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영어 탐구

보고서 -
천체물리학에
관하여
10711 원승재
I. 서론
우리는 얼마 전 영어 시간에 밤하늘이 우리 인간에게 많은 도움을 준다는 지문을
공부했었다 . 이 지문은 밤하늘이 우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 , 시간을 기록하고 달력을
제작할 수 있게끔 해준다는 내용이었다 . 그래서 나는 " 과연 천체란 어떤 것일까 ?" 에 관해
호기심을 가지게 되었다 . 그래서 이번에 이에 대해 탐구하고자 천체물리학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하게 되었다 . 이 글에서는 천체물리학의 주 연구 대상인 블랙홀 ,
천체물리학의 대표 인물들과 분야들까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

II. 본론
천체물리학은 물리학과 화학의 원리들을 응용하는 천문학 및 물리학의 한 분야로 , 항성 ·
은하 · 성간물질 등 천체의 물리적 성질이나 천체 간의 상호작용 등을 연구대상으로 하며 ,
그것들을 물리학 이론을 이용하여 연구하는 학문이다 . 지금부터는 천체물리학의 대표 연구
대상인 블랙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

1. 정의
블랙 홀 (Black hole) 이란 중력이 너무 커서 , 빛을 포함한 그 어떤 것도 빠져 나오지
못하는 천체를 말한다 . 즉 , 사건의 지평선 내부의 영역이다 .
2. 특징
사건의 지평선 (Event Horizon): 내부에서 일어난 사건이 외부에 아무 영향도 미치지 않게
되는 경계면을 가리킨다 . 지평선 안에서 일어나는 사건에 대해 지평선 밖에서는 어떠한
정보도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

3. 형성
(1) 항성의 붕괴 : 태양보다 질량이 훨씬 큰 별이 핵융합을 멈추면 중력에 의해 붕괴 (
중력붕괴 )
(2) 중성자별의 충돌 : 중성자별 2 개가 충돌하면 초신성과 비슷하지만 훨씬 어두운 현상인
킬로노바가 발생하며 그 합병의 결과물의 질량이 충분히 큰 경우 블랙홀이 형성될 수 있다 .

4. 성장
(1) 주위 기체 , 우주배경복사 등의 질량을 흡수하며 성장
(2) 항성 또는 다른 블랙홀과의 융합
은하 M87 의 중심부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

NASA 에서 컴퓨터 그래픽으로


제작한 M87 블랙홀의 모습
인물

천체물리학의 대표 인물로는
아이작 뉴턴 : 고전역학의 기본을 정립 , 만유인력의 법칙 확립 , 미적분법을 발견했다 .
스티븐 호킹 : 현대 천문학자 , 블랙홀 이론을 발표하였다 . “ 물질은 시공간의 휘어짐을
결정하고 , 휘어진 시공간은 물질의 운동을 결정한다 ." 블랙홀은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의 결과물이다 .
갈릴레오 갈릴레이 : 달의 다양한 지형 , 별들이 가득한 은하수 , 목성의 위성 등을 발견
요하네스 케플러 : 행성 운동에 있어서 케플러의 법칙을 발견했다 .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 지동설로 천체의 움직임을 설명했다 .
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 천동설로 천체의 움직임을 설명했다 .
에드윈 허블 : 적색편이를 통해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걸 발표했다 .
분야

 고전 역학 : 뉴턴의 운동법칙을 기본으로 하는 역학

 양자역학 : 분자 , 원자 , 전자 , 소립자 등 미시적인 계의 현상을 다루는 즉 , 작은


크기를 갖는 계의 현상을 연구하는 물리학의 분야

 열역학 : 에너지 , 열 , 일 , 엔트로피와 과정의 자발성을 다루는 물리학의 분야

 입자물리학 : 물질과 방사선 등 자연의 기본 입자를 연구하는 물리학의 분야

 핵물리학 : 원자핵에 관계되는 현상을 다루는 분야

 전자기학 : 전기와 자기 현상을 탐구하는 학문


III. 결론

이처럼 나는 항상 뜨거운 관심을 받던 천체물리학의 연구 분야 블랙홀에 대해서 알게 되었


고 , 천체물리학의 거장들과 분야들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다 . 블랙홀에서 시공간을 서로
독립적으로 나누는 사건의 지평선의 존재도 굉장히 흥미로웠다 . 이번 탐구 활동을 통해
나는 영어 시간에 배웠던 글의 주제에 대해서도 더 심화적으로 학습할 수 있어서 좋았고 ,
평소 궁금했던 분야에 대해서 조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유익했다 . 이처럼 평소 과학에
상당한 흥미를 보였던 나에게 큰 의미가 있는 시간이었다 . 다음 번엔 다른 물리학 분야들에
대해서도 탐구해보고 싶다 .
IV. 출처

https://namu.wiki/w/%EC%B2%9C%EC%B2%B4%EB%AC%BC%EB%A6%AC%ED%95%99#s-7
https://ko.wikipedia.org/wiki/%EC%B2%9C%EB%AC%B8%ED%95%99%EC%9E%90
https://namu.wiki/w/%EB%B8%94%EB%9E%99%ED%99%80#s-2.1

You might also like