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단원별 적중 테스트

과목 과학 대단원 6. 물질의 특성 소단원 (1) 물질의 특성


특성(1)

5. ③
1. ⑤
(해설) 질량은 장소에 관계없이 일정한 물질의 고유한
(해설) ① , ② 물질의 특성은 다른 물질과 구별되는 그
양이지만, 물질의 양에 따라 달라지므로 물질의 특성이
물질이 가지는 고유한 성질이므로 물질의 종류를
아니다.
구별하는 데 이용한다. ⑤ 질량은 물질의 고유한 양이지만
양에 따라 변하므로 물질의 특성이 아니다.
(힌트)
(힌트)

2. ② 6. ⑤​

(해설) 순물질은 한 종류의 물질로만 이루어진 물질이고, (해설) 끓는점은 물질의 세기 성질이고, 외부 압력이
혼합물은 두 종류 이상의 물질이 섞여 있는 물질이다. 높아지면 끓는점이 높아지고, 외부 압력이 낮아지면
끓는점이 낮아진다. 끓는점에서는 물질의 액체와 기체
상태가 공존한다. 또한 물질을 이루는 분자의 인력이
(힌트) 클수록 끓는점은 높아진다.

(힌트)

3. ⑤
(해설) 물질을 구별할 수 있는 특징으로는 겉보기 성질인
색, 맛, 굳기나 세기 성질인 끓는점, 녹는점, 밀도 등이
있다. 크기나, 질량, 부피 등 물질의 양에 의해 변하는 크기 7. ②
성질로는 물질을 구별할 수 없다.
(해설) 끓는점은 압력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대기압이
낮으면 낮은 온도에서도 액체가 기체로 쉽게 변하므로
(힌트) 끓는점이 낮아지고, 대기압이 높으면 액체가 기체로
변하기 어려우므로 끓는점이 높아진다.

(힌트)

4. ④
(해설) ① 소금은 짠맛, 설탕은 단맛이 난다.
② 소금은 흰색, 황산 구리(Ⅱ)는 파란색을 띤다.
③ 석고는 무르고, 금강석은 단단하다.
⑤ 소금은 정육면체이고, 석영은 육각 기둥이다.
8. ③
④ 메탄올은 매우 위험한 물질이므로 냄새를 맡지 않도록
한다. 에탄올과 메탄올은 냄새가 거의 비슷해서 구별하기 (해설) 부피와 질량은 물질의 양에 따라 그 값이 변하지만,
어렵다. 에탄올의 끓는점(78 ℃ )과 메탄올의 녹는점은 물질의 특성이다.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인 밀도
끓는점(64℃)이 다르므로 끓는점으로 구별한다. 역시 물질의 특성이다.

(힌트) (힌트)

1
:
9. ⑤ 13. ①
(해설) ㄱ. BC구간의 온도는 가열하면서 온도가 변하는 (해설) 외부 압력이 달라지면 끓는점은 달라진다. 외부
과정이므로 고체가 액체로 변하는 녹는점이다. ㄴ. 압력이 작아지면 액체의 끓는점은 낮아지고, 외부 압력이
EF구간의 온도는 어는점으로 이는 물질의 특성이다. ㄷ. 커지면 액체의 끓는점은 높아진다.
BC(녹는점)와 EF(어는점)의 온도는 순수한 물질이면 항상
같다. 따라서 녹는점과 어는점은 물질의 특성이다.
(힌트)
(힌트)

14. ③
(해설) 찬물을 부으면 플라스크 안의 수증기가 액화되어
플라스크 안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끓는점이 낮아져서
10. ⑤ 물이 다시 끓게 된다. 따라서 이 실험으로 끓는점과 압력의
(해설) 끓는점에 도달하는 시간이 긴 것은 액체의 양이 관계를 알 수 있다.
많아 끓을 때까지 오래 걸리기 때문이며,
에탄올(78.3 ℃ )은 물(100 ℃ )보다 끓는점이 낮다. 액체의 (힌트)
양이 달라도 종류에 따라 끓는점은 같게 나타나므로
끓는점은 물질의 특성이 된다.

(힌트)

15. ⑤
(해설) B와 D는 끓는점이 같으므로 같은 물질이고, B(또는
D), A, C는 끓는점이 다르므로 모두 다른 물질이다. 질량이
크면 더 늦게 끓기 시작하므로 질량은 B>D이다.
⑤ A는 아직 끓는점에 도달하지 못했으므로 A의 끓는점이
가장 높고, 입자 사이의 인력도 가장 강하다.
11. ④
(해설) A~C는 끓는점이 같으므로 같은 물질이다. (힌트)
①, ③ A~C는 같은 물질이므로 끓는점이 같고, 입자 사이의
인력도 같다.
② A가 가장 먼저 끓었으므로 질량은 A<B<C 순이다.
⑤ 압력이 높아지면 수평한 부분의 온도, 즉 끓는점이
높아진다.

16. ②, ③
(힌트)
(해설) ④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 사이의 인력이 다르기
때문에 물질마다 녹는점이 다르며 입자 사이의 인력이
약할수록 녹는점이 낮다.
② 녹는점은 물질의 질량과 관계없이 일정하다. 다만,
질량이 커지면 녹는점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진다.
③ 고체에서 액체로 변할 때 일정하게 유지되는 온도는
녹는점이다.
12. ④
(해설) 물질의 종류가 같으면 질량이 달라도 끓는점이 (힌트)
같다. 그러나 질량이 많아지면 끓는점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진다.

(힌트)

2
:
17. ⑤ 21. ⑤
(해설) ① a는 녹는점, b는 끓는점이다. (해설) 혼합물은 순물질보다 낮은 온도에서 얼기
② (나) 구간에서는 융해가 일어난다. 시작하며, 어는 동안 온도가 계속 내려간다.
③ (라) 구간은 끓는점으로 액체와 기체가 함께 존재한다.
④ 고체의 양이 늘어나도 a와 b는 변하지 않고 일정하다.
(힌트)

(힌트)

22. ⑤
(해설) A는 혼합물인 소금물의 가열 곡선이고. B는
18. ⑤ 순물질인 물의 가열 곡선이다.
① A는 소금물의 가열 곡선이다.
(해설) ⑤ 물질의 녹는점이 높을수록 입자 사이의 인력이 ② A는 혼합물, B는 순물질이다.
강하므로 입자 사이의 인력이 가장 강한 물질은 녹는점이 ③ A는 끓는점, 어는점, 밀도 등이 일정하지 않다.
가장 높은 A이다. ④ B는 한 종류의 물질로만 이루어진 순물질이다.
① A와 B는 녹는점이 다르므로 다른 물질이다.
② B와 C는 녹는점이 같으므로 같은 물질이다.
③ C는 B와 같은 물질이지만 B보다 늦게 녹기 시작하므로 (힌트)
B보다 질량이 크다. 그러나 A와는 다른 물질이므로 질량을
비교할 수 없다.
④ 가장 늦게 녹기 시작하는 것은 C이다.

(힌트)
23. ②
(해설) 감압 용기 안의 공기를 빼내면 감압 용기 안의
압력이 낮아져 물의 끓는점이 낮아지므로 100℃보다 낮은
온도에서 물이 끓는다.
① 하늘 높이 올라갈수록 외부 압력이 감소하여 풍선 속
기체의 부피가 커지므로 풍선이 부풀어 오른다.
19. ②,③ ② 높은 산은 기압이 낮으므로 물이 끓는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끓어 쌀이 설익는다.
(해설) 퓨즈는 납에 주석 및 카드뮴 등을 혼합하여 만든
③ 유리병에 물을 가득 넣고 얼리면 물이 응고하면서
합금이고, 땜납은 납에 주석을 혼합하여 만든 합금으로
부피가 증가하여 병이 깨진다.
녹는점이 낮아 쉽게 녹아야 하는 것들이다.
④ 뜨거운 기름에 물방울이 떨어지면 물이 수증기가 되어
기름 속에서 기포로 올라오므로 기름이 튄다.
(힌트) ⑤ 높은 산에서 밥을 할 때 냄비 뚜껑 위에 돌멩이를
올려놓으면 압력이 높아지므로 물이 100 ℃ 근처에서
끓는다.

(힌트)
20. ②
(해설) 물질은 끓는점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기체로,
끓는점과 녹는점 사이의 온도에서는 액체로, 녹는점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고체로 존재한다.
24. ②
(해설) 물질의 녹는점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고체,
(힌트) 녹는점과 끓는점 사이의 온도에서는 액체 , 끓는점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기체 상태로 존재한다. 상온(25 ℃ )에서
A는 기체,B와 C는 액체,D와 E는 고체 상태이다.

(힌트)

3
:
25. ③
(해설) 끓는점은 A > C > B = D 순이고, B와 D는 끓는점이
같으므로 같은 물질이다.
① A의 끓는점이 가장 높다.
② D가 가장 먼저 끓기 시작한다.
④ D는 B보다 끓는점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으므로 물질의
양이 B보다 적다.
⑤ 분자 사이의 인력이 가장 큰 것은 A이다.

(힌트)

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