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8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가이드북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08 한국현대문화의 지향 (1) 전통과 근대

교수자: 장문석

1차시 학습목표
2차시 동아시아의 경계를 넘은 이육사
3차시 이육사의 시 쓰기
4차시 현재를 바라보는 이육사의 삶의 태도
5차시 정리하기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강의 개요

주차명 한국현대문화의 지향 (2) 자유와 사랑

§ 한국현대문화의 주체로서 문화횡단적 근대성은 어떠한 주체가 어떻게 실천하였는지


학습목표
이해할 수 있다.
☑ 교수자 얼굴 위주 촬영 비디오 ☑ PPT슬라이드와 오디오
강의방식
□ 인터뷰 촬영 □ 대화 촬영 □ 현장 촬영

강의언어 ☑ 한국어 □ 영어 □ 기타( )

자막언어 ☑ 한국어 ☑ 영어 ☑ 중국어 □ 수어 □ 기타( )

차시 차시명 학습내용

핵심 질문 알아보기
1 학습목표
핵심 단어 알아보기

이육사의 유년 시절
2 동아시아의 경계를 넘은 이육사 이육사의 횡단하는 삶
이옥비 여사 인터뷰

노정기
3 이육사의 시 쓰기 청포도
이옥비 여사 인터뷰

세 작가의 고향
4 현재를 바라보는 이육사의 삶의 태도
과거와 현재, 미래

5 정리하기 강의 내용 예고

□ 동영상 강의 □ 읽기 자료(pdf 등) □ 퀴즈 등 연습문제 □ 토론/토의


학습
□ 시연 및 현장 방문 □ 실습(실험, 시뮬레이션) □ 개인 과제 □ 협력 과제
활동
□ 기타( )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2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한국어 스크립트 | Korean Script

1차시 |

여러분 안녕하세요? 한국문화의 토대와 가치 8주차입니다. 우리는 오늘부터 2주 간 한국문화의 가치


를 공부할 것입니다. 오늘은 한국현대문화의 가치 중 첫 번째 가치인 문화횡단적 근대성에 대해 공부하
도록 하겠습니다. 1차시에서는 오늘 강의에서 우리가 공부할 내용의 맥락을 간단히 소개하도록 하겠습니
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이르는 시기 한국과 동아시아의 국가들은 서구를 통해 세계를 만나게
됩니다. 그런데 이 만남은 불평등한 만남이기도 하였습니다. 19세기 말 당시 서구의 국가들은 자본주의
체제가 발달하였고, 이미 근대화를 이루었던 부강한 나라들이었습니다. 하지만 동아시아의 국가들은 아
직 근대화를 이루지 못한 상황이었습니다. 식민지 시기의 비평가 임화는 한국과 동아시아의 근대는 서구
자본주의가 동아시아에 도래하면서 시작하였다고 지적하였습니다. 그는 경제와 화폐가 순환하는 자본주
의의 특성으로 인해, 전 지구는 하나의 세계로 이어졌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아직 근대화를 이루지 못
한 상황에서, 동아시아의 국가들은 서구 근대사회의 정치체제와 문화를 수입하고 이식해야 했다고 말하
였습니다. 동아시아의 지식인들은, 이미 자본주의 체제를 구축한 서구의 국가를 선진적인 국가로 생각하
였고, 동아시아의 국가들을 후진적인 국가라고 생각하였습니다. 때로는 선진과 후진의 구도를 당연한 것
으로 받아들이고, 후진국은 선진국을 따라잡아야 한다라고 생각하였습니다. 19세기 일본의 사상가 후쿠
자와 유키치는 문명에는 선진과 후진이 있으며, 선진국이 후진국을 지배하는 것은 당연하다라고 생각하
였습니다. 그리고 동아시아의 지식인과 대중들은, 서양의 문화를 따라잡아야 할 목표로 생각하고 그것을
따라잡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하지만 서구와 비서구의 관계를 선진과 후진의 구도로 파악하지 않으려는 시각도 있었습니다. 폴란드
출신의 혁명가 로자 룩셈부르크는 자본주의는 비자본주의 환경을 전제로 성립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습
니다. 로자의 시각은 서구와 비서구의 관계를 선진과 후진의 구도로 설명하는 입장에서 벗어날 수 있도
록 도와줍니다. 로자의 생각은 자본주의가 이 세계를 균질하게 덮을 수 없다는 것을 말해주며, 이 세계
에는 자본주의 국가와 비자본주의 국가가 동시에 존재한다고 생각할 시각을 열어줍니다. 로자의 시각은
우리에게 세계의 불균등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 시각은 서구 문화를 근대적인 문화의 완
성이라고 보고, 동아시아 등 비서구의 문화를 근대에 미달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시각을 벗어나도록 해
줍니다. 동아시아의 문화는 서구의 문화를 따라잡을 때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동아시아의 문화는
현재의 모습 그 자체로 의미가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동아시아의 근대 문화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요? 비교문학 연구자 펑샤오옌은 기존의 문화이론이 문화 사이의 갈등과 충돌에만 주목하였다고 반성하
면서 근대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습니다. 그는 이미 연결되어 있는 여러 문화의
횡단을 통해 문화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진화해 간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근대 문화는 국가와 언어
의 경계를 넘을 뿐만 아니라, 과거와 현재, 지식인과 대중, 남성과 여성 등 안과 밖의 경계를 가로지르
면서 형성됩니다. 따라서 동아시아의 문화적 근대성은 동아시아의 전통문화와 서구의 근대문화의 경계를
횡단하면서 형성됩니다. 한국문화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한국의 현대문화는 문화횡단적 근대성을 그 특
징이자 가치로 지닙니다. 한국인은 문화횡단적 근대성의 주체로, 기존의 문화적 관습과 질서를 끊임없이
심문하면서, 그 경계를 넘어서 자신의 기획에 따라 문화를 창조하였습니다.
지금 저는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이육사 문학관에 와 있습니다. 이육사 문학관은 한국의 시인 이육
사를 기억하는 문화공간입니다. 이육사는 한중일 국가의 경계를 횡단하고, 한문 글쓰기와 한글 글쓰기를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3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횡단하고, 동아시아 문화와 서구문화를 횡단하고, 전통과 근대를 횡단하면서 한국 문화의 가치를 새롭게
창출하고자 하였던 문학자입니다. 8주차에서는 이육사의 이동과 문학적 실천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의 가
치로서 문화횡단적 근대성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질문은 “한국현대문화의 가치로서 문화횡단적
근대성은 어떠한 주체가 어떻게 실천하였는가”입니다. 핵심단어는 동아시아, 서구, 전통, 근대, 문화횡단
적 근대성입니다. 이것으로 1차시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4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기름질 옥, 아닐 비. 이옥비 여사님을 만나다.

질문: 안녕하십니까? 여사님, 간단하게 소개를 부탁을 드리겠습니다.

- 저는 이육사 문학관에 있는 이옥비고요. 이육사 선생님이 저희 아버지입니다.

질문: 여사님 성함은 이육사님께서 직접 지어주신 뜻 깊은 성함이라고 들었습니다.

- 네, 저희 아버지가 위로 아이를 둘이나 없앴기 때문에, 좀 더 저희들을 기다렸죠. 그래서 제가


늦깎이에 태어났기 때문에, 저희 삼촌들이 “경사 났다” 해서 서로 이름을 짓겠다고 그러셨대요. 그
런데 저희 아버지는 “너네들이 왜 짓냐? 내가 짓지." 이러면서 아무 이름을 지어주지 않았는데, 100
일 날 아침에 드디어 지었다고, 이름을 발표하겠다고 하시면서, 보통 ‘기름질 옥(沃)’자는 잘 쓰지
않잖아요. 그런데 거기에 또 ‘아닐 비(非)’자를 썼어요. ‘기름지지 않다’ 하면 좀 이상하잖아요. 그런
데 저희 아버지가 의미를 이야기하시기를 욕심 없이 남에게 배려하는 사람, 또 간디와 같은 사람이
돼라. 저는 그런 사람을 닮을 수 없죠. 그렇지만 아버지가 소망하시기를 그렇게 소망하시면서 이름
을 지어주셨대요.

시인 이육사의 고향, 원촌 마을

질문: 시인 이육사의 고향이고, 그리고 또 지금 이육사 문학관이 있는 원촌 마을은 사실 깊은 산


골의 농촌마을인 것 같습니다. 여사님, 처음 이 마을을 오셨을 때 어떠셨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 저는 여기에서 태어나지를 않았고, 처음 올 때가 저희 아버지 산소를 옮기던 해였어요. 제가 고


등학교 2학년 때 산소를 옮겼는데. 그때 전쟁이 지났기 때문에 우리가 아버지 산소, 할아버지 산소
를 다 소홀히 하고 있었거든요. 큰아버지 산소까지 소홀히 하고 있어서 우리 어머니가 느끼기를 전
쟁이 나면 우리가 가고 뵙고 싶어도 못 뵙잖아요. 그러니까 고향을 옮기시면 우리가 못 가도, 친척
들이라도 자주 가보실 수 있다, 이래서 옮기게 됐는데. 제가 고등학교 2학년 때 저희 어머니는 제가
상주라고 해서 흰옷을 해줬어요. 흰옷을 입고 왔는데, 그때가 5월 달이었어요. 온산이 진달래가 만
발했어요. 그래서 저는 상주라는 것을 잊어버리고, 이 산 저 산 넘으면서 좋아하고 그랬던, 진달래
가 참 돌아서면 진달래예요. 지금은 그렇게 없어요. 그런데 지금은 제가 생각할 때는 아마 그때는
6·25를 거쳐 가서 소나무를 다 베어가고 이래서 아마 일조량이 풍부하니까 진달래가 많은 듯해요.
지금은 얼마 없거든요. 그런데 정말로 아름다워서, 막 뛰어다니고 그랬더니, 우리 집안 할아버지들이
너는 상주가 그렇게 두서없이 뛰고 다닌다고 꾸지람을 들었거든요. 그래서 “조신해야 된다” 이래서
그게 저는 지금도 안 잊어버려요.

언터뷰어: 굉장히 아름다웠을 것 같습니다.

시인 이육사의 아내, 안일양 여사

질문: 어머님이신 안일양 여사님에 대해서는 어떻게 기억하고 계시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5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 저희 어머니는 부잣집에 태어나도 딸들을 공부를 시키지 않았어요. 그래서 한글을 겨우 붙여 읽


을 정도로 하고 왔는데, 저는 그랬어요. 그런 분이 우리 어머니가 우리 아버지 있는 데 왔으면 얼마
나 우리 아버지가 힘들었겠어요? 그런 생각을 종종 제가 하는데, 저희 어머니가 한 가지 좀 독특한
점은 재주가 있었어요. 우리 외가가 금광을 하셨는데, 저희 어머니 총무로 앉아서 있는데, 그 돈을
제가 지금도 기억나거든요. 마대에 꾹꾹 밟아서 밤새도록 돈을 다렸어요. 그런데 저희 어머니는 그
장부가 없어요. 그런데 머릿속에 다 있어요. 그러니까 우리 삼촌들이 누님한테는 못 따른다고, 총명
하다고 이렇게 할 정도였고. 우리 외가 쪽 사촌들도 우리 어머니가 울다가도 큰 고모 오신다고 그러
면, 우리 어머니가 12남매 맏딸이거든요. 아이들이 울다가 그쳐요. 그럴 정도로 무서운 분이었어요.
그리고 제게는 생각하면 사랑은 굉장히 많으신데, 항상 독보적이죠, 저희 어머니 말씀에 순종해야
되고. 또 그런 뜻이 있겠죠. 저는 우리 어머니라 하면 항상 무서운 어머니, 저희 어머니는 엄격했어
요.
남들에게도, 우리 집은 하숙을 했거든요. 그러면 학생들도 9시 이전에 들어오면 용납할 수 있고,
옛날에 학부모가 다 따라와요. 그러면 “이 학생을 내가 저녁에 통행금지가 9시다, 그거를 3번 하면
내가 부모님께 연락하겠다, 나는 그런 사람은 맡을 수가 없다.” 이렇게 하셨기 때문에, 저희 어머니
는 그러니까 더군다나 딸에게는 더하죠. 그래서 시간 끝나고 1시간 후에는 집에 도착해야 되는, 그
게 지금도 저희 친구들이, 지난 친구들이 “너희 어머니가 호랑이 할머니였잖아.” 그렇게 이야기합니
다. 저희 어머니가 약간 상록수적인 기질이 있었어요. 그래서 우리 집 역시 부자가 아닌데도 저희
어머님은 꼭 시골에 가면, 친정에나 시댁에 갔을 때 공부를 잘 하는데, 제가 돈이 없어서 학교를 못
간다고 그러면 저희 어머니는 “너 우리 집 와 있어라. 집하고, 방하고, 먹는 거는 내가 해줄 테니까,
너는 아르바이트 해서 공부해라.” 이래서 한 7명 그런 사람이 있었거든요. 그런 사람은 지금은 다
돌아가시고 세 분 남았어요. 그럴 정도로 남을 가르치고 이런 거를 좋아하셨어요. 우리 집에 일하는
아이들이 와 있었는데, 걔네들도 꼭 어머니가 야간을 가르치면서 처음에는 초등학교도 안 다닌 애니
까, 다 가르쳐서, 야간 부분에서, 시집도 가고 그런, 지금 생각하면 우리 어머니 같은 분이 많이 안
계신다, 어렵죠. 어려운 가운데에서도 아무리 돈이 있어도 그런 거를 못 하는 분들은 못 하거든요.
저희 어머니는 서슴없이 그렇게 하시고는 저녁에 오면, 옛날에 먹는 게 그렇게 귀했잖아요. 저희들
은 항상 밥은 충분하니까, 놋 양푼에다가 떠놔요. 떠놓고 이불 속에 넣어놨다가, 우리 집에는 여관
이라고 그랬어요. 삼덕동 88번지에 살았는데 88여관. 시골에서도 오면 하루 종일 돌아다니다가 우리
집에 와요. 그러면 저희 어머니가 “얘들아, 밥 차려 내오너라.” 그러면 저희들은 하숙을 하니까 음식
이 항상 준비가 되어 있으니까, 그렇게 해서 우리는 반찬 없다고 투정도 부리고 그랬지만, 그렇게
맛있게 먹을 때 우리가 이렇게 보고, “나도 밥 먹고 싶다.” 해서 같이 따라 먹던 그런 기억이 있거
든요. 우리 어머니가 항상 큰 가마솥에 밥을 한 그릇 가득 해도 밥이 우리 일하는 아줌마가 “큰일
났다, 오늘 객손님 오겠다” 이러면, “아줌마, 뭐 보고 알아?” 이러면 이 바가지를 씻다가 딱 이런
데 팍 엎어진대요. 그러면 손님이 온다는 거예요. 그러면 정말 통행금지가 되면 손님이 여덟 사람씩
이렇게 와요. 그래서 와서 우리 집에 방이 한 12개 됐거든요. 삼촌 식구들이 피난 오게 되니까, 이
제 원래 5개인데, 빈터가 있어서 거기에 방을 5개를 더 넣었어요. 그럴 정도로 저희 어머니가 그랬
고. 나중에는 저희 어머니도 사돈지도 쓰시고 그랬죠.

질문 : 사돈지가 뭡니까?
사돈지는 혼인선서예요. 조카나, 질녀나 결혼하고 그러면 사가에 첫 자녀들을 우리가 당신의 자녀
를 합하게 되었고 그런 게 영광스럽다, 그러고 새 살림 들어가고 우리는 몹시 기쁘다, 이런 식으로
쓰는 거예요, 언어를. 그러면 그쪽에서 또 사돈지가 오고 그렇죠.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6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시인 이육사의 어머니, 허길 여사

질문: 할머님이신 허길 여사는 어떤 분이셨나요?

- 허길 여사님은 저는 뵙지를 못했었어요 제가 태어나기 전에 돌아가셨으니까. 그런데 할머니는


우리 어머니가 정말 존경하는 분이에요.

질문: 어머님께서 할머님께 글을 배우셨다고 들었습니다.

- 예, 우리 어머니는 할머니가 다 가르쳐 주셨어요. 굉장히 저희 할머니가 시집을 오니까 그 동네


에서 제일 글을 잘 쓰시는 분이라고 그런 이야기를 하시고, 글을 쓰실 때도 훈육적인 글 이런 것도
잘 쓰시고, 또 사서삼경에 능통했다고 하고요. 그런데 어머니도 그거를 배워서 할머니 돌아가시고,
제가 자랐을 때는 신문 사설도 줄줄 읽으실 정도가 됐거든요. 그래서 저희 어머니는 친정어머니보다
시어머니가 나에게는 스승이다, 그렇게 제사지낼 때도 꼭 할머니가 좋아하시던, 할아버지, 할머니가
좋아하시던 음식을 해놓고 그렇게 설깃설깃 뒤에서 우시는 거예요. 그래서 이제 제가 물어봤죠. 엄
마는 세월이 그렇게 지났는데도 그렇게 눈물이 나느냐고, 친정 부모도 아닌데, 눈물이. 저는 제 기
준으로 물어봤어요. 그랬을 때 저희 어머니는 “너희 할머니는 나의 스승일 뿐더러, 만약에 할머니가
계시지 않았으면 내가 저희 집 귀신이 되지 못했다.” 그런 이유는 있어요. 저희 큰외삼촌이 같이 1
기생이잖아요. 그런데 그 어른이 실토를 해버린 거예요. 그래서 동지들이 잡혔잖아요. 그 날에서부터
저희 어머니는 아버지가 8년 동안 절교를 했어요. 둘째 언니 가졌을 때, 큰아들 가졌을 때까지는 그
냥 했는데, 둘째어머니가 둘째 언니가 태어날 때부터 화해를 한 거예요. 그래서 할머니, 할아버지가
계시지 않으셨으면 저희 어머니는 벌써 쫓겨나는 사람이죠. 그래서 저희 할머니가 크신 어른이라는
게, 항상 우리 할머니랑 숙모할머니가 숙모나 저희 큰어머니나 저희 어머니나 이렇게 보고, “너희들
은 내 딸이다” 이렇게 이야기를 하셨대요. 그런데 셋째 숙모님이 하위지 후손인데, 결혼을 해서 오
셨는데, 길게 앓지도 않고 그냥 가셨대요. 그래서 늘 상심을 하시면서 “너희들은 내 딸이다.” 그랬는
데, 아들이 가고 나니까 1년 반이 지나도 바늘 궤가 안 꿰인대요, 마음이 심란해서. 그렇다고 하면
서 자기 자신이 그런 게 있으면, 저 같으면 그거는 숨길 것 같아요. 왜냐하면, 며느리한테 “너희들
은 내 딸이다.”라고 했는데, 그런데 우리 할머니는 며느리들을 쭉 앉혀놓고, 내가 너희들한테 너무나
미안하다고 그렇게 이야기하시면서, 내가 셋째 아이 갔을 때는 1년 만에 바늘 귀를 꿸 수 있었는데,
내 간줄에 떨어진 자식이 가고 하니까, 1년 8개월이 됐는데 아직까지도 마음이 심란해서 바늘 귀를
꿰지 않는다. 이런 언행일치 못하는 애미를 용서해라, 그러면서 우리 어머니가 며느리들한테. 옛날에
는 어른이 하문하시면 그 말이 끝이잖아요. 그런데 저희 할머니는 며느리들한테 직접 미안하다고,
언행일치가 잘못 됐다고 그렇게 이야기를 하시면서. 저는 그 이야기를 들으면서 정말 “아이고, 나도
그런 할머니를 만났으면 좋을 건데, 먼저 가셨구나.” 이런 생각을 했거든요. 그러니까 우리 어머니가
존경할 만하죠.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7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2차시 |

여러분 안녕하세요, 2차시입니다. 이번 차시에서는 동아시아의 경계를 넘었던 이육사의 이동을 살


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육사 문학관은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원촌마을에 있습니다. 이곳은 기차
가 다니는 안동 시내에서도 40km 정도 떨어진 농촌 마을입니다. 지금도 자동차로는 30분 정도 걸
립니다. 원촌마을은 산과 강으로 둘러싸인 깊은 산골의 농촌 마을입니다. 이육사는 이곳 원촌마을에
서 1904년에 태어납니다. 그의 아버지는 퇴계 이황의 후손인 이가호였고, 어머니는 일본에 저항하였
던 의병장 허형의 딸 허길이었습니다. 이육사의 형제는 모두 6명이었는데 이육사는 그 중에서 둘째
였습니다. 그리고 넷째인 이원조도 유명한 평론가였습니다. 이육사는 조선 중기의 중요한 성리학자
인 퇴계 이황의 후손입니다. 퇴계 이황은 중국 송나라의 유학자 주자의 학문을 깊이 연구하였고, 이
곳 고향에서 후학들을 교육하였습니다. 퇴계 이황이 제자들을 가르쳤던 학교가 바로 도산서원입니
다. 도산서원은 낙동강가에 세워졌습니다. 낙동강은 강원도 태백에서부터 흐르기 시작해서 부산을
거쳐 바다로 흘러가는 700리의 강입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강입니다. 이황이 세상을 떠난 후
그의 학문은 일본으로 넘어 가서 일본에서 유학이 발전하는 데 영향을 주었습니다. 지금 대한민국에
서 사용하는 1000원권 지폐에는 퇴계 이황의 초상이 그려져 있습니다. 이곳 원촌마을은 도산서원에
서 5km 정도 떨어져있습니다. 이황의 후손이었던 이육사의 집안은 전통시대 동아시아의 이념인 유
학을 중요시하였습니다. 이곳 원촌마을은 퇴계 이황의 후손들이 모여서 살았던 마을입니다. 이육사
는 자신의 고향은 100여 집 정도가 모인 마을이며, 집안 대대로 내려오는 전통의 무게를 ‘무서운 규
모’라고 표현하였습니다. 한 가문의 사람들이 선조인 퇴계 이황의 학문과 가르침을 정신적 지주로
삼으면서 한 마을을 이루고 살았던 것입니다. 이육사는 전통을 존중하는 마을 분위기 가운데에서 자
라났습니다. 그는 유년시절 할아버지 이중직에게 한문을 배웠습니다. 6형제는 함께 유교의 경서를
소리 내어 읽었고, 한시와 한문산문을 써서 서로 실력을 겨루기도 하였습니다.
이육사가 쓴 글을 살펴보겠습니다. 그의 수필 은하수입니다.

내 나이가 칠팔 세쯤 되었을 때 여름이 되면 낮으로 어느 날이나 오전 열시쯤이나 열한 시경엔


집안 소년들이 함께 모여서 글을 짓는 것이 일과였다.

유년시절 이육사는 형제들과 모여서 한문으로 글을 썼습니다. 오언시, 칠언시, 과문, 논문 등을 썼


습니다. 글을 지은 후에는 어른들께 글을 보이고, 평가를 받았습니다. 1등을 하면 상품은 흰 종이
스무 장 한 권이었습니다. 이러한 모습은 전통시대 한국의 글쓰기 공부의 모습을 잘 보여줍니다. 이
육사와 형제들은 글을 배우고 그림을 배웠습니다. 또한 밤이 되면 할아버지는 이육사 형제들을 모아
서 밤하늘의 별자리를 가르쳐주었습니다. “저 별은 문창성이고 저 별은 남극노성이고 또 저 별은 삼
태성” 이육사의 할아버지는 별의 이름을 하나씩 가르칩니다. 이육사는 “어린 마음에도 지상에는 낙
동강이 제일 좋은 강이었고 창공에는 아름다운 은하수가” 있었던 자신의 고향은 무척 자랑스러운
곳이었다고 말하였습니다. 그리고 전통시적인 분위기 안에서 교육을 받았던 자신의 유년시절은 “너
무나 행복했었던 시기”라고 말하였습니다. 이육사는 집안 어른을 통해 동아시아의 전통을 교육 받았
던 경험에 대해서 “학교 교육 이전 조선의 교육사”라고 정리하였습니다. 이후 이육사는 도시로 나와
서 근대적인 학교에 진학하였고, 안일양과 결혼합니다. 또한 이육사는 일본 도쿄에서 잠시 공부하였
고, 중국 베이징 중국대학에서 2년가량 공부합니다. 이육사는 이때를 두고 “내가 배우던 중용, 대학
은 물리나 화학이니 하는 것으로” 바뀌었다고 말합니다. 이육사는 유년시절 집안 어른들께 동아시아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8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의 전통인 한학을 배운 후, 근대적 교육 기관인 학교에서 서양 학문을 공부한 것입니다. 유학을 마


치고 한국에 돌아온 이육사는 식민지 체제에 저항했다는 이유로 거듭 감옥에 갇혔습니다. 그리고 그
는 신문기자로 일하다가 중국으로 건너갑니다. 이육사는 중국의 텐진, 베이징을 거쳐서 난징으로 이
동합니다. 29세에 이육사는 난징 근처에 있던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에 입학하여 군사훈련을 받
습니다. 이듬해 이육사는 군사훈련을 마치고, 상하이를 거쳐서 한국에 들어옵니다. 이때 그는 상하이
에서 중국의 작가 루쉰을 만납니다. 이육사는 비밀업무를 수행하면서 혁명의 길을 걸어갔습니다. 그
는 여러 번 중국을 오갔으며, 여러 번 감옥에 갇혔습니다. 그는 평생 17번 감옥에 갇혔습니다. 또한
이육사는 한국의 신문과 잡지에 시와 산문을 발표하였고, 중국문학을 번역하기도 하였습니다. 동아
시아의 경계를 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지만, 이육사는 정치적 실천과 문화적 실천을 멈추지 않
았습니다. 하지만 1943년 이육사는 체포되었고 중국 베이징으로 압송됩니다. 1944년 1월 이육사는
베이징의 일본 영사관 감옥에서 세상을 떠납니다. 1945년 해방이 된 이후, 이육사의 동생 이원조는
이육사의 시를 신문에 소개하고, 1946년 이육사의 시집 <육사시집>을 간행합니다. 그리고 1968년
이육사의 시비가 낙동강가에 세워집니다.
이육사는 한국의 농촌, 한국의 도시, 일본의 도시, 중국의 도시와 농촌 등 동아시아 세 나라의 경
계를 횡단하였습니다. 이육사는 동아시아 전통의 한문과 유학을 공부하였고, 한국과 일본, 중국에서
근대적인 교육 또한 받았습니다. 그는 전통과 근대의 경계를 횡단하였습니다. 또한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한문 등 동아시아 언어의 경계를 횡단하였습니다. 이육사는 시, 소설, 수필을 발표하였고 또
한 시사평론을 썼고, 문인화를 그리기도 하였습니다. 글과 그림의 경계도 횡단한 것입니다. 그리고
이육사는 정치와 문화의 경계를 횡단하였습니다. 이육사는 국가와 언어의 경계를 횡단한 바탕에서
전통과 근대의 경계를 넘어 글을 썼습니다. 이육사는 기존의 문화적 관습과 질서를 끊임없이 심문하
면서, 그 경계를 넘어서 자신의 기획에 따라 문화를 창조하였던 문화횡단적 근대성의 주체였습니다.
그리고 문화횡단적 근대성의 주체로서 이육사는 옷차림과 용모에도 관심을 기울이는 댄디, 즉 멋쟁
이이기도 하였습니다. 현재 남아 있는 이육사의 사진에서 이육사는 서양정장을 잘 차려입고 머리를
넘기고 있습니다. 이육사는 멋쟁이, 즉 댄디였습니다. 댄디는 보통 용모와 옷에 관심이 많고 경제적
여유가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하지만, 이것은 충분한 설명이 아닙니다. 댄디는 무엇보다 자신의 삶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에 관심을 기울이는 주체입니다. 댄디는 유행에 민감하지만, 유행에 그저 휩쓸
리는 존재는 아닙니다. 댄디는 현실과 자기 자신에 대해 성찰하는 태도를 가지며, 그 태도가 멋진
용모와 옷차림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앞으로 나아가고자 했던 이육사는 그
자신의 용모와 옷차림 역시 세련되게 가꾸었습니다. 그는 자기 자신의 삶을 스스로 만들어가고자 하
였습니다. 다른 한편, 이육사가 한복을 입고 찍은 사진도 최근에 발견되었습니다. 그는 한국 전통의
상인 한복을 입을 때도, 자신의 모습을 세련되게 가꾸었습니다. 한복을 입은 사진과 양복을 입은 사
진이 동시에 남아 있다는 것은 이육사가 동양과 서양, 전통과 근대를 횡단하는 삶을 살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2차시에서는 국경과 언어의 경계를 넘었던 이육사의 이동과, 전통과 현대, 동양문화와
서양문화를 넘나들었던 이육사의 삶을 공부해보았습니다. 3차시에서는 이육사의 문화적 실천 가운데
그의 시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9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아버지 이육사 시인과의 추억

질문: 아버님이신 이육사 시인과의 추억이 있으신가요?

- 저는 기억나는 게 아버지가 돌아가시기 전에 화신백화점에서 저에게 핑크 모자와 또 벨벳으로


된 옷을 사주시고, 까만 구두를 사주셨어요. 그거 굉장히 기억이 나고요. 그러고 아버지가 제가 어
릴 때는 총기가 좋았나 봐요. 저희 집에 낙관이 많으니까, 아버지가 제가 가투를 할 때도 시조를 넣
으면, 제가 그 글을 알아서 그런 게 아니고, 표적이 하나 제 눈에 박히면 어른들이 읽고 그러면 아
이들하고, 사촌들밖에 없었는데 그러면 제가 딱 몇 점은 제가 제일 먼저 차지하거든요. 그런 기억이
있어서, 아버지가 그게 예뻐서 늘 아침에, 그리고 또 낙관을 많으니까, 낙관을 전부 다 섞어놓고, 이
낙관이 누구 거냐고 그러면 제가 삼촌 거를 찾으라고 그러면, 제가 이렇게 글씨를 아는 것처럼 보
고, “이게 할아버지 거다”, “증조할아버지 거다” 이렇게 찾았대요. 아버지가 그게 재미있어서 아침마
다 저를 불러놓고 그거를 시키셨다고 하는 그런 기억들은 조금 옛날에는 삼육도 집에 갖고 있었기
때문에, 골패 던지고 이런 거 있잖아요. 그런 것도 한 번씩 던지면 제가 하나, 둘, 셋, 넷, 여섯 개,
골패가 여섯 개 나면 제가 제일 점수가 많잖아요. 그런 거를 한 게 기억이 나요.

질문: 이육사 선생님 사진을 보면 양복을 입으시고 머리를 넘기시고, 멋쟁이셨을 것 같아요. 거기
에 대해서 들으신 게 있으셨는지요?

- 저희 아버지가 항상 토종 달걀 색 같은 것, 아이보리 색깔을 입고 보타이를 매시고 그런 거를


제가 기억하는데. 저희 어머니는 내가 “너는 어떤 아버지가 기억나는데?” 그래서 “나는 아이보리색
입은 아버지, 보타이 매신 그런 게 너무나 기억이 잘 난다.”고 그랬더니, 우리 어머니가 그러시는
거예요. “너희 아버지가 양복은 많았다마는, 그런 옷이 있었나?” 이러시는 거예요. 그래서 제가 대
구에서 64년도에 결혼을 했는데, 68년도에 남편이 직장이 도로공사가 생기면서 거기로 가게 됐어요.
그런데 가서 한 해, 뒤에인가 여성주간인가 거기에 보니까 표지에 우리 아버지 사진, 조풍연 선생님
하고 찍은 사진이 나오는 거예요. 그래서 조풍연 선생님이 소장하고 있다가, 이육사에 대한 거를 이
야기를 하게 되어서 나온 거예요. 그래서 제가 충무로에서 그 책을 사서 우리 어머니께 갖다가 “어
머니, 이거 보라고, 내가 그렇게 하니까 엄마는 모르더라” 그러면서 보여드렸더니, 우리 어머니가 이
래 한참 보더니, 나를 이렇게 쳐다보면서 “네가 나보다 총기가 더 좋은가 보다” 이러시더라고요. -
예, 그리고 한복을 입어도 굉장히 멋쟁이셨어요. 우리 어머니가 아버지가 입고 장안에 나가셨더니,
한복 입은 맵시가 너무나 좋다고 해서 시인들 간에 많이, 그거는 석초 선생님이 이야기해주시더라고
요. 그래서 우리 어머니가 기분이 좋으셔서, 우리 어머니는 평생을 바느질을 하셨으니까. 그러니까
아버지의 동생들도 “형수, 나도 하나 해줘.” 이래서 정말 다 해서, 그 해에 15채를 꾸미셨대요, 15
필을 만들어냈다고 그 이야기를 하시더라고요. 그리고 저희 아버지는 우리 숙모님이 덕혜옹주 6촌
동생이잖아요. - 예, 그런데 뭐든지 이렇게 하면 식사하는 것도 매너가 좋다고, 우리 집에서는 제일
매너 있는 사람이 둘째 아주버님이시라고, 멋쟁이라고. 그리고 자기 남편, 우리 넷째 삼촌은 시골
꼴통이라고 그러셨대요. 버릇을 잡으려고, 왕실에서 태어났으니까 얼마나 포실하게 자랐겠어요. 그러
니까 우리 삼촌 있는데, 삼촌은 막 억압을 하는 거죠. 모윤숙 선생님하고도 앞뒷집에 살았으니까,
같이 가면 파마도 해오고, 불파마를 했대요. 그런데 그거를 다 씻어서 펴라고 그랬대요. - 그런데
그거를 오늘 당장 펴라, 그렇게 막, 감으면 더 꼬불꼬불하잖아요. 그래서 숙모님이 모윤숙 선생님하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10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고 같이 다니기 싫어하셨다고, 남자 분 안호상씨잖아요. 이혼해서 결혼했는데, 나중에 제가 만났는


데, 안호상 선생님의 큰 딸이 동갑이더라고요. 만났는데, 그러더라고요. 우물이 있으면, 옛날에는 반
은 이쪽에 있었고, 반은 그랬거든요. 혜화동 계셨는데. 제가 다 자라서 아기 가졌고 이랬을 때 안호
상 선생님 따님을 만났어요. 그러니까 서로 흉보죠.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11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3차시 |

여러분, 안녕하세요. 3차시입니다. 3차시에서는 이육사의 문학적 실천 가운데 시 쓰기에 대해 살


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동아시아의 경계를 넘으면서 정치적 실천과 문화적 실천을 수행하였던 이육사
의 마음을 살펴볼 수 있는 시가 노정기입니다. 노정기에는 지쳐 있는 이육사의 마음이 잘 나타납니
다.

목숨이란 마-치 깨여진 배쪽각


여기저기 흩터져 마을이 한구죽죽한 어촌보다 어설푸고
삶의 틔끌만 오래묵은 布帆처럼 달아매였다.

이 시에서 시적 주체는 자신의 목숨을 “깨어진 뱃조각"이라고 표현합니다. 여기서 배는 황해를 중


심으로 동아시아를 돌아다녔던 이육사 자신을 비유합니다. 하지만 시적 주체는 자신이 지금 깨어진
뱃조각이라고 말하였습니다. 무척 지치고 위태로운 상황이라는 의미입니다.

남들은 깃벗다는 젊은날이였건만


밤마다 내꿈은 西海를밀항하는 「짱크」와 갓해
소금에 짤고 潮水에 부프려 올넛다.

이육사는 자신의 젊은 시절이 다른 사람들처럼 기쁘기만 한 것이 아니었으며, 밀항하는 정크선처


럼 긴장 가운데 움직였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소금기 가득한 바닷가 바람을 맞으면서 자신의 삶이
지쳐있다고 말합니다.

항상 흐렸한밤 暗礁를 버서나면 颱風과 싸워가고


傳說에 읽어본 珊瑚島는 구경도 못하는
그곳은 南十字星이 빈저주도 안엇다

시적 주체는 어두운 바다에서 표류하였습니다. 암초를 겨우 벗어나자, 다시 태풍을 만났습니다.


하나의 어려움을 겨우 벗어나면 더 큰 어려움을 만나는 것입니다. 산호섬도 만날 수 없었고, 남십자
성도 그에게 위안이 되지 못하였습니다.

쫓기는 마음! 지친 몸이길래


그리운 地平線을 한숨에 기오르면
시궁치는 熱帶植物처럼 발목을 오여쌋다.

그는 열대식물이 자라는 낯선 지역을 “쫓기는 마음!”과 “지친 몸”으로 정처 없이 다니고 있습니


다.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12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새벽 밀물에 밀려온 거믜인양


다삭어빠진 소라 깍질에 나는 부터왓다
머!ㄴ 港口의 路程에 흘너간 生活을 들여다보며

시적 주체는 자신은 작은 소라껍질이라는 미약한 존재에 의지하여 조류에 떠다는 삶을 살고 있다


고 말합니다. 그는 자신의 삶이 어느 한 곳에 정착한 것이 아니라, 여러 항구를 흘러 다니는 불안정
한 삶이었다고 말합니다. 자신의 삶이 조류에 흘러 다니는 삶이었다고 말하는 노정기에는 동아시아
의 경계를 넘었던 이육사의 지친 마음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이육사는 노정기를 통해 자신이 지쳐
있다는 것을 솔직하게 말하지만, 그의 시가 지친 마음만을 표현한 것은 아닙니다. 이육사의 유명한
시인 청포도는 동아시아의 경계를 넘으면서 지쳐 있던 자신의 삶에 보내는 작은 위안을 담고 있습
니다. 그리고 청포도의 시적 상상력은 평화를 바라는 동아시아의 오랜 꿈과도 이어져 있습니다. 시
청포도를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내 고장 七月은
청포도가 익어가는 시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저리주저리 열리고


먼 데 하늘이 꿈꾸려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열고
흰 돛단배가 곱게 밀려서 오면

내가 바라는 손님은 고달픈 몸으로


靑袍를 입고 찾아 온다고 했으니,

내 그를 맞아 이 포도를 따 먹으면
두 손을 함뿍 적셔도 좋으련

아이야 우리 식탁엔 은쟁반에


하이얀 모시 수건을 마련해 두렴.

이육사의 시 청포도는 예쁜 시입니다. 우선 색상으로 파란색 시어인 바다, 청포, 청포도와 흰색


시어인 돛단배와 모시수건이 강렬한 대조를 이루면서 아름다움 풍경을 만듭니다. 노정기의 시적 주
체는 배를 타고 동아시아의 곳곳을 정처 없이 떠돌았다면 청포도의 시적 주체는 배를 타고 오는 손
님을 기다리고 환대합니다. 청포도의 시적 주체는 배를 타고 오는 혁명가의 지친 삶을 위로할 뿐만
아니라, 그 자신도 그 혁명의 길을 이어가고자 합니다. 이육사 스스로도 이 시가 무척 마음에 들었
던 것 같습니다. 그는 “어떻게 내가 이런 시를 쓸 수 있었을까?”라고 감탄하였다고 합니다. 시를 조
금 더 살펴보겠습니다. 1연에는 “내 고장 칠월은 / 청포도가 익어가는 시절”이라는 표현이 나옵니
다. 눈여겨 볼 시어는 ‘7월’입니다. 7월에 대한 이야기는 이육사가 쓴 수필 연인기에도 등장합니다.
연인기는 이육사가 어떤 도장에 마음을 쏟은 이야기입니다. 1933년 난징에서 이육사는 비취로 된
도장을 하나 구입하게 됩니다. 이육사는 그 도장에 시경 국풍 중에서 ‘빈풍의 칠월’이라는 시를 새
기고, 그 도장을 무척 아낍니다. 시경의 빈풍칠월은 농업과 잠업에 성실히 힘쓰는 남녀 평민들의 모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13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습이 등장합니다. 이육사 형제에게도 빈풍칠월과 관련이 있는 일화가 있습니다. 이육사 형제들은


1936년 11월 어머니의 회갑을 맞아서 시 빈풍칠월을 써서 병풍을 만들고 어머니께 선물로 드립니
다. 병풍은 12폭 크기의 병풍으로, 마지막 폭에는 빈풍칠월의 시가 “첫 머리에서는 의복을 말하고,
다음에는 음식을 말하며, 마지막으로는 제사와 잔치를 언급”하고 있으며, “누에치고 농사짓는 남녀
모두가 성실히 직분대로 일을 한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말합니다. 어머니의 생일날, 첫째 아들
이원기는 병풍의 글을 짓고, 셋째 아들 이원일은 그 글을 병풍에 썼습니다. 넷째 아들 이원조는 시
를 노래하였고, 다섯째 아들 이원창은 색동옷을 입고 춤을 추었습니다. 그리고 둘째 아들 이육사가
어머니께 술을 올렸고, 조카 이원균은 꽃을 올렸습니다. 빈풍칠월은 어머니를 향한 이육사 형제의
존경과 연결된 시어이면서, 동시에 농업과 잠업에 성실히 힘쓰면서 평화를 만들어갔던 동아시아의
평민의 모습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칠월이란 동아시아의 전통에서 평화의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필 연인기에서 이육사는 자신이 아꼈던 도장을 S라는 인물에게 주었다고 썼습니다. S는 이육사의
동료이며, 함께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에서 훈련을 받았던 윤세주라는 인물로 추정됩니다. 윤세
주는 직접 무장투쟁의 방법으로 혁명의 길을 걸었던 인물입니다. 이육사는 무장투쟁에 나섰던 윤세
주의 실천에 실시간으로 관심을 가진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이육사에게 칠월이란 동아시아 전통
에서 평화의 시간일 뿐만 아니라, 도장을 매개로 동아시아에 평화를 현실화하기 위해 혁명에 나섰던
윤세주의 실천과도 연결이 됩니다. 다음으로 이 시에서 시어 ‘청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포라는 시어는 중국 당나라 시인 두보의 시에도 등장합니다. 두보의 시 도보귀행에 등장하는 청포
를 입은 관리는 가난한 말단 관리입니다. 또한 두보의 시 세병마에 등장하는 청포를 입은 인물은 청
포를 입고 백마에 탄 반란자입니다. 이육사의 시 청포도에서 내가 기다리는 청포를 입은 손님은, 빈
곤 가운데에서도 혁명에 힘썼던 인물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두보의 시와 겹쳐 읽으면 이육사의
시 청포도에서 내가 기다리는 청포를 입은 손님은 빈곤 가운데에서도 혁명에 힘썼던 인물이라고 이
해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시어 청포도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도 한국에는 청포도라는 포도 품종이 있습
니다. 청포도는 연두빛깔의 포도입니다. 하지만 시 청포도에서 청포도는 연두빛깔의 포도를 의미하
는 것이 아니라, 익기 전의 풋포도를 의미합니다. 이 시의 배경은 7월입니다. 7월의 포도는 아직 충
분히 익지 않았지만, 여름을 거치면서 포도는 익어 갑니다. 익기 위해서는 “이 마을 전설이 주저리
주저리 열리고 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야 합니다. 평화롭게 살아가는 마을 사람들
의 바람과 꿈을 통해서 포도는 점점 익어가게 됩니다. 그리고 9월에 검푸른 포도를 수확하면, 그 포
도를 하얀 수건에 싸서 손님에게 대접할 수 있게 됩니다. 시 청포도에는 평화에 대한 동아시아인의
오랜 바람이 담겨져 있습니다. 그리고 그 평화를 만들어내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의 움직임도 발견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이육사는 한국의 현실에 서서 동아시아 전통의 사상을 활용하여 시를 썼습
니다. 이육사는 동양과 서양, 전통과 근대의 경계를 횡단하면서, 지금의 현실에 필요한 한국문화를
기획하였습니다. 이것으로 3차시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14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이육사 형제의 우애

질문: 지금도 말씀해주셨는데, 여섯 형제분들께서 우의가 좋으셨던 것 같습니다.

- 네. 대구 지역, 경북 지역에서는 육사 형제들은 형이 있는 곳에 반드시 동생들이 있고, 동생들


이 있는 곳에 반드시 형들이 있다는 그런 일화가 남을 정도였고. 그런데 제가 생각하기로 다 독특한
그거를 갖고 있는, 큰아버지는 한학을 하셨고, 저희 아버지는 한학과 신학문을 함께 하셨고, 셋째
삼촌도 알려지신 서예가였잖아요. 그리고 여천 선생님은 7살 때 최남선 선생님한테 편지를 냈대요.
그런데 그때 글을 써서 냈는데, 조선에 이런 천재가 있나 해서 서문을 달아서 내셨대요. 그럴 정도
로. 그리고 또 삼재에 들어서, 월북해서 지금 삼재다, 이러더라고요. 엉뚱한 사람이 됐더라고. 그럴
정도였고, 또 다섯째 삼촌도 글을 쓰고, 또 편지. 그래도 형제간에도 샘이 많으셨대요. 우리 삼촌이
여천 선생님은 조선일보에 계셨잖아요. 계실 때, 이제 편집국장은 중앙일보에서 편집국장을 하셨어
요. 그런데 외삼촌이 허헌 선생님의 비서로 또 있었어요. 있으면 책을 정리하는데, 우리 할머니하고
도 남매분이 유별나게 정이 많으셨대요. 그런데 잘 보이려고, 우리 아버지를 엄청 좋아하셔서, 외삼
촌이. 그런데 이제 한문 수업 오시면서 2시간씩 독대를 하신대요. 그런데 우리 삼촌이 하시는 이야
기가 나는 하루 종일 뼈 빠지게 일을 해줘도 외삼촌은 나한테는, 네가 나한테 이래 오너라. 소리 안
하셨다고. 그러니까 저희 아버지는 형님 오시면 독대하시고, 그러고 독립운동에 대한 것도 이야기를
하시는 것 같다고 그런 이야기를 하시더라고요. 그리고 이제 다섯째 삼촌인데, 다섯째 삼촌은 일화
도 많아요. 다섯째 삼촌은 글을 썼는데, 처음에 등단에 올랐대요, 조선일보에서 쓴 글이. 그러니까
형제분들이 오셔서 술을 잔뜩 마시면서 “서당 개 삼년이면 풍월을 한다니, 원창이가 글을 이렇게 쓸
줄은 몰랐네.” 하고 잘 썼다고 칭찬을 하시고 그럴 정도였거든요. 우리 여섯째 삼촌은 그림을 자기
가 잘 그리신다는 소리도 안 했대요. 그런데 공부를 안 하시니까, 오로지 무서워하시는 분은 저희
아버지시래요. 한번은 불러놓고, “네가 그러면 공부도 안 하고 우리 집에 왜 살림이 있나, 뭐가 있
나, 공부 안 하고 그러면 너는 농사꾼도 못하잖아. 그러니까 네가 뭐할래?” 그러니까 “그림을 그리
고 싶다” 하니까, 우리 셋째 삼촌 배우시면서 선생님을 찾아가서 아버지도 거기에서 하셨거든요. 그
래서 “원홍이가 그림을 배우고 싶다고 그러는데” 그러니까 “네가 돈이 있나, 뭐를 가지고 그림을 배
우냐고” 옛날에도 식량을 좀 갖다 주고 그래야 되잖아요. 그러니까 그 선생님이 “나한테 3개월만 보
내봐라.” 이래요. 그랬는데 목욕재개하고 가라고 해서 데려다주고 왔대요. 그런데 우리 두 달 됐는
데, 인편으로, 옛날에는 전화도 잘 없고 그러니까 인편으로 희망이 있다고 그러시더래요. 1년 만에
선전에 가서 수상을 했잖아요. 너무 형제분들이 좋아서 쟤는 던져놨다가 진짜 그림으로 그렇게 받으
니까, 좋아서 빈대떡도 굽고 막 이러면서 술을 한 잔 하시고, 기분 좋게 이렇게 했는데, 술을 한 5
잔을 마셨는데, 너무 흥분했나봐요. 그러니까 머리가 아프다고, “나 형 등허리를 좀 쳐줘.”라고 그러
더래요. 그래서 안정시키려면 등허리를 쳐주고 그러니까 그래도 안 돼서 자리에 눕혀달라고 그러더
래요. 누우니까 눕는 순간에 가신 거예요. 우리 할머니 가장, 자식들 중에 결혼도 못하고 갔잖아요.

질문: 이육사 선생님께서 돌아가신 후 이육사 선생님의 형제들이 찾아왔다고 들었습니다.

- 네. 계실 때도 그랬지만,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저희 삼촌들이 한 달에 삼형제 분이 세 분, 네


분 오셨어요. 한 달에 그렇게 오시고. 아무리 못 와도 두 분은 오시거든요. 오시면 그렇게 옛날에는
여자 있는 데 그렇게 이야기를 상세히 해주시고 그러지 않잖아요. 그런데 저희 삼촌들은 저희 어머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15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니께 시대상, 이런 거를 정말로 깊게 이야기를 하셨고. 아버지, 삼촌이 갖고 계시던 사상적인 것 그


런 것도 이야기를 해주셨고.

이옥비 여사님의 「청포도」 낭송

질문: 이육사 선생님의 시 중에서 청포도를 한번 낭송을 부탁을 드리겠습니다.

- 이거는 나 안 보면 안 되는데, 보고 하겠습니다. 오늘 감기가 좀 왔네. 청포도, 이육사.

내 고장 칠 월은
청포도가 익어 가는 시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저리 주저리 열리고


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부른 파다가 가슴을 열고
흰 돛 단 배가 곱게 밀려서 오면

내가 바라는 손님은 고달픈 몸으로


청포를 입고 찾아온다고 했으니
내 그를 맞아 이 포도를 따 먹으면
두 손을 함뿍 적셔도 좋으련

아이야 우리 식탁엔 은쟁반에


하이얀 모시 수건을 마련해두렴

인터뷰어: 감사합니다.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16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4차시 |

안녕하세요, 4차시를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차시에서는 문화횡단적 근대성을 만들어 간 이


육사가 삶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태도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육사 문학의 특징을 잘 이해하기
위해, 러시아 작가 치리코프의 작품과 중국의 작가 루쉰의 작품을 함께 생각해보겠습니다. 1920년
러시아의 작가 치리코프의 소설 <고향>이 일본에 번역되었습니다. 이 소설에는 20년 만에 고향에
돌아온 ‘나’라는 인물이 등장합니다. ‘나’는 고향을 그리워하며,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갈망하고 있
었습니다. ‘나’는 자신의 고향에서 혁명을 위해 힘썼던 자신의 청년 시절을 다시 만날 수 있을 것이
라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는 실패한 현실과 대비하여서 과거를 아름다운 것으로 생각하였습니다. 이
러한 태도를 노스탤지어라고 합니다. 하지만 20년 만에 고향에 돌아가서 ‘나’는 크게 실망하게 됩니
다. 고향에 돌아가서 청년 시절의 아름다운 고향을 찾으려고 하였지만, 그가 생각하였던 고향은 현
실에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나’의 귀향은 자신이 상상하였던 고향이란 허구에 불과하였다는 것을 깨
닫는 과정이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나는 지금 현실의 고향을 부정합니다. ‘나’는 고향을 과거의
것으로 남겨두고, 현재의 고향을 부정합니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나’라는 인물은 고향을 과거의 것
으로 고정합니다. 그리고 과거의 고향과 현재의 고향을 단절합니다. 치리코프의 소설 <고향>은
1920년대 일본에서 널리 읽혔습니다. 그리고 중국의 작가 루쉰은 이 작품을 중국어로 번역하였습니
다. 또한 루쉰도 <고향>이라는 제목의 소설을 썼습니다. 하지만 루쉰의 고향 역시 치리코프의 고향
과 구조와 상황이 비슷합니다. 이 소설의 중심인물 ‘나‘ 역시 20년 만에 고향으로 돌아갑니다. ‘나’
역시 고향은 많이 변했고 자신이 생각했던 고향은 더 이상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합
니다. 하지만 루쉰의 고향에 등장하는 ‘나’는 실망에 머물지 않습니다. 그는 자신의 생각과 다르게
변해버린 고향의 현재를 인정합니다. 그리고 현재의 고향에 근거해서 미래를 향해 불확실한 길을 나
아가야겠다고 말합니다. 이육사는 루쉰의 고향을 한국어로 번역한 적이 있습니다. 이육사의 번역으
로 작품을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생각하면 희망이라는 것은 대체 ‘있다’고도 말할 수 없고 또는 ‘없다’고도 말할 수 없는 것이다.


그것은 마치 지상의 길과 같은 것이다. 본래부터 지상에 있는 것은 아니다. 왕래하는 사람이 많아지
면 그때 길은 스스로 나게 되는 것이다.

고향의 현실을 직시하고 그것에 근거하여 길을 걸어감으로써 고향을 새롭게 만들어가는 것입니다.
치리코프의 고향과 루쉰의 고향을 비교해보겠습니다. 두 소설 모두 20년 만에 고향에 돌아온 상황이
며, 돌아간 고향은 자신의 바람과 달랐습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대응은 달랐습니다. 치리코프의 소
설은 과거와 현재를 단절하였습니다. 이 소설에서는 잃어버린 과거의 고향을 슬퍼하면서 아무 것도
하지 않았습니다. 루쉰의 고향은 실망스러운 고향의 현재를 응시하고, 그것에 근거하여 미래로 나아
가고자 하였습니다. 치리코프가 고향을 과거라는 시간에 고정하였다면, 루쉰은 고향을 미래로 개방
하였습니다. 또한 치리코프에게 고향은 특정한 공간만을 의미한다면, 루쉰에게 고향은 그가 걸어가
는 곳이 고향이 됩니다. 이육사는 1936년 루쉰의 고향을 한국어로 번역합니다. 1936년은 루쉰이 세
상을 떠난 해입니다. 이육사는 루쉰의 죽음을 추모하는 ‘루쉰 추도문’을 썼습니다. ‘루쉰 추도문’은
이육사가 루쉰을 만났던 때를 회상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1930년대 초반 상하이에서 이육사는 루
쉰을 만났습니다. 루쉰을 만난 이육사는 자신이 한국의 청년이며, 꼭 한 번 뵙고 싶었다는 말을 건
넵니다. 루쉰은 따뜻하게 이육사를 맞아주고, 그의 손을 잡아주었습니다. ‘루쉰 추도문’은 루쉰과의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17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만남을 쓴 후, 루쉰 문학의 의미를 되새깁니다. 이육사는 루쉰의 문학에서 상대와의 투쟁을 피하지
않는 태도를 발견합니다. 또한 그는 루쉰의 문학에서 ‘과거’에 근거하면서도 미래를 바라보는 운동성
을 발견합니다. 이육사는 루쉰의 문학을 통해 과거와 현재, 자(自)와 타(他), 희망과 절망이 긴장 속
에 통일을 이룰 때,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이러한 이육사의 다짐은 수필 계절의
오행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계절의 오행에서 이육사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내가 들개에게 길을 비켜 줄 수 잇는 겸양(謙讓)을 보는 사람이 업다고 해도 정면(正面)으로 달려


드는 표범을 겁내서는 한발자욱이라도 물러서지 안흐려는 내 길을 사랑할 뿐이오. 그럿소이다. 내
길을 사랑하는 마음, 그것은 내 자신에 희생(犧牲)을 요구하는 노력이오. 이래서 나는 내 기백(氣魄)
을 키우고 길러서 금강심(金剛心)에서 나오는 내 시(詩)를 쓸지언정 유언(遺言)은 쓰지 않겠소.

이육사는 결론을 정하여 미리 유언을 남기는 것을 거부합니다. 그리고 그는 자신이 ‘길’위에 서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마음에 새깁니다. 그리고 이육사는 길을 가면서 자신의 미래를 열어갑니
다. 이육사는 루쉰의 고향이 제시하는 고향의 의미에 공감하고, 그 자신도 동아시아의 국경을 넘어
서 정치적 실천과 문화적 실천을 수행하였습니다. 이육사도 고향을 특정한 공간에 고정하는 것이 아
니라, 자신이 길을 걸어가면서 고향을 만들어 갈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다만, 노정기에서 보았듯,
미래를 향해 걸어가는 길은 무척 힘든 길이었습니다. 그리고 이육사도 지치게 됩니다. 하지만 청포
도에서 보았듯, 이육사는 지친 자신을 환대하고, 다시금 미래를 열어가고자 하였습니다. 길을 걸어갔
던 이육사 시에서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가 자주 등장합니다. 이육사의 시 광야와 꽃을 통해서
과거와 현재, 미래에 대한 이육사의 생각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944년 이육사가 베이징의 일본
감옥에서 세상을 떠났을 때, 이육사의 지인이자 독립운동가인 이병희는 이육사가 있던 감방에서 마
분지에 쓴 시집을 발견하였습니다. 광야와 꽃은 이육사가 감옥에서 쓴 마분지 시집에 실린 시로 생
각됩니다. 감옥에 갇힌 상황에서 이육사가 과거, 현재, 미래를 어떻게 생각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이육사의 시 광야를 함께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까마득한 날에
하늘이 처음 열리고
어데 닭 우는 소리 들렷스랴.

모든 山脉들이
바다를 戀慕해 휘달릴 때도
참아 이곧을 犯하던 못하였으리라

끈임없는 光陰을
부지런한 季節이 픠어선 지고
큰 江물이 비로소 길을 열었다.

지금 눈 내리고
梅花香氣 홀로 아득하니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18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다시 千古의 뒤에
白馬 타고 오는 超人이 있어
이 曠野에서 목 놓아 부르게 하리라

이 시는 이육사가 1943년 베이징으로 압송되는 도중에 찻간에서 구상되었다고 합니다. 지금 이육


사 문학관 주변에는, 광야의 시상지로 알려진 ‘윷판대’가 있습니다. 이육사는 베이징으로 가면서, 고
향의 들판을 생각하면서 시를 쓴 것입니다. 하지만 이 시가 담고 있는 시간과 공간은 무척 광대합니
다. 광야에는 역사가 담겨 있습니다. 1연에서는 까마득한 날, 즉 이 세상이 시작한 순간을 말합니다.
3연에서는 끊임없는 광음이라는 단어가 등장합니다. 광음은 세월이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4연에서는
지금, 바로 현재입니다. 그리고 5연에는 다시 천고의 뒤에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먼 미래가 등장하
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시는 이 세상이 만들어진 순간부터 역사를 거쳐서 지금에 이르고, 나아가
미래를 바라보는 시입니다. 이 세상이 만들어진 후, 인간들은 역사를 만들어갔습니다. 하지만 현재의
상황이 긍정적인 것은 아닙니다. 시에서는 현실의 어려움을 "눈이 내린다"라고 표현하였습니다. 그러
나 이육사는 현재의 상황에 좌절하지 않습니다. 그는”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립니다. 언젠가 도래해
야 할 미래를 위해, 지금 자신이 할 수 있는 작지만 최대한의 실천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그 실천이
성과를 얻을지 못 얻을지는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육사는 천년 뒤에 누군가 광야에서 자신의 노
래를 기억해주기를 바랍니다. 시 ‘꽃’에서도 미래에 대한 이육사의 태도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동방은 하늘도 다 끝나고


비 한방울 나리쟌는 그 따에도
오히려 곳츤 밝아케 되지안는다
내 목숨을 꾸며 쉬임업는 날이며

北쪽 「쓴도라」에도 찬 새벽은
눈속 깁히 꼿 맹아리가 옴작어려
제비떼 까마케 나라오길 기다리나니
마츰내 저버리지못할 約束이며!

한 바다 복판 용소슴 치는곧
바람결 따라 타오르는 꼿城에는
나븨처럼 醉하는 回想의 무리들아
오늘 내 여기서 너를 불러보노라

이 시에는 아름다운 꽃이 등장합니다. 참혹한 현실과 생명력을 잃은 거친 환경에서, 빨갛게 피어


난 꽃입니다. 하지만 그 꽃은 시적 주체인 이육사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이육사 자신은 지금
베이징 감옥에 있기 때문입니다. 대신 그는 저 멀리 바다 한복판에 있는 회상의 무리를 부릅니다.
회상의 무리는 미래에 살아남은 사람들이며, 역사를 기억하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꽃은 바
로 미래에 살아남아서 과거를 기억하는 이들의 것입니다. 그리고 이육사는 그 꽃을 피우기 위해서
스스로를 희생하였습니다. 이육사는 죽음을 피하지 않습니다. 대신 그는 미래에 꽃을 가질 무리들의
기억을 통해서 귀환하게 되기를 바랍니다. 베이징 감옥에서 쓴 이육사의 시 광야와 꽃을 살펴보았습
니다. 두 시 모두 현재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육사는 부정적인 현실 가운데에
서도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하겠다고 다짐합니다. 지금 자신이 힘쓴 일의 결과를 얻지 못할 수도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19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있지만, 그 결과는 언젠가 미래에 성취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언젠가 바라는 미래가 왔을 때, 자
신은 그 미래 사람들의 기억을 통해 현실로 돌아올 수 있기를 바랍니다. 부정적인 현실에 그저 안타
까워하지 않고, 지금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실천하는 태도는 루쉰이 고향 에서 보여준 태도입니
다. 이육사 역시 현재에 근거하여 미래를 열어가고자 하였습니다. 미래라는 결과가 자신에게 주어지
지 않더라도 그는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하려고 하였습니다. 이육사는 해방이 되기 전인 1944년
세상을 떠나게 됩니다. 하지만 1946년 이육사의 동생 이원조와 이육사의 친구들은 이육사의 시집을
간행합니다. 그리고 이육사의 고향 낙동강가에는 이육사의 시비가 세워집니다. 그리고 지금 이육사
를 기억하는 문학관이 세워져 있습니다. 우리는 지금 이육사의 문학을 통해서 이육사를 기억합니다.
이육사가 꽃에서 썼던 것처럼, 그는 우리의 기억을 통해 현실로 귀환하고 있습니다. 4차시에서는 현
재를 바라보는 이육사의 태도를 살펴보았습니다. 그는 부정적인 현실에 머물지 않았습니다. 이육사
의 태도는 중국의 작가 루쉰의 태도와 공명하는 것이었습니다. 이육사의 문화횡단적 근대성에 대한
인식과 실천은 국가와 언어의 경계를 횡단하며 형성되었고, 언젠가 도래할 미래를 기대하며 현실을
바탕으로 문화를 창조하였습니다. 이것으로 4차시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20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시인 이육사의 흔적을 찾아서

질문: 이육사 선생님께서는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으로 또는 중국으로도 많이 다니셨던 분이신데


요. 여사님, 혹시 아버님이 가셨던 곳들을 가보시거나 이러셨던 적이 있으십니까?

- 3년 전에, 지금 코로나 시작할 무렵에 (중국에) 가게 됐는데, 저는 태항산까지는 못 가고, 상해


에서 합쳐서 갔는데. 그 전에도 우리 행사 있으면 가죠. 갔는데, 그때는 안 가본 데도 많이 가고 그
랬습니다. 정말 심양에도 가니까, 거기에 우리가 명륜동이거든요. 삼정목인데, 그 여관이 그 이름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정말로 제가 마음이 이상하더라고요. 아버지가 여기에서 많이 피신도 하고 그랬
구나. 저희 아버지가 상해를 가장 아름다운 “동양의 파리다” 이렇게 이야기하셨다고 그러거든요. 참
아름답다고, 그런 이야기를 많이 하셨대요. 그리고 남경에 갔을 때는, 첫 해에 갔을 때는 우리 국장
님이 사전에 갔다 오셨는데, 위치적으로 잘 못 봤대요. 그래서 길에서 했을 때는 정말로 제가 눈물
이 쏟아지더라고요. 그런데 이제 김태빈 선생님하고 한성여고 선생님하고 아버지를 제일 좋아하시는
분들하고 이렇게 가게 됐는데, 그때 갔을 때는 처음에 옮기기 전에 1기생들이 자리가 저 위에 있었
대요. 그런데 2기생들이 있던 자리를 방문하고 왔는데, 위에도 나중에 올라갔죠. 올라갔는데, 많이
변했지만 그래도 아버지가 이곳에서 훈련을 했구나. 이런 생각, 지금 집 형태만 남아 있죠. 그러고
이제 상해에 갔을 때, 노신 만난 자리, 거기에도 갔고. 아버지가 먼저 가신 자리가 상해공원 거기에
입구인데, 거기에서 우리 친척을 만나러 간다고 그 날 오는데, 비가 부슬부슬하는데, 가면서 생각을
“아버지도 이 비를 맞으셨을까?” 이런 생각을, 감개무량했던. 북경에 가서는 첫 해는 입구에서 우리
도 제를 엎어놓고 절을 하고 왔는데, 그 다음에는 지하가 아버지 감옥이었다는데, 위에는 다 입주민
들이 있었어요. 가난한 사람들이 사나 봐요. 그랬는데, 저희들이 두 번째 갔을 때는 그거를 막았어
요. 막아서 거기를 가서 그냥 서서, 그런데 막 반대 막 하라는 거예요. 그런데 거기에 그 사람들도
이해를 하겠어. 우리나라 사람들이 학생들이 군가도 부르고 이러니까, 좀 불편하겠죠. 그래서 그랬는
데, 우리 와인이 생기고, 제가 와인을 들고 갔었거든요. 그래서 그곳에 안 된다고, 공안이 오고 그랬
는데, 숨어 있으니까 가더라고요. 그래서 우리 일행들이 지키고, 들어가는 데를 완전히 막았어요. 그
래서 와인을 제가 다 뿌리고, 공원이 조그마한 게 있는데, 거기에 우리랑 같이 일행들이 다 한 잔씩
올리고 그렇게 했어요.

이옥비 여사님의 「꽃」 낭송

질문: 여사님 그러면 이육사 시인의 작품 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작품은 어떤 작품일까요?

-‘광야’, 많죠. 많은데, 저는 옛날부터 ‘꽃’을 좋아했어요. 그게 제가 좋아하는 이유가 너무나 많이


알려졌잖아요. 아버지 시가. 그래서 ‘광야’나, 그래서 ‘꽃’을 제가 봤을 때, ‘꽃’은 보통 꽃이라면 아
름다운 거를 많이 쓰시잖아요. 그런데 저희 아버지는 이념적인 거를 썼잖아요. 그래서 제가 저도 모
르게 좋았어요.

질문: 그러면 꽃도 한번, 이육사 선생님의 ‘꽃’을 한번 낭송을 부탁드리겠습니다.

- 꽃, 이육사.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21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동방은 하늘도 다 끝나고


비 한방울 나리쟎는 그 땅에도
오히려 꽃은 빨갛게 피지 않는다.
내 목숨을 꾸며 쉬임 없는 날이여.

북쪽 툰드라에도 찬 새벽은
눈속 깊이 꽃 맹아리가 옴작거려
제비떼 까맣게 날아오길 기다리나니.
마침내 저버리지 못할 약속이여

한 바다 복판 용솟음 치는 곳
바람결 따라 타오르는 꽃성에는
나비처럼 취하는 회상의 무리들아
오늘 내 여기서 너를 불러 보노라.

이육사의 미래

질문 : 이제 시인 이육사가 바랐던 독립의 시기가 왔습니다.

- 요즘은 제가 가만히 두고 있으면 때가 다 있구나. 아버지의 시대가 왔다. 친일들이 다 너무 날


치고, 옛날에는 어쩔 수 없었죠. 우리나라를 다스리려고 그러니까, 있는 사람들의 후손들을 썼죠. 그
런데 역사가 달라졌죠. 그게 언젠가는 또 좋은 세월이 오면 바뀌지 않겠나, 저는 그런 기대감으로.
그리고 사실 안 됐죠. 이은상 씨도 시는 얼마나 좋아요. 그런데 막 채비를 하고 우리 문학관에 와서
물어보고, 또 우리 국장님은 차려도 부숴지니까 차리지 말라고, 그렇게 이야기하죠. 그렇지 않은 경
우가. 그리고 자기들이 인정을 안 하니까, 이은상 시인은 저는 몰랐을 때도 우리 집에 자주 오셨어
요. 와서 포도주, 머루주 담가놔서 맛있겠다고 드시고 가시고 했는데, 저는 작품으로서는 나무랄 데
가 없다, 이런 생각을 하지만, 친일은 좋지 않은 이야기들이 많잖아요.

이육사의 문학비 건립

질문 : 1968년에 이육사 시인의 문학비가 안동에 세워졌습니다. 여사님도 문학비를 세울 때 그 자


리에 계셔서 사진이 남아있습니다. 문학비가 설립될 때 어떤 느낌이셨나요?.

- 네, 제가 고등학교 2학년 때 됐어요.

질문 : 여사님도 거기에서 사진을 찍으신 게 있더라고요. 그래서 처음에 그렇게 문학비가 설립될
때, 어떠셨었는지?

- 우리나라에서 처음이었죠. 그때가 아버지 시비를, 사실 저는 좀 늦었죠. 늦었는데, 그때도 이효


상 씨가 좀 많이 도와줬어요. 국회의장 하시고 그랬으니까, 이제 그랬는데 이쪽 편이 있었거든요.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22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강 건너 있었는데, 예술의 전당 맞은편 쪽에 그쪽에 있었는데, 어느 날 저쪽으로, 강변으로 옮겼다


고 그러더라고요. 그런데 처음이니까 그래도 아버지를 기념하는 비가 섰다는 데는 굉장히 저도 동조
하고, 이래서 그러고 거기에 제가 듣기로는 안동의 시인들이 밤새워 거기에서 소주 마시고 그랬다고
그런 이야기를 지금도 하거든요. 작가 협회에서 오시면. 단합대회 하면 전부 다 거기에서 그러고,
밤새우고 나왔다 이런 이야기를 하시는데. 영호루에 있었는데, 거기에서 지금 댐으로 옮겨왔잖아요.
그리고 이제 나무도 심었는데, 전부 다 일본 사람들이 즐기는 나무 그런 거를 심어놔서, 그런 것도
전부 다 새로 했고, 울타리를 해놔서 그게 좀 안 돼서 울타리도 없애자, 아버지가 평생을 감옥살이
를 많이 했는데.

질문: 지금은 한국 곳곳에 이육사 시비가 건립되었습니다.

- 그래서 지금은 전부 다 많죠. 서울에도 두 군데나 있잖아요. 포항에도 있고. 저는 포항에 하는


거, 청포도가 자기 네 거라고 그렇게 이야기를 하는데, 저는 나무라지 않겠다고. 작가가 이런 의견
을 썼었지만, 또 읽는 사람이 그렇게 하면, 그렇게 해도 되는 거잖아요. 저로서는 이육사 선생님이
많이 알려지면 되는 거니까. 그래서 그쪽에 청포도가 있었다, 흰 돛단배. 사실은 제가 고등학교 2학
년 때 왔을 때, 여기에 우리는 황포 돛대를 달아서, 건너 마을을 가려면 배를 탔거든요. 그런데 이
제 자기들은 하얀 돛단배를 이야기했으니까, 자기 거라고. 거기에 옛날에 일본사람들이 청포도를 많
이 심었대요. 그래서 그것도 패가 아마 갈려졌나봐요. 제가 간 곳은 시에서 주최해서 했는데, 그래
도 괜찮은데, 먼저 지은 사람은 돌비석에 앞에는 육사 거, 뒤에는 예의가 없는 사람이죠. 남의 시를
쓰면. 남의 시를 쓰면. 그래서 저는 거기에는 안 갔습니다. 안 가고 그랬는데, 지금은 너무나 많이.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23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5차시 |

여러분, 안녕하세요. 5차시입니다. 이번 차시에서는 8주차 강의를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8


주차에서는 한국문화의 가치로서 문화횡단적 근대성에 대해 공부해보았습니다. 한국문화는 다양한
문화가 교차하면서 형성되었습니다. 공간으로는 동양과 서양, 시간으로는 전통과 근대, 언어로는 서
양어, 동아시아어, 한국어, 양식으로는 문학과 영화 등이 교차하였습니다. 그리고 그처럼 다양한 문
화가 교차하면서 한국문화의 근대성이 문화횡단적으로 형성됩니다. 오늘 강의에서는 문화횡단적 근
대성의 주체였던 이육사와 그의 이동, 실천, 문학에 대해 공부하였습니다. 이육사는 문화의 경계를
횡단하면서, 한국 문화를 새롭게 기획하였고, 식민지 상황에 저항하여 인간다운 삶을 찾아 반식민주
의적 실천에 나섰습니다. 이육사의 시 청포도를 통해서 평화에 대한 동아시아의 오랜 바람이 서양에
서 온 근대문학 형식을 통해 제시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이육사와 루쉰의 공명을 통해서
현재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가질 것인가, 라는 문제를 살펴보았습니다.
우리는 8주차와 9주차, 2주 간 한국문화의 가치에 대해서 공부할 예정입니다. 첫 번째 강의인 오
늘 8주차 강의에서는 한국문화의 가치로서 문화횡단적 근대성을 살펴보았습니다. 두 번째 강의인 9
주차에서는 한국문화의 가치로서 민주주의에 대해서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24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이육사의 딸로서 살다

질문 : 이육사의 따님으로 어떤 삶을 사셨나요?

- 아버지가 그런 분이니까, 제가 망나니로 살면 되지 않잖아요. 그래서 늘 항상 주의를 시키고 그


랬죠. 학교에 가면 또 선생님들이 그러시잖아요. 시를 외우라든지, 시를 쓴다든지, 저는 문예부에 안
들어도 선생님들이 다 문예부에 올렸어요. 그래서 저는 한 달 지나면 담임선생님한테 부탁해서 “저
는 가사 반으로 보내셨어요.” 이래서 가사 반으로 갔어요. 그게 너무 부담이 컸어요. 제가 아버님이
너무 크신 어른이니까, 도저히 따라갈 수가 없잖아요. 기어드는 그런 생각도 갖고 있었고. 저는 유
명한 아버지가 좋다고 생각 안 했어요. 가난해도 그냥 지게꾼을 해도 나의 아버지가 있었으면 좋겠
다, 이런 생각을 했는데, 제가 고등학교 때부터 ‘우리 아버지 정말 좋은 분이구나. 사람들이 다 추앙
하는 분이구나.’ 그때까지도 저는 아버지를 존경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았어요. 왜 일을 남들이 하지
않는 일을 아버지가 해서, 우리에게 그런 고통을 주나, 그런 생각을 많이 했거든요. 그런데 이제 제
가 결혼을 하고, 자식을 낳고, 이러면서 정말 아버지 같은 분이 없구나. 어떤 분들이 다 와서 육사
선생님에 대한 이야기를 다 해달라고 그러고, 어떤 분이냐고, 우리가 어떻게 했으면 좋겠냐, 이렇게
하면 저희 아버지 같은 분이 100명 중에 1명이 있을까, 말까 저는 그 분을 본받으라는 소리는 안
했어요. 그냥 자기 있는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는 사람이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이다, 제가 이렇게 이
야기하죠. 저희 아버지는 피투성이 되어서, 고문을 많이 당했을 때는 일주일에 두 벌씩 한복을 어머
니가 삽입를 시켜도 그게 다 피로 물들어 나와서, 저희 할머니하고 어머니가 엄청 마음고생을 많이
했다, 이런 이야기도 있거든요.

이육사를 기억하고, 이육사의 시를 읽다.

질문: 마지막 질문을 드리겠습니다. 여사님께서는 사람들이 아버님 이육사 시인의 작품을 어떻게
기억하고, 어떻게 읽으셨으면 좋겠는지 여사님이 생각하시는 분이 있으시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
습니다.

- 그런데 여러 가지 설이 나오잖아요. 우리는 옛날에 해방이 안 됐기 때문에, 모든 거를 광복에


그거 하는 거잖아요. 그런데 그거는 읽는 사람의, 그때 시대상으로, 저는 청포도 같으면 정말 고귀
한 손님을 맞이하는 그런 순수한 마음도 있다, 이런 생각을 하죠.

질문: 예, 감사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육사 시인이 당시에 있었던 해방이라는, 광복이나 그런 의
미뿐만 아니라, 지금에 있어서도 의미가 있을 수 있도록 그렇게 읽어야 된다고 말씀을 해주셨는데
요. 저도 그렇게 생각하고, 그리고 또 앞으로 그렇게 이육사 시인의 시가 읽혔으면 좋겠습니다. 오
늘 시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질문: 고맙습니다.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25
학습활동 자료 | Learning Activity Sources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26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영어 스크립트 | English Script

The First Session |

Hello everyone, 8th week of the foundation and value of Korean culture class. We're
going to study the value of Korean culture for next two weeks. Today, we will study the
first value of Korean modern culture, Cross-cultural modernity. In the first session, we
will briefly introduce the context of what we will study in today's lecture.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Korea and countries in East
Asia met the world through the Western country. However, this was also an unequal
encounter.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estern countries were rich and had
developed capitalist systems and already modernized. However, East Asian countries
have not yet achieved modernization. Lim Hwa, a critic of the colonial period, pointed
out that modern times in Korea and East Asia began with the arrival of Western
capitalism in East Asia. He said that because of the nature of capitalism, where the
economy and money circulated, the whole earth was connected to one world. But in the
absence of modernization, East Asian countries had to import and transplant the
political system and culture of the Western society. The intellectuals of East Asia
thought of Western countries that had already established capitalist systems as advanced
countries, and East Asian countries as underdeveloped countries. Sometimes, took the
structure of advanced and underdeveloped as a given, and thought that underdeveloped
countries should catch up with developed countries. Fukuzawa Yukichi, a 19th-century
Japanese thinker, thought that civilization had advanced and underdeveloped states, and
that it was natural for developed countries to dominate backward countries. And the
intellectuals and the public in East Asia thought of Western culture as a goal and tried
to catch up with them.
However, some people did not want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st as an
advanced and backward structure. Polish revolutionary Rosa Luxemburg explained that
capitalism can be established on the premise of a non-capitalist environment. Rosa's
perspective helps us break away from the position of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st and Asia as an top to bottom. Rosa's idea tells us that capitalism cannot
uniformly cover this world, and opens up the view that there are both capitalist and
non-capitalist states in this world. Rosa's perspective helps us understand the inequality
of the world. This view allows us to break away from the view that Western culture is
the completion of modern culture and that non-Western culture such as East Asia is
less than modern. East Asian culture is not meaningful when catching up with Western
culture, but East Asian culture is meaningful in its present state itself. So, how should
we understand the modern culture of East Asia? Comparative literature researcher Peng
Hsiao-Yen reflected that the existing cultural theory focused only on conflicts and
conflicts between cultures, suggesting a new perspective to understand modern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27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literature. He thought that through the crossings of already connected cultures, cultures
evolved as they interacted with each other. Modern culture is formed not only by
crossing the boundaries of the state and language, but also by crossing the boundaries
of the past and present, intellectuals and the public, men and women. Thus, the cultural
modernity of East Asia is formed by crossing the boundaries between East Asian
traditional culture and Western modern culture. The same goes for Korean culture.
Modern Korean culture possesses cross-cultural modernity as its character and value.
Koreans are the subjects of transcultural modernity, constantly interrogating existing
cultural customs and order, and creating culture according to their own plans beyond
those boundaries.
I am at the Lee Yuk-sa Literary House in Gyeongsangbuk-do Andong-s Dosan-myeon.
Lee Yuk-sa Literary House is a place to recollect of Korean poet, Lee Yuk-sa. Lee
Yuk-sa crosses the bounda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and Chinese and Korean
writing, He was a literary scholar who tried to create new values of Korean culture by
crossing East Asian and Western cultures and also traditions and modern times. In the
8th week, we will look into cross-cultural modernity as the value of Korean culture,
focusing on the movement and literary practice of Lee Yuk-sa. The key question is,
"What subjects practiced the cross-cultural modernity as the value of Korean modern
culture?" The key words are East Asia, Western, traditional, modern, and cross-cultural
modernity. This is it for 1st week session.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28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Please, Madam, introduce yourself to everyone.

- Hi, I'm Yi Ok-bi from Lee Yuk-sa Literary House. And Lee Yuk-sa is my father.

I heard that your name was given by your father and has special meaning to it.

- Yes, his two children passed away early, my older brothers, so that he waited for a
long time for us. and I was born as a late child that my uncles wanted to name me. But
my father said "she's my child so I'll name her." He couldn't give just any name,
100days later he said he thought of perfect name for me and will announce it. Normally
we wouldn't use a character Ok meaning rich. Then he used Bi which means Not. It's a
bit strange when you say "not rich." However, my father said it means to be a person
who has no greed and be a considerate person, like Gandhi. But I couldn't be a person
like Gandhi. It was his hope, for me to be like a person like that.

It is the hometown of poet Lee Yuk-sa, and Wonchon Village, where the Lee Yuk-sa
Literature Museum is located, seems to be a rural village in the deep mountains. Ma'am,
I'd like to ask you how it was when you first came to this town.

- I wasn't born here, and the first time I came here was the year I moved my father's
graveyard. The graveyard was moved when I was in my second year of high school. We
neglected father's and grandfather's grave since the war was just over. Mother thought
if war breaks out again, we can't go visit them even if we wanted to. She thought a lot
about it back then I think. So if we move their grave to their hometown, other families
could go visit even if we couldn't. That's why we decided to move it. Mother made me a
white clothes saying I'm the lawful heir. I was wearing white clothes, it was May. The
whole mountin was covered with azalea. I remember that totally forgot about it and ran
all over the mountain. Azalea was everywhere I go. We don't have that anymore
nowdays. Come to think of it, I think it was just after the war, all the pine trees were
cut down so that azalea could grow so much because there were no trees blocking the
sunlight. Now we don't have so much anymore. I was running all over since it was the
most beautiful thing I could see, but my uncles scolded me saying "Running all over the
place like that not thinking of your place." "have to stay calm." that's why I never forget
about it.

I think it would have been very beautiful. I'd like to ask you how you remember your
mother, Mrs. Ahn Il-yang.

- back in my mother's time, even if they were born to a rich family, didn't make
their daughters study. They married and came into the family from the point where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29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they could barely read Korean, mother, I was like that back then. How hard must it
have been for my father to marry my mother in that state? I often think that, but one
thing that's unique about my mother was that she had a talent. My mother's family
used to have a gold mine, my mother sat there as a secretary, and I still remember the
money. We pressed down on the money and ironed it all night. My mother was fine
without the account books. She had it all in her mind. So my uncles all said they can't
keep up with her, she's so smart. Mother's family cousins stopped crying if anyone says
that big aunt is coming, my mother was a very first born child of 12 siblings. babies
were stopped crying. She was that strict. She was full of love but on other hand, she
wanted us to obey her and listen to what she said. She appealed in a way. For me to
talk about her, I'd always said strict mum. We did house boarding for living, so
everyone including other students had to come home before 9pm. Back then, every
parent who keep their child in the boarding house, came by. So mother said "everyone
in our house need to be back before 9 pm maximum. If anyone break the curfew more
than 3 times, I will contact their parents." She said she could not trust such person.
She was that kind of person, and she was more strict to me because I was female. I
had to be at home at least in an hour after school. My close friends still say, "she was
too strict." She had a tendency of evergreen tree. My family wasn't rich at all but when
she visit her family or father's family in their hometown, She always offered my cousins
who were smart but didn't have enough money to continue their studies, "come to my
house, I'll let you sleep and eat, you study hard". We had 7 people studying like that in
our house. They all passed away and 3 of them left. She just loved to teach others and
offer help. Also, we had few children working at our house, mother taught them at
night They didn'teven went to primary school at first but then she taught them and
married somebody, basically raised them all. To think of it now, we don't have someone
like my mother these days a lot. She worked hard. She did it even though she didn't
have enough, there are people out there who have money but don't even think about
doing such things. Back then everyone didn't have enough to eat. But she always
cooked rice full of a large brass bowl. She said our house is a guest house. We lived in
Sanduk-dong 88, everyone called 88 guest house. Guests from our hometown sightsaw
the whole day and came to our house. When she said, "guys prepare for a meal" then
we all went down to prepare them since we had food all the time. I seldom said there is
nothing to eat, but seeing the guests eating the food so gracefully, I also wanted to eat
it. My mother always cooked rice so it doesn't run out, the housemaid said one day "
there will be guests today what can we do" The House maid said that there are always
guests coming if a bowl falls down while she's washing it. Then suddenly guests come
by after curfew hours, like 8 people. We had 12 rooms. First we had 5 rooms and built
another 5 later on since uncle's family came by while evacuating. That's how my
mother was. Later she wrote sadonji too.

what is it sadonji?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30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 It's oath of marrage When a niece gets married, she writes, "It's an honor for us to
combine your children and very happy to have a new home." Then their writing also
sent by too.

What was Mrs. Hurghil like?

- I never got to meet her. She passed away before I was even born. My grandmother
is a person whom my mother really respects.

I heard that your mother learnt Korean from grandmother.

- Yes, she did taught her. When my grandmother got married, she said that she was
the best writer in the neighborhood, and she wrote educational things very well, and she
was fluent in the Four Books and the Three Classics, the Seven Chinese Classics. My
mother learned it, too, and later grandmother passed away, and when I grew up, she
even read newspaper editorials very well. That's why my mother always said that my
mother-in-law is a teacher to me rather than my own mother. Even when we have a
memorial day for ancestors, she always cooked the food that my grandmother likes and
cried behind my back. So I asked, Why do you cry so much even their not your own
parents and it's been a long time ago since they are passed. I asked with my standards.
Then my mother said, "Your grandmother is my teacher, and I wouldn't be a reasonable
member of this family if she wasn't there." My uncle is 1st Class of the Korean
Revolutionary Academy for Military and Political Leaders along with my father. But uncle
has confessed their comards. So they got cought. From that day on, my mother broke
up with my father for eight years. They were broken up even when they had the first
son, but they got together again since my second older sister was born. So without my
grandparents, my mother would have been kicked out already. I said my grandmother is
a grown-up, she always looked at my aunt and aunt and said, "You're all my
daughters." My third aunt is a descendant of Hauji, and she came here after getting
married, but she passed away without suffering for a long time. So she was always
heartbroken and said, "You're my daughters." But my grandmother said that after her
youngest son passed away, she couldn't thread the needle even after a year and a half,
because she was upset. But if you have something like that, I think I'd hide it. Because
she told her daughters-in-law, "You are my daughters." but then, I think she wants to
hide the fact that she felt sorry for her son's death rather than her death. She said she
is so sorry that when her third daughter-in-law passed away, she was able to thread a
needle in a year. It's been a year and eight months since my son passed away, and I'm
still so upset that I can't get my needle thread." She said "Please forgive me for being
so contradicted" Back then, when elder says that was it. But my grandmother said that
she was I told my daughters-in-law, "Forgive Amy for this nonsense, that she is sorry. I
thought I wish I had a grandmother like that. So my mother deserves respect.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31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The Second Session |

Hi everyone 2nd session. In this session, we will look at the movement of Lee Yuk-sa,
which crossed the boundaries of East Asia. Lee Yuk-sa Literary House is in
Gyeongsangbuk-do Andong-s Dosan-myeon Wonchon. This is a rural village about 40km
away from downtown Andong, where trains run. It still takes about 30 minutes by car
even today. Wonchon Village is a rural village in a deep mountain surrounded by
mountains and rivers. Lee Yuk-sa was born in 1904 here in Wonchon Village. His father
was Lee Ga-ho, a descendant of Toegye Lee Hwang, and his mother was Heo Gil, the
daughter of Heo Hyung, a righteous army general who resisted Japan. Lee Yuk-sa had
six brothers, and Lee Yuk-sa was the second oldest among them. And the fourth, Lee
Won-jo, was also a famous critic. Lee Yuk-sa is a descendant of Toegye Lee Hwang, an
important Neo-Confucianism scholar of the mid-Joseon Period. Toegye Lee Huang
studied the study of Zhu Xi, a Confucianist of the Song Dynasty in China, and educated
his juniors here in his hometown. The school where Toegye Lee Hwang taught his
students is Dosanseowon Confucian Academy. Dosanseowon Confucian Academy was
built by the Nakdonggang River. Nakdonggang River is a 700-ri river that starts from
Taebaek, Gangwon-do and flows through Busan to the sea. It is the longest river in
Korea. After Yi Hwang passed away, his studies crossed the border to Japan and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in Japan. The 1,000-won bill used in
Korea now has a portrait of Toegye Lee Hwang. Wonchon Village is about 5km away
from Dosanseowon Confucian Academy. Lee Yuk-sa's family, a descendant of Lee
Hwang, placed importance on studying neo-confucianism, the ideology of East Asia in
the traditional era. Wonchon Village is a village where descendants of Toegye Lee
Hwang lived together. Lee Yuk-sa described his hometown as a village with about 100
houses, and the weight of the tradition that has been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s a "scary scale." The people of a family clan lived all together in a village
inheriting the study and teachings of Toegye Lee Hwang, their ancestors, as their
spiritual pillars. Lee Yuk-sa grew up in a village that respects tradition. He learned
Chinese characters from his grandfather, Lee Joong-jik when he was young. Together,
the six brothers read Confucian scriptures aloud and competed with each other by
writing Chinese poems and Chinese prose.
Let's take a look at what Lee Yuk-sa wrote. It's his essay Milky Way.

When I was about 7 or 8 years old, it was my daily routine for boys in the house to
get together and write at around 10 a.m. or 11 a.m. any day in summer.

As a child, Lee Yuk-sa gathered with his brothers and wrote in Chinese characters.
Wrote verses with five words to each line, verses with seven words to each line, exam
writing and paper etc. After writing, showed the writing to adults and received an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32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evaluation. If you win first place, the prize was 20 white papers, a notebook. This shows
the Korean study of writing in the traditional era. Lee Yuk-sa and his brothers learned
how to write and draw. Also, at night, his grandfather gathered Lee Yuk-sa and his
brothers and taught them constellations in the night sky. "That is Munchangsung; the
star that supervise literary talents, this is Southern Cross and that is Samtaesung; the
star that symbolize three misters." Lee Yuk-sa's grandfather teaches the names of stars
one by one. Lee Yuk-sa said that even though he was young he thouht his hometown,
where the Nakdong River was the best river on the ground and where a beautiful galaxy
in the sky," was a very proud place. And he said that his childhood when he was
educated in a traditional environment, was "a very happy time." Lee Yuk-sa summarized
the experience of being educated about East Asian traditions through an adult in the
family as "the educational history of Joseon before school education." LAter, Lee Yuk-sa
came out to the city and went to a modern school, and married Ahn Il-yang. He also
studied in Tokyo for a short period of time and studied at the University of China in
Beijing for about two years. Lee Yuk-sa says that at this time, "what I learned, The
Middle Way or The Great Learning has changed to physics or chemistry." Lee Yuk-sa
studied Western studies at a modern educational institution, a school, after learning
Chinese literature, an East Asian tradition from adults in clan in his childhood.
Returning to Korea after studying abroad, Lee Yuk-sa was repeatedly imprisoned for
resisting the colonial system. And he works as a newspaper reporter and then cross
border to China. He travels through Tianjin and Beijing and to Nanjing. At the age of
29, Lee Yuk-sa entered Korean Revolutionary Academy for Military and Political Leaders
near Nanjing for military training. The following year, Lee Yuk-sa finished his military
training and entered Korea via Shanghai. At this time, he meets Chinese writer Lu Hsun
in Shanghai. Lee Yuk-sa walked the path of revolution while carrying out secret duties.
He went in and out of China many times and has been imprisoned many times. He was
imprisoned 17 times in his entire life. Lee Yuk-sa also published poems and prose in
Korean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also translated Chinese literature too. It was not
easy to cross over East Asia's borders, but Lee Yuk-sa did not stop the political and
cultural practice. However, in 1943, Lee Yuk-sa was arrested and transfered to Beijing,
China. In January 1944, Lee Yuk-sa dies in a Japanese consulate prison in Beijing. After
liberation in 1945, Lee Yuk-sa's younger brother, Lee Won-jo, introduced Lee Yuk-sa's
poems to newspapers and published <Yuksa's Poety> in 1946. And in 1968, Lee Yuk-sa
monument was erected along the Nakdonggang River.
Lee Yuk-sa has crossed the boundaries of three East Asian countries, cities in Korea,
cities in Japan, and cities in China and also rural areas. Lee Yuk-sa studied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in East Asia and received modern education in Korea, Japan, and
China. He crossed the boundary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Also, I crossed the
boundaries of East Asian languages such as Korean, Japanese, Chinese, and Chinese
characters. Lee Yuk-sa published poems, novels, and essays also wrote contemporary
reviews, and painted literary paintings. He also crossed the boundary between writing
and painting. And Lee Yuk-sa crossed the border between politics and culture. Lee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33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Yuk-sa wrote beyond the boundaries of tradition and modernity on the basis of crossing
the boundaries of the country and language. Lee Yuk-sa was the subject of
cross-cultural modernity that constantly interrogated the existing cultural customs and
order and created culture according to his own plans beyond the boundaries. And as a
subject of transcultural modernity, Lee Yuk-sa was also a dandy, a fashionable man,
who paid attention to clothes and appearance. In the remaining photos of Lee Yuk-sa,
he is dressed up nicely in a Western suit and putting his hair back. Lee Yuk-sa was a
cool guy, a dandy. In terms of Dandy, it usually means a person who is interested in
appearance and clothes and was financially stable, but this is not enough explanation.
Dandy is the subject who pays attention to how to organize his life above all else.
Dandy is fashion-conscious, but not just swept away by the trend. Dandy has an
attitude of reflection on reality and itself, and that attitude appears with great looks and
clothes. Lee Yuk-sa, who wanted to reflect on his life and move forward, also refined
his appearance and clothes. He wanted to build his own life. On the other hand, a
photo of Lee Yuk-sa wearing hanbok was also recently found. Even when he wore
Hanbok, a traditional Korean costume, he refined his appearance. The fact that his
photos in hanbok and suits remain at the same time shows that Lee Yuk-sa lived a life
that transcended the East and the West, traditions and modern times. In the second
session, we studied Lee Yuk-sa's life, which crossed the boundaries of borders and
languages, which crossed tradition and modernity, and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In
the third session, we will learn more about Lee Yuk-sa's poems among cultural
practices.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34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Do you have any memories with your father, poet Lee Yuk-sa?

- I remember that before my father died, he bought me a pink hat and velvet clothes,
and black shoes at the huashin department store. I think of it a lot. And I think my
father thought I was smart when I was young We had lots of seals at home back then,
when I was poem playing, I didn't know what it meant or read words, when adults read
one then I catch one. There were only children and cousins, I always had the first few
cards. Dad used to call me in the morning mix all the seals together, Asked me who's
seal is which, then I used to find one by one. "this is grandpa's, this is uncle's" like
that. He found it really funny and asked me every morning, I have memories like those.
We had something like a domino, you through it to knock down the other, you know?
When I through one, I knocked the biggest point down, I remember that too.

When you look at the picture of Mr. Lee Yuk-sa, he would have worn a suit, pulled
his hair back, and looked cool. Did you hear anything about it?

- I remember my father always wore something like ivory coloured clothes and bowtie. My
mother asked me one day, "What do you remember about your father?" and I said, "I remember
him wearing an ivory suit and bowtie." but my mother said "Your father had lots of suits but
was there any ivory suit? I don't remember." I was married in Daegu in 1964, and we had to
move there in 1968 since my husband moved work there. About an year or two later, I was
reading a magazine, there was my father on the front page with Mr. Cho Pung-yeon. Mr. Cho
Pung-yeon had the picture of him and my father and now it's revealed since we're talking
about Lee Yuk-sa. I bought that magazine and handed to my mother and said "See this mother,
you don't remember it?" Mother staired it carefully and said "You must be smarter than me"
Yes, and he looked cool even in Korean traditional clothes, Hanbok. Mr. Suk Cho told me that
when my father wore hanbok and went to city, everyone said he looked very nice, and my
Mother was very happy and pleased to hear it. My mother did niddle work for her entire life,
she felt really happy about it. And father's younger brothers came to her and asked her to
make them a clothes, so she finished 15 clothes in that year Also, you already know that my
aunt is cousin of Princess Deokhye. She always said that my father is the best gentleman ever,
had good table manners etc. And said her husband, my 4th uncle is a country bumpkin. Since
she was part of the royal family, she never had anything bad or did something hard. But my
uncle kind of pressed her. She used to perm her hair with her neighbor Mrs. Mo Yun-suk. But
he told her to straighten it out right away and wash it off. but asked them to straighten it out
again, but then it'll be more curly if you wash them out. So my aunt didn't want to hang out
with Mrs. Mo Yun-suk, that man is Mr. An Ho-sang. Divorced and married again, later when I
met him, his oldest daughter was same age as mine. She said, There were common well, half
there and half here. They were staying in Hyehwa-dong I met his daughter when I was
pregnant. So that they didn’t work out together well.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35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The Third Session |

Hello, this is 3rd session. In the third session, we will look at poetry among the
literary practices of Lee Yuk-sa. It is poetry called Looking Back, where you can
examine the minds of Lee Yuk-sa, who practiced political and cultural practices while
crossing the boundaries of East Asia. You can find out the weary heart of Lee Yuk-sa
in his poen Looking Back.

My Life is a broken bark.


Its pieces are scattered over dreary fishing villages,
And only the dust of living remains like a tattered sail.

In this poem, the subject of the poem describes his life as a "broken piece of bark."
Here, the ship likens itself to Lee Yuk-sa, who traveled around East Asia around the
Yellow Sea. But the subject of the poem said that he was now a broken piece of bark. It
means a very exhausting and precarious situation.

While others found their youthful days happy,


My nightly dream, like a junk smuggling over the West Sea,

Was brined and swollen in the salty waves. Lee Yuk-sa says his youth was not just as
happy as everyone else, but moved under tension like a stowaway junk ship. And he
says he's tired of his life in the brine of the sea breeze.

Every night, after escaping a reef, I fough a storm;


And where the fabled coral island could not be found,
Not even the Southern Cross shone above.

The poetic subject drifted in the dark sea. Barely out of the reef, again met a
typhoon. If you barely get out of one difficulty, you meet a bigger difficulty. He could
not meet the island to rest, nor could the Southern Cross be comforting for him.

Pursued, dragging my weary limbs,


I climbed the longed-for horizon at a breath, when
The stagnant water, like tropical plants, girded my ankles.

He is wandering aimlessly through strange areas where tropical plants grow, "Chased
Heart!" and "Tired Body."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36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Like a spider driven by the tide at dawn,


I've drifted here, clinging to a crumbling shell,
Looking back at my long journey dotted with distant harbors.

The poetic subject says that he lives a life of floating in the tide, relying on the feeble
existence of a small shell. He says his life was not settled in one place, but rather an
unstable life flowing through various ports. In the days when he says his life was a life
flowing in the tide, Lee Yuk-sa's tired mind that crossed the boundaries of East Asia is
well represented. Lee Yuk-sa expressed his exhaustion through Looking Back, but his
poem does not only express his tired heart. Lee Yuk-sa's famous poem, Green grapes,
contains a little comfort in his tired life as he crosses the boundaries of East Asia. And
the poetic imagination of Green Grapes is connected to East Asia's long-cherished
dream of peace. Let's read it out loud.

The month of July at my home


Is the season when ripen green grapes.

The village legend mellows in clusters,


And the far dreamy sky enters each bead.

As the blue sea bares her bosom to the sky,


A boat with a white sail will come adrift,

And my longed-for guest will finally arrive


With his weary limbs, all draped in green.

Feasting on the grapes to welcome him,


I shall gladly let my both hands get wet.

Prepare on our table, my dear boy,


White ramie kerchiefs on a silver tray.

It's a beautiful poem. First of all, color poetic diction with blue as the sea, Chungpo
and green grapes, The poetic diction of white as sailboat and ramie towels creates a
beautiful landscape in strong contrast. Looking Back's poetic subject wandered around
East Asia on a boat, while Green Grape's poetic subject awaits and welcomes guests on
a boat. The poetic subject of the green grapes not only comforts the weary life of the
revolutionaries who come by boat, He himself wants to continue the path of the
revolution. I think Lee Yuk-sa himself liked this poem very much. He said, "How could I
have written such a poem?" and admired, Let's look into it little more In the first verse,
the expression "July, my hometown / is the time when green grapes are ripening." The
key poetic diction is "July." The story of July also appears in the essay Love Story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37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written by Lee Yuk-sa. Love Story is the story of Lee Yuk-sa putting his heart into a
certain seal. Lee Yuk-sa bought a jade seal, in 1933 in Nanjing, Lee Yuk-sa carved a
poem called "Fickle winds around July" among The Book of Odes, and he cherishes the
seal very much. The Fickle winds around July, show men and women who are faithfully
working on agriculture and sericulture and sericulture. There's also a story that relates
Lee Yuk-sa and his brothers to Fickle winds around July. In November 1936, Lee
Yuk-sa's brothers celebrated their mother's 60th birthday, made a folding screen with
Fickle winds around July written on the screen, and gave it as a gift to their mother.
The folding screen was a 12-width, and the last one contains a poem from Fickle winds
around Julyl, "At the beginning, it refers to clothing, then food, and finally, it refers to
rituals and feasts." It says, "All men and women who farm silkworms faithfully work
according to their duties." On the mother's birthday, the first son Lee Won-ki composed
a piece, and the third son Lee Won-il wrote the writing on the folding screen. The
fourth son, Lee Won-jo, sang a poem, and the fifth son, Lee Won-chang, danced in a
sakdong costume. And the second son, Lee Yuk-sa, served alcohol to his mother, and
his nephew, Lee Won-Kyun, served flowers. Fickle winds around July is a poem
connected to the respect of the Lee Yuksa brothers for their mother At the same time,
it is also related to the common people of East Asia who sincerely worked in agriculture
and sericulture and made peace. July is a time of peace in East Asian tradition. In the
essay Love Story, Lee Yuk-sa wrote that he gave his cherished seal to a person named
S. S is a colleague of Lee Yuk-sa and is presumed to be Yoon Se-ju, who was trained
at the Korean Revolutionary Academy for Military and Political Leaders together. Yoon
Se-ju was a person who walked the path of revolution through direct armed struggle.
Lee Yuk-sa seems to have been interested in the practice of Yoon Se-ju, who went on
an armed struggle, in real time. So for Lee Yuk-sa, July is not only a time of peace in
East Asian traditions It is also linked to the practice of Yoon Se-ju, who participated in
the revolution to realize peace in East Asia through the seal. Let's look into next poetic
diction, Chungpo. The poetic diction of Chungpo also appears in the poems of Tu Fu, a
Chinese poet in Tang dynasty . The official in the blue robe that appears in Tu Bo's
poem is a poor low-level official. Also, the figure who appears in Tu Bo's other poem is
a rebel wearing a blue gun and riding a white horse. I can understand that the guest
wearing the green cloth I'm waiting for in Lee Yuksa's poem Green Grapes was a person
who worked hard on the revolution even in poverty. If you read it overlapping with Tu
Bo's poem, you can understand that the guest in Cheongpo, which I am waiting for, is a
person who worked hard on the revolution even in poverty.
Lastly, let's look into Green Grapes as key poetic diction. There is still a grape species
called green grapes in Korea. Green grapes are grapes with light green color. However,
in the poem Green Grapes, green grapes do not mean light green colored grapes, but
green grapes before they are ripe. The background of this poem is July. Grapes in July
are not ripe enough yet, but they ripen through the summer. In order to ripen, it must
be "the legend of this village opens up and the sky dreams in the distance, and each
egg need to be embedded." Grapes are gradually ripened through the wishes and dreams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38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of the villagers living in peace. And when you harvest the dark blue grapes in
September, you can wrap them in a white towel and serve them to your customers. The
poem Green Grape contains East Asians' long-cherished desire for peace. And you can
also find the movement of people trying to create that peace. As such, Lee Yuk-sa
stood in the reality of Korea and wrote a poem using East Asian traditional ideas. Lee
Yuk-sa planned the Korean culture needed in reality by crossing the boundarie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radition, and modernity. This is it for 3rd session,
Thank you.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39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You already told me, looks like all 6 brothers were very close.

- Yes. In Daegu, Gyeong-buk area, there must be younger brothers where the older
brother is and vice versa. But I think that they all had their own specialty, my oldest
uncle studied Chinese literature, my father studied both modern science and Chinese
literature, and also third uncle was a famous calligrapher. And Yeo-Chun wrote a letter
to Mr. Choi Nam-sun when he was 7 years old. He wrote short writing, Mr. Choi
thought there is a genius in Joseon so he wrote a preface. That much of a genius. Also,
he's in a period of the Three Disasters, where he went up to the North is one part of
three disasters. Became sort of a weirdo That was that, and fifth uncle was also a
writer. even though they were close they all envy each other. You know Mr Yeo-Chun
was working in Daily Chosun. When he was around, the chief editor was in Daily
JoongAng as an chief editor. But my uncle was working as Mr. Heo-Hun's secretary.
When he was arranging books together, and he was also close to my grandmother not
like other brother and sister. My uncle beloved my father, So that he came to
caligraphy class and ask for private meeting for 2 hours or so. My uncle told me that
even he worked 24/7, uncle never said you should come and visit me. He never said
that. My father just met him if he comes by and talk about independent movement. And
my fifth uncle's story, he has a lot too. He is a writer, he was the very first one to
start his literary career, with the writing he published in Daily Chosun. The other
brothers were gathered and drank saying that "They didn't know that he'd write so well,
well done" My sixth uncle never mentioned that he could draw so well. But he never
studied very well, the one he was scared of was only my father. One day, my father
asked my sixth uncle "We don't have anything in our house, If you don't study, you
won't be a farmer." "So what do you want to do?" and he said "I want to paint". You
know even in those days, you need to pay to learn something, even give out some rice
or so. My father said " Won-hong said he want to paint but then he don't have money
or what so ever, what will you learn with" For that, the instructor that was teaching my
third uncle said "Let me teach him for 3 month." So he dropped him by after he took a
shower. Two months later, he got a letter saying that he has a talent. He won a prize
within a year in the Chosen art exhibition. Other brothers was so happy about it, that
he got a prize with his painting, They got too excited after drinking 5 glasses of alcohol
while eating, He said that he's having bad headache "could you tap me at the back?"
But that didn't work so well and asked them to lay him down. He passed away just like
that. Right after laying down on the floor. He wasn't even married.

I heard that your father's brothers visited after his death.

- Yes. They came to visit even he was alive, 3~4 brothers came along every month.
Every month. At least two of uncles came to visit. you don't talk in detail when there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40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was a girl in the past. But my uncles talked to my mom and discussed the phrase of
the times and things like that in depth. He also talked about the ideology that my father
and uncle had.

May I ask you to recite the poem, Green Grape, out loud?

- I can't recite. I will read it out. I caught a cold. Green Grapes The month of July at
my home Is the season when ripen green grapes. The village legend mellows in clusters,
And the far dreamy sky enters each bead. As the blue sea bares her bosom to the sky,
A boat with a white sail will come adrift, And my longed-for guest will finally arrive
With his weary limbs, all draped in green. Feasting on the grapes to welcome him, I
shall gladly let my both hands get wet. Prepare on our table, my dear boy, White ramie
kerchiefs on a silver tray.

Thank you.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41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The Fourth Session |

Hello everyone, let's start 4th session right away. In this lesson, we will look at the
attitude that Lee Yuk-sa, who created transcultural modernity, had toward lif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Lee Yuk-sa literature, let's think about the works of
Russian artist Evgenin N. Chrikov and the works of Chinese artist Lu Hsun together. n
1920, the novel Hometown by Russian writer Evgenin N. Chrikov was translated into
Japanese in Japan The novel features a character named "I," who returned to his
hometown after 20 years. I' was longing for the hometown and longing to go back
home. I' thought that I would be able to meet my youth again when I worked hard for
the revolution in my hometown. He thought of the past as a beautiful thing against the
reality of failure. We call this attitude as nostalgia. However, when I go back to my
hometown for the first time in 20 years, 'I' was very disappointed. He wanted to find a
beautiful hometown as he remembers as a young man by going back, but his hometown
did not exist in reality. The return of "I" was a process of realizing that the hometown
he had imagined was only a fiction. In this situation, I deny the real home now. "I"
leaves its hometown as a thing of the past, and denies present hometown. The
character 'I' in this novel fixes his hometown as a thing of the past. And cuts off the
past and the present hometown. Evgenin N. Chrikov's novel Hometown was widely read
in Japan in the 1920s. And Chinese writer Lu Hsun translated it into Chinese. Lu Hsun
also wrote a novel titled Hometown. Lu Xun's hometown is also similar in structure and
situation to Evgenin N. Chrikov's. The main character of the novel, "I," also returns to
his hometown after 20 years. I' also find that my hometown has changed a lot and that
the hometown that I thought of no longer exists in reality. However, 'I', who appears in
Lu Hsun's hometown, did not just disappoint. He acknowledges the present of his
hometown, which has changed differently from his thoughts. And he says he would take
an uncertain path toward the future based on his current hometown. Lee Yuk-sa once
translated Lu Hsun's hometown into Korean. Let's read the Lee Yuk-sa's translated
version.

If you think about it, hope cannot be said to exist or not. It's like a road on the
ground. It is not originally on the ground. If there are more people coming and going,
then the road will be made by itself.

It is to create a new hometown by facing the reality and walking on the road based
on it. Let's compare Evgenin N. Chrikov's hometown with Lu Hsun's. Both novels are
based on 'I' returning to their hometowns after 20 years, and their hometowns were
different from their memories. But the response was different. Evgenin N. Chrikov's
novel cuts off the past and the present. I' did nothing while grieving for the lost
hometown of the past in his novel. However, Lu Hsun looked at the present of his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42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disappointing hometown and tried to move on to the future based on it. If Evgenin N.
Chrikov fixed his hometown in the past time, Lu Hsun opened his hometown to the
future. Also, for Chirikov, if his hometown means only a certain space, for Lu Hsun, his
hometown becomes where he walks. Lee Yuksa translates Lu HSun's hometown into
Korean in 1936. 1936 was the year when Lu Hsun passed away. Lee Yuk-sa wrote a 'Lu
Hsun memorial' to commemorate his death. The Lu Hsun Memorial writing begins by
recalling the time when Lee Yuk-sa met Lu Hsun. In the early 1930s, Lee Yuk-sa met
Lu Hsun in Shanghai. Lee Yuk-sa told him that he is from Korea and that he really
wanted to meet him once. Lu Xun greeted Lee Yuk-sa warmly and held his hand. Lu
Hsun memorial writing is about him meeting Lu Hsun and recalls the meaning of Lu
Hsun's literature. Lee Yuk-sa finds an attitude that does not avoid conflict with his
opponent in Lu Hsun's literature. He also finds movement in Lu Hsun's literature based
on the 'past' but looking to the future. Lee Yuk-sa thought that through Lu Hsun's
literature, he could move forward when the past and present, self and others, hope and
despair were unified in tension. This pledge of Lee Yuk-sa can be found in his essay
the five elements of the season. In the five elements of the season, Lee Yuk-sa says:

I just love my way that won't be afraid of leopards that wants to attack me, even
though I don't have an eye to look into a person who has the modesty to give
everything to wild dogs. Yes, my love for my way, it's an effort to sacrifice myself. This
is why I would rather raise my spirit and write my poems from my firm mind, but not
my will.

Lee Yuk-sa refuses to leave a will in advance by deciding on a conclusion. And he


reminds himself once again that he's standing on the road. Lee Yuk-sa opens up his
future as he walks along the road. Lee Yuk-sa sympathized with the meaning of
hometown that Lu Hsun suggested, and he himself carried out political and cultural
practices across the borders of East Asia. Lee Yuk-sa also saw that he could make his
hometown as he walk along the road, not by fixing it in a specific space. However, as
we saw in Looking Back, the path to the future was very difficult. And Lee Yuk-sa also
gets worn off. On the other hand, as we saw in Green Grapes, Lee Yuk-sa welcomed
himself who is worn off, and tried to open up to the future again.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ten appear in Lee Yuk-sa's poem. We will learn about Lee
Yuk-sa's thoughts o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through his poem The Wild Plain
and flowers. When Yi Yuk-sa died in 1944 in a Japanese prison in Beijing, Lee's
acquaintance and independence activist, Lee Byung-hee, discovered a collection of
poems written on cardboard in his cell. The wild Plain and the flowers are thought to
be poems in a collection of cardboard poems written by Lee Yuk-sa in prison. Let's
look at what Lee Yuk-sa thought of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while in
prison. Let's read it out all together.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43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On the primeval morn,


When the first sky was dawning,
Somewhere a cock may have crowed loudly.

When all the mountains


Were rushing to the seas with longing,
They could not have invaded this plain.

Through ceaseless flow of time


Seasons bloomed and faded diligently,
Till at last a vast stream found its way.

Now snow falls, and


Plum-blossoms' scent fills the air,
Here I sow my scanty seeds of a song

After a thousand years,


A man will come on a white hores;
He shall sing it loudly upon this plain.

It is said that the poem was written in a teahouse while Lee Yuk-sa was being transported
to Beijing in 1943. Today, around the Lee Yuk-sa Literature House, there is Yutpandae,
known as where he had an idea to write The Wild Plain. Lee Yuk-sa wrote a poem on his
way to Beijing, thinking about the fields of his hometown. But the time and space that this
poem contains is very vast. The wild Plain contains history. In the first verse, it's a distant
day, a moment when this world began. In the third verse, the word "light sound" appears
constantly. Light sound means time. And in the fourth verse, it's now, the present. In the
fifth verse, there's a phrase later far beyond. A distant future emerges. Therefore, this poem
describes from the moment the world was created to the present throughout history, and
further to the future. After the world was created, humans made history. However, the
current situation doesn't look so bright. In the poem, described the difficulties of reality as
"snowfall." However, Lee Yuk-sa is not frustrated with the current situation. He seeds "song
of Poor." For the future that must come someday, it is to carry out the small but maximum
practice that you can do now. No one knows whether the practice will pay off or not. But
Lee Yuk-sa hopes that in a thousand years, someone will remember his song in the wild.
You can also see Lee Yuk-sa's attitude toward the future in the poem Flower.

When in the East the sky has ended


And no raindrops bless the land,
Don't flowers bloom, redder than ever?
The days of toil to weave my life!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44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In the freezing dawn on an arctic tundra,


Deep in the snow sprouts begin to stir,
Waiting for the swallows to come in legion.
A promise not to be broken at last!

Where the waves foam far out on the sea,


In a catle of flowers ablaze in the wind,
Memories throng, like dreaming butterflies.
Today I call you here, as if to conjure you.

Beautiful flowers appear in this poem. it is a red flower that bloomed in a harsh
reality and harsh environment that has lost its vitality. But the flower is not for the
poet Lee Yuk-sa himself. Because Lee Yuk-sa himself is now in Beijing prison. Instead,
he calls for a group of reminiscences far away in the middle of the sea. The group of
recollections are those who survive in the future, and they are those who remember
history. Flowers belong to those who survive in the future and remember the past. And
Lee Yuk-sa sacrificed himself to bloom the flower. Lee Yuk-sa doesn't avoid death. He
hopes to return through the memories of a group of people who will have flowers in the
future. We looked at Lee Yuk-sa's poem The wild Plain and flowers written in the
Beijing prison. Both poems perceive the present pessimistically. However, Lee Yuk-sa
promises to do what he can even in the midst of pessimistic reality. I may not get the
result of your hard work now, but I think the result will be achieved someday in the
future. When the desired future comes, I hope that I can return to reality through the
memories of the future people. The attitude of not just feeling sorry for the harsh
reality, but practicing what I can do now is the attitude that Lu Hsun showed in his
writing hometown. Lee Yuk-sa also wanted to open the future based on the present. He
tried to do what he could, even if the result of the future was not given to him. Lee
Yuk-sa died in 1944, just before liberation. However, in 1946, Lee Yuk-sa's younger
brother Lee Won-jo and his friends published a collection of his poems. And on the
Nakdonggang Riverside in his hometown , a monument to Lee Yuk-sa is erected. And
now there's a literature museum that honor Lee Yuk-sa. We now remember Lee Yuk-sa
through the his writing. As Lee Yuk-sa wrote in Flowers, he's returning to reality
through our memories. In the fourth session, we looked at Lee Yuk-sa's attitude toward
the present. He didn't stay in the reality that is pesimistic. The attitude of Lee Yuk-sa
had was to resonate with the attitude of Chinese author Lu Hsun. Lee Yuk-sa's
perception and practice of cross-cultural modernity were formed across the boundaries
of the country and language, and created culture based on reality in anticipation of the
future that will come someday. This is it for the 4th session.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45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Mr. Lee Yuk-sa has been to Japan or China as well as Korea. Have you ever visited
where your father had been?

- About 3 years ago, just after the Corona virus is spread, I had a chance to visit
China. I couldn’t go to Taihang Mountains, but to Shanghai. I did travel if we had an
event. I traveled somewhere I never visited before a lot back then. I lived in
Myeongnyun-dong, and went to Shenyang. There was an Inn called SamJungMok in
Myeongyen-dong, there was an inn that also has the same name in Shenyang. I felt a
bit strange. My father really did came here to hide. My father used to tell me that
Shanghai is "Paris in Asia" He said Shanghai is very beautiful place. When I went to
Nanjing, in the first year our director went there for previous exploration, but went to
the wrong place. I almost cried when we held an event on the street. Later I went to
Nanjing again with people loves dad so much, The first time they went, before it moved,
the seat for initial student of Korean Revolutionary Academy for Military and Political
Leaders. I went up there later and visited where second-term students. Today
environment around changed a lot, but I just thought, here was the place where my
father was trained. Just those kinds of thoughts, now we only have the lot. I also went
to where my father met Lu Hsun. It was the front gate of Shanghai park, and it was the
day I went out to meet my cousins, and it was raining so I thought "whether my father
got rained on" and made me emotional thinking of it. The first year when I went to
Beijing, we all prayed at the enterance, next year, there were residents on the ground
lever where I heard the basement was father's cell in prison. The residents were not so
wealthy. The second time we visited there, they inhibit us to pray. They all just stood
there and stopped us from praying. I also could understand why, Korean, students were
singing military songs, and they must have felt uncomfortable. I brought a bottle of
wine then, Chinese police came to stop us and block us away, but we hid from them for
while until they're gone. Then our crew blocked the entrance for a while So I sprinkle
the wine I brought where there was a small park, and everyone else sprinkled a glass
too.

What is the your most favorite piece of work of your father?

- The wild Plain, Has a lot There are a lot of pieces out there, but I always loved
Flowers from the beginning. I always liked that work because everyone likes it. His
poem. I think, normally most people writes something beautiful relating flowers, but my
father wrote ideological things reffering flowers. I just fell into it involuntarily.

I would like to ask you to recite Flowers too.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46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When in the East the sky has ended


And no raindrops bless the land,
Don't flowers bloom, redder than ever?
The days of toil to weave my life!

In the freezing dawn on an arctic tundra,


Deep in the snow sprouts begin to stir,
Waiting for the swallows to come in legion.
A promise not to be broken at last!

Where the waves foam far out on the sea,


In a catle of flowers ablaze in the wind,
Memories throng, like dreaming butterflies.
Today I call you here, as if to conjure you.

Now is the time for independence that poet Lee Yuk-sa wanted.

- These days, I think there are certain times you need to wait. My father's time has
come. No one could do anything since there were too much of pro-Japanese group.
They wanted to rule us and handed it down to their descendants. But history has
changed. I lived with an expectation that one day, there will be a time that changes
everything. But it never happened really. Mr. Lee Eun-sang, how great is his poem? He
came by our literature museum and ask things, then our diretor tell him not to prepare
anything since it'll all break. There are no other case. Because they never admit it, Mr.
Lee Eun-sang came to our house very often, when I never knew anything. He came by
and drank wine and wild grape wine I made, his work is great I believe. But everyone
thinks bad about being pro-Japanese group.

In 1968, the literary monument of poet Lee Yuk-sa was erected in Andong. You were
there when it was erected, there is a photo left. How did you feel when it was erected?

- Yes, I was in year 11

There is a photo that you took there, so how was it to watch over.

- It was the first time in Korea. When father's monument was erected, I was bit late.
Mr. Lee Hyo-sang helped me out a lot. Since he was the Chairman of Congress, and
there was land on this side back then It was across the river, across from the Seoul
Arts Center, and one day, it was moved to the riverside. But since it was the first time,
I agree that there was a monument to commemorate my father I also heard that lots of
Poets in Andong drank a lot there, they still talk about it. When a writers' association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47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comes. They talk about they stayed up all night and held events there. It was in
Yeonghoru and moved to the dam from there now. Also planted trees but had to
re-planted since trees were something Japanese would like to look at. I knocked down
the fence too, since my father imprisoned a lot.

Now, Lee Yuk-sa's monuments have been built all over Korea.

- Yes, there are lot of them now. Has two in Seoul. Also in Pohang. They say that the
Green Grapes are theirs, but I won't blame them for building it in Pohang . The writer
has pointed out their perspective but when the reader does something like that, it is
what it is. For me, it's better if Lee Yuk-sa is known to everyone. So that they had
Green Grapes, white sailing boat. To tell you the truth, when I came here to Andong
when I was year 11, we were using the sailing boat with yellow sail, to cross the river
But them in Pohang persist the idea of the white sailing boat is theirs since they talked
about it first. Heard Japanese planted Green Grapes a lot in Pohang area long ago. I
think that also made them divide up too. Where I went was the one the town organized
the event, that was ok. But the one who made the monument carved Lee Yuk-sa's poem
in front and someone else's at the back. I felt that was very rude. engraving another
poet's writing. I never went back there again. There are too many of them everywhere
now.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48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The Fifth Session |

Hi, it's 5th session today. We will organize the 8th week of lectures in today's class.
Today, in the 8th week, we studied the transcultural modernity as the value of Korean
culture. Korean culture was formed by crossing various cultures. As with space, Eastern
and Western, traditional and modern in time, Western, East Asian, Korean in language,
and literature and movies in style. And as various cultures intersect like this, the
modernity of Korean culture is formed across cultures. In today's lecture, we studied
Lee Yuk-sa, who was the subject of transcultural modernity, and his movement,
practice, and literature. Lee Yuk-sa planned a new Korean culture while crossing the
cultural boundaries, and resisted the colonial situation to find a human life and
practiced anti-colonialism. Through the Green grapes of Lee Yuk sa's poem, we can see
that East Asia's long-standing desire for peace is presented through the form of modern
literature from the West. We also looked into the question of what attitude should we
have toward the present through the resonance of Lee Yuk-sa and Lu Hsun.
We are going to study the value of Korean culture for two weeks, week 8, week 9. In
the first lecture, today in the 8th-week lecture, we looked at transcultural modernity as
the value of Korean culture. In the second lecture, Week 9, Let's look into democracy
as the value of Korean culture. Thank you.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49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What kind of life did you live as Lee Yuk-sa's daughter?

- I couldn't be a troublemaker since my father was like that. They always made me
aware of my behavior. Teachers in school always does those things like. Make me
memorize and write poems, I never was in literature club but teachers always listed me
in the club. I always asked my home teacher that I want to change the club to
housekeeping. That was a big burden. I could never catch up to my father since he was
grown up already. Felt trapped too. I never thought a well-known father wasn't so great
to have. I always wanted to have 'my dad' even though he was a poor carrier, but then
I thought he was a honorable man since I was in highschool. Everyone reveres him' I
didn't admire him till then. I always thought why he always act differently and let our
family suffer. But the, after I got married and had kids, now I know that there is no
one like my father. Someone came up and asked to tell them about Lee Yuk-sa and
how he was like or what they should do, I never said to follow him, guess there will be
about 1 person out of 100 people do as like my father. I always tell them that do their
best in where they are, that is the heart of loving Korea. My father was covered in
blood, so when he was tortured a lot, even if my mother gave Hanbok twice a week, it
was all stained with blood, so my grandmother and mother had a hard time.

Let me give you the last question. I would appreciate it if you could tell me how you
would like people to remember your father's works and how you want them to read
them.

- There are many theories. We weren't liberated back in the past, so we're doing
everything for liberation. But it's the reader's, and in that era, I think that the reader
has a pure heart that welcomes a really noble guest if it's a green grape.

Thank you, Mam. So today, we know to read Lee Yuk-sa's poem as not only the
meaning of liberation at the time, but also read it as it can be meaningful to present. I
also think so and hope his poem can be read like he hoped. Thank you for your time.

- Thank you.

Thank you.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50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중국어 스크립트 | Chinese Script

第1課時 |

大家好,今天是韩国文化的根基与价值的第八周课程 从今天开始的两周,我们来学习韩国文化的价
值 今天我们学习韩国现代文化的第一个价值,文化跨越的近代特性 在第一课时,我们先了解这节课要
学的内容脉络 在19世纪末20世纪初,韩国和东亚其他国家开始接触西方文化并融入世界 可是与西方的
接触过程也是充斥着不平等性 19世纪末期,西方国家的资本主义社会体制迅速发展,很有国家已经实
现了近代化成为强国 可是当时的东亚国家还没有完全实现近代化 日本殖民时期的批评家林和指出韩国
和其他东亚国家的近代化发展,是从西方资本主义开始涌入以后才开始的 他认为由于资本主义的经济
货币循环性,致使世界各国都联系在了一起 在尚未实现近代化的情况下,东亚国家必须引入和移植西方
近代社会的政治体制和文化 东亚国家的知识分子们都将已经构筑起资本主义体制的西方国家看作发达
国家,将东亚国家看作落后国家 有时认为先进和落后的格局是理所当然的,认为落后国家应该赶上发达
国家 19世纪末的日本思想家福泽谕吉认为文明的发展必然存在发达与落后,发达国家支配落后国家是
理所当然 东亚的知识分子和大众们把西方文化当作追赶的目标,努力追赶
但是也有人不愿意以先进和落后的结构来理解西方和其他国家的关系 波兰革命家罗莎·卢森堡解释说,
资本主义可以在非资本主义环境的前提下形成 罗莎的观点有助于摆脱以先进和落后的格局说明西方和
西方以外的国家的关系的立场 罗莎的观点告诉人们资本主义不能均匀地覆盖这个世界,提出了认为资本
主义国家和非资本主义国家同时存在的新的视角 罗莎的观点帮助我们理解世界的不均衡性 这一观点打
破了认为西方文化是近代文化的完成,东亚和非西方的文化是未成形的近代化这一观点 这一观点的核
心在于指出东亚文化的意义不是体现在赶超西方文化的时候,而是体现在现在所展现的样子 那么该如
何了解东亚近代文化呢? 比较文化研究学者彭晓燕(音译)指出传统的文化理论只关注文化的矛盾和冲
突,为了能够理解近代文化,必须从新的角度出发 他通过已经交织在一起的诸多文化的跨越分析,文
化在互相影响的过程中实现进化 近代文化不仅跨越国家和语言的界限,还横跨过去和现在、知识分子和
大众、男性和女性等内外界限而形成 因此,东亚的文化近代性是通过横穿东亚传统文化和西方近代文
化的界限而形成的 韩国文化也是如此 韩国的现代文化所具有的文化跨越近代特性既是其特征也是其价
值 韩国人作为文化跨越近代特性的主体,对传统的文化旧俗和秩序不断地进行审视和打破,从自身出
发创造了新的文化
我现在来到了庆尚北道安东市陶山面李陆史文学馆 李陆史文学馆是纪念韩国诗人李陆史的地方 李陆
史是一个横跨中日韩三国、横跨汉字写作和韩文写作 横跨东亚文化和西方文化、横跨传统与近代创造
了韩国文化价值的文学家 在第八周的课上,我们通过李陆史的历史足迹和他的文学成就为中心来学习
韩国文化跨越近代特性 核心问题是“文化跨越的近代特性作为韩国现代文化的价值,是由什么样的主体
进行实践的?” 关键词是东亚、西方、传统、近代、文化跨越的近代特性 第一课时就到这里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51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问题: 您好! 女士, 请您简单介绍一下。

- 我是李陆史文学馆的李沃非。 李陆史老师是我的父亲。

问题: 听说女士的名字是李陆史亲自起的意义深远的名字。

- 是的, 我父亲在我们之前失去了两个孩子, 所以更期待我们了。 因为我是老来得子, 所以叔叔们说"


大喜啊", 都争着要给我取名字。 但是, 我父亲却说:"你们为什么要取名? 应该由我来取。" 就这样没有
给起什么名字, 第100天的早上终于起了名字, 并说要公布名字, 油腻的"沃"字不是一般不怎么用嘛。 但
又在后面用了不是的"非"字。 说'不油腻'的话不是有点奇怪嘛 但是, 父亲告诉了我其中的意义, 即成为
没有欲望、关心他人的人或像甘地一样的人。 我不能像那样的人。 但是, 父亲希望自己的愿望能够实
现, 所以给我起了这个名字。

问题: 诗人李陆史的故乡, 现在李陆史文学馆所在的元村, 其实就是深山老乡。女士, 我想问一下您第


一次来这个村子的感受。

- 我没有在这里出生, 第一次来的时候是转移我父亲坟墓的那年。 我在高中2年级的时候转移了坟墓,


因为当时战争已经过去, 所以我们疏忽了父亲的坟墓和爷爷的坟墓。 因为连伯父的坟墓都被疏忽了, 所
以我母亲感觉到, 如果发生战争, 即使我们想去看也看不到。 所以说如果搬回故乡的话, 即使我们不能
去, 亲戚们也可以经常去看, 所以搬了过去。 我高中2年级的时候, 母亲说我是丧主, 所以给我送了白衣
服 我穿白衣服来的时候是5月份。 满山都是杜鹃花。 所以我忘记了我是丧主, 我翻过这座山, 又翻过
那座山, 非常高兴, 到处是金达莱, 一转身还是金达莱。 现在没有了。 但是现在在我看来, 当时可能经
过6·25战争以后砍伐松树, 日照量很丰富了, 所以金达莱好像很多。 现在没有多少了。 但是真的太美
了, 我到处乱跑, 结果, 我们家的爷爷们责备我, 说丧主怎么那么没头没脑地跑来跑去。 告诉我"要小心
", 那句话我到现在也没有忘记。

采访者: 一定很美。我想问一下您对母亲安一阳女士的记忆如何。

- 我母亲出生于富家, 但却没有让女儿们学习。 所以好不容易才把韩文学下来, 我就是这样。 如果


这样的母亲来到我父亲身边, 父亲该有多辛苦啊? 我经常这样想, 我母亲的独特之处就是她的才华。 我
外婆家有过金矿, 我母亲作为总务坐在那里, 那些钱我现在还记得。 踩在麻袋上彻夜熨钱。 但我母亲
没有账簿。 但都在脑海里。 所以叔叔们甚至说跟不上姐姐, 说她很聪明。 我的堂兄弟姐妹们哭的时
候, 如果说大姑姑来了, 我母亲在12兄妹中是大女儿, 孩子们就会停止哭泣。 就是那样可怕的人 而且
我认为她很有爱心, 但始终都很独特, 所以要顺从我母亲的话。应该也有这个意思吧。 我一提到我母
亲, 就会想到可怕的母亲, 我母亲总是很严厉。 对别人也一样, 我们家曾经营寄宿。学生们9点之前进
来是也可以接受的, 以前家长都跟着来。 这个学生晚上通行禁止时间是9点, 如果做了3次, 我就会联系
父母, 我不能接管那样的人。 正因为这样, 我母亲对女儿更是如此。 所以, 到时间以后, 必须在1个小
时内到家, 现在我的朋友们, 以前的朋友们也都会说, "你母亲不是虎奶奶嘛。" 我的母亲有点儿常绿树
的气质。 所以, 虽然我家不富裕, 但是我母亲总是去乡下, 回娘家或者婆家的时候, 虽然学习很好,但
如果我说没钱去不了学校, 我母亲就会说:"你来我家吧。 房子、房间、吃的我都给你, 你边打工边学习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52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吧。" 所以大概有7个人是那样的人 那样的人现在都去世了, 还剩下三位。 喜欢教别人到那种程度。


有在我家打工的孩子们, 他们也是母亲夜间教出来的, 因是起初连小学都没上过的孩子, 都教过, 从夜间
教学到嫁人, 现在回想起来, 像我母亲这样的人并不多。 即使在困难的情况下, 即使有钱, 做不到的人
也做不到。 我母亲却毫不犹豫地那样做了, 晚上回来, 以前吃的不是很珍贵嘛。 我们总是有足够的米
饭, 所以我们经常用铜盆盛饭。 盛好后, 先放在被子里, 然后说我们家是旅馆。 住在三德洞88号, 88
旅馆。 如果从乡下过来, 转悠一整天后就会到我家来。 我母亲说, "孩子们, 把饭端上来吧", 然后我们
就会端上来, 因为我家经营寄宿, 所以食物总是准备好的。 虽然我们因为没有菜而发牢骚, 但是吃得很
香的时候, 看到我们这样, 就会说, "我也想吃饭", 就这样一起跟着吃了。 我母亲经常在大铁锅里放满
一碗饭, 但是如果在我家打工的大婶说, "出大事了, 今天客人要来", 母亲就会说, "大婶, 你怎么知道
的?"这样的话, 洗瓢时就会在这个时候翻倒。那么就会有客人来。 如果真的被禁止通行, 那么每次就会
有8位客人来。 我们家大概有12个房间。 叔叔一家来避难, 原来有5个房间, 但因为有空地, 所以又加
了5个房间。 我母亲就是这样的。 后来我母亲也写了查顿纸。

问题: 查顿纸是什么?

- 查顿纸就是婚姻宣誓。 无论是侄子还是侄女, 结婚后, 对婆家第一个子女, 我们会写, "您的子女来


到这里, 我们感到很荣幸, 进入新生活后, 我们感到非常高兴", 就是用这种方式写, 这样的话那边也会
发来查顿纸。

问题: 奶奶许吉女士是什么样的人?

- 我没见过许吉女士。 因为在我出生之前就已经去世了。 但是奶奶是我母亲非常尊敬的人。

问题: 听说您母亲跟奶奶学过写文章。

- 是的, 我母亲都是我奶奶教的。 听说我奶奶出嫁后在那个村子里是最会写文章的人, 写文章的时候


也很会写训育性的文章, 而且精通四书三经。 但是母亲也学到了这一点, 奶奶去世后, 我长大后, 甚至
可以读很多报纸的社论。 所以, 比起娘家母亲, 婆婆对我来说是老师, 在祭祀的时候, 一定会做奶奶还
有爷爷喜欢的食物, 然后在后面这样轻轻地哭着。 所以我就问了。 过了这么久了还会流眼泪吗? 又不
是娘家父母。 我是按我的标准问的。 那个时候, 我母亲就会说:"你奶奶不仅是我的老师, 如果没有奶
奶, 我就不会成为婆家合格的成员。" 我们舅舅不是朝鲜革命干部学校1期生嘛 但是大舅舅却把同志们
吐露了出来。 所以同志们被抓了。 从那天起, 我的母亲和父亲绝交了8年。 怀二姐的时候, 直到怀上
大儿子的时候还处于绝交的状态, 从二姐出生后开始和好了。 所以, 如果没有爷爷奶奶, 我的母亲早就
被赶出来了。 我的奶奶是长大的大人, 我奶奶和婶婶总会对婶婶、我的大妈或我的母亲说, "你们是我
的女儿" 但是三婶是河维地的后代, 结婚过来的, 没多久就走了。 所以经常伤心地说, "你们是我的女儿
", 但是儿子走了1年半后穿针也穿不进去, 心里很烦乱。 说到这里, 如果自己有这样的事情, 要是我的
话, 我想我会隐瞒的。 因为, 对儿媳说, "你们是我的女儿", 可是我奶奶却让儿媳们坐在一起, 她说, "我
对你们非常抱歉", 还说, "我在第三个孩子走的时候, 一年期间还能穿针引线。" 压在我肝上的孩子走了,
已经1年零8个月了, 到现在还心烦意乱, 穿不进针眼。 对儿媳们说, "原谅这种言行不一致的母亲吧。"
以前, 如果大人下问, 那句话就是结尾。 但是我的奶奶直接对儿媳们说, "对不起, 言行一致是错误的。
" 我听到这个故事时, 真的会想, "哎呀, 我也希望能见到这样的奶奶, 但您先走了啊" 所以说, 我的母亲
值得尊敬。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53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第2課時 |

大家好,现在开始第二课时的内容 在本课时,我们来看李陆史跨越东亚的历史足迹 李陆史文学馆位


于庆尚北道安东市陶山面远村 从这里到安东市区的距离为四十公里 开车的话也需要30分钟 远村是一
个由大山和江河环绕的深山村落 李陆史1904年在这里出生 他的父亲李家镐是退溪李滉的后人,母亲许
吉是抗日名将许蘅的女儿 李陆史兄弟六人,他排名老二 老四李源朝也是有名的评论家 李陆史是朝鲜
中期著名朱子学家退溪李滉的后人 退溪李滉钻研中国宋代的朱子理学,在这里曾教导后人 退溪李滉教
导学生的地方就是陶山书院 陶山书院建于洛东江畔 洛东江是一条发源于江原道太白,流向釜山注入大
海的长700里的河流。是韩国最长的河流 李滉去世以后,他的学问传入日本,对日本儒学思想的发展起
到了很大的影响 现在韩国使用的1000元纸币上的人像就是李滉的画像 远村距离陶山书院五公里 作为
李滉的后人,李陆史的家族是一个传统的儒教家族 在远村居住的都是李滉的后人 李陆史曾经讲述自己
的故乡说那里有一百多户人家,代代相传的传统思想厚重的“有些吓人” 一个家族的人将祖先退溪李滉
的学问和教诲作为精神支柱,形成了一个村庄 李陆史就是在这样一个重视传统的氛围中成长起来的 他在
幼年时期曾跟随爷爷李中稙学习汉字 兄弟六人一起朗读儒教经典,一起创作汉诗和汉语散文,互相较
量实力
我们来看一看李陆史的文章 他的随笔《银河水》

在我七八岁时,一到夏天,上午10点左右或11点左右,家里的少年们聚在一起写作是我们的日常

幼年时期的李陆史和兄弟们聚在一起用汉字写作 写五言诗、七言诗、科文和论文等 写完后给大人们


看,由大人们来审评 拿到第一的人可以获得白纸二十张 这就是传统的韩国写作学习的风貌 李陆史和
兄弟们一起写作并学习作画 到了晚上,爷爷会教兄弟们认识星座 “那个星星是文昌星,那个是南极老
人星,那个是三台星” 李陆史的爷爷告诉他们星星的名字 李陆史曾说:“在我少时的心里,洛东江是最
美的河流,天上有最美的银河”,可见他非常热爱自己的故乡 对于在传统氛围中成长的幼年时代他称
“非常幸福的时光” 在家中接受传统东方教育的李陆史说:“那时学校教育开始之前传统的朝鲜教育史”
后来李陆史来到了城市,进入了近代化的学校,与安一阳结婚 李陆史还在日本东京短暂学习,后来在
中国的北京大学学习过两年 对于这段时间的学习李陆史说:“我的学习从以前的中庸、大学变成了物理
和化学” 李陆史在幼年时期跟随家中长者学习东亚传统汉学,后来在近代化学校中学习了西方学问 留
学归来的李陆史因为反抗日本殖民主义多次入狱 后来他做了报社记者,之后前往中国 李陆史前往了中
国的天津、北京和南京 29岁的李陆史进入了位于南京的朝鲜革命军事政治干部学校,接受了军事训练
第二年李陆史毕业后,经由上海回到了韩国 他在上海曾与中国作家鲁迅见面 李陆史通过进行机密任
务,走上了革命的道路 他经常往返于中韩两国,也多次遭受牢狱之灾 他一生曾入狱多达十七次 李陆
史在韩国的报刊和杂志上发表自己的诗和散文作品,还翻译了中国的文学作品 虽然跨域东亚的国界不
是一件容易的事情,但李陆史却没有停止他政治和文化实践的脚步 1943年李陆史被逮捕并被押送至中
国北京 1944年1月,李陆史在北京的日本领事馆监牢中离世 1945年解放以后,李陆史的弟弟李源朝将
他的诗词发表在报刊上,1946年李陆史的诗集《陆史诗集》问世 1968年,李陆史的诗碑在他的故乡洛东
江畔立起
李陆史横跨韩国的农村与城市、日本的城市、中国的城市与农村 李陆史学习了东亚传统的汉文和儒
学,同时也在韩国、日本和中国接受了近代化教育 他也横跨了传统和近代的界限 同时也横跨了韩语、
韩语和日语等东亚语言的界限 李陆史不仅发表了诗集、小说和随笔,和写下了时事评论、创作了文人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54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画 跨越了文学和绘画的界限 他也跨越了文化和政治的界限 他在跨域国家和语言的基础上,打破了传


统和近代的界限进行创作 李陆史对传统的文化旧俗和秩序不断进行审视,是通过打破界限实现了文化
跨越的近代特性的主体 作为文化跨越近代特性的主体,李陆史在外貌上也十分潮流 通过现存的李陆史
的照片我们可以看到,李陆史身穿西服发型很个性 他是一个非常帅气的人,也叫时髦人士 时髦人士通
常被认为是热衷于外貌和服装,具备一定经济实力的人,但是这样的描述并不完整 时髦人士更是十分
看重自我和自己的人生的人 时髦人士虽然对于流行趋势十分敏锐,但并不被流行牵着走 时髦人士是对
现实和自我认识的态度,其态度以帅气的容貌和着装体现 想要认识自己的人生并向前迈进的李陆史,将自
己的容貌和着装也打扮得十分干练 他想自己创造自己的人生 而最近也发现了一张李陆史穿着韩服的照
片 身穿韩服的他,也能看得出来他的精心打扮 穿着韩服和西装的两张照片,让我们看到了李陆史那跨
越东方和西方、传统和近代的人生 在第二课时,我们学习了李陆史跨越国界和语言、传统和现代、东
方文化和西方文化的人生轨迹 在第三课时,我们将学习李陆史的文化实践与他的诗词作品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55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问题: 您有与父亲李陆史诗人的回忆吗?

- 我记得在父亲去世之前去华信百货商店给我买了粉色帽子和天鹅绒的衣服, 还给我买了黑色皮鞋。
那个记忆非常深。刻 然后, 父亲说, 我小时候好像喜欢枪支。 因为我家有很多落款, 所以父亲在我歌
斗时也加入诗调, 并不是因为我知道那个文章, 只要有一个目标在我眼里, 大人们就会读出来, 只有孩子
们和堂兄弟们, 那么我就最先得到几分。 因为有这样的记忆, 父亲觉得那个很好看, 所以总会在早上,
加上落款很多, 把落款全都混在一起, 如果问这个落款是谁的, 就会让我找叔叔的, 就像我识字一样, 然
后说, "这是爷爷的", "这是曾祖父的"。 父亲说因为那个很有趣, 所以每天早上都会叫我, 然后让我做那
个, 这些我都记得。 以前家里还有三六甲, 就是扔着玩的骨牌。 如果扔一次, 我就有1、2、3、4、6
个, 骨牌有6个的话, 我的分数不是最高吗? 我记得玩过那个。

问题: 看李陆军士官学校老师的照片就会发现穿着西服, 撩头发, 很帅气。对此, 听说过什么吗?

- 我记得我父亲经常穿土鸡蛋色、象牙色的衣服, 并系蝴蝶结。 我母亲说, "你记得的是什么样的父


亲?" 我说, "我记得穿象牙色的父亲, 系着领结, 我记得非常清楚。" "你父亲是有很多西服, 但是有那种
衣服吗?" 所以我在大邱64年结婚, 68年丈夫随着道路工程去了那里。 但是过去一年之后, 好像是女性
周刊, 在封面上出现了我父亲的照片, 和赵丰衍老师一起拍的照片。 所以由赵丰衍老师收藏, 讲述了关
于李陆史的故事。 所以我在忠武路买了那本书, 然后拿给我母亲看, 我说, "妈妈, 你看这个", 我那样做
以后, 妈妈说, "不知道", 然后给妈妈看了看以后, 我妈妈这样看了半天, 然后这样看着我说, "看来你的
枪支比我更好"。 - 是的, 而且穿上韩服也非常帅气。 我妈妈穿着父亲的衣服去了长安, 听说穿韩服的
样子非常好, 所以诗人之间经常说, 那个是石初老师告诉我的。 所以我母亲心情非常好, 因为我母亲做
了一辈子的针线活。 所以, 父亲的弟弟们也说, "嫂子, 也给我做一个吧", 结果真的做了, 那年缝制了15
套, 制作了15匹。 而且, 我父亲不是婶婶德惠翁主6寸的弟弟嘛。 - 是的, 但是不管做什么, 连吃饭也
很有风度, 我们家最有风度的是二大伯, 帅哥。 还有自己的丈夫, 我们四叔说他是乡下笨家伙。 为了
养成习惯, 在王室出生, 该长得多端正啊。 我叔叔在, 叔叔在压迫。 因为和毛允淑老师也住在前后院,
所以如果一起去, 还会烫发, 火式烫发。 但却要我把头发洗了弄直。 - 但是今天马上弄直, 这样随便
洗的话, 不是会更卷曲嘛。 所以婶婶说不喜欢与毛允淑老师在一起, 不是男性安浩相嘛。 离婚后结的
婚, 后来与我见了面, 与安浩相老师的大女儿同岁。 见了面, 说道。 如果有井, 以前一半在这边, 一半
在那边。 曾在惠化洞。 我长大后有了孩子, 这时见到了安浩相老师的女儿。 所以说互相说坏话。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56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第3課時 |

大家好,现在开始第三课时的内容 在本课时,我们将来认识李陆史的文学实践和他的诗作 能够了解


跨越东亚界限,履行政治实践和文化实践的李陆史内心的诗是《路程记》 《路程记》体现出了李陆史疲惫的
内心

生命就像破碎的船
分散在各处,村庄比凌乱的渔村还要落魄
生命之脉络, 系得象老布帆一般

在这首诗中,诗的主体被比喻成破碎的船 在这里,船象征着以黄海为中心,在东亚徘徊的李陆史自
己 可是诗中说自己是破碎的船 这代表着当时疲惫和危险的处境

虽然别人都因为年少高兴
每到夜晚我都梦到变成偷渡西海的垃圾船
被盐沁渍,被潮水泡胀

李陆史表达自己的年轻时期并不像其他人一样高兴,而是像偷渡的垃圾船一样在战战兢兢中度日 迎着
充满盐分的海风,表达出自己的生活的疲惫

在阴天夜里离开暗礁的话,总是会与台风搏斗
连传说中的珊瑚岛也没能看到
那里连南十字星都无法照亮

诗的主体在黑暗的海面上漂流。 刚走出礁石,又遇上了台风 如果勉强摆脱一个困难,就会遇到更大的


困难 没有见到珊瑚岛,南十字星也无法给他带来安慰

被追赶的心 疲惫的身躯
每当一口气爬到想念的地平线上
就像散发恶臭的热带植物一样缠住脚踝

他在热带植物生长的陌生地区,以"被追赶的心"和"疲惫的身体"毫无顾忌地行走

是清晨涨潮涌来的蜘蛛吗
我站在已经腐烂的螺壳上而来
遥望远航岁月流逝地生活

诗的主体说自己依靠海螺壳这样微弱的东西,随着海浪漂流而活 他说自己的生活不是定居在某个地
方,而是流经多个港口的不稳定的人生 说自己的人生是流淌在潮流中的生活的《路程记》,将跨越东亚界限
的李陆史疲惫的心情表现得淋漓尽致 李陆史通过路政记坦率地说自己很疲惫,但他的诗并不只是表现疲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57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惫的心 李陆史的名作《青葡萄》表达了在跨越东亚界限的过程中,给疲惫的自己生活带来了小小的安慰 而
且《青葡萄》的诗意想象力也与东亚期盼和平的梦想相连 我们来朗读一下《青葡萄》这首诗

我故乡七月是
青葡萄成熟的季节

架上挂满了村庄的串串故事
藤上缀满了蓝天的粒粒梦幻

传说从悠远的海原上
漂来白色帆船的一日

我所期盼的人拖着疲惫的身体
穿着青袍来到我之身旁

我迎着他摘这葡萄吃
双手浸湿也无所谓

呀 我们餐桌上的银盘之边
放一枚白色擦手巾吧

李陆史的《青葡萄》是一首优美的诗 首先从颜色上来看,用蓝绿色的大海、青浦、青葡萄和 白色的帆


船和苎麻毛巾形成强烈的对比,营造出美丽的风景 如果说《路程记》是乘船辗转于东亚各处,那么《青葡
萄》则是等待和款待乘船来的客人 《青葡萄》不仅抚慰乘船而来的革命家的疲惫生活 而且他本人也希望
延续革命之路 李陆史自己也很喜欢这首诗 他感叹道:"我是怎么写出这样的诗的呢?" 再来看一下诗 第
一段中有“我故乡七月是 /青葡萄成熟的季节”这样一句 “七月”这个词需要我们重点理解 七月也出现在
了李陆史的随笔《恋印记》中 《恋印记》是李陆史对某印章倾注心血的故事 1933 年,李陆史在南京购买
了一个翡翠印章 李陆史在章子上刻上了诗经中的一首《豳风·七月》,他非常珍惜那个印章 《豳风·七月》
描写了男女农民务农养蚕的生活情景 李陆史兄弟也有与《豳风·七月》有关的轶事 李陆史兄弟们在1936
年11月母亲花甲之际,制作了写着《豳风·七月》的屏风,作为礼物送给母亲 屏风是12幅大小的屏风,最
后一幅是《豳风·七月》,"开头说服装,然后说食物,最后说祭祀和宴会" 养蚕务农的男女都勤勤恳恳地
紧着自己的本分 母亲生日那天,大儿子李源祺写了屏风的诗,三儿子李源逸把诗写到了屏风上 四儿子
李源朝吟诵了这首诗,五儿子李源昌穿着彩衣跳舞 二儿子李陆史给母亲敬酒,侄子李源均(音译)献花
《豳风·七月》是一首和李陆史表达对母亲的爱意相关的诗歌 又是一首描写农民务农养蚕恪守本人勤劳生
活的作品 七月代表着传统岁月里和平的时光 在随笔《恋印记》中,李陆史将自己珍视的印章送给了一个
叫S的人 S是李陆史的同僚,据推测他是与李陆史曾一起在朝鲜革命军事政治干部学校受过训练的尹世
胄 尹世胄是一个以武装斗争的方法走上革命道路的人物 李陆史对进行武装斗争的尹世胄非常关注 因
此对于李陆史来说,七月不仅是东亚的和平时期 也以印章为媒介,成为与为实现东亚和平而进行革命
的尹世胄的羁绊 接下来,我们来理解“青袍”这个词 青袍在中国唐代诗人杜甫的作品中也出现过 杜甫
的《徒步归行》这首诗中,有一个神穿青袍的潦倒官员 另外,在杜甫的《洗兵马》这首诗中,也出现了一
个身穿青袍骑着白马的人物形象 李陆史《青葡萄》中我等待的那位穿着青袍的客人,可以理解为在贫困
中也是致力于革命的人物 结合杜甫的诗,李陆史《青葡萄》中我等待的那位穿着青袍的客人,可以理解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58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为在贫困中也是致力于革命的人物
最后来理解一下青葡萄这个词 现在在韩国也有叫青葡萄的葡萄品种 青葡萄是淡绿色的葡萄 但在这
首诗中,青葡萄并不意味着淡绿色的葡萄,而是指还未成熟的葡萄 这首诗的事件背景是7月 7月的葡萄
还没有成熟,过了夏天葡萄才开始成熟 为了成熟,“架上挂满了村庄的串串故事,藤上缀满了蓝天的粒
粒梦幻” 在盼望和平生活的村民们梦想里葡萄逐渐成熟 然后在9月收获成熟的葡萄后,可以把葡萄包在白
色毛巾里招待客人 这首《青葡萄》中蕴含着东亚人对和平的期盼 而且还可以发现为创造和平而努力的人
们的行动 如此,李陆史以韩国的现实为背景和东亚传统的思想创作了这首诗 李陆史跨越东方和西方、
传统和近代的界限,向人们展现了现实中需要的韩国文化 第三课时就到这里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59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问题: 现在也在说, 六兄弟好像交情不错。

- 是的 在大邱地区、庆北地区, 据流传下来的关于陆史兄弟的逸话, 有哥哥的地方一定有弟弟, 弟弟


所在的地方一定有哥哥。 但是我认为, 拥有独特之处的大伯研究汉学, 我父亲同时研究汉学和新闻文,
三叔也是广为人知的书法家。 还有黎泉老师在7岁的时候给崔南善老师写了信。 但是当时写了文章, 觉
得朝鲜竟有这样的天才, 所以写了序言。 达到那种程度。 此外, 又去了三灾, 越北后说现在是三灾。
结果变成了奇怪的人。 达到那种程度, 还有第五位叔叔也写文章, 还有信。 听说兄弟之间也有很多嫉
妒心。 我叔叔在《朝鲜日报》上不是有吕川老师吗。 在的时候, 编辑局长是《中央日报》的编辑局长。 但
是舅舅还是许宪老师的秘书。 在的时候会整理书, 听说与我奶奶是兄妹, 俩人感情特别深。 但是, 为
了讨好父亲, 舅舅非常喜欢我父亲。 但是听说现在来汉文课的时候会单独讲2个小时。 但是我叔叔说的
话, 即使我一整天都在拼命工作, 舅舅还是对我说, 你来我这吧。 说没有说话 所以父亲说, "如果哥哥
来, 就会单独见面, 然后好像在谈论独立运动。" 还有, 现在是关于五叔, 关于五叔的趣事很多。 五叔
写了文章, 听说他第一次登上了朝鲜日报, 刊登在朝鲜日报上的文章。 所以兄弟们过来喝了很多酒, 称
赞说, "私塾里的狗3年会有旺月, 没想到元昌这么会写文章", 称赞说写得非常好。 我们六叔连自己画得
好的话都没说过。 但是因为不学习, 所以唯独害怕的人是我父亲。 有一次, 他说:"你不学习, 为什么住
在我们家, 有什么吗? 不学习, 那你就连农民都做不了了。 "所以你要做什么?" 六叔说, "我想画画", 然
后学我们三舅找老师, 父亲也在那里学了。 所以说, "元洪说想学画画", 还说, "你有钱吗, 拿什么学画
画啊", 以前不是也要给拿点粮食嘛。 所以那位老师说, "让他跟我3个月吧" 但让重新洗个澡再走, 然后
给送了过去了。 但是我们已经两个月了, 通过捎信, 以前很少有电话, 所以通过捎信得知有希望。 时
隔1年在朝鲜美术展览会上获奖了。 因为兄弟们太高兴了, 所以把它扔了以后又当真画收起来了。 一边
开心地烤绿豆煎饼, 一边开心地喝酒, 大概喝了5杯酒, 可能太兴奋了。 说头疼, 并说, "哥哥, 帮我捶一
下后背。" 为了稳定情绪就给他拍背腰, 因为这样也不行, 所以让他躺到座位上。 躺下以后, 躺下的瞬
间就走了。 我奶奶的长子, 子女中还没结婚就走了。

问题: 听说李陆史老师去世后, 李陆史老师的兄弟们来到了这里。

- 是的。 在世的时候也是如此, 父亲去世以后, 我的叔叔中一个月有三、四位兄弟来这里。 一个月


就那么来。 再怎么来不了, 至少有两位是会来的。 来了以后, 以前有女人, 就不会那么详细地告诉我
了。 但是叔叔们对我母亲说了很多关于时代的故事。 也讲过父亲、叔叔曾经拥有的思想。

问题: 请您朗诵一下李陆史老师的诗中的青葡萄。

- 这个我不能不看, 看完再做吧。 今天有点感冒了。 青葡萄, 李陆史

我故乡七月是
青葡萄成熟的季节

架上挂满了村庄的串串故事
藤上缀满了蓝天的粒粒梦幻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60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传说从悠远的海原上
漂来白色帆船的一日

我所期盼的人拖着疲惫的身体
穿着青袍来到我之身旁

我迎着他摘这葡萄吃
双手浸湿也无所谓

呀 我们餐桌上的银盘之边
放一枚白色擦手巾吧

采访: 谢谢。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61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第4課時 |

大家好,现在开始第四课时的内容 在本课时我们将了解李陆史的人生态度 为了有助于理解李陆史的


文学特点,我们结合俄罗斯作家奇里科夫和中国作家鲁迅一起学习 1920年俄罗斯作家奇里科夫的小说
《故乡》被翻译成日文版 这部小说的主人公“我”时隔二十年回到了故乡 “我”一直心念故乡,渴望回到故
乡 “我”认为在故乡我可以见到曾经为了革命而奋斗的少年时代的“我” 在落败的现实的映衬下,过去
显得更加美好 这种态度被成为怀旧 可是二十年后回到家乡的“我”却深感失望 回到家乡后本来想要寻
找少时美丽的故乡,但记忆中的故乡并不存在 此时“我”才明白,记忆中的故乡只是虚构出来的而已
“我”开始否认现实中的故乡 “我”把故乡留在了过去,对如今的故乡予以否认 小说中的人物“我”将故乡
定格在了过去 把过去的故乡和现在的故乡完全分离 奇里科夫的小说《故乡》1920年代在日本收到追捧
中国的作家鲁迅将这部作品翻译成了中文 鲁迅也以故乡之名写了一部小说 鲁迅小说中的故乡和奇里科
夫的故乡也很相似 小说的主人公“我”也是时隔二十年回到了故乡 "我"也发现故乡变化很大,想象中的
故乡和现实完全不同 可是鲁迅作品中的“我”并没有停留在失望的情绪中 他接受了这个变样了的故乡
并表示要根据现在的故乡,向着未来走向不确定的道路 李陆史曾经将鲁迅的《故乡》翻译成韩文 我们来读
一下李陆史翻译的版本

想想看,所谓希望,大体上不能说'有',也不能说'没有' 这就像是世上的路 世上本没有路 走的人多


了就成了路

直面故乡的现实,并根据它走上新的道路,使故乡焕然一新 我们来比较一下奇里科夫的《故乡》和鲁迅的
《故乡》 两部作品虽然都描写了主人公时隔二十年回到了故乡,但发现现实中的故乡并不是记忆中的样
子 可是他们对此表现的态度不同 奇里科夫的小说将过去与现在隔离 小说中对已经不复存在的过去和
故乡只有感伤 鲁迅的作品中虽然对现实的故乡也表现出了失望,但却表达出了要继续前行的态度 如果
说奇里科夫将故乡定格在了过去,那么鲁迅期待的就是未来的故乡 如果说奇里科夫的故乡是固定的某
个地方,那么鲁迅的故乡就是自己所在之处 李陆史在1936年将鲁迅的《故乡》翻译成了韩文 1936是鲁
迅去世的那一年,为了悼念鲁迅,李陆史写了《鲁迅悼词》 《鲁迅悼词》一开始是李陆史回想与鲁迅见面
的场景 1930年代初期,李陆史在上海与鲁迅见面 见到鲁迅的李陆史介绍自己是韩国青年,一直希望有
机会能见他一面 鲁迅热情的接待了李陆史,握着他的手 《鲁迅悼词》介绍完与鲁迅的见面以后,对鲁迅
的文学价值进行了描述 李陆史在鲁迅的文学中看到了不回避与对方斗争的态度 另外,他在鲁迅的文学中
看到了根据"过去"展望未来的精神 李陆史通过鲁迅的文学作品认识到,只有在过去与现在、自我与他
人、希望和绝望实现了统一,才能前进 李陆史的这一认识在他的随笔《季节五行》中能够找到 李陆史在
《季节五行》中这样说道

虽然我认为没有人能够谦让到给野狗让路,但是如果迎面而来的是一头猎豹,即使胆怯,但能让我纹
丝不动的只有我深爱的路 深爱着我自己的路,必须付出牺牲 所以我要壮大我的气魄,用金刚心写诗而
不是遗书

李陆史拒绝提前写遗书给人生提早下结论 这也让他再次意识到自己正站在人生之路上 李陆史一边走


一边开创着自己的未来 李陆史对鲁迅《故乡》中的意义深有同感,他本人也跨越东亚的国境,进行了政治实
践和文化实践 李陆史也认为,故乡不是固定在某个特定的地方, 而是自己可以边走边创造故乡 不过,就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62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像《路程记》写的那样,朝着未来行走的路是非常艰辛的 李陆史也深感疲惫 可是又如《青葡萄》那样,李


陆史迎接疲惫的自我,继续创造自己的未来 在李陆史的诗中,经常出现过去、现在与未来 接下来我们
通过李陆史的《旷野》和《花》这两部作品来了解一下李陆史所理解的过去、现在和未来 1944年,李陆史
与北京的日本牢狱中离世,之后李陆史的友人,独立运动家李炳熹在李陆史的牢房中发现了写在纸板上
的诗集 《旷野》和《花》就是写在纸板上的作品 我们来看看狱中的李陆史是如何描写过去、现在和未来的
我来朗读一下李陆史的《旷野》

在很久很久以前
天开初始之眼时
此地未曾闻过一声鸡鸣

在连绵的山峦
仰慕了远海而飘忽不定时
此地未曾有过丝毫的随从

之后在飞速流失的光阴里
又轮回了无数个季节之变
此地才有了一条大江之路

如今雪花飘
零梅花独秀
我独自静坐吟咏寒怆之歌

想再过了千年之后 / / “
到来骑白马的一圣人
将在这旷野高声呼唤我之心魂

据说这首诗是在1943年李陆史被押送到北京的路上写的 现在李陆史文学馆附近的掷柶台据说是《旷
野》里描述的地方 李陆史在被押送到北京的时候,想起了家乡的田野创作了这首诗 可是这首诗所包含
的时间和空间线非常广阔 《旷野》中也蕴含着历史 第一句的很久很久以前,指的是创世之时 第三句中
有一句飞速流逝的光阴 光阴指的是岁月 第四句中的如今指的是现在 第五句有一句千年之后 这体现的
是遥远的未来 因此这首诗从创世之处开始,讲到了现在和未来 这个世界诞生以后后,人类创造了历史
但目前的情况并不乐观 诗中用“雪花飘零”来比如黑暗的现实 但是李陆史没有因为现实的不幸而潦倒
他“吟咏寒怆之歌” 为了总有一天要到来的未来,当下也要做自己可以做的哪怕是微不足道的事情 虽然
不知道能否有成果 但李陆史坚信千年以后会有人站在旷野铭记并吟唱他的歌 诗作《花》也能窥探李陆史
的人生态度

东方拂晓引来漫长白昼
暴日开始狂乱的岁月里
你却修炼出血色一般的灿烂
坚意谱写生命之歌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63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一日清晨我在北方之村落
聆听冰雪之下花音的萌动
确信了不能背弃
北归燕子的誓言

而望到在海原的中央
浮出一座美丽的花城
聚来永远依恋于花意的人群
于是我不觉高呼他们的名字

这首诗中出现了美丽的花朵 在残酷的现实和失去生命力的环境中绽放的花朵 但是那朵花并不是诗的


主体李陆史自己 因为李陆史此时正被关在北京的监牢中 他在呼喊着大海中央的花城的人群 花城里住
的是未来的人,是铭记历史的人 而花朵正是这些铭记历史的未来的人之物 李陆史为了让那朵鲜花绽放
牺牲了自我 李陆史没有逃避死亡 他等待着日后在这些拥有鲜花的一群人的记忆中归来 我们读了在北
京的监狱中创作的《旷野》和《花》 这两首诗都描述了对现实的黑暗 但李陆史却决心在这样的现实中付出
自己力所能及的努力 即便当下没有成果,但总有一天必会成功 当那一天到来时,他会在人们的记忆中
重新归来 对消极的现实不感到惋惜, 做当下能做的事情,这是鲁迅在《故乡》中表现出来的态度 李陆史
也希望从现在开始开辟未来 即便自己无法看到未来,他也决定去做当下可以做的事情 李陆史在解放前
的1944年离世 1946年李陆史的弟弟李源朝和李陆史的朋友们将李陆史的诗集发表 在李陆史的故乡洛
东江畔也竖起了李陆史的诗碑 现在也有这样一所纪念李陆史的文学馆 现在的我们通过李陆史的文学作
品铭记他 就像他的诗作《花》中写的那样,他正在我们的记忆中归来 第四课时里我们了解了李陆史的文
学精神 他没有因为黑暗的现实而停滞不前 李陆史的精神与中国作家鲁迅共鸣 李陆史对文化跨越的近
代特性的认识和实践,是通过打破国家和语言的界限,期待即将到来的未来的基础上实现的 第四课时
到此结束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64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问题: 据说李陆史老师不仅在韩国, 还经常去日本或中国。 女士, 您去过父亲去过的地方吗?

- 三年前, 现在新冠疫情开始的时候, 我去了中国, 我没能去太行山, 是在上海汇合后去的。 之前


如果有活动的话, 我也会去的。 去了之后也去了很多当时没去过的地方。 去了沈阳, 那里有明伦洞。
三丁目, 那家旅馆的名字。 所以我的心情真的很奇怪。 原来父亲在这里躲避过很多地方啊。 我父亲说
上海是最美丽的"东方巴黎"。 他经常说真的很美。 还有, 去南京的时候, 第一年去的时候, 我们局长事
前去过, 但是位置上没看清楚。 所以在路上做的时候, 我真的流下了眼泪。 但是能与金泰彬老师和汉
城女子高中的老师, 还有最喜欢父亲的人一起去, 当时去的时候, 第一次移动之前, 1期生们说位置在那
上面。 但是, 后来访问了2期生们所在的位置, 上面后来也上去了。 上去以后, 虽然变化很大, 但得知
父亲在这里训练过。 产生了这种想法, 现在只剩下房子的形态了。 然后去上海的时候, 还去了与鲁迅
见面的地方。 爸爸先去的地方是上海公园入口, 那天他过来见我家亲戚, 雨淅淅沥沥地下着, 我边走边
想, "爸爸也被这场雨淋到了吧?", 感慨万千。 到了北京的第一年, 我们也是在门口祭拜鞠躬后回来的,
接着, 地下是父亲的监狱, 上面都是居民。 好像是穷人生活的地方。 但是我们第二次去的时候那个地
方被堵住了。 被堵住之后, 我们去那里只是站着, 但却让我反向而行。 但是那些人也会理解的。 因为
我国学生唱军歌, 所以可能会有些不方便。 就在这时, 我们有了红酒, 因为我带红酒去了。 说那里不
行, 公安也来了, 因为我们藏了起来, 所以公安走了。 我们一行人观望着进去了, 但完全被堵住了。 所
以我把红酒都洒了, 公园有个小地方, 我们一行人分别在那里敬了一杯。

问题: 女士, 那么李陆史诗人的作品中最喜欢的作品是什么呢?

- "旷野", 很多。 很多, 但我以前就喜欢"花"。 我喜欢的理由大家所知道。 父亲的诗歌 所以"旷野"


或"花"在我看来, "花", 一般花都会用来写美丽的东西。 但是我父亲却写了理念。 所以我也不知不觉地
喜欢上了。

问题: 那么, 请朗诵一下李陆史老师的《花》, 好吗?

- 花, 李陆史。
东方拂晓引来漫长白昼
暴日开始狂乱的岁月里
你却修炼出血色一般的灿烂
坚意谱写生命之歌

一日清晨我在北方之村落
聆听冰雪之下花音的萌动
确信了不能背弃
北归燕子的誓言

而望到在海原的中央
浮出一座美丽的花城
聚来永远依恋于花意的人群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65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于是我不觉高呼他们的名字

问题: 现在诗人李陆史盼望的独立时期已经到来。

- 最近我在静静地等待, 时机已到。 父亲的时代到来了。 亲日们都太嚣张了, 以前没有办法。 因为


要治理我国, 所以启用了富家的后代。 但是历史发生了变化。 如果有一天又能迎来美好的岁月, 我将
以这种期待感。 其实不可能 李殷相也说: "诗多好啊。" 但是准备就绪以后, 来到我们文学馆询问, 而
且我们的局长说, 即使摆放也会碎掉, 所以不要摆放。 否则 而且因为自己不承认, 诗人李殷相在我不
知道的时候也经常来我家。 过来泡葡萄酒和山葡萄汁, 觉得很好吃, 吃完就走了, 虽然我觉得作为作品
无可挑剔, 但亲日有很多不好的故事。

问题: 1968年, 李陆史诗人的文学碑建在安东。 女士在立文学碑的时候也在场, 所以留下了照片。


文学碑设立的时候是什么感觉呢?

- 嗯, 是我高二的时候。

问题: 女士也在那里拍过照片, 所以刚开始设立文学碑的时候, 感想如何?

- 在我国还是第一次。 那时父亲的是非, 其实我有点晚了。 虽然有点晚了, 但是李孝祥当时也给了


我很多帮助。 因为说在担任国会议长, 所以当时有站在这边的人。 当时正隔着江, 艺术的殿堂对面就
在那边, 有一天听说搬到那边-江边去了, 但因为是第一次, 所以我也非常赞同建碑是为了纪念父亲,
所以我听说安东的诗人熬夜在那里喝烧酒, 现在也这么说。 如果来自作家协会, 说到团结大会, 大家都
在那儿, 熬夜出来, 说这样的话。 我在暎湖楼, 从那里搬到现在的水坝。 而且现在还种了树, 全部都是
日本人喜欢的树, 这些也都重新种了, 因为设置了篱笆, 所以不太行, 因此把篱笆也去掉吧, 爸爸一生都
过着监狱生活。

问题: 现在韩国各地都建立了李陆史诗碑。

- 所以现在很多。 首尔也有两个地方。 浦项也有 我说在浦项做是因为青葡萄是自己的, 但我不会责


怪。 作者虽然写了这样的意见, 但是如果读者那样做, 应该也可以那样做吧。 对我来说, 只要李陆史
老师被大家熟知就可以了。 所以那边有青葡萄、白帆船。 其实我上高二的时候, 这里挂着黄浦桅杆,
要去对面的村子得坐船。 可是他们说了白色的帆船, 所以说是自己的。 听说以前日本人经常在那里种
青葡萄。 所以那个也分出胜负了吧。 我去的地方是市里主办的, 还好, 首先建立的是石碑, 前面是陆
史的, 后面是没有礼貌的人。如果写别人的诗。如果写别人的诗。 所以我没去那里。 现在树木或诗碑
太多了。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66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第5課時 |

大家好,现在开始第五课时的内容 本课时我们来整理一下第八周的全部内容 在第八周的课上我们学


习了韩国文化的价值之文化跨越的近代特性 韩国文化的形成基于多种文化的交融 空间上由东方和西
方、时间上由传统和近代、语言上由西方语言、东亚语言和韩语、形式上由文学和电影等共同影响形成
在多样化的文化交融过程中,韩国文化的近代特性产生了文化跨越的特征 在本周的课上,我们通过李
陆史的历史足迹、实践和文学创作学习了文化跨越的近代特性 李陆史跨越文化的界限,创造了新的韩
国文化,他反抗日本殖民主义,坚定地走着自己反殖民主义的革命道路 通过李陆史的《青葡萄》,我们
可以看到东亚对和平的渴望通过西方的近代文学形式展现了出来 通过与鲁迅的共鸣,我们也能够感受
到他对与现实的态度
第八周和第九周我们将通过两周的课程学习韩国文化的价值 第八周的课上我们学习了韩国文化跨越
的近代特性 下一堂课我们将学习韩国文化的另一个价值民主主义 谢谢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67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问题: 作为李陆史的女儿, 您过着怎样的生活呢?

- 因为爸爸是那样的人, 所以我不能像小混混一样生活嘛。 所以经常会提醒我。 去学校的话老师们


不是会这样嘛。 要么背诗, 要么写诗, 即使我不进文艺部, 老师们也会给报到文艺部。 所以过了一个
月, 我就拜托班主任说, "我送到歌词班了", 然后去了歌词班。 那个负担太重了。 因为我父亲是大人,
所以根本无法跟得上他。 我有爬上去的想法。 我不觉得有名气的父亲很好。 虽然很穷, 即使当挑夫,
也希望有父亲在, 我从高中开始就说, '我父亲真是个好人。 原来都是人们推崇的人啊。" 直到那时, 我
都没有尊敬父亲的想法。 我经常想, 为什么父亲做别人不做的事情, 给我们带来那种痛苦呢? 但是现在
我结婚、生子, 真的没有像父亲这样的人了。 有些人让我讲所有关于陆史老师的故事, 问我是什么样的
人, 希望我们怎么做? 这样的话, 像我父亲一样的人100人中会有1人吗? 我没有要求效仿他。 我只是
说, 在自己所在的位置上尽最大努力的人就是热爱国家的心。 我父亲浑身是血, 遭受酷刑时每周穿两套
韩服。 也有这样的故事, 即使母亲将其插进去, 也会沾满血, 我奶奶和母亲心里非常难受。

问题: 最后一个问题。女士希望人们如何记住父亲李陆史诗人的作品, 如何阅读, 如果女士有想到的


人, 请讲一讲, 谢谢。

- 但是有很多种说法。 因为我们以前没有解放, 所以一切都在光复。 但是, 从读者当时的时代来看,


如果我是青葡萄, 也会有迎接高贵客人的那种单纯的心意。 我是这么想的。

问题: 好的, 谢谢。 所以今天李陆史诗人当时所面临的解放, 不仅仅是光复的意义, 为了现在也有意


义, 他说应这样来读。 我也这么想, 而且希望以后也能这样阅读李陆史诗人的诗。
感谢您今天抽出时间。

- 谢谢。

问题: 谢谢。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68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