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8

2025학년도 중앙대학교

입학전형시행계획

2023. 4. 28

본 시행계획은 관계 법령의 변경 및 대학입학전형관리위원회 심의 결과, 학칙개정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추후 확정 공지되는 모집요강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33조제2항에 따라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안)을 안내합니다.


□ 본 입학전형시행계획은 관계 법령 제·개정, 학과 개편 및 정원 조정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니 추후 확정·공지되는 모집요강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Contents
• 2025학년도 입학전형 주요 변경사항 ··············································································· 2
• 한눈에 보는 2025학년도 입학전형 ·················································································· 3
•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반영방법 ········································································· 4
• 2025학년도 주요일정 ········································································································· 6
• 2025학년도 개설전공 및 모집인원 ·················································································· 7
• 2025학년도 전형별 모집인원 ···························································································· 8

I. 수시모집 전형안내
지원자격 / 모집단위와 모집인원 / 수능최저학력기준 / 전형방법
1. 학생부교과(지역균형전형) ····································································································· 11
2. 학생부종합(CAU융합형인재전형) ·························································································· 12
3. 학생부종합(CAU탐구형인재전형) ·························································································· 13
4. 학생부종합(CAU어울림전형) ·································································································· 14
5. 학생부종합(기회균형-농어촌학생,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장애인 등 대상자,
특성화고졸재직자 전형) ····················································································· 15
6. 논술(논술전형) ························································································································ 17
7. 실기/실적(실기형전형) ··········································································································· 18
8. 실기/실적(특기형전형) ··········································································································· 19

II. 정시모집 전형안내


지원자격 / 모집단위와 모집인원 / 전형방법
1. 수능(일반전형) ························································································································ 22
2. 수능(실기형전형) ···················································································································· 23
3. 실기/실적(실기형전형) ··········································································································· 24
4. 수능(기회균형-특성화고교졸업자전형) ·················································································· 25
5. 수능(기회균형-농어촌학생,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전형) ······································· 26
6. 학생부종합(기회균형-특성화고졸재직자전형) ······································································· 28
7. 기타사항 ································································································································· 29

III. 재외국민특별전형 안내 ·············································································································· 31

IV. 수시모집 학교생활기록부 반영 방법 안내 ·············································································· 35

1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2025학년도 입학전형 주요 변경사항

구분 변경사항

Ÿ 캠퍼스 명칭 변경
학칙개정
- 다빈치캠퍼스 → 다빈치캠퍼스 (단, 2024학년도부터 적용)

Ÿ 전형유형별 규모 전년도 수준으로 유지


- 총 4,955명 모집(정원내 4,379명, 정원외 576명)

구분 전형유형 2024학년도 2025학년도 증감율(%p)


학생부교과(지역균형) 504(10.1%) 500(10.1%) -

학생부종합(기회균형 제외) 957(19.2%) 961(19.4%) +0.2

학생부종합(기회균형) 452(9.1%) 452(9.1%) -


수시
논술위주 478(9.6%) 478(9.6%) -
모집규모 실기/실적위주 400(8.0%) 402(8.1%) +0.1
유지
계 2,791(56.1%) 2,793(56.4%) +0.3

수능위주(수능일반, 기회균형, 수능(실기형)) 1,994(40.1%) 1987(40.1%) -

실기/실적위주 92(1.8%) 78(1.6%) -0.3


정시
학생부종합(기회균형-특성화고졸재직자) 10(0.2%) 10(0.2%) -

계 2,096(42.1%) 2,075(41.9%) -0.3

재외국민 87(1.7%) 87(1.8%) -

총계 4,974 4,955 -

Ÿ CAU융합형인재 (면접 폐지, 서류 100%로 선발)


고교 전체 학업성취도 우수 및 고른 성장을 한 학생 선발
학생부종합전형 Ÿ CAU탐구형인재 (면접 실시, 2단계 면접 30% 반영)
변경사항 해당 계열분야 탐구역량이 우수한 학생 선발
Ÿ CAU어울림 지원자격 일부 확대
다문화가정 자녀 지원자격 변경(다문화가족지원법 제2조제1항)
Ÿ 수능 성적 활용 시, 수능 응시영역 지정 해제 (수시/정시 공통)
수능 반영영역 및 - 계열 구분 없이, 수학 응시영역 제한 없음. 탐구 사/과탐에 한하여 응시
반영방법 변경 Ÿ 정시 수능 영역별 반영비율 변경 및 탐구영역 가산점 도입
- 22p 세부내용 참고

학교폭력조치사항 Ÿ 수시 일부 전형에 대하여 학생부 내 학교폭력조치사항 반영


대입반영 - 학생부위주(교과-지역균형, 종합전형 전체) 및 실기/실적(특기형-체육특기)

Ÿ 공연영상창작학부 연극(연출/기획)
- 정시모집 수능 반영비율 조정, 수능 반영영역 변경(수학 미반영) 등
실기형/특기형
Ÿ 공연영상창작학부 문예창작
일부 학문단위
- 수시모집 특기형 지원자격 조정
전형변경
Ÿ 스포츠과학부 체육특기-농구
- 수시모집 특기형 지원자격 조정

2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한눈에 보는 2025학년도 입학전형


모집인원 수능
모집 전형
전형 정원 정원 전형요소 및 반영비율 최저
시기 유형 계
내 외 기준

교과형 지역균형 500 - 500 학생부 100(교과 90, 비교과(출결) 10) △1)

CAU융합형인재 457 - 457 서류 100 ×

1단계: 서류 100
종합형 CAU탐구형인재 484 - 484
2단계: 1단계 70 + 면접 30
학생부 CAU어울림 20 - 20
위주
농어촌학생 69 70 139
×
기초생활수급자
종합형 43 30 73 서류 100
및 차상위계층
기회균형
장애인 등 대상자 - 8 8
수시
특성화고졸재직자 1 231 232

논술 논술 70 + 학생부 30
논술 478 - 478 ○
위주 (교과 20, 비교과(출결) 10)

실기 + 학생부
실기형 358 - 358 △1)
(모집단위별 비율이 다름. 17p 참고)
실기/실적
위주 수상실적 + 적성실기 + 학생부
특기형 44 - 44 (모집단위별 비율이 다르며, 학생부는 ×
체육특기에 한하여 반영함. 18p 참고)

수시 계 2,454 339 2,793

일반 1,687 - 1,687

특성화고교졸업자 - 30 30 수능 100
수능 (수능일반-체육교육과 ×
기회균형 농어촌학생 - 80 80
위주 : 수능 80 + 서류평가 20)
기초생활수급자
- 30 30
및 차상위계층
정시 실기형(가,나) 160 - 160
실기 + 수능
실기/실적 ×
실기형(가,나) 78 - 78 (모집단위별 비율이 다름. 22-23p 참고)
위주

학생부 종합형
특성화고졸재직자 - 10 10 서류 100 ×
위주 기회균형

정시 계 1,925 150 2,075

중·고교과정이수자 - 87 87
서류 100
재외국민 해외전교육과정 - 약간명 약간명 (의학/약학부는 전형방법이 다름. 30p 참고) ×

북한이탈주민 - 약간명 약간명 서류 100

합계 4,379 576 4,955

1) 학생부교과(지역균형) 서울캠퍼스 모집단위 및 실기/실적(실기형) 공연영상창작학부(문예창작, 사진)는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


※ 정원 내 모집인원은 2023학년도 미충원 이월인원(1명)이 포함된 인원임

3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반영방법(수시/정시)

□ 수시모집 수능최저학력기준 반영 방법

◎ 학생부교과(지역균형) 전형
탐구 영역
캠퍼스 계열 모집단위 영역별 기준 공통
반영 방법
인문/ 전체 한국사
국어, 수학, 3개 영역 등급 합 7이내
서울 자연 (약학부 제외) 상위 1과목 반영 4등급
영어, 사/과탐
약학부 4개 영역 등급 합 5이내 이내
자연
다빈치 전체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하지 않음
※ 영어영역 1등급과 2등급을 통합하여 1등급으로 간주하고 수능최저학력기준 충족여부를 산정함.
※ 제2외국어와 한문은 반영하지 않음.

◎ 논술전형
탐구 영역
캠퍼스 계열 모집단위 영역별 기준 공통
반영 방법

인문/ 전체
3개 영역 등급 합 6이내
자연 (의, 약학부 제외) 상위 1과목 반영
서울 한국사
약학부 국어, 수학, 4개 영역 등급 합 5이내 4등급
영어, 사/과탐
자연 의학부 4개 영역 등급 합 5이내 2과목 평균 반영 이내

다빈치 전체 2개 영역 등급 합 6이내 상위 1과목 반영

※ 영어영역 1등급과 2등급을 통합하여 1등급으로 간주하고 수능최저학력기준 충족여부를 산정함.


※ 제2외국어와 한문은 반영하지 않음.

◎ 실기/실적(실기형) 전형
탐구 영역
모집단위 영역별 기준 한국사
반영 방법

문예창작 국어, 수학, 미적용


공연영상창작학부 2개 영역 등급 합 6이내 상위 1과목 반영
사진 영어, 사/과탐 (단, 필수응시)

상기 외 모집단위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하지 않음

※ 영어영역 1등급과 2등급을 통합하여 1등급으로 간주하고 수능최저학력기준 충족여부를 산정함.


※ 제2외국어와 한문은 반영하지 않음.

4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반영방법(수시/정시)

□ 정시모집 수능 반영 방법

◎ 대학수학능력시험 반영 비율(%)
전형 계열 모집단위 수능 실기 서류

수능(일반) 전체 체육교육과 외 전체 100 - -


1)
수능(기회균형) 예체능 체육교육과 80 - 20
공연영상창작학부(문예창작) 70 30 -
수능(실기형) 디자인학부, 스포츠과학부 60 40 -
예체능 공연영상창작학부(연극(연출/기획), 공간연출) 55 45 -
미술학부 40 60 -
실기/실적(실기형)
음악학부 30 70 -

1) 정시 학생부종합 특성화고졸재직자 전형은 서류100%로 평가함(수능 미반영)

◎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역별 반영 비율(%)


- 전형 및 계열, 모집단위에 따라 아래와 같이 영역별 반영 비율을 적용함
- 영어 및 한국사 영역은 필수 응시 대상이며,
아래 표에서 반영하는 영역의 공통 및 선택과목을 응시하고 탐구영역의 경우 사회/과학탐구 중 2과목을 응시해야 함

전형 계열 모집단위 국어 수학 탐구 영어 한국사

수능(일반), 인문 인문대, 사범대, 예체능(영화,사진,디자인학부) 35 30 351)


수능(기회균형-농어 예체능 사회과학대, 경영경제대, 간호학과(인문) 30 40 30
촌학생,기초생활수급
자 및 차상위계층) 자연 전체 30 35 351)
가산점 부여
공연영상창작학부(문예창작) 35 30 35
(가산표
수능 및 실기/실적 공연영상창작학부(연극(연출/기획), 공간연출), 참고)
예체능 50 - 50
(실기형) 디자인학부, 미술학부, 스포츠과학부
음악학부 100 - -
수능(기회균형-
전체 전체 30 40 302)
특성화고교졸업자)
1) 인문대/사범대: 사회탐구 가산점 부여, 자연계열 전체: 과학탐구 가산점 부여
2) 탐구영역에서 직업탐구 2과목 응시가능(단, ‘성공적인 직업생활’을 필수 응시하고, 5개 계열(농업 기초 기술, 공업 일반, 상업 경제,
수산·해운 산업의 기초, 인간 발달) 중 나머지 1과목을 선택해야 함)
※ (공통) 제2외국어와 한문은 반영하지 않음.

◎ 영어/한국사영역 가산표
영역 계열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6등급 7등급 8등급 9등급
영어 전체 100 98 95 92 86 75 64 58 50
인문/자연 10 10 10 10 9.6 9.2 8.8 8.4 8
한국사
예체능 10 10 10 10 10 9.6 9.2 8.8 8.4

5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2025학년도 입학전형 주요일정

□ 본 일정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5학년도 대학입학전형 기본사항’ 기준입니다.


아래 일정을 기준으로 본교 입학전형 일정이 확정됩니다. 확정된 일정은 추후 모집요강에 공지합니다.

구분 일정

수능시험일 2024. 11. 14.(목)

수능성적통지일 2024. 12. 6.(금)

모집요강 공고 2024. 5. 31.(금)까지

학생부작성 기준일 2024. 8. 31.(토)

2024. 9. 9.(월) ∼ 13.(금) 중 3일 이상


원서접수
※ 재외국민과 외국인 특별전형: 2024. 7. 8.(월) ∼ 12.(금) 중 3일 이상

2024. 9. 14.(토) ∼ 12. 12.(목)(90일)


전형기간
수시 ※ 재외국민과 외국인 특별전형: 2024. 7. 13.(토) ∼ 12. 12.(목)(153일)

합격자 발표 2024. 12. 13.(금)까지

합격자 등록 2024. 12. 16.(월) ∼ 18.(수)(3일)

미등록충원 합격통보 2024. 12. 26.(목) (합격자 발표 18시까지)

미등록충원 등록마감 2024. 12. 27.(금) 22시까지

모집요강 공고 2024. 9. 2.(월)까지

학생부작성 기준일 2024. 11. 30.(토)

원서접수 2024. 12. 31.(화) ∼ 2025. 1. 3.(금) 중 3일 이상

가군: 2025. 1. 7.(화) ∼ 14.(화)(8일)


전형기간 나군: 2025. 1. 15.(수) ∼ 22.(수)(8일)
정시 다군: 2025. 1. 23.(목) ∼ 2. 4.(화)(13일)

합격자 발표 2025. 2. 7.(금)까지

합격자 등록 2025. 2. 10.(월) ∼ 12.(수)(3일)

미등록충원 합격통보 2025. 2. 19.(수) (합격자 발표 18시 까지)

미등록충원 등록마감 2025. 2. 20.(목) 22시까지

6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2025학년도 개설전공 및 모집인원


신입학 모집인원
입학
단과대학 학부/학과/전공 캠퍼스 정원 정원 정원
내 외 합계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철학과, 역사학과


인문대학 유럽문화학부(독일어문학전공, 프랑스어문학전공, 러시아어문학전공), 서울 355 355 36 391
아시아문화학부(일본어문학전공, 중국어문학전공)
정치국제학과, 공공인재학부, 심리학과, 문헌정보학과, 사회복지학부,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언론정보전공, 디지털미디어콘텐츠전공), 서울 416 416 50 466
사회학과, 도시계획·부동산학과
사범대학 교육학과, 유아교육과, 영어교육과, 체육교육과 서울 140 140 5 145
경영학부(경영학전공, 글로벌금융전공), 경제학부, 응용통계학과,
경영경제대학 서울 705 705 317 1022
광고홍보학과, 국제물류학과, 산업보안학과, 지식경영학부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화학과, 생명과학과, 수학과 서울 166 166 18 184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건설환경플랜트공학전공, 도시시스템공학전공),
건축학부(건축학전공, 건축공학전공), 화학공학과, 기계공학부, 서울 452 452 53 505
공과대학
에너지시스템공학부(원자력전공, 발전기계전공, 발전전기전공)
첨단소재공학과 다빈치 40 40 - 40
창의ICT공과대학 전자전기공학부, 융합공학부(바이오메디컬공학전공, 나노소재공학전공) 서울 284 284 30 314
소프트웨어대학 소프트웨어학부, AI학과 서울 190 190 24 214
약학대학 약학부(약학전공, 제약학전공) 서울 120 121 10 131
의과대학 의학부 서울 86 85 2 87
적십자간호대학 간호학과 서울 200 201 18 219
생명자원공학부(동물생명공학전공, 식물생명공학전공),
생명공학대학 다빈치 325 325 2 327
식품공학부(식품공학전공, 식품영양전공), 시스템생명공학과
예술공학대학 예술공학부 다빈치 131 131 3 134
공연영상창작학부(연극전공, 영화전공, 공간연출전공) 서울 96 96 - 96
공연영상창작학부(문예창작전공, 사진전공, 무용전공) 다빈치 117 117 - 117
미술학부(한국화전공, 서양화전공, 조소전공) 다빈치 75 75 - 75
디자인학부(공예전공, 산업디자인전공, 시각디자인전공,
예술대학 다빈치 168 168 - 168
실내환경디자인전공, 패션전공)
음악학부(작곡전공, 성악전공, 피아노전공, 관현악전공) 다빈치 86 86 - 86
전통예술학부(음악예술전공, 연희예술전공) 다빈치 85 85 - 85
글로벌예술학부(TV방송연예전공, 실용음악전공, 게임콘텐츠·애니메이션전공) 다빈치 21 21 - 21
체육대학 스포츠과학부(생활·레저스포츠전공, 스포츠산업전공, 골프전공) 다빈치 120 120 - 120
서울 - - 6 6
w 장애인 등 대상자 전형(캠퍼스별 모집)
다빈치 - - 2 2
총계 4,378 4,379 576 4,955

※ 정원 내 모집인원은 2023학년도 미충원 이월인원(1명)이 포함된 인원임


※ 재외국민 중 해외전교육과정 및 북한이탈주민, 순수외국인과 같이 모집정원 제한이 없는 전형 미포함
(해외전교육과정의 경우, 의학부/약학부 최대 각 1명, 간호학과 최대 2명까지 선발할 수 있음)

7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2025학년도 신입학 모집인원 총괄 표


□ 학과개편 및 정원조정 발생 시,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심의를 거쳐 모집단위와 모집인원이 변경
될 수 있으며, 변경내용은 홈페이지에 공지합니다.
수시모집 정시모집
재 학 학생부종합 실
외 생 기회균형
학생부 (기회균형) 논 실기 기/
국 부 수능
교 종합 술 /실적 실 종
민 기 수능
학 과 적 합
초 특
과 장 기
입 생 성
캠 별 농 애 초 특
학 중 C C 활 화 특
어 인 모 생 성
대학 모집단위 계열 퍼 기 고 A A C 수 고 계 성 농
정 촌 등 집 활 화 계
스 준 교 지 U U A 급 졸 화 어
원 학 대 실 특 군 실 수 고
정 과 역 융 탐 U 자 재 논 일 실 고 촌
원 생 상 기 기 기 급 졸
정 균 합 구 어 차 직 술 반 기 졸 학
(내/ 자 형 형 형 자 재
이 형 형 형 울 상 자 형 업 생
외) (외) 차 직
수 인 인 림 위 1) (내/ 자 (외)
상 자
자 재 재 (내/ 외) (외)
위 (외)
외)
(외)
[전공개방]인문대학 36 36
국어국문학과 39 6 7 2 2 O 6 23 나 16 16
영어영문학과 97 10 25 2 3 3 O 9 52 가 38 3 41
독일어문학 26 16 2 O 8 26 나 -
유럽문화
프랑스어문학 서 32 17 2 2 2 O 8 31 나 -
인문 학부 인문 355
러시아어문학 울 25 12 15 2 O 8 25 나 -
아시아문 일본어문학 29 10 2 O 6 18 나 10 10
화학부 중국어문학 39 16 2 2 O 6 26 나 11 11
철학과 34 12 2 2 O 6 22 가 10 10
역사학과 34 12 2 O 6 20 가 10 2 12
[전공개방]사회과학대학 25 25
정치국제학과 44 9 3 O 6 18 나 25 2 27
심리학과 48 7 6 2 2 O 7 24 나 21 2 23
문헌정보학과 34 9 2 2 O 6 19 가 14 14
사회 서 10
사회복지학부 인문 416 48 6 9 3 2 O 6 26 나 20 20
과학 울
사회학과 44 10 2 2 O 7 21 나 21 2 23
도시계획·부동산학과 44 8 6 3 2 O 6 25 가 18 18
공공인재학부 96 3 10 9 10 2 3 3 O 11 48 가 54 4 58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58 3 9 7 5 3 O 10 34 가 24 3 27
교육학과 30 30 6 8 6 20 나 10 10
유아교육과 인문 서 30 30 1 6 12 2 20 가 10 10
사범
영어교육과 울 50 50 1 10 10 3 2 O1) 7 32 나 20 20
체육교육과 예체능 30 30 1 15 15 나 15 15
[전공개방]경영경제대학 52 52
경제학부 121 17 10 2 4 3 O 11 47 나 50 5 5 60
응용통계학과 37 6 O 6 12 나 18 3 21
인문
광고홍보학과 47 8 8 2 O 6 24 나 16 2 18
11
경영 국제물류학과 서 704 44 6 8 3 2 O 6 25 나 15 15
경제 산업보안 인문 울 13 5 5 O 10
학과 자연 자연 20 7 O 7 나 13 13
경영학 374 6 46 22 24 2 10 6 O 54 164 다 210 7 16 10 243
경영학부
글로벌금융 인문 48 2 7 9 O 6 22 가 26 2 28
지식경영학부 1 1 232 232 나 10 10
[전공개방]자연과학대학 30 30
물리학과 39 12 2 3 O 6 23 나 15 15
자연 서
화학과 자연 166 39 8 O 6 14 가 16 2 2 20
과학 울 5
생명과학과 49 11 2 O 6 19 나 20 2 22
수학과 39 12 O 6 18 가 16 2 18
[전공개방]공과대학 31 31
사회기반 건설환경플랜트공학 55 11 8 3 3 O 9 34 나 18 18
시스템공학부 도시시스템공학 247 30 9 2 O 6 17 나 12 12
서 8
공과 건축학부 자연 80 14 15 2 4 2 O 11 48 나 30 30

에너지시스템공학부 82 6 10 3 3 O 9 31 나 36 4 40
화학공학과 70 70 3 10 5 10 3 O 10 38 가 35 3 2 40
기계공학부 135 135 4 20 10 18 4 2 O 17 71 가 68 5 5 2 80
창의 [전공개방]창의ICT공과대학 56 56

ICT 전자전기공학부 자연 284 200 9 15 6 2 O 18 50 다 110 5 9 4 128
공과 울 6
융합공학부 84 6 12 2 O 8 28 나 40 6 46
8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수시모집 정시모집
재 학 학생부종합 실
외 생 기회균형
학생부 (기회균형) 논 실기 기/
국 부 수능
교 종합 술 /실적 실 종
민 기 수능
학 과 적 합
초 특
과 장 기
입 생 성
캠 별 농 애 초 특
학 중 C C 활 화 특
어 인 모 생 성
대학 모집단위 계열 퍼 기 고 A A C 수 고 계 성 농
정 촌 등 집 활 화 계
스 준 교 지 U U A 급 졸 화 어
원 학 대 실 특 군 실 수 고
정 과 역 융 탐 U 자 재 논 일 실 고 촌
원 생 상 기 기 기 급 졸
정 균 합 구 어 차 직 술 반 기 졸 학
(내/ 자 형 형 형 자 재
이 형 형 형 울 상 자 형 업 생
외) (외) 차 직
수 인 인 림 위 1) (내/ 자 (외)
상 자
자 재 재 (내/ 외) (외)
위 (외)
외)
(외)
소프트 소프트웨어학부 서 150 15 12
20 2 5 3 O 17 74 다 84 4 4 3 95
자연 190 5
웨어 AI학과 울 40 5 10 7 22 가 18 18
약학 약학부 서 120 120 1 10 18
18 6 26 78 가 49 3 52
자연
의과 의학부 울 86 86 2 10
15 18 43 나 42 42
적십자 인문 인문 서 15 13 나 48 2 50
간호학과 200 200 3 27 23 2 10 8 121
간호 자연 자연 울 10 13 가 42 3 45
[전공개방]생명공학대학 65 65
생명자원 동물생명공학 66 9 10 5 O 6 30 가 25 25

생명 공학부 식물생명공학 60 7 6 5 O 6 24 가 22 22
자연 빈 325
공학 식품 식품공학 89 14 10 5 O 7 36 가 35 35

공학부 식품영양 50 10 4 O 6 20 가 20 20
시스템생명공학과 60 6 10 4 2 O 6 28 가 22 22
공과 첨단소재공학과 다 40 6 5 5 2 7 25 나 15 15
예술 자연 빈
예술공학부 131 18 23 18 7 3 O 10 79 나 55 55
공학 치
연극(연출/기획) 12 0 나 12 12
연극(연기) 26 24 2 26 나 -
공연영상 서
연극(뮤지컬) 96 8 8 8 나 -
창작학부 울
영화 30 8 8 나 22 22
공간연출 20 3 7 10 나 10 10
문예창작 36 9 19 4 32 나 4 4
공연영상
사진 117 47 24 24 나 23 23
창작학부
무용 34 34 34 가 -
한국화 25 13 13 가 12 12
미술학부 서양화 75 25 10 10 가 15 15
조소 예 25 13 13 가 12 12
예술 공예 체 30 4 4 가 6 20 26
산업디자인 능 33 5 5 가 8 20 28
디자인 다
시각디자인 168 33 6 6 가 7 20 27
학부 빈
실내환경디자인 27 7 O 7 가 10 10 20

패션 45 10 O 10 가 23 12 35
작곡 14 9 9 나 5 5
성악 20 6 6 나 14 14
음악학부 86
피아노 20 10 10 나 10 10
관현악 32 22 22 나 10 10
전통예술 음악예술 45 45 45 가 -
85
학부 연희예술 40 40 40 가 -
글로벌예술학부 21 21 21 나 -
생활·레져스포츠, 예 다
스포츠 90 38 38 나 52 52
체육 스포츠산업 체 빈 120
과학부
골프 능 치 30 30 30 나
계 4,378 87 500 457 484 20 139 73 8 232 478 358 44 2,793 1,687160 78 30 80 30 10 2,075

1) 학생부종합(기회균형-장애인 등 대상자)은 서울캠퍼스 6명, 다빈치캠퍼스 2명 선발(모집인원표에서 ‘O’이 표기 된 모집단위에 한하여


선발하며, 사범대학 영어교육과의 경우 최대1명까지 선발 가능함)
※ 정원 내 모집인원은 2023학년도 미충원 이월인원(1명)이 포함된 인원임
※ 정원 외 전형: 재외국민, 수시-농어촌학생,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장애인 등 대상자, 특성화고졸재직자,
정시-특성화고졸재직자, 특성화고졸업자, 농어촌학생,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단, 수시 농어촌학생/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은 모집단위별로 정원내/외 구분되며, 수시 특성화고졸재직자는 정원내 1명 포함)

9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Ⅰ. 수시모집 전형안내

학생부교과(지역균형전형)
학생부종합(CAU융합형인재전형)
학생부종합(CAU탐구형인재전형)
학생부종합(CAU어울림전형)
학생부종합(기회균형전형)
- 농어촌학생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장애인 등 대상자
- 특성화고졸재직자
논술(논술전형)
실기/실적(실기형전형)
실기/실적(특기형전형)

10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1. 학생부교과(지역균형전형)
소속 고등학교의 추천을 받은 자에 한하여 지원가능 (고교별 추천인원 20명 이내)
단과대학 기준 전공개방 모집 실시(단, 일부 모집단위 학과모집)
학생부 100%(교과 90%, 비교과(출결) 10%), 서울캠퍼스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

가. 지원자격

ㆍ초·중등교육법시행령 제76조의3에 따른 국내고등학교 2024년 이후 졸업자(졸업예정자 및 상급학교


진학대상자 포함)로서 3학기 이상의 성적을 취득하고, 소속 고등학교장의 추천을 받은 자
(고교별 추천인원은 20명으로 제한)

※ 지원자는 고교과정 중 본교에서 제시하는 최소 이수과목 요건을 충족해야 함 (최소 이수과목 요건


(이수과목 개수 등)은 수시모집요강에 공지)
※ 아래에 해당하는 자는 지원할 수 없으며, 3학기 이상의 성적 취득 여부 확인 시 아래 고교에서 취득한 학기는 제외함
- 학생부 교과목별 석차등급을 산출할 수 없는 고교 출신자
- 예술고, 체육고, 마이스터고, 방송통신고, 특성화고 출신자(일반고의 특성화(전문계) 과정 이수자,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일반고등학교의 대안교육위탁학생 출신자 포함) 및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고등기술학교, 각종학교 출신자

나. 모집단위와 모집인원(8∼9p 참고)


- 일부 모집단위에 대하여 전공개방모집을 실시하며, 전공개방모집의 세부사항은 수시모집요강에 공고합니다.

다. 수능최저학력기준
탐구 영역
캠퍼스 계열 모집단위 영역별 기준 반영 방법 공통

전체
전체 3개 영역 등급 합 7이내 상위 1과목 한국사
서울 (약학부 제외) 국어, 수학, 영어, 탐구(사/과)
반영 4등급 이내
약학부 4개 영역 등급 합 5이내
자연
다빈치 전체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하지 않음

※ 영어 등급 반영시 1등급과 2등급을 통합하여 1등급으로 간주하고 수능최저학력기준 충족여부를 산정함.


※ 제2외국어와 한문은 반영하지 않음.

라. 전형방법 : 학교생활기록부 100% (교과 90%, 비교과-출결 10%)


1) 교과영역 반영방법

반영교과의 반영방법(비율)
계열 반영교과 과목별/
학년별 가중치
공통/일반선택과목 (90%) 진로선택과목 (10%)
인문 국어, 수학, 영어, 석차등급의 환산점수 활용
성취도의 환산점수 활용 없음
자연 사회, 과학교과의 전과목 이수단위 반영

※ 학교생활기록부 반영 방법: 34p 참고

2) 비교과(출결)영역 반영방법 : 미인정결석 일수 기준으로 환산점수 반영

3)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된 학교폭력조치사항에 대하여 감점 등의 불이익을 부여할 수 있음

11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2. 학생부종합(CAU융합형인재전형)

학교생활에서 학업과 교내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균형적으로 성장한 인재 선발


학교생활기록부 등 제출서류 기반 서류평가 실시

가. 지원자격
-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2학년 수료예정자 중 상급학교 진학대상자 또는 관계 법령에 의하여 고등학교 졸업자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나. 모집단위와 모집인원(8∼9p 참고)

다. 수능최저학력 기준: 없음

라. 전형방법
1) 전형요소별 반영 비율: 서류평가 100%

2) 서류평가
- 학교생활기록부 등 제출서류를 근거로 지원자의 학업 및 교내 다양한 활동을 통한 성장 가능성을 종합적으
로 평가

3)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된 학교폭력조치사항에 대하여 감점 등의 불이익을 부여할 수 있음

12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3. 학생부종합(CAU탐구형인재전형)
고교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해당 전공분야에서 탐구능력을 보인 경험이 있으며 학교생활에 충실한 학생
교내 수업, 창의적체험활동 등 탐구활동 과정에서 탁월한 역량을 보인 학생 선발
학교생활기록부 등 제출서류 기반 서류평가 실시, 1단계 합격자 대상으로 면접고사 실시

가. 지원자격
-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2학년 수료예정자 중 상급학교 진학대상자 또는 관계 법령에 의하여 고등학교 졸업자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나. 모집단위와 모집인원(8∼9p 참고)

다. 수능최저학력 기준: 없음

라. 전형방법
1) 전형요소별 반영 비율
선발단계 서류(%) 면접(%) 비고
모집단위별 3.5배수 선발
1단계 100 - (다빈치캠퍼스 모집단위 2.5배수,
단, 시스템생명공학과 3.5배수)
2단계 70 30

2) 서류평가
- 학교생활기록부 등을 제출서류를 근거로 지원자의 탐구능력, 전공분야의 학업잠재력, 학교생활 충실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3) 면접평가
- 학업 준비도 및 계열분야에 대한 탐구역량(교내활동 이해 수준 등)을 확인하기 위한 개인별 심층면접

4)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된 학교폭력조치사항에 대하여 감점 등의 불이익을 부여할 수 있음

13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5. 학생부종합(CAU어울림전형)
학교생활에서 학업과 교내 다양한 활동을 통해 균형적으로 성장한 인재를 선발
학교생활기록부 등 제출서류 기반 서류평가 실시

가. 지원자격
-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2학년 수료예정자 중 상급학교 진학대상자 또는 관계 법령에 의하여 고등학교 졸업자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로서, 아래의 지원 자격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외국고교 출신자 지원불가)

유형 지원자격
- 「국가보훈 기본법」 제3조제2호에 따른 ‘국가보훈대상자’로서 국가보훈관계법령에 따른
국가보훈대상자 교육지원대상자 (보훈(지)청장이 발행하는 ‘대학입학 특별전형 대상자 증명서’ 제출이
가능한 자에 한함)

- 부모 중 1인 이상이「장애인복지법」제32조에 의하여 장애인 등록을 필한 장애의 정도가


장애인 부모의 자녀
심한 장애인의 자녀

자립지원대상 아동 - 「아동복지법 시행령」 제38조 제2항의 대상자

직업군인, - 20년 이상 장기 복무(근무)한 직업군인, 경찰·소방공무원의 자녀 (기간 산정 시, 군 의무


경찰‧소방공무원 자녀 복무 기간을 포함하며, 복무(근무)기간을 충족한 퇴직자 지원가능)

다자녀 가정의 자녀 - 다자녀(4자녀 이상) 가정의 자녀

다문화 가정의 자녀 - 「다문화가족지원법」 제2조제1호에 따른 다문화 가정의 자녀로서 대한민국 국적자

- 「북한이탈주민법」 제2조제1호에 해당하는 북한이탈주민이나 제3국에서 출생한 북한이


북한이탈주민 등
탈주민의 자녀

나. 모집단위와 모집인원(8∼9p 참고)

다. 수능최저학력 기준: 없음

라. 전형방법
1) 전형요소별 반영 비율: 서류평가 100%

2) 서류평가
- 학교생활기록부 등 제출서류를 근거로 지원자의 학업 및 교내 다양한 활동을 통한 성장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평가

3)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된 학교폭력조치사항에 대하여 감점 등의 불이익을 부여할 수 있음

14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6. 학생부종합(기회균형전형)
농어촌학생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장애인 등 대상자 / 특성화고졸재직자전형으로 나누어 선발
학교생활에서 학업과 교내 다양한 활동을 통해 균형적으로 성장한 인재를 선발
(특성화고졸재직자는 사회경력, 자기계발 노력을 포함하여 평가)
학교생활기록부 등 제출서류 기반 서류평가 실시

가. 지원자격
1) 농어촌학생 전형
- 국내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중 다음 지원 자격(유형Ⅰ 또는 유형Ⅱ) 중 하나에 해당하는 자

유형 지원자격 설명
「지방자치법」제3조에 의한 읍·면 또는「도서·벽지 교육진흥법」제2조에 따른 도서·벽지에 소재하는 학교
<유형Ⅰ> 에서 중학교 입학 일부터 고등학교 졸업일까지 전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기간 동안 본인, 부·모가 모두
농어촌 지역에서 거주하고, 출신 고등학교장의 확인을 받은 졸업(예정)자

「지방자치법」제3조에 의한 읍·면 또는「도서·벽지 교육진흥법」제2조에 따른 도서·벽지에 소재 초·중·고등


<유형Ⅱ> 학교 12년 전 교육과정을 이수한 자 중 자격 해당 기간(초등학교 입학 일부터 고등학교 졸업일까지) 동
안 본인이 읍·면 또는 도서·벽지 지역에 거주하고, 출신 고등학교장의 확인을 받은 졸업(예정)자

※ 「초·중등교육법시행령」제90조의 특수목적고(과학고, 외국어고, 국제고, 예술고, 체육고, 마이스터고)는 자격에서 제외하며,


외국고 및 검정고시 출신자(비인가 대안학교 포함),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출신자는 지원할 수 없습니다.
※ 농어촌 지역 거주시점 개시일 : 해당연도의 각 학교 입학 개시일 기준임
※ 초·중·고교 재학 중 또는 졸업 이후 읍·면이 동으로 개편된 경우에도 당해 동 지역을 읍·면 지역으로 간주합니다.
※ 재학기간과 거주기간은 연속된 연수만을 인정합니다.
※ 최종 합격자 중 고교졸업예정자는 재학 고등학교의 졸업일까지 지원자격(농어촌 지역 거주 및 농어촌 지역 고교 재학)을
유지해야 하며, 자격을 유지하지 않을 경우 불합격 또는 입학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2)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전형
-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2학년 수료예정자 중 상급학교 진학대상자 또는 관계 법령에 의하여 고등학교 졸업자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로서 아래의 자격을 충족하는 자
※ 서류 발급 인정 기간(모집요강에 명시) 내에 관련 자격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발급이 가능한 자에 한함

-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제2조 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수급(권)자


-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제2조 제10호에 의한 차상위계층 복지급여를 받고 있는 자 또는 차상위계층 확인서 발
급 대상자
- 「한부모가족지원법」제5조, 제5조의2에 따른 지원 대상자

3) 장애인 등 대상자 전형
-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2학년 수료예정자 중 상급학교 진학대상자 또는 관계 법령에 의하여 고등학교 졸업자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로서 아래의 자격을 충족하는 자

-「장애인복지법」제32조에 의하여 장애인 등록(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을 필한 자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4조 등에 의한 상이등급자(1급-6급)로 등록되어 있는 자
※ 단, 장애인복지법 개정에 따른 하위법령 개정 시 지원자격 관련 문구가 수정 및 추가안내 될 수 있음

15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4) 특성화고졸재직자 전형
- 아래 조건 중 하나에 해당하는 자로서 산업체 근무경력이 3년 이상인 재직자(단, 개강일 기준 재직 중이어야 함)

w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졸업한 자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제91조 제1항에 따른 특성화고등학교 중 자연현장실습 등 체험위주의 교육을 전문으로 실시
하는 고등학교 제외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제76조의3 제1호에 따른 일반고등학교에 설치된 학과 중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제공하는 것과
같은 교육과정으로 운영되는 학과 포함)
w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제90조 제1항 제10호에 따른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마이스터고)를 졸업한 자
w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제76조의3 제1호에 따른 일반고등학교에 재학하는 동안 시·도 교육감이 직업교육훈련 촉
진법에 따른
직업교육훈련기관 중 직업교육훈련 위탁기관으로 선정한 국방부 직할부대 및 기관에서 1년 이상의 직업교육훈련
과정을 이수하고 해당 일반고등학교를 졸업한 자
w 「평생교육법」제31조 제2항에 따른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중 특성화고등학교 등에서 제공하는 것과 같은 교육
과정을 운영하는 평생교육시설에서 해당 교육과정을 이수한 자

※ 산업체 근무 및 경력산정 관련 유의사항


- 아래 기준에 따라 산업체 인정여부 및 근무경력을 산정하여 판단함

구분 내용

- 지원시점 기준(원서접수 시작일) 미재직자는 지원 불가


재직상태 유지 - 개강일 기준 재직 중이어야 함
- 재학 중 재직 유지, 단 이직을 위한 일시적 구직기간은 퇴직 다음날로부터 8개월로 제한
- 학기 개시일 기준 총 재직기간(4대 보험 중 하나 이상에 가입된 기간)이 3년 이상(예정)인 자
※ 2개 이상 산업체에서 재직한 경우 재직기간을 합산하여 산정하나, 재직기간이 중복된 경우
중복된 기간은 제외하고 산정함
재직기간 산정 ※ 군 의무복무, 직업군인 등의 군경력도 재직기간으로 인정함
※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29조 제2항 제14호 다목(2022.2.28 개정)사항에 따라, 고교졸업(또는
평생교육시설의 교육과정이수)직전 학기의 산업체 근무기간은 인정하며, 그 외 고교 재학(이
수)기간 중 산업체 근무기간은 인정하지 않음.
- 아래의 기준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해야 함(4대 보험 지역 가입자는 지원자격에 해당하지 않음)
· 국가·지방자치단체 및 공공단체(소속 직원의 경우)
산업체의 범위
· 근로기준법 제11조에 의거 상시근로자 5인(사업주 포함) 이상 사업체
· 4대 보험 한 개 이상 가입 사업체(창업 및 자영업자 포함)

나. 모집단위와 모집인원(8∼9p 참고)

다. 수능최저학력 기준: 없음

라. 전형방법
1) 전형요소별 반영 비율: 서류평가 100%

2) 서류평가
가) 농어촌학생,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장애인 등 대상자 전형
- 학교생활기록부 등 제출서류를 근거로 지원자의 학업 및 교내 다양한 활동 등을 통한 성장 가능성을 종합적
으로 평가

나) 특성화고졸재직자 전형
- 학교생활기록부 등 제출서류를 근거로 지원자의 학업역량, 직무역량, 공동체역량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3)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된 학교폭력조치사항에 대하여 감점 등의 불이익을 부여할 수 있음


16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7. 논술(논술전형)
논술고사는 고등학교 교육과정 내에서 출제하며 인문계열은 통합형, 자연계열은 단일 교과형으로 출제
- 논술 가이드북을 통해 논술 기출문제, 예시답안, 채점기준 등 다양한 정보 공개

가. 지원자격
-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2학년 수료예정자 중 상급학교 진학대상자 또는 관계 법령에 의하여 고등학교 졸업자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나. 모집단위와 모집인원(8∼9p 참고)

다. 수능최저학력기준

캠퍼스 계열 모집단위 영역별 기준 탐구 영역 공통


반영 방법
전체
전체 3개 영역 등급 합 6이내
(의/약학부 제외)
상위 1과목 반영
서울 약학부 4개 영역 등급 합 5이내 한국사
국어, 수학, 영어, 탐구(사/과) 4등급
자연 의학부 4개 영역 등급 합 5이내 2과목 평균 반영 이내

다빈치 전체 2개 영역 등급 합 6이내 상위 1과목 반영

※ 영어 등급 반영시 1등급과 2등급을 통합하여 1등급으로 간주하고 수능최저학력기준 충족여부를 산정함.


※ 제2외국어와 한문은 반영하지 않음.

라. 전형방법
1) 전형요소별 반영 비율

학교생활기록부(%)
선발단계 논술(%)
교과 비교과(출결)
일괄합산 70 20 10

※ 학교생활기록부 반영 방법: 34p 참고

2) 논술
가) 출제방향: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추어 출제하며 대학에서의 수학에 필요한 사고력과 쓰기 능력
측정에 중점을 둠

나) 출제유형 및 시험 시간

시험
계열 논술유형 모집단위 출제유형 시간

인문사회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사범대학, 간호학과(인문) 언어논술


인문
경영경제 경영경제대학 언어논술, 수리논술
120분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 창의ICT공과대학, 소프트웨어대학,
자연 자연 수리논술
약학부, 의학부, 간호학과(자연), 생명공학대학, 예술공학대학

17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8. 실기/실적(실기형전형)
실기 중심의 예체능 인재 선발
공연영상창작학부(문예창작, 사진)는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

가. 지원자격
-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2학년 수료예정자 중 상급학교 진학대상자로서 학교생활기록부의 석차등급을
산출할 수 있는 자
※ 단, 공연영상창작학부(문예창작), 디자인학부 외 모집단위는 학교생활기록부 없거나,
학교생활기록부만으로 석차등급을 산출 할 수 없더라도 지원 가능함(검정고시출신자, 외국고교졸업(예정)
자 포함)

나. 모집단위와 모집인원(8∼9p 참고)

다. 수능최저학력 기준
탐구 영역
모집단위 영역별 기준 반영 방법 한국사

문예창작 상위 1과목 미적용


공연영상창작학부 국어, 수학, 영어, 탐구(사/과) 2개 영역 등급 합 6이내
사진 반영 (단, 필수응시)

상기 외 모집단위 적용하지 않음

※ 영어 등급 반영시 1등급과 2등급을 통합하여 1등급으로 간주하고 수능최저학력기준 충족여부를 산정함.


※ 제2외국어와 한문은 반영하지 않음.

라. 전형방법
학생부(%)
모집단위 선발단계 실기(%)
교과 비교과-출결

1단계(8배수) - - 100
(비대면 실기)
연극(연기,뮤지컬연기)
2단계 17 3 80

공연영상 1단계(5배수) 17 3 80
창작학부 공간연출
실기 30
2단계 - - (1단계 성적 70)

1단계(7배수) 85 15 -
문예창작
2단계 17 3 80

1단계(20배수) 85 15 -
디자인학부
2단계 17 3 80

1단계(7배수) - - 100
(비대면 실기)
글로벌예술학부(TV방송연예)
2단계 17 3 80

공연영상창작학부(영화, 무용, 사진)


미술학부, 음악학부, 전통예술학부
일괄합산 17 3 80
글로벌예술학부(실용음악, 게임콘텐
츠애니메이션), 스포츠과학부(골프)

※ 학교생활기록부 반영 방법: 34p 참고

18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9. 실기/실적(특기형전형)
특기 중심의 예체능 인재 선발

가. 지원자격
-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2학년 수료예정자 중 상급학교 진학대상자 또는 관계 법령에 의하여 고등학교 졸업자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로서 아래의 자격 요건 중 1개 이상을 충족하는 자
※ 체육특기의 경우 필수요건을 반드시 충족함과 동시에, 자격요건을 1개 이상 충족해야 함

유형 지원자격
- 국내·외에서 공인된 영화, TV, CF 등 기타 매체에서 연기자로 활동한 경력자 또는 수상자
연기
(최근 3년 이내 경력만 인정)
- 2022년 3월 1일 이후 개최된 아래 대회의 시, 소설, 수필, 희곡, 시나리오, 평론 부문에서 3위 이내 입상자
· 일간신문 신춘문예·문예공모(경향,동아,문화,서울,세계,조선,한경,한국)·한겨레문학상
· 구상한강백일장, 대산청소년문학상(대산문화재단), 마로니에 전국청소년백일장(한국문인협회),
문학
만해축전 전국고교생 백일장, 신동엽시인전국고교백일장, 전국청소년백일장(한국작가회의),
전국만해백일장 고등부(대한불교청년회), 김유정백일장(강원도민일보), 새얼백일장(새얼문화재단/인천광역시교육청)
· 국내 4년제 대학 주최 전국 문예백일장 대회
※ 필수요건을 반드시 충족하며, 아래 세부요건을 1개 이상 충족하여야 함
- 필수요건: 국내 고교졸업(예정)자로서 학교생활기록부상 반영교과별 석차등급을 산출할 수 있는 자
- 세부요건 (아래 자격 중 1개 이상을 충족)

구분 공통 및 종목별 세부요건

- 국가대표선수로서 올림픽, 아시안게임, 종목별 세계선수권대회에 출전한 자


공통
- 대한체육회 산하 경기 단체(축구,야구,농구)에 고교 선수 등록을 필한 자

- 국가대표로서 아래사항 중 1개 이상을 충족하는 자

* 대한축구협회가 선발한 자로서 U-18 국제대회에 참가한 자


(단, 2025학년도 본교 수시원서접수 시작일 전일기준, 대한축구협회 소속 대표팀 선수만 인정)
체육
축구 * U-17 FIFA 월드컵 국제대회 및 AFC U-16 챔피언쉽 예선에 참가한 자
(단체) * 대한축구협회에서 인정한 국내 훈련에 소집된 자(상비군)(단, 시/도/고등연맹대표는 제외)

- 2022년 이후 대한축구협회 주최 고교축구리그대회 중 1개년도 이상의 경기에서


경기 출전 실적이 있는 자(단, 2025학년도 본교 수시 원서접수 시작일 전일까지의 경기에 한함)

- 주말리그와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주최 대회에 출전한 자(단, 2025학년도 본교 수시 원서접수 시


야구
작일 전일까지의 경기에 한함)

- 국가대표로서 FIBA(국제농구연맹) 주관 U17 세계농구선수권대회에 출전한 자


농구 - 국내 고등학교 재학 시 전국규모 대회에서 16강 이내에 든 팀의 선수로서 경기 출전 실적이 있는
자(단, 2025학년도 본교 수시 원서접수 시작일 전일까지의 경기에 한함)

※ 전 종목 남자에 한하여 응시할 수 있으며 프로선수로 등록되었던 자나 현재 등록된 자는 지원 불가

※ 필수요건을 반드시 충족하며, 아래 세부요건을 1개 이상 충족하여야 함


- 필수요건: 국내 고교졸업(예정)자로서 학교생활기록부상 반영교과별 석차등급을 산출할 수 있는 자
- 세부요건 (아래 자격 중 1개 이상을 충족)

1. 국가대표급 선수로 올림픽, 아시안게임과 종목별 세계선수권대회에 출전한 자


체육 2. 대한체육회에서 인정하는 국가대표, 국가대표상비군 경력이 있는 자
(개인) 3. 2022년 3월 1일 이후 개최된 대한체육회 종목별 산하 경기 단체에서 주최하는 국내전국대회와 국제대회에
서 입상 실적이 개인전 8위 이내에 든 자(테니스, 배드민턴(여자), 볼링 종목은 전국대회 규모 단체전 4위
이내에 든 자 포함)
※ 사격종목은 속사권총 25M종목(남자)에 한함

( 2025학년도 본교 수시 원서접수 시작일 전일까지의 경기에 한함)

19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나. 모집단위와 모집인원(8∼9p 참고)

다. 수능최저학력 기준: 없음

라. 전형방법
학교생활기록부
특기유형 선발단계 수상실적(%) 적성실기(%)
교과(%) 비교과-출결
연기, 문학 - - 80 20

사격 외 전체 일괄합산 10 70 20
체육(개인)
사격 10 출결 환산점 90 -
감산1)
1단계(20배수) 10 90 -
체육(단체) 축구, 농구, 야구
2단계 80 20
1) 체육(개인, 단체)의 경우 비교과(출결)을 반영하며, 미인정 결석 일수에 따른 환산점을 감산합니다.
※ 체육(개인, 단체)에 대해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된 학교폭력조치사항에 대하여 감점 등의 불이익을 부여할 수 있음
※ 적성실기: 모집단위에 따라 실기 또는 면접을 실시하며, 일부 모집단위에서는 실기와 면접을 병행하여 실시합니다.
※ 학교생활기록부 반영 방법: 34p 참고

20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Ⅱ. 정시모집 전형안내

수능(일반전형)
수능(실기형전형)
실기/실적(실기형전형)
수능(기회균형)
- 특성화고교졸업자
- 농어촌학생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학생부종합(기회균형)
- 특성화고졸재직자
기타사항

21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1. 수능(일반전형)
가, 나, 다군에서 모집하며, 수능 100%로 선발
체육교육과(나군)의 경우 수능 80% + 서류평가 20%로 선발

가. 지원자격
-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2학년 수료예정자 중 상급학교 진학대상자, 검정고시 합격자 및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
등 이상의 학력을 소지하고, 지원한 모집단위에서 지정한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역에 모두 응시한 자

나. 모집단위와 모집인원(8∼9p 참고)

다. 전형방법
1) 전형요소별 반영 비율

선발단계 모집단위 수능(%) 서류(%)


전 모집단위(체육교육과 제외) 100 -
일괄합산
체육교육과 80 20

2)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반영 방법
가)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각 영역의 점수는 본교가 정한 기준에 따라 반영함
- 국어, 수학영역은 표준점수, 탐구영역은 백분위를 활용한 변환표준점수 반영
- 영어, 한국사영역은 등급을 활용한 가산점 반영
나)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역별 반영 비율(%)
- 영어 및 한국사 영역은 필수 응시 대상이며, 계열 구분없이 국어/수학 공통 및 선택과목을 응시하고
탐구영역의 경우 사회/과학탐구 중 2과목을 응시해야 함
- 계열 및 모집단위에 따라 아래와 같이 영역별 반영 비율을 적용함

탐구(%)
계열 모집단위 국어(%) 수학(%) (사/과탐 영어 한국사
2과목)

인문 인문대, 사범대, 예체능(영화,사진,디자인학부) 35 30 35


예체능 가산점 부여
사회과학대, 경영경제대, 간호학과(인문) 30 40 30
(아래표 참고)
자연 전체 30 35 35

※ 인문대/사범대: 사회탐구 가산점 부여, 자연계열 전체: 과학탐구 가산점 부여


※ 제2외국어와 한문은 반영하지 않음

다) 영어/한국사 영역 가산표

영역 계열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6등급 7등급 8등급 9등급


영어 전체 100 98 95 92 86 75 64 58 50
인문/자연 10 10 10 10 9.6 9.2 8.8 8.4 8
한국사
예체능 10 10 10 10 10 9.6 9.2 8.8 8.4

3) 서류평가(체육교육과에 한함)
- 학교생활기록부를 근거로 지원자의 학업 및 교내 다양한 활동, 체육과목의 성취도, 체육활동의 다양성 및 우수성 등
을 통한 성장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평가

22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2. 수능(실기형전형)
가, 나군 선발
수능 위주의 예체능인재 선발

가. 지원자격
-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2학년 수료예정자 중 상급학교 진학대상자, 검정고시 합격자 및 법령에 의하여 이
와 동등 이상의 학력을 소지하고, 지원한 모집단위에서 지정한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역에 모두
응시한 자

나. 모집단위와 모집인원(8∼9p 참고)

다. 전형방법
1) 전형요소별 반영 비율

모집단위
수능(%) 실기(%)
가군 나군
- 공연영상창작학부(문예창작) 70 30
디자인학부 전체 스포츠과학부(생활·레저스포츠, 스포츠산업) 60 40
- 공연영상창작학부(연극(연출/기획), 공간연출) 55 45

※ 디자인학부는 수능(일반 전형) 및 수능(실기형 전형) 두 전형 모두 모집

2)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반영 방법
가)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각 영역의 점수는 본교가 정한 기준에 따라 반영함
- 국어, 수학영역은 표준점수, 탐구영역은 백분위를 활용한 변환표준점수 반영
- 영어, 한국사영역은 등급을 활용한 가산점 반영
나)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역별 반영 비율(%)
- 영어 및 한국사 영역은 필수 응시 대상이며, 반영 비율이 있는 영역의 공통 및 선택과목을 응시하고
탐구영역의 경우 사회/과학탐구 중 2과목을 응시해야 함
- 계열 및 모집단위에 따라 아래와 같이 영역별 반영 비율을 적용함

탐구(%)
모집단위 국어(%) 수학(%) (사/과탐 영어 한국사
2과목)
공연영상창작학부(문예창작) 35 30 35
가산점 부여
공연영상창작학부(연극(연출/기획), 공간연출), (아래표 참고)
50 - 50
디자인학부, 스포츠과학부

※ 제2외국어와 한문은 반영하지 않음

다) 영어/한국사 영역 가산표

영역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6등급 7등급 8등급 9등급


영어 100 98 95 92 86 75 64 58 50
한국사 10 10 10 10 10 9.6 9.2 8.8 8.4

23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3. 실기/실적(실기형전형)
가, 나군 선발
실기 중심의 예체능인재 선발

가. 지원자격
-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2학년 수료예정자 중 상급학교 진학대상자, 검정고시 합격자 및 법령에 의하여 이
와 동등 이상의 학력을 소지하고, 지원한 모집단위에서 지정한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역에 모두
응시한 자

나. 모집단위와 모집인원(8∼9p 참고)

다. 전형방법
1) 전형요소별 반영 비율

모집단위
수능(%) 실기(%)
가군 나군
미술학부 - 40 60
- 음악학부 30 70

2)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반영 방법
가)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각 영역의 점수는 본교가 정한 기준에 따라 반영함
- 국어영역은 표준점수, 탐구영역은 백분위를 활용한 변환표준점수 반영
- 영어, 한국사영역은 등급을 활용한 가산점 반영
나)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역별 반영 비율(%)
- 영어 및 한국사 영역은 필수 응시 대상이며, 반영 비율이 있는 영역의 공통 및 선택과목을 응시하고
탐구영역의 경우 사회/과학탐구 중 2과목을 응시해야 함
- 모집단위에 따라 아래와 같이 영역별 반영 비율을 적용함

탐구(%)
모집단위 국어(%) 수학(%) (사/과탐 영어 한국사
2과목)
미술학부 50 - 50 가산점 부여
음악학부 100 - - (아래표 참고)

※ 수시 이월인원 발생 시 다음 전공은 음악학부와 수능 영역별 반영비율이 동일함


: 공연영상창작학부(연극(연기, 뮤지컬연기), 무용), 글로벌예술학부, 전통예술학부
※ 제2외국어와 한문은 반영하지 않음

라) 영어/한국사 영역 가산표

영역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6등급 7등급 8등급 9등급


영어 100 98 95 92 86 75 64 58 50

한국사 10 10 10 10 10 9.6 9.2 8.8 8.4

24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4. 수능(기회균형-특성화고교졸업자전형)
수능 100%로 선발
경영경제대학, 공과대학, 창의ICT공과대학, 소프트웨어대학 소속 일부 모집단위 선발

가. 지원자격

ㆍ특성화고등학교 졸업(예정)자로서 지원한 모집단위에서 지정한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역에


모두 응시하고, 본교 모집단위에서 지정한 교육과정의 기준학과 이수자 또는 동일계열임을 확인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전문교과를 일정기준(30단위 이상) 이수한 자
※ 특성화고등학교 : ①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제91조 제1항에 따른 특성화고등학교(단, 자연현장실습 등 체험위
주의 교육을 전문으로 실시하는 고등학교 제외)
②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제76조의3 제1호에 따른 일반고등학교에 설치된 학과 중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제공하는 것과 같은 교육과정으로 운영되는 학과 포함(종합고의 일반고 교
육과정 졸업(예정)자는 대상에서 제외)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및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마이스터고) 지원 불가
※ 본교 모집단위에서 지정한 교육과정의 기준학과 및 전문교과 이수기준은 추후 모집요강에 공고

나. 모집단위와 모집인원(8∼9p 참고)

다. 전형방법
1) 전형요소별 반영 비율: 수능 100%

2)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반영 방법
가)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각 영역의 점수는 본교가 정한 기준에 따라 반영함
- 국어, 수학영역은 표준점수, 탐구영역은 백분위를 활용한 변환표준점수 반영
- 영어, 한국사영역은 등급을 활용한 가산점 반영
나)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역별 반영 비율(%)
- 영어 및 한국사 영역은 필수 응시 대상이며, 계열 구분 없이 국어/수학 공통 및 선택과목을 응시하고
탐구영역의 경우 사회/과학탐구 또는 직업탐구 중 2과목을 응시해야 함
- 아래와 같이 영역별 반영 비율을 적용함

계열 국어(%) 수학(%) 탐구(%, 2과목) 영어 한국사

전체 30 40 30 가산점 부여(아래표 참고)

※ 직업탐구 선택 시, ‘성공적인 직업생활’ 필수 응시 및 5개 계열(농업 기초 기술, 공업 일반, 상업 경제, 수산·해운


산업의 기초, 인간 발달) 중 택1
※ 제2외국어와 한문은 반영하지 않음

라) 영어/한국사 영역 가산표

영역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6등급 7등급 8등급 9등급


영어 100 98 95 92 86 75 64 58 50
한국사 10 10 10 10 9.6 9.2 8.8 8.4 8

25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5. 수능(기회균형-농어촌학생,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전형)


수능 100%로 선발

가. 지원자격
1) 농어촌학생 전형
- 국내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중 지원한 모집단위에서 지정한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역에 모두 응시한
자로서, 아래 지원자격 중 1개 이상을 충족 하는 자
유형 지원자격 설명
「지방자치법」제3조에 의한 읍·면 또는「도서·벽지 교육진흥법」제2조에 따른 도서·벽지에 소재하는 학교에서
<유형Ⅰ> 중학교 입학일부터 고등학교 졸업일까지 전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기간 동안 본인, 부·모가 모두 농어촌 지역
에서 거주하고, 출신 고등학교장의 확인을 받은 졸업(예정)자

「지방자치법」제3조에 의한 읍·면 또는「도서·벽지 교육진흥법」제2조에 따른 도서·벽지에 소재 초·중·고등학교


<유형Ⅱ> 12년 전교육과정을 이수한 자 중 자격 해당 기간(초등학교 입학일부터 고등학교 졸업일까지) 동안 본인이 읍·
면 또는 도서·벽지 지역에 거주하고, 출신 고등학교장의 확인을 받은 졸업(예정)자

※ 「초·중등교육법시행령」제90조의 특수목적고(과학고, 외국어고, 국제고, 예술고, 체육고, 마이스터고)는 자격에서 제외하며,


외국고 및 검정고시 출신자(비인가 대안학교 포함),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출신자는 지원할 수 없습니다.
※ 농어촌 지역 거주시점 개시일 : 해당연도의 각 학교 입학 개시일 기준임
※ 초·중·고교 재학 중 또는 졸업 이후 읍·면이 동으로 개편된 경우에도 당해 동 지역을 읍·면 지역으로 간주합니다.
※ 재학기간과 거주기간은 연속된 연수만을 인정합니다.
※ 최종 합격자 중 고교졸업예정자는 재학 고등학교의 졸업일까지 지원자격(농어촌 지역 거주 및 농어촌 지역 고교 재학)을
유지해야 하며, 자격을 유지하지 않을 경우 불합격 또는 입학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2)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전형
-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2학년 수료예정자 중 상급학교 진학대상자 또는 관계 법령에 의하여 고등학교 졸업자
와 동등 이상의 학력을 소지하고, 지원한 모집단위에서 지정한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역에 모두 응시한
자 중 아래 지원 자격 중 1개 이상을 충족 하는 자
※ 서류 발급 인정 기간(모집요강에 명시) 내에 관련 자격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발급이 가능한 자에 한함

-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제2조 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수급(권)자


-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제2조 제10호에 의한 차상위계층 복지급여를 받고 있는 자 또는 차상위계층 확인서
발급 대상자
- 「한부모가족지원법」제5조, 제5조의2에 따른 지원 대상자

나. 모집단위와 모집인원(8∼9p 참고)

26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다. 전형방법
1) 전형요소별 반영 비율: 수능 100%

2)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반영 방법
가)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각 영역의 점수는 본교가 정한 기준에 따라 반영함
- 국어, 수학영역은 표준점수, 탐구영역은 백분위를 활용한 변환표준점수 반영
- 영어, 한국사영역은 등급을 활용한 가산점 반영
나)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역별 반영 비율(%)
- 영어 및 한국사 영역은 필수 응시 대상이며, 계열 구분없이 국어/수학 공통 및 선택과목을 응시하고
탐구영역의 경우 사회/과학탐구 중 2과목을 응시해야 함
- 계열 및 모집단위에 따라 아래와 같이 영역별 반영 비율을 적용함

탐구(%)
계열 모집단위 국어(%) 수학(%) (사/과탐 영어 한국사
2과목)
인문대, 사범대(이월인원 발생 시 선발) 35 30 35
인문 가산점 부여
사회과학대, 경영경제대, 간호학과(인문) 30 40 30
(아래표 참고)
자연 전체 30 35 35

※ 인문대/사범대: 사회탐구 가산점 부여, 자연계열 전체: 과학탐구 가산점 부여


※ 제2외국어와 한문은 반영하지 않습니다.

라) 영어/한국사 영역 가산표

영역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6등급 7등급 8등급 9등급


영어 100 98 95 92 86 75 64 58 50
한국사 10 10 10 10 9.6 9.2 8.8 8.4 8

27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6. 학생부종합(기회균형-특성화고졸재직자전형)
수시모집(기회균형-특성화고졸재직자 전형)과 지원자격, 전형방법 동일(서류 100%로 선발)

가. 지원자격
- 아래 조건 중 하나에 해당하는 자로서 산업체 근무경력이 3년 이상인 재직자(단, 개강일 기준 재직 중이어야 함)

w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졸업한 자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제91조 제1항에 따른 특성화고등학교 중 자연현장실습 등 체험위주의 교육을 전문으로 실시
하는 고등학교 제외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제76조의3 제1호에 따른 일반고등학교에 설치된 학과 중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제공하는 것과
같은 교육과정으로 운영되는 학과 포함)
w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제90조 제1항 제10호에 따른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마이스터고)를 졸업한 자
w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제76조의3 제1호에 따른 일반고등학교에 재학하는 동안 시·도 교육감이 직업교육훈련 촉
진법에 따른
직업교육훈련기관 중 직업교육훈련 위탁기관으로 선정한 국방부 직할부대 및 기관에서 1년 이상의 직업교육훈련
과정을 이수하고 해당 일반고등학교를 졸업한 자
w 「평생교육법」제31조 제2항에 따른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중 특성화고등학교 등에서 제공하는 것과 같은 교육
과정을 운영하는 평생교육시설에서 해당 교육과정을 이수한 자

※ 산업체 근무 및 경력산정 관련 유의사항


- 아래 기준에 따라 산업체 인정여부 및 근무경력을 산정하여 판단함

구분 내용

- 지원시점 기준(원서접수 시작일) 미재직자는 지원 불가


재직상태 유지 - 개강일 기준 재직 중이어야 함
- 재학 중 재직 유지, 단 이직을 위한 일시적 구직기간은 퇴직 다음날로부터 8개월로 제한

- 학기 개시일 기준 총 재직기간(4대 보험 중 하나 이상에 가입된 기간)이 3년 이상(예정)인 자


※ 2개 이상 산업체에서 재직한 경우 재직기간을 합산하여 산정하나, 재직기간이 중복된 경우
중복된 기간은 제외하고 산정함
재직기간 산정 ※ 군 의무복무, 직업군인 등의 군경력도 재직기간으로 인정함
※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29조 제2항 제14호 다목(2022.228 개정)사항에 따라, 고교졸업(또는 평생교육
시설의 교육과정이수)직전 학기의 산업체 근무기간은 인정하며, 그 외 고교 재학(이수)기간 중 산업체
근무기간은 인정하지 않음.

- 아래의 기준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해야 함(4대 보험 지역 가입자는 지원자격에 해당하지 않음)


· 국가·지방자치단체 및 공공단체(소속 직원의 경우)
산업체의 범위
· 근로기준법 제11조에 의거 상시근로자 5인(사업주 포함) 이상 사업체
· 4대 보험 한 개 이상 가입 사업체(창업 및 자영업자 포함)

나. 모집단위와 모집인원(8∼9p 참고)

다. 전형방법
1) 전형요소별 반영 비율: 서류 100%

2) 서류평가
- 학교생활기록부 등 제출서류를 근거로 지원자의 학업능력, 사회경력, 자기계발 노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3)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된 학교폭력조치사항에 대하여 감점 등의 불이익을 부여할 수 있음

28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7. 기타사항
가. 수시 100% 모집단위(전형)의 미충원 정시 이월 인원(정원내) 발생 시 전형방법
수시 모집단위 이월전형 전형방법 기타내용

수능위주 나군- 수능 100% ◎ 수능반영방법:


유럽문화학부
수능(일반) 국어국문학과와 동일
공연영상창작학부(무용) 가군- 수능 40%, 실기 60%
◎ 실기고사: 수시모집 최종실기와
전통예술학부 실기/실적 가군- 수능 30%, 실기 70% 동일
(실기형) ◎ 수능반영방법:
공연영상창작학부(연극(연기)),
나군- 수능 30%, 실기 70% 음악학부와 동일
글로벌예술학부

※ 스포츠과학부(골프)전공의 경우 미충원 정시 이월인원 발생 시, 스포츠과학부로 이월하여 선발함


※ 상기 외 세부사항은 모집요강에 공지

나. 위탁학생전형 실시에 대한 사전 예고
정원구분 전형 전형방법 기타내용

공무원 및 군 위탁학생에 대하여 당해 연도 입시에서 관련기관의 요청이 있을


경우 실시할 수 있음(약간명)
1) 지원자격: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또는 관계 법령에 의하여 고등학교 졸업
정부위탁학생전형 자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로서「공무원 교육훈련법」등 관
정원 외 서류 100%
(정시모집-(나군)) 련 법령에 따라 위탁교육훈련을 위하여 선발된 공무원 또는「군위탁생규정」
제4조에 따라 임명된 군인 중 교육부장관의 추천을 받은 자
2) 제출서류: 학교생활기록부 등
3) 모집단위: 지식경영학부

※ 상기 외 세부사항은 모집요강에 공지

29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Ⅲ. 재외국민 특별전형 안내

모집단위 및 모집인원
전형방법 및 지원자격

30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1. 모집단위와 모집인원(8∼9p 참고)

전형유형 중·고교과정 해외이수자 해외전교육과정 북한이탈주민

모집인원 입학정원의 2% 이내 약간명 모집단위별 1명 이내

※ 해외전교육과정의 경우, 의학부/약학부 최대 각 1명, 간호학과 최대 2명까지 선발할 수 있음


※ 북한이탈주민의 경우, 일부 모집단위는 선발하지 않음

2. 전형방법 및 지원자격
가. 전형방법
계열/모집단위 중·고교과정 해외 전교육과정 북한이탈주민
해외이수자 이수자
1단계(5배수) 서류평가 100%
약학부/의학부
2단계 1단계 성적 60%, 심층면접 40%
약학부/의학부 외 전체 서류평가 100%
※ 서류평가: 제출서류를 근거로 학교교육과정을 이수하며 쌓아온 학업소양과 다양한 활동경험을 종합적으로 평가
※ 심층면접: 전공적합성과 기초학력을 종합적으로 평가

나. 지원자격 ※ 2025학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기본사항을 따름(세부사항 재외국민 모집요강 참조)


1) 중·고교과정 해외이수자
- 국내외 정규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해외근무자의
자녀로서, 『해외 재학·근무·체류 기간』에 제시한 자격요건을 충족하는 자(검정고시 제외)
※ 복수국적자는 국내 국적법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으로 지원해야 함.
※ 개인사유의 유학, 교육, 연수 등의 목적으로 외국에 거주하는 자는 지원 자격에 해당하지 않음.

『해외 근무(재직)·재학·체류 기간 자격요건』

지원자
구분 해외근무자 해외근무자의 배우자
(해외근무자의 자녀)

동일 국가 내
3년(고교과정 1개 학년을 포함) -
근무(1) 및 재학(2)기간

체류기간 1개 학년마다 3/4 이상 1개 학년마다 2/3 이상

- 코로나19, 전쟁 및 국가비상사태 등 교육부에서 인정하는 사유로 인해 재직·재학·체류 기간 부족이


발생할 경우 소명자료를 제출할 수 있으며, 소명자료 검토 후 부족한 기간에 대한 인정 여부를
판단함

(1) 해외 근무(재직) 기간
- 해외에서 근무/사업/영업을 목적으로 재직한 기간을 의미합니다(개인사유의 유학, 교육, 연수 등의 목적으로
해외에 거주하는 자는 지원 자격에 해당하지 않음).
- 지원 자격에서 인정하는 근무기간은 ‘해외근무자의 해외 근무기간‘과 ’지원자의 해외 재학기간 (고교 1개 학년
을 반드시 포함)‘이 겹치는 기간을 의미하며, 해당기간은 3년 이상을 충족하여야 합니다.
- 재직증명서 등으로 해외 근무 기간을 증명해야 합니다.
- 해외 파견 재직자의 경우 파견기간이 지난 근무기간은 해외근무기간으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31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2) 해외 재학 기간
- 지원 자격에서 인정하는 해외 재학기간은 ‘해외근무자의 해외 근무 국가와 동일한 국가’에서
‘해외근무자의 해외 근무기간과 겹치는 중·고교과정의 기간’으로 산정하며, 해당 기간은 3년 이상(고교 1개
학년을 반드시 포함)을 충족하여야 합니다.
- 재학기간 중 해외 학교 및 교육과정 인정 기준은 ‘라. 해외학교 및 교육과정 인정 기준’에 따릅니다.
- 해외 고교과정에 재학하다가 국내 중학교 과정으로 편입학 또는 국내 고등학교 과정으로 신입학 하는
경우, 선이수한 해외 고교과정은 지원자격 산정기간으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 재학기간 산정 시 1개 학년의 기준

유형 내용

학기개시일 ~ 다음 학년도 동일학기 개시일 전일(약 365일)까지를 1개 학년으로 함.


학기 개시일 부터 재학 단, 해당 1개 학년 기간 내 모든 학기를 이수한 자는 학기 개시일부터 다음
학년도 동일 학기 개시일 직전 학기 종료일까지를 1개 학년으로 간주함.

학기 개시 이후 중간 편입 편입학일로부터 1년(약 365일)이 되는 일까지를 1개 학년으로 함.

(3) 해외 체류 기간
- 근무(또는 재학)하고 있는 해당국에서 체류한 기간을 의미하며 출입국사실증명서상의 출입국 사실 기록을
근거로 산출합니다.
- 해외근무자와 그 배우자는 1개 학년마다 2/3 이상 해당국에서 체류하여야 합니다.
- 지원자는 1개 학년마다 3/4 이상 해당국에서 체류하여야 하며 방학, 휴일 등을 제외한 학기 중에는
해당국에 체류하여야 합니다.
- 체류기간 산정 시 1개 학년의 기준

유형 내용
학기 개시일 부터 재학 학기개시일 ~ 다음 학년도 동일학기 개시일 전일(약 365일)까지를 1개 학년으로 함.
학기 개시 이후 중간 편입 편입학일로부터 1년(약 365일)이 되는 일까지를 1개 학년으로 함.

2) 해외 전 교육과정 이수자
- 해외에서 우리나라 초·중등교육에 상응하는 교육과정(초·중·고 전 과정)을 전부 이수한 자로서 해외 정규고
교 졸업(예정)자
※ 복수 국적자는 국내 국적법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으로 지원해야 함.
※ 방학, 휴일 등을 제외한 학기 중에는 해당국에 체류하여야 함.

『지원자격 인정기준』
- 해외 학교의 재학기간 및 교육과정 인정 기준은 ‘라. 해외학교 및 교육과정 인정 기준’에 따릅니다.
- 해외의 한 국가(동일 학년제)에서 초·중·고 전 교육과정 이수 시, 이수 연한이 12년이 되지 않더라도 전
교육과정 이수자로 인정합니다.
- 해외에서 학년제가 다른 2개 이상 학교에서 초·중·고 전 과정을 이수한 경우는 대한민국 학년제(12년)에
준하여 12년 이상 이수해야 전 교육과정 이수자로 인정합니다.
※ 단, 학년제로 인해 부족한 학교교육과정의 기간을 당해국 대학과정에서 이수한 경우 해당 기간을 고등학교
과정이수로 인정합니다(학년제로 인해 부족한 학교교육과정의 기간: 당해국 학년제의 총 이수연수와 대한민국
학년제에서 제시하고 있는 12년간의 차이 연수).
- 해외에서 전 교육과정을 이수하면 국내 초·중·고교 재학 여부와 관계없이 전 교육과정 이수자로 인정합니다.

32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3) 북한이탈주민
-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해 북한이탈주민으로 등록된 자로서 국내·외 고등학
교 졸업(예정)자 또는 관계 법령에 의하여 고등학교 졸업자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 북한이탈주민등록확인서 발급이 가능한 자에 한하여 지원이 가능합니다.

다. 지원자격 기준 시점
1) 대한민국의 학년도가 끝나는 2024년 2월 28일을 자격인정 기준시점으로 함
2) 해당 국가의 학제상 학년도가 1개월이 늦은 국가(일본 등) 경우, 1개월의 재학 예정기간 범위 내에서 재학
기간에 대한 지원자격 기준 시점을 예외로 함

라. 해외학교 및 교육과정 인정 기준
1) 초·중·고교 수학기간은 현행 대한민국 학년제(12년제)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이에 준하는
전 교육과정을 이수해야 함(단, 13년제의 경우 아래 표를 따름)

교육 연한 - 1 2 3 4 5 6 7 8 9 10 11 12
대한민국
- 초등학교 과정 중학교 과정 고등학교 과정
학년제(12년제)
교육 연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3년제 유치원 초등학교 과정 중학교 과정 고등학교 과정

2) 학제 차이로 인해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수학기간의 결손은 1개 학기(6개월)에 한하여 인정함


(총 23학기, 11년 6개월 이상 수학기간 충족)
3) 해당국의 교육관계 법령 등에 따른 ‘학제 상 월반‘ 또는 ’조기졸업제도‘가 허용된 경우에 한하여, 해당
사유로 인해 발생된 수학기간의 결손을 예외적으로 인정함(단, 전·편입 시 월반은 미인정).
4) 동일 학년(또는 학기)을 중복 수학한 경우, 해당 수학 기간은 1번 이수한 것으로 인정함.
- 예시: 10학년 1학기를 학제 차이로 인하여 2번 이수하더라도, 10학년 1학기 1번 이수한 것으로 간주

5) 누락된 학기는 1개 학기에 한해 중복된 1개 학기로 대체 가능하며, 아래 원칙에 의해 결정합니다.


단, 누락 및 중복학기의 발생 사유는 학제 차이로 인한 경우만 인정합니다.
- 2개 학기 이상 연속 누락된 경우 이 중 1개 학기만 중복된 1개 학기로 대체 가능합니다.
- 2개 학기 이상 연속 중복된 경우 이 중 1개 학기만 누락된 1개 학기로 대체 가능합니다.
- 학제차이로 인한 중복은 재학이 연속적인 경우에 한하여 인정합니다(복수 발생 인정).

6) 해외 학교는 해외에 소재한 학교로, 해당국에서 인정하는 정규 교육기관에 한해 인정하며 이에 해당되지


않아 지원자격을 미충족할 경우 합격(입학)을 취소합니다. 유아원, 유치원, 어학연수 목적의 교육기관 및
과정, 국내 소재 외국인학교(외국군 기지 내 학교 포함)는 해외학교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7) 검정고시, 홈스쿨링, 사이버학습 등의 학력인정방법도 인정하지 않음(단, 북한이탈주민은 국내 검정고시 가능).
8) 지원자격 검토 시 제출서류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부정·편법·악용 사례로 판명될 경우 인정하지 않을 수 있음.
9) 지원자격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은 재외국민 모집요강에 명시하며,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본교 입학전형심
의위원회의 결정에 따름.

33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Ⅳ. 수시모집
학교생활기록부 반영 방법 안내

교과 영역
비교과 영역
비교내신 적용

34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1. 교과 영역
가. 반영교과 및 학년별 반영범위
1) 반영교과 및 반영과목 등

학년별/ 교과별 반영 방법
전형 모집단위 반영 교과 교과별
가중치 공통/일반선택과목 진로선택과목

학생부교과 반영교과 전과목의 반영교과 전과목의


전체
(지역균형) 국어, 수학, 석차등급 및 이수단위 성취도 환산점수
영어, 사회, 과학 반영교과의 상위 5개 과목 석차등급
논술 전체 별도 (진로선택과목의 성취도 미반영)
가중치
공연영상창작학부
국어, 수학, 영어, 사회 없음
실기 실기형 (영화,문예창작,사진) 반영교과의 전과목 석차등급 및 이수단위
/실적 상기 외 전체 (진로선택과목의 성취도 미반영)
국어, 영어, 사회
특기형 스포츠과학부

※ 학교생활기록부 반영 교과는 해당 고등학교에서 분류한 교과 분류 체계를 따름


(단, 교과 분류가 본교의 반영 교과분류 체계와 상이한 경우는 교육부의 교과 분류체계를 준용하거나 본교의 판단에 의해 반영함)
※ 공통/일반선택과목 중 석차등급을 산출할 수 없거나 한 과목도 이수하지 않은 경우 해당 교과를 제외하고 성적을 산출함

2) 졸업 시기별 반영 범위
- 원서접수 당시 이수한 최종학년의 최종 이수학기까지 반영

⦁ 2025년 2월 졸업 예정자(조기졸업예정 포함) ▷ 최종학년의 1학기 까지 반영


예시
⦁ 졸업자(조기졸업 포함 ) ▷ 최종학년의 2학기 까지 반영

나. 교과성적 산출 방법
1) 학생부교과(지역균형전형) 산출절차

① 공통과목/일반선택과목 석차등급별 환산점수 적용 <환산점수표는 모집요강에 공지>


② 진로선택과목 성취도별 환산점수 적용 <환산점수표는 모집요강에 공지>
③ 석차등급 환산점수 평균(이수단위 반영) 및 성취도 환산점수 평균 산출
- 공통/일반선택과목 90% 반영, 진로선택과목 10% 반영
④ ③의 환산점수에 교과 반영 비율 적용

2) 논술전형 산출절차

① 석차등급별 환산점수 적용 <환산점수표는 모집요강에 공지>


② 석차등급별 환산점수 상위 5개 과목 선택
③ 석차등급 환산점수 평균 산출
④ ③의 ‘석차등급환산평균점수(논술)‘에 교과 반영 비율 적용
단, 비교내신 대상자(2023년 2월 이전 졸업자 등)의 경우 “3. 비교내신 적용(36p)“ 참고

35
2025학년도 입학전형시행계획

3) 실기/실적위주(실기형/특기형) 산출절차

① 석차등급을 전형별 환산점수로 환산 적용 <환산점수표는 모집요강에 공지>


단, 2007년 2월 이전졸업자는 아래 [추가절차]에 따라, 석차백분율을 활용한 석차등급을 계산하여 ①단계 적용
② 석차등급 환산점수 평균 산출(이수단위 반영)
③ ②의 석차등급환산평균점수에 교과 반영 비율 적용

[추가절차] 석차백분율을 활용한 석차등급 계산(2007년 2월 이전 졸업자에 해당)


a) 반영 교과목별로 아래 수식을 적용하여 ‘석차 백분율’을 계산합니다.

석차
석차백분율   ×  (소수 4번째 자리에서 반올림)
이수자 수
동석차학생수 -1
※ 동석차가 복수인 경우는 <중간석차>를 적용 ※ 중간석차 = 석차 + 2
b) 반영 교과목별로 아래의 ‘[표] 석차 백분율에 따른 등급 변환표‘에 해당하는 각 ‘석차등급’을 산출합니다.
[표] 석차백분율에 따른 등급 변환표
4% 초과 11% 초과 23% 초과 40% 초과 60% 초과 77% 초과 89% 초과 96% 초과
석차백분율 4% 이하
∼11%이하 ∼23%이하 ∼40%이하 ∼60%이하 ∼77%이하 ∼89%이하 ∼96%이하 ∼100%이하
석차등급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6등급 7등급 8등급 9등급

단, 비교내신 대상자의 경우 “3. 비교내신 적용(36p)“ 참고

2. 비교과(출결)
가. 대상 전형: 학생부교과(지역균형), 논술, 실기/실적(실기형), 실기/실적(특기형-체육특기)
나. 반영 방법: 출결사항을 아래 방법에 따라 반영
전형 반영 방법

학생부교과(지역균형), 논술, 실기/실적(실기형) 미인정결석 일수를 환산점수로 환산 후 비교과 반영 비율 적용

실기/실적(특기형-체육특기) 미인정결석 일수에 따른 환산점을 감산하여 반영

※ 환산점수표 추후 모집요강에 공지

3. 비교내신 적용
가. 대상 전형: 논술, 실기/실적(실기형)
나. 적용 방법: 대상자에 대하여 논술(혹은 실기) 성적을 활용한 석차등급을 산출하여 학교생활기록부 환산점수 산출
전형 적용 모집단위 적용 대상 반영 방법

- 2023년 2월 이전 졸업자
- 검정고시 출신자 논술성적을
논술 전 모집단위 - 외국고교 졸업(예정)자 활용한
- 학교생활기록부가 없거나 학교생활기록부만 비교내신 적용
으로 석차등급을 산출할 수 없는 자

공연영상창작학부(영화,
- 검정고시 출신자
연극, 공간연출, 무용, 사진), 실기성적을
실기/실적 - 외국고교 졸업(예정)자
미술학부 음악학부, 활용한
(실기형) - 학교생활기록부가 없거나 학교생활기록부만
전통예술학부, 글로벌예술학부, 비교내신 적용
으로 석차등급을 산출할 수 없는 자
스포츠과학부(골프)

36
06974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84 TEL.02.820.6393
http://admission.cau.ac.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