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느한필수문법 I

빠 발음해 보면 느낌이 온다.


® 연철(이어 적기), 혼철(거듭 적기) @ 연철: 니믈 一 님을, 사라미 一 사람이
안혼철: 又튼-+같은. 곳쳐一고쳐, 물삽미一말씀이

빠'타 -.'L'. •L , 一 'o'


®co 버치
습 l:::::t-,
야 랑군 -+ 낭군, 니불 -+ 이불, 니르러 -+ 이르러, 넷날 一 옛날

빠 'c, E'+ ' I '----➔ ' x, 天'+' I'


®구개음화
@그티디一그치지

·-· - ·口 , 닌 I 타+
빠 ‘ 口’ 닌’ ’ 타+
II •T•
@원순모음화
II I
@믈一물블一불,플一폴
~ :o:'+,_,-+I人 • M • X 天 '}J;. t + I I,
빠 ‘人 M A
®전설모음화
t t
' ' ' t

@懿一짐승. 거츨다一거칠다
I
빠 • ~ , ~ , lL, ir' --+ • ~, ~, ..l.., T
®단모음화
안 종 -+ 종, 드로쇼서 -+ 들으소서

-첫글자의· · ·-·아’
® 함마 -+i5빠 i_.1- 내
(J) 0 固OK . ) -첫글자이후의 ' · '-+'으’
@}) ?솔 一까울, 므옵 一 □ 융
-예외가많다.

- 첫소리 6. -+ 탈락 -+ 0

@ 아~-+아~-아우
® 반치음{/J,.) -끝소리 A -+ 人
®젓대저석)

- 양성 모음 앞에서 -+ I오’
@도하一도와
- 음성 모음 앞에서 -+ '우’
®순경음 닌(봉) @추밝 一 추워
-중성모음앞에서 - · o·
@ 쉬봉, _ 쉬이(쉽게) 、

L탄히 붙여 쓰는
※ 병서란, 훈민정음에서 초성자 두 글자 또는 세 굴자를 가로로
er' 따위와 합용 병서 I i!ll, 따위가 있다.
일을 말한다. 각자 병서 ' 11, 111.1'

오벼 서
®하
t::::IC ) 0 빠 병서자의 마지막 자음을 된소리로 발음한다.
@ 헐쓰더 ........ 헐뜨더 (헐뜯어). 새끼 선기 ........ 새끼 꼬기
,_.....,_튤,......,

고전시가 본문율 읽기 위한 필수 문법

O 연철(이어 적기), 혼철(거듭 적기)


J빠言니:느~~;~I-A圈|
@ 혼철: 又튼一같은,곳쳐 一
一 -
펙, g 설미一말씀이

@두음법칙
-
l 빠 •2'- ' L', 'L·- •o'
l
I
@ 랑군一낭군,니불 一
이불, 니르러 一 이르러, 넷날 一 옛날 , __
빠 'c, e' + ' I ' - 'x, 天• + ' I '
®구개음화 @ 그터디 一 그치지
+ 1T1
- .

, , , _ ·o. 1:1, n. 111'


빠 'o, 닌• II, II! +-
@ 원순모음화 @ 믈一물.물一볼,플一플
빠 'A, M, J::, ~. :xx' +,_, 一 'A, 서 J::, j:' 쩌' + ' I '
— 一-
®전설모음화 @ 懿-~. 거살각一거칠다

마 , 1 뿐. ,r'- 가 , ~ • .L, Tl
®단모음화 @ 종 - 종, 드로쇼서 - 들으소서

-첫굴자의•. · -·아’
@ 호마一하마, 1_.1- 내
(J) 0園OK .) -첫굴자이후의···-·으’
(iJ) 7 울 - 7~. ~ 옵 - a~
-예외가않다.

-첫소리 A 一탈락 -o
@ 아수一아C2 ..... 아우
® 반치음(ll)
-끝소리 6 --+ 人
@ 젓CK저석)

- 앙성 모음 앞에서 - ·오’
@ 도하一도와
- 음성모음앞에서 ..... '우’
®순경음 t::1(8)
@ 추밝一추워
-증성모음앞에서 ..... 'o'
@ 쉬gl 一 쉬이(쉽게)

※ 병서란. 훈민정음에서 초성자 두 굴자 또는 세 굴자를 가로로 나란히 붙여 쓰는


일을 말한다. 각자 병서 'Tl, er' 따위와 합용 병서 ‘러 떠 따위가 있다.
®합용병서
빠 병서자의 마지막 자음을 된소리로 발음한다.
@ 헐쓰더 一 헐뜨더(헐뜯어). 새끼 모기 一 새끼 꼬기
·크

고전시가 본문을 이해하기 위한 필수 어휘 -- -
,. -,

• ‘자연’을 뜻하는 어휘
• 강호 산림. 강천, 풍월, 임천, 청풍영월. 산수, 산천 . 연하 등
• 대유법 사용 빠 풍월을 단순히 '바람+달로 해석하기보다 ‘자연’ 그 자체로 받아들여야 하는 경우가 많다.

• 자연과 대비되는 ‘인간 세상을 뜻하는 어휘


• 인캔사m). 인세. 장안. 북궐 남산, 진세, 홍진, 풍진

• ‘자연 친화적 태도과 관런된 어휘


• 안빈 낙도 = 안분지족 = 단사표음 = 단표누항 -1k Y.. . tJ-IJJ ',-{낸
• 휴지적 = 강호합정 = 무심어조 = 임천 한홍 -~가}웅
• °A면동화 = 울아일체 = 물심일여 = 풍월주인 자虎턴;;_가Z 나
• 천석고황 = 연하고질 -1~~1!1-:11~
· 뤄~ = 켈도원(武陵桃源) 끼 C 가까 강단 .
• 기소K箕山 ) 영쉬親水): 소부와 허유가 놀던 아름다운 경치
..,... •
홑 ”
타罰謂罰fml
”鍾
"'Iii

빠가율
7울
a 어느 7~ 이ca - 르 매 〈월영사, ‘제앙에가') --
t:I

빠 卵각
바를

곰비 / 님(림)비
@磁샬리랫

.. 뒤/앞
바르래 碑리렌따 〈고려 가요 정산별곡)
- ~ - -—-

8 덕(懿란곰비예 받효/팍面으란 림비예 받잡고 〈고려 가요, ‘동동')


-
--
빠 모습을
---
즈을
야 는 이 브를 즈슬 디바얹다 〈고려 가요 '동동')

빠흰갈매기
~
® 떡야 헌사효라 못 미들손 도화 | 로다. 〈이황의 시조〉
백구(白 鷄) 자성청tt ※ 주로 達 친화적인 정서를 노래할 때 동원되는 자연물이지만 2011학년도 수능에 출제원

써홰梨花)
율리햏 같은 예외도 있다.

빠 배梨흰색.봄)
@ 이~I 월학고 은ttol 상경인 제 〈이조년의 시조〉
-
※ 색채 이미지, 계절감을 동시에 환기하는 시어

f.J;wo/l(A 빠 북sOfi(~)
됴(桃花) ~ t!,tt;:때 헌사호랴 못 미들손 도화 1로다. 〈이황의 시조〉
캠t ※ 주로 ‘무릉도원이라는 이상향을 환기하거나 자연 공간에 대한 만족감을 표현할 때 동원한다.
I각彬안김강,
빠살구꿨분홍빛)
뀜홰杏花) @책 맹殿 석앙리예 퓌여 잇고 〈정극인, ‘성춘곡’〉
※ 주로 자연 공간에 대한 만족감을 표현할 때 동원한다.

넓 빠샨
@~ 길고 길고 물은 멀고 멀고 〈윤선도, 년회요〉
- 一 -
빠 시골에 살아 세상 이치를 모르는 어리석은 사랑
~하암(항암) @ 어리고 햐암의 뜻'cl 논 내 분인가 호노라 〈윤선도, ‘만홍〉
, +
※ 화자가 자신을 결솝하게 이르는 말

빠 연못
1:(沼) 8 일가흔 기픈 소희 은갇 고기 뛰노는 다 〈윤선도. '어부사시사’〉
d. 쇼 포유동물인소
).
청약립/녹사의
빠 삿갓 / 우비쇼뿌옷차림)

_
~ I 청약립은 써 잇노라, 녹사의 가져오q 〈윤선도, ‘어부사시사)

따물 /불/물

믈/블/플 현1 믈 7 톤 얼굴이 편 C 실 적 멋 날일고 〈정철, '속이인곡’〉


펙 현 등A볼 다호라 〈고려 가요. '동동》
懿 어이효야프르논 돗 누르누니 〈윤선도, '오우가〉

I .. A법문
*시비(柴M)
@ 시비(~)설 여지 마라 날 효리 뉘 이소리 〈신흥, 방옹시여’〉
I d. 시뺑란): 노비 / 시밴是뿐): 鉉과 그름
빠 진귓위험한곳)
즌다
| 묘 미 롭 드되욜셰라〈고대 가요 '정읍사’〉
빠 여인의방
- - - -
사창/옥창/규방
8 제 혼자 우러 녜어 사창 여왼 잠을 살뜨리도 1l112.는고야 〈작자 미상의 사설시조〉
빠푸른시냇울
-- -—
벽계수(碧溪水)
@1 청산리 벽거~I 야수이 감°
눌 X방마라 〈황진이의 시조〉
-- - -
l 빠 열매
- -- - - -

여름 "휘 기픈 남~ I;:' ~ 매 아니 뮐'ti / 곶 됴코 여름 호나니 〈정인지 외• I용비어천가· 2장〉


-
빠 여름
녀름
I ® 긴 녀튠 강촌애 일마다 유심효도다 〈두보 ‘강촌') . - ..

-
빠 강
7 톱(가통)
® 7 르미 프루니 새 더욱 히오〈두보 철구')
--一

빠 땅
@ 하놀콰 싸콰논 일야에 텃도다 〈두보• •등악양루')
--一-
1(1)
-- - 빠끝

@ 又 업슨 디 논 나못니 폰 / 소소히 누 리고. 〈두보, ‘등고')


[ 표;―—
촉(炯) I ~ 촉 잡고 갓가이 사랑할 제 암항부동하더라 〈안민영• I매화사')
- - -—
,fr 따 버드나무
녹양(綠楊) @ 녹앙방초논 세우 증에 프르도다 〈정극인.•상춘곡’〉
--
숙 안개와노을
f연s~煙霞) @ 연하일휘 논 금수롭 재핏 논 듯 〈정극인••상춘곡')


r ———
다 근심,걱정,시름
혜음(헵 헴가림) I @ 단표누항에 홋튼 혀욤 아니 호 ~I 〈정극인• I상춘곡’〉

댜 가마
*남여(藍興)
@ 남여롤 비야 투고 솔 아히 구븐 길노 〈송순, ·면앙정가')

I ~ 누렇게 익은곡식 -풍요.


'황운(黃雲) I @l ~운은 도 엇지 만경의 편거지요 〈송순, ‘언앙정가’〉
d. 뗄 조친 藍은 원전1 사혀 잇고 〈的로 ‘선破'〉 -꼭멸끄뿌L ~퍄/
,_.
f 1 숙 하늘과땡온세상)
건곤이 페석호 0

~ I 야 촨K의처마)
모첨 / 수간모옥 ® 모첨 비촨 ~, 통 왁구의 올리고져 〈정철, '사미인곡')
@ 수간모옥을 벽계수 앎푀 두고 〈정극인, ‘상춘곡〉
T빠 굽 ―― — —— ---一― —
이릭
@ 이히야 교l=I 야 어즈러이 효돗썬디 〈정철, '속미인곡')
- l
.
1 빠 봄 / 여름 / 가을 / 겨울
삼춘/삼하/삼추/삼동
I @ 삼춘 화류 호시절에 경물이 시름없다 〈허난설헌, '규원가')

슈품(手品) i 빠 ®솜씨 슈藍7 니와 져됴도 7 졸시고. 〈정철••사미인곡')

므 솔(~ 을) I 빠 □虐
@ 효 적였 흔 고비 ?솔훌 아나흐르는니 〈두보 ‘강촌')

웃음
우음 |〈권섭의 시조〉

-'f 계.차안)
홍진(紅慶) 고 〈정극인. 장춘곡')
- - :- - 7
선호다
빠 서운하다
누 선한면 0마세라든:.__一一
@ 잡색무리마는느
--諺느낌)
-
기려가요’가시리’〉

.. 7따 지내다.
~17떠 (~ 수노이다 〈고려 가요 '동동')
*녀다(니다, 녜다) 아니을 혼 ~I 녀가져원율 TTL-티 -
- ~ 一-
-

-
-

--
빠 (정신적뿌) 사랑해각 누 〈정철. '속미인곡’〉
괴다 괴앙측혼가마노
“얼굴이거동이님
———---
- - ---


- --

빠 우기다.모함하다
〈고려 가요 ‘만전춘')
벼 71 다 @ 벼71[~시니 뉘러시니잇가

빠 바슷하다
- -
-
이슷효다 ^호요이다 〈정서. '정과정》
~

어엿브다
@산접동새난이大

빠 물쌍四
- -- —- -

쓴이로다 〈정철, '속미인곡')


—·
- 一-
@ 어엿븐그림재날조홍
---
빠 Afr.}져서. 축어 없어져
*쇠어디여 @ 출繼 쇠어디여 범나브1 되오리라 〈정철, ‘사미인곡')
~ 빠 생기다, 태어나다, 만들어지다
삼71 다 @ 이 몸 삼기실 제 님을 조차 삼기시니 〈정철, '사미인곡')
- -

빠 꺼리다
씌우다 @ 공영도 날 색우고 부귀도 날 색우니 〈정극인.•상춘곡〉
~

빠 마름질해각, 재단해각, 만들다


콜다 @ 칼로 응아 낸가, 봇으로 그려 낸가 〈정극인. '상춘곡')
f 빠 이별하다.헤어지다
여히 다(여희다, 여히다) ®천만리 머나먼 길~I 고은 님 여회옵고 〈왕방연의 시조〉
빠 좋다
[ 뭏다(됴타) ”휘 기픈 남: 보 르 매 아니 윌산I / 곶 됴코 여름 하는 니 〈정인지 외. '용비어천가' 2장〉

빠 깨끗해각,맑다
좋다(죠타) @ 언의 뉘 이죠혼뜻을알리 잇다 효리오〈김수장의시조〉
'>I: 빠 0齡스럽다 ('댑덟햏i는 의미로 많이 쓰임)
헌令호다
8 어와 조화옹이 헌수토 현수 훌샤 〈정철, ‘관동별곡')
Y 빠 어리석다
어리다
@ 이 □~ 어리기도 님 위한 탓이로세 〈윤선도, 면회요')

빠 슬퍼하다
슬허호다
I § 선통이 져 서만못효믈못'-I 슬허호노라〈박효관의 시조〉
l -一
빠 그르다.잘못되다
——
외다
8 슬프나 즐거오나 옳다 하나 외다 하나 〈윤선도 면회요’〉

빠 距~il. 크대大)
*하다 I ~ 노래 삼긴 사람 시름도 하도 할샤 〈신흥의 시조〉
cl. *다 - 하다(do)
빠 짧다
잘다
8 긴 소리 쟈른 소리 절절이 슬픈 소리 〈작자 미상의 사설시조〉

빠 끊어지다/이어지다
긋다/닛다
8 노픈 뭇 는즌 듯 궁놉 듯 닝뇨 듯 〈송순, 면앙정가')
三曲 —

¥수이 빠 쉽게

® 청산리 벽겨~ I 야 수이 감을 자랑마라 〈황진이의 시조〉


빠 자주
즈로
.I ~ 귀비치조타 감나검기홍 즈로 혼다〈윤선도••오우가')
-
빠 마침
모쳐라
I ® 모쳐라 방일쇠만정 힝혀 낫이런들 눕 우일 번호괘라 〈작자 미상의 사설시조〉

*고텨 빠 다시

l @ 염냥이 시 릅 아라 가논 듯 고텨 오니 〈정철. '사미인곡')

슬코장

송 at(하at)

빗기(비겨)

~전은언5l,l已·어河
....:업續~. .麟1『::.t척,,.-:. •

,(ii군:업협:il<:/ ':: .
- - ' - -

•n
* ~己셰라 l 빠 ~할까두렵다
@ 잡수와 두어리마는 는 선호 연 아니 올세라 〈고려 가요..가시리')

~손~I
I 빠 ~에게. ~로부터
I ® 왓버들 갈힌것거 보내노라 님의손~I 〈홍랑의 시조〉
'}f- 빠 ~보대뻑부사격 조사)
~도곤 I,...., 라와

~ 우호1 1 @ 녀산이 여괴도곤 낫단 말 못강려니 〈정철••관동별곡')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노라 〈고려 가요.•청산별곡')

」 빠 (j) 시간+우희:~전에 0 興+우희 :~ 위에


® 천세 우희 미리 정효샨 한수 북에 〈정인지 외• •용비어천가' 125장〉
빠 ~의, ~쪽
~다히
® 무등산 혼 활기 뫼희 동다히로 버더 이셔 〈송순, 면앙정가')

rv ~I I 빠 ~귓장소)
I ~ 즌 ~I 철 로1욜셰라 〈고려 가요' .정읍사')

~제
——1 빠~ 때

rv=:[ 니와

~
멜 . l"V하 / l"V곰

f:~고져 효/-;,if 가 :- 홑:후雲:~..관동별곡') ] 빠 ~같구나


~다호라
@ 유월人 보로매 아으 별해 모론 빗 다호라 〈고려 가요, ‘동동')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