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단원별 기출 문제

통 합 과 학
Ⅰ-1. 물질의 규칙성과 결합

02. 지구와 생명체를 구성하는 원소의 생성 이름 :

1. 별의 탄생 과정 중 밀집된 성운에서 원시별이 만 4. 그림은 수소(H) 핵융합 반응을 나타낸 것이다.


들어질 때 원시별의 에너지원은 무엇인가?
① 운동 에너지 ② 위치 에너지
③ 핵융합 에너지 ④ 핵분열 에너지
⑤ 중력 수축 에너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가)에 생성되는 물질은 헬륨(He) 원자핵이다.
ㄴ. 별 중심부의 온도가 1000만 K 이상일 때 일어
2. 별의 탄생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
나는 반응이다.
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ㄷ. 4개의 수소 질량의 합은 (가)의 질량과 같다.
[보기] ㄹ. 이 반응이 끝난 후 별의 중심부에서는 탄소 핵
ㄱ. 빅뱅 초기의 우주에서는 밀도가 낮아 별의 탄생 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이 가능했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ㄴ. 매우 높은 온도의 성간 물질이 높은 밀도로 모
④ ㄴ, ㄹ ⑤ ㄷ, ㄹ
여 있는 영역에서 별이 탄생한다.
ㄷ. 원시별의 온도가 1000만 K에 이르면 수소 핵융
합 반응이 일어난다.

①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5. 그림은 별의 중심부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을


나타낸 것이다.

3. 그림은 별 내부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을 나타


낸 것이다. (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
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수소 원자핵 4개와 헬륨 원자핵 1개의 질량은
같다.
⑴ 수소 원자 ㉠ ( )개가 헬륨 원자 ㉡ ( )개 ㄴ. 태양의 중심부에서도 이런 반응이 일어난다.
가 된다. ㄷ. 핵융합 반응 후에 질량이 감소한다.
⑵ 핵융합 반응 후 질량이 ( )한다.
⑶ 이와 같은 반응은 ( )의 중심부에서 일어난 ① ㄱ ② ㄷ ③ ㄱ, ㄴ

다. ④ ㄱ, ㄷ ⑤ ㄴ, ㄷ

- 1 -
6. 주계열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 다음은 별이 탄생하고 별의 내부에서 다양한 원
① 주기적으로 별의 크기가 변한다. 소가 만들어지는 단계를 설명한 것이다.
② 시간이 지날수록 수소의 양이 감소한다. (가) 헬륨에 의한 핵융합 반응
③ 현재 태양이 머무르고 있는 진화 단계이다. (나) 수소에 의한 핵융합 반응
④ 우주에 존재하는 별의 약 90 %를 차지한다. (다) 탄소에 의한 핵융합 반응
⑤ 질량이 작은 별일수록 주계열성에 오래 머무른다. (라) 중력 수축 에너지로 원시별 형성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① (가) - (다) - (나) - (라)
② (가) - (라) - (다) - (나)
③ (다) - (가) - (나) - (라)
④ (라) - (나) - (가) - (다)
⑤ (라) - (나) - (다) - (가)

7. 주계열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중심부 온도는 100만 K 정도 된다.
② 별의 일생 중 가장 짧은 기간을 차지한다.
③ 중력이 내부 압력보다 크기 때문에 수축하고 있다.
④ 핵융합에 의해 스스로 빛을 내기 시작하는 별의 첫 11. 다음 별의 중심에서 생성되는 원소를 별이 진화
단계이다. 하는 순서대로 옳게 나열하시오.
⑤ 중심부에서는 헬륨 원자핵 3개가 융합하여 탄소 원
(가) 철 (나) 탄소 (다) 헬륨
자핵 1개가 생성된다.

12. 그림은 질량이 태양과 비슷한 별이 진화하는 모


8. 별은 질량이 클수록 중심 온도가 ㉠( 낮아지고, 높 습을 나타낸 것이다
아지고 ), 온도가 높을수록 ㉡( 가벼운, 무거운 )
원소를 생성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9. 별의 질량에 따라 중심에서 핵융합 반응으로 생성
[보기]
되는 가장 무거운 원소를 골라 쓰시오.
ㄱ. 주계열성이 중심부는 수소가 고갈되어 중력 수
수소, 헬륨, 탄소 철, 납 축한다.
ㄴ. (가) → (나)로 갈수록 별의 크기가 커진다.
⑴ 질량이 태양 정도인 별 ( ) ㄷ. (나)의 표면 온도는 점점 낮아진다.
⑵ 질량이 태양보다 매우 큰 별 ( )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 2 -
13. 그림은 초신성이 폭발하여 형성된 성운이다. 15. 그림은 별의 진화 마지막 단계에 이른 질량이 매
우 큰 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
[보기] ① 별의 내부로 들어갈수록 더 무거운 원소로 이루어
ㄱ. 폭발 후 중심부에 주계열성이 생성된다.
져 있다.
ㄴ. 질량이 큰 별의 진화 마지막에 만들어진 것이
② 중심부에서는 핵융합이 계속 일어나 점점 무거운
다.
원소가 생성되었다.
ㄷ. 성운에서 우라늄, 납 등의 원소가 발견되기도
한다. ③ 핵융합 반응으로 가장 먼저 만들어지는 원소는 철
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철보다 무거운 원소는 초신성 폭발 과정에서 만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어진다.
⑤ 이 별의 원소들은 초신성 폭발 과정에서 우주로 방
출된다.

14. 그림은 진화 마지막 단계에 이른 어떤 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16. 그림 (가)와 (나)는 질량이 서로 다른 별의 마지
막 단계에 형성된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보기]
ㄱ. 질량이 태양 질량의 10배 이상이다.
ㄱ. (가)는 (나)보다 질량이 작은 별이다.
ㄴ. 중심부로 갈수록 온도가 높다.
ㄴ. (가)는 주계열성의 내부 구조이다.
ㄷ. 중심부에서는 철의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ㄷ. (나)는 초신성으로 진화한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 3 -
17. 표는 별의 질량에 따라 별의 내부에서 핵융합 반 19. 자연계에 존재하는 원소의 생성에 대한 설명으로
응으로 만들어지는 원소들과 반응 온도를 나타낸 옳지 않은 것은?
것이다. ① 우주 탄생 초기에 수소와 헬륨이 생성되었다.
별의 질량 ② 태양의 내부에서는 헬륨과 탄소가 만들어질 수 있
반응 원소 생성 원소 반응 온도
(태양과의 다.
(양성자수) (양성자수) (K)
질량비) ③ 초신성이 폭발할 때 우라늄과 같은 원소가 생성될
0.5배 수소(1) 헬륨(2) 1~3천만
수 있다.
1배 헬륨(2) 탄소(6), 산소(8) 1~2억 ④ 주계열성의 중심핵에서는 핵융합 반응에 의해 철이
생성된다.
산소(8),
1.5배 탄소(6) 네온(10), 8억
⑤ 산소와 규소는 질량이 태양보다 큰 별의 내부에서
마그네슘(12) 핵융합 반응으로 생성된다.
5배 네온(10) 마그네슘(12) 15억

규소(14), 인(15),
10배 산소(8) 20억
황(16)

20배 규소(14) 철(26) 30억


20. 다음 <보기>는 태양계의 형성 과정을 순서 없이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나타낸 것이다.
대로 고른 것은?
[보기]
[보기] ㄱ. 원시 행성의 형성
ㄱ. 별의 질량이 클수록 중심부의 온도가 높다. ㄴ. 태양계 성운의 형성
ㄴ. 무거운 원소일수록 핵융합에 필요한 원소의 운 ㄷ. 원반 모양의 성운 형성
동 에너지가 커진다. ㄹ. 태양계 성운의 회전과 수축
ㄷ. 별의 내부에서 철보다 무거운 원소가 만들어질 ㅁ. 원시 태양과 미행성체의 형성
수 있다.
시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①ㄱ ②ㄷ ③ ㄱ, ㄴ ① ㄱ‑ ㄴ ‑ ㄷ ‑ ㄹ‑ ㅁ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② ㄱ‑ ㄷ ‑ ㄹ ‑ ㅁ‑ ㄴ
③ ㄴ‑ ㄷ ‑ ㄹ ‑ ㄱ‑ ㅁ
④ ㄴ‑ ㄹ ‑ ㄷ ‑ ㅁ‑ ㄱ
⑤ ㄷ‑ ㄹ ‑ ㅁ ‑ ㄱ‑ ㄴ

18. 그림은 어떤 별의 진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21. 태양계가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한 성운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① 거대한 성운이 회전하면서 수축하여 원반 모양이
대로 고른 것은? 만들어졌다.
② 태양계 성운의 중심부에서 태양이 형성되었다.
[보기]
ㄱ. 질량이 태양보다 매우 큰 별의 진화 과정이다.
③ 원반 주변부에서는 입자들이 모여 미행성체들이 형
ㄴ. A에서는 철보다 무거운 원소가 생성된다. 성되었다.
ㄷ. 지구에서 발견되는 철은 B에서 방출된 것이다. ④ 수많은 미행성체가 충돌하고 서로 합쳐져서 원시
행성이 형성되었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⑤ 태양과 가까운 곳에서는 목성형 행성이, 먼 곳에서
④ ㄴ, ㄷ ⑤ ㄱ, ㄴ, ㄷ
는 지구형 행성이 형성되었다.

- 4 -
22. 다음은 태양계의 형성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24. 그림은 태양계의 형성 과정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


는 대로 고른 것은? (가) 성운의 회전과 수축 (나) 성운 원반 형성

[보기]
ㄱ. (가)의 원반 모양은 성운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
었다.
ㄴ. (가) → (나)의 과정에서 성운의 중심부 온도는
점차 상승하였다. (다) 원시 태양과 미행성체 (라) 원시 행성 형성
형성
ㄷ. (다)의 원시 행성들은 성운의 회전축과 수직인
평면상에 배열되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가) → (나)에서 성운 중심의 온도와 압력은 높아
①ㄱ ②ㄴ ③ ㄱ, ㄷ 진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② 원반 안쪽으로 갈수록 물질이 느리게 회전한다.
③ 성운의 중심부는 원시 태양이 형성되고, 원반부에
서 미행성체가 형성된다.
④ 원시 태양에 가까운 곳에는 철, 니켈 등과 같이 무
거운 물질들이 남고, 가벼운 물질들은 먼 쪽으로
밀려나간다.
⑤ 미행성체의 충돌로 원시 행성이 점점 커졌다.

23. 그림 (가) ~(다)는 태양계 형성 과정의 일부를 순


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25. 목성형 행성의 특징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우리은하에서 초신성 폭발로 태양계 성운이 생성되 [보기]
었다. ㄱ. 얼음이 포함된 핵을 가지고 있다.
ㄴ. 표면은 단단한 암석층으로 덮여있다.
② 시간 순서대로 나타내면 (다) → (가) → (나)이다.
ㄷ. 대기는 수소, 헬륨 등 주로 가벼운 기체로 이루
③ (가)의 천체에는 수소와 헬륨 외에 무거운 원소도
어져 있다.
포함되어 있었다.
ㄹ. 비교적 온도가 높은 곳에서 생성되어 주로 철과
④ (나)의 원반부에서는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무거운 규소로 이루어져 있다.
성분이 분포하였다.
⑤ (나)의 미행성체들은 원시 태양의 자전 방향과 같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은 방향으로 공전하였다. ④ ㄴ, ㄹ ⑤ ㄷ, ㄹ

- 5 -
29. 다음은 지구의 형성과 진화 과정을 나타낸 것이
26. 원시 지구의 형성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다.
은 ◯, 옳지 않은 것은 ×로 표시하시오.
⑴ 미행성의 충돌로 원시 지구의 크기는 점차 작아 미행성체의 A 마그마의 B 원시 바다의

졌다. ( ) 충돌 ➡ 바다 형성 ➡ 형성

⑵ 지구 내부의 맨틀과 핵이 분리된 이후 마그마 바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


다가 형성되었다. ( ) 는 대로 고른 것은?
⑶ 마그마 바다에서 밀도가 큰 물질은 핵을, 밀도가 [보기]
작은 물질은 맨틀을 이루었다 ( ) ㄱ. A 과정에서 지구의 질량이 감소하였다.
⑷ 지표가 냉각되어 수증기가 응결되어 비로 내리면 ㄴ. B 과정에서 지구 내부의 층상 구조가 형성되었다.
서 원시 바다가 형성되었다. ( ) ㄷ. 지표의 온도는 A보다 B일 때 높았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7. 원시 지구의 형성 과정을 <보기>에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보기]
30. 그림은 지구의 진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ㄱ. 미행성체의 충돌 ㄴ. 원시 지각의 형성
ㄷ. 원시 바다의 형성 ㄹ. 맨틀과 핵의 분리
ㅁ. 마그마의 바다 형성 ➡ ➡ ➡
①ㄱ → ㄴ→ ㄷ →ㅁ → ㄹ
②ㄱ → ㅁ→ ㄹ →ㄴ → ㄷ
(가) (나) (다)
③ㄱ → ㅁ→ ㄷ →ㄹ → ㄴ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
④ㅁ → ㄷ→ ㄴ →ㄱ → ㄹ 는 대로 고른 것은?
⑤ㅁ → ㄹ→ ㄱ →ㄴ → ㄷ
[보기]
ㄱ. (가)에서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비로 내렸다.
ㄴ. (나)는 (가)보다 지구 중심부의 밀도가 크다.
ㄷ. (다) 이후에 기권의 CO2 농도가 낮아진다.

28. 그림은 원시 지구가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 ① ㄱ ② ㄴ ③ ㄱ, ㄷ


이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


는 대로 고르시오.
[보기]
ㄱ. A 과정에서 지구의 질량은 증가하였다.
ㄴ. A 과정에서 지표에 내린 비가 낮은 곳으로 모
여 원시 바다가 형성되었다.
ㄷ. B 과정에서 지구 중심부의 밀도는 증가하였다.
ㄹ. A → B → C 과정에서 지표의 온도는 계속 낮
아 졌다.

- 6 -
① 중심부 온도는 약 1000만 K이다.
7.
② 별의 일생 중 가장 긴 기간을 차지한다.
1. ⑤ 2. ② 3. ⑴ ㉠ 4, ㉡ 1 ⑵ 감소 ③ 중력과 내부 압력이 평형을 이루고 있어 크기가 일정하다.
⑶ 주계열성 4. ① 5. ⑤ 6. ① 7. ④ ⑤ 중심부에서는 수소 원자핵 4개가 융합하여 헬륨 원자핵 1개
8. ㉠ 높아지고, ㉡ 무거운 9. ⑴ 탄소 ⑵ 철 가 만들어지는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10. ④ 11. (다) → (나) → (가) 12. ⑤


13. ④ 14. ③ 15. ③ 16. ③ 17. ③ 8. 무거운 원소일수록 원자핵 간의 반발력이 크다. 별은 질량이

18. ① 19. ④ 20. ④ 21. ⑤ 22. ⑤ 클수록 중심 온도가 높아지고, 중심 온도가 높을수록 더 무거

23. ④ 24. ② 25. ① 26. ⑴ × ⑵ × ⑶ ◯ 운 원소를 충돌시켜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게 할 수 있다.

⑷ ◯ 27. ② 28. ㄱ, ㄷ 29. ② 30. ④


9. ⑴ 질량이 태양 정도인 별은 중심에서 헬륨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온도까지 밖에 도달하지 못하므로 만들 수 있는 가장
1. 성운에 밀집된 물질 사이에 만유인력의 작용으로 중력 수축 무거운 원소는 탄소와 산소이다.
이 일어나 원시별이 되고, 중력 수축 에너지에 의해 온도가 높 ⑵ 질량이 태양보다 매우 큰 별은 핵융합 반응으로는 가장 안
아진다. 정한 원소인 철까지 만들 수 있으며, 그보다 더 무거운 원소인
납은 핵융합 반응이 아닌 초신성 폭발 과정에서 만들어진다.
2. ㄱ, ㄴ. 별은 밀도가 크고 온도가 낮은 성간 물질이 밀집되
어 있는 곳에서 탄생한다. 10. 성운이 밀집된 곳에서 중력 수축 에너지에 의해 원시별이
형성된 후 수소 핵융합 반응 - 헬륨 핵융합 반응 - 탄소 핵융합
3. ⑴, ⑵ 수소 핵융합 반응은 4개의 수소 원자핵이 융합하여 1 반응 등을 통해 별의 내부에서 다양한 원소가 만들어진다.
개의 헬륨 원자핵을 만드는 과정으로, 반응 후 질량이 감소하
며, 감소한 질량은 에너지로 변환되어 방출된다. 11. 별의 중심에서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수소가 헬륨을, 헬
⑶ 주계열성은 중심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으로 빛을 내는 별을 륨이 탄소를, 탄소가 산소와 네온으로 점점 무거운 원소를 만
말한다. 들다가 결국 규소가 철을 만들고 나면 핵융합 반응이 멈춘다.

4. ㄱ, ㄴ. 중력 수축으로 별 중심부의 온도가 1000만 K 이상이 12. ㄱ. (가)는 중심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므로 주계열
되면, 수소 원자핵 4개가 결합하여 1개의 헬륨 원자핵이 생성 성이며, (나)는 주계열성 이후에 별의 중심부는 수축하고, 바깥
된다. 층은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므로 팽창하는 모습이다.
ㄷ. 4개의 수소 원자핵 질량의 합은 (가)의 질량보다 크며, 질량 ㄴ. (나)에서는 별의 바깥층에서 일어나는 수소 핵융합 반응에
차이만큼 에너지로 방출된다. 의해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별이 팽창한다.
ㄹ. 수소 핵융합 반응 이후 별 중심부의 온도가 1 ~ 2억 K까지 ㄷ. (나)는 별이 팽창하여 크기가 커짐에 따라 표면 온도가 점
상승하면, 헬륨 원자핵이 융합하여 탄소 원자핵을 생성하는 헬 점 낮아지고 붉은색을 띤다.
륨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13. ㄱ. 초신성 폭발 후 중심핵이 남아 중성자별이나 블랙홀이
5. ㄱ. 수소 원자핵 4개가 융합하여 헬륨 원자핵 1개가 만들어 된다.
지면서 질량이 감소하는 수소 핵융합 반응이다. ㄴ. 초신성 잔해는 질량이 태양보다 매우 큰 별이 중심부에서
ㄴ. 수소 핵융합 반응은 주계열성인 태양 중심부에서도 일어난 핵융합 반응이 멈춘 후 불안정해져 폭발하여 형성된 것이다.
다. ㄷ. 초신성 폭발 과정에서 고에너지가 방출되어 우라늄, 납 등
의 철보다 무거운 원소가 만들어져 성간 물질을 이룬다.
6. ① 주계열성은 중심에서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 내부 압력과
중력이 평형을 이루어 크기가 변하지 않는 안정한 별이다. 14. ㄱ. 이 별의 중심에 철핵이 생성되었으므로, 질량이 태양
② 주계열성은 중심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별이다. 질량의 10배 이상이다.
따라서 시간이 지날수록 수소의 양은 감소하고, 헬륨의 양은 ㄴ. 중심부로 갈수록 온도가 높아 무거운 원소를 합성하는 핵
증가한다. 융합 반응이 일어나 무거운 원소가 분포한다.
③ 태양은 현재 중심에서 헬륨을 만들고 있는 주계열성이다. ㄷ. 별의 중심에서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핵융합 반응에 의
④ 별은 진화의 대부분의 시간(약 90 % 이상)을 주계열성으로 해 수소가 헬륨을, 헬륨이 탄소를, 탄소가 산소와 네온으로 점
보내므로 우주에 존재하는 별의 약 90 % 이상은 주계열성이다. 점 무거운 원소를 만들다가 결국 규소가 철을 만들고 나면 핵
⑤ 질량이 큰 별은 수소를 빨리 소모하여 주계열성 단계를 빨 융합 반응이 멈춘다.
리 벗어난다. 따라서 질량이 작은 별일수록 수소를 느리게 소
모하여 주계열성에 오래 머무른다. 15. 핵융합 반응으로 가장 먼저 만들어지는 원소는 헬륨이다.

- 7 -
16. ㄱ. (가)의 중심에는 탄소핵, (나)의 중심에는 철핵이 생성되 22. ㄱ. 태양계 성운은 회전으로 인해 성운의 적도면을 따라 퍼
어 있고, 질량이 큰 별일수록 무거운 원소를 합성하므로 (가)는 져 나간 물질이 원반 모양의 성운을 형성하였다.
(나)보다 질량이 작은 별이다. ㄴ. 성운의 중심부는 중력 수축에 의해 온도가 점차 상승하여
ㄴ. 주계열성은 중심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으로 헬륨을 생성하 원시 태양이 형성되었다.
며, (가)는 헬륨 핵융합 반응으로 탄소를 생성하였으므로 (가)는 ㄷ. 원시 행성은 원반 내에서 생성된 미행성체들이 충돌하여
주계열성 이후의 별의 내부 구조이다. 합쳐지는 과정에서 형성되었으므로 성운의 회전축에 대해 수직
ㄷ. (나)의 중심에 철핵이 생성되었으므로 (나)는 질량이 매우 인 평면상에 배열되었다.
큰 별이다. 이 별이 중력 수축을 하다가 한계에 부딪히면 급격
히 팽창하여 폭발하는 초신성이 된다. 23. ① 성운설에 의하면 약 50억 년 전 우리은하의 나선팔에서
초신성 폭발로 밀도가 불균일해진 성간 물질이 모여 태양계 성
17. ㄱ. 별의 질량이 클수록 핵융합 반응 온도가 높으므로, 별 운이 생성되었고, 성운이 회전하면서 수축하여 현재와 같은 태
의 질량이 클수록 별 중심부의 온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양과 행성들이 형성되었다.
ㄴ. 온도가 높을수록 원소의 운동 에너지가 커지는데, 무거운 ② (가)는 원반 모양의 성운이 형성된 단계, (나)는 원시 태양과
원소일수록 반응 온도가 높으므로 필요한 운동 에너지가 크다 미행성체가 형성된 단계, (다)는 태양계 성운이 형성된 후 회전
는 것을 알 수 있다. 원자핵은 구성 입자인 양성자에 의해 (+) 과 수축이 일어나는 단계이므로, 시간 순서는 (다) → (가) →
전하를 띠므로 원자핵들 사이에 반발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원 (나)이다.
자핵들이 반발력을 극복하고 서로 충돌해서 핵융합 반응이 일 ③ (가)의 성운에서 뭉쳐진 물질이 현재의 태양과 행성을 형성
어나려면 더 큰 운동 에너지를 가져야 하므로, 양성자가 많은 하였으며, 현재 태양과 행성을 이루는 성분 중에는 수소와 헬
무거운 원소일수록 높은 온도가 필요하다. 륨뿐만 아니라 탄소, 질소, 산소, 철 등의 무거운 원소도 포함
ㄷ. 철은 매우 안정하기 때문에 철보다 무거운 원소가 합성되 되어있다.
려면 에너지를 흡수해야 하므로 매우 높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④ 태양계 성운의 원반부에서 원시 태양에 가까운 곳은 온도가
따라서 별 내부의 핵융합 반응으로는 생성되지 못하고, 초신성 높았기 때문에 철, 규소 등의 무거운 성분이 주로 분포하였다.
폭발 과정에서 엄청난 에너지가 발생하므로 일시적으로 철보다 가벼운 기체는 대부분 중심부에서 먼 곳으로 날아갔기 때문에
무거운 원소가 생성된다. 원반부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가벼운 성분이 분포하였다.
⑤ 미행성체들과 원시 태양은 거의 같은 시기에 회전하는 성운
18. A는 초거성, B는 블랙홀이다. 에서 형성되었으므로, (나)의 미행성체들이 공전하는 방향은 원
ㄱ. 별의 진화 단계에 초신성과 중성자별이 있으므로 질량이 시 태양이 자전하는 방향과 같았다.
태양보다 매우 큰 별의 진화 과정이다.
ㄴ. A에서 생성될 수 있는 가장 무거운 원소는 철이며, 철보다 24. 각운동량 보존 법칙에 의해 원반 안쪽으로 갈수록 물질의
무거운 원소는 초신성 폭발 과정에서 생성된다. 이것은 철이 회전 속도가 빨라진다.
가장 안정한 원소이기 때문이다.
ㄷ. B 블랙홀은 중력이 매우 커서 물질은 커녕 빛까지도 빠져 25. 목성형 행성은 태양에서 먼 곳에서 형성된 것으로, 온도가
나오지 못한다. 행성(지구), 별, 성운에서 발견되는 철은 초신성 낮아 얼음, 티끌, 가벼운 물질들이 행성을 이루었다. 중심핵에
폭발 과정에서 우주로 방출된 것이다. 얼음이 포함되어 있으며 행성 표면은 기체 상태로 수소 분자가
둘러싸고 있다. 행성 표면에 단단한 암석층이 있고 주로 철과
19. ④ 핵융합 반응에 의해 철이 생성되는 단계는 초거성으로, 규소로 이루어진 것은 지구형 행성이다.
주계열성 이후에 생성된다.
26. ⑴ 원시 지구에 미행성체가 충돌하면서 지구의 크기와 질
20. 태양계 성운이 회전하면서 수축하여 원반 모양의 성운이 량은 증가하였다.
형성되었다. 온도가 높아진 성운의 중심부에는 원시 태양이 형 ⑵ 마그마 바다는 미행성체가 충돌할 때 발생한 열과 이산화
성되었고, 원반 주위에는 미행성체들이 형성되었으며, 미행성체 탄소와 수증기에 의한 온실 효과로 지구 전체가 녹으면서 형성
들의 충돌에 의해 원시 행성이 형성되었다. 되었다.
⑶ 마그마 바다에서 밀도가 큰 철과 니켈은 중심으로 가라앉아
21. ①, ② 태양은 회전하는 태양계 성운의 중심부로 모여든 물 핵을 이루었고, 밀도가 작은 규산염 물질은 위로 떠올라 맨틀
질로부터 생성되었다. 을 이루었다.
③, ④ 회전하는 납작한 원반 부분에서 얼음, 티끌, 가스 등이 ⑷ 원시 바다는 미행성의 충돌 감소로 인해 지표가 냉각되어
뭉쳐 미행성체가 되고, 수많은 미행성체들이 서로 충돌하고 병 응결한 수증기가 비로 내리면서 형성되었다.
합하여 원시 행성으로 성장하였다.
⑤ 태양과 가까운 곳에는 지구형 행성, 먼 곳에는 목성형 행성 27. 미행성체의 충돌→ 마그마의 바다 형성 → 맨틀과 핵의
이 만들어졌다. 분리 → 원시 지각 형성 → 원시 바다의 형성

- 8 -
28. ㄱ. 원시 지구는 A 과정에서 미행성의 충돌에 의해 질량과
크기가 점점 증가하면서 성장하였다.
ㄴ. 마그마 바다는 지구 전체가 녹은 상태로 원시 바다와는 다
르다. 원시 바다는 지표가 냉각되어 원시 지각이 형성된 후 수
증기의 응결에 의해 내린 비가 모여 형성되었다.
ㄷ. B 과정에서 밀도 차이에 의한 물질의 분리가 일어나 무거
운 철과 니켈 성분이 중심부로 모여 핵을 형성하였으므로 중심
부의 밀도는 증가하였다.
ㄹ. A 과정에서 지표의 온도가 상승하여 마그마 바다가, C 과
정에서 지표의 온도가 하강하여 원시 지각이 형성되었다.

29. ㄱ. 미행성체가 충돌하면서 질량이 더해져 지구의 질량이 증가


하였다.
ㄷ. 지표의 온도는 미행성체의 충돌이 활발하여 마그마의 바다를
형성하는 A일 때가 B일 때보다 높다.

30. ㄱ.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비로 내린 때는 (다)에서


원시 바다가 형성된 때이다.
ㄴ. (나)에서 무거운 물질이 지구 중심 쪽으로 이동하여 핵이
되고, 가벼운 물질은 떠올라 맨틀을 이루었으므로 중심부의 밀
도는 (나)가 (가)보다 높다.
ㄷ. (다)에서 원시 바다가 생성된 이후에 대기 중의 CO2가 바
다에 녹아 대기 중의 CO2양이 감소하였다.

- 9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