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4.

대회 일정
제10회 전국 고등학생 바이오안전성 ․ 바이오산업 토론대회 구 분 일 정 내 용
접 수 2019년 5월 20일(월) ~ 6월 25일(화) 오후 2시까지 온라인 접수
- 대회 요강 -
예선 심사 2019년 7월 3일(수) ~ 9일(화) 본선진출 24팀 선정

[논제] 질병퇴치를 위한 유전자가위 모기의 이용은 바람직한가? 예선 결과 발표 2019년 7월 17일(수) 오후 2시 대회 홈페이지 공지

(※ 논제관련 자세한 내용은 ‘5 page' 참조) 본선 및 시상식 2019년 8월 14일(수) /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시상식 포함

1. 대회 취지 5. 대회 방식
∙ 바이오안전성 및 바이오산업 관련 토론 논제 선정을 통해 그에 대한 청소년들의
예선 본선 (1차) 본선 (2차)
관심 제고 및 과학적 소양 함양 토론동영상과 토론개요서 → 24강 (조별 리그) → 8강 (토너먼트)
∙ 바이오기술의 긍정적/부정적 측면에 대해 다양한 정보에 입각한 균형 잡힌 학습 심사 - 2:2 찬반토론 - 2:2 찬반토론
기회 제공 및 논리적 사고 향상 ∙ 토론방식 ­ 2:2 찬반토론(토론방식 및 발언방법은 ‘7page' 참조)
∙ 청소년들의 과학적 사고에 기반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및 올바른 토론문화의 확산 - 토론자 자신의 신념과는 관계없이 대회 당일에 추첨으로 결정된 찬성 혹은 반대
역할에 따라 토론을 이끌어나가는 방식으로 논제와 관련된 자료조사와 사전학습을
2. 참가 대상
통해 근거를 확보하고, 설득력 있는 논리를 펼치는 것에 큰 비중을 둠
∙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전국 고등학교 재학생 또는 청소년(만 16~18세)
※ 발언순서 7번부터 B팀이 먼저 발언하며, 본선 1차와 2차 발언 시간이 다름
- 참가팀은 동일 학교 재학생 2명으로 구성하며, 학년 차이는 무방함
(단, 팀원 선택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다른 학교 재학생과도 팀 구성 가능함) 발언순서 발언자 방식 본선 1차 본선 2차
1 A팀 첫 번째 토론자 입안 1분 30초 3분
- 한 학교당 3팀까지만 신청가능하며, 참가 신청서에 반드시 학교장 추천(직인)을
2 B팀 첫 번째 토론자 입안 1분 30초 3분
받아 제출해야함
*준비시간 1분 2분
- 정규 고등학교 재학생이 아닌 청소년의 경우 참가자의 주민등록상 생년월일을 3 A팀 두 번째 토론자 1차 교차조사 2분 4분
참가 기준(2001.1.1. ~ 2003.12.31)으로 적용하며, 중학교 졸업 증명서로 학교장 4 B팀 두 번째 토론자 1차 교차조사 2분 4분
추천(직인)을 대체할 수 있음 5 A팀 두 번째 토론자 반박 1분 30초 3분
∙ 참가비 : 없음 6 B팀 두 번째 토론자 반박 1분 30초 3분
※ 대회 무단 불참에 대한 규정 : 예선 통과 후 본선 진출 확정팀이 본선 시 *준비시간 1분 2분
대회 운영팀에 미리 알리지 않고 무단 불참할 경우 해당 팀의 두 참가자 및 소속 7 B팀 첫 번째 토론자 2차 교차조사 2분 4분
학교 학생들은 차기 대회에 참가할 수 없음 8 A팀 첫 번째 토론자 2차 교차조사 2분 4분
9 B팀 첫 번째 토론자 요약(재반박) 1분 2분
3. 주최 및 후원 10 A팀 첫 번째 토론자 요약(재반박) 1분 2분
∙ 주최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준비시간 1분 1분

∙ 주관 :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서울대학교 농생명과학공동기기원 11 B팀 두 번째 토론자 최종 정리 1분 2분


12 A팀 두 번째 토론자 최종 정리 1분 2분
∙ 후원 : 산업통상자원부
합 계 21분 41분

- 1 - - 2 -
6. 대회 특징 ∙ 접수 시 첨부해야할 파일
∙ 본선참가자 전원 서울대학교 농생명과학공동기기원 주관 생명과학 체험학습 참여기회 제공 ① 참가신청서
∙ 본선 각 경기 종료 후, 심사위원들의 경기 총평(코멘트) 진행 - 팀명, 참가자 2인, 지도교사의 인적사항 등을 빠짐없이 작성하며, 학교장 직인을
∙ 대상 수상팀에게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금상 수상팀에게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상, 받은 후 스캔파일 형태로 별도 첨부
최우수 스피커상 수상자에게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장상, 우수스피커상 - ‘팀명’ 은 소속 학교 및 인적사항 또는 이를 암시하는 정보가 드러나지 않도록 작명
수상자에게 서울대학교 농생명과학공동기기원장상 등 수여 - 참가팀은 반드시 지도교사를 지정해야 함. 지도교사란 참가 학생들의 소속 학교의
교사를 의미함(사설학원의 교사, 과외 교사, 학부모 등은 지도교사로 인정하지 않음)
7. 시상 내역 - 지도교사는 참가팀의 지도, 공지사항 전달, 행정업무 등을 담당함, 팀 간 중복 지정 가능
부문 시상내용 인원 상장 및 부상 - 파일명은 ‘팀명(학교명)’으로 저장(예 : BIOSAFETY(서울생명고등학교).jpg)
팀별 시상 ② 토론개요서
대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1팀 상장 및 상금 100만원 - 제시된 논제의 쟁점 및 찬성, 반대 양측의 주장 및 근거를 A4 1장 이내(1,200자
금상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상 1팀 상장 및 상금 80만원 이내)로 간략하게 작성
은상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상 2팀 상장 및 상금 50만원(팀별) - 파일명은 ‘팀명(학교명)’으로 저장(예 : BIOSAFETY(서울생명고등학교).hwp)
동상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상 4팀 상장 및 상금 30만원(팀별) ③ 토론동영상 ※ ‘토론동영상 제작 시 참고사항’(9page) 필독!!!

개인별 시상 - 팀 내에서 각 1명씩 찬성측과 반대측으로 나누어 ‘토론개요서’ 를 토대로 토론을

최우수 스피커상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장상 1인 상장 및 상금 30만원


진행하는 모습을 전체적인 풀 샷으로 촬영하여 전자파일로 제출
- ‘토론동영상’에서 각 토론 순서 모두 토론자 2인이 서로 마주보고 발언하며, 참가팀의
우수 스피커상 서울대 농생명공동과학기기원장상 2인 상장 및 상금 20만원(인별)
소속 학교, 인적사항 또는 이를 암시하는 정보를 포함해서는 안 됨(예 : 팀명, 학교
지도교사상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상 2인 상장 및 상금 30만원(인별)
명을 직접 언급하거나 칠판에 쓰는 행동 금지, 교복 ․ 활동복 ․ 체육복 착용 금지 등)
우수참관록상 토론대회 결승전 참관록 제출자 중 선정, 상품권 증정
제작 기기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휴대전화 등 활용
※ 상금에 대한 제세공과금은 수상자 본인이 부담함
영상 분량 총 5분 이내

8. 대회 문의 찬성측 1차 교차조사(45초) ‣ 반대측 1차 교차조사(45초) ‣ 찬성측 반박


(30초) ‣ 반대측 반박(30초) ‣ 찬성측 2차 교차조사(45초) ‣ 반대측 2차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토론대회 운영팀 영상 내용
교차조사(45초) ‣ 찬성측 재반박(30초) ‣ 반대측 재반박(30초)
Tel. 042)879-8314 ※ 양측 입안은 토론개요서를 통해 이미 발언한 것으로 간주함

토론대회 홈페이지(http://www.biosafety.or.kr/main.do?s=dbat) 내 Q&A 파일 규격 640×480 pixel 이상 / avi, wmv, mp4 파일


파일 용량 50MB 이내
9. 접수 요령 파일명 팀명(학교명) 예) BIOSAFETY(서울생명고등학교).wmv

대회 참가 희망팀은 홈페이지에서 지정양식을 다운받아 참가신청 서류 일체를 작성 ∙ 유의사항


하고 제시된 논제에 대한 토론동영상을 촬영하여, 정해진 기간 내에 대회 홈페이지 - 참가자 2인 및 지도교사의 인적사항을 정확히 작성해야 함. 특히, 휴대전화는
에서 접수를 완료해야 함(휴대폰 인증 로그인 필요)
연락이 가능한 번호로 기재. 부정확한 기재로 인한 불이익은 참가자가 책임을 짐
∙ 접수기간 : 2019년 5월 20일(월) ~ 6월 25일(화) 오후 2시 까지 - 지정된 양식이 아니거나 첨부 파일이 하나라도 누락된 경우, 토론개요서 및 토론
∙ 접수방법 : 온라인 접수(http://www.biosafety.or.kr/main.do?s=dbat) 동영상이 제시한 논제를 벗어난 경우 접수가 인정되지 아니함
※ 전화, 전자우편 등 기타 방법으로는 접수 불가 - 접수된 내용은 접수 기간 내에만 수정 가능함

- 3 - - 4 -
10. 논제취지문 기술을 결합해 유전자변형 모기들의 자연 상태에서의 생존 가능성과 확산 가능성을
높이는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 유전자 드라이브 기술이란 2003년 영국의 진화 유전
논제 : 질병퇴치를 위한 유전자가위 모기의 이용은 바람직한가? 학자인 오스틴 버트(Austin Burt)에 의해 제안된 방법으로, 특정한 유전자의 발현
확률을 높이는 편향 유전(biased inheritance)시스템을 의미한다. 특정 유전자에 대한
1994년 설립된 게이츠 재단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전 세계의 질병과 빈곤 퇴치로, 유전 비율이 높아지면, 이 유전자에 의한 표현형을 지닌 개체는 한 세대에서 다음
아프리카의 에이즈와 말라리아 확산 방지 및 퇴치에 매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빌 세대로 이어지며 잠재적으로는 개체 전체로 확산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말라리아에
게이츠는 게이츠 노트(https://www.gatesnotes.com/)에 ‘세상에서 가장 치명적인 저항성을 갖춘 유전자를 삽입한 모기를 만드는데 유전자 드라이브 기술을 접목하면서,
동물들(World's Deadliest Animal)’이라는 글을 통해, 인간의 목숨을 앗아가는 치명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를 동시에 넣어주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세대를 거듭해도 말라리아
적인 동물로 크고 사나운 맹수가 아닌, 하잘것없어 보이는 작은 모기를 1위에 올렸다. 저항성 유전자는 존속되고 이를 희석시킬 대립형질의 유전자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에
의해 절단되어 유전되지 못하므로, 말라리아 저항성 유전자가 더 빠르고 안정적으로
모기는 파리목 모기과에 속하는 곤충의 일종으로, 전 세계에 약 3,500종이 존재한다.
개체군 내로 확산2)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유전자 드라이브 기술과 크리스퍼
모기의 암컷은 난소를 발육시키기 위해 동물의 피를 흡혈하는데, 문제는 이 과정에서
유전자가위 기술은 단기적으로는 말라리아 발병률을 떨어뜨릴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모기의 타액을 통해 모기에 기생하는 다양한 기생성 생명체들이 동시에 유입되어 숙주
말라리아 모기를 퇴치할 것이고, 최종적으로는 사람에게 기생체를 전파하는 곤충의
에게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현재 알려진 모기 매개성 질환만 하더라도
능력도 사라지게 할 것이라고 기대되고 있다3).
말라리아, 황열, 치쿤구니아열, 뎅기열, 지카열, 일본뇌염 등 20여 종에 달하며, 이
중에서도 모기에 기생하는 말라리아 원충에 의해 발생하는 말라리아는 가장 치명적 하지만 최근의 연구 결과, 유전자 드라이브 기술이 적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세대가
인 질환으로 꼽힌다. WHO의 ‘세계 말라리아 보고서 20181)’에 의하면, 2017년 한 거듭되어도 여전히 일부 모기들에게는 이 유전자가 전달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견되
해 동안 전 세계에서 약 2.2억 명의 말라리아 환자가 발생했으며, 이 중 45만 명이 거나, 돌연변이 개체가 발견되는 등 예상치 못한 상황이 일어났고, 이 과정에서 새로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만큼 현재까지 말라리아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변종 모기의 출현 가능성도 높아지면서 여러 우려가 나타나고 있다4). 이에 과학자들은
이루어졌으며, 1900년대 초반 이후에는 물이 고인 웅덩이 제거, 천적 방사, 방충망 이러한 유전적 저항성의 효과를 오랫동안 둔화시키는 방법을 강구한 2세대 유전자
과 모기장 설치 등 다양한 방제법이 고안되었다. 1940년대에는 DDT를 비롯한 합성 드라이브 모기를 개발하는데도 노력하고 있다.
살충제를 이용해 모기와의 전면전에 나섰지만 그 효과는 오래가지 못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다양한 생명공학기술을 통한 불임 모기의 확산으로 인한 모기 개체수의
20세기 말에 들어서면서는,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한 모기 퇴치 연구를 통해 테트라 급감은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리는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우려하기도 하며, 유전자를
사이클린 의존형 불임 모기, 말라리아 원충 저항성 모기, 무정자증 수컷 모기 등 다양한 변형한 모기에게 물리는 것이 과연 안전할 수 있느냐에 대한 불신도 엄연히 존재한다.
방식으로 유전자를 변형한 모기가 탄생되었다. 이러한 유전자변형 모기에 대한 연구는 이에 대해 전 세계적으로 모기로 인해 매년 수억 명의 환자와 수십 만 명의 사망자가
번식력을 떨어뜨려 개체군의 숫자 자체를 줄여서 개체군의 멸종을 유도하는 방법과 발생하는 현실에서 이 연구를 지연시키거나 포기하는 것도 문제라는 의견도 있다.
개체는 존속하지만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갖춰 중간 숙주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하는 일례로 GM모기 방출에 대해 미국에서는 격렬하게 반대를, 브라질에서는 찬성한다는
방식 등 두 가지 방안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소요 비용과 환경에 주는 독성이 적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유로 매우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 유전자변형 모기는 실험실 수준
에서는 매우 효과적이었으나, 실제 자연 상태에서는 변형된 유전자를 가진 개체의 비율 이러한 기술적, 사회적 찬반 논란이 있는 상황에서 이번 토론대회에서는 ‘질병퇴치를
이 시대를 거치면서 점차 줄어드는 경향을 보여 실질적인 효과는 미지수인 상태였다. 위한 유전자가위 모기의 이용은 바람직한가?’를 논제로 토론을 진행하고자 한다.
그런데 최근 들어 과학자들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과 유전자 드라이브(gene drive)
2) https://www.youtube.com/watch?v=KgvhUPiDdq8&feature=youtu.be
3) https://www.nature.com/articles/nbt.3439
1) https://www.who.int/malaria/media/world-malaria-report-2018/en/) 4) https://www.genetics.org/content/205/2/827

- 5 - - 6 -
11. 토론방식 및 발언 방법 제시하고, 이들 개념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음을 입안 과정에서 밝혀야 함
⑴ 토론방식 - 2:2 찬반토론 - 더불어 이러한 개념 정의와 논제가 등장한 배경이나 역사, 논제의 현상 및 문제에 관한
※ 발언순서 7번(두 번째 교차조사)부터 B팀이 먼저 발언하며, 분석을 이 과정에서 명시하고, 자신의 주장을 펼침
본선 1차(24강 조별 리그전)과 본선 2차(8강 토너먼트전)의 발언 시간이 다름  1차 교차조사 (찬성팀 두 번째 토론자 / 반대팀 두 번째 토론자)
발언순서 발언자 방식 본선 1차 본선 2차 - 교차조사는 상대팀 논리상에 나타나는 문제를 부각시킬 수 있는 심문 과정으로 서로의
1 A팀 첫 번째 토론자 입안 1분 30초 3분 주장과 논거에 대한 허점이나 오류 또는 반대 생각 등을 들어 질문하고 답변을 요구
하며, 주장 중에서 불충분하다고 판단되거나 나중에 문제 삼을 부분에 대해 상대팀의
2 B팀 첫 번째 토론자 입안 1분 30초 3분
분명한 입장을 들어볼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함(2:2 찬반토론 방식에서 교차조사에
*준비시간 1분 2분
배정된 점수 비중이 다른 발언순서에 배정된 점수보다 큼)
3 A팀 두 번째 토론자 1차 교차조사 2분 4분
- 질문자의 경우 : 주어진 시간을 끝까지 충분하게 활용하여 간략하고 포인트 있는
4 B팀 두 번째 토론자 1차 교차조사 2분 4분 질문을 많이 하는 것이 중요함. 다만 질문과 답변하는 시간 모두가 발언시간에 포함
5 A팀 두 번째 토론자 반박 1분 30초 3분 되므로, 답변을 듣다가 시간이 다 지나가버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대가
6 B팀 두 번째 토론자 반박 1분 30초 3분 주장하는 논리가 애매해지거나 늘어지는 경우 적정선에서 말을 끊을 줄도 알아야 함
*준비시간 1분 2분 - 답변자의 경우 : 효과적이며 설득력있는 간단한 답변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상대방의
7 B팀 첫 번째 토론자 2차 교차조사 2분 4분 주장을 회피하기 보다는 전적으로 맞서 반론 하는 것이 유리함

8 A팀 첫 번째 토론자 2차 교차조사 2분 4분  반박 (찬성팀 두 번째 토론자 / 반대팀 두 번째 토론자)


9 B팀 첫 번째 토론자 요약(재반박) 1분 2분 - 앞서 교차 조사에서 드러난 상대팀의 논리적 허점이 무엇인지를 지적하면서 상대팀의
10 A팀 첫 번째 토론자 요약(재반박) 1분 2분 입안 주장을 논리적으로 재논박하고, 상대팀에 의해 논박되지 않은 내용들을 정리함은
물론(논박되지 않은 주장은 수용된 것으로 인정되므로 이를 심사위원에게 주지시킬
*준비시간 1분 1분
필요가 있음) 추가적인 근거나 자료를 통해 자기 팀의 입안을 보강해 주어야 함
11 B팀 두 번째 토론자 최종 정리 1분 2분
12 A팀 두 번째 토론자 최종 정리 1분 2분  2차 교차조사 (찬성팀 첫 번째 토론자 / 반대팀 첫 번째 토론자)

합 계 21분 41분 - 앞의 교차조사 방법과 동일

 요약(재반박) (찬성팀 첫 번째 토론자 / 반대팀 첫 번째 토론자)


∙ 찬성, 반대팀과 발언 순서(A 또는 B)는 매 경기 시작 전 추첨을 통해 결정함
- 자기팀에 유리한 핵심적인 논점을 요약해서 정리하고, 불리한 점을 방어하면서 상대방의
∙ 경기 중 발언시간은 앞쪽에 배치된 노트북 타이머로 토론자가 실시간 확인할 수
약점을 효과적으로 드러냄. 그러기 위해서는 토론 전반에 대한 요약 및 핵심 포인트의
있으며, 타임키퍼는 발언 시간 종료 시점이 임박함을 카드로 통보함
간략한 정리가 필요함
(종료 30초 전 녹색카드, 종료 15초 전 적색카드 알림)
- 앞서 언급되지 않았던 새로운 논쟁거리가 처음으로 제시되어서는 안 됨

⑵ 2:2 찬반토론 발언방법  최종 정리 (찬성팀 두 번째 토론자 / 반대팀 두 번째 토론자)


- 토론의 마지막 발언 기회로 자기팀이 제시한 필수 쟁점의 논리성과 방안의 실행을 통해
※ 모든 발언 종료 시, “~이상입니다” 라는 멘트로 발언을 마무리하여, 본의 아니게
발생할 이익을 상기시키면서 상대팀 요약(재반박)에서 제시된 주장들을 성공적으로 공격
시간을 초과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함
하고, 왜 자기팀이 이 토론에서 승리했는지를 말함
 입안 (찬성팀 첫 번째 토론자 / 반대팀 첫 번째 토론자) - 다시 말해, 상대팀이 입안에서 제시한 논리와 반박한 내용을 중심으로 다시 자기팀의
- 모든 토론은 논제에 등장하는 주요 개념들을 바르게 정의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함. 따라서 필수 쟁점이 모두 성공적으로 방어 되었다는 점을 확인시키면 됨
각 팀 첫 번째 토론자는 토론 주제에서 반드시 논의되어야 할 주요 개념들을 적절하게

- 7 - - 8 -
[첨부 - 토론동영상 제작 시 참고사항] 5) 제시된 토론 순서에 따라 영상은 가급적 5분 이내로, 용량은 50MB 이내로 제작
- 아래 ‘동영상 편집 요령’ 참고
6) 접수 완료 후, 접수확인 페이지에서 토론동영상이 제대로 실행되는지 점검 필수!
제10회 전국 고등학생 바이오안전성 ․ 바이오산업 토론대회 - 동영상의 소리가 너무 작거나 주위 잡음이 너무 큰 경우 등을 포함하여 심사 진행이
불가한 상황으로 생긴 불이익에 대해서는 참가자에게 책임이 있음

1. 제작 요건 » 토론 동영상 내 발언 방법

제작 기기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휴대전화 등 활용 ※ 각 발언마다 발언의 시작과 끝을 멘트로 알려야 함
예) “지금부터 찬성 측 교차조사를 시작하겠습니다” / “~이상으로 교차조사를 마치겠습니다.”
영상 분량 총 5분 이내
 1차 교차조사 - 45초
파일 규격 640×480 pixel 이상 / avi, wmv, mp4 파일
- 상대방 논리상에 나타나는 문제를 부각시킬 수 있는 심문 과정으로 허점이나 오류 또는 반대
파일 용량 50MB 이내
생각 등을 들어 질문하고 답변을 요구하며, 주장 중에서 불충분하다고 판단되거나 나중에 문제
파일명 팀명(학교명) 예) BIOSAFETY(서울생명고등학교).wmv 삼을 부분에 대해 상대방의 분명한 입장을 들어볼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함
(질문자의 경우) 간략하고 포인트 있는 질문을 많이 하는 것이 중요함. 다만 질문과 답변
2. 제작 방법 하는 시간 모두가 발언시간에 포함되므로, 답변을 듣다가 시간이 다 지나가버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대가 주장하는 논리가 애매해지거나 늘어지는 경우 적정선에서 말을
팀 내에서 각 1명씩 찬성측과 반대측을 맡아서 토론자 2인이 서로 마주보고 발언함.
끊을 줄도 알아야 함
각 토론 순서 모두 토론자 2인이 모습이 보이도록 전체적인 풀 샷으로 촬영!!! (답변자의 경우) 효과적이며 설득력 있는 간단한 답변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상대방의 주장을
» 토론방식 회피하기 보다는 전적으로 맞서 반론 하는 것이 유리함
예) "아까 ~~라고 하셨는데 맞습니까? 그렇다면 ~~~아니지 않습니까? " 이런 식으로
※ 양 측 입안은 토론개요서를 통해 이미 발언한 것으로 간주함
질문하고, 상대방이 필요이상으로 답변을 길게 끌고 간다면 질문하는 사람 입장에서 "
토론순서 발언자 방식 시간 알겠습니다.", "제가 질문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등으로 제지 할 수 있음
1 찬성측 토론자 1차 교차조사 45초
 반박 - 30초
2 반대측 토론자 1차 교차조사 45초
- 앞서 교차 조사에서 드러난 상대방의 논리적 허점이 무엇인지를 지적하면서 상대방의 주장을
3 찬성측 토론자 반박 30초 논리적으로 재논박하고, 상대방에 의해 논박되지 않은 내용들을 정리함(논박되지 않은
4 반대측 토론자 반박 30초 주장은 수용된 것으로 인정되므로 이를 심사위원에게 주지시킬 필요가 있음)은 물론 추가적인
5 찬성측 토론자 2차 교차조사 45초 근거나 자료를 통해 본인의 의견을 보강해 주어야 함
6 반대측 토론자 2차 교차조사 45초  2차 교차조사 - 45초
7 찬성측 토론자 재반박 30초 - 앞의 교차조사 방법과 동일
8 반대측 토론자 재반박 30초  재반박 - 30초
합 계 5분 - 본인에게 유리한 핵심적인 논점을 요약해서 정리하고, 불리한 점을 방어하면서 상대방의
약점을 효과적으로 드러냄. 그러기 위해서는 토론 전반에 대한 요약 및 핵심 포인트의
» 유의사항 간략한 정리가 필요함
- 앞서 언급되지 않았던 새로운 논쟁거리가 처음으로 제시되어서는 안 됨
1) 토론동영상에는 참가팀의 소속 학교, 인적사항 또는 이를 암시하는 정보를 포함시켜서는 안됨
(예 : 팀명, 학교명을 직접 언급하거나, 칠판에 쓰는 행동과 교복 ․ 활동복 ․ 체육복 착용 금지 등)
2) 토론동영상은 제시한 논제를 바탕으로 제작하며, 제시 논제를 벗어난 경우 접수 불인정
3) 원고를 소지 또는 앞쪽에 붙여놓고 계속해서 읽는 경우 감점처리 됨
4) 토론동영상의 촬영 및 편집기술은 심사기준에 포함되지 않음

- 9 - - 10 -
3. 동영상 편집 요령 (곰믹스 이용) [3단계] 하단에 있는 버튼을 클릭하여 출력을 설정한다.
[1단계] 아래 링크를 눌러 곰믹스*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한다.
* 곰믹스 : 동영상 변환, 간단한 동영상 편집이 가능한 동영상 변환 프로그램
* 다운로드 링크
☞ http://gom2.gomtv.com/release/gom_mix.htm
☞ http://software.naver.com/software/summary.nhn?softwareId=GWS_001665

[2단계] ‘곰믹스’ 를 실행하여 아래와 같은 창이 뜨면, 우측 상단에 있는


버튼을 클릭하여 변환하고자 하는 파일을 연다.

* 파일 용량을 줄이는 방법
☞ 화면크기를 줄여서 인코딩 함
☞ 원본 파일을 다른 파일형식으로 변경하여 인코딩 함

* 바이오안전성·바이오산업 토론대회 추천 사항 : WMV, 720*480

- 11 - - 12 -
[5단계] 인코딩이 진행되고, 완료 후 완료알림이 뜬다.

[4단계] 우측 하단에 있는 버튼을 눌러서 파일 이름을 정확히 입력한 후

다시 버튼을 눌러서 변환을 시작한다.

☞ 보다 더 상세한 프로그램의 기능 이용을 원하시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곰믹스 이용가이드>http://software.naver.com/software/summary.nhn?softwareId=GWS_001665

- 13 - - 1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