반응을

하지 않은 영희가 Rh 이다. 5)영희의 적혈구에는 Rh
응집원이 없고, 붉은털 원숭이의 적혈구에는 Rh 응집원
이 있다.

23) [정답]
[해설] ㉠을 응집원 A, ㉡을 응집소 β라고 할 때 A형은 47
명, B형은 52명, AB형은 27명, O형은 74명이다. ㉠을
응집원 B, ㉡을 응집소 α라고 할 때는 A와 B의 인원수
만 바뀌고 나머지 혈액형들의 인원수는 같다.
영수는 AB형이므로 영수에게 수혈이 가능한 사람의 수
는 모두 가능하기에 200명이다. 영수가 수혈해 줄 수
있는 사람의 수는 AB형이므로 27명이다. 따라서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1) 제작연월일 : 2023-04-28 2) 제작자 : 교육지대㈜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 12 -
전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저작권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제작
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I410-ECN-0199-2023-001-00025511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