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2-1-3.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고1 (1) 근과 계수의 관계(01)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
1) 제작연월일 : 2018년 02월 07일
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
2) 제작자 : 교육지대㈜
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외에도 저작권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제작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대표유형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유형의 문제를 꼭 확인하세요!!

➊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와의 관계 이해하기


★➋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두 근의 합, 곱, 차 구하기
➌ 두 근 사이의 관계가 주어진 이차방정식에서 미지수 구하기
➍ 두 수를 근으로 가지는 이차방정식 구하기

유형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와의 관계 ★★★


5. 이차방정식      의 두 근을  ,  라고
zb5 )

★☆☆
할 때, 
 
 의 값을 구하면?
1. zb1 ) 이차방정식       의 두 근을  ,  라고

 
할 때,   의 값은?   
 
    
  
 

★★☆ 유형 두 근 사이의 관계가 주어진 이차방정식

2. zb2 )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이  ,  일 때,

      의 값은?
 ★★☆
6. zb6 )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  

  
의 두 근의 차가  가 되도록 하는 실수  의 모든
  값의 곱은?
  
 

★☆☆
3. zb3 )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의 두 근이

 ,  일 때,           의 값은?

  
  ★★★
7. zb7 )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의 절
댓값의 비가    이 되도록 하는 모든 실수  의 값
의 곱을 구하시오.
★★☆
4. zb4 )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을  ,  라고

  
할 때,    의 값을 구하는 풀이과정과 답을 서
 
술하시오.

I410-ECN-0199-2017-001-000057208
- 1 -
(1) 근과 계수의 관계(01)

★★★ ★★★
8. zb8 )  에 대한 이차방정식 12.
zb1 2 ) 이차방정식       의 두 근을  ,  라고 할
          의 두 실근의 절댓값이 때,      을 만족하는 이차식  에 대
서로 같고 부호가 다를 때, 상수 의 값은? 하여  의 값은? (단,  의  의 계수는  이
  다.)

    
 

유형 두 수를 근으로 가지는 이차방정식

★☆☆
9. zb9 ) 두 수   
  ,   
  를 근으로 하고,  의 계
수가  인 이차방정식을 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zb1 0 )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을  ,  라고

할 때,    ,   을 두 근으로 하고  의 계수가
 인 이차방정식을        이라 할 때,
   의 값은?

  
 

★★☆
11. zb1 1 )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을  ,  라고

 
할 때,  ,  을 두 근으로 하고  의 계수가  인
 
이차방정식을 구하는 과정과 답을 쓰시오.

I410-ECN-0199-2017-001-000057208
- 2 -
(1) 근과 계수의 관계(01)


   이므로  와  의 부호는 같다.
     이라 하면,   
   를    에 대입하면    ,  ± 
1) [정답]
     
[해설] ∴ 
 
, 
  
     이고    이므로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이다. 
   또는  이다.
2) [정답]
∴ 모든  의 값의 곱은   이다.
[해설] 근과 계수와의 관계에 의해     ,
   8) [정답]
       에서      [해설]           의 두 근을
∴                라 하면 근과 계수와의 관계에 의해
              두 근의 합        ,        ,
   
3) [정답]
두 근의 곱     에서    이면    이므로
[해설]       의 두 근이   이므로 모순
       ,          이면 두 근은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9) [정답]
 [해설]
4) [정답] 
 (두 근의 합)    
     
   
[해설]  
(두 근의 곱)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따라서,      

      10) [정답]
   
   [해설]
       
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이므로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이므로

5) [정답]
     를 두 근으로 하는 이차방정식은
[해설] 근과 계수와의 관계에 의해
   
          에서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이다.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11) [정답]
 
       
 
[해설]
6) [정답]
      의 두 근을   라 하면
[해설]
 
두 근을      라고 하면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을 두 근으로 하고 의 계수가  인 이차방정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 값의 곱은   이다.    
  
       
7) [정답]    
[해설]          의 두 근을   라 하
  
        이다.
 

I410-ECN-0199-2017-001-000057208
- 3 -
(1) 근과 계수의 관계(01)

12) [정답]
[해설]       의 두 근이   이므로
    ,   
   의 두 근이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410-ECN-0199-2017-001-000057208
- 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