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신기하고 재미있는 통합과학!

❷ 무거운 원소의 탄생 학번:


이름:
Ⅰ. 물질과 규칙성 - 1. 물질의 규칙성과 결합 교과서 26~33쪽

 수소와 헬륨보다 무거운 원소의 생성 ✔ 주요 학습 요소

초기 우주의 미세한 밀도 차이 ⇨ 밀도가 좀 더 높은 부분을


□ 수소 핵융합
1. 초기 우주의 밀도 분포 □ 헬륨 핵융합
중심으로 물질이 뭉쳐져 은하가 만들어지고 은하 안에서도 물질의 밀도가 높은 부분 중 □ 중력 수축
심으로 물질이 뭉쳐져 별이 된다.

2. 별의 탄생수소 기체의 중력 수축으로 별 내부의 온도가 높아지면 수소 원자핵이 헬


륨 원자핵으로 융합하는 (❶수소 핵융합 )을 통해 빛을 내는 별이 된다.

3. 별의 일생

태양
정도
질량

태양 주계열성
보다
훨씬

질량

기본체크 별의 탄생과 별의 내부에서 만들어지는 원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표, 옳지 않은 것은


×표를 하시오.
(1) 헬륨 핵융합은 수소 원자핵이 핵융합을 하여 헬륨 원자핵을 만드는 과정이다. ( ○ )
(2) 태양과 비슷한 질량을 가진 별은 초신성 폭발을 한다. ( × )

- 1 -
신기하고 재미있는 통합과학!

❷ 무거운 원소의 탄생 학번:


이름:
Ⅰ. 물질과 규칙성 - 1. 물질의 규칙성과 결합 교과서 26~33쪽

4. 별 내부의 핵융합과 물질의 탄생

➊ ➋

(1) 태양과 질량이 비슷한 별


① 수소 핵융합과 헬륨의 생성: 별의 중심부에서는 수소 핵융합을 통해 수소가 헬륨으
로 바뀌면서 수소가 고갈된다.
② 헬륨 핵융합과 탄소의 생성: 수소가 고갈되는 단계에 이르러 별의 안쪽은 급격히 수
축하여 중심부 온도가 높아진다. ⇨ 헬륨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 중심부의 헬륨 원자
핵은 (➌ 탄소 ) 원자핵으로 융합한다.
(2) 태양보다 질량이 훨씬 큰 별: 수소에서 헬륨으로, 헬륨에서 탄소로, 탄소에서 산소로,
산소에서 네온으로…… 이렇게 핵융합 과정이 반복되면서 여러 가지 원소로 이루어진
여러 층을 이루게 되며, 결국 철까지 만들어진다.
 철보다 무거운 원소의 생성
1. 초신성 태양보다 질량이 훨씬 큰 별이 (➍ 철 ) 원소까지 만들고 핵융합을 중단한 뒤
중력 수축하다가 대규모로 폭발하는데, 이러한 별을 초신성이라고 한다.
2. 철보다 무거운 원소의 탄생 초신성이 폭발할 때 방출된 에너지로 철보다 무거운
원소가 만들어져 우주 공간으로 흩어진다. 초신성 폭발

기본체크 별의 탄생과 별의 내부에서 만들어지는 원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표, 옳지 않은 것은


×표를 하시오.
(1) 헬륨 핵융합은 수소 원자핵이 핵융합을 하여 헬륨 원자핵을 만드는 과정이다. ( ○ )
(2) 별의 내부에서는 탄소까지만 만들어진다. ( × )

철보다 무거운 원소의 생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표, 옳지 않은 것은 ×표를 하시오.


(1) 철보다 무거운 원소는 별 내부에서 일어난 핵융합에 의해 만들어졌다. ( × )
(2) 모든 별은 내부의 핵융합으로 철까지 만들 수 있다. ( × )
(3) 초신성의 잔해가 뭉쳐져 만들어진 별이나 행성들은 무거운 원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
( ○ )

- 2 -
신기하고 재미있는 통합과학!

❷ 무거운 원소의 탄생 학번:


이름:
Ⅰ. 물질과 규칙성 - 1. 물질의 규칙성과 결합 교과서 26~33쪽

2019. 11 고1(경기) 학평
2020. 11 고1(경기) 학평

2020. 11 고1(경기) 학평

- 3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