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갑국의 성별 고용률> (단위: %)

고용됨 고용되지 않음 합계
남성 75 25 100
여성 60 40 100

Q1. 갑국의 고용된 남성의 비율은 고용되지 않은 여성의 비율보다 높다.


A1. ○
→ 비율(%) 간 비교는 동일 집단 내에서도 가능하고, 다른 집단끼리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첫 번째 질문은 표에 주어진 비율을 비교하여 갑국의 고용된 남성의 비율 75%와 고용
되지 않은 여성의 비율 40%를 단순 비교해서 답할 수 있는 질문이다.

Q2. 갑국의 고용된 남성의 수는 고용되지 않은 남성의 수보다 높다.


A2. ○
→ 같은 집단 안에서의 인구수의 크기 비교는 비율을 비교하여 할 수 있다.
갑국 남성 인구가 400명이었다면 고용된 남성 인구수는 400명×0.75(75%)=300명, 고
용되지 않은 남성의 인구수는 400명×0.25(25%)=100명이 된다. 전체 남성의 인구가
400명이 아니었어도 언제나 고용된 남성의 수가 고용되지 않은 남성의 수보다 많았을
것이다. 이처럼 집단 전체의 인구를 모르는 상황이라도 같은 집단 내에서 인구수를 비교
하는 것은 비율의 크기를 비교하는 것으로도 가능하다.

Q3. 갑국의 고용되지 않은 남성의 수는 고용된 여성의 수보다 적다.


A3. 알 수 없다.
→ 각 집단의 인원을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비율로 구성원의 수(인원, 인구)를 비교하는 것
은 같은 집단 내에서만 가능하며, 다른 집단 간의 비교는 불가능하다.
표의 갑국에서 고용되지 않은 남성의 비율은 25%, 고용되지 않은 여성의 비율은 40%로
고용되지 않은 남성의 비율보다 고용되지 않은 여성의 비율이 더 높지만, 그렇다고 해서
인구수 또한 그럴 것이라고 단정 지어서는 안 된다. 만약 갑국의 전체 남성의 인구가
10000명, 여성의 인구가 1000명이었다면 남성 인구 10000명 중 고용되지 않은 남성의
수는 10000×0.25(25%)=2500명, 여성 인구 1000명 중에 고용된 여성의 수는
1000×0.4(40%)=400명이므로 실제 인구수는 고용되지 않은 남성 쪽이 고용된 여성보
다 더 많은 게 된다. 각 집단의 인원에 대한 단서가 주어지지 않은 채 비율만 제시된 자
료에서 비율의 크키로 집단의 수를 비교해서는 안 되는 이유이다. 물론 갑국의 전체 여
성 수와 전체 남성 수가 같다는 조건이 제시되었다면 비율의 비교를 통해 인구수의 크기
를 비교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을국 고등학생의 음식 선호도 변화> (단위: %)

치킨 떡볶이 마라탕
2020년 30 30 40
2023년 15 35 50

Q4. 2020년에 비해 2023년에 마라탕을 좋아하는 고등학생 수의 증가율이 감소했다면


전체 고등학생 수 증가율은 어떻게 나타날까?
마라탕을 좋아하는 고등학생 수  
A4. 마라탕을 좋아하는 고등학생 비율(A) =  × 
전체 고등학생 수  
로 구한다. 표에 의하면 마라탕을 좋아하는 고등학생 비율(A)은 40%에서 50%로 증가하였
마라탕을 좋아하는 고등학생 수  
는데, 이는 분수  의 값이 커졌다는 뜻이다.
전체 고등학생 수  
분수의 값이 커지려면 분모의 증가율보다 분자의 증가율이 더 커야 한다. 반면 분모의 감소
율보다 분자의 감소율이 더 작아야 한다. 질문에서 마라탕을 좋아하는 고등학생 수의 증가
율이 감소했다고 제시되어 있기 때문에 마라탕을 좋아하는 고등학생 수의 증가율의 감소보
다 전체 고등학생 수 증가율의 감소가 더 급격하게 나타나야 할 것이다.
그림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이 된다.

마라탕을 좋아하는 고등학생 수  


마라탕을 좋아하는 고등학생 비율(A) =  × 
전체 고등학생 수 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