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72

001~02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강_13교.

indd 1 2021-01-06 오후 6:12:41


이 책의 차례 Contents

I 01 판 구조론과 대륙 분포의 변화 6
고체 지구 02 판 이동의 원동력과 마그마 활동 22

03 퇴적암과 지질 구조 38

04 지구의 역사 54

II 05 대기의 변화 74
대기와 해양 06 해양의 변화 100

07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120

III 08 별의 특성 142
우주 09 외계 행성계와 외계 생명체 탐사 172

10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84

학생 EBS 교재 문제 검색 교사 교사지원센터 교재 자료실


EBS 단추에서 문항코드나 사진으로 교재 문항 한글 문서(HWP)와
문제를 검색하면 푸리봇이 해설 영상을 제공합니다. 교재의 이미지 파일을 무료로 제공합니다.

[ 21026-0001 ] 21026-0001
1. 아래 그래프를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교재 자료실
100
80
[ 21026-0001 ]
한글다운로드
60
1. 아래 그래프를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40
20 100
0 80
60
40 교재이미지 활용
1 20 100
0
찰칵! 80
2 1 60
2 40
3 3 강의활용자료 20
4
0

※ EBSi 사이트 및 모바일에서 이용이 가능합니다.


※ 사진 검색은 EBSi 고교강의 앱에서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교사지원센터(http://teacher.ebsi.co.kr) 접속 후 ‘교사인증’을 통해 이용 가능

001~02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강_13교.indd 2 2021-01-06 오후 6:12:41


이 책의 구성과 특징 Structure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학습과 문제 해결 능력 신장

[EBS 수능특강]은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종합하여 개발한 교재입니다.


본 교재를 활용하여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요구하는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과 다양한 난이도의 수능형 문항
을 학습함으로써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또한 EBS 우수 문항이 함께 수록되어 있으니, 충
분한 유형 연습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 준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충실한 개념 설명과 보충 자료 제공

1. 핵심 개념 정리
■ 주요 개념을 요약·정리하고 탐구 상황에 적용하였으며,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돕기 위해 보충 설명과 관련 자료를 풍
부하게 제공하였습니다.

탐구자료 살펴보기 과학 돋보기

주요 개념의 이해를 돕고 적용 능력을 기 개념의 통합적인 이해를 돕는 보충 설명


를 수 있도록 시험 문제에 자주 등장하는 자료나 배경 지식, 과학사, 자료 해석 방
탐구 상황을 소개하였습니다. 법 등을 제시하였습니다.

2. 개념 체크 및 날개 평가
■ 본문에 소개된 주요 개념을 요약·정리하고 간단한 퀴즈를 제시하여 학습한 내용을 갈무리하고 점검할 수 있도록 구성
하였습니다.

단계별 평가를 통한 실력 향상

[EBS 수능특강] 문제를 수능 시험과 유사하게 2점 수능 테스트와 3점 수능 테스트로 구분하여 제시하였습니다. 2점 수능


테스트는 필수적인 개념을 간략한 문제 상황으로 다루고 있으며, 3점 수능 테스트는 다양한 개념을 복잡한 문제 상황이나 탐
구 활동에 적용하였습니다.

001~02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강_13교.indd 3 2021-01-06 오후 6:12:41


I 고체 지구
수능 - EBS 교재 연계 사례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4번
연계 분석

수능 4번 문제는 수능완성 20쪽 4번 문제와 연계하여 출제되


었다. 제시된 자료가 거의 같고, 마그마가 생성되는 과정과
생성되는 마그마의 특징을 묻고 있다는 점에서 연계 정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두 문제의 <보기> 중 섭입대와 대륙
지각의 하부에서 생성되는 마그마의 SiOª 함량(%)을 비교하
는 내용은 매우 높은 유사성을 보인다. 한편, 수능 문제에서
는 플룸 상승류와 열점의 관계 및 물의 공급에 의한 용융점
하강으로 마그마가 생성되는 장소를 묻고 있으나, 수능완성
문제에서는 압력 감소에 의해 마그마가 생성되는 장소와 마
그마의 종류를 묻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2021학년도 EBS 수능완성 20쪽 4번

학습 대책

수능특강, 수능완성 문제에 사용된 그림이 모의평가나 수능


문제에 매우 유사하게 출제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마그마
생성 과정에 대한 문제로 수능 4번 문제와 수능완성 20쪽
4번 문제에 사용된 지하 온도 분포와 암석의 용융 곡선 그
림의 출제 빈도가 매우 높다. 이 그림을 이용하여 출제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판의 경계와 열점에서 일어나는
온도, 압력의 변화와 마그마의 생성 원리를 연관 지어 이해
하고 마그마의 종류와 특징을 학습해 두어야 한다.

001~02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강_13교.indd 4 2021-01-06 오후 6:12:42


수능특강 과학탐구영역 지구과학Ⅰ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19번


연계 분석

수능 19번 문제는 수능특강 69쪽 9번 문제와 연계하여 출제


되었다. 두 문제 모두 어느 지역의 암석 분포와 방사성 원소
의 붕괴 곡선을 제시하고, 암석의 생성 순서와 생성 시기를
묻고 있다. 수능 19번 문제에서는 지표에 나타난 암석 분포
를 제시하고 암석이 생성된 지질 시대를 묻고 있으며, 수능특
강 69쪽 9번 문제에서는 지질 단면을 제시하고 특정 지층에
서 산출될 수 있는 화석을 묻고 있지만, 두 문제 모두 지사학
의 여러 법칙을 적용하여 지층과 암석의 생성 순서를 결정하
고 방사성 원소의 양을 이용하여 화성암의 절대 연령을 결정
해야 한다는 점에서 매우 유사하다.

2021학년도 EBS 수능특강 69쪽 9번

학습 대책

수능 문제에서는 EBS 연계 교재 문제의 자료와 상황을 그


대로 활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자료와 선택지의 일부를 변형
하거나 추가적인 내용을 묻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수능특
강 등 EBS 연계 교재를 공부할 때는 문제의 정답을 찾는
것에 그치지 말고 제시된 자료를 분석하고 연관된 내용을
파악하는 방향으로 학습해야 하며, 단순한 지식 암기보다는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다양한 경우에 적용하는 방향으로 학
습해야 한다.

001~02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강_13교.indd 5 2021-01-06 오후 6:12:42


I. 고체 지구

01
지구과학Ⅰ

EBS 수능
특강
판 구조론과 대륙 분포의 변화

개념 체크  판 구조론의 정립
베게너의 대륙 이동설 (1) 대륙 이동설의 등장
대륙이 이동하여 대륙의 분포가 ① 베게너: 1915년 저서 『대륙과 해양의 기원』을 통해 여러 대륙들이 모여 만들어진 하나의 거
변한다.
대 대륙인 초대륙 판게아가 고생대 말기~중생대 초기에 존재하였으며, 판게아는 약 2억 년
판게아 전부터 분리되어 현재와 같은 대륙 분포가 되었다고 주장하였다.
고생대 말기~중생대 초기에 존
② 베게너가 제시한 대륙 이동의 증거
재했던 초대륙이다.
•대서양 양쪽 대륙 해안선 굴곡의 유사성: 대서양 양쪽에 위치한 남아메리카 대륙 동쪽 해안
베게너가 생각했던 판게아의
선과 아프리카 대륙 서쪽 해안선의 굴곡이 유사하다.
모습
•화석 분포: 육상 식물인 글로소프테리스 화석이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인도, 남극 대륙 및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에서 산출되며, 메소사우루스 화석이 남아메리카 대륙과 아프리카 대
륙에서 산출되는 등 멀리 떨어진 대륙에서 같은 종의 화석이 산출된다.
•고생대 말 빙하 퇴적층의 분포와 빙하 이동 흔적: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인도, 오스트레일
리아, 남극 대륙에서 고생대 말 빙하 퇴적층과 빙하의 이동 흔적이 발견된다.
1. 고생대 말기~중생대 초
•지질 구조의 연속성: 북아메리카의 애팔래치아산맥과 유럽의 칼레도니아산맥의 분포가 연
기에 초대륙 ( )가 존
재했다. 속성을 가지며, 대서양 양쪽 해안에서 발견되는 암석 분포와 지질 구조가 대륙들 간에 연
속성을 갖는다.
2. 메소사우루스 화석은 남아
메리카 대륙과 ( ) 대 칼레도니아
인도 대륙 산맥
륙에서 산출된다. 아프리카 대륙 그린란드
오스트레 유럽 대륙
일리아 적도
남아메리카
3. 고생대말 빙하 퇴적층과 대륙 남극 대륙 대륙 북아메리카
대륙
빙하의 이동 흔적이 여러 애팔래치아 아프리카 대륙
산맥
대륙에서 발견되는 것은 메소사 글로소 리스트로 키노그
빙하 퇴적층
( )의 증거이다. 우루스 프테리스 사우루스 나투스 남아메리카 대륙
빙하의 이동 흔적

화석 분포 고생대 말 빙하 퇴적층의 분포 지질 구조의 연속성

③ 베게너의 대륙 이동설 쇠퇴: 대륙 이동에 대해 제시한 여러 증거에도 불구하고 베게너는 대륙을


이동시키는 원동력을 설명하지 못해 대륙 이동설은 많은 과학자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2) 맨틀 대류설
과거의 해양 대륙 과거의 해양

맨틀 하강 맨틀 상승 맨틀 하강

새로운 해양 새로운 섬 산맥
해구 해구

정답
1. 판게아
맨틀 상승
2. 아프리카 맨틀 하강 맨틀 하강
3. 대륙 이동
홈스의 맨틀 대류설

6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01~02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강_13교.indd 6 2021-01-06 오후 6:12:43


① 맨틀 대류설: 1920년대 후반 베게너의 대륙 이동설에 동조했던 홈스는 지각 아래의 맨틀이
열대류를 한다고 생각하고 맨틀 대류가 대륙 이동의 원동력이라고 주장하였다. 홈스의 맨틀 개념 체크
대류설은 1950년대에 대륙 이동설의 부활과 함께 해저 확장과 판 구조 운동의 원동력으로 홈스의 맨틀 대류설
홈스는 맨틀 대류가 대륙 이동의
주목받게 되었다.
원동력이라고 주장하였다.
② 홈스의 주장: 홈스는 맨틀 대류의 상승부에서는 대륙 지각이 분리되면서 새로운 해양이 생성
음향 측심법
되고 맨틀 대류의 하강부에서는 산맥과 해구가 생성된다고 주장하였다.
해수면에서 해저면을 향하여 초음
파를 발사하면 초음파는 해저면에
(3) ‌해저 지형 탐사와 해저 확장설: 음향 측심법을 이용한 해령, 해구 등의 해저 지형 발견은
반사되어 되돌아온다. 이때 반사
해저가 확장된다는 해저 확장설이 등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되어 되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
해수면 화산섬 을 이용하여 해저 지형의 높낮이
를 측정할 수 있다. 초음파의 속도
심해저 평원 가 v, 해수면에서 발사한 초음파
해령 가 해저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
는 데 걸리는 시간이 t라면 수심
대륙붕 대륙붕
d는 다음과 같다.
해구
대륙 사면 수심(d)=;2!;vt
열곡 대륙대
대륙 사면

해저 지형 모식도
1. 홈스는 대륙을 이동시키는
원동력을 ( )라고 주
장하였다.
탐구자료 살펴보기 음향 측심 자료로부터 해저 지형 추정하기

[탐구 과정] 2. 해수에서 초음파의 속도가


그림은 태평양의 서로 다른 해역 A와 B를, 표는 해역 A와 B에서 동서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 간격의 각 탐사 지점 1500`m/s라고 가정할 때,
에서 초음파가 해저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초음파가 해저면에 반사
되어 되돌아오는 데 걸리
A의 탐사 지점 1 2 3 4 5 6 7 8 9 10 는 시간이 10초이면 수심은
A 초음파가 되돌아오는 ( )`m이다.
7.15 7.99 6.77 6.41 5.07 9.96 6.13 7.62 7.76 7.12
데 걸린 시간(초)
태평양
3. ( )은 해양판의 발산
B B의 탐사 지점 1' 2' 3' 4' 5' 6' 7' 8' 9' 10' 형 경계에 발달하는 해저
초음파가 되돌아오는 산맥이다.
5.46 5.61 4.99 4.81 4.67 4.33 4.45 5.10 5.40 5.53
데 걸린 시간(초)

해수에서 초음파의 속도가 1500`m/s라고 가정할 때, A 해역과 B 해역의 각 탐사 지점에서 수심을 구하고 그래프
로 그려 보자.

[탐구 결과] 탐사 지점
1 2 3 4 5 6 7 8 9 10
0
1000
A의 탐사 지점 1 2 3 4 5 6 7 8 9 10 2000
B
수심

수심(m) 5363 5993 5078 4808 3803 7470 4598 5715 5820 5340 3000
4000
(m) 5000
B의 탐사 지점 1' 2' 3' 4' 5' 6' 7' 8' 9' 10' A
6000
수심(m) 4095 4208 3743 3608 3503 3248 3338 3825 4050 4148 7000
8000
1' 2' 3' 4' 5' 6' 7' 8' 9' 10'
[분석 point] 탐사 지점

해역 A에는 해구가 발달하고, 해역 B에는 해령이 발달한다.  해역 A의 탐사 지점 6 부근에서 수심이 급격히 증 정답

가하므로 해구가 발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해역 B의 탐사 지점 6' 부근에서 수심이 가장 얕고, 양쪽으로 갈수록 1. 맨틀 대류
점점 깊어지므로 해령이 발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2. 7500
3. 해령

01강 판 구조론과 대륙 분포의 변화 7

001~02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강_13교.indd 7 2021-01-06 오후 6:12:44


01
지구과학Ⅰ 판 구조론과 대륙 분포의 변화

(4) ‌해저 확장설: 1962년 헤스와 디츠는 해령과


개념 체크 같은 해저 지형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해저 대륙판
연약권

해저 확장설 확장설을 주장하였다.


열곡대
해령에서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 ① 해저 확장설: 맨틀 대류의 상승부인 해령에서
성되고 확장된다는 이론이다.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고 해령을 중심으
해저 고지자기 줄무늬 로 확장되며, 해구에서는 오래된 해양 지각이
해저 고지자기 줄무늬는 해령과 새로운 해양
맨틀 속으로 섭입하여 소멸된다.
거의 나란하고 해령을 축으로 대
칭을 이룬다. ② 해저 확장설의 증거
•해양 지각의 연령 분포: 해령에서 멀어질수
지구 자기의 역전 해령
열곡
지질 시대 동안 전 지구적으로 지 록 해양 지각의 연령이 증가한다. 해양판

구 자기장의 방향이 역전되는 현


•심해 퇴적물의 두께: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상이 반복되었다. 지구 자기장의
심해 퇴적물의 두께가 증가한다. 해저 확장의 과정
방향이 현재와 같은 시기를 정자
극기(정상기), 현재와 반대인 시기 •베니오프대의 발견: 지진학자 베니오프는 쿠릴 해구에서 대륙 쪽으로 갈수록 진원의 깊이
를 역자극기(역전기)라고 한다.
가 점차 깊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이 지진대를 베니오프대라고 한다. 베니오프대에서
북극 의 이와 같은 특징적인 지진 활동은 해구에서 오래된 해양 지각이 맨틀 속으로 섭입하여
적도
소멸된다는 증거이다.
•해저 고지자기 줄무늬와 해저 확장: 해양 지각에 기록된 해저 고지자기 줄무늬가 해령과
자기력선 거의 나란하며 해령을 축으로 대칭을 이룬다. 이러한 해저 고지자기 줄무늬의 대칭적인 분
정자극기
포는 해령에서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면서 확장되고 지구 자기의 역전 현상이 반복되
북극
기 때문에 나타난다.

적도

자기력선
역자극기

1.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해양
지각의 연령과 심해 퇴적
물의 두께는 ( )한다.
0 9.6 20.2 40.2 56.0 68.7 83.0 126.5 141.9 156.6 180.0
2. 해 양판이섭입하는 과정 33.0 47.9 118.0 131.7 149.9 (백만 년 전)
에서 섭입하는 해양판을 해양 지각의 연령 분포
정자극기
따라 발달하는 지진대를
( )대라고 한다.
쿠릴 해구

3. 해 저
고지자기 줄무늬는
쿠릴 열도 역자극기
( )을 축으로 대칭을
이룬다.
암석권 대륙판 해양판

대 정자극기
정답 오프
베니
1. 증가 0~70`km 정자극기
연약권
70~300`km
2. 베니오프 300`km 이상 역자극기
해령의 열곡
3. 해령
쿠릴 열도의 베니오프대 해저 고지자기 줄무늬

8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01~02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강_13교.indd 8 2021-01-06 오후 6:12:45


(5) 판 구조론의 정립
개념 체크
① 변환 단층의 발견: 윌슨은 해령의 열곡과 열곡이 어긋난 구간에서 천발 지진이 활발하게 발 지구 자기장
생하는 것을 발견하고, 이 구간을 변환 단층이라고 하였다. 윌슨은 변환 단층이 형성되는 이 지구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자기
장이다.
유를 맨틀 대류의 상승부인 해령에서 생성된 해양 지각이 확장될 때, 변환 단층의 양쪽에 있
는 해양 지각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였다. 복각
지구 자기장의 방향이 수평면과
변환 단층
아프리카 이루는 각이다.

남아메리카 1. 해령의 열곡과 열곡이 어


열곡 해령 긋난 구간에서 지진이 활
발하게 발생하는 단층을
판의 상대적 ( ) 단층이라고 한다.
이동 방향
대서양 중앙 해령의 변환 단층 2. 나침반의 자침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을 ( )이라고
② 판 구조론의 정립 한다.
•판 구조론의 정립: 해저 확장설이 발표된 이후 심해 퇴적물의 두께와 해양 지각의 연령 분
포, 베니오프대, 해저 고지자기 줄무늬 분포, 변환 단층 등 여러 가지 현상을 통합적으로 3. 지구의 자전축과 북반구의
지표면이 만나는 지점을
설명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판 구조론이 출현하였다. ( )이라고 한다.
•판 구조론: 지구의 표면이 크고 작은 여러 개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화산 활동, 지진, 마그마의 생성, 습곡 산맥의 형성 등 여러 가지 지질 현상이 4. 자북극에서 복각은 ( )ù
이고 자남극에서 복각은
일어난다는 이론이다. 판 구조론은 1960년대 말에 공식화되었으며 현재는 거의 보편적인 ( )ù이다.
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 지질 시대의 대륙 분포 변화
(1) ‌지구 자기장: 지구는 내부에 막대자석이 있는 것과 유사한 자기적 성질을 가지며, 지구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자기장을 지구 자기장이라고 한다. 나침반의 자침은 지구 자기장 방향
으로 배열되며 나침반의 N극은 자북극을 향한다.
① 복각: 나침반의 자침(지구 자기장의 방향)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을 복각이라고 한다. 복각이
0ù인 지역을 자기 적도, +90ù인 지점을 자북극, -90ù인 지점을 자남극이라고 한다.
② 지자기 북극: 지구의 자전축과 북반구의 자기력선
북극
지표면이 만나는 지점을 지리상 북극이
자북극
S
라고 한다. 이에 비해 지자기 북극은 지
수평면
복각
구 자기장을 지구 중심에 놓인 거대한 막
N 자기장
대자석이 만드는 자기장이라고 했을 때, 방향
적도
막대자석의 S극 방향의 축과 지표면이 정답
1. 변환
만나는 지점을 말한다. 현재 지구 자기장
2. 복각
자기력선의 축은 지구 자전축에 대해 조 3. 지리상 북극
금 기울어져 있다. 4. +90, -90
지구 자기장과 복각

01강 판 구조론과 대륙 분포의 변화 9

001~02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강_13교.indd 9 2021-01-06 오후 6:12:45


01
지구과학Ⅰ 판 구조론과 대륙 분포의 변화

(2) 고지자기와 대륙 이동
개념 체크 ① 잔류 자기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 경로 •마그마가 식어서 굳어질 때 자성 광물이 당시 지구 자기장의 지구 자기장의
방향 자성 광물 방향
지질 시대 동안 지리상 북극의 위
의 지구 자기장 방향으로 자화된다. 그 후 지
치가 변하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은 대 구 자기장의 방향이 변해도 당시의 자성 광물
륙 이동의 증거이다. 의 자화 방향은 그대로 보존되는데, 이를 잔
류 자기라고 한다.
마그마 화성암
1. 화성암에 포함된 ( ) •자성 광물이 포함된 암석의 잔류 자기 방향을
잔류 자기의 형성 과정
광물에 의해 기록된 잔류 측정하면 암석이 생성된 위도와 자극의 위치
자기의 방향을 이용하여
화성암이 생성된 위치를
를 추정할 수 있다.
추정할 수 있다.
②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 경로를 이용한 대륙 이동 복원
2. 유럽 대륙과 북아메리카 대
륙에서 측정한 지자기 북극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 경로: 1950년대에 유럽 대륙의 다양한 화성암에서 자성 광물
의 겉보기 이동 경로가 어 의 자화 방향을 측정하였더니 과거 약 5억 년 동안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위치가 하와이
긋나 있는 것은 ( )의 부근부터 시베리아를 지나 현재 지자기 북극의 위치로 점차 변했다. 오랜 시간 동안 평균
증거이다.
한 지자기 북극의 위치는 지리상 북극의 위치와 같으므로 지질 시대 동안 지리상 북극의
3. 지질 시대 동안 지리상 북 위치가 변하지 않았다고 가정한다면, 지질 시대 동안 이와 같은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
극의 위치가 변하지 않았 동은 대륙의 이동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다고 가정한다면 고지자기
복각의 크기는 ( )와
•유럽 대륙과 북아메리카 대륙에서 측정한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 경로 비교: 유럽 대
비례한다. 륙의 화성암과 북아메리카 대륙의 화성암에서 측정한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 경로가
서로 일치하지 않고 어긋나 있다. 지질 시대 동안 지자기 북극은 하나뿐이었으므로 두 대
륙이 과거에도 현재와 같은 위치에 있었다면 두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 경로가 어긋나
있는 현상을 설명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두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
동 경로를 겹쳐보면 과거 어느 시기에 두 대륙이 서로 붙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북아메리카 대륙에서 측정한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 경로
5 5
4 5 4
5 4 4
3 3 3 3
유럽 대륙에서 측정한 2 2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2
2 1
이동 경로 1 1 1

현재
현재

(단위: ×10¡`년 전)

두 대륙에서 측정한 지자기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


북극의 겉보기 이동 경로 경로를 겹쳐서 복원된 대륙의 모습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 경로와 대륙 이동

정답
③ 고지자기 복각을 이용한 대륙 이동 복원: 지질 시대 동안 지리상 북극의 위치가 변하지 않았
1. 자성
2. 대륙 이동 다고 가정하면 고지자기 복각의 크기는 위도가 높을수록 크다. 따라서 고지자기 복각을 측정
3. 위도
하면 대륙의 과거 위도를 알 수 있다.

10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01~02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강_13교.indd 10 2021-01-06 오후 6:12:46


탐구자료 살펴보기 지질 시대 동안 인도 대륙의 위치 변화 개념 체크
[탐구 과정] 그림 (가)는 지구 자기장이 정자극기일 때 위도와 고지자기 복각의 관계를, (나)는 지질 시대 동안 인 로디니아
도 대륙의 위치와 정자극기일 때 고지자기 복각을 나타낸 것이다. 약 12억 년 전에 형성된 초대륙
이다.
유라시아판
히말라야산맥
현재의 위치 인도 대륙의 북상
1천만 년 전 인도 대륙은 최근 7천 1백만 년 동
안 북상하였다.
80ùN 30ù
3천 8백만 년 전
40ù 적도
위도

0ù 이동

1. 판 게아가 형성되면서 북
방향 5천 5백만 년 전
아메리카의 ( )산맥과
40ù -21ù 유럽의 ( )산맥이 형
인도양
성되었다.
80ùS 인도 대륙 수평면
-49ù
-80ù -40ù 0ù 40ù 80ù
7천 1백만 년 전
고지자기 복각 2. 판게아가 존재하던 시기에
(가) (나) 남반구에 존재하던 대륙을
그림 (가)와 (나)를 이용하여 지질 시대 동안 인도 대륙의 위도를 구해 보자. ( ) 대륙이라고 한다.

[탐구 결과]
3. 판게아가 분리되면서 대서
시기(만 년 전) 7100 5500 3800 1000 현재 양의 넓이는 ( )하였다.
고지자기 복각 -49ù -21ù 6ù 30ù 36ù
위도 약 30ùS 약 11ùS 약 3ùN 약 16ùN 약 20ùN

[분석 point]
•지질 시대 동안 지리상 북극의 위치가 변하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고지자기 복각의 크기는 위도가 높을수록 크다.
•최근 7천 1백만 년 동안 인도 대륙은 북상하였다.

(3) 대륙 분포의 변화: 지질 시대 동안 판의 운동에 의해 대륙의 분포는 변해왔다.


12억 년 전 4억 년 전

로디니아 형성 시베리아
발티카
로디니아 로렌시아
적도
원시
3억 5천만 년 전 곤드와나

로라시아 판게아 형성
애팔래치아산맥과
2억 칼레도니아산맥
7천만 형성
년전
1억 5천만 년 전 1억 년 전
곤드와나
북대서양 남북 대서양
확장 초기 확장

현재 3천만 년 전 5천만 년 전

북아메리카 유라시아 인도 대륙
북상
인도 대륙
정답
오스트레일리아 1. 애팔래치아, 칼레도니아
남아메리카 인도 대륙과 유라시아
남극 대륙 아프리카 대륙 충돌, 히말라야산맥 형성 2. 곤드와나
3. 증가
대륙의 이동과 분포

01강 판 구조론과 대륙 분포의 변화 11

001~02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강_13교.indd 11 2021-01-06 오후 6:12:46


01
지구과학Ⅰ 판 구조론과 대륙 분포의 변화

① 로디니아의 형성과 분리: 약 12억 년 전에 형성된 초대륙인 로디니아는 약 8억 년 전부터 분


개념 체크 리되기 시작하였다.
로키산맥과 안데스산맥 ② 판게아의 형성과 분리: 약 2억 7천만 년 전에 대륙이 다시 합쳐져 초대륙인 판게아가 형성되
해양판이 섭입하면서 형성되었다. 었다. 판게아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북아메리카 대륙이 아프리카 대륙 및 유럽 대륙과 충돌하
퇴적물
히말라야산맥
면서 애팔래치아산맥과 칼레도니아산맥이 형성되었다. 이 해수면
유라시아판 인도판
인도 대륙이 유라시아 대륙과 충돌 후 판게아가 분리되고 대서양이 형성되면서 애팔래치아산 맨틀
하여 형성되었다.
맥과 칼레도니아산맥은 분리되었고, 해양판이 섭입하면서 퇴적물
로키산맥과 안데스산맥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1. 약 2억 7천만 년 전에 초대 ③ 히말라야산맥의 형성: 약 1억 년 전에 인도 대륙이 오스트레
륙( )가 형성되었다.
일리아 대륙과 분리되었고, 이후 인도 대륙은 북쪽으로 이 히말라야산맥

2. 현재 히말라야산맥의 높이 동하여 약 3천만 년 전에 유라시아 대륙과 충돌하여 히말라


는( )지고 있다. 야산맥이 형성되었다.
히말라야산맥의 형성 과정
3. 현재와 같은 판의 이동 방
향과 이동 속력이 지속된
탐구자료 살펴보기 대륙의 이동 속도를 이용하여 미래의 대륙 분포 구상하기
다면 한동안 대서양의 면
적은 ( )할 것이다. [탐구 자료]
그림 (가)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을 이용하여 측정한 주요 판의 이동 방향과 이동 속력을, (나)는 어느 예측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한 미래의 대륙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유라시아판 북아메리카판

필리핀판
아프리카판
(가) 태평양판

나스카판 남아메리카판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
판의 이동 속도
5`cm/년
남극판
판 경계

빙하

(나) 현재 5천만 년 후 1억 년 후

1억 5천만 년 후 2억 년 후
[탐구 결과]
1. (가)와 같이 주요 판의 이동 방향과 이동 속력이 지속된다면 대서양의 면적은 중앙 해령의 발산으로 더욱 넓어질
것이다.
2. (나)에서 현재~5천만 년 후 사이에 대서양 양쪽에 있는 대륙 사이의 거리는 멀어지고 대서양의 면적은 증가한다.
정답
1. 판게아 [분석 point]
2. 높아 대륙의 이동으로 대륙 분포는 지속적으로 변한다.
3. 증가

12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01~02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강_13교.indd 12 2021-01-06 오후 6:12:47


2점 수능 테스트 [21026-0003]
정답과 해설 2쪽

03 그림은 홈스의 맨틀 대류설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21026-0001]

01 그림은 판 구조론이 정립되는 과정에서 등장한 주요 이론을


과거의 해양 대륙 과거의 해양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맨틀

대륙 맨틀 해저
이동설 대류설 확장설
새로운 해양 A B
(가) (나) (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맨틀

ㄱ. ‌베게너는 (가)의 증거로 해령 부근의 고지자기 분포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를 제시하였다.
ㄴ. ‌(나)에 의하면 맨틀에서 일어나는 열대류에 의해 대 ㄱ. A의 하부에서는 맨틀 대류의 상승이 일어난다.
륙이 이동한다. ㄴ. ‌B에서는 지각이 맨틀 속으로 들어가면서 해구가 형
ㄷ. ‌섭입대 주변에서 일어나는 지진의 진원 분포는 (다) 성된다.
를 지지하는 증거가 된다. ㄷ. ‌맨틀 내 방사성 원소의 붕괴는 맨틀 상부와 하부의
온도 차가 생기는 원인이 될 수 있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002]

02 그림은 여러 대륙에 존재하는 고생대 말의 빙하 퇴적층과


빙하의 이동 흔적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21026-0004]

04 그림은 어느 해역의 해수면에서 발사한 초음파가 해저면에


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데 걸린 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적도
3
4 5
67
89 A
10
11
빙하 퇴적층 빙하의 이동 흔적 12
B
13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2
단위: 초 11 0 50`km

ㄱ. ‌여러 대륙에 존재하는 빙하 퇴적층의 분포에 연속성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 나타난다. (단, 해수에서 초음파의 전파 속도는 1500`m/s이다.)
ㄴ. ‌고생대 말에 아프리카 남부 지역은 현재보다 고위도
에 위치했을 것이다. ㄱ. A와 B 사이에는 열곡이 존재한다.
ㄷ. ‌고생대 말의 빙하 퇴적층과 빙하의 이동 흔적 분포는 ㄴ. 해저면의 경사는 A 부근이 B 부근보다 급하다.
대륙 이동설의 증거가 된다. ㄷ. 이 해역에서 가장 깊은 곳의 수심은 9000`m보다 깊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1강 판 구조론과 대륙 분포의 변화 13

001~02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강_13교.indd 13 2021-01-06 오후 6:12:48


2점 수능 테스트
[21026-0007]

[21026-0005] 07 그림은 해령과 변환 단층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05 그림은 어느 해역에서 해양 지각을 이루는 암석의 연령 분 열곡
포를 나타낸 것이다.

A B
C

A B C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0 100`km

0 9.7 20.1 33.1 40.1 47.9 55.9 67.7 83.5


해양 지각의 연령(백만 년)
ㄱ. A는 맨틀 대류의 상승부에 위치한다.
ㄴ. 지진은 B 부근보다 C 부근에서 활발하게 일어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ㄷ. ‌이 지역에 분포하는 판은 B와 C를 이은 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ㄱ. A의 해양 지각은 신생대에 생성되었다.
ㄴ. 해저 퇴적물의 두께는 B 지점이 C 지점보다 두껍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ㄷ. 이 해역에는 발산형 경계가 남북 방향으로 발달해 있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008]

08 그림은 지구 자기장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21026-0006]

06 그림은 어느 해령 부근의 고지자기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자기


자기력선
B
자북극

적도
열곡
A
A B

120 60 0 60 120 A와 B 지점에서 복각을 측정한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보기>


열곡으로부터의 거리(km)
에서 각각 골라 옳게 짝지은 것은?
정자극기 역자극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ㄴ. ㄷ. S
(단, 해양 지각의 확장 속도는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S
수평면 수평면 수평면
S N
ㄱ. 해양 지각의 연령은 A 지점이 B 지점보다 많다. N

ㄴ. B
‌ 지점의 해양 지각이 생성될 당시 지구 자기장의 방 N
향은 현재와 반대였다.
ㄷ. 지구 자기장의 역전 현상은 일정한 주기로 일어났다. A B A B
① ㄱ ㄴ ② ㄱ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③ ㄴ ㄱ ④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⑤ ㄷ ㄴ

14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01~02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강_13교.indd 14 2021-01-06 오후 6:12:49


정답과 해설 2쪽

[21026-0009] [21026-0011]

09 그림은 잔류 자기의 형성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11 그림은 7100만 년 30ùN


A히
말라
야산 B

자성 광물 전부터 현재까지 인도 대 현재
20ù 인도
륙의 위치 변화를 나타낸 1000만 년 전
10ù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3800만 년 전
10ù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5500만 년 전
마그마 화성암
20ù
대로 고른 것은? (단, 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0ù 인도양
인도
질 시대 동안 지자기 북
40ùS 7100만 년 전
극과 지리상 북극은 일치 60ù 70ù 80ù 90ù 100ùE
ㄱ. ‌화성암이 생성될 당시 지구 자기장의 방향은 자성 광
한다.)
물의 자화 방향과 같다.
ㄴ. ‌화성암이 생성된 후 지구 자기장의 방향이 반대로 변
ㄱ. 중생대 말에 인도 대륙은 남반구에 위치해 있었다.
하면 화성암의 자화 방향도 반대로 변한다.
ㄴ. A
‌ 지점의 고지자기 복각은 1000만 년 전이 3800만
ㄷ. ‌자성 광물이 포함된 암석의 잔류 자기 복각을 측정하
년 전보다 크다.
면 암석이 생성된 위도를 알 수 있다.
ㄷ. ‌7100만 년 전부터 현재까지 평균 속력은 A 지점이
B 지점보다 빠르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010]

10 그림은 5억 년 전부터 현재까지 유럽 대륙과 북아메리카 대 [21026-0012]

12 그림 (가)와 (나)는 서로 다른 시기에 형성되었던 초대륙의


륙에서 측정한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5 4
5
43 3
2
2
유럽에서 측정한 1 1
이동 경로 북아메리카에서
측정한 이동 경로

A
B
(단위: 억 년 전) (가) 로디니아 (나) 판게아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5억 년 전에는 지자기 북극이 2개로 나뉘어 있었다. ㄱ. (가)는 (나)보다 먼저 형성되었다.


ㄴ. A와 B 사이의 거리는 2억 년 전이 현재보다 가까웠다. ㄴ. (가)는 육상 식물 화석 자료를 토대로 복원한 것이다.
ㄷ. ‌두 대륙에서 측정한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 경로 ㄷ. ‌(나)가 형성되면서 북아메리카 동부 지역에 습곡 산
가 서로 다른 까닭은 대륙이 이동하였기 때문이다. 맥이 형성되었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1강 판 구조론과 대륙 분포의 변화 15

001~02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강_13교.indd 15 2021-01-06 오후 6:12:50


3점 수능 테스트
[21026-0013]

01 그림은 북아메리카 대륙과 유럽 대륙에 분포하는 산맥에 대해 학생들이 대화하는 모습이다.


베게너는 현재 서로 떨어져 북아메리카와 유럽의 산맥
있는 북아메리카 대륙과 유럽 (나)
대륙의 산맥 분포가 연속성을 대서양은 산맥
유럽
산맥 (나)와 알프스산맥은
가진다는 사실을 대륙 이동의 (가)보다 먼저 북아메리카 대서양 같은 시기에 형성되었어.
증거로 제시하였다. 형성되었어.
알프스산맥
(가)

산맥 (가)와 (나)는
지질 구조가 유사해.

학생 A 학생 B 학생 C

제시한 내용이 옳은 학생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①A ②B ③ A, C ④ B, C ⑤ A, B, C

[21026-0014]
베게너는 메소사우루스 화석
이 멀리 떨어진 남아메리카
02 다음은 메소사우루스에 대한 설명과 메소사우루스 화석이 산출되는 지역을 나타낸 것이다.
대륙과 아프리카 대륙에서 발
메소사우루스는 고생대 말에 생존했던 몸의 길
견되는 것을 대륙 이동의 증 아프리카
거로 제시하였다. 이가 수십 cm에 불과한 육상 파충류로, 길고 대륙
남아메리카
날카로운 이빨이 있고 발가락 사이에 물갈퀴가 대륙
있다. 메소사우루스 화석이 산출되는 지역의
분포는 대륙 이동의 증거이다.
화석 산출지

메소사우루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생존 당시 바다에는 삼엽충이 생존했다.


ㄴ. 남대서양의 심해 퇴적물에서 화석이 산출될 수 있다.
ㄷ. 바다를 건너 이동하여 남아메리카 대륙과 아프리카 대륙에 서식하였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6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01~02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강_13교.indd 16 2021-01-06 오후 6:12:50


정답과 해설 4쪽

[21026-0015]

03 표는 해양 탐사선이 기준점을 출발하여 태평양에 위치한 어느 판의 경계를 가로지르면서 해수면에 해수면에서 해저면을 향하여
초음파를 발사하면 초음파는
서 발사한 초음파가 해저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해저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km) 0 20 40 60 80 100 온다. 이때 반사되어 되돌아오
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이용하
초음파 왕복 시간(초) 6.2 6.7 7.1 8.2 9.6 11.5
여 해저 지형의 높낮이를 측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km) 120 140 160 180 200 220
정할 수 있다.
초음파 왕복 시간(초) 11.4 8.2 9.1 8.2 7.2 7.5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해수에서 초음파의 전파 속


도는 1500`m/s이고, 해저면의 경사는 인접한 두 지점을 연결한 직선의 기울기와 같다.)

ㄱ.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가 20`km인 지점은 100`km인 지점보다 수심이 얕다.


ㄴ.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가 160`km인 지점 부근에는 열곡이 발달해 있다.
ㄷ.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가 80~100`km인 구간은 100~120`km인 구간보다 해저
면의 경사가 완만하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016]

04 그림은 해령과 해구를 최단 거리로 잇는 일직선상의 세 지점 A, B, C에서 측정한 심해 퇴적물의 해령에서 생성된 해양 지각은
해령의 양쪽으로 확장되어 해
두께와 해양 지각의 연령을 나타낸 것이다.
구 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해양 지
심해 퇴적물의 두께(m)
각의 연령과 심해 퇴적물의
연령(백만 년)
1200
두께는 증가한다.

500

75 130
2 1
A B C

A, B, C 지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수심이 가장 깊은 지점은 A이다.


ㄴ. 해양
‌ 지각이 생성된 이후부터 현재까지 심해 퇴적물의 평균 퇴적 속도는 B 지점이
C 지점보다 크다.
ㄷ. 해구와 가장 가까운 지점은 C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7
01강 판 구조론과 대륙 분포의 변화

001~02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강_13교.indd 17 2021-01-06 오후 6:12:51


3점 수능 테스트
[21026-0017]

05 그림은 현재 동일 경도상에 위치한 세 지역 (가), (나), (다)의 지구 자기장의 자기력선 분포를 나타


나침반의 자침이 수평면과 이 낸 것이다.
루는 각을 복각이라고 한다.
자기력선
복각이 0ù인 지역을 자기 적 자기력선

도, 복각이 +90ù인 지점을 자기력선


자북극, 복각이 -90ù인 지점 40ù 수평면 수평면 수평면
을 자남극이라고 한다.

(가) (나) (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는 복각이 -40ù이다.


ㄴ. (나)는 자기 적도이다.
ㄷ. (가), (나), (다) 중 자북극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지역은 (다)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018]
해양 지각에서 해저 고지자기
줄무늬는 해령과 거의 나란하
06 그림은 어느 해령 부근의 고지자기 분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해령
며 해령을 축으로 대칭을 이
복각 -62ù 복각 -64ù
룬다. 이러한 해저 고지자기
줄무늬의 대칭적인 분포는 해
A B C
령에서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면서 확장되고 지구 자
정자극기 역자극기 고지자기 방향 100`km
기의 역전 현상이 반복되기
때문에 나타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지질 시대 동안 지리상 북
극의 위치는 변하지 않았다.)

ㄱ. A 지점의 고지자기 복각은 양(+)의 값이다.


ㄴ. 최하부 퇴적물과 최상부 퇴적물의 퇴적 시기 차이는 B 지점이 C 지점보다 크다.
ㄷ. C 지점의 해양 지각이 생성될 당시 해령은 현재보다 고위도에 위치해 있었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8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01~02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강_13교.indd 18 2021-01-06 오후 6:12:51


정답과 해설 4쪽

[21026-0019]

07 그림 (가)는 서로 다른 속력으로 확장하는 두 해양판의 경계를, (나)는 A-B 구간에서 측정한 해양 맨틀 대류의 상승부인 해령에
서 생성된 해양 지각이 해령
지각의 연령을 나타낸 것이다.
을 중심으로 확장되기 때문에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해양 지

해양 지각의 연령
각의 연령이 증가한다.
판의 경계 2t

A O B
t

(년)

0 50`km 0
A O B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와 B 사이에는 변환 단층이 존재한다.


ㄴ. A가 속한 판은 남동쪽으로 이동하고, B가 속한 판은 북서쪽으로 이동한다.
ㄷ. 최근 t년 동안 판의 평균 확장 속도는 A가 속한 판이 B가 속한 판보다 느렸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020]

08 그림 (가)는 최근 360만 년 동안의 고지자기 연대표를, (나)는 약 3억 년 전부터 현재까지 어느 지 지질 시대 동안 지리상 북극


의 위치가 변하지 않았다고
역의 위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가정하면 고지자기 복각의 크
0.00 절대 연령 60ùN 기는 위도가 높을수록 크다.
(백만 년) 따라서 고지자기 복각을 측정
0.78
0.99 30ù 하면 대륙의 과거 위도를 알
1.07
수 있다.
위도

1.79
1.95 0ù

2.60
3.04 정자극기 30ùS
3 2 1 0
3.33
3.58 역자극기 시간(억 년 전)
(가) (나)

이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지질 시대 동안 지리


상 북극의 위치는 변하지 않았다.)

ㄱ. 2백만 년 전의 고지자기 방향은 북쪽을 가리킨다.


ㄴ. 고지자기 복각의 크기는 3억 년 전 무렵이 1억 년 전 무렵보다 작다.
ㄷ. 약 3억 년 전부터 현재까지 지구 자기의 역전 주기는 일정했을 것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9
01강 판 구조론과 대륙 분포의 변화

001~02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강_13교.indd 19 2021-01-06 오후 6:12:52


3점 수능 테스트
[21026-0021]

09 그림 (가)와 (나)는 해양판이 섭입하는 어느 판의 경계 부근에서 판의 경계와 나란한 방향과 수직인


해양판이 섭입하는 수렴형 경 방향의 단면에서 발생한 지진의 진원 분포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계에서는 해구에서 섭입 당하
(동) (서) (남) (북)
는 판 내부로 갈수록 진원의 0 0
깊이가 점차 깊어지는데, 이 지 50 50
진대를 베니오프대라고 한다.
100 100

깊이

깊이
150 150
(km) (km)
200 200

250 250

300 300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판의 경계와 수직인 방향의 진원 분포는 (가)이다.


ㄴ. (나)에서 판의 경계에서 멀어질수록 섭입하는 판의 기울기가 급해진다.
ㄷ. (나)에서 화산 활동은 판의 경계 북쪽보다 남쪽 지역에서 활발하게 일어난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022]
해령의 열곡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해양 지각의 연령은 증
10 그림 (가)는 해양 지각 A와 B에서 연령에 따른 수심을, (나)는 A와 B에서 해령의 열곡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수심을 나타낸 것이다.
가하고 수심은 깊어진다.
0 0

1 1
수심
수심

2 2
A
3 A,`B 3
(km) (km)
4 4
B
5 5
0 10 20 30 40 50 60 0 400 800 1200 1600
지각 연령(백만 년) 열곡으로부터의 거리(km)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해양 지각의 확장 속도는 A가 B보다 빠르다.


ㄴ. 해령의 열곡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수심 변화는 A가 B보다 크다.
ㄷ. A와 B 모두 해령의 열곡에서 멀어질수록 해양 지각의 침강 속도가 증가한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0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01~02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강_13교.indd 20 2021-01-06 오후 6:12:52


정답과 해설 4쪽

[21026-0023]

11 그림은 초대륙의 형성과 분리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판의 운동과 함께 대륙이 이동


하면서 초대륙이 형성되기도
대륙 해양 대륙 초대륙 대륙 해양 대륙
하고 분리되기도 한다. 대륙이
충돌할 때는 조산 운동에 의해
습곡 산맥이 형성된다.

맨틀 맨틀 맨틀

(가) (나) (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 → (나) 과정에서 조산 운동이 일어난다.


ㄴ. (나) → (다) 과정에서 초대륙에 열곡대가 형성된다.
ㄷ. (다)에서 화산 활동은 해양의 중앙부보다 가장자리에서 활발하게 일어난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024]

12 그림은 전 세계 주요 판의 경계와 이동 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판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판


의 경계에서 여러 가지 지각
변동이 발생한다. 판과 판이
유라시아판 북아메리카판
멀어지는 곳은 발산형 경계이
고, 판과 판이 가까워지는 곳
은 수렴형 경계이다.
아프리카판
태평양판

나스카판 남아메리카판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
판의 이동 속도
남극판 5`cm/년
판 경계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동일한 판에 위치한 모든 지점은 이동 속도가 모두 같다.


ㄴ. 남아메리카 대륙의 서쪽 가장자리에는 발산형 경계가 존재한다.
ㄷ. ‌이러한 판의 운동이 계속된다면 5천만 년 후 대서양의 면적은 현재보다 넓을 것
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
01강 판 구조론과 대륙 분포의 변화

001~02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강_13교.indd 21 2021-01-06 오후 6:12:53


I. 고체 지구

02
지구과학Ⅰ

EBS 수능
특강
판 이동의 원동력과 마그마 활동

개념 체크  판 이동의 원동력
물리적 성질에 따른 지구 내부 (1) 맨틀 대류와 판의 운동
의 층상 구조
① 물리적 성질에 따른 지구 내부의 층상 구조: 지구 내부는 물리적 성질에 따라 암석권, 연약권,
암석권, 연약권, 하부 맨틀, 외핵,
내핵으로 구분된다. 하부 맨틀, 외핵, 내핵으로 구분된다. 지각 하부에서부터 약 400`km 깊이까지의 맨틀을 상
부 맨틀, 상부 맨틀 하부에서부터 약 2900`km 깊이까지의 맨틀을 하부 맨틀이라고 한다.
암석권
지각과 상부 맨틀의 일부를 포함 암석권(판)
100`km 상부 맨틀
해양 지각 대륙 지각
하는 암석으로 이루어진 층이다. 연약권
400`km 지각
해양판 암석권(판) 대륙판
하부 맨틀
맨틀 대류 100
0
맨틀 대류는 판이 이동하는 원동

깊이
력이다. 200 맨틀

깊이
암석권 연약권
하부 맨틀 2900 (km)
300
연약권 (km)
외핵 5100
1. 대 륙판의 두께는 해양판 400
내핵
보다 ( )고, 대륙판의 6400
평균 밀도는 해양판보다 물리적 성질에 따른 지구 내부의 층상 구조 판의 구조
( )다.
② 판의 구조
2. 연약권은 ( ) 상태이다. •암석권과 판: 암석권은 지각과 상부 맨틀의 일부를 포함하는 두께 약 100`km의 암석으로
이루어진 층이다. 암석권은 여러 조각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각각의 암석권 조각을 판이라
3. 판의평균 밀도는 연약권
고 한다. 판은 특징에 따라 대륙판과 해양판으로 구분된다.
보다 ( )다.
•대륙판과 해양판: 대륙판은 지각의 대부분이 대륙 지각인 판이고, 해양판은 지각의 대부분
4. 맨틀은
( ) 상태이지 이 해양 지각인 판이다. 대륙판은 해양판에 비해 평균 두께가 두껍고 평균 밀도가 작다.
만 대류가 일어난다.
•연약권: 상부 맨틀 중에서 암석권의 하부에서부터 약 400`km 깊이까지는 연약권이며, 연
약권은 부분 용융 상태이다.
③ 맨틀 대류와 판의 이동: 맨틀은 고체 상태이지만 온도가 높으므로 유동성이 있고 매우 느리
지만 대류가 일어난다. 맨틀 대류가 상승하는 해령에서는 새로운 해양 지각이 만들어지고 양
쪽으로 확장하며 오래된 해양 지각은 해구에서 섭입되어 소멸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판은
맨틀 대류를 따라 움직인다. 판은 판 자체에서 만들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서도 이동하는
데, 이것은 섭입하는 판이 잡아당기는 힘과 해령에서 판을 밀어내는 힘이다.
•섭입하는 판이 잡아당기는 힘: 섭입대에서 침강하는 판은 판을 섭입대 쪽으로 잡아당긴다.
•해령에서 판을 밀어내는 힘: 해령에서 솟아오른 해양판이 중력에 의해 해령의 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판을 밀어낸다. 과학자들은 이 힘은 섭입하는 판이 잡아당기는 힘에 비해 판
의 이동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해구 밀어내는 힘 해구
해령

정답 대륙판
잡아당기는
1. 두껍, 작 힘
해양판
2. 부분 용융
3. 작 맨틀 대류

4. 고체
판을 이동시키는 힘

22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22~037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2강_13교-1.indd 22 2021-01-07 오전 11:50:46


과학 돋보기 맨틀 대류를 설명하는 모델
개념 체크
맨틀 대류를 설명하는 모델에는 그림 (가)와 같이 상부 맨틀에서 일어나는 모델과 그림 (나)와 같이 맨틀 전체에서 일어
나는 모델이 있다. 어느 모델이든 맨틀 대류에 의해 해저가 확장되고 섭입대가 형성되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발산형 경계
판이 확장하는 경계이다.
해령 해령
암석권 섭입대 암석권 섭입대 수렴형 경계
판과 판이 충돌하거나 섭입하는


하부 하부 경계이다.



맨틀 외핵 맨틀 외핵


(가) 상부 맨틀에서 대류가 일어나는 모델 (나) 맨틀 전체에서 대류가 일어나는 모델 보존형 경계
판이 미끄러지면서 어긋나는 경계
이다.

(2) 판 경계의 종류: 판의 상대적 이동 방향에 따라 판의 경계를 발산형 경계, 수렴형 경계, 보
1. 대서양 중앙 해령은 판의
존형 경계로 분류할 수 있다. ( )형 경계에 발달한
지형이다.
판의 상대적

연약권
이동 방향
2. 히말라야산맥과 마리아나
발산형 경계 수렴형 경계 보존형 경계 해구는 모두 판의 ( )
형 경계에 발달한 지형이다.
① 발산형 경계: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면서 양쪽으로 확장되는 경계이다.  대서양 중앙
해령, 동태평양 해령 3. 변환 단층은 판의 ( )
형 경계이다.
② 수렴형 경계: 판과 판이 충돌하거나 섭입하는 경계이다. 판과 판이 가까워지면서 충돌하는
충돌형 수렴형 경계와 판이 섭입하면서 소멸되는 섭입형 수렴형 경계로 구분된다.  충돌형
수렴형 경계: 히말라야산맥, 섭입형 수렴형 경계: 마리아나 해구, 일본 해구
습곡 산맥 호상 열도 습곡 산맥
해구 해구
화산
화산

해양판 베니 대륙판 해양판 베 해양판 대륙판 대륙판


오프 니오
대 프대 마그마
연약권 마그마 연약권 연약권

해양판과 대륙판의 섭입형 해양판과 해양판의 섭입형 대륙판과 대륙판의 충돌형


 나스카판과 남아메리카판의 경계  태평양판과 필리핀판의 경계 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과
유라시아판의 경계
수렴형 경계의 종류

③ 보존형 경계: 판이 수평으로 미끄러지면서 어긋나는 경계로, 변환 단층 경계라고도 한다.


 산안드레아스 단층
④ 판의 경계와 지각 변동

판의 경계 경계부의 판 발달하는 지형 활발한 지각 변동 특징


해양판과 해양판 해령, 열곡 지진, 화산 활동 지각의 생성
발산형 경계
대륙판과 대륙판 열곡대 지진, 화산 활동 지각의 생성
해구, 호상 열도 지진, 화산 활동 판의 섭입과 소멸
해양판과 대륙판(섭입형)
해구, 습곡 산맥 지진, 화산 활동 판의 섭입과 소멸
수렴형 경계
해양판과 해양판(섭입형) 해구, 호상 열도 지진, 화산 활동 판의 섭입과 소멸
정답
대륙판과 대륙판(충돌형) 습곡 산맥 지진 판의 충돌 1. 발산
해양판과 해양판 변환 단층 지진 주향 이동 단층 2. 수렴
보존형 경계
대륙판과 대륙판 변환 단층 지진 주향 이동 단층 3. 보존

02강 판 이동의 원동력과 마그마 활동 23

022~037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2강_13교-1.indd 23 2021-01-07 오전 11:50:47


02
지구과학Ⅰ 판 이동의 원동력과 마그마 활동

탐구자료 살펴보기 섭입형 수렴형 경계에서의 지각 변동


개념 체크
[탐구 자료]
플룸 구조론 그림 (가)는 일본 부근에서 발생한 지진의 진앙을, (나)는 (가)의 A-B 지역의 단면과 진원의 깊이를 모식적으로 나
열점과 같이 판의 내부에서 일어나 타낸 것이다.
는 화산 활동을 설명할 수 있다.
해구
A B
A 대륙 지각
플룸 유라시아판 태평양판

맨틀에서 주위보다 온도가 낮거나 화산 해양 지각

높은 기둥 모양의 부분이다. B 암석권

마그마 판
해양
입하는
연약권 섭
1. ( ) 구조론은 판의 내 연약권
부에서 일어나는 화산 활
진원 깊이(km) 0~70 70~300 300`이상
동을 설명할 수 있다.
(가) (나)
[탐구 결과]
2. 맨틀에서 ( )운 플룸
1. 천발 지진은 주로 해구 부근에서 발생한다.
은 주위보다 밀도가 크고,
2. 해구에서 대륙 쪽으로 갈수록 진원의 평균 깊이가 깊어진다.
( )운 플룸은 주위보
3. 섭입하는 태평양판의 영향으로 생성된 마그마가 유라시아판에서 분출하여 해구와 나란하게 호상 열도가 형성되었다.
다 밀도가 작다.
[분석 point]
태평양판이 유라시아판 아래로 섭입하는 과정에서 베니오프대를 따라 지진이 주로 발생하므로, 해구에서 대륙 쪽
으로 갈수록 진원의 평균 깊이가 깊어진다.

(3) 플룸 구조론
① 판 구조론과 플룸 구조론
•판 구조론: 판 구조론은 판과 상부 맨틀의 상호 관계가 중심이며, 판의 경계에서의 지각 변
동을 설명하기 위해 대두되었다.
•플룸 구조론: 플룸 구조론은 판과 맨틀 전체의 상호 관계가 중심이며, 열점에서의 화산 활
동과 같이 판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화산 활동을 설명하기 위해 대두되었다.
카우아이 오아후 몰로카이
(510만 년 전) (370만~260만 년 전)(190만~180만 년 전)
마우이
(130만~80만 년 전)
판의
이동 하와이(현재)
방향

암석권

하와이 열도
마그마

하와이 열도의 생성 원리
② 플룸의 종류: 지각과 맨틀에서의 지진파 속도 분포를 나타내는 지진파 단층 촬영 영상에서
지진파의 속도가 빠른 곳은 주위보다 온도가 낮고, 지진파의 속도가 느린 곳은 주위보다 온
도가 높다.  주위보다 온도가 낮거나 높은 부분에서는 맨틀 물질이 기둥 모양으로 하강하
정답
거나 상승하는데, 이를 플룸이라고 한다.
1. 플룸 •차가운 플룸: 주위보다 온도가 낮고, 밀도가 큰 맨틀 물질이 하강한다.
2. 차가, 뜨거
•뜨거운 플룸: 주위보다 온도가 높고, 밀도가 작은 맨틀 물질이 상승한다.

24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22~037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2강_13교-1.indd 24 2021-01-07 오전 11:50:47


A B
0 개념 체크
200
차가운 플룸
400


섭입한 판이 맨틀과 외핵의 경계

깊이

B 600


로 가라앉으면서 생성된다.



(
800 km)
1000 뜨거운 플룸
A
맨틀과 외핵의 경계에서 뜨거운
-1.5 -0.8 0 0.8 1.5
맨틀 물질이 상승하면서 생성된다.
P파의 속도 편차(%)
동아프리카의 지진파 단층 촬영 영상과 뜨거운 플룸
1. 현재 아시아 대륙 아래에
는 거대한 ( )운 플룸
③ 플룸의 생성 원인 이 있다.
•차가운 플룸: 차가운 플룸은 판의 섭입형 수렴형 일본

경계에서 섭입한 판이 상부 맨틀과 하부 맨틀의 아시아 대륙 태평양 2. 하와이 열점은 ( )운


플룸에 의해 화산 활동이
경계에 머물다가 일정량 이상이 되면 맨틀과 외 차가운 플룸 일어나는 곳이다.
(플룸 하강류) 뜨거운 플룸
핵의 경계 쪽으로 가라앉으면서 생성된다. 현재 (플룸 상승류)
아시아 대륙의 아래에서 거대한 차가운 플룸이 3. 현 재동아프리카 열곡대
내핵 아래에는 ( )운 플룸
하강하고 있다. 뜨거운 플룸
이 있다.
(플룸 상승류)
•뜨거운 플룸: 차가운 플룸이 맨틀과 외핵의 경계 외핵

쪽으로 가라앉으면 그 영향으로 맨틀과 외핵의 경


하부 맨틀 대서양
계에서 뜨거운 맨틀 물질이 상승하면서 생성된다. 아프리카 대륙 상부 맨틀 중앙 해령

현재 남태평양과 아프리카 대륙 아래에서 거대한


플룸 구조 모식도
뜨거운 플룸이 상승하고 있다.

④ 플룸과 지각 변동
•열점: 열점에서는 뜨거운 플룸이 상승하여 생성된 마그마가 지각을 뚫고 분출하여 화산 활
동이 일어난다. 뜨거운 플룸은 맨틀과 외핵의 경계에서 상승하므로 맨틀이 대류하여 판이
이동해도 열점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고정된 열점에서 오랫동안 많은 양의 마그마가 분
출하면 해산, 화산섬 등이 형성될 수 있다.  하와이 열점

열점
판 경계 정답
1. 차가
판의 경계와 열점의 분포
2. 뜨거
3. 뜨거
•초대륙의 분리: 초대륙 아래에서 뜨거운 플룸이 상승하면 초대륙이 분리될 수 있다.

02강 판 이동의 원동력과 마그마 활동 25

022~037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2강_13교-1.indd 25 2021-01-07 오전 11:50:48


02
지구과학Ⅰ 판 이동의 원동력과 마그마 활동

탐구자료 살펴보기 하와이 열점과 판의 운동


개념 체크
[탐구 자료]
하와이 열도 그림 (가)는 하와이 열점에서의 화산 활동에 의해 형성된 하와이 열도의 화산섬과 엠퍼러 해산군의 분포 및 연령을
하와이 열도는 열점의 화산 활동 나타낸 것이고, (나)는 (가)의 일부를 확대한 것이다.
과 판의 운동에 의해 형성되었다. (가) (나)
5.1 (단위: 백만 년)
마그마의 종류 50ùN 카우아이
3.7 오아후
화학 조성에 따라 현무암질 마그 2.6 몰로카이
1.8

엠퍼러 해산군
마, 안산암질 마그마, 유문암질 마 59.6 1.9 마우이
그마로 구분된다. 1.3 1.3
0.8 0.43
56.2 1.0
0.38
40ù 0.15
55.4 하와이
0.01
48.1 0.004
1. 열점에서 멀어질수록 화산 43.4
섬의 연령이 ( )한다. 30ù
20.6
19.9
10.3 오아후
2. 마그마가 굳어져 만들어진 몰로카이
12.0 마우이
암석을 ( )암이라고 20ù 하와이
한다. 170ùE 180ù 170ù 160ù 150ùW

[탐구 결과]
3. 현 무암질 마그마는 유문
1. 하와이 열점은 하와이섬의 남동쪽에 위치한다.
암질 마그마보다 SiOª 함
2. 열점은 맨틀에 고정된 마그마의 생성 장소이고 하와이 열점에서의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화산섬은 태평양판에
량(%)이 ( )다.
실려 서북서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화산섬의 연령은 서북서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3. 엠퍼러 해산군이 만들어질 때 태평양판은 북북서 방향으로 이동하였고, 하와이 열도가 만들어질 때 태평양판은
서북서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분석 point]
•열점은 맨틀에 고정된 마그마의 생성 장소이지만, 열점에서의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화산섬과 해산은 판에 실려
이동한다.
•열점에서 멀어질수록 화산섬과 해산의 연령이 증가한다.

 변동대에서의 마그마 활동
(1) 마그마의 생성 조건
① 마그마와 화성암: 지구 내부에서 지각 하부 물질이나 맨틀 물질이 녹아서 생성된 물질을 마
그마라고 하며, 마그마가 굳어져서 만들어진 암석을 화성암이라고 한다.
② 마그마의 종류: 마그마는 화학 조성(SiOª 함량)에 따라 현무암질 마그마, 안산암질 마그마,
유문암질 마그마로 구분된다. 마그마의 SiOª 함량(%)이 많을수록 마그마의 온도가 낮고 점
성이 크다.
마그마의 종류 현무암질 안산암질 유문암질
SiOª 함량 52`% 이하 52`%~63`% 63`% 이상
온도 높다. Û111Ú 낮다.
점성 작다. Û111Ú 크다.

정답
③ 마그마의 생성: 일반적으로 지구 내부의 온도는 암석의 용융 온도에 도달하지 못하므로 대부
1. 증가
2. 화성 분의 지구 내부에서는 마그마가 생성될 수 없다. 하지만 지구 내부에서 환경 변화가 일어나
3. 적
지구 내부의 온도가 암석의 용융 온도에 도달하면 암석이 녹아서 마그마가 생성될 수 있다.

26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22~037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2강_13교-1.indd 26 2021-01-07 오전 11:50:48


•압력 일정, 온도 상승: 그림의 A 온도 (ùC)
0 500 1000 1500 개념 체크
→ A'과 같이 지구 내부의 온도가
A A' B' 부분 용융 상태
높아지면 대륙 지각의 물질이 용 맨틀 물질 상승에
마그마가 생성될 수 있는 조건이
온도 상승에 의한 의한 압력 감소로
융되어 마그마가 생성될 수 있다. 대륙 지각의 용융 마그마 생성 되었을 때 암석을 구성하는 광물
50 으로 마그마 생성

깊이
중 용융 온도가 낮은 광물은 용융
•압력 하강, 온도 일정: 그림의 B 물이 포함된
물이 포함되지 않은 되고 용융 온도가 높은 광물은 용
→ B'과 같이 맨틀 물질이 상승하여 (km) 화강암의 지하의
맨틀의 용융 곡선
용융 곡선 온도 분포 융되지 않는데, 용융된 액체 상태

압력이 감소하면 맨틀 물질이 용융 의 물질과 용융되지 않은 고체 상


100 물의 공급에 따른
물이 포함된 맨틀 용융 온도의 태의 물질이 섞여 있는 상태를 부
되어 마그마가 생성될 수 있다. 맨틀의 용융 곡선 B 하강으로 마그마 분 용융 상태라고 한다.
생성
•용융 온도 하강: 그림의 C → C'과 C' C
해령 하부에서의 마그마 생성
같이 물이 맨틀에 공급되면 맨틀 지하의 온도 분포와 암석의 용융 곡선 맨틀 물질이 상승하여 압력이 감
의 용융 온도가 낮아져 마그마가 생성될 수 있다. 소하면 마그마가 생성된다.

(2) 마그마의 생성 과정 베니오프대에서의 마그마 생성

① 해령 하부에서의 마그마 생성: 해령 하부에서는 맨틀 물질이 상승하여 압력이 감소하면 맨틀 연약권에 물이 공급되면 용융 온
도가 낮아져 마그마가 생성된다.
물질이 부분 용융되어 주로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성되고, 해령에서는 주로 현무암질 마그마
가 분출된다.
② 베니오프대에서의 마그마 생성: 해양판이 섭입하여 온도와 압력이 상승하면 해양 지각과 퇴 1. 용융된 액체 상태의 물질과
용융되지 않은 고체 상태의
적물의 함수 광물에 포함된 물이 빠져나오고, 이 물의 영향으로 연약권을 구성하는 광물의
물질이 섞여 있는 상태를
용융 온도가 낮아져 주로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성된다. 이 현무암질 마그마가 상승하여 대륙 ( ) 상태라고 한다.
지각 하부에 도달하면 대륙 지각을 이루고 있는 암석이 가열되어 유문암질 마그마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승한 현무암질 마그마와 유문암질 마그마가 혼합되면 안산암질 마그마가 생 2. 해 령 하부에서는 주로
( )질 마그마가 생성
성될 수 있다. 베니오프대가 발달하는 수렴형 경계에서는 주로 안산암질 마그마가 분출된다. 된다.
③ 열점에서의 마그마 생성: 맨틀 물질이 상승하여 압력이 감소하면 맨틀 물질이 부분 용융되어
주로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성된다. 3. 열점에서는 주로 ( )
질 마그마가 생성된다.

4. 화성암은 SiOª 함량에 따라


해령
해양 지각 대륙 안산암질 마그마 염기성암, 중성암, ( )
지각
연약권 현무암질 마그마 암으로 구분된다.
유문암질 마그마
해양판 맨틀의 부분 용융
맨틀
섭입하는 지각에서 현무암질 마그마
현무암질 마그마
물이 빠져나옴

해령

해령 해구
해양판 해양판 대륙판
열점
연약권 현무암질 마그마 연약권
연약권

마그마의 생성 장소

(3) 마그마가 만든 암석 정답
1. 부분 용융
① 화성암: 마그마가 굳어져서 만들어진 암석을 화성암이라고 한다. 2. 현무암
② 화학 조성에 따른 화성암의 종류: SiOª 함량에 따라 염기성암, 중성암, 산성암으로 구분된다. 3. 현무암
4. 산성
 염기성암: 현무암과 반려암, 중성암: 안산암과 섬록암, 산성암: 유문암과 화강암

02강 판 이동의 원동력과 마그마 활동 27

022~037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2강_13교-1.indd 27 2021-01-07 오전 11:50:49


02
지구과학Ⅰ 판 이동의 원동력과 마그마 활동

③ 산출 상태와 조직에 따른 화성암의 종류: 마그마가 어느 깊이에서 어떤 형태로 굳어지는가에


개념 체크 따라서 화성암의 조직과 종류가 달라진다.
심성암과 화산암 •심성암과 화산암: 마그마가 지하 깊은 곳에서 서서히 냉각되면 심성암이 되고, 지표 부근
심성암은 마그마가 지하 깊은 곳에 에서 빠르게 냉각되면 화산암이 된다.  심성암: 반려암, 섬록암, 화강암, 화산암: 현무
서 냉각되어 만들어진 화성암이고,
화산암은 마그마가 지표 부근에서
암, 안산암, 유문암
냉각되어 만들어진 화성암이다. •화성암의 조직: 심성암의 경우 마그마가 서서히 냉각되어 결정의 크기가 충분히 커서 육안
으로 식별할 수 있을 정도인 조립질 조직이 발달한다. 화산암의 경우 마그마가 빠르게 냉
조립질 조직
결정의 크기가 큰 조직이다. 각되어 결정의 크기가 작아서 육안으로 식별하기 불가능할 정도인 세립질 조직 또는 결정
을 형성하지 못한 유리질 조직이 발달한다.
세립질 조직
결정의 크기가 작은 조직이다.
화산

유리질 조직 용암류 용암 대지
결정을 형성하지 못한 조직이다.

암맥 병반 화산암
세립질

1. 심성암에는 주로 ( ) 암상

질 조직이 발달한다. 저반 암주
마그마
심성암
2. 화산암이면서 염기성암인 조립질

화성암은 ( )암이다. 마그마의 산출 상태와 화성암의 조직

④ 화성암의 분류: 화성암은 화학 조성과 광물의 조성에 따라 염기성암, 중성암, 산성암으로 분


3. 심성암이면서 산성암인 화
성암은 ( )암이다. 류하고, 암석의 조직에 따라 화산암과 심성암으로 분류한다.
화학 조성에 따른 분류 염기성암 중성암 산성암
4. 화산암이 생성되는 과정에 SiOª`함량
조직에 특징 적다 52`% 63`% 많다
서 기둥 모양으로 만들어 색
조직

따른 분류 냉 어둡다 밝다
각 밀 도
진 절리를 ( ) 절리라 속
도 크다 작다
고 한다. 화산암 세립질 빠르다 현무암 안산암 유문암
심성암 조립질 느리다 반려암 섬록암 화강암
석영
조암 광물의 함량
정장석
무색 광물 사장석
유색 광물 휘석
흑운모
감람석 각섬석

(4) 한반도의 화성암 지형


① 화산암 지형: 제주도, 울릉도, 독도 등에는 현무암이 많이 분포한다. 화산암이 생성되는 과정
에서 마그마가 지표 부근에서 급속히 냉각되면서 부피가 급격히 수축되어 기둥 모양으로 갈
라진 주상 절리가 발달하기도 한다.
② 심성암 지형: 북한산, 설악산의 울산바위는 지하 깊은 곳에서 마그마가 관입하여 생성된 화
강암이 지표면에 노출되어 형성된 것이다. 화강암이 지표에 노출되면서 압력 감소로 인해 팽
창하면서 판상으로 갈라진 판상 절리가 발달하기도 한다.
정답
1. 조립
2. 현무
3. 화강
현무암과 주상 절리 화강암과 판상 절리
4. 주상
(제주도 서귀포시) (북한산 인수봉)

28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22~037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2강_13교-1.indd 28 2021-01-07 오전 11:50:50


2점 수능 테스트 [21026-0027]
정답과 해설 7쪽

03 다음은 맨틀 대류에 의한 판의 운동을 알아보기 위한 모형


[21026-0025] 실험이다.
01 그림은 대륙과 해양에서 지각과 맨틀의 단면을 나타낸 것
이다. (가) ‌그림과 같이 수조에 물을 물 나무토막

대륙 채우고 가운데 부분에 두


해수면
0 개의 나무토막을 띄워 놓
지각
A 는다.
100 (나) ‌두 나무토막이 접한 경계

맨틀
부분의 물을 ㉠ 알코올램프
깊이

B
로 가열하면서 나무토막의 움직임을 관찰한다.
(km) 200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의 맨틀에서는 대류가 일어난다. ㄱ. 물의 움직임은 맨틀 대류에 해당한다.


ㄴ. B는 대부분 액체 상태이다. ㄴ. 두 나무토막 사이의 경계는 수렴형 경계에 해당한다.
ㄷ. 해양판은 대륙판보다 평균 밀도가 크다. ㄷ. ‌맨틀 내에 존재하는 방사성 원소의 붕괴는 ㉠과 같은
역할을 한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028]

[21026-0026]
04 그림은 판의 경계와 이동 방향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02 그림은 맨틀 대류와 판의 운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A
A 해양 지각
대륙 지각 B 대륙 지각
B
해양판
대륙판
상승 C 판의 경계
하강 하강 판의 이동 방향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에서는
‌ 판을 밀어내는 힘이 작용한다.
ㄱ. A에서는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된다. ㄴ. B와 C 사이에서는 맨틀 대류의 하강이 일어난다.
ㄴ. B에서는 해양판이 대륙판 아래로 섭입한다. ㄷ. C의
‌ 하부에서는 B가 속한 판을 섭입대 쪽으로 잡아
ㄷ. A와 B 사이의 판은 맨틀 대류를 따라 이동한다. 당기는 힘이 작용한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2강 판 이동의 원동력과 마그마 활동 29

022~037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2강_13교-1.indd 29 2021-01-07 오전 11:50:51


2점 수능 테스트
[21026-0031]

[21026-0029] 07 그림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마그마 A, B의 SiOª 함량과


05 그림은 플룸과 판의 운동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A와 B는 물리량 (가)를 나타낸 것이다.

물리량
각각 뜨거운 플룸과 차가운 플룸 중 하나이다.

A
상부 맨틀 (가)

하부 맨틀
A B
B

외핵

50 70
내핵 SiOª 함량(%)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는 발산형 경계에서 형성된다. ㄱ. A는 현무암질 마그마이다.


ㄴ. B는 판과 함께 이동한다. ㄴ. B가 굳어지면 화강암이 될 수 있다.
ㄷ. 같은 깊이에서 온도는 A가 B보다 낮다. ㄷ. 온도는 세로축의 물리량 (가)로 적절하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032]

[21026-0030] 08 그림은 깊이에 따른 지하의 온도 분포와 맨틀의 용융 곡선


06 그림은 태평양에서 열점의 활동에 의해 형성된 화산섬과 해 을 나타낸 것이다. A와 B는 각각 물을 포함한 맨틀과 물을 포함하
산의 위치 및 각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화산암의 절대 연령을 나타 지 않은 맨틀의 용융 곡선 중 하나이다.
낸 것이다. 온도(ùC)
500 1000 1500
0
(단위: 백만 년)
50ùN
59.6
A 50
깊이

40ù
55.4
지하의
43.4 (km)
온도 분포
30ù 27.2 100 B
19.9 10.3 A
0.004
20ù B
C
170ùE 180ù 170ù 160ù 150ùW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물을 포함한 맨틀의 용융 곡선은 A이다.
ㄱ. 현재 A는 서북서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ㄴ. ‌깊이에 따른 지하의 온도 증가율은 깊이 0~50`km
ㄴ. ‌B를 형성한 마그마는 압력 감소에 의해 생성되었다. 구간이 50~100`km 구간보다 크다.
ㄷ. ‌A, B, C 중 화산섬을 형성한 열점에 가장 가까운 지 ㄷ. ‌해령의 하부에서는 맨틀의 용융 곡선이 B에서 A로
역은 C이다. 변하는 과정으로 마그마가 생성된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30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22~037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2강_13교-1.indd 30 2021-01-07 오전 11:50:52


정답과 해설 7쪽

[21026-0033] [21026-0035]

09 그림은 마그마가 생성되는 장소 A, B, C를 나타낸 것이다. 11 다음은 학생이 어느 지역에서 관찰한 화성암의 모습과 특징
을 나타낸 것이다.
해수면

•석영, 정장석, 사장석 등 밝은색 광물


A C 이 70`% 이상을 차지한다.
해양판 해양판 대륙판
B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광
연약권 물 결정의 크기가 크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 암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에서는 압력 감소에 의해 마그마가 생성된다.
ㄴ. B에서는 주로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성된다.
ㄱ. SiOª 함량이 52`%보다 적다.
ㄷ. ‌C에서 생성되는 마그마는 B에서 생성되는 마그마보
ㄴ. 조립질 조직을 보인다.
다 SiOª 평균 함량(%)이 많다.
ㄷ. 마그마가 지표로 분출하여 형성되었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034]

10 그림은 서로 다른 세 종류의 화성암을 특성에 따라 구분하


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21026-0036]

12 그림 (가)와 (나)는 서울의 도봉산과 철원의 한탄강에서 볼


수 있는 암석을 나타낸 것이다.
현무암 유문암 화강암

아니요
밝은색을 띠는가? A


아니요
세립질 조직을 보이는가? B

예 (가) (나)
C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화성암 A, B, C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
로 고른 것은? ㄱ. (가)와 (나)의 암석은 모두 화산암이다.
ㄴ. ‌밝은색 광물의 함량은 (가)의 암석이 (나)의 암석보다
ㄱ. A는 B보다 저온의 마그마가 굳어서 생성되었다. 많다.
ㄴ. B는 C보다 깊은 곳에서 생성되었다. ㄷ. ‌생성 당시 마그마의 냉각 속도는 (가)의 암석이 (나)
ㄷ. A는 염기성암이고, C는 산성암이다. 의 암석보다 빨랐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2강 판 이동의 원동력과 마그마 활동 31

022~037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2강_13교-1.indd 31 2021-01-07 오전 11:50:53


3점 수능 테스트
[21026-0037]

01 그림은 어느 해령에서 생성된 해양 지각의 연령에 따른 암석권 구조의 동-서 방향 단면을 모식적
으로 나타낸 것이다.
해령에서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어 양쪽으로 확장하므 (서) A B C (동)
7500만 년 1500만 년 100만 년
로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해양
지각의 연령이 증가한다. 해양 지각

암석권

맨틀

A, B, C 지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 B, C 지점


은 모두 동일한 판에 위치한다.)

ㄱ. A 지점에서 암석권의 평균 밀도가 가장 크다.


ㄴ. C 지점의 동쪽에 해령의 열곡이 위치한다.
ㄷ. A 지점에서 C 지점으로 갈수록 수심은 얕아진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038]
해령에서는 판을 밀어내는 힘
이 작용하고, 섭입대에서는 침
02 다음은 판의 운동과 판을 이동시키는 힘에 대해 학생들이 대화하는 모습이다.
강하는 판이 판을 섭입대 쪽으 해양 A 해구 대륙
해양 A 해구 대륙
로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한다. 해양판 해양판
해양판 해양판 대륙판대륙판

맨틀
맨틀 대류
대류 B
연약권 B
연약권
연약권 연약권

A에서는 서로 접해 있는 ㉡ 판을
밀어내는 힘이 작용해.

판은 ㉠ 맨틀 대류와 판 B에서는 판이 섭입하면서


자체에서 발생한 힘에 ㉢ 판을 잡아당기는 힘이
의해 이동할 수 있어. 작용해.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판은 ㉠의 상승부에서 하강부 쪽으로 이동한다.


ㄴ. ㉡은 해령의 사면 경사가 완만할수록 크다.
ㄷ. ㉢은 섭입하는 판이 주변의 연약권보다 밀도가 크기 때문에 발생한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32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22~037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2강_13교-1.indd 32 2021-01-07 오전 11:50:54


정답과 해설 9쪽

[21026-0039]

03 그림은 플룸 구조론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A와 B는 각각 뜨거운 플룸과 차가운 플룸 중 하나이다. 차가운 플룸은 주변의 맨틀보
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고
화산섬
㉠ ㉡ 지진파의 속도가 빠르며, 뜨
거운 플룸은 주변의 맨틀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고 지진
해양 B 파의 속도가 느리다.
대륙
A
`km
670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화산섬 ㉠은 ㉡보다 먼저 생성되었다.


ㄴ. 지진파가 A를 통과할 때 전파 속도가 느려진다.
ㄷ. B는 주로 외핵을 구성하는 물질이 맨틀 속으로 유입되어 생성된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040]

04 그림 (가)와 (나)는 수렴형 경계의 하부에서 플룸의 형성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대륙판과 해양판이 만나는 수
렴형 경계에서는 대륙판 아래
대륙판 해양판 대륙판 해양판
로 섭입한 해양판의 물질이
상부 맨틀과 하부 맨틀의 경
계 부근에 쌓여 있다가 하부
670 670 맨틀로 가라앉아 차가운 플룸
깊이

깊이

㉠ ㉡
이 형성된다.
A
(km) (km)
2900 2900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온도는 ㉠이 ㉡보다 높다.


ㄴ. A의 구성 성분은 대륙판보다 해양판과 유사하다.
ㄷ. (가) → (나) 과정에서 형성되는 플룸은 차가운 플룸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2강 판 이동의 원동력과 마그마 활동 33

022~037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2강_13교-1.indd 33 2021-01-07 오전 11:50:54


3점 수능 테스트
[21026-0041]

05 그림은 북대서양에 분포하는 열점 A, B, C와 각 열점에서 분출된 마그마에 의해 형성된 화산섬과


열점에서 마그마가 분출하여 해산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형성된 화산섬과 해산은 판에
실려 이동하므로, 화산섬과
해산의 분포로 판의 이동 방
향을 추정할 수 있다. 북아메리카 ㉠

A B C
아프리카
열점
화산섬과 해산의 분포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열점에서 분출되는 마그마의 평균 SiOª 함량은 63`%보다 많다.


ㄴ. A와 C 사이에는 판의 발산형 경계가 있다.
ㄷ. 현재 ㉠에 위치한 해산은 B에서 생성된 이후 이동 방향이 일정했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042]
열점은 맨틀에 위치하는 고정
된 마그마의 생성 지점이며,
06 그림은 북아메리카판에 위치한 열점에서 분출된 마그마에 의해 형성된 화산암체의 연령을 나타낸
것이다.
열점에서 분출된 마그마에 의
해 만들어진 화산암체는 판에 0.8
1.3
실려 이동한다. B
6.2
4.3 2.0
15.5 13.8
13.7 10.3 6.6
11
16.1 13.8
12.5
0 100`km 15.6 A
14.7 (단위: 백만 년)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열점까지의 거리는 화산암체 A가 화산암체 B보다 멀다.


ㄴ. 최근 약 1380만 년 동안 북아메리카판은 북동쪽으로 이동하였다.
ㄷ. 화산암체 A와 화산암체 B를 연결한 선을 따라 판의 경계가 발달한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34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22~037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2강_13교-1.indd 34 2021-01-07 오전 11:50:55


정답과 해설 9쪽

[21026-0043]

07 그림 (가)는 어느 해역에 분포하는 판의 경계와 이동 속도를, (나)는 깊이에 따른 지하의 온도 분포 발산형 경계에서는 고온의 맨
틀 물질이 상승하면서 압력
와 맨틀의 용융 곡선을 마그마의 생성 과정 ㉠, ㉡과 함께 나타낸 것이다.
감소에 의해 맨틀 물질이 부
온도(ùC) 분 용융되어 현무암질 마그마
500 1000 1500 가 생성된다.
0

물이 포함되지
않은 맨틀의
용융 곡선
A 50

깊이
지하의 ㉠
B 온도 분포
(km)
C 100
물이 포함된 ㉡
5`mm/년 맨틀의 용융 곡선
판의 경계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해양 지각의 연령은 A 지점이 B 지점보다 많다.


ㄴ. B 지점과 C 지점 사이에서는 ㉡의 과정에 의해 생성된 마그마가 분출된다.
A 지점에서 B 지점까지의 거리
ㄷ. 시간이 지남에 따라 는 점점 증가할 것이다.
B 지점에서 C 지점까지의 거리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044]

08 그림은 수렴형 경계에서 마그마가 생성되는 장소를 나타낸 것이다. 마그마 A와 B는 서로 다른 종 수렴형 경계에서는 섭입하는
지각에서 물이 빠져나오고 이
류의 마그마이다.
물의 영향으로 연약권을 구성
하는 광물의 용융 온도가 낮
해양 지각 대륙 지각
아져 주로 현무암질 마그마가
대륙 지각
마그마(B) 생성된다.
해양판
대륙판
맨틀 마그마(A)

마그마(A)
연약권 연약권 맨틀

해양 지각
섭입하는 지각에서
㉠ 물이 빠져나옴.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은 맨틀의 용융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ㄴ. 마그마 A는 마그마 B보다 SiOª 함량이 많다.
ㄷ. 마그마 B가 지표로 분출하여 굳어지면 현무암이 된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2강 판 이동의 원동력과 마그마 활동 35

022~037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2강_13교-1.indd 35 2021-01-07 오전 11:50:56


3점 수능 테스트
[21026-0045]

09 그림은 어느 지역의 판의 경계 부근에서 발생한 지진의 진앙 분포와 화산 활동이 일어나는 장소 A,


발산형 경계인 해령의 하부에 B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서는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성
되고, 해양판이 대륙판 아래
로 섭입하는 수렴형 경계 부
근에서는 현무암질 마그마, 해양 대륙

유문암질 마그마, 안산암질 A


마그마가 생성된다.
B

진원 깊이(km)
0~70
70~300
0 100 km 300 이상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는 맨틀 대류의 상승부에 위치한다.


ㄴ. B의 하부에서는 주로 해양 지각이 부분 용융되어 마그마가 생성된다.
ㄷ. 안산암질 마그마의 분출에 의한 화산 활동이 일어날 가능성은 A가 B보다 크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046]
화성암은 SiOª 함량에 따라
염기성암, 중성암, 산성암으로
10 그림은 화성암 A, B, C의 특징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하고, 산출 상태와 조직 무색 광물 함량
(상댓값)
에 따라 심성암과 화산암으로 C
구분한다. B

세립
0 40 50 60 70 SiOª 함량(%)
조립 A

입자 크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는 염기성암이다.
ㄴ. B는 C보다 얕은 곳에서 생성되었다.
ㄷ. 육안으로 관찰할 때 암석의 색은 A가 C보다 어둡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36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22~037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2강_13교-1.indd 36 2021-01-07 오전 11:50:56


정답과 해설 9쪽

[21026-0047]

11 그림은 학생이 야외에서 관찰한 여러 종류의 화성암을 화학 조성과 조직에 따라 분류하여 벤 다이 SiOª 함량이 52`% 이하인
염기성암에는 현무암, 반려암
어그램으로 나타낸 것이다.
등이 있고, 조립질 조직이 나
화성암 타나는 심성암에는 반려암, 섬
(가) (나) 록암, 화강암 등이 있다.

A B C

(가): 염기성암
(나): 조립질암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화강암은 A에 속한다.
ㄴ. 해양 지각을 이루는 암석의 광물 조성은 B보다 C에 가깝다.
ㄷ. (나)는 지하 깊은 곳에서 생성된 후 융기하여 지표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048]

12 다음은 겸재 정선이 그린 총석정과 비로봉에 대한 설명이다. 겸재 정선의 총석정 그림에는


현무암의 주상 절리가, 비로봉
구분 (가) 총석정 (나) 비로봉 그림에는 화강암이 잘 묘사되
어 있다.

모습

일출을 볼 수 있는 정자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


특징 와 육각기둥 형태의 돌 는 금강산 비로봉의 아
기둥을 묘사하였다. 름다움을 묘사하였다.

(가)와 (나)의 암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의 암석에는 주상 절리가 발달한다.


ㄴ. (나)의 암석은 SiOª 함량이 52`% 이하이다.
ㄷ. (나)의 암석은 (가)의 암석보다 지하 깊은 곳에서 형성되었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2강 판 이동의 원동력과 마그마 활동 37

022~037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2강_13교-1.indd 37 2021-01-07 오전 11:50:56


I. 고체 지구

03
지구과학Ⅰ

EBS 수능
특강
퇴적암과 지질 구조

개념 체크  퇴적암과 퇴적 환경
풍화 (1) ‌퇴적암: 지표의 암석이 풍화·침식 작용을 받아 생성된 쇄설물, 물에 녹아 있는 물질, 생물
지표 부근의 암석이 공기, 물, 생 의 유해 등이 쌓인 퇴적물이 다져지고 굳어져 퇴적암이 생성된다.
물 등의 작용으로 오랜 시간에 걸
쳐 성분이 변하거나 잘게 부서지
① 속성 작용: 퇴적물이 쌓여 퇴적암이 되기까지의 전체 과정으로, 다짐 작용과 교결 작용이 있다.
는 현상을 풍화라 하고, 풍화를 일 •다짐 작용: 퇴적물이 쌓이면서 아랫부분의 퇴적물이 윗부분에 쌓인 퇴적물의 무게에 의해
으키는 모든 작용을 풍화 작용이
치밀하게 다져지는 작용이다.  퇴적물 사이의 공극의 크기와 부피가 감소하고 퇴적물의
라고 한다.
밀도가 증가한다.
공극
•교결 작용: 퇴적물 속의 수분이나 지하수에 녹아 있던 석회질, 규질 물질, 산화 철 등이 퇴
퇴적물 입자 사이의 빈틈을 공극
이라고 한다. 퇴적물이 속성 작용 적물 입자 사이에 침전되어 퇴적물 알갱이들을 단단히 붙게 하여 굳어지게 하는 작용이다.
을 받으면 입자들 사이의 간격이 퇴적물 퇴적암
좁아지고 공극의 크기가 작아진다. 교결 물질
공극과
지하수

1. 퇴적물이 다져지고 굳어지


면서 퇴적암이 되기까지의 다짐 교결
작용 작용
전체 과정을 ( )이라
고 한다.
퇴적물 퇴적암
속성 작용
2. 퇴적물이다짐 작용을 받
퇴적암의 생성 과정
으면 공극의 크기와 부피가
감소하고, 밀도가 ( ) ② 퇴적암의 종류: 퇴적물의 기원에 따라 쇄설성 퇴적암, 화학적 퇴적암, 유기적 퇴적암으로 구
한다.
분한다.
3. ( ) 퇴적암은 입자의 •쇄설성 퇴적암: 지표 부근의 암석이 풍화·침식 작용을 받아 생성된 쇄설성 퇴적물이나 화
크기에 따라 역암, 사암, 산재와 같은 화산 쇄설물이 쌓여서 생성된 퇴적암이다.
이암 등으로 구분한다.
•화학적 퇴적암: 호수나 바다 등에서 물에 녹아 있던 물질이 화학적으로 침전되거나 물이
4. 바닷물에 녹아 있던 NaCl 증발함에 따라 잔류하여 만들어진 퇴적암이다.
성분이 침전하여 생성된 •유기적 퇴적암: 생물의 유해나 골격의 일부가 쌓여서 만들어진 퇴적암이다.
암염은 ( ) 퇴적암에
속한다. 구분 주요 퇴적물 퇴적암
자갈(2`mm 이상) 역암
5. 산호,
유공충 등의 석회질
모래{;1Á6;~2`mm} 사암
생물이 죽은 후 쌓여서 굳 풍화·침식 작용
어지면 ( )이 생성된다. 쇄설성 실트, 점토{;1Á6;`mm 이하} 이암, 셰일
퇴적암
화산탄, 화산암괴(64`mm 이상) 집괴암(화산 각력암)
화산 분출 화산력(2~64`mm) 라필리 응회암
화산재(2`mm 이하) 응회암
CaCO£ 석회암
화학적
정답 침전 작용 SiOª 처트
1. 속성 작용 퇴적암
NaCl 암염
2. 증가
3. 쇄설성 석회질 생물체(산호, 유공충 등) 석회암
유기적 생물의 유해나
4. 화학적 규질 생물체(방산충 등) 처트, 규조토
퇴적암 골격 퇴적
5. 석회암 식물체 석탄

38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38~05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3강_13교-1.indd 38 2021-01-07 오전 11:52:30


개념 체크
층리
층리는 크기, 모양, 색깔 등이 서
로 다른 퇴적물들이 겹겹이 쌓여
만들어진 층상 구조로, 보통 수평
역암 사암 셰일 응회암 으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저탁류
대륙 주변부의 해저에 불안정하게
쌓여 있던 퇴적물이 해저 지진 등
에 의해 대륙 사면 아래로 빠르게
이동하는 퇴적물의 흐름을 저탁
류라고 한다. 저탁류와 같이 다양
석회암 처트 암염 석탄 한 크기의 쇄설성 입자들로 구성
된 흙탕물에서 퇴적물들이 가라앉
퇴적암의 종류 아 형성된 쇄설성 퇴적암에는 점
이 층리가 잘 나타난다.

(2) ‌퇴적 구조: 퇴적이 일어나는 장소와 퇴적 당시의 환경에 따라 특징적인 퇴적 구조가 형성된 1. 퇴적 구조는 퇴적 당시의
다.  퇴적 당시의 자연환경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며, 지층의 역전 여부를 ( )을 추정하고 지층
의 상하 관계를 밝히는 데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준다.
에도 도움을 준다.
① 사층리: 층리가 나란하지 않고 비스듬히 기울어지거나 엇갈려 나타나는 퇴적 구조로, 주로
수심이 얕은 물밑이나 바람의 방향이 자주 바뀌는 곳에서 물이 흘러가거나 바람이 불어가는 2. 사 층 리 는 주로 수심이
( ) 물밑이나 바람의
방향의 비탈면에 퇴적물이 쌓여 형성된다.  과거에 물이 흘렀던 방향이나 바람이 불었던 방향이 자주 바뀌는 곳에
방향을 알 수 있다. 서 형성된다.

3. 사층리는 일반적으로 아래
쪽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층리의 폭이 ( )진다.

4. 한 지층 내에서 위로 갈수
록 입자의 크기가 점점 작아
지는 퇴적 구조를 ( )
사층리의 형성 과정 사층리 라고 한다.

② 점이 층리: 한 지층 내에서 위로 갈수록 입자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퇴적 구조로, 다양한


5. 수심이 깊은 바다에서 다
크기의 퇴적물이 한꺼번에 퇴적될 때 큰 입자가 밑바닥에 먼저 가라앉고 작은 입자는 천천히 양한 크기의 퇴적물이 한
가라앉아 형성된다.  대륙 주변부의 해저에 쌓여 있던 퇴적물이 빠르게 이동하여 수심이 꺼번에 퇴적될 때 큰 입자
는 작은 입자보다 ( )
깊은 바다에 쌓일 때나 홍수가 일어나 퇴적물이 수심이 깊은 호수로 유입될 때 잘 형성된다.
가라앉는다.

정답
1. 환경
2. 얕은
3. 넓어
4. 점이 층리
5. 먼저
점이 층리의 형성 과정 점이 층리

03강 퇴적암과 지질 구조 39

038~05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3강_13교-1.indd 39 2021-01-07 오전 11:52:31


03
지구과학Ⅰ 퇴적암과 지질 구조

③ 연흔: 물결 모양의 흔적이 지층에 남아 있는 퇴적 구조이다. 수심이 얕은 물밑에서 퇴적물이


개념 체크 퇴적될 때에는 물결의 영향을 받아 연흔이 잘 형성된다.
연흔의 형태
파도와 같이 물의 운동이 양쪽 방
향으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에는 대칭 형태를 보이고, 유수와
같이 한쪽 방향으로 나타나는 경
우에는 비대칭 형태를 보인다.

파도에 의한 연흔의 형성 과정 연흔
1. 퇴적물의표면에 물결 모
양으로 자국이 생긴 후 퇴 ④ 건열: 퇴적층의 표면이 갈라져서 쐐기 모양의 틈이 생긴 퇴적 구조이다. 수심이 얕은 물밑에
적층 속에 남아 있는 퇴적 점토질 물질이 쌓인 후 퇴적물의 표면이 대기에 노출되어 건조해지면서 갈라지면 건열이 형
구조를 ( )이라고 한다.
성된다.
2. 연흔은주로 퇴적물이 수
심이 ( ) 물밑 등에서
퇴적될 때 형성된다.

3. 퇴적층의표면이 쐐기 모
양으로 갈라져 생긴 퇴적
구조를 ( )이라고 한다.
건열의 형성 과정 건열
4. 건 열에서
쐐기 모양으로
갈라진 부분은 표면에서
아래로 가면서 ( )지
는 경향을 보인다.
탐구자료 살펴보기 퇴적 구조

[탐구 자료]
그림 (가)~(라)는 퇴적암에서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퇴적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가) 사층리 (나) 점이 층리 (다) 연흔 (라) 건열

[탐구 결과]
1. 사층리는 층리가 기울어지거나 엇갈린 형태를 나타내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층리의 폭이 넓어진다. 점이
층리는 상부로 갈수록 입자의 크기가 작아진다. 연흔은 층리면에 물결 모양의 자국이 남아 있고, 뾰족한 부분이
상부를 향하고 있다. 건열은 가뭄에 의해 논바닥이 갈라진 것과 같은 형태를 나타내고, 쐐기 모양으로 갈라진 부
분은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2. 사층리는 수심이 얕은 해안이나 사막에서, 점이 층리는 대륙대나 수심이 깊은 호수에서, 연흔은 수심이 얕은 물
밑에서 잘 형성된다. 건열은 물밑에 있던 점토질 퇴적물이 대기에 노출되면서 건조될 때 잘 형성된다.

[분석 point]
정답
구분 사층리 점이 층리 연흔 건열
1. 연흔
형성 원인 바람, 흐르는 물 퇴적물이 가라앉는 속도 차이 흐르는 물, 파도, 바람 건조한 환경에 노출
2. 얕은
3. 건열 퇴적 환경 사막, 삼각주 대륙대, 수심이 깊은 호수 수심이 얕은 물밑 건조한 환경
4. 좁아

40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38~05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3강_13교-1.indd 40 2021-01-07 오전 11:52:32


(3) ‌퇴적 환경: 퇴적암이 생성되는 퇴적 환경은 크게 육상 환경, 연안 환경, 해양 환경으로 구분
개념 체크
할 수 있으며, 육상 환경과 해양 환경 사이에 연안 환경이 있다.
선상지
① 육상 환경: 육지에서 퇴적암이 만들어지는 환경으로 선상지, 하천, 호수, 사막, 빙하 등이 있 경사가 급한 골짜기에서 흘러내리
다.  육지에서는 주로 침식이 일어나지만, 지대가 낮은 일부 지역에서는 퇴적이 일어나 주 는 유수가 경사가 완만한 평야에
이르면 유속이 느려지므로 유수에
로 쇄설성 퇴적물이 퇴적된다. 의해 운반되어 오던 퇴적물이 쌓
② 연안 환경: 육상 환경과 해양 환경이 만나는 곳에서 퇴적암이 만들어지는 환경으로 삼각주, 여 부채를 펼친 모양의 지형이 형
성되는데, 이를 선상지라고 한다.
조간대, 해빈, 사주, 석호 등이 있다.
③ 해양 환경: 바다 밑에서 퇴적암이 만들어지는 환경으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며, 대륙붕, 삼각주
강물이 바다나 호수로 유입될 때
대륙 사면, 대륙대, 심해저 평원 등이 있다.
유속이 느려지므로 운반되던 퇴적
바람에 의해 운반된 모래 물들이 퇴적되어 삼각형 모양의
모난 자갈과 모래, 점토
주변의 육지나 하천을 통해 가 쌓여 사층리가 발달한 등이 쌓여 역암이 생성 경사가 급한 산지와 평지 지형이 형성되는데, 이를 삼각주
유입되는 퇴적물이 쌓이는 사암이 생성될 수 있다. 될 수 있다. 사이에서 자갈, 모래 등 라고 한다. 삼각주가 점점 바다 쪽
곳으로, 점이 층리, 건열, 다양한 퇴적물이 쌓인다.
연흔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으로 확장되면 삼각주에서는 연직
빙하 상방으로 갈수록 퇴적 입자의 크
선상지
기가 커지는 경향을 보인다.
사막
호수 대륙붕
하천
해빈
삼각주 대륙 사면
1. 퇴적 환경은 크게 육상 환
경, ( ) 환경, 해양 환
대륙대 심해저
파도와 조류의 작용으로 층 경으로 구분한다.
리가 넓게 발달하고 연흔이
하천과 바다가 만나는 곳으로,
형성되기도 한다.
사층리가 형성될 수 있다.
2. 선상지, 하천, 호수, 사막 등은
모래가 쌓여 모래사장을 대륙붕과 대륙 사면의 퇴적물이
이루고, 얕은 해안에는 다시 이동하여 쌓이는 곳으로,
( ) 환경에 해당한다.
연흔이 형성될 수 있다. 점이 층리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퇴적 환경 3. ( )는 하천과 바다가


만나는 곳에서 만들어진
(4) 한반도의 퇴적 지형 삼각형 모양의 지형으로,
① 강원도 태백시 구문소: 고생대 바다에서 퇴적된 석회암으로 주로 이루어져 있고, 삼엽충과 사층리가 잘 형성된다.

완족류 화석이 발견되며, 연흔과 건열 등의 퇴적 구조가 나타난다.


4. 대 륙대에는 대륙 사면의
② 전라북도 부안군 채석강: 중생대 호수에서 퇴적된 역암과 셰일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층리 급경사를 따라 다양한 퇴
가 잘 발달해 있으며, 연흔과 건열 등의 퇴적 구조가 나타난다. 적물이 흘러와 쌓이면서
( )가 잘 형성된다.
③ 경상남도 고성군 덕명리: 중생대 호수에서 퇴적된 셰일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다양한 공룡
발자국 화석과 새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며, 연흔과 건열 등의 퇴적 구조가 나타난다. 5. 강 원도태백시 구문소의
④ 제주도 한경면 수월봉: 신생대 화산 활동으로 분출된 화산재가 두껍게 쌓인 황갈색의 응회암 퇴적층에서는 고생대 바다
에서 살았던 ( )과 완
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층리가 잘 발달해 있다.
족류 화석이 발견된다.
⑤ 전라북도 진안군 마이산: 중생대 호수에서 퇴적된 역암, 사암, 셰일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민물조개나 고둥 같은 생물의 화석이 발견된다. 6. 제 주도한경면 수월봉의
퇴적층은 신생대에 화산
⑥ 경기도 화성시 시화호: 중생대에 형성된 역암, 사암 등의 퇴적암 지층에서 다량의 공룡알 화
활동으로 분출된 화산재가
석과 공룡 뼈 화석이 발견된다. 쌓여 형성된 ( )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답
1. 연안 2. 육상
3. 삼각주 4. 점이 층리
5. 삼엽충 6. 응회암
강원도 태백시 구문소 경상남도 고성군 덕명리 제주도 한경면 수월봉

03강 퇴적암과 지질 구조 41

038~05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3강_13교-1.indd 41 2021-01-07 오전 11:52:33


03
지구과학Ⅰ 퇴적암과 지질 구조

 지질 구조
개념 체크 (1) ‌습곡: 암석이 비교적 온도가 높은 지하 깊은 곳에서 횡 배사
향사
지질 구조 압력을 받아 휘어진 지질 구조이다.
지층이나 암석이 지각 변동을 받
① 습곡의 구조: 가장 많이 휘어진 부분을 지나는 축을 습곡
아 여러 모양으로 변형된 구조를
통틀어 지질 구조라고 한다. 축, 습곡축 양쪽의 경사면을 날개, 위로 볼록하게 휘어진
부분을 배사, 아래로 오목하게 휘어진 부분을 향사라고 수평면 배사 향사 배사
암석의 변형 축면 축면 축면
지표 부근에서 압력을 받으면 파 한다. 고도가 일정한 지역에서 지표면에 노출된 지층의
습곡의 구조
쇄되는 암석도 지하 깊은 곳의 고 연령은 배사축으로 접근할수록 증가하고, 향사축으로 접
온·고압 환경에서는 휘어지는 성
질이 나타난다.
근할수록 감소한다.
② 습곡의 종류: 습곡축면이 수평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정습곡, 기울어진 경사 습곡, 거의 수
평으로 누운 횡와 습곡 등이 있다.
1. 습곡은
암석이 ( )을
받아 형성된다.

2. 습 곡에서
위로 볼록하게
휘어진 부분을 ( ), 아
래로 오목하게 휘어진 부 정습곡 경사 습곡 횡와 습곡
분을 ( )라고 한다.
(2) ‌단층: 암석이 깨져 생긴 면을 경계로 양쪽의 암석이 상대적으 단층면

3. 정습곡은 습곡축면이 수평 로 이동하여 서로 어긋나 있는 지질 구조이다. 단층은 대체로


면에 대하여 거의 ( )
습곡 작용이 일어나는 깊이보다 얕은 지표 부근에서 형성된다.
인 습곡이다.
① 단층의 구조: 단층면이 경사져 있을 때 그 윗부분을 상반, 아 상반
하반
4. 단 층면이
기울어져 있을 랫부분을 하반이라고 한다.
때 단층면 위쪽에 놓인 지
② 단층의 종류: 장력을 받아 상반이 하반에 대해 아래로 이동한
괴를 ( ), 아래쪽에 놓
단층의 구조
인 지괴를 ( )이라고 정단층, 횡압력을 받아 상반이 하반에 대해 위로 이동한 역단
한다. 층, 수평 방향으로 어긋나게 작용하는 힘을 받아 지괴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 주향 이동 단
층 등이 있다.
5. 정단층은지층이 ( )
을 받아 형성된 것이고, 역 하반
상반
단층은 지층이 ( )을
받아 형성된 것이다. 상반 하반

정단층 역단층 주향 이동 단층

과학 돋보기 지구와 지루

대규모의 단층 작용은 지형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여러 개의 단


층이 발달한 지역에서 지면이 주변에 비해 상대적으로 침강한 부분을 지루
정답
지구
1. 횡압력 지구라 하고, 이와 반대로 지면이 상대적으로 융기한 부분을 지루라
2. 배사, 향사 고 한다. 지구는 긴 골짜기를 이루는 경우가 많고, 지루는 산악 지역
3. 수직 을 형성하여 분지에 쌓이는 퇴적물의 공급지가 된다.
4. 상반, 하반
5. 장력, 횡압력

42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38~05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3강_13교-1.indd 42 2021-01-07 오전 11:52:33


(3) ‌절리: 암석에 생긴 틈이나 균열로, 단층과는 달리 절리면을 기준으로 양쪽 암석의 상대적인
개념 체크
이동이 없는 지질 구조이다.
박리 작용
① 절리의 형성: 마그마나 용암이 식어 굳으면서 수축할 때, 지하 깊은 곳에 있던 암석이 융기하 지하 깊은 곳에 있던 암석이 지표
거나 암석이 힘을 받을 때 형성된다. 에 노출되면서 암석의 내부 압력
과 외부 압력의 차이에 의해 양파
껍질처럼 벗겨지는 현상이다.

기저 역암
부정합면 바로 위에 놓인 역암을
말한다.

1. ( ) 절리는 기둥 모양
심성암의 내부 압력이 지하의 압력과 심성암이 지표로 드러나면 외부의 압력 의 절리로, 지표로 분출한
화산암의 내부가 다각형으로 갈라진다. 평형을 이룬다. 이 감소하여 평형이 깨지면서 심성암이
쪼개진다. 용암이 급격히 식을 때 잘
주상 절리의 형성 과정 판상 절리의 형성 과정 형성된다.

절리 형성 과정의 사례
2. 심성암이 지표면에 드러나
② 절리의 종류: 지표로 분출한 용암이 식을 때 부피가 수축하여 단면이 오각형이나 육각형인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하면
심성암의 부피가 ( )
긴 기둥 모양으로 갈라진 주상 절리, 지하 깊은 곳에 있던 암석이 융기할 때 압력이 감소하면
하면서 ( ) 절리가 형
서 부피가 팽창하여 판 모양으로 갈라진 판상 절리 등이 있다.  주상 절리는 화산암에서 잘 성될 수 있다.
나타나고, 판상 절리는 심성암에서 잘 나타난다.
3. 주상 절리는 ( )에서
잘 나타나고, 판상 절리는
( )에서 잘 나타난다.

4. 오 랫동안 퇴적이 중단되


었다가 다시 퇴적되어 시
간적으로 불연속적인 상
주상 절리 판상 절리
하 두 지층 사이의 관계를
( )이라고 한다.
(4) ‌부정합: 퇴적이 연속으로 일어난 경우 상하 지층의 관계를 정합이라고 한다. 그러나 퇴적이
오랫동안 중단된 후 다시 퇴적이 일어나면 지층 사이에 퇴적 시간의 공백이 생기는데, 이러 5. 부정합은 퇴적 → ( )
한 상하 지층 관계를 부정합이라 하고, 그 경계면을 부정합면이라고 한다. → 풍화·침식 → 침강 →
퇴적의 과정을 거쳐 형성
① 부정합의 형성 과정: 퇴적 → 융기 → 풍화·침식 → 침강 → 퇴적
된다.

물밑에서
퇴적물이 풍화와 침식 작용을
쌓여 지층이 받아 지층이 깎인다.
형성된다.

침강 및 퇴적
융기 풍화·침식

기저 역암
정답
1. 주상
부정합면
지층이 수면 위로 2. 팽창, 판상
드러난다. 이 과정은 지층이 다시
습곡 작용과 함께 물밑으로 침강하여 3. 화산암, 심성암
일어나기도 한다. 새로운 지층이 퇴적된다. 4. 부정합
5. 융기
부정합의 형성 과정

03강 퇴적암과 지질 구조 43

038~05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3강_13교-1.indd 43 2021-01-07 오전 11:52:34


03
지구과학Ⅰ 퇴적암과 지질 구조

② 부정합의 종류: 부정합면을 경계로 상하 지층이 나란한 평행 부정합, 상하 지층의 경사가 서


개념 체크 로 다른 경사 부정합, 부정합면의 하부에 심성암이나 변성암이 분포하는 난정합 등이 있다.
조륙 운동과 조산 운동  평행 부정합은 조륙 운동, 경사 부정합은 조산 운동을 받은 지층에서 잘 나타나고, 난정합
넓은 범위에 걸쳐 지각이 서서히 은 다른 부정합에 비해 만들어질 때 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경향이 있으며 상하 지층 사이의
융기하거나 침강하는 운동을 조륙
운동, 거대한 습곡 산맥을 형성하
시간 간격이 매우 큰 경향이 있다.
는 지각 변동을 조산 운동이라고
한다. 조륙 운동이나 조산 운동에
기저 역암
의해 지층이 융기하여 침식을 받 부정합면
부정합면
은 후, 다시 침강하여 그 위에 새 부정합면




로운 지층이 쌓이면 부정합이 형
심성암
성된다.
평행 부정합 경사 부정합 난정합

(5) 관입과 포획
1. 부 정합면을경계로 상하
지층이 나란한 부정합을 ① 관입: 마그마가 기존 암석의 약한 부분을 뚫고 들어가는 과정을 관입암
( ) 부정합이라고 한다. 관입이라 하고, 관입한 마그마가 식어서 굳어진 암석을 관입암이
라고 한다.  마그마는 주변의 암석에 비해 온도가 높으므로 주
2. 조륙
운동을 받은 지층에
서는 ( ) 부정합이 잘 변의 암석은 열에 의한 변성 작용을 받을 수 있다. 관입
나타나고, 조산 운동을 받 ② 포획: 마그마가 관입할 때 주변 암석의 일부가 떨어져 나와 마그 포획암
은 지층에서는 ( )부
정합이 잘 나타난다.
마 속으로 유입되는 것을 포획이라 하고, 포획된 암석을 포획암
이라고 한다.  포획암을 관찰하면 화성암과 주변 암석의 생성
3. 지하에서 생성된 심성암이 순서를 알 수 있다.
나 변성암이 융기하여 침 포획
식 작용을 받은 후 그 위
에 새로운 지층이 퇴적되
탐구자료 살펴보기 판의 운동과 지질 구조
어 생긴 부정합을 ( )
이라고 한다. [탐구 자료] 그림은 판의 운동과 판의 경계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4. 마그마가기존 암석의 약 힘의 방향 힘의 방향
한 부분을 뚫고 들어가 굳
어진 암석을 ( )이라
고 한다.
맨틀 대류

5. 마그마가관입할 때 주변
암석의 일부가 떨어져 나와
[탐구 결과]
마그마 속으로 유입되는 것
1. 발산형 경계: 두 판이 서로 멀어지는 해령이나 대륙의 열곡대에서는 양쪽에서 잡아당기는 장력이 작용하여 정
을( )이라고 한다.
단층이 형성된다.  동아프리카 열곡대
2. 수렴형 경계: 두 판이 서로 가까워지는 습곡 산맥이나 해구 부근에서는 양쪽에서 미는 횡압력이 작용하여 습곡
과 역단층이 형성된다.  히말라야산맥, 안데스산맥
3. 보존형 경계: 두 판이 접하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평행하게 어긋나는 경계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어긋나게 작
용하는 힘에 의해 주향 이동 단층의 일종인 변환 단층이 형성된다.  산안드레아스 단층

정답
[분석 point]
1. 평행 구분 발산형 경계 수렴형 경계 보존형 경계
2. 평행, 경사
작용하는 힘 장력 횡압력 수평 방향으로 어긋나게 작용하는 힘
3. 난정합
지질 구조 정단층 습곡, 역단층 주향 이동 단층
4. 관입암
5. 포획

44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38~05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3강_13교-1.indd 44 2021-01-07 오전 11:52:35


2점 수능 테스트 [21026-0051]
정답과 해설 12쪽

03 그림은 두 지역 A와 B에서 깊이에 따른 지온 분포와 속성


[21026-0049] 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을 나타낸 것이다.
01 그림 (가)는 지구 표면에서 퇴적암과 (화성암+변성암)의 면 온도(ùC)
적비를, (나)는 지각에서 퇴적암과 (화성암+변성암)의 부피비를 100 200 300 400
0 0

나타낸 것이다. A와 B는 각각 퇴적암과 (화성암+변성암) 중 하나 5 속성 작용


2

깊이

압력
10
이다. 15 A 4
(km) (kb)
20 6
A
25
B 8
5`% 30

75`% 이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5`% 95`%

B
ㄱ. 깊이에 따른 지온 증가율은 A가 B보다 크다.
(가) (나)
ㄴ. ‌속성 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최대 깊이는 A가 B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깊다.
ㄷ. ‌B의 지표면 부근에서 온도가 400`¾가 된다면 속성
ㄱ. 셰일은 A에 해당한다. 작용이 더욱 활발해진다.
ㄴ. 지구 표면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 암석은 퇴적암이다.
ㄷ. 속성 작용은 주로 지구 표면 부근에서 일어난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052]

[21026-0050] 04 다음은 여러 퇴적 환경에 대해 학생들이 나눈 대화 내용이다.


02 그림 (가)와 (나)는 어느 지역에서 모래가 퇴적된 후 사암이
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시기의 퇴적물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모래 모래 선상지
하천
해수면 대륙붕
대륙 사면 삼각주
교결 물질

대륙대

공극
(가) (나)
학생 A: ‌선상지는 유수의 유속이 급격히 빨라지는 퇴적
(가)와 비교한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환경에서 형성된 지형이야.
대로 고른 것은?
학생 B: ‌삼각주는 하천과 바다가 만나는 곳에서 형성된
지형이야.
ㄱ. 모래가 퇴적된 후 경과된 시간이 길다.
학생 C: 대륙대에 퇴적된 퇴적물에는 건열이 발달해.
공극의 총 부피
ㄴ. 가 크다.
퇴적물의 총 부피
대화 중 옳게 진술한 학생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ㄷ. 밀도가 크다.
①A ②B ③ A, C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ㄱ, ㄷ ④ B, C ⑤ A, B, C

03강 퇴적암과 지질 구조 45

038~05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3강_13교-1.indd 45 2021-01-07 오전 11:52:36


2점 수능 테스트
[21026-0055]

[21026-0053] 07 다음은 어떤 지층에 대한 설명이다.


05 다음은 어떤 퇴적 구조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형성 과정: 이 지층은 해수에 녹아 있던 철이 산소와
대륙 주변부의 해저에 쌓여 있던 퇴적물이 빠르게 이동하 결합하여 산화된 후 침전되어 형성되었다.
여 다양한 크기의 퇴적물이 대륙대나 심해저 평원에 한꺼 •질량비: 이 지층에서 규소의 질량비는 40~60`% 정도
번에 쌓일 때 입자의 크기에 따른 침강 속도 차에 의해서 이고, 철의 질량비는 20~40`% 정도이다.
이 퇴적 구조가 만들어진다. •색: A층은 붉은색을 띠고, B층은 짙은 회색을 띤다.

이 퇴적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A

B
ㄱ. 사층리이다.
ㄴ. 한 지층 내에서 위로 갈수록 입자의 크기가 작아진다.
ㄷ. 이 퇴적 구조를 이용해 지층의 역전 여부를 알 수 있다.
이 지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①ㄱ ②ㄴ ③ ㄱ, ㄷ 것은?
④ ㄴ, ㄷ ⑤ ㄱ, ㄴ, ㄷ
ㄱ. 층리가 발달한다.
ㄴ. 유기적 퇴적암에 해당한다.
ㄷ. 철의 질량비는 A층이 B층보다 작다.

[21026-0054]

06 그림은 화강암, 셰일, 사암을 특징에 따라 구분하는 과정을 ①ㄱ ②ㄴ ③ㄷ


나타낸 것이다. ④ ㄱ, ㄷ ⑤ ㄴ, ㄷ
[21026-0056]
화강암, 셰일, 사암
08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질 단면과 퇴적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지표면
아니요
층리가 발달하는가? A 셰일층

예 사질 셰일층

구성 입자가 육안으로 아니요 사암층


B
잘 구별되는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C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지층을 구성하는 입자의 평균 크기는 사암층이 셰일


층보다 크다.
ㄱ. A는 조립질 조직이 발달한다. ㄴ. ‌셰일층은 형성되는 동안 건조한 대기에 노출된 시기
ㄴ. B는 화학적 퇴적암에 해당한다. 가 있었다.
ㄷ. C는 퇴적 입자 사이의 공간이 교결 물질로 채워져 있다. ㄷ. 셰일층은 사질 셰일층보다 나중에 퇴적되었다.

①ㄱ ②ㄴ ③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6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38~05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3강_13교-1.indd 46 2021-01-07 오전 11:52:36


정답과 해설 12쪽

[21026-0057] [21026-0059]

09 다음은 퇴적암을 쇄설성 퇴적암, 유기적 퇴적암, 화학적 퇴 11 그림 (가)와 (나)는 서로 다른 단층의 동서 단면을 나타낸 것
적암으로 분류하고 그 특징을 설명한 것이다. 이다.

쇄설성
퇴적암
퇴적암

B
서 동 서 동
(가) (나)
A: ‌물에 녹아 있던 물질이 화학적으로 침전되거나 물이
증발함에 따라 잔류하여 만들어진 퇴적암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B: ‌생물의 유해나 골격의 일부가 쌓여서 만들어진 퇴적암
ㄱ. (가)는 정단층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ㄴ. ‌(가)와 (나) 모두에서 상반은 단층면의 동쪽에 위치
한다.
ㄱ. A는 유기적 퇴적암이다. ㄷ. (나)는 장력에 의해 형성되었다.
ㄴ. 응회암은 쇄설성 퇴적암이다.
ㄷ. ‌석회암은 A에 해당하는 것도 있고 B에 해당하는 것 ①ㄱ ②ㄴ ③ㄷ
도 있다. ④ ㄱ, ㄷ ⑤ ㄴ, ㄷ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ㄷ ⑤ ㄴ, ㄷ

[21026-0058]

10 다음은 어느 퇴적 구조에 대한 설명이다.

•이 퇴적 구조는 파도, 흐르는 물 등에 의해 퇴적물의 [21026-0060]

표면에 생긴 물결 모양의 구조이다. 12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질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퇴적 구조는 단면상에서 ㉠ 대칭 형태를 보이는 것 지표면


B
과 ㉡ 비대칭 형태를 보이는 것이 있다.
A 지층
C
이 퇴적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퇴적암이 침식되는 과정에서 생성된다. ㄱ. A 지괴는 상반이다.


ㄴ. 육상 환경과 연안 환경 모두에서 생성될 수 있다. ㄴ. ‌A 지괴와 B 지괴 사이에 나타난 두 개의 단층은 모
ㄷ. ‌얕은 물밑에서 파도에 의해 형성된 이 퇴적 구조의 두 정단층이다.
형태는 일반적으로 ㉡보다 ㉠과 비슷하다. ㄷ. B 지괴는 C 지괴에 대해 아래로 이동하였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3강 퇴적암과 지질 구조 47

038~05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3강_13교-1.indd 47 2021-01-07 오전 11:52:37


3점 수능 테스트
[21026-0061]

01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표면에 쌓인 퇴적물 (가)의 시간에 따른 지표면으로부터의 깊이와 물리량 A


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 지역에서는 퇴적물 (가)가 쌓인 이후에 퇴적이 지속적으로 일어났다.
속성 작용은 퇴적물이 쌓여
A A
퇴적암이 되기까지의 전체 과 0 0

지표면으로부터의 깊이

지표면으로부터의 깊이
정이며, 속성 작용에는 다짐
작용과 교결 작용이 있다. 10 (가) 시간 10
경과

(가)
20 20

30 30
(cm) (cm)

물리량 A로 적절한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퇴적물의 공극 평균 크기
ㄴ. 퇴적물의 굳어진 정도
ㄷ. 퇴적물의 평균 밀도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ㄱ, ㄷ

[21026-0062]
사암은 주로 모래가 쌓여서
생성된 쇄설성 퇴적암이며,
02 표는 선상지와 해빈에 퇴적된 퇴적물을 조사한 답사 보고서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선상지는 육상 퇴적 환경이고 퇴적물 퇴적 지형 특징 퇴적물의 모습
해빈은 연안 퇴적 환경이다. A
B

거의 대부분 A 광물 공극
(가) 선상지 과 B 광물로 이루어
져 있다.

1`mm
A

거의 대부분 A 광물 공극
(나) 해빈
로만 이루어져 있다.

0.5`mm

이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가)와 (나)는 동일한 화성


암에서 기원하였다.)

ㄱ. 입자의 모서리가 마모된 정도는 (가)가 (나)보다 크다.


ㄴ. (가)와 (나) 모두 속성 작용을 받으면 사암이 된다.
ㄷ. A는 B보다 풍화에 강하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8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38~05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3강_13교-1.indd 48 2021-01-07 오전 11:52:38


정답과 해설 14쪽

[21026-0063]

03 다음은 화성 탐사 로봇이 화성의 표면에서 어느 암석을 촬영한 사진과 이 암석에 대한 설명이다. 퇴적암은 퇴적물이 굳어져 만
들어진 암석으로 층리가 발달
한다. 퇴적암의 층리는 퇴적
•㉠ 암석은 주로 모래로 이루어져 있고 마모된 둥 물이 쌓여 만들어진 평행한
근 자갈이 포함되어 있다. 구조이다.
•㉡ 층리와 ㉢ 사층리가 관찰되었다.

cm
0 10 20 30 40 50

이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은 퇴적암이다.
ㄴ. ㉡은 이 암석이 침식되는 과정에서 생성되었다.
ㄷ. ㉢으로부터 모래가 공급된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064]

04 그림 (가)와 (나)는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암과 화강암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화강암은 조립질 조직이 발달
하는 화성암이고, 사암은 주
로 모래가 쌓여서 생성된 쇄
설성 퇴적암이다.

2`mm 2`mm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에서 사층리가 발달한다.


ㄴ. (가)가 (나)보다 고온에서 생성되었다.
ㄷ. 화석이 산출될 가능성은 (가)가 (나)보다 크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3강 퇴적암과 지질 구조 49

038~05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3강_13교-1.indd 49 2021-01-07 오전 11:52:39


3점 수능 테스트
[21026-0065]

05 다음은 어느 노두에 대한 설명이다.


퇴적이 연속적으로 일어나지
않아 상하 지층 사이의 시간 •A 지층은 약 3.7억 년 전에 퇴적되었으며, A 지층의 윗부분은 사암층이고 아랫부분
간격이 긴 상하 지층의 관계
에는 역암층이 존재한다.
를 부정합이라고 한다.
•B 지층은 약 4.1억 년 전에 퇴적된 사암층이다.
•A 지층의 지층면과 B 지층의 지층면은 서로 경사져 있고, ㉠ 지질 구조 U-U'이
수평면에 대해 15ù 정도 기울어져 있다.

U A

U'
B

이에 대한 해석으로 적절한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는 기저 역암을 포함하고 있다.


ㄴ. A와 B 모두 고생대에 퇴적되었다.
ㄷ. ㉠은 U-U'이 경사 부정합면이라는 증거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066]
정단층은 상반이 하반에 대해
아래로 이동한 단층이고, 역
06 그림은 어느 절벽의 동서 단면을 스케치한 것이다.
A
단층은 상반이 하반에 대해 지표면
위로 이동한 단층이다.
단층
C
B

B 지층
A

서 동

이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 단층과 C 단층은 모두 정단층이다.


ㄴ. 단층의 생성 시기는 B → A → C 순이다.
ㄷ. 지표면에서 지층의 퇴적 시기는 동쪽으로 갈수록 빠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50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38~05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3강_13교-1.indd 50 2021-01-07 오전 11:52:39


정답과 해설 14쪽

[21026-0067]

07 다음은 영희가 어느 지역의 지층을 조사하여 작성한 답사 보고서의 일부이다. 건열은 퇴적층의 표면이 갈라
져 쐐기 모양의 틈이 생긴 퇴
적 구조이다.
[답사 보고서]
•지층: 셰일층
•화석: 셰일층에서 공룡 발자국 화석이 산출됨.
•퇴적 구조: ㉠ 셰일층이 갈라진 틈이 관찰되며, 갈라진 틈
에서 ㉡ 모래가 다져지고 굳어진 퇴적암이 관찰됨.
퇴적 구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셰일층은 중생대에 퇴적되었다.


ㄴ. ㉠은 ㉡보다 먼저 퇴적되었다.
ㄷ. 이와 같은 퇴적 구조는 주로 수심이 깊은 해양 환경에서 잘 생성된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068]

08 표는 우리나라의 두 퇴적 지형의 특징을 설명한 것이다. 강원도 태백시 구문소 석회


암층은 고생대에 생성되었고,
퇴적 지형 특징 제주도 한경면 수월봉 응회암
층은 신생대에 생성되었다.

주로 ㉠ 석회암층으로 이루
(가) 강원도
어져 있으며, 주변에서는
태백시 구문소
연흔과 건열이 관찰된다.

(나) 제주도 주로 ㉡ 응회암층으로 이루


한경면 수월봉 어져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생성 시기는 ㉠이 ㉡보다 빠르다.


ㄴ. 지층면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은 ㉠이 ㉡보다 크다.
ㄷ. ㉡은 주로 화산재가 쌓여서 생성되었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3강 퇴적암과 지질 구조 51

038~05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3강_13교-1.indd 51 2021-01-07 오전 11:52:40


3점 수능 테스트
[21026-0069]

09 그림 (가)와 (나)는 지층의 퇴적 구조를, (다)는 퇴적 환경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가)는 사층리로 일정한 방향 ㉠ ㉡
으로 물이 흐르거나 바람이 부
는 환경에서 지층이 경사진 상
대륙붕
태로 쌓인 구조이고, (나)는 점
이 층리로 위로 갈수록 입자의 대륙 사면
크기가 작아지는 구조이다.
(가)

A 바다

(다)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에서 퇴적물이 공급된 방향은 ㉠이다.


ㄴ. (나)에서 퇴적물의 입자 크기가 클수록 침강 속도가 빠르다.
ㄷ. (나)의 퇴적 구조는 B보다 A에서 잘 형성된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070]
동아프리카 열곡대는 아프리
카판이 확장되고 있는 곳으
10 그림은 동아프리카 열곡대의 입체적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로, 장력에 의한 지질 구조가 지표면
발달한다.
지표면

B C
A D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판이 확장되고 있다.
ㄴ. 단층 A~D는 모두 정단층이다.
ㄷ. 천발 지진이 활발하게 발생한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52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38~05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3강_13교-1.indd 52 2021-01-07 오전 11:52:40


정답과 해설 14쪽

[21026-0071]

11 표는 퇴적암의 퇴적 환경 A와 B에 대한 설명이다. 퇴적 환경 중 선상지, 강, 호


수, 사막은 육상 환경이고, 삼
퇴적 환경 설명 각주, 해빈, 석호 등은 연안
•육상 환경이다. 환경이다.
A
•계곡과 평지가 만나는 곳에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된다.
•연안 환경으로, 강의 하구와 바다가 만나는 곳에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B
•삼각형 모양의 퇴적 지형은 바다 쪽으로 점점 확장되고 있다.

퇴적 환경 A와 B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에서는 퇴적물을 구성하는 입자의 크기가 균일하다.


ㄴ. B에서는 연직 상방으로 갈수록 퇴적 입자의 크기가 커지는 경향을 보인다.
ㄷ. A와 B에서는 모두 점이 층리가 발달한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072]

12 표는 세 지역 (가), (나), (다)에서 발견된 화석과 구성 암석을 나타낸 것이다. 삼엽충은 고생대 바다에서 서
식하였고, 공룡은 중생대 육지
지역 (가) 경상남도 고성군 (나) 강원도 태백시 (다) 제주도 서귀포시 에서 서식하였다. 서귀포 퇴
적층에서 다양한 패류 화석이
산출된다.

화석

모래, 점토 등으로
암석 사암, 셰일 석회암
이루어진 퇴적층

(가), (나), (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의 지층이 가장 먼저 퇴적되었다.


ㄴ. (나)의 지층은 육상 환경에서 퇴적되었다.
ㄷ. (다)의 지층이 퇴적된 이후 융기가 일어났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3강 퇴적암과 지질 구조 53

038~05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3강_13교-1.indd 53 2021-01-07 오전 11:52:41


I. 고체 지구

04
지구과학Ⅰ

EBS 수능
특강
지구의 역사

개념 체크  지층의 생성 순서
동일 과정의 원리 (1) ‌지사학의 법칙: 지층의 선후 관계는 현재 지각에서 발생하는 지질학적 사건들이 조건이 동
현재 지구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하다면 과거에도 동일하게 일어났다는 동일 과정의 원리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법칙을 이
여러 가지 자연 현상은 조건이 동
일하다면 과거에도 동일하게 일어
용하여 결정한다.
났기 때문에 현재 일어나고 있는 ① 수평 퇴적의 법칙: 퇴적물이 쌓일 때는 중력의 영향으로 수평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쌓여 지
자연 현상을 이해하면 과거 지구
층이 생성된다.  현재 지층이 기울어져 있거나 휘어져 있으면 퇴적물이 쌓인 후 지각 변동
에서 일어났던 일을 알 수 있다는
것으로, 지사학의 기본 원리이다. 을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현재는 과거를 아는 열쇠’라는
것이다.

1. 바다나 호수 밑에 퇴적물
이 쌓일 때는 ( )의 영 수평층 경사층
향을 받아 ( )으로 쌓
② 지층 누중의 법칙: 퇴적물이 쌓일 때 새로운 퇴적물은 이전에 쌓인 퇴적물 위에 쌓이므로, 지
인다.
층의 역전이 없었다면 아래에 있는 지층은 위에 있는 지층보다 먼저 퇴적되었다.
2. 지층의 역전 여부는 ( ) •지층이 생성된 후 지각 변동을 받으면 역전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나 표준 화석을 이용하여
•지층의 역전 여부는 사층리, 점이 층리, 연흔, 건열 등의 퇴적 구조와 지층 속에 보존되어
판단할 수 있다.
있는 화석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3. 지 층의 역전이 없었다면
아래에 있는 지층은 위에
있는 지층보다 ( ) 생 해수면 해수면 해수면
성되었다.
C
B
4. 동물군 천이의 법칙에 의 A AB A

하면 오래된 지층에서 새
로운 지층으로 갈수록 더 지층 누중의 법칙(지층 생성 순서: A → B → C)
욱 ( )된 생물의 화석
이 산출된다.
③ 동물군 천이의 법칙: 오래된 지층에서 새로운 지층으로 갈수록 더욱 진화된 생물의 화석이
산출된다.
•지층에서 산출되는 화석군의 변화를 이용하여 지층의 선후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지층들 사이의 선후 관계를 알 수 있다.
새로운 지층
산출될 수 있는 화석

산출될 수 있는 화석

정답
1. 중력, 수평
2. 퇴적 구조
3. 먼저 오래된 지층
4. 진화
동물군 천이의 법칙

54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54~0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4강_13교.indd 54 2021-01-06 오후 1:30:59


④ 부정합의 법칙: 부정합면을 경계로 상부 지층과 하부 지층의 퇴적 시기 사이에는 큰 시간적
간격이 존재한다. 개념 체크
•부정합은 퇴적이 중단되거나 먼저 퇴적된 지층이 없어진 상태에서 다시 퇴적이 일어날 때 관입
마그마가 주변의 암석을 관입할
만들어진다.
때는 주변의 암석 조각이 포획암
•부정합면을 경계로 상하 지층을 이루는 암석의 조성이나 지질 구조, 발견되는 화석의 종류 등 으로 들어갈 수 있으며, 주변의 암
석이 열을 받아 변성 작용이 일어
이 다른 경우가 많고, 부정합면 위에는 기존의 암석 파편 중 큰 것이 퇴적되어 기저 역암으로
날 수 있다.
나타나기도 한다.
⑤ 관입의 법칙: 마그마가 주변의 암석을 뚫고 들어가 화성암이 생성되었을 때, 관입 당한 암석
1. 부 정합면 위에는 기존의
은 관입한 화성암보다 먼저 생성되었다. 암석 파편 중 큰 것이 퇴적
•마그마가 주변의 암석을 관입한 경우 주변의 암석은 화성암보다 먼저 생성되었으며, 주변 되어 ( )으로 나타나
의 암석이 변성 작용을 받을 수 있다. 기도 한다.

•마그마가 지표로 분출한 경우 화성암 위의 지층은 화성암보다 나중에 생성되었으며, 화성


2. 관 입한화성암은 주변의
암 위의 지층에는 변성 작용을 받은 부분이 나타나지 않는다. 암석보다 ( ) 생성되
화성암의 침식물
었다.

C C 3. 여러 지역에 분포하는 지


B B 층들을 서로 비교하여 시
A A 간적인 선후 관계를 밝히
변성 작용을 화성암 변성 작용을 는 것을 ( )라고 한다.
화성암 받은 부분 받은 부분

관입(생성 순서: A → C → B) 분출(생성 순서: A → B → C)


4. 암상에 의한 대비를 할 때
(2) ‌지층 대비: 여러 지역에 분포하는 지층들을 서로 비교하여 퇴적 시기의 선후 관계를 밝히는 기준이 되는 지층을 ( )
이라고 한다.
것을 지층 대비라고 한다.
① 암상에 의한 대비: 비교적 가까운 지역의 지층을 구성하는 암석의 종류, 조직, 지질 구조 등 5. ( )에 의한 대비는 가
의 특징을 대비하여 지층의 선후 관계를 판단한다.  지층을 대비할 때 기준이 되는 지층을 까운 거리뿐만 아니라 멀
리 떨어져 있는 지층의 대
건층 또는 열쇠층이라고 한다. 건층으로는 비교적 짧은 시기 동안 퇴적되었으면서도 넓은 지 비에도 이용된다.
역에 걸쳐 분포하는 응회암층이나 석탄층이 주로 이용된다.
② 화석에 의한 대비: 같은 종류의 표준 화석이 산출되는 지층은 같은 시기에 생성된 지층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같은 종류의 표준 화석이 산출되는 지층을 연결하여 지층의 선후 관계를 판단
한다.  진화 계통이 잘 알려진 생물의 화석을 이용하여 대비하며, 가까운 거리뿐만 아니라
멀리 떨어져 있는 지층의 대비에도 이용된다.
Ⅱ 지역 Ⅲ 지역 Ⅱ 지역 Ⅲ 지역
Ⅰ 지역
역암 사암 F L
이암
Ⅰ 지역
석회암 역암 G
A M
사암 응회암
셰일 석회암
B H
응회암 N
역암
이암 셰일
C I O 정답
석회암
사암 1. 기저 역암
응회암 J
D P 2. 나중에
셰일 석회암
3. 지층 대비
E K Q
이암 셰일 4. 건층 또는 열쇠층
5. 화석
암상에 의한 대비 화석에 의한 대비

04강 지구의 역사 55

054~0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4강_13교.indd 55 2021-01-06 오후 1:31:00


04
지구과학Ⅰ 지구의 역사

 상대 연령과 절대 연령
개념 체크 (1) ‌상대 연령: 과거에 일어난 지질학적 사건의 발생 순서나 지층과 암석의 생성 시기를 상대적
방사성 동위 원소 으로 나타낸 것을 상대 연령이라고 한다.  지사학의 여러 법칙을 적용하여 지질학적 사건
원자핵 내의 양성자 수는 같지만
의 발생 순서를 판단한다.
중성자 수가 달라 질량수가 다른
원소가 있는데, 이러한 관계가 있
는 원소를 동위 원소라고 하며, 동
탐구자료 살펴보기 지층의 상대 연령 결정하기
위 원소 중 자연적으로 붕괴하여
방사선을 방출하면서 다른 원소로 [탐구 자료]
변해가는 것을 방사성 동위 원소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질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 지역에
라고 한다.
서는 지층의 역전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화성암 I는 습곡이 G
형성된 이후에 관입하였다.
방사성 동위 원소의 반감기 F
각각의 방사성 동위 원소는 각각
[탐구 결과] B
E
의 반감기를 가진다. 1. 지층 A, B, C, D, E, F가 순서대로 퇴적된 후 습곡이 A
D
형성되었다. 화성암 H와 I 주변에서 변성 작용을 받은 C
B
부분이 나타나고 I에서 포획암이 발견되므로, H와 I는 H I

1. 지질학적 사건의 발생 순 기존의 암석을 관입하였다.


서나 지층과 암석의 생성 2. 지층 A~F, 화성암 H와 I는 단층에 의해 어긋나 있으 변성 부분

시기를 상대적으로 나타낸 므로 단층 작용은 지층 A~F, 화성암 H와 I가 생성된 후에 일어났고, 지층 G의 하부에 부정합면이 나타나는
것을 ( )이라고 한다. 것으로 보아 지층 A~F, 화성암 H와 I가 생성된 후 지각 변동에 의해 융기 → 풍화·침식 → 침강이 일어났다.
3. 지사학의 법칙을 적용하면 이 지역에서는 A → B → C → D → E → F → 습곡 → I → H → 정단층 → 부정

2. 절 대 연령을 측정할 때 합 → G 순으로 지질학적 사건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는 방사성 동위 원소의 [분석 point]
( )를 이용한다. •지층과 암석의 생성 순서: 지층 A~G는 지층 누중의 법칙과 부정합의 법칙, 화성암 H와 I는 관입의 법칙을 적
용하여 생성 순서를 결정한다.
3. 붕괴하는 방사성 동위 원 •지질 구조의 종류
소를 ( ), 방사성 동위
수평 퇴적의 법칙에 의해 퇴적물은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쌓이는데, 현재 A~F 지층이 휘어져
원소가 붕괴하여 생성되는 습곡
있다.
원소를 ( )라고 한다.
단층 단층면을 경계로 상반이 하반에 대해 아래로 이동하였으므로 장력에 의해 형성된 정단층이다.
부정합 부정합면을 경계로 상부 지층과 하부 지층의 경사가 서로 다르므로 경사 부정합이다.

(2) ‌절대 연령: 암석의 생성 또는 지질학적 사건의 발생 시기를 절대적인 수치로 나타낸 것을
절대 연령이라고 한다.  암석 속에 포함되어 있는 방사성 동위 원소의 반감기를 이용하여
알아낸다.
① 반감기: 방사성 동위 원소가 붕괴하여 처음 함량의 반으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
•모원소와 자원소: 방사성 동위 원소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사선을 방출하면서 붕괴하여
다른 원소로 변하는데, 붕괴하는 방사성 동위 원소를 모원소, 방사성 동위 원소가 붕괴하
여 생성되는 원소를 자원소라고 한다.
광물 결정 광물 결정

첫 번째
반감기 후

정답
1. 상대 연령
2. 반감기 모원소 자원소
3. 모원소, 자원소
모원소와 자원소

56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54~0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4강_13교.indd 56 2021-01-06 오후 1:31:01


② 반감기와 절대 연령의 관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원소의 함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자원
개념 체크
소의 함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 암석이나 광물에 포함된 모원소와 자원소의 비율, 반
절대 연령 측정 시 유의 사항
감기를 알면 그 암석이나 광물이 생성된 시기를 알 수 있다. 절대 연령을 측정하려는 시료가
t=n_T (t: 절대 연령, n: 반감기 경과 횟수, T: 반감기) 생성될 때 모원소를 많이 가질수
록, 자원소를 적게 포함할수록 절
광물 생성 대 연령 측정에 유리하다.
모원소 100`%
100
자원소 `0`% 자원소
모원소 75`% 퇴적암의 절대 연령
원소의 함량

75 자원소 25`% 퇴적암은 여러 시기의 퇴적물이


반감기 1회 경과 섞여 있으므로 절대 연령을 정확
모원소 50`% 반감기 2회 경과 히 측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화성
50
자원소 50`% 모원소 25`%
(%) 자원소 75`%
암의 절대 연령을 측정한 후 이들
반감기 3회 경과
모원소 12.5`% 과의 생성 순서를 비교하여 간접
25
자원소 87.5`% 적으로 알아낸다.
12.5
모원소
0 1 2 3
반감기 횟수(회)
방사성 동위 원소의 붕괴 곡선 1.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원
소의 함량은 지속적으로
•화성암에서 측정한 절대 연령은 암석이 생성된 시기를 나타내고, 퇴적암은 생성 시기가 다 ( )하고, 자원소의 함
른 여러 광물 입자가 섞여 있으므로 퇴적암에서 측정한 절대 연령은 퇴적암의 퇴적 시기 량은 지속적으로 ( )
한다.
상한선을 지시한다.
•오래 전에 생성된 암석의 절대 연령은 반감기가 긴 방사성 동위 원소를 이용하여 측정하 2. 반감기가 2번 지나면 방사
고, 비교적 최근에 생성된 암석의 절대 연령은 반감기가 짧은 방사성 동위 원소를 이용하 성 동위 원소의 함량은 처
음 함량의 ( )이 된다.
여 측정한다.
모원소 자원소 반감기 포함된 광물 및 물질 3. 퇴 적암에서 측정한 절대
238
U
206
Pb 약 45억 년 지르콘, 우라니나이트, 피치블렌드 연령은 퇴적암의 퇴적 시
235 207 기( )을 지시한다.
U Pb 약 7억 년 지르콘, 우라니나이트, 피치블렌드
232 208
Th Pb 약 141억 년 지르콘, 우라니나이트
87 87
4. 오 래 전에 생성된 암석
Rb Sr 약 492억 년 흑운모, 백운모, 정장석, 각섬석
의 절대 연령은 반감기가
40 40
K Ar 약 13억 년 휘석, 흑운모, 백운모, 정장석 ( ) 방사성 동위 원소
14 14
C N 약 5730년 뼈, 나무 등 탄소를 포함한 유기물 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과학 돋보기 방사성 탄소(14C)를 이용한 연대 측정

•대기 중의 탄소는 대부분 12C로 존재하지만 극 중성자


보통 질소
히 일부는 14C로 존재하는데, 14C는 붕괴하여 Ú`Ý`N
14 14
보통 질소 Ú`Ý`N
N로 변한다. 그런데 N가 지구 밖에서 오는
양성자 b 입자
중성자와 반응하여 14C로 되는 과정이 반복되 Ú`Ý`C 방사성 탄소
므로 대기 중에 존재하는 12C와 14C의 비율은 식물의 광합성에 의해서 방사성 탄소 Ú`Ý`C
일정하게 유지된다. Ú`Ý`C가 식물의 체내에 흡수된다. 붕괴
•12C와 같이 14C도 산소와 결합하여 COª가 되 현재 5730년 후 11460년 후 17190년 후
고 이를 식물이 흡수하므로 살아 있는 생물체
내의 12C와 14C의 비율은 대기의 비율과 같다. 정답
그러나 생물이 죽으면 물질 대사가 정지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생물체 내의 14C는 붕괴하여 14N로 변한다. 따라서 1. 감소, 증가
생물체 내의 12C와 14C의 비율을 측정하면 그 생물이 죽은 후 경과한 시간을 알 수 있다. 2. ;4!;
•방사성 탄소(14C)는 반감기가 약 5730년으로 짧기 때문에 비교적 최근에 생성된 지층 속에 들어 있는 화석과 고고학
3. 상한선
적 유물의 연대 측정에 많이 이용된다.
4. 긴

04강 지구의 역사 57

054~0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4강_13교.indd 57 2021-01-06 오후 1:31:02


04
지구과학Ⅰ 지구의 역사

 지질 시대의 환경과 생물
개념 체크 (1) ‌화석의 생성과 보존: 일반적으로 생물체에 뼈나 줄기와 같은 단단한 부분이 있으면 유리하
산소 안정 동위 원소를 이용한 고, 생물체가 분해되기 전에 빨리 묻혀야 하며, 퇴적암이 생성된 후 심한 지각 변동이나 변
고기후 연구 방법
성 작용을 받지 않아야 한다.
빙하를 구성하는 물 분자의 산소
18
안정 동위 원소 비율( O/ O)을 16 (2) 표준 화석과 시상 화석
측정하여 과거의 기후를 알아내는
표준 화석 시상 화석
방법이다. 기온이 높을수록 빙하
를 구성하는 물 분자의 산소 안정 •지질 시대 중 일정 기간에만 번성했다가 멸종한 생
•특정 자연환경에서만 서식하는 생물의 화석으로, 생
동위 원소 비율(18O/16O)이 커진다. 물의 화석으로, 지질 시대 결정과 지층 대비에 이용
물이 살았던 시기의 자연환경을 추정하는 데 이용
된다.
된다.
지질 시계 •조건: 생존 기간이 짧고, 분포 면적이 넓으며, 개체
지구의 역사 약 46억 년을 1일(24
•조건: 생존 기간이 길고, 분포 면적이 좁으며, 환경
수가 많아야 한다.
시간)로 환산하면 1시간은 약 1억 변화에 민감해야 한다.
• 삼엽충: 고생대, 암모나이트: 중생대, 매머드:
9200만 년에 해당하므로 고생대 • 고사리: 따뜻하고 습한 육지
신생대
는 21시 11분경, 중생대는 22시
41분경, 신생대는 23시 39분경에
(3) 지질 시대의 구분: 지구가 탄생한 약 46억 년 전부터 현재까지를 지질 시대라고 한다.
시작되었다.
① 지질 시대의 구분 기준: 생물계에서 일어난 급격한 변화나 지각 변동, 기후 변화 등을 기준으
로 구분한다.
1. 지질 시대 결정과 지층 대
② 지질 시대의 구분 단위: 누대(累代), 대(代), 기(紀) 등으로 구분한다.  시생 누대와 원생 누
비에 유용한 화석을 ( )
이라고 한다. 대는 화석이 거의 발견되지 않으며, 현생 누대는 화석이 비교적 풍부하여 많이 산출된다. 현
생 누대는 생물의 출현과 진화 등 생물계에 큰 변화가 나타난 시기를 기준으로 구분한다.
2. 시상 화석은 생물이 살았 지질 시대 절대 연대 지질 시대 절대 연대
던 시기의 ( )을 추정 누대 대 (백만 년 전) 대 기 (백만 년 전)
하는 데 이용된다. 신생대 제4기
현생 66.0 2.58
중생대 신생대 네오기
누대 252.2 23.03
고생대
3. 지질 시대는 ( )에서 541.0 팔레오기
66.0
신원생대 백악기
일어난 급격한 변화나 지 1000 145.0
원생 중생대 쥐라기
각 변동, 기후 변화 등을 중원생대 201.3
누대 트라이아스기
1600 252.2
기준으로 구분한다. 페름기
고원생대
298.9
2500 석탄기
신시생대 358.9
4. 누대는 지질 시대를 구분 2800 데본기
시생 중시생대 고생대 419.2
하는 가장 큰 시간 단위로 3200 실루리아기
누대 고시생대 443.8
( ), 원생 누대, 현생 오르도비스기
3600 485.4
초시생대 캄브리아기
누대로 구분한다. 4000 541.0

지질 시대의 구분
5. 빙하를 구성하는 물 분자
의 산소 안정 동위 원소 비 (4) 지질 시대의 기후
율로부터 ( ) 변화를 ① 고기후 연구 방법
추정할 수 있다.
•화석 연구: 시상 화석의 종류와 분포로부터 과거의 기후를 추정할 수 있다.
•지층의 퇴적물 연구: 퇴적물 속에 보존되어 있는 꽃가루 화석을 분석하면 과거 식물의 분
포와 기후를 추정할 수 있다.
정답
•나무의 나이테 연구: 나이테 사이의 폭과 밀도를 측정하여 과거의 기온과 강수량 변화를
1. 표준 화석 추정할 수 있다.
2. 자연환경
3. 생물계
•빙하 코어 연구: 빙하 속에 들어 있는 공기 방울을 분석하여 과거 대기 조성을 알 수 있고,
4. 시생 누대 빙하를 구성하는 물 분자의 산소 안정 동위 원소 비율(Ú`¡`O/Ú`ß`O)로부터 기온 변화를 추정할
5. 기온
수 있다.

58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54~0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4강_13교.indd 58 2021-01-06 오후 1:31:02


② 지질 시대의 기후: 선캄브리아 시대와 고생대 및 신생대에는 빙하기가 있었으며, 중생대에는
개념 체크
빙하기 없이 대체로 온난하였다.
선캄브리아 시대
(백만 년 전) 541.0 252.2 66.0 고생대 최초의 시기가 캄브리아기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 이므로 이보다 앞선 시기를 일반

오르도비스기

트라이아스기
캄브리아기

실루리아기

팔레오기

현재
적으로 선캄브리아 시대라고 한다.

제4기
데본기

석탄기

페름기

쥐라기

백악기

네오기
선캄브리아
시대 선캄브리아 시대는 전체 지질 시
대의 약 88`%를 차지한다.
지구 평균 기온

22 스트로마톨라이트
17 남세균(시아노박테리아)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층상 바위’라는 의
12
(ùC) 한랭 온난 한랭 온난 한랭 온난 한랭 온난 한랭 미를 가지고 있으며, 따뜻하고 수
심이 얕아 햇빛이 잘 드는 적도 부
지질 시대의 기후
근의 바다에서 잘 만들어진다. 우
(5) 지질 시대의 환경과 생물 리나라에서는 소청도와 태백시 구
문소 등에서 산출된다.
① 선캄브리아 시대의 환경과 생물: 오랫동안 여러 차례의 지각 변동을 받으면서 대부분의 기록
이 사라졌기 때문에 환경을 알기 어렵다.
•시생 누대: 대기 중에 산소가 거의 없었고, 육지에는 강한 자외선 1.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 중
( )에는 빙하기가 없
이 도달하였으므로 바다에서 최초의 생명체가 출현하였다. 원핵
었다.
생물인 남세균이 출현하여 얕은 바다에 스트로마톨라이트를 형성
하였다. 2. 에디아카라 동물군 화석은
( ) 누대 말기에 나타
•원생 누대: 남세균의 광합성으로 대기 중에 산소의 양이 점차 증
났던 다세포 동물들의 화
가하였고, 말기에는 최초의 다세포 동물이 출현하였으며, 그 일 스트로마톨라이트 석이다.
부가 에디아카라 동물군 화석으로 남아 있다.
3. 캄브리아기에는 온난한 바
② 고생대의 환경과 생물
다에서 ( ), 완족류 등
•캄브리아기, 실루리아기, 데본기에는 대체로 온난했으며, 오르도비스기, 석탄기, 페름기에는 의 해양 무척추동물이 번
빙하기가 있었다. 성하였다.
환경
•말기에 여러 대륙들이 하나로 모여 초대륙 판게아를 형성하면서 대규모 조산 운동이 일어
났다. 4. 석탄기에는 양서류가 전성
기를 이루었으며, ( )
•캄브리아기(삼엽충의 시대): 다양한 생물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온난한 바다에서 삼엽
이 거대한 삼림을 형성하
충, 완족류 등의 해양 무척추동물이 번성하였다.
였다.
•오르도비스기(필석의 시대): 삼엽충, 필석류, 완족류가 크게 번성하였고, 최초의 척추동물인
어류가 출현하였다.
•실루리아기: 필석류, 산호, 갑주어, 바다전갈 등이 번성하였고, 해안의 낮은 습지에서 최초의 5. 고생대 말기에 여러 대륙
들이 하나로 모여 초대륙
육상 식물이 출현하였다.
( )를 형성하였다.
•데본기(어류의 시대): 갑주어를 비롯한 어류가 번성하여 전성기를 이루었고, 최초의 양서류
가 출현하였다.
•석탄기: 방추충(푸줄리나), 산호, 유공충이 번성하였고, 최초의 파충류가 출현하였다. 양서류
생물
가 전성기를 이루었으며, 양치식물이 거대한 삼림을 형성하였다.
•페름기: 은행나무, 소철 등의 겉씨식물이 출현하였고, 말에는 삼엽충과 방추충을 비롯하여
많은 해양 생물이 멸종하였다.
정답
1. 중생대
2. 원생
3. 삼엽충
4. 양치식물
삼엽충 필석 방추충 5. 판게아

04강 지구의 역사 59

054~0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4강_13교.indd 59 2021-01-06 오후 1:31:03


04
지구과학Ⅰ 지구의 역사

③ 중생대의 환경과 생물
개념 체크 •전반적으로 온난한 기후가 지속되었으며, 빙하기가 없었다.
환경 •트라이아스기에 초대륙 판게아가 분리되면서 대서양과 인도양이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해양판
중생대의 지각 변동과 기후
이 섭입하면서 로키산맥, 안데스산맥과 같은 습곡 산맥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중생대에는 판게아가 분리되면서
화산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트라이아스기: 바다에서는 암모나이트가 번성하였으며, 육지에서는 공룡과 원시 포유류가 출현
그 결과 대기 중 이산화 탄소의 농 하였다. 은행류, 소철류 등의 겉씨식물이 번성하였다.
도가 증가하였고, 이로 인한 온실 •쥐라기: 공룡을 비롯한 파충류와 암모나이트, 겉씨식물이 크게 번성하였고, 파충류와 조류의 특
효과에 의해 전반적으로 온난한 기 징을 모두 가진 시조새가 출현하였다.
후가 지속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백악기: 말기에 공룡과 암모나이트가 멸종하였으며, 속씨식물이 겉씨식물을 대체하기 시작하
생물 였다.

1. 중 생대 트라이아스기에
는 판게아가 분리되면서
( )과 인도양이 형성
되기 시작하였다.
암모나이트 공룡 시조새

2. ( )대에 바다에서는
④ 신생대의 환경과 생물
암모나이트가 번성하였다.
•팔레오기와 네오기는 대체로 온난하였으나 제4기에 접어들면서 점차 한랭해져 여러 번의 빙하
3. 공룡은 중생대 ( ) 말
환경
기와 간빙기가 있었다.
에 멸종하였다. •인도 대륙과 아프리카 대륙이 유라시아 대륙과 충돌하여 히말라야산맥과 알프스산맥이 형성되
었고, 태평양이 좁아지면서 오늘날과 비슷한 수륙 분포를 이루었다.
4. 신생대제4기의 육지에서 •팔레오기, 네오기: 대형 유공충인 화폐석이 번성하였고, 겉씨식물이 쇠퇴하였으며, 속씨식물이
는( ) 등의 대형 포유 번성하였고 넓은 초원이 형성되었다.
류가 번성하였다. •제4기: 매머드 등의 대형 포유류가 번성하였고, 인류의 조상이 출현하였으며, 단풍나무, 참나무
등의 속씨식물이 번성하였다.
5. 신생대에는 겉씨식물이 쇠 생물
퇴하고, ( )식물이 번
성하였다.

화폐석 매머드 단풍나무

과학 돋보기 생물의 주요 멸종 시기
30
200
생물 과의 멸종 비율

25
고생대와 중생대의 경계

20
150
과의 수

완족류 15
삼엽충
100 10
(개)
50 (%) 5
0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
0 500 400 300 200 100 0 541 485 419 359 299 252 201 145 66 0
시간(백만 년 전) 444 시간(백만 년 전)

정답 (가) (나)
1. 대서양
•(가)는 현생 누대 동안 삼엽충과 완족류의 과(科)의 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고생대 페름기 말에 삼엽충이 멸종하였
2. 중생
고, 완족류 과의 수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3. 백악기
•(나)는 현생 누대 동안 생물 과(科)의 멸종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고생대 오르도비스기 말, 데본기 후기, 페름기 말,
4. 매머드
5. 속씨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말, 백악기 말에 생물의 대량 멸종이 있었다.

60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54~0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4강_13교.indd 60 2021-01-06 오후 1:31:03


2점 수능 테스트 [21026-0075]
정답과 해설 17쪽

03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층에


[21026-0073] 서 산출되는 해양 동물 화석을 나타
01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질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낸 것이다.
지표면 이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
B C 동물 화석
A 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 A
은? (단, 지층의 역전이 없었으며, B
C
지층
지층의 퇴적 속도는 일정했고, 모든 D
E
지층은 정합 관계라고 가정한다.) F

관입암 A, B, C의 관입 순서를 옳게 나열한 것은?

① A → B → C ②A→C→B
③ B → A → C ④C→A→B
ㄱ. 가장 나중에 출현한 해양 동물은 A이다.
⑤C→B→A
ㄴ. ‌생존 기간만을 고려했을 때 표준 화석으로 가장 적합
한 것은 B이다.
ㄷ. E와 F는 같은 시기에 생존한 적이 있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074]

02
[21026-0076]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형이 변화되는 과정의 일부를 나타낸 04 그림 (가)는 어느 지역의 지층 A~G에서 산출되는 화석의
것이다. 산출 범위를, (나)는 다른 지역의 지질 단면도이다. (나)의 지층 ㉠
해수면 하천 과 지층 ㉡은 각각 (가)의 지층 D와 지층 F에 대비된다.
지층 화석 산출 범위
새로운 지층 A
B
(가) (나)
해수면 C 지표면

지층 D

E ㉠
편마암
(다) F

G
(가), (나), (다)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오래된 지층
(가) (나)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 → (나) 과정에서 융기가 일어났다.
ㄴ. ‌(가) → (나) 과정에서 침식 작용이 퇴적 작용보다 우 ㄱ. 지층 ㉠에서 화석이 산출될 수 있다.
세하게 일어났다. ㄴ. 퇴적 시기는 지층 ㉠이 지층 B보다 빠르다.
ㄷ. (가) → (다) 과정에서 부정합면이 형성되었다. ㄷ. (나)에서 지층 ㉠과 지층 ㉡은 부정합 관계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4강 지구의 역사 61

054~0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4강_13교.indd 61 2021-01-06 오후 1:31:04


2점 수능 테스트
[21026-0079]

[21026-0077] 07 그림 (가)와 (나)는 서로 다른 지역의 지질 단면을 나타낸 것


05 그림은 원유가 매장되어 있는 어느 지역의 동서 방향의 지 이다. (가)와 (나) 모두 화강암에 포함된 방사성 동위 원소 X의 함
질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량은 처음의 25`%이며, 방사성 동위 원소 X의 반감기는 1억 년
이다.

지표면 지표면
U U'
원유
셰일
사암
화강암
사질 셰일
변성 부분 사암
서 동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화강암 생성 당시에 방사성 동위 원소 X의 함량은 100`%라
ㄱ. 지질 구조 U-U'은 경사 부정합면이다.
ㄴ. 이 지역은 적어도 2회의 융기가 있었다. 고 가정한다.)

ㄷ. 가장 오래된 지층은 원유를 함유한 지층이다.


ㄱ. (가)에서 화강암은 사암보다 먼저 생성되었다.

①ㄱ ②ㄴ ③ㄷ ㄴ. (나)에서 사암의 퇴적 시기는 2억 년 전보다 오래되었다.


ㄷ. (가)와 (나) 모두 화강암의 절대 연령은 2억 년이다.
④ ㄱ, ㄴ ⑤ ㄴ, ㄷ

①ㄱ ②ㄴ ③ㄷ
[21026-0078]

06 그림 (가)와 (나)는 화성암을 구성하고 있는 어느 광물이 정


④ ㄱ, ㄴ ⑤ ㄴ, ㄷ
[21026-0080]
출되고 2억 년 후와 4억 년 후 광물 속의 방사성 동위 원소 X와
08 그림은 고도가 일정한 어느 지역의 지질 단면을 나타낸 것
그 자원소의 구성 비율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이다.

지표면
P Q

방사성 동위 원소 X
자원소
지층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P-Q 구간에서 지표면에 노출된 지층의 연령으로 가장 적절한 것
(단, 화성암 생성 당시에 방사성 동위 원소 X의 함량이 100`%이
은?
고, 자원소는 안정하다고 가정한다.)
① ②
연령

연령

ㄱ. (가)는 광물이 정출되고 4억 년 후이다.


P Q P Q
ㄴ. 방사성 동위 원소 X의 반감기는 1억 년이다.
ㄷ. 광물이 정출되고 6억 년 후에 방사성 동위 원소 X의 ③ ④
연령

연령

함량은 처음의 ;7!;이다.


P Q P Q


연령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ㄴ, ㄷ P Q

62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54~0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4강_13교.indd 62 2021-01-06 오후 1:31:06


정답과 해설 17쪽

[21026-0081] [21026-0083]

09 그림 (가)와 (나)는 서로 다른 지역의 지질 단면과 산출되는 11 다음은 과거의 기후 변화를 연구하는 여러 방법을 나타낸
화석을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A 화폐석 화폐석 •나무의 나이테 연구: ㉠ 나이테 사이의 폭을 조사한다.


부정합면 부정합면 •빙하 코어 연구: ㉡ 빙하 속에 들어 있는 공기 방울을
B 필석류 C 암모나이트 셰일 분석한다.
석회암
•㉢ 화석 연구: 화석 생물의 서식 환경을 조사한다.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에서 A 지층이 퇴적되기 전에 B 지층이 침식되 ㄱ. ‌㉠을 이용해 나무의 성장 속도와 관련된 고기후 요소
었다. 를 추정할 수 있다.
ㄴ. ‌(가)의 A 지층과 (나)의 C 지층은 같은 지질 시대에 ㄴ. ㉡은 빙하가 생성될 당시의 대기를 포함한다.
퇴적되었다. ㄷ. ㉢의 대부분은 퇴적암에서 산출된다.
ㄷ. ‌부정합면을 경계로 상하 지층 사이의 퇴적 중단 기간
은 (가)가 (나)보다 길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ㄷ ⑤ ㄴ, ㄷ

[21026-0084]

12 그림은 현생 누대 중 어느 지질 시대의 지구 평균 기온 변화
[21026-0082]

10 그림은 시생 누대, 원생 누대, 현생 누대를 상대적 길이에 따


라 나타낸 것이다. 를 나타낸 것이다.
평균 기온

25

A B C
17
(ùC)
10
0 25 50 75 100 252 66
비율(%) 시간(백만 년 전)

A, B, C 시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이 지질 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고른 것은?

ㄱ. 시생 누대는 A이다. ㄱ. 중생대이다.


ㄴ. 남세균이 출현한 시기는 B이다. ㄴ. 중기에 빙하기가 있었다.
ㄷ. 고생대는 C에 포함된다. ㄷ. 육상에는 겉씨식물이 번성했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4강 지구의 역사 63

054~0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4강_13교.indd 63 2021-01-06 오후 1:31:06


2점 수능 테스트 정답과 해설 17쪽

[21026-0087]

[21026-0085] 15 다음은 어느 생물에 대한 설명이다.


13 그림은 속씨식물과 겉씨식물의 생존 시기를 나타낸 것이다.
A와 B는 각각 속씨식물과 겉씨식물 중 하나이다. •유공충 무리에 속하며, 푸줄
리나라고도 한다.
트라이 팔레
데본기 석탄기 페름기 쥐라기 백악기 네오기 제4기
아스기 오기 •크기는 0.5`mm~3`cm 정
A
도이며, 일반적인 유공충보
B
다 크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강원도에서도 화석이 산출 화석 사진
된다.
ㄱ. A는 겉씨식물이다.
ㄴ. 양서류는 겉씨식물보다 나중에 출현하였다. 이 생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ㄷ. 속씨식물이 출현한 시기에 지구는 빙하기였다. 것은?

①ㄱ ②ㄴ ③ㄷ ㄱ. 화석은 고생대 표준 화석이다.


④ ㄱ, ㄴ ⑤ ㄴ, ㄷ ㄴ. 화석이 산출되는 지층은 해성층이다.
ㄷ. 광합성을 통해 대기 중에 산소를 공급하였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21026-0086]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4 다음은 어느 동물군을 복원한 모습과 이에 대한 설명이다. [21026-0088]

16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질 단면과 산출되는 화석을 나타낸


것이다.

응회암
(절대 연령: 4.95억 년)
응회암
(절대 연령: 5.10억 년)

응회암
화석 A
이 동물군은 해파리와 환형동물과 관련 있을 것으로 추 (절대 연령: 5.20억 년)
화석 B
정되며, 이 동물군 화석의 대부분은 생흔 화석이다. 생흔
화강암 사암
화석은 고생물의 활동이 지층 속에 보존된 화석으로 공룡 (절대 연령: 7.10억 년) 석회암

의 발자국, 생물이 기어간 흔적 등이 있다. 셰일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이 동물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것은?
른 것은?
ㄱ. 난정합이 나타난다.
ㄱ. 생존 시기는 시생 누대 말기이다. ㄴ. ‌이 지역의 지층들이 퇴적되는 동안 주변에서 최소한
ㄴ. 초기의 다세포 동물군에 해당한다. 3번의 화산 분출이 있었다.
ㄷ. 단단한 골격이나 껍데기가 발달한다. ㄷ. A와 B 모두 고생대에 생존하였다.

①ㄱ ②ㄴ ③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ㄱ, ㄴ ⑤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64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54~0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4강_13교.indd 64 2021-01-06 오후 1:31:07


3점 수능 테스트 정답과 해설 20쪽

[21026-0089]

01 그림은 (가)~(라) 대륙에서의 지층과 산출되는 화석 A~E를 나타낸 것이고, 표는 표준 화석에 대 표준 화석의 조건은 생존 기간
이 짧고 분포 면적이 넓어야
한 설명이다.
한다.
지질 시대 중 일정
새로운 지층
A,`B C A,`C A 한 기간에만 번성
정의
A,`C A,`B C 했다가 멸종한 생
A
A,`C,`B 물의 화석이다.
C,`D A
B,`C
생존 기간이 짧고
A,`C D C,`E A,`C
오래된 지층 조건 분포 면적이 넓어
(가) (나) (다) (라) 야 한다.

표준 화석의 조건으로 보아 화석 A~E 중 표준 화석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모든 지층은 정


합 관계이다.)

①A ②B ③C ④D ⑤E

[21026-0090]

02 그림은 어느 지역에서 깊이에 따른 지층의 퇴적 시기를 나타낸 것이다. 부정합면을 경계로 상부 지층


과 하부 지층의 퇴적 시기 사
0
이에는 큰 시간적 간격이 있다.
1 A

2
깊이

B
3
(km)
4

5 C
6
100 90 80 70 60 50 40 30 20
퇴적 시기(백만 년 전)

이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층과 B층은 부정합 관계이다.


ㄴ. 지층의 평균 퇴적 속도는 A층이 C층보다 빨랐다.
ㄷ. A, B, C층 중에서 가장 새로운 지층은 신생대 제4기에 퇴적되었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4강 지구의 역사 65

054~0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4강_13교.indd 65 2021-01-06 오후 1:31:07


3점 수능 테스트
[21026-0091]

03 그림은 (가), (나), (다) 지역의 지층과 산출되는 화석을 나타낸 것이다.
같은 종류의 표준 화석이 산
출되는 지층은 같은 시기에
복족류
퇴적되었다.
삼엽충

바다나리

산호

양치식물

암모나이트

(가) (나) (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가)에서 가장 새로운 지층은 바다에서 퇴적되었다.


② 암모나이트는 (가), (나), (다) 모두에서 산출된다.
③ (가), (나), (다) 모두에 중생대 지층이 있다.
④ (나)에서 가장 오래된 지층은 고생대 지층이다.
⑤ (다)에는 해성층만 분포한다.

[21026-0092]
역단층은 상반이 하반에 대해
위로 이동한 단층이고, 정단
04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각 변동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층은 상반이 하반에 대해 아
지표면 지표면 지표면 지층
래로 이동한 단층이다. 습곡
은 지층이 휘어진 지질 구조
이다.

(가) (나) (다)

이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이 지역은 (가) → (나) 과정에서 횡압력을 받았다.


ㄴ. (나)에는 지층이 역전된 부분이 있다.
ㄷ. (다)에는 정단층과 습곡이 모두 존재한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ㄴ, ㄷ

66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54~0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4강_13교.indd 66 2021-01-06 오후 1:31:08


정답과 해설 20쪽

[21026-0093]

05 그림은 지층 A~D가 분포하는 어느 지역의 지질 단면도이고, 표는 관입암 P와 Q에 포함된 방사 반감기를 1회 거치면 방사성
동위 원소와 그 자원소의 함량
성 동위 원소 X와 그 자원소의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방사성 동위 원소 X의 반감기는 0.5억 년
비가 1:1이고, 반감기를 2회
이며, 관입암 P와 Q 모두 생성 당시 방사성 동위 원소 X의 함량은 100`%이고 그 자원소의 함량 거치면 방사성 동위 원소와 그
은 0`%이다. 자원소의 함량비가 1:3이다.

Q
f

D
지표면
C
B (가)
방사성 동위 원소 자원소의 함량
구분
A X의 함량(%) (%)

f`' P 50 50
P
Q 25 75

이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난정합이 있다.
② 단층 f-f'은 정단층이다.
③ 단층 f-f'은 신생대에 생성되었다.
④ (가) 부분에서 P가 Q를 관입한 모습이 나타날 것이다.
⑤ 지층 D에는 화폐석 화석이 발견될 수 있다.

[21026-0094]

06 다음은 대륙 빙하를 구성하는 물 분자의 산소 안정 동위 원소 비율( 18 16


O/ O)에 대한 설명이고, 그
18 16
대륙 빙하를 구성하는 물 분
자의 산소 안정 동위 원소 비
림은 그린란드 대륙 빙하 코어에서 측정한 물 분자의 산소 안정 동위 원소 비율( O/ O)을 나타
율(18O/16O)은 A 시기가 B
낸 것이다. 시기보다 낮았고, 지구의 평
균 기온은 A 시기가 B 시기
원자량이 18인 산소 원자(18O)로 이루어진 물 분 보다 낮았다.
자는 원자량이 16인 산소 원자(16O)로 이루어진
물 분자보다 상대적으로 증발이 잘되지 않는다. A B
높다
따라서 과거 어느 시기의 기온이 높았다면 이 시 
기에 생성된 대륙 빙하 코어에서 측정한 물 분자 `Ú `¡ O/Ú``ß O
18 16
의 산소 안정 동위 원소 비율( O/ O)은 기온이 낮다

낮은 시기보다 ( ㉠ )을 것이다. 18 16 14 12 10
시간(천 년 전)

이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낮’은 ㉠에 해당한다.
ㄴ. 대륙 빙하 부피는 A 시기가 B 시기보다 컸을 것이다.
ㄷ. A
‌ 시기에 생성된 빙하 코어에 포함된 공기 방울의 이산화 탄소 농도는 B 시기보다
낮을 것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4강 지구의 역사 67

054~0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4강_13교.indd 67 2021-01-06 오후 1:31:09


3점 수능 테스트
[21026-0095]

07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층 단면과 퇴적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연흔은 물결 모양의 퇴적 구 지표면
조이며, 연흔을 이용해서 지
층의 역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 B

퇴적 구조

A-B 구간에서 지층의 연령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모든 지층은 정합 관계이다.)

① ② ③
연령

연령

연령
A B A B A B

④ ⑤
연령

연령

A B A B

[21026-0096]
반감기는 방사성 동위 원소
가 붕괴하여 처음 양의 반으
08 그림 (가)와 (나)는 방사성 동위 원소 X와 Y의 시간에 따른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10Û 10Û
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시간
이다. 방사성 동위 원소 X의
반감기는 2억 년이고, 방사성
X의 함량

Y의 함량

10Ú 10Ú
동위 원소 Y의 반감기는 1억
년이다.
(%) 1 (%) 1

10ÑÚ 10ÑÚ
0 1 2 3 4 0 1 2 3 4
시간(억 년) 시간(억 년)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반감기는 X가 Y의 2배이다.

ㄴ. 암석이 생성되고 4억 년이 지나면 X의 함량은 처음의 ;1Á6;이다.

ㄷ. 암석이 생성된 후 시간에 따른 Y 함량의 감소량은 감소한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ㄱ, ㄷ

68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54~0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4강_13교.indd 68 2021-01-06 오후 1:31:10


정답과 해설 20쪽

[21026-0097]

09 그림은 포유류, 어류, 파충류, 조류(새무리)의 생존 시기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어류는 고생대 전기에, 파충
류는 고생대 후기에 출현하였
기 생물 A B C D 고, 포유류는 중생대 초기에,
제4기
조류(새무리)는 중생대 중기
네오기
팔레오기
에 출현하였다.
백악기
쥐라기
트라이아스기
페름기
석탄기
데본기
실루리아기
오르도비스기
캄브리아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포유류는 B이다.
ㄴ. 파충류는 고생대에 출현하였다.
ㄷ. 어류가 출현한 시기에 호수에는 필석류가 번성하였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098]

10 다음은 영희가 어느 건물 내부에 사용된 석재에서 화석을 발견하고 이에 대해 조사한 보고서의 일 석재에서 발견된 화석 모양과
화석의 특징으로 보아 이 화
부이다.
석은 화폐석이다.

[보고서]
•발견 장소: ◯◯도 ◯◯시 예식장 건물의 내부 벽면
•석 재: 흰색을 띠는 퇴적암이며, 주요 구성 성분은
CaCO£이다.
•화석: 유공충 무리에 속한다. 볼록렌즈 모양의 두꺼운
동전처럼 생겼으며, 크기는 보통 작은 동전 정도이며 큰
것은 직경이 수 cm이다.
석재와 화석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석재는 석회암이다.
ㄴ. 화석이 된 생물은 신생대에 생존하였다.
ㄷ. 화석이 된 생물 생존 당시에 판게아가 존재하였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ㄴ, ㄷ

04강 지구의 역사 69

054~0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4강_13교.indd 69 2021-01-06 오후 1:31:10


3점 수능 테스트
[21026-0099]

11 다음은 어떤 고생물에 대한 자료이다.


이 고생물은 어류보다는 나중
에, 양서류보다는 먼저 출현 •화석 산출 암석: 사행천에서 생성된 퇴적암에서 산
하였다.
출되었다.
•형태: 어류가 육상 사지동물인 양서류로 진화하는
경계선에 있는 중간형 생물이다.
•진화론적 가치: 이 고생물의 화석으로 물에서 육지
복원도
로 올라와 활동하게 된 동물의 진화를 설명할 수 있
게 되어 고생물학자의 큰 관심을 끌었다.

이 고생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해양 동물이다.
ㄴ. 고생대에 출현하였다.
ㄷ. 삼엽충보다 먼저 출현하였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ㄷ ⑤ ㄴ, ㄷ

[21026-0100]
고생대는 캄브리아기, 오르도
비스기, 실루리아기, 데본기, 석
12 그림은 고생대 A~F기에 있었던 생물계의 주요 사건이다.
탄기, 페름기 순으로 세분된다. F

E 양치식물 번성

D 어류 번성
고생대
C

A 삼엽충 출현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B기는 오르도비스기이다.
ㄴ. C기의 대기 중에는 산소의 분압보다 이산화 탄소의 분압이 높았다.
ㄷ. A~F기에 출현한 생물들은 F기 말에 모두 멸종하였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70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54~0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4강_13교.indd 70 2021-01-06 오후 1:31:11


정답과 해설 20쪽

[21026-0101]

13 다음은 철수가 우리나라의 어느 지역을 지질 탐사하고 작성한 탐구 활동 보고서의 일부이다. 방추충과 필석류 모두 고생대
표준 화석이다.

[탐구 활동 보고서]
•날짜: 2021년 ◯◯월 ◯◯일
•(가) 지점: 석회암에서 방추충 화석을 관찰하고 화석을 채취함.
•(나) 지점: 셰일에서 필석류 화석을 관찰하고 사진을 찍음.

방추충 필석류

(가) 지점의 석회암과 (나) 지점의 셰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셰일은 해성층이다.
ㄴ. 석회암에서 산호 화석이 발견될 수 있다.
ㄷ. 석회암과 셰일 모두 고생대에 퇴적되었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102]

14 다음은 어떤 방사성 동위 원소 A에 대한 설명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방사성 동위


원소의 함량은 감소하고 자원
소의 함량은 증가하며, 반감
•자원소는 B이다.
t
기를 1회 거치면 방사성 동위
•t년 후의 방사성 동위 원소의 함량 N은 N¼_{;2!;} T 이다. (단, N¼는 처음의 방사 원소의 함량은 처음 함량의
50`%가 된다.
성 동위 원소의 함량, T는 반감기이다.)

시간에 따른 방사성 동위 원소 A와 자원소 B의 함량 변화 그래프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100 ② 100 ③ 100


원소 함량

원소 함량

원소 함량

A B B

50 50 50

(%) B (%) A (%) A


0 T 3T 5T 0 T 3T 5T 0 T 3T 5T
시간 시간 시간

④ 100 ⑤ 100
원소 함량

원소 함량

A
B
50 50

(%) B (%) A
0 T 3T 5T 0 T 3T 5T
시간 시간

04강 지구의 역사 71

054~0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4강_13교.indd 71 2021-01-06 오후 1:31:11


II 대기와 해양
수능 - EBS 교재 연계 사례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3번
연계 분석

수능 3번 문제는 수능특강 109쪽 6번 문제와 연계하여 출제


되었다. 두 문제 모두 북반구 어느 해역에서 1년 동안 관측한
깊이에 따른 수온 변화를 등수온선으로 나타낸 그림 자료를
제시하고 이를 분석하는 문제이고, 수능 3번 문제의 <보기>
ㄴ과 수능특강 109쪽 6번 문제의 <보기> ㄱ 모두 깊이에 따
른 수온 변화를 등온선으로 나타낸 그림 자료에서 혼합층, 수
온 약층, 심해층을 구분할 수 있는가를 묻는 점에서 연계 정
도가 높다.

2021학년도 EBS 수능특강 109쪽 6번

학습 대책

수능 3번 문제에 제시된 그림 자료와 수능특강 109쪽 6번


문제의 그림 자료가 매우 비슷하고, 수능 3번 문제에서 수
능특강 109쪽 6번 문제의 <보기> 지문을 매우 유사하게 활
용하였다. 그러나 수능 문제가 EBS 연계 교재 문제를 변
형하여 출제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EBS 연계 교재를
공부할 때는 문제의 정답만을 찾는 것에 그치지 말고 제시
된 자료를 정확히 분석하고 자료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보기>의 지문 하나하나를 스스로 정확하게 설
명할 수 있도록 공부해야 한다.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_13교-1.indd 72 2021-01-07 오후 1:50:38


수능특강 과학탐구영역 지구과학Ⅰ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10번


연계 분석

수능 10번 문제는 수능특강 130쪽 11번 문제와 연계하여 출


제되었다. 수능 10번 문제의 그림 (가)는 전 지구와 안면도의
대기 중 COª 농도를 나타낸 것이고, 수능특강 130쪽 11번
문제의 그림은 안면도, 하와이, 지구 전체에서 측정한 대기
중 이산화 탄소의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수능 10번 문제와
수능특강 130쪽 11번 문제에 제시된 그림 자료가 유사하고
그림 자료를 분석하는 문제라는 점에서 연계 정도가 높다.

2021학년도 EBS 수능특강 130쪽 11번

학습 대책

수능 문제에서는 EBS 연계 교재 문제를 1대 1로 연계하여


출제하는 경우도 있지만, 수능 10번 문제와 같이 EBS 연
계 교재 문제의 자료와 다른 자료를 결합하여 출제하는 경
우도 있다. 따라서 수능특강 등 EBS 연계 교재를 공부할
때는 관련이 있는 학습 내용을 서로 연관 지어 학습할 필요
가 있다.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_13교-1.indd 73 2021-01-07 오후 1:50:38


II. 대기와 해양

05
지구과학Ⅰ

EBS 수능
특강
대기의 변화

개념 체크  기압과 날씨 변화
(1) 고기압과 저기압
기압
공기의 무게에 의해 생기는 대기 고기압 저기압
의 압력을 기압이라고 한다. 기압 주변보다 기압이 높은 곳 주변보다 기압이 낮은 곳
의 단위로는 hPa, mmHg, atm
등을 사용하는데, 1`atm(기압)은
약 1013`hPa, 760`mmHg에 해
당한다. 상승 기류 상승 기류
하강 기류 하강 기류

1. 주변보다 기압이 높은 곳
을( )이라고 한다. 고 발산 고 발산 저 수렴 저 수렴

2. 저기압중심에는 ( ) 하강 기류 발달, 날씨 맑음, 상승 기류 발달, 구름 형성, 날씨 흐림,


기류가 발달하여 구름이 바람이 시계 방향으로 불어 나간다.(북반구) 바람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불어 들어간다.(북반구)
형성되고 날씨가 ( ).
(2) 정체성 고기압과 이동성 고기압
3. 고 기압의
중심부가 거의
① 정체성 고기압: 고기압의 중심부가 거의 이동하지 않고 한곳에 머무르는 고기압이다.
이동하지 않고 한곳에 머
무르는 고기압을 ( )  시베리아 고기압, 북태평양 고기압
고기압이라고 한다. 10
저 40 36 32 28 28
고1008
10 10 10 10

6
1012
8
1014044

1004

101
100
1044

8 고
1004 저

0
4. 우리나라의 여름철에 영향 10고 고 100 996
10448 1 저
0
1 0 1016
996

을 미치는 정체성 고기압 1044 052 9 0


1030
6 10096
은( ) 고기압이다. 101032 100 0 저 고 20
100 4 1000 0
10 28 8 1
24 10 1012 996 101 2
6
16 1
5. 우리나라의
10

10
10

8
봄, 가을에 영
99

100

20

1016 04
8
20


100
10
향을 주는 양쯔강 고기압
은 ( ) 고기압에 해당 시베리아 고기압(겨울철) 북태평양 고기압(여름철)
한다. ② 이동성 고기압
•시베리아 기단에서 일부가 떨어져 나오거나 양쯔강 기단에 고
1004
서 발달하여 이동하는 비교적 규모가 작은 고기압을 이동 1012 저 1008

성 고기압이라고 한다.
1012 고
•우리나라가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을 때는 2~3일 정 1016
도 맑은 날씨가 이어지다가, 뒤를 이어 다가오는 저기압의 고

영향을 받아 흐리거나 비가 내리기도 한다.

(3) 온대 저기압
이동성 고기압(봄철, 가을철)
① 온대 저기압의 발생

정답
•온대 저기압은 찬 기단과 따뜻한 기단이 만나는 중위도의 정체 전선상의 파동으로부터 발
1. 고기압 생하며, 온대 저기압은 북반구에서는 찬 공기가 남하하는 남서쪽으로 한랭 전선을, 따뜻한
2. 상승, 흐리다
공기가 북상하는 남동쪽으로 온난 전선을 동반한다.
3. 정체성
4. 북태평양 •온대 저기압은 편서풍의 영향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며, 중위도 지방의 날씨 변화
5. 이동성
에 큰 영향을 미친다.

74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indd 74 2021-01-12 오후 2:07:44


과학 돋보기 온난 고기압과 한랭 고기압
개념 체크
그림은 정체성 고기압을 연직 기압 분포에 따라 분류한 것이다. 고기압권 내의 기온이 주위보다 높은 고기압을 온난 고
기압(warm high), 고기압권 내의 기온이 주위보다 낮은 고기압을 한랭 고기압(cold high)이라고 한다. 기단
넓은 지역에 걸쳐 있는 성질(기온,
높이

높이
고 400`hPa 습도 등)이 비슷한 공기 덩어리를
저 말하며, 발원지의 성질을 닮아서
400`hPa 600`hPa
온난 한랭 차고 건조한 대륙에서 발생한 기
한랭 한랭
600`hPa 온난 온난
800`hPa 단은 한랭 건조하고, 따뜻한 해양
800`hPa 온난 온난 에서 발생한 기단은 고온 다습하다.
한랭 한랭 한랭
온난
고 1000`hPa 고 1000`hPa
지표면 지표면 우리나라 주변의 기단
온난 고기압의 연직 구조 한랭 고기압의 연직 구조 시베리아 기단 오호츠크해 기단
한랭 건조 한랭 다습
온난 고기압은 ‘키 큰 고기압’, 한랭 고기압은 ‘키 작은 고기압’이라고도 불린다. 우리나라의 여름철에 영향을 미치는 북 (겨울) (초여름)

태평양 고기압은 온난 고기압, 겨울철에 영향을 미치는 시베리아 고기압은 한랭 고기압에 해당한다.

양쯔강 기단
온난 건조 북태평양 기단
② 온대 저기압의 일생 (봄, 가을) 고온 다습
(여름)

(바) 온대 저기압
소멸
40ùN 1. 온대 저기압은 ( ) 지
역의 정체 전선상의 파동
온대 저기압 으로부터 발생한다.
(가) 정체 전선 형성 이동 경로 (마) 폐색 전선
발달
30ù
2. 북반구에서는 온대 저기압
(나) 파동 형성 중심으로 바람이 ( )
(라) 폐색 전선 형성 시작
(다) 온대 저기압 발달 방향으로 불어 ( ).
20ù
3.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이
100ù 110ù 120ù 130ù 140ù 150ùE 겹쳐지면 ( ) 전선이
온대 저기압의 일생 형성된다.

찬 공기 4.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온대
찬 공기 저기압은 편서풍의 영향으
찬 공기 저
로 ( )에서 ( )으
로 이동한다.
따뜻한 공기 따뜻한 공기 따뜻한 공기

5. 한랭 전선의 이동 속도가


(가) 정체 전선 형성 (나) 파동 형성 (다) 온대 저기압 발달 온난 전선의 이동 속도보
남쪽의 따뜻한 기단과 북쪽의 찬 기단 사이 파동이 형성되면서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 온난 전선과 한랭 전선이 발달하면서 중심 다( ).
에 정체 전선이 형성된다. 이 분리된다. 부에 저기압이 형성된다.

찬 공기
찬 공기
따뜻한 공기


찬 공기
정답
기 따뜻한 공기
따뜻한 공 1. 중위도
2. 시계 반대, 들어간다
(라) 폐색 전선 형성 시작 (마) 폐색 전선 발달 (바) 온대 저기압 소멸 3. 폐색
이동 속도가 빠른 한랭 전선이 온난 전선 폐색 전선의 양쪽에 찬 공기가 위치하게 되 따뜻한 공기는 위로 올라가고, 찬 공기는 4. 서쪽, 동쪽
쪽으로 이동하여 폐색 전선이 형성되기 시 면 온대 저기압의 세기는 점차 약해진다. 아래에 위치하여 온대 저기압이 소멸된다.
5. 빠르다
작한다.

05강 대기의 변화 75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indd 75 2021-01-13 오전 9:51:15


05
지구과학Ⅰ 대기의 변화

③ 온대 저기압과 전선
개념 체크 •정체 전선: 찬 기단과 따뜻한 기단의 세력이 비슷하여 전선이 거의 이동하지 않고 한곳에
전선과 전선면 오랫동안 머무르는 전선이다.  장마 전선
성질이 크게 다른 두 기단의 경계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 한랭 전선은 찬 공기가 따 적운형 구름
면을 전선면이라 하고, 전선면과 한랭 따뜻한 층운형
지표면이 만나는 선을 전선이라고
뜻한 공기 쪽으로 이동하여 따뜻한 공기 밑으로 전선

따뜻한
공기 구름
공기 면
전선
한다. 파고들 때 형성되고, 온난 전선은 따뜻한 공기가 온난
찬 공기 비 비 찬 공기
찬 공기 쪽으로 이동하여 찬 공기 위로 올라갈 때 서 동

1. 한 랭 전선의 후면에서는 형성된다.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
( )형 구름이 형성된다.
구분 한랭 전선 온난 전선
2. 온난 전선이 통과하면 기 전선면의 기울기 급하다. 완만하다.
온이 ( )한다.
구름과 강수 형태 적운형, 소나기 층운형, 지속적인 비
구름과 강수 구역 전선 후면의 좁은 구역 전선 전면의 넓은 구역
3. 온난 전선과 한랭 전선 사
이에서는 날씨가 ( ) 전선의 이동 속도 빠르다. 느리다.
고, ( )풍이 분다. 기온 하강 상승
통과 전후의
기압 상승 하강
변화
4. 한랭 전선이 통과하면 기 바람(북반구) 남서풍 → 북서풍 남동풍 → 남서풍
압이 ( )한다.
•폐색 전선: 이동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한랭 전선이 이동 속도가 느린 온난 전선을 따라
5. 강수 구역은 온난 전선의
잡아 두 전선이 겹쳐질 때 형성된다.
전면이 한랭 전선의 후면
보다 ( )다.

탐구자료 살펴보기 온대 저기압과 날씨 변화

[탐구 자료]
그림 (가), (나), (다)는 온대 저기압이 우리나라를 통과한 어느 날의 일기도를 시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1012 1012
1016 1016
1016
40ùN 40ùN 1012 40ùN 1012
L
L L
A A 1016 1012 A

120ù 130ùE 120ù 130ùE 120ù 130ùE


(가) (나) (다)

[탐구 결과]
1. 온대 저기압은 대체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였다.
2. A 지역은 (가)에서 온난 전선의 전면에 위치하므로 층운형 구름이 형성되어 약한 비가 내렸을 것이다. (나)에서
는 온난 전선이 통과한 후이므로 (가)보다 기온이 상승하고, 날씨는 맑아졌을 것이다. (다)에서는 한랭 전선의 후
면에 위치하므로 적운형 구름이 형성되어 소나기가 내리고, 기온은 하강하였을 것이다.

정답 [분석 point]
1. 적운 •중위도 지역에 위치하는 우리나라에서 온대 저기압은 편서풍의 영향으로 대체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한다.
2. 상승 •우리나라에 온대 저기압이 통과할 때는 온난 전선이 먼저 통과하고, 이어서 한랭 전선이 통과한다. 또한 편서풍
3. 맑, 남서 의 영향으로 강수 지역도 대체로 우리나라의 서쪽에서는 먼저 나타나고 동쪽에서는 나중에 나타나는 경향을 보
4. 상승 인다.
5. 넓

76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indd 76 2021-01-12 오후 2:07:45


④ 온대 저기압 주변의 날씨
개념 체크
<한랭 전선 통과 후>
<온난 전선 통과 전> 적운형 구름
·적운형 구름에 의한 소나기성 강수
·기온: 하강 ·기압과 구름의 높이가 점점 낮아진다. 상승 기류가 강할 때 형성되는 치
·바람: 북서풍 ·바람: 남동풍 솟는 형태의 구름을 적운형 구름
·기압: 상승 ·연속적인 강수
이라고 한다.

따뜻한 공기
1. ( ) 전선이 다가올 때
따뜻한 공기 는 구름의 높이가 점차 낮
저기압
적운형 중심 층운형 구름
찬 공기 구름 아진다.
난층운
소나기 비
2. 한 랭 전선의 후면에서는
한랭 전선
( )성 강수가 있다.
따뜻한 공기 온난
전선
<온난 전선과 한랭 전선 사이>
3. 한랭 전선이 통과하면 기
온이 ( )한다.
·날씨가 온난해지고 비가 그친다.
·바람: 남서풍
4. 북반구의 경우 온난 전선
(4) 일기 기호 의 전면에서는 ( )풍
이 분다.
일기 비 눈 뇌우 안개 가랑비 소나기

운량 5. 위성 영상 중 ( ) 영상
0 1 2 3 4 5 6 7 8 9
은 태양빛이 없는 야간에
풍속 풍속
(m/s) 도 관측이 가능하다.
0 2 5 7 12 25 27 풍향
기온
H 고기압 18
전선과 온난 전선 한랭 전선
L 저기압 일기 280 기압
기압 이슬점
12 +10 기압 변화량
폐색 전선 정체 전선 태풍 운량

과학 돋보기 위성 영상 해석
가시 영상 적외 영상
두꺼운 구름 얇은 구름 낮은 구름 높은 구름
(흰색) (회색) (회색) (흰색)

인공위성 인공위성

층운형 구름 상층운
적외선 에너지
적운형 구름

하층운

가시 영상 적외 영상
•가시 영상은 구름과 지표면에서 반사된 태양빛의 반사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반사도가 큰 부분은 밝게 나타나고
반사도가 작은 부분은 어둡게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육지는 약간 밝게, 구름은 매우 밝게, 바다는 어둡게 보인다. 구
름이 두꺼울수록 햇빛을 많이 반사하므로 층운형 구름보다 적운형 구름이 더 밝게 보이며, 야간에는 태양빛이 없으 정답

므로 이용할 수 없다. 1. 온난
2. 소나기
•적외 영상은 물체가 온도에 따라 방출하는 적외선 에너지양의 차이를 이용하는 것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어둡게, 온
3. 하강
도가 낮을수록 밝게 나타난다. 따라서 구름의 최상부 높이가 높을수록 밝게 나타나며, 물체가 방출하는 적외선 에너
4. 남동
지를 탐지하는 것이므로 태양빛이 없는 야간에도 관측이 가능하다.
5. 적외

05강 대기의 변화 77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indd 77 2021-01-12 오후 2:07:46


05
지구과학Ⅰ 대기의 변화

 태풍과 날씨
개념 체크 (1) ‌태풍: 강한 바람과 비를 동반하는 기상 현상으로, 수온이 약 27`¾ 이상인 열대 해상에서
숨은열 발생하여 중심 부근 최대 풍속이 17`m/s 이상으로 성장한 열대 저기압을 말한다.
물질의 상태가 변하는 과정에서
방출하거나 흡수하는 열로, 잠열
이라고도 한다.

1. 태풍의 에너지원은 수증기


가 응결하면서 방출하는 저위도의 따뜻한 열대 해상에서 수증기의 응결로 방출되는 숨은열에 더욱 많은 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 )이다. 열과 수증기를 공급받은 공기가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승하고, 주변의 적란운이 발달하고, 주변에서 더
상승을 시작한다. 공기가 회전하면서 중심 방향으로 수 많은 양의 공기가 모여들어 강한 풍
렴하여 상승 기류가 강화된다. 속을 갖는 태풍이 된다.
2. 북 반구
서태평양의 열대 태풍의 발생 과정(북반구)
해상에서 발생하는 열대
저기압 중 중심 부근 최대 (2) ‌열대 저기압(태풍)의 발생 지역: 태풍은 북태평양 서쪽의 위도 5ù~25ù의 열대 해상에서
풍속이 17`m/s 이상인 것 주로 발생한다. 위도 25ù 이상인 해역에
을( )이라고 한다. 60ùN
서는 표층 수온이 낮아서 발생하기 어렵
3. 적 도
부근 해역에서는 고, 적도 부근 해역에서는 전향력이 약 30ù 태평양
허리케인
태풍
30(42`%) 9(13`%)
( )이 약하여 태풍이 해 태풍이 회전하는 데 필요한 힘을 얻 0ù 사이클론
허리케인
14(19`%)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12(16`%) 대서양
지 못하므로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열 30ù 사이클론
인도양 7(10`%)
4. 태 풍의
등압선은 일기도 대 저기압은 남반구 해역보다 북반구 해 숫자: 연평균 발생 수(백분율)
60ùS
90ùE 180ù 90ùW 0ù
상에 매우 좁은 ( )형 역에서 더 많이 발생하며, 무역풍의 영
태로 나타난다. 열대 저기압 발생 지역과 평균적인 이동 경로
향으로 표층 수온이 높은 서태평양이 동
5. 열대
저기압은 온대 저기 태평양보다 발생 빈도가 높다.
압과 달리 ( )을 동반
하지 않는다. 탐구자료 살펴보기 태풍의 이동

[탐구 자료]
그림 (가)와 (나)는 2016년 태풍 차바가 접근할 때의 일기도와 태풍 중심의 예상 이동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50ùN 1028
1020
6

15`m/s`이상 범위
1004 45ùN
4

101
102

1000 25`m/s`이상 범위
99
992 6
태풍 위치 70`%`확률 반경
024 소멸
40ù 1
고 태풍 중심의 이동 경로

8 40ù 태풍 예상 위치
102 100
10160 1 0 1 2 10월 6일 06시
저 6
30ù 1012 101 35ù
10월 6일 00시
고 10월 5일 18시
1016 10월 5일 12시
20ù 10월 5일 06시
1008 1008 30ù
1008 1008 1012 10월 5일 00시
저 저
저 10월 4일 18시
25ù
110ù 120ù 130ù 140ù 150ùE 120ù 130ù 140ù 150ùE
(가) (나)

[탐구 결과]
1. 태풍은 전선을 동반하지 않으며, 등압선은 거의 원형인 동심원 모양으로 나타난다.
정답
2. 태풍은 발생 초기에는 무역풍과 주변 기압 배치의 영향으로 북서쪽으로 진행하다가 북위 25ù~30ù 부근에서 편
1. 잠열(숨은열, 응결열)
서풍의 영향으로 진로를 바꾸어 북동쪽으로 진행한다.
2. 태풍
3. 전향력 [분석 point]
4. 동심원 태풍은 일반적으로 무역풍, 편서풍 및 주변 기압 배치의 영향으로 포물선 궤도를 그리며 이동한다.
5. 전선

78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_13교-1.indd 78 2021-01-07 오후 1:50:43


(3) 태풍의 이동과 피해
개념 체크
① 태풍의 진로: 태풍의 진로는 대기 대순환의 바람과 주변 기압 배치의 영향을 받는다. 즉, 발
대기 대순환
생 초기에는 무역풍과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대체로 북서쪽으로 진행하다가 북위 위도에 따른 태양 복사 에너지양
25ù~30ù 부근에서는 편서풍의 영향으로 진로를 바꾸어 북동쪽으로 진행하는 포물선 궤도를 과 지구 복사 에너지양의 위도별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일어나는
그린다. 태풍이 진로를 바꾸는 위치를 전향점이라고 하는데, 전향점을 지난 후에는 태풍의 지구 규모의 대기 순환을 말한다.
진행 방향과 편서풍의 방향이 일치하여 이동 속도가 대체로 빨라진다.
무역풍
② 태풍의 피해 적도와 위도 30ù 사이의 저위도에
•위험 반원과 안전 반원(가항 반원): 북반구에서 태풍 진행 방향의 오른쪽 지역은 태풍의 이 서 부는 동풍 계열의 바람이다.

동 방향이 태풍 내 바람 방향과 같아 풍속이 상대적으로 강하므로 위험 반원이라고 하며,


편서풍
태풍 진행 방향의 왼쪽 지역은 태풍의 이동 방향이 태풍 내 바람 방향과 반대여서 풍속이 위도 30ù와 60ù 사이의 중위도에
서 부는 서풍 계열의 바람이다.
상대적으로 약하므로 안전 반원이라고 한다.
•태풍이 통과하면 강풍, 호우, 홍수, 침수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태풍에 의해 발생
한 해일이 조석의 만조와 겹치면 해안 지역의 침수 피해가 커질 수 있다. 1. 태풍 진행 방향의 ( )
쪽은 ( )쪽보다 바람
50ùN 7월 8월 이 강하다.
태풍 진행 방향
편서풍 9월
40ù
2. 태풍 진행 방향의 왼쪽을
10월
안전 반원 ( ) 반원이라고 한다.
30ù 6월
위험 반원
3. 태풍은 무역풍대에서는 북
20ù 서쪽으로, 편서풍대에서
태풍 회전 방향
는 북동쪽으로 이동하므로
무역풍
( ) 궤도를 그리며 이
120ù 130ù 140ù 150ùE 동한다.
태풍의 이동 경로 위험 반원과 안전 반원
4. 태풍에 의해 발생한 해일
이 조석의 ( )와 겹치
면 해안가에 더 큰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과학 돋보기 태풍에 의한 해일의 발생

강한 저기압인 태풍이 해상에 위치하면 주변보다 해수를 누르는 압력이 약하므로 해수면이 주변보다 높아진다. 태풍의
중심 기압이 주위보다 50`hPa 낮으면 태풍 중심 부근의 해수면은 약 50`cm 높아진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높아진
해수면은 일종의 해파와 같아서 수심이 얕아지는 해안으로 접근하게 되면 그 높이가 더 높아지고, 해안을 덮쳐 해일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해일의 발생 시기가 만조와 겹치면 더욱 피해가 커진다.

태풍의 중심

평상시 만조 때보다
높아진 해수면

태풍에 의한 해수면 상승 정답
저기압에 의한 만조 시 해수면
평균 해수면 조석에 의한 해수면 상승 1. 오른, 왼
해수면 상승
2. 안전(가항)
3. 포물선
기압 하강에 의한 해수면 상승 태풍과 만조가 겹쳤을 때
4. 만조

05강 대기의 변화 79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_13교-1.indd 79 2021-01-07 오후 1:50:44


05
지구과학Ⅰ 대기의 변화

(4) 태풍의 구조와 날씨


개념 체크 ① 태풍의 구조: 태풍은 반지름이 약 500`km에 이르고,
태풍의 눈 전체적으로 상승 기류가 발달하여 중심부로 갈수록 두
태풍의 눈에서는 약한 하강 기류 꺼운 적운형 구름이 형성된다. 중심부로 갈수록 바람이 눈 눈벽
가 나타나지만, 중심 기압은 주변
보다 낮다.
강해지다가 태풍의 눈에서 약해지며, 중심으로 갈수록
기압은 계속 낮아진다.
지구 시스템 구성 권역의 상호
② 태풍의 눈: 발달한 태풍에서 나타나며, 태풍 중심으로
작용으로서의 태풍
태풍의 발생과 성장에 관여하는 부터 약 50`km에 이르는 지역으로 약한 하강 기류가
에너지원은 수증기의 잠열이므 위에서 본 태풍의 모습
나타나 날씨가 맑고 바람이 약하다.
로, 태풍의 발생은 기권과 수권의
상호 작용에 해당하며, 태풍의 강
한 바람이 표층 해수를 혼합시키
고 용승을 활발하게 하여 표층 해
태풍의 눈
수에 영양염을 공급하기도 하므로
기권과 수권 및 생물권의 상호 작
용이기도 하다. 또한 태풍이 육지
에 상륙하면 기권과 지권의 상호
작용을 통해 태풍의 세력이 약해
지거나 소멸한다.

40 태풍의 눈 1020
1. 태 풍의중심으로부터 반
30 1000
풍속

기압

기압
지름 약 50`km에는 약한
20 풍속 980
( ) 기류가 나타나 날 (m/s) (hPa)
10 960
씨가 맑은 태풍의 ( ) 0 940
서 800 500 100 0 100 500 800 동
이 존재한다. 거리(km)
북상하는 태풍의 구조와 이동 방향에 수직인 연직 단면에서의 기압과 풍속
2. 태 풍이육지에 상륙하면
수증기의 공급이 줄어들어 (5) 태풍의 에너지원과 소멸
세력이 ( )해진다.
① 태풍의 에너지원: 태풍은 상승하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면서 잠열(숨은열, 응결열)을
3. 태풍진행 방향의 오른쪽 방출하여 공기를 계속 가열하므로 가열된 공기는 대류권 계면 부근까지 상승하게 된다. 따라
지역은 시간에 따라 풍향 서 태풍이 크게 성장하려면 지속적인 수증기 공급이 필요하다.
이 ( ) 방향으로 변한
다.
② 태풍의 소멸: 태풍의 세력이 유지되거나 더 강하게 발달하려면 지속적인 에너지(수증기) 공
급이 필요한데 태풍이 차가운 바다 위를 지나거나 육지에 상륙하면 열과 수증기를 더 이상
4. 태풍의발생은 지구 시스 공급받지 못하므로 세력이 약해진다. 또한 태풍이 육지에 상륙하면 지표면과의 마찰이 증가
템을 구성하는 권역 중 기
권과 ( )의 상호 작용
하여 세력이 급격히 약해진다.
에 해당한다. (6) ‌태풍의 진행 경로에 따른 풍향 변화: 태풍 주변에서는 태풍의 진로

공기가 저기압성 회전을 하면서 바람이 불게 되므로, 북


5. 태풍은 비교적 짧은 시간 동 시계 반대
방향
안 대규모의 열을 ( ) 반구에서는 기압이 낮은 중심부를 향해서 시계 반대 방 b
c C
위도에서 ( )위도로 향으로 바람이 불어 들어간다. 따라서 태풍 진행 경로의 a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P Q
오른쪽(위험 반원)에 위치하면 태풍 통과 시 풍향이 시 a'
B
계 방향으로 변하고, 태풍 진행 경로의 왼쪽(안전 반원) c' b'
정답
에 위치하면 태풍 통과 시 풍향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변 시계
1. 하강, 눈 2. 약 방향
3. 시계 4. 수권 한다. A
5. 저, 고
태풍의 진행 경로에 따른 풍향 변화

80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_13교-1.indd 80 2021-01-07 오후 1:50:45


(7) 온대 저기압과 열대 저기압(태풍)
개념 체크
①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저기압에는 온대 저기압과 열대 저기압이 있는데, 온대 저기압은 주
한대 전선대
로 봄철과 가을철에 영향을 미치고 열대 저기압은 주로 여름철에 영향을 미친다. 온대 저기 한대 기단과 중위도 기단 사이, 위
압과 열대 저기압은 모두 저기압이므로 북반구에서는 공기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약 60ù 부근에 형성되는 저압
대를 한대 전선대라고 한다.
서 수렴한다.
② 온대 저기압과 열대 저기압의 비교 등압선과 풍속
등압선의 간격이 조밀할수록 기압
구분 온대 저기압 열대 저기압 차가 크므로 풍속이 크다.
발생 지역 한대 전선대 위도 5ù~25ù의 열대 해상
전선의 유무 전선을 동반한다. 전선을 동반하지 않는다. 1. 온대 저기압은 찬 기단과
등압선의 등압선 간격이 열대 저기압보다 넓은 편이며 등압선 간격이 온대 저기압보다 좁고 원형 따뜻한 기단이 만나서 형
형태 원형이 아니다. 에 가깝다. 성되므로 ( )을 동반
풍속이 열대 저기압보다 약하다. 중심부와 주 풍속이 온대 저기압보다 매우 강하다. 중 한다.
풍속
변부의 풍속이 대체로 비슷하다. 심 부근의 풍속이 주변부보다 강하다.
온난 전선 전면과 한랭 전선 후면에서 강수 현
2. 태풍의 등압선은 일반적으
강수 지역 나선형의 구름대를 따라 강수 현상이 있다. 로 온대 저기압의 등압선
상이 있다.
보다 간격이 ( )다.
주로 북진(북반구)하는데, 무역풍과 편서
주로 편서풍의 영향을 받아 동쪽으로 이동
이동 경로 풍의 영향을 받아 북서쪽으로 이동하다가
한다. 3.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온대
전향하여 북동쪽으로 이동한다.
저기압은 주로 ( )의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만나는 전선에서의 따뜻한 해양에서 공급된 수증기가 응결하 영향을 받아 이동한다.
주요 에너지원
기단의 위치 에너지 면서 방출하는 잠열(숨은열)

4. 북 상하는 태풍이 무역풍


대를 통과할 때는 주로
( )쪽으로 이동한다.

위성 영상 5. 열대 저기압 중 중앙 아메
리카 대륙 주변 해역에서
발생하는 것을 ( )이
라고 한다.

과학 돋보기 열대 저기압의 지역별 명칭

•열대 저기압은 발생 지역에 따라 다르게


부르는데, 북태평양 서쪽에서 발생하여 60ùN
우리나라, 일본, 중국, 필리핀 등을 통과
하는 것을 태풍(typhoon), 중앙 아메 30ù 태평양
태풍 허리케인
리카 대륙 주변 해역에서 발생하는 것 30(42`%) 9(13`%)
허리케인
을 허리케인(hurricane), 인도양과 남 0ù 사이클론
14(19`%)
12(16`%)
대서양
태평양에서 발생하는 것을 사이클론 사이클론
30ù
(cyclone)이라고 한다. 인도양 7(10`%)
정답
•태풍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경계를 강화 60ùS 숫자: 연평균 발생 수(백분율)
90ùE 180ù 90ùW 0ù 1. 전선
하기 위해 태풍에 이름을 붙이고 있다.
2. 좁
2000년부터 아시아 태풍 위원회에서 아시아 14개국에서 각각 10개씩 태풍의 이름을 제출받아 순차적으로 사용하고
3. 편서풍
있는데, ‘매미’처럼 큰 피해를 입힌 태풍은 더는 사용하지 않고 새로운 이름을 추가하여 사용하고 있다. ‘개미’, ‘나리’,
4. 북서
‘미리내’ 등은 우리나라가 제출한 이름이고, ‘기러기’, ‘도라지’, ‘무지개’ 등은 북한이 제출한 이름이다. 5. 허리케인

05강 대기의 변화 81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_13교-1.indd 81 2021-01-07 오후 1:50:45


05
지구과학Ⅰ 대기의 변화

 우리나라의 주요 악기상
개념 체크 (1) ‌악기상: 일상생활에 큰 불편함과 위험을 동반하는 기상 현상을 말하며, 우리나라에서 발생
번개와 천둥 하는 주요 악기상에는 뇌우, 호우, 폭설, 강풍, 우박, 황사 등이 있다.
적란운 내에서 분리된 양전하와
음전하가 구름 속에 쌓였다가 방
(2) 뇌우: 강한 상승 기류에 의해 적란운이 발달하면서 천둥, 번개와 함께 소나기가 내리는 현상이다.
전이 일어나 번개가 발생하고, 이 ① 발생 조건: 여름철 강한 햇빛을 받은 지표 부근의 공기가 국지적으로 가열되어 활발하게 상
때 주변 공기의 부피 팽창으로 천
둥이 치게 된다.
승하거나, 한랭 전선에서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를 파고들어 따뜻한 공기가 빠르게 상승할
때, 온대 저기압이나 태풍에 의해 대기가 불안정하여 강한 상승 기류가 발달할 때 잘 발생한다.
② 발달 단계: 적운 단계 → 성숙 단계 → 소멸 단계를 거치면서 변한다. 적운 단계에서는 강한
1. 뇌우는 강한 상승 기류에
의해 ( )이 발달하면
상승 기류에 의해 적운이 발달하고, 성숙 단계에서는 상승 기류와 하강 기류가 함께 나타나
서 천둥, 번개와 함께 소나 며, 천둥, 번개, 소나기, 우박 등이 동반된다. 소멸 단계에서는 전체적으로 하강 기류가 우세
기가 내리는 현상이다. 하고 비가 약해진다.
높이

2. 뇌우의 발달 단계 중 천둥,
번개, 소나기, 우박 등은 (km)

주로 ( ) 단계에서 나 10
타난다.
5 0`ùC 0`ùC 0`ùC
3. ( ) 호우는 국지적으
로 단시간 내에 많은 양의 강한 비 약한 비
0
비가 집중하여 내리는 현 적운 단계 성숙 단계 소멸 단계
상이다. 강한 상승 기류가 발생하여 상승 기류와 하강 기류가 전체적으로 약한 하강 기류
적운이 급격하게 성장한다. 함께 나타나며 강한 돌풍과 만 남게 되어 구름이 사라
강수 현상은 거의 나타나지 함께 천둥, 번개, 소나기, 지면서 뇌우가 소멸된다.
4. 우 리나라의 여름철에 주 않는다. 우박 등의 현상이 동반된다.

로 발생하는 집중 호우는 뇌우의 발달 과정


( )와 산사태 등의 피
해를 일으킬 수 있다. ③ 피해: 뇌우는 집중 호우, 우박, 돌풍, 낙뢰 등을 동반하기 때문에 인명 피해나 농작물 파손,
가옥 파괴 등의 큰 재산 피해를 가져온다. 특히 낙뢰는 직접적인 인명 피해나 감전을 일으키
5. 폭설은겨울철에 ( )
기도 하고, 정전, 전기 설비나 기구의 고장을 초래하며, 항공기 운항에 지장을 주기도 한다.
기단이 황해상에서 변질되
어 기층이 불안정해져서 (3) 호우: 시간과 공간 규모에 제한 없이 많은 비가 연속적으로 내리는 현상을 호우라고 한다.
상승 기류가 발달할 때 잘
① 국지성 호우(집중 호우): 국지적으로 단시간 내에 많은 양의 비가 집중하여 내리는 현상을 말
발생한다.
한다. 한 시간에 30`mm 이상이나 하루에 80`mm 이상의 비가 내릴 때, 또는 연 강수량의
10`% 정도의 비가 하루에 내리는 것을 말하며, 비교적 좁은 지역(반지름 10~20`km 정도)
에 집중적으로 내린다.
② 발생 조건: 주로 강한 상승 기류에 의해 형성된 적란운이 한곳에 정체하여 계속 비가 내릴 때
집중 호우가 된다.
③ 피해: 집중 호우는 홍수, 산사태 등을 일으킬 수 있어서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를 가져온다.

(4) 폭설: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눈이 내리는 기상 현상이다.


① 발생 조건: 겨울철에 발달한 저기압이 통과할 때나 시베
정답
1. 적란운 리아 기단의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황해상에서 변질되어
2. 성숙
기층이 불안정해져 상승 기류가 발달할 때 잘 발생한다.
3. 국지성(집중)
4. 홍수 ② 피해: 폭설이 내리면 교통의 마비, 교통사고, 시설물 붕괴
5. 시베리아 등 인명과 재산에 많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폭설에 의한 피해

82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_13교-1.indd 82 2021-01-07 오후 1:50:46


과학 돋보기 기단의 변질 개념 체크
넓은 대륙이나 해양 위에 공기가 오랫동안 머무르면서 지표면이나 해수면과 열, 수증기를 교환하여 그 성질이 지표면 시베리아 기단
또는 해수면과 비슷해져서 형성된 대규모의 공기 덩어리를 기단이라고 한다. 기단이 발원지를 떠나 다른 곳으로 이동 시베리아의 한랭한 대륙에서 형성
하면 이동한 지역의 지표면이나 해수면의 영향을 받아 성질이 변하게 되는데, 이를 기단의 변질이라고 한다. 되어 성질이 한랭하고 건조한 기
단으로, 주로 우리나라의 겨울철
에 영향을 미친다.
차고차고
건조한
건조한
적운형
적운형구름구름
기단기단

온난온난
기단기단 층운형
층운형구름구름 1. 한랭한 기단이 따뜻한 바
열과열과 수증기 강한강한
수증기 비나비나
눈눈 안개안개 다 위로 이동하면 기층이
차가운
차가운육지육지 따뜻한
따뜻한바다바다 따뜻한
따뜻한육지육지 따뜻한
따뜻한바다바다 차가운
차가운바다바다 차가운
차가운육지육지 불안정해지므로 ( )형
구름이 형성된다.
한랭 기단의 변질 온난 기단의 변질
2. 겨울철에 시베리아 기단이
•한랭한 대륙에서 형성된 기단이 따뜻한 바다 위를 지나가면 기단의 하부가 가열되어 불안정해지므로 적운이나 적란 따뜻한 황해상을 지나면서
운이 형성된다. 변질되면 우리나라 서해안
•따뜻한 해양에서 형성된 온난한 기단이 차가운 바다를 지나 차가운 육지 쪽으로 이동하면 기단의 하부가 냉각되어 지역에 ( )이 내릴 수
안정해지므로 층운형 구름이나 안개가 형성된다. 있다.
•겨울철에 한랭 건조한 시베리아 기단이 따뜻한 황해상을 지나면서 열과 수증기를 공급받아 기온과 습도가 높아지고,
기층이 불안정해져 우리나라의 서해안에는 폭설이 내리기도 한다. 3. 기단이 발원지를 떠나 다
른 곳으로 이동하여 성질
이 변하는 것을 기단의
( )이라고 한다.
(5) 강풍: 10분 동안의 평균 풍속이 14`m/s 이상인 바람을 말한다.
4. 강 풍 은겨울철에 발달
① 발생 조건: 겨울철에 발달한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을 받을 때, 여 한 시베리아 기단의 영
름철에 태풍의 영향을 받을 때 주로 발생한다. 향을 받을 때나 여름철에
② 피해: 강풍은 가로수 등의 나무나 여러 가지 시설물을 파손시키고, ( )의 영향을 받을 때
발생할 수 있다.
바다에서는 높은 파도를 일으켜 선박 사고나 해안 양식장에 피해
를 입힐 수 있다. 5. ( )은 얼음의 결정 주
강풍에 쓰러진 나무 위에 차가운 물방울이 얼
어붙어 생성된 후 낙하하
(6) ‌우박: 얼음의 결정 주위에 0`¾ 이하의 차가운 물방울이 얼어붙어 땅 위로 떨어지는 얼음덩
는 얼음덩어리이다.
어리를 우박이라고 한다.
① 발생 조건: 주로 적란운에서 강한 상승 기류를 타고 발 우박의
생성 경로
생한다. 우박은 겨울과 한여름에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 빙정

데, 날씨가 매우 추울 때는 상승 기류가 잘 발달하지 않


으며, 매우 더울 때는 우박이 떨어지는 동안에 녹아서 0`ùC
하강
없어지기 때문이다. 기류

② 구조와 크기: 우박은 적란운 내에서 강한 상승 기류를 상승


기류
타고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며 성장하므로 핵을 중심으 우박

로 투명한 얼음층과 불투명한 얼음층이 번갈아 싸고 있 우박의 생성 과정 정답

는 층상 구조를 하고 있다. 보통 지름이 1`cm 미만이지 1. 적운


2. 폭설
만 2~3`cm 정도인 것도 있고, 그보다 훨씬 큰 것도 있다.
3. 변질
③ 피해: 우박은 농작물이나 과실, 가축에 피해를 주기도 하고, 자동차, 항공기의 동체나 건물에 4. 태풍
5. 우박
도 손상을 입힐 수 있다.

05강 대기의 변화 83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indd 83 2021-01-12 오후 2:08:27


05
지구과학Ⅰ 대기의 변화

(7) ‌황사: 발원지에서 강한 바람이 불어 상공으로 올라간 다량의 모래 먼지가 상층의 편서풍을
개념 체크 타고 멀리까지 날아가 서서히 내려오는 현상을 말한다.
황사와 사막화 ① 발원지: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황사의 주요 발원지는 중국 북부나 몽골의 사막 또는 건
기후 변화와 과도한 개발로 인해 조한 황토 지대이다.
사막화가 진행될수록 황사의 발생
빈도와 피해는 대체로 증가한다. 황사 발원지

몽골
1. ( )는 다량의 모래 먼 커얼친 사막(만주)

지가 상층의 편서풍을 타 고비 사막

고 멀리까지 날아가 서서
내몽골 고원
히 내려오는 현상이다. 타클라마칸 사막 중국 한국 일본
황토 고원
2.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황사의 주요 발원지는 중
국 북부나 ( )의 사막
황사의 발원지와 이동 경로
또는 건조한 황토 지대이다.
② 발생 조건: 지표면의 토양은 건조해야 하며, 토양의 구성 입자는 미세할수록 잘 발생한다. 또
3. 황 사가 발생하려면 발원
한 지표면에 식물 군락이 적고, 강한 바람과 함께 상승 기류가 나타나 토양의 일부가 쉽게 공
지에서 강한 바람과 함께
( ) 기류가 나타나고, 중으로 떠오를 수 있어야 한다.
지표면의 토양은 ( ) ③ 발생 시기: 건조한 겨울철이 지나고 얼었던 토양이 녹기 시작하는 봄철에 주로 발생한다. 황
해야 한다.
사는 상공의 강한 편서풍을 타고 우리나라와 일본을 지나 태평양, 북아메리카 대륙까지 날아
4. 우리나라의 경우 강수량이 가기도 한다. 중국 내륙 지역의 삼림 파괴와 사막화가 가속화되고, 이 지역의 온난 건조한 상
많은 ( )철에는 황사 태가 지속되고 있어 우리나라의 연간 황사 발생 일수와 발생 빈도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5. 중국 내륙 지역의 삼림 파
괴와 ( )가 가속화되
면 우리나라에서 황사로 탐구자료 살펴보기 황사의 발생 추이 분석
인한 피해가 증가할 가능
성이 높다. [탐구 자료]
그림 (가)는 1959년부터 2015년까지 서울 지역의 연도별 황사 관측 일수를, (나)는 같은 기간 동안 서울 지역의 월
별 평균 황사 관측 일수를 나타낸 것이다.
30
황사 관측 일수 일
황사 관측 일수 일

25 4.0
20 3.0
15 2.0
10
1.0
(` ) 5 (` )
0 0.0
1960 1970 1980 1990 2000 2010 1 2 3 4 5 6 7 8 9 10 11 12
연도(년) 시간(월)
(가) 연도별 황사 관측 일수 (나) 월별 평균 황사 관측 일수

[탐구 결과]
1. 이 기간 동안 서울 지역의 연도별 황사 관측 일수는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정답
2. 황사는 봄철인 3~5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1. 황사
2. 몽골 [분석 point]
3. 상승, 건조 •지구 온난화로 인해 기온이 상승하면 겨울철에도 토양이 얼지 않아 겨울철 황사 발생 횟수는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4. 여름 •황사는 강수량이 많은 계절(여름철)에는 잘 발생하지 않는다.
5. 사막화

84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_13교-1.indd 84 2021-01-07 오후 1:50:47


2점 수능 테스트 [21026-0105]
정답과 해설 23쪽

03 그림 (가)와 (나)는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정체성 고기압


[21026-0103] 의 연직 기압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01 다음은 우리나라의 지리서 및 역사서에 기록된 어느 기단과 B D 400`hPa

높이

높이
관련된 내용을 나타낸 것이다.
400`hPa 600`hPa
600`hPa 800`hPa
•산을 넘어오는 북동풍이 가뭄을 유발하고 식물을 마르 800`hPa
A 1000`hPa C 1000`hPa
게 한다. [이중환의 「택리지」 ] 지표면 지표면

•인종 18년(1140)에 간풍(샛바람)이 5일이나 불어 백곡과 (가) (나)


초목이 과반이나 말라죽었고, 지렁이가 길 가운데 나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죽어 있는 것이 한 줌가량 되었다. [김종서의 「고려사」 ]
•영동 지방은 바람이 바다를 거쳐 불어와 쉽게 비를 내
ㄱ. ‌(가)는 여름철에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다.
리게 하여 식물을 잘 자라게 하나, 이 바람이 산을 넘
ㄴ. (나)는 고기압권 내의 기온이 주위보다 높다.
어가면 고온 건조해져 식물에 해를 끼친다.
ㄷ. A~D 중 기압이 가장 낮은 곳은 D이다.
[강희맹의 「금양잡록」 ]

①ㄱ ②ㄴ ③ ㄱ, ㄷ
이 기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것은?

ㄱ. 대륙성 기단이다.
ㄴ. 겨울철에 영향을 주는 기단이다.
ㄷ. 초여름에 장마 전선을 형성할 수 있는 기단이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ㄷ ⑤ ㄴ, ㄷ

[21026-0104]

02 그림 (가)와 (나)는 어느 해 여름철과 겨울철에 나타났던 일


기도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21026-0106]
H

L
L
04 다음은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온대 저기압에 대한 학생
들의 대화를 나타낸 것이다.
H

L 철수: 전선을 동반하는 저기압이야.


영희: 주로 편서풍의 영향을 받아 동쪽으로 이동해.
(가) (나)
영수: ‌이동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한랭 전선이 이동 속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도가 느린 온난 전선을 따라잡아 두 전선이 겹쳐질
수 있어.
ㄱ. (가)는 겨울철 일기도이다.
ㄴ. (가)에서 우리나라는 북풍 계열의 바람이 우세하다.
설명한 내용이 옳은 학생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ㄷ. ‌(나)에서 우리나라 남부 지방은 장마 전선의 영향을
받는다. ① 철수 ② 영희
③ 철수, 영수 ④ 영희, 영수
①ㄴ ②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⑤ 철수, 영희, 영수

05강 대기의 변화 85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_13교-1.indd 85 2021-01-07 오후 1:50:48


2점 수능 테스트
[21026-0109]

[21026-0107] 07 표는 온대 저기압이 통과하는 동안 북반구의 어느 지역에서


05 그림 (가), (나), (다)는 어느 온대 저기압의 변화 과정 일부를 관측한 기온과 풍향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3월 23일 기온 (¾) 풍향 3월 24일 기온 (¾) 풍향
찬 공기 찬 공기 00시 6.1 남동풍 00시 13.9 북서풍
저 03시 6.1 남동풍 03시 8.3 북서풍
저 C 찬 공기
A 06시 5.5 남동풍 06시 5.5 북서풍
B
따뜻한 공기 따뜻한 공기 09시 10 남서풍 09시 3.9 북서풍
따뜻한 공기
12시 16.1 남서풍 12시 2.8 북서풍
(가) (나) (다) 15시 17.8 남서풍 15시 0.5 북서풍
18시 17.8 남서풍 18시 -1.1 북서풍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1시 18.3 남서풍 21시 -3.3 북서풍

ㄱ. 구름의 두께는 A, B, C 중 B 지역이 가장 두껍다. 이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ㄴ. ‌A 지역이 B 지역보다 북풍 계열의 바람이 불 확률이 것은?
높다.
ㄷ. ‌온대 저기압의 변화 과정 순서는 (다) → (나) → (가) ㄱ. 3월 23일에는 온난 전선이 통과하였다.
이다. ㄴ. ‌3월 24일 낮은 3월 23일 낮보다 차가운 공기의 영향
을 더 많이 받았다.
①ㄴ ②ㄷ ③ ㄱ, ㄴ ㄷ. ‌3월 23일과 3월 24일 사이에 풍향은 시계 반대 방향
④ ㄱ, ㄷ ⑤ ㄴ, ㄷ 으로 변했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ㄱ, ㄴ, ㄷ
[21026-0110]
[21026-0108]

06 그림 (가)와 (나)는 어느 날 같은 시각에 우리나라 부근을 기 08 그림 (가)와 (나)는 하루 간격으로 인공위성에서 촬영한 북반
구의 어느 온대 저기압의 모습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A와 B
상 위성으로 촬영한 가시 영상과 적외 영상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는 온대 저기압의 중심을 나타낸 것이고, (가)와 (나)는 각각 폐색 전
A A
선 발달 단계와 온대 저기압 발달 단계 중 하나의 단계에 해당한다.
C B C B
B
A

(가) 가시 영상 (나) 적외 영상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낮에 촬영한 것이다. ㄱ. (나)는 (가)의 하루 전 영상이다.


ㄴ. A와 B는 상층운으로 분류된다. ㄴ. 폐색 전선이 나타나는 것은 (나)이다.
ㄷ. A, B, C 중 적란운에 가장 가까운 구름은 C이다. ㄷ. ‌온대 저기압 형성의 주요 에너지원은 수증기가 응결
하면서 방출하는 잠열이다.
①ㄴ ②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①ㄱ ②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86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_13교-1.indd 86 2021-01-07 오후 1:50:49


정답과 해설 23쪽

[21026-0111] [21026-0113]

09 그림은 어느 계절의 일기도를 나타낸 것이다. A와 B는 각 11 그림은 어느 태풍이 이동하는 동안 태풍의 위치를 일정한
각 열대 저기압과 온대 저기압 중 하나이다. 시간 간격으로 나타낸 것이다.

1012 1004
1000
B
1008
1012 B 기간
1016
1000
A

A 기간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는 폐색 전선을 형성한다.
ㄴ. 최대 풍속은 A가 B보다 크다. ㄱ. A 기간 동안에 태풍은 무역풍의 영향을 받는다.
ㄷ. A와
‌ B 모두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만나서 생성되 ㄴ. ‌A와 B 기간 모두 태풍 진행 방향의 오른쪽 지역이
는 위치 에너지가 주요 에너지원이다. 위험 반원이다.
ㄷ. ‌전향점 부근에서 태풍의 평균 이동 속력은 태풍의 전
①ㄴ ②ㄷ ③ ㄱ, ㄴ 체 평균 이동 속력보다 빠르다.
④ ㄱ, ㄷ ⑤ ㄴ, ㄷ
①ㄴ ②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21026-0112]

10 그림 (가)는 어느 태풍의 이동 경로를, (나)는 어느 해 9월


[21026-0114]
10일 0시부터 14일 0시까지 4일 동안 A 지역 해안에서의 해수
면 높이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12 그림은 어느 해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두 태풍 A와 B의 이
동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과 ㉡은 두 관측소의 위치이다.
10일 11일 12일 13일
9월 13일 15시 500
해수면 높이

40ùN 400
300 ㉠
A 200 ㉡
(cm) 100
30ù B
0
9월 11일 15시 0 12 0 12 0 12 0 12 0 A
120ù 130ùE 시간(시)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12일에 태풍은 편서풍의 영향을 받았다. ㄱ. ㉠


‌ 관측소는 두 태풍의 영향을 받는 동안 위험 반원
ㄴ. ‌이 태풍은 12일 밤 A 지역 해수면의 높이가 11일 밤 에 속한다.
보다 높아지는 데 영향을 주었다. ㄴ. 태풍
‌ A의 영향을 받는 동안 ㉡ 관측소의 풍향은 시계
‌ 기간 동안 A 지역의 풍향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ㄷ. 이 반대 방향으로 변한다.
변했다. ㄷ. 태풍
‌ A, B에 의한 폭풍 해일의 피해는 서해안이 남
해안보다 컸을 것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①ㄱ ②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05강 대기의 변화 87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_13교-1.indd 16 2021-01-11 오후 3:53:18


2점 수능 테스트
[21026-0117]

[21026-0115] 15 그림 (가), (나), (다)는 뇌우의 발달 과정을 순서 없이 나타낸


13 그림 (가)와 (나)는 어느 해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두 태풍의 것이다.
시간에 따른 중심 기압과 최대 풍속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60 60
1000 A 1000 B
50

최대 풍속
50

최대 풍속
980 980
40
기압

기압
40
960 B 960 0`ùC 0`ùC
30 30 0`ùC
940
(hPa) 20(m/s)(hPa) 940 20(m/s)
920 920
10 A 10 약한 비 강한 비
900 900
0 0 (가) (나) (다)
6.29 6.30 7.1 7.2 7.3 7.4 9.29 10.1 10.3 10.5 10.7
날짜(월. 일) 날짜(월. 일)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뇌우는 강한 상승 기류가 발달할 때 잘 발생한다.
ㄴ. ‌(가), (나), (다) 중 마지막 단계는 (나)이다.
ㄱ. ‌태풍의 주요 에너지원은 수증기가 응결하면서 방출하
ㄷ. 소나기, 번개 등의 피해가 가장 큰 단계는 (다)이다.
는 잠열이다.
ㄴ. A는 중심 기압이고, B는 최대 풍속이다.
ㄷ. 태풍의 중심 기압이 높을수록 최대 풍속은 크다. ①ㄱ ②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①ㄴ ②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21026-0116]

14 그림은 열대 저기압의 발생 지역별 연평균 발생 수와 평균 [21026-0118]


적인 이동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16 표는 여러 가지 악기상 중 강풍, 우박, 폭설에 대한 설명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60ùN

기상 현상 특징
30ù 태평양
태풍 허리케인 적란운 내에서 강한 상승 기류를 타고 상승과 하강을
30(42`%) 9(13`%)
허리케인 A 반복하며 성장하므로 핵을 중심으로 투명한 얼음층과
0ù 사이클론
14(19`%)
12(16`%) 불투명한 얼음층이 번갈아 형성된다.
대서양
30ù 사이클론
인도양 7(10`%) 가로수 등의 나무나 여러 가지 시설물을 파손시키고,
B
숫자: 연평균 발생 수(백분율) 바다에서는 높은 파도를 일으킨다.
60ùS
90ùE 180ù 90ùW 0ù 겨울철에 발달한 저기압이 통과할 때나 시베리아 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C 단의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황해상에서 변질될 때 잘
발생한다.

ㄱ. ‌동태평양이 서태평양보다 열대 저기압의 발생 빈도가 A, B, C에 해당하는 기상 현상을 옳게 짝지은 것은?


높다.
A B C
ㄴ. ‌적도 부근 해역에서는 전향력이 강해 열대 저기압이
① 우박 폭설 강풍
형성되기 어렵다.
② 우박 강풍 폭설
ㄷ. ‌위도 30ù 이상인 해역에서는 표층 수온이 낮아서 열
대 저기압이 발생하기 어렵다. ③ 강풍 폭설 우박
④ 강풍 우박 폭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ㄷ ⑤ ㄴ, ㄷ ⑤ 폭설 강풍 우박

88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_13교-1.indd 88 2021-01-07 오후 1:50:51


정답과 해설 23쪽

[21026-0119] [21026-0121]

17 그림 (가)는 2000년부터 2006년까지 월별 우박 발생 횟수 19 그림 (가)와 (나)는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주요 악기상을 나


를, (나)는 이 기간 동안 시간별 우박 발생 횟수를 나타낸 것이다. 타낸 것이다.
20 14
18 19 12
우박 발생 횟수

우박 발생 횟수
16 12
16 10 10
14 10
12 11
12 8 7
10 7 7 6
8 7 6 6
6 5
6 5 4 4
(회) 4 (회)
2 1 1 1 2 2 3
0 0 0~2 4~6 8~10 12~1416~1820~22 (가) 강풍 (나) 집중 호우
1 2 3 4 5 6 7 8 9 101112
시간(월) 시간(시)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는 여름철에 발생하지 않는다.


ㄴ. ‌(나)는 주로 적란운이 한곳에 정체하여 계속 비를 내
ㄱ. 우박은 여름철보다 봄철에 발생할 확률이 높다. 릴 때 발생한다.
ㄴ. ‌이 기간 동안 우박의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시간대 ㄷ. ‌(가)와 (나) 모두 인명과 재산에 많은 피해가 발생할
는 16시~18시이다. 수 있다.
ㄷ. ‌우박은 하루 중 대기가 안정할 때 발생할 확률이 높다.

①ㄱ ②ㄴ ③ ㄱ, ㄴ
①ㄴ ②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④ ㄱ, ㄷ ⑤ ㄱ, ㄴ, ㄷ

[21026-0120]

18 그림은 어느 날 우리나라에 폭설이 내린 다음 날 위성으로 [21026-0122]

촬영한 가시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이날은 우리나라 내륙 지역에 20 그림 (가)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우리나라의 월별 황
사 관측 일수를, (나)는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황사의 발원지와
구름이 거의 없는 맑은 날이다.
이동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18
16
황사 관측 일수

14
12 황사 발원지
10 몽골
커얼친 사막(만주)
A 8
6 고비 사막
B (일) 4 타클라마칸 내몽골 고원
2 한국 일본
C 사막 황토 고원
0 1 2 3 4 5 6 7 8 9 101112 중국
시간(월)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폭설은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눈이 내리는 현상이다. ㄱ. 황사는 주로 봄철에 많이 발생한다.


ㄴ. A, B, C 중 눈이 가장 많이 쌓여 있는 곳은 C이다. ㄴ. 황사의 이동 경로는 무역풍의 영향을 받는다.
ㄷ. 이 영상은 밤에 촬영한 것이다. ㄷ. 황사는 강수량이 많은 계절에는 잘 발생하지 않는다.

①ㄱ ②ㄴ ③ㄷ ①ㄱ ②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④ ㄱ, ㄷ ⑤ ㄴ, ㄷ

05강 대기의 변화 89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_13교-1.indd 89 2021-01-07 오후 1:50:52


3점 수능 테스트
[21026-0123]

01 그림 (가)~(라)는 서로 다른 지역의 지상 고기압과 저기압에서 부는 바람을 등압선과 함께 순서 없


이 나타낸 것이다.
고기압은 주변보다 기압이 높
바람의 방향
은 곳이고, 저기압은 주변보
다 기압이 낮은 곳이다. 고기
압 중심부에서는 하강 기류가
발달하고, 대체로 날씨가 맑으 A B C D
며, 북반구에서는 바람이 시계
방향으로 불어 나간다.
등압선
(가) (나) (다) (라)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와 D는 모두 저기압 중심이다.
ㄴ. (다)와 (라)는 모두 남반구의 모습이다.
ㄷ. 하강 기류가 발달할 가능성이 높은 것은 B와 C이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124]
한랭 전선이 통과한 후에는
기온이 하강하고, 기압은 상
02 그림 (가), (나), (다)는 온대 저기압이 우리나라를 통과한 어느 날의 일기도를 시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승하며, 바람은 남서풍에서
북서풍으로 바뀐다. 온난 전 1012
1012
1016 1016
선이 통과한 후에는 기온이 1016
40ùN 40ùN 1012 40ùN 1008 1012
상승하고, 기압은 하강하며, 1008 L
1008
바람은 남동풍에서 남서풍으 L L
A A 1016 1012 A
로 바뀐다.

120ù 130ùE 120ù 130ùE 120ù 130ùE


(가) (나) (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이 기간 동안 온대 저기압은 편서풍의 영향을 받았다.


ㄴ. (가), (나), (다) 중 A 지역에 소나기가 내릴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은 (가)이다.
ㄷ. (다) 이후 두 전선이 겹쳐져 장마 전선을 형성한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90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_13교-1.indd 90 2021-01-07 오후 1:50:52


정답과 해설 26쪽

[21026-0125]

03 그림 (가)는 어느 날의 일기도를 나타낸 것이고, (나)는 우리나라 날씨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기 우리나라는 북반구 중위도에
서 대륙과 해양의 경계에 위
단 ㉠~㉣을 성질에 따라 대략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치하여 계절에 따라 영향을
받는 기단의 종류가 달라진다.
A

습도
1044 H
40ùN 1040 ㉠ ㉡
1036 H
H
10
10224
0
30ù L
36
10 ㉢ ㉣
32
10 28
10
20ù
110ù 120ù 130ùE 온도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는 여름철 일기도이다.


ㄴ. A는 고기압이다.
ㄷ. 이날 우리나라에 주로 영향을 주는 기단은 ㉡이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126]

04 그림 (가)와 (나)는 어느 온대 저기압이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동안 어느 지역에서 관측한 기압과 지 온대 저기압의 영향을 받는
지역에서 온난 전선이 통과하
표 온도를 시간에 따라 각각 나타낸 것이고, A는 온난 전선과 한랭 전선 중 어느 한 전선이 통과한
면 대체로 기온이 높아지고
시각이다. 기압이 낮아진다. 반면, 한랭
1020 35 전선이 통과하면 대체로 기온
1015 30 이 낮아지고 기압이 높아진다.
지표 온도

1010 25
기압

1005 20
(hPa) 1000 15
995 (ùC) 10
990 5
985 0
0시 0시 0시 0시 0시 0시 0시 0시
A
2일 3일 4일 5일 2일 3일 4일 5일
시간 시간
(가) (나)

이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관측 지역에서 온대 저기압 중심까지의 거리는 5일에 가장 가까웠다.


ㄴ. 4일에는 남동풍이 우세하다.
ㄷ. ‌3일 낮 12시에 찬 공기의 영향을 받았다.

①ㄴ ②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05강 대기의 변화 91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_13교-1.indd 91 2021-01-07 오후 1:50:53


3점 수능 테스트
[21026-0127]

05 그림 (가)는 어느 날 우리나라 부근의 지상 일기도와 12시간 누적 강수량을, (나)는 지상에서 부는


우리나라 부근에 형성된 정체 바람을 나타낸 것이다. 이날 우리나라 주변에 장마 전선이 위치하였다.
전선은 북태평양 기단의 세력 70
이 강해지면 북상하고, 전선 10
10 14 16 60
10 10
면 부근에는 상승 기류가 우 H 1016 50
40ùN 1018 40ùN

강수량
세하다. H
1012 40
100 1018
8
30 (mm)
30ù 20 30ù

1004
L 06
10 10
0
120ù 130ù 140ùE 120ù 130ù 140ùE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장마 전선의 위치는 위도 30ùN 근처이다.


ㄴ. 장마 전선에서는 하강 기류가 우세하다.
ㄷ. 장마 전선 부근의 북쪽은 서풍 계열의 바람이 우세하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128]
온대 저기압이 지날 때 온난
전선과 한랭 전선이 통과함에
06 그림 (가), (나), (다)는 우리나라를 지나는 온대 저기압의 위치를 3시간 간격으로 순서 없이 나타낸 것
이고, (라)는 온대 저기압이 지나는 동안 A 관측소에서 관측한 기상 요소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따라 풍향은 남동풍 → 남서풍
→ 북서풍으로 변한다. 온난 1052

1016
1028
6

1012
1048
103
1028

H
전선이 통과하기 전에는 약한 1044 1046 20
10

10
1040

12
비가 지속적으로 내리다가 온 40ùN 10 40ùN 40ùN
36
난 전선이 통과한 후에는 날씨 1032 1032 H

4
L L
102
L 1016
가 맑아지고, 한랭 전선이 통 1028 1014 1008 1010
과한 후에는 소나기가 내린다. 1024 A A A
10
30ù 20 30ù 1024 30ù

1016
1020 1016

120ù 130ùE 120ù 130ùE 120ù 130ùE


(가) (나) (다)

㉠ ㉡ ㉢
(라)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는 (나)보다 6시간 전의 일기도이다.


ㄴ. 이 기간 동안 온대 저기압의 세력은 점점 약해졌다.
ㄷ. 이 기간 동안 A 지역의 풍향은 ㉠ → ㉢ → ㉡으로 변했다.

①ㄴ ②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92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_13교-1.indd 92 2021-01-07 오후 1:50:54


정답과 해설 26쪽

[21026-0129]

07 그림 (가)는 우리나라를 통과한 어느 태풍의 이동 경로를, (나)는 우리나라 관측소 A에서 TÁ, Tª의 태풍은 열대성 저기압으로 북
반구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시각에 관측한 풍향·풍속과 관측소 B에서 TÁ과 Tª 시각 중 어느 한 시각에 관측한 풍향·풍속을
바람이 불어 들어오고, 바람
㉠, ㉡, ㉢으로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관측소 A에서 TÁ 시각에 관측한 풍향·풍속은 ㉠이다. 의 세기는 태풍 진행 방향의
북 오른쪽(위험 반원)이 왼쪽(안
전 반원)보다 강하다.
10`m/s
㉠㉡
A 서 동
Tª ㉢
B 5`m/s


(가) (나)

이 기간(TÁ~Tª)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관측소 A에서 관측한 바람의 변화는 ㉠ → ㉢이다.


ㄴ. 관측소 A와 B 모두 풍향은 시계 방향으로 바뀌었다.
ㄷ. 태풍은 무역풍보다 편서풍의 영향을 더 받는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ㄱ, ㄷ

[21026-0130]

08 표는 어느 태풍의 영향을 받은 관측소 P에서 관측한 기압과 풍향 변화를, 그림은 이 태풍의 이동 태풍이 이동하여 관측소에 접
근하면 관측된 기압은 점차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a와 b 중 하나는 실제 이동 경로이다.
낮아지고, 관측소를 통과한
후 멀어지면 관측된 기압은
점차 높아진다.
일시 기압(hPa) 풍향 a

23일 15시 991.1 북동풍


23일 21시 989.0 남동풍 b
P
24일 03시 984.9 남서풍
24일 09시 988.1 남서풍
24일 15시 992.5 남서풍 23일 09시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23일 15시부터 24일 09시까지 태풍에 공급되는 수증기의 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


였다.
ㄴ. 태풍의 실제 이동 경로는 a이다.
ㄷ. 24일 15시 이후에 관측소와 태풍 중심까지의 거리가 가장 가깝다.

①ㄱ ②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05강 대기의 변화 93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_13교-1.indd 93 2021-01-07 오후 1:50:54


3점 수능 테스트
[21026-0131]

09 그림 (가)는 어느 태풍의 이동 경로를, (나)와 (다)는 태풍의 중심부가 통과한 우리나라 두 관측소에
태풍은 우리나라를 관통하거 서 관측된 평균 풍속과 해면 기압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TÁ과 Tª는 시각을 나타낸 것이다.
나 우리나라 부근을 통과하면
서 세력이 약화된다.

(가)
25 1020 25 1020
A TÁ A Tª 1010
20 B 1010 20 B 1000
풍속

기압

풍속

기압
1000 990
15 15
990 980
(m/s) 10 (hPa) (m/s) 10 970 (hPa)
980
5 5 960
970 950
0 960 0 940
시간 시간
(나) (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TÁ은 Tª보다 나중이다.


ㄴ. A는 평균 풍속, B는 해면 기압이다.
ㄷ. ‌태풍이 ㉠ → ㉢으로 이동하는 동안 태풍의 중심 기압은 점차 낮아진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132]
온대 저기압은 편서풍의 영향
으로 이동하고, 열대 저기압
10 그림은 우리나라를 통과한 온대 저기압과 열대 저기압의 중
심이 이동하는 경로를 (가)와 (나)로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40ùN (가) (나)
은 무역풍과 편서풍의 영향으
로 이동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A

30ù

120ù 130ùE

ㄱ. (가)의 저기압은 전선을 동반한다.


ㄴ. (나)의 저기압은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동안 편서풍의 영향을 받았다.
ㄷ. ‌(가)와 (나)의 저기압이 각각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동안 A 지역의 풍향은 모두 시
계 방향으로 변하였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94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_13교-1.indd 94 2021-01-07 오후 1:50:55


정답과 해설 26쪽

[21026-0133]

11 그림은 어느 해 우리나라를 관통하는 어떤 태풍이 이동하는 3일 동안 일별 누적 강수량을 시간 순 태풍은 우리나라에 강한 바람


과 많은 강수를 동반하면서
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이 해 우리나라 연평균 강우량은 1401.9`mm이다.
북상하고, 우리나라 부근을
1000 1000 1000 통과할 때는 편서풍의 영향을
(870.5`mm) 받아 북동쪽으로 이동한다.
강릉 500 강릉 500 강릉 500

누적 강수량

누적 강수량

누적 강수량
200 200 200

100 100 100

50 50 50
(mm) (mm) (mm)
10 10 10

(가) (나) (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태풍이 이동하는 시간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 → (가) → (나) 순이다.


ㄴ. 이 기간 동안 강릉 지역에 우리나라 연평균 강우량의 60`% 이상의 강수가 내렸다.
ㄷ. 태풍의 일별 평균 중심 기압은 (나)보다 (다)가 더 낮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134]

12 그림은 어느 한 해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태풍의 위치 분포도를, 표는 이 해 우리나라에 영향을 태풍은 북태평양 서쪽의 위도
5ù~25ù의 열대 해상에서 주
준 태풍 중 솔릭, 짜미, 콩레이의 발생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로 발생한다. 위도가 높은 곳
50ùN 은 수온이 낮아 태풍이 발생하
기 어려우며, 적도 부근은 전
40ù
태풍 이름 위도(ùN) 경도(ùE) 향력이 없거나 약하기 때문에
30ù C 태풍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A 솔릭 13.2 143.7
B
20ù 짜미 13.6 145.1
콩레이 8.3 149.4
10ù

110ù 130ù 150ù 170ùE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적도 부근에서는 태풍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ㄴ. 태풍 솔릭, 짜미, 콩레이 모두 발생 위치는 C이다.
ㄷ. 태풍은 대륙보다 해양에서 잘 형성된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ㄱ, ㄷ

05강 대기의 변화 95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_13교-1.indd 95 2021-01-07 오후 1:50:56


3점 수능 테스트
[21026-0135]

13 그림 (가)는 어느 날 우리나라 주변의 지상 일기도를, (나)는 같은 시각에 기상 위성에서 관측한 위


정체 전선은 찬 기단과 따뜻 성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한 기단의 세력이 비슷하여
전선이 거의 이동하지 않고 50ùN

1016
2

1020
한곳에 오랫동안 머무르는 전 100 101 고
8
40ù

12
선이다.
1004

10
30ù 1016

1004 A

100
20ù 저

8
1000 B
120ù 130ù 140ù 150ùE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는 겨울철의 일기도이다.


ㄴ. A 고기압의 세력이 강해지면 장마 전선은 남하한다.
ㄷ. A 고기압의 세력이 강해지면 B의 이동 방향은 서쪽으로 편향된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ㄴ, ㄷ

[21026-0136]
태풍의 최저 중심 기압이 낮
을수록 최대 풍속은 커진다.
14 표는 2019년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의 특징을 나타낸 것이다.
태풍 이름 발생 ~ 소멸 최저 중심 기압(hPa) 최대 풍속(m/s)
다나스 7월 16일 ~ 7월 20일 990 24
프란시스코 8월 2일 ~ 8월 6일 975 32
레끼마 8월 4일 ~ 8월 12일 930 50
크로사 8월 6일 ~ 8월 16일 950 43
링링 9월 2일 ~ 9월 8일 940 47
타파 9월 19일 ~ 9월 23일 965 37
미탁 9월 28일 ~ 10월 3일 965 37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이 해 우리나라는 여름과 가을에 발생한 태풍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ㄴ. 태풍의 발생으로부터 소멸까지의 기간이 길수록 최저 중심 기압은 커진다.
ㄷ. 최저 중심 기압이 낮을수록 최대 풍속은 크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ㄱ, ㄷ

96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_13교-1.indd 96 2021-01-07 오후 1:50:56


정답과 해설 26쪽

[21026-0137]

15 그림 (가)는 1971년부터 2010년까지 우리나라에서 관측한 월별 우박 발생 일수를, (나)는 뇌우의 우박은 상승 기류와 하강 기
류가 함께 나타나는 성숙 단
발생에서 소멸까지의 과정 중 일부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계에서 주로 나타난다.
250

200
발생 일수

150
0 ùC 0 ùC
100
(일)
50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시간(월) A B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우박은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이 강할수록 잘 나타난다.


ㄴ. (나)에서 A가 B보다 먼저 나타난다.
ㄷ. 우박은 (나)의 B일 때 잘 나타난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138]

16 그림 (가)와 (나)는 우리나라에서 관측한 기상 현상이다. 뇌우, 우박은 강한 상승 기류


에 의해 적란운이 형성될 때
잘 발생한다.

(가) 뇌우 (나) 우박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는 온난 전선이 통과할 때 발생할 수 있다.


ㄴ. (나)는 적란운이 형성될 때 잘 발생한다.
ㄷ. (가)와 (나) 현상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5강 대기의 변화 97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_13교-1.indd 97 2021-01-07 오후 1:50:57


3점 수능 테스트
[21026-0139]

17 그림 (가)는 어느 날 새벽 3시에 우리나라 중부 지방에 집중 호우를 일으킨 구름의 위성 사진을,


집중 호우를 일으키는 구름은 (나)는 같은 날 A 지역에서 발생한 산사태를 나타낸 것이다.
대부분 적운형 구름이며 집중
호우는 자연 재해 및 인명 피
해를 일으킬 수 있다.
A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 지역 상공에 형성된 구름은 대부분 적운형 구름이다.


ㄴ. (가)는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관측하였다.
ㄷ. (가)에 의한 집중 호우는 (나)와 같은 자연 재해를 일으킬 수 있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140]
우박은 주로 공기의 연직 운
동이 활발한 적란운에서 발생
18 다음은 삼국사기에 나타난 기상 관련 기록 중 일부이다. 인용문에 제시된 월은 모두 음력이며, 양력
으로 환산한 날짜는 괄호 안에 표시하였다.
한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
치는 태풍은 주로 여름철에
발생한다. (가) 100년: 가을 7월(양력 8월 23일~9월 20일)에 우박이 내려 날던 새가 맞아 죽었다.
(나) 209년: 겨울 10월(양력 11월 15일~12월 14일)에 강한 바람이 불어 나무가 뽑혔다.
(다) ‌627년: 봄 3월(양력 3월 23일~4월 20일)에 큰 바람이 불고 흙이 비처럼 5일 이
상 떨어졌다.

이에 대한 학생들의 대화 중 타당하게 설명한 사람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철수: (가)가 발생했을 때 관측 지역에는 적운형 구름이 발달했을 거야.


•영희: (나)는 저위도에서 발생하여 북상한 태풍에 의해 일어났을 거야.
•수영: ‌(다)는 아시아 대륙의 건조 지역에서 이동해온 황사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었을
거야.

① 철수 ② 영희 ③ 철수, 수영 ④ 영희, 수영 ⑤ 철수, 영희, 수영

98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_13교-1.indd 98 2021-01-07 오후 1:50:57


정답과 해설 26쪽

[21026-0141]

19 다음은 기상 현상과 관련된 신문 기사의 일부이다. 집중 호우, 천둥, 번개, 우박


등은 적운형 구름에서 잘 발
생한다.
오늘 오후 ◯◯ 지역에서는 시간당 최고 40`mm에
달하는 ㉠ 집중 호우가 내려 주택과 건물이 침수되
었고 도로 곳곳이 유실되었습니다. 기상청에 의하
면 내일도 이 지역에는 ㉡ 천둥, 번개와 함께 우박이
떨어질 수 있으니, 농작물과 시설물 관리에 유의해
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은 층운형 구름이 발달할 때 나타난다.


ㄴ. ㉡은 뇌우의 발달 단계 중 성숙 단계에서 발생한다.
ㄷ. ㉠과 ㉡의 기상 현상은 대기가 불안정할 때 주로 발생한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142]

20 그림 (가)는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황사 발원지와 황사의 이동 경로를, (나)는 1973년부터 황사 발원지의 대기가 건조할
수록, 황사 발원지에서 풍속
2010년까지 네이멍구 고원의 P 지역에서 발원하여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황사의 발생 일수 및
이 빠를수록 황사가 발생하기
P 지역의 월평균 상대 습도와 풍속을 나타낸 것이다. 쉽다.
풍속 황사 발생 일수
(m/s) (일)
70 5.5 3.5
황사 발생 일수
네이멍구 고원 60 풍속 5.0 2.8
상대 습도

상대 습도
P 50 4.5 2.1

40 4.0 1.4
(%)
30 3.5 0.7

20 3.0 0.0
1 2 3 4 5 6 7 8 9 10 11 12
시간(월)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황사는 주로 봄철에 발생한다.


ㄴ. 황사 발원지의 풍속과 황사 발생 일수는 대체로 반비례한다.
ㄷ. 황사 발원지의 대기가 건조할수록 황사가 발생하기 쉽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5강 대기의 변화 99

072~09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5강.indd 99 2021-01-12 오후 2:08:51


II. 대기와 해양

06
지구과학Ⅰ

EBS 수능
특강
해양의 변화

개념 체크  해수의 성질
표층 해수의 온도 (1) 해수의 온도
•표층 수온은 저위도에서 고위도
① 표층 해수의 온도: 표층 해수의 온도 (단위: ùC)
로 갈수록 대체로 낮아진다. 계절
에 따른 표층 수온의 변화는 연 분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60ùN
8
1612
안보다 대양의 중심부에서 작다. 태양 복사 에너지이다. 따라서 표층 30ù 24
28
•등수온선은 대체로 위도와 나란 0ù 24
하게 나타난다. 등수온선이 위 수온은 위도와 계절에 따라 달라진다. 28
24
30ù 20
16 16
도와 나란하지 않은 곳은 해류 12
② 해수의 연직 수온 분포: 저위도와 중 812
4 8
4
나 용승 등의 영향을 받는 곳이 60ùS 0 0

다. 아열대 해양에서는 한류가


위도 지방의 해수는 수온의 연직 분포
60ùE 120ù 180ù 120ù 60ùW 0ù
흐르는 대양의 동안보다 난류가 에 따라 구분한다.
흐르는 대양의 서안에서 표층 전 세계 해수면의 평균 온도 분포
수온이 대체로 높다.
•혼합층: 태양 복사 에너지에 의한
수온(ùC)
가열로 수온이 높고, 바람의 혼합 작용으로 인해 수온이 깊이 0 5 10 15 20
용승
혼합층
심층의 찬 해수가 표층으로 상승 에 따라 거의 일정한 층이다. 혼합층의 두께(깊이)는 대체로
수온 약층
하는 현상이다. 바람이 강한 지역에서 두껍다(깊다). 1000

깊이
염류 •수온 약층: 혼합층 아래에서 깊이에 따라 수온이 급격히 낮아
2000
해수 중에 녹아 있는 여러 가지 무 지는 층이다. 수온 약층은 수심이 깊어질수록 해수의 밀도가 (m) 심해층
기물로, 해저 화산 활동 등에 의해
커지므로 매우 안정하며, 대류가 제한되므로 혼합층과 심해층 3000
공급되거나 육지에서 강물이나 지
하수를 통해 공급된다. 의 물질 및 에너지 교환이 억제된다.
4000
psu(실용염분단위) •심해층: 수온이 낮고 태양 복사 에너지가 도달하지 않으므로,
psu(practical salinity unit) 해수의 층상 구조
계절이나 깊이에 따른 수온의 변화가 거의 없다.
는 해수 1`kg에 들어 있는 총 염
류의 질량(g 수)을 나타내는 단위 ③ 위도별 해양의 층상 구조: 혼합층의 두께(깊이)는 저위도 지방보다 바람이 강한 중위도 지방
이다. 에서 두껍다(깊다). 또한 고위도 지역의 표층수는 흡수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가 매우 적어 심
해층과 수온 차가 거의 없기 때문에 수온 약층이 발달하지 못한다.
1. 표층 해수의 온도 분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 수온(ùC) 위도
인은 ( ) 복사 에너지 0 5 10 15 20 25 60ùN 30ù 0ù 30ù 60ùS

이다. 혼합층
수심

500 수온 약층
저위도

2. 아 열대해양에서는 대양 (m)
1000 중위도
의 동안보다 서안에서 해
심해층
수의 표층 수온이 대체로 1500 고위도
( )다.
위도별 해양의 수온 분포와 층상 구조
3. ( )의 두께는 바람이
약한 저위도 지방보다 바 (2) 해수의 염분
염화 마그네슘 3.81`g
람이 강한 중위도 지방에 ① 염분: 해수 1`kg 속에 녹아 있는 염류의 총량을 g 수로 나타
서 두껍다. 황산 마그네슘
낸 값이다. 단위는 psu(실용염분단위)를 쓴다. 전 세계 해수 1.66`g

의 평균 염분은 약 35`psu이다. 황산 칼슘
1.26`g
정답 염화 나트륨
② 표층 염분의 변화: 표층 염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27.21`g 기타
1. 태양 1.06`g
2. 높 증발량과 강수량이다. 표층 염분은 대체로 (증발량-강수량)
3. 혼합층
값이 클수록 높다. 염분이 35`psu일
염분이 35`psu인 때 1`kg구성
해수염류 에
녹아 있는 염류의 구성

100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00~11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6강_13교-1.indd 100 2021-01-07 오후 1:53:29


•염분의 증가 요인: 증발, 해수의 결빙
•염분의 감소 요인: 강수, 육지로부터 담수의 유입, 빙하의 융해 개념 체크
③ 표층 염분의 분포: 증발량이 강수량보다 많은 중위도 고압대의 해양에서는 표층 염분이 높게 해수의 결빙과 염분 변화
해수의 결빙이 일어날 때 염류는
나타난다.
빠져나가고 순수한 물만 얼기 때문

증발량
200 200 100 36 에 주변 해수의 염분이 높아진다.
표층
50 염분
증발량

강수량
강수량

염분
증발량
35 염분비 일정 법칙

_
강수량
100 100 0
(psu) 19세기에 세계 주요 해양의 해수
(cm/년) (cm/년)
-50 를 분석한 결과, 각 해양에서 염분
(cm/년) 증발량-강수량
34
-100 은 서로 다르지만 해수에 녹아 있
0 0
80ùN 60ù 40ù 20ù 0ù 20ù 40ù 60ù 80ùS 80ùN 60ù 40ù 20ù 0ù 20ù 40ù 60ù 80ùS 는 주요 염류들 사이의 상대적 비
위도 위도
율은 모든 해양에서 거의 일정하
증발량과 강수량의 분포 (증발량-강수량)과 표층 염분 분포 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염분
비 일정 법칙이라고 한다.
•적도 지방은 저압대가 위 (단위: psu)
30
34 33 25
치하므로 증발량보다 강 30 1. 적도 해역은 증발량이 강
60ùN
동해 35 수량보다 적어서 표층 염
수량이 많아 표층 염분이
30ù 35 37 분이 중위도 해역보다
35 36
중위도 지방보다 낮다. 34 35 ( )게 나타난다.
0ù 35 35
36
•극 지방은 증발량이 적 36
30ù
35 36 2. 극지방에서 결빙이 일어나
고 빙하가 융해되어 표
60ùS 34 34 34 면 주변 해수의 표층 염분
층 염분이 낮다. 하지만 이( )아진다.
얼음이 어는 해역에서는 60ùE 120ù 180ù 120ù 60ùW 0ù
전 세계 해양의 평균 표층 염분 분포 3. 육 지로부터 담수가 흘러
표층 염분이 높게 나타난다.
들어오는 연안은 대양의
•육지로부터 담수가 흘러들어오는 연안은 대양의 중심부보다 표층 염분이 낮다. 중심부보다 표층 염분이
( )다.

4. 우리나라 주변 해수의 표
탐구자료 살펴보기 우리나라 주변 해수의 수온, 염분 분포 층 염분은 여름철보다 겨
[탐구 자료] 울철에 대체로 ( )다.
그림 (가)와 (나)는 우리나라 주변 해역에서 계절에 따른 표층 수온과 표층 염분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2월 0
8월 2월 8월
20 34.0
2 22 33.0
40ùN 46 40ùN 40ùN 40ùN
24
8 25 25 31.0 34.2 34.0 33.8
4 31.0
10 26 26
6 12 27 33.0
32.0 30.0
8 33.0
14 16 27 27 34.0
16 18 34.8
28 33.0
10
12
18
20 28 28.5
30ù 14 (ùC)
30ù (ùC) 30ù 33.5 34.5
34.0 (psu) 30ù 34.0 (psu)
120ù 130ù 140ùE 120ù 130ù 140ùE 120ù 130ù 140ùE 120ù 130ù 140ùE
(가) 표층 수온 분포 (나) 표층 염분 분포

[탐구 결과]
1. 표층 수온: 2월보다 8월에 높고, 남북 간의 표층 수온 차는 8월보다 2월에 크다.
2. 표층 염분: 8월보다 2월에 높고, 연안보다 외해에서 대체로 높다.

[분석 point]
•표층 수온은 태양 복사 에너지가 강한 여름철에 더 높고, 난류의 영향을 받는 해역에서 더 높다. 특히 황해는 평 정답
균 수심이 얕고 대륙 및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아 수온의 연교차가 크게 나타난다. 1. 낮
•표층 염분은 강수량이 많은 여름철에 대체로 낮고, 강물이 유입되는 연안에서 낮게 나타난다. 또한 난류보다 한 2. 높
류가 흐르는 해역에서 더 낮게 나타난다. 3. 낮
4. 높

06강 해양의 변화 101

100~11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6강_13교-1.indd 101 2021-01-07 오후 1:53:30


06
지구과학Ⅰ 해양의 변화

(3) 해수의 밀도
개념 체크 ① 해수의 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해수의 밀도는 주로 수온과 염분에 의해 결정된다.  해수
밀도 약층
의 밀도는 수온이 낮을수록, 염분이 높을수록, 수압이 클수록 커진다.
수심이 깊어질수록 밀도가 급격하 ② 해수의 밀도 분포: 깊이에 따른 압력의 효과를 무시할 때 해수의 밀도는 약 1.021~1.027`
게 커지는 층으로, 수온 약층이 나 g/cmÜ`로 순수한 물보다 크다.
타나는 깊이와 대체로 일치한다.
•표층 해수의 밀도 분포: 표층 해수의 밀도는 남반구의 경우 80ùS 부근에서, 북반구의 경우
수온 염분도 약 50ùN~60ùN에서 최댓값을 가지며, 적도 부근에서 최솟값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수괴는 밀도가 달라
•해수의 연직 밀도 분포: 북반구의 경우 저위도와 중위도 해역에서 해수의 밀도는 수심이
두 수괴가 만나더라도 쉽게 섞이
지 않기 때문에 오랜 기간 동안 그 깊어질수록 커지다가 심해에서는 거의 일정하다.
특성을 유지한다. 따라서 수온 염
30 30 밀도 약층
밀도 약층 수온 약층
수온 약층
분도를 이용하면 수괴의 특성뿐만
수온 수온 20 20 0 0 혼합층 혼합층
0 0
아니라 이동까지 추정할 수 있다. 1.028 1.028
밀도

밀도

수온

수온
10 10 1 1 1 1

수심

수심
1.026 1.026
기체의 용해도 (g/cmÜ(g/cmÜ
`) `)
1.024 1.024 0 (ùC)0 (ùC) 2
(km) (km) 2 심해층 심해층2 2
기체는 용액의 온도가 낮을수록, 밀도 밀도
기체 압력이 클수록 많이 녹는다. 1.022 1.022 -10 -10 3 3 3 3

4 4 4 4
80ùS 80ùS
40ù 40ù
0ù 40ù
0ù 80ùN
40ù 80ùN 밀도 밀도 수온 수온
위도 위도
1. 해 수 의 밀도는 수온이 위도별 표층 해수의 수온과 밀도 분포 해수의 연직 밀도와 수온 분포
( )을수록, 염분이
③ 수온 염분도(T-S도): 해수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로, 수 20
( )을수록 커진다.
1.0250 C
온(Temperature)과 염분(Salinity)의 첫 글자를 따서 15 1.0270
2. 해수의

수온
용존 산소량은 해 1.0260
수온 염분도(T-S도)라고 한다. 10 1.0280
수의 표층보다 심층에서 B
( )다.
•오른쪽 그림에서 해수의 수온은 A<B<C이고, 염분은 (ùC)
5
A<B=C이며, 해수의 밀도는 C<B=A이다. 1.0290
0 A 등밀도선(g/cmÜ`)
3. 해수의 용존 이산화 탄소 •수온 염분도(T-S도)를 이용하면 해수의 밀도를 알아낼
33.5 34.5 35.5 36.5
량은 표층에서 ( ) 때 염분(psu)
수 있으며, 해수의 특성과 이동을 추정할 수 있다.
문에 적지만 수심이 깊어 수온 염분도(T-S도)
질수록 증가한다. (4) 해수의
‌ 용존 기체: 해수의 용존 기체량은 일차적으로 기체
의 용해도에 영향을 미치는 온도, 대기압 및 염분에 의해 결정된다. 용존 기체의 분포는 해
수 중에 존재하는 생물 활동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① 용존 산소: 용존 산소량은 식물성 플랑크톤의 광합성과 대기로부터의 산소 공급에 의해 해수
표층에서 가장 많다. 심해에서는 극지방의 표층에서 침강한 찬 해수에 의해 용존 산소량이
약간 많다.
② 용존 이산화 탄소: 이산화 탄소는 산소보다 기체의 용해도가 크므로 용존 이산화 탄소량은
용존 산소량보다 전체적으로 많다. 표층에서는 광합성 때문에 용존 이산화 탄소량이 적지만
수심이 깊어질수록 증가한다.
99 88 10 10 용존 산소량(mL/L)
용존 산소량(mL/L)
0 1 21 32 43 54 6 5 6
60ùN 0
60ùN 9 9
용존 산소량

77
용존 산소량

66
30ù 10001000
30ù 55 8 8
깊이
깊이

0ù 2000
0ù 7 2000
5 7 (m) 산소 이산화
(mL/L) (m) 산소 이산화
30ù
30ù 6 5
6 (mL/L) 30003000 탄소
정답 6 탄소
7 6
1. 낮, 높 60ùS 8 4000
8 7
60ùS 5 400044 46 48 50 52
2. 적 5 44 46
용존 이산화 48(mL/L)
탄소량 50 52
60ùE 120ù 180ù 120ù 60ùW 0ù 용존 이산화 탄소량(mL/L)
60ùE 120ù 180ù 120ù 60ùW 0ù
3. 광합성
연평균 표층 용존 산소량 분포 수심에 따른 용존 기체량의 변화

102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00~11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6강_13교-1.indd 102 2021-01-07 오후 1:53:31


 해수의 표층 순환 개념 체크
(1) 대기 대순환 전향력

① 지구의 복사 평형: 지구는 흡수한 태양 복사 에너지와 같은 양의 에너지를 우주 공간으로 방 자전하는 지구에서 운동하는 물체
에 나타나는 가상의 힘으로 북반구
출하므로 지구의 평균 기온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에서는 물체가 운동하는 방향의 오
② 위도에 따른 열수지: 위도에 따라 태양 복 에너지양(W/mÛ`) 른쪽으로, 남반구에서는 물체가 운
0.6 0.4 0.2 0 북극 동하는 방향의 왼쪽으로 작용한다.
90ùN
사 에너지의 흡수량과 지구 복사 에너지의
대기와 해수에

태양 복사 에너지의
흡수량
에너지 38ù 38ùN

지구 복사 에너지의
방출량
방출량이 차이가 난다. 부족 의한 열수송 대기 대순환
지구의 실제 대기 대순환은 지구
•저위도 지방(적도~위도 약 38ù)에서는 자전뿐만 아니라 대륙과 해양의

에너지가 남고, 고위도 지방(위도 약 38ù 적도
분포 등에 의해 이론적인 모형보
다 훨씬 복잡하게 나타난다.
~극)에서는 에너지가 부족하다. 에너지
부족 대기와 해수에 38ùS
38ù
 복사 평형 상태일 때 에너지 과잉량과 에너지
과잉
의한 열수송
90ùS
부족량의 크기는 같다. 남극 1. 대기 대순환의 발생 원인은
위도에 따른 열수지 위도에 따른 ( ) 불균
•대기와 해수의 순환: 저위도의 남는 에
형이다.
너지를 에너지가 부족한 고위도로 운반한다.
③ 대기 대순환의 원인: 지구 규모의 열에너지 이동을 일으키는 가장 큰 규모의 대기 순환으로, 2. 지구가 자전하지 않을 때
북반구에서는 ( )개의
위도에 따른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과 지구 복사 에너지의 양 차이에서 비롯된 에너지 불균
순환 세포가 형성되며, 지
형이 대기 대순환의 원인이다. 찬 공기
상에서는 ( )풍이 분다.

(2) 대기 대순환 모형 3. 대기 대순환 모형에서 위도


① 단일 세포 순환 모형(지표면이 균일하고 자전하지 않는 지 북풍
0ù~30ù 사이에 형성된 순
환 세포를 ( ) 순환이
구): 적도 지방에는 상승 기류가, 극지방에는 하강 기류가
라고 한다.

발달하여 북반구 지상에는 북풍만, 남반구 지상에는 남풍만 따뜻한 공기

분다. 남풍 4. 해 들리 순환과 극순환은


( ) 순환이고, 페렐 순
② 대기 대순환 모형(자전하는 지구): 지구 자전에 의한 전향력
찬 공기 환은 ( ) 순환이다.
의 영향으로 각 반구에 3개의 순환 세포가 형성된다.
지구가 자전하지 않을 때
•해들리 순환: 적도 지방에서 공기가 상승하여 고위도로 대기 대순환 모형
이동한 다음 위도 30ù 부근에서 하강하여 다시 적 극 고압대
한대 전선대
도 지방으로 되돌아온다. 이때 적도 지방에서는 극순환
극동풍
열대 수렴대(적도 저압대)를 형성하고, 위도 30ù 60ùN
아열대 고압대 페렐 순환
부근에서는 아열대 고압대(중위도 고압대)를 형성 편서풍
30ù
한다. 적도 저압대 무역풍
해들리 순환

•페렐 순환: 위도 30ù 부근에서 공기가 하강하여 0ù


고위도로 이동한 다음 위도 60ù 부근에서 상승한다.
30ùS
•극순환: 극지방에서 공기가 하강하여 저위도로
이동한 다음 위도 60ù 부근에서 상승한다. 페렐 지구가 자전할 때 대기 대순환 모형

순환과 극순환이 만나는 위도 60ù 부근에서는 한대 전선대를 형성한다. 정답


1. 에너지
③ 직접 순환과 간접 순환: 해들리 순환과 극순환은 가열된 공기가 상승하거나 냉각된 공기가 하 2. 1, 북
강하면서 만들어진 열적 순환으로 직접 순환에 해당한다. 이에 비해 위도 30ù~60ù 사이의 3. 해들리
4. 직접, 간접
페렐 순환은 해들리 순환과 극순환 사이에서 형성된 간접 순환이다.

06강 해양의 변화 103

100~11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6강_13교-1.indd 103 2021-01-07 오후 1:53:31


06
지구과학Ⅰ 해양의 변화

(3) ‌해수의 표층 순환: 표층 해류는 육지로 가로막힌 대양 안에서 몇 개의 거대한 순환을 이루


개념 체크 고 있으며, 적도 부근을 경계로 북반구와 남반구가 대체로 대칭적인 분포를 보인다.
표층 순환 ① 해양은 대륙에 의해 가로막혀 있으므로 동서 방향으로 흐르던 해류가 대륙과 부딪혀 남북 방
해양의 표층에서 수평 방향으로 일
향으로 갈라져 흐르면서 순환을 이룬다.
어나는 해수의 순환으로 아열대 순
환, 아한대 순환 등이 있다.
② 표층 순환은 적도 부근을 경계로 북반구와 남반구가 거의 대칭을 이루면서 순환한다.

난류
1. 표층

해류
해류는 ( )에 의
한류 극동풍
해 형성되므로 표층 해류 60ùN 60ùN



의 방향은 대기 대순환의 북대 카나
쿠로시오 캘리포니아
평양 해 해류 리아 편서풍
영향을 받는다. 해류 북태 류
30ù 멕시코 해류 30ù
북적도 해류 만류
북동 무역풍
2. 북적도 해류와 남적도 해 0ù 모잠비크
적도 반류

해류 남적도 해류 페
류는 ( )에 의해, 북태

해류
서오스트레일리아 루 남동 무역풍
30ù 벵겔라 동오스트레일리아
30ù


평양 해류는 ( )에 의 해류
해류
해류 해

브라
해 형성된다. 류 편서풍
60ùS 60ùS
남극 순환 해류
3. 북반구의 아열대 순환에서 극동풍

해류는 ( ) 방향으로, 20ùE 60ù 100ù 140ù 180ù 140ù 100ù 60ù 20ùW

남반구의 아열대 순환에서 전 세계 표층 해류의 분포와 대기 대순환에 의한 바람


해류는 ( ) 방향으로
흐른다. ③ 아열대 순환: 무역풍대의 해류와 편서풍대의 해류로 이루어진 순환을 말한다.
•북태평양: 북적도 해류, 쿠로시오 해류, 북태평양 해류, 캘리포니아 해류로 이루어져 있으
4. 편 서풍에의해 남극 대
륙 주위를 흐르는 해류를 며, 시계 방향으로 순환한다.
( )라고 한다. •남태평양: 남적도 해류, 동오스트레일리아 해류, 남극 순환 해류, 페루 해류로 이루어져 있
으며, 시계 반대 방향으로 순환한다.
5. 북 반구와남반구의 표층
순환은 적도 부근을 경계 •북대서양: 북적도 해류, 멕시코 만류, 북대서양 해류, 카나리아 해류로 이루어져 있으며,
로 대체로 ( )적인 분 시계 방향으로 순환한다.
포를 보인다.
•남대서양: 남적도 해류, 브라질 해류, 남극 순환 해류, 벵겔라 해류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
계 반대 방향으로 순환한다.

④ 아한대 순환: 편서풍대의 해류와 극동풍에 의한 해류가 이루는 순환으로, 대양이 육지로 막
혀 있는 북반구에서만 나타난다.

극동풍
60ùN
아한대 순환
편서풍

아열대 순환
30ùN
북적도 해류
북동 무역풍
0ù 적도 반류 적도
정답 남동 무역풍
남적도 해류
1. 바람 30ùS 아열대 순환
2. 무역풍, 편서풍
편서풍
3. 시계, 시계 반대 남극 순환 해류
4. 남극 순환 해류 60ùS 극동풍 남극 대륙
5. 대칭
대기 대순환과 표층 순환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

104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00~11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6강.indd 104 2021-01-12 오후 2:12:18


⑤ 대양의 서쪽 연안을 따라 흐르는 해류는 지구 자전의
개념 체크
영향으로 동쪽에서 흐르는 해류에 비해 속도가 빠르
조경 수역
다.  북태평양의 서쪽에서 흐르는 쿠로시오 해류 난류와 한류가 만나는 곳으로 영
는 동쪽에서 흐르는 캘리포니아 해류에 비해 유속이 양염, 플랑크톤, 용존 산소량이 풍
부하여 좋은 어장이 형성된다.
훨씬 빠르다.
시각화한 해류의 모습
⑥ 해수의 표층 순환은 지구의 자전, 대기 대순환, 대륙
의 분포 등의 영향을 받아 이론적인 모형보다 훨씬 복잡하게 나타난다. 1. 해류는 ( )위도의 에너
지를 ( )위도로 수송하
(4) 해류의 역할 는 역할을 한다.
1월 평균 기온:`0`ùC
① 해류는 저위도의 에너지를 고위도로 수송하는 역할을 레이캬비크
아이슬란드
60ùN
하며, 전 세계의 기후와 해양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미국
영국 2. 우리나라 주변 난류의 근
1월 평균 기온:`-2`ùC
원은 ( ) 해류이다.
뉴욕
② 멕시코 만류에서 시작한 북대서양 해류는 고위도에
멕시코 만류
30ù
위치한 레이캬비크 주변을 흘러 레이캬비크의 겨울 북대서양 3. 동해에서는 ( ) 난류
철 기후를 상대적으로 온화하게 해준다. 그러나 저 와( ) 한류가 만나 조
경 수역이 형성된다.
위도에 위치한 뉴욕에서는 비교적 멀리 떨어져 흐 해류의 영향
르고, 뉴욕은 대륙의 동안에 위치하여 겨울철 평균 기온이 레이캬비크보다 낮다. 4. 한류는 난류에 비해 용존
(5) 우리나라 주변의 해류 산소량과 영양염이 ( )
다.
① 난류: 우리나라 주변 난류의 근원은 쿠로시오 해류이다. 쿠로시오 해류의 지류가 동중국해에
서 갈라져 나와 북상하여 황해 난류, 대마 난류(쓰시마 난류), 동한 난류를 형성한다.
•황해 난류: 쿠로시오 해류의 지류가 북상하다가 제주도 부근 해역에서 갈라져 황해의 중앙
부 쪽으로 북상한다.
•대마 난류(쓰시마 난류): 제주도 남동쪽에서 남해를 거쳐 대한 해협을 통과한 후 동해로 흘
러 들어간다.
•동한 난류: 대한 해협에서 대마 난류로부터 갈라져 나와 동해안을 따라 북상한다. 동해에
서 북한 한류와 만나 조경 수역을 형성한 후 동진하여 대마 난류와 다시 합류한다.
② 한류: 우리나라 주변 한류의 근원은 연해주를 따라 남하하는 연해주 한류이다.
•‌북한 한류는 연해주 한류와 연결되기도 하고, 끊어지기도 하면서 동해안을 따라 남하하다
가 동한 난류와 만난다.
③ 난류와 한류의 특징: 난류는 수온과 염분이 높고, 영양염과 용존 산소량이 적어 식물성 플랑
크톤이 적다. 반면, 한류는 수온과 염분이 낮고, 영양염과 용존 산소량이 많아 식물성 플랑크
톤이 많다.
0.25`m/s
0.25`m/s
연해주
연해주
한류
한류
북한 42ùN
42ùN
북한
한류
한류
난난류류
한한
동동
서한
서한연안류
연안류 난류난류류)류)
대마대마마 마
난난 39ù
39ù
중국 시시 류
중국 (쓰(쓰 오오해해류
연안류
연안류 황해 시 시
황해 쿠로쿠로 정답
난류
난류
대만 1. 저, 고
대만
류큐
류큐 36ù
36ù
난류
난류 난류
난류 2. 쿠로시오
해류
해류 한류
한류
126ù 129ù 132ù 135ùE 3. 동한, 북한
126ù 129ù 132ù 135ùE
4. 많
우리나라 주변의 표층 해류 분포 동해에서 해류의 유속 분포

06강 해양의 변화 105

100~11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6강_13교-1.indd 105 2021-01-07 오후 1:53:33


06
지구과학Ⅰ 해양의 변화

 해수의 심층 순환
개념 체크 (1) 심층 순환

적도 해역
① 해양에서는 표층뿐만 아니라 수심이 깊은 곳에도 해

극 해역
밀도류
에너지 에너지
심층 순환을 이루는 해류는 물의
류가 존재한다. 표층에서 수온이 낮아지거나 염분이
밀도 차에 기인하기 때문에 심층
가열 냉각
해류를 밀도류라고도 한다. 높아지면 밀도가 커진 해수가 심해로 가라앉아 해수 표층류

의 순환이 일어나는데, 이를 심층 순환이라고 한다. 수온 약층


해수의 순환
해수가 표층에서 침강한 뒤 심층 ② 심층 순환은 수온과 염분 변화에 따른 밀도 차로 형
침강
순환을 거쳐 다시 처음의 표층으로 성되기 때문에 열염 순환이라고도 한다. 심해 확산
되돌아오는 데는 수백 년에서 천
년에 가까운 오랜 시간이 걸린다.
③ 극 해역의 좁은 면적에서 차갑게 냉각된 해수는 밀도
가 커져 상대적으로 빨리 가라앉는다. 이후 가라앉은
심층 순환 모형
해수는 저위도로 이동하여 온대나 열대 해역에 걸쳐
1. 해수의
심층 순환은 해수
의( ) 차에 의해 일어 매우 천천히 상승하고 표층을 따라 극 쪽으로 이동한다.
나는 순환이다.

2. 해수의
심층 순환은 표층
탐구자료 살펴보기 심층 순환의 원리
순환에 비해 해수의 이동
속도가 매우 ( ). [탐구 과정]
1. 수조에 약 20`¾의 물을 ;3@; 정도 채우고, 수조 한쪽에 구멍 뚫린 종이컵의 아랫부분이 물에 잠길 정도로 놓고 접
3. 표층에서 침강하여 흐르면
서 수온과 염분이 거의 일 착테이프로 고정시킨다.
정하게 유지되는 해수 덩 2. 색소를 탄 얼음물을 수조의 종이컵에 붓고 얼음물의 이동을 관찰한다.
어리를 ( )라고 한다. 3. 색소를 탄 약 20`¾의 소금물을 이용하여 과정 1과 2를 반복한다.

얼음물 소금물

[탐구 결과]
얼음물과 소금물은 모두 수조의 물보다 밀도가 크므로 수조 바닥에 가라앉은 후 바닥을 따라 천천히 움직인다.

[분석 point]
•얼음물과 소금물이 가라앉는 곳은 실제 해양에서 침강이 일어나는 해역에 해당하고, 얼음물과 소금물이 바닥을
따라 움직이는 것은 심층 해류에 해당한다.
•실제 해양에서도 수온이 낮거나 염분이 높은 고밀도 해수가 가라앉아 심해에서 이동하는 심층 순환이 일어난다.

(2) 심층 순환의 특징
① 심층 순환은 수온과 염분 및 밀도를 조사하여 간접적으로 흐름을 알아낼 수 있다.
② 수괴: 표층에서 침강하여 흐르면서 수온과 염분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해수 덩어리이다.
정답
수괴는 성질이 다른 수괴와 잘 섞이지 않기 때문에 수온과 염분이 거의 변하지 않는다.
1. 밀도
2. 느리다 ③ 수괴 분석: 수괴의 성질을 조사하여 수온 염분도에 나타내면 그 기원과 이동 경로를 추정할
3. 수괴 수 있다.

106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00~11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6강_13교-1.indd 106 2021-01-07 오후 1:53:33


과학 돋보기 수온 염분도를 이용한 해수의 이동 해석 개념 체크
그림 (가)는 대서양 해역과 지중해에서 관측된 해수 A, B, C의 수온과 염분을, (나)는 대서양으로 들어가는 지중해 해 침강 해역
수 C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북대서양 심층수는 그린란드 남쪽
등밀도선(g/cmÜ`) 의 래브라도해와 그린란드 동쪽의
20
40 노르웨이해에서 형성되고, 남극
1.02 5
. 0 2 4 저층수는 남극 대륙 주변의 웨델
1
15 0250 A 0
1. C 해와 로스해에서 형성된다.
55 200
1.02
수온

10 60 400 대서양 해수 A 지중해 해수 C

수심
2
1.0 280 600 북대서양 심층수와 남극 저층
(ùC)
65 1.0 지브롤터
5 1.02 B (m) 800 문턱 수의 수온과 염분 비교
1000
0
27

0
북대서양 남극
1.0

5
5

29
1200
28
27

0 수괴
1 .0
1.0

대서양 해수 B
1 .0

2000 심층수 저층수


33.5 34.0 34.5 35.0 35.5 36.0 36.5
염분(psu) 평균
3`¾ -0.5`¾
(가) (나) 수온
(가)에서 A와 B는 지중해와 만나는 대서양에서 각각 수심 200~800`m, 1200`m보다 깊은 곳에 있는 해수이고, C는 평균
34.9`psu 34.7`psu
지중해의 해수이다. 지중해의 해수 C가 대서양으로 유출되면 A보다 밀도가 크고 B보다 밀도가 작으므로, 대서양에서 염분
수심 약 1000`m 부근을 따라 이동한다.

1. 극 지역에서 밀도가 커져
④ 대서양에서의 심층 순환 ( )한 해수는 저층에서
적도를 향해 흐른다.
•남극 저층수: 남극 대륙 주변의 웨델해에서 만들어진 남극 저층수는 해저를 따라 북쪽으로
이동하여 30ùN까지 흐른다. 2. 북대서양 심층수는 남극 저
•북대서양 심층수: 그린란드 해역에서 만들어진 북대서양 심층수는 수심 약 1500~4000`m 층수보다 밀도가 ( )다.

사이에서 60ùS까지 이동한다.


3. 심층 순환은 용존 ( )
•남극 중층수: 60ùS 부근에서 형성된 남극 중층수는 수심 1000`m 부근에서 20ùN까지 이동 가 풍부한 표층 해수를 심
한다. 해로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4545
1.012.02 5050
그린란드
그린란드
아이슬란드
아이슬란드 남극
남극중층수
중층수 1.012.02252555
1515 1.01.0 .02.062060 등밀도선 등밀도선 (g/cmÜ
(g/cmÜ `) `)
1 1
유럽
유럽 아프리카
아프리카 6565
1.012.02 7070
수온
수온

0 0 1010 1.012.02 75 75
1000
1000 북대서양1.012.02 280280
북대서양
수심
수심

2000
2000 (ùC)
(ùC) 남극
5 5중층수
남극 심층수심층수 1.01.0 5 5
3000
3000
북대서양
북대서양 심층수심층수 중층수 28 28
(m)
(m) 1.01.0
4000
4000 남극 남극 남극남극
저층수저층수 0 0 저층수
저층수
5000
5000
6000
6000 33.5 34.0 34.5
33.5 34.0 34.5 35.0
35.0 35.5
35.5 36.0
36.0
60ùN
60ùN
50ù50ù
40ù40ù
30ù30ù
20ù20ù
10ù10ù0ù 0ù10ù10ù
20ù20ù
30ù30ù
40ù40ù
50ù50ù
60ù60ù
70ù70ù
80ùS
80ùS 염분염분 (psu)
(psu)
대서양에서의 심층 순환 대서양 수괴의 수온과 염분

⑤ 심층 순환의 역할: 거의 전체


수심에 걸쳐 일어나면서 해
수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하
표층수
며, 표층 순환과 연결되어 열 심층수
저층수
에너지를 수송하여 위도 간
의 열수지 불균형을 해소시 침강 지역
정답
킨다. 또한 용존 산소가 풍 용승 지역
1. 침강
부한 표층 해수를 심해로 운 전 세계 해수의 순환 2. 작
3. 산소
반하여 심해에 산소를 공급한다.

06강 해양의 변화 107

100~11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6강_13교-1.indd 107 2021-01-07 오후 1:53:34


2점 수능 테스트 [21026-0145]

03 그림은 북반구 해양의 표층 염분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21026-0143] 25 (단위: psu)
01 그림은 우리나라 주변의 어느 해역에서 2월과 8월에 측정
30
60ùN
한 깊이에 따른 수온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35
B
수온(ùC) 34
0 5 10 15 20 25 30ù
35 37
A A C
100 B 36
34
200 0ù
140ùE 180ù 140ù 100ù 60ù 20ùW
수심

300
(m) A, B, C 해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400
고른 것은?
500

600
ㄱ. (증발량-강수량)은 A 해역이 B 해역보다 작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ㄴ. ‌표층 해수 1`kg 속에 녹아 있는 염류의 총량은 C 해
역에서 가장 많다.
ㄱ. A는 2월에 측정한 수온 자료이다. ㄷ. 표층 용존 산소량은 B 해역이 A 해역보다 많다.
ㄴ. 바람의 평균 풍속은 A일 때가 B일 때보다 빠르다.
ㄷ. ‌수심 400`m보다 깊은 곳에는 태양 복사 에너지가 거 ①ㄱ ②ㄷ ③ ㄱ, ㄴ
의 도달하지 않는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21026-0146]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4 그림 (가)와 (나)는 우리나라 동해에서 2월과 8월에 측정한
수온과 염분을 깊이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21026-0144]

02 그림은 북태평양의 표층 수온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0 5


수온(ùC)
10 15 20 25
염분(psu)
32.4 32.7 33.0 33.3 33.6 33.9 34.2 34.5
0
60ùN
(단위: ùC) 100 100
6
수심

수심

6 8 10 200 200
12
40ù 16 14
18 (m) 300 (m) 300
20
A 22 B
24
26 400 2월 400 2월
20ù 8월 8월
28 28 500 500
28 (가) (나)
26

140ùE 180ù 140ù 100ùW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혼합층은 8월보다 2월에 두껍다.
ㄱ. 표층 수온은 고위도로 갈수록 대체로 높아진다. ㄴ. 표층 해수의 밀도는 8월보다 2월에 크다.
ㄴ. 아열대 해양에서 등수온선은 대체로 위도에 나란하다. ㄷ. 2월과
‌ 8월 모두 수심 100~400`m 구간에서 밀도는
ㄷ. 표층 용존 산소량은 A 해역이 B 해역보다 많다. 깊이가 깊어질수록 지속적으로 감소한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08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00~11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6강_13교-1.indd 108 2021-01-07 오후 1:53:35


정답과 해설 30쪽

[21026-0147] [21026-0149]

05 다음은 어느 신문 기사의 일부이다. 07 그림은 서로 다른 해수 A, B, C를 수온 염분도에 나타낸


34
것이다.
(psu)
2017년 ◯월 ◯일 37ùN 35 20
중국 양쯔강 연안에 34
33 1.025 C
15 1.027
서 대규모 ㉠ 저염 34ù 32

수온
31

염분
1.026
분수가 발생하였다. 10 1.028
30
ⓐ (ùC) B
31ù 29
◯◯연구원은 위성 5 등밀도선(g/cmÜ`)
28
자료를 통해 ㉡ 저염 27 1.029
28ù 26 0 A
분수의 이동 경로 25 33.5 34.5 35.5 36.5
118ù 121ù 124ù 127ù 130ùE
를 예측하고, 지속 염분(psu)
표층 염분 분포도
적인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해수 A, B, C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저염분수: 염분이
‌ 상대적으로 매우 낮고 온도가 높은 물 덩어리 고른 것은?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ㄱ. 수온은 A가 가장 높다.


것은? ㄴ. ‌B와 C의 밀도 차는 수온보다 염분의 영향이 더 크다.
ㄷ. ‌같은 질량의 A와 B를 섞은 해수의 밀도는 1.0275`
ㄱ. ‌㉠은 담수 유입으로 인해 생성된다.
g/cmÜ`보다 크다.
ㄴ. 바람과 해류는 ㉡에 영향을 줄 수 있다.
ㄷ. ⓐ 해역의 표층 해수는 주변 해수보다 밀도가 크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150]
[21026-0148]

06 그림 (가)와 (나)는 2월과 8월에 우리나라 동해안의 어느 지 08 그림은 어느 해역에서 관측한 깊이에 따른 용존 산소와 용
존 이산화 탄소의 농도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A와 B는 각각 산소
점에서 먼 바다로 가면서 측정한 연직 염분 분포를 순서 없이 나타
와 이산화 탄소 중 하나이다.
낸 것이다.
산소의 농도(mL/L)
해안에서의 거리 해안에서의 거리 0 1 2 3 4 5 6
0 0
31.4 31.8
10 10 32.6
34.2 33.4 33.6 200
20 20 33.8
34.1
30 30 B
깊이
수심

수심

34 400
40 34 40 34.2
(m) 50 34 (m) 50 (m) 600 A
.2
60 60 34

70 70 800
P
80 80 1000
(단위: psu) (단위: psu) 45 47 49 51
이산화 탄소의 농도(mL/L)
(가) (나)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ㄱ. 표층에서의 농도는 A가 B보다 높다.
ㄱ. (가)는 2월의 염분 분포이다. ㄴ. A의
‌ 농도가 P 구간에서 깊이가 깊어질수록 높아지
ㄴ. ‌수심에 따른 염분 변화는 대체로 (가)보다 (나)에서 는 까닭은 고위도 지방에서 침강한 해수 때문이다.
크다. ㄷ. B의
‌ 농도가 표층에서 낮은 주된 까닭은 생물의 호흡
ㄷ. 표층 해수의 밀도는 (가)보다 (나)에서 크다. 때문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6강 해양의 변화 109

100~11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6강_13교-1.indd 109 2021-01-07 오후 1:53:36


2점 수능 테스트
[21026-0153]

[21026-0151] 11 그림 (가)는 태평양의 표층 해류를, (나)는 대기 대순환에 의


09 그림은 북반구 대기 대순환의 순환 세포 A, B, C를 구분하 해 지상에서 부는 바람을 나타낸 것이다.
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60ùN 60ùN
A,`B,`C
30ù A B 30ù

예 지상에 한대 전선대를 아니요 0ù 0ù
형성하는 데 기여하는가?
30ù 30ù
예 아니요 60ùS 60ùS

A B C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북적도 해류는 ⓐ에 의해 형성되었다.


ㄱ. A와
‌ B에 의해 지표 부근에 모두 동풍 계열의 바람이 ② 표층 용존 산소량은 A 해역이 B 해역보다 많다.
분다. ③ 페루 해류는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흐른다.
ㄴ. ‘열적 순환에 해당하는가?’는 ⓐ가 될 수 있다. ④ 캘리포니아
‌ 해류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은 해수의 밀도
ㄷ. C는 적도 지방에 열대 수렴대를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차이다.
⑤ 북태평양
‌ 해류와 남극 순환 해류는 모두 무역풍의 영향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으로 형성되었다.

[21026-0154]
[21026-0152] 12 그림은 우리나라 주변의 표층 해류를 나타낸 것이다.
10 다음은 표층 해류의 역할과 해류 ⓐ에 관한 자료이다.
•표층 해류는 ( ㉠ ) 역할을 하며, 전 세계 기후와 해양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
40ùN

아이슬란드 ㉡
60ùN
캐나다(퀘벡) 영국
(런던)

ⓐ 30ù
30ù
북대서양 ㉠

120ù 130ù 140ùE


•ⓐ는 아이슬란드, 영국 등 고위도 해안 지역으로 흐른다.
해류 ㉠, ㉡,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로 고른 것은?

ㄱ. ⓐ는 난류에 해당한다. ㄱ. ㉠은
‌ 북태평양 아열대 순환을 형성하는 해류 중 하나
ㄴ. ‌‘저위도의 에너지를 고위도로 수송하는’은 ㉠에 해당 이다.
한다. ㄴ. ㉡은 동해에서 북한 한류와 만나 조경 수역을 형성한다.
ㄷ. ‌ⓐ의 영향으로 런던의 1월 평균 기온은 퀘벡보다 높다. ㄷ. 40ùN 해역에서 영양염은 ㉡이 ㉢보다 적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10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00~11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6강.indd 110 2021-01-13 오전 9:31:20


정답과 해설 30쪽

[21026-0155] [21026-0157]

13 그림은 남태평양과 남대서양의 주요 표층 해류를 나타낸 것 15 그림은 대서양의 염분 분포와 심층 순환을 나타낸 것이다.
이다. 80ùS 40ù 0ù 40ù 80ùN
0
36 35
0ù 36.5
㉠ 36 34.9 34.9
20ù 남극 중층수
34.2 34.5 35.5
40ù ㉢ 1 34.3

깊이
34.7
60ù 2 35
㉡ (km)
80ùS 34.95 북대서양
3
180ù 120ù 60ùW 0ù 남극 심층수
34.8 34.
4 저층수 9
해류 ㉠, ㉡,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 34.7
5
로 고른 것은? (단위: psu)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은 대륙 분포의 영향으로 형성되었다.
ㄴ. 평균 표층 용존 산소량이 가장 많은 해류는 ㉡이다.
ㄱ. 남극 중층수는 해수의 밀도 차에 의해 형성된다.
ㄷ. ‌대기 대순환과 관련된 지표 부근의 바람이 직접적인
ㄴ. ‌남극 대륙 주변에서 빙하가 녹으면 남극 저층수의 침
원인이 되어 형성된 해류는 ㉢이다.
강은 더 활발해진다.
ㄷ. 남극 저층수는 북대서양 심층수보다 밀도가 크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156]

14 다음은 해수의 심층 순환의 발생 원리를 알아보기 위한 실 ①ㄱ ②ㄴ ③ ㄱ, ㄷ

험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158]
(가) ‌수조에 ㉠ 실온의
얼음물 16 그림은 표층 순환과 심층 순환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물을 ;3@; 정도 채우 A와 B는 각각 표층 순환과 심층 순환 중 하나이다.
고, 수조 한쪽에

구멍 뚫린 종이컵
의 아랫부분이 물에 잠길 정도로 놓고 접착테이프로
고정시킨다. A

(나) ‌수조의 종이컵에 파란색 색소를 탄 얼음물을 붓고


㉡ 얼음물의 이동을 관찰한다. B

(다) ‌(나)의 얼음물에 소금을 섞어 녹인 후 수조의 종이컵


에 붓고, ㉢ 소금을 녹인 얼음물의 이동을 관찰한다. 침강 해역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밀도의 크기는 ㉠<㉡<㉢이다. ㄱ. 해수의 평균 밀도는 A가 B보다 크다.


ㄴ. ‌수조 바닥으로의 물의 이동은 ㉡이 ㉢보다 더 빠르게 ㄴ. 해수의 평균 유속은 A가 B보다 빠르다.
일어난다. ㄷ. ‌㉠ 해역에 담수가 유입되면 해수의 침강은 약해질 것
ㄷ. ‌수조 속의 ㉠을 얼음물로 한다면, ㉢의 수조 바닥으 이다.
로의 이동은 더 빠르게 일어날 것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6강 해양의 변화 111

100~11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6강_13교-1.indd 111 2021-01-07 오후 1:53:38


3점 수능 테스트
[21026-0159]

01 그림은 염분이 35`psu인 어느 해수 1`kg에 녹아 있는 염류의 양을, 표는 서로 다른 두 해수 A와


B에 포함된 염류를 나타낸 것이다.
육지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
(단위: psu)
는 해수에 포함된 주요 염류
구분 해수 A 해수 B
들 사이의 질량비는 염분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 염화 이온(ClÑ) 나트륨 이온(Na±)`10.62`g ClÑ 18.99 18.44
19.20`g Na
+
10.56 10.25
된다. 황산염 이온(SO¢Û``Ñ)
2.66`g SO¢Û` Ñ 2.65 2.57
+
마그네슘 이온(MgÛ``±)`1.28`g
MgÛ` 1.27 1.24
기타
1.24`g 기타 1.03 1.00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해수 A의 염분은 34.5`psu이다.
ㄴ. 염분은 해수 A가 해수 B보다 높다.
ㄷ. 해수에 녹아 있는 염류 중 ClÑ이 차지하는 비율은 해수 A가 해수 B보다 높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ㄴ, ㄷ

[21026-0160]
북반구 중위도 해역에서 여름
철은 겨울철보다 표층 수온이
02 그림은 북반구 중위도 어느 해역에서 여름과 겨울에 측정한 해수면에서 수심 500`m까지의 수온
과 염분을 수온 염분도에 나타낸 것이다.
높다.
염분(psu)
33.0 33.5 34.0 34.5
30 1.021(g/cmÜ`)

0`m 1.022
25
10`m
1.023

20 1.024
20`m
수온

1.025
15 등밀도선
(ùC)
10`m 150`m 1.026
10 0`m
200`m 30`m

300`m 1.027
5 50`m
㉠ 75`m
100`m
㉡ 300`m
500`m 500`m
0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은 여름에 측정한 것이다.


ㄴ. 수심 500`m에서 여름과 겨울에 측정한 해수 성질은 비슷하다.
ㄷ. 표층과 수심 150`m 해수의 밀도 차는 여름이 겨울보다 크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12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00~11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6강_13교-1.indd 112 2021-01-07 오후 1:53:39


정답과 해설 33쪽

[21026-0161]

03 그림 (가)와 (나)는 우리나라 남해에서 2004년부터 2014년까지 매년 8월 표층과 저층에서 측정 우리나라 남해에서는 8월에
해수의 온도는 표층이 저층보
한 평균 수온과 염분의 분포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다 높고, 해수의 염분은 강수
표층 저층 표층 저층 량이 많아 표층이 저층보다
낮다.
높음

높음
평균값
평균값

2004 2006 2008 2010 2012 2014 2004 2006 2008 2010 2012 2014
연도(년) 연도(년)
(가) (나)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는 수온 분포이다.
ㄴ. 염분은 저층보다 표층의 변동 폭이 크고, 수온은 표층보다 저층의 변동 폭이 크다.
ㄷ. 관측 기간 동안 남해에서 해수의 평균 밀도는 저층이 표층보다 크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162]

04 그림 (가)와 (나)는 북반구 중위도 어느 해역에서 2013년과 2014년 여름에 서로 다른 깊이에 수괴는 밀도가 다르기 때문에
수온 염분도를 이용하면 수괴
서 측정한 수온과 염분의 분포를 수온 염분도에 나타낸 것이다. A와 B는 각각 표층수와 수심
의 특성뿐만 아니라 이동까지
100`m의 해수 중 하나이다. 추정할 수 있다.

28 1.016(g/cmÜ`) 등밀도선 28 1.016(g/cmÜ`) 등밀도선


1.017 1.017
24 24 1.018
1.018
1.019 1.019
수온

수온

20 20 1.020
1.020
1.021 1.021
(ùC) 16 (ùC) 16 1.022
1.022
1.023 1.023
12 12 1.024
1.024
1.025 1.025
8 1.026 8 1.026
:`A :`B 1.027 :`A :`B 1.027
4 4
26 28 30 32 34 26 28 30 32 34
염분(psu) 염분(psu)
(가) 2013년 여름 (나) 2014년 여름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는 표층수이다.
ㄴ. 2013년에 표층수는 수심 100`m의 해수보다 평균 밀도가 작다.
ㄷ. 표층수와 수심 100`m 해수의 평균 밀도 차는 2013년이 2014년보다 크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6강 해양의 변화 113

100~11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6강_13교-1.indd 113 2021-01-07 오후 1:53:39


3점 수능 테스트
[21026-0163]

05 그림은 태평양에서의 위도별 표층 염분과 (강수량-증발량) 값의 분포를, 표는 태평양과 대서양의


표층 염분은 대체로 (증발량- 연간 물수지 자료 중 일부이다.
강수량) 값이 클수록 높다. 또
36 -80
한 육지로부터 담수가 유입되

강수량
35 표층 염분 -40
는 경우에는 염분이 낮아진다.

표층 염분
0
강수량 증발량 강물 유입량
구분
34 (mm/년) (mm/년) (mm/년)

-
증발량
40
태평양 1292 1202 69
(psu) 33 80
32
강수량-증발량
120
(cm/년) 대서양 761 1133 197

80ùS 40ù 0ù 40ù 80ùN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태평양에서 20ùS 부근의 해역에 표층 염분의 최댓값이 나타난다.


ㄴ. 태평양에서 (강수량-증발량) 값은 30ùN 부근 해역이 20ùS 부근 해역보다 작다.
ㄷ. 강수량과
‌ 증발량, 강물 유입량만을 고려했을 때, 표층 염분의 평균값은 태평양이
대서양보다 높다.

①ㄱ ②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21026-0164]
고위도 해역에서 밀도 변화는
주로 수온보다 염분의 영향을
06 그림 (가), (나), (다)는 북반구 어느 해역에서 깊이에 따라 측정한 수온, 염분, 밀도의 분포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 해역은 고위도와 저위도 해역 중 하나이다.
받는다.
수온(ùC) 염분(psu) 밀도(g/cmÜ`)
-2.0 -1.0 0 1.0 32 33 34 35 1.026 1.027 1.028
0 0 0

200 200 200


깊이

깊이

깊이

400 400 400



(m) 600 (m) 600 (m) 600

800 800 800

1000 1000 1000


(가) (나) (다)

이 해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이 해역은 고위도에 위치한다.


ㄴ. 이 해역에서 해수의 밀도는 염분보다 수온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다.
ㄷ. 수심 100`m의 해수는 수심 300`m의 해수와 물질 교환이 활발하다.

①ㄱ ②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114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00~11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6강_13교-1.indd 15 2021-01-11 오후 3:54:40


정답과 해설 33쪽

[21026-0165]

07 그림은 우리나라 동해의 어느 연안에서 측정한 서로 다른 세 시기의 깊이에 따른 수온 분포를 나타 바람이 강할수록 혼합층의 두
께가 두꺼워지며, 수온 약층이
낸 것이다.
발달할수록 혼합층과 심해층
해안에서의 거리 해안에서의 거리 해안에서의 거리 사이에서 장벽 역할을 하여 물
0 0 0 28 27
12 21 질 교환을 억제한다.
10 10 10 25
20 20 20 20
20 15

수심
수심

수심
30 30 18 30 12
11
40 40 10 40 11
(m) 50 (m) 50 7 (m) 50 10
6 9
60 60 60 8
7
70 70 70
80 (단위: ùC) 80 (단위: ùC) 80 (단위: ùC)

2월 6월 8월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2월에는 수온 약층이 뚜렷하지 않다.


ㄴ. 혼합층의 두께는 8월보다 6월에 더 두껍다.
ㄷ. 해수의 연직 운동이 가장 활발한 시기는 8월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166]

08 그림은 북반구 중위도 어느 해역의 한 지점에서 1년 동안 관측한 깊이에 따른 수온 변화를 나타낸 북반구 중위도 해역에서 혼합
층은 여름철보다 겨울철에 더
것이다.
두껍게 발달한다.
13 15 12 11
0
8 9 1112 14
13 10 9
10 8
7 7
50 5 <5 5 6
깊이

(m) 5 6
100

(단위: ùC)
4
150
1 2 3 4 5 6 7 8 9 10 11 12
시간(월) A

이 지점에서 A 시기의 깊이에 따른 수온 변화 경향을 가장 적절하게 나타낸 것은?

① ② ③ ④ ⑤
온도(ùC) 온도(ùC) 온도(ùC) 온도(ùC) 온도(ùC)
5 10 15 5 10 15 5 10 15 5 10 15 5 10 15
0 0 0 0 0
깊이

깊이

깊이

깊이

깊이

50 50 50 50 50

(m) (m) (m) (m) (m)


100 100 100 100 100

150 150 150 150 150

06강 해양의 변화 115

100~11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6강_13교-1.indd 115 2021-01-07 오후 1:53:41


3점 수능 테스트
[21026-0167]

09 그림 (가)는 북반구에서 위도에 따른 대기 대순환을, (나)는 북태평양의 연간 (증발량-강수량) 값을


표층 염분은 증발량이 강수량 나타낸 것이다.
보다 많은 중위도 고압대 해
역에서 높다. (단위: cm/년)
60ùN
-80
-90
-20 -40 -60
40ù 0
20 40
60
20ù 60 100 120 130
80
40
0 -40 -60
㉠ ㉡ ㉢ 0ù -60 -40-20 -20 -20 -80
위도 120ùE 140ù 160ù 180ù 160ù 140ù 120ù 100ù 80ùW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은 ㉡보다 위도가 높다.


ㄴ. 표층 염분은 ㉢ 해역보다 ㉡ 해역에서 높다.
ㄷ. 대기
‌ 대순환에 의한 상승 기류가 발달하는 위도대에서는 주로 (증발량-강수량)이
(+) 값을 나타낸다.

①ㄱ ②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21026-0168]
표층 용존 산소량은 주로 수
온에 의해 결정되며, 수온이
10 다음은 해양 탐사선 챌린저호가 태평양을 항해한 탐사 경로를 보고, 학생 A, B, C가 나눈 대화를
나타낸 것이다.
낮을수록 표층 용존 산소량이
많다.
학생 A: ‌표층 용존 산소량은 ㉠ 해
역이 ㉡ 해역보다 많아.
학생 B: ‌㉡ 해역에서는 편서풍에 ㉡
㉠ 1875년
의해 형성된 해류를 이용 1874년
적도
하여 항해했어.
학생 C: ㉢ 해역은 표층 해류의 영 1874년 1875년

향으로 동일한 위도의 다
른 해역보다 표층 수온이
높아.

제시한 내용이 옳은 학생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①A ②B ③ A, C ④ B, C ⑤ A, B, C

116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00~11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6강_13교-1.indd 116 2021-01-07 오후 1:53:42


정답과 해설 33쪽

[21026-0169]

11 그림은 북대서양 표층 순환의 모습과 동일 위도에 위치한 해역 A와 B, C와 D를 각각 나타낸 것 해수의 표층 순환은 대기 대


순환에 의한 바람의 작용으로
이다.
일어난다.

60ùN
A B

30ù C D

0ù 90ùW 60ù 30ù 0ù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해역 A와 B에는 모두 한류가 흐른다.


ㄴ. 표층에서의 용존 산소량은 해역 D에서보다 해역 C에서 적다.
ㄷ. 해수의 수온과 염분의 변화는 표층 순환을 일으키는 주요 원동력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170]

12 그림 (가)는 대서양과 지중해 사이의 해수의 흐름을, (나)는 대서양 해역과 지중해에서 관측된 해수 지중해 해수는 대서양 해수에
비해 표층 염분이 높아 밀도
A, B, C의 수온과 염분을 음영( )으로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가 크다. 따라서 지중해 해수
등밀도선(g/cmÜ`) 가 대서양으로 유출되면 주변
20
40 5 해수와 밀도가 비슷한 수심
1.02 1.024
50
0 15 1.02 약 1000`m까지 가라앉는다.
55
200 1.02
수온

10
0 2 60
400 대서양 해수`A 지중해 해수`C 1.
수심

(ùC) 265
600 1.0
지브롤터 5 0
27
(m) 800 문턱 1.0
5

0
0
27

1000
28

29
28
1.0

0
1.0

1.0

1.0

1200
33.5 34.0 34.5 35.0 35.5 36.0 36.5
대서양 해수`B
2000 염분(psu)
(가) (나)

해수 A, B, C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염분이 가장 높은 해수는 A이다.


ㄴ. B가 C보다 밀도가 큰 까닭은 염분보다 수온의 영향을 더 크게 받기 때문이다.
ㄷ. C의 평균 밀도는 약 1.0275`g/cmÜ`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6강 해양의 변화 117

100~11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6강_13교-1.indd 117 2021-01-07 오후 1:53:42


3점 수능 테스트
[21026-0171]

13 그림 (가)는 그린란드 빙하로부터 떨어져 나온 빙산의 모습을, (나)는 북대서양의 표층 해류(→)와


빙산은 빙하에서 떨어져 나와 전형적인 빙산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주요 그린란드 빙산 생성 지역은 ⓐ와 ⓑ 중 하나이다.
떠다니는 얼음덩어리로, 바다
에 도달한 빙하로부터 분리되 ⓑ
70ùN ⓐ
면서 생긴다. 북극에서 빙산
은 주로 그린란드 서해안을 그린란드

따라 뻗어 있는 빙하가 분리 60ù
되면서 만들어진다.

50ù


40ù

60ù 50ù 40ùW


(가) (나)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에서 ㉠은 해수보다 밀도가 크다.


ㄴ. (나)에서 대부분의 빙산은 ⓑ보다 ⓐ 지역의 빙하로부터 생성되었다.
ㄷ. 북대서양에서의 빙산은 주로 한류를 따라 약 45ùN 부근까지 이동한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172]
심층 순환에서 수괴의 수온과
염분을 이용하여 그 기원과
14 그림 (가)는 대서양의 심층 순환과 염분 분포를, (나)는 대서양 심층 순환을 형성하는 수괴를 수온
염분도에 나타낸 것이다. 수괴 A, B, C는 각각 남극 중층수, 북대서양 심층수, 남극 저층수 중 하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나이다.
80ùS 60ù 40ù 20ù 0ù 20ù 40ù 60ù 80ùN
0 20
36 36 45
36.5 35 1.02 250 (단위: g/cmÜ`)
36 <34.9 34.9 1.0 .0255
15 1 .0260
34.7 1
수온

35.5 65
1000 34.2 34.3 34.5 34.7 <34.9 1.02 270
10 1.0 75
(ùC) 1.02 .0280
수심

2000 35
5
1 285
A B 1.0 0
(m) 3000 34.95 29
34.8 34.9 0 C 1.0
4000
34.7 (단위: psu) 33.5 34.0 34.5 35.0 35.5 36.0 36.5
5000 염분(psu)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 B, C 중 밀도가 가장 큰 수괴는 C이다.


ㄴ. 남극 저층수는 북대서양 심층수보다 염분과 수온이 모두 높다.
ㄷ. 심층 순환을 형성하는 수괴의 밀도는 표층 해수의 밀도보다 크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18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00~11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6강_13교-1.indd 19 2021-01-11 오후 3:55:07


정답과 해설 33쪽

[21026-0173]

15 그림 (가)는 지구 규모의 해수 순환 형태를, (나)는 과거 약 30년간 (가)의 A 해역에서의 표층 염분 해수의 심층 순환은 수온과
염분 변화에 따른 해수의 밀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차에 의해 일어나는 순환
34.94
으로, 속도가 매우 느리므로
A
직접 관측이 어렵고, 수온과
B 34.92 염분 및 밀도를 조사하여 간

염분
접적으로 흐름을 알아낸다.
(psu) 34.90

34.88

심층 해류 1970 1980 1990 2000


표층 해류 연도(년)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 해역에서는 해수의 침강이, B 해역에서는 해수의 용승이 일어난다.


ㄴ. 빙하가 녹아 A 해역으로 흘러들면 A 해역의 표층 염분은 낮아진다.
ㄷ. (나)와 같은 추세로 염분이 변하면 북대서양의 해수 순환은 약해질 것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174]

16 그림 (가)는 남극 대륙 주변의 주요 표층 해류를, (나)는 P 지점에서 측정한 월별 해수의 총수송량 남극 순환 해류는 편서풍의
영향으로 남극 대륙 주위를
을 나타낸 것이다. A에서는 해수의 침강이 일어난다.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른다.
90ùW
남아메리카

P 대서양 0ù
140
A
수송량

아프리카
태평양 120

(_10ß``mÜ`/s)
인도양 100
180ù

오스트
90ùE 80
레일리아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가) (나)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남극점 상공에서 내려다보았을 때, (가)의 해류는 주로 시계 방향으로 흐른다.


ㄴ. A에서
‌ 해수의 침강은 남반구의 여름철이 겨울철보다 활발하다.
ㄷ. P 지점에서 해수의 총수송량은 대체로 남반구의 여름철이 겨울철보다 많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6강 해양의 변화 119

100~11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6강_13교-1.indd 119 2021-01-07 오후 1:53:44


II. 대기와 해양

07
지구과학Ⅰ

EBS 수능
특강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개념 체크  해양 변화와 기후 변화
무역풍 (1) ‌용승과 침강: 용승은 표층 해수의 발산에 의해 심층의 찬 해수가 표층으로 올라오는 현상이
북동 무역풍은 적도~북위 30ù 사 고, 침강은 표층 해수의 수렴 또는 냉각에 의해 표층의 해수가 심층으로 내려가는 현상이다.
이에서 부는 대기 대순환의 바람
이고, 남동 무역풍은 적도~남위
① 용승의 종류
30ù 사이에서 부는 대기 대순환의 •연안 용승: 대륙의 연안에서 바람 때문에 표층 해수가 먼 바다 쪽으로 이동하면 이를 채우
바람이다.
기 위해 심층에서 찬 해수가 올라오는 현상이다.  여름철에 우리나라의 동해안을 따라
용승의 영향 남풍이 계속 불 때
용승이 일어나는 주변 해역은 서
•적도 용승: 적도 부근에서 북동 무역풍은 해수를 북서쪽으로, 남동 무역풍은 해수를 남서
늘한 날씨가 나타나고, 안개가 자
주 발생하며, 심층의 산소와 영양 쪽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이를 채우기 위해 심층에서 찬 해수가 올라오는 현상이다.
염이 표층으로 운반되어 플랑크톤 북동 무역풍 남동 무역풍

풍)
풍)

이 번식하므로 좋은 어장이 형성

(북
(남

된다.


바람
바람


육지 육지

용승
1. ( )은 심층의 찬 해수
가 표층으로 올라오는 현 용승 침강
해수의 이동 방향
상을 말한다.
북반구 연안에서 일어나는 용승과 침강 적도 용승

2. 북반구에서 대륙의 동해안 •저기압과 고기압에서의 용승과 침강: 북 바람 방향 표층 해수의 이동 방향(북반구)


에 ( )풍이 지속적으 고기압성 바람 저기압성 바람
반구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로 불 때 연안 용승이 일어
날 수 있다. 부는 고기압성 바람에 의해 고기압 중심부 용승
침강
의 표층 해수가 수렴하여 침강이 일어나고,
3. ( ) 용승은 무역풍 때
시계 반대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부는 저
문에 ( ) 부근 해역에
서 심층의 찬 해수가 올라 기압성 바람에 의해 저기압 중심부의 표
오는 현상이다. 층 해수가 발산하여 용승이 일어난다. 표층 수렴 표층 발산

② 세계의 용승 해역: 적도 부근 해역, 북아메


4. 북반구에서 지속적으로 부
침강
는 고기압성 바람에 의해 리카의 캘리포니아 연안, 남아메리카의 페 용승

고기압 중심부의 표층 해 루 연안, 아프리카 서해안 등 주로 대륙의 수온 약층 수온 약층


수는 ( )한다. 수렴으로 인한 침강 발산으로 인한 용승
서해안에서 잘 발달한다. 수렴으로 인한 침강 발산으로 인한 용승

5. 용 승의
영향으로 대기가
과학 돋보기 에크만 수송
( )되므로, 용승이 일
어나는 해역 주변에서는 •에크만 나선: 해수면 위에서 바람이 일정한 방향으로 계속 불면
서늘한 날씨가 나타나고 람 방향
북반구에서 표면 해수는 전향력의 영향으로 바람 방향의 오른쪽으 바 의 이동
면 해수
안개가 자주 발생한다. 45ù 표
로 45ù 편향되어 흐른다. 또한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해수의 흐름
은 오른쪽으로 더 편향되고 유속은 더 느려지게 되는데, 이를 바닥
에 투영한 것을 에크만 나선이라고 한다.
깊이

정답 에크만 수송
•에크만 나선을 따라가다 보면 표면 해수의 이동 방향과 흐름이 정
(북반구)
1. 용승
반대가 되는 깊이가 나오게 되는데, 이 깊이까지의 층을 에크만층
2. 남
(마찰층)이라고 한다. 에크만층 전체에서 해수의 평균적인 이동은
3. 적도, 적도
북반구에서 바람 방향의 오른쪽 90ù 방향으로 나타나는데, 이를
4. 침강
에크만 수송이라고 한다.
5. 냉각

120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20~13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7강_13교.indd 120 2021-01-06 오후 5:08:01


(2) 엘니뇨와 라니냐
① 열대 태평양의 수온 분포: 평상시 열대 태평양을 따라 개념 체크
무역풍
동쪽에서 서쪽으로 부는 무역풍으로 인해 동태평양 엘니뇨
열대 태평양 동쪽 해역의 표층 수
해역에서는 연안 용승이 활발하다. 따라서 표층 수온 따뜻한 해수 온이 평년보다 0.5`¾ 이상 높은
은 서태평양보다 동태평양에서 낮게 나타난다. 찬 해수 상태로 6개월 이상 지속되는 현상
연안 용승
이다.
② 엘니뇨 시기: 평상시에 비해 무역풍이 약해지면 동태 120ùE 80ùW

평양 해역에서는 연안 용승이 약해지고, 해수면이 높 평상시의 열대 태평양 수온 구조 라니냐


열대 태평양 동쪽 해역의 표층 수
은 서태평양에서 동쪽으로 따뜻한 해수가 이동하여
온이 평년보다 0.5`¾ 이상 낮은
태평양 중앙부에서 페루 연안에 이르는 해역의 표층 수온이 상승한다. 상태로 6개월 이상 지속되는 현상
③ 라니냐 시기: 평상시에 비해 무역풍이 강해지면 동태평양 해역에서는 연안 용승이 강해지고, 이다.

따뜻한 해수는 서태평양 쪽으로 더욱 집중되므로 페루 연안의 한랭 수역이 확대되어 표층 수


온의 동서 간 차이가 커진다. 1. 엘니뇨는 태평양 적도 부
근에서 부는 무역풍이
고온
무역풍 강화 ( )해지면서 발생한다.
무역풍 약화
저온
2. 엘 니뇨가 발생하면 열대
따뜻한 해수 따뜻한 해수 태평양 중앙부에서 동태평
찬 해수 양에 이르는 해역의 표층
연안 용승 약화 찬 해수 연안 용승 강화
수온이 ( )진다.
120ùE 80ùW 120ùE 80ùW
엘니뇨 시기의 열대 태평양 수온 구조 라니냐 시기의 열대 태평양 수온 구조
3. 라니냐 시기에는 열대 동
0 0 태평양 해역의 연안 용승
28 28
100 100 이 평상시보다 ( )해
14 14
수심

수심

200 14 200 14 진다.


12 12 12
300 12 300
(m) (m)
400 10 10 400 10 10 4. 엘 니뇨가 발생하면 열대
(단위: ùC) (단위: ùC) 서태평양의 해면 기압은
500 500
140ùE 180ù 140ù 100ùW 140ùE 180ù 140ù 100ùW 평상시보다 ( )진다.
엘니뇨(왼쪽)와 라니냐(오른쪽) 발생 시 열대 태평양의 해수 온도의 연직 분포

(3) 엘니뇨와 남방 진동
① 워커 순환: 평상시 무역풍으로 인해 열대 워커 순환

서태평양은 따뜻한 해수로부터 열과 수증


기를 공급받은 공기가 상승하여 강수대가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동태평
따뜻한 차가운
양은 공기가 하강한다. 이로 인해 열대 태 해수 무역풍 바다
해수

평양 지역에서는 동서 방향의 거대한 순환


140ùE 180ù 140ù 100ùW
이 형성되는데, 이를 워커 순환이라고 한다.
평상시
평상시 대기 순환(워커 순환)
② 엘니뇨 시기의 워커 순환: 엘니뇨가 발
생하면 열대 동태평양의 표층 수온이 평년에 비해 상승하고 서태평양의 따뜻한 해수가 동쪽
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워커 순환에서 공기가 상승하는 지역과 강수대가 동쪽으로 이동하 정답
1. 약
고, 태평양 전체의 기압 분포가 변한다. 따라서 동태평양에서는 기압이 낮아져 평상시보다 2. 높아
강수량이 많아지고, 서태평양은 기압이 높아져 평상시보다 강수량이 적은 건조한 날씨가 나 3. 강
4. 높아
타난다.

07강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121

120~13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7강_13교-1.indd 121 2021-01-07 오후 2:14:40


07
지구과학Ⅰ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개념 체크
해면 기압 편차
평상시보다 평상시보다 평상시보다 평상시보다
각 지점에서 관측한 해면 기압에 차가워진 무역풍 따뜻해진 따뜻해진 무역풍 차가워진
서 각 지점의 수십 년 동안의 평균 해수 ((평상시보다 약함))
평상시보다 약함 바다
해수 해수 ((평상시보다 강함))
평상시보다 강함 바다
해수
해면 기압을 뺀 값이다.
140ùE 180ù 140ù 100ùW 140ùE 180ù 140ù 100ùW
엘니뇨 발생
엘니뇨 시기시 라니냐 발생
라니냐 시기시

엘니뇨와 라니냐 시기의 워커 순환


1. 엘 니뇨와라니냐 현상과
관련하여 열대 태평양의 ③ 남방 진동: 기상학자 워커가 호주 북부 다윈의 해면 기압과 남태평양 타히티의 해면 기압의
기압 분포가 시소 현상을
차이를 분석하여 발견한 사실로, 서태평양의 기압이 높아지면 동태평양의 기압이 낮아지고,
나타내는 것을 ( )이
라고 한다. 서태평양의 기압이 낮아지면 동태평양의 기압이 높아지는 기압 분포의 시소 현상을 남방 진
동이라고 한다.
2. 엘니뇨
시기에는 워커 순
환에서 대기가 상승하는
지역이 평상시보다 ( )
탐구자료 살펴보기 엘니뇨와 남방 진동
쪽으로 이동한다.
[탐구 자료]
3. 라니냐
시기에는 열대 동 그림은 1950년~2014년까지의 남방 진동 지
4.0
태평양의 강수량이 평년보 수를 나타낸 것이다.
다( )한다. 2.0
[탐구 결과]
상댓값

1. ‌남방 진동 지수는 라니냐 시기에는 큰 양


4. 엘 니뇨
시기에는 라니냐 0.0
시기보다 남방 진동 지수 (+)의 값이고, 엘니뇨 시기에는 큰 음(-)
의 값이다. -2.0
가( )다.
2. 1982년~1983년
‌ 사이에는 남방 진동 지수
-4.0
가 약 -4.9로 가장 작다. 남방 진동 지수가
5. 남방 진동 지수가 (
)
1950 1960 1970 1980 1990 2000 2010
질수록 열대 동태평양 해 작은 시기에는 무역풍이 약하므로 열대 동
연도(년)
역의 연안 용승이 활발하 태평양의 연안 용승이 약하다.
‌‌남방 진동 지수=(남태평양 타히티의 해면 기압 편차-호주
다. [분석 point] 북부 다윈의 해면 기압 편차)/표준 편차
•남방 진동 지수는 라니냐 시기가 엘니뇨 시기보다 값이 크다.
6. 엘니뇨와 남방 진동을 합 •남방 진동 지수가 큰 시기에는 열대 동태평양의 연안 용승이 활발하다.
쳐서 ( )이라고 한다.

(4) 엘니뇨 남방 진동(엔소, ENSO)


① 엔소(ENSO, El Nin
~
o-Southern Oscillation): 엘니뇨와 라니냐는 해양에서 발생하는
현상이고 남방 진동은 대기에서 나타나는 현상인데, 이 두 현상은 서로 독립된 것이 아니라
대기와 해양의 끊임없는 상호 작용의 결과로 나타난 것이다. 엘니뇨, 라니냐에 의한 표층 수
온의 변화와 대기의 기압 분포가 변하는 현상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 나타나는 하나의 현상
정답
1. 남방 진동
으로 생각하여 이 두 현상을 합쳐 엔소(ENSO)라고 한다.
2. 동 ② 엔소의 영향: 열대 태평양의 수온 변화로 인한 대기 운동의 변화는 파동의 형태로 고위도까
3. 감소
지 전파될 수 있으므로, 엔소의 영향은 단지 열대 태평양의 대기와 해양의 상태에만 국한된
4. 작
5. 커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어느 지역에서 나타난 변화가 매우 먼 곳까지 영향을 주는 현상을 원
6. 엘니뇨 남방 진동(엔소, ENSO)
격 상관(Tele–connection)이라고 한다.

122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20~13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7강_13교-1.indd 122 2021-01-11 오후 6:09:11


 기후 변화의 요인 개념 체크
(1) ‌고기후 연구: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변화하는 대기의 상태를 일기 또는 기상이라고 하며, 빙하 시추물 연구
기후는 오랜 기간의 기상 평균을 말한다. 지질 시대의 기후는 빙하 시추물, 나무의 나이테, 빙하 얼음을 구성하는 산소 안정
동위 원소 비율(Ú`¡`O/Ú`ß`O)을 분석하
화석 등의 연구로부터 알아낸다.
면 과거 지구의 기온을 알 수 있고,
빙하 얼음 속에 포함된 공기 방울
을 분석하면 과거 지구 대기에 포함
된 온실 기체의 농도를 알 수 있다.

공전 궤도 이심률과 공전 궤도
긴반지름(장반경)

빙하 시추물 지구의 공전 궤도 이심률이 변하


나무의 나이테 화석
더라도 공전 주기가 일정하면 공
전 궤도 긴반지름(근일점에서부터
원일점까지 거리의 절반)은 변하
(2) 기후 변화의 자연적 요인-지구 외적 요인
지 않는다.
① 지구 자전축의 방향 변화: 지구의 현재
N
N N
자전축이 약 26000년을 주기로
23.5ù 지구의 태양 1. 지 질 시대의 기후는 빙
회전하는데, 이를 세차 운동이라
자전축 하 시추물, 나무의 나이테,
원일점 근일점
고 한다. ( ) 등의 연구로부터
•지구의 자전축이 회전하여 약 약 13000년 후 알아낸다.
N N
13000년 후에는 현재와 자전축
태양 2. ( ) 운동은 지구의 자
의 경사 방향이 반대가 된다. 전축이 약 26000년을 주
원일점 근일점
•현재 북반구는 근일점에서 겨울 기로 회전하여 자전축의
세차 운동과 계절 변화 경사 방향이 변하는 현상
이다. 하지만 지구의 세차 운동
이다.
에 의해 약 13000년 후에 북반구는 근일점에서 여름이 된다.  다른 요인의 변화가 없다
면 약 13000년 후 북반구에서 기온의 연교차는 현재보다 커진다. 3. 지 구 자전축의 경사각이
현재보다 ( )지면 기
②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 변화
24.5ù 온의 연교차가 커진다.
•지구 자전축의 경사각이 약 41000년을 주기로 21.5ù~24.5ù 사이에
23.5ù
서 변한다. 21.5ù 현재 4. 지구의 공전 궤도 이심률
자전축 이 현재보다 ( )지면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가 변하면 각 위도에서 받는 일사량이 변하므로
근일점 거리는 가까워지고
기후 변화가 생긴다.  다른 요인의 변화가 없다면 자전축 경사각이 원일점 거리는 멀어진다.
커질수록 기온의 연교차가 커진다.
③ 지구 공전 궤도 이심률의 변화
•지구 공전 궤도 이심률이 약 10만 년을 주기로 변한다.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 변화
•현재 근일점과 원일점에 위치할 때 일사량의 차이가 약
7`%이지만, 이심률이 최대로 커지면 근일점과 원일점에 원 궤도
타원 궤도
위치할 때 일사량의 차이가 최대 23`%까지 증가한다.
•공전 궤도가 현재보다 원에 더 가까워지면(이심률이 작아
태양
지면) 근일점 거리는 현재보다 멀어지고, 원일점 거리는 지구
정답
1. 화석
현재보다 가까워진다.  다른 요인의 변화가 없다면 북반
2. 세차
구에서 겨울철은 더 추워지고 여름철은 더 더워지므로 기 3. 커

온의 연교차가 커진다. 4. 커
지구 공전 궤도 이심률의 변화

07강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123

120~13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7강_13교.indd 123 2021-01-06 오후 5:08:03


07
지구과학Ⅰ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④ 태양 활동의 변화: 태양 활동이 달라지면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이 달라진


개념 체크 다. 태양 활동의 변화는 흑점 수 변화로 알 수 있는데, 역사적으로 소빙하기로 알려진 시기에
흑점 수의 증감 주기 태양 흑점 수가 매우 적었던 시기(마운더 극소기)가 존재한다.
태양 흑점 수는 약 11년을 주기로 200
증감하는데, 이 기간 중 흑점 수가 소빙하기

태양 흑점 수
가장 많은 시기를 극대기, 가장 적
은 시기를 극소기라고 한다. 마운더
100
극소기

지표면의 반사율 (개)

구분 반사율(%) 0
1600 1650 1700 1750 1800 1850 1900 1950 2000
빙하 50~70 연도(년)
숲 8~15 태양 흑점 수의 변화와 소빙하기
토양 5~40
모래 사막 20~45 (3) ‌기후 변화의 자연적 요인-지구 내적 요인: 지구의 기후 변화는 지구 외적 요인 이외에도
아스팔트 4~12
지구 내적 요인에 의해서도 일어난다.
① 수륙 분포의 변화: 육지와 해양은 비열과 반사율이 다르므로 판의 운동에 의한 수륙 분포의
1. 소빙하기로 알려진 시기에 변화는 기후를 변화시킨다.  고생대 말에 형성된 초대륙 판게아는 지구의 기후대를 크게
는 태양 ( ) 수가 대체 변화시켰고, 생물계의 큰 변화를 일으킨 주요 원인이 되었다. 수륙 분포의 변화는 해류의 변
로 적었다.
화를 일으켜 기후 변화의 원인이 된다.
2. 수륙
분포의 변화는 기후 빙하
를 변화시키는 자연적 요
북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인 중 지구 ( ) 요인에
고생대 말
해당한다.
적도
적도
남아메리카 남아메리카
3. 화산이 폭발할 때 분출된 현재
화산재 등은 지구의 반사
율을 ( )시키는 역할 두 대륙이 연결된 후 북극해로 흘러드는
대륙과 해양의 지리적 위치 변화 따뜻한 해류의 양이 감소했다.
을 한다.
② 화산 활동: 화산이 폭발할 때 분출된 화산재 등이 성층권에 퍼지면 태양빛의 산란이 많이 일
어나 지구의 반사율이 커지므로 지구의 평균 기온이 하강한다.

0.2 대류권
지표
0
기온 편차

-0.2

-0.4
(ùC) 화산
-0.6 폭발

-0.8 1991 1992 1993


연도(년)
피나투보 화산의 분출 모습 피나투보 화산 분출 후 기온 변화

③ 지표면 상태의 변화: 극지방의 빙하 면적 변화는 지표면의 반사율을 변화시켜 지표에 흡수되
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을 달라지게 하므로 기후가 변한다.
정답
(4) 기후 변화의 인위적 요인
1. 흑점
2. 내적 ① 온실 기체의 증가: 인간 활동에 의해 온실 기체가 증가한다.  대기 및 지표의 평균 온도가
3. 증가
상승하고 지구의 기후가 변한다.

124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20~13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7강_13교.indd 124 2021-01-06 오후 5:08:04


② 에어로졸 배출: 산업 활동이나 화석 연료 사용 과정에서 대기로 배출된 에어로졸은 지표면에
개념 체크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를 감소시켜 지구의 기온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에어로졸
③ 사막화: 과잉 방목, 과잉 경작 등에 의한 사 대기 중에 떠 있는 1`nm~100`lm
막화 현상은 대기 순환을 변화시켜 지구의 기 의 작은 액체나 고체 입자를 말
한다.
후를 변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④ 도시화: 도로, 건물 등을 건설하여 숲이 도시 주요 온실 기체의 온실 효과 기
여도
화되면 지표의 반사율을 변화시켜 기후 변화 1975년(왼쪽)과 2001년(오른쪽)에 인공위성에서
온실 기체 기여도(%)
가 나타난다. 관측한 아마존 열대 우림의 변화(사진에 밝게
나타난 영역이 열대 우림이 훼손된 지역이다.) 수증기 30~70
이산화 탄소 9~26
메테인 4~9

 기후 변화의 영향 오존 3~7

(1) ‌복사 평형: 흡수하는 만큼의 에너지를 방출하여 평균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이다.
(2) 온실 효과 1. 인간 활동에 의한 대기 중
① 지구 대기는 짧은 파장의 태양 복사 에너지(가시광선)는 태양 복사 지구 복사 ( )의 증가는 지구의
에너지 에너지 평균 기온을 상승시키는
잘 통과시키지만, 긴 파장의 지구 복사 에너지(적외선)는
역할을 한다.
대부분 흡수한 후 지표로 재복사하여 지표면의 온도를
지구 대기
높이는데, 이를 온실 효과라고 한다. 2. 지구는 ( )을 이루고
온실 효과
있어서 연평균 기온이 거
② 온실 효과를 일으키는 수증기, 이산화 탄소, 메테인, 오
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존 등의 기체를 온실 기체라고 한다. 온실 기체가 온실
지표면
효과에 기여하는 정도는 수증기>이산화 탄소>메테인 3. 대 기 는 지표가 방출하
온실 효과 는 133 단위의 에너지 중
>오존 순이다.
( ) 단위를 흡수한 후,
(3) 지구의 열수지 평형 그 중 일부를 다시 지표로
① 지구에 입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 100 단위 중 25 단위는 대기에 흡수, 45 단위는 지표면에 재복사한다.

흡수, 30 단위는 우주 공간으로 반사된다. 지구에서 방출하는 지구 복사 에너지 70 단위 중


66 단위는 대기 복사, 4 단위는 지표면 복사이다.

우주 반사 태양 복사 지구 복사
공간 (30) (100) (70)
(4) (66)

흡수
대기 방출
흡수 (129)
(25)
온실
효과

지표면 흡수(45) 방출(133) 흡수(88)

지구의 열수지

② 지구가 흡수하는 복사 에너지양과 지구가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양이 같다.  지구는 복사


정답
평형을 이루고 있어서 연평균 기온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1. 온실 기체
③ 대기 중 온실 기체가 증가하면 대기에서 흡수하는 지표 복사 에너지와 대기에서 지표로 재복 2. 복사 평형
3. 129
사되는 에너지가 증가하여 지표의 온도가 상승한다.

07강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125

120~13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7강_13교.indd 125 2021-01-06 오후 5:08:04


07
지구과학Ⅰ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4) ‌지구 온난화: 최근 들어 지구의 온실 효과가 강화되어 지구의 평균 기온이 점점 높아지고


개념 체크 있는데, 이를 지구 온난화라고 한다.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인간 활동에 의해 대기 중 온실
지구 온난화 기체의 양이 증가하였기 때문에 지구 온난화가 나타난다고 생각한다.
19세기 중반부터 시작된 전 지구 0.4 400 산화

이산화 탄소
적인 지표면 부근의 기온 상승을 0.2 빙하 시추 자료 메테인 이질소

기온 편차
1961~1990년의 평균값 380 메테인
0 대기 측정 자료 (ppb) (ppb)
의미한다. 360
-0.2 1800 330
340 이산화 탄소 1600 320
-0.4
320 1400 310
-0.6 1200 300
(ùC) (ppm) 300
-0.8 산화 이질소 1000 290
280
1. 인간 활동에 의한 온실 기 -1.0
1850 1900 1950 2000
280
1850 1900 1950 2000
800 270
체 증가가 지구 ( )의 연도(년) 연도(년)
주요 원인으로 여겨지고 지구의 기온 변화 온실 기체의 농도 변화
있다.

2. 화석
연료 사용량의 증가
과학 돋보기 지구의 기온 변화 경향성
로 인해 대기 중 온실 기체
의 양이 ( )하고 있다. 그림은 기후 모형으로 모의실험한 지구의 기온 변화와 실제 관측한 기온을 나타낸 것이다.

3. 지 구
온난화가 심해지면 1.2 태양 활동 변화, 화산 활동, 인간에 의한
기상 이변의 발생 횟수가 1.0 온실 기체 변화를 모두 고려했을 때
( )할 것으로 예상된
기온 편차

0.8 온실 기체 증가만
다. 고려했을 때
0.6 관측 기온

0.4
(ùC)
0.2
0
자연적 요인만
-0.2 고려했을 때
1860 1880 1900 1920 1940 1960 1980 2000
연도(년)

•태양 활동 변화, 화산 활동 등 자연적 요인만을 고려했을 때 지구의 기온은 약간 낮아졌다가 다시 회복하는 경향이
있다.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을 함께 고려했을 때 기온 변화 모형은 관측된 기온 변화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낸다.
•현재의 지구 온난화는 자연적 요인보다는 인위적 요인에 의해 나타난다.

(5) 지구 온난화의 영향
① 해수면 상승: 해수의 온도가 상승하면 해수의 열팽창이 일어나 해수면이 상승한다. 또한 육
지의 빙하가 녹아 바다로 흘러 들어가면 해수면이 상승한다.
② 기후대가 변하여 생태계 변화, 식량 생산 감소, 질병 증가 등이 예상된다.
③ 기상 이변의 발생 횟수와 강도가 증가하여 태풍, 홍수, 가뭄 등에 의한 피해가 커질 것이다.
④ 수자원 변화, 곡물 수확량 감소 등 사회적, 경제적인 측면에 미치는 영향이 커질 것이다.
0.1
해수면 높이 편차

-0.1
정답
(m)
1. 온난화 -0.2
1900 1920 1940 1960 1980 2000
2. 증가 연도(년)
3. 증가
해수면 높이 변화 전 세계적인 기상 이변 증가

126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20~13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7강_13교.indd 126 2021-01-06 오후 5:08:05


과학 돋보기 지구 온난화에 의한 미래의 지구 환경 변화 개념 체크
그림 (가)는 4개의 시나리오별 이산화 탄소 농도 변화를, (나)는 이 중에서 2개의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기후 모형이 예 정부 간 기후 변화 협의체
측한 지표면 온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IPCC)
세계 기상 기구(WMO)와 유엔
1250 6.0
이산화 탄소 농도

RCP`8.5 환경 계획(UNEP)은 인간의 활


RCP`8.5
1050

기온 편차
4.0 동이 기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국제적인 대책을 마련
850 RCP`6.0 2.0 과거 하기 위해 1988년에 설립되었다.
650 RCP`4.5 (ùC)
0.0
(ppm) RCP`2.6
450 RCP`2.6
-2.0
2000 2020 2040 2060 2080 2100 1950 2000 2050 2100 1. ( ) 의정서는 1997년
연도(년) 연도(년) 에 국가 간 온실 기체의 감
(가) (나) 축 목표치를 규정한 국제
•RCP`2.6은 이산화 탄소의 최소 배출량 시나리오, RCP`4.5와 RCP`6.0은 중간 수준의 저감 정책을 실시한 시나리 협약이다.
오, RCP`8.5는 고농도 배출(현재 추세) 시나리오이다.
•현재 추세로 온실 기체가 배출된다면 21세기 말(2081년~2100년경)에 지구의 지표면 온도는 현재보다 약 4`¾ 상 2. 최근 100년간 한반도의 평
승할 것으로 예측된다. 균 기온은 지구의 평균 기
온보다 약 ( )배 크게
상승하였다.

(6) 지구 환경 보존을 위한 노력
3. 우 리나라의 기후는 점차
① 온실 기체 배출량 감소: 자원을 절약하고 대체 에너지를 개발한다. 고온 다습한 기후로 변해
② 지구 환경 보존을 위한 국제 협약: 지구 차원의 환경 보호를 위해 세계 각국은 환경 협약을 체 가고 있으며, 주요 작물 재
배지가 ( )하고 있는
결하고 환경 보호에 대한 국가별 의무와 노력을 규정하고 있다.
추세이다.
•기후 변화에 관한 국제 연합 기본 협약(1992년):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협약
•교토 의정서(1997년): 온실 기체의 감축 목표치를 규정한 국제 협약
•파리 협정(2015년): 전 세계 온실 기체 감축을 위한 국제 협약

탐구자료 살펴보기 한반도의 기후 변화 경향성

[탐구 자료]
그림 (가)와 (나)는 우리나라의 관측소 6곳(서울, 인천, 강릉, 대구, 목포, 부산)에서 1910년~2009년 동안 측정한
기온과 강수량을 10년 범위로 평균한 값을 나타낸 것이다.
14.0 1400
13.5 1350
1300
강수량

13.0
기온

1250
12.5 1200
(ùC) 12.0 1150
(mm) 1100
11.5 1050
11.0 1000
1910192019301940195019601970198019902000 1910192019301940195019601970198019902000
연도(년) 연도(년)
(가) 우리나라의 평균 기온 변화 (나) 우리나라의 평균 강수량 변화

[탐구 결과]
최근 100년간 우리나라에서도 지속적으로 기온이 상승하였고, 강수량도 대체로 증가하였다.

[분석 point]
•지구의 평균 기온은 최근 100년간 약 0.85`¾ 상승하였으며, 우리나라는 이보다 약 2배 크게 상승하였다. 정답
•우리나라의 기후는 점차 고온 다습한 아열대 기후로 변해가고 있으며, 주요 작물 재배지가 북상하고, 바다에서 1. 교토
잡히는 주요 어종이 바뀌는 등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2. 2
3. 북상

07강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127

120~13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7강_13교.indd 127 2021-01-06 오후 5:08:06


2점 수능 테스트 [21026-0177]

03 그림 (가)와 (나)는 평상시와 엘니뇨 시기의 열대 태평양의


[21026-0175] 대기 순환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01 그림은 어느 해역에서 해안에 나란하게 지속적으로 바람이
불 때, 표층 해수의 이동과 수온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적도 적도
남아메리카 남아메리카
A 바람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B 대륙 대륙
해수의 이동

(가) (나)

(가)와 (나)를 비교한 것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등수온선
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무역풍의 세기는 (가)가 (나)보다 강하다.


ㄱ. 이 해역은 북반구에 위치한다.
ㄴ. ‌동태평양에서 수온 약층이 시작되는 깊이는 (가)가
ㄴ. 해수면의 높이는 A 해역이 B 해역보다 높다.
(나)보다 깊다.
ㄷ. 영양염은 A 해역이 B 해역보다 풍부하다.
ㄷ. ‌동태평양에서 강수량은 (가)가 (나)보다 많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178]

[21026-0176] 04 그림 (가)와 (나)는 엘니뇨와 라니냐 시기의 태평양에서의 표

02 그림 (가)와 (나)는 북반구의 어느 해양 위에서 지속적으로 층 수온 편차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고, (다)는 어느 해 태평양의
부는 바람의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해수면 높이 편차  (관측값-평년값)를 나타낸 것이다.

바람 방향 바람 방향

수온 편차(ùC) 수온 편차(ùC) 해수면 높이 편차(mm)


-4 -2 0 2 4 -4 -2 0 2 4 -120 0 120
(가) (나) (가) (나) (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는 고기압성 바람이다. ㄱ. 남·북적도 해류는 (나)보다 (가)일 때 강하다.


ㄴ. (가)에서는 표층 해수의 용승이 일어난다. ㄴ. 페루 연안의 용승은 (나)보다 (가)일 때 강하다.
ㄷ. ‌(나)와 같은 해양에서는 서늘한 날씨가 나타난다. ㄷ. (다)는 (나)보다 (가)일 때 관측한 것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28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20~13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7강_13교.indd 128 2021-01-06 오후 5:08:07


정답과 해설 36쪽

[21026-0179] [21026-0181]

05 그림은 엘니뇨 또는 라니냐 중 어느 한 시기의 표층 수온 편 07 그림은 기후 변화 원인의 종류와 그 예를 나타낸 것이다.


차(관측값-평년값)를 나타낸 것이다.
기후 변화의 원인

(단위: ùC)
-0.5
-1 1.5 자연적 요인 인위적 요인
30ùN 0.5 -0.5
0.5 0.5
1 0.5 1.5
2
0ù 2.5 3.5 4 4.5 지구 내적 요인 지구 외적 요인
-0.5
A B
3
0.5 1
1 A B C
-0.5
30ùS 1.5 1 -0.5
0.5 -1 -0.5
0.5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90ùE 120ù 150ù 180ù 150ù 120ù 90ù 60ùW

이 시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ㄱ. 도시화는 A에 해당한다.


것은? ㄴ. ‌B에 해당하는 것으로 지구의 수륙 분포 변화가 있다.
ㄷ. ‌C에 해당하는 에어로졸은 대기로 배출되어 지구의
ㄱ. 엘니뇨 시기이다. 기온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ㄴ. A와 B 해역에서 기압 차는 평상시보다 크다.
ㄷ. A
‌ 해역의 따뜻한 해수층의 두께는 평상시보다 두껍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182]

08 다음은 빙하 코어에 대한 자료를 정리한 것이다.

[21026-0180]

06 그림 (가)와 (나)는 엘니뇨와 라니냐 시기의 열대 태평양의


•빙하에서 속이 비어 있는 긴 원 P
통 모양 굴착기로 캐낸 긴 원통
연직 수온 분포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모양의 빙하 얼음이다.
0 0
28 28
•㉠ 빙하 얼음 속에 공기 방울이
100 100
14
수심

수심

200 14 14 200 14
있다. Q
12 12 12 얼음
(m) 300 12 (m) 300 •㉡ 밝은 층과 어두운 층의 줄무늬 깊이
400 10 10 400 10 10
(단위: ùC) (단위: ùC) 가 나타난다.
500 500
140ùE 180ù 140ù 100ùW 140ùE 180ù 140ù 100ùW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열대 태평양에서 (가)보다 (나) 시기에 더 큰 값을 갖는 것만을 <보
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의 성분은 빙하가 생성될 당시의 대기 성분을 나타
낸다.
ㄱ. 남·북적도 해류의 세기 ㄴ. P
‌ 지점보다 Q 지점의 빙하 얼음이 먼저 만들어졌을
ㄴ. 동태평양과 서태평양의 수온 차 것이다.
ㄷ. 동태평양과 서태평양의 수온 약층이 나타나는 깊이 차 ㄷ. ‌㉡은 계절에 따라 주기적으로 나타난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7강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129

120~13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7강_13교.indd 129 2021-01-06 오후 5:08:08


2점 수능 테스트
[21026-0185]

[21026-0183] 11 그림 (가)는 현재 지구 자전축의 경사 방향과 지구 공전 궤


09 그림은 그린란드 빙하 코어를 분석하여 얻은 지난 약 4만 년 도를, (나)는 지구의 세차 운동을 나타낸 것이다.
동안 그린란드의 연평균 기온과 메테인의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1850 23.5ù
-25 ㉠ 지구의
현재 그린란드 지역의 N N
태양 자전축
연평균 기온
-30 700

메테인 농도
-35 연평균 기온 600
기온

-40
(가) (나)
(ùC) -45 500
(ppb)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50 400

-55 메테인 농도
(단, 지구 자전축 경사 방향 이외의 요인은 고려하지 않는다.)
300
4 3.5 3 2.5 2 1.5 1 0.5 0
시간(만 년 전)
ㄱ. ‌현재 30ùS 지역의 평균 일사량은 원일점보다 근일점
그린란드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에서 많다.
고른 것은? ㄴ. 약 6500년 전 북반구는 근일점에서 가을철이다.
ㄷ. ‌약 13000년 후 우리나라에서 기온의 연교차는 현재
ㄱ. ‌연평균 기온과 메테인의 농도 변화는 대체로 비슷한 보다 커진다.
경향을 보인다.
ㄴ. 지표 반사율은 ㉡ 시기가 ㉠ 시기보다 크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ㄷ. ‌대기 중 이산화 탄소 농도는 ㉡ 시기가 ㉠ 시기보다
[21026-0186]

12 그림 (가)는 1900년~2010년 동안 기온 모델을 적용한


높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지구의 기온 편차 ㉠, ㉡과 실제 기온 변화를, (나)는 같은 기간 동


[21026-0184] 안 지구의 평균 해수면 편차를 나타낸 것이다. 지구 내적 요인 중
10 그림 (가)는 현재의 지구 자전축의 경사각과 지구 공전 궤도 ㉠과 ㉡은 각각 자연적 요인만을 고려한 경우와 자연적 요인과 인
를, (나)는 5만 년 전~5만 년 후의 지구 자전축의 경사각 변화를 위적 요인을 모두 고려한 경우 중 하나이다.
나타낸 것이다.
평균 해수면 편차

2 0.1
기온 편차
자전축 경사각

㉠ ㉡ ㉠
25ù 1 실제 기온 변화 0
23.5ù 24ù
23ù 0 -0.1
지구
22ù (ùC)
태양 ㉡
(m)
5만 년 전 현재 5만 년 후 -1 -0.2
현재 시간 1910 1960 2010 1900 1920 1940 1960 1980 2000
연도(년) 연도(년)
(가) (나) (가) (나)
㉡ 시기와 비교한 ㉠ 시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지구 자전축의 경사각 이외의 요인은
고려하지 않는다.) ㄱ. ‌지구 내적 요인 중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을 모두
고려한 경우는 ㉠이다.
ㄱ. 우리나라 겨울철 한낮의 태양의 최대 고도가 더 높다. ㄴ. ‌인위적 요인에 의한 지구 온난화는 1960년 이전보다
ㄴ. 남반구 중위도 지역의 기온의 연교차가 더 크다. 이후에 더 크다.
ㄷ. 7월
‌ 한 달 동안 지구에 도달하는 총 태양 복사 에너지 ㄷ. ‌대륙 빙하의 면적은 1920년이 2000년보다 좁았을 것
양이 더 많다. 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30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20~13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7강_13교.indd 130 2021-01-06 오후 5:08:09


정답과 해설 36쪽

[21026-0187] [21026-0189]

13 그림은 지구에 입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를 100 단위로 15 그림 (가)는 2019년 6월 그린란드 빙하가 녹아 강처럼 흐
했을 때 지구의 에너지 출입을 나타낸 것이다. 르는 모습을, (나)는 1981년~2010년의 평균 기온과 비교한
1900년~2019년 동안의 북극의 기온 편차(관측값-평균값)를
우주 반사 태양 복사 지구 복사
공간 (30) (100) (70) 나타낸 것이다.
(4) (66)
2

기온 편차
북극
1981년~2010년 평균 기온
1
0
흡수
대기
흡수 (129) 방출 -1 지구 전체
(ùC) -2
(25)
1900 1920 1940 1960 1980 2000 2019
연도(년)

지표면 흡수(㉠) 방출(㉡) 흡수(㉢)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에서 녹은 빙하는 해수면의 높이를 상승시킨다.


ㄱ. ㉠+㉢>㉡이다.
ㄴ. 2000년
‌ 이후에 북극의 기온 상승 폭은 지구 전체 평
ㄴ. 빙하 면적의 감소는 ㉠을 증가시킨다.
균보다 높다.
ㄷ. 지구에 대기가 없다면 ㉡은 현재보다 클 것이다.
ㄷ. ‌북극 지방의 반사율은 1900년보다 2000년에 더 높았
을 것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190]
[21026-0188]

14 그림 (가)는 약 22만 년 동안 대기 중 이산화 탄소의 농도 16 그림 (가)는 최근 30년 동안 우리나라 연안의 각 관측소에


서 측정한 평균 해수면 높이의 변화율을, (나)는 같은 기간 동안 우
를, (나)는 어느 관측소에서 측정한 최근의 이산화 탄소 농도를 나
리나라의 평균 해수면 높이 편차를 나타낸 것이다.
타낸 것이다.
15
38ùN 인천 속초
280 3.08 2.77 10
이산화 탄소 농도

이산화 탄소 농도

높이 편차
울릉도
안흥
260 400 2.34
포항
5.13
5
36ù 위도 4.55
240 380 2.24 여수 울산 2.66 0
흑산도 목포 1.72 부산 2.51
(cm) -5
2.83
360 1.83 통영
2.00
220 34ù 거문도
B
340 제주 4.39
5.43
-10 A
200 서귀포
(ppm) (ppm) 320 2.97
(단위: mm/년)
198919931997 20012005 200920132017
180 126ù 128ù 130ù 132ùE 연도(년)
22 20 18 16 14 12 10 1960197019801990200020102020
시간(만 년 전) 연도(년) (가) (나)
(가) (나)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ㄱ. ‌지구의 평균 기온은 (나) 기간보다 (가) 기간에 높았 ㄱ. ‌평균 해수면은 제주 부근 해역에서 가장 많이 상승하
을 것이다. 였다.
ㄴ. ‌(가) 기간 동안 이산화 탄소 농도의 증가 원인은 화석 ㄴ. ‌(나)에서 우리나라의 평균 해수면 높이는 평균적으로
연료 소비량 증가이다. 5`mm/년 이상 상승하였다.
ㄷ. ‌(나)와 같은 추세가 계속되면 고위도 지방의 지표면 ㄷ. ‌우리나라의 평균 기온은 A 기간보다 B 기간에 높았
에서 흡수되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은 증가할 것이다. 을 것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7강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131

120~13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7강_13교.indd 131 2021-01-06 오후 5:08:09


3점 수능 테스트
[21026-0191]

01 그림 (가)와 (나)는 서로 다른 지역에서 해안을 따라 지속적으로 부는 바람과 해수의 평균적인 이동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해안선과 나란하게 바람이 지
속적으로 불어 표층 해수가 해
안으로 이동하면 침강이 일어
나고, 반대로 표층 해수가 외

바람

바람
해로 이동하면 연안을 따라 심
육지 육지
층에서 찬 해수가 올라오는 용
승이 일어난다.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는 북반구에 있는 지역이다.


ㄴ. (나)에서 표층 해수의 용존 산소량은 연안보다 외해에서 많다.
ㄷ. 해수면의 높이가 연안보다 외해 쪽이 높은 경우는 (나)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192]
용승은 상승 속도가 매우 느
리기 때문에 실제 흐름을 관
02 그림은 북반구 대륙의 서쪽 연안에서 어느 해 7월에 20일 동안의 깊이에 따른 수온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이 연안에서는 남북 방향으로 위치한 해안을 따라 지속적으로 바람이 불었고, B 시기에 용
측하기는 어렵고, 심층에서 찬
해수가 올라오면 표층 해수의 승 또는 침강이 1회 발생하였다.
온도가 주변 해수의 온도와 16 0.7`m
달라지므로 수온 분석을 통해 3.1`m
15
용승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7.4`m
14
13 9.6`m
수온

11.8`m
12
13.9`m
(ùC) 11 17.6`m
19.6`m
10 21.6`m
23.6`m
9
25.6`m
8 A C
B
7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시간(일)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B 시기에 용승이 발생하였다.


ㄴ. B 시기에는 주로 북풍 계열의 바람이 불었을 것이다.
ㄷ. A, B, C 중 깊이에 따른 수온 변화는 평균적으로 A 시기에 가장 작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32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20~13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7강_13교.indd 132 2021-01-06 오후 5:08:10


정답과 해설 39쪽

[21026-0193]

03 그림은 적도 부근 해역의 지구 규모의 바람에 의한 용승을 나타낸 것이다. 적도 부근 해역에서는 무역풍


의 영향으로 적도를 중심으로
20ùN 표층 해수가 북반구는 북서쪽
으로, 남반구는 남서쪽으로 이
0ù 동하기 때문에 이를 채우기 위
20ùS 해 적도 부근에서 용승이 일어
난다.
20ùE 60ù 100ù 140ù 180ù 140ù 100ù 60ù 20ùW
침강 용승

-50 -40 -30 -20 -10 0 10 20 30 40 50


해수의 평균 상승 속도(cm/일)

적도 부근 해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대기 대순환에 의해 편서풍이 불고 있다.


ㄴ. 표층 해수는 북반구에서는 북서쪽으로, 남반구에서는 남서쪽으로 이동한다.
ㄷ. 용승이 하루에 최대 약 50`cm 일어난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194]

04 그림 (가)는 태평양에서 다윈과 타히티의 위치를, (나)는 1997년부터 20년간 다윈과 타히티에서 엘니뇨가 발생하면 열대 태평
양 중앙부에서 페루 연안에
의 기압 편차(관측된 기압-평상시 기압)를 나타낸 것이다.
이르는 해역에서 저기압이 발
4 타히티 달한다.
기압 편차

다윈
2
0ù 0
페루
(hPa) -2
다윈 타히티 A
-4
1999 2003 2007 2011 2015
연도(년)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다윈과 타히티의 기압 변화 경향은 반대이다.


ㄴ. A 시기에 페루 연안에서는 용승 현상이 활발하였다.
ㄷ. A 시기에 열대 태평양 동쪽 해역의 표층 수온은 평상시보다 낮았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7강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133

120~13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7강_13교.indd 133 2021-01-06 오후 5:08:11


3점 수능 테스트
[21026-0195]

05 그림 (가)와 (나)는 평상시와 비교한 엘니뇨와 라니냐 시기의 기후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서태평양 적도 부근에서의 날
씨는 엘니뇨 시기에는 건조 고온 한랭 한랭
하고, 라니냐 시기에는 다습
고온 다습 한랭 다습 다습 고온 건조
하다. 동태평양 적도 부근에 건조 다습 다습
건조
서의 날씨는 엘니뇨 시기에는
A A
고온 다습하고, 라니냐 시기 다습 한랭
고온
에는 한랭 건조하다.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 해역은 (가) 시기에 평상시보다 한랭 건조하다.


ㄴ. 남적도 해류는 (가) 시기보다 (나) 시기에 더 강하다.
ㄷ. ‌A 해역에서 기압 편차(관측 기압-평상시 기압)가 양(+)의 값을 갖는 시기는 (나)
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196]
평상시에 비해 엘니뇨 시기에
는 동태평양 적도 부근 해역
06 그림 (가)와 (나)는 평상시와 엘니뇨 시기에 동태평양 적도 부근 해역의 월평균 표층 수온과 표층 부
근에서의 바람의 분포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에 상승 기류가 나타나서 강
수량이 증가한다. 140ùE
140ùE 160ù
160ù 180ù180ù 160ù
160ù 140ù
140ù 120ù
120ù 100ùW100ùW 140ùE
140ùE 160ù
160ù 180ù
180ù 160ù160ù 140ù
140ù 120ù
120ù 100ùW
100ùW
10ùN
10ùN 10ùN
10ùN
2828 2929
5ù5ù 5ù5ù
2929 2929 2828 2727
0ù0ù AA 0ù0ù 2626 2525 AA
3030 2828 3030 2424
5ù5ù 2727 5ù5ù
10ùS
10ùS 10ùS
10ùS
(수온:ùC)
(수온: ùC) (수온:ùC)
(수온: ùC)
140ùE
140ùE 160ù
160ù 180ù
180ù 160ù
160ù 140ù
140ù 120ù
120ù 100ùW
100ùW 140ùE
140ùE 160ù
160ù 180ù
180ù 160ù
160ù 140ù
140ù 120ù
120ù 100ùW
100ùW
10ùN
10ùN 10ùN
10ùN
5ù5ù 5ù5ù
0ù0ù 0ù0ù
풍속
풍속 풍속
풍속
5ù5ù 5ù5ù
5`m/s
5`m/s 5`m/s
5`m/s
10ùS
10ùS 10ùS
10ùS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엘니뇨가 발생한 시기는 (가)이다.


ㄴ. A 해역에서 무역풍의 세기는 (가)보다 (나) 시기에 더 강하다.
ㄷ. A 해역에서 강수량은 (가)에 비해 (나) 시기에 많았을 것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34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20~13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7강_13교.indd 134 2021-01-06 오후 5:08:12


정답과 해설 39쪽

[21026-0197]

07 그림 (가)와 (나)는 빙하 코어를 이용하여 측정한 지질 시대의 산소 안정 동위 원소비( 18 16


O/ O)와 대 대기 중 이산화 탄소 농도가
높으면 지구의 평균 기온이
기 중 이산화 탄소 농도를, (다)는 해양 퇴적물 속의 생물 화석을 이용하여 측정한 지질 시대의 산소
상승하고, 빙하 코어 속의 산
안정 동위 원소비(18O/16O)를 나타낸 것이다. 소 안정 동위 원소비(18O/16O)
높다
는 높아지며, 해양 생물 속의
빙하 코어 속 산소 안정 동위 원소비는 낮
산소 안정
(가) 동위 원소비 아진다.
(Ú`¡`O/Ú`ß`O)
낮다
300

이산화 탄소
(나) 농도
(ppm) 200

높다
해양 생물 속
(다) 산소 안정
동위 원소비
(Ú`¡`O/Ú`ß`O) 낮다
40 A 30 20 B 10
시간(만 년 전)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와 (다)의 변화 경향은 반대이다.


ㄴ. 평균 해수면은 A 시기가 B 시기보다 높았다.
ㄷ. 해수에서 증발하는 수증기의 양은 A 시기가 B 시기보다 많았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198]

08 그림 (가)는 약 400년 동안 관측한 태양 흑점 수의 변화를, (나)는 피나투보 화산 분출 후 기온 편 기후 변화의 자연적 요인에는


지구 외적 요인과 지구 내적
차(관측값-평년값)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요인이 있다. 태양 활동의 변
0.2 ㉠ 대류권
200 화는 지구 외적 요인에 해당
태양 흑점 수

B
기온 편차

지표
0 하고, 화산 폭발은 지구 내적
-0.2 요인에 해당한다.
100
A -0.4 화산
(ùC)
(개) -0.6 폭발

0
1600 1650 1700 1750 1800 1850 1900 1950 2000 -0.8
1991 1992 1993
연도(년) 연도(년)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에서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은 A 시기가 B 시기보다 적다.


ㄴ. (나)에서 지구의 반사율은 ㉡보다 ㉠일 때 높다.
ㄷ. (가)와 (나) 모두 지구 기후를 변화시키는 내적 요인에 해당한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7강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135

120~13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7강_13교.indd 135 2021-01-06 오후 5:08:13


3점 수능 테스트
[21026-0199]

09 그림 (가)와 (나)는 현재와 13000년 후 지구 공전 궤도와 자전축 경사 방향 및 이심률 변화를 나타


지구 자전축의 경사 방향이 낸 것이다.
달라지는 세차 운동의 영향으
C
로 계절이 현재와 달라지고,
지구의 공전 궤도 이심률의
변화로 계절에 따라 지구에 23.5ù 23.5ù
지구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 A B 지구
이 달라진다. 태양 태양

(가) 현재 (나) 13000년 후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지구 자전축 경사 방향과


이심률 이외의 조건은 고려하지 않는다.)

ㄱ. 우리나라에서 한낮의 태양의 최대 고도는 A가 B보다 낮다.


ㄴ. 우리나라에서 기온의 연교차는 (가)가 (나)보다 작다.
ㄷ. (나)에서 지구가 C에 위치할 때 남반구는 가을철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200]
지구 공전 궤도의 이심률이
현재보다 작아지면 근일점 거
10 그림 (가)와 (나)는 지구 공전 궤도 이심률 변화와 지구 자전축의 경사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현재
리는 현재보다 멀어지고, 원일
0.04
점 거리는 현재보다 가까워진
지구 0.03
다. 지구 자전축의 경사각이 (가) 공전 궤도 0.02
작아지면 북반구 여름철 태양 이심률 0.01
의 남중 고도가 낮아진다. 0.00
24.5
24.0
지구
23.5
(나) 자전축의
23.0
경사각(ù)
22.5
22.0
-5 0 ㉠ 5 ㉡ 10 15 ㉢ 20
현재로부터의 시간(만 년)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지구 공전 궤도 이심률과


지구 자전축의 경사각 이외의 조건은 고려하지 않는다.)

‌ ㉡, ㉢ 중 근일점과 원일점에서의 1년 동안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


ㄱ. ㉠,
양의 차가 가장 큰 시기는 ㉢이다.
ㄴ. ㉠ 시기에 남반구 중위도 지역의 여름철 기온은 현재보다 높다.
ㄷ. 우리나라 기온의 연교차는 ㉢보다 ㉡ 시기에 작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36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20~13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7강_13교.indd 136 2021-01-06 오후 5:08:13


정답과 해설 39쪽

[21026-0201]

11 그림 (가)는 1850년~2012년의 대기 중 온실 기체의 농도를, (나)는 같은 기간 동안의 1986년 대기 중 온실 기체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지구의 기온이 높
~2005년 평균 기온에 대한 기온 편차를 나타낸 것이다.
아졌다. 최근으로 올수록 지
400 구의 기온이 상승하는 정도가
빙하 시추 자료 0.2 1986년~2005년 평균 기온

기온 편차
380 실제 대기 측정 자료 COª 0 더욱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
COª 360
농도

-0.2 한 경향이 지속될 경우 대륙


1800
340 1600 CH¢ -0.4

농도
(ppm) 320 CH¢ 1400 빙하의 면적은 더욱 빠르게
(ùC) -0.6
1200 줄어들 것이다.
300 1000 (ppb) -0.8
280 800 -1
1850 1900 1950 2000 1850 1900 1950 2000
연도(년) 연도(년)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대기에서 흡수되는 지표면의 복사 에너지양은 1950년보다 2000년에 더 많았을 것


이다.
ㄴ. 1986년~2005년의 평균 기온은 1900년~1909년의 평균 기온보다 높다.
ㄷ. 극지방의 빙하 면적은 1900년보다 2000년에 더 넓었을 것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202]

12 그림은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을 100이라고 할 때, 복사 평형 상태의 지구 열수 지구 대기의 온실 기체가 증


가하면 온실 효과에 의해 대
지를 나타낸 것이다.
기와 구름이 흡수하는 에너지
태양 복사 대기와 지구 복사 가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대
지표 반사 에너지(100) 구름 반사 에너지 기에서 지표면으로 방출하는
(A) (B) (70)
에너지도 증가한다.
(4)

대기권 대기와 대기 방출
(C)
구름 흡수(D) (154)

지표 흡수(45) 지표 방출(133) 지표 흡수(E)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대규모의 화산재가 분출되면 (A+B)의 총량은 증가한다.


ㄴ. C는 E보다 큰 값이다.
ㄷ. 온실 기체가 증가하면 D는 증가한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7강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137

120~13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7강_13교.indd 137 2021-01-06 오후 5:08:14


3점 수능 테스트
[21026-0203]

13 그림 (가)는 대기가 없을 때, (나)는 대기가 있을 때 복사 평형을 이루고 있는 지구의 에너지 출입을


대기가 없을 때는 지표에서 나타낸 것이다.
흡수한 태양 복사 에너지를
그대로 지구 복사 에너지의 지구 복사 반사 지구 방출
에너지 태양 복사 (70)
(30) (100)
형태로 우주 공간으로 방출하
태양
기 때문에 표면 온도의 일교 복사 B
에너지 대기
차가 크다. 반면 대기가 있을
때는 대기의 온실 효과에 의 A
해 표면 온도의 일교차가 작
아진다.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지표면의 평균 온도는 (가)가 (나)보다 높다.


ㄴ. 표면 온도의 일교차는 (가)가 (나)보다 크다.
ㄷ. A는 B보다 복사 에너지의 평균 파장이 길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204]
히말라야 고산 지대를 덮고
있는 산악 빙하가 2000년 이
14 그림 (가)는 히말라야 고산 지대를 덮고 있는 빙하의 모습을, (나)는 이 지역에서 고도에 따른 평균
빙하 두께 변화량을 나타낸 것이다.
후에 2000년 이전보다 빠르
게 녹아내려 빙하의 두께가 6500
A 시기(1975년~2000년)
감소하고 있다. 6000 B 시기(2000년~2016년)
고도

5500

(m) 5000

4500

4000
-1.6 -1.2 -0.8 -0.4 0
빙하 두께 변화량(m/년)
(가) (나)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빙하의 녹는 양
ㄱ. 의 평균적인 값은 A 시기보다 B 시기에 작다.
빙하의 생성량
ㄴ. B
‌ 시기에 고도 6000`m와 5000`m의 평균 빙하 두께 감소량 차는 약 1.0`m/년이다.
ㄷ. 이 지역의 평균 기온은 A 시기보다 B 시기에 높았을 것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38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20~13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7강_13교.indd 138 2021-01-06 오후 5:08:14


정답과 해설 39쪽

[21026-0205]

15 그림 (가)는 2018년 어느 날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수온을, (나)는 이날 수온 편차(측정값-30년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해 한반


도 기온이 상승하면서 한반도
간 평균값)를 나타낸 것이다.
주변 해역에서 고수온 현상이
45ùN 45ùN 더 빈번히 나타나고 있다.

40ù 40ù

35ù 35ù

30ù 30ù
120ù 125ù 130ù 135ùE 120ù 125ù 130ù 135ùE

18 20 22 24 26 28 30(ùC) -4 -2 0 2 4(ùC)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황해에는 조경 수역이 형성되어 있다.


ㄴ. ‌이날 우리나라 주변에서 30년간 평균에 비해 수온이 가장 많이 상승한 해역은 동해
이다.
ㄷ. 지구
‌ 온난화가 진행되면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평균 해수면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
일 것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206]

16 그림 (가)와 (나)는 우리나라 6개의 주요 도시에서 1910년~2009년 동안 측정한 기온과 강수량 최근 100년간 우리나라에서
는 지속적으로 기온이 상승하
을 10년 범위로 평균한 값을 나타낸 것이다.
였고, 강수량도 대체로 증가하
14.0 1400 였다. 지구의 평균 기온은 최
근 100년간 약 0.85`¾ 상승
강수량

1300
기온

13.0
1200
하였으며, 우리나라는 이보다
(ùC) 12.0 (mm) 약 2배 크게 상승하였다.
1100

11.0 1000
1910 1920 1930 1940 1950 1960 1970 1980 1990 2000 1910 1920 1930 1940 1950 1960 1970 1980 1990 2000
연도(년) 연도(년)
(가) (나)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우리나라 주요 도시의 기온은 상승하는 추세이다.


ㄴ. 우리나라에서 주요 작물의 재배지가 북상하였을 것이다.
ㄷ. 우리나라의 기후는 점차 고온 다습한 아열대 기후로 변해가고 있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7강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139

120~139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7강_13교.indd 139 2021-01-06 오후 5:08:15


III 우주
수능 - EBS 교재 연계 사례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3번


연계 분석

수능 9월 모의평가 3번 문제는 수능특강 158쪽 19번 문제와


연계하여 출제되었다. 수능 9월 모의평가 3번 문제에서는
H-R도에 나타난 별의 집단을 구분한 후, 각 집단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지 묻고 있다. 한편, 수능특강 158
쪽 19번 문제에서는 H-R도에 나타난 4개 집단의 물리적 특
징을 <보기>의 선택지로 구성하여 묻고 있다. 두 문제 모두
H-R와 별의 종류에 따른 특징에 대해 묻고 있다는 점에서
높은 유사성을 보인다.

2021학년도 EBS 수능특강 158쪽 19번

학습 대책

수능특강 158쪽 19번 문제에서는 H-R도에 나타난 별의 집단


을 4개로 분류하여 출제하였으나, 수능 9월 모의평가 3번 문제
에서는 초거성과 적색 거성을 묶어 하나의 거성 집단으로 표시
한 후, 거성, 주계열성, 백색 왜성을 구분할 수 있는지 묻고 있
다. 두 문제에서 묻고 있는 형식과 자료 제시 방식에 약간의 차
이는 있으나, 묻고 있는 핵심 학습 요소는 ‘H-R도와 별의 종
류’로 완전히 일치한다. 특히 수능 9월 모의평가 3번 문제에서
표로 제시한 내용은 수능특강 8강 본문에서 강조한 내용과 일치
한다. 따라서 수능특강을 학습할 때, 2점과 3점 문제뿐만 아니
라 본문에서 서술하는 학습 내용도 꼼꼼히 학습해 두어야 한다.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40 2021-01-07 오전 11:57:42


수능특강 과학탐구영역 지구과학Ⅰ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15번


연계 분석

수능 15번 문제는 수능특강 198쪽 20번 문제와 연계하여 출


제되었다. 두 문제 모두 빅뱅 이후 시간에 따른 우주의 크기
변화를 나타낸 자료를 제시한 후, 우주 팽창에 따른 우주의
특징에 대해 묻고 있다. 두 문제의 선택지를 비교해 보면 우
주 팽창 속도 변화와 우주 배경 복사에 대해 묻고 있다는 점
에서 유사성이 매우 높지만, 수능 15번 문제에서는 우주 구
성 요소 중 하나인 암흑 에너지에 대해서도 묻고 있다는 점에
서 차이가 있다.

2021학년도 EBS 수능특강 198쪽 20번

학습 대책

우주론과 관련된 내용은 학습해야 할 내용 자체가 매우 난


해하고 추상적이며, 오개념을 갖기 쉬운 단원이기 때문에
고체 지구나 대기와 해양 단원에 비해 참신한 자료나 복잡
한 그림 자료를 이용하여 문제를 구성하는 경우가 적은 편
이다. 따라서 수능특강 문제에서 사용된 자료가 수능 문제
에서 거의 그대로 연계되어 출제될 가능성이 높다. EBS
연계 교재의 우주 단원에서 다루었던 그림 자료와 <보기>
에서 묻고 있는 내용을 잘 정리해 둔다면, 다른 단원에 비해
학습 효과가 훨씬 높을 것이다.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41 2021-01-07 오전 11:57:42


III. 우주

08
지구과학Ⅰ

EBS 수능
특강
별의 특성

개념 체크  별의 물리량
분광 관측 (1) 분광 관측
분광기를 사용하여 전자기파를 파 ① 분광 관측의 역사
장별로 분산시켜서 나타난 스펙트
럼을 관측하는 것을 분광 관측이
•17세기에 뉴턴은 프리즘을 통과한 햇빛이 무지개처럼 여러 색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발견
라고 한다. 분광 관측은 별의 물리 하고, 이를 스펙트럼이라고 불렀다.
량 파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1814년 프라운호퍼는 태양의 스펙트럼에서 324개의 검은 흡수선을 발견하였다.
전자기파 •19세기에 허긴스는 별의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별이 나트륨, 칼슘, 철, 수소 등의 원소
전자기파는 파장에 따라 감마선,
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1864년에는 성운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X선,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전파로 구분하며, 감마선에서 전 •20세기 초 피커링과 캐넌은 별의 스펙트럼에 나타나는 수소 흡수선의 종류와 세기에 따라
파 쪽으로 갈수록 파장이 길어진
별을 A, B, C, …, P형의 16가지로 구분하였다. 그 후 흡수선의 세기가 별의 표면 온도와
다. 가시광선 중 파란색 빛은 붉은
색 빛보다 파장이 짧다. 관련이 있음을 알고, 표면 온도에 따라 나타나는 흡수선의 종류와 세기를 기준으로 O, B,
A, F, G, K, M형의 7가지로 분광형을 분류하였다.
흑체 복사
•구성 물질의 종류에 관계없이 온 •1943년 모건과 키넌은 별의 스펙트럼에 나타난 흡수선의 선폭을 분석하여 분광형과 광도
도에 의해서만 특성이 결정된다. 계급을 고려한 별의 분류법인 M-K 분류법(여키스 분류법)을 고안하였다.
•연속 스펙트럼을 방출한다.
•파장에 따른 복사 에너지 세기의
② 스펙트럼의 종류
변화는 플랑크 곡선을 따른다. •연속 스펙트럼: 넓은 파장 범위에 걸쳐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색의 띠를 연속 스펙트럼이라고 한다. 백 연속 스펙트럼
광원
1. ( )은 전자기파를 파 열등 빛을 프리즘에 통과시키면 무지개 색깔의 연속
장별로 분산시켜 스펙트럼 적인 색의 띠를 관찰할 수 있다. 흡수 스펙트럼
을 관측하는 것이다. 광원 저온의
•흡수 스펙트럼: 연속 스펙트럼이 나타나는 빛을 온 기체

2. 스펙트럼은 연속 스펙트럼, 도가 낮은 기체에 통과시키면 연속 스펙트럼 위에


방출 스펙트럼
( ) 스펙트럼, 방출 스 고온의
검은색 선(흡수선)들이 나타나는데, 이를 흡수 스펙 기체
펙트럼으로 구분한다.
트럼이라고 한다. 별의 대기에 존재하는 저온의 기 스펙트럼의 종류

3. 플랑크 곡선에서 최대 복 체가 별이 방출하는 빛 중에서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할 때 흡수 스펙트럼이 나타난다.


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 •방출 스펙트럼: 기체가 고온으로 가열될 때 불연속적인 파장의 빛이 방출되는데, 특정 파
장은 별의 ( )에 반비
장에 해당하는 빛의 밝은 선(방출선)이 나타나는 스펙트럼을 방출 스펙트럼이라고 한다.
례한다.
(2) 별의 표면 온도
가시광선
① 흑체 복사: 입사하는 모든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고,
복사 에너지의 상대적 세기

흡수한 복사 에너지를 모두 방출하는 이상적인 물


체를 흑체라고 한다.
•플랑크 곡선: 흑체가 복사하는 파장에 따른 복사
6000`K
에너지 세기를 나타낸 곡선이다.
5000`K
•빈의 변위 법칙: 흑체가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 4000`K
정답 하는 파장(kmax)은 표면 온도(T)가 높을수록 짧 3000`K
1. 분광 관측
아진다. 0 0.5 1.0 1.5 2.0 2.5 3.0
2. 흡수
파장(lm)
3. 표면 온도 kmax= a (a=2.898_10Ü``lm´K)
T 플랑크 곡선

142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42 2021-01-07 오전 11:57:43


•별의 색과 표면 온도: 별은 거의 흑체와 같이 복사하므로, 별의 표면 온도가 높을수록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이 짧아 파란색을 띠고, 표면 온도가 낮을수록 최대 복사 에 개념 체크
너지를 방출하는 파장이 길어 붉은색을 띤다. 색지수
서로 다른 파장대의 필터로 관측
② 색지수와 표면 온도: 색지수는 별의 표면 온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되며, U, B, V 필터
한 별의 겉보기 등급 차이로, 짧은
로 정해지는 겉보기 등급의 차를 이용한다. 파장대의 등급에서 긴 파장대의
등급을 뺀 값으로 정의한다. 표면
•U, B, V 필터: 별의 등급과 색을 측정하기 위해 보통 U(ultraviolet), B(blue), V(visual)
온도가 약 10000`K인 흰색의 별
세 종류의 필터를 사용하는데, U, B, V 필터는 각각 0.36`lm, 0.44`lm, 0.54`lm 부근 은 색지수가 0이다.

파장의 빛만을 통과시킨다. 이들 필터로 정해지는 겉보기 등급을 각각 U, B, V 등급이라


고 하며, 보통 (B-V)를 색지수로 활용한다. 1. 별의 표면 온도가 높을수
•색지수와 표면 온도: 표면 온도가 높은 별은 파장이 짧은 자외선과 파란색 부근에서 에너 록 ( )색을 띠고, 별
의 표면 온도가 낮을수록
지를 많이 방출하므로 B 등급이 작지만, 파장이 긴 붉은색 부근에서는 에너지를 적게 방
( )색을 띤다.
출하므로 V 등급이 크다. 즉, 별의 표면 온도가 높을수록 색지수(B-V)는 작아지고, 별의
표면 온도가 낮을수록 색지수(B-V)는 커진다. 2. 색지수는 별의 표면 온도
BV 가 높을수록 ( )진다.
복사 에너지의 상대적 세기

붉은색 별: B 필터보다 V 필터를 통과한 별빛이


더 밝다.
파란색 별
 B 등급보다 V 등급이 작다.
3. 표면 온도가 약 10000`K
 색지수(B-V)가 (+) 값이다. 인 별은 ( )색이고, 색
 저온의 별이다. 지수는 ( )이다.

붉은색 별 파란색 별: V 필터보다 B 필터를 통과한 별빛이


더 밝다.
 B 등급보다 V 등급이 크다.
파장
 색지수(B-V)가 (-) 값이다.
별의 색과 B, V 필터의 파장에 따른 빛의 투과 영역  고온의 별이다.

탐구자료 살펴보기 별의 색

[탐구 자료] 그림 (가)는 알비레오 쌍성을 이루는 두 별 A와 B의 모습을, (나)는 두 별이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의
세기를 파장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표는 별 A와 B의 색깔이다.
복사 에너지의 세기

별 색깔
b
A 노란색
A
B 파란색
B
400 500 600 700
파장(nm)
(가) (나)
[탐구 결과]
1. 별 A는 별 B보다 표면 온도가 낮다.
2. (나)에서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kmax)은 a가 b보다 짧으므로 a가 b보다 표면 온도가 높은 별이다.
즉, a는 별 B, b는 별 A에서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의 파장에 따른 세기를 나타낸 것이다.
[분석 point]
•별의 색은 표면 온도에 따라 다르다. 파란색 별은 분광형이 O형으로 표면 온도는 약 28000`K 이상이며, 노란색
별은 분광형이 G형으로 표면 온도는 약 5000~6000`K이다.
a 정답
•빈의 변위 법칙[kmax= (a=2.898_10Ü``lm´K)]에 의하면, 고온의 흑체일수록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
T 1. 파란, 붉은
는 파장(kmax)이 짧아진다. 2. 작아
3. 흰, 0

08강 별의 특성 143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43 2021-01-07 오전 11:57:44


08
지구과학Ⅰ 별의 특성

③ 분광형과 표면 온도: 별의 대기에 존재하는 원소들은 별의 표면 온도에 따라 이온화하는 정


개념 체크 도가 다르기 때문에 각각 가능한 이온화 단계에서 특정 흡수선을 형성하므로, 흡수 스펙트럼
중성 원자와 이온의 표현
선의 종류와 세기는 별의 표면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중성 원자: 이온화되지 않은 원 •분광형: 별의 표면 온도에 따라 스펙트럼을 O, B, A, F, G, K, M형의 7개로 분류하며,
자로, 기호 뒤에 로마자 Ⅰ을 붙
각각의 분광형은 다시 고온의 0에서 저온의 9까지 10등급으로 세분한다. O형 별은 표면
여 표현한다.
 HⅠ(중성 수소), HeⅠ(중성 온도가 가장 높고 파란색을 띠며, M형 별로 갈수록 표면 온도가 낮아지고 붉은색을 띤다.
헬륨) •별의 표면 온도에 따라 원소가 이온화되는 정도가 다르고, 각각 가능한 이온화 단계에서
•이온: 전자 1개가 떨어져 나가
특정한 흡수선을 형성하기 때문에 별빛의 스펙트럼에는 별마다 다양한 흡수선이 나타난다.
+1가로 이온화된 원자는 Ⅱ, 전
자 2개가 떨어져 나가 +2가로 •표면 온도가 높은 O형, B형 별에서는 이온화된 헬륨(HeⅡ)이나 중성 헬륨(HeⅠ)에 의한
이온화된 원자는 Ⅲ을 붙여 표 흡수선이, 표면 온도가 낮은 K형, M형 별에서는 금속 원소와 분자에 의한 흡수선이 강하
현한다.
게 나타나며, 표면 온도가 약 10000`K인 A형 별에서는 중성 수소(HⅠ)에 의한 흡수선이 강
 CaⅡ(Ca±), SiⅢ(SiÛ`±)
하게 나타난다.
흡수선의 상대적 세기

CaⅡ
1. 분광형 O, B, A, F, G, K, HeⅠ
HⅠ
M형은 별의 표면 온도가 HeⅡ
SiⅢ FeⅡ
( ) 것부터 정렬한 것 MgⅡ FeⅠ
이다. SiⅡ
CaⅠ TiO

2. A 형 별에서는 ( )에 B0 A0 F0 G0
분광형
K0 M0
의한 흡수선이 가장 강하
분광형과 흡수선의 상대적 세기
게 나타난다.
•태양은 표면 온도가 약 5800`K인 노란색 별로, 이온화된 칼슘(CaⅡ) 흡수선이 가장 강하
3. 표면 온도가 ( ) 별의
게 나타나며, 분광형은 G2형이다.
경우 금속 원소와 분자에
의한 흡수선이 강하게 나
분광형 색깔 표면 온도(K) 스펙트럼의 모습
타난다.
H선
H선
O 파란색 28000 이상 30000`K H선
H선
H선
He선
4. 흑체가 단위 시간에 단위 He선
He선
He선
He선
면적당 방출하는 에너지는 B 청백색 10000~28000 20000`K He선 C선
He선 He선 C선
C선
He선
He선 C선
C선
표면 온도의 ( )제곱
A 흰색 7500~10000 10000`K Ca선
Ca선 Fe선
Fe선
에 비례한다. Ca선
Ca선 Fe선
Fe선
Ca선 Fe선
F 황백색 6000~7500 7000`K Fe선 O선
O선 Mg선
Mg선 Na선
Na선
Fe선
Fe선 O선
O선 Mg선
Mg선 Na선
Na선
Fe선 O선 Mg선 Na선
5. 별의 광도는 ( )의 제 Fe선
O선
O선
곱과 ( )의 4제곱에 G 노란색 5000~6000 6000`K O선
O선
O선
비례한다. 여러 가지 분자선
K 주황색 3500~5000 4000`K 여러
여러 가지
여러 가지 분자선
분자선
여러 가지
가지 분자선
분자선
여러
여러 가지
가지 분자선
분자선
M 붉은색 3500 이하 3000`K 여러
여러
가지
여러 가지 분자선
가지 분자선
분자선

(3) 별의 광도와 크기
별의 단위 면적당
① 슈테판·볼츠만 법칙: 흑체가 단위 시간에 단위 단위 시간에
방출하는 에너지양
면적당 방출하는 에너지양(E)은 표면 온도(T) E=rTÝ

정답 의 4제곱에 비례한다.
1. 높은 E=rTÝ``(r=5.670_10Ñ¡``W´mÑÛ`´KÑÝ`) R 별의 표면적=4pRÛ
2. HⅠ
3. 낮은
② 별의 광도
4. 4 •별이 단위 시간 동안 방출하는 에너지의 양을 L=4pRÛ`·rTÝ
5. 반지름, 표면 온도 광도(L)라고 한다. 별의 광도

144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44 2021-01-07 오전 11:57:45


•반지름이 R인 별의 광도는 별의 표면적과 별이 단위 시간 동안 단위 면적에서 내보내는 에
개념 체크
너지양을 곱하여 얻을 수 있다.  L=4pRÛ`´rTÝ`
광도 계급
별의 표면 온도와 광도를 고려하
여 별을 분류한 것이다. 분광형이
과학 돋보기 별의 절대 등급과 광도
같을 때 별의 크기와 광도는 광도
•별의 밝기는 등급으로 나타내며, 1등급의 별은 6등급의 별보다 100배 밝다. 따라서 1등급 간의 밝기 비는 계급 Ⅰ이 가장 크고, 숫자가 커질
;5!; ;5@; 수록 작아진다.
100 =10 배, 즉 약 2.5배이다.
•별의 절대 등급은 모든 별을 10`pc(약 32.6광년)의 거리에 옮겨 놓았다고 가정했을 때의 밝기를 등급으로 정한 것으
로, 별의 실제 밝기, 즉 별의 광도를 비교할 때 이용될 수 있다.
LÁ 1. 별의 광도가 같을 때, 표면
•광도가 LÁ, Lª인 별의 절대 등급이 각각 MÁ, Mª이면 Mª-MÁ=2.5log 의 관계를 만족한다. 온도가 높을수록 반지름이

( ).

③ 별의 반지름: 별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표면 온도(T)를 알아내고, 별의 절대 등급을 이용하 2. 광 도 계급이 Ⅴ인 별은


( )에 해당한다.
여 별의 광도(L)를 알아내면 별의 반지름(R)을 구할 수 있다.
'¶L 3. 별의 분광형이 같을 때, 광
L=4pRÛ`´rTÝ`  R¥
TÛ` 도 계급의 숫자가 ( )
수록 반지름이 크다.
(4) 별의 광도 계급
① 여키스 천문대의 모건과 키넌은 분광형이 같더라도 별의 반지름이 클수록 스펙트럼 흡수선
의 선폭이 좁아지는 것을 발견하고, 새로운 별의 분류법을 고안하였다.
② 같은 분광형을 가지는 별들의 스펙트럼에 나타나는 흡수선의 선폭을 비교하여 별의 크기를
알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광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면 같은 분광형을
가진 별들을 광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데, 이를 광도 계급(luminosity class)이라고 한다.
③ 별의 광도는 표면 온도와 반지름에 의해 결정되므로, 분광형이 같더라도 별의 광도가 다를
수 있다. 별들의 표면 온도와 광도를 다음 그림과 같이 2차원으로 나타내면 별의 표면 온도,
광도, 반지름을 동시에 비교할 수 있다.
④ 광도 계급은 별을 Ⅰ~Ⅵ(백색 왜성을 포함하면 Ⅰ~Ⅶ)으로 분류하며, 분광형이 같을 때 광도
계급의 숫자가 클수록 별의 반지름과 광도가 작아진다.
⑤ 태양은 표면 온도가 약 5800`K이고 주계열성에 해당하므로, 태양의 분광형과 광도 계급은
G2Ⅴ이다.

-10 광도 계급 별의 종류
밝은 초거성
덜 밝은 초거성 Ⅰa Ⅰa 밝은 초거성
-5 Ⅰb
밝은 거성 Ⅱ Ⅰb 덜 밝은 초거성
거성
0 Ⅲ Ⅱ 밝은 거성
절대 등급

준거성 Ⅳ Ⅲ 거성
+5 주계
열성 Ⅳ 준거성
준왜

+10 Ⅴ 주계열성(왜성)
백색
왜성 Ⅴ
Ⅵ 준왜성
Ⅶ Ⅵ
+15
Ⅶ 백색 왜성
정답
1. 작다
O B A F G K M
2. 주계열성
분광형
3. 작을
H-R도와 광도 계급

08강 별의 특성 145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45 2021-01-07 오전 11:57:45


08
지구과학Ⅰ 별의 특성

 H-R도와 별의 종류
개념 체크 (1) H-R도:
‌ 20세기 초 덴마크의 헤르츠스프룽은 별의 분광형과 절대 등급의 관계를 알아보
H–R도 기 위해 그래프를 만들었다. 비슷한 시기에 미국의 천문학자 러셀도 별의 표면 온도(분광형)
가로축에 표면 온도나 분광형 또
와 광도(절대 등급) 사이의 관계를 그래프로 그려 분석하였다. 가로축을 별의 분광형(또는
는 색지수를, 세로축에 절대 등급
또는 광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표면 온도), 세로축을 별의 절대 등급(또는 광도)으로 하였으며, 별의 표면 온도, 광도, 반지
H–R도에서 주계열성의 수가 다 름과 같은 물리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쉽다. 이 그래프를 두 천문학자 이름의 첫 글자를 따서
른 집단에 비해 많은 이유는 별이
진화 과정 중 주계열 단계에서 가 H-R도라고 한다.
장 오랫동안 머무르기 때문이다.

H–R도에서 별의 물리량 변화
가로축의 왼쪽으로 갈수록 별의 (2) 별의 종류
표면 온도가 높고, 세로축의 위로
갈수록 별의 광도가 크다. 또한 오
① 주계열성: H-R도의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대각선을 따라 분포하는 별들로, 모든 별의
른쪽 위로 갈수록 별의 반지름이 약 80~90`%가 주계열성에 속한다.  왼쪽 위에 분포할수록 표면 온도가 높고 광도가 크며
크고, 왼쪽 아래로 갈수록 별의 밀
도가 크다.
반지름과 질량이 크고, 오른쪽 아래에 분포할수록 표면 온도가 낮고 광도가 작으며 반지름과
질량이 작다.  태양, 스피카, 시리우스 A
② 거성: 주계열의 오른쪽 위에 분포하는 별들로 대체로 붉은색을 띤다. 표면 온도는 낮으나 반
1. H-R도의 왼쪽 위에서 오
른쪽 아래로 대각선을 따
지름이 매우 커서 광도가 크다. 반지름은 태양의 10배~100배이며, 광도는 태양의 10배
라 분포하는 별들을 ( ) ~1000배이다.  알데바란 A, 아르크투루스
이라고 한다. ③ 초거성: H-R도에서 거성보다 더 위쪽에 분포하는 별들로, 반지름이 태양의 수백 배~
1000배 이상인 초대형 별이다. 광도는 태양의 수만 배~수십만 배로 매우 크지만, 평균 밀도
2. 거성은 별이 주계열 단계
에 있을 때보다 반지름이 가 매우 작다.  베텔게우스, 안타레스
( ). ④ 백색 왜성: H-R도의 왼쪽 아래에 분포하는 별들로, 표면 온도가 높지만 반지름이 매우 작
아 어둡게 보이며, 평균 밀도는 태양의 100만 배 정도로 매우 크다.  시리우스 B
3. 적색 초거성은 백색 왜성에
비해 표면 온도가 ( ), 분광형
평균 밀도가 ( ). O B A F G K M
10 10 광도
-10 0R 00 10ß
10 R 질량
R ⊙

4. H-R도의

세로축에서 위 ⊙ 리겔 A 반지름
10Þ 표면 온도
로 갈수록 광도가 ( ). 베타 센타우리 데네브
베텔게우스 10ß 수명
스피카 A 북극성
-5 10Ý 10Ý
1R 스피카 B
초거성
5. 질량이
광도

큰 별일수록 수명 ⊙ 안타레스
카노푸스 10Ü 10Û
이( ). 리겔 B 아르크투루스

카펠라 A
미라 (태양=1) 1
0 베가 카펠라 B 10Û
절대 등급

계 알데바란 A
0.1 열
광도

R 성 시리우스 A 거성 10ÑÛ
폴룩스
⊙ 알타이르
프로키온 A 10
(태양=1) 10ÑÝ
5 태양 1 40000 20000 10000 5000 2500
0.0 알파 센타우리 B
1R 표면 온도(K)

10ÑÂ
알데바란 B
61`백조자리 A
주계열성의 특징: 주계열에서 왼쪽 위로 갈수록
10 시리우스 B
61`백조자리 B 10ÑÛ
0.0 울프 1246  광도가 크다(절대 등급이 작다).
01 라카이유725`A
R 백색 글리세725`A 10ÑÜ  질량이 크다.
정답 ⊙ 왜성 글리세725`B
바너드별
1. 주계열성 프로키온 B  반지름이 크다.
10ÑÝ
2. 크다 (R⊙: 태양의 반지름)  표면 온도가 높다.
3. 낮고, 작다  수명이 짧다.
30000 20000 10000 5000 3000 2000
4. 크다 표면 온도 (K)
5. 짧다
H-R도

146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46 2021-01-07 오전 11:57:45


탐구자료 살펴보기 H-R도 개념 체크
[탐구 자료] 영년 주계열
표는 여러 별의 절대 등급과 분광형을, 그림은 가로축을 분광형, 세로축을 절대 등급으로 하여 각 별들의 위치를 나 별의 중심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
타낸 것이다. 이 시작되고 중력 수축이 멈추
면, 별은 H-R도에서 표준 주계
-10
절대 분광 절대 분광 절대 분광 열이라는 곡선 위에 위치한다. 이
별 이름 별 이름 별 이름 -5
등급 형 등급 형 등급 형

절대 등급
위치를 영년 주계열(Zero Age
0
태양 +4.8 G2 백조자리 B +8.3 K7 에니프 -4.5 B1 Main Sequence; ZAMS)이
+5 라고도 한다. ZAMS는 별이 수
시리우스 A +1.5 A1 카프타인별 +10.8 M0 스피카 -3.6 B1
+10 소 핵융합 반응을 시작하는 지점
시리우스 B +11.5 B1 루이텐별 A +15.3 M6 아르크투루스 -0.3 K2
+15 을 의미한다.
포말하우트 +2.1 A3 카노푸스 -4.6 F0 안타레스 -4.5 M1
+20
바너드별 +13.2 M5 민타카 -6.0 O9 직녀(베가) +0.5 A0 O0 B0 A0 F0 G0 K0 M0
분광형
북극성 -4.5 G0 크뤼거 B +11.9 M4 견우(알타이르) +2.3 A7 1. 별은 밀도가 ( ), 온도
센타우루스 A +4.4 G2 카펠라 -0.7 G2 데네브 -6.9 A2 가 ( ) 성운에서 탄생
센타우루스 C +15.0 M5 알데바란 -0.2 K2 황소자리17 -2.2 B6 한다.

프로키온 A +2.7 F5 리겔 -6.8 B8 벨라트릭스 -3.6 B2


프로키온 B +13.3 F5
2. 원 시별이 수축하여 중심
베텔게우스 -5.5 M2 로스128 +13.5 M5
부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
백조자리 A +7.5 K5 레굴루스 -0.6 B7 - - -
이 일어나는 온도가 되면
[탐구 결과] ( )이 된다.
1. 별들을 분광형과 절대 등급을 축으로 한 그래프에 나타내면 몇 개의 집단으로 분류된다.
2. 대부분의 별들은 그래프의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연결된 띠에 분포하며, 태양도 이 띠 위에 분포한다. 3. 원시별에서 주계열성이 되
는 데 걸리는 시간은 질량
[분석 point]
이 큰 별일수록 ( ).
•그림에서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연결된 띠에 분포하는 별들은 주계열성으로, 왼쪽 위로 갈수록 광도가 크고
표면 온도가 높은 별이 분포한다. 가장 많은 별들이 분포하는 집단이다.
•그림에서 주계열의 오른쪽 위에는 표면 온도는 낮지만 반지름이 매우 커서 광도가 큰 별들인 거성과 초거성이 분포
하고, 주계열의 왼쪽 아래에는 표면 온도는 높지만 반지름이 매우 작아서 광도가 작은 백색 왜성이 분포한다.

 별의 진화
(1) 원시별에서 주계열성 전까지
① 별은 밀도가 크고 온도가 낮은 성운에서 탄생한다. 거 10ß
10Ý 10Ü 100M⊙
10Û
대한 성운이 수축하면 성운의 밀도가 점점 커지고 기체 10M⊙
10Þ
10Ý 10Ý
10Ü
원반이 형성되며, 성운의 중심부에서는 중력 수축에 의 3M⊙
1M⊙
광도

해 온도가 높아지고 밀도가 커져 원시별이 생성된다. 10Û 10ß 10Þ


0.5M⊙
(L⊙) 10Þ
② 원시별이 중력 수축하여 내부 온도가 높아지고, 표면 영년 주계열 10Þ
1 10ß
0.1M⊙
온도가 약 1000`K에 이르면 가시광선을 방출하기 시작 (단위: 년) 10à
L⊙`:`태양의 광도 10ß
10ÑÛ
한다. M⊙:`태양의 질량 10¡
③ 원시별이 중력 수축을 계속하여 중심부 온도가 약 1000 63000 25000 10000 4000 1600
표면 온도(K)
만`K이 되면, 중심부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원시별의 진화
주계열성이 된다.  질량이 큰 원시별은 대체로 H-R
정답
도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수평 방향으로 진화하여 주계열성이 되고, 질량이 작은 원시별은
1. 크고, 낮은
대체로 H-R도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수직 방향으로 진화하여 주계열성이 된다. 2. 주계열성
3. 짧다
④ 질량이 클수록 중력 수축이 빠르게 일어나 주계열성에 빨리 도달한다.

08강 별의 특성 147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47 2021-01-07 오전 11:57:46


08
지구과학Ⅰ 별의 특성

(2) 주계열 단계
개념 체크 ① 원시별의 중심부 온도가 약 1000만 K에 이르면 별의 중심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
주계열 단계 에너지를 생성한다.
별의 중심핵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 ② 수소 핵융합 반응에 의해 별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여 기체 압력이 커지면 별의 중력과 기체
이 일어나는 단계이다. 별의 일생
중 가장 길고 안정적인 단계이다.
압력 차에 의한 힘이 평형을 이루는 정역학 평형 상태에 도달하고, 별의 반지름은 거의 일정
하게 유지된다.
③ 별의 일생 중 약 90`%를 머무르는 가장 안정적인 단계로, 관측되는 별 중에서는 주계열성이
1. 주계열성은
주로 ( )
반응에 의해 에너지를 얻
가장 많다. 질량이 큰 별일수록 중심부의 온도가 높아 수소 핵융합 반응이 빠르게 일어나 수
는다. 소를 빨리 소비하기 때문에 별이 주계열 단계에 머무르는 기간이 짧아진다.

2. 주 계열성은
별의 중심쪽 분광형
색지수 표면 온도 반지름 질량 광도 주계열성의
으로 향하는 ( )과 바 (B-V) (K) (태양 반지름=1) (태양 질량=1) (태양 광도=1) 수명(년)
깥쪽으로 향하는 ( ) O5Ⅴ -0.33 40000 12 40 500000 100만
이 평형을 이룬다. B0Ⅴ -0.30 28000 7 18 20000 1000만
A0Ⅴ 0.0 10000 2.5 3.2 80 5억
3. 별 의
일생에서 가장 오
F0Ⅴ +0.30 7400 1.3 1.7 6 27억
랜 시간을 보내는 단계는
G0Ⅴ +0.58 6000 1.05 1.1 1.2 90억
( ) 단계이다.
K0Ⅴ +0.81 4900 0.85 0.8 0.4 140억

4. 주계열성은 질량이 ( ) M0Ⅴ +1.40 3500 0.6 0.5 0.06 2000억


수록 광도가 크다. 분광형에 따른 주계열성의 물리량 비교

④ 주계열성의 질량–광도 관계: 주계열성은 질량이 큰 별일수록 광도가 크다.  주계열성의 겉


보기 등급을 관측하고 별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절대 등급을 구하면, 질량–광도 관계를 이
용하여 별의 질량을 간접적으로 구할 수 있다.
⑤ 주계열성의 질량–반지름 관계: 주계열성의 경우 질량이 큰 별일수록 반지름이 크다.

10ß
10
10Ý
반지름
광도

10Û
3
(태양=1) 1 (태양=1)
10ÑÛ
1
10ÑÝ
0.1 0.2 0.5 1 2 5 10 20 0.3 1 3 10
질량(태양=1) 질량(태양=1)

질량-광도 관계 질량-반지름 관계

(3) 거성, 초거성 단계


① 별의 중심핵에서 핵융합 반응에 사용되는 수소가 고갈되면 별은 주계열 단계를 벗어난다. 중심
부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이 멈추면 별의 중력과 평형을 이루던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이 감소
하여 중심부는 수축한다.
정답 ② 중심부가 수축할 때 발생한 열에너지에 의해 중심부 바로 바깥쪽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
1. 수소 핵융합
어나고, 이때 발생한 열에너지에 의해 별의 바깥층이 팽창하면서 별의 크기가 커진다.
2. 중력,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
3. 주계열 ③ 별의 크기가 커지면서 광도가 급격히 커지지만 표면 온도가 낮아져 붉은색으로 보이는데, 이
4. 클
러한 특징을 가진 별을 적색 거성, 적색 초거성이라고 한다.

148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48 2021-01-07 오전 11:57:47


④ 질량이 태양과 비슷한 별이 주계열 단계를 떠나면 적색 거성으로 진화하고, 질량이 태양보다
개념 체크
매우 큰 별이 주계열 단계를 떠나면 적색 거성보다 반지름과 광도가 크게 증가하여 반지름은
별의 진화
태양의 수백 배 이상, 광도는 태양의 수만 배~수십만 배인 적색 초거성이 되고, H–R도의 주계열 이후의 단계는 별의 질량
오른쪽 맨 위쪽으로 이동한다. 에 따라 진화 경로가 달라진다.

10Ý
팽창하면서
표면 온도 하강
15M⊙
100
1. 주계열 이후의 별의 진화
10Û
4M⊙ 경로는 별의 ( )에 따

반지름
광도
헬륨핵이 1 10 라 달라진다.
수축하면서 (태양=1) 1M⊙
(태양=1)
온도 상승 1
수소 껍질 연소 10ÑÛ 2. 별 의내부가 불안정하여
수축과 팽창을 주기적으로
10ÑÝ (M⊙: 태양의 질량) 0.1
반복하는 별을 ( ) 변
헬륨으로 이루어진 핵 30000 10000 6000 3000
표면 온도(K) 광성이라고 한다.
거성(초거성)으로의 진화 주계열 이후의 진화 경로
3. 태양 정도의 질량을 가지
는 별의 최후 단계는 행성
상 성운과 ( )이다.
(4) 별의 종말
① 질량이 태양과 비슷한 별의 진화 4. 질량이 매우 큰 별은 마지막
단계에서 중력 수축을 하
•거성 단계 이후 중심부는 계속 수축하고, 별의 바깥층은 정역학 평형 상태를 이루기 위해 다가 ( ) 폭발을 한다.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여 반지름과 표면 온도, 광도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맥동 변광성 단계
를 거친다. 5. 초신성 폭발 이후 중심핵
은 질량에 따라 ( )이
•맥동 변광성 단계 이후, 별의 바깥층 물질이 우주 공간으로 방출되어 행성상 성운이 만들 나( )로 진화한다.
어지며, 별의 중심부는 더욱 수축하여 크기는 매우 작고 밀도가 큰 백색 왜성이 된다.

별의 외부층
이중 연소가
행성상 성운 수소 껍질 연소(H`ÖHe)
10ß 일어나는 적색 거성
헬륨 껍질 연소(He`ÖC)
헬륨핵 연소가 탄소핵(수축)
10Ý
일어나는
적색 거성 적색 거성
광도

10Û 별의 외부층
수소 껍질 연소(H`ÖHe)
주계열성 준거성
(태양=1) 1 헬륨핵 연소(He`ÖC)
태양
10ÑÛ 백색 왜성 별의 외부층(팽창)
수소 껍질 연소(H`ÖHe)
10ÑÝ 헬륨핵(수축)
O B A F G K M 별의 외부층(정역학 평형)
수소핵 연소(H`ÖHe)
30000 10000 6000 3000
표면 온도(K)
태양의 진화 경로

② 질량이 매우 큰 별의 진화
•별 중심부에서 계속적인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 탄소, 규소, 철 등의 무거운 원소가 만들어
진다. 중심부에서 핵융합 반응이 멈추면 별은 빠르게 중력 수축하다가 결국 엄청난 에너지 정답

와 무거운 원소를 우주 공간으로 방출하는 초신성 폭발을 일으킨다. 1. 질량


2. 맥동
•초신성 폭발 이후 중심부는 더욱 수축하여 밀도가 매우 큰 중성자별이 생성된다. 별의 중심
3. 백색 왜성
부 질량이 더욱 큰 경우에는 밀도와 표면 중력이 너무 커서 빛조차 빠져나올 수 없는 블랙홀 4. 초신성
5. 중성자별, 블랙홀
이 생성된다.

08강 별의 특성 149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49 2021-01-07 오전 11:57:47


08
지구과학Ⅰ 별의 특성

•초신성 폭발이 일어날 때 금, 은, 우라늄 등 철보다 무거운 원소들


개념 체크 이 생성되며, 초신성 폭발 당시 우주 공간으로 방출된 물질들은 초
중력 수축 에너지 기의 성간 물질과 함께 성운의 일부가 되고, 이 성운에서 다시 새
별의 구성 물질이 중력에 의해 수 로운 별이 탄생한다.
축할 때 위치 에너지의 감소로 생
성되는 에너지로, 원시별의 에너지
원에 해당한다.
초신성(SN`1572)의 잔해

베텔게우스(초거성
베텔게우스 ) )
(초거성 질량이
질량이태양과
태양과비슷한
비슷한별별

(초거성 ) )
(초거성
1. 원 시별에서는
기체 압력 안타레스
안타레스 알데바란(거성
알데바란 ) )
(거성
차에 의한 힘보다 중력이 원시별
원시별 주계열성
주계열성 적색
적색거성
거성 행성상
행성상성운
성운백색
백색왜성
왜성
시리우스 AA
시리우스
더( ). 아르크투루스(거성
아르크투루스 ) )
(거성
(주계열성 ) )
(주계열성
질량이
질량이매우
매우큰큰
별별
태양
태양
2. 중력
수축 에너지는 별이
(주계열성 ) )
(주계열성 중성자별
중성자별
중력에 의해 수축될 때 위
치 에너지의 ( )로 인 태양
태양 백색
백색왜성
왜성
중성자별
중성자별
해 생성되는 에너지이다.
원시별
원시별주계열성
주계열성 초신성
초신성폭발
폭발
초거성
초거성 블랙홀
블랙홀
3. 중력
수축 에너지는 별의 백색
백색왜성
왜성 중성자별
중성자별 블랙홀
블랙홀
탄생이나 진화 과정에서
별의 상대적 크기 비교 질량에 따른 별의 진화 과정
내부의 ( )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 별의 에너지원과 내부 구조
(1) 원시별의 에너지원
① 원시별에서는 별의 중력이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보다 크므로
정역학 평형 상태를 이루지 못하고 중력 수축이 일어나 크기가
작아진다.
R
② 중력 수축 에너지: 별의 구성 물질이 중력에 의해 수축될 때 위치

에너지의 감소로 생성되는 에너지이다.
③ 중력 수축 에너지의 역할: 중력 수축 에너지는 별의 탄생이나 진
화 과정에서 내부 온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반지름이 R¼인 원 중력 수축 에너지 발생 과정
시 성운이 중력 수축하여 반지름이 R인 별이 될 때, 중력 수축에
의해 감소한 위치 에너지 중 일부가 복사 에너지로 전환된다.

과학 돋보기 태양의 중력 수축 에너지

태양 질량 M⊙=2_10Ü`â``kg, 태양 반지름 R⊙=7_10¡``m이므로, 태양에서 중력 수


GM⊙Û`
축 에너지(E)는 E=;2!;´ ?1.9_10Ý`Ú``J이다. 태양 광도 L⊙은 약 4_10Û`ß``J/s 중력 수축
R⊙
E
이므로 중력 수축 에너지를 모두 방출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t)은 t= ?1600
L⊙ R
만 년이다. 즉, 태양이 만약 중력 수축으로만 현재의 광도를 유지한다면 태양의 수
정답
명은 약 1600만 년 밖에 되지 않을 것이다. R¼
1. 크다
2. 감소
3. 온도

150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50 2021-01-07 오전 11:57:48


(2) 주계열성의 에너지원
개념 체크
① 태양이 원시 성운에서 중력 수축에 의해 현재의 크기로 작아질 때까지 방출하는 에너지양은
질량·에너지 등가 원리
현재의 태양 광도와 비교했을 때 약 1600만 년 동안 방출한 양에 해당한다. 따라서 중력 수 질량과 에너지는 서로 전환될 수
축에 의한 에너지만으로는 나이가 약 46억 년인 태양이 방출하는 에너지의 양을 설명할 수 없다. 있다는 것이다. 핵융합 반응에서
감소한 질량을 Dm이라 하고 빛
② 수소 핵융합 반응: 온도가 1000만 K 이상인 주계열성의 중심부에서는 수소 핵융합 반응에 의 속도를 c라고 할 때, 핵융합 반
의해 에너지가 생성된다. 응에 의해 생성되는 에너지양(E)
은 DmcÛ`에 해당한다.
•4개의 수소 원자핵이 융합하여 만들어진 헬륨 원자핵 1개의 질량은 4개의 수소 원자핵을
합한 질량에 비해 약 0.7`% 작으므로 수소 핵융합 과정에서 질량 결손이 발생한다. 이 질
량 결손(Dm)은 아인슈타인의 질량·에너지 등가 원리에 따라 에너지(E)로 전환된다. 1. 현재 태양 광도와 비교했
을 때 중력 수축에 의한 에
H H 너지만으로는 태양의 나이
수소 핵융합 반응

핵융합 He
H H 를 설명할 수 ( ).
4_1.6864_10ÑÛ`à``kg 질량 차이
6.6954_10ÑÛ`à``kg
=6.7456_10ÑÛ`à``kg 5.02_10ÑÛ`á``kg
전환된 핵에너지
2. 수 소 핵융합 반응에서는
( )개의 수소 원자핵
핵에너지 E=Dm·cÛ`=(5.02_10ÑÛ`á``kg)_(3_10¡``m/s)Û`=4.5_10ÑÚ`Û``J
이 융합하여 1개의 헬륨
원자핵을 생성한다.
•수소 핵융합 반응에는 양성자·양성자 반응(p-p 반응)과 탄소·질소·산소 순환 반
응(CNO 순환 반응)이 있다. 3. 수소 원자핵 4개의 질량이
•양성자·양성자 반응(p-p 반응)은 수소 원자핵 6개가 여러 반응 단계를 거치는 동안 헬륨 헬륨 원자핵 1개의 질량보
다( ).
원자핵 1개와 수소 원자핵 2개로 바뀌면서 에너지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탄소·질소·산소 순환 반응(CNO 순환 반응)은 4개의 수소 원자핵이 1개의 헬륨 원자핵으 4. CNO 순환 반응은 중심부
로 바뀌면서 에너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탄소, 질소, 산소가 촉매 역할을 한다. 온도가 ( ) 주계열성
에서 주로 일어나는 수소
Â`H Û`H Ý`He Â`H 핵융합 반응이다.
c c
Â`H
m Â`H Ú`Û`C
Â`H Ú`Ü`N
Ü`He Ú`Þ`N
Â`H
m
Â`H m
Ü`He Ý`He
Â`H m
Â`H Ú`Ü`C
c 감마선 양성자 Ú`Þ`O
m 중성미자 중성자 Ú`Ý`N
Û`H c
Â`H 양전자 c Â`H c Â`H

p-p 반응 CNO 순환 반응
상대적인 효율

•중심부 온도가 1800만 K 이하인 주계열 하단 10Ý


부의 별은 양성자·양성자 반응(p-p 반응)이
10Û CNO`순환 반응
우세하고, 중심부 온도가 1800만 K 이상인
태양
1 p-p`반응
주계열 상단부의 별은 탄소·질소·산소 순환
반응(CNO 순환 반응)이 우세하게 일어난다. 10ÑÛ
5 10 15 18 20 25 30
태양의 경우 중심부 온도가 약 1500만 K이므 핵의 온도(_10ß``K)

로 양성자·양성자 반응(p-p 반응)이 우세하 핵의 온도에 따른


p-p 반응과 CNO 순환 반응의 효율
게 일어난다. 정답
1. 없다
•탄소·질소·산소 순환 반응(CNO 순환 반응)은 중심부 온도가 높을 때 양성자·양성자 반
2. 4
응(p-p 반응)에 비해 시간당 많은 양의 에너지를 생성하므로, 탄소·질소·산소 순환 반 3. 크다
4. 높은
응(CNO 순환 반응)이 우세하게 일어날수록 별은 밝고, 주계열 단계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짧다.

08강 별의 특성 151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51 2021-01-07 오전 11:57:49


08
지구과학Ⅰ 별의 특성

과학 돋보기 태양이 주계열 단계에 머무르는 시간 계산


개념 체크
수소 핵융합 반응에서 수소의 질량 결손 비율은 약 0.7`%이고, 수소 핵융합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핵의 질량은 현
정역학 평형 상태
재 태양 질량(2_10Ü`â``kg)의 약 10`%이므로 태양이 수소 핵융합 반응으로 방출할 수 있는 총 에너지는 E=DmcÛ`=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과 중력이
2_10Ü`â``kg_0.1_0.007_(3_10¡``m/s)Û`=1.26_10Ý`Ý``J이다. 이를 태양의 광도인 4_10Û`ß``J/s로 나누면 태양이 주
평형을 이루는 상태로, 정역학 평
형 상태의 별은 크기가 거의 일정 계열 단계에 머무르는 시간은 약 100억 년이 된다.
하게 유지된다.

(3) 적색 거성과 초거성의 에너지원


1. 헬 륨
핵융합 반응에서는
3개의 헬륨 원자핵이 융합 ① 헬륨 핵융합 반응: 온도가 1억 K 이상인 적색 거성의 중심부에서 Ý`He ¡`Be Ý`He
하여 1개의 ( ) 원자 는 3개의 헬륨 원자핵이 융합하여 1개의 탄소 원자핵을 만드는 헬
핵을 생성한다. c
륨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Ý`He c
Ú`Û`C
② 더 무거운 원소의 핵융합 반응: 질량이 큰 별은 중력 수축에 의해 c 감마선
2. 질량이 매우 큰 별은 중심 양성자
중성자
부의 온도가 ( )기 때 중심부의 온도가 더 높아지기 때문에 헬륨보다 더 무거운 원소들
헬륨 핵융합 반응
문에 헬륨보다 무거운 원
의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 별은 질량에 따라 중심부의 온도가
소들의 핵융합 반응이 일
어날 수 있다. 달라지므로 핵융합 반응이 진행되는 정도는 별의 질량에 따라 결정된다. 별의 질량이 클수록
중심부에서는 헬륨 이후에 탄소, 산소, 네온, 마그네슘, 규소 등의 핵융합 반응이 순차적으로
3. 질량이태양보다 훨씬 큰
일어날 수 있다. 핵융합 반응으로 만들어지는 마지막 원소는 철(Fe)이다.
별의 내부에서 핵융합 반
응으로 만들어지는 마지막
원소는 ( )이다. 핵융합 반응 순서: H → He → C → … → Fe

4. 주계열성은 기체 압력 차
에 의한 힘과 중력이 평형
(4) 별의 내부 구조
을 이루는 ( )에 있다. ① 주계열성
•주계열성은 중력과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이 평형을 이루는 정역학 평형 상태에 있으므로
5. 질량이태양 정도인 주계
열성의 내부 구조는 중심
수축이나 팽창을 하지 않고 크기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에서부터 중심핵, ( ),
( ) 순으로 되어 있다.
기체 압력 차에 기체 압력 차에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 의한 힘 의한 힘

별의
수축 팽창 유지
표면

중력 중력 중력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
중력
정역학 평형 상태 별의 표면에서 힘의 평형 관계

•주계열성의 내부는 중심핵처럼 에너지를 생성하는 영역과 생성된 에너지를 표면으로 전달


하는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정답
•별의 중심핵에서 생성된 에너지는 주로 복사와 대류를 통해 별의 표면으로 전달된다. 이
1. 탄소 중 대류는 온도 차가 클 때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이다. 복사를 통해 에너지
2. 높
를 전달하는 영역을 복사층, 대류를 통해 에너지를 전달하는 영역을 대류층이라고 한다.
3. 철
4. 정역학 평형 상태 •질량이 태양 정도인 주계열성은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중심핵을 복사층과 대류층
5. 복사층, 대류층
이 차례로 둘러싸고 있다.

152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52 2021-01-07 오전 11:57:50


•질량이 태양 질량의 약 2배보다 큰 주 대류층
복사층
개념 체크
계열성은 중심부의 온도가 매우 높기 복사층
초거성
때문에 중심부에 대류가 일어나는 대 질량이 매우 큰 별이 주계열 단계
중심핵 대류핵
류핵이 나타나고, 바깥쪽에 복사층이 이후 크기가 매우 커진 단계이다.
초거성의 내부에서 양파 껍질과 같
나타난다. 은 구조를 이루고 있을 때, 각 껍질
M:`별의 질량 에서는 여러 가지 원소들이 핵융합
M<2M⊙ M⊙:`태양의 질량 M>2M⊙ 반응으로 에너지를 생성한다.
질량에 따른 주계열성의 내부 구조
② 주계열 단계 이후 별의 내부 구조
•질량이 태양 정도인 별: 주계열성 내부에서 수소 핵융합 1. 별은 주계열 단계 이후 헬
팽창 륨핵의 중력 수축으로 발
반응이 끝나면 중심에 헬륨핵이 생성되고, 헬륨핵의 중
H H 생한 에너지가 ( )에
력 수축으로 발생한 에너지가 중심부 외곽에 공급되어 외층 수소 껍질 서 수소 핵융합 반응을 일
(수소각)`연소
헬륨핵 외곽(수소 껍질)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 으킨다.
He
수축
다. 또한 바깥층은 팽창하여 크기가 커지고 표면 온도는
2. 주계열을 벗어난 별은 바
낮아져 적색 거성이 된다. 중심부의 온도가 계속 상승하 H H 깥층이 팽창하여 표면 온
여 1억 K에 도달하면 헬륨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 탄소 도가 ( )진다.

와 산소로 구성된 핵이 만들어진다. 질량이 태양 정도인


주계열성 → 거성(초거성)으로
3. 질량이 매우 큰 별은 주계
별은 중심에서 헬륨 핵융합 반응까지만 일어난다. 열 단계 이후 핵융합 반응
진화할 때의 내부 구조
•질량이 매우 큰 별: 질량이 매우 큰 별은 중심부의 온도 이 연속적으로 일어나 내
부가 ( ) 같은 구조를
가 매우 높기 때문에 더 높은 단계의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며, 최종적으로 철로 이루어진
이룬다.
중심핵이 만들어진다. 또한 별의 내부는 중심으로 갈수록 더 무거운 원소로 이루어진 양파
껍질 같은 구조를 이룬다. 별의 바깥층은 적색 거성보다 더 크게 팽창하여 적색 초거성이 4. 별의 내부에서 ( ) 반
응에 의해 철보다 무거운
된다.
원자핵은 만들어질 수 없다.
He He
H H C+O C+O H H

He He

C+O C+O

O+Ne+Mg
O+Ne+Mg

S+Si S+SiFe Fe
질량이 태양 정도인 별 질량이 매우 큰 별
중심부에서 핵융합 반응이 끝난 별의 내부 구조

과학 돋보기 핵융합과 핵분열

•핵반응에 의한 원자핵의 변환으로 더 안정한 상태의 다른 종류의 원자가 만들어진다. 핵반응에는 무거운 원자핵이
분열되어 가벼운 원자핵들이 되는 핵분열과 가벼운 원자핵들이 결합하여 무거운 원자핵이 되는 핵융합이 있다.
•우라늄과 같이 무거운 원자핵은 핵분열을 하여 가벼운 원자핵으로 변환되고, 수소와 같이 가벼운 원자핵은 핵융합을
정답
하여 무거운 원자핵으로 변환된다.
1. 수소 껍질(수소각)
•핵융합의 경우 철보다 무거운 원자핵이 만들어지면 불안정해지므로 철보다 무거운 원소는 만들어질 수 없다. 철보다
2. 낮아
무거운 원소는 초신성 폭발 때 만들어진다. 핵분열의 경우 철보다 더 가벼운 원자핵이 만들어지면 불안정해지므로,
3. 양파 껍질
핵융합 반응과 핵분열 반응의 마지막 단계에서 만들어지는 원소는 철이다. 4. 핵융합

08강 별의 특성 153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53 2021-01-07 오전 11:57:50


2점 수능 테스트 [21026-0209]

03 그림은 별의 스펙트럼에 나타난 흡수선의 상대적 세기를 별


[21026-0207] 의 분광형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은 별 (가)의 분광형, ㉡은 별
01 그림은 표면 온도가 다른 별들의 파장에 따른 복사 에너지 (나)의 분광형이다.
의 상대적 세기를 나타낸 것이다.

흡수선의 상대적 세기
HⅠ CaⅡ
가시광선 HeⅠ
복사 에너지의 상대적 세기

HeⅡ
SiⅢ FeⅡ
MgⅡ FeⅠ

SiⅡ
6000`K CaⅠ TiO

5000`K ㉠ ㉡
분광형
4000`K
3000`K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0 0.5 1.0 1.5 2.0 2.5 3.0
파장(lm)
ㄱ. ‌(가)의 스펙트럼에서는 헬륨 이온의 흡수선이 거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나타나지 않는다.
ㄴ. (나)는 흰색 별이다.
ㄱ.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에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의 양
ㄷ. 표면 온도는 (가)가 (나)보다 높다.
은 표면 온도가 높을수록 많다.
ㄴ.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은 표면 온도가 낮
①ㄱ ②ㄴ ③ ㄱ, ㄷ
을수록 길다.
ㄷ. ‌표면 온도가 높은 별일수록 파란색보다 붉은색의 빛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을 더 많이 방출한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208]

02 그림은 반지름이 같은 두 별 (가)와 (나)의 파장에 따른 복사 [21026-0210]


에너지의 상대적 세기와 B, V 필터를 통과하는 파장 영역을 나타 04 표는 여러 별들의 분광형과 광도 계급을 나타낸 것이다.
낸 것이다. 별 분광형 광도 계급
복사 에너지의
상대적 세기

(가) 데네브 A2 Ⅰa

B V 아르크투루스 K2 Ⅲ
아케르나르 B3 Ⅴ
(나)
베가 A0 Ⅴ

0 200 400 600 800 1000


파장(nm) 이 별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ㄱ. (B 등급-V 등급)은 (가)가 (나)보다 크다. ㄱ. 표면 온도는 아르크투루스가 가장 높다.


ㄴ. ‌별이 단위 시간당 방출하는 총 복사 에너지양은 (가) ㄴ. 초거성에 해당하는 별은 데네브이다.
가 (나)보다 많다. ㄷ. 절대 등급은 베가가 아케르나르보다 크다.
ㄷ. 광도 계급은 (가)와 (나) 모두 Ⅴ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54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54 2021-01-07 오전 11:57:51


정답과 해설 42쪽

[21026-0211] [21026-0213]

05 표는 별 (가)와 (나)의 분광형, 광도, 지구로부터의 거리를 나 07 그림은 주계열성에서 물리량 A와 B의 관계를 나타낸 것
타낸 것이다. 이다.
B
별 분광형 광도(태양=1) 거리(pc)
(가) A0 0.01 100
(나) G2 1 10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A

ㄱ.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은 (가)가 (나)보다 A와 B에 들어갈 수 있는 물리량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길다.
A B
ㄴ. (가)는 (나)보다 겉보기 등급이 크다.
① 질량 광도
ㄷ. (가)는 (나)보다 반지름이 작다.
② 광도 주계열에 머무는 시간

①ㄱ ②ㄴ ③ㄷ ③ 표면 온도 절대 등급

④ ㄱ, ㄴ ⑤ ㄴ, ㄷ ④ 진화 속도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
⑤ 색지수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에
방출하는 총 에너지양

[21026-0214]

08 그림은 분광형과 광도를 기준으로 별을 (가)~(라)의 집단으


로 분류하여 H-R도에 나타낸 것이다.

[21026-0212] 10ß

06 표는 별 A와 B의 표면 온도와 광도를 나타낸 것이다. 10Ý


(라)
광도

별 표면 온도(K) 광도(태양=1) 10Û


(다)
A 3000 100 (태양=1) (나)
1
B 6000 1
10ÑÛ
(가)
A와 B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10ÑÝ
O5 B0 A0 F0 G0 K0 M0
분광형
것은?
(가)~(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ㄱ.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은 B가 A의 2배 른 것은?
이다.
ㄴ.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에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의 양 ㄱ. 평균 반지름은 (가)가 가장 크다.
은 B가 A의 16배이다. ㄴ. (나)의 별은 질량이 클수록 광도가 크다.
ㄷ. 반지름은 A가 B의 40배이다. ㄷ. 광도 계급의 숫자는 (라)가 가장 크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8강 별의 특성 155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55 2021-01-07 오전 11:57:51


2점 수능 테스트
[21026-0217]

[21026-0215] 11 그림은 별 A와 B가 원시별에서 주계열성이 되는 동안의


09 그림은 어느 별의 중심핵에서 수소와 헬륨의 질량비를 별의 진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나이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A와 B는 각각 수소와 헬륨 중 하나이다. 10Þ
100 10Ý
A
10Ü

광도
80 A 10Û
B
질량비

60 (태양=1) 10
1
(%) 40 B 10ÑÚ
20 현재 30000 10000 4000
표면 온도(K)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10
나이(억 년)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는 B보다 질량이 크다.
ㄱ. A는 헬륨, B는 수소이다. ㄴ. ‌주계열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A가 B보다
ㄴ. ‌별의 나이가 약 10억 년일 때, 별은 원시별 단계에 있 짧다.
었다. ㄷ. 이 과정에서 A와 B의 반지름은 모두 감소한다.
ㄷ. ‌별의 나이가 약 105억 년일 때, 별의 주요 에너지원
은 헬륨 핵융합 반응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218]

12 그림은 원시별이 주계열성으로 진화하는 경로와 원시별이


[21026-0216] 탄생한 이후의 시간을 H-R도에 나타낸 것이다.
10 표는 태양과 주계열성 A의 절대 등급을, 그림은 주계열성
10ß
10Ý 10Ü 10Û 100M⊙
의 질량-광도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10M⊙
10Ý 10Þ 10Ý 10Û
10ß 3M⊙
광도

10ß 10Þ 1M⊙


10Û 0.5M⊙
10Ý 10Þ
(태양=1)
1 10ß 10Þ
0.1M⊙
광도

10Û 영년 주계열
별 절대 등급 10à 10ß
태양
10ÑÛ (단위: 년)
태양 4.8 (태양=1) 1 (M⊙: 태양의 질량) 10¡
A -5.2 10ÑÛ 63000 25000 10000 4000 1600
표면 온도(K)
10ÑÝ
0.1 0.2 0.5 1 2 5 10 20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질량(태양=1)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ㄱ. 진화 속도는 질량이 큰 별일수록 빠르다.


것은? ㄴ. ‌원시별이 주계열로 진화하는 동안 표면 온도의 변화
는 질량이 작은 별일수록 크다.
ㄱ. A의 질량은 태양의 약 10배이다. ㄷ. ‌원시별이 탄생한 후 10Ý`년이 지났을 때, 100 M⊙인
ㄴ. A의 내부에는 대류핵이 존재한다. 별의 중심핵에서는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ㄷ. 주계열 단계 이후 A는 초거성으로 진화한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56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56 2021-01-07 오전 11:57:52


정답과 해설 42쪽

[21026-0219] [21026-0221]

13 표는 별의 진화 과정에서 각 단계에 머무르는 시간을 별의 15 그림은 질량이 태양 정도인 별의 진화 경로를 간략하게 나


질량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타낸 것이다.

질량 10Ý c
원시별 주계열 단계 (초)거성
(태양=1)
10Û

광도
30 0.02 11 0.55 a
1 50 ( ㉠ ) 680 1
(태양=1) b
주계열
0.1 100 10à` - 10ÑÛ
(단위: _10ß`년) d
10ÑÝ
O B A F G K M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분광형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별은 일생 중 주계열 단계에 가장 오래 머무른다.
ㄴ. ㉠은 11보다 크다.
ㄱ. a → b 과정에서는 중력 수축 에너지가 발생한다.
ㄷ. ‌어느 한 성단 내에서 원시별, 주계열성, 초거성이 모
ㄴ. 별의 일생 중 가장 오랜 시간을 머무르는 단계는 b이다.
두 발견될 수 있다.
ㄷ. d의 중심부에서는 탄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220]

14 그림 (가)와 (나)는 서로 다른 형태의 핵융합 반응을 나타낸


것이다.

c 감마선 양성자
m 중성미자 [21026-0222]

16
중성자
양전자 그림은 별이 주계열성에서 적색 거성으로 진화하는 과정에
Ý`He Â`H
Â`H
c 서 나타나는 내부 구조이다.
Ú`Û`C
Ý`He ¡`Be Ý`He
Ú`Þ`N Ú`Ü`N
팽창
m A
m
c c
Ý`He B
Ú`Û`C Ú`Ü`C
Ú`Þ`O C
Ú`Ý`N 수축
c Â`H c Â`H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는 (나)보다 높은 온도에서 일어난다.
ㄴ. ‌(가)에서 Ý`He 3개의 질량의 합은 Ú`Û`C 1개의 질량과 ㄱ. 온도는 A의 표면에서 하강하고, C에서 상승한다.
같다. ㄴ. B에서는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ㄷ. (나)는 적색 거성의 중심부에서 일어난다. ㄷ. C에서는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이 중력보다 크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8강 별의 특성 157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57 2021-01-07 오전 11:57:53


2점 수능 테스트
[21026-0225]

[21026-0223] 19 그림 (가)와 (나)는 서로 다른 경로로 진화하는 별들의 진화


17 그림은 어느 별의 진화 과정에서 형성된 성운 A와 별 B를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나타낸 것이다.
(가) 원시별 주계열성 적색 거성 백색 왜성

A 중성자별
B 초신성
(나) 원시별 주계열성 초거성
폭발
블랙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보다 (나)의 경로로 진화하는 별의 질량이 크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ㄴ. 진화 속도는 (가)보다 (나)가 느리다.
ㄷ. ‌(가)와 (나)에서 별은 주계열 단계에서 가장 긴 시간
ㄱ. A는 초신성 폭발의 잔해이다.
을 머문다.
ㄴ. B는 중성자별이다.
ㄷ. B는 대부분 탄소로 이루어져 있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224]

18 그림 (가)와 (나)는 질량이 다른 두 별의 최종 진화 단계 무렵


에서 형성된 성운의 모습이다.

[21026-0226]

20 다음은 어느 별의 진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가) (나)
원시별 주계열성 초거성 중성자별
㉠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 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ㄱ. ‌(가)는 (나)보다 질량이 작은 별이 진화하는 과정에서 것은?
형성된 것이다.
ㄴ. (가)의 내부에서는 중성자별이 발견될 수 있다. ㄱ. 태양 정도의 질량을 가진 별이다.
ㄷ. (나)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철보다 무거운 원소가 생 ㄴ. ㉠ 과정에서 중력 수축 에너지가 발생한다.
성될 수 있다. ㄷ. ㉡ 과정에서 철보다 무거운 원소가 만들어진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58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58 2021-01-07 오전 11:57:54


정답과 해설 42쪽

[21026-0227] [21026-0229]

21 그림은 어느 별의 표면에 작용하는 두 힘의 크기와 방향을 23 그림은 질량이 서로 다른 두 주계열성 (가)와 (나)의 내부 구
화살표로 나타낸 것이다. A와 B는 각각 중력과 기체 압력 차에 의 조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한 힘 중 하나이다.
대류층
복사층
A 복사층

별의 표면 중심핵 중심핵

별의
내부

B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은 A이다.
ㄱ. 별의 반지름은 (나)보다 (가)가 크다.
ㄴ. 별의 반지름은 점점 증가한다.
ㄴ. CNO
‌ 순환 반응은 (나)보다 (가)에서 우세하게 일어
ㄷ. 별은 정역학 평형 상태에 있다.
난다.
ㄷ. ‌(가)에서 중심핵은 (나)의 대류층과 같은 방식으로 에
①ㄱ ②ㄴ ③ ㄱ, ㄷ
너지를 전달한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228]

22 표는 별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주요 핵융합 반응에 대한 자 [21026-0230]

료이다. 24 그림은 중심부에서 핵융합 반응이 끝난 상태에 있는 별 (가)


와 (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주 연료 주요 생성물 반응 온도(K)
He
수소 핵융합 수소 헬륨 약 1_10à`
C+O H
헬륨 핵융합 헬륨 탄소 약 1_10¡`
H
네온, 산소, He
탄소 핵융합 탄소 약 6_10¡`
마그네슘
C+O
산소 핵융합 산소 규소, 인, 황 약 1.5_10á`
O+Ne+Mg
마그네슘,
규소 핵융합 철 약 2.7_10á`
규소, 황
S+Si Fe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수소 핵융합 반응은 규소 핵융합 반응보다 반응 온도
가 낮다. ㄱ. 질량은 (가)가 (나)보다 크다.
ㄴ. ‌질량이 큰 별일수록 더 무거운 원소의 핵융합 반응이 ㄴ. 절대 등급은 (가)가 (나)보다 크다.
일어날 수 있다. ㄷ. ‌이후의 진화 과정에서 초신성 폭발을 일으키는 것은
ㄷ. 백색 왜성의 중심부 온도는 약 6_10¡``K 이상이다. (나)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8강 별의 특성 159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59 2021-01-07 오전 11:57:55


3점 수능 테스트
[21026-0231]

01 그림은 주계열성 (가)와 (나)에서 복사 에너지의 상대적 세기를 파장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복사 에너지의 상대적 세기
별에서 방출하는 파장에 따른
복사 에너지의 상대적 세기를
나타낸 그래프에서 곡선 아래
의 면적은 별이 단위 면적당 (가)
단위 시간에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의 양에 해당한다.
(나)

0.4 0.8 파장(lm)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표면 온도는 (가)가 (나)의 2배이다.


ㄴ. 반지름은 (가)가 (나)보다 크다.
ㄷ. 곡선 아래 면적의 크기는 (가)가 (나)의 4배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232]
별의 광도(L)는 반지름(R)의
제곱과 표면 온도(T)의 4제곱
02 표는 별 A, B의 광도와 반지름을, 그림의 ㉠과 ㉡은 A, B의 파장에 따른 복사 에너지의 상대적
세기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에 비례한다.
복사 에너지의 상대적 세기

L=4pRÛ`´rTÝ`

광도 반지름

(태양=1) (태양=1)
A 100 10

B 16 1

파장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절대 등급은 A가 B보다 크다.


ㄴ. 별의 표면 온도는 A가 B보다 낮다.
ㄷ. ‌별 A에서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의 세기를 파장에 따라 나타낸 것은 ㉠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60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60 2021-01-07 오전 11:57:55


정답과 해설 47쪽

[21026-0233]

03 그림은 지구 대기권 밖에서 단위 시간 동안 관측한 별 A와 B의 파장에 따른 복사 에너지의 세기 지구 대기권 밖에서 단위 시


간 동안 관측한 별의 파장에
를 나타낸 것이다. A와 B는 주계열성이고, 그림에서 곡선 아래의 면적은 같다.
따른 복사 에너지 세기 그래

복사 에너지의 세기
프에서 곡선 아래의 면적은
A 관측되는 별의 밝기, 즉 겉보
기 밝기와 같다.

0.5 1 1.5 2 2.5 3


파장(lm)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표면 온도는 A가 B보다 높다.


ㄴ. 절대 등급은 A가 B보다 크다.
ㄷ. 별까지의 거리는 A가 B보다 멀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234]

04 그림 (가)는 별의 표면 온도(T)에 따른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k )을, (나)는 주계열


max 별의 표면 온도가 높을수록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성의 H-R도를 나타낸 것이다.
파장(kmax)은 짧고, 색지수는
10Þ 작다.
kmax 10Ý
10Ü
광도

10Û

(태양=1) 10
1
㉡ 10ÑÚ

높다 낮다
0 T T
(가) (나)

주계열성 ㉠과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색지수는 ㉠이 ㉡보다 크다.


ㄴ. 질량은 ㉠이 ㉡보다 크다.
ㄷ. 광도는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kmax)이 긴 별이 더 크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ㄴ, ㄷ

08강 별의 특성 161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61 2021-01-07 오전 11:57:56


3점 수능 테스트
[21026-0235]

05 그림은 별의 분광형에 따른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주계열성은 질량이 큰 별일수 He
록 표면 온도가 높으므로, 분 H
광형이 O형으로 갈수록 질량
O
이 크고, M형으로 갈수록 질
량이 작다. B

Ca TiO

주계열성을 관측했을 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표면 온도가 낮은 별일수록 수소 흡수선이 강하게 나타난다.


ㄴ. 질량이 큰 별일수록 스펙트럼에서 흡수선의 개수가 많이 나타난다.
ㄷ. 태양의 스펙트럼은 G형인 별의 스펙트럼과 가장 유사하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236]
주계열성은 중심핵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별
06 표는 별 (가)와 (나)의 물리량을 나타낸 것이다.
로, 색지수(B-V)가 작은 별 별 B 등급 V 등급 절대 등급
일수록(고온의 별일수록) 절 (가) +2.0 +0.5 -3.5
대 등급이 작다(광도가 크다). (나) +2.7 +3.0 -3.0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는 O형 별에 해당한다.
ㄴ. 반지름은 (가)가 (나)보다 크다.
ㄷ. 두 별 모두 중심핵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62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62 2021-01-07 오전 11:57:56


정답과 해설 47쪽

[21026-0237]

07 그림은 별 (가), (나), (다)가 방출하는 파장에 따른 복사 에너지의 세기를 나타낸 스펙트럼이다. (가), 별의 분광형이 같을 때, 광도
계급의 숫자가 작을수록 반지
(나), (다)의 분광형 및 광도 계급은 각각 A0Ⅰ, A0Ⅲ, A0Ⅴ이다.
름이 크고, 평균 밀도가 작다.

복사 에너지의 세기

(가)

(나)

(다)

4000 5000 6000 7000 8000 9000 10000


ù
파장(A)

(가), (나), (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반지름은 (가)가 가장 크다.


ㄴ. (다)는 주계열성에 해당한다.
ㄷ. 평균 밀도가 큰 별일수록 흡수선의 폭이 넓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238]

08 표는 별 A, B, C의 표면 온도,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k ), 광도를 나타낸 것이다. A,


max 별이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
출하는 파장(kmax)은 표면 온
B, C는 각각 주계열성, 적색 거성, 백색 왜성 중 하나이다.
도(T)에 반비례한다.
별 표면 온도(K) kmax(lm) 광도(태양=1)
A 3000 a 10Û`
B 6000 b 1
C 10000 c 10ÑÛ`

A, B, C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a b
ㄱ. 는 보다 크다.
b c
ㄴ. 반지름은 A가 B의 4배이다.
ㄷ. 광도 계급의 숫자는 C가 가장 크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8강 별의 특성 163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63 2021-01-07 오전 11:57:56


3점 수능 테스트
[21026-0239]

09 그림은 별 A~E의 분광형과 광도를 H-R도에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음영은 각각 같은 종류


H-R도에서 가로축의 왼쪽 의 별 집단을 나타낸다.
으로 갈수록 표면 온도가 높
고, 세로축의 위로 갈수록 광 10ß
A
도가 크다. 또한 오른쪽 위로
10Ý
갈수록 별의 반지름이 크고,

광도
왼쪽 아래로 갈수록 별의 평 10Û
B
균 밀도가 크다. D
(태양=1) 1
E C
10ÑÛ

10ÑÝ
O5 B0 A0 F0 G0 K0 M0
분광형

A~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평균 밀도는 A가 가장 크다.
② 반지름은 B가 D보다 크다.
③ 수명은 D가 C보다 길다.
④ 표면 온도는 E가 가장 낮다.
⑤ A, B, C는 광도 계급이 같다.

[21026-0240]
태양과 질량이 비슷한 별의
진화 단계에서 적색 거성이
10 그림은 서로 다른 종류의 별 집단을 H-R도에 나타낸 것이고, 표는 별 (가), (나), (다)의 분광형과
절대 등급을 나타낸 것이다.
별의 바깥층 물질을 우주 공
간으로 방출하여 행성상 성운 초거성
-5
이 만들어지고, 별의 중심부
절대 등급

가 더욱 수축하여 백색 왜성 0 별 분광형 절대 등급
거성
이 만들어진다. (가) K2 0
+5 주계열성
(나) M0 -5
+10
백색 왜성 (다) A0 13
+15
O0 B0 A0 F0 G0 K0 M0
분광형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반지름은 (가)가 (나)보다 크다.


ㄴ. (가)는 이후 (다)와 같은 종류의 별로 진화한다.
ㄷ. 원시별 단계였을 때, 질량은 (나)가 (다)보다 크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64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64 2021-01-07 오전 11:57:57


정답과 해설 47쪽

[21026-0241]

11 그림은 주계열성의 질량-광도 관계를, 표는 주계열성 A의 물리량을 나타낸 것이다. 두 별이 모두 주계열성이라면


표면 온도가 높을수록 광도가
10ß 크고, 반지름이 크고, 질량이
광도
10Ý
큰 별이다.

10Û 겉보기 등급 +5.0

(태양=1) 1 지구로부터의 거리 100`pc


10ÑÛ 표면 온도 12000`K
10ÑÝ
0.1 0.2 0.5 1 2 5 10 20
질량(태양=1)

A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태양의 절대 등급은 +5.0


이고, 표면 온도는 6000`K이다.)

ㄱ. 절대 등급은 -5이다.
ㄴ. 질량은 태양의 10배 이상이다.
ㄷ. 반지름은 태양의 2.5배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21026-0242]

12 그림 (가)는 별 A와 B, 태양의 표면 온도와 절대 등급을 H-R도에 나타낸 것이고, (나)는 주계열 별의 절대 등급이 5등급 차일
때 광도는 100배 차이가 난다.
성의 질량-광도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10 10ß

-5 A 10Ý
절대 등급

광도

0 10Û
태양
+5 (태양=1) 1
태양
B 10ÑÛ
+10
10ÑÝ
+15
25000 10000 6000 3000 0.1 0.2 0.5 1 2 5 10 20
표면 온도(K) 질량(태양=1)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는 B보다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이 짧다.


ㄴ. A의 반지름은 태양의 약 100배이다.
B의 반지름 B의 질량
ㄷ. > 이다.
태양의 반지름 태양의 질량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8강 별의 특성 165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65 2021-01-07 오전 11:57:57


3점 수능 테스트
[21026-0243]

13 그림은 별 A, B, C의 평균 밀도와 물리량 (가)를 나타낸 것이다. A, B, C는 각각 주계열성, 백색


적색 거성은 백색 왜성보다 왜성, 초거성 중 하나이다.
평균 밀도는 작고, 반지름과
색지수는 크다. A
(가)

평균 밀도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B는 주계열성이다.
ㄴ. 반지름은 (가)에 해당한다.
ㄷ. 광도는 A가 C보다 크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244]
질량이 큰 원시별일수록 중력
수축이 빠르게 일어나 주계열
14 그림 (가)는 원시별 A와 B가 주계열성이 되는 동안의 진화 경로를, (나)는 A와 B의 주계열 단계
이후 진화 경로를 H-R도에 나타낸 것이다.
단계에 빨리 도달하며, 질량이
큰 주계열성일수록 중심부 온 10Þ 10Þ
도가 높아서 수소 핵융합 반 10Ý 10Ý
A
응이 빠르게 일어나므로 주계 10Ü 10Ü
A
광도

열 단계에 머무는 시간이 짧다.


광도

10Û 10Û

(태양=1) 10 B (태양=1) 10
1 1 B

0.1 0.1

30000 10000 4000 30000 10000 4000


표면 온도(K) 표면 온도(K)
(가) (나)

A가 B보다 더 큰 값을 갖는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질량
ㄴ. 진화 속도
ㄷ. 주계열에 머무는 시간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66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66 2021-01-07 오전 11:57:58


정답과 해설 47쪽

[21026-0245]

15 그림 (가)는 H-R도에 태양의 진화 경로를 나타낸 것이고, (나)는 태양이 진화하는 동안 나타날 수 주계열 단계가 끝나면 중심핵
은 중심 온도가 헬륨 핵융합
있는 내부 구조 ⓐ와 ⓑ를 나타낸 것이다.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온도
가 될 때까지 수축하고, 중심
-5 H 핵의 수축으로 발생한 에너지

㉢ ⓐ 에 의해 중심핵의 바깥 껍질
절대 등급

0 에서는 수소 핵융합 반응(수


H He
소 껍질 연소)이 일어난다.
5
㉠ H
H He

10 ⓑ He
O B A F G K M
분광형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태양은 일생 동안 (나)의 ⓐ와 같은 구조를 가장 오랫동안 유지한다.


ㄴ. (가)의 ㉠에서 ㉡으로 진화하는 동안의 태양 내부 구조는 (나)의 ⓑ와 같다.
ㄷ. (가)의 ㉢에서는 중심핵에서 탄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246]

16 다음은 서로 다른 두 별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 과정 (가)와 (나)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수소 핵융합 반응에는 p-p
반응과 CNO 순환 반응이 있

Ú`Û` C+Ú`H 2Ú Ú`Ü` N+c


다.

Ú`Ü` N 2Ú Ú`Ü` C+e±+m


Ú`Ü` C+Ú`H 2Ú Ú`Ý` N+c
Ú`H+Ú`H 2Ú Û`H+e±+m Ú`Ý`N+Ú`H 2Ú Ú`Þ`O+c
Û`H+Ú`H 2Ú Ü` He+c `Ú`Þ`O 2Ú Ú`Þ`N+e±+m e±: 양전자
Ü`He+Ü`He 2Ú Ý` He+Ú`H+Ú`H Ú`Þ` N+Ú`H 2Ú Ú`Û`C+Ý`He
m: 중성미자
c: 감마선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와 (나) 모두 적색 거성의 중심부에서 일어난다.


ㄴ. (가)는 (나)보다 고온의 조건에서 우세하게 일어난다.
ㄷ. 헬륨 원자핵 1개의 질량은 수소 원자핵 4개의 질량의 합보다 작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8강 별의 특성 167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67 2021-01-07 오전 11:57:58


3점 수능 테스트
[21026-0247]

17 그림 (가)는 어느 수소 핵융합 반응을, (나)는 p-p 반응과 CNO 순환 반응에서 중심 온도에 따른


p-p 반응은 수소 원자핵 6 에너지 생성률을 A, B로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개가 여러 반응 단계를 거치

에너지 생성률 상(댓값` )


는 동안 헬륨 원자핵 1개와 Â`H Û`H 10Ý
c
수소 원자핵 2개로 바뀌면서
m Â`H B
에너지를 생성하는 반응으로, Â`H 10Û
Ü`He
Â`H
중심 온도가 1800만 K 이하
1 A
인 주계열 하단부의 별에서 Â`H Ý`He
Ü`He
Â`H m
우세하게 일어난다. Â`H 10ÑÛ
c 감마선 양성자
Û`H c m 중성미자 중성자 0 5 10 1518 20 25 30
Â`H 양전자 중심 온도(_10ß``K)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태양의 중심부 온도는 약


1500만`K이다.)

ㄱ. (가)는 p-p 반응이다.


ㄴ. 현재 태양에서는 A보다 B가 더 우세하게 일어난다.
ㄷ. (나)에서 (가)에 해당하는 것은 B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248]
별이 주계열 단계를 마치면,
중심핵은 수축하고 별의 바깥
18 그림은 어느 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층은 팽창하게 된다.
팽창

수소 껍질
(수소각)`연소

수축

이 별에서 증가하고 있는 물리량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ㄱ. 광도
ㄴ. 표면 온도
ㄷ. 중심 온도
ㄹ. 별 전체에서 수소가 차지하는 비율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168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68 2021-01-07 오전 11:57:59


정답과 해설 47쪽

[21026-0249]

19 그림 (가)와 (나)는 태양에서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수소의 질량비와 헬륨의 질량비를 순서 수소 핵융합 반응은 4개의 수
소 원자핵이 반응하여 1개의
없이 나타낸 것이다. 점선은 태양이 주계열 단계에 처음 도달했을 때, 실선은 현재의 질량비이다.
헬륨 원자핵이 만들어지는 과
100 100 정에서 에너지가 생성되며,
온도가 높을수록 반응이 활발
질량비

질량비
75 75
하게 일어난다.
50 50
(%) (%)
25 25

0 2 4 6 0 2 4 6
중심으로부터의 거리(_10Þ```km) 중심으로부터의 거리(_10Þ```km)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는 수소, (나)는 헬륨의 질량비이다.


ㄴ. 원시별 단계일 때, 태양의 중심핵에는 헬륨이 존재하지 않았다.
ㄷ. ‌수소 핵융합 반응은 태양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20만 km인 지점에서 가장 활
발하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250]

20 그림 (가), (나), (다)는 태양 정도 질량의 별이 주계열성이 된 직후, 50억 년 후, 100억 년 후에 중 주계열성 단계는 중심핵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
심으로부터 별 표면까지의 거리에 따른 내부 구성 원소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며, 내부의 기체 압력 차에 의
헬륨 한 힘과 중력이 평형을 이루
구성 비율

구성 비율

구성 비율

100 100 100


헬륨 어 별의 크기가 안정적으로
헬륨
50 수소 50 수소 50 수소 유지된다.
(%) (%) (%)
0 3.5 7 0 3.5 7 0 3.5 7
중심으로부터의 중심으로부터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_10Þ``km) 거리(_10Þ``km) 거리(_10Þ``km)
(가) 직후 (나) 50억 년 후 (다) 100억 년 후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가)에서 헬륨의 대부분은 별의 표면 부근에 존재한다.


② (나)에서 별의 주요 에너지원은 중력 수축 에너지이다.
③ (다)의 중심핵에서는 헬륨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④ (가)~(다) 과정의 별 내부에서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과 중력이 평형을 이룬다.
⑤ (가) → (나) → (다)로 갈수록 별의 표면 온도는 점점 하강한다.

08강 별의 특성 169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69 2021-01-07 오전 11:58:00


3점 수능 테스트
[21026-0251]

21 다음은 2004년 발견한 어느 별에 대한 설명과 다이아몬드가 들어 있는 내부 구조를 과장하여 그


백색 왜성은 태양 정도의 질 린 그림이다.
량을 가진 주계열성의 최종
진화 단계에 해당하며, 표면
미국의 한 연구진은 약 50광년 떨어진 곳에서 다이아몬드 별
온도는 매우 높지만 반지름이
매우 작아 광도가 작다. 을 발견했다고 한다. 연구진은 이 별을 비틀즈의 노래 제목을
따 ‘루시’라고 이름지었다. 지름이 약 1500`km인 이 별은 별
의 진화에 따른 분류상 ( A )에 해당하며, 별의 중심부가
탄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별의 내부가 고온·고압 상태이므로
별의 내부에 다이아몬드가 형성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는 백색 왜성이다.
ㄴ. 이 별의 평균 밀도는 태양보다 크다.
ㄷ. 시간이 더 경과하면 이 별의 중심핵에서 탄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252]
별의 질량에 따라 진화 경로
와 진화 속도가 달라진다.
22 그림은 질량에 따른 별의 진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A, B, C는 별의 최종 진화 단계이며, M은
별의 질량, M핵은 별의 중심핵의 질량, M◉은 태양의 질량이다.

원시별

M<8M⊙ M>8M⊙
주계열성

적색 거성 초거성

행성상 성운 M핵<3M⊙ M핵>3M⊙


초신성 폭발

A B C

A, B, C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원시별이
‌ 최종 진화 단계에 이를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A로 진화하는 경우가 가장
길다.
ㄴ. B의 내부에서는 철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ㄷ. 평균 밀도는 C가 가장 크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70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indd 170 2021-01-13 오전 10:12:23


정답과 해설 47쪽

[21026-0253]

23 다음은 별에서 생성되는 에너지 (가), (나), (다)에 대한 설명을, 그림은 질량이 태양과 비슷한 별의 별에서 중력이 기체 압력 차
에 의한 힘보다 크면 중력 수
진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축 에너지가 발생하고, 반지
름이 줄어든다.
(가) ‌별의 구성 물질이 중력에 의해
수축될 때 위치 에너지의 감소 10000
로 생성되는 에너지이다.
100 주계열 C
(나) 4개의
‌ 수소 원자핵이 융합하여

광도
A
1개의 헬륨 원자핵이 만들어질 1
(태양=1) B
때 생성되는 에너지이다. 0.01
(다) 3개의
‌ 헬륨 원자핵이 융합하여
0.0001
1개의 탄소 원자핵이 만들어질 표면 온도

때 생성되는 에너지이다.

A, B, C 중 (가), (나), (다)가 각각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단계로 옳은 것은?

(가) (나) (다)


① A B C
② A C B
③ B A C
④ B C A
⑤ C A B

[21026-0254]

24 그림은 별 (가)와 (나)에서 작용하는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과 중력의 크기, 그 방향을 각각 나타낸 정역학 평형 상태는 중력과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이 평
것이다.
형을 이루는 상태로 수축이나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 팽창을 하지 않고 별의 크기
중력 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
중력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에서는 중력 수축 에너지가 발생한다.


ㄴ. (나)는 정역학 평형 상태이다.
ㄷ. 중력과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의 크기 차가 클수록 별의 크기 변화가 커진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8강 별의 특성 171

140~171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8강_13교-1.indd 171 2021-01-07 오전 11:58:01


III. 우주

09
지구과학Ⅰ

EBS 수능
특강
외계 행성계와 외계 생명체 탐사

개념 체크  외계 행성계 탐사
외계 행성계 탐사 (1)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
외계 행성은 직접 관측이 어렵기 ① 별과 행성이 공통 질량 중심을 중심으로 공전함에 따라 별의 시선 속도가 변하면서 도플러
때문에 주로 간접적인 방법을 통
해 탐사한다. 지금까지 외계 행성
효과에 의한 별빛의 파장 변화가 생긴다. 따라서 별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하면 행성의 존재를
을 발견하는 데 가장 많이 이용된 확인할 수 있다.
방법은 식 현상을 이용한 방법과
② 행성의 질량이 클수록 별빛의 도플러 효과가 커서 행성의 존재를 확인하기 쉽다.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를 이용
한 방법이다. ③ 행성의 공전 궤도면이 관측자의 시선 방향과 수직에 가까운 경우에는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
도플러 효과
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으므로 행성의 존재를 확인하기 어렵다.
관측자와 광원의 상대적인 운동에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중심별과 행성의 공전에 따른 지구와의 거리 변화 중심별의 중심별의
따라 빛의 파장이 달라지는 효과
를 말한다. 관측자와 광원 사이의
행성 탐사 중심별의 파장 변화 중심별 행성 시선 속도 스펙트럼 변화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워질 때 행성 공통 질량 중심
1' 행성 공통 질량 중심
2' 1 1' 파장이 짧아진다.
빛의 파장이 고유 파장보다 짧게 파장이 짧아진다. 가까워짐 멀어짐 (-), 접근 청색 편이

관측되고, 멀어질 때 빛의 파장이 1' 별
1 지구
2 별
1 지구
행성 2
고유 파장보다 길게 관측된다. 별 파장이 길어진다.
공통 질량 2 파장이 길어진다.

중심
2' 공통 질량
공통 질량
지구 멀어짐 가까워짐 (+), 후퇴 적색 편이
2' 중심 지구
행성 중심
1. 태양계 밖의 별과 그 별 주 행성

위를 공전하는 행성들이
이루는 계를 ( )라고 (2) 식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
한다. ① 중심별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이 중심별의 앞면을 지날 때 중심별 별

2. 행성의( )이 관측자 의 일부가 가려지는 식 현상이 나타난다. 식 현상에 의한 중심별 행성 1 2


3
밝 1 23
의 시선 방향과 수직일 때 의 밝기 변화를 관측하여 행성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기
는 중심별의 도플러 효과 시간
② 행성의 반지름이 클수록 중심별이 행성에 의해 가려지는 면적이
가 나타나지 않는다. 식 현상을 이용한 행성 탐사
커서 중심별의 밝기 변화가 크므로 행성의 존재를 확인하기 쉽다.
3. 별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
③ 행성의 공전 궤도면이 관측자의 시선 방향과 거의 나란할 때 식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에 의해 식 현상이 일어나
면 별의 ( )가 변하므 (3) 미세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
로 이를 이용하여 외계 행
① 거리가 다른 두 개의 별이 같은 시선 방향에 있을 경우 뒤쪽 별의 별빛이 앞쪽 별의 중력에
성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의해 미세하게 굴절되어 휘어지면서 뒤쪽 별의 밝기가 변하는데, 이를 미세 중력 렌즈 현상
4. 미세 중력 렌즈 현상을 이 이라고 한다. 이때 앞쪽 별이 행성을 가지고 있으면 행성에 의한 미세 중력 렌즈 현상으로 뒤
용하여 행성을 탐사할 때는
주기적인 관측이 ( ) 쪽 별의 밝기가 추가적으로 변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앞쪽 별을 공전하는 행성의 존재를 확
하다. 인할 수 있다.
② 행성의 공전 궤도면이 관측자의 시선 방향과 수직일 때에도 행성에 의한 미세 중력 렌즈 현
상이 나타나므로 행성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으며, 지구와 같이 질량이 작은 행성을 찾는 데
상대적으로 유리하다. 미세 중력 렌즈 현상은 드물게 발생하며 주기적인 관측이 불가능하다.
행성에 의한
진행 방향 밝기 변화 행성의
정답 진행 방향
공전 궤도
1. 외계 행성계
시간

시간

별A 별A
2. 공전 궤도면 지구 별B 지구 별B

3. 밝기 별 A에 의한 별 A에 의한 행성
밝기 밝기 변화 밝기 밝기 변화
4. 불가능
행성이 없는 별 A에 의한 별 B의 밝기 변화 별 A와 행성에 의한 별 B의 밝기 변화

172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72~18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9강_13교.indd 172 2021-01-06 오후 3:24:03


탐구자료 살펴보기 외계 행성계 탐사 방법
개념 체크
[탐구 자료]
그림은 행성의 공전 궤도면이 관측자의 시선 방향과 나란한 별 B 외계 행성 탐사 방법
별`B 행성의 공전 궤도면이 관측자의
가 별 A의 앞쪽으로 지나가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시선 방향과 나란한 경우에는 도
[탐구 결과] 별`A 지구 플러 효과, 식 현상, 미세 중력 렌
1. 별 B가 행성 P와의 공통 질량 중심을 중심으로 공전할 때 나타 행성`P 즈 현상 모두를 이용하여 외계 행
나는 주기적인 별빛의 파장 변화를 관측하면 행성 P의 존재를 성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할 수 있다. 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외계 행성 탐사 방법
지구와 비슷한 외계 행성 탐사
2. 행성 P에 의한 식 현상으로 나타나는 별 B의 주기적인 밝기 변화를 관측하면 행성 P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은 대
 식 현상을 이용한 외계 행성 탐사 방법
부분 목성형 행성으로, 생명체가
3. 행성 P에 의한 미세 중력 렌즈 현상으로 나타나는 별 A의 추가적인 밝기 변화를 관측하면 행성 P의 존재를 확
살기에 부적합하기 때문에 최근에
인할 수 있다.  미세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한 외계 행성 탐사 방법
는 주로 지구형 행성을 탐사하고
[분석 point] 있다.
행성의 공전 궤도면이 관측자의 시선 방향과 나란한 별 B가 별 A의 앞쪽을 지나갈 경우 도플러 효과, 식 현상, 미
세 중력 렌즈 현상을 모두 이용하여 외계 행성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1. 행성을 직접 관측할 때는
주로 ( ) 영역에서 촬
(4) 직접 관측하는 방법 영한다.

① 외계 행성계를 직접 관측할 때는 행성의 밝기가 중심별에 비해 매우


2. 행성의 공전 궤도면이 관측
어두우므로 중심별을 가리고 행성을 직접 촬영하여 존재를 확인할 중심별 자의 시선 방향과 ( )
51`Eri
수 있다.  행성이 방출하는 에너지는 대부분 적외선 영역이므로 한 경우에는 도플러 효과,
식 현상, 미세 중력 렌즈 현
행성을 직접 관측할 때 주로 적외선 영역에서 촬영한다. 상 모두를 이용하여 행성
행성
② 지구에서 외계 행성계까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행성의 반지름이 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직접 촬영한 외계 행성
클수록, 행성의 표면 온도가 높을수록 적외선의 세기가 강하므로 직
3. 도 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접 촬영하여 행성의 존재를 확인하기 쉽다. 발견한 행성들은 대부분
③ 행성 대기를 통과해 온 빛을 분석하여 행성의 대기 성분을 알아낼 수 있다. 지구보다 질량이 ( )다.

(5) 여러 외계 행성계 탐사 방법으로 발견한 행성들의 특징


① 현재까지 수천 개의 외계 행성이 발견되었다.
②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 이용: 대부분 질량이 크다.
③ 식 현상 이용: 대부분 공전 궤도 반지름이 작다.
④ 미세 중력 렌즈 현상 이용: 대부분 공전 궤도 반지름이 크다.
⑤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은 대부분 목성과 같이 질량이 큰 기체형 행성이었지만 최근에는
외계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지구형 행성을 중심으로 탐사하고 있다.
100
외계 행성의 누적 개수

도플러 효과 이용
3000 식 현상 이용 10
기타
질량

2000 1

(목성=1) 0.1
1000 시선 속도 변화
(개) 0.01 식 현상
미세 중력 렌즈 현상
정답
0 기타
0.001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2015
2017

1. 적외선
0.01 0.1 1 10 100
2. 나란
연도(년) 공전 궤도 반지름(지구=1)
3. 크
최근까지 발견한 외계 행성의 누적 개수 최근까지 발견한 외계 행성의 물리량

09강 외계 행성계와 외계 생명체 탐사 173

172~18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9강_13교.indd 173 2021-01-06 오후 3:24:03


09
지구과학Ⅰ 외계 행성계와 외계 생명체 탐사

탐구자료 살펴보기 외계 행성계 탐사 결과


개념 체크
[탐구 자료]
지구형 행성 탐사 그림 (가), (나), (다)는 서로 다른 외계 행성 탐사 방법으로 발견한 외계 행성의 물리량을 나타낸 것이다.
외계 행성계에서 행성에 의한 식

질량

질량

질량
현상이 일어날 때 중심별의 밝기
가 감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
정하면 행성의 반지름을 추정할
수 있다.  지구형 행성을 찾는
데 이용할 수 있다.
지구 지구 지구
공전 궤도 반지름 공전 궤도 반지름 공전 궤도 반지름
(가) 직접 관측 (나) 식 현상 이용 (다) 도플러 효과 이용
1. 직접
관측하여 발견한 외
계 행성들은 대부분 지구 [탐구 결과]
보다 질량과 공전 궤도 반 1. (가)에서 직접 관측을 통해 발견한 행성들은 대부분 지구보다 질량과 공전 궤도 반지름이 크다.
지름이 ( )다. 2. (나)에서 식 현상을 이용하여 발견한 행성들은 대부분 지구보다 질량이 크고 공전 궤도 반지름이 작다.
3. (다)에서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발견한 행성들은 대부분 지구보다 질량이 크다.

2. 식 현상을 이용하여 발견 [분석 point]


한 외계 행성들은 대부분 •(가)에서 행성을 직접 관측할 때 행성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의 양이 많을수록 행성의 존재를 확인하기 쉽다.  행
지구보다 공전 궤도 반지 성의 질량과 반지름이 크고 표면 온도가 높을수록 행성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의 양이 대체로 많다.
름이 ( )다. •(나)에서 행성의 공전 궤도 반지름이 작을수록 행성이 중심별을 가리는 식 현상이 일어나는 주기가 짧아 행성의
존재를 확인하기 쉽다.  행성의 공전 궤도면과 관측자의 시선 방향이 정확하게 일치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3. 목성형
행성은 지구형 행 행성의 공전 궤도 반지름이 작을수록 식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성보다 생명체가 존재할 •(다)에서 도플러 효과를 이용할 때 행성의 질량이 클수록 별의 시선 속도 변화가 커서 행성의 존재를 확인하기 쉽다.
가능성이 ( )다.

 외계 생명체 탐사
외계 생명체 탐사는 자연에 대한 이해는 물론 지구 생명체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주며, 외계
생명체를 찾기 위해서는 생명 가능 지대에 위치하고 단단한 표면이 있는 지구형 행성을 찾아야
한다.

과학 돋보기 지구형 행성 탐사

•최근에는 외계 생명체를 찾기 위해 지구와 질량이 비슷하고 표면이 암석으로 이루어진 행성을 주로 탐사하고 있다.
 목성과 같은 기체형 행성에는 생명체가 살 수 없다.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면 행성의 질량을 알아낼 수 있다.  행성의 질량이 클수록 별의 시선 속도 변화가 커서 별빛
의 도플러 효과가 커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행성의 질량을 구할 수 있다.
•식 현상을 이용하면 행성의 반지름을 알아낼 수 있다.

행성 별 r: 행성의 반지름
1 2
v: 행성의 공전 속도(별에 대한 상대 속도)
TÁ: 행성의 위치가 1일 때 시각
행성의 TÁ Tª Tª: 행성의 위치가 2일 때 시각
공전 궤도

v(Tª-TÁ)
2r=v(Tª-TÁ), r=
2
정답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를 이용하여 알아낸 행성의 질량과 식 현상을 이용하여 알아낸 행성의 반지름으로 행성의
1. 크
밀도를 알아낼 수 있다.
2. 작
•행성의 밀도를 이용해 기체형(목성형) 행성과 암석형(지구형) 행성을 구분할 수 있다.
3. 작

174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72~18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9강_13교.indd 174 2021-01-06 오후 3:24:04


(1) ‌외계 생명체: 지구가 아닌 공간에 사는 생명을 지닌 존재로, 지구의 생명체와 같이 주로 탄
개념 체크
소를 기본으로 하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탄소는 최외각 전자 수
별의 질량과 광도
가 4개로, 탄소 원자 1개는 최대 4개의 다른 원자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탄소는 다른 원자 주계열성인 별의 질량이 클수록
들과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화합물을 만든다. 중심핵에서 핵융합 반응이 활발하
게 일어나며, 단위 시간당 방출하
(2) ‌생명 가능 지대: 별의 주위에서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거리의 범위이다. 주계열 는 에너지가 많아 광도가 크다.
성인 별의 광도는 별의 질량이 클수록 크므로, 생명 가능 지대는 중심별의 질량에 따라 다르
게 나타난다.  태양계의 경우 생명 가능 지대는 금성과 화성 사이에 위치한다.
1. 별의 주위에서 물이 액체
(3) 지구에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이유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거
①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지구는 태양에서 약 1억 5천만`km 떨어져 있고, 금성이나 화성과 달 리의 범위를 ( ) 지대
라고 한다.
리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대기 중의 이산화 탄소가 물에 녹아 온실
효과가 적절하게 일어났으며, 생명체가 살기에 알맞은 온도가 되었다. 2. 주계열성인 중심별의 질량
② 물의 특성과 생명체의 존재: 액체 상태의 물은 열용량이 커서 많은 양의 열을 오랜 시간 보존 이 클수록 광도가 ( )
다.
할 수 있고, 다양한 물질을 녹일 수 있는 좋은 용매이므로 생명체가 탄생하고 진화할 수 있는
서식 환경으로 중요한 요건이 된다. 지구에는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하므로 생명체가 출현할 3. 주계열성인 중심별의 질량
수 있었고, 현재와 같이 진화할 수 있었다. 이 클수록 생명 가능 지대는
중심별로부터 ( )진다.
③ 대기의 역할: 지구 대기는 구성 성분과 양이 적절하여 태양에서 오는 자외선 등을 차단하고
생명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4. 태양이 진화함에 따라 광도
가 커지면 생명 가능 지대
의 폭이 ( )진다.
탐구자료 살펴보기 중심별의 질량과 생명 가능 지대

[탐구 자료]
그림은 주계열성인 중심별의 질량을 기준으로 한 이
생명 가능 지대
론적인 생명 가능 지대를 나타낸 것이다. 2
별의 질량

[탐구 결과] 수성 지구 토성 해왕성


1
1. ‌주계열성인 중심별의 질량이 클수록 생명 가능 지 금성 화성 목성 천왕성
(태양=1)
대는 중심별로부터 멀어진다.
2. ‌주계열성인 중심별의 질량이 클수록 생명 가능 지 0.5
0 0.1 1 10 40
대의 폭은 넓어진다.
공전 궤도 반지름 (지구=1)
[분석 point]
주계열성인 중심별은 질량이 클수록 광도가 커지며, 생명 가능 지대는 중심별로부터 멀어지고 폭도 넓어진다.

과학 돋보기 태양의 진화에 따른 태양계 생명 가능 지대의 변화

•태양이 진화함에 따라 태양의 광도가 점차 커진다. 40억 년 전


생명 가능
•‌시간이 흐름에 따라 태양으로부터 생명 가능 지대까지의 거리 지대
20억 년 전
가 점차 멀어지고 생명 가능 지대의 폭도 넓어진다.
시간

•지구는 현재 생명 가능 지대에 위치하지만 미래에는 생명 가능 현재


지대를 벗어나게 된다.  미래(약 10억 년 이후)에는 생명 가
능 지대가 지구보다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지구는 현재보 20억 년 후 정답
다 온도가 높아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하지 못하고 모두 증발 1. 생명 가능
40억 년 후 2. 크
할 것이다.
0 1 2 3 3. 멀어
태양으로부터의 거리(AU)
4. 넓어

09강 외계 행성계와 외계 생명체 탐사 175

172~18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9강_13교.indd 175 2021-01-06 오후 3:24:05


09
지구과학Ⅰ 외계 행성계와 외계 생명체 탐사

(4) 외계 생명체가 존재하기 위한 행성의 조건


개념 체크 ①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생명 가능 지대에 위치해야 한다.  액체 상태의 물은 다
별의 질량과 수명(진화 속도) 양한 종류의 화학 물질을 녹일 수 있으므로 물에서 복잡한 유기물 분자가 생성될 수 있다.
별(주계열성)의 질량이 클수록 중 ② 구성 성분과 양이 적절한 대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 대기가 적절한 온실 효과를 일으켜
심부에서 핵융합 반응이 활발하게
일어나 연료가 빠르게 소모되므로
생명체가 살아가기에 적당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식 현상이 일어날 때 행성의 대기를
광도가 크고 수명이 짧다. 통과한 별빛을 분석하여 행성의 대기 성분을 알아낼 수 있다.
③ 행성의 자기장이 우주에서 들어오는 고에너지 입자를 차단시켜 주어야 한다.  행성의 자기
식 현상을 이용한 행성의 대기
성분 분석 장이 중심별과 우주에서 들어오는 우주선 등의 고에너지 입자를 차단시켜 생명체가 존재하
행성의 대기를 통과한 별빛의 흡
는 데 유리한 환경을 만든다.
수 스펙트럼을 분석하면 행성의
대기 성분을 알아낼 수 있다. ④ 행성에서 생명체가 탄생하여 진화하기 위해서는 행성이 생명 가능 지대에 오랫동안 머물러
있어야 한다.  중심별의 질량이 클수록 수명이 짧아서 행성이 생명 가능 지대에 머무르는
시간이 짧다.
1. 액체
상태의 ( )은 다
양한 종류의 화학 물질을 •중심별이 질량이 큰 주계열성일 때: 별의 중심부에서 연료 소모율이 커서 광도가 크고 수
녹일 수 있으므로 ( ) 명이 짧다. 별의 수명이 짧으면 별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에서 생명체가 탄생하여 진화할
에서 복잡한 유기물 분자가
시간이 부족하다. 따라서 별의 질량이 매우 크면 생명체가 존재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이루
탄생할 수 있다.
지 못한다.
2. 행성의 ( )은 우주에
서 들어오는 우주선 등의 탐구자료 살펴보기 주계열성의 질량에 따른 수명과 생명 가능 지대
고에너지 입자를 차단시킨 [탐구 자료]
다.
그림은 H-R도에 주계열성의 질량과 수명을 나타낸 것이다.
60M⊙ M⊙:`태양의 질량
3. 주계열성은 H-R도에서 10ß 30M⊙
왼쪽 위에 분포할수록 표 10Þ 10M⊙
10Ý 10à`년 6M⊙
면 온도가 ( )고, 질량 3M⊙
10Ü 스피카
광도

과 광도가 ( )다. 10Û 10¡`년


10 10á`년 1M⊙
(태양=1) 1 태양 0.3M⊙
4. 분광형이O형인 주계열성 10ÑÚ 10Ú
` `
â 년
은 K형인 주계열성보다 10ÑÛ 백조자리 61B 10Ú``Ú 년
10ÑÜ
수명이 ( )다. 10ÑÝ
O B A FG K M
5. 주계열성의 질량이 크면 별 30000 10000 6000
표면 온도(K)
3000
의 중심부에서 연료 소모율
이( )서 광도가 ( ) [탐구 결과]
고, 수명이 ( )다.
생명 가능 지대
표면 온도 수명
주계열성 질량 분광형 중심별로부터의
(K) (년) 폭
거리
스피카 약 10M⊙ 약 25000 B형 약 107 태양계보다 멀다. 태양계보다 넓다.
10
태양 1M⊙ 약 6000 G형 약 10 - -
백조자리 61B 약 0.6M⊙ 약 4000 K형 약 1011 태양계보다 가깝다. 태양계보다 좁다.
정답
1. 물, 물 [분석 point]
2. 자기장 •주계열성은 H-R도에서 왼쪽 위에 분포할수록 표면 온도가 높고, 질량과 광도가 크다.
3. 높, 크 •주계열성은 질량이 클수록 중심부에서 연료 소모율이 커서 광도가 크고 수명이 짧다.
4. 짧 •주계열성은 질량이 클수록 광도가 커서 생명 가능 지대가 중심별로부터 멀어지고 폭도 넓어진다.
5. 커, 크, 짧

176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72~18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9강_13교.indd 176 2021-01-06 오후 3:24:05


•중심별이 질량이 작은 주계열성일 때: 별의 중심부에서 연료
개념 체크
소모율이 작아서 광도가 작고 수명이 길다. 별의 광도가 작으
외계 생명체 탐사
면 생명 가능 지대가 중심별에 가까워져 생명 가능 지대 안에 우주에서 오는 전파를 분석할 뿐
있는 행성의 자전 주기와 공전 주기가 같아질 가능성이 높아 별 만 아니라 최근에는 우주 망원경
행성
으로 생명 가능 지대에 속한 지구
진다. 이 경우 행성은 항상 같은 면이 별 쪽을 향하게 되므로 형 외계 행성을 찾고 행성의 대기
낮과 밤의 변화가 없어 생명체가 살기 어렵다.(평균 온도는 성분을 분석하여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환경인지 파악하는 연구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온도이지만, 낮인 지역은 행성의 동주기 자전
도 진행하고 있다.
온도가 너무 높고, 밤인 지역은 온도가 너무 낮으므로 대부분
우주 망원경
의 지역에서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없다.) 따라서 별의 질량이 매우 작으면 생명체
주로 인공위성에 탑재하여 우주에
가 살기에 적합한 환경을 이루지 못한다. 설치한 망원경으로, 대기에 의해
차단되어 지표에 거의 도달하지
못하는 전자기파 영역(감마선, 엑
(5) ‌외계 생명체 탐사: 외계 행성계 탐사 결과 우리은하에는 별이 행성을 거느리고 있는 외계 스선, 자외선, 적외선)에서 정밀하
행성계가 많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외계 생명체 탐사가 지니는 여러 가지 의의 게 관측하기 위해 우주에 설치한다.

때문에 세계 여러 국가와 단체에서 외계 생명체 탐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① 외계 지적 생명체 탐사(Search for Extra–Terrestrial 1. 행성이 중심별에 가까이 있
Intelligence; SETI): 외계 지적 생명체를 찾기 위한 일련의 으면 공전 주기와 자전 주
기가 같아질 수 있는데, 이
활동을 통틀어 부르는 말로, 전파 망원경을 이용하여 외계 행성
를( )이라고 한다.
으로부터 오는 전파를 찾거나 전파를 보내서 외계 지적 생명체를
찾고 있다. 2. 큐리오시티는 ( ) 탐사
로봇으로 ( )의 기후와
② 우주 탐사선: 태양계 천체를 중심으로 외계 생명체를 탐사하는
지질 조사 및 생명체 존재
탐사선과 탐사 로봇으로 로제타 호, 큐리오시티 등이 있다. 전파 망원경(앨런 망원경
집합체, ATA) 여부에 대한 탐사를 진행
•로제타 호: 혜성 67P를 탐사한 우주 탐사선으로, 물과 유기 중이다.

물의 기원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탐사를 수행하였다.


3. 케 플 러 망원경은 주로
•큐리오시티: 화성 탐사 로봇으로 화성의 기후와 지질 및 물의 역할에 대한 조사와 미래 인 ( )을 이용하여 외계
간이 살 수 있는 환경 탐사에 대비한 행성의 생명체 연구를 진행 중이며, 최근(2018년 4월) 행성을 탐사하였다.

에 메테인을 발견하였다.
4. 2018년에 발사된 ( )
③ 우주 망원경: 최근에는 우주 망원경으로 생명 가능 지대에 속한 외계 행성을 찾고, 행성의 대 망원경은 케플러 망원경보
기 성분을 분석하여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환경인지 파악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다 약 400배 더 넓은 우주
를 탐사할 수 있다.
•케플러 망원경: 2009년에 발사된 우주 망원경으로 2018년 11월 임무가 종료될 때까지
외계 행성을 2600개 이상 발견하였으며,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지구형 행성도
10여 개 발견하였다.  식 현상을 이용하여 외계 행성을 탐사하였다.
•테스 망원경: 2018년에 발사된 우주 망원경으로 케플러 우주 망원경보다 약 400배 더 넓
은 영역을 탐사하면서 가동된 지 한 달 만에 행성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별 73개를
발견하였으며, 지구와 비슷한 규모의 행성 2개를 찾아냈다.  주로 식 현상을 이용하여
외계 행성을 탐사한다.
•제임스 웹 망원경: 2021년에 발사 예정인 우주 망원경으로 주된 임무는 적외선 영역에서 정답
1. 동주기 자전
우주를 탐사하여 우주의 초기 상태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또한 적외선 영역에서 탐사하므
2. 화성, 화성
로 코로나그래프를 이용하여 중심별의 별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외계 행성이나 주변의 고리 3. 식 현상
4. 테스
등을 찾는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 외계 행성을 직접 촬영하여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09강 외계 행성계와 외계 생명체 탐사 177

172~18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9강_13교.indd 177 2021-01-06 오후 3:24:05


2점 수능 테스트 [21026-0257]

03 그림 (가)는 어느 외계 행성이 중심별 주위를 공전하는 모습


[21026-0255] 을, (나)는 지구에서 관측한 중심별의 겉보기 밝기 변화를 나타낸
01 그림은 외계 행성을 탐사하는 방법을 구분한 것이다. 것이다.
(가) 식 현상을 이용한 탐사

겉보기 밝기
(나) 시선 속도 변화를 이용한 탐사
(다) 미세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한 탐사
중심별

밝기 변화를 아니요
A
측정하는가? tÁ tª t£ t¢ t° t¤
행성 시간

(가) (나)
중심별의 변화를 아니요
B
관측하는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C
ㄱ. (t°-tÁ)은 행성의 공전 주기에 해당한다.
ㄴ. 중심별의 선 스펙트럼 파장은 tª보다 t£일 때 길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ㄷ. 행성의 공전 궤도면은 관측자의 시선 방향에 수직하다.

ㄱ. A는 (나)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ㄴ. B는 배경별의 밝기 변화를 관측한다.
ㄷ. ‌C는 행성의 공전 주기가 길수록 행성의 존재를 확인 ④ ㄴ, ㄷ ⑤ ㄱ, ㄴ, ㄷ
하기 쉽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ㄴ, ㄷ
[21026-0258]

[21026-0256]
04 다음은 어느 외계 행성계의 미세 중력 렌즈 현상에 의한 별
02 그림은 중심별과 행성이 공통 질량 중심 주위를 회전할 때 의 밝기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나타나는 별빛의 파장 변화를 이용하여 외계 행성을 탐사하는 방법


별㉠
을 나타낸 것이다.
밝기

별빛 ㉠ 행성 B
별 A

진행
별㉡ 방향
공통 질량 지구
중심
관측자 시간
행성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공통 질량 중심 주위를 회전하는 주기는 외계 행성이 ㄱ. A는 별 ㉡의 밝기 변화이다.


중심별보다 길다. ㄴ. B는 행성에 의해 나타난 밝기 변화이다.
ㄴ. ‌별빛 ㉠에서 청색 편이가 나타난다. ㄷ. ‌이 탐사 방법은 행성의 공전 궤도면이 관측자의 시선
ㄷ. 행성의 질량이 작을수록 별의 시선 속도 변화가 크다. 방향에 수직한 경우에도 이용 가능하다.

①ㄱ ②ㄴ ③ㄷ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ㄴ, ㄷ ④ ㄱ, ㄴ ⑤ ㄴ, ㄷ

178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72~18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9강_13교.indd 178 2021-01-06 오후 3:24:06


정답과 해설 51쪽

[21026-0259] [21026-0261]

05 다음은 망원경을 이용하여 직접 촬영한 외계 행성계의 모습 07 그림은 H-R도에 주계열성 ㉠, ㉡과 태양을 나타낸 것이다.
과 특징이다.
-10

-5

절대 등급
토성 궤도의 크기 지상 망원경으로 관측한 외 주계열
0
계 행성 ‘51 Eri-b’의 모습 태양
+5
이다. 이 행성은 질량이 목 ㉡
51 Eri +10
+
별 성의 약 2배이고, 궤도 반지
름은 10`AU보다 크다. B G M
분광형

51 Eri-b
행성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생명 가능 지대의 폭은 ㉠이 ㉡보다 넓다.


ㄴ. ‌㉡으로부터 1`AU 거리에 위치한 행성은 생명 가능
ㄱ. 행성의 크기가 작을수록 직접 관측하기가 용이하다. 지대에 위치한다.
ㄴ. ‌별과 행성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직접 관측하기 ㄷ. ‌생명 가능 지대에 있는 행성에서 액체 상태의 물이
용이하다. 존재할 수 있는 기간은 ㉠이 ㉡보다 길다.
ㄷ. ‌이 외계 행성계까지의 거리는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계까지의 평균 거리보다 가까울 것이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ㄴ, ㄷ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ㄷ ⑤ ㄴ, ㄷ
[21026-0262]

[21026-0260] 08 다음은 별의 질량에 따른 수명에 대한 설명이다.


06 그림 (가)는 시선 속도 변화를, (나)는 식 현상을 이용하여 발
견한 외계 행성들의 물리량을 나타낸 것이다. (가) 별의
‌ 중심부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이 지속되는 시간
을 t, 별의 질량을 M, 별의 광도를 L이라고 하면,
M
질량

질량

t¥ 이 성립한다.
L
목성 목성
(나) 별의 광도는 대략 질량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다) 태양에 대해 계산한 t는 약 100억 년이다.

궤도 반지름 궤도 반지름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가) (나)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t는 별이 주계열 단계에 머무는 시간이다.
ㄱ. ‌(가)의 행성들은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발견된 행 ㄴ. t는 질량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성들이다. ㄷ. ‌태양의 질량이 현재의 2배이고, 생물의 진화 속도가
ㄴ. ‌(나)의 행성들은 공전 궤도면이 관측자의 시선 방향 현재와 같았다면 지구상에 육상 생물이 출현할 수 없
에 수직하다. 었을 것이다.
ㄷ. (가)와 (나)의 행성들은 대부분 질량이 지구와 비슷하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9강 외계 행성계와 외계 생명체 탐사 179

172~18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9강_13교.indd 179 2021-01-06 오후 3:24:07


3점 수능 테스트
[21026-0263]

01 그림 (가), (나), (다)는 질량이 같은 중심별을 각각 공전하는 세 행성의 공전 궤도 반지름과 질량을


나타낸 것이다. 세 행성의 공전 궤도면은 관측자의 시선 방향과 나란하다.
별이 행성을 가지고 있으면
별은 행성 중력의 영향을 받 1`AU
(가) M
아 공통 질량 중심을 중심으 별 행성

로 공전하게 된다. 이때 별의 1`AU


움직임은 행성에 비해 매우 (나) 2M
별 행성
작기 때문에 별의 위치 변화
를 관측하기는 힘들지만, 별 2`AU

은 지구로부터 주기적으로 멀 (다) 2M


별 행성
어졌다 가까워지면서 도플러
효과가 나타난다. 따라서 별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가), (나), (다)에서 별의 반
빛의 스펙트럼 흡수선의 이동
지름, 행성의 반지름은 모두 같으며, M⊕은 지구의 질량이다.)
을 관측하면 외계 행성의 존
재를 확인할 수 있다.
ㄱ. 별의 시선 속도 변화는 (가)보다 (나)가 크다.
ㄴ. 행성에 의해 식이 진행되는 시간은 (나)보다 (다)가 길다.
ㄷ. (가)에서 식이 진행되어 별의 밝기가 최소일 때 별의 시선 속도가 가장 크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264]
별과 행성이 공통 질량 중심
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별에
02 그림 (가)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외계 행성 탐사 방법을, (나)는 행성이 ㉠, ㉡, ㉢의 위치일 때 관
측된 별빛의 스펙트럼 변화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미세한 떨림이 일어나면서 도
플러 효과에 의한 별빛의 파
공통 질량
장 변화가 생긴다. 이를 이용 중심
하여 행성의 존재를 확인할 청색 적색
㉠ 행성 ㉢
수 있다. 별
A


B

C
지구 방향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행성이 ㉠의 위치일 때 관측된 별빛의 스펙트럼은 A이다.


ㄴ. 별과 행성은 공통 질량 중심을 같은 주기로 회전한다.
ㄷ. 지구에서 별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스펙트럼의 파장 변화도 커진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80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72~18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9강_13교.indd 180 2021-01-06 오후 3:24:07


정답과 해설 53쪽

[21026-0265]

03 그림은 두 외계 행성계 (가)와 (나)에서 관측된 중심별의 밝기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가)와 (나)의 행성이 중심별의 앞면을 지
날 때 행성의 단면적만큼 별
중심별은 크기와 질량이 같은 주계열성이다.
의 일부가 가려져 별의 겉보

밝기
100 기 밝기가 감소한다. 이러한
밝기 감소가 나타나는 주기는
(가) (%) 99
행성의 공전 주기와 같다.
98
0 T 2T
시간
밝기

100

(나) (%) 99

98
0 T 2T
시간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두 외계 행성계에서 행성의


공전 궤도면은 시선 방향에 나란하다.)

ㄱ. 행성의 반지름은 (가)가 (나)의 약 2배이다.


ㄴ. 행성의 공전 궤도 반지름은 (가)가 (나)보다 작다.
ㄷ. 행성의 질량이 같다면 스펙트럼에 나타난 흡수선의 편이량은 (가)가 (나)보다 크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266]

04 다음은 미세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하여 외계 행성을 발견한 사례를 나타낸 것이다. 앞쪽에 위치한 별과 행성의
미세 중력 렌즈 현상에 의해
배경 빛의 밝기가 달라질 수
외계 행성계의
(가) ‌한국천문연구원은 우리은하 중심부 영역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앞쪽
우리은하 중심부 이동 방향 을 관측하는 과정에서 미세 중력 렌즈 현 별의 주변에 행성이 존재하는
중심별 상에 의해 약 2시간 반 동안 ( ㉠ )의 밝 지를 알아낼 수 있다.
행성 기가 일시적으로 변하는 현상을 검출했다.
(나) 연구
‌ 결과, 태양 질량의 약 8 %인 중심별
밝기

과 지구 질량의 약 1.4배인 행성이 존재


함을 확인하였고, 행성의 공전 궤도 반지
지구
름이 약 1.2 AU라는 것도 알아내었다.
시간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은 우리은하 중심부이다.
ㄴ. (가)의 밝기 변화는 행성의 공전 주기마다 반복되어 나타난다.
ㄷ. 발견된 행성의 표면에는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것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9강 외계 행성계와 외계 생명체 탐사 181

172~18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9강_13교.indd 181 2021-01-06 오후 3:24:08


3점 수능 테스트
[21026-0267]

05 그림은 태양계 일부 행성과 최근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의 질량과 반지름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은 서 곡선 A~D는 순수한 물질로 이루어진 행성의 질량에 따른 이론적인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대부분 질량과 크기가 지구에
비해 훨씬 큰 목성 규모의 기 태양계 행성(일부)
15
외계 행성
체형(목성형) 행성이었다. 하
지만 최근에는 관측 기술의

반지름
발달로 지구 규모의 행성들도 10
A A:`수소로만 이루어진 행성의
발견되고 있다. ㉠ 이론적인 크기
(지구=1) B:`얼음으로만 이루어진 행성의
B 이론적인 크기
5 C C:`암석으로만 이루어진 행성의
이론적인 크기
D D:`금속으로만 이루어진 행성의
㉡ 이론적인 크기
0 1 10 100 1000
질량(지구=1)

외계 행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발견된 외계 행성들은 대부분 지구형 행성보다 목성형 행성에 가깝다.


ㄴ. ㉠의 주요 성분은 기체와 얼음일 것이다.
ㄷ. ㉡은 단단한 지각을 갖고 있을 것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268]
행성에서 생명체가 탄생하여
진화하기 위해서는 행성이 생
06 그림은 중심별의 분광형과 행성 a~d의 단위 면적에 단위 시간 동안 입사되는 에너지양을 나타낸
것이다. 행성 a~d의 중심별은 모두 주계열성이다.
명 가능 지대에 오랫동안 머
물러 있어야 한다. 중심별의
A a
질량이 너무 크면 수명이 짧
아서 행성이 생명 가능 지대 F
분광형

b
에 머무르는 시간이 짧다.
G
c

K
d

10 1.0 0.1
단위 면적에 단위 시간 동안
입사되는 에너지양(지구=1)

행성 a~d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행성 a~d의 공


전 궤도는 모두 원 궤도이며, 행성의 대기 효과와 행성 표면의 차이는 고려하지 않는다.)

ㄱ. 행성의 표면 온도는 a가 가장 높다.


ㄴ. 행성의 공전 궤도 반지름은 b가 c보다 크다.
ㄷ. 별이 진화하는 동안 행성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기간은 d가 b보다 길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ㄷ ⑤ ㄴ, ㄷ

182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72~18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9강_13교.indd 182 2021-01-06 오후 3:24:08


정답과 해설 53쪽

[21026-0269]

07 표는 식 현상을 이용하여 발견한 외계 행성계 (가)~(라)의 특징을 나타낸 것이다. 중심별의 물리량으로부터 생
명 가능 지대의 거리와 폭을
외계 행성계 (가) (나) (다) (라) 파악할 수 있으며, 행성에서
중심별의 표면 온도(K) 4500 10000 6000 5000 안정한 환경이 지속될 수 있
중심별의 광도 계급 Ⅰ Ⅴ Ⅲ Ⅴ 는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행성의 반지름(상댓값) 3 2 2 1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가)~(라)의 행성은 모두


공전 궤도면과 시선 방향이 나란하다.)

ㄱ. 생명 가능 지대의 폭은 (가)가 가장 넓다.


ㄴ. 식 현상에 의한 중심별의 밝기 감소율은 (나)가 (다)보다 작다.
ㄷ. ‌현재 (가)~(라)의 행성이 모두 생명 가능 지대의 중앙부에 위치한다면, 앞으로 액
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시간은 (라)가 가장 짧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21026-0270]

08 다음은 외계 생명체 탐사와 관련된 설명이다. 행성 대기를 통과해온 별빛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행성의
대기 성분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행성에 생명체가 존재하
스펙트럼 - = 는 데 필요한 성분이 존재하
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가) 별과 행성의 스펙트럼 (나) 별의 스펙트럼 (다) 행성의 스펙트럼

•외계 행성계에서 지구로 입사한 빛은 중심별에서 나온 복사 에너지와 행성에서 나온


복사 에너지가 합쳐져 있다.
•행성이 중심별 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행성이 특정한 위치일 때 행성에 의한 복사 효
과가 제거된 (나)의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다.
•(가)와 (나)의 차이로부터 행성 복사에 의한 (다)의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다. (다)를
분석하면 ( ㉠ )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의 스펙트럼에는 시선 속도 변화에 따른 파장 변화가 나타난다.


ㄴ. (나)는 행성에 의한 식 현상이 일어날 때 얻을 수 있다.
ㄷ. ‘행성의 대기 성분’은 ㉠으로 적절하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9강 외계 행성계와 외계 생명체 탐사 183

172~183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9강_13교.indd 183 2021-01-06 오후 3:24:09


III. 우주

10
지구과학Ⅰ

EBS 수능
특강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개념 체크  외부 은하
은하 (1) 은하의 분류
항성, 성간 물질, 암흑 물질 등이 정상 나선 은하
① 허블의 은하 분류: 허블은 외부 은하
중력에 의해 묶여 있는 천체들의
를 가시광선 영역에서 관측되는 형태 렌즈형
집합체이다. 타원 은하
은하
Sa형 Sb형 Sc형
에 따라 타원 은하, 나선 은하, 불규
E0형 E7형 S0형
나선 은하의 구조
칙 은하로 분류하였다.  타원 은하 Irr
불규칙 은하
구상 성단 헤일로 중앙 (Elliptical galaxy)는 E, 정상 나 SBa형 SBb형 SBc형
은하 원반 팽대부
은하핵 선 은하(Normal Spiral galaxy) 막대 나선 은하

는 S, 막대 나선 은하(Barred Spiral 형태에 따른 외부 은하의 분류


galaxy)는 SB, 불규칙 은하(Irregular galaxy)는 Irr로 표현한다.
젊은 별 및
성간 물질 ② 은하의 종류
•타원 은하: 성간 물질이 거의 없는 타원형 은하로, 비교적 늙고 온도가 낮은 별들로 이루어
나선팔
보통 나선 은하의 양쪽 끝부분에
져 있다. 모양이 가장 원에 가깝게 보이는 은하를 E0, 가장 납작한 타원형으로 보이는 은
위치하고 중앙 팽대부를 휘감아 하를 E7로 세분하였다.
돌고 있는 팔 모양의 부분으로 젊 •나선 은하: 은하핵과 나선팔로 구성되어 있다. 나선팔에는 젊은 별들과 성운들이 모여 있
고 온도가 높은 별들이 많이 있으
며, 밀도가 큰 성간운이 모여 있는
고, 중심부에는 은하핵을 포함한 중앙 팽대부라고 하는 밀도가 큰 부분이 위치한다.
곳에서 별이 탄생한다. - ‌나선 은하는 은하핵을 가로지르는 막대 모양 구조의 유무에 따라 막대 나선 은하와 정
상 나선 은하로 구분한다. 나선팔에는 성간 물질과 젊은 별들이 많으며, 중앙 팽대부와
1. 허블은 외부 은하를 ()
영역에서 관측되는 모양에
헤일로에는 늙은 별들과 구상 성단이 주로 분포한다.
따라 타원 은하, 나선 은 - ‌나선팔이 감긴 정도와 은하핵의 상대적인 크기에 따라 Sa, Sb, Sc 또는 SBa, SBb,
하, 불규칙 은하로 분류하 SBc로 구분한다.  나선 은하의 경우 뒤에 붙은 소문자가 a → b → c 순으로 갈수록
였다.
중심핵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고 나선팔이 느슨하게 감겨 있다.
•불규칙 은하: 규칙적인 모양을 보이지 않거나 비대칭적인 은하로, 성간 물질과 젊은 별들
2. 타 원
은하는 모양이 가
장 원에 가깝게 보이는 이 많이 분포한다.
( )부터 가장 납작한
타원형으로 보이는 ( )
까지 구분한다. 탐구자료 살펴보기 은하의 종류

[탐구 자료]
3. 나선
은하 중에서 은하핵
그림은 허블의 은하 분류상 서로 다른 형태의 세 은
을 가로지르는 막대 모양
하 A, B, C를 가시광선으로 관측한 것이다.
의 구조가 없는 은하를
[탐구 결과]
( ) 나선 은하라고 한다.
A는 불규칙 은하, B는 막대 나선 은하, C는 타원 은
하이다.
4. 불 규 칙
은하에는 주로 A B C
[분석 point]
( )과 ( )은 별들
이 많이 분포한다. 구분 별 성간 물질 예
타원 은하 주로 늙은 별 적다 M32, M49
정답
중앙 팽대부와 헤일로 주로 늙은 별 적다 우리은하,
1. 가시광선 나선 은하
나선팔 주로 젊은 별 많다 안드로메다은하
2. E0, E7
3. 정상 불규칙 은하 주로 젊은 별 많다 NGC`1427A
4. 성간 물질, 젊

184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84~208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0강.indd 184 2021-01-12 오후 2:46:36


(2) ‌특이 은하: 허블의 분류 체계로는 분류하기 어려운 전파 은하, 퀘이사, 세이퍼트은하 등을
특이 은하라고 한다. 이 은하들은 일반적인 은하에 비해 전파나 X선 영역에서 강한 에너지 개념 체크
를 방출할 뿐만 아니라 그 밝기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등 일반 은하와는 다른 특성을 보인다. 퀘이사(Quasar)
처음 발견 당시 별처럼 관측되었
① 전파 은하: 보통의 은하보다 수백 배 이상 강한 전파를 방출하는 은하로, 관측하는 방향에 따 기 때문에 항성과 비슷하다는 뜻

라 중심부가 뚜렷한 전파원으로 보이거나 제트( jet)로 연결된 로브(lobe)가 중심부의 양쪽에 인 준항성체라는 이름을 붙였다.

대칭으로 나타나는 모습으로 관측된다.  전파 은하의 제트와 로브의 일부 영역에서는 강한 적색 편이


X선을 방출하는데, 이것은 블랙홀에 의해 고속으로 움직이는 전자와 강한 자기장 때문이라 천체가 관측자로부터 멀어질 때
관측되는 파장이 정지 상태의 파
고 추정하고 있다. 장(고유 파장)에 비해 길어지는 현
상이다.
로브

중심부
1. 전 파은하 중심부의 블
랙홀에서 강하게 뿜어
제트 져 나오는 물질의 흐름을
가시광선 영상 가시광선 영상과 전파 영상의 합성 ( )라고 한다.

전파 은하(헤라클레스 A)
2. 퀘 이사는 수많은 별들로
이루어진 은하이지만 매우
② 퀘이사: 수많은 별들로 이루어진 은하이지만 너무 멀리 있어 하나의 별처럼 보인다.
( ) 있어 하나의 별처
•퀘이사는 적색 편이가 매우 크게 나타나며, 이를 통해 구한 후퇴 속도 럼 보인다.
가 빛의 속도의 약 0.1~0.82배나 된다.  적색 편이가 크다는 것은
퀘이사가 매우 먼 거리에서 빠른 속도로 멀어지고 있다는 뜻이다. 3. 세이퍼트은하는 다른 은하
에 비해 매우 밝은 ( )
•대부분의 퀘이사는 우주 생성 초기에 만들어진 것이고, 지금까지 발견 을 가지며, ( ) 방출선
된 가장 멀리 있는 퀘이사는 우주가 탄생한 후 약 7억 년이 되었을 때 을 보인다.
퀘이사(3C`273)
생성된 것이다.
4. 세 이퍼트은하는 대부분
•퀘이사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는 보통 은하의 수백 배나 되지만 에너지가 방출되는 영역의 ( ) 은하의 형태로 관
크기는 태양계 정도이다. 이렇게 작은 공간에서 많은 양의 에너지를 방출하고 있는 것으로 측된다.

보아 퀘이사의 중심에는 질량이 매우 큰 블랙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③ 세이퍼트은하
•일반적인 은하에 비해 핵이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밝고, 은하 내의 가스운이 매우 빠
른 속도로 움직이고 있어 스펙트럼에서 넓은 방출선이 관측된다. 이것은 은하의 중심부에
질량이 매우 큰 천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세이퍼트은하의 중심부에는 거대한
블랙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세이퍼트은하는 대부분 나선 은하의 형태로 관측되며, 전체 나선 은하 중 약 2`%가 세이
퍼트은하로 분류된다.
에너지의 상대적 세기

정답
1. 제트
2. 멀리
6200 6400 6600 6800
ù
파장(A) 3. 핵, 넓은
4. 나선
세이퍼트은하(M77)의 모습과 스펙트럼

10강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85

184~208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0강.indd 185 2021-01-12 오후 2:16:53


10
지구과학Ⅰ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3) ‌충돌 은하
개념 체크 ① 우주에 무리를 지어 분포하는 은하들 중 서로 가까이 있는 은하
허블 법칙 들 사이에는 큰 인력이 작용하여 충돌하기도 한다. 하지만 은하
2018년 국제천문연맹 총회에서 들이 충돌할 때 별들끼리 충돌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허블 법칙’을 ‘허블-르메트르 법
칙’으로 수정하여 부를 것을 권고
② 두 은하가 충돌할 때는 거대한 분자운들이 충돌하게 되고 격렬한
하는 권고안이 통과되었다. 충격이 발생하면 급격히 기체가 압축되어 많은 별들이 탄생할 수
있다.
허블 상수(H)
은하까지의 거리와 후퇴 속도가 ③ 두 은하가 가까이 접근하면 은하끼리 인력이 작용하여 길게 휘어 충돌 은하(NGC`6050)
비례한다는 것을 알려주는 상수로
진 구조물과 같은 특이한 형태가 나타나기도 한다.
약 68`km/s/Mpc이다.
④ 현재 약 250만 광년 떨어져 있는 안드로메다은하는 우리은하와 점점 가까워지고 있으며, 약
40억 년 후에 충돌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1. 가까운 곳에 위치한 두 은
하 사이에 강한 인력이 작
용하면 두 은하가 ( )
할 수 있다.  허블 법칙과 우주론
(1) 외부 은하의 관측
2. 허블은
외부 은하의 관측
① 외부 은하의 스펙트럼 관측: 멀리 있는 외부 은하들의 스펙트럼을 관측하면 대부분 흡수선들
을 통해 대부분 은하들의
스펙트럼상에서 ( )가 의 위치가 원래 위치보다 파장이 긴 적색 쪽으로 이동하는 적색 편이가 나타난다.  적색 편
나타남을 알아냈다. 이는 외부 은하가 우리은하로부터 멀어질 때 나타난다.
② 외부 은하의 스펙트럼 관측과 후퇴 속도: 외부 은하의 후퇴 속도(v)와 흡수선의 파장 변화
3. 허블법칙은 은하의 거리
와 ( )가 비례한다는 량(Dk=관측 파장-원래 파장)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것이다. Dk
v=c_ (c: 빛의 속도, k: 원래의 흡수선 파장, Dk: 흡수선의 파장 변화량)
k
4. 외부
은하의 거리를 가로
Dk
축 물리량으로, 후퇴 속도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매우 먼 은하
를 세로축 물리량으로 나 멀어지는 은하
타낸 그래프에서 기울기는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로
( )이다. 먼 은하
멀어지는 은하

원래의 파장 값

400 500 600 700


파장 (nm)

외부 은하의 스펙트럼 관측과 후퇴 속도

(2) ‌허블 법칙과 우주 팽창: 허블은 거리가 알려진 외부 은하들의 적색 편이를 측정하여 은하
들의 후퇴 속도와 거리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은하들의 후퇴 속도(v)가 거리(r)에 비례한
다는 사실을 알아냈으며, 이 관계를 허블 법칙이라고 한다.  v=H´r (H: 허블 상수)
4_10Ý
후퇴 속도

3_10Ý

2_10Ý
정답
(km/s)
1. 충돌 10Ý
2. 적색 편이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3. 후퇴 속도
거리(Mpc)
4. 허블 상수
외부 은하들의 거리에 따른 후퇴 속도

186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84~208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0강_13교.indd 186 2021-01-06 오후 3:25:17


① 멀리 있는 은하일수록 빠르게 멀어지는 현상은 우주가 팽창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념 체크
② 외부 은하의 거리와 후퇴 속도의 관계식에서 허블 상수(H)는 1`Mpc당 우주가 팽창하는 속
우주의 중심
도(km/s)를 나타내는 값이다. 은하들이 서로 멀어지는 우주에서
③ 우주의 나이(t): 우주가 일정한 속도로 팽창한 것으로 가정할 때 허블 법칙으로부터 우주의 는 어떤 은하에서 보더라도 은하
들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으
r r 1
나이는 t= = = 로 구할 수 있다. 현재 우주의 나이는 약 138억 년으로 추정하고 로 나타나기 때문에 특정한 점으
v H´r H 로 우주의 중심을 정할 수 없다.
있다.
c 등방성
④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 우주의 크기(r)= (c: 빛의 속도)  우주의 크기는 빛의 속도
H 우주를 관측할 때 방향에 따라 물
로 멀어지는 은하까지의 거리에 해당한다. 리적 특성이 변하지 않는 성질이다.

1. 관 측가능한 우주의 크
탐구자료 살펴보기 외부 은하의 스펙트럼 관측과 우주 팽창
기는 ( )의 속도를
[탐구 자료] ( )로 나눈 값이다.
그림은 외부 은하들의 거리와 Ca 흡수선의 적색 편이를 이용하여 구한 후퇴 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화살표는 Ca
흡수선의 파장 변화량을 나타낸다. 2. 외부 은하의 후퇴 속도는
외부 은하 흡수선의 ( )
거리 후퇴 속도
은하 (_10ß`광년) (km/s) 변화량에 비례한다.

63 3. ( ) 우주론은 우주가
매우 뜨거운 한 점에서 폭
처녀자리 1200
발하여 팽창하였다는 이론
이다.
990

큰곰자리 15000

2740

목동자리 39000

[탐구 결과]
1. 거리와 후퇴 속도가 가장 큰 은하는 목동자리 은하이며, 가장 작은 은하는 처녀자리 은하이다.
2. 거리가 먼 은하일수록 후퇴 속도가 크다.
3. 은하들의 거리와 후퇴 속도의 관계는 우주가 팽창한다는 증거이다.

[분석 point]
•은하들의 스펙트럼에서 Ca 흡수선이 원래보다 파장이 길어지는 쪽으로 이동하였는데, 이는 은하들이 관측자로
부터 멀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Ca 흡수선의 파장 변화량은 은하의 후퇴 속도에 비례하므로 목동자리 은하의 후퇴 속도가 가장 크다.

(3) ‌빅뱅 우주론(대폭발 우주론)


① 빅뱅 우주론: 우주의 모든 물질과 에너지가 매우 작고 뜨거운 한 점에 모여 있다가 대폭발이
정답
일어난 후 팽창하면서 냉각되어 현재와 같은 우주가 생성되었다는 이론이다. 1. 빛, 허블 상수
② 빅뱅 우주론은 우주의 물질이 균일하고 등방적으로 분포하고 있다는 우주론의 원리와 중력 2. 파장
3. 빅뱅(대폭발)
의 원리를 설명하는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기반하고 있다.

10강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87

184~208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0강_13교.indd 187 2021-01-06 오후 3:25:18


10
지구과학Ⅰ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과학 돋보기 빅뱅 우주론과 정상 우주론


개념 체크
구분 빅뱅 우주론 정상 우주론
중수소 우주의 팽창 여부 팽창 팽창
수소의 동위 원소 중 하나로, 원자
우주의 질량 일정 증가
핵이 양성자 1개와 중성자 1개로
구성된 원소이다. 우주의 밀도 감소 일정
우주의 온도 감소 일정
우주 밀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므
온도와 밀도가 매우 높은 한 점에서 대폭
1. 정 상
우주론에서는 빅 특징
발이 일어난 후 점차 팽창한다.
로 우주가 팽창하면서 생겨난 빈 공간에
뱅 우주론과 달리 우주의 새로운 물질이 계속 생성된다.
( )와 ( )가 일정
하다고 주장한다.
모형
시간의 경과
2. 빅뱅우주론에 의하면 초 시간의 경과

기 우주에서 생성된 수소
와 ( )의 질량비는 약
3:1이다. (4) ‌빅뱅 우주론의 근거: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은 과거에는 우주의 크기가 매우 작고 뜨거웠
다는 사실을 암시하기 때문에 빅뱅 우주론의 가정과 잘 들어맞는다.
3. 헬륨 원자핵은 양성자 ( )
개와 중성자 ( )개로 이 ① 가벼운 원소의 비율: 빅뱅 우주론에 따르면 초기 우주는 매우 뜨거워 빅뱅 약 1초 후 우주의
루어져 있다. 온도는 약 100억 K에 달했으며 양성자, 전자, 중성자 등의 입자들이 모두 뒤엉켜 있었다. 이
후 우주가 식으면서 중성자는 양성자와 결합해 중수소가 되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중수소의
대부분은 빅뱅 이후 처음 약 3분 동안에 헬륨핵으로 합성되었고 소량의 리튬도 만들어졌다.
 빅뱅 우주론에 따르면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암흑 물질을 제외한 보통 물질)의 약 24`%가
헬륨으로 이루어져야 수소와 헬륨의 질량비가 약 3:1이 되는데, 이 예측은 관측 결과와 잘
들어맞는다.

탐구자료 살펴보기 빅뱅 우주론에서 예측한 수소와 헬륨의 질량비

[탐구 자료]
그림 (가)는 우주 초기 헬륨 원자핵이 생성되기 전의 양성자와 중성자의 개수비를, (나)는 헬륨 원자핵이 생성된 후
의 수소와 헬륨의 질량비를 나타낸 것이다.
헬륨 원자핵이 생성되기 전
양성자 14개 중성자 2개

양성자와 중성자의 개수비


(가)
7`:`1

헬륨 원자핵이 생성된 후

(나) 수소와 헬륨의 질량비


3`:`1
수소 원자핵 12개 헬륨 원자핵 1개
원자 질량=12 원자 질량=4

[탐구 결과]
1. 우주 초기에 생성된 양성자와 중성자의 개수비는 약 7:1이었다.
2. 양성자 2개와 중성자 2개가 결합하여 1개의 헬륨 원자핵이 생성되고 12개의 양성자(수소 원자핵)가 남는다.
정답
3. 헬륨 원자핵이 생성된 후 수소 원자핵과 헬륨 원자핵의 질량비는 약 3:1이었다.
1. 온도, 밀도 [분석 point]
2. 헬륨(He) 빅뱅 우주론에서 예측한 수소와 헬륨의 질량비(약 3:1)는 관측 결과와 잘 들어맞는다.
3. 2, 2

188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84~208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0강_13교.indd 188 2021-01-06 오후 3:25:19


② 우주 배경 복사
개념 체크

복사 에너지의 세기
•빅뱅 우주론에 따르면 우주는 초기에 매우 뜨거운 상태 처음 측정한
7.3`cm`파 우주 배경 복사
였기 때문에 원자핵과 전자가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뒤 우주의 온도가 약 3000`K일 때
섞여 있어서 빛이 자유롭게 진행할 수 없었다.  불투 방출된 복사로, 우주가 팽창하는
동안 파장이 길어져 현재는 온도
명한 우주 2.7 K의
복사 곡선 가 약 2.7`K인 복사로 관측된다.
•빅뱅 후 약 38만 년이 지났을 때 우주는 충분히 식어서
0 0.1 1 10 100 자기 홀극
원자핵과 전자가 결합해 중성 원자가 만들어지면서 투 파장(cm) 일반적인 자석에는 언제나 N극과
명해졌다. 이와 함께 복사와 물질이 분리되기 시작했 우주 배경 복사의 세기 분포 S극이 함께 존재하는데, 이론상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N극과 S극
고, 복사가 우주를 자유롭게 진행하기 시작하였다.  투명한 우주
을 말한다.
•우주 배경 복사는 우주의 온도가 약 3000`K일 때 방출되었던 복사로, 우주가 팽창하는 동
안 온도가 낮아지고 파장이 길어져 현재는 약 2.7`K 복사로 관측되고 있다.
1. 초기
우주에서 원자가 생
•1964년 미국의 펜지어스와 윌슨은 통신 위성용 전파 망원경으로 우연히 하늘의 모든 방향
성되면서 모든 방향으
에서 같은 세기로 나타나는 약 7.3`cm 파장의 전파를 발견하였는데, 이것이 곧 빅뱅 우주 로 퍼져 나간 빛이 현재
론에서 예상하던 우주 배경 복사임이 밝혀졌다. ( )로 관측된다.

2. 우주배경 복사는 우주의


온도가 약 ( )`K일 때
과학 돋보기 우주 배경 복사 관측 방출되었던 복사이다.

1965년 관측 1992년 관측 2003년 관측 2013년 관측


3. 현재관측되는 우주 배경
복사의 온도는 약 ( )`K
   흑체 복사와 같은 에너지
분포를 보인다.

펜지어스와 윌슨의 코비(COBE) 망원경 관측 더블유맵(WMAP) 플랑크 망원경 관측


지상 관측 망원경 관측 4. 펜 지어스와 윌슨은 전파
망원경으로 하늘의 모든
1960년대에 펜지어스와 윌슨이 최초로 관측한 이후 우주 배경 복사는 다양한 우주 망원경으로 더욱 정밀하게 관측되
방향에서 같은 세기로 나
었고, 초기 우주의 온도 분포를 더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되었다. 플랑크 망원경이 관측한 우주 배경 복사로 알아낸 우주
타나는 약 ( )`cm 파
초기의 온도 분포는 거의 균일하다.
장의 전파를 발견하였다.

5. 플 랑크 망원경이 관측한
( ) 복사로 알아낸 우
주 초기의 ( ) 분포는
(5) 빅뱅 우주론의 한계와 급팽창 이론 거의 균일하다.

① 빅뱅 우주론의 문제점
6. 이론상 독립적으로 존재하
•우주의 평탄성 문제: 현재 관측 결과 우주는 완벽할 정도로 평탄하지만 빅뱅 우주론에서는 는 N극과 S극을 ( )
그 이유를 설명하지 못하였다. 이라고 한다.

•우주의 지평선 문제: 현재 관측 결과 우주의 모든 영역에서 물질이나 우주 배경 복사가 거


의 균일한데 이는 멀리 떨어진 두 지역이 과거에는 정보 교환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답
그러나 빅뱅 우주론에서는 빛이 이동할 수 있는 시간보다 우주의 나이가 더 적기 때문에 1. 우주 배경 복사
이를 설명하지 못하였다. 2. 3000
3. 2.7
•우주의 자기 홀극 문제: 빅뱅 우주론에 따르면 현재 우주에는 초기 우주 때 생성된 자기 홀 4. 7.3
극이 많이 존재해야 한다. 하지만 다양한 실험을 통해 자기 홀극을 발견하기 위해 노력하 5. 우주 배경, 온도
6. 자기 홀극
였으나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10강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89

184~208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0강_13교.indd 189 2021-01-06 오후 3:25:20


10
지구과학Ⅰ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② 급팽창 이론(인플레이션 이론): 빅뱅 직후 우주가 급격히 팽창했다는 이론으로, 빅뱅 우주론


개념 체크 에서 설명할 수 없었던 여러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었다.
백색 왜성
급팽창 시기

우주의 반지름
태양 정도의 질량을 가지는 별의 10Ý`â
마지막 진화 단계로, 외곽 물질을 10Û`â
1
방출하여 행성상 성운이 생성되고
남은 부분이 핵융합 반응 없이 서 10ÑÛ`â
서히 식어가는 천체이다. (m) 10ÑÝ`â : 대폭발 우주론
: 급팽창 이론
10Ñß`â
10ÑÝ`â 10ÑÜ`â 10ÑÛ`â 10ÑÚ`â 1 10Ú`â 10Û`â
시간(초)
1. ( ) 이론으로 우주의
시간에 따른 우주의 크기 변화
평탄성 문제와 지평선 문
제를 설명할 수 있었다. •우주가 전체적으로는 곡률을 가지고 있더라도 우주 생성 초기에 급격히 팽창하여 공간의
크기가 매우 커지게 되면 관측되는 우주의 영역은 평탄하게 보이게 된다고 주장함으로써
2. 우주전체가 곡률을 가지
고 있더라도 우주 생성 초
우주의 평탄성 문제를 설명하였다.
기에 급팽창하여 공간의 •우주 생성 초기에 우주가 급팽창하였기 때문에 팽창이 일어나기 이전에 가까이 있었던 두
크기가 매우 커지게 되면 지역은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었다고 주장함으로써 우주의 지평선 문제를 설명하였다.
관측되는 우주의 영역은
( )하게 관측된다.
•우주가 생성 초기에 급격히 팽창하였기 때문에 자기 홀극의 밀도는 관측 가능량 미만으로
희박해졌다고 주장함으로써 우주의 자기 홀극 문제를 해결하였다.
3. Ⅰa형 ( )은 백색 왜성
(6) 우주의 가속 팽창
이 주변의 별로부터 물질을
끌어들여 폭발할 때 나타 ① 1990년대 이후 Ⅰa형 초신성을 외부 은하의 거리를 측정하는 도구로 활용하면서 우주의 거
나며, ( ) 등급이 일정 리를 이전보다 훨씬 멀리까지 그리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하다.
② Ⅰa형 초신성은 백색 왜성이 주변의 별로부터 물질을 끌어들여 백색 왜성이 가질 수 있는 질
4. 과거에는 우주를 구성하는 량의 한계를 넘어설 때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붕괴하면서 폭발하는 초신성이다.
물질의 ( ) 때문에 시 ③ Ⅰa형 초신성은 매우 밝으며, 일정한 질량에서 폭발하기 때문에 절대 등급이 일정해 멀리 있
간에 따라 우주의 팽창 속
는 외부 은하의 거리 측정에 이용되며, 거리에 따른 겉보기 등급을 분석하여 과거 우주의 팽
도가 ( )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창 속도를 알아낼 수 있다.
④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의 인력 때문에 시간에 따라 우주의 팽창 속도가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
5. 최근의관측 결과 현재의
해 왔지만, 1998년 수십 개의 Ⅰa형 초신성 관측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주의 팽창 속도가 점
우주는 팽창 속도가 ( )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점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가속 팽창
행성, 은하들 생성
우주 암흑 시대
우주 배경 복사

급팽창

빅뱅

정답
1. 급팽창 최초의 별
2. 평탄 탄생
3. 초신성, 절대 우주의 나이

4. 인력, 감소 10ÑÜ`Þ``초 38만 년 현재


5. 증가
우주의 급팽창과 가속 팽창

190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84~208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0강_13교.indd 190 2021-01-06 오후 3:25:20


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개념 체크
최근 정밀한 관측 결과 우주 배경 복사에 나타난 미세하게 불균일한 정도를 자세히 분석하면 암흑 에너지
급팽창 시기의 우주의 불균일한 정도를 알아낼 수 있다. 또한 이 불균일함의 변화로 시간에 우주는 우주에 존재하는 물질들에
의해 인력이 작용함에도 불구하
따른 우주의 변화를 추정해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우주의 구성 물질, 우주의 팽창 속도,
고 팽창 속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
우주 공간의 기하학적 모양 등을 밝혀낼 수 있다. 와 같이 우주의 팽창 속도를 증가
시키는 에너지를 암흑 에너지라고
(1) ‌암흑 물질: 전자기파로 관측되지 않아 우리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중력을 이용한 방법으
한다.
로 존재를 추정할 수 있는 물질이다.

1. 전자기파로 관측되지 않아
과학 돋보기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한 암흑 물질의 확인 우리 눈에 보이지 않기 때
문에 중력을 이용한 방법
은하단과 암흑 물질의
중력에 의한 굴절 으로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외부
은하 있는 물질을 ( )이라고
은하단과
암흑 물질 한다.

2. 최근 암흑 물질의 존재를


확인하는 데 ( ) 현상
은하단과 암흑 물질에 의한 중력 렌즈 현상으로 외부 은하가 왜곡되어 보이는 모습
을 이용하기도 한다.
•암흑 물질은 전자기파로 관측되지 않아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존재를 확인할 수 없는 물질로, 최근 암흑 물질은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하여 존재를 확인하고 있다.
3. 우 리은하의 회전 속도를
•은하단과 암흑 물질에 의한 중력 렌즈 현상으로 외부 은하가 여러 개의 왜곡된 영상으로 관측된다.  중력 렌즈 효 관측하여 ( )의 존재
과를 이용해 은하단에서의 암흑 물질 분포를 계산할 수 있다. 를 확인할 수 있다.

탐구자료 살펴보기 우리은하의 회전 속도를 이용한 암흑 물질의 존재 확인

[탐구 자료]
속도

그림은 우리은하의 예측되는 회전 속도 곡선과 관측되


관측되는 속도 값
는 회전 속도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탐구 결과]
1. 우리은하의 중심부(T보다 가까운 영역)는 밀도가
매우 크기 때문에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회전
속도가 증가한다.
예측되는 속도 값
2. 우리은하는 물질이 대부분 중심부에 밀집되어 있으
므로 별들의 회전 속도는 케플러 제 3법칙에 의해 T 은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
은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3. T보다 먼 영역에서는 예측된 회전 속도보다 관측된 회전 속도가 크다.

[분석 point]
•우리은하를 구성하는 물질은 예측한 것처럼 중심부에만 집중되어 있지 않고, 은하 외곽에도 많이 분포한다.
•T보다 먼 영역의 회전 속도 곡선으로부터 계산되는 우리은하의 질량은 관측된 물질의 총 질량보다 훨씬 크다.
이는 전자기파로는 관측되지 않는 암흑 물질이 은하 원반과 헤일로에 분포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 암흑 물질은
별들의 회전 속도 및 중력 렌즈 현상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그 존재를 알아낼 수 있다.

정답
(2) 암흑 에너지
1. 암흑 물질
① 우주의 모든 물질들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므로 만약 우주를 팽창시키는 어떤 에너지가 없 2. 중력 렌즈
3. 암흑 물질
다면 우주는 물질들의 인력에 의해 팽창 속도가 감소하거나 수축할 것이다.

10강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91

184~208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0강_13교.indd 191 2021-01-06 오후 3:25:21


10
지구과학Ⅰ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② 최근의 관측 결과 현재 우주는 팽창 속도가 계속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것은 우주 안


개념 체크 에 있는 물질들의 인력을 합친 것보다 더 큰 어떤 힘이 우주를 팽창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Ⅰa형 초신성 과학자들은 이 힘을 발생시키는 에너지를 암흑 에너지라고 하는데, 암흑 에너지는 우주에 널
매우 밝으며, 일정한 질량에서 폭 리 퍼져 있으며 척력으로 작용해 우주를 가속 팽창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발하여 절대 밝기가 일정하기 때
문에 멀리 있는 외부 은하의 거리
를 측정하는 데 이용된다. 과학 돋보기 암흑 에너지와 우주의 가속 팽창
0.00001 시간
B
1. 암흑에너지는 ( )력 0.0001
상대적인 빛의 세기

A
가속
으로 작용해 우주를 가속
0.001 팽창
팽창시킨다. 감속

팽창 우주
팽창
0.01 C

현재
2. 우주는생성 초기 급팽창 빅뱅
0.1
이후 팽창 속도가 ( ) A: 팽창 속도가 증가하는 우주 모델
하다가 다시 ( )하였다. 1 B: 팽창 속도가 일정한 우주 모델
C: 팽창 속도가 감소하는 우주 모델
:Ⅰa형 초신성 관측 자료
3. ( ) 팽창하는 우주 모
0.01 0.1 1
델은 보통 물질과 암흑 물 적색 편이
질만을 고려한 모델이다. Ⅰa형 초신성 관측 자료와 우주의 팽창 모델

•A(가속 팽창 우주 모델)는 보통 물질, 암흑 물질, 암흑 에너지를 모두 고려한 모델이며, C(감속 팽창 우주 모델)는 보


4. 현재우주를 구성하고 있 통 물질과 암흑 물질만 고려한 모델이다.
는 것 중에서 차지하는 •20세기 말에 Ⅰa형 초신성을 관측하여 얻은 자료는 A(가속 팽창하는 모델)와 거의 비슷하게 나타난다.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은 •지금까지 알려진 이론과 관측 증거들을 종합하면, 우주는 약 138억 년 전에 빅뱅으로 탄생하여 짧은 순간 급격히 팽
( )이다. 창하였으며, 이후에 팽창 속도가 조금씩 감소하다가 수십억 년 전부터 암흑 에너지에 의해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였
다.  현재 우주는 암흑 에너지에 의해 가속 팽창하고 있다.

(3) 우주의 구성
① 2013년에 과학자들은 플랑크 우주 망원경으로 관측한 결과 보통 물질
(4.9`%)
를 바탕으로 우주가 약 4.9`%의 보통 물질, 약 26.8`%의 암흑 물질
(26.8`%)
암흑 물질, 약 68.3`%의 암흑 에너지로 구성되어 있다고
암흑 에너지
주장하였다. (68.3`%)

② 과학자들은 현재 우주는 평탄하지만 많은 양의 암흑 에너지


가 우주를 가속 팽창시키기 때문에 우주는 영원히 팽창할 현재 우주의 구성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그러나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에 대한 더 많은 이해가 가능해질 때 우주의 정확한 모습이 밝혀질 것이다.

과학 돋보기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를 찾을 유클리드 망원경

유클리드 망원경은 우주에 분포하는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를 찾기 위해 2022년에 발사될


예정인 우주 망원경으로, 약한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하여 우주의 넓은 영역에 대한 이미지를

정답
구현함으로써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를 찾을 계획이다. 또한 은하들의 적색 편이 등을 측정
1. 척 하여 100억 광년 범위의 우주를 포함하는 입체 지도를 작성할 계획이다.
2. 감소, 증가
3. 감속
4. 암흑 에너지 유클리드 망원경

192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84~208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0강_13교.indd 192 2021-01-06 오후 3:25:21


(4) ‌우주의 미래: 우주가 영원히 팽창할지, 팽창을 멈추게 될지는 우주 내부에 있는 물질과 에
개념 체크
너지양에 의해 결정된다.
우주의 미래(암흑 에너지를 고
려하지 않을 경우)
① 임계 밀도: 평탄 우주의 밀도이다.
•평탄 우주: 우주의 평균 밀도가
임계 밀도와 같을 때 팽창 속도
② 우주의 미래 모형(암흑 에너지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가 계속 감소하여 0으로 수렴하
는 우주 모형이다.

우주의 크기
우주의 평균 밀도가 임계 밀도보다 작고, 곡률이 음(-) 열린 우주 •열린 우주: 우주의 평균 밀도가
열린 우주
인 우주이다. 임계 밀도보다 작을 때 영원히
팽창하는 우주 모형이다.
평탄 우주
우주의 평균 밀도가 임계 밀도보다 크고, 곡률이 양(+) •닫힌 우주: 우주의 평균 밀도가
닫힌 우주
인 우주이다. 임계 밀도보다 클 때 팽창 속도
닫힌 우주
가 계속 감소하다가 결국은 수
우주의 평균 밀도가 임계 밀도와 같고, 곡률이 0인 우주 현재 시간 축하여 크기가 다시 감소하는
평탄 우주
이다. 우주의 크기 변화 우주 모형이다.

1. 평탄한 우주에서는 우주의


평균 밀도와 ( ) 밀도
가 같다.

2. 닫힌 우주는 곡률이 ( )


열린 우주 닫힌 우주 평탄 우주 인 우주이다.

③ 우주의 미래 모형에 따른 팽창 속도 3. 현재 우주는 ( )하지


만 암흑 ( )에 의해 팽
•과학자들은 최근의 관측 자료를 근거로 현재의 우주는 평탄하지만 팽창 속도가 점점 증가 창 속도가 점점 증가한다
하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처럼 우주의 팽창 속도가 증가하는 것은 척력으로 작용하는 고 추정하고 있다.

암흑 에너지 때문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4. 시간에 따른 우주 크기의
·접선의 기울기: 현재<미래 변화율은 ( )이다.
가속 팽창
·우주의 팽창 속도: 현재<미래
팽창 속도가
5. 우주의
우주의 크기

가속 팽창 우주 가속 팽창 나이는 가속 팽창
우주 일정한 우주
현재 접선의 우주 모형으로 추정한 값
기울기 이 팽창 속도가 일정한 우
미래 접선의
기울기 주 모형으로 추정한 값보
다( )다.
암흑 에너지를
고려하지 않은
평탄 우주

현재 시간

우주 모형에 따른 팽창 속도 변화
정답
•현재 우주는 최근에 관측한 결과를 분석하여 팽창 속도가 점점 증가하는 가속 팽창 우주임 1. 임계
2. 양(+)
이 밝혀졌다. 또한 우주의 크기가 0이 되는 점이 대폭발이 일어난 시점이므로 현재부터 이
3. 평탄, 에너지
점까지의 시간으로 우주의 나이를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우주의 나이는 가속 팽창 우주 모 4. 우주 팽창 속도
형으로 추정한 값이 암흑 에너지를 고려하지 않은 평탄 우주 모형으로 추정한 값보다 많다. 5. 많

10강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93

184~208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0강_13교.indd 193 2021-01-06 오후 3:25:22


2점 수능 테스트 [21026-0273]

03 그림 (가)와 (나)는 서로 다른 두 은하의 가시광선 영상을 나


[21026-0271] 타낸 것이다.
01 그림은 두 타원 은하 (가)와 (나)를 나타낸 것이다.

(가) (나)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가)와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른 것은?
ㄱ. (가)는 막대 나선 은하이다.
ㄴ. 우리은하의 모양은 (가)보다 (나)에 가깝다.
ㄱ. 편평도는 (가)가 (나)보다 크다.
ㄷ. 규모가
‌ 매우 큰 은하는 대부분 (나)와 같은 형태를 갖
ㄴ. (가)와 (나)는 주로 파란색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
는다.
ㄷ. ‌(가)와 (나)에서 은하의 밝기는 중심부에서 바깥쪽으
로 갈수록 대체로 감소한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ㄷ ⑤ ㄴ, ㄷ

[21026-0272]

02 그림은 외부 은하를 특징에 따라 구분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타원 은하, 나선 은하, 불규칙 은하


[21026-0274]

새로운 별의 탄생이 아니요


04 그림은 어느 특이 은하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가)
비교적 활발한가?

은하 원반이 아니요
(나)
존재하는가?

(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는 성간 물질이 풍부하다. ㄱ. 충돌 은하의 모습이다.


ㄴ. (나)는 불규칙 은하이다. ㄴ. 가시광선 영역에서 관측하였다.
ㄷ. (다)는 나선팔이 존재한다. ㄷ. 중심핵에서 제트가 분출하고 있다.

①ㄱ ②ㄴ ③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94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84~208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0강.indd 194 2021-01-12 오후 2:16:29


정답과 해설 55쪽

[21026-0275] [21026-0277]

05 표는 비교적 밝게 보이는 퀘이사 (가), (나), (다)의 적색 편이 07 그림 (가), (나), (다)는 다양한 충돌 은하의 모습을 나타낸 것
와 겉보기 등급을 나타낸 것이다. 이다.

퀘이사 (가) (나) (다)


적색 편이 0.297 0.158 0.044

겉보기 등급 +13.8 +12.9 +12.9

(가), (나), (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가) (나) (다)
고른 것은?
(가), (나), (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공통적인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 (나), (다)는 모두 하나의 별처럼 보인다.
ㄴ. 우리은하로부터의 거리는 (가)가 가장 멀다.
ㄷ. 에너지 방출량은 (나)가 (다)보다 많다. ㄱ. 많은 별들이 은하 충돌 과정에서 파괴된다.
ㄴ. 분자운의 충돌로 새로운 별이 탄생한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ㄷ. 충돌을 거친 후 특이 은하로 진화한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278]

[21026-0276]
08 그림은 두 은하 A, B의 방출선 위치(화살표)를 정지 상태의
06 그림 (가)는 어느 특이 은하의 모습을, (나)는 이 은하에서 관 방출선 파장과 함께 나타낸 것이다.
상대 세기

측한 스펙트럼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은하 A
에너지의 상대적 세기

650 660 670 680 690 700 파장(nm)


상대 세기


은하 B

620 640 660 680 650 660 670 680 690 700 파장(nm)
파장(nm)
656`nm
(가) (나) (정지 상태)

이 은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단, 두 은하는 모두 허블 법칙을 따른다.)

ㄱ. 이 은하는 세이퍼트은하이다. ㄱ. A와 B에서 모두 적색 편이가 관측된다.


ㄴ. 스펙트럼에서 폭이 넓은 방출선이 관측된다. ㄴ. 은하의 시선 속도의 크기는 A가 B보다 크다.
ㄷ. 중심부에 거대 블랙홀이 존재할 것이다. ㄷ. 우리은하로부터의 거리는 B가 A의 약 2배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①ㄱ ②ㄴ ③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ㄱ, ㄴ ⑤ ㄱ, ㄷ

10강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95

184~208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0강.indd 195 2021-01-12 오후 2:17:18


2점 수능 테스트
[21026-0281]

[21026-0279] 11 다음은 우주 팽창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 과정이다.


09 표는 외부 은하 A, B, C의 거리와 적색 편이를 나타낸 것
이다. [실험 과정]
(가) 풍선을
‌ 작게 분 다음 풍선 표면에 스티커 A, B, C
은하 거리(Mpc) 적색 편이(_10ÑÝ` )
를 서로 다른 위치에 붙인다.
A 30 75
(나) 실과
‌ 자를 이용하여 스티커 A, B, C 사이의 거리를
B ( ) 50
C 25 ( ) 측정한다.
(다) ‌풍선에 바람을 충분히 불어 넣은 다음, 스티커 A,
은하 A, B, C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B, C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고른 것은? (단, A, B, C는 모두 허블 법칙을 따른다.)
이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ㄱ.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B가 가장 가깝다. 것은?
ㄴ. 적색 편이는 C가 A보다 크다.
ㄷ. A에서 관측하면 B와 C는 모두 A로부터 멀어진다. ㄱ. 스티커는 은하, 풍선 내부는 우주 공간에 해당한다.
ㄴ. ‌스티커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때 풍선 표면을 따라
①ㄱ ②ㄴ ③ㄷ 최단 거리를 측정해야 한다.
④ ㄱ, ㄷ ⑤ ㄴ, ㄷ ㄷ. ‌이 실험으로부터 거리가 먼 은하일수록 더 빨리 멀어
짐을 확인할 수 있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280]

10 그림 (가)와 (나)는 허블이 1929년과 1931년에 각각 발표


[21026-0282]

12 그림은 정상 우주론과 빅뱅 우주론에서 주장하는 내용을 벤


한 외부 은하의 거리와 후퇴 속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낸 것이다. (가)와 (나)는 각각 정상 우주론과
빅뱅 우주론 중 하나이다.
후퇴 속도

후퇴 속도

관측값 20000 관측값


1000
15000
우주론
500 10000
(km/s) (km/s) 5000 (가) (나)
0
0 1 2 0 10 20 30
거리(Mpc) 거리(Mpc) 우주 배경 복사가
㉠ ㉡
(가) 1929년 (나) 1931년 관측된다.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우주의 팽창 속도는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허블 상수는 (가)보다 (나)에서 작다.
ㄴ. 우주의 나이는 (가)보다 (나)에서 적다. ㄱ. (가)는 빅뱅 우주론이다.
ㄷ. ‌허블 법칙을 이용한 은하의 거리 측정은 먼 은하보다 ㄴ. ‘허블 법칙이 성립한다.’는 ㉠에 해당한다.
가까운 은하에 적용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 ㄷ. ‘우주의 밀도는 계속 감소한다.’는 ㉡에 해당한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96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84~208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0강_13교.indd 196 2021-01-06 오후 3:25:24


정답과 해설 55쪽

[21026-0283] [21026-0285]

13 그림 (가)와 (나)는 초기 우주에서 헬륨 원자핵이 형성되기 15 다음은 빅뱅 우주론에서 설명하기 어려운 3가지 문제 (가),
전과 후를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나), (다)를 나타낸 것이다.
양성자 중성자
(가) 현재
‌ 우주에는 초기 우주에서 생성된 ( ㉠ )이 발견
(가) 되지 않고 있다.
(나) 현재
‌ 관측 결과 우주의 곡률이 거의 완벽하게 0에 가
헬륨
원자핵 깝다.
(나) (다) 현재
‌ 우주의 모든 방향에서 우주 배경 복사가 균일하
게 관측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일 때 우주의 온도는 약 3000`K이었다.
ㄴ. ‌(나)일 때 수소 원자핵과 헬륨 원자핵의 질량비는 약
ㄱ. 자기 홀극은 ㉠으로 적절하다.
3:1이다.
ㄴ. (나)를 우주의 지평선 문제라고 한다.
ㄷ. ‌현재 우주에 존재하는 수소와 헬륨의 개수비는 대략
ㄷ. ‌빅뱅 직후 우주의 팽창 속도가 일정했다고 가정하면
12:1이다.
(가), (나), (다)를 설명할 수 있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284]

14 그림은 하늘의 모든 방향에서 관측되는 복사 에너지의 세기


를 파장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21026-0286]

4 16 그림은 급팽창 이론에 근거하여 빅뱅 이후 시간에 따른 우


복사 에너지의 상대적 세기

주의 반지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3
급팽창
2 10Ý`â
우주의 반지름

10Û`â
1 1
10ÑÛ`â
0 (m)
kmax 파장 10ÑÝ`â
10Ñß`â
이 복사 에너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 10ÑÝ`â 10ÑÜ`â 10ÑÛ`â 10ÑÚ`â 1 10Ú`â 10Û`â
시간(초)
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kmax는 가시광선 영역에 포함된다.
ㄴ. ‌파장에 따른 복사의 세기는 약 2.7`K의 흑체 복사와 ㄱ. 급팽창이 지속된 시간은 1초보다 길다.
일치한다. ㄴ. 우주 배경 복사는 급팽창 시기에 형성되었다.
ㄷ. ‌이 복사의 세기는 우리은하의 중심 방향에서 가장 강 ㄷ. ‌급팽창 이전에는 우주 전체가 상호 작용을 할 수 있
하다. 었다.

①ㄱ ②ㄴ ③ㄷ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ㄴ, ㄷ ④ ㄱ, ㄷ ⑤ ㄴ, ㄷ

10강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97

184~208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0강_13교.indd 197 2021-01-06 오후 3:25:24


2점 수능 테스트 정답과 해설 55쪽

[21026-0289]

[21026-0287] 19 그림은 우리은하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별의 회전


17 그림은 A와 B에서 출발한 우주 배경 복사가 지구로 입사 속도를 ‘중심부에 질량이 모여 있다고 가정했을 때의 이론값’과 ‘관
하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측값’으로 구분하여 순서 없이 ㉠과 ㉡으로 나타낸 것이다.

속도

A

지구

우주 배경 복사

B 은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관측값은 ㉠이다.
ㄱ. 현재 A와 B는 상호 작용이 가능하다.
ㄴ. 이론값에서는 암흑 물질 효과를 고려하지 않았다.
ㄴ. A와
‌ B는 지구를 기준으로 한 우주의 지평선보다 바
ㄷ. ‌우리은하의 외곽에 있는 별들은 은하 중심에서 멀어
깥쪽에 위치한다.
지더라도 회전 주기가 거의 일정하게 관측된다.
ㄷ. ‌A와 B에서 오는 우주 배경 복사의 적색 편이는 거의
같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ㄴ, ㄷ

[21026-0288]

18 그림은 빅뱅 이후 시간에 따른 우주 구성 요소 A, B, C의
비율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21026-0290]

1억 년 후 95억 년 후
138억 년 후
(현재)
20 그림은 우주의 곡률이 다른 세 경우 (가), (나), (다)를 나타낸
A 1`% 것이다.
50`%
68.3`%
B 84`%

43`%
26.8`%
C 15`% 7`% (가) (나) (다)
4.9`%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는 암흑 에너지이다. ㄱ. (가)는 닫힌 우주이다.


ㄴ. 우리은하를 구성하는 물질은 B보다 C가 많다. ㄴ. (나)에서 우주의 곡률은 음(-)이다.
ㄷ. 시간이 흐를수록 B와 C의 비율은 감소한다. ㄷ. (다)에서 우주의 밀도는 임계 밀도와 같다.

①ㄱ ②ㄴ ③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98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84~208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0강_13교.indd 198 2021-01-06 오후 3:25:25


3점 수능 테스트 정답과 해설 58쪽

[21026-0291]

01 그림은 허블의 은하 분류 체계에 따라 외부 은하를 분류한 결과이다. A 집단은 규칙적인 모양을 갖


고 있는 은하이고, B 집단은
A
불규칙 은하이다. C 집단은
D 타원 은하이고, D 집단은 나

선 은하이다. 나선 은하는 정
C 상 나선 은하인 DÁ 집단과 막
Dª 대 나선 은하인 Dª 집단으로
B 나누어진다.

허블의 은하 분류 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다양한 파장 영역에서 관측한 결과를 이용하여 분류하였다.


② A와 B를 구분하는 기준은 성간 물질의 존재 비율이다.
③ C는 편평도에 따라 E0~E7까지 세분하였다.
④ D는 나선팔의 존재 여부에 따라 DÁ과 Dª로 분류하였다.
⑤ 시간이 흐르면 B에 속한 은하는 A로 진화한다.

[21026-0292]

02 그림 (가)는 지구에서 관측되는 은하들을 형태에 따라 분류한 것을, (나)는 각 은하에 속한 별들의 은하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관
측되는 형태에 따라 타원 은
분광형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하, 정상 나선 은하, 막대 나
E0~E7 Sa+SBa Sb+SBb Sc+SBc 선 은하, 불규칙 은하로 분류
13`% 불규칙 은하 1`% K0
SBa, SBb, SBc Irr 한다.
분광형


G0
㉢ 35`%
E0, E1, …, E7
F0
51`% ㉡
Sa, Sb, Sc
A5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우리은하는 ㉠에 해당된다.
ㄴ. 가장 많이 관측되는 은하들에는 막대 구조가 있다.
ㄷ. ㉠, ㉡, ㉢ 중 붉은색을 띠는 별의 비율은 ㉢에서 가장 높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ㄷ ⑤ ㄴ, ㄷ

10강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199

184~208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0강_13교.indd 199 2021-01-06 오후 3:25:26


3점 수능 테스트
[21026-0293]

03 표는 은하 (가), (나), (다)의 특징을 요약한 것이다. (가), (나), (다)는 각각 타원 은하, 나선 은하, 불규
타원 은하는 둥근 모양을 갖 칙 은하 중 하나이다.
고 있으며, 나선 은하는 은하
구분 (가) (나) (다)
원반과 나선팔 구조를 갖고
있다. 불규칙 은하는 규칙적
인 모양이 없는 은하이다. 은하의 모습
(예시)

질량(태양=1) 10¡`~3_10Ú`â` 10Þ`~10Ú`Ü` 10á`~10Ú`Û`


절대 등급 -13~-18 -9~-23 -15~-22
지름(kpc) 1~50 1~200 5~100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거대 규모의 은하는 주로 불규칙한 모양을 띠고 있다.


ㄴ. (나)에 속하는 은하는 (가)와 (다)에 비해 성간 물질이 적은 편이다.
ㄷ. (다)에 속하는 은하에서 젊은 별들은 주로 은하 중심부에 분포한다.

①ㄱ ②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21026-0294]
퀘이사는 많은 별들로 이루어
진 은하이지만 우리은하에서
04 표는 퀘이사 B3 0754+394와 나선 은하 NGC 2276의 가시광선 사진과 스펙트럼의 방출선
세기를 나타낸 것이다.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하나
에너지의 상대적 세기

의 별처럼 보인다. N 10 Ha
E 8
6
(가)
4
B3 0754+394 2
B3 0754+394 0
6000 6500 7000 7500
파장( )
에너지의 상대적 세기

6
Ha
4
(나)
2
NGC 2276
0
5500 6000 6500 7000
파장(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점선은 Ha선의 고유 파장


을 나타낸 것이다.)

ㄱ. (가)는 하나의 별이다.


ㄴ. (가)와 (나) 모두 적색 편이가 나타나고 있다.
ㄷ. 우리은하로부터 멀어지는 속도는 (가)가 (나)보다 작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ㄴ, ㄷ

200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84~208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0강_13교.indd 200 2021-01-06 오후 3:25:27


정답과 해설 58쪽

[21026-0295]

05 표는 서로 다른 특이 은하 A, B의 모습과 특징을 나타낸 것이다. 전파 은하는 강한 전파를 방


출하는 은하로, 관측하는 방향
구분 A B 에 따라 핵, 제트, 로브 구조가
관측된다. 세이퍼트은하는 대
부분 나선 은하의 형태로 관
모습 측되며, 전체 나선 은하 중 약
2`%가 세이퍼트은하이다.

제트로 연결된 로브가 핵 매우 밝은 핵이 있으며,


특징
의 양쪽에 나타난다. 나선팔 구조가 나타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는 전파 은하이다.
ㄴ. B의 스펙트럼에서는 보통의 나선 은하보다 폭이 좁은 방출선이 나타난다.
ㄷ. A와 B는 모두 중심부에 블랙홀이 존재할 것이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ㄱ, ㄷ

[21026-0296]

06 그림은 두 나선 은하 A와 B가 충돌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가까운 곳에 위치한 두 은하


는 서로 잡아당기는 중력에
의해 충돌할 수 있다.

은하 B

은하 A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에서 B를 관측하면 스펙트럼에서 청색 편이가 나타날 것이다.


ㄴ. A와 B의 충돌은 암흑 물질보다 암흑 에너지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ㄷ. 충돌 과정에서 새로운 항성의 생성 비율은 나선팔보다 은하 중심부에서 높을 것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10강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201

184~208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0강_13교.indd 201 2021-01-06 오후 3:25:28


3점 수능 테스트
[21026-0297]

07 그림은 외부 은하의 거리와 후퇴 속도의 관계를, 표는 두 은하 ㉠, ㉡에서 관측된 어떤 흡수선의 파


허블 법칙은 은하들의 후퇴 장을 나타낸 것이다.
속도(v)와 거리(r)의 비례 관

후퇴 속도
계를 나타낸 법칙으로, 다음 13 ㉡
12
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1
10
v=H_r (H: 허블 상수) 9
(_10Ü``km/s) 8 은하 관측 파장(nm)
7
6 ㉠ ( )
5 ㉠
4 ㉡ 416
3
2
1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200
거리(Mpc)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빛의 속도는


3_10Þ``km/s이다.)

ㄱ. 허블 상수는 약 67`km/s/Mpc이다.
ㄴ. 이 흡수선의 고유 파장은 400`nm이다.
ㄷ. 적색 편이는 ㉡이 ㉠의 3배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298]
은하의 크기를 알고 있다면
시지름을 측정하여 은하까지
08 그림 (가)는 크기가 같은 거대 타원 은하 A, B의 시지름(겉보기 크기)을, (나)는 A, B의 스펙트럼
에 나타난 흡수선의 파장 변화량(화살표)을 순서 없이 ㉠, ㉡으로 나타낸 것이다.
의 거리를 알 수 있고, 스펙트
럼에 나타난 적색 편이를 이
시지름 20" ㉠
용하여 후퇴 속도를 구할 수 시지름 10"
있다.


은하 A 은하 B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A가 B의 2배이다.


ㄴ. A의 스펙트럼에 나타난 흡수선의 파장 변화량은 ㉡이다.
ㄷ. 은하의 후퇴 속도는 A가 B의 4배이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ㄱ, ㄷ

202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84~208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0강_13교.indd 202 2021-01-06 오후 3:25:28


정답과 해설 58쪽

[21026-0299]

09 그림은 적색 편이에 따른 퀘이사의 개수 밀도를 나타낸 것이다. 퀘이사는 일반 은하보다 매우


밝기 때문에 아주 먼 곳에서
도 발견 가능하다. 최근의 탐

증가
사 결과에 따르면, 퀘이사의
공간 분포는 정상 우주론이

개수 밀도
옳지 않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상댓값)

0 1 2 3 4 5
적색 편이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거리가 멀어질수록 퀘이사의 개수 밀도가 증가한다.


ㄴ. 퀘이사가 방출하는 에너지양은 우리은하보다 훨씬 많다.
ㄷ. 정상 우주론에 따르면 적색 편이에 관계없이 퀘이사의 개수 밀도가 일정해야 한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300]

10 그림 (가)는 플랑크 우주 망원경으로 관측한 우주 배경 복사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고, (나)는 초기 빅뱅 후 약 38만 년이 지났을
때 원자핵과 전자가 결합하여
우주에서 빛의 진행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중성 원자가 만들어졌다. 이
후 빛이 물질의 방해를 받지
원자핵 원자 않고 우주를 자유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전자

A B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에서 방향에 따른 복사 에너지의 온도 차이는 최대 2.7`K이다.


ㄴ. (나)에서 A는 불투명한 우주, B는 투명한 우주에 해당한다.
ㄷ. (가)의 복사는 (나)의 A 시기에 형성된 빛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0강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203

184~208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0강_13교.indd 203 2021-01-06 오후 3:25:29


3점 수능 테스트
[21026-0301]

11 그림 (가), (나), (다)는 빅뱅 우주론에 근거하여 시간에 따른 우주의 물리량 A, B, C의 변화를 나타


빅뱅 우주론에서는 우주의 모 낸 것이다. A, B, C는 각각 우주의 온도, 우주의 크기, 암흑 에너지 밀도 중 하나이다.
든 물질과 에너지가 매우 작

물리량 A

물리량 B

물리량 C
고 뜨거운 한 점에 모여 있다
가 대폭발이 일어난 후 팽창
하면서 냉각되어 현재와 같은
우주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시간 시간 시간
(가) (나) (다)

A, B, C에 해당하는 물리량을 옳게 짝지은 것은?

A B C
① 우주의 온도 우주의 크기 암흑 에너지 밀도
② 우주의 온도 암흑 에너지 밀도 우주의 크기
③ 우주의 크기 암흑 에너지 밀도 우주의 온도
④ 우주의 크기 우주의 온도 암흑 에너지 밀도
⑤ 암흑 에너지 밀도 우주의 크기 우주의 온도

[21026-0302]
현재 우주는 암흑 에너지 효
과에 의해 가속 팽창하고 있
12 그림 (가)는 시간에 따른 물질과 암흑 에너지의 밀도 변화를, (나)는 현재 우주의 구성 요소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으며, 시간이 흐를수록 암흑
에너지 효과가 점점 더 우세
밀도

해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물질 A
26.8`% C
4.9`%

암흑 에너지 B
68.3`%
tÁ tª
시간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에서 우주의 팽창 속도는 tÁ에서 tª로 갈수록 느려진다.


ㄴ. (나)에서 전자기파와 상호 작용하는 우주 구성 요소는 C이다.
B의 밀도
ㄷ. 우주가 팽창할수록 는 증가한다.
A의 밀도+C의 밀도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04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84~208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0강_13교.indd 204 2021-01-06 오후 3:25:29


정답과 해설 58쪽

[21026-0303]

13 그림은 대폭발 우주론에 근거하여 빅뱅 이후 현재에 이르는 동안 일어난 주요 사건들을 시간 순서 대폭발 우주론에 따르면 우주
가 팽창함에 따라 우주의 평
대로 나타낸 것이다.
균 온도는 점차 낮아졌다.

대폭발

인플레이션 종료
(가)`헬륨 원자핵
형성 (나) 원자의 현재
형성 (다)`별과
은하의 형성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 시기 이전에 우주 배경 복사가 형성되었다.


ㄴ. (나) 시기 이후 수소와 헬륨의 총 질량비는 약 3:1을 유지하고 있다.
ㄷ. (나) 시기보다 (다) 시기에 우주 배경 복사의 온도가 높았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026-0304]

14 그림은 빅뱅 이후 우주의 팽창 속도 변화를 추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우주의 팽창 속도는 시간에


따라 계속 변하였다. 현재 우
우주 팽창 속도

주의 팽창 속도 경향을 보면
(가) (나) 앞으로 팽창 속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0
138 100 50 0
시간(억 년 전)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 시기에 우주는 수축하였다.


ㄴ. (나) 시기에 우주는 가속 팽창하였다.
ㄷ. 빅뱅 이후 단위 시간 동안 우주의 크기 변화가 0인 시기가 있었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0강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205

184~208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0강_13교.indd 205 2021-01-06 오후 3:25:30


3점 수능 테스트
[21026-0305]

15 다음은 우주론과 관련 있는 관측 결과를 시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가)는 우주의 가속 팽창을,
(나)는 우주 배경 복사를, (다) (가) Ⅰa형
‌ 초신성의 실제 거리가 후퇴 속도를 이용하여 계산한 거리보다 훨씬 더 멀다
는 허블 법칙에 따른 우주 팽
는 것을 알아냈다.
창을 관측한 것이다.
(나) ‌안테나로 전파를 연구하던 중 우주 공간 전체에 고르게 분포하는 복사 에너지를
관측하였다.
(다) ‌거리가 먼 외부 은하일수록 스펙트럼에 나타난 적색 편이가 크다는 것을 최초로 확인
하였다.

(가), (나), (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ㄱ. 시간 순서는 (다) → (나) → (가)이다.


ㄴ. (가)로부터 암흑 물질의 존재를 설명할 수 있다.
ㄷ. (나)를 이용하여 빅뱅 우주론이 옳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ㄹ. (다)로부터 우리은하가 우주의 중심에 위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21026-0306]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의 인력
때문에 시간에 따라 우주의
16 그림은 20억 년 전에 은하 A를 출발한 빛이 현재 우리은하에 도달하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팽창 속도가 감소할 것이라
A
고 예상하였으나, Ⅰa형 초신
성 관측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주가 가속 팽창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빛
A
A 우리
은하
우리
우리 은하
은하

(가) 20억 년 전 (나) 10억 년 전 (다) 현재

(가)~(나) 기간보다 (나)~(다) 기간에 더 큰 값을 갖는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이 기간 동안 우주는 가속 팽창하였다.)

ㄱ. 빛이 이동한 거리
ㄴ. 빛의 파장 변화량
ㄷ. 암흑 에너지의 총량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206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84~208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0강_13교.indd 206 2021-01-06 오후 3:25:31


정답과 해설 58쪽

[21026-0307]

17 그림 (가)와 (나)는 초기 우주에서 우주의 크기와 우주의 지평선 크기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급팽창 이론(인플레이션 이론)
은 빅뱅 직후 우주가 급격히
우주의 크기
팽창했다는 이론이다. 기존의
빅뱅 우주론에서 설명하기 어
려운 여러 가지 문제점을 급
팽창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우주의 지평선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일 때 중성 원자가 생성되었다.


ㄴ. (나)일 때 우주는 전체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었다.
ㄷ. 이 기간 동안 우주는 빛보다 빠르게 팽창한 시기가 있었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ㄷ ⑤ ㄴ, ㄷ

[21026-0308]

18 그림 (가)는 중력 렌즈 현상이 나타나는 원리를, (나)는 중력 렌즈 현상이 관측된 모습을 나타낸 것 중력 렌즈 현상은 멀리 있는
천체에서 나온 빛이 중간에
이다.
있는 거대 질량의 천체에 의
해 휘어져 보이는 현상을 의
멀리 있는 미한다. 빛이 중력의 영향으
은하 로 경로가 휘어질 때, 마치 렌
㉠ 즈처럼 빛이 모아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은하

굴절된 빛 지구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에서 멀리 있는 은하에 암흑 물질의 양이 많을수록 중력 렌즈 현상이 잘 일어난다.


ㄴ. (나)에서 중력 렌즈 현상에 의해 ㉠의 상이 고리 모양으로 나타났다.
ㄷ. (나)에서 천체의 적색 편이는 ㉠이 ㉡보다 크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0강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207

184~208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0강.indd 207 2021-01-12 오후 2:44:01


3점 수능 테스트 정답과 해설 58쪽

[21026-0309]

19 그림은 Ⅰa형 초신성의 적색 편이와 겉보기 등급을 나타낸 것이다.


Ⅰa형 초신성은 일정한 질량
에서 폭발하기 때문에 절대 24

등급이 일정하다. 이를 이용
22 ㉠ 등속 팽창 우주에서

겉보기 등급
하여 거리를 알아낼 수 있는 예상되는 겉보기 등급
데, 이 값을 적색 편이로 측정 20
한 거리와 비교하여 우주의
18
팽창 속도 변화를 알 수 있다.
16 Ⅰa형 초신성

14
0.0 0.2 0.4 0.6 0.8 1.0
적색 편이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Ⅰa형 초신성은 후퇴 속도가 클수록 겉보기 등급이 크다.


ㄴ. Ⅰa형 초신성의 거리가 멀수록 관측되는 겉보기 등급과 ㉠의 차가 감소한다.
ㄷ. 이 자료로부터 우주의 팽창 속도가 현재보다 과거에 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ㄱ, ㄷ

[21026-0310]
평탄 우주는 우주의 곡률이 0
인 우주이고, 평탄 우주에서
20 그림은 우주 모형 A~D에서 임계 밀도(q )에 대한 암흑 에너지 밀도(q )와 물질 밀도(q )의 비
c KKK m

율을 나타낸 것이다.
우주의 밀도는 임계 밀도와
같다. 1.5

1.0
qK
A B
q

0.5

0.0 C D
0.0 0.5 1.0 1.5
q
µ
q


우주 모형 A~D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물질 밀도


는 암흑 물질의 밀도와 보통 물질의 밀도를 합한 값이다.)

ㄱ. 우주의 밀도는 A가 B보다 작다.


ㄴ. 우주의 곡률은 C가 D보다 작다.
ㄷ. 현재 우주의 특성에 가장 부합하는 모형은 A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08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184~208수능특강(지구과학1)본문_10강.indd 208 2021-01-12 오후 2:18:03


수능특강 과학탐구영역 지구과학Ⅰ

정답과
해설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1 2021-01-07 오후 1:57:23


정답과 해설

ㄱ. A는 대륙 지각이 분리되어 새로운 해양이 형성되는 곳으로


01 판 구조론과 대륙 분포의 변화 맨틀 대류의 상승부이다.
ㄴ. B는 맨틀 대류의 하강부로 이곳에서는 지각이 맨틀 속으로
들어가면서 해구가 형성된다.
2점 수능 테스트 본문 13~15쪽 ㄷ. 맨틀 속 방사성 원소가 붕괴할 때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맨틀
상부와 하부의 온도 차가 국지적으로 생기면 맨틀 내 대류가 발생
01 ④ 02 ⑤ 03 ⑤ 04 ④ 05 ③ 06 ① 07 ③
할 수 있다.
08 ① 09 ③ 10 ④ 11 ③ 12 ③

01 판 구조론의 정립 04 음향 측심 자료와 해저 지형
해수면에서 해저면을 향해 발사한 초음파가 해저면에서 반사되어
베게너의 대륙 이동설, 홈스의 맨틀 대류설, 헤스와 디츠의 해저
되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이용하여 해저 지형의 높낮이를 측
확장설을 거쳐 판 구조론이 정립되었다.
정할 수 있다. 수심이 깊을수록 초음파가 해저면에서 반사되어 되
ㄱ. 베게너가 대륙 이동설의 증거로 제시한 것은 대서양 양쪽 대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다.
륙 해안선 굴곡의 유사성, 화석 분포, 고생대 말 빙하 퇴적층의 분
ㄱ. A와 B 사이에는 초음파의 왕복 시간이 가장 긴 지역이 존재
포와 빙하 이동 흔적, 지질 구조의 연속성 등이다. 해령 부근의 고
하는데, 이 지역은 수심이 약 9750`m로 매우 깊은 해구이다.
지자기 분포는 해저 확장설의 증거로 제시되었다.
ㄴ. 초음파의 왕복 시간을 나타내는 등치선의 간격은 A 부근이
ㄴ. 홈스는 맨틀이 열대류를 하며, 맨틀 대류가 대륙 이동의 원동
력이라고 주장하였다. B 부근보다 좁다. 따라서 해저면의 경사는 A 부근이 B 부근보다
급하다.
ㄷ. 베니오프는 해구에서 대륙 쪽으로 갈수록 진원의 깊이가 점차
ㄷ. 해수에서 초음파의 속도를 v, 해수면에서 발사한 초음파가 해
깊어지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것은 해구에서 오래된 해양 지각이
저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t라고 하면 관측
맨틀 속으로 섭입하여 소멸되기 때문이며 이는 해저 확장설을 지
지하는 증거가 된다. 지점의 수심(d)=;2!;vt이므로, 수심이 깊을수록 초음파가 반사되

어 되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다. 이 해역에서 초음파의 왕

02 대륙 이동설 복 시간이 가장 긴 곳은 왕복 시간이 13초인 곳이고, 수심은 ;2!;_


베게너는 대서양 양쪽 대륙 해안선 굴곡의 유사성, 화석 분포의
1500`m/s_13`s=9750`m이다.
연속성, 고생대 말 빙하 퇴적층의 연속성과 빙하 이동 흔적, 지질
구조의 연속성 등을 대륙 이동의 증거로 제시하였다.
ㄱ. 현재의 여러 대륙을 하나로 모으면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인
도, 오스트레일리아, 남극 대륙의 고생대 말 빙하 퇴적층이 한 군
05 해양 지각의 연령 분포
해령에서는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어 양쪽으로 확장되므로
데로 모인다.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해양 지각의 연령이 증가한다.
ㄴ. 현재는 빙하가 존재하지 않는 아프리카 남부 지역에 고생대
ㄱ. A의 해양 지각은 0.201억 년 전 이후에 생성되었다. 고생대
말의 빙하 퇴적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고생대 말에 아프리카
는 약 5.41억 년 전~2.52억 년 전이고, 중생대는 약 2.52억 년
남부 지역은 현재보다 고위도에 위치해 있었을 것이다.
전~0.66억 년 전이며, 신생대는 약 0.66억 년 전~현재까지이
ㄷ. 고생대 말의 빙하 퇴적층과 빙하의 이동 흔적 분포는 고생대
다. 따라서 A의 해양 지각은 신생대에 생성되었다.
말에 모든 대륙들이 하나로 모여 있던 초대륙 판게아가 갈라지고
ㄴ. 해령에서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어 양쪽으로 확장되므로
이동하여 현재와 같은 대륙 분포를 이루게 되었다는 대륙 이동설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해저 퇴적물의 두께가 증가한다. B 지점보
의 증거가 된다.
다 C 지점이 해령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해저 퇴적물의 두
께는 B 지점보다 C 지점이 두껍다.
03 맨틀 대류설 ㄷ. 해령을 중심으로 해양 지각이 확장되기 때문에 해양 지각의
홈스는 맨틀 대류의 상승부에서는 대륙 지각이 분리되어 새로운 등연령선은 대체로 해령과 나란하게 분포한다. 이 해역에는 해양
해양이 생성되고, 맨틀 대류의 하강부에서는 산맥과 해구가 생성 지각의 등연령선이 대체로 남북 방향으로 분포하므로 발산형 경
된다고 주장하였다. 계가 남북 방향으로 발달해 있다.

2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2 2021-01-07 오후 1:57:24


06 해양 지각의 고지자기 분포 으로 자화된다. 그 후 지구 자기장의 방향이 변해도 당시의 자성
해양 지각에서 해저 고지자기 줄무늬는 해령과 거의 나란하며 해 광물의 자화 방향은 그대로 보존되는데, 이를 잔류 자기라고 한다.
령을 축으로 대칭을 이룬다. 이러한 해저 고지자기 줄무늬의 대칭 ㄱ. 마그마가 식어서 화성암이 생성될 때 자성 광물이 당시 지구
적인 분포는 해령에서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면서 확장되고 자기장 방향으로 자화된다. 따라서 화성암이 생성될 당시 지구 자
지구 자기의 역전 현상이 반복되기 때문에 나타난다. 기장의 방향은 자성 광물의 자화 방향과 같다.
ㄱ. 해령에서 생성된 해양 지각이 양쪽으로 확장되므로 해령에서 ㄴ. 마그마가 식어서 굳어질 때 자성 광물이 당시의 지구 자기장
멀어질수록 해양 지각의 연령이 증가한다. A 지점의 해양 지각은 방향으로 자화되며, 이후 지구 자기장의 방향이 반대로 변해도 화
현재를 기준으로 3번째 역자극기에 생성되었고, B 지점의 해양 성암의 자화 방향이 반대로 변하지 않는다.
지각은 A 지점의 해양 지각이 생성된 후에 있었던 정자극기에 생 ㄷ. 위도에 따라 지자기 복각의 크기가 다르므로 자성 광물이 포
성되었다. 따라서 해양 지각의 연령은 A 지점이 B 지점보다 많다. 함된 암석의 잔류 자기 복각을 측정하면 암석이 생성된 위도를 알
ㄴ. B 지점의 해양 지각은 정자극기에 생성된 것이므로 생성 당 수 있다.
시의 지구 자기장의 방향은 현재와 같았다.
ㄷ. 해양 지각의 확장 속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하였다. 그렇지만
고지자기 줄무늬의 간격은 일정하지 않으므로 지구 자기장의 역
10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 경로
유럽 대륙에서 측정한 과거 약 5억 년 동안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전 현상은 일정한 주기로 일어나지 않았다.
위치가 하와이 부근부터 시베리아를 지나 현재 지자기 북극의 위
치로 점차 변했다. 오랜 시간 동안 평균한 지자기 북극의 위치는
07 해령과 변환 단층 지리상 북극의 위치와 같으므로 지질 시대 동안 지리상 북극의 위
해령은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멀어지 치가 변하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지질 시대 동안 이와 같은 지자
는 발산형 경계이고, 변환 단층은 판의 생성이나 소멸 없이 두 판 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은 대륙의 이동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이 접하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며 어긋나는 경계이다. ㄱ. 지질 시대 동안 지자기 북극은 하나였다. 5억 년 전에 북아메
ㄱ. A는 해령의 정상부에 존재하는 열곡이다. 열곡은 발산형 경 리카와 유럽에서 측정한 지자기 북극의 위치가 다른 것은 그 시기
계가 존재하는 맨틀 대류의 상승부에 발달한다. 에 지자기 북극이 2개가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하나로 붙어 있던
ㄴ. B에서는 서로 접해 있는 판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C에 두 대륙이 갈라졌기 때문이다.
서는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지진은 C 부근보다 B 부근 ㄴ. 초대륙 판게아는 약 2억 년 전부터 분리되기 시작했다. 따라
에서 활발하게 일어난다. 서 A와 B 사이의 거리는 2억 년 전이 현재보다 가까웠다.
ㄷ. 발산형 경계인 해령에서 생성된 해양 지각은 해령을 중심으로 ㄷ. 두 대륙에서 측정한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 경로가 다른
양쪽으로 확장된다. 따라서 이 지역에 분포하는 판은 B와 C를 이 까닭은 대륙이 이동하였기 때문이다. 두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
은 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동 경로를 겹쳐보면 과거 어느 시기에 두 대륙이 서로 붙어 있었
음을 알 수 있다.

08 지구 자기장
지구는 내부에 막대자석이 있는 것과 같이 자기적 성질을 가지며,
지구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자기장을 지구 자기장이라고 한다. 나
11 지질 시대 동안 인도 대륙의 위치 변화
지질 시대 동안 지리상 북극의 위치가 변하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침반의 자침은 지구 자기장 방향으로 배열되며 나침반의 N극은
고지자기 복각의 크기는 위도가 높을수록 크다. 따라서 고지자기
자북극을 향한다. 이때 나침반의 자침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을 복
복각을 측정하면 대륙의 과거 위도를 알 수 있다.
각이라고 한다. 복각이 0ù인 지역을 자기 적도, 복각이 +90ù인
ㄱ. 중생대 말인 7100만 년 전에는 인도 대륙이 40ùS~20ùS 사
지점을 자북극, 복각이 -90ù인 지점을 자남극이라고 한다.
이의 남반구에 위치해 있었다.
① A 지점은 자기 적도에 위치하므로 복각이 0ù이다. 즉, 자침이
ㄴ. 고지자기 복각의 크기는 위도가 높을수록 크다. A 지점은
수평면과 평행하다(ㄱ). B 지점은 자기 적도와 자북극 사이에 위
3800만 년 전보다 1000만 년 전이 더 고위도에 위치하므로 A 지
치하므로 복각이 0ù보다 크고 +90ù보다 작다(ㄴ).
점의 고지자기 복각은 1000만 년 전이 3800만 년 전보다 크다.
ㄷ. 7100만 년 동안 두 지점의 이동 거리를 비교하면 A 지점보다
09 잔류 자기 B 지점이 더 먼 거리를 이동했다. 따라서 7100만 년 동안의 평균
마그마가 식어서 굳어질 때 자성 광물이 당시의 지구 자기장 방향 속력은 A 지점보다 B 지점이 빠르다.

정답과 해설 3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3 2021-01-11 오후 3:56:03


정답과 해설

12 지질 시대 대륙의 분포 3점 수능 테스트 본문 16~21쪽


지질 시대 동안 대륙들은 분리되었다가 합쳐져서 초대륙을 형성
하고 다시 분리되는 과정을 반복해왔다. 01 ② 02 ① 03 ① 04 ② 05 ④ 06 ③ 07 ②
ㄱ. (가)는 선캄브리아 시대에 존재했던 초대륙 로디니아이고, 08 ② 09 ② 10 ① 11 ③ 12 ②
(나)는 고생대 말~중생대 초에 존재했던 초대륙 판게아이다. 따
라서 (가)는 (나)보다 먼저 형성되었다.
ㄴ. 최초의 육상 식물은 고생대에 출현했다. 따라서 선캄브리아
01 대륙 이동과 지질 구조의 연속성
베게너는 현재 서로 떨어져 있는 북아메리카 대륙과 유럽 대륙의
시대에 존재했던 초대륙 로디니아는 육상 식물 화석 자료를 토대
산맥 분포가 연속성을 가지며, 대서양 양쪽 해안에서 발견되는 암
로 복원할 수 없다.
석 분포와 지질 구조가 대륙들 간에 연속성을 보인다는 사실을 대
ㄷ. 판게아가 형성되면서 북아메리카 동부 지역에 애팔래치아산
륙 이동의 증거로 제시하였다.
맥과 유럽에 칼레도니아산맥이 형성되었다.
A. 판게아가 형성되면서 산맥 (가)와 (나)가 형성되었고, 그 후 판
게아가 분리되면서 대서양이 형성되었다.
B. 판게아가 형성될 때 산맥 (가)와 (나)가 같이 형성되어 연결되
어 있었고, 이후 대륙 이동에 의해 북아메리카 대륙과 유럽 대륙
이 분리되면서 산맥 (가)와 (나)도 분리되었다. 따라서 두 산맥의
지질 구조는 유사하다.
C. 산맥 (나)는 판게아가 형성될 당시에 형성되었고, 알프스산맥
은 신생대에 유라시아판과 아프리카판이 충돌하여 형성되었다.
따라서 산맥 (나)는 알프스산맥보다 먼저 형성되었다.

02 대륙 이동과 고생대 말 화석 분포의 연속성


베게너는 헤엄쳐서 바다를 건널 수 없었던 메소사우루스의 화석
이 멀리 떨어진 남아메리카 대륙과 아프리카 대륙에서 발견되는
것을 대륙 이동의 증거로 제시하였다.
ㄱ. 메소사우루스는 고생대 말에 생존했던 육상 파충류로, 메소사
우루스 생존 당시 바다에는 삼엽충이 생존했다.
ㄴ. 메소사우루스는 육상 파충류로 남대서양의 심해 퇴적물에서
화석이 산출될 수 없다.
ㄷ. 육상 파충류인 메소사우루스의 화석이 남아메리카 대륙과 아
프리카 대륙에서 산출되는 것은 메소사우루스 생존 당시에 남아
메리카 대륙과 아프리카 대륙이 붙어 있었기 때문이다. 즉, 메소
사우루스가 바다를 건너 이동한 것은 아니다.

03 음향 측심법과 해저 지형
해수면에서 해저면을 향하여 초음파를 발사하면 초음파가 해저면
에 반사되어 되돌아온다. 이때 초음파의 속도를 v, 초음파가 반사
되어 되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t라고 하면, 수심 d는 다음과
같다.
d=;2!;vt

ㄱ. 초음파의 왕복 시간이 길수록 수심이 깊다. 기준점으로부


터의 거리가 20`km인 지점은 초음파 왕복 시간이 6.7초이고,
100`km인 지점은 초음파 왕복 시간이 11.5초이므로 20`km 지

4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4 2021-01-07 오후 1:57:24


점이 100`km 지점보다 수심이 얕다. 령을 축으로 대칭을 이룬다.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해양 지각의 연

ㄴ.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가 160`km인 지점은 수심이 ;2!;_1500` 령은 증가한다.


ㄱ. 이 해역의 해양 지각은 정자극기에서 복각이 음(-)의 값을
m/s_9.1`s=6825`m로, 이 부근에는 수렴형 경계인 해구가 발
갖는다. A 지점은 역자극기에 형성되었으므로 복각은 양(+)의
달해 있다. 열곡은 발산형 경계인 해령의 정상부에 발달한다.
값을 갖는다.
ㄷ. 두 지점에서의 초음파 왕복 시간의 차가 클수록 해저면의 경
ㄴ. B 지점은 C 지점보다 해령의 열곡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위
사가 급하다. 기준점으로부터 80~100`km 구간은 초음파 왕복
치해 있으므로 해양 지각의 연령은 B 지점보다 C 지점이 많다.
시간이 11.5초-9.6초=1.9초 차이가 나고, 100~120`km 구간
따라서 최하부 퇴적물과 최상부 퇴적물의 퇴적 시기 차이는 B 지
은 초음파 왕복 시간이 11.5초-11.4초=0.1초 차이가 나므로
점보다 C 지점이 더 크다.
80~100`km 구간이 100~120`km 구간보다 경사가 급하다.
ㄷ. 암석이 생성된 위도가 높을수록 복각의 크기가 크다. C 지점
의 해양 지각에서 측정된 복각은 -64ù이므로 이 암석이 생성되
04 해저 확장설 었을 당시 해령은 복각이 -64ù인 위도에 위치해 있었다. 그런데
해령에서 생성된 해양 지각은 해령의 양쪽으로 확장되어 해구 쪽
C 지점보다 나중에 생성된 B 지점의 해양 지각에서 측정된 복각
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해양 지각의 연령과
은 -62ù이므로 C 지점의 해양 지각이 생성될 당시 해령은 현재
심해 퇴적물의 두께는 증가한다. 또한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수심
보다 고위도에 위치해 있었다.
은 점점 깊어진다.
ㄱ. 해령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수심이 깊어진다. 해령으로부터의
거리는 A<B<C 순이며, 수심도 A<B<C 순이다. 07 해령과 변환 단층
ㄴ. 해양 지각이 생성된 이후부터 현재까지 심해 퇴적물의 평균 맨틀 대류의 상승부인 해령에서 생성된 해양 지각은 해령을 중심
500`m 으로 양쪽으로 확장되기 때문에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해양 지각
퇴적 속도는 B 지점에서 ?6.7`m/백만 년이고, C 지
75백만 년 의 연령이 증가한다.
1200`m ㄱ. A와 B 지점에서 판의 경계로 갈수록 해양 지각의 연령이 점
점에서 ?9.2`m/백만 년으로, B 지점이 C 지점보다
130백만 년
점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A와 B 사이에는 해령이 존재한다.
작다.
ㄴ. A와 B 사이에 해령이 존재하며 해령을 중심으로 해양 지각이
ㄷ.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해양 지각의 연령이 많아지므로 해구로
양쪽으로 확장되어 이동하므로 A가 속한 판은 남서쪽으로 이동
부터의 거리는 C<B<A 순이다.
하고, B가 속한 판은 북동쪽으로 이동한다.
ㄷ. 그림 (나)에서 t년 동안 판이 이동한 거리는 A가 속한 판이 B
05 지구 자기장
가 속한 판보다 작다. 따라서 최근 t년 동안 판의 평균 확장 속도
지구는 내부에 막대자석이 있는 것과 같이 자기적 성질을 가지며,
는 A가 속한 판이 B가 속한 판보다 느렸다.
지구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자기장을 지구 자기장이라고 한다. 나
침반의 자침은 지구 자기장 방향으로 배열되며 나침반의 N극은
자북극을 향한다. 이때 나침반의 자침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을 복 08 고지자기
각이라고 한다. 복각이 0ù인 지역을 자기 적도, 복각이 +90ù인 현재 지구 자기장의 방향과 같은 시기를 정자극기, 반대인 시기를
지점을 자북극, 복각이 -90ù인 지점을 자남극이라고 한다. 역자극기라고 한다. 지구 자기의 역전 현상이 반복되었기 때문에
ㄱ. (가)는 자기력선이 수평면 아래쪽을 가리키므로 복각이 양 정자극기와 역자극기가 반복되어 나타난다. 그리고 지질 시대 동
(+)의 값을 가지며 자기력선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이 40ù이므로 안 지리상 북극의 위치가 변하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고지자기 복
이 지역의 복각은 +40ù이다. 각의 크기는 위도가 높을수록 크다. 따라서 고지자기 복각을 측정
ㄴ. (나)는 자기력선이 수평면과 나란하므로 복각이 0ù인 자기 적 하면 대륙의 과거 위도를 알 수 있다.
도이다. ㄱ. 그림 (가)를 보면 2백만 년 전에 지구 자기는 역자극기였다.
ㄷ. (가)는 복각이 양(+)의 값을 가지는 지역이고, (나)는 자기 적 따라서 2백만 년 전에 이 지역의 고지자기 방향은 남쪽을 가리
도이며, (다)는 복각이 음(-)의 값을 가지는 지역이다. 따라서 복 킨다.
각이 +90ù인 자북극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지역은 (다)이다. ㄴ. 그림 (나)를 보면 이 지역은 3억 년 전 무렵에는 적도 부근에
위치했고 1억 년 전 무렵에는 40ùN 부근에 위치했으며, 복각은
06 해저 고지자기 줄무늬 적도 부근보다 40ùN 부근에서 크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 고지자
해양 지각에서 해저 고지자기 줄무늬는 해령과 거의 나란하며 해 기 복각의 크기는 3억 년 전 무렵이 1억 년 전 무렵보다 작다.

정답과 해설 5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5 2021-01-07 오후 1:57:25


정답과 해설

ㄷ. 그림 (가)를 보면 최근 360만 년 동안 지구 자기의 역전 주기 져서 초대륙이 형성되기도 하고, 이 초대륙이 분리되었다가 다시


는 일정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 약 3억 년 전부터 현재 합쳐져서 새로운 초대륙이 형성되기도 한다. 대륙이 합쳐지면서
까지 지구 자기의 역전 주기도 일정하지 않았을 것이다. 충돌할 때는 조산 운동에 의해 습곡 산맥이 형성된다.
ㄱ. (가) → (나) 과정에서 서로 분리되어 있던 대륙이 충돌하여 하
09 베니오프대 나로 합쳐지면서 초대륙이 형성되었다. 이 과정에서는 조산 운동
해양판이 섭입하는 수렴형 경계에서는 해구에서 섭입 당하는 판 이 일어나면서 습곡 산맥이 형성된다.
내부로 갈수록 진원의 깊이가 점점 깊어지는데, 이 지진대를 베니 ㄴ. (나) → (다) 과정에서 하나로 합쳐졌던 초대륙이 다시 분리되
오프대라고 한다. 었다. 이 과정에서는 초대륙 하부에서 맨틀 대류의 상승이 일어나
ㄱ. 해구에서 해양판이 맨틀 속으로 비스듬히 섭입하여 들어가기 면서 초대륙에 열곡대가 형성된다.
때문에 해구에서 섭입 당하는 판 쪽으로 갈수록 진원의 깊이가 점 ㄷ. (다)에서 해양의 중앙부에는 발산형 경계인 해령이 형성되었
점 깊어진다. 따라서 (가)는 판의 경계와 나란한 방향의 진원 분포 으며, 해양의 가장자리에는 판의 경계가 발달해 있지 않다. 따라
이고, (나)는 판의 경계와 수직인 방향의 진원 분포이다. 서 화산 활동은 해양의 가장자리보다 중앙부에서 활발하게 일어
ㄴ. (나)에서 판의 경계에서 멀어질수록 진원이 깊어지며 섭입하 난다.
는 판의 기울기가 급해진다.
ㄷ. 해양판이 섭입하는 수렴형 경계에서 화산 활동은 섭입하는 해 12 판의 경계와 이동 속도
양판의 영향으로 생성된 마그마가 섭입 당하는 판에서 분출하여 판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판의 경계에서 여러 가지 지각 변동이
일어난다. (나)에서는 판의 경계 남쪽에 위치한 판이 판의 경계 북 발생한다. 판과 판이 멀어지는 곳은 발산형 경계이고, 판과 판이
쪽에 위치한 판 아래로 섭입하고 있으므로 화산 활동은 판의 경계 가까워지는 곳은 수렴형 경계이다.
남쪽보다 북쪽 지역에서 활발하게 일어난다. ㄱ. 동일한 판에 위치한 지점이라도 이동 속도가 모두 같은 것은
아니다.
10 해양 지각의 연령과 수심 ㄴ. 남아메리카 대륙의 서쪽 가장자리는 남아메리카판과 나스카
그림 (가)에서 해양 지각 A와 해양 지각 B는 해양 지각의 연령에 판의 경계이다. 남아메리카판은 대체로 북쪽으로, 나스카판은 대
따른 수심 변화가 같다. 그림 (나)에서 해령의 열곡으로부터의 거 체로 동쪽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남아메리카판과 나스카판 사이
리에 따른 수심 변화는 해양 지각 A가 해양 지각 B보다 작다. 에는 나스카판이 남아메리카판 아래로 섭입하는 수렴형 경계가
ㄱ. 해령의 열곡에서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어 양쪽으로 확장 존재한다.
되어 간다. 따라서 해령의 열곡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해양 지각의 ㄷ. 대서양 한가운데에는 서로 접해 있는 두 판이 멀어지는 발산
연령은 증가한다. 그림 (가)에서 수심이 같은 지점에서 해양 지각 형 경계가 존재하고 대서양의 가장자리에는 해양판이 대륙판 아
의 연령은 해양 지각 A와 해양 지각 B가 같다. 그러나 그림 (나) 래로 섭입하여 소멸하는 수렴형 경계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따
에서 수심이 같은 지점에서 해령의 열곡으로부터의 거리는 해양 라서 이러한 판의 운동이 계속된다면 5천만 년 후 대서양의 면적
지각 A가 해양 지각 B보다 멀다. 따라서 해양 지각의 확장 속도 은 현재보다 넓을 것이다.
는 해양 지각 A가 해양 지각 B보다 빠르다.
ㄴ. 그림 (나)에서 기울기는 해령의 열곡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수심 변화를 나타낸다. 그림 (나)에서 기울기는 해양 지각 A가 해
양 지각 B보다 작으므로 해령의 열곡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수
심 변화는 해양 지각 A가 해양 지각 B보다 작다.
ㄷ. 해양 지각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수심이 깊어지는 것은 해양
지각이 확장하면서 해양 지각이 침강하기 때문이다. 그림 (가)에
서 해양 지각 A와 B 모두 연령이 증가할수록 수심의 변화율이 감
소하는 것으로부터 해양 지각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해양 지각의
침강 속도가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1 초대륙의 형성과 분리
판의 운동과 함께 대륙이 이동하면서 분리되었던 대륙들이 합쳐

6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6 2021-01-07 오후 1:57:25


이곳에서는 뜨거워진 물이 상승하여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물 위
02 판 이동의 원동력과 마그마 활동 에 떠 있는 나무토막도 움직이는 물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며 거리가 점점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곳은 발산형 경계
에 해당한다.
2점 수능 테스트 본문 29~31쪽 ㄷ. 알코올램프로 물을 가열하면 물의 상부와 하부의 온도 차가 발
생한다. 맨틀 내에서는 방사성 원소의 붕괴로 발생하는 열에 의해
01 ② 02 ⑤ 03 ③ 04 ⑤ 05 ② 06 ⑤ 07 ⑤
상부와 하부에 국지적으로 온도 차가 발생하여 대류가 일어난다.
08 ③ 09 ⑤ 10 ④ 11 ② 12 ②

04 판을 움직이는 힘
01 판의 구조 발산형 경계는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면서 양쪽으로 확장되

암석권은 상부 맨틀의 일부와 지각을 포함하는 두께 약 100`km 는 경계이다. 수렴형 경계는 판과 판이 가까워지면서 충돌하거나

의 단단한 암석으로 이루어진 부분이다. 연약권은 깊이 약 섭입하는 경계이다.

100~400`km의 구간으로 암석권 아래에 위치한다. ㄱ. A는 판이 양쪽으로 확장되는 발산형 경계이다. 이곳에서는

ㄱ. A는 상부 맨틀의 일부와 지각을 포함하는 암석권이다. 암석 해령에서 솟아오른 해양판이 중력에 의해 해령의 사면을 따라 미

권은 단단한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류가 일어나지 않는다. 끄러지면서 판을 밀어내는 힘이 작용한다.

ㄴ. B는 암석권 아래에 위치한 연약권이다. 연약권은 온도가 높 ㄴ. 맨틀 대류의 상승부에는 발산형 경계가 형성되고, 맨틀 대류

아 유동성이 있고 대류가 일어나지만 고체 상태이다. 의 하강부에는 수렴형 경계가 형성된다. B와 C 사이에는 두 판이

ㄷ. 대륙판은 지각의 대부분이 대륙 지각인 판이고, 해양판은 지 서로 가까워지는 수렴형 경계가 존재하므로 이곳에서는 맨틀 대

각의 대부분이 해양 지각인 판이다. 해양판은 대륙판보다 평균 밀 류의 하강이 일어난다.

도가 크다. ㄷ. 해양판과 대륙판이 만나는 수렴형 경계에서는 섭입대를 따라


오래되어 차갑고 밀도가 커진 해양판의 일부가 맨틀 속으로 섭입

02 맨틀 대류와 판의 운동 한다. 이때 섭입하는 해양판 자체의 무게는 해양판 전체를 끌어당

맨틀 대류의 상승부인 해령에서는 새로운 해양 지각이 만들어지 기는 힘으로 작용한다. 즉, C의 하부에서는 B가 속한 해양판의

고 양쪽으로 확장되며, 맨틀 대류의 하강부인 해구에서는 오래된 일부가 섭입하면서 B가 속한 해양판 전체를 잡아당긴다.

해양 지각이 맨틀 속으로 섭입하여 소멸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판은 맨틀 대류를 따라 움직인다. 05 플룸 구조론
ㄱ. A는 맨틀 대류의 상승부에 위치하는 해령이다. 해령에서는 플룸은 온도가 낮은 차가운 플룸과 온도가 높은 뜨거운 플룸으로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어 양쪽으로 확장된다. 구분한다. 차가운 플룸은 상부 맨틀과 하부 맨틀의 경계에서 맨틀
ㄴ. B는 맨틀 대류의 하강부에 위치하는 해구이다. 해구에서는 과 외핵의 경계 쪽으로 하강하고, 뜨거운 플룸은 맨틀과 외핵의
상대적으로 밀도가 큰 해양판이 밀도가 작은 대륙판 아래로 비스 경계에서 지각 쪽으로 상승한다.
듬히 섭입하여 소멸한다. ㄱ. A는 상부 맨틀과 하부 맨틀의 경계에서 맨틀과 외핵의 경계
ㄷ. 연약권 위에 떠 있는 판은 맨틀 대류를 따라 해령에서 해구 쪽 부근으로 하강하는 차가운 플룸이다. 차가운 플룸은 수렴형 경계
으로 이동한다. 에서 섭입된 판의 물질이 상부 맨틀과 하부 맨틀의 경계 부근에
쌓여 있다가 하부 맨틀로 가라앉아 형성된다.
03 맨틀 대류 모형실험 ㄴ. B는 맨틀과 외핵의 경계에서 지각 쪽으로 상승하는 뜨거운
물 위에 떠 있는 나무토막은 물의 움직임을 따라 움직인다. 이때 플룸으로 판과 함께 이동하지는 않는다.
물은 상대적으로 밀도가 큰 맨틀에 해당하고, 나무토막은 밀도가 ㄷ. 차가운 플룸은 주변보다 온도가 낮고, 뜨거운 플룸은 주변보
상대적으로 작은 판에 해당한다. 다 온도가 높다. 따라서 같은 깊이에서 온도는 차가운 플룸인 A
ㄱ. 물을 가열하면 상부와 하부의 온도 차에 의해 대류가 발생한 가 뜨거운 플룸인 B보다 낮다.
다. 이와 마찬가지로 맨틀에서도 상부와 하부에 국지적으로 온도
차가 생기면 대류가 발생하며, 모형실험에서 물의 움직임은 맨틀 06 열점과 판의 운동
대류에 해당한다. 고정된 위치에서 뜨거운 마그마가 분출되는 곳을 열점이라고 한
ㄴ. 두 나무토막의 아랫부분을 알코올램프로 가열하고 있으므로 다. 열점에서 분출되는 마그마는 판의 아래쪽에서 생성되므로 시

정답과 해설 7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7 2021-01-07 오후 1:57:25


정답과 해설

간이 지남에 따라 판이 이동하면서 새로운 화산섬이 연속해서 만들 09 마그마 생성 장소


어져 하와이 열도와 같이 일렬로 줄을 지어 분포하는 경우도 있다. 마그마는 주로 뜨거운 맨틀 물질이 상승하는 발산형 경계인 해령
ㄱ. 화산섬 A가 형성될 당시에 판(태평양판)은 북북서 방향으로 과 열점, 해양판이 대륙판 아래로 비스듬히 들어가는 섭입대 부
이동하였고, 그 후 판의 이동 방향이 바뀌어 현재는 서북서 방향 근, 대륙 지각의 하부에서 생성된다.
으로 이동하고 있다. 따라서 태평양판에 위치한 화산섬 A는 현재 ㄱ. A는 발산형 경계인 해령의 하부이다. 해령의 하부에서는 고
서북서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온의 맨틀 물질이 상승하면서 압력 감소에 의해 맨틀 물질이 부분
ㄴ. 열점에서는 맨틀 물질이 상승함에 따라 압력이 감소하여 맨틀 용융되어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성된다.
물질이 부분 용융되어 마그마가 생성된다. ㄴ. B는 해양판이 대륙판 아래로 비스듬히 들어가는 섭입대이다.
ㄷ. 열점의 활동에 의해 형성된 화산섬은 판과 함께 이동하므로 섭입대에서는 해양판이 섭입하여 온도와 압력이 상승하면 해양
열점에 가까울수록 화산섬을 구성하는 화산암의 절대 연령이 적 지각과 퇴적물의 함수 광물에 포함된 물이 빠져나오고, 이 물의
다. 화산섬 A, B, C 중 C가 화산암의 절대 연령이 가장 적으므 영향으로 연약권을 구성하는 광물의 용융 온도가 낮아져 주로 현
로 화산섬을 형성한 열점에 가장 가까운 지역은 C이다. 무암질 마그마가 생성된다.
ㄷ. C에서는 B에서 만들어진 현무암질 마그마가 상승해 대륙 지
07 마그마의 종류 각 하부를 가열하여 유문암질 마그마가 생성된다. 또한 상승한 현
마그마는 화학 조성에 따라 SiOª 함량이 52`% 이하인 현무암질 무암질 마그마와 유문암질 마그마가 혼합되면 안산암질 마그마가
마그마, 52`%~63`%인 안산암질 마그마, 63`% 이상인 유문암 생성된다. 유문암질 마그마나 안산암질 마그마는 현무암질 마그
질 마그마로 구분한다. 마보다 SiOª 평균 함량(%)이 많다.
ㄱ. A는 SiOª 함량이 52`% 이하인 현무암질 마그마이고, B는
SiOª 함량이 63`% 이상인 유문암질 마그마이다. 10 화성암의 분류
ㄴ. B는 SiOª 함량이 63`% 이상인 유문암질 마그마이다. 유문 A는 어두운색을 띠며 염기성암인 현무암이다. B는 밝은색을 띠
암질 마그마가 지표로 분출하여 빠르게 냉각되어 굳어지면 화산 며 조립질 조직을 보이므로 화강암이고, C는 산성암 중 세립질 조
암인 유문암이 되고, 지하 깊은 곳에서 천천히 냉각되어 굳어지면 직을 보이는 유문암이다.
심성암인 화강암이 된다. ㄱ. A는 현무암질 마그마가 굳어서 생성된 현무암이고, B는 유문
ㄷ. SiOª 함량이 52`% 이하인 현무암질 마그마는 SiOª 함량이 암질 마그마가 굳어서 생성된 화강암이다. 현무암질 마그마는 유
63`% 이상인 유문암질 마그마보다 온도가 높다. 따라서 온도는 문암질 마그마보다 온도가 높다.
세로축의 물리량 (가)로 적절하다. ㄴ. B는 조립질 조직을 보이는 화강암, C는 세립질 조직을 보이
는 유문암이다. 마그마가 지하 깊은 곳에서 서서히 냉각되면 결정

08 지하의 온도 분포와 암석의 용융 곡선 의 크기가 큰 조립질 조직이 발달하고, 마그마가 지표 부근에서


일반적으로 지구 내부의 온도는 암석의 용융 온도에 도달하지 못 빠르게 냉각되면 결정을 형성하지 못한 유리질이나 결정의 크기
하므로 대부분의 지구 내부에서는 마그마가 생성될 수 없다. 하지 가 작은 세립질 조직이 발달한다. 따라서 B는 C보다 깊은 곳에서
만 지구 내부의 온도가 높아지거나, 맨틀 물질이 상승하여 압력이 생성되었다.
감소하거나, 맨틀에 물이 공급되어 맨틀의 용융 온도가 낮아지면 ㄷ. 현무암은 SiOª 함량이 52`% 이하인 현무암질 마그마가 굳어
마그마가 생성될 수 있다. 서 생성된 염기성암에 속하고, 유문암은 SiOª 함량이 63`% 이상
ㄱ. 물을 포함한 맨틀의 용융 온도는 물을 포함하지 않은 맨틀의 인 유문암질 마그마가 식어서 만들어진 산성암에 속한다.
용융 온도보다 낮다. 따라서 A는 물을 포함한 맨틀의 용융 곡선
이고, B는 물을 포함하지 않은 맨틀의 용융 곡선이다. 11 화성암의 종류
지하 온도 변화량 화성암은 SiOª 함량에 따라 염기성암, 중성암, 산성암으로 구분
ㄴ. 깊이에 따른 지하의 온도 증가율은 이다. 깊
깊이 변화량 하고, 산출 상태와 조직에 따라 심성암과 화산암으로 구분한다.
이가 변함에 따라 온도가 변하는 정도는 깊이 0~50`km 구간이 ㄱ. SiOª 함량이 52`% 이하인 화성암은 염기성암으로 감람석,
50~100`km 구간보다 크므로 깊이에 따른 지하의 온도 증가율 휘석 등 어두운색 광물(유색 광물)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문제에
은 깊이 0~50`km 구간이 50~100`km 구간보다 크다. 주어진 자료의 암석은 석영, 정장석, 사장석 등 밝은색 광물(무색
ㄷ. 해령의 하부에서는 맨틀 물질이 상승함에 따라 압력이 감소하 광물)이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SiOª 함량이 52`%보다 많다.
여 마그마가 생성된다. ㄴ. 지하 깊은 곳에서 마그마가 천천히 냉각되어 형성된 심성암은

8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8 2021-01-07 오후 1:57:26


3점 수능 테스트
결정의 크기가 충분히 커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을 정도인 조립
본문 32~37쪽
질 조직이 발달하고, 지표 부근에서 마그마가 빠르게 냉각되어 형
성된 화산암은 결정의 크기가 작아서 육안으로 식별하기 불가능 01 ⑤ 02 ③ 03 ① 04 ④ 05 ② 06 ① 07 ①
할 정도인 세립질 조직 또는 결정을 형성하지 못한 유리질 조직이 08 ① 09 ① 10 ③ 11 ② 12 ③
발달한다.
ㄷ. 조립질 조직은 지하 깊은 곳에서 마그마가 천천히 냉각될 때
형성되는 심성암에서 나타난다. 01 해양 지각의 연령과 암석권의 구조
해령에서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어 양쪽으로 확장하므로 해
령에서 멀어질수록 해양 지각의 연령이 증가한다.
12 한반도의 화성암 지형 ㄱ. 암석권에서 해양 지각이 차지하는 비율은 A 지점<B 지점<
서울의 도봉산은 지하 깊은 곳에서 생성된 화강암이 융기하여 지
C 지점 순이며, 암석권은 지각과 최상부 맨틀로 이루어지는데 지
표로 드러나 형성되었고, 철원의 한탄강 주변의 암석은 마그마가
각은 최상부 맨틀보다 밀도가 작다. 따라서 암석권의 평균 밀도는
지표로 분출하여 생성된 현무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A 지점>B 지점>C 지점 순이다.
ㄱ. (가)의 암석은 화강암이고, (나)의 암석은 현무암이다. 화강암
ㄴ.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해양 지각의 연령이 증가하므로 C 지점
은 마그마가 지하 깊은 곳에서 굳어진 심성암이고, 현무암은 마그
의 동쪽에 A, B, C 지점의 해양 지각이 생성된 해령의 열곡이 위
마가 지표 부근에서 굳어진 화산암이다.
치한다.
ㄴ. 화강암은 산성암에 속하고, 현무암은 염기성암에 속한다. 밝
ㄷ. 해령에서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어 양쪽으로 확장되고,
은색 광물(무색 광물)의 함량은 산성암이 염기성암보다 많다.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수심이 깊어지므로 A 지점에서 C 지점으로
ㄷ. 마그마가 냉각되는 장소에 따라 냉각 속도가 달라진다. 마그
갈수록 수심은 얕아진다.
마가 지표 부근에서 빠르게 냉각되면 결정의 크기가 작은 화산암
이 형성되고, 지하 깊은 곳에서 서서히 냉각되면 결정의 크기가
큰 심성암이 형성된다. 따라서 생성 당시 마그마의 냉각 속도는 02 판의 운동과 판을 움직이는 힘
화산암인 (나)가 심성암인 (가)보다 빨랐다. 판은 맨틀 대류를 따라 움직이지만 중력에 의해 해령에서 판을 밀
어내는 힘이나 섭입하는 판이 잡아당기는 힘 등에 의해서도 이동
한다. 중력에 의해 해령에서 판을 밀어내는 힘은 섭입하는 판이
잡아당기는 힘에 비해 판의 이동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ㄱ. 맨틀 대류의 상승부에는 발산형 경계가 형성되고, 맨틀 대류
의 하강부에는 수렴형 경계가 형성되며, 판은 발산형 경계에서 수
렴형 경계 쪽으로 이동한다.
ㄴ. A는 발산형 경계인 해령이다. 해령에서는 솟아오른 해양판이
중력에 의해 해령의 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판을 밀어내는 힘
이 작용한다. 따라서 해령에서 판을 밀어내는 힘은 해령의 사면
경사가 급할수록 크다.
ㄷ. B는 해양판이 대륙판 아래로 들어가는 섭입대이다. 섭입대에
서는 해양판의 일부가 맨틀 속으로 침강하면서 해양판 전체를 잡
아당기는 힘이 작용한다. 이 힘은 해령에서 생성된 후 오랜 시간
이 지나 차가워진 해양판이 주변의 연약권보다 상대적으로 밀도
가 크기 때문에 발생한다.

03 플룸 구조론
차가운 플룸은 주변의 맨틀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고 지진파
의 속도가 빠르며, 뜨거운 플룸은 주변의 맨틀보다 상대적으로 온
도가 높고 지진파의 속도가 느리다.

정답과 해설 9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9 2021-01-07 오후 1:57:26


정답과 해설

ㄱ. B는 뜨거운 플룸이고, 화산섬 ㉠과 ㉡은 B가 상승하면서 생 06 열점에서의 화산 활동


성된 마그마가 지표로 분출하여 생성되었다. 화산섬 ㉠과 ㉡은 모 열점은 맨틀에 위치하며 그 위치는 맨틀에 고정되어 있으며, 열점
두 판과 함께 이동하므로 현재 활동 중인 화산섬으로부터 더 멀리 에서 마그마가 분출하여 화산 활동이 일어나고 화산암체가 만들
떨어진 곳에 위치한 화산섬 ㉠이 ㉡보다 먼저 생성되었다. 어진다. 화산암체의 연령이 남서쪽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ㄴ. A는 차가운 플룸이다. 지진파가 주변의 맨틀에 비하여 상대 보이는 것은 열점에서 분출된 마그마에 의해 형성된 화산암체가
적으로 온도가 낮은 차가운 플룸을 통과할 때는 속도가 빨라진다. 북아메리카판에 실려 남서쪽으로 이동하였기 때문이다.
ㄷ. B는 뜨거운 플룸이다. 뜨거운 플룸은 차가운 플룸이 맨틀과 ㄱ. 열점에서는 마그마의 분출에 의한 화산 활동이 일어나므로,
외핵의 경계 쪽으로 가라앉으면 그 영향으로 맨틀과 외핵의 경계 열점은 화산암체 B 부근의 하부에 있다. 따라서 현재 열점까지의
부근에서 뜨거운 맨틀 물질이 상승하여 생성된다. 거리는 화산암체 A가 화산암체 B보다 멀다.
ㄴ. 열점에서 생성된 마그마가 분출하여 만들어진 화산암체는 북
아메리카판에 실려 이동한다. 따라서 최근 약 1380만 년 동안 북
04 차가운 플룸의 형성 과정 아메리카판은 남서쪽으로 이동하였다.
차가운 플룸은 수렴형 경계에서 섭입된 해양판의 물질이 상부 맨
ㄷ. 화산암체 A와 화산암체 B, 그리고 그 사이에 분포하는 화산
틀과 하부 맨틀의 경계 부근에 쌓여 있다가 가라앉아 생성된다.
암체 모두 북아메리카판 내부에 위치하므로, 화산암체 A와 화산
ㄱ. ㉠은 대륙판과 해양판이 만나는 수렴형 경계에서 대륙판 아래
암체 B를 연결한 선을 따라 판의 경계가 발달하지 않는다.
로 섭입한 해양판의 물질이 상부 맨틀과 하부 맨틀의 경계 부근에
쌓여 있는 곳으로, 같은 깊이의 연약권에 위치한 ㉡보다 온도가
낮다. 07 발산형 경계에서의 마그마 생성
ㄴ. A는 상부 맨틀과 하부 맨틀의 경계 부근에 쌓여 있던 해양판 발산형 경계에서는 고온의 맨틀 물질이 상승함에 따라 압력 감소

의 물질이 떨어져 나온 것이다. 따라서 A의 구성 성분은 대륙판 에 의해 맨틀 물질이 부분 용융되어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성된다.

보다 해양판과 유사하다. ㄱ. A와 B 지점이 속한 판과 C 지점이 속한 판은 서로 같은 방향

ㄷ. 차가운 플룸은 상부 맨틀과 하부 맨틀의 경계에서 맨틀과 외 으로 이동하지만 C 지점이 속한 판의 이동 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

핵의 경계 쪽으로 하강하고, 뜨거운 플룸은 맨틀과 외핵의 경계에 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B 지점과 C 지점 사이의 거리는 점점 멀

서 지각 쪽으로 상승한다. (가) → (나) 과정에서 형성되는 플룸은 어진다. 따라서 B 지점과 C 지점 사이에는 발산형 경계인 해령이

상부 맨틀과 하부 맨틀의 경계에서 맨틀과 외핵의 경계 쪽으로 하 존재하며, 해양 지각의 연령은 해령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A

강하므로 이 과정에서 형성되는 플룸은 차가운 플룸이다. 지점이 B 지점보다 많다.


ㄴ. B 지점과 C 지점 사이에는 발산형 경계인 해령이 존재한다.
해령의 하부에서는 맨틀 물질이 상승함에 따라 압력이 감소하는
05 열점 ㉠의 과정에 의해 맨틀 물질이 부분 용융되어 마그마가 생성된다.
열점은 맨틀에 위치하며 그 위치는 맨틀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ㄷ. A 지점과 B 지점은 같은 판에 위치해 있으므로 시간이 지나
열점에서 마그마가 분출하여 형성된 화산섬과 해산은 판에 실려 도 A 지점에서 B 지점까지의 거리는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B
이동한다. 지점과 C 지점 사이에는 발산형 경계가 존재하므로 시간이 지남
ㄱ. 열점에서는 주로 현무암질 마그마가 분출한다. 따라서 열점에 에 따라 B 지점에서 C 지점까지의 거리는 점점 멀어진다. 따라서
서 분출되는 마그마의 평균 SiOª 함량은 52`%보다 적다. A 지점에서 B 지점까지의 거리
시간이 지남에 따라 는 점점 감소
ㄴ. 열점 A에서 마그마가 분출하여 형성된 화산섬과 해산은 열점 B 지점에서 C 지점까지의 거리
A의 서쪽 방향으로 분포하고, 열점 C에서 마그마가 분출하여 형 할 것이다.
성된 화산섬과 해산은 열점 C의 동쪽 방향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열점 A와 열점 C는 같은 판에 속하지 않으며 열점 A와 열 08 수렴형 경계에서의 마그마 생성
점 C 사이에는 판의 발산형 경계가 있다. 수렴형 경계에서는 섭입하는 지각에서 빠져나온 물의 영향으로
ㄷ. 열점 B에서 마그마가 분출하여 형성된 화산섬과 해산은 판의 연약권을 구성하는 광물의 용융 온도가 낮아져 주로 현무암질 마
운동에 의해 이동했다. 그런데 열점 B에서 마그마가 분출하여 형 그마가 생성된다. 이 현무암질 마그마가 상승하여 대륙 지각 하부
성된 화산섬과 해산의 분포가 일직선이 아닌 것으로 보아 현재 ㉠ 에 도달하면 대륙 지각을 이루고 있는 암석이 가열되어 유문암질
에 위치한 해산은 열점 B에서 생성된 이후 이동 방향이 일정하지 마그마가 생성된다. 또한, 상승한 현무암질 마그마와 유문암질 마
않고 변했음을 알 수 있다. 그마가 혼합되면 안산암질 마그마가 생성된다.

10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10 2021-01-07 오후 1:57:26


ㄱ. 해양판이 섭입하여 온도와 압력이 상승하면 해양 지각과 퇴적 의 색은 염기성암인 A가 산성암인 C보다 어둡다.
물의 함수 광물에 포함된 물이 빠져나오고, 이 물의 영향으로 연
약권을 구성하는 광물의 용융 온도가 낮아져 주로 현무암질 마그 11 화성암의 분류
마가 생성된다. SiOª 함량이 52`% 이하인 염기성암에는 현무암, 반려암 등이 있
ㄴ. 마그마 A는 섭입대 부근에서 생성된 현무암질 마그마이고, 으며, SiOª 함량이 63`% 이상인 산성암에는 유문암, 화강암 등
마그마 B는 대륙 지각 하부에서 생성된 유문암질 마그마이거나 이 있다. 세립질 조직이 발달한 화산암에는 현무암, 안산암, 유문
안산암질 마그마이다. 현무암질 마그마는 유문암질 마그마나 안 암 등이 있고, 조립질 조직이 발달한 심성암에는 반려암, 섬록암,
산암질 마그마보다 SiOª 함량(%)이 적다. 화강암 등이 있다.
ㄷ. 마그마 B는 유문암질 마그마이거나 안산암질 마그마이므로 ㄱ. A는 염기성암 중 조립질 조직을 보이지 않는 암석이다. 화강
이 마그마가 지표로 분출하여 굳어지면 세립질의 유문암이나 안 암은 SiOª 함량이 63`% 이상인 산성암이며 조립질 조직이 발달
산암이 된다. 해 있다.
ㄴ. B는 염기성암 중 조립질 조직을 보이는 암석이고, C는 염기
09 변동대에서의 마그마 생성 성암이 아닌 암석 중 조립질 조직을 보이는 암석이다. 해양 지각
발산형 경계인 해령의 하부에서는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성되고, 은 염기성암인 현무암질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해양 지각
해양판이 대륙판 아래로 섭입하는 수렴형 경계 부근에서는 현무 을 이루는 암석의 광물 조성은 C보다 B에 가깝다.
암질 마그마, 유문암질 마그마, 안산암질 마그마가 모두 생성될 ㄷ. (나)는 결정의 크기가 큰 조립질암이다. 조립질암은 마그마가
수 있다. 지하 깊은 곳에서 천천히 냉각되어 생성된다. 따라서 야외에서 관
ㄱ. 발산형 경계에서는 천발 지진이 발생하고, 해양판이 대륙판 찰되는 조립질 암석은 지하 깊은 곳에서 생성된 후 융기하여 지표
아래로 섭입하는 수렴형 경계에서는 천발~심발 지진이 발생한 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다. 천발 지진이 주로 발생하는 A는 발산형 경계에 위치해 있으
며, 발산형 경계는 맨틀 대류의 상승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A는 12 한반도의 화성암 지형
맨틀 대류의 상승부에 위치한다. 겸재 정선이 그린 총석정 그림에는 현무암의 주상 절리가, 비로봉
ㄴ. 해양판이 대륙판 아래로 섭입하는 B 부근에서는 맨틀과 대륙 그림에는 돔 모양의 화강암이 잘 묘사되어 있다.
지각이 부분 용융되어 마그마가 생성된다. ㄱ. (가)에 묘사된 육각기둥 형태의 돌기둥은 주상 절리를 나타낸
ㄷ. A의 하부에서는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성되고, B의 하부에서 것이다.
는 현무암질 마그마와 유문암질 마그마가 혼합되어 안산암질 마 ㄴ. 금강산 비로봉은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화강암은 SiOª
그마가 생성될 수 있으므로 안산암질 마그마의 분출에 의한 화산 함량이 63`% 이상인 산성암이다.
활동이 일어날 가능성은 A보다 B가 크다. ㄷ. 총석정을 이루고 있는 주요 암석은 용암이 지표 부근에서 빠
르게 냉각되어 형성된 현무암이고, 비로봉을 이루고 있는 주요 암
10 화성암의 분류 석은 마그마가 지하 깊은 곳에서 천천히 냉각되어 형성된 화강암
화성암은 화학 조성에 따라 SiOª 함량이 52`% 이하인 염기성암, 이다.
SiOª 함량이 52`%~63`%인 중성암, SiOª 함량이 63`% 이상인
산성암으로 구분하고, 암석의 조직에 따라 화산암과 심성암으로
분류한다.
ㄱ. A는 SiOª 함량이 50`%보다 적으므로 염기성암이다.
ㄴ. 마그마가 지하 깊은 곳에서 천천히 냉각되면 결정의 크기가
충분히 커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을 정도인 조립질 조직이 발달
한다. 이에 반해 마그마가 지표 부근에서 빠르게 냉각되면 결정을
형성하지 못한 유리질이나 결정의 크기가 작은 세립질 조직이 발
달한다. B는 조립질, C는 세립질 조직을 보이므로 B는 C보다 깊
은 곳에서 생성되었다.
ㄷ. A는 염기성암이고, C는 산성암이다. 염기성암은 산성암에 비
하여 어두운색 광물의 함량이 많으므로 육안으로 관찰할 때 암석

정답과 해설 11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11 2021-01-11 오후 3:56:38


정답과 해설

온 증가율은 A 지역이 B 지역보다 크다. A 지역에서 깊이에 따


03 퇴적암과 지질 구조 (400-0)`¾
른 지온 증가율은 약 ?30.8`¾/km이고, B 지역
(13-0)`km
(300-0)`¾
에서 깊이에 따른 지온 증가율은 약 ?10`¾/km
2점 수능 테스트 본문 45~47쪽
(30-0)`km
이다.
01 ⑤ 02 ⑤ 03 ① 04 ② 05 ④ 06 ④ 07 ① ㄴ. 속성 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최대 깊이는 A 지역에서 약 7
08 ③ 09 ⑤ 10 ④ 11 ⑤ 12 ③ km이고, B 지역에서 약 18`km이다.
ㄷ. 지표면 부근에서 속성 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최대 온도는 약
230`¾이다. 따라서 B 지역의 지표면 부근에서 온도가 400`¾가
01 퇴적암의 분포 된다면 속성 작용은 일어나지 않는다.
지구 표면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 암석은 퇴적암이고, 지각의 대부
분을 구성하는 암석은 (화성암+변성암)이다. 따라서 A는 퇴적
암이고, B는 (화성암+변성암)이다.
04 퇴적 환경
선상지는 육상 퇴적 환경이고, 삼각주는 연안 퇴적 환경이며, 대
ㄱ. 셰일은 쇄설성 퇴적암이므로, 셰일은 A에 해당한다.
륙대는 해양 퇴적 환경이다.
ㄴ. A는 퇴적암이고, 지구 표면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 암석은 퇴적
A. 선상지는 경사가 급한 계곡과 평지가 만나는 곳에서 유수의
암이다.
유속이 급격히 느려지면서 유수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퇴적되
ㄷ. 속성 작용은 퇴적물이 굳어져 퇴적암이 되는 과정이다. 지구
어 형성된 지형이다.
표면에서 퇴적암의 면적비가 75`%이고 지각에서 퇴적암의 부피
B. 삼각주는 하천과 바다가 만나는 곳에서 하천에 의해 운반된
비가 5`%인 것으로 보아 퇴적암은 주로 지구 표면 부근에 분포한
퇴적물이 퇴적되어 형성된 지형이다.
다. 따라서 속성 작용은 주로 지구 표면 부근에서 일어난다.
C. 건열은 퇴적물이 건조한 기후에 노출되는 환경에서 퇴적층의
표면이 갈라져 형성된 퇴적 구조이고, 대륙대는 심해의 해양 퇴적
02 속성 작용 환경이다. 따라서 대륙대에 퇴적된 퇴적물에는 건열이 발달하지
속성 작용은 퇴적물이 쌓여 퇴적암이 되기까지의 전체 과정이다.
않는다.
속성 작용 중 다짐 작용은 퇴적물이 압력에 의해서 다져지는 작
용으로, 이 과정에서 퇴적물 사이의 공극의 크기가 작아진다. 속
성 작용 중 교결 작용은 퇴적물 속의 수분이나 지하수에 녹아 있 05 점이 층리
던 석회질 물질, 규질 물질 등이 공극에 침전되어 퇴적물 알갱이 대륙대와 심해저 평원에서 다양한 크기의 퇴적물이 한꺼번에 쌓
를 붙게 한다. 일 때, 큰 입자가 작은 입자보다 침강 속도가 빨라서 한 지층 내에
ㄱ. 공극의 크기는 (나)가 (가)보다 작고 (나)에 교결 물질이 존재 서 위로 갈수록 입자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이 퇴적 구조는 점
하는 것으로 보아, 모래가 퇴적된 후 경과된 시간은 (나)가 (가)보 이 층리이다.
다 길다. ㄱ. 대륙대나 심해저 평원에서 만들어진 이 퇴적 구조는 점이 층
ㄴ. 다짐 작용과 교결 작용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은 (나)는 (가)보 리이다.
공극의 총 부피 ㄴ. 점이 층리는 한 지층 내에서 위로 갈수록 입자의 크기가 점점
다 공극의 총 부피가 작아졌다. 따라서 는 (나)
퇴적물의 총 부피 작아지는 퇴적 구조이다.
가 (가)보다 작다. ㄷ. 점이 층리는 한 지층 내에서 위로 갈수록 입자의 크기가 점점
ㄷ. 다짐 작용과 교결 작용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은 (나)는 (가)보 작아지는 퇴적 구조로, 점이 층리를 이용해 지층의 역전 여부를
다 밀도가 크다. 알 수 있다.

03 지온 분포와 속성 작용
퇴적물이 물리적, 화학적 작용 등에 의해 퇴적암이 되는 모든 과
정을 속성 작용이라고 한다.
지온 증가량
ㄱ. 깊이에 따른 지온 증가율은 이며, 깊이에 따른 지
깊이 증가량 정상층 역전층

12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12 2021-01-07 오후 1:57:27


06 퇴적암의 종류 ㄱ. 사암은 주로 모래가 퇴적되어 만들어진 쇄설성 퇴적암이고,
사암과 셰일은 층리가 발달하는 쇄설성 퇴적암이고, 화강암은 조 셰일은 주로 점토와 실트가 퇴적되어 만들어진 쇄설성 퇴적암이
립질 조직이 발달하는 화성암이다. 다. 따라서 지층을 구성하는 입자의 평균 크기는 사암층이 셰일층
ㄱ. A는 층리가 발달하지 않는 화강암이고, 화강암은 조립질 조 보다 크다.
직이 발달하는 화성암이다. ㄴ. 셰일층에 건열이 발달해 있는 것으로 보아, 셰일층은 형성되
ㄴ. B는 층리가 발달하지만 구성 입자가 육안으로 잘 구별되지 는 동안 건조한 대기에 노출된 시기가 있었다.
않는 셰일이다. 셰일은 주로 점토와 실트가 퇴적되어 만들어진 쇄 ㄷ. 건열과 사층리가 역전된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셰일
설성 퇴적암이다. 층은 사질 셰일층보다 먼저 퇴적되었다.
ㄷ. C는 층리가 발달하고 구성 입자가 육안으로 잘 구별되는 사암
이다. 사암은 주로 모래로 구성된 퇴적물이 다짐 작용과 교결 작 09 퇴적암의 종류
용을 받아서 만들어진 퇴적암으로, 퇴적 입자 사이의 공간이 교결 물에 녹아 있던 물질이 화학적으로 침전되거나 물이 증발함에 따
물질로 채워져 있다. 라 잔류하여 만들어진 퇴적암은 화학적 퇴적암(A)이고, 생물의
모래 유해나 골격의 일부가 쌓여서 만들어진 퇴적암은 유기적 퇴적암
(B)이다.
ㄱ. A는 화학적 퇴적암이다.
교결 물질
ㄴ. 주로 화산재가 쌓여서 만들어진 응회암은 쇄설성 퇴적암이다.
ㄷ. 석회암 중 물에 녹아 있던 CaCO£가 화학적으로 침전되어 만
들어진 것은 화학적 퇴적암(A)에 해당하고 석회질 생물체가 쌓여
만들어진 것은 유기적 퇴적암(B)에 해당한다.
1`mm

사암의 현미경 사진
10 연흔
파도, 흐르는 물 등에 의해 퇴적물의 표면에 생긴 물결 모양의 퇴
07 호상 철광층 적 구조는 연흔이다.
이 지층은 해수에 녹아 있던 철이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된 후 침 ㄱ. 연흔은 퇴적물이 퇴적되는 과정에서 생성된다.
전되어 형성된 호상 철광층이다. ㄴ. 연흔은 얕은 호수와 같은 육상 환경과 조간대와 같은 연안 환
ㄱ. 해수에 녹아 있던 철이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된 후 침전되어 경 모두에서 생성될 수 있다.
호상 철광층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층리가 발달한다. 그림을 보면 ㄷ. 얕은 물밑에서 파도처럼 물의 운동이 양쪽 방향으로 반복적으
호상 철광층에 층리가 발달한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로 나타날 경우에는 대칭 형태를 보이는 연흔이 잘 만들어지고,
ㄴ. 호상 철광층은 해수에 녹아 있던 물질이 침전되어 형성된 화 유수처럼 물의 운동이 한쪽 방향으로 나타날 경우에는 비대칭 형
학적 퇴적암이다. 태를 보이는 연흔이 잘 만들어진다.
ㄷ. A층이 붉은색을 띠는 것은 산화된 철의 질량비가 크기 때문
이며, B층이 짙은 회색을 띠는 것은 상대적으로 산화된 철의 질량
비가 작기 때문이다. 따라서 철의 질량비는 A층이 B층보다 크다.
대칭 형태의 연흔 비대칭 형태의 연흔

08 건열과 사층리
지질 단면을 보면 건열과 사층리가 역전된 모습으로 나타난다. 따 11 단층의 종류
라서 이 지역의 지층은 역전되어 있으며, 이 지역에서 지층의 생 단층면이 기울어져 있을 때 단층면 위쪽에 있는 지괴를 상반이라
성 순서는 셰일층 → 사질 셰일층 → 사암층이다. 하고, 단층면 아래쪽에 있는 지괴를 하반이라고 한다. (가)와 (나)
셰일층 사암층
모두에서 상반은 단층면의 동쪽에 위치하고 하반은 단층면의 서
사질 셰일층
사질 셰일층 쪽에 위치한다. 정단층은 장력에 의해 상반이 하반에 대해 아래로
사암층
셰일층 이동한 단층이고, 역단층은 횡압력에 의해 상반이 하반에 대해 위
역전된 모습 역전되지 않은 모습 로 이동한 단층이다.

정답과 해설 13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13 2021-01-07 오후 1:57:28


정답과 해설

3점 수능 테스트
ㄱ. (가)는 상반이 하반에 대해 위로 이동한 역단층이다. (나)는 상
본문 48~53쪽
반이 하반에 대해 아래로 이동한 정단층이다.
ㄴ. (가)와 (나) 모두에서 상반은 단층면의 동쪽에 위치한다. 01 ① 02 ④ 03 ③ 04 ② 05 ③ 06 ① 07 ③
ㄷ. (나)는 장력에 의해 형성된 정단층이다. 08 ⑤ 09 ② 10 ⑤ 11 ② 12 ②

12 지질 구조
A 지괴는 상반, B 지괴는 하반, C 지괴는 상반이다.
01 속성 작용
퇴적물이 누적되어 감에 따라 아랫부분의 퇴적물은 윗부분에 쌓
ㄱ. A 지괴는 단층면 위쪽에 있는 상반이다.
인 퇴적물의 무게에 의해 치밀하게 다져지는 다짐 작용을 받는다.
ㄴ. A 지괴와 B 지괴 사이에 나타난 두 개의 단층은 모두 상반이
시간에 따라 퇴적물 (가)의 지표면으로부터의 깊이가 깊어지는 과
하반에 대해 아래로 이동한 정단층이다.
정에서 퇴적물 (가)는 다짐 작용을 받으며 물리량 A는 감소한다.
ㄷ. C 지괴는 B 지괴에 대해 아래로 이동하였으며, B 지괴와 C
ㄱ. 다짐 작용을 받는 과정에서 퇴적물의 공극 평균 크기는 작아
지괴 사이의 단층은 정단층이다.
진다.
지괴의
지표면 ㄴ. 다짐 작용을 받는 과정에서 퇴적물의 굳어진 정도는 커진다.
상대적
정단층 B 이동 방향
ㄷ. 다짐 작용을 받는 과정에서 퇴적물의 평균 밀도는 커진다.
A 지층
C
정단층 02 퇴적 지형
사암은 주로 모래가 쌓여서 생성된 쇄설성 퇴적암이며, 모래의 크

기는 ;1Á6;~2`mm이다.

ㄱ. (가)와 (나)의 퇴적물의 모습을 보면 입자의 모서리가 마모된


정도는 (가)가 (나)보다 작다. 퇴적물이 유수에 의해 운반되는 과
정에서 입자가 마모 작용을 받으므로, 일반적으로 유수에 의해 운
반되는 과정에서 입자의 모서리가 마모된 정도는 증가한다.
ㄴ. 퇴적 입자의 크기를 보면, (가)와 (나)의 퇴적물 모두 주로 모
래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와 (나)의 퇴적물 모두 속성 작용
을 받으면 사암이 된다.
ㄷ. 해빈에 퇴적된 (나) 퇴적물이 B 광물은 없고 A 광물로만 구성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A가 B보다 풍화에 강하다.

03 퇴적암의 특징
층리는 퇴적물이 쌓여 만들어진 평행한 구조이다.
층리면

층리와 층리면

ㄱ. 암석이 주로 모래로 이루어져 있고 마모된 둥근 자갈을 포함


하고 있으며 층리와 사층리가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이 암석은
퇴적암이다.
ㄴ. 층리는 퇴적물이 퇴적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퇴적 구조이다.

14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14 2021-01-07 오후 1:57:28


ㄷ. 사층리는 층리가 비스듬히 기울어지거나 엇갈려 나타나는 퇴 층의 퇴적 시기는 하반이 상반보다 빠르다. A 단층과 C 단층 모
적 구조로, 유수나 바람에 의해 모래가 공급된 방향을 추정할 수 두는 정단층이고 A 단층과 C 단층 모두에서 상반이 하반에 대해
있다. 동쪽에 위치하므로, 지표면에서 지층의 퇴적 시기는 동쪽으로 갈
수록 빠르지 않다.
04 사암의 특징
조립질의 광물이 치밀하게 맞물려 있는 (가)는 화강암이고, 주로
07 건열
모래로 이루어져 있고 입자와 입자 사이의 공극이 교결 물질로 채
셰일층에서 관찰되는 퇴적 구조는 건열이다.
워져 있는 (나)는 사암이다.
ㄱ. 셰일층에서 공룡 발자국 화석이 산출되는 것으로 보아 셰일층
ㄱ. 사층리는 화성암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사층리는 사암과 같은
은 중생대에 퇴적되었다.
퇴적암에 발달하는 퇴적 구조이다.
ㄴ. 셰일층(㉠)이 갈라진 틈에서 모래가 다져지고 굳어진 퇴적암
ㄴ. (가) 화강암은 마그마가 지하 깊은 곳에서 굳어진 화성암이고,
(㉡)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이 ㉡보다 먼저 퇴적되었다.
(나) 사암은 쇄설성 퇴적암이다. 따라서 (가) 화강암은 (나) 사암보
ㄷ. 이 퇴적 구조는 건열이며, 건열은 퇴적물의 표면이 대기에 노
다 고온에서 생성되었다.
출되어 건조해지면서 쐐기 모양으로 갈라져 형성된다.
ㄷ. 화석은 거의 대부분 퇴적암에서 산출된다. 따라서 화석이 산
출될 가능성은 (나) 사암이 (가) 화강암보다 크다.
08 한반도의 퇴적 지형
05 경사 부정합 (가) 강원도 태백시 구문소 석회암층은 고생대에 바다에서 퇴적되

A 지층의 퇴적 시기가 약 3.7억 년 전이고 B 지층의 퇴적 시기가 었고, (나) 제주도 한경면 수월봉 응회암층은 신생대에 화산 활동

약 4.1억 년 전이며 A 지층의 지층면과 B 지층의 지층면이 서로 에 의해 분출된 화산재가 퇴적되어 생성되었다.

경사져 있는 것으로 보아, A 지층과 B 지층은 부정합 관계이고 ㄱ. ㉠은 고생대에 생성되었고, ㉡은 신생대에 생성되었다.

지질 구조 U-U'은 부정합면이다. ㄴ. 그림을 보면 ㉠의 지층면은 수평면에 대해 상당히 기울어져

ㄱ. A 지층과 B 지층은 부정합 관계이고, A 지층의 아랫부분에 있으나, ㉡의 지층면은 수평면과 거의 나란하다.
지층면 지층면
존재하는 역암층은 기저 역암이다.
ㄴ. 고생대는 약 5.41억 년 전~2.52억 년 전이고, A 지층은 약
3.7억 년 전에 퇴적되었고 B 지층은 약 4.1억 년 전에 퇴적되었
다. 따라서 A와 B 모두 고생대에 퇴적되었다.
ㄷ. 부정합면이 경사져 있거나 수평한 것에 관계없이 부정합면을
기준으로 상하 지층의 지층면이 서로 경사져 있어야만 경사 부정
(가)의 지층면 (나)의 지층면
합이다. A 지층의 지층면과 B 지층의 지층면이 서로 경사져 있는
것으로 보아 U-U'은 경사 부정합면이다. ㉠(지질 구조 U-U' ㄷ. ㉡은 주로 화산재가 쌓여서 생성되었다.
이 수평면에 대해 15ù 정도 기울어져 있다.)은 U-U'이 경사 부
정합면이라는 증거로 사용될 수 없다.
09 퇴적 구조와 퇴적 환경
(가)는 사층리, (나)는 점이 층리이다. (다)에는 대륙붕, 대륙대 등
06 단층 의 퇴적 환경이 나타나 있다.
A 단층면의 서쪽 지괴는 하반이고 동쪽 지괴는 상반이며, A 단 ㄱ. (가)는 사층리로, 일정한 방향으로 물이 흐르거나 바람이 부는
층은 상반이 하반에 대해 아래로 이동한 정단층이다. B 단층면의 환경에서 지층이 경사진 상태로 쌓인 구조이다. 사층리를 이용해
상부 지괴가 하부 지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동쪽으로 이동하였 운반되는 퇴적물의 공급 방향을 알 수 있는데, (가)에서 퇴적물이
다. C 단층면의 서쪽 지괴는 하반이고 동쪽 지괴는 상반이며, C 공급된 방향은 ㉡이다.
단층은 상반이 하반에 대해 아래로 이동한 정단층이다.
퇴적물의 공급 방향
ㄱ. A 단층과 C 단층은 모두 상반이 하반에 대해 아래로 이동한
정단층이다.
ㄴ. 단층의 생성 시기는 A → B → C 순이다.
ㄷ. 지표면과 지층면이 수평이고 정단층이 있다면 지표면에서 지

정답과 해설 15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15 2021-01-07 오후 1:57:29


정답과 해설

ㄴ. (나)의 점이 층리는 위로 갈수록 입자의 크기가 작아지는 퇴적 ㄱ. 공룡은 중생대 표준 화석이고, 삼엽충은 고생대 표준 화석이
구조이다. 이는 입자의 크기가 클수록 침강 속도가 빨라 먼저 가 므로 (가)의 지층은 중생대에, (나)의 지층은 고생대에 퇴적되었
라앉으면서 퇴적되기 때문이다. 다. 제주도는 신생대에 화산 활동으로 형성되었으므로 (다)의 지
ㄷ. 점이 층리는 대륙 주변부의 해저에 쌓여 있던 퇴적물이 빠르 층은 신생대에 퇴적되었다.
게 이동하여 대륙대 등에 쌓일 때 잘 형성된다. 따라서 점이 층리 ㄴ. 삼엽충은 바다에서 살았던 생물이므로 (나)의 지층은 바다에
는 A(대륙붕)보다 B(대륙대)에서 잘 형성된다. 서 퇴적되었다.
ㄷ. (다)의 지층에서 패류 화석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다)의 지
10 동아프리카 열곡대의 지질 구조 층은 얕은 바다에서 퇴적되었으나 현재 (다) 지층은 육지에서 발
동아프리카 열곡대는 아프리카판이 확장되는 곳에 발달한 지형으 견된다. 따라서 (다)의 지층이 퇴적된 이후 융기가 일어났다.
로, 천발 지진과 화산 활동이 활발하다.
ㄱ. 동아프리카 열곡대는 아프리카판이 확장되는 곳에 발달한 지
형이다.
ㄴ. 단층 A~D 모두 상반이 하반에 대해 아래로 이동한 정단층
이다.
지괴의 상대적 이동 방향

지표면

지표면

B C
A D

ㄷ. 아프리카판이 확장되면서 형성된 동아프리카 열곡대에서는


천발 지진이 활발하게 발생하고, 화산 활동도 활발하게 일어난다.

11 퇴적 환경
A는 선상지이고, 선상지는 경사가 급한 계곡과 평지가 만나는 곳
에서 유수의 유속이 급격히 느려지면서 유수에 의해 운반된 퇴적
물이 쌓여서 형성된 부채꼴 모양의 퇴적 지형이다. B는 삼각주이
고, 삼각주는 하천과 바다가 만나는 곳에서 하천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쌓여서 형성된 삼각형 모양의 퇴적 지형이다.
ㄱ. 선상지에서는 유수의 유속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크고 작은 입
자가 같이 퇴적된다. 따라서 A(선상지)의 퇴적물을 구성하는 입
자의 크기는 균일하지 않다.
ㄴ. 삼각주는 강의 하구와 바다가 만나는 곳에서 형성된 퇴적 지
형이다. B(삼각주)가 점점 바다 쪽으로 확장되고 있으므로 B(삼
각주)에서는 연직 상방으로 갈수록 퇴적 입자의 크기가 커지는 경
향을 보인다.
ㄷ. 점이 층리는 수심이 비교적 깊고 안정된 환경에서 다양한 크
기의 퇴적물이 한꺼번에 공급될 때 잘 생성된다. 따라서 A(선상
지)와 B(삼각주) 모두에서 점이 층리가 발달하지 않는다.

12 한반도의 퇴적 지형
삼엽충은 고생대 바다에서 서식하였고, 공룡은 중생대 육지에서
서식하였다. 서귀포 퇴적층에서 다양한 패류 화석이 산출된다.

16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16 2021-01-07 오후 1:57:29


ㄱ. 가장 먼저 출현한 해양 동물은 가장 오래된 지층에서 산출되
04 지구의 역사 는 F이고, 가장 나중에 출현한 해양 동물은 아래에서 여덟 번째
지층에서부터 산출되는 C이다.
ㄴ. 지층의 퇴적 속도가 일정했고 모든 지층은 정합 관계라고 가
2점 수능 테스트 본문 61~64쪽 정했으므로, 생존 기간이 가장 짧은 해양 동물은 B이다. 따라서
생존 기간만을 고려했을 때 표준 화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B이다.
01 ④ 02 ⑤ 03 ④ 04 ⑤ 05 ④ 06 ① 07 ③
ㄷ. 아래에서 두 번째 지층에서 E와 F가 함께 산출되는 것으로
08 ④ 09 ④ 10 ④ 11 ⑤ 12 ③ 13 ① 14 ②
보아 E와 F는 같은 시기에 생존한 적이 있다.
15 ③ 16 ⑤

04 화석에 의한 지층 대비
01 관입의 법칙 (가)와 (나)를 지층 대비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관입의 법칙에 의하면, 마그마가 주변의 암석을 관입할 때 관입
지층 화석 산출 범위
당한 암석은 관입한 암석보다 먼저 생성되었다. 관입암 A가 관입 새로운 지층 A

암 C를 관입하였고, 관입암 B가 관입암 A를 관입하였다. B

관입암 B가 관입암 A를
C 지표면
관입하였다.
지표면
B C D
A
E ㉠

지층 F

G
오래된 지층

관입암 A가 관입암 C를 (가) (나)


관입하였다.
ㄱ. (나)의 지층 ㉠과 (가)의 지층 D가 대비되므로, (나)의 지층 ㉠
④ 이 지역에서는 지층 퇴적 → 관입암 C 관입 → 관입암 A 관입 에서도 (가)의 지층 D에서 산출되는 화석이 산출될 수 있다.
→ 관입암 B 관입 순으로 지질학적 사건이 있었다. ㄴ. (가)에서 지층 B는 지층 D보다 나중에 퇴적되었고 (가)의 지
층 D와 (나)의 지층 ㉠이 대비되므로, 퇴적 시기는 지층 ㉠이 지

02 부정합의 형성 과정 층 B보다 빠르다.


(가) → (나) 과정에서 융기와 침식 작용이 일어났고, (나) → (다) ㄷ. (나)의 지층 ㉠과 지층 ㉡은 각각 (가)의 지층 D와 지층 F에
과정에서 침강과 퇴적 작용이 일어났다. 대비되므로, (나)에서 지층 ㉠과 지층 ㉡은 부정합 관계이다.
ㄱ. (가) → (나) 과정에서 융기가 일어났고 지표면에 노출된 지층
이 하천에 의해 침식되었다.
ㄴ. (가) → (나) 과정에서 침식 작용이 퇴적 작용보다 우세하게 일
05 지질 단면도 해석
이 지역에서는 사질 셰일 퇴적 → 사암 퇴적 → 사질 셰일 퇴적 →
어나 지층의 일부가 침식되었다.
부정합 → 셰일 퇴적 → 융기와 침식 순으로 지질학적 사건이 있
ㄷ. (가) → (나) 과정에서 융기와 침식 작용이 일어났고, (나) →
었다.
(다) 과정에서 침강과 퇴적 작용이 일어났으며, (가) → (다) 과정
ㄱ. 부정합면을 경계로 상부 지층과 하부 지층이 서로 기울어진
에서 부정합면이 형성되었다.
부정합을 경사 부정합이라고 한다. 부정합면 U-U'을 경계로 상
부 지층(셰일)과 하부 지층(사질 셰일, 사암)이 서로 기울어져 있
03 동물군 천이의 법칙 으므로 지질 구조 U-U'은 경사 부정합면이다.
지층의 역전이 없다면 지층 누중의 법칙에 의해 아래에 있는 지층 ㄴ. 이 지역에서는 부정합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융기가 있었고 셰
은 위에 있는 지층보다 먼저 퇴적되었다. 동물군 천이의 법칙에 일이 퇴적된 후 융기가 있었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는 적어도 2회
의하면 오래된 지층에서 새로운 지층으로 갈수록 진화된 화석이 의 융기가 있었다.
산출된다. 따라서 주어진 그림의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지층이 가 ㄷ. 가장 오래된 지층은 원유를 함유한 지층인 사암이 아니라 사
장 오래된 지층이고, 가장 오래된 지층에서 F가 산출된다. 암 하부에 존재하는 사질 셰일이다.

정답과 해설 17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17 2021-01-07 오후 1:57:29


정답과 해설

06 방사성 동위 원소와 절대 연령 P
지층 연령 지층 연령
지표면
지층 연령
Q
(가)에서 (방사성 동위 원소 X의 함량:자원소의 함량)은 1:3이 증가 감소 증가

고, (나)에서 (방사성 동위 원소 X의 함량:자원소의 함량)은 1:1 지층

이다. 따라서 (가)는 광물이 정출되고 4억 년 후이고, (나)는 광물


이 정출되고 2억 년 후이다.

연령
ㄱ. (가)에서 (방사성 동위 원소 X의 함량:자원소의 함량)은 1:3
인 것으로 보아 (가)는 광물이 정출되고 4억 년 후이다.
ㄴ. (가)에서 (방사성 동위 원소 X의 함량:자원소의 함량)은 1:3 P Q
이고, (나)에서 (방사성 동위 원소 X의 함량:자원소의 함량)은
1:1이다. (가)는 광물이 정출되고 4억 년 후이고, (나)는 광물이
정출되고 2억 년 후이다. 따라서 방사성 동위 원소 X의 반감기는 09 화석에 의한 지층 대비
2억 년이다. 필석류는 고생대 표준 화석, 암모나이트는 중생대 표준 화석, 화
ㄷ. 방사성 동위 원소 X의 반감기가 2억 년이므로, 광물이 정출 폐석은 신생대 표준 화석이다.
ㄱ. 필석류가 산출되는 B 지층은 고생대에 퇴적되었고, 화폐석이
되고 6억 년 후에 방사성 동위 원소 X의 함량은 처음의 ;8!;이다.
산출되는 A 지층은 신생대에 퇴적되었으며, A 지층과 B 지층 사
광물이 정출될 때 2억 년 후 이에 침식에 의한 부정합면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A 지층이 퇴
적되기 전에 B 지층이 침식되었다.
ㄴ. 화폐석이 산출되는 A 지층은 신생대에 퇴적되었으며, 암모나
이트가 산출되는 C 지층은 중생대에 퇴적되었다.
4억 년 후 6억 년 후
ㄷ. (가)에서 A 지층은 신생대에, B 지층은 고생대에 퇴적되었다.
(나)에서 C 지층은 중생대에, 화폐석이 산출되는 셰일층은 신생
방사성 동위 원소 X
자원소
대에 퇴적되었다. 따라서 부정합면을 경계로 상하 지층 사이의 퇴
적 중단 기간은 (가)가 (나)보다 길다.

07 관입과 포획 10 지질 시대의 구분
(가): 화강암 내부에 사암이 포획암으로 존재하고 사암이 변성된 시생 누대는 약 40억 년 전~약 25억 년 전, 원생 누대는 약 25억

부분이 있는 것으로 보아 화강암이 사암을 관입하였다. 년 전~약 5.41억 년 전, 현생 누대는 약 5.41억 년 전~현재이

(나): 사암 내부에서 화강암의 침식물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화 다. 각 누대의 지속 시간은 원생 누대>시생 누대>현생 누대 순

강암이 생성된 이후에 사암이 퇴적되었다. 이다.

(가)와 (나) 모두 화강암에 포함된 방사성 동위 원소 X의 함량이 ㄱ. 상대적 길이가 가장 긴 A는 원생 누대, 두 번째로 긴 B는 시

처음의 25`%이고 방사성 동위 원소 X의 반감기가 1억 년이므로 생 누대, 가장 짧은 C는 현생 누대이다.

(가)와 (나) 모두 화강암의 절대 연령은 2억 년이다. ㄴ. 남세균(시아노박테리아)이 출현한 시기는 B(시생 누대)이다.

ㄱ. (가)에서 사암이 생성된 후 화강암이 관입하였다. ㄷ.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는 C(현생 누대)에 포함된다.

ㄴ. (나)에서 화강암의 절대 연령은 2억 년이고 화강암이 생성된 지질 시대 절대 연대


누대 대 (백만 년 전)
이후에 사암이 퇴적되었다. 신생대
66
현생 누대 중생대
ㄷ. (가)와 (나) 모두 화강암의 절대 연령은 2억 년이다. 고생대
252
541
신원생대

원생 누대 중원생대
08 습곡에서 지층의 연령 고원생대
고도가 일정한 지역에서 지표면에 노출된 지층의 연령은 배사축 2500
신시생대
으로 접근할수록 증가하고 향사축으로 접근할수록 감소한다. 중시생대
시생 누대
④ P에서 Q로 가면서 지층의 연령은 증가하다가 감소하다가 다 고시생대
초시생대
시 증가한다. 4000

18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18 2021-01-07 오후 1:57:30


11 고기후 연구 방법 ㄷ. 에디아카라 동물군은 단단한 골격이나 껍데기가 발달하지 않
•나무의 나이테 연구: 나이테 사이의 폭과 밀도 등을 측정하여 아서 이 동물군 화석의 대부분은 생흔 화석이다.
고기후를 추정할 수 있다.
•빙하 코어 연구: 빙하 속에 들어 있는 공기 방울을 분석하여 과 15 고생대의 생물과 환경
거 대기 조성을 알고 고기후를 추정할 수 있다. 이 생물은 푸줄리나라고도 불리는 방추충이며, 방추충은 고생대
•화석 연구: 화석 생물의 서식 환경을 조사하여 고기후를 추정할 후기에 바다에 생존했다.
수 있다. ㄱ. 방추충은 고생대에만 생존했으므로, 고생대 표준 화석이다.
ㄱ. 나무 나이테 사이의 폭은 나무의 성장 속도와 관련이 있다. 따 ㄴ. 방추충은 바다에서 서식했다. 따라서 방추충 화석이 산출되는
라서 ㉠(나이테 사이의 폭)을 이용해 나무의 성장 속도와 관련된 지층은 해성층이다.
고기후 요소를 추정할 수 있다. ㄷ. 방추충은 동물이며 광합성을 하지 않는다.
ㄴ. ㉡(빙하 속에 들어 있는 공기 방울)은 빙하가 생성되는 과정에
서 생성 당시의 대기가 빙하에 갇힌 것이다. 따라서 ㉡(빙하 속에 16 지질 단면 해석
들어 있는 공기 방울)은 빙하가 생성될 당시의 대기를 포함한다. 응회암은 화산재가 쌓여서 만들어진다. 각 응회암의 절대 연령으
ㄷ. 일반적으로 화석은 생물체가 지층에 매몰되어 만들어진다. 따 로 보아, B는 5.20억 년 전~5.10억 년 전에 생존하였으며 A는
라서 ㉢(화석)의 대부분은 퇴적암에서 산출된다. 5.10억 년 전~4.95억 년 전에 생존하였다.
ㄱ. 난정합은 부정합면 하부에 심성암이나 변성암이 있는 부정합
12 중생대의 환경과 생물 이다. 그림을 보면 화강암이 침식된 후 셰일이 퇴적되었다. 따라
약 2.52억 년 전~약 0.66억 년 전의 지질 시대는 중생대이다. 서 화강암과 셰일의 관계는 난정합이다.
ㄱ. 이 지질 시대는 중생대이다. ㄴ. 응회암은 화산 활동에 의해 분출된 화산재가 쌓여서 만들어진
ㄴ. 중생대 중기에는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았으나, 중생대에는 빙 다. 따라서 이 지역의 지층들이 퇴적되는 동안 주변에서 최소한 3
하기가 없었다. 번(5.20억 년 전, 5.10억 년 전, 4.95억 년 전)의 화산 분출이 있
ㄷ. 고생대 말기에 출현한 겉씨식물은 중생대에 번성했다. 었다.
ㄷ. 고생대는 약 5.41억 년 전~2.52억 년 전이고, A의 생존 기
간과 B의 생존 기간으로 보아 A와 B 모두 고생대에 생존하였다.
13 지질 시대의 식물과 환경
데본기, 석탄기, 페름기는 고생대에 속하고, 트라이아스기, 쥐라
기, 백악기는 중생대에 속하며, 팔레오기, 네오기, 제4기는 신생
대에 속한다. 겉씨식물은 고생대 페름기에 출현하여 현재까지 생
존하고 있으며, 속씨식물은 중생대 백악기에 출현하여 현재까지
생존하고 있다.
ㄱ. A는 고생대 페름기에 출현한 것으로 보아 A는 겉씨식물이
다.
ㄴ. 겉씨식물은 고생대 페름기에 출현하였고, 양서류는 그 이전인
고생대 데본기에 출현하였다.
ㄷ. 속씨식물은 중생대 백악기에 출현하였고, 중생대에는 빙하기
가 없었다.

14 에디아카라 동물군
이 동물군은 에디아카라 동물군이다. 원생 누대 말기에 최초의 다
세포 동물이 출현하였고 그 일부는 에디아카라 동물군 화석으로
남아 있다.
ㄱ. 에디아카라 동물군의 생존 시기는 원생 누대 말기이다.
ㄴ. 에디아카라 동물군은 초기의 다세포 동물군에 해당한다.

정답과 해설 19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19 2021-01-07 오후 1:57:30


정답과 해설

3점 수능 테스트 본문 65~71쪽 03 화석에 의한 지층 대비


삼엽충은 고생대 표준 화석이고, 암모나이트는 중생대 표준 화석
01 ② 02 ① 03 ⑤ 04 ④ 05 ④ 06 ④ 07 ④ 이다. 삼엽충, 바다나리, 산호, 암모나이트는 해양 동물이고, 양
08 ⑤ 09 ② 10 ④ 11 ② 12 ① 13 ⑤ 14 ③ 치식물은 육상 식물이다.
① (가)에서 가장 새로운 지층은 가장 위쪽에 위치한 바다나리와
복족류가 산출되는 지층이다. 바다나리는 해양 동물이므로 (가)에
01 표준 화석 서 가장 새로운 지층은 바다에서 퇴적되었다.
A 화석은 (가)~(라) 모든 대륙에서 산출되고 다양한 시기의 지
② 그림을 보면 암모나이트는 (가), (나), (다) 모두에서 산출된다.
층에서 산출된다. B 화석은 (가)~(라) 모든 대륙에서 산출되고
③ 암모나이트는 중생대 표준 화석이고 (가), (나), (다) 모두에서
특정 시기의 지층에서만 산출된다. C 화석은 (가)~(라) 모든 대
암모나이트 화석이 산출된다. 따라서 (가), (나), (다) 모두에 중생
륙에서 산출되고 다양한 시기의 지층에서 산출된다. D 화석은
대 지층이 있다.
(가)와 (나) 대륙에서만 산출되고 특정 시기의 지층에서만 산출된
④ (나)에서 가장 오래된 지층은 삼엽충이 산출되는 지층이고 삼
다. E 화석은 (다) 대륙에서만 산출되고 특정 시기의 지층에서만
엽충은 고생대 표준 화석이다. 따라서 (나)에서 가장 오래된 지층
산출된다.
은 고생대 지층이다.
② 표준 화석의 조건은 생존 기간이 짧고 분포 면적이 넓어야 한
⑤ (다)에는 양치식물 화석이 산출되는 육성층도 있고 산호 화석
다. 따라서 표준 화석으로 가장 적절한 화석은 (가)~(라) 모든 대
과 암모나이트 화석이 산출되는 해성층도 있다.
륙에서 산출되고 특정 시기의 지층에서만 산출되는 B 화석이다.

04 지질 단면도 해석
이 지역에서는 퇴적된 지층이 횡압력을 받아 역단층과 습곡이 만
들어졌으며, 이후에 지표면이 침식되었다.
02 부정합의 법칙 ㄱ. (나)에 역단층과 습곡이 발달하는 것으로 보아, 이 지역은 (가)
이 지역에서 A층의 퇴적 시기는 약 3천 5백만 년 전~2천만 년
→ (나) 과정에서 횡압력을 받았다.
전이고, B층의 퇴적 시기는 약 8천만 년 전~5천 5백만 년 전이
ㄴ. (나)에는 상반이 하반에 대해 위로 이동한 역단층이 있으며,
며, C층의 퇴적 시기는 약 1억 년 전~9천만 년 전이다. 따라서
지층이 역전된 부분이 있다.
A층과 B층, B층과 C층은 각각 부정합 관계이다.
ㄷ. (다)에는 역단층과 습곡이 존재하나, 정단층은 존재하지 않
0
는다.
1
기울기가 클수록 A
퇴적 속도가 빠르다. 부정합 습곡
2 지표면 지표면 지표면 지층
깊이

B
3
(km)
4 부정합
지층이 역전된 역단층
5 C 부분
6 (가) (나) (다)
100 90 80 70 60 50 40 30 20
퇴적 시기(백만 년 전)

ㄱ. A층과 B층 사이에 퇴적이 오랫동안 중단된 시기가 있으므로,


A층과 B층은 부정합 관계이다. 05 상대 연령과 절대 연령
관입암 P에 포함된 방사성 동위 원소 X와 그 자원소의 함량이 각
(1.5-0)`km
ㄴ. A층의 평균 퇴적 속도는 약 =0.1`km/백 각 50`%와 50`%이고 방사성 동위 원소 X의 반감기가 0.5억 년
(35-20)백만 년
(6-4)`km 이므로, 관입암 P의 절대 연령은 0.5억 년이다. 관입암 Q에 포
만 년이고, C층의 평균 퇴적 속도는 약 =0.2`
(100-90)백만 년 함된 방사성 동위 원소 X와 그 자원소의 함량이 각각 25`%와
km/백만 년이다. 75`%이고 방사성 동위 원소 X의 반감기가 0.5억 년이므로, 관입
ㄷ. 신생대는 약 6천 6백만 년 전부터이고, 신생대 중에서 제4기 암 Q의 절대 연령은 1억 년이다. 이 지역에서는 지층 A, B, C,
는 약 2백 6십만 년 전부터이다. 따라서 A, B, C층 중에서 가장 D 퇴적 → 역단층 f-f' → Q 관입(절대 연령: 1억 년) → P 관입
새로운 지층인 A층은 신생대 팔레오기와 네오기에 퇴적되었다. (절대 연령: 0.5억 년) 순으로 지질학적 사건이 있었다.

20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20 2021-01-07 오후 1:57:31


P가 Q를 400
관입함 COª

농도
Q(절대 연령: 1억 년)
COª 300
f (ppm)
200

기온 편차
D 5
지표면
C 0 현재값
-5
B (가)
(ùC) -10 기온

A 40 30 20 10 0
시간(만 년 전)
f`' 지괴의 상대적 (기온 편차=당시 기온-현재 기온)
이동 방향 과거 40만 년 동안 대기 중의 이산화 탄소 농도와 지구의 평균 기온 편차
P(절대 연령: 0.5억 년)

① 난정합은 부정합면 하부에 심성암이나 변성암이 있는 부정합


이다. 이 지역에는 난정합이 없다. 07 지층의 역전
② 단층 f-f'은 상반이 하반에 대해 위로 이동한 역단층이다. 지층 단면에서 나타나는 퇴적 구조는 연흔이며, 연흔의 모양으로
③ 단층 f-f'은 관입암 Q(절대 연령: 1억 년)가 관입하기 이전 보아 이 지역의 지층은 역전되었다. 퇴적물이 쌓일 때 새로운 퇴
에 생성되었으며 신생대는 약 0.66억 년 전부터이다. 따라서 단층 적물은 이전에 쌓인 퇴적물 위에 쌓이므로, 지층의 역전이 없다면
f-f'은 신생대에 생성되지 않았다. 아래에 있는 지층은 위에 있는 지층보다 먼저 퇴적되었다.
④ 관입암 Q의 절대 연령이 1억 년이고 관입암 P의 절대 연령이 ④ 이 지역의 지층 단면을 정상으로 복원하면 지층의 연령을 알
0.5억 년이므로, (가) 부분에서 P가 Q를 관입한 모습이 나타날 것 수 있는데, 복원된 모습에서 아래에 있는 지층은 위에 있는 지층
이다. 보다 지층의 연령이 많다. 복원된 모습에서 A에서 B로 가면서 지
⑤ 화폐석은 신생대 표준 화석이며, 지층 D는 신생대 이전에 퇴 층의 연령은 일정하다가 급격히 감소하고 다시 일정하다가 급격히
적되었다. 따라서 지층 D에는 화폐석이 발견될 수 없다. 증가하는데, A 부근에서가 B 부근에서보다 지층의 연령이 많다.
퇴적 구조

06 고기후 연구 방법 A B
18
원자량이 18인 산소 원자( O)로 이루어진 물 분자는 원자량이
16인 산소 원자(16O)로 이루어진 물 분자보다 상대적으로 증발이
연령

잘되지 않는다. 따라서 과거 어느 시기의 기온이 높았다면 이 시


기에 생성된 대륙 빙하에서 측정한 물 분자의 산소 안정 동위 원
소 비율(18O/16O)은 기온이 낮은 시기보다 높을 것이다. 대륙 빙
하를 구성하는 물 분자의 산소 안정 동위 원소 비율(18O/16O)은
A 시기가 B 시기보다 낮았고, 지구의 평균 기온은 A 시기가 B A B

시기보다 낮았다. 복원된 지층과 지층의 연령

ㄱ. 과거 어느 시기의 기온이 높았다면 이 시기에 생성된 대륙 빙


하에서 측정한 물 분자의 산소 안정 동위 원소 비율(18O/16O)은
08 방사성 동위 원소의 반감기
기온이 낮은 시기보다 높을 것이다. 따라서 ㉠에는 ‘높’이 해당
반감기는 방사성 동위 원소가 붕괴하여 처음 양의 반으로 줄어드
된다.
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 방사성 동위 원소 X의 반감기는 2억 년
ㄴ. 지구의 평균 기온은 A 시기가 B 시기보다 낮았다. 따라서 대
이고, 방사성 동위 원소 Y의 반감기는 1억 년이다.
륙 빙하 부피는 A 시기가 B 시기보다 컸을 것이다.
ㄱ. X의 반감기는 2억 년이고, Y의 반감기는 1억 년이다.
ㄷ. 빙하 코어에 포함된 공기 방울은 빙하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ㄴ. X의 반감기가 2억 년이므로, 암석이 생성되고 4억 년이 지나
생성 당시의 대기가 빙하에 갇힌 것이다. 대기 중 이산화 탄소 농
도가 낮을수록 지구의 평균 기온은 낮은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면 X의 함량은 처음의 ;4!;이다.

A 시기에 생성된 빙하 코어에 포함된 공기 방울의 이산화 탄소 ㄷ. 암석이 생성된 후 0~1억 년 동안 (Y의 함량 감소량/억 년)
농도는 B 시기보다 낮을 것이다. 은 50`%/억 년이고, 1~2억 년 동안 (Y의 함량 감소량/억 년)

정답과 해설 21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21 2021-01-07 오후 1:57:31


정답과 해설

은 25`%/억 년이며, 2~3억 년 동안 (Y의 함량 감소량/억 년)은 물도 고생대에 출현하였다.


12.5`%/억 년이다. 이와 같이 암석이 생성된 후 시간에 따른 Y ㄷ. 삼엽충은 어류보다 먼저 출현하였고 이 고생물은 어류보다 나
함량의 감소량은 감소한다. 중에 출현하였다. 따라서 이 고생물은 삼엽충보다 나중에 출현하
였다.
09 생물의 출현
어류는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에, 파충류는 고생대 석탄기에 출현 12 고생대 생물의 변천
하였고, 포유류는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 조류(새무리)는 중생대 고생대에서 삼엽충이 출현한 A기는 캄브리아기, 어류가 번성한
쥐라기에 출현하였다. 따라서 A는 어류, B는 조류(새무리), C는 D기는 데본기, 양치식물이 번성한 E기는 대규모 석탄층이 형성
파충류, D는 포유류이다. 된 석탄기이다.
ㄱ. 포유류는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 출현하였다. 따라서 포유류 ㄱ. B기는 고생대 두 번째 기인 오르도비스기이다.
는 D이다. ㄴ. C기(실루리아기)에는 대기에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어 성층권
ㄴ. 파충류는 석탄기에 출현하였는데, 석탄기는 고생대에 해당한다. 에 오존층이 형성되어 있던 시기이다. 대기 중 이산화 탄소의 분
ㄷ. 어류가 출현한 시기에 필석류가 번성하였으나, 필석류는 바다 압이 산소보다 높았던 시기는 지구가 형성된 이후부터 현재로부
에서 서식하였다. 터 약 15억 년 전까지이다.
ㄷ. 고생대에 출현한 많은 생물들은 F기 말(페름기 말)에 멸종하

10 신생대 생물 였으나, 모든 생물이 멸종한 것은 아니다.

석재에서 발견된 화석의 모양을 보면 단면이 원형이고 여러 차례


감겨 있으며, 격벽에 의하여 수많은 방으로 나뉘어져 있다. 유공 13 고생대의 표준 화석
충에 속하고 볼록렌즈 모양의 두꺼운 동전처럼 생겼으며, 크기는 (가) 지점의 석회암에서 방추충 화석이 산출되는 것으로 보아 (가)
보통 작은 동전 정도이며 큰 것은 직경이 수 cm인 것으로 보아 지점의 석회암은 고생대 후기에 바다에서 퇴적되었으며, (나) 지
이 화석은 화폐석이다. 점의 셰일에서 필석류 화석이 산출되는 것으로 보아 (나) 지점의
ㄱ. 석재가 흰색을 띠는 퇴적암이며 주요 구성 성분은 CaCO£인 셰일은 고생대 전기에 바다에서 퇴적되었다.
것으로 보아 이 석재는 석회암이다. ㄱ. 필석류는 바다에 서식했으므로 (나)의 셰일은 해성층이다.
ㄴ. 화폐석은 신생대에 생존했다. ㄴ. 고생대 초기부터 바다에는 산호가 생존하고 있다. 따라서 방
ㄷ. 화폐석은 신생대에 생존했고, 판게아는 고생대 말~중생대 추충이 산출되는 석회암에서 산호 화석이 발견될 수 있다.
초에 존재하였다. ㄷ. 방추충이 산출되는 (가)의 석회암과 필석류가 산출되는 (나)의
셰일 모두 고생대에 퇴적되었다.

11 고생대의 생물 진화
이 고생물은 어류가 육상 사지동물인 양서류로 진화하는 경계선 14 방사성 동위 원소의 반감기
에 있는 중간형 생물이다. 이 고생물은 어류보다는 나중에, 양서 ③ 반감기가 1번 지난 후에 방사성 동위 원소 A의 함량은 50`%

류보다는 먼저 출현하였으며 이 고생물의 화석이 사행천에서 생 이고 자원소 B의 함량도 50`%이다. 반감기가 2번 지난 후에 방

성된 퇴적암에서 산출된 것으로 보아 이 고생물은 담수 환경에서 사성 동위 원소 A의 함량은 25`%이고 자원소 B의 함량은 75`%

서식하였다. 이 고생물의 이름은 ‘틱타알릭’이다. 이다. 이와 같이 방사성 동위 원소 A의 함량이 감소한 만큼 자원


소 B의 함량은 증가한다. 따라서 시간에 따른 방사성 동위 원소
A와 자원소 B의 함량 변화 그래프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③이다.

시간 방사성 동위 원소 자원소 B의
(T: 반감기) A의 함량(%) 함량(%)
0 100 0
틱타알릭의 화석
T 50 50
ㄱ. 이 고생물은 사행천과 같은 담수 환경에서 서식한 담수 동물 2T 25 75
이다. 3T 12.5 87.5
ㄴ. 이 고생물은 어류보다는 나중에, 양서류보다 먼저 출현하였 4T 6.25 93.75
다. 그런데 어류와 양서류 모두 고생대에 출현하였으므로 이 고생 5T 3.125 96.875

22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22 2021-01-07 오후 1:57:32


베리아 고기압은 고기압권 내의 기온이 주위보다 낮다.
05 대기의 변화 ㄷ. A와 C는 기압이 1000`hPa보다 높고, B는 기압이 400`hPa
보다 높고 600`hPa보다 낮다. D는 기압이 400`hPa보다 낮다.

2점 수능 테스트 본문 85~89쪽 04 온대 저기압의 특성


온대 저기압은 찬 기단과 따뜻한 기단이 만나는 중위도의 정체 전
01 ③ 02 ⑤ 03 ③ 04 ⑤ 05 ① 06 ④ 07 ④
선상의 파동으로부터 발생하며, 북반구에서는 찬 공기가 남하하
08 ② 09 ① 10 ③ 11 ③ 12 ② 13 ③ 14 ③
는 남서쪽으로 한랭 전선을, 따뜻한 공기가 북상하는 남동쪽으로
15 ① 16 ② 17 ③ 18 ① 19 ⑤ 20 ④
온난 전선을 동반한다.
철수: 온대 저기압은 전선을 동반하고, 열대 저기압(태풍)은 전선
01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기단 을 동반하지 않는다.
[이중환의 「택리지」 ], [김종서의 「고려사」 ], [강희맹의 「금양잡록」 ] 영희: 중위도에서 잘 발생하는 온대 저기압은 주로 편서풍의 영향
에서 식물을 마르게 하고, 초목이 말라죽고, 바람이 산을 넘어가 을 받지만 위도가 낮은 곳에서 잘 발생하는 열대 저기압은 무역풍
면 고온 건조해지는 현상은 오호츠크해 기단이 우리나라에 영향 과 편서풍의 영향을 받는다. 두 저기압 모두 편서풍의 영향을 받
을 줄 때 발생하는 높새바람 때문이다. 을 때 주로 동쪽으로 이동한다.
ㄱ.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기단 중 대륙성 기단은 양쯔강 기단 영수: 온대 저기압에서의 폐색 전선은 이동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
과 시베리아 기단이고, 해양성 기단은 오호츠크해 기단과 북태평 른 한랭 전선이 이동 속도가 느린 온난 전선을 따라잡아 두 전선
양 기단이다. 이 겹쳐질 때 형성된다.
ㄴ. 오호츠크해 기단은 늦봄에서 초여름까지 영향을 주는 기단이
다. 겨울철에 영향을 주는 기단은 시베리아 기단이다. 05 온대 저기압의 변화 과정
ㄷ. 초여름에 장마 전선을 형성하는 기단은 오호츠크해 기단과 북 온대 저기압의 변화 과정은 다음과 같다.
태평양 기단이다.
남쪽의 따뜻한 기단과 북쪽의 찬 기단 사이에
❶ 정체 전선 형성
02 여름철 일기도와 겨울철 일기도
정체 전선이 형성된다.
파동이 형성되면서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이 분
(가)는 서고동저형 기압 배치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겨울철 일 ❷ 파동 형성
리된다.
기도이고, (나)는 남고북저형 기압 배치와 함께 장마 전선이 나타 온난 전선과 한랭 전선이 발달하면서 중심부에
❸ 온대 저기압 발달
나는 것으로 보아 여름철 일기도이다. 저기압이 형성된다.
ㄱ. 겨울철 일기도의 기압 배치는 서고동저형으로 나타나는 것이 •이동 속도가 빠른 한랭 전선이 온난 전선 쪽으
특징이며, 우리나라에서 등압선이 대체로 경도와 나란하고 좁게 ❹ ‌폐색 전선의 형성 로 이동하여 폐색 전선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및 발달 •폐색 전선의 양쪽에 찬 공기가 위치하게 되면
형성된다.
온대 저기압의 세기는 점차 약해진다.
ㄴ. 우리나라는 겨울철에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으로 북풍 계열의
따뜻한 공기는 위로 올라가고, 찬 공기는 아래
바람이 우세하다. ❺ 온대 저기압 소멸
에 위치하여 온대 저기압이 소멸된다.
ㄷ. (나)는 장마 전선이 형성된 여름철 일기도이다.
(가)는 온대 저기압 발달 단계, (나)는 폐색 전선 발달 단계, (다)
03 온난 고기압과 한랭 고기압 는 정체 전선 형성 단계이다.
고기압권 내의 기온이 주위보다 높은 고기압을 온난 고기압, 고기 ㄱ. B 지역은 따뜻한 공기의 영향을 받고 비교적 맑은 날씨로 구
압권 내의 기온이 주위보다 낮은 고기압을 한랭 고기압이라고 한 름의 양은 많지 않다.
다. 온난 고기압은 ‘키 큰 고기압’, 한랭 고기압은 ‘키 작은 고기압’ ㄴ. A 지역은 북풍 계열의 북서풍이 불고, B 지역은 남풍 계열의
이라고도 불린다. 우리나라 여름철에 영향을 미치는 북태평양 고 남서풍이 분다.
기압은 온난 고기압에 해당하고, 겨울철에 영향을 미치는 시베리 ㄷ. 온대 저기압의 변화 과정 순서는 (다) → (가) → (나)이다.
아 고기압은 한랭 고기압에 해당한다.
ㄱ. (가)는 ‘키 큰 고기압’에 해당하는 북태평양 고기압이다. 북태 06 위성 영상 해석
평양 고기압은 여름철에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다. 가시 영상은 구름과 지표면에서 반사되는 태양빛의 반사 강도를
ㄴ. (나)는 ‘키 작은 고기압’에 해당하는 시베리아 고기압이다. 시 나타내는 것으로, 반사도가 큰 부분은 밝게 나타나고 반사도가 작

정답과 해설 23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23 2021-01-07 오후 1:57:32


정답과 해설

은 부분은 어둡게 나타난다. 구름이 두꺼울수록 햇빛을 많이 반사 이동하며, 열대 저기압은 전선을 동반하지 않고 풍속이 온대 저기
하므로 층운형 구름보다 적운형 구름이 더 밝게 보인다. 적외 영 압보다 매우 크다.
상은 물체가 온도에 따라 방출하는 적외선 에너지양의 차이를 이 ㄱ. A는 열대 저기압이기 때문에 전선을 동반하지 않으므로 폐색
용하는 것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어둡게 나타나고 온도가 낮을수 전선을 형성할 수 없다.
록 밝게 나타난다. ㄴ. 온대 저기압에 비하여 열대 저기압은 최대 풍속이 크다. 일기
ㄱ. (가)는 가시 영상이므로 낮에 촬영이 가능하고, (나)는 적외 영 도에서도 B의 중심 기압은 1000`hPa에 가깝고 A의 중심 기압
상이므로 낮과 밤 모두 촬영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와 (나) 모두 은 984`hPa에 가깝다. 또한 A는 B보다 등압선이 조밀하기 때문
낮에 촬영한 것이다. 에 풍속이 크다.
ㄴ. 적외 영상에서 비교적 어두운 부분은 온도가 높은 구름을 뜻 ㄷ. A는 수증기의 잠열이 주요 에너지원이며, B는 찬 공기와 따뜻
하기 때문에 하층운이다. 따라서 A와 B는 구름의 고도가 높지 않 한 공기가 만나서 생성되는 위치 에너지가 주요 에너지원이다.
으므로 상층운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ㄷ. 가시 영상에서는 흰색에 가까울수록 구름이 두꺼울 가능성이
높고, 적외 영상에서는 흰색에 가까울수록 온도가 낮다는 의미이 10 태풍의 이동과 태풍 통과 시 일기 변화
고 이는 구름 최상부의 고도가 높은 구름을 나타낸다. 즉, 가시 영 태풍은 발생 초기에는 무역풍과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상과 적외 영상 모두 흰색으로 나타나는 C가 적란운에 가장 가까 대체로 북서쪽으로 진행하다가 북위 25ù~30ù 부근에서는 편서
운 구름이다. 풍의 영향으로 진로를 바꾸어 북동쪽으로 진행하는 포물선 궤도
를 그린다.
ㄱ. 12일에 태풍은 북위 30ù~40ù 부근에 위치하므로 편서풍의
07 온대 저기압 통과 시 날씨 변화 영향으로 북동쪽으로 진행하고 있다.
온난 전선이 통과하면 기온이 상승하고 바람의 방향이 동풍 계열
ㄴ. 강한 저기압인 태풍이 해상에 위치하면 주변보다 해수를 누르
에서 서풍 계열로 바뀌며, 한랭 전선이 통과하면 기온이 하강하고
는 압력이 약하므로 해수면이 주변보다 높아진다. 또한 강한 바람
바람의 방향은 남풍 계열에서 북풍 계열로 바뀐다.
이 해수를 밀어 올려 해수가 해안에 더 쌓일 수 있다. 따라서 이
ㄱ. 3월 23일에 바람의 방향이 남동풍에서 남서풍으로 바뀐 것은
태풍은 12일 밤 A 지역 해수면의 높이가 11일 밤보다 높아지는
온난 전선이 통과했기 때문이다.
데 영향을 주었다.
ㄴ. 3월 23일과 3월 24일 낮 동안의 기온을 비교해 보면 23일 낮
ㄷ. 북반구에서 태풍 이동 경로의 오른쪽(위험 반원)에 위치하면
에는 따뜻한 공기의 영향을 받았고, 24일 낮에는 차가운 공기의
태풍 통과 시 풍향이 시계 방향으로 변하고, 태풍 이동 경로의 왼
영향을 받았다.
쪽(안전 반원)에 위치하면 태풍 통과 시 풍향이 시계 반대 방향으
ㄷ. 3월 23일부터 3월 24일까지 풍향은 남동풍 → 남서풍 → 북
로 변한다. A 지역은 태풍 이동 경로의 오른쪽(위험 반원)에 위치
서풍으로 변한 것으로 보아 이 지역의 풍향은 시계 방향으로 변했
하므로 풍향이 시계 방향으로 변했다.
음을 알 수 있다.

08 온대 저기압의 특성과 이동 11 태풍의 이동 경로


온대 저기압은 편서풍의 영향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며, 태풍은 발생 초기에는 무역풍과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중위도 지방의 날씨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가)는 온대 저기압 대체로 북서쪽으로 진행하다가 북위 25ù~30ù 부근에서는 편서
의 발달 단계이고, (나)는 폐색 전선의 발달 단계이다. 풍의 영향을 받아 진로를 바꾸어 북동쪽으로 진행하는 포물선 궤
ㄱ. 대체로 폐색 전선 형성 및 발달 단계에서 구름은 최대로 발달 도를 그린다.
하기 때문에 (가)는 온대 저기압 발달 단계이고, (나)는 폐색 전선 ㄱ. A 기간 동안은 태풍의 발생 초기이므로 무역풍의 영향과 북
발달 단계이다. 따라서 (가)는 (나)의 하루 전 영상이다. 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북서쪽으로 이동한다.
ㄴ. (나)는 폐색 전선의 발달 단계이므로 폐색 전선이 나타난다. ㄴ. 태풍 진행 방향의 오른쪽 지역이 위험 반원이므로 A와 B 기
ㄷ. 온대 저기압의 주요 에너지원은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만 간 모두 오른쪽 지역이 위험 반원이다.
나는 전선에서의 기단의 위치 에너지이다. ㄷ. 태풍이 진로를 바꾸는 위치를 전향점이라고 하는데, 전향점을
지난 후에는 태풍의 진행 방향과 편서풍의 방향이 일치하여 이동
09 온대 저기압과 열대 저기압 속력이 대체로 빨라진다. 따라서 전향점 부근에서 태풍의 평균 이
온대 저기압은 전선을 동반하고 편서풍의 영향을 받아 동쪽으로 동 속력은 태풍의 전체 평균 이동 속력보다 느리다.

24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24 2021-01-07 오후 1:57:32


12 안전 반원과 위험 반원의 풍향 변화 수 있다.

높이
태풍 주변에서는 공기가 저기압성 회전을 하면서 바람이 불게 되
므로, 북반구에서는 기압이 낮은 중심부를 향해서 시계 반대 방향 (km)
10
으로 바람이 불어 들어간다. 따라서 태풍 이동 경로의 오른쪽(위
험 반원)에 위치하면 태풍 통과 시 풍향이 시계 방향으로 변하고, 5 0`ùC 0`ùC 0`ùC

태풍 이동 경로의 왼쪽(안전 반원)에 위치하면 태풍 통과 시 풍향 강한 비 약한 비


0
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변한다. 적운 단계 성숙 단계 소멸 단계
ㄱ. ㉠ 관측소는 두 태풍의 이동 경로의 왼쪽(안전 반원)에 위치
ㄱ. 뇌우는 강한 상승 기류에 의해 적란운이 발달하면서 천둥, 번
한다.
개와 함께 소나기가 내리는 현상이다.
ㄴ. 태풍 A의 영향을 받는 동안 ㉠, ㉡ 관측소 모두 태풍 이동 경
ㄴ. (가), (나), (다) 중 마지막 단계는 (가)이다. (가) 단계는 소멸
로의 왼쪽(안전 반원)에 위치하므로 풍향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변
단계로 전체적으로 약한 하강 기류만 남게 되어 구름이 사라지면
한다.
서 뇌우가 소멸된다.
ㄷ. 태풍 A, B는 남해안을 통과하거나 스쳐가기 때문에 남해안은 서
ㄷ. 소나기, 번개 등의 피해가 가장 큰 단계는 (나)이다. (나)는 성
해안보다 폭풍 해일에 의한 피해가 더 크게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
숙 단계로 상승 기류와 하강 기류가 함께 나타나며 강한 돌풍과
함께 천둥, 번개, 소나기, 우박 등의 현상이 동반된다.
13 태풍의 중심 기압과 최대 풍속
대체로 태풍의 중심 기압이 낮을수록 태풍의 세력이 강하고, 중심
부근의 최대 풍속이 대체로 크다. 16 여러 가지 주요 기상 현상
ㄱ. 태풍의 주요 에너지원은 수증기가 응결하면서 방출하는 잠열 악기상은 일상생활에 큰 불편함과 위험을 동반하는 기상 현상을
이다. 말하며,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주요 악기상에는 뇌우, 호우, 폭
ㄴ. A는 시간이 지날수록 값이 작아지다가 커지고, B는 시간이 설, 강풍, 우박, 황사 등이 있다.
지날수록 값이 커지다가 작아진다. 따라서 A는 중심 기압이고, B A. 얼음의 결정 주위에 0`¾ 이하의 차가운 물방울이 얼어붙어
는 최대 풍속이다. 땅 위로 떨어지는 얼음덩어리를 우박이라고 하며, 주로 적란운에
ㄷ. (가)에서 태풍의 중심 기압이 가장 낮을 때는 약 980`hPa이 서 강한 상승 기류를 타고 발생한다. 우박은 한여름에는 거의 발
며, 이때 태풍의 최대 풍속은 약 30`m/s이다. (나)에서 태풍의 중 생하지 않으며, 적란운 내에서 강한 상승 기류를 타고 상승과 하
심 기압이 가장 낮을 때는 약 920`hPa이며, 이때 태풍의 최대 풍 강을 반복하며 성장한다.
속은 약 55`m/s이다. 따라서 대체로 태풍의 중심 기압이 낮을수 B. 강풍은 10분 동안의 평균 풍속이 14`m/s 이상인 바람을 말하
록 최대 풍속은 크다. 며, 겨울철에 발달한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을 받을 때나 여름철에
태풍의 영향을 받을 때 주로 발생한다.
C. 폭설은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눈이 내리는 현상으로, 겨울철
14 열대 저기압의 발생 지역별 연평균 발생 수
에 발달한 저기압이 통과할 때나 시베리아 기단의 찬 공기가 남하
열대 저기압은 위도 5ù~25ù의 열대 해상에서 주로 발생한다. 적
하는 동안 황해상에서 변질되어 기층이 불안정해져 상승 기류가
도 부근 해역에서는 전향력이 약해 열대 저기압이 회전하는 데 필
발달할 때 잘 발생한다. 폭설이 내리면 교통의 마비, 교통사고, 시
요한 힘을 얻지 못하므로 형성되기 어렵다. 또한 열대 저기압은
설물 붕괴 등 인명과 재산에 많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남반구 해역보다 북반구 해역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ㄱ. 무역풍의 영향으로 표층 수온이 높은 서태평양이 동태평양보
다 열대 저기압의 발생 빈도가 높다. 17 우박의 월별 및 일별 발생 시간
ㄴ. 적도 부근 해역에서는 전향력이 약해 열대 저기압이 회전하는 (가)에서 우박은 3월, 4월, 5월, 11월, 12월에 집중되어 나타나
데 필요한 힘을 얻지 못하므로 형성되기 어렵다. 고, (나)에서 우박의 발생 빈도가 높은 시간대는 12시~14시, 16
ㄷ. 위도 30ù 이상인 해역에서는 표층 수온이 낮아서 수증기 공급 시~18시, 18시~20시이다.
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열대 저기압이 발생하기 어렵다. ㄱ. 날씨가 더운 한여름에는 우박이 떨어지는 동안에 녹아 비가
되므로 여름철보다 봄철에 발생할 확률이 높다.
15 뇌우의 특징 ㄴ. (나)에서 16시~18시에 우박이 발생한 빈도가 가장 높다. 이
뇌우의 발달 과정은 적운 단계 → 성숙 단계 → 소멸 단계로 나뉠 는 오후 시간대에는 국지적인 가열로 인해 대기가 불안정해지는

정답과 해설 25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25 2021-01-07 오후 1:57:33


정답과 해설

3점 수능 테스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본문 90~99쪽
ㄷ. 새벽에는 대기가 안정하고 낮에는 지표 가열에 의해 대기가
불안정하다. 우박이 발생하려면 강한 상승 기류가 형성되어야 하 01 ② 02 ① 03 ② 04 ② 05 ① 06 ④ 07 ⑤
는데, 이러한 강한 상승 기류는 대기가 불안정할 때 잘 발달한다. 08 ② 09 ① 10 ④ 11 ⑤ 12 ⑤ 13 ③ 14 ⑤
15 ② 16 ④ 17 ③ 18 ③ 19 ④ 20 ③
18 폭설과 위성 영상
폭설이 내린 다음 날 위성으로 촬영한 가시 영상에서 A, B, C 지
역의 색깔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쌓여 있는 눈의 양이다.
01 고기압과 저기압
고기압은 주변보다 기압이 높은 곳이고, 저기압은 주변보다 기압
ㄱ. 폭설은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눈이 내리는 현상이다.
이 낮은 곳이다. 고기압이 형성된 곳은 하강 기류가 발달하고, 대
ㄴ. 눈은 반사도(알베도)가 높아서 빛을 많이 반사하기 때문에 눈
체로 날씨가 맑으며, 북반구에서는 바람이 시계 방향으로 불어 나
이 많이 쌓여 있는 곳일수록 반사도가 높아 밝게 나타나며, 눈이
간다. 저기압이 형성된 곳은 상승 기류가 발달하고, 대체로 구름
적게 쌓여 있는 곳일수록 반사도가 낮아 어둡게 나타난다. A, B,
이 형성되어 날씨가 흐리며, 북반구에서는 바람이 시계 반대 방향
C 중 눈이 가장 많이 쌓여 있는 곳은 가장 밝은 A이다.
으로 불어 들어간다.
ㄷ. 가시 영상은 밤에 촬영이 불가능하다. 이 영상은 가시 영상으
ㄱ. A와 D에서는 바람이 불어 나가고 있으므로 고기압에 해당하
로, 낮에 촬영한 것이다.
고, B와 C에서는 바람이 불어 들어가고 있으므로 저기압에 해당
한다.
19 강풍과 집중 호우 ㄴ. 남반구에서는 고기압 중심에서 바람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불
시간과 공간 규모에 제한 없이 많은 비가 연속적으로 내리는 현상
어 나가고, 저기압 중심으로 바람이 시계 방향으로 불어 들어간다.
을 호우라고 한다. 집중 호우(국지성 호우)는 단시간 내에 많은 양
ㄷ. 하강 기류가 발달할 가능성이 높은 곳은 고기압이므로 A와 D
의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는 현상을 말하며, 한 시간에 30`mm 이
가 이에 해당한다.
상이나 하루에 80`mm 이상의 비가 내릴 때, 또는 연 강수량의
10`% 정도의 비가 하루에 내리는 것을 말한다.
ㄱ. (가)는 강풍으로 겨울철에 발달한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을 받 02 온대 저기압
을 때나 여름철에 태풍의 영향을 받을 때 주로 발생한다.
구분 한랭 전선 온난 전선
ㄴ. 주로 강한 상승 기류에 의해 형성된 적란운이 한곳에 정체하
전선면의 기울기 급하다. 완만하다.
여 계속 비가 내릴 때 집중 호우가 된다.
구름과 강수 형태 적운형, 소나기 층운형, 지속적인 비
ㄷ. 강풍은 가로수 등의 나무나 여러 가지 시설물을 파손시키고,
전선 후면의 전선 전면의
바다에서는 높은 파도를 일으켜 선박 사고나 해안 양식장에 피해 구름과 강수 구역
좁은 구역 넓은 구역
를 입힐 수 있다. 집중 호우는 홍수, 산사태 등을 일으킬 수 있어 전선의 이동 속도 빠르다. 느리다.
서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통과 기온 하강 상승
전후의 기압 상승 하강

20 황사 변화 바람(북반구) 남서풍 → 북서풍 남동풍 → 남서풍


황사는 발원지에서 강한 바람이 불어 상공으로 올라간 다량의 모
ㄱ. 이 기간 동안 온대 저기압은 편서풍의 영향을 받아 서쪽에서
래 먼지가 상층의 편서풍을 타고 멀리까지 날아가 서서히 내려오
동쪽으로 이동하였다.
는 현상으로, 발원지의 지표면의 토양이 건조하고, 토양의 구성
ㄴ. A 지역에 소나기가 내릴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은 A 지역이
입자는 미세할수록 잘 발생한다.
한랭 전선의 후면에 위치한 (다)이다.
ㄱ. (가)에서 월별 황사 관측 일수가 평균적으로 높은 시기는 봄철
ㄷ. 한랭 전선이 온난 전선보다 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라 두 전선
이다. 황사는 건조한 겨울철이 지나고 얼었던 토양이 녹기 시작하
이 겹쳐지면서 폐색 전선을 형성한다.
는 봄철에 주로 발생한다.
ㄴ. 황사는 상공의 강한 편서풍을 타고 우리나라와 일본을 지나
태평양, 북아메리카 대륙까지 날아가기도 한다. 03 일기도와 기단
ㄷ. 황사는 강수에 의해 씻겨 내려가기 때문에 강수량이 많은 계 우리나라는 북반구 중위도에서 대륙과 해양의 경계에 위치하여
절(여름철)에는 잘 발생하지 않는다. 계절에 따라 영향을 받는 기단의 종류가 달라진다.

26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indd 26 2021-01-12 오전 10:14:17


시베리아 고위도 오호츠크해 시베리아 한랭 건조 ㄷ. 그림 (나)에서 장마 전선 부근의 북쪽은 동풍 계열의 바람이
기단 (한랭) 기단
기단 (겨울) 우세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양쯔강 온난 건조

06 온대 저기압
대륙 해양 기단 (봄, 가을)
(건조) (다습)
오호츠크해 한랭 다습
기단 (초여름)
온대 저기압은 대체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한다. 온난 전선의
양쯔강
저위도 북태평양
기단
(온난) 기단 북태평양 고온 다습
전면에는 층운형 구름이 형성되어 약한 비가 내리고, 온난 전선이
기단 (여름) 통과한 후에는 기온이 상승하고 날씨가 맑아진다. 한랭 전선의 후
우리나라 주변의 기단
면에는 적운형 구름이 형성되어 소나기가 내리고, 기온은 하강한다.
ㄱ. (가) 일기도에서 시베리아 쪽에 강한 고기압이 발달하였기 때
ㄱ. 온대 저기압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므로 3시간 간격
문에 겨울철 일기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의 일기도를 순서대로 배열하면 (가) → (다) → (나)이다. 따라서
ㄴ. A는 주변보다 기압이 높기 때문에 고기압이다. A는 고기압
(가)는 (나)보다 6시간 전의 일기도이다.
의 중심부가 거의 이동하지 않고 한곳에 머무르는 정체성 고기압
ㄴ. 일기도의 등압선을 비교하면 온대 저기압이 이동할수록 온대
이다.
저기압의 중심 기압이 낮아졌으므로 온대 저기압의 세력은 강해
ㄷ. 겨울철 일기도이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
졌다.
을 많이 받는다. 시베리아 기단은 한랭 건조하므로 온도가 낮고,
ㄷ. 온대 저기압 중심보다 남쪽에 위치하는 관측소에서 온대 저기
습도가 낮은 ㉢이다.
압이 통과하는 동안 풍향 변화는 일반적으로 남동풍(㉠) → 남서
풍(㉢) → 북서풍(㉡)으로 시계 방향으로 변한다. 따라서 A 관측
04 온대 저기압 통과와 날씨 변화 소는 온대 저기압 중심보다 남쪽에 위치하므로 A 지역의 풍향은
온난 전선이 통과하면 기온이 상승하고 바람의 방향은 남동풍에 ㉠ → ㉢ → ㉡으로 변했다.
서 남서풍으로 바뀌며, 한랭 전선이 통과하면 기온이 하강하고 바
람의 방향은 남서풍에서 북서풍으로 바뀐다. 07 태풍의 이동 경로에 따른 풍향 변화
ㄱ. 어느 지역에 온대 저기압의 중심이 가장 가까이 통과할 때 그 태풍 주변에서는 공기가 저기압성 회전을 하면서 바람이 불게 되
지역의 기압이 가장 낮게 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관측 지역에 므로, 북반구에서는 기압이 낮은 중심부를 향해서 시계 반대 방향
서 온대 저기압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날짜는 5일이 으로 바람이 불어 들어간다.
아니다. ㄱ. 관측소 A에서 TÁ 시각에 관측한 풍향과 풍속이 ㉠이므로 Tª
ㄴ. 4일은 온대 저기압이 지나가면서 한랭 전선이 통과한 후이다. 시각에 관측한 풍향과 풍속은 ㉡ 또는 ㉢인데, 관측소 A는 태풍
따라서 4일에는 북풍 계열이나 서풍 계열이 우세하게 나타난다. 의 이동 경로에 대하여 왼쪽인 안전 반원에 해당하므로 풍향은 점
ㄷ. 3일 낮 12시에는 다른 날의 낮 12시보다 지표 온도가 낮은데, 차 시계 반대 방향으로 바뀐다. 또한 태풍의 중심부로 바람이 시
이는 찬 공기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이다. 계 반대 방향으로 불어 들어가므로 TÁ 시각에서는 북풍 계열의
바람이, Tª 시각에서는 남풍 계열의 바람이 분다. 따라서 관측소

05 장마 전선 A에서 관측한 바람의 변화는 ㉠ → ㉢으로 바뀐다.


장마 전선은 주로 정체 전선으로 나타나는데 북태평양의 덥고 습 ㄴ. 태풍 진행 경로의 오른쪽에 해당하는 관측소 B는 위험 반원에
한 기단과 오호츠크해의 차갑고 습한 기단이 만나거나 북태평양 속하므로 풍향은 시계 방향으로 바뀌고, 태풍 진행 경로의 왼쪽에
기단과 대륙 기단이 만날 때 장마 전선을 형성한다. 북태평양 기 해당하는 관측소 A는 안전 반원에 속하므로 풍향은 시계 반대 방
단의 세력이 약할 때는 위도가 낮은 곳으로 남하하고 북태평양 기 향으로 바뀐다.
단의 세력이 강화되면 점차 위도가 높은 곳으로 북상한다. ㄷ. 이 기간 동안 태풍은 북동쪽으로 이동하였으므로 무역풍보다
ㄱ. 장마 전선의 위치는 (가)와 (나)에서 각각 유추할 수 있다. 장 편서풍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마는 많은 비를 동반하므로 장마 전선은 12시간 누적 강수량이
가장 많은 곳인 위도 약 30ùN 부근에 위치한다. 정체 전선을 중 08 태풍의 이동 경로에 따른 풍향 변화
심으로 북쪽에는 동풍 계열의 바람이 불고 남쪽에는 남풍 계열의 태풍 주변에서는 공기가 저기압성 회전을 하면서 바람이 불게 되
바람이 분다. 므로, 북반구에서는 기압이 낮은 중심부를 향해서 시계 반대 방향
ㄴ. 장마 전선은 많은 구름과 비를 동반하는 것으로 보아 상승 기 으로 바람이 불어 들어간다. 따라서 태풍 이동 경로의 오른쪽(위
류가 우세하다. 험 반원)에 위치하면 태풍 통과 시 풍향이 시계 방향으로 변하고,

정답과 해설 27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27 2021-01-07 오후 1:57:33


정답과 해설

태풍 이동 경로의 왼쪽(안전 반원)에 위치하면 태풍 통과 시 풍향 11 태풍과 일별 누적 강수량


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변한다. 태풍은 폭우와 강풍을 동반하므로 태풍이 접근하거나 상륙하게
ㄱ. 이 기간에 태풍이 우리나라에 상륙했으므로 태풍에 공급되는 되면 홍수, 침수 및 철도, 도로, 다리 등의 유실, 산사태 등 폭우
수증기의 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지 않는다. 에 의한 피해와 간판이나 표지판, 지붕 등이 날아가는 등 강풍에
ㄴ. 관측소에서 관측한 시간별 풍향은 시계 방향으로 바뀌었기 때 의한 낙하시설물 피해가 발생한다.
문에 관측소는 태풍 이동 경로의 오른쪽(위험 반원)에 위치해야 ㄱ. 태풍의 중심 부근에 상승 기류가 강하고 비가 많이 내린다. 강
한다. 따라서 태풍의 실제 이동 경로는 a이다. 수가 집중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가)는 우리나라 전체적
ㄷ. 24일 03시에 관측소의 기압이 가장 낮았고(984.9`hPa) 다시 으로 강수량이 많고, (나)는 강원도 강릉 지역에 집중되며, (다)는
점차 증가하여 24일 15시에는 992.5`hPa을 기록하였다. 기압이 제주 지역에 집중된다. 따라서 태풍이 이동하는 시간 순서대로 나
낮아지다가 다시 높아진 것은 관측소로부터 태풍의 중심이 멀어 열하면 (다) → (가) → (나) 순이다.
진 결과이기 때문에 24일 15시 이후에 관측소와 태풍 중심까지의 ㄴ. 이 해 연평균 강우량이 1401.9`mm이고 이 기간 동안 강릉
거리가 가장 가깝지 않다. 지역의 누적 강수량은 870.5`mm 이상이므로 강릉 지역에 우리
나라 연평균 강우량의 60`% 이상의 강수가 내렸다.
09 태풍의 소멸 ㄷ. 태풍이 우리나라에 접근하고 통과하면서 태풍의 세력은 약화
태풍의 세력이 유지되거나 더 강하게 발달하려면 지속적인 에너 되고 태풍의 중심 기압은 높아진다. 따라서 태풍이 통과한 후인
지(수증기) 공급이 필요한데 태풍이 차가운 바다 위를 지나거나 (나)보다 태풍이 우리나라 제주도에 접근하는 (다)일 때 평균 중심
육지에 상륙하면 태풍에 공급되는 열과 수증기가 감소하므로 세 기압이 더 낮다.
력이 약해진다. 또한 태풍이 육지에 상륙하면 지표면과의 마찰이
증가하여 세력이 급격히 약해진다. 12 열대 저기압의 발생 지역
ㄱ. 태풍은 우리나라 제주도 부근을 지나고 남해안에 상륙하면서 태풍은 북태평양 서쪽의 위도 5ù~25ù의 열대 해상에서 주로 발
부터 세기가 약화되는데, 이는 낮은 해수면 온도와 지표면과의 마 생한다. 위도 25ù 이상인 해역에서는 표층 수온이 낮아서 발생하
찰 때문이다. (나)보다 (다)의 해면 기압이 더 낮은 것으로 보아 기 어렵고, 적도 부근 해역에서는 전향력이 약해 태풍이 회전하는
(다)의 태풍의 세기가 더 세고 평균 풍속도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데 필요한 힘을 얻지 못하므로 형성되기 어렵다. 또한 열대 저기
있다. 따라서 (다)가 (나)보다 태풍이 먼저 통과한 관측소이므로 압(태풍)은 남반구 해역보다 북반구 해역에서 더 많이 발생하며,
TÁ은 Tª보다 나중이다. 무역풍의 영향으로 표층 수온이 높은 서태평양이 동태평양보다
ㄴ. (다)에서 B는 태풍의 중심에서 가장 작고 중심 부근에서 가장 발생 빈도가 높다.
큰 것으로 보아 평균 풍속이고, A는 해면 기압이다. ㄱ. 적도 부근에서는 전향력이 약해 태풍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ㄷ. 태풍은 우리나라 부근을 지나면서 태풍에 공급되는 열과 수증 ㄴ.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 솔릭, 짜미, 콩레이의 위도와 경도
기가 감소하여 세력이 약해지며 중심 기압은 점차 높아진다. 를 보면 이 태풍들의 발생 위치는 모두 B이다.
ㄷ. 태풍은 상승하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면서 잠열을 방출
10 온대 저기압과 열대 저기압 하여 공기를 계속 가열하는 과정에서 성장하기 때문에 수증기 공
(가)는 열대 저기압(태풍)의 이동 경로이고, (나)는 온대 저기압의 급이 원활한 해양에서 태풍이 잘 형성된다.
이동 경로이다.
ㄱ. 온대 저기압은 전선을 동반하지만, 열대 저기압은 전선을 동 13 일기도와 위성 영상
반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의 저기압은 열대 저기압이므로 전선 정체 전선(장마 전선)은 찬 기단과 따뜻한 기단의 세력이 비슷하
을 동반하지 않는다. 여 전선이 거의 이동하지 않고 한곳에 오랫동안 머무르는 전선이
ㄴ. (나)는 온대 저기압으로 편서풍의 영향을 받아 서쪽에서 동쪽 다. 우리나라는 주로 여름철에 고온 다습한 북태평양 기단과 한랭
으로 이동한다. 다습한 오호츠크해 기단에 의해 장마 전선이 형성된다.
ㄷ. (가)는 열대 저기압의 이동 경로이고, A 지역은 진행 방향의 ㄱ. 우리나라의 중부 지방에 동서 방향으로 장마 전선이 형성되어
오른쪽에 위치하므로 풍향은 시계 방향으로 변한다. (나)는 온대 있으므로 (가)는 여름철의 일기도이다.
저기압의 이동 경로이고, A 지역은 온대 저기압 중심의 남쪽에 ㄴ. 북태평양 기단(A)의 세력이 상대적으로 강해지면 장마 전선
위치하므로 온대 저기압이 통과할 때 A 지역에서는 풍향이 시계 은 북상하고, 오호츠크해 기단의 세력이 상대적으로 강해지면 장
방향으로 변한다. 마 전선은 남하한다.

28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28 2021-01-07 오후 1:57:34


ㄷ. A는 북태평양 기단(고기압)이고, B는 태풍이다. 태풍은 북태 17 집중 호우와 산사태
평양 고기압의 세력이 강해지면 서쪽으로 편향되어 이동하고, 약 집중 호우를 일으키는 구름은 대부분 적운형 구름이며, 집중 호우
해지면 동쪽으로 편향되어 이동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는 자연 재해 및 인명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ㄱ. 집중 호우를 일으키는 구름은 대부분 두께가 두껍고 많은 비

14 태풍의 특징 를 내리는 적운형 구름이다.

2019년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총 7개이며 여름과 가을에 발 ㄴ. 새벽 3시경에는 가시광선으로 구름을 관측하여 영상을 얻을

생하였다. 태풍의 최저 중심 기압이 낮을수록 최대 풍속은 커진다. 수 없고 적외선으로 구름을 관측하여 영상을 얻을 수 있다.

ㄱ. 태풍은 1년 동안 꾸준히 발생되지만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ㄷ. (가)의 집중 호우는 홍수, 산사태 등을 일으킬 수 있어서 많은

태풍은 여름과 가을에 형성되는 태풍이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인명과 재산 피해를 가져온다.

태풍은 7월, 8월, 9월에 형성되었다.


ㄴ. 태풍의 발생으로부터 소멸까지의 기간과 최저 중심 기압 사이
의 관계는 비례하지 않는다.
18 다양한 기상 현상
태풍은 연중 발생하지만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시기는 주로 7월
ㄷ. 최저 중심 기압이 가장 높을 때는 990`hPa이며 이때 최대 풍
~9월이고, 드물게 6월과 10월에 북상하여 영향을 주기도 한다.
속은 24`m/s이고, 최저 중심 기압이 가장 낮을 때는 930`hPa이
•철수: (가)의 우박은 주로 연직 방향으로 높이 발달한 적란운에
며 이때 최대 풍속은 50`m/s이다. 따라서 최저 중심 기압이 낮을
서 발생한다.
수록 최대 풍속은 크다.
•영희: 태풍은 주로 여름에서 초가을까지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
치므로 (나)에서 겨울에 부는 강한 바람은 태풍일 가능성이 낮다.
15 우박 •수영: (다)의 흙이 비처럼 떨어지는 현상은 봄철에 황사 발원지
우박은 상승 기류와 하강 기류가 함께 나타나는 성숙 단계에서 주 에서 날아오는 황사를 나타낸다.
로 나타난다. A는 소멸 단계이고, B는 성숙 단계이다.
ㄱ. (가)에서 살펴보면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을 받는 여름철(6
월~8월)에 비해 봄철이나 가을철에 우박의 발생이 많다는 것을 19 악기상의 발생
알 수 있다. 날씨가 더운 여름철에는 우박이 떨어지는 동안에 녹 집중 호우와 천둥, 번개, 우박 등은 주로 연직 방향으로 높이 발달
아서 없어지므로 여름철보다 봄철이나 가을철에 발생할 확률이 한 적란운에서 발생한다.
높다. ㄱ. 집중 호우는 국지적으로 단시간에 많은 양의 강한 비가 집중
ㄴ. 뇌우의 일생은 적운 단계 → 성숙 단계 → 소멸 단계 순이다. 적으로 내리는 현상으로, 강한 상승 기류에 의해 생성되는 적란운
따라서 A(소멸 단계)가 B(성숙 단계)보다 나중에 나타난다. 에서 많이 발생한다.
ㄷ. 우박은 적란운의 강한 상승 기류가 얼음 입자들을 떠받쳐 올 ㄴ. 뇌우는 적운 단계 → 성숙 단계 → 소멸 단계를 거치면서 발생
려 상층에서 얼음 입자들이 차가운 물방울들과 서로 결합되어 점 하였다가 소멸한다. 천둥, 번개, 우박 등은 상승 기류와 하강 기류
점 커지면서 형성된다. 따라서 우박은 하강 기류만 나타나는 (나) 가 함께 나타나는 성숙 단계에서 발생한다.
의 A(소멸 단계)보다 상승 기류와 하강 기류가 함께 나타나는 ㄷ. 집중 호우와 천둥, 번개, 우박 등은 주로 강한 상승 기류가 발
B(성숙 단계)일 때 잘 나타난다. 달할 때, 즉 대기가 불안정할 때 주로 발생한다.

16 뇌우와 우박 20 황사
(가)와 (나)는 모두 강한 상승 기류에 의해 적란운이 형성될 때 잘 황사 발원지의 대기가 건조할수록, 황사 발원지에서 풍속이 빠를
나타난다. 수록 황사가 발생하기 쉽다.
ㄱ. (가)는 뇌우로, 대기가 불안정하고 적란운이 발달할 때 나타나 ㄱ. 황사는 대부분 3월~5월의 봄철에 발생하였다.
므로 한랭 전선이 통과할 때 발생할 수 있다. ㄴ. (나)에서 황사 발원지의 풍속이 빠를 때 황사 발생 일수는 대
ㄴ. (나)는 강한 상승 기류에 의해 적란운이 발달할 때 나타날 수 체로 많다.
있다. ㄷ. 황사 발원지의 상대 습도가 낮을 때 대체로 황사 발생 일수가
ㄷ. 대기가 불안정한 상태에서 강한 상승 기류에 의해 형성되는 많다. 따라서 황사 발원지의 대기가 건조할수록 황사가 발생하기
적란운에서 (가)와 (나) 현상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쉽다.

정답과 해설 29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29 2021-01-07 오후 1:57:34


정답과 해설

하이므로 (증발량-강수량)은 A 해역이 B 해역보다 크다.


06 해양의 변화 ㄴ. 표층 해수 1`kg 속에 녹아 있는 염류의 총량은 표층 염분을
의미하며, 표층 염분은 C 해역에서 가장 높다.
ㄷ. 표층 수온은 대체로 고위도로 갈수록 낮아지며, 표층 용존 산
2점 수능 테스트 본문 108~111쪽 소량은 수온이 낮을수록 많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표층 수온이 낮
은 B 해역이 표층 수온이 높은 A 해역보다 표층 용존 산소량이
01 ⑤ 02 ② 03 ④ 04 ③ 05 ③ 06 ③ 07 ②
많다.
08 ② 09 ④ 10 ⑤ 11 ① 12 ③ 13 ② 14 ①
15 ③ 16 ④
04 해양의 층상 구조
우리나라 동해에서 표층 해수의 수온은 2월이 8월보다 낮으며,

01 해양의 층상 구조 표층 해수의 염분은 강수량이 많은 8월이 2월보다 낮다.


혼합층의 두께(깊이)는 저위도 지방보다 중위도 지방에서 두껍다 ㄱ. (가) 그래프에서 표층부터 수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혼합층
(깊다). 우리나라에서 혼합층의 두께는 8월보다 바람이 강한 2월 의 두께를 살펴보면, 8월보다 2월에 더 두껍게 발달함을 알 수
에 더 두껍다. 있다.
ㄱ. 표층 수온이 낮고 혼합층이 더 두꺼운 A가 2월에 측정한 수 ㄴ. 해수의 밀도는 수온이 낮을수록, 염분이 높을수록 커진다. 그
온 자료이다. 러므로 표층 해수의 밀도는 8월보다 2월에 크다.
ㄴ. 혼합층의 두께는 바람이 강할수록 두껍다. 따라서 바람의 평균 ㄷ. 2월과 8월 모두 수심 100~400`m 구간에서 염분은 거의 일
풍속은 B일 때보다 혼합층의 두께가 더 두꺼운 A일 때가 빠르다. 정하게 유지되지만, 수온은 깊이가 깊어질수록 조금씩 낮아지고
ㄷ. 수심 400`m보다 깊은 곳은 심해층으로, 수온이 낮고 태양 복 있다. 따라서 2월과 8월에 모두 수심 100~400`m 구간에서 밀
사 에너지가 거의 도달하지 않으므로 계절이나 깊이에 따라 수온 도는 깊이가 깊어질수록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은 아니다.
의 변화가 거의 없다.
05 표층 염분
표층 염분은 대체로 (증발량-강수량)이 클수록 높다. 또한, 육지
02 북태평양의 표층 수온 분포 에서 담수가 흘러들어오는 연안은 대양의 중심부보다 표층 염분
전 세계 해양의 표층 수온 분포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영향을 가
이 낮다.
장 크게 받는다. 따라서 등수온선은 대체로 위도에 나란하다. 그
ㄱ. 저염분수는 주로 연안에서 육지로부터 흘러들어오는 담수로
러나 대륙과 해양의 분포와 해류의 영향 등으로 등수온선이 위도
인해 염분 농도가 낮아져서 생성된다.
에 나란하지 않은 해역도 나타난다.
ㄴ. 바람과 해류는 저염분수의 이동 경로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
ㄱ. 표층 수온 분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태양 복사 에
림의 염분 분포도를 보면 양쯔강 연안에서 발생한 저염분수의 일
너지이다. 고위도로 갈수록 단위 면적당 받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
부가 우리나라 남해로 이동하고 있다.
은 적어지므로 해수의 표층 수온은 고위도로 갈수록 대체로 낮아
ㄷ. 해수의 밀도는 수온이 낮을수록, 염분이 높을수록 크다. 염분
지고, 저위도로 갈수록 대체로 높아진다.
분포도에서 ⓐ 해역의 표층 해수는 주변보다 온도는 높고 염분은
ㄴ. 해수의 표층 수온은 태양 복사 에너지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
낮은 저염분수이므로, 주변 해수보다 밀도가 작다.
기 때문에, 아열대 해양에서 등수온선은 대체로 위도에 나란하다.
ㄷ. 표층 용존 산소량은 수온이 낮을수록 많다. A 해역은 수온이
약 24`¾이고, B 해역은 수온이 약 18`¾이므로 표층 용존 산소
06 계절에 따른 연직 염분 분포 변화
우리나라 동해에서 표층 해수의 염분은 강수량이 많은 8월이 2월
량은 B 해역이 A 해역보다 많다.
보다 낮다.
ㄱ. 우리나라는 여름철(8월)에 강수량이 집중되어 우리나라 동해
03 북반구 해양의 표층 염분 분포 에서는 여름철(8월)에 표층 염분이 낮아진다. (가)일 때 표층 해수
증발량이 강수량보다 많은 중위도 고압대의 해양에서는 표층 염 의 염분은 약 34.1~34.2`psu이고, (나)일 때 표층 해수의 염분
분이 높다. 은 약 31.2~32.4`psu로 표층 염분은 (나)보다 (가)일 때가 높다.
ㄱ. 표층 염분은 대체로 (증발량-강수량) 값이 커질수록 높아진 따라서 (가)는 2월의 염분 분포이다.
다. 표층 염분은 A 해역에서 35`psu 이상, B 해역에서 33`psu 이 ㄴ. 그림 (가)에서 수심이 약 65`m 변하는 동안 염분은 약 34.2~

30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30 2021-01-07 오후 1:57:34


34`psu만큼 변하였고, (나)에서 동일한 수심의 변화에 대하여 염 의해 지표 부근에서 부는 바람은 극동풍(동풍 계열)과 편서풍(서
분은 약 31.2~34.2`psu만큼 변하였다. 따라서 수심에 따른 염 풍 계열) 중 하나이다. 따라서 A와 B에 의해 지표 부근에 모두
분 변화는 대체로 (가)보다 (나)에서 크다. 동풍 계열의 바람이 부는 것은 아니다.
ㄷ. 해수의 밀도는 수온이 낮을수록, 염분이 높을수록 크다. 표층 ㄴ. 극순환은 열적 순환에 해당하고, 페렐 순환은 해들리 순환과
해수의 수온은 (나)보다 (가)에서 낮다. 표층 해수의 염분은 (가)에 극순환 사이에서 형성된 역학적 순환에 해당하기 때문에 ‘열적
서 약 34.1~34.2`psu이고, (나)에서 약 31.2~32.4`psu이므로 순환에 해당하는가?’는 A와 B를 구분하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나)보다 (가)에서 높다. 따라서 표층 해수의 밀도는 8월인 (나)보 있다.
다 2월인 (가)에서 크다. ㄷ. 북반구에서 해들리 순환(C)은 지표 부근에 북동 무역풍을 형
성하여 남반구에서의 남동 무역풍과 함께 적도 지방에 열대 수렴
07 수온 염분도 해석 대를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수온 염분도는 해수의 수온, 염분, 밀도를 한 그래프 안에 표시한
것으로, 수온 염분도를 이용하면 해수의 밀도를 알아낼 수 있다. 10 표층 해류의 역할
해수의 밀도는 수온이 낮을수록, 염분이 높을수록 커진다. 표층 해류는 저위도의 에너지를 고위도로 수송하는 역할을 하며,
ㄱ. 수온 염분도에서 수온은 위로 갈수록 높아지므로 가장 위에 전 세계의 기후와 해양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위치한 C가 수온이 가장 높다. ㄱ. ⓐ 해류는 멕시코 만류와 북대서양 해류가 연결되어 있는 해
ㄴ. 수온 염분도에서 염분은 오른쪽으로 갈수록 높아지고 왼쪽으 류로,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흐르기 때문에 난류에 해당한다.
로 갈수록 낮아지므로, 같은 세로줄에 위치한 B와 C는 염분이 같 ㄴ. ㉠은 표층 해류의 역할을 나타내는 것으로, ‘저위도의 에너지
다. 수온 염분도에서 수온은 아래로 갈수록 낮아지므로, B는 C보 를 고위도로 수송하는’은 ㉠에 해당한다.
다 수온이 낮다. B는 C와 염분은 같지만 C보다 수온이 낮아 밀도 ㄷ. 난류가 흐르는 지역은 따뜻한 난류의 영향을 받아 겨울철 평
가 더 크다. 따라서 B와 C의 밀도 차는 염분보다 수온의 영향이 균 기온이 동일 위도의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편이다. 비슷한 위
더 크다. 도에 있는 영국의 런던과 캐나다 퀘벡의 1월 평균 기온을 비교해
ㄷ. 같은 질량의 A와 B를 섞으면 수온과 염분이 중간값을 가지게 보면, 난류인 ⓐ 해류가 열을 공급하여 유럽의 서쪽 지역을 온난
되므로 A와 B를 섞은 해수의 밀도는 1.0275`g/cmÜ`보다 크다. 하게 하기 때문에 런던이 퀘벡보다 1월 평균 기온이 높다.

08 해수의 용존 기체량 11 대기 대순환에 의한 바람과 표층 해류


이산화 탄소는 산소보다 기체의 용해도가 크므로 용존 이산화 탄 표층 해류는 바람에 의해 형성되므로 표층 해류의 방향은 대기 대
소량은 용존 산소량보다 전체적으로 많다. 용존 산소량은 광합성 순환의 영향을 받는다. 아열대 순환은 북태평양에서는 시계 방향
과 대기로부터의 산소 공급으로 인해 표층에서 가장 많다. 용존 으로, 남태평양에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나타난다.
이산화 탄소량은 광합성 때문에 표층에서는 적고, 수심이 깊어질 ① ⓐ는 대기 대순환의 해들리 순환에 의해 0ù~30ùN 사이의 지
수록 증가한다. 표 부근에서 부는 북동 무역풍이다. 북적도 해류는 0ù~30ùN 사
ㄱ. A는 표층에서 농도가 가장 높으므로 산소이고, B는 수심이 이의 해역에서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해류로 북동 무역풍에
깊어질수록 농도가 증가하므로 이산화 탄소이다. 표층에서의 농 의한 영향으로 형성되었다.
도는 A가 B보다 낮다. ② 용존 산소량은 수온이 낮을수록 많다. A와 B 해역은 동일한
ㄴ. 용존 산소(A)의 농도가 P 구간에서 깊이가 깊어질수록 높아 위도에 위치하고, A 해역에서는 난류가 흐르고 B 해역에서는 한
지는 까닭은 고위도 지방에서 침강한 찬 해수 때문이다. 류가 흐르므로, 표층 용존 산소량은 A 해역이 B 해역보다 적다.
ㄷ. 용존 이산화 탄소(B)의 농도가 표층에서 낮게 나타나는 주된 ③ 페루 해류는 남태평양에서 남아메리카 대륙의 서쪽 연안을 따
까닭은 광합성 과정에서 이산화 탄소가 이용되기 때문이다. 라 고위도에서 저위도로 흐르는 한류이다.
④ 캘리포니아 해류는 북태평양 해류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
09 대기 대순환 다가 북아메리카 대륙에 부딪혀 남쪽으로 흐르면서 형성된 해류
A와 B는 각각 극순환과 페렐 순환 중 하나이고, C는 해들리 순 이다. 따라서 캘리포니아 해류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은 해수의 밀
환이다. 대기 대순환이 일어나는 주요 원인은 위도에 따른 에너지 도 차가 아니다. 해수의 밀도 차가 주요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순
불균형이다. 환은 해수의 심층 순환이다.
ㄱ. A와 B는 각각 극순환과 페렐 순환 중 하나이므로, A와 B에 ⑤ 북태평양 해류와 남극 순환 해류는 태평양 아열대 순환을 형

정답과 해설 31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31 2021-01-07 오후 1:57:35


정답과 해설

성하고 있는 해류로, 모두 편서풍의 영향으로 형성되어 서쪽에서 밀도가 증가하고, 현재 종이컵 속의 차가운 소금물(㉢)과의 밀도
동쪽으로 흐른다. 차가 감소하여 수조 바닥으로의 ㉢의 이동은 더 느리게 일어날 것
이다.
12 우리나라 주변의 표층 해류
우리나라 주변 난류의 근원은 쿠로시오 해류이다. 쿠로시오 해류 15 대서양의 심층 순환
의 지류가 동중국해에서 갈라져 나와 북상하여 황해 난류, 대마 북대서양 심층수는 그린란드 남쪽의 래브라도해와 그린란드 동쪽
난류(쓰시마 난류), 동한 난류를 형성한다. 의 노르웨이해에서 형성되고, 남극 저층수는 남극 대륙 주변의 웨
ㄱ. ㉠은 쿠로시오 해류이고, ㉡은 대마 난류(쓰시마 난류)이다. 델해와 로스해에서 형성된다.
쿠로시오 해류는 북적도 해류, 북태평양 해류, 캘리포니아 해류와 ㄱ. 해수의 심층 순환은 해수의 밀도 차에 의해 일어나는 순환이
함께 북태평양 아열대 순환을 형성한다. 다. 남극 중층수는 60ùS 부근에서 형성되어 수심 1000`m 부근에
ㄴ. ㉡은 대마 난류(쓰시마 난류)로 제주도 남동쪽에서 남해를 거 서 20ùN까지 이동하는 해양의 심층 순환의 일부이다. 따라서 남
쳐 동해로 흘러 들어간다. 동해에서 북한 한류와 만나 조경 수역 극 중층수는 해수의 밀도 차에 의해 형성된다.
을 형성하는 해류는 대마 난류(쓰시마 난류)에서 갈라져 나와 동 ㄴ. 남극 대륙 주변에서 해빙이 일어나면 해수의 염분이 감소하
해안을 따라 북상하는 동한 난류이다. 고, 해수의 밀도가 감소하여 남극 저층수의 침강은 약해질 것이다.
ㄷ. 40ùN 해역에서 영양염은 난류인 대마 난류(쓰시마 난류)(㉡) ㄷ. 그림에서 남극 저층수는 해저를 따라서 흐르고, 북대서양 심
가 한류인 북한 한류(㉢)보다 적다. 층수는 수심 약 1500~4000`m 사이에서 흐르므로, 남극 저층수
는 북대서양 심층수보다 밀도가 크다.

13 남반구 해양의 주요 표층 해류
남반구 해양에서의 아열대 순환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순환한다.
16 전 세계 해수의 순환
해수의 심층 순환과 표층 순환은 서로 연결되어 전체 해양에서 큰
㉠은 남적도 해류, ㉡은 남극 순환 해류, ㉢은 브라질 해류이다.
순환을 이루고 있다. 즉, 그린란드 해역에서 형성된 북대서양 심
ㄱ. ㉠은 남적도 해류로 해들리 순환의 지표 부근의 바람인 남동
층수는 대서양 서쪽을 따라 남하하여 남극 저층수 위로 흐르며 남
무역풍의 영향으로 형성되었다. 대륙 분포의 영향으로 형성된 해
극 대륙 주변에서 남극 저층수와 섞인다. 북대서양 심층수와 남극
류는 브라질 해류(㉢)이다.
저층수가 섞인 해수는 남극 대륙 주위를 돌다가 인도양과 태평양
ㄴ. 평균 표층 용존 산소량은 수온이 낮을수록 많다. 따라서 ㉠,
으로 흘러가 표층으로 상승하고, 다시 표층 순환을 따라 북대서양
㉡, ㉢ 중 가장 고위도에 위치하여 수온이 가장 낮은 해류인 ㉡이
으로 흘러간다.
평균 표층 용존 산소량이 가장 많다.
ㄱ. A는 표층 순환이고, B는 심층 순환이다. 해양에 밀도 차가
ㄷ. 대기 대순환과 관련된 지표 부근의 바람 즉, 남동 무역풍과 편
생겼을 때 밀도가 큰 해수가 수심이 깊은 곳으로 이동한다. 따라
서풍이 직접적인 원인이 되어 형성된 해류는 남적도 해류인 ㉠과
서 해수의 평균 밀도는 심층 순환(B)을 형성하는 해수가 표층 순
남극 순환 해류인 ㉡이다.
환(A)을 형성하는 해수보다 크다.
ㄴ. 해수의 심층 순환(B)은 표층 순환(A)에 비해 해수의 평균 유
14 해수의 심층 순환 원리 속이 매우 느리다. 즉, 해수의 평균 유속은 A가 B보다 빠르다.
해수의 표층에서 수온이 낮아지거나 염분이 높아지면 밀도가 커 ㄷ. ㉠ 해역은 북대서양 심층수가 만들어지는 그린란드 해역이다.
진 해수가 심해로 가라앉아 해수의 순환이 일어나는데, 이를 심층 이 해역에 담수가 유입되면 해수의 염분이 낮아지고, 그 결과 해
순환이라고 한다. 수의 밀도가 작아져서 해수의 침강은 약해질 것이다.
ㄱ. 밀도는 수온이 낮을수록, 염분이 높을수록 커진다. 따라서 밀
도의 크기는 ㉠(실온의 물)<㉡(얼음물)<㉢(소금을 녹인 얼음물)
이다.
ㄴ. 수조 속의 물과 종이컵 속의 물의 밀도 차가 클수록 종이컵 속
의 물이 수조 바닥으로 빠르게 이동한다. 수조 속의 물의 밀도가
같은 경우, 수조 바닥으로의 물의 이동은 종이컵 속의 물의 밀도
가 더 큰 ㉢이 ㉡보다 더 빠르게 일어난다.
ㄷ. 수조 속의 ㉠(실온의 물)을 얼음물로 한다면 수조 속의 물의

32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32 2021-01-07 오후 1:57:35


3점 수능 테스트
저층보다 수온이 높고 염분이 낮다. 따라서 해수의 평균 밀도는
본문 112~119쪽
표층이 저층보다 작다.
01 ④ 02 ⑤ 03 ④ 04 ⑤ 05 ③ 06 ① 07 ③
08 ④ 09 ③ 10 ② 11 ② 12 ④ 13 ④ 14 ③
15 ⑤ 16 ①
04 수온 염분도
수괴는 밀도가 다르기 때문에 수온 염분도를 이용하면 수괴의 특
성뿐만 아니라 이동까지 추정할 수 있다.

01 해수에 포함된 염분들의 비율 ㄱ. 수온 염분도에서 수괴 A는 수괴 B보다 대체로 수온이 높다.


해수의 염분은 장소에 따라 다르지만 주요 염류들이 녹아 있 따라서 A는 표층수이다.
는 질량비는 거의 일정하다. 해수 A는 염분이 34.5`psu, B는 ㄴ. (가)의 수온 염분도에서 표층수(A)는 수심 100`m의 해수(B)
33.5`psu이다. 보다 왼쪽 위에 분포하므로 평균 밀도가 수심 100`m의 해수(B)
ㄱ. 해수 A에 포함된 용존 물질의 합을 계산하면 염분은 34.5`psu 보다 작다.
이다. ㄷ. (가)에서는 표층수(A)와 수심 100`m의 해수(B)가 분리되어
ㄴ. 해수 A의 염분(34.5`psu)이 해수 B의 염분(33.5`psu)보다 있고, (나)에서는 표층수(A)와 수심 100`m의 해수(B)가 서로 겹
높다. 쳐지는 부분이 있다. 따라서 표층수와 수심 100`m 해수의 평균
ㄷ. 해수에 녹아 있는 주요 염류들 사이의 비율은 각각 일정하다. 밀도 차는 2013년이 2014년보다 크다.
이를 염분비 일정 법칙이라고 한다. 해수 A에 녹아 있는 ClÑ의
질량비와 해수 B에 녹아 있는 ClÑ의 질량비는 약 55.04`%로 거 05 태평양에서의 위도별 표층 염분 분포
의 같다. 표층 염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증발량과 강수량이다.
표층 염분은 대체로 (증발량-강수량) 값이 클수록 높다.
02 해양의 층상 구조와 수온 염분도 해석 ㄱ. 그래프를 보면 태평양에서 20ùS 부근의 해역에 표층 염분의
저위도와 중위도 지방의 해양은 수온의 연직 분포에 따라서 혼합 최댓값이 나타난다.
층, 수온 약층, 심해층으로 구분된다. 한편, 북반구 중위도 해양에 ㄴ. 태평양에서 (강수량-증발량) 값은 30ùN 부근 해역이 20ùS
서 여름철은 겨울철보다 표층 수온이 높다. 부근 해역보다 작고, 염분은 20ùS 부근 해역이 30ùN 부근 해역
ㄱ. ㉠은 표층 수온이 약 25`¾이고, ㉡은 표층 수온이 약 10.5`¾ 보다 높다.
이므로 표층 수온이 높은 ㉠이 여름에 측정한 것이다. ㄷ. 표층 염분은 대체로 (증발량-강수량) 값이 클수록 높고, 육
ㄴ. 수심 500`m에서 ㉠과 ㉡의 그래프가 만나고 있으므로, 수심 지로부터 담수의 유입이 있는 경우에는 표층 염분이 낮아진다. 따
500`m에서 여름과 겨울에 측정한 수온, 염분, 밀도 즉, 해수의 라서 육지로부터의 강물 유입이 있는 경우, 표층 염분은 대체로
성질은 비슷하다. (증발량-강수량-강물 유입량) 값이 클수록 높게 나타난다. (증
ㄷ. 표층과 수심 1 5 0 ` m 해수의 밀도 차는 여름(㉠)에 약 발량-강수량-강물 유입량) 값은 태평양은 -159`mm/년이
0.005`g/cmÜ`이고, 겨울(㉡)에는 0`g/cmÜ`에 가깝다. 따라서 표 고, 대서양은 +175`mm/년이므로 표층 염분의 평균값은 대서
층과 수심 150`m 해수의 밀도 차는 여름이 겨울보다 크다. 양이 태평양보다 높다.

03 남해의 수온과 염분 분포 06 고위도 해역의 수온, 염분, 밀도 분포


우리나라 남해에서는 8월에 해수의 온도는 표층이 저층보다 높 고위도 해역에서 깊이에 따른 해수의 밀도 변화는 주로 수온보다
고, 해수의 염분은 강수량이 많아 표층이 저층보다 낮다. 염분의 영향을 받는다.
ㄱ. 남해에서 8월에 표층 해수의 온도는 저층 해수의 온도보다 높 ㄱ. 이 해역에서는 수온이 표층에서 수심 약 300`m까지 증가하다
다. 반면, 해수의 염분은 8월에 강수량이 많아 표층이 저층보다 가 그 이상의 깊이에서는 감소하고, 밀도의 연직 분포는 수온보다
낮다. 따라서 (가)는 염분 분포, (나)는 수온 분포이다. 염분의 분포와 더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해수의 특성이
ㄴ. (가)에서 염분은 저층보다 표층의 변동 폭이 크고, (나)에서 수 나타나는 해역은 저위도보다 표면이 얼음으로 덮여 있는 고위도
온은 표층보다 저층의 변동 폭이 크다. 에 위치한다.
ㄷ. 해수의 밀도는 수온이 낮을수록, 염분이 높을수록 크다. 관측 ㄴ. 주어진 자료를 보면 해수의 밀도 분포는 수온 분포보다 염분
기간 동안 우리나라 남해에서 8월에 관측한 자료를 보면, 표층은 분포와 유사한 모양을 보인다. 이로부터 이 해역에서 해수의 밀도

정답과 해설 33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33 2021-01-07 오후 1:57:35


정답과 해설

는 수온보다 염분의 영향을 더 크게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0 해양 탐사선의 항해


ㄷ. (다)를 보면 수심 100~300`m 구간에서 깊이가 깊어질수록 챌린저호는 1872년부터 1876년까지 약 4년 동안 바람과 해류를
해수의 밀도는 증가하므로, 이 구간에서 해수는 안정하다. 따라서 이용하여 전 세계 바다를 항해하면서 탐사한 최초의 해양 탐사선
수심 100`m의 해수는 수심 300`m의 해수와 물질 교환이 활발하 이다.
지 않다. A. 표층 용존 산소량은 주로 수온에 의해 결정되며, 수온이 낮을
수록 표층 용존 산소량이 많다. 따라서 표층 용존 산소량은 더 높
07 동해의 계절별 표층 수온 분포 은 위도에 위치한 ㉡ 해역이 ㉠ 해역보다 많다.
동해에서는 겨울에 표층 수온이 낮아져 수온 약층이 사라진다. B. ㉡ 해역에는 대기 대순환의 페렐 순환에 의해 편서풍이 불고,
ㄱ. 2월의 수온 분포를 보면 등수온선이 밀집된 구간이 보이지 않 이 편서풍에 의해 북태평양 해류가 형성되어 흐르고 있다. 북태평
는다. 이는 표층 수온이 낮아져 수온 약층이 잘 나타나지 않는 것 양 해류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고, 챌린저호는 이 해류를 이용
이다. 하여 서쪽에서 동쪽으로 항해하였다.
ㄴ. 6월의 수온 분포를 보면 표층에서 25`m 정도까지 수온이 거 C. ㉢ 해역에는 고위도에서 저위도로 한류인 페루 해류가 흐른
의 일정한데, 이는 이 구간에서 혼합층이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 다. 따라서 이 해역은 동일한 위도의 다른 해역보다 표층 수온이
다. 이에 비해 8월에는 혼합층이 10`m 정도까지만 나타난다. 즉, 낮다.
혼합층의 두께는 8월보다 6월에 더 두껍다.
ㄷ. 8월에는 표층 수온이 높아 수온 약층이 매우 잘 발달되어 있
다. 이로 인해 해수의 연직 운동이 일어나기 어렵다.
11 북대서양에서의 표층 순환
해양은 대륙에 의해 가로막혀 있으므로 동서 방향으로 흐르던 해류
가 대륙과 부딪혀 남북 방향으로 갈라져 흐르면서 순환을 이룬다.
08 월별 연직 수온 분포 ㄱ. 해역 A에는 고위도에서 내려오는 한류가 흐르지만, 해역 B에
혼합층은 태양 에너지에 의한 가열로 수온이 높고, 바람에 의한
는 멕시코 만류에서 갈라져 나온 북대서양 해류가 지나가므로 난
혼합 작용으로 깊이에 따라 수온이 일정한 층이다.
류가 흐른다.
④ A 시기의 표층 수온이 약 14`¾이고 혼합층의 두께가 약
ㄴ. 표층에서의 용존 산소량은 한류가 흐르는 해역 D에서보다 난
10`m이며, 수심 약 10~70`m 구간에 수온 약층이 발달해 있다.
류가 흐르는 해역 C에서 적다.
수심 약 70`m 이상에서는 깊이가 깊어지더라도 수온의 변화가
ㄷ. 표층 순환은 대기 대순환에 의한 바람이 해수에 작용하는 힘
거의 없다. 수심 150`m에서 수온은 약 4`¾보다 약간 낮다. 이러
과 지구 자전에 의한 전향력에 의해 일어난다.
한 깊이에 따른 수온 변화 경향을 가장 적절하게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 ④이다.
12 지중해 해수의 유출과 수온 염분도
09 대기 대순환과 표층 염분의 분포 지중해 해수는 대서양 해수에 비해 표층 염분이 높아 밀도가 크
표층 염분은 증발량이 강수량보다 많은 중위도 고압대 해역에서 다. 따라서 지중해 해수가 대서양으로 유출되면 주변 해수와 밀도
높다. 가 비슷한 수심 약 1000`m까지 가라앉는다.
ㄱ. 위도가 ㉠인 지점에서는 서로 다른 위도로부터의 공기가 수렴 ㄱ. 그림 (가)에서 해수의 밀도는 대서양 해수 A<지중해 해수
하여 상승하고, 위도가 ㉡인 지점에서는 공기가 하강하여 발산이 C<대서양 해수 B이다. 따라서 수온 염분도에서 해수 A, B, C
일어나고 있다. 북반구 대기 대순환에서 ㉠ 지점과 같은 특징을 의 위치는 다음과 같이 되어야 한다.
보이는 곳은 60ùN 부근이고, ㉡ 지점과 같은 특징을 보이는 곳은 등밀도선(g/cmÜ`)
20
40 5
30ùN 부근이므로, ㉠은 ㉡보다 위도가 높다. 1.02 1.024
50
15 1.02
ㄴ. 표층 염분은 증발량이 강수량보다 많은 해역에서 높다. 따라 A C
55
1.02
수온

서 표층 염분은 적도 저압대 해역(㉢)보다 고기압의 영향으로 맑


10 1.0260
은 날씨가 많이 나타나는 중위도 (아열대) 고압대 해역(㉡)에서 더 (ùC) 265
1.0
5 0
높다. 27 B
1.0
5

ㄷ. 대기 대순환에 의한 상승 기류가 발달하는 위도대는 주로 적


0
27

28

29
28
1.0

0
1.0

1.0

1.0

도 저압대(㉢)와 한대 전선대(㉠) 부근으로, (나)를 보면 이러한 위 33.5 34.0 34.5 35.0 35.5 36.0 36.5
도대에서는 주로 (증발량-강수량)이 (-) 값을 나타낸다. 염분(psu)

34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34 2021-01-07 오후 1:57:36


따라서 염분이 가장 높은 해수는 수온 염분도에서 가장 오른쪽에 층 순환이 표층 순환으로 바뀌고 있는 곳이므로, A 해역에서는
위치한 C이다. 해수의 침강이, B 해역에서는 해수의 용승이 일어난다.
ㄴ. 염분은 B가 C보다 낮지만, 밀도는 B가 C보다 크다. 따라서 ㄴ. 빙하가 녹은 물이 흘러들어오면 염류의 양은 일정한 상태에서
B가 C보다 밀도가 큰 까닭은 염분보다 수온의 영향을 더 크게 받 물의 양이 증가하는 경우이므로, 같은 양의 해수 속에 들어 있는
기 때문이다. 염류의 양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해수의 표층 염분은 낮
ㄷ. C는 수온 염분도에서 약 1.0275`g/cmÜ`의 등밀도선에 위치 아지게 된다.
하므로, C의 평균 밀도는 약 1.0275`g/cmÜ`이다. ㄷ. (나)에서 표층 염분이 감소하는 추세이므로, 표층 해수의 밀도
가 대체로 감소하게 됨을 알 수 있다. 표층 해수의 밀도가 감소하
면 A 해역에서 해수의 침강이 약해지고, 그 결과 북대서양의 해
13 북대서양의 주요 표층 해류 수 순환이 약해지게 된다.
빙산은 빙하에서 떨어져 나와 떠다니는 얼음덩어리로, 바다에 도
달한 빙하로부터 분리되면서 생긴다. 빙산은 주로 그린란드 서해
안을 따라 뻗어 있는 빙하가 분리되면서 만들어진다. 16 남극 대륙 주변의 표층 해류
ㄱ. 빙산이 해수 위에 떠 있는 것으로 보아 해수보다 밀도가 작다 남극 순환 해류는 약 50ùS를 중심으로 하여 40ùS~65ùS의 범위
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단 빙하가 바다에 도달하면 깨져서 빙산이 에서 편서풍의 영향으로 남극 대륙 주위를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
생성되는데, 그 까닭은 빙하가 해수보다 밀도가 작으므로 해안으 른다. 또한, 이 해류는 지구를 완전히 한 바퀴 도는 유일한 해류
로부터 멀리 떠다니면서 해류, 바람, 파도의 작용에 의해 깨지기 이다. 그 까닭은 남반구의 고위도에 해류를 가로막는 육지가 없기
때문이다. 때문이다.
ㄴ. (나)에서 그린란드 빙하로부터 생성된 빙산은 표층 해류를 따 ㄱ. (가)의 해류는 남극 순환 해류이다. 남극 순환 해류는 편서풍
라 이동하는데, 그린란드의 동쪽 해안보다 서쪽 해안의 해류를 따 의 영향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른다. 남극점 상공에서 내려다
라 이동하는 빙산이 더 많다. 따라서 대부분의 빙산은 ⓑ보다 ⓐ 보았을 때 (가)의 해류의 방향은 시계 방향이 된다.
지역의 빙하로부터 생성되었다. ㄴ. A는 남극 대륙 주변의 웨델해이다. 웨델해에서는 밀도가 큰
ㄷ. 그린란드 서쪽 해안을 따라 뻗어 있는 빙하(ⓐ)에서 생성된 빙 해수가 만들어져 침강하는데, 겨울철에는 결빙이 일어나 해수의
산은 한류인 래브라도 해류를 따라 약 45ùN까지 이동한다. 염분이 높아지고, 해수의 밀도가 커진다. 따라서 A에서 해수의
침강은 남반구의 겨울철이 여름철보다 활발하다.
ㄷ. P 지점에서 측정한 월별 해수의 총수송량은 계절에 따라 뚜렷
14 주요 심층 해수와 수온 염분도 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대체로 6월~8월(남반구 겨울철)이 12
심층 순환의 모습을 보면 심층 해수의 평균 밀도가 남극 저층수> 월~2월(남반구 여름철)보다는 많다.
북대서양 심층수>남극 중층수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온 염
분도에서 A는 남극 중층수, B는 북대서양 심층수, C는 남극 저
층수이다.
ㄱ. A, B, C 중 밀도가 가장 큰 수괴는 밀도 값이 가장 큰 등밀도
선에 위치한 C이다.
ㄴ. 그림 (가)와 (나)를 보면 남극 저층수는 북대서양 심층수보다
염분과 수온이 모두 낮다.
ㄷ. 해수의 심층 순환은 표층에서 해수의 수온이 낮아지거나 염분
이 높아지면 밀도가 커진 해수가 심해로 가라앉으면서 일어난다.
따라서 심층 순환을 형성하는 수괴의 밀도는 표층 해수의 밀도보
다 크다.

15 해수의 순환과 표층 염분
해수의 심층 순환은 수온과 염분 변화에 따른 해수의 밀도 차에
의해 일어나는 순환이다.
ㄱ. A 해역에서는 표층 순환이 심층 순환으로, B 해역에서는 심

정답과 해설 35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35 2021-01-11 오후 3:57:15


정답과 해설

03 엘니뇨
07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평상시 열대 태평양을 따라 동쪽에서 서쪽으로 부는 무역풍으로
인해 동태평양 해역에서는 연안 용승이 활발하다. 따라서 표층 수
온은 열대 동태평양 해역보다 서태평양 해역이 더 높다. 또한 평
2점 수능 테스트 본문 128~131쪽 상시에는 무역풍으로 인해 열대 서태평양에서 따뜻한 해수로부터
열과 수증기를 공급받은 공기가 상승하여 강수대가 형성되고, 엘
01 ③ 02 ③ 03 ④ 04 ② 05 ① 06 ⑤ 07 ②
니뇨 시기에는 공기가 상승하는 지역과 강수대가 동쪽으로 이동
08 ⑤ 09 ③ 10 ① 11 ⑤ 12 ③ 13 ② 14 ②
한다. (가)는 엘니뇨 시기의 대기 순환 모습이고, (나)는 평상시의
15 ③ 16 ③
대기 순환 모습이다.
ㄱ. 무역풍의 세기는 엘니뇨 시기인 (가)가 평상시인 (나)보다 약

01 연안 용승 하다.
북반구의 서해안에서 지속적으로 북풍이 부는 경우 표층 해수는 ㄴ. 엘니뇨 시기에는 평상시보다 무역풍이 약해져 동태평양 해역
외해인 서쪽으로 이동하므로 연안을 따라 심층의 찬 해수가 올라 에서 용승이 약해지고, 서태평양의 따뜻한 해수가 동태평양으로
오는 용승이 일어난다. 용승이 일어나는 해역에서는 영양염이 풍 이동하여 동태평양의 따뜻한 해수층이 두꺼워진다. 따라서 동태
부해지므로 식물성 플랑크톤이 많아 좋은 어장이 형성된다. 평양에서 수온 약층이 시작되는 깊이는 엘니뇨 시기인 (가)가 평
ㄱ. 지속적으로 부는 바람에 의한 평균적인 표층 해수의 이동은 상시인 (나)보다 깊다.
북반구에서는 바람 방향에 대해서 오른쪽 90ù 방향으로, 남반구 ㄷ. 엘니뇨 시기에 동태평양에서는 기압이 낮아져 평상시보다 강
에서는 바람 방향에 대해서 왼쪽 90ù 방향으로 일어난다. 이 해역 수량이 많아진다.
에서는 지속적으로 부는 북풍에 의해 평균적인 표층 해수의 이동
이 외해인 서쪽으로 일어나므로, 이 해역은 북반구에 위치한다. 04 엘니뇨와 라니냐
ㄴ. 표층 해수가 외해인 서쪽으로 이동하므로 해수면의 높이는 외 열대 태평양에서 무역풍이 약해지는 시기에 동태평양 해역의 연
해인 A 해역이 B 해역보다 높다. 안 용승이 약화되어 표층 수온이 평년보다 높아지는 현상을 엘니
ㄷ. 표층 해수가 외해로 이동하여 연안의 해수면이 낮아지면 이를 뇨라 하고, 무역풍이 강해지는 시기에 동태평양 해역의 연안 용승
보충하기 위해 심층의 찬 해수가 올라오는 용승이 일어난다. 또한 이 강화되어 표층 수온이 평년보다 낮아지는 현상을 라니냐라고
심층의 찬 해수에는 영양염이 풍부하므로, 영양염은 용승이 일어 한다. (가)는 엘니뇨 시기, (나)는 라니냐 시기이다.
나는 B 해역이 A 해역보다 풍부하다. ㄱ. 열대 태평양 해역에는 무역풍에 의해 형성된 해류인 남·북적
도 해류가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고 있는데, 이 해류는 무역풍이
약한 엘니뇨 시기보다 무역풍이 강한 라니냐 시기에 더 강하다.
ㄴ. 페루 연안의 용승은 무역풍이 약한 엘니뇨 시기보다 무역풍이
02 저기압과 고기압에서의 용승과 침강 강한 라니냐 시기에 더 강하다.
북반구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부는 고기압성 바람에 ㄷ. (다)에서 열대 태평양의 동태평양 적도 부근 해역의 해수면 높
의해 표층 해수가 수렴하여 고기압 중심부에서 침강이 일어나고, 이는 평년보다 높고, 서태평양 적도 부근 해역의 해수면 높이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부는 저기압성 바람에 의해 저기 평년보다 낮다. 이러한 해수면 높이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부는 무
압 중심부에서 표층 해수가 발산하여 용승이 일어난다. 역풍이 약해졌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즉, (다)는 라니냐 시기보
ㄱ. (가)에서 바람은 시계 방향으로 불고 있으므로 고기압성 바람 다 엘니뇨 시기에 관측한 것이다.
이다.
ㄴ. (가)는 시계 방향으로 부는 바람 방향의 오른쪽 90ù 방향으로 05 엘니뇨 시기의 특징
표층 해수의 이동이 일어나므로 표층 해수가 수렴하여 침강이 일 동태평양에서 표층 수온이 평년보다 0.5`¾ 이상 높은 상태로
어나고, (나)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부는 바람 방향의 오른쪽 90ù 6개월 이상 지속되는 현상을 엘니뇨라고 한다. 또한 서태평양의
방향으로 표층 해수의 이동이 일어나므로 표층 해수가 발산하여 기압이 높아지면 동태평양의 기압이 낮아지고, 서태평양의 기압
용승이 일어난다. 이 낮아지면 동태평양의 기압이 높아지는 기압 분포의 시소 현상
ㄷ. (나)와 같은 해양에서는 용승이 일어난다. 용승이 일어나는 주 을 남방 진동이라고 한다.
변 해역은 서늘한 날씨가 나타난다. ㄱ. 그림에서 표층 수온 편차가 (+) 값인 해역이 적도 부근의 동

36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36 2021-01-07 오후 1:57:36


태평양 연안으로부터 적도 부근 태평양 중앙에 이르는 넓은 해역 08 빙하 코어 연구
에 걸쳐 분포하므로, 이 시기는 엘니뇨 시기이다. 빙하 얼음을 구성하는 산소 안정 동위 원소비(18O/16O)를 분석하
ㄴ. 엘니뇨 시기에는 평상시보다 동태평양의 표층 수온이 높은 것 여 과거의 기온을 알 수 있고, 과거 빙하 얼음 속에 포함된 공기
으로 보아 서태평양과 동태평양 해역에서 기압 차는 평상시보다 방울로 지구 대기에 포함된 기체의 농도를 알 수 있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평상시에는 서태평양 해역(A 해역)에 저 ㄱ. 빙하는 오랫동안 눈이 쌓여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눈과 공기가
기압이, 동태평양 해역(B 해역)에 고기압이 형성되고, 엘니뇨 시 뒤섞여 얼음이 된다. 그러므로 빙하 얼음 속 공기 성분은 빙하가
기에는 서태평양 해역에 고기압이, 동태평양 해역에 저기압이 형 만들어질 당시의 대기 성분을 나타낸다. 따라서 빙하 얼음 속 공
성된다. 기 성분을 분석하면 메테인, 이산화 탄소 등 지구 대기에 포함된
ㄷ. 엘니뇨 시기에는 평상시보다 무역풍이 약해지면서 해수면이 기체의 농도 변화를 알 수 있다.
높은 서태평양에서 중앙 태평양과 동태평양 연안으로 따뜻한 해 ㄴ. 빙하는 해마다 내린 눈이 겹겹이 쌓여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수가 이동하여 A 해역의 따뜻한 해수층의 두께는 평상시보다 얇다. 깊은 곳에 있는 얼음일수록 먼저 만들어졌을 것이다. 따라서 P 지
점보다 더 깊은 곳에 있는 Q 지점의 빙하 얼음이 먼저 만들어졌
06 엘니뇨와 라니냐 을 것이다.
엘니뇨 시기에는 동·서 태평양에서 수온 약층이 나타나는 깊이의 ㄷ. 빙하 얼음에 나타나는 밝은 층과 어두운 층의 줄무늬는 빙하
차가 작고, 라니냐 시기에는 동·서 태평양에서 수온 약층이 나타 의 생성 정도가 시기에 따라 달랐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은 계
나는 깊이의 차가 크다. 즉, 라니냐 시기에 수온 약층이 나타나는 절에 따라 주기적으로 나타난다.
깊이는 동태평양에서 얕고 서태평양에서 깊게 나타난다. (가)는
엘니뇨 시기, (나)는 라니냐 시기이다. 09 과거의 기후 해석
ㄱ. 라니냐 시기에는 무역풍이 강해지므로 남·북적도 해류의 세 지구의 과거 기후에 대한 정보는 지질 시대에 쌓인 퇴적물과 그
기가 엘니뇨 시기보다 세다. 속에 포함된 화석, 나무의 나이테, 빙하 코어 등을 통해 알 수 있
ㄴ. 라니냐 시기에는 동태평양에서 용승이 잘 일어나 표층 수온이 다. 특히 빙하 코어의 각 층의 얼음은 그 당시의 온도, 대규모 산
낮아져서 동·서 태평양의 표층 수온 차가 엘니뇨 시기보다 크다. 불과 화산 폭발, 대기 성분 변화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ㄷ. 엘니뇨 시기에는 따뜻한 서태평양의 해수가 동태평양까지 이 ㄱ. 그래프를 보면 그린란드의 연평균 기온과 빙하 코어 속의 메
동해 오므로, 동·서 태평양에서 수온 약층이 나타나는 깊이 차가 테인의 농도 변화는 약간의 차이가 있는 구간이 있기는 하지만,
작다. 반면, 라니냐 시기에는 연안 용승에 의해 동태평양의 표층 전체적으로는 대체로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
수온이 낮아지므로, 동·서 태평양에서 수온 약층이 나타나는 깊 ㄴ. ㉠은 현재보다 연평균 기온이 높은 시기이고, ㉡은 현재보다
이 차가 크다. 연평균 기온이 낮은 시기이다. 또한, 기온이 낮을수록 빙하 면적
이 커지므로 반사율도 커진다. 따라서 지표 반사율은 기온이 낮은
07 기후 변화의 요인 ㉡ 시기가 기온이 높은 ㉠ 시기보다 크다.
기후 변화를 일으키는 요인은 크게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으 ㄷ. 대기 중 이산화 탄소 농도는 기온과 대체로 비례한다. 따라서
로 나눌 수 있고, 자연적 요인은 다시 지구 내적 요인과 지구 외적 대기 중 이산화 탄소 농도는 ㉠ 시기가 ㉡ 시기보다 높다.
요인으로 세분될 수 있다.
ㄱ. A는 지구 내적 요인의 예에 해당하므로, 수륙 분포의 변화, 10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 변화
화산 활동, 지표면 상태의 변화 등이 있다. 도시화는 기후 변화의 지구의 자전축은 현재 약 23.5ù 기울어져 있고, 약 41000년을 주
인위적 요인의 예인 C에 해당한다. 기로 21.5ù~24.5ù 사이로 경사각이 변한다. 지구 자전축의 기울
ㄴ. B는 지구 외적 요인의 예에 해당하므로, 지구 자전축의 세차 기가 변하면 각 위도에서 받는 일사량이 변하므로 기후 변화가 생
운동,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 변화, 지구 공전 궤도 이심률의 변화, 긴다. 다른 요인의 변화가 없다면 자전축 경사각이 커질수록 기온
태양 활동의 변화가 있다. 지구의 수륙 분포 변화는 지구 내적 요 의 연교차가 커진다. 즉, 중위도와 고위도 지방의 여름은 더 더워
인에 해당한다. 지고, 겨울은 더 추워져 기온의 연교차가 커진다.
ㄷ. C는 인위적 요인의 예에 해당하므로, 에어로졸 배출, 도시화, ㄱ. ㉠은 현재보다 지구 자전축의 경사각이 작은 시기이고, ㉡은
사막화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산업 활동이나 화석 연료 사용 과정 현재보다 지구 자전축의 경사각이 큰 시기이다. 북반구 중위도에
에서 대기로 배출된 에어로졸은 지표면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 서 지구 자전축의 경사각이 작은 시기는 지구 자전축의 경사각이
너지를 감소시켜 지구의 기온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큰 시기보다 겨울철 한낮의 태양의 최대 고도가 높다. 따라서 우

정답과 해설 37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37 2021-01-07 오후 1:57:36


정답과 해설

리나라 겨울철 한낮의 태양의 최대 고도는 ㉡ 시기보다 ㉠ 시기에 ㄷ. 지구의 기온이 높으면 대륙 빙하의 면적이 감소하고, 해수면
높다. 의 높이는 높아진다. 반대로 지구의 기온이 낮으면 대륙 빙하의
ㄴ. 남반구 중위도에서 지구 자전축의 경사각이 작은 시기는 지구 면적이 증가하고 해수면의 높이는 낮아진다. 따라서 1920년은
자전축의 경사각이 큰 시기보다 여름철 태양의 남중 고도는 낮고, 2000년보다 기온이 낮고, 해수면의 높이가 낮으므로 대륙 빙하의
겨울철 태양의 남중 고도는 높다. 따라서 ㉠ 시기는 ㉡ 시기보다 면적은 넓었을 것이다.
남반구 중위도 지역의 여름철 기온은 낮고, 겨울철 기온은 높아서
기온의 연교차는 작다. 13 지구의 열수지
ㄷ.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가 변하면 각 위도에서 받는 일사량이 지구는 복사 평형을 이루고 있다. 지구 전체에서 에너지 흡수량
변하여 기후 변화가 생기지만, 지구 공전 궤도가 변하지 않았으므 (70 단위)과 방출량(70 단위)은 같고, 대기에서 에너지 흡수량
로 7월 한 달 동안 지구에 도달하는 총 태양 복사 에너지양은 변 (154 단위)과 방출량(154 단위)은 같으며, 지표면에서 에너지 흡
하지 않는다. 수량(133 단위)과 방출량(133 단위)은 같다.
ㄱ. ㉠, ㉡, ㉢은 모두 지표면에서 흡수하고 방출하는 에너지양
11 세차 운동 이다. ㉠은 태양 복사 에너지로부터 지표면에 흡수되는 에너지양
지구의 자전축은 약 26000년을 주기로 회전하는데, 이를 세차 운 으로 45 단위(70-25=45)이고, ㉡은 지표면에서 대기 또는 우
동이라고 한다. 세차 운동에 의해 지구의 자전축은 약 13000년마 주 공간으로 방출되는 에너지양으로 133 단위(129+4=133)이
다 경사 방향이 반대가 되어 여름과 겨울이 나타나는 공전 궤도 며, ㉢은 대기로부터 지표면에 흡수되는 에너지양으로 88 단위
상의 위치도 반대가 되므로 기후 변화가 일어난다. (154-66=88)이다. 따라서 지표면에서 흡수하는 에너지양(㉠
ㄱ. 현재 남반구는 근일점에서 여름이고, 원일점에서 겨울이다. +㉢)과 방출하는 에너지양(㉡)은 같다.
따라서 위도 30ùS 지역의 평균 일사량은 원일점보다 근일점에서 ㄴ. 빙하 면적이 감소하면 지구의 반사율이 감소하여 지표면이 흡
많다. 수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이 증가한다.
ㄴ. 약 6500년 전 지구 자전축의 세차 운동에 의해 지구가 근일점 ㄷ. 대기는 지표가 방출하는 에너지를 흡수한 후 그중 일부를 지
에 있을 때 태양은 적도 부근을 비추고 있으며, 세차 운동은 시계 표로 재복사(㉢)하여 온실 효과를 일으킨다. 지구에 대기가 없다
방향이므로 북반구는 근일점에서 가을철(남반구는 봄철)이다. 면 온실 효과가 일어나지 않아 지구 표면에서의 ㉡은 현재보다 작
ㄷ. 현재 우리나라는 근일점에서 겨울, 원일점에서 여름이다. 약 을 것이다.
13000년 후에 지구 자전축의 경사 방향이 현재와 반대가 되므로,
우리나라는 근일점에서 여름, 원일점에서 겨울이 된다. 따라서 약 14 대기 중 이산화 탄소 농도 변화
13000년 후 우리나라에서 기온의 연교차는 현재보다 커진다. 대기 중 이산화 탄소의 농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로 인해 온실 효과가 커져 지구의 평균 기온이 점점 높아지고
12 기온 모델 적용 결과와 실제 기온 변화 있다.
지구의 기온은 기후 변화를 일으키는 지구 내적 요인 중 자연적 ㄱ. 온실 효과를 일으키는 이산화 탄소의 농도가 (가) 기간보다
요인뿐만 아니라 인위적 요인을 함께 고려하였을 때 높아진다. 산 (나) 기간에 높으므로, 지구의 평균 기온은 (가) 기간보다 (나) 기
업혁명 이후 산림이 파괴되고, 화석 연료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 간에 높았을 것이다.
하여 온실 기체가 대량으로 방출되면서 지구 온난화가 일어난 것 ㄴ. 화석 연료 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기 중의 이산화 탄소 농
이다. 도가 증가하게 된 기간은 산업혁명 이후인 (나)이다.
ㄱ. 기온 모델을 적용한 기온 변화는 지구 내적 요인 중 자연적 요 ㄷ.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면 고위도 지방에 분포하는 빙하의 면적
인뿐만 아니라 인위적 요인을 함께 고려했을 때 실제 기온 변화와 이 감소하여 지표면의 반사율이 감소한다. 따라서 지표면이 흡수
잘 일치한다. 따라서 ㉠은 지구 내적 요인 중 자연적 요인과 인위 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은 증가할 것이다.
적 요인을 모두 고려한 경우이고, ㉡은 지구 내적 요인 중 자연적
요인만을 고려한 경우이다. 15 북극 대륙 빙하 면적의 변화
ㄴ. ㉠(지구 내적 요인 중 자연적 요인+인위적 요인)과 ㉡(지구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북극 대륙 빙하 면적이 감소하는 추세이
내적 요인 중 자연적 요인)의 차가 1960년 이전보다 1960년 이후 다. 북극 대륙 빙하 면적이 감소하면 해수면 상승, 지구 반사율 감
에 더 크므로, 인위적 요인에 의한 지구 온난화는 1960년 이전보 소, 해안 도시의 침수 등 지구 환경에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다 이후에 더 크다. ㄱ. 그린란드 빙하가 녹아 해양으로 흘러 들어가면 해수면의 높이

38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38 2021-01-11 오후 3:57:40


3점 수능 테스트
를 상승시킨다.
본문 132~139쪽
ㄴ. (나)의 기온 편차 그래프를 보면 2000년 이후에 기온 상승 폭
은 북극이 지구 전체 평균보다 높다. 01 ② 02 ③ 03 ④ 04 ⑤ 05 ④ 06 ③ 07 ①
ㄷ. 극지방에서 기온이 낮을수록 빙하의 면적은 넓고, 빙하의 면 08 ① 09 ⑤ 10 ① 11 ③ 12 ③ 13 ② 14 ②
적이 넓을수록 반사율이 높다. 따라서 북극 지방에서 반사율은 평 15 ④ 16 ⑤
균 기온이 낮은 1900년이 평균 기온이 높은 2000년보다 높았을
것이다.
01 연안 용승과 침강
해안선과 나란하게 바람이 지속적으로 불어 표층 해수가 해안으
16 우리나라 연안의 해수면 높이 변화 로 이동하면 침강이 일어나고, 반대로 표층 해수가 외해로 이동하
지난 30년 동안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연안의 해수면
면 연안을 따라 심층에서 찬 해수가 올라오는 용승이 일어난다.
높이가 상승하였다.
ㄱ. (가)에서 표층 해수는 바람 방향에 대해서 왼쪽 직각 방향으로
ㄱ. 우리나라 연안 관측소 중에서 평균 해수면은 제주 부근 해역
이동하므로, (가)는 남반구에 있는 지역이다.
에서 가장 많이 상승하였다.
ㄴ. 기체의 용해도는 수온이 낮을수록 커지므로, (나)에서 표층 해
ㄴ. 그림 (나)를 보면 우리나라에서 평균 해수면 높이는 30년 동
수의 용존 산소량은 수온이 높은 외해보다 수온이 낮은 연안에서
안 7`cm 정도, 즉 2.3`mm/년 정도로 상승하였다.
많다.
ㄷ. 평균 기온이 높아지면 평균 수온이 높아져 해수면 높이가 높
ㄷ. (나)와 같이 대륙의 연안에서 바람에 의해 표층 해수가 연안에
아진다. 그림 (나)에서 평균 해수면의 높이가 A 기간보다 B 기간
서 외해 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해수면의 높이는 연안보다 외해
에 높으므로, 우리나라의 평균 기온도 A 기간보다 B 기간에 높
쪽이 높아진다. 이때 연안의 낮아진 해수면을 채우기 위해 심층에
았을 것이다.
서 찬 해수가 올라오는 연안 용승이 일어난다.

02 연안 용승
해수의 연직 이동에서 심층의 찬 해수가 표층으로 올라오는 현상
을 용승이라고 한다. 용승은 상승 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실
제 흐름을 관측하기는 어렵고, 심층에서 찬 해수가 올라오면 표층
해수의 온도가 주변 해수의 온도와 달라지므로 수온 분석을 통해
용승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ㄱ. A와 C 시기에는 표층 해수(수심 0.7`m 깊이의 해수)의 온도
는 약 14~16`¾이고, 깊이가 깊어질수록 수온이 낮아져 수심
25.6`m에서 해수의 온도는 약 8~9`¾이다. 그러나 B 시기에는
깊이가 깊어질수록 수온 변화가 매우 작고, B 시기의 시작과 끝
무렵의 일부 시기를 제외하면, 표층에서 수심 25.6`m까지 해수의
온도는 약 8~10`¾ 사이에 분포하며 A와 C 시기와 비교해서 찬
해수가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용승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ㄴ. B 시기에 북반구 대륙의 남북 방향으로 위치한 해안의 서쪽
연안에서 용승이 발생하였으므로 바람은 주로 북풍 계열의 바람
이 불었을 것이다.
ㄷ. 깊이에 따른 수온 변화는 평균적으로 용승이 일어난 시기인 B
시기에 가장 작다.

03 적도 용승
적도 부근 해역에서는 무역풍의 영향으로 적도를 중심으로 표층
해수가 북반구는 북서쪽으로, 남반구는 남서쪽으로 이동하기 때

정답과 해설 39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39 2021-01-07 오후 1:57:37


정답과 해설

문에 이를 채우기 위해 적도 부근에서 용승이 일어난다. 이처럼 적도 (나)는 평상시이다.


부근에서 무역풍 때문에 발생하는 용승을 적도 용승이라고 한다. ㄱ. 엘니뇨 시기에는 동태평양 적도 부근 해역의 표층 수온이 높
ㄱ. 적도 부근의 해역에는 대기 대순환에 의해 북반구에서는 북동 아지므로, 엘니뇨가 발생한 시기는 (가)이다.
무역풍이, 남반구에서는 남동 무역풍이 불고 있다. ㄴ. A 해역에서 무역풍의 세기는 엘니뇨 시기인 (가)보다 평상시
ㄴ. 적도 부근 해역에서 북반구는 표층 해수가 북동 무역풍의 오 인 (나) 시기에 더 강하다.
른쪽 직각 방향인 북서쪽으로, 남반구는 표층 해수가 남동 무역풍 ㄷ. 동태평양 적도 부근 해역인 A에서 강수량은 표층 수온이 높
의 왼쪽 직각 방향인 남서쪽으로 이동한다. 아 상승 기류가 나타나는 엘니뇨 시기에 더 많다.
ㄷ. 그림을 보면 적도 부근 해역에서 용승은 하루에 최대 50`cm
정도 일어난다. 07 과거의 기후 변화
대기 중 이산화 탄소 농도가 높으면 지구의 평균 기온이 상승하
04 남방 진동 고, 빙하 코어 속의 산소 안정 동위 원소비(18O/16O)는 높아지며,
엘니뇨와 라니냐 현상의 발생과 함께 나타나는 열대 태평양의 기 해양 생물 속의 산소 안정 동위 원소비는 낮아진다.
압 분포 변화를 남방 진동이라고 한다. ㄱ. 빙하 코어 속의 산소 안정 동위 원소비 (가)와 해양 퇴적물 속
ㄱ. 다윈에서 기압 편차가 (+)일 때, 타히티에서 기압 편차는 생물 화석의 산소 안정 동위 원소비 (다)의 변화 경향은 반대이다.
(-) 값이다. 즉, 두 지역의 기압 변화 경향은 반대이다. ㄴ. 산소 안정 동위 원소비가 빙하 코어 속에서는 낮고 해양 생물
ㄴ. A 시기에 타히티에서는 기압 편차가 (+)인 것으로 보아 평 화석에서는 높은 A 시기는 B 시기에 비해 지구의 평균 기온이 낮
상시보다 기압이 높고, 다윈에서는 기압 편차가 (-)인 것으로 보 았다. 지구의 평균 기온이 높을수록 평균 해수면은 높게 나타나므
아 평상시보다 기압이 낮으므로 라니냐 시기이다. 이 시기에 페루 로, 평균 해수면은 A 시기가 B 시기보다 낮았다.
연안에서는 용승 현상이 평상시보다 강하게 나타난다. ㄷ. 평균 기온은 A 시기가 B 시기보다 낮았다. 따라서 해수에서
ㄷ. A 시기에 동태평양 해역에서는 연안 용승이 강해지면서 평상 증발하는 수증기의 양은 A 시기가 B 시기보다 적었다.
시보다 찬 해수의 분포가 확장된다. 따라서 A 시기에 열대 태평양
동쪽 해역의 표층 수온은 평상시보다 낮았다. 08 기후 변화의 자연적 요인
기후 변화의 자연적 요인에는 지구 외적 요인과 지구 내적 요인이
05 엘니뇨와 라니냐 있다. 태양 활동의 변화는 지구 외적 요인에 해당하고, 화산 폭발
서태평양 적도 부근은 엘니뇨 시기에는 기압이 높아져 평상시보 은 지구 내적 요인에 해당한다.
다 강수량이 적어 건조하고, 라니냐 시기에는 기압이 낮아져 평상 ㄱ. (가)에서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은 태양 활동이
시보다 강수량이 많아 다습하다. 동태평양 적도 부근에서의 날씨 활발할수록 많다. 따라서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은
는 엘니뇨 시기에는 고온 다습하고, 라니냐 시기에는 한랭 건조하 흑점 수가 적은 A 시기가 흑점 수가 많은 B 시기보다 적다.
다. (가)는 엘니뇨 시기이고, (나)는 라니냐 시기이다. ㄴ. 화산이 폭발할 때 분출된 화산재 등이 성층권에 퍼지면 태양
ㄱ. 엘니뇨 시기에는 평상시에 서태평양 적도 부근의 해역에 있던 빛의 산란이 많이 일어나 지구의 반사율이 커지므로 지구의 평균
강수대가 동쪽으로 이동하여 동태평양 적도 부근의 해역(A 해역) 기온이 하강한다. (나)에서 지구의 반사율은 평균 기온이 높은 ㉠
은 평상시보다 고온 다습하다. 보다 평균 기온이 낮은 ㉡일 때 높다.
ㄴ. 남동 무역풍은 엘니뇨 시기보다 라니냐 시기에 강하다. 따라 ㄷ. (가)는 지구 기후를 변화시키는 외적 요인에 해당하고, (나)는
서 적도 부근의 해역에서 남동 무역풍에 의해 동쪽에서 서쪽으로 지구 기후를 변화시키는 내적 요인에 해당한다.
흐르고 있는 남적도 해류는 엘니뇨 시기보다 라니냐 시기에 더 강
하다. 09 기후 변화의 지구 외적 요인
ㄷ. A 해역에서는 엘니뇨 시기에 평상시보다 기압이 낮고, 라니냐 지구 자전축의 경사 방향이 달라지는 세차 운동의 영향으로 계절
시기에 평상시보다 기압이 높으므로, 기압 편차(관측 기압-평상 이 달라지고, 지구의 공전 궤도 이심률의 변화로 계절에 따라 지
시 기압)가 양(+)의 값을 갖는 시기는 라니냐 시기인 (나)이다. 구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이 달라진다.
ㄱ.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근일점(A)에서 겨울철이고, 13000년
06 엘니뇨 후 세차 운동에 의해 지구 자전축의 방향이 반대로 변하면 근일점
평상시에 비해 엘니뇨 시기에는 동태평양 적도 부근 해역에 상 (B)에서 여름철이 된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한낮의 태양의 최
승 기류가 나타나서 강수량이 증가한다. (가)는 엘니뇨 시기이고, 대 고도는 A가 B보다 낮다.

40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40 2021-01-07 오후 1:57:37


ㄴ. 자전축 경사 방향과 이심률이 (가) → (나)로 바뀌면 우리나라 실 기체가 지표면에서 방출되는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여 적외선
의 여름철 기온이 상승하고 겨울철 기온이 하강한다. 즉, 우리나 형태로 대기에서 지표로 재복사하는 에너지도 증가한다. 따라서
라에서 기온의 연교차는 (가)가 (나)보다 작다. 대기에서 흡수되는 지표면의 복사 에너지양은 온실 기체의 농도
ㄷ. (나)와 같이 13000년 후 세차 운동에 의해 지구의 자전축 방 가 낮은 1950년보다 온실 기체의 농도가 높은 2000년에 더 많았
향이 바뀌면 지구가 B에 위치할 때 남반구는 겨울철(북반구는 여 을 것이다.
름철)이 된다. 따라서 지구가 C에 위치할 때 남반구는 가을철(북 ㄴ. (나)에서 1986년~2005년의 평균 기온을 기준으로 1900년
반구는 봄철)이다. ~1909년의 평균 기온의 기온 편차는 (-) 값을 가진다. 따라서
1986년~2005년의 평균 기온은 1900년~1909년의 평균 기온

10 기후 변화의 지구 외적 요인 보다 높다.
지구 공전 궤도의 이심률이 현재보다 작아지면 근일점 거리는 현 ㄷ. 지구의 기온이 낮은 시기에는 대륙 빙하의 면적이 증가한다.
재보다 멀어지고, 원일점 거리는 현재보다 가까워진다. 지구 자전 따라서 극지방의 빙하 면적은 1900년보다 기온이 높은 2000년에
축의 경사각이 현재보다 작아지면 남반구와 북반구 모두 여름철 더 좁았을 것이다.
태양의 남중 고도는 낮아지고, 겨울철 태양의 남중 고도는 높아
진다. 12 지구의 열수지
ㄱ. 1년 동안 지구 전체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은 지구 지구의 반사율에 해당하는 값은 A+B이고, 온실 기체가 증가하
자전축의 경사각의 크기와는 관계없고,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 면 지구 대기의 흡수량(D)과 지구 대기에서 지표면으로 방출하여
에 의해서만 달라진다. 따라서 근일점과 원일점에서의 1년 동안 지표면에서 흡수되는 에너지(E)가 증가한다.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의 차는 지구 공전 궤도의 이 ㄱ. 대규모의 화산재가 분출되면 태양 복사 에너지를 반사하는
심률이 가장 큰 ㉢ 시기에 가장 크다. (A+B)의 총량은 증가한다.
ㄴ. ㉠ 시기는 현재보다 지구 공전 궤도 이심률과 지구 자전축의 ㄴ. C는 25(100=45+C+(A+B), A+B=30)이고, E는
경사각이 모두 작다. 지구 공전 궤도의 이심률이 작아지면 현재 88(133=45+E)이다. 즉, C<E이다.
보다 남반구 중위도 지역의 여름철(근일점)에 지구와 태양 사이의 ㄷ. 온실 기체가 증가하면 지구 대기가 흡수하는 에너지(D)와 대기
거리가 멀어지므로, 기온은 현재보다 낮아진다. 또한 지구 자전축 에서 지표로 재방출되어 지표가 흡수하는 에너지(E)가 증가한다.
의 경사각이 작아지면 현재보다 남반구 중위도의 여름철 태양의
남중 고도가 낮아져서 여름철 기온은 낮아진다. 따라서 ㉠ 시기에 13 지구의 복사 평형
남반구 중위도 지역의 여름철 기온은 현재보다 낮다. 대기가 없을 때인 (가)는 표면 온도의 일교차가 크고, 대기가 있을
ㄷ. ㉡ 시기는 ㉢ 시기보다 지구 공전 궤도 이심률은 작고, 지구 때인 (나)는 표면 온도의 일교차가 작다.
자전축의 경사각은 크다. 지구 공전 궤도 이심률이 작아지면 우리 ㄱ. 지표면의 평균 온도는 대기가 없을 때보다 대기가 있을 때 높
나라의 겨울철(근일점)에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가 현재보다 멀 다. 이는 대기가 없을 때 지표면은 태양 복사 에너지만 흡수하지
어지므로 기온이 현재보다 낮아지고, 여름철(원일점)에 지구와 태 만, 대기가 있을 때 지표면은 태양 복사 에너지와 대기에서 재복
양 사이의 거리가 현재보다 가까워지므로 기온이 현재보다 높아 사되는 에너지를 흡수하기 때문이다.
져서 기온의 연교차는 커진다. 지구 자전축의 경사각이 커지면 현 ㄴ. 표면 온도의 일교차는 대기가 없는 경우인 (가)가 대기가 있는
재보다 우리나라의 여름철 태양의 남중 고도가 높아져서 현재보 경우인 (나)보다 크다.
다 기온이 상승하고, 현재보다 겨울철 태양의 남중 고도가 낮아져 ㄷ. A는 태양 복사 에너지 중 지표면에서 흡수되는 에너지이고,
서 현재보다 기온이 하강하므로 기온의 연교차가 커진다. 따라서 B는 지표에서 대기로 방출되는 에너지이므로, A는 주로 가시광
우리나라 기온의 연교차는 ㉢보다 ㉡ 시기에 크다. 선 영역이고 B는 주로 적외선 영역이다. 따라서 A는 B보다 복사
에너지의 평균 파장이 짧다.
11 지구의 기온 변화
대기 중 온실 기체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지구의 기온이 높아졌다. 14 산악 빙하의 두께 변화
최근으로 올수록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는 정도가 더욱 증가하고 히말라야 고산 지대를 덮고 있는 산악 빙하가 2000년 이후(B 시
있으며, 이러한 경향이 지속될 경우 대륙 빙하의 면적은 더욱 빠 기)에 2000년 이전(A 시기)보다 빠르게 녹아내려 빙하의 두께가
르게 줄어들 것이다. 감소하고 있다.
ㄱ. 대기 중에 이산화 탄소, 메테인 등의 온실 기체가 많아지면 온 ㄱ. 그래프를 보면 A 시기의 평균 빙하 두께 감소량이 B 시기의

정답과 해설 41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41 2021-01-07 오후 1:57:37


정답과 해설

빙하의 녹는 양
08 별의 특성
평균 빙하 두께 감소량보다 작다. 따라서 의 평균
빙하의 생성량
적인 값은 B 시기보다 A 시기에 작다.
ㄴ. B 시기에 고도 6000`m에서 평균 빙하 두께 감소량은 약
0.2`m/년이고, 5000`m에서 평균 빙하 두께 감소량은 약
0.8`m/년이므로 두 고도에서의 평균 빙하 두께 감소량 차는 약
2점 수능 테스트 본문 154~159쪽

0.6`m/년이다. 01 ③ 02 ② 03 ③ 04 ④ 05 ⑤ 06 ④ 07 ①
ㄷ. 빙하 지역의 평균 기온이 상승하면 빙하의 해빙 속도가 증가 08 ② 09 ① 10 ⑤ 11 ⑤ 12 ③ 13 ⑤ 14 ①
하여 빙하의 두께가 감소한다. 그래프에서 평균 빙하 두께 감소량 15 ③ 16 ③ 17 ② 18 ③ 19 ③ 20 ④ 21 ①
이 A 시기보다 B 시기에 큰 것으로 보아 이 지역의 평균 기온은 22 ③ 23 ⑤ 24 ④
A 시기보다 B 시기에 높았을 것이다.

15 한반도 주변 해역의 수온 변화 01 플랑크 곡선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해 한반도 기온이 상승하면서 한반도 주변 해 흑체가 복사하는 파장에 따른 복사 에너지의 세기를 나타낸 곡선
역에서 고수온 현상이 더 빈번히 나타나고 있다. 을 플랑크 곡선이라고 한다.
ㄱ. 황해에는 북상하는 난류(황해 난류)는 있으나 남하하는 한류 ㄱ. 슈테판·볼츠만 법칙에 의하면 흑체가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
가 없어서 조경 수역이 형성되지 않는다. 우리나라 주변 해역에서 에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양은 표면 온도의 4제곱에 비례하므로,
조경 수역은 동해에서 형성된다. 표면 온도가 높은 별일수록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에 방출하는 복
ㄴ. (나)에서 이날 우리나라 주변에서 해당 일의 수온 편차(측정 사 에너지의 양이 많다. 그림에서 별이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에 방
값-30년간 평균값)가 가장 큰 해역이 동해이므로, 30년간 평균 출하는 복사 에너지의 양은 각각의 곡선 아래의 면적에 해당한다.
에 비해 수온이 가장 많이 상승한 해역은 동해이다. ㄴ. 빈의 변위 법칙에 의하면 흑체가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
ㄷ.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면 표층 해수의 평균 수온이 높아진다. 는 파장은 표면 온도가 낮을수록 길다. 그림에서 각 곡선의 꼭짓
수온이 높아지면 해수는 밀도가 낮아지고 부피가 팽창하므로 평 점에 해당하는 파장이 별에서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
균 해수면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일 것이다. 에 해당하며, 이는 별의 표면 온도가 낮을수록 길어진다.
ㄷ. 표면 온도가 높은 별일수록 짧은 파장의 빛을 많이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표면 온도가 높은 별일수록 파장이 긴 붉은색보다
16 한반도의 기후 변화 경향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을 더 많이 방출한다.
최근 100년간 우리나라에서는 지속적으로 기온이 상승하였고, 강
수량도 대체로 증가하였다. 지구의 평균 기온은 최근 100년간 약
0.85`¾ 상승하였으며, 우리나라는 이보다 약 2배 크게 상승하였다.
ㄱ. (가)의 그래프를 보면 우리나라 주요 도시의 기온은 상승하는 추
02 플랑크 곡선
(가)가 (나)보다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이 짧으므로,
세이다.
별의 표면 온도는 (가)가 (나)보다 높다.
ㄴ. 우리나라의 기후는 점차 평균 기온과 강수량이 상승하여 고온
ㄱ. (가)는 B 필터를 통과하는 파장 영역의 빛의 양보다 V 필터
다습한 아열대 기후로 변해가고 있으며 주요 작물의 재배지가 북
를 통과하는 파장 영역의 빛의 양이 적으므로, V 필터보다 B 필
상하고, 바다에서 잡히는 주요 어종이 바뀌는 등 다양한 변화가
터로 관측한 별빛이 더 밝다. 즉, B 등급이 V 등급보다 작고, (B
일어나고 있다.
등급-V 등급)은 (-) 값을 나타낸다. 반면 (나)는 B 필터를 통
ㄷ. 최근 100년간 우리나라에서는 지속적으로 기온이 상승하였
과하는 파장 영역의 빛의 양보다 V 필터를 통과하는 파장 영역
고, 강수량도 대체로 증가하였다. 즉, 우리나라 기후는 점차 고온
의 빛의 양이 많으므로 B 등급이 V 등급보다 크고, (B 등급-V
다습한 아열대 기후로 변해가고 있다.
등급)은 (+) 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B 등급-V 등급)은 (가)가
(나)보다 작다.
ㄴ. 별에서 단위 시간당 방출되는 총 복사 에너지의 양은 별의 표
면적과 별이 단위 시간 동안 단위 면적에서 내보내는 복사 에너
지양을 곱하여 얻을 수 있다. 두 별의 반지름이 같으므로 표면적
이 같고, 별이 단위 시간 동안 단위 면적에서 내보내는 복사 에너

42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42 2021-01-07 오후 1:57:38


지양은 표면 온도의 4제곱에 비례하므로 표면 온도가 높은 (가)가 ㄱ. 별의 표면 온도는 B가 A의 2배이다.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
(나)보다 단위 시간당 방출하는 총 복사 에너지양이 많다. 하는 파장은 표면 온도에 반비례하므로 B가 A의 ;2!;배이다.
ㄷ. 광도 계급이 Ⅴ인 별은 주계열성이다. 주계열성은 표면 온도
ㄴ.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에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의 양은 표면
가 높을수록 반지름이 크다. (가)는 (나)보다 표면 온도가 높음에
온도의 4제곱에 비례하므로 B가 A의 2Ý`배, 즉 16배이다.
도 불구하고 두 별의 반지름이 같으므로, (가)와 (나)의 광도 계급
ㄷ. 별의 반지름의 제곱(RÛ` )은 광도(L)에 비례하고, 표면 온도의
이 둘 다 Ⅴ라고는 볼 수 없다.
L
4제곱(TÝ`)에 반비례한다{RÛ`¥ }. A의 광도가 B의 100배이
TÝ`
03 별의 분광형과 스펙트럼
{;2!;}4`
고, 표면 온도가 ;2!;배이므로, A의 반지름은 B의
100
배=40
(가)의 스펙트럼에는 HⅠ의 흡수선이 가장 강하게 나타나므로 분
광형 ㉠은 A형에 해당하고, (나)에는 CaⅡ 흡수선이 가장 강하게
배이다.
나타나므로 ㉡은 K형에 해당한다.
ㄱ. 원소 기호 뒤에 로마자 Ⅰ이 붙으면 중성 원자를, Ⅱ, Ⅲ 등이
붙으면 이온을 나타낸다. (가)의 스펙트럼에서는 헬륨 이온의 흡 07 주계열성의 특징
그림에서 A 값이 커질수록 B 값이 커지므로 A와 B에는 비례 관
수선인 HeⅡ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계에 있는 두 물리량이 해당된다. 주계열성은 질량이 큰 별일수록
ㄴ. (나)는 분광형이 K형이므로 주황색 별이다. 흰색 별은 분광형
반지름과 광도가 크고, 표면 온도가 높으며, 진화 속도가 빠르고,
이 A형인 (가)이다.
절대 등급과 색지수가 작으며, 주계열에 머무는 시간이 짧다.
ㄷ. 표면 온도는 분광형이 A형인 (가)가 K형인 (나)보다 높다.
① 주계열성은 질량이 큰 별일수록 광도가 크다.
② 주계열성은 광도가 큰 별일수록 질량이 크다. 질량이 큰 별들
04 분광형과 광도 계급 은 중심 온도가 높아 수소 핵융합 반응이 매우 빠른 속도로 일어
광도 계급이 Ⅰ은 초거성, Ⅲ은 거성, Ⅴ는 주계열성이다. 나므로 주계열에 머무는 시간이 짧다.
ㄱ. 표면 온도는 분광형이 B3형인 아케르나르가 가장 높고, K2 ③ 주계열성은 표면 온도가 높은 별일수록 광도가 크고 절대 등
형인 아르크투루스가 가장 낮다. 급이 작다.
ㄴ. 데네브는 광도 계급이 Ⅰa이므로 밝은 초거성에 해당한다. ④ 주계열성은 진화 속도가 빠른 별일수록 표면 온도가 높고, 최
ㄷ. 아케르나르와 베가는 광도 계급이 Ⅴ이므로 주계열성이다. 주 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이 짧다.
계열성은 표면 온도가 낮을수록 절대 등급이 크므로, 표면 온도가 ⑤ 주계열성은 색지수가 큰 별일수록 표면 온도가 낮으므로 단위
더 낮은 베가가 아케르나르보다 절대 등급이 크다. 면적당 단위 시간에 방출하는 총 에너지양이 적다.

05 별의 물리량 08 H-R도와 별의 종류
별의 밝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두 별의 광도가 같을 때, (가)는 백색 왜성, (나)는 주계열성, (다)는 거성, (라)는 초거성에
거리가 먼 별일수록 겉보기 등급이 크다. 해당한다.
ㄱ. 별에서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은 표면 온도가 높 ㄱ. 평균 반지름은 초거성이 가장 크다. H-R도에서 오른쪽 위로
을수록 짧다. 분광형이 A0형인 (가)가 G2형인 (나)보다 표면 온 갈수록 반지름이 큰 별이 분포한다.
도가 높으므로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은 (가)가 (나)보 ㄴ. (나)의 별, 즉 주계열성은 질량이 클수록 광도가 크다.
다 짧다. ㄷ. 광도 계급은 초거성인 (라)가 Ⅰ, 거성인 (다)가 Ⅲ, 주계열성
ㄴ. (가)는 (나)보다 광도가 작고, 먼 곳에 있으므로 어둡게 보인 인 (나)가 Ⅴ, 백색 왜성인 (가)가 Ⅶ이다. 따라서 광도 계급의 숫
다. 즉, (가)는 (나)보다 겉보기 등급이 크다. 자는 (가)가 가장 크다.
ㄷ. 광도는 표면 온도의 4제곱과 반지름의 제곱에 비례한다. (가)
는 (나)보다 표면 온도가 높지만, 광도는 (가)가 (나)보다 작다. 이
09 수소 핵융합 반응
는 별의 반지름이 (가)가 (나)보다 작기 때문이다.
수소 핵융합 반응에서는 4개의 수소 원자핵이 융합하여 1개의 헬
륨 원자핵이 만들어지며, 주계열성일 때 별은 수소 핵융합 반응에
06 별의 표면 온도와 광도 의해 에너지를 생성한다.
별의 광도는 별의 반지름의 제곱과 표면 온도의 4제곱에 비례한다. ㄱ. 수소 핵융합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중심핵에서 반응물인 수소

정답과 해설 43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43 2021-01-07 오후 1:57:38


정답과 해설

의 질량비는 감소하고, 생성물인 헬륨의 질량비는 증가한다. 따라 ㄴ. 원시별이 주계열성으로 진화할 때, 질량이 큰 별은 H-R도에
서 A는 헬륨, B는 수소이다. 서 대체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고, 질량이 작은 별은 대체로 수
ㄴ. 별의 나이가 약 10억 년일 때, 중심핵에서 수소(B)의 질량비 직 방향으로 진화하는 경향이 있다. H-R도에서 가로축은 별의
는 감소하고 있고, 헬륨(A)의 질량비는 증가하고 있으므로 수소 표면 온도를 나타내므로 원시별이 주계열성으로 진화하는 동안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고 있다. 즉, 이 시기의 별은 주계열 단계에 표면 온도의 변화는 질량이 큰 별일수록 크다고 할 수 있다.
해당한다. 원시별 단계의 에너지원은 중력 수축 에너지이다. ㄷ. 원시별이 탄생한 후 10Ý`년이 지났을 때, 100 M⊙인 별은 주계
ㄷ. 별의 나이가 약 100억 년이 되면 중심핵의 수소의 질량비가 0 열 단계에 도달하므로 별의 중심핵에서는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
이 되어 수소 핵융합 반응이 종료되고, 이후 적색 거성 단계로 진 어난다.
화한다. 별의 나이가 약 100억 년~110억 년까지 중심핵에서 헬
륨의 질량비가 100`%로 유지되는 것으로 보아 이 기간 동안 중심 13 별의 진화
핵에서 헬륨 핵융합 반응은 일어나지 않는다. 원시별이 진화하여 주계열 단계를 거쳐 (초)거성으로 진화하는 동
안 각 단계에 머무르는 기간은 별의 질량에 따라 결정된다.
10 주계열성의 질량-광도 관계 ㄱ. 별의 질량과 관계없이 별은 일생 중 주계열 단계에 가장 오래
질량이 태양 질량의 약 2배보다 큰 주계열성의 내부에는 중심부 머무른다. 주계열 단계는 별의 일생 중 약 90`%를 머무는 가장
에 대류핵이 나타나고 바깥쪽에 복사층이 나타난다. 안정적인 단계이다.
ㄱ. A는 태양보다 절대 등급이 10만큼 작으므로 10Ý`배 밝은 별이 ㄴ. 질량이 큰 별일수록 중심부의 온도가 높아 수소 핵융합 반응
다. 그림에서 광도가 태양의 10Ý`배인 별의 질량은 태양 질량의 약 이 빠르게 일어나므로 별이 주계열 단계에 머무르는 시간이 짧아
10배이다. 진다. 따라서 질량이 태양 정도인 별은 태양 질량의 30배인 별이
ㄴ. A는 태양 질량보다 약 10배 무거운 별이므로 내부에는 대류 주계열 단계에 머무르는 시간인 11_10ß`년보다 긴 시간을 주계열
핵이 존재한다. 단계에 머무른다. 즉, ㉠은 11보다 크다.
ㄷ. 질량이 태양 질량의 약 10배인 A는 주계열 단계 이후 초거성 ㄷ. 성단에 속한 별들은 거의 동시에 태어났으며, 성단 내에는 다
으로 진화한다. 양한 질량을 가진 별들이 존재한다. 별의 질량에 따라 진화 속도
가 다르므로 어느 한 성단 내에는 다양한 진화 단계의 별이 모두
11 별의 진화 발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량이 태양 질량의 30배인 별은 진화
원시별은 중력 수축에 의해 중심부 온도가 상승하며, 중심부 온도 속도가 빨라 태어난 후 11.02_10ß`년 후에는 초거성까지 진화하
가 약 1000만`K에 이르면 중심부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 지만, 태양 질량의 0.1배인 별은 그 시간 동안 여전히 원시별 단계
나는 주계열성이 된다. 에 있다.
ㄱ. 주계열성이 되었을 때 A는 B보다 주계열 상단에 위치한다.
H-R도에서 주계열 상단에 위치한 별일수록 질량이 크므로 A는 14 핵융합 반응
B보다 질량이 크다. (가)는 3개의 헬륨 원자핵이 융합하여 1개의 탄소 원자핵이 생
ㄴ. 질량이 큰 원시별일수록 중력 수축이 빠르게 일어나므로 진화 성되는 헬륨 핵융합 반응이고, (나)는 4개의 수소 원자핵이 탄
속도가 빠르다. 따라서 주계열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A 소, 질소, 산소를 촉매로 융합하여 1개의 헬륨 원자핵이 생성되는
가 B보다 짧다. CNO 순환 반응(수소 핵융합 반응)이다.
ㄷ. 원시별이 주계열성으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중력 수축이 일어 ㄱ. 헬륨 핵융합 반응은 중심부 온도가 약 1억`K 이상에서 일어
나므로 A와 B의 반지름은 모두 감소한다. 나고, 수소 핵융합 반응은 중심부 온도가 약 1000만`K 이상에서
일어난다. 즉, (가)는 (나)보다 높은 온도에서 일어난다.
12 별의 진화 ㄴ. 핵융합 반응에서는 반응물의 질량 결손이 에너지로 전환된다.
원시별에서 주계열성이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질량이 큰 별일수 따라서 반응물인 Ý`He 3개의 질량의 합은 생성물인 Ú`Û`C 1개의 질
록 짧다. 량보다 크다.
ㄱ. 100 M⊙인 별은 원시별이 탄생한 지 10Ý`년이 되었을 때 주계 ㄷ. (나)는 CNO 순환 반응으로 수소 핵융합 반응의 한 종류이다.
열에 도달하지만 0.1 M⊙인 별은 원시별이 탄생한 지 10¡`년이 되 적색 거성의 중심부에는 수소가 거의 없으므로 (나)가 일어날 수
어야 주계열에 도달한다. 즉, 진화 속도는 질량이 큰 별일수록 빠 없다. 적색 거성의 중심부에서 중심부 온도가 약 1억`K에 도달하
르다. 였을 때 헬륨 핵융합 반응인 (가)가 일어난다.

44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44 2021-01-07 오후 1:57:38


15 태양 정도의 질량을 가진 별의 진화 ㄱ. 초신성 폭발은 질량이 매우 큰 별의 최종 진화 단계 무렵에서
태양 정도의 질량을 가진 별은 원시별(a) → 주계열성(b) → 적색 나타나고, 행성상 성운은 비교적 질량이 작은 별의 최종 진화 단
거성(c) → 맥동 변광성 → 행성상 성운과 백색 왜성(d)으로 진화 계 무렵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가)는 (나)보다 질량이 작은 별이
한다. 진화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이다.
ㄱ. a → b 과정은 원시별이 주계열성으로 진화하는 과정으로, 중 ㄴ. (가)의 내부에서는 백색 왜성이 발견될 수 있다. 중성자별은
력 수축에 의해 별의 반지름이 작아지는 과정에서 중력 수축 에너 질량이 매우 큰 별이 초신성 폭발을 일으킨 후, 중심부의 수축에
지가 발생한다. 의해 만들어진다.
ㄴ. 별의 일생 중 가장 오랜 시간을 머무르는 단계는 주계열 단계 ㄷ. (나)는 초신성 폭발에 의해 형성되었다. 초신성 폭발이 일어날
인 b이다. 때 발생한 강력한 에너지에 의해 금, 은, 우라늄 등 철보다 무거운
ㄷ. 백색 왜성은 대부분 탄소로 이루어져 있지만, 탄소 핵융합 반 원소들이 생성될 수 있다.
응은 일어나지 않는다. 백색 왜성은 중심부의 수축에도 불구하고
탄소 핵융합 반응을 시작할 수 있는 온도까지 중심부 온도가 도달 19 별의 진화
하지 못하므로 탄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가)에서 별의 최종 진화 단계는 백색 왜성, (나)에서는 중성자별
과 블랙홀이다.
ㄱ. 중성자별과 블랙홀은 질량이 매우 큰 별의 최종 진화 단계이
16 적색 거성으로의 진화 다. 따라서 (가)보다 (나)의 경로로 진화하는 별의 질량이 크다.
주계열성의 중심부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이 끝나면 중심부에는
ㄴ. 별의 질량이 클수록 진화 속도가 빠르므로 진화 속도는 (가)보
헬륨핵이 생성되며, 헬륨 핵융합 반응이 일어날 때까지 중심부에
다 (나)가 빠르다.
서 중력 수축이 일어난다.
ㄷ. 주계열성은 수소 핵융합 반응에 의해 안정적으로 에너지를 생
ㄱ. A 영역에서는 팽창이 일어나므로 표면 온도가 하강하고, C
성하므로, 별은 일생 중 가장 오랜 시간을 주계열 단계에서 머무
영역에서는 수축이 일어나므로 온도가 상승한다.
른다.
ㄴ. B 영역은 수소 껍질(수소각)로, C 영역이 수축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열에너지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여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
어난다. 20 별의 진화
ㄷ. C 영역은 수축하고 있다. 이는 C 영역에서 중력이 기체 압력 질량이 매우 큰 초거성의 중심부에서는 헬륨 핵융합 반응 이후에

차에 의한 힘보다 크기 때문이다. 탄소, 산소, 네온, 마그네슘, 규소 등의 핵융합이 순차적으로 일어


날 수 있다.
ㄱ. 이 별의 최종 진화 단계는 중성자별이다. 중성자별은 질량이
17 행성상 성운과 백색 왜성 매우 큰 별의 최종 진화 단계이며, 태양 정도의 질량을 가진 별의
A는 행성상 성운, B는 백색 왜성이다. 백색 왜성은 질량이 태양 최종 진화 단계는 백색 왜성이다.
정도인 별들의 최종 진화 단계에 해당한다. 질량이 매우 큰 별의 ㄴ. ㉠은 원시별에서 주계열성으로 진화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원
최종 진화 단계는 중성자별이나 블랙홀이다. 시별에서는 별의 중력이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보다 크므로 중력
ㄱ. A는 행성상 성운으로 질량이 태양 정도인 별들이 적색 거성 수축이 일어나고, 이때 위치 에너지의 감소로 인해 중력 수축 에
단계와 맥동 변광성 단계를 거친 후 별의 바깥쪽 물질을 우주 공 너지가 발생한다.
간으로 방출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것이다. 초신성 폭발은 질량이 ㄷ. ㉡은 적색 초거성이 중성자별로 진화하는 과정으로, 이 과정
매우 큰 별의 진화 과정에서 나타난다. 에서 초신성 폭발이 일어난다. 초신성 폭발 과정에서 발생한 강력
ㄴ. B는 백색 왜성이다. 한 에너지에 의해 철보다 무거운 원소가 생성된다.
ㄷ. B는 백색 왜성으로 대부분 탄소로 이루어져 있다. 적색 거성
단계에서 헬륨 핵융합 반응에 의해 탄소핵이 만들어지는데, 별의
21 별의 표면에서 힘의 평형 관계
바깥층 물질은 우주 공간으로 방출되어 행성상 성운을 만들고 남
정역학 평형 상태는 중력과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이 평형을 이
은 중심부가 수축하여 만들어진 것이 백색 왜성이다.
루는 상태로, 정역학 평형 상태의 별은 수축이나 팽창을 하지 않
고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18 별의 진화 ㄱ. 힘의 작용 방향이 별의 중심 방향인 B는 중력, 중력의 반대
(가)는 행성상 성운, (나)는 초신성 폭발 잔해이다. 방향인 A는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이다.

정답과 해설 45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45 2021-01-07 오후 1:57:39


정답과 해설

ㄴ. 별의 중심 방향으로 작용하는 중력(B)의 크기가 중력의 반대 ㄱ. 별의 중심부에서 핵융합 반응이 끝났을 때, (가)에는 탄소(C)
방향으로 작용하는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A)보다 크면 별은 수 와 산소(O)로 구성된 핵이, (나)에는 철(Fe) 핵이 만들어져 있
축한다. 즉, 별의 반지름은 점점 감소한다. 다. 별의 내부에서 핵융합 반응으로 만들어지는 마지막 원소가
ㄷ. A의 크기가 B보다 작아 별은 수축하게 된다. 따라서 별은 정 철(Fe)이므로 더 높은 단계의 핵융합 반응이 순차적으로 일어난
역학 평형 상태가 아니다. (나)가 (가)보다 질량이 큰 별이다.
ㄴ. (가)는 적색 거성의 내부 구조이고, (나)는 적색 초거성의 내부
22 핵융합 반응 구조이다. 따라서 절대 등급은 (가)가 (나)보다 크다(어둡다).
별은 질량에 따라 중심부의 온도가 달라지므로 핵융합 반응이 진 ㄷ. 중심부에서 핵융합 반응이 멈추면 중심부는 빠르게 중력 수축
행되는 정도는 별의 질량에 따라 결정된다. 을 하면서 별의 최종 진화 단계로 진입한다. 이후 (가)는 바깥층
ㄱ. 수소 핵융합 반응은 약 1_10à``K에서 일어나고, 규소 핵융합 물질을 우주 공간으로 방출하여 행성상 성운을 만들고, 중심부는
반응은 약 2.7_10á``K에서 일어난다. 따라서 수소 핵융합 반응은 수축하여 백색 왜성이 된다. 반면, (나)는 초신성 폭발로 우주 공
규소 핵융합 반응보다 반응 온도가 낮다. 간으로 물질들을 날려버리고 중심핵은 계속 수축하여 중성자별이
ㄴ.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별의 중심부 온도가 각 핵 나 블랙홀이 된다.
융합 반응의 반응 온도에 도달해야 한다. 질량이 태양 정도인 별
은 진화 과정 동안 중심부의 온도가 6_10¡``K까지 올라갈 수 없
으므로 수소와 헬륨 핵융합 반응까지만 일어난다. 그러나 별의 질
량이 클수록 중심부 온도가 높아서 헬륨보다 더 무거운 원소의 핵
융합 반응이 순차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ㄷ. 백색 왜성은 대부분 탄소로 이루어져 있지만 탄소 핵융합 반
응이 일어나지는 않는다. 따라서 백색 왜성의 중심부 온도는 탄소
핵융합 반응의 반응 온도인 약 6_10¡``K보다 낮다.

23 질량이 다른 주계열성의 내부 구조
질량이 태양 질량의 약 2배보다 작은 주계열성은 중심핵-복사
층-대류층의 내부 구조를 가지고, 태양 질량의 약 2배보다 큰 주
계열성은 대류핵-복사층의 내부 구조를 가진다.
ㄱ. 중심핵-복사층-대류층의 내부 구조를 가지는 (나)가 (가)보
다 질량이 작다. 주계열성은 질량이 클수록 반지름이 크므로, 별
의 반지름은 (나)보다 (가)가 크다.
ㄴ. 주계열성의 중심부 온도가 높을수록 p-p 반응보다는 CNO
순환 반응이 우세하게 일어난다. 별의 질량이 클수록 중심부 온도
가 높으므로 CNO 순환 반응은 (나)보다 질량이 큰 (가)에서 우세
하게 일어난다.
ㄷ. (가)의 경우 중심부 온도가 매우 높고, 핵융합 반응이 비교적
중심부의 좁은 영역에서만 일어나기 때문에 중심부와 바깥층 사
이의 온도 차가 크다. 상·하부의 온도 차가 클 때 효과적인 에너
지 전달 방법이 대류이므로, 질량이 큰 별의 중심부에서 생성된
에너지는 대류의 형태로 바깥층으로 전달된다. 즉, (나)의 대류층
과 같은 방식으로 에너지를 전달한다.

24 핵융합 반응이 끝난 별의 내부 구조
질량이 큰 별일수록 중심부의 온도가 높아 중심핵에서 더 높은 단
계의 핵융합 반응이 순차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46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46 2021-01-07 오후 1:57:39


3점 수능 테스트
별일수록 밝다(즉, 절대 등급이 작다). 따라서 표면 온도가 높은
본문 160~171쪽
A의 절대 등급이 B보다 작다.
01 ③ 02 ② 03 ③ 04 ① 05 ② 06 ② 07 ⑤ ㄷ. 그림은 지구 대기권 밖에서 단위 시간 동안 관측한 별의 파장
08 ③ 09 ② 10 ④ 11 ② 12 ③ 13 ⑤ 14 ③ 에 따른 복사 에너지 세기 곡선이다. 이때 곡선 아래의 면적은 단
15 ③ 16 ② 17 ① 18 ② 19 ① 20 ④ 21 ③ 위 시간 동안 관측자에게 도달하는 별의 파장별 복사 에너지의 총
22 ③ 23 ① 24 ④ 량으로 관측되는 별의 밝기, 즉 겉보기 밝기에 해당한다. 그림에
서 곡선 아래의 면적이 같다고 하였으므로 A와 B의 겉보기 등급
은 같다. 그러나 절대 등급은 A가 B보다 더 작으므로 A가 B보
01 플랑크 곡선 다 더 먼 별이다.
별의 표면 온도가 높을수록 단위 시간에 단위 면적당 방출하는 복
사 에너지양이 많아진다.
ㄱ.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kmax)은 표면 온도에 반비
04 별의 여러 가지 물리량
주계열성은 표면 온도가 높을수록 광도가 크고 플랑크 곡선에서
례한다. kmax는 (가)가 0.4`lm, (나)가 0.8`lm로 (가)가 (나)의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이 짧다.
;2!;배이므로, 표면 온도는 (가)가 (나)의 2배이다. ㄱ. (가)에서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kmax)이 짧을수록
ㄴ. 주계열성은 표면 온도가 높은 별일수록 반지름이 크다. 따라 표면 온도가 높다. 따라서 표면 온도가 높은 ㉡보다 표면 온도가
서 (가)가 (나)보다 반지름이 큰 별이다. 낮은 ㉠이 색지수가 크다.
ㄷ. 그림에서 곡선 아래의 면적은 별이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에 ㄴ. 주계열성은 광도가 클수록 질량이 크다. 따라서 질량은 ㉠보
방출하는 에너지양(E)에 해당한다. E는 표면 온도의 4제곱에 비 다 ㉡이 크다.
례하므로 곡선 아래 면적의 크기는 (가)가 (나)의 2Ý`배, 즉 16배 ㄷ.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kmax)이 길수록 표면 온도
이다. 가 낮고, 주계열성은 표면 온도가 낮을수록 광도가 작다.

02 별의 광도와 플랑크 곡선 05 별의 분광형과 스펙트럼


플랑크 곡선은 표면 온도 T인 흑체가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에 별의 분광형은 표면 온도에 따라 결정되며, 분광형을 표면 온도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의 세기를 파장에 따라 나타낸 것으로 최대 가 높은 순으로 나열하면 O형-B형-A형-F형-G형-K
1 형-M형 순이다.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kmax)은 kmax¥ 의 관계가 있다.
T ㄱ. 수소 흡수선은 표면 온도가 약 10000`K인 A형 별에서 가장
ㄱ. 광도가 큰 별은 절대 등급이 작으므로 A의 절대 등급은 B보 강하게 나타난다.
다 작다. ㄴ. 주계열성은 질량이 클수록 표면 온도가 높다. 스펙트럼을 보
ㄴ. 별의 광도(L)는 별의 반지름과 표면 온도를 각각 R, T라고 면 질량이 작은 M형 별(표면 온도가 낮은 별)은 질량이 큰 별(표
L R Û`´TAÝ`
할 때, L¥RÛ ` ´TÝ ` 의 관계가 있으므로, A = A 에서 면 온도가 높은 별)보다 흡수선의 개수가 많이 나타난다. 별은 표
LB RBÛ`´TBÝ`
TAÝ` 1 면 온도가 높을수록 이온선이, 낮을수록 분자선이 강하게 나타나
=:Á16¼ :¼ ´ =;1Á6;이 되므로 A의 표면 온도가 B보다 낮다.
TBÝ` 10Û` 는 경향이 있는데, 분자선은 이온이나 중성 원소의 흡수선에 비해
ㄷ. 별 A의 표면 온도가 B보다 낮으므로 별 A의 플랑크 곡선은 대체로 복잡한 형태를 띤다.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이 더 긴 ㉡이다. 플랑크 곡선 ㄷ. 태양의 표면 온도는 약 5800`K으로 G2형 별에 해당한다. 따
에서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kmax)은 별의 표면 온도 라서 태양의 스펙트럼은 G형인 별의 스펙트럼과 가장 유사하다.
(T)에 반비례한다.
06 별의 물리량
03 별의 물리량 색지수는 (B 등급-V 등급)에 해당하며, 색지수가 작을수록 고
겉보기 등급이 같을 때, 절대 등급이 더 작은 별(광도가 큰 별)일 온의 별이다. 색지수와 절대 등급을 알면 H-R도상에 각 별의
수록 먼 거리의 별이다.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ㄱ. 별의 표면 온도는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이 더 짧 ㄱ. O형 별은 표면 온도가 약 28000`K 이상인 고온의 별이고
은 A가 B보다 높다. 색지수(B-V)는 (-) 값을 나타낸다. (가)의 색지수(B-V)가
ㄴ. A와 B는 주계열성이다. 주계열성일 경우 표면 온도가 높은 +1.5이므로 (가)는 O형 별이 아니다.

정답과 해설 47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47 2021-01-07 오후 1:57:39


정답과 해설

ㄴ. (가)의 색지수(B-V)는 +1.5, (나)의 색지수(B-V)는 09 H-R도


-0.3이므로 (가)는 (나)보다 표면 온도가 낮다. 표면 온도가 낮은 A는 초거성, B는 거성, C와 D는 주계열성, E는 백색 왜성에 해
(가)가 (나)보다 절대 등급이 더 작은(밝은) 것은 반지름이 (나)보다 당한다.
더 크기 때문이다. ① H-R도에서 왼쪽 아래로 갈수록 별의 평균 밀도가 커진다.
ㄷ. 중심핵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별은 주계열성이 평균 밀도는 초거성인 A가 가장 작고, 백색 왜성인 E가 가장 크다.
다. 주계열성은 표면 온도가 높은 별일수록 반지름이 큰데, (가)와 ② D의 표면 온도가 B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두 별의 광도가
(나)는 이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두 별 모두 수소 핵융 같은 것은 B의 반지름이 D보다 크기 때문이다.
합 반응을 하는 주계열성이라고 볼 수는 없다. ③ 별은 질량이 클수록 진화 속도가 빨라 수명이 짧다. D는 C보
다 질량이 크므로 수명은 D가 C보다 짧다.
④ H-R도에서 분광형이 O형 쪽으로 갈수록(왼쪽으로 갈수록) 별
07 별의 스펙트럼
광도 계급이 Ⅰ인 별은 초거성, Ⅲ인 별은 거성, Ⅴ인 별은 주계열 의 표면 온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표면 온도는 E가 가장 높다.

성이다. ⑤ 광도 계급은 초거성인 A가 Ⅰ, 거성인 B가 Ⅲ, 주계열성인 C

ㄱ. 분광형이 같을 때, 광도 계급의 숫자가 작을수록 반지름이 크 가 Ⅴ이다.

다. 따라서 반지름은 광도 계급이 Ⅰ인 (가)가 가장 크다.


ㄴ. (다)의 광도 계급이 Ⅴ이므로, (다)는 주계열성에 해당한다.
ㄷ. (가), (나), (다) 중 흡수선의 폭은 (가)가 가장 좁고 (다)가 가 10 H-R도와 별의 물리량
장 넓게 나타난다. 분광형이 같을 때, 평균 밀도는 초거성(가)< 별 (가), (나), (다)의 분광형과 절대 등급을 이용하여 H-R도상
적색 거성(나)<주계열성(다) 순이므로, 평균 밀도가 큰 별일수록 에 별의 위치를 표시하면, (가)는 거성, (나)는 초거성, (다)는 백
흡수선의 폭이 넓다고 할 수 있다. 별의 표면 중력은 흡수선의 폭 색 왜성에 해당한다.
에 영향을 주는데, 표면 중력이 큰 별, 즉 별의 평균 밀도가 큰 별 ㄱ. H-R도에서 오른쪽 위로 갈수록 반지름은 커진다. 또한,
일수록 흡수선의 폭은 넓어진다. (나)는 (가)보다 표면 온도는 낮지만 광도가 매우 크므로 반지름은
(나)가 (가)보다 크다.
ㄴ. 거성인 (가)는 이후 (다)와 같은 종류의 별, 즉 백색 왜성으로
08 별의 물리량 진화한다. 또한, 초거성인 (나)는 이후 중성자별이나 블랙홀로 진
반지름이 R, 표면 온도가 T인 별의 광도(L)는 L=4pRÛ`´rTÝ` 화하게 된다.
L
(r=5.670_10 `W´m ´K )이므로, R¥¾¨ 이다.
-8 -2 -4
ㄷ. 별은 질량에 따라 진화 과정이 달라진다. 질량이 태양과 비슷
TÝ`
한 별은 원시별 → 주계열성 → 적색 거성 → 맥동 변광성 → 행성상
ㄱ.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kmax)은 표면 온도와 반비
성운과 백색 왜성의 과정으로 진화하지만, 질량이 매우 큰 별은
a b a b
례한다. 즉, ¥;3^0)0)0);이고 ¥:Á6¼0¼0¼0¼:이므로 는 보다 원시별 → 주계열성 → 초거성 → 초신성 폭발 → 중성자별이나 블
b c b c
크다. 랙홀로 진화한다. 따라서 원시별 단계였을 때, 질량은 현재 초거
성인 (나)가 백색 왜성인 (다)보다 크다.
ㄴ. 표면 온도는 A가 B의 ;2!;배이고 광도는 A가 B의 100배이며

{;2!;}4`
L L 100
R¥¾¨ 이므로, R¥¾¨ = =40, 즉 반지름은 A가
TÝ` TÝ`
11 주계열성의 질량-광도 관계
B의 40배이다. 주계열성 중 광도가 큰 별일수록 질량이 크다.
ㄷ. 별의 표면 온도와 광도를 알면 H-R도상에서의 대략적인 위 ㄱ. 지구에서 A까지의 거리는 100`pc이고, A의 겉보기 등급이
치를 알 수 있다. B는 표면 온도가 6000`K이고 광도가 태양 광도 +5.0이므로 A의 절대 등급은 0이다.
와 같으므로 H-R도상에 태양과 거의 같은 위치에 있으며, A는 ㄴ. A와 태양의 절대 등급이 각각 0, +5.0이므로 A의 광도는
B보다 표면 온도가 낮지만 광도가 크므로 B의 오른쪽 상단에, C 태양의 100배이다. 주계열성의 질량-광도 관계 그래프에서 광도
는 B보다 표면 온도가 높지만 광도가 작으므로 B의 왼쪽 하단에 가 태양의 100배인 별의 질량은 태양 질량의 5배보다 작은 값을 나
위치한다. 즉, B는 주계열성, A는 적색 거성, C는 백색 왜성에 타낸다.
해당하며, 광도 계급의 숫자는 적색 거성인 A가 Ⅲ으로 가장 작 ㄷ. A의 광도(L)는 태양의 100배이다. A와 태양의 광도를 각각
고, 주계열성인 B가 Ⅴ, 백색 왜성인 C가 Ⅶ로 가장 크다. L, L⊙, 반지름을 R, R⊙, 표면 온도를 T, T⊙라고 할 때,

48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48 2021-01-07 오후 1:57:40


L RÛ`´TÝ` 화한다. A가 B보다 주계열 상단에 도달했으므로 질량이 더 크다.
= 이다. 또, A와 태양의 표면 온도가 각각 12000`K,
L⊙ R⊙Û`´T⊙Ý`
ㄴ. 원시별의 질량이 클수록 중력 수축이 빠르게 일어나 빨리 주
T
6000`K이므로 표면 온도의 비 =2이다. 계열에 도달하고, 별의 질량이 클수록 중심부 온도가 높아 에너지
T⊙
}2`´2Ý`=100에서 태양 반지름에 대한 A의 반
L R 를 빨리 소모하므로 진화 속도가 빠르다. 따라서 진화 속도는 A
따라서 ={
L⊙ R⊙ 가 B보다 크다.
R
지름 =:Á4¼:=2.5가 된다. ㄷ. 대부분의 별들은 일생의 90`% 이상을 주계열 단계에 머무는
R⊙
데, 질량이 큰 별일수록 에너지를 빨리 소모하여 수명이 짧고 주
계열에 머무는 시간도 짧다. A가 B보다 질량이 크므로 주계열에
12 주계열성의 질량-광도 관계 머무는 시간이 짧다.
ㄱ. 최대 복사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은 표면 온도가 높은 A가
표면 온도가 낮은 B보다 짧다.
15 별의 진화
ㄴ. A는 태양과 표면 온도는 같지만 절대 등급이 약 10등급 작으
태양은 중심핵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주계열성으로,
므로 광도는 태양보다 약 10Ý`배 크다. 표면 온도가 같을 때, 광도
이 단계에서 가장 오랜 시간을 보낸다.
는 반지름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A의 반지름은 태양의 약 100배
ㄱ. (나)의 ⓐ는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주계열성 단계의 내
이다.
부 구조이다. 태양을 포함한 모든 별들은 주계열성 단계에서 가장
ㄷ. 태양의 표면 온도(T⊙), 광도(L⊙), 반지름(R⊙)을 각각 1이라고
오래 머문다.
했을 때, B의 표면 온도(T)는 태양의 ;2!;배이고, B의 절대 등급 ㄴ. (가)의 ㉠에서 ㉡으로 진화하는 동안 헬륨 중심핵이 수축하고
1 중심핵 바깥쪽에서 일어나는 수소 핵융합 반응에 의해 별의 바깥
이 태양보다 약 5등급 크므로 광도(L)는 태양의 약 배이다. 따
10Û` 층이 팽창한다. 이 단계에서 별의 내부 구조는 (나)의 ⓑ와 같다.
L 1 ㄷ. (가)의 ㉡~㉢ 단계에서는 헬륨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 탄소가
B의 반지름 R L⊙ 10Û`
라서 = ¥ = =;1¢0;=0.4이다. 생성되지만 이후 태양의 진화 과정에서 탄소 핵융합 반응은 일어
태양의 반지름 R⊙ TÝ` {;2!;}4 나지 않는다.
T⊙Ý`
1
(나)에서 태양 광도의
10Û`
배인 별의 질량(M)은 태양 질량(M⊙)
16 수소 핵융합 반응
B의 질량 M 0.5 수소 핵융합 반응에는 p-p 반응(양성자·양성자 반응)과 CNO
의 약 0.5배이므로 = = =0.5이다. 따라서
태양의 질량 M⊙ 1 순환 반응(탄소·질소·산소 순환 반응)이 있다. p-p 반응은 약
B의 반지름 B의 질량 1800만`K 이하의 온도에서 우세하고, CNO 순환 반응은 약
< 이다.
태양의 반지름 태양의 질량
1800만`K 이상의 온도에서 우세하다. 태양의 중심부 온도는 약
1500만`K이므로 p-p 반응이 우세하다.
13 별의 종류 ㄱ. 수소 핵융합 반응은 주계열성의 중심부에서 일어난다.
주계열성, 백색 왜성, 초거성 중 평균 밀도는 백색 왜성>주계열 ㄴ. (가)는 p-p 반응이고, (나)는 CNO 순환 반응이다. 고온의
성>초거성 순이다. 온도 조건에서는 p-p 반응보다 CNO 순환 반응이 우세하게 일
ㄱ. 평균 밀도가 가장 작은 A는 초거성이고, B는 주계열성이며, 어난다.
평균 밀도가 가장 큰 C는 백색 왜성이다. ㄷ. 수소 핵융합 반응에서는 핵융합 반응으로 생성된 헬륨 원자핵
ㄴ. 반지름은 초거성>주계열성>백색 왜성 순이므로, (가)에 들 1개의 질량이 반응에 참여한 수소 원자핵 4개의 질량의 합보다
어갈 물리량으로 적절하다. 작아 질량 손실이 일어나며, 손실된 질량이 에너지로 전환되어 방
ㄷ. 광도는 초거성인 A가 백색 왜성인 C보다 크다. 초거성은 표 출된다.
면 온도는 낮지만 반지름이 매우 커서 광도가 크고, 반대로 백색
왜성은 표면 온도는 높지만 반지름이 매우 작아서 광도가 작다.
17 수소 핵융합 반응
별의 중심 온도에 따라 보다 우세하게 일어나는 수소 핵융합 반응
14 원시별의 진화 경로 의 종류가 달라진다.
별의 진화 속도는 별의 질량에 의해 결정된다. ㄱ. (가)는 6개의 수소 원자핵이 여러 반응 단계를 거치는 동안 헬
ㄱ. 질량이 큰 원시별일수록 H-R도에서 주계열 상단을 향해 진 륨 원자핵 1개와 수소 원자핵 2개로 바뀌면서 에너지를 생성하는

정답과 해설 49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49 2021-01-07 오후 1:57:40


정답과 해설

p-p 반응(양성자·양성자 반응)이다. 20 주계열성의 내부 구조


ㄴ. 현재 태양의 중심부 온도는 약 1500만`K이다. 이 온도에서 주계열성의 내부에서는 중심핵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면
에너지 생성률은 A가 B보다 더 많으므로 태양에서는 A가 B보 서 헬륨이 차지하는 비율이 점점 높아진다. 그러나 주계열성 단
다 더 우세하게 일어난다. 계에서는 정역학 평형을 이루기 때문에 별의 크기는 거의 변화가
ㄷ. p-p 반응은 저온의 별에서, CNO 순환 반응은 고온의 별에 없다.
서 더 우세하게 일어난다. 따라서 (나)에서 A는 p-p 반응, B는 ① (가)에서 태양 중심으로부터 표면에 이르기까지 수소와 헬륨
CNO 순환 반응에 해당한다. 즉, (나)에서 (가)에 해당하는 것은 의 구성 비율이 동일하므로 헬륨의 대부분이 별의 표면 부근에 존
A이다. 재하는 것은 아니다.
② (나)에서는 수소 핵융합 반응을 통해 헬륨이 만들어지고 있으
며, 이러한 핵융합 반응이 별의 주요 에너지원이 된다.
18 (초)거성으로의 진화 ③ (다)의 중심부에 있는 헬륨핵이 헬륨 핵융합 반응을 하기 위해
주계열성의 중심부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이 끝나면 중심부에 헬
서는 중심핵에서 중력 수축이 일어나 중심부의 온도가 더 높아져
륨핵이 생성되며, 헬륨 핵융합 반응이 일어날 때까지 중심부에서
야 한다. 별의 중심핵에서 헬륨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게 되는 때
는 중력 수축이 일어난다.
는 이 별이 적색 거성에 도달한 후이다.
ㄱ. 별의 바깥층이 팽창함에 따라 표면 온도는 감소하지만, 표면
④ (가)~(다) 과정에서 별의 크기가 거의 일정한 것은 이 기간
온도의 감소에 비해 반지름의 증가가 더 크므로 별의 광도는 커
동안 별이 팽창과 수축을 거의 하지 않는 정역학 평형 상태를 유
진다.
지한 것이며, 이것은 별 내부에서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과 중력
ㄴ. 별의 바깥층이 팽창함에 따라 표면 온도는 감소한다.
이 평형을 이루기 때문이다.
ㄷ. 별의 중심부에서는 중력 수축이 일어나므로 중심 온도가 증가
⑤ (가)~(다) 과정에서 별은 정역학 평형 상태를 유지하므로 크
한다.
기와 표면 온도 등의 변화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ㄹ. 중심핵을 둘러싼 수소 껍질(수소각)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 수소가 소모되므로 별 전체에서 수소가 차지하는 비율은
점점 감소한다. 21 백색 왜성
별의 중심부가 다이아몬드로 가득 차 있을 것이라 예상되는 별은
중심부의 구성 성분이 탄소이며, 내부가 고온·고압의 환경이다.
19 태양의 진화 ㄱ. 별의 중심부가 탄소로 이루어진 별은 질량이 비교적 작은 적
현재 태양의 중심부에는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고 있으므로 색 거성이나 백색 왜성이다. 그러나 ‘루시’라고 이름 붙여진 이 별
수소의 질량비는 점점 감소하고, 헬륨의 질량비는 점점 증가한다. 은 지름이 약 1500`km로서 지구보다도 작다. 따라서 이 별은 백
ㄱ. 태양이 주계열 단계에 처음 도달했을 때와 현재의 질량비를 색 왜성에 해당한다.
비교하면, 중심부에서 원소의 질량비가 (가)는 감소했고 (나)는 증 ㄴ. 백색 왜성은 태양 정도 질량을 가진 별의 최종 진화 단계에 해
가했다. 따라서 (가)는 수소 핵융합 반응의 반응물인 수소의 질량 당하는 별로서 지구보다 작은 크기이며 평균 밀도는 태양보다 크다.
비이고, (나)는 생성물인 헬륨의 질량비이다. ㄷ. 백색 왜성은 중심부가 헬륨 핵융합 반응으로 생성된 탄소로
ㄴ. (나)는 태양의 중심에서 표면까지 헬륨의 질량비를 나타낸 것 이루어진 별로서 별의 최종 진화 단계에 해당한다. 백색 왜성은
이며, 태양이 주계열 단계에 처음 도달했을 때에는 태양의 중심에 중심핵의 온도가 탄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기 위한 온도에 이르
서 표면까지 헬륨이 골고루 분포하였다. 이는 태양이 원시별 단계 지 못해 더 이상의 핵융합 반응은 일어나지 않는다.
에 있을 때에도 태양의 중심핵에 헬륨이 존재하였다는 의미이다.
ㄷ. 수소 핵융합 반응은 반응물인 수소의 양이 많을수록, 온도가 22 별의 진화 경로
높을수록 더 활발하게 일어난다. 주계열 단계에 처음 도달했을 때 A는 백색 왜성, B는 중성자별, C는 블랙홀이며, 주계열 단계일
수소는 태양 전체적으로 골고루 분포하였으므로, 온도가 높은 중 때 질량은 A<B<C 순이다.
심부가 바깥쪽에 비해 반응이 더 활발하게 일어난다. (가)에서 주 ㄱ. 별은 질량이 클수록 진화 속도가 빨라 최종 진화 단계에 빨리
계열 단계에 처음 도달했을 때와 현재의 수소 질량비를 비교하면, 도달한다. 따라서 원시별이 최종 진화 단계인 A, B, C에 이를 때
중심부의 수소 감소량이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20만`km인 지 까지 걸리는 시간은 C로 진화하는 경우가 가장 짧고, A로 진화하
점에 비해 더 많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수소 핵융합 반응이 태양 는 경우가 가장 길다.
의 중심에서 더 활발하기 때문이다. ㄴ. 철은 별의 내부에서 핵융합 반응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는 마

50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indd 50 2021-01-12 오전 10:08:14


지막 원소이다. 즉, 별의 내부에서 철 핵융합 반응은 일어나지 않
는다. 09 외계 행성계와 외계 생명체 탐사
ㄷ. 질량이 매우 큰 별은 초신성 폭발 이후 중심부가 수축하여 밀
도가 매우 큰 중성자별(B)이 만들어진다. 중심핵의 질량이 더 큰
경우에는 더 많이 수축하므로 밀도와 표면 중력이 매우 커서 빛조 2점 수능 테스트 본문 178~179쪽
차 빠져나올 수 없는 블랙홀(C)이 된다. 따라서 평균 밀도는 C가
01 ④ 02 ② 03 ③ 04 ⑤ 05 ③ 06 ① 07 ①
가장 크다.
08 ⑤

23 별의 에너지원
(가)는 중력 수축 에너지, (나)는 수소 핵융합 반응에 의한 에너지, 01 외계 행성 탐사 방법
(다)는 헬륨 핵융합 반응에 의한 에너지에 해당하며, A는 원시별, 외계 행성의 존재 여부를 탐사하는 방법에는 중심별의 시선 속도
B는 주계열성, C는 적색 거성에 해당한다.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 식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 미세 중력 렌즈
① (가)는 중력 수축이 일어나는 천체에서 발생하므로 원시별인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A의 주요 에너지원이다. (나)는 수소 핵융합 반응으로 주계열성 ㄱ. (나)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별빛의 파장 변화를 이용하는
인 B의 주요 에너지원이다. (다)는 헬륨 핵융합 반응으로 적색 거 방법이므로 A에 해당한다.
성인 C의 주요 에너지원이다. ㄴ. (가)에서는 행성에 의해 중심별의 밝기가 감소하는 현상을 관
측하고, (다)에서는 외계 행성계에 의해 배경별의 밝기가 변하는
24 정역학 평형 상태 현상을 관측한다.
중력은 별의 중심 방향으로,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은 중력의 반 ㄷ. C는 식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식 현상은 행성의 공전 주
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기마다 관측되는데, 행성의 공전 주기가 너무 길면 관측하는 동안
ㄱ. (가)는 중력보다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이 크므로 별은 팽창 식 현상을 관측할 수 있는 가능성이 낮아져 행성의 존재 여부를
하게 된다. 중력 수축 에너지는 중력보다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 탐사하는 데 불리하다.
이 작을 때 발생한다.
ㄴ. (나)는 중력과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의 크기가 같으므로 정
역학 평형 상태이다.
02 시선 속도 변화를 이용한 탐사
중심별이 공통 질량 중심을 중심으로 공전함에 따라 시선 속도가
ㄷ. 중력과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의 크기 차가 없으면 별은 수축
변하면서 도플러 효과에 의한 별빛의 파장 변화가 나타난다. 이를
이나 팽창을 하지 않고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두 힘의 크기
이용하여 행성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차가 클수록 팽창이나 수축이 더 크게 일어난다.
ㄱ. 중심별과 행성은 공통 질량 중심 주위를 같은 회전 방향과 같
은 주기로 회전한다.
ㄴ. 별빛 ㉠이 별에서 방출될 당시 행성은 지구로부터 멀어지고,
중심별은 지구 쪽으로 가까워진다. 따라서 별빛 ㉠에서 청색 편이
가 나타난다.
ㄷ. 행성의 질량이 클수록 별의 시선 속도 변화가 커지고, 그에 따
라 별빛의 도플러 효과가 커져 행성의 존재를 확인하기 쉽다.

03 식 현상을 이용한 탐사
중심별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이 중심별의 앞면을 지날 때 중심별
의 일부가 가려지는 식 현상이 나타난다. 식 현상에 의한 중심별
의 밝기 변화를 관측하여 행성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ㄱ. 행성의 공전 주기는 행성에 의한 식 현상이 나타나는 주기와
같다. 따라서 (t°-tÁ)은 행성의 공전 주기에 해당한다.
ㄴ. tÁ일 때 행성에 의해 중심별의 일부가 가려졌으므로 tÁ~t£까

정답과 해설 51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51 2021-01-07 오후 1:57:41


정답과 해설

지 중심별과 지구 사이의 거리는 감소하고, t£~t°까지 중심별과 ㄷ. 현재까지 발견한 외계 행성의 수는 3000개 이상이며, 대부분
지구 사이의 거리는 증가한다. 따라서 tª일 때 중심별의 스펙트럼 지구보다 크기와 질량이 큰 기체형(목성형) 행성이다.
에서 청색 편이가 나타나고, t£일 때 원래 파장으로 관측되기 때문
에 선 스펙트럼의 파장은 tª보다 t£일 때 길다. 07 주계열성의 질량과 생명 가능 지대
ㄷ. 행성의 공전 궤도면이 관측자의 시선 방향과 수직인 경우 행 생명 가능 지대는 별의 주위에서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
성이 중심별과 관측자 사이에 위치하지 않아 식 현상이 일어나지 는 거리의 범위이다. 주계열성의 질량이 클수록 생명 가능 지대는
않는다. 중심별로부터 멀어지고, 폭은 넓어진다.
ㄱ. 주계열성은 H-R도에서 왼쪽 상단에 위치할수록 표면 온도
04 미세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한 탐사 가 높고, 광도가 크다. 따라서 별 주변에서 생명 가능 지대의 폭은
거리가 다른 두 개의 별이 같은 방향에 있을 경우 뒤쪽 별의 별빛 H-R도에서 왼쪽 상단에 위치한 ㉠이 ㉡보다 넓다.
이 앞쪽 별의 중력에 의해 굴절되어 밝기가 변하는데, 이를 미세 ㄴ. ㉡은 분광형이 M형이므로 태양(G형)보다 광도가 작은 주계
중력 렌즈 현상이라고 한다. 열성이다. G형 별로부터 1`AU 거리에 위치한 행성은 생명 가능
ㄱ. 별의 밝기 변화 그래프에서 A는 앞쪽에 위치한 별 ㉡의 미세 지대에 위치하지만, M형 별로부터 1`AU 거리에 위치한 행성은
중력 렌즈 효과에 의해 나타난 별 ㉠의 밝기 변화이다. 생명 가능 지대의 바깥쪽에 위치한다.
ㄴ. 별의 밝기 변화 그래프에서 B는 별 ㉡의 주변에 있는 행성의 ㄷ. 생명 가능 지대에 있는 행성에서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미세 중력 렌즈 효과에 의해 나타난 별 ㉠의 밝기 변화이다. 있는 기간은 중심별의 진화 속도가 느릴수록 길다. 따라서 질량이
ㄷ. 미세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한 탐사는 행성의 중력을 이용하 작은 주계열성인 ㉡에서 더 길다.
는 방법이다. 따라서 행성의 공전 궤도면과 관측자의 시선 방향이
이루는 각에 관계없이 이용 가능하다.
08 별의 수명과 생명체의 진화
주계열성의 질량이 클수록 수소 연료가 많지만, 질량이 클수록 중
05 직접 관측하는 방법 심부에서 핵융합 반응 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수명이 짧다.
외계 행성계를 직접 관측할 경우, 행성의 밝기가 중심별에 비해 ㄱ. 별의 중심부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이 지속되는 시간을 t라고
매우 어두우므로 중심별을 가리고 촬영하여 행성의 존재를 확인 했으므로, t는 별이 주계열 단계에 머무는 시간에 해당한다.
할 수 있다. ㄴ. 별의 광도(L)는 대략 질량(M)의 세제곱에 비례하므로, 주계
ㄱ. 행성의 크기가 클수록 직접 촬영을 통해 행성의 존재 여부를 M M 1
열 수명 t¥ ¥ ¥ 이다.
확인하기가 용이하다. L MÜ` MÛ`
ㄴ. 중심별을 가리고 촬영하므로 중심별과 행성 사이의 거리가 너무 ㄷ. 태양의 주계열 수명이 약 100억 년이므로 만약 태양의 질량이

가까우면 직접 관측을 통해 행성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 현재의 2배였다면 수명은 약 25억 년이었을 것이다. 지구상에 육

ㄷ. 외계 행성계까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중심별과 행성 사이의 상 생물이 출현한 시기는 고생대 중기이므로 지구가 탄생한 지 약

겉보기 거리가 커져 직접 촬영이 가능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별 40억 년이 지난 후이다. 따라서 태양의 수명이 약 25억 년이었다

들이 먼 곳에 위치하므로 직접 촬영을 통해 외계 행성을 발견하기 면 지구상에 육상 생물은 출현할 수 없었을 것이다.

어려워 간접적인 방법(시선 속도 변화, 식 현상, 미세 중력 렌즈


현상 등)을 이용한다.

06 외계 행성들의 특징
(나)의 식 현상을 이용하여 발견한 행성들은 (가)의 시선 속도 변
화를 이용하여 발견한 행성들에 비해 공전 궤도 반지름의 평균값
이 작다.
ㄱ. (가)는 시선 속도 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별빛의 도플러 효과를
관측하여 발견된 행성들의 분포이다.
ㄴ. (나)의 행성들은 식 현상을 이용하여 발견된 행성들이다. 따라
서 행성들의 공전 궤도면이 관측자의 시선 방향과 수직인 경우 발
견할 수 없다.

52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52 2021-01-07 오후 1:57:41


3점 수능 테스트
ㄱ. 식 현상에 의해 감소하는 중심별의 밝기 변화율은

}2`에 비례한다. 중심별의 크


본문 180~183쪽
행성의 단면적 행성의 반지름
={
01 ③ 02 ③ 03 ④ 04 ① 05 ⑤ 06 ⑤ 07 ① 중심별의 단면적 중심별의 반지름
08 ③ 기는 (가)와 (나)가 같고, 밝기 감소율은 (가)가 (나)의 약 2배이므
로 행성의 반지름은 (가)가 (나)의 약 '2배이다.
ㄴ. 식 현상이 나타나는 주기는 행성의 공전 주기에 해당한다. 행
01 외계 행성 탐사 성의 공전 주기는 (가)가 (나)보다 짧으므로, 행성의 공전 궤도 반
별 주위를 행성이 공전할 때 행성의 질량이 클수록 별의 시선 속 지름은 (가)가 (나)보다 작다.
도 변화가 크다. ㄷ. (가)와 (나)에서 중심별의 질량이 서로 같고 행성의 질량이 서
ㄱ. 행성이 궤도를 따라 공전하는 동안 별과 행성은 공통 질량 중 로 같을 경우, 중심별과 행성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중심별의
심을 중심으로 같은 주기로 공전한다. (가), (나)와 같이 다른 조건 시선 속도 변화가 크다. 따라서 행성의 공전 주기가 짧은 (가)는
은 같고 행성의 질량만 차이가 나는 경우 행성의 질량이 (가)보다 (나)보다 중심별과 행성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 중심별의 스펙트럼
큰 (나)의 행성계를 이루는 별과 행성의 공전 주기가 더 짧다. 즉, 에 나타난 흡수선의 편이량이 크게 나타난다.
공통 질량 중심에 대한 별의 공전 속도가 (가)보다 (나)가 빠르므
로 시선 속도 변화는 (가)보다 (나)가 크다.
04 미세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한 외계 행성 탐사
ㄴ. 행성에 의해 식이 진행되는 시간은 별의 앞쪽을 행성이 지나
앞쪽에 위치한 별과 행성의 미세 중력 렌즈 현상에 의해 배경 빛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이므로, 행성의 공전 주기와 관련이 있다.
의 밝기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앞쪽 별의 주변에 행
(나)보다 (다)의 공전 궤도 반지름이 더 크므로 행성의 공전 주기
성이 존재하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는 (나)보다 (다)가 길고, 공전 속도는 (나)보다 (다)가 느리다. 따
ㄱ. 미세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하여 외계 행성을 탐사할 때, 배경
라서 식이 지속되는 시간은 (나)보다 (다)가 더 길다.
별 또는 배경 빛의 밝기 변화를 관측한다. 따라서 ㉠의 밝기 변화
ㄷ. (가)에서 행성이 관측자와 별 사이에 위치하여 식이 진행될 때
는 우리은하 중심부의 밝기 변화에 해당한다.
별의 밝기가 최소가 된다. 그러나 이때 별과 행성은 관측자의 시
ㄴ. (가)에서 관측한 밝기 변화는 외계 행성계가 이동하는 동안 관
선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공전하므로 별의 시선 속도는 0에
측된 것이다. 따라서 이 현상은 주기적으로 나타날 수 없다.
가까운 값으로 나타난다. 별의 시선 속도가 가장 크게 나타날 때
ㄷ. 발견된 행성의 중심별은 태양보다 질량이 훨씬 작은 별이므로
는 행성이 관측자에게 접근하고, 별은 관측자로부터 멀어지는 방
중심별에서 생명 가능 지대까지의 거리가 태양계보다 훨씬 가깝
향으로 위치가 변한다.
다. 따라서 중심별로부터 약 1.2`AU 거리에서 공전하고 있는 이
행성은 생명 가능 지대의 바깥쪽에 위치하며, 표면에 액체 상태의
02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외계 행성 탐사 물이 존재하기 어렵다.
행성이 공통 질량 중심을 공전함에 따라 별에 미세한 떨림이 일어
나면서 별빛의 파장 변화가 생긴다. 이로부터 행성의 존재를 확인
05 외계 행성의 물리량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은 대부분 질량과 크기가 지구에 비해
ㄱ. 행성이 ㉠에 위치할 때 별은 지구로부터 멀어진다. 따라서 관 훨씬 큰 목성 규모의 기체형(목성형) 행성이었다. 하지만 최근에
측된 별빛의 스펙트럼은 적색 편이가 나타난 A이다. 는 관측 기술의 발달로 지구 규모의 행성들도 발견되고 있다.
ㄴ. 별과 행성은 공통 질량 중심을 같은 주기와 같은 회전 방향으 ㄱ. 발견된 행성들은 대부분 지구보다 질량과 반지름이 크며, A
로 회전한다. 곡선(수소로만 이루어진 행성의 이론적인 크기) 부근에 분포한다.
ㄷ. 별빛 스펙트럼의 파장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시선 방향 따라서 발견된 행성들은 대부분 지구형 행성보다 목성형 행성에
으로 움직이는 별의 속도이며, 별까지의 거리는 스펙트럼의 파장 가깝다.
변화와 관계가 없다. ㄴ. ㉠은 A 곡선과 B 곡선 사이에 분포하며 지구보다 크기와 질
량이 약간 큰 행성이다. 따라서 ㉠의 주요 성분은 기체와 얼음일
03 식 현상에 의한 중심별의 밝기 변화 것이며, 태양계 행성 중에서는 천왕성 또는 해왕성과 유사하다.
행성이 중심별의 앞면을 지날 때 행성의 단면적만큼 별의 일부가 ㄷ. ㉡은 C 곡선과 D 곡선 사이에 분포하므로 주요 성분은 암석
가려져 별의 겉보기 밝기가 감소한다. 이러한 밝기 감소가 나타나 과 금속일 것이다. 따라서 이 행성의 표면은 암석 또는 금속 성분
는 주기는 행성의 공전 주기와 같다. 의 고체 지각을 갖고 있을 것이다.

정답과 해설 53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indd 53 2021-01-12 오전 10:10:20


정답과 해설

06 행성에 입사하는 에너지양 비교 를 회전한다. 따라서 관측된 스펙트럼에서는 도플러 효과에 의한


행성에서 생명체가 탄생하여 진화하기 위해서는 행성이 생명 가 시선 속도 변화로 파장 변화가 나타난다.
능 지대에 오랫동안 머물러 있어야 한다. 따라서 중심별의 질량이 ㄴ. 행성이 별 뒤쪽에 위치하여 별에 의해 가려졌을 때 행성의 빛
너무 크면 수명이 짧아서 행성이 생명 가능 지대에 머무르는 시간 이 포함되지 않은 별만의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다.
이 짧다. ㄷ. 행성 복사에 의해 형성된 스펙트럼 (다)에는 행성 대기의 어떤
ㄱ. 행성의 표면 온도는 단위 시간 동안 단위 면적에 입사되는 중 성분이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여 형성된 흡수선이 포함되어 있
심별의 에너지양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네 행성 중 표면 온도 다. 이를 이용하여 행성 대기에 산소, 메테인 등의 성분이 존재하
는 a가 가장 낮다. 는지 알아낼 수 있다.
ㄴ. b의 중심별은 분광형이 F형이고, c의 중심별은 분광형이 G
형이므로 중심별의 광도는 b가 c보다 크다. 하지만 단위 시간 동
안 행성의 단위 면적에 입사되는 중심별의 에너지양은 b가 더 적
으므로 행성의 공전 궤도 반지름은 b가 더 크다.
ㄷ. 중심별의 질량이 작을수록 별의 진화 속도가 느리다. b와 d는
모두 단위 시간 동안 행성의 단위 면적에 입사되는 중심별의 에너
지양이 지구와 같으므로 생명 가능 지대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중심별의 질량이 더 작은 d가 b보다 생명 가능 지대에 오래 머물
수 있다.

07 중심별의 물리량과 생명 가능 지대
중심별의 물리량으로부터 생명 가능 지대의 거리와 폭을 파악할
수 있으며, 행성에서 안정한 환경이 지속될 수 있는 시간을 추정
할 수 있다.
ㄱ. 중심별의 광도가 클수록 행성에 도달하는 에너지양이 많아지
므로 생명 가능 지대의 폭이 넓다. (가)의 중심별은 광도 계급이
Ⅰ인 초거성이므로 광도가 가장 크고, 생명 가능 지대의 폭이 가
장 넓다.

ㄴ. 식 현상에 의한 중심별의 밝기 감소율은 { }2``


행성의 반지름
중심별의 반지름
이 클수록 크다. (나)와 (다)에서 행성의 반지름이 같고, 중심별의
반지름은 거성인 (다)가 주계열성인 (나)보다 크다. 따라서 식 현
상에 의한 중심별의 밝기 감소율은 (나)가 (다)보다 크다.
ㄷ. (가)와 (다)의 중심별은 거성 단계에 있으므로 진화 속도가 빨
라 행성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시간이 짧다. (나)와
(라)의 중심별은 주계열 단계에 있으므로 행성에 액체 상태의 물
이 존재할 수 있는 시간이 길다. 주계열성의 질량은 (나)보다 (라)
가 작으므로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시간은 (라)에서 가
장 길 것이다.

08 외계 생명체 탐사
행성의 대기를 통과해온 별빛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행성의 대기
성분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행성에 생명체가 존재하는 데 필요
한 성분이 존재하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ㄱ. 외계 행성계를 이루는 중심별과 행성은 공통 질량 중심 주위

54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indd 54 2021-01-12 오전 10:11:34


ㄴ. 전파 은하의 구조는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잘 관측되지 않으
10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며, 전파 영역에서 관측할 때 잘 관측된다.
ㄷ. 제트는 중심핵에서 고속으로 방출되는 이온화된 입자로 매우
강한 에너지를 가진 흐름이며, 전파 은하에서 잘 관측된다.
2점 수능 테스트 본문 194~198쪽

01 ③ 02 ⑤ 03 ① 04 ② 05 ⑤ 06 ⑤ 07 ② 05 퀘이사
퀘이사(Quasar)는 처음 발견 당시 별처럼 관측되었기 때문에
08 ① 09 ④ 10 ② 11 ④ 12 ③ 13 ④ 14 ②
항성과 비슷하다는 의미를 가진 준항성체(Quasi–Stellar–
15 ① 16 ③ 17 ③ 18 ④ 19 ③ 20 ⑤
Object)라고 불렀다.
ㄱ. 퀘이사는 수많은 별들로 이루어진 은하이지만 너무 멀리 있고

01 타원 은하 크기가 비교적 작아 하나의 별처럼 보인다.

타원 은하는 납작한 정도를 나타내는 편평도를 기준으로 세분할 ㄴ. 우리은하로부터의 거리가 멀수록 적색 편이가 크게 나타난다.

수 있다. 모양이 가장 원에 가깝게 보이는 타원 은하는 E0, 가장 따라서 세 천체 중에서 우리은하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먼 은하는

납작한 타원형으로 보이는 타원 은하는 E7로 세분한다. (가)이다.

ㄱ. (가)는 (나)보다 원 모양에 가까운 타원 은하이므로 편평도는 ㄷ. (나)와 (다)는 겉보기 등급이 같지만, 적색 편이는 (나)가 (다)

(가)가 (나)보다 작다. 보다 훨씬 크다. 따라서 에너지 방출량은 훨씬 먼 거리에 있는

ㄴ. 타원 은하는 주로 나이가 많은 붉은색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 (나)가 더 많다.

ㄷ. 타원 은하의 밝기는 별들이 밀집해 있는 은하 중심부에서 가


장 밝고 바깥쪽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06 세이퍼트은하
세이퍼트은하는 보통의 은하들에 비해 중심핵이 상대적으로 밝
고, 은하 내의 가스운이 매우 빠른 속도로 움직이고 있어 스펙트
02 은하의 분류 럼에서 넓은 방출선이 관측된다.
ㄱ. (가)는 주로 나이가 많은 별들로 이루어져 있는 타원 은하이
ㄱ. 이 은하는 나선 은하의 형태로 관측되며 중심핵이 매우 밝게
다. 타원 은하는 성간 물질이 다른 은하들에 비해 적은 편이다.
보이는 세이퍼트은하이다.
ㄴ. (나)는 특정한 모양이 없는 불규칙 은하이다.
ㄴ. (나)의 스펙트럼에서는 650~660`nm 사이에 선폭이 매우 넓
ㄷ. (다)는 나선 은하로, 은하 원반에는 나선팔 구조가 존재한다.
은 방출선이 존재한다.
ㄷ. 세이퍼트은하에서 방출선이 넓게 나타나는 까닭은 은하 내의
03 나선 은하와 불규칙 은하 가스가 중심부에 존재하는 거대 블랙홀 주위를 빠르게 회전하기
허블은 외부 은하를 가시광선 영역에서 관측되는 형태에 따라 타 때문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원 은하, 나선 은하, 불규칙 은하로 분류하였다.
ㄱ. (가)는 나선팔과 은하핵을 가로지르는 막대 모양의 구조를 갖
07 충돌 은하
고 있는 막대 나선 은하이다. 우주에 무리를 지어 분포하는 은하들 중 서로 가깝게 있는 은하들
ㄴ. 우리은하를 모양에 따라 분류하면 막대 나선 은하에 속한다. 은 서로를 잡아당기는 중력의 영향으로 충돌하기도 한다.
따라서 우리은하의 모양은 (가)에 가깝다. ㄱ. 은하들이 서로 충돌하더라도 별과 별 사이의 공간이 충분히
ㄷ. (나)는 특정한 모양이 없는 불규칙 은하이다. 불규칙 은하는 넓기 때문에 별들끼리 충돌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다른 은하들에 비해 성간 물질과 젊은 별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 ㄴ. 두 은하가 충돌할 때는 은하 내의 거대 분자운들이 충돌하면
고, 규모가 비교적 작은 편이다. 서 기체가 압축되어 새로운 별들이 탄생할 수 있다.
ㄷ. 은하 간 충돌을 거치면서 은하의 형태가 바뀌거나 하나의 은
04 전파 은하 하로 합쳐지기도 한다. 하지만 충돌을 거쳐 특이 은하(전파 은하,
전파 은하는 보통의 은하보다 수백 배 이상 강한 전파를 방출하는 퀘이사, 세이퍼트은하 등)로 진화하는 것은 아니다.
은하로 보통 중심핵, 제트, 로브 구조를 갖고 있다.
ㄱ. 이 은하는 중심핵의 양쪽에 대칭으로 나타나는 제트와 로브 08 은하의 적색 편이와 후퇴 속도
구조가 뚜렷하게 보이는 전파 은하이다. 정지 상태일 때의 고유 파장을 k¼, 관측된 파장을 k라고 하면 적

정답과 해설 55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55 2021-01-07 오후 1:57:41


정답과 해설

k-k¼ Dk ㄷ. 거리가 가까운 은하의 경우, 우주 팽창에 의해 멀어지는 후퇴


색 편이 z= = 이다. 적색 편이는 은하의 후퇴 속도(v)
k¼ k¼
운동의 크기가 주변 은하와의 중력 작용에 의해 나타나는 운동의
에 비례한다.
크기에 비해 월등하게 크지 않다. 따라서 거리가 가까운 은하들의
ㄱ. A와 B에서 관측된 방출선의 파장이 모두 정지 상태의 파장
경우, 후퇴 속도를 측정하여 거리를 구할 때 오차가 비교적 크게
656`nm보다 길다. 따라서 A와 B에서 적색 편이가 관측된다.
나타난다. 그림 (가)에서 관측값이 추세선으로부터 크게 벗어난
ㄴ. A와 B는 모두 적색 편이가 관측되므로 관측자로부터 멀어지
경우가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는 겉보기 운동을 하고 있다. 이때 은하가 멀어지는 시선 속도의
크기는 적색 편이에 비례한다. 방출선의 적색 편이는 B가 A보다
크므로 은하의 시선 속도 크기는 B가 A보다 크다. 11 우주 팽창 실험
풍선이 팽창할 때, 풍선 표면에 붙인 스티커 사이의 거리 변화를
ㄷ. 허블 법칙으로부터 은하의 거리는 후퇴 속도에 비례하고, 후퇴
측정하여 우주 팽창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속도는 적색 편이에 비례한다. A에서 방출선의 파장이 약 662`nm
ㄱ. 우주 팽창을 비유한 풍선 실험에서 스티커는 은하에 해당하
이고, B에서 방출선의 파장이 약 674`nm이므로 B의 적색 편이는
고, 풍선의 표면(2차원)은 우주 공간(3차원)에 해당한다.
=;6Á5¥6;이고, A의 적색 편이는 zA?
674-656 662-656
zB?
656 656 ㄴ. 풍선 표면은 우주 공간에 해당하므로 스티커(은하) 사이의 거
=;65^6;이다. 따라서 적색 편이는 B가 A의 약 3배이고, 우리은하 리를 측정할 경우에는 실과 자를 이용하여 풍선 표면을 따라 측정
해야 한다.
로부터의 거리도 B가 A의 약 3배이다.
ㄷ. 이 실험으로부터 풍선이 팽창함에 따라 스티커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며, 스티커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더 빨리 멀어짐을 확인할

09 허블 법칙 수 있다.

외부 은하의 후퇴 속도(v)와 흡수선의 파장 변화량(Dk=관측 파


장-원래 파장)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12 정상 우주론과 빅뱅 우주론
Dk 정상 우주론은 우주가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한다는 이론이고,
v=c_ (c: 빛의 속도, k¼: 고유 파장)
k¼ 빅뱅 우주론은 우주가 하나의 점으로부터 시작되었다는 이론이다.
ㄱ. 후퇴 속도가 빠를수록 적색 편이가 크고, 후퇴 속도는 거리 ㄱ. 우주 배경 복사의 존재는 빅뱅 우주론의 근거이므로 (가)는 빅
에 비례하므로 적색 편이는 거리에 비례한다. 따라서 B는 거리가 뱅 우주론, (나)는 정상 우주론이다.
20`Mpc이고, 세 은하 중 지구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가깝다. ㄴ. 빅뱅 우주론과 정상 우주론에서는 모두 우주 팽창의 원리를
ㄴ. A의 거리가 30`Mpc, C의 거리가 25`Mpc이므로 C의 적색 설명하는 허블 법칙이 성립한다고 주장한다.
편이는 A의 ;6%;배이다. ㄷ. (나)의 정상 우주론에서는 우주가 팽창하더라도 새로운 물질
이 생성되어 우주의 밀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주장한다.
ㄷ. 우주가 팽창함에 따라 멀리 있는 은하들은 서로에게서 멀어진
다. 따라서 A에서 관측하면 두 은하 B와 C는 모두 A로부터 멀
어진다. 13 가벼운 원소의 비율
빅뱅 우주론에 따르면 전 우주에서 수소와 헬륨의 질량비가 약
3:1이 되는데, 이 이론값은 현재의 관측 결과와 잘 일치한다.
10 허블 상수 ㄱ. (가)일 때 양성자와 중성자의 개수비가 약 7:1이었으며, 이
허블은 은하들의 후퇴 속도(v)가 거리(r)에 비례한다는 사실을 알 시기에 우주의 온도는 1억`K 이상이었다.
아냈으며, 이 관계를 허블 법칙이라고 한다. ㄴ. (나)일 때 양성자 2개와 중성자 2개가 결합하여 헬륨 원자핵
v=H´r (H: 허블 상수) 1개가 형성되는 반응이 일어났다. 헬륨 원자핵의 질량은 양성자
ㄱ. 외부 은하의 거리와 후퇴 속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에서 질량의 대략 4배이므로, (나)일 때 양성자(수소 원자핵)와 헬륨 원
기울기는 허블 상수에 해당한다. (가)에서 기울기는 약 500`km/ 자핵의 질량비는 약 12:4=3:1이다.
s/Mpc이고, (나)에서 기울기는 500`km/s/Mpc보다 크다. 따 ㄷ. 현재 우주에 존재하는 헬륨은 거의 대부분 초기 우주에서 일
라서 허블 상수는 (가)보다 (나)에서 크다. 어난 핵융합 반응으로 생성되었다. 별의 진화 과정에서 수소 핵
ㄴ. 우주가 일정한 속도로 팽창하였다고 가정하면 허블 상수의 융합 반응으로 생성된 헬륨의 양은 초기 우주에서 생성된 양에 비
역수는 우주의 나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우주의 나이는 (가)보다 하면 훨씬 적다. 따라서 (나)일 때 수소와 헬륨의 개수비 12:1은
(나)에서 적다. 현재 우주에서 수소와 헬륨의 개수비와 거의 같다.

56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56 2021-01-07 오후 1:57:42


14 우주 배경 복사 에 위치하며, 서로 상호 작용이 불가능하다.
우주 배경 복사는 우주의 온도가 약 3000`K일 때 방출되었던 복 ㄴ. A와 B에서 출발한 빛이 지구에 도달하므로 두 지점은 모두
사로, 우주가 팽창하는 동안 온도가 낮아지고 파장이 길어져 현재 지구 관측자를 기준으로 한 우주의 지평선보다 안쪽에 위치한다.
는 약 2.7`K 복사로 관측되고 있다. ㄷ. A와 B에서 오는 우주 배경 복사는 거의 균일하게 관측된다.
ㄱ. 우주 배경 복사는 마이크로파(전파) 영역의 복사로, 최대 에너 따라서 우주 배경 복사의 적색 편이도 방향에 관계없이 거의 동일
지 세기를 갖는 파장 kmax는 약 1`mm이다. 하다.
ㄴ. 우주 배경 복사의 파장에 따른 세기 분포는 약 2.7`K에 해당
하는 흑체 복사와 일치한다.
18 우주의 구성 요소
ㄷ. 우주 배경 복사의 세기는 우주의 모든 방향에서 거의 균일하 최근의 관측 자료에 따르면 우주의 구성 요소는 보통 물질 약
게 관측되므로 특정한 방향에서 강하게 관측되지 않는다. 4.9`%, 암흑 물질 약 26.8`%, 암흑 에너지 약 68.3`%이다.
ㄱ. 현재 우주의 구성 요소는 A>B>C이다. 따라서 A는 암흑
15 빅뱅 우주론의 문제점 에너지, B는 암흑 물질, C는 보통 물질이다.
(가), (나), (다)는 빅뱅 우주론에서 설명하기 어려운 3가지 문제점 ㄴ. 우리은하의 회전 속도 분포를 연구한 결과, 우리은하를 구성
으로 각각 자기 홀극 문제, 우주의 평탄성 문제, 우주의 지평선 문 하는 물질은 보통 물질 C보다 암흑 물질 B가 훨씬 많다는 사실이
제이다. 밝혀졌다.
ㄱ. 빅뱅 우주론에 따르면 현재 우주에는 초기 우주 때 생성된 자 ㄷ. 우주가 팽창함에 따라 암흑 물질(B)과 보통 물질(C)의 상대적
기 홀극이 많이 존재해야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고 비율은 감소하였고, 암흑 에너지(A)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있다. 자기 홀극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N극과 S극을 말한다.
ㄴ. (나)는 현재 관측되는 우주가 평탄한 이유와 관련된 우주의 평
19 우리은하의 회전 속도 분포
탄성 문제이다. 우주의 지평선 문제는 (다)이다.
은하의 광도 분포로부터 전자기파를 방출하는 보통 물질(별과 성
ㄷ. 빅뱅 직후 극히 짧은 시간 동안 우주가 급팽창했다고 가정하
간 물질 등)의 분포를 추정한 결과, 은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은
면, 빅뱅 우주론에서 설명하기 어려웠던 (가), (나), (다)를 모두
하의 회전 속도는 급격하게 감소해야 한다. 하지만 실제 관측 결
설명할 수 있다.
과 은하 중심에서 멀어지더라도 회전 속도가 거의 일정하다는 것
이 알려졌다.
16 급팽창 이론 ㄱ. ㉠은 은하의 회전 속도가 은하 중심에서 멀어지더라도 거의
급팽창 이론에서는 빅뱅 직후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우주가 빛보다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으므로 관측값에 해당한다.
빠른 속도로 팽창했다고 설명한다. ㄴ. ㉡은 보통 물질의 존재만을 고려하여 이론적으로 계산한 우리
ㄱ. 급팽창은 빅뱅 직후 1초가 지나기 전에 일어난 사건이다. 따 은하의 회전 속도 분포이다. 따라서 ㉡에서는 암흑 물질 효과를
라서 급팽창이 지속된 시간은 1초보다 훨씬 짧다. 고려하지 않았다.
ㄴ. 우주 배경 복사는 우주의 나이가 약 38만 년일 때 중성 원자 ㄷ. 우리은하의 외곽부에 있는 별들은 회전 속도가 거의 일정하게
가 생성되면서 등장하였다. 따라서 급팽창 시기에는 우주 배경 복 나타난다. 은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중심을 회전하는 궤도의 길
사가 존재하지 않았다. 이가 커지므로 회전 속도가 같더라도 회전 주기는 길어진다.
ㄷ. 급팽창 이전에는 우주의 크기가 우주의 지평선보다 작아 우주
가 전체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균질해질 수 있었다.
20 우주의 곡률
우주의 곡률은 우주의 밀도와 임계 밀도를 비교하여 크게 닫힌 우
17 우주의 지평선 문제 주, 평탄 우주, 열린 우주로 나눌 수 있다.
우주 지평선의 양쪽 정반대 방향에서 오는 우주 배경 복사는 거 ㄱ. (가)는 우주의 평균 밀도가 임계 밀도보다 크고, 곡률이 양
의 균일하다. 그러나 두 지역은 상호 작용할 수 없는 위치에 있으 (+)인 닫힌 우주이다.
므로 우주 배경 복사가 균질할 수 있는 까닭이 무엇인지 설명하기 ㄴ. (나)는 우주의 평균 밀도가 임계 밀도보다 작은 열린 우주이
어렵다. 다. 열린 우주에서 우주의 곡률은 음(-)의 값을 갖는다.
ㄱ. 현재 A와 B는 정반대 방향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각 지점을 ㄷ. (다)는 우주의 평균 밀도가 임계 밀도와 같아서 곡률이 0인 평
기준으로 우주의 지평선을 그린다면 다른 지점은 지평선 바깥쪽 탄 우주이다.

정답과 해설 57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57 2021-01-07 오후 1:57:42


정답과 해설

3점 수능 테스트
ㄱ. 은하의 종류에 따른 질량 범위를 비교해 보면 불규칙 은하인
본문 199~208쪽
(가)가 가장 작다. 따라서 거대 규모의 은하는 대부분 타원 은하나
01 ③ 02 ④ 03 ② 04 ② 05 ⑤ 06 ① 07 ⑤ 나선 은하이다.
08 ① 09 ④ 10 ② 11 ④ 12 ④ 13 ② 14 ② ㄴ. (나)는 타원 은하이다. 타원 은하는 불규칙 은하나 나선 은하
15 ① 16 ⑤ 17 ③ 18 ④ 19 ① 20 ⑤ 에 비해 성간 물질이 적은 편이어서 새로운 별의 탄생이 상대적으
로 드물다.
ㄷ. (다)는 나선 은하이다. 나선 은하에서 젊은 별들은 주로 나선
01 허블의 은하 분류 체계 팔에 분포하고, 나이가 많은 별들은 주로 은하 중심부와 헤일로에
허블의 은하 분류 체계에 따르면 A는 규칙적인 모양을 갖고 있는 분포한다.
은하이고, B는 불규칙 은하이다. A에 속한 은하 중 C는 타원 은
하이고, D는 나선 은하이다. 나선 은하는 정상 나선 은하인 DÁ과
막대 나선 은하인 Dª로 분류할 수 있다.
04 퀘이사
퀘이사는 매우 멀리 있는 은하로, 적색 편이가 매우 크고 대부분
① 허블은 은하들을 가시광선 영역에서 관측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주 생성 초기에 만들어졌다.
모양에 따라 분류하였다.
ㄱ. 퀘이사는 매우 멀리 있어 하나의 별처럼 보이지만 많은 별들
② A는 규칙적인 모양이 있는 은하이고, B는 규칙적인 모양이
로 이루어진 은하이다.
없는 은하이다.
ㄴ. (가)와 (나)에서 수소 방출선(Ha)이 고유 파장보다 긴 파장 위
③ C는 타원 은하로, 편평도에 따라 E0~E7까지 세분할 수 있다.
치에서 나타나므로 적색 편이가 관측된다.
④ D는 나선 은하로, 막대 구조의 유무에 따라 크게 정상 나선
ㄷ. 적색 편이는 (가)의 퀘이사가 (나)의 나선 은하보다 훨씬 크다.
은하인 DÁ과 막대 나선 은하인 Dª로 분류한다.
적색 편이가 클수록 후퇴 속도가 크므로 우리은하로부터 멀어지
⑤ 은하의 모양과 진화 사이에는 특별한 관계가 없다는 것이 밝
는 속도는 (가)의 퀘이사가 (나)의 나선 은하보다 크다.
혀졌다.

05 전파 은하와 세이퍼트은하
02 은하의 분류 전파 은하는 강한 전파를 방출하는 은하로, 관측하는 방향에 따라
정상 나선 은하는 나선을 의미하는 S(Spiral)와 나선팔이 감긴 핵, 제트, 로브 구조가 관측된다. 세이퍼트은하는 대부분 나선 은
정도와 은하핵의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내는 a, b, c를 결합하여 하의 형태로 관측되며, 전체 나선 은하 중 약 2`%가 세이퍼트은
Sa, Sb, Sc로 표현한다. 막대 나선 은하는 정상 나선 은하를 나 하이다.
타내는 기호에 막대를 의미하는 B(Bar)를 추가하여 SBa, SBb, ㄱ. A는 보통의 은하보다 전파 영역에서 수백 배 이상의 에너지
SBc로 표현한다. 타원 은하는 타원을 의미하는 E(Ellipse)와 편 를 방출하는 전파 은하이다.
평도를 의미하는 숫자 0~7을 결합하여 E0~E7로 나타낸다. ㄴ. B는 매우 밝은 핵과 나선팔 구조가 보이는 세이퍼트은하이
ㄱ. 우리은하는 중심부에 막대 구조가 있으므로 SB로 표현되는 다. 세이퍼트은하는 일반적인 은하에 비해 중심핵이 유난히 밝고
㉠에 해당된다. 스펙트럼에서 폭넓은 방출선이 관측되는 특징이 있다.
ㄴ. (가)에서 비율이 가장 큰 은하는 ㉡ 정상 나선 은하로 은하 중 ㄷ. A와 B는 모두 중심부에 거대 블랙홀이 존재하는 특이 은하로
심부에 막대 구조는 없다. 활동성 은하(Active galaxy)라고도 한다.
ㄷ. 별의 분광형을 표면 온도가 높은 것부터 나열하면 O, B, A,
F, G, K, M형 순이다. 별은 표면 온도가 높을수록 파란색을 띠
06 충돌 은하
고, 표면 온도가 낮을수록 붉은색을 띤다. (나)에서 타원 은하인
가까운 곳에 위치한 두 은하는 서로 잡아당기는 중력에 의해 충돌
E0~E7의 분광형은 대부분 K형과 G형에 집중되어 있고, 나선
할 수 있다.
은하에는 K형, G형보다 표면 온도가 높은 F형의 비율이 타원 은
ㄱ. A와 B는 서로 가까워지고 있으므로 A에서 B를 관측하면 스
하에 비해 높다. 따라서 (가)에서 나선 은하인 ㉠과 ㉡보다 타원
펙트럼에서 청색 편이가 나타난다.
은하인 ㉢에서 붉은색을 띠는 별의 비율이 높다.
ㄴ. A와 B의 충돌은 물질의 중력 효과에 의해 일어난다. 따라서
A와 B의 충돌은 두 은하에 존재하는 암흑 물질의 영향을 크게 받
03 은하의 특징 는다.
(가)는 불규칙 은하이고, (나)는 타원 은하, (다)는 나선 은하이다. ㄷ. 충돌 과정에서 성간운이 풍부한 지역에서 새로운 항성이 탄생

58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58 2021-01-07 오후 1:57:42


한다. 따라서 새로운 항성의 생성 비율은 나선팔 영역이 은하 중 다 먼 곳에서 발견된다. 이렇게 먼 곳에서도 관측될 수 있으려면
심부에 비해 높다. 보통의 은하에 비해 훨씬 많은 양의 에너지를 방출해야 한다. 보
통의 퀘이사가 방출하는 에너지양은 우리은하가 방출하는 에너지
양의 100배 이상이다.
07 허블 법칙 ㄷ. 정상 우주론에서는 우주가 팽창하더라도 새로운 은하가 생성
허블 법칙은 은하들의 후퇴 속도(v)와 거리(r)의 비례 관계를 나
되어 은하의 개수 밀도가 일정하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정상 우주
타낸 법칙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론이 옳다면 단위 부피의 공간에 존재하는 퀘이사의 개수도 거리
v=H_r (H: 허블 상수)
에 관계없이 일정해야 한다.
ㄱ. 허블 상수는 후퇴 속도(v)와 거리(r)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의
기울기에 해당한다. 그래프에서 기울기는 약 67`km/s/Mpc이다.
v 4000`km/s
H= = ?67`km/s/Mpc 10 우주 배경 복사
r 60`Mpc 빅뱅 후 약 38만 년이 지났을 때 원자핵과 전자가 결합하여 중성
ㄴ. ㉡에서 관측된 후퇴 속도는 12000`km/s이고, 흡수선의 원자가 만들어졌다. 이후 빛이 물질의 방해를 받지 않고 우주를
파장(k)은 416`nm이다. 따라서 이 흡수선의 고유 파장(k¼)은 자유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400`nm이다. ㄱ. 우주 배경 복사는 하늘의 모든 방향에서 약 2.7`K 복사로 거
k-k¼
v=c_ (c: 빛의 속도) 의 균일하게 나타난다. 방향에 따라 극히 미세한 온도 차가 있는

v 416-k¼ 데 이 값은 10ÑÝ``K 미만이다.
=;3Á0ª0¼0¼0¼0;= ∴ k¼=400`nm
c k¼ ㄴ. (나)의 A에서는 빛이 전기를 띤 입자들과 상호 작용하여 자유
ㄷ. 적색 편이는 후퇴 속도에 비례한다. 후퇴 속도는 ㉡이 ㉠의 3 롭게 진행할 수 없었고, B에서는 빛이 중성 원자에 영향을 받지
배이므로 적색 편이도 ㉡이 ㉠의 3배이다. 않고 자유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따라서 A는 불투명한 우주, B
는 투명한 우주에 해당한다.
ㄷ. (가)의 우주 배경 복사는 초기 우주에서 중성 원자가 생성되면
08 외부 은하의 거리와 후퇴 속도 서 빛이 자유롭게 진행할 수 있었던 B 시기에 형성된 빛이다.
은하의 크기를 알고 있다면 시지름을 측정하여 은하까지의 거리
를 알 수 있고, 스펙트럼에 나타난 적색 편이를 이용하여 후퇴 속
도를 구할 수 있다. 11 우주의 물리량 변화
ㄱ. A와 B의 크기가 같으므로 시지름은 은하까지의 거리에 반비 ④ 빅뱅 우주론에서는 우주의 모든 물질과 에너지가 매우 작고
례한다. 따라서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A가 B의 2배이다. 뜨거운 한 점에 모여 있다가 대폭발이 일어난 후 팽창하면서 냉각
ㄴ. 거리가 먼 은하일수록 적색 편이가 크게 나타나므로 A에서 되어 현재와 같은 우주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우주의 크기
관측된 흡수선의 파장 변화량은 적색 편이가 더 크게 나타난 ㉠ 는 시간에 따라 계속 증가하는 물리량 A에 해당하고, 우주의 온
이다. 도는 계속 감소하는 물리량 B에 해당한다. 한편, 단위 부피에 포
ㄷ. 은하까지의 거리와 후퇴 속도는 비례한다. 따라서 후퇴 속도 함된 암흑 에너지의 양은 일정하므로 우주가 팽창하더라도 암흑
는 A가 B의 2배이다. 에너지 밀도는 일정하다. 따라서 물리량 C는 암흑 에너지 밀도에
해당한다.

09 퀘이사의 공간 분포
퀘이사는 일반 은하보다 매우 밝기 때문에 아주 먼 곳에서도 발견 12 우주의 구성 요소
할 수 있다. 최근의 탐사 결과에 따르면, 퀘이사의 공간 분포는 정 현재 우주는 암흑 에너지 효과에 의해 가속 팽창하고 있으며, 시
상 우주론이 옳지 않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간이 흐를수록 암흑 에너지 효과가 점점 더 우세해질 것으로 예측
ㄱ. 퀘이사의 개수 밀도는 적색 편이 2~3 사이(현재로부터 대략 하고 있다.
100억~110억 년 전)일 때 최대이고, 적색 편이가 이보다 작거나 ㄱ. 물질은 우주의 팽창 속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고, 암흑 에
더 크면 개수 밀도는 감소한다. 따라서 적색 편이 2~3에 해당하 너지는 우주의 팽창 속도를 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tÁ에서 tª로
는 거리에 퀘이사가 가장 많이 분포하고 이보다 멀어지면 퀘이사 갈수록 암흑 에너지의 밀도가 물질의 밀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
의 분포가 감소한다. 지므로 우주의 팽창 속도는 감소하다가 어느 시점을 지난 후부터
ㄴ. 이 자료에 따르면 퀘이사는 적색 편이가 0.5(약 50억 광년)보 증가한다.

정답과 해설 59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59 2021-01-07 오후 1:57:43


정답과 해설

ㄴ. (나)에서 A는 암흑 물질, B는 암흑 에너지, C는 보통 물질이 15 우주론과 관련된 관측 결과


다. 전자기파와 상호 작용하는 우주의 구성 요소는 보통 물질인 C (가)는 1990년대에 확인한 우주의 가속 팽창, (나)는 1960년대에
이다. 관측한 우주 배경 복사, (다)는 1929년에 허블이 관측한 우주 팽
ㄷ. 우주가 팽창할수록 물질(A와 C)의 밀도는 계속 감소하지만, 창에 대한 설명이다.
암흑 에너지(B)의 밀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우주가 팽 ㄱ. 시간 순서는 (다)의 허블 법칙 → (나)의 우주 배경 복사 관측
B의 밀도 → (가)의 우주의 가속 팽창 확인이다.
창할수록 는 점점 증가한다.
A의 밀도+C의 밀도
ㄴ. (가)에서 관측된 우주의 가속 팽창은 척력으로 작용하는 암흑
에너지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13 우주의 역사 ㄷ. (나)의 우주 배경 복사는 빅뱅 우주론이 옳다는 중요한 근거이다.


ㄹ. (다)의 허블 법칙은 우주 팽창이 우주 전역에서 균일하게 일어
대폭발 우주론에 따르면 우주가 팽창함에 따라 우주의 평균 온도
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우리은하가 우주의 특별한 곳에 위치
는 점차 낮아졌다.
해 있지 않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ㄱ. 초기의 우주는 매우 뜨거운 상태였기 때문에 전자와 양성자가
분리된 상태로 뒤섞여 있어서 빛이 자유롭게 진행할 수 없었다.
이때에는 빛이 물질로부터 분리될 수 없었으므로 우주 배경 복사 16 우주의 가속 팽창
는 형성되지 않았다. 이후 원자가 형성되는 (나) 시기의 시작 무렵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의 인력 때문에 시간에 따라 우주의 팽창 속
부터 빛이 직진하면서 우주 배경 복사가 방출되었다. 이때는 빅뱅 도가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하였으나, Ⅰa형 초신성 관측 자료를
이 있고 난 뒤 약 38만 년이 경과한 후이고 이때 방출된 우주 배 분석한 결과 우주가 가속 팽창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경 복사는 3000`K 정도의 물체가 방출하는 빛으로 가시광선 영 ㄱ. 빛이 이동한 거리: 빛의 속도는 항상 일정하며, (가)~(나) 기
역의 빛이 우세했다. 간과 (나)~(다) 기간은 10억 년으로 같다. 따라서 두 기간 동안
ㄴ. 빅뱅 후 약 3분이 되었을 때 양성자와 중성자로부터 헬륨 원 빛이 이동한 거리는 동일하다.
자핵이 형성되었고, 우주의 나이가 약 38만 년이 되었을 때 수소 ㄴ. 빛의 파장 변화량: 공간이 팽창함에 따라 빛의 파장이 길어진
원자와 헬륨 원자가 생성되었다. 이때 형성된 수소와 헬륨 원자의 다. 즉, 빛의 적색 편이는 공간이 늘어난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질량비가 약 3:1이었으며, 이후 현재까지 이 비율이 거의 유지 우주가 가속 팽창하므로 같은 기간 동안 공간이 늘어난 정도는
되고 있다. (나) 이후 별 내부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에 의해 형성 (가)~(나) 기간보다 (나)~(다) 기간에 더 크다. 따라서 파장 변화
된 헬륨의 양은 우주 전체에 존재하는 헬륨의 양에 비해 상대적으 량은 (나)~(다) 기간에 더 큰 값을 갖는다.
로 매우 적기 때문에 (나) 시기의 비율이 현재까지 거의 유지된다 ㄷ. 암흑 에너지의 총량: 우주가 팽창하더라도 단위 부피당 암흑
고 할 수 있다. 에너지의 양은 일정하다. 따라서 암흑 에너지의 총량은 우주의 크
ㄷ. 우주 배경 복사가 형성된 이후 우주의 팽창으로 온도가 계속 기가 클수록 증가한다.
낮아졌다. 따라서 (나) 시기보다 (다) 시기에 우주 배경 복사의 온
도가 낮았다.
17 우주의 급팽창
급팽창 이론(인플레이션 이론)은 빅뱅 직후 우주가 급격히 팽창했
14 우주의 팽창 속도 다는 이론이다. 기존의 빅뱅 우주론에서 설명하기 어려운 여러 가
우주의 팽창 속도는 시기에 따라 달랐으며 초기 우주에서 가장 컸 지 문제점을 급팽창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고, 그 이후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ㄱ. (가)는 우주의 급팽창이 일어나기 이전 시기의 모습이다. 이
ㄱ. (가) 시기에 우주의 팽창 속도가 감소하고 있으나 여전히 우주 시기에는 원자핵이 존재하지 않았다.
는 팽창하고 있다. ㄴ. (나)일 때 우주의 크기는 우주의 지평선보다 크다. 상호 작용
ㄴ. (나) 시기에 우주의 팽창 속도는 점점 증가하고 있으므로 우주 을 위한 정보 전달 속도는 빛의 속도보다 빠를 수 없으므로 (나)에
는 가속 팽창하고 있다. 서 우주는 전체적인 상호 작용이 불가능하다.
ㄷ. 단위 시간 동안 우주의 크기 변화는 우주의 팽창 속도를 의미 ㄷ. (가)에서 (나)로 우주가 팽창할 때, 우주의 크기는 우주의 지평
한다. 현재로부터 대략 65억 년 전에 팽창 속도가 가장 작은 시기 선 크기보다 더 빠르게 커졌다. 우주의 지평선이 팽창하는 속도는
가 있었으나 팽창이 멈춘 것은 아니므로 팽창 속도가 0인 시기는 빛의 속도에 해당하므로 이 기간 동안 우주는 빛보다 빠르게 팽창
없었다. 한 시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60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Ⅰ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60 2021-01-07 오후 1:57:43


q K q K
18 암흑 물질과 중력 렌즈 수 있다. C는 qK + qm =0.0+0.3=0.3이므로 우주의 밀도가
c c
중력 렌즈 현상(gravitational lensing)은 멀리 있는 천체에서 q K q K
임계 밀도보다 작다. D는 qK + qm =0.0+1.0=1.0이므로 우
나온 빛이 중간에 있는 거대 질량의 천체에 의해 휘어져 보이는 c c

현상을 의미한다. 빛이 중력의 영향으로 경로가 휘어질 때, 마치 주의 밀도가 임계 밀도와 같다. 따라서 C는 열린 우주로 우주의
렌즈처럼 빛이 모아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곡률이 (-)이고, D는 평탄 우주로 우주의 곡률이 0이다.
ㄱ. 중력 렌즈 현상은 멀리 있는 은하와 지구 사이에 놓여 있는 은 ㄷ. 현재 우주는 평탄 우주이며, 암흑 에너지에 의해 가속 팽창하
하의 중력에 의해 나타난다. 따라서 (가)에서 중간에 위치해 있는 는 우주이다. 따라서 현재의 우주 특성을 잘 나타내려면, 우주의
은하에 암흑 물질의 양이 많을수록 중력 렌즈 현상이 잘 일어난다. 밀도가 임계 밀도와 같아야 하며, 암흑 에너지를 포함하고 있어야
ㄴ. (나)에서는 멀리 있는 천체 ㉠에서 나온 빛이 앞쪽에 놓여 있 한다. A~D 중 이런 특성에 가장 부합하는 모형은 A이다.
는 천체 ㉡에 의해 중력 렌즈 현상이 일어나 고리 모양으로 관측되
었다.
ㄷ. (나)에서 천체의 거리는 ㉠이 ㉡보다 멀다. 따라서 적색 편이
도 ㉠이 ㉡보다 크다.

19 Ⅰa형 초신성 관측
Ⅰa형 초신성은 일정한 질량에서 폭발하기 때문에 절대 등급이 일
정하다. 이를 이용하여 거리를 알아낼 수 있는데, 이 값을 적색
편이로 측정한 거리와 비교하여 우주의 팽창 속도 변화를 알 수
있다.
ㄱ. 후퇴 속도가 클수록 적색 편이가 크다. 따라서 Ⅰa형 초신성의
관측 자료로부터 후퇴 속도가 클수록 겉보기 등급이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ㄴ. 그래프에서 관측되는 겉보기 등급과 ㉠(등속 팽창하는 우주에
서 예상되는 초신성의 겉보기 등급)의 차는 Ⅰa형 초신성의 적색
편이가 클수록, 즉 거리가 멀어질수록 대체로 커진다.
ㄷ. Ⅰa형 초신성의 거리가 멀수록 등속 팽창 우주에서 예상한 거
리보다 실제 거리가 더 멀어 어둡게 보인다. 이는 우주의 팽창 속
도가 과거에 비해 현재에 더 빠르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별해: 초신성의 겉보기 등급이 23등급일 때, 등속 팽창 우주에서
는 적색 편이가 약 0.6이 되어야 하는데, 실제 관측된 적색 편이
는 약 0.5이다. 이 차이는 초신성의 겉보기 등급이 클수록(더 과
거로 갈수록) 커진다. 따라서 과거로 갈수록 등속 팽창 우주에 비
해 적색 편이가 점점 작게 증가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우
주의 가속 팽창을 알 수 있다.

20 우주 모형 비교
평탄 우주는 우주의 곡률이 0인 우주이고, 평탄 우주에서 우주의
밀도는 임계 밀도와 같다. 물질의 밀도를 qm, 암흑 에너지의 밀도
를 qKk라고 하면, 우주의 밀도 q=qm+qK이다.
ㄱ. 우주의 밀도 q=qm+qK이다. A와 B는 암흑 에너지의 밀도
가 같지만 물질의 밀도는 A보다 B가 크다. 따라서 우주의 밀도
는 A가 B보다 작다.
ㄴ. 우주의 밀도와 임계 밀도를 비교하여 우주의 곡률을 알아낼

정답과 해설 61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61 2021-01-07 오후 1:57:43


한눈에 보는 정답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 Ⅰ

01 판 구조론과 대륙 분포의 변화 04 지구의 역사

2점 수능 테스트 본문 13~15쪽 2점 수능 테스트 본문 61~64쪽

01 ④ 02 ⑤ 03 ⑤ 04 ④ 05 ③ 06 ① 07 ③ 01 ④ 02 ⑤ 03 ④ 04 ⑤ 05 ④ 06 ① 07 ③
08 ① 09 ③ 10 ④ 11 ③ 12 ③ 08 ④ 09 ④ 10 ④ 11 ⑤ 12 ③ 13 ① 14 ②
15 ③ 16 ⑤
3점 수능 테스트 본문 16~21쪽

01 ② 02 ① 03 ① 04 ② 05 ④ 06 ③ 07 ② 3점 수능 테스트 본문 65~71쪽

08 ② 09 ② 10 ① 11 ③ 12 ② 01 ② 02 ① 03 ⑤ 04 ④ 05 ④ 06 ④ 07 ④
08 ⑤ 09 ② 10 ④ 11 ② 12 ① 13 ⑤ 14 ③

02 판 이동의 원동력과 마그마 활동 05 대기의 변화

2점 수능 테스트 본문 29~31쪽 2점 수능 테스트 본문 85~89쪽

01 ② 02 ⑤ 03 ③ 04 ⑤ 05 ② 06 ⑤ 07 ⑤ 01 ③ 02 ⑤ 03 ③ 04 ⑤ 05 ① 06 ④ 07 ④
08 ③ 09 ⑤ 10 ④ 11 ② 12 ② 08 ② 09 ① 10 ③ 11 ③ 12 ② 13 ③ 14 ③
15 ① 16 ② 17 ③ 18 ① 19 ⑤ 20 ④
3점 수능 테스트 본문 32~37쪽

01 ⑤ 02 ③ 03 ① 04 ④ 05 ② 06 ① 07 ① 3점 수능 테스트 본문 90~99쪽

08 ① 09 ① 10 ③ 11 ② 12 ③ 01 ② 02 ① 03 ② 04 ② 05 ① 06 ④ 07 ⑤
08 ② 09 ① 10 ④ 11 ⑤ 12 ⑤ 13 ③ 14 ⑤
15 ② 16 ④ 17 ③ 18 ③ 19 ④ 20 ③

03 퇴적암과 지질 구조 06 해양의 변화

2점 수능 테스트 본문 45~47쪽 2점 수능 테스트 본문 108~111쪽

01 ⑤ 02 ⑤ 03 ① 04 ② 05 ④ 06 ④ 07 ① 01 ⑤ 02 ② 03 ④ 04 ③ 05 ③ 06 ③ 07 ②
08 ③ 09 ⑤ 10 ④ 11 ⑤ 12 ③ 08 ② 09 ④ 10 ⑤ 11 ① 12 ③ 13 ② 14 ①
15 ③ 16 ④
3점 수능 테스트 본문 48~53쪽

01 ① 02 ④ 03 ③ 04 ② 05 ③ 06 ① 07 ③ 3점 수능 테스트 본문 112~119쪽

08 ⑤ 09 ② 10 ⑤ 11 ② 12 ② 01 ④ 02 ⑤ 03 ④ 04 ⑤ 05 ③ 06 ① 07 ③
08 ④ 09 ③ 10 ② 11 ② 12 ④ 13 ④ 14 ③
15 ⑤ 16 ①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62 2021-01-07 오후 1:57:44


한눈에 보는 정답 EBS 수능특강 지구과학 Ⅰ

07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09 외계 행성계와 외계 생명체 탐사

2점 수능 테스트 본문 128~131쪽 2점 수능 테스트 본문 178~179쪽

01 ③ 02 ③ 03 ④ 04 ② 05 ① 06 ⑤ 07 ② 01 ④ 02 ② 03 ③ 04 ⑤ 05 ③ 06 ① 07 ①
08 ⑤ 09 ③ 10 ① 11 ⑤ 12 ③ 13 ② 14 ② 08 ⑤
15 ③ 16 ③
3점 수능 테스트 본문 180~183쪽

3점 수능 테스트 본문 132~139쪽
01 ③ 02 ③ 03 ④ 04 ① 05 ⑤ 06 ⑤ 07 ①
01 ② 02 ③ 03 ④ 04 ⑤ 05 ④ 06 ③ 07 ① 08 ③
08 ① 09 ⑤ 10 ① 11 ③ 12 ③ 13 ② 14 ②
15 ④ 16 ⑤

08 별의 특성 10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

2점 수능 테스트 본문 154~159쪽 2점 수능 테스트 본문 194~198쪽

01 ③ 02 ② 03 ③ 04 ④ 05 ⑤ 06 ④ 07 ① 01 ③ 02 ⑤ 03 ① 04 ② 05 ⑤ 06 ⑤ 07 ②
08 ② 09 ① 10 ⑤ 11 ⑤ 12 ③ 13 ⑤ 14 ① 08 ① 09 ④ 10 ② 11 ④ 12 ③ 13 ④ 14 ②
15 ③ 16 ③ 17 ② 18 ③ 19 ③ 20 ④ 21 ① 15 ① 16 ③ 17 ③ 18 ④ 19 ③ 20 ⑤
22 ③ 23 ⑤ 24 ④
3점 수능 테스트 본문 199~208쪽

3점 수능 테스트 본문 160~171쪽
01 ③ 02 ④ 03 ② 04 ② 05 ⑤ 06 ① 07 ⑤
01 ③ 02 ② 03 ③ 04 ① 05 ② 06 ② 07 ⑤ 08 ① 09 ④ 10 ② 11 ④ 12 ④ 13 ② 14 ②
08 ③ 09 ② 10 ④ 11 ② 12 ③ 13 ⑤ 14 ③ 15 ① 16 ⑤ 17 ③ 18 ④ 19 ① 20 ⑤
15 ③ 16 ② 17 ① 18 ② 19 ① 20 ④ 21 ③
22 ③ 23 ① 24 ④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63 2021-01-07 오후 1:57:44


수능특강(지구과학1)정답_13교-1.indd 64 2021-01-07 오후 1:57:4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