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9

한국어 화용론

화용론

• 인칭 직시: 사람을 가리키는 직시다. 화자가 대화 참여자들의 역할을 정해


서 그 사람을 직접 지시하는 것을 말한다.
직시
• 한국어 화용론에서 주의해야 할 인칭대명사1-”우리”
• 1. 자기와 함께 자기와 관련된 여러 사람을 다 같이 가리킬 때, 또는 자기나
자기 편을 가리킬 때 쓰는 말
• 2. 일부 명사 앞에서 말하는 이와 관련된 것을 친근하게 가리키는 말(우리
나라, 우리글…)
• 우리 좀 쉬었다 가자. (청자와 화자 포함)
• 우리 먼저 갈게. (청자는 포함하지 않음)
• 우리는 내일 하노이에 가요. (청자는 포함하지 않음)
• 우리 집은 후에에 있어요. (나의 집을 의미함)
• **우리 와이프는 참 착한 사람이야. (나의 아내를 의미함)
화용론

• 한국어 화용론에서 주의해야 할 인칭대명사2-”저희”

직시 • 1. 말하는 사람이 상대방에 대하여 자기 자신을 포함해서 자기와 관련된 여


러 사람을 겸손하게 가리키는 말
• 2. 앞에서 이미 이야기했거나 나온 적 있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

• 저희가 하겠습니다. (청자는 포함하지 않음)


• 저희는 내일 한국어 공부를 할 거예요. (청자는 포함하지 않음)
• 저희 집은 후에에 있습니다. (청자는 포함하지 않음/우리 집의 높임 표현)

• 문제: 다음 문장에서 밑줄 친 저희는 어떤 의미일까요?


• 어제 오랜만에 친구들을 만났는데, 맛있는 것은 저희들이 다 먹고 나는 맛없
는 것만 주더라고.
화용론

• 한국어 화용론에서 주의해야 할 인칭대명사3-당신

직시 • 1. 듣는 이를 조금 높여 가리키는 말
• 2. 부부간에 서로 상대방을 가리키는 말
• 3. 맞서 싸울 때나 언쟁을 할 때 상대방을 얕잡아 가리키는 말
• 4. 윗사람을 높여서 부르는 말

• (문제) 다음 밑줄 친 당신의 의미를 말해 보세요.


• 1. 어제 할아버님을 뵈었는데, 그 일은 당신께서 꼭 하시겠다고 말씀하셨어.
• 2. 당신 나 좀 도와줄 수 있어요.
• 3. 당신 몇 살이야?
• 4. 당신을 다시 만날 날만을 기다리겠어요.
화용론

• 시간 직시: 시간을 나타내 주는 직시 표현이다.


직시
• 정국은 비빔밥을 먹었다.
• 정국은 비빔밥을 먹는다.
• 정국은 비빔밥을 먹겠다.

• 지수는 베트남으로 가는 비행기 안에서 편지를 쓴다.


• 지수는 베트남으로 가는 비행기 안에서 편지를 썼다.
화용론

• 한국어 화용론에서 주의해야 할 시간 직시1-현재시제를 미래시제 대신 사


용하는 경우
직시
• 1. 미래에 일어날 일이 확실한 때에는 현재시제를 쓴다.
• (예) 정국은 내일 하노이에 놀러 간다.
• (예) 히엔은 다음 달에 한국에 간다.
• 2. 반복적인 동작이나 습관을 나타내는 말은 현재시제를 쓴다.
• (예) 지구는 태양 주위를 돈다.
• (예) 지수는 매일 아침 6시에 일어난다.
• 3. 진리, 항상 변함없는 사실은 현재시제를 쓴다.
• (예)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 (예) 사람은 누구나 죽는다.
화용론

• 한국어 화용론에서 주의해야 할 시간 직시2-과거시제가 현재시제나 미래시


제 대신 사용하는 경우
직시
• 주로 ‘–었/았’을 사용해서 표현한다.

• 1. 발화 시간과 사건 시간이 일치하는 경우(동작의 현재완료를 뜻함)


• (예) 지수도 지금 의자에 앉았다. (‘앉아 있다’로 바꿔 쓸 수 있다.)
• 2. 동작의 지속(계속)을 나타낼 때
• (예) 그녀는 하루 종일 책을 읽었다. (‘읽고 있다’로 바꿔 쓸 수 있다)
• 3. 미래의 일을 표시하는 경우(반어적인 표현)
• (예) 너 (이제) 결혼은 다 했다.
• (예) 너 (이제) 공부는 다 했다.
• (예) 너 (이제) 밥은 다 먹었다.
화용론

• 장소 직시: 발화와 관련된 사람과 사물의 위치를 직접 지시하는 것


직시
• 장소 직시 표현으로 사람을 직시하는 경우가 있다.

• 문제: 1과 2의 문장을 보기와 같은 뜻으로 만들 때 알맞은 말은?


• (보기) 이 사람은 지수이고 저 사람은 정국이야.
• 1. 여ㄱ는 지수이고 저ㄱ는 정국이야.
• 2. 이ㅉ은 지수이고 저ㅉ은 정국이야.
화용론

직시 • 장소 직시에서 주의해야 할 표현-오다 vs 가다

• 오다: 말하는 사람 쪽으로 움직여 위치를 바꾸다


• (예) (집에 있는 엄마) 편지를 받는 즉시 집으로 오너라.

• 가다: (사람이나 탈 것이 어떤 곳으로) 자리를 옮겨 움직이다


• (예) 정국이는 여기 있다가 방금 밥 먹으러 갔다.
화용론 연습 문제

• 다음 ( ) 안에서 맞는 말을 고르세요.
1 • (학교에 있는 선생님) 감기에 걸려 결석했던 프엉이 오늘은 학교에 (오
는/가는) 날이다.

• 다음 ( ) 안에서 맞는 말을 고르세요.
2
• (집에 있는 엄마가 학교에서 돌아오는 딸에게) 학교에 갔다가 집에
(오면/가면) 손부터 씻어라.
화용론 연습 문제

• 다음 ( ) 안에서 맞는 말을 고르세요.
3 • (후에에 살고 있는 짱) 이번 방학에는 후에를 떠나 호치민으로 여행을
(오고/가고) 싶다.

4 • 다음 ( ) 안에서 맞는 말을 고르세요.
• 나는 아파서 못 가는데 너는 내일 동창회에 (올/갈) 거니?
화용론 연습 문제

• 다음 ( ) 안에서 맞는 말을 고르세요.
5 • (예비 장모가 예비 사위에게) 우리 집으로 장가를 (오려면/가려면) 마
음이 착해야 한다.

6 • 다음 ( ) 안에서 맞는 말을 고르세요.
• 나는 학교에 있다가 지금 책을 사러 서점에 (오고/가고) 있다.
화용론 연습 문제

• 다음 ( ) 안에서 맞는 말을 고르세요.
7 • (진해에 살고 있는 사람) 4월이 되면 이곳 진해에는 벚꽃 구경을 (오는/가
는) 사람들로 온 도시가 초만원이 된다.

• 다음 ( ) 안에서 맞는 말을 고르세요.
8
• (학교에서 친구끼리) 내일 오전에 수업이 끝나면 오후에는 병원에 입원한
친구 문병을 (와야/가야) 해.
화용론 연습 문제

• 다음 ( ) 안에서 맞는 말을 고르세요.
9 • (옌의 엄마가 집에서) 한국에 갔던 옌이 비행기에서 내려서 지금 집에
(오는/가는) 중이야.

10 • 다음 ( ) 안에서 맞는 말을 고르세요.
• (학교에서 선생님들끼리) 그는 우리 학교에 선생님으로 (왔다/갔다).
화용론 연습 문제

• 다음 ( ) 안에서 맞는 말을 고르세요.
11 • (후에에 있는 학생이 한국에 있는 선생님에게) 선생님, 언제 베트남에
(오세요/가세요)?

• 다음 ( ) 안에서 맞는 말을 고르세요.
12
• (학생이 집에서) 방학 동안 집에만 있었는데 오늘은 학교에 (오는/가
는) 날이다.
화용론

직시 • 장소 직시에서 주의해야 할 표현-돌아오다 vs 돌아가다

• 돌아오다: (사람이나 동물이 원래의 장소로) 다시 오는 상태가 되다


• (예) 겨울 동안 강남(남쪽 나라)에 갔던 제비가 우리 마을에 돌아왔다.

• 돌아가다: (사람이 원래 있던 곳이나 이전에 있던 곳으로) 다시 가다


• (예) (술집에서 친구가) 밤이 늦었으니 어서 집으로 돌아가라.
화용론 연습 문제

• 다음 ( ) 안에서 맞는 말을 고르세요.
1 • (집에서 딸이)오랫동안 해외에서 근무하던 아버지가 집으로 (돌아오자/
돌아가자) 우리집에 많은 변화가 생겼다.

2 • 다음 ( ) 안에서 맞는 말을 고르세요.
• (한국에서 후엔이) 나는 이제 그만 고향에 (돌아오고/돌아가고) 싶다.
화용론 연습 문제

• 다음 ( ) 안에서 맞는 말을 고르세요.
3 • (전주에서 한국 친구가)이번에 베트남에 (돌아오면/돌아가면) 언제 다
시 한국에 올 거야?

• 다음 ( ) 안에서 맞는 말을 고르세요.
4
• (후에에서 학생이)한국에서 대학원을 마치고 (돌아오면/돌아가면) 베
트남에서 통역사로 일하고 싶습니다.
화용론

• 사회 직시: 대화 참여자들의 사회적 신분이나 관계를 언어 구조 속에 직접


지시하는 것으로 높임법과 관련이 있다.
직시

• (문제) 다음 문장은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하는 말인지, 아니면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하는 말인지 말해보세요.
• 1. 아버지께서 오셨다.
• 2. 지수가 도착했어요.
• 3. 선생님 안녕히 주무셨어요?
• 4. 김선생님은 따님이 있으신지요?
• 5. 사장님, 아드님의 결혼식을 축하드립니다.
화용론

• 함축(implicature): 화자는 대화 상황에서 청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함축
문장의 내용을 통해서 직접적으로 표현하기도 하지만,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우회적으로 돌려서 다른 표현으로 전달하는 경우도 있다.
• 발화를 할 때 그 내용이 문장 표현의 의미 그대로 나타나는 것을 ‘말해진 것’
이라고 한다면, 그 문장의 표현 의미와는 다르게 화자가 의도하는 바를 전하
는 것을 ‘암시된 것’이라고 하는데, 이 때 문장의 발화에 의하여 암시된 내용
을 함축이라고 한다.
• 함축은 관습적 함축과 대화적 함축으로 나눌 수 있다.
화용론

• 관습적 함축: 발화 문장에 사용된 단어의 관습적 자질에 의해서 전달되는 함


축을 말한다.
함축
• (예) 나도 너처럼 건강하다면 좋을 텐데.
• 위 예에서는 ‘나는 건강하지 않다’는 것을 함축하고 있다. 그것은 연결 어미
‘-다면’이 항상 어떤 상황을 가정하여 그 조건에 따라 다른 행위를 하거나
다른 상태에 있음을 암시하기 때문이다. 이 ‘-다면’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관
습적 의미라고 한다.

• 참고: -다면
• 정국이 지금이라도 열심히 공부하겠다면 하라고 해라.
• 지민이 아빠 약을 먹었다면 큰일인데.
화용론 연습 문제

• 다음 밑줄 친 곳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무엇입니까?


1 • 언제 _________________ 말을 안 들었으면 좋겠다.
• 1. 결혼하고 2. 결혼하면 3. 결혼하느냐는 4. 결혼해서

• 다음 밑줄 친 곳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무엇입니까?


2
• 말씀하신 그 건물이 어디에 ________ 잘 모르겠는데요.
• 1. 있어서 2. 있는지 3. 있으니까 4. 있을테니까
화용론 연습 문제

• 다음 밑줄 친 곳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무엇입니까?


3 • 응우엔은 ____________ 조금도 모르는 사람이다.
• 1. 예의니까 2. 예의로서 3. 예의라든지 4. 예의라고는

• 다음 밑줄 친 곳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무엇입니까?


4
• 의사 선생님께서 저에게 오늘은 기분이 좀 _____________ 물으셨어요.
• 1. 좋으냐고 2. 좋을 테니까 3. 좋았으면 4. 좋았다고
화용론

• 1. -느냐는: 묻는 말을 인용하여 뒤에 오는 말을 수식할 때 쓴다. 주로 뒤에 ‘질


함축 문, 말, 사람’ 등의 명사가 온다.
• (예) 한국의 어떤 점이 좋았느냐는 질문을 자주 받는다.
• 2. –는지: 막연한 의문을 나타낸다.
• (예) 어떤 문제가 틀렸는지 정답과 맞춰 봐야겠다.
• 3. –라고는: 앞 명사를 지정하여 강조할 때 쓴다. 일반적으로 뒤에는 부정의 뜻
을 가지는 말이 와 그 상황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 (예) 그가 가진 거라고는 천 원짜리 한 장뿐이야.
• 4. –으냐고: 누군가 한 질문 내용을 인용하거나 전달할 때 쓴다. ‘-으냐고’ 뒤에
는 주로 ‘묻다’, 질문하다’, ‘하다’, ‘말하다’ 등이 쓰인다.
• (예) 정국이 나에게 지수가 예쁘냐고 물어서 그렇다고 했어.
화용론 연습 문제

• 다음 밑줄 친 곳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무엇입니까?


1 • 그렇게 혼이 _________ 아직 정신을 못 차리니?
• 1. 나며 2. 나니까 3. 나고도 4. 나면

• 다음 밑줄 친 곳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무엇입니까?


2
• 돈이 ______________ 사람들이 그렇게 좋아하는 걸까.
• 1. 무엇이든 2. 무엇이길래 3. 무엇일 테니까 4. 무엇만큼
화용론 연습 문제

• 다음 밑줄 친 곳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무엇입니까?


3 • 지수는 ___________ 우연히 친구를 만났다.
• 1. 퇴근한 길에 2. 퇴근하는 길에 3. 퇴근하라고 길에 4. 퇴근해야지 길에

• 다음 밑줄 친 곳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무엇입니까?


4
• 책을 많이 ________ 좋은 글을 쓸 수 있다.
• 1. 읽는 반면에 2. 읽어야지 3. 읽고는 4. 읽는 데다가
화용론

• 1. –고도: 앞의 사실이나 느낌에 상반되거나 또 다른 특성이 이어짐을 나타낸다.


함축
• (예) 영희는 슬픈 영화를 보고도 울지 않는다.
• 2. –길래: 뒤에 오는 문장의 원인이나 이유, 근거를 나타낸다.
• (예) 날씨가 덥길래 창문을 열었다.
• 3. –는 길에: ‘가거나 오는 도중이나 기회에’의 의미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 (예) 지수는 시내에 갔다 돌아오는 길에 새로 나온 책을 사왔다.
• 4. -아/어야지: 앞선 행위나 상태가 뒤의 상황이 이루어지는데 반드시 필요한 조
건임을 나타낸다.
• 한국어 실력이 좋아야지 그 회사에 들어갈 수 있어.
화용론 연습 문제

• 다음 밑줄 친 곳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무엇입니까?


1 • 그녀는 다이어트를 한다고 매일 _________ 한다.
• 1. 굶다시피 2. 굶는 이상 3. 굶는다며 4. 굶거니와

• 다음 밑줄 친 곳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무엇입니까?


2
• 우물을 _______ 한 우물을 파라.
• 1. 파되 2. 파라든지 3. 파듯이 4. 파고자 해서
화용론 연습 문제

• 다음 밑줄 친 곳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무엇입니까?


3 • 제발 ____________ 그는 들은 척도 하지 않는다.
• 1. 돕는지 2. 도와달래도 3. 도울까 4. 돕는 한편

• 다음 밑줄 친 곳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무엇입니까?


4
• 비록 몸이 __________ 마음은 보통 사람들보다 더 건강하다.
• 1. 불편하지 2. 불편할망정 3. 불편하지 않으면 4. 불편하니까
화용론

• 1. –다시피: 실제로 그 행동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동작에 가깝게 함을 나


함축 타낸다.
• (예) 어제는 일이 많아서 거의 밤을 새우다시피 했어요.
• 2. –으되: 앞 내용을 인정하면서도 그에 대한 단서가 있음을 나타낸다.
• (예) 자유롭게 토론하되 꼭 한국말로 해야 합니다.
• 3. –으래도: 어떤 행위를 할 것을 명령하거나 부탁하지만 그것과 관게없는 내
용이 오거나 반대되는 내용이 옴을 나타낼 때 쓴다.
• (예) 아무리 씻으래도 아이가 말을 듣지 않아요.
• 4. –을망정: 앞 문장에는 다소 부정적인 사실이 오는 반면에 뒤 문장에는 이와
반대되는 내용이 오거나 다소 긍정적인 사실이 온다.
• (예) 우리 학교는 작은 학교일망정 역사는 오래 되었다.
화용론

• 관습적 함축
함축

• 문제: 다음 두 문장의 차이점을 설명해 보세요.


• 1. 이 문제는 제니가 풀어도 풀 수 없다.
• 2. 이 문제는 제니가 풀어도 풀 수 있다.

• (참고)-아도/어도: 앞선 행위나 상태와 관계없이 꼭 뒤의 일이 있음을 나타낸다.


• 아무리 바빠도 아침밥은 꼭 먹는 것이 좋아요.
• 천재여도 이 문제는 풀 수 없다.
화용론 연습 문제

1 • 다음 문장에서 밑줄 친 저희들은 어떤 의미인지 설명해 보세요.


• 어제 오랜만에 친구들을 만났는데, 맛있는 것은 저희들이 다 먹고 나는 맛없는
것만 주더라고.

• 다음 밑줄 친 당신의 의미는 무엇인지 설명해 보세요.


2
• 당신 몇 살이야?
• 당신 나 좀 도와줄 수 있어요.
화용론 연습 문제

• 다음 중 어색한 문장은 무엇입니까?

3 • 1. 히엔은 다음 달에 한국에 간다.


• 2. 지구는 태양 주위를 돈다.
• 3. 지수는 매일 아침 6시에 일어난다.
• 4.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었다.

• 다음 중 어색한 문장은 무엇입니까?


• 1. 지수도 지금 의자에 앉아 있다.
4 • 2. 그녀는 하루 종일 책을 읽었다.
• 3. 너 이제 결혼은 다 했다.
• 4. 너 이제 공부는 다 한다.
화용론

5 • 다음 중 어색한 문장은 무엇입니까?


• 1. (학교에 있는 선생님) 감기에 걸려 결석했던 프엉이 오늘은 학교에 오는
날이다.
• 2. 나는 아파서 못 가는데 너는 동창회에 갈 거니?
• 3. 나는 학교에 있다가 지금 책을 사러 서점에 오고 있다.
• 4. (학교에서 친구끼리) 내일 오전에 수업이 끝나면 오후에는 병원에 입원한
친구 문병을 가야 해.
화용론

• 다음 중 어색한 문장은 무엇입니까?


6
• 1. (집에서 딸이) 오랫동안 해외에서 근무하던 아버지가 집으로 돌아가자 우
리 집에 많은 변화가 생겼다.
• 2. (한국에서 후엔이) 나는 이제 그만 고향에 돌아가고 싶다.
• 3. (전주에서 한국 친구가) 이번에 베트남에 돌아가면 언제 다시 한국에 올
거야
• 4. (후에에서 학생이) 한국에서 대학원을 마치고 돌아오면 베트남에서 통역
사로 일하고 싶습니다.
화용론 연습 문제

7 • 다음 밑줄 친 곳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고르세요.


• 언제 __________ 말을 안 들었으면 좋겠다.
• ① 결혼하고 ② 결혼하면 ③ 결혼하느냐는 ④ 결혼해서

• 다음 밑줄 친 곳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고르세요.


8 • 응우엔은 _________________ 조금도 모르는 사람이다.
• ① 예의니까 ② 예의로서 ③ 예의라든지 ④ 예의라고는
화용론 연습 문제

9 • 다음 밑줄 친 곳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고르세요.


• 그렇게 혼이 ___________ 아직 정신을 못 차리니?
• ① 나며 ② 나니까 ③ 나고도 ④ 나면

• 다음 밑줄 친 곳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고르세요.


10 • 책을 많이 ___________ 좋은 글을 쓸 수 있다.
• ① 읽는 반면에 ② 읽어야지 ③ 읽고는 ④ 읽는 데다가
화용론 연습 문제

11 • 다음 밑줄 친 곳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고르세요.


• 그녀는 다이어트를 한다고 매일 _____________ 하고 있다.
• ① 굶다시피 ② 굶는 이상 ③ 굶는다며 ④ 굶거니와

• 다음 밑줄 친 곳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고르세요.


12 • 제발 ___________ 그는 들은 척도 하지 않는다.
• ① 돕는지 ② 도와달래도 ③ 도울까 ④ 돕는 한편
화용론 연습 문제

13 • 다음 밑줄 친 곳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고르세요.


• 비록 몸이 __________ 마음은 보통 사람들보다 더 건강하다.
• ① 불편하지 ② 불편할망정 ③ 불편하지 않으면 ④ 불편하니까

• 다음 두 문장의 차이점을 설명해 보세요.


14
• 1. 이 문제는 제니가 풀어도 풀 수 없다.
• 2. 이 문제는 제니가 풀어도 풀 수 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