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요약문

본 연구는 하수재이용을 위한 RO막의 전처리 장치로서 섬유여과기 적용 가능성을 평가한


것이다. 성능평가는 SDI(Silt Density Index)를 통해 간접적으로 RO막에 대한 전처리 성능을
평가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장치는 약 75톤/일 처리용량의 압력식 섬유여과기 2개를 직렬
연결한 2단 섬유여과 공정 pilot으로 각각의 여과기 전단에는 인라인믹서와 숙성조를 설치하
여 무기응집제를 주입하였다. 2차 여과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염도가 높은 1차 여과기의 차
압이 0.7 bar가 되었을 때 2개의 여과기를 동시에 역세 하였고, 역세공정은 Blower에서 공급
되는 0.4 bar의 공기를 각 여과기의 하단에서 공급하는 동시에 역세수를 각각의 여과기에 여
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약 2분간 공급하였다. 사용된 역세수는 2차 여과기의 경우 최종여과
수인 2차 여과수를 역세수로 사용하였고, 이 때 배출되는 역세배출수를 연속흐름으로 1차 여
과기 역세수로 사용함으로서 역세수 사용효율을 높였다.
실험 대상 원수는 약 80%의 산업폐수가 혼합되어 있는 하수 원수를 생물학적 고도처리를
한 부산의 "N"하수처리장 방류수로 탁도가 0.8∼4.7 NTU였다. 2단 섬유여과기 공정의 최종
여과수인 2차 여과수의 탁도는 17% PAC 10∼25 ppm 주입 시 0.08∼0.14 NTU였으며,
SDI15는 2.1∼5.1(평균 3.5)이었다. 따라서 2단 섬유여과 공정을 RO막 전처리 공정으로 사용
할 경우 통상의 RO막 제조사가 요구하는 SDI 5.0 이하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주제어 : 하수재이용, RO, 전처리, SDI, 섬유여과


1. 서 론

RO막에 오염을 일으키는 지표로는 탁도 유발물질에 관계된 SDI15를 비롯하여 경도 Scale에 관계


된 LSI, RO막 표면 용해에 관계된 COD 혹은 TOC, RO막 표면의 산화에 관계된 산화환원 전위 등의
여러 지표가 있다. 이 중 전처리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는 탁도 유발물질에 관계된 전처리수의 SDI15
로서 RO막의 보호를 위해 통상 RO막 제조업체에서 요구하는 SDI15는 5.0 이하이다. 따라서 근래의
RO 공정을 이용한 하수방류수 재이용 시 SDI15가 5.0이하인 안정적인 전처리수를 생산하기 위해 기
술적인 측면에서 통상 채택하는 것이 MF 혹은 UF막이 적용된 막분리 공정이다. 그러나 막분리공정
은 그 자체가 막오염에 약하기 때문에 매우 안정된 생물학적 처리수가 요구되거나 또 다른 전처리장치가
요구될 뿐 아니라 그 자체의 투자비와 운전비가 높아 하수재이용에 경제적 부담을 주게 된다. 이에 막분
리공정 보다는 여과수질이 약간 나쁘지만, 경제적 측면에서 훨씬 유리한 2단 직렬연결 섬유여과
(DPSR : Doble stage PCF for Sewage Reuse) 공정이 RO 전처리 공정으로서 적합한지 판단할 필
요가 있고, 이의 판단 지표로서 SDI15 값이 5.0 이하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2단 직렬
연결 응집여과 공정이 비록 5.0 이하의 SDI15 값을 Pilot Test 결과로서 보여준다고 하여도, 대상 원수
별로 전처리수의 SDI15 값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기술적 신뢰 확보를 위해 막분리 공정과의
성능 비교를 수반하였다.

2. 실험장치 및 방법

2.1 실험장치
연구개발의 주요내용은 전처리로서 2단 PCF 여과기가 부착되어 있는 RO Pilot(이하, Model 명인
“DPSR-RO”로 명명)을 설계 및 제작하여 전처리 공정으로서의 SDI15 값을 확인하고, 동일한 원수에
대한 막분리 전처리와의 RO 오염을 비교하는 것이다. Table 1.은 DPSR-RO Pilot의 사양을 정리하
여 놓은 것이며, 현장여건에 맞는 이동이 가능한 Container에 Pilot을 Package화하여 설치하였다.
제어 및 data수집은 노트북을 이용한 HMI를 활용하였다.

Table 1. Specifications of DPSR-RO pilot


Items Specifications Remarks
Appearance Packed at inside of container
Pilot
Size 3,000(L)×2,000(W)×2,300(H) Include 2nd filtrate(480 ℓ)
3 3
Flow rate 75m /d RO 50m /d
PCF Filters Type Serially connected two PCF filters
Size 400(Φ)×1,380(H)
Rapid Mixing In-line Mixer
Coagulant Flocculation 100 ℓ Tank 200(W)×500(L)×1,000(H)
Dose Dosing Pump Max 120mℓ/min 4∼20mA in-out signal
Coagulant 17% PACl
On-line Flow Meter 50A, 10ℓ/pulse
Sensor Turbidity 100, 40, 10 NTU For raw, 1treat, 2treat
Control/Data Collection HMI with Notebook PC Industrial spec. CPU

Fig. 1.과 Fig. 2.는 본 연구에서 설계/제작된 DPSR-RO Pilot과 SF-UF-RO의 PFD이다.

Fig. 1. Process flow diagram of DPSR-RO pilot.


Fig. 2. Process flow diagram of SF+UF+RO pilot.

DPSR은 상대적으로 오염도가 높은 1차 여과기의 차압이 0.7 bar가 되었을 때 2개의 여과기를 동
시에 역세 하였고, 역세공정은 Blower에서 공급되는 0.4 bar의 공기를 각 여과기의 하단에서 공급하
는 동시에 역세수를 각각의 여과기에 여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약 2분간 공급하였다. 사용된 역세수
는 2차 여과기의 경우 최종여과수인 2차 여과수를 역세수로 사용하였고, 이 때 배출되는 역세배출수
를 연속흐름으로 1차 여과기 역세수로 사용함으로서 역세수 사용효율을 높였다. Pilot 대상의 선택은
비록 하수 성상의 관점에서 보면 산업폐수가 약 80%정도 혼합되어 있어 일반 생활하수보다는 성상
이 훨씬 복잡하여 기술적 어려움이 존재하지만 향후 하수방류수 재이용수의 대규모 소비처가 산업단
지가 될 가능성이 높고, 재이용수 공급배관에 관계된 투자비를 줄여야 하는 현실적 문제점을 고려하
여 산업단지 내에 위치한 하수종말처리장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고, 지리적으로도 당사와 근거리에
위치하여 Pilot Test를 위해 설치 후 지속적인 관리가 용이한 곳을 선택하였다. 이러한 조건에 부합
되는 곳으로 선택한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대규모 산업단지인 녹산공단의 녹산하수처리장을 섭외하
여 Pilot을 설치하였다.
우선 제작 완료된 아래 Fig. 3.의 DPSR-RO Pilot을 2009년 8월초에 설치하여 시운전을 거친 후
8월 24일부터 정상운전을 시작하였다. Pilot 수행은 하수방류수 지표 및 RO오염 지표 관련 항목의
분석과 유량 및 차압 점검 등으로 이루어 졌다.
Fig. 3. Photo of pilot(Left : UF+RO, Right : DPSR-RO).

Fig. 4. Photo of UF+RO pilot inside. Fig. 5. Photo of DPSR-RO pilot inside.

2.2 실험방법
최초 운전일인 8월 24일부터 무기응집제의 최적 주입량을 추적하기 위해 17% PACl를 10∼25
ppm으로 일정기간 변화시키면서 여과유량, 전력량 및 기타 수질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하 자료는 일
일 결과를 종합하여 작성된 것으로 On-line Sensor에 의해 HMI에서 저장하는 유량 및 탁도 등은
매 3분마다 측정되어 저장되었지만 그 외의 시료분석은 1일 1회 채수하여 산정하였다. PCF 소비전
력량 산정은 전체 전력량에서 24시간 가동되는 RO소비전력을 감하여 산정하였다.

3. 실험결과

3 3
PCF 생산유량은 80∼90m /d로 운전하였고, RO유입유량으로 사용된 75m /d외에 잉여 유량은
PCF의 역세수로 사용하거나 PCF처리수조에서 overflow에 의해 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PCF는 평
3
균 84m /d로 처리되었으며, 여과수량은 약품주입량보다는 원수성상에 따라 변하였다. 이에 반해 RO
3 3
유입수는 평균 75m /d로 72∼78m /d범위에서 운전되어 안정적인 유입이 되었으나, 회수율은 평균
66.3%로 52.7∼70.1%의 범위를 나타내어 큰 편차를 나타내었다.(Fig. 6. 참조)
이는 Fig.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온이 급감하는 동절기에 동일한 압력으로 RO를 운전하였을 때
RO회수율이 낮아짐으로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RO생산수량이 유입수 수질뿐만이 아니라
수온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PCF의 전력소모량은 연구기간에 따라 유입수 성상변화에 따른 역
3
세회수 차이로 다소 변동이 있었으나 평균 0.31 kwh/m 으로 나타났다.

Table 2. Test conditions of the pilot test

Coagulant PCF RO Utility


Items Test
Dose Filtrate Q Recovery Input Q Recovery Consumption
Test Period
(ppms) 3
(m /d) (%)
3
(m /d) (%) (kwh/m3)

83 95.9 75 67.2 0.30


1 8/24~9/21 10
(79~86) (95.4~96.6) (72~76) (63.9~69.7) (0.23~0.37)
85 95.9 75 67.3 0.30
2 9/22~10/22 15
(81~91) (95.0~96.5) (72~78) (63.9~70.1) (0.23~0.43)
85 95.6 75 65.4 0.36
3 10/23~11/25 20
(81~89) (94.7~96.4) (73~76) (52.7~69.7) (0.24~0.36)
85 95.7 75 65.0 0.29
4 11/26~12/19 25
(82~87) (94.9~96.5) (73~76) (57.9~69.7) (0.22~0.46)
84 95.8 75 66.3 0.31
Average 17
(79~91) (94.7~96.6) (72~78) (52.7~70.1) (0.22~0.48)
Fig. 6. Flow rate and recovery rate variations of DPSR pilot.

Fig. 7. Flow rate and recovery rate variations of RO in pilot.


3.1 SS분석 결과
PCF 원수, 처리수 및 RO 처리수에 대한 SS(Suspended Solid)농도를 공정시험법에 준하여 시료
1,000ml를 취하여 1일 1회 측정하였다. Table 3.과 Fig.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석결과 PCF 원수
SS나 약품주입농도 변화에 따른 PCF 처리수의 SS는 0.1∼0.3mg/L범위에서 평균 0.18mg/L로 나타
났다. 이는 2단 여과에 의해 SS가 95%이상 제거됨으로써 처리수 SS상으로는 유입원수나 약품주입
량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RO여과수의 SS는 예상되는 바와 같이 모든 경우
에서 0으로 나타나 RO에 의한 입자성 물질 제거는 완벽한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3. Summary of SS analysis results

Coagulant PCF RO
Items
Dose Raw Water Filtrate Removal Permeate Removal
Test
(ppms) (mg/L) (mg/L) (%) (mg/L) (%)
2.8 0.18 92.7 0.0 100
1 10
(1.6~5.2) (0.10~0.30) (86.4~98.1) (0.0~0.0) (100~100)
4.6 0.16 96.2 0.0 100
2 15
(2.5~9.5) (0.10~0.30) (92.0~98.4) (0.0~0.0) (100~100)
6.3 0.19 96.6 0.0 100
3 20
(3.0~9.6) (0.10~0.30) (93.3~98.9) (0.0~0.0) (100~100)
5.8 0.17 97.1 0.0 100
4 25
(3.6~8.8) (0.10~0.30) (94.0~98.8) (0.0~0.0) (100~100)
4.9 0.18 95.6 0.0 100
Average 17
(1.6~9.6) (0.10~0.30) (86.4~98.9) (0.0~0.0) (100~100)

Fig. 8. SS variations.
3.2 탁도 및 SDI15 분석 결과
탁도는 여과설비의 연속운전 중 처리수의 수질을 측정하여 안정적인 운전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일 뿐만 아니라 전설한 RO막 전처리의 가장 중요한 지표인 SDI와도 직접적 관련이 있는 지표이
다.
Table 4.과 Fig.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2단 PCF 처리수의 탁도측정 결과 SS측정결과와 마찬가지
로 평균 0.11NTU로 안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제거효율은 85.6∼98.0%의 편차를 보였으나 평균
94.4%의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제거효율의 편차는 유입원수의 탁도변화에 따른 것으로, 처리
수 탁도 절대값은 거의 변화가 없이 안정적이었다. 또한 RO처리수의 경우 0.002NTU로 SS상에는
나타나지 않았던 탁도물질이 일부 관찰되었다. 한편 Fig.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PCF 처리수의 SDI
측정 결과 주입 응집제 농도에 따른 측정값 차이가 있었으며, 17% PACl 20ppm 주입 시 평균
2.6(2.1∼3.5)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17% PACl 10ppm 주입 시에도 RO전처리 수질조건인 SDI 5.0을 초과하는 경우가 1회 정도였으므
로 적은 응집제 주입량으로도 수질보증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과도한 응집제주입은 Fig. 10.에서 그
경향을 확연히 관찰할 수 있듯이 SDI에 역효과를 초래하여 PACl 25ppm 주입 시 SDI가 평균 3.4로
나타나 20pm주입 시보다 0.8이상 상승하였다.

Table 4. Summary of turbidity and SDI15 analysis results

PCF RO
Items Coagulan
t Dose
Test (ppms) Raw Water Filtrate Removal Permeate Removal
SDI15
(NTU) (NTU) (%) (NTU) (%)

1 10 1.4 0.10 91.3 4.3 0.002 99.8


(0.8~2.6) (0.08~0.14) (85.6~96.5) (3.5~5.1) (0.001~0.004) (99.5~100)

2.3 0.11 94.8 3.7 0.002 99.9


2 15 (1.4~4.7) (0.08~0.13) (90.7~97.8) (3.1~4.6) (0.001~0.003) (99.8~100)

3.1 0.11 95.7 2.6 0.002 99.9


3 20
(1.6~4.7) (0.08~0.14) (92.7~98.0) (2.1~3.5) (0.001~0.004) (99.8~100)

4 25 2.9 0.11 96.1 3.4 0.002 99.9


(1.9~4.3) (0.08~0.14) (93.2~97.9) (2.6~3.8) (0.001~0.004) (99.8~100)

2.4 0.11 94.4 3.5 0.002 99.9


Average 17 (0.8~4.7) (0.08~0.14) (85.6~98.0) (2.1~5.1) (0.001~0.004) (99.5~100)
Fig. 9. Turbidity variations.

Fig. 10. SDI variations.


3.3 전기전도도 분석 결과
탁도와 마찬가지로 on-line 전기전도도 측정장치와 휴대용 전기전도도 측정장치를 병행하여 검증하였다.
Fig. 11.은 전도도를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고 Table. 5.는 이를 요약한 것으로서, 분석결과 불용성
Colloidal 물질 제거를 목적으로 하는 PCF의 경우 전도도 제거효율은 0.5% 수준으로 극히 낮았다. 그
러나 용존성 물질을 분리해내는 RO막의 경우 평균 여과수 전도도는 29.9 ㎲/cm(19.0~43.0 ㎲/cm)로
평균 97%의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내면서 유입수 전기전도도에 관계없이 매우 안정적으로 처리되었다.

Table 5. Summary of conductivity analysis results

Coagulant PCF RO
Items
Dose Raw Water Filtrate Removal Permeate Removal
Pilot
(ppms) (㎲/cm) (㎲/cm) (%) (㎲/cm) (%)
1,073 1,055 1.6 29.2 97.2
1 10
(912~1,345) (843~1,245) (-0.7~11.5) (20.0~38.0) (96.0~98.3)
1,000 1,004 -0.4 29.5 97.0
2 15
(832~1,245) (854~1,244) (-11.8~0.8) (19.0~36.0) (95.8~98.1)
998 996 0.2 29.9 97.0
3 20
(925~1,146) (926~1,145) (-0.2~1.3) (19.0~36.0) (96.3~98.1)
984 976 0.8 31.0 96.8
4 25
(915~1,124) (910~1,123) (-0.1~3.7) (21.0~43.0) (95.6~97.7)
1,014 1,008 0.5 29.9 97.0
Average 17
(832~1,345) (843~1,245) (-11.8~11.5) (19.0~43.0) (95.6~98.3)

Fig. 11. Conductivity variations.


4. 결 론

하수종말처리장 방류수 대상은 향후 하수방류수 재이용수의 대규모 소비처가 산업단지가 될 가능


성이 높고, 재이용수 공급배관에 관계된 투자비를 줄여야 하는 현실적 문제점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비록 하수 성상의 관점에서 보면 일반 생활하수보다는 성상이 훨씬 복잡하여 기술적 어려움이 존재
하지만 재이용수 대형 소비처인 산업체에 근거리에 위치한 산업단지 종말처리장 방류수를 선택하였
다.
본 연구에서 선택한 하수처리장 방류수 대상은 부산 녹산 산업단지 내에 위치한 녹산 종말처리장
방류수이었으며, 이를 대상으로 약 4개월에 걸쳐 Pilot Test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 Table 6과 같
은 결과를 바탕으로 PCF로 UF를 대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3
DPSR-RO의 RO처리수 기준 50m /일 용량확보를 하였으며, Pilot의 크기는 수조 및 기타공간까지
2
포함하여 6m 로 제작되었다. 또한 전처리 탁도는 평균 0.11NTU(0.08∼0.14NTU)였으며, 전처리 동
력은 0.31kwh/m3로 나타났으며, 적정 응집제 주입량은 20ppm이었다. 최초 운전일인 2009년 8월
24일부터 약품주입농도를 10∼25ppm으로 조건별로 일정기간 변화시키면서 여과유량, 전력량 및 기
3 3
타 수질분석을 실시하였다. PCF는 평균 84m /d로 처리되었으며, 79~91m /d으로 약품주입량보다는
원수성상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RO는 회수율이 평균 66.3%로 52.7~70.1%의 범위를 나타내어 편
차가 나타났으며, 이는 RO가 수온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PCF 원수, 처리수 및 RO 처리수에 대한 SS 및 탁도 분석결과 PCF 2단 여과에 따른 부유입자성
물질이 95%이상 제거되었으며, RO여과수는 탁도만 0.002NTU정도 측정되어 탁도물질은 99%이상
제거되었다.
DPSR 전처리 공정의 SDI측정 결과 SS 및 탁도 결과와 유사하게 17% PACl 20ppm이 최적 주입
량으로 결론지어졌으며, 이때 평균 SDI는 2.6으로 RO막 제조사의 사양인 5.0을 충분히 만족함으로
Colloid에 의한 RO막 오염은 충분히 피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17% PACl 10ppm주입 시
에도 평균 SDI는 4.3으로 RO전처리 수질조건인 SDI 5.0를 초과하는 경우가 1회 정도였으므로 적은
응집제 주입량으로도 수질보증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25 ppm 이상의 과도한 응집제주입은 SDI에 역
효과를 초래하였다.
전기전도도 측정결과 PCF에 의한 전도도 제거효율은 0.5%로 극히 낮았으며, RO여과에 의해서는
평균 97%의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DPSR 전처리공정의 T-P제거효율은 PACl과의 화학반응에
관계됨으로 인해 PACl의 주입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DPSR 전처리공정의 Colloid 제거 최적
기준인 20 ppm의 PACl 주입 시 평균 제거효율이 68.2%(0.99→0.30mg/L)이었고, RO막에서의 제거
율은 63.3%(0.30→0.19mg/L)로 나타났다. 이는 하수처리장 유입수가 산업폐수인 관계로 생물학적
처리 후에도 유기인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제거율이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DPSR 전처리공정의 여과수 BOD는 0.37~0.40mg/L로 처리되어 평균 89.4%의 제거효율을 나타내
었다. 대부분이 용존성으로 존재하는 CODMn와 T-N의 경우 DPSR 전처리공정에 의한 제거효율은 낮
았으며, CODMn의 경우 RO제거효율 평균 95%, T-N은 평균 97.9%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Table 6. Summary of pilot test results
Equipment DPSR
RO Remark
Item (Pre-treatment)
3
Flow Rate m /d 84(79~91) 50(39~54)
Recovery Rate % 95.8(94.7~96.6) 66.3(57.7∼70.1)
Total Size m2 6
3
Utility Consumption kwh/m 0.31(0.22~0.48) 102(100~105)
Optimum Dose ppms 20 - 17% PACl
Turbidity 95.7%(3.1→0.11NTU) 98.2%(0.11→0.002NTU)
SS 96.6%(6.3→0.19mg/L) 100%(0.19→0.0mg/L)
BOD 91.4%(4.8→0.4mg/L) 75.0%(0.4→0.1mg/L)
Performance CODMn 14.1%(18.5→15.8mg/L) 96.2%(15.8→0.6mg/L)
at Optimum Dose T-P 68.2%(0.99→0.30mg/L) 36.7%(0.30→0.19mg/L)
T-N 8.4%(17.4→16.0mg/L) 97.8%(16.0→0.36mg/L)
SDI15 2.6(2.1~3.5) -
Conductivity 0.2%(998→996㎲/cm) 97.0%(996→29.9㎲/cm)

사사

본 논문은 부산환경공단 연구개발팀과 공동으로 수행하는 2009년 환경부 차세대 과제로 본 실험


에 많은 도움을 주신 부산환경공단 산하의 관계자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리오며, 앞으로도 다각적
인 협력으로 지역경제발전과 환경보전을 위해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

참고문헌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